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17
2016. 1. 21. Thu. 지현수 Lab Meeting Pattern Language jkme

Transcript of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Page 1: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2016.�1.�21.�Thu.�지현수

Lab Meeting

Pattern Language

jkme

Page 2: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jkme: Pattern Language

패턴랭귀지와 프로젝트의 연관성

2

<UI Components><Semiotics> <Flow>

추상

퍼소나

행동패턴

구체

버튼

행동패턴

Design guide

기호

언어

도상 네비게이션

리스트 방식

• 현재 jkme의 스테이지는 완전한 콤포넌트 디자인이 아닌,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단계

• 디자인 실증단계에 앞서, 패턴이 축적된 형태를 살펴보며 디자인에 앞서 구조, 관계, 구성에 대해 학습하는 것이 목표

Page 3: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패턴은 어디서 왔는가

• 패턴은 건축설계 이론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에 의해 처음 정의

• 건축설계에서 자주 발생하는 동일한 설계내용을 하나의 패턴으로 보고 다른 건축물에 재사용하게 된 것이 그 출발-> 감각적으로만 파악되던 ‘디자인’행위를 문제를 형성하는 논리적 구조를 가진 형식으로 파악하는 과정

디자인 패턴은 건축 쪽에서 많은 모티브를 가져옴

3

<아씨시의 성프란체스코 성당 천장> <명동 성당의 천장 패턴>

Page 4: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패턴의 정의

4

• 패턴이란,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Context)에서 나타난 문제(Problem)들에 대한 공통적인 해결방안(Solution)

• 건축설계의 ‘방법’ 또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혀보려는 노력의 일부였음

• 특정 패턴은 그 장소의 특성을 드러내며, 이는 공간에서 다른 요소들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함

패턴은 ‘상황’ -> ‘문제’ -> ‘해결책’의 순서를 따르며 정의됨

<장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패턴>

<패턴이 적용된 건축설계>

Page 5: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그렇다면 패턴랭귀지는?

• 본래 패턴랭귀지란, 패턴을 토대로 건축을 설계하는 방법이자 실현하는 수법을 의미

• 다시 말해, ‘언어’로 의사를 소통하듯, 일정한 형태적 규칙 안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하는 것

패턴을 모아서 하나의 체계로 정리한 것

5

• 패턴이라는게, 이 스터디를 하면서는 이렇게 정의했는데

<패턴의 패턴화>

“Patterns which specify connections between patterns”

일정한 형태적 규칙(패턴) 또 다른 패턴 생성

Page 6: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패턴랭귀지의 등장

• 알렉산더의 건축 사상의 두 흐름, ’패턴’이론과 ‘질서와 전체성’ 이론

• 도시, 건축 등 우리가 일상생활을 통해서 접하고 있는 주변 환경 속의 요소와 구조를 제시

• 주변요소를 패턴으로 규정하고, 패턴랭귀지로 재구성하여 인간이 생활함에 있어서 좋은 환경을 구축하도록 함

주변 환경을 이루는 요소와 그 구성법으로서의 패턴랭귀지

6

<일상생활 속 요소들> <각 요소는 전체와 균형을 이룸>

Page 7: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7

패턴랭귀지의 주요 특징

1. 수직적인 특성(Hierarchical nature) 2. 부가적인 가치 창출

• 패턴 랭귀지는 high-level 부터 low-level 까지

패턴의 수직적인 특성(hierarchical nature)에 따라

디자인을 실제로 ‘generate’

• 패턴 랭귀지를 이용해 도시(high-level)수준에서 부터 창문

(low-level)까지 일관된 디자인을 만들 수 있음

• 패턴화된 패턴의 네트워크는 하나의 패턴보다 더 나은

실제의 additional value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함

• 이러한 connection이 해당 패턴 랭귀지의 중심이 되어야 함

Alexander가 정의한 패턴랭귀지의 주요 특징 2가지

Page 8: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건물 vs 웹의 패턴랭귀지

서로 다른 구조들을 가지고 있음

8

Designing Building Designing a Web application

Page 9: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경험적 솔루션’으로서의 패턴랭귀지

• 재사용이 가능한 설계/디자인에 대한 해결책을 일관성 있게 축적하고 전달하기 위한 표준적인 포맷으로 제공

• 수많은 프로젝트에서 반복해 사용하는 디자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모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문서로 정리

패턴랭귀지는 훌륭한 디자인 해결책에 대한 지식 축적 및 전달 체계

9

패턴랭귀지

Page 10: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다양한 분야의 패턴랭귀지

• 건축분야의 패턴랭귀지

각 분야에서의 ‘패턴랭귀지’은 조금씩 다른 형태와 특징을 갖추고 있음

공통적으로는, 패턴을 기술해서 열람하는 것을 의미

10

• 각각의 패턴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한 문제와 그에 대해 해결책을 설명

• 특정 상황에서의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과정-> 그 해결책은 계속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음

Page 11: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다양한 분야의 패턴랭귀지

• 건축분야의 패턴랭귀지

각 분야에서의 ‘패턴랭귀지’은 조금씩 다른 형태와 특징을 갖추고 있음

공통적으로는, 패턴을 기술해서 열람하는 것을 의미

11

• 소프트웨어분야의 패턴랭귀지

• 각각의 패턴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한 문제와 그에 대해 해결책을 설명

• 특정 상황에서의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과정-> 그 해결책은 계속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음

• 커닝엄이 건축 세계의 개념인 패턴랭귀지에 흥미를 가지고, 프로그래밍에 도입하려 시험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반복해서 등장하는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을 크게 개선->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구조나 설계를 재이용하기 쉬운 형식으로 정리한 것

Page 12: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다양한 분야의 패턴랭귀지

• 건축분야의 패턴랭귀지

각 분야에서의 ‘패턴랭귀지’은 조금씩 다른 형태와 특징을 갖추고 있음

공통적으로는, 패턴을 기술해서 열람하는 것을 의미

12

• 소프트웨어분야의 패턴랭귀지 • HCI분야의 패턴랭귀지

• 각각의 패턴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한 문제와 그에 대해 해결책을 설명

• 특정 상황에서의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과정-> 그 해결책은 계속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음

• 커닝엄이 건축 세계의 개념인 패턴랭귀지에 흥미를 가지고, 프로그래밍에 도입하려 시험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반복해서 등장하는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을 크게 개선->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구조나 설계를 재이용하기 쉬운 형식으로 정리한 것

• 디자인 패턴랭귀지는 디자이너의 관점에 지식을 축적하고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

• 사용성 원칙과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됨-> 일관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정리된 패턴을 반복 사용

Page 13: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다양한 분야의 패턴랭귀지

• 건축분야의 패턴랭귀지

각 분야에서의 ‘패턴랭귀지’은 조금씩 다른 형태와 특징을 갖추고 있음

공통적으로는, 패턴을 기술해서 열람하는 것을 의미

13

• 소프트웨어분야의 패턴랭귀지 • HCI분야의 패턴랭귀지

• 각각의 패턴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한 문제와 그에 대해 해결책을 설명

• 특정 상황에서의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과정-> 그 해결책은 계속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음

• 커닝엄이 건축 세계의 개념인 패턴랭귀지에 흥미를 가지고, 프로그래밍에 도입하려 시험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반복해서 등장하는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을 크게 개선->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구조나 설계를 재이용하기 쉬운 형식으로 정리한 것

• 디자인 패턴랭귀지는 디자이너의 관점에 지식을 축적하고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

• 사용성 원칙과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됨-> 일관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정리된 패턴을 반복 사용

수직적 특성: scale (크기)

Cities -> Neighborhoods -> houses ->

Windows …

수직적 특성: process

Creational -> Structural ->

Behavioral

수직적 특성: scale of problems

Posture -> Experience -> Task ->

Action

Page 14: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HCI 패턴 구성요소

• 신뢰도/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험이나 사용자 테스트에 기반하여 논리적 이유와 디자인 원칙을 해결책에 적용 (최영완

• 기존 알렉산더 양식 + 문제점에 기반한 해결책에 디자인 원칙, 관련 리서치 자료 등의 항목을 추가함

태스크, 사용자, 기술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패턴랭귀지를 형성

14

태스크�패턴

사용자�패턴

기술적�패턴

• 수행해야 할 태스크 과정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 • 태스크 분석을 통해 어떤 기능 또는 어떤 컨텐츠를 제공

해야 하는지 도출 • 태스크 성격에 따라 위계 관계가 형성될 수 있음

• 사용자의 사용 숙련도 및 연령대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도메인 지식 여부나 컴퓨터 사

용 경험, 빈도, 사용 연령의 차이가 고려되어야 함

• 플랫폼 또는 디바이스, 기술적 상황 때문에 발생하는 문

제들을 다룸 • 이것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인터랙션 디자인에 관련된

문제를 다룸

• 메뉴 선택 패턴 - 풀다운/ 팝업/ 탭 메뉴 등이 메뉴 선택 패턴포함

• 네비게이션 패턴 - 화면 내/ 화면 간 메뉴에서의 네비게이션

• 입력패턴 -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풋 패턴

• 표시 패턴 - 데이터나 문서 등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칼라 레이블 등

• 가이드 및 피드백 패턴 - 오류 예시, 도움말 제공과 관련된 패턴

• 레이아웃 패턴 - 화면/ 웹 페이지의 그리드나 배치에 관련된 넓이 패턴

• 아이콘 및 컬러 패턴 - 아이콘, 이미지, 칼라, 타이포 그래피 등의 비주얼 디자인 패턴

인터랙션�패턴

Page 15: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15

HCI, UX, UI 패턴의 비교

HCI 패턴

(Interaction design 패턴)

• 어떻게 상호작용 할 것인가

• 테마, 컨셉 등

• e.g. Deference / Clarity / Depth

UX 패턴• 사용자가 뷰나 플로우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게 할 것인가

• e.g. ios9의 UX 가이드라인

UI 패턴• 어떤 component로 어떤 task를

수행하게 할 것인가

• e.g. UX 가이드라인에 따른

component 디자인 및 배치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용어들에 대한 정리

Page 16: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패턴랭귀지

• 애플의 iOS 가이드라인

추상적인 것을 좀 더 구체화해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적용해보자!

실제 사례에서 패턴랭귀지는 어떻게 활용되고, 패턴이 어떻게 디자인으로 연결되는지를 살펴볼 것

16

• 구글의 material design

Page 17: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