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4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식량을 공급하는 식량작물은 미곡류, 맥류, 잡곡 류, 두류 및 서류로 분류된다. 미곡류에 논벼 및 밭벼, 맥류에 겉보리 및 밀, 잡곡류에 조, 수수, 옥수수, 메밀 등, 기타 잡곡, 두류에 콩, 팥, 녹두 그리고 서류에는 고구마 및 감자가 속한다. 본 군의 1970년이래 연도별 식량작물의 생산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12>와 같다. <표 4-12> 연도별 식량작물의 생산현황(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1970년 이후 1996년까지 전체 식량작물들의 재배면적은 매우 큰 폭으로 감소되어 왔음 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식량작물의 전체 생산량은 1990년대 이후에 소폭으로 감소되는 경 향을 나타내었지만 재배면적에 비하여 매우 적은 량의 감소를 나타내어 식량작물의 전체 생 산량 규모로 볼 때에는 생산성의 증가로 볼 수 있다. 본 군에는 미곡 중 밭벼의 재배는 확 인되지 않았다. 미곡의 생산량은 논벼의 생산량으로 그 현황은 1979년에 최대의 생산면적 과 생산량을 나타내었으나 1979년 이후에는 재배면적과 생산량 모두 비교적 많은 감소를 나타내었다. 맥류의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1970년대 중반인 1975년에 3,332ha에 6379톤의 생산량을 나타낸 이후에는 급속히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어 특히 1980년대 이후에는 급격한 이농현상으로 인하여 맥류의 재배면적과 생산실적은 겨우 명맥 만 유지하는 상황이었다. 잡곡류와 서류의 생산현황도 1975년 이후에 매우 큰 속도로 감소 되는 양상이었다. 두류의 생산현황은 다른 식량작물의 변화의 양상과 차이가 있었다. 즉 1979년까지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계속 증가하다가 1980년 이후에는 재배면적, 생산량 공 히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감소되는 비율은 다른 식량작물들의 감소율 보다 미미하였 다. 이는 기계화영농이 어렵고 노동력이 논 작물에 비하여 많이 소요되는 밭작물임에도 불 구하고 두류의 가공식품들이 한국인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 으며, 또한 성인병을 예방하여 줄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으로 농산물 연별 미 곡 맥 류 잡 곡 두 류 서 류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1970 11,584.1 22,603.8 4,005 12,360 3,218 6,360 2,159 219,059 1,186 1,080 1,014 12,212 1975 11,484.7 26,142.3 4,279 13,139 3,332 6,379 - - 1,655 1,780 1,072 17,585 1979 10,712.7 26,460.4 4,548 24,012 2,354 5,328 263 508 1,998 2,691 1,550 16,691 1986 6,351.1 16,969.6 3,922 12,569 513 1,139 150 333 1,496 1,894 276 1,035 1990 6,435.8 26,825.3 4,080 18,768 536 1,715 214 433 1,414 2,337 192 801 1994 5,318.0 20,079.0 3,750 16,312 150 375 129 286 1,128 1,690 161 2,937 1996 4,848.0 21,290.0 3,425 16,272 117 292 188 660 978 1,453 140 2,715 1997 4,492.0 21,187.0 3,530 17,297 84 216 100 306 644 924 134 2,444

Transcript of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Page 1: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식량을 공급하는 식량작물은 미곡류, 맥류, 잡곡

류, 두류 및 서류로 분류된다. 미곡류에 논벼 및 밭벼,  맥류에 겉보리 및 밀, 잡곡류에 조,

수수, 옥수수, 메밀 등, 기타 잡곡, 두류에 콩, 팥, 녹두 그리고 서류에는 고구마 및 감자가

속한다. 본 군의 1970년이래 연도별 식량작물의 생산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12>와

같다.

 

  

<표 4-12> 연도별 식량작물의 생산현황(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1970년 이후 1996년까지 전체 식량작물들의 재배면적은 매우 큰 폭으로 감소되어 왔음

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식량작물의 전체 생산량은 1990년대 이후에 소폭으로 감소되는 경

향을 나타내었지만 재배면적에 비하여 매우 적은 량의 감소를 나타내어 식량작물의 전체 생

산량 규모로 볼 때에는 생산성의 증가로 볼 수 있다.  본 군에는 미곡 중 밭벼의 재배는 확

인되지 않았다. 미곡의 생산량은 논벼의 생산량으로 그 현황은 1979년에 최대의 생산면적

과 생산량을 나타내었으나 1979년 이후에는 재배면적과 생산량 모두 비교적 많은 감소를

나타내었다. 맥류의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1970년대 중반인 1975년에 3,332ha에 6379톤의

생산량을 나타낸 이후에는 급속히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어 특히

1980년대 이후에는 급격한 이농현상으로 인하여 맥류의 재배면적과 생산실적은 겨우 명맥

만 유지하는 상황이었다. 잡곡류와 서류의 생산현황도 1975년 이후에 매우 큰 속도로 감소

되는 양상이었다. 두류의 생산현황은 다른 식량작물의 변화의 양상과 차이가 있었다. 즉

1979년까지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계속 증가하다가 1980년 이후에는 재배면적, 생산량 공

히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감소되는 비율은 다른 식량작물들의 감소율 보다 미미하였

다. 이는 기계화영농이 어렵고 노동력이 논 작물에 비하여 많이 소요되는 밭작물임에도 불

구하고 두류의 가공식품들이 한국인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

으며, 또한 성인병을 예방하여 줄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으로 농산물

연별합   계 미  곡 맥  류 잡  곡 두  류 서 류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1970 11,584.1 22,603.8 4,005 12,360 3,218 6,360 2,159 219,059 1,186 1,080 1,014 12,212

1975 11,484.7 26,142.3 4,279 13,139 3,332 6,379 - - 1,655 1,780 1,072 17,585

1979 10,712.7 26,460.4 4,548 24,012 2,354 5,328 263 508 1,998 2,691 1,550 16,691

1986 6,351.1 16,969.6 3,922 12,569 513 1,139 150 333 1,496 1,894 276 1,035

1990 6,435.8 26,825.3 4,080 18,768 536 1,715 214 433 1,414 2,337 192 801

1994 5,318.0 20,079.0 3,750 16,312 150 375 129 286 1,128 1,690 161 2,937

1996 4,848.0 21,290.0 3,425 16,272 117 292 188 660 978 1,453 140 2,715

1997 4,492.0 21,187.0 3,530 17,297 84 216 100 306 644 924 134 2,444

Page 2: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수입개방 정책에도 불구하고 그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1) 미곡류의 생산

  미곡류에는 논벼 및 밭벼가 속하지만 1997년 현재 군내에는 밭벼가 재배되지 않은 것으

로 조사되어 있다. 읍·면별 논벼의 재배면적, 10a당 수량 및 생산량을 1996년과 비교하여

조사한 결과는 <표 4-13>과 같다.

<표 4-13>  읍·면별 미곡(논벼)의 생산현황(1997년)(단위:㏊,㎏,천석)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1996년 대비 1997년의 미곡의 생산량을 조사하면, 재배면적은 97년 3,530ha로서 96년의

3,425ha보다 3.1% 증가하였으며, 생산량에서도 96년의 113,000석에서 97년에는 120,000

석으로 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증가율은 경상북도의 전체 재배면적의

1.4% 증가

                      

<사진 4-1> 기계화된 모내기 장면 (이앙기)

 와 생산량의 3.9% 증가에 비교하여 볼 때 매우 높은 결과로서 울진군이 경상북도의 미곡

읍면별재   배   면   적 10a당 수량 생   산   량

1996 1997 증감율 1996 1997 증감율 1996 1997 증감율

계 3,425 3,530 3.1 476 490 2.9 113 120 6.1

울진 467 480 2.8 〃 〃 〃 15 16 5.8

평해 433 448 3.5 〃 〃 〃 14 15 6.5

북  487 504 3.5 〃 〃 〃 16 17 6.5

서  93 96 3.2 〃 〃 〃 3 3 6.3

근남 410 419 2.2 〃 〃 〃 14 14 5.2

원남 383 396 3.4 〃 〃 〃 13 13 6.4

기성 388 397 2.3 〃 〃 〃 13 14 5.3

온정 423 437 3.3 〃 〃 〃 14 15 6.3

죽변 211 219 3.8 〃 〃 〃 7 7 6.8

후포 130 134 3.1 〃 〃 〃 4 5 6.1

경북  134,769 136,713 1.4 493 505 2.4 4,614 4,794 3.9

Page 3: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의 생산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아주 적은 미곡의 주 생산지임을 감안할 때 이례적인 결과로

판단된다. 그리고 울진군의 97년 미곡의 작황이 경상북도 전체 평균 미곡의 작황에 비하여

풍년이었을 것으로도 판단된다. 이는 울진군의 평균 10a당 수량이 경상북도의 96년 493kg,

97년 505kg에 비하여 울진군의 10a당 수량은 96년 476kg, 97년 490kg로서 단위면적 당

수량은 경상북도의 평균치에 미달되었지만, 증가율은 경상북도의 2.4% 보다 큰 2.9%의 증

가율을 나타내어 1997년의 울진군의 미곡의 작황이 경상북도의 평균 미곡작황 보다 풍작이

었음을 설명하여 주고 있다.

  읍?면별 미곡의 생산현황은 96년에 비하여 97년의 재배면적은 변화추이는 미곡의 재배면

적이 비교적 적은 죽변면이 3.8% 증가하였으며, 벼 재배면적이 많은 편인 근남면의 증가율

이 2.2%로서 제일 적었다. 그러나 생산량의 변화추이는 죽변면이 6.8%로서 제일 높았으나

비교적 읍?면별로 차이가 적었다. 그리고 미곡의 생산은 북면, 울진읍, 근남면, 평해읍, 온

정면, 기성면 및 원남면에서 많이 생산되었으며, 항구지역인 죽변면과 후포면, 삼림지역인

서면에서는 미곡의 생산량이 매우 적은 경향이었다.

2) 맥류의 생산

  맥류에는 대맥류에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가 있으며, 소맥류에는 밀과 호밀이 있다.

1970년이래 군내에서 쌀보리 및 맥주보리는 생산되지 않았다. 겉보리와 밀, 호밀의 연도별

생산현황은 <표 4-14>와 같다.

<표 4-14>  연도별 맥류의 생산현황

(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맥류의 연도별 생산량은 1975년이래 3,332톤에 상당하던 맥류의 생산량이 1997년에는

겨우 84톤에 불과하여 매년 급격하게 감소되어 왔다. 이와 같은 현상은 보리의 경우 1970

년대에는 주식(主食)인 쌀의 부족으로 보리쌀이 부족한 쌀을 보충하여 식량공급을 할 수 있

었지만, 1980년대에 들어서는 쌀이 충분히 공급되고, 국민들의 소득이 향상됨에 따라 일반

식생활에서 보리밥을 기피하는 현상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보리쌀의 소비량이 감소되었기 때

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1980년대 들어서는 이농현상이 심각하여 경작을 포기하는 밭이 많

이 생기기도 하였다. 본 군에는 쌀보리의 재배지는 없었으며, 소맥인 밀의 재배는 1979년까

지 소량 재배되었지만 1980년 이후에는 전혀 재배되지 않다가 1995년에 우리 밀에 대한

연도

합    계 겉 보 리 쌀 보 리 밀 호  밀 맥주보리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 - - 4,733 - - - 699 - 51 - -

1975 3,332 6,378 2,915 5,714 - - 388 628 30 36 - -

1979 2,354 5,328 2,055 4,685 - - 299 643 - - - -

1986 513 1,139 513 1,139 - - - - - - - -

1990  536 1,715 536 1,715 - - - - - - - -

1992 312 815 312 815 - - - - - - - -

1994 150 375 150 375 - - - - - - - -

1995 152 383 129 326 - - 23 57 - - - -

1997 84 216 84 216 - - - - - - - -

Page 4: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가공식품이 새로 개발되고 “우리밀 사랑운동이 전개되어 소량 재배되었지만 그 면적은 미미

하였다. 그리고 호밀의 재배는 1975년까지 소량 재배되었다가 사라졌으며, 맥주보리의 재배

는 없었으며, 보리의 경우에는 보리 전분이 당뇨병 등 성인병의 예방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므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보리밥 및 각종 채소류를 이용한 전문식당이 많이 생겨나 성

업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제과·제빵분야에서 보리를 이용한 성인병 예방을 위한 가공

식품이 많이 개발되어 그래서 최근에는 보리의 재배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읍·면별 맥류의 재배면적과 생산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15>와 같다.

<표 4-15>  읍·면별 맥류의 재배면적 및 생산현황(1997년)(단위:㏊,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1997년 맥류의 전체 재배면적 84ha, 생산량 352.8톤으로, 읍·면별 재배면적은 북면과 근

남면이 17ha, 울진읍 16ha, 죽변면 14ha로서 군내 맥류재배지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

러나 산림지역이 대부분인 온정면과 서면은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매우 적었다.

3) 잡곡류의 생산

보리 및 밀 등의 맥류에 못지 않게 최근 성인병예방 건강식품으로 중요한 조, 옥수수, 수수

및 메밀 등의 잡곡류에 속하는 작물들의 1970년이래 연도별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는 표 4-16과 같다.

 

  <표 4-16> 연도별 잡곡류의 생산현황       

(단위 : ha, M/T)

읍 면 별 재   배   면   적 생     산     량

계 84 352.8

울    진 16 67.2

평    해 3 12.6

북  17 71.4

서  1 4.2

근    남 17 71.4

원    남 5.5 23.1

기    성 9 37.8

온    정 1.3 5.5

죽    변 14 58.8

후    포 0.2 0.8

Page 5: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조, 수수, 옥수수 등 잡곡류는 골고루 소량씩 재배되었다. 그 중에서도 조의 생산량은

1970년에는 2,064ha의 재배면적에 2,010톤이 생산되어 군민의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위치

를 차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최근에는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상황

에 있다. 또한 수수의 생산 역시 급격히 감소되었지만 옥수수의 생산량은 재배면적은 줄어

들었지만 생산량은 해마다 조금씩 증가하여 1996년에는 무려 460톤에 달하였다. 이는 옥수

수를 이용한 가공식품이 많이 개발되고 우량 다수확 품종이 보급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메밀의 생산량도 연별로 규칙적이지 않지만 오히려 최근에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증가된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밀은 최근에 식생활 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성인병 예방식

품으로 알려져 그 소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재배농민들의 주요 소득작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읍·면별 옥수수, 수수, 조, 메밀, 율무 및 기타 잡곡류들의 재배면적과 생산현황을 조

사한 결과는 <표 4-17>과 같다.

 

<표 4-17> 읍·면별 잡곡의 생산현황(1998년)(단위 : ㏊,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잡곡류의 읍·면별 생산현황은 재배면적이 잡곡류 중에서 가장 많은 옥수수가 66.1ha에서

연도별합  계 조 수  수 옥 수 수 메  밀 기타잡곡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2,159 2,190 2,064 2,010 69 5 642 77 - - - -

1975 1,146 1,013 1,027 922 16 10 52 51 28 16 - -

1979 263 508 20 30 6 7 78 240 35 37 63 134

1986 150 333 - - - - - - - - - -

1990  214 433 16 20 7 11 65 266 50 51 76 84

1992 146 411 7 8 2 3 95 351 24 25 18 23

1994 129 286 4 5 2 3 78 245 29 23 16 10

1996 188 660 5 7 1 1 100 460 60 62 22 130

1997 100 306 3 4 1 1 66 265 15 15 15 21

읍면별계 옥수수 수  수 조 메  밀 율  무 기  타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계 99.7 304.6 66.1 264.4 0.7 1 2.8 3.9 14.9 14.9 - - 15.2 20.4

울진 3 8.6 1.7 6.8 - - 0.2 0.3 0.2 0.2 - - 0.9 1.3

평해 13 44.2 10 40 - - - - - - - - 3 4.2

북  5.4 15.4 3 12 0.2 0.3 0.2 0.3 - - - - 2 2.8

서  13.6 51.3 12.5 50 - - 0.5 0.7 0.5 0.5 - - 0.1 0.1

근남 5.1 19.9 4.9 19.6 - - 0.2 0.3 - - - - - -

원남 19.8 40.1 6 24 0.3 0.4 0.5 0.7 8 8 - - 5 7

기성 15.7 40.8 8 32 0.2 0.3 0.5 0.7 5 5 - - 2 2.8

온정 13 49.3 12 48 - - 0.3 0.4 0.2 0.2 - - 0.5 0.7

죽변 6.4 18.9 4 16 - - 0.4 0.5 1 1 - - 1 1.4

후포 4.7 16.1 4 16 - - - - - - - - 0.7 0.1

Page 6: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264.4톤이 생산되어 전체 잡곡류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읍·면별로

는 산림지역인 서면과 온정면에서 대부분 재배되었다. 나머지 수수, 조, 메밀 등 잡곡류들은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한약재 이름을 가진 율무의

재배지는 군내에 없었다.

4) 두류의 생산

  연도별 콩, 팥, 녹두 등 두류에 속하는 작물들의 재배면적 및 생산현황은 <표 4-18>과

같다.

 

 

<표 4-18>  연도별 두류의 생산현황(1997년)(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1970년이래 연도별 두류의 생산량은 1980년대까지는 증가하였으나 1990년대 들어서 감

소되었다. 콩의 경우에는 된장 및 고추장 등의 장류 발효식품이 삼국시대부터 우리민족의

건강을 지켜오고 있는 중요한 식품으로 그 소모량이 엄청나게 많다. 그래서 이와 같이 콩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1990년대 이후에 감소되고 있지만, 콩 및 팥의 생산량은 타 작물에

비해서는 그 감소폭이 적은 편이었다. 최근에 이르러 성인병을 예방해 주는 가공식품으로

많이 이용되는 녹두의 재배는 1990년대 들어서 거의 사라졌다. 각종 농산물의 수입자유화

정책으로 부족한 각종 두류들은 중국 및 미국으로부터 대량으로 수입되어 우리의 전통식품

인 된장, 고추장 및 간장 등의 장류의 발효식품제조를 위한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1998년 현재 읍·면별 두류의 생산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19>와 같다.

연도별합    계 콩 팥 녹    두 기    타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1,865 1,080 1,183 1,027 424 35 38 2 - -

1975 1,655 1,780 1,317 1,488 186 165 101 93 - -

1979 1,998 2,690 1,820 2,489 88 108 25 25 - -

1986  1,496 1,893 1,243 1,602 50 56 6 6 196 275

1990  1,413 2,337 1,292 2,192 74 94 5 6 42 45

1992 1,255 1,989 1,145 1,865 56 65 1 1 53 58

1995 1,134 1,752 1,075 1,688 48 51 - - 11 13

1996 978 1,453 917 1,440 49 0.2 2 0.2 10 12

1997 644 924 601 877 36 38 - - 7 9

읍면별계 대  두 소 두 (팥) 기  타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단 수

계 644.4 923.6 601.8 877 35.9 37.9 6.7 8.7

울 진 33.5 47.6 30 43.4 1.6 1.7 1.9 2.5

평 해 81 114.5 72 105 9 9.5 - -

Page 7: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9.

  1998년 전체 두류 재배면적 644.4ha에서 923.6톤이 생산되었다. 이중 대두의 재배면적이

601.8ha, 877톤으로 전체 두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의 93% 이상을 차지하였다. 읍·면별로

는 북면에서 175.1톤, 원남면 159톤, 기성면 148.8톤, 온정면 135.7톤 및 평해읍에서 105

톤이 생산되어 군내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에 비하면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수입콩의 영향으로 상당량 감소되었지만 최근에 이르러 우리 콩을 이용한 장류

식품의 가공이나 일반 가공식품의 소비가 증가하여 재배면적이 증가되었다. 팥 등의 소두류

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아주 소량에 불과하였다.

5) 서류의 생산

  1975년이래 감자, 고구마 등이 속하는 서류의 연도별 생산현황은 <표 4-20>과 같다.

  서류에 속하는 농작물로는 감자와 고구마가 있다. 특히 울진지역은 지형적으로 감자의 재

배적지로 평가되지만 가격에 대한 경쟁력이 우리나라 감자의 주산지인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감자에 비하여 품질과 수량에서 뒤지는 것으로 나타나 재배면적의 확대에는 무리가 있다.

1979년에는 감자의 재배면적이 1,200ha에 달하여 11,385톤이나 생산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되어 최근에는 2천톤 내외만이 생산되고 있다.

<표 4-20> 연도별 서류의 생산현황 (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6~1998.

  고구마의 생산량 역시 1979년에 350ha에서 5,306톤이 생산되어 최고의 생산량이었지만

북  131 187 120 175.1 10 10.6 1 1.3

서  15.4 21.3 12.8 18.6 2.6 2.7 - -

근 남 18.4 26.6 18 26.2 0.4 0.4 - -

원 남 115 165.6 109 159.0 5 5.3 1 1.3

기 성 107 154.3 102 148.8 4 4.2 1 1.3

온 정 95 138 93 135.7 1.2 1.3 0.8 1

죽 변 33 46.8 30 43.4 2 2.1 1 1.3

후 포 15.1 21.9 15 21.8 0.1 0.1 - -

연 도 별합    계 고    구    마 감    자

면 적 생 산 량 면 적 생 산 량 면 적 생 산 량

1975 1,072 17,584 157 2,855 914 14,729

1979 1,550 16,691 350 5,306 1,200 11,385

1985 275 4,731 74 1,275 201 3,457

1990 192 3,660 51 882 141 2,778

1992 221 4,181 42 685 179 3,496

1994 161 2,937 42 686 119 2,251

1996 140 2,715 43 815 97 1,900

1997 134 2,444 21 342 113 2,101

Page 8: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그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고구마 및 감자는 1980년대 이전에 농촌생활이 어려웠을

때에는 봄철에는 쌀 등의 곡물이 부족하여 감자 및 고구마들을 식사대용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식생활습관의 자체가 변화되어 감자 및 고구마들은 소량으로만 소비되고 대부분의

생산량은 식품공장에서 과자류의 가공식품으로 개발되어 많이 판매되고 있다. 다음 <표

4-21>은 읍·면별로 서류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이다.

 

<표 4-21>  읍·면별 서류의 생산현황(1997년) (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고구마, 감자 등 서류에 속하는 작물의 읍·면별 현황은 134.3ha에서 2,443톤이 생산되었

다. 특히 온정면에서 34ha, 630톤이 생산되어 제일 많았으며, 북면, 서면, 울진읍, 근남면

및 기성에서도 많이 생산되었다. 이들 서류의 생산량 대부분이 봄감자 및 고구마의 생산량

이었다. 가을감자는 서면에서 소량이 재배되었다.

읍면별계

감        자고  구  마

봄 가   을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계 134.3 2,443 110 2,046 3 55 21.3 342

울진 14.3 256.6 11 204.6 - - 3.3 52

평해 4 74.4 4 74.4 - - - -

북 18 329.6 16 297.6 - - 2 32

서 14.8 266.4 9 167.4 3 55 2.8 44

근남 13.6 248.2 12 223.2 - - 1.6 25

원남 8 140 5 93 - - 3 47

기성 13 231.4 9 167.4 - - 4 64

온정 34 630.2 32 595.2 - - 2 35

죽변 10 183.8 8 148.8 - - 2 35

후포 4.6 82.4 4 74.4 - - 0.6 8

Page 9: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2. 채소류의 생산

  채소류는 한국인 식생활의 반찬류에서 가장 중요한 김치의 재료인 배추와 무, 그리고 조

미료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고추 및 마늘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채소류는 과채류

(수박, 참외, 오이, 호박, 가지, 토마토, 딸기), 엽채류(배추, 양배추, 시금치, 상치, 미나리,

우엉), 근채류(무우, 당근) 및 조미채류(고추, 마늘, 파, 양파, 생강)로 분류된다.

1) 연도별 채소류의 생산현황

  채소류들의 연도별 생산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표 4-22>, <표 4-23>, <표 4-24>, <표

4-25>와 같다.

 

  <표 4-22>  연도별 과채류의 생산현황                  (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연도별과  채  류 수    박 참     외 오      이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1970 103.1 1,004.3 9.6 142 12.9 108.2 5.4 47.3

1975 151.8 2,138.5 22.8 473 10.3 106.2 7.1 86.5

1980 43.8 1,076.2 19.2 505 3.0 45.1 13.5 345.8

1985 41.5 1,386.7 24.3 480 9.8 186.3 2.4 59.5

1989 32.7 743.5 20.1 479 4.0 76.0 3.8 85.1

1992 20.5 446.3 15.9 355.0 0.5 10.0 1.4 37.0

1994 23.4 529.0 16.0 395.0 - - 1.0 21.0

1996 30.5 802.0 21.6 555.0 - - 3.5 125.0

1997 31.6 615.1 22.4 356.7 0.7 20.4 2.8 107.6

연도별호    박 가    지 토  마  토 딸    기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1970 68.0 646 3.1 23.8 4.1 36.9 - -

1975 97.0 1281 4.5 37.8 10.1 153.6 - -

1980 1.0 12 1.6 22.4 5.5 145.9 2.9 11.6

1985 1.8 25 - - 3.2 100.4 3.1 34.5

1989 3.9 66 0.5 - 1.9 55.0 2.8 29.8

1992 2.1 35 - - 0.4 7.5 0.2 1.6

1994 2.6 47 - - 1.8 44.0 2.0 22.0

1996 3.3 52 - - 1.7 66.0 0.4 4.0

1997 3.0 51 - - 2.2 70.5 0.5 9.0

Page 10: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표 4-23>  연도별 엽채류의 생산현황 (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표 4-24>  연도별 근채류의 생산현황 (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표 4-25>  연도별 조미채류의 생산현황  (단위 : ha, M/T)

연별합    계 배    추 시 금 치 양 배 추 상    치 미 나 리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5 194.6 2611 192.2 2574.7 - - 1.8 36.9 - - - -

1980 105.4 7754 97.0 7595.0 2.3 24.0 2.1 58.8 2.0 27.0 2.0 50.0

1985 103.0 6663 90.0 6403.9 4.8 65.4 2.1 77.5 6.1 116.3 - -

1989 97.2 6367 89.9 6239.0 2.7 32.4 0.9 31.4 2.7 47.4 1.0 17.0

1992 83.9 5186.3 79.0 5089 1.2 13.3 0.8 32 2.9 52.0 - -

1994 79.2 4335.3 77.0 4300 0.5 6.3 0.2 6 1.5 23.0 - -

1996 119.4 7468.0 113.2 7372 1.5 15.0 0.7 18 4.0 63.0 - -

1997 135.9 6441.7 131.7 6391 1.6 17.3 0.8 21 2.6 33.4 - -

연  별합     계 무     우 당     근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1970 193 2,320 193 2,320 - -

1975 210 2,748 210 2,748 - -

1980 97 4,047 96 4,017 1.5 30

1985 138 4,862 111 4,345 27.4 517

1990 117 3,717 887 3,337 28.4 380

1992 139 4,643 94 3,725 45.5 693

1994 121 3,567 79 2,915 41.5 652

1996 137 5,052 108 4,497 29.6 555

1997 135 4,493 115 4,140 20.0 333

연별합  계 고  추 마  늘 파 양  파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222 856 131 272 74 398 5.2 45 11.5 140

1975 406 1,389 235 361 139 607 11.8 130 20.5 291

1980 773 2,564 504 569 254 1,665 6.8 170 8.0 160

1985  909 2,770 665 810 223 1,405 16.4 439 4.0 115

1989 574 2,660 370 592 183 1,409 14.9 349 6.1 316

Page 11: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채소류의 연도별 생산현황의 변화추이는 과채류를 제외하고는 식량작물에 비하여 감소율

이 비교적 적은 경향이었다.

전체 채소류 중에서 엽채류와 근채류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제일 많이 차지하였다. 특히

배추가 포함되어 있는 엽채류의 생산현황의 변화추이는 1970년 이후 재배면적은 계속 감소

하였지 만 1980년에는 8,773.8M/T이 생산되어 년간 최대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사진 4-2> 서면 쌍전리 고랭지 배추재배 전경

그러나 1990년에는 엽채류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최소수준으로 감소되었다가 그 이후에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내었다.

  1990년에는 엽채류 뿐만 아니라 과채류, 근채류에서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모두 최저

수준 이었다. 조미채류의 경우에는 1980년에 773.4ha의 재배면적에 2564.4톤의 생산량으

로 최대의 생산량을 나타내었고 그 이후에도 계속 매년 많은 량의 조미채류들이 생산되었

다.

  1980년대 이후에 이농현상이 심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량의 양념류의 채소들이 생

산된 것은 고추, 마늘, 파, 양파, 생강 등의 채소류들은 김장할 때 중요한 양념류이며, 국민

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도 김치 및 장류들의 발효식품들에 대한 소비량이 꾸준히 많았기 때

문으로 보이며, 더구나 최근에는 한국산 김치가 일본의 “기무치”라고 하는 발효식품과 당당

히 경쟁을 하여 일본인들의 입맛에 적응되어 대 일본 김치시장으로 수출되고 있다. 그리고

채소류 작물들은 기상에 따른 작황의 변동이 심하고, 유통구조상 운반 등의 이유로 가격의

등락이 심하여 연도별 생산량의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결과로 판단된다.

2) 읍·면별 채소류의 생산현황

  반찬류에서 중요한 식품자원인 채소류의 읍·면별 생산현황을 과채류, 엽채류, 근채류,  조

1992 519 2,480 349 683 158 1,355 5.6 126 5.9 316

1994 511 2,119 354 608 150 1,162 1.5 33 5.3 316

1996 493 2,413 365 819 115 1,086 7.1 173 6.2 335

1997 461 2,223 337 767 113 1,058 6.4 150 4.2 248

Page 12: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미채류 및 산채류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표 4-26>, <표 4-27>, <표 4-28>,

<표 4-29> 및 <표 4-30>과 같다.

<표 4-26>  읍·면별 과채류의 생산현황(1997년)(단위 : ㏊,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표 4-27>  읍·면별 엽채류의 생산현황.(1997년)(단위 : ㏊, M/T)

읍면별계 수    박 참    외 오    이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계 31.6 615.1 22.4 356.7 0.7 20.4 2.8 107.6

울  진 1.8 51 0.4 11 0.4 11 0.3 12

평  해 3.8 108 2 46 - - 0.6 32

북  4.1 108 2.8 74 - - 0.5 17

서  1.5 3.7 1.5 37 - - - -

근  남 2.2 65.6 1.1 36 0.1 3.6 0.4 13.9

원  남 2.4 60.7 0.9 26.5 0.1 2.8 0.3 11.7

기  성 3.7 101 2 50 0.1 3 0.7 21

온  정 1 12 1 12 - - - -

죽  변 0 0 0 0 - - - -

후  포 11.1 71.8 10.7 64.2 - - - -

읍?면별호    박 토 마 토 딸    기 가    지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계 3 50.9 2.2 70.5 0.5 9 - -

울  진 0.2 5 0.5 12 - - - -

평  해 0.2 4 0.7 20 0.3 6 - -

북  0.4 6 0.2 8 0.2 3 - -

서  - - - - - - - -

근  남 0.5 8.1 0.1 4 - - - -

원  남 1 16.2 0.1 3.5 - - - -

기  성 0.3 4 0.6 23 - - - -

온  정 - - - - - - - -

죽  변 - - - - - - - -

후  포 0.4 7.6 - - - - - -

읍면별계 봄   배   추 고랭지배추 가 을 배 추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계 135.9 6,441.7 37.7 1,736 25.2 932 68 3,702

울  진 5.6 546 0.4 17 - - 5 527

Page 13: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표 4-28>  읍·면별 근채류 생산현황(1997년)(단위 : ㏊, M/T)

평  해 2.2 35.2 0 0 - - 0 0

북  15.4 924 9 330 - - 6 585

서  75.6 2,367 12.9 464 25.2 932 37 962

근  남 17.3 1,386.1 9 732 - - 8 651

원  남 3.2 325 1 30 - - 2 293

기  성 8.8 528 4 131 - - 4 388

온  정 6 175 1 15 - - 5 160

죽  변 0 0 0 0 - - 0 0

후  포 1.8 157.4 0.4 17 - - 1 136

읍면별양  배  추 시   금   치 상       추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계 0.8 21 1.6 17.3 2.6 33.4

울  진 - - 0.1 1 0.1 1

평  해 0.3 12 0.3 3.2 1.6 20

북  - - 0.2 3 0.2 3

서  0.5 9 - - - -

근  남 - - 0.1 0.1 0.2 3

원  남 - - 0.2 2 - -

기  성 - - 0.5 5 0.3 4

온  정 - - - - - -

죽  변 - - - - - -

후  포 - - 0.2 2.0 0.2 2.4

읍면별계 봄  무  우 고랭지무우 가 을 무 우 당    근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계 135 4,493 49 1,652 20 600 46 1,908 20 333

울진 5 294 1 27 - - 4 267 0 0

평해 6 72 0 0 - - 0 0 6 72

북  18 550 8 290 - - 4 146 6 114

서  63 1,834 24 744 20 600 19 490 0 0

근남 18 783 9 436 - - 6 291 3 56

원남 6 209 1 24 - - 2 124 3 61

기성 8 380 3 80 - - 5 300 0 0

온정 10 310 3 50 - - 5 230 2 30

죽변 0 0 0 0 - - 0 0 0 0

Page 14: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표 4-29>  읍·면별 조미채류의 생산현황 (1997년)(단위 : ㏊,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표 4-30>  읍·면별 산채류의 생산현황 (1997년)(단위 : ㏊,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여름철에 중요한 식품인 수박은 북면과 후포면에서 많이 생산되었으며, 참외는 근남면과

후포 1 60 0 0 - - 1 60 0 0

읍면별계 고    추 마    늘 양    파 대    파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계 461.3 2223.8 337.4 767.4 113.3 1058.2 4.2 248 6.4 150.2

울  진 35.5 164 25.1 51 10 92 0.3 18 0.1 3

평  해 47.6 245.4 34.2 77.4 11 100 0.4 23 2 45

북  52.2 262 38.5 89 12.2 117 0.5 31 1 25

서  35.8 149 24.9 50 10.9 99 - - - -

근  남 77.4 635 29 67 45 431 1.5 91 1.9 46

원  남 57.6 293.7 39.7 91.7 17 162.8 0.5 30 0.4 9.2

기  성 72.5 280 64.5 165 6.5 50 1.0 55 0.5 10

온  정 68 150 68 150 - - - - - -

죽  변 0 0 0 0 - - - - - -

후  포 14.7 44.7 13.5 26.3 0.7 6.4 - - 0.5 12

읍면별계

면   적 단   수 생 산 량 농 가 수

계 20.1 2,100 422 147

울  진 5.4 4,630 250 11

평  해 - - - -

북  4 1,750 70 27

서  - - - -

근  남 1 1,800 18 20

원  남 0.7 2,000 14 7

기  성 3 1,000 30 10

온  정 6 670 40 72

죽  변 - - - -

후  포 - - - -

Page 15: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원남면에서 많이 생산되었고, 호박의 생산량은 원남면 16.2톤으로 가장 많았다. 그밖에 토

마토와 딸기의 생산량은 소량에 불과하였다. 김치의 가장 중요한 원료인 배추는 엽채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중 고랭지배추는 서면에서만 소량이 생산되고, 봄배추와 김장의 재료

로 쓰이는 가을배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봄배추는 9ha의 재배면적에서 732톤이 생산되어

제일 많았고, 김장의 재료인 가을배추는 서면에서 37ha의 재배면적에서 962톤이 생산되어

다른 읍·면에 비하여 거의 5배 이상 많이 생산되었다. 그래서 군내에서 서면이 배추의 재배

지로 가장 적합한 토양 및 기상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양배추, 시금

치 및 상추 등은 읍·면별로 골고루 재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역시 김장의 재료로 중요

한 무가 속하는 근채류의 읍·면별 생산현황은 전체 135ha에서 4,493톤이 생산되었다. 이중

봄무우가 1652톤, 가을무우가 1,908톤이 생산되어 근채류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고랭지배추와 마찬가지로 고랭지무우도 서면에서 소량 재배되었다. 봄무우 및 가을무우 모

두 서면에서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제일 많았다. 당근은 서면, 북면, 근남면 및 원남면에서

소량 재배되었다. 식품의 조리에서 제일 중요한 조미료의 급원인 고추 및 마늘이 속하는 조

미채류의 생산현황은 461.3ha에서 2,223.8톤이 생산되었다. 그리고 고추는 기성면에서

64.5ha, 165톤이 생산되었고, 마늘은 근남면이 45ha에서 431톤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어

이들 읍·면이 고추 및 마늘의 주산지로 파악되었다. 나머지 읍·면에서도 고추 및 마늘은 매

우 중요한 작물에 속하므로 전체 읍·면에서 골고루 생산되었다. 이밖에 양파 및 대파의 생

산량은 소량에 불과하였다. 산채류는 상당히 많은 산나물이 속한다. 전체 20.1ha에서 422

톤이 생산되었고, 특히 온정면에서는 산채 재배농가가 72가구에 이르러 군내 산채 재배농가

147가구의 50%이상을 차지하였다. 울진읍 및 북면에서도 소량 재배되었다.

Page 16: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3. 과실류의 생산

1) 연도별 과실류의 생산현황

  울진지역은 동해안 접하고 있기 때문에 해양성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그래서 타

시·군에서와 같이 우리 군을 대표할 만한 과실류의 특산물은 없지만, 80년대에 이르러 경북

북부지방에 사과의 재배면적이 확대됨과 함께 우리 군내에서도 사과를 비롯한 과실류의 재

배면적이 증가되었다. 1970년이래 과실류의 연도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는

<표 4-31>과 같다.

         

<표 4-31>  연도별 과실류의 생산현황(단위 : ha, M/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0~1998.

연도별 생산현황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아직 이농현상이 심화되지 않았던 1979년에는

162.4ha에서 1,018.2M/T이 생산되어 최고의 생산량을 보였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이농

현상으로 재배농민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생산량을 유지하였다. 이는 과실류의 재

배로 인한 농가소득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975년부터 1979년까지

과실류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매우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86년 이후 최근에 이

르기까지 전반적인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되었으나, 감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199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1990년 이후 단감에 대한 소비량이 매우 증가하였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 

2) 읍·면별 과실류의 생산현황

  1997년 현재 과실류의 생산현황을 읍·면별로 조사한 결과는 <표 4-32>와 같다.

 

연별합  계 사  과 배 복숭아 포  도 감 기  타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55.5 422.5 24.5 258.0 7.3 48.4 9.7 46.7 2.0 7.9 6.6 42.8 5.4 18

1975 114.3 674.9 77.1 440.0 9.2 70.3 19.7 120.9 4.7 22.4 3.3 18.3 0.3 3

1979 162.4 1018.2 77.1 438.1 9.0 75.0 19.0 154.1 5.0 28.7 47.2 298.6 - -

1986 109.5 587.1 58.5 389.6 9.6 50.6 80.0 48.4 1.0 5.2 7.5 36.0 24.9 57

1990 111.3 657.3 32.7 291.7 1.5 28.5 5.9 46.1 1.8 14.5 27.4 97.4 42.0 179

1992 116.4 831.0 26.7 346 1.5 18.0 8.0 72.0 2.2 17.6 45.8 237 30.1 65

1994 122.3 570.0 27.7 247 1.7 14.0 6.5 39.0 1.9 9.0 59.8 197.0 24.7 64

1996 94.7 512.0 16.2 157 1.6 13.0 5.0 48.0 1.9 14.0 53.0 231.0 17.0 49

1997 78.2 1428.8 16.2 212 1.7 21.4 4.9 39.8 1.5 10.6 39.5 308.0 14.4 837

Page 17: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표 4-32>  읍·면별 과실류의 생산현황 (1997년)(단위 : ㏊,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1997년의 과실류 생산현황은 76ha에서 707.8톤이 생산되었다. 이중에서 감의 생산량이

39.5ha의 면적에서 308톤이 생산되어 다른 과실에 비하여 가장 많았고, 사과의 재배면적이

16.2ha, 생산량이 212톤이었다. 배, 복숭아 및 포도의 재배면적은 생산량은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밤은 12.2ha에서 116톤이 생산되어 산지가 많은 우리 군내에서 비교적 많이 생산되

는 편이었다.

읍면별계 사  과 배 감 밤 복숭아 포  도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계 76 707.8 16.2 212 1.7 21.4 39.5 308 12.2 116 4.9 39.8 1.5 10.6

울 진 5.2 42 0 0 0 0 2.5 10 2.7 32 - - - -

평 해 9.7 81 6.0 65 0.2 2 1.5 7 2.0 7 - - - -

북  7.3 28.1 1.5 14 0.3 2.4 2.5 10 - - 0.2 1 0.1 0.7

서  5.2 56 3 36 - - - - - - 2.2 20 - -

근 남 19.2 284 2.0 49 0.5 12 10 140 5 70 1.7 13 - -

원 남 9.6 41.2 0.2 2 - - 9 36 - - 0.2 1.8 0.2 1.4

기 성 12.8 58 1.8 16 - - 9 36 2.0 6 - - - -

온 정 5.7 91 1 24 0.2 1 4 65 0.5 1 - - - -

죽 변 0.8 4.5 0 0 0 0 0 0 0 0 0.6 4 0.2 0.5

후 포 3.2 16 0.7 - 0.5 4 1 4 - - - - 1.0 8.0

Page 18: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4. 특용작물의 생산

1) 연도별 특용작물의 생산현황

  일반 조미료로 많이 쓰이는 참깨, 들깨 및 땅콩 등과 약용작물들은 특용작물로 분류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약용작물들의 재배면적과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용작물들은 특용작물

에서 구분한다. 약용작물을 제외한 특용작물들의 1970년이래 생산현황은 <표 4-33>과 같

다.

<표 4-33>  연도별 특용작물의 생산현황(단위 : ha, kg, 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울진군의 특용작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특히 1990년 이후에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특

용작물의 종류에서도 면화, 참깨, 들깨 및 참깨들이 주로 재배되었다. 특히 면화는 1979년

까지 소량 재배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재배가 중단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 전체

적인 경향으로 판단되며, 최근까지 비교적 많은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나타내고 있는 작물은

참깨이다. 땅콩은 1986년 이후에 주로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읍·면별 특용작물의 생산현황

 1997년 현재 읍·면별로 특용작물 중 비교적 재배면적이 많은 참깨, 땅콩 및 대마의 생산현

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34>와 같다.

연별합   계 면   화 참   깨 들   깨 땅   콩 기   타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251.4 222.6 52.6 42.2 31.5 13.7 39.2 15.5 - - - -

1975 252.7 175.9 53.3 46.6 61.6 30.7 64.3 39.4 - - 73.5 58.4

1979 196.0 116.9 37.0 23.7 78.6 39.6 69.0 43.2 - - - -

1986 130.4 84.1 - - 121.3 74.4 2.2 2.1 6.9 7.6 - -

1990 137.3 93.6 0.2 0.2 124.3 72.2 4.0 3.1 8.8 18.1 - -

1992 68.1 43.7 - - 63.1 35.0 - - 5.0 8.7 - -

1994 45.1 26.0 - - 41.0 21.0 - - 4.1 5.0 - -

1996 46.6 36.4 - - 43.0 30.6 - - 3.6 5.8 - -

1997 44.1 28.3 - - 41.1 25.3 - - 3.0 3.0 - -

Page 19: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표 4-34>  읍·면별 특용작물의 생산현황 (1997년)(단위 : ㏊,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참깨는 주로 온정면, 원남면 및 기성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땅콩은 원남면, 기성면

및 평해읍에서, 대마는 원남면, 북면 및 근남면에서 주로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깨는

1,815호의 농가가 재배면적 41.1ha에서 25.3톤을 생산하였으며, 땅콩과 대마는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매우 미약하였다.

읍면별계 참    깨 땅    콩 대    마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면 적 생산량

계 45.07 29.2 41.07 25.3 3.0 3 1 0.9

울  진 3.3 0.6 3.0 0.5 0.3 0.1 - -

평  해 5.7 4.2 5.4 3.8 0.3 0.4 - -

북  3.7 2.61 3.4 2.3 0.1 0.1 0.2 0.21

서  0.57 0.3 0.57 0.3 - - - -

근  남 3.8 2.6 3.4 2.2 0.3 0.3 0.1 0.1

원  남 7.2 5.2 6.0 3.9 0.5 0.7 0.7 0.6

기  성 5.5 4.0 5.0 3.1 0.5 0.9 - -

온  정 8.7 5 8.1 5 0.6 - - -

죽  변 4.2 3.1 3.8 2.6 0.4 0.5 - -

후  포 2.4 1.6 2.4 1.6 - - - -

Page 20: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5. 약용작물의 생산

1) 연도별 약용작물의 생산현황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라 한방의료 및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약용작물의 재배면적이 증가하였으나, 농산물수입 자유화정책으로 중국산 한약재가 많

이 수입되어 약용작물의 재배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약용작물의 생산현황을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는 <표 4-35>와 같다.

<표 4-35>  연도별 약용작물의 생산현황(단위 : ㎡, kg, t)

자료 : 울진군 통계연보, 1971~1998.

울진군은 기상 및 토양환경이 강원도와 유사하여 야생 약용작물이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재배면적은 적을지라도 많은 종류의 약용작물을 재배하여 왔다. 1970년대에는 생산량이 적

었지만 1980년대에 타 식용작물들의 생산량은 이농현상으로 인하여 급속히 감소하였지만,

약용작물들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오히려 1980년대에 오히려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1990

년대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1980년대 이후에 국민소득의 향상으로

한방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 한약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산 한약재의 가격 및 품질

에 대한 경쟁력이 있었으나, 1990년대에는 값이 싼 중국산 한약재가 많이 수입되어 국산

한약재는 품질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가격의 경쟁력을 잃게 되어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조

금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전체적인 한약재의 소비량은 계속하여 증가한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매년 발표되는 한약재의 수입량에서도 확인되었다. 그래서 최근

에 이르러 정부에서는 한약재 재배농민 보호와 국민건강의 보호 차원에서 한약재 유통구조

의 개혁안을 준비하고 있다. 울진군에서 주로 생산되는 약용작물들은 지황, 백작약, 황기,

연별합  계 지  황 인  삼 당  귀 백작약 황  기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11.9 20.02 0.5 0.98 - - 2.3   4.3 0.4 0.6 0.9 1.19

1975 9.5 18.5 - - 171 - 28.2 70.5 2.0 3.6 - -

1984 90.3 156.3 1.5 3.8 166 10 27.7 55.4 6.0 10.7 13.9 21.6

1985 120.2 244.9 0.9 2.7 - - - - 5.2 9.6 13.8 24.0

1990 97.7 271.9 1.0 3.0 - - 39.7 150.4 0.6 6.0 7.5 13.2

1997 96.5 155.7 - - - - 16.4 13.3 2.7 14.2 2.5 2.4

연별천  궁 백  지 도라지 시  호 두  충 방  풍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970 4.4 3.95 - - - - - - - - - -

1975 - - - - 2.1 6.1 - - - - - -

1984 24.9 48.3 - - - - 11.3 9.9 - - 5.0 6.6

1985 23.7 48.0 - - 26.5 56.1 15.8 17.2 - - 3.3 4.4

1990 5.9 16.2 - - - - 14.7 15.7 - - 1.5 2.5

1997 1.9 4.4 0.9 1.6 23.5 46.9 9.6 13 34.7 28 1.5 2.4

Page 21: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당귀, 천궁, 백지, 도라지, 시호, 두충 및 방풍들이 재배되고 있다. 약용작물의 대명사인 인

삼은 1975년과 1986년에 소량 재배되었다가 그 이후에는 재배가 중단되었다. 특히 울진 지

역에서 생산된 황기, 당귀, 천궁 및 백지의 품질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학계에서도 평가하

고 있다.

2) 읍·면별 약용작물의 생산현황

  1997년 우리 군내 약용작물의 생산현황을 읍·면별로 조사한 결과는 <표 4-36>과 같다.

<표 4-36>  읍·면별 약용작물의 생산현황 (1997년)(단위 : ㏊, M/T)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읍면별계 시  호 당  귀 작  약 도 라 지 더  덕 천  궁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계 96.2 155 9.6 13 16.4 38.9 2.7 14.2 23.5 46.9 0.9 1.2 1.9 4.4

울진 19.7 21.6 0.7 0.3 0.6 0.3 0.6 1.6 4.0 6.0 0.2 0.2 0.1 -

평해 3.1 3.1 0.2 0.3 - - - - 0.3 0.4 - - 0.3 0.3

북  16.8 28 3.5 3.3 4.0 10.6 0.3 2.2 5.5 5.8 0.7 1.0 0.4 0.8

서  15.2 48.5 - - 11.8 28 0.2 1.5 1.1 13 - - - -

근남 4.1 7.5 -- - - - 0.9 3.7 2.1 1.3 - - - -

원남 22.7 30.1 - - - - 0.7 5.2 8.7 17.4 - - 1.0 3.0

기성 1.6 2.5 - - - - - - 1.0 1.4 - - 0.1 0.3

온정 9.5 8 3.5 5.0 - - - - 0 0 - - - -

죽변 1.8 4.0 1.0 2.4 - - - - 0.8 1.6 - - - -

후포 0.7 1.0 0.7 1.0 - - - - 0 0 - - - -

읍면별백  지 방  풍 두  충 황  기 오 미 자 지  모 택  사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계 0.9 1.6 1.5 2.4 34.7 28 2.5 2.4 0.4 0.9 0.2 0.3 1.0 0.8

울진 0.4 0.6 0.5 0.5 12.0 11 0.1 - 0.3 0.8 0.2 0.3 - -

평해 - - 0.3 0.5 2.0 1.6 - - - - - - - -

북  - - - - 2.0 3.1 0.4 0.4 - - - - 1.0 0.8

서  - - - - 2.1 6.0 - - - - - - - -

근남 - - - - 1.1 2.5 - - - - - - - -

원남 0.5 1.0 0.7 1.4 11.0 2.0 - - 0.1 0.1 - - - -

기성 - - - - 0.5 0.8 - - - - - - - -

온정 - - - - 4.0 1.0 2.0 2.0 - - - - - -

죽변 - - - - - - - - - - - - - -

후포 - - - - - - - - - - - - - -

Page 22: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을 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후 삼국시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백성들에게 장

려하였고, 일제시대에는 우리나라가 양잠의 적지임을 판단하여 강제로 잠업을 진흥시켰다.

1960년대에 들어와서 농가소득증대와 외화획득, 제사공장의 고용증대를 목적으로 제1, 2차

잠업증산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1960년을 기준으로 제1차 잠업증산 5개년 계획(1962~

1966년)에 의한 증산시책으로 잠업증산의 기반인 뽕밭의 조성과 부대시설이 증가되었다. 이

어서 제2차 잠업증산 5개년 계획(1967~1971년)이 추진되어 증산시책으로 전국 12개 잠업

주산단지를 지정하여 참여농가 6,700호에 6억2천9백만원의 자금을 지원하였다. 이상의 증

산계획의 사업성과를 보면 제1차 계획은 잠업생산기반을 확장하는데 치중한 계획이었으며,

제2차 계획은 조성된 생산기반을 보완, 육성하여 단위 생산성의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그

러나 1980년대 이후에 이르러서는 저렴한 가격의 중국산 실크섬유들이 수입됨에 따라 양잠

업의 경쟁력이 감소되어 뽕밭면적이 오히려 감소되고, 양잠농가의 감소현상이 나타났다. 그

러나 최근에는 농촌진흥청에서 누에건조분말이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1997년에 약용작물의 생산현황을 읍·면별로 살펴보면, 가장 많이 재배된 도라지는 주로 원남면, 울진읍, 북면 및 서면에서 재배면적이 23.5ha, 생산량이 46.9톤이었다. 다음으로 당귀, 작약, 시호의 순으로 비교적 많이 재배된 약용작물에 속하였다. 도라지는 그 뿌리를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한방에서는 약재의 이름이 길경(桔梗)으로 기관지 계통의 염증을 치료하여 주는 중요한 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당귀는 한방에서 보혈제로서 산후 및 병후에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보혈효과가 탁월하고, 빈혈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되 

<사진 4-3>  도라지 수확 모습  

  고 있으며, 주로 강원도의 동부지역과 경상북도의 봉화군 춘양면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지만 울진군에서 생산된 당귀도 품질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작약은 백작약과 적작약으로 분류되며, 근남면, 원남면, 북면 및 서면에서 주로 생산되었으며, 특히 백작약은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국내 소비량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재배방법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시호(柴胡)는 9.6ha에서 13톤이 생산되었다. 시호는 식물의 생리적 특성상 지상부의 건물중(乾物重)에 비하여 지하부의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비중이 적기 때문에 재배면적에 비하여 뿌리를 약용으로 쓰이는 생산량은 적은 편이며, 가격에서도 600그램이 12,000원 이상으로 재배방법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된다면 농가의 소득작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구나 울진군의 토양 및 기상환경이 시호의 생육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재배기술의 지도와 교육을 강화하여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좋은 약용작물로 선정되어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 양잠

1) 양잠의 변천

  양잠의 역사는 기록상으로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의하면 이미 삼한시대부터 양잠

Page 23: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보고가 발표되면서 누에건조분말의 생산을 위한 양잠농가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누에에 동충하초균을 접종하여 한방의학에서 오래 전부터 많이 사용되어 온 약재

의 동충하초의 생산기술이 개발되어 누에동충하초를 건강식품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누에

의 사육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2) 잠업농가의 현황

  1998년 현재 군내의 잠업농가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37>과 같다.

<표 4-37> 잠업농가의 현황 (1998년)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9.

  1998년 현재 군내의 양잠농가의 현황은 총 19개 농가에 불과하였다. 전체 뽕밭의 면적은

1,090a이며, 봄누에의 소잠량은 201상자, 가을누에의 소잠량은 148상자로 전체 349상자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 오래 전부터 중국 등소평 주석이  많이 복용하였다는 불

로장생의 한약재로 알려져 있는 “동충하초”를 누에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

어 “누에동충하초”라는 이름으로 건강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법적인 근거가 마련

주    소 농가명 전화번호뽕밭면적

(a)

1998년 소잠량(상자)동충하초 재

배여부

(O,×)계 춘 추

계 19농가   1,090 349 201 148 4농가

울진읍 호월리 남  정 783-4226 132 3 3 - ×

평해읍 학곡리 황유성 787-5666 79 9 4 5 ○

  〃   삼달리 조규백 787-4036 30 4 2 2 ×

  〃   삼달리 박창호 787-5438 20 1 1 - ×

  〃   직산리 김규학 787-5776 20 4 2 2 ×

북  면 신화리 장덕기 782-0226 126 51 25 26 ×

북  면 덕구리 오수억 782-0454 116 11 6 5 ×

〃 장분녀 782-9925 66 3 3 - ×

〃 장순녀 782-9626 50 3 3 - ×

근남면 산포리 최영칠 782-6028 26 16 9 7 ×

〃 최영태 782-4057 25 24 14 10 ○

〃 최옥희 783-7004 10 7 4 3 ×

〃 전인배 782-6033 17 16 9 7 ×

〃 전운선 782-4059 40 27 12 15 ×

〃 김만술 782-4354 8 9 7 2 ×

〃 도치원 782-1762 100 69 39 30 ○

〃 전이배 782-4086 100 65 40 25 ○

〃 도병용 782-4061 25 20 11 9 ×

원남면 신흥리 신성복 782-6735 100 7 7 - ×

Page 24: 제5절 농업생산 1. 식량작물의 생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 · 2017-11-14 · 읍·면별로 조금씩 재배되었으며, 종자가 “의이인(薏苡仁)이라는

됨에 따라 많은 양잠농가들이 누에고치의 생산보다 누에동충하초를 생산하고 있다. 울진군

내에서도 19개 양잠농가 중에서 4개 농가에서 소규모로 누에동충하초를 생산하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3) 뽕밭의 현황

  울진군 지역은 행정적으로 경상북도에 속하지만, 자연 지리적인 입지조건이 연평균기온

10℃ 내외이고, 강우량은 연중 1,000~1,500㎜의 분포로서 우기와 건조기가 명확히 구분되

어 양잠을 하기에 적당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1997년 현재 뽕밭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표 4-38>과 같다.

<표 4-38>  양잠 및 뽕밭의 현황 (1997년)

자료 : 울진군 산업경제과, 1998.

  1997년 현재 군내 양잠농가는 21호이며, 봄누에와 가을누에의 사육은 봄누에 229상자,

가을누에 196상자에서 고치의 생산은 단지 240kg에 불과하고, 건조누에분말의 생산은

2,122kg에 달하여 사육되는 누에의 대부분은 건조누에분말을 생산하기 위한 양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양잠소득은 봄누에와 가을누에 모두 1억5천5백5십9만원에 이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에는 누에분말 및 누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효능이 알려지면서부터

누에고치를 생산하기 위한 양잠농가 보다 한약재 및 건강식품의 원료로 이용되는 누에분말

과 동충하초를 생산하는 양잠농가를 육성하여 양잠농가의 소득증대에 힘써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읍면수양잠농가수

(호)

뽕밭면적

(ha)

누 에 사 육 (상자) 고 치 생 산 (kg)

봄 가 을 계 봄 가 을 계

5 21 24.1 229 196 425 240 - 240

건 조 누 에 (kg) 양 잠 소 득 (천원) 주 요 양 잠 시 설 보 유

봄 가을 계 봄 가을 계 잠실(동)건조기

(대)

분쇄기

(대)

생력양잠시설

(조)

1,110 1,012 2,122 86,050 69,540 155,590 47 14 1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