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개발연구§€역사회복지관 지역...본...

62
부산복지개발원 2016-00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개발 연구

Transcript of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개발연구§€역사회복지관 지역...본...

부산복지개발원 2016-00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개발�연구

- 3 -

<연구진>

- 1 -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3

1) 연구내용 ···························································································· 3

2) 연구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사회 복지주체로서 지역사회복지관 ·············································· 6

1) 지역사회복지관의 의미 ····································································· 6

2) 지역사회복지관의 주요기능 및 사업 ··············································· 9

2.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실천 ······················································· 13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 13

2) 지역사회복지실천 ········································································· 17

3. 일본의 지역사회복지 사례연구 ······················································· 18

1) 사례연구 ························································································ 18

2) 전문가 면담 ··················································································· 22

- 2 -

Ⅲ.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조사연구

1.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조사연구 ··············································· 24

1) 조사개요 ························································································ 24

2)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및 실천기술의 수행정도와 중요도 ······· 35

3) 지역사회복지의 연계 실태 ·························································· 49

4) 지역사회복지관과 공공행정의 지역복지 상호역할 분담 체계 61

2. 지역사회복지관 실행연구 ································································· 71

1) 실행연구의 의미 ··········································································· 71

2) 실행연구의 진행 개요 ·································································· 73

3) 실행연구 주요 결과 ····································································· 73

Ⅳ.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형

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의 기본방향 ··············································· 86

2. 지역사회 중심의 거시적 실천모형 ················································· 86

Ⅳ. 결론

1. 요약 및 결론 ····················································································· 93

2. 정책제언 ····························································································· 96

[참고문헌] ······························································································· 101

[부 록] ···································································································· 103

- 3 -

표 목차

<표 1> 현장연구 참여단 ················································································· 4

<표 2> 연도별 지역사회복지관 설치 현황 ··············································· 7

<표 3> 지역사회복지관 현황 ······································································ 7

<표 4> 법인유형별 지역사회복지관 현황 ················································· 8

<표 5>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 10

<표 6> 지역사회복지관의 수행사업 및 기능과 역할의 변화 ····················· 12

<표 7> 지역사회복지관 기능별 분야와 사업내용 ········································ 12

<표 8> 조사대상 ···························································································· 22

<표 9> 지역별 배부 및 응답자수 ································································· 23

<표 10> 지역사회복지관 유형 ······································································ 25

<표 11>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 ······························································· 26

<표 12>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 ····························································· 27

<표 13>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 ······························································· 28

<표 14> 성별 ································································································· 29

<표 15> 연령 ································································································· 30

<표 16> 학력 ································································································· 30

<표 17> 전공 ································································································· 31

<표 18> 자격증 ······························································································ 32

<표 19> 직위 ································································································· 32

<표 20>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 ································································· 33

<표 21> 현 기관 종사 기간 ········································································· 34

- 4 -

<표 22> 사업분야별 수행정도 ································································· 35

<표 23>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 37

<표 24> 연령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 38

<표 25> 학력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 38

<표 26> 직위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 39

<표 27> 총 경력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 40

<표 28> 사업분야별 중요도 ·········································································· 41

<표 29>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사업분야 중요도 ····································· 42

<표 30> 연령별 사업분야 중요도 ································································· 43

<표 31> 직위별 사업분야 중요도 ································································· 44

<표 32> 총 경력별 사업분야 중요도 ··························································· 45

<표 33> 사업분야별 대응표본 t-검증 결과 ················································ 45

<표 34>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중점개선영역 ··································· 46

<표 35>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점진개선영역 ··································· 47

<표 36>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지속유지영역 ··································· 47

<표 37>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유지강화영역 ··································· 47

<표 38> 다른 기관과의 연계 수행정도 ······················································· 50

<표 39>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 51

<표 40>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 52

<표 41>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 53

<표 42> 다른 기관과의 연계 중요도 ··························································· 54

<표 43>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 55

<표 44> 연령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 56

<표 45> 직위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 57

<표 46> 연계 기관별 대응표본 t-검증 결과 ·············································· 58

- 5 -

<표 47> 연계기관 - 중점개선영역 ······························································ 60

<표 48> 연계기관 - 점진개선영역 ······························································ 60

<표 49> 연계기관 - 지속유지영역 ······························································ 60

<표 50> 연계기관 - 유지강화영역 ······························································ 61

<표 51> 지역복지 역할 수행 적합도 ··························································· 62

<표 52>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수행 적합도 ········································· 64

<표 53>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별 역할수행 적합도 ······························ 66

<표 54> 연령별 역할수행 적합도 ································································· 67

<표 55> 학력별 역할수행 적합도 ································································· 68

<표 56> 직위별 역할수행 적합도 ································································· 69

<표 57> 총 경력별 역할수행 적합도 ··························································· 70

<표 58> 실행연구 진행일정 ·········································································· 73

<표 59> 서술문 ······························································································ 75

<표 60> 컨셉맵핑 최종결과 ·········································································· 80

<표 61> AR연구 주요결과 ··········································································· 82

- 6 -

그림 목차

[그림 Ⅱ-1] 오츠시 사회복지협의회 ···························································· 19

[그림 Ⅱ-2] 니시노미야 사회복지협의회 ····················································· 20

[그림 Ⅱ-3] 이쿠노구 사회복지협의회 ························································· 21

[그림 Ⅱ-4] 지역복지의 구성요소 ································································ 22

[그림 Ⅱ-5] 지역사회 내 복지조직 및 활동대상 ········································ 23

[그림 Ⅲ-1] 지역사회복지관 유형 ································································ 25

[그림 Ⅲ-2]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 ························································· 26

[그림 Ⅲ-3]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 ························································· 27

[그림 Ⅲ-4]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 ························································· 28

[그림 Ⅲ-5] 성별 ··························································································· 29

[그림 Ⅲ-6] 연령 ························································································· 30

[그림 Ⅲ-7] 학력 ··························································································· 31

[그림 Ⅲ-8] 전공 ··························································································· 31

[그림 Ⅲ-9] 자격증 ······················································································· 32

[그림 Ⅲ-10] 직위 ························································································· 33

[그림 Ⅲ-11]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 ························································ 34

[그림 Ⅲ-12] 현 기관 종사 기간 ································································· 35

[그림 Ⅲ-13] 사업분야의 IP매트릭스 ··························································· 48

[그림 Ⅲ-14] 연계 기관의 IP매트릭스 ························································· 59

[그림 Ⅲ-15] 지역사회복지관의 비전에 따른 실천전략(서술문 군집분석) 77

[그림 Ⅲ-16] 지역사회복지관의 비전에 따른 실천전략(해석) ················· 78

[그림 Ⅲ-17] 지역사회복지관의 비전에 따른 실천전략(해석) ··················· 79

[그림 Ⅳ-1] 지역사회중심 거시적 실천모형 ················································ 91

- 1 -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지역주민을 위한 복지향상은 지방자치단체의 중요한 목표임. 중앙정부에서 제공

되는 복지만으로는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복지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

문에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오늘날의 사회복지는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 실천이라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추세임

지역사회복지 공급체계의 대표적인 기관으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은 현재 전국에

457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공적 사회복지서비스의 법률적 제한을 해소할 뿐만 아니

라 지역사회에서 저소득층 소외계층과 일반국민에 대해 가장 기초적인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음

이러한 주요 역할에도 불구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읍·면·동사무소의 주민자

치센터로의 기능 전환, 특정한 수요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단종복지관의 확대,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복지 패러다임이 변화에 따른 장기요양제공기관과 바우처

제공기관의 확대, 시민단체와 종교기관의 복지활동 참여 강화 등 지역사회에서 사회

복지 실천현장이 다양화 되고 있음. 이같이 지역사회복지관이 수행하는 역할과 상당

부분 중첩되는 시설 및 단체들의 지속적인 증가 및 행정과의 역할 중복은 지역사회

복지관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정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등 복지서비스의 중복

제공 및 질적 저하의 우려를 낳고 있음

특히 2012년부터 시작된 공공의 희망복지지원단 설치에 따른 사례관리 사업은

1990년대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도입되어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재가복지사업을 중심

으로 이루어져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주요 3대 기능사업으로 설정되어 추진중인 핵

심사업임. 하지만 공공의 통합사례관리 사업은 현 정부에 들어와서 국정과제로 채택

되어 국민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개편이 추진되었으며, 2014~5년에 읍면동 복

지기능강화 시범사업을 거쳐 2016년 보건복지부 중점과제로 읍면동 복지기능을 강

화하여 읍면동 복지센터를 복지허브화 하는 계획을 추진중임

중앙정부의 정책에 맞춰 부산시는 동 중심의 복지허브 컨트롤타워 구축을 목표로

2016년에 다복동(주민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복지 동)사업을 공모를 통해 52개동

에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2018년까지 205개 전 동에 확대할 계획임. 이를 위해 사회

- 2 -

복지공무원 충원, 사례관리사, 방문간호사, 직업상담사 등을 배치하여 통합사례관리

뿐만 아니라 찾아가는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민‧관 협력 활성화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이상과 같이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민간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례관리 사업

이 공공에서 전면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지역사회차원에서 서비스 대상자의 중복과

누락 문제, 민간과 공공기관의 역할 마찰 문제(김용덕, 2014; 민소영, 2014), 공공의

보조적 역할로 민간 역할 축소 및 공공 독주를 우려하는 인식(남기철, 2015) 등 어느

때 보다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을 둘러싼 문제제기는 고조되고 있음

이러한 지역사회복지관을 둘러싼 제도환경의 변화와 도전은 타 기관과 차별된 지

역사회복지관만의 정체성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

회복지 역량 제고나 자원개발 및 연계의 미흡으로 새로운 지역사회복지 역할 수립이

절실히 요구됨. 아울러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등의 수행도와 중요도가 철저한 분석이

필요함

그러나 최근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과 역할정립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

루어졌으나 경험적 연구가 많지 않음.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유동철, 2011; 김형용,

2013; 임효연 외, 2013)에서는 사회적 환경변화에 대한 진단 및 대응체계와의 연관

성 제시가 미흡하고 ‘무엇을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우선순위로 볼 것인가?’하는 향

후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 제시가 미흡하며 이를 위한 설정

근거의 경험적 기반이 취약함

지역사회복지관은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기 때문에 지역사

회복지 증진을 위한 실천역할도 그에 따라 변모해야 할 가능성이 농후함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이 기능과 역할에 있어 현재 직면하고 있는 정체성 위기의

해결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새로운 기능 전환을 위한 실천모형을 구축하고 세부 실천

역할을 찾는 방법으로 해결책이 모색되어 질 수 밖에 없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다양한 전

문적 서비스를 제공해 온 지역사회복지관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인지하고, 지역사회

복지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새로운 실천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

적이 있음

- 3 -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관련 문헌연구와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및 지역사회복

지 역할 수행 등에 관한 실무자 의견조사, 지역사회복지관 현장연구참여단의 실행연

구, 일본사례 분석 등을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에서 바람직한 기능을 수

행할 수 있도록 실천모형을 개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음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개념, 법적근거, 설치현황, 기능 및 역할, 사업편제 등을

분석하여 지역사회복지관의 일반적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음

둘째, 일본 지역복지 사례를 분석하여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기능강화방

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하였음

셋째, 지역사회복지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사회복지관 사

업 수행정도와 중요도, 지역사회복지 연계 활성화 정도 및 중요도, 지역복지 역할 수

행 적합도를 파악하여 기존 지역사회복지관 역할과 향후 방향을 파악하였음

넷째, 지역사회복지관 실무자 등으로 구성된 현장연구참여단 실행연구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과 실천모형의 방향성, 실천모형 구축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

색하였음

마지막으로 지역사회복지관에 관해 검토된 문헌자료, 국외사례연구, 실행연구 등

을 바탕으로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제언

을 제시하였음

2) 연구방법

(1) 문헌연구

지역사회복지관 현황, 사업, 기능, 관련 쟁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홈페이지

통계자료, 관련 논문 및 정책보고서를 검토하였음

(2) 실행연구

연구진들의 일방적인 조사나 연구가 아니라 지역사회복지관 등의 실무자를 중심

으로 현장연구참여단을 구성하여 실천현장과 연구진의 소통 안에서 현실 적응성이

- 4 -

높은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현장연구참여단은 지역사회복지에 관심과 경험이 풍부한 관‧부장으로 부산시 지

역사회복지관협회에서 추천되어 워크숍 형태로 7차에 거쳐 참여하였음

본 연구를 위해 구성된 현장연구참여단은 다음과 같음

(3)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 역할에 대한 현장연구참여단 사이의 모호하고 복

잡한 아이디어를 구조화할 수 있도록 컨셉트 맵핑을 적용하였음. 이를 통해 지역사회

복지관의 향후 기능에 대한 개념화와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음

연번 성명 소속 직위

1 조 성 혜 부산시지역사회복지관협회 회 장

2 김 영 신 상리종합지역사회복지관 관 장

3 윤 성 희 남구종합지역사회복지관 관 장

4 류 승 일 학장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5 김 보 수 당감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6 오 아 영 중구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7 박 영 아 운봉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8 김 정 희 남구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9 이 득 규 사하구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10 민 성 기 공창종합지역사회복지관 과 장

11 전 동 규 남광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12 권 혜 미 부산진구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13 오 경 화명종합지역사회복지관 부 장

14 여 동 훈 부산시지역사회복지관협회 사무국장

15 서 봉 성 부산광역시 복지서비스팀 주무관

16 전 성 경 부산공동모금회 배분사업팀 팀 장

<표 1> 현장연구 참여단

- 5 -

(4) 국외사례분석 및 전문가 면담

한국의 지역사회복지관 모델과 가장 유사하다고 할 수 있는 일본사회복지협의회

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모델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아울러 일본 지역복지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자인 교수 2명의 면담을 기초로 하여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현재 지역사회 여건에서의 지역

사회복지관 활동 및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탐색하였음

(5) 조사연구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개발과 실행연구

에 대한 보완적 방법으로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서울, 부산, 대구지역 지역사회

복지관 총 157개소 61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전자 메일조사로 진

행되었으며, 응답대상자의 63.7%인 331명의 조사표가 회수되었음

자료처리는 실사를 통하여 수집된 1차 자료(Raw Data)는 에디팅(Editing), 코딩

(Coding), 펀칭(Punching),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전산 프로그

램을 사용함

통계처리 및 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음

- 빈도분석(Frequency-analysis)

․ 응답자별 설문내용 빈도 및 분포표상의 개괄적인 특성을 파악함

- 척도분석(Scale-analysis)

․ 수행정도 및 중요도 측정을 위해 각 항목별로 5점 척도를 사용하고, 5점 척

도에 동일한 변수값을 적용하여 최고점을 5점으로 환산하여 정도를 계산함

- 중요도-수행정도 분석(IPA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중요도와 성취도 간 측정된 값의 차이의 크기를 바탕으로 사업의 전략적 우

선순위를 판단함

- 평균비교(Mean Comparison)

․ t-test와 ANOVA로 평균을 비교함

- 6 -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사회 복지주체로서의 지역사회복지관

1) 지역사회복지관의 의미

(1) 지역사회복지관의 개념

2016년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관 운영관련 업무처리 안내’에 의하면 지역사회복

지관이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추고 지역주민의 참여

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사회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서비

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함. 여기서 지역사회복지란 주민의 복지증진과 삶의 질 향상

을 위하여 지역사회차원에서 전개하는 사회복지를 말함

지역사회복지관의 주요 목표는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는 모든 지역사

회주민을 대상으로 보호서비스, 재가복지서비스, 자립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훈련 등

그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족기능 강화 및 주민상호간 연대감 조

성을 통한 각종 지역사회문제를 예방・치료하는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전달기구로서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임. 이 같은 목

표 달성을 위하여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성, 전문성, 책임성, 자율성, 통합성, 자원활

용, 중립성, 투명성의 원칙에 입각하여 운영하도록 되어있음

(2) 지역사회복지관의 법적근거

지역사회복지관 설치는 사회복지사업법 제34조의 5(정의), 사회복지사업법 시행

규칙 (보건복지부령) 제23조(지역사회복지관의 설치기준) 및 제23조의 2(지역사회복

지관의 운영기준), 주택법 제2조 제9호 나,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6

호를 법적근거로 두고 있음

사회복지 사업법 제34조의 5는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를 고려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등 지역복지증진을 위한 사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그 대상에 있어서는 모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되 「국민기초생활보장

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노인, 한부모가정 및 다문화 가정, 직업

및 취업알선이 필요한 자, 보호와 교육이 필요한 유아·아동 및 청소년, 그 밖에 지역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우선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우선

- 7 -

제공하도록 하고, 그 밖에 지역사회복지관의 설치·운영·사업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

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고 밝히고 있음

(3) 지역사회복지관 설치 현황

연도별 지역사회복지관 설치현황을 보면, 2016년 현재 전국에 457개의 지역사회

복지관이 설치되어 있음. 부산은 53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울(98개), 경기(73개) 다

음으로 많은 수임. 법인유형별 설치현황은 사회복지법인(329), 재단법인(54개), 지방

자치단체 직영(28개), 학교법인(24개), 사단법인(14개) 순으로 나타남

구분 1989 1995 2000 2005 2010 2016

개소 수 39 261 338 394 420 457

자료: 한국사회복지관협회(http://www.kaswc.or.kr/)

<표 2> 연도별 사회복지관 설치 현황

(단위: 개)

구분 유형 기관수 (개)

지역별

서울 98

부산 53

대구 26

인천 20

광주 19

대전 21

경기 73

강원 18

충북 13

세종 21

<표 3> 사회복지관 현황

(단위: 개)

- 8 -

구분 개소수

사회복지법인 329

재단법인 57

사단법인 14

학교법인 24

지방자치단체 직영 28

시설관리공단 4

의료법인 1

총 계 457

자료: 한국사회복지관협회(http://www.kaswc.or.kr/), 2016

<표 4> 법인유형별 사회복지관 현황

(단위: 개)

전북 17

전남 15

경북 16

경남 30

울산 8

제주 9

총 계 457

규모별

가 형 (건평 2,000㎡ 이상) 206

나 형 (건평 1,000㎡ ~ 2,000㎡ 미만) 210

다 형 (건평 1,000㎡ 미만) 41

총 계 457

자료: 한국사회복지관협회(http://www.kaswc.or.kr/), 2016

- 9 -

2) 지역사회복지관의 주요 기능 및 사업

(1)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및 역할

역사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은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도시지역의 각종 복지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함. 이러한 광범위한 목적을 갖고 설립된 지역사

회복지관의 목표, 기능, 역할은 그 기관이 존재하는 지역의 성격과 문제에 따라 독특

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그 성격을 규정하기는 용이하지 않음(최일섭 외,

2009).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복지 공급체계에서 대표적인

조직으로 종합적인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지역사회 문제해결, 지역사회의

조직화와 변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는데 대부분이 동의함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에 대하여 딜릭(Dillick, 1959; 김윤재 외, 2013, 재인용)

은 통합서비스 제공, 서비스 간 조정, 지역주민 조직, 지역사회 목표 설정의 4가지 기

능을 제시하고 있음. 첫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통합적 서비

스를 제공하는 기능, 둘째, 서비스의 중복과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 간 조정을

꾀하는 기능, 셋째, 지역주민들이 당면한 문제해결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할 수 있도

록 집단을 구성하는 기능, 넷째, 지역의 주민집단으로 하여금 지역사회의 목표를 수

정하고 새로운 목표를 도출하도록 하는 기능임

딜릭은 지역사회복지관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사회활동에 주민을 참여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함. 그에 의하면 지역사회복지관 활동

의 요체는 주민참여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아

니라 지역주민 스스로가 자신들의 생활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조적

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것임. 또한 지역사회복지관이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에 그

치지 않고 지역주민들을 조직화하고 지역 내의 서비스를 조정하는 지역사회조직의

과정을 적극 활용해야 함을 강조하였음. 이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지역주민들이 필요

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을 참여

시키고 조직화하여 주민들의 지역사회문제 해결능력을 강화하고 자신들의 환경을 스

스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보다 근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의미임

지역사회복지관은 이러한 지역사회조직화라고 하는 본연의 기능수행을 통해서 지

역주민들이 스스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복지역량을 강화시키는 기

능을 수행하게 됨

- 10 -

김만두(1981)가 제시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은 첫째, 종합적 문제해결, 둘째, 근린의식의 강화, 셋째,

협동정신 및 집단의식 강화, 넷째, 주민의 여가선용, 다섯째, 선의의 동원과 조직화,

여섯째, 청소년의 비행예방과 가족관계의 강화, 일곱째, 저소득주민들의 생활훈련,

여덟째, 사회교육의 거점, 아홉째, 사회복지서비스의 통합․조정,열번째, 시설의 활용

이며, 주요 역할로는 첫째, 지역사회문제 파악, 둘째, 서비스센터의 역할, 셋째, 대변

자의 역할, 넷째, 사회활동센터로서의 역할, 사회교육센터로서의 역할, 다서째, 레크

리에이션센터로서의 역할, 여섯째, 공동이용센터로서의 역할, 일곱째, 직업안정센터

로서의 역할, 여덟째, 자원동원자의 역할을 제시하였음

황성철 외(1994)는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을 <표 4>와 같이 종합적 사회

복지서비스 전달기능, 지역사회 문제해결 및 지역사회조직화 기능, 양 기능에 수반되

는 공동역할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음

이배근 외(1986)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에 대하여 첫째, 서비스를 주민의 욕구

와 문제에 맞추어 조정하고 통합하여 효과적 서비스체계를 수립하는 사회서비스센터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종합적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 기능

① 문제를 지닌 개인이나 가정에 대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② 사회화 또는 발달적 욕구충족을 위한 서비스센터로서의 역할③ 특수한 문제나 욕구에 부응하여 구체적 서비스나 정보제공 및 의뢰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

지역사회 문제해결 및

지역사회 조직화기능

①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주민참여의 중심체로서의 역할②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주민 또는 기관 간 공동계획 및 조정의 역할③ 특정집단의 이익대변 및 사회행동센터로서의 역할

양 기능에 수반되는 공동역할

① 지역사회 자원동원의 역할② 지역사회 욕구조사와 문제파악의 역할③ 지역주민의 단합과 연대감조성의 역할

자료: 강철희 외(2006). 지역사회복지 실천론, 나남출판.

<표 5>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 11 -

둘째, 주민이 모여 집단 활동을 하거나 토론을 할 수 있는 공동이용센터의 역할, 셋

째, 직업훈련과 부업의 알선 및 중개를 하는 매개체로서의 직업안정센터의 역할, 넷

째, 주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평생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사회

교육센터의 역할,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지적·경제적·문화적 배경이 다른

다양한 주민의 생활향상과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국민총화의 장으로서의 역할 등을

제시하였음

한동우(2013)는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을 지역 내 사회복지 기관들의 네트워크

허브로서 재편해야 함을 강조하며, 사회복지기관들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인프라로

서 사회복지 정보체계와 자원공급체계의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음

김영종(2015)은 지역사회복지관이 고유한 제도적 정체성으로 생성되어 전개되었

던 조직임을 밝히고, ‘복지 서비스’와 ‘커뮤니티’가 지역사회복지관의 핵심 기능이므

로 이 둘을 연결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였음

(2) 지역사회복지관 기능 전환에 따른 사업편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업편제는 크게 3기로 구분됨. 1기는 1989년에서 2004년까지

초기 지역사회복지관은 사업 대상을 중심으로 한 6대 사업 31개 단위사업, 2기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로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5대 사업 22개 단위사업, 3기는

2013년 이후로 3대 기능 31개 단위사업으로 시기별로 사업편제 방식을 상이하게 적

용해옴

1983년 개정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을 명시한 이후 1989년

보사부 훈령에 근거하여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을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가정복지사

업, 아동복지사업, 청소년복지사업, 노인복지사업, 장애인복지사업, 지역복지사업의

6대사업으로 분류하였음

2004년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에 따라 지역사회복지관의 전통적 역할수행과

새로운 복지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가족복지사업, 지역사회보호사

업, 지역사회조직사업, 교육ᆞ문화사업, 자활사업의 5대 사업으로 전환하였음. 하지만

서비스 중심의 5대 사업으로의 전환 역시 지역사회복지관의 본래 기능과 역할 제시

가 미흡하여, 2013년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체계화, 인력

기준 및 보조금 지원방식 합리화, 사례관리 거점센터로서의 전문성 강화, 민간전달체

- 12 -

계 개편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 전문화 등을 목적으로(정무성 외, 2010) 기능중심의

사업편제로 개편하였음. 그러나 지역사회복지관은 여전히 지역사회 조직화 역량 부

족, 인력 부족, 민관 파트너십 부재,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의 미흡 등(김윤재 외,

2013)의 다양한 문제에 봉착해 있음

2016년 지역사회복지관은 운영관련 업무처리 안내에 따르면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업내용을 자

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표 7>과 같이 3대 기능별 분야와 사업내용 중에

서 해당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

연도 1989~2004년 2004~2012년 2013년 ~ 현재

관련규정지역사회복지관 설치운영규정(보사부훈령)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제22조 제3항)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제23조 제2항)

제정일 1989. 6. 29 2004. 9. 6 2012. 8. 3

사업분류6대 사업

31개 단위사업5대 사업

22개 단위사업3대 기능

31개 단위사업

사업분야

-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

- 장애인복지- 가족복지- 지역복지

- 가족기능강화사업- 지역사회보호사업- 지역사회조직사업

- 교육‧문화사업- 자활사업

- 사례관리기능- 서비스제공기능- 지역조직화기능

관련변화 대상 중심 서비스 중심 기능 중심

특징 서비스제공기능 강조가족기능 및 자활지원

강조사례관리 및

지역조직화기능 강조

자료 : 이한경,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재구성

<표 6> 지역사회복지관의 수행사업 및 기능과 역할의 변화

- 13 -

기능 분야 사업 및 내용

사례관리기능

사례발굴 1. 대상자 발굴 및 개입계획 수립

사례개입 1.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례개입

서비스연계 1. 자원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연계, 의뢰

서비스제공기능

가족기능강화1. 가족관계증진사업2. 가족기능보완사업3. 가정문제해결・치료사업

4. 부양가족지원사업5. 지역 내 이용자 특성을 반영한 사업

지역사회보호

1. 급식서비스2. 보건의료서비스3. 경제적 지원4. 일상생활 지원5. 정서서비스

6. 일시보호서비스7. 재가복지봉사서비스

교육문화1. 아동・청소년 사회교육2. 성인기능교실

3. 노인 여가・문화4. 문화복지사업

자할지원 등 기타

1. 직업기능훈련2. 취업알선

3. 직업능력개발4. 그 밖의 특화사업

지역조직화기능

복지네트워크 구축

1. 지역사회연계사업2. 지역욕구조사

3. 실습지도

주민조직화1. 주민복지증진사업2. 주민조직화 사업

3. 주민교육

자원개발 및 관리

1. 자원봉사자 개발・관리2. 후원자 개발・관리

자료: 2016년 지역사회복지관 운영관련 업무처리 안내

<표 7> 지역사회복지관 기능별 분야와 사업내용

- 14 -

2.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실천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1) 지역사회

지역사회는 다양한 영역과 사람들이 각각의 목적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 지역사회의 개념은 영어의 ‘community’에 해당됨. 이 말은 지역사회, 지역공동

체, 촌락공동체 또는 공동사회 등으로 번역되고 있으며(성갑식, 1981) 학자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음

Ross는 지리적 공간을 공유하며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지리적

지역사회(geographical community)로 부르고, 이에 대비하여 “복지, 농업, 교육, 종

교 등에 있어 공동의 관심과 기능을 함께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기능적 지역사회

(functional community)라고 보았음(Ross, 1967; 감정기 외, 2005, 재인용). 지리적

지역사회의 개념으로써 지역사회라는 용어는 한 지역을 구성하는 사람들과 기관들의

지리적 분포라는 견지에서 고려될 수 있는 사회와 사회집단에 적용되며, 이러한 관점

에서 보자면 지역사회는 사회이지만, 모든 사회가 지역사회는 아님(Park, et al.,

1921: 161; 김진석 외, 2013 재인용). 이 개념에서는 지역사회 주민들 간의 합의성,

일체감, 공동생활 양식, 공통적인 관심과 가치, 그리고 공동노력이 강조됨. 지역사회

란 다른 지역과 구별될 수 있는 사회적 특성을 지닌 독립적인(self-contained) 지역

이라고 보는 것임(최일섭 외, 2006; 김진석 외, 2013 재인용)

황성철(1997)은 지역사회(community)란 개념에서 지리적 범위를 전제로 한 지역

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며 지역사회의 개념은 지역성뿐만이

아니라 기능성과 목적성을 갖는 공동체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음.

아울러 지역사회란 일정한 지리적 범위내의 사람들의 집단 또는 공동의 이해관계, 소

속감, 문화에 기초하여 활동하는 사람들은 집단으로 구성된 사회적 단위(Garvin, et

al., 1992)로 설명하며 지역성보다는 기능성과 목적성을 내포하는 지역사회의 중요성

을 강조하였음

이와 대조적으로 임관택(2001)은 기능 중심의 지역사회에 관한 개념이 갖는 문제

점은 그것이 지역적인 경계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기능집단인 위원회, 연합

회, 협의회 등과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지리적인 토대를 중심으로 하여 추진되

는 복지 활동의 경우 그 적용이 애매하다는 점을 지적하였음. 또 기능적인 지역사회

- 15 -

에는 그 구성원이 반드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의 활동과 역할이 특정 지역사회의 복지증진의 목표와 부합하느냐 하는데도 문

제가 될 수 있다고 하였음

Cohen(1980)은 지역사회를 지역 성원이 가정을 벗어난 범주에서 가장 근원적이

고 중요한 사회경험을 얻고 일생동안 사회화를 익히고 연습하는 장이라 정의하였음

Hardcastle외(1997)는 지역사회를 사회 시스템으로서 설명하며 지역사회를 지자

체, 의회, 기업, 비영리조직 등 다양한 사회 체계가 상호 연결된 시스템으로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중요한 기능을 하는 필수 관점으로 인식함. 아울러 Warren(1978)의

미국지역사회 시스템 분석을 인용하여, 지역사회를 “지역 내에서 주요 기능을 하는

사회단위와 체계들의 조합”으로 보았음. 다시 말해 지역사회란 지역성을 가지나 지

리적 경계선이 모호한 장에서 지역 성원이 일상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

원 접근성을 제공하는 사회활동 조직임

Warren이 제안한 지역사회에서 지역성과 관련된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음. 첫

째, 생산-분배-소비(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기능으로 기본 생활 유

지를 위해 의식주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재화와 용역을 소비하는 활동, 둘째, 사회화

(socialization)로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는 일생동안 지역 구성원이 사회의 지식

과 가치 그리고 사회 구성요소를 배우는 과정의 기능, 셋째, 사회구성원들이 사회 역

할과 규범,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는 사회통제(social control) 기능, 넷째,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공식‧비공식 조직에 대한 사회 참여(social participation) 기능, 다섯째, 지

역사회 구성원들이 건강한 지역사회를 구축하여 서로 돌볼 수 있는 상호 지지

(mutual support) 기능이 포함됨

초의수(2007)는 지역사회는 지리적, 공간적으로 경계 지어진 지역에 거주하면서

공동의 의식을 가지고 조직된 관계를 통하여 공통된 이익을 추구하며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정의하였음. 또한 지역사회는 당연히 일정의 공동적 생활권을 형

성하게 되고 지역성과 지역사회의식이 수반되며 지역사회의 개념에는 공간적 경계,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 공동체의식 등이 중심적 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이라 하였음.

이상의 내용을 볼 때 지역사회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나 일정한 지리적 개념을

전제로 공동의 관심과 이익을 추구하며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개인이나 공식·비공식

의 집단조직체를 의미함

- 16 -

(2)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 복지는 community와 welfare의 합성어임. 지역사회복지를 협의로 볼

때는 대인 서비스(personal social service)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복지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강조하는 경향성을 보임

(황성철, 1997). 하지만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은 지역사회조직이나 지역사회개발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용어는 지역사회와 복지의 개념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

에 대단히 넓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개념도 다양함(권태준 외, 1981)

류기형 외(2015)는 지역사회복지는 개인의 복지나 가정의 복지 보다는 광의의 개

념이며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라는 대상층 중심의 복지활동 보다는 지역성

(locality relevance)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지역사회복지는 개인, 가정, 집단 등 낮은

수준의 사회체계의 복지와의 대립적 관계가 아니라 사회복지라는 연속선상에서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갖는다고 보았음

황성철(1997)은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넓은 의미의 지역사회복지를 수

용하여 지역사회 차원에서 전개되는 정부 또는 민간기관의 활동과 전문가 또는 비전

문가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사회복지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한다(김영모, 1993; 조

휘일, 1995; 최일섭 외 1996)고 보는 광의의 개념이 너무나 포괄적이므로 사회복지

의 개념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였음. 이에 지역사회복지를 사회복지

활동이 일어나는 장면(arena)을 공동체의 의미를 포함한 지역사회로 보고 미시적 실

천을 제외한 거시적 실천이 적용되는 전문적 지역사회조직과 밀접히 관련된 활동이

일어나는 현장으로 그 의미를 약간 축소해서 개념화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였음

정무성(1997: 24)은 지역사회복지란 지역성에 기초한 지역사회나 목적성에 기초

한 공동체에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을 통해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는 전문 실천방법이라고 정의하였음. 또한 사

회복지의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의 중계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양 접근에서 모

두 활용될 수 있는 공통적 실천기술이라고 설명하며, 기술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실천

방법으로서의 의미를 강조하였음

오정수 외(2004)는 지역사회복지개념을 지역성과 기능성을 통한수행, 주민의 삶

의 질 향상의 목표,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주민의 복지욕구 충족의 기능, 공공과 민간

의 협력 강화, 전문적 서비스와 방법사용 등의 속성을 갖게 된다고 정의하였음

- 17 -

조추용 외(2015)는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문 ‧비전문

조직, 공적 ‧사적, 공식 ‧비공식, 공공 ‧민간의 체계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논의

‧토의하여 공공의 정책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함. 또한 지역

사회복지는 다양한 자원과 관계망(네트워크)을 통하여 어려움에 처해 있는 사회적

약자나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는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활동이라 하였음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성원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

한 다양한 사회복지 활동의 한 방법으로 개인의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거나 문제를

예방하는 대인서비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수준에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예방

하는 핵심적인 실천기술이라 할 수 있음

2) 지역사회복지실천

Hardcastle외(1997)는 지역사회복지실천(community practice)을 일반사회복지

사, 전문사회복지사, 치료사, 활동가 등 모든 사회복지사들이 수행하는 사회복지활동

의 기본 요소로 보고, 일반적으로 지역사회복지실천이 지역사회 조직, 사회행동, 사

회개발과 관련되어 있지만(Rothman, et al., 1987; Hardcastle, et al., 1997, 재인용)

다양한 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이언트 욕구 충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

로 클라이언트 의뢰, 지역사회 사정, 클라이언트 지지 시스템 개발, 정책입안자를 옹

호할 때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수행한다고 하였음. 또한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지역사

회 조직, 단체들 간의 상호작용패턴, 관계 양상을 변화시키는 실천기술의 적용 방법

으로 이해하였음

Netting 외(1993)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을 거시적 실천(macro practice)으로 규정

하고 “조직과 지역사회 내에서 계획된 변화를 가져오도록 의도적으로 기획하는 전문

적 활동” 으로 정의함.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 사회행정과 연관된 기술들을 포함한다고 하였음

하디나(Hardina, 2002; 오정수 외, 2012, 재인용)는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은 사

회복지사들에게 지역사회개입방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였음. 또한 웨일

(Weil, 1996)은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이 개념적으로 구성요소나 사회복지사의 역할

측면에서 상호배타적이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각각의 실천모델은 사회복지사들

에게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사정과 전략 선택, 실천개입에 대한 평가 등에서 유

- 18 -

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함(Weil, 1996; 오정수 외, 2006 재인용).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각 사회마다 각기 다른 전통과 사회정치경제 발전과정과

관련하여 발전하였기 때문에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을 단일한 것으로 설명하기 어려

움. 영국의 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 일본의 재택복지, 미국의 지역사회조직

모델 등이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 제시되고 있음

- 19 -

3. 일본의 지역사회복지 사례연구

1) 사례연구

(1) 사례연구 목적

▪오랜 기간 한국의 사회복지전달체계 속에서 공공과 민간비영리기관은 가장

중요한 두 축의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었음. 특히 민간비영리기관을 대표하

는 지역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전달하는 민간기관의 대표적인 기

관유형으로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해 온 것

이 사실임

▪하지만 최근 지역사회 내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에 대한 변화가 요구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들의 다양화, 기존

체제(특히 공공)의 변화는 대표적인 외부환경 변화로 볼 수 있음. 결국 지역

사회 내 지역사회복지관의 새로운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것임. 최종적으로

이러한 요구는 본 연구의 목적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됨

▪이에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사회복지활

동을 수행해 온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일본 지역사회복지의 우수사례를 방문

하여 사례를 확인하고자 하였음

▪추가적으로 일본 내 전문가(학계, 현장)들과 면담을 통해 일본의 사례를 통

한 한국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음

(2) 방문 개요

▪일본은 사회복지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활동이 수행되고 있음

▪한국의 지역사회복지관과 비교해볼 때 지역과 대상의 범위를 포함하여 차

이를 보이고 있기도 하지만, 지역사회복지관의 활동방향을 점검하기에 가장

적절한 조직형태가 바로 사회복지협의회로 판단됨

▪AR연구팀을 중심으로 방문한 일본의 사회복지협의회는 다음과 같음

- 시가현(滋賀縣) 내 오츠시(大津市)사회복지협의회

- 효고현(兵庫県) 내 니시노미야시(西宮市)사회복지협의회

- 오사카시(大阪市) 이쿠노쿠(生野区)사회복지협의회

- 20 -

(3) 사례조사

① 시가현(滋賀縣) 내 오츠시(大津市)사회복지협의회

[그림 Ⅱ-1] 오츠시 사회복지협의회

자료: 부산지역사회복지관협회, 일본 연수자료(2016)

▪지역 일반현황

- 인구 34만명(고령화율 24.7%)

- 직원 40명(정규직 21명 / 비정규직 19명)

- 시가현에서 가장 큰 지역

▪주요 활동

- 지역복지활동(자원봉사센터, 소지역 네트워크 활동, 지역사회활동가)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지원사업

- 재가복지서비스 사업

▪주요특징

- 개호보험사업을 시행하지 않으며, 지역사회복지사업에 주력하고 있음

- 주민들을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상담’의 가치를 중

요하게 여기고 활동하고 있음

-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종합상담소’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노력함

- 21 -

② 효고현(兵庫県) 내 니시노미야시(西宮市)사회복지협의회

[그림 Ⅱ-2] 니시노미야 사회복지협의회

자료: 부산지역사회복지관협회, 일본 연수자료(2016)

▪지역 일반현황

- 인구 48만명(고령화율 22.4%)

- 직원 220명(지역사회복지를 중심으로 하는 인원은 20여명)

- 오사카와 고베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음

▪주요 활동

- 지역복지활동 지원(소지역복지, 당사자 조직화, 복지학습 등)

- 아오바엔(생활 개호 시설) 운영

- 시사협 위탁사업 수행(방과후 아동지원센터, 종합복지센터, 노인복지센

터, 권리옹호지원센터, 장애인종합상담지원센터, 장애인취로지원센터, 생

활지원코디네이터 사업 등)

▪주요 특징

- ‘장애인 복지와 공생’을 키워드로 마을만들기 사업이 수행되고 있음

- 개호보험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지 않음

- 지역주민들의 자치회 가입율이 73~75% 수준으로, 일본 내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임

- 22 -

-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경험이 일본 내에서도 높은 편임(시 사협은 3차

계획 수립 시기이지만, 니시노미야의 경우 8차 계획 수립 중임)

③ 오사카시(大阪市) 이쿠노구(生野区)사회복지협의회

[그림 Ⅱ-3] 이쿠노구 사회복지협의회

자료 : 부산지역사회복지관협회, 일본 연수자료(2016)

▪지역 일반현황

- 인구 12만명

- 지역사회복지담당 직원 20여명(복지코디네이터 13명 포함)

- 재일 한국인(자이니치)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주요 활동

- 지역사회복지활동(과제 파악, 계획 수립, 해결방안 제언, 개선운동 시행)

- 주민 조직화 사업 및 복지 교육 등

- 지역복지액션플랜(지역 내 외국인까지 포함하는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주요 특징

- 2005년 보건·의료·복지네트워크 추진원 제도를 수행하고 있었으나, 2013

- 23 -

년부터 추진원 제도를 폐지하고 각 구 단위에서 개별적으로 재구축하여

지역사회복지를 수행하고 있음

- 지역공생케어 오코노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나, 지원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사회복지협의회에 업무가 과다해지고 있는 상황

- 지역사회에 특화된 사업을 수행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

- 민·관의 장기적인 비전을 통한 관계유지의 필요성을 밝히고 있음

- 24 -

2) 전문가 면담(일본 지역사회복지 연구자 인터뷰)

① 동지사대학 우에노야 가요코(上野谷 加代子) 교수

-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있을 수 있으나, 본인은 실천에서 정

책을 만들어가며, 주민들로부터 시작하는 과정을 지향하고 있음.

- 지역복지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음.

[그림 Ⅱ-4] 지역복지의 구성요소

자료 : 부산지역사회복지관협회, 일본 연수자료(2016)

- <1>번 영역 : 지역사회복지학의 가장 기본적인 활동

- <2>번 영역 : 지역사회과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자료를 제

안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활동

- <3>번 영역 : 지역사회복지조직화의 활동. 개별 대상자들에 대한 공식적

지원과 동시에 비공식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 <4>번 영역 : 초·중·고·대학까지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직장 내, 지역 내

에서와 같이 포괄적인 영역에서 지역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활동

실천현장을 중심으로 정책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주민과의 협력과 실천이 요구됨. 제도적 강화로 모두 해결할 수 없는 바, 민간기관의 자발적 협력 없이는 지역복지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활동해야 함.

- 25 -

② 일본복지대학 히라노 다카유키(平野隆之) 교수

- 지역사회복지는 제도적, 전문적 복지로 보기 보다는,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 안에서 스스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가 지역사회복지로

볼 수 있음.

지역사회 내 복지조직 및 활동대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그림 Ⅱ-5] 지역사회 내 복지조직 및 활동대상

자료 : 히라노 다카유키, 한·일 공동포럼(서울복지재단) 자료(2016)

- B 축은 공공행정의 영역으로 볼 수 있음. 최근 희망복지지원단을 대표로

하는 사례관리 영역은 B3의 영역으로 볼 수 있을 것임.

- A 축은 민간의 영역으로 볼 수 있음. 마을만들기 및 주민들을 주체화시키

는 작업은 A4의 영역으로 가장 기본적인 역할로 볼 수 있음. 하지만 현재

한국의 복지관의 역할과 구조를 확인해보면 A2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됨.

- 상담중심의 제도적 복지, 서비스 복지 제공중심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

도록 모든 영역과 축에서 주민이 중요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 함.

지역사회복지관이 지향하는 것은 프로그램 형태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를 사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함. 지역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복지과제들을 집약시켜, 주민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키워진 힘을 통해 행정과의 협조적 관계를 만드는 작업들이 중요함. 결국 지역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주민’임.

- 26 -

Ⅲ.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조사연구

1.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조사연구

1) 조사 개요

▪조사 일시

- 2016년 8월 3일~2016년 8월 23일(21일간)

▪조사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이메일 조사

▪조사 주요 내용

-지역사회복지관 일반사항

-사업 수행정도와 중요도

-지역사회복지 연계 활성화 정도 및 중요도

-지역사회복지 역할 수행 적합도

- 응답자 일반특성

▪조사대상

- 서울, 부산, 대구지역 지역사회복지관 총 157개소, 종사자 615명 대상

구분 모집단(명) 표본(명)표본오차

(95%신뢰수준)

서울, 부산, 대구지역 사회복지종사자

615 331 ±3.66%P

<표 8> 조사대상

▪지역별 배부 및 응답자수

- 지역별 배부 및 응답자수는 다음과 같음

- 총 응답자 중 복지업무 3년 미만(6), 신뢰도 낮은 응답(55)을 제외하면 유

효응답이 331명으로 나타남

- 27 -

(1) 조사대상자 특성

① 기관별 특성

○ 지역사회복지관 유형

▪지역사회복지관 유형에 대해 살펴보면, ‘가형’이 55.0%로 가장 높게 나타났

고, 다음으로 ‘나형’ 40.5%, ‘다형’ 4.5% 순으로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가형 182 55.0

나형 134 40.5

다형 15 4.5

전체 331 100.0

<표 10> 지역사회복지관 유형

(단위: 개, %)

[그림 Ⅲ-1] 지역사회복지관 유형

지역 배부기관수 배부인원응답자수

(회수율%)유효응답

서울 77 231 74(32.0) 65

부산 54 306 260(85.0) 217

대구 26 78 58(74.4) 49

총계 157 615 392(63.7) 331

<표 9> 지역별 배부 및 응답자수

(단위: 개, 명, %)

- 28 -

○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위탁형’이 7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재단설립형’ 16.0%, ‘기부체납형’ 5.1% 순으로 나타남

▪‘기타’에는 법인설립형(2), 기업체 설립 후 기부(1)로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재단설립형 (대지구입비와 건축비 재단 부담) 53 16.0

기부체납형 (재단소유대지에 건축비 정부지원) 17 5.1

위탁형 (정부의 대지구입·건축비지원 또는 공공건물 위탁) 245 74.0

임대형 (민간단체 또는 개인 건물임대) 13 3.9

기타 3 0.9

전체 331 100.0

<표 11>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

(단위: 개, %)

[그림 Ⅲ-2]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

- 29 -

○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에 대해 살펴보면, ‘사회복지법인’이 75.8%로 가

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교법인’ 9.7%, ‘재단법인’ 8.2% 순으로 나타

▪‘기타’에는 종교법인(1)이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지방자치단체 직영 1 0.3

사회복지법인 251 75.8

학교법인 32 9.7

사단법인 10 3.0

재단법인 27 8.2

시설관리공단 3 0.9

의료법인 6 1.8

기타 1 0.3

전체 331 100.0

<표 12>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

(단위: 개, %)

[그림 Ⅲ-3]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

- 30 -

○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이

3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저소득/중산층 혼합지역’ 28.7%,

‘저소득층 밀집지역(영구임대아파트 제외)’ 26.9% 순으로 나타남

▪‘기타’에는 아파트 밀집지역(1), 중심상업지역(1)로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저소득층 밀집지역(영구임대 아파트 제외)

89 26.9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115 34.7

저소득/중산층 혼합지역 95 28.7

공단주변 지역 4 1.2

도농복합 지역 12 3.6

중산층 지역 14 4.2

기타 2 0.6

전체 331 100.0

<표 13>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

(단위: 개, %)

[그림 Ⅲ-4]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

- 31 -

② 응답자 개인특성

○ 성별

▪응답자의 성별에 대해 살펴보면, ‘여자’가 60.4%, ‘남자’가 39.6%로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남 131 39.6

여 200 60.4

전체 331 100.0

<표 14> 성별

(단위: 명, %)

[그림 Ⅲ-5] 성별

○ 연령

▪응답자의 연령에 대해 살펴보면, ‘30대’가 48.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

음으로 ‘20대’ 31.7%, ‘40대 상’ 19.3% 순으로 나타남

▪평균 연령은 33.8세로 나타남

- 32 -

구분 빈도 비율 평균

20대 105 31.7

33.8세30대 162 48.9

40대 이상 64 19.3

전체 331 100.0

<표 15> 연령

(단위: 명, %)

[그림 Ⅲ-6] 연령

○ 학력

▪응답자의 학력에 대해 살펴보면, ‘대졸’이 68.6%, ‘대학원졸 이상’이 31.4%

로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대졸 227 68.6

대학원졸 이상 104 31.4

전체 331 100.0

<표 16> 학력

(단위: 명, %)

- 33 -

[그림 Ⅲ-7] 학력

○ 전공

▪응답자의 전공에 대해 살펴보면, ‘사회복지학’이 93.1%, ‘사회복지학 외 다

른 전공’이 6.9%로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사회복지학 308 93.1

사회복지학 외 다른 전공 23 6.9

전체 331 100.0

<표 17> 전공(단위: 명, %)

[그림 Ⅲ-8] 전공

- 34 -

○ 자격증

▪응답자의 자격증에 대해 살펴보면, ‘1급’이 88.8%, ‘2급’이 11.2%로 나타남

구분 빈도 비율

1급 294 88.8

2급 37 11.2

전체 331 100.0

<표 18> 자격증

(단위: 명, %)

[그림 Ⅲ-9] 자격증

○ 직위

▪응답자의 직위에 대해 살펴보면, ‘팀장 또는 선임사회복지사’가 전체의

46.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부장 또는 과장’ 30.8%, ‘사회복지

사’ 19.9% 순으로 나타남

- 35 -

구분 빈도 비율

관장 8 2.4

부장 또는 과장 102 30.8

팀장 또는 선임사회복지사 155 46.8

사회복지사 66 19.9

기타 0 0.0

전체 331 100.0

<표 19> 직위

(단위: 명, %)

[그림 Ⅲ-10] 직위

○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

▪응답자의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에 대해 살펴보면, ‘10년 미만’이 36.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5년 미만’ 24.5%, ‘15년 미만’ 20.8%, ‘15년

이상’ 18.1% 순으로 나타남

▪평균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은 9년 2개월로 나타남

- 36 -

구분 빈도 비율 평균

5년 미만 81 24.5

9년 2개월

10년 미만 121 36.6

15년 미만 69 20.8

15년 이상 60 18.1

전체 331 100.0

<표 20>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

(단위: 명, %)

[그림 Ⅲ-11]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

○ 현 기관 종사 기간

▪응답자의 현 기관 종사 기간에 대해 살펴보면, ‘10년 미만’이 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5년 미만’ 24.8%, ‘3년 미만’ 23.0%, ‘10년 이상’

16.9% 순으로 나타남

▪평균 현 기관 종사 기간은 6년 1개월로 나타남

- 37 -

구분 빈도 비율 평균

3년 미만 76 23.0

6년 1개월

5년 미만 82 24.8

10년 미만 117 35.3

10년 이상 56 16.9

전체 331 100.0

<표 21> 현 기관 종사 기간

(단위: 명, %)

[그림 Ⅲ-12] 현 기관 종사 기간

2)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및 실천기술의 수행정도와 중요도

(1) 사업분야별 수행정도

① 빈도분석

▪사업분야별 수행정도에 대해 5점 척도로 보면, 모든 사업 분야에서 3.5 이

상으로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났음. 수행 빈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지역사회

보호(4.40)였으며, 다음으로 서비스 연계(4.27), 사례개입(4.25) 순이었음.

자활지원 (3.47), 교육문화(3.98)는 4.0이하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38 -

3대기능

사업분야

수행정도

합계 평균1 2 3 4 5

전혀안함

안함 보통 자주함매우

자주함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0.3 3.0 19.6 49.5 27.5 100.0

4.01N 1 10 65 164 91 331

1-2. 사례개입% 0.3 1.5 12.7 44.1 41.4 100.0

4.25N 1 5 42 146 137 331

1-3. 서비스 연계% 0.3 0.9 11.2 47.1 40.5 100.0

4.27

N 1 3 37 156 134 331

서비스제공기능

2-1. 가족기능강화% 0.3 1.5 16.3 48.0 33.8 100.0

4.14N 1 5 54 159 112 331

2-2. 지역사회보호% 0.3 0.9 9.1 37.8 52.0 100.0

4.40N 1 3 30 125 172 331

2-3. 교육문화% 0.9 5.1 20.2 42.3 31.4 100.0

3.98N 3 17 67 140 104 331

2-4. 자활지원 등 기타% 3.9 10.3 34.7 37.2 13.9 100.0

3.47N 13 34 115 123 46 331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0.3 1.2 16.6 46.8 35.0 100.0

4.15N 1 4 55 155 116 331

3-2. 주민조직화% 0.3 1.2 15.7 42.0 40.8 100.0

4.22N 1 4 52 139 135 331

3-3. 자원개발 및 관리% 0.3 2.1 16.3 46.5 34.7 100.0

4.13N 1 7 54 154 115 331

<표 22> 사업분야별 수행정도

(단위: %, 명, 점)

- 39 -

② 기관특성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평균비교

○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평균비교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사업분야 수행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23>과 같

이 나타남

▪사례발굴, 사례개입, 복지네트워크 구축 사업분야의 수행정도는 지역사회복

지관 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나 ‧ 다형이 가형에 비해 이들 사업분야의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음. 이는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로 3대 기능별 업무의 차이는 없으나 나‧다형에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이 배치되어 수행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임

3대 기능 사업분야지역사회복지관 유형

평균 t Sig.(p)가형 나·다형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3.92 4.12 4.01 -2.350* 0.019

1-2. 사례개입 4.16 4.35 4.25 -2.223* 0.027

1-3. 서비스 연계 4.24 4.30 4.27 -0.677 0.499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09 4.19 4.14 -1.266 0.206

2-2. 지역사회보호 4.36 4.46 4.40 -1.254 0.211

2-3. 교육문화 3.99 3.97 3.98 0.160 0.873

2-4. 자활지원 등 기타 3.40 3.56 3.47 -1.486 0.138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04 4.28 4.15 -2.881** 0.004

3-2. 주민조직화 4.16 4.29 4.22 -1.520 0.130

3-3. 자원개발 및 관리 4.09 4.19 4.13 -1.163 0.246

*p<.05, **p<.01, ***p<.001

<표 23>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단위: 점)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별, 운영주체별, 위치특성별 평균비교 결과 모든

사업분야의 수행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 40 -

③ 개인특성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평균비교

○ 응답자 연령별 평균비교

▪연령별 사업분야 수행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24>와 같이 나타남

▪사례발굴, 사례개입, 서비스 연계, 가족기능강화, 지역사회보호, 주민조직화,

자원개발 및 관리 사업분야의 수행정도는 40대 이상이 평균값보다 높이 나

왔으며 이들 분야에 수행빈도가 높다고 나타났음. 응답자 연령별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음

3대 기능 사업분야응답자 연령

평균 F Sig.(p)20대 30대 40대 이상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3.95 3.95 4.25 4.01 3.770* 0.024

1-2. 사례개입 4.22 4.17 4.48 4.25 4.101* 0.017

1-3. 서비스 연계 4.30 4.16 4.48 4.27 4.955** 0.008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11 4.06 4.36 4.14 3.672* 0.026

2-2. 지역사회보호 4.25 4.40 4.66 4.40 6.684** 0.001

2-3. 교육문화 3.96 3.92 4.17 3.98 1.857 0.158

2-4. 자활지원 등 기타 3.53 3.37 3.61 3.47 1.692 0.186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10 4.11 4.34 4.15 2.619 0.074

3-2. 주민조직화 4.26 4.12 4.41 4.22 3.473* 0.032

3-3. 자원개발 및 관리 4.12 4.06 4.34 4.13 3.194* 0.042

*p<.05, **p<.01, ***p<.001

<표 24> 연령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단위: 점)

○ 응답자 학력별 평균비교

▪학력별 사업분야 수행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지역사회보호 사업분야의 수행

정도는 응답자 학력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

음. 대학원졸 이상이 지역사회보호 사업분야 수행정도가 많다고 응답하였음

- 41 -

3대 기능 사업분야응답자 학력

평균 t Sig.(p)대졸 대학원졸 이상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3.96 4.13 4.01 -1.818 0.070

1-2. 사례개입 4.22 4.32 4.25 -1.137 0.257

1-3. 서비스 연계 4.22 4.37 4.27 -1.720 0.086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09 4.24 4.14 -1.705 0.089

2-2. 지역사회보호 4.34 4.54 4.40 -2.595* 0.010

2-3. 교육문화 3.95 4.06 3.98 -1.040 0.299

2-4. 자활지원 등 기타 3.46 3.48 3.47 -0.156 0.876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14 4.18 4.15 -0.515 0.607

3-2. 주민조직화 4.20 4.25 4.22 -0.518 0.605

3-3. 자원개발 및 관리 4.10 4.20 4.13 -1.091 0.276

*p<.05, **p<.01, ***p<.001

<표 25> 학력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단위: 점)

○ 응답자 직위별 평균비교

▪직위별 사업분야 수행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Ⅱ-18]과 같이 나타남

▪지역사회보호 사업분야의 수행정도는 응답자 직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관장 및 부․과장들이 이 분야 수행정도를

높게 보았음

- 42 -

3대 기능 사업분야

응답자 직위

평균 F Sig.(p)관장, 부장또는 과장

팀장 또는 선임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4.09 4.01 3.88 4.01 1.500 0.225

1-2. 사례개입 4.38 4.19 4.15 4.25 2.703 0.068

1-3. 서비스 연계 4.39 4.22 4.17 4.27 2.674 0.070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27 4.06 4.09 4.14 2.765 0.064

2-2. 지역사회보호 4.57 4.33 4.29 4.40 4.871** 0.008

2-3. 교육문화 4.01 3.91 4.11 3.98 1.185 0.307

2-4. 자활지원 등 기타 3.49 3.41 3.56 3.47 0.562 0.571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27 4.06 4.17 4.15 2.639 0.073

3-2. 주민조직화 4.36 4.14 4.15 4.22 2.995 0.051

3-3. 자원개발 및 관리 4.22 4.10 4.08 4.13 1.004 0.368

*p<.05, **p<.01, ***p<.001

<표 26> 직위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단위: 점)

○ 응답자의 사회복지업무 총 경력별 평균비교

▪응답자 총 경력별 사업분야 수행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사례개입, 서비스

연계, 지역사회보호, 주민조직화 사업분야의 수행정도는 응답자 총 경력별

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 43 -

3대 기능 사업분야

응답자의 사회복지업무 총 경력

평균 F Sig.(p)3~5년 미만

5~10년 미만

10~15년 미만

15년 이상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4.02 3.93 3.93 4.23 4.01 2.269 0.080

1-2. 사례개입 4.25 4.17 4.16 4.50 4.25 2.997* 0.031

1-3. 서비스 연계 4.30 4.17 4.17 4.52 4.27 3.650* 0.013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10 4.06 4.14 4.33 4.14 1.874 0.134

2-2. 지역사회보호 4.26 4.37 4.41 4.65 4.40 3.621* 0.013

2-3. 교육문화 4.02 4.00 3.86 4.03 3.98 0.600 0.615

2-4. 자활지원 등 기타 3.54 3.39 3.43 3.57 3.47 0.645 0.587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20 4.06 4.10 4.33 4.15 1.996 0.114

3-2. 주민조직화 4.31 4.08 4.14 4.45 4.22 3.720* 0.012

3-3. 자원개발 및 관리 4.20 4.00 4.13 4.32 4.13 2.508 0.059

*p<.05, **p<.01, ***p<.001

<표 27> 총 경력별 사업분야 수행정도

(단위: 점)

- 44 -

(2) 사업분야별 중요도

① 빈도분석

▪사업분야별 중요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28>과 같이 나타남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별 중요도에 대한 인식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

로 사업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정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주

민조직화 분야는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사업 수행정

도와 연관하여 보면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향후 지역사회복

지관 사업에 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이는 최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민참여가 확대되고, 지역사

회복지관 또한 주민조직화를 통해 부족한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여 주민 욕

구에 부합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공동체를 회복하고자 하는 인식

이 증대되고 있는데서 그 연유를 찾을 수 있음. 주민조직화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중요도는 사례개입, 자원개발 및 관리 순임. 반면 가장 낮게 나타난

분야는 자활지원(3.79), 다음으로 교육문화(3.85)인 것으로 나타남

3대기능

사업분야

중요도

합계 평균1 2 3 4 5

전혀중요안함

중요안함

보통 중요매우중요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0.0 0.0 3.9 31.1 65.0 100.0

4.61N 0 0 13 103 215 331

1-2. 사례개입% 0.0 0.0 2.1 30.5 67.4 100.0

4.65N 0 0 7 101 223 331

1-3. 서비스 연계% 0.0 0.3 2.4 32.6 64.7 100.0

4.62N 0 1 8 108 214 331

서비스제공기능

2-1. 가족기능강화% 0.6 0.3 6.9 45.0 47.1 100.0

4.38N 2 1 23 149 156 331

<표 28> 사업분야별 중요도

(단위: %, 명, 점)

- 45 -

② 기관특성별 사업분야 중요도 평균비교

○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평균비교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사업분야 중요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29>와 같이

나타남

▪가족기능강화 사업분야의 중요도는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나·다형이 가형에 비해 가족관계 증진, 가정문제해결 등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서비스 제공을 상대적으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남

2-2. 지역사회보호% 0.0 0.3 7.3 38.4 54.1 100.0

4.46N 0 1 24 127 179 331

2-3. 교육문화% 1.2 5.7 26.3 40.2 26.6 100.0

3.85N 4 19 87 133 88 331

2-4. 자활지원 등 기타% 1.5 6.3 26.9 41.7 23.6 100.0

3.79N 5 21 89 138 78 331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0.0 0.3 4.5 34.4 60.7 100.0

4.56N 0 1 15 114 201 331

3-2. 주민조직화% 0.0 0.0 2.4 28.1 69.5 100.0

4.67N 0 0 8 93 230 331

3-3. 자원개발 및 관리% 0.0 0.3 2.7 31.1 65.9 100.0

4.63N 0 1 9 103 218 331

3대 기능 사업분야지역사회복지관 유형

평균 t Sig.(p)가형 나·다형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4.59 4.64 4.61 -0.798 0.426

1-2. 사례개입 4.61 4.70 4.65 -1.682 0.093

1-3. 서비스 연계 4.60 4.64 4.62 -0.635 0.526

<표 29>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사업분야 중요도

(단위: 점)

- 46 -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별, 운영주체별, 위치특성별 평균비교 결과 모든

사업분야의 수행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③ 개인특성별 사업분야 중요도 평균비교

○ 응답자 연령별 평균비교

▪연령별 사업분야 중요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30>과 같이 나타남

▪가족기능강화, 자활지원 등 기타, 주민조직화 사업분야의 중요도는 40대 이

상에서 해당분야 사업의 중요도가 높다고 나타났음. 응답자 연령별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29 4.48 4.38 -2.567* 0.011

2-2. 지역사회보호 4.43 4.50 4.46 -1.054 0.293

2-3. 교육문화 3.82 3.89 3.85 -0.606 0.545

2-4. 자활지원 등 기타 3.71 3.90 3.79 -1.873 0.062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52 4.60 4.56 -1.328 0.185

3-2. 주민조직화 4.69 4.65 4.67 0.623 0.534

3-3. 자원개발 및 관리 4.64 4.60 4.63 0.633 0.527

*p<.05, **p<.01, ***p<.001

- 47 -

3대 기능 사업분야응답자 연령

평균 F Sig.(p)20대 30대 40대 이상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4.62 4.57 4.70 4.61 1.343 0.262

1-2. 사례개입 4.66 4.60 4.77 4.65 2.217 0.111

1-3. 서비스 연계 4.65 4.57 4.67 4.62 0.970 0.380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35 4.31 4.59 4.38 4.185* 0.016

2-2. 지역사회보호 4.42 4.43 4.61 4.46 2.107 0.123

2-3. 교육문화 3.95 3.76 3.92 3.85 1.636 0.196

2-4. 자활지원 등 기타 3.89 3.67 3.97 3.79 3.240* 0.040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58 4.50 4.66 4.56 1.713 0.182

3-2. 주민조직화 4.68 4.61 4.81 4.67 3.506* 0.031

3-3. 자원개발 및 관리 4.65 4.59 4.67 4.63 0.591 0.555

*p<.05, **p<.01, ***p<.001

<표 30> 연령별 사업분야 중요도

(단위: 점)

○ 응답자 학력별 평균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 응답자 직위별 평균비교

▪직위별 사업분야 중요도에 대해 살펴보면, 주민조직화 사업분야의 중요도는

응답자 직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 48 -

3대 기능 사업분야

응답자 직위

평균 F Sig.(p)관장, 부장또는 과장

팀장 또는 선임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4.65 4.56 4.65 4.61 1.103 0.333

1-2. 사례개입 4.70 4.61 4.68 4.65 1.175 0.310

1-3. 서비스 연계 4.64 4.61 4.59 4.62 0.145 0.865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48 4.30 4.39 4.38 2.407 0.092

2-2. 지역사회보호 4.55 4.41 4.45 4.46 1.516 0.221

2-3. 교육문화 3.85 3.76 4.08 3.85 2.732 0.067

2-4. 자활지원 등 기타 3.75 3.74 4.00 3.79 2.062 0.129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64 4.50 4.56 4.56 1.768 0.172

3-2. 주민조직화 4.76 4.66 4.55 4.67 3.785* 0.024

3-3. 자원개발 및 관리 4.69 4.61 4.56 4.63 1.310 0.271

*p<.05, **p<.01, ***p<.001

<표 31> 직위별 사업분야 중요도

(단위: 점)

○ 응답자의 사회복지업무 총 경력별 평균비교

▪응답자 총 경력별 사업분야 중요도 분석 결과, 주민조직화 사업분야의 중요

도는 응답자 총 경력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

- 49 -

3대 기능 사업분야

응답자의 사회복지업무 총 경력

평균 F Sig.(p)3~5년 미만

5~10년 미만

10~15년 미만

15년 이상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4.63 4.60 4.51 4.72 4.61 1.528 0.207

1-2. 사례개입 4.64 4.64 4.61 4.75 4.65 0.917 0.433

1-3. 서비스 연계 4.63 4.60 4.57 4.68 4.62 0.529 0.663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31 4.36 4.36 4.53 4.38 1.375 0.250

2-2. 지역사회보호 4.41 4.44 4.49 4.55 4.46 0.677 0.567

2-3. 교육문화 3.90 3.94 3.61 3.88 3.85 2.114 0.098

2-4. 자활지원 등 기타 3.93 3.78 3.57 3.92 3.79 2.353 0.072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58 4.55 4.43 4.68 4.56 1.930 0.125

3-2. 주민조직화 4.68 4.63 4.57 4.87 4.67 4.188** 0.006

3-3. 자원개발 및 관리 4.64 4.60 4.58 4.70 4.63 0.604 0.613

*p<.05, **p<.01, ***p<.001

<표 32> 총 경력별 사업분야 중요도

(단위: 점)

(3) 사업분야별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향후 지역사회복지관이 중요하게 반영해야 할 점과 실제로 얼마나 수행되

고 있냐에 대한 중요도-수행정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을 살펴보았음.

▪각 항목에 대한 중요도 평균은 4.42, 수행도 평균은 4.10으로 나타나 중요

도에 비행 수행정도가 낮게 평가됨

▪사업분야별 대응표본 T-검증 결과는 다음 <표 33>과 같음

▪서비스 제공 기능의 지역사회보호 사업분야는 중요도와 수행정도 간 평균

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다른 사업분야는 중요도와 수행정

도 간 평균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

- 50 -

3대 기능 사업분야중요도 수행도 평균

차이t

Sig.(p)M S.D. M S.D.

사례관리기능

1-1. 사례발굴 4.61 .563 4.01 .788 0.60 14.364 .000

1-2. 사례개입 4.65 .519 4.25 .754 0.40 10.653 .000

1-3. 서비스 연계 4.62 .551 4.27 .715 0.35 9.175 .000

서비스제공 기능

2-1. 가족기능강화 4.38 .683 4.14 .757 0.24 6.688 .000

2-2. 지역사회보호 4.46 .643 4.4 .717 0.06 1.575 .116

2-3. 교육문화 3.85 .921 3.98 .898 -0.13 -3.056 .002

2-4. 자활지원 등 기타 3.79 .924 3.47 .985 0.32 6.436 .000

지역조직화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4.56 .597 4.15 .756 0.41 10.392 .000

3-2. 주민조직화 4.67 .520 4.22 .771 0.45 11.225 .000

3-3. 자원개발 및 관리 4.63 .555 4.13 .779 0.50 11.910 .000

평균 4.42 4.10 0.32

<표 33> 사업분야별 대응표본 t-검증 결과

(단위: 점)

① 중점개선영역

분석결과, <표 34>의 사업분야는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아 중점개선 항목

으로 나타남. 사례관리기능의 사례발굴을 위한 노력은 향후 지역사회복지관이 본연

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투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 항목으로 분석되었음

연번 사업분야

1 1 사례관리 기능 - 사례발굴

<표 34>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중점개선영역

- 51 -

② 점진개선영역

분석결과, <표 35>의 사업분야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아 점진개선 항목으로 나

타남. 교육문화와 자활지원 서비스 제공은 지역 내 서비스 경쟁 조직이 존재하고 해

당 조직의 전문화된 영역임. 따라서 지나친 투입은 경계하되 개선이 필요한 부문으로

서 중점개선영역에 비해 상대적 우선순위가 낮은 항목으로 분석되었음

연번 사업분야

1 6 서비스 제공 기능 - 교육문화

2 7 서비스 제공 기능 - 자활지원 등 기타

<표 35>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점진개선영역

③ 지속유지영역

분석결과, <표 36>의 사업분야는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아 지속유지 항목

으로 나타남

연번 사업분야

1 4 서비스 제공 기능 - 가족기능강화

<표 36>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지속유지영역

④ 유지강화영역

분석결과, <표 37>의 사업분야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아 유지강화 항목으로 나

타남. 이들 속성은 지속적으로 수행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한 항목임

- 52 -

연번 사업분야

1 2 사례관리 기능 - 사례개입

2 3 사례관리 기능 - 서비스 연계

3 5 서비스 제공 기능 - 지역사회보호

4 8 지역조직화 기능 - 복지네트워크 구축

5 9 지역조직화 기능 - 주민조직화

6 10 지역조직화 기능 - 자원개발 및 관리

<표 37> 지역사회복지관 사업분야 - 유지강화영역

[그림 Ⅲ-13] 사업분야의 IP매트릭스

- 53 -

3) 지역복지 연계 실태

(1) 다른 기관과의 연계 수행정도

① 빈도분석

▪다른 기관과의 연계 수행정도는 <표 38>과 같이 나타남

▪지역사회복지관의 다른 기관과의 연계 수행정도에 대해 조사 대상의 모든

기관과 3.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음. 이는 최근 지역사회복지 연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복지서비스 공급자간의 연계나 협력 없이 개별 기

관에 의해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무엇보다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연계 수행 빈도가

가장 높은 기관은 동주민센터(4.25)였으며, 다음으로 구청(4.25), 봉사단체

(4.13) 순이었음. 장애인복지관(3.17), 노인복지관(3.27), 지역 내 종교단체

(3.48)는 3.5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54 -

기관유형

1 2 3 4 5

합계 평균전혀활성화안됨

활성화안됨

보통활성화

매우활성화

구청% 0.0 2.1 11.8 48.6 37.5 100.0

4.21N 0 7 39 161 124 331

동 주민센터% 0.0 2.1 10.3 47.7 39.9 100.0

4.25N 0 7 34 158 132 331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0 5.7 28.4 42.3 20.5 100.0

3.72N 10 19 94 140 68 331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0 7.9 29.6 39.3 20.2 100.0

3.66N 10 26 98 130 67 331

노인복지관% 5.7 15.4 37.8 28.7 12.4 100.0

3.27N 19 51 125 95 41 331

장애인복지관% 11.2 13.3 37.5 23.6 14.5 100.0

3.17N 37 44 124 78 48 331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 0.6 6.0 24.2 46.8 22.4 100.03.84

N 2 20 80 155 74 331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1.5 3.6 18.4 44.4 32.0 100.0

4.02N 5 12 61 147 106 331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3.0 10.6 28.4 38.7 19.3 100.0

3.61N 10 35 94 128 64 331

지역 내 의료기관% 0.9 9.4 33.5 42.6 13.6 100.0

3.59N 3 31 111 141 45 331

지역 내 학교% 0.9 2.4 15.7 49.2 31.7 100.0

4.08N 3 8 52 163 105 331

지역 내 종교단체% 4.5 12.1 31.4 34.4 17.5 100.0

3.48N 15 40 104 114 58 331

봉사단체% 0.6 2.4 14.2 48.9 33.8 100.0

4.13N 2 8 47 162 112 331

<표 38> 다른 기관과의 연계 수행정도

(단위: %, 명, 점)

- 55 -

기관특성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평균비교

○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평균비교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Ⅲ-15]

와 같이 나타남

▪지역사회복지관 유형에 따라서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 지역사회보장협

의체, 타 복지제공기관,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와의 연계 수행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상의 기관과

의 연계에 있어 나·다형 복지관의 경우 가형 복지관보다 상대적으로 수행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기관유형지역사회복지관 유형

평균 t Sig.(p)가형 나·다형

구청 4.19 4.25 4.21 -0.762 0.446

동 주민센터 4.22 4.30 4.25 -0.945 0.345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62 3.84 3.72 -2.161* 0.031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55 3.79 3.66 -2.241* 0.026

노인복지관 3.21 3.34 3.27 -1.095 0.274

장애인복지관 3.08 3.28 3.17 -1.493 0.136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3.75 3.95 3.84 -2.120* 0.035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3.90 4.17 4.02 -2.805** 0.005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3.53 3.70 3.61 -1.481 0.140

지역 내 의료기관 3.57 3.61 3.59 -0.465 0.642

지역 내 학교 4.07 4.10 4.08 -0.323 0.747

지역 내 종교단체 3.46 3.52 3.48 -0.520 0.604

봉사단체 4.15 4.11 4.13 0.461 0.645

*p<.05, **p<.01, ***p<.001

<표 39>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단위: 점)

- 56 -

○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별 평균비교

▪모든 기관과의 연계 수행정도는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음

○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별 평균비교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봉사단체와의 연계 수행정도는 지역사

회복지관 운영주체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

음. 사회복지법인이 평균보다 높은 점수로 타 운영주체보다 지역사회단체와

활발히 연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기관유형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

평균 F Sig.(p)사회복지법인

학교법인

사단·재단법인

직영·시설공단·의료법인·

기타

구청 4.20 4.25 4.16 4.55 4.21 0.862 0.461

동 주민센터 4.27 4.19 4.22 4.27 4.25 0.152 0.928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75 3.38 3.81 3.64 3.72 1.614 0.186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65 3.34 3.97 3.73 3.66 2.400 0.068

노인복지관 3.25 3.13 3.49 3.36 3.27 0.796 0.497

장애인복지관 3.18 2.97 3.27 3.18 3.17 0.409 0.747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3.84 3.84 3.73 4.18 3.84 0.783 0.504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4.11 3.53 3.84 4.00 4.02 4.726** 0.003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3.64 3.22 3.62 4.00 3.61 2.233 0.084

지역 내 의료기관 3.61 3.47 3.51 3.64 3.59 0.350 0.789

지역 내 학교 4.08 4.09 4.08 4.18 4.08 0.058 0.982

지역 내 종교단체 3.55 3.06 3.38 3.64 3.48 2.206 0.087

봉사단체 4.20 3.81 3.95 4.00 4.13 3.318* 0.020

*p<.05, **p<.01, ***p<.001

<표 40>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단위: 점)

- 57 -

○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 평균비교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동 주

민센터, 노인복지관,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단체와의 연계 수행정도

는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

할 수 있음

▪영구임대 APT지역에 위치한 지역사회복지관이 동 주민센터 및 지역사회단

체와 혼합형 및 기타 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이 노인복지관과 각각 상대적

으로 활발한 연계를 하고 있음

기관유형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

평균 F Sig.(p)저소득층밀집지역(영구임대APT 제외)

영구임대APT지역

혼합형 및 기타

구청 4.20 4.22 4.22 4.21 0.018 0.983

동 주민센터 4.31 4.36 4.12 4.25 3.770* 0.024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81 3.75 3.62 3.72 1.100 0.334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70 3.64 3.65 3.66 0.090 0.914

노인복지관 3.20 3.07 3.49 3.27 5.164** 0.006

장애인복지관 3.19 3.13 3.19 3.17 0.096 0.908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3.99 3.84 3.74 3.84 2.205 0.112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3.99 4.20 3.87 4.02 4.219* 0.016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3.69 3.62 3.54 3.61 0.525 0.592

지역 내 의료기관 3.54 3.62 3.59 3.59 0.203 0.816

지역 내 학교 4.17 4.05 4.06 4.08 0.662 0.517

지역 내 종교단체 3.52 3.39 3.54 3.48 0.684 0.505

봉사단체 4.13 4.23 4.04 4.13 1.717 0.181

*p<.05, **p<.01, ***p<.001

<표 41>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단위: 점)

- 58 -

○ 개인특성별 타 기관 연계 수행정도 평균비교

▪응답자 연령, 학력, 직위, 경력별로 모든 기관과의 연계 수행정도는 차이

없음

(2) 다른 기관과의 연계 중요도

① 빈도분석

▪다른 기관과의 연계 중요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42>와 같이 나타남

▪지역사회복지관의 다른 기관과의 연계 중요도에 대해 5점 척도로 살펴보면

조사 대상의 모든 기관에 대해 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음. 연계 중요도가

가장 높은 기관은 동주민센터(4.61)였으며, 다음으로 구청(4.60), 봉사단체

(4.52),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 사회 단체(4.47) 순이었음. 장애인복지관

및 노인복지관(4.02)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연계 수행정도보다 중요도의 점수가 다소 높았으나 연계

기관에 대한 중요도 순은 수행정도와 거의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공공과의

연계를 통한 행‧재정적 지원과 지역 단체를 통한 자원 발굴을 중시하는데

따른 것으로 보임

기관유형

1 2 3 4 5

합계 평균전혀중요안함

중요안함

보통 중요매우중요

구청% 0.0 0.6 3.3 31.4 64.7 100.0

4.60N 0 2 11 104 214 331

동 주민센터% 0.0 0.0 4.5 30.2 65.3 100.0

4.61N 0 0 15 100 216 331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0.3 1.8 13.6 37.8 46.5 100.0

4.28N 1 6 45 125 154 331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0.6 1.8 14.8 38.7 44.1 100.0

4.24N 2 6 49 128 146 331

<표 42> 다른 기관과의 연계 중요도

(단위: %, 명, 점)

- 59 -

② 기관특성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평균비교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설립형태별, 운영주체별로 모든 기관과의 연계 중

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하지만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에 대해 살펴보면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경우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지역 내 타 복지제공기관

과의 연계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놓은 것으로 나타남

노인복지관% 0.3 4.2 24.8 34.1 36.6 100.0

4.02N 1 14 82 113 121 331

장애인복지관% 0.3 3.6 25.4 35.0 35.6 100.0

4.02N 1 12 84 116 118 331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 0.0 1.5 10.6 43.5 44.4 100.04.31

N 0 5 35 144 147 331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0.0 0.6 6.0 39.3 54.1 100.0

4.47N 0 2 20 130 179 331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0.0 0.9 9.1 42.3 47.7 100.0

4.37N 0 3 30 140 158 331

지역 내 의료기관% 0.0 0.9 13.3 44.7 41.1 100.0

4.26N 0 3 44 148 136 331

지역 내 학교% 0.0 0.3 9.7 40.5 49.5 100.0

4.39N 0 1 32 134 164 331

지역 내 종교단체% 0.6 4.2 17.2 41.4 36.6 100.0

4.09N 2 14 57 137 121 331

봉사단체% 0.0 0.0 5.7 36.9 57.4 100.0

4.52N 0 0 19 122 190 331

- 60 -

기관유형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

평균 F Sig.(p)저소득층밀집지역(영구임대APT 제외)

영구임대APT지역

혼합형 및 기타

구청 4.64 4.58 4.59 4.60 0.277 0.758

동 주민센터 4.63 4.64 4.56 4.61 0.739 0.478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42 4.27 4.20 4.28 1.912 0.149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37 4.23 4.16 4.24 1.831 0.162

노인복지관 4.16 3.96 3.99 4.02 1.380 0.253

장애인복지관 4.19 3.97 3.95 4.02 2.262 0.106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4.52 4.25 4.21 4.31 5.358** 0.005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4.56 4.51 4.36 4.47 3.029 0.050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4.52 4.30 4.32 4.37 2.903 0.056

지역 내 의료기관 4.28 4.27 4.24 4.26 0.117 0.889

지역 내 학교 4.47 4.36 4.37 4.39 0.857 0.426

지역 내 종교단체 4.17 4.06 4.06 4.09 0.488 0.614

봉사단체 4.57 4.56 4.44 4.52 1.639 0.196

*p<.05, **p<.01, ***p<.001

<표 43> 지역사회복지관 위치특성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단위: 점)

③ 개인특성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평균비교

○ 응답자 연령별 평균비교

▪연령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에 대해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의 연계정도

는 40대 이상에서 지역 내 종교단체와의 연계 중요도는 20대에서 상대적으

로 높게 나타났음. 응답자 연령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 61 -

기관유형응답자 연령

평균 F Sig.(p)20대 30대 40대 이상

구청 4.66 4.54 4.66 4.60 1.559 0.212

동 주민센터 4.68 4.54 4.66 4.61 2.007 0.136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33 4.19 4.44 4.28 2.559 0.079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26 4.13 4.48 4.24 4.500* 0.012

노인복지관 4.19 3.94 3.95 4.02 2.649 0.072

장애인복지관 4.16 3.96 3.95 4.02 1.954 0.143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4.41 4.28 4.22 4.31 1.690 0.186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4.52 4.41 4.53 4.47 1.450 0.236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4.41 4.33 4.41 4.37 0.578 0.561

지역 내 의료기관 4.32 4.23 4.23 4.26 0.613 0.543

지역 내 학교 4.44 4.36 4.39 4.39 0.384 0.681

지역 내 종교단체 4.27 3.99 4.06 4.09 3.372* 0.036

봉사단체 4.56 4.49 4.52 4.52 0.479 0.620

*p<.05, **p<.01, ***p<.001

<표 44> 연령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단위: 점)

○ 학력 및 경력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 응답자 직위별 평균비교

▪직위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사회복지사가 타 직위 사

회복지사 보다 상대적으로 노인복지관과의 연계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음.

직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 62 -

기관유형

응답자 직위

평균 F Sig.(p)관장, 부장또는 과장

팀장 또는 선임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구청 4.61 4.54 4.73 4.60 2.348 0.097

동 주민센터 4.60 4.55 4.74 4.61 2.503 0.083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32 4.25 4.30 4.28 0.252 0.777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34 4.17 4.23 4.24 1.290 0.277

노인복지관 3.84 4.07 4.23 4.02 4.364* 0.013

장애인복지관 3.88 4.05 4.18 4.02 2.563 0.079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4.19 4.34 4.44 4.31 2.702 0.069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4.46 4.43 4.58 4.47 1.284 0.278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 4.35 4.40 4.33 4.37 0.311 0.733

지역 내 의료기관 4.19 4.28 4.32 4.26 0.813 0.444

지역 내 학교 4.32 4.41 4.47 4.39 1.182 0.308

지역 내 종교단체 3.95 4.14 4.21 4.09 2.471 0.086

봉사단체 4.53 4.48 4.58 4.52 0.559 0.573

*p<.05, **p<.01, ***p<.001

<표 45> 직위별 타 기관 연계 중요도

(단위: 점)

(3) 지역사회내 다른 기관과의 연계에 대한 IPA

▪향후 지역사회복지관이 중요하게 반영해야 할 점과 실제로 얼마나 수행되

고 있냐에 대한 중요도-수행정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을 살펴보았음

▪각 항목에 대한 중요도 평균은 4.32, 수행도 평균은 3.77으로 나타나 중요

도에 비행 수행정도가 낮게 평가됨

▪지역사회 내 연계 기관별 대응표본 T-검증 결과는 다음 [표Ⅱ-45]와 같음

▪모든 연계 기관은 중요도와 수행정도 간 평균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것으로 나타남

- 63 -

연번 기관유형중요도 수행도 평균

차이t

Sig.(p)M S.D. M S.D.

1 구청 4.60 .586 4.21 .730 0.39 9.309 .000

2 동 주민센터 4.61 .575 4.25 .723 0.36 9.023 .000

3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28 .789 3.72 .956 0.56 11.356 .000

4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4.24 .813 3.66 .985 0.58 11.485 .000

5 노인복지관 4.02 .901 3.27 1.048 0.75 13.659 .000

6 장애인복지관 4.02 .886 3.17 1.171 0.85 14.083 .000

7타 복지제공기관

(정신건강증진센터 등)4.31 .719 3.84 .860 0.47 10.088 .000

8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4.47 .638 4.02 .887 0.45 10.268 .000

9마을공동체, 풀뿌리 ․

시민 단체 4.37 .685 3.61 1.010 0.76 15.142 .000

10 지역 내 의료기관 4.26 .717 3.59 .871 0.67 13.950 .000

11 지역 내 학교 4.39 .672 4.08 .805 0.31 7.191 .000

12 지역 내 종교단체 4.09 .869 3.48 1.057 0.61 11.647 .000

13 봉사단체 4.52 .605 4.13 .785 0.39 9.620 .000

평균 4.32 3.77 0.55

<표 46> 연계 기관별 대응표본 t-검증 결과

(단위: 점)

[그림 Ⅲ-14] 연계 기관의 IP매트릭스

- 64 -

① 중점개선영역

분석결과, <표 47>의 공동체, 풀뿌리·시민단체와의 연계가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

도가 낮아 중점개선 기관으로 나타남

연번 연계기관

1 9 마을공동체, 풀뿌리 ․ 시민 단체

<표 47> 연계기관 - 중점개선영역

② 점진개선영역

분석결과, <표 48>의 연계기관은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아 점진개선 기관으로 나

타남

연번 연계기관

1 3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 4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 5 노인복지관

4 6 장애인복지관

5 10 지역 내 의료기관

6 12 지역 내 종교단체

<표 48> 연계기관 - 점진개선영역

③ 지속유지영역

분석결과, <표 49>의 연계기관은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아 지속유지 기관

으로 나타남

- 65 -

연번 연계기관

1 7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

<표 49> 연계기관 - 지속유지영역

④ 유지강화영역

분석결과, <표 50>의 사업분야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아 유지강화 기관으로 나

타남

연번 연계기관

1 1 구청

2 2 동 주민센터

3 8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4 11 지역 내 학교

5 13 봉사단체

<표 50> 연계기관 - 유지강화영역

4) 지역사회복지관과 공공행정의 지역복지 상호 역할분담 체계

(1) 지역사회복지관과 공공행정의 지역복지 역할 수행 적합도

① 빈도분석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해 아래의 역할을 어디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한지

에 대해 살펴보면 <표 51>과 같이 나타남

■지역사회복지 활성화에 요구되는 주요 역할 중 대다수인 대상자 사례 발굴,

초기 상담, 서비스 대상자 사정, 서비스 제공, 사례관리,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권한 옹호,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지

역사회계획·정책수립, 지역사회 개발, 사회운동·행동에 대해 ‘상호공동업무’

- 66 -

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 그 외 전문상담, 프로그램 개발·

운영, 주민조직화 세 가지 역할만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수행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는 의견이 나타남

역할

1 2 3 4 5 어느쪽이든상관없음

합계동 주민센터 상호

공동업무

지역사회복지관매우적합

적합한편

적합한편

매우적합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7.3 6.6 64.0 4.2 12.1 5.7 100.0N 24 22 212 14 40 19 331

초기 상담% 5.4 5.7 50.5 12.7 20.2 5.4 100.0N 18 19 167 42 67 18 331

서비스 대상자 사정% 2.1 2.4 46.5 17.8 29.3 1.8 100.0N 7 8 154 59 97 6 331

전문 상담% 1.5 1.5 24.2 26.6 43.5 2.7 100.0N 5 5 80 88 144 9 331

서비스 제공% 0.0 2.1 40.8 17.5 36.9 2.7 100.0N 0 7 135 58 122 9 331

사례관리% 0.0 1.2 45.3 14.5 37.5 1.5 100.0N 0 4 150 48 124 5 331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4.2 9.7 58.3 10.9 16.0 0.9 100.0N 14 32 193 36 53 3 331

프로그램 개발·운영% 0.9 1.2 16.9 29.9 50.2 0.9 100.0N 3 4 56 99 166 3 331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2.7 9.4 46.8 13.6 26.0 1.5 100.0N 9 31 155 45 86 5 331

권한 옹호% 4.2 12.1 49.5 11.2 20.2 2.7 100.0N 14 40 164 37 67 9 331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3.0 6.0 44.1 17.5 27.2 2.1 100.0N 10 20 146 58 90 7 331

주민 조직화% 1.8 3.9 32.6 20.2 40.2 1.2 100.0N 6 13 108 67 133 4 331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14.5 16.9 49.5 7.3 10.0 1.8 100.0N 48 56 164 24 33 6 331

지역사회 개발% 9.7 11.5 51.7 8.8 15.1 3.3 100.0N 32 38 171 29 50 11 331

사회운동·행동% 3.9 8.5 43.8 17.8 20.8 5.1 100.0N 13 28 145 59 69 17 331

<표 51> 지역복지 역할 수행 적합도

(단위: %, 명)

- 67 -

▪업무 수행적합도 결과를 매우적합과 적합한 편을 합하여 살펴보면,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초기 상담,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지역사회 진

단 및 사정, 권한 옹호,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지역사회 개발, 사회운동·행

동 역할은 상호공동업무가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서비스 대상자 사정,

전문 상담, 서비스 제공,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운영, 지역사회 공동체 역

량강화, 주민 조직화 역할은 지역사회복지관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상호공동업무 비율이 높게 나타난 실천 역할은 공공의 책임성과 민간의 전

문성이 상호 융합되어 대상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

하거나 지역사회변화를 꾀하는 방향으로 연계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

는 것으로 보임

지역복지 역할 수행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이 적합하다고 응답한 실천역할은

현장에서 오랫동안 축적해온 실천 경험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는 분야라

할 수 있음

▪흥미로운 것은 전형적인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이라 할 수 있는 Rothman

의 3대 모델인 사회행동(social action), 지역사회개발(social development),

사회계획(social plannng) 역시 향후 상호공동업무로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

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임

▪지역사회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실천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호

공동업무로 상정하고 협력해야 효과성 확보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

로 해석됨

- 68 -

역할

1 2 3 4 5 9

합계동 주민센터

상호공동업무

지역사회복지관 어느쪽이든상관없음

매우적합

적합한편

적합한편

매우적합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13.9 64.0 16.3 5.7100.0

7.3 6.6 64.0 4.2 12.1 5.7

N 24 22 212 14 40 19 331

초기 상담%

11.2 50.5 32.9 5.4100.0

5.4 5.7 50.5 12.7 20.2 5.4

N 18 19 167 42 67 18 331

서비스 대상자 사정%

4.5 46.5 47.1 1.8100.0

2.1 2.4 46.5 17.8 29.3 1.8

N 7 8 154 59 97 6 331

전문 상담%

3.0 24.2 70.1 2.7100.0

1.5 1.5 24.2 26.6 43.5 2.7

N 5 5 80 88 144 9 331

서비스 제공%

2.1 40.8 54.4 2.7100.0

0.0 2.1 40.8 17.5 36.9 2.7

N 0 7 135 58 122 9 331

사례관리%

1.2 45.3 52.0 1.5100.0

0.0 1.2 45.3 14.5 37.5 1.5

N 0 4 150 48 124 5 331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13.9 58.3 26.9 0.9

100.04.2 9.7 58.3 10.9 16.0 0.9

N 14 32 193 36 53 3 331

프로그램 개발·운영%

2.1 16.9 80.1 0.9100.0

0.9 1.2 16.9 29.9 50.2 0.9

N 3 4 56 99 166 3 331

<표 52>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수행 적합도

(단위: %, 명)

- 69 -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12.1 46.8 39.6 1.5100.0

2.7 9.4 46.8 13.6 26.0 1.5

N 9 31 155 45 86 5 331

권한 옹호%

16.3 49.5 31.4 2.7100.0

4.2 12.1 49.5 11.2 20.2 2.7

N 14 40 164 37 67 9 331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9.1 44.1 44.7 2.1100.0

3.0 6.0 44.1 17.5 27.2 2.1

N 10 20 146 58 90 7 331

주민 조직화%

5.7 32.6 60.4 1.2100.0

1.8 3.9 32.6 20.2 40.2 1.2

N 6 13 108 67 133 4 331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31.4 49.5 17.3 1.8100.0

14.5 16.9 49.5 7.3 10.0 1.8

N 48 56 164 24 33 6 331

지역사회 개발%

21.1 51.7 23.9 3.3100.0

9.7 11.5 51.7 8.8 15.1 3.3

N 32 38 171 29 50 11 331

사회운동·행동%

12.4% 43.8% 38.7% 5.1%100.0

3.9% 8.5% 43.8% 17.8% 20.8% 5.1%

N 13 28 145 59 69 17 331

- 70 -

(2) 기관특성별 역할수행 적합도 평균비교

▪지역사회복지관 유형별, 설립형태별, 위치특성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없음

▪하지만 사회운동·행동 역할의 수행 적합도는 운영주체가 사단·재단법인의

경우 지역사회복지관에 보다 긍정적으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

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역할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

평균 F Sig.(p)사회복지법인

학교법인

사단·재단법인

직영·시설공단·의료법인·

기타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3.09 3.00 2.95 3.36 3.07 0.661 0.576

초기 상담 3.39 3.16 3.32 3.55 3.37 0.607 0.611

서비스 대상자 사정 3.72 3.63 3.62 3.73 3.70 0.165 0.920

전문 상담 4.07 4.41 4.05 3.82 4.09 1.567 0.197

서비스 제공 3.92 3.81 3.86 3.64 3.89 0.414 0.743

사례관리 3.88 3.94 3.95 3.55 3.88 0.565 0.639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3.24 3.28 3.35 3.09 3.25 0.258 0.856

프로그램 개발·운영 4.26 4.41 4.24 4.27 4.27 0.292 0.831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3.50 3.50 3.54 3.64 3.51 0.073 0.975

권한 옹호 3.32 3.16 3.43 3.18 3.31 0.448 0.719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3.56 3.81 3.70 3.45 3.60 0.743 0.527

주민 조직화 3.89 4.25 3.86 4.09 3.93 1.286 0.279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2.78 2.94 3.00 2.45 2.81 0.953 0.415

지역사회 개발 3.03 3.13 3.38 3.09 3.08 1.105 0.347

사회운동·행동 3.36 3.41 3.89 3.64 3.43 3.065* 0.028

*p<.05, **p<.01, ***p<.001

<표 53>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별 역할수행 적합도

(단위: 점)

- 71 -

(3) 개인특성별 역할수행 적합도 평균비교

① 응답자 연령별 평균비교

▪연령별 역할수행 적합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54>와 같이 나타남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사례관리는 30대에서 권한 옹호, 지역사회 공동

체 역량강화, 주민 조직화, 사회운동·행동의 수행 적합도는 40대 이상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이 보다 적합하다는 응답을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역할응답자 연령

평균 F Sig.(p)20대 30대 40대 이상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2.90 3.19 3.06 3.07 3.223* 0.041

초기 상담 3.40 3.40 3.22 3.37 0.790 0.455

서비스 대상자 사정 3.71 3.74 3.56 3.70 0.767 0.465

전문 상담 3.92 4.20 4.08 4.09 2.827 0.061

서비스 제공 3.75 4.00 3.84 3.89 2.343 0.098

사례관리 3.69 3.98 3.95 3.88 3.444* 0.033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3.14 3.27 3.36 3.25 1.069 0.344

프로그램 개발·운영 4.13 4.31 4.41 4.27 2.315 0.100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3.41 3.49 3.72 3.51 1.756 0.174

권한 옹호 3.10 3.39 3.47 3.31 3.386* 0.035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3.50 3.54 3.92 3.60 3.935* 0.020

주민 조직화 3.70 3.99 4.16 3.93 4.694* 0.010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2.83 2.81 2.80 2.81 0.019 0.981

지역사회 개발 3.01 3.06 3.25 3.08 1.019 0.362

사회운동·행동 3.14 3.43 3.92 3.43 12.032*** 0.000

*p<.05, **p<.01, ***p<.001

<표 54> 연령별 역할수행 적합도

(단위: 점)

- 72 -

② 응답자 학력별 평균비교

▪초기상담은 대졸자가, 전문상담, 프로그램 개발·운영, 지역사회 진단 및 사

정, 권한 옹호,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주민 조직화, 사회운동·행동의 수

행 적합도는 대학원졸 이상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수행 적합도에 더

긍정적으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역할

응답자 학력

평균 t Sig.(p)대졸

대학원졸 이상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3.09 3.04 3.24 0.446 0.656

초기 상담 3.47 3.14 3.53 2.645** 0.009

서비스 대상자 사정 3.74 3.60 3.75 1.270 0.205

전문 상담 4.00 4.30 4.17 -2.727** 0.007

서비스 제공 3.83 4.03 3.97 -1.814 0.071

사례관리 3.83 3.99 3.93 -1.423 0.156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3.20 3.36 3.27 -1.362 0.174

프로그램 개발·운영 4.19 4.45 4.30 -2.603* 0.010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3.41 3.72 3.55 -2.501* 0.013

권한 옹호 3.20 3.55 3.39 -2.787** 0.006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3.50 3.82 3.66 -2.608* 0.010

주민 조직화 3.85 4.10 3.97 -1.991* 0.047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2.80 2.84 2.87 -0.269 0.788

지역사회 개발 3.05 3.15 3.18 -0.815 0.415

사회운동·행동 3.27 3.79 3.59 -4.357*** 0.000

*p<.05, **p<.01, ***p<.001

<표 55> 학력별 역할수행 적합도

(단위: 점)

- 73 -

③ 응답자 직위별 평균비교

▪직위별 역할수행 적합도에 대해 살펴보면 <표 56>과 같이 나타남

▪프로그램 개발·운영,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권한 옹호,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주민 조직화, 사회운동·행동의 수행 적합도는 관장, 부장, 과장이

타 직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이 역할 수행에 더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역할

응답자 직위

평균 F Sig.(p)관장, 부장또는 과장

팀장 또는 선임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3.04 3.15 2.94 3.07 1.347 0.262

초기 상담 3.25 3.41 3.45 3.37 1.137 0.322

서비스 대상자 사정 3.66 3.68 3.79 3.70 0.354 0.702

전문 상담 4.19 4.12 3.85 4.09 2.902 0.056

서비스 제공 4.03 3.83 3.80 3.89 1.765 0.173

사례관리 3.98 3.89 3.70 3.88 1.923 0.148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3.38 3.25 3.02 3.25 2.935 0.055

프로그램 개발·운영 4.50 4.17 4.14 4.27 6.016** 0.003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3.67 3.52 3.21 3.51 3.975* 0.020

권한 옹호 3.49 3.29 3.06 3.31 3.526* 0.031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3.85 3.54 3.32 3.60 5.853** 0.003

주민 조직화 4.15 3.90 3.62 3.93 5.808** 0.003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2.91 2.81 2.67 2.81 1.024 0.360

지역사회 개발 3.19 3.05 2.97 3.08 0.958 0.385

사회운동·행동 3.75 3.37 3.03 3.43 11.217*** 0.000

*p<.05, **p<.01, ***p<.001

<표 56> 직위별 역할수행 적합도

(단위: 점)

- 74 -

④ 응답자의 사회복지업무 총 경력별 평균비교

▪응답자 총 경력별 역할수행 적합도에 대해 살펴보면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

발·운영, 권한 옹호, 주민 조직화는 10~15년 미만 경력자가,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사

회운동·행동의 수행 적합도는 15년 이상 경력자가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수행 적합도에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음

역할

응답자의 사회복지업무 총 경력

평균 F Sig.(p)3~5년 미만

5~10년 미만

10~15년 미만

15년 이상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2.98 3.11 3.09 3.12 3.07 0.394 0.758

초기 상담 3.46 3.45 3.30 3.15 3.37 1.395 0.244

서비스 대상자 사정 3.72 3.74 3.72 3.55 3.70 0.560 0.642

전문 상담 3.91 4.10 4.28 4.10 4.09 1.842 0.139

서비스 제공 3.70 3.89 4.10 3.90 3.89 2.264 0.081

사례관리 3.65 3.87 4.16 3.90 3.88 3.708* 0.012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3.07 3.21 3.28 3.53 3.25 2.687* 0.047

프로그램 개발·운영 4.05 4.21 4.48 4.45 4.27 4.302** 0.005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3.32 3.42 3.68 3.73 3.51 2.667* 0.048

권한 옹호 3.16 3.17 3.59 3.47 3.31 3.384* 0.018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3.49 3.43 3.71 3.95 3.60 3.960** 0.009

주민 조직화 3.68 3.82 4.23 4.15 3.93 5.165** 0.002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2.83 2.65 3.04 2.85 2.81 1.941 0.123

지역사회 개발 3.09 2.90 3.22 3.28 3.08 2.171 0.091

사회운동·행동 3.14 3.30 3.61 3.90 3.43 8.156*** 0.000

*p<.05, **p<.01, ***p<.001

<표 57> 총 경력별 역할수행 적합도

(단위: 점)

- 75 -

2. 지역사회복지관 실행연구

1)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의미

▪기본 개념

- 지역사회복지는 제도적, 전문적 복지로 보기 보다는, 지역주민이 주체가

- 기존 현장과 괴리된 상황에서 시행된 이론연구 경향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질적연구의 한 분야임

- 양적연구에서 강조되던 객관성 확보나 이론정립보다는 실천현장의 개선

에 관심을 가지는 연구방법

- 현장의 문제에 직접적으로 개입·개선해나가면서 진행하는 특성을 가짐

- 용어는 혼용되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AR(Action Research), PAR(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BR(Community Based Research)

: 실행연구, 참여연구, 행위연구, 참여적 액션리서치, 지역실행연구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관계

- AR연구에서 연구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연구대상자(혹은 연구참여자)

들에게 하나의 자원으로 참여(Rubin, et al., 2016)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특성은 현장적용성이라는 부분과 연계되어 연구의 핵심적 특성으로 제시

- 연구 참여자들은 그들의 문제를 정의하고 필요한 해결책을 찾으며, 그들

의 목적을 실현시키는데 도움이 될 만한 연구가 어떻게 설계되어 가는지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됨

- 전통적 연구방법에서는 연구대상자(subject)를 연구의 대상(object)로 축

소시키는 엘리트모델(Greenwood, et al., 1991)로 인식되어 있었으나,

AR연구에서는 연구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연구대상자들이 연구설계

에 있어서 책임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되고 있음

- 76 -

▪연구진행의 특징

- ‘참여연구’의 정확한 규칙이나 내용은 정해져있지 않음

- 연구와 관련한 모든 관계자들의 참여적이고 민주적인 과정에 따른 진행

을 강조함

- 모든 참여자들로부터 자료의 지속적인 보완을 통한 ‘지속적 학습’ 강조하

며, 모든 참여자들은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새롭게 들어오는 정보를

검증, 연구 진행과 생성된 이론의 실재적 유용성을 정당화하고 현장검증

과정을 진행하도록 함

▪사회복지영역에서 AR 연구방법의 효용성

- 연구과정 자체가 변화의 기제가 되도록 할 수 있음

- 연구와 실천현장의 간극을 최소화시켜줌

- 연구자와 참여자 모두에게 상황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실천을 도모할 수

있음

- 실천가의 역량을 단순한 전달자에게 개발자로 강화할 수 있음

- 연구자에게 현장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회복시켜 줄 수 있음

▪본 연구주제에 따른 AR연구방법의 적용가능성

- (연구목적)지역사회복지 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과 기

능의 재검토하여 실천모형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함

- 연구목적에 비추어볼 때 ‘환경변화와 지역사회복지관의 모호해지고 있는

역할’을 직접 겪고 있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적극적 참여가 요구됨

- 관련한 선행연구들의 경우 명확한 주제나 문제가 확인되고 있으며, 이러

한 인식이 연구진행에서 중요한 동력으로 판단됨(연구기간 평균 2-3년)

- 실천모형을 제안하는 다수의 연구들이 연구자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AR연구방식은 현장전문가들의 합의

와 참여에 따라 진행되므로 효율성(연구기간)이 우선되기는 어려울 것으

로, 동시에 효과성(현장적용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고려

- 77 -

가 필요함

- 상대적으로 짧은 연구기간과 상시적으로 논의되는 연구 내용을 직접 실

행해볼 수 있는 장(field)이 확보되어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순수한 의미

의 AR연구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발생할 수 있음

2)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진행개요

▪진행일정

- 실행연구의 진행일정은 다음과 같음.

- 한 달에 2회(격주) 모임을 원칙으로 진행되었음.

기간 진행사항 비고

3-4월- 연구관련 연구참여자 인식공유

- 연구진행방법 및 개별 역할 배분

4월-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

: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 내 역할 확인

5-6월- 개별 기관 간 역할 및 서비스 내용 분석- 욕구에 대한 사각지대 및 중첩분야 확인

7월 - 선진 지역 방문 일본

8-10월 -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 개발

<표 58> 실행연구 진행일정

3) 실행연구 주요 결과

▪본 실천연구의 조사결과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연

구진행과정에 따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음.

- 연구목적 수행을 위해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에 대한 점검과 기대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을 실행하였음. 컨

- 78 -

셉트 맵핑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이 개별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지역사회복

지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컨셉트 맵핑을 통해 확인된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변화 방

향(실천의 방향)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이 함께 논의하는 과정을 거쳤음

- 전술한 내용처럼 연구 내용을 즉각적으로 현장에 적용시키고, 이에 대한

점검을 통해 변화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AR연구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지속적인

AR 연구진행을 위한 계획으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함

(1)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

▪컨셉트 맵핑은 총 6단계로 구분되어 시행되었음

- 1단계(준비단계) : 먼저 지역사회복지환경 변화 속에서 지역사회복지관

의 새로운 실천모형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도록 하였음. 이러한

과정은 컨셉트 맵핑을 수행하기 전부터 이루어진 학습모임과 연구모임을

통해 준비될 수 있었음. 동시에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음. 본 연구의 방

향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참여자로 연구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

였음. 컨셉트 맵핑이 참여자들의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작업부터 수행된

다는 점에서 이러한 참여구성원들의 구성은 연구목적에 비추어 잘 구성

된 것으로 판단됨

- 2단계(아이디어 수집) : 컨셉트 맵핑의 실질적인 시작과정으로 볼 수 있

음. 연구참여자들로 하여금 선정된 주제(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 내

역할)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각자의 의견을 제안(brainstorming)할 수 있

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서로의 의견에 반박하지 않는 자율적인 의

사소통을 원칙으로 하였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제와 관련한 서술문

(statement)을 구성하고, 구성된 서술문을 발표하고 연구참여자들 간 공

유하도록 하였음

- 3단계(서술문 구조화) : 확보된 서술문에 대한 분류작업과 등급을 부여하

는 과정임. 본 연구에서는 33개의 서술문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를 개

별적으로 분류하고 등급을 매길 수 있도록 하였음. 본 연구에서 등급을

- 79 -

매기는 기준은 각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가능성이었음. 중요도가 개

인이 생각하는 지역사회복지관 역할의 지향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실행

가능성은 일부분 지역사회복지관의 현실적 상황을 나타내는 것임.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에 대한 연구참여자 간 생각의 차이를 조정

하고,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음

- 4단계(표현단계) : 유형화되고 등급이 부여된 구조화된 서술문을 분석하

는 과정임.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척도법을 실시하여 각 개념

들 간 차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음

- 5단계(해석) : 이전 단계들을 통해 확보된 군집에 대한 해석을 하는 과정

임. 유의한 서술문으로 결합된 각 군집의 특징을 확인하는 작업으로, 군

집의 구분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개별 군집은 어떠한 내용을 의미하

는지와 같은 서술문과 관련한 해석과, 종축과 횡축으로 구분한 기준은 어

떠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이 함께 의견을 교환

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였음

- 6단계(유용화) → 결과를 통해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모습을 확인하고,

향후 발전 및 진행방향을 결정하도록 논의하였음. 이 과정은 컨셉트 맵핑

의 결과를 나누는 과정 뿐만 아니라, 이후 AR연구 진행에서도 지속적으

로 의견을 나누고 고민하였음

▪제안된 서술문

- 컨셉트 맵핑을 통해 최초 파악된 서술문은 38개이며, 개별 내용은 다음

표와 같음

번호 서술문(statement)

1 누구든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랑방

2 복지관에 대한 잘못된 주민 인식개선(홍보)

3 공과금 납부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

4 지역사회복지관 지위 및 역할의 법적 명문화

<표 59> 서술문

- 80 -

5 사회복지사의 인식변화를 위한 교육 : 사회변혁, 능동성

6 지역특화된 센터 조직

7 지역복지 거점을 상징하는 기관명칭

8 주민참여를 통한 프로그램 기획

9 지역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10 초등학교와 연계한 교육공동체 형성

11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

12 행정과의 인적 및 물적 자원 연계 강화

13 기존 사업을 구조조정

14 사회문제에 대한 지역차원의 능동적인 대처

15 관협회가 지역사회복지관 소통/공유의 장 형성

16 사회복지직의 전문성 강화

17 지역주민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18 복지관 접근성 향상 및 편의시설 마련

19 무더위 쉼터

20 복지관 연합 사업

21 주민들의 생활문제와 복지관 사업의 연결

22 마을주민이 복지관의 참여 주체

23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에서 복지관이 코디네이터 역할

24 이웃, 주민간의 관계 매개역할

25 이웃을 만들 수 있는 식사서비스

26 공공과의 관계에서 대상자 선정 우선순위 조정

27 기관 간 경쟁자가 아닌 협력관계 형성

28 사회문제 해결을위한 사회복지서비스 확대

29 인적/물적 자원의 연계

30 공원조성

- 81 -

▪서술문 표현 및 해석

-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파악된 총 38개 서술문에 대해 연구자들이 생각하

는 중요도와 실행가능성을 5점 척도로 파악하였음

- 모든 서술문을 대상으로 유클라디안 거리모형을 적용하여 군집분석을 수

행하였으며, 이에 총 3~4개의 구분이 확인되었음

[그림 Ⅲ-15] 지역사회복지관의 비전에 따른 실천전략(서술문 군집분석)

31 유관 기관과의 관계에서의 거점 역할

32 지역내 돌봄서비스 강화

33 이웃주민을 활용한 독거노인 안부확인

34 준사례관리자를 활용한 사례관리

35 이웃만들기 지원

36 복지관에 대한 홍보를 통한 인식 강화

37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강화

38 성과에 대한 관점의 변화(산출중시→과정중시)

총 38개 서술문 확보

- 82 -

- 구분된 각 구획에 대해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총 3가지 구획1)으로 정의되었음

: 1구획(주민주체의 자조집단 형성) → 전반적으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직화 사업과 관련한 내용들이 포함되고 있음

: 2구획(실천 역할) → 전반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이 지역주민 혹은 이

용자들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음

: 3구획(내적 역량 강화) → 지역사회복지관의 시설과 관련한 개·보수

혹은 추가적인 공간 확보와 관련된 영역,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과 관련한 활동(교육 등)이 포함되어

있음

- 또한 X축과 Y축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그리

고 사람과 시스템이라는 구분을 제안하였음

[그림 Ⅲ-16] 지역사회복지관의 비전에 따른 실천전략(해석)

1) 컨셉트 맵핑을 진행한 최초 점검에서는 서술문 10번(초등학교와 연계한 교육공동체 형성) 하나로 구성된 구획도 개별 영역으로 분석하였으나, 이후 연구참여자들의 회의 후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영역과의 명확한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이해 등이 제안되어 최종적으로는 제외하였다.

- 83 -

-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각 서술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가능성을 5점 척

도로 파악해보았으며, 이를 통해 중요도와 실행가능성을 기준으로 구획

을 확인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1구획으로 나타났던 ‘주민 주체의 자조집단 형성’의 경우 연구참여자

들이 중요도는 평균 이상의 높은 점수(4.208)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실행가능성은 다른 구획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점수(4.104)를 보였

: 2구획으로 나타났던 ‘실천역할’의 경우 중요도는 가장 높은 점수

(4.536)로 나타났지만, 실행가능성은 평균 이하로 낮은 점수(3.580)를

보였음

: 3구획으로 나타났던 ‘내적 역량 강화’의 경우 중요도(3.757)와 실행가

능성(3.643) 모든 영역에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탔음

: 최종적으로 제외되었으나 추가적인 구분이었던 ‘외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공동체 형성’은 중요도와 실행가능성에서 아주 낮게 나타났음.

하지만 이와 같은 현상은 단일문항으로 구축된 구획이라는 점에서 절

대적인 기준으로 해석할 수는 없음

- 이를 종합적으로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음

: ‘주민 주체의 자조집단 형성’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중요한 활동으로 생

각하는 동시에 실행가능성 역시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실천역할’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중요한 활동으로 생각은 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실행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인식, ‘내적 역량 강화’는 중요

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비슷한 수준에서 실행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84 -

[그림 Ⅲ-17] 지역사회복지관의 비전에 따른 실천전략(해석)

- 85 -

- 서술문을 중심으로 모든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 <표 60>과 같음

그룹 아이디어(statement) 중요도(A) 실행가능성(B) 차이(A-B)

주민 주체의자조집단 형성

중요도=4.208 (.618)

실행가능=4.104 (.859)

1

11.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 4.36 (0.745) 4.29 (0.825) 0.07

17. 지역주민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4.57 (0.646) 4.21 (1.051) 0.36

21. 주민들의 생활문제와 복지관 사업의 연결 4.21 (0.975) 4.00 (0.961) 0.21

32. 지역내 돌봄서비스 강화 3.64 (1.008) 3.64 (1.082) 0.00

2

8. 주민참여를 통한 프로그램 기획 4.57 (1.453) 4.36 (0.929) 0.21

22. 마을 주민이 복지관의 참여 주체 4.43 (1.089) 4.07 (0.997) 0.36

24. 이웃, 주민간의 관계 매개역할 4.14 (1.027) 4.07 (0.829) 0.07

25. 이웃을 만들 수 있는 식사서비스 3.79 (0.699) 3.93 (1.141) -0.14

33. 이웃주민을 활용한 독거노인 안부확인 4.07 (0.616) 4.43 (1.089) -0.36

34. 준사례관리자를 활용한 사례관리 4.07 (0.997) 4.07 (1.072) 0.00

35. 이웃만들기 지원 4.43 (0.852) 4.07 (1.141) 0.36

실천역할

중요도=4.536 (.553)

실행가능=3.580 (.512)

3 9. 지역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3.79 (0.802) 3.86 (1.231) -0.07

20. 복지관 연합 사업 3.36 (1.008) 4.14 (1.231) -0.78

4

4. 지역사회복지관 지위 및 역할의 법적 명문화 4.36 (0.929) 3.57 (0.756) 0.79

6. 지역특화된 센터 조직 3.21 (0.893) 3.36 (0.745) -0.15

12. 행정과의 인적 및 물적 자원 연계 강화 4.29 (0.994) 3.57 (1.016) 0.72

13. 기존 사업을 구조조정 4.43 (0.938) 3.00 (0.877) 1.43

14. 사회문제에 대한 지역차원의 능동적인 대처 4.07 (1.072) 3.43 (0.852) 0.64

<표 60> 컨셉맵핑 최종결과

- 86 -

15. 관협회가 지역사회복지관 소통/공유의 장 형성 3.93 (0.997) 3.86 (1.027) 0.07

23.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에서 복지관의 코디네이터 역할 4.00 (0.877) 3.79 (1.051) 0.21

26. 공공과의 관계에서 대상자 선정 우선순위 조정 4.07 (0.997) 3.00 (0.784) 1.07

27. 기관 간 경쟁자가 아닌 협력관계 형성 4.08 (1.038) 3.43 (0.938) 0.65

28.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확대 3.79 (0.893) 3.71 (0.825) 0.08

29. 인적/물적 자원의 연계 4.36 (0.929) 4.14 (0.864) 0.22

31. 유관 기관과의 관계에서의 거점 역할 4.00 (0.961) 3.64 (0.745) 0.36

38. 성과에 대한 관점의 변화(산출중시→과정중시) 4.57 (1.089) 2.79 (0.802) 1.78

5 7. 지역복지 거점을 상징하는 기관명칭 4.00 (0.877) 4.00 (0.961) 0.00

내적역량강화

중요도 = 3.757 (.588)

실행가능 = 3.643 (.576)

1. 누구든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랑방 4.36 (0.745) 3.71 (1.204) 0.65

2. 복지관에 대한 잘못된 주민 인식개선(홍보) 4.36 (0.929) 3.79 (0.893) 0.57

3. 공과금 납부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 2.71 (0.994) 2.21 (1.122) 0.50

5. 사회복지사의 인식변화를 위한 교육 4.29 (1.069) 4.36 (1.151) -0.07

16. 사회복지직의 전문성 강화 4.36 (1.008) 4.21 (0.579) 0.15

18. 복지관 접근성 향상 및 편의시설 마련 4.07 (1.072) 3.21 (1.188) 0.86

19. 무더위 쉼터 2.77 (1.166) 4.00 (1.359) -1.23

30. 공원조성 2.43 (1.158) 2.57 (1.222) -0.14

36. 복지관에 대한 홍보를 통한 인식 강화 4.29 (0.914) 4.07 (0.997) 0.22

37.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강화 4.14 (0.949) 4.29 (0.825) -0.15

3개 그룹 38개 아이디어 중 37개 아이디어 적용 3.98 (.518) 3.74 (.557) 0.24

- 87 -

(2) 실행연구(Action Research) 연구 결과

▪AR연구의 특성이 직접 실행(Action)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찾는다는 점

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AR연구의 결과물로 해석하기보다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기획’으로 이해해야 함

- 연구목적이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모형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서 최종적으로 제안하는 실천모형 역시 상당한 수준으로 검증받아야 하

는 바, 향후 오랜 기간 실질적인 AR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임

▪AR연구 과정 속에서 나누어진 질문은 총 5가지 구분으로 이루어짐

-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이 왜 다루어져야 하는지, 혹은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음

-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에서 다루어야 할 활동을 살펴보았으며, 동시에

실천모형이 가져야 할 대상과 상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음

-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현실적인 적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체계)를

살펴보았음

- 마지막으로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세부시행 방안 및 현장에서의 직

접적인 진행을 살펴보았으나, 모든 부분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는 없는 한

계가 있었음

구분 내용 비고

외부 환경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개념

변화방향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에서 다루어져야 할 활동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지향

지원체계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 구축을 위해 필요한 지원

시행 세부 시행 방안 및 내용

<표 61> AR연구 주요결과

- 88 -

▪각 연구내용에 따른 결과는 AR연구진행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자발적인

학습과정과 의사교환(brainstorming) 중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연구진행 전

반에서 이루어진 모든 결과를 텍스트화하여 개별적으로 분석 및 정리한 내

용임

▪결과논의 1.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을 고민해야 하는 배경

-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있어서 고유한 업무를 개별적으로 수행하고

있던 공공과 민간의 영역이라는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음. 특히 공공기관

이 직접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직접 수행하고자 하고 있으며(ex:

희망복지지원단), 민간 비영리기관을 중심으로 전달되던 사회복지서비스

에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 시장의 등장(ex: 사회서비스 영역), 단종복지관

을 중심으로 한 전문적 서비스 제공과 같이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주체의

다양화와 복합성을 들 수 있음

-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지역사회복지관만의 고유한 업무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체성’문제가 나타났음

- 문제는 이러한 변화가 항상 특정한 분야(ex: 공공, 사회서비스 기관 등)

의 일방향적인 변화에서 시작한다는 점임. 최근 사회복지에 대한 많은 관

심의 양만큼 사회복지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역시 양과 질적인 면에서

모두 높을 수 밖에 없는 바, 수동적으로 대응할 수는 없는 상황임

▪결과논의 2. 지역사회 내 지역사회복지관의 위치와 역할내용

- 지역사회복지관(community welfare center)이라는 용어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 내 개별적으로 활동하는 단순한 서

비스 전달기관을 벗어나, 지역사회 내 다양한 문제나 욕구를 파악하고 이

에 대한 대응방안을 만들고, 조정해나가야하는 중요한 서비스 주체로 이

해야 할 것임. 즉 지역사회 내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중심센터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임

- 이를 위해 첫 번째 제안될 수 있는 내용은 지역 내 다양한 서비스를 연

계·조정하는 역할임. 이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간단히 정

리해보면 서비스 제공기관 중심의 연계조정과 대상자(지역주민) 중심의

- 89 -

서비스 전달을 위한 조정으로 구분될 수 있음. 서비스 제공기관 중심의

조정이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부분이라면, 대상자(지역주민)중

심의 서비스 조정은 서비스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부분으로 이는 함께

고려되어야 할 부분임

- 다음으로 지역사회 내 복지거버넌스를 구축하는 역할임. 이는 크게 세 가

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지역사회보장계획 속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

할, 민관협력체계(지역사회보장협의체) 속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민민협력체계(민간 중심의 통합사례관리) 속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로 볼 수 있음

▪결과논의 3.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을 위해 확인한 사항 점검

-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을 통해 확인된 구획에 대해 연구참여자

전원이 개별적으로 이해한 바를 나누고, 이후 전체 개념에 대한 정리를

수행하였음

- 3가지 구획(주민주체 자조집단 형성, 실천역할, 내적역량 강화)은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사업(주민조직화, 서비스 제공, 사례관리)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됨. 이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는 담당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본 연구참여자들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이해됨. 이러

한 특성이 미친 결과에 대한 긍정과 부정적인 의견이 함께 있을 수 있으

나, 본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이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방법을 고민한다

는 점에서 내부적인 정리가 우선되어야 할 필요성을 이해한다면 이러한

접근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 컨셉트 맵핑에 대한 점검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제안된 내용은 주민조

직화에 대한 필요성이었음.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과 관련한 논의 및

연구들에서 주민조직화가 항상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

와같은 이해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음. 다만 본 연구참여자

들은 주민조직화가 이루어지는 현장을 살펴야 할 것으로 지속적으로 제

안하였으며, 이러한 구분은 관(官) 주도형 마을만들기, 민간 주도형 마을

만들기 속에서 지역사회복지관 주도형 주민조직화 사업을 모색해야 할

- 90 -

것을 제안하였음

▪결과논의 4. 새로운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지향점

-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은 크게 대상과 상황으로 나누어 구분되어야 함

- 먼저 대상은 가장 일반적인 구분으로 선별적 대상과 보편적 대상으로 구

분하여 살펴야 함. 선택적 대상의 경우 단종복지관 혹은 개별대상에 맞춤

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기관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야 하지만, 지역사

회복지관 실천모형에 보편적 서비스대상은 ‘지역주민’이라는 점을 항상

상기시켜야 함. 즉 지역주민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직·간접적인 노력을 의미하는 것임. 다음으로 대상을 구분하는 방식은 문

제를 가진 개인중심과 개인이 생활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지역사회중심에

대한 구분임. 이러한 구분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이 개인을 포함한

다는 일반적인 관점을 실체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 이러한 실체화

작업을 위해 선제되어야 할 사항이 바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모형을

개발하는 것임

-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을 상황으로 구분해보면, 선택적 서비스 대상에

대해서는 위기·긴급하지만 일시적인 문제를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보편적 서비스 대상에서는 항시적인 문제로서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

들과의 연계노력을 제안하고 있음. 추가적으로 예방적 활동을 제안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예방적 활동은 지역주민들의 생활공간 즉 지역사회를 기

반으로 해야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적인 관점의 활동이 강

조되어야 함

▪결과논의 5.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적용을 위한 지원 사항

-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 개발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함께 이해되어야

할 사항으로 공공의 변화를 들 수 있음.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속에서

개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던 공공이지만, 최근의 변화가 지역사회복

지관의 정체성과 별도로 해석될 수 없는바 이러한 변화와 연계된 지역사

회복지관 실천모형이 고려되어야 함

- 91 -

- 읍면동 복지전달체계 속에서 민과 관의 연계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

며, 이를 위해 히라노 교수의 경우 공공은 자원중심의 조직화사업을, 지

역사회복지관은 일반주민의 조직화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음. 결국 민

과 관이 상대방의 역할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관계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임

- 92 -

Ⅳ.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의 기본방향

▪본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다양한 전문적 서비스를 제

공해 온 지역사회복지관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인지하고, 이에 지역사회복지

관의 새로운 실천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음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기반으로 문헌연

구, 설문조사, 참여연구자 대상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 일본 사례

연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수행하였음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은 지역사회 내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을 제안하

기 위한 실천모형을 제안하는 것임. 이와 같은 실천모형은 지역사회복지관

의 전문성이 확보될 수 있는 체계가 제안되어야 할 것임. 최근의 사회복지

환경 변화가 단순히 특정 기관이나 대상에 한정되어 있기 보다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오랜 기간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

으로 활동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모형이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모습으로 이해될 수 있음.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체계는 공공과

민간, 민간과 민간, 공공과 공공 같이 다양한 서비스 제공주체간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시에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지역사회주민들과의 관계까

지 고려해야 하는 포괄적인 영역임. 이를 위해 AR연구 진행 전반에서 밝혀

진 결과를 중심으로 확인된 실천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함

- 93 -

2. 지역사회 중심의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

▪본 연구과정 속에서 나타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모형은 다음과 같음. 각 모형들은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겠으나,

지역사회복지관의 변화와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이 상당하는 점에서 이를

부분적으로 혼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됨

▪가장 큰 구분으로 지역사회복지관들이 활동하는 지역에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정도를 기준으로 ‘1차 기관 실천모형’과 ‘2차 기관 실천모형’

을 확인할 수 있음

- 1차 기관 실천모형은 지역사회 내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위

치에서 제안될 수 있는 모형임. 1차 기관 모형은 다시 지역중심 실천모형

과 서비스 중심 실천모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

: 먼저 ‘지역중심 실천모형’의 경우 지역주민과 지역을 함께 볼 수 있도

록 해야 한다는 관점이 크게 작용한 관점으로 구체화되고 직접적인 서

비스 욕구를 가진 대상보다는 지역사회 전체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모형임.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경우 3대 기

능 사업으로 역할이 구분되어 있지만, 가장 많은 영역에서 서비스 전

달을 위한 기능을 중심으로 활동되고 있음. 이는 위탁 주체 즉 공공의

서비스 전달 필요성이 그대로 반영된 모습으로 볼 수 있어, 지역사회

복지관의 주도적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임. 하지만 지역사

회 중심의 실천모형에서는 지역사회 주민들이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

지고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일본 니시노미야의 사례에서 이러한 모습은 더욱 명확히 확인되고 있

음. 주민들이 지역사회의 주체가 되었을 때 가장 큰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질적 의미의 지역사회복지 역할인 지역사회조직화

(community organization)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지역중심

실천모형의 주 대상(target)은 크게 지역주민과 지역, 그리고 활동가들

로 구분할 수 있음. 먼저 지역주민을 주체화시킬 수 있도록 지역사회복

- 94 -

지관은 활동해야 할 것임.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지역주민의 역할은 전

문가(사회복지사)들의 계획에 수동적으로 동의하고 참여하는 과정으로

나타나고 있음. 하지만 지역주민들이 지역사회 활동에 있어서 능동적

으로 주체화될 수 있도록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조직화사업이 요

구되는 것임. 기존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화사업의 경우 자원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거나, 조직화사업의 대상은 이미 조직적으로 확보되

어 있는 지역사회 내 주민자치조직을 활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음.

즉 순수한 의미의 지역주민들을 결집시키고 조직화시키는 사업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는 것을 의미함. 이러한 의미는 자연스럽게 두 번째 대상

은 ‘지역’ 그 자체임.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은 3대 기능사업(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주민조직화)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러한 사업은 지역이라

는 특성 혹은 이러한 특성에 기반 한 주민들의 개별적 욕구에 부합한

구분으로 보기 힘든 상황임. 이는 중앙 혹은 광역의 평가기준과도 밀접

하게 관련된 부분으로 볼 수 있으며, 동시에 위탁사업을 주로 실시하고

있는 복지관 운영과도 관련되어 있는 부분임. 즉 개별적인 사업을 수행

하거나, 이를 위한 조직구조 개편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것임.

지역사회복지관은 그 명칭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문제인식, 계획수

립, 자원모집 및 개입, 평가라는 모든 과정에서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

을 수행해야 할 것임. 마지막 대상은 활동가들로 볼 수 있음. 이는 내부

교육 혹은 전문가들이 스스로 가져야 할 모습으로서 당사자성으로 정

의될 수 있음. 오늘날 사회복지사의 가장 대표적인 모습의 하나는 전문

성임. 이러한 전문성이 오랜 기간동안 사회복지사의 미덕처럼 여겨져

온 것이 사실이지만, 지나치게 전문성을 중시하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변화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한 것 역시 사실로 볼 수 있음. 따라서

활동가들은 본인의 전문성과 동시에 당사자들이 가지고 있는 변화가능

성(empowerment)을 인지하고 그들이 지역사회에 나타날 수 있도록,

그들의 욕구에 대해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할 수 있도록, 즉 지역이 모

두 움직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임

- 95 -

: 다음으로 ‘서비스 중심 실천모형’의 경우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이 일부분 수용된 모형으로 볼 수 있음. 지역사회 내 구체적인 욕구를

가진 대상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의미하는 모형임. 따라서 과정으로 볼 때 지역

사회 중심 실천모형으로 넘어가기 위한 과정적 의미의 실천모형으로

볼 수 있음. 다만 서비스 중심의 실천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쉽게 넘

어갈 수 없는 바, 특정영역이나 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 문제

를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할 것을 제안하

고자 함. 즉 서비스 중심의 실천이라 할 지라도, 주민들을 혹은 대상들

을 단순히 서비스 수혜자로 볼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변화의 긍정적 자

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연습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임. 이러한 서비스

중심 실천모형에서 확인될 수 있는 모습은 서비스 연계/조정과 전문가

중심의 지역사회 문제 대응으로 볼 수 있음. 먼저 서비스 연계/조정의

경우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을 연계하고 대상자(지역주민)의 욕구

와 일치시키는 역할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임. 즉 지

역주민과 관련한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기관에 관련한 정보

를 수집하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로의 변화를 의미하

는 것임. 이러한 모습은 전술한 것처럼 갑작스레 지역사회복지에서 제

공하던 서비스를 현실적으로 단절하기 어렵다는 점, 동시에 관련한 서

비스 제공기관이 지역사회에서 많아지고 있다는 상황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것임. 이와 같은 모습을 통해 구체적인 욕구를 가진 지역주민

(대상)은 공공행정 혹은 특정 욕구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관

(ex: 사회서비스기관)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임. 다음으로 전

문가 중심 지역사회 문제 대응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음. 전통적으로

사회복지활동의 가장 대표적인 접근방법은 욕구기반 서비스 제공과

문제기반 서비스 제공으로 알려져 있음. 욕구가 지역주민(대상자) 중

심이라면, 문제는 전문가 중심의 서비스 전달로 볼 수 있음. 본 실천모

형에서 지역주민이 가지고 있는 욕구기반 서비스 제공모형이 지역중

- 96 -

심실천이라면, 지역주민들이 직접적으로 표출하지 못한 문제를 확인

하고 있는 전문가 중심의 문제기반 서비스 제공모형이 바로 서비스 중

심실천의 중요한 내용으로 함께 제안할 수 있을 것임. 지역중심실천과

서비스 중심실천으로 구분된 1차 기관의 실천모형은 관(官)의 기능이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에 역할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노력

은 더욱 중요한 것으로 판단됨

- 2차 기관 실천모형은 기존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중요

한 축이었던 민간과 공공의 매개역할을 제안하기 위한 모형임. 즉 1차 기

관 실천모형이 일반 주민들과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위치였다면, 2차 기

관 실천모형은 주민들의 의견을 위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연계하

는 위치에서 상호간의 이해나 관점 혹은 현실성을 조정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함. 이러한 매개의 역할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중요한 활동으로 알려

져 있으나, 그 방법과 모호한 역할로 인해 실제로 수행되기는 어려운 것

이 사실임. 하지만 다음의 변화 내용에 따라 이러한 2차 기관으로서 지역

사회복지관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먼저 읍면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음. 물론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이전에도 구(區) 단위로 활동되어 오던 것이 사

실임. 하지만 이러한 구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다수의 연구 및

활동에 있어서 그 한계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는

실질적으로 주민들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조직의 특성에 기인함.

하지만 읍면동 단위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강조되는 현재의 변화는

지역사회 내 문제를 개발하고 변화시키기 위해 구체적으로 조직될 수

밖에 없는 특성을 가지게 됨. 기존 구 단위에서 요구하던 지역사회보

장협의체의 중간조직적 특성이 위계적일 수 밖에 없는 조직구조에서

한계를 가졌다면, 읍면동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관리 역시 기존 관

중심의 상의하달식 구조로는 구축 및 유지될 수 없음. 이러한 역할을

- 97 -

주도하기 위한 조직으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임

: 다음으로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체계가 다양해지고 있다

는 사실을 들 수 있음. 공공과 민간비영리로 대변되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바우처사업을 중심으로 한 민간영리 기관들이 등장하고,

동시에 특정대상들(노인·장애인)에 대한 전문적 서비스 제공기관들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민-민간 협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사실임. 새롭게 등장한 사회복지서비스 기관들이 ‘대상’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욕구’에 있는 것에 비해 지역사회복지관은 더욱 거시적인

측면에서 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이러한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그림 Ⅳ-1] 지역사회중심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

- 98 -

▪결국 이러한 구분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을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할 것임. 지역사회

문제와 해결에 있어서 ‘주체화된 주민’의 동의를 통한 ‘지역사회복지관의 권

위(더욱 정확히 이야기하면 주민들의 권위)’는 사회복지자원의 배분에서 공

공이 요구하는 연계효율성과 배분공정성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국 공공의 권한을 다시 지역으로 배분시킬 수 있는 순환과

정을 구축하게 된다는 것임

▪이러한 순환과정은 지역사회를 구조적인 틀로 보았을 때 가능한 부분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세부적인 방안은 지속적으로 모색되어

야 할 것임

- 99 -

Ⅴ. 결론

1.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에 대한 인식정도를 살펴보고, 지역사회복지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구성된 현장연구참여단의 실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복

지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와 그 변화에 대처 가능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새로운 실천모

형을 개발하는데 있음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음

첫째,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분야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복지

관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는 ‘주민조직화’, ‘사례개입’, ‘자원개발 및 관리’ 순

서로 나타났으며, 사업 수행정도는 ‘지역사회보호’, ‘서비스 연계’, ‘사례개입’ 순서로

조사되었음. 이는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사업을 주민조직화, 사례개입, 자원개발 및

관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당장의 사회복지 수요의 시급성, 경로의존적 사업

실행 등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함

한편 이러한 조사내용을 IPA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사례개입’, ‘서비스 연계’, ‘지

역사회보호’, ‘복지네트워크 구축’, ‘주민조직화’, ‘자원개발 및 관리’ 분야는 중요도와

수행정도가 모두 높게 나온 유지관리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나, ‘사례발굴’은 중요도가

높은 반면 수행정도가 낮아 향후 지역사회복지관 기능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개

선해야할 분야로 나타났음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은 제도적 환경 변화와 함께 그동안 세 차례의 기능 전환이

시도되었음. 이는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지역사회복지관이 차별적 정체성을 확립하

기 위한 노력으로 결국 사업 편제는 내용성 측면에서 핵심적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라 할 수 있음.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이 고유 기능을 수립하여 지역 복지 공급 체계

의 허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 3대 기능 중심의 사업에 대한 조정은 불가피

한 사항임. 이러한 측면에서 조사결과가 보여주듯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우선순위

는 주민조직화’, ‘사례개입’, ‘자원개발 및 관리’ 가 되어야 함. 특히 지역사회복지관

기능 전환의 해답을 주민조직화에서 찾아야 함. 다시 말해 지역사회복지관은 장기적

으로 직접 서비스 제공기능을 대폭 축소하고, 실질적인 지역사회조직과 사례관리 기

- 100 -

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재편(함세남, 2012)하는 것이 타당함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 연계 실태를 보면 지역사회 내 관련기관들

과 전반적으로 활발한 연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연계기관으로서 지역사회

복지관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기관은 동주민센터, 구청, 봉사단체, 지역 사회 단체

순이었으며 장애인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연계 수행 빈도

가 가장 높은 기관 역시 동주민센터, 구청, 봉사단체 순으로 나타나 연계 수행정도는

중요도와 거의 일치하였음

지역복지 연계는 지역사회복지 센터로서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시켜

야 하는 지역사회복지관의 효율적 기능 정립 방안일 뿐만 아니라 인력과 재원의 제

한으로 외부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이유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짐

지역사회복지관 실무자들은 조사결과가 우선적으로 보여주는 공공과의 연계를 통

한 행·재정적 지원과 지역 단체를 통한 자원 발굴뿐만 아니라 타 복지제공기관, 지역

내 의료기관, 학교 등 지역사회 내에서 가용한 모든 자원들을 횡적으로 연결하는 인

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이러한 조사내용을 IPA로 분석하면, ‘구청’, ‘동 주민센터’,‘지역사회 단체’, ‘지역

내 학교‘, ‘봉사단체’는 중요도와 수행정도가 모두 높게 나온 유지관리 영역으로 분류

되었으나, ‘마을공동체, 풀뿌리․시민 단체’는 중요도가 높은 반면 수행정도가 낮아 향

후 지역사회복지관이 중점적으로 지역사회복지 연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할 기관

으로 나타났음.

우리의 지역사회복지실천 현실을 고려하면 지역사회 내 마을 공동체, 풀뿌리 ‧ 시민단체의 활동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 실천이 전개되고 있으며 이들을 통해 주

민 역량이 결집되어 지역사회변화로 이어진 성공사례가 많았음. 따라서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공동체와의 전략적 연대성 강화가 지역사회복지 질

적 수준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됨

셋째, 지역사회복지관과 공공행정의 지역사회복지 상호 역할분담 체계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초기 상담,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권한 옹호, 지역사회계획·정책수립, 지역사회 개발, 사회운동·행동 역

할은 상호공동업무가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서비스 대상자 사정, 전문 상담, 서

비스 제공,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운영,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주민 조직화

- 101 -

역할은 지역사회복지관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지역사회복지관과 공공의 지역사회복지 역할체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공공에

서 2012년 희망복지지원단이 설치되어 통합사례관리가 실시되면서 부터임. 1990년

대 민간 실천현장에서 도입되어 지역사회복지관의 주요 3대 기능의 하나로 진행중인

사례관리에 관한 민‧관의 역할을 두고 그동안은 복지관이 직접서비스 제공, 공공은

사례발굴과 예산 등의 지원업무로 정리되는 듯 보였음. 그러나 최근 서울시의 찾아가

는 동주민센터는 지역거점으로 혁신하기 위한 사업으로 마을공동체 조성을 목적으로

삼고 있어 지역사회복지관은 공공과의 기능과 역할 중첩의 도전을 심각하게 받고 있

음. 따라서 조사결과와 같이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복지 수행적합도가 높은 분

야에 대한 차별적 기능 수행과 아울러 공공과 상호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함. 즉 지역

사회복지 실천 역할은 공공의 책임성과 민간의 전문성이 상호 융합되어 대상자의 욕

구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변화를 꾀하는 방향으로 연계

되어야 할 것임

일본 지역복지 전문가면담 결과로 지역사회복지 제공에 있어 지역사회복지관이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천현장을 중심으로 정책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며, 지역사회 전체를 사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수행이 요구됨. 이를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 실천의 원천은 ‘주민’임을 인식하고 주민과의 협력과 실천

이 필요함을 확인함

현장연구참여단을 중심으로 한 실행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음

우선 사회복지환경의 급속한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

복지관만의 고유한 업무가 무엇이어야 하는가 하는 정체성 문제에 직면하는 데서 출

발해야 한다는 인식의 공유가 있었음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새로운 역할은 지역사회 내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중심센

터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지역 내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조정

하고 다음으로 지역사회 내 복지거버넌스를 구축하는 역할이 강조되었음

셋째, 지역사회복지관이 본연의 역할을 찾고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핵심 역할

로 주민을 주체로 한 주민조직화 사업이 제안되었음

넷째, 새로운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지향점으로 서비스 대상측면에서는 지

역주민을 상황 측면에서는 선택적 서비스 대상의 경우 위기·긴급하지만 일시적인 문

- 102 -

제를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보편적 서비스 대상에서는 항시적인 문제로서 지

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들과의 연계노력을 제안하였음

마지막으로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의 적용을 위해 민과 관이 상호보완적 관계

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임

2. 정책 제언

지역사회복지관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를 단순히 최근에 강조되거나 알려진 내용

으로 볼 수는 없음. 사회복지 영역이 사회의 한 부분이라는 점에서 오늘날 사회의 변

화를 짐작해보면 사회복지환경의 변화 역시 항상적인 것으로 느껴질 만큼 오래된 것

을 볼 수 있기 때문임. 하지만 오랜 기간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요한 주체의 하나로 역할을 수행해왔던 지역사회복지관을 둘러싼 최근의 변화가

이전의 내용과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기존 서비스 제공주체 간 묵시적으로 구분되어

있던 서로의 역할에 대한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으로 판단됨.

먼저 직접적 서비스 제공에서 한발 물러선 모습을 보이던 공공의 변화를 들 수 있음.

지역사회 내에서 공공이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모습은 ‘통합사례관리’라는

모습으로 희망복지지원단에서부터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내용임. 특히 최근의

읍면동을 중심으로 한 전달체계개편과 관련한 논의는 공공행정 영역의 변화를 확실

히 파악할 수 있는 내용으로 볼 수 있는데, 공공의 직접 서비스 개입에 대한 판단(긍

정/부정)은 차치하더라도 기존 민간 특히 지역사회복지관의 주 역할인 직접서비스에

대해 공공의 개입이 시도되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임. 동시에 특정 대상

이나 특정 욕구에 대응한 전문성을 부각시키며 기존 서비스와의 차별성을 제안하는

기관들이 지역에 나타나고 있음. 노인과 장애인에 특화된 단종복지관을 특정 대상에

대응한 전문서비스 기관의 등장으로 볼 수 있다면, 상담과 돌봄, 양육 등에 특화된

사회서비스 기관은 특정 욕구에 대응한 전문서비스 기관의 등장으로 볼 수 있을 것

임. 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욕구에 비해 관련한 자원이 부족한 현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이와 같은 변화를 무조건적으로 나쁘게 볼 수는 없을 것임. 다만 변화 속에서

전술한 기관들의 역할이 분명해지는 것에 비해 이러한 서비스를 가장 포괄적으로 제

공하고 있던 주체, 즉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은 오히려 불분명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 103 -

있음. 이와 같은 상황에서 수동적인 지역사회복지관의 태도는 결국 지역사회복지관

의 위기를 항상적으로 존재하게 될 확률이 높을 것임. 따라서 최근의 변화를 기존의

변화와 동일한 것으로 해석하고 ‘언젠가’ 조정될 지역사회복지관의 모습을 기다리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지역사회 내 다양

한 조직 및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실천모형을 제안하였음. 먼저 지역사회 내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1차 기관실천 모형을

다시 지역중심 실천과 서비스 중심 실천모형을 구분하여 제안하였음. 다음은 지역사

회 내 민간과 다른 중요한 축인 공공과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2차

기관 실천모형을 제안하였음. 이러한 실천모형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제도적 방안

은 다음과 같음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변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임. 지역사회복지관에 요구되는 역할이 많은 것만큼 관련한 지원 역시

포괄적인 내용으로 제안될 수 있으나, 과정적 측면으로 이해해볼 때 가장 우선되어야

할 사항은 바로 인력 충원과 관련한 지원으로 볼 수 있음. 특히 지역과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지역중심 실천모형의 경우 대면적 활동을 통해 그들의 관계를 높

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방문하는 이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현재 인력구조보다는 더 많

은 인력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할 것임. 이를 위한 직무분석이 본 연구의 목적과 일

치하지 않은 바, 이에 대한 객관적 수치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다만 2010년

부산복지개발원에서 수행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직무분석 연구」를 확인해보면

종사자 10명을 기준으로 2명분의 초과근무가 수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같은

해 서울시복지재단의 「지역사회복지관 기능정립 연구」의 경우 가형 종합지역사회

복지관의 경우 적정 요구인원이 19.8명임에도 보조금 지원은 12.9명으로 확인되고

있었음. 같은 연구 중 표준인력배치기준에 관한 자료를 확인해보면 최소 17명에서

최대 29명, 표준인력 24명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밝히고 있음. 이와 같은 내용은 기존

지역사회복지관의 인력현황 역시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적절하지 못한 지원을 받

고 있음을 의미하는 내용이며, 기존 사업의 유지가 아니라 변화에 있어서는 더 많은

- 104 -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인력충원이 필수적임

둘째, 지역사회복지관 평가제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며, 이러한 기준으로 지역사

회(부산)에 적합한 기준을 수립해야 할 것임. 전술한 내용처럼 현재 지역사회복지관

의 3대 기능사업은 지역과 지역주민의 욕구나 문제에 기반하여 개별적이고 특성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지역사회복지관의 모습을 지나치게 한정시키는 역할을

만들고 있음. 지역사회복지관은 지방정부(위탁기관)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과 동시에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서비스(프로그램)를 개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 평가제도는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음. 이미 서울의 경우

독자적인 시설평가 기준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독자적인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였음.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

의 핵심은 ‘모든 과정에서 주민들을 지역사회복지의 주체로 만들고자 하는 것’임. 즉

새로운(정확하게 표현하면 본질적 의미로 돌아가는) 지역사회(주민)조직화 사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하지만 2012년 부산복지개발원에서 수행한 「부산 지

역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운영모델 연구」에서 밝힌 것처럼 조직화 사업은 구체적인

성과를 확인하기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이 사실임. 특히 관련한 활동 경험이 없는

주민들을 직접 조직해야 하는 본 모형의 특성상 이를 위한 지원 역시 안정적으로 지

속되어야 하지만, 현재의 평가모형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변화와 이를 위한 지원을

유지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이를 위한 평가기준에 대한

고려가 시급히 요구된다고 볼 수 있음

셋째, 지역사회복지관의 변화모형을 개별적인 것으로 이해하지 말고, 최근의 사회

복지환경 변화와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임. 가장 대표적으로 공공의 변화, 읍면동 복지

허브화 사업과 관련한 논의가 필수적임. 전술한 내용처럼 오늘날 사회복지환경 변화

의 핵심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구조적 개편임. 따라서 지역사회 내 다양한 사회

복지서비스 주체들이 이러한 변화에 개별적으로 이해해서는 효율성과 동시에 효과성

역시 담보할 수 없을 것임. 마치 제로섬(zero-sum)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낼 수 밖에

없기 때문임. 특히 최근 읍면동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복지기능 강화사업(부산:다복동

사업)의 논의를 확인해보면 현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 일방향적인 변화가 강조되

고 있는 모습을 보임. 사업이 본격적으로 수행되기 전 시범사업이라는 점, 그리고 부

산의 경우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민과 관의 협업에 관한 논의가 비교적 활발히 이루

- 105 -

어지고 있다 하더라도, 논의 이상의 결과를 확보해야 할 것임. 일본의 히라노

(hirano) 교수는 이를 위해 공공은 자원중심의 조직화, 민간은 주민중심의 조직화를

제안하고 있음. 하지만 자원과 서비스 대상(주민)은 기본적으로 결합될 수 밖에 없다

는 점에서 이 구분은 이론적인 인식은 가능하겠으나, 현실적 적용에서는 많은 어려움

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됨. 따라서 본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모형에 대한 논의

의 폭을 넓혀 공공의 역할이 함께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요구됨

넷째, 지역사회복지관 실천모형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 내부(직원의 전문성 확보,

프로그램 조정·변화 등) 변화를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실천모형의 핵심은 전술한 내용처럼 주민들과 직접 소통하고 관계하면서 지역사회복

지관의 역할을 변화시키는 것임. 하지만 현재 지역사회복지관 실무자들의 경우 지역

사회복지관이라는 소속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대한 이해나 조직화에 대한 경험보다는

미시적 서비스(프로그램)개발과 제공에 많은 초점을 가지고 있던 것이 사실임. 즉 변

화를 위한 경험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임. 휴먼서비스의 특성상 전문가

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큰 효과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이를 위한 지역사회복지관

내·외부적인 노력이 요구됨.

다섯째, 기존 행정에 요구되던 주민참여를 지역사회복지관에서도 본격적으로 고

민해야 할 것임. 기존 행정이 가지고 있는 폐쇄성에 대한 반향으로 오랜 기간 주민들

의 직접적인 참여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음. 하지만 지역사회복지관의 경우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쉽게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이러한 주민참여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가 많음. 하지만 지역사회복지관 역시 전문가 중심의 서비스

계획과 전달이 우선되어 실질적으로 주민들이 직접 조직하고 시행하는 주체화된 경

험을 가진 경험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전반에 걸

친 과정에서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임

모형(model)은 이론의 실체화로 볼 수 있음. 즉 이론이 가지고 있는 추상적인 결

과를 실체화시킬 수 있는 작업이 바로 실천모형이라는 것임. 이러한 의미에서 지역사

회복지관의 실천모형을 제안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지역사회복지관이라는 명칭

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역’과 ‘지역주민’에 대한 관심을 높이자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 본질로 다시 돌아가기 위한 본 연구의 제언이 아무쪼록 지역사회 내 더 많은

- 106 -

논의와 지원을 만들어 ‘지역사회’복지관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길 기대하고자 함

- 107 -

[참고문헌]

감정기 · 백종만 · 김찬우, 2005, 「지역사회복지론」, 나남.

강철희 · 정무성, 2006, 「지역사회복지 실천론」, 나남.

권태준 · 김광웅, 1981 「한국의 지역사회개발」, 서울법문사.

김만두, 1981, 「지역사회복지관의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지역사

회복지 관 관리자 지침서, 서울; 국립 사회 복지 연수원.

김영모, 1993, 「지역사회복지와 주민참여」,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사회복지협의

회, 1993, pp, 103-112

김영종, 2015, 「한국 사회복지관의 제도적 정체성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

복지행정학회, 17(3).

김용득, 2014, 「지역사회 사례관리체계에서 공공과 민간의 역할, 이대로 괜찮은

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1-65.

김윤재 · 금유현, 2013,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전환에 따른 정체성 확립방안 연

구」, 한국벤처창업학회, 벤처창업연구 8(1).

김진석 · 유동철, 2013, 「서울시 마을지향복지관 역할강화 방안 연구」, 서울시복지

재단.

김형용, 2013, 「지역사회기반 서비스와 사회복지관: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 찾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169-195.

남기철, 2015, 「지역사회복지관점에서의 서울시 동주민센터 개편사업 분석」, 한

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5.

민소영, 2014, 「우리나라 사례관리 체계 고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5-26.

보건복지부, 2016 「사회복지관 운영관련업무처리안내」, 보건복지부.

성갑식, 1981, 「그리스도교대사전」, 서울기독교서회.

오정수 · 류진석, 2012,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유동철, 2011, 「지역사회복지관을 어떻게 할 것인가」, 복지동향, 2011 (1):

4-8.

이배근 · 배순호, 1986, 「한국어린이재단 사회복지관 모델개발」, 한국어린이재단.

- 108 -

이한경, 2015, 「지역복지 전달체계 개편과 사회복지관」,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토론문, 2015(10).

임관택, 2001,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교회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단국대학교행정 법무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임효연 · 이사라, 2013, 「가족복지실천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

터의 기능 및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75-95.

정무성, 1997,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지역사회복지실현을

위한 이론과 실천적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정무성, 2010, 「사회복지관 기능정립 연구사업 공청회 발간자료집」, 한국지역사

회복지관협회.

조추용 · 김양이 · 황미경, 2015, ⌜지역사회복지론⌟, 경기: 양서원.

조휘일, 1995,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봉사활동」, 지역사회복지운동, 창간호,

1995, pp. 34-45.

초의수, 2007,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와 네트워크 영향요인에 대한 연

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1(4).

최일섭, 1996, 「거시적사회사업 개입을 위한 지역사회분석틀」, 연세사회복지연

구, 1996.

최일섭 · 류진석, 1996,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최일섭 · 이현주, 2009,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출판사

한동우, 2013, 「지역기반의 복지공급체계: 사회복지기관의 역할과 네트워크」, 한

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함세남, 2012, 「지역사회복지계획에 있어서 공사협력의 과제와 전망」, 강남종합

사회복지관, 20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

황성철 · 강혜규, 1994,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

원.

황성철, 1997, 「지역사회복지와 전문적 사회복지 실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

술대회 자료집, 1997(3), 4-2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 109 -

법제처 (http://www.moleg.go.kr/)

한국사회복지관협회 (http://www.kaswc.or.kr/)

Rubin, A., and Babbie, R., 김기덕 등역, 2016, 「사회복지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센게이지러닝.

Cohen, B. J., 1980, Coordination strategies in complex service delivery system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4(3), 83-87.

Dillick, S., 1959, The Function of Neighborhood Organization, in E. B. Harper

and A. Dunham (eds). Community Organization in Action: Basic

Literature and Critical Comments, New York; Association Press.

Garvin, C. D., and Tropman, J. E. Social Work in Contemporary Society,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92, pp. 152-153.

Hardcastle, D. A, Wenocur, S.,and Powers. P. R., 1997, Community practice:

Theorie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e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Hardina, D., 2002, Analytical skills for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Netting, E., and Kettner, P., and McMurtry, S., 1997, Social work macro

practice. New York: Longman.

Park, R. E., and E.W. Burgess, 1921,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Soci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arren, R. l., 1978, The Community in America (3dr ed.). Chicago: Rand

Mcnally.

Weil, M., 1996, Model development in community practice: An histor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mmunity practice, 3(3/4), 5-67.

Whyte, W. F., and Greenwood, D. J., and Lazes. P., 1991,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AGE Publications.

- 110 -

[부 록]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안 내 문]

※ 안녕하십니까? 사회복지발전을 위해 수고하시는 선생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부산시 출연 연구기관인 부산복지개발원에서는 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실천모

형 개발』에 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은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개발에 있어서 선생님께서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 입니다.

※ 참고로 응답내용은 통계법 제33조에 의거 비밀이 보장되어 통계자료로만 이용됨을 약속드립니다.

2016년 8월(재)부산복지개발원 원장: 초 의 수

담당 : 부산복지개발원 부연구위원

귀하께서 근무하고 있는 복지관명을 기재해 주세요

지역사회복지관명

Ⅰ. 지역사회복지관 일반유형

1-1. 지역사회복지관 유형은 무엇입니까?

① 가형 ② 나형 ③ 다형

1-2. 지역사회복지관 설립형태는 어떠합니까?

① 재단설립형(대지구입비와 건축비 재단 부담)

- 111 -

② 기부체납형(재단소유대지에 건축비 정부지원)

③ 위탁형(정부의 대지구입 건축비지원 또는 공공건물 위탁)

④ 임대형(민간단체 또는 개인 건물임대)

⑤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3.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주체는 무엇입니까?

① 지방자치단체 직영 ② 사회복지법인

③ 학교법인 ④ 사단법인

⑤ 재단법인 ⑥ 시설관리공단

⑦ 의료법인 ⑧ 기타(________)

1-4. 귀 복지관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은 어떠합니까?

① 저소득층 밀집지역(영구임대아파트 제외) ②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③ 저소득/중산층 혼합지역 ④ 공단주변지역

⑤ 도농복합 지역 ⑥ 중산층 지역

⑦ 기타(_________)

Ⅱ. 사업 및 실천기술 수행정도와 중요도

☞ 다음의 사업 기능 중 귀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로 수행하고 있는 분야와 중요하다고 생

각하는 분야에 대해 응답해(√) 주십시오.

기 능 사 업 분 야

수행정도 중요도

전혀 안함

매우 자주한다

전혀 중요 하지 않다

매우중요하다

사례관리

기능

1-1. 사례발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2. 사례개입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3. 서비스 연계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서비스 2-1. 가족기능강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 112 -

Ⅲ. 지역사회복지 연계 활성화 정도 및 중요도

☞ 귀 사회복지관과 다음 기관과의 지역사회복지 연계 활성화 정도와 중요도에 대해 각

각 응답해 (√) 주십시오.

번 기 관 유 형

수행정도 중요도

전혀활성화안됨

매우활성화

전혀 중요 안함

매우중요

1 구청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2 동 주민센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3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4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5 노인복지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6 장애인복지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7 타 복지제공기관(정신건강증진센터

등)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8 부녀회, 적십자사 등 지역사회 단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9 마을공동체, 풀뿌리 ․ 시민 단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0 지역 내 의료기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1 지역 내 학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2 지역 내 종교단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3 봉사단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제공 기능

2-2. 지역사회보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2-3. 교육문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2-4. 자활지원 등 기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지역조직화

기능

3-1. 복지네트워크 구축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3-2. 주민조직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3-3. 자원개발 및 관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 113 -

Ⅳ. 지역사회복지 역할 수행 적합도

☞ 지금까지 공공영역을 대신해 왔던 사회복지관은 최근 정부의 동 복지 기능 강화로 일

부 기능이 공공과 중첩되거나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해 아래의 역할을 어디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하

시는지 응답해(√) 주십시오.

번 역 할동 주민센터 상호

공동 업무

지역사회복지관 어느 쪽이든

상관없음매우

적합적합

한편적합

한편매우

적합

1 서비스 대상자 사례 발굴 ① ② ③ ④ ⑤ ⑨

2 초기 상담 ① ② ③ ④ ⑤ ⑨

3 서비스 대상자 사정 ① ② ③ ④ ⑤ ⑨

4 전문 상담 ① ② ③ ④ ⑤ ⑨

5 서비스 제공 ① ② ③ ④ ⑤ ⑨

6 사례관리 ① ② ③ ④ ⑤ ⑨

7 네트워크 및 서비스 조정․통합 ① ② ③ ④ ⑤ ⑨

8 프로그램 개발 ․ 운영 ① ② ③ ④ ⑤ ⑨

9 지역사회 진단 및 사정 ① ② ③ ④ ⑤ ⑨

10 권한 옹호 ① ② ③ ④ ⑤ ⑨

11 지역사회 공동체 역량강화 ① ② ③ ④ ⑤ ⑨

12 주민 조직화 ① ② ③ ④ ⑤ ⑨

13 지역사회계획 ․ 정책수립 ① ② ③ ④ ⑤ ⑨

14 지역사회 개발 ① ② ③ ④ ⑤ ⑨

15 사회운동 ․ 행동 ① ② ③ ④ ⑤ ⑨

Ⅴ. 응답자 일반특성

성 별 ① 남 ② 여 연 령 만 ( )세 학 력 ① 고졸 ② 대졸 ③ 대학원졸 이상

전 공 ① 사회복지학 ② 사회복지학 외 다른 전공 자격증 사회복지사( ) 급

현직위① 관장 ② 부장 또는 과장 ③ 팀장 또는 선임사회복지사 ④ 사회복지사 ⑤ 기타 ( )

사회복지업무 종사 기간

총( )년( )개월 현 기관 종사기 간

총( )년( )개월

- 114 -

- 바쁘신 중에 끝까지 성의 있게 응답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