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61
861 제2장 인물 제2절 조선시대의 인물 1. 충의( 忠義 ) 의병장 강희보(姜希輔) :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봉강면 신촌에서 강천상(姜天祥)의 아 들로 태어남. (※강천상은 부사를 지낸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직위는 후에 추존된 것으로 보임)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자 아우인 희열(希悅)과 더불어 백의창의(白衣倡義)하여 인근 마을장사 100여명을 모았음. (백의로 창의한 그의 밑에 100여 명의 사람이 모였다는 것은 평소 강희보의 덕행과 학식을 추측 케 하여 줌) 그는 군사를 이끌고 그에 앞서 단성(丹城, 경상도 산청군에 속함)에서 적과 싸우고 있는 백부인 강인상을 구하 기 위하여 달려가 함께 싸웠음. 한편 1593년 6월에 왜가 10만 대군으로 진주성을 포위 공격하였는데 이때는 명과 왜가 강화 를 위하여 외교적 접촉을 벌이고 있던 때였으므로 관군들은 관 망하는 태도를 취하게 되어 진주성은 고립무원의 상태였음. 이 당시 강희보는 강인상의 아들이자 그에게 사촌동생이 되는 희 원∙희복과 함께 진주성의 창의사 김천일의 휘하에 들어갔음. 한편 구례의 석관주(하동∙구례∙광양 사이에 있는 전략적 요 충지)를 지키던 강희열(姜希悅, 강희보의 동생)도 곧 진주성으 로 달려왔음. 1593년 6월에 21일간의 왜군과의 치열한 공방 전 속에서 강희보는 1593년 6월 27일 장렬한 최후를 마쳤으 며 이 전투에서 희보∙희원∙희열∙희복(년장순)의 4형제가 모두 순절하였음. 뒷날 조정에서는 희보∙희열 형제를 진주 창 열사(彰�祠)에 배향하였고, 영조 40년에는 희보에게 호조좌 랑(정6품)이, 희열에게 병조참의(정3품)가 추증되었음. 1970 년 진주강씨 문중과 광양의 유림 및 유지들이「의병장 강희 보∙강희열 형제장군 숭모회」를 발기 창립하여, 다음 해에 국 가보조로 묘소를 보수하였고, 1974년에는 광양군비와 독지가 의 찬조로 묘비가 건립되었으며 그 이후 2번에 걸쳐 묘역정화 사업이 이루어져오다 1998~ 2003년에 걸쳐 묘역아래에 형제

Transcript of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Page 1: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1

제2장 인물

제2절조선시 의인물

1. 충의(忠義)

� 의병장 강희보(姜希輔) :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봉강면 신촌에서 강천상(姜天祥)의 아

들로 태어남. (※강천상은 부사를 지낸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직위는 후에 추존된 것으로 보임)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자 아우인 희열(希悅)과 더불어 백의창의(白衣倡義)하여 인근

마을장사 100여명을 모았음. (백의로 창의한 그의 밑에 100여

명의 사람이 모 다는 것은 평소 강희보의 덕행과 학식을 추측

케 하여 줌) 그는 군사를 이끌고 그에 앞서 단성(丹城, 경상도

산청군에 속함)에서 적과 싸우고 있는 백부인 강인상을 구하

기 위하여 달려가 함께 싸웠음. 한편 1593년 6월에 왜가 10만

군으로 진주성을 포위 공격하 는데 이때는 명과 왜가 강화

를 위하여 외교적 접촉을 벌이고 있던 때 으므로 관군들은 관

망하는 태도를 취하게 되어 진주성은 고립무원의 상태 음. 이

당시 강희보는 강인상의 아들이자 그에게 사촌동생이 되는 희

원∙희복과 함께 진주성의 창의사 김천일의 휘하에 들어갔음.

한편 구례의 석관주(하동∙구례∙광양 사이에 있는 전략적 요

충지)를 지키던 강희열(姜希悅, 강희보의 동생)도 곧 진주성으

로 달려왔음. 1593년 6월에 21일간의 왜군과의 치열한 공방

전 속에서 강희보는 1593년 6월 27일 장렬한 최후를 마쳤으

며 이 전투에서 희보∙희원∙희열∙희복(년장순)의 4형제가

모두 순절하 음. 뒷날 조정에서는 희보∙희열 형제를 진주 창

열사(彰�祠)에 배향하 고, 조 40년에는 희보에게 호조좌

랑(정6품)이, 희열에게 병조참의(정3품)가 추증되었음. 1970

년 진주강씨 문중과 광양의 유림 및 유지들이「의병장 강희

보∙강희열 형제장군 숭모회」를 발기 창립하여, 다음 해에 국

가보조로 묘소를 보수하 고, 1974년에는 광양군비와 독지가

의 찬조로 묘비가 건립되었으며 그 이후 2번에 걸쳐 묘역정화

사업이 이루어져오다 1998~2003년에 걸쳐 묘역아래에 형제

Page 2: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2

의병장을 배향하는 사당을 건립하 음.

� 의병장 강희열(姜希悅) : 봉강면 신촌 출신. 원래 풍자가 수려하고 기골이 장 하 는데

무과에 합격하여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인 강희보 보다 앞서

모집한 장사를 이끌고 단성(丹城; 경상도 산청군에 속함, 경상

도에서 호남에 이르는 요역)에서 백부인 강인상과 더불어 왜

군을 저지하 음. 흔히들 희보∙희열 형제는 함께 의병을 일으

켜 그 행동을 늘 함께 했던 것으로 이야기되었으나 희보는 순

수한 백의창의 던데 비하여 이미 무과에 합격한 희열은 일정

한 군사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신분이었음을 알 수 있음. 따라

서 강희보를 중심으로 광양에서 일어난 의병들은 희보의 지휘

아래 진주성 싸움에 참가하 으며 이때 희열은 석주관(石柱

關)에 여러 읍(邑)의 군사를 지휘하고 있다가 그 군사를 이끌

고 희보의 뒤를 이어 진주성 싸움에 참가하 음. 또한 그 아들

인 승훈 역시 아버지를 따라 전투에 참여하 다고 전함. 형 희

보의 뒤를 이어 진주성 싸움에 참가하 던 그는 1593년 6월

27일 형이 순절하자 복수를 다짐하며 더욱 맹렬히 싸우다 동

년 6월 29일 성의 함락과 더불어 장렬한 최후를 마쳤음. 진주

창열사에 배향되었고, 조때 병조참의(종3품)에 추종되었음.

현재 그의 묘는 봉강면 신룡리 신촌마을 뒷산에 형 희보와 함

께 나란히 안장되었음.

� 김온(�溫) : 광양읍 덕산 출신. 임진왜란때 수군 광양선(光陽船)의 도훈도(都訓導)로

써 1592년 7월 11일 이순신의‘제3차출정’때 안골포전(安骨浦戰)에서 용

감히 적에게 진격 하다가 김담화(�談化)와 같이 전상을 입었음.

� 김천록(�天祿) : 골약동 금곡 출신. 여주판관으로 있을 당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군량

을 운송하는데 큰공을 세웠으며 제2차 진주성싸움에서 김천일∙최경

희장군과 함께 끝까지 항전하다 장렬하게 순절함. 조정에서 선무원종

공훈록에 2등훈반열에 기록하고 1891년 조정에서 정려를 세웠는데

당초 광양읍 용강리 국도변에 있었으나 1982년에 출생지인 골약동 금

곡마을앞으로 이전하고, 동년에 유당공원에 이건사적비를 세움

� 김연우(�延佑) : 경주 김씨로 자(字)는 연수(延壽)이며 현령(縣令) 금( )의 아들. 효

성이 지극하고 친구에 한 의리가 두터웠으며 용감하고 지략이 뛰어

났었음. 1579년(선조12)에 무과에 급제하여 전부장(前部長. 5위에 속

제10편 인물

Page 3: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3

제2장 인물

한 종6품의 무관)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을 당하자 아우인 부장(副長)

한우(漢佑)와 함께 이여송(�如松) 진(陣)에 합류하여 평양성 탈환에

참가, 많은 전공을 세우고 전사하 음. 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 원종

훈보다 공이 큰 훈공)록에 올랐음.

� 김두남(�斗南) : 임진왜란때 수군 별군(別軍)으로 광양선을 타고 1592년 7월 11일 제

3차출정때 안골포전(安骨浦戰)에서 유조(柳條)와 같이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하 음.

� 김담화(�淡化) : 임진왜란때 수군 광양선 격군(格軍)으로 1592년 7월 11일 안골포전

에서 김온(�溫)과 같이 전상(戰傷)을 입었음.

� 김 례(�大禮) : 1573년 진월면 송현 출신. 충신. 김해인(�海人). 자는 여 (汝大). 호

는 성재(誠齋). 현감 중량(仲良)의 손이며 가선 부 한호(漢浩)의 아

들. 1598년 정유(丁酉)재란시 당년 25세로 묘도전투에서 순절함. 선

조조에 무과에 급제하 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이끌고 큰

공을 세웠으며, 정유재란시 섬진강 입구에서 왜군과 싸워 승을 거둠.

선무원종공신록에 등재되었으며 1856년 진월면 송금리 송현마을에

공신각 정려비가 세워졌음.(1968. 5월 발행한『전남도지2』와『朝鮮

輿勝覽』에 기록되어 있음.)

� 김사례(�師禮) : 1570년 진월면 송현 출신. 공신, 본관은 김해(�海), 자는 여중(汝仲),

공신 김 례(�大禮)의 친형. 훈련원 주부(主簿). 임진왜란시 충무공

좌수 진에서 많은 승전을 하여 선무원종 공신 2등에 올랐으며, 호남

삼강록에 등재됨.

� 김헌룡(�憲龍) : 광산 김씨로 자(字)는 문겸(文兼)이고 조학(早學)의 손자. 원래 용맹

이 뛰어나고 힘이 장사 음. 임진왜란시 부산에 쳐들어온 왜장에게 큰

소리로 꾸짖었음. 조정에서 장계(�啓)의 소식을 듣고 진별장(津別將)

의 벼슬을 내렸음.

� 김덕룡(�德龍) : 광산 김씨로 자(字)는 문옥(文玉)이고 용맹스럽고 책략적이었음. 임진

왜란시 정병(精兵)을 이끌고 1592년 7월 8일‘이순신의 3차출정’시

한산섬 싸움에서 왜적을 격파하 음. 조정에서 그 공으로 동래부사(東

萊府使)를 명하 음.

� 김경준(�景俊) : 김해 김씨로 1869년(고종6. 己巳) 3월 24일 광양민란이 일어났을 때

70여명의 난도들에게 현감 윤 신(尹榮信)이 붙잡혔으나 어렵게 탈

출하여 많은 반격군을 조직하여 광양성을 수복하 는데, 이때 김경준

Page 4: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4

의 공이 크게 인정되어 통정 부(通政大夫)로 추서되었음.

� 박 복(朴大福) : 1567년 진월 신아리 아동 출신. 자는 선부(善夫). 생원 기현(綺玄)의

손자임. 1582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주부(主簿)관직을 역임함. 1592

년 임진왜란시 이순신장군의 휘하에서 한산도 전에 공을 세우고 전

사함. 선무원종공훈록에 등재됨.

� 박성춘(朴成春) : 승평 박씨로 1573년(萬曆癸酉)에 무과에 합격하여 주부(主簿. 從6품)

가 되었음. 임진왜란 당시 상주포(尙州浦)의 권관(權官)으로서 이순신

을 따라 1592년 7월 8일‘제3차 출정’때 거제도 앞 한산섬 앞바다에

서 왜의 적선에 돌격하다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하 음. 절충장군

(折衝將軍)을 추증받았고, 『선무원종1등훈록』에 올랐음. 죽기 전에 아

들 이량(以良)에게 원수를 갚을 것을 유언하고 눈을 감았음.

� 박이량(朴以良) : 박성춘의 아들. 임진왜란 때 아버지를 따라 종군하면서 훈련첨정(訓練

僉正. 종4품관직)을 받았는데 아버지 성춘이 전사하자 시체를 업고와

서 빈소에 안치한 후 즉시 가동(家童)을 인솔하여 순천부 권준(權浚)

과 협력하여 토량에서 왜군을 쳐부수며 크게 이기고 돌아옴으로서 그

공으로 덕진관(德鎭官) 적량수군도위(赤梁水軍都尉)를 제수받았음.

그 후 계속 적을 무찌르다가 전사하니 과의교위(果毅校尉)∙소위장군

(昭威將軍)∙건공장군(建功將軍)을 추증받고『선종원종훈2등록』에

올랐음.

� 백내은(白內隱)의 손자 (이름미상) : 임진왜란때 수군으로 광양선의 사부(射夫) 는데

1592년 5월 29일‘이순신의 제2차출정’때 당황포 해전에서 남산

수∙서천동 과 같이 전상을 입었음.

� 백낙구(白�九) : 호(號)는 운정(雲亭). 1905년 11월 17일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원주∙제천∙청풍∙횡성∙홍천 등지에서 국권회복을 위한 의병들이

일어났음. 1906년 가을, 광양에서는 백낙구∙김상기(�相璣)∙이항

선(�恒善)∙노원집(�元執)∙채상순(蔡相淳)∙유병우(�秉禹) 등

이 의병을 일으켰는데 이 소식을 듣고 수백명이 참가하 음. 거기서 백

낙구는 사령장(司令長)에 추 되었음. 그리하여 각 지방에 격문을 돌

리고 11월 6일 밤 순천읍으로 쳐들어가려 하 으나 그 계획이 누설되

어 주모자 7명이 체포되어 강진 고금도(古今島)로 유배되었다가

1907년 석방되었으나 고문으로 눈이 멀었음. 그러나 다시 교자를 타

고 의병을 일으켜 전북 태인군 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하 음. 『매

제10편 인물

Page 5: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5

제2장 인물

천야록』에 의하면 백낙구 는 전주 사람인데 광양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고 기록되어 있음.

� 서천동(徐千童) : 임진왜란 때 수군으로 광양선의 방포장(放砲匠. 포를 쏘는 수군)이었

는데 1592년 5월 29일‘이순신의 제2차출정’때 당황포 해전에서 남

산수와 같이 전상을 입었음. (당시 광양선의 수군은 135명부터 155명

정도 을것으로 추정되나 기록이 없어 그 이름을 알 수 없음)

� 선동(先同) : 성씨를 알 수 없음. 임진왜란때 수군으로 광양선의 격군(格軍. 사공의 일을

돕던 수군) 이었는데 1592년 7월 11일‘이순신의 제3차출정’안골포전에

서 김온∙김담화 와 같이 전상을 입었음.

� 서상설(徐尙卨) : 이천 서씨로 진월면 송금출신. 1629년 무과에 합격하 는데 1636년

(인조14) 병자호란 때 적을 막아 싸운 공이 많았음. 구진 장(大邱

鎭營將), 백령수군절도사(白領水軍節度使)를 역임하 고, 후에 호가

공신(扈駕功臣)으로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증(贈)하 음. (10 손,

옥룡면 죽천리 서병기)

� 서명팔(徐命八) : 중마동 오류 출신. 이천 서씨로 자(字)는 사구(士久)이며 처사 종로

(宗魯)의 아들. 공은 충효심이 지극하고 지략이 뛰어났음. 1728년(英

祖4년) ‘정희량(鄭希良)의 난(�)’이 순천에까지 확 되자 의병을 이

끌고 가서 이채한(�埰漢. 절충장군)∙송흠명(宋欽明. 상호군)과 합력

전진할때 공(公)이 모사가 되어 적을 참살하는데 공이 많았음. 그 공을

상계하여‘절충장군 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 衛副護軍)’을 제수

받았음.

� 성기수(成耆壽)와 성태수(成台壽) : 성기수는 창녕 성씨로 자(字)는 희원(希遠)이고 무

정공(武靖公) ‘윤문’의 아들. 선조조에 무과에 합격하 음. 1597년

(선조30) 정유재란 때는 연해안의 경비를맡은 장수가 되었고, 일본

으로 후퇴하는 왜군을 추격하여 큰공을 세웠음. 그 공으로 지중추(知

中樞. 정2품무관)가 되었으며 그 아우 성태수(成台壽)도 무과에 합격

하여‘강계병마 첨제절사’(江界兵馬 僉節制使. 鎭營에 속한 3품의 무

관직)를 역임하 음.

� 승병장(僧兵將) 성휘(性輝) : 속성(俗性)은 기씨(奇氏). 백의종군한 이순신이 1597년 8

월 8일 초계(草溪)를 떠나 진주∙광양두치(섬진진)∙화개∙구례∙

곡성을 거쳐서 순천에 도착하 음. 순천에서 그를 찾아온 중 삼혜(三

惠)에게 승군을 조직하도록 하 음. 이로 인하여 옥룡면 동곡리에 있

Page 6: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6

는 송천사 주지 성휘는 승군을 조직하여 중흥사에서 훈련한 후 우돌

격장(右突擊將)이 되어 강희열 장군과 함께 섬진강 위의 요새인 석주

관(石柱關)을 지키며 많은 적을 격퇴하여 공을 세웠음.

� 장봉옥(張峰玉) : 1752년 광양읍 세승마을 출신. 전라수군절도사

� 회은(悔隱-應俊) : 승병장이며 속성은 기씨(奇氏). 응준(應俊)은 법명(法名)인데 남원

에서 태어났으나 옥룡면 동곡리에 있던 송천사(松川寺)의 스님이었

음. 그는 벽암 사(壁巖大師)의 제자로 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스승을 따라 전공(戰功)을 세워 양호도총섭(�湖都摠攝)∙팔방

도총섭(八方都摠攝)이 되어 남한산성에 머무르며 많은공을 세워 가

의(嘉義. 종2품)∙자의(資憲. 정2품)∙정헌(正憲. 정2품)으로 승진

되었다. 1672년(顯宗13)에 86살로 입적하 는데 그의 문도(門徒)

인 처상(處祥)∙광학(廣學)∙등팽(等 )∙옥청(玉淸) 등이 처능(處

能)을 찾아가 비의 명문(銘文)을 부탁하여 1677년 송천사에 회은장

로비(悔隱長�碑)를 세웠는데 절은 불타고 없어졌으나 그 비(碑)는

지금까지 송천사지(松川寺址. 옥룡면 동곡리 동천가의 사지) 에 남아

있음.

� 송홍렬(宋弘烈) : 선조때 무주부(武主簿)이며 제주판관(濟州判官)으로 부임하여 의병

을 모집하여 왜적을 크게 무찔 음.

� 이채한(�埰漢) : 완산 이씨로 자(字)는 하향(厦鄕). 기개가 강직하고 용맹하며 지략이

뛰어났음. 정희량이 순천에서 난을 일으켜 그 난이 확 해질 때 사위인

상호군 송흠명과 더불어 지기인 서명팔과 함께 의거하여 난을 진압하

음. 이 사실을 안 조정에서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5위장절

충장군(五衛將折衷將軍) 용양위부호군(� 衛副護軍)을 제수하고 사

후에 병조참의를 추증하 음.

� 이준(�浚) : 원주 이씨이며 자(字)는 순지(順之). 선조 초에 무과(武科)에 합격하 음.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광양읍 용강리 마로산성(馬老山城)에 진을

치고 적의 병을 격파하 음. 그 공으로 의주부사(義州府使)를 제수하

으나 거절하 음. 그 후 인조(仁祖)때 청(淸)이 황제를 칭(稱)하여 우리나

라가 종속할 것을 위협하자 이준은 장계(�啓)를 올려 화청을 거절하고 청

의 사신을 참(斬)할 것을 주장하 음. 그가 죽은 후에는 그 공을 기리기 위

하여 월남서원(月南書院)을 세워 제사지내고 있음. (『호남의절록』의 기록)

� 이근구(�根求) : 완산 이씨로 자(字)는 덕회(德晦). 1568년(고종5) 병인양요(丙寅洋

제10편 인물

Page 7: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7

제2장 인물

擾)가 발발하자 인근 7읍의 종친들을 거느리고 상경하여 척양(斥洋)

을 주장하고, 사인(士人) 민의행(閔誼行)과“의리의 경중에 따라 살고

죽는것이 선비”임을 서신으로 왕래하고 함께 전주에 이르니 진사 남

궁렴(南宮濂)이 그 장한 의리를 시로서 찬양하 음.

� 임우화(�遇華)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야에서 몸을 일으켜 의병장 강희보의

부장(副將)이 되었음. 『진양지』에 임우화는 경서에 박통하고 담략을

겸비하여 진중의 여러 장수들이 정중하게 하 다고 기록되어있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 강희보의 부장으로 참전하 다가 1593년 6월

22일 순절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안방준의『음봉전서(陰峰全

書)』에는 그가 강희보의 명령으로 응원군을 청하러 성밖에 나갔다가

왜군에게 붙잡혔으나 하동에서 탈출하 다고 되어있음.

� 정수천(鄭壽天) : 1869년(고종6. 己巳)에 광양민란시 현감 윤 신이 붙잡혔으나 어렵

게 탈출하여 반격군을 조직하여 광양성을 수복하 음. 이때 정수천은

김경준 과 더불어 광양성 수복에 큰 공을 세웠음. 그 공으로‘통정

부’가 되었음.

� 함덕립(咸德立) : 강릉 함씨로 자(字)는 사인(士人). 무주부(武主簿)로 임진왜란때 의

병을 일으켜 권율장군 막하에 들어가 행주 첩(幸州大捷)에 큰 공을

세우고 적의 총에 맞고 순직하 음. 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에 올라

있음.

� 황 업(黃大業) : 창원 황씨로 진상면에서 태어났음. 임진왜란이 일어난 2년 후인 1594

년에 둘째동생 부호군(副護軍) 성업(性業)과 막내동생 통정(通政) 사

업(嗣業)과 함께 가동(家 )을 거느리고 왜적에게 기습작전을 폈으나

적에게 붙잡혀서 일본까지 끌려갔음. 만년에 풀려나서 고향으로 돌아

와 통정에 이르 음.

� 이가우(�嘉宇) : 완산 이씨로 1854년(철종5)에 무과에 합격하여 선전훈련판관(宣傳訓

練判官)을 역임하면서 항상 직언을 서슴치않고 충언을 함으로서 세도

정치에 휩쓸린 왕정복구를 위해 충정을 다하 음.

� 이홍무(�烘武) : 전주 이씨로 자(字)는 달오(達吾). 증 가선장례원부향(贈 嘉善掌禮院

副鄕)으로 품성이 수범하고 덕(德)이 출중하여 부모에게 효도하고 벗

에게 신의를 다하 음. 매년 명절이 되면 60여호의 마을에 고기와 쌀

을 나누어주었음. 1898년(고종31)에 동학혁명이 일어나 사회가 혼란

해지자 현감인 조중협(趙重燁)이 초청, 수습책을 상의하고 있을 때 난

Page 8: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8

중(�衆)이 돌입하니 좌우실색(失色) 하 으나 이홍무만이 나서서 난

중을 설득하니 노기가 등등하여 총을 겨누고 쏘려하 으나 태연하게

‘백성을 돌보지 않고는 다스릴 수 없다는 것’과‘그러하지 못할때는

자기가 먼저 죽을수밖에 없다는 것’을 설득하여 화로서 평화롭게 질

서를 유지할 수 있었음.

� 채구연(蔡九淵) : 채구연은 조선중종 23년(1528년) 2월 14일 광양현 진하면 장치리(진

월면 망덕리 장재)에서 출신. 자는 자정(自靖), 호는 청허(聽虛) 나이

36세 되던 해인 명종 19년 갑자년(1564년)에 과거에 합격함. 선조 신

묘년(1591년)에 양부사(그때 나이 64세)에 임명. 노쇠에도 불구하

고 부임 즉시 성지를 수리하고 병졸을 훈련시켜 공수를 굳게 하 으며

1592년 4월 과로로 양부사직을 사임하고 후임으로 박진(朴晋)이

임명되었는데 양백성들이 난국을 감당할 수 있는 적임자인 채구연

을 다시 유임시켜 줄 것을 경상감사에게 진정, 하회를 기다리던 중 동

년 4∙15일 부산∙동래∙울산이 왜구에 점령당하자 양부사 박진과

함께 전투에 임하다 성이 함락되자 장렬하게 맞서 싸우다 양성에서

순절함, 동년 10월 선조께서 공의 충의를 가상히 여겨 어명으로 장례

를 치르도록 하고 석구를 갖추고 제전(祭田)을 수여하고 수호인을 두

어 묘역을 보호토록 하 음. 당시 함께 싸우다 전사한 군관과 막하동지

6명을 공의 묘지에 속장(모두 10기)토록 선조께서 허락하시었다고 전

하는데 현재는 5구만 남아있고 당시 석비(石碑)를 세웠으나 왜정시

일본인들이 비문을 읽어보고 깨트려 버렸다고 전함. 1975년 국비를

들여 묘역정화 사업시 막하동지의 봉분속에서 오래된 나무토막이 출

토되었다고 전하고 있음.

� 허수익(許守益) : 1593년(선조27)에 무과에 합격하 음. 수문장이되어 임진왜란때 왜

적을 격퇴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형(兄) ‘수겸’과 같이 왕(王)이 의주

로 몽진하 을 때 왕을 호위하여 임란극복에 공을 세웠음. 그 공으로

참청난공신(參淸難功臣)이 되었음.

� 허수겸(許守謙) : 김해 허씨로 봉강면에서 태어났으며 자(字)는 이옥(而玉)임. 1588년

(선조21)에 과거에 합격하여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는데 임

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의주로 몽진할 때 동생‘수익’과 함께 왕을 호위

하여 임란극복에 공이 컸음. 그 공으로 병조정랑(兵曹正郞)으로 승진

되었다가 강진현감이 되었으며 1605년 청난공일등(淸難功一等)이 되

제10편 인물

Page 9: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69

었고, 공주목사(公州牧使)를 연임한 뒤 나이가 많아 물러나와 비봉산

밑에서 후학을 가르쳤음. 후에 이조참의(�曹參議)의 추증을 받았음.

� 이광악(�光岳) : 전라병사(全羅兵使)로서 1597년(선조30) 12월 18일에 왜병들이 점

령하고 있던 광양 탈환전을 벌린 장령(將領)이었음. 18일 밤에 광양성

을 포위 하자 순천 왜교성의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 가 구원하

여 아군의 측면을 공격하므로 아군은 패하여 흩어지기 시작했음. 이때

구례현감 김응서(�應西)가 전사하 음. 이광악은 적의 군기를 민가

에 세워 적을 유인하여 치기도 하고, 아군에게 왜군의 군복을 입혀 유

격전을 벌리기도 하며, 지리를 이용하여 기습전을 벌리기도 하는 등,

격동격서(擊東擊西)로 허실의 묘(妙)를 다하여 크게 격파하자 드디어

견디지 못하고 왜군이 광양에서 왜교(倭橋)로 모두 철수하고 말았음.

(이광악은 광양사람은 아님)

2. 문과(文科)

� 최산두(崔山斗) : 성종13년(1482) 4월 10일 봉강면 저곡출신. 그의 어머니가 그를 낳

을 때 북두칠성의 정기가 백운산에서 내린 연유로 산두(山斗)라 하

는데‘山’자는 백운산의 정기를, ‘斗’자는 북두칠성의 기를 각각 뜻

한다고 전함. 그의 부친은 한성판윤에 증함을 받았던 한 (漢榮)이며

어머니는 청주한씨 으며 8세때부터 시를 지었는데 어려서부터 학문

에 뛰어난 소양을 가지고 있어 22세 되던 1504년 그는 진사에 올랐고,

31세 되던 1513년 봄 2월에 별시 문과에 급제함. 진사시절에 홍문관

(弘文館)에 오르는 데는 출신성분의 배경(가문이 미미함)보다도 그의

덕행과 빼어난 문장에 힘입은 바 컸다고 하며 홍문관에서 그는 수찬

(修撰), 검토관(檢討官), 정언(正言)을 거쳐 마침내 젊고 재주있는 문

신들로 구성된 임금의 특명을 받은 사람들이 공부하던 호당(湖堂 : 독

서당의 별칭)에 오름. 37세 되던 기묘년(1519년)은 그의 운명을 가름

하던 해로 당시 의정부 사인(舍人)으로 있던 그는 기묘사화에 연루되

어 화순 동복에 유배됨. 인종때 거유 하서(河西) 김인후(��厚)가 최

산두에게 사사하 던 사실이 확실시되고 있으며, 그의 유배생활은 어

떤 면에서는 낭만적이고 관조적인 것이었음. 많은 사람들이 그를 찾아

학문으로 교류하 으며, 그는 물염(勿染)과 적벽(赤壁)간을 오가며 많

제2장 인물

Page 10: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0

은 시를 지었는데 이 때 그가 적벽을 이름지었다 하는데 지금은 관광

명소가 되어있음. 그는 유배당한지 15년만인 1533년에 자유의 몸이

되었음. 그의 유배생활중 그의 아버지가 죽었고(1520년), 부인인 이천

서씨가 죽었으며(1527년), 1534년에 모친인 청주한씨가 죽었으며 어

머니를 잃은 두해 뒤인 병신(1536)년에 54세를 일기로 사망함. 그의

사후(死後)인 1578년 현 광양읍 우산리에 봉양사가 세워져 그의 위패

를 모셨으며 그후 화순 동복에도 도원서원(道源書院)이 세워져 사액

되었음. 「제2편 역사 제3장 3절 참조」

� 구봉령(具鳳齡) : 능성 구씨로 자(字)는 경서(景瑞)임. 이조판서겸 예문관제학(�曹判

書兼 藝文館提學), 춘추관겸 교서(春秋館兼校書), 홍문관부제학(弘文

館副提學)을 역임하 음.

� 최정길(崔丁吉) : 최산두의 아들로 자(字)는 계범(季範). 중종조에 문과에 합격하여 승

문원 저작(著作), 홍문관 수찬(修撰), 사간원 헌납(獻納), 사헌부 장령

(掌令)을 역임하 음.

� 안창범(安昌範) : 1835년 진월면 진목 출신. 고종12년(1875년) 문과에 등과하여 사간

원(司諫院) 경연과 사헌부(司憲府)의 지평(持平)을 역임함. 조선조를

통하여 8명의 광양인이 문과에 등재하는데「국조방목(國朝榜目)에 의

함」안창범은 그중의 한사람임.

� 이춘원(�春元) : 함평 이씨로 첫 이름은 신원(信元). 경인년에 진사(進士)가 되고, 병신

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관찰사(觀察使)를 역임하 음.

� 박문용(朴文�) : 양 박씨로 예(藝)의 아들. 1570년(선조3)에 식년방 병과(式年榜丙

科)에 합격(26명)하여 승문관 교리(校理)로 있다가 안음현감(縣監)

에 재직하 음. 문장력이 좋아 그가 지은「사마이여부(司馬以與賦)」

는 그 문명이 높음.

� 박린(朴璘) : 함양 박씨로 선조조에 문과에 합격하여 신창현감(新昌縣監)을 역임하 음.

� 정인관(鄭仁寬) : 광산 정씨로 1552년(명종7) 식년방 병과(式年榜丙科) 26명 중에 합

격하여 양부사(密陽府使)를 역임하 음.

� 정접(鄭渫) : 광산 정씨로 1576년(선조9) 식년방 병과(式年榜丙科) 24명 중에 합격하여

나주목사(羅州牧使)를 역임하고 1597년 충청감사를 그만두면서 말년을 소

일할 뜻으로 다압면 도사리에‘수월정(水月亭)’을 세웠음.

� 채구연(蔡九淵) : 「충의편」참조

� 채우상(蔡佑祥) : 봉강면 동석 출신. 중종조(1552)에 문과에 합격. 판서를 역임함.

제10편 인물

Page 11: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1

제2장 인물

(※1798년에 간행된 광양현 읍지에서부터 고을 향토지에 줄곧 문과

에 기재되어 온 인물이나 국조방목 에는 없음)

� 탁신(卓愼) : 광산 탁씨로 자(字)는 계위(係危)이며 판서 광무(光茂)의 아들. 고려 공민

왕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조선조에서 보국참찬(輔國參贊: 의정부의 정2품)

을 역임하 음.

� 허수겸(許守謙) : 1588년(선조21) 식년방 병과(式年榜丙科)에 23명 중에 합격하여 공

주목사(公州牧使)를 역임하 음. (충의편 참조)

3. 무과(武科)

� 강희열(姜希悅) : 임난때 조방장(助防將)으로 석주관을 지키다가 제2차 진주성 싸움에

참전하여 순직함. 증 병조참의(贈 兵曹參議). (충의편 참조)

� 강세림(姜世琳) : 월성만호(月城萬戶)

� 강재익(姜載翼) : 진주 정씨. 순조 조에 가선 부 수군 첨절제사(僉節制使). (6 손 진월

면 망덕리 강 호)

� 김만두(�萬斗) : 훈련판관(訓練判官) � 김시련(�時鍊) : 옥강만호(玉江萬戶)

� 김경(�坰) : 첨사(僉使) � 김만구(�萬球) : 훈련판관(訓練判官)

� 김우성(�宇成) : 훈련판관(訓練判官) � 김시현(�時顯) : 훈련판관(訓練判官)

� 김경삼(�慶三) : 청암찰방(淸岩察訪) � 김여기(�汝器) : 훈련판관(訓練判官)

� 김연우(�延佑) : 충의편 참조

� 김사례(�師禮) : 1570년 진월면 송현 출신. 공신. 선무원종 공신 2등(충의편 참조)

� 김 례(�大禮) : 1573년 진월면 송현 출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충의편 참조)

� 김후 (�厚英) : 훈련주부∙판관(訓練主簿∙判官)

� 김동발(�東發) : 훈련판관(訓練判官)

� 김용서(��瑞) : 김해김씨, 순조조에 선전관(宣傳官)

� 김민태(�敏泰) : 일명 주현(周鉉). 정해년에 합격. 선전관(宣傳官)

� 김정균(�正均) : 오위장(五衛將)

� 김주오(�周五) : 유방무사과(有方武司果). 『조선환여승람(朝鮮 輿勝覽)』

� 김재원(�載瑗) : 김령 김씨, 위선략장군(爲宣略將軍), 행용양부사과(行龍 副司果), 가

선 부, 증호조판서(贈戶曹判書). (진월면 월길리).

� 김봉현(�奉鉉) : 김령 김씨, 가선 부, 행용양부사과 (진월면 월길리).

� 김석하(�碩夏) : 김령 김씨, 무과급제, 장서진 마전(長瑞鎭營麻田)병마첨절제사(兵馬

Page 12: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2

僉節制使).

� 김사덕(�師德) : 훈련주부(訓練主簿) � 김형(�泂) : 첨사(僉使)

� 김주선(�周鐥) : 자(字)는 순오(蕣五). 무수 우후(虞侯營虞侯)

� 김천록(�天祿) : 울산 김씨. 무과에 급제. (충의편 참조)

� 남두청(南斗淸) : 훈련판관.

� 나성소(�成素) : 나주 나씨로 선조때 선략장군(宣略將軍), 행무신(行武臣)겸 선전관

(宣傳官). (12 손, 옥룡면 추산리 나종식)

� 배정휘(裵廷偉) : 성산인. 사련 부 사 동규의 후손으로 청암찰방(淸岩察訪)

� 박성춘(朴成春) : 승평 박씨이고 주부(主簿)로 이순신을 따라 거제 앞바다에서 왜선을

무찌르다 전사. 증(贈) 절충장군(折衝將軍), 선무원종1등훈(宣武原從

1等勳). (충의편 참조)

� 박이량(朴以良) : 박성춘의 아들, 훈련첨정(訓練僉正)으로 이순신을 따라 토량해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싸우다가 전사. 증(贈) 과의교위(果毅校尉) 소위장군

(昭威將軍), 선무원종훈2등(宣武原從勳2等).

� 박동선(朴東善) : 상산 박씨로 숙종조 병조의 부사과(副司果).

� 박 복(朴大福) : 1567년 진월 면 신아리 출신. 1582년에 무과에 급제. 선무원종공훈록

에 등재됨.(충의편 참조)

� 박인한(朴�漢) : 찰방(察訪)

� 백시형(白時衡) : 수원 백씨로 고종조에 용양위부사과(� 衛副司果)

� 백준청(白俊淸) : 황산찰방(黃山察訪)

� 백만규(白蔓奎) : 수원 백씨로 선조략장군(宣朝略將軍)

� 백후청(白後淸) : 황산찰방(黃山察訪)

� 서계속(徐繼續) : 이천 서씨로 훈련생 주부(主簿)

� 서용찬(徐�瓚) : 용양위 부사과(� 衛副司果)

� 서상설(徐尙卨) : 이천 서씨로 효종조때 무과등재 구 장(大邱營將), 증(贈) 병참(兵

參). (10 손, 옥룡면 죽천리 병기) (충의편 참조)

� 서봉록(徐奉祿) : 1623년 옥곡면 매동출신. 조선 통정 부 공정참의

� 서정국(徐正國) : 이천 서씨로 고종조때 무과행부사과(武科行副司果).

� 성기수(成耆壽) : 충의편 참조 � 성태수(成台壽) : 충의편 참조

� 손치경(孫致慶) : 훈련첨정(僉正) � 신명징(申命徵) : 첨사(僉使)

� 신 수(申大壽) : 현감(縣監) � 안범성(安範成) : 순응 안씨로 훈련판관(訓練判官)

� 안복화(安�和) : 순흥 안씨로 곡성현감(谷城縣監)

제10편 인물

Page 13: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3

제2장 인물

� 양연(楊演) : 청주 양씨로 훈련판관(訓練判官)

� 양신(楊信) : 청주 양씨로 찰방(察訪) � 양 수(楊大樹) : 청주 양씨로 병사

� 양주혁(�柱奕) : 1820년 진상면 목과 출신. 가덕진 수군첨절제사

� 양주섭(�柱燮) : 남원 양씨로 가선 부, 동지중추부사

� 양인환(�仁煥) : 남원 양씨로 통정 부, 사헌부감찰

� 우준두(禹俊斗) : 단양 우씨로 1889년 무과 병과에 급제. 1890년 선략장군 행용양위부

사과(宣略將軍行� 衛副司果)

� 윤심휘(尹心揮) : 파평 윤씨로 광양현감(진월면 망덕리)

� 이완 (�浣) : 완산 이씨로 철종5년, 선전훈련관

� 이참빈(�參賓) : 완산 이씨로 훈련판관(訓練判官)

� 이가우(�嘉宇) : 선전관(충의편 참고)

� 이문형(�文馨) : 전주 이씨로 순조(純祖)조에 울진 장(蔚津營將)

� 이규봉(�奎鳳) : 고종조에 무사과(武司果) � 이준(�浚) : 충의편 참조

� 이지선(�志善) : 전주 이씨로 무과합격. 고종때 을사난(乙巳�)을 토평(討平).

� 이현우(�顯宇) : 무사, 무과, 병과, 86명 합격자 중 합격(光緖17년 7월)

� 장진 (張震英) : 훈련판관(訓練判官) � 장형(張亨) : 찰방(察訪)

� 정기종(鄭起宗) : 회령만호(會�萬戶)

� 정윤조(鄭胤祖) : 진주 정씨로 훈련판관(訓練判官)

� 정사검(鄭思儉) : 진주 정씨로 무과 갑과 합격 � 주사성(朱思聖) : 훈련판관(訓練判官)

� 진성홍(陳成鴻) : 여양인(�陽人), 고종조에 무과 병과급제 한림학사

� 진수홍(陳洙鴻) : 일양인(馹陽人), 무부사과(武副司果)

� 최신강(崔信岡) : 훈련판관(訓練判官) � 최강(崔崗) : 평릉찰방(平�察訪)

� 최천택(崔天澤) : 평릉찰방(平�察訪) � 최득린(崔得麟) : 회령(會�)판관

� 허수익(許守益) : 임란때 수문장(守門將), 참청난공신(參淸難功臣).(충의편 참조)

� 허경(許絅) : 김해 김씨로 훈련판관, 병마절도(兵馬節度) 만호(萬戶)

4. 사마(司馬試: 小科=生員=進士)

� 곽천중(郭天重) : 생원(生員)

� 권한점(權瀚漸) : 안동 권씨로 순조조(1809년)에 생원됨 (6 손, 옥룡면 죽천리 권동구)

� 김곤 (�坤) : 광산 김씨로 생원(生員)

� 김시하(�時夏) : 1824년진상면원당출신. 김령김씨로자는자칠(子七). 고종조에생원(生員)

Page 14: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4

� 박성은(朴聖 ) : 승평 박씨로 생원(生員)

� 박중범(朴重範) : 양 박씨로 고종조에 생원(5 손, 광양읍 죽림리 박병기)

� 박휘진(朴徽鎭) : 승평 박씨로 생원(生員)

� 백구진(白垢鎭) : 수원 백씨로 순조조에 진사(進士)

� 변상옥(卞相玉) : 옥룡면 상운 출신. 초계 변씨로 고종조에 진사(進士)(3 손, 옥룡면 운

평리 변사성)

� 서달민(徐達民) : 이천 서씨로 고종조에 생원(손, 옥룡면 용곡리 서 순)

� 서지행(徐志行) : 이천 서씨로 순조조에 진사(옥룡면 추산리)

� 양우하(�宇夏) : 진사(進士)

� 유한성(兪漢聖) : 자(字)는 미여(美汝). 조조때 사마(司馬).

� 이중민(�重民) : 천 이씨로 선조조에 생원(生員)

� 이재숙(�在淑) : 전주 이씨로 고종조에 진사(進士)

� 이상협(�祥協) : 생원(生員) � 이상희(�尙熙) : 선조조에 생원(生員)

� 정백순(鄭伯淳) : 1886년 진상면 외회 출신. 통정 부행 돈 부

� 정원구(鄭院龜) : 1635년 옥곡면 의암 출신. 생원∙문행으로 유명함. ‘희양팔경’을 지어

향토지에 기록되어 전함. 「정진사문집」을 남겼는데 당시(1600년 )

송천사의 사세를 아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있음

� 정우형(鄭遇亨) : 하동 정씨로 생원(生員)

� 최석춘(崔錫春) : 탐진 최씨로 고종조때 생원(生員)

� 황하석(黃夏錫) : 창원 황씨로 순조조때 진사(進士)(제4권 마을지편 참조)

� 황면기(黃勉基) : 창원 황씨로 순조조때 생원(학행분야 참조)

� 최상구(崔相球) : 1861년 태인동 도촌 출신. 오위장(五衛將)

5. 음사 (蔭仕. 과거에합격하지않고벼슬을한사람)

� 강익무(姜翼武) : 군자봉사(軍資奉事) � 강세림(姜世琳) : 무만호(武萬戶).

� 강찬(姜讚) : 진주강씨로가선 부. 증공조참판겸오위도총부부총관(7 손망덕리강 호)

� 강침(姜 ) : 내자직장

� 강덕원(姜德元) : 진주 강씨로 통정 부 공조참의(8 손 망덕리 강 호)

� 강진제(姜晉悌) : 통훈 부(9 손 망덕리 강 호)

� 강 규(姜大奎) : 진주 강씨로 자(字)는 명수(明秀). 고종조때 건원릉참봉

� 강위현(姜渭衒) : 진주 강씨로 자는 초옥(楚玉). 진사 증 사복사정(進士贈司僕寺正)

제10편 인물

Page 15: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5

제2장 인물

� 강승화(姜昇 ) : 진주 강씨로 자는 형우(亨佑). 증 공조참판겸 오위도총부 총관

� 강위징(姜渭澄) : 진주 강씨로 정종조 때 통정 부

� 강태상(姜泰相) : 진주 강씨로 순조조 때 증 가선 부

� 강필윤(姜必潤) : 가선 부행감도진수군첨절제사(嘉善大夫行�島鎭水軍僉節制使)

� 고세명(高世明) : 장흥 고씨로 증 사복사정(贈 司僕寺正)

� 고양채(高�采) : 1799년생. 가선 부첨지중추부사호조참판(嘉善大夫僉知中樞府事戶曹參判)

� 고익두(高翊斗) : 행통정 부 승지경연삼찬관(行通政大夫承旨經筵纂官)

� 고문태(高文泰) : 행 통훈 부의금부도사(行通訓大夫義禁府都寺)

� 구사기(仇士奇) : 예빈참봉(�賓參奉).

� 구인조(具仁祖) : 능성 구씨로 자는 치인(致仁). 증 가선 부 첨지중추부사겸 호조참판.

� 길응택(吉應澤) : 해평 길씨로 1882년 강화부산성사고(江華府山城史庫) 참봉(參奉).

� 김의원(�義元) : 광양 김씨로 고려조때 태자태사(太子太師). 호부상서(戶部尙書). 좌복

사평장사(左僕射平章事). (신라 및 고려시 인물분야 참조)

� 김관(�瓘) : 전연직장(典涓直長). � 김두남(�斗南) : 전연직장(典涓直長).

� 김여경(�汝鏡) : 군자감의봉사 � 김 립(�英立) : 숙종조때 병절교위(秉節校尉).

� 김이한(�履恒) : 철종조때 경순왕전 참사(敬順王殿參事).

� 김오일(�五一) : 종조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 김재연(�載�) : 고종조때 가선 부.

� 김재필(�載必) : 광양읍 용두마을 출신. 증숭정 부(贈崇政大夫), 동지겸경연관의(同

知兼經筵官義). 금부도총관병조판서(禁府都摠官兵曹判書)

� 김시종(�時宗) : 고종조때 통정 부. � 김재홍(�載弘) : 고종조때 오위장(五衛將).

� 김효순(�孝錞) : 고종조때 중추부사 오위장(五衛將. 종2품).

� 김지섭(�之攝) : 고종조때 도사(都事. 관리의감찰관으로 종5품).

� 김종은(�鍾殷) : 고종조때 후릉참봉(厚陵參奉).

� 김주선(�周鐥) : 고종조때 전라 좌수 우후(虞後).

� 김이희(��熙) : 고종조때 가선 부 여도만호(�島萬戶).

� 김여건(�汝鍵) : 군자봉사(軍資奉事).

� 김보하(�輔夏) : 1874년 옥룡면 외산 출신. 봉교장사낭 의금부도사(奉敎將仕郞 義禁府

都事)(광무8년 통정 부)

� 김태혁(�太赫) : 김해 김씨로 1750년 광양현 다압면수(多鴨面首). 1758년 옥곡면수

(玉谷面首)

� 김석홍(�錫泓) : 김해 김씨로 1780년 광양현 좌수(座首)

Page 16: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6

� 김창익(�昌翼) : 김해 김씨로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 衛副護軍).

� 김흥두(�興斗) : 김해 김씨로 행오위장(行五衛將).

� 김판하(�判夏) : 광양읍 용두 출신. 증가선 부 첨지중양부사(贈嘉善大夫僉知中楊府事).

� 김온(�溫) : 광양읍 덕산 출신. 가선 부 광무구년구월 중추원의장훈1등.(4 손, 김상규)

� 김석우(�錫禹) : 옥룡면 갈곡 출신. 조선조 통훈 부 행사헌부감찰.

� 김상이(�相珥) :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行� 衛副護軍).

� 김명철(�命哲) : 김령 김씨로 가선 부 절충장군.

� 김상봉(�相琫) : 김해 김씨로 통훈 부(通勳大夫) 의금부도사.

� 김동발(�東發) : 무판관(武判官) � 김여기(�汝器) : 무판관(武判官)

� 김사덕(�師德) : 무주부(武主簿) � 김후 (�厚英) : 무판관(武判官)

� 김경삼(�慶三) : 무찰방(武察訪) � 김시련(�時練) : 무만호(武萬戶)

� 김시현(�時顯) : 무판관(武判官) � 김우성(�宇成) : 무판관(武判官)

� 김만두(�萬斗) : 훈련판관(訓練判官) � 김정길(�禎吉) : 고종조고군산진첨사

� 김재근(�載瑾) : 고종조가선 부겸오위장

� 김만구(�萬球) : 무판관(武判官). � 김동(�洞) : 무첨사(武僉使).

� 김태희(�泰熙) : 김해 김씨로 자(字)는 익삼(翼三). 훈련판관.

� 김상록(�尙祿) : 김령 김씨로 자는 서형(瑞亨). 호군오위장(護軍五衛將).

� 김용하(�容夏) : 김령 김씨로 자는 군익(君益). 오위장(五衛將).

� 김상기(�相沂) : 김해 김씨로 자는 채 (彩永). 오위장(五衛將).

� 김효호(�孝鎬) : 김해 김씨로 자는 규(永奎). 첨추(僉樞). (朝鮮 輿勝覽)

� 김응두(�應斗) : 김해 김씨로 자는 성화(聖和). 통정(通政).

� 김국택(�國澤) : 김해 김씨로 가선 부. � 김효현(�孝鉉) : 김해 김씨로 교관(敎官).

� 김학렬(�學烈) : 김해 김씨로 자는 중호(中號). 의관(議官=贊議)

� 김리태(�利泰) : 김해 김씨로 자는 처문(處文). 참봉.

� 김학조(�學照) : 김해 김씨로 자는 효열(孝�). 주사(主事).

� 김순석(�順錫) : 김해 김씨로 자는 치경(致京). 가선 부.

� 김재찬(�在澯) : 김해 김씨로 도사(都事)

� 김용기(�容琪) : 김해 김씨로 자는 기현(琪鉉). 자헌(資憲)

� 김재찬(�在澯) : 김해 김씨로 자는 윤숙(允淑). 통훈 부 행의금부도사

� 김학민(�學珉) : 김령 김씨로 자는 인국(仁國). 절충장군 행용양위 첨지중추부사(僉知

中樞府使).

� 김현규(�賢圭) : 김해 김씨로 자는 문익(文益). 행가선 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

제10편 인물

Page 17: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7

제2장 인물

� 김석 (�錫瑛) : 김해 김씨로 자는 재 (載英). 헌종때 통훈 부 사헌부감찰, 가선 부

호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 김재성(�再聖) : 김해 김씨로 자는 군서(君瑞). 증 가선 부겸 오위장(五衛將)

� 김학모(�學模) : 김령 김씨로 증 통정 부 공조참의(工曹參議).

� 김차인(�昌仁) : 김해 김씨로 자는 사일(士日). 증 가선 부 행용양위부호군(副護軍).

� 김인걸(�仁傑) : 김령 김씨로 가선 부

� 김상봉(�相琫) : 김해 김씨로 자는 치경(致敬). 통훈도사(通訓都事)

� 김연태(�淵泰) : 김해 김씨로 증 통정 부

� 김몽현(�夢炫) : 김해 김씨로 증 첨추(僉樞)

� 김상익(�相謚) : 김해 김씨로 증 가선 부 � 김석철(�錫哲) : 김해 김씨로 통정 부

� 남두화(南斗化) : 고종조때 통훈 부 황윤현감

� 남두청(南斗淸) : 훈련판관(訓練判官)

� 나한균(�漢均) : 나주 나씨로 의관(議官).

� 나윤징(�允徵) : 옥룡면 초장 출신. 자는 여상(汝尙). 1732년 행통정 부, 사헌부 장령

(掌令), 춘추관 편수관(옥룡면 초장 마을입구에 사적비가 있음)

� 나수현(�壽炫) : 옥룡면초장출신. 행통훈 부장례원(掌禮院) 장례(掌禮).(5 손, 나금선)

� 나진태(�鎭泰) : 종사낭돈 부(從仕郞敦�府) 도정(都正).(옥룡면 산남리)

� 나병균(�炳均) : 한균제관참봉(漢均第官參奉)

� 나종찬(�鍾贊) : 자는 인경(仁慶).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 나정채(�正埰) : 나주 나씨로 자는 환(永煥), 가선 부 은집자정부(恩集子政夫)

� 나도익(�燾翊) : 나주 나씨로 자는 찬항(贊恒). 고종조때 가선 부.

� 나상집(�箱集) : 나주 나씨로 자는 운서(雲瑞). 통정 부.

� 나병균(�炳均) : 나주 나씨로 가의 부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 나운집(�雲集) : 옥룡면 초장 출신. 나주 나씨로 조선 가선 부(증손, 나종완)

� 나한균(�漢均) : 나주나씨로자는군오(君五). 가선 부내부협판(嘉善大夫內部協辦)

� 나도동(�燾 ) : 나주 나씨로 자는 찬섭(贊燮). 통정 부 상집자(箱集子) 통훈 부.

� 나윤징(�允徵) : 옥룡면 초장마을 출신. 나주 나씨로 자는 여상(汝尙). 통정 부 사헌

부장령 겸춘추관(司憲府掌令兼春秋館) 편수관(編修官)

� 노 원(��源) : 금부도사(禁府都事).

� 문봉명(文鳳鳴) : 남평문씨로 자는 군서(君瑞). 통정 부 절충장군 용양위 부호군

� 박사언(朴思彦) : 조조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 박근실(朴根實) : 고종조때 도사. � 박희철(朴熙喆) : 고종조때 가선 부.

Page 18: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8

� 박진규(朴軫奎) : 고종조때 통정 부겸 오위장(五衛將).

� 박 연(朴英煙) : 증 참의(參議). � 박인한(朴�漢) : 무찰방

� 박희섭(朴熙攝) : 상산 박씨로 자는 안(英安). 고종조에 여산부사(�山府使), 가선 부

� 박정진(朴正鎭) : 양 박씨. 가선 부(嘉善大夫) 겸 오위장(五衛將).

� 박태동(朴泰東) : 승평 박씨로 자는 문승(文昇). 통정(通政).

� 박기순(朴基淳) : 상산 박씨로 자는 덕서(德瑞). 가선(嘉善).

� 박남규(朴南圭) : 자는 순삼(順三)으로 혜릉참봉(惠�參奉).

� 박성규(朴性圭) : 승평 박씨로 자는 계삼(啓三). 가선(嘉善).

� 박노인(朴�仁) : 자는 경일(敬一)로 유능참봉(裕�參奉).

� 박순화(朴順華) : 양 박씨로 자는 낙삼(�三). 가선 부

� 박경우(朴慶宇) : 함양 박씨로 자는 윤서(允瑞). 행통정 부.

� 박경국(朴慶國) : 함양 박씨로 자는 윤화(允華). 행통정 부.

� 박동호(朴東浩) : 양 박씨로 자는 치형(致亨). 고종조때 증 승정 인, 행동지겸경연관,

의금부도총관, 병조판서.

� 박충석(朴忠錫) : 진원 박씨로 자는 국보(國甫). 증 통정 부 공조참의 (보성에서 광양

으로 이사함)

� 박도 (朴道泳) : 진원 박씨로 자는 성렬(聖烈). 증 가선 부 공조참판 겸 오위도총부총관

� 박예 (朴�永) : 함양 박씨로 자는 인 (仁英). 증 통정 부.

� 박상화(朴尙 ) : 진원 박씨로 증 통정 부

� 박두현(朴斗鉉) : 진원 박씨로 증 통사랑(通仕郞) 행의금부도사

� 박장근(朴壯根) : 함양 박씨로 자는 내삼(乃三). 고종조때 통정 부

� 배기현(裵基鉉) : 성산 배씨로 자는 성우(性右). 통정(通政)

� 배재현(裵在鉉) : 성산 배씨로 가선 부(嘉善大夫) 행용양위호군겸 오위장(五衛將).

� 배경투(裵慶 ) : 성산 배씨로 증 가선 부 공조참판겸 오위도총부총관

� 배낙규(白�奎) : 수원 백씨로 고종조때 의릉참봉(義�參奉).

� 백수장(白壽長) : 수원 백씨로 자헌 부 공조판서(工曹判書).

� 백세웅(白世雄) : 수원 백씨로 조봉 부(朝奉大夫), 무안현감(務安縣監)

� 백후청(白後靑) : 무주부(武主簿). � 변재형(卞在亨) : 고종조때 과천현감(果川縣監).

� 변상옥(卞相玉) : 옥룡면 운평리 상평마을 출신. 고종조때 진사(進士)

� 서지하(徐之夏) : 태조조 참봉 (옥룡면 용곡리)

� 서극수(徐克綏) : 주부(主簿). 최산두의 장인(丈人).

� 서열(徐悅) : 주부. � 서여주(徐汝柱) : 청안훈도(淸安訓導).

제10편 인물

Page 19: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79

제2장 인물

� 서세균(徐世均) : 별좌(別坐. 종5품) � 서백일(徐百鎰) : 군자주부.

� 서천일(徐千鎰) : 1483년 옥룡면 갈곡 출신. 군자정주부(軍資主簿)(학행 분야 참조)

� 서견룡(徐見龍) : 옥룡면 옥동 출신. 이조 군자참사(15 손. 서태순)

� 서호인(徐好仁) : 사도정(司導正). � 서효방(徐孝榜) : 장흥봉사(長興奉事).

� 서효행(徐孝行) : 옥룡면 남정 출신. 선조조때 군자감봉사(軍資監奉事), 통정 부.(11

손, 서우식)

� 서종록(徐鐘祿) : 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 � 서상필(徐尙弼) : 사첨사주부(司瞻寺主簿).

� 서신구(徐藎龜) : 옥룡면 남정 출신. 군자감참봉, 통정 부. 서천일의 현손으로 학행으로

유명함(9 손, 옥룡면 남정리 우식)

� 서준흠(徐俊欽) : 고종조때 후릉참봉(厚�參奉).

� 서한봉(徐韓鳳) : 고종조때 혜릉참봉(惠�參奉).

� 서찬수(徐贊洙) : 고종조때 경묘참봉(慶廟參奉).

� 서공식(徐供植) : 고종조때 제능참봉(齊�參奉). � 서준장(徐俊長) : 군수(郡守).

� 서준치(徐俊穉) : 상예원판결사(常�院判決事) (옥룡면용곡리)

� 서병수(徐炳洙) : 이천 서씨로 통정 부 부별감(府別監).

� 서상익(徐尙翼) : 옥룡면 옥동마을 출신. 한성판윤 (12 손, 서태순)

� 서보우(徐補禹) : 1649년 옥곡면 매동마을 출신. 조선시 가선 부, 한성좌윤(漢城左

尹). 오위도총부 부총관

� 서정국(徐正國) : 통정 부 행부사과(行副司果). � 서선(徐瑄) : 중정 부(中正大夫).

� 서훤(徐喧) : 고려조 중정 부 성균관제주(成均館祭酒).

� 서윤정(徐允貞) : 태조조 참봉(參奉). � 서종록(徐鐘祿) : 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

� 서계적(徐繼績) : 훈련주부. � 서희언(徐希彦) : 광양현 군사(郡事).

� 서한순(徐漢淳) : 장성 서씨로 자는 한룡(漢龍). 행통정 부

� 서회수(徐會修) : 달성 서씨로 자는 덕윤(德允). 통덕낭자(通德郞自). (고흥에서 광양으

로 이사옴)

� 성시 (成時英) : 참봉(參奉). � 성 수(成臺壽) : 무지중추(武知中樞).

� 성기수(成箕壽) : 무첨정(武僉正). � 성기수(成耆壽) : 무훈련부정(武訓練副正).

� 성계조(成繼祖) : 무군자정(武軍資正).

� 양석현(楊錫賢) : 1859년 옥곡면 곡 출신. 고종조 중추원 의관

� 성계만(成繼晩) : 무군자정(武軍資正). � 손필두(孫必斗) : 고종조때 가선 부.

� 송주욱(宋柱旭) : 1808년생, 고종조통정 부.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行�

衛副護軍).

Page 20: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0

� 송순탁(宋順鐸) : 1865~1926. 한의원(漢醫員), 독의가(篤醫家) (손, 옥룡면용곡리, 송병수)

� 송세탁(宋世鐸) : 여산(�山) 송씨로 광양오위장(光陽五衛將).

� 송희수(宋熙洙) : 은진 송씨로 철종조때 가선 부

� 송세탁(宋世鐸) : 여산 송씨로 자는 춘섭(春燮). 오위장(五衛將)

� 신 수(申大壽) : 안흥현감(安興縣監). � 신명징(申命徵) : 무첨사(武僉使).

� 안취성(安就成) : 순흥 안씨로 가성 부 한성좌윤(漢城左尹).(진월면 진정리)

� 안국신(安國信) : 순흥 안씨로 승정 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

� 안 규(安�奎) : 순흥 안씨로 가선 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

� 안창현(安昌賢) : 순흥 안씨로 통정 부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

� 안창만(安昌萬) : 순흥 안씨로 고종때 선공감참봉(繕工監參奉).

� 양춘 (楊春泳) : 고종조때 광릉참봉(光�參奉).

� 양 수(楊大樹) : 무병사(武兵使). � 양연(楊演) : 무판관(武判官).

� 양신(楊信) : 무찰방(武察訪).

� 양재 (�在泳) : 남원 양씨로 통정 부행참봉.

� 어몽염(魚夢濂) : 도사(都事). � 오효립(吳孝立) : 예빈참봉(�賓參奉).

� 오종선(吳鐘善) : 해주 오씨로 자는 내양(乃陽). 통정(通政).

� 오의환(吳義煥) : 자는 내겸(乃兼)으로 품행이 착하고 부모에게 효성을 다했으며 명리

를 구하지 않았음. 통정(通政)

� 오봉상(吳鳳相) : 동복 오씨로 자는 상조(相祚). 고종조때 중추원의관(議官)

� 우형목(禹亨穆) : 통정 부 승정원 좌승지

� 우복두(禹福斗) : 단양 우씨로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

� 우명길(禹命吉) : 단양 우씨로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 유석원(兪錫元) : 오위장(五衛將).

� 유채규(柳采珪) : 1866년 옥곡면 곡동 출신. 전주 유씨로 자는 문행(文行). 오위장 혜민

정(惠民正). 박성근씨와 함께 옥곡초등학교 설립에 공이커 학교내에

세기념비가 세워졌으며 장동쌍효려비를 건립하 음.

� 윤자성(尹滋聲) : 고종조때 주사(主事)

� 윤병근(尹炳根) : 파평 윤씨로 고종조때 교관(敎官)

� 이정길(�禎吉) : 고종조때 재군산진첨사(在群山鎭僉使).

� 이형원(�馨遠) : 정읍훈도(井邑訓導).

� 이경빈(�敬賓) : 조봉 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

� 이홍립(�弘立) : 공조정랑(工曹正郞). � 이성서(�聖瑞) : 정조때 가선 부.

제10편 인물

Page 21: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1

제2장 인물

� 이석범(�碩範) : 철종때 오위장(五衛將).

� 이홍무(�烘武) : 증 가선장례원부향(嘉善掌禮院副鄕)(충의편 참고)

� 이은회(�殷澮) : 고종때 비서원비서승(秘書院婢書丞).

� 이선의(�選儀) : 고종때 의령원수봉관(懿�園守奉官).

� 이위현(�緯鉉) : 고종조때 부사과(副司果).(봉강면봉당리)

� 이재화(�在華) : 돌산(1910년)∙진도∙해남군수

� 이희우(�喜宇) : 관략장군무신겸 선전관(官略將軍武臣兼 宣傳官)

� 이성여(�成�) : 전주 이씨로 1760년 광양현 좌수(座首)

� 이인성(�仁成) : 증 통정 부 사헌.

� 이양권(��權) : 전주 이씨로 증 통정 부 좌부원승지.

� 이기혁(�基爀) : 전주 이씨로 자헌 부(資憲大夫).

� 이창오(�昌吾) : 통정 부, 승정원 좌승지. � 이참빈(�參賓) : 무판관(武判官).

� 이원(�沅) : 무선전(武宣傳).

� 이형정(�亨貞) : 광양읍 사곡 출신. 전주 이씨로 통정 부 행승정원도승지(通政大夫行

承政院都承旨)(17 손, 이창수)

� 이병우(�秉宇) : 완산 이씨로 자는 준백(俊伯). 가선오위장(嘉善五衛將).

� 이원식(�源軾) : 전주 이씨로 통정(通政).

� 이주수(�疇洙) : 전주 이씨로 자는 진구(進九). 오위장(五衛將).

� 이채우(�彩宇) : 전주 이씨로 자는 춘서(春瑞). 오위장(五衛將).

� 이학수(�鶴洙) : 전주 이씨로 자는 중구(仲九). 오위장(五衛將).

� 이 화(� 和) : 전주 이씨로 자는 재(英裁). 동돈령(同敦�).

� 이성춘(�性春) : 전주 이씨로 자는 준익(俊益). 오위장(五衛將).

� 이규율(�圭�) : 경주 이씨로 자는 성숙(聖淑). 가선 부.

� 이기행(�基行) : 경주 이씨로 통정.

� 이기혁(�基爀) : 전주 이씨로 가선수승자헌(嘉善壽陞資憲).

� 이민의(�敏儀) : 전주 이씨로 자는 중오(仲午). 장릉참봉(莊�參奉).

� 이태구(�泰球) : 전주 이씨로 호군(護軍)오위장(五衛將).

� 이용화(�鎔和) : 전주 이씨로 자는 집(英集). 수봉관(守奉官).

� 이유선(�裕善) : 전주 이씨로 증 가선 부행 의금부도사

� 이자립(�自立) : 전주 이씨로 자는 춘화(春華). 절충장군

� 이복기(�福基) : 전주 이씨로 자는 이서(伊瑞). 통정 부

� 이기엽(�基燁) : 합천 이씨로 고종조때 통정 부(84세)

Page 22: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2

� 이준노(�俊老) : 전주 이씨로 자는 사중(士重). 충의위통훈 부

� 이환용(� 容) : 전주 이씨로 자는 희문(喜文). 철종조때 사헌부감찰

� 이규윤(�奎潤) : 전주 이씨로 자는 학산(鶴山). 증 통정 부겸오위장

� 장주환(張周煥) : 제릉참봉(祭�參奉) (진상면섬거리)

� 장진 (張震英) : 무판관(武判官). � 장연상(張�相) : 인동 장씨로 통정.

� 장기현(張基鉉) : 성산 장씨로 자는 성우(性右). 통정.

� 장지찬(張志纘) : 인동 장씨로 자통정(資通政). � 장형(張亨) : 무찰방

� 장기현(張基玹) : 인동 장씨로 혜릉참봉(惠�參奉).

� 장진열(張震�) : 순천 장씨로 자는 덕윤(德潤). 헌종조때 선략장군 충무위부사 용장사

낭도사(勇將仕郞都事).

� 전경인(全敬仁) : 천안 전씨로 철종조때 통정 부

� 전성찬(전성찬) : 천안 전씨로 고종때 승전 부

� 정 훈(鄭大訓) : 군자참봉(軍資參奉). � 정윤모(鄭胤模) : 군보사참사(軍寶寺參事).

� 정도중(鄭道重) : 참봉(參奉). � 정호징(鄭虎徵) : 참봉(參奉).

� 정윤조(鄭胤祖) : 무판관(武判官). � 정기종(鄭起宗) : 숙종조때 만호(萬戶).

� 정시거(鄭時擧) : 숙종조때 훈련원봉사. � 정명홍(鄭命弘) : 예산훈도(�山訓導).

� 정동리(鄭東履) : 철종때 경복궁 위장(衛將) � 정연평(鄭�平) : 고종조때 감찰.

� 정찬화(鄭瓚和) : 고종조때 통훈 부 평창군수.

� 정서화(鄭曙和) : 고종조때 제릉참봉(齊�參奉).

� 정응기(鄭應基) : 고종조때 후릉참봉(厚�參奉)(성황리).

� 정여주(鄭汝柱) : 청안훈도(淸安訓導)(봉강면봉당리).

� 정순기(鄭順基) : 증 통정 부, 행호조판서(行戶曹判書)

� 정희주(鄭禧周) : 경릉참봉 가선 부 � 정성보(鄭聖寶) : 고종조 통정 부.

� 정만태(鄭萬泰) : 경주 정씨로 증 숭정 부 행사조참의(宗正大夫 行�曹參議)

� 정인열(鄭寅�) : 경주 정씨로 가선 부(嘉善大夫) 행첨지중추부사겸오위장(行僉知中

樞부사겸오위장)

� 정성백(鄭聖佰) : 경주 정씨로 승정원 사록유(士綠有)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 정극제(鄭克濟) : 증 통훈 부 장례원(掌隷院) 장례(掌禮).

� 정달우(鄭達佑) : 증 가선 부 내부협판(內府協瓣).

� 정성환(鄭成煥) : 증 통정 부 비서원비서감(秘書院秘書監).(옥곡면 죽리).

� 정한구(鄭漢九) : 가선 부 병조참판.(옥곡면 죽리).

� 정재석(鄭載錫) : 승(陞)가선 부 중추원부의장(옥곡면 죽리).

제10편 인물

Page 23: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3

제2장 인물

� 정현모(鄭玄模) : 진주 정씨로 자는 양언(�彦). 가선 부.

� 정기식(鄭基植) : 진주 정씨로 자는 연서(�瑞).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 정보용(鄭甫鎔) : 일 정씨로 자는 선행(善行). 정릉참봉(貞�參奉).

� 정인화(鄭仁和) : 진주 정씨로 자는 윤언(允彦). 고종16년(1879)때 참봉.

� 정화 (鄭和英) : 광산 정씨로 자는 윤서(允瑞). 통정.

� 정인섭(鄭寅燮) : 동래 정씨로 자는 윤(大允). 순조조때 장능참봉(莊�參奉).

� 정동환(鄭東桓) : 경주 정씨로 자는 사집(士集). 통정 부.

� 정동호(鄭東濠) : 진주 정씨로 고종조때 통정 부

� 정백(鄭百) : 경주 정씨로 통정 부

� 정회석(鄭晦錫) : 광산 김씨로 고종조때 증 통정 부

� 정상욱(鄭尙昱) : 광산 김씨로 고종조때 통훈 부 정능참봉

� 정용숙(鄭容淑) : 진주 정씨로 고종조때 통훈 부 행사헌부감찰

� 정시만(鄭時晩) : 진주 정씨로 효종조때 자헌 부 동지중추부사

� 조용헌(趙鏞憲) : 고종조때 동명왕릉참봉(東明王�參奉).

� 주상문(朱尙文) : 남해훈도(南海訓導) � 주기(朱棋) : 의금부도사.

� 주사성(朱思聖) : 무판관(武判官). � 지만옥(池滿玉) : 충주 지씨로 증 통정 부.

� 진수홍(陳洙鴻) : 선략군행용양위부사과(宣略軍行�蚊衛副司果).

� 차병선(車炳鮮) : 연안 차씨로 자는 응오(應五). 통정.

� 채연(蔡淵) : 화순현감

� 최병덕(崔秉悳) : 고종조때 조봉 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

� 최수룡(崔守龍) : 1785년 옥룡면 남정 출신. 고종조때 가선 부, 동지의금부사(同知義

禁府使).

� 최진태(崔鎭泰) : 1825년 옥룡면 남정 출신. 고종조 종사랑돈 부도정(從仕郞敦�府都

正)겸 의금부사.

� 최천택(崔天澤) : 무찰방(武察訪) � 최강(崔崗) : 무찰방(武察訪)

� 최봉환(崔鳳煥) : 경주 최씨로 자는 봉오(鳳梧). 동몽교관(童蒙敎官).

� 최한 (崔漢榮) : 초계 최씨로 중묘수헌릉참봉(中廟授獻�參奉). 증 정헌 부, 한성판

윤(漢城判尹).

� 추재규(秋在圭) : 전주 최씨로 가선.

� 하내용(河內容) : 진주 하씨로 자는 명숙(明淑). 가선 부

� 함학기(咸學基) : 자는 형삼(亨三). 순릉참봉(純�參奉).

� 허경(許絅) : 무만호. � 허선규(許璿奎) : 공릉(恭�)참봉

Page 24: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4

� 허우용(許遇容) : 김해 김씨로 오위장 � 허우현(許遇賢) : 도정(都正)

� 홍상징(洪相澄) : 숙종조때 관림인, 통덕랑(通德郞)

� 홍상은(洪相殷) : 숙종조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 황만권(黃萬卷) : 군자감주부 (진상면 비평리)

� 황종(黃鍾) : 군자감참봉 � 황윤관(黃潤觀) : 순조조때통덕랑(通德郞)

� 황윤풍(黃潤豊) : 순조조때 돈령부도정(敦�府都正)

� 황윤섭(黃潤攝) : 순조조때 가선 부(嘉善大夫) 겸 오위장

� 황해모(黃海模) : 고종조때 소령원수봉관(昭�圓守奉官)

� 황준모(黃俊模) : 고종조때 강화분교관(江華分敎官)

� 황병욱(黃炳郁) : 고종조때 선공감은감(繕工監殷監)

� 황기중(黃奇仲) : 창원 황씨로 자는 중오(仲五). 가선 부

� 황재후(黃載厚) : 장수 황씨로 헌종조때 증 통정 부.

6. 수직 (壽職. 80살 이상의 관원(官員)과 90살 이상의 백성에게 은전(恩典)으로

주던벼슬)

� 강위징(姜渭澄) : 정조조 통정 부

� 강 록(姜永錄) : 정조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망덕리 김도)

� 강서원(姜瑞元) : 정조조 통정 부(8 손, 진월면 망덕리 강 호)

� 강재기(姜在寄) : 철종조 통정 부 � 강현전(姜顯銓) : 철종조 통정 부

� 강재하(姜在厦) : 고종조 통정 부 � 강성 (姜聖榮) : 고종조 통정 부

� 강한득(姜漢得) : 고종조 통정 부 � 강성문(姜性文) : 고종조 통정 부

� 강성종(姜聖宗) : 고종조 통정 부

� 강주순(姜周淳) : 철종조 통정 부(손,다압면 도사리 강찬 )

� 강명화(姜命華) : 정조조 가선 부(7 손, 망덕리 강 호)

� 강금혁(姜錦爀) : 정조조 가선 부(9 손, 진월면 망덕리 강 호)

� 곽후(郭 ) : 정종조 통정 부 � 고혁겸(高赫謙) : 철종조 통정 부

� 구중한(具重漢) : 종조 통정 부 � 구사기(仇士奇) : 예빈사참봉(�賓寺參奉).

� 김인걸(�人傑. 진월면) : 현종조 가선 부

� 김득욱(�得昱. 진월면) : 숙종조 가선 부

� 김 입(�英立) : 김해인 병정교위 � 김감(�鑑) : 종조 통정 부

� 김상화(�尙華) : 종조 가의 부 � 김오일(�五一) : 조조 첨지중추부사

제10편 인물

Page 25: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5

제2장 인물

� 김한상(�漢翔) : 조조 숭정 부 � 김덕신(�德新) : 정종조 통정 부

� 김택명(��明) � 김인채(�仁采) : 순조조 통정 부

� 김종익(�宗翼) : 광양읍 용두 출생. 철종조 통정 부(5 손, 광양읍 용강리 김태익)

� 김기창(�基昌) : 철종조 통정 부 � 김몽운(�夢雲) : 철종조 통정 부

� 김성태(�聲泰) : 철종조 통정 부 � 김치조(�致祚) : 철종조 통정 부

� 김경인(�敬仁) : 철종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진정리 김상순)

� 김석규(�錫奎) : 고종조 통정 부 � 김상추(�尙秋) : 고종조 통정 부

� 김지민(�之玟) : 고종조 통정 부 � 김기윤(�基潤) : 고종조 통정 부

� 김호권(�護權) : 고종조 통정 부 � 김정규(�正奎) : 고종조 통정 부

� 김익섭(�益攝) : 고종조 통정 부 � 김정훈(�正勳) : 고종조 통정 부

� 김계택(�啓�) : 고종조 통정 부 � 김시은(�時殷) : 고종조 통정 부

� 김두형(�斗瀅) : 고종조 통정 부 � 김기두(�琪斗) : 고종조 통정 부

� 김시종(�時宗) : 고종조 통정 부 � 김도현(�道炫) : 고종조 통정 부

� 김태용(�泰鏞) : 고종조 통정 부

� 김전(�琠) : 고종조 가선 부(후손, 진월면 진정리 김룡)

� 김경두(�璟斗) : 가선 부(연기미상, 손 김채곤)

� 김창회(�昌誨) : 가선 부(연기미상, 손, 김인곤)

� 김지두(�祉斗) : 통정 부(연기미상, 증손 김종선)

� 김섭두(�燮斗) : 행가선 부(연기미상, 4 손, 김 인)

� 김창모(�昌模) : 통정 부(연기미상, 5 손 김 인)

� 김학두(�鶴斗) : 행호조판사(연기미상, 손 김동호)

� 김재남(�再湳) : 증 통정 부(연기미상, 6 손 김종근)

� 김민두(�敏斗) : 증 통훈 부(연기미상, 손 김찬곤)

� 김한두(�翰斗) : 행용양위부호군(연기미상, 손 김종곤)

� 김일두(�日斗) : 행오위장(연기미상) � 김창일(�昌日) : 증 호조참판(연기미상)

� 김연두(�演斗) : 행가선 부(연기미상)

� 김창목(�昌穆) : 증 가선 부(연기미상, 고손 김종선)

� 김국처(�國處) : 행가선 부(연기미상, 후손 김일곤)

� 김헌두(�憲斗) : 통정 부(연기미상, 증손 김종식)

� 김 경(�汝鏡) � 김관(�瓘) : 전연사직장

� 김두남(�斗南) : 전연참봉 � 김규섭(�奎攝)

� 김기찬(�基燦) � 김기필(�基弼)

Page 26: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6

� 김몽현(�夢現) � 김연태(�淵泰)

� 김상일(�相鎰) � 김정길 : 고종조 고군산진첨사

� 김주선(�周鐥) : 고종조 전라 좌수 노후 � 김지섭(�之攝) : 고종조 도사

� 김재홍(�載泓) : 고종조 오위장 � 김종은(�鍾殷) : 고종조 후릉참봉

� 김이항(��恒) : 철종조 참봉

� 김정규(�正圭) : 1797년생. 수계통정겸부호군(壽階通政兼剖護軍)

� 김용학(��學) : 철종조 통정 부(5 손, 진월면 김학경)

� 김효순 : 고종조 가선 부 � 김정희(� 熙) : 고종조 가선 부

� 김상기(�商基) : 광양읍 용두 출신. 통정 부(연기미상)

� 남두화(南斗化) : 병마절도위(년기미상)

� 남계삼(南啓三) : 고종조 통정 부(5 손, 옥룡면 운평리 남상호)

� 남태식(南太熄) : 고종조 통훈 부(5 손, 봉강면 봉당리 남두칠)

� 나희연(�希�) : 숙종조 통정 부

� 남택명(南�明) : 정조조 가선 부(10 손, 옥룡면 운평리 남상호)

� 나동성(�東成) : 정조조 통정 부(4 손, 옥룡면 용곡리 나금선)

� 나운집(�雲集) : 옥룡면 초장 출신. 조선 가선 부(증손, 옥룡면 용곡리 초암 나종완)

� 나도윤(�燾允) : 고종조 통정 부(4 손, 옥룡면 추산리 나태수)

� 나도익(�燾翊) : 고종조 가선 부(손, 옥룡면 용곡리 나금선)

� 나도동(�燾 ) : 고종조 통훈 부(손, 옥룡면 용곡리 나옥균)

� 나상집(�箱集) : 철종조 가선 부(증손, 옥룡면 용곡리 나종우)

� 나수련(�壽鍊) : 옥룡면 초장마을 출신. 이조시 통훈 부(자, 나옥균)

� 문봉명(文鳳鳴) : 종조 통정 부 � 문상우(文尙遇) : 고종조 통정 부

� 문기성(文基成) : 고종조 통정 부 � 박치경(朴致京) : 조조 통정 부

� 박수채(朴壽采) : 종조 가선 부 � 박광수(朴光秀) : 조조 통정 부

� 박동창(朴東昌) : 종조 첨지중추부사 � 박사언(朴思彦) : 종조 첨지중추부사

� 박동호(朴東浩) : 고종조 승전 부 � 박수성(朴樹成) : 순조조 통정 부

� 박문현(朴文現) : 순조조 통정 부 � 박관득(朴寬得) : 순조조 통정 부

� 박관량(朴寬亮) : 순조조 통정 부 � 박오감(朴五鑑) : 순조조 통정 부

� 박만 (朴萬英) : 순조조 용양위부호군 � 박장수(朴長壽) : 철종조 통정 부

� 박철갑(朴喆甲) : 철종조 통정 부 � 박인채(朴寅彩) : 철종조 숭정 부

� 박봉운(朴奉運) : 철종조 통정 부

� 박세운(朴世雲) : 철종조 가선 부(후손, 진월면 진정리 봉래)

제10편 인물

Page 27: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7

제2장 인물

� 박예 (朴�永) : 고종조 통정 부 � 박진규(朴軫圭) : 고종조 통정 부

� 박변진(朴 鎭) : 고종조 통정 부(4 손, 광양읍 죽림리 박재규)

� 박명진(朴命進)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진정리 박병운)

� 박은국(朴殷國)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진정리 박봉래)

� 박 학(朴永鶴)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진정리 박성윤)

� 박정호(朴正昊) : 고종조 통정 부 � 박우춘(朴遇春) : 고종조 통정 부

� 박경화(朴景和) : 고종조 통정 부 � 박연(朴演) : 고종조 통정 부

� 박계만(朴契晩) : 고종조 통정 부 � 박지민(朴志民) : 고종조 통정 부

� 박명유(朴命維) : 고종조 가선 부(후손, 진월면 진정리 박병운)

� 박진휴(朴震休) : 광양읍 용두 출신. 통훈 부(연기미상, 6 손, 광양읍 용강리 박주인)

� 박승환(朴承煥) : 증 통정공의(연기미상, 5 손 박주인)

� 박경홍(朴暻洪) : 증 가선 부(연기미상, 4 손 박주인)

� 박동순(朴東洵) : 통훈 부(연기미상, 3 손 박주인)

� 박우정(朴遇貞) : 첨지중추부사(연기미상, 6 손 박래길)

� 박종량(朴宗亮) : 순조조 가선 부 � 박희철(朴熙喆) : 고종조 가선 부

� 박근실 : 고종조 도사

� 박태운(朴泰運) : 철종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마룡리 박 주)

� 박수장(朴壽長) � 박준의(朴俊儀)

� 박종수(朴鐘洙) � 박오현(朴五鉉) : 순조조 통정 부

� 박주석(朴周奭) � 박정훈(朴禎勳)

� 배봉욱(裵鳳旭) : 통정 부(연기미상, 손, 봉강면 구서리 찬휴)

� 배현(裵現) : 숙종조 통정 부 � 배용조(裵鏞祚)

� 배유강(裵有綱) : 종조 용양위부호군(� 衛副護軍)

� 배두현(裵斗鉉) : 고종조 통정 부 � 백봉은(白鳳殷) : 철종조 가선 부

� 변광직(卞光直) : 고종조 가선 부(4 손, 옥룡면 운평리 변상성)

� 변재형(卞在亨) : 고종조 현감 � 서 의(徐英毅) : 선조조 통정 부

� 서한의(徐韓毅) : 선조조 통정 부 � 서명신(徐命信) : 종조 첨지중추부사

� 서종태(徐宗泰) : 정종조 통정 부

� 서지엽(徐志曄) : 철종조 통정 부(4 손, 중마동 오류 서병관)

� 서현구(徐顯求) : 고종조 통정 부 � 서한순(徐漢淳) : 고종조 통정 부

� 서정흠(徐廷欽) : 고종조 통정 부(4 손, 옥룡면 죽천리 서 규)

� 서달우(徐達宇) : 고종조 통정 부 � 서관보(徐瓘輔) : 고종조 통정 부

Page 28: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8

� 서하순(徐厦淳)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옥룡면 동동리 서원화)

� 서응인(徐應�) : 고종조 통정 부 � 서일흠(徐馹欽) : 고종조 통정 부

� 서현정(徐顯珽) : 고종조 통정 부(6 손, 옥곡면 신금리 서창현)

� 서광흠(徐光欽)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중마동 오류리 서병관)

� 서지혹(徐志或)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옥곡면 신금리 서갑식)

� 서한홍(徐漢弘)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옥룡면 산남리 서효순)

� 서지민(徐志珉) : 고종조 가선 부(후손, 진월면 신아리 서병옥)

� 서찬수(徐讚洙) : 고종조 참봉

� 서준흠(徐俊欽) : 고종조 후릉봉(3 손, 중마동 서병순)

� 서홍식(徐洪植) : 고종조 제릉참봉 � 서한봉(徐漢鳳) : 고종조 해릉참봉

� 서한덕(徐漢德) : 옥룡면 남정 출신. 통정 부(연기미상)

� 서종록(徐鐘祿) : 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연기미상)

� 서효제(徐孝悌) : 장흥봉사(연기미상, 11 손 진월면 월길리 서은식)

� 서신구(徐藎龜) : 옥룡면 남정 출생. 군자감참봉, 통정 부. 서천일의 현손으로 학행으로

유명 하 다. (9 손, 옥룡면 남정 서우식)

� 서상필(徐尙弼) : 사첨사주부(司瞻寺主簿). � 서병호(徐炳昊) : 통정 부(연기미상)

� 서경원(徐慶遠) : 옥룡면 옥동 출생. 조선 가선 부(13 손, 옥룡면 용곡리 서태순)

� 성필주(成必胄) : 철종조 승전 부 � 성병하(成炳夏) : 고종조 통정 부

� 성호관(成浩寬) : 고종조 통정 부 � 성시 (成時英) : 참봉.

� 손광윤(孫光潤) : 철종조 통정 부 � 손필두(孫必斗) : 고종조 가선 부

� 송계욱(宋桂旭) : 고종조 통정 부 � 신 구(申英求) : 고종조 통정 부

� 송주욱(宋柱旭) : 고종조 통정 부 부호군,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行� 衛

副護軍).

� 신 수(申大壽) : 안흥현감(安興縣監). � 심재우(�在宇) : 철종조 가선 부

� 심사호(�士浩) : 숙종조 통정 부 � 안윤규(安允奎) : 철종조 통정 부

� 안명규(安命奎) : 고종조 통정 부(4 손, 진상면 지원리 안운호)

� 안창욱(安昌昱) : 고종조 통정 부(증손, 진월면 차사리 안변선)

� 양종기(�鍾琪) : 1759년진상면목과출신. 조조통정 부(6 손, 진상면청암리양승언)

� 양세승(�世昇) : 조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오사리 양인석)

� 양춘 (楊春泳) : 고종조 광릉참봉 � 오명모(吳明模)

� 오세인(吳世仁) : 종조때첨지중추부사 � 오치중(吳致仲) : 순조조 통정 부

� 오건선(吳建繕) : 철종조 통정 부 � 오성담(吳星膽) : 철종조 통정 부

제10편 인물

Page 29: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89

제2장 인물

� 오인문(吳仁文) : 철종조 용양위부호군 � 오 원(吳大元) : 고종조 통정 부

� 오상채(吳相埰) : 고종조 통정 부 � 어몽렴(魚夢濂) : 금부도사(년기미상)

� 오성록(吳聖錄) : 고종조 가선 부(손, 진월면 선소리 오태경)

� 우재혁(禹栽爀) : 고종조 통정 부(후손, 골약동 황금리 우형근)

� 우종학(禹琮鶴) : 고종조 참봉(손, 진상면 청암리 우상원)

� 유명하(兪命夏) : 종조 용양위부호군 � 유시남(�時南) : 종조 통정 부

� 유치익(兪致翼) : 고종조 통정 부 � 유인환(兪仁煥) : 고종조 통정 부

� 유나환(兪�桓) : 고종조 통정 부 � 유응기(兪應基)

� 유치중(兪致中) � 유달환(兪達煥)

� 윤성열(尹成烈) : 고종조 통정 부 � 윤자성(尹滋聲) : 고종조 주사

� 이 (�泳) : 인조조 통정 부 � 이복익(��翊) : 인조조통정 부

� 이운배(�雲培) : 봉강면 구서 출신. 종조 통정 부(손, 봉강면 구서리 이창근)

� 이후석(�厚錫) : 옥룡면 초장 출신. 종조 가의 부

� 이자립(�自立) : 조조 가선 부 � 이만계(�萬桂) : 종조가선 부

� 이정우(�廷宇) : 조조 가선 부(7 손, 광양읍 사곡리 김동환)

� 이성서(�聖瑞) : 정종조 가선 부 � 이신오(�臣吾) : 순조조 통정 부

� 이정원(�廷元) : 순조조 통정 부(5 손, 옥룡면 용곡리 이래수)

� 이세연(�世演) : 철종조 통정 부 � 이관준(�觀俊) : 철종조통정 부

� 이원식(�源軾) : 철종조 통정 부 � 이상원(�尙元) : 철종조가선 부

� 이석범(�碩範) : 철종조 오위장 � 이인규(�寅珪) : 고종조통정 부

� 이규윤(�奎潤) : 고종조 통정 부 � 이좌백(�佐백) : 고종조통정 부

� 이회인(�會仁) : 고종조 통정 부 � 이규종(�奎宗) : 고종조통정 부

� 이기 (�基永) : 고종조 통정 부(6 손, 봉강면 봉당리 이지균)

� 이재호(�在皓) : 고종조 통정 부 � 이명우(�明宇) : 고종조 통정 부

� 이병철(�丙喆) : 고종조 통정 부 � 이선의(�選儀) : 고종조 의령원수봉관

� 이기엽(�基燁) : 봉강면 구서 출신. 고종조 통정 부(손, 이종우)

� 이윤항(��沆) : 다압면 내압 출신. 고종조 통정 부(자, 다압면 신원리 이원생)

� 이은희(�殷澮) : 고종조 비서원비서승 � 이위현(�緯鉉) : 고종조 부사과

� 이승태(�承泰) : 고종조 통훈 부 (손, 봉강면 구서리 이병완)

� 이선익(�善益) : 옥룡면초장출신. 조선가선 부(연기미상, 8 손, 옥룡면용곡리이봉관)

� 이후석(�厚錫) : 옥룡면 초장 출신. 조선시 가의 부

� 이세정(�世貞) : 옥룡면초장출신. 조선통훈 부(연기미상, 6 손, 옥룡면용곡리이봉관)

Page 30: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0

� 이필동(�必東) : 옥룡면초장출신. 조선자헌 부(연기미상, 11 손, 옥룡면용곡리이봉관)

� 이응상(�應尙) : 옥룡면 초장 출신. 가의 부(연기미상, 10 손, 옥룡면 용곡리 이봉관)

� 이원련(�元連) : 옥룡면 초장 출신. 조선 가선 부(연기미상, 9 손 옥룡면 용곡리 이

봉관)

� 이호립(�弘立)

� 이경빈(�敬賓) : 조봉 부(朝奉大夫) 동학교관(童學敎官).(연기미상)

� 이재화(�在華) : 돌산(1910년)∙진도∙해남군수

� 이정즙(�廷楫) : 증 가선첨추(연기미상) � 이행원 : 정읍훈도(연기미상)

� 이혁의(�爀儀) : 철종조 가선 부 � 이홍립(�弘立) : 공조정랑(工曹正郞).

� 이관득(�寬得) : 전주인, 순조조 용양위부호군

� 이중호(�重湖) � 이제(�霽)

� 이회문(�會文) � 이방우(�邦宇)

� 이석의(�錫儀) � 이득 (�得永)

� 임병순(�炳淳) � 장기운(張基運) : 철종조 통정 부

� 장 각(張英珏) : 고종조 통정 부

� 정기종(鄭起宗) : 동래인. 숙종조 회령포수 군만호(會�浦水軍萬戶)

� 정겸화(鄭謙和) : 가선 부(연기미상) � 정시거(鄭時擧) : 관림인. 첨지중추부사

� 정극명(鄭克明) : 경종조 가선 부 � 정시진(鄭時進) : 고종조 통정 부

� 정연국(鄭�國) : 종조 통정 부

� 정동환(鄭東桓) : 조조 통정 부(6 손, 다압면 고사리 정 완)

� 정두광(鄭斗光) : 종조 가선 부 � 정몽룡(鄭夢龍) : 종조 용양위부호군

� 정지희(鄭智熙) : 정종조 통정 부 � 정자룡(鄭自龍) : 정종조 가선 부

� 정형주(鄭瀅周) : 순조조 통정 부 � 정춘옥(鄭春玉) : 순조조 가선 부

� 정시건(鄭時健) : 조조 통정 부 � 정사원(鄭士源) : 철종조 통정 부

� 정덕주(鄭德周) : 철종조 통정 부 � 정동리(鄭東履) : 철종조 경복궁위장

� 정성빈(鄭聖賓) : 고종조 통정 부 � 정운구(鄭運龜) : 고종조 통정 부

� 정환국(鄭煥國) : 고종조 통정 부 � 정치룡(鄭致龍) : 고종조 통정 부

� 정계진(鄭繼晉) : 고종조 통정 부 � 정학신(鄭學臣) : 고종조 통정 부

� 정 열(鄭 �) : 고종조 통정 부 � 정임팔(鄭任八) : 고종조 통정 부

� 정낙 (鄭�英) : 고종조 통정 부

� 정상직(鄭相直) : 고종조 통정 부(후손, 진월면 마룡리 정윤기)

� 정길현(鄭吉鉉) : 고종조 가선 부(손, 광양읍 칠성리 정인환)

제10편 인물

Page 31: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1

제2장 인물

� 정홍열(鄭洪烈) : 고종조 가선 부(자, 광양읍 칠성리 정인환)

� 정운익(鄭運翼) : 고종조 가선 부

� 정성혹(鄭盛或) : 고종조 가선 부(후손, 진월면 월길리 정찬희)

� 정규양(鄭珪陽) : 고종조 가선 부(후손, 진월면 마룡리 정윤기)

� 정의화(鄭議和) � 정백(鄭百) : 통정 부(연기미상)

� 정명홍(鄭命弘) : 예산훈도(연기미상) � 정호종 : 참봉(연기미상)

� 정응기(鄭應基) : 고종조 후릉참봉 � 정찬화(鄭瓚和) : 고종조 통훈 부

� 정서화(鄭曙和) : 고종조 참봉 � 정운평(鄭運平) : 고종조 감찰

� 정제은(鄭濟 ) � 정성보(鄭聖寶) : 고종조 통정 부

� 정만태(鄭萬泰) � 조관(趙 ) : 순조조 통정 부

� 조성학(趙性學) : 철종조 통정 부 � 조동규(趙東奎) : 고종조 통정 부

� 조예성(趙�成) : 고종조 통정 부 � 주성(朱晟) : 조조 통정 부

� 주광성(朱洸晟) : 신안인, 조조 통정 부 � 주관(朱灌) : 조조 첨지중추부사

� 주탁(朱濯) : 종조 첨지중추부사 � 주광(朱 ) : 순조조 통정 부

� 주은(朱銀) : 철종조 통정 부 � 주기구(朱基九) : 철종조통정 부

� 주명규(朱命奎) : 고종조 통정 부 � 주상문(朱尙文) : 남해훈도(南海訓導)

� 채연(蔡淵) : 화순현감(년기미상) � 차석주(車錫柱) : 고종조통정 부

� 차남필(車南必) : 고종조 통정 부 � 최창주(崔昌周) : 종조 첨지중추부사

� 최병덕(崔秉悳) : 고종조 조봉 부동몽교관 � 최병준(崔秉俊) : 고종조 중추원의관

� 최춘환(崔春丸) : 옥룡면 상운 출신. 고종조 통훈 부

� 최진남(崔鎭南) � 최용숙(崔�淑)

� 최상수(崔相岫) � 추원종(秋元宗) : 종조 가선 부

� 추응조(秋應祚) � 추창록(秋彰綠)

� 추상복(秋相馥) � 탁동량(卓東樑) : 종조 가선 부

� 하상필(河相弼) � 허장(許樟) : 철종조 통정 부

� 허은(許隱) : 봉강면 하봉 출신. 고종조 통정 부(증손, 봉강면 봉당리 허만기)

� 허훈(許燻) : 고종조 통정 부 � 홍범구(洪範九) : 고종조 통정 부

� 홍의명(洪誼明) : 고종조통정 부 � 홍상징(洪相澄) : 관림인, 통덕랑

� 홍상은(洪相殷) : 관림인, 첨지중추부사 � 홍창길(洪昌吉) : 정종조 통정 부

� 함창상(咸昌相) : 고종조 통정 부 � 함병하(咸炳夏) : 고종조통정 부

� 황윤풍(黃潤豊) : 창원인, 순조조 돈 부도정(敦�府都正)

� 황윤섭(黃潤攝) : 창원인, 순조조 가선겸오위장(嘉善兼五衛將)

Page 32: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2

� 황윤관(黃潤觀) : 창원인, 순조조 통덕랑(通德郞)

� 황성업(黃性業) : 고종조 통정 부 � 황성엽(黃性業) : 선조조통정 부

� 황윤겸(黃潤謙) : 고종조 통정 부 � 황도석(黃道錫) : 고종조통정 부

� 황윤락(黃潤珞) : 고종조 통정 부 � 황하유(黃河愈) : 고종조통정 부

� 황재후(黃載厚) : 고종조 통정 부 � 황백모(黃伯模) : 고종조통정 부

� 황해모(黃海模) : 고종조 소령원수봉관 � 황병욱(黃炳郁) : 고종조 선공감가감

� 황준모(黃俊模) : 고종조 강화분교관 � 황종(黃鍾) : 군자감참봉(연기미상)

� 황만권(黃萬卷) : 숭다산주부(창원인, 연기미상)

7. 학행(學行, 현 인물포함)

� 강처중(姜處中) : 진주 정씨로 호(號)는 백암(柏庵). 어려서부터 사서(四書)를 숙독하여

덕망이높고 문장이 출중하 음. 후세 교육에 공헌하 으며 저서로는

『유년하습』∙『인물총논』∙『동국약사』등이 있음. (진월면 망덕리)

� 강삼회(姜三會) : 진주 정씨로 호는 봉암(鳳庵). 천성이 단정하고 중후하 으며 지조가

굳고 발랐음. 학문이 깊어 후세교육에 일생을 바쳤음. (봉강면 봉당리)

� 김정화(�正華) : ‘신득구’의 문하(門下)로 지조와 실천력이 독실하고 학문과 바른삶이

모든 사람의 모범이 되었음.

� 김상학(�商鶴) : 1857년 진월면 구동 출신. 호는 운계(雲溪). 세칭 금안처사(今安處士)

라 하 고 한학자로 시문학에 능통하 으며 중후하고 용모단정하며

모든 경서에 막힘이 없었으며 후진양성에 일생을 바쳤음.

� 김홍섭(�洪攝) : 경주 김씨로 호는 남파(�坡). 본성이 근엄하고 중후하여 삼림(森林)

속에 들어가 산수(山水)와 풍월(風月)로 낙을삼고 밤을 새우면서 시

(詩)를 지어 시집(詩集)을 발간하 음.

� 김형두(�炯斗) : 김령 김씨로 호는 석우(石愚). 재기가 넘쳐 어려서부터 사서(四書)를

깊이 읽어 후생교육에 전념하 음. 세속처사로『석우문집(石愚文集)』

이 있음.(진월면 돈탁)

� 김용수(�容洙) : 김해 김씨로 호는 운강(雲岡). 자손들에게 어려운 이웃을 구제하도록

가르쳐 실천케 하므로 향민들이 앙모하 음.

� 김창현(�唱鉉) : 광산 김씨로 호는 월은(月隱). 성품이 순후(純厚)하고 부모에게 효성

이 지극하며 예의가 바르고 자선심(慈善心)이 많아 이웃에 가난한 백

성들의 체납한 호세(戶稅)를 납하여 주었고 향교(鄕校)를 중수(重

제10편 인물

Page 33: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3

제2장 인물

修)하기도 하 음.

� 김여익(�汝瀷) : 김해 김씨로 청주에 살다가 태인도(太仁島)로 들어와 은거하면서 해의

(海衣)양식을 처음 발명하 음. 「제8편 5장 1절 문화유산 개관 참조」

� 기휴하(�休河) : 김해 김씨로 호는 단천(丹川). 청빈한 가운데 독서를 즐겨 많은 저서와

을 남겼음.

� 김규석(�珪錫) : 경주 김씨로 호는 옥천(玉川). 재예(才藝)가 뛰어나고 탁월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으며 명리를 구하지 않고 선행을 하 음.

� 나은집(�恩集) : 나주 나씨로 호는 낙산재(�山齋). 천성이 강직하여 의리로 살았고 학

행이 출중하여 유생들의 선구적 사인(士人)으로 추 되었음.(옥룡면

추산리)

� 문현모(文顯模) : 전간(田艮)선생에게 을 배워 강론(講論)과 예설(�說)이 깊이를 얻

어 학문과 도량이 범상(凡常)하 음.

� 박정일(朴禎一) : 봉강면 석평 출신. 호는 솔성재. 봉강면 부저마을 암서와에서 후 면학

을 위해 평생수학하 으며 중용(中庸)을 깊이 탐독하 으며 많은 시

를 지어 자손과 후진들을 가르쳤음. 효행이 지극하여 모친이 위독하자

단지주혈을 하 음.

� 박계만(朴啓晩) : 함양 박씨로 천성이 순수하고 아름다우며 덕성이 인애하고 부모에게

지효(至孝)하여 학문에 전념하 음.

� 박종범(朴鍾凡) : 1898년 진월면 용소 출신. 양인 호는 우당. 1969년 전국백일장에서

한시장원 통령상 수상. 천성이 근후하고 재예가 있어 시문통달하며

각처 백일장에서 시관으로 추 . 희양문헌집 4권을 저술하 으며 광

양향교 제18 전교를 역임하 음.

� 박세래(朴世來) : 1907년 광양읍 실 출신. 제10 옥곡면장. 시문과 서예에 조예가 깊

었으며 유저로 죽헌 시문집(竹軒 詩文集)1권을 남겼음.

� 박현모(朴賢模) : 1880년 봉강면 하봉 출신. 상산 박씨로 호는 완재(緩齋). 오경오서(五

經五書)에 달통하여 완재집(緩齋集)을 남겼으며 희양십경의 저자임.

� 박희권(朴熙權) : 1851년 봉강면 봉계출신. 호는 술제(述齊), 광양고을 최초의 근 교육

자. 1906년경 광양향교내에 사립광명학교 설립∙운 하 으며 상봉

마을에 거연정을 짓고 제자들에게 민족교육을 가르치는데 진력함.

� 박형규(朴亨圭) : 상주 박씨로 사서(四書)를 달통하고 후진양성에 전력하 음. (봉강면

부저리)

� 박준(朴潗) : 상산 박씨로 호는 만학(晩學). 송강재(宋剛齋)의 문인으로 늦게 배워 만학

Page 34: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4

당(晩學堂)이라는 호를 얻었음.

� 박필래(朴弼來) : 양 박씨로 호는 오봉(五峯). 백운정사(白雲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을

하 다. 많은 저서가 있음.

� 박인규(朴仁圭) : 양 박씨로 호는 춘강(春岡). 자손들을 시서(詩書)로 교훈하고 부모에

게 효도하며 벗에게 믿음을, 그리고 성현을 경모하여 성묘(聖廟)를 중수

(重修)하 음.

� 박종수(朴種洙) : 양 박씨로 호는 송암(松 ). 부모에게 효도하며 예를 존중하고, 흉년

을 당하여 이웃을 적극 도와‘현자의 길’을 걸었음.

� 서현하(徐顯夏) : 이천 서씨로 호는 만재(晩齋). 천성이 순수하고 말이 적으며 효우질직

(孝友質直)하여 장자(長子)의 풍모를 흠모하고, 성리학(性理學)을 탐

구하여 존덕성(尊德性)의 도(道)를 기리고 집에서도 늘 외우고 자손

들에게 가르쳤음.

� 서극수(徐克綏) : 이천 서씨로 주부(主簿) 으며 서당을 열어 많은 제자들을 가르쳤음.

최산두(崔山斗)를 가르쳤고, 뒷날 그를 사위로 삼았음.

� 서천일(徐千鎰) : 1483년 옥룡면 갈곡 출신. 서극수의 아들이고 최산두의 처남. 조선 중

종때 행의(行義 : 바른 길만을 행하는 사람)로 천거되어 군자감주부

(君資監主簿)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광양읍 계곡, 동천변에

암연정(岩淵亭)을 짓고 학문에 전념하 음. 윤선도가 옥룡추산으로

유배를 오자 자주 만나 학문을 논하 음.

� 서경흠(徐慶欽) : 이천 서씨로 호는 석포(石圃). 효우위선(孝友爲先)하고 성(誠)을 다하

여 품행을 가지런히 하며 자손들에게 늘 의(義)로움과 가난한 이웃을

도울 것을 가르쳤음.

� 송정호(宋廷浩) : 1830년 봉강면 서석 출신. 호는 석서(石西), 시문과 한문학으로 저명.

황매천이 유년시절에 사사한 스승

� 송하섭(宋夏燮) : 1875년, 봉강면 서석 출신. 호는 서파(西坡). 자는 자행(子行), 성품이

강직하고 학행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함. 매천황

현 선생과 친 한 세교를 유지. 매천의 시풍과 시맥을 광양에 전파했다

고 전하며 매천시집에 그의 작품 여러수가 실려전함. 광양향교 제2

전교를 지냈음.

� 송식(宋植) : 봉강면 부암 출신. 여산 송씨로 호는 춘계(春溪). 문행소(文行素)라는 시를

짓고 철석같은 굳은 마음으로 학문에 열중하고, 달빛아래 을 짓는 생각

과 구상에 항상 깊이 몰두하 음.

제10편 인물

Page 35: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5

제2장 인물

� 송치규(宋穉圭) : 호는 강재(剛齋). 봉강 출신. 학행으로 유명하며 1828년에 봉양사 사

적비문을 썼음. 솔성재(率性齋) 박정일(朴禎一)이 그의 문하생임

� 우재혁(禹栽赫) : 1829년 골약동 황방 출신. 1880년에 사재로 서당을 설치하여 매년 음

력 2월 1일~5월말, 10월 1일~12월말까지 2회 정기적으로 한학을 가

르쳤음. 특히 외지에서 온 학생들의 숙식을 무료로 제공하 으며 그 당

시 학생수는 50명~100명 정도이며 더욱이 그 당시 곤궁한 시 인데

도 향토교육에 공헌이 컸음.

� 이이령(�以齡) : 전주 이씨로 경서(經書)에 능통하고 예술(藝術)에 폭넓은 지식을 가졌

으며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 음.

� 이돈모(�敦模) : 1888년 봉강면 당저 출신. 호는 근재, 품행이 바르고 후세들의 학문연마

에 기여함. 유고집으로 근재집을 남김.

� 이준모(�準模) : 1888년 봉강면 당저 출신. 전주 이씨로 호는 우재(愚齋). 과묵하고 효

자 으며 송윤재(松潤齋)를 짓고, 성학(聖學)을 탐구하고 덕성을 함양

하며 제자들을 길 음. 유고집으로는『우재시고(愚齋詩稿)』가 있음.

� 이현모(�賢模) : 1891년 봉강면 당저 출신. 한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유고집으로 완재집

을 남김. 광양향교 제15 전교를 역임함.

� 이학수(�鶴洙) : 1854년 광양읍 인서 출신. 전주 이씨로 호는 운사(雲蓑), 자는 중구(仲

九). 사친이효하고 의리가 있으며 문장에 능하여 많은 시문을 남김.

� 이복익(��翊) : 전주 이씨로 인조조때 수직(壽職)으로 통정(通政)을 제수받았으나 조

용히 물러나와 봉산(鳳山)에서 밭갈고 을 읽으며 의롭게 살았음.

� 이병무(�秉懋) : 경주 이씨로 호는 백우(白遇). 붓 씨를 잘 썼는데, 특히 필세(筆勢)가

강건하고 전자(篆字)를 잘썼음.

� 이승록 : 전주 이씨로 호는 운은(雲隱). 성품이 온후(溫厚), 효우(孝友)하고, 가난한 이

웃을 널리 도왔으며, 자손들에게도 구휼(救恤)을 계승시켰음.

� 양철인(楊徹仁) : 봉강면 수 출신. 청주 양씨로 호는 소봉(小峯). 학행으로 유명하며

『팔성승조작록(八城勝朝爵綠)』이 있고, 『삼봉경윤(三封徑綸)』『지재

안민책(只在安民策)』등 많은 저서가 있음.

� 정원구(鄭院龜) : 1635년 옥곡면 의암 출신. 생원∙문행으로 유명함. ‘희양팔경’을 지어

향토지에 기록되어 전함. 「정진사문집」을 남겼는데 당시(1600년 )

송천사의 사세를 아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음.

� 정수구(鄭壽龜) : 봉강면 필동 출신. 진주 정씨로 호는 성계(星溪). 우암선생의 제자인

권상하(權尙夏)선생의 문하생으로 학문이 깊고 천성이 조용하며 지조

Page 36: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6

가 굳고 학행으로 유명함.(8 손, 봉강면 조령리 정기)

� 송연제(宋淵齊) : 조선말 유명한 한학자. 문하생으로 술제(述齊) 박희권(朴熙權)이 있음.

� 정우진(鄭佑晉) : 진주 정씨로 이재(�縡)선생의 문하생으로 그 가풍을 승계 하여 경서

(經書)를 탐구하고 예절을 바로 하며 세속에 들뜨지 않았음.

� 정윤화(鄭潤和) : 1857년 진월면 구동 출신. 진주 정씨로 호는 석계(石溪). 서당을 개설

하여 후진양성에 일생을 보냈음.

� 황면기(黃勉基) : 1773년 진상면 비촌 출신. 창원 황씨로 자(字)는 화경(華卿), 호는 청

계당(聽溪堂)임. 1807년(순조7)에 생원과에 장원으로 합격하 으나

관직에 나가기를 단념하고 계속 을 배워‘청계당’이라는 호를 얻었

음. 학문이 뛰어나며 성담 송환기 선생에게 수학하 으며 면암 최익현

선생이 이분의 행적을 찬양하 으며 신황마을에 이분의 호를 딴 청계

당이 있음.

� 황병중(黃炳中) : 1871년 진상 비촌 출신. 창원 황씨로 호는 고암(鼓岩). 항일독립투사

인 황병학(黃炳學. 1876~1931)의 장형으로 유림의 학자. 출신고을인

비촌마을에 운수장(雲水莊)이라는 고암서실(鼓岩書室)을 세워 후진

을 양성하 으며 고암집초(鼓岩集抄)를 남겼는데 특히 1924년 한여

름에 지은 오로 기(午露臺記)가 전함.

� 허억부(許億富) : 김해 허씨로 호는 소암(素庵). 최산두(崔山斗) 선생의 문하생으로 문

장(文章)이 뛰어 났으나, 조정에 나아가 벼슬을 하지 않고 후생들을 가

르치는데 전념하 음.

8. 효자 (孝子. 현 인물포함)

� 강주일(姜周日) : 진주 강씨로 호(號)는 학산(鶴山).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했으며 아버

지가 죽게 되자 손가락의 피를 내어서 입에 넣어 수 일동안 연명케 했

음. (희양지에 실려있음)

� 강 인(姜大仁) : 진주 강씨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는데 어머니가 병이 들자 꿈에 신

(神)의 계시로 약을 얻어 그 병을 낫게 하 음. (희양지에 실려있음)

� 강위환(姜渭煥) : 아버지가 죽게되자 손가락의 피를 내어서 입에 넣어 3일간 연명케하

음. (향당(鄕黨)에서 그 효성을 표창했음)

� 강재하(姜在夏) : 자(字)는 성백(誠伯)으로 위환의 아들. 아버지가 병들자 배에서 피를

뽑아 먹 음.

제10편 인물

Page 37: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7

제2장 인물

� 권봉환(權鳳煥) : 안동 권씨로 효성이 지극하며 아버지 임종때에 손가락 피를 입에 넣어

수일간 연명케 했음.

� 김시준(�時儁) : 김해 김씨로 아버지가 병들자 신의 계시로 상기생(桑寄生. 뽕나무에 기

생하는 겨우살이)을 캐어 시약(施藥), 100세에 이르도록 효성을 다했음.

� 김재룡(�載龍) : 김해 김씨로 계모에게 효도하고 아버지가 병들자 신의 계시로 얼음속

에서 고기를 얻어 달여드리는 등 약수발에 정성을 다하여 소생케했음.

� 김석현(�錫賢) : 1833년 태인동 용지 출신. 김해 김씨로 나무를 해다 팔아 부모를 지극

히 봉양하니 조정에서 정려(旌閭. 충신∙효자∙열녀들을 旌門을 세워

표창하던 일)를 내리고 동몽교관(童蒙敎官)의 증직을 줌(현손, 태인동

김재윤)

� 김낙구(��龜) : 경주 김씨로 어릴 때부터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했으며 아버지가 위독하

자손가락의피를내어입에넣어연명했음.

� 김시종(�時宗) : 아버지가 병환으로 위독하자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넣어 7개월을

연명케 했으며 3년간 시묘(侍墓)하니 조정에서 정려(旌閭. 충신∙효

자∙열녀 들을 그들이 살던 동네에 정문을 세워 표창함)를 세웠음.

� 김세수(�世洙) : 어머니가 죽게되자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 3년간 연명케했음.

� 김재두(�在斗) : 어머니 상(喪)중에 3년간 시묘(侍墓. 무덤옆에 막을 치고 지냄)했음.

� 김석홍(�錫洪) : 부모에게 지극한 효도를 하 으며 상(喪)중에는 3년간 조석으로 묘소

(墓所)를 다녔음.

� 김정렬(�貞�) : 아버지 운명때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 절명을 구했음.

� 김인식(��植) : 아버지 운명때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었으며, 상(喪)중에는 3년

간 시묘(侍墓)했음.

� 김동석(�銅錫) : 10년간 어머니를 정성으로 간병했으며, 운명때는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 3일간 연명케 했음.

� 김 수(�榮秀) : 광양읍 인동 출신. 16세 소년 당시에 부친이 병환으로 위독할 때 단지

주혈(斷指注血)로 소생케 함.

� 김정수(�正洙) : 1912년 광양읍 동외 출신. 지극한 효행으로 한노인회 전남지부로부

터 효자상을 수상하 음.

� 김정석(�貞錫) : 1922년 진월면 아동마을 출신. 어려운 가정 형편속에서도 굳굳하게

자녀들을 키워냈으며 그 공으로 도지사 상을 수상하 음.

� 김종혁(�宗奕) : 1779년 광양읍 용강리 검단 출신. 김령 김씨로 아버지가 병들자 하늘

에 기도하고 산에서 빌면서 눈물로 정성껏 약을 다려드렸으며 돌아가

Page 38: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8

시자 3년간 무덤가에서 시묘(侍墓)했음. 1892년에 정려(旌閭)를 내

렸음. 증 가선 부 호조참판

� 김치조(�致祚) : 1700년경 광양읍 덕산 출신. 김해 김씨로 3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

머니를 봉양중 어머니도 병을 얻어 별세하니 무덤가에 초막을 치고 살

다가 97살 때 죽으니,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세웠음.

� 김기평(�基平) : 김해 김씨로 효자 김치조의 아들. 자는 윤일(允日), 호는 인강(仁岡).

10년간 아버지의 시묘(侍墓)뒷바라지를 하다가 아버지보다 먼저 죽

었음. 죽을 때 아들 효순(孝淳)에게 할아버지를 끝까지 봉양하도록 유

언했음.

� 김효순(�孝淳) : 자 규(永圭), 호 서수(書修). 아버지 유언에 따라 할아버지에게 효성

을 다했으며 상(喪)을 당하자 할아버지와 아버지 무덤가에서 시묘하

다가 죽으니 세상에서 3세효(3世孝)라 불 음.

� 김순근(�順根) : 자는 병삼(丙三), 호는 송암(松菴). 김령 김씨로 아버지 상(喪)중에 3

년간 시묘(侍墓)했으며 그후에도 성묘(省墓)에 지성을 다함으로 순조

(純祖)때에 지능참봉(智�參奉)을 받았음.

� 김의진(�宜鎭) : 김해 김씨로 어머니가 죽자 3리 밖의 묘소에 조석으로 성묘(省墓)하

는데 백호가 호위수행 하 다고 전함.

� 김용택(�用�) : 1887년 광양읍 성북 출신. 김해 김씨로 아버지의 병환중에 배에서 피

를 뽑아 먹 고, 어머니가 죽자 부모의 성묘에 정성을 다하여 모성공회

(慕聖公會)로부터 찬양문을 받았음.

� 김상 (�相永) : 자는 치민(致珉). 호는 송산(松山). 어려서부터 할아버지 봉양에 지성

을 다했으며 병이 들자 신의 계시로 깊은 산에서 약을 캐다가 드려서

먹고 나았음. (손, 태인동 김재화)

� 김학기(�鶴棋) : 김해 김씨로 어머니가 병들자 소변을 받아내고 깊은 물에서 천어(川

漁)를 구해 간호했으며 악종으로 신음하자 입으로 빨아 치유했음.

� 김현섭(�顯燮) : 김해 김씨로 아버지 병환중에 어머니 상(喪)까지 당하여 성심으로 아

버지 병구완을 하고 어머니 초상을 치르니 도(道)의 추천으로 관동가

교관(官童家敎官)이 되었음.

� 김학섭(�鶴攝) : 광양읍 무선 출신. 지극한 효행으로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으며 서기

1856년에 증손 김윤규(�允珪)가 정려를 세웠음.

� 김상문(�相文) : 호 송정(松汀). 김해 김씨로 가난하 으나 부모 봉양에 정성을 다하

음.(호남지에 실려있음)

제10편 인물

Page 39: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899

제2장 인물

� 김화(�樺) : 아버지가 병들자 하늘에 기도하여 엄동추위에 천어(川漁)를 구하여 공양

하니 회생되었음.

� 김 태(��泰) : 아버지가 눈병을 얻자 부부가 똑같이 입으로 고름을 빨아 낫게 하 다.

사람들이 쌍효(雙孝)라고 하 음.

� 김윤행(�允行) : 1877년광양읍본정출신. 경주김씨로부모생전이나사후에까지효도를

다하 다. 희양지에등재되어있음(자, 광양읍사곡리김갑수(�甲壽))

� 김원태(�遠泰) : 김해 김씨로 계모의 봉양을 생모와 같이 하고 근검치산(勤儉治産)했

음.(『三綱錄』및『湖南誌』에 기록되어 있다)

� 김정태(�丁泰) : 자 변일( 一). 김해 김씨로 효성이 지극했고 근검성가(勤儉成家)하여

가난한 이웃을 많이 도왔음. (『三綱錄』및『湖南誌』에 기록되어 있다)

� 김엽(�燁) : 광양읍 덕산 출신. 효도가 지극하여 아버지가 병환중일때 엄동에 천어(川

漁)를 기천(祈天)으로 구하여 공양하므로 회생하 다 함. 광양군 향교 효

행상을 수상하 음.

� 나종길(�鍾吉) : 자 중경(重慶), 호 송은(松隱).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고 병든 아버

지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 으며 상(喪)을 당하자 애통함이 하늘에 닿

았음. (자, 옥룡면 용곡리 경수)

� 문상례(文相禮) : 1959년 진월면 장재 출신. 극진한 효행으로 사회규범이 되어 도지사

표창수상(2003)

� 백치욱(白致旭) : 효성이 지극함이 알려져 동가교관(童家敎官), 예조판서(�曹判書)를

증직했음.

� 박문규(朴文圭) : 함양 박씨로 아버지가 병들자 의원(醫員)말이 개구리라야 치유할수

있다 하 으나 엄동이라 하늘에 기도하니 개구리를 구할 수 있게되어

병을 치유하 음.

� 박병기(朴炳基) : 자 상언(相彦), 호 송호(松湖). 양 박씨로 홀어머니를 봉양하다가 어

머니가 병이들자 손가락의 피를내어 입에 넣어 수일간 연명하 고 상

(喪)중에는 3년간 금기했음.

� 박태운(朴泰運) : 양 박씨로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어머니를 지성으로 봉양하 음. 상

(喪)중에는 5리가 넘는 묘소에 3년동안 조석으로 성묘하 음.

� 박민구(朴珉求) : 평소 효성이 지극했고 아버지 임종때에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

3일간 연명했음.

� 박준호(朴準琥) : 1884년 광양읍 실 출신. 양 박씨로 어머니 운명때 손가락 피를 내

어 입에 넣어 3일간 연명했음. (손, 광양읍 죽림리 박노회)

Page 40: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0

� 박순필(朴順弼) : 아버지 임종때에 손가락 피를 내어 입에 넣어 수일간 연명했음.

� 박동석(朴東碩) :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고 아버지의 간병(看病)에 성심을 다하니 통

정 부(通政大夫)를 증(贈)했음.

� 박인근(朴寅根) : 자 명호(明浩), 호 세이당(洗耳堂). 순천 박씨로 아버지가 병이 중하자

단을 쌓고 기원(祈願)하여 병이 나았음.

� 박 규(朴榮圭) : 자 내선(乃善). 양 박씨로 아버지가 병이 들자 절에가 스님에게 약

(靈藥)을 얻어 치유했음. 고종19년에 정려를 세웠고 장릉참봉(章�參

奉)을 증(贈)했음.

� 박동석(朴東錫) : 어머니가 병들자 깊은 산에 들어가 기원(祈願)하여 신약(神藥)을 얻

어 낫게 하 음.

� 박 두(朴永斗) : 어렸을때부터 효성이 지극했고 어머니의 독종(毒腫)을 1년간 입으로

빨아 낫게 하 음. 향교의 표창이 있음

� 박민동(朴珉東) : 승평 박씨로 어머니가 열병(熱病)을 앓자 하늘에 기원하여 봄철인데

도 얼음을 얻어 간병하 고, 아버지의 임종때는 손가락의 피를내어 입

에 넣었음.

� 박계 (朴啓英) : 양 박씨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정의가 두터워서 조카들까

지 모두 거두어 기르고 혼인분가(婚姻分家)까지 도왔음.

� 박홍래(朴洪來) : 양 박씨로 어머니가 병들자 신약(神藥)을 구하여 낫게 했음.

� 박준득(朴準得) : 1856년 진월면 항동 출신. 양 박씨로 아버지의 간병에 정성을 다해

세칭 하늘에서 난 효자라고 하 음.

� 박만규(朴萬圭) : 양 박씨로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를 봉양하는데 가난하여

어려움이 많았으나 온갖 희생을 무릅쓰고 공경을 다하 으므로 향민

들의 모범이 되었음.

� 박병연(朴炳�) : 양 박씨로 어머니가 중풍으로 거동을 못하게되자 10여년간 세끼의

밥을 떠먹여드리며 분뇨로 더러운 옷을 직접 빨고 밤에는 곁에서 자면

서 간병을 하 음.

� 박소저(朴昭姐) : 1957년 옥곡면 매동 출신. 효자효부 도지사 표창을 받았음.(2002)

� 서명팔(徐命八) : 중마동 오류 출신. 어머니 상(喪)을 당하자 애통한 예를 다했고 아버지

상(喪)때는 3년간을 매일같이 호곡(呼哭)했음(8 손, 중동 서용규).

� 서준흠(徐俊欽) : 중마동 오류 출신. 자 윤선(允善), 서명팔 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의

상(喪)에 3년 동안 조석으로 제물을 올리고 시묘(侍墓)하 으니 향민

들이 효성에 감동하 음.(4 손, 중동 서용규)

제10편 인물

Page 41: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1

제2장 인물

� 서형흠(徐馨欽) : 1840년 옥룡면 흥룡 출신. 이천 서씨로 아버지 상(喪)을 당하여 3년동

안 시묘(侍墓)하 는데 호랑이가 호위했다 함.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세웠음.(3 손, 중동 서병섭)

� 서정준(徐廷駿) : 중마동 오류 출신. 젊어서 할머니 상(喪)을 당하고 어머니가 병들자 손

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 3일동안 연명하 으며 상중에는 일체 고

기를 입에 지 않았음.

� 서정건(徐正楗) : 어머니 상 중에 3년간 시묘(侍墓)하 음.

� 서정옥(徐正玉) : 자 경화(敬化), 호 송은(松隱). 이천 서씨로 그의 부인과 같이 마음을

합하여 부모에게 지극한 효도를 다함으로 인근에서 부부쌍효(夫婦雙

孝)라 칭했음.

� 서달철(徐達喆) : 이천 서씨로 어머니가 병들자 까마귀를 잡아 그 쓸개로 병을 낫게 하

음.

� 서유검(徐有儉) : 달성 서씨로 아버지가 병들자 엄한 추위에 뱀(黃蛇)을 드렸고 운명할

때는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드렸으며 상중에는 3년간 시묘(侍

墓)했음.

� 서정건(徐廷鍵) : 자 경익(敬益), 호 호은(湖隱). 이천 서씨로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어

머니와 외가(外家), 그리고 집안어른들에게 두루 효행했음.

� 서한병(徐漢柄) : 자 운종(雲宗), 호 운초(雲樵), 이천 서씨로 어머니가 병들자 8년간의

간병이 지극했음.(자, 옥룡면 운평리 서치식)

� 서종욱(徐鍾旭) :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고 노친(老親)이 죽은 후에야 자녀를 낳았음.

� 서말식(徐末植) : 이천 서씨로 어머니의 임종때는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 7일간

을 연명했음.(광양유림에서 표창함)

� 서효종(徐孝鍾) : 1958년 옥곡면 매동 출신. 효자효부 도지사 표창을 받았음.(2003)

� 성동기(成東基) : 강능 성씨로 7살때 어머니를 여의고 가난하여 땔나무를 팔아서 아버

지를 봉양하 음. 상(喪)을 당하자 3년간 시묘(侍墓)했음. 모성공회의

찬양문이 있음.

� 성성수(成性守) : 부모와 멀리 떨어져 있었으나 일정한날 부모를 어김없이 찾아뵈옵기

를 30년간 지속하 고 아버지 상(喪)중에는 3년간을 새벽 성묘하 으

니 군천(郡薦)으로 포상했음.

� 성동기(成東基) : 7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가 노병이 들자 그 곁을 떠나지 않고 지

성으로 간병하 음. 90살 때 아버지가 죽자 3년간 시묘(侍墓)했음. 모

성공회의 찬양문이 있음.

Page 42: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2

� 손재열(孫在�) : 양 손씨로 어머니 상(喪)을 당하여 6년간 시묘(侍墓)하여 마을에서

표창하 음.

� 손종수(孫鍾 ) : 자 내견(乃見), 호 정암( 庵). 양 손씨로 경전사서(經傳史書)에 통

했고 부모 상(喪)중 3년을 시묘하 음.

� 신홍구(申弘求) : 고령 신씨로 어머니의 운명때에 자기의 배(服)에서 살을 떼어 구어서

드려 회생케 하 음.

� 신홍좌(申洪佐) : 1821년 중마동 중촌 출신. 성품이 강직하고 인자하며 특히 어버이를

섬기는 정성이 지극하여 조선 고종 삼강록에 수록되어 전하며 마을에

효행비가 세워졌음.

� 신득모(申得模) : 어머니의 운명때에 배에서 살을 떼어 구워드리고 그의 처(妻)는 손가

락의 피를 내어 입에다 넣어드려 3일간 연명케했음.

� 심호택(�浩澤) : 청송 심씨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으며 아버지가 병들자 소변을

받아내고 정성을 다하여 약(藥)을 마련하여 드렸으며 운명때는 손가락

피를 내어 입에 넣어드렸고 상(喪)중에는 항상 죄인으로 자처했음.

� 안태일(安泰馹) : 1908년 진상면 삼정 출신. 아버지가 병들자 10년간을 지성으로 간병

하 으니 상(喪)중에도 자식된 도리를 다하여 향리가 감동하고 사회

규범이 되었음.(자, 진월면 진정리 춘식)

� 안진묵(安鎭默) : 자 윤원(允源), 호 죽봉(竹奉). 순흥 안씨로 효성이 지극하여 고종조

(1893)에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음. (증손, 진월면 차동 준)

� 양복수(�福洙) : 1779년 진상면 목과 출신. 남원 양씨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고

아버지가 병들자 손가락에서 피를 내어 입에 넣어드렸고 또 배에서 살

을 떼어 구워드렸음. 조정에서 가선 부 호조참판에 증하고 마을에 정

려를 세웠음.

� 양병수(�炳洙) : 청주 양씨로 효성이 지극했고 가난한 이웃을 도와 덕을 쌓으니 고종조

에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증(贈)했음.

� 양석현(楊錫賢) : 1859년 옥곡면 곡 출신. 고종조때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어머니

가 학질로 신음하자 배에서 살을 떼어 구워드려 학질을 낫게 했음.(증

손, 옥곡면 곡마을 양상호)

� 양금순(�今順) : 1944년 옥곡면 묵방 출신. 효성이 지극하여 전남도지사상을 수상하

음.(자, 완)

� 오진구(吳振龜) : 아버지가 운명할 때 손가락의 피를 내어 입에 넣어 3일간 연명했음.

� 오창욱(吳昌旭) : 아버지가 운명할때 배에서 살을 떼어 구워드렸으며, 동생들은 손가락

제10편 인물

Page 43: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3

제2장 인물

에서 피를 내어 입에 넣어드렸음.

� 오범순(吳範淳) : 어머니가 병들자 손가락 피를 내어드려 3일간 연명하 는데 다시 위

험하여지자 하늘에 기원하여 까마귀의 약(靈藥)을 얻어 또 3일간 연

명케했음.

� 오철상(吳喆相) : 아버지가 병들자 단(壇)을 만들어 놓고 기원(祈願)하 으며 상(喪)중

에는 3년간 시묘(侍墓)하 음.

� 오두량(吳斗良) : 어머니가 병들자 손가락에 피를내어 먹여 4년간 연명했음. 상(喪)중에

는 3년간 시묘했음.

� 오상수(吳相洙) : 어머니가 병들자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여 회생케 했음. 향리의 표창이

있었음.

� 오지용(吳振�) : 보성 오씨로 아버지 운명때와 어머니 운명때 두번다 손가락의 피를 내

어먹 고 상(喪)때는 범절을 제 로 지켜 행했음.

� 오복 (吳福泳) : 아우 원 (元泳)과 함께 향리에 효행(孝行)과 의리(義理)를 중히 여기

는 풍토를 조성함이 조정에 알려지자‘복 ’에게는 통정동중추(通政

同中樞)를, ‘원 ’에게는 통정부호군(通政副護軍)을 제수하 고 89

살때까지 청백과 충정으로 일관된 생활을 하 음.

� 우달홍(禹達弘) : 광양읍 인서 출신. 아버지의 운명때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여 연명케했

고 상(喪)중에는 3년간 시묘하니 고종30년(1893)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음. 세부사항은 마을유래지 인서마을『문화유산∙유적』을 참조

� 우병길(禹炳吉) : 자 중지(重之), 호 죽파(竹坡). 1871년 아버지가 병들자 하늘에 기원

했고 운명때는 손가락의 피를내어 먹여 3일간 연명했고 상 중에는 3년

간 시묘했음.

� 우우두(禹佑斗) : 자 민오(敏五). 호 첨재(瞻齋).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가 병들자

손가락의 피를 내어먹여 소생케하고 상 중에는 3년간 시묘하고 아버

지(우달홍)의 정려(旌閭)를 세웠음.

� 유삼수(兪三壽) : 1914년 봉강면 하조 출신. 효행이 지극하여 제2회(1976) 광양군민의

날에 군민의 상 수상

� 우순길(禹順吉) : 어머니가운명할때손가락의피를 내어먹여3일간 연명하 으며같은해

에또아버지가운명하자역시손가락피를내어먹여14년간연명케했음.

� 유동무(�東茂) : 문화 유씨로 가난하여 단신으로 땔나무를 팔아 늙은 아버지를 봉양하

으며 90살때 죽으니 3년간 시묘했음.

� 유정열(�丁�) : 강눙 유씨로 가난하여 품삯으로 아버지의 병을 고쳤으며 어머니가 운

Page 44: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4

명할때 손가락의 피를 내어먹여 수일간 연명했음.

� 유학준(兪學濬) : 자 내섭(乃涉). 아버지가 우연히 눈이 멀자 온갖 지성으로 간호하여 다

시 눈을 뜨게 했음.

� 유계양(�季養) : 옥곡면 곡동 출신. 자 춘언(春彦). 호 덕봉(德峯). 아버지가 병들자 손

가락의 피를 내어먹여 회생케 했음. 조정에서 정려를 내리고 동몽교관

(童蒙敎官)을 내렸으며 1929년에 마을입구에 정려가 세워졌음. (옥곡

면 장동리 곡동)

� 윤성실(尹成實) : 집이 가난하 으나 효성을 다하 음. 형제간에 상의하여 형(兄)은 가

계를 일으키고 동생인‘성실’은 부모봉양을 분담하여 모범이 되니 고

종조에 포상하 음.

� 윤희복(尹喜�) :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했으며 사숙(私塾)을 세워 후진을 가르쳐 인재

를 기르니 고종조에 포상하 음.

� 윤식성(尹埴成) : 아버지가 운명할 때 손가락의 피를 내어먹여 수일간 연명했다. ‘광양

향교 상’을 받았다.

� 이강학(�康學∙東喆) : 1922년 광양읍 실 출신. 어머니 병환위급시 단지주혈로 소생

케 하 으며 사후에도 3년간 지극정성으로 장례를 치러 마을

주민들이 감동하 으며 향천의 추천으로 효자상을 수상

� 이종구(�鍾求) : 자 진(大振). 어머니가 병들어 뱀이 좋다는 의원(醫員)말을 들었으

나 엄동(嚴冬)이라 구할 길이 없었음. 깊은 산에 기도하여 뱀을 얻어

병을 나았음.

� 이서찬(�瑞璨) : 천 이씨로 아버지가 수년동안 병환으로 있었으나 지성으로 간호했

고 상(喪)중에는 3년간 시묘했음.

� 이수계(�秀季) :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으며 아버지 운명때에 손가락 피를 내어먹

여 3일간 연명했음.

� 이홍순(�弘純) : 아버지가 병들자 손가락 피를 내어먹여 연명했고 상 중에는 3년간 시

묘했음.

� 이 수(�榮秀) : 아버지가 병들자 14살때 손가락의 피를 내어먹여 회생시켰음. (광양

읍 인동리 진흥회 표창)

� 이재수(�在洙) : 노모(�母)가 중풍(中風)으로 있을때 정성으로 간병하고 상(喪)중에

는 매일 새벽 성묘(省墓)했음.

� 이명우(�明宇) : 자 백(英伯). 편모를 모시면서 효성이 지극했고 운명때는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이므로 수일간 연명했음.

제10편 인물

Page 45: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5

제2장 인물

� 이진순(�瑨淳) : 자 지(永芝). 완산 이씨로 부모상(父母喪)중에 3년간 시묘(侍墓)했음.

� 이재륜(�在崙) : 자 내옥(乃玉). 전주 이씨로 아버지가 오고 가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

천(河川)에 징검다리를 놓았는데 세칭 효자다리라고 했음.

� 이신오(�臣吾) : 부모의 운명때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수일간 연명했음.

� 이득하(�得厦) : 신오(臣吾)의 조카로 부모가 병중에 있을때 약(藥)이나 죽(粥)을 손수

다렸고 자기는 물론 처(妻)도 함께 손가락의 피를 내어먹여 수일간 연

명케 했음.

� 이덕진(�德辰) : 1956년 진월면 외망 출신. 부모에 한 효가 극진하여 사회규범이되

어 도시자 표창을 수상하 음.(2001)

� 이적수(�寂秀) : 아버지가 병들자 하늘에 기원하여 자라를 구하여 병을 낫게 하 고 임

종때는 손가락 피를 내어 먹 으며 어머니가 병들자 눈물로 하늘에 기

원하여 때아닌 앵두를 얻어 병을 낫게 하 음.

� 이근구(�根求) : 자 덕회(德晦), 조부모를 지성으로 봉양했고 조부 상(喪)중에는 3년간

시묘했음.

� 이세갑(�世甲) : 완산 이씨로 어머니가 병들자 단을 만들어 기원(祈願) 했고 운명때는

손가락 피를 내어 먹 으며 배(服)의 살을 떼어내 구어서 드렸음.

� 이회인(�會寅) : 자 중섭(仲燮). 완산 이씨로 신오(臣吾)의 후손. 효도가 지극하니 내려

오는 가훈에 따르는 후손이란 칭송이 자자했음.

� 이득경(�得慶) : 자 응측(應則). 완산 이씨로 부모상(父母喪)중에 3년간 시묘(侍墓)했음.

� 이기문(�起文) : 아버지가병들자배에서살을떼어구어드렸고, 손가락의피를내어먹 음.

� 이승균(�昇均) : 부모의 임종때 두분에게 다 각각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 으며 할머니

상(喪)중에 소식(素食)으로 애도(哀悼)했음.

� 이호인(�好仁) : 전주 이씨로 노모의 중풍에 단을 만들어 기원(祈願)했고 ∙소변을

받아내며 배설한 옷을 스스로 빨래했음.

� 이일구(�馹求) : 자 계진(桂振). 아버지가 운명할때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연명케 했음.

� 이상득(�尙得) : 광양읍 강정 출신. 15세의 어린나이로 어머니가 운명하려 하자 세차례

나 단지주혈하 음. 광양읍 용강리에 정려가 세워짐.

� 이수 (�壽永) : 아버지가 병들자 하늘에 기원하고 약을 드렸으며 상(喪)중에는 3년간

시묘하니 교관(敎官)을 증(贈)했음.

� 이정의(�廷儀) : 편모가 7년동안 중풍으로 있을 때 소변을 받아내며 간병과 봉양이

지극했음. ( 한노인회 표창)

� 이준모(�準模) : 호 우재(愚齋). 효성이 지극해서 1973년 성균관장 표창 수상

Page 46: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6

� 이형석(�炯晳) : 전주 이씨로 효성이 지극해서 1965년 전라남도 도지사 표창 수상

� 이 수(�榮秀) : 아버지의 병이 위독하자 16살된 소년으로 손가락 피를 내어먹여 회생

케하 음. 광양군‘효행상’을 받았음. (인동리)

� 이은종(�殷鍾) : 1864년 광양읍 내우 출신. 어려서 부모님께 효성이 지극하여 가세가

빈곤함에도 멀리서 식량과 찬을 구하여 지성으로 봉양하면서도 적선

을 하는데 인색하지 않고 부모가 위독하자 단지관구(斷指灌口)하여

수일을 연명케 함. 조정에서 정려가 내려짐.

� 이보원(�輔元) : 전주 이씨로 10년간 병든 부모를 부부간에 정성을 다하여 쌍효(雙孝)

로 간병하고 봉양했음. (태인리)

� 이경수(�京水) : 경주 이씨로 10년간 병중에 있는 부모에게 정성껏 간병, 효도했음.

(자, 진월면 오사리 숙동(淑東))

� 장계현(張季炫) : 광양읍 인동 출신. 부친위급시 단지주혈로 3일간 연명케하 고 3년동

안 불을 켜고 시묘를 하여 1925년에 성모공회로부터 찬양문을 받음.

� 장재동(張在 . 장개현의 아들) : 광양읍 인동 출신. 어머니가 위급시 단지주혈로 1일

간 연명케 하 고 3년동안 시묘를 하여 1925년에 성모공회로부터 찬

양문을 받았음.

� 장준석(張駿錫) : 어머니가 병들자 하늘에 기원하여 때아닌 고기를 얻어 치유했고 임종

때는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회생케했음.

� 장시열(張 �) : 옥룡면 율천리 출신. 호 율은(�隱).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가 병들자

하늘에 기원하여 회생케했음. 향리에서 표창 받았음. (옥룡면 율천리)

� 장우상(張羽相) : 아버지와 어머니가 병들었을 때 형제들이 각각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

이니 세칭 3효(3孝)라 했음.

� 장기화(張基華) : 옥룡면 율곡 출신. 평소 모친에 한 효성이 극진하 는데, 모친이 중

병에 걸려 신음하게 되자 단지주혈(斷指注血)하 으며, 또한 부친이

위독하게 되니 그 아우인 기룡(基龍)이가 작지주혈(斫指注血)하여 병

을 낫게 하 으므로 세칭 일문쌍효(一門雙孝)라 하 음.

� 장석우(張錫羽) : 아버지 운명때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회생케하고 상(喪)중에는 3년간

시묘(侍墓)해서 순조조(純祖朝)에 관동가교관(官童家敎官)이 되었음.

� 장계원(張季遠) : 아버지가 병들자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여 회생케하고 상중에는 3년

간 시묘(侍墓)하여 고종조에 관동가교관(官童家敎官)이 되었음.

� 장익양(張益陽) : 자 이화(而華), 호 옥강(玉岡). 효성이 지극하고 벗을 좋아했음. (『�綱

錄』에 기록됨)

제10편 인물

Page 47: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7

제2장 인물

� 장한종(張翰種) : 1922년 옥룡면 율곡 출신. 양친이 위독할 때 손가락피를 내어 먹여 수

일간 회생시켰음. 종내상(宗內賞)∙노인당상∙새마을지도자 동지회

상∙향교상을 받았으며 지극한 효행으로 사회규범이 되어 2003년 광

양시민의 상 수상.

� 정윤화(鄭潤和) : 아버지의 운명 때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3일간 연명케 하 음.

� 정동선(鄭東善) : 부모님 운명 때 각각 3차례나 손가락 피를 내어 먹 음.

� 정순석(鄭淳錫) : 진주 정씨로 아버지 운명 때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소생케 했음.

� 정운세(鄭運世) : 효성이 지극했으며 상(喪)중에는 3년간 새벽성묘를 했음.

� 정인주(鄭仁周) : 동래 정씨로 어머니 운명때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소생케 했음.

� 정치재(鄭致載) : 자 내현(乃賢). 진주 정씨로 아버지가 중병을 앓자 하늘에 기원계시

(祈願啓示)를 받아 계곡에서 약초를 구해 낫게 하 음. 그 약초를 효삼

(孝蔘)이라 했고 정려(旌閭)를 세웠음.

� 정 유(鄭大有) : 진주 정씨로 임란(壬�)때 아버지를 가야산(伽倻山)으로 피난시켜 편

히 봉양하 으므로 호조정낭(戶曹正郞)을 추서받았음.

� 정만하(鄭萬夏) : 광산 김씨로 아버지의 노환(老患) 때 여름에는 메추리알로, 봄에는 송

이(松茸)버섯으로 보양, 치유했고 운명 때는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

고 상 중에는 3년간 시묘했음.

� 정택구(鄭澤龜) : 아버지의 운명 때는 손가락의 피를 내어 먹 고 어머니의 병환(病患)

때는 배의 살을 떼어 구어서 드렸음. 조정에서 상을 내렸음.

� 정주국(鄭柱國) : 자 여직(汝直). 호 연와(�窩).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여 포상을 받

음. (『�綱錄』에 기록됨)

� 정운우(鄭運佑) : 자 성홍(性洪). 진주 정씨로 아버지가 병들어 위독하자 술을 끊고 간병

했으며 상 중에 3년간 성묘했음.

� 정문옥(鄭文玉) : 아버지의 중풍(中風)으로 12년 동안에 ∙소변을 받아내고 손수 빨

래하며 간병하여 장수케했음. ( 한노인회 표창)

� 정상호(鄭尙浩) : 1910년 진상면 내금 출신. 진주 정씨로 아버지 운명때 손가락 피를 내

어 먹여‘광양향교 효부상’을 받았음.

� 조정용(趙廷龍) : 9순(九旬)의 어머니를 모시면서 효성이 지극하고 간병에 극진했음.

� 조성인(趙性麟) : 아버지가 병들자 주야로 하늘에 기원하여 산삼을 얻어 치유했고 어머

니의 운명때는 처가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회생시켰음. 통정(通政)을

증(贈)하고 정려(旌閭)를 세웠음.

� 차원삼(車源三) : 1944년 진상면 지랑 출신. 지극한 효행으로 사회규범이 되어 국무총

Page 48: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8

리상을 수상하 음.(1987)

� 차순언(車順彦) : 호 송암(松岩). 연안 차씨로 아버지가 13년간 중풍으로 있을때 지성으

로 간호했으며 상중에는 3년간 시묘(侍墓)했음.

� 최한정(崔漢精) : 자 치명(致明). 호 운파(雲坡). 경주 최씨로 아버지가 병으로 위독하자

두번이나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한달을 연명했음.

� 최종림(崔宗林) : 1854년 광양읍 신기 출신. 부친이 위급한 병환일 때 단지주혈하여 소

생시켰으며, 부친이 돌아가신 후 3년간 시묘살이를 하는 등 효부로 널

리 알려져 모성공회의 찬양문을 받았음.

� 최창호(崔昌昊) : 전주 최씨로 10여년간 병든 어머니에게 정성으로 간병해서‘모성공회

(慕聖公會) 상’을 받았음. (망덕리)

� 추재규(秋在圭) : 자 서칠(序七), 호 용계(�溪). 아버지 병이 위독하여 단(壇)을 만들어

하늘에 기원했더니 신약(神藥)을 얻어 쾌유했음.

� 탁경순(卓景順) : 1907년 골약동 중양 출신. 7살때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偏母)를 모시

면서 효성이 지극하니 세인이 감복했음.

� 하상천(河相天) : 1939년 진상면 섬거 출신.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에게 보양

과 효도를 다하 음. 1983년‘전남 도지사상’을 받았음.

� 하응국(河應國) : 계유에 사마가 됐는데 효우로 특수능성(特授綾城) 현령함.

� 허호(許壕) : 자 급지(及之). 김해 허씨로 조부모를 극진히 봉양했으며 두분의 상중에 6

년간의 시묘생활을 했음.

� 허장수(許長壽) : 3살때 어머니가 위독하자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6일간 연명케하여 관

찰사의 표창을 받았음.

� 허만성(許萬成) : 1926년 봉강면 저곡 출신. 효성이 지극하여‘전남도지사 상’을 받았음.

� 한용(韓龍) : 14살 때 가출한 아버지를 찾고자 22살 때 까지 방방곡곡을 수소문해 묘향

산(妙香山) 보현사(普賢寺)에서 유골을 찾아 광양에 안장했음.

� 함동기(咸東基) : 옥룡 중산 출신. 생후 7개월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홀아버지의 품에서

어렵게 자라났음. 아버지가 노병을 앓자 곁을 지키며 간병에 정성을 다

하 고 상(喪) 중에는 옥룡면 추산리 금목산중에서 3년간 시묘했음.

‘모성공회’에서 찬양문을 내려 효행을 치하하 음.

� 황응모(黃應模) : 진상면 비촌 출신. 어머니 운명 때 손가락 피를 내어 먹여 연명했음.(증

손, 진상면 비평리 호연)

� 황학천(黃鶴天) : 진상면 비촌 출신. 양모(養母)가 18년간 중풍으로 고생할때 지성으로

간병했음. 향천이 있었음.

제10편 인물

Page 49: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09

제2장 인물

� 황하석(黃夏錫) : 1799년 진상면 비촌 출신. 호는 운고(雲皐). 부모에 한 효성이 지극

하여 조정의 명에 의거 정려를 받음. 정려비는 현재 황죽리 죽림마을에

위치함. 한편 흉년에 가난한 주민들에게 곡식을 나눠주는 등 선행을 베

풀어 적선비(積善碑)가 세워졌었음.

� 황 표(黃永杓) : 장수 황씨로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고 경로정신이 투철하며 형제간

에 화목하여‘ 통령 상’을 받았음. (옥룡면 운평리)

9. 효열부(孝�婦. 현 인물포함)

� 강씨(姜氏. �聖淳의 婦人) : 30살때 남편이 죽고 시어머니를 극진히 봉양하 으며 어

린아이들을 잘 길러 모범적인 효부(孝婦)가 되었음. 향리(鄕里)에서 포

상을 받았음. (손, 옥곡면 장동리 유길성)

� 강씨(姜氏. 鄭容範의 부인) : 시부모 봉양에 극진하고 형제간의 우애가 깊었으며 근검

으로 치산(治産)하 음. 1964년‘도지사 표창’을 받았음. (장자, 골약

동 성황리 정형기)

� 강씨(姜氏. �吾得의 부인) : 아버지가 죽은 15일뒤에 또 남편이 죽었음. 고아가된 시숙

(媤叔)을 돌보아 결혼 시킨뒤에 남편의 묘(墓)로 가서 목매어 죽으려

했으나 미수에 그쳤으며 모두 효열부(孝�夫)라 칭송했음.

� 강씨(姜氏. �希舜의 부인) : 시집간 후 바로 남편이 죽었으나 종신 수절(守節)하 음.

� 강씨(姜氏. 鄭琯和의 부인) : 남편이 죽은 후 시부모를 지성으로 모시며 종신 수절하 음.

� 강씨(姜氏. 정용구의 부인) : 20살때 남편이 죽었으나 딸 하나를 기르며 시부모에게 효

도하고 수절하 음.

� 강씨(姜氏. 鄭容善의 부인) : 18살때시집가서1년뒤에남편이죽었으나종신토록수절했음.

� 김서운남(�瑞雲南) : 1907년 광양읍 세승 출신. 마을입구에 열부의 행적을 기리는 비

가 세워졌음.

� 김씨(�氏. 이승철의 부인) : 18살때 시집가서 25살때 남편이 죽고 종신토록 수절하며

살았음.

� 김씨(�氏. �容燮의 부인) : 남편은 반신불수, 8순(八旬)의 시어머니는 시력을 완전히

잃었으나 정성을 다하여 부도(婦道)와 효도를 다하 음.

� 김씨(�氏. 徐種祿의 부인) : 정유난 때 남편이 죽고 시동생과 가난하고 어려운 생활을

하며 수절하여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세웠음. (13 손,

옥룡면 산남리 서재열)

Page 50: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0

� 김씨(�氏. 배진섭의 부인) : 24살때 남편이 죽고 시부모에게 효성을 다하며 자식들을

기르고 종신토록 수절하 음.

� 김씨(�氏. 白之鎭의 부인) : 남편과시아버지임종때각각손가락을잘라주혈(注血)하 음.

� 김씨(�氏. 鄭厚�의 부인) : 23살때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고

죽은뒤에는 종신토록 수절하 음.

� 김씨(�氏. 鄭東鎭의 부인) : 18살때 남편이 죽고 종신 수절하 음.

� 김씨(�氏. 白文寅의 부인) : 22살때 남편이 죽고 종신 수절하 음.

� 김씨(�氏. 朴俊一의 부인) : 남편이 동학난에 가담하여 사형당한 후 종신 수절하 음.

� 김씨(�氏. 朴準文의 부인) : 19살때 남편이 죽고 종신 수절하 음.

� 김씨(�氏. 徐周植의 부인) : 25살때 남편이 죽고 시부모와 자식들을 위하여 종신 수절

하 음. (자, 옥룡면 동곡리 서병관)

� 김씨(�氏. 鄭源�의 부인) : 23살때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주혈(注

血)하 고 수절하며 효도하고 자식들을 길 음. 모성공회

(慕聖公會)에서 찬양문(讚揚文)을 내렸음.(손, 정병화)

� 김씨 (�氏. �鍾河의 부인) : 남편 임종시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여 1927년 모성공회에

서 찬양문을 내렸음. (손, 김동훈)

� 김씨(�氏. 서돈흠의 부인) :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여 감찰사가

표창하 음.

� 김씨(�氏. 崔春九의 부인) :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으나 효력

이 없자 팔뚝 까지 자르며 정성을 다했음. 조정에서 정려

(旌閭)를 세웠음.

� 김씨(�氏. 白基洛의 부인) : 남편의 임종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고 그 후 시부모에

게 효도하며 수절하 음.

� 김씨(�氏. 鄭元憲의 부인) :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팔뚝을 잘라 주혈하여 회생시켰음.

� 김씨(�氏. �德模의 부인) : 불구인시부모에게효성을다하고남편을지성으로받들었음.

� 김씨(�氏. 申得模의 부인) : 시부모에게 효도하고 임종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음.

� 김씨(�氏. 安 國의 부인) : 처녀때 어머니가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했고 시집가

서 남편이 죽자 11년간 고기를 먹지 않았으며 뒷날 괴한에

게 몸을 더럽히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음. (철종7년 1856년

에 표창받았다.)

� 김씨(�氏. 白元鎭의부인) : 남편과 시아버지가 위독할때 각각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고 남편이 죽은 뒤에는 시부모에 효도하며 자녀를 기르고

제10편 인물

Page 51: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1

제2장 인물

수절하 음.

� 김씨(�氏. 진경호의 부인) : 젊어서 남편이 죽고 종신 수절했음.

� 김씨(�氏. 黃祐錫의 부인) : 남편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했음. 『윤강록(�綱

錄)』과『조선환여승람(朝鮮 輿勝覽)』에 등재되어 있음.

� 김광숙(�光淑. 김재훤의 부인) : 1947년 광양읍 신기 출신. 효행으로 1983년 한노

인회 전라남도 연합회장 표창 수상

� 김말남(�末男) : 1931년 골약동 기동 출신. 23세때 남편을 여의고 시어머니에 한 지

극한 효행으로 널리 그 덕성이 알려졌음.

� 김봉순(�鳳順. 황 수의 부인) : 골약동 성황 출신. 지극한 효행으로 1964년 도지사상

을 수상

� 김순희(�順姬) : 1931년 광양읍 도청 출신. 20년간 병든 시부모에게 정성어린 간병으로

효성을 다하여 1982년‘ 한노인회 전남지부장’으로부터 표창 수상

� 김씨(�氏. 崔春九의 부인) : 남편이 죽은후 수절하여 열녀의 행적을 보여, 고종22년에

표창받았음. (『湖南 古今 儒林譜神錄』에 등재됨)

� 김월심(�月心) : 1877년 광양읍 월평 출신. 병든 남편을 침식을 잃고 지극정성으로 간

호하 으며 임종시에는 단지주혈로 얼마간 연명케하고 사후에는 노모

봉양과 자녀교육에 몸을 바쳐 인근마을에서 그 효성에 감동하 음.

� 김말순(�末順. 咸義植의 부인) : 앞을 못 보는 시어머니에게 지성으로 효도하여 1983

년 노인회에서 시상(施賞)했음. (자, 옥룡면 추산리 함형채)

� 김선례(�善禮. 徐敬淳의 부인) : 시부모에 지극한 효성으로 1977년‘전남도지사 상’

을 받았음. (자, 옥룡면 용곡리 서광수)

� 김씨(�氏. 白文寅의 부인) : 20살때 남편이 죽고 시부모를 섬기며 수절하 음.(4 손,

옥곡면 신금리 백홍근)

� 김미남(�未南. 韓春奉의부인) : 23살때 남편이 죽고 시부모에 효도하며 수절하

음.(자, 중동 한철희)

� 김씨(�氏. 姜源欽의 부인) : 남편의 병이 위독할 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注血)하여‘모

성공회’찬양문을 내렸음.(손, 진월면 진정리 강철주)

� 김씨(�氏. 姜致飮의 부인) : 남편 위독시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으며, 조선환여승람에

찬양문이 있음.

� 김씨(�氏. 朴準亨의 부인) : 17살에 시집와서 효도와 부덕을 다하 으나 남편이 난치

병에 걸리자 매일밤 하늘에 기원하며 금식하다 졸도했음.

남편이 죽자 시부모가 만류 하여도 듣지 않고 애통하여 모

Page 52: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2

성공회(慕聖公會)에서 찬양했음.

� 김씨(�氏) : 1856년 광양읍 실 출신. 시집오자마자 부군을 잃고도 한평생 부군의

혼마을 믿고 수절하 음.

� 김 자(� 子) : 1929년 광양읍 신흥 출신. 효부. 어버이에게 효성이 지극하고 어른 공

경심이 타의 귀감이 되어 전남도지사상을 수상하 음.

� 김점희(�点熙) : 남편이 일찍 죽고 시부모마저 노환이 들었으나 간병에 정성을 다하

고 자식교육에 헌신하 음.

� 김윤남(�允南. 鄭順基의 부인) : 17살때 가난한 집으로 시집와서 8개월만에 남편이 군

(軍)에 가서 전사하니 유복녀(遺服女) 하나를 기르며 나무하고 채소

를 가꾸며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우애와 친족화목을 도모하니 칭찬

이 자자했음. 수성당 표창을 받았음(양자, 봉강면 봉당리 정현종)

� 김숙자(�淑子. 高明化의부인) : 94살의 시조부모 봉양에 지극한 효도를 다했음. (다압

면 도사리).

� 김말례(�末禮. �相瓚의 3子婦) : 1936년 태인동 용지 출신. 시아버지가 3년 6개월간

와병중 정성을 다하여 약(藥)을 리고 ∙소변을 혼자서 받아내는

효성을 다하여 보건사회부장관 표창을 수상함(1989)

� 나씨(�氏. 姜永玟의 부인) : 시아버지의 몸에 악성 종기가 심하자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 고 임종때는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음. (4 손, 옥룡

면 죽천리 강도원)

� 나씨(�氏. 姜大昊의 부인) : 남편이 병으로 위급하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했고 시부모의

병간호에 정성을 다하여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세웠음.

� 나점례(�點�. �道允의 부인) : 남편이 죽은 후 3년상을 예를 다하여 정중히 치르고

수절하며 치산(治産)하여‘마을상’, ‘군민효행상(群

民孝行賞)’을 받았음.

� 나옥순(�玉順) : 18살때 신(申)씨 집안에 시집와서 15년간 중풍든 시아버지의 병간호

를 지성으로 했음.

� 문씨(文氏. 姜禧永의 부인) : 남편이 오랫동안 학질로 신음하자 온갖 약초를 구해다 치

료에 정성을 다했으나 효과가 없자 허벅지 살을 떼어 구어

먹여 완쾌시켰음.

� 박씨(朴氏. �容琪의부인) : 시부모에 효성이 지극하 음. 판서 민병한(閔炳漢)이 그 아

름다운 행적을 기록하 음.

� 박씨(朴氏. �永煥의부인) : 와병중의 남편을 9년간 지성으로 간병하 고 죽은 후에는

제10편 인물

Page 53: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3

제2장 인물

종신 수절하 음.

� 박씨(朴氏. 徐正守의 부인) : 남편 임종때 손가락피를 내어 주혈하 고 죽은 후에는 수

절하 음.

� 박씨(朴氏) : 상주 박씨로 18년간 시아버지를 극진히 간병하여 1982년 통령 표창을

받았음.

� 박득례(朴得�. 朴信立의 딸) : 13살때 아버지가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주혈하

음.(『朝鮮 輿勝覽』에 등재되어 있다)

� 박씨(朴氏. 鄭勛熙의부인) :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고 자녀들을 강인하게 길러 효부

(孝婦)와 열부(�夫)를 겸비하 다고 칭찬이 자자하 음.

� 박복임(朴福任. 具敎成의 부인) : 노병중의 시어머니에 3년 6개월 동안 간병하여 한

노인회에서 표창하 음.

� 박복이(朴福伊, �元龍의 딸) : 남편과 사별한 후 시부모에 효도, 청상수절 함. 한노인

회에서 표창하 음.

� 박씨(朴氏. 徐漢鎬의 부인) : 남편이 위급할때 팔을 베어 주혈하 음. (손, 옥룡면 죽천

리 서병수)

� 박씨(朴氏. �萬浩의 부인) : 바느질품팔이를 해가며 시부모에 효도하 으며, 도지사 표

창을 받았음.

� 박달막(朴達莫. 전주이씨의 부인) : 고려 의종24(1170) 경인년(庚寅年), ‘무신의 난’

때 22살로 남편이 죽고 시부모에게 지극효성을 다

하며 어린 자식들을 의롭게 길러 집안을 일으켰음.

� 박양숙(朴良淑) : 1918년 진월면 돈탁 출신. 17살 때 김씨 집으로 시집와서 27년간 시어

머니의 중풍병 간병에 정성을 다하 고 형제간에 우애하고 친족간에도

화목을 도모하여 향리에 칭송이 자자하여 효부상을 수상하 음.

� 박씨(朴氏. 서용진의 처) : 1882년 옥곡면 오동 출신. 혼인 몇 개월만에 남편을 여의고

유복자를 키우면서 시부모를 지극한 정성으로 모셨으며, 성

모공회로부터 찬양문을 받았음.

� 박씨(朴氏. 姜鳳鉉의 부인) : 시부모가 병으로 위독하자 단(壇)을 설치하고 하늘에 기원

하 던 바 꿈에 화사탕(化蛇湯)을 먹이라는 계시를 받고

그 로 하여 완쾌하 음.

� 백씨(白氏. �稍柱의 부인) :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고 시부모에게 효도하여‘모성

공회’에서 표창 받았음. (후손, 진월면 진정리 김금룡)

� 서씨(徐氏. 南廷昊, 일명 多福의 부인) : 남편이 일본에 건너가 그곳에서 죽었으나 시어

Page 54: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4

머니에게 효도를 다하며 사니‘모성공회’의 천거로 비(碑)를

세웠음. (자, 봉강면 봉당리 남두칠)

� 서씨(徐氏. �泰涉의 부인) : 남편의 임종때 허벅지 살을 베어 주혈하 고 시어머니에

게 효도하 음.

� 서씨(鄭永福의 부인) : 시어머니가 종기가 심해 농을 빨아 치유케하는 등 효심이 지극함.

� 서씨(徐氏. �大福 의부인) : 시어머니의 악성 종양을 입으로 빨아 낫게 하고 효도하 음.

� 서씨(徐氏. �基昊의 부인) : 13년간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고 죽은 뒤에는 3년간

거려(居廬: 상제가 되어 여막(廬幕)에서 사는 것) 하 음.

� 서씨(徐氏. �鍾旬의 부인) : 시부모에 효도하고 경로심이 강해 1980년 전라도지사가

표창하 음. (자, 옥룡면 용곡리 초장마을 나경수)

� 서선자(徐善子, 문병수의 처) : 1961년 옥곡면 전 출신. 지극한 효행으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하 음.

� 서양례(徐良禮. 鄭致基의 부인) : 23살때 남편이 죽자 3년간 시묘(侍墓)하여 1959년

수성당(壽星堂)에서표창하 음. (옥곡면 장동리)

� 서봉임(徐鳳任. �容君의부인) : 시부모에게 지극한 효성을 하여‘광양군민의 상’,

(1975년)을 받았음. (자, 골약동 도이리 김근수)

� 서씨(徐氏. �永儀의 부인) : 남편이 30살에 죽고 외아들마저 죽었으나 수절하면서 가

업에 충실하여 성균관장의 표창이 있었음.

� 서차덕(徐且德. �載溶의 부인) : 1908년 골약동 군재 출신. 수십년간 병든 시아버지를

정성으로 간병(看病)하여 1980년 성황리(城隍里)에서 이 효성

을 기리기 위해 효부행적비(孝婦行績碑)를 세웠음.

� 서단엽(徐丹葉. 姜周仁의 부인) : 시집온지 1년만에 남편이 죽고 시부모에게 효도를 다

하며 수절하 음. ‘군수상’∙‘도지사상’∙‘국회의장

상’을 받았음. (자, 골약동 황길리 강희룡)

� 선덕업(宣德業) : 1884년 골약동 군재 출신. 8세에 남편을 여의고 수절하 으며 품행이

방정하여 마을주민들로부터 칭찬이 자자함, 향교상을 수상하 음. 마

을에 보성선씨 효열비가 세워졌음.

� 손복덕(孫福德. 宋守浩의 부인) : 시부모에게 효도하여 향교(鄕校)에서 유림 찬양문과

시상(施賞)을 하 음. (자, 옥룡면 용곡리 방마을 송준수)

� 손씨(孫氏. 吳在坤의 부인) : 가난한 집으로 시집갔으나 근검과 성실로 가세를 일으켜

가문을 위해 많은 재산을 희사(喜捨)했고 시어머니 병을

수 년 동안 정성껏 간병(看病)했음.

제10편 인물

Page 55: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5

제2장 인물

� 송씨(宋氏. 張運�의 부인) : 남편의 간병(看病)에 정성을 다하고 손가락을 잘라 주혈

(注血)하 음. (손, 옥룡면 율천리 장철종)

� 신씨(辛氏) : 광양읍 인동 출신.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고, 부덕을 겸비하 으며 남편

이 사망하자 3년동안 소복차림으로 사후 생을 기원하는 등 열행으로

1925년에 성모공회로부터 찬양문을 받았음.

� 심씨(�氏. 黃炯模의 부인) : 남편 임종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注血)하고 자녀들을 훌륭

히 키웠음.

� 심상평(�上坪. 黃亨權의 부인) : 17살 때 시집와서 남편이 중병으로 위독하자 손가락

을 잘라 주혈하여 수일간 연명하여‘모성공회(慕聖公會)’에서 시상(施

賞)하 음. (3 손, 옥룡면 용곡리 황순홍)

� 안두례(安斗禮) : 옥곡면 신촌 출신. 지극한 효성으로 전남도지사상을 수상하 음.

� 안씨(安氏. �萬壽의 부인) : 15년간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고 죽은 뒤에 수절하며

시어머니에게 효성을 다해‘도지사상’을 받았음. (자, 진월

면 마룡리 김문호)

� 안귀례(安貴禮. 김재두의 부인) : 1913년 진상면 섬거 출신.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했

으며 자녀교육에 헌신하여 1964년‘ 통령 표창’을

받았음. (자, 진상면 섬거리 김용규, 김금선)

� 양씨(�氏. �載希의 부인) : 남편과 시아버지의 임종 때 각각 손가락을 잘라 주혈(注

血)하 음.

� 양신례(�信禮) : 1929년 옥곡면 점기 출신. 한국부인회의 장한 어머니상을 수상하 음.

� 오씨(吳氏. 황병중의 부인) : 진상면 비촌 출신. 시부모에게 효도가 지극했으며, 남편 임

종시 손가락을 잘라 주혈(注血)하 음. (손, 진상면 비평리

황호연)

� 오씨(吳氏. 黃鶴模의 부인) : 남편 임종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고 시부모에게 효도하

음. (후손, 진상면 비평리 황호열)

� 오씨 (吳氏. 趙映來의 부인) : 열녀의 행위가 있어 효열비(孝�碑)를 세웠음. 『조선환여

승람(朝鮮 輿勝覽』에 등재됨

� 오씨(吾氏. �秀養의 부인) : 오곡면 곡동 출신. 지극한 효행으로 조정에서 정려를 내리

고 숙부인의 증직을 내렸음.

� 우씨(禹氏) : 광양읍 인동 출신. 몇 년동안 병상에 있는 남편을 위해 백방으로 약을 구하

여 사후 여생을 기원하는 등 열행으로 1925년에 모성공회로부터 찬양문을

받았음.

Page 56: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6

� 유인자(�仁子) : 1956년 진월면 신덕 출신. 어버이에 한 지성스런 효행으로 보건복

지부 장관상을 수상하 음.

� 유병임(兪炳任) : 남편이 일제(日帝)징집으로 사망한 뒤 수절하며 부덕을 보여 전남도

지사가 표창하 음. (자, 봉강면 봉당리 강 균)

� 유씨(兪氏. 蔡敬默의 부인) : 생후 8개월된 남아를 두고 남편이 죽은 후 종신 수절하여

한노인회에서 표창하 음. (자, 봉강면 봉당리 채귀동)

� 유덕이(�德伊. ��沆의 부인) : 다압면 내압 출신. 10여년간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

하고 임종 때는 손가락 피를 주혈하고 수절하 음.

(자, 다압면 신원리 이원생)

� 윤씨(尹氏. �鉉錫의 부인) : 남편이 중병으로 수년간 고생할 때 밤마다 하늘에 기원하

니 꿈에 한노인이 뒷산에 오색(五色)뱀이 있다고 가르쳐

주어 이튿날 남편의 어린 동생을 데리고 산에 가니 과연 뱀

이 있더니 초(�草)로 변하 음. 그것을 캐다가 먹고 병

이 나아 정려(旌閭)를 세웠음. (손, 태인동 김재윤)

� 우옥남(禹玉南, 김정현의 부인) : 1937년 광양읍 도청 출신. 2004년 현재 광양시 최고

령자 도순심(105세)씨의 며느리로 몇 십년간 지극한

정성과 효심으로 시어머니를 모셔 오랫동안 건강∙장

수토록하여 효부상을 수상

� 이씨(�氏. 鄭斗仁의 부인) : 20살 때 남편이 죽고 수절하며 시어머니에게 효도하여

1923년 도지사가 표창 하 음.(손 정학규)

� 이씨(�氏. 주병수의 부인) : 남편이 일찍 죽고 수절하며 시부모에게 효도하여‘모성공

회’의‘찬양문’이 있었음.

� 이씨(�氏. �畿炫의 부인) : 일찍 남편이 죽고 종신 수절하여‘명감보(明鑑譜)’에 등재

되어 있음.

� 이씨(�氏. 유석헌의 부인) : 22살때 남편이 죽자 같이 죽으려 했으나 이웃사람 들의 만

류로 미수에 그치고 수절했음.

� 이씨(�氏. 徐鍾善의 부인) : 열녀의 행적이 있어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세웠음.

� 이씨(�氏. �鍾順의 부인) : 어머니병에손가락을잘라주혈(注血)하고효심이지극했음.

� 이씨(�氏. 鄭基性의 부인) : 남편의 임종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으나 죽고 말자 자

신도 남편따라 목을 매어 자살했음.

� 이씨(�氏. 姜運秀의 부인) : 광양읍 초남 출신. 청상으로 수절하며 시부모에게 효도하

여 마을에 효열비가 세워졌음.

제10편 인물

Page 57: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7

제2장 인물

� 이씨(�氏. 나주완의 부인) :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주혈했고 불구

자가 된 시부모에게 10여년을 정성으로 간병했음.

� 이씨(김종순의 부인) : 시부모의 병환에 정성을 다하 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주혈했음.

� 이씨(�氏. �相楨의 부인) : 부덕과 열녀의 행적이『호남지(湖南誌)』에 기록되어 있음.

(자, 태인동 김태현)

� 이씨(�氏. �在�의 부인) : 남편이 위급할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음. 『조선환여승

람(朝鮮 輿勝覽)』에 등재(손, 진월면 차사리 수화)

� 이씨(�氏. �燾興의 부인) : 남편의 임종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고 불구의 시어머니

를 10여년간 간병 효도하 음. 『조선환여승람』에 등재.

� 이명숙(�明淑. �君鎬의 부인) : 병든 늙은 시어머니의 간병을 정성껏 하여 한노인

회에서 표창함.

� 이봉순(�鳳順) : 1936년 옥곡면 백암 출신. 지극한 효행으로 전남도지사 표창

� 이봉순(�鳳淳) : 1904년 중마동 오류 출신. 지성으로 남편을 간병하여 성균관장 표창수상

� 이순악(�順岳) : 41살에 정(鄭)씨 집으로 개가하여 7살부터 16살까지 전실소생 7남매

를 헌신적으로 길러, 그 중 장남과 3남은 학을 졸업시키는 등, 부도

를 다하여 도지사가‘현모양처 표창’을 하 음.

� 이씨(�氏. 강운수의 부인) : 남편이 일찍 죽자 유복자를 기르며 시부모에게 효도하고

수절하여 초남리에 열녀각(�女閣)을 세웠음.

� 이씨(�氏. 조병수의 부인) : 시어머니가 죽자 계모를 맞이하게 하여 효성을 다하고 남

편이 병들자 단을 쌓아 하늘에 기원하여‘모성공회’에서

찬양했음.

� 장순례(張順禮. 孫永培의 부인) : 1938년 광양읍 도청 출신. 10년간 시부모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 으며 선행부문으로 광양군민의 날

(1979)에 광양군민의 상을 수상하 음.

� 장씨(張氏. 장재동의 여동생) : 광양읍 인서 출신. 남편이 위급하자 백방으로 약을 구하

여 치료하면서 단지주혈로 2일간 연명케 하 고 사망하

자 매년 20일 간을 묘소를 지켜 1925년에 성모공회로부

터 찬양문을 받았음.

� 전씨(全氏. 崔致欽의 부인) : 남편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음.

� 정씨(鄭氏. 孔載�의 부인) : 남편이 화(禍)를 만나 죽게되자 신할 것을 원하 으나

받아주지 않자 스스로 자결하여 남편이 그 화를 면할수 있

었음. 면(面)에서 시상(施賞)하고 비(碑)를 세웠음.

Page 58: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8

� 정씨(鄭氏. 朴正來의 부인) : 1896년 광양읍 실 출신. 21세에 남편을 잃고 순절코자

했으나 뜻을 고쳐먹고 평생 시부모를 극진히 봉양하 음.

(손, 광양읍 죽림리 노은)

� 정씨(鄭氏) : 일찍 남편과 사별하고 수절하며 부덕을 보임. 정려건립(태인동 김완현)

� 정씨(鄭氏. 朴行鎭의 부인) : 남편이 위독할 때 팔뚝을 베어 주혈하고 수절하 음.

� 정씨(鄭氏. �盛夏의 부인) : 18살때 시집와서 남편이 병들자 간병에 정성을 다하여『조

선환여승람』에 등재되었음.

� 정씨(鄭氏. 孫廷基의 부인) :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여『조선환여승람』에 등재되었음.

� 정씨(鄭氏. �壽永의 부인) : 시어머니 임종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여『조선환여승람』

에 등재되었음.

� 정씨(鄭氏. 朴行鎭의 부인) : 시부모가 위독하자 팔뚝을 잘라 피를 주혈하여‘성모공회’

에서 찬양문을 내렸음.

� 정씨(鄭氏. 申濟峰의 부인) : 남편을 받들고 시부모에 효도하여 도지사가 표창하 음.

(자, 진월면 선소리 신상호)

� 정씨(鄭氏) : 1865년 광양읍 실 출신. 부군의 병을 고치기 위해 자신의 허벅지 살을 떼

어 먹 음.

� 정순엽(鄭順葉. �吉琇의 부인) : 품행이 단정하고 시어머니에게 효성이 지극하여

1982년‘율곡노인회’에서 시상(施賞)하 음. (자, 옥

룡면 율천리 이상호)

� 정복덕(鄭福德. �洪錫의 부인) : 시어머니의 악성종양을 10여년간이나 입으로 빨아 치

료하여‘모성공회’에서 시상(施賞)하 음. (자, 옥룡

면 추산리 김상문)

� 정향순(鄭香順) : 1949년 태인동 용지 출신. 효행이 지극하여 사회규범이 되어 전라남

도지사 효행상 수상.

� 조씨(趙氏. 최상경의 부인) : 남편이 동학난(東學�)에 가담한 죄로 심한 고문을 받으면

서도 끝내 함구하 으며 병으로 위독하니 100일간 산신제

(山神祭)를 올렸음.

� 조복래(曺福來. 鄭斗基의 부인) : 1919년 황곡 출신. 10여년간 남편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고 시부모에게 효도하여 1980년 전남도지상을

받았음. (자, 골약동 황길리 정현제)

� 조순기(曺順基) : 1917년 광양읍 호암 출신. 제3회(1977) 군민의 날에 모범적인 효부

로 광양군민의 상 수상을 했음.

제10편 인물

Page 59: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19

제2장 인물

� 주씨(朱氏. �容憲의 부인) : 시아버지의 악성 항문종양(肛門腫瘍)때 입으로 빨아 치료

하여 효부로 칭송이 자자했음.

� 주청 (朱靑垈. 이태구의 부인) : 7년간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허벅지살을 베어 구어먹

여 1981년 면민(面民)들이 효부비(孝婦碑)를 세웠음.

� 주씨(朱氏. 張運�의 부인) : 25살 때 남편이 병들자 후원에 단을 쌓고 밤마다 기원하

으며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음.

� 최씨(崔氏. 宋澤洙의 부인) : 남편이 위독할때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여 모성공회에서

비(碑)를 세웠음.

� 표씨(表氏. �昌壹의 부인) : 청상으로 종신수절하여「유형장문(有衡場文)」을 내렸음.

� 함덕희(咸德姬, 함상선의 딸) : 16세에 출가 시어머니 간병에 효성을 다함. 한노인회

표창 수상

� 허씨(許氏. 姜大圭의 부인) : 남편이 학질로 3년동안 와병(臥病)하다 위독하자 허벅지

살을 도려내어 피와 살을 먹여 병을 낫게 하 다. ‘모성공

회’에서 시상(施賞)하고 열행비(�行碑)를 세웠음.

� 허씨(許氏. �軫鉉의 부인) : 29살에 남편이 죽고 수절하며 시부모에게 효도하고 치산

(治産)하여‘향교’에서 포상하고 보장문( 場文)을 내렸

음. (증손, 이종우)

� 허씨(許氏) : 골약동 성황 출신. 젊어서 남편을 사별하고 정절을 지키며 시부모에게 극

진한 효도로 효열상을 받았으며 마을에 효열비가 세워졌음.

� 홍씨(洪氏. 서지원의 부인) : 남편을 공경하고 시부모에게 효도하 으며 남편이 위독하

자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 고 가난하면서도 시아버지에게

매일 술과 고기로 효성을 다하 음.

� 황봉애(黃鳳愛. 鄭中和의 부인) : 1930년 진상면 내금 출신. 시할아버지와 시아버지의

간병에 정성을 다하고 효도하여 1958년 도지사(道知

事)가 효부상(孝婦賞)을 내렸음. (자, 진상면 금이리

정용문)

10. 기타인물

� 정주국(鄭柱國) : 1807년 진상면 외금 출신. 진상의 금이평앞에 큰보를 만드는데 앞장

서 한발의 피해를 막는데 공을 세웠으며 이천마을입구에 주민들이 공

적비를 세웠음.

Page 60: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20

� 서계흠(徐啓欽) : 1863년 옥곡면 신금 출신. 동학농민운동 당시 농민들의 생명을 많이

구제함.

� 김상의(�商義) : 1873년 진상면 지랑 출신. 진상면민을 위한 방천구축. 마을 진입로 개

설. 진상보통학교 설립 지원 등 면민을 위하여 많은 공헌을 하 음. 지

랑주민들이 그의 송덕을 기리는 비를 마을입구에 세웠음.

� 김현주(�鉉周) : 1900년 진상면 지랑 출신. 진상중학교 설립시 건립기금으로 논 100두

락을 희사하 음.

� 최관현(崔琯鉉) : 1884년 진월면 오추 출신. 이왕공가(�王公家)광양토지관리인으로

30년 지냈으며 진월면장(1922. 11~1924. 3)재임시 섬진강변 오사지

구에 간척지를 조성하여 세민구제사업을 실시하 고 당시 수혜받은

주민들에 의해 현재 사평마을 입구에 자혜불망비가 세워졌음.

11. 공을쌓은광양현감(光陽縣監)

� 박세후(朴世煦) : 재임기간 1528~미상. 상주(尙州)박씨이며 자는 중온(仲溫) 호는 인

제(認齊)임. 1519년(중종14년) 별시문과을과(別試文科乙科)에 합격

하여 전적(典籍, 종6품) 감찰을 거쳐 1528년(중종23년) 광양현감으

로 부임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음. 초남 앞바다에서 불어오는 해풍을 막

고 왜적에게 노출을 은폐, 비보하기 위해 현재 유당공원, 광양숲, 칠성

리등지에 팽나무등을 심어 숲을 조성하 으며, 사마소(司馬所)를 개

장하여 고을선비에게 학업을 권장하여 많은 문사(文士)를 배출하

고, 주변루(籌邊樓)를 건립하고, 한편으로는 향사당(鄕射堂)을 건립하

여 궁도를 연마케 하 음. 현재 광양읍 우산리 조산에 위치한 봉양사

(鳳陽祠)에 최산두(崔山斗)와 함께 배향되어 있음.

� 정숙남(鄭淑男) : 재임기간 1577~1580. 4 섬거창(蟾居倉)을 설치하고 박세후(朴世煦)

와 최산두(崔山斗)를 배향하기 위해 봉양사(鳳陽祠)를 건립하 음.

� 어 담(魚泳潭) : 재임기간 1591. 3~1593 임진왜란시 백성들의 고통을 달래고 행정의

폐단을 개혁하 으며 전시의 군사행정을 빈틈없이 펼침으로서 민심을

수습하는데 공헌하 음. 그가 판옥선(板屋船)인 광양선(약135~155

명 승선)을 이끌고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중부장(中部將)을 맡아 옥포

해전, 합포해전, 사천전, 율포해전, 견내량전에서 많은 적선을 격파하

고 왜적을 무찌르는데 공을 세웠음. 1594년 한산도 진중에서 전염병

제10편 인물

Page 61: 제2절조선시대의인물 - Gwangyang · 2018-06-15 · 863 제2장인물 한종6품의무관)으로있을때임진왜란을당하자아우인부장(副長) 한우(漢佑)와함께이여송(

921

제2장 인물

으로 사망, 전남 보성에 안장하 으나 현재 그의 묘소를 찾지 못하고

있음.

� 구덕령(具德齡) : 재임기간 1596. 12~미상. 선조때 조정의 명을 따라 십읍(十邑)관원과

군을 이끌고 경남 진주성을 축성하고 왜구를 방어∙공략하 음.

� 이오(�敖) : 재임기간 1612. 8~1613. 2. 향교 성전 중건 및 아사(衙舍)를 건립하 음.

� 박문명(朴文明) : 재임기간 1624. 1~ 1625. 12. 객사(客舍)를 건립하 으며 공적비가

있음.

� 최탁(崔濯) : 재임기간1638. 3~1641. 선정을베풀고백성을잘보살폈음. 공적비가서있음.

� 최성(崔晟) : 재임기간 1738. 4~1740. 7. 객사와 각청을 중수하고 백성들의 노역을 감

하여 주민들이 편안히 살도록 선정을 베풀었음.

� 우정규(禹禎圭) : 재임기간 1783. 1~ 1785. 6. 흥학재(興學齋)를 를 건립하여 학문을

장려하 으며, 형제 의병장인 강희열∙강희보의 묘를 개축하고 제향

(祭享)하 음.

� 이종숙(�鍾淑) : 재임기간 1796. 8 ~ 1798. 6. 재임중에 광양읍지(光陽邑志)를 발간하

고, 읍지에 서문(序文)을 썼음.

� 윤 신(尹榮信) : 재임기간 1868. 9. ~ 1869. 7. 재임중인 1869. 3. 24 광양민란이 일어

나자 이를 진압한 공로로 승진되어 나아갔음. 광양읍 유당공원에 그의

공적을 찬양한 토평사적비가 세워졌음.

� 서병수(徐丙壽) : 재임기간 1898. 3.~1899. 2. 행정을 잘하고 학문을 널리 권장하 음.

공적비가 서있음.

※ 참고문헌

1. 『광양군지』. 1983년 12월30일

2. 『광양군지』. 1924년 12월20일

3. 『광양향교지』. 1955년 1월10일

4. 『내고장 전통가꾸기』. 1981년 12월30일

5. 『백운문화지』4호. 1988년 3월21일

6. 『전남도지』2∙3∙30권. 1968년 5월

7. 『국역 증보문헌 비고』. 세종 왕 기념사업회

8. 『호남읍지』권9. 전남 학교 구사교육과. 1871년

9. 이 빈. 『전국지리지총서』. 한국학문헌연구소. 1983년 2월10일

10. 안종화. 『국조인물지』

11. 『조선환여승람(朝鮮 輿勝覽)』

12. 이홍직. 『국사 사전』. 1999년 6월10일

13. 『계간 동문화』(2001년 광양 통권)

14. 『독립유공자 공훈록 명단』(국가보훈처 인터넷)

집필 : (전) 농림부 과장 서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