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0212712.pdf

118
교회의 성인 교육을 위한 기도 커리큘럼 장로회 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기독교 교육 전공

description

theological thesis(Korean)

Transcript of T0212712.pdf

Page 1: T0212712.pdf

교회의 성인 교육을 위한 기도 커리큘럼

장로회 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기독교 교육 전공

최 병 호

Page 2: T0212712.pdf

교회의 성인 교육을 위한 기도 커리큘럼

지도 고 용 수 교수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7월

장로회 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기독교 교육 전공

최 병 호

Page 3: T0212712.pdf

최병호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심

부심

부심

장로회 신학대학 교육대학원

2002년 7월

Page 4: T0212712.pdf

감사의 말씀

먼저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허락하시고 끝까지 마칠 수 있도록 은

혜 베푸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논문을 지

도해주시며 조언해주신 고용수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배후에서

조용히 응원해준 사랑하는 가족들과 섬기는 교회 성도들에게 감사를 드립

니다.

2002년 7월

최 병 호

Page 5: T0212712.pdf

목 차

Ⅰ. 서론

A . 연구의 동기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및 한계

1.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연구의 한계

Ⅱ. 기도의 성서 - 신학적 이해

A . 어원적 개념

1. 구약

2. 신약

B. 성서적 이해

1. 기도와 믿음

2. 기도의 필요성

3. 기도에 대한 가르침

C. 신학적 이해

1. 기도의 의의

2. 기도의 성격과 형태에 따른 분류

3. 기도를 위한 제언

4. 주기도 해석

Ⅲ. 기도의 커리큘럼

A . 교육이론

1

1

5

5

6

7

7

7

8

9

9

16

18

19

19

23

37

39

45

45

Page 6: T0212712.pdf

1. 교회의 이해

2. 커리큘럼의 이해

3. 기도 커리큘럼의 이론적 기초

4. 기도 커리큘럼의 이론적 지침

B. 교육의 실제

1. 기도 유형에 따른 실제

2. 기도 모임에 따른 실제

Ⅳ. 결론

A . 요약

B. 제언

참고도서

46

57

59

63

73

73

86

106

106

108

110

Page 7: T0212712.pdf

Ⅰ . 서론

A 연구의 동기

기술이 발달하고 사회가 조직화될수록 인간은 영적인 것을 찾고 본

질로 돌아가려고 하는 회귀본능을 갖게 된다. 현대사회는 고도의 기술사회

요, 조직사회이다. 매마르고 규격화된 사회 속에서 교회는 미래인이 추구

하는 영성의 제공자가 되어야 한다. 교회는 영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교회는 영성을 상실하지 않아야 하며 영성을 제공할 능력을 항

상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1)

개혁교회 영성 훈련의 1차적 과제는 믿음훈련이다. 칼빈은 믿음의 가장

중요한 실험이요 훈련은 기도 라고 했다.2) 또한 모든 영성 훈련의 핵심요

소는 항상 기도에 있다.3) 기도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영적 생활의 최

전방에 서게 한다. 모든 영적 훈련 중에서 기도가 가장 중요한 이유는, 기

도가 우리를 아버지와 영원한 교제 가운데로 이끌기 때문이다. 기도는 변

하는 것이다. 기도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변화시키는데 사용하시는 중요한

수단이다.4)

때때로 우리는 기도 없이도 하나님의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기도가 곧 하나님의 일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무슨

일을 하고 있든지 기도를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곧 하나님의 일을 하지

1) 이성희. 『미래목회 대예언』 (서울:규장, 1998), 276- 278쪽.2) John Calvin . I ns titute of the chris tian relig ion v ol.Ⅲ. 편집부 역, 『영한 기

독교 강요』Ⅲ (서울:성문, 1986), 635쪽.3) 유해룡. 영성훈련은 기도훈련에서부터 , 『빛과 소금』10월호 (서울: 두란노출

판사, 1995), 141쪽.4) Richard J . F oster , Celebration of D iscip line , 생명의 말씀사 역, 『영적 훈련

과 성장』 (서울:생명의 말씀사, 1986), 56- 57쪽.

- 7 -

Page 8: T0212712.pdf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5)

오늘 우리 사회의 위기는 정답의 위기 가 아니라 실천의 위기 를 겪고

있다. 교회도 마찬가지다. 많은 슬로건들이 난무하지만 슬로건이 삶으로

실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기도 ! 기도 ! 하지 말고 실제로 입을

열어 부르짖어야 한다.6)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이 크게 벗어나지 않는 정답을 알고 있다. 그런데

정답만 알고 있으면 그 정답의 상황을 성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정답만

알고 있으면 정답의 장소에 갈 수 있다고 전제한다. 그러나 실제로 그렇지

않다. 알긴 알지만 행할 능력이 없다. 몰라서 못하는 것이 아니다. 알긴 알

아도 행할 능력이 없다.7)

기도는 능력의 원천이다. 그래서 예수를 믿고 나면 제일 먼저 하고 싶고

배우고 싶은 것이 기도이다. 그러나 실제로 기도를 능력으로 사용하는 사

람은 많지 않다. 기도를 무기로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그래서 기도

를 배우기가 쉽지 않다. 기도의 능력으로 무장한 사람이 옆에 있으면 쉽게

기도를 배울 수 있다. 그러나 기도의 모범이 될 만한 사람이 우리 주위에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리스도인이라고 해서 가까이 가보면 명목상

의 그리스도인일 뿐 기도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뜨거운 기도의 사람이라고

해서 옆에 가보면, 지나치게 광신적인 요소가 많아 배우려는 마음이 생기

기보다는 영적으로 질려버리곤 한다.8)

진정한 기도는 배워야 하는 것이다. 제자들은 예수님께 다음과 같이 요

청하였다. ……주여 요한이 자기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친 것과 같이 우

5) 대천덕. 어떻게 기도할 것인가 , 『기도와 경건』, 두란노 편집부 (서울: 두란

노, 1990), 95쪽.6) 전병욱. 『히스기야의 기도』 (서울:규장, 2002), 37쪽.7) 위의 책, 25쪽.

8) 위의 책, 31쪽.

- 8 -

Page 9: T0212712.pdf

리에게도 가르쳐 주옵소서 (눅11:1). 제자들은 항상 기도를 하여 왔지만 그

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의 기도의 질과 양은 그들로 하여금 기도에 관하

여 그들이 아는 것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깨닫도록 만들었다. 그들의 기도

가 변화를 일으키려면 몇 가지 배워야 할 사항이 있었다. 기도하는 일이

배우는 과정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때 우리는 기도를 거짓되다고 또는

비현실적이라고 포기해버리는 오만에서 벗어날 수 있다.9)

그 동안 한국교회는 기도는 무조건 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생각해서

기도를 제대로 체계적으로 배워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그래서 기

도를 열심히 하면서도 얼마나 기도에 대한 오류를 많이 범했는지 모른다.

기도와 삶의 분리는 결국 믿음과 삶의 분리라는 이분법적인 신앙을 양산

했다. 믿는 것과 사는 것의 괴리감이 점점 커져가면서 믿음과 삶의 일치는

외치게 된 것이다. 믿음과 삶의 일치는 기도와 삶의 일치에서부터 시작되

는 것이다.

헨리 나우엔(Henri J .M . Nouwen)이 하버드에서 라르쉬로 옮긴 것처

럼10) 신앙 안에서 구하고 추구하는 것이 실천적 삶이 되게 하기 위해 기

도의 점검이 필요한 것이다.

그 동안 한국교회는 영성 기도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단순히 로

마 카톨릭 교회의 전통 안에 있다는 것만으로 개혁교회가 영성 기도에 대

한 중요한 영적 원리들을 소홀히 했고 그 결과 깊은 영성 기도보다는 열

렬하게 부르짖는 구송 기도에만 머무르게 됨으로 인해 기도의 깊이를 더

해가지 못하는 제한을 받게 되었다. 기도의 범위만큼 기도자가 변화된다는

9) Richard J . F oster , Celebration of D iscip line , 생명의 말씀사 역, 『영적 훈련

과 성장』, 61- 63쪽.10) Henri J .M. Nouwen, I n the nam e of J es us , 송기태 역, 『예수님의 이름으로』

(서울:두란노, 1991), 15쪽.헨리 나우엔은 하버드대학의 교수직을 버리고 장애인 공동체인 라르쉬로 옮겼다.

- 9 -

Page 10: T0212712.pdf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제한된 기도가 한국교회 그리스도인들로 하

여금 깊은 영성의 사람들을 세우지 못한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

라 구송 기도를 최선의 기도로 여겨왔기 때문에 말하는 기도에 대해서는

익숙했지만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기도에는 훈련되지 못했다. 결정적으로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할 자리에서 한국교회 신자들은 귀를 닫아 버리

고 하나님의 음성을 듣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육체적이고 물질적이고 물

량적인 인간 중심의 기도에는 익숙해져 있지만 영적이고 초월적이고 하나

님 중심의 기도가 훈련되지 못했다. 결국 이러한 기도 태도가 하나님의 뜻

을 이루는데 많은 제한을 가져왔고 신자의 변화에도 제한이 되었다는 것

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기도는 일방적으로 말하는 것만도 아니고 또한 단순히 듣기만 하는 일

방적 경청이 아니라 더불어 함께 듣는 것이다.11)

그러므로 이제는 한국교회가 그 동안 오로지 구송 기도에만 매달려 온

기도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이제는 구송 기도에서 묵상

기도, 더 나아가 관상기도에까지 이르도록 기도의 영역을 확장함으로 영적

영역도 확장해나가야 할 것이다. 기도의 확장과 영적 영역의 확장은 곧 신

자의 삶의 영역에서 영적 능력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그 동안 기도 자체에는 관심이 있었지만 그 기도가 얼마나 더 깊은 영

성에 이를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그러기에 당연히 교회 내에

기도에 대한 실제적 커리큘럼이 없었다. 이제는 한국교회도 기도에 대한

교회 차원의 교육학적 방법의 커리큘럼으로 훈련되어지고 교육되어짐으로

구송 기도에 머물러 있던 영적 영역의 제한을 뛰어 넘어 더 깊은 영적 기

도와 영적 세계로 인도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11) Henri J .M. Nouwen. T he only necessary thing : L iv ing a p ray erf ul lif e , 윤종석

역, 『꼭 필요한 한가지 기도의 삶』(서울:복있는 사람, 2002) , 87쪽.

- 10 -

Page 11: T0212712.pdf

B. 연구범위와 방법 및 한계

1. 연구범위와 방법

기도 커리큘럼은 교회의 모든 신자들을 대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그

러나 본 논문은 그 대상을 성인으로 제한한다. 성인은 항상 교육의 대상으

로서 제외된 것이 사실이다. 교회교육을 말할 때는 주로 교회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또 그 대상이 학생이어야 한다는 기존 관점으로부터 탈피하여

교회교육에 대해 교회의 목적과 관계된 모든 영역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 그 대상으로서 학생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성인에 이르기까

지 평생교육으로서의 교회교육을 지향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성인만을 위

한 제한된 기도 커리큘럼을 제시함으로 성인을 위한 기도교육을 통한 영

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Ⅱ장에서는 기도의 성서적- 신학적 이해를 살피고

Ⅲ장에서는 기도의 커리큘럼 이론을 살펴보려고 한다. 기도의 성서적 신학

적 의미들을 살펴봄으로서 기도의 본질들을 이해케 하는데 있다. 기도의

성서적 신학적 기초 하에 기도가 갖는 교육적 의미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교육학적 이해에서는 기도를 커리큘럼화 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 배

경이 된 마리아 해리스의 관점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하려고 한다. 하나님

의 백성을 빚어내는 데 기여하는 예술적인 교육작업으로서의 커리큘럼을

창출하는 문제를 탐색한다 12)는 마리아 해리스의 이론을 기초 자료로 삼고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부의 2001년에 내어놓은 새로운 교육과정인

『교육과정 이론 지침서(Ⅰ)/ 이론』『교육과정 이론 지침서(Ⅱ)/ 영역』을

중심으로 기도 커리큘럼을 정리해 보았다.13 ) 그리고 기도 커리큘럼을 바탕

12) Maria Harris. Fashion M e A P eop le , 고용수 역, 『교육목회 커리큘럼』(서울:한국장로교 출판사, 1989), 20쪽.

- 11 -

Page 12: T0212712.pdf

으로 기도에 대한 실제들을 재구성해보았다. 마지막으로 Ⅳ장에 가서 이

연구가 한국교회에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언급하며 결론

을 지을 것이다.

2. 연구의 한계

기도는 매우 실제적인 것이다. 많은 기도에 관한 연구서나 이론서보

다 실제 기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도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방법은

실제 기도를 하거나 기도 모임에서 체험해야 하는 것을 이론적으로 쓸 때

에 오는 표현적 한계들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또한 기도에 대한 이론서들

은 실제적 내용을 다루었다기 보다는 매우 원론적인 내용만을 다루었기

때문에 참고 도서들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기도의 실제에 대한 참고

자료는 매우 주관적이어서 기도교육 자체가 매우 방법론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 역시 실제 부분

에서는 과거 연구서들의 주관적인 부분들을 인용할 수밖에 없었다. 기도가

가지는 매우 경험적인 특성들을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그

러나 기도 자체를 교육적 관점으로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교회적 상황에

서 기도 역시 교육되어져야 하며 이를 커리큘럼화 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논문에서 시도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 기도에 관련된 이론적 기

초 자료를 근거로 해서 기도를 교육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연구가 더욱 활

발하여 지고 발전되어져야 할 것이다.

13)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 편. 『교육과정 이론 지침서(Ⅰ)/ 이론』(서울:

한국장교출판사, 2001)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 편. 『교육과정 이론 지침서(Ⅱ)/ 영역』(서울:한국

장교출사,2001)

이 두권의 책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 12 -

Page 13: T0212712.pdf

Ⅱ . 기도의 성서- 신학적 이해

A . 어원적 개념

1. 구약

a. 아타르(athar )14)

아타르(athar )은 구약 성경에서 기도라는 의미로 사용되어진 최초의

단어이며 이 단어는 아람 방언에 희생을 드리기 위하여 살육한다 는 어

근에서 유래된 말이다. 계시록에서도 기도를 향 15 )라고 했는데 향 이란

말 역시도 아랍 방언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므로 기도는 무엇을 구하기

전에 우리 자신을 희생의 제물로 바쳐야 하고 또 희생의 제물이 많이 타

면 탈수록 그만큼 향이 진동하게 될 때에 더 나은 기도가 된다.16)

b . 라하스(lachash )17)

라하스(lachash)의 우리말 의미는 간절히 기도한다 는 뜻이다. 원래

는 귓속말로 하다 는 뜻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외마디의 기도로 ~주

여 라고 부르짖는 기도이다. 그러므로 기도자가 의심 없이 간절하고도 신

실한 태도로 불행을 당했을 때에 부르짖는 기도이다.18 )

14) 출8:30(한글개역)15) 계5:8(한글개역)16)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서울:이레서원, 1993), 7쪽.17) 사26:16(한글개역)18)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 7쪽.

- 13 -

Page 14: T0212712.pdf

c. 테필라(tephilla)

테필라(t ephilla)는 시(psalm ), 노래(songa), 성가 의 뜻과 또한 가르

쳐 보인다 , 주옥편, 아름답고 귀한 것 이라는 뜻도 있다. 그러므로 이 기

도는 주로 시에 음과 운을 붙여 부르짖는 찬양을 의미한다.

d . 그 외의 뜻

그밖에 히브리어로 12개의 단어가 있는데, 모두 교제 나 대화 가

아닌 기도 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기도는 탄원이나 간구로서 고유적인 뜻

을 소유한다.

2. 신약

a. 앤투시스(enteuxis)19)

앤투시스(enteuxis )는 의논, 중재, 교제하기 위해 간다 , 기도, 간구

한다 , 대화하다, 회견하다, 동행하다 는 뜻이 강하다. 그러므로 이 기도는

어린이와 같이 신뢰함을 지시하는 말이요, 또 내 속마음을 비밀히 알리는

것이라는 뜻도 있다.20)

b . 데시스(deesis )21)

데시스(deesis )는 간곡한 부탁 이라는 뜻이며 특수한 기도나 기도의

일부를 말한다. 그러므로 이 기도는 개인적이거나 혹은 국가적인 요구를

19) 딤전4:5(한글개역)20)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 9쪽.21) 눅2:37 ; 엡6:18(한글개역)

- 14 -

Page 15: T0212712.pdf

의미한다.22)

c. 파라칼레오(phar achalleo)23)

파라칼레오(pharachalleo)는 조력을 구한다 는 뜻이며 곁으로 부르

다, 누구와 말하다 는 뜻을 가진 특수 동사이다. 그러므로 이 기도는 인간

이 약할 때 강자에게 의탁하는 태도의 기도이다.24)

d. 프로쇼코마이(proseuchomai)25)

프로쇼코마이(proseuchomai)의 의미는 몸을 하나님께 바치는 것 ,

즉 헌납을 말합니다. 이는 최종적인 기도를 의미합니다.26 ) 그러므로 이 기

도는 온 몸과 온 정성을 다 드리면서 하는 기도입니다.27)

B. 성서적 이해

1. 기도와 믿음

칼빈은 말하기를 인간이란 전혀 선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은 그 내부

에 구원에 도움되는 것을 조금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한다.28) 그러하기

22)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 9쪽.23) 마26:53(한글개역)24)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 9쪽.25) 마5:44 ; 6:5- 6 ; 6:9(한글개역)26) 마26:36(한글개역)27)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 8쪽

28) John Calvin . Ins titute of the chris tian relig ion vol.Ⅲ . 편집부 역, 『영한 기독교

강요Ⅲ』, 635쪽.

- 15 -

Page 16: T0212712.pdf

에 곤경에 처해 있는 인간이 자신을 구원할 수단들을 찾고자 한다면 그는

자기를 떠나 밖에서 그것들을 구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하나님께서 인간

안에 있는 여러 가지 결핍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전적인 믿음

을 통해 모든 결핍을 채울 수 있는 부요를 주셨다는 것이다.

그래서 칼빈은 말한다.

그러나 믿음의 의해서 교훈을 받은 후에 우리는 우리가 필요하거나 부족한 것

은 무엇이나 하나님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으며, 아버지께서 자신의

충만하심을 그리스도 안에 머무르게 하여(참조, 골1:19 ; 요1:16) 샘물에서 물을

퍼내듯이 우리는 그리스도로부터 모든 것을 얻을 수 있음을 깨달았다. 이 말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찾고 기도로서 그리스도에게 구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

켜 주는 것이다.29)

칼빈이 지적한 대로 기도는 결핍 가운데 있는 인간이 부요하신 하나님

께 우리의 필요를 구하는 것이다. 이용남은 기도는 영혼의 호흡이요, 하

나님과의 대화요, 인간이 하나님께 드리는 향이요, 선한 싸움의 무기며 동

시에 만능의 열쇠라고 말하면서 한다.30)

오관석은 이보다 더 좀 더 다양한 것들을 소개하고 있다.3 1) 그는 말하기

를 기도는 길과 같으며, 기도는 열쇠며, 기도는 일이며, 기도는 하나님께

보여드리는 것이며, 기도는 흔들리지 않는 의지며, 기도는 모든 것을 얻게

하는 힘이며, 기도는 자기를 발견하는 것이며, 기도는 확신을 가져오는 수

단이라고 말한다.

심원용은 기도는 영이신 하나님과의 영적인 사귐이며 대화이며, 기도는

29) 위의 책

30) 이용남. 『기도』(서울:그린, 1991), 22쪽.31) 오관석. 『왜 기도해야 하는가』(서울:바울서신, 1994), 13쪽- 136쪽. 책의 전체 내

용이 기도의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 16 -

Page 17: T0212712.pdf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이라고 말한다.32)

빌리 그리이엄 목사는 기도는 아침의 열쇠요, 저녁의 자물쇠 라고 말했

다.33)

김원복은 기도를 교제라고 말하고34), 종교 심리학자인 울라노브(Ulanov )

는 기도는 제일의 언어(primary speech )35)라고 했다.

아브라함 헤셀(Abraham Heschel)은 기도는 입술의 봉사가 아니라 그

것은 마음으로 하는 예배이다 라고 말했다.36)

존 달림플(John Dalrymple)은 말하기를 기도는 하나님께 복종하는 것, 타자

(the Other )의 수중에 들어가는 것 이라고 말했다.37)

헨리 나우웬(Henri J .M . Nouwen)에 의하면 기도는 무엇보다 평화를

미워하는 자들의 거처를 떠나 하나님의 집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기도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중심이다 라고 말한다.38) 또한 그는 기도를 말하기를

예수님 안에 거하는 것이며, 무의식의 삶과 의식의 삶을 이어주는 다리이

다. 기도는 내 생각과 마음을, 의지와 열정을, 머리와 가슴을 이어준다. 기

도야말로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의 성령으로 하여금 내 존재의 구석구석에

파고들게 하는 길이다. 기도는 내 온전함과 조화와 내적 평화를 위한 하나

님의 도구이다. 기도란 자신을 예수님과 하나로 묶는 것이요, 용서와 화해

와 치유와 자비를 구하며 그분을 통해 온 세상을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것

이다. 그러므로 기도란 우리 앞에 닥쳐오는 인간의 모든 고뇌와 아픔을 예

32) 심원용. 『영안이 열리는 기도』(서울:서로사랑, 2002), 24쪽.33) 오관석, 『왜 기도해야 하는가』, 14쪽.34)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 11쪽.35)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83쪽.36) Iris V. Cully. E ducation f or Sp ir itual Grow th, 오성춘외 3인 역, 『영적 성장을

위한 교육』(서울:대한 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86), 250쪽.

37) John Dalrymple. Simple Prayer , 엄성옥, 『단순한 기도』, 33쪽.38) Henri J .M. Nouwen. The only necessary thing : L iv ing a p ray erf ul lif e , 윤종석

역, 『꼭 필요한 한가지 기도의 삶』(서울:복있는 사람, 2002), 23쪽.

- 17 -

Page 18: T0212712.pdf

수님의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과 연결시키는 것이다.39)

이런 다양한 기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기도에 마땅히 필요한 것은

믿음이다.

만일 너희가 믿음이 있고 의심치 아니하면 이 무화과나무에게 된 이런

일만 할 뿐 아니라 이 산더러 들려 바다에 던지우라 하여도 될 것이요 너

희가 기도할 때에 무엇이든지 믿고 구하는 것은 다 받으리라 하시니라

(마21:21- 22)

내 말이 네가 믿으면 하나님의 영광을 보리라 하지 아니하였느냐 (요

11:40)

네 믿음대로 될지어다 (마8:13)

오직 믿음으로 구하고 조금도 의심하지 말라 의심하는 자는 마치 바람

에 밀려 요동하는 물결 같으니 이런 사람은 무엇이든지 주께 얻기를 생각

지 말라 두 마음을 품어 모든 일에 정함이 없는 자로다 (약1:6- 8)

믿음 없는 기도는 진정한 의미에서 기도가 아니다. 기도는 믿음이 있어

야 하고, 믿음은 믿음의 근거가 분명해야 한다. 기도의 대상인 하나님을

알 때, 하나님에게 나아갈 수 있고 모든 것에 부요하신 그분에게 우리의

필요들, 우리의 결핍들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우리의 믿음의 대상이신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 역대상 29장 11절에서

하나님의 속성을 말씀하시기를 여호와여 광대하심과 권능과 영광과 이김

과 위엄이 다 주께 속하였사오니 천지에 있는 것이 다 주의 것이로소이다

여호와여 주권도 주께 속하였나오니 주는 높으사 만유의 머리심이니이다

라고 고백한다. 하나님은 창조자이시며 이 세상을 섭리하시는 분이시다.

이 같은 신앙고백 없이는 이그나티우스 로욜라(Ignatius of Loyola)처럼

나는 하나님에게서 와서, 하나님에게 속해 있고, 하나님에게로 돌아갑니

39) 위의 책, 32- 35쪽

- 18 -

Page 19: T0212712.pdf

다 라고 말할 수 없고 그 분에게 기도할 수 없다.40) 그러므로 먼저 나는

하나님에게서 왔다 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요한1서 4장 7절에서 사랑하

는 자마다 하나님께로 나서 하나님을 알고 라고 말씀한다. 하나님에게서

왔다 는 사실은 기독교의 모든 기도의 근거- 토대, 기초- 가 되는 주장으로

서 여기에는 내가 하나님을 의지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태도가 함축되어

있다. 둘째는 나는 하나님께 속해 있다 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요한1서

4장 4절에서 자녀들아 너희는 하나님께 속하였고 6절에서도 우리가 하

나님께 속하였나니 라고 말씀한다. 구속함을 받고 새로워지며 회복되어야

할 사물이나 사람이 현존하는 것처럼 자신을 희생시키면서도 세상을 구속

하시고 회복시키시고 새롭게 하시기를 원하시는 분도 현존한다는 사실입

니다. 모든 사물과 사람이 그분 안에 속하여 있다. 셋째는 나는 하나님께

돌아간다 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로마서 11장36절에서 이는 만물이 주

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아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고 했다. 나는 죽으면

내 근원이시며 나를 소유하시는 분에게로 돌아간다. 내가 재능과 재산으로

인해 아무리 자만심을 느낀다 하더라도 내 육체가 쇠할 때에 나를 다른

세상으로 이끌어 주실 분은 단 한 분뿐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욕구가 기도의 원천적인 동기가 된다. 인간이 하나님에게 요청하

는 것이 기도의 기본 개념인 것을 성경이 나타내고 있다.

구하라 그러면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러면 찾을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러면 열릴 것이니 구하는 이마다 얻을 것이요 찾는 이가 찾을 것이요

두드리는 이에게 열릴 것이니라 너희 중에 누가 아들이 떡을 달라하면 돌

을 주며 생선을 달라하면 뱀을 줄 사람이 있겠느냐 너희가 악한 자라도

좋은 것으로 자식에게 줄 줄 알거든 하물며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40) Douglas V. Street . The D im ens ions of P ray er, 엄성옥 역, 『기도의 능력』(서울:도서출판 은성, 2000), 24쪽

- 19 -

Page 20: T0212712.pdf

구하는 자에게 좋은 것으로 주시지 않겠느냐 (마7:7- 11)

너희가 내 안에 거하고 내 말이 너희 안에 거하면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 그리하면 이루리라 (요15:7)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

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빌4:6)

그러나 기도는 분명히 우리의 소원을 하나님께 청원하는 것 이상을 의

미한다. 기도는 자기의 연약함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그 연약함 속에서 절

대적인 신뢰와 순종을 나타냄으로서 역설적인 강함을 체험하게 된다. 기도

는 욕구실현이 아니고 아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형성에 그 촛점을 두어

야 한다. 기도는 우리의 눈으로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비전과 그 목적을

보게 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기도는 하나님이 인간에게로 인간이 하나님에

게로 나아가는 운동, 즉 만남의 행위이다. 이 만남이 어떤 방식으로든지

이루어지면 그것이 참 기도의 행위이다.4 1)

일반적으로 기도는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친다.42) 첫째, 하나님과의 만남

의 단계이다. 기도의 대상인 하나님을 불러서 만나는 단계이다. 둘째, 하나

님과의 대화의 단계이다. 하나님과의 대화는 먼저 하나님께 대한 찬양 및

감사, 죄의 자백과 회개, 그리고 간구 가운데에서 간구는 제일 마지막에

하는 가장 인간적인 기도 내용이다. 셋째, 하나님께 일치의 단계이다. 하나

님의 뜻을 내 뜻 안에 일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알아서 그

뜻에 내 뜻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진정한 기도는 상관적인 것, 즉 우리 영혼과 하나님이 사랑과 지식을 주

고받는 것이다.43) 우리는 그것이 서로 동등하지 않은 존재 사이의 주고받

음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비록 내가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41)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84- 86쪽.42) 나채운, 『보수 신앙과 개혁정신』, 290- 293쪽.43) John Dalrymple. S imp le P ray er , 엄성옥, 『단순한 기도』(서울:은성, 1999), 28쪽.

- 20 -

Page 21: T0212712.pdf

하나님과의 협력 관계로 상승하게 되지만 하나님과 나는 동등하지 않다.

하나님과 인간의 진정한 관계를 보여주는 훌륭한 상징은 예레미야가 사

용한 토기장이와 진흙44)이다. 하나님은 토기장이시고 우리는 그의 손안에

있는 진흙이다. 하나님은 우리를 가지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형상을 만드신

다.

기도하는 동안, 빚는 자와 빚어지는 자의 이 같은 관계는 아주 실질적인

것이 된다. 하나님은 자신의 목적에 따라 우리를 만드신다. 우리가 할 일

은 단지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며 하나님의 뜻대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다.

기도에 대해 이용남은 영혼의 호흡이요, 하나님과의 대화요, 인간이 하

나님께 드리는 향이요, 선한 싸움의 무기며 동시에 만능의 열쇠라고 말하

면서 한다.45)

오관석은 이보다 더 좀 더 다양한 것들을 소개하고 있다.46) 그는 말하기

를 기도는 길과 같으며, 기도는 열쇠며, 기도는 일이며, 기도는 하나님께

보여드리는 것이며, 기도는 흔들리지 않는 의지며, 기도는 모든 것을 얻게

하는 힘이며, 기도는 자기를 발견하는 것이며, 기도는 확신을 가져오는 수

단이라고 말한다.

심원용은 기도는 영이신 하나님과의 영적인 사귐이며 대화이며, 기도는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이라고 말한다.47)

빌리 그리이엄 목사는 기도는 아침의 열쇠요, 저녁의 자물쇠 라고 말했

다.48)

44) 렘18:1- 11(한글개역)45) 이용남. 『기도』(서울:그린, 1991), 22쪽.46) 오관석. 『왜 기도해야 하는가』(서울:바울서신, 1994), 13쪽- 136쪽. 책의 전체 내

용이 기도의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47) 심원용, 『영안이 열리는 기도』, 24쪽.48) 오관석, 『왜 기도해야 하는가』, 14쪽.

- 21 -

Page 22: T0212712.pdf

김원복은 기도를 교제라고 말하고49), 종교 심리학자인 울라노브(Ulanov )

는 기도는 제일의 언어(primary speech )50)라고 했다.

아브라함 헤셀(Abraham Heschel)은 기도는 입술의 봉사가 아니라 그

것은 마음으로 하는 예배이다 라고 말했다.5 1)

존 달림플(John Dalrymple )은 말하기를 기도는 하나님께 복종하는 것, 타자

(the Other )의 수중에 들어가는 것 이라고 말했다.52)

헨리 나우웬(Henri J .M . Nouwen)에 의하면 기도는 무엇보다 평화를

미워하는 자들의 거처를 떠나 하나님의 집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기도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중심이다 라고 말한다.53) 또한 그는 기도를 말하기를

예수님 안에 거하는 것이며, 무의식의 삶과 의식의 삶을 이어주는 다리이

다. 기도는 내 생각과 마음을, 의지와 열정을, 머리와 가슴을 이어준다. 기

도야말로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의 성령으로 하여금 내 존재의 구석구석에

파고들게 하는 길이다. 기도는 내 온전함과 조화와 내적 평화를 위한 하나

님의 도구이다. 기도란 자신을 예수님과 하나로 묶는 것이요, 용서와 화해

와 치유와 자비를 구하며 그분을 통해 온 세상을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것

이다. 그러므로 기도란 우리 앞에 닥쳐오는 인간의 모든 고뇌와 아픔을 예

수님의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과 연결시키는 것이다.54)

2. 기도의 필요성

49)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 11쪽.50)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83쪽.51) Iris V. Cully. E ducation for Sp iritual Growth, 오성춘외 3인 역, 『영적 성장을

위한 교육』(서울:대한 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86), 250쪽.52) John Dalrymple. S imp le P ray er , 엄성옥, 『단순한 기도』, 33쪽.53) Henri J .M. Nouwen. The only necessary thing : L iv ing a p ray erf ul lif e , 윤종석

역, 『꼭 필요한 한가지 기도의 삶』(서울:복있는 사람, 2002), 23쪽.

54) 위의 책, 32- 35쪽

- 22 -

Page 23: T0212712.pdf

기도의 역할을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 생각한다면 하나는 청원과 응

답의 효과요, 다른 하나는 하나님과의 관계형성의 효과이다.55) 복음서에서

보여주고 있는 기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보다도 하나님과의 관계형성

에 그 촛점을 맞추고 있다. 기도의 필요성이 그 목적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한다면 하나님에게로 나아가기 위해 기도는 반드시 필요하다.

마더 데레사는 기도의 필요성에 대해서 말하기를56) 모든 것이 기도로

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사랑하기 위하여 기도해야 한다. 사랑은 기도를

시작할 때 시작된다.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도해야 한다 고

기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칼빈은 기도가 얼마나 필요한 것이며, 그것

이 얼마나 많은 방면에 유익한 것인지는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고 말합

니다.57) 그리고 기도해야 할 이유를 여섯 가지로 말씀하고 있습니다.58)

첫째, 우리의 마음을 하나님을 찾고, 사랑하고 섬기겠다는 열성적이며 불

타는 소원으로 불붙게 하기 위해서인데, 이를 위하여 우리는 곤란한 모든

일을 당할 때마다 하나님을 거룩한 빛으로 믿고 그에게 달려가는 습관을

붙여야 한다.

둘째, 기도는 하나님을 증인으로 세우기에 부끄러운 욕망이나 소원이 우리

마음속에 전혀 들어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 하는데, 이를 위해서 우리는 우

리의 모든 바램을 하나님 앞에 내놓으며 심지어는 우리의 심정 모두를 토

로해야 한다.

셋째, 기도는 우리가 하나님께서 여러 가지로 주시는 은혜를 진정한 감사

와 고마움의 마음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우리가 드리는 기

55)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82쪽.56) Anthony Stern. ed. E very thing s tarts f rom p ray er , 이해인 역, 『모든 것은 기도

에서 시작됩니다』(서울:황금가지, 1999), 23- 37쪽.57) John Calvin . Ins titute of the chris tian rellig ion vol.Ⅲ. 편집부 역, 『영한 기독교

강요』Ⅲ, 637쪽.58) 위의 책, 639쪽

- 23 -

Page 24: T0212712.pdf

도는 우리에게 모든 은혜가 하나님의 손에서 나온다는 것을 기억하게 하

는 것이다.

넷째, 기도는 우리로 하여금 찾던 것을 얻고 하나님께서 우리의 기도에 응

답해 주셨다는 확신을 가지고 그의 인자하심을 더욱 열심히 묵상하게 해

준다.

다섯째, 기도는 기도를 함으로써 얻었다고 인정되는 것들을 더욱 큰 즐거

움으로 받아드리도록 하기 위해서 한다.

여섯째, 기도는 우리의 연약한 정도에 따라서 습관과 경험으로 그의 섭리

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는데, 이를 위해서 우리는 하나님께서는 우

리를 결코 버리지 않겠다고 약속하셨으며, 우리가 곤경에 빠졌을 때에 그

를 찾을 길을 친히 열어 주신다는 것을 알아야 할뿐만 아니라, 그는 그 자

신의 백성들에게 언제나 도움의 손길을 뻗치고 있으며 그들을 말로 보살

피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도움으로 보호하고 계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기도 생활은 다른 모든 생활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의 법칙을 갖고 있다.

기도에 있어서 기본적 법칙이란 곧 기도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목적으

로 주어지고 마련되었다는 것이다.59) 기도는 예수님께 그의 초자연적인 구

원의 능력을 행사할 기회를 드리도록 마련한 방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우리를 사용하려고 하신다. 기도를 통하여 우리는 예수께 우리의 심

령과 몸과 가정과 이웃과 나라와 온 세계와 신자들의 교제와 구원받지 못

한 사람들에게 가까이하실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3. 기도에 대한 가르침60)

59) O. Hallesby, P ray er, 생명의 말씀사 역, 『기도』, 132쪽60) 심원용, 『영안이 열리는 기도』, 26- 32쪽.

- 24 -

Page 25: T0212712.pdf

·규칙적으로 기도하라 (눅22:39)

·하나님 아버지를 부르며 기도하라(마6:9)

·하나님의 뜻대로 기도하라(마26:39 ; 요일5:14- 15)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라(요16:23- 24 ; 요14:13- 14)

·예수님 안에서 기도하라(요15:7)

·좋은 것을 주실 것을 믿고 기도하라(마7:11 ; 마21:22 ; 약1:5 ; 막11:24)

·부르짖어 기도하라(사58:9a ; 렘29:12 ; 렘33:3 ; 시145:18- 19)

·간절히 기도하라(눅22:44)

·항상 깨어있어 쉬지 말고 기도하라(눅21:36 ; 엡6:18 ; 골4:2)

·하나님이 들으시는 기도를 하라(잠15:29)

·외식하지 말고 진실되고 은밀하게 기도하라(마6:5- 7)

·구하고 찾고 두드리며 기도하라(마7:7- 8)

·겸손하게 기도하라(눅22:41)

·시험에 들지 않게 기도하라(눅22:40)

·중보하며 기도하라(골4:3 ; 딤전2:1 ; 마6:12)

·감사함으로 기도하라(빌4:6)

·영으로 마음으로 기도하라(고전14:15 ; 딤전4:5)

·병 낫기를 위해 기도하라(약5:16)

·금식하며 기도하라(단9:3 ; 마4:2)

C. 신학적 이해

1. 기도의 의의

- 25 -

Page 26: T0212712.pdf

a. 기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하나님의 구원에 대하여 말

로써 하는 응답이요, 하나님과 인간의 만남과 대화의 길이다.61)

그리스도인은 기도를 통해서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건에 나타나는 하

나님의 사랑과 그 은혜에 대해 감사하며 찬양하며 나의 사건으로 인정한

다. 또한 기도 가운데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만나며 대화한다.

그리스도 안에 계신 하나님은 그의 미래로부터 현재 속으로 오시는 분

으로 그는 언제는 새로움 이다.62)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하나

님을 기다려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다시금 그를 만나야 하며, 언

제나 다시금 그의 말씀을 들어야 하며, 그의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하나

님과 그리스도인들의 만남은 언제나 새로운 사건이어야 한다. 이것은 회개

해야 한다는 말과 상응한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을 만나 기도를 통해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다. 인간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하

나님께서 인간의 말을 들으시는 것이 기도의 본래적이며 결정적인 의도이

다.63)

b . 기도는 인격적 존재이신 하나님과 그리스도인들의 사귐이

유지되는 길이다.64)

하나님과 그리스도인의 사귐 역시도 한번 성립 이후 기계적인 유지

의 상태가 아니라 언제나 새로운 것이어야 한다. 이는 그리스도인들이 죄

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말씀과 가르침을 들으며 그의 뜻에 따라 살고자하

는 노력을 통해 일어난다. 기도에 있어 하나님은 기도하는 자에게 인격적

대상이시다. 아버지이시다. 하나님은 인간의 사유의 대상이 되고자 하는

61) 김균진. 『기독교조직신학』 Ⅲ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305쪽.62) 위의 책, 306쪽.63) 위의 책.64) 위의 책.

- 26 -

Page 27: T0212712.pdf

것이 아니라 인격적인 만남과 대화의 관계 속에 있고자 한다.

인격적인 존재와의 사귐은 대화와 사건의 성격을 가진다. 그것은 서로의

생각과 마음을 주고받으며 서로의 고뇌와 기쁨, 아니 삶 자체를 함께 나눔

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사귐은 그 속에 있는 두 편의 구분 속에 있는 연합

과 연합 속에 있는 구분의 변증법적 과정 속에서 일어난다.65) 하나님과 인

간의 사귐은 이러한 연합과 구분의 긴장 속에서 이루어진다. 기도는 이러

한 긴장 속에 있는 하나님과 인간의 사귐이 언제나 새롭게 일어나는 길이

다. 기도 속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와 연합을 인식하게 된다.

c. 하나님과의 사귐 속에서만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이 유지될

수 있고 그들이 성화 될 수 있다면 기도는 신앙의 유지와 성화의

길이라고 말할 수 있다.66)

그리스도인의 모든 신앙의 삶은 기도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성령을 통한 하나님의 오심과 도우심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오심과 도우심은 기도를 통해서만 경험한다.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은혜

를 간구하여 그 은혜로 살고,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영원으로 나아간다.

하나님과 가장 긴밀하게 만날 수 있는 길은 기도에 있으며 오직 하나님과

새로운 만남을 통하여 신앙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도는 신앙의 삶

의 한 요소이기보다는 신앙의 삶의 길이다.

또한 기도는 성화의 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그것의 가장 내적인 요

소 67)이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게 된다.68) 그

들은 그리스도를 통해 의롭게 되었지만 여전히 이 세상 가운데 있기에 죄

65) 위의 책, 307쪽.66) 위의 책, 308쪽.67) 위의 책, 309쪽.68) 딤전4:5(개역한글성경)

- 27 -

Page 28: T0212712.pdf

악의 유혹을 받는다. 그들은 자기 중심적 욕망이 언제나 다시 일어나 죄의

노예로 삼고자 한다. 그리스도인은 이 유혹을 이기도 의로움과 거룩함에

도달해야 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이란 의인인 동시에 죄인이다. 오직 성

령을 통해, 하나님의 오심과 도우심을 통해 유혹을 이기고 의로움과 거룩

함에 도달해야 한다. 기도는 하나님의 성령을 통해서 그의 도우심을 언제

나 간구해야 한다. 기도는 하나님이 성령을 통하여 그의 미래로부터 오셔

서 시련과 유혹을 당하는 그리스도들을 지키시고 그들을 성화 시키시는

길이다.

d. 기도는 하나님의 영이 오셔서 활동할 수 있는 길이다.69)

성령의 오심과 도우심이 없으면 신앙의 삶은 불가능하며 공동체는 인

간적인 만남의 장소가 된다. 그러므로 신앙의 새로운 삶에 있어서 성령은

결정적인 위치를 가진다. 기도는 성령이 그리스도인들과 그들의 공동체 안

에 오셔서 그들 안에서, 그들과 함께, 그들을 통하여 활동할 수 있는 길이

다. 사도행전 2장에서 나타나는 오순절 마가의 다락방에서 일어났던 성령

의 임재는 마가의 다락방에 모였던 예수님을 따르던 120명의 무리들이 집

중적으로 기도하는 가운데 나타나셨다. 내주 하시는 성령의 사역은 기도할

때에 성령의 주도적인 지배를 통해 일해나가신다. 그러므로 기도는 성령이

활동하실 수 있는 길이다.

e. 기도는 하나님 나라가 오는 길이다.70)

하나님은 그의 미래로부터 그리스도인들의 현재 속으로 오신다. 하나

님이 오신다는 것은 그가 그 속에 계시면서 다스리는 현실 곧 하나님의

69) 위의 책.70) 위의 책, 310쪽.

- 28 -

Page 29: T0212712.pdf

나라가 온다는 것을 뜻한다. 오고 있는 하나님의 나라가 기도 속에서 경험

된다. 이 경험 속에서 그리스도인들과 그들의 공동체 안에서 현실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도는 오고 있는 하나님의 나라가 그의 현실에 도달하

는 길이다. 기도하는 가운데에서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그들의

현실로 맞아 드리며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된다.71)

하나님 나라의 오심은 죄악의 세력의 후퇴를 뜻한다. 그것은 인간과 그

의 세계가 죄악의 세력으로부터 해방되어 하나님의 나라를 향하여 자유롭

게 됨을 뜻한다. 이리하여 인간의 삶과 세계 속에 하나님의 미래가 앞당겨

온다. 그리스도인들의 기도가 무의미하게 보이지만 그들의 기도 속에서 역

사는 새로움을 향하여 개방된다. 기도는 하나님의 기적과 역사의 새로움이

일어날 수 있는 길이다.72)

2. 기도의 성격과 형태에 따른 분류

a. 기도의 성격에 다른 분류

1) 개인기도와 공동체 기도

(1) 개인기도

개인 기도에는 마리아 해리스가 분류한 것처럼 입술(음성)로 하는

기도가 있고, 명상적인 기도, 그리고 관상의 기도가 있다.73) 이러한 기도는

각각 그 나름대로의 특성이 있지만 전통적으로 입술로 하는 기도보다는

명상기도가 명상기도보다는 관상기도가 더 깊은 차원의 영적 기도라고 믿

71) 위의 책, 311쪽.72) 위의 책.73) Maria Harris. F ashion M e A P eop le , 고용수 역,『교육목회 커리큘럼』, 116

- 29 -

Page 30: T0212712.pdf

어져 왔고 알려져 왔다. 이러한 전통적 개념이다.

사이몬 휠(Simone Weil)이 절대적인 주의집중이 곧 기도 라고 말했다.

이 말에 동의할 수 없더라도 이 솔직한 진술을 통해 심오한 통찰이 있음

을 깨닫게 된다. 만일 우리에게 하나님의 응시 아래 들어가려는 소원, 하

나님의 빈틈없는 조사에 대해 우리 마음을 열어 놓으려는 의도,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자신의 삶과 계획과 관계를 검토하려는 의도가 있다면, 만일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에 대한 감사의 물결이 우리에게 밀려들어오는 것을

느낀다면 그 때 우리가 드리는 기도는 가장 심오한 내적 기도만큼 쉽게

우리를 들어올려 하나님의 현존 안에 들어가게 해준다. 그러나 만일 정신

적 기도 안에 이러한 겸손, 복종, 완전한 개방성이 결여되어 있다면 그 기

도는 대부분의 입으로 줄줄 암기하듯이 인색하게 드리는 기도들이 그렇듯

이 기계적이고 상투적이고 열매가 없는 기도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74)

구송기도는 자발적으로 솟아날 수도 있고, 암기해서 반복하는 기도일 수

도 있고, 기도문집이나 예배서를 읽는 것일 수도 있다. 구송기도는 침묵기

도나 관상기도 대신이 아니라 침묵기도나 관상기도로 안내해 주는 개시운

동이다. 자칫하면 산만해질 수도 있는 기도이나 침묵기도 속에 초점을 다

시 맞추어 주거나 강화해 주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75 ) 그러나 구송기도 역

시 영적인 삶에서 아주 강력한 요소이다.76 )

기도를 더 잘하기 위한 기도방법이나 기술이 필요한가? 라는 질문에 대

해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든 일을 하나님께 맡

기고 기도하려는 의지이므로, 어떤 의미에서 기도의 방법과 기술은 필요치

74) Douglas V. Street . T he D im ens ions of P ray er , 엄성옥 역, 『기도의 능력』,46쪽.

75) 위의 책, 50쪽.76) Iris V . Cully , E ducation f or Sp iritual Growth , 오성춘외 3인 역, 『영적 성장

을 위한 교육』, 250쪽.

- 30 -

Page 31: T0212712.pdf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로 하여금 기도를 시작할 수 있게 해주고

성장하게 해주는 몇 가지 간단한 방법을 가지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유익

하며, 불필요한 실수를 줄일 수 있다. 기도의 기술이 중심 주제가 되어서

는 안되지만 만약 그것들을 하나님과 교제를 도와주는 보조물로서 취급하

여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그것들은 가치가 있다.77)

① 구송 기도

구송 기도는 음성으로 기도하는 방법으로 정리된 방법론의 정착을

통해서 깊은 기도에까지 이르게 된다.

1단계: 구송 기도하는 기도 모임에 참여한다.

2단계: 다른 사람이 구송으로 하는 기도를 듣고 아멘으로 화답한다.

3단계: 다른 사람이 쓴 좋은 기도문들을 보고 읽으면서 기도한다.

4단계: 자신의 언어로 기도문을 작성하여 본다.

5단계: 자신의 언어로 작성한 기도문을 가지고 기도 인도자에게 기도

문에 대한 지도를 받는다.

6단계: 자신의 언어로 된 기도문을 가지고 기도한다.

7단계: 기도문 없이 짧은 기도를 자신의 언어로 기도한다.

8단계: 자신의 언어로 기도하거나 기도의 시간을 좀 더 연장해 본다.

9단계: 자신이 어떤 내용의 기도를 하고 있는지 기도 인도자에게 알려

주고 바람직한 기도의 내용이 무엇인지, 잘못하고 있는 기도의 내용이 무

엇인지를 지도 받는다.

10단계: 기도의 내용을 자신에게서 가정과 이웃으로, 자신에게서 복음

으로, 자신에게서 하나님에게로 확장시켜 나간다. 3단계에서 바로 10단계

77) John Dalrymple. S imp le P ray er , 엄성옥, 『단순한 기도』(서울:은성, 1999),64쪽.

- 31 -

Page 32: T0212712.pdf

로 건너오는 방법으로 기도문을 반복해서 구송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현존

으로 들어가는 방법이다.

② 명상적인 기도

명상기도(m editation )는 일반적으로 어떤 주제에 대한 이성적인 추리

를 강조하면서 하나님과의 대화를 추구한다.78)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 우리

가 읽은 말씀이나 가지고 있는 생각이 우리에게 주는 특별한 의미를 생각

하고 깊이 고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1단계: 성경구절, 기도문, 책을 읽으면서 메모해 둔 통찰, 또는 우리에

게 발생했던 일 등의 명상의 주제를 잡는다.

(아씨시의 프란시스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오 나의 하나님, 당신은 누구

십니까? 그리고 나는 누구입니까? 라고 반복하는 방법을 사용했다.79) 예수

의 기도에서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80) )

2단계: 선택한 명상의 주제들에 대해 정신을 집중하며 그 주제와 관련

된 다양 한 사실들을 바라보기 위해서 되풀이하여 주의를 기울인다.

3단계: 스스로에게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이것이 나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것은 나의 삶과 어떤 관계를 가져야 하는가? 를 묻는

다.

③ 관상기도

관상기도(contemplatio)는 이성적인 사고보다는 사랑에 의해 하나님

의 임재를 경험하는 그 자체를 말한다. 관상기도는 실체의 내면을 바라보

78)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90쪽.79) Douglas V. street , T he D im ent ions of P ray er , 엄성옥 역, 『기도의 능력』,

45쪽.80) John Dalrym ple, S imp le P ray er , 엄성옥, 『단순한 기도』, 67쪽.

- 32 -

Page 33: T0212712.pdf

는 것을 의미하며 실체의 근원을 바라보노라면 거기에서 하나님을 바라보

게 된다는 것으로 유추된다. 성 빅토르 리챠드는 관상의 정의를 지혜의

나타남에 대해 놀라움으로 정지된, 마음의 자유롭고 보다 통찰적인 응시

라고 한다.81)

관상기도란 하나님께서 자기 내면 안으로 들어오도록 자유롭게 자신을

열어놓는 상태며 마침내 하나님의 신비가 자기자신의 내면에 부딪혀 옴으

로서 기도의 주체자와 객체자가 하나가 되는 일치경험 상태이다. 그 상태

는 지성적인 냉냉함이 아니고 가슴으로 느끼는 경험이요, 정감적인 경험이

요, 분석적인 경험이 아니라 직관적인 경험이다.82) 보나 벤츄라는 이러한

체험의 상태에 대해서 말하기를 그것은 가르침이 아니고 은총이요, 이해

가 아니고, 열망이요, 부지런한 독서가 아니라 열렬한 기도요, (하나님은)

선생이 아니고 배우자요, 명료함이 아니고 어두움이요, 빛이 아니고 불 이

라고 했다.83)

아빌라의 데레사는 하나님과의 합일을 향한 영혼의 신비한 여행의 단계

적인 체험을 그의 저서 『영혼의 성』에서 기술하고 있다. 그녀는 마치

하늘에 자리가 많듯이 여러 궁실이 있다는 것입니다. 84)라고 전제하면서

그녀의 삶과 영성적 주제들 가운데 기도와 영적 여정의 단계를 7개의 방

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처음의 세 궁방은 마음의

기도를 통하여 들어간다. 덕을 함양하고 불안전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극

적으로 노력하는 정화의 길이다. 넷째 궁방은 감각과 감각기능들을 깊이

침묵하는 조용한 기도가 있고, 다섯째 궁방은 감각기능들의 잠이 있는데

81)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90- 91쪽.82) 위의 책.83) Bonaventura, it inerar ium m en tis in d eum e t de red uction art ium ad

theolog iam , 김광식 역 『하나님과 하나되어』(서울:기독교서회, 1997), 87쪽.84) S ant a T eresa de Jesu s . Cas tillo I nterior , 최민순 역, 『영혼의 성』(서울:바

오로 딸, 1999), 23쪽.

- 33 -

Page 34: T0212712.pdf

이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영혼의 수동성이 깊어진다. 여섯째 궁방은 영혼의

약혼을 경험하는데 하나님과의 합일을 향한 길로 접어든다. 일곱째 궁방은

영혼의 결혼으로 하나님과 합일이 이루어졌다.85)

1단계: 묵상 단계(1- 3궁방): 구송기도(일궁방), 묵상기도(이궁방), 잠심

기도(삼궁방)

2단계: 반 수동적 관상단계(4궁방): 거둠기도, 고요의 기도

3단계: 관상단계(5- 6궁방): 합일(일치)의 기도(오궁방), 영적약혼(순응

일치의 기도/ 육궁방)

4단계: 관상단계(7궁방): 영적결혼(변형일치의 기도/ 칠궁방)

알바레즈 드 파즈는 관상기도를 네 가지 기본형으로 나눈다.86)

1단계: 추리적 묵상 단계 - 초자연적 진리를 꿰뚫어 보고, 그것을 사

랑하며 은총의 도움으로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그것에로 마음을 돌려 추

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묵상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성이 제시하는 초자

연 진리에 대한 의지적 사랑의 행위이다.

2단계: 정감기도 단계 - 정감의 기도란 의지작용이 지성의 추리작용

보다 우세 형태의 기도라고 할 수 있다. 즉 지성보다 사랑이 우세한 단순

화된 묵상이다. 추리에서 의지의 활동으로 옮겨지게 된다. 추리적 묵상과

영적 독서는 정감의 기도 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것이 의지적 행위

를 자극하는 자료가 된다. 정감기도의 실천은 묵상재료를 하나하나 고찰해

가다가 의지의 정감이 유발되는 매순간 추리묵상을 잠시 멈춤으로써 효과

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정감기도는 의지의 작용이고 따라서 사랑의 행

위로서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과 깊은 일치를 갖게 도와준다.

3단계: 불완전 관상의 단계 - 지극히 단순화된 수덕적 기도의 한 형

85) 이영두. 『기독교 영성』(서울:임마누엘, 2002), 162- 163쪽.86)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93- 96쪽.

- 34 -

Page 35: T0212712.pdf

태이다. 먼 저 묵상에서 사용된 추리는 이제 단순한 지적 응시로 바뀌

고, 정감기도에서 체험한 정감들은 하나님께 대한 단순한 애정 어린 관심

과 합일된다. 이 기도는 수덕기도와 신비적 기도간의 다리 노릇을 한다.

그것은 바로 성령의 은사가 수동적으로 영혼 안에 작용하기 직전의 최종

적 단계이다. 그래서 단순함의 기도에서는 습득적 요소와 주부적 요소가

혼합됨을 체험하게 된다. 습득적 관상에서는 이미 하나님의 은총이 작용하

기 시작했기 때문에 기도자가 충실하면 주부적 요소는 점차 증가되어 마

침내 기도 전체를 지배하게 된다.

4단계: 완전 관상단계 - 습득적 요소가 점점 줄어들면서 주부적 요소

가 확대되고, 기도자는 여기에서 추리적 지식이나 탐구적 지식이 아니라

직관적이고 사랑의 지식을 맛보게 된다. 그 맛은 즐거움과 찬탄과 감격이

다. 특별히 지성적인 활동보다는 사랑의 정감이 활발하게 작용하게 되는

데, 그 사랑의 활동은 사랑 받고 있다는 사실을 강렬하게 경험함으로부터

비롯된다. 그 사랑은 집착에서 자유롭고 오히려 사랑하는 분을 향하여 자

신을 내어주는 활동이다. 자연을 바라볼 때 자연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이

기적인 혜택에 관심을 기울이는 대신에 자연 그 자체의 신비로움과 아름

다움에 매료될 때 그것을 바로 관상적인 경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심리적

으로 볼 때 하나님 자신과의 일치 체험이 바로 자연적 관상과 매우 흡사

한 현상을 지닌다. 오먼은 주부적 관상의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주

고 있다.87)

㉠ 하나님 현존의 체험이 현저하다

㉡ 영혼 안에 초자연적인 것이 엄습하는 느낌을 받는다.

㉢ 본성적인 노력으로는 할 수 없는 체험을 할 수 있다.

87) Jordan A um ann . Sp iritual Theology , 이홍근 역, 『영성신학』(대구:분도출판

사,1987), 382- 388쪽.

- 35 -

Page 36: T0212712.pdf

㉣ 능동적이기 보다 훨씬 수동적이다.

㉤ 하나님에 대한 체험적인 지식은 명확하거나 뚜렷하지 못하고 모호하

고 혼란스러울 수 있다.

㉥ 관상자는 하나님의 활동 아래 있다는 안정감과 확신을 받는다.

㉦ 관상자는 은총상태에 있다는 확신을 갖는다.

㉧ 그 체험의 서술이 어렵다

㉨ 하나님과의 일치의 체험과 동시에 존재적 변화를 가져온다

㉩ 실천적 삶에 대한 큰 충동을 느낀다.

관상의 길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긍정신학 또는 유념적 방법으로

무든 피조물이 아무리 하찮은 피조물이라도 그것을 깊이 관상하면 그 곳

에서 하나님의 속성을 발견한다. 피조물의 하찮은 속성으로부터 가장 고상

한 속성에로까지 이르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할 수 있는 만큼 하나님이 지

닌 거룩하고 가장 고상한 속성을 맛보게 된다. 다른 하나는 부정신학 혹은

무념적 방법으로 아무리 고상한 이미지나 속성을 가졌더라도 하나님과 조

화할 수 없는 비유사성을 포함하고 있음으로 이 유사성을 제거할 때만 하

나님과 온전한 일치를 성취할 수 있다. 그것은 피조물과 인간의 개념 속에

서 유추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나 속성이나 개념으로부터 부정하면서 위

로 올라가는 패턴이다.

(2) 공동체 기도

마리아 해리스가 지적한 대로 우리의 기도가 오직 개인적인 것이라

면 단지 절반밖에 자라지 못한 것이고 아울러 절반 밖에 발전하지 못한

것이다.88 )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공동의 기도에 참여함으로써 그러한

88) Maria Harr is , Fashion M e A P eop le , 고용수 역,『교육목회 커리큘럼』, 119

- 36 -

Page 37: T0212712.pdf

기도의 형태들을 경험할 때와 마찬가지로 공동의 기도에는 몇 가지 형태

들이 있다. 공동 기도의 중심요소는 그 기도 주체가 개인으로서의 우리가

아니라 기도하는 공동체로서의 우리의 기도라는 것이다. 우리가 하나님과

의 관계를 결코 가지지 못할 그러한 메마른 때에 개인적으로 도움을 받는

기도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공동의 기도는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우리의 정체성을 창조하고 재창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형태이다.

교인의 대표기도나 목회기도가 하나님께 가까이 접근 할 수 있는 많은

요소들을 포함할 때, 사람들은 기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그러한 기

도는 교인들의 공동적, 개인적 요구 사항으로 시작해서 교회 전체의 활동

으로 확장되고 더 나아가서 국가와 위정자들에게로 넓어지며 이 사회와

세계에 속한 모든 위정자들에게로 넓어지며 이 사회와 세계에 속한 모든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포용될 수는 없다. 그러나 하나님의 현존 앞에서 마

음으로부터 모든 영역이 떠올라야 한다. 예배 순서의 순간, 순간 회중의

기도는 찬양과 감사, 회개와 간구, 중보를 포함하데 될 것이다.89)

① 예배 속의 공동 기도

㉠ 참회를 통한 죄의 고백에 함께 동참하여 드리는 기도

㉡ 대표 기도자의 기도에 함께 동참하여 아멘으로 응답하는 기도

㉢ 말씀의 응답에 대한 인도자 내지는 함께 드리는 기도

㉣ 헌금을 바침으로 드리는 진정한 감사기도

② 특별한 공동 기도

㉠ QT 기도모임에서 드리는 기도 - 그 날 주어진 본문 말씀 가운

데 받은 은혜의 말씀을 중심으로 기도함

쪽.89) Iris V. Cully . E ducation f or Sp iritual Growth, 오성춘외 3인 역, 『영적 성장

을 위한 교육』, 252쪽.

- 37 -

Page 38: T0212712.pdf

㉡ 다양한 준비된 기도모임에서 함께 드리는 기도 - 모임의 특성에

따라서 주제를 따라서, 말씀을 따라서, 구체적인 기도 제목을 따라서 기도

한다.

③ 집중적인 기도훈련 모임의 기도

㉠ 퇴수회의 기도 - 기도하기 위하여 함께 모여서 기도를 위하여

교육받고 기도에 의하여 교육받고 아울러 기도 속에서 교육받는 것이다.

동질적인 모임을 위해서 도움이 되고 하나의 주제를 심도 있고 끊기 있게

논의하기를 원하는 모임을 위해 도움이 된다.

㉡ 기도 수련회, 기도 특강에서의 기도 - 퇴수회의 성격과 유사형

태로 접근한다.

④ 중보기도

중보란 서로 대립 또는 적대관계에 있는 양자의 사이에 서서, 적의의

원인을 제거하며 화해와 일치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성서적인 의미로

서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관계를 성립케 하고 화해를 가져오는 일을 말

한다. 그러므로 중보기도란 다른 사람들을 위해 성령의 인도를 받고 그 능

력을 힘입어 기도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중보기도는 어떤 사람을 대신해

내가 하나님께 나아가 그를 위해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 긍휼과 은혜, 그

리고 축복을 간구하는 기도이다. 그래서 중보 기도자는 중보기도 하는 가

운데 하나님의 마음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믿는 자들은 효과적인

중보기도 사역으로 하나님께 사용 받는 특권을 갖고 있다.90)

성경에 나타난 중보기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9 1)

90) 심원용, 『영안이 열리는 기도』, 303쪽.91) 위의 책, 299- 302쪽.

- 38 -

Page 39: T0212712.pdf

㉠ 하나님은 믿음의 사람이 드리는 중보기도를 들으신다(창19:29).

㉡ 중보기도는 승리를 가져온다(출17:8- 13)

㉢ 중보기도는 하나님으로 하여금 죄인을 용서하게 한다(신9:18- 20).

㉣ 중보기도는 백성을 위해 중재하는 것이다(삼상7:5, 삼상12:23, 사37:4).

㉤ 중보기도는 자녀들로 하여금 믿음을 지키게 한다(욥1:5).

㉥ 중보기도는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 합당한 믿음의 사람으로 살게 한다

(요17:9- 11).

㉦ 중보기도는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골1:11- 12).

㉧ 중보기도는 세상의 직위를 갖고 있는 이들을 위해서도 해야 한다(딤전

2:1- 2).

㉨ 중보기도는 하나님이 기뻐 받으시는 기도이다(계8:3- 4).

b . 기도의 종류92)

1) 개인기도

개인기도는 자신을 위해서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이다. 즉, 자신의

여러 문제와 소원을 하나님께 고하고 도움을 구하는 기도이다.

2) 중보기도

중보기도는 자신을 위해서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을 위한 기도이다. 다른 사람의 영혼을 사랑하여 오직 겸손한 마음과 진정

한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하는 기도이다.

3) 공중기도

공중기도는 많은 사람들 앞에서 전체를 대표하여 드리는 기도이다.

예배에서의 대표기도나 구역예배에서의 기도, 심방 시의 기도 등을 들 수

있다. 공중기도의 유의 사항은 첫째, 기도의 내용이 반드시 그 모임의 목

92) 심원용, 『영안이 열리는 기도』, 33- 40쪽.

- 39 -

Page 40: T0212712.pdf

적을 위한 기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모인 사람들의 형편, 처지,

사정을 충분히 파악하고 기도하는 것이 좋다. 둘째, 간구의 내용이 주관적

이기보다는 객관적이며 보편적인 것이 좋다. 셋째, 기도의 시작과 끝이 분

명해야되고 넷째, 미리 기도문을 작성하여 계획성 있고 짜임새 있는 기도

를 하는 것이 좋고 시간과 장소에 대한 배려를 하는 것이 좋다. 다섯째,

공중기도를 맡은 본인이 스스로 준비 기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4) 규칙적인 기도

규칙적인 기도는 아침에 기상해서 드리는 새벽기도나 정오기도, 밤기

도, 취침기도와 같이 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하는 기도를 말하되 형식보

다는 진실함으로 기도해야 한다.

5) 합심기도

합심기도는 두 사람 이상이 마음을 합하여 같은 목적을 가지고 간구

하는 기도이다. 통성기도가 그 좋은 예이다. 합심기도 시에 유의 할 점은

첫째, 합심기도의 제목이 분명하게 제시되러 한 마음으로 기도할 수 있어

야 한다. 둘째, 다른 사람의 기도를 의식하지 말고 자신의 기도에만 열중

해야 한다.

6) 묵상기도

묵상기도는 형식과 시간, 장소에 제한 없이 성령의 인도를 받아 자신

의 영이 하나님과 일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드리는 기도이다.

7) 윤번기도

윤번기도는 예배시간이나 기도 모임에서 차례로 돌아가며 기도하는

- 40 -

Page 41: T0212712.pdf

것으로 기도의 내용이 풍부해지고 여러 사람이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8) 새벽기도

새벽기도는 주님께서 허락하신 하루를 시작하기 전, 첫 시간을 하나

님 앞에 바치는 기도이다. 하루를 시작하게 하심을 감사하며 경건하고 보

람찬 하루를 위해서 자신의 일상적인 삶 가운데 필요한 것들과 더불어 영

적인 문제를 위해 기도하며 가정과 이웃과 국가를 위해 기도한다.

9) 금식기도

금식기도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억제하고 맑은 영혼으로 하나님

과 영적인 교통을 하는 기도이다. 심각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에, 중대한

결정을 해야 할 때 전적으로 하나님께 메어 달리며 간구하는 기도이다.

10) 철야기도

철야기도는 기도하기에 알맞은 밤에 깨어서 하나님과 대화하며 간

구하는 기도이다. 철야기도에서 주의할 점은 분명한 목적과 제목을 가지고

기도하되 건강상태나 가정의 사정, 생활의 편의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

다.

11) 산기도

산기도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식어진 신앙이나 절실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산에서 드리는 기도이다. 산기도는 장소 선택에서 신중

을 기해야 하고 신비적인 체험을 목적으로 하면 자칫하면 사탄의 시험에

들기 쉽다.

- 41 -

Page 42: T0212712.pdf

12) 안수기도

성직자나 성도들이 몸에 손을 얹고 기도하는 것으로 더욱 풍성한

은혜와 영적인 힘을 주기 위해 하는 기도이다. 안수기도는 축복을 빌 때,

성직을 위임할 때, 성령 받기를 원할 때, 병 낫기를 원할 때 하는 기도이

다. 안수기도는 안수를 하는 이나 받는 이가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서로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한다. 안수기도 때 주의할 점은 준비기도를 한 후에

간절한 마음과 믿음을 가지고 안수에 임해야 한다.

13) 방언과 통역기도

방언기도란 성령을 받아 자기의 언어가 아닌 영의 언어로 기도하

는 신령한 기도이다. 이 방언기도는 지상의 언어로 알아들을 수 없는 신령

한 언어이기 때문에 통역이 필요하다. 방언기도의 주의할 점은 첫째, 교회

의 부덕이 되지 않도록 힘쓰고 둘째, 통역할 수 있기를 위해서 기도해야

하고 셋째, 통역이 없는 방언은 잠잠히 하나님께만 하며 넷째, 덕과 질서

를 위하여 절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방언은 영으로 하는 기도이므로 금

하지 않는 것이 좋다.

14) 예언기도

예언이란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에게 주시는 말씀이다. 신자들에게

주시는 예언의 말씀은 이미 주어진 성경을 통해 주어진 특별계시를 구체

적으로 깨우쳐 알게 하고 실천하게 하는 말씀의 기도이다.

15) 기타

이 밖에도 얼마든지 시간과 장소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기도의

종류를 분류하고 나누어 말할 수 있다.

- 42 -

Page 43: T0212712.pdf

3. 기도를 위한 제언

a. 기도는 먼저 삼위일체 되시는 하나님께서 하신 일에 대한

감사와 찬양과 함께 시작되어야 하겠다.93)

히브리어에 있어 감사와 찬양은 같은 의미를 가진 개념이다.94) 하나

님을 찬양하는 사람은 하나님께 감사하며, 하나님께 감사하는 사람은 하나

님을 찬양한다. 감사와 찬양은 하나님과 인간의 올바른 관계를 나타낸다.

감사와 찬양을 통해 하나님의 이름이 영광스럽게 된다. 감사와 찬양을 돌

리는 것이 하나님에 대한 피조물의 존재규정이다. 이사야 43장21절에서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함이니라 고

말씀한다. 기도의 시작은 그 은혜와 사랑에 대한 감사와 찬송이어야 한다.

b . 하나님 나라가 언제 오는가 하는 문제가 하나님의 자유에

속한 것처럼 기도에 대한 응답도 하나님의 자유에 속한다.95)

우리의 기도에 대하여 그 분이 언제, 어떻게, 어떤 방법으로 응답하는

가를 우리는 결정할 수 없으며, 또 그 분에게 강요할 수도 없다. 우리는

기도의 응답을 확신하는 동시에 응답의 때와 방법을 하나님께 맡겨야 한

다. 여호와의 말씀에 내 생각은 너희 생각과 다르며, 내 길은 너희 길과

달라서 하늘이 땅보자 높음같이 내 길은 너희 길보다 높으며, 내 생각은

너희 생각보다 높으니라 (사55:8- 9)

c. 예수의 말씀에 의하면 우리는 골방에서 기도해야 하며(마

93) 위의 책, 312쪽.94) 위의 책.95) 위의 책.

- 43 -

Page 44: T0212712.pdf

6:6) 빈말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마6:7).96)

이것은 많은 사람이 모여서 기도하거나 길게 기도해서는 안된다는

말이 아니다. 이러한 기도도 필요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각 사람과 하

나님의 깊은 인격적 만남과 대화이어야 한다. 종교적 형식이나 선전, 자신

의 공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기도는 하나님과 기도 드리는 사람의 가장 깊

은 만남이어야 한다. 이 만남에 있어서 나의 기도를 가지고 내 자신을 관

철시키려는 나의 의지는 죽고 예수의 의지가 내 안에서 다스리며 나의 의

지가 그의 의지 안으로 흡수될 때, 나의 의지는 예수와의 사귐 속에서 죽

게 된다. 우리의 기도가 예수의 의지로부터 나올 때에, 우리의 기도는 온

전해진다.

d.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해야 한다.97)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에게 기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우

리의 기도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에게 중재된다. 그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중재자이시며(딤전2:5 ; 히9:15 ; 12:24)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에게

기도하는 제사장이요(히7:25)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에게 말씀하시는 대언

자이기(요일2:1)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경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할

것을 가르치신다. 너희가 내 이름으로 아버지께 구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지 주실 것이다 (요16:23 ; 요16:24 ; 마7:7- 11 ; 눅11:9- 13).

e. 기도는 본질적으로 하나님과 나 사이에 이루어지는 만남과

대화의 길이다.98)

96) 위의 책.97) 위의 책, 315쪽.

98) 위의 책, 316쪽.

- 44 -

Page 45: T0212712.pdf

기도를 통하여 우리 각 사람은 하나님을 가장 인격적으로 만난다. 그

러나 각 개인의 기도는 일면성과 이기주의와 왜소화의 위험을 가지고 있

다.99) 그럼으로 개인의 인격적인 기도와 공동체의 공동기도는 서로를 보완

해야 한다. 개인의 기도는 모여 있는 공동체의 기도에서 기도의 본래적이

고 올바른 형태를 알고자 해야하고 기도의 내용과 방향을 얻어야 한다. 공

동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의 능력과 신앙의 확신과 유창한 말솜씨를 과시하

려는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음으로 개인의 본질적 기도를

통해 훈련되어져야 한다.

f. 기도는 삶으로 연결되어야 한다.100)

기도는 참된 삶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기도할 때에 우리가 참으

로 원하는 것은 우리의 생각과 의지와 행동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

이다. 기도한다고 한순간 완전한 사람이 될 수 없고, 기도의 내용이 완전

히 실천할 수 없는 것이라 하더라도 하나님 앞에서 무책임한 자로 종교적

위선자가 되어서는 안된다.

4. 주기도 해석

a. 주기도문의 중요성

주기도문은 본질상으로는 사도신경처럼 신앙고백적(교리적)인 것도

아니고 십계명처럼 생활규범적(윤리적)인 것도 아니다. 그것은 성격상으로

기원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주기도문의 내용 중에 두 부분은 하나님의

99) 위의 책.100) 위의 책, 317쪽.

- 45 -

Page 46: T0212712.pdf

나라(전반)과 인간생활(후반)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앞부분의 하나님

나라는 그것이 기독교 복음의 중심이라는 점에서 교리에 관계되는 것이라

고 볼 수 있고, 뒷부분의 인간생활에 관한 언급은 윤리가 함축된 것으로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주기도문의 전반은 교리로서 사도신경과 관련되고,

후반은 윤리로서 십계명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며, 이렇게 볼 때 주기도문

은 실로 사도신경과 십계명의 종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101)

그러나 주기도문은 그 근본성격에 있어서나 교리나 윤리에 관한 신학적

인 진술이 아니며 어디까지나 기원문으로서 거기에는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적(하나님에 관한 부분과 인간에 관한 부분을 포함해서)과 거기에 대응

하는 인간의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

주기도문에 대해 우리가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주기도문은 우리

가 기도할 내용(what )을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고 기도의 방법(how )를 가

르쳐 준다는 점이다.102) 즉 주기도문은 모든 사람에게 시도의 내용을 획일

적으로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라 기도의 내용을 가르쳐 주는 것이다.

b . 주기도문의 형성

주기도문의 기원 또는 형성에 대해서는 우선 세 가지 입장을 볼 수

있다. 첫째, 주기도문은 역사적 예수로부터 직접 기원 전승된 것인가?

둘째, 주기도문은 역사적 예수로부터 직접 기원 전승된 것인가? 셋째, 주

기도문은 역사적 예수 이후의 초대교회에서 예배의식에 필요한 것으로 형

성 전승되어 온 것인가? 이것은 단순히 주기도문의 문제가 아니고 공관복

음서 전체의 역사적 비평에 관한 문제이다. 그러나 주기도문이 순전히 마

태가 누가의 독창적인 것이거나, 초대교회에서 형성되었다는 적극적이고

101) 나채운. 『주기도·사도신경·축도』(서울:장로회신학대학 출판부, 1989), 14쪽.102) 위의 책.

- 46 -

Page 47: T0212712.pdf

분명한 증거가 없는 이상, 마치 산상보훈(마태복음 5장- 7장)이 예수의 말

씀으로 받아들이는 것처럼 그 가운데 있는 주기도문 역사적 예수에 유래

한 것임을 의심할 바 없다.

그러나 주기도문이 지상의 예수에게서 직접 유래되었다고 할 때에도 우

리는 또 다른 문제에 부딪힌다. 즉 주기도문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기

록되어 있으며 또 두 기도문간에도 상이점이 있는데 그러면 그 중 어느

것이 진정한 것이며 또 원초적인 것인가? 아니면 두 기도문이 각각 하나

의 독립된 자료에서 유래된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c. 본문 비평

R.E . Brown에 의하면 마태나 누가가 그들의 복음서를 쓰기 전에

두 가지 형태의 기도문이 각각 초대교회 안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며, 마태

가 전하는 주기도문은 유대인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누가가

전하는 것은 이방인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103 ) 여기에서 생각

할 수 있는 것은 둘 중 어느 것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더 원초적인 것

이라는 사실이다. 여기에 대해 예레미아스(J . Jeremias)는 길이에 있어서

는 누가복음이 더 원초적이고, 용어에 있어서는 마태의 것이 더 원초적이

라 104)고 말한다.

1) 두 형식의 비교

길이에 있어서의 두 기도문 비교(한글개역 성경)

103) R.E. Brown. T he Pater Noster as E schatological Prayer", N ewT es tam en t E ssay (Image Book, NeW York,1968), 275쪽, 나채운. 『주기도·사

도신경·축도』(서울:장로회신학대학 출판부, 1989), 16- 17쪽 재인용.104) J . Jeremias. T he L od e 's P ray er (E T ) (F otress Press, Philadelphia,1964) 14

쪽, 나채운. 『주기도·사도신경·축도』(서울:장로회신학대학 출판부, 1989), 17쪽

재인용.

- 47 -

Page 48: T0212712.pdf

누가의 주기도문(11:2b- 4) 마태의 확장된 기도문(6:9- 13)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우리에게 날마다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모든

사람을 용서 하오니

우리 죄도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소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2) 두 형식의 배경

R.E . Brown의 견해를 따라 두 형식의 주기도문이 구전으로 내려왔는

데 마태와 누가는 각기 동일한 원형을 각자의 형편과 필요에 따라 변경

발전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먼저 마태의 주기도문은 유대인 그리스도

인을 대상으로 했고 누가의 주기도문은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을 대상으로

했다. 마태의 경우는 이미 기도를 배운 사람으로서 기도를 잘 못하는 사람

들을 대상으로 했고 누가는 아직 기도에 대하여 배우지 못한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기도를 가르치는 것으로 되어있다.105 )

두 기도문 가운데 특히 마태의 것은 그것이 유대인 공동체 내에서 전승

105) 나채운, 『주기도·사도신경·축도』, 19쪽.

- 48 -

Page 49: T0212712.pdf

반복되는 가운데 의전적으로 발전되면서 확대된 것으로 본다.

d. 주기도문의 구성

주기도문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은 마태의 본문에 따르면 우선 세부

분으로 나뉜다.106) 첫째는 기도의 대상을 부름(invocation , address ), 둘째

는 기도의 내용(petition ), 세째는 송영(doxology, ascription)이다.

1) 부름

기도자는 먼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라고 부름으로 기도의

대상인 하나님 아버지와의 만남을 성립시킨다. 여기서 하늘에 계신 이란

하나님의 공간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초월성과 절대성을 가리키는 상

징적인 표현이다.107 ) 칼빈에 의하면 하늘에 계신 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전 우주에 대한 그의 통치권을 의미한다.108) 여기서 하나님은 우리와 차원

을 달리해서 계시는 분으로, 높고 거룩한 하늘에 계시는 하나님께 낮고 속

된 곳인 땅에 있는 우리가 감히 기도할 수 있는 것은 그가 우리 아버지

가 되시기 때문이다. 우리 아버지 라고 부르는 관계성 속에는 속성의 다

름과 차원의 다름을 극복하고도 남음이 있는 근접성과 친밀감이 있는 것

이다.109)

한편 기도자가 하나님을 우리 아버지 라고 부를 때 그 말 가운데에는

이미 기도자인 우리 사이에 한 형제 자매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전제

한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은 모든 사람의 아버지가 되시고 그럼으로 그에

106) 위의 책, 23쪽.107) 나채운. 『보수 신앙과 개혁정신』(서울:한국장로교 출판사, 1997), 294쪽.108) John . Calvin, Ins titute of the chris tian rellig ion vol.Ⅲ. 편집부 역, 『영한 기독

교 강요Ⅲ』, 739쪽.109) 나채운, 『보수 신앙과 개혁정신』, 294쪽.

- 49 -

Page 50: T0212712.pdf

게 기도하는 복수 인간인 우리 는 한 아버지의 형제자매가 된다는 것은

논리의 당연한 귀결이다. 따라서 이 부름의 부분에서 우리는 다름에 이어

지는 간구에 앞서 먼저 두 가지 인식, 즉 하나님은 누구(Who We are)이

며, 우리는 누구(Who God is )인가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이 우리 라

는 말에 의하여 이 기도는 사적인 기도가 아니라 공동체적 기도임을 드러

낸다.

2) 기원과 간구

주기도의 본문은 기도의 대상인 하나님을 부른 다음에 기도의 내용

으로 이어진다. 이 부분은 하나님에 관한 기원과 우리를 위한 간구로 나눠

지고 그 각각은 세 가지 내용으로 세분된다.

하나님에 관한 기원은 ①하나님의 이름이 거룩하게 될 것, ②하나님의

나라가 이말 것, ③ 하나님의 뜻이 땅에서 이루어질 것, 이 세 가지이다.

첫째는 온 세상 사람이 하나님의 이름을 거룩하게 받들도록 기원하고, 둘

째는 하나님의 주권이 행사되고 그의 통치가 현재적으로 또는 종말론적으

로 실현되기를 기원하고, 셋째는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완성되는 것 같

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것인데 이 셋은 서로 상호적이며 인

과관계를 가짐으로 실제로는 하나이다.110 ) 즉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어지려

면 그 원인으로서 하나님의 이름이 거룩하여져야 하고, 하나님의 뜻이 이

루어져야 하며,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어지면 그 결과로 하나님의 이름이

거룩하여지고,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진다.

우리를 위한 간구는 ①일용할 양식을 주실 것, ② 죄를 사하여 주실

것, ③ 유혹(시험)에 빠지지 말게 하고 악에서 건져 주실 것 등 세 가지이

다. 첫째는 인간의 육신적인 수요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현재의 삶을 위한

110) 위의 책.

- 50 -

Page 51: T0212712.pdf

간구이고, 둘째는 인간의 영적인 것으로서 과거의 죄과에 대한 사죄를 간

구하는 것이요, 셋째는 인간의 정신적인 면으로 미래의 안전을 위한 간구

이다. 이와 같이 우리를 위한 간구는 육적인 것, 영적인 것, 정신적인 것을

포괄하고 현재적인 것, 과거적인 거, 미래적인 것을 다 포괄하는 통전적인

것이다.111)

3) 송영

이 부분은 주기도의 본문으로서는 예전적인 필요에 의해서 후대에

추가된 것이지만 주기도의 내용상으로나 형태적으로나 결론을 이루는 것

이다. 주기도의 실질적인 내용은 하나님에 관한 세 가지 기원과 우리를 위

한 세 가지 간구로서, 그 중 하나님에 관한 기원이 우리를 위한 간구에 우

선하는 것은 당연하거니와 전체적으로 보면, 후자는 전자에 몰입되어 하나

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기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여기 송영에서는 그

나라 를 다시 한번 천명하고 강조한다. 그리고 그 나라를 이룰 수 있는

권능과 그렇게 됨으로서 돌아갈 영광이 영원히 아버지의 것이라는 것이다.

Ⅲ . 기도의 커리귤럼

- 마리아 해리스의 커리큘럼 이론을 중심으로- 112)

A . 교육이론

111) 위의 책, 295쪽.112) Maria Harris, Fashion M e A P eop le , 고용수 역, 『교육목회 커리큘럼』, 발췌

요약 정리하여 커리큘럼 이론을 소개하려고 한다.

- 51 -

Page 52: T0212712.pdf

1. 교회의 이해

a . 교회: 목회적 소명을 지닌 하나님의 백성

마리아 해리스는 최근 몇 년 동안 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우리 자

신의 이미지만큼 그리스도인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던 다른 이미지가 없었

다고 말하면서 교회의 자아 인식에 대한 지배적인 이해는 점차 한 하나님

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라는 이해 쪽으로 굳어지고 있다고 말한다.113) 그 이

유는 교회의 이러한 자기 이해는 가장 도전적이다. 왜냐하면 이전에는 하

나님의 백성 개념이 교회의 임무나 역할 혹은 조직, 형태에 두었다면 하나

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는 그 이미지가 우리의 인간됨을 진지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한 백성이 된다는 것은 여러 개인이 한 공동체로서 한 육

체와 한 피로서 몸을 이룬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 같은 신앙의

근저에는 말씀이 육신이 되었다(요1:1) 는 성육신 사건을 믿는 것으로부

터 시작되고 이 믿음은 계속해서 육신이 되는 말씀을 통해 공동체로서의

한 백성의 이미지를 완성한다. 여기에서 우리의 목회적 소명을 지닌 하나

의 백성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114)

세례나 입교는 우리에게 한 공동체 내에서 책임감을 가지게 하는데 공

동체 구성원이 되었을 때에 우리에게 주어진 말씀은, 무엇인가가 우리에게

말씀되어지고, 우리에게 명령을 주고, 아울러 우리 삶 가운데 그 말씀대로

살기를 촉구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복음에 의해 부름을 받은 백

성이고 세상 속에서 구별된 존재로 부름을 받았다. 이렇게 구별된 존재로

살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목회적 소명의 핵심이다.115)

113) 위의 책, 27쪽.114) 위의 책, 28쪽.115) 위의 책.

- 52 -

Page 53: T0212712.pdf

목회적 소명이라 함은 특별한 삶의 방식에로의 부름이요, 특별한 삶의

방식에 대한 요구이다. 이러한 특수성이 곧 목회적 (pastoral)이라는 단어

로 요약될 수 있다. 목회적 이라는 말은 사람들에 대한 보살핌과 관계성을

함축하고, 아울러 기독교적인 사역활동에 적극적이고 실천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함축한다. 우리 자신을 돌볼 뿐만 아니라 서로 서로를 돌보며, 지구

를 돌보기 위해 부름을 받았다. 우리의 삶을 사랑 안에 뿌리내리고, 그리

스도 안에 뿌리내림으로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우리의 고립을 종식시키기

위해 부름을 받고 있다.

우리가 받은 목회적 소명을 진지하게 고려하기 시작하면 나타나는 세

가지의 긴장관계들이 있다.116)

첫째, 개인적인 것과 공동체적인 것 사이에 오는 긴장이 있다.

비록 교회가 언제나 모든 교회 구성원들의 통전성을 옹호해 왔지만, 이

러한 옹호의 결과는 종종 인격주의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보다는 개인주

의적인 방향으로 치닫기가 일쑤였다. 종교개혁 요소였던 하나님 앞에 선

개인의 이상 은 종종 공동체와 대립하는 것처럼 사고를 자극시켜왔고 극단

적으로는 성숙한 인간의 이상은 종종 누군가로 하여금 개인주의의 경향이

되게 할뿐만 아니라 거친 (rugged) 개인주의의 경향이 되게 했다. 그래서

소위 영웅주의나 일등주의를 인간의 성공의 전형으로 삼고 본질적인 인간

의 소명으로 알고 추구한다.

그러나 개인주의는 인격주의에 의해 산산이 부서졌다. 인격주의 금세기

에 나타났는데 개인주의와는 대조적으로, 인격주의는 모든 인간들이 평등

한 존엄성을 가지고 있다는 이해를 강조하고 모든 인간들이 창조주의 풍

성한 선물들을 누릴 권리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인격주의의 가장 위대

116) 위의 책, 33쪽.

- 53 -

Page 54: T0212712.pdf

한 공헌은 인격됨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해 왔다는 점과 아울러 한 인

격으로 존재한다는 것(to be)이 더불어 함께 존재한다는 것(to be with )을

의미한다는 점을 발견해 온 점이다. 말하자면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고 서

로서로 연합할 때만 우리는 온전한 인간들(Per sons )이 된다는 것이다. 인

격적인 존재가 된다는 것은 오직 우리가 공동체 안에 있을 때만 가능하다.

우리의 목회적 소명에 영향을 미치는 최초의 긴장은 개인의 인격적인

것과 공동체적인 것이다.

둘째, 지역성과 세계성의 긴장이다.

지역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경험된 교회와 보편적이고 전세계적이고 우

주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경험된 교회 사이의 긴장이 바로 그것이다. 역사

속에서 우리는 오직 하나님 앞에서만 궁극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자율적

이고 지역적인 회중이라는 비전을 선택하든지, 또는 세계적인 단위에서의

모든 다른 개교회들과 필연적으로 관련된 각각의 지역 단위의 교회를 지

니고 있는 우주적인 유기체라는 비전을 선택하던지 둘 가운데 하나만을

선택하는 경우가 반복적으로 일어났다. 그러나 이제는 두 비전을 함께 취

하지 않으면 안될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가 지역적인 차원에서 행하는 것

과 존재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지역적인 교회의 구성원인 우리 모두

가 다른 지역 교회의 구성원이기도 한 전체 교회의 맥락 속에 존재한다는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두 비전 가운데 그 어느 하나가

지배적인 것이 되게 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그것을 허용한

다면 한편으로는 고립과 자기 중심과 자기 집착에 빠질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멀리 떨어진 채 편협하고도 획일화된 권위주의에 빠질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지역적이든지 우주적이든지 우리 모두의 하나님이고, 동일한

- 54 -

Page 55: T0212712.pdf

별들, 동일한 달, 그리고 동일한 태양아래 거하는 우리 모두의 앞에 계신

분이다.

셋째, 교회에서의 목회자와 평신도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된 상황

이다.

이 둘의 관계에 있어 어느 정도로 협력뿐만 아니라 갈등도 언제나 함께

수반되어왔다. 그리고 많은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깨닫기는 하지만

실제적인 긴장은 사람들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은 우리 자신들이 목회자와 평신도로 부적절하게 점차적으로 나누이

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특별히 우리가 쓰고 있는 언어와 현저히 관련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그 언어가 가지는 상징체계(symbolism ), 배경

(sett ing ), 힘(pow er )에 의해 모양새가 이루어진다.117)

언어와 관련해서 우리 가운데 어떤 사람은 목회자로, 다른 어떤 사람은

평신도로 돌에 새겨진 구별이 이루어졌다. 언어는 그것이 상징하려고 의도

하는 것에 의해 형태가 이루어지고 또 재형태가 이루어진다. 정확히 그것

이 전달하려고 하는 상징적 실재를 수반하지 않는다. 오히려 지체인 우리

의 다른 역할들은 서로에 대해 상호 보완적이고 종종 겹쳐지기도 한다. 아

마도 신약시대를 제외하고 가장 분명한 상징은 백성 (people)이라는 상징

이다.

구별되지는 않지만 여전히 구별하려고 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의 소명을

감당하며 쌓아 온 배경(sett ing )이다. 모든 교회 공동체 안에는 특수한 생

의 목적을 가지고 일하는 전문 사역자들이 있다. 그들은 공동체에 의해 선

택되어져 공동체를 대표하고 공동체를 위한 직무를 감당한다. 그러나 목회

적인 소명을 위한 가장 보편적인 무대(setting )는 교회 밖의 일터이다. 우

117) 위의 책, 40쪽.

- 55 -

Page 56: T0212712.pdf

리가 살고 있는 실제적 삶의 현장에서 우리는 제사장이고 예언자이고 정

치적인 소명을 수행한다.

그 무엇보다도 그들은 힘을 공유해야 한다. 그들은 받을 힘과 기다릴 힘

뿐만 아니라 실천하고 활동할 힘을 공유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제 더 이상

목회적인 직무는 힘의 유일한 중심자리만이 아니다. 모든 교회 구성원들이

그리스도의 은혜 안에 거하는 힘을 부여받았다.

만일 이 주장이 참되다면 만일 이러한 힘들이 우리 모두 안에 거하고

있다면 우리는 교회가 어떻게 이 사람들을 교육시키는지에 대해 이전에

행했던 것보다 심오하고도 보다 폭넓게 이해하게 된다.

b . 교회: 교육적 소명을 지닌 하나님의 백성

1) 현재의 이해

교회교육은 평생교육이다. 이것은 너무나 분명해서 반복할 필요가 없

다. 평생교육으로서의 교회교육은 목회적 소명이 평생의 소명이기 때문에

우리의 출발점이 되어야만 한다. 세례와 입교식을 거쳐 복음에 부름 받은

백성에게는 생의 여정에서 그러한 소명이 끝날 때란 없는 것이다. 소명에

대한 교육이 계속 되어야 하고 우리가 성인됨의 발전 과정에서 더욱 더

풍요로워지고 정교해져야만 한다.

평생교육에 대한 이런 생각을 이행하고자 하면 두 가지 오해에 직면하

게 된다.118 )

첫 번째 오해는, 교육이 어린이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대

중신문, 미디어, 서적들이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교육은 어린이들만의

활동이라고 확신을 전하고 있다.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이 아닐 때에는

성인 (adult ) 교육이라는 말을 특별히 말함으로 을 말할 때에는 성인 교육

118) 위의 책, 47쪽.

- 56 -

Page 57: T0212712.pdf

과 (소위)진정한 교육을 구별한다.

교육적 상상이 단단히 붙들고 있는 두 번째 오해는 교육의 여러 형식들

중에 단지 하나의 형태에 불과한 학교교육만을 교육이라고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입장에서는 교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항상 교사와 학

생이고 교육장소는 학교 건물이나 그를 대체할 수 있는 건물이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자료는 책과 칠판과 과목별 지침서이며, 교육의 과정도 정신적

인 활동만 포함된다. 여기서는 형식이라는 말이 특히 중요하다. 학교를 넘

어서 교육의 개념을 확장시키려 할 때 우리는 이미 조작언어(operating

language)로서 비형식적 교육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는 기본적인 가정을

받아들이고 있다. 다시 말해, 그 문제를 다른 더 직접적인 방법으로 말한

다면, 학교가 바로 형식을 지닌 유일한 교육환경이라는 것이다. 그 밖의

것은 형식이 없거나 기껏해야 비형식적 교육이다. 그런데 이 비형식적 교

육은 지금까지 너무나 자주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다루어졌다.

우리가 교육을 어린들만의 것으로 여길 때 교육은 아무에게도 쓸모 없

게 되며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아무 유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뿐만 아

니라 교육의 의미를 학교에서 행해지는 어린이와 관계된 활동으로 제한시

키는 것은 반대한다.

이러한 이해 방식은 평생 목회적 소명을 지닌 백성들로 여겨지는 교회

의 경우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다른 배경과 다양한 방식으로 배

운 모든 세대의 백성이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우리가 소명을 실현시키

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형태들(forms)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며,

또한 이런 형태들에 주의를 기울이는 교육의 의미를 필요로 한다. 교육은

형태를 제공하는 활동이다.119)

2) 형태부여로서의 교육

119) 위의 책, 49쪽.

- 57 -

Page 58: T0212712.pdf

교육 활동은 형태를 구현하고 형태에 살을 붙이는 활동이다. 그러나

형태는, 많은 것 중에서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한 것과 같이 임의적으로 조

직된 요소는 아니다. 오히려 모든 예술가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형태는 실

제적으로는 내용이 구체화해 준다. 형태는 다른 내용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내용들을 정리해 준다. 형태는 내용에 경계와 한계를 정해주며, 필요에 따

라서는 규칙과 질서를 정해 준다. 우리가 더 넓고 완전하고 광범하게 교육

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에서의 교육의 필요를 검토해 보았을 때, 우리가

교회교육의 필요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은 형태를 창조하는 일종의 구조

형성의 과정으로 교회교육을 이해하는 것이다. 교회교육은 교회생활이 우

리에게 제공하고 우리 손에 놓아 둔- 진흙이 빚어지는 것처럼 빚도록 놓아

둔- 이런 형태들을 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우리를 목회적 백성으로

재형성시키는 이러한 형태들을 세우고 확대시키는 활동이다.120)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가브리엘 모란(Gabriel

Moran )의 이론에 의하면 교육이 목표가 있든 없든 삶의 형태를 재형성시

키는 것이라고 가르쳤다. 이 말에 대한 설명에서 그는 교육이란 목표

(end)를 가진- 다시 말해서 목적(purpose)과 의미를 가진- 삶의 형태들을

재형성하는 것 이라고 말함으로서 목표 를 더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즉,

그는 목표 라는 언어 속에 의미 라는 말이 내포되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교육은 목표가 없이 평생 동안 끊이지 않고 계속되는 활동

이기도 하다.121)

120) 위의 책, 50쪽.121) Gabriel Moran . No Radar to the Sky (San Francisco:harper & Row , 1987),

p.76, Maria Harris . Fashion M e A P eop le , 고용수 역, 『교육목회 커리큘럼』, 51쪽 재인용.

- 58 -

Page 59: T0212712.pdf

c. 교육자로서의 교회에 함축된 의미

교육이 형태를 예술적으로 제공하는 활동으로서 이해하고 또한 형태

가 고립되어 있을 때보다 학습의 형태들 간에 상호작용 속에서 교육이 일

어난다는 모란의 입장을 받아들일 때 교회의 모든 활동, 즉 교회의 사역이

란 관계된 여러 형태들을 유사하게 연결짓는 것임을 알게 된다.

교회의 교육사역은 디다케, 코이노니아, 케리그마, 디아코니아, 레이투

르기아와 같은 고전적 형태들 안에서 구현되고 존속되어 왔다.122)

·코이노니아(공동체와 교제): 공동체와 교제의 형태(형식)에 관여하는 활

·레이투르기아(예배와 기도): 예배와 기도와 영성의 형태에 관여하는 활

·케리그마(하나님의 말슴선포): 예수는 부활하셨다 는 케리그마에 관심을

갖고 삶의 언어로 실천하고 구현하는 활동

·디아코니아(봉사와 섬김): 교회에 대한 봉사와 개인적으로나 공동체적으

로, 또는 지역적으로나 세계적으로 세상에 대한 섬김에 관심을 갖는 활동

·디다케(교수와 학습): 교회 공동체내에서 - 교실수업을 포함하는- 가장

적절한 교수와 학습의 형태에 관심을 갖는 교육활동

이러한 목회(사역)형태들 중에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것도 다른 모든

형태들과 함께 존재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함께 존재할 때에

만 이들은 완전할 수 있다.

4) 제사장적, 예언자적, 정치적(왕적) 기능을 가진 교육123)

교회교육을 사역과 관계된 교회의 주요 형태들의 상호작용이라고 본

122) 위의 책, 52- 53쪽.123) 위의 책, 53- 55쪽.

- 59 -

Page 60: T0212712.pdf

다면 첫째,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유산들과 유서 깊은 전통적 형태들을 전

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성경, 전통, 선조들의 신앙생활, 신조 복음, 기도,

성례전, 율법과 같은 유산들은 교실수업보다는 오히려 예배와 설교를 통해

서 더 잘 배울수 있다. 기도의 삶은 기도에 관한 책을 읽기보다는 우리가

무릎꿇을 때에 가장 잘 배운다. 성례전은 성례전에 참여했을 때 풍성해진

다. 모든 사역의 형태들이 우리의 교육적 삶 속에 실현될 때 우리는 제사

장적 교육을 할 수 있다.

둘째, 예언적 목회적 소명에 도움이 된다. 정의로운 말을 하고 행동을

했을 때에도 우리의 말과 행동은 단지 그 섬김과 봉사가 교수, 학습, 그리

고 기도와 같은 더 내적인 활동과 관계할 때에만 신뢰감을 얻기 때문이다.

또 그 정의로은 일이 사려 깊고 신중하며 확고한 생각과 성숙한 학식과

지적인 탐구가 근거가 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해 준다. 기도와 성서연구는

마음과 머리를 강하게 해준다. 이같이 상호작용을 통해 예언적인 교육목회

를 확보할 수 있다.

세째, 정치적 특성을 지닌 교육을 할 수 있다. 토마스 그룸이 지적했듯

이 교육은 비정치적이거나 사적인 활동이 아니라 시대에 맞는 정치적인

활동이다. 사회적 협동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코이노니아, 케리그마, 다아

코니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질 때 교육사역이 정치적인 차원을 소홀히 다

루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5) 새로운 구조

이전의 구조에서는 교육목회는 개인과 임무를 부여받은 교회의 몇몇

사람에 의해서만 어린이들이 교회의 전승을 배우고 교회의 법을 준수하도

록 가르치는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현재의 새로운 구조에서는 공동체

전체가 전 공동체적으로 하여금 세상 한가운데서 사역을 하도록 가르치며

- 60 -

Page 61: T0212712.pdf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124)

교육구조

영역이전의 구조 현재의 구조

기 관 개인과 선임된 사람 전공동체활 동 수업과 교리주입 교육과 능력부여

참 가 자 어린이 전공동체

방 향 전통을 배우고 법을 준수함세상 속의 사역에 참여하

도록 함

6) 교육기관

교회의 있어 교육기관이란 실제적으로 그 일에 책임을 맡고 있는 사

람들뿐만 아니라 그 일에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포함해서 사용

한다. 우리 시대에 교회 교육기관의 가장 큰 변화는 교육의 책임이 개인이

나 몇몇 선임된 사람들로부터 공동체 전체로 이동한 것이다. 교육을 실시

하는 사람은 전공동체이며 또한 특별한 교육적 활동을 하도록 공동체에

의해 선임된 공동체내에 있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화가 미친 중

요한 영향은 개인들은 이제 자신들을 공동체의 뜻을 집행하는 자로서 이

해하게 되고, 또한 개인으로서의 그들은 공동체내의 교육에 근본적으로는

개인적으로서의 책임이 없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러한 근

본적인 책임은 신비로운 공동체인 교회전체, 유기체에 있다. 그래서 사람

들은 교회가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교회 전체가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125)

7) 교육활동

이제는 교육이 단지 교육과 강의라는 테두리에 머물러 있지 않고 더

124) 위의 책, 56쪽.125) 위의 책, 56- 57쪽.

- 61 -

Page 62: T0212712.pdf

포괄적이며 완전하게 이해할 때이다. 교회교육은 이제 가르침, 예배, 공동

생활, 선포와 예언적 설교, 섬김에 대한 교육 모두를 포함한다. 교육은 내

적인 능력을 발견하고 개발시켜서 교회와 복음을 위해서 그것을 사용하는

활동에 관계된 공동체의 생활도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은 여전

히 강의나 교화- 심지어 교리를 주입하는 것- 까지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

다. 중요한 것은 교육이 강의나 교화 같은 것이 교육의 의미에 포함되어지

는 유일한 활동이 아니라는 인식이다.126)

8) 교육참여

교육활동의 참가자들은 점차적으로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공동체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확대되고 있다. 교육목회의 형태를 전적으로 다루고

있는 회의나 집회들은 모든 계층, 모든 세대의 사람들을 안팎으로 끌어들

인다. 현재 두각을 나타내는 평신도들은 지속적으로 그들이 참여자가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으며, 자신들의 삶에 참여함으로 인한 효과

를 느끼고 있다. 이전에 지적한 그러한 실수들이 주장되는 지역적인 수준

에서는 교육의 의미가 더욱 확대되고 교육참여에 대한 변화된 이해가 교

회 회중들 사이에 존재한다. 이러한 깨달음은 교육이 참으로 평생교육이며

반드시 아이들을 참가자로 포함시키는 활동일지라도 그 교육은 아이들에

게만 독점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적용되어서도 안 된다는 것

이다. 교육주체로서 전공동체는 함께 생활하고, 말하고, 기도하고, 그리고

함께 예배를 드리는 전공동체의 삶을 통하여 연달아 사람들에게 깨닫게

하는 충격을 준다. 이 깨달음을 충격으로 인해 사람들은 나는 이 공동체

안에서 또한 이 공동체에 의해서 현재의 내가 되도록 교육받고 있습니다

라고 말함으로 자신들을 드러내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참여자는 전공동체

126) 위의 책, 57- 58쪽.

- 62 -

Page 63: T0212712.pdf

가 자신을 학습자로, 교육의 주체로, 교육의 과정이 끝이 없는 것으로서

알게 된다.127)

9) 교육방향

이전에는 교육의 방향과 목적이 연구와 독서, 청강을 통해 전통을 알

게되고 도덕률을 구체화시킨 법들을 준수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라고 여겼

는데 오늘날에는 그 지식과 배움으로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더 큰

맥락 안에서만 의미를 갖는다. 현재 형성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구조 틀에

서 교육방향은 전공동체가 전통과 법을 통하여 공동체를 교육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상 속에서 사역하는 목회적 소명을 교육하는 것도 포함된다. 다

시 말하면 교육은 목회적 삶의 형식들을 형성하고 재형성하는 쪽으로 나

아간다. 전통을 알고 하나님의 율법을 준수하는 것은 교육활동의 핵심이

다. 그러나 그들도 더 큰 맥락에 놓여져야 한다. 그 이유는 교회의 진정한

교육은 세상에서 종교인으로서 더욱더 적절하게 살아가고 창조하는 쪽으

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은 계속적으로 인간의 경험을 재생산, 재

창조, 재형성, 재조직하며, 또한 이러한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고,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으며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128)

2. 커리큘럼의 이해

교회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이해의 최근 동향은 교회 내 교회학교

127) 위의 책, 58- 59쪽

128) 위의 책, 90쪽.

- 63 -

Page 64: T0212712.pdf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교재(공과) 와 관련된 협의의 교육과정 이해를

넘어서서 광의의 개념으로 향하고 있다. 광의의 커리큘럼이란 교회라는

신앙공동체의 교육구조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활동, 관계 및 자

원의 총체 를 의미한다.129 )

마리아 해리스는 광의의 교육과정 개념에 기초한 교육목회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해리스는 학교교육의 커리큘럼과 교육의 커리큘럼을 구분

해서 교회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교회생황의 전 과정 으로 정의하고, 신

앙공동체에 속한 구성원(회중) 전체의 삶의 특징(형태)들이 커리큘럼을 형

성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130) 해리스에 의하면, 커리큘럼이라는 단어

가 성경에 없는 전문용어이지만, 사도행전의 원시기독교 공동체의 삶의 형

태 속에 이미 교회를 위한 커리큘럼의 원형을 담고 있다(행2:42- 47). 오순

절 성령강림과 함께 형성된 원시 기독교공동체의 삶 속에서 해리스는 그

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기쁜 소식을 선포하고(케리그마), 함께 모여

교제하고(코이노니아), 함께 기도하고 떡을 떼며 하나님을 찬미하고(레이

투르기아), 있는 자는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주는(디아코니아),

등의 삶의 형태를 교회를 위한 커리큘럼의 원형으로 삼고, 2000년 기독교

역사 속에 계승되어 오고 있는 사도적 교회의 삶의 형태를 교육목회 차원

에서 구조화해서 커리큘럼 이론을 발전시키고 있다. 즉 공동체가 지난 공

유성에 기초한 코이노니아의 커리큘럼, 예전에 관련된 기도의 커리큘럼,

가르침에 관련된 사역과 관련된 디다케의 커리큘럼, 복음의 선포와 관련된

케리그마의 커리큘럼, 섬김에의 봉사와 관련된 디아코니아의 커리큘럼 등

129) Donald Miller , 1987, 194쪽. 고용수, 하나님 나라와 교육목회 『장신논단』

16집 (서울:장신대 출판부, 2000), 663- 664쪽에서 재인용.130) Maria Harris . Fashion M e A P eop le , 고용수 역,『교육목회 커리큘

럼』, 65- 68쪽.

- 64 -

Page 65: T0212712.pdf

이다.131)

3. 기도 커리큘럼의 이론적 기초

본 논문에서 시도하는 기도커리큘럼의 이론적 기초는 해리스의 교회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의 다섯 가지 영역 가운데 예배와 예전(레이투르기

아)의 커리큘럼 이해에 기초한 본 교단 총회 교육부가 개발한 새 교육과

정 지침서에 근거하고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공동체는 더불어 함께 존재하는 자신의 고유한

모임의 방식 속에서 일정한 양식과 리듬들을 형태적으로 확립한다. 어떤

공동체가 기독교 공동체라면, 그 공동체가 개발하는 중심적인 형태와 규칙

가운데 하나는 공동체의 기도생활이다. 다시 말하면 공동체의 기도생활은

하나님의 신비를 전달하기 위한 특징적인 형태의 틀이다.

교육적인 사역의 커리큘럼의 구성요소로서 기도는 기도하도록 교육받

기도 하지만 기도에 의해 교육받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은 강의 시간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곳이 아닌 모든 곳에서 일어날 수 있다. 레

이투르기아는 예배하고 기도하는 목회적 소명에 따른 교회생활이다.

a. 교회 내의 기도 형태

기본적으로는 기도는 요청, 탄원, 또는 간청을 의미하지만, 그러나 종

종 특별히 신의 면전(현존)에서 그것의 의미가 확장되어 찬양, 감사, 그리

131) 위의 책, 89- 199쪽.

- 65 -

Page 66: T0212712.pdf

고 우리의 삶 속에서 일어나는 실패들과 악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는 행위

를 포함한다. 기도는 찬양, 참회, 감사, 탄원이다.

1) 개인적인 기도

우리는 하나님과의 교제 속에서 홀로 보내는 시간을 통해서 교육을

받는다. 그 형태로는 입술(말)로 하는 기도, 명상의 기도, 그보다 더 몰두

하는 관상의 기도가 있다. 입술로 하는 기도는 하나님에게 말씀드리기 위

해 말들을 사용한다. 명상적인 기도 속에는 우리 자신을 하나님의 현존(임

재) 앞에 조용히 위치시키고, 깊고도 규칙적으로 호흡하고, 아울러 특별한

주제에 관하여 생각하고, 성찰하고, 또는 명상한다. 이러한 기도 과정 속에

서 특별히 하나님이 그 주제와 관련하여 우리에게 바라시는 것이 무엇인

가를 묻게 된다. 관상적인 기도에서는 보다 의식적이고, 반성적이고, 정신

적인 힘들로부터 떠나고 그리고 특별한 사고로부터 벗어난다. 우리는 침묵

속에 빠져서, 들으려고 하고, 기다리려고 하고, 아울러 주의를 집중시키려

고 한다.132)

2) 공동의 기도

우리의 기도 생활은, 만일 우리의 기도가 오직 개인적인 것이라면, 단

지 절반 밖에 다다르지 못한 것이고 아울러 절반밖에 발전하지 못한 것이

다. 공동의 기도에 있어 그 정의는 그 기도 주체가 개인으로서의 우리가

아니라 기도하는 공동체로서 우리의 기도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공동의 기

도는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우리의 정체성을 창조하고 재창조하

기 위하여 필요한 형태이다. 왜냐하면 예전은 근원적으로 기도 중에 있는

백성 에 뿌리를 두고 있다.

132) 위의 책, 116- 117쪽.

- 66 -

Page 67: T0212712.pdf

공동의 기도 중에 잘 알려진 첫 번째 기도의 형태는 기도모임이다. 정

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성경을 묵상하고 나서 그 성경의 내용이 개인적

이고 공적인 생활을 위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성찰하는 일종의

고정된 형태의 절차가 있는가 하면, 그 모임이 성경 낭독 시간으로 이어지

는 경우도 있다. 즉 시편을 낭송하고, 찬양을 부르고 또는 간구하는 시간

으로 모임이 이어진다. 또 다른 형태는 매주마다 서로 다른 기도의 가능성

들이 시도될 수 있는 탐색의 시간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형태의 공동의 기도는 퇴수회이다. 카톨릭 전통에서 보다 흔한

형태이다. 퇴수회는 특히 동질적인 모임을 위해서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또

는 한 하나의 주제를 심도 있고도 끈기 있게 논의하기를 원하는 모임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퇴수회의 커리큘럼은 특정 모임의 사람들이 기도

하기 위하여 함께 모여서, 기도하기 위하여 교육받고, 기도에 의하여 교

육받고, 아울러 기도 속에서 교육받는 것이다. 중심적이고 핵심적인 공동

기도는, 이상적으로 말하면, 전체공동체가 참여하는 예배행위이다.133 )

b . 커리큘럼의 과제들

개인적이고 공동적인 기도를 통하여 교육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네

가지의 과제들이 오늘날의 교회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첫째, 개 교회는 목

회자들, 직원들, 그리고 회중들의 사역을 통하여 가르침, 설교, 그리고 재

정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동일하게 영성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 기도와

정의를 위한 행위를 분리하는 것을 거부해야 한다. 셋째, 다양하고 복합적

인 역할과 참여를 고무시키는 예배행위를 설계해야 한다. 넷째, (커리큘럼

의) 자원들을 위한 센터가 되어야 한다.134)

133) 위의 책, 119- 121쪽.

- 67 -

Page 68: T0212712.pdf

1) 영성

교회 구성원들이 보다 깊이 있고 심오한 삶에 대한 갈증들이 다양하

게 표출되고 있는데 그것에 대응할 형태들을 필요로 한다. 바로 여기가 케

리그마, 디아코니아, 디다케, 코이노니아, 레이투르기아의 상호작용이 현저

하게 나타나는 지점이다. 영성은 이러한 모든 것들을 통하여 교회공동체

안에서 성장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주된 작업은 우리가 종사하는 교육적인

사역의 형태가 무엇이든 간에 그것이 영성을 고무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가를 하는 것이다. 기도는 교육사역에 중심적인 것이고 일반적인

출발점이다. 그러나 영성은 기도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영성

은 근본적으로 우리가 하나님 앞에 선 채 세계 속에 존재하는 방식이

다.135)

2) 기도와 정의의 통합

목회적인 소명을 탐색하는 공동체를 위하여 설정해 주는 우리의 과제

는,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의 몸이 되려는 하나의 단일한 소명 가운데 이들

커다란 두 측면(기도와 정의)를 통합하고 결합을 추구하는 일이다. 이러한

추구를 고무시키는 세 가지 방법은 성서를 원천 자료로 사용하는 것과 우

리의 십일조 헌금 내지 재정적인 관행을 살펴보는 것과 연례 정의를 위한

퇴수회를 갖는 것이다. 개인적인 기도와 공동의 기도 때에 모두 성서의 가

르침에 규칙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한달 내지 일년 정도의 기

간을 정해 우리의 기도모임과 예배에서 기도생활과 기도 정의의 문제와

분리하는 것에 대한 거절을 반영하는 십일조 헌금의 실천과 수입의 지출

134) 위의 책, 124쪽.135) 위의 책, 124- 125쪽.

- 68 -

Page 69: T0212712.pdf

을 어디에다 할 것인지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결

정은 주의 깊게 성찰하고 생각할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퇴수

회가 그러한 문제를 탐색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136)

4. 기도 커리큘럼의 이론적 지침

교육목회를 위한 교육과정은 말씀과 선포(케리그마), 예배와 예전(레

이투르기아), 가르침과 훈련(디다케), 교제와 친교(코이노니아), 봉사와 섬

김(디아코니아)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는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개요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기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으로 예배와 예전(레이투르기아)의 교육과정의 개요를 아래와 같이 요

약한다.

136) 위의 책, 125- 126쪽.

- 69 -

Page 70: T0212712.pdf

a. 예배와 예전 교육과정 개요137)

교육과정 예배와 예전핵심개념 예배와 예전, 기도, 절기를 통한 하나님 나라 경험 : 신앙화

기대되는

학습목표

(교육목표)

예배와 예전을 통한 하나님의 임재 경험과 감사의 응답

예배의 전과정을 통하여 드리는 예배의미와 가치경험

축제로서의 예배와 가치경험

삶으로서의 예배( 예배가 삶으로 확대되는) 경험

영성 이해와 가치경험

예배와 예전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문화( 삶의 스타일) 형성

성서

성서에 나타난 예배, 구약의 할례와 신약의 세례, 구약에 나타

난 성찬의 상징과 신약의 성찬, 성일과 절기, 찬양, 성서에 나

타난 기도

교회

교회 역사 속에서 예배의 형식과 특징, 다양한 교회들의 예배

형식과 특징, 성례전과 관련된 예배, 절기, 찬양, 기도형식과

특징역 사

(세계)오늘의 세계 속에서 우리가 응답해야 할 예배와 예전 사역

교육의 과

정 및 방법

과정: 준비, 참여, 만남, 결단, 삶으로의 실천, 돌아봄

방법: 경험하기, 현장학습, 비교관찰, 여론조사, 증언청취, 전

시, 나눔, 모범 보여주기, 기도실천 등제공된

학 습 경 험

기회

(프로그램)

예배순서에 나타난 요소들을 통한 교육, 예배교육과 다양한

예배경험, 성만찬/세례를 통한 교육, 교회력에 따른 교육, 기도

생활 위한 교육, 찬양을 통한 교육

교육의 장 교회, 가정, 사회(학교, 직장 등), 미디어교육평가 개인행동 평가, 예배프로그램 참가, 예배환경 평가

지도자예배교육을 위한 지도자, 예배 인도자, 가정예배인도자, 찬양

인도자

제공될

자료

(1) 예배와 예전 교육과정 지침서

(2) 예배 자료서(예식서 기도자료 포함)

137)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 편, 『교육과정 이론 지침서(Ⅱ)/ 영역』, 37쪽.

- 70 -

Page 71: T0212712.pdf

b. 예배와 예전 가운데 기도의 교육과정

1) 핵심개념

기도는 하나님을 만나고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도록 하는 중요한 통

로이다. 기도를 통해서 신앙인의 신앙화, 또는 영성화를 이룬다. 기도는 인

간이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며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것이며 신앙의

관계성에 그 질 이 높아져 궁극적으로 신앙의 문화화(또는 영성화)를 이루

게 하는 것이다.

2) 학습목표: 신앙화

① 하나님의 임재 경험과 감사의 응답: 기도를 통해 하나님이 살

아 계시며 나와 함께 하시는 분이라는 확실한 하나님의 임재 경험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예배를 통해 그 하나님께 응답하는 경험을 함께 누리게

되는 것이다.

② 영성 이해와 경험: 기도는 하나님 아버지와의 영혼의 깊은 대

화이다. 또한 그리스도인의 영혼의 호흡이기 때문에 호흡하지 않는 사람은

죽은 상태인 것처럼 기도 없는 그리스도인은 이름은 있으나 무기력한 그

리스도인인 것이다. 또한 QT 란 하나님과의 실제생활 안에서의 동행과 교

제이다. 비록 깊은 신앙의 경지를 맛보았을지라도 하나님을 잊는 순간 형

식적, 율법적, 자아 중심적 , 의무적 신앙으로 서서히 굳어질 가능성이 있

다. 따라서 모든 헛된 행위 가운데서 잠시 멈추고 창조주 하나님을 생각해

보는 것, 그래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것이 필요하다. 기도와 QT 는 하나

님 생각(사모, 동경, 경외, 기억, 경외, 의뢰, 간구, 기억, 충성, 약속, 헌신,

찬양, 감사등)으로 시작되는 영성훈련이다.

③ 하나님 나라의 문화형성: 기도의 성서, 신학적 의미들을 가르

- 71 -

Page 72: T0212712.pdf

치고, 구체적으로 기도의 방법을 가르치고 훈련함으로 점점 더 하나님의

현존 가운데서 살아가게 한다. 개인기도나 공동 기도의 훈련을 통해서 기

도를 생활화할 수 있게 한다. 같은 목표를 가지고 또한 서로의 기도 제목

을 나누어 서로를 위해 기도하면서 하나님 안에서 연대감과 공동체 의식

을 갖게 한다.

3) 교육내용

① 성경에 나타난 기도

㉠ 구약시대에 나타난 기도

·모세 오경에서의 기도

창세기 2- 4장의 아담, 하와, 가인

창세기의 첫번째 기도의 명백한 언급은 창세기4:26의 에노스 때부

터 아브라함 모세

·역사서에서의 기도

삼상22:9- 10 ; 23:2- 14 ; 30:7- 8. 삼하2:1- 23 ; 6:13- 18 ; 7:18- 29,

24:10- 17

·예언서에서의 기도

엘리야의 기도, 엘리사의 기도, 아모스의 기도, 이사야의 기도,

예레미야의 기도, 하박국의 기도, 에스겔의 탄원기도, 요나의 기

·시편에서의 기도

·지혜서에서의 기도

㉡ 신약에서의 기도

·복음서에서의 기도

- 72 -

Page 73: T0212712.pdf

예수의 기도생활: 철야기도, 새벽기도, 심야기도- 겟세마네, 십자가

상의 기도

예수님이 가르치신 기도: 마6:9- 13 ; 5:44 ; 6:25- 33 ; 7:7- 11 ;

9:37- 38 ; 11:25- 27 ; 눅1:10 ; 1:29 ; 2:21- 38 ; 6:12- 16 ; 9:18- 21,

28- 36 ; 22:39- 46 ; 23:34- 46 ; 요14:8- 10

·사도시대의 기도: 베드로의 기도, 바울의 기도- 행14:23 ; 16:13,

16- 25 ; 20:36- 37 ; 21:5- 6 ; 25:36- 41, 바울서신에서 나타난 기도,

다른 서신의 기도

② 교회 내의 기도의 형식과 특징

㉠ 교회 속에서의 기도

초대교회

고대교회

중세교회- 수도원 운동

종교개혁자들의 기도

종교 개혁 이후의 기도 : 개신교의 기도, 카톨릭의 기도

㉡ 기도와 주기도(마6:9- 13, 눅11:2- 4)

③ 역사 속에 나타난 다양한 기도의 형태와 영성훈련

㉠ 기도와 관련된 내용

기도의 원리

기도의 요소: 찬양- 감사- 참회- 중보- 간구

㉡ 기도의 다양한 형태

나날이 삶에서 드리는 기도, 예배 가운데 드리는 기도

㉢ 기도의 표현 유형, 기도의 실제

- 73 -

Page 74: T0212712.pdf

찬양의 기도(하나님을 높이는 기도)

간구의 기도(자신을 위한 기도)

중보의 기도(이웃을 위한 기도)

㉣ 기도의 훈련

㉤ 찬양과 기도- 찬양으로 드리는 기도

㉥ 삶으로서의 기도

4) 기도 교육의 과정 및 방법

① 기도교육 과정

㉠ 준비 : 기도에 대한 동기부여와 기도에 대한 마음의 소망들을

가진다.

㉡ 참여(접촉) : 기도하는 모임에 참여하여 함께 기도한다.

㉢ 만남(참여를 통한 가치 발견) : 기도의 능력, 기도의 응답, 하

나님과의 만남을 체험하여 기도의 필요성들을 깨닫는다.

㉣ 결단(가치를 내면화하는 단계) : 기도의 응답에 대한 가치를

믿음으로 받아드리고 나를 향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한다. 하나님의 음성에

대한 자신의 영적 삶을 구체화시킨다.

㉤ 삶으로의 실천(책임수행의 단계) : 기도의 응답에 대해 믿음의

결단과 삶의 실천을 언어와 행동으로 옮긴다.

㉥ 돌아봄(평가와 반성의 단계) : 기도생활에 대해 바른 기도의

삶과 성경적 해석 내지 응답에 대한 결단과 그 결과들을 점검한다.

② 방법

㉠ 기도문 따라하기

㉡ 자신의 기도문으로 기도하기

㉢ 소리내어 기도하기

- 74 -

Page 75: T0212712.pdf

㉣ 대표기도하기

㉤ 묵상기도하기

㉥ 관상기도하기

5) 학습경험하기

① 대표기도하기

② 기도모임 인도하기

6) 기도 교육의 장

① 가정에서의 기도모임

② 교회에서의 기도모임

③ 사회(학교, 직장)에서의 기도모임

④ 미디어(매체)를 통한 기도훈련 모임

7) 기도 평가

① 개인기도 평가

㉠ 기도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나?

㉡ 기도의 내용이 심화되고 있나?

㉢ 기도를 통해 신앙이 성숙하고 있나?

② 기도 프로그램 평가

㉠ 기도 훈련자의 수준에 적절했나?

㉡ 기도에 대한 기대와 소망을 이끌어 내었나?

㉢ 기도의 중요성을 알고 지속적 기도를 위한 결단을 이끌어 내었

나?

③ 기도환경 평가

- 75 -

Page 76: T0212712.pdf

㉠ 기도 모임을 위한 적절한 분위기였나?

㉡ 기도 인도자와 기도 훈련자와의 관계가 긴밀했나?

㉢ 기도훈련을 위한 제반 행정적 협조가 잘 이루어졌나?

8) 기도 지도자

영적 분별력과 깊은 기도의 체험적 신앙과 지속적인 기도의 사람

으로 기도를 이끌어 갈만한 리더쉽과 영적 장악력을 가진 영성의 사람이

어야 한다.

9) 기도 자료

각종 기도문과 기도자료, 기도를 위한 성경공부 교재

- 76 -

Page 77: T0212712.pdf

10) 예배와 예전을 통한 교육 방법의 요약138)

신앙 경

험 영역가르침과 배움의 과정

신앙의 생

명성, 신앙

의 공동체

신앙형성

의 요소구체적 방법들

예배

예전을

통한

교육

방법

예배(또는 기도생활)에 참

여함을 통해 예배를 경험

하고, 예배를 통한 하나님

과 나, 성도간의 만남의

의미가 발견되고, 이를 개

인 및 공동체적 신앙의 차

원으로 받아들이며 예배의

순서에 신령과 진정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삶 속

에서 하나님을 향한 예배

를 경험한다.

신앙의 생

명성

신앙의 공

동체성

이해,

상상력

감정의

면,

주관적

참여에

의한

자기인식

,

결단,

초월성

다양한 예배를

통한 의미경험,

예배순서를 통한

의미경험, 성만

찬과 세례를 통

한 의미경험, 기

도생활 경험(묵

상훈련, 기도훈

련, 기도모임, 퇴

수회 등), 교회

력에 따른 의미

경험

138) 위의 책, 159쪽.

- 77 -

Page 78: T0212712.pdf

11) 기도 교육 방법

신앙 경

험 영역가르침과 배움의 과정

신 앙 의

생 명 성 ,

신 앙 의

공동체성

신 앙 형 성

의 요소구체적 방법들

기도

교육

방법

기도생활에 참여함을 통해

기도를 경험하고, 기도를

통한 하나님과 나, 성도간

의 만남의 의미가 발견되

고, 이를 개인 및 공동체적

신앙의 차원으로 받아들이

며 기도에 참여할 뿐만 아

니라 삶 속에서 기도의 응

답과 기도의 실천적 믿음

을 경험한다.

신 앙 의

생명성

신 앙 의

공동체성

이해,

상상력 감

정의 면,

주관적

참여에 의

자기인식 ,

결단, 초월

다양한 기도생활

경험 (묵상훈련 ,

기도훈련, 기도

모임, 퇴수회

등)을 통해 의미

경험

- 78 -

Page 79: T0212712.pdf

12) 기도의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기도

핵심개념 기도 : 신앙화

기대되는

학습목표

(교육목표)

하나님의 임재 경험하는 기도

삶과 연결된 기도

영성 기도

하나님 나라 문화를 만드는 기도

성서 성서에 나타난 기도

교회 기도 형식과 특징

역 사

(세계)역사 속에서 응답해야 할 기도

교육의 과

정 및 방법

과정: 준비, 참여, 만남, 결단, 삶으로의 실천, 돌아봄

방법: 경험하기, 현장학습, 비교관찰, 여론조사, 증언청취, 전

시, 나눔, 모범 보여주기, 기도실천 등제공된

학 습 경 험

기회

(프로그램)

기도 생활을 위한 교육

교육의 장 교회, 가정, 사회(학교, 직장 등), 미디어교육평가 개인행동 평가, 기도프로그램 참가, 기도환경 평가지도자 기도 교육을 위한 지도자, 기도 인도자

제공될

자료

(1) 기도 지침서

(2) 기도 자료

B. 교육의 실제

1. 기도 유형에 따른 실제

- 79 -

Page 80: T0212712.pdf

a . 공동기도 함께 하기

1) 공동기도 커리큘럼

교육과정 예배와 예전

핵심개념 기도 : 그리스도의 몸, 그리스도의 지체

기대되는

학습목표

(교육목표)

1) 형제와 지체들에 대한 공동체 의식( 일체감) 을 회복하고

하나님의 마음으로 형제들과 이웃들을 돌아보게 한다.

2)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의지들을 경험하게 한다.

3) 하나님 나라를 확장해 가는 소중한 하나님의 도구임을 깨

닫게 한다.

성서 주기도문(마6:9- 13 ; 눅11:2- 4)

교회

교회의 본질, 존재의식에 대한 확고한 의식을 깨우쳐 준다.

한국교회의 특성상 통성 기도를 통해 기도를 이끌어 나가는

것이 효율적이다.역 사

(세계)

공동체의 현실 속에서 가장 민감하고 긴급한 기도를 중심으

로 구체적인 기도 제목을 가지고 기도한다.

교육의 과

정 및 방법

과정: 준비, 참여, 만남, 결단, 삶으로의 실천, 돌아봄

방법: 경험하기, 현장학습, 비교관찰, 여론조사, 증언청취, 전

시, 나눔, 모범 보여주기, 기도실천 등

제공된

학 습 경 험

기회

(프로그램)

기도해야 할 기도제목에 대한 내용을 보고 체험하게 한다.

사회적 전반적 문제를 기록이나 영상물 등으로 고발하고 기도에 대

한 도전을 준다. 사회문제 전문가나 교회문제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강연을 듣거나 아니면 미리 자료를 준비한 사람들을 통해 기도해야

할 문제들에 대해 보고를 듣는다.교육의 장 교회, 가정, 사회(학교, 직장 등), 미디어교육평가 개인행동 평가, 기도프로그램 참가, 기도환경 평가지도자 기도 인도자

제공될

자료

(1) 주기도문

(2) 공동의 기도제목

- 80 -

Page 81: T0212712.pdf

2) 기도모임 인도

(1) 공동기도 함께 하기의 초보 단계

기도 초보자는 아직 기도나 기도 모임에 익숙하지 않다고 하는 전

제 아래서 초보 기도자를 기도 모임과 기도 모임 순서에 참여할 수 있도

록 배려해 주어야 한다. 그 날의 기도모임의 성격, 목적, 기도의 내용, 기

도의 순서, 구체적인 기도의 제목까지 매우 세심하게 유인물을 만들어 참

여자들에게 배부하고 기도 모임에 함께 깊이 들어 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한 기도 초보자를 위한 배려는 기도의 시간이다. 너무 지

나치게 기도 중심에 무게를 실었을 경우 자칫하면 기도모임 자체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도회는 항상 성

령의 임재를 경험하는 자리임으로 너무 의도적으로 이끌어 가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기도 인도자는 이런 점에서 기도자와 기도 모임을 조율해 가

는 탁월한 영적 능력이 있어야 한다.

공동체 기도는 개인 기도와는 달리 개인 기도에서 늘 소홀히 여길 수

있는 사회문제들에 대해 깊은 관심과 영적 통찰력, 세심한 분별력을 세워

가는 기도여야 한다.

나라 와 세계를 위한 기도제 목 139 )

⊙ 문화

·매일 매일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진리의 가치관을 상실하지 않게 하

소서

·비인간화와 도덕적 혼란이 사라지고 주님의 말씀 위에 서게 하소서

⊙ 통일

·조국통일에 대한 희망찬 기대가 더욱 현실화되게 하소서

139) 손수완. 『기도 훈련』, (서울:베드로서원, 2002), 117쪽.

- 81 -

Page 82: T0212712.pdf

·두터운 불신의 벽이 허물어지고 화해와 평화의 길이 펼쳐지게 하소서

⊙ 정치

·파벌, 특혜, 정치사찰, 파행 국회운영, 불법대출, 국정위기라는 용어가

사라지고 서로 이해하며 노력하는 이 나라의 위정자들이 되게 하소서

·위정자들이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정직과 성실로 일하게 하옵소서

⊙ 경제

·경제를 걱정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줄어들고 경제적 안정을 이루게

하소서

·금융시장이 안정되고 경제 구조개혁이 원활하게 하옵소서

⊙ 지구촌

·모든 이의 인권이 소중히 여김을 받으며 지구촌에 살고 있는 이들이

넉넉하고 따뜻한 생활을 하게 하옵소서

·전 세계인이 드리는 평화의 기도가 이루어지게 하소서

공동기도 모임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찬양: 전체적인 기도 시간에 맞추어 잘 배분하여야 하되 30분 정도가

적당하다.

② 말씀선포: 그날의 공동체의 기도 제목에 맞는 말씀을 선포한다.

③ 통성 기도: 기도모임에 성령께서 임재하심과 성령 안에서 모든 지체가

하나될 수 있도록 기도한다. 이 때 초보자를 위해 성령의 임재가 무엇인지

를 가르쳐 주어야 한다. 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가를

간단하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④ 기도제목 읽기: 다함께 순서지의 기도제목을 읽는다.

⑤ 기도제목 별 문제 제기: 기도제목에 대한 영상물이나 기록문서를 보든

지, 아니면 전문가들을 통해 문제의식을 갖게 한다. 그것도 어려우면 미리

- 82 -

Page 83: T0212712.pdf

기도회 참여자를 통해 기도제목들에 대한 문제들을 준비하게 하고 그들의

보고를 들으면서 왜 우리가 기도할 수밖에 없는가를 소개한다.

⑥ 관계된 성구 읽기: 문제에 대한 적절한 성구가 있으면 함께 소개한다.

적당하지 않으면 넘어가도 된다.

⑦ 다함께 주어진 기도 제목으로 기도하기: 2- 3분 이상이 되지 않게 한다.

좀 더 섬세하게 진행하려면 여기에서 구체적인 기도문을 써주는 것도 도

움이 된다. 그래서 기도 초보자들로 하여금 기도에 참여하도록 도와준다.

⑧ 찬양: 다음 기도 제목을 위해 영적 능력을 공급받기 위해 찬양을 깊이

있게 한다.

⑨ 감사의 친교: 기도가 끝나면 다함께 손을 잡고 찬양을 하든지, 아니면

함께 서로 격려하고, 축하하고, 인사를 나누게 함으로 서로 더 깊은 영적

일체감을 느끼게 해주어야 한다.

⑩ 주기도문이나, 인도자의 기도나, 축도로 기도회를 마친다.

(2) 공동기도 함께 하기의 심화단계

전체의 진행내용은 초보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한다. 그러나 이미 기

도에 대한 맛을 알고 깊이를 아는 심화단계의 기도자는 기도시간이 문제

가 된다. 기도시간이 너무 짧아서 기도가 단절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무

엇보다도 중요하다. 기도가 점점 더 심화되어 가도록 인도자는 그 진행 방

법들을 지혜롭게 잘 이끌어 나가야 한다.

① 찬양: 전체적인 기도 시간에 맞추어 잘 배분하여야 하되 30분 이상이

적당하다.

② 말씀선포: 그날의 공동체의 기도 제목에 맞는 말씀을 선포한다.

③ 통성 기도: 기도모임에 성령께서 임재하심과 성령 안에서 모든 지체가

하나될 수 있도록 기도한다. 이 때 초보자를 위해 성령의 임재가 무엇인지

- 83 -

Page 84: T0212712.pdf

를 가르쳐 주어애 한다. 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가를

간단하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④ 기도제목 읽기: 다함께 순서지의 기도제목을 읽는다.

⑤ 기도제목 별 문제 제기: 기도제목에 대한 영상물이나 기록문서를 보든

지, 아니면 전문가들을 통해 문제의식을 갖게 한다. 그것도 어려우면 미리

기도회 참여자를 통해 기도제목들에 대한 문제들을 준비하게 하고 그들의

보고를 들으면서 왜 우리가 기도할 수밖에 없는가를 소개한다. 단지 초보

자 단계에서는 하나의 기도제목에 대해 문제 의식을 제기했다면 2- 3개의

기도제목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다.

⑥ 관계된 성구 읽기: 문제에 대한 적절한 성구가 있으면 함께 소개한다.

적당하지 않으면 넘어가도 된다.

⑦ 다함께 주어진 2- 3개의 기도 제목으로 기도하기: 초보단계에서는 기도

제목 하나 하나에 문제제기를 하고 기도를 2- 3분 동안 하도록 진행했다면

심화단계의 기도자들은 기도 제목 2- 3개를 함께 묶어서 기도하게 하고

5- 10정도 깊이 있는 기도를 하도록 배려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기

도는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가운데 인도자가 기도 제목을 전달함으로써 기

도가 끊어지지 않고 지속될 수 있도록 기도를 도와주는 역할을 인도자가

해주어야 한다. 그리하여 영성이 심화될 수 있게 하고 기도가 열기가 더욱

가열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심화단계의 기도자들에게 또 하나의 도전을 줄 수 있는 것은 기도의

제목을 다라 기도하는 중에 마무리 기도를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기

회를 줌으로서 함께 기도할 수 있는 동기부여뿐만 아니라 기도제목에 대

한 긴장감을 높일 수 있다.

⑧ 찬양: 심화단계의 기도자들에게 있어 찬양은 기도를 끌어갈 수 있는 영

적 능력을 공급받는 단계로서 단순하고 깊은 영성의 찬양들을 함으로써

- 84 -

Page 85: T0212712.pdf

기도하는 순간 기도의 능력이 폭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⑨ 감사의 친교: 기도가 끝나면 다함께 손을 잡고 찬양을 하든지, 아니면

함께 서로 격려하고, 축하하고, 인사를 나누게 함으로 서로 더 깊은 영적

일체감을 느끼게 해주어야 한다.

⑩ 주기도문이나, 인도자의 기도나, 축도로 기도회를 마친다.

- 85 -

Page 86: T0212712.pdf

b. 개인기도 따라 하기

1) 개인기도 커리큘럼

교육과정 기도

핵심개념 기도 : 영성기도

기대되는

학습목표

(교육목표)

1) 하나님의 임재 경험하는 기도

2) 영적 성장

3) 하나님 나라를 이룸

성서 마태복음 17:1- 8

교회 구송기도, 명상(묵상)기도, 관상기도

역 사

(세계)

내 마음에 먼저 하나님 나라를 이루고 나아가 세상에서 하나

님 나라에 대한 증거자가 된다.

교육의 과

정 및 방법

과정: 준비, 참여, 만남, 결단, 삶으로의 실천, 돌아봄

방법: 경험하기, 현장학습, 비교관찰, 여론조사, 증언청취, 전

시, 나눔, 모범 보여주기, 기도실천 등제공된

학 습 경 험

기회

(프로그램)

기도 모임이나 기도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교육의 장 교회, 가정, 사회(학교, 직장 등), 미디어교육평가 개인행동 평가, 기도프로그램 참가, 기도환경 평가지도자 기도 교육을 위한 지도자, 기도 인도자

제공될

자료

(1) 기도 지침서

(2) 기도 자료

2) 개인기도의 실제

(1) 구송기도 따라 하기

① 구송기도 따라 하기의 초보 단계

㉠ 찬양: 10- 30분 찬양을 통해 마음을 정리하고 성령의 임재를 소망한다.

- 86 -

Page 87: T0212712.pdf

㉡ 기도: 구송 기도를 자신의 의지대로 할 수 없는 경우는 기도문으로 기

도한다.

예) 기도문

우리 인생의 해답이신 주님, 주께서는 언제나 우리를 외면하지 않으시

고 필적할 수 없는 사랑으로 이끌어 주시니 감사 드립니다. 언제나 주님

사랑합니다 고백하는 입술이 되게 하옵소서. 불신앙적인 말이나 세속적인

궤변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말의 올무에 걸리지 않게 하옵소서. 타인과 형

식적인 만남의 관계가 되지 않고 진솔한 삶의 교제를 나누는 관계를 형성

하게 하옵소서. 주께서 가르치시는 말씀에 청종하며 예수님의 권위에 순복

하는 삶이 되게 하옵소서. 주께서 가르치시는 말씀에 청종하며 예수님의

권위에 순복하는 삶이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

비록 기도문을 읽는 기도라 할지라도 기도문의 내용이 전심으로 자신의

신앙고백으로 여기고 기도해야 한다.

또한 비록 유려한 기도문이 아니라 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이미 우리의

마음의 소원을 다 알고 계심으로 기도자의 마음을 받으시기 때문에 비록

조잡하고 거치게 느껴지더라도 자신의 입으로 고백하는 기도를 하나님께

서 기뻐하신다. 그러므로 길게 하려고 노력하지 말고 짧은 문장으로 소리

내어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하면 초보 단계의 기도의 단계에서

는 훌륭한 기도이다.

다양한 기도문을 읽고 써보고 다른 사람들의 기도에 함께 참여함으로

성령께서 때가 되면 기도의 문을 열어 기도하고자 하는 여러 가지 기도제

목들을 마음껏 정성껏 기도하게 하실 것이다.

㉢ 찬양: 한가지 제목기도가 끝나면 다른 기도문이나 기도 제목으로 기도

를 계속해 나간다.

㉣ 기도문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기도하는 시간을 늘여 가는 것도 구송 기

- 87 -

Page 88: T0212712.pdf

도의 초보 단계에서 유익하다.

㉤ 주님 가르치신 기도로 마무리한다.

② 구송기도 따라 하기의 심화 단계

㉠ 찬양: 30분 이상 찬양한다.

㉡ 성경 읽기: 그날 주어진 말씀이나, 기도하고자 하는 내용과 관계된 말

씀이나, 기도에 관한 말씀을 묵상하고 주어진 말씀의 내용들을 마음속으로

정리한다.

㉢ 기도: 그 날의 준비된 기도나 아니면 성령에 인도하심을 따라 기도한

다. 10- 20분

동안 간절히 하나님께 부르짖어 기도한다.

㉣ 찬양: 성령의 인도하심을 바라는 마음으로 찬양한다.

㉤ 말씀 묵상: 읽었고 마음으로 정리된 말씀을 더 깊이 내면 속으로 정리

한다.

㉥ 기도: 기도하되 앞에서 구한 기도의 제목들에 대한 실천적인 응답을 구

한다.

㉦ 말씀 묵상: 실천적인 내용들을 정리하고 구체적으로 행할 능력과 힘을

구한다.

㉧ 감사 찬양: 기도에 응답하실 주님을 찬양한다.

㉨ 주기도문: 마무리 기도한다.

(2) 명상(묵상)기도 따라하기

명상(묵상)의 단계는 초보 단계나 심화 단계로 구분하기보다는 오히

려 관상의 단계로 들어가는 초입의 과정임으로 명상(묵상)기도 그 자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명상에는 몸의 자세가 중요한데 무릎을 꿇거나 서

- 88 -

Page 89: T0212712.pdf

도 되지만 앉는 자세가 좋다. 기도할 때는 가급적 기대지 말고 허리를 곧

게 세우고 바른 자세로 딱딱한 의자나 바닥에 앉아서 기도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호흡이 중요한데 들숨과 날숨을 의도적으로 천천히 호흡해야 한다.

적어도 한번에 20분 정도의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① 주제 찾기: 명상의 주제를 잡는다. 성경구절, 기도문, 책의 내용 중에서

얻은 통찰 등을 찾는다.

예) 주기도문, 예수의 기도에서 나오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여 죄인인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 아바 아버지 , 예수 , 시편 중에서 한 귀절을 읽으

면서 내 마음으로 주의 이름을 경외하게 하소서 등의 주제를 잡는다.

② 집중: 주제에 대한 집중을 통해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사실들을 바라보

기 위해 되풀이한다.

예) 주기도문의 예를 들면 하늘에 계신- 침묵- , 우리 아버지- 침묵- 이런

방법으로 각 어절에 침묵함으로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사실들을 살핀다.

예수의 기도에서 하나님의 아들- 들숨- , 예수여- 날숨- , 죄인인 나를- 들숨- ,

불쌍히 여기소서- 날숨- 의 방법을 반복한다.

③ 의미 찾기: 스스로에게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이것이 나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것은 나의 삶과 어떤 관계를 가져야 하는가? 를

묻는다.

예)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는 무슨 의미인가? 하늘에 계신 아버지가

내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나의 삶과는 어떤 관계를 가져야 하는가? 하

늘에 계신 아버지는 나와는 다른, 구별된, 거룩한, 높고 높은, 존귀한 하나

님이시다. 그런데 땅에 있는 자, 죄와 죄의 결과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

는 나를 자녀 삼아 주셨다. 하나님이 나의 아버지가 되셨다.

묵상을 통해 주제들의 의미들이 다시금 새롭게 내면 속에서 정리되고

그 실체들의 의미가 나와 관계해서 조명되어진다.

- 89 -

Page 90: T0212712.pdf

하나님에 관한 다양한 주제들의 의미를 깊이 묵상하면 그 주제들이 내

맘을 지배하게 한다. 주제어나 단어가 가르치는 본질적인 일치를 향해 나

아간가.

(3) 관상기도 따라하기

① 유해룡 교수가 정리한 로욜라의 이냐시오의 관상기도140)

㉠ 초기단계: 주어진 사건 안에 있는 사람들과 말들과 행동들을 전체적으

로 주의해본다.

예) 집중기도법이나 거룩한 독서를 통한 기도법의 절차를 사용한다.

㉡ 시작단계: 그 장면 속의 사람들과 행동들을 개별적으로 보고, 관찰하고,

말들을 듣는다.

㉢ 활동단계: 그 사람들과 말들과 행동들 속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면서 상

상력을 연장시킨다.

㉣ 수동적인 단계: 연장된 상상 속에서 활발하게 참여했던 행동은 점점 멈

추어지고 수동적으로 응답한다.

㉤ 관상의 단계: 수동적인 상태에서 영적인 감각들이 열리고 주님이 베푸

신 은총을 맛보면서 그분과의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다.

② 이영두가 정리한 로욜라의 이냐시오의 관상기도의 단계141)

140) 유혜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267쪽.

- 90 -

Page 91: T0212712.pdf

준비단계

(양심성찰)

1. 하나님께 받은 은혜에 대해 감사하라

2. 죄를 잘 성찰하고 그것을 깨끗이 청산하기 위하여 은혜를

구하라

3. 아침에 일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각 시간마다 생각과 말과

행동에 대하여 자기 양심이 어떠했는지 성찰하라

4. 잘못에 대하여 우리 주님께 용서를 구하라

5. 하나님의 은총으로 말미암아 잘못된 부분을 뉘우치고 고칠

결심을 하라주 제 하나님 나라

본 문 누가복음 17:20- 21

준 비마음에 느낌이 올 때까지 본문을 읽는다

침묵과 내면의 평정을 찾는다

준비기도

나의 모든 의향과 행동과 노력이 오로지 하나님의 영광을 찬

미하고 그분만을 섬길 수 있도록 하나님께 은총을 구한다준비 시간은 15분 정도가 좋다

첫 째

길 잡 이

내가 관상하고자 하는 대상이 있는 구체적인 장소를 상상의

눈으로 그 장소를 설정한다(바리새인, 예수님등)

둘 째

길 잡 이

묵상 주제에 맞추어서 나의 소원을 기도한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관상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때를 생각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관상을 통해 하나님 나라가 내 안에서

어떻게 임하였는지를 생각한다.

요 점나의 밖, 외부적인 것으로 느꼈던 하나님 나라가 실상 내 안

에서 어떻게 임하여 존재하고 있는지를 찾아본다

담 화

나는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기대했고 하나님 나라를 위해 무

엇을 했으며 하나님 나라의 실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

하나님 나라를 위해 나는 무엇을 했나?

관상기도

후 반 추

기도가 어떻게 흘러갔나? 성령께서 어떤 메시지를 주셨나?

구하는 은총은 제대로 이루어졌나? 문제는 무엇인가?기록은 경험을 그대로 기록하라. 후에 영성 지도자와 상담을

할 때에 훌륭한 자료가 된다.소요시간 능동적인 기도시간: 1시간 수동적인 기도시간: 긴 시간도 가능

141) 이영두, 『기독교 영성』, 234쪽.

- 91 -

Page 92: T0212712.pdf

2. 기도 모임에 따른 실제

a . 예배를 통한 기도 커리큘럼

1) 주일 예배

주일 예배는 각 교회마다 예배 순서가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다만 이미 주어진 예배 속의 공적인 기도

를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기도의 영역을 확장해나갈 수 있느냐

고 하는 것이 주된 관점이다.

대한 예수교 장로회(통합) 총회에서 발간한 표준 예식서(한국 장로교 출

판사, 1997)에 의한 주일 예배 순서의 주 골격이 되는 주일예배 개요를 보

면 다음과 같다.142)

기본 구조

예배의 말씀

경배의 찬송

참회의 기도

용서의 확신

영광송

목회기도

구약의 말씀

142)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편, 『표준 예식서』(서울:한국장로교 출판

사, 1997), 40- 41쪽.

- 92 -

Page 93: T0212712.pdf

신약의 말씀

설교

신앙고백

세례

공동체를 위한 중보기도

평화의 인사

헌금

성찬초대

제정의 말씀

성령 임재를 위한 기도

주기도

떡을 뗌

떡을 나눔

잔을 부음

잔을 받음

감사의 기도

감사의 찬송

파송의 말씀

축도

성도의 교제 및 교회소식

여기서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도는 예배의 부름, 참회의 기도, 목회

- 93 -

Page 94: T0212712.pdf

기도, 공동체를 위한 기도, 설교후 기도, 헌금기도, 축도 등이 매주일 행해

지는 주요한 기도이다. 기존 시행하고 있는 예배순서 속의 기도들을 좀더

깊이 있게 다룰 때에 신자들이 기도의 깊이를 더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예배의 부름: 예배의 부름에서 성구를 낭송하던지 아니면 묵상으로 성가

대나 악기 반주만으로 드려지던지 다양한 방법 속에서 좀 더 능력 있는

기도와 예배 속에 깊숙이 들어가기 위해서 묵상의 기도에서 주제어를 찾

아내는 것과 같이 단순한 내적 외침을 외쳐야 한다. 성령님 오시옵소서 ,

주여 우리를 받으시옵소서 를 반복하여 고백함으로 성령의 임재를 느끼고

예배의 온전히 드려지는 산 제물이 될 수 있다.

·참회의 기도: 참회의 기도는 함께 드리는 구송기도로서의 참회기도와 내

적인 회개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집중기도(묵상, 명상)가 필요하다. 구송기

도는 누구든지 이 시대에 신앙공동체가 함께 순종하지 못했던 죄에 관해

참회를 하는 것이고 집중(묵상, 명상)의 기도는 자기 자신만이 아는 개인

적인 죄들을 참회하게 함으로 공동체적으로 개인적으로 함께 참회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목회기도, 공동체 기도: 이 두 기도는 대표 기도자들에 의해 드려지는

기도임으로 기도가 끝나고 성가대 또는 반주자의 후주가 이어지면 그때에

묵상기도와 같은 방법으로 내적인 신앙고백을 한다. 주여 우리의 기도를

기뻐받으시옵소서 , 우리의 기도에 응답하소서네 이런 짧은 기도문으로

대표자들의 기도가 진정 나의 기도가 되고 나의 마음이 하나님 앞에 함께

드려져야 한다.

·설교후 기도: 설교 후 기도는 대부분의 설교자들이 자신의 기도로 마무

리하기 때문에 실제 설교를 듣는 신자의 입장에서 신앙고백과 헌신이 이

루어지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먼저 예배에 참여한 모든 이들이 구송으로

설교의 주제어들과 의미들을 기도함으로 정리가 되게 하고 함께 구송으로

- 94 -

Page 95: T0212712.pdf

통성하게 함으로 주어진 오늘의 말씀이 신자들의 내면 속에서 성령을 통

해 능력 있게 임하여 삶 속에서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헌금기도: 헌금기도 역시 묵상기도를 통해 신자들의 헌신을 온전히 하나

님께 드려지도록 해야 한다.

·축도: 축도자의 성부, 성자, 성령의 주된 사역 안으로 들어가 일치를 경

험하게 한다. 짧은 시간이지만 영혼의 일치를 경험하도록 한다.

2) 수요 예배

수요예배의 형식은 자유롭지만 함께 공동기도를 이끌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구송기도로 합심하여 기도함으로 성령의 역사를 경험하게 되고

또한 예배 참여한 신도들이 하나됨을 체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

서 공동기도의 순서를 따라 함께 충분히 기도할 때에 영적 회복과 공동체

에 대한 애정과 헌신을 함께 끌어낼 수 있다.

·설교 후 기도: 구체적인 기도 제목을 나열하고 함께 구송으로 공동기도

를 5- 10분 동안 계속한다.

3) 새벽 기도회

기존의 새벽기도회에서는 주로 설교자의 말씀 중심과 개인의 청구

중심의 기도를 해왔다면 새롭게 시도할 새벽기도는 영적인 깊이를 더하고

하나님의 임재를 더 깊이 경험하는 기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설교자가

그 날의 말씀을 선포할 때에도 그 날에 묵상해야할 말씀의 핵심들을 설교

중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내던지 아니면 설교 후 개인기도 전에 함께 묵상

할 말씀의 주제어들을 전달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새벽기도회의 기

- 95 -

Page 96: T0212712.pdf

도는 묵상기도와 관상기도를 중심으로 기도하도록 도와준다. 전체 기도 시

간에는 아직도 여전히 구송기도에 익숙한 한국교회에서 구송기도 자체를

금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새벽기도회에 참석하는 신자들이 스스로 새

벽기도회의 기도 형태들을 이해할 때까지 조용한 침묵기도를 할 수 있도

록 묵상찬양을 들려줌으로써 묵상과 관상 기도에 들어 갈 수 있도록 분위

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통로만 확인될 정도의 낮은 조도의 조명

을 함으로 묵상기도와 관상기도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찬송: 설교 본문과 관련된 찬송을 부른다.

·인도자의 목회기도: 신자들의 그 날의 주어진 삶을 위한 생활기도와 교

회와 나라를 위한 기도 복음을 위한 기도를 드린다.

·설교: 10분 정도의 설교를 주제 중심으로 전한다.

·묵상기도: 묵상기도의 방법으로 15- 30분 정도 기도한다.

·관상기도: 묵상기도가 끝나고 좀 더 기도할 시간이 있는 신자들은 관상

기도에 바로 돌입한다. 관상기도는 관상기도의 방법으로 기도하되 1시간

정도나 아니면 좀 더 시간이 있으면 그 이상 기도한다.

4) 금요 기도회

금요 기도회는 전적으로 기도만을 위한 모임이기 때문에 찬양, 말씀,

기도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에 효율적이다.

·찬양: 30분 정도 영으로 찬양하게 한다.

·기도: 기도회를 위한 구송기도를 뜨겁게 한다.

·설교: 기도회와 연결된 말씀을 선포한다.

- 96 -

Page 97: T0212712.pdf

1부 공동기도

·찬양: 한 곡을 반복해서 여러 번 부르게 함으로 마음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하게 하고 찬양을 통해서 영적인 능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공동기도: 중요한 기도제목은 1개, 가벼운 기도제목은 2개씩 연속해서

5- 10분 동안 충분히 기도하게 한다. 중간에 기도가 끊어지지 않도록 반주

와 인도자가 긴밀히 전체 기도회를 이끌어 가야 한다. 통성으로 구송기도

를 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집중해서 기도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

어야 한다.

·찬양과 공동기도를 반복한다. 반복하는 기도를 할 때는 일체감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다함께 서서 기도를 한다든지, 손을 들고 기도를 한다든

지, 소리를 크게 내어 기도하는 것이 기도를 끌어올리는데 효과적이다.

2부 개인기도

·찬양: 느리고 조용한 찬송을 두세 번 부른다.

·기도: 관상기도를 한다. 구송기도를 통해서도 하나님과 일체감을 느낄

수 있겠지만 관상기도를 함으로써 개인적으로 깊이 있는 영적 체험으로

영적 회복과 영적 공급을 받아서 돌아가도록 이끌어 가야 한다. 관상기도

의 방법은 관상기도에서 소개한 방법대로 시행한다.

5) 가정 예배

가정에서는 가정예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도이므로 온 가족이

함께 기도드릴 수 있는 기도문을 통한 구송기도나 주기도문으로 기도하는

것이 좋다.

- 97 -

Page 98: T0212712.pdf

·기도: 기도문이나 주기도문을 통한 구송기도 방법

예) 한 사람이 먼저 기도문을 읽고 다른 가족들이 함께 따라서 읽는

방법

기도문이나 주기도문을 동시에 읽는 방법

기도의 제목을 미리 정해줌으로 각자의 기도제목을 따라 기도하

는 방법

윤번기도(연이어 각기 순서대로 기도하는 방법)방법을 통해 함께

기도하는 방법 등

b. 기도사역 커리큘럼

1) 중보기도 사역143 )

(1) 중보기도 사역 철학

① 목적(Purpose)

교회 중보기도 사역 목적은 크게 세 가지이다.

·교회가 기도로 하나님을 찾도록 한다.

·개인, 교회, 나라, 세계가 현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것들을 위해 계속해서

기도해 나갈 수 있는 중심적인 장소를 제공한다.

·교회와 관련된 모든 사역을 위한 영적 힘이 되도록 기도한다.

② 목표(Goals )

·교우들이 기도하는 사람들로 헌신되도록 한다.

143) 지구촌 교회의 중보기도사역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찾아 정리하

였다. 지구촌 교회 인테넷 홈페이지 주소는 http:/ / www .Jiguchon.org이다.

- 98 -

Page 99: T0212712.pdf

·계속적인 기도 응답을 통하여 주님께서 영광 받으시도록 한다.

·계속해서 기도에 대해서 배우도록 한다.

·「중보 기도실」이 계속적으로 중보기도 사역을 위해 쓰여지도록 한다.

·중보기도 사역이 다른 교회들에게도 확산되도록 한다.

③ 권세(Authority )

·예수님

·교회

·목사

·중보기도 사역 지도팀

④ 재원(Resources)

·자금: 교회보조+개인헌금

·인원: 구원의 확신이 있는 본 교회 교우로써, 기도에 헌신하는 자

⑤ 전략(Strategy )

교우들이 기도하는 사람들로 헌신되도록 하기 위해서

·하나님께서 나의 마음을 감동하시사 기도하는 부담을 계속적으로 갖도

록 기도한다.

·하나님께서 교회 실행 팀 및 제직들의 마음을 감동시키사 기도의 중요

성을 인식하고 계속적으로 기도하는데 앞장 설 수 있도록 기도한다.

·새가족반 이상을 이수한 후에 중보기도 사역훈련을 받은 우리 교회 교

인이어야 합니다.

·기도기간 동안 한 주일에 한 시간 이상 중보 기도실에서 기도하며 헌신

한 기도시간을 성실하게 지킬 수 있어야 합니다.

- 99 -

Page 100: T0212712.pdf

·모든 기도 제목의 내용들을 하나님께만 아뢰며 모든 기도 내용에 대한

비밀을 철저히 지킬 수 있어야 합니다.

·진정으로 기도의 삶을 갈망하며 중보기도 사역으로 하나님께 자신을 바

치기로 헌신되어야 합니다.

·중보기도의 헌신은 하나님께 하신 약속입니다. 사람이나, 교회나 이 사

역 프로그램에 헌신하신 것이 아닙니다.

나는 여호와니 이는 내 이름이라 나는 내 영광을 다른 자에게 내 찬송

을 우상에게 주지 아니하리라 (사42:8하)

·중보기도에 헌신하신 시간은 하나님과 약속하신 시간입니다.

사람이 없음을 보며 중재자 없음을 이상히 여기셨으므로 (사59:16)

·깨끗한 삶을 사셔야 합니다. 다윗은 말했습니다.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 누구며 그 거룩한 곳에 설자가 누군가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하며 뜻을 허탄한데 두지 아니하며 거짓 맹세치 아

니하는 자로라 저는 여호와께 복을 받고 구원의 하나님께 의를 얻으리

니 (시24:3- 5)

욥도 자기 죄를 회개할 때까지 친구를 위해 기도할 수 없었습니다.(욥

42:6,10)

(2) 마음가짐

·우리 모두 기도할 수 있는 권리와 권한이 있음을 감사드립니다.

·성경 말씀에 따라 기도하십시오(요일5:14- 15).

·항상 기도해야 함을 깨달으십시오(눅18:1).

·하나님의 은혜의 보좌 앞으로 대담하게 나오십시오(히4:16).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할 계획을 하십시오(요16:23- 24).

·하나님께서 당신의 기도를 듣고 계심을 잊지 마십시오(벧전3:12).

- 100 -

Page 101: T0212712.pdf

·기도의 능력을 구하십시오(약5:16)

·하나님의 능력이 기도를 통해 얻어지는 것을 인정하십시오(사55:11).

·우리가 누구와 싸우고 있는가를 명심하십시오(엡6:12).

·기도의 무기로 무장하십시오(엡6:13- 17).

·기억나는 죄가 있거든 자백을 함으로 용서받으십시오(마18:21- 35 ; 막

11:25 ; 요일1:9).

비로소 기도할 준비가 되셨습니다.

- 101 -

Page 102: T0212712.pdf

(3) 중보기도자 추천 도서

저자 / 역자 서명 출판사

A .T . 피어선 / 김진우 죠지뮬러 생명의 말씀사

C.A .S . 편저5만번 응답받은 뮬러의

기도비밀생명의 말씀사

데릭 프린스 기도와 금식 보이스사데이빗 스미드 / 오성종 금식기도 새순 출판사

리챠드 포스터 기도 두란노마이크푸린, 더그그레요/오정

현내적 치유와 영적 성숙 IVP

무명의 그리스도인 /이진희무릎으로 사는 그리스도

인생명의 말씀사

신디 제이콥스 / 고세중 대적의 문을 취하라 죠이 선교회

웨슬리 듀엘 / 김진찬 기도로 세계를 움직이라 생명의 말씀사웨슬리 듀엘 / 주상지 능력있고 응답받는 기도 생명의 말씀사

이동원 이렇게 기도하라 나침반사

켄 블루당신은 병 고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나침반사

토마스 엘리프어떻게 이웃을 위해 기도

해야 하나요나침반사

프란시스 맥너트/ 변진섭, 변

창욱치유 도서출판 무실

프란시스 맥너트/ 예영수 성령의 권능이 임할 때 예루살렘피터 와그너 / 명성훈 기도는 전투다 나눔터

피터 와그너 / 명성훈 방패기도 나눔터

(4) 중보기도실 운영방법

① 메세지: 4주 정도 중보기도의 중요성에 대한 설교를 선포한다.

② 성경공부: 메세지와 동시에 중보기도자를 위한 성경공부를 시작한다.

·중보기도 사역이 무엇인가

·중보기도 사역의 특권과 의무

- 102 -

Page 103: T0212712.pdf

·성경을 통해 중보기도로 승리한 모본

·교회적으로 중보기도가 가지는 중요성

·응답받는 기도 태도

·병든 자를 위한 기도

·영적 전쟁의 승리를 위한 기도

공부가 목적이 아니라 함께 모여 기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중보기도 헌신자 선서: 중보기도 성경공부를 수료한 사람은 주일 예배

시 중보기도의 비밀을 지킬 것을 선서해야 한다. 중보기도 사역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선서이다.

④ 중보 기도실: 중보기도자들이 편리하게 쓸 수 있는 별도의 중보 기도실

을 마련한다.

⑤ 중보 기도자 헌신기간: 중보기도 헌신자는 기본적으로 4개월을 헌신하

게 된다.

⑥ 중보기도자를 위한 격려 만찬: 사역자들과 다음 기의 헌신자들과 관심

있는 성도들을 초청해서 중보기도가 가지는 기적의 현장을 나누는 시간을

가짐으로 계속적으로 발전하게 한다.

·모임은 간증, 찬양, 헌신, 서약으로 이어진다.

·다양한 방법으로 중보기도를 확장시킨다.

여리고 기도작전- 각 지역의 땅밟기를 통해 각 지역을 위한 중보기도

를 통해 기도 경호 업무를 수행한다.

구역별 기도작전- 각 구역별로 중보기도 모임을 구성하게 하고 구역

내에 기도 제목들을 가지고 구역에서 모여 기도한

다.

119 긴급 기도단- 중보기도 사역을 하고 싶지만 여건상 참여하지 못

하는 분들을 위해 기도제목들을 전달해주고 기도

- 103 -

Page 104: T0212712.pdf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레위기도단(목회자를 위한 기도모임)

미션 기도단(선교를 위한 기도모임)

니시기도단(영적 공격을 당하는 자들을 위한 기도모임)

라파기도단(병든 자를 위한 기도모임)

⑦ 중보 기도실 내에서의 기도순서: 기도실은 중보 기도자들만 사용할 수

있다. 기도하는 도중 기도요청 전화가 오면 먼저 전화로 기도해 주고 기도

요청 카드를 작성하여 비치해 놓는다.

㉠출석부 서명

㉡게시판에서 광고사항 확인

㉢주님에 대한 묵상, Q.T .(5분): 본격적인 기도

㉣나와 가족을 위한 기도(5분)

㉤긴급 카드 기록자(2장)를 위한 기도 (5분): 한달 내에 카드를 바꾸어

놓는다.

㉥일반기도: 자녀, 직장, 삶을 위한 기도(10분)

㉦교회기도: 중요한 행사들(10분)

㉧한국교회와 한국의 위정자들과 세계 위정자들을 위한 기도(5분)

㉨선교사를 위한 기도(10분)

㉩게시판의 기도응답 카드 확인을 통한 감사기도

2) 중보기도 정병단

인생을 살다보면 우리는 때로 나갈 길이 없는 사면초가의 상황, 절

망의 벽을 대할 수 있다. 바울 사도는 고후1장에서 힘에 지나도록 심한

고생을 받아 살 소망까지 끊어졌다 (8절)고 고백한 적이 있다. 다윗도 한

때 나와 사망의 사이는 한 걸음 뿐 (삼상20:3)이라고 고백했고, 욥은 죽

- 104 -

Page 105: T0212712.pdf

기를 바라도 죽을 수 없으며... 평강도 없고 안온도 없고 안식도 없고 고난

만 임하였구나 (욥3:21,26)라고 말하고 있다. 사도행전12:1- 12에 보면 사도

베드로에게도 같은 절망의 상황이 있었다. 지금 그는 감옥에 던져진 상태

이다. 며칠 전 사도 야고보가 투옥되어 칼로 죽임을 당한 것을 그는 알고

있었다. 그는 양쪽 팔목에는 쇠사슬이 메어져 있어서 도망갈 수도 없었으

며 옥문에는 경비대가 지키고 있었다. 그는 유월절기가 끝나는 날 처형되

기로 되어 있었다. 이것은 완전한 절망의 상태였다. 그런데 갑자기 옥문이

열리는 기적이 일어났던 것이다. 우리는 이 기적의 비밀을 알고 싶었다.

사도 바울이 고난을 당했던 것처럼 목회선상에서 많은 어려움을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교회는, 사역자들은, 성도들은 기도하는 사

람들은 이러한 절망을 이겨내고 승리할 수 있다. 이러한 승리의 비결은 무

엇일까요?

첫째, 교회적인 기도 때문이었다.

옥문이 열리는 기적은 개인을 위한 개인의 기도 때문이 아니었다. 그것

은 개인을 위한 교회의 기도 곧 공동체의 기도 때문이었다. 하나님은 개인

의 기도에도 응답하시지만 교회의 이름으로 모여 기도하는 공동체의 기도

에는 특별한 의미에서의 기도응답을 약속하였다(마18:19- 20).

둘째, 교회의 간절한 기도 때문이었다.

초대교회의 젊은이들은 베드로의 석방을 위해 지하 감옥을 습격하기로

계획을 세웠을런지도 모른다. 그러나 주님을 신뢰하는 지도자들은 기도

밖에는 다른 길이 없다 고 믿었고 그들은 간절히 기도했다. 이 기도가 감

옥의 문을 연 것이다.

- 105 -

Page 106: T0212712.pdf

셋째, 교회의 간절하고도 지속적인 기도 때문이었다.

예루살렘 교회는 베드로의 석방을 위해 단회적인 한번의 기도로 끝내지

않았다. 교회는 베드로가 석방될 때까지 계속 기도했다. 이 지속적인 기도

는 옥문을 열 수가 있었다.

중보기도 정병단은 중보기도 사역 훈련을 받지 않아도 누구나 지원

할 수 있다. 지원한 그 시간 그 자리에서 각자에게 주어진 기도 제목을 가

지고 기도하면 된다. 그 시간은 한 시간도 될 수 있으며, 대로는 1분이 될

수도 있다. 어느 회사원은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5분 정도 중보기도하고 있

다.

예배를 위한 정병 단 기도지침

먼저 예배를 위해 중보기도 정병단에 동참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여러분의 기도는 모든 예배자들이 온전히 하나님께 예배 드리게 하

는데 귀중한 사역이 될 것입니다.

준비< 2분> : 인사

·출석 확인 및 자리정돈 : 명단은 중보기도 정병단에서 관리합니다.

·예배시작 15분전에 중보기도 정병단 기도실에 모입니다.

·기도팀의 거리는 기도할 제목들을 미리 알아보고, 또한 교회의 중요행사

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메모하여 기도 시간에 설명될 수 있도록 준비합시

다.

·기도 시간에는 리더의 인도에 적절한 소리로 기도합시다.

·기도시간이므로 개인적인 교제는 극히 삼가 하시면 좋겠습니다.

합심기도 및 찬송<60분>

- 106 -

Page 107: T0212712.pdf

·오늘 예배가 온전히 하나님께 영광이 되며, 온 성도들의 마음이 예배시

간에만 집중되도록

·설교하시는 목사님을 하나님께서 능력과 권능으로 붙드시며 충만한 은

혜의 말씀이 증거 될 수 있도록

·인도자의 영감 있는 인도 및 진행, 찬송을 통해 주님의 임재를 경험하도

·대표 기도자의 기도를 통해 온 성도들의 마음이 하나되어 하나님께 드

려지도록

·성가대의 찬양, 지휘자, 반주자, 악기 연주자의 은혜로운 연주를 위하여

·방송팀들의 들을 귀를 주시도록 또한, 적절한 마이크의 볼륨과 음향을

위해서

·안내팀들의 세심한 안내를 통해 자리가 불편하지 않도록

·예배팀들의 진행보조에 악한 마귀 틈타지 않도록

·성경봉독자 및 특별순서 담당자들이 은혜롭게 진행하도록

·주차장의 효과적인 운영과 주차 공간 때문에 예배에 방해되지 않도록

·실내온도와 조명이 적절하게 잘 유지되도록

·처음 오신 분들의 마음속에 감사와 기쁨이 넘치며 영광스러운 예배를

체험하도록

·각 주일학교에서 드려지는 예배가 하나님께 온전히 드려지고 전하는 교

사들에게 지혜를 주시도록

·온전한 예배를 위해 지각자 및 결석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들이 실수하지 않고 사고 내지 않도록

·예배를 위해 봉사하는 봉사자들에게 건강함과 기쁨 마음으로 섬길 수

있도록

- 107 -

Page 108: T0212712.pdf

마무리 기도< 2분>

·자신의 성령 충만함을 위해

·우리의 기도를 온전히 기뻐 받으심을 감사드리며

·우리의 기도를 온전히 기뻐 받으심을 감사드리며

·인도자의 기도로 마칩니다.

3) 기도 지도 사역

(1) 일반적 기도지도

기도 지도자는 교회라는 권위를 가지고 교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

여 기도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과 기도 모임의 인도를 한다. 개인의 특성보

다는 전체 교인의 기도의 분위기를 끌어올리고 기도의 능력과 신비를 체

험하도록 도와 줄 수 있다. 또한 기도모임의 특성들을 살릴 수 있고 기도

모임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이다.

·기도모임의 목적에 따라 장소, 인도자, 기도제목, 기도순서, 기도 방법들

을 결정한다.

·기도 인도자는 기도의 방법에 따라 그 기도모임에 특성에 맞게 모인 사

람들의 기도가 집중될 수 있도록 기도의 방법에 대해 계속적으로 자각시

켜 주고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기도자들이 자신들의 기도방법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계속적으

로 전체 기도자들에게 기도에 대한 반응을 말해준다.

·기도자들이 기도모임을 마치고 돌아갈 때에는 모두가 이 기도회가 가장

하나님이 기뻐받으셨다는 확신에 차서 돌아갈 수 있도록 믿음에 대한 확

신을 강화시켜주어야 한다.

- 108 -

Page 109: T0212712.pdf

(2) 조직과 그룹 차원의 기도지도

전체 기도자들이 경험하는 것보다는 좀 더 긴밀하게 실제적으로

조직과 그룹차원에서 지도를 받는 것을 말한다. 구성원들의 다양한 기도를

함께 경험하면서 배울 수도 있고 기도자들이 기도를 통해 체험하는 영적

경험들을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을 지도해야 함으로 개인의 기도체험의 다양성을 생각한다면 여전히

상당한 제한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도지도 차원보다는

훨씬 더 깊은 기도지도와 기도경험이 가능하다.

·기도 지도자는 구성원들과 그날의 주제와 기도의 목적들을 함께 나누고

그날의 정해진 기도 방법과 기도의 순서에 따라 그날 정한 기도 시간만큼

함께 기도한다.

·기도한 후에 기도를 통한 영적 체험들을 함께 나누고 자신의 기도체험

에 대한 구성원들의 다양한 기도에 대한 반응을 함께 나눈다.

·구성원들의 기도 체험에 대한 반응들을 나눈 뒤에 기도 지도자가 구성

원들의 기도 체험과 구성원들의 기도 반응에 대한 종합적인 기도 지도를

통해서 더 깊은 기도의 체험에 이를 수 있도록 조언해 준다.

(3) 감추어진 기도지도

각 개인의 내적인 기도 제목에까지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지도하

는 차원이다. 일반적인 기도지도와 조직적이고 그룹적인 차원의 기도지도

와는 달리 카리스마(은사)에 기초를 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 일어나는 은

밀한 기도지도를 하기엔 한계성이 있다. 감추어진 기도지도는 권위적인 관

계보다는 형제자매라는 매우 친밀한 형제 우애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다. 기도 지도자는 성숙과 미성숙이라는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권위적인

차원에서는 우월이 있을 수 있다. 둘 사이에는 언제나 동등한 관계이며 친

- 109 -

Page 110: T0212712.pdf

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기도에 관한 모든 문제를 숨김없이 서로 터놓고 말할 수 있는 인격적

신뢰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기도 지도자는 기도자의 내적 문제를 마치 자기의 문제인 것처럼 함께

기도해나가야 한다.

·기도에 대한 응답과 기도하는 중에 어떻게 하나님이 임재 하셨으며 어

떤 하나님의 신비적 경험들을 했는지를 서로에게 알려주고 함께 나눈다.

·기도 지도자는 기도자의 기도와 삶과 관계된 면밀한 내용들을 종합적으

로 잘 정리하고 기도자와 함께 기도하고 나눌 때에 함께 이러한 내용들을

나눔으로 인해 긴밀한 기도 조언자 및 영적 조언자 역할을 감당한다.

4) 단계별 개인기도 교육

(1) 개인기도 교육 단계

개인기도 교육은 좀 더 구체화하고 세밀하게 하기 위해 구송기도,

묵상(명상)기도, 관상기도로 나누어 교육할 수 있다. 각기 단계별로 모임

자체를 분리하고 자신의 기도 단계에 따라 교육함으로 기도 교육을 극대

화 할 수 있다.

1단계 : 구송기도

찬송을 20- 30분 정도 부르고 기도에 대한 이론강의를 듣는다. 그

다음 미리 준비한 공동 기도문 따라서 하기를 통해 성령 안에 하나되는

경험을 가진다. 그리고 각자 자신의 공동 기도문 이론적 바탕 위에 작성한

후에 각자 기도문을 작성 해본다. 또한 공동기도를 모든 교육생들이 함께

개인적으로 나아와 기도하며 또 교육을 대표하여 한사람씩 대표기도를 하

게 한다. 기도 후 가장 잘 된 기도문에 대한 평가와 공동 기도를 하는 동

- 110 -

Page 111: T0212712.pdf

안 각자의 내면에서 드리는 하나님의 음성이 무엇이었는지 함께 나누어

본다.

2단계 : 묵상(명상)기도

찬송을 20- 30분 정도 부르고 묵상기도에 대한 이론 강의를 듣는

다. 그리고 주변을 정리하고 모두가 묵상기도에 들어 갈 수 있도록 준비한

다. 주어진 성경본문을 읽고 그 읽은 말씀 속에서 중요한 말씀들을 묵상한

다. 아니면 본문이 아닐지라도 평소에 자신에게 은혜가 되었던 말씀들을

반복해서 읽든지 그 의미들을 지속적으로 내면 속에서 확인한다. 10- 30분

정도까지 그 말씀의 의미들을 찾아갈 때에 말씀 안에 있는 무한한 능력과

그 말씀이 가지는 권세를 경험한다. 그리고 자신의 내면 안에서 역사하시

는 성령의 역사와 변화를 체험한다.

3단계 : 관상기도

찬송을 20- 30분 정도 부르고 묵상기도에 대한 이론강의를 듣는

다. 그리고 먼저 묵상기도로 시작한다. 묵상기도를 통해 아빌라 테레사의

영혼의 성에 나오는 잠심기도인 제 삼 궁방을 들어가서 제 사 궁방인 거

둠 기도, 제 오 궁방인 합일의 기도(일치의 기도), 제 육 궁방인 영적 약혼

(순응일치의 기도), 제 칠 궁방인 영적 결혼(변형일치의 기도)에 까지 이르

게 한다. 제 오 궁방에서 제 칠 궁방까지가 관상의 단계이다. 기억과 상상

을 포함한 모든 내적 기능이 점차적으로 하나님에 의하여 사로잡히고 점

유됨으로써 일치의 기도가 일어난다. 단순한 일치의 기도에서 모든 내적

기능은 하나님께만 집중되고 오직 외적 감각만이 자유로우나 순응일치의

기도에서는 하나님께서 외적 감각까지 사로잡아 영혼이 전적으로 하나님

께 흡수되어 황홀경에 빠지게 된다. 영혼은 마침내 은총을 통해 성삼위일

- 111 -

Page 112: T0212712.pdf

체께서 거하시는 이른바 성중 왕실로 들어간다. 하나님과 영혼은 신적 사

랑이 다할 때까지 서로 자신을 상대방에게 준다. 그 사랑은 이 지상 생활

에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사랑이다. 영혼은 강화되어 충분한 사랑의 힘을

받게 된다.

(2) 개인기도 교육의 통합

각 단계별로 가르쳤던 구송기도, 묵상(명상)기도, 관상기도에 이르

기까지 함께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찬송을 30분 정도 부르고

넉넉한 시간을 준비하여 먼저 구송기도로부터 기도교육이 시작된다. 이제

는 더 이상 이론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기도하는 그 자체가

공부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묵상기도와 관상기도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

야 한다. 통합적 기도야말로 기도의 본질을 잘 가르치고 있는 좋은 교사이

다. 교회는 이 같은 단계별과 통합적인 기도교육이 함께 이뤄질 수 있게

함으로써 기도의 질을 높일 수 있다.

ⅴ . 결론

A . 요약

영적 침체기에 있는 한국교회는 새롭게 영적 도약을 위한 성서적 방

법들을 모색해야 할 때가 되었다. 현대인들은 메마르고 각박한 세대 가운

데서 정신적이고 영적인 것들을 붙들려고 몸부림치고 있다. 이 같은 현대

- 112 -

Page 113: T0212712.pdf

인들의 정신적, 영적 공허함을 채울 대안을 교회에서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대안은 바로 교회 안에 영성을 강화시킴으로서 이 시대에 방황하는 현

대인들에게 안식과 평안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영성에 가장 기초는 기도이다. 하나님의 백성들과 하나님과의 소통은

기도를 통해서 이루어져 왔다. 구약에서나 신약에서나 동일하게 기도는 하

나님의 백성들에게 반드시 요구되어지는 영성의 기초였다. 무엇보다도 예

수님께서 기도를 가르치셨다.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기도

를 통해서 실천할 능력을 공급받았으며, 기도를 통해서 인간의 모든 결핍

들을 하나님께 구하여 받아 필요를 채웠다. 무엇보다도 인간에게 필요한

영적 능력을 공급받았다. 하나님을 아는 기쁨과 하나님과 일치되는 황홀경

을 기도를 통해서 경험한다.

기도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하여 함께

기도함으로 개인에서 이웃, 국가, 인류에까지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기도는

만백성을 사랑하신 하나님의 사랑과 만백성을 위해 십자가를 지신 그리스

도의 은혜를 온전케 한다.

교회는 이런 영적 필요성들에 의해 기도교육이 필요하다. 이전에 제한

된 학교교육이나 학생중심의 교육이 아니라 교회의 목적의 전 영역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육에서 소외되었던 성인교

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평생교육으로서의 교회교육 안에 기도교육은 개인

의 영성과 교회의 영성을 강화시키는데 가장 중심에 서있다. 기도에 대한

막연한 방법론에 메여있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체계적인 기도교육이 있어

야 한다. 특별히 예배와 예전을 통한 기도교육을 좀 더 체계적으로 강화함

으로서 기도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마리아 해리스 이론은 이 같

은 교회 기도 교육 커리큘럼에 좋은 대안을 모색하게 한다.

교회의 예배를 통해서 얼마든지 기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 113 -

Page 114: T0212712.pdf

한국교회가 기도해온 내용을 보면 너무나 육체적이고 물질중심의 기도에

매여 교회성장과 물량주의의 한계에 머물러 있었다. 이것은 신학적인 문제

이기도 하거니와 또한 구송기도라는 기도의 형식에서 오는 한계이기도 했

다. 그러므로 기도방법을 커리큘럼화 해서 구송기도 묵상기도 관상기도에

이르는 기도를 통해 기도의 영성의 깊이와 기도의 내용이 변해가야 할 것

이다.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물질적이고 육체적인 것에서 영적이고 초

월적인 것으로, 자기 중심적인 것에서 하나님 중심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

다. 이런 측면에서 중보기도 사역이 또한 강화되어야 한다.

B . 제언

개교회에서 성인들을 위한 체계적인 기도의 커리큘럼을 통해서 기도

에 대한 바른 이해와 체계적 훈련을 통해서 기도의 성숙도를 높여간다면

기도 커리큘럼을 통한 교회의 성숙을 이루어갈 수 있는 중요한 교육적 도

구가 될 것이다. 또한 개교회의 구체적인 기도 커리큘럼이 교회의 모든 공

예배와 기도모임을 통해서 초보적 단계의 교인들이 기도를 배우고 기도의

능력을 얻게 될 것이며 기존 신자들에게는 자신의 기도생활을 점검하고

기도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이제 한국교회는 깊은 영성기도를 통해 영적 침체를 극복해야 할 중요

한 시점에 왔다. 이 시점에서 준비된 영성으로 이 시대의 영적 욕구를 채

우고 미래의 영적 삶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한국교회는 매우 심각한 영적

침체와 함께 위기가 다가오리라는 것을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

다. 이런 점에서 기도 커리큘럼, 기도교육은 기도의 영성을 바로 세우고

한국교회의 전 분야의 영성을 건전하고 바르게 세우는 초석이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회의 기존 모든 예배와 모임에 다시금 영성 회복을 위한

기도훈련이 정립될 때에 한국교회의 미래가 밝아질 것이다.

- 114 -

Page 115: T0212712.pdf

그 동안 한국교회는 기도를 열심히 해왔을 뿐 기도에 대해서 가르치지

않았다. 또한 기도를 가르쳤으나 주로 구송기도 중심으로 가르쳤고 개인기

도 중심으로 가르쳐왔다. 이런 점에서 구송기도, 묵상(명상)기도, 관상기도

에까지 이르는 기도의 깊이를 더해가야 한다. 또한 육체적이고 물질적이며

물량적인 인간 중심의 기도 제목에 대해서는 열심히 기도해 왔으나 영적

이고 초월적이고 하나님 중심의 기도에는 소홀해 왔고, 성령 임재의 외적

현상에 대해서는 강조해 왔으나 성령 임재를 통한 내적인 변화에 대해 가

르치지 않았다. 그리고 중보기도에 대해 강조하기는 했지만 중보기도에 대

한 효율적인 운영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본 논문이 이러한 기도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강화시키고 마리아 해리스

의 이론을 통한 기도 커리큘럼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고 교회생활의 전

과정을 통해서 기도가 교육되어지고 기도가 실천되어지는 동기가 되기를

바란다.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실제적으로는 이미 교회현장에서 이것을 구체

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단지 교육 목회적 관점에서 좀더 이론화하려는 노

력이 필요했을 뿐이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이 좀 더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는 역할을 했으면 하는 바램

이다.

- 115 -

Page 116: T0212712.pdf

(참고문헌)

김균진. 『기독교조직신학 Ⅱ』(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1988)

김균진. 『기독교조직신학 Ⅲ』(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김원복.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기도』(서울: 이레서원, 1993)

나채운. 『주기도·사도신경·축도』(서울:장로회신학대학 출판부, 1989)

나채운. 『보수 신앙과 개혁정신』(서울:한국장로교 출판사, 1997)

남선교전국연합회. 『기도집』(서울:지성출판사, 1995)

대천덕. 『대천덕 자서전』(서울:홍성사, 1999)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편. 『표준 예식서』(서울:한국장로교 출판사,

1997)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 편. 『교육과정 이론 지침서(Ⅰ)/ 이론』(서

울:한국장교출판사, 2001)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 편. 『교육과정 이론 지침서(Ⅱ)/ 영역』(서

울:한국장교출판사, 2001)

대천덕. 어떻게 기도할 것인가 , 『기도와 경건』, 두란노 편집부 (서울:

두란노, 1990)

손수완. 『기도 훈련』, (서울:베드로서원, 2002)

세계교회 협의회. 『역대 총회 종합 보고서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1991)

심원용. 『영안이 열리는 기도』(서울:서로사랑, 2002)

오관석. 『왜 기도해야 하는가』(서울:바울서신, 1994)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서울:장로회신학대학, 1999)

이성희. 『미래목회 대예언』(서울:규장, 1998)

이영두. 『기독교 영성』(서울:임마누엘, 2002)

- 116 -

Page 117: T0212712.pdf

이용남. 『기도』(서울:그린, 1991)

전병욱. 『히스기야의 기도』(서울:규장, 2002)

Anthony Stern . ed. E very thing s tarts f rom p ray er, 이해인 역, 『모든 것

은 기도에서 시작됩니다』(서울:황금가지, 1999)

Bonaventura. itinerarium m entis in deum et de reduction artium ad

theolog iam , 김광식 역 『하나님과 하나되어』(서울:기독교서회, 1997)

Douglas V . Street . The D im ens ions of P ray er, 엄성옥 역, 『기도의 능

력』(서울:도서출판 은성, 2000)

Henri J .M . Nouwen . In the nam e of J es us , 송기태 역, 『예수님의 이름

으로』(서울:두란노, 1991)

Henri J .M . Nouwen. The only necessary thing : L iving a p ray erf ul lif e ,

윤종석 역, 『꼭 필요한 한가지 기도의 삶』(서울:복있는 사람, 2002)

Herbert Lockyer . A ll the P ray ers of the B ible , 정호진 역, 『기도』(서

울:로고스, 1982)

Iris V . Cully . E ducation f or Sp iritual Growth, 오성춘외 3인 역, 『영적

성장을 위한 교육』(서울:대한 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86)

John Calvin . Ins titute of the chris tian relig ion vol.Ⅲ. 편집부 역, 『영한

기독교 강요』Ⅲ (서울:성문, 1986)

John Dalrymple. S imp le P ray er, 엄성옥, 『단순한 기도』(서울:은성,

1999)

Jordan Aumann. Sp iritual Theology , 이홍근 역, 『영성신학』, (대구:분도

출판사, 1987)

Leroy Eims. What E very Chris tian S hould K now A bout Growing , 네비

게이토 역, 『그리스도인 성장의 열쇠』(서울 네비게이토 출판사, 1988)

- 117 -

Page 118: T0212712.pdf

Manford George Gutzke. P lain Talk about R eal Chris tians , 권명달 역,

『그리스도인의 길』(서울: 보이스, 1977)

Maria Harris . Fashion M e A P eop le , 고용수 역,『교육목회 커리큘럼』

(서울:한국장로교 출판사, 1989)

Martin Luther . D e L ibertate Chris tian/ Von der f reiheit eines

Chris tenm enschen , 한인수 역,『그리스도인의 자유』(서울:경건, 1996)

Martin R. De HannⅡ. What Good D oes I t D o to P ray , 나침반사 역,

『어떻게 기도할 때 좋은 응답을 받게 되는가?』(서울: 나침반사, 1994)

O. Hallesby . P ray er, 생명의 말씀사 역, 『기도』(서울:생명의 말씀사,

2001)

Pierre Babin with Mercedes Iannone, The N E W E RA in R elig ious

Richard J . Foster . Celebration of D iscip line , 생명의 말씀사 역, 『영적

훈련과 성장』(서울:생명의 말씀사, 1986)

Santa T eresa de Jesus . Cas tillo Interior, 최민순 역, 『영혼의 성』(서울:

바오로 딸, 1999)

T ito Colliander . Way of the A scetics , 엄성옥 역, 『수덕의 길』(서울:도

서출판 은성, 1999)

Unknown Russian . P ilg rim of a R uss ian , 최익철 역, 『이름 없는 순례

자』(서울: 카톨릭출판사, 1998)

고용수. 하나님 나라와 교육목회 , 『장신논단』16집 (서울:장신대 출판부,

2000)

유해룡. 영성훈련은 기도훈련에서부터 , 『빛과 소금』10월호 (서울:두란

노출판사, 1995)

- 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