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52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 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 1 문화층과 단구 제 3 문화층. 욕지도(欲知島)유적지 등의 세석기 제작 6000 년 ; 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Ⅰ류 제작사용. 부산 동삼동유적 하층 형성. 5000 년 ; 서울 암사동유적 형성. 4000 년 ;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하층의 제 1 기 및 제 2 기 문화층, 온천 궁산리유적 하층 문화 등 형성. 3500 년 ; 중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Ⅱ류.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 3˙4˙5 기 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 1˙2 문화층 등 형성. 부산 동삼동유적 4 층 두도기 형성. 3000 년 ;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 6 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 3 문화층, 회령 오동유적 제 1˙2 문화층 등 형성.2333 년 단군왕검(檀君王儉) 고조선 건국. 2000 년 ; 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Ⅲ류. 회령 오동유적 제 3˙4 문화층 등 형성. 만주지역에서 부분적으로 청동기문화 시작. 1400 년 ; 부산 동삼동유적 5 층 영도기 형성. 1300 년 ; 부산 금곡동조개더미유적, 김해 수가리조개더미 제 3 기 유적 등 형성. 1200 년 ; 동이(東夷)가 은(殷)의 회하(淮河)˙태산(泰山) 일대 진출. 1122 년 ; 은의 기자(箕子)가 조선에 들어옴. 8 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 년 ; 민무늬토기인이 한반도 각지에 이주하여 농경문화를 이룩. 전기 청동기문화 형성. 850 년 ; 은령 남산근유적 형성. 800 년 ; 고조선의 수도를 왕검성에 정함. 이후 송화강(松花江) 유역에 부여(扶餘), 한반도 중남부에 진국(辰國) 성립. 봉산 신흥동주거지유적˙여주 흔암리주거지유적 형성.

Transcript of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Page 1: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 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 1 문화층과 단구 제 3 문화층.

욕지도(欲知島)유적지 등의 세석기 제작

6000 년 ; 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Ⅰ류 제작사용. 부산 동삼동유적 하층 형성.

5000 년 ; 서울 암사동유적 형성.

4000 년 ;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하층의 제 1기 및 제 2기 문화층, 온천 궁산리유적

하층 문화 등 형성.

3500 년 ; 중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Ⅱ류.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 3˙4˙5 기

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 1˙2 문화층 등 형성. 부산 동삼동유적 4 층 두도기 형성.

3000 년 ;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 6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 3문화층, 회령

오동유적 제 1˙2 문화층 등 형성.2333 년 단군왕검(檀君王儉) 고조선 건국.

2000 년 ; 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Ⅲ류. 회령 오동유적 제 3˙4 문화층 등 형성.

만주지역에서 부분적으로 청동기문화 시작.

1400 년 ; 부산 동삼동유적 5 층 영도기 형성.

1300 년 ; 부산 금곡동조개더미유적, 김해 수가리조개더미 제 3기 유적 등 형성.

1200 년 ; 동이(東夷)가 은(殷)의 회하(淮河)˙태산(泰山) 일대 진출.

1122 년 ; 은의 기자(箕子)가 조선에 들어옴. 8 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 년 ; 민무늬토기인이 한반도 각지에 이주하여 농경문화를 이룩. 전기 청동기문화 형성.

850 년 ; 은령 남산근유적 형성.

800 년 ; 고조선의 수도를 왕검성에 정함. 이후 송화강(松花江) 유역에 부여(扶餘), 한반도

중남부에 진국(辰國) 성립. 봉산 신흥동주거지유적˙여주 흔암리주거지유적 형성.

Page 2: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700 년 ; 논산 신기리고인돌유적, 단양 안동리석관묘유적, 부여 송국리선사취락지유적, 제천

양평리유적(청동기주거지) 등 형성.철기문화 시작.

600 년 ; 요령 정가와자유적, 파주 덕은리주거지유적, 회령 오동유적 등 형성.

500 년 ; 요령 윤가촌유적 하층 1 기문화 형성. 강계 풍룡동분묘유적, 고흥

운대리지석묘유적, 광주 송암동주거지유적, 남제주 삼모리조개더미유적, 밀양

월산리고분군유적 등 형성.

450 년 ; 송화강 상류 일대에 부여(扶餘) 성립.

403 년 ; 진국(辰國) 성립.

400 년 ; 철기문화 들어옴. 진국의 이주민이 서부 일본에 진출.

350 년 ; 신평 선암리유적, 진양 대평리유적 형성.

310 년 ; 승주 오봉리고인돌유적, 제주 오라동지석묘 등 형성.

300 년 ;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삼음.

대동강 유역에 철기문화 널리 시작. 한문자(漢文字) 전래. 원 3 국시대 시작.

221 년 ; 진(秦)의 중국통일로 회하(淮河) 방면에서 동이(東夷)의 활동이 중단.

조선후(朝鮮侯) 조선 왕을 칭함. 연(燕)의 진개(秦開)가 조선의 서방을 침공하여 2,000 여

리를 강점.

214 년 ; 조선왕 부(否) 즉위. 진의 장성공사가 요동에 이름.

209 년 ; 조선의 준왕(準王)에게 연(燕)˙제(齊)의 수만 호(戶)가 피난옴.

203 년 ; 맥족(貊族)의 기병이 한(漢)을 도와 초(楚)를 공격.

202 년 ; 기자조선이 패수(浿水)를 한과의 경계로 삼음.

200 년 ; 해모수(解慕漱)설화˙금와(金蛙)설화 성립.

195 년 ; 기자조선에 요동의 위만(衛滿)이 망명해 옴. 준왕(準王)이 박사(博士)를 삼고

서계(西界)를 지키게 함.

Page 3: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94 년 ; 위만이 왕검성을 공략, 위만조선을 건국. 기자조선의 준왕이 남하하여

한왕(韓王)이 됨.

190 년 ; 위만왕이 진번(眞番)˙임둔(臨屯)을 복속시킴.

175 년 ; 함흥 이화동유적의 토광묘˙동검(銅劍)˙철기의 문화 형성.

149 년 ; 서홍 문무리유적의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관계형성.

128 년 ; 예군(濊君) 남려(南閭)가 호구(戶口) 28 만을 데리고 한(漢)의 요동군에 귀부(歸附).

그 땅에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126 년 ; 창해군 폐지.

125 년 ; 황주 금석리유적의 동기(銅器)˙철기˙목곽묘 문화의 형성.

108 년 ; 위씨조선(衛氏朝鮮) 멸망. 한(漢)의 고조(高祖) 조선을 침공, 위만의 고조선을

멸하고 낙랑(樂浪)˙임둔(臨屯)˙진번(眞番)˙현토(玄唾)의 4 개군을 설치.

107 년 ; 금속문화 전래.

99 년 ; 와질토기 제작 시작.

82 년 ; 고구려족이 임둔˙진번군을 축출. 한이 낙랑군에 동부도위(東部都尉)˙남부도위를 설치.

75 년 ; 고구려족이 현토군을 공격하여 서북쪽으로 축출.

69 년 ; 신라에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

59 년 ; 해모수(解慕漱)가 북부여(北夫餘)를 건국.

58 년 ; 동부여(東夫餘)에서 주몽(朱蒙) 탄생.

57 년 ;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왕호를 거서간, 국호를 서나벌(徐那伐)이라 칭함.

50 년 ; 신라, 왜구(倭寇)를 격퇴.

37 년 ; 주몽이 고구려 건국(~후 608). 신라, 경성(京城)을 쌓고 금성(金城)이라 칭함.

28 년 ; 고구려, 부위염(扶尉..)˙북옥저를 병합.

Page 4: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27 년 ; 신라, 천일창(天日槍)이 왜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19 년 ; 고구려, 동명성왕 죽고(BC 58~), 유리왕(琉璃王) 즉위. 신라, 석탈해(昔脫解) 탄생.

18 년 ; 온조(溫祚)가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백제국(百濟國) 건국(~후 660).

5 년 ;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삼국시대, 통일신라 시대

3년 ; 고구려, 졸본(卒本)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4 년 ; 신라, 혁거세거서간 죽고(BC 69~),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즉위.

8 년 ; 백제, 마한(馬韓)을 멸하고 병합.

14 년 ; 고구려, 양맥(梁貊)을 멸하고, 한(漢)의 고구려현을 공격. 신라, 병선 100 여

척으로 왜구 격퇴.

15 년 ; 백제, 봄~여름에 대기근 발생.

18 년 ; 백제, 탕정성(湯井城)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을 축조. 고구려, 유리왕 죽고(?~),

대무신왕(大武神王) 즉위.</A>

22 년 ; 고구려, 부여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을 죽임. 부여, 대소왕의 동생을 옹립하여

갈사국(曷思國)을 건국.

24 년 ; 신라, 남해차차웅 죽고(?~), 유리이사금(瑠璃尼師今) 즉위.

26 년 ; 고구려, 개마국(蓋馬國)을 멸함.

27 년 ; 고구려, 낙랑을 멸함.

28 년 ; 백제, 온조왕 죽고(?~), 다루왕(多婁王) 즉위.

37 년 ; 백제, 후한의 낙랑군을 멸함.

42 년 ; 변진구야(弁辰狗耶)의 9 간(九干)이 수로(首露)를 추대하여 금관가야(金官伽倻)를

건국. 신라, 이서국(伊西國)을 병합.

44 년 ; 고구려, 대무신왕 죽고(4~), 민중왕(閔中王) 즉위(?~48).

Page 5: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48 년 ; 고구려, 민중왕 죽고(?~), 모본왕(慕本王) 즉위(?~53).

49 년 ; 부여, 왕호(王號)를 사용, 후한과 수교.

53 년 ; 고구려, 모본왕이 살해되고(?~), 태조왕(太祖王)이 즉위(~145).

57 년 ; 신라, 유리이사금 죽고(?~), 탈해이사금 즉위.

65 년 ; 신라,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개칭. 신라, 김알지(金閼智) 탄생.

77 년 ; 신라, 가야와 싸워 대승. 백제, 다루왕 죽고(?~), 기루왕(己婁王) 즉위(?~128).

80 년 ; 신라, 우시산국(于尸山國) 거칠산국(居漆山國)을 멸함.

105 년 ; 고구려, 한의 요동 6 현을 공략하였다가 패퇴.

108 년 ; 신라, 비지국(比只國) 초인국(草人國) 다벌국(多伐國)을 병합.

111 년 ; 고구려, 예맥과 함께 현도를 공격.

112 년 ; 신라, 파사이사금 죽고(?~),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 즉위(?~134).

128 년 ; 백제, 기루왕 죽고(?~), 개루왕(蓋婁王) 즉위(?~165).

132 년 ; 백제,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축성.

134 년 ; 신라, 지마이사금 죽고(?~),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즉위(~154).

146 년 ; 고구려, 태조왕이 아우 차대왕(次大王)에게 선위(禪位).

154 년 ; 신라, 일성이사금 죽고(?~),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즉위(~184).

166 년 ; 백제, 개루왕 죽고(?~), 초고왕(肖古王) 즉위(~214).

179 년 ; 고구려, 신대왕 죽고(?~), 고국천왕(故國川王) 즉위(~197).

184 년 ; 신라, 아달라이사금 죽고(?~),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 즉위(~196).

194 년 ; 고구려, 진대법(賑貸法) 실시.

196 년 ; 신라, 벌휴이사금 죽고(?~),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 즉위(~230).

197 년 ; 고구려, 고국천왕 죽고(?~), 산상왕(山上王) 즉위(~227).

199 년 ; 가야, 수로왕 죽고(42~), 거등왕(居登王) 즉위(~253).

209 년 ;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Page 6: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214 년 ; 백제, 초고왕 죽고(?~), 구수왕(仇首王) 즉위(~234).

227 년 ; 고구려, 산상왕 죽고(?~), 동천왕(東川王) 즉위(~234).

230 년 ; 신라, 내해이사금 죽고(?~),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즉위(~247)

234 년 ; 백제, 구수왕 죽고(?~), 사반왕(沙伴王)이 즉위하였다가 폐위되고

고이왕(古爾王)이 즉위(~286).

244 년 ; 고구려, 위(魏)의 관구검이 침공.

247 년 ; 신라, 조분이사금 죽고(?~),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 즉위(~262).

248 년 ; 고구려, 동천왕 죽고(209~), 중천왕 즉위(~270).

261 년 ; 신라, 첨해이사금 죽고(?~),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즉위(~284).

270 년 ; 고구려, 중천왕 죽고(224~), 서천왕(西川王) 즉위(~292).

284 년 ; 신라, 미추이사금 죽고(?~),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즉위(~298).

286 년 ; 백제, 고이왕 죽고(?~), 책계왕(責稽王) 즉위(~298).

292 년 ; 고구려, 서천왕 죽고(?~), 봉상왕(烽上王) 즉위(~300).

298 년 ; 백제, 책계왕 죽고(?~), 분서왕(汾西王) 즉위(~304). 신라, 유례이사금 죽고(?~),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즉위.

300 년 ; 고구려, 봉상왕을 폐하고 미천왕(美川王)을 세움. 봉상왕 자살(?~).

307 년 ; 신라, 국호를 계림에서 신라로 고침.

310 년 ; 신라, 기림이사금 죽고(?~),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 즉위(~356).

331 년 ; 고구려, 미천왕 죽고(?~), 고국원왕(故國原王) 즉위(~371).

342 년 ; 고구려, 전연(前燕)의 모용황이 침공, 환도성 함락.

344 년 ; 백제 비류왕 죽고(?~), 계왕(契王) 즉위(~346).

346 년 ; 백제, 계왕 죽고(?~), 근초고왕(近肖古王) 즉위(~375).

356 년 ; 신라, 흘해이사금 죽고(?~), 내물마립간(柰勿麻立干) 즉위(~402).

371 년 ; 고구려, 백제군과 싸워 근초고왕 전사(?~), 소수림왕(小獸林王) 즉위(~384).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Page 7: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375 년 ; 고구려, 불교를 공인(公認). 백제, 근초고왕 죽고(?~).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384).

384 년 ; 백제, 근구수왕 죽고(?~), 침류왕(枕流王) 즉위(~385).

385 년 ; 백제, 침류왕 죽고(?~), 진사왕(辰斯王) 즉위(~392).

391 년 ; 고구려, 고국양왕 죽고(?~), 광개토왕(廣開土王) 즉위(~413).

392 년 ; 백제, 진사왕 죽고(?~), 아신왕(阿辛王) 즉위(~405).

400 년 ; 고구려,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을 격파.

402 년 ; 신라, 내물마립간 죽고(?~), 실성마립간(實聖麻立干) 즉위(~417).

405 년 ; 백제, 아신왕 죽고(?~), 전지왕 즉위(~420).

407 년 ; 가야, 이시품왕 죽고(?~), 좌지왕(坐知王) 즉위(~421).

413 년 ; 고구려, 광개토왕 죽고(374~), 장수왕(長壽王) 즉위(~492).

414 년 ; 고구려, 광개토왕비 세움. 장군총(將軍塚) 축성.

417 년 ; 신라, 눌지(訥祗)가 실성마립간을 죽이고(?~) 즉위(~458).

420 년 ; 백제, 전지왕 죽고(?~), 구이신왕(久爾辛王) 즉위(~427).

427 년 ; 백제, 구이신왕 죽고(?~), 비유왕(毗有王) 즉위(~455). 고구려, 평양으로 천도.

안학궁(安鶴宮) 건립.

455 년 ; 백제, 비유왕 죽고(?~), 개로왕(蓋鹵王) 즉위(~475).

458 년 ; 신라, 눌지마립간 죽고(?~),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즉위(~479). 고구려의

묵호자(墨胡子)가 불교 전파.

475 년 ; 고구려,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 개로왕 죽고(?~), 문주왕(文周王) 즉위(~479).

웅진(熊津)으로 천도.

477 년 ; 백제, 해구(解仇)가 문주왕을 살해(?~), 삼근왕(三斤王) 즉위(~479).

479 년 ; 자비마립간 죽고(?~),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즉위(~500). 백제, 삼근왕

죽고(?~), 동성왕(東城王) 즉위(~501).

491 년 ; 고구려, 장수왕 죽음(394~).

492 년 ; 고구려, 문자명왕(文咨明王) 즉위(~514)..

494 년 ; 부여,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

Page 8: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500 년 ; 신라, 소지마립간 죽고(?~), 지증왕(智證王) 즉위(~514).

501 년 ;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가 동성왕 살해(?~), 무령왕(武寧王) 즉위(~523).

503 년 ; 신라, 국호를 신라(新羅), 존호를 왕(王)이라 함.

512 년 ;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침.

514 년 ; 신라, 아시촌(阿尸村)에 소경(小京) 설치.

519 년 ; 고구려, 문자명왕 죽고(?~), 안장왕(安藏王) 즉위(~531).

520 년 ; 신라, 율령(律令) 반포.

521 년 ; 가야, 겸지왕 죽고(?~), 구형왕(仇衡王) 즉위(~532).

523 년 ; 백제, 무령왕 죽고(462~), 성왕(聖王) 즉위(~554).

527 년 ; 신라, 이차돈(異次頓) 순교.

531 년 ; 고구려, 안장왕 죽고(?~), 안원왕(安原王) 즉위(~545).

532 년 ;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 년 ; 신라, 처음으로 연호(年號)를 세워 건원(建元)이라 함.

538 년 ; 백제, 사비성(泗侁城으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함.

540 년 ; 신라, 법흥왕 죽고(?~), 진흥왕(眞興王) 즉위(~576).

545 년 ; 고구려, 안원왕 죽고(?~), 양원왕(陽原王) 즉위(~559).

551 년 ; 신라, 개국(開國)이라 개원(改元). 백제˙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552 년 ; 백제, 불상과 경론(經論)을 왜에 보냄.

553 년 ; 신라, 황룡사(皇龍寺) 건립을 시작(~566).

554 년 ; 백제, 성왕 죽고(?~), 위덕왕(威德王) 즉위(~598).

555 년 ; 신라왕,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건립.

559 년 ; 고구려, 양원왕 죽고(?~), 평원왕 즉위(~590).

561 년 ; 신라,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62 년 ; 신라, 대가야(大伽倻)를 멸함.

Page 9: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568 년 ; 신라, 황초령(黃草嶺)신라진흥왕순수비와 마운령(摩雲嶺)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76 년 ; 신라, 원화(源花)제도 시작. 진흥왕 죽고(534~), 진지왕(眞智王) 즉위(~579).

579 년 ; 신라, 진지왕 죽고(?~), 진평왕(眞平王) 즉위(~584).

584 년 ; 신라, 건복(建福)으로 개원(改元).

586 년 ; 고구려, 평양의 대성산(大城山)에서 장안성(長安城)으로 천도.

590 년 ; 고구려, 평원왕 죽고(?~), 영양왕 즉위(~618).

598 년 ; 고구려,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30 만 대군으로 침공해 옴. 고구려, 이를 격파.

백제, 위덕왕 죽고(525~). 혜왕(惠王)즉위(~ 599).

599 년 ; 백제, 혜왕 죽고(?~), 법왕(法王) 즉위(~600).

600 년 ; 백제, 법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641).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상(金銅彌勒半跏像) 만듦.

602 년 ; 백제, 승려 관근(觀勤)이 왜에 천문˙지리˙역서˙방술서 등을 전함.

612 년 ; 수나라의 제 1차 고구려 침공.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살수(薩水)에서 수군을

섬멸(살수대첩).

613 년 ; 고구려, 수나라 양제(煬帝)의 요동성 공격을 물리침(제 2차 공격).

618 년 ; 고구려, 영양왕 죽고(?~), 영류왕(榮留王) 즉위(~642).

632 년 ; 신라, 진평왕 죽고(?~), 선덕여왕(善德女王) 즉위(~647).

634 년 ; 신라, 인평(仁平)으로 개원(改元).

641 년 ; 백제, 무왕 죽고(?~), 의자왕(義慈王) 즉위(~660).

642 년 ;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 죽이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647).

신라,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요청.

645 년 ;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10 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을 개시.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한 당나라 군대를 격퇴. 신라,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신라의 7 성을

공략.

646 년 ;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47 년 ; 신라, 경주 첨성대(瞻星臺) 건립. 선덕여왕 죽고(?~), 진덕여왕(眞德女王)

즉위(~654).

648 년 ; 백제, 신라의 10 여 성을 점령. 신라, 백제의 21 성 공략.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김인문(金仁門)이 당나라에 가서 백제협공을 요청.

Page 10: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654 년 ; 신라, 진덕여왕 죽고(?~),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즉위(~661).

660 년 ; 신라왕, 백제 공격을 위해 출병. 신라˙백제, 황산벌전투에서 백제의

계백(階伯)전사(?~), 의자왕 항복.

661 년 ; 백제부흥군,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 당나라 군대 고구려를

공격. 압록강에서 격전. 신라, 태종무열왕죽고(?~), 문무왕(文武王) 즉위(~681). 신라왕이

고구려 정벌에 나섬.

662 년 ; 고구려, 연개소문이 사수(蛇水)에서 당나라군을 대파. 당나라군 평양성을 포위.

신라, 백제부흥군 토벌.

663 년 ;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 백강(百江)에서 일본 구원군을 대파. 부여 풍(扶餘豊)은

고구려로 망명.

666 년 ; 고구려, 연개소문 죽고(?~), 맏아들 남생(男生)이 막리지(莫離支)가 됨. 남생,

당나라로 망명하고 아우 남건(男建)이 막리지가 됨.

667 년 ; 신라, 문무왕이 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고구려, 당나라의 공격

받음.

668 년 ; 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함으로써 고구려 멸망.

669 년 ;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

670 년 ; 고구려 유민 검모잠(劍茅岑)이 한성에서 안승(安勝)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 년 ;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白水城)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3 년 ; 신라, 김유신 죽음(575~). 당군이 고구려의 우잠성(牛岑城) 공략.

674 년 ; 당나라가 유인궤(劉仁軌)를 계림대총관(鷄林大總管)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675 년 ;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州郡) 설치. 설인귀(薛仁貴)의 당군 대파.

676 년 ;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 창건.

681 년 ; 신라, 문무왕 죽고(?~), 신문왕(神文王) 즉위(~692). 대왕암(大王巖)에 문무왕릉

조성.

682 년 ; 신라, 국학(國學)을 개편.

687 년 ; 신라, 전국을 9 주(州) 5 소경(小京)으로 편성.

692 년 ; 신라, 신문왕 죽고(?~), 효소왕(孝昭王) 즉위(~702). 설총이 이두(吏讀)를 정리.

696 년 ;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 년 ;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이 진(震)을 건국.

Page 11: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702 년 ; 신라, 효소왕 죽고(?~), 성덕왕(聖德王) 즉위(~737).

713 년 ; 발해, 국호 진(震)을 발해로 고침.

719 년 ; 발해, 고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737).

723 년 ;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西域)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저술.

733 년 ; 신라, 당나라의 패강(浿江) 이남 영유를 승인.

737 년 ; 신라, 성덕왕 죽고(?~), 효성왕 즉위(~765). 발해, 무왕 죽고(?~), 문왕

즉위(~793).

742 년 ; 신라, 효성왕 죽고(?~), 경덕왕 즉위(~765).

751 년 ; 신라, 대상(大相) 김대성(金大成)이 불국사(佛國寺) 창건.

756 년 ; 발해, 돈화(敦化) 동모산(東牟山)에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

759 년 ; 신라 국학을 대학감(大學監)으로 개칭.

765 년 ; 신라, 경덕왕 죽고(?~), 혜공왕(惠恭王) 즉위(~780).

768 년 ; 신라, 대공(大恭)의 난 발생. 5 도(五道) 주군(州郡)의 96 각간(角干)이 서로 싸움.

대공 피살.

770 년 ; 신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주조.

780 년 ; 신라, 김지정(金志貞)의 반란. 혜공왕과 왕후 살해됨. 김양상(金襄相)이 김지정을

죽이고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785)

785 년 ; 신라, 선덕왕 죽고(?~), 원성왕(元聖王) 즉위(~799). 9 주(州)의 총관(總管)을

도독(都督)으로 고침.

788 년 ; 신라, 처음으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를 설치.

793 년 ; 발해, 문왕 죽고(?~), 대원의(大元義) 즉위(~794).

794 년 ; 발해, 대원의 피살되고(?~), 성왕(成王) 즉위(~795).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로 옮김.

795 년 ; 발해, 성왕 죽고(?~), 강왕(康王)이 즉위(~809).

798 년 ; 신라, 원성왕 죽음(?~).

799 년 ; 신라, 소성왕(昭聖王) 즉위(~800).

Page 12: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800 년 ; 신라, 소성왕 죽고(?~), 애장왕(哀莊王) 즉위(~809).

801 년 ; 신라, 5 묘(五廟)의 제(制)를 개정.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

802 년 ; 신라,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창건. 3 층석탑 건립.

804 년 ; 신라, 왜국의 국사(國使) 와서 황금 3 백량을 바침.

805 년 ; 신라, ‘공식(公式) 20 여조(條)’를 반포.

809 년 ; 신라, 김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788~), 헌덕왕(憲德王) 즉위(~825). 발해,

강왕 죽고(?~), 정왕(定王) 즉위(~813).

813 년 ; 발해, 정왕 죽고(?~), 희왕(僖王) 즉위(~817).

817 년 ; 발해, 희왕 죽고(?~), 간왕(簡王) 즉위(~818). 연호를 태시(太始)로 함.

818 년 ; 발해, 간왕 `죽고(?~), 선왕(宣王) 즉위(~830).

819 년 ; 신라, 사방에서 초적(草賊)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李師道)의

난 평정을 지원.

822 년 ; 신라, 김헌창(金憲昌)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6 년 ; 신라, 헌덕왕 죽고(?~), 흥덕왕(興德王) 즉위(~836).

828 년 ; 신라,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靑海鎭)을 일으켜 대사(大使)에 임명됨.

830 년 ; 발해, 선왕 죽고(?~), 대이진(大彛震) 즉위(~858).

836 년 ; 흥덕왕 죽고(?~), 희강왕(僖康王) 즉위(~837).

838 년 ;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閔哀王) 즉위(~839). 김양(金陽)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 년 ; 신라, 민애왕 피살되고(?~), 신무왕(神武王) 즉위. 신무왕 죽고(?~), 문성왕

즉위(~857). 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 년 ;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閻長)에게 피살.

857 년 ; 신라, 문성왕 죽고(?~), 헌안왕(憲安王) 즉위(~861).

858 년 ; 발해, 대이진 죽고(?~), 대건황(大虔晃) 즉위(~871).

861 년 ; 신라, 헌안왕 죽고(?~), 경문왕(景文王) 즉위(~875)., 대

871 년 ; 발해 건황 죽고(?~), 대현석(大玄錫) 즉위(~892).

875 년 ; 신라, 경문왕 죽고(?~), 헌강왕(憲康王) 즉위(~886).

Page 13: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877 년 ; 고려의 태조 탄생.

886 년 ; 신라, 헌강왕 죽고(?~), 정강왕(定康王) 즉위(~897).

889 년 ; 신라, 원종(元宗)˙애노(哀奴)의 난 일어남.

892 년 ; 견훤, 무진주(武珍州)에서 스스로 왕이 되어 후백제를 건국.

893 년 ; 발해, 대현석 죽고(?~), 대위해(大瑋 E) 즉위(~906).

897 년 ; 신라, 진성여왕이 효공왕(孝恭王)에게 선위(禪位).

898 년 ; 궁예, 송악부(松岳部)로 본거를 옮김.

899 년 ; 북원(北原)의 양길이 궁예를 공격하다가 대패.

901 년 ; 궁예, 왕을 칭하고, 국호를 고려라 일컬음.

903 년 ; 후고구려의 왕건(王建), 금성(錦城) 등 10 여 성을 공략함.

904 년 ; 궁예, 백관을 설치,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칭함.

905 년 ; 마진, 국도를 철원(鐵圓)에 옮김.

906 년 ; 마진, 왕건을 보내어 사화진(沙火鎭)에서 견훤을 대파. 발해, 대위해 죽고(?~),

대인찬 즉위(~926).

909 년 ; 마진, 왕건이 진도(珍島)˙고이도(皐夷島)를 점령,

911 년 ; 마진,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침.

912 년 ; 신라, 효공왕 죽고(?~), 신덕왕(神德王) 즉위(~917).

914 년 ; 태봉의 왕건, 백선장군(百船將軍)이 되어 나주에 출진(出鎭).

917 년 ; 신라, 신덕왕 죽고(?~), 경명왕(景明王) 즉위(~924).

918 년 ; 왕건이 고려(高麗)를 건국.

919 년 ; 고려, 송악(松岳)으로 천도. 3 성(省) 등 관제를 정함. 평양성을 축성.

924 년 ; 신라, 경명왕 죽고(?~), 경애왕(景哀王) 즉위(~927).

926 년 ; 발해의 103 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927 년 ;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의 왕궁에 침입.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을 세움.

견훤이 고려에 국서(國書)를 보내어 강화를 청함.

Page 14: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934 년 ; 고려, 운주(運州)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웅진(熊津) 이북 30 여 성이 항복.

935 년 ; 후백제, 신검(神劍)이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하고 왕이 됨. 견훤이

나주(羅州)로 도망하여 고려에 항복. 경순왕(敬順王)이 고려에 투항, 신라 멸망.

고려 시대

936 년 ; 고려의 후삼국 통일, 태조가 일이천(一利川)에서 후백제의 신검을 대파, 신검이

항복하여 후백제 멸망

938 년 ; 탐라국이 고려에 조공.

940 년 ; 경주(慶州)에 대도독부(大都督府) 설치. 역분전제(役分田制)를 실시.

943 년 ; 태조, 대광(大匡) 박술희(朴述熙)에게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친히 전함. 태조

죽고(877~), 혜종(惠宗) 즉위(~946).

945 년 ; 왕규(王規)의 난. 혜종 죽고(?~), 정종(定宗) 즉위(~950).

947 년 ; 광군사(光軍司)를 설치.

949 년 ; 정종이 광종(光宗)에게 선위(禪位).

956 년 ;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시행. 관리의 관복을 개정.

958 년 ; 처음으로 과거법을 설치. 과거제에 의학부문 포함. 승과제(僧科制) 설치.

960 년 ;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 개경을 황도(皇都), 서경을 서도(西都)라 칭함.

961 년 ; 과거를 실시. 고시과목은 시(詩)˙부(賦)˙의(醫)˙복(卜) 등.

972 년 ; 내의시랑(內議侍郞) 서희(徐熙)가 송나라에 사신으로 감.

975 년 ; 광종 죽고(925~), 경종(景宗)이 전시과(田柴科)를 제정.

981 년 ; 경종 죽고(956~), 성종(成宗) 즉위(~997).

983 년 ; 전국에 12 목(牧)을 설치. 3 성(省)˙6 조(曹)˙7 시(寺)를 정함.

987 년 ; 각 촌(村)의 대감(大監)˙제감(弟監)을 촌장(村長)˙촌정(村正)으로 개정.

노비환천법(奴婢還賤法) 제정.

991 년 ; 중추원(中樞院)을 설치.

992 년 ; 국자감(國子監)을 창립하고 전장(田莊)을 함.

Page 15: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993 년 ; 제 1 차 거란침입. 안융진(安戎鎭)에서 거란군을 격파. 서희가 소손녕(蕭孫寧)과

화약(和約)을 맺음. 개경˙서경과 12 목에 상평창(常平倉)을 설치.

994 년 ; 서희, 여진(女眞)을 물리치고, 장흥진(長興鎭).

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구주(龜州)에 축성.

995 년 ; 개주(開州)를 개성부(開城府)로 고치고, 전국을

10 도(道)˙128 주(州)˙449 현(縣)˙7 진(鎭)으로 나눔.

997 년 ; 성종 죽고(960~), 목종(穆宗) 즉위(~1009).

998 년 ; 서경을 호경(鎬京)으로 개칭.

1002 년 ; 6 위(衛)의 군영(軍營)을 새로 설치.

1004 년 ; 과거법(科擧法)을 개정.

1007 년 ; 화산분출로 탐라 해중에 산이 생겨남.

1009 년 ; 서북면순검사(西北面巡檢使) 강조(康兆)가 목종을 폐하고(980~) 현종(顯宗)을

즉위시킴(~1031).

1010 년 ; 제 2 차 거란침입. 순무사(巡撫使) 양규(楊規)가 곽주(郭州)에서 거란군을 섬멸.

1011 년 ; 거란군에게 개경(開京) 함락, 현종 나주(羅州)로 파천. 양규˙정성(鄭成) 등이

거란군을 파하고 여러 성을 회복.현종 환도.

1012 년 ; 도절도사(道節度使)를 폐지하고, 5 도호부(都護府) 75 목(牧) 안무사(按撫使)를 둠.

1014 년 ; 흥화진(興化鎭)에서 거란군 격퇴.

1015 년 ; 거란군이 흥화진˙통주(通州)˙용주(龍州)에 침입.

1016 년 ; 곽주에서 거란군 격퇴.

1018 년 ; 제 3 차 거란침입. 강감찬(姜邯贊)이 흥화령(興化嶺)에서 거란군을 대파.

1019 년 ; 구주대첩(龜州大捷).

1020 년 ; 거란과 강화.

1024 년 ; 대식국(大食國:아라비아)의 상인 100 여 명이 특산물을 가지고 무역하러 옴.

개경을 확장하여 5 부(部) 35 방(坊)˙314 리(里)로 정함.

1029 년 ; 여진 해적선 30 여 척의 침범을 격퇴.

1031 년 ;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신설.

Page 16: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033 년 ; 북경(北境)에 천리장성 축조를 개시.

1034 년 ; 덕종 죽고(1016~), 정종(靖宗) 즉위(~1046).

1037 년 ; 거란의 병선이 압록강에 침입.

1044 년 ; 장주(長州)˙정주(定州)˙원흥진(元興鎭)에 축성함으로써 천리장성 완성.

1046 년 ; 정종 죽고(1028), 문종(文宗) 즉위(~1083).

1049 년 ; 동번(東蕃) 해적이 임도현(臨道縣)에 침입. 동여진 해적이 금양현(金壤縣)

진명(鎭溟)에 침입. 소굴을 소탕함.

1055 년 ; 최충(崔沖)이 사학(私學)을 일으킴(12 公徒).

1058 년 ; 승려 해린(海鱗)을 국사(國師)로, 난원(爛圓)을 왕사(王師)로 함.

사면기광군(四面奇光軍)을 설치.

1061 년 ; 내사령(內史令)을 중서령(中書令)으로,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고침.

1062 년 ; 호경(鎬京)을 다시 서경으로 고침.

1063 년 ; 국자감의 규율과 직제를 정비 강화. 거란, ‘대장경(大藏經)’을 보내옴.

1066 년 ; 거란, 국호를 요(遼)로 고침.

1067 년 ; 의천(義天)을 우세승통(祐世僧統)으로 삼음. 흥왕사(興王寺) 준공.

1068 년 ; 양주(楊州)를 남경(南京)으로 하고 신궁을 건립. 최충(崔沖)이 구제학당(九齊學堂)

건립.

1071 년 ; 김제(金悌)를 송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국교를 회복.

1073 년 ; 동여진 15 주, 서여진 2 진, 여진족 12 촌 등을 편입.

1076 년 ; 등과자(登科者)의 급전제(給田制)를 정함.

1080 년 ; 보병과 기병 3 만으로 정주성 외곽의 여진족을 토벌함.

1083 년 ; 문종 죽고(1019~), 순종(順宗) 즉위(~1084). 순종 죽고(1047~), 선종(宣宗)

즉위(~1095).

1094 년 ; 선종 죽고(1049), 헌종(獻宗) 즉위(~1095).

1095 년 ; 중추원을 추밀원(樞密院)으로 고침. 헌종이 숙종(肅宗)에게 선위(禪位).

1097 년 ; 국청사(國淸寺) 낙성. 천태종(天台宗) 일어남.

Page 17: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101 년 ;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두고, 남경 신궁(新宮) 조영 착수.

1102 년 ; 고주법(鼓鑄法)을 제정, 해동통보 1 만 5 천 관을 주조하여 문무양반˙군인에게

나누어줌.

1104 년 ; 윤관, 서북면행영병마도통(西北面行營兵馬都統)에 임명됨. 윤관 여진과 싸워

결맹(結盟)하고 돌아옴.

1105 년 ; 숙종 죽고(1054~), 예종(睿宗) 즉위(~1122). 탐라국을 폐하고 군(郡)으로 함.

1107 년 ; 윤관을 원수,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로 하여 여진토벌의 군사를 일으킴.

점령지역에 9 성(城)을 쌓음.

1108 년 ; 여진토벌군이 포위되자 척준경(拓俊京)이 이를 구함. 여진이 웅주성(雄州城)을

포위공격, 오연총이 구원.

1109 년 ; 오연총이 길주를 구(救)함. 오연총이 공검진(公險鎭)에서 패전. 윤관 다시 길주를

구함. 9 성을 여진에게 돌려줌. 국학(國學)에 7 재(齋)를 둠.

1110 년 ; 제술(製述)˙명경(明經) 등의 과거과목을 제정.

1112 년 ; 혜민국(惠民局) 설치.

1119 년 ; 국학(國學)에 처음으로 양현고(養賢庫)를 둠.

1122 년 ; 이자겸(李資謙)이 중서령(中書令)이 되어 집권.

1128 년 ; 이자겸의 난. 궁궐을 태우고, 인종을 사가에 이어(移御)시킴. 혜민국(惠民局)

설치.

1129 년 ; 묘청(妙淸)이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장.

1131 년 ; 노장(老莊)의 학문을 금지.

1135 년 ; 묘청의 난.

1142 년 ; 8 도에 어사(御史)를 보내어 주현(州縣)의 관리를 감찰.

1145 년 ; 김부식이 《삼국사기(三國史記)》 50 권을 편찬.

1147 년 ; 처음으로 승보시(陞補試) 시행.

1149 년 ; 5 군(軍)을 3 군으로 변경.

1155 년 ; 완산(完山)에서 농민 반란.

1162 년 ; 이천(伊川) 등지에서 대규모의 민란 발생.

Page 18: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163 년 ; 남도지방에 농민반란 발생.

1164 년 ; 의종, 인지재(仁智齋)에 행차. 야반까지 유연(遊宴), 시종 정중부(鄭仲夫) 등

공분(公憤).

1168 년 ; 탐라에서 농민반란 발생.

1169 년 ; 별궁 건축을 위해 별공(別貢)을 징수.

1170 년 ; 정중부의 난. 의종을 추방하고, 명종(明宗)을 세움.

1171 년 ; 궁궐에 불이 나서 전우(殿宇) 모두 불탐.

1172 년 ; 정중부,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됨. 서북면에서 민란 발생.

1173 년 ; 계사(癸巳)의 난, 동북병마사 김보당(金甫當)이 난을 일으킴. 문신 축출,

무인(武人) 임용.

1174 년 ;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의 난. 서북방 40 여 성이 호응. 정중부,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됨.

1175 년 ; 관군, 연주(漣州)를 함락, 서경을 포위.

1176 년 ; 망이(亡伊)˙망소이(亡所伊)의 난. 남부지방에 민란 성행. 대규모 관군 조직.

1177 년 ; 망이˙망소이의 난을 평정.

1179 년 ; 경대승(慶大升), 정중부를 죽이고 반대파를 처형. 도방(都房)을 설치.

1180 년 ; 무신(武臣)들이 사병(私兵)을 두기 시작.

1184 년 ; 이의민(李義旼)이 정권 장악.

1193 년 ; 김사미(金沙彌)의 난.

1196 년 ;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 성립.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李義旼)을 멸하고

정권을 장악.

1197 년 ; 최충헌, 명종을 폐하고, 신종(神宗)을 세움(~1204).

1198 년 ; 만적(萬積)의 난.

1200 년 ; 최충헌, 사저에 도방(都房) 설치.

1202 년 ; 탐라민란 평정. 경주˙운문˙울진 등이 연합하여 민란을 일으켜 주군(州郡)을 장악.

1206 년 ; 최충헌을 진강후(晉康侯)에 봉하고, 부(府)를 흥녕(興寧)이라 함.

Page 19: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209 년 ; 희종(熙宗), 최충헌의 집으로 옮겨갔다가 연경궁(延慶宮)으로 돌아옴. 최충헌,

교정도감(敎定都監) 설치.

1211 년 ; 최충헌이 희종을 폐하고 강종(康宗)을 세움(~1213).

1216 년 ; 몽골군에 쫓긴 거란유민이 영삭진(寧朔鎭)˙정계진(定戒鎭)에 침입하여 재물을

약탈. 거란병, 황주를 침공.

1217 년 ; 5 군(軍), 태조탄(太祖灘)에서 거란병에게 대패.

1218 년 ; 거란병 재침. 조충 등이 거란병을 강동성(江東城)으로 패주시킴.

1219 년 ; 조충˙김취려(金就礪), 몽골 및 동진(東眞)과 함께 강동성을 공략. 최충헌 죽고,

아들 최우(崔瑀) 집권.

1222 년 ; 몽골에 대비하여 선주(宣州)˙화주(和州)˙철관(鐵關)에 축성.

1223 년 ; 처음으로 융기도감(戎器都監)을 둠. 금주에 침입한 왜구(倭寇)를 격퇴.

1225 년 ; 최우, 정방정치(政房政治) 시작(~1249).

1226 년 ; 경상도 거제(巨濟)에 침입한 왜구를 현령 진용갑(陳龍甲)이 격파.

1227 년 ; 경상도 웅신현(熊神縣)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왜국이 국서를 보내어 사죄하고

수호통상을 청함.

1228 년 ; 동진(東眞), 정주(定州)˙장주(長州)에 침입.

1231 년 ; 제 1 차 몽골군 침입. 살리타[撒禮塔]를 원수로 삼아 평주(平州)를 치고 개경에

육박.

1232 년 ; 강화도(江華島) 천도.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축출. 김윤후(金允侯)가 지휘하는

부곡민이 처인성(處仁城)에서 항전. 살리타를 사살.

1233 년 ; 필현보(畢賢甫)˙홍복원(洪福源) 등이 모반. 필현보는 처형되고, 홍복원은

요양(遼陽)으로 달아나 반고려세력을 형성.

1234 년 ; 최윤의(崔允儀)의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 권)을 주자(鑄字)로

인행(印行).

1235 년 ; 몽골군, 용강(龍岡)˙삼등(三登)˙용진진(龍津鎭)˙동주성(洞州城) 등을 함락,

동경(東京)까지 침입. 야별초군(夜別抄軍)이 지평(砥平)에서 몽골군 격파.

1236 년 ; 개천(价川)˙죽주(竹州)에서 몽골군을 크게 격파. 이규보(李奎報),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지음. 이연년(李延年)의 난을, 김경손(金慶孫)이 평정.

강도(江都)에서 대장경의 재조(再雕) 시작.

1238 년 ; 몽골군에 의해 동경의 황룡사탑˙황룡사장륙상(皇龍寺丈六像)이 불탐.

조현습(趙玄習) 등이 몽골에 투항, 홍복원의 지휘를 받음.

Page 20: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239 년 ; 몽골군 철수. 몽골 사신이 와서 왕의 친조(親朝)를 조유(詔諭).

1241 년 ; 족자(族子) 영녕공(永寧公)을 왕자(王子)라 칭하고 몽골에 보내어 볼모[禿魯花]로

삼음.

1247 년 ; 아모간(阿母侃)이 지휘, 제 4차 몽골군 침입.

1249 년 ; 몽골, 고려왕의 출륙친조(出陸親朝)를 강요. 별초군, 동계(東界)에 침입한

동진군을 격파. 최우 죽고, 최항(崔沆)이 정권 장악.

1253 년 ; 야굴(也窟)의 몽골군이 제 5차 침입. 고종 출륙하여 승천(昇天) 신궐(新闕)에서

야굴의 사자와 회견.

1254 년 ; 차라대(車羅大) 제 6차 몽골군 침입.

1255 년 ; 차라대 제 7차 몽골군 침입.

1256 년 ; 수군을 남하시켜 몽골군을 막게 함. 몽골의 차라대(車羅大), 고려왕자의 몽골방문

요청. 차라대 철군.

1257 년 ; 최항 죽고, 최의(崔誼) 집권. 차라대의 제 8차 몽골군 침입.

1258 년 ; 최씨무신정권 붕괴. 충주의 별초군이 박달령서 몽골군 격퇴.

1259 년 ; 성주 기알성의 야별초군과 주민 몽골군 대파. 한계성(寒溪城)에서 몽골군 격멸.

고종 죽고(1192~), 태자 전(k) 몽골로감.

1261 년 ; 몽골, 요양(遼陽)의 고성(故城) 수리, 안무고려군민총관부(安撫高麗軍民摠管府)를

둠. 동서학당(東西學堂)교역장 설치.

1269 년 ;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I)을 세웠으나 반년 만에 원종이

복위.

1270 년 ; 강화에서 환도. 삼별초군(三別抄軍)의 항몽전(抗蒙戰). 삼별초군의 해산명령에

배중손(裵仲孫) 등이 항쟁 시작.

1271 년 ; 삼별초군, 합포(合浦)˙동래(東萊)를 공격, 금주(金州)를 점령. 세자 심(諶)을

몽골에 보냄.

1272 년 ; 세자 심이 변발(辨髮)과 호복(胡服)으로 돌아옴.

1273 년 ; 김방경(金方慶)이 원군(元軍)과 함께 탐라의 삼별초군을 공략. 탐라에

다루가치총관부[達魯花赤摠管府]를 둠.

1274 년 ; 원(元)이 전함 300 척을 만들게 함. 제 1 차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 일본정벌

실패.

1278 년 ; 충렬왕, 원의 관리와 원군의 철수 및 고려인 송환을 요구.

Page 21: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280 년 ; 일본 정벌을 위해 정동행성(征東行省)을 둠.

1281 년 ; 제 2 차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 실패.

1285 년 ; 일연(一然) 《삼국유사(三國遺事)》 저술.

1287 년 ; 이승휴(李丞休) 《제왕운기(帝王韻紀)》 저술.

1290 년 ; 충렬왕, 강화로 피란. 국사˙문적(文籍) 강화로 옮김.

1291 년 ; 원의 군대와 함께 합단군을 연기(燕岐)에서 격파. 상서성(尙書省) 폐지, 다시

중서성(中書省)을 둠.

1292 년 ; 개경으로 환도.

1294 년 ; 원나라 세조(世祖) 죽고, 동방정벌 중지. 탐라에서 원나라 철수.

1295 년 ; 탐라를 제주(濟州)로 고침.

1298 년 ; 충렬왕 태상왕(太上王)이 되고, 충선왕(忠宣王) 즉위.

1308 년 ; 원이 충선왕을 심양왕(瀋陽王)에 봉함. 충렬왕 죽고(1236~), 충선왕 다시 복위.

서운관(書雲觀) 창설.

1309 년 ; 각염법 제정.

1310 년 ; 원에서 충선왕을 심왕(瀋王)에 봉함.

1313 년 ; 충선왕, 충숙왕에게 전위(傳位), 조카 연안군(延安君) 호를 심양왕(충선왕)의

세자로 함.

1316 년 ; 상왕(上王), 심왕의 위(位)를 세자 호에게 전하고 태위왕(太尉王)이라 칭함.

1318 년 ; 윤번(輪番)으로 근무하던 진변별초제도(鎭邊別抄制度)를 복구.

1320 년 ; 정방(政房)을 다시 설치, 관리임명을 담당. 원, 상왕 충선왕을 토번(吐蕃)으로

귀양보냄.

1323 년 ; 왜구 추자도(楸子島)에서 만행, 군산 앞바다에서 조운선을 약탈.

1325 년 ; 상왕 충선왕 원에서 죽음(1275~).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1332 년 ; 상왕 충숙왕 복위하고, 충혜왕은 원나라로 감.

1340 년 ; 충혜왕 복위. 원나라의 문제, 고려인 기씨(奇氏)를 제 3황후에 봉함.

1342 년 ; 이제현(李齊賢) 《역옹패설》을 지음.

Page 22: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343 년 ; 원, 충혜왕을 게양(揭陽)에 귀양.

1344 년 ; 충혜왕 악양(岳陽)에서 죽고(1315~), 충목왕(忠穆王) 원나라에서 즉위(~1348).

숭문관(崇文館) 설치.

1347 년 ; 정치도감(整治都監) 설치. 각도의 양전(量田)사업 시작.

1349 년 ; 충정왕(忠定王) 즉위(~1351). 정치도감 폐지. 경순부(慶順府) 설치.

1350 년 ; 합포천호(合浦千戶) 최선(崔禪) 등이 고성˙거제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

1352 년 ; 충정왕 강화에서 죽음(1337~). 변발(辨髮)을 금지. 안흥˙서산˙강화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1356 년 ; 원나라 연호 사용을 중지. 쌍성총관부 회복.

1358 년 ; 최영(崔瑩)이 왜구체복사(倭寇體覆使)가 됨.

1359 년 ; 홍건적(紅巾賊)의 제 1차 침입. 4 만여명이 압록강을 건너, 서경 함락.

1360 년 ; 각군 홍건적 무찌르고 서경수복. 강화에 왜구 침입.

1361 년 ; 홍건적 10 만으로 제 2차 침입. 개경 함락, 공민왕 복주(福州)로 파천.

이성계(李成桂), 홍건적을 대파.

1363 년 ; 문익점(文益漸), 원나라에서 목화씨 가지고 옴.

1366 년 ;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 신돈(辛旽)을 판사(判事)로 함.

1369 년 ; 이성계를 보내 동녕부 공격, 원(元)나라와 절교.

1370 년 ; 명나라의 연호 사용.

1374 년 ; 공민왕 피살되고(1330~), 우왕(禑王) 즉위(~1389).

1377 년 ; 최무선(崔茂宣), 화통도감 설치.

1378 년 ; 최영˙이성계, 왜구를 승천부(昇天府)에서 대파.

1387 년 ; 왜구를 막기 위해 기선군(騎船軍)을 편성.

1388 년 ;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 이성계, 우왕을 폐하고 창왕(昌王)을 세움.

1389 년 ; 박위, 대마도(對馬島) 정벌. 왜선 300 여 척 격파. 창왕 폐위되고 공양왕(恭讓王)

즉위.

1391 년 ; 이성계,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가 되어 군사통수권을 장악.

Page 23: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조선 시대

1392 년 ; 정몽주 피살(1337). 이성계 즉위. 문무백관의 제도 제정.

1393 년 ; 국호를 조선(朝鮮)으로 결정. 식년문과(式年文科) 실시(33 인 급제).

1394 년 ; 정도전(鄭道傳),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편찬. 한양(漢陽)으로 천도.

1395 년 ; 정도전 등이 《고려사》 37 권을 간행. 예문춘추관 설치. 중앙군 10 위(衛)를

10 사(司)로 고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에 소속.

1398 년 ; 제 1 차 왕자의 난(戊寅靖社). 태조가 왕세자 방과(芳果)에게 선위(禪位),

정종(定宗) 즉위.

1400 년 ; 제 2 차 왕자의 난(芳幹의 난). 방원(芳遠)을 왕세자로 책봉. 정종이 방원에게

선위. 태종(太宗) 즉위.

1401 년 ; 증광문과(增廣文科) 실시. 신문고(申聞鼓) 설치.

1402 년 ; 무과의 과거 실시. 호패법(號牌法) 실시.

1403 년 ; 계미자(癸未字) 주조(鑄造). 명나라에서 고명(告命)˙인장(印章)˙조칙(詔勅)을

보내옴.

1411 년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를 승문원(承文院)으로 고침. 오부학당(五部學堂)을 운영.

동북면지방으로 양전(量田)을 실시.

1413 년 ; 도(都)˙군(郡)˙현(縣)의 칭호 개정.

1414 년 ; 노비소산한품속신법(奴婢所産限品贖身法)을 제정. 무과(武科)에

삼장통고법(三場通考法) 적용.

1415 년 ; 시장세와 상인세를 저화(楮貨)로 징수. 장인세(匠人稅)를 신설.

1417 년 ; 각 도(道)에 잠소(蠶所) 설치. 의흥현(義興縣)에서 《향약구급방》 중간.

1419 년 ; 이종무(李從茂),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 정벌. 제주에 양전(量田) 시행.

1420 년 ; 집현전(集賢殿) 설치. 경연청(經筵廳) 설치.

1423 년 ; 한성의 남산에 봉수대 축조. 불교를 선교(禪敎) 양종으로 정리.

조선통보(朝鮮通寶) 주조.

1429 년 ; 정초(鄭招), 《농사직설(農事直說)》 저술. 경상도˙충청도에서 양전사업(量田事業)

진행.

Page 24: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432 년 ; 맹사성(孟思誠) 등이 《신찬팔도지리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편찬.

《세종실록지리지》를 편찬. 설순 등이 여연군(閭延郡)에 침입한 여진기병을 격퇴.

1433 년 ; 압록강변의 여진족을 토벌. 화포전(火砲箭)을 발명.

1434 년 ; 갑인자(甲寅字) 주조, 갑인자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행. 북동˙북서에

6 진(鎭)을 설치. 장영실 등이 경복궁에 자격루(自擊漏)를 설치.

1435 년 ; 화약무기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발명. 함길도에 목화를 심게 함.

1436 년 ; 납활자 병진자(丙辰字)를 주조.

1437 년 ; 물시계인 행루(行漏)˙앙부일구 등을 제조, 간의대(簡儀臺)를 설치.

1438 년 ; 왜선의 삼포평균분박(三浦平均分泊) 엄수를 지시. 장영실, 자동물시계

옥루(玉漏)를 제작.

1441 년 ; 장영실 등이 세계 최고(最古)의 측우기(測雨器)를 설치하고, 양수표(量水標)를

세움.

1443 년 ; 통신사와 대마도주가 계해조약(癸亥條約) 체결. 세견선(歲遣船)을 5 척으로 약정.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4 년 ; 양전산계법(量田算計法) 제정. 무과삼관법(武科三官法) 실시.

1446 년 ; 수양대군이 《석보상절(釋譜詳節)》을 편찬. 훈민정음 반포(頒布).

1447 년 ; 《용비어천가》의 주해 완성.

1450 년 ; 동활자 경자자(庚子字) 주조. 정음청(正音廳)을 설치.

1451 년 ; 국방강화를 위해 군사(軍士)를 늘림. 문종이 창안한 화차(火車)를 제작하여 배치.

김종서(金宗瑞) 등이 《고려사》 136 권을 개찬.

1452 년 ; 김종서 등이 《고려사절요》 편찬. 《동국정운(東國正韻)》을 과거과목 신설.

1453 년 ; 계유정난(癸酉靖難). 수양대군이 김종서˙황보 인 등을 죽이고 정권장악.

안평대군(安平大君) 사사(賜死)됨. 이징옥(李澄玉)의 난.

1456 년 ; 사육신(死六臣)사건.

1457 년 ;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 영월로 유배. 노산군(단종) 죽음.

1460 년 ; 하삼도민(下三道民) 4,500 호를 평안˙강원˙황해도에 이주시킴.

1461 년 ;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

1463 년 ; 홍문관(弘文館) 설치.

Page 25: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464 년 ; 전폐(箭幣)를 주조.

1466 년 ; 과전법(科田法)을 폐지하고 직전법(職田法)을 실시.

1467 년 ; 이시애(李施愛)의 난. 규형(窺衡)과 인지의(印地儀)를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발명.

1468 년 ; 남이(南怡)˙강순(康純) 등이 반역으로 사형됨.

1474 년 ; 개찬한 《경국대전》과 《속록》을 반포.

1481 년 ; 서거정(徐居正) 등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0 권을 찬진(撰進).

1484 년 ; 성균관에 학전(學田) 400 결(結)을 줌. 서거정 등이 《동국통감(東國通鑑)》을

찬진.

1489 년 ; 유교(儒敎)의 전적(典籍)을 각 향교(鄕校)에 배포.

1490 년 ; 울산˙거제˙동래˙남해 등지에 축성. 순천에 전라좌수영을 설치.

1491 년 ; 북정(北征)을 결의. 두만강 방면의 여진족 정벌.

1493 년 ; 성현(成俔) 등이 《악학궤범(樂學軌範)》 9 권을 완성.

1496 년 ; 무오사화(戊午史禍). 유자광(柳子光) 등의 무고로 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

등이 처형되고, 김종직(金宗直)을 부관참시(剖棺斬屍)함.

1498 년 ; 상평창(常平倉) 설치.

1502 년 ; 하삼도(下三道)의 주민 1,600 호를 평안˙함경˙황해도에 이주시킴.

1503 년 ; 김감불(金甘佛)˙김검동(金儉同) 등이 연철(鉛鐵)에서 은(銀)을 분리하는 제련법을

발명.

1504 년 ; 갑자사화(甲子士禍).

1506 년 ; 중종반정(中宗反正).

1507 년 ; 이과(李顆) 등이 반란을 꾀하다 발각되어 옥사.

1510 년 ; 삼포왜란(三浦倭亂), 황형(黃衡)˙유담년(柳聃年) 등이 이를 평정.

1512 년 ; 일본과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하여 세견선(歲遣船) 및 세사미(歲賜米)를 반감함.

1515 년 ; 을해동활자(乙亥銅活字) 주조.

1517 년 ; 김안국(金安國)이 《여씨향약(呂氏鄕約)》을 간행하여 반포.

1518 년 ; 소격서(昭格署)를 혁파하고, 소장한 그림을 도화서(圖畵署)에 이장(移藏).

Page 26: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519 년 ; 기묘사화(己卯士禍)

1520 년 ; 제주의 한지(閑地)에 군량을 마련하기 위해 둔전(屯田)을 설치.

1527 년 ; 동궁에 작서(灼鼠)의 변이 일어남. 4 월, 최세진(崔世珍)이

《훈몽자회(訓蒙字會)》를 지음.

1530 년 ; 이행(李荇) 등이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편찬.

1532 년 ; 조정관리의 녹봉을 감하여 구황(救荒)에 충당.

1538 년 ;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지 않는 사찰을 폐지함.

1543 년 ;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건립.

1544 년 ; 4 월, 사량진왜란(蛇梁鎭倭亂).

1545 년 ; 조광조 복관(復官)되고, 현량과 다시 실시. 왕대비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가

섭정. 8 월, 을사사화(乙巳士禍).

1547 년 ; 정미사화(丁未士禍). 대마도주(對馬島主)와 정미약조 체결(수호조약을 개정).

1549 년 ; 이홍윤(李洪胤)의 옥 일어남.

1550 년 ;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의 편액을 하사함(사액서원의 시초). 12 월,

선교양종(禪敎兩宗)을 다시 둠.

1551 년 ; 양종선과(兩宗禪科)를 설치하고 시경승(試經僧)에게 도첩(度牒)을 발급.

1555 년 ; 을묘왜변(乙卯倭變).

1559 년 ; 황해도에서 임꺽정(林巨正)의 난 일어남(~1562).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사이에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에 관한 서신왕래 시작(~1566).

1560 년 ; 이황, 예안(禮安)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세움(75 년에 사액).

1561 년 ; 10 월, 이정(李楨)이 경주에 서악서원(西岳書院)을 세우고

설총(薛聰)˙김유신˙최치원을 향사(享社). 이지함이 《토정비결》을 지음.

1562 년 ; 임꺽정의 난을 평정.

1567 년 ; 명종 죽고(1534~), 선조(宣祖) 즉위(~1608).

1572 년 ; 이이(李珥)와 성혼(成渾) 사이에 사단칠정론에 관하여 서신 왕래 시작(~1578).

1574 년 ; 안동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세우고 이황을 향사(75 년에 사액).

Page 27: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575 년 ;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왜국이 조선침략을 위해 전선을 건조하고 있음을 통지.

7 월, 심의겸(沈義謙)˙김효원(金孝元)의 동서당론이 일어남.

1577 년 ; 이이, 《격몽요결(擊蒙要訣)》 간행.

1583 년 ; 이이,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을 건의함.

1589 년 ;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일어남.

1592 년 ; 임진왜란(壬辰倭亂) 시작. 일본침략군 21 만이 부산포에 상륙. 옥포해전에서 왜선

26 척을 대파. 명(明)나라의 1 차원군 압록강을 건너옴.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 명나라의

2 차원군 4 만이 압록강을 건너옴.

1593 년 ; 왜군이 철수 시작. 선조가 한성으로 귀환.

1597 년 ; 정유재란(丁酉再亂), 약 20 만의 왜군 상륙. 원균(元均) 휘하의 수군이

칠천(漆川)˙고성(固城)에서 대패.

1598 년 ;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 왜군 철수.

1601 년 ; 한성에 동묘(東廟) 건립.

1603 년 ; 이광정(李光庭)과 권희(權憘)가 연경에서 마테오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를 가져옴.

1604 년 ; 유정(惟政)을 쓰시마섬과 일본에 보내어 그곳 사정을 알아보게 함.

1605 년 ; 유정이 포로 3,000 여 명을 데리고 일본에서 귀국.

1608 년 ; 선조 죽고, 왕세자 즉위(광해군).

1610 년 ; 허준(許浚)이 《동의보감》 25 권 찬진.

1613 년 ; 영창대군의 관작을 삭탈하고 서인으로 함. 폐모론 일어남.

1614 년 ; 강화부사 정항(鄭沆)이 영창대군을 죽임.

1618 년 ;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대북파 정권 장악.

1619 년 ; 명나라에 1 만 명의 원군 파견.

1623 년 ; 김류 등이 광해군을 폐하고 능양군(綾陽君) 추대, 정권을 잡음(인조반정).

1624 년 ;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킴.

1626 년 ; 호패법시행. 남한산성을 쌓고 수어청을 둠.

1627 년 ; 후금이 조선에 침입(정묘호란). 인조가 강화로 피신.

Page 28: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628 년 ; 2 월, 명나라의 숭정연호(崇禎年號)를 사용.

1630 년 ; 무감(武監) 설치.

1633 년 ; 척화(斥和)의 교를 내리고, 후금의 침략에 대비케 함. 임경업(林慶業)을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에 임명. 상평청에서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전.

1635 년 ; 금나라 사신 마부대(馬夫大)가 국서를 전함.

1636 년 ; 후금의 국서를 거절. 금나라 사신 용골대(龍骨大) 옴. 청군 침입(병자호란).

1637 년 ; 강화도 함락됨. 인조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 인조 환궁. 왕세자 일행

불모가 되어 선양[瀋陽]에 도착. 명나라 연호를 폐지하고 청나라 연호를 씀.

1640 년 ; 세자 선양에서 돌아옴.

1645 년 ; 소현세자, 독일인 신부 아담 샬(湯苦望)로부터 천문˙산학(算學)˙천주교에 관한

서적 등을 받아 가지고 한성으로 돌아옴. 왕세자(소현세자) 죽음. 봉림대군(鳳林大君)

한성으로 돌아와 세자로 책봉됨.

1649 년 ; 인조 죽음. 세자 봉림대군 즉위(효종). 관상감 청나라 역서에 따라 역법(曆法)을

고침.

1652 년 ; 연경에 천문학관을 보내어 시헌력법(時憲曆法)을 배워오게 함. 어영청(御營廳)을

설치.

1653 년 ; 제주목사, 네덜란드인 하멜 일행의 화순포(和順浦) 표착을 보고.

1655 년 ; 추쇄도감을 두고 전국의 노비를 추쇄, 강화(江華)방비에 임하게 함. 일본통신사

조형(趙珩) 일행 부산에서 대마도로 떠남.

1657 년 ; 최유지(崔攸之) 천문관측기구를 제작.

1658 년 ; 청나라가 러시아정벌에 원군을 요청해 옴.

1659 년 ; 효종 죽음. 왕세자 즉위(현종).

1660 년 ; 남인˙서인 간에 예론시비(禮論是非) 시작됨. 전라도 산간군(山間郡)에 대동법

실시.

1662 년 ; 현종 창덕궁으로 옮김. 고려조의 능침(陵寢)을 봉식(封植).

1671 년 ; 현종 경덕궁으로 옮김. 전국적으로 대기근. 경기˙충청도에서 민란 일어남.

1674 년 ; 현종 죽음. 세자 즉위(숙종). 북한산성을 수축함.

1679 년 ; 강화에 돈대(燉臺) 축조함.

1682 년 ;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설치.

Page 29: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687 년 ; 금위영(禁衛營) 폐지. 숙종 탕평책(蕩平策)을 유시함.

1688 년 ; 창덕궁 금호문 밖에 관천대(觀天臺) 축조.

1689 년 ; 세자책봉문제로 노론(老論)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기사환국). 왕비 인현왕후

민씨 폐출됨.

1690 년 ; 장희빈을 왕비로 책봉함.

1692 년 ; 숙종 창덕궁으로 돌아옴. 북경에서 동을 수입, 화폐 주조.

1694 년 ; 노론에 의해 남인 몰락(갑술옥사). 4 월, 폐비 민씨를 복위하고 왕후 장씨를 다시

희빈으로 강등. 수도 방위를 위해 문수산에 성을 쌓음.

1697 년 ; 장길산(張吉山)이 이끈 농민군 봉기. 도성안의 거지들을 각 섬으로 보냄.

막부(幕府)를 통하여 왜인의 울릉도 출입금지를 보장받음.

1698 년 ; 숙종 탕평책을 지시.

1702 년 ; 백두산 화산 폭발. 이준명(李浚明) 울릉도를 답사, 지도 작성.

1711 년 ; 평양성과 안주성을 개축케 함. 북한산성 축성 시작. 조태억(趙泰億) 등을 일본에

통신사로 보냄.

1712 년 ; 청나라 오라총관 목극등(穆克登)이 백두산정계비를 세움. 북한산성 역사를 끝냄.

1713 년 ; 중인˙서얼 출신에게 죽은 뒤 벼슬을 주는 규정 제정.

1714 년 ; 8 도에 지진 발생.

1720 년 ; 숙종 죽고, 세자 즉위(경종).

1723 년 ; 서양의 수총기(소화기)를 만들게 함. 10 월, 관상감에서 서양의 문진종(서양식

시계)을 만들게 함.

1724 년 ; 경종 죽고, 왕세제 연잉군 즉위(영조). 서얼 200 여 명이 차별대우 철폐를 요구.

1725 년 ; 화폐주조를 중지하고 무기 제작.

1728 년 ; 이인좌(李麟佐) 등 밀풍군(密豊君) 추대, 반란을 일으킴.

1729 년 ; 사형수에 대하여 삼복(三覆)을 시행함.

1732 년 ; 관상감 관원 청나라에서 《만년력(萬年曆)》을 가져옴.

1736 년 ; 원자를 세자로 책봉함(사도세자).

1740 년 ; 각 지방의 도량형기를 통일시키도록 함.

Page 30: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745 년 ; 예각(藝閣)에서 《경국대전》 《속대전》을 1 책으로 간행.

1746 년 ; 《속대전》이 활자본으로 간행됨.

1750 년 ; 균역청 설치.

1752 년 ; 새돈 44 만 4000 냥 주조.

1756 년 ; 금주령 선포, 밀주를 엄히 단속함. 11 월, 흉년으로 기아민 다수가 도성에 들어옴.

1758 년 ; 해서˙관동 지방에 천주교가 크게 보급 됨.

1759 년 ; 원손을 왕세손으로 책봉함(정조).

1761 년 ;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형(私刑) 금지.

1762 년 ; 왕세자, 궤 속에 갇혀 굶어 죽음. 금주령을 엄수케 하고 범법자는 사형에 처함.

1763 년 ; 김수장(金壽長)이 《해동가요》 편찬. 장안의 승려들을 추방함. 통신사 조엄이

대마도에서 고구마 종자를 가지고 들어옴

1764 년 ; 장례원(掌隷院)을 혁파.

1765 년 ; 홍계희(洪啓禧) 등 《해동악장》을 편찬. 10 월, 장례원에서 맡았던 노비관계

사무를 형조에 이관.

1768 년 ; 각도의 성곽시설과 장비를 수리토록 함.

1769 년 ; 청천강을 따라 남당성(토성)을 쌓음.

1770 년 ; 전국의 제언(堤堰)을 수축. 《동국문헌비고》 100 권 40 책을 완성.

1772 년 ; 갑인자(甲寅字)를 개수하여 활자 15 만 자를 주조(임진자).

1773 년 ; 한성 청계천의 뚝을 돌로 쌓기 시작함. 11 월, 총융청에서 조회포˙일화봉 등

새로운 포탄을 만들어 사격 실험.

1774 년 ; 종 1 품에서 당상 정 3품을 대상으로 등준시(登俊試)를 실시(15 인 급제).

1776 년 ; 영조 죽고, 왕세손 즉위(정조). 《열성어제(列聖御製)》 간행. 경모궁(景慕宮)을

다시 세움. 금원 북쪽에 규장각(奎章閣)을 새로지음.

1777 년 ; 고쳐 주조한 갑인자 15 만자를 주조(점유자).

1779 년 ; 처음으로 내각검서관(內閣檢書官)을 설치.

1780 년 ; 《문헌비고(文獻備考)》의 수정에 착수(1796 년에 완성). 창덕궁에 측우기를

설치하고, 서운관(書雲觀)에 명하여 《천세력(千歲曆)》을 만들게 함.

Page 31: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783 년 ; 승려의 장안 입성을 금함. 이승훈(李承薰)이 동지겸사은사 일행을 따라 연경으로

떠남.

1784 년 ; 이승훈이 연경 남천주당에서 그라몽신부로부터 영세를 받음. 이승훈, 천주교

관련 서적을 가지고 귀국. 이벽(李檗)˙권철신(權日身) 등이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음.

1785 년 ; 한성에 천주교교회가 생김(진고개 김범우의 집). 해시계

간평일귀(簡平日晷)˙혼개일구(渾蓋日`&AMP;`) 등을 제작함.

1786 년 ; 연경에서 서양서적의 구입을 금함. 검서시예(檢書試藝)의 규정을 정함.

1787 년 ; 프랑스함대 페루즈 일행 제주도를 측량하고 울릉도에 접근함. 동 5 월

책문후시(柵門後市)를 금지함.

1788 년 ; 서학관계 서적을 대량 불태움.

1791 년 ; 박필관(朴弼寬)의 격고(擊鼓) 사건 일어남. 신해교난(辛亥敎難) 일어남.

1792 년 ; 북경 주교 구베아가 교황 비오 6 세에게 조선교회 창립을 보고. 정약용(丁若鏞)

기중기(機重器)를 발명.

1794 년 ; 수원성[華城]을 쌓기 시작함. 울릉도 지도를 제작케 하고 토산물을 조사함. 12 월,

청나라 신부 주문모(周文謨) 밀입국 상경.

1795 년 ; 천주교도 김시삼(金始三)이 청나라 신부 주문모의 밀입국 포교사실을 밀고.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한중록》을 지음

1797 년 ; 영국제독 브로우튼의 북태평양 탐험선 프로비던스호 동래 용당포(龍塘浦)에

표착.1800 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순조). 정조 죽고, 세자 즉위(순조). 대왕대비(영조계비

정순왕후), 수렴청정을 함.

1801 년 ; 정순왕후(貞純王后) 대왕대비 김씨(金氏)의 명에 따라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실시. 서얼소통 시행, 내사노비(內寺奴婢) 폐지 등 제도 개혁.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

등 30 여 명의 교도가 처형되는 ‘신유교난(辛酉敎難)’ 일어남.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사건

일어남.

1802 년 ;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화를 입은 이들에게 증직(贈職).

1804 년 ; 순조의 친정시작, 김대왕대비 수렴정치 폐함. 평양에 대화재, 공해 여사 600 여

호 소실.

1805 년 ; 정조실록(正祖實錄) 인간됨.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세도정치 시작.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한중록(恨中錄)》 완간

1806 년 ; 전라도 영광(靈光) 등 40 여 군현에 흉년. 기아자 약 50 여만명 발생. 정부 2 만

5000 석의 구휼미를 배급.

1807 년 ; 황해안 대해일(大海溢)로 패해도 극심. 유구인 99 명 제주도에 표착.

대마도(對馬島)에 통신사(通信使) 파견 요청 거절하자, 왜관(倭館)의 왜인들 난동을 벌임.

Page 32: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808 년 ; 북청(北靑)˙단천(端川)에서 민란 발생. 《만기요람(萬機要覽)》 완성.

1809 년 ; 함흥에 대화재. 필리핀 루손섬의 원주민 3 명, 제주도 표착 9 년 만에 송환.

1811 년 ; 곡산 등 민란 일어남. 홍경래(洪景來)의 난(평안도 농민전쟁) 일어남.

역법(曆法)을 개정, 시행.

1812 년 ; 4 월 19 일, 홍경래 전사, 난이 평정됨. 왕자 호(昊), 왕세자에 책봉됨(훗날의

익종).

1813 년 ; 공충도(公忠道)를 다시 충청도로 개칭. 제주도 토호 양제해(梁濟海) 등의 민란

일어남.

1814 년 ; 함경도 일대, 경상도 지방에 대홍수.

1815 년 ; 경상도 함안(咸安) 등지에 대홍수. 을해교난(乙亥敎難).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玆山魚譜)》, 남공철(南公轍)의《금릉집(金陵集)》 24 권 121 책 완간.

1816 년 ; 영국 군함 알세스토호˙리라호가 충청도 마량진(馬梁津)에 옴. 이로 인해 서양

해도(海圖)상에서 한반도 서해안의 지형 분명해짐. 한성과 경상도 일대에 홍수.

1817 년 ; 삼남지방에 대홍수. 김정희(金正喜), 신라 진흥왕의 북한산순수비 발견, 68 자의

비문 판독. 해인사에 대화재.

1818 년 ; 경상도 유생(儒生)들, 상소(上疏)로 채제공(蔡濟恭)의 신원을 요구. 정약용,

유배지 강진(康津)에서 《목민심서(牧民心書)》 완성.

1819 년 ; 충청도 공주˙전라도 전주 등지에 대홍수. 전국적 호구˙인구조사 실시.

호수:153 만 3515 호, 인구:651 만 2349 명.

1821 년 ; 평양 지방에 괴질 유행, 10 여만 명 사망. 국가재정 궁핍상태에 빠짐.

1822 년 ; 호적법을 강화함. 인삼밀수출 엄금, 위반자 사형에 처함.

1823 년 ; 충청도˙경상도 일부에 홍수. 경기˙충청˙황해도 등 5 도 유생들이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서얼(庶孼)의 임용을 요청.

1824 년 ; 정하상(丁夏祥)이 베이징에 가 교황에게 사제 파송을 요청. 감자씨 전해짐.

유희(柳僖), 《언문지(諺文誌)》(1 권 1 책)등을 완성.

1825 년 ; 무신의 승교(乘轎)를 금함. 정하상˙유진길(劉進吉) 등, 교황청에 서한 발송,

조선천주교의 수난사실을 보고.

1826 년 ; 6 월에 지진 발생.

1827 년 ; 왕세자(익종) 대리청정. 호적법 정비. 서울(한성)에서 야간통행금지 실시.

전라˙경상도 각지에서 천주교도 탄압사건 일어남(정해교난). 평안도˙함경도˙전라도 일대 등,

전국적으로 홍수피해 막심. 지진 발생.

Page 33: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828 년 ; 법사(法司)˙반족(班族)의 백성들에 대한 재산침해를 엄금. 삼남(三南)지방에

병충해 극심.

1829 년 ; 영종(英宗)˙진종(眞宗)˙정종(正宗) 3 대 왕의 어필집(御筆集) 발간. 남공철, 영의정

사퇴. 경희궁에 대화재 발생, 여러 전각 소실. 작자미상의 《이두편람(吏頭便覽)》 완성.

1830 년 ; 선정비(善政碑) 남립(濫立) 금지. 효명세자(孝明世子) 병사, 왕세자 책봉.

1831 년 ; 경희궁 중건 완료.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교구 창설.

1832 년 ; 개성(開城)출신 무과 급제자의 임용 허용. 영국 상선 로도 아마스트호,

몽금포(夢金浦) 앞바다에 나타나 외교사상 처음통상을 요구. 순조, 경희궁으로 천궁.

1833 년 ; 전국 각지의 제방 수축. 북한산성 수축 완료. 황해도 재령(載寧)지방 소작인들,

소작료 납부거부운동. 삼남지방의 목화 흉작으로 대동포(大同布)를 대동미(大同米)로 징수.

1834 년 ; 폐습˙사치를 금함. 창덕궁의 숭문당˙양화당 등 많은 전각들 준공. 순조 죽고

왕세손 즉위(현종), 대왕대비(순조의 비,純元王后金氏)가 수렴청정.

1835 년 ; 전국에 전염병(大疫)유행. 《순조실록》 편찬 위해 실록청(實錄廳) 설치. 청주성

화약고에 낙뢰. 세곡방납(稅穀防納)의 폐를 바로 잡음. 왕, 창덕궁으로 환어(還御).

1836 년 ; 프랑스인 신부 모방, 의주(義州)를 거쳐 밀입국. 소의 밀도살, 금광(金鑛)의

잠채(潛採)를 금함.

1837 년 ; 충청도 대흥군(大興郡)에서 성국로(成國老) 등이 집권자들의 죄를 폭로한

괘서(掛書)사건 일어남.

1838 년 ; 지진발생. 《순조실록》 34 권과 《정조실록》 15 권 완성.

《만기요람(萬機要覽)》완성.

1839 년 ; 유진길˙정하상(丁夏祥) 등 교도 다수 처형됨(己亥敎難). 평안˙황해˙경상도에 홍수.

조인영(趙寅永)이 제진한 ‘척사윤음(斥邪綸音)’을 헌종이 반포함. 오가작통법 실시.

1840 년 ; 앙반들의 상민(常民)착취 엄금. 영국선 2 척, 제주도에서 소 등 가축을 약탈해 감.

대왕대비(純元王后 金氏)수렴청정 중단, 헌종의 친정 시작. 풍양 조씨(豊陽趙氏)의 세도정치

시작됨.

1841 년 ; 전국에 전염병 유행.

1842 년 ; 순천부(順川府) 송광사(松廣寺)에 화재. 《천세력(千歲曆)》 발간.

1843 년 ; 송광사 중건. 공주(公州)의 대동미(大同米) 착복한 이양옥(李陽玉) 처형.

1844 년 ; 이원덕(李遠德) 등, 원경(元慶)을 받들고 모반을 획책하다 처형됨.

김정호(金正浩)의 《오대주도(五大洲圖)》 완성. 김정희(金正喜)가 《세한도(歲寒圖)》

그림.

Page 34: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845 년 ; 영국군함 사마랑호(號), 무단으로 제주도와 전라도 서남해안을 측량.

훈련도감에서 대완구˙비격진천뢰 등 무기를 제작.왕 경희궁으로 천궁. 김대건,

상하이[上海]에서 조선인 최초의 신부가 되어 밀입국.

1846 년 ; 프랑스 세실 해군소장, 천주교탄압을 구실로 군함 3 척 끌고 충청도

외연도(外煙島) 정박, 왕에게 항의 서한 전달. 김대건 신부, 새남터에서 순교.

1847 년 ; 프랑스 군함 글로아르호(號), 지난해 세실 소장이 전한 국서에 대한 해답을

받고자 서해안으로 들어오다가 고군산열도(古群山列島)에서 좌초. 정부는 청나라를 통해 그

답신을 전달(서양과의 첫 외교문서).

1848 년 ; 정부, 아편흡연을 엄금.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재개.

1849 년 ; 헌종이 죽자 은언군(恩彦君) 인의 증손 원범(元範) 즉위(철종). 정학유(丁學游)

또는 고상안(高尙顔)의 《농가월령가(農歌月令歌)》 및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편찬.

1850 년 ; 개성에서 사적인 인삼재배 성행.

1851 년 ; 국가경상비 부족으로 비상대비용인 봉부동전(封不動錢)을 변통 사용.

김문근(金汶根)의 딸이 철종비가 됨(純明王后 金氏). 김씨 세도정치 재개됨. 12 월,

대왕대비(순조비 純元王后 金氏)청정중단, 철종의 친정 시작됨.

1852 년 ; 김흥근(金興根), 영의정이 됨. 오위장(五衛將)의 임명을 엄정, 진장(鎭將)도

매관매직 엄금.

1854 년 ; 러시아 선박 함경도 덕원(德源)˙영흥(永興)해안에 침입, 어민들을 살상.

1855 년 ; 영남의 유생들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추존(追尊)을 상소.

영국함 흐네트호(號) 독도(獨島)를 측량, 프랑스함 비르지니호(號) 동해안 일대를 측량.

1856 년 ; 가축의 무단도살 엄금.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중건을 위한 공명첩(空命帖)

300 장, 승첩(僧帖:度牒) 100 장을 발행. 《동문휘고(同文彙考)》 완간.

《통문관지(通文館志)》 속편 완성.

1857 년 ; 최한기(崔漢綺), 세계지리서 《지구전요(地球典要)》 저술 완료.

1859 년 ; 《대명률(大明律)》 《대전통편(大典通編)》 등 간행. 원자(元子) 죽음. 서울 근교

사찰들을 훼파. 억불책의 일환.

1860 년 ; 경희궁으로 천궁(遷宮). 최제우(崔濟愚), 경주에서 동학(東學)을 창시.

1861 년 ; 창덕궁으로 환어.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완성˙간행.

러시아 함대, 함경도 원산항(元山港)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

1862 년 ; 충청˙전라˙경상도 곳곳에서 잇단 민란 일어남. 1850 년 이후에 세운 서원을

모조리 철폐.

Page 35: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863 년 ; 금위영(禁衛營)군졸들, 받은 녹미(祿米)의 질 문제로 소요. 동학 교조 최제우

체포되고, 남해에 민란. 흥선군을 대원군(大院君)으로 봉하고, 대왕대비 조씨가 수렴청정을

시행.

1864 년 ; 북인(北人)˙남인(南人)을 등용하고, 비변사(備邊司)와 의정부(議政府)의 업무분장.

최제우, 대구에서 사형. 김정호, 대동지지《(大同地志)》완성.

1865 년 ; 통제중군(統制中軍) 설치. 찬집소(纂輯所) 설치 《대전회통(大典會通)》 편찬,

《양전편고(兩銓便攷)》 등과 함께 완성.

1866 년 ; 대왕대비의 수렴청정 끝내고 왕에게 환정(還政). 민치록(閔緇祿)의 딸이 왕비가

됨. 미국 상선 제네럴 셔먼호(號), 군민(軍民)에 의해 불탐. 척사윤음(斥邪綸音) 발표.

프랑스 함대, 양화진(楊花津)에 내침. 해군대령 올리비에가 이끄는 프랑스군, 재차 내침,

강화도 점령, 양헌수(梁憲洙) 등이 대파.

1867 년 ; 서울 각 성문에서 통과세(通過稅) 징수. 신관호(申觀浩)가 수뢰포(水雷砲)를 만듦.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경회루(慶會樓) 완공.

1868 년 ; 당백전(當百錢)의 통용을 명령.

1869 년 ; 전라도 광양현(光陽縣)에서 민란 발생. 대원군의 명에 좇아 전국 8 도(八道)

4 도(四都)에 원납전(願納錢) 납입을 독촉.

1870 년 ; 일본주재 독일공사 브란트, 일본 외무서기 하나부사[花房義質] 등 군함

헬타호(號)를 타고 부산에 입항, 통상을 요구,거절당하자 귀국. 청국인 7,000 여 명이

평안도 후창군(厚昌郡) 일대에 침입, 벌목을 시도하다 축출됨.

1871 년 ; 사액(賜額) 서원 47 곳만 남기고 전국의 서원을 철폐.

1873 년 ; 선혜청(宣惠廳) 별창(別倉)에 화재. 최익현(崔益鉉), 대원군을 배척하고

시폐(時弊)를 논단하는 상소로, 호초참판에 특임. 소사(疏辭)가 과격하다 하여 제주에 유배.

국왕, 친정 선포(대원군 실각).

1874 년 ; 강화도 연안 포대 축조 완성. 일본의 ‘정한설(征韓說)’로 각 군영(軍營)에

엄중경계령 내림. 병조판서 민승호(閔升鎬)의 침실 화약 폭발로 일가족 폭사. 달레(프랑스

신부)의 저서 최초의 《한국교회사》 발간.

1875 년 ; 울산에서 민란 일어남(29 일 진압). 왕이 경복궁으로 옮기고, 양주(楊州)에서

은거하던 대원군 운현궁으로 환거. 일본 군함 운요호를 포격, 퇴각.

1876 년 ; 최익현(崔益鉉), ‘척사소(斥邪疏)’로 일본과의 통상조약에 반대, 흑산도에 유배.

불평등조약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강화도조약˙병자수호조약)에 조인. 경복궁에서

실화로 열조 어필(列祖御筆)˙대보(大寶) 등 소실.

1877 년 ; 제생의원(濟生醫院), 종두(種痘) 실시. 천주교 조선교구 주교 리델(프랑스인) 및

두새˙로베르 신부 등 체포.

1878 년 ; 청의 요청으로 리델 등 프랑스 신부를 베이징으로 귀환 조처.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가 부산해관의 철폐를요구하는 무력시위 감행.

Page 36: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879 년 ; 강수관(講修官) 홍우창(洪祐昌),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와 원산개항예약

의정서(議定書)에 조인.

1880 년 ; 김홍집(金弘集)을 일본수신사(日本修信使)에 임명. 원산에 일본 영사관 개관.

하나부사, 일본 국왕의 친서(親書) 고종에게 전달. 삼군부(三軍府) 폐지하고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 《동경대전(東經大典)》 등 출간. 지석영,

종두(種痘)실시.

1881 년 ; 박정양(朴定陽) 등 10 여 명을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에 임명. 별기군(別技軍)을

두고 신식군사훈련을 실시.

1882 년 ; 조미(朝美)수호조규˙조영(朝英)수호조규 조인. 원산˙부산˙인천 개항. 5 월,

조독(朝獨)수호통상조약 조인. 군인들, 급료 체불과 급여양곡의 변질˙정량부족 등에 격분,

난동(壬午軍亂). 대원군, 원군으로 들어온 청군에 의해 납치, 청국으로 호송.7 월,

제물포조약 및 수호조규속약(修好條規續約) 체결. 박영효(朴泳孝)를 일본특사 겸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선중에서 태극기를 고안).

1883 년 ; 태극기를 국기로 정함. 당오전(當五錢)을 주조. 초대 미국공사로 푸트 착임,

수호조규(修好條規)를 비준˙교환. 기기국(機器局)을 새로 설치. 최초로 영어교육 실시.

조영(朝英)수호통상 조약, 조독(朝獨)수호통상조약 조인.

1884 년 ; 부산~나가사키[長崎] 간 해저전선 개통. 우정총국(郵政總局) 개설. 이탈리아 및

러시아와 수호조규에 조인. 개화당 일파, 수구당 민씨 일파를 죽이고 새 정부를

조직(甲申政變). 5 개조항으로 된 한성조약 체결.

1885 년 ; 광혜원(廣惠院)을 설립, 미국인 의사 알렌 진료 실시. 영국함대 거문도를

불법점령. 미국인 선교사 언더우드 등 내한.최초의 개신교회(소래교회) 창립.

배재학당(培材學堂) 설립. 대원군 귀국. 《한성주보》 발간.

1886 년 ; 이헌영을 초대 주일공사에 임명. 서대문 밖에 수력화약공장(水力火藥工場) 건설.

스크랜튼, 최초의 여성교육기관 설립(梨花學堂). 한불수호조규(韓佛修好條規) 조인.

언더우드, 학당 개설(儆新學校).

1887 년 ; 거문도 점거했던 영국 함대 철수(1885~). 광무국(鑛務局) 설치. 최초의 감리교회

정동교회(貞洞敎會) 창립. 김홍집(金弘集)을 좌의정 겸 총리내무부사(總理內務府使)에 임명.

새문안교회 창립. 상공회의소 개설.

1888 년 ; 이화학당에서 최초로 주일학교(主日學校) 시작. 군제 개편, 삼남지방에 큰 흉년.

1889 년 ; 함북 길주(吉州)와 강원 정선군(旌善郡) 등지에서 민란 발생. 유길준(兪吉濬)의

《서유견문록(西遊見聞錄)》 완성. 언더우드, 조선야소교서회(朝鮮耶蘇敎書會:현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부산에 최초의 기선회사 설립.

1890 년 ; 부산˙인천의 25 객주(客主)를 철폐. 침례교회 선교를 시작. 커피˙홍차 등이

소개되고 서양의 배˙사과˙복숭아 등이 원산(元山)˙길주(吉州)˙대구(大邱) 등지에서 재배 시작.

1891 년 ; 제주민란 발생.

Page 37: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892 년 ; 일본 어선, 제주 성산포(城山浦)에 상륙, 민간인을 살해하고 부녀자 폭행. 정부,

김옥균(金玉均) 암살계획을 세워 이일식(李逸植) 등을 일본에 파견. 현대식 화폐 주조.

1893 년 ; 동학교도 2 만여 명, 충청도 보은군(報恩郡) 장내(帳內)에 모여

‘척왜척양(斥倭斥洋)’ ‘창의(倡儀)’의 기치 아래 농성시위 계속. 지석영(池錫永), 교동(校洞)에

우두보영당(牛痘保謁堂)을 설립. 중림동(中林洞) 약현성당(藥峴聖堂) 준공. 전봉준(全琫準)

등 학정 시정을 진정. 최초로 전화기 들여옴. 최초의 시계포, 구리개(을지로 入口)에 등장.

1894 년 ; 김옥균,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게 암살당함. 갑오경장(甲午更張)의

시작. 과거제도 폐지. 15 일, 김홍집내각성립. 경북 안동(安東)에서 서상철(徐相轍) 의병

봉기(최초의 反日의병운동).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무장봉기 선포.

‘홍범십사조(洪範十四條)’와 ‘독립선고문’을 종묘에 고함.

1895 년 ; 동학운동 주모자 전봉준 등 사형. 을미개혁(乙未改革) 단행, 재판소(법원) 구성법

등 34 건의 개혁안 의결. 군제(軍制)개혁도 단행, 훈련대 등 설치.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 부임. 소학교령(小學校令) 공포. 8 월, 명성황후(明成皇后:閔妃)를 시해한

을미사변(乙未事變) 발생. 제 3 차 김홍집내각 성립.

1896 년 ; 연호 건양(建陽)˙태양력 사용(음력 1895.11.17). 이범진(李範晋)˙이완용(李完用)

등 고종 및 왕세자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俄館播遷).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

1897 년 ; 연호를 광무(光武)로 고침. 국호(國號)를 ‘대한제국(大韓帝國)’, 왕의 호칭을

‘황제’로 정함.

1898 년 ; 한성전기회사(漢城電氣會社) 설립. 2 월 9 일, 독립협회, 종로 네거리에서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개최. 22 일,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5 월 국장).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처형. 농상공부(農商工部)에 철도사(鐵道司) 설치. 《제국신문(帝國新聞)》

순한글 신문으로 창간. 《황성신문(皇城新聞)》(일간) 발행. 서울 종현(鐘峴)에 천주교회당

건립.

1899 년 ; 정선(旌善)˙제주 등지에서 민란 발생. 광제원(廣濟院) 개설. 서울에서 전차 운행

시작. 대한국 국제의정(國制議定)을 반포. 경인선(京仁線:인천~노량진간) 완성(33.2km).

《독립신문》 폐간. 관립경성의학교부속병원(현 서울대 부속병원) 설립.

1900 년 ; 만국우편연맹 가입. 의사˙약제사˙약품순시 규칙 등 공포. 한성전기회사(한˙미인

공동경영)가 최초로 종로에 가로등 3 개 가설. 한강철교 준공, 경인선철도 완전 개통.

태극기 규정발표(흰 바탕에 長 2자, 廣 1 자 8 치, 태극은 지름 7 치에 청˙홍색).

일제 시대

1901 년 ; 2 월 21 일, 신식 화폐조례(貨幣條例) 공포, 금본위제도(金本位制度) 실시. 7 월,

최초의 안남미 수입. 9 월 17 일, 흥선대원군을 왕으로 추봉. 10 월 9 일, 활빈당원

하원홍(河元泓) 등 참형. 혜민원(惠民院) 설치. 강일순(姜一淳), 증산교 창시.

1902 년 ; 1 월 13 일, 갑산(甲山) 동광(銅鑛)의 갱도(坑道) 무너져 광부 600 여 명 참사.

5 월, 일본제일은행 부산지점, 1 원권을 발행, 한국에서 강제유통시킴. 6 월 16 일,

Page 38: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이상재(李商在) 등 개혁당 사건과 관련, 구속. 황제등극 40 주년 칭경식(稱慶式)을 거행.

8 월, 국가(國歌)를 처음 제정. 제 1차 하와이 이민단 100 여 명 출발.

1903 년 ; 개성~평양간 전화 개통. 6 월 14 일, 주한 외국공사들, 러시아 공사관에서

비밀회담. 장지연(張志淵) 《대한강역고(大韓疆域考)》 등 편찬.

1904 년 ; 2 월 23 일,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조인. 25 일, 의주(義州)를 개방. 3 월 17 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특파대사로 내한. 8 월 18 일, 송병준(宋秉畯) 등, 유신회(維新會)

조직. 20 일에 일진회(一進會)로 개칭. 22 일, 제 1 차 한일협약(韓一協約) 체결.11 월 16 일,

제중원(濟衆院:세브란스병원)낙성식. 26 일, 원직(元稷)˙나유석(羅裕錫), 보부상을 규합,

진명회(進明會) 조직(12 월共進會와 통합). 12 월 미국인 천일외교관 스티븐스, 외교고문에

임명. 21 일, 대한적십자사발족, 세계적십자사에 가맹.

1905 년 ; 2 월 22 일, 일본 독도(獨島)를 강점, ‘다케시마[竹島]’로 명명. 3 월 25 일, 황제,

러시아 정부에 밀서. 이용익(李容翊),보성학교(普成學校) 설립(고려대학). 11 월 9 일,

일본특파대사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한. 17 일, 박제순과 일본공사 하야시[林權助],

제 2 차 한일협상조약(乙巳條約) 조인. 12 월 1 일, 손병희(孫秉熙), 동학(東學)을

천도교(天道敎)로 개칭. 21 일, 일본, 한국 통감부(統監府) 및 이사청(理事廳)관제 공포 시행.

초대 통감에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

1906 년 ; 3 월 2 일,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입국. 4 월 21 일, 엄비(嚴妃),

진명(進明)여학교 설립. 6 월 4 일, 최익현(崔益鉉)˙신돌석(申乭石) 등 의병 일으킴. 7 월 2 일,

일본 경찰, 경운궁(덕수궁)의 경비권을 강탈. 8 월 18 일, 최익현˙임병찬 등 9 명 대마도에

유배. 31 일, 《한성신보》 폐간. 9 월 1 일, 통감부의 기관지로 《경성일보(京城日報)》 창간.

10 월 1 일, 지방행정구역 개편(13 도 11 부 333 군으로 개편). 18 일, 한국 최초의 기념우표

발행. 19 일, 가톨릭교에 주간지로 《경향신문》 창간. 11 월 1 일, 최초의소년잡지

《소년한반도》( 창간. 최초의 전국적 호구조사 실시.

1907 년 ; 1 월 29 일, 서상돈(徐相敦) 등,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5 월 22 일,

이완용(李完用) 내각 성립, 23 일 한글판 《대한매일신보》 창간. 6 월 15 일,

‘헤이그밀사사건’(李儁 분사). 7 월 16 일, 총리대신 이완용, 황제에게 양위를 강요. 24 일,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丁未七條約) 및 비밀부 각서 조인. 31 일 군대해산 조칙(詔勅) 발표.

8 월 2 일, 연호를 융희(隆熙)로 함. 12 월 27 일, 경운궁에서 순종, 황제 즉위식. 9 월 1 일,

서울에서 최초의 박람회 개최(~11.15.).

1908 년 ; 1 월 7 일, 청진항(淸津港) 개항. 4 월 1 일, 관립한성고등여학교(현 京畿女高)

설립. 부산역 개설. 23 일 전명운(田明雲)˙장인환(張仁煥),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사살. 안창호(安昌浩) 등 대성학교(大成學校) 설립. 11 월 1 일, 최남선(崔南善),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少年)》 창간. 최초의 신극 이인직(李仁稙)의 《은세계》, 원각사에서

공연. 12 월 3 일, YMCA회관 개관식 거행.

1909 년 ; 1 월, 나철(羅喆), 대종교(大倧敎) 창시. 2 월 1 일, 미주(美洲) 한국인단체들,

통합해 국민회로 발족, 6 월 2 일, 《대한민보(大韓民報)》 창간. 10 월 24 일,

안중근(安重根),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창립.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高羲東), 화가로 데뷔.

1910 년 ; 3 월 26 일, 안중근, 여순(旅順)감옥에서 사형당함. 8 월 16 일, 총리대신 이완용,

조중응(趙重應)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를 방문 합방에 관한 각서 교부. 22 일,

이완용˙데라우치, 한일합병조약에 조인. 10 월 1 일, 총독에 데라우치 통감이 임명. 12 월

Page 39: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27 일, 데라우치 총독 암살계획을 추진중이던 안명근(安明根) 체포. 105 인 사건으로

확대되어 12 년에 윤치호(尹致昊) 등 신민회원 120 여명 기소.

1911 년 ; 3 월, 김좌진(金佐鎭) 등 18 명을 강도죄로 구금. 경무총감부, 언론 통제. 3 월

29 일, 조선은행법 공포. 4 월 17 일, 도로규칙 및 조선토지수용령 공포. 5 월 15 일,

《소년》지 폐간(지령 23 호). 이 해, 경주에서 우편국 직원에 의해 석굴암 발견.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구약성서》 완역판 등 출간.

1912 년 ; 2 월 16 일, 어업세령(漁業稅令) 공포. 23 일, 수산조합˙어업조합 규칙 공포.

1913 년 ; 5 월 13 일, 안창호 등, 흥사단(興士團)을 조직. 12 월 15 일, 한강철교 복선화

완성. 최초의 번안소설 《장한몽(長恨夢)》,《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

1914 년 ; 1 월 11 일, 대전~목포간 호남선 공사 완성(3 월 22 일 개통). 3 월 1 일,

지방행정구역 개편, 부˙군˙면(府郡面) 통폐합 실시.

1915 년 ; 1 월 15 일, 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이시영(李始榮) 등 30 여명, 경북

달성을 중심으로 조선국권회복단 조직. 9 월 11 일, 총독부, 경복궁에서 통치 5 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개최(~10.31). 15 일, 경성우편국청사 준공. 일본제 고무신

등장.

1916 년 ; 4 월 25 일, 세브란스의학전문 개교. 6 월 25 일, 경복궁터에 총독부 청사건물

기공식. 8 월 2 일, 영친왕 이은(李垠)의 비(妃)로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마사코[梨本宮方子](16)를 선택. 9 월 12 일, 대종교 교주 나철(羅喆:본명

羅寅永), 자결(1863~). 10 월 16 일, 일본육군대장 하세카와[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 임명.

박중빈(朴重彬), 전북 인산에서 원불교(圓佛敎) 창시.

1917 년 ; 1 월 1 일, 이광수(李光洙)의 장편 소설 &LT;무정(無情)&GT; 《매일신보》에 연재

시작. 4 월 30 일, 이왕가(李王家)에 아악생(雅樂生)양성소 설립. 6 월 8 일, 순종황제, 일본에

감(28 일 귀국). 10 월 17 일, 한강인도교 준공. 29 일, 박용만(朴容萬), 뉴욕에서 열린

세계 25개국약소민족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

1918 년 ; 1 월 17 일, 고등고시 및 보통고시령 공포. 18 일, 총독부, 《조선어사전》 편찬,

간행(1910~). 11 월 15 일, 신한청년당원여운형, 미국 윌슨 대통령의 특사 크레인과 회견.

20 일, 미주 교포단체들, 윌슨 미국대통령에게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진정서제출. 30 일,

여운형, 파리강회회의와 미국대통령에게 보낼 한국독립 요청서를 크레인에게 전달 12 월

5 일 영친왕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미사코와 혼인을 발표.

1919 년 ; 1 월 21 일, 고종황제, 덕수궁에서 승하(3.3.국장). 2 월 8 일, 도쿄유학생

600 여명, 기독교청년회관에 모여 조선청년독립단명의로 &LT;독립선언문&GT; 발표.

김동인(金東仁), 도쿄에서 《창조》 발간. 3 월 1 일, 황제의 국장을 계기로 3˙1 독립운동

일어남. 손병희(孫秉熙)를 비롯한 민족대표 33 인의 이름으로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 발표.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만주 류허현[柳河縣]에서

대한독립단 발족. 임시정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 10 개조 발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정부를 구성. 8 월 12 일, 사이토[齊藤實]선임총독 부임. 8 월, 홍범도(洪範圖)

휘하의 대한독립군, 기습작전. 9 월 2 일,노인동맹단의 강우규(姜宇奎), 남대문역(서울역)에서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투척(37 명이 중경상). 10 월 5 일, 김성수(金性洙)

등,경성방직(京城紡織)(株) 설립. 27 일,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 11 월

9 일, 의친왕 이강(李堈), 상하이로 탈출(11.11. 국내로 강제압송).

Page 40: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920 년 ; 1 월 6 일, 총독부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신보(時事新報)》의 발행을 허가. 4 월 28 일, 영친왕 이은(李垠), 일본에서 황족

마사코[方子]와 결혼. 6 월 25 일, 월간종합지 《개벽(開闢)》 창간. 7 월 13 일,

고원훈(高元勳)˙김성수(金性洙) 등 조선체육회 창립. 25 일, 오상순(吳相淳) 등에 의해

《폐허(廢墟)》 창간. 10 월 20 일, 김좌진(金佐鎭)˙지청천(池靑天) 휘하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청산리(靑山里)에서 대승(청산리대첩). 유관순(柳寬順),

옥중에서 죽음. 윤심덕(尹心悳), 일본에서 한국인 최초로 레코드 취입.

1921 년 ; 1 월 2 일,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독립 지원 요청. 12 월

3 일,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등 16 명, 조선어연구회 창립(대표

任景宰 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등,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등,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 년 ; 1 월 7 일, 조선불교도총회, 30 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 일,

모스크바에서 극동민족 무산자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23.9. 통권 3 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 3 월 31 일,

총독부, 신교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조선공립학교 관제 공포(4.1.시행). 6 월 1 일,

제 1 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개최(~6.21). 6 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간 비행 성공.

1923 년 ; 1 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3 월,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 9 월 2 일,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미수 혐의로 도쿄경시청에 구금됨. 9 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 창간.

1924 년 ; 1 월 4 일,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의 나주바시[二重槁]에

폭탄 투척(二重槁사건). 3 월 31 일,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 월 17 일, 서울에서

전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 월 2 일,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 월,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LT;전국여자배구대회 사진&GT; 촬영˙제작. 8 월 5 일,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등 문인 30 여 명,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1925 년 ; 1 월 3 일,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로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 월 17 일,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등,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 11 월 27 일, 신의주에서 제 1차 공산당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등

체포. 10 월 13 일,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참배 거부. 15 일, 서울운동장 개장.

1926 년 ; 1 월 2 일,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학살사건 발생. 4 월 1 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 일,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를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 일 순종(純宗) 승하. 27 일, 영친왕 은(垠), 왕위계승.

6˙10 만세 사건. 9 월,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 일, 경성방송국 창립. 12 월 28 일,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

1927 년 ; 4 월 7 일, 이상재(李商在)의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 월 1 일,

경성~오사카[大阪] 간 정식으로 무선통신개통. 2 일,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 시간 29 분 37 초) 수립.

Page 41: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928 년 ; 3 월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김구(金九) 등, 상하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6 월 5 일, 이영행(李永行)˙방용배(方龍培), 새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를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저 《우리말본》(제 1편) 등

간행.

1929 년 ; 4 월 1 일, 여의도비행장 개장. 일본항공수송주(株), 도쿄~울산 간,

울산~타이롄[大連] 간 항공로 개설. 6 월 24 일, 총독부독직(瀆職)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 8 월 17 일, 새 총독에 사이토[齋藤實]가 재임. 11 월 3 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 월 13 일, 신간회 44 명, 근우회 간부 47 명

검거됨(민중대회사건). 이 해,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등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 년 ; 1 월 24 일,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 월,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수업 마비상태. 8 월 7 일, 평양고무 근로자들

1,800 여 명, 임금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 월 1 일,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및 도제(道制) 공포.

1931 년 ; 3 월 29 일,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등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 월 18 일, 임시정부, 삼균제도(三均制度)를

건국원칙으로 천명. 6 월 17 일,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 월 2 일,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중 한˙중 농민

충돌(만보산사고). 서울˙인천˙평양 등전국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하에 일본 요인암살을 목적으로한

‘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 년 ; 1 월 8 일,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 월 29 일,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홍커우공원에서 일황생일경축식 겸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 월,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로 옮김.

1933 년 ; 2 월,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등 공박. 11 월 4 일,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 회 기념식 갖고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1934 년 ; 5 월 7 일, 이병도˙김윤경˙이병기 등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 월 11 일,

조선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 일, 겸이포제철(兼二浦製鐵), 1 일, 부산~신경(新京)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 년 ; 4 월 15 일, 회령(會寧) 유선(遊仙)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 여 명 갱부 매몰. 7 월

5 일,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민족당˙대한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 월 3 일, 청진(淸津)비행장 개장.

1936 년 ; 8 월 26 일,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 일,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 보도(8.25). 29 일,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 월 23 일, 한강인도교

개통(381`m). 12 월 12 일,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 공포(12.21. 시행).

1937 년 ; 3 월 10 일, 총독부 강권에 따른 제 1차 간도이민단 일행 1 만 2000 명 출발.

5 월 만주 동북(東北)항일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주재소

Page 42: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습격(보천보사건). 6 월 7 일, 안창호 등 150 여 명,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등 헌납을 강요. 11 월,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전.

1938 년 ; 2 월 9 일,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 월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제도 창설. 3 월 3 일,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 일,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학교,신사참배

거부하고 폐교. 7 월,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 월,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 년 ; 2 월, 광복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공작대 조직. 3 월,

임시정부, 쓰촨성[四川省]으로 옮김. 7 월 3일, 경방단(警防團)규칙 공포. 22 일,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간) 개통식. 9 월 28 일,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 일, 총독부,

국민정용령 발동(10.1.~45 년까지 45 만 명 동원).

1940 년 ; 2 월 11 일, 총독부, 창씨(創氏)제도 시행. 8 월 10 일,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20 일, 쌀 배급제도 실시.

1941 년 ; 3 월 15 일, 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근로동원 강요. 25 일,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 월 1 일,생활필수문자통제령 공포. 8 월, 보천보(普天堡)사건

관련자(6 명)에 사형선고. 9 월 3 일, 총독부, 조선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결성. 12 월 8 일,

외국 신부˙선교사 등 67 명 스파이 혐의로 검거. 9 일, 임시정부, 대일(對日) 선전포고.

1942 년 ; 2 월 27 일, 워싱턴에서 독립운동단체를 총망라한 한족대회 열림(~3.1.). 3 월

1 일, 임시정부, 중˙미˙영˙소에 임정 승인을 요청. 5 월 29 일, 새 총독에 고이소[小磯國昭]

임명. 7 월 김두봉(金枓奉) 일파, 옌안[延安]에서 조선독립동맹 조직. 9 월 8 일,총독부,

금속(金屬)회수에 강제권 발동. 30 일, 청장년 국민등록 실시. 10 월 1 일, 최현배(崔鉉培) 등

30 여 명,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체포.

1943 년 ; 3 월 1 일, 조선인징병제 공포(8.1. 시행). 5 월 18 일, 태백산(太白山) 남벌

시작(조선목재로 쓰기 위함). 6 월 1 일, 백금회수 강행. 3 일, 해군특별지원령 공포(10.1.

시행). 10 월 20 일, 학도병제 실시. 12 월 15 일, 학도병 미지원자에게 징용령 발동.

1944 년 ; 2 월 8 일, 국민총동원법에 의거, 징용제 실시. 10 일,

여자청년특별연성령(特別鍊成令) 공포. 관청들 일요일 휴무제 폐지.4 월 22 일, 기독교도의

신사참배 강요에 항거하던 주기철(朱基徹) 목사 순교. 5 월 9 일, 여자정신대 1 차(경남반),

도야마현[富山縣] 동제공업(銅材工業)에 동원됨. 6 월 17 일, 미곡강제공출제(할당제) 실시.

7 월 24 일, 새 총독으로 아베[阿部信行] 임명. 8 월 23 일, 독신여성을 동원, 일본˙남양군도

등지의 종군위안부 등으로 강제징용. 8 월, 한국광복진선계(光復陳線系), 충칭[重慶]에서

한국청년회 조직.

1945 년 ; 4 월 4 일, 임시정부, 중국과 새 군사협정 체결(독자적 군사행동권 획득). 8 월

14 일, 여운형(呂運亨), 아베 총독의 정권이양 교섭에 동의. 15 일, 일본 무조건항복. 9 월,

국민당 결성(위원장 안재홍). 2 일, 연합군최고사령부, 북위 38 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국분할점령 방안 공표. 7 일, 미국 극동군사령부, 남한 군정(軍政)시행을 선포. 9 일,

총독부, 항복문서에 조인. 11 일, 군정장관에 아놀드 소장 취임. 16 일, 한국민주당 결성.

10 월 10 일, 김일성(金日成),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창설(46.7.29.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 49.6.~남로당을 흡수, 조선노동당으로 확대개편). 25 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결성(총재 이승만). 11 월 3 일, 평양에서 조선민주당 결성(당수 조만식). 11 일, 조선인민당

결성(당수 여운형). 23 일, 김구(金九) 주석 등 임정 요인들 환국.북한 신의주에서

Page 43: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반공학생들 의거. 12 월 20 일, 《합동통신(合同通信)》 창립. 28 일, 모스크바 3 상회의.

29 일, 반탁(反托)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결성. 30 일, 송진우(宋鎭禹), 괴한에게 피살. 31 일,

전국에서 반탁데모˙파업˙철시 단행.

대한민국

1946 년 ; 1 월 2 일 조선공산당, 신탁통치 지지 선언. 2 월 1 일, 비상국민회의 결성. 8 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반탁국민총동원중앙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통합(총재 이승만).

평양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발족(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14 일, 군정청

최고자문기관 ‘남조선민주의원’ 구성(의장 이승만, 부의장 김구˙김규식, 의원 25 명). 3 월

5 일, 북조선임시인민위,토지개혁을 단행. 20 일, 제 1 차 미소공동위원회 소집.

한국독립당(30.1.25. 창당) 개편. 23 일, 북한, 20 개 정강 발표. 5 월 15 일,미군정,

조선정판사 위폐사건 진상 발표. 6 월 22 일, 이범석(李範奭) 등 광복군 환국. 7 월 17 일,

38 선 이북으로 통행 금지. 22 일,북조선,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결성. 25 일,

좌우합작위원회, 정식회담 개시. 28~30 일, 북한에서 공산당과 신민당이 합당,

북조선노동당 결성. 8 월 10 일, 북한, 주요산업의 국유화 실시. 9 월 7 일, 공산당 간부

이주하(李舟下) 체포, 박헌영(朴憲英)˙이강국(李康國) 등 도피 10 월 1 일, 10˙1 대구사건

발생. 13 일, 조선민족청년당 결성(단장 이범석). 11 월 23 일, 좌익 3당통합 강경파,

남조선노동당(남로당) 결성(위원장 허헌). 12 월 2 일, 이승만 도미, 남한 만의 독립정부

수립의 필요성 역설. 12 일, 남조선과 도입법의원 개원(의장 김규식).

1947 년 ; 2 월 11 일, 공민증(公民證)제도 시행. 3 월 1 일, 좌우 진영, 3˙1 절 행사를 따로

거행, 남대문 앞에서 양 세력 충돌. 4 월 19 일, 서윤복(徐潤福), 보스턴마라톤대회서 우승.

5 월 21 일, 제 2 차 미소공동위(미 대표 브라운 소장, 소 대표 스티코프 중장) 개최. 6 월

3 일, 군정청, 한국정치기구를 ‘남조선과도정부’로 호칭. 20 일, 군정청, 서재필(徐載弼)을

특별의정관으로 초빙(7.1.착임). 7 월 18 일, 여운형 피살(8.3. 국민장). 8 월 6 일,

조선임시정부 약헌(約憲), 입법회의에서 통과. 21 일,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 결성. 30 일,

군정장관에 딘 소장 취임. 12 월 2 일, 장덕수(張德秀) 피살. 16 일, 북한, 화폐개혁 실시.

1948 년 ; 1 월 7 일, 초등교육 의무교육 실시. 2 월 26 일, 유엔 소총회, 유엔한국위원회의

접근가능지역(남한)에서만의 총선거안 가결. 3 월 8 일, 김구, 남북협상을 제의. 16 일,

북한˙중공, 비밀군사협정 체결. 4 월 3 일, 제주도에서 ‘4˙3 사태’ 시작. 16 일, 최초의 총선거,

입후보자 등록마감(934 명 등록). 19 일, 김구˙김규식 방북, 남북대표자 연석회의(제 1차)

참석. 5 월 10 일, 유엔감시하에 남한총선거 실시(좌익계˙남북협상파 불참). 14 일, 북한,

남한 송전(送電) 중단, 남북협상 결렬. 31 일, 제헌국회 개원(6.10. 의장 이승만, 부의장

신익희˙김동원). 7 월 17 일, 헌법 및 정부조직법 등 공포. 20 일, 국회,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 선출(24 일 취임). 8 월 1 일, 국회 이범석(李範奭) 국무총리 인준. 4 일,

국회의장에 신익희(申翼熙), 부의장에 김약수(金若水)선출. 5 일, 국회, 김병로(金炳魯)

대법원장 인준. 15 일, 대한민국 수립을 선포(상호 0 시 기해). 하지 중장, 미군정 폐지를

선포.25 일, 북한총선거 실시. 9 월 1 일, 북한, 최고인민위원회 개최.(수상 김일성). 9 일,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 10 월 20 일, 여수˙순천사건 발생. 12 월 10 일,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12 일, 유엔총회, 한국정부를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46 대 6

가결).

1949 년 ; 1 월 8 일,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발족. 5 월 20 일,

남로당(南勞黨) 국회프락치사건 적발. 미국 국무부, 미군철수를 발표(군사고문단 제외). 6 월

21 일, 정부 농지개혁법 공포. 25 일, 북한 남북의 ‘민족전선’을 통합,

Page 44: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29 일, 김구 피살(포병소위 안두희가 백주에 경고장에서 저격).

7 월 5 일, 김구 국민장 거행(최초의 국민장). 8 월 6 일 장제스[蔣介石] 자유중국 총통 내한,

진해(鎭海)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정상회담.

1950 년 ; 1 월 26 일,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2 월 16 일, 이대통령, 맥아더 초청으로

일본 방문. 3 월 13 일, 국회, 제 1 차 개헌안(내각책임제) 부결. 27 일, 남로당 총책

김삼룡(金三龍)˙이주하(李舟河) 검거. 4 월 12 일, 한국, 보스턴마라톤대회 1~3 위 제패.

24 일, 제 1 회 국전(國展) 개최. 5 월 30 일, 제 2 대 국회의원 선거. 6 월 1 일, 6 년제

의무교육 실시. 12 일, 한국은행 발족(초대총재 具鎔書). 16 일, 북한, 김삼룡˙이주하와

조만식(曺晩植) 교환 제의. 이대통령, 조건부 수락. 북한 조건 불수락으로 이뤄지지 않음.

19 일, 제 2 대국회 개원(의장 신익희, 부의장 택상˙조봉암). 25 일, 북한군 불법남침으로

6˙25 전쟁 발발. 27 일,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제 결의. 28 일, 서울 함락, 한강 인도교

폭파. 7 월 1 일, 연합군 지상부대, 부산에 상륙. 9 월 1 일, 부산 문화극장에서 피난국회로

재개. 15 일,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개시. 16 일, 낙동강전선에서 반격전 개시. 26 일, 국군,

서울 진입 성공, 28 일 수복. 10 월 1 일, 국군, 38 선 돌파, 19 일 평양 탈환. 25 일, 중공군,

한국전 개입 시작. 26 일, 국군, 압록강(楚山) 탈환. 27 일,정부, 서울 환도. 29 일, 이대통령,

평양 시찰. 12 월 4 일, 평양 철수. 북한주민 약 50 만 명, 피난길 등정. 16 일,

국민방위군설치령 국회 통과. 24 일, 서울시민에 피난령 발함.

1951 년 ; 1 월 1 일, 중공군 6 개 사단, 압록강 건너 남진 시작. 3 일, 정부, 부산으로 이전.

2 월 10 일, 국군, 서울에 진입. 11 일, 거창(居昌)양민학살사건 발생. 3 월 5 일, 정부,

120 만 소작인에 대한 농지분배 발표. 4 월 11 일, 맥아더, 유엔군총사령관직에서 해임.

후임에 리지웨이 중장 임명. 5 월 9 일, 이시영(李始榮) 부통령, 이대통령을 성토하고 사직.

15 일, 국회, 부통령에 김성수(金性洙) 선출. 6 월 23 일, 말리크 소련 유엔 대표, 38 선

정전회담 제의. 7 월 8 일, 휴전예비회담 개성(開城)에서 열림. 9 월 6 일, 여군창설. 10 월

17 일, 국무회의, ‘대통령 직선, 양원제 개헌안’ 의결. 20 일 한˙일 제 1차 회담 도쿄에서

개막. 25 일, 남북휴전회담, 장소를 판문점(板門店)으로 옮김. 12 월 1 일, 부산˙대구를 제외,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2 일, 서남지구(지리산 일대) 공비토벌작전 개시(52.3.12. 종료).

1952 년 ; 1 월 18 일, 국회, 제 2 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정부안) 부결.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선포. 2 월 15 일, 제 1 차한일회담 개최. 18 일, 거제도포로수용소에서

좌익계 폭동 발생. 4 월 17 일, 국회의원 123 명, 내각책임제의 제 3차 개헌안 제출(5.7.

공고). 20 일, 장면(張勉), 국무총리직 사임. 동양통신(東洋通信) 창립. 24 일, 서민호(徐珉濠)

의원사건 발생. 5 월 6 일, 장택상, 국무총리에 임명됨. 7 일, 거제도포로수용소의

공산포로들 폭동. 10 일, 초대 도의원 선거. 14 일, 정부, 제 4 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제출. 19 일, 민중자결단˙땃벌떼˙백골단 등, 국회해산 요구

시위. 25 일, 부산과 경남˙전남북에 계엄령 선포(~7.28.). 26 일, 부산정치파동.

대통령직선제 강행으로 정계 격동. 29 일, 김성수 부통령, 이대통령 탄핵하고 국회에 사표

제출. 6 월 18 일, 국회, 임시의장에 신익희, 부의장에 조봉암˙김동성 선출. 20 일,

부산국제구락부에서˙야당인사들, 반독재호헌구국선언 발표(국제구락부사건). 21 일,

발췌개헌안 국회에 상정. 25 일, 이승만 대통령 암살미수사건 발생. 범인 유시태(柳時泰)

체포. 7 월 4 일, 국회, 경찰 포위 속에 제 3˙4 차 개헌안 발췌통과(제 1차

개헌˙발&#195;欲냘愼. 8 월 5 일, 직선제 정˙부통령선거 실시(대통령이승만, 부통령

함태영(咸台永) 당선. 13 일, 근로기준법 국회 통과(53.5.13. 공포). 9 월 30 일, 장택상 총리,

고시진(古市進)사건 인책사임. 10 월 17 일, 국회, 이윤영(李允榮) 총리인준 부결. 29 일,

국회, 정부 불신임안 발의. 11 월 27 일, 부산국제시장 대화재. 12 월 2 일,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자 내한. 3 일, 유엔총회, 한국전쟁포로의 중립지대로 이송안(인도案) 통과.

1953 년 ; 1 월 5 일, 이승만 대통령 일본 방문 요시다[吉田] 총리와 회담. 2 월 15 일,

긴급통화조치령 발표, 제 1차 통화개혁(110 대 1로 인하. ‘원(圓)’을 ‘환’으로 개칭). 23 일,

Page 45: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휴전회담 재개. 6 월 8 일, 포로교환협정 조인(8.5. 교환 시작, 9.6. 완료). 18 일, 반공포로

석방 단행. 7 월 27 일, 휴정협정 조인.

1954 년 ; 1 월 9 일, 국방대학원 창설. 18 일, 독도에 영토 표지판 설치(5.1. 민간수비대

파견). 21 일, 반공포로 인수, 28 일, 친공포로 인도 완료. 30 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족.

5 월 20 일, 제 3 대 민의원 선거 실시(의장 이기붕, 부의장 최순주˙곽상훈). 6 월 15 일,

진해에서 제 1회 아시아민족대회 개최(~21 일). 11 월 14 일, 수복지구 행정권 인수받음.

불교의 대처승과 비구승 간 분쟁 격화. 29 일, 국회, 개헌안 사사오입(四捨五入)이론을 적용,

통과 처리. 30 일, 국회에 호헌동지회 결성됨. 12 월 7 일, 국회, 초대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개헌안(9.8. 정부가 제안) 부결. 10 일, 국보 3,400 점을 부산 용두산 화재로 소실. 20 일,

정부기구를 12 부 1 설 1 원으로 개편.

1955 년 ; 2 월 18 일, 김성수(金性洙) 국회부의장(전부통령) 사망(2.24. 국민장).

조경규(趙瓊奎), 부의장이 됨. 8 월 8 일, 증권시장개장. 16 일,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

죽음. 9 월 13 일, 《대구매일(大邱每日)》, 학생정치도구화 반대 사설을 게재로 필화(筆禍).

18 일, 호헌동지회의 자유민주파, 민주당 창당(대표최고위원 申翼熙). 10 월 1 일,

광복 10 주년기념 산업박람회 개최. 26 일, 중공군 6 개 사단 철수 완료.

1956 년 ; 1 월 2 일, 제 2 여당으로 민정당(民正黨) 발기(최고위원 이범석˙장택상). 3 월

30 일에 공화당(共和黨)으로 발족. 30 일, 김창룡(金昌龍) 육군특무대장 피살. 2 월 27 일,

김창룡 저격범 허태영(許泰榮) 대령 등 구속(11.22. 강문봉 중장 등 추가구속). 5 월 5일,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유세중 이리(裡里)에서 급서(5.23. 국민장). 12 일, 첫

텔레비전방송국(호출부호 HLKI) 개국.15 일, 제 3 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6 월 8 일 국회, 의장에 이기붕,

부의장에 조경규˙황성수(黃聖秀) 선출. 9 월 28 일, 민주당전당대회, 대표최고위원회에

조병옥(趙炳玉) 선출. 대회장에서 퇴장하던 장면 부통령 피습. 현장에서 범인

김상붕(金相鵬) 체포. 10 월 1 일, 장부통령 저격사건 배후조종자 최훈(崔薰) 구속. 11 월

10 일, 진보당 창당위원장 조봉암(曺奉岩), 간사장 윤길중(尹吉重) 선출. 29 일,

국제시계밀수사건에 황성수 국회부의장,박영출(朴永出) 외무위원장 관련.

1957 년 ; 1 월 11 일, 유엔총회, 유엔 감시하의 통한(統韓)총선거 결의, 14 일,

유도회(儒道會) 분규 격화. 5 월 5 일, ‘어린이헌장’선포. 25 일, 야당 주최 장충단(奬忠壇)

시국강연회장에서 테러단 난동(12.5. 주범 유지광 체포됨). 8 월 가짜

이강석(李康石)사건으로 사회가 소란. 9 월 1 일에 주인공 강성병 체포됨. 10 월 9 일,

《우리말큰사전》(전 6권) 30 년 만에 완간. 국회, 동성동본(同姓同本)과 8 촌 이내 인척의

결혼금지안 채택.

1958 년 ; 1 월 1 일, 민˙참의원 선거법안 국회통과. 13 일, 진보당사건 발생. 위원장 조봉암

등, 간부 7 명 간첩혐의로 구속(59.2.27. 대법에서 조봉암 사형 확정). 3 월 3 일, 북한,

김두봉(金枓奉) 숙청, 천리마(千里馬)운동 시작. 5 월 2 일, 4 대민의원 선거 실시(자유당 126,

민주당 79, 무소속 27 석 등 차지).

1959 년 ; 1 월 5 일, 보안법 반대데모 전국으로 확산. 12 월 13 일, 정부, 재일교포

북송문제와 관련,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를 일본에 제의(일본은 거부). 14 일, 교포북송

제 1진 975 명, 일본 니가타[新潟]를 출항, 청진(淸津) 도착.

1960 년 ; 2 월 5 일, 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 후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죽음(25. 국민장). 28 일, 대구에서 반독재 학생데모 일어남. 3 월 15 일, 제 5 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데모. 4 월 6일,

민주당˙민총˙공명선거위원회 등 3 개단체가 합동, 3˙15 부정선거 규탄 데모. 11 일, 피살된

Page 46: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김주열(金朱烈)의 시체인양 계기로 제 2마산 데모 발생. 18 일, 고려대학생 데모대,

정치깡패의 기습으로 부상. 19 일, 서울시내 2 만여 학생 총궐기, 4˙19 혁명발발. 경무대

어귀에서 경찰발포로 42 명 희생. 서울 등 5 개도시에 비상계엄령 선포. 21 일, 국무위원

일괄사표. 23 일, 장면(張勉)부통령 사임. 24 일, 이승만 대통령, 자유당 총재직 사퇴.

이기붕(李起鵬) 국회의장, 모든 공직에서 사퇴 발표. 26 일, 데모군중증가. 상오 10 시경

10 만에 달함.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27 일, 대통령권한대행에 허정(許政) 외무장관.

28 일, 이기붕일가 자살. 조용순(趙容淳) 대법원장 사표. 허정 과도내각 성립(5.1. 3˙15 선거

무효확인). 5 월 21 일,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6.15. 국회 통과˙공포. 제 2공화국 성립됨).

29 일,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6&#191;&#249; 17 일, 곽상훈(郭尙勳) 국회의장, 새 헌법에

의거, 대통령권한을 대행. 7 월 29 일, 민˙참의원선거 실시(민주당 대승). 8 월 8 일, 국회

양원 개원(참의원 의장 白樂濬, 민의원 의장 郭尙勳). 12 일, 민˙참 합동회의, 제 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 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

1961 년 ; 2 월 3 일, 대일정책결의안(선국교˙후경제 등) 채택. 5 월 16 일, 군사정변.

군사혁명위원회 발족(의장 장도영˙부의장 박정희). 5 월 18 일, 장면내각 총사퇴. 혁명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 5 월 20 일 최고회의 내각 조직(내각수반에 장도영 의장 겸임).

7 월 1 일, 서울국제방송국(HLCA) 개국. 7 월 2 일, 최고회의 의장에 박정희 소장 취임. 7 월

3 일, 반공법 공포. 7 월 22 일, 경제재건 5 개년계획 발표. 8 월 12 일, 박정희 최고의장

8˙12 성명(정권 이양시기˙국회 구성문제 등) 발표. 12 월 22 일, 첫 학사자격국가고시 실시.

1962 년 ; 1 월 1 일, 공용년호를 서력으로 변경. 1 월 13 일, 제 1 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성안. 3 월 16 일, 정치활동정화법 공포. 3 월 19 일, 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 3 월

22 일, 윤보선 대통령 사임. 3 월 24 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대통령권한대행. 5 월 31 일,

증권시장, 약 500 억 환의 5 월분 수도결제 불이행(증권파동). 6 월 10 일, 제 2 차

통화개혁(10 대 1 로 평가절하, ‘환’을 ‘원’으로 변경). 12 월 17 일, 헌법개정안 국민투표에서

가결. 12 월 27 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절차 발표.

1963 년 ; 1 월 1 일, 민간인 정치활동 재개. 2 월 18 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2˙18 성명(민정 불참선언 및 정국수습 9 개 방안 제시)발표. 2 월 21 일, 민주공화당 창당.

3 월 16 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3˙16 성명 발표. 5 월 14 일, 민정당 창당, 대통령후보에

윤보선 지명. 7 월 27 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일정 발표. 10 월 10 일,

서울가정법원 개원. 10 월 15 일,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당선). 11 월 26 일, 국회의원선거

실시. 12 월 17 일, 제 3 공화국 발족(새 헌법 발효). 박정희 제 5대 대통령 취임, 제 6대

국회 개원.

1964 년 ; 1 월 18 일, 제주도 일원 첫 통금해제. 5 월 2 일, 민주˙자민˙국민당 통합 선언.

6 월 3 일, 6˙3 사태 발생. 서울에 비상계엄령 선포. 8 월 2 일, 언론윤리위법안 국회 통과.

8 월 17 일, 한국기자협회 발족. 10 월 31 일, 한˙월남,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 파견에 관한

협정 체결.

1965 년 ; 1 월 8 일, 국무회의, 비전투병력 2,000 명 월남파병 의결. 3 월 1 일, 충북지역

야간 통금 해제. 3 월 22 일, 단일변동환율제실시. 3 월 24 일, 비둘기부대 제 1진 사이공

도착. 4 월 17 일, 한˙일협정반대데모대, 효창공원서 시민궐기대회. 5 월 3 일, 민정˙민주

양당, 민중당 창당. 6 월 22 일, 한˙일협정 조인, 국교 정상화. 7 월 2 일, 국무회의, 1 개

전투사단 월남파병 의결. 7 월 17 일,이승만 하와이서 사망, 23 일 유해 환국.

1966 년 ; 2 월 4 일, 과학기술연구소(KIST) 발족. 3 월 1 일, 국세청˙수산청 발족. 3 월

30 일, 신민당 창당. 6 월 25 일, 김기수, 세계주니어미들급 챔피언이 됨. 7 월 9 일,

Page 47: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한˙미행정협정 조인(67. 2. 9. 발효). 7 월 29 일, 국무회의, 제 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공표. 9 월 5 일, 백마부대 제 1진 월남 상륙. 10 월 31 일, 존슨 미국 대통령 한국 방문.

11 월 1 일, 한˙미정상회담, 2 일 공동성명 발표.

1967 년 ; 1 월 1 일, 대구 서문시장에 큰불. 2 월 7 일 민중˙신한당 통합, 신민당 창당. 3 월

22 일,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서 위장귀순. 3 월 30 일, 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청으로 개칭. 5 월 3 일, 제 6 대 대통령 선거(공화당 박정희 후보 당선,7.1.

취임). 6 월 8 일, 제 7 대 국회의원 선거. 8 월 9 일, 제 1 차 한˙일각료회담 개최(도쿄).

1968 년 ; 1 월 21 일, 1˙21 사태, 북한 무장공비 31 명 서울 침입. 1 월 23 일,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원산 앞바다서 북한에 피랍. 2 월 7 일, 경전선 개통. 4 월 1 일, 향토예비군

창설. 5 월 27 일, 제 1 차 한˙미국방장관회의(워싱턴). 7 월 15 일, 문교부,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8 월 15 일, 정치정화법 시효 완료. 9 월 9 일, 제 1 회 한국무역박람회 개막.

10 월 14 일, 문교부, 대학입시 예비고사제실시 발표. 11 월 21 일, 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대체. 11 월 29 일, 서울시의 전차 철거. 12 월 11 일, 광화문 복원 준공

1969 년 ; 3 월 1 일, 국토통일원 개원. 3 월 3 일, 정부, 가정의례준칙 발표. 3 월 28 일,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서품. 6 월 17 일, 3 선개헌반대 학생 데모 시작. 7 월 21 일,

경인고속도로 개통. 9 월 7 일, 신민당, 대통령 탄핵소추결의안 국회에 제출. 9 월 14 일,

3 선개헌안˙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 10 월 17 일, 개헌안 국민투표 실시. 12 월

24 일, 국제통화기금, 한국을 특별인출권(SDR)통과공여국으로 지정.

1970 년 ; 4 월 8 일, 서울 와우시민아파트 도괴. 사망 33 명. 5 월 16 일, 서울대교 개통.

5 월 18 일 금산 인공위성지구국 우주통신 중계 개시. 6 월 2 일, 특수층의 부정부패를

풍자한 담시(譚詩) 《오적(五賊)》 필화사건. 필자 김지하, 등 구속. 7 월 1 일, 우편번호제

실시. 7 월 7 일, 경부고속도로 개통. 8 월 15 일, 서울 남산 제 1호터널 개통. 10 월 31 일,

국토종합개발심의회, 국토종합개발 10 개년계획 확정. 12 월 23 일, 정부종합청사 준공.

12 월 30 일, 호남고속도로(대전~전주 간) 개통.

1971 년 ; 2 월 9 일, 제 3 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3 월 19 일, 원자력발전소

기공(경남 동래). 3 월 31 일, 서울~부산 간 자동전화개통. 4 월 27 일, 제 7 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7. 3. 취임). 5 월 25 일, 제 8 대 국회의원 선거. 7 월 8 일, 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 발굴. 7 월 26 일, 제 8 대 국회 개원. 9 월 20 일, 남북적,

이산가족찾기 예비회담 판문점서 첫 개최. 10 월 15 일, 서울시에 위수령 발동. 12 월 9 일,

파월 국군 첫 철수부대 부산항에 개선. 12 월 27 일, 국가보안법 국회서 변칙 통과.

1972 년 ; 5 월 29 일,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최고의 고려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심경(直指心經)》 발견. 8 월 3 일, 박정희 대통령,‘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기업사채 동결). 8 월 30 일, 남북적십자사, 첫 본회담 평양에서 개막. 10 월 17 일,

박정희 대통령, 특별선언 발표. 10 월 17 일, 계엄사, 포고 제 1호로 대학휴교, 신문˙통신

사전검열제 실시. 11 월 21 일, 개헌 위한국민투표 실시. 22 일, 유신헌법 확정. 12 월 15 일,

첫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2 월 23 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 8대 대통령에

박정희후보 선출(12. 27. 취임). 12 월 27 일 유신헌법 공포(정치활동 재개).

1973 년 ; 2 월 1 일, 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 폐지법안 의결. 2 월 27 일, 제 9 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3 월 3 일, 한국방송공사 발족. 4 월 1 일, 주민세 실시. 4 월 10 일, 한국

여자탁구팀 세계 제패(유고 사라예보). 5 월 5 일, 어린이 대공원 개원. 5 월 27 일, 소련,

한국인(유덕형)에 첫 입국허가. 중앙선 전철 개통(청량리~제천 간). 8 월 8 일,

김대중피랍사건 발생(일본 도쿄), 한일간 긴장 야기.

Page 48: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974 년 ; 1 월 8 일, 박정희 대통령, 긴급조치 1 호(개헌논의 금지)˙2 호(비상군법회의 설치)

선포. 1 월 14 일, 국민생활 안정을 위한긴급조치 3 호 선포. 8 월 15 일, 광복절기념식장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미수사건 발생. 대통령부인 육영수 피격 서거. 8 월

15 일,서울시지하철(서울역~청량리역 간) 개통. 9 월 6 일, 반일데모대, 일본대사관 침입,

일장기 찢고 자동차 등 불태움. 11 월 15 일, 유엔군사령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 땅굴을

파고 남방 1`km까지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했다고 발표. 11 월 22 일, 포드 미국 대통령

내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975 년 ; 2 월 12 일,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찬성 73.11`%). 9 월 1 일, 여의도에

새 국회의사당 준공. 9 월 15 일, 조총련계 재일교포 700 여명 추석성묘차 모국 방문. 9 월

22 일, 민방위대 발대식. 10 월 14 일, 영동˙동해고속도로 개통.

1976 년 ; 6 월 18 일, 경제기획원 제 4차 경제개발 5 개년계획 발표. 8 월 1 일, 양정모

몬트리올 올림픽경기대회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 획득. 8 월 18 일,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 명 살해. 10 월 11 일,

전남신안 앞바다에서 송˙원대의 유물 대량 인양.

1977 년 ; 5 월 24 일, 하비브 브라운 미국 대통령 특사, 박정희대통령과 회담, 철군문제

협의. 6 월 19 일, 국내 최초로 고리원자력 1 호 발전기 점화. 7 월 1 일, 부가가치세제 실시.

11 월 11 일, 이리역 화약운송열차 폭발로 참사 발생.

1978 년 ; 1 월 1 일, 동력자원부 발족. 4 월 14 일, 세종문화회관 개관. 4 월 21 일,

대한항공 B707 여객기, 소련 무르만스크 남쪽 200 마일 지점에 강제 착륙. 6 월 30 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 7 월 6 일, 제 2 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 9대대통령 당선. 11 월 7 일, 한˙미연합사령부 발족. 12 월 12 일, 제 10 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1979 년 ; 6 월 29 일, 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 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8 월

11 일, 경찰, 신민당사에서 농성 중인 YH 무역여공 200 여명 강제 해산. 10 월 4 일, 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10 월 18 일, 정부, 학생시위로 부산에 비상계엄령 선포. 10 월

20 일,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10 월 26 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의해 피격 사망(10˙26 사태). 10 월 27 일,

전국(제주도 제외)에 비상계엄령 선포. 대통령권한대행에 최규하 국무총리 취임. 11 월 3일,

국장. 11 월 6 일, 계엄사,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전모 발표. 12 월 6 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 10 대 대통령에 최규하 선출. 12 월 12 일, 수사당국, 정승화 육참총장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관련혐의로 연행(12˙12 사태).

1980 년 ; 2 월 18 일, 최규하 대통령, 각계 원로˙중진 23 명으로 국정자문회의 구성. 5 월

17 일, 정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5 월 18 일, 광주학생˙시민대규모 데모. 5 월 27 일,

계엄군 개입으로 진압. 5 월 31 일, 정부,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보좌기관으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신설(의장 최규하 대통령, 상임위원장 전두환 중앙정보부장서리). 7 월

31 일, 계엄사 김대중 등 37 명을 내란음모혐의로 기소, 9 월 17 일, 김대중 사형선고. 8 월

2 일 컬러 텔레비전 시판 개시. 8 월 16 일, 최규하 대통령 하야. 8 월 27 일,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 제 11 대 대통령에 당선. 9 월 5 일, 문교부, 대학교육개혁시안

발표(학과별 최소 졸업정원제 채택). 9 월 29 일, 정부, 제 5 공화국 헌법개정안 공고. 10 월

22 일, 제 5 공화국헌법 확정. 10 월 27 일, 입법회의, 국가보위입법회의법 의결. 11 월

14 일,신문협회˙방송협회,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12 월 1 일, 한국방송공사(KBS),

컬러텔레비전 첫 방영.

Page 49: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981 년 ; 1 월 15 일, 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1 월 17 일, 민주한국당 창당(총재

류치송). 1 월 24 일, 정부, 비상계엄 전면 해제. 2 월 11 일, 대통령선거인단 선거. 2 월

25 일, 전두환대통령, 제 12 대 대통령 당선. 3 월 25 일, 제 11 대 국회의원 선거. 4 월

20 일,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5 월 6 일, 공정거래위원회 발족. 9 월 30 일,

제 84 차 IOC 총회, 제 24 회 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서울개최 의결.

1982 년 ; 1 월 1 일, 문교부, 중고생 교복(83 년부터)과 머리형 자율화하기로 결정. 1 월

5 일, 정부, 야간통금 전면해제. 9 월 24 일,서울국제무역박람회 개막.

1983 년 ; 1 월 1 일, 공직자윤리법(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발표. 6 월 30 일, 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1 만 189 명 혈육 상봉. 9 월 1 일, 소련 전투기, 사할린 부근서

KAL 기 격추(KAL 기 사건). 10 월 9 일,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묘소서 북한 공작원이 장치한

폭탄 폭발, 참배 준배 중이던 서석준 부총리 등 한국 고위관리 17 명 순국. 11 월 13 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내한(12 일 1 차 한˙미정상회담, 13 일 2 차 한˙미정상회담, 14 일

공동성명 발표). 11 월 29 일, 88 서울올림픽경기대회 휘장˙마스코트 발표.

1984 년 ; 1 월 10 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 자회담

제의. 4 월 2 일, 안기부, 78 년 홍콩서 실종된 영화배우 최은희, 감독 신상옥의 북한

납치사실 발표. 5 월 1 일, 서울대공원 개원. 5 월 3 일, 교황 바오로 2 세 방한(6 일

여의도에서 한국순교자 103 위의 시성식 집전).

1985 년 ; 2 월 12 일, 제 12 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5 월 17 일, 전국 80 개 대학 3 만

8000 여명, 광주사태 진상규명 요구 시위. 6 월 17 일, 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채택. 7 월 19 일, 부산 지하철 1 호선 1 단계 구간(범어사~서면) 개통. 8 월

17 일,고대 의대, 냉동정액을 이용한 수정으로 임신된 아기가 국내에서 처음 탄생했다고

발표. 9 월 20 일, 남북한 고향방문단 서울과 평양 도착(남북한 각각 151 명씩 3 박 4 일간

체류). 9 월 21 일,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 40 년만에 고향방문단 혈육 상봉. 9 월 27 일,

한국이 참여한 첫 해외개발유전인 인도네시아 마두라 유전서 생산 개시. 11 월 19 일, 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 가입.

1986 년 ; 3 월 13 일, 납북된 최은희˙신상옥,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

3 월 26 일, 재무부, 덤핑방지관세제 실시.8 월 21 일, 새 국립중앙박물관, 구 중앙청청사를

개조해 개관. 9 월 20 일, 제 10 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막(~10 월 5 일). 10 월

6 일,(주)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초로 초소형 4mm VTR 개발.

1987 년 ; 1 월 14 일, 서울대생 박종철군, 경찰고문으로 사망. 2 월 4 일, 과학기술원

윤한식˙손태항 박사팀, 최강력고분자 알로이섬유 세계 최초로 개발. 3 월 6 일, 서울시교위,

시위전력의 교육대학 졸업생 12 명 교사임용 제외. 6 월 10 일, 민정당, 노태우 대표위원을

대통령후보로 선출. 6 월 24 일, 전두환대통령˙김영삼 민주당총재 회담. 6 월 25 일, 경찰

김대중 민추협 공동의장에 대한 연금해제. 7 월 4 일, 김영삼 민주당총재˙김대중

민추협공동의장, 시국대처방안 위한 6 개항을 발표. 8 월 5 일, 노태우 대표 민정당총재 취임.

8 월 29 일, 대전 오대양(주) 여사장 등 32 명, 용인공장서 동반자살시체로 발견. 9 월 27 일,

민주교육추진 전국교사협의회(전교협) 발족. 10 월 27 일, 헌법개정국민투표 실시(찬성

93.1`%). 10 월 29 일, 개헌안 확정 공포. 10 월 30 일, 신민주공화당창당(총재˙대통령후보

김종필). 11 월 9 일, 민주당, 임시정당대회에서 김영삼총재를 대통령후보로 추대. 11 월

12 일, 평화민주당창당대회(총재˙대통령후보 김대중 선출). 12 월 3 일,

중부고속도로(서울~대전 간) 개통. 12 월 15 일, 정부, 대한항공기 폭파용의자 하치야

마유미와 하치야 신이치(시체)를 바레인에서 서울로 이송. 12 월 16 일, 제 13 대 대통령선거

실시. 12 월 18 일, 중앙선관위 노태우 민정당후보 당선 공포.

Page 50: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1988 년 ; 1 월 16 일, 대한상의, 공산권 경제단체와는 처음으로 헝가리 상공회의소

경제협력확대를 위한 업무협조협정 체결. 2 월 12 일, 교통부, 금호그룹에 제 2 민간항공인가.

2 월 22 일, 보사부, 국내 첫 AIDS 환자 발생 발표. 2 월 25 일,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

제 13 대 대통령 취임. 새 헌법(전문과 본문 130 조, 부칙 6 조) 발효. 제 6 공화국 출범. 4 월

26 일 제 13 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7 월 19 일, 정부, 월북작가의 해방전 문학작품에 대한

출판허용조치 발표. 9 월 17 일, 제 24 회 서울 올림픽경기대회 개막(10 월 2 일까지 16 일간

160 개 IOC 회원국에서 1 만 3626 명의 선수단 참가). 10 월 4 일, 유고, 서울무역사무소

개설. 10 월 15 일, 서울장애자올림픽 개막(65 개국 4,361 명 참가). 11 월 2 일, 국회

5 공비리 특위, 국회에서 일해재단(현 세종연구소)관련 비리조사를 위한 1 차 청문회

시작.11 월 23 일, 전두환 전 대통령, 자신의 재임 중에 일어났던 비리를 시인˙사과하고

재산 일체를 국가에 헌납하기로 발표.

1989 년 ; 2 월 1 일, 헝거리와 국교 수립(공산권 국가로는 처음). 3 월 26 일, 문익환 목사,

북경을 경유 평양에 도착, 김일성과 회담. 4 월 13 일, 귀국, 공안합수부에 체포됨. 6 월

30 일, 북한의 중앙방송, 전대협대표 임수경(林秀卿)이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하기 위해

평양에 도착했다고 보도. 8 월 31 일, 동아건설, 세계 최대규모인 리비아 2 차대수로공사를

수주(53 억달러). 12 월 `31 일,전두환 전 대통령, 국회 5 공특위˙광주특위 연석회의에 출석,

125 개 항목에 걸친 서면질문에 관해 증언함.

1990 년 ; 1 월 22 일, 노태우 대통령˙김영삼 민주당 총재˙김종필 공화당 총재, 청와대에서

3 당 통합을 선언. 2 월 9 일, 3 당합당 의결, 당명 민주자유당(민자당). 2 월 21 일, 외무부,

모스크바주재 영사처 개설을 발표. 5 월 17 일, 교통부, 수도권 신공항입지를 영종도로 확정.

6 월 5 일, 노태우 대통령˙코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샌프란시스코에서 정상회담. 한˙소간

조속한 수교에 합의하고상호 교환방문하기로 합의. 6 월 28 일, 국무회의, 새 민방(民放)의

방송법 개정안 의결. 9 월 4 일, 강영훈 총리˙연형묵 북한 총리, 서울에서 첫 총리회담

개최(~7 일). 10 월 31 일, 정부, 새 민방텔레비전방송국의 지배주주로 (주)태영(泰榮)을

선정. 12 월 13 일,노태우 대통령, 소련 방문(~17 일). 14 일 양국 정상이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회담 후 「모스크바선언」을 발표. 12 월 15 일, 국회,

지방자치법˙지방의회선거법˙지방자치단체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 개법안 통과.

1991 년 ; 1 월 15 일, 정부, 걸프전의 군의료진지원조사단 26 명 사우디에 파병. 1 월

22 일, 한국의료지원단 현지로 출발. 1 월 30 일,군수송단 파견. 3 월 26 일,

시˙군˙구의회의원선거 실시. 4 월 19 일 고르바초프 대통령, 소련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제주도)방문. 6 월 20 일, 광역의회의원선거 실시. 9 월 28 일, 유엔총회,

남북한유엔가입안을 만장일치로 통과. 12 월 9 일, 새 민방 서울방송(SBS) 개국.

1992 년 ; 1 월 6 일,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 대통령, 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의 대북한

직접협상을 배제하고 한반도핵문제는 당사자끼리 해결해야 하며, 북한은 조기에

핵안전협정에 서명하고 국제사찰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2 월 8 일, 통일국민당

창당대회(대표최고위원 정주영). 2 월 8 일, 남북한, 두만강개발회담 실무접촉에서

나진˙선봉지구개발에 공동보조하기로 합의. 2 월 18 일, 정원식 총리 및 연형묵 북한총리,

남북고위급회담(평양)에서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비핵화에

관한공동선언 등 합의서 본문을 교환˙발효. 2 월 20 일, 정원식 총리, 김일성 주석 예방.

3 월 24 일, 제 14 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4 월 10 일, 정부,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개방한다는 내용의 &LT;UR 농산물협상이행계획서&GT;를 GATT 에 제출. 5 월 5 일, 제 7 차

남북고위급회담 개최. 북한총리 등 대표단 90 명 서울 도착. 6 월 12 일, 정부,

&LT;종합유선방송법시행령&GT; 확정. 8 월 9 일, 황영조(黃永祚), 바로셀로나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8 월 11 일, 한국 최초의 과학위성 &LT;우리별 1 호&GT; 발사 성공. 8 월

24 일, 한국 외무장관 및 중국 외교부장, 양국 정부의 외교관계 수립 등 6 개항의 공동성명

발표. 8 월 27 일, 한국주재 중국대사관 개관. 9 월 29 일, 노태우 대통령, 중국방문 중

Page 51: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한˙중정상 회담결과 8 개항의 공동언론발표문 발표. 10 월 8 일, 노태우 대통령,

중립내각개편 단행. 12 월 18 일, 제 14 대 대통령선거 실시. 12 월 19 일, 김영삼후보 당선.

김대중, 대통령선거패배와 관련 정계은퇴선언. 12 월 22 일, 한국, 베트남과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3 년 ; 2 월 9 일, 정주영 국민당 대표, 대표최고위원직 사퇴하고 정계은퇴의사를 밝힘.

2 월 25 일, 김영삼, 제 14 대 대통령 취임.3 월 12 일,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 선언.

3 월 14 일, 정부, 북한의 NPT 탈퇴 해결 때까지 남북대화 중단. 3 월 28 일, 부산행무궁화호

열차가 구포역 입구에서 지반붕괴로 전복(68 명 사망, 124 명 중경상). 3 월 29 일,

박준규(朴浚圭) 국회의장, 부동산취득의혹과 관련 민자당 탈당. 4 월 27 일, 국회,

박준규의장 사퇴안을 가결하고 이만섭(李萬燮)의원을 새의장으로 선출. 4 월 7 일, 정부,

소말리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약 250 명의 건설공병부대를 파견하기로 유엔측에

공시통보. 5 월 6 일 안기부, 작가 황석영(黃晳暎) 89 년 3 월 첫 밀입북한 이래 5 차례

밀입북하여 김일성과 고려연방제 등을 논의했으며 대남공작지침에 따라 &LT;범민련&GT;

결성을 운영해 온 것으로 발표. 5 월 20 일, 국회,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처리. 5 월 29 일,

정부, 종합유선방송(CATV)의 방송구역으로 서울 21 구역을 비롯 전국 116 개 구역을 고시.

6 월 7 일, 보사부, 약사관련 규칙개정으로 한˙약사 분쟁. 7 월 17 일,

대검,율곡(栗谷)사업비리사건과 관련 이종구(李鍾九)˙이상훈(李相勳) 전국방장관과

한주석(韓周奭) 전공참총장 및 김철우(金鐵宇) 전해참총장 등 4 명을 구속. 8 월 6 일,

대전엑스포 개막, 108 개국˙33 개 국제기구 참가. 8 월 12 일, 김영삼 대통령

&LT;금융실명거래및 비밀보장에 관한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GT;을 발표. 8 월 17 일,

감사원, &LT;평화의 댐&GT; 및 &LT;율곡사업&GT; 특별감사와 관련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대통령에게 책임소재 규명을 위한 서면조사서 전달. 8 월 20 일, 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 로 확정. 8 월 31 일, 국회 &LT;12˙12 사태&GT; &LT;율곡사업&GT;

&LT;평화의 댐&GT; 진상조사 착수. 9 월 26 일, &LT;우리별 2 호&GT; 발사 성공(프랑스령

기아나). 10 월 10 일, 전북 부안(扶安) 앞바다에서 서해페리호(110`t 급) 침목로 268 명 이상

사망˙실종. 10 월 15 일, 전교조(全敎組), 해직교사의 복직문제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어 온

&LT;전교조탈퇴&GT; 조건을 수용 복직하기로 결정. `12 월 13 일, 한국 및 미국,

쌀시장개방안 타결.

1994 년 ; 1 월 11 일, 영남지역 악취수돗물 파동. 1 월 24 일, 서울지검, 장영자(張玲子)를

107 억원을 편취하고 37 억원의 당좌수표 중 5억원을 부도낸 혐의로 재구속. 2 월 22 일,

감사원, 정부서 불우이웃돕기 등으로 모은 성금을 판공비˙시설비 등에 유용한 사실을

밝혀내 17 개부처˙시도에 문책 통보. 4.22. 김영삼 대통령과 이희창(李會昌) 국무총리,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의 갈등으로 국무총리 사표 제출. 7 월 9 일, 평양방송, 김일성

사망(8 일)을 보도. 7 월 19 일, 김일성 장례식. 7 월 20 일, (주)현대중공업 직장폐쇄,

전노대(全勞大) 개입. 8 월 4 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을 요구.

9 월 5 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태권도 2000 년 시드니 올림픽경기대회 정식종목으로

승인. 10 월 21 일, 성수대교 붕괴. 10 월 24 일, 안기부, 6˙25 전쟁 때 포로로잡혀 납북된

조창호(趙昌浩)가 43 년 만에 북한을 탈출하여 표류 중 구출되었다고 발표. 12 월 3 일,

기획원-재무부, 건설부-교통부를 통합하는 등 정부조직개편.

1995 년 ; 1 월 9 일, 정부, 부동산실명제를 7 월 1 일부터 실시하기로 확정발표. 2 월 21 일,

‘자유민주연합(자민련)’ 공식 출범(총재김종필). 3 월 1 일, 케이블 TV 27 개채널 본방송 개시.

4 월 28 일, 대구지하철 공사장에서 가스폭발사고 발생. 5 월 26 일, 정부, 북한에 조건없이

곡물을 제공할 용의가 있음을 밝히고 남북 대표회담개최 제의. 6 월 17 일, 남북대표들,

베이징[北京]에서 대북 쌀제공에 관한 첫 회담 개최. 6 월 25 일, 대북 지원을 위한 대북

지원 쌀 동해항 출발, 청진항 도착. 6 월 27 일, 지방선거 실시. 서울시장 조순(趙淳) 후보

당선. 6 월 29 일, 서울 삼풍백화점 2 개동 중 북쪽건물 붕괴. 사망˙실종 506 명, 부상

940 여 명. 7 월 18 일, 김대중 아˙태재단이사장, 신당 창당 공식 선언. 7 월 24 일, 8 만여

Page 52: 한국사 연표 - jeonc.orgC7%D1%B1%B9%BB%E7%20%BF%AC… ·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톤 원유를 적재한 유조선 시프린스호, 전남 여천군 해상에서 태풍으로 좌초 최악의

해양오염사고 발생. 8 월 2 일, 서석재(徐錫宰) 총무처장관, “전직 대통령 중 한 사람이

4,000 여억원의 가명계좌를 가지고 있다.”고 밝힘. 전두환˙노태우 전대통령이 해명을 요구.

8 월 5 일, 무궁화위성, 한국 최초의 위성으로 미국 케이프 커내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

성공. 8 월 11 일, 교육부, ‘국민학교&#161; 遮&#194; 명칭을 ‘초등학교’로 변경한다고

발표.8 월 18 일, 북한 평양방송, 북한 대동강 일대 등에 폭우로 홍수가 발생했다고 보도.

9 월 20 일, 제 1 회 광주비엔날레 개막(9.20.~11.20). 10 월 19 일, 민주당

박계동(朴啓東)의원,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신한은행 서소문지점에 (주)우일양행 명의로 된

128 억 2700 여만원 예금조회표를 공개하며 ‘이는 노태우 전대통령의 퇴임 직전 상업은행

효자동지점에 예치됐던 4,000 억원의 비자금을 100 억원씩 40 개 계좌로 분산 예치시킨 것

중 일부’라고 주장. 10 월 27 일, 노태우 전대통령, 자택 기자자회견에서 재임 중

통치자금을 조성, 대국민사과. 11 월 8 일, 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출.

11 월 16 일, 검찰, 노태우 전대통령이 재임기간에 30 개 재벌기업체 대표들로부터 2,358 억

9600 만원의 뇌물을 받았다고 밝힘. 노태우 전대통령, 뇌물수수 혐의로

서울구치소에구속수감. 12 월 2 일, 전두환 전대통령, 검찰의 ‘12˙12’와 ‘5˙18’재수사와 관련,

검찰의 소환요구 및 여타의 어떠한 조치에도 협조하지 않겠다고 연희동 자택에서 성명을

통해 거부의사를 밝히고 측근들과 합천(陜川)으로 낙향. 12 월 3 일, 검찰, 검찰소환을

거부한 전두환 전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집행. 안양교도소에 수감. 12 월 5 일, 민자당,

새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변경. 12 월 6 일, 불국사˙8 만대장경˙종묘 등 3 건의 문화재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록. 12 월 19 일, 국회, ‘12˙12’ 및 ‘5˙18’ 관련자 처벌을 위한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안’ 의결. 12 월 26 일, 5 월 30 일 북한군에 나포된

우성호 선원 5 명과 사망한 3 명의 유해, 판문점을 통해 송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