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7
- 17 - 청소년폭력비행에 있어 일반긴장이론의 검증: 상황론적 논의를 통해 * 성식 **1) 서론 분석 I. . 론적 배 . 연가설 연방법 . . 서론 I. 청소들 험하는 긴 비행 주요 될 수 는가 기존 연들에서는 ? 제시했던 전적 미로서 긴 즉 하청소들 조적 제약에서 험 Merton , 하는 긴 좌절 영향력에 주목했다 그렇지만 조적 긴 청소비행에 미는 . 영향력 미약하다는 를 보여 왔다 그러나 후 등한 반긴 . Agnew(1992) 론 조적 긴외에 청소들 가정 학 등 상생활에서 험하는 긴 비 , 행 로 다루었 또한 다른 론들 를 포함하는 통합론로서 각 , 받았다. 최근까지 외에서는 론에 대한 험 연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Mazerolle 대체로 지지되는 듯 하지만 그러나 아직 and Maahs, 2000; Piquero and Sealock, 2000), 된 연를 제시하 지는 하 다 그러나 비행 형별로 나누어 살펴 . 보면 다른 비행형 중에서도 폭력비행에 어 긴 영향력 강하다 볼 수 다. 본 연는 숭실대학 연비 지로 루어졌 * . 숭실대학 정보사회학 조수 ** .

Transcript of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Page 1: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 17 -

청소년폭력비행에 있어 일반긴장이론의 검증:

상황론적 논의를 통해*

이 성 식**1)

서 론 분석결과I. .Ⅳ이론적 배경.Ⅱ연구가설과 연구방법 결 론. .Ⅲ Ⅴ

《 目 次 》

서 론I.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긴장은 비행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는가 기존 연구들에서는?이 제시했던 고전적 의미로서의 긴장 즉 하층청소년들이 구조적 제약에서 경험Merton ,

하는 긴장과 좌절의 영향력에 주목했다 그렇지만 구조적 긴장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영향력은 미약하다는 결과를 보여 왔다 그러나 이후 등장한 의 일반긴장. Agnew(1992)이론은 구조적 긴장이외에 청소년들이 가정 학교 등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긴장을 비,행의 원인으로 다루었고 또한 다른 이론들의 논의를 포함하는 통합이론으로서 각광을,받았다.최근까지 외국에서는 이 이론에 대한 경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고(Mazerolle

대체로 지지되는 듯 하지만 그러나 아직and Maahs, 2000; Piquero and Sealock, 2000),일관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비행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른 비행유형 중에서도 폭력비행에 있어 긴장의 영향력은 강하다고 볼 수 있다.본 연구는 숭실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조교수** .

Page 2: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18 -

일반긴장이론은 일상생활에서의 여러 긴장이 부정적 감정을 야기하여 비행을 일으킨다

고 봄으로써 매개요인으로서 부정적 감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부정적 감정 중에서,도 화 분노는 폭력비행을 설명함에 있어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서 강조되어 왔기 때문,이다 즉 일상긴장과 그로 인해 경험하는 분노는 여러 비행 중에서도 청소년폭력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일반긴장이론에 대한 국내 연구는 일부 연구이외에는 손장권 이동원 이성식( , , 1995; ,다소 미흡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을 국내에서 검증하려고 하며 가1999) . ,

정 학교 등에서 경험하는 긴장과 분노가 청소년폭력의 주요 원인이 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긴장 분노와 폭력비행의 관계를 검토함에 있어 그것을 상황. ,론적으로 다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그 동안 연구에 있어서의 연구방법의 문제점을,지적하여 시나리오의 방법을 통해 우연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분노의 경험이 폭력비행

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처럼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을 국내에 검증함.에 있어 특히 폭력비행을 다루려고 하며 그것을 상황론적 논의를 통해 적용해 보려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Ⅱ

일반긴장이론의 등장배경1.

일반긴장이론은 고전적 긴장이론의 대안으로 등장한 이론이다 본래 긴장이론에서는.의 논의에 기반하여 하층 청소년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 성공 목표좌절에서 오는Merton , ,

긴장과 좌절을 비행의 원인으로 다루었다 즉 누구나 돈을 벌고 성공하기를 원하지만 하층.아이들은 구조적 여건상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합법적인 수단이 없음으로 해서 긴

장과 좌절을 겪게 되고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고 보았다.그렇지만 이후 연구들에서 계층과 비행의 관련성이 적고 따라서 하층의 비행을 설명하,

려 했던 본래의 논의가 수정이 불가피했다는 점에서 또 그러한 점에서 중산층의 비행도,상당수인데 긴장이론의 구조적 긴장의 논의로는 중산층의 비행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열망과 기대간의 격차로 살펴본 목표좌절이 비행의 원인으로는,크게 지지를 못 받게되자 새로운 대안이 모색되기에 이르렀다.

Page 3: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19 -

이후 수정된 논의들에서는 하층 청소년들 이외에 중산층을 포함한 모든 청소년들이 경

험할 수 있는 일상생활에서의 긴장을 비행의 원인으로 고려하기 시작했고 그러한 점에서,경제적 어려움에서 오는 구조적 긴장보다는 가정 학교 등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긴장,을비행의 원인으로 다루기 시작했다(Elliott and Voss, 1974; Quicker, 1974; Agnew 1984).예컨대 부모와의 갈등 학업성적의 부진 이성친구와의 헤어짐 친구와의 다툼 친구들에게, , , ,인기가 없는 것 등이 그 요인이 된다는 것이었다.

일상긴장과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2.

그러한 논의는 의 일반긴장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는 비행의 원인Agnew(1992) .으로 세 가지 긴장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원하는 목표의 실패로 이는 원하는 목. ,표를 달성하기 힘들다고 기대될 때 그리고 실제로 성취하지 못했을 때 그리고 그 결과, ,가 공정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때 긴장은 발생하고 그러한 긴장은 비행의 원인이 된다고,보았다1) 두 번째 요인은 긍정적 자극의 소멸로 청소년들의 생활에서 중요하게 자리매. ,김했던 부모가 사망을 했거나 이성친구와 헤어지게 되는 등의 생활사건은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긴장요소가 되며 비행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세 번째 요인은 부정적 자극, .의 존재로 부모로부터의 학대 친구들의 괴롭힘 등이 있을 때 이러한 부정적 사건으로, ,부터의 긴장은 비행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일반긴장이론에서는 그러한 긴장들로 인해 아이들이 화 우울감 절망감 등의 부정적, ,

감정을 경험하게 될 때 그러한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려는 대처 방식에서 비행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즉 일반긴장이론에서는 여러 긴장요인들을 비행의 원인으로 제시했지만 긴.장과 비행 사이에 매개요인으로 부정적 감정을 주요 요인으로 다루었다.일반긴장이론의 검증에 있어 기존 연구들은 아이들의 생활영역별로 고전적 긴장이론

에서 강조되었던 성공의 좌절이외에 어른들과의 부정적 관계 학교에서의 부적응이나 친,구와의 갈등 지역무질서 그밖의 여러 부정적 생활사건 등으로 나누어 긴장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는데 긴장은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고 그러한 부정적 감정이 비행에 영향을 준,다고 하며 비행을 하게 되(Agnew and White, 1992; Paternoster and Mazerolle, 1994),면 부정적 감정이 해소 되듯이 즉 비행의 동기는 긴장에서 유발되며 긴(Brezina, 1996),

1) 구체적으로는 열망과 기대의 격차 기대와 성취의 격차 공정한 결과와 실제 결과간의 격, ,차를 요인으로 제시했다 고전적 긴장이론가들은 첫 번째 요인의 세가지 중 열망과 기대.간의 격차에 주목했었다고 볼 수 있다.

Page 4: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20 -

장으로부터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을 감소하려는 데에서 비행은 비롯된다는 결과를 제시

했다.

긴장효과의 조건적 논의3.

의 일반긴장이론은 다소 통합이론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즉 긴장 및Agnew(1992) .부정적 감정만을 비행의 요인으로 다룬 것은 아니고 다른 이론들 예컨대 사회통제이, ,론 차별접촉사회학습이론 일반이론 자기통제이론 에서 강조되었던 요인들을 그의 논, / , ( )의와 모델 속에 포함시켜 논의하고 있다 일반긴장이론에 따르면 일상긴장에 노출되어.있고 그로 인해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는 아이들이 누구나 비행을 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조건에서만 그렇다고 보았는데 그 조건적 변인들로 사회유대 부모와의 애착이, (나 학교공부에의 관여 등 비행친구와의 접촉 위반에 대한 태도 혹은 도덕적 신념 개), , ( ),인성향 자기통제력이나 충동성 등 사회지원 자긍심 또는 자기효능감 등을 제시했( ), , ( )다2) 즉 긴장으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아이들이 위와 같은 조건들 즉 사회유대가. ,낮고 비행친구와 사귀며 비행에 허용적이고 자기통제력이 낮거나 충동적인 성향이 있, , ,으며 사회지원과 자긍심이 낮은 경우 비행을 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 ,은 긴장과 부정적 감정을 느끼더라도 비행의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다.그렇지만 기존의 연구들에서 긴장의 조건적 효과의 논의는 크게 지지를 받지 못했

다 와 의 연구에서는 비행친구와의 접촉과 자기효능감을 조건적 변. Agnew White(1992)인으로 다루어 그 입장을 지지하는 결과를 제시했지만 와, Paternoster Mazerolle(1994)는 비행친구와의 접촉 도덕적 신념 비행성향 사회지원 자기효능감 등을 조건적 변인, , , ,으로 다루었으나 조건적 가설을 지지하지 못했으며 이후 연구들, (Mazerolle and

에서도 비행친구와의 접촉 비행태도 자긍심Piquero, 1997; Hoffman and Miller, 1998) , ,

2) 사회통제이론에서는 부모와의 애착이 낮고 학교공부에 관여하지 않는 아이들이 비행 가,능성이 높고 차별접촉 사회학습이론에서는 비행친구와 사귀는 아이들이(Hirschi, 1969), /

그리고 사회통제이론과 차별접촉 사회학습이론 모두는(Sutherland and Cressey, 1978), /비행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거나 도덕적 신념이 낮은 아이들이 비행을 저지르게 된

다고 했다 또한 일반이론 과 비행성향론자들의 논의. (Gottfredson and Hirschi, 1990)에서는 자기통제력이 낮고 충동적인 아이들이 비행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Moffitt, 1993)

다 마찬가지로 스트레스 연구들에서는 생활사건이나 일상긴장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이 주위 사람들로부터 재정상 정서상의 도움을 받거나 또한 자긍심이 높은 경우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스트레스를 크게 경험한다고 보았는데(Pearlin, 1989; Turner

그러한 점에서 일반긴장이론에서는 사회지원과 자긍심도 조건적 요and Roszell, 1994),인으로 다루었다.

Page 5: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21 -

등의 변인들과 상관없이 긴장은 비행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그러나 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비행친구와 사귀고 비행태도를 갖는 아이(Mazerolle and Maahs, 2000) ,들 그리고 비행성향 충동성 을 갖는 아이들이 긴장에 노출될 때 비행을 저지르게 될 가, ( )능성이 높다고 밝히고 있듯이 조건적 논의는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3).

폭력비행에 있어 긴장의 효과4.

일반긴장이론에서는 비행을 긴장과 부정적 감정에 적응하는 반응양식으로 다룸에

있어 세 가지 유형이 있다고 했다 첫째는 도피주의자로 약물이나 마약 등으로 긴장과.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 둘째는 도구주의자로 남의 물건을 훔침으로써 긴장을 해소하, ,며 셋째는 응징 보복 주의자로 부정적 감정을 야기했던 상대방에게 폭력을 행사함으로, ( ) ,써 자신의 내적 부정적 감정 특히 분노 을 해소한다고 했다( ) (Brezina, 1996).그러나 비행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본 기존 연구결과를 보면 특히 긴장은 약물 재산, ,

비행보다는 폭력비행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또한 여러 부정적 감정들 중에서도 분노가,중요하여 긴장이 화 분노를 유발하며 분노가 폭력비행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는 결과를 제시했다(Mazerolle and Piquero, 1997; Aseltine et al., 2000; Piquero and

즉 가정 학교 등에서 긴장을 경험하는 아이들은Sealock, 2000; Capowich et al., 2001). ,평소 화를 내는 경향이 높고 화를 잘내는 아이들이 폭력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그렇지만 기존 연구들을 보면 일관된 연구결과가 없었다 그것은 일반긴장이론을 검.

증함에 있어 분노의 영향력을 다루는 방법론상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예컨대 분노를 측.정하기 위해 분노보다는 충동성을 측정한 경우가 있는데(Mazerolle and Piquero, 1998),예컨대 나는 쉽게 화를 낸다 내가 화를 내면 물불을 안가린다 와 같은 문항으로 분“ ”, “ ”노를 측정할 경우 그것은 평소 경험하는 분노를 측정했다기보다는 충동성과 자기통제

력의 결함을 측정했다고 볼 수 있는데 결국 그들 연구에서도 분노의 매개효과는 발견,할 수 없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그것은 긴장을 느끼는 아이들이 충동적이라는

것을 지지못했던 것이지 일반긴장이론을 엄밀히 검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또 다른 연구로 보다 최근 와 동료들은 은 평상시에 화를 많이 내고Mazerolle (2001)

짜증이 나는가를 통해 분노를 측정하고 있지만 이 또한 적절한 방법은 아니었고 사실, ,

3) 최근 와 동료들의 연구 에서는 조건적 변인들 중 비행성향에 주목하여 긴장을Agnew (2002)경험하는 아이들이 충동적이고 비행성향이 있는 경우 더욱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Page 6: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22 -

그러한 이유로 그들 연구에서도 분노의 매개효과는 지지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일.반긴장이론에서는 분노가 폭력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할 때 주로 그것은 대인갈등상황

을 전제로 논의되어야 한다 즉 우연한 대인갈등상황에서 상대의 모욕으로 자존심이 크.게 손상되고 분노가 크게 있게 될 때 상대를 응징하려는 동기에서 순간적으로 폭력이

있게 된다는 상황론적 논의가 있듯이 이(Luckenbill, 1977; Felson and Tedeschi, 1993;성식 긴장이론가들은 특히 폭력비행을 다룸에 있어서는 이러한 기존의 상황론적, 1996),논의들을 다룰 필요가 있다 즉 긴장에 노출된 아이들이 단순히 늘 화나 짜증이 나서.폭력을 저지른다고 보기보다는 그러한 아이들은 우연한 상황에서 사소한 시비나 상대

의 모욕과 같은 갈등상황이 있게 될 때 더욱 분노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따라,서 폭력의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다.시나리오의 상황을 제시하여 모욕상황에서 경험하는 분노를 통해 그 영향력을 다룸

으로써 방법론적으로 보다 적절했던 연구의 결과를 보면 분노는 폭력비행의 중요한 원

인이 된다는 것이 발견된다 즉(Mazerolle and Piquero, 1997; Capowich et al., 2001).우연한 갈등상황에서 경험하는 상황적이고도 즉각적인 분노가 폭력비행의 원인이 된다

고 볼 수 있으며 일상긴장에 노출하는 아이들이 그 상황에서 더욱 흥분하고 분노하여,폭력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연구가설과 연구방법.Ⅲ

연구가설1.

본 연구에서는 일반긴장이론을 폭력비행에 적용함에 있어 기존 연구들에서 강조되어 왔

고 최근의 연구 에서도 제시된 것과 같이 부모와의 갈등과 같이 부모, (Agnew et al., 2002)와의 관계에서 오는 가정내 긴장 성적부진이나 학교에서 느끼는 학교부적응의 학교긴장, ,그리고 지역무질서와 같은 지역문제에서 비롯되는 지역긴장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다뤄

보기로 한다 또한 폭력비행을 종속변인으로 다룸에 있어 부정적 감정 중에서도 분노를 매.개요인으로 다루려고 한다.이 연구에서는 분노의 폭력비행에 대한 영향을 다룸에 있어 대인갈등상황을 상정하여

상대의 모욕이나 대인갈등에서 경험하는 분노가 과연 폭력비행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시나

Page 7: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23 -

리오의 방법을 통해 살펴보려고 한다.여기서는 이처럼 일반긴장이론을 상황론적으로 다루려고 하며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 , ,

서 긴장을 경험하게 되는 아이들이 대인갈등상황에 있게 될 때 더욱 분노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예측하며 그 상황에서 분노를 경험하는 아이들이 폭력의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가설 부모관계긴장 학교긴장 지역사회긴장을 경험하는 아이들은 우연한 대인갈등상1: , ,황에서 분노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욱 높을 것이다.

가설 대인갈등상황에서 분노를 경험하게 되는 아이들은 그 상황에서 폭력비행을 더2:욱 저지를 것이다.

그렇지만 일반긴장이론에서도 주장되듯이 대인갈등상황에서 분노를 경험한다고 누구나

폭력을 행사하지는 않을 것이다 여기서는 기존의 연구들에 근거하여 조건적 변인들로 사.회유대 요인으로 부모에 대한 애착과 학교공부에 대한 관여를 그리고 비행친구와의 접촉, ,폭력용인태도 자기통제력을 사용하기로 하는데 분노와 조건적 변인들은 폭력비행에 대해, ,상호작용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하며 분노를 경험하는 아이들이 부모에 대한 애착과 공,부관여도가 낮고 비행친구와 어울리며 폭력에 허용하는 태도를 갖고 자기통제력이 낮은, , ,아이들에 한하여 폭력비행의 가능성이 더욱 높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가설 분노와 부모에 대한 애착 학교공부관여 비행친구와의 접촉 폭력용인태도 자3: , , , ,기통제력은 폭력비행에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방법2.

이 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 다니는 남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질문지방법을 통

해 경험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사는 대구를 중심으로 대구이외에 경상지역 인근 중소도시의.개 남자고등학교를 선정하였는데 무작위 추출로 대구 경산 구미 영주 김천 상주 경20 , , , , , , ,

주 울산 거창 거제시가 지역으로 선정되고 인구비례에 따라 대구에서 개 학교를 그리고, , , 6 ,울산시에서 개 학교를 선정하였고 나머지 도시에서 개 혹은 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각3 , 1 2 .시에서는 무작위로 남자고등학교를 선정한 후 각 학교에서 학년 또는 학년 한 학급씩을2 3선정 학급당 명씩 총 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년, 40 800 . 2001월 주간에 거쳐 실시하였다5 2 .

Page 8: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24 -

변인의 측정3.

긴장변인(1)일상긴장은 청소년들의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긴장경험들을 중심으로, ,

다루기로 하는데 각각의 긴장변인들은 앞 장에서 살펴본 외국의 최근까지의 연구들을,토대로 측정문항들을 사용하였다(Paternoster and Mazerolle, 1994; Agnew et al., 2002).부모관계긴장은 주로 청소년들이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이나 부모의 무관심과,

같은 부정적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부모님과 나는 마음이 안맞고 갈등이 심하, “다 부모님은 나에게 관심이 없다 부모님은 나를 잘 이해해주시지 못한다 등 세 문”, “ ”, “ ”항을 점 척도로 질문하였다5 (alpha=.700).학교긴장은 학업성적 부진 학교생활 전반을 통해 느끼는 긴장을 측정하였는데 나, , “

는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 나는 요즘 학교 가기가 싫다 나는 공부에 흥미가 없”, “ ”, “다 등 세 문항을 점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5 (alpha=.793).지역사회긴장은 거주하는 지역의 무질서에 대한 인지도를 통해 알아보기로 하는데,

이 동네는 잘 정돈되어 있지 않고 어수선하다 우리동네에서 사람들이 밤늦게까지 술“ ”, “먹고 소란피우는 것을 보곤한다 우리동네 사람들이 서로 싸우고 주먹질하는 것을 보”, “았다 이 동네에는 불량배나 불량소년들이 자주 눈에 띈다 의 네 문항을 사용하였다”, “ ”(alpha=.703).

매개변인(2)매개변인으로 다룰 분노를 위해선 평상시 화를 잘 내는지 신경질적이고 이성을 잃, ,

고 격분하는 경우가 있는지로 측정하기보다는 그러한 안정적 성향으로서보다 상황적 맥,락에서 순간적으로 얼마나 분노를 느끼게 되는지의 경험에 주목하기로 한다 그러한 이.유로 여기서는 시나리오의 갈등상황을 응답자에게 제시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느끼는 분

노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세가지(Mazerolle and Piquero, 1997; Capowich et al., 2001).상황으로 친구와 사소한 말다툼으로 서로 신경을 건드리는 말이 오고 갔다 길을1) , 2)가다가 또래 친구와 서로 몸이 크게 부닥쳤다 친구들끼리 무언가를 하는 과정에서, 3)모두 다 찬성하는데 어떤 친구만 안 하겠다고 했다의 상황을 제시하고 각각의 상황에서

상대에게 느끼는 분노를 전혀 화가 나지 않는다 에서 매우 화가 난다 라는 점 척도에“ ” “ ” 5응답하게 하고 이들 문항을 합산하여 측정하기로 한다(alpha=.888).

Page 9: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25 -

조건변인(3)조건적 변인들로 먼저 사회유대요인으로 부모에 대한 애착은 부모를 좋아하고 사랑하

는지 얼마나 많은 대화를 나누는지이외에 본래의 논의대로 비행상황적 여건에, Hirschi서 부모가 마음속에서 작용하여 비행통제에 얼마나 기여하게 되는가에 초점을 두었는데

이성식 이에 나는 부모님이 좋다 나는 고민이 있을 때 부모님께 고민을 털어( , 1996), “ ”, “놓는다 나는 부모님을 실망시켜드리고 싶지 않다 나는 늘 부모님을 생각하며 행동한”, “ ”, “다 등 네 문항을 사용하여 점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 다른 사회유대” 5 (alpha=.730).요인으로 학교공부에 대한 관여도를 위해서는 나는 공부를 열심히하고 노력한다 의 한“ ”문항을 사용하였다.비행친구와의 접촉을 위해선 당신의 친한 친구 중 나쁜 일을 하여 학교에서 처벌을 받“

거나 경찰서에 잡혀간 친구는 몇 명이나 됩니까 의 질문에 없다 명 명?” “ ”, “1 ”, “2-3 ”, “4-7명 그 이상에 응답하도록 했다 또한 폭력용인태도를 위해서는 남을 때리는 행동은 절”, “ ” . “대 나쁜 행동이다 역부호화 의 한 문항을 사용하고 점 척도에 응답하도록 했다( )” 5 .자기통제력을 위해선 과 가 제시한 것 중 충동성 현재지향성Gottfredson Hirschi(1990) , , ,

위험추구성 이기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나는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나는, , “ ”, “차후에 어떤 일이 있을지는 생각않고 무엇이든 즉흥적으로 한다 나는 안전한 것보다 스”, “릴있고 모험이 있는 것이 더 좋다 나는 뭐든지 내 위주로 생각한다 등 아홉 문항을 점”, “ ” 5척도로 역으로 부호화한 후 합산하였다(alpha=.853).

비행(4)종속변인으로 다룰 폭행비행은 앞서 제시한 세 시나리오 상황에서의 폭력의도로 간접적

으로 알아보기로 하는데 위 상황에(Mazerolle and Piquero, 1997; Capowich et al., 2001), “서 나는 상대방을 때릴 것이다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에 이르는 점 척” “ ” “ ” 5도에 응답하도록 하였고 세 상황의 세 문항의 질문을 합산하였다, .

분석결과.Ⅳ

연구모델의 분석에 앞서 먼저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면4) 표 에서와 같이 조< 1>4) 본 연구에서는 불성실하고 부적절한 응답을 한 명을 제외한 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6 794

Page 10: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26 -

사대상자의 부모의 교육수준은 고졸이 거의 절반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아버지의,직업은 전체 응답자 중 명 이 직업이 없다고 응답했다 경제수준을 알기 위해 가109 (13.7%) .족의 수입을 보면 응답자의 정도가 만원에서 만원 사이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60% 100 250 ,만원 이하의 저소득층은 명 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50 27 (3.4%) .

표 조사대상자들의 특성< 1>

빈도 %부교육 중졸이하 166 20.9

고졸 396 49.9대졸이상 204 25.7무응답 28 3.5

부직업 없다 109 13.7있다 634 79.8무응답 52 6.5

가족수입 만 이하50 27 3.4만51-100 74 9.3만101-150 180 22.7만151-200 187 23.6만201-250 110 13.9만251-300 64 8.1만301-350 36 4.5만351-400 18 2.3

만 이상401 31 3.9무응답 67 8.4

총 794 100.0

표 의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적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앞서 표 에서 제시했듯< 2> < 1>이 아버지의 교육수준은 평균적으로 고졸이었으며 응답자의 대다수가 아버지가 직업이 있,하였다.

Page 11: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27 -

다고 응답했고 가족의 수입은 평균적으로 만원 수준이었다, 151-200 .가정에서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긴장점수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에,

서의 긴장점수도 낮아 평균적으로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긴장정도는 낮다는 결과를 제시했

다 지역에서의 무질서로 인한 긴장점수는 가정 학교에서의 긴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 ,으나 평균적으로 긴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조건적 변인들에 대한 기술적 분석결과를 보면 많은 응답자들이 부모에 대해 애착을 갖

고 또 학교공부를 열심히 하며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행친구와 사귀는 아이들은, , ,적고 폭력에 대해 용인하는 태도를 갖는 아이들도 평균적으로 적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또, .한 평균적으로 응답자들의 자기통제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시나리오상의 대인갈등상황에서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볼 때 다소 분노를 경험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폭력의도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적 분석결과< 2>

평균 표준편차 범위

부교육 2.05 .69 1-3부직업 .85 .35 0-1가족수입 4.23 1.83 1-9가정긴장 6.78 2.15 3-15학교긴장 7.22 2.45 3-15지역긴장 10.80 2.99 4-20부모애착 14.81 2.61 4-20공부관여 3.24 .97 1-5비행친구 1.96 1.31 1-5폭력태도 2.34 .83 1-5자기통제 24.32 5.80 9-45분노 10.31 2.11 3-15폭력 8.39 2.52 3-15

연구모델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표 모델 의 결과에서 제시되듯이< 3> (1)가정에서의 긴장 학교에서의 긴장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긴장은 청소년폭력비행에 유의, ,

Page 12: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28 -

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학교에서의 긴장은 수준에서 영향력이. p<.001유의미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고 지역에서의 긴장 가정에서의 긴장순으로 영향력을, ,보였다 고전적 논의에서는 하층이 비행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강조했지만 계층요인과 비행.과는 큰 관련이 없었으며 오히려 가족수입이 높은 아이들이 폭력비행의 가능성이 다소 높

다는 결과를 제시했다.분노를 매개요인으로 고려하여 모델에 첨가한 표 의 모델 의 결과에서는 분노를< 3> (2)

하게 되면 폭력비행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를 제시했고 가정긴장과 지역긴장의 영,향력이 크게 감소하여 그 영향력이 분노에 의해 매개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즉 가정 지. ,역에서 긴장을 경험하는 아이들은 우연한 갈등상황에서 분노를 느낄 가능성이 높으며 그,러한 이유로 폭력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긴장의 영향력도 분노에 의.해 일부분 매개되고 있으나 그 직접적인 영향력이 크게 유의미하여 학교에서 긴장을 느끼

는 아이들은 분노와 상관없이도 폭력비행의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표 긴장 분노의 폭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3> ,

종속변인

독립변인 폭력 폭력

(1) (2)

부교육 -.030 .028부직업 .100 -.050가족수입 .167* .088가정긴장 .115* .059학교긴장 .186*** .161***지역긴장 .092** .045분노 .640***R-square .093 .376검증F 11.405 *** 56.863****=p<.05; **=p<.01; ***=p<.001일반긴장이론에서의 조건적 효과에 관한 논의를 검증하기 위해 표 의 결과를 보면< 4>

모델 의 결과에서 보듯이 상대의 모욕에 분노하는 아이들이 부모와의 애착마저 적을 때(1)

Page 13: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29 -

폭력의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모델 의 결과에서처럼 비행친구와 사귀는, (3)아이들이 상대의 모욕에 분노하게 될 때 폭력비행의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했다 그러나 학.교공부에의 관여나 폭력용인태도 그리고 자기통제력의 분노와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일반긴장이론의 조건적 논의는 일부 요인에서만 지지되는 것으로,나타났다.

표 폭력에 대한 분노의 조건적 효과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4>

종속변인

독립변인 폭행 폭행 폭행 폭행 폭행

(1) (2) (3) (4) (5)부교육 .044 -.005 .014 .006 .005부직업 -.025 -.039 -.066 -.061 -.038가족수입 .088 .095 .041 .085 .092가정긴장 .061 .064 .042 .065 .037학교긴장 .157*** .189*** .131*** .162*** .131***지역긴장 .048 .034 .038 .043 .034분노 .145 .615*** .495*** .404** .667***부모애착 -.342*분노 애착* -.033*공부관여 .045분노 관여* .011비행친구 -.472분노 친구* .065*폭력태도 .604분노 태도* -.064#자기통제 -.079분노 통제* .003R-square .384 .392 .394 .381 .384검증F 45.490*** 46.923*** 45.157*** 44.927*** 45.157****=p<.05; **=p<.01; ***=p<.001

Page 14: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30 -

결 론V.

본 연구는 일반긴장이론을 청소년들의 폭력비행에 적용함에 있어 일상생활의 긴장이

폭력비행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긴장에 노출된 아이들이 우연한,대인갈등상황에서 상대에게 더욱 분노하여 분노 때문에 폭력을 행사하게 되는지를 살펴

보려고 했다 이처럼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을 상황론적 논의와 결합하여 폭력비행을.중심으로 검증하려고 했다 더욱이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의 조건적 논의를 통해 다른.이론들과의 통합가능성은 어떤지를 살펴보려고 했다.본 연구결과는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경험하는 긴장이 모두 유의미하게, ,

청소년폭력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교에서의 긴장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비록 학교에서의 긴장이 분노에 의해 크게 매개되지는 않았으나 가.정 지역사회에서 긴장에 노출된 아이들은 분노를 통해 폭력을 저지르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일반긴장이론이 지지되고 있음을 나타내고.있다.또한 일반긴장이론의 조건적 논의의 결과를 보면 누구나 분노로 폭력을 저지르는 것

은 아니고 부모와의 애착이 낮거나 비행친구와 사귀는 아이들이 분노를 하게 될 때 폭

력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제시해 비행설명에 있어 긴장이론이 사회통제이론이나 차별

접촉이론과 통합될 필요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일반긴장이론에서의 예측과는 달리 학교.유대나 폭력용인태도 혹은 신념 그리고 자기통제력의 조건적 효과는 지지되지 못했다( ), .본 연구결과에서는 일반긴장이론의 조건적 논의는 크게 지지를 받지는 못했지만 긴

장요인들과 분노의 영향력은 큰 것으로 나타나 일반긴장이론이 어느 정도 지지되는 결

과를 제시했다 즉 평소 일상생활에서 긴장을 경험하는 아이가 우연한 대인갈등상황에서.더욱 흥분하고 분노하면서 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이 연구에서는 여러 긴장중 학교에서의 긴장이 폭력비행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갖는다

는 것을 제시했다 즉 입시지옥에서 학업경쟁 때문에 그리고 공부하라는 부모의 압박으. ,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학교에서 늘 긴장을 경험하는 아이들은 우발적 상황에서 더

욱 흥분하면서 분노를 폭력으로 표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폭력 대처에 있어서 여러 방안이 필요하겠지만 입시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교육정

책 그리고 아이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부모와 선생님의 세심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분노가 청소년폭력에 있어 매우 중.

Page 15: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31 -

요한 요인임이 드러났듯이 청소년들에게 평소 분노를 조절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실시도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처럼 긴장해소와 분노조절이 청소년폭력에 대처하기 위해.노력해야 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Page 16: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19法學硏究 第 輯

- 32 -

參 考 文 獻

손장권 이동원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의 관계에 대한 고찰 인문논집, . 1995. . 40:101-19.이성식 폭력범죄에 대한 상호행위론적 접근 자존심의 손상과 폭행과의 관계를 중. 1996. “ :

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5:33-48.『 』

이성식 청소년범죄에 있어 긴장과 통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999. . 8:191-214.이성식 가정에서의 체벌과 청소년폭력비행 교정연구. 2001. “ .” 12:235-61.『 』

이영애 청소년의 공격행동과 상황조건에 따른 의도지각 귀인 및 분노에 대한 연. 2000. “ ,구 한국청소년연구.” 11(2):5-28.『 』

Agnew, R. 1984. Goal Achievement and Delinquency.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68:437-51.

Agnew, R. 1992.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Criminology 30:47-87.

Agnew, R. 2001. Building on the Foundation of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8:319-61.

Agnew, R. and H.R. White. 1992. An Empirical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Criminology 30:475-99.

Agnew, R., T. Brezina, J.P. Wright, and F.T. Cullen. 2002. Strain, Personality Traits,and Delinquency: Extending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40:43-71.

Aseltine, R.H., S. Gore, and J. Gordon. 2000. Life Stress, Anger and Anxiety, andDelinquenc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256-75.

Brezina, T. 1996. Adapting to Strain: An Examination of Delinquent Coping Responses.Criminology 34:39-60.

Capowich, G.E., P. Mazerolle, and A. Piquero. 2001. General Strain Theory, SituationalAnger, and Social Networks: An Assessment of Conditioning Influences. Journalof Criminal Justice 29:445-61.

Elliott, D.S. and H.L. Voss. 1974. Delinquency and Dropout. Mass: Lexington Books.Felson, R.B. and J.T. Tedeschi. 1993. Aggression and Violence: Social

Interactionist Perspective. Washington DC: ASA.Gottfredson, M. and T. Hirschi.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Page 17: 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7/01/...-17-청소년폭력비행에있어일반긴장이론의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학술회의 논문

- 33 -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Free Press.Hoffman, J. and A. Miller. 1998. A Latent Variable Analysis of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4:83-111.Hoffman, J. and S.S. Su. 1997. The Conditional Effects of Stress on Delinquency and

Drug Us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4:46-78.Luckenbill, D.F. 1977. “Criminal Homicide as a Situated Transaction.” Social

Problems 25:176-86.Mazerolle, P. J. Maahs. 2000. General Strain and Delinquency: An Alternative

Examination of Conditioning Influences. Justice Quarterly 17:753-78.Mazerolle, P. and A. Piquero. 1997. Violent Responses to Strain: An Examination of

Conditioning Influences. Violence and Victims 12:323-43.Moffitt, T.E. 1993. Adolescvent-limited and Life-course 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674-701.Pearlin, L.I. 1989.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0:241-56.Piquero, N.L. and M.D. Sealock. 2000. Generalizing General Strain Theory: An

Examination of an Offending Population. Justice Quarterly 17:449-84.Quicker, J.C. 1974. The Effect of Goal Discrepancy on Delinquency. Social Problems

22:76-86Paternoster, R. and P. Mazerolle. 1994. General Strain theory and Delinquency: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31:235-63.

Sutherland, E.H. and D. Cressey. 1978. Criminology. Philadelphia: Lippincott.Turner, R.J. and P. Roszell. 1994. Psychosocial Resources and the Stress Process. In

Stress and Mental Health, W.R. Avison and I.H. Gotlib(eds.). New York:Ple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