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31
한국사회 제162(2015): pp.159-189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 박 정 민 * ㆍ김 수 한 ** 지난 30년간 기업의 사회적 공헌활동에 대한 기업의 참여와 학계의 연구가 꾸준히 증가했지만, 한국인들이 바라는 구체적인 사회적 책임 활동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 구는 많지 않았다. 이 논문은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자 료를 통하여 기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경제적 영역에 대한 기대를 많 이 하지만,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법률적, 윤리적 영역에 대한 활동을 더 기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기술개발이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기업 신뢰가 낮은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 하게 생각한다. 둘째,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지만, 기업의 윤리성을 낮게 평가하는 사람들 은 동반성장을 강조한다. 셋째,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 개발을 강조하고, 기업에 대해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 를 더 기대한다. 이 연구는 기업이 사회공헌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한다. 주제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평가, 신뢰, 윤리, 호감 Ⅰ. 서론 지난 30년간 한국사회에서 대기업의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그에 상 응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 대한 * 1저자,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박사수료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Page 1: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 pp159-189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1)

박 정 민ㆍ김 수 한

요 약

지난 30년간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한 기업의 참여와 학계의 연구가 꾸 히

증가했지만 한국인들이 바라는 구체 인 사회 책임 활동이 무엇인가에 한 연

구는 많지 않았다 이 논문은 기업에 한 평가와 인식에 따라 기업에게 기 하는

사회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1319명을 상으로 실시한 국단 자

료를 통하여 기업을 정 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경제 역에 한 기 를 많

이 하지만 부정 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법률 윤리 역에 한 활동을 더

기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기술개발이 요한 기업의 사회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기업 신뢰가 낮은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요하게 생각한다 둘째 기업을 윤리 이라고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을 요한 사회 책임으로 기 하지만 기업의 윤리성을 낮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강조한다 셋째 기업에 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강조하고 기업에 해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를 더 기 한다 이 연구는 기업이 사회공헌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 이고 정책 인 함의를 제시한다

주제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평가 신뢰 윤리 호감

Ⅰ 서론

지난 30년간 한국사회에서 대기업의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그에 상

응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 대한

제1저자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박사수료 (mean2koreaackr) 교신저자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kimsoohan9koreaackr)

16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 GDP에서 30대 재벌이 차지하는 비율은 1987

년 50에서 2012년 9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대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기업들은 자선활동 기부 재단설립

CSR 전담부서 설치 등의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왔다 사회공헌활동에 참

여하는 기업의 수와 지출규모가 꾸준히 증가했다 2000년-2012년 사이에

전경련회원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활동의 총지출액은 7060억 원(193

개사)에서 3조2534억 원(234개사)으로 늘었고 개별 기업의 연 평균 지출

액은 36억 원에서 1390억 원으로 38배 가량 증가했다(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이와 같은 기업들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의 기업인식은 개선되

지 않았다 오히려 한국사회에서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반감이 증

대하고 있다(정한울 2013) 한국인들의 기업 호감도는 2003년 38점(100점

만점)에서 2006년 50점으로 상승했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정체와 하

락을 반복하는 추세이다 2014년 하반기 호감지수는 44점으로 2008년 이

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국가 간 비교조사에서도

한국의 기업 신뢰도는 최하위 수준이다 2013년 26개 국가에서 실시된 대

기업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서 한국은 러시아(44) 멕시코(43) 그리스

(38)보다 낮은 36로 최하위를 기록하였다(정한울 2013a) 그렇다면 연

간 3조원 이상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도 불구하고 기업에 대한 인식이 개

선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

인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특히 사람들이 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과 평가에 따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

게 다른지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선행연구자들

은 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활동들의 유형과 강화되는 이유

CSR 전담부서의 설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가치와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왔을 뿐이다(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정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1

경 2005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구체

적으로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사람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

고 있는 인식과 평가에 따라서 대기업이 담당하기를 바라는 사회적 책임

의 유형과 활동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

업에 대한 신뢰 윤리 호감 평가 정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대기업이 담

당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진행하고 있는 일련의 활

동들이 일반인들의 기대와 상응하는 것이었는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

다 초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논의는 경제영역에 한정되어

이루어졌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필

품을 값싸게 공급하거나 국가 기간산업에 참여하거나 수출을 많이 해서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했다(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에서 경제적 측면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학자는 신

고전경제학인 프리드만(Friedman 1970)이다 프리드만은 기업의 본업은

이익을 내는 것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경제적 성과의 영역에 한정된

다고 주장한다 만일 기업이 다른 사회문제 해결에 관여하게 된다면 그

만큼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켜서 주주들에게 돌아갈 이익을 감소시키기

16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때문에 기업은 본업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업은 자신의

유일한 사회적 책임인 경제적인 성과에 주력해야 하며 기업의 주인인 주

주들에 대한 책임에 집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lt그림 1gt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 (Carrol 1979 1991에서 재구성)

최근 기업을 단지 경제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간주하는 전통

적 시각은 약화되고 있다(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경제적 범주를 넘어서 사

회적 역할의 측면에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적 시각을 제시한 대

표적인 학자는 캐롤(Carrol 1979 1991)이다 캐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으로 구분하고 이를 피라미드 구

조로 설명한다(lt그림 1gt) 첫째 lt그림 1gt이 보여주듯이 기업의 사회적 책

임 피라미드의 가장 하단에는 경제적 책임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서 경제적 책임은 경제적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기업을 운

영하고 타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며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유

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둘째 피라미드의 두 번째 단에는 법률적 책임이

있다 이는 법 준수와 관련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기업 활동은 성

문화된 법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활동을 해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윤리적

책임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이 존재한다 이는 법과 규정을 따르는 것을 넘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3

어서 사회적 관습과 윤리적 규범을 모두 고려하며 기업을 운영해야 할 책

임을 강조한 것이다 기업의 이익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책임을 소

홀하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 넷째 피라미드의 최상층에

는 자선적 책임이 위치한다 자선적 책임은 기업의 직접적인 경제활동과

무관한 순수 예술이나 공연 예술을 지원하거나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는 활동을 포함한다

이처럼 다각도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분석한 캐롤의 영향을 받아 기

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기업의 관

점에서 비용과 혜택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준의 사회적

책임이 있다거나(McWilliams and Siegel 2001) 마케팅이나 전략의 차원

에서 사회적 책임을 논의하는 연구(Maignan and Ferrell 2004) 등이 있다

그리고 사회의 관점에서는 기업 시민성의 차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다루는 논의(Matten and Crane 2005) 사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이 도구적 정치적 통합적 윤리적 차원에서 발전할 수 있

다는 논의(Garriga and Meleacute 2013) 등이 있다 그리고 기업 활동과 관련된

관리자 노동자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서 기업의 활동과 사회

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 연구도 있다(Hillman and Keim 2001 Buysse and

Verbeke 200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내 연구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주목을 받은 것은 1990년대 이후이

다 1980년대에도 소수의 국내 기업들이 공익재단을 설립하거나 사회공헌

활동을 이미 시작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학계

의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지난 15년간 진행된 사회공

헌활동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대략 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사

회공헌활동이 등장하게 된 거시적 배경 기업의 사회공헌 참여 요인 전담

16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부서 설치 사회공헌활동의 경제적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

다(이상민 2002 조대엽 2007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특히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이유

를 분석한 연구가 많다 초창기 한국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관심을 갖는

주요한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손상된 기업의 이미지

를 회복하려는 전략적 성격이 강했다(김회성 외 2009)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개별 기업의 전략적 필요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기업의 정당성(legitimacy)을 확보하

는 보편적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 간의

모방과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전략 전담

부서 등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 동형화(isomorphism) 경향이 최근 관

찰되고 있다(이상민 2002 정진경 2005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백경민

2013) 이러한 연구와는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장과 확산을 기업

의 단순한 전략적 행위를 넘어서 국가와 시민사회가 담당하던 공공적 기

능이 기업의 영역으로 이전되는 사회변동으로 이해하는 설명도 존재한다

(조대엽 2007 2014)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동아시아연구원은 글로벌 CSR인식조사 자료를 바

탕으로 한국을 포함한 20개 국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

현황 그리고 국가별 특성 등을 분석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정한울 2013 2013a 조희진 2013 정원칠 2014 김보미 2014) 이상민

(2002 2008 2012)은 한국과 미국의 사회공헌활동 비교를 시작으로 독일

중국 일본 등 각 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에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이 각 사회의 자본

주의 체제나 기업의 지배구조 문화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서로 다른 형태

와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미국은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

리되어 있고 주주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사회공헌활

동이 일종의 투자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반면 독일은 사회적 시장경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5

체제 내에서 기업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국식의 사회

적 책임 개념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밀착적인 사회공헌활동이 많

이 이루어져왔다(이상민 2008) 일본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규모 국영기업이 많고 정부가 강력한 권한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이 발달하고 있다(이상민

2012) 한국의 경우에는 재벌 소유주의 개인적 철학이나 가치관에 따라

시혜적 또는 과시적인 성격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난다

셋째 반기업정서와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반기업정서는 학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관련 단체나 연구소에서도 관심

을 갖고 있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한국개발연

구원 2008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2014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행한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창우와 이동명(2013)은

기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공헌활동의 관계를 연

구하였는데 기업에 대한 인식을 지역주민의 인식과 임직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임

직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도 변화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주민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관

심이 많고 이와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을 바라고 있지만 기업 임원은 공익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3 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은 다차원적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

는 긍정과 부정이 모순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동아시

아연구원이 실시한 대기업인식 조사에 의하면 삼성 현대자동차 SK는 정

부의 각 조직이나 기관 정당 사회단체 등에 비해 더 높은 신뢰와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칠 2012) 대기업에 대한 긍정적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6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 GDP에서 30대 재벌이 차지하는 비율은 1987

년 50에서 2012년 9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대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기업들은 자선활동 기부 재단설립

CSR 전담부서 설치 등의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왔다 사회공헌활동에 참

여하는 기업의 수와 지출규모가 꾸준히 증가했다 2000년-2012년 사이에

전경련회원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활동의 총지출액은 7060억 원(193

개사)에서 3조2534억 원(234개사)으로 늘었고 개별 기업의 연 평균 지출

액은 36억 원에서 1390억 원으로 38배 가량 증가했다(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이와 같은 기업들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의 기업인식은 개선되

지 않았다 오히려 한국사회에서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반감이 증

대하고 있다(정한울 2013) 한국인들의 기업 호감도는 2003년 38점(100점

만점)에서 2006년 50점으로 상승했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정체와 하

락을 반복하는 추세이다 2014년 하반기 호감지수는 44점으로 2008년 이

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국가 간 비교조사에서도

한국의 기업 신뢰도는 최하위 수준이다 2013년 26개 국가에서 실시된 대

기업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서 한국은 러시아(44) 멕시코(43) 그리스

(38)보다 낮은 36로 최하위를 기록하였다(정한울 2013a) 그렇다면 연

간 3조원 이상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도 불구하고 기업에 대한 인식이 개

선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

인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특히 사람들이 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과 평가에 따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

게 다른지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선행연구자들

은 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활동들의 유형과 강화되는 이유

CSR 전담부서의 설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가치와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왔을 뿐이다(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정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1

경 2005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구체

적으로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사람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

고 있는 인식과 평가에 따라서 대기업이 담당하기를 바라는 사회적 책임

의 유형과 활동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

업에 대한 신뢰 윤리 호감 평가 정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대기업이 담

당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진행하고 있는 일련의 활

동들이 일반인들의 기대와 상응하는 것이었는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

다 초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논의는 경제영역에 한정되어

이루어졌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필

품을 값싸게 공급하거나 국가 기간산업에 참여하거나 수출을 많이 해서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했다(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에서 경제적 측면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학자는 신

고전경제학인 프리드만(Friedman 1970)이다 프리드만은 기업의 본업은

이익을 내는 것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경제적 성과의 영역에 한정된

다고 주장한다 만일 기업이 다른 사회문제 해결에 관여하게 된다면 그

만큼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켜서 주주들에게 돌아갈 이익을 감소시키기

16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때문에 기업은 본업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업은 자신의

유일한 사회적 책임인 경제적인 성과에 주력해야 하며 기업의 주인인 주

주들에 대한 책임에 집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lt그림 1gt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 (Carrol 1979 1991에서 재구성)

최근 기업을 단지 경제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간주하는 전통

적 시각은 약화되고 있다(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경제적 범주를 넘어서 사

회적 역할의 측면에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적 시각을 제시한 대

표적인 학자는 캐롤(Carrol 1979 1991)이다 캐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으로 구분하고 이를 피라미드 구

조로 설명한다(lt그림 1gt) 첫째 lt그림 1gt이 보여주듯이 기업의 사회적 책

임 피라미드의 가장 하단에는 경제적 책임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서 경제적 책임은 경제적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기업을 운

영하고 타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며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유

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둘째 피라미드의 두 번째 단에는 법률적 책임이

있다 이는 법 준수와 관련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기업 활동은 성

문화된 법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활동을 해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윤리적

책임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이 존재한다 이는 법과 규정을 따르는 것을 넘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3

어서 사회적 관습과 윤리적 규범을 모두 고려하며 기업을 운영해야 할 책

임을 강조한 것이다 기업의 이익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책임을 소

홀하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 넷째 피라미드의 최상층에

는 자선적 책임이 위치한다 자선적 책임은 기업의 직접적인 경제활동과

무관한 순수 예술이나 공연 예술을 지원하거나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는 활동을 포함한다

이처럼 다각도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분석한 캐롤의 영향을 받아 기

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기업의 관

점에서 비용과 혜택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준의 사회적

책임이 있다거나(McWilliams and Siegel 2001) 마케팅이나 전략의 차원

에서 사회적 책임을 논의하는 연구(Maignan and Ferrell 2004) 등이 있다

그리고 사회의 관점에서는 기업 시민성의 차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다루는 논의(Matten and Crane 2005) 사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이 도구적 정치적 통합적 윤리적 차원에서 발전할 수 있

다는 논의(Garriga and Meleacute 2013) 등이 있다 그리고 기업 활동과 관련된

관리자 노동자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서 기업의 활동과 사회

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 연구도 있다(Hillman and Keim 2001 Buysse and

Verbeke 200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내 연구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주목을 받은 것은 1990년대 이후이

다 1980년대에도 소수의 국내 기업들이 공익재단을 설립하거나 사회공헌

활동을 이미 시작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학계

의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지난 15년간 진행된 사회공

헌활동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대략 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사

회공헌활동이 등장하게 된 거시적 배경 기업의 사회공헌 참여 요인 전담

16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부서 설치 사회공헌활동의 경제적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

다(이상민 2002 조대엽 2007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특히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이유

를 분석한 연구가 많다 초창기 한국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관심을 갖는

주요한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손상된 기업의 이미지

를 회복하려는 전략적 성격이 강했다(김회성 외 2009)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개별 기업의 전략적 필요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기업의 정당성(legitimacy)을 확보하

는 보편적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 간의

모방과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전략 전담

부서 등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 동형화(isomorphism) 경향이 최근 관

찰되고 있다(이상민 2002 정진경 2005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백경민

2013) 이러한 연구와는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장과 확산을 기업

의 단순한 전략적 행위를 넘어서 국가와 시민사회가 담당하던 공공적 기

능이 기업의 영역으로 이전되는 사회변동으로 이해하는 설명도 존재한다

(조대엽 2007 2014)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동아시아연구원은 글로벌 CSR인식조사 자료를 바

탕으로 한국을 포함한 20개 국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

현황 그리고 국가별 특성 등을 분석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정한울 2013 2013a 조희진 2013 정원칠 2014 김보미 2014) 이상민

(2002 2008 2012)은 한국과 미국의 사회공헌활동 비교를 시작으로 독일

중국 일본 등 각 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에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이 각 사회의 자본

주의 체제나 기업의 지배구조 문화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서로 다른 형태

와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미국은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

리되어 있고 주주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사회공헌활

동이 일종의 투자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반면 독일은 사회적 시장경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5

체제 내에서 기업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국식의 사회

적 책임 개념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밀착적인 사회공헌활동이 많

이 이루어져왔다(이상민 2008) 일본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규모 국영기업이 많고 정부가 강력한 권한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이 발달하고 있다(이상민

2012) 한국의 경우에는 재벌 소유주의 개인적 철학이나 가치관에 따라

시혜적 또는 과시적인 성격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난다

셋째 반기업정서와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반기업정서는 학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관련 단체나 연구소에서도 관심

을 갖고 있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한국개발연

구원 2008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2014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행한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창우와 이동명(2013)은

기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공헌활동의 관계를 연

구하였는데 기업에 대한 인식을 지역주민의 인식과 임직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임

직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도 변화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주민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관

심이 많고 이와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을 바라고 있지만 기업 임원은 공익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3 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은 다차원적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

는 긍정과 부정이 모순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동아시

아연구원이 실시한 대기업인식 조사에 의하면 삼성 현대자동차 SK는 정

부의 각 조직이나 기관 정당 사회단체 등에 비해 더 높은 신뢰와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칠 2012) 대기업에 대한 긍정적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3: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1

경 2005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구체

적으로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사람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

고 있는 인식과 평가에 따라서 대기업이 담당하기를 바라는 사회적 책임

의 유형과 활동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

업에 대한 신뢰 윤리 호감 평가 정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대기업이 담

당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진행하고 있는 일련의 활

동들이 일반인들의 기대와 상응하는 것이었는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

다 초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논의는 경제영역에 한정되어

이루어졌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필

품을 값싸게 공급하거나 국가 기간산업에 참여하거나 수출을 많이 해서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했다(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에서 경제적 측면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학자는 신

고전경제학인 프리드만(Friedman 1970)이다 프리드만은 기업의 본업은

이익을 내는 것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경제적 성과의 영역에 한정된

다고 주장한다 만일 기업이 다른 사회문제 해결에 관여하게 된다면 그

만큼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켜서 주주들에게 돌아갈 이익을 감소시키기

16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때문에 기업은 본업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업은 자신의

유일한 사회적 책임인 경제적인 성과에 주력해야 하며 기업의 주인인 주

주들에 대한 책임에 집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lt그림 1gt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 (Carrol 1979 1991에서 재구성)

최근 기업을 단지 경제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간주하는 전통

적 시각은 약화되고 있다(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경제적 범주를 넘어서 사

회적 역할의 측면에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적 시각을 제시한 대

표적인 학자는 캐롤(Carrol 1979 1991)이다 캐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으로 구분하고 이를 피라미드 구

조로 설명한다(lt그림 1gt) 첫째 lt그림 1gt이 보여주듯이 기업의 사회적 책

임 피라미드의 가장 하단에는 경제적 책임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서 경제적 책임은 경제적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기업을 운

영하고 타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며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유

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둘째 피라미드의 두 번째 단에는 법률적 책임이

있다 이는 법 준수와 관련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기업 활동은 성

문화된 법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활동을 해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윤리적

책임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이 존재한다 이는 법과 규정을 따르는 것을 넘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3

어서 사회적 관습과 윤리적 규범을 모두 고려하며 기업을 운영해야 할 책

임을 강조한 것이다 기업의 이익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책임을 소

홀하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 넷째 피라미드의 최상층에

는 자선적 책임이 위치한다 자선적 책임은 기업의 직접적인 경제활동과

무관한 순수 예술이나 공연 예술을 지원하거나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는 활동을 포함한다

이처럼 다각도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분석한 캐롤의 영향을 받아 기

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기업의 관

점에서 비용과 혜택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준의 사회적

책임이 있다거나(McWilliams and Siegel 2001) 마케팅이나 전략의 차원

에서 사회적 책임을 논의하는 연구(Maignan and Ferrell 2004) 등이 있다

그리고 사회의 관점에서는 기업 시민성의 차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다루는 논의(Matten and Crane 2005) 사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이 도구적 정치적 통합적 윤리적 차원에서 발전할 수 있

다는 논의(Garriga and Meleacute 2013) 등이 있다 그리고 기업 활동과 관련된

관리자 노동자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서 기업의 활동과 사회

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 연구도 있다(Hillman and Keim 2001 Buysse and

Verbeke 200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내 연구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주목을 받은 것은 1990년대 이후이

다 1980년대에도 소수의 국내 기업들이 공익재단을 설립하거나 사회공헌

활동을 이미 시작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학계

의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지난 15년간 진행된 사회공

헌활동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대략 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사

회공헌활동이 등장하게 된 거시적 배경 기업의 사회공헌 참여 요인 전담

16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부서 설치 사회공헌활동의 경제적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

다(이상민 2002 조대엽 2007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특히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이유

를 분석한 연구가 많다 초창기 한국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관심을 갖는

주요한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손상된 기업의 이미지

를 회복하려는 전략적 성격이 강했다(김회성 외 2009)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개별 기업의 전략적 필요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기업의 정당성(legitimacy)을 확보하

는 보편적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 간의

모방과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전략 전담

부서 등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 동형화(isomorphism) 경향이 최근 관

찰되고 있다(이상민 2002 정진경 2005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백경민

2013) 이러한 연구와는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장과 확산을 기업

의 단순한 전략적 행위를 넘어서 국가와 시민사회가 담당하던 공공적 기

능이 기업의 영역으로 이전되는 사회변동으로 이해하는 설명도 존재한다

(조대엽 2007 2014)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동아시아연구원은 글로벌 CSR인식조사 자료를 바

탕으로 한국을 포함한 20개 국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

현황 그리고 국가별 특성 등을 분석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정한울 2013 2013a 조희진 2013 정원칠 2014 김보미 2014) 이상민

(2002 2008 2012)은 한국과 미국의 사회공헌활동 비교를 시작으로 독일

중국 일본 등 각 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에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이 각 사회의 자본

주의 체제나 기업의 지배구조 문화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서로 다른 형태

와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미국은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

리되어 있고 주주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사회공헌활

동이 일종의 투자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반면 독일은 사회적 시장경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5

체제 내에서 기업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국식의 사회

적 책임 개념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밀착적인 사회공헌활동이 많

이 이루어져왔다(이상민 2008) 일본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규모 국영기업이 많고 정부가 강력한 권한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이 발달하고 있다(이상민

2012) 한국의 경우에는 재벌 소유주의 개인적 철학이나 가치관에 따라

시혜적 또는 과시적인 성격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난다

셋째 반기업정서와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반기업정서는 학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관련 단체나 연구소에서도 관심

을 갖고 있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한국개발연

구원 2008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2014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행한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창우와 이동명(2013)은

기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공헌활동의 관계를 연

구하였는데 기업에 대한 인식을 지역주민의 인식과 임직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임

직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도 변화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주민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관

심이 많고 이와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을 바라고 있지만 기업 임원은 공익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3 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은 다차원적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

는 긍정과 부정이 모순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동아시

아연구원이 실시한 대기업인식 조사에 의하면 삼성 현대자동차 SK는 정

부의 각 조직이나 기관 정당 사회단체 등에 비해 더 높은 신뢰와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칠 2012) 대기업에 대한 긍정적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4: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6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때문에 기업은 본업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업은 자신의

유일한 사회적 책임인 경제적인 성과에 주력해야 하며 기업의 주인인 주

주들에 대한 책임에 집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lt그림 1gt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 (Carrol 1979 1991에서 재구성)

최근 기업을 단지 경제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간주하는 전통

적 시각은 약화되고 있다(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경제적 범주를 넘어서 사

회적 역할의 측면에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적 시각을 제시한 대

표적인 학자는 캐롤(Carrol 1979 1991)이다 캐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으로 구분하고 이를 피라미드 구

조로 설명한다(lt그림 1gt) 첫째 lt그림 1gt이 보여주듯이 기업의 사회적 책

임 피라미드의 가장 하단에는 경제적 책임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서 경제적 책임은 경제적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기업을 운

영하고 타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며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유

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둘째 피라미드의 두 번째 단에는 법률적 책임이

있다 이는 법 준수와 관련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기업 활동은 성

문화된 법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활동을 해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윤리적

책임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이 존재한다 이는 법과 규정을 따르는 것을 넘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3

어서 사회적 관습과 윤리적 규범을 모두 고려하며 기업을 운영해야 할 책

임을 강조한 것이다 기업의 이익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책임을 소

홀하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 넷째 피라미드의 최상층에

는 자선적 책임이 위치한다 자선적 책임은 기업의 직접적인 경제활동과

무관한 순수 예술이나 공연 예술을 지원하거나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는 활동을 포함한다

이처럼 다각도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분석한 캐롤의 영향을 받아 기

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기업의 관

점에서 비용과 혜택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준의 사회적

책임이 있다거나(McWilliams and Siegel 2001) 마케팅이나 전략의 차원

에서 사회적 책임을 논의하는 연구(Maignan and Ferrell 2004) 등이 있다

그리고 사회의 관점에서는 기업 시민성의 차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다루는 논의(Matten and Crane 2005) 사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이 도구적 정치적 통합적 윤리적 차원에서 발전할 수 있

다는 논의(Garriga and Meleacute 2013) 등이 있다 그리고 기업 활동과 관련된

관리자 노동자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서 기업의 활동과 사회

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 연구도 있다(Hillman and Keim 2001 Buysse and

Verbeke 200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내 연구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주목을 받은 것은 1990년대 이후이

다 1980년대에도 소수의 국내 기업들이 공익재단을 설립하거나 사회공헌

활동을 이미 시작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학계

의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지난 15년간 진행된 사회공

헌활동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대략 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사

회공헌활동이 등장하게 된 거시적 배경 기업의 사회공헌 참여 요인 전담

16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부서 설치 사회공헌활동의 경제적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

다(이상민 2002 조대엽 2007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특히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이유

를 분석한 연구가 많다 초창기 한국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관심을 갖는

주요한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손상된 기업의 이미지

를 회복하려는 전략적 성격이 강했다(김회성 외 2009)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개별 기업의 전략적 필요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기업의 정당성(legitimacy)을 확보하

는 보편적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 간의

모방과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전략 전담

부서 등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 동형화(isomorphism) 경향이 최근 관

찰되고 있다(이상민 2002 정진경 2005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백경민

2013) 이러한 연구와는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장과 확산을 기업

의 단순한 전략적 행위를 넘어서 국가와 시민사회가 담당하던 공공적 기

능이 기업의 영역으로 이전되는 사회변동으로 이해하는 설명도 존재한다

(조대엽 2007 2014)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동아시아연구원은 글로벌 CSR인식조사 자료를 바

탕으로 한국을 포함한 20개 국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

현황 그리고 국가별 특성 등을 분석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정한울 2013 2013a 조희진 2013 정원칠 2014 김보미 2014) 이상민

(2002 2008 2012)은 한국과 미국의 사회공헌활동 비교를 시작으로 독일

중국 일본 등 각 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에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이 각 사회의 자본

주의 체제나 기업의 지배구조 문화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서로 다른 형태

와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미국은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

리되어 있고 주주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사회공헌활

동이 일종의 투자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반면 독일은 사회적 시장경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5

체제 내에서 기업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국식의 사회

적 책임 개념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밀착적인 사회공헌활동이 많

이 이루어져왔다(이상민 2008) 일본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규모 국영기업이 많고 정부가 강력한 권한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이 발달하고 있다(이상민

2012) 한국의 경우에는 재벌 소유주의 개인적 철학이나 가치관에 따라

시혜적 또는 과시적인 성격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난다

셋째 반기업정서와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반기업정서는 학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관련 단체나 연구소에서도 관심

을 갖고 있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한국개발연

구원 2008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2014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행한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창우와 이동명(2013)은

기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공헌활동의 관계를 연

구하였는데 기업에 대한 인식을 지역주민의 인식과 임직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임

직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도 변화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주민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관

심이 많고 이와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을 바라고 있지만 기업 임원은 공익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3 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은 다차원적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

는 긍정과 부정이 모순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동아시

아연구원이 실시한 대기업인식 조사에 의하면 삼성 현대자동차 SK는 정

부의 각 조직이나 기관 정당 사회단체 등에 비해 더 높은 신뢰와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칠 2012) 대기업에 대한 긍정적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5: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3

어서 사회적 관습과 윤리적 규범을 모두 고려하며 기업을 운영해야 할 책

임을 강조한 것이다 기업의 이익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책임을 소

홀하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 넷째 피라미드의 최상층에

는 자선적 책임이 위치한다 자선적 책임은 기업의 직접적인 경제활동과

무관한 순수 예술이나 공연 예술을 지원하거나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는 활동을 포함한다

이처럼 다각도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분석한 캐롤의 영향을 받아 기

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기업의 관

점에서 비용과 혜택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준의 사회적

책임이 있다거나(McWilliams and Siegel 2001) 마케팅이나 전략의 차원

에서 사회적 책임을 논의하는 연구(Maignan and Ferrell 2004) 등이 있다

그리고 사회의 관점에서는 기업 시민성의 차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다루는 논의(Matten and Crane 2005) 사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이 도구적 정치적 통합적 윤리적 차원에서 발전할 수 있

다는 논의(Garriga and Meleacute 2013) 등이 있다 그리고 기업 활동과 관련된

관리자 노동자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서 기업의 활동과 사회

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 연구도 있다(Hillman and Keim 2001 Buysse and

Verbeke 200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내 연구

한국에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주목을 받은 것은 1990년대 이후이

다 1980년대에도 소수의 국내 기업들이 공익재단을 설립하거나 사회공헌

활동을 이미 시작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학계

의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지난 15년간 진행된 사회공

헌활동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대략 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사

회공헌활동이 등장하게 된 거시적 배경 기업의 사회공헌 참여 요인 전담

16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부서 설치 사회공헌활동의 경제적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

다(이상민 2002 조대엽 2007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특히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이유

를 분석한 연구가 많다 초창기 한국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관심을 갖는

주요한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손상된 기업의 이미지

를 회복하려는 전략적 성격이 강했다(김회성 외 2009)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개별 기업의 전략적 필요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기업의 정당성(legitimacy)을 확보하

는 보편적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 간의

모방과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전략 전담

부서 등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 동형화(isomorphism) 경향이 최근 관

찰되고 있다(이상민 2002 정진경 2005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백경민

2013) 이러한 연구와는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장과 확산을 기업

의 단순한 전략적 행위를 넘어서 국가와 시민사회가 담당하던 공공적 기

능이 기업의 영역으로 이전되는 사회변동으로 이해하는 설명도 존재한다

(조대엽 2007 2014)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동아시아연구원은 글로벌 CSR인식조사 자료를 바

탕으로 한국을 포함한 20개 국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

현황 그리고 국가별 특성 등을 분석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정한울 2013 2013a 조희진 2013 정원칠 2014 김보미 2014) 이상민

(2002 2008 2012)은 한국과 미국의 사회공헌활동 비교를 시작으로 독일

중국 일본 등 각 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에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이 각 사회의 자본

주의 체제나 기업의 지배구조 문화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서로 다른 형태

와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미국은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

리되어 있고 주주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사회공헌활

동이 일종의 투자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반면 독일은 사회적 시장경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5

체제 내에서 기업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국식의 사회

적 책임 개념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밀착적인 사회공헌활동이 많

이 이루어져왔다(이상민 2008) 일본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규모 국영기업이 많고 정부가 강력한 권한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이 발달하고 있다(이상민

2012) 한국의 경우에는 재벌 소유주의 개인적 철학이나 가치관에 따라

시혜적 또는 과시적인 성격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난다

셋째 반기업정서와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반기업정서는 학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관련 단체나 연구소에서도 관심

을 갖고 있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한국개발연

구원 2008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2014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행한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창우와 이동명(2013)은

기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공헌활동의 관계를 연

구하였는데 기업에 대한 인식을 지역주민의 인식과 임직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임

직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도 변화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주민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관

심이 많고 이와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을 바라고 있지만 기업 임원은 공익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3 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은 다차원적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

는 긍정과 부정이 모순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동아시

아연구원이 실시한 대기업인식 조사에 의하면 삼성 현대자동차 SK는 정

부의 각 조직이나 기관 정당 사회단체 등에 비해 더 높은 신뢰와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칠 2012) 대기업에 대한 긍정적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6: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6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부서 설치 사회공헌활동의 경제적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

다(이상민 2002 조대엽 2007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백경민

2013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특히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이유

를 분석한 연구가 많다 초창기 한국기업이 사회공헌활동에 관심을 갖는

주요한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손상된 기업의 이미지

를 회복하려는 전략적 성격이 강했다(김회성 외 2009)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개별 기업의 전략적 필요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기업의 정당성(legitimacy)을 확보하

는 보편적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 간의

모방과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전략 전담

부서 등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 동형화(isomorphism) 경향이 최근 관

찰되고 있다(이상민 2002 정진경 2005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백경민

2013) 이러한 연구와는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장과 확산을 기업

의 단순한 전략적 행위를 넘어서 국가와 시민사회가 담당하던 공공적 기

능이 기업의 영역으로 이전되는 사회변동으로 이해하는 설명도 존재한다

(조대엽 2007 2014)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동아시아연구원은 글로벌 CSR인식조사 자료를 바

탕으로 한국을 포함한 20개 국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

현황 그리고 국가별 특성 등을 분석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정한울 2013 2013a 조희진 2013 정원칠 2014 김보미 2014) 이상민

(2002 2008 2012)은 한국과 미국의 사회공헌활동 비교를 시작으로 독일

중국 일본 등 각 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에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이 각 사회의 자본

주의 체제나 기업의 지배구조 문화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서로 다른 형태

와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미국은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

리되어 있고 주주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사회공헌활

동이 일종의 투자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반면 독일은 사회적 시장경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5

체제 내에서 기업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국식의 사회

적 책임 개념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밀착적인 사회공헌활동이 많

이 이루어져왔다(이상민 2008) 일본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규모 국영기업이 많고 정부가 강력한 권한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이 발달하고 있다(이상민

2012) 한국의 경우에는 재벌 소유주의 개인적 철학이나 가치관에 따라

시혜적 또는 과시적인 성격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난다

셋째 반기업정서와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반기업정서는 학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관련 단체나 연구소에서도 관심

을 갖고 있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한국개발연

구원 2008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2014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행한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창우와 이동명(2013)은

기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공헌활동의 관계를 연

구하였는데 기업에 대한 인식을 지역주민의 인식과 임직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임

직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도 변화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주민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관

심이 많고 이와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을 바라고 있지만 기업 임원은 공익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3 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은 다차원적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

는 긍정과 부정이 모순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동아시

아연구원이 실시한 대기업인식 조사에 의하면 삼성 현대자동차 SK는 정

부의 각 조직이나 기관 정당 사회단체 등에 비해 더 높은 신뢰와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칠 2012) 대기업에 대한 긍정적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5

체제 내에서 기업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국식의 사회

적 책임 개념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밀착적인 사회공헌활동이 많

이 이루어져왔다(이상민 2008) 일본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규모 국영기업이 많고 정부가 강력한 권한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이 발달하고 있다(이상민

2012) 한국의 경우에는 재벌 소유주의 개인적 철학이나 가치관에 따라

시혜적 또는 과시적인 성격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난다

셋째 반기업정서와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반기업정서는 학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관련 단체나 연구소에서도 관심

을 갖고 있다(대한상공회의소 2014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한국개발연

구원 2008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2014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행한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창우와 이동명(2013)은

기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공헌활동의 관계를 연

구하였는데 기업에 대한 인식을 지역주민의 인식과 임직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임

직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도 변화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주민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관

심이 많고 이와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을 바라고 있지만 기업 임원은 공익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3 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은 다차원적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

는 긍정과 부정이 모순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동아시

아연구원이 실시한 대기업인식 조사에 의하면 삼성 현대자동차 SK는 정

부의 각 조직이나 기관 정당 사회단체 등에 비해 더 높은 신뢰와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칠 2012) 대기업에 대한 긍정적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8: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6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인식은 중소기업보다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기업에 대

한 반감과 비호감도 강하다 사람들은 대기업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

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특혜와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김수한middot

이명진 2014) 또한 대기업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하는 행

위자 중에 하나이며 그들만의 이익을 우선시하지만 사회적인 책임에 대

해서는 소홀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이처럼 사람들이 기업에 대

하여 가지고 있는 평가와 인식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역사적인 맥락 개인

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책임 기대에 영향을 준다(Lodge 1990

Maignan and Ferrell 2003) 우선 각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그 사

회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로지(Lodge

1990)는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로 구분하였는데 개

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기여와 관련된 사

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공동체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복지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활동이 중시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매그넌과 페

렐(Maignan and Ferrell 2003)은 미국 프랑스 독일 국가의 소비자들이 중

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가

지배적인 미국에서는 소비자 만족 기업의 수익창출 고용증대와 같은 경

제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미국인들은 법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시하고 그 다

음으로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공

동체적 성격이 강한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은 법률적 책임이며 그 다음으로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중시한다 미국 소비자는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프랑스와 독일의 소비자는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법률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해서는 세 국가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9: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7

최근 국내에도 기업인식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기

업의 경제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높은 수준의 반기업정서를 가

진 사람들은 경제적 책임보다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2010) 또한 대기업 경영자

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대하여 더 적극적

이라는 연구도 최근 발표되었다(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인식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자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본 연구는 2012년 9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3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이미지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

업이미지 조사는 대기업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 신뢰도 기업의 사회적 책

임 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가 기획하고 조

사전문회사인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대행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틀은 2012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주민등록인구자료를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은 지역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서

베이는 2012년 9월 3일-24일의 기간 동안 대면면접조사 방법을 통하여 이

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651명(494)이고

여성이 668명(506)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54명(193) 30대가 277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0: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6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명(210) 40대가 286명(217) 50대가 253명(192) 60대 이상이 249

명(189)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595명(451) 부산 201명(152)

대구 139명(105) 인천 163명(124) 광주 79명(60) 대전 82명

(62) 울산 60명(45)이다

2 자료의 측정

1)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대기업에 대하여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였다 ldquo한국사회에서 대기업들이 갖는 가장 큰

사회적 책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하여 ldquo고용 수

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

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rdquo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2가지 선택

하게 하였다1)

캐롤(Carrol 1979 1991)의 이론적 논의를 따라 본 연구는 설문에서 제

시된 7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째 고용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은 경제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경제적 책임은 이해관계자의 수익성이라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

업은 고용창출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을 추구

하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하는 등의 경제적 책임이 있다 둘째 근로자 복

지는 법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등 노동 3법 그리고 「고용보험법」 「근로자복지기본법」 등을 준수할 법적의무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 복지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

에 해당한다 셋째 윤리 경영 실천과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은 윤리적

1)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을 연구 및 분석의 편의에 따라 각각 고용 수익환

원 윤리경영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로자복지 동반성장으로 줄여서 사용하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1: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69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의 윤리적 책임은 기업 활동이 올바르고 바람

직한 행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에 해당

한다2) 넷째 수익의 사회 환원은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기업은

기업시민으로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익을 환원할 의무가

있다

2) 대기업에 대한 평가

대기업에 대한 평가를 신뢰 윤리 호감 등 3가지 인식의 차원에서 측정

하였다 첫째 대기업에 대한 신뢰의 측면에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응답자

에게 한국의 대기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매우 신뢰 신뢰 보통 불

신 매우 불신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둘째 호감의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의 정도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중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였다 셋째 윤리의 측면에서 인

식을 측정하였다 윤리기업에 대한 평가는 ldquo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윤리성

은 대체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에 대해 ldquo매우 윤리적

이다rdquo ldquo윤리적이다rdquo ldquo보통이다rdquo ldquo비윤리적이다rdquo ldquo매우 비윤리적이다rdquo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신뢰 윤

리 호감의 점수는 최대 5점 만점(매우 긍정=1 매우 부정=5) 기준으로 신

뢰 268점 호감 272점 윤리 319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대한 한국인

들은 대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대기업의 윤리성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제시한 신뢰 윤리 호감 등 세 가지 인식의 차원을

종합하여 lsquo부정적 평판rsquo이라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부정적 평판은 비신뢰

비윤리성 비호감 등의 값을 합한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크롬바 알파값

2) 2014년 「대middot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강제성이

없는 규정이라서 동반성장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

용되는 자료는 이 법령이 시행되기 전인 2012년에 수집되었다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2: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7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사회적 책임 기대

고용 0402 0490 0 1

수익환원 0453 0498 0 1

윤리경영 0349 0477 0 1

동반성장 0296 0457 0 1

기술개발 0175 0380 0 1

근로자복지 0153 0360 0 1

고객만족 0169 0375 0 1

기업 평가

비신뢰 2677 0816 1 5

비호감 2718 0833 1 5

비윤리 3191 0777 1 5

부정적 평판 (종합) 2861 0659 1 5

lt표 1gt 기술통계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0747) 부정적 평판을 구성하는 신뢰 호감 윤리 점수 배점이 ldquo1=매우

긍정 2=긍정 3=보통 4=부정 5=매우 부정rdquo이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통제변수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교육이 전문대학 혹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졌는가를 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가계소득수준은 전체 응

답자의 가계소득 평균을 4분위로 나누고 각 등급에 따라 1에서 4의 값을

부여하였다 응답자의 현재 거주 지역 대도시 성장여부 고용의 상태에

있는지 자영업 및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가 결혼 등에 대해서도 각각

에 대하여 이항변수로 측정하였다 lt표 1gt은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기

술통계 값을 보여준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3: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1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인구학적 특성

연령 45274 14377 20 88

성 (남성=1) 0494 0500 0 1

성장지역 (대도시) 0684 0465 0 1

자영업소규모 사업장 0350 0477 0 1

가계소득수준 2614 1121 1 4

대졸여부 0484 0500 0 1

결혼 0733 0442 0 1

고용여부 (고용=1) 0676 0468 0 1

3 분석전략

이 연구에서는 기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기술적인 교차비교와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에 대한 인식을 신뢰 윤리 호

감으로 나누어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을 비교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응답자와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대기

업에 호감을 가진 응답자와 그렇지 않은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하였다 동

일한 방법으로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 호감을 갖고 있는 집단 윤리

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확

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ldquo매우 신뢰rdquo ldquo신뢰rdquo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신

뢰 집단rsquo으로 ldquo불신rdquo ldquo매우 불신rdquo으로 응답한 사람들을 lsquo비신뢰 집단rsquo으

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호감과 윤리성에 대한 평가

에서도 ldquo보통rdquo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각각 lsquo호감 집단rsquo과 lsquo비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4: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7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호감 집단rsquo lsquo윤리 집단rsquo과 lsquo비윤리 집단rsquo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기대하

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은 종속변수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귀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에서 종속변수는 응답자가 특

정한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대기업의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

로 생각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고용 수익의 사회 환원 윤리 경영 실천

기술 개발 소비자 만족 근로자 복지 협력업체와의 동반적 성장 각각에

대하여 대기업이 행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종

속변수로 놓고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순위

lt그림 2gt는 한국인들이 대기업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한국의 20세 이상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

영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개발 고객만족 근

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수익환원을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은 349 동반성

장은 296라고 응답하였다 수익환원과 동반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는 대

기업의 시장지배와 영업이익이 일반인들의 경제소득과 중소기업의 이익

과 직결되지 않는 근래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은 두 번째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서 전체

응답자의 402를 차지했다 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업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lsquo고용 없는 성장rsquo을 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상황을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5: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3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대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을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75 고객만족은 169 근로자복

지를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53를 차지했다

lt그림 2gt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2 대기업 인식에 따른 사회적 책임의 기대 차이

대기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의 긍정 또는 부정 수준에 따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보

았듯이 한국 성인들은 수익환원 고용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고

객만족 근로자복지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신뢰 윤리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

적 책임의 내용이 달라졌다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6: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7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1) 신뢰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3gt이 보여주듯이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과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 수익환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신

뢰 수준에 따라 상이한 기대를 한다 대기업에 신뢰를 가진 사람들의

234는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 생각하고 고용(213) 윤

리경영(171) 동반성장(129) 기술개발(99) 고객만족(88) 근로

자복지(6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은 사

람들의 227는 수익환원을 기대했고 윤리경영(204) 고용(195) 동

반성장(175) 근로자복지(82) 고객만족(65) 기술개발(52)의 순

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고

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윤리경영 동반성장 근로자복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한다

lt그림 3gt 기업신뢰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이처럼 대기업을 신뢰하는 집단과 신뢰하지 않는 집단 간 기대하는 사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5

회적 책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사

회적 책임 중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t값=3315)과 윤리적 책임

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값=-2157)에 대한 응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신뢰 집단 비신뢰 집단에 대해 각

기술개발의 평균값이 010 005의 수치를 보여 기업에 대해서 신뢰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술개발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대로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013 017로 기업에

대해서 신뢰한지 않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반성장을 중요

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신뢰 비신뢰 신뢰 비신뢰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3 23 42 42 308 758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0 38 40 -1441 150

동반성장 13 17 33 38 -2157 031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08 25 28 -1080 280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09 06 28 25 1580 114

기술개발 10 05 30 22 3315 001

고용 21 19 41 40 772 440

lt표 2gt 기업신뢰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신뢰(N=1190) 비신뢰(N=401)

2) 윤리와 사회적 책임

lt그림 4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의 윤리성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용(214)과 수익환원(205)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한다 그 다음으로 윤리경영(159) 고객만족(124) 기술개발(109)

동반성장(105) 근로자복지(83)의 순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하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8: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7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였다 반면 대기업을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225)과 윤리경영(199)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꼽았으며 고용

(181) 동반성장(180) 근로자복지(78) 고객만족(74) 기술개발

(63)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복지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

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 기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기업이 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지만 비윤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수익환원 윤

리경영 동반성장을 중시한다

lt그림 4gt 기업윤리 평가와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윤리성 평가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사회적

책임 활동의 차이는 아래 lt표 3gt과 같다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개

발(t값=2742)과 고객만족(t값=2836)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t

값=-3934)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해

서 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과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 별로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19: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7

각각 동반성장 평균값은 010 018이었고 고객만족은 012 007 기술개

발은 011 006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을 윤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반성장을 더 중

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회적 책임 구 분평균 표준편차

t값 p값윤리 비윤리 윤리 비윤리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1 22 40 42 -831 406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6 20 37 40 -1818 069

동반성장 10 18 31 38 -3934 000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8 08 28 27 353 724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2 07 33 26 2836 005

기술개발 11 06 31 24 2752 006

고용 21 18 41 39 1422 155

lt표 3gt 기업윤리 평가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윤리(N=458) 비윤리(N=916)

3) 호감과 사회적 책임

lt그림 5gt가 보여주듯이 대기업에 대한 호감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17)과 고용(213)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

임이라고 생각하며 윤리경영(170) 동반성장(128) 기술개발(104)

고객만족(102) 근로자복지(66)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기업에 대해

비호감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수익환원(231)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응답하였고 윤리경영(205) 동반성장(192) 고용(180)

근로자복지(98) 고객만족(53) 기술개발(41) 순으로 대기업이 사회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0: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7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기를 기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익환원을 대기업

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영역에서 차

이를 보였다 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고용과 수익환원을 중시하지

만 비호감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은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더 중요한 사

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lt그림 5gt 기업호감과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

기업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lt표 4gt) 경제적 책임에 해당하는 기술

개발(t값=4807)과 고객만족(t값=3524) 윤리적 책임에 해당하는 동반성장

(t값=-3008) 법률적 책임에 해당하는 근로자복지(t값=-2000) 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호감 비호감 집단

에 따른 동반성장의 평균값은 각각 013 019였고 근로자복지는 007

010 고객만족은 010 005 기술개발은 010 004였다 즉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고객만족과 기술개발

을 더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는 덜 중요한 사회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1: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79

적 책임으로 생각한다 이를 사회적 책임의 종류로 구분해보면 기업을 호

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경제적 책임을 비호감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은

윤리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구 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호감 비호감 호감 비호감

자선적 책임 수익환원 22 23 41 42 -583 560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17 21 38 40 -1604 109

동반성장 13 19 33 39 -3008 003

법률적 책임 근로자복지 07 10 25 30 -2000 046

경제적 책임

고객만족 10 05 30 22 3524 000

기술개발 10 04 31 20 4807 000

고용 21 18 41 38 1495 135

lt표 4gt 기업호감에 따른 사회적 책임 기대

주 plt005 호감(N=1120) 비호감(N=438)

3 대기업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책임

1) 회귀분석결과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해 기업에 대한 평가의 수준에 따라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면 이

러한 기업평가의 효과는 응답자의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 고용지위 지

역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까

lt표 5gt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

동을 로짓 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1-모형7은 대기

업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을 각각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2: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80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부정적 평판 -0202 0122 0222 0335 -0582 0151 -0323

(0090) (0088) (0092) (0096) (0122) (0121) (0122)

나이 0007 -0002 0004 0007 -0004 -0001 -0020

(0006) (0006) (0006) (0006) (0007) (0008) (0007)

남성 0284 -0256 0126 0099 0215 -0252 -0379

(0129) (0127) (0134) (0140) (0165) (0175) (0172)

lt표 5gt 기업평가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대에 미치는 영향

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이라고 응답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명확하게 보여주듯이 사회경제적 특징과 인구

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평가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기업

의 평가에 따라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장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기대를 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기업에 대

한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은 대기업이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족 등의

방식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것을 기대할 가능성이 적다 다시 말

해 대기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일수록 기업이 담당해야 할

우선적인 사회적 책임이 윤리경영이라고 기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마찬가지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우

선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부정적 평판이 높

아질수록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과 관련되는 내용(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 등)을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 평판이 증대할수록 수익의 사회적 환원을 기대하거나 근로자의

복지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3: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1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모형 7

고용 수익환원 윤리경영 동반성장 기술개발 근로자복지 고객만족

가구소득 -0051 0011 0009 0136 -0041 -0051 -0064

(0056) (0055) (0058) (0060) (0072) (0076) (0074)

대졸이상 -0149 0251 0213 0354 -0223 -0493 -0343

(0140) (0138) (0145) (0151) (0178) (0193) (0182)

결혼 -0292 0344 0007 0055 -0330 -0202 0291

(0159) (0157) (0163) (0173) (0200) (0214) (0213)

고용 0140 -0322 -0091 -0031 0198 0376 0030

(0158) (0155) (0162) (0170) (0209) (0224) (0202)

부산 0174 0166 -0282 0437 -0414 0422 -0834

(0171) (0169) (0175) (0186) (0239) (0239) (0275)

대구 -0308 -0113 -0556 0485 -0176 1101 -0181

(0204) (0193) (0206) (0206) (0261) (0238) (0264)

인천 0268 -0305 -0803 0400 0295 0084 0287

(0187) (0190) (0208) (0202) (0224) (0284) (0230)

광주 0267 0029 -0484 0300 -0650 0658 -0215

(0247) (0246) (0264) (0273) (0377) (0331) (0330)

대전 -0558 -0107 -0615 0378 -0249 1181 0430

(0271) (0243) (0264) (0260) (0336) (0286) (0291)

울산 0606 0179 -1210 0747 -0688 0442 -0569

(0278) (0277) (0359) (0289) (0421) (0377) (0422)

대도시성장 -0096 0094 0149 -0191 -0256 0129 0141

(0131) (0129) (0137) (0141) (0167) (0180) (0173)

자영업 -0023 0090 -0156 -0049 0229 0164 -0243

(0143) (0141) (0149) (0154) (0182) (0193) (0195)

상수 -0001 -0586 -1310 -2754 0615 -2322 0472

(0411) (0403) (0425) (0451) (0531) (0567) (0535)

관찰수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1295

-2LL 170179 175677 163012 152860 115461 105835 112572

주 plt0001 plt001 plt005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 (se)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4: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82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2) 통제변수

대체로 응답자의 연령에 따라 대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의 차이

가 크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

재한다 남성은 고용을 대기업이 담당할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지만 수익환원과 고객만족을 핵심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은 낮다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력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이 가

장 중요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지만 근로자복지가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혼한 사람들은 대기업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응답자들은 수익환원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

할 가능성이 낮다 자영업종사 여부 성장기의 배경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인

다 서울 이외의 광역도시 거주자들은 윤리경영에 대한 기대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동반성장 및 근로자복지에 대해서는 서울 거주자에 비

하여 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 부산 거주자들은 고객만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낮다 대전 거주자는 고용을 덜 강조하지만 울산 거주자는 고용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V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의 핵심적인 영역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

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평가 기관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5: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3

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기업에 대하여 어떤 유형

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가장 많이 기대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기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대를

달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따

라 기업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1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조사 자료를 분석을 통해 한

국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한 평판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윤리경영과 동반성

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고용 기술개발 고객만

족에 대한 기대가 증대했다 다시 말해 대기업의 윤리성 신뢰 호감의 측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

요한 사회적 책임은 윤리적 책임인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이

라고 생각했다 반면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사람들은 고용 기술개발 소

비자 만족 등이 핵심적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대기업이 담당할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은 기술개발이라고 생각하지만 낮은 신뢰를 가지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대기업의 윤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발을 기대하지만 대기업의 윤리성

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동반성장을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대기업에 대한 높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기술개

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낮은 호감을 가진 사람들은 동반성장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학술적인 측

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장되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론

이 재검토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상이한 층위가

존재하며 사회적 책임은 하위 영역에서 시작되어 보다 상위 영역으로 발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6: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84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전된다는 종래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계론적 접근보다는 사람들의 기업인식과 평

판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 대한 인식과 평판에

따라 사회공헌활동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기대하

는 사회적 책임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에 상응하는 선별

적인 전략이 중요하다 가령 대기업에 대해 부정적 평판을 가진 사람들의

기업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과 근로자복지에 주

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자선활동 기부 봉사활동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업

의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

다 특히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

률적 책임의 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5년 11월 12일 접수

2015년 12월 26일 수정 완료

2015년 12월 28일 게재 확정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5

참고문헌

구정우middot이수빈 2015 ldquo기업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추궁에 적극적인가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9(4) 165-198

김보미 2014 ldquo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평가와 사회적 기업화 전략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5

김수한middot이명진 2014 ldquo한국사회의 반기업정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8(1) 39-70

김용열 2009 ldquo한중일 기업인식의 국제비교와 영향요인r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 34(4) 25-46

김중인middot박범순 2014 ldquo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rdquo 985172광고학연구985173 25(7) 53-80

김회성middot박기태middot이명진 2009 ldquo기업 사회공헌 결정요인의 시기별 변화에 관

한 연구 1990년대 초반 이후 기업의 기부금 규모를 중심으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3(4) 1-36

대한상공회의소 2003 985172우리나라 반기업 정서의 현황과 과제985173 대한상공회

의소

______ 2014a 985172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______ 2014b 985172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 (CFI) 조사985173 현대경제연구소

문형구middot박태규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성과와의 관계rdquo 985172한국

비영리연구985173 4(2) 183-224

백경민 2013 ldquo한국 기업 내 사회적 책임 전담 부서의 설치rdquo 985172조사연구985173 14(3) 191-211

산업연구원 2004 ldquo반기업 정서와 기업 경쟁력rdquo 985172산업경제정보985173 191 1-12

이상민middot최인철 2002 985172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985173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200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

교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6(2) 77-111

______ 2008 ldquo이중적 CSR 체제의 기원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국제비

교 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2(7) 215-253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8: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86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______ 2012 ldquo동아시아 CSR의 사회적 구성 글로벌 경제위기를 중심으

로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6(5) 141-176

이선미 2005 ldquo기업시민정신의 관점에서 본 임직원 자원봉사 삼성과 SK

사례 연구rdquo 985172한국비영리연구985173 4(2) 39-76

이창우middot이동명 2013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과 임직원간

인식차이 연구rdquo 985172사회적기업연구985173 6(1) 3-25

이택면middot박길성 2007 ldquo시장에서 책임으로 세계화 시대의 기업-시민사회 관

계에 관한 조직이론적 독해rdquo 985172경제와사회985173 74 227-254

이한준middot박종철 2008 ldquo반기업정서와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의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7(2) 247-278

______ 2010 ldquo경제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반기업 정서에

미치는 영향rdquo 985172한국마케팅저널985173 12(3) 63-79

전국경제인연합회 2014 9851722014년 주요 기업middot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985173 FKI

미디어

정원칠 2012 ldquo대기업을 바라보는 국민인식의 복합성rdquo 985172EAI Opinion

Memo985173 1 1-3

______ 2014 ldquo국민들의 대기업 불신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4

정진경 2005 ldquo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과 주요사례 분석rdquo 985172한국비영리

연구985173 4(2) 177-207

정한울 2013 ldquo국민여론으로 본 한국 CSR 4대 딜레마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1

EAI

______ 2013a ldquo반기업 정서와 CSR 인식의 국제비교 다양성과 유형별 특

성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2 EAI

조대엽 2007 ldquo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41(2)

1-26

______ 2014 985172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985173 나남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29: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7

조희진 2013 ldquo기업 신뢰도의 영향 요인 공유가치창출(CSV)을 중심으로rdquo

985172CSR Monitor985173 3

차희원 2004 ldquo기업명성에 대한 쟁점 논의rdquo 985172사회과학연구논총985173 12

475-494

최준혁 2011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공중관계성과 반기업정서에 미

치는 영향rdquo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5(3) 102-143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985172rsquo반기업정서rsquo의 실체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985173 KDI 경제정보센터

한동우 2006 ldquo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과제rdquo 985172월간복지동

향985173 92 4-7

홍성준 2012 ldquo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반기업 의식의 매개효과rdquo 985172상품학연구985173 30(2)

147-155

황인학middot송용주 2013 985172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

사 보고서985173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14 985172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985173 한국경

제연구원

Buysse Kristel and Alain Verbeke 2003 ldquo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 stakeholder management perspectiv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53-470

Carroll Archie 1979 ldquoA Three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

497-505

Carroll Archie 1991 ldquo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rdquo

Business Horizons 34(4) 39-48

Friedman Milton 1970 ldquo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30: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188 한국사회 제16집 2호(2015년)

Increase Its Profitsrdquo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Garriga Elisabet and Domegravenec Meleacute 2013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ies Mapping the Territoryrdquo Pp 69-96 in

Citation Classics from the Journal of Business Ethics edited by

Alex C Michalos and Deborah C Poff Netherland Springer

Hass P F 1979 ldquoThe Conflict between Private and Social Responsibilityrdquo

Akron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10(2)

Hillman Amy J and Gerald D Keim 2001 ldquoShareholder value

stakeholder management and social issues whats the bottom linerdquo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2) 125-139

Maignan Isabelle 2001 ldquoConsumersrsquo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rdquo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 57ndash72

Maignan Isabelle and OC Ferrell 2003 ldquoNature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Perspectives from American French and German

consumersrdquo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55-67

______ 2004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rdquo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atten Dirk and Andrew Crane 2005 ldquo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McWilliams Abagail and Donald Siegel 2001 ldquo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

Page 31: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평가에 따른 차이

한국인이 바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9

What Do Koreans Expect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ark JungminDoctoral Candidate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Kim Soohan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Abstract

While Korean companie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activit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at kinds of CSR are expected Using a national survey in 2012 this study finds that Koreans have different types of expectation on CSR People expec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parts of CSR when they trust firms or when they think firms do business with ethical ways However those who distrust firm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People having little confidence in firms want companies to do more on co-prosperity with small-sized and mid-sized firms or spend more money on employeesrsquo welfare This paper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Key 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confidence trust repu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