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Transcript
Page 1: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붙임>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사업주가 유해․위험요인을 발굴․제거하거나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안

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일련의 종합적인 위험관리(Total

Risk Management) 활동을 의미

◈ 위험요인파악(RI) : 작업중에 잠재하는 인적․물적 위험요인을 발굴

◈ 위험성평가(RA) : 확인된 위험요소에 대해 예상되는 사고가능성 및 피해정도를 예측

◈ 위험 통제(RC) : 확인된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사고로 발전하지 못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지속적으로 관리

◈ 위험정보제고(RN) : 위험통제후 잔존하는 위험요소에 대해 근로자에게 교육, 훈련등의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

❍ 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필요시 외부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실시

① 위험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사업장 차원의 절차규정 마련

② 위험성평가 수행 및 실행계획서(Action Plan) 작성․이행

③ 위험통제를 위한 안전․보건조치 강구

④ 근로자들이 위험요소를 인식 또는 회피할 수 있도록 자료제공, 교육,

훈련 등의 방식으로 정보제공

⑤ 작업설비의 신규설치, 변경 등 위험성평가에 대한 재평가실시

위험요인 파악 (Risk I dentific ation, RI )

위험성 평가 (Risk A ssessment, RA )

근로자 위험정보 제고 (Risk Notice, RN)

위험 통제 (Risk C ontrol, RC )

재평가

Page 2: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안)

2005.11.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위원회

Page 3: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 -

목 차

Ⅰ. 배경 및 목적

Ⅱ. 작업환경측정 제도의 변천 및 개선 경과

Ⅲ. 외국의 작업환경 측정제도

Ⅳ. 제도 개선의 기본 방향

Ⅴ.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 세부추진(안)

1 . 작업환경에 대한 측정평가의 목적 재정립

2 . 작업환경관리방법 개선

3. 작업환경측정평가 결과보고제도 개선

4. 노출기준 및 산업보건 인프라의 정비

5 . 근로자의 작업환경 관리 참여 및 알권리 강화

6. 작업환경 측정결과 신뢰성 향상

7. 측정기관 지원 및 산업위생전문가 자질향상 지원

Ⅵ. 종합 및 결론

Ⅷ. 향후 과제

【첨 부】

1 . 제3차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위원회 명단(2 0 0 5년도)

2 . 제2차 작업환경측정제도개선 위원회 명단(2 0 0 0년도)

Page 4: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 -

Ⅰ. 배경 및 목적

가. 직접적 배경

○ 노출기준 초과사업장 중점관리 등 작업환경취약사업장 기술지원으로 매년

노출기준 초과사업장의 수가 감소되고는 있으나

○ 최근 동아디지탈사의 노말헥산에 의한 중독으로 인한 직업병이 발생

되어 사회적 물의가 야기되는 등 유해물질 취급사업장에 대한 체계적

인 관리 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급속히 대두

※ 2005년도 에 사회문제화 된 동아디지탈사의 노말헥산에 의한 다발성신경장

애(태국인 8명)는 유해물질의 사용에 따른 공학 ․ 리 책의 미비 근

로자 교육의 미흡에 기인한 것이나 작업환경 측정제도에 한 불신도 증폭시

킨 계기가 됨.

※ 2000년도 이후에도 노말헥산 등 유기용제에 의한 직업병이 매년 1~3건씩 지

속 으로 발생

나. 간접적 배경

○ `70년대에 일본의 지역평가 중심 작업환경 측정 제도를 도입하고 `90

년대에 이를 미국의 개인평가체제로 전환하였으나 측정․평가의 틀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

○ 작업환경 측정제도가 본래의 목적인 작업장 유해요인의 사전 인지와

평가가 개선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형식적인 단순 서류보존 형태의 사

업으로 운용되고 있음.

○ 작업환경 측정의 필요성에 대한 사업주의 인식도가 낮고 근로자도 측

정 과정 참여의 필요성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에 의구심을 가짐.

Page 5: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 -

Ⅱ. 작업환경측정 제도의 변천 및 개선 경과

1. 작업환경 측정제도의 변천

가. 1 9 60 ~1 9 80 년대

○ 우리나라에 있어서 작업환경측정은 산안법이 제정되기 전인 1970년

대에는 대한산업보건협회, 가톨릭의대, 고려대의대, 연세대의대 등의

특수건강진단기관이 중심이 되어 실시

○ 민간기관에 의한 측정은 특수건강진단과 병행 실시로 작업환경측정

의 결과가 작업환경개선지도에 기여하기 보다는 특수건강진단대상자

선정에 주로 활용

○ 단순히 유해부서 여부를 선별하는 정도의 초보적인 수준이었으며 직

독식장비를 사용했으므로 정확도 또한 매우 낮았으며 법적근거가 없

었기 때문에 실시하는 사업장도 적음.

○ 노동부는 국립노동과학연구소에 노동환경측정실을 설치하여 작업환

경측정에 필요한 장비와 실험분석실을 갖추고 있었음.

○ 지방노동사무소에는 보건직, 전기직, 기계직, 화공직 등 기술직 감독

관(70년 중반 40명 유지)을 배치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매년 작업환경

불량사업장에 대한 점검을 실시

○ 당시 기술직 감독관의 작업환경점검은 측정 결과가 허용기준을 초과할

시 시정을 명령하여 개선하도록 조치하는 것이었음.

나. 1 9 81 ~1 9 86년

○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측정제도가 법적 근거를 갖게 된 것은 산업안전

보건법이 제정된 1981년 12월 31일 이후임.

Page 6: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 -

○ 작업환경측정은 산안법 제4장 「근로자 보건관리」편에 제31조(작업

환경등의 측정)로서 근거를 마련

①「사업주는 인체에 해로운 작업을 하는 작업장에 하여 노동부령이 정하는 바

에 의하여 작업환경측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기록, 보존하여야 한다.」

②「사업주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작업환경측정을 할 때에는 노동부령이 정하

는 자격을 가진 자로 하여 실시하게 하여야 한다」

○ 1982년 10월에 시행규칙을 제정하면서 측정대상, 측정자의 자격 등을 규정

○ 작업환경측정은 일본의 제도를 도입하여 지역측정방법으로서 작업환

경관리를 목적으로 단위작업장을 중심으로 실시토록 하였으며 관련법

및 규칙도 이 목적에 맞춤.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9조(작업환경측정대상 작업장)에 작업환

경측정 대상을 규정

- 작업환경 측정 대상 작업장 : 분진, 소음, 유기용제, 특화물, 연, 산소

결핍 등 6개 관련 작업장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1조(작업환경측정자의 자격)에 측정자의

자격기준을 규정

- 작업환경측정자의 자격 : 보건진단기관 및 산업보건담당자

○ 1983년 1월 20일에 작업환경측정 실시규정(노동부고시 제1호))이 시행

됨으로써 실질적인 틀을 갖추게 됨

○ 이 당시 작업환경측정의 취지는 법조문에서 보듯이 작업환경관리에

뜻을 두고 있었고 사업주가 자체적으로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

록 측정방법도 간단하게 규정

※당시에는 측정기기도 재와 같이 개인폭로농도평가를 할 수 있는 Personal

sampler 등이 보편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 음.

○ 장비 및 전문기술 인력의 부족 등으로 실제적인 작업환경측정은 여

전히 특수건강진단기관이 대행을 하고 있었으며 사업주, 근로자들에

Page 7: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5 -

대한 홍보 부족과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 등으로 작업환경측정에 대한

관심이 매주 저조

○ 정부에서는 법제정 당시 105종의 유해물질에 대해서만 허용농도를

설정하여 작업환경측정 실시규정에 명시하고 평가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측정대상의 범위가 좁음.

○ `70년대부터 실시되어 오던 기술직 감독관들에 의한 작업환경불량사업

장 점검 사업은 ‘83년에 이들이 감독직별로 흡수됨에 따라 중단됨.

다. 1 9 87~1 9 9 0년

○ 입법취지에서 다소 벗어나게 운영되어온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측정제

도는 민주화가 시작되는 1986년 이후 크게 변모

○ 6. 29선언 이후 근로자들의 욕구들이 표출되기 시작하여 임금 등 근로조

건개선을 요구하게 되면서 특수검진기관 등의 측정기관(당시에는 지정제

도가 아님)들의 측정결과를 가지고 작업환경개선을 요구하거나 직업병인

정자료로 제시되기도 함.

○ 일부 작업환경측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근로기

준법 제43조에 규정된 유해위험 작업여부판정에 활용함으로써 측정의

의도가 잘못 해석되는 등 측정결과를 둘러싸고 노․사간 갈등의 계기

가 되기도 함.

○ 정부에서는 1986년 12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을 개정하면서 작업환

경측정대상, 측정자의 자격 등에 대하여 일부 개정

- 시행규칙 제39조(작업환경측정대상 사업장) : 기존의 6개 대상에서 현

저히 덥거나 차가운 작업장 및 코크스로의 상부 또는 이에 근접하여

코크스를 제조하는 작업장을 추가하고 일부 작업에 대하여는 갱내를 포함

- 시행규칙 제41조(작업환경측정자의 자격)

․보건진단기관 또는 보건진단기관의 기준을 갖춘 특수건강진단기관

․보건관리자, 보건관리대행기관 또는 산업위생보건담당자

Page 8: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6 -

․안전관리자, 안전관리대행기관 또는 안전담당자 (산소결핍의 위험성

이 있는 작업장소에 한함.)

※ 특수건간징단기 , 의사인 보건 리자, 보건 리 행기 이 추가되면서 측

정자의 자격이 다소 완화됨.

○ 노동부는 1986년 12월에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노동부고시

제86-45호)를 제정하여 유해물질의 허용농도를 105종에서 324종으로 확대하고

이를 산안법 제21조의 규정에 의한 작업환경의 표준으로 공표하고 1988년에

는 이를 697종으로 다시 확대(노동부고시 제88-69)

○ 허용농도는 법 제24조(보건상의 조치)에 의한 사업주의 건강장해예방

조치의 근거로 하게 되었고, 또한 법 제31조(작업환경의 측정 등)에

근거하여 작업환경측정결과의 평가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었으

나 법적기준으로서는 다소 약하고 권고 기준으로서는 강한 성격을 띰.

○ 유해물질의 허용농도가 노동부 고시로 공표됨에 따라 작업환경측정도

허용기준이 정해진 물질에 대해서는 모두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

○ 허용기준인 ACGIH의 TLV가 근로자 개인 폭로량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87년 이후의 측정은 시료포집방법을 혼용하게 됨으로써 당초 작업환

경관리를 위해 실시해온 단위작업장소에 대한 지역측정방법이 퇴색

○ ‘80년대 말에는 원진레이온의 직업병발생을 계기로 직업병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정부에서는 직업병유발가능성이 높은 사업장에 대

한 작업환경 특별점검을 부활하였으며 측정기관의 측정결과가 불신을

받는 측면도 나타남.

라. 1 9 9 1 ~1 9 9 4년

○ ‘90년 전면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 근로자들의 참여권, 알권리 등

이 대폭강화 되었으며, 작업환경측정은 법 제31조에서 법 제42조로

옮겨짐

Page 9: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7 -

※ 사업주는 인체에 해로운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으로서 노동부령이 정하는 작

업장에 하여 노동부장 이 정하는 자격을 가진 자로 하여 작업환경을 측

정, 평가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기록, 보존하고 노동부장 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근로자 표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작업환경측정시 근로자

표를 입회시켜야 한다.

○ 법의 본문상 작업환경측정의 목적이나 취지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측정결

과를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게 한 것은 측정결과자료를 객관화시켜 사업

주가 작업환경개선을 통한 근로자 건강보호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독하는 차원으로 전환시킨 것이므로 매우 큰 변화임.

○ 산안법 시행규칙 제5편 「근로자의 보건관리」제93조의 작업환경측정대

상 작업장을 기존의 8개에서 4알킬연업무와 기타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 또는 제조하는 작업장 2개를 추가 (10개작업장 모두

모두 옥내작업장에 한함)

○ 작업환경측정자의 자격을 법에 의한 지정측정기관을 포함하여「작업

환경측정실시규정」제4조(측정자의 자격)에 규정

- 보건관리자로서 산업위생관리기사 2급 이상인 자

- 지방노동관서의 장의 지정을 받은 측정기관

- 보건관리대행기관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또는 안전관리대행기관 및 영 제11조의 규

정에 의하여 지정된 안전담당자(산소결핍 위험이 있는 작업장소에

대한 산소농도의 측정에 한함.)

※ 특수건강진단기 신에 지정측정기 으로 개정하면서 측정자를 산업 생

기사 2 이상인자로 규정함.

○ 측정주기는 6월에 1회이상 실시하도록 명시함.

○ 1992년 4월에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노동부고시 제92-17

호)를 제정하여 작업환경 정도관리와 작업환경 측정을 위한 기준을

공포하였으며 1993년 5월과 1994년 11월에 부분 개정함.

Page 10: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8 -

○ 정부에서는 작업환경측정지정기관의 확대, 전문측정기관의 신규지정,

측정 기관의 정도관리를 실시하는 등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측정제도

를 정착 시키기 위해 노력

○ ‘81년 법제정 이후 취지를 벗어나서 운영되어온 작업환경측정제도는 전

문 기술인력 및 장비의 부족 등 근본적인 문제점의 미해결로 실시결과에

대한 신뢰성 회복이 지연됨.

○ 사업주와 근로자의 무관심속에 법적 의무 이행차원에서 외부의 지정측정

기관에 의한 형식적인 측정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작업환경 측정결과의

활용이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었음.

※ 1993년 6월 기 측정기 의 수는 71개소 ( 학 연구소 18개소, 종합병원

22개소, 회 12개소, 산재의료원 6개소, 차체측정 사업장 4개소, 문측정

기타 9개소)로 년도에 따라 차 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나 부분 측정

행 기 으로서 사업장 자체측정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90년, ’91년에

이들 기 이 실시한 작업환경측정 황을 살펴보면 체 측정사업장수는 11,709개

소 13,013개소로써 역시 다소 증가추세에 있었음.

○ 측정기관/측정자의 전문성결여와 짧은 조사일정 및 측정, 분석, 평가

에 대한 구체적 방법이 정해지지 않아 측정기관/측정자의 주관적 판

단에 의존하여 측정하기 쉽고 용이한 측정인자에 치중함으로써 화학

적인자의 측정은 저조한 편임.

○ 인자별 측정건수 및 허용기준 초과율을 살펴보면 ‘91년 측정건수를

기준으로 전체 28만여 건 중 소음, 조명 측정 건수가 20만여건으로써

전체의 73.6% 차지한 반면에 화학적인자의 측정은 13.8%에 불과하였

으며, 또한 화학적인자의 측정건수 38,887건 중 허용기준 초과건수는

3,256건으로써 8.4%에 불과

○ 1986년 12월에 제정한「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노동부고

시 제86-45호)을 1991년 3월에 부분 개정

Page 11: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9 -

마. 1 9 9 5 ~2 0 0 1년

○ 1995년 1월 5일에 산안법을 개정하면서 근로자 대표의 요구가 있는

경우 작업환경 측정결과의 설명 의무를 명시

○ 1995년 1월 5일에 산안법을 개정하면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제

도를 도입하여 작업환경측정 대상 여부의 확인에 큰 영향을 줌.

○ 1995년 1월 5일에 산안법을 개정하면서 제6장의2에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위생지도사 제도를 도입하여 산안위생지도사로 하여금 작업환경의

평가 및 개선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함.

○ 1999년 2월 8일에 산안법을 개정하여 작업환경측정결과를 노동부장

관에게 보고하는 절차를 노동부령으로 정하도록 함.

○ 1986년 12월에 제정한「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노동부고

시 제86-45호)을 1998년 1월, 2002년 2월 및 5월에 에 부분적으로 개정

○ 1992년 4월에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노동부고시 제92-17

호)을 1995년 7월, 1997년 12월, 1998년 8월, 1999년 12월, 2001년 1월

및 6월에 부분적으로 개정함.

○ 우리나라 작업환경 측정 역사에 있어 가장 괄목할 만한 성장과 기술

의 축적이 이루어진 시기로 평가될 수 있으며 지역시료 대신

Personal air sampler를 활용한 개인시료의 채취가 널리 시행됨.

○ 작업환경 측정기관이 양적으로도 팽창한 시기이기도하며 측정전담

지역제도가 폐지되어 자율경쟁체제가 도입된 반면 필요에 따라 사업

주가 측정기관을 임의로 변경하여 측정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는 폐

단이 노출되기도 함.

○ 작업환경에 대한 근로자의 관심이 증대되어 노동조합을 가진 일부 대기

업의 경우 노조가 작업환경측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생김.

○ 작업환경 측정사업장 수는 ‘99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23,117개소로 90

년대 초반에 비해 2배이상 증가함.

Page 12: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0 -

○ 측정사업장의 허용기준 초과율을 살펴보면 ‘99년 측정 사업장을 기준

으로 전체 2만3천여 사업장 중 6,502개소로 28.1%를 차지하였으며 소

음 측정 사업장이 전체의 약93%를 차지한 반면에 화학적인자인 분진,

유기용제, 증금속을 포함한 특화물의 초과율은 7.4%에 불과함.

바. 2 0 0 1년~ 현재

○ 2002. 12월 30일에 산안법을 개정하면서 작업환경 측정자의 자격과

작업환경측정 방법․회수 등에 관한 사항을 노동부장관의 고시에서

노동부령인 시행령으로 상향 이동

○ 2002. 12월 30일에 산안법을 개정하면서 노동부장관이 작업환경측정

기관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공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

○ 2003년 7월 7일 시행규칙을 개정하면서 과거 10개로 지정된 작업환

경 측정 대상 작업장을 191종의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가 있는

작업장으로 변경

○ 2003년 7월 7일 시행규칙의 개정으로 단시간 작업 및 유기물질 소량

사용 작업의 작업환경 측정 의무 삭제

○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의 전면적 개정으로 과거 일본의 안위법에

서 도입되어 사용되던 특정화학물질, 유기용제의 개념을 삭제함 (건강

진단 대상물질에는 유기용제와 특화물의 명칭을 여전히 사용).

※ 작업환경 측정 상은 화학 인자 189종 (유기화합물 113종, 속류 23종, 산

알카리류 17종, 가스상물질 15종, 허가 상물질 14종, 분진 6종, 속가공

유 1종)과 물리 인자 2종 (소음 고열) 등 총 191종으로 지정

○ 작업환경측정의 주기를 6개월에 1회에서 노출기준 초과여부에 따라 탄

력적으로 조정

- 3개월에 1회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

․ 화학적인자 중 발암성 물질의 측정결과가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 화학적인자 중 비 발암성 물질의 측정결과가 노출기준을 2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

Page 13: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1 -

- 1년에 1회 측정하는 경우

․ 최근 1년간 작업공정의 변화 등 작업환경 측정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화가 없는 작업장으로서 측정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

만인 경우 (발암성 물질 제외)

○ 2003년 6월 30일에 시행령을 개정하여 과거 시행규칙 제97조의2에 명시

되어 있던 지정측정기관의 정도관리 준수의무를 시행령으로 상향 이동

○ 2003. 12월 31일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노동부고시 제2003-62호) 개정

- 법, 령, 시행규칙 및 보건규칙 제정에 조문 정비

- 입자상 물질의 측정 방법 세부 규정

- 누적소음계를 사용한 소음 측정 방법의 세부 규정

- 8시간 이상 작업자에 대한 시간 보정기준 제시

○ 이 기간 중에 작업환경 측정기간이 노출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일부 연장되어 작업환경 측정기관의 경영 악화가 우려되기도 하였으

나 신규 측정사업장의 발굴로 큰 어려움은 없었음.

○ 사업주과 측정기관간의 측정결과 왜곡문제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

으며 작업환경측정의 기술적인 면에서의 발전은 1990년대에 비해 비

약적이지 못하였음.

○ 작업환경 측정사업장 수는 ‘04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30,775개소로 90

년대 초반에 비해 약 2.5배 가까이 증가함.

○ 측정사업장의 허용기준 초과율을 살펴보면 ‘04년 측정 사업장을 기준

으로 3만여 사업장 중 6,491개소로 21.1%를 차지하여 90년대 말에 비

하여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소음 측정 사업장이 전체의 약97.5%를

차지한 반면에 화학적인자의 초과사업장은 2.4%에 불과함.

○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수는 `05년도 상반기에 정도관리를 받은 기관을

기준으로 122개소임 (대학 및 연구소 11개소, 종합병원 61개소, 협회

14개소, 산재의료원 6개소, 차체측정 사업장 13개소, 전문측정 및 기타 17개소)

Page 14: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2 -

2. 작업환경 측정제도의 개선 경과

가. 제1차 작업환경측정 제도 개선 (1 9 9 3년)

○ 1993. 5. : 노동부 직업병예방 학술용역 계획 수립

- 산업위생분야 전문가 pool에게 용역 발주

○ 1993.6 용역 계약체결 및 용역 개시

- 책임연구원 윤명조외 7인에게 용역

※ 연구진은 학계 4인(백도명, 안규동, 김 종, 이성호), 사업장 문가 2인

(윤명조, 이송권), 공단 2인 (이경남, 이은 )으로 구성하고 3명의 연구

보조원을 둠

- 용역기간 : 1993. 6월 ~ 1993. 12월 (7개월 간)

○ 용역 연구의 범위

- 우리나라 작업환경 측정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

- 외국의 작업환경 측정제도 및 실태조사

- 국내 작업환경 측정의 목적 확립

- 작업환경 측정대상 작업범위의 재검토

- 측정대상 작업장의 측정유해인자 결정

- 측정 주기 조정 검토

- 작업환경측정자의 자격 및 지질향상 방안 마련

○ 주요 연구과제

- 작업환경 측정대상 작업범위의 재검토

․작업장 및 작업공정별 측정대상의 구체화

․신규 정립되는 허용농도와 연계된 측정범위 설정

․옥외나 사물실의 작업에 대한 측정의 필요성 검토

- 측정 대상 작업장의 측정 유해인자 정립

․작업공정별 직업병 발생가능 유해인자 파악

․작업공정에 따른 필수적이고 복합적인 측정대상인자 파악

․측정 대상 인자에 포함되는 작업공정의 종류 파악

Page 15: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3 -

- 작업환경측정 횟수 조정제도의 발전을 위한 심층적 파악

․유해인자별 측정 수치에 따른 면제 또는 횟수조정기준 설정

․조정대상 작업장의 범위 및 신청방법 등의 개선방안

- 작업장 안전․보건 상의 예방조치를 위한 개선방안 제시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중 개선사항 파악 및 대안 검토

- 작업환경측정자(기관) 자격구분 및 교육훈련 기준의 설정

○ 주요 제도개선 추진

-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1995. 1. 5, 1999. 2. 8)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개정 (1995. 10. 19, 2000, 8. 5)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개정 (1995. 11. 23, 1997. 10. 16, 1999. 8. 28, 2000. 9. 28)

나. 제2차 작업환경측정 제도 개선 (2 0 0 1 ~2 0 0 2년)

○ 2000. 4. 19 : 제도개선위원회 구성

※ 노․사․정․학계 등 산업보건 문가 13명으로 구성

○ 2000. 4월~11월 : 작업환경관리 제도개선(안) 마련(6차례 회의 개최)

- 제도개선위원회 개선(안) : 5개 분야

① 유해물질의 분류체계정비(유해물질의 이원적 관리 등)

② 유해물질의 노출기준 확립(노출기준 성격의 명확화 등)

③ 작업환경측정제도의 합리적 개선(측정대상 확대 및 측정방법 현실화 등)

④ 작업환경측정의 내실화 및 효율화(측정기관 인증제, 전문인력 양성 등)

⑤ 사업장 작업환경관리 강화(전문컨설턴트제도 도입 등)

○ 2001. 2월 : 제도개선방향에 대한 노동부(안) 마련

- 제도개선위원회(안)을 토대로 실현성 등을 감안, 노동부(안) 마련

※ 노동부 개선(안) : 3개분야

① 유해물질 리의 체계화 : 유해인자의 체계화, 표시제도를 MSDS제도와 통

합, 미제정 보건상의 지에 한 기 마련, ILO 약에 비 가능한 수

으로 작업환경 리 기 정비 등

Page 16: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4 -

② 작업환경측정의 내실화 : 측정 상 확 ․횟수 방법 개선, 측정기 등

별 차등 리 등

③ 사업장 작업환경 리 강화 : 사업장 자체측정 활성화, 사업장 작업환경측정

비용 등 지원 확 , 작업환경 불량 사업장 지도감독 강화 등

○ 2001. 5. 11 : 노동부(안)에 대한 공청회 개최

○ 작업환경관리 제도개선(안) 확정(‘01. 7. 7. 노동부장관 보고)

○ 확정된 제도개선(안)을 토대로 제도개선 추진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보건규칙 개정 및 사업추진

- 산업안전보건법 개정(‘02. 12. 30)

- 산안법 시행규칙 개정(‘03. 7. 7)

- 보건규칙 개정(‘03. 7. 12)

다. 제3차 작업환경측정 제도 개선 (2 0 0 5년)

○ 2005. 3월 :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 구성

- 공동 위원장 : 공단(김광종) 및 학계(김정만)

- 근로자측 추천 : 2인 (조기홍, 최상준)

- 사용자측 추천 : 2인 (김판중, 김중진/한종훈)

- 학계측 추천 : 3인 (박두용, 송재철, 김희걸)

- 정부 : 1인 (김종효)

- 공단(강성규, 김봉년) 및 관련단체(이경남)

※ 실무 원회 : 노동부 2인 공단 4인

○ 2005. 3월 4일 : 제1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3월 30일 : 제2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4월 13일 : 제3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5월 2일 : 제4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Page 17: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5 -

○ 2005. 5월 25일 : 제5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6월 22일 : 제6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7월 20일 : 제7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8월 26일 : 산업위생학회 기간 중 학회의견 수렴

○ 2005. 8월 30일 : 제8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10월 5일 : 제9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 2005. 10월 25일 : 제10차 작업환경측정제도 혁신위원회의 개최

Page 18: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6 -

연번 C o de No . 측정물질명 비 고

1 1 9 1 0 - 1 0 0 1A s be s to s (cr ys o ti l e , cr o ci do l i te ,

tr e m o l i te , a n tho p hyl i te , a cti n o l i te )

2 1 9 1 0 - 1 0 1 7 V i n yl chl o r i de

3 1 9 1 0 - 1 0 1 8 I n o r ga n i c a r s e n i c

4 1 9 1 0 - 1 0 2 5 L e a d

5 1 9 1 0 - 1 0 2 8 Be n ze n e

6 1 9 1 0 - 1 0 2 9 C o ke o ve n e m i s s i o n s

7 1 9 1 0 - 1 0 43 C o tto n dus t

8 1 9 1 0 - 1 0 2 4 1 , 2 - di br o m o - 3- chl o r o p r o p a n e

9 1 9 1 0 - 1 0 45 A cr yl o n i tr i l e

1 0 1 9 1 0 - 1 0 47 Ethyl e n e o xi de

1 1 1 9 1 0 - 1 0 48 Fo r m a l de hyde

Ⅲ. 외국의 작업환경 측정제도

1 . 미국의 제도

1) 작업환경 측정대상

○ 미국 OSHA에서는 PEL이 제정된 600여 물질에 대하여 특별히 측정

주기를 정하지 않고 있으나 특별관리하고 있는 물질이 28종 중 아래

의 11종에 대해서만 법적 측정의무를 정하고 있음.

○ 특별관리 물질이 11종 이외의 PEL 제정 물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측정 의무와 주기가 부여되어 있지는 않으나 사업주에게 근로자의 노

출농도가 PEL을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사업주는 자신의 작

업장이 이 기준을 충족하는 지를 확인하기위하여 자율적으로 측정을

실시 할 수 밖에 없음.

Page 19: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7 -

No 기 번호 물질명 Action level

PEL(TWA)

비고

1 1910.1001 Asbestos - 0.1f/cc EL:1f/cc/30min

2 1910.1003 Carcinogens - - 12 carcinogens

3 1910.1004 alpha-Naphthylamine - - Carcinogen 용

4 1910.1006 Methyl chloromethyl ether - - Carcinogen 용

5 1910.1007 3,3'-Dichlorobenzidine - - Carcinogen 용

6 1910.1008 bis-Chloromethyl ether - - Carcinogen 용

7 1910.1009 beta-Naphthylamine - - Carcinogen 용

8 1910.1010 Benzidine - - Carcinogen 용

9 1910.1011 4-Aminodiphenyl - - Carcinogen 용

10 1910.1012 Ethyleneimine - - Carcinogen 용

11 1910.1013 beta-Propiolactone - - Carcinogen 용

12 1910.1014 2-Acethylaminofluorene - - Carcinogen 용

13 1910.1015 4-Dimethylaminoazobenzene - - Carcinogen 용

14 1910.1016 N-Nitrosodimethylamine - - Carcinogen 용

15 1910.1017 Vinyl chloride 0.5ppm 1ppm

16 1910.1018 Inorganic arsenic 5μg/m3

10μg/m3

17 1910.1025 Lead 30μg/m3 50μg/m3

18 1910.1027 Cadmium 2.5μg/m3

5μg/m3

19 1910.1028 Benzene 0.5ppm 1ppm

20 1910.1029 Coke oven emission - 150μg/m3

21 1910.1043 Cotton dust 100μg/m3 200μg/m3 일부공정AC 용

22 1910.1044 1,2-dibromo-3-chloropropane - 1ppb

23 1910.1045 Acrylonitrile 1ppm 2ppm

24 1910.1047 Ethylene oxide 0.5ppm 1ppm

25 1910.1048 Formaldehyde 0.5ppm 0.75ppm

26 1910.1050 Methylenedianiline 5ppb 10ppb

27 1910.1051 1,3-Butadiene 0.5ppm 1ppm

28 1910.1052 Methylene chloride 12.5ppm 25ppm

※ OSHA가 특별 관리하는 물질 28종과 노출기준

2) 측정주기

측정대상물질별로 개개물질의 특성과 PEL과 AL(Action Level)에 따라

별도의 측정 주기를 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측정주기

① Asbestos

- PEL (0.1 fiber.cc) 초과시 : 6개월/1회이상

- PEL미만 시 : 측정면제

② Vinyl chloride

- A.L(0.5ppm) 초과시 : 3개월/1회이상

- PEL(1ppm; A1) 초과시 : 1개월/1회이상

Page 20: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8 -

- 5일이상의 간격 2회 연속측정결과가 AL이하 시 : 측정면제

③ Inorganic arsenic

- PEL(10㎍/㎥) 초과시 : 3개월/1회이상

- AL(5㎍/㎥)이상, PEL이하인 경우 : 6개월/1회이상

- 7일 이상의 간격 2회 연속측정결과가 AL이하 시 : 측정면제

④ Lead

- PEL(50㎍/㎥) 초과시 : 3개월/1회이상

- AL(30㎍/㎥)) 이상, PEL이하인 경우 : 6개월/1회이상

- 7일이상 간격 2회 연속측정결과가 AL 이하 시 : 측정면제

⑤ Benzene

- PEL(1ppm, A2) 초과시 : 6개월/1회이상

- AL(0.5ppm)이상, TWA 이하인 경우 : 1년/1회이상

⑥ Coke oven emission

- 농도에 관계없이 3개월/1회이상

⑦ Cotton dust

- PEL 초과시 : 6개월/1회이상

- PEL 이하인 경우 : 1년/1회이상

⑧ 1.2-dibromo-3-chloropropane

- PEL(1ppb) 초과시 : 1개월/1회이상

- 7일이상 간격 2회의 측정치가 PEL 이하시 : 3개월/1회이상

⑨ Acrylonitrile

- PEL(2ppm) : 1개월 1회이상

- AL(1ppm)이상, PEL 이하인 경우 : 3개월/1회이상

Page 21: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19 -

- 7일이상 간격 2회 측정치가 AL이하인 경우 : 측정면제

⑩ Ethylene oxide

- PEL(1ppm) : 3개월/1회이상

- AL(0.5ppm)이상, PEL 이하인 경우 : 6개월/1회이상

- 7일 간격 2회 측정치가 AL이하인 경우 : 측정면제

⑪ Formaldehyde

- STEL(2ppm) 이하인 경우 : 1년/1회이상

- AL(0.5ppm) 이상인 경구 : 6개월/1회이상

- 7일이상 간격 2회의 측정치가 AL, STEL이하 시 : 측정면제

3) 측정자

- 법적으로 지정된 측정자의 자격은 없으나 CIH 자격을 갖춘 자가 측정

한 결과만이 신뢰도를 인정받고 있음.

4) 측정자 자격

- 법에 의한 자격규정은 없고, 사업주가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CIH

자격증소지자를 선호

2 . 일본의 제도

1) 작업환경측정의 근거

○ 안위법 제65조(작업환경측정)

사업주는 유해한 업무를 하는 옥내작업장, 기타의 작업장에서 정령으

로 정하는 것에 관하여 노동성령으로 정하는 것에 따라 필요한 작업

환경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 보존하지 않으면 안된다.」

Page 22: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0 -

2) 측정대상

○ 토석, 암석, 광석, 금속 또는 탄소의 분진을 현저히 발하는 옥내작업장

○ 서열, 한냉 또는 다습한 옥내작업장

○ 현저히 소음을 발산하는 옥내작업장

○ 갱내작업장

○ 중앙관리방식에 의한 공기조화설비를 설치한 건축물의 실중에서 사

무실용으로 제공된 것

○ 방사선 업무를 행하는 작업장

○ 특정화학물질(제1류 물질 7종 및 제2류 물질 36종)등을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사업장(제3류 물질은 제외)

○ 연업무를 행하는 옥내작업장

○ 산소결핍 위험장소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당해 작업장

○ 아세톤 등 47종(제1종 유기용제 7종, 제2종 유기용제 40종)의 유기용

제를 제조하거나 또는 취급하는 업무를 행하는 옥내작업장(제3종 유

기용제는 측정제외)

3) 측정주기

○ 분진 유리규산 함유율 : 6개월/1회

○ 옥내작업장의 기온, 습도, 복사열 : 1/2개월 /1회

○ 소음 : 6개월/1회

○ 갱내작업장의

- 탄산가스 : 1개월/1회

- 기온, 통풍량 : 1/2개월/1회

○ 사무실의 CO, CO2, 실온, 외기온, 상대습도 : 2개월/1회

○ 방사선 선량률, 방사선물질 : 1개월/1회

○ 제1류 또는 제2류 특정화학물질 : 6개월 1회

○ 연 : 1년/1회

○ 산소, 황화수소 : 작업개시전마다

○ 유기용제(아세톤 등 47종) : 6개월/1회

Page 23: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1 -

※ 작업환경측정 특례제도

- 상 : 작업환경측정평가 결과 2년간 리구분 I에 해당하는 작업장으로서 노동

기 국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

- 상물질 : 분진, 유기용제

- 특례내용

․ 분진 : 직독식 장비 사용(단, 년1회이상 지정교정기 에서 교정을 받은 경우)

․ 유기용제 : 검지 에 의한 측정(단, 단 작업장소에서 1개소 이상은 시료채취

방법에 의한 측정 병행)

4) 측정자

○ 당해 사업장의 작업환경측정사

- 1종 : Design, Sampling, 분석 몇 평가

- 2종 : Design, Sampling 및 간이측정기기를 이용한 간단한 측정

○ 작업환경측정기관(노동성 대신 또는 도도부현 노동기준국장에게 등록)

5) 측정자 자격

○ 정부(노동성)에서 실시하는 제1종 및 제2종 작업환경측정사 시험에

합격하고 정부지정기관에서 소정의 강습을 수료한 자

○ 기타 이와 동등이상의 능력이 있고 인정하는 자로서 노동성령으로 정한 자

○ 작업환경측정사는 도도부현 기준국장, 노동성대신 또는 도도부현 기

준국장이 지정하는 자가 행하는 연수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함.

○ 작업환경측정사 시험의 수험자격은 다음과 같다.

- 학교교육법(1974년 법률 제26호)에 의한 대학 또는 고등전문학교에서

이과계통의 정규과정을 이수하여 졸업한 자로, 그 후 1년이상 노동위

생실무에 종사한 경험을 가진 자

- 학교교육법에 의한 고등학교에서 이과계통의 정규학과를 이수하여 졸

업한 자로, 그 후 3년이상 노동위생실무에 종사한 경험을 가진 자

○ 전 1, 2호 열거한 자와 동등이상의 능력을 가졌다고 인정되는 자로

노동성명으로 정하는 자

Page 24: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2 -

1종 2종․노동위생일반 ․노동위생일반․노동위생관계법령 ․좌동

․작업환경에 대하여 행하는 설계 및 시료채취 ․좌동

․ 분석개론 ․좌동

분석기술(유해물질별 선택)

○ 시험과목(규칙 제16조)

○ 시험면제 : 의사, 치과의사 일부면제(분석기술제외)

3. 독일의 제도

1) 작업환경측정의 근거

○ 유해물질법 제18조(측정의 의무)

「공기중으로 발생되는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유해물질을 완전히 배제

하지 못할 경우에는 그 양이 작업장 최대 허용농도보다 적은지 또는 초

과하는지를 조사해야 한다.」

2) 측정대상

- 유해물질법상 화학물질(GefstofV)중

․MAK(작업장 최대 허용농도 : 8 TWA 규정물질 : 400여종

․TRK 규정물질 : 56종(발암물질, 발암추정물질)

3) 측정주기

○ 허용농도의 1배이상 : 개선 후 재측정

○ 허용농도의 1/2~1배 : 16주이내

○ 허용농도의 1/4~1/2배 : 32주이내

○ 허용농도의 1/4배이하 : 64주이내 혹은 영구적 안전 예상시 측정 면

제 (설비나 공정 변경 시에는 재 측정실시)

Page 25: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3 -

4) 측정자

- 당해 사업장의 측정기사

- 측정대행기관(연방 노동성 인가)

5) 측정자 자격

- 전문기술자

- 관계기관 교육이수 자격자

- 안전관리자중 측정교육 이수자

3. 영국의 제도

1) 작업환경측정근거

건강유해물질관리시행규칙(Control of Substances Hazardous to Health

Regulations) 제10조에 의해 사업주로 하여금 근로자의 유해물질 노출

수준이 적절히 관리․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적절한 절

차로 노출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 보존토록 하고 있음.

2) 측정대상

○ 노출기준설정물질(MEL: 57종, OEL: 487종)

○ VCM(염화비닐: Vinyl Chloride Monomer)

○ 6가 크롬

3) 측정주기

○ 노출기준 설정 물질: 법에서는 VCM과 6가 크롬을 제외한 물질에 대

해서는 측정주기를 구체적으로 명기하고 있지는 않지만 건강유해물질시

행규칙의 승인실무규범(ACOP: Approved Code of Practice, HSC에서

제정)에 따르면 노출기준 설정물질의 경우 최소한 년 1회 정도는 측정

하여 노출수준이 적절히 관리되고 있음을 보이도록 하고 있음.

Page 26: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4 -

※ AC OP : 시행규칙 등을 보완하기 해 만든 시 주의 규범으로 이 규범의

용이 법 으로 강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사업주가 산업안 보건법

반으로 구속되어 이 규범을 따르지 않았다고 입증되는 경우 사업주에게 과실

이 있다고 결할 수 있는 근거로 채택될 수 있음.

○ VCM : 연속 모니터링 또는 HSC에서 별도 규정한 방법대로 측정

- 6가 크롬 : 14일마다

4) 측정자

- 사업장 자체 또는 외부 전문 측정기관

5) 측정자 자격

- 특별히 법에서 규정된 것은 없고 측정기관의 경우 HSL에서 주관하는

정도관리프로그램(WASP)에 참여하고 있음.

Page 27: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5 -

Ⅳ. 제도 개선의 기본 방향

○ 작업환경 측정평가의 법적 목적의 재정립

- 산안법상에서 정의된 작업환경측정의 목적을 단순한 작업환경 실태파

악에서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수단으로 명문화

○ 작업환경 관리방법의 개선

- 작업장의 유해인자에 대한 광범위한 포괄적 평가를 3년마다 실시하되

현행의 주기적인 작업환경모니터링제의 골격은 유지

- 측정은 개인시료채취 방법을 원칙으로 하고 측정결과에 대해서는 노출

기준과 직접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

○ 작업환경측정결과 보고제도의 개선

- 작업환경측정결과 보고제도를 폐지하고 측정실시 여부에 대한 관리감독

을 강화

- 사업주는 작업환경측정결과를 실질적으로 작업환경개선 및 근로자의

노출수준 모니터링에 활용하도록 유도

○ 노출기준 및 산업보건 인프라의 정비

- 발암성 물질 등 국가에서 특별히 관리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유해인자

에 대해서는 허용기준을 설정하여 사업주의 준수를 의무화

- 단시간노출기준과 최고노출기준을 정비하고 시간가중평균치 외에 이들

에 대한 측정평가를 유도

- 작업환경 측정과 분석 기능의 혼합이나 분리를 측정기관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낭비요인을 제거

- 소규모사업장에 대한 측정평가 비용을 국가에서 부담하여 중소사업장

에서의 작업환경측정평가 시행을 활성화

Page 28: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6 -

○ 근로자의 작업환경관리 참여 및 알권리 강화

- 공정별로 안전보건대표를 선출하여 작업환경 측정평가 및 관리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보장

- 작업환경 측정평가 결과를 사업장에 게시토록 하는 의무를 사업주에게 부여

- 작업환경 측정평가 결과를 측정기관이 근로자에게 실시토록 함으로써

근로자의 작업환경 관리 참여를 자율적으로 유도

- 첨단 과학장비를 활용하여 근로자에게 작업환경과 관련된 자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

○ 작업환경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의 향상

- 사업장에 대한 불시측정을 상시화하여 작업환경 부실 측정평가 및 불량

작업환경 관리의 근절을 유도

- 불량 작업환경 측정 및 관리 사업주에 대한 제재 강화

○ 측정기관 지원 및 산업위생전문가 자질향상 지원

- 산업위생전문가 및 측정기관 종사자에 대한 재교육 및 전문화 기회를 확대

- 우수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대한 공표 및 인센티브 부여

-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대한 종합관리 추진

Page 29: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7 -

행[산안법 제2조(정의), 제5호] 변경(안)

“작업환경측정”이라 함은 작업환경실태를 악하기

하여 해당근로자 는 작업장에 하여 사업주가

측정계획을 수립하여 시료의 채취 그 분석․평가

를 하는 것을 말한다.

1. “작업환경평가”라 함은 쾌 한 작업환경 조성을

목 으로 작업환경의 실태를 악하기 하여

해당 근로자 는 작업장에 하여 사업주가

측정계획을 수립하여 시료를 채취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 하는 것을 말한다.

2. “작업환경모니터링”이란 작업환경평가결과에 따라

노출기 의 일정비율을 과할 때 주기 으로

해당공정에 해 사업주가 시료의 채취 그 분석

평가를 하는 것을 말한다.

Ⅴ.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 세부추진(안)

1 . 작업환경측정의 목적 재정립

○ 산안법에서 정의한 작업환경 측정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재정립

▶제안배경

- “작업환경측정” 대신 “작업환경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단순한 측정보다

측정결과의 평가와 작업환경 개선 연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 기존의 작업환경측정은 “작업환경 모니터링”으로 하여 고독성 물질이나 일

정 농도수준 이상의 경우에 대하여 선택과 집중을 할 수 있도록 구분하여

실시하며

- 산안법 최종 목적이 「근로자 안전보건의 유지․증진」에 있고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그 방법이 되고 있으므로

․작업환경평가를 작업환경의 실태파악에서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을 통한 근

로자 건강 유지 증진으로 확대

Page 30: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8 -

2 . 작업환경 관리방법 개선

2-1. 작업환경관리 체계의 개선 및 내실화

작업환경관리 체계

- 적은 자원으로 작업환경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전략 채택

○ 작업환경 평가

- 191종의 유해요인을 가진 모든 사업장은 3년을 주기로 정기적으로 포괄적

작업환경평가를 실시 (사업장 보유 MSDS와 연계)

※ 공정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1개월 이내에 평가를 실시

- 포괄적 작업환경평가는 사업주 자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사업장 자

체측정기관), 외부의 서비스기관(지정측정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

※ 측정결과에 한 분석은 자체 으로 실시하거나 외부 분석 문기 에 의뢰 할 수 있

으나 해당 분석 문기 은 반드시 정도 리에 참여하고 합격 수 을 유지하여야 함.

- 작업공정별로 모든 유해요인에 대해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작업공정별

로 현상 유지, 관찰, 개선대상으로 구분함.

※ 상유지 : 노출기 의 10% 미만으로 주기 인 작업환경모니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 찰 : 노출기 의 10%를 과하나 노출기 을 넘지 않는 경우로 매 6월마다 모니터

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 개선 : 노출기 을 과하는 경우로 개선계획을 세워야 하며 매 6월마다 모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 작업환경평가 결과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장기/중

기/단기로 구분하여 개선기간을 명시한 개선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Page 31: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29 -

○ 작업환경 모니터링

- 현행 작업환경측정제도를『작업환경모니터링』으로 변경하여 실시

- 모니터링 주기는 6개월로 하고 작업환경평가에서 노출기준의 10%를 넘

는 경우에 한하여 실시

※ 단 발암성 물질은 노출수 과 계없이 작업환경모니터링을 실시

※ 행 산안법상 발암물질의 경우 노출기 과할 때, 비 비발암물질의 경우 노출기

2배 과할 때 3개월 단 로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규정은 폐지

시료 채취방법

○ 시료 채취방법은 개인시료 포집으로 하고 그 결과를 노출기준과 직접 비교

- 단위작업장소(SEG) 당 4-5개 이상의 개인시료를 채취하여 결과의 신뢰

성 향상을 도모

※ 행 노동부 고시 제 2003-62호 “작업환경측정 정도 리규정”에 단 작업장소

당 최고노출근로자 2인 이상에 해 측정하도록 한 기 을 미국 NIOSH와 같이

4~5인 이상으로 조정하고 해당 근로자의 수가 그 이하인 경우에는 모든 근로자에

한 측정 실시

- 측정 결과는 노출기준과 직접 비교하여 노출기준 초과여부를 판정

※ 시료채취 분석오차(SAE)를 사용하던 기존의 미국 OSHA 감독 용 평가 방법은

혼란을 야기하므로 폐지

- 단위작업장소에서 여러 개의 시료 중 노출기준을 초과한 시료가 1개 이상

있는 경우 개선 대상 공정으로 분류

○ 지역시료 채취 병행 가능토록 개선

- 작업환경측정은 개인시료 채취가 원칙이나 작업여건 상 개인채취가 어

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 시행규칙 제93조의3 제3호의 규정에 지역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경우를

․“개인시료 채취방법이 곤란한 경우” 에 더하여

․“공학 책의 수립을 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를 추가

Page 32: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0 -

평가항목

○ 산안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측정대상 물질은

- 화학적 인자 189종과 물리적 인자 2종 등 191종으로 하고

※ 현행 시행규칙 제93조 별표 11의3 참조

- 191종 이외 직업병 발생우려가 있거나 근로자의 건강관리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유해물질은 필요에 따라 노동부 장관이 측정대상물질로 수시로 지

정할 수 있도록 함.

※ 현행 시행규칙 제93조 별표11의3 제3호 참조

○ 노동부 고시 제 2002-8호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에 설정된

698종을 장기적으로 측정대상물질과 측정권고물질로 이원화하여 혼란을 방지

․191종은 측정대상물질

․기타 물질은 측정권고물질

작업환경 개선방법 제시방안

○ 작업환경 평가결과에 따라 개선대책 제시

- 작업환경측정 후 개선 대책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에 따라

- 작업환경평가 후 노출기준을 초과하면 평가기관은 그 원인을 분석하고

- 원인에 따라 장단기 개선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함.

․장기 개선(1년 이상 소요 또는 공정전체 개선),

․중기 개선(3월 이상 1년 이내 개선)

․단기 개선(3월 이내 또는 즉시 개선)

Page 33: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1 -

구분 측정평가 해성평가(WERA) 비고

조건 없음 근로자 참여 보장

사업의 주체 사업주 사업주

실시자

사내 보건 문가(자체측정)

측정기

해당공정 근로자

(필요 시 외부 문가 참여)

주기3년(포 평가)

6월(작업환경모니터링)

사업주 결정

측정평가 상동 필요 시 자체결정

실시 내용

포 평가: - 유해요인 악 - 측정 상 결정 - 인자별 측정

- 표자 선임

- 계획수립

- 유해요인 악

2-2. 사업장의 산업보건 자율관리 기회 확대

산업보건 위해성평가(Risk Assessment)실시

○ 사업주가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위해성평가 제도 도입

- 산안법 제42조의 작업환경평가 대신 선택적으로 산업보건 위해성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함.

※ 작업환경평가와 리에 한 일체의 법 규정을 갈음할 수 있도록 함. 즉 사업주가

해성평가를 선택하면 기존의 42조의 작업환경 리에 한 의무를 이로 체함.

※ 일단 작업환경분야부터 작업환경 해성평가(Work Environment Risk Assessment, WERA )

를 시작하고 향후 산업보건업무 체로 발 시킴

- 위해성평가는 해당공정의 근로자가 참여하여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고

위해성평가의 결과 정밀 작업환경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자체 또

는 외부 기관에 의뢰하여 측정평가를 실시

- 위해성평가의 주기는 3년의 범위 내에서 사업주가 자율적으로 정하되 공정이

나 유해인자의 변경 등으로 근로자의 노출 실태가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 공

정에 대해서는 1개월 내에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여야 함.

- 위해성평가는 사업주가 계획을 수립하고 노동부의 승인을 받아 실시 (단, 유

해인자의 변경 등으로 1개월 이내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노동부 승인 생략)

[작업환경 측정평가와 해성 평가의 비교]

Page 34: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2 -

- 측정결과 평가 - 공정 해도 결정 - 개인 해도 결정 - 리방안 제안

- 정성 평가

- 정량 평가

- 해도 결정

- 개선 책 수립․시행

- 공지 리

주기 평가 : - 비조사 - 측정 - 결과 정리 - 노출기 비교 - 책 제시

결과 보고 의무 없음 의무 없음

결과 유지 30년 30년

결과 활용 작업환경 개선 작업환경 개선

Page 35: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3 -

3. 작업환경 측정평가 결과 보고제도 개선

측정결과 보고제도의 폐지

○ 작업환경 측정결과를 노동부에 보고하게 함으로써 사업주는 작업환경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작업환경개선에 활용하기 보다는 보고에 따른 불이익을

우려하여 측정결과를 왜곡하는 사례가 발생

※ 일부 사업장에서는 측정결과가 노출기 을 과하면 재측정을 요구하기도 하고 이를

무시하면 익년에 측정기 을 변경하는 사례도 있음.

- 사업주의 노동부 보고의무를 폐지하고 측정결과를 유해물질의 모니터링과

작업환경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

- 단 결과보고서는 반드시 30년간 보관토록 의무화

보고제도 폐지에 따른 측정 누락 방지 대책 강구

○ 측정누락 방지를 위한 조치

- 산업안전 감독으로 방문하는 모든 사업장에서 6개월 이내에 실시된 작업환

경평가나 작업환경모니터링 결과보고서를 확인하도록 감독관 규정 개정

※ 측정 상물질 191종을 제조, 사용, 취 는 발생시키고 있는 모든 사업장

- 미측정 또는 결과보고서 미비치 사업장에 대한 즉시 행정조치

※ 미측정 사업장에 해서는 발일로부터 측정을 완료할 때까지 과태료를 일 단 로

부과(최소 과태료는 측정비용보다 무겁게 부과)하는 조항을 신설하고 측정결과를 30

년간 미비치한 사업장에 해서도 과태로 등으로 제재

- 안전공단에서 기술지원 업무에 측정결과 보고서 확인 절차 삽입

※ 안 공단은 기술지원으로 사업장을 방문하는 경우 작업환경평가 보고서를 확인하여

야 하고 이것이 없는 경우 즉시 노동부에 보고

○ 정책에 활용을 위한 작업환경 통계 확보 방안

- 안전공단이 전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측정기관과 연계하여 전국 사업장의 작업

Page 36: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4 -

환경관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통계자료를 확보하고 결과를 매년 정책에 반영

- 구축된 정책 자료는 개별사업장 감독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정책

개발 자료로만 활용

※ 미국의 산재 발생에 해 노동통계국에서 보고를 받아 집계를 하여 발표하고 있으

나 개별 사업장에 한 정보를 이용하여 감독을 하지는 않음.

Page 37: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5 -

4. 노출기준 및 산업보건 인프라의 정비

작업환경 허용기준 도입 검토

○ 발암성 물질이나 직업병자 다수 발생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물질에

대해서는 특별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노출기준을 허용기준화하여 사업주가

허용기준 미만의 작업환경을 항시 유지하여야 함을 법적으로 강제화

- 현행 191종의 유해인자 중 발암성이 있거나 국내에서 다수의 직업병자

발생시키는 등 특별히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물질에 대해서는 특

별관리물질로 별도 선정

- 미국의 법적 허용기준( PEL)의 개념에 따라 특별관리물질을 제조, 취급

또는 사용하는 사업주는 해당 작업장을 허용기준이하로 항시 유지하여

야 함을 의무화

노출기준 정비

○ 유해물질 노출기준 설정의 근거 확립 및 급성장해 유해물질에 대한 단시간

노출기준(STEL) 및 최고노출기준(Ceiling) 제정 확대

- 노출기준을 주기적으로 검토한 후 개정하기 위한 체제를 구축

- 189종의 작업환경 평가대상 유해물질 중 노동부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STEL/Ceiling 값을 도입

- 작업환경 측정평가를 할 때 작업형태나 물질의 특성에 따라 STEL/Ceiling

의 측정을 실시하도록 권고

Page 38: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6 -

작업환경측정기관 정비

○ 작업환경측정평가 시 시료 포집과 분석과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기관지정 요건에 고가의 분석 장비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산업

위생인력이 작업환경측정 업무에 참여하는데 진입장벽의 역할을 하므로

- 포괄적작업환경 평가기관이나 작업환경 모니터링기관이 작업환경 측정

시료의 분석을 분석전문기관 또는 타 기관에 의뢰할 수 있도록 개선

- 측정 및 평가 기관의 본래의 취지에 맞게 전문인력 요건을 강화

○ 포괄적 작업환경평가기관 신설

- 기존의 지정측정기관은 작업환경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 전문인력 요건을 강화하여 포괄적 작업환경 평가기관을 지정

- 포괄적 작업환경평가기관은 포괄적 작업환경평가 및 작업환경모니터링을 수

행할 수 있으며 지정측정기관은 작업환경 모니터링만 수행 가능

- 측정기관은 측정과 분석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나 분석은 전문분석기관에

의뢰할 수도 있는데 측정과 분석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포괄적 평가기관

이나 지정측정기관에 있음.

※ 분석을 의뢰하는 경우에는 정도 리에 합격한 기 에 1년을 단 로 문서로 분석 의

뢰 계약을 체결하여야 함.

○ 분석전문기관은

- 별도의 지정기준은 없이 노동부 장관이 실시하는 정도관리에 참여하여 2회

이상 연속적으로 합격하여야 하는 것으로 규정

- 포괄적 작업환경평가기관이나 지정측정기관은 현행과 같이 자체적으로 분석

할 수도 있고 외부에 의뢰할 수도 있음. 단 자체적으로 분석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정도관리에 합격하여야 함

Page 39: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7 -

구분 행 지정측정기 포 평가기

인력

- 산업 생지도사/기술사 취득후 5년

경력자 1인 이상

- 분석 담자 1인 이상

- 산업 생기사 1~4인

- 산업 생지도사/기술사 취득후 8년 경

력자 1인 이상

- 산업 생지도사/기술사 취득후 5년 경

력자 1인 이상 (작업환경 개선업무에

3년 이상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 산업 생기사 3-7인

시설- 작업환경측정 비실

- 분석실험실

- 작업환경측정 비실

- 개선 책 연구실

- 분석실험실(선택요건)

장비

- 개인시료채취 세트

- 분 도계

- 검지 측정기 세트

- 천칭(0.01 mg 이하 측정)

- 소음측정기

- 건조기 데시 이터

- 순수제조기/드래 트챔버/실험

- 온습도 측정기

- 산소농도측정기

- GC

- AAS 는 ICP

- 국소배기장치 성능시험장비

- 유해물질/배액 처리시설

- 기타 유해인자에 따른 분석장비

- 개인시료채취 세트

- 분 도계(선택요건)

- 검지 측정기 세트

- 천칭(선택요건)

- 소음측정기

- 건조기 데시 이터(선택요건)

- 순수제조기/드래 트챔버/실험

(선택요건)

- 온습도 측정기

- 산소농도측정기

- GC(선택요건)

- AAS 는 ICP(선택요건)

- 국소배기장치 성능시험장비

- 유해물질/배액 처리시설(선택요건)

- 기타 유해인자에 따른 분석장비

(선택요건)

○ 특수물질 분석에 대한 공공 인프라 구축

- 사업장 자율관리를 촉진하기 유해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포집한 시료의 분

석이 어려운 특수물질에 대해서는 공공기관 (안전공단 등)에서 실비로 분석

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을 검토

※ 안 공단에 산업보건 문 분석센터 설립

【 행 측정기 과 포 평가기 지정요건 비교(안)】

Page 40: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8 -

작업환경평가 비용 지원

○ 중소사업장에 대하여는 작업환경평가나 모니터링 비용 지원

-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작업환경측정비용은 산재예방기금에서 지원

※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시작하여 50인 미만 사업장까지 단계 으로 확

- 소규모 작업장에 대해서는 근로자 스스로 노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간편한 측정평가기법을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

※ 수동시료 포집기 등을 이용하여 근로자 스스로 작업환경에 해 악하도록 권장

Page 41: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39 -

5 . 근로자의 작업환경관리 참여 및 알권리 강화

안전보건 대표의 호선 및 근로자 참여 보장

○ 작업환경평가가 실제적인 문제 파악보다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지적

에 대해

- 작업환경 측정평가나 개선 또는 모니터링을 할 때 현장 근로자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 기존에 공정별로 선임된 보건담당자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 노조의 산안위

원 등을 활용하거나

- 작업 공정별로 근로자들이 안전보건 대표를 호선하여 활용

- 안전보건 대표는 반드시 해당공정의 현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에서 선출

되어야 하며 별도의 유급 활동시간은 부여하지 아니함

※ 산안법 제42조에 작업환경측정 개선 시 공정별로 근로자의 의견을 반드시 듣도록

하는 조항 신설

○ 안전보건 대표는 노동부에 보고 의무는 없으며 사업장에 기록 유지는 의무화

근로자의 알 권리 강화

○ 작업환경평가 결과의 게시 및 측정 결과의 설명

- 작업환경평가결과를 측정 실시 후 일정기간(3개월 등) 사업장내에 게시

하도록 의무화 (MSDS 게시장소와 동일 장소)

- 작업환경평가 결과는 측정기관이 사업장에게 의무적으로 설명 ․측정기 의 설명비용은 측정비용에 포함

․측정 결과 설명을 산업안 보건교육에 갈음할 수 있도록 함

․사업장 자체 평가의 경우 외부의 산업 생 문가를 활용하여 설명회 개최

○ 근로자에게 화학물질 정보 제공

- 안전공단 콜센터를 이용하여 화학물질 정보 제공

- 안전공단에서 보건관리자에게 휴대폰으로 자문서비스 제공 방안 강구

Page 42: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0 -

6. 작업환경 측정결과 신뢰성 향상

불시 작업환경측정 평가

○ 공공기관에 의한 불시 측정을 상시화하여 사업장에 대한 측정평가 결과

의 적합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환경 측정평가 제도의 신뢰성

을 강화

- 공공기관(안전공단)에서 매년 일정 수(예를 들면, 100개)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불시측정 실시

- 대상 사업장은 작업환경측정결과와 공정, 업종, 지역을 고려하여 무작위 추출

- 작업환경의 변동 상황을 충분히 고려한 후 사업장의 측정결과와 불시

측정결과에서 유해요인의 차이, 측정 수치의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경우

해당 사업주에 대해 행정 조치

○ 부실한 지정측정기관에 대해서는 노동부에서는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고 시

장기능에 맡겨 사업주가 스스로 판단하도록 함.

Page 43: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1 -

7. 측정기관 지원 및 산업위생 전문가 자질향상 지원

작업환경 측정기관의 능력 향상 지원

○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대한 종합적 질 관리와 평가를 강화하는 한편 우수

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방안을 추진

-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질 관리(인정제도)를 추진

- 매년 우수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대한 공표를 실시하고 기념패 등의 수여와

함께 안전보건유공자 표창 등의 혜택을 부여

산업위생 전문가의 자질향상

○ 작업환경평가 비용의 현실화

- 작업환경측정 비용을 국제 수준으로 현실화하여 우수한 산업위생 인력

의 작업환경평가 참여 유도

○ 산업위생 전문가에게 재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 이수자를 배려

- 안전공단에 산업위생 고급 전문과정 상시 개설

- 작업환경평가나 모니터링에 참여하는 산업위생 전문가는 정기적으로 교육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고, 교육을 이수한 전문가 우대 방안 마련

- 작업환경 개선은 산업위생기술사의 자문을 받아야 하는 근거 마련

○ 산업위생 인력 양성 지원

- 산업위생 인력 양성을 위해 산업보건과정을 개설한 대학원에 장학금 지원

- 장학금 지원을 확대하되 과거의 대학원생 직접 지원방식을 벋어나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산업보건과정 개설 대학원에 대한 간접 지원방식 모색

※ 미국에서는 NIOSH(국립산업안 보건연구원)에서 산업의학 문의 과정 개설 병원과

산업보건 학원 과정 개설 학에 장학 을 지원하고 있음.

Page 44: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2 -

Ⅵ. 종합 및 결론

■ 이번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위원회는 그동안 누적되어온 작업환경 측정

제도의 부실운영에 따른 문제점의 한 예로 2005년도 초에 발생한 외국

인 노동자 노말헥산 중독사건이 그 직접적인 발단이 되어 구성되었으

며 작업환경 측정과 관련된 제도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운영하게 됨.

■ 2005년 3월에 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동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에

걸쳐 총 10차례의 위원회를 개최하였음. 작업환경측정제도의 전반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하였으며 그 토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2005년도 11월 중에 공청회를 개최한 후 최종적으로 정리된

결과를 정책에 반영할 예정임.

■ 현재의 작업환경 측정제도는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을 위한 효율성과

경제성 면에서 개선하여야 할 부분이 많다는 데 대해 위원들의 의견이

일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동 제도를 개선할 것을 권고함.

○ 작업환경 측정제도는 단순한 측정 가부의 존재가 아닌 작업환경 개선

자로서의 사용이 근본 목적이었으므로 산안법에 명기된 목적을 명확히

힐 필요가 있음.

○ 현재의 작업환경 측정제도는 사업주 관심 밖에 있으며 근로자 측면에

서 볼 때도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활용되지 못하

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직접 시행하고 있는 측정기관의 종사자들조

차도 단순 반복 측정에 대한 회의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래의 목적을

회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

○ 작업환경에 대해서는 작업 현장의 근로자가 문제점과 실질적인 개선

의 방향을 가장 잘 알고 있으므로 작업환경 측정평가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작업 공정별로 근로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보장되어야 함.

Page 45: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3 -

○ 측정평가 결과에 대한 근로자의 참여를 활성화 시키기고 개선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작업환경 측정평가 결과를 근로자에게 공지

할 수 있는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며 첨단 IT 기능 등을 활용하려 근로

자에게 산업보건 자문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 작업환경 개선은 사업주의 개선의지가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작

업환경의 측정평가와 개선을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

는 위해성평가제도와 같은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함.

○ 측정평가의 결과가 작업환경의 개선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측

정주기를 단축하는 것으로는 효과가 미미하므로 사업주가 충분한 시간

과 계획을 가지고 개선에 임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 측정평가의 주기를

현실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음.

○ 작업환경 측정평가 결과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노출기준이 근로자

건강관리와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

록 하기위해 개선할 필요가 있음.

○ 작업환경 측정평가의 활성화와 사업장 자체측정평가의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민간 및 공공의 측정․분석기능을 활성화 시킬 필

요가 있음.

○ 중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작업환경 측정평가를 실질적으로 실시할 의

지와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재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이 강구되어야 함.

○ 작업환경측정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산업위생전문가의 자질 향상과 전

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 훈련기회를 확대하고 권익을 향상시켜 현장 작

업환경 측정평가에 실질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음.

Page 46: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4 -

○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대하여는 분석을 포함한 종합적인 질 관리가 이

루어 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하고 우수 기관에 대하여는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있음.

■ 위원 간에 일부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사안이 있었으며 이에 대하여는

사업장과 국내 노사의 관계를 고려 정부가 최종적인 결정을 내린 후

필요한 정책을 입안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임.

■ 작업환경 측정평가가 본래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적절한 개선과 더불어 노․사․정․학이 작업현장에서 이 제도가 실질

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공동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음.

Page 47: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5 -

Ⅶ. 향후 과제

■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위원회에서 이번에 논의 결과가 실질적으로 쾌적

한 작업환경의 조성과 근로자 건강증진에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단기간이 아닌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하여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

질 필요가 있음.

■ 제도의 개선은 가장 먼저 법적인 요건의 마련이 가장 우선적으로 성사

되어야 할 사항이므로 산안법에 필요한 관련 조항을 신설하거나 개정

하는 조치가 필요함.

■ 법적인 제도의 정비에는 관련 규칙뿐만 아이라 고시나 예규 또는 지침

의 마련 및 개정이 필요함.

■ 논의된 개선안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법적인 제도의개선

뿐만 아니라 이를 실천 할 수 있는 행정적 경제적 수단을 마련하고 이

를 강력히 집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함.

■ 작업환경 측정평가 제도는 산안법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

기위한 하나의 수단이므로 유해물질의 관리, 건강진단, 공학적․관리적

대책, 그리고 보호구의 사용 등과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추진

하여야 함.

■ 장기적으로 근로자와 사업주의 자율과 책임이 강조되고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산업보건 분야에서도 선진국과 같이

위험성 평가제도 (Risk Assessment)를 도입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확

보할 필요가 있음.

■ 작업환경 측정평가 제도는 국가의 경제여건과 노사의 문화 등 사회․

경제적인 연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폭넓은 의

견 수렴이 필요함.

■ 선진국에서 산업보건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방안에 대한 사례를 지속

적인 모니터링하고 이를 국내에 필요한 제도로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

도 지속적으로 기울일 필요가 있음.

Page 48: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6 -

구 분 소속 직 성 명 비 고

공 동

원장

공단 산업안 보건연구원장 김 종

학계 한국산업 생학회장 김정만

정부 노동부 산업보건환경과장 김종효 당연직

안 공단 산업보건 생연구실장 김 년 당연직

근로자측

추천

한국노총 산업환경연구소 부장 조기홍 노총추천

원진녹생병원 책임연구원 최상 민노총추천

사용자측

추천

경총 안 보건 장 김 경총추천

( 경련 선임조사역)

국기업체산업보건 의회 회장

(한종훈)

김 진경련추천

학계측

추천

한성 교수 박두용 생학회추천

한양 학교 의과 학 교수 송재철 의학회추천

경원 문 학 간호과 교수 김희걸 간호학회추천

련단체 보건 회 문 원 이경남 작기 추천

간 사 한국산업안 공단 보건지원국장 강성규

【첨부 1 】

제3차 작업환경측정제도혁신위원회 명단

※ 실무지원반(6명)

- 노동부 산업보건환경과 근로감독 오 세 완

- 노동부 산업보건환경과 문 원 피 규

- 한국산업안 공단 보건계획 장 박 동 기 (정 무 수)

- 한국산업안 공단 작업환경 장 조 성 (송 세 욱)

- 산업안 보건연구원 선임연구원 장 재 길

- 산업안 보건연구원 선임연구원 정 지 연

Page 49: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7 -

【첨부 2 】

제2차 작업환경관리제도 개선위원회 명단

구분 성 명 소 속 직 책 이력사항

위원장 정호근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원 장

간 사 김성진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보건위생연구실 기술위원

위 원 김광종 고려대학교 교 수보건학박사

산업위생학회장

“ 김현욱 가톨릭대학교 교 수산업공학박사

산업위생학회이사

“ 박수만 한국노총 산업안전보건국장법학박사

한국노총정책연구원

“ 박정구 노동부 산업보건환경과 과 장노동부 산업보건

환경과장

“ 박정선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보건위생연구실실 장

“ 성규식 삼성전자 부 장

전국 기업체

산업보건협의회장

산업위생학회이사

“ 안경혁박애병원

산업보건연구소소 장

산업위생학회이사

기술사협의회총무이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 유기호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보건지원국국 장

“ 이경남 대한산업보건협회 사업총괄 본부장산업안전공단

산업보건지원국장

“ 이호성 한국경총 고용복지팀장경총 기획과장

고용정책과장

“ 차용칠 대우조선 노동조합 산업안전부장대우조선

산업안전보건위원

Page 50: 위험성평가제도 개념 - img.yonhapnews.co.kr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0002337051101162721_1.pdf사업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 48 -

실무작업반 명단

성 명 소 속 직 책 이력사항

김치년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실장보건학 박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노영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예방의학 박사

NIOSH 연구원

백용준 인하대학교 산업의학과 기사장경인산업위생협의회장

산업위생관리기사

원정일 옥천대학 환경공업과 교수노동부전문위원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윤충식 원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연구원보건학 박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