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M - 출향제도

Post on 24-Jun-2015

202 views 6 download

description

written in Korean. HR Management

Transcript of HRM - 출향제도

출향제도는 무엇이며

활용 가능한가 ??

미디어커뮤니케이션 20100840 안은경통계학과 2010107 박소정IT 학부 20111253 임수진경영학과 20122618 채세희법학과 20120876 김보미

Prepared by

1

2

3

4

출향제도란 무엇인가 ?

일본의 출향제도 사례보기

우리나라의 출향제도

출향제도 활용 가능한가 ?

INDEX

- 출향제도의 의미 ( 파견 , 전적과의차이 ) - 출향의 발전과정- 출향의 5 가지 유형

※ 참고문헌 슬라이드 마지막에 첨부

- 업무 지도형 - 고령자 대책형 / 고용조정형

- 우리나라의 출향제도 사례- 출향제도의 양면성 ( 장 . 단점 )

01 출향제도란 ??

원래 근무하던 기업 ( 출향원 ) 의 종업원으로서 신분을 유지하면서

다른 회사 ( 출향처 ) 로 이동하여

이동회사 사용자의 지휘 , 명령을 받아 노무를 제공하는 제도 .

원래 근무지( 출향원 )

다른 회사( 출향처 )

출향계약

고용

관계

유지

지휘,명

근로자

고용관계

파견파견 간 회사와의 고용관계가 없다 .

전적기존의 회사와의 고용관계 종료 .

전근같은 회사에서 근무지만 변경되는 것 .

헷갈리지 마세요 !

01 출향의 발전과정

형성기 발전기 변화기 현재

1940 년대세계 2 차대전 이후일본의 고도성장기서서히 형성

1960 년대1. 경제발전과 글로벌 경쟁화 . 경영기술지도를 위해 활성화됨2. 급속한 기술혁신이 진행되면서 잉여노동력이 발생 인원합리화의 필요성이 커짐

1970 – 2000 년대1 차 오일쇼크 , 장기불황 , 기업지배구조 변화 등 흐름에 따라 출향제도 또한 활성화 , 비활성화를 겪으며 변화함

-2014 년2006 년 “대기업 중견 인력 파견제”를 도입하면서 우리나라에도 출향제도가 도입 .정년인구 증가와 같은 고용문제의 해결책으로 대두 .

출향의 유형 5 가지

업무 지도형- 출향선 강화형- 경영 상태가 부진 / 위태로운 기업 지원- 단기간 전문지식 기술의 교육지도∙- 모회사가 출향원인 경우가 많다

- 기업집단 통합형- 모회사와 출향받은 회사간 , 그룹간의 연계강화- 정기적으로 상호간에 출향이 이루어진다

인재 개발형- 다양한 업무의 경험을 통한 능력개발- 전문적 지식 기술 습득이 목적∙

고령자 대책형

인사 교류형

- 종신고용제 , 연공서열제- 정년연장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최소화

고용 조정형- 고용조정수단의 일환으로 실시- 인력을 보내고 , 임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 이로 인해 , 고용조정효과 + 인건비절약

01 출향의 5 가지 유형

02일본의 출향제도 살펴보기

02 일본 제어기 제조사

1991 년 4 월 . 인재교류제도를 계기로 출향을 본격적으로 시작 .

관련회사를 포함한 그룹전체의 능력개발 + 고용기회 확보 → 생애복지 인재정책

출향기간 : 원칙적으로는 2 년 .

사례보기 1) 일본의 출향제도 - 업무 지도형

이 회사의 관련회사들은 Name Value 가 낮아 연구개발 기술직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이 회사에 채용하여 출향으로 인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함

02 사례보기 1) 일본의 출향제도 - 업무 지도형

구분국내 관련회사 국내

대리점국내

그룹 외해 외 전체

직계 계열 A 계열 B 계열 C

출향자수 55.3 25.9 0.5 0.8 3.8 5.8 8.0 100.0

관리직원 11.9 7.2 0.1 0.2 1.1 3.0 3.3 26.8

일반사원 43.4 18.7 0.3 0.6 2.6 2.8 4.7 73.2

(1997 년 10 월 기준 , 단위 : %)

1. 직계를 중심으로 출향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 중 고령층 관리직의 잉여인력을 ∙

단순히 해소하기 위해 출향을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 .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1997 년 10 월 기준 , 단위 : 명 )

신규 출향자

출향자 출향자 / 신규출향자 모두 급증

02 사례보기 1) 일본의 출향제도 - 업무 지도형

1. 출향자 인선 및 관리

매년 관리회사로 부터 인재의 Needs 를 파악

관련회사가 사람의 이름을 지정 or 인재의 조건을 제시

출향 전 교육실시

출향간담회 : 출향자를 위한 After Care 를 목적으로 관련자들 모여 연 1 회 개최

출향 전 상담을 통해 출향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적절히 대응하도록 하고 있음

2. 임금

출향수당 + α → 기존의 임금과 차이가 많이 나지 않도록 하고 있음

차세대 매니저 육성인재의 적재적소 배치

그룹 기업간의 인재보완 효과

02 사례보기 2) 일본의 출향제도

東芝機械 ( 동지기계 ) : 자회사 5 개 설립하여 고령자를 출향시킴 . 퇴직자를 보충하지 않는 등의 자연감소에 의해 완만한 고용조정을 실시

安川電械 ( 안천전기 ) : 1993 년 기술담당 부분에서 약 150 명을 관계회사에 출향하거나 영업부문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1993 년 4 월 4,690 명의 종업원을 신규채용을 억제하고 관련회사로의 출향으로 삭감함으로써 1996 년에는 4,200 명으로 고용조정 실시

日本鋼管 ( 일본강관 ; 일본의 제철 및 조선업체 ) : 1993 년부터 1997 년 사이에 전체종업원의 30% 인 6,781명 을 출향을 통해 흡수

고령자 대책형

고용 조정형

고용 조정형

출처 : 中馬宏之 ,1997, “ 일본형 고용조정의 특징과 시사점” , 한국 노동연구원 제 1 회 인적자원 포럼

03우리나라의 출향제도

03 우리나라의 출향제도

우리나라의 출향제도 사례 넣어주세요 ~

3. 대 -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활성화

출향제도의 장점

2. 인적 연결망 강화 기업 간 협력이 효과적으로 추진 될 수 있는 토대 마련

1. 중 , 고령자의 고용안정성 향상 제 2 의 기회제공 . 근로자들의 역량 강화에 도움 .

1. 대기업 노동자에 대한 퇴출수단으로 악용 2. 팀워크 ( 소통 ) 문제 및 낮은 업무 책임감

출향제도의 단점

03 출향제도의 양면성

04출향제도 활용 가능한가 ?

04 제목쓰기

THANK YOU

Q A&

http://cafe.naver.com/gaury/9222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berdul&from=postList&categoryNo=45

이강성 외 , 서울지역기업의 사외근무 활성화 안방연구 , 노동부 ,2009

中馬宏之 ,1997, “ 일본형 고용조정의 특징과 시사점” , 한국 노동연구원 제 1 회 인적자원 포럼

참고문헌 및 사이트

참고문헌 추가해주세요 !( 교수님 논문제목을 제가 몰라서 그 부분 추가해 주세요 ~)

글씨크기 글꼴 맞춰서 해주세요 ~

마지막 사람이 이 메모 지워주세요 !그리고 문헌은 문헌대로 사이트는 사이트로

분류만 함께 해주세요 ~

박준성 , 일본의 출향제도 운영실태 , 여성과 경영 제 3 권 제 1 호 , 2010 년 6 월 1 일

이호창 , 일본의 기업간 인사교류 실태 – 출향시스템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