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기술서적을 읽는다는것

Post on 14-Nov-2014

1.059 views 4 download

description

읽은 책은 "전문가를 위한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 그 한계를 넘어서" 이다. 이 책이 기존의 안드로이드 책과 다른점은. 기존의 책들이 튜토리얼, 초보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책이라면 이 책은 이미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몇 개 작성해보고 고급 API나 트릭을 알고자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기술서적으로 독후감을 쓰려니 막막하지만. 어렵게 생각하지 않고 이 책을 읽는다는 것이 현재 나의 환경(회사에서 일을하는)에서 어떤의미를 던지는 것일까? 생각해보니 두가지 측면에서 할 이야기가 생각났다. 한가지는 기술서적을 읽는 그 자체에 대한 생각이고 다른 하나는 주어진 프로젝트가 있는 상황에서 기술들의 나열을 보았을때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까에 대한 생각이다.

Transcript of 회사에서 기술서적을 읽는다는것

기술서적 독후감이라 .. 처음이라 막막하지만 ..

제가 직접 한번 해보겠습니다 .

“ 전문가를 위한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을 읽고 난후

회사에서 기술서적을읽는다는것 AT_T 인턴 조성환

이미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몇 개 작성해보고 고급 API 나 트릭을 알고자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책

고급 기술서적을 읽는 그 자체

기술들의 나열을 보았을때 회사의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까

1고급 기술서적을 읽는 그 자체

고급 기술서적을 읽는 그 자체

1.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게 됨

2. 왜 ? 그렇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됨

3. 항상 답이 아닐 수도 있으니 경계하는 마음을 가지게 됨

고급 기술서적을 읽는 그 자체

1.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게 됨

2. 왜 ? 그렇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됨

3. 항상 답이 아닐 수도 있으니 경계하는 마음을 가지게 됨

기존에는안드로이드 초보단계

Activity 만드는 방법

Service 만드는 방법

Fragment 만드는 방법

ContentProvider 만드는 방법

xml 만드는 방법

“ 무엇을만들 것이냐”

머리 만드는 방법

눈 만드는 방법

팔 만드는 방법

골반 만드는 방법

다리 만드는 방법

“ 무엇을만들 것이냐”

“ 덕지덕지”

기술서적을 읽을수록

습득할수록1.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게 됨

고급 기술서적을 읽는 그 자체

1.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게 됨

2. 왜 ? 그렇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됨

3. 항상 답이 아닐 수도 있으니 경계하는 마음을 가지게 됨

지식의 초보단계에서는 따라하기에도 급급하다

전문 기술 서적은 이유를 말해준다 .

Java SE 의 JVM 에서 stack-based processor, Dalvik 의 register-based processor 에 대한 차이 .

JIT 의 변화에 따라서 사용가능하게 된 자바 코드 지식 ,

Android 에서 Static Factory Method Pattern 을 사용하는 방법 등 안드로이드의 내부적인 이슈

안드로이드의 내부적인 이슈책의 1 부 ( 더 나은 기반 구축 )

기존의 컴포넌트를 최대한 활용 가능하게 하는 지식

책의 2 부 ( 컴포넌트 활용 )

컴포넌트들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UI, UX 적인 측면 , 서비스 및 백그라운드 작업에서 유의해야할 점 , Android IPC 에 대한 이해 , BroadcastReceiver 의 심화내용 , 데이터 저장 및 직렬화 . 마지막으로 자동화된 테스트작성에 대한 원칙 , 활용 , 지속적인통합 (!)

에 대해 이유를 들어가며 지식을 제공하였다 .

팔이 여기에 붙어있는 이유는 ?

뿔은 왜 두개가 붙어있지 ?

다리가 두꺼워야하는 이유는 ?

2. 왜 ? 그렇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됨

고급 기술서적을 읽는 그 자체

1.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게 됨

2. 왜 ? 그렇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됨

3. 항상 답이 아닐 수도 있으니 경계하는 마음을 가지게 됨

왜 그렇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게 되니 문맥 (Context) 을 파악할 수 있음

"A 문제의 특정 이유에 따르면 시간이 지날경우 다른 방식으로 교체해야할 필요도 있을것 같다 "

상황에 따라선

이게 더 좋을 수도 있음

2기술들의 나열을 보았을때 회사의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까

기술들의 나열을 보았을때 회사의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까

프로젝트가 주어져 있고 그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회사

기술들의 나열을 보았을때 회사의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까

기술적인 부분에 한해서 창의를 발휘하게 된다 . 우선은 내 역할을 멋지게 수행하고 싶은 욕심 때문에 .

기술들의 나열을 보았을때 회사의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까

기술적인 부분에 한해서 창의를 발휘하게 된다 . 우선은 내 역할을 멋지게 수행하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우선 문제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있으니

더 집중을 할 수 있다 . 책임감을 갖고

집요하게 접근할 수 있다 .

기술들의 나열을 보았을때 회사의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까

기술들을 바라보며 어떻게하면 회사의 프로젝트에 창의적으로 기술을 결합시킬까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책을 바라보게 됨

시나리오가 있는 지식을 전달책의 3 부 ( 한계 뛰어넘기 )

" 고급 오디오 , 동영상 ,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 "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보안 ", "

지도 , 위치 , 활동 API", " 네이티브 코드 및 JNI", " 숨겨진 안드로이드 API", "

안드로이드 플랫폼 해킹 " 등등 1, 2 부 보단 더 상위계층에서 시나리오가 있는 지식을 전달해 준다

13 장 : 지도 , 위치 , 활동 API

17 장 : 네트워킹 , 웹 서비스 , 원격 API

19 장 : 구글 플레이 서비스

기능구현할때 더욱 직접적으로 ..

3 부는 레퍼런스 성격이 강해서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