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문제행동

Post on 03-Jul-2015

867 views 6 download

Transcript of 학령기 문제행동

1. 최근의 이슈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1

서울시 소아청소년 광역정신보건센터

( 센터장 김붕년 · 서울대 의대 교수 ) 지난 4 월부터 8 월까지 서울 강남구 , 중구 , 성북구 , 노원

구 등 (4개구 ) 초등학생 1 3∼ 학년 1382 명을 ADHD 검사를 한 결과 유병률이 5.1% 로 나타났다 . 1 차 선별 설문조사 때는 13% 였다 .

서울 강남구 , 송파구 , 중구 , 성북구 , 노원구 등 (5개구 ) 에서

중학교 1 년생 3671 명을 조사결과 우울증 유병률은 2.9%(1 차 우울 선

별 척도 7%)였다 . 이는 2005 년 조사보다 2 배 늘어난결과다 .

서울시 초등학생 100 명 중 5 명이 ADHD 판정을 받았고 , 중학생 100 명 중 3 명은

우울증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

ADHD, 반항 장애 , 사회공포증 , 틱 장애 등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을 가진 아동 ·

청소년은 최소한 120 만 명이 넘는 것으로분석됐다 .

자료출처 - 2007.10.28 (일 ) 세계일보

“ 아이들 정신건강에 적신호 가 켜졌다 !”

2. 교실에서 만나는 문제행동의 유형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2

정신지체 , 학습장애 , 언어장애 , 발달장애

행동장애

정서장애 –기타 경기 ,간질

3. 문제행동의 특성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3

정신지체

발달장애

학습장애

언어장애

낮은 지능

보통 이상의 지능

낮은 학업성취 감정조절의 어려움 대인관계의 미숙

언어표현력이 미숙

3. 문제행동의 특성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4

행동장애 (ADHD, 반항장애 , 품행장애 등 )

- 분노발작 행동을 자주 보임으로써 학교적응 및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큼 ,

감정조절의 어려움 대인관계의 미숙

부주의함 욕이나 거친 행동 왜곡된 이해 혹은 귀

인거짓말 , 도벽 (품행장애)•귀인이란 ? 문제나 상황의 원인을

어디에 돌리는가를 말함 . 예 > 내적 귀인 , 외적 귀인

기질

부정적 환경

3. 문제행동의 특성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5

정서장애 (범불안장애 ,분리불안장애 , 사회적 공포증 , 강박장애 , 우울장애 , 선택적 함구증 , 섭식장애 , 수면장애 , 배설장애 , 신체화 장애)

- 감정표현과 조절 , 다른 사람의 기분이해 등의 어려움이 있어 원만한 학 교적응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기질

유아기 불안정애착형성

귀인오류 잘못된 원인 돌리기습관

( 부모나 또래로부터 학습)

3. 문제행동의 특성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6

–기타 경기 ,간질 뇌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이고 과다한 전기적 방전에 의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 간

질은 대부분 후천적 원인 ( 뇌 관련 질환 등 ) 으로 발생하고 , 또한 유전성인 경우라고 하더라 도 자녀에서 간질이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

1) 종류 대 발작 - 눈을 치켜 뜨고 팔다리가 뒤틀리며 소리를 지르고 입에 거품을 무는 현상

부분발작 - 대 발작보다 더 흔하게 발생 . 2) 전조증상 대개 남들은 전혀 알 수 없는 본인만이 아는 느낌이나 전조 증상이 있음 예 > 갑자기 지금까지 익숙하던 현실이 낯설게 느껴지거나 , 낯선 것이 익숙하게 느껴지는 것 ,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보이거나 들리는 등의 환시 환청 , 불러도 반응이 없으며 무언가 만지려 하거나 입맛을 다시는 등등의 이상한 행동 , 갑자기 무언가에 놀랜 듯이 움찔거리는 증상 등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반복될 때는 부분 간질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

3. 문제유형에 따른 도움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7

정신지체 , 학습장애 , 언어장애 , 발달장애

행동장애

정서장애

–기타 경기 ,간질

특수교육 , 언어치료 , 학습치료 , 사회성 훈련 등

치료교육적 접근

약물치료 , 심리치료 , 부모상담놀이치료 , 사회성 훈련 ,

인지행동치료 등 의학적 / 심리상담 접근약물치료 , 심리치료 , 부모교

육놀이치료 , 사회성 훈련 ,

인지행동치료 등 의학적 / 심리상담 접근

특수교육 , 약물치료 , 감각통합 , 운동치료 , 재활치료

등 의학적 / 치료교육적 접근

4. 아동심리치료 전문기관 유형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8

아동발달센터 아동청소년 상담센터 가족상담센터

소아청소년 클리닉 소아정신과

정신보건센터 ( 서울시 신당동 광역 -,도봉구 , 성북구 )

‘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5. 도움 받는 절차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9

전 화 예 약

초기 상담 /초진

심리검사

치료 /상담

종 결

비용발생

최근의 경향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10

“ ” 기질적인 문제보다는 정서적 문제 유형이 더 많이 발 생하고 있음 .

정서적 안정과 관심 , 격려가 다른 어느 때 보다 필요함.

연아아동청소년발달센터11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