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q~É ñ vþ[Zn yZé Ft½z FsÝ[Yoy210.101.116.28/W_files/kiss61/1l100040_pv.pdf41#iÆfr 51#-«...

2
- 41 - 1. 前言 2. 중국학자가 바라 본《天符經》 3. 鞠曦교수의《天符經》解要 4. 結論 附錄. 鞠曦교수《天符經》論 全文 중국의《天符經》연구에 대한 소론(小論) -국희(鞠曦)교수의《天符經》論을 중심으로 임태현 (중국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1. 前 言 《天符經》연구에 대한 중국학계의 공식적인 시각과 입장은 아직 없으며, 중국의 사상계에서조차 구체적으로 언제부터 우리의《天符經》에 대한 연 구가 시작되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고,《天符經》에 대한 중국학계의 본격 적인 학술논의나《天符經》사상과 그 문화에 대해 연구된 통계조차 아직까 진 분명히 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 우리 고대의 민족경전인 《天符經》이 몇몇 중국의 학자들로부터 새롭게 주목받고 있고, 점진적으로 여러 부분에서 확대되고 있는 韓中양국의 문화교류 및 그 영향으로 인해 많 은 젊은 학자들로부터도 한국문화의 연구차원에서 점차 관심을 받고 있으 며,《天符經》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 역시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나 타나고 있는 바 1) , 이러한《天符經》연구에 대한 중국의 관심은 우리에게 더욱더 우리민족의 최고 경전인《天符經》을 연구하는데 있어 보다 심도 있

Transcript of uq~É ñ vþ[Zn yZé Ft½z FsÝ[Yoy210.101.116.28/W_files/kiss61/1l100040_pv.pdf41#iÆfr 51#-«...

  • - 41 -

    1. 前言

    2. 중국학자가 바라 본《天符經》

    3. 鞠曦교수의《天符經》解要

    4. 結論

    附錄. 鞠曦교수《天符經》論 全文

    중국의《天符經》연구에 대한 소론(小論)

    -국희(鞠曦)교수의《天符經》論을 중심으로

    임태현 (중국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1. 前 言

    《天符經》연구에 대한 중국학계의 공식적인 시각과 입장은 아직 없으며,

    중국의 사상계에서조차 구체적으로 언제부터 우리의《天符經》에 대한 연

    구가 시작되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고,《天符經》에 대한 중국학계의 본격

    적인 학술논의나《天符經》사상과 그 문화에 대해 연구된 통계조차 아직까

    진 분명히 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 우리 고대의 민족경전인

    《天符經》이 몇몇 중국의 학자들로부터 새롭게 주목받고 있고, 점진적으로

    여러 부분에서 확대되고 있는 韓中양국의 문화교류 및 그 영향으로 인해 많

    은 젊은 학자들로부터도 한국문화의 연구차원에서 점차 관심을 받고 있으

    며,《天符經》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 역시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나

    타나고 있는 바1), 이러한《天符經》연구에 대한 중국의 관심은 우리에게

    더욱더 우리민족의 최고 경전인《天符經》을 연구하는데 있어 보다 심도 있

  • 2006년 12월 |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선도문화연구원 제4회 학술대회 - “천부경의 철학과 종교적 해석”

    - 42 -

    는 연구를 통해 그 논의의 깊이와 너비를 더 확장해 나갈 것을 요구하고 있

    으며, 나아가 새로운 연구풍토와 연구 환경을 개선하고 조성해 나가야 한다

    는 점을 새삼 강조하고 있다. 筆者는 이런 점에서《天符經》연구에 대한 중

    국의 이러한 관심은 우리《天符經》에 대한 연구현실과 앞으로의 전망, 그

    리고《天符經》연구의 비약적인 발전을 진지하게 고민해 본다는 차원과 그

    런 계기의 조성 측면에서도 상당히 고무적이고 바람직한 현상이 아닐 수 없

    다고 생각한다.

    현대 중국의 천부경연구에 있어 鞠曦교수2)의“《天符經》해요(《天符

    經》解要 )”와 中國 中南大學 宗敎文化硏究所 郭彧교수의“《天符經解》

    로 바라 본 중한철학문화의 융회관통(從《天符經解》中看中韓哲學文化的融

    會貫通)”이라는 글이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는 편인데 본고는 鞠曦교수의

    《天符經》解要를 중심으로 어느 중국학자의《天符經》에 대한 시각과 입

    장, 그리고 그에 따른 평가와 특징 등을 간략하게나마 槪述해 보고자 한다.

    鞠曦교수는《天符經》이 한국철학의 原流이며, 중국의 三敎(儒, 佛, 道)이

    론과 내성적으로 그 原理가 통일되어 있다고 보고, 중국의 최고 經典인《周

    1) 中國 武漢大學의 王英英교수는《天符經》이 中國 道學의 “丹道功”의 생명과학사상을

    함축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中國의 道學문화와《天符經》의 역사적 연관성을 강조한다. 2) 국희(鞠曦)교수. 1952年生, 字는 白山, 號는 時空散人이고, 현재 中國 河南省 安陽周易

    學院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中國 吉林省周易學會常務理事이자 국내외 학계의 호평을

    불러왔던 학술지《恒道》의 창립자. 중국에서 발행하는《世界名人N》과《中外名人辭

    典》에도 그 이름이 올라있는 저명한 전통문화사상가로, 그는 인류철학의 발전과 儒學,

    그리고 중국전통문화사상의 부흥을 위해 일생의 노력을 기울였으며, 2005년 白山書院

    을 창립해 지금까지 중국 전통사상문화 보급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그는 중

    국 전통철학과 서양철학, 그리고 종교학, 윤리학, 과학철학, 역학, 역사학, 중의학, 내

    단학, 천문학 등의 학문에 精通하고, 현대 물리학, 사회학 등의 학문에도 조예가 깊으

    며, 20세기 80년대 서양철학적 사유방식에 기초해 “時空統一論 ”의 새로운 논리체계

    를 세우고, 90년대 중국의 儒, 道사상원리에 기초해 “形而中論” 의 철학체계를 세웠는

    데, 그는 그러한 양대 철학체계 즉, “時空統一論 ”과 “形而中論”의 사상체계를 바탕으

    로 “中和貫通” 사상을 강조하며, 중국내에 “新傳統主義” 문화사상을 주창하고 호소한

    학자로 유명하다. 또한, 그는 “新傳統主義” 문화사상에 걸맞는 現代新儒學의 부흥을

    강조하며, “內道外儒” 의 “君子儒學”을 주창함은 물론, “形而中論”의 철학사상을 바탕

    으로 “陰陽和中”의 中醫哲學과 그 이론적 체계를 새롭게 세움으로서 中國 中醫學 연구

    의 새로운 부흥도 이끌었으며, 中國 丹道學의 修練功‘와 古典生命科學의 理論과 思想

    을 가지고 인류생명과학연구의 新 방향을 제시한 학자이기도 하다. 그의 수많은 論文

    과 著作 중,《中國的科學精神》,《易道元貞》,《中國儒敎史批判》등의 著作이 비교적

    유명하며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