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정보팀 - textopia.or.kr · 섬유정보팀 -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6...

34

Transcript of 섬유정보팀 - textopia.or.kr · 섬유정보팀 -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6...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목 차

    1. 개요 ··············································································································· 1

    2. 기능 ··············································································································· 2

    3. 종류 ··············································································································· 4

    4. 특징 ··············································································································· 5

    5. 국내외 사용현황 ···························································································· 5

    5-1. 덴마크, 한국산 철제와이어로프 수요 증가 ··············································· 5

    5-2. 국내 와이어 산업의 현황 과 전망 ··························································· 6

    5-3. 부울경 섬유업계, ‘신섬유’로 제2의 전성기 ············································ 16

    6. 제법 ············································································································· 16

    6-1. 로프소재 ······························································································· 16

    6-2. 브레이드 소재 ······················································································ 17

    7. 성능 ············································································································· 20

    8. 용도 ············································································································· 21

    9. 시험규격 및 방법 ························································································· 23

    9-1. 품질 ····································································································· 23

    9-2. 초하중 ·································································································· 23

    9-3. 시험방법 ······························································································· 23

    9-4. 검사 ····································································································· 26

    9-5. 결과의 표시 ·························································································· 27

    9-6. 규격 ····································································································· 27

    10. 향후 개발방향 ···························································································· 29

    10-1. 단독 Braid ·························································································· 30

    10-2. 복합 Braid ·························································································· 30

    10-3. deepwater mooring ropes ·································································· 31

    참고자료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 -

    1. 개요

    로프란 굵은 밧줄을 말하며 가는 섬유를 모아 왼쪽으로 꼬아서 단사(單絲)로 하고 이것을 몇

    개 내지 수십 개씩 모아서 오른쪽으로 꼬아 가닥으로 만들고, 이 가닥을 다시 3∼4개 또는 8

    개를 합쳐 꼬거나 짜서 만든 긴 섬유줄을 말한다. 밧줄ㆍ새끼줄ㆍ끈은 대강의 크기로 섬유줄

    을 분별한 것으로 좁은 뜻의 로프는 밧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밧줄은 단사가 여러 가닥으

    로 이루어져 있는 것, 새끼줄은 단사 한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끈은 지름 8㎜ 이하

    의 가는 섬유줄이며, 와이어로프는 보통 삼섬유를 심(芯)으로 한 강선(鋼線)을 합쳐 꼰 것을 말

    한다. 예로부터 모든 민족이 섬유나 실 종류를 이용하여 로프를 만들어 왔다. 삼[麻]ㆍ면(綿)ㆍ

    짚ㆍ종려나무ㆍ골풀 등의 섬유류, 소ㆍ순록ㆍ바다표범 가죽 등의 피혁류, 포도나무ㆍ꽃대ㆍ등

    나무ㆍ칡 등의 덩굴류가 로프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로프는 2가닥 이상의 실을 꼬임 방향

    과 반대 방향으로 합연해서 실을 만들고 이것을 다시 3가닥 이상 합쳐서 꼬임 방향으로 합연

    한 것이다.

    그림 1. 로프의 종류와 구조

    그림 1(a)은 로프의 구조 및 종류를 나타내었다. 로프의 종류로는 합연 로프, 브레이드 로프

    및 다중 브레이드 로프 등이 있으며, 합연 로프는 원사를 여러 가닥 합연한 스트랜드(strand)

    를 다시 몇 가닥 합연한 것을 말한다. 합연한 스트랜드의 가닥수에 따라 3가닥, 4가닥, 6가닥

    로프 등이 있으며, 일반적인 형태는 3가닥의 스트랜드를 이용하며 Z 꼬임을 준 로프(그림

    1(b))이지만 S 꼬임을 준 것(그림 1(c))도 있다.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 -

    브레이드 로프는 브레이더(braider)에 스트랜드를 공급해서 환 브레이드(round braid)로 편조

    한 것인데 심(芯)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으며, 합연 로프에 비하여 로프의 끝이 잘 흐트러

    지지 않는다. 8가닥 브레이드 로프의 경우 S 꼬임을 가진 스트랜드 4가닥 및 Z 꼬임을 가진

    스트랜드 44가닥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1(d)). 다중 브레이드 로프는 브레이드 층을 2중, 3중

    으로 중첩한 구조의 브레이드 로프(그림 1(e))로, 천연섬유에는 마닐라삼과 사이잘삼이 흔히 사

    용된다. 마닐라삼은 필리핀을 비롯하여 인도네시아ㆍ중앙아메리카 등 열대지방에서 나는 1종

    (種)의 파초 잎자루에서 채취한 섬유로, 각 단(單)섬유의 중심부는 가운데가 비어 있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다. 따라서 마닐라로프는 물에 넣어도 뜨는 성질을 가지며 내해수성(耐海水性)이

    우수하다. 필리핀이 세계 총생산량의 약 90%를 생산하는데, 특히 다바오에서 산출되는 삼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사이잘삼은 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리카ㆍ인도네시아ㆍ아프리카에서 나는

    용설란과(科) 식물의 잎 속에 있는 섬유를 채집한 것으로, 길이와 굵기가 마닐라삼과 같으나

    강도가 약하고 뻣뻣하기 때문에 로프로 사용해도 굴곡성이 부족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사

    이잘삼은 주로 육상용 밧줄의 재료로 이용되며, 그 외에 타이마삼을 원료로 백마(白麻)로프와

    타르로프를 만든다. 면 로프에는 양질의 순면사(純綿絲)가 이용되며, 특별히 지정하지 않을 때

    에는 20번수(手)의 왼편으로 꼰 면사가 사용된다. 합성섬유의 발달로 비닐론ㆍ나일론ㆍ폴리에

    틸렌ㆍ폴리프로필렌ㆍ폴리에스터의 멀티필라멘트사(絲)·모노필라멘트사와 방적사가 로프 재료

    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천연섬유를 압도하고 있다. 최근 아라미드 섬유가 고강력(高强力)ㆍ

    고탄성률을 살려 해양용 로프로 사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종 산업에 주로 사용되는 로프

    재의 종류 및 기능, 특징, 제조방법, 용도, 시험규격, 등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2. 기능

    선형 구조를 갖는 산업용 섬유소재로는 실, 코드(cord), 로프(rope), 케이블(cable), 브레이드

    (braid) 등이 있다. 이중 브레이드는 제조방법에 따라서 선형,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갖으며,

    실을 합연하거나 브레이드하여 망이나 끈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직경이 1/4~5

    in(6.4~127mm)인 것을 로프, 그 이상의 것을 케이블, 그 이하인 것을 코드로 구분한다. 섬유

    또는 강선(鋼線)을 꼬아서 만든 줄로서 각종 산업용의 감기전동(wrapping connector driving)

    에 사용된다. 면ㆍ마ㆍ합성섬유 등의 섬유 로프와 섬유를 심(芯)으로 해서 강선을 꼬아 만든

    와이어로프가 있다. 섬유 로프는 어구(漁具)ㆍ선구(船具)로서 중요하며, 또 임업(林業)ㆍ운수 등

    에 널리 사용된다. 보통 단사(單絲) 수십 줄을 왼꼬임으로 해서 스트랜드(strand)를 만들고, 스

    트랜드를 3∼4줄 또는 8줄을 합쳐 오른 꼬임으로 해서 로프를 만든다. 마닐라삼 등으로 만든

    삼로프가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강도도 있고 잘 부패되지 않는 나일론ㆍ폴리에스터

    ㆍ비닐론 등 합성 로프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면 로프는 습기나 수분의 영향을 받기 쉬우나

    유연하여 구부리기 쉽고, 수명도 길다는 등의 특징이 있어 전동용으로 가장 적합하며 삼로프

    는 비바람에 강하므로 옥외(屋外)에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로프는 로프 풀리(pulley)의 홈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3 -

    에 걸고 전동용으로 하지만, 면로프ㆍ삼로프는 로프 풀리의 홈의 경사면에서 접촉하도록 하고

    홈의 각도는 45° 또는 60°로 한다. 와이어로프는 몇 줄의 철사를 꼬아 스트랜드를 만들고, 6줄

    의 스트랜드를 마닐라 로프나 그 밖의 섬유의 심으로 하여 꼬아서 만들며, 와이어로프는 특히

    큰 인장력에도 견딜 수 있으므로, 무거운 것을 끌어올릴 경우에 사용한다. 대체로 로프의 굵기

    는 그 지름으로 표시한다.

    항공로프

    GALVANIZED AIRCRAFT CABLE

    용도 : 건설공사 기계류

    합성수지 피복로프

    GALVANIZED VINYLCOATED CABLE

    용도 : 방음벽 지지용, 농자재용, 요트,

    항공기용

    표 1. 대표적인 로프의 구성 및 용도

    헤라클레스 19×7 8×S(19) FC KS15호

    구성 (1+6)+6×(1+6)+12×(1+6) 구성 8×(1+9+9)

    꼬임 보통, 랑그 Z 혹은 S 꼬임 보통, 랑그 Z

    용도타워 크레인용, 색도용,

    지질용 등용도

    엘리베이터, 권상용,GOVERBOR용, 보정용

    6 × Fi(25) IWRC KS14호 6×24FC KS4호

    구성 7×7+6{1+6+(6)+12} 구성 6×(9+15)

    꼬임 보통, 랑그 Z 혹은 S 꼬임 보통, 랑그 Z

    용도기계용, 건설기계용, 크레인용,

    토건용, 원치용용도

    선박용, 수산용, 건설공사용,기타 일반

    6 × 19FC KS3호 6×37FC KS6호

    구성 6×(1+6+12) 구성 6×(1+6+12+18)

    꼬임 보통, 랑그 Z 혹은 S 꼬임 보통 Z 혹은 S

    용도기계용, 임업용, 선박용, 기타

    일반용도

    선박용, 크레인용, 기계용,기타 일반

    가이드 와이어 로프

    구성 3×(1+6)

    꼬임 보통 Z

    용도 가이드 펜스용, 낙석방지색용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4 -

    3. 종류

    표 2. 대표적인 로프 제품의 특성 및 용도

    단라인로프

    (P.P.DANLIN

    E)

    특성

    • 고품질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만들어지며 특별히

    자외선에 대한 높은 저항력과 취급상 대단이 용이

    한 로프임.

    • 비중이(0.91)이 낮아 물에 뜸.

    • 기존의 3면 로프보다 긴 수명.

    • 충격 흡수력이 뛰어나고 마모에 우수한 저항력과

    뒤틀림이 없으며 유동성이 있어 작업이 용이.

    용도

    • 양식용, 육상용, 어업용 및 레크레이션과 스포츠

    분야에 널리 사용.

    • 중선박 정박용, 도킹용, 닻줄용과 같은 용도로 가

    장 잘 알려져 있는 로프임.

    비닐론(구라론)

    로프

    (KURALON

    ROPE)

    특성

    • 외관상 목면(목화면)과 매우 유사하며 자외선에

    높은 저항력을 지님.

    • 내ㆍ외부 마모에 탁월한 저항력을 지니고 있으며

    취급상에 있어서도 대단히 용이.

    용도• 트롤용과 어업용으로 안전망, 선박용 등 기타 용

    폴리프로필렌

    로프

    (P.P.MONO)

    특성• 3면로프로서 부드럽고 감촉이 우수.

    • 신축성이 뛰어남.

    용도 • 가정용, 장식용, 특수용도용품에 사용됨.

    나일론

    8연로프

    (NYLON

    8-STRAND

    ROPE)

    특성

    • 마닐라 로프의 강도에 비해 두배 이상이며 합섬로

    프 중 가장 강도가 높고 탄력적인 제품.

    • 충격에 잘 견디며 하중을 가하면 그 에너지를 완

    전히 흡수.

    • 마모에 강하고 로프 취급상에 있어 최적의 제품.

    • 비중(1.14)이 커 물에 잘 가라앉음.

    • 탄성이 크고 하중 상쇠력이 매우 우수.

    • 뒤틀림이 없고 신축성이 좋으므로 작업에 용이.

    • 자외선에 강함.

    용도• 트롤용과 어업용으로 안전망, 선박용 등

    • Mooring용, 호저(Hawser)용, Sea Anchor용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5 -

    폴리에틸렌

    로프

    (P.E.)

    특성

    • 유연성이 좋고 매끄러워 내마모에 특히 우수

    하다.

    • 인장강도는 건조시나 습기시에도 불변이다.

    용도• 트롤 등 모든 수산업과 육상용으로 폭넓게 사

    용되어짐.

    마닐라

    로프

    (MANILA

    ROPE)

    특성• 재질이 자연 섬유로 되어있음.

    • 실내에서 사용

    용도

    • 운동기구용(줄다리기 및 줄넘기), 각종 실내 인

    테리어

    • 고가빌딩 안전 사다리용 등에 사용됨

    4. 특징

    섬유로 만든 로프의 소재로는 천연섬유는 명, 마닐라삼, 사이잘삼 등을 사용하고 활성섬유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서터, PVA, PE, PP 등을 사용한다. 또한 섬유 로프와 와이어로프의 중간

    성질을 얻기 위하여 섬유와 와이어를 복합한 복합로프를 만들기도 한다. 일반적인 로프의 요

    구물성은 건조-습윤 과정에서 강도변화가 없어야 하고 탄성 회복도가 우수해야 하며 신장도가

    적어야 하며 건조할 때와 젖었을 대 신장도의 변화가 적어야 한다. 또한 내유성, 내약품성, 내

    마모성이 요구된다. 브레이딩(braiding)은 간단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섬유공정 중의

    하나이며 브레이드 구조물은 높은 비틀림 강성과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드 구

    조물을 이용한 복자반 형태를 갖는 재료의 제조는 복합재료 프리프레그(prepreg)를 만드는 공

    정을 이용하여 가능하며, 3차원 브레이드 구조물은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면서 복합재료 구조

    물을 형상 그대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을 살릴 수 있다. 브레이드 제조 방법은 둘 또는 그 이상

    의 종류의 실이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사선방향으로 교차시키는 것으로, 브레이드 구조물

    은 형성되는 과정이나 실이 교차되는 방법에서 직물 또는 편물과는 매우 다르다. 브레이드 구

    조물 및 제조 방법은 필라멘트 와인딩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 실, 프리프레그

    실, 테이프, 토우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섬유 배향각, 섬유부피분율로 변화

    를 주어 맨드럴이나 회전하는 구조물 위에 브레이드 할 수 있다. 브레이딩에 의해 필라멘트

    와인딩과 같은 높은 섬유부피분율을 얻기 어려우나 훨씬 복잡한 형태(예리한 곡률)의 구조물

    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드 구조는 높은 구조적 일체성 부여, 취급 및 다른 재료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손상 저항이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5. 국ㆍ내외 사용현황

    5-1. 덴마크, 한국산 철제 와이어로프 수요증가

    2007년 덴마크 와이어로프시장 규모는 4500만 달러로 전년 3600만 달러 대비 25% 증가했으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6 -

    며 2008년에도 11% 이상 성장한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07~08년 건설업의 호황으로 규모가

    확대됐으나 2009년에는 둔화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기침체에 따른 비용절감 차

    원에서 공급처를 옮기려는 업체가 늘 것으로 예상되며, 주로 크레인ㆍ리프트용이며, 선박업ㆍ

    해양 유정ㆍ풍력발전기 관련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덴마크 최대 크레인ㆍ리프트ㆍ와

    이어로프 공급업체인 Fyns Kran Udstyr에 따르면, 건설경기 침체로 일반 크레인ㆍ리프트 수요

    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해양 유정ㆍ해양 풍력발전단지용으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기

    대되고 있다. 와이어 관련 제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독일ㆍ네덜란드ㆍ영국 등 주로

    유럽국가로부터 수입을 했으나, 최근 들어 우리나라부터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

    재 와이어 직경 3㎜가 넘는 중국산 제품에는 64% 반덤핑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최근 들어

    중국산 제품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특히 국산 스테인리스 와이어 제품(HS 73121020)

    의 경우 2007년 대비 수요가 88% 폭등했다. Fyn Kran Udstyr사의 구매담당, Flemming

    Vestensen씨에 따르면 한국산이 독일ㆍ네덜란드산과 비교해 품질면에서 결코 뒤떨어지지 않고,

    중국산 제품의 경우 반덤핑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국산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원화 약세로 국산제품의 경쟁력이 더욱 좋아진 상황으로, 중국

    산 제품은 와이어 직경 2㎜ 이하의 저렴한 제품군에 치중돼 있으며, 독일 등 유럽국가 제품은

    주로 납품기간이 짧은 오더를 처리하기 위해서 수입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중국산 제품

    의 품질이 많이 향상됐지만, 아직은 한국산 제품의 품질이 월등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며, 특

    히 기존 중국산 제품을 수입하다가 국산 제품으로 대체한 업체에서 국산제품에 대한 평가가

    매우 긍정적이다. 일부 업체에서는 한국 무역회사를 통해서 수입한 제품이 한국산 제품으로

    둔갑한 중국산 제품으로 드러나 피해를 보았다고 호소.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직하지 못한 일

    부 중간무역상 때문에 한국 제품의 이미지가 실추된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덴마크 업체들은

    대부분 대규모 전문수입업체들을 통해 철재 와이어로프 제품을 구매하고 있으며, 수입업체에

    서는 제조업체와의 직거래 구조를 선호하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해서 시장 환경이 악화됐지만,

    한국산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함께 최고의 가격경쟁력을 앞세워서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며,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을 높여서 한국산 제품의 고품질 이미

    지를 확고히 해야 할 것이다. 한국으로부터의 운송기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유럽제품을 구매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코트라의 로테르담 공동물류센터 활용 등을 통한 납품기간 단축을

    모색해야 하며, 운송기간을 줄일 수 있다면,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덴마크

    는 한국산 철재 와이어로프 제품에 대해 0%의 수입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25%의 부과세

    (VAT)가 부과되고 있다.

    5-2. 국내 와이어 산업의 현황과 전망

    철강 산업의 일부분으로 인식되었던 와이어 산업을 전문적인 관점에서 그 현황과 전망을 살

    펴보면 일반적으로 와이어라 하면 철선을 떠올리게 되지만 철과 비철 와이어 산업의 현황을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7 -

    한데 묶어 와이어 산업으로 조명하였다. 와이어의 사전적인 뜻에는 전선이 포함되어 있으나

    우선은 철과 비철 와이어를 위주로 조사 취재하였다.

    ① 와이어의 범주

    • 철사

    와이어의 사전적인 뜻은 크게 철사, 동선(비철 와이어), 전선, 철망, 모두 네 가지로 나누어

    진다.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떠올리는 철사는 철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철선은 보통강 선재 중

    에 탄소 함유량 0.08 ~ 0.15%의 연강선재를 소재로 하여 산세, 수세 또는 디스케일링 처리하여

    상온에서 다이스를 통해 소정의 굵기로 신선한 것으로 주로 건축용, 가정용에 많이 쓰인다. 여

    기서 선재란 철강의 선 및 선재품을 생산하기 위한 소재로서 단면이 원형인 코일형상으로 감

    긴 강재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선재는 보통강 선재와 특수강 선재로 나눌 수 있다. 보통강

    선재를 소재로 하는 것은 철선 외에 철선에 아연도금을 한 아연도금철선(철망, 가시철선 등 재

    료), 경강선(와이어로프 소재와 스프링용 소재, 일반산업용 소재), 아연도금 경강선(와이어로프

    소재), 용접봉 심선(용접봉용)이 있으며, 특수강 선재를 소재로 하는 것은 PC강선(Prestressed

    Conerete Wire: 피아노 선재를 열처리한 후 상온에서 신선하여 패턴팅한 제품), 이형 PC강선

    (콘크리트 파일, 전선주 등), 스테인리스 강선(스테인리스 선재를 신선한 것), 비드와이어(청동

    도금 와이어), 냉간 압조용 강선(특수강 냉간 압조용 강선 이용 냉간가공 후 열처리하여 만든

    강선, 볼트/너트 등 각종 기계 부품에 사용) 등이 있다.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는 와이어로

    프(경강선을 꼬아 강연선을 만들고 다시 심을 중심으로 몇 개의 스트랜드를 꼰 것), 강연선, 타

    이어코드(극세선 신선 가공후 황동도금한 것을 고속 연선한 것), 스프링, 철망, 철조망, 어닐링

    선 등이 있으며, 이러한 철선 및 강선과 선재 2차 가공류를 철 와이어 범주 안에 포함시킨다.

    • 동선

    비철 와이어를 대표하는 것으로 동선을 중심으로 동과 아연의 합금선인 황동선을 비롯하여

    알루미늄선, 단동선, 양백선 외 비철로 된 모든 와이어를 지칭하는데 금속에서 비철금속이란

    철을 제외한 100여종에 달하는 금속류를 지칭하는 용어인 만큼 비철 와이어는 신소재 개발을

    통해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갈 수 있다.

    ② 와이어 산업의 현황

    • 철 와이어 산업의 현황

    철 와이어 산업은 와이어의 소재인 선재와 선재가공품인 선, 이 모두가 포함되는 개념이다.

    선재 및 와이어를 모두 취급하는 업체가 많으므로 선재와 와이어의 구별없이 선재업체라 칭하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8 -

    는데, 선재 생산업체로는 가장 큰 업체가 바로 포항종합제철(POSCO)로, 포스코의 조강생산량

    은 98년 세계 1위의 수준이다. 국내 대부분의 선재 가공 업체들이 포항제철의 강 생산에 상당

    부분을 의존하고 있으며, 업계에서 와이어 업체가 200여 곳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200여 곳

    중 한국철강협회에 등록된 선재 가공 업체를 살펴보면 주요 업체로 등록된 곳이 37개 업체로

    대기업과 중기업의 분포가 높고 소기업은 일부 등록되어 있다. 대기업과 중기업의 분포가 높

    은 이유는 여러 과정을 거쳐 제선되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설비가 필요하고 또 복잡한 공정을

    요구하는데 소기업으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규모이기 때문이다. 등록되지 않은 소기업의 숫자

    는 상당히 많을 것으로 예상되나 제선양은 총량에 비해 미미한 편이다. 흔히 와이어 산업도

    제조업의 일부로 영세하다는 표현을 많이 하나 이는 와이어 산업의 일부, 단순한 공정의 와이

    어 생산 업체만을 두고 하는 말로 철 와이어의 경우는 생산량을 두고 보면 규모가 큰 기업의

    비중이 소기업보다 오히려 높다고 볼 수 있다.

    - 99년 선재의 수요동향

    선재의 수요 동향은 선재의 주 수요 산업인 건설, 조선, 자동차, 가전산업, 일반 기계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99년 선재의 수요 동향을 살펴보면 상반기에는 국내경제가 7.3%의 성장

    을 보이는 등 경기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특히 자동차 등 제조업 부문의 생산이 증가하면서 큰

    폭으로 늘어났다. 선재 2차 제품별로는 금년 상반기에 용접봉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이 수요

    증가와 함께 생산량이 늘어났으며 특히 냉간 압조용 강선의 호조세가 두드러져 화스너 업계는

    원소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경강선재는 내수보다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세가 지

    속되고 있으며, 와이어로프, PC강선. 비드와이어 모두 수출 출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용접봉

    의 경우 조선 및 자동차 제조업 수요는 회복되고 있는 반면 건설부문에서는 수요침체가 지속

    되어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철못의 경우는 70% 이상을 수출하였고 철선은 거의 대부분을

    내수에 의존하였는데 최근 건축경기 상승 움직임에 따라 내수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

    다. 선재의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면 수출은 내수호조로 전년 동기비 26.5%로 감소를 기록했고

    수입은 전년동기비 188.4%의 대폭적인 증가세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생산이 수요 증가세를 따

    라잡지 못한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98년 공급과잉 상태가 99년에 와서 일시에 공급부족 상태

    로 전환되었다.

    • 철망산업의 현황

    철망은 주로 용접철망, 돌망태, GIBION, 능형망 등을 이르나 이 외에도 종류가 수백 개에

    이르고 그 규격이 다양하다. 주 용도는 구조물 보강용, 울타리, 토목공사용, 방조제건설용 등을

    들 수 있으며, 철망 조합의 회원사는 모두 78개사로 대부분이 종업원 80명 이하의 소기업이며

    7개사가 종업원 300명 이하의 중기업, 1개사가 대기업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이 소기

    업이기 때문에 수주 받기가 힘들어 전체적인 경쟁력이 대기업과 큰 차이를 보이며, 소기업의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9 -

    경우 설비가 미약하므로 품질 보장이 어려우므로 품질 경쟁력에서 대기업에 비하여 뒤처지고

    소규모 생산이라 가격 경쟁력도 확보되기 힘든 실정이다. 또 작은 규모라 원소재를 대량 구매

    할 수 있는 대기업과는 달리 원소재 수급도 어려워 조합을 통해 원소재를 공동 구매하고 있지

    만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철망산업은 대표적인 3D업종으로 영세업체가 대부분이며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면 수입에 비해 수출은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몇 년 후면 중국 등에서 철망이

    거진 수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비철 와이어 산업의 현황

    비철 와이어 산업의 범주 역시 선재(와이어 로트)와 그 가공품을 포함하여 주종으로는 동선,

    황동선, 알루미늄선, 양백선 등이 있으나 이 외에도 비철로 된 와이어는 모두 포함한다. 비철

    와이어 수요 산업 분야는 광범위한데 특히 경량화를 위한 부분에 활용도가 큰 편으로, 비철

    와이어를 위시한 비철 금속 산업은 자본 집약도가 높은 장치 산업으로 투자 자본에 대한 회수

    기간이 길며 금속의 제련 및 가공 등의 측면과 에너지 다소비 및 공해산업이라는 이유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제련시설을 축소시키는 반면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고부가가치의 경량합금,

    특수합금 및 신소재 부문에 연구개발, 설비확대를 하고 있다. 한국동공업 협동조합의 자료에

    따르면 비철 업체는 가입 업체가 47개 업체, 미 가입 업체가 17개 업체로 총 64개 업체인데

    이 중 동선 및 비철 와이어 생산 업체는 13개 업체로 20%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

    다. 업체 규모별 분포는 풍산금속으로 대표되는 대기업도 있지만 중기업과 소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해 철망 산업과 마찬가지로 철선 및 강선을 위주로 하는 철 와이어 산업과는 뚜렷한 대비

    현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비철 와이어 산업은 동남아와 중국 등이 위협적인 존재가 되고 있

    으며, 비철 와이어 역시 3D 업종으로 앞으로 설비 운용능력까지 국내 기술 수준을 따라 잡으

    면 5년 내지 10년 후에 지금 우리나라가 주로 하는 소재를 중국이나 동남아가 장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③ 와이어 산업의 문제점(철, 비철 포함)

    중소기업 위주 와이어 업체를 선별, 와이어 산업의 문제점을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소기업이자 제조기업이 가지는 문제점들이 많이 도출되었다.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0 -

    업체난립으로

    인한과다경쟁, 55%한정된국내

    시장, 23%

    비기술집약형

    산업형태, 12%

    기타, 10%

    와이어산업의문제점

    전문인력부족, 43%

    자금력부족, 14%

    업체간협동화

    부족, 15%

    기술정보부족, 14%

    기술개발시어려운점

    저렴한

    주문단가, 30%

    원부자재

    확보난, 25%

    기타, 45%

    제품생산시어려운점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1 -

    업체간

    협조체제, 28%

    공동기술개발, 13%

    관련업체협동화

    사업장구축, 14%

    정부지원육성, 12%

    기술지원, 33%

    와이어산업에필요한육성방법

    그림 2. 와이어 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먼저 와이어 산업이 어려워지는 원인에 대한 설문에는 “업체 난립으로 과다경쟁”이 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국내 시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 23%로 두 번째, “기술 집약

    형 산업이 아니라서”가 12%가 세 번째를 차지하였다. 업체난립으로 인한 과다경쟁은 철 와이

    어 중 단순 공정을 행하는 영세업체의 수주경쟁을 의미하는 것이고 특히 영세업체의 비중이

    높은 철망업계나 비철 와이어 업계도 수주를 따내기 힘들어 치열한 경쟁을 하는 것으로 보인

    다. 또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한 국내 시장이 한정되어 있어 와이어 산업이 어려워진다는 것은

    수출이 어려움을 극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우선 품질과 가격이 좋은 국산 선재는 국산 수

    요를 다 충족할 수 없어 원재료는 수입하는 비중이 상당히 많아 영세업체에게 가격의 부담을

    주게 되고 가격경쟁력이 낮은 와이어 업체로서는 수출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세 번째로 와이어 산업은 기술 집약형 산업은 아니며 소재 품질 면이나 설비 운용 능력

    등에서 후진국과 차이를 보이지만 중국이나 동남아 등의 제조업 후발 주자들이 이러한 기술

    수준을 곧 따라잡으리라 예상된다. 또한 가격의 현실화가 되지 않는 것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

    았는데 이는 최종 수요측이 업체의 과다경쟁에 힘입어 완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음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CHQ 와이어 업체의 경우 연속되는 적자를 회복하기 위해 올해 두 차례

    나 가격 상승을 단행하기도 했다.

    역시 제품 생산 시 어려운 점에 대한 설문에는 “저렴한 주문단가”가 30%로 1순위를 차지

    가격 현실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고 “원부자재 확보난”이 25%로 두 번째로 비중이 높아

    소재수급의 어려움을 반증했다. 이 외에도 생산 기술의 낙후와 소요자금 조달의 어려움, 대금

    회간 장기, 불안정한 주문이 어려운 점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그 외에도 기술개발 시 어려운 점을 묻는 질문에 “전문인력부족”이 43%로 큰 비중을 나타

    내었고 “자금력부족”이 14%, “업체간 협동화 부족”이 15%, “기술정보부족” 14%, “자체연구시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2 -

    설부족” 14%로 등으로 나타났다.

    ④ 와이어 산업의 과제

    와이어 산업은 소재산업이며 주요 산업의 기반 산업인 만큼 전 산업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는 산업이다. 중요 산업인 와이어 산업의 문제점이 원소재 수급 및 가격, 전문인력

    부족, 생산기술의 낙후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개선책, 즉 현 시점에서의 와이어 산업

    의 과제는 제조업의 경우 항상 거론되는 문제점인 전문인력의 부족, 이는 생산 전문인력의 부

    족과 전문기술자의 부족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와이어의 경우는 생산 전문 인력 부족을

    많이 지적하였다.

    생산 전문 인력의 부족은 공장 자동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사항으로, 포철의

    경우 일부 공정은 공장에서 사람을 보기 힘들 정도로 무인 자동화 되어 있다. 공해를 유발하

    는 유해한 작업환경도 생산 인력이 부족한 주원인인데 이는 환경설비 투자와 직결되어 영세업

    체로는 지원 사항 없이는 설비 마련이 힘들다. 자동화나 작업환경 개선 등은 모든 제조업체들

    이 원하는 바이지만, 업체 단독 차원으로서 이러한 대대적인 설비 투자는 이뤄지기 어렵다. 기

    반산업의 중요성을 국가가 제고하여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정부의 대

    대적인 지원으로 이루어진 포철의 경우 매머드급 규모에 무인 자동화 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는 금속 제조업들에게 부러움을 사는 환경으로 중소기업들은 대기업에 대한 정부의 집중투

    자가 중소기업도 포함한 분산지원이 필요하다.

    자동화 설비로 인력문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이 외에도 설비에 관련된 과제는 많다. 앞서 설

    문조사에서 생산기술의 낙후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는 기술의 낙후가 아니라 생산설비 자체의

    낙후를 가리킨다. 선재를 뽑는 과정에서 많은 공정이 따르므로 설비 역시 복잡한데 일반 신선

    기는 국산화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아직까지도 열처리 부분이나 고속신선기 분야는 국내 기술

    로는 힘든 실정이다. 생산 기술은 국산 100%이고 설비 운용기술도 갖추고 있지만 설비 자체의

    품질이 외산에 비해 떨어진다. 기술집약형 산업이 아니므로 설비 의존도는 매우 크므로, 와이

    어 업계의 과제에서 설비의 고급화는 빠질 수 없다. 아직도 외국 기계의 모방이라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는 만큼 와이어 설비의 기술 개발은 계속 되어야 한다. 가격으로만 경쟁하는 것

    이 아니라 품질에 대한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설비산업 자체도 국제 경쟁력이 생길 것이다.

    다만 값싼 설비에만 의존해야 하는 영세 제조업체의 경우 부가가치를 올리기 위한 기본 노력

    이 전제 되어야 하고 이러한 업계 전체의 사정이 좋아져야 설비 업체도 품질에 대한 노력을

    경쟁력으로 가져가야 한다.

    중국 등 동남아의 추격을 두려워하는 것도 중국 등 후발 국가들이 외국산 설비를 대대적으

    로 들여왔기 때문인데 국내 와이어 산업 역시 고급 설비를 따라잡지 못하면 더 이상 경쟁력이

    없다. 선재의 품질은 원소재와 설비가 거의 좌우함. 설비업계의 발전은 와이어 산업의 발전과

    맞물릴 정도로 중요하다. 와이어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국산 설비는 외국 모방 차원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3 -

    에서 벗어나 품질에 대한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전문화로 원가를 낮추어 영세

    제조업체에게도 설비 투자의 기회가 주어져야 된다. 하지만 이것은 장기적인 관점인 바 현재

    는 경쟁력이 뒤처지는 영세업체들에게 설비투자 지원은 정부차원에서 필요하다.

    그 외에 열처리 기술의 발전도 시급하다. 원소재 수급 문제는 빈익빈 부익부로 이 역시 대

    기업과 중소기업의 처지가 다르다. 대량구매와 소량구매의 차이인데 영세업체의 경우 대량구

    매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부와 수의계약이 가능한 관련 조합의 활동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

    대표적인 원소재 수급 업체인 포철이 국내 수요를 다 충당하지 못해 수입해 들어오는 선재의

    경우 관세를 내려줄 수 있는 관행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불가피한 수입의 경우 관세를

    내려주는 방안이 적절하다. 중소기업청과 관련 조합은 이러한 업계의 요구를 정확히 조사하여

    정부에 전하고 정부는 기 반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업계의 요구에 대해 면밀한 검토를 해

    야 한다. 가격의 현실화 문제는 최종 수요 업체가 소재 업체의 과다 경쟁을 이용하여 가격을

    동결시키는 것이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하반기에 자동차 부품 중 화스너 업

    계는 원소재구득난으로 채산성이 크게 악화되어 자동차 수요측과 협상을 벌여 현재 자동차 업

    계는 이를 조사 중이다.

    가격 현실화에 대한 자구 노력과 정부차원에서도 대기업공급과 대기업 수요에 샌드위치처럼

    껴있는 중소 제조업체의 현실에 관해 관심과 지원이 요구되며 와이어 업계나 조합의 노력도

    절실한 실정이다. 원소재 수급 문제나 가격문제 등은 와이어 시장과 관계가 깊고 설비투자 등

    은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장기적인 과제로 남아있다.

    현실적으로 와이어 산업에서 업체가 노력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좋은 품질의 제품개발로,

    기술집약형 산업이 아니라서 단기간에 고부가가치를 내기 어렵지만 신소재 개발과 연구는 부

    가가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비철와이어의 경우는 세계적으로 신소재 개발과 관련되어 산

    업이 성장하는 만큼 그 연구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외 종류가 굉장히 많은 철망 등

    도 신제품 개발로 특성화가 필요하며, 과다 경쟁으로 인해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만큼 우선적

    으로 업종 전문화, 특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덧붙여 앞서 제기한 설문조사에서 “와이어 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면 그 방법은?”이라는 설

    문에는 “업체간 협조체제” 28%, “공동기술개발” 13%, “관련업체 협동화 사업장 구축” 14%로

    나타나 이를 업체 자구노력으로 묶어보면 총 55“를 차지, 자구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그 뒤를 이어 “정부지원 육성” 12%, “기술지원” 33%로 나타나 정부지

    원 역시 절실함이 나타났다.

    ⑤ 와이어 산업의 전망

    • 주요 수요산업의 전망

    - 건설(건설투자 : 99년 4.9% 감소, 2000년 4.7% 증가)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4 -

    분야별로 올해 건축 분야는 침체는 계속되나 침체의 정도는 다소 완화되어 상반기의 극심한

    침체를 조금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토목분야는 정부의 예산 조기 집행에 따라 상반기 중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하반기부터는 증가율이 다소 하락할 전망이다. 2000년 건설투자

    는 전반적인 경기회복에 따른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대와 부동산 시장의 회복을 배경으로 건축

    주자가 99년 대비 6.8% 예상되는 반면 올해 대폭적인 증가를 기록하였던 토목부문은 정부의

    재정적자확대에 따른 예산제약으로 인하여 3.1%의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 자동차 (생산 : 2000년 300만대 넘어설 전망)

    갑작스런 활황추세를 보였던 자동차 산업은 하반기에도 높은 생산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이

    런 추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어 내년에 처음으로 30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8일 한

    국자동차산업연구소의 `2000년 국내자동차 산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자동차 판매는 내

    수 143만대, 수출 163만대 등 306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한편 수입선 다변화 폐지에 따라 내년

    부터는 일본차의 수입 증가도 우려되고 있다. 소형차 부문에 있어서는 국내산과 가격차가 심

    하여 당분간 수입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으나 고급 대형차의 경우 충분한 가격 경쟁력을 갖

    추고 있다고 업계는 예측하고 있다. 일본의 다양한 모델이 수입될 경우 국내 생산에 다소 영

    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0년 자동차 내수판매는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과 실질소

    득 증대로 수요가 늘어나 올해 판매예상치인 127만대보다 11.8%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되었고

    수출 규모는 올해에 이어 승용차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져 올해 추정치인 150만대보다 8.7%

    가 늘어난 163만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올해 추정치보다 14.4%가 늘어

    난 104만대, 상용차가 5.5% 증가한 39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 가전

    내수판매는 경기상승 지속으로 99년 하반기는 26.6% 증가세를 2000년도에는 10.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99년 하반기 경제 성장률 9.6% 증가라는 고 성장세에 기인하는

    것이며 내년에도 경기회복의 본격적인 가시화로 가전 내수의 증가세는 지속되리라 전망하고

    있다. 한편 수출은 99년 하반기에 38.4%, 2000년 4.1% 증가될 전망되며, 이는 세계 대부분의

    국가로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져 있는 가전제품의 경우 세계 지역의 경기호조와 최근 신제품

    의 수출이 활기를 띠면서 수출 확대가 큰 폭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기인하며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되리라 전망되고 있다. 한편 수입부문은 수요의 고급화와 일본제품 위주의 수입급증이 예

    상된다.

    • 와이어 산업의 전망

    - 선재 수급 전망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5 -

    우선 내수를 살펴보면 앞서 살펴본 주요 선재산업 중 자동차, 가전부문의 경기회복은 지속

    될 전망이나 건설업 부문은 본격적인 경기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수요산업의 경기전망에 따라 CHQ 선재, 비드 와이어 등 자동차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선재 2

    차 제품의 수요 증가와 함께 생산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철선과 철못 등 연강

    선재 제품은 건설 경기에 따라 본격적인 회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기타 특수강 선재 제품의

    경우 자동차 및 기계 산업의 생산 증가와 전반적인 경기회복 추세로 내수 증가세가 이어질 전

    망이지만 용접봉의 경우 조선용의 수요는 호조를 보이는 반면 역시 건설 부문은 부진이 지속

    되어 내수와 생산 모두 크게 증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수출의 경우는 99년 상반기 26.5%

    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 2000년의 경우도 금년의 감소세가

    지속되어 전년비 20.0% 감소한 20만 톤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내년도 선재의 수출 수요 자체

    는 금년보다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내수와 생산 증가율의 괴리로 국내 공급 부족 현상이 지

    속되면서 수출 여력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강선재나 특수강 선재의 경

    우 국산 제품이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데다가 국제적으로 선재공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한국의 경우 수출을 늘릴 수 있는 제품이다.

    - 와이어 산업의 전망

    와이어 산업은 소재 산업로, 철과 관련되어 있는 바 국가 기반 산업으로 중요성이 매우 크

    다. 다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해가 맞물려 많은 문제를 빚고 있는 현황이라 이러한 문제들

    의 해결을 위해 업계의 자구 노력과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와이어 산업은 기초 소재 산업

    인 만큼 거의 전 산업에 걸쳐 영향을 미침. 중공업은 물론이고 가정에서 흔히 쓰는 소비재 흔

    한 시계줄, 식기까지도 와이어와 관련되어 있다. 그래서 와이어 산업은 국내 경기 전반과 관계

    가 깊은데 앞서 주요 산업의 전망을 살펴보았지만 2000년의 경우 국내 경기 예상은 경기상승

    을 계속하여 성장률도 올해에는 못 미치지만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갑작스런 활황

    으로 자동차 산업의 경우 부품 업계가 원소재 난에 봉착한 바도 있어 와이어 산업의 경우 경

    기 대비 생산물량에 관해 관심을 쏟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내수 수요의 증가와 맞물려 와이

    어 산업 역시 활황이 될 수 있으나 다만 아무리 공장을 돌려도 적자를 면치 못한다는 시장유

    통구조는 영세 제조업체의 경우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앞서 제기한 와이어 산업의 과제

    는 와이어 산업의 전망을 밝게 하기 위한 필수적으로, 제조업의 경우 필수 과제인 자동화로

    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설비 투자로 후발 주자들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가격 현실화로 와이어 산업의 중요성이 국가적으로 제고되어 채산성을 높여야 한다. 와이어는

    전 산업과 관련되어 중요한 관점으로 볼 때 와이어 산업의 장기적인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

    으나 그 전에 업계의 자구적인 노력과 정부지원으로 한국의 특성화 된 와이어 제품 개발로 전

    문화 되어 원가절감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재수급이나 가격 등에 큰 문제없이 산업을 꾸려

    나갈 수 있는 업계 정비가 필요하다.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6 -

    5-3. 부울경 섬유업계 ‘신섬유’로 제2의 전성기

    디에스알은 합성섬유 로프 신제품을 공개하였다. 3연ㆍ8연ㆍ12연 로프 등의 일반로프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로 와이어로프보다 강도가 우수한 고강력 특수로프(슈퍼맥스)를 출품하였는

    데, 이 회사 관계자는 "섬유로프, 스틸 와이어로프 및 스테인리스 와이어로프 그리고 스틸와이

    어 및 스테인리스와이어를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다"면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오는 2015년 매출 1조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동FRB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B) 소재

    로 100㎾급 풍력발전기에 장착되는 블레이드를 선보였다. 이 외에도 이번 전시회에서 ㈜대우

    인터내셔널은 탄소섬유와 실리콘을 결합한 최첨단 용접보호복, 자동차용 내장재 등을 선보였

    고 ㈜효성은 파라아라미드, 휴비스는 PPS섬유와 메타아라미드, 코오롱은 아라미드(헤라크론)

    방탄제품을, 웅진케미칼은 선박용 난연섬유를 각각 선보였다. 생분해성 스페이스 직물을 개발

    해 토목공사 현장의 친환경제품 공급을 추진 중인 대림텍스와 친환경 생분해성 어망을 선보인

    해성엔터프라이즈도 주목을 받았다

    6. 제법

    6-1. 로프소재

    섬유로 만든 로프의 소재로는 천연섬유는 면, 마닐라삼, 사이잘삼 등을 사용하고 활성섬유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tm터, PVA, PE, PP 등을 사용한다. 또한 섬유 로프와 와이어로프의 중간

    성질을 얻기 위하여 섬유와 와이어를 복합한 복합로프를 만든다. 일반적인 로프의 요구물성은

    건조-습윤 과정에서 강도변화가 없어야 하고 탄성 회복도가 우수해야 하며 신장도가 적어야

    하며 건조할 때와 젖었을 때 신장도의 변화가 적어야 한다. 또한 내유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이 요구되며, 로프는 여러 가닥의 스트랜드를 합연시켜 만들지만, 로프의 굵기에 따라 스트랜

    드의 구조와 제조법이 바뀐다. 직경이 4~10mm 정도의 합연 로프는 보통 다음 공정을 거치게

    된다.

    ① 로프 사(rope yarn) 공정

    여러 가닥의 원사를 연사기에서 합연하여 필요한 굵기의 로프 사를 만드는 공정.

    ② 스트랜드 공정

    여러 가닥의 로프 사를 스트랜더(strander)에 의해서 합연하여 스트랜드를 만드는 공정

    ③ 로프 공정

    여러 가닥의 스트랜드를 크로서(crosser)에 의해서 합연 로프를 만드는 공정. 가는 로프는 원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7 -

    사 몇 가닥을 합연한 것으로 그대로 스트랜드가 된다. 굵은 로프는 원사 몇 가닥을 합연하고

    다시 이를 합연하여 로프 사로 만들며, 브레이드 로프는 여러 가닥의 스트랜드를 브레이더에

    공급하여 환상 브레이드를 만들어 로프로 만든다.

    ④ 열처리

    로프의 형상이나 품질을 안정시키기 위해 열처리를 하는 공정으로, 처리방법으로는 열탕침

    지, 증기처리, 건열처리 등이 있다. 대형 선박에서 이용되는 굵은 로프는 안쪽가지 균일하게

    처리하는 원적외선 가열 방식이 이용된다.

    6-2. 브레이드 소재

    브레이드 구조물 및 제조 방법은 필라멘트 와인딩과 유사하며, 일반 실, 프리프레그 실, 테

    이프, 토우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섬유 배향각, 섬유부피분율로 변화를 주어

    맨드럴이나 회전하는 구조물 위에 브레이드 할 수 있다. 브레이딩에 의해 필라멘트 와인딩과

    같은 높은 섬유부피분율을 얻기 어려우나 훨씬 복잡한 형태(예리한 곡률)의 구조물을 제조 가

    능하다. 또한 브레이드 구조는 높은 구조적 일체성 부여, 취급 및 다른 재료와의 결합이 용이

    하고 손상 저항이 매우 강하다. 필라멘트 와인딩 구조물은 (원주90˚) 방향으로 보강효과를 보

    이는 반면에 3축 보강(tri-axial) 브레이딩의 경우에는 길이(0˚) 방향으로 보강효과를 줄 수 있

    다. MacDonnell douglas사에 따르면 브레이드 복합재료를 만드는 비용은 노동력 감소와 디자

    인의 단순화에 의하여 필라멘트 와인딩 복합재료를 만드는 비용의 56% 소요된다. 3차원 브레

    이드 복합재료를 사용하면 필라멘트 와인딩 복합재료나 레이업 복합재료에서 발생하는 층간

    파괴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복합재료의 낮은 층간 성질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드 제조방법은 섬유제품 제조방법으로서 가장 오래되었는데, 브레이드는 봉합사에

    서 고압에 견딜 수 있는 호스의 보강재료까지 다양한 적용분야를 가지고 있다. 특히 브레이드

    구조물은 높은 비틀림 및 굽힘 강도, 높은 마찰저항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반면 브레이드

    구조물은 폭 방향으로의 물성이 약하고 낮은 생산성 때문에 아직까지도 직물, 편물, 부직포에

    비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브레이드 구조물은 구조 복합재료(structural composit)에 대한 기술적 요구와 브레이딩 기계

    와 제조공법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발전으로 복합재료 분야에서 커다란 인기를 얻고 있다.

    일체형 구조물과 원하는 구조물 형태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은 CAD/CAM의 도입에 의해

    좀 더 큰 직경을 가진 브레이드 제조 및 훨씬 복잡한 형태의 맨드럴 위에서 브레이딩 하는 기

    술로 발전하는 시발점으로, 브레이드 구조는 단순함이 가장 큰 장점이다.

    전형적인 브레이딩 기계(그림 3)는 트랙 플레이트, 스풀 캐리어, 브레이드 형성구간, 권취기

    구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몇몇 브레이딩 기계에서는 브레이드사에 균일한 장력이 걸리도록

    장력장치 사용하며, 브레이드 구조물에 대한 기하학은 브레이드각 Ɵ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8 -

    각은 2개의 브레이드사가 교차되면서 이루는 각의 절반이다. 브레이드 구조물의 견고한 정도

    는 브레이드사가 교차되는 빈도수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빈도수는 교차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관계되어 있으며 이를 픽(pick) 거리라고 한다. 평 또는 환 브레이드 구조물의 폭은 d

    로 정의된다.

    트랙 플레이트(track plate)는 캐리어가 정해진 길을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해 주며 캐리어의

    움직임은 혼기어(horn gear) 등과 같은 기구에 의해서 결정되며 캐리어는 브레이드사의 장력

    조절과 트랙을 도는 실 패키지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짜인 브레이드는 정해진 속도

    로 권취 롤러에 의해 이송된다. 이 때 이미 캐리어의 개수와 권취속도가 결정되었다면, 브레이

    딩 각과 브레이드 구조물의 직영은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브레이딩하고자 하는 방향은 상

    황에 따라 바꾸어 줄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이나 수평방향이 때에 따라 가능한데, 큰 맨드럴에

    브레이딩을 할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브레이딩이 필요하다. 브레이딩 방향으로의 보강이 필요

    할 경우 브레이드사 사이에 0±Ɵ˚ 배향각을 가진 제 3의 실을 집어넣어 3축 브레이드를 제작

    할 수 있다.

    브레이드사 3개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구조물이 요구되어지는 경우에는 원하는 두께의 브레

    이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여러 층의 브레이드 구조물을 브레이드 할 수 있다. 두께 방향

    으로의 높은 보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중 트랙 브레이딩 또는 3차원 브레이딩 방법으로

    일체형 브레이드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캐리어의 동작은 적극적 가이드 메커니즘 혹은 자

    카드 제어 메커니즘을 통한 곡선의 트랙 패턴이나 직각 트랙 패턴을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

    다. 자카드 브레이딩은 각기 다른 패턴으로 움직이고 브레이드사를 그룹화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림 3. 평 브레이드기와 브레이드

    ① 2차원 브레이딩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19 -

    현재 2차원 브레이드로서 3~144개의 캐리어를 가진 것이 생산되는데 이는 브레이드 프리폼

    이나 복합재료의 제조에 사용되며, 프리폼 및 복합재료의 응용분야는 의료용, 스포츠 레저, 군

    수, 항공분야 등에 걸쳐 있다.

    ② 3차원 브레이딩

    3차원 브레이딩은 2차원 브레이딩 방법을 확대한 것으로써 일체형 브레이드 구조물을 형성

    하기 위하여 2 또는 그 보다 많은 브레이딩 동작을 가진 브레이드사 시스템을 90˚ 교차시키거

    나 서로 엮어서 구조물을 만들어 낸다. 가장 잘 알려진 3차원 브레이딩의 예로써 혼기어를 정

    사각 배열을 하여 세 가닥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드사가 서로 엮어지도록 하여 브레이드 구조

    물을 제작할 수 있다. 위의 3차원 브레이딩 방법은 캐리어가 최종 브레이드 구조물의 기하학

    적 형태를 바꾸는 방법에서만 기존의 2차원 브레이딩 방법과 다른데, 즉, 2차원 스퀘어 브레이

    딩기의 캐리어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나 3차원 브레이딩기의 캐리어는 간헐적으로 변함없이 움

    직인다. 그림 4에 원형 또는 직각 브레이드판으로 만든 두 가지 기본적인 3차원 브레이드기의

    개요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4. 3차원 환 브레이드기와 3차원 사각 브레이드기의 개요도

    캐리어의 X, Y(또는 r, Ɵ) 좌표를 변환시키는 기본 브레이딩 조작 다음에 브레이드사의 모여

    지는 운동에 의하여 3차원 브레이드 구조물이 얻어진다. 단면의 형상은 캐리어의 적절한 배치

    와 함께 적절한 캐리어의 움직임을 통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림 5에서 볼 수 있듯이 3차

    원 브레이딩 시스템은 적절할 브레이드사의 굵기를 선택함으로써 매우 복잡한 형태의 두껍거

    나 얇은 구조물 제조가 가능하다. 브레이드 배향각은 조절할 수 있으며 원하면 0˚ 방향강화를

    위하여 축 방향 브레이더(axial braider)를 추가할 수 있다. 아직 완전 자동화를 이루지는 못하

    였으나 광범위한 분석 연구를 바탕으로 생산공정과 최종 3차원 브레이드 구조물 형태의 관계

    를 정립된 상태이다.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0 -

    그림 5. 3차원 브레이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성형구조물

    7. 성능

    나일론로프의 인장강도(引張强度)가 가장 크고 폴리에스터 로프가 다음으로 크며 폴리프로

    필렌로프의 인장강도는 이것에 비해 약하나 물보다 가볍다. 합성섬유로프는 잘 부패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비교적 내열성이 부족하다. 나일론로프 등은 로프의 축심(軸心)과 직각방향의

    마찰에 약하며, 합성섬유로프는 신장률이 큰 것이 결점이나, 특수용도에는 고강력ㆍ고탄성섬유

    인 아라미드섬유를 혼합, 보강하여 사용된다. 천연섬유는 부패하기 쉽고 비교적 강도가 낮지만

    신장률이 작다. 로프의 규격별 성능을 표 3에 나타내었다.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1 -

    표 3. 로프재의 성능

    8. 용도

    해양용으로는 매어 끄는 줄, 보트낚싯줄, 다랑어의 주낙, 저인망어업의 인망밧줄, 계선용(繫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2 -

    船川) 등으로 주로 이용하며, 육상용으로는 건축현장의 안전줄, 등산용 자일, 농업용ㆍ세탁용

    끈, 트럭용 짐걸치기 밧줄, 각종 네트의 밧줄 등 일상생활과 산업용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로

    프재의 용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로프재의 산업별 용도

    산 업 용

    크레인·호이스트

    스텐와이어

    엘리베이터용

    승강기·주차설비

    농 업 용

    예인선·받침선

    피복코팅와이어

    (하우스용)

    축산설비(돈사·우사)

    지지대

    포도밭·배밭용 농업자재

    건 설 용

    와이어스링·P.C강선

    가이드케이블

    조 경 용

    낙석방지용

    펜스지지 와이어로프

    해양수산용

    어업용·통발용

    양식용·각종3연

    8연 섬유로프

    강선ㆍ스프링ㆍ다발

    스프링용·케이블등 산업

    용 강선

    포도밭·배밭용 농업용강

    철 물 용

    크립·샤클·턴바클

    체인(P.V.C,일반,인장용)낙줄

    후크(아이후크,체인후크,C/S

    후크)

    슈벨·연결링카프링·도르래

    긴닝·국기차·비나·퀵링크

    크램프(H빔,철판)

    레바브록·체이브록·소켓·윈치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3 -

    9. 시험규격 및 방법

    9-1. 품질

    ① 겉모양

    더럽거나, 거칠거나 하면 안 되고, 또 끝손질도 잘되어 있어야 한다.

    ② 굵기

    - 나일론 로프의 굵기의 호칭 방법은 로프 지름의 치수(단위 : mm)로 표시.

    - 나일론 로프의 굵기는 다음과 같다.

    : 3가닥 꼬임은 4mm이상 100mm이하의 정수

    : 8가닥 꼬임은 6mm이상 100mm이하의 정수

    - 굵기의 허용차는 로프의 굵기가 12mm이상의 3가닥 꼬임의 로프는 +5%, 9가닥 꼬임의 로

    프와 굵기가 12mm이상의 3가닥 꼬임 로프는 +5%, -3%로 한다.

    ③ 무게

    나일론 로프의 무게는 표준규격과 같이 하되, 그 허용차는 3가닥 꼬임의 것에 대해서는

    +7%, -7%로 한다. 또한 염색 또는 수지가공을 한 경우에 무게의 증가는 표준규격에서 정한 무

    게의 15% 이하이어야 한다.

    ④ 길이

    나일론 로프 1타래의 길이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200m로 하며, 다만 지정된 경우에 한

    하여 인장강도 시험에 필요한 적당량의 길이를 첨가하여야 한다.

    ⑤ 인장강도

    인장강도는 표준규격에 있는 값 이상이어야 한다.

    ⑥ 신도

    신도는 ⑧의 방법으로 계산한 값이 45%이하여야 한다.

    9-2. 초하중

    초하중은 로프가 신장되지 않고 직선상으로 펴질 정도의 하중을 뜻하는 것으로, 하중이 영

    향을 주는 경우의 시험(길이, 리드, 굵기, 신도)에는 표 5에 표시한 하중을 사용해야 한다.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4 -

    항목 로프의 구조 및 굵기 하중

    길이, 리드3 가닥 꼬임과 8가닥 꼬임 인장 강도의 약 1%

    굵기, 신도3가닥 꼬임, 굵기 12mm미만의 것 위의 약 3%

    3가닥 꼬임, 굵기 12mm이상과 8가닥 꼬임 위의 약 5%

    표 5. 로프의 구조 및 굵기에 따른 하중

    9-3. 시험방법

    ① 시험실의 표준 상태

    KS K 0901 (섬유 시험실 표준 상태)의 표준 온습도 상태로 함. 다만 시험실이 표준 온습도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는 시험시의 온습도를 부가해야 한다.

    ② 시료의 준비

    각 타래의 한 끝으로부터 ⑦의 인장강도 시험에 필요한 길이의 시험편을 잘라서 이것을 시

    료로 한다.

    ③ 무게

    시료(②)의 무게(m1)를 달고, 다음에 온도 105+-2도C의 건조기 중에 넣고, 함량/시료를 10분

    간 이상의 간격으로 2번 칭량했을 때, 그 전후의 무게차가 나중 무게의 0.05%이내가 되는 상

    태를 말한다. 함량에 도달한 후 무게(m2)를 측정하는데, 별도로 로프 1타래의 무게(M1)를 달아

    서 다음 식으로부터 1줄의 정량(M)을 계산한다. 다만 시료를 함량에 도달케 하기가 곤란한 경

    우는 열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로프의 무게를 1타래의 무게로 할 수가 있다.

    M = M1 * (m/m1)

    m = m2 * (1 + Rc/100)

    여기에서 m : 시료의 정량, Rc : 공정 수분율 (4.5 %)

    ④ 길이

    ③의 방법으로 무게를 달고, 시료의 양 끝을 손으로 잡아당겨 이것을 평면상에 놓고, 그 길

    이(l1)을 잰 다음, 그 중앙 부분에 30cm ~ 50cm의 간격으로 2개의 마크를 표시하고, 그 사이

    의 길이(d1)를 측정한다.

    다음 이 시료를 정속 긴장형 인장 시험기계에 걸고, 하중을 천천히 증가시켜 하중이 길이에

    대하여 정해진 9-2의 초하중에 달했을 때 하중의 증가를 중단하고, 미리 시료의 중앙 부분에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5 -

    표시한 두 개의 마크 간의 길이(d2)를 측정한다. 시료의 실제 길이(l)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l = l1 * (d2 / d1)

    또한, 로프 1타래의 길이 (L)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L = l * (M / m)

    여기에서 M : 1타래의 정량 (Kg), m : 시료의 정량 (Kg)

    또한, 시료를 함량에 도달케 하기가 곤란하여 시료 및 1타래의 정량을 산출할 수가 없는 경

    우는 ②에서 채취한 시료를 건조기(100℃ 이하)에 넣어 1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무게를 재고,

    그 전후의 무게차가 후의 무게의 0.3%이내로 되었을 때 위에 적은 것과 같은 계산식으로 이

    시료의 길이(l2)를 구하고, 다음 식에 따라 로프 1타래의 길이(L1)를 산출한다.

    L1 = l2 * (M1 / m1)

    여기에서 M1 : 로프 1타래의 무게 (Kg), m1 : 건조하기 전의 시료의 무게 (Kg)

    ⑤ 리드의 측정

    ④의 방법으로부터 길이(d2)를 재는 것과 동시에, 가닥의 1회의 꼬임 길이를 3개소에서 재고,

    그 평균값을 구한다.

    ⑥ 굵기의 측정

    ⑤의 방법으로 리드를 잰 다음 하중을 다시 증가시키고, 하중이 굵기 및 신도에 대하여 정

    해진 9-2의 초하중에 달했을 때에 하중의 증가를 중단하고, 미리 시료의 중앙 부분에 표시한

    두 마크간의 길이(d3)를 측정한다. 다음 3가닥 꼬임 로프에 있어서는 그림 6과 같은 캘리퍼스

    로 가능한 많은 가닥의 정점에 접하도록 하여 굵기를 재고, 또 8가닥 꼬임 로프에 대해서는

    강철 테이프로 로프의 둘레를 재고, 다음 식으로 굵기를 계산한다.

    굵기(mm) = 둘레(mm) / 3.14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6 -

    그림 6. 캘리퍼스에 따른 로프의 굵기 측정

    ⑦ 인장강도

    ⑥의 방법으로부터 로프의 굵기를 잰 다음 다시 하중을 천천히, 또 연속적으로 증가시켜서

    로프를 절단한다. 이 때, 규정 인장강도에 도달하지 않고 시험기의 클램프 부근에서 로프가 절

    단되는 경우에는, 이 시료에 따른 시험은 무효로 하고, 다른 시료로 재시험을 해야 한다. 또한

    시험기의 클램프의 속도는 그 로프의 규정 인장 강도의 약 50%까지는 300mm/min 이내로 하

    고, 그 이상에서는 150 mm 이내로 한다. 시료의 유효길이-유효길이는 시험기의 양 클램프간을

    안쪽에서 잰 길이를 말한다. 여기에서 시료의 양 끝에 눈금 가공(귀 모양의 고리를 만드는 것)

    을 하여 인장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효길이는 눈금과 눈금 사이의 가공하지 않은 부분의 길이

    를 말한다. 나일론 로프의 호칭 굵기의 30배 이상으로 하지만, 그 길이가 0.5m를 초과하는 경

    우에는 0.5m로 한다.

    ⑧ 신도

    ⑦의 방법으로 인장 시험을 할 때, 하중이 그 로프의 규정 인장 강도에 달했을 때 미리 시

    료의 중앙 부분에 표시한 두 개의 마크 간의 길이를 재어서 다음 식으로 신도를 계산한다.

    신도 (%) = (d4 - d3 ) / d3 * 100

    여기에서 d3 : 5.6의 방법으로 굵기를 잴 때 측정된 시료의 중앙부분에 표시한 2개의 마크간

    의 길이(Cm), d4 : 하중이 로프의 규정 인장 강도에 도달했을 때 잰 마크간의 길이(Cm)

    9-4. 검사

    시료는 합리적으로 설계된 샘플링 방법으로 9-3의 시험 방법으로 시험을 하고, 그 결과가 (2)

    굵기 , (3) 무게, (4) 길이, (5) 인장강도, (6) 신도의 각 항에 해당하는 경우는 그 로트를 합격으

    로 한다.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7 -

    9-5. 결과의 표시

    이 규격에 일치하는 나일론 로프에는 적당한 방법으로 품명하는데, 수지가공한 것은 나일론

    로프(수지 가공)라고 표시한다. 굵기, 길이, 무게-수지가공을 한 것의 무게는 수지가공 전의 무

    게를 표시.하며, 제조번호, 제조자명을 표시한다.

    9-6. 규격

    ① ASTM 규격

    - F1740-96(2007) Standard Guide for Inspection of Nylon, Polyester, or Nylon/Polyester

    Blend, or Both Kernmantle Rope

    - F2116-01(2007) Standard Specification for Low Stretch and Static Kernmantle Life Safety

    Rope

    - E1571-06 Standard Practice for Electromagnetic Examination of Ferromagnetic Steel Wire

    Rope

    - E2505-07 Standard Practice for Industrial Rope Access

    - F2752-09 Standard Guide for Training for Level I Rope Rescue (R1) Rescuer

    Endorsement

    - F2087-01 ASTM F2087 - 01 Standard Specification for Packing, Fiberglass, Braided, Rope,

    and Wick

    - F1740-96 ASTM F1740 - 96 Standard Guide for Inspection of Nylon, Polyester, or Nylon

    / Polyester Blend, or Both Kernmantle Rope

    - A492-95(2000) ASTM A492 - 95(2000) Standard Specification for Stainless Steel Rope

    Wire

    - A492-95(2004) ASTM A492 - 95(2004) Standard Specification for Stainless Steel Rope

    Wire

    - F1740-96(2002) ASTM F1740 - 96(2002) Standard Guide for Inspection of Nylon,

    Polyester, or Nylon/Polyester Blend, or Both Kernmantle Rope

    - D738-58 ASTM D738 - 58 Methods of Testing and Tolerances for Rope Made from Bast

    and Leaf Fibers (Withdrawn 1971)

    - A784-81 ASTM A784 - 81 Specification for Aluminum-Zinc Alloy-Coated Steel Wire

    Rope and Fittings for Highway Guard Rail (Withdrawn 1987)

    - B158-41 ASTM B158 - 41 Specification for Rope-Lay-Stranded Copper Conductors

    Having Bunch-Stranded Members for Electrical Conductors (Withdrawn 1941)

    - D4268-93 ASTM D4268 - 93 Standard Test Methods for Testing Fiber Ropes (Withdrawn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8 -

    2002)

    - D4633-86 ASTM D4633 - 86 Test Method For Stress Wave Energy Measurment For

    Dynamic Penetrometer Testing Systems (Withdrawn 1995)

    ② KS 규격

    그림 7에 로프재의 규격에 대해 설명하였하.

    - KS D ISO 2701 일반용 비합금 강선 로프용 인발 강선-검수 항목

    - KS D ISO 3108 일반용 강선 로프-실제 절단 하중 시험 방법

    - KS D ISO 3178 일반 목적용 강선 로프-승인 조건

    - KS D ISO 10425 석유 및 천연가스산업용 강 와이어 로프-최소 요구조건 및 인도사항

    - KS D ISO 1118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의 티타늄 분석 방법-크로모트로프산 흡광 광

    도법

    - KS D ISO 12076 강 와이어 로프-실제 탄성계수 시험방법

    - KS D ISO 17558 와이어 로프용 소케팅 절차-용융 금속 및 합성수지 소케팅

    - KS D ISO 17893 강 와이어 로프-용어,호칭 및 분류 체계

    - KS D ISO 21669 강 와이어 로프-회전 특성 시험방법

    - KS D ISO 2232 일반용 비합금 강선 로프 및 태경 강선 로프용 원형 인발 강선-규정서

    - KS D ISO 2262 강선 로프용 일반 심블-규격

    - KS D ISO 2408 일반용 강선 로프-특성

    - KS D ISO 2532 강선 로프-용어

    - KS D 3514 와이어 로프

    - KS D 3559 경강 선재

    - KS D 7010 항공기용 와이어 로프

    - KS D 7013 기기 조작용 와이어 로프

    - KS D 7048 이형선 로프

    - KS D ISO 10092 고절단 하중 강선 로프-규정서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29 -

    그림 7. 로프재의 규격

    10. 향후 개발 방향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원형의 파이프 및 동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bending이나 마모적

    인 물성을 향상시켜 브레이딩 직물을 형성하는데 제품 보호 및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제품들

    은 주로 glass fiber를 사용한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고 아라미드섬유를 사용한 브레이딩 직물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30 -

    은 기존 방적사를 사용한 브레이딩 직물보다 강도 및 마모성에서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

    서도 아라미드 섬유가 가지는 stiff한 느낌을 보다 유연하게 하는 적정 원사스펙과 브레이딩

    시의 제직컨트롤을 강조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으며 범용섬유와 고성능 섬유, 고성능섬유와 고

    성능섬유 등의 복합 braid 제품도 소개가 되고 있고 특히 심해 계류용 로프를 고강력

    polyester yarn을 적용하여 제조한 제품이 브레이드 제품 중에서는 가장 인상적이라 할 수 있

    다.

    10-1. 단독 braid

    그림 8. 단독 braid 제품

    ① 사용소재 : E-glass, carbon, aramid, polyamid, PP, cotton, viscose

    ② 용도 : vehicle construction, aerospace industry, mechanical and apparatus engineering

    cable protection, medical engineering, sports equipment

    10-2 복합 braid

    ① 사용소재 : hybrids(Polyester와 UHMWPE, PP와 UHMWPE, UHMWPE와 PBO,

    UHMWPE, polyester와 para aramid, vectran(LCP)과 polyester)

    ② 용도 : racing halyard for dainties and light cruisers, racing rope for yachtsmen, very

    high performance racing sheet & halyard, mainsail sheet, spinnaker sheet, reef points,

    hybrid kite bridles and bridles for pulleys.

    그림 9. Deepwater mooring ropes.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31 -

    그림 10. 복합 braid 제품.

    10-3. deepwater mooring ropes

    ① 사용소재 및 구조

    • sup rope : high tenacity polyester yarn

    • filter cloth : wrapped between the core sup-ropes and the jacket (부직포) : 모래와 진

    흙 등의 fine Particle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함(core sub-rope의 강도를 저하되기 때문).

    • jacket : high tenacity polyester yarn

    • circular braided

    • nominal diameter : 96mm ~ 256mm

    • nominal weight(kg/100m) : 821 ~ 4,505

    • minimum breaking load(tonf) : 340 ~ 1,926

    ② 특징

    • very good tension-tension fatigue

    • excellent resistance to abrasion

    • a low creep

    • excellent UV. resistance

    • good chemical resistance

    ③ 용도

  • 섬유정보팀

    텍스토피아 유료컨텐츠 2013/03/04 - 32 -

    - 심해 석유시추선 정박용 : 수심 1,300m 심해 석유시추선은 약 11개 정도의 계류로프 사용

    (로프 중량 : 약 250 Ton 정도)

    참고문헌

    1. 산업섬유소재 이론과 실제, 산업섬유신소재연구회, 고준석 외, 전남대학교출판부

    2. 섬유복합재료/브레이드/니트 제품 분야, 섬유기술과 산업 2009년 12월 Volume 13

    Number 3, 한재성, 한국섬유공학회

    4. 월간지 Jern og Maskinindustrien, 덴마크 통계청, 수입업체 인터뷰, 코펜하겐 KBC 보유

    자료

    5. KOTRA & globalwindow.org

    6. 스테인리스 건자재 업체총람 1999 스테인리스 스틸클럽

    7. 특수강 통계 1999. 4 한국철강협회

    8. 철강수급전망 1999. 9 POSRI

    9. 1998 철강설비능력 1999. 4 한국철강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