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38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이윤근([email protected])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시민방사능감시센터

description

이윤근 박사님의 의료방사선 강의 자료입니다. 여성환경연대에서 후쿠시마 3주기를 맞아 생활 속 방사선 다시보기 공개강좌로 진행했습니다.

Transcript of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Page 1: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의료방사선으로부터우리가족 지키기

이윤근([email protected])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시민방사능감시센터

Page 2: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해안

방사능 공포는 이렇게시작되었습니다.

2

시작되었습니다.

Page 3: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후쿠시마 핵사고 개요]

• 원전1, 3, 2, 4호기 폭발한 7등급인 최고수준의 핵사고 발생

• 1,2,3호기는 핵연료봉이 녹는 “노심용융”과 용융된 핵연료가 원자로를 뚫고 밖으로 흘러내리는 “멜트스루”현상 발생상 발생

• 일본 국토의 약 70%가 오염, 특히 반경 300km까지(도쿄)고농도 오염

• 현재까지 사고지점 반경 20km 지점은 강제 대피 중

• 현재에도 1일 약 300톤 정도의 오염된 냉각수가 계속해서누출되고 있음

3

Page 4: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방사능! 제대로 알기

4

Page 5: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방사능과 방사선은 어떻게 다른가?

• 『 방사선 』이란 방사성동위원소에서 사방으로 퍼져 나오는 알파(α), 베타(β), 엑스(X), 감마(γ)선과 같은 입자또는 에너지 선을 말하고,

• 『방사능』이란 바로 이러한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능력(세기)을 말하고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방사능물질력(세기)을 말하고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방사능물질이라 함

5

Page 6: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오염 단위는 어떻게 다른가?

베크렐 (Bq) : 절대량 단위(농도), 오염도를 나타냄

•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방사성물질의 양)을 표현하는 단위로 방사능의 크기를 말함. 토양, 식품, 수질,공기 등의 오염 정도를 표현할 때 사용

(예: 고등어 1kg 당 3Bq의 방사능이 있다)(예: 고등어 1kg 당 3Bq의 방사능이 있다)

시버트 (Sv] : 피폭량 단위, 건강영향을 나타냄

• 방사능물질에서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방사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방사선이 인체(혹은 동식물)에 얼마나 피폭되는지를 표현할 때 사용

(예: 1인 당 연간 3mSv 피폭됨)

Page 7: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방사선 피폭의 오염원은?발생원 세계 미국 일본 한국 비고

자 연방 사선

공기 흡입 1.26 2.28 0.40 1.351공기 중 라돈 가스, 실내 누적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음

섭취(음식, 물) 0.29 0.28 0.40 0.427 K-40, C-14 등

지각 감마 0.48 0.21 0.40 0.958지각(흙, 암석 등 건축재료)으로부터방출되는 방사선(라돈 제외)

우주 방사선 0.39 0.33 0.30 0.229 고도에 따라 달라짐

소계 2.40 3.10 1.50 2.994

7

소계 2.40 3.10 1.50 2.994

인공방 사선

의료 방사선 0.60 3.00 2.30 0.733 방사선검사 및 치료기기

소비 특성 - 0.13 -

핵 실험 0.005 - 0.01 - 핵무기 실험 등

직업적 노출 0.005 0.005 0.01 0.0014 주로 방사선 기기 종사자 및 연구자

핵발전 사고 0.002 - 0.01 - 체르노빌,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

연료재처리0.000

20.001 -

기타 - 0.003산업, 보안검사, 의료, 교육, 기타 연구 활동 등

소계 0.61 3.14 2.33 0.734

연간 총 방사선 3.01 6.24 3.83 3.728 1년 동안에 피폭되는 총 방사선량

Page 8: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한국인의 방사선 피폭 비율]

흡입 라돈

섭취(음식)

11%

우주방사선7%

직업피폭0.04%

8

흡입 (라돈)

36%

지각감마26%

의료상피폭20%

Page 9: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방사선 피폭 경로는?

• 내부피폭

– 방사능물질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체내로 들어오는 경우

– 내부 피폭은 오랜 기간 동안 방사능물질이 몸에 남아 있으면서 계속해서 인체에이 몸에 남아 있으면서 계속해서 인체에영향을 주기 때문에 더 심각함

• 외부피폭

– 병원에서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것처럼방사선이 몸에 조사되는 경우

– 외부피폭은 방사선에 쏘이는 그 순간만문제됨

9

Page 10: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방사선에 의한 건강 영향은?

10

하미나교수 발표자료 참고

Page 11: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방사선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병]

• 암 (갑상선 암, 유방암, 백혈병 등)

• 유전질환 (선천성 기형, 사산, 유산, 지능저하, 불임)

• 심혈관질환 (심근경색)

• 그 외 신장염, 폐렴, 중추신경계질환, 백내장 등

• 여자와 어린이가 방사능에 더 민감하다.

11

Page 12: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체르노빌사고 이후 갑상선 암의 증가](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04;33:1025–1033)

체르노빌사고

12

Page 13: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허용기준치는 정말로 안전한가?

• 방사선 허용기준치는 존재하지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

• 농도가 낮으면 암이 발생하지않는 것이 아니라 암이 발생할 확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Low Levels of Ionizing Radiation: BEIR VII – Phase 2, NRC)

않는 것이 아니라 암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진다는 의미

13

Page 14: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호메시스 (Hormesis) 이론](2011.11. 대한 방사선 방호학회. 한양대 이재기교수 발표)

• 100밀리시버트 이상에서만 건강영향이 나타남

• 저선량에서는 암발생이• 저선량에서는 암발생이증가하지 않으며 오히려항암효과가 있다고 주장.

• 인체데이터가 없으며 주로 세포수준의 연구결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지못하는 이론

14

Page 15: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왜 어린이와 임산부들이 방사선에더 위험한가?

• 어린이 혹은 유아들은 세포분열이 왕성한 시기�세포변이가 일어나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어린이가 호흡하는 공기량은 성인의 약 3배,성인에 비해마시는 물의 양은 7배

• 통상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자는 2배, 성인보다 어린 아이는20배, 태아는 1000배 더 취약함

1515

Page 16: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체르노빌 이후 유럽의 성비변화]

16

Page 17: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약 27만 2천명 정도의 여자 아이가 사산됨

17

Page 18: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태아 노출에 의한 어린이 백혈병위험 ](평균노출량 : 10mSv)

18

임신 3기 때 복부 X-ray 촬영횟수와 어린이 백혈병 발생위험도

Page 19: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방사선조사 식품은 안전한가?

• 방사선 조사식품’(혹은 방사선 소독) :

식품 속에 있는 각종 세균이나 기생충,

기타 해충들을 죽이거나 식물의 발아

억제 혹은 성장 속도 조절을 목적으로

방사선)을 쬐는 식품방사선)을 쬐는 식품

•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음식에 방사선이 남아있지는 않음. 마치 빛을 쏘이다가 빛을 차단하면 그 빛이 우리 몸에 남아있지 않고 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

• 이러한 음식을 섭취한다고 해서 방사선에 노출될 염려는없으나 영양소 파괴가 문제되고, 기타 건강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상황

19

Page 20: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씻어내면 안전한가?

• 식품에 축적된 방사능 오염물질은 씻거나 끓인다고 없어지지 않음

• 다만 폭발과 같이 사고 초기에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먼지나 빗물에 섞여 있을 수 있음나 빗물에 섞여 있을 수 있음

� 반드시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세척

� 외출 후 반드시 샤워

� 절대 비를 맞아서는 안되고 외출을 삼가

20

Page 21: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생활용품은 문제 없나?

• 음이온이 발생한다는 돌침대, 팔찌, 벽지 등이 모나자이트(Monazite)라는 광물질을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표적인 방사능물질인 우라늄이 0.2–0.4%, 토륨이 4.5–9.5% 정도 포함되어 있음

• 길게는 24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 방사선• 길게는 24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 방사선누적노출량이 높을 가능성이 있어 절대 사용해서는 안됨

21

Page 22: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설마 담배에도 ?

1일 흡연량 (갑) 연간 유효선량(mSv)

0.5 0.18

1.0 0.36

1.5 0.54

22

1.5 0.54

2.0 0.72

2.5 0.90

3.0 1.08

Page 23: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의료방사선의 두 얼굴

23

Page 24: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의료방사선이란?

• 진단 과정에서 노출 : CT 검사 (2-10mSv), 조형검사

• 치료 과정(암치료)에서 노출 : 방사선치료 (수천-1만 mSv)

24

Page 25: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의료방사선의 두 얼굴

• 이익 : 방사선 피폭이 문제되는 것을 알면서도 검사를 받는 것은 방사선 피폭에 대한 염려보다 검사 혹은 치료를통해 얻어지는 이익이 더 큰 경우

• 해(害) : 질병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중복 촬영• 해(害) : 질병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중복 촬영하거나 검사를 강요하고 있고, 매년 반복되는 종합검진을통해 무분별하게 방사선에 피폭되는 경우

25

선택은 ?

Page 26: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국내 방사선 검사 현황(식약처, 2013)

26

Page 27: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우리나라 병원방사선 검사 선량(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2005)

검사 종류 mSv / 검사당

가슴 X-선 사진(정면) 0.02

가슴 X-선 사진(측면) 0.04

허리뼈(요추) X-선 사진(정면) 1.0

유방촬영 0.27

바륨을 사용한 위 사진 2.6

바륨을 사용한 대장사진 7.2바륨을 사용한 대장사진 7.2

머리 CT 2.0

가슴 CT 8.0

배 CT 10

골반 CT 10

심장혈관조영술 6.61

심장혈관중재술 7.42

갑상선 스캔 3.61

뼈 스캔 5.27

뇌 SPECT 8.45

심장 SPECT 20.427

Page 28: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초음파나 MRI는 ?

• 고주파의 초음파(초음파검사) 혹은 자기장(MRI검사,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 염려는 없음.

28

Page 29: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의료방사선의 주범 : CT

29

출처 : 식약처, 2013

Page 30: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우리나라 CT 보유대수

구 분OECD 평균*

우리나라

‘10년 ‘11년 ‘12년연평균증가

(단위: 인구 100만명당 보유대수, %)

30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23.3 35.3 35.9 37.1 5.3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

12.4 19.9 21.3 23.5 11.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

1.7 3.1 3.3 3.8 27.3

OECD 평균은 ‘12 또는 가장 최근 연도 기준(자료: OECD Health Data 2013)

Page 31: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CT 재촬영율(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병원을 옮기면서 재진료를 할 때 30일 이내에 재촬영하는빈도

31

1차 CT 촬영 후 동일상병으로 30일이내에 타 기관 내원 수진자수(A)

370,481 411,967 493,666 476,572 507,423

(A) 중 CT 재촬영 수진자수(B) 80,402 84,828 98,269 88,746 99,190

전원환자 재촬영률(B/A×100) 21.7 20.6 19.9 18.6 19.5

Page 32: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의료방사선 피폭의 위험성

연령별로 10msv 피폭시 남자와 여자 환자 1000명당 암발생및 사망률 비교

32출처 : Sodickson et al, Radiology: Volume 251: Number 1—April 2009

Page 33: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CT 촬영과 암발생율CT 검사횟수에 따른 암발생 및 사망률 비교

33

출처 : Sodickson et al, Radiology: Volume 251: Number 1—April 2009

Page 34: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종합검진의 방사선 노출 수준

검진프로그램1회 검진 시 피폭량 (mSv)

기본검사 추가검진피폭범위

(최소-최대)

기본검진 1.294 0.02 1.294 ~ 1.314

34

1일 정밀검진 15.314 - 15.314 ~ 15.314

암전문(주요암) 14.31 1.004 14.31 ~ 15.314

생활습관병(뇌심전문) 15.32 - 15.32 ~ 15.32

프리미엄 검진 32.333 - 32.333 ~ 32.333

Page 35: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종합검진의 피폭수준 비교

피폭량 피폭 사례

수천 – 1만 암치료 (방사선치료)

50mSv 방사선종사자의 연간 노출기준

32mSv 00병원 숙박검진 1회당 최대 피폭량

- 방사선종사자의 5년 동안 연속적으로 피폭될 때의

35

20mSv 1년 동안의 직업적 노출기준- 서울대 병원 진단방사선 연간 허용치

15mSv 내외 암검진이 포함된 정밀검진

10mSv 복부-골반 부위 CT 촬영시 방사선 노출량

4.73mSv 핵연료 취급자의 연간 피폭량

2.99mSv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자연방사선 피폭총량

2.96mSv 국내 항공기조종사의 연간 직업적 피폭량(우주방사선)

1mSv 일반인의 연간 노출기준

Page 36: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미국과 영국의 차이

36

미국 : 1980년대 0.53 mSv에서 2006년 3.0 mSv로 증가영국 : 0.4mSv 수준 유지

Page 37: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의료방사선 피폭량을 줄이려면…

• 병원 검진 시 방사선 피폭량 고지 의무

• 병원 전원시 재 촬영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

• 병원 진료기록부에 방사선 노출량 기록의무

• 종합검진 등 질병 진단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

• 병원 장비의 주기적인 방사선 피폭량 평가 및 관리(권고• 병원 장비의 주기적인 방사선 피폭량 평가 및 관리(권고기준을 넘는 장비에 대한 규제)

37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에서발생하는 방사선 피폭량을 환자에게 고지토록 하는방안이 추진되고 있는 것과 관련 의료계는 환자에게오히려 공포심만 조성할 수 있다고 경고”

Page 38: 의료방사선으로부터 우리가족 지키기

Q & A

감사합니다.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