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18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Transcript of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Page 1: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Page 2: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80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Page 3: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81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Page 4: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Page 5: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92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Page 6: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93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Page 7: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94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Page 8: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96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Page 9: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1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1. PBL 문제 설계 양식

PBL 문제 설계

모듈번호 학습 목표 문제 내용

1

∙ ∙

가정/해결안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 더 알아야 할 사항들

∙ ∙ ∙

Page 10: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2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PBL 문제 설계 (사례)

모듈번호 학습 목표 문제 내용

1

∙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

∙ 수업 동영상을 보고 컨설턴트의 입장에서 교수자의 장점

과 단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할 수 있다.

∙ 당신은 최근 S여대 교수학습센터 연구원으로 채용되었

고, 앞으로 교수들의 수업녹화컨설팅 업무를 맡게 될 예

정이다.

∙ 이번 주 센터 회의를 마친 후, 팀장이 당신에게 ‘(모의)수

업녹화동영상’을 전해 주면서 “이번 학기 교수님들의 실

제 수업녹화분석을 하기 전에 먼저 이 모의수업동영상을

분석하고 컨설팅보고서를 작성하라”고 지시하였다.

∙ 당신은 앞으로 2주 동안 이 동영상을 분석하고 컨설팅보

고서를 작성한 후, 3주차 화요일 오전 센터 회의시간에

발표해야 한다. 컨설팅보고서와 20분 분량의 발표자료의

형태는 당신이 선택할 수 있다.

가정/해결안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 더 알아야 할 사항들

∙ 교수자의 열정과 학생에 대한 배려가 중

요하다.

∙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 목소리의 전달력이 효과적이어야 한다.

∙ 몸동작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이 효과적

이어야 한다.

∙ 수업 구성이 체계적이고 진행이 여유 있

어야 한다.

∙ 효과적인 수업 행동

∙ 목소리

∙ 시선

∙ 판서

∙ 시간 관리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 발성법

∙ 시선의 사각지대

∙ 수업의 구조

∙ 효과적인 교수전략

Page 11: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3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2. PBL 모듈별 수업계획안 양식(예시)

PBL 모듈별 수업계획안

과목명모듈번호/수업차시

(수업시간)

강의주제

강의목표

공간계획 활동

(좌석배치)

교수 학습 활동

(시간)

수업과정

(문제제시/해결과정)학습자원 매체

수업 시작 활동

(30분)

수업 진행 활동

(90분)

수업 마무리 활동

(50분)

Page 12: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4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3. PBL 과제수행계획서 양식(예시)

★ 과제수행계획서 ★

모듈명

조이름 날짜 년 월 일

조원

학습목표

가설/해결안

(Ideas)

이미 알고있는 사실들

(Facts)

더 알아야 할 사항들

(Learning Issues)

향후계획

(Action Plan)

Page 13: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5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과제 수행 계획서 양식 2

가설/해결안 설정(Ideas)

알고있는 사실(Facts)

더 알아야 할 것(Learning Issues)

학습자원(자료)

Page 14: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6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4. PBL 평가 양식(예시)

자기평가지(학생용)

모듈명

이름

조/그룹명

평가 내용 상 중 하

1. 문제해결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습니까?

2. 문제해결활동에 도움이 되는 발언이나 태도를 보였습니까?

3. 다른 사람의 발언을 적극적으로 경청하였습니까?

4.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습니까?

5. 해결안/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도출하였습니까?

6.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습니까?

7. 학습결과물을 충실하게 제시하였습니까?

8,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고자 하였습니까?

9.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하였습니까?

10. (선택) 온라인상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였습니까?

점수 주기

(5점 만점)

*논거

Page 15: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7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PBL 동료평가지(학생용)

모듈

No.그룹명 이름

평가 내용 팀원 이름

1. 문제해결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2. 문제해결활동에 도움이 되는 발언이나 태도를 보인 사람은 누구입니까?

3. 다른 사람의 발언을 적극적으로 경청했던 사람은 누구입니까?

4.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던 사람은 누구입니까?

5. 해결안/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도출했던 사람은 누구입니까?

6.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의견을 냈던 사람은 누구입니까?

7. 학습결과물을 충실하게 낸 사람은 누구입니까?

8,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고자 했던 사람은 누구입니까?

9.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했던 사람은 누구입니까?

10. 온라인상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했던 사람은 누구입니까?

팀원 점수주기(본인 포함, 5점 만점)

이름

점수

평가의 근거가

되는 예화

Page 16: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8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그룹평가지(학생용)

모듈명

이름

조/그룹명

평가 항목 우수조 이름

1.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가장 많이 제시한 조는 어느 조인가?

2. 다양한 학습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합리적인 근거와 이유를 들어 의견을 제시하고 학습결과를 이해하기

쉽게 보고한 것은 어느 조인가?

3. 흥미를 가지고 학습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어느 조인가?

4. 조원간의 의견을 존중하고 서로 도우며 학습을 바른 자세로 이끈 조는?

5.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열심히 학습에 임한 조는 어느 조인가?

그룹 점수주기(5점 만점)

조/그룹명

점수

점수의 근거

Page 17: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09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

PBL 성찰저널(학생용)

그룹명 이름

1. 본 과제를 통해 무엇을 배웠습니까?

2.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였습니까?

3. 본 과제를 통해 배운 것을 나의 생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습니까?

4. 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은 무엇입니까?

5. 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대안(방향/내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Page 18: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설계 실습cbs.hansung.ac.kr/2015-1/computer/pbl.pdf · 2015-05-12 · pbl(problem-based learning)로 수업하기 : 문제

110

학습 동기와 참여 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과정

성찰저널 양식 2

1. 무엇을 배웠는가?

2. 어떤 과정을 통해 학습했는가?

3. 이런 학습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가? (일반화하기)

4. 이것을 실제 내 생활, 직장, 가정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