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61
공개토론회 자료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15:00 ~17:00 장소: 한국개발연구원 대회의실 지식경제부 한국개발연구원 동 자료는 서비스산업 선진화 T/F 디자인반에서 준비한 자료로서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님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ranscript of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Page 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공개토론회 자료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15:00 ~17:00

장소: 한국개발연구원 대회의실

지 식 경 제 부

한국개발연구원

동 자료는 서비스산업 선진화 T/F 디자인반에서 비한 자료로서 정부의

공식 인 입장은 아님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Page 2: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Page 3: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프 로 그 램

2007년 3월 20일 (금요일)

14:30~15:00 등록 및 네트워킹

15:00~15:10 개회식

개회사 : 박 순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회장)

15:10~16:30 디자인산업의 활성화 방안

-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및 디자인전문기업 육성을 중심으로

사 회 : 박 순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회장)

발 표 : 김용세 (성균 학교 교수)

백종원 (네이트시스템 표)

토 론 : 이순종 (서울 학교 교수)

정국 (삼성 자 고문)

문 기 (디자인기업 회 회장)

정지홍 (국민 학교 교수)

Daniel Kim (넥슨 본부장)

진종욱 (지식경제부 디자인 랜드과장)

16:30~16:50 질의 및 응답

16:50~16:55 총 평

16:55~17:00 폐 회

Page 4: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Page 5: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목 차

제1장 다분야 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을 중심으로 ························································ 1제1절 디자인 산업 현황과선진화 필요성 ················································································· 1

1. 디자인 산업의 중요성 ··································································································· 1가. 디자인 및 디자인 산업 개념 ····················································································· 1나. 디자인 산업 중요성 ································································································· 3다. 디자인 산업 현황 ······································································································ 5라. 디자인 산업의 문제점 ······························································································· 6마. 선진화 필요성 ········································································································· 11

제2절 글로벌 동향 ··············································································································· 121. Design as Innovation ··························································································· 122. 다분야 융합 기반 디자인 경쟁력 ·········································································· 123. 디자인 정책 글로벌 메가 트렌드 ·········································································· 134. 디자인 교육의 공학, 경영 등 다분야와의 융합 추세 ·············································· 15

제3절. 선진화 방향과 과제 ·································································································· 181. 선진화 방향 ················································································································ 18가. Total Design ···································································································· 18나. 혁신 창조과정으로서의 디자인 활용 촉진 ···························································· 18다.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추진 ········································································· 19

2. 선진화 과제 ················································································································ 20가. Total Design ········································································································· 20나. Total Design Korea 인력양성 사업 ········································································ 20다. Total Design Korea 추진 체계 ··············································································· 23라. Total Design 전문기업의 육성 ·············································································· 25마. 중소기업의 디자인역량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 27

제2장 디자인산업 발전 정책 ··························································································· 30제1절 현황 및 문제점 ·········································································································· 30

1. 디자인산업 현황 ·········································································································· 30가. 국내 디자인산업 현황 ····························································································· 30

Page 6: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나. 국내 디자인정책 현황 ····························································································· 322. 국내 디자인산업 문제점 ······························································································ 37

제2절 디자인서비스산업 육성의 필요성 ··············································································· 381. 디자인서비스산업 육성 배경 ······················································································· 38가. 국가·기업·개인의 차별화의 핵심 역량인 디자인 ······················································ 38나. 디자인산업의 역량과 범위의 확대 ··········································································· 40다. 디자인산업의 중요성 및 위상 제고 ········································································· 41라. 국가적 차원의 디자인전략 실행기반 구축 ······························································· 43

제3절 디자인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 451. 디자인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목표 ································································· 45가. 개요 ························································································································ 45나. 세부목표 ················································································································· 46

2. 디자인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 46가. 디자인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컨설팅기업 육성 ······························· 46나. 융합기반 디자인 컨설턴트 인증제 사업 ·································································· 49

표 목 차

<표 2 - 1> 국가별 국제 디자인경쟁력 순위 ································································ 31<표 2 - 2> 우리나라 디자인관련 산업별 시장 규모 ···················································· 32<표 2 - 3>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거시경제 지표 ······················································ 32<표 2 - 4> 디자인 정책 특성 구분 ·············································································· 33<표 2 - 5> 디자인 진흥정책 영역별 추진과제와 주요 특성 ········································ 35<표 2 - 6> 국내 디자인혁신 및 디자인개발 지원사업 내용 ········································ 36<표 2 - 7> 아날로그 시대와 디지털 시대의 환경 비교 ··············································· 39<표 2 - 8> 디자인의 환경 변화 ··················································································· 39<표 2 - 9> 디자인의 환경 변화 ··················································································· 40<표 2 - 10> 디자인 투자의 성과에 대한 보고 ···························································· 42<표 2 - 12> 디자인분야의 확대 사례 ·········································································· 47<표 2 - 12> 디자인컨설턴트 과정 커리큘럼(안) ························································· 51

Page 7: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그 림 목 차

[그림 1 - 1] 산업디자인진흥법상 디자인 분류 ······························································· 1[그림 1 - 2] 최근 디자인 개념 ······················································································· 2[그림 1 - 3] 최근 디자인 분류 ······················································································· 2[그림 1 - 4] 디자인 산업 ······························································································· 3[그림 1 - 5] 디자인 활용방식의 계층적 구조: 디자인 사다리 ········································ 4[그림 1 - 6] 소비자, 제품/서비스, 디자이너, 기업 ························································· 5[그림 1 - 7] 통합디자인 Five force 모형 분석 ······························································ 8[그림 1 - 8] 서비스 산업 선진화 필수 조건 ································································· 11[그림 1 - 9] 디자인 선진화 추진 전략 ········································································· 18[그림 1 - 10] 다분야 융합 기반 디자인 전문기업 및 제조기업의 동반성장 ················· 20[그림 1 - 11] 덴마크 디자인 분야 혁신 환경 ······························································· 23[그림 1 - 12] 한국 디자인 분야 혁신 환경 (1안) ························································ 24[그림 1 - 13] 한국 디자인 분야 혁신 환경 (2안) ························································ 25[그림 1 - 14] 디자인과 R&D 비중 ··············································································· 27

[그림 2 - 1]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비전 및 목표 ······················································ 33[그림 2 - 2] 국내 디자인산업 SWOT 분석 ·································································· 37[그림 2 - 3] 디자인 인프라의 적용 범위 ································································· 41[그림 2 - 4]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 42[그림 2 - 5] 디자인아웃소싱과 디자인컨설팅의 특성 비교 ··········································· 50

Page 8: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Page 9: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 장

다분야 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을 중심으로

김 용 세 (성균관대학교 교수)

제 1 절 디자인 산업 현황과선진화 필요성

1. 디자인 산업의 중요성

가. 디자인 및 디자인 산업 개념

□ 디자인은 통 으로 심 계획(mental plan)을 실행키 한 지 조형 활동을 의미

◦ 통 디자인개념은 외 상의 심미성을 시, 결과물의 유형에 따른 디자인분

류를 채택

[그림 1 - 1] 산업디자인진흥법상 디자인 분류

□ 최근 창의성과 기술을 결합, Business 구체화에 필요한 문제해결수단으로서의 디자

인 개념이 두

◦ 최근 디자인개념은 결과의 심미성보다는 창의 인 아이디어와 결과를 도출하는

Page 10: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2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과정과 방법론을 시

[그림 1 - 2] 최근 디자인 개념

*덴마크 디자인센터 디자인 개념정의: 디자인은 아이디어, 문제 는 변화에 한

욕구에 응하는 의도 이고 창의 인 활동의 결과이다

□ 종래의 디자인 상에 따른 분류 으로부터 인간과 사회의 필요성에 기반한 분

류 으로 바 어가고, 따라서 장기 인 시각과 넓은 의미의 이슈를 다루는 방향

으로 디자인 업의 이 변화함 (Sanders & Stappers 2008).

◦ 디자인 상, 디자인 방법 디자이 에 한 시각이 변화

=> 디자인 교육의 신이 필요함.

[그림 1 - 3] 최근 디자인 분류

□ “디자인을 넘어선 디자인”

◦ 2008년 5월 24일 조선일보 디자인 리더 미국 IDEO 방문기 Special Report (조선

일보 2008):

* “디자이 를 만나러 갔다가 인류학자를 만나고 왔다”

* “P&G도, MS도, 삼성도, SKT도 모두가 찾아가는 곳”

Page 1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3

* “ 쁘게만 보이는 디자인은 더 이상 디자인이 아니다”

* “역사학, 건축학, 엔지니어링 공자들이 머리와 가슴으로 만든 명품”

□ 디자인 산업은 디자이 디자인 문기업이 지식서비스를 제조기업 서비스기

업에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가치 사

슬을 구성하는 창조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이다.

[그림 1 - 4] 디자인 산업

□ 디자인 산업 Key Success Factors (IBISWorld Report, Industrial Design Services in

the US, 2007)

* 성공사례에 의한 명성

* 시장과 사용자에 한 연구 이해

* 다양한 산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른 필요에 따라 서비스

를 환할 수 있는 능력

* 새로운 기술에 한 신속한 용 능력

* 다분야 문성이 있고 융통성 있는 Workforce

* Business 감각과 상용화 능력

Page 12: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4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나. 디자인 산업 중요성

□ 디자인산업은 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타 산업의 경쟁력 강화 고부가가

치화를 진하는 기반산업 역할을 담당

* 부가가치율(‘06): 디자인 42.9%, 화 연 39.3%, 반도체 31.6%, 섬유 21%, 자동

차 17%

* 디자인투자 100 시 매출액 225 증가, 이익 83 증가(英 Design Council)

□ 국가의 디자인역량은 사회 자본으로서 국가경쟁력과 비례

◦ 선진국은 사회문제 해결을 해 디자인을 공공분야에도 극 활용하는 국가차원

의 디자인 로젝트 추진

* 英 Dott '07: 에 지효율향상, 의료사고감소 등 디자인과 공공서비스 신을

□ 디자인 활용방식의 고도화 진 : Styling → Innovation

◦ 90년 후반부터 기업의 디자인 활용방식이 낮은 단계(Design as Styling)에서

높은 단계(Design as Innovation)로 고도화

[그림 1 - 5] 디자인 활용방식의 계층적 구조: 디자인 사다리

* 디자인 사다리(Design Ladder): 덴마크 디자인센터는 디자인에 한 기업의 태도

에 따라 기업의 디자인 활용 성숙도를 4단계로 구분

□ 지식경제부는 디자인 기반 조성 강화 계획에 의거하여, 기업의 개별 기술 연구,

개발이 어려운 기반기술의 장기 발 의 기 가 되는 기반기술 로드맵 수립

◦ 기반기술 로드맵은 디자인 산업이 Design as Innovation으로 국가경쟁력의 핵심

기반산업으로 발 시키기 한 기본계획 세계 디자인 기술 발 의 메가 트

드에 따라, 다분야 융합에 기반한 통합 으로 수립

* 디자인 기반기술은 (1) 디자이 측면, (2) 소비자/사용자 측면, (3) 각종 제품/

Page 13: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5

서비스의 디자인에 공통이 되는 기반 디자인 기술, (4) 기업 입장에서의 디자인

리 측면, 그리고 (5) 각 분야별 디자인 기술 등으로 5분야의 분류체계 수립

[그림 1 - 6] 소비자, 제품/서비스, 디자이너, 기업

다. 디자인 산업 현황

□ (산업 규모) 최근 5년간 68% 성장하여 ‘01년 4.07조원에서 ’06년 6.8조 원으로 증가, GDP 비 도 0.65%에서 0.8%로 상승

구 분 2001(추정) 2004 2006디자인산업 규모 4.1조 원 6.3조 원 6.8조 원(GDP 비중) (0.65%) (0.8%) (0.8%) 일반기업 디자인투자 3.5조 원 5.5조 원 5.9조 원 디자인기업 매출액 5,221억 원 7,815억 원 8,848억 원GDP(명목) 779조 원 848조 원

◦ 제조업, 사업서비스업 등 일반기업의 디자인투자는 최근 5년간 68.5% 성장하여 ‘01년 3.5조원에서 ’06년 5.9조 원으로 증가

Page 14: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6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구 분 2001(추정) 2004 2006일반기업의 디자인 투자 3.5조 원 5.5조 원 5.9조 원 제조업 22,539억 원 36,659억 원 44,707억 원 사업서비스업 6,055억 원 10,596억 원 7,520억 원 건설업 6,900억 원 7,665억 원 7,259억 원일반기업의 해외 아웃소싱 n/a n/a 241억 원

◦ 디자인기업의 매출은 최근 5년간 69% 성장하여 ‘01년 5.2천억 원에서 ’06년 8.8천억

원으로 증가

구 분 2001 2004 2006디자인기업매출액 5,221억 원 7,815억 원 8,848억 원 디자인기업수 2,212개 2,154개 2,330개 업체당 평균매출액 2.4억 원 3.6억 원 3.8억 원수출액 n/a n/a 78억 원

□ (디자인산업 고용) 최근 5년간 82.7% 성장하여 ‘01년 5.2만명에서 ’06년 9.5만명으로

증가

◦ '04년 비 ‘06년 디자인산업 고용이 감소한 것은 주로 사업서비스업과 제조업의 디

자이 고용 축소에서 기인

구 분 2001(추정) 2004 2006디자이너 고용규모 5.2만 명 10.5만 명 9.5만 명일반기업 고용 디자이너수 44,322명 96,565명 86,462명 제조업 22,469 55,092 50,114 사업서비스업 8,917 27,776 9,612 건설업 12,937 13,697 26,736디자인기업 고용 디자이너수 7,800명 8,505명 7,443명

◦ 디자이 를 고용한 일반기업의 평균 디자이 수는 ‘04년 4.24명에서 ’06년 5.72명으

로 증가

구 분 2001(추정) 2004 2006일반기업의 평균 디자이너수 n/a 4.24명 5.72명 제조업 8.0 3.55 4.80 사업서비스업 n/a 5.02 7.42 건설업 n/a 7.16 5.20디자인기업 평균 디자이너수 3.5명 3.79명 3.38명

Page 15: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7

라. 디자인 산업의 문제점

□ 기업 규모별 디자인 역량 차이가 큼

◦ 디자인의 기업 경쟁력 기여도에 한 가치 인식의 부족, 세한 경 환경으로

소기업 디자인 투자가 조.

□ 디자인 기업의 로벌 경쟁력 부족

◦ 디자인기업 매출은 $926백만(‘06)로 英의 10%, 日의 16.4%에 불과

* GDP 비 디자인기업 매출(%): 臺 0.47 > 英 0.41 > 日 0.13 > 韓 0.10

* 디자인기업 소속 디자이 (단 : 천 명): 英 60 > 日 47 > 臺 23 > 韓 8

◦ 디자인 기업간 과당경쟁이 디자인가격의 덤핑을 래, 디자이 의 고용안정 확

보 문성 제고 등 성장잠재력 배양에 차질

* 디자인기업들은 과당경쟁에 따른 가격인하(42.6%)를 가장 큰 문제로 지

□ 통합디자인( 는 종합디자인, Total Design) 경쟁력 부족

◦ 인간, 가치, 기술, 비즈니스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 경쟁력 두.

* 기술, 서비스 조직에서의 인간 상호작용의 요성 두.

* 제품과 서비스 신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를 한 디자인 기반 다분야 융합

가치 창조의 요구가 강화되는 상황

* 이에 비한 가치 창조 리더로의 디자이 능력의 모델이 변화하고 있음.

* 학문분야간의 경계가 없어지는 융합 산업 사회에서, 엔지니어, 소 트웨어 개발

자, 마 문가, 경 컨설턴트 등과의 력에 기반한 디자이 의 역할 변화

가 필요함.

* 산업체의 디자이 경우 다분야 융합 의 체득이 실하게 필요

◦ 국내의 로벌 경쟁력을 갖춘 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산업체 극심하게 부족함.

* 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자인 서비스 기업은 극소수이며, 부분 기업의 제

품개발 는 소규모 서비스 기업들로서, 다양성과 역동성, 그리고 다분야

문성을 가진 가치 창출 지원 서비스 기업이 극심하게 부족한 상.

* 국내의 기업 로벌 사용자의 숨겨진 수요를 찾아 이를 만족시키는 제품

Page 16: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8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서비스를 기획, 디자인, 설계 하는 가치창출 과정을 산업 경쟁력의 최우선으로

인식하고, 이의 체계 지원 서비스를 갈망하고 있는 기업은 국외 선진 통합디

자인 지식서비스에 의존하고 있는 실.

□ 통합디자인 Five Forces 모형 분석

[그림 1 - 7] 통합디자인 Five force 모형 분석

산업경쟁자

기존기업간 경쟁

공급자 구매자

잠재진입자

대체서비스

다분야 융합 지식커뮤니티의 부재단편적 정보 제공 위주로체계적이고 통합된 지식 제공이 미흡

다양한 소비자 가치 제공을 통한부가가치 창출 갈망잠재적 니즈의 파악을 통한신가치창출 및 체계적 지원서비스 요구

해외 통합디자인지식서비스 업체에의 의존

다분야 전문지식 기반 토털 솔루션디자인 지식 서비스 출현체계적 방법론과 기술을 통한원천기술 확보 노력잠재적인 소비자 니즈의 파악 및신가치창출에 초점제품맞춤화에 초점

경영전문지식 기반 경영컨설팅 업체기술전문지식 기반 엔지니어링 및 IT 컨설팅 업체중국 등 후발국의 시장진입

산업경쟁자

기존기업간 경쟁

산업경쟁자

기존기업간 경쟁

공급자 구매자

잠재진입자

대체서비스

다분야 융합 지식커뮤니티의 부재단편적 정보 제공 위주로체계적이고 통합된 지식 제공이 미흡

다양한 소비자 가치 제공을 통한부가가치 창출 갈망잠재적 니즈의 파악을 통한신가치창출 및 체계적 지원서비스 요구

해외 통합디자인지식서비스 업체에의 의존

다분야 전문지식 기반 토털 솔루션디자인 지식 서비스 출현체계적 방법론과 기술을 통한원천기술 확보 노력잠재적인 소비자 니즈의 파악 및신가치창출에 초점제품맞춤화에 초점

경영전문지식 기반 경영컨설팅 업체기술전문지식 기반 엔지니어링 및 IT 컨설팅 업체중국 등 후발국의 시장진입

◦ 산업 경쟁자

* 다분야 문지식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두되는

제품 서비스의 기획, 디자인, 엔지니어링 등 반 인 디자인 단계를 유기

으로 연계하여 동시 으로 수행하는 해외 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선도기업의

출 .

* 기술 심에서 소비자/인간 심으로 변화하는 메가트 드로 인해 제품 서

비스 디자인에 있어서 신 인 신가치창출을 한 소비자의 잠재 인 요구조

건 니즈 악의 요성이 두됨으로 인해 소비자 컨설 기업의 필요성이

두함.

* 제품의 매에 의한 부가가치 창출에서 제품의 이용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

양한 소비자 가치제공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략의 출 으로 인해 서비스 디

자인 컨설 업체 역할의 요성이 두함.

Page 17: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9

◦ 잠재 진입자

* 통합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 경 등 경 련 지식의 요구가 증 되고 있어서

경 문지식 기반 경 컨설 기업이 신규시장 진입 가능성이 높음.

* 제조 기업의 제품 개발을 직 으로 지원하는 기술 문지식 기반 엔지니어링

컨설 기업과 제품 개발에 련된 정보 지식을 제공하는 IT 컨설 기업이

디자인 련 문지식을 추가함으로써 신규시장 진입 가능성이 높음.

* 디자인 산업에 있어서 국 등 후발국 시장의 유가 증가되고 있음. 향후, 통

합디자인 지식서비스의 시장 진입이 상됨.

◦ 공 자

* 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시스템의 공 자로서 디자인 련 문 지식서비스 기

업이 극소수이고 주로 디자인 문기업이나 제조 기업이 직 련 지식의 제

공 리를 수행함.

* 다분야 융합 지식커뮤니티의 부재로 인한 단편 정보 제공 주로 체계 이고

통합 지식의 제공이 미흡함.

◦ 수요자

* 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시스템의 주요 수요 기업인 제조 기업의 경우, 다양한

소비자 가치 제공을 통한 부가가치의 창출을 갈망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잠재

니즈의 악을 통한 신가치창출을 해 체계 인 지원서비스를 요구하고 있

음.

* 디자인 문기업의 경우, 기존의 재래 인 순차 인 디자인 로세스와 Styling Design에 국한되는 제한 상황에서 다분야 지식의 융합에 기반하여 동시 인

디자인 로세스를 진행하는 통합디자인으로의 패러다임 이행에 한 방법론

지원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음.

◦ 체서비스

* 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기술의 개발이 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제조

기업 등의 해외 선도 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기업에의 의존이 심화되어 해외

선도 통합디자인 문기업에 의한 국내 통합디자인 시장 유가 높아지며, 국내 기술의 경쟁력 약화를 래함.

Page 18: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10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산업 장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는 인력공

◦ 디자인 교육의 부분은 술 학 소속으로 종래의 조형 주의 디자인 교육에

치 .

◦ 공학 경쟁력은 우리나라 산업 구조 역사의 향 등으로 제품개발의 하 단

계인 생산 기술 주로, 선진국형 산업 구조로 진입하기 해 필요한 공학 설계

경쟁력이 극히 낮으며, 공학 교육에 있어서도 설계 교육 경쟁력이 보 인 수

임.

◦ 학 반에 걸쳐 장기 의 인력양성을 한 체계 계획 교육과 연구

의 연계 노력이 부족함.

Page 19: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11

마. 선진화 필요성

□ 디자인 산업 서비스 산업 선진화 필수 조건

◦ 서비스 산업 선진화 필수 조건은 (1) 서비스 수혜 산업의 서비스 가치 인식과

(2) 서비스 제공 산업의 선진 경쟁력이 동시에 만족되어야 가능함.

◦ 디자인 산업 선진화 필수 조건은 제조기업 서비스기업이 디자인의 략 가

치를 인식해야하고, 디자인 서비스 기업 디자인 문인력의 선진 경쟁력이

동시에 만족되어야 가능함. (그림 1-8 참조)

[그림 1 - 8] 서비스 산업 선진화 필수 조건

Page 20: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12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제2절 글로벌 동향

1. Design as Innovation

□ 디자인을 제품의 외형개선 문제(Design as Styling)로만 보는 인식에서 탈피하여, 창의적 혁신을 이끄는 문제해결방안(Design as Innovation)으로 디자인 역할의 고도화

◦ 다분야 문지식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두되는

제품 서비스의 기획, 디자인, 엔지니어링 등 반 인 디자인 단계를 유기

으로 연계하여 동시 으로 수행하는 해외 통합디자인 서비스 선도기업의 출 .

2. 다분야 융합 기반 디자인 경쟁력

□ 세계 주도적 역할을 하는 디자인 서비스 기업의 공통점은 다분야 융합 경쟁력임 (메가트랜드의 구체적 준거가 됨)

◦ 미국 IDEO

* 디자인을 통한 혁신(Innovation through Design)을 지원함 * IDEO 방법론의 심장은 다분야 융합협력팀

◦ 미국 Herbst LaZar Bell (HLB)

* 다분야 협력 설계 전략 및 개발 컨설팅 * 다분야 융합 협력팀: 다양한 전문기술을 통한 아이디어 창출 및 실현

◦ 국 Engine

* 세계적 선도적 서비스 디자인 및 혁신 컨설팅 회사 * 서비스 전문가와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네트워크로 구성된 다분야 융합협

력팀

◦ 국 live|work

Page 2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13

* 혁신적인 서비스 창조, 현존하는 서비스 개선 / 소비자, 기업, 사회 및 환경을 위한 서비스 창출

* 다분야 융합 협력팀: 디자이너, 기술전문가, 사회인류학자, 마케팅 및 경영 전문가, 서비스운영전문가, 사업화전문가 등

3. 디자인 정책 글로벌 메가 트렌드

□ 미국 과학재단의 2030년 대비 Engineering Design 전략

◦ 신의 이론 기반 구축, 인간 사회 가치와 디자인의 연계, 디자인 정보

공학 발

◦ 사회 , 기술 의 디자인 분야 연구 지원 확

◦ 디자인, 인지과학, 정보공학 등 연계 디자인 창의성 연구 추진

◦ 학습과학연구센터 사업에서 디자인 등 문제해결 능력 교육을 한 장기 융합 연

구 센터 필요성 제기

□ 일본 디자인 공학 로드맵

◦ 2015-2030을 비한 다양한 사회 , 기술 을 연계하는 인간 심의 토탈디

자인 기술 요성 강조

□ 영국 디자인 선진화 정책

◦ 기업, 특히 소기업, 경쟁력 증진을 한 창의 신수단으로의 디자인 역할

강조 (2005년 Cox Review of Creativity in Business 보고서)

* Design for Business Programme - 광의의 디자인을 통한 기업 경쟁력 혁신 가능성 인식 증진 프로그램 (3단계 심화단계) (Design Mentor의 역할 중요)

* 의미있는 R&D Tax Credit - 혁신적 노력에만 보상 * 미래 주도 인력 양성 - (1) 대학과 중소기업의 밀접한 연계, (2) 다분야 이해

및 상호 협력 능력 교육의 확산 (공학설계교육의 강화, 디자인-공학-경영 각

Page 22: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14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분야에서 연계능력 증진), (3) 디자인-공학-경영 융합 교육 및 연구 Center of

Excellence (5개소)

◦ 디자인 역할의 고도화를 한 다분야 지식 기술의 필요성 강조 (2007년

High-Level Skills for Higher Value 보고서)

◦ 북유럽 디자인 강국으로부터의 교훈 (2007년 Lessons from Europe 보고서)

(1) 창의성, 기술, 경 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의 기업 략 요성,

(2) 다분야 융합 교육,

(3) 교육에서의 산학 력

◦ 디자인 인력 양성 청사진 (2008년 Design Blueprint 보고서)

* 현업의 디자인 인력 재교육 * 대학의 전문 인력 양성 * 중등 Design & Tech 교육 등 다각도의 디자인 인력 양성 * 디자인 기술, 경험 및 통찰력, 가치관, 프로세스 등으로 구성되는 다분야

디자인 지식기반(Designer's Business Knowledge Base)을 창의성에 연계

□ 덴마크 디자인 선진화 정책

◦ 국제 Design Elite 상 확보 목표 - 사업 국제경쟁력 강화 (2007년

Design Denmark 보고서)

◦ Danish Design Center를 통한 사업 연계 강화 (Designer-ISO 인증 포함)

◦ 공공서비스 디자인 사업을 통한 서비스 디자인 국제리더십 확보

◦ Center for Design Research 설립을 통한 장기 고 인력양성 로그램 (지식과

Know-how 창조를 통한 교육, 디자인산업, 기업에 혜택을 주기 함)

◦ 국제화 장교육 강화를 통한 ,단기 인력 양성 로그램

◦ Danish Design Center를 통한 업 디자인 인력 재교육 로그램

□ 뉴질랜드 디자인 선진화 정책

Page 23: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15

◦ 디자인의 략 역할을 통한 기업 경쟁력 증진 (Success by Design) 목표 (2003

년 Success by Design 보고서)

◦ 디자인 역의 확장을 통한 기업성공을 한 디자인 기여 가능성에 한 이해와

인식 제고

◦ 기업 경 진에 한 디자인 가치 인식 로그램

◦ 디자인 졸업생에 한 인턴십 기업 연계 로젝트 강화, 산업체 경 공

학 인력에 한 디자인 경 략 교육, 디자인 능력 인증제도 등 교육 로그

◦ 기업의 디자인 략 이용 상태 Audit 로그램

◦ 국제 명성과 경쟁력 획득을 한 형 로젝트 수행 클러스터 구축

4. 디자인 교육의 공학, 경영 등 다분야와의 융합 추세

□ 디자인 활용방식 고도화, 적용범위 확대 등은 디자이너와 디자인 기업에 대해 높은 수준의 학제적 역량, 컨설팅 역량을 요구함

□ 융합에 기반한 디자인 인력 양성 프로그램 국제 추세

□ 미국 Stanford 대학의 D-School

◦ 1960년 설립된 공과 학 기계공학과 Design Division의 공학과 술 연계

Product Design 로그램에서 발

◦ 디자인, 공학, 경 , 사회과학, 정보과학 등 다분야 연계 로그램

◦ IDEO 등 통합디자인 문기업과의 한 산학교육 력 (David Kelley 교수가

IDEO 창업자)

□ 미국 Northwestern대학의 Institute of Design

◦ 디자인 사고가 다양한 상황의 문제 해결과 신 수단

Page 24: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16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특정분야의 문성과 횡단 다분야 융합 디자인 로젝트 목, Engineering

Design & Innovation, MBA 연계, 산업인력 상 등 다양한 석사과정

◦ 통합디자인 문기업 HLB와의 한 산학교육 력 (HLB 창업자가 Clinical 교

수로 산업인력 상 교육 책임자)

□ 미국 Michigan대학 Design Science 융합 박사 과정

◦ 디자인 지식의 원리 방법 개발 연구

◦ 술, 건축, 행동과학, 사회과학, 인지과학, 경 , 공학, 디자인 등 50여명의 참여

교수

□ 미국 과학재단 융합 디자인 대학원 워크샵

◦ 디자인 커뮤니티: 공학, 건축, 산업디자인, 심리학, 경 등

◦ 2008년부터 2009년 까지 4회에 걸친 워크샵을 통한, 미래의 디자인 문제해결

인력양성을 한 융합디자인 학원 교육 철학, 방향 새로운 개념의

Design Discipline 정립

◦ 다분야 융합은 디자인의 본질 핵심

◦ 디자인 교육 인력 양성 방안 수립

□ 핀란드 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IDBM) 석사 과정 ◦ 디자인, 공학, 경 각각 다른 3개 학 연합 로그램

◦ IDBM Pro - 장 디자인 인력 상 로그램

□ 네덜란드 Delft공대 Industrial Design Engineering 학부

◦ 산업디자인, 디자인공학, 제품 신 경 등 3 세부 공

◦ 1969년 설립된, 세계 최 의 융합 디자인 교육 연구

◦ 200여명의 교,강사 연구진, 1600여명의 학생

□ 영국 Design London Center of Excellence

Page 25: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17

◦ Royal College of Art(디자인)와 Imperial College(공학, 경 ) 연합

◦ 국 정부(HEFCE NESTA)로부터 £5.8 M 지원, 2007년 설립

* HEFCE: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 NESTA: National Endowment for Science, technology & the Arts

□ 영국 Center for Competitive Creative Design

◦ Cranfield 학(공학, 경 )과 Univ. of the Arts, London(디자인) 연합

◦ 국 정부(HEFCE)로부터 £3.8 M 지원, 2008년 설립

◦ 다분야 융합디자인 분야 지식창출(연구), 석사(Master of Design) 과정교육, 산업

지원

* Master of Design: Full Time 1년, Part Time 2년 과정 (내용: 창의성 + 공학 + 경영 등 융합 Core 및 창조기업경영 및 Design for

Sustainability 선택과정)

◦ 지역 학연계 장인력 교육 로그램의 구심 역할

Page 26: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18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제3절. 선진화 방향과 과제

1. 선진화 방향

가. Total Design

□ Total Design 경쟁력 증진을 통한 디자인 산업 선진화

◦ 디자인 역량 제고를 통한 선진화 략

[그림 1 - 9] 디자인 선진화 추진 전략

나. 혁신 창조과정으로서의 디자인 활용 촉진

□ 창의 인 디자인 인력 양성

◦ 산업 장 수요에 부응하는 디자이 배출을 지원하고 디자인 문인력의 로

벌 경쟁력 강화에 주력

◦ 창의성 함양을 한 디자인교육시스템의 근본 변 추진

□ 디자인을 신수단(Design as Innovation)으로 인식, 기업과 공공부문에서 디자인의

활용방식의 고도화를 추진

Page 27: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19

* 기업: ( 행) 제품개발과정의 일부 → (향후) 기업의 문제해결과정

* 정부: ( 행) 도시환경 개선수단 → (향후) 사회문제해결 수단

다.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추진

□ 미래 Life Style변화를 측, 녹색성장, 교육, 보건 등 사회 안에 한 디자인

해결방안 마련

◦ 녹색성장(청정에 지기술, 에 지 약 등), 보건, 국방, 교육 등 사회 안에

해 Design Thinking(Brown 2008)을 용, 해결방안 제시

* 英 RED: Design Council의 공공서비스 신 로젝트로, 건강 정치 에 지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 다분야 융합 디자인 문제해결방식 도입

◦ Intelligent Social Overhead Capital(SOC) Design 로젝트

Page 28: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20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2. 선진화 과제

가. Total Design

□ Total Design 경쟁력 증진을 통한 디자인 산업 선진화

◦ Creativity, Technology, Business 등 다분야 융합에 의한 통합디자인 경쟁력

증진을 통한 디자인 문기업 지식화, 통합화, 국제화, 고부가가치화와 소

기업을 포함한 제조 서비스 기업의 동반 성장이 가능함. ([그림 1 - 10] 참조)

[그림 1 - 10] 다분야 융합 기반 디자인 전문기업 및 제조기업의 동반성장

나. Total Design Korea 인력양성 사업

□ Design as Innovation 추진을 위한 인력양성 사업 ◦ 우수 인력확보가 서비스 산업의 선진화에 직결

□ 영국, 미국, 네덜란드 등 디자인 선진국의 최근 정책, 산업, 인력양성 동향 반영 - 국제경쟁력 없는 디자인경쟁력 있을 수 없음.

□ Center of Excellence in Total Design

◦ 국의 Design London Center of Excellence Center for Competitive

Creative Design 사례 벤치마킹

* 영국의 경우 5개의 Center of Excellence 설립 계획 * 집중지원을 받는 선도 역할, 확산의 구심점 역할, 타 기관의 자발적 후속

Page 29: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21

유도 전략

◦ 디자인, 공학, 경 사회과학의 융합디자인 고 인력양성

* Master of Total Design(석사과정) 제공 필수

◦ 다분야 융합 디자인 교육 로그램 개발 련연구수행

◦ 다분야 융합 디자인 교육/연구 인력양성, 문교육인력 인건비 지원

◦ 산업계 인력 상 재교육– 토요 학원 등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관의 블루오션형 인력양성 지원사업 벤치마킹

◦ 국제 력 로그램 권장 - 국제 경쟁력 확보

◦ 정부 지원 규모: 센터당 연간 12-15억원 규모, 5년간 정부지원을 통한 집

확산의 구심 구축

* 과학재단 국가핵심연구센터 및 Engineering Research Center (ERC) 사업 규모 참고

◦ 센터별 융합분야의 문성 구성, 교육과 연구의 비율 등에 따른 특성화

* 특성화된 센터 약 5개 설립 * 교육 및 연구 내용 등 Software 지향: 기존의 Hardware 지향의 RDC,

DIC 사업과의 차별화

□ 다분야 융합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확산 사업 ◦ 기존의 디자인 공과 학에 Total Design 교육 로그램 확산

□ Total Design 전문기업 육성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 ◦ 제조 서비스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획 략 등 가치 창출의 핵심역할

을 하게하는, 다분야 융합에 기반한 종합디자인 컨설 기업 육성의 핵심 인력

양성

◦ 종합디자인 컨설 기업과 인력양성 력

◦ 디자인 문기업의 지식화, 고부부가가치화, 통합화, 형화, 국제화에 기여

◦ 다분야 융합에 기반한 우수 인력 없이 디자인 지식서비스 아웃소싱 활성화 불가

능 함

Page 30: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22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디자인과 경영학, 공학 등의 융합형 교육시스템 구축

◦ 우수 고 인력 양성을 한 새로운 학제 형태의 융합형 디자인 학(원) 설립

◦ 문 학을 포함하여 30,000여명의 좁은 의미의 디자인 분야 졸업생을 배출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기존의 학제를 유지한 상황에서의 기반 견 인력 양성을

한 디자인 학에 한 융합디자인 교과목 개설 지원 병행

□ 산·학 연계 강화를 통한 기업맞춤형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강화

□ 대기업의 출신 우수 디자인 인력의 활용방안 마련

Page 3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23

다. Total Design Korea 추진 체계

□ 디자인 선진화 추진 체계 강화

◦ 덴마크 등 디자인 선진국의 경우 하게 연계된 다원화 추진 체계

* Danish Design Center: 디자인 전문가와 디자인 사용 기업 연계 중추적 역할 담당

* Knowledge Center for Design: 디자인 지식 및 정보 제공 * Design Research Center: 국제 최고 수준의 디자인 지식 창출 연구 및 교

육 연계

[그림 1 - 11] 덴마크 디자인 분야 혁신 환경

◦ 우리나라의 경우 디자인진흥원을 통한 디자인 문가와 디자인 사용 기업 연계

체계 확립되어 있음.

◦ 경련 디자인 특별 원회등 기업의 디자인 련 종합 창구 설치되어 있으며, 기업 주의 활동을 할 것으로 추측됨,

* 중소기업의 입장을 대표할 수 있는 창구 필요성 타진 ◦ 한국 디자인기업 회(kodfa) 등을 통한 디자인 문기업의 표 창구 설치되어

있음.

◦ 한국산업디자이 회(KAID) 등 다수의 디자이 단체 결성되어 있음.

Page 32: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24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다양한 수 의 디자인 교육을 하는 학들이 매우 많은 상황임.

◦ 디자인 련 분야 연구 컨소시엄등이 단일 주제단 의 연구과제 수행을 한

소규모로 생겨나기 시작

* 사례: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 디자인 기술 개발 컨소시엄

◦ 디자인 문가와 디자인 사용 기업 연계 추 역할 담당하는 디자인진흥원의

확고한 상에 비교하여, 장기 디자인 련 연구, 개발 인력양성의 핵

심역할을 하는 기구 부재

◦ 이와같은 역할을 디자인진흥원에 추가로 부과하여 모든 디자인 련 장기 선

진화의 One-stop 창구로 집 하는 방안과 디자인진흥원과 한 연계성을 갖지

만, 별도로 국제 교류의 구심역할 발 방향을 추진하는 창구의 설립 방안

을 비교하여 추진 [그림 1 -12]

[그림 1 - 12] 한국 디자인 분야 혁신 환경 (1안)

◦ 다른 안으로 4-5개 설립되는 Center of Excellence들이 연구 인력양성의

특성들을 반 하여 연계되어, 국제 교류의 구심 장기 디자인 련 연

구, 개발 인력양성의 핵심역할을 하는 방안도 가능함 [그림 1 - 13]

Page 33: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25

[그림 1 - 13] 한국 디자인 분야 혁신 환경 (2안)

라. Total Design 전문기업의 육성

□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육성

◦ 디자인 기술개발, 매 경 일반 등을 포 하는 융합형 종합디자인 컨설

기업 육성방안 마련

* 세계 주도적 역할을 하는 디자인 서비스 기업의 공통점은 다분야 융합 경쟁력임

* 북유럽 디자인 강국으로부터의 교훈: (1) 창의성, 기술, 경영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의 기업 전략적 중요성, (2) 다분야 융합 교육, (3) 교육에서의 산학협력 등

◦ 디자인안 제시 등 단순용역수 의 외주에 의존하는 국내 디자인회사 단편

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 문컨설 기업의 한계 극복

◦ 디자인컨설 평가 체계를 문평가기 으로 일원화함으로써 동일 로젝트에

한 이 지원 가능성을 원천 으로 제거하고 평가의 신뢰성 제고

Page 34: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26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소비자 요구사항 파악, 비즈니스 모델 개발, 디자인 기술개발, 경영 등을 포괄하는 융합형 통합디자인 컨설팅 전문 기업 육성방안 마련

□ 종합디자인컨설팅기업 육성 ◦ 종합디자인컨설 기업을 우수디자인기업으로 선정

* 우수디자인기업 선정기 에 문인력(마 , 공학, 심리학 등)의 보유규모와 질

수 을 명시, 종합디자인컨설 기업의 기 을 구체화

◦ 시나리오 구상, 디자인 략 수립 등 포 서비스 제공능력이 필요한 선행디자

인개발사업을 종합디자인기업 주로 추진

◦ 종합디자인컨설 기업이 되려면, 디자인, 공학, 경 , 심리학 등 다분야 인재가

필요하므로, 업과 M&A등을 통한 규모 확 가 필요

Page 35: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1장 다분야융합기반 디자인 육성방안 27

마. 중소기업의 디자인역량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 중소기업 경쟁력 개선의 핵심요소인 디자인 역량의 성장동력화 추진

◦ 소기업의 주업종인 음식료, 의류, 가구류 등 기술산업의 경우 R&D 투자 확

보다 디자인 역량 배양이 경쟁력 증진에 더 효과 인 수단

* 중소기업의 주업종인 음식료, 의류, 가구류 등 저기술산업의 경우 R&D

투자 확대보다 디자인 역량 배양이 경쟁력 증진에 더 효과적인 수단

* 영국의 경우 디자인산업 매출이 R&D 투자규모를 초과

[그림 1 - 14] 디자인과 R&D 비중

□ 제품별・기업별 맞춤형 디자인정책 수립 및 전략 마련

◦ 유 산・학・연의 공동 연구 로젝트 추진

* 디자인을 단순한 제품의 외형・구조 개선수단(Design as Styling)이 아닌 생산, 마케팅, 유통 등 기업활동 전반에 의 창의적 혁신수단(Design as

Innovation)으로 활용 유도

* 국제적 선도 역량의 연구프로젝트 추진

Page 36: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28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소기업 디자인 련 체계 인 정보제공체제 구축

* 미래 Digital Design의 핵심은 CAD형상 모델링이 아니라, 디자인 과정 전반에 걸친 프로세스 정보의 체계화임.

□ 디자인경영체제 구축지원을 위한 표준디자인경영체제 매뉴얼 개발, 디자인경영 Best Practice 확산 등

Page 37: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참고문헌

이시욱, 「전략적 서비스산업의 중장기 발전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06년 11월.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6년 블루오션형 인력양성사업(IT산업인력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업설명회

설명자료,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인력양성사업단, 2006년 6월 20일.조선일보, 「Special Report - ‘디자인 리더’ 美 IDEO社 방문기」, 2008년 5월 24-25일.지식경제부, 「제4차 산업디자인 진흥종합계획(2008-2012)」, 2008년 11월.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기술개발 기획위원회, 「통합디자인 지식서비스 기술 개발(연구기획 최종보고서)」,

전략기술개발사업 연구기획 보고서, 지식경제부, 2008년 5월.Brown, T., "Design Thinking," Harvard Business Review, Jun. 2008.Cox, G., Cox Review of Creativity in Business: Building on the UK's Strengths, UK HM Treasury,

2005.Danish Design Centre, The Economic Effects of Design, Danish Design Centre, Sep. 2003.Design Council, Lessons from Europe - Report on the Design Council/HEFCE Fact-finding Visit to the

Netherlands, Denmark and Finland, UK Design Council, 2007.Design Council, Design Blueprint, UK Design Council and Creative & Cultural Skills, 2008.IBISWorld, Industrial Design Service in the US: 54142, IBISWorld Industry Report, Jul. 2007.Heikkinen, H., Innovation Network of Art and Design Universities in Nordic and Baltic

Countries-Preliminary Survey, DESIGNIUM, 2004.Payne, G., and Morris, L., High-Level Skills for Higher Value, UK Design Council and Creative &

Cultural Skills, 2007.Sanders, E.B.N., and Stappers, P.J., "Co-creation and the New Landscapes of Design," Co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CoCreation in Design and the Arts, 4:1, pp. 5-18, 2008.Thackara, J., Wouldn't it be Great If..., Dott 07, UK Design Council, 2007.Wellington, N. Z., Success by DESIGN, New Zealand Design Taskforce, 2003.Winhall, J., Designing New Public Services, RED, UK Design Council, 2006.

Page 38: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 장

디자인산업 발전 정책

윤 병 문 (한국디자인진흥원 팀장)백 종 원 (네이트시스템 대표)

제 1 절 현황 및 문제점

1. 디자인산업 현황

가. 국내 디자인산업 현황

□ 우리나라의 디자인산업은 최근 10년간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신 성장 동력 산업으로 성장

◦ 국내 디자인산업은 8.6조원(GDP 비 1.0%)규모이며, 디자인산업규모는 과거 10년간 약 2.2배 증가

*디자인시장 규모 (‘96) 1조원 →(‘07) 8.6조원

◦ ’06년 368개 학 1,337개 학과에서 26천명의 디자인인력 배출

*디자인 공자 배출( 학/년): 美38천명, 日28천명, 韓26천명, 英20천명

◦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경쟁력은 세계 9 수 으로 평가되며, IT제품·자동차·가 등은 세계 수

*한국 디자인경쟁력: ‘02년 25 (뉴질랜드 경제硏)→‘05년 14 (헬싱키大)→‘07년 9 (헬싱키大)

Page 39: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31

<표 2 - 1> 국가별 국제 디자인경쟁력 순위 ‘02년 뉴질랜드 경제硏, ‘05년?’07년 헬싱키大 평가 자료

순위

2007년 순위

2005년 순위

2002년국가 점수 국가 점수 국가 점수

1 독일 6.1 1 일본 6.2 1 핀란드 6.3

2 스위스 6.1 2 미국 6.2 2 미국 6.2

3 일본 6.0 3 독일 6.1 3 독일 6.1

4 스웨덴 5.9 4 스위스 5.9 4 프랑스 6.1

5 덴마크 5.9 5 덴마크 5.8 5 일본 6.1

6 오스트리아 5.7 6 프랑스 5.7 6 스위스 6.0

7 핀란드 5.7 7 핀란드 5.7 7 네덜란드 6.0

8 미국 5.7 8 스웨덴 5.7 8 스웨덴 6.0

9 한국 5.7 9 벨기에 5.6 9 덴마크 5.8

10 프랑스 5.6 10 오스트리아 5.6 10 영국 5.8

14 한국 - 25 한국 -

□ 우리나라의 디자인 문기업은 양 으로 성장하 으며, 디자인에 한 투자와 디

자이 고용 도 지속 으로 증가

◦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디자인 문기업 수는 ’97년 793개에서 ’05년

2,154개로 증가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77% 소재, 분야별로는 시각디자인업체가 가장 큼

*수도권 디자인업체비 ('07 KIDP) : 매출액 10억 이상 74%

◦ ’06년 368개 학 1,337개 학과에서 26천명의 디자인인력 배출

*디자인 공자 배출( 학/년): 美38천명, 日28천명, 韓26천명, 英20천명

◦ 일반기업의 디자인 투자 디자이 고용은 지속 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선진국에 비해 부족

*일반기업의 디자인투자액(조원): (‘98) 3.5 → (‘02) 3.8 → (‘05) 5.7

*디자이 고용 일반업체 수:(‘02) 16,025개 → (‘05) 24,285개

*디자인 투자규모(‘05, KIDP): 기업 21억원, 소기업 1억원

Page 40: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32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표 2 - 2> 우리나라 디자인관련 산업별 시장 규모('07년 기준, 단위: 억원)

구 분 1997 2002 2005 2007

일반업체 디자인투자

제조업 2조 586 2조 2,539 3조 3,556 4조 6,630

비제조업 1조 4,423 1조 5,793 2조 3,535 2조 2,761

소계 3조 5,009 3조 8,332 5조 7,091 6조 9,391

디자인기업 매출액 4,140 5,866 1조 3,080 1조 7,141

디자인산업 규모 3조 9,149 4조 4,198 7조 171 8조 6,532

자료: ‘97 디자인센서스, ‘02 디자인센서스, ’05 디자인산업 황조사, ‘07 산업디자인통계조사

<표 2 - 3>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거시경제 지표(단위: %, 억원)

구 분 1997 2007 비 고∙생 산 액 39,149 → 86,532 2.2배∙수 출 액 357(‘05년 ) → 502 1.41배∙디자이너수 111,681(‘05년 ) → 142,138 약 3만명 증가

∙디자인기업수 754 → 2,392 217% 증가∙ GDP비중 0.62 → 1.02 0.4%p 증가

자료: ‘97디자인센서스, ’07산업디자인통계조사

나. 국내 디자인정책 현황

1) 한국의 디자인정책 발전전략

□ 우리나라의 디자인정책은 산업진흥 의 정책개발이 우선되어 소기업을 한

디자인 지원, 디자인 문회사를 한 산업기반 확산, 디자인산업 역량강화를 한

디자인 기능 교육에 치우친 면이 많으나, 앞으로는 기업의 디자인개발 진, 한국

디자인의 국제화 추진, 디자인에 한 범국민 인식제고, 디자인의 공공성 강

화, 디자인산업 발 을 한 로드맵 수립, 디자인 인 라 구축 문인력 양성 등 국가경쟁력 향상과 삶의 질 향상, 인 라 구축에 련된 정책 개발과 실행이 시

.

Page 4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33

[그림 2 - 1]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비전 및 목표

Vision 창의적인 디자인 강국 구현

구분 현재 (2008) 5년후 (2012) 10년후 (2017)

디자인산업규모

6.8조원(GDP 0.8%)

17조원(GDP 1.5%)

24조원(GDP 3%)

고용 12만명 20만명 30만명

Risk

Taker

시장 ㆍ내수의존형 ㆍ해외시장 진출 ㆍ글로벌 시장 주도연구개발 ㆍ단기 연구(정부) ㆍ중장기 연구(정부) ㆍ민간주도 개발

인력 ㆍ질적 수급불일치 ㆍ디지털 디자이너,

스타디자이너육성 ㆍ디자인교육 수출

자료: 지식경제부, 디지털 디자인은 한국 자통신연구원 (가상 실의 최근 발 황 2004, 2006) 한국소

트웨어 회 (2007 S/W 시장동향)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

<표 2 - 4> 디자인 정책 특성 구분

구분 정책 내용국가경쟁력 향상 •기업의 디자인 개발 촉진

•한국 디자인의 국제화 추진삶의 질 향상 •디자인에 대한 범국민적 인식제고

•디자인의 공공성 강화인프라 구축 •디자인산업 발전을 위한 로드맵 수립

•디자인 인프라 구축 및 전문인력 양성

□ 디자인을 산업 에서 '디자인산업'으로 정의하고 정책을 추진한 과거 정부의

디자인정책은 디자인 연구개발, 디자인 문회사 지원, 지역디자인 신, 공공분야

디자인 신, 디자인 인력양성, 디자인 정책연구, 디자인 해외진출, 디자인 변확

등 7가지 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체 인 실행내용은 아래 내용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음.

◦ 국가 디자인경쟁력 제고를 한 로드맵 수립

- 국가 디자인역량 강화 디자인수 향상을 목 으로 '참여정부 디자인산업

발 략' 수립(‘03.12)

Page 42: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34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디자인기업의 신고요건 강화, 기업형 경 유도시책을 마련키 해 '디자인

문인력· 문회사 육성방안' 수립(’04.12),

◦ 디자인 인 라 구축 문인력 양성

- 코리아디자인센터(분당), 3개 지역디자인센터(부산, 주, 구) 30개 디자인

신센터(DIC) 등 국 디자인 인 라 구축

- 장수요형 인재양성(디자인학과 계약운 제, Capstone Design), 스타디자이

육성(차세 디자인리더), 지역디자인센터와 연계한 유망 디자이 발굴(Korea Design Membership) 등 추진

◦ 기업의 디자인 개발 진

- 소기업의 디자인역량 강화를 해 세계일류상품ㆍ미래유망상품 디자인개발

(‘01~ 재), 디자인기반기술개발(‘98~) 등 추진

- 선행디자인 등 디자인이 우선되는 새로운 컨셉의 제품개발 지원을 통해 디자

인 문회사의 Total solution 능력제고

◦ 한국 디자인의 국제화 추진

- 2001년 세계디자인수도 서울 유치 2000 icograda Seoul, 2001 ICSID Seoul 등 세계 인 주요 디자인행사의 성공 개최

- 이탈리아, 랑스 등 디자인선진국과의 국제 력 강화, 디자인 해외진출 지원

을 한 ‘디자인산업 해외진출 의회’ 출범(‘08)

◦ 디자인에 한 범국민 인식제고

- 디자이 지 향상을 해 한민국 디자인 랜드 상

- 디자인 코리아, 한민국 디자인 람회 등 각종 시ㆍ공모 을 통해 디자인

붐 조성

◦ 디자인의 공공성 강화

- 지자체, 공공기 사업(토목, 건축물, 시설물 등)에 디자인 용을 유도함으로

써 디자인기업의 신규시장을 창출

- 도시환경 등 공 역의 디자인수 향상으로 삶의 질 제고

Page 43: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35

진흥정책영역 추진 과제 과제 특성진흥 대상 신규/확대 추진기간

디자인연구개발

-중소기업 디자인 집중 프로그램 운영-디자인 전문회사의 디자인개발 역량 강화

중소기업 및 디자인전문회사 신규 중장기

디자인 전문회사

지원-디자인혁신역량 모델 개발-디자인 사업화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 운영

디자인 전문회사 신규 단기, 중장기

지역디자인 혁신

-디자인행정 전문가 양성 추진-지역특화디자인 개발지원 사업 확대-지역디자인센터의 디자인혁신 거점화

정부부처,

지자체 및 지역디자인센터

기존 확대 단기, 중장기

공공분야 디자인 혁신

-공공분야 혁신을 위한 디자인 지원 확대 지자체 기존 확대 중장기

디자인인력양성

-디자인경영 전문대학원 과정 확대 디자이너 등 기존 확대 중장기

디자인정책연구 -디자인정책연구기반 강화 정부부처 및

지자체 기존 확대 중장기

디자인 해외진출 -해외디자인센터 설립 운영

디자인 전문회사 및 디자이너 등

신규 중장기

디자인 저변확대

-공공장소에 디자인 공간 조성-디자인 체험학습활동 개발

일반인 및 학생 신규 단기, 중장기

<표 2 - 5> 디자인 진흥정책 영역별 추진과제와 주요 특성

자료: 인터젠컨설 , 국가 디자인정책 포트폴리오 개발 - 재구성, 2006.

Page 44: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36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2) 한국의 디자인정책 특성

□ 한국의 디자인 진흥정책 발 단계를 보면 한국의 디자인정책은 지난 40년간 산업

지원이란 근간을 가지고 약간의 기능을 추가하면서 기본틀을 유지

◦ 디자인정책간 비 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산업지원이라는 근간은 그 로

유지하면서, 차 독자 인 산업으로서의 디자인산업의 가능성이 부각되기 시작

◦ 기에는 강력한 정부 주도의 디자인정책으로 디자인산업의 목할 만한 양 ·질 성장을 달성한 반면, 국민들의 생활과 인식의 변화 등에 따른 요구에 부응하

지 못해, 국민의 삶의 질과 련된 정책 부족

<표 2 - 6> 국내 디자인혁신 및 디자인개발 지원사업 내용

사업명 사업내용미래유망상품디자인

개발지원첨단기술 및 제품 등 미래유망상품에 대한 디자인개발지원을 통해 산업구조 고도화 및 경쟁력 제고

신기술 디자인개발지원 디자인개발 지원을 통해 기업의 독창적 신상품개발 및 조기 사업화를 촉진하며 국내 중소기업의 상품경쟁력 강화

디자인소재․표면처리기술개발지원

국내상품의 취약점인 디자인소재ㆍ표면처리, 후가공기술, 색채기술 등의 개발 지원을 통해 상품의 고부가가치화

디자인기반기술개발지원 디자인개발에 필수적인 핵심지식과 민간차원에서 수행이 어려운 디자인관련 응용기술 연구개발에 지원

디자인창업지원 디자인전문회사 설립을 촉진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의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창업 및 경영에 관한 컨설팅, 교육을 지원

선행디자인개발 디자인전문회사를 대상으로 디자인 기획에서부터 조사ㆍ분석ㆍ검증에 이르기까지 디자인개발의 전과정을 일괄 지원

자료: 한국디자인진흥원 내부자료

Page 45: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37

2. 국내 디자인산업 문제점

□ 국가 강력한 의지로 디자인 진흥정책 변화, 국가 차원의 기반조성으로 디자인에

한 국가 역량을 집 필요.

◦ 동일 산업 내에서 기술력은 차 격차가 어들어 변수가 되지 못하는 반면 디

자인력은 확실한 차별화와 아이덴티티로 결정 인 경쟁력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핵심 기술이자 핵심 경쟁력

◦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디자인은 부가가치를 넘어 핵심가치가 되며 디자인은

미래 경쟁력의 핵심역량

◦ 다양한 고객 욕구를 한 다품종 소량 는 맞춤 생산방식, 유연시스템, 기업간

R&D 략제휴 추세와 함께 개방화, 세계화를 한 지식기반 로벌 네트워크

연구개발 체제 구축 필요

[그림 2 - 2] 국내 디자인산업 SWOT 분석

◦ 정부의 강력한 디자인 진흥정책 ◦ 우수한 디자인 인적자원 풍부 (매년 2.8만명 배출)

◦ 국가차원의 우수한 IT 기술력 ◦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정착

◦ 디자인서비스산업 규모 미약 (디자인산업의 13%인 9천억원 수준)

◦ 관련 전문 기업 영세 ◦ 국가적 디자인 기반인프라 부족 ◦ 국가브랜드 미흡 (Global Biz 한계)

S(강점) W(약점)

O(기회) T(위협)

◦ 국내외 관련시장의 빠른 성장 ◦ 동북아 경제권 시장 확대 (한국의 전문인력 및 디자인 서비스 수요 증가 예상)

◦ 타산업의 디자인서비스 니즈 증대

◦ 지식서비스 산업 시장개방으로 경쟁 심화 ◦ 중국 등 후발 개도국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기회 상실 위험 ◦ 부처간 정책 통합 관리시스템 부재

□ 새로운 디자인 략의 성과 극 화를 해서는 국가의 목표 종합발 계획과 연계

하여 디자인 략을 추진할 수 있는 강력한 추진체계와 디자인 투자 효율성을 증

시킬 수 있는 정책 사업 실행 간 연계체제 필요.

◦ 공공디자인으로 고품격의 생활환경과 한 차원 높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Page 46: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38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국민의 삶의 질 제고와 국가이미지 개선에 활용

*국가이미지를 결정하는 상(공공시설물, 지, 사인, 고홍보물, 행정서식, 신분증

등) 시각 , 기능 개선으로 국민의 향상된 라이 스타일에 한 욕구 충족 선진

국으로서의 이미지 확보.

*도시환경 공공시설물의 외 디자인에 국한된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공공행정서비스

에 한 디자인 민간기업의 제품·서비스에 한 공공성 제고로 확산해야 함

◦ 이용자 만족도 이용률 제고를 해서는 이용자 심 삶의 질 심에 정책

포커스를 두고, 략의 수립·추진·평가 시 고객 참여를 활성화 하고, 공공서비스

의 효율 달을 한 문역량 강화 필요

제 2절 디자인서비스산업 육성의 필요성

1. 디자인서비스산업 육성 배경

가. 국가·기업·개인의 차별화의 핵심 역량인 디자인

□ 지식 경제시 에서 디자인은 개인의 창의성, 기업의 가치창출, 국가의 경쟁력을 선

도하는 핵심역량이 되고 있음. 이는 제품·시각·환경 디자인으로 분류되던 통 산

업지원의 의의 개념에서 ‘창의 문제해결’ 심으로 새로운 가치창출이라는 의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음.

◦ 사용자 심 경제가 가속화되면서 디자인은 비즈니스와 가치 신을 한 창의

문제 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의 핵심 Tool로 부각되고 있음.

- 통합 지식기반사회로 환 : 디지털기술의 발달은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격한 진 으로 이어지며 사회 각 분야에서 기존의 지식을 고부가가치로 산업

화 하는 디자인의 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창의력에 기반한 디자인지식의 역할 : 산업시 -정보시 -감성시 로 진 되면

서 기술과 생산능력보다는 창의력을 기반한 디자인지식이 제품과 서비스를 차

별화하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으로 활용됨.

Page 47: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39

- 기술 신 방식의 신 : 노동과 자본 등 요소투입에 의한 성장보다는 디자인·사용성·체험 등의 감성기술의 신을 통해 차별화와 가치를 증진하는 발 단

계로 진입.

- 창의 인 산업의 고도화 : 기술·지식 집약 산업인 창조산업은 새로운 디지털

산업 뿐 아니라 기존의 기간산업을 고도화하는 역할을 수행.

- 사용자 심의 경쟁력 : 과거의 디자인은 제품과 서비스를 구 하고 차별화하

는 기능 수단에서, 최근은 사용자의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의 랜드이미지

를 제고하며 창조경 을 실 하는 경 략으로 발 .

<표 2 - 7> 아날로그 시대와 디지털 시대의 환경 비교

아날로그 시대 디지털 시대∙경제의 범위가 제한적∙예측 가능한 경영환경∙Majority 중심, 조직력 중시∙실물재화 중심

∙광속확산 → 경쟁격화∙예측불가능 → 복잡계 경영∙다원 → 개개의 능력 시

∙가상재화 → 상상력 중시자료: LG경제연구원

◦ 세계시장이 다양화되면서 감성에 기반한 제품, 서비스, , 방송 등 서비스업

으로 디자인산업이 격히 확 되고 있음

<표 2 - 8> 디자인의 환경 변화

구분 산업시대의 디자인 디지털시대의 디자인

대상-실물 재화 중심-눈으로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

(visible and tangible)

-가상 재화 중심-볼 수 없고 만질 수 없는 제품과 서비스 (invisible & intangible)

프로세스

-수작업 위주, 순차적 협업, 전통적 미술 재료와 도구 사용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작업 위주-동시적 협업, 새로운 소재의 활용

니즈 -예측 가능, 기본적인 니즈에 충실 -예측 곤란, 새로운 니즈가 끊임없이 발생

영향범위 -제한적인 영향범위 -빠른 확산으로 영향의 범위 무제

한자료: 정경원, 21세기형 국가디자인 육성 략 지원체계에 한 연구

Page 48: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40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표 2 - 9> 디자인의 환경 변화

구 분 경 향 내 용기술과

제품 측면Software,

Humanware 중심기능과 성능 중심→ 사용성과 디자인 중심

생산자와 소비자 관계 소비자의 생산참여 생산자 중심 시장

→ 소비자 중심 시장시장환경 측면 창의성 경쟁 소품종 대량생산

→ 다품종 대량생산생활방식 Sensibility &

Creativity 중시모방 중심→ 개성과 감성 중심

자료: LG경제연구원

나. 디자인산업의 역량과 범위의 확대

□ 디자인산업은 디자인 개발 문업 제조업 등의 디자인 투자, 소재, 표면처리, 목

업(Mock-up) 등 연 분야, 디자인 리서치 략 컨설 등을 포 으로 포함

◦ 21세기 신기술(IT, BT, NT, ET, CT, ST)등장으로 산업 간의 기술융합 가속화와

함께 디자인기술(DT)이 핵심가치로 부상하 고, 이와 더불어 디자인이 경 략

화 되고 Designing 개념의 통합 로세스가 확산되면서, 디자인의 문분야도 다

양화, 복합화 되고 있음

- 기존의 외 심의 조형을 창출하는 제품디자인 심에서 리서치 략, UI, CMF, Total Communication Design, 디지털 디자인 등 다양화, 복합화 되고 있

*애 컴퓨터는 기존의 mp3와는 차별화하기 해, 소재개발뿐 아니라 인터페이스, 홍보

에 이르는 과정에 걸친 통합된 디자인을 한 “아이팟”을 개발하여 흑자 행진 지속

(출시 1년 만에 총 매출액 17억 달러, 총 이윤 1억 2,300만 달러 기록)

- 재, 정부 통계기 은 문회사의 디자인 용역 매 제조·서비스업체 등

디자인 활용 기업의 련 투자로 악

Page 49: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41

[그림 2 - 3] 디자인 인프라의 적용 범위

다. 디자인산업의 중요성 및 위상 제고

□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한 단순 용역에서 독자 인 인 라성 지식서비스산업으로

◦ 디자인은 창의력을 바탕으로 기존의 제품과 서비스와는 다른 새로움과 차별화를

창출하여 이를 비즈니스화 하는 표 인 지식산업으로, 자체 인 디자인산업의

성장 효과는 물론 일반 제조업 서비스업의 경쟁력을 제공하여 경제 효

과가 매우 큼 분야임

- 우리나라는 일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시 를 맞이하면서 ‘삶의 질’을 추구함

에 따라 소비형태에 변화가 생겨 성능 비교 우선에서 감성 만족추구로 환

되어 디자인의 요성이 부각

- 디자인을 기업경 제품개발의 요한 핵심가치로 바라보는 인식이 확산하

여 디자인경 을 도입하는 기업이 늘고 있으며, 디자인에 의해 기업의 운명이

좌우되는 사례도 증가

*퓨마(獨 스포츠용품업체)는 디자인경 을 통한 패션스포츠 랜드 략을 도입한 결과

매출액 폭 증가(‘99년 3.7억 유로 → ’06년 27.5억 유로)

- 디자인은 첨단기술에 비해 투자비가 게들고 회수기간이 짧은 지식 집약형

고부가가치 산업

Page 50: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42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표 2 - 10> 디자인 투자의 성과에 대한 보고

디자인 투자 성과디자인 투자는 생산제조과정의 기술투자에 비해 약 30배 효과 창출

- 영국 Design council, 2002

디자인 투자대비 매출증대 효과는 투자액의 19배- 산업정책연구원, 2002

고수익창출에 대한 동일한 효과를 위한 디자인 개발비는 개술개발비의 1/10, 투자금액 회수기간은 약 1/3

- 영국 DTI, 2005)

창조산업은 국가 산업 총 부가가치 생간의 10%, 수출 9%를 차지하는 고성장 산업- 영국 Design Council, 2002)

자료: LG경제연구원

◦ 기업 Value chain에서 디자인 용범 도 개발의 한 단계에서 상품기획, 개발, 제

조, 마 , 서비스를 포함하는 모든 분야로 확 됨에 따라, 디자인의 개념도 과

거 기업의 제품·서비스를 구 하는 기능 수단에서, 사용자 심의 새로운 가치

를 창출하고 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는 경 략으로 발

- 디자인산업의 범 와 특성을 살펴보면 산업 패러다임이 과거의 생산자 심에

서 소비자의 니즈와 감성이 반 되는 소비자 주도형 시장으로 변화.

[그림 2 - 4]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경쟁력 비교 경쟁력(이성적, 합리적 판단)

소프트 경쟁력(감성․지능, 미적 취향)

핵심요소 품질, 가격, 기술 디자인

의사결정 생산자 중심 사용자 중심

Page 5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43

라. 국가적 차원의 디자인전략 실행기반 구축

□ 선진국 진입에 맞추어 국민의 삶의 질과 국가의 품격 향상을 한 새로운 국가

차원의 디자인 략 수립

◦ 향후 기술 수 의 평 화가 심화되고 삶의 질을 추구하는 생활 양식의 변화가

개됨에 따라, 디자인 역량이 국가의 랜드 이미지제고와 경쟁력 증진에 더욱

큰 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망

- 디자인(DT)은 6T(IT, BT, NT, ET, CT, ST) 신기술을 기존산업과 융합· 목시키

면서 제품의 품질을 고 화하고 부가가치를 한 차원 높일 수 있게 하는 략

수단

- 6T 기술개발 성과물의 신상품 연구개발, 실용화 확산을 해서는 디자인과

의 업체제가 요

◦ 국가 강력한 의지로 디자인 진흥정책 변화, 국가 차원의 기반 조성으로 디자

인에 한 국가 역량을 집

- 동일 산업 내에서 기술력은 차 격차가 어들어 변수가 되지 못하는 반면

디자인력은 확실한 차별화와 아이덴티티로 결정 인 경쟁력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핵심 기술이자 핵심 경쟁력

- 다양한 고객 욕구를 한 다품종 소량 는 맞춤 생산방식, 유연시스템, 기업

간 R&D 략제휴 추세와 함께 개방화, 세계화를 한 지식기반 로벌 네트

워크 연구개발 체제 구축 필요

◦ 새로운 디자인 략의 성과 극 화를 해서는 국가의 목표 종합발 계획과

연계하여 디자인 략을 추진할 수 있는 범부처 차원의 강력한 추진체계와 디자

인 투자 효율성을 증 시킬 수 있는 계획 평가 간 연계체제 확립 필요

- 지 까지 인 라 구축 디자인개발 지원에 집 해 온 디자인진흥정책은 삶

의 질 개선 등 사회와 문화의 질 성숙에도 확 하는 등 국가 산업경쟁력과

국민의 삶의 수 을 동반 견인하는 디자인 략 필요

- 공공디자인으로 고품격의 생활환경과 한 차원 높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써 국민의 삶의 질 제고와 국가이미지 개선에 활용

*국가이미지를 결정하는 상(공공시설물, 지, 사인, 고홍보물, 행정서식, 신분증

등) 시각 , 기능 개선으로 국민의 향상된 라이 스타일에 한 욕구 충족 선진

국으로서의 이미지 확보

*도시환경 공공시설물의 외 디자인에 국한된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공공행정서비스

Page 52: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44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에 한 디자인 민간기업의 제품·서비스에 한 공공성 제고로 확산해야 함

- 이용자 만족도 이용율 제고를 해서는 이용자 심 삶의 질 심에 정

책 포커스를 두고, 략의 수립·추진·평가 시 고객 참여를 활성화 하고, 공공서

비스의 효율 달을 한 문 역량 강화 필요

Page 53: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45

제 3절 디자인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1. 디자인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목표

가. 개요

□ 지식창조기업 육성을 통한 국가 디자인산업의 세계화

◦ 디자인산업은 창조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경제의 심산업으로 투자 비

수익률 19배의 효과와 높은 성장률

- 사람을 심으로 하는 지식창조기업의 특성상, 장비나 시스템 심의 제조업에

비해 고용창출 효과가 매우 큼

*디지털 디자인 문 인력만으로도 향후 10년간 10만 명 고용창출 가능 (국내 수요 6만

명 + 해외 진출 4만명)

◦ 기존의 제조업과 성장동력산업의 성공률을 높이는 디자인컨설 기업 육성을 통

하여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 기반 구축

- 디자인지식은 제조업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쟁력 기반을 제공하는 공통기술

로써, 경제 효과가 큼\

□ 디자인강국을 실 하는 국가목표와의 연계

◦ 2008년 세계 9 의 디자인국가에서 2015년 세계 7 디자인산업 선진국으로 도

- 국내 디자인산업은 년 평균 20% 성장하고 있으며 산업과 공공부문 시장 확

뿐 아니라 제조, 서비스, 건설 등 사업 구조를 지식창조형으로 환하여 국가

의 산업 경쟁력 강화

◦ 지식기반 서비스기업의 창업과 고용창출 효과 극 화

- 인재 심의 가치창출 산업이므로 제조업에 비해 비용에 한 제약이 어 고

용 창출효과가 매우 큼

*10년후 국내 Digital Design 문인력 약 6만명 필요

Page 54: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46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나. 세부목표

□ 국가 차원의 지식창조산업으로서 디자인산업 육성정책을 수립하여 모바일 폰, 가 , 자동차산업 경쟁력인 디자인을 기타 제조기업, 소기업, 국가기 으로 확산

◦ 소기업 제품군인 생활용품, 주방용품, 어린이용품 분야에 디자인 투자 확 로

낙후된 산업의 로벌화

□ 디자인창조기업 육성으로 고용창출과 수출산업화

◦ 디자인의 감성과 디지털 Tool 활용 역량을 겸비한, IT기반 Design 인력(향후 10년간 10만명) 지식서비스기업 육성

□ 기업성과와 시장 심의 디자인컨설 기업 육성과 국가차원의 국민의 지속가능한 삶

을 한 국가디자인의 선진화

◦ 디자인산업분야를 산업디자인은 물론 안 한 삶, 지역문화, 환경, 분야간 력, 생애주기의 디자인 교육 분야로 확

□ 국가 R&D사업의 비즈니스화를 하여 정부의 R&D사업 기에 디자이 참여와

민- 의 효율 력체계 구축

◦ 장의 디자인 비즈니스 경험이 풍부한 민간 문가와 기술개발 분야 문가와

정책기 의 효율 력 체제 구축

2. 디자인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가. 디자인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컨설팅기업 육성

□ 다분야 융합 기반 디자인컨설 에 한 니즈 증

◦ 디자인의 역이 기존의 가 , IT제품, 자동차 등에서 엔터테인먼트, 화, 게임, 항공, 조선, 의료, 군수산업, 물류, 교육, 농수산물, 행정서비스 등으로 확

-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요구하는 디자인업무를 수행하기 해서는 기존의 디자

인 문회사의 역량과 역을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컨설 회사의 출

이 필요

Page 55: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47

구분 내용

자동차 - 유해 소재인 레진, 틀레이 등을 친환경 디지털로 전환 - 정밀도 높은 디지털 프로토 타입 제작 및 기능 구현 - 홍보용 이미지, 영상 제작 및 매뉴얼 활용

※ BMW사례 : AR기술을 적용한 DIY정비 매뉴얼 디지털화

엔터테인먼트

- 지상파 방송 디지털 입체 영상 사업화 (애니메이션, 특수효과, 입체영상, 디지털컨텐츠 제작 등)

- 영화의 디지털 3D화는 배우와 환경, 배경 등을 전체를 디지털로 제작

(사실감 높은 컨텐츠 및 효과 필요)

- Experience가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중요한 화두로 유니버셜 스튜디오, 디즈니 같은 디지털 테마 공간 등장※ 국내에서도 KBS에서 입체 영상 카메라 및 프로그램 방영

기술 확보

제품 디자인

- 짧은 개발 시간에 대한 목업 대체 ※ 노키아 : 디지털개발 플랫폼 도입으로 30개의 플랫폼을

동일한 환경에서 90개로 늘려 300%의 생산 효율 달성 - 컬러 소재에 대한 검증 및 신소재 적용 검토 - UX 적용을 통한 실시간 사용성 사전 검증 - 디지털 컨텐츠를 Pre-마케팅 활용으로 시장경쟁력 확보

※ 현대자동차 : 제네시스 발표와 동시에 웹에 실시간 동영상을 제공, 고객 관심 증가 (3000만원 1.5개월 개발)

항공조선

중공업건설

- 가상 플랜트 및 공장 자동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 가상 환경에서의 사전 도시 설계 시뮬레이션 - 바이어 PT 및 제품 홍보관 운영 - 교육, 정비용 매뉴얼 제작 및 위험작업 사전 교육 - 인간공학 등을 기준으로 한 설비 기준 마련

※ Airbus : A380제작 시 3D시뮬레이션을 통한 인간공학 및 감성요소 사전 검토로 오류 사전 제거

의료 - 가상 환경에서 심리치료

※ 한양대 : VR을 이용한 고소공포증 치료 - 가상 인체 모형을 통한 모의 수술, 치료 등 교육에 활용

패션 - 디지털 소재, 인체 모형 등 연구분야가 넓음 - 영상 산업과 연계한 디지털 패션쇼 - 패션 제품, 소품에 대한 디지털화로 웹환경에서의 디지털 코디네이터

산업 대두

<표 2 - 12> 디자인분야의 확대 사례

Page 56: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48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군수 - 군 현대화, 전투능력 향상, 특수장비 운영, 유지 보수 등 - 년간 약 40조원(‘07년 기준) 시장으로 매년 증가 추세임

※ 매년 말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가상현실 전시회에는 각국의 軍관계자 대거 참가 및 구매

◦ 디자인이 기업경쟁력의 핵심수단으로 부각되면서 시장조사, 제품기획, 상품화, 유통 략 수립 그리고 랜드 리까지 일 으로 해결해주는 디자인컨설 기

업에 한 수요 증

- 클라이언트의 제품개발 반에 한 진단과 가이드라인 제시 등 맞춤형 컨설

제공이 필요

- 시장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국내업체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해외 업체에 다수 의지하고 있는 실정

- IDEO, 이노디자인의 성공사례와 같이 우리 디자인 문회사도 이제 디자인 심

의 종합 경 컨설 회사로 진화해야 할 시

◦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타 산업분야에서 요구하는 디자인업무와 경 반으로

확 된 디자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디자인컨설 회사의 육성이 시 한 상

- 미국의 경우 1920년 에 이미 디자인컨설 기업이 출

- 일본의 경우 1990년 에 디자인컨설 기업이 600개를 넘어섬

- 국의 경우 디자인컨설 기업의 수출액이 체 컨설 수출의 1/4수 까지 성

장했으며, 매출의 90%이상을 수출로 벌어들임

- 디자인컨설 기업의 경쟁력을 단시간 내에 획기 인 끌어올리기 해서는 정

부차원의 정책이 필수 임

□ 시장 심의 디자인기술과 지식창조기업 육성 기반구축

◦ 디자인을 심으로 한 창조산업은 사용자가치 심의 정보 략서비스 산업

으로 격히 환되고 있어 이에 한 통합 인 디자인기술 개발체계 산업기

반 구축이 필요

- 최근 상품의 핵심가치가 User 심의 감성 , Soft 가치로(Universal, 환경친화

등) 격히 이동함에 따라, User Needs 주도형 제품개발 요구됨

Page 57: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49

◦ 재, 각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는 창조산업 정책기능을 통합 으로 운 하고, 이

를 체계 으로 뒷받침할 국가 차원의 창조산업 정책 략을 연구 개발하는

기 이 필요

-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기업디자인지원을 디자인지식연구업무로 개편

- 창조산업 련 국가정책 시행방안 수립, 제안

- 국가 Identity를 확립 이미지, 랜드 제고

- 異업종, 異상품 간의 통합된 디자인 개발과 사업 략 지원

*사용자 기반 Research를 통한 비즈니스 디자인 략 제안

- 창조산업 발 을 지원하는 기반기술 환경, 략 연구

*Color, Material, Textile, Package 소재 구조, 디지털디자인 기반기술 연구

나. 융합기반 디자인 컨설턴트 인증제 사업

□ 내외부 으로 디자인컨설 서비스에 한 니즈 확

◦ 기업 다운사이징 략에 따라 차 기업내부의 디자인부서(in house design)를 없

애고 외주 략 채택 증가

◦ 기업내부 디자인부서보다는 포 이고 종합 인 에서 다루어 수 있는

외부기 이 더 효율 이라는 인식 증가

◦ 기업들은 디자인 문회사에게 개별제품 디자인개선은 물론 기업의 디자인컨설

등 Total Solution 능력을 요구

◦ 디자인 문회사 역시 규모와 매출을 키우고 디자인의 질 수 을 높여 차별화

된 고품격 디자인컨설 서비스 제공 필요

Page 58: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50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그림 2 - 5] 디자인아웃소싱과 디자인컨설팅의 특성 비교

□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증

◦ 스스로 디자인컨설턴트라고 하는 이는 많지만 옥석이 구분되지 않고 있어 체

디자인컨설턴트에 한 평가 하로 이어짐

◦ 국가가 디자인컨설턴트를 인증함으로써 디자인 문회사가 희망하는 인재선발을

보증하는 역할 수행

◦ 기업입장에서는 디자인 련 종합컨설 을 국내에서 받게 됨으로써 국내사정을

보다 실 으로 반 한 서비스 가능

□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 운 방안

◦ 학교의 정규교과 내 는 자격제도 내에 포함하여 운 하기에는 기존제도에 문

제 이 있어 별개로 운 하는 것이 합리

◦ 인증결과의 통용성을 높이고 제도의 공신력을 제고시키기 해서 정부가 인증주

체가 되는 것이 바람직

◦ 디자인 공자 뿐 아니라 마 이나 경 략 공자들까지도 인증 상에 포함

되어야 함

◦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 운 체계에서 주체별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음

Page 59: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제2장 디자인산업 발 정책 51

- 지식경제부․교육과학부: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 운 총 지원, 교육훈련

기 로그램 인정,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서 발

- 노동부: 고용보험기 으로 교육과정 운 기 에 한 재정지원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디자인컨설턴트 교육과정 인증을 한 기 개발 기

평가

- 한국디자인진흥원: 교육 로그램 개발․운

- 디자인컨설턴트 인증 희망자: 교육과정 수강 인증서 취득

<표 2 - 12> 디자인컨설턴트 과정 커리큘럼(안)

Page 60: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52 디자인산업 선진화 방안

□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 활용 지원 방안

◦ 과정 이수자에게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는 취업과 이직에 있어서 유용한 수단이

되어야 함

◦ 상 학교 진학이나 기업체 취업시 기존의 국가기술자격과 마찬가지로 가산 을

부여받도록 설계되어야 함

◦ 단계 으로 자격제도의 개선(교육과 검정의 연계)으로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와

자격제도의 연계 필요

◦ 용역에 참여한 디자인 문회사를 평가하는 기 으로 설정

( . 디자인컨설턴트 보유 필수, 기 인력 이상 보유시 가산 부여)

◦ 디자인컨설턴트 과정을 운 하는 강사에 한 국내외 연수 지원을 통해 교육의

품질 리

◦ 디자인컨설턴트 인증제의 상과 홍보에 해 디자인 문회사 디자인활용기

업을 상으로 홍보지원

Page 6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 - 디자인 분야 - 일시: 2009년 3월 20일(금)

디자인 분야 작업반

지 식 경 제 부

한 국 개 발 연 구 원

기 획 재 정 부

지 식 경 제 부

성 균 학 교

국 민 학 교

컨 티 늄 코 리 아

네 이 트 시 스 템

한국디자인경 연구원

한 국 디 자 인 진 흥 원

삼 성 U I 연 구 소

허 경

이 시 욱

김 정

진 종 욱

김 용 세

정 지 홍

김 민

백 종 원

김 호 곤

윤 병 문

함 경 운

(신산업정책 )

( 연 구 원 )

( 서비스정책과장)

(디자인 랜드과장)

(교 수)

(교 수)

( 표 이 사)

( 표)

( 표)

( 정책개발 장 )

(책 임 연 구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