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강

Post on 23-Jun-2015

334 views 5 download

Transcript of 제3강

피부의 기능피부의 기능

비타민 D형성작용

표정 작용

재생 작용

면역 작용

보호 작용

체온 조절 작용

감각 작용

분비 배설 작용

피부의 최외층인 각질층과 지질은 외부로부터의 물리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한다 .

첫째 , 물리적 자극에 대한 보호기능 둘째 , 화학적 자극에 대한 보호기능 셋째 , 세균의 침입에 대한 보호기능 넷째 , 태양 광선에 대한 보호기능

신체에서 발산되는 열량의 70% 는 피부를 통해 발산되고 나머지는 호흡을 통해 발산된다 .

추울때는 피부는 수축되어 표면적을 적게 하여 열의 발산을 억제하고 , 더울 때는 확장되어 표면적을 넓게 하여 열의 발산을 증대시킨다 .

피부는 인체의 곳곳에 흩어져 있는 감각기들을 이용하여 위험이 다가오는 것을 감지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

피부에는 1 ㎠ 당 촉점 25 개 , 온점 1~2 개 , 냉점 12 개 , 압점 6~8 개 , 통점 100~200개의 비율로 분포해 있다 .

피지선의 발육은 남성호르몬의 자극에 의해 더욱 활발해지므로 남자의 경우가 여자보다 피지의 분비가 많다 .

땀의 성분은 대부분 99% 의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 1% 는 소금 , 요소 등이다 .

비타민 D 는 표피내에서 만들어진 프로 비타민 D 로부터 일광중의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 이때 생성된 비타민 D 는 칼슘의 흡수 촉진과 인의 대사에 관여하여 뻐의 발육을 도운다 .

피부는 상처를 입어도 곧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데 , 이러한 기능을 ‘피부의 재생력’이라 한다 .

피부의 표면에는 면역반응에 관련하는 세포들이 있어 면역반응을 통해서 생체방어기전에 관여한다 .

1) 피부 흡수의 정의피부의 흡수란 외부로부터 접촉된 물질이 피부를 통과하여

혈관내로 흡수되는 현상으로 피부의 최외층인 각질층에 의해

조절되는 수동적 확산 현상을 말한다 .

2) 피부를 통한 흡수경로피부에서의 주된 흡수 경로는 1 차 장벽인 각질층을 통한 흡수이고 , 모낭과 피지선 및 한선을 통한 흡수는 소수 .(1) 표피를 통한 흡수 경로 표피 세포를 통과하는 피부흡수로서 세포 자체 또는 사이를 투과

(2) 피부 부속기를 통한 흡수 경로 모공 및 땀구멍을 통한 경로로서 표피 투과가 어려운 약물의 흡수 경로이다 . 주로 피지선을 통한 흡수가 대부분임 .

3) 피부 흡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피부에서의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세포사이를 채우고 있는 지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용성 물질은 흡수가 잘 되며 , 피부의 표면온도를 높이거나 수분량을 증가시켜도 흡수가 잘된다 . 피부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을 요인별로 표에 분류 하였다 .

구 분 요 인물리화학적 요인

(physico - chemical factor)수분 , 피부온도 , 농도 ,

용해도 , 분자량 , 용제 , 점도 , 극성 ,

순도 , 용량 , pH

물리적 요인 (physiological factor)

피부상태 , 연령 , 혈류량 , 피부부위

생물학적 요인(biological factor)

개체간 차이 , 성별의 차이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factor)

계절 , 습도 , 기온

1) 피부 호흡의 정의피부는 신체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호흡 , 흡입 , 산초흡입 , 이산화탄소 방출 등이 필요하다 . 이러한 피부를 통한산소의 흡수 ,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일련의 과정을 피부 호흡이라고 한다 .2) 피부호흡과 화장품

피부 호흡은 피부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 외용제 및 화장품에 의해 피부 호흡을 감소 시킬 수 있다 . 독성이 있는 물질은 피부 호흡을 저해시키지만 피부 호흡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해 피부 호흡의 감소를 방지 할 수 있다 .

1) 피부의 pH 와 그 기능

PH 란 수용액 중의 수소이온 농도를 지수함수로서 표시하는 단위이나 건조한 피부의 표면 에서는 실제 PH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일정한 용액에 녹아 들어가는 피부 표면의 수소이온 농도를 피부의 PH 로 정의하고 있다 .

피부의 PH 는 성별 , 연령 , 인종 등에 따라 달라지며 피부 표면에서 진피쪽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

피부의 정상 PH 는 5~6, 모발은 3.8~4.2 로서 피부의 PH 는 기온에 반비례 , 수분량에 비례한다 .

2) 피부 PH 의 영향• 피부는 주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케라틴 단백질은 PH 가 3.7~4.5 에서 응고가 일어나며 , 단백질이 응고되면 피부는 탄력성이 없어진다 .

• 일반적으로 단백질은 PH 4 부근의 산에 대해 응고 , 침전이 일어나고 알칼리 용액에 대해서는 팽윤되거나 가수분해가 일어난다 .

피부의 가장 표면층으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 보호 ,

신진대사 포세혈관 , 신경이 분포되어 있지 않음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 는 표피의 대부분을 구성 여러층으로 된 상피조직으로 주성분은 케라틴

각질층 (Stratum corneum)

과립층 (Stratum granulosum)

유극층 (Stratum spinosum)

기저층 (Stratum basalis)

그림 2. 피부표피의 구조

표피의 구성

2. 표피조직의 기능 기저층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 색소형성세포 (Melanocyte)

단층구조로 진피와 연결되어 영양공급을 받음

기저세포가 분열함으써 28 일 주기의 각질세포를 반복해서 재생

각질층

Soft keratinSoft keratin 이 주성분으로 이 주성분으로 15-2015-20 층의 세포층층의 세포층

죽은세포로 피부를 보호해주는 방패막죽은세포로 피부를 보호해주는 방패막

기저층에서는 각질형성세포의 세포분열이 일어나고기저층에서는 각질형성세포의 세포분열이 일어나고 , , 분열된 세포는 점점 분열된 세포는 점점

위로 상승하여 유극층위로 상승하여 유극층 , , 과립층을 지나며 세포분화를 하고과립층을 지나며 세포분화를 하고 , , 최종적으로 각화된 최종적으로 각화된

각질세포로 각질층을 형성 각질세포로 각질층을 형성 (Keratinization).(Keratinization).

각화된 세포층 각질층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피부에서 떨어지고각화된 세포층 각질층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피부에서 떨어지고 , , 새로이 새로이

각화된 각질층 형성 각화된 각질층 형성 (Turn over : 4-6(Turn over : 4-6 주 정도의 반복주기주 정도의 반복주기 ))

피부는 피부는 turn overturn over 를 통해 항상 건강한 피부 유지를 통해 항상 건강한 피부 유지

1. 각질세포 (Keratinocyte) Epidermis 와 hair follicle 에 존재하는 세포

Intermediate filament protein 의 한 종류인 keratin 을 다량 합성

피부에서 발현되는 keratin 은 대락 18 종류

2. 모낭 (Hair Follicle) 털과 피지분비선이 함께 자리하는 작은 주머니

표피와 기원이 같은 외배엽 유래의 각질세포로 구성

표피층이 진피층으로 함입하여 형성됨 .

3. 멜라닌 세포 (Melanocyte) 자외선에서 피부 보호

4. 랑겔한스 세포 (Langerhans cells) 피부의 면역반응에 중요한 세포

Dendtric cell 의 일종으로 T-cell 에 항원 제공

표피의 대사작용

1. 진피의 구조

표피의 표피의 14-2014-20 배 두께로 피부의 배 두께로 피부의 90 % 90 % 차지차지

혈관 , 임파관 , 신경 , 한선 , 피지선 , 모발선 , 감각선 , 입모근이 교차

상층의 유두층상층의 유두층 , , 하층의 망상층하층의 망상층

2. 진피의 기능

유두층유두층

표피의 기저층의 경계부분으로 신경의 종말기관이 있다

모세혈관이 들어와 표피에 영양공급

섬유아세포 (Fibroblast), 마스터세포 , 대식세포가 존재

망상층망상층

진피의 진피의 80 %, 80 %, 교원섬유교원섬유 (collagen)(collagen) 와 탄력섬유와 탄력섬유 (Elastic fiber)(Elastic fiber) 로 구성로 구성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몸을 보호하며 피부탄력을 관장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몸을 보호하며 피부탄력을 관장

모세관 및 기타 혈관의 네트원크를 통하여 표피에 영양소 공급모세관 및 기타 혈관의 네트원크를 통하여 표피에 영양소 공급

피부조직 내에서 피부의 틀 자체 형성피부조직 내에서 피부의 틀 자체 형성

1. 진피 섬유아세포 (Dermal fibroblast)

중배엽에서 유래된 세포로서 유두층에 존재

섬유성 결합조직의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세포

교원섬유교원섬유 (Collagen : Type I, Type III)(Collagen : Type I, Type III) 와 탄력섬유와 탄력섬유 (Elastic fiber)(Elastic fiber) 를 분비를 분비

2. 피부 진피 미세혈관 내피세포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피부진피 미세혈관은 인체내의 혈관계를 구성하는 주된 구성 성분

체내혈액의 4.5 % 의 많은 혈액이 진피층에 존재하여 체온조절에 관여

표피층에 영양 공급

배양조건이 까다로움

혈관내피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epitope 에 대한 항체와 결합된 자기구슬법 (magnetic bead) 을 이용한 세포분리법으로 일차배양이 가능

피부의 구조와 기능

화장품 제형별 피부침투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