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Transcript
Page 1: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 307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1, Vol.28, No.3, pp.307~331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1)*The Adoption of the School Consulting to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chool Consulting

박 수 정(충남 학교 교수)**

요 약

이 연구는 2010년에 실시된 지역교육청 기능개편 정책에 따라 학교컨설 이 교육청에 면

으로 도입된 상황에서‘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이라는 상에 주목하 다. 학교컨설

은 최근 10여 년 간 자생 으로 형성되고 개념이 구성되어 왔으며, 교육청은 학교컨설 을

필요에 의해 선택 으로 도입했다가 정부 정책에 의해 면 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학교컨

설 에 한 장학사와 컨설턴트의 이해와 인식을 자유기술형 설문으로 조사하고 내용 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 고, 컨설 의 가능성과 한계를 학교컨설 의

확산과 왜곡, 컨설 과 장학, 학교컨설 에서 교육청의 역할, 교육청의 기능과 인식 변화라는

측면에서 검토하 다.

주제어 : 학교컨설 , 교육청, 가능성, 한계, 컨설 장학,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 이 논문은 연구자가 2011년 6월 25일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 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하 음.

** [email protected]

*** 원고 수(11.07.31). 심사(11.09.22). 수정완료(11.09.27)

Page 2: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08 -

Ⅰ. 서론

최근 교육 장의 큰 이슈 하나는 ‘컨설 ’이다. 일선 학교에서는 교육청에서 주 하는

‘컨설 장학’의 상이 되어 이를 비하거나 실시하고 있고, 교육청에서는 이와 련된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컨설 과 련된 각종 연수와 특강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은 특정 학교나 지역에 국한하여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학교와 지역에서

나타나는 상이고, 최근 몇 달간 집 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당분간은 계속될

망이다.

이러한 상은 2010년 9월 1일자로 ‘지역교육청’이 ‘교육지원청’으로 이름이 바 면서 감

독 주의 ‘담임장학’을 폐지하고 지원 심의 ‘컨설 장학’을 실시하게 된 것에서 시작되

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a). 학교컨설 은 10여 년 부터 학문 , 실제 으로 성장해왔

고,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컨설 의 방식을 채용하여 장학이나 수업개선지원에 활용하기

도 하 으며, 2000년 반에 이미 컨설 이 교육 장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는 지

(진동섭·홍창남, 2006: 374)도 있었다. 그러나 모든 교육청에서 모든 학교를 상으로 일제

히 ‘학교컨설 ’을 하게 된 계기는 이른바 ‘지역교육청 기능개편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검토하겠지만, 학교컨설 은 교육청과 같은 계 인 성격을 갖는 상 교육행정

기 에서 학교와 교사를 상으로 실시하도록 고안된 개념이 아니고, 법 으로 시·도교육

청의 하 교육행정기 으로서 학교운 의 지도·감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교육청 한

학교컨설 과 같은 지원기능을 수행하는데 합하도록 설계된 조직이 아니다. 따라서 학교

컨설 을 수행하게 된 교육청의 입장에서는 혼란과 어려움이 있고, 학교컨설 의 측면에서

도 모든 교육청에서 일제히 컨설 을 하게 된 재의 상황이 기회이자 기가 될 수도 있

다.

이 연구는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이라는 상에 주목하고, 교육청이 주 하는 학

교컨설 에 한 인식을 분석하고 교육청 학교컨설 의 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하여, 먼 학교컨설 의 형성 과정과 개념을 정리하고, 교육청에서 학교컨설 을

수행하게 된 과정과 내용을 살펴본다. 그리고 ‘교육청 학교컨설 ’1)에 하여 교육청 장학

사와 컨설턴트의 이해와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결론 으로 교육청 학교컨설 의 가능

성과 한계를 검토하도록 한다. 구체 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컨설 의 형

성 과정과 주요 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청에서 학교컨설 을 어떠한 과정과 내용으로

1) 이 연구에서 ‘교육청 학교컨설 ’이란 ‘교육청에서 주 하여 기획하고 운 하는 학교컨설 는 학교컨설

유사 활동’으로 정의한다.

Page 3: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09 -

받아들 는가? 셋째, 교육청 학교컨설 에 하여 장학사와 컨설턴트는 어떠한 이해와 인

식을 나타내고 있는가? 넷째, 교육청 학교컨설 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문헌 분석과 논리 분석을 주로 하되, 보완 으로 인식조사 분석을 수행

하여 논리를 강화하는 방식을 취하 다.

Ⅱ. 학교컨설 : 자생 형성과 개념의 구성

학교컨설 의 개념과 실체는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다. 학교컨설 은 기업과 의료 분야

에서 활발한 ‘컨설 ’을 학교에 용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지만, 학교컨설 의 에

하여 학문 분야별로 다른 이해와 근을 취하고 있다. 즉, 교육행정 분야에서는 학교개

과 교사 문성 개발의 ( , 진동섭, 2003a)에서, 교육심리 내지 상담 분야에서는 학

생의 심리 치료의 ( , 윤 희, 2009)에서, 교육방법 내지 공학 분야에서는 교사 수업

개선의 과 방법 측면( , 이상수, 2010)에서, 교과교육 분야에서는 특정 교과와 련

된 수업개선 내지 수업 문성 개발의 에서( , 곽 순, 2009)에서 근하고 있다.

학교컨설 은 ‘학교’와 ‘consulting’이라는 단어가 조합된 것이지만, 외국에서 만들어져

우리나라로 직수입된 개념이라고 볼 수는 없다. 미권에서는 주로 ‘consultation’이라는 용

어를 사용하는데, 교육심리학자들이 학교에서 교육 는 교육지원 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학교행정가, 학교 상담 문가, 학교 사회사업가 등을 상으로 제공하는 문 인 서

비스를 의미한다(홍창남, 2002: 74). 한 수업하는 교사를 통해 학습문제를 가진 학습자에

게 간 인 서비스를 하는 것 한 ‘consult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Rosenfield,

1987).2)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 학교컨설 은 학습자나 수업의 문제에서 출발한 것이라

기보다는 ‘학교를 개선하기 한 노력’으로부터 출발하 다는 이 특징 이다.

우리나라에서 구체 인 활동으로서의 학교컨설 을 처음 시작한 곳은 한국교육개발원이

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교육개발원은 학교평가를 실시한 후 학교개선의 방법으로

학교컨설 사업을 처음으로 실시하 다. 이는 국가 인 사업으로서, 단 학교의 강 과

약 을 진단하고, 이에 기 하여 학교개선 노력을 자극하고 지원하는 학교컨설 모형을

개발하고 시범 용하는 것이 목 이었다(최상근 외, 2000: 1). 이 사업은 학교컨설 을 ‘학

2) 이것과 ‘counselling'이 엄격히 구분되지 않는데, 이러한 역도 최근 ‘학교컨설 ’, ‘학습컨설 ’, ‘수업컨설 ’

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고 있다는 에서, 이러한 활동들이 우리나라에서 ‘컨설 ’이라는 이름으로 포섭되고

있다.

Page 4: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10 -

교의 문제들을 진단하는 것을 도와주고, 학교가 그 목 을 달성할 수 있는 방향에서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결책을 제안해 주며, 학교가 그 해결책의 실행에 해 도움을 요청

할 때 도와주는 문 인 조언활동(최상근 외, 2000: 14)’으로 정의하 고, ‘ 안 학교평

가’의 성격으로 학교컨설 을 근하 으며, ‘진단’에 을 두었다. 이를 통해 학교컨설

은 학교평가의 사후처리 과정으로 수행되거나 학교평가를 체하는 활동을 인식되는 계기

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3)

한편, 2000년 부터 진동섭과 한국학교컨설 연구회는 학교컨설 을 학교개 과 문

성 개발을 한 활동으로서 이론 , 실제 으로 구축하고 실행하는 작업을 하 다. 진동섭

은 2003년 ‘학교컨설 : 교육개 의 새로운 근방법’이라는 단행본을 발표한 이래, 학교컨

설 에 한 여러 편의 논문과 서를 발표하 다. 진동섭은 ‘컨설 장학’에 한 논문 1

편을 제외하고는 곧 ‘학교컨설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학교컨설 의 이론화 작업을

선도하 고, 한국학교컨설 연구회를 결성하여 학교컨설턴트를 양성하는 직무연수과정을

운 하 으며, 련 연구와 연수 요청하는 학교에 한 컨설 을 직 수행하 다. 학

교컨설 을 ‘학교개선을 한 문 지원’의 에서 정립하 고, 학교컨설 의 개념과

원리, 모형 등을 가장 극 으로 개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박효정 외.

2009).

2000년 반 이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교사의 수업 문성 개발을 하여 수업컨설

사업을 수행하 고(이화진 외, 2006), 2008년부터 한국교육개발원에 학교컨설 연구실이

설치되어 진동섭이 제시한 개념에 입각한 학교컨설 련 연구와 사업을 실시해오고 있

다(박효정 외, 2009). 한 각 시·도교육청에서 각종 학교컨설 활동(Ⅲ장 참고)을 개함

에 따라, 교육 장에서 차 학교컨설 이 확산되게 되었다.

진동섭 등(2009)에 의하면, 학교컨설 은 ‘학교의 자생 활력과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하여, 단 학교와 학교체제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문성을 갖춘 교육체제 내외 문

가들이, 문제와 과제의 해결을 도와주는 활동’이다. 학교컨설 의 목표는 학교와 학교구성

원의 문제 해결, 학교의 내 교육 역량 강화,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 사회 변화에 능동

인 학교 구축이고, 학교컨설 의 련자는 의뢰인과 학교컨설턴트, 학교컨설 리자이며,

학교컨설 의 과업은 문제의 진단, 안 수립, 해결 방안 실행 지원, 교육·훈련, 문제 해결

에 필요한 자원의 발굴·확보와 지원체제 구축이다. 학교컨설 의 원리로는 자발성, 문성,

3) 컨 유치원에 한 평가인증 실시 후 미흡한 유치원을 상으로 컨설 을 수행하고, 최근 보건복지부에

서 평가인증 어린이집이 계속 으로 질 수 을 유지하도록 ‘보육컨설 ’을 실시하도록 한 것 등을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Page 5: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11 -

자문성, 한시성, 독립성, 학습성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 의뢰인의 자발 요청(자발성)

과 컨설턴트의 문 서비스( 문성)가 가장 핵심 인 원리로 제안되고 있다(진동섭·김효

정, 2007).

이러한 진동섭의 학교컨설 개념과 모형 원리에 하여 체로 많은 연구자들은 동

의하면서 각자의 논지를 개하고 있으나 학교컨설 의 취지와 , 방법 등에 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 박상완, 2008; 조 숙, 2009). 용어만 보더라도, ‘수업컨설

’, ‘컨설 장학’, ‘수업컨설 장학’, ‘장학컨설 ’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혼란이 많은 상태이

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교컨설 은 자생 으로 형성되어 왔고 한 역동 으로

구성되어가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떠한 배경과 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학교컨

설 의 의미와 성격에 하여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재 하나로 합의되거

나 정선된 논리체계를 갖고 있지는 않다.

Ⅲ. 교육청: 선택 도입에서 면 채택으로

교육청이 학교컨설 과 련된 활동을 공식 으로 수행한 것은 2003년부터로 확인된다.

경기도교육청이 2003년에 ‘컨설 장학’이라는 명칭의 활동을 처음으로 실시하 는데, 교육

청이 학교컨설 의 아이디어를 채용하여 기 장학의 방법으로 선택한 것이다. 진동섭

(2003b: 37-50)은 경기도교육청의 컨설 장학에 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 다. 1)도교육

청이 주도하는 장학, 2)단 학교와 지역교육청을 상으로 이루어지는 장학, 3)도교육청, 지

역교육청, 일선 학교와의 의 속에 선정되는 장학 상, 4)다양한 구성의 장학요원, 5)집단

연수와 의회 심의 컨설 장학 방법, 6)일선 학교와 지역교육청의 안 과제 해결을

한 장학, 7)시간과 횟수가 제한된 장학, 8)우수 사례 일반화 보 에 활용하는 장학 등

이다. 이 장학의 특징은 ‘교육청의 주도 하에 학교와 교사의 의뢰에 의해 장학요원들이 제

공하는 지도조언활동’(김도기, 2005: 23)으로, 컨설 의 개념과 원리에 충실한 장학이라기보

다는 컨설 의 장 과 요소를 일부 반 한 장학이라고 할 수 있다.

컨설 장학을 실시하자는 제안은 2000년을 후하여 이명호(1999)와 서울 등장학발

연구회(2001)에서 이미 제기한 바 있다. 등교사 이명호(1999: 42)는 「새교육」에 게재한

‘컨설 장학으로’라는 제목의 에서 ‘컨설 주의 장학체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 는

Page 6: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12 -

데, 이러한 체제를 구축하면 단 학교의 교육력 신장을 한 지도·조언의 장학 기능은 유

지하되, 교육 장애로 고민하고 있는 단 학교의 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

다. 서울 등장학발 연구회(2001: 113-114)는 컨설 장학을 ‘학교 단 의 안에 해 장

학 과 학교 당사자들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하는 일련의

동과정’으로 정의하고, 컨설 장학의 도입과 확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하 다.

이러한 아이디어 차원의 논의를 넘어 컨설 장학의 개념과 모형을 구체 으로 제시한

연구자는 진동섭과 김도기(2005)로, 컨설 장학은 학교컨설 의 원리와 방법을 도입한 교

원 문성 계발 활동이며 새로운 장학의 유형이라고 보았다. 그들은 컨설 장학을 ‘교원

의 자발 의뢰를 바탕으로 교수-학습과 련된 문성을 계발하기 해 교내외의 문성

을 갖춘 사람들이 제공하는 조언 활동’으로 정의하고, ‘교사의 의뢰에 따라 그들이 직무수

행상 필요로 하는 문제와 능력에 해 진단하고, 그것의 해결과 개발을 한 안을 마련

하며, 안을 실행하는 과정을 지원 는 조언하는 활동’이라고 부언하 다(진동섭·김도기,

2005: 7). 이들은 컨설 장학과 학교컨설 을 다음 <표 1>과 같이 비교하여 제시하 다.

<표 1> 컨설 장학과 학교컨설 의 비교

구분 컨설 장학 학교컨설

핵심 개념의뢰인의 자발성과 컨설 장학요원

의 문성에 바탕을 둔 조언 활동

의뢰인의 자발성과 컨설턴트의 문성

에 바탕으로 둔 독립 인 자문 활동

교사 활동의 주체, 자발 참여자 활동의 주체, 자발 참여자

참여 계 수평 계 수평 , 독립 계

상 역 교실 수업 개선 학교교육 경 반

핵심 원리 자발성, 문성 등 자발성, 문성 등

책임 소재 의뢰인 의뢰인

장학요원 주로 교내 교내, 교외

컨설턴트 주로 동료교사 동료 교사, 교수, 연구원 등

출처 : 진동섭·김도기(2005: 17)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컨설 장학과 학교컨설 은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학교컨설 이 상 역에 있어서 좀 더 포 인 개념이고, 의뢰인과 컨설턴트가 수평

계 외에도 독립 인 계를 가져야 하며, 다양한 문성을 갖춘 사람들을 필요로 한다.

진동섭과 김도기가 학교컨설 의 하 개념으로서 컨설 장학을 제시하 으나, 이것이

‘수업컨설 ’이 아닌 ‘컨설 장학’으로 명명되는 순간, 컨설 이 장학의 하 개념 내지 방

Page 7: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13 -

법으로 포섭되었고, 개념 으로 장학과 구분하고자 노력했던 학교컨설 (진동섭, 2003a)이

결과 으로는 장학과 유사한 활동으로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컨설 장학을 포함하여 여러 시·도에서 선택 으로 학교컨설 는 학교컨설 과 련

된 활동을 수행해왔다. 2009년에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시·도교육청 산하기 의

학교컨설 실태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시·도별 학교컨설 련 활동 황(2009년)

시·도 이름

서울

교육청 교과장학지원단, 평가개선장학지원단, 컨설 장학, 학교종합컨설 단

교육정보

연구원

수업(개선)지원단, 119교실정보지원단, 수업자료지원단, 문제은행지원단, 사이버논술지원단, 학교정보화지원단

교육연수원 교육과정지원단

부산 교육청학교컨설 , 생활지도 역별 교단지원단, 학교경 자문단, 학교경 지혜

자문단

구 교육청 교육컨설 장학, 요청장학, 상설장학

울산 교육청 장학컨설 체제( 등), 사이버장학( 등)인천 교육청 장학컨설 ( 등)

교육청수업 신114운동( 등), 수업사랑방지기( 등), 고교특색살리기컨설 지

원단, 방과후학교컨설

지역교육청 수업컨설 그룹, 새수업 로젝트

교육정보원 교사사이버컨설 , 교육포털에듀랑

주교육청 등교실수업개선수업발표 회, 학교발 컨설 제

지역교육청 고없는 수업장학( 등)경기 교육청 좋은수업 나눔 교과교육 멘토링제

강원 교육청 마 물장학

충남 교육청

자기수업 랜드갖기, 수업공개의날 운 , 교실수업개선 실천사례 연구발

표 회, 교수학습컨설턴트 운 , 수업연구 회, 으뜸교사제, 학교평가와

연계한 학교경 컨설 제

충북 교육청 수시장학 컨설 , 컨설 장학과 연계한 담임장학

남 교육청교실수업개선지원단, 교과교육연구회 활성화 지원, 교과교육연구회 우수

교원 연구발표 회, 학 경 우수교사상제

북 교육청정기종합장학, 맞춤형요청장학, 공별 장학 제 수업장학, 사이버장학, 학교교육활동컨설 (이상 등), 선택 요청장학( 등)

경남 교육청 교실수업 문성 신장을 한 인력풀 운 , 맞춤형 장학활동

경북 교육청 재교육을 한 수업컨설

제주 교육청

수업선도교사 인증제 운 을 한 사이버컨설 장학지원단, 취업기능

강화를 한 문계고 특성화 지원사업 컨설 , 체육과 찾아가는 연수

교수-학습 멘토링제, 식시설 화 학교 멘토링제, 학력향상을 한

학생 멘토링제,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자문단 운 , 특색있는 학

교 만들기 선도학교 컨설 단

출처 : 박효정 외(2009: 57-60)를 연구자가 재정리함

Page 8: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14 -

이것은 각 교육청에서 자체 으로 제시한 것으로, 학교컨설 의 본질 인 의미와 원리에

부합한 활동을 선별한 것인가는 검증되지 않았다. 명칭만으로 볼 때, 체로 수업에

이 있고, ‘컨설 장학’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장학(요청장학, 수시장학, 종합장학)과 혼용되고

있으며, 멘토링과 지원단, 자문단, 각종 사이버 지원활동 등 학교와 교사를 지원하는 성격

의 활동이 망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교육청에서 수행해온 지원 성격의 활동들을

학교컨설 으로 포함하는 인식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학교컨설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청에서 자체 으로 학교컨설 과

련된 활동이나 사업을 개하 던 상황이, 2010년 9월 1일을 기해 완 히 변하 다. 술

한 바와 같이 지역교육청의 교육지원청으로 개편됨에 따라 ‘컨설 장학’을 수행할 미션이

주어진 것이다. 새로이 출범하는 교육지원청은 학교운 반을 검, 감독하는 행정 성

격의 담임장학을 폐지하고 교사와 학교가 요청하는 경우 컨설 을 직 제공하거나 연결

해 주는 컨설 장학으로 환하게 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a).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근본 인 배경은, 지역교육청이 더 이상 학교운 을 지도·감독하

는 역할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고, 단 학교의 자율 운 과 책무성 제고를 효과 으로 지

원하는 기 이 되어야 한다는 환경의 변화와 요구라 할 수 있다(박수정·최 출, 2010: 285).

특수교육, 재교육, 기학생 상담, 다문화, 복지 등 개별화된 새로운 성격의 교육 수요

가 많아졌고, 새로운 학교 유형의 도입, 교원능력개발평가제, 방과후학교 운 , 학교선택제

등으로 인해 과거와 달리 학교와 교사에 하여 구체 ·실질 도움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박수정, 2010b: 8)도 지역교육청의 역할 변화를 요구하게 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교육청이 학교와 교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 ‘컨설 ’이 채택된 이유는 무엇일까?

지역교육청이 학교와 교사를 지원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고 할 때, 2010년을 후하여

가장 활발하게 할 수 있는 학문 ·실제 개념이 ‘컨설 ’이었을 것이다. 학교컨설 이

표방하는 목 이 ‘학교의 자생 활력 함양과 학교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은 학교의 권

한 책무성 강화의 추세와 부합하고, 교육청에서 기능을 제 로 수행하지 못하는 장학을

신하여 기존 장학의 안 는 장학의 새로운 방법으로 부각될 수 있었다. 한 교사의

교실 수업뿐만 아니라 학교경 의 다양한 문제와 과제에 해서도 도움을 수 있다는

도 요한 이유가 될 것이다(박수정, 2010a).

2010년 이 에도, 교육과학기술부가 2009년에 지역교육청 기능개편 시범사업을 실시하자,

부산남부교육청을 비롯하여 4개의 시범교육청 모두가 ‘컨설 ’과 련된 직간 으로 련

된 사업을 실시하 다는 사실(교육과학기술부, 2010b)은 이러한 인식을 반 한다. 지역교육

청 기능개편 시범운 에 몇 차례의 발표회를 통해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학교컨설 이

Page 9: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15 -

학교를 효과 으로 지원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이 정책담당자에게 인식되었고(교육과

학기술부, 2010a), 2010년 9월부터 ‘컨설 장학’의 기능이 면 으로 지역교육청에게 부여

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도입 배경과 경 가 이러한 것이라 하더라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생 ’

으로 형성되고 ‘자발성’의 원리를 강조한 학교컨설 이, ‘타율 ’인 방식으로 교육청에 ‘강

요’되는 상황이 개된 것은 단히 곤혹스러운 상황을 견한다. 지역교육청 기능개편에

따라 학교컨설 이 면 으로 도입된 것은 교육청의 입장에서 볼 때 외부 인 강요(정부)

에 의해서이고, 그 상이 되는 학교와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역시 외부 인 강요(교육청)

에 의해서라고 인식할 수 있는 상황에 놓여진 것이다. 그것도 학교개선의 방법으로 고안된

‘학교컨설 ’이 아니라 장학의 일종인 ‘컨설 장학’이라는 방법이 면 으로 채택되었다

는 에서, 학교컨설 이 갖는 고유한 의미가 변용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다.

교육청이 할 학교를 상으로 수행하는 기 장학의 방법으로 학교컨설 이 채택되었다

는 한 그러한 가능성을 더욱 높게 한다.

Ⅳ. 교육청 학교컨설 에 한 인식

1. 조사 설계

교육청이 학교컨설 을 면 으로 실시하게 된 상황에서 학교컨설 련자들이 이에

하여 어떠한 이해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 다. 이들은 교육청 학교컨설 의

리자 는 컨설턴트로서의 역할을 재 수행하거나 앞으로 수행할 사람들로서, 이들의 인

식은 교육청 학교컨설 의 가능성과 한계를 악하는 기 자료가 된다.

조사 상은 D 역시와 K도의 교육청이 각각 2011년 5월에 주최한 학교컨설 리자

는 학교컨설턴트 연수 상자로서, 장학사( )와 연구사( ), 교감, 교사 등 총 80명이다.

이 가운데 63명의 설문지가 수거되었고, 응답자의 배경은 다음 <표 3>과 같다. 장학사가

76.2%로 가장 많고, 교육지원청 소속이 44.4%, 시·도교육청 소속이 31.4%로 교육청 소속이

체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 컨설 연수 경험자가 58.7%, 컨설 실시 경험자가

57.1%로, 응답자의 반 이상이 컨설 과 련된 연수와 경험이 있었다.

Page 10: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16 -

<표 3> 응답자 배경

(단 : 명, %)

구분

직업 소속컨설 연수

경험

컨설 실시

경험

교사

교감

장학사

( )연구사

( )학교

시·도

교육청

교육

지원청

연수

/연구원유 무 유 무

빈도 11 48 4 11 20 28 4 37 26 36 27

비율 17.5 76.2 6.3 17.5 31.7 44.4 6.3 58.7 41.3 57.1 42.9

조사방법은 자유기술형 설문조사로 실시하 다. 지 까지 학교컨설 는 컨설 장학에

한 인식 조사는 부분 선택형이나 리커르트 척도 등 통계 방법에 의한 설문조사(김병

주 외, 2008; 박효정 외, 2009; 이병환 외, 2011)로 이루어졌는데, 이 경우 응답자의 정확한

이해와 인식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컨 ‘학교컨설 을 잘 알고 있다’라는 문항에 응

답하는 것은 응답자 본인의 인 인식만을 알 수 있고, 학교컨설 에 하여 설명하고

이를 몇 개 척도 하나로 응답하는 것 한 응답자의 평소 이해 정도를 정확히 반 한다

고 하기 어렵다. 이 연구와 같이 질 인 자료를 분석한 사례로는 비교사(교육 학 4학년)

의 을 통해 학교컨설 에 한 인식을 분석한 진동섭 외(2009)의 연구가 있다.

구체 인 설문 문항은 1)학교컨설 에 하여 재 알고 있는 것(지식), 2)학교컨설 에

하여 재 가지고 있는 생각(느낌)을 각각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 다. 이를 통하여 학

교컨설 리자와 컨설턴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자들의 학교컨설 에 한 이해와 인식

수 을 악하고자 하 다.

이러한 자유기술형 설문조사의 분석방법은 주로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일반 인데, 내용 분석은 주제의 선정과 분류가 자의 이고, 노동 비용이 많이

들며, 외 타당성이 제한된다는 문제 이 있다(Danowski, 1993).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

용 분석 외에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network test analysis)도 활용하 다. 즉 동일한 응답

내용을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좀 더 풍부한 해석을 시도하 다.

2. 내용 분석 결과

응답의 주요 내용을 문맥단 로 구분하여 응답의 경향성과 빈도를 분석하 다. 다음 <표

4>는 내용 분석 결과이다.

Page 11: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17 -

<표 4> 응답의 내용 분석( 체)

내 용 빈도 비율(%) 빈도 비율(%)

학교컨설 의

개념

자발성 24 21.6

111 39.5

문성 16 14.4의뢰인과 컨설턴트의 계 12 10.8목표(기 효과) 15 13.5과업(활동) 31 28.0

역 13 11.7소계 111 100

기존 장학과의

비교

기존 장학과 다름 20 52.638 13.5기존 장학과 비슷함 18 47.4

소계 38 100

학교컨설 에

한 인식

정 인식 48 37.2

132 47.0부정 인식 46 35.7조건부 인식 35 27.1소계 132 100

합계 281 100 281 100

* 복수응답. 체응답자수 63명.

첫째. 학교컨설 에 하여 알고 있는 것은 과업(28.8%), 자발성(21.6%), 문성(14.4%).

목표(13.5%), 역(11.7%),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계(10.8%)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컨설 의

개념에 하여 서술한 내용을 구체 으로 살펴보면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학교컨설 의 개념에 속하는 응답

구분 응답

자발성․ 자발 요청

․ 요청

․ 요구

․ 필요

문성․ 문성

․ 문가

․ 교육 문가

․ 문기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 수평 계

․ 등한 계

․ 실질 계

․ 력 계

목표(기 효과)․ 문제해결

․ 교사의 문성 신장

․ 학교교육력 제고

․ 능력 있는 교사 발굴

과업(활동)․ 문제해결

․ 조언

․ 자문

․ 지도·조언

역․ 다양한 역

․ 원하는 역

․ 수업 심

․ 학교경 반

학교컨설 의 ‘과업(활동)’은 가장 많은 응답 빈도를 차지하 는데, ‘자문’과 ‘조언’과 같

이 학교컨설 의 기본 과업에 한 응답이 많았지만, 일반 으로 장학의 과업으로 제시

Page 12: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18 -

되는 ‘지도·조언’이라는 응답도 많았고, ‘문제해결’4)은 과업과 목표에 모두 등장하 다. 다

음으로 많이 응답 빈도를 보인 ‘자발성’은 의뢰인의 측면에서, ‘ 문성’은 컨설턴트의 측면

에서 요한 원리로, 학교컨설 의 핵심 인 원리들(진동섭·김효정, 2007: 45-46)이 잘 인지

되고 있음을 보여 다. 학교컨설 의 목표는 ‘문제해결’ 외에도 ‘학교교육력 제고’, ‘교사

문성 신장’ 등으로 나타났고, 학교컨설 의 역은 ‘다양한 역’이고 ‘원하는 역’이면서

‘수업 심’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계’를 응답한 경우도 많았는데,

기존의 학교컨설 연구에서 많이 언 되는 수평성 내지 등성 외에도 실질성과 력성

에 한 언 도 많았다.

둘째, 기존 장학과 비교하여 설명한 경우, 다르다는 응답(52.6%)이 유사하다는 응답

(47.4%)보다 약간 더 많았다. 학교컨설 과 기존 장학을 비교하여 서술한 내용을 구체 으

로 살펴보면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학교컨설 과 기존 장학의 비교에 속하는 응답

구분 응답

기존 장학과 다름

․ 기존 장학과 근방식 다름

․ 지시 주 장학 탈피

․ 장학의 개념보다 의

․ 장의 장학 거부에 한 안

․ 새로운 개념의 장학 ․ 새로 도입된 장학지도 기법

기존 장학과 유사함․ 기존 장학과 비슷

․ 요청장학과 비슷

․ 실제로는 장학과 비슷

․ 운 형태는 장학과 비슷

기존 장학과 다른 이유로, 기존 장학과 성격이나 근방법이 다르고, 장의 기존 장학

에 한 거부로 나타난 안이며, 장학의 개념보다 포 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기존 장

학과는 다르지만 ‘새로운 장학’이라는 인식도 있었다. 반면, 기존 장학과 유사하다는 응답

의 경우, 요청장학과 비슷하고, 실제로 장학과 비슷하며, 운 방식이 비슷하다는 응답도 있

었다.

셋째, 학교컨설 에 한 인식은 정 (37.2%), 부정 (35.7%), 조건부(27.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컨설 에 한 인식에 하여 서술한 내용을 구체 으로 살펴보면 다음 <표

7>과 같다.

4) 학교컨설 의 에서 볼 때, 학교컨설 을 직 인 ‘문제해결’이 아니라 ‘문제해결 지원’이 목표 내지 활

동이다. 이 게 본다면 학교컨설 을 문제해결과 동일시하는 것은 오개념일 수도 있다. 이것은 한 학교와

교사가 문제해결에 한 매우 직 이면서도 강한 요구를 가지고 있음을 반 하는 것이기도 하므로, 향후

학교컨설 의 논리 구축에도 반 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Page 13: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19 -

<표 7> 학교컨설 에 한 인식에 속하는 응답

구분 응답

인식

․ 교사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학교의 부담이 다

․ 학교를 지원할 수 있다

․ 장의 호응이 좋다

․ 형식보다 내용에 충실하다

․ 일회성이 아니다

부정

인식

․ 장의 요구가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 교직사회가 폐쇄 이어서 회의 이다

․ 무 빨리 안착하려고 한다

․ 컨설턴트의 확보가 어렵다

․ 의 개입이 심하여 거부감 조성

․ 학교에서 부담감을 갖는다

조건부

인식

․ 많은 시간 여유가 필요하다

․ 자발성이 보장된다면 도움이 될 것

․ 세심한 계획과 노력이 필요하다

․ 기본 목 에 을 두면 도움이 될 것

․ 열린 마음이 있어야 성공한다

․ 문성 있는 컨설턴트의 투입이 건

학교컨설 에 한 정 인 인식은 교사에게 도움이 되고, 부담이 으며, 호응이 좋다

는 등이 나타났다. 반면, 장의 요구가 없는 것과 컨설턴트의 확보 곤란, 폐쇄 인 교직

문화 등이 부정 으로 지 되었다. 자발성 보장, 문성 있는 컨설턴트의 투입을 제로 한

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는 경우도 많았다. 이것은 재 학교컨설 의 자발성과 문성

에 한 부정 인식과 동시에, 앞으로 자발성과 문성이 보장된다면 학교컨설 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인식을 보여 다. 속한 추진의 문제 은 시간 여유의 필요성으로 연결되

며, 폐쇄 인 교직사회로 인한 회의는 열린 마음에 한 주문으로 이어진다. 차의 간소화

로 학교의 부담이 다는 응답도 있지만 여 히 부담감이 있다는 응답도 지 않았다.

한편, 학교컨설 에 한 오해나 오개념이 반 된 응답도 있었다. 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짧은 시간(반나 ) 방문하여 효과 없을 것

․ 교장, 담당부장, 수업공개교사만 신경

․ 실수나 다양성을 용납하지 않아 회의

․ 컨설 상이 아닌 부문은 소홀히 리될 가능성

․ 행정 업무 소홀 우려되어 보완 필요

이것은 학교컨설 을 기존 장학의 내지 방법으로 실시한다는 것을 제로 한 인식

으로, 교육청 학교컨설 을 기존 장학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 다. 한 학교컨

설 으로 인해 리와 행정 소홀을 우려하는 것은 학교컨설 을 과거의 종합장학이나 담

임장학과 같은 시각으로 보고 있고, 여 히 학교를 지도·감독하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

을 보여 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컨설 에 한 정확한 개념 정립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있

었다. 를 들면 다음과 같다.

Page 14: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20 -

․ 학교컨설 과 기존의 장학과 역할정립 필요

․ 학교컨설 도입의 기본 취지 배경에 한 지식 미흡

․ 요청장학의 이미지 불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 장에서 구체 내용을 모르는 상태에서 진행된다.

․ 모든 계자가 바르게 이해할 때 도움이 될 것이다.

이것은 학교컨설 의 개념에 한 정립과 이해가 부족하여 장에서 혼란을 느낀다는

것을 보여 다. 따라서 학교컨설 에 한 정확한 안내와 홍보가 필요하고, 그보다 앞서

교육청 학교컨설 의 의미와 역할에 한 정립이 시 히 필요하다는 을 알 수 있다.

한편, 학교컨설 에서 강조하는 내용(Ⅱ장 참고)에서 비추어볼 때, 주요 련자 가운데

‘컨설 리자’, 학교컨설 의 원리 가운데 ‘한시성’, ‘학습성’, 학교컨설 의 목표 가운데

‘문제해결’ 이외의 목표들, 즉 ‘학교의 내 교육 역량 강화’,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 ‘사회

변화에 능동 인 학교 구축’ 과 같은 것들은 별로 언 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

에 한 이해는 상 으로 부족하거나 별로 요하게 인식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network text analysis)은 텍스트에 출 하는 단어와 단어 사이의

계를 링크로 표시함으로써 구축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을 해석하는 분석 기법

(Popping, 2000)으로, 언어와 지식은 단어 사이의 계를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라는 인식에

근거한다(Sowa, 1984). 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은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과 텍스트 분석(text analysis)을 복합 으로 연계함으로써, 특정 연구 분야

상에 한 지식과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5)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를 자유기술형 응답(문장 단 )으로 하 는데, 즉 한 문장 안에 함

께 나타난 단어가 무엇이고 그 계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하 다.6) 내용 분석을

5) 최근 이러한 분석방법을 용하여 행정학 지방교육자치의 연구경향 분석(최 출·박수정, 2011, 박수정·박

선주·박진 , 2011b)과 교육감 선거 련 신문사설 분석(박수정, 2011b)이 이루어졌고, 사회과의 내용 유목에

나타난 단어들을 상으로 사회과의 내용 요소들이 내 으로 어떻게 상호 연 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

(한성원, 2002)가 있으며, 통령 선거기간에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운 BBK 련 동 상에 달린 댓 을

분석한 연구(박한우·이연옥, 2009)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 연구에서는 자유기술형 응답 분석에 활용하

다.

6) 같은 의미의 단어와 띄어쓰기를 통일하고( : ‘외뢰인’과 ‘의뢰자’를 ‘의뢰인’으로 통일), 조사를 제거하고, 형

용사와 부사, 동사 일부를 명사형으로 변환하는 등 데이터 클리닝을 거친 후 분석하 다.

Page 15: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21 -

한 분석 도구로 한국어 텍스트 분석을 하여 개발된 KrKwic 소 트웨어를 활용하고(박한

우·Loet Leydesdorff, 2004: 1378),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한 분석 도구로는 NetMiner 소

트웨어를 활용하 다.

첫째, 자유기술형 설문의 응답에 나타난 단어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가 <표 8>이고, 4회

이상의 빈도를 보인 단어와 단어 간의 연결 심성(degree centrality)7)을 분석한 결과가

<표 9>이다.

<표 8> 응답에 나타난 단어의

빈도 분석

<표 9> 응답에 나타난 주요 단어의

연결 심성 분석

순 빈도 주제어 순 연결 심성 주요어

1 77 학교 1 0.978261 학교

2 49 컨설 2 0.891304 장

3 46 장학 3 0.869565 장학

4 43 장 4 0.826087 컨설

5 38 도움 5 0.695652 도움, 요구

6 34 교사 6 0.652174 지도

7 25 문제 7 0.608696 요청, 필요

8 24 요청, 필요 8 0.586957 교사

9 21 실질 9 0.543478 문제, 장학지도, 컨설턴트

10 19 장학지도, 컨설턴트, 해결 10 0.478261 실질

11 14 요구, 정착 11 0.434783 수업

12 11 비슷, 수업, 문성, 많음 12 0.413043 정착, 다름, 13 10 기존, 시간, 아님 13 0.369565 비슷, 노력, 지원

14 9 다름, 의뢰인, 자발 , 심 14 0.347826 실시, 문가, 운 , 아님

15 8 부담, 없음 15 0.326087 문성

16 7 실시, 좋음, 지원, 최근 16 0.304348 자발 , 심, 좋음

17 6개념, 계, 분야, 운 , 문가, 지도

17 0.282609분야, 내용, 최근, 계, 없음

18 5감소, 내용, 노력, 새로운, 신장, 의문, 문 , 비, 확보

18 0.260870 기존, 많음, 개념

19 0.239130 부담, 비

20 0.217391 시간, 의뢰인, 문

19 4

가능성, 개선, 과정, 교육계, 구성, 정 , 안, 방법, 분 기, 성공, 시스템, 아

직, 역, 요청장학, 원하는, 장학 의회, 음, 조언, 진

단, 재, 회의

21 0.195652 새로운

22 0.173913 감소, 신장, 의문, 확보

7) 연결 심성은 어떤 단어가 다른 단어와 동시에 출 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연결 심성에는 내향 심성

(in-centrality)과 외향 심성(out-centrality)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자의 수치를 제시하 다.

Page 16: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22 -

<표 8>과 같이 응답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단어는 1)‘학교’, 2)‘컨설 ’, 3)‘장학’, 4)‘ 장’,

5)‘도움’, 6)‘교사’, 7)‘문제’, 8)‘요청’, ‘필요’, 9)‘실질 ’, 10)‘장학지도’, ‘컨설턴트’, ‘해결’의 순

으로 나타났고, <표 9>와 같이 연결 심성이 높은 단어는 1)‘학교’, 2)‘ 장’, 3)‘장학’, 4)‘컨

설 ’, 5)‘도움’, ‘요구’, 6)‘지도’, 7)‘요청’, ‘필요’, 8)‘교사’, 9)‘문제’, ‘장학지도’, ‘컨설턴트’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와 ‘ 장’, ‘도움’, ‘요청,’ ‘필요’ 등의 단순 빈도와 연결 심성

순 가 상 으로 높게 나타났고, ‘컨설 ’과 ‘장학’의 경우, 단순 빈도는 ‘컨설 ’이 높았

지만 연결 심성은 ‘장학’이 높았다.

둘째, 단어 간의 계를 네트워크 지도로 나타내고 클러스터를 표시한 것이 다음 [그림

1]이다. 연결 심성이 크면 노드의 크기가 크고, 동시출 빈도가 많은 노드 사이는 상

으로 가까운 거리에 치한다.

[그림 1] 응답에 나타난 주요 단어 간 네트워크 지도

이 지도에는 크게 보아 5개 유형의 클러스터가 형성된다. 클러스터 A는 ‘학교’, ‘장학’,‘컨

설 ’, ‘ 장’이 ‘요청’, ‘필요’, ‘도움’, ‘요구’, ‘필요’, ‘문제’, ‘해결’, ‘수업’과 주로 연계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클러스터 B는 ‘컨설턴트’, ‘실질 ’, ‘ 문가’, ‘ 계’, ‘

문 ’. ‘확보’, ‘의문’이 주로 연계된다. 클러스터 C는 ‘도움’, ‘교사’, ‘의뢰인’, ‘정착’, ‘노력’,

‘ 문성’, ‘신장’, ‘내용’이 주로 연계된다. 클러스터 D는 ‘지도’, ‘장학지도’, ‘지원’, ‘비슷’,

Page 17: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23 -

‘다름’, ‘기존’. ‘부담’, ‘새로운’, ‘좋음’이 주로 연계된다. 클러스터 E는 ‘최근’, ‘실시’, ‘ 비’,

‘감소’가 주로 연계된다.

이것은 학교컨설 이 학교 장의 요청, 요구, 필요에 의한 것이고 문제 해결과 수업에

도움이 되며(클러스터 A), 컨설턴트의 특면에서 문가와의 실질 계가 있어야 하나 확

보에 의문이 되고(클러스터 B), 의뢰인의 측면에서 자발 노력이 필요하고 교사의 문성

신장이 가능하며(클러스터 C), 기존 장학지도 내지 지도와 다른 면과 비슷한 면이 있으며

(D), 최근 실시되고 있고 비(부담)가 감소되었다(클러스터 E)는 인식 경향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학교컨설 과 함께 연상되는 주요 단어와 이미지(장학, 도움, 요청 등)를 알

수 있고, 학교컨설 의 핵심 요소(학교, 교사, 의뢰인의 자발성, 컨설턴트의 문성 등)와

장 (부담 감소), 우려( 문가 확보) 등을 종합 으로 악할 수 있다.

Ⅴ. 교육청 학교컨설 의 가능성과 한계

1. 학교컨설 의 확산인가, 왜곡인가?

학교컨설 이 교육청에 의하여 면 으로 실행되게 된 상황은 학교컨설 에 한 이해

와 실행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인식 분석 결과를 보면, 학교컨설 의 주요 원

리와 목표, 과업, 역 등에 하여 이해가 어느 정도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10여

년 간 학교컨설 이 연구자 집단의 지속 인 노력과 연구기 의 사업 추진, 그리고 일부

교육청의 도입 등에 의하여 성장하고 확산되어 왔으나, 이제 학교컨설 이 단시간 내에 교

육 장에 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강력한 동력을 갖추게 된 것이다. 이 시 에서 학교

컨설 에 한 정확한 이해가 정립되고, 한 교육과 연수가 제공되며, 교육청과 학교

장에서 컨설 의 취지에 충실한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학교컨설 은 학교개선과 문성

개발을 한 효과 인 방법으로 리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교육청 학교컨설 이 교육청이나 학교 장의 자체 인 요구나 계획에 의한 것

이 아니라 앙 정부의 지시에 의하여 일률 으로 실시하게 되었다는 은 학교컨설 이

왜곡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사례는 ‘열린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교사들의 자발

인 노력으로 출발하 으나 열린교육에 한 개념이 정착되기 에 정부가 학교에 강력히

확산시키자 열린교육에서 가장 요시하는 ‘교사의 자발성’이 간과되었고, 성과 심의 교

Page 18: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24 -

육과 교육의 획일화가 래되었다(서용희·강석 ·주철안, 2008: 28). 이는 자생 인 교육개

운동을 국가차원의 교육개 으로 받아들이면서 나타난 왜곡 상으로 볼 수 있는데, 정

부가 더 이상 공식 으로 추진하지 않으면서 동력도 함께 상실하게 된다.

학교컨설 에 해서도 동일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는데, 근본 으로는 학교컨설 을 교

육청과 같은 ‘ (官)’에서 수행하는 경우, 자발성과 독립성의 원리가 지켜지기 어렵고 따라

서 형식 , 명목상으로 운 될 가능성이 있다(박수정, 2010a). 특히 지역교육청의 핵심 기능

에 컨설 장학이 포함되고 이에 하여 정부의 특별교부 이 2011년 에 지 됨에 따라,

지역교육청의 컨설 장학에 한 평가가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이루어질 것으로 측된다.

충분한 이해와 비 없이 컨설 장학이 면 으로 실시되고, 성과와 실 에 할 가능

성이 높다. 인식 조사에서 학교컨설 에 한 개념의 정립과 이해가 이루어져야 하고 시간

여유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이는 것을 고려해볼 때, 교육청 학교컨설 의 시행 기에

교육청이 어떠한 입장을 갖고 행동을 취하는가가 앞으로의 교육청 학교컨설 의 성패에

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컨설 인가, 장학인가?

교육청 학교컨설 은 재 ‘컨설 장학’이라는 이름으로 면 으로 채택되었으나, 교육

청에 따라서 ‘수업컨설 ’, ‘수업컨설 장학’8), ‘학교컨설 ’, ‘학교경 컨설 ’, ‘교육과정컨

설 ’, ‘생활지도컨설 ’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같은 ‘컨설 장학’

이라 하더라도 ‘컨설 ’에 을 두느냐, ‘장학’에 을 두느냐에 따라 다른 양상과 결과

를 가져올 수 있다(박수정, 2011a: 67).

학교컨설 의 에서는 교육청 학교컨설 이 ‘컨설 ’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다. 컨설 장학의 개념 모형을 제안할 때에도 ‘학교컨설 의 원리와 기법을 용한 장학’

이라고 주장하 고, ‘지도·조언’이 아닌 ‘조언’이라 하여 종래 장학이 가지고 있는 ‘지도’의

성격을 버린다는 을 분명히 하 다(진동섭·김도기, 2005: 7). 교육행정기 에서 수행하는

장학에 하여 장의 거부감이 크고, 이러한 기 장학의 실효성과 만족도가 낮다는 사실

은 오랫동안 지 되어 왔다(김병모, 2010). 교육청이 아무리 ‘새로운 장학’을 들고 나온다

하더라도 그것이 여 히 ‘장학’이라면 장에서 마음의 문을 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8) ‘수업컨설 장학’은 개념 으로 성립될 수 없는 용어이나, 실 으로 사용되고 있다( , 박수정, 2011a). 이

것은 ‘학교컨설 ’과 ‘컨설 장학’의 개념 구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으나, ‘컨설 ’과 ‘장학’

어느 것을 분명하게 선택하지 못하는( 는 버리지 못하는) 상황을 반 하고 있기도 하다.

Page 19: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25 -

그러나 교육청에서는 컨설 장학을 기존 장학의 틀 속에서 사고하는 경향이 크다. 이는

기본 으로 어떠한 정책이나 제도가 갖는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e)’에서 기인하며,

외부의 강요로 인해 하기는 하지만, 진지하게 고민하거나 비하는 시간이 없고 그럴만한

의미도 부여되지 않는 상황이 이러한 경향을 더욱 강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교육청 학교

컨설 이 기존의 장학 패러다임 속에서 인식되고 지 까지의 행 속에서 실시될 가능성

이 농후하다.

인식 조사에서 학교컨설 이 기존 장학과 유사한 것이라는 응답이 반에 가까웠다. 특

히 기존에 교육청이 실시해온 ‘요청장학’과 비슷하고, 포장은 달라도 내용(실제)은 기존 장

학과 다름없다고 보고 있다. 이것은 학교컨설 이 본래의 취지와 목 에 맞게 실행되지 않

을 가능성을 보여 다. 철 하게 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에서는 ‘사이비 컨설 ’을 경

험하게 되고, 교육청은 여 히 기존 장학의 행을 되풀이할 수 있다.

3. 교육청은 학교컨설 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 것인가?

학교컨설 은 본래 교육청과 같은 교육행정기 에서 하도록 고안된 략이 아니다. 의뢰

인과 컨설턴트의 계에서 요한 원리가 ‘독립성’과 ‘자문성’(진동섭·김효정, 2007: 46)이나,

교육청에서 컨설 을 직 수행할 경우 독립 인 계가 보장되지 못하고, 자문 이상의 강

력한 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재 여 히 법률 으로는 학교의 상 행정기

의 상을 갖는 교육청이 과연 학교컨설 을 수행할 한 기 인가 하는 은 근본

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교육청에서 학교컨설 을 수행할 경우,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한가에 해서

는 아직 본격 으로 연구된 바 없다. 그러나 학교컨설 의 개념과 모형에 비추어볼 때, 교

육청은 학교컨설 리자(consulting manager)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설

리자는 체 인 컨설 의 체제를 설계하고 컨설 의 체 과정을 운 하며 개별 컨설

에 하여 모니터링 평가를 한다. 컨설 리는 고도의 문성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

한 요한 역할을 하는 컨설 리자에 해서도 체계 인 연수와 교육이 필요하다(박수

정, 2011a: 68). 교육청의 핵심 인 자원인 장학사는 학교컨설 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하고, 이를 한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장학사들이 그동안 수행해왔던 직 인 장학지도가 아니라, 컨설 ( 는 컨설

장학) 리의 역할을 수용하고 업무를 완 히 환할 것인지는 의문시된다. 지 까지 장학

Page 20: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26 -

사는 실제로 장학업무보다는 행정업무를 더 큰 비 으로 해왔고, 장학을 하더라도 인력이

불충분하고 업무가 과 되어 담당학교를 하루 는 반나 훑어보고 오는 정도의 지도·감

독을 해왔다(김용일·김성기·성열 , 2008). 그러나 장학사 본연의 업무가 장학이라는 인식이

스스로 강하고, 학교컨설 의 면 시행으로 인해 장학사의 역할이 없어질 수 있다는 실

인 우려도 있다.

장학사와 같은 교육 문직에게 교육정책 기획, 학교진단 평가, 연구개발 보 등

요한 많은 역할을 수행할 것이 요구되고 있음(박수정·모숙례·홍동옥, 2011)에도 불구하고,

장학사의 업무로 장학이 고수되어야 한다는 입장은 강한 것으로 보인다. 장학을 하지 않는

다는 것을 장학사의 권 직무 상실로 보는 인식이 반 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심리

항감에 처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의식과 역할의 실질 인 변화가 있고 교육 문직

의 역할 재구조화가 동반되어야 학교지원기 으로서 교육청의 변화와 효과 인 학교컨설

이 가능할 것이다.

4. 교육청의 기능과 인식 변화가 이루어질 것인가?

교육청에서 학교컨설 을 수행한다는 것은 근본 으로 교육청의 기능을 재고하고 인식

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사실, 교육청이 장을 지원하는 기 이 되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학교컨설 이 도입된 것이지만, 거꾸로 학교컨설 을 수행하는 경험을 통해 교육

청의 역할이 실질 으로 새롭게 규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인식 조사에서 많이 등장한 단어는 ‘ 장’, ‘요구’, ‘필요’, ‘요청’, ‘문제’, ‘해결’이었다. 학

교 장에서는 해결을 원하는 매우 다양한 문제들이 있으며, 이를 문 으로 도와 수

있는 체계 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단 학교에서 볼 때 교육행정기 이 이러한 곳이 되어

야 존재의의가 있는 것이며, 단 학교 자율책임경 (school-based management)을 한 교

육행정기 의 역할에서도 단 학교의 역량 구축 지원, 책무성 체제 수립, 신 자극 등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Bryk et al, 1998).

그러나 교육청이 학교를 지원하는 기 으로 실질 으로 변화될 것인지는 재로서는

측하기가 쉽지 않다. 지역교육청의 이름이 바 었지만, 구체 으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함

으로써 장을 지원할 것인가에 해서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며(박수정·최 출, 2010:

282), 면 인 직무 조정이나 인력의 재배치 없이 기존의 업무와 신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교육청이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 인 지원과 투입이 이루어지

Page 21: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27 -

지 않고, 역량을 구축하는 자체 개선 노력도 없다면 교육청의 변화는 요원할 것이다.

근본 으로는 같은 조직(사람)에서 리 기능과 지원 기능을 양립하는 것이 효과 인지

(홍창남, 2010: 217) 검토해야 하고, 지역교육청의 성격을 지 보다 좀 더 명확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컨설 을 수행한다고 해서 교육청의 역할과 상이 크

게 변화될 것을 기 하기는 곤란하며, 거꾸로 그러한 성격을 가진 교육청에서 수행하는 학

교컨설 의 양상도 충분히 짐작될 것이다.

Ⅵ. 결 론

이 연구는 2010년에 실시된 지역교육청 기능개편 정책에 따라 학교컨설 이 교육청에

면 으로 도입된 상황에서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이라는 상에 주목하 다. 학교

컨설 은 최근 10여 년 간 자생 으로 형성되고 개념이 구성되어 왔으며, 교육청은 학교컨

설 을 필요에 의해 선택 으로 도입했다가 정부의 정책에 의해 면 으로 채택하게 되

었다. 학교컨설 에 한 장학사와 컨설턴트의 이해와 인식을 자유기술형 설문으로 조사하

고 내용 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 고, 컨설 의 가능성과 한

계를 학교컨설 의 확산과 왜곡, 컨설 과 장학, 학교컨설 에서 교육청의 역할, 교육청의

기능과 인식 변화라는 측면에서 검토하 다.

재 교육청에서 수행하는 학교컨설 은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학교컨설

의 에서 볼 때, 이것은 확산의 기회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왜곡의 계기가 될 수 있

다. 교육청의 에서 볼 때, 학교컨설 은 효과 으로 학교를 지원하는 활동이 될 수 있

어야 하지만 형식 으로 수행되는 수많은 정책 가운데 하나가 될 수도 있다.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은 재로서는 그 추이와 성과를 측하기가 다소 곤란한 상황이다.

학교컨설 의 본질과 교육청의 학교지원활동이 모두 의미를 갖도록 하기 해서는 다음

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결론 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컨설 의 연구자

와 활동가들은 교육청 학교컨설 에 하여 새롭게 개념, 원리, 모형 등을 재정립하고, 실

천 매뉴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실 으로 학교컨설 이 모든 교육청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상 교육행정기 에서 수행되는 학교컨설 이 어떠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지 좀 더 면 하게 연구해야 한다. 부분의 교육청이 교과부에서 지침을

내린 ‘컨설 장학’의 형태로 학교컨설 을 근하고 있으므로, 장학에 컨설 의 개념과 원

Page 22: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28 -

리를 용하는 정도의 이해에서 나아가 좀 더 명확한 개념의 정립과 지침의 제공이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청에서는 학교컨설 이 학교를 효과 으로 지원하는 활동 략으로서 도입되

었다는 에 주목하여, 이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컨설 체제를 설계하고 실행하여야 할 것

이다. 기존의 제도와 업무 행에 맞추어 학교컨설 을 운 한다면 학교지원은 실효를 거

두기 어렵다. 컨설 장학이라 하더라도 ‘장학’보다는 ‘컨설 ’에 을 두어 운 하고, 실

질 인 효과를 거두기 해서는 완 히 ‘학교컨설 ’으로 환하고 이름에 맞게 극 으

로 운 해볼 필요도 있다. 한 학교컨설 리 역량을 키우는 구체 인 노력이 필요하며,

나아가 교육행정기 의 역할과 상에 한 근본 인 고민과 실질 인 개선노력이 요구된

다.

마지막으로, 지 과 같이 교육청 학교컨설 이 ‘모든 교육청’과 ‘모든 학교와 교사’에

용되는 정책은 지양되어야 한다. 학교컨설 내지 컨설 장학이 모든 교육청의 주요 사업

으로 채택됨에 따라 학교컨설 이 모든 학교와 교사를 상으로 면 으로 시행되고 있

는데, 이것은 결코 바람직한 상이 아니다. 학교컨설 은 학교와 교사의 역량 강화를 효

과 으로 지원하는 효과 인 방법이지 유일한 방법이 아니므로, 이 방법만을 으로 활

용할 필요가 없다. 한 학교컨설 은 ‘자발성’과 ‘ 문성’을 핵심 원리로 하고, 장에서는

‘실질성’과 ‘ 력성’을 기 하고 있다는 에서 볼 때, 학교컨설 이 인 규모로 비

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경우 이러한 원리를 제 로 확보하면서 효과 으로 진행되

기란 단히 곤란하다. 여느 교육청 사업과 마찬가지로 학교컨설 에서도 집행 실 과 횟

수가 강조될 경우, 교육청과 학교는 ‘형식주의’로 응할 가능성이 높다. 교육청 학교컨설

의 효과 인 운 체제와 략의 개발, 그리고 시행 기의 고민과 근법이 교육청 학교

컨설 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한다는 인식이 필요한 때다.

Page 23: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29 -

▣ 참 고 문 헌 ▣

교육과학기술부(2010a). 지역교육청 기능개편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2010. 6. 23.

교육과학기술부(2010b). 지역교육청 기능개편 시범사업 성과발표회 자료집. 2010. 11. 9.

김도기(2005). 컨설 장학에 한 질 실행 연구. 서울 학교 박사학 논문.

김병모(2010). 교내 장학담당자들의 자율장학 실제 인식을 터한 교육행정 기 의 장학 지원 개선책

탐구. 교육정치학연구, 17(1). 7-29.

김병주·이임숙·민병조(2008). 컨설 장학에 한 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등교육연구,

21(1). 347-369.

김용일·김성기·성열 (2008). 교육 문직원 직무수행 실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재웅·오은순·윤희정(2011). 열린교육 정책에 한 교사집단의 불순응에 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9(1). 219-238.

김정원·손연아·최 진·안세근(2004). 학교컨설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31(3). 1-30.

곽 순(2009). 등 임 과학교사의 수업 문성 개발 실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3). 354-365.

박상완(2008). 학교 컨설턴트의 문성 확보를 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6(2). 343-362.

박수정(2010a). ‘교육청’과 ‘컨설 ’의 만남을 지켜보며. 학교컨설 연구회뉴스 터 34호(2010. 4).

박수정(2010b). 교육지원청이 진정한 지원기 으로 거듭나려면. 교육정책포럼, 제207호. 한국교육개

발원. 7-9.

박수정(2011a). 수업컨설 장학 활성화 방안에 한 토론: 수업컨설 의 성공요인을 심으로. 수업

컨설 장학 활성화 방안. 2011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 장 순회토론회 자료집. 한국교육개

발원. 2011. 5. 21. 65-69.

박수정(2011b). 교육감 선거 련 신문사설에 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18(2).

183-203.

박수정·모숙례·홍동옥(2011). 교육 문직 역할에 한 AHP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221-242.

박수정·박선주·박진 (2011). 지방교육자치 연구경향 분석(1991~2010). 교육행정학연구, 29(2).

261-288.

박한우·Loet Leydesdorff.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한 KrKwic 로그램의 이해와 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박한우·이연옥(2009). 복합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 에 한 연구 :17 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운 BBK 동 상.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2). 1229-2354

박효정·김민조·정미경·김지민(2009). 학교컨설 체제 구축을 한 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서용희·강석 ·주철안(2008). 열린교육 개 과정에 한 분석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6(2). 259-285.

서울 등장학발 연구회(2001). 장학체제 개선 장학 발 방안 연구.

윤 희(2009). 학습컨설 의 모형과 장 용 가능성 고찰. 학습심리와 학습컨설 , 1(1). 1-38.

이병환·김진규·신재한(2011). 컨설 장학에 한 교육 문직의 인식 개선 방안 탐색. 열린교육연

Page 24: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330 -

구, 19(2). 49-70.

이상수(2010). 수행공학을 용한 수업컨설 모형. 교육공학연구, 26(4). 87-120.

이화진 외(2006). 수업 컨설 지원 로그램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 KICE 교

수학습개발센터 운 을 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조 숙(2009). 등학교 수업컨설 모형 탐색과 실행 과정의 효과 연구. 경기 학교 박사학 논

문.

진동섭(2003a). 학교컨설 : 교육개 의 새로운 근방법. 서울: 학지사.

진동섭(2003b). 경기도교육청 컨설 장학의 개선방향. 경기도교육청특강원고.

진동섭·김도기(2005). 컨설 장학의 개념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3(1). 1-25.

진동섭·김효정(2007). 학교 컨설 의 원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1). 25-50.

진동섭·홍창남(2006). 학교조직의 특성에 비추어 본 학교 컨설 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373-396.

진동섭·김정 ·신철균·이혜나·이주희·민윤경(2009). 학교컨설 에 한 등 비교사의 인식 연구.

등교육연구, 22(3). 245-269.

진동섭·홍창남·김도기(2009). 학교경 컨설 과 수업컨설 . 경기: 교육과학사.

최상근·임연기·김정원·류방란·신상명·이윤미·최돈형(2000). 학교 교육개 지원을 한 학교컨설

사업(I). 한국교육개발원.

최 출·박수정(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용. 한국행정학

보, 45(1). 123-139.

한성원(2002).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와 분석. 이화여자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홍창남(2002). 학교경 컨설 의 개념 모형 탐색. 서울 학교 석사학 논문.

홍창남(2010). 교육 문직의 역할 재구조화 방향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8(2). 205-231.

Bryk, T., Thum, Y., Easton, J. and Luppescu, S. (1998). Charting Chicago School Reform. Boulder,

CO, Westveiew Press.

Danowski, J. (1993).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In: G. Barnett and W. Richards, (editors).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Norwood, N. J. : Ablex, 197-222.

Rosenfield, S. A. (1987). Instructional Consultation. Hillsdale, NJ: Erlbaum.

Sowa, J. F. (1984). Conceptual Structures: Information Processing in Mind and Machine. MA:

Addison-Wesley.

Popping, R.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London: Sage.

Page 25: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v0OojPJc_014_EBB095EC... · 2005: 7). 이들은 컨설팅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학교컨설 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 331 -

ABSTRACT

The Adoption of the School Consulting to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chool Consulting

Park, Soo-Ju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In the wake of the educational policy in government to reform the func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at the year of 2010, this study observed the phenomenon "the meeting

between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and the school consulting"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school consulting is adopted to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in overall. School

consulting and its conceptual formations are developed spontaneously in last decade.

Initially,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had chosen the school consulting by their needs,

then government pulled the policy for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to adopt the school

consulting in full-scale. According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school supervisors and consultants to the school consulting, and suggest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chool consulting. There have been three processes. 1)

This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2) This study has applied content and network text

analysis to the data collected. 3)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chool consulting in terms of spreads and distortions of the school consulting, consulting

and supervision, the role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in the school consulting and the

changes of the functions and the perception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Key words: the school consulting,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the possibilities, limitations,

the consulting supervision, the network text analysis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