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25
지역산업연구Ⅰ제39권 제3호Ⅰpp. 251 275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3)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연계과정 교육 사례 - 송원근 (Song, Won keun) ** 홍효석 (Hong, Hyo seog) *** 박종현 (Park, Jong hyun) **** 국문요약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교육 참여자의 인식수준 변화와 그 성과를 분석하 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12월과 2015년 12월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목표를 당성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인 재양성, 협업능력 함양,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 대학과 지역 간 상호 협력 생태계 조성 등은 지속 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글로벌 교류 네트워크는 중요성이 강조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교유과정 개편을 통해 경영지식을 좀 더 함양할 수 있도록 해 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분야별 체계적 교육, 현장학습 학점 인정, 전문교원 교육능력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은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새로운 교과목 개설과 학기별 개설과목의 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전문대학원 설치와 관련한 프로그램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대학원에서 운 영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리더과정과의 연계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장학금 지원, 인턴실습 지원, 해외연수, 경진대회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국내연수와 동아리 지원 등은 참여 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규모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인력 취업보장은 청년 취업 난과 같은 외부환경적 요인과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업관이나 가치관의 영향도 있겠지만 지속적으 로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넷째,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참여자의 인식수준은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사회적경제 활동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사회적관계의 중요성과 협동의 중요성 그리고 가 치관의 변화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치관의 변화와 직업관의 변화 등도 인식수준은 향상되었지만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이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아직 초기단계이기 때 문에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설명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표본의 특성 상 지역적 인 자료로 인해 결과의 해석에도 다소 무리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평가와 그 결과를 통 한 개선활동이 이어질 때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제어 | 사회적 경제, 사회적경제 교육프로그램,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 본 연구는 2015학년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회계 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주저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상경대학 회계정보학과 교수([email protected]) **** (공동저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Page 1: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지역산업연구Ⅰ제39권 제3호Ⅰpp. 251~275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3)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연계과정 교육 사례-

송원근(Song, Won keun)**․홍효석(Hong, Hyo seog)***․박종현(Park, Jong hyun)****

국문요약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교육 참여자의 인식수준 변화와 그 성과를 분석하

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12월과 2015년 12월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목표를 당성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인

재양성, 협업능력 함양,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 대학과 지역 간 상호 협력 생태계 조성 등은 지속

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글로벌 교류 네트워크는 중요성이 강조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교유과정 개편을 통해 경영지식을 좀 더 함양할 수 있도록 해

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분야별 체계적 교육, 현장학습 학점

인정, 전문교원 교육능력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은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새로운 교과목 개설과 학기별 개설과목의 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전문대학원

설치와 관련한 프로그램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대학원에서 운

영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리더과정과의 연계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장학금 지원, 인턴실습

지원, 해외연수, 경진대회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국내연수와 동아리 지원 등은 참여

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규모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인력 취업보장은 청년 취업

난과 같은 외부환경적 요인과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업관이나 가치관의 영향도 있겠지만 지속적으

로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넷째,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참여자의 인식수준은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사회적경제 활동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사회적관계의 중요성과 협동의 중요성 그리고 가

치관의 변화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치관의 변화와 직업관의 변화 등도 인식수준은

향상되었지만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이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아직 초기단계이기 때

문에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설명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표본의 특성 상 지역적

인 자료로 인해 결과의 해석에도 다소 무리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평가와 그 결과를 통

한 개선활동이 이어질 때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제어 | 사회적 경제, 사회적경제 교육프로그램,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 본 연구는 2015학년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회계 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주저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 (교신저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상경대학 회계정보학과 교수([email protected])**** (공동저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

Page 2: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52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Ⅰ. 서 론

사회적경제는 자본보다 사람을 우위에 두는 경제개념이며, 이윤창출이 최고의 목표인

자본주의 경제의 대안적 개념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우선으로 하며 공동체의 보편적 이

익실현, 민주적 의사결정, 노동중심의 수익배분, 사회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등 가치를

추구한다(장원봉, 2006; 신명호, 2009, 2013; 정태인ㆍ이수연, 2013).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마을기업과 같은 사회적경제를 대표하는 조직들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함께 사회적 자본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고

자 하는 조직들로서, 현재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조직들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회적경제조직들의 이러한 변화 추세는 2014년 9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

어 민주당)에서 생태계 조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창출과 서비스제공, 지역공동체 개발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양극화 해소와 국민경제의 균형발전 및 국가공동체 발전에 기여

하는 목적으로「사회적경제 기본법(안)」제정을 추진하는 등 사회적경제의 지속적 발전

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경제조직의 양적 확대와 활성화 추진은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 또한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경제조직이 추구하고 있는 사회적ㆍ

경제적가치의 중요성 때문이라 할 것이다.

사회적경제조직이 사회적ㆍ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사회적경제조직의 지속성장

가능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제도적인 지원개선과 적극적인 교육지

원 등의 노력을 기울이면서 사회서비스공급과 취약계층의 고용창출 및 지역사회공헌이

라는 거시적 관점에서의 질적 성장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기업 및 비영리조직의 직접출

연 및 네트워크를 통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 및 연구소에서는 사회적경제 관

련 연구와 교육프로그램 개선 및 자문활동 등으로 사회적경제조직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

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조직의 발전과 지속성장을 위한 중요한 축의 하나인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사회적경제조직의 발전 및 지속성장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은

협동조합의 발상지인 영국의 로치데일공정선구자협동조합이나 스페인 몬드라곤협동조

합 등 유렵의 초창기 협동조합에 있어서도 가장 강조되었던 분야가 교육과 계몽이었다는

사실에서도 강조될 수 있으며, 관련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사회적경제조직들에 대한 인건

비와 세제지원 등의 지원도 있지만 모든 조직에의 지원내용 중에는 컨설팅 및 교육지원이

담겨져 있는 것도 이와 같은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 결과라 하겠다. 무엇보다도 사회적

경제조직은 사회적ㆍ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 간 상호협력이 무엇

보다 중요하며, 조직활동은 이러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조직목적 달성과

Page 3: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53

다양한 필요 자원의 순환과정을 가능하도록 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인재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하겠다.

외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이미 사회적경제조직 특히 사회적기업 관련 교육과정이 주

요 명문 경영대학에서 개설되기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9년 경원대학교에서 최초

로 경영학 석사과정에 사회적기업학과가 개설되었으며, 현재 대학에서의 사회적경제 교

육현황을 보면 한양대학교, 한신대학교, 공주대학교, 부산대학교 등에서 학부 교양강좌

차원의 사회적경제 강좌를 개설하고 있고, 대학원과정으로는 카이스트 MBA, 성공회대학

교, 한신대학교, 가천대학교 등에서 사회적경제 전문가과정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이처

럼 대학원을 제외한 학부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사회적경제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학

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경제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정 운영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사

회적경제 조직의 활성화와 지속가능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

2014년 교육부 지방대학특성화사업의 하나로 경남과학기술대학교에서는 사회적경제 분

야 활동에 필요한 철학과 품성을 갖추고 여기에 지역경제 분석 및 경영 역량을 겸비한 전

문인력을 양성, 진출시킬 목적으로「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사업단」을 결성, 전국 최

초, 유일의 학부 정규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연계전공, 부전공, 복수전공 등을 운영하고 있

다.

본 연구는 학부 정규교과과정(사회적경제연계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사회적

경제 교육프로그램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동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수준의 변화와 성

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은 분석기간이나 지역에 국한된 분석이기는 하지만 교

육프로그램 운용과 관련한 분석결과를 공유하고 사회적경제 교육의 저변확대를 위한 자

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현재 대학에서의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교육은 초기단계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 학부과정에서 체계적인

정규교육과정으로 정착시켜 나간다면 사회적경제가 추구하는 경제적․사회적 목적 실현

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적경제 교육의 실현점검과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경제 교육과 대학의 역할

영국의 사회적기업 육성 계획을 보면 영국의 교육기술부(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DfES)로 하여금 제3섹터청의 지원 하에 사회적기업에 대한 안내 자료가 학교에 배포

Page 4: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모범사례를 널리 홍보하게 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이 GCSE1), A레벨 및 다른 경영학 교과과정들에 있어서 높

은 평가를 받도록 하고, 제3섹터청과 교육기술부는 자격증 및 교육과정평가원과 협력하

여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을 GCSE 경영학 요강 및 A레벨과 다른 경영학 과정에 완전 통합

시키는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고등교육을 통해 사회적기업에 대

한 학습을 제공하고 홍보하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도록 하고, 제3섹터청은 교육기술부

와 졸업생, 기업가교육 국가위원회를 지원하여 대학생들에게 졸업 후 진로로서의 사회적

기업을 잠재적 직업으로 홍보하도록 하고 있다(조영복ᆞ곽선화, 2011; 홍효석 외, 2015).

우리의 경우는 정부 지원 하에 중간지원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대학과 연계한 단

기과정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대학원은 학위과정을 개설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교육의 수요자는 사회적경제조직 종사자와 사업가, 중간지원기관 활동가(지원인

력, 컨설턴트, 코디네이터 등) 등이며, 1일 강좌 또는 1박2일의 켐프, 단기아카데미나 대학

과의 연계를 통한 1년 비정규학위과정에 국한되어 있다. 교육이 중간지원기관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중간지원기관이 부재한 지역이나 업종 등에 대해서는 사회적경제 성장

과 확산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는 한계가 있다. 대학의 사회적경제교육은 주로 학부 교양

강좌 형태로 개설되어 있고, 대학원에서는 사회적기업가 또는 협동조합 전문가과정 등 학

위 또는 비학위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렇듯 사회적경제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사회적

경제 전반에 관련된 대학의 학부교육과정은 매우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교육의 주체

역시 경영학과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어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인식제고에는 한계를 보이

고 있다. 또한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사회적경제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정 운영이 부족해

사회적경제 관련 단계별 대상별 교육이 서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홍효석 외, 2015).

따라서 대학 학부과정에서 사회적경제 교육이 필요성과 함께 사회적경제 인력공급 및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마련과 저변 확

대가 필요하며 둘째, 사회적가치 실현의 의미를 공유하고 실무역량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이 필요하다. 셋째, 현장중심 경영실무교육, 업종별․대상별․단계별 전문 교육과정이 필요

하며 넷째, 학부-대학원-아카데미 과정 연계를 통한 통합적 인력양성 체제마련이 필요

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학은 협력의 제도화를 통한 교육시스템 구축과 표준

교육모듈개발 및 확산을 위한 허브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송원

근, 2015).

1)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의 줄임말로 영국의 secondary school의 Year 10, 11 학생들이

치르는 시험을 말함.

Page 5: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55

2. 대학의 사회적경제 교육 현황

사회적경제 관련 대학교육은 학부와 대학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학부의 경우 교육부

지방대학특성화사업(CK-Ⅰ)의 일환으로 일부 교과목이 개설, 운영되고 있어 사회적경제

교육이 시작 단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2) 따라서 정규교육과정으로 체계화된 사회적경

제교육은 대학원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먼저 한신대학교는 2007년과 2008년 교과과목 내

에서 사회적기업 현장과제 팀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2011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교과과정 개설 프로젝트 지원으로 사회적기업경영 과목을 개설하였다. 2012년부터 학부

에 사회적경제 관련 과목을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4년 3월 사회의 공공

성과 연대성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사회구성 원리를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혁

신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할 수 있는 협동하는 인간상, 협동하는 리더십 육성을 목

표로 특수대학원인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을 설립하고 사회적경제 전공 석사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교과과정으로는 철학ᆞ가치ᆞ연구방법론과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그리

고 사례와 세미나로 나누어진다. 과목성격별 교과목은 <표 1>과 같다.

<표 1>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사회적경제 전공 교육과정

과목성격 과목명 학점(필수)

철학/가치/연구방법론

사회적경제의 이론과 실제(팀티칭) 3(필수)

한국의 사회경제론(팀티칭) 3

협동의 인문학과 행복론(팀티칭) 3

연구조사방법론 1 3(필수)

연구조사방법론 2 3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사회적기업론 3(필수)

사회적경제의 생태계론 3(필수)

협동조합기업론 3(필수)

협동조합 조직설계론 3(필수)

세계협동조합운동사(팀티칭) 3

사례와 세미나사회적경제 세미나 3

사회적경제 사례연구 3

2) 교육부 지방대학특성화육성사업(CK-Ⅰ) 264개 사업단 중 사회적경제와 관련되어 있거나 관련 교

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있는 사업단은 뒤에 사례를 분석한 경남과기대 외에 12개 사업단이다. 이들

사업단의 주 참여학과는 사회복지학 계열, 사회학, 행정학 계열이 대부분이다.

Page 6: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56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성공회대학교는 협동조합 경영과 관련된 이론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협동조합의 경영

관리자 육성을 목적으로 아이쿱(iCOOP)생협과 '협동조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을 통해 2010년 국내 첫 협동조합 전문 교육과정인 '협동조합 경영학 석사과정'을 개설하

였다. 2010년 일반 대학원에 '협동조합경영학과'가 개설되었으며, 2012년 박사과정이 신설

되었다. 박사과정은 석사과정과 동일하게 2년 4학기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경영학 교

과목으로는 <표 2>와 같다.

또한, 시민사회복지대학원에는 사회적기업 전공이 설치되어 있으며,‘사회적경제원론’,

‘사회적기업 인사조직 및 회계’,‘사회적기업지원방법론’,‘협동조합 이론과 실제’,‘사회적기

업 마케팅’,‘사회적기업 진단과 평가’등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표 2>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 교육과정

과목영역 필수/선택 과목명 내용

경영관리 필수

조직․인사관리 인사관리, 조직행동

마케팅관리 마케팅관리

재무투자관리 가치평가, 투자분석

생산관리와 SCM 생산운영관리와 SCM

협동조합 필수

협동조합론 역사, 철학, 국제비교

협동조합경제론 협동조합에 대한 경제학적 이해

사회적기업론 사회적기업 이론과 실제

공동체와 협동조합 공동체와 협동조합의 이론과 실제

방법론 필수고급연구방법론 1 양적방법

고급연구방법론 2 질적방법

논문 필수 석사논문

KAIST 경영대학 SK 사회적기업가센터는 MBA학생들의 성공적인 창업과 과정 이수를

지원하고 사회적기업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이 센터는 사회적기업가를 양성

하기 위해 Full-time 사회적기업가 MBA인 KAIST SE MBA를 지원ᆞ연계하고 있다.

또한 SK사회적기업가센터는 혁신적 사회적기업가 역량 교육 및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

공하고, 사회적기업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센터의 주요 기능은 첫째, SE

MBA 운영 지원으로 SE MBA 정규 커리큘럼 개발 및 지원, 정규 커리큘럼과 연계된

Co-Curriculum 개발 및 운영. 둘째, SE MBA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로 국내외 Social

Entrepreneurship Case Platform 구축, SE 관련 연구 수행 및 네트워크 구축. 셋째, SE MBA 프로

그램 외부 확산으로 SE MBA 프로그램 타학교 확산, SE 관련 교육 컨텐츠 개발 및 확산 지

원. 넷째, 창업 및 Scale-up 지원으로 SE MBA 수강생/졸업생 대상 Mentoring, 기능별 Shared

Service 지원 등이다. SE MBA 교과과정은 <표 3>과 같으며, 교육과정은 정규 교과과정과

Page 7: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57

특화프로그램으로서 현장학습이나 체험 등이 포함된 Co-Curriculum 으로 구성되어 있다.

1학년 봄ž여름 SE Ideation

1학년 가을ž겨울 SE Development

2학년 봄ž여름 SE Planning

2학년 가을ž겨울 SE Implementation

SE 창업

Process

ㆍ소셜이슈분석및기회탐색

ㆍ소셜벤처 아이디어창출

방법론

ㆍ경영통계및시장조사

ㆍSE사업개발및사례 연구

ㆍ소셜벤처 사업계획

ㆍ소셜벤처설계 및

사업화

ㆍ소셜벤처 창업전략과

펀딩

SE 창업

Theme

ㆍ사회적기업가 정신

ㆍ사회적기업과 경영

ㆍ사회적기업 세미나I

ㆍ사회적기업가역량 개발I

ㆍ경영경제와 사회정책

ㆍ사회적기업 세미나II

ㆍSE 특수논제 1

ㆍSE 특수논제 2

ㆍ사회적기업가역량개발 II

Social

Entrepreneur

ㆍ사회적기업 해외현장연수

1년차 여름학기 “또는”

겨울학기 개설

ㆍSE 경영실습

경영

과목

ㆍ리더십과 조직관리, 마케팅, 재무회계, IT경영, 기업재무정책, 공급사슬관리(SCM),

경영통계 및 시장조사, 경영전략 ※ 경영필수 7과목 중 택 5과목

<표 3> KAIST SE MBA 교과과정

∙ Co-Curriculum

Concept 관련 Curriculum

현장프로그램

ㆍSE관련 Field에서 현장 실습과 체험 및 학습

ㆍCompetations:국내외 SE대회에 대하여 학생

참가지원

ㆍ해외실습프로그램개발 및 지원

사회적기업 해외현장연수와 연계

ㆍSE인턴십/컨설팅지원 SE경영실습과목 연계

Being a Social

Entrepreneur

ㆍ사회적기업가로서의 인성적 역량개발 및

Inspiration보완용 프로그램

ㆍ2개년, 단계별 진행

1년차: Co-curriculum으로 운영

2년차: 사회적기업가I,II로 과목개설Startup

Weekend ㆍ창업설계 Intensive 실습 프로그램

ㆍ봄, 가을학기 개설

ㆍSE창업 Process과목과 연계운영Lecture Series

/Seminars

ㆍ국내외 SE분야 전문가 특강 등을 활용한

Structured Inspiration & Issue 심화학습

ㆍ소셜이슈분석 및 기회탐색

사회적기업 세미나I,II 과목과 연계

멘토링 ㆍSE창업과정 및 밀착 지원 프로그램 ㆍ2개년 프로그램

IR Party ㆍ 투자자와의 네트워킹 및 투자유치 지원 ㆍ겨울학기

부산대학교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지원으로 대학원생 및 사회적기업가 대상 비학위

과정을 운영한 바 있다.3) 이 사회적기업리더과정은 신규 인력의 사회적기업 분야 진입유

도, 기존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심화교육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사회적기업 관련 강의, 세

미나, 국내·외 비영리기관 및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 지원기관 인턴쉽을 제공한다. 부산

3) 2013년도 부산대, 성균관대, 중앙대, 2014년도 부산대, 한신대, 한양대에서 진행되었다. 2015년의

경우 서강대, 한양대, 경남과기대, 2016년 대구가톨릭대, 광주대, 우석대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지원 사회적기업리더과정에 선정되어 사회적경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Page 8: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58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대의 경우 대학 3·4학년들이 대학원생, 사회적기업가와 함께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

서 학부교육과 일정정도 관련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교육과목은 사회적 경제개론, 사

회적기업경영론, 사회적기업 모델분석론, 사회적기업 창업론의 4과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산대학교의 경우 2015년 정규 석사과정으로 ‘사회적기업 협동과정’을 신설해‘사회적기

업학’전문가 양성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의 사회적기업 리더과정 교육은 사회적기업의 지속발전을 주

도할 혁신적인 사회혁신가(Social Innovator)를 양성하고 국제개발협력을 사회적기업 방식

으로 주도하는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사회적기업 관련 네

트워크 역량을 결집시키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환경을 수립, 운영하고 있다. 교육과

정은 1년 4과목(이론 2과목, 세미나 2과목)으로 사회적기업과 국제개발협력에 초점을 맞

추었고, 이론교육, 세미나(프로젝트 연동), 국내외 인턴십, 국제심포지엄 등으로 구성된다.

이론기반 교과목으로 Social Enterprise as a Business(1학기), International Developmental

Cooperation and Social Enterprise(2학기)가 있다. 세미나 수업은 최고전문가와의 현장 경험 공

유기회를 제공하며 Special Lecture and Team Project:Building a Social Economy(1학기), Special

Lecture and Team Project: Adapting to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2학기)이 있다.

Ⅲ. 사례 분석

1. 사례 대학의 사회적경제 교육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사업단은 2014년 교육부의‘지방대학 특

성화사업’에 선정되어 정규 학부과정으로는 최초로 사회적경제 관련 학위과정을 개설 운

영하고 있다. 사업단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활동에 필요한 철학과 품성을 갖추고 여기에

지역경제 분석 및 경영 역량을 겸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진출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학부의 경제학과, 회계정보학과, 영어학과가 참여하고 있다. 교육목표는 소셜 미

션, 소셜 스킬, 비즈니스 스킬을 겸비한 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비전을 구현하기 위해 인성·협업능력 등 기본소양 및 자질 함양,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

협치에 기반한 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이다.

교육프로그램은 연계전공학위를 기본으로 하고 이수학점에 따라 부전공, 복수전공,

Certificate 등 4개의 학위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Certificate는 사업단 출발 시 3학년 및 4학

년에게 사회적경제 전공을 소개하고 참여도를 높여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개설한 것으로

Page 9: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59

<표 4> 분야별 교과목 구성

분야 교과목명 주요 내용

인성

분야

∙사회적경제 인문학특강

∙사회적 삶과 의사소통

∙사회적경제독서프로젝트1

∙사회적경제독서프로젝트2

∙사회적경제 영어특강

∙사회적경제와 국제개발협력

∙인간과 삶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해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및 자기객관화 능력

∙사회문제 해결 의지

∙타문화권 시민과의 소통과 협력 능력

자질

분야

∙사회적경제의 이해

∙얼마나 있어야 충분한가?

∙사회적경제의 철학과 역사

∙협동의 경제학

∙사회적경제 경영학

∙사회적경제 이슈와 토론

∙사회적기업가정신

∙사회적경제 조직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소통, 협력을 통

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자질 형성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소양 함양

∙급변하는 현실과 미래사회에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범위, 특징 등

의 변화에 대해 학습하고,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질

함양

역량

분야

∙지역혁신과 자치행정

∙사회적경제 회계와 재무정보분석

∙협동조합과 사회혁신

∙사회적경제의 시업기회와 경영전략

∙사회적경제의 법

∙사회적경제인턴십

∙사회적경제연수

∙비영리조직이나 사회적기업에서 필요한 경영과 재무 회계, 인적자

원 관리, 마케팅 등 현재 조직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

하기 위한 교육

∙사회적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현장에 방문, 실무 경험을 배양하고,

이론활용 능력 배양

∙지역사회의 문제를 정의하고 그 해결을 위한 다양한 tool과 문제해

결 스킬을 습득

향후에도 사회적경제를 본격적으로 전공하지는 않지만 대학 내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개

방하기 위한 과정이다. 부전공은 각 학과에서 수강한 공통필수(9학점) 이외에 연계과정의

전공필수(3과목, 9학점)과 졸업프로젝트(3학점)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자격이 주어진다.

<표 5> 학위별 교과과정(2016년 1학기 현재)

Certificate 부전공 연계전공 복수전공

공통필수 경제학원론, 회계학원론, Business English

전공필수선택협동의경제학

SE회계와 재무정보등 2개 과목

협동의 경제학SE회계와 재무정보

SE사업기회/경영전략사회적경제 인턴십

등(10개과목 중 택 3)

협동의 경제학SE회계와 재무정보

SE사업기회/경영전략SE 인문학특강

SE와 국제개발협력등(19개과목 중 영역별

2개 과목 택 6과목)

협동의 경제학SE회계와 재무정보

SE사업기회/경영전략SE 인문학특강

SE와 국제개발협력 + 4개 과목

전공선택 창업경제론, 비영리회계, 영어말하기 Clinic + 7개 과목

졸업프로젝트 사회적경제 연수

이수요구학점

(연계과정 학점)9학점 21학점(12학점) 60학점(21학점) 72학점(33학점)

Page 10: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60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연계전공은 사회적 경제를 전공하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위과정으로서 공통필

수(9학점)과 전공필수선택(18학점), 졸업프로젝트(3학점)과 각 학과에 개설된 전공선택과

목(30학점)을 이수함으로써 취득하게 된다. 2학년 1학기부터 한 학기 당 최소 1과목을 추가

적으로 연계전공 과목을 수강하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하여 학생들의 부담을 최소화하

고 있다. 복수전공은 공통필수(9학점)과 전공필수선택(30학점), 졸업프로젝트(3학점)과 각

학과에 개설된 전공선택과목(30학점) 등 총 72학점을 이수한 학생이 대상이며, 4년 동안 소

속학과 전공 이외에 추가로 2개 학기를 본 과정에 개설된 학점을 이수해야 취득 가능한 학

위이다.

2. 조사 개요

(1) 표본 및 조사내용

본 연구는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사업단’의 교육프로그램 수

강생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수준 변화와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1차는 2014년 12월 1일부터 8일까지, 2차는

2015년 12월 1일부터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수강생의 특성은 <표 6>과 같

다.

<표 6> 표본의 특성

구분 성별 참여학과별 학년별

총표본 남자 여자 경제 회계정보 영어 기타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차29명

(44.6%)

36명

(55.4%)

22명

(33.8%)

30명

(46.2%)

13명

(20.0%)- -

29명

(44.6%)

25명

(38.5%)

11명

(16.9%)65

2차30명

(41.0%)

43명

(59.0%)

34명

(46.7%)

15명

(20.5%)

22명

(30.1%)

2명

( 2.7%)

5명

( 6.8%)

21명

(28.9%)

25명

(34.2%)

22명

(30.1%)73

본 연구에서는 경남과학기술대학교의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의 목표와 사회적

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지원프로그램 그리고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의

성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한다. 조사분석은 <표 7>과 같이 4영역으로 나누어 7점 척

도로 측정하였다.

Page 11: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61

영역 세부 항목 측정방법

Ⅰ영역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목표

1. 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 인재 양성

2.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협업능력 함양

3. 사회적경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

4. 창의적 협치를 통한 사회적기업가 정신 고취

5. 대학과 지역의 상호협력을 통한 생태계 조성

6. 사회적경제를 위한 글로벌 교류의 네트워킹

7점 척도

Ⅱ영역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1. 사회적경제 전문교원 확보

2. 사회적경제 전문교원의 교육수준

3. 사회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

4. 사회적경제 분야별 체계적 교육

5. 사회적경제 현장학습 학점 인정

6. 사회적경제 전문대학원 신설

7점 척도

Ⅲ영역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지원프로그램

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취업 보장

2. 사회적경제 국내 연수

3. 사회적경제 해외 연수

4. 사회적경제 동아리 지원

5. 사회적경제 장학금 지원

6. 사회적경제 경진대회 개최

7. 사회적경제 인턴지원제도

7점 척도

Ⅳ영역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결과

1.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지원

2. 사회적경제가 지역경제 활성화

3. 사회적경제가 사회복지 차원에서 필요

4.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가치관 변화

5.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직업관 변화

6.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관계 중요성 인식

7.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협동의 중요성 인식

7점 척도

<표 7>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에 대한 변수 측정방법

2) 분석 방법

분석방법은 자료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신뢰도 측정을 위해 Cronbach's α계수

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기술통계를 통해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한 다음 중요도와 성취도

각각의 평균값 좌표를 구한 후에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IPA는

평균값 등과 같은 간단한 통계량으로 사업의 중요성의 순위와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사

업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어 실무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평가방법이다. 특히 한정된 재원

을 가지고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재원 배분의 조합을 찾기 위해 많이 활용되는 방법

이다(Matzler et al., 2004; Oh, 2001; 재인용 이인회·연순동, 2013). IPA는 평가요소의 중요도

와 성취도를 측정하여 X축과 Y축의 2차원 도표에 각 위치를 표시하고 평균값이나 중앙값

으로 좌표를 설정하여 매트릭스로 나타내면 다음의 <그림 1>과 같이 4사분면의 영역으

Page 12: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62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로 구분된다.

고 2사분면

(집중 영역)

높은 중요도, 낮은 성취도

1사분면

(유지 영역)

높은 중요도, 높은 성취도

▴중요도 3사분면

(저순위 영역)

낮은 중요도, 낮은 성취도

4사분면

(과잉 영역)

낮은 중요도, 높은 성취도▾저

저 ◂ 성취도 ▸ 고

자료: Martilla & James(1977)

<그림 1>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

<그림 1>에서 1사분면의‘유지’영역은 중요도도 높고 성취도도 높아서 현재 사업의 과

제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고, 2사분면의‘집중’영역은 중요도는 높으

나 성취도가 낮아 우선적으로 사업의 과제들을 예외적 관리에 의해 시급하게 개선할 필요

가 있는 영역이다. 그리고 3사분면의‘저순위’영역은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낮아 향후 점

진적으로 중요도를 인식시키고 성취도를 높여야 할 영역이고, 4사분면의‘과잉’영역은 중

요도는 낮고 성취도는 높아 중요도를 인식시켜야 하는 영역으로서, 사업의 목적과 과제의

중요성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영역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

를 분석하기 위해 Excel 2010과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중요도와 성취도’를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관계로 수정하여 분석하였

다. 이는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사회적경제 수강생들의 인식수준 변화와 성

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행도 수준보다는 만족도 수준으로의 표현이 적절할 것으

로 판단해서이다.

3. 분석결과

(1)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차이분석

사회적경제 수강생들이 인식하는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만

족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결과, <표 8>과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ᆞ2차 모두

Page 13: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63

Cronbach's α값은 모든 영역에서 0.8이상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다.

중요도와 만족도 간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1차 조사에

서는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7개 항목이 유의수준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영역별로 보면 Ⅰ영역에서는 ‘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 인재 양성’과‘사

회적경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항목이, Ⅱ영역에서는‘사회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

정 구성’항목이, Ⅲ영역에서는‘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취업 보장’,‘사회적경제 해외 연수’,‘사

회적경제 동아리 지원 필요’,‘사회적경제 장학금 지원’등이다.

영역 세부 항목중요도 만족도 중요도

-만족도

t pM SD M SD

1. 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 인재양성 5.14 1.29 4.88 1.16 .262 2.20 .031*

2.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협업능력 함양 4.98 1.29 4.95 1.28 .031 0.25 .802

3. 사회적경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 5.22 .944 4.85 1.13 .369 3.33 .001*

4. 창의적 협치를 통한 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 5.02 1.06 4.97 1.18 .046 0.33 .739

5. 대학과 지역의 상호협력을 통한 생태계 조성 4.91 1.14 4.63 1.36 .277 1.69 .095

6. 사회적경제를 위한 글로벌 교류의 네트워킹 4.95 1.24 4.69 1.33 .262 1.79 .078

소계 5.03 4.82 Cronbach's α=0.839

1. 사회적경제 전문교원 확보 5.14 1.15 4.98 1.24 .154 1.02 .311

2. 사회적경제 전문교원의 교육수준 5.25 1.06 4.94 1.41 .308 1.91 .060

3. 사회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 5.37 1.08 4.98 1.30 .385 2.65 .010*

4. 사회적경제 분야별 체계적 교육 5.42 1.14 5.09 1.40 .323 1.78 .079

5. 사회적경제 현장학습 학점 인정 5.12 1.38 4.97 1.18 .154 0.98 .331

6. 사회적경제 전문대학원 신설 4.92 1.37 4.69 1.29 .231 1.26 .212

소계 5.20 4.94 Cronbach's α=0.811

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취업 보장 5.52 1.13 5.00 1.46 .523 3.21 .002*

2. 사회적경제 국내 연수 5.38 1.15 5.34 1.29 .046 0.28 .780

3. 사회적경제 해외 연수 5.45 1.25 5.11 1.40 .338 2.00 .049*

4. 사회적경제 동아리 지원 5.14 1.26 4.74 1.42 .400 2.37 .020*

5. 사회적경제 장학금 지원 5.54 1.23 5.20 1.20 .338 2.17 .033*

6. 사회적경제 경진대회 개최 5.03 1.31 5.09 1.29 -.062 -.35 .709

7. 사회적경제 인턴지원제도 5.52 1.17 5.37 1.39 .154 1.03 .306

소계 5.36 5.12 Cronbach's α=0.894

<표 8>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 분석(1차)

* p < 0.05

2차 조사에서는 <표 9>와 같이 15개 항목이 유의수준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Ⅰ영역은‘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인재양성’,‘사회적경제 비즈니스 전문

역량 강화’,‘창의적 협치를 통한 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사회적경제를 위한 글로벌 교류

의 네트워킹’항목이, Ⅱ영역은‘사회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사회적경제 분야별

Page 14: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6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체계적 교육’,‘ 사회적경제 현장학습 학점 인정’,‘사회적경제 전문대학원 신설’등이었으며,

Ⅲ영역에서는‘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취업 보장’,‘사회적경제 국내 연수’,‘사회적경제 해외

연수’,‘사회적경제 동아리 지원’,‘사회적경제 장학금 지원’,‘사회적경제 경진대회 개최’,‘사

회적경제 인턴지원제도’등 모든 세부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다.

1차와 2차 조사에서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모두 차이를 보인 세부항목으로는 Ⅰ영역에

서는 ‘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 인재 양성’과‘사회적경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항목

이, Ⅱ영역에서는‘사회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항목이, Ⅲ영역에서는‘사회적경

제 전문인력 취업 보장’,‘사회적경제 해외연수’,‘사회적경제 동아리 지원 필요’,‘사회적경제

장학금 지원’등이다. 이러한 결과는 1차 조사에서 차이를 보인 세부항목이 모두 포함된 것

으로서 1차에 이어 2차 교육에서도 사회적경제 교육프로그램 수강생들의 교육에 대한 만

족수준은 수강생의 기대수준에 여전히 미치지 못한다고 하겠다. 또한, 2차 조사결과에서

는 Ⅲ영역의 경우 모든 세부항목이 차이를 보였는데, 수강생들의 중요도 수준이 높아진 점

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표 9>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 분석(2차)

영역 세부 항목중요도 만족도 중요도

-만족도

t pM SD M SD

1. 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인재양성 5.59 .123 5.23 .137 .356 2.499 .015*2.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협업능력 함양 5.51 .127 5.22 .142 .288 1.912 .0603. 사회적경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 5.60 .133 4.96 .148 .644 5.473 .000*4. 창의적 협치를 통한 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 5.63 .123 5.14 .144 .493 3.536 .001*5. 대학과 지역의 상호협력을 통한 생태계 조성 5.23 .141 4.90 .171 .329 1.652 .1036. 사회적경제를 위한 글로벌 교류의 네트워킹 5.84 .107 5.25 .159 .589 3.666 .000*

소계 5.57 5.12 Cronbach's α=0.889

1. 사회적경제 전문교원 확보 5.67 .164 5.40 .144 .274 1.688 .0962. 사회적경제 전문교원의 교육수준 5.96 .124 5.84 .114 .123 .964 .3383. 사회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 5.92 .113 5.08 .135 .836 6.315 .000*4. 사회적경제 분야별 체계적 교육 5.97 .114 5.12 .138 .849 6.057 .000*5. 사회적경제 현장학습 학점 인정 5.86 .128 5.48 .134 .384 2.307 .024*6. 사회적경제 전문대학원 신설 5.19 .143 4.58 .125 .616 4.398 .000*

소계 5.76 5.25 Cronbach's α=0.903

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취업 보장 6.18 .118 4.49 .151 1.685 10.333 .000*

2. 사회적경제 국내 연수 5.68 .126 5.27 .153 .411 2.486 .015*3. 사회적경제 해외 연수 6.05 .101 5.68 .143 .370 2.522 .014*4. 사회적경제 동아리 지원 5.56 .135 5.07 .146 .493 3.063 .003*5. 사회적경제 장학금 지원 6.19 .084 5.86 .125 .329 2.511 .014*6. 사회적경제 경진대회 개최 6.22 .092 5.55 .128 .671 5.244 .000*7. 사회적경제 인턴지원제도 5.64 .122 5.36 .130 .288 2.097 .040

소계 5.93 5.33 Cronbach's α=0.858

* p < 0.05

Page 15: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65

1차와 2차의 조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체적으로 만족도는 높은 수준이라 하겠다(Ⅰ영

역 전체평균 4.82→5.12, Ⅱ영역 4.94→5.25, Ⅲ영역 5.12→5.33).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사회적경제 교육프로그램 수강생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그림 2>에서와 같이 전

체적인 중요도와 만족도 수준은 1차와 2차 모두 평균보다는 높게 나타나 교육성과는 향상

되었다고 판단된다.

<그림 2> 중요도와 만족도 변화

(2) 교육목표에 대한 IPA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수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3>의 (a)는 1차 조사 결과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인 5.03과 실행도 전체

평균인 4.82를 좌표 기준으로, (b)는 2차 조사 결과로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인 5.57과 실행

도 전체 평균인 5.12를 좌표 기준으로 1사분면(유지), 2사분면(집중), 3사분면(저순위), 4사

분면(과잉)을 설정하였다.

<그림 3>의 (a)와 (b)를 비교해 보면 1차 조사(a)에 비해 2차 조사(b)의 기준점이 상향되

었는데 이는 사회적경제 교육 참여자의 교육목표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수준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세부항목의 변화를 살펴보면, 1차 조사에는 3사분면(저순위)에 있

던‘대학과 지역의 상호협력을 통한 생태계 조성’이 2차에서는 1사분면(유지)으로 변화되었

다. 이 변화는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목표 중 대학과 지역의 상호협력을 통한 사

회적경제 인식 확산과 활성화에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1차 조사에서 4

사분면(과잉)에 있던‘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협업능력 함양’이 2차에서는 1사분

면(유지)으로 변화한 것도 상호협력 및 소통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시키려는 사업

Page 16: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66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단 교육목표의 긍정적 효과이다. 상호협력과 소통으로 사회적ᆞ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영역의 변화를 이끄는 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사회적기업가정신 함양’역시 4

사분면에서 다른 분면으로의 변화는 없었지만 다양한 협동의 중요성 및 각종 사회혁신 사

례 학습이라는 교육목표의 긍정적 효과라 하겠다.

‘글로벌 교류 네트워킹’은 1차, 2차 모두 3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아직 글로벌 교

류사업의 가시적 성과가 없기 때문이겠지만 3회의 해외연수로 중요도와 실행도의 수준은

높게 향상된 것은 긍정적인 효과라 하겠다.

(a) (b)

<그림 3> 교육목표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3)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IPA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수준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IPA

를 실시한 결과는 <그림 4>와 같다. <그림 4>의 (a)는 1차 조사 결과로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인 5.20와 실행도 전체 평균인 4.94를 좌표의 기준으로, <그림 4>의 (b)는 2차 조사 결

과로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인 5.76과 만족도 전체 평균인 5.25를 좌표의 기준으로 사분면

을 구분하였다.

<그림 4>의 (a)와 (b)를 비교해 보면 1차 조사(a)에 비해 2차 조사(b)의 기준점이 상향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사회적경제 교육 참여자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의 인식수준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각 분면에 포함된 세부항목의 변화를 살펴보

면, 가장 두드러진 세부항목으로는 1차 조사에는 2사분면(집중)에 있던‘사회적경제 전문

교원의 교육능력’이 2차 조사에서는 1사분면(유지)으로 변화되었다. 이는 사회적경제 교

육프로그램이 학내 전임교수와 외부 전문가와의 연계강의 그리고 사회적기업가로 구성

된 전문멘토 등의 역할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사회적경제 분야별 체계적 교육’과‘사회

Page 17: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67

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은 1차 조사에서 1사분면(유지)에 있었으나 2차 조사에

서는 2사분면(집중)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만족도 수준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중요도의

수준은 매우 높게 변화되었다. 그리고‘현장학습 학점인정’에 대해서는 1차 조사에서는 4사

분면(과잉)에 있었으나 2차 조사에서는 1사분면으로 변화되었다. 이는 교육프로그램 참여

자들이 2년에 걸쳐 교육을 받으면서 그 중요성의 인식 정도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사

회적경제 전문대학원 신설’은 1차와 2차 조사 결과 제3사분면(저순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

타남에 따라 향후 이와 관련한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a) (b)

<그림 4>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4)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한 IPA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수준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IPA를 실시한 결과는 <그림 5>와 같다. <그림 5>의 (a)는 1차 조사 결과로서 중요도의 전

체 평균인 5.36과 만족도 전체 평균인 5.12를 좌표의 기준으로, <그림 4>의 (b)는 2차 조사

결과로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인 5.93과 만족도 전체 평균인 5.33을 좌표의 기준으로 1사분

면(유지), 2사분면(집중), 3사분면(저순위), 4사분면(과잉)으로 구분하였다.

<그림 5>의 (a)와 (b)를 비교해 보면 1차 조사(a)에 비해 2차 조사(b)의 기준점이 상향되

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경제 교육 참여자의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인식수준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각 분면 세부항목의 변화를 보면, 가장 두드

러진 것은 1차 조사에는 3사분면(저순위)에 있던‘인턴실습 지원’이 2차 조사에서는 1사분

면(유지)으로 변화되었다. 이는 방학기간 중 4주간 실시하는 인턴실습을 경험하면서 중요

성의 인식수준이 높아진 결과라 하겠다.‘해외연수’는 1차 조사에서는 2사분면(집중)에 있

었으나 2차 조사에서는 1사분면(유지)로 변화되었는데, 이 또한 경험을 통한 중요도와 만

Page 18: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68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족도 수준의 변화라 하겠다.

‘동아리 지원’은 1차와 2차 조사 결과 제3사분면(저순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향후 이와 관련한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국내연수’는

1차 조사에서는 1사분면과 4사분면의 경계에 있었으나 2차 조사에서는 3사분면(저순위)

으로 나타났으며‘경진대회’는 1차 조사에서는 1사분면(유지)이었으나 2차 조사에서는 4사

분면(과잉)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요도나 만족도 수준은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전문인력 취업보장’은 1차, 2차 조사 모두 2사분면(집중)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중요도수준은 높아진 반면 만족도 수준은 오히려 낮아졌다. 대학생들의 취업난을 잘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a) (b)

<그림 5>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5) 사회적경제 교육에 대한 IPA 결과정리

사회적경제 교육목표, 교육프로그램,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인식

수준 변화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표 10>과 같다. 먼저 교육목표로서 사회적경제 친화

적 글로벌 인재양성, 협업능력 향상, 기업가정신 고취, 대학과 지역 간 상호협력을 통한 생

태계 조성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글로벌 네트워킹 분야는 만족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정 개선이 요구된다 하겠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문교원의 확보 및 전문교원의 교육수준 향상, 분야별 체계

적인 특화교육, 현장학습 학점인정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며, 전문대학원 설

치와 관련한 프로그램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학원에

서 운영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리더과정과의 연계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Page 19: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69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장학금 지원, 인턴실습 지원, 해외연수, 경진대회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국내연수와 동아리 지원 등은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규모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인력 취업보장은 청년 취업난과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업관이나 가치관의 영향도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노

력해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표 10> 교육과정을 통한 인식수준 변화에 대한 차이분석결과

영역 과제 분면변화 결과설명

교육목적

1. 사회적경제 친화적 글로벌 인재양성 유지→유지 지속적인 추진

2.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협업능력 함양 과잉→유지 지속적인 추진

3. 사회적경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 유지→집중 비즈니스전문교육 확대

4. 창의적 협치를 통한 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 과잉→유지 지속적인 추진

5. 대학과 지역의 상호협력을 통한 생태계 조성 저순위→유지 지속적인 추진

6. 사회적경제를 위한 글로벌 교류의 네트워킹 저순위→저순위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

교육

프로그램

1. 사회적경제 전문교원 확보 과잉→과잉 현상유지

2. 사회적경제 전문교원의 교육수준 유지→유지 지속적인 추진

3. 사회적경제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 유지→집중 교육과정 개편

4. 사회적경제 분야별 체계적인 특화교육 집중→유지 지속적인 추진

5. 사회적경제 현장학습 학점 인정 과잉→유지 지속적인 추진

6. 사회적경제 전문대학원 신설 저순위→저순위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

교육지원

프로그램

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취업 보장 집중→집중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

2. 사회적경제 국내 연수 유지→저순위 활성화 방안 노력

3. 사회적경제 해외 연수 집중→유지 지속적인 추진

4. 사회적경제 동아리 지원 저순위→저순위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

5. 사회적경제 장학금 지원 유지→유지 지속적인 추진

6. 사회적경제 경진대회 개최 저순위→유지 지속적인 추진

7. 사회적경제 인턴지원제도 유지→과잉 현상유지

(6) 사회적경제 교육을 통한 성과분석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을 실시하면서 참여자의 인식수준에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표 11>, <그림 6>과 같다. <그림 6>은 1차와 2차 조사의 평균값을 방사

형 도표에 표시한 결과로서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인식수준의 변화가 향상되었음

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표 11>은 조사 항목에 대한 1차와 2차의 차이분석 결과로서‘사회적경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가치관에 변화를 가졌다’,‘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협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경제

Page 20: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70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교육과정을 통해 기본적인 인성과 가치관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변화에

는 참여학과간 융복합형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학과 간 역학분담, 사회적경제조직 전문인

력의 능동적ᆞ유기적인 참여를 통한 현장지향 교육과 지역협치 및 글로벌 교류의 네트워

킹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한편‘직업관의 변화’인식 수준은 향상되었

지만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교육에 좀 더 많

은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표 11> 교육과정을 통한 인식수준 변화에 대한 차이분석결과

내용 t유의확률 (양쪽)

평균평균차

차이의 표준오차

95% 신뢰구간

1차 2차 하한 상한

국가적 지원 필요 -1.416 .159 5.62 5.88 -.261 .185 -.626 .104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2.107 .037* 5.62 5.96 -.344 .163 -.666 -.021

사회복지 차원에 필요 -1.368 .174 5.62 5.85 -.234 .171 -.572 .104

가치관의 변화 -1.997 .048* 5.06 5.53 -.473 .237 -.941 -.005

직업관의 변화 -1.570 .119 4.60 4.97 -.373 .237 -.842 .097

사회적 관계 중요성 인식 -3.433 .001** 5.32 5.93 -.608 .177 -.959 -.258

협동의 중요성 인식 -2.209 .029* 5.31 5.90 -.396 .179 -.751 -.042

자유도: 136 * p<.05 ** p<.01

<그림 6> 교육과정을 통한 인식수준의 변화

Page 21: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71

Ⅴ. 결 론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교육을 학부 정규교과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대학에서 사회적

경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목

표 및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참여자의 인식수준 변화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글로벌 인재양성’,‘협업

능력 함양’,‘사회적기업가정신 고취’,‘대학 지역 간 상호 협력 생태계 조성’등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며,‘글로벌 교류 네트워크’는 중요성이 강조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비즈니스 전문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경영지식을 좀 더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에 대해서는‘분야별 체계적 교육’,‘현장학

습 학점인정’,‘전문교원 교육능력’등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특성화된 교육과정

구성’은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새로운 교과목 개설과 학기별 개설과목의 조정 등이 필요하

다고 하겠다.‘전문대학원 설치’와 관련한 프로그램은 대학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회적경

제 리더과정과의 연계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는‘장학금 지원’,‘인

턴실습 지원’,‘해외연수’,‘경진대회’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국내연수’와‘동아리

지원’등은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전문인력 취업

보장’은 청년 취업난과 같은 외부환경적 요인과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지도의 영향도 있겠

지만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넷째, 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참여자의 인식수준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

다. 특히‘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협동의 중요성 인식’과‘사회적경제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관계 중요성 인식’그리고‘사회적경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등이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가치관의 변화’와‘직업관의

변화’등 도 인식수준은 향상되었지만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이 아쉬

운 점이라 하겠다.

다섯째, 사업단의 교육과정은 융복합형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학과 간 역학분담 그리고

사회적경제조직 전문인력의 능동적․유기적인 참여 그리고 현장지향 교육과 지역협치 및

글로벌 교류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사업단의 교육성과

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22: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72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아직 초기단

계이기 때문에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설명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표본

의 특성 상 지역적인 자료로 인해 결과의 해석에도 다소 무리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지속

적인 평가와 그 결과를 통한 개선활동이 이어질 때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 교육의 활성

화와 저변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논문투고일 ■ 논문 최종심사일 ■ 논문게재확정일

2016. 06. 222016. 08. 022016. 08. 24

Page 23: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73

참고문헌

송원근(2015), 사회적경제 연계전공 모듈,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사업단. 경남과기대출판부, 진

주.

신명호(2009), “한국의 사회적경제 개념정립을 위한 시론,” 도시와 빈곤, 89, 5-45.

(2013) 사회적경제와 국가, 그리고 민주주의, 사회적경제리뷰, 2, 아르게, 서울.

장원봉(2006), 사회적경제의 이론과 실제, 나눔의 집, 서울.

정태인ᆞ이수연(2013), 협동의 경제학, 레디앙, 서울.

조영복ᆞ곽선화(2011), 영국의 사회적기업 육성 계획, 사회적기업연구원, 시그마프레스, 서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사업단, 2014, 지방대학 특성화사업 신규 선정 사업

계획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새누리당 사회적경제특별위원회(2014), 사회적경제 기본법(안).

새정치민주연합 사회적경제정책협의회(2014), 사회적경제 기본법(안).

홍효석ᆞ이원기ᆞ맹해영(2015), “사회적경제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

식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30(6), 173-19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인력양성사업단(https://sites.google.com/site/cese308/)

부산대학교(http://www.pusan.ac.kr/uPNU_homepage/kr/default.asp)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http://gs.skhu.ac.kr/icons/app/cms/?html=/home)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http://dept.hs.ac.kr/hsmba/)

한양대학교(http://www.hanyang.ac.kr/)

KAIST(http://www.business.kaist.ac.kr/)

Page 24: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27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ABSTRACT

The Case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4)

Song, Won keun** · Hong, Hyo seog*** · Park, Jong hyun****

This joint study is trying to comprehend some effects or degree of qualif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on social economy at undergraduate college. It was performed expecting that it would

contribute to broaden and improve social economy education by sharing its results and experiences.

The CESE(College Experts on Social Economy in GNTECH university), which is the main institution

of relevant education, carried out two-time survey targeti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this

programs.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comparative research through these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program has been well supported in general, but programs on

business skills need to be intensified. Second, regular executive educational programs showed

substantial performances, but the systemic linkage program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will be necessary to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rd, supporting programs, such

as internship, oversea training should be complemented to improve the program. Fourth, the

awareness of the program was notably advanced especially in such fields as ‘importance of

cooperation’,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Some changes in occupational sense or values of

students are also noticeable but this results leave much to be discussed from now on.

|Key words|Social Economy,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

* This waork was supported by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rant 2015** Associate Professor, Dept. of Economic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mail protected]) *** Professor, Dept. of Accounting Information,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mail protected]) **** Associate Professor, Dept. of Economic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mail protected])

Page 25: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2019-02-17 · 254 지역산업연구|제39권 제3호|2016.8 되도록 하고, 학교가 사회적기업을 이용하는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송원근 ․ 홍효석 ․ 박종현 275

1. 제1저자

송원근(Song, Wonkeun) : [email protected]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박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현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전문인력양성사업단 주임교수

․최근의 관심 분야 : 사회적경제, 협동의 경제학

2. 교신저자

홍효석(Hong, Hyoseog) : [email protected]

․홍익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경영학박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회계정보학과 교수(현재)

․최근의 관심 분야 : 창업회계, 사업기회발견,

3. 공동저자

박종현(Park, Jonghyun): [email protected]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박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현재)

․생협평론 편집위원장(현재)

․최근의 관심 분야 : 사회적금융, 행복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