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ongosiin EUZ

14
한국고전문학

description

SEUZ

Transcript of Solongosiin EUZ

Page 1: Solongosiin EUZ

한국고전문학

Page 2: Solongosiin EUZ

강의 내용

문학이란?

문학의 갈래, 한국문학이란?

고대 산문 1 (신화, 전설, 민담)

고대 운문 (고대가요, 향가, 고려가요, 시조, 악장, 민요)

고대 산문 2 (고대소설, 판소리, 고대수필)

Page 3: Solongosiin EUZ

* 문학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정서적 상상력으로 표현하는언어예술이다.

* 형식은 언어

* 방식은 상상력

* 내용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

Page 4: Solongosiin EUZ

(1) 쾌락설 : 문학은 아름다움과재미로써 독자에게 즐거움을 준다.

(2) 교훈설 : 문학은 인생의 진실을깨닫게 한다.

(3) 당의정설(절충설): 문학은 인생의진실을 작품의 심미적 구조로전달하므로 독자가 즐겁게 그가르침을 수용하게 된다.

Page 5: Solongosiin EUZ

(1) 개 성 : 작 가 의 주 관 적 체 험표현으로서 개성적이다.

(2) 보편성 :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있어야 하고 , 인간의 공통적인사상과 정서를 표현한다.

(3) 항구성 : 특정한 시긴과 공간을배경으로 하지만 한 시대와장소를 넘어서 향수될 수 있어야한다.

Page 6: Solongosiin EUZ

정서 / 사상 / 상상 / 형식

작품 / 작가 / 독자 / 현실

절대 / 표현 / 수용(효용) / 반영

Page 7: Solongosiin EUZ

1) 2분법: 운문, 산문

2) 3분법: 서정 양식 – 시

서사 양식 – 소설, 서사시

극 양식 - 희곡

3) 4분법: 시, 소설, 수필, 희곡

4) 5분법: 시, 소설, 수필, 희곡, 비평

Page 8: Solongosiin EUZ

(1) 구비문학: 말로 된 문학. 민중의입에서 입으로 전승하는 문학 .(유동문학, 적층문학, 구전문학)

*설화, 민요, 무가(巫歌), 판소리, 민속극,속담, 수수께끼 등

(2) 기록문학: 문자로 쓰인 문학.

*시, 소설, 수필, 희곡, 비평 등

Page 9: Solongosiin EUZ

(1) 말로 된 문학: 말로 존재하고, 말로전달되고, 말로 전승된다.

(2) 구연되는 문학: 구연이 필수적이다.

(3) 공동작의 문학: 개인창작을 바탕으로또 다른 개인창작이 덧보태진다.

(4) 단순하고 보편적인 문학: 기억하기비교적 쉬우며 , 여러 사람이 쉽게공감할 수 있다.

(5) 민중문학: 민중의 생활 경험, 의식,가치관 등을 반영한다.

Page 10: Solongosiin EUZ

1) 말로 된 문학

2) 구전, 구연되는 문학

3) 단순성

4) 집단성

5) 유동성

6) 비판성

Page 11: Solongosiin EUZ

(1) 산문문학: 이야기 형식의 문학형태.*소설, 수필, 희곡, 비평

(2) 운문문학: 언어의 리듬감을 중시하는문학 형태.

*시

산문과 운문

공통점: 언어예술, 인간의 사상과 감정 표출

차이점: 산문-이야기 형식,

운문-리듬(운율), 함축성

Page 12: Solongosiin EUZ

(1) 소설의 특징 : 허구성 , 산문성 ,진실성, 서사성.

(2) 소설의 인물:

- 인물의 역할에 따라:

주동인물, 반동인물.

- 인물의 성격 변화에 따라:

평면적 인물, 입체적 인물

Page 13: Solongosiin EUZ

한국문학의 범위 : 한국의 역사 속에서살아가면서 가치 있는 사상과 감정을한국어(한자 포함)로써 표현한 문학이다.

주체: 한국인

내용: 한국인의 가치 있는 사상과 감정

형식: 한국어(개화기 이전 한자 포함)

영역: 1.구비문학-구술문학

2.기록문학-한자문학,

국문문학(차자/향찰과 이두/문학도 포함)

Page 14: Solongosiin EUZ

1) 은근과 끈기, 믿음의 정신

2) 한의 정서

3) 자연친화와 풍류정신

4) 체념과 해학 정신

5) 풍자와 저항 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