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29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마 유 미 ** 정 선 아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들이 자연으로 나들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정서와 이러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자연의 특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년 월 일부 월 일까지 주간 공동육아 깨끔발 어린이집 세 유아 명의 청명산 나들이를 관찰 하였다 유아들이 자연에서 보이는 긍정적 정서와 이러한 정서가 나타나는 자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아들은 직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연에서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 를 보였고 우연 한 만남의 장을 주는 자연에서는 탐색의 호기심 을 순간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는 자신들이 기대하는 순간을 자발적으로 기다리는 끈기 를 보였다 함께하는 경험이 가 능한 자연에서는 함께하는 기쁨 이 있었고 무궁무진한 상상이 가능한 미지의 특징을 보이는 자연 에서는 상상의 즐거움 이 있었고 자연의 상생을 직접 경험해보면서 공존과 배려의 이타성 을 보 였고 다양성이 있는 자연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심미안 을 보였다 도전과 성취를 자극하 는 자연에서 성취를 통한 자긍심 이 나타났으며 생성 성장 소멸의 과정 또는 계절의 변화가 순 환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는 변화에 대한 기대 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이 지니는 다양한 특 자연의 다양성 자체가 유아들에게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고 있었고 유아들의 자연에 대 한 긍정적 정서는 다시 자연의 다양성을 찾도록 하는 경험으로 순환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자연이라는 공간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서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긍정적 정서는 자연에서 유아들이 관계를 맺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자연 긍정적 정서 자연의 특징 논문 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본 논문은 학년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일부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교수 교신저자

Transcript of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Page 1: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2012. 제11권 제4호 , 163 - 191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마 유 미** ․ 정 선 아***

요 약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들이 자연으로 나들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정서와 이러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자연의 특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 6월 22일부

터 11월 3일까지 16주간 공동육아 ‘깨끔발 어린이집’ 만 3-5세 유아 18명의 청명산 나들이를 관찰

하였다. 유아들이 자연에서 보이는 긍정적 정서와 이러한 정서가 나타나는 자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아들은 직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연에서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를 보였고, 우연

한 만남의 장을 주는 자연에서는 탐색의 ‘호기심’을, 순간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는 자신들이 기대하는 순간을 자발적으로 기다리는 ‘끈기’를 보였다. 함께하는 경험이 가

능한 자연에서는 함께하는 ‘기쁨’이 있었고, 무궁무진한 상상이 가능한 미지의 특징을 보이는 자연

에서는 상상의 ‘즐거움’이 있었고, 자연의 상생을 직접 경험해보면서 공존과 배려의 ‘이타성’을 보

였고, 다양성이 있는 자연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심미안’을 보였다. 도전과 성취를 자극하

는 자연에서 성취를 통한 ‘자긍심’이 나타났으며, 생성, 성장, 소멸의 과정 또는 계절의 변화가 순

환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는 변화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이 지니는 다양한 특

징, 자연의 다양성 자체가 유아들에게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고 있었고, 유아들의 자연에 대

한 긍정적 정서는 다시 자연의 다양성을 찾도록 하는 경험으로 순환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자연이라는 공간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서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긍정적 정서는 자연에서 유아들이 관계를 맺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자연(nature)

긍정적 정서(positive emotions)

자연의 특징(characteristics of nature)

※ 논문 접수 : 2012. 10. 31 / 수정본 접수 : 2012. 12. 10 / 게재 승인 : 2012. 12. 24* 본 논문은 2012학년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일부임.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Ⅰ. 서 론

정서는 인간이 내면으로 느끼는 어떤 것이며, 성인이나 유아가 깨어 활동하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언제나 정서는 존재한다(Hyson, 1998). 그러나 과거 100여 년에 걸쳐 정서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는 수없이 내려졌지만, 학자들 간의 의견은 여전히 분분하다(Plutchik,

2002). 최근에는 정서의 한 차원을 강조하기보다 다차원적인 현상을 고려하여 정의를 내리

는 학자들이 증가하고 있다(정옥분 외, 2007). Kagan(2009)에 의하면 정서는 선택적 유발자

극에 대한 뇌 활동 변화, 감각적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의식적으로 탐지된 감정 변화, 감정

을 해석하고 단어 표지를 붙이는 인지과정, 행동 반응의 준비나 표현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하여 정서의 다차원적인 현상을 고려하여 정의를 내렸다.

정서를 정의내리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정서라는 용어가 감정이나 기분 등과 혼용되

어 사용되기 때문이다. 감정(affect)은 본능적으로 일어나는 느낌이며,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의식되지 않는다. 기분(mood)은 정서가 유발되는 최초의 상태이며, 대상

지향적인 성격이 희박하다(한민영, 2009). 반면 정서는 신체, 표현, 인지 및 인성적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주관적이고 표현적인 요소가 강하며, 감정보다 포괄적인 의

미로 사용된다. 또한 정서는 특정대상에 대한 인간의 감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기억되고, 지

각되거나 또는 기대되는 사건들에 대한 반응이다. 즉, 정서는 보다 강하고 즉각적이며 명백

한 이유가 있는 인지적 반응이다(곽승주, 2008).

정서의 정의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이 정서에 주

목하는 이유는 정서의 긍정적 역할이 있기 때문이다. 정서가 의식을 장악하여 즉각적인 행

위가 필요한 사건이나 신체 상태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기도 하고, 윤리 규범이나 양심에

어긋나는 행동을 통제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려고 끈질기게 노

력하는 인내심을 불러일으키거나, 경험을 장기 기억에 등록하는 데 도움이 되거나, 회피해

야 할 사건의 학습을 촉진하거나, 유성 생식의 동기를 부여하거나, 다음 세대를 양육해야

하는 사람들이 친밀한 유대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하기도 한다(Kagan, 2009). 이는 정서가

인간의 삶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말한다(Hyson, 1998).

특히 긍정적 정서는 정서의 여러 가지 기능들이 최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필수 요소이

다(Fredrickson, 2002). Fredrickson(2004)의 확장-수립 이론에 따르면 긍정적 정서는 순간

적으로 생각과 행동의 레퍼토리를 확장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자원을 보다 영속적으로

수립해준다는 것이다. 즉, 긍정적 정서는 환경적 자극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의식 상태로 환

Page 3: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65

경에 몰두하고 진화적으로 적응적인 활동에 참여하도록 자극하고 개인의 자원들을 증가시

키는 기능을 하며(Fredrickson, 1998; 2002), 면역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신체적인 자원, 스트

레스의 해로운 효과를 상쇄시키거나 완화시킴으로써 심리적인 자원, 지지적인 사회관계의

개발과 유지를 촉진시킴으로써 사회적 자원을 고양시킨다(Fredrickson, 2001). 결국 긍정적

정서는 미래의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인적 자원을 확장하고 축적하고 증대함으로써,

개인의 발전과 성장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Fredrickson, 1998; 2001). 특

히 위험을 알리고 현재에 대처하도록 하는 부정적 정서와 달리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고와 행동의 개인적 자원 축적과 증진에 효과를 지닌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정서 관련 연구는 주로 부정적 정서에 집중하였고, 21세기에 들어 인

간의 긍정적 측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인간 내부에 있는 긍정적 자질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긍정 심리학이 긍정적 정서를 중점적

으로 다룸으로써 새로운 연구 동향으로 떠오르고 있다(이영림, 2007, 재인용). 그러나 여전

히 유아기 정서 연구들은 부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긍정적 정서에 대한 연

구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문헌에 나타난 긍정적 정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edrickson(1998)은 확장-

수립 이론1)1)에서 기쁨, 만족, 흥미, 사랑을 긍정적인 정서로 제시하였으며, ‘Positivity(2009)’

라는 저서를 통해서는 인간의 삶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기쁨, 감사, 평온, 흥미, 기대,

자긍심, 즐거움, 영감, 경외, 사랑을 긍정적 정서로 제시하였다. Danner, Snowdon과

Friesen(2001)은 긍정적 정서와 수명의 관계를 수녀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수녀들

이 쓴 자전적 글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긍정적 정서를 포함한 문장의 수가 1% 증가할 때마

다 사망 확률은 1.4%씩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이들이 당시에 작성했던 자전적 글에서 확인

한 긍정적 정서는 행복, 흥미, 사랑, 희망, 감사, 만족, 성취, 안도감, 즐거움이었다. Peterson

과 Seligman(2004)은 세계의 주요 종교와 철학자들이 제시하는 덕목들을 광범위하게 조사

하고, 심리학자들의 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인간의 긍정적 덕목과 강점들을 토대로 감사, 경

외, 끈기, 기쁨, 낙관성, 사랑, 심미안, 용감성, 이타성, 자긍심, 즐거움, 진실성, 활력, 행복,

호기심 등의 긍정적 정서를 제시하였다. Kalat과 Shiota(2007)는 ‘정서심리학’이라는 저서를

통해 행복, 사랑, 즐거움, 희망, 공감, 기쁨, 낙관성, 자긍심 등과 같은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느낌들이 긍정적 정서라고 제시하였다. 또한 기본정서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이론가들 중

1) Fredrickson은 긍정적 정서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 확장-수립 이론을 제공하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긍정적 정서는 인지적 활성화에서 일차적으로 변화를 일으켜 인지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주어진 자극들을 의미있게 구성하거나 새로운 행동 대안들 및 대처방식들을 생각하도록 촉진한다. 즉, 긍정적 정서가 순간적으로 생각과 행동의 레퍼토리를 확장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자원을 보다 영속적으로 수립해준다는 것이다.

Page 4: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Plutchik(1980)은 기쁨, 기대, 수용, 사랑, 낙관성을 긍정적 정서로 제시하였고, Tomkins(1984)

는 즐거움, 흥미를 제시하였으며, Izard(1977)는 즐거움, 흥미, 사랑을 제시하였다. 또한

Panksepp(1982)은 기대를 긍정적 정서로 제시하였고, Ekman(1992)은 행복을 제시하였으며,

Fehr과 Russell(1984)은 사랑, 행복을 긍정적 정서로 제시하였다. 이 외에 Emmons(2007),

Lazarus와 Lazarus(1994), Rosenberg(1998), Tsang(2006), Weiner와 Graham(1989)은 감사를

긍정적 정서로 분류하고 정의하였으며, Damon(1988)은 공감을 제시하였다. Scheier와

Carver(1985)는 끈기를 제시하였으며, Schwarz(1990)는 기대를 제시하였고, Scheier와

Carver(1985), Seligman(1991)은 낙관성을 제시하였다. Lazarus(1991)는 만족을 제시하였으며,

Bretherton과 Beeghly(1982), Lazarus(1991)는 사랑을 제시하였고, Bretherton과 Beeghly

(1982), Diener(1984)는 행복을 긍정적 정서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긍정적 정서를 사랑,

감사, 행복, 기대, 즐거움, 낙관성, 끈기, 기쁨, 흥미, 만족, 자긍심, 경외, 공감, 성취, 수용,

심미안, 안도감, 영감, 용감성, 이타성, 자기조절, 진실성, 평온, 활력, 호기심 등 총 25개 정

도로 구분할 수 있다.

학자들은 이러한 긍정적 정서가 자연2)2)에서 특히 많이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

연에서는 단순한 시각적, 청각적 편안함뿐만 아니라 자연에 대한 경외감, 외경심, 극치감

등의 경험을 하는데 이는 일상의 범위를 넘어선 초월적 경험을 의미하며, 이는 긍정적 정

서를 고양한다(신원섭, 2005; 이승훈, 2008). 이 외에도 Shaffer와 Mietz(1969)는 사람들이 자

연을 방문하는 가장 중요한 동기가 기분 전환과 아름다움을 경험하기 위해서이며, 자연이

긍정적 정서를 위한 공간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했으며, Hammitt(1980)는 여러 종류의 자연

프로그램에 참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긍정적인 기분과 감정을 경험한다고 하

였다. Kellert(2002)는 특히 유아들이 자연을 경험하면 호기심, 기쁨, 도전, 열정 등이 생기고

이러한 정서는 학습에 대한 강력한 자극제가 된다고 주장한다. 위의 주장들을 통해 자연을

접하거나, 자연에서의 경험은 인간에게 긍정적 정서를 고양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연에서의 긍정적인 정서들이 인간에게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인식이 이루어지면서 유아

에게도 자연에서의 경험을 중요시하고 있다(이부미, 1999). 더불어 최근에 숲과 자연, 생태에

서 영유아들의 정서에 관한 연구(김신영, 2006; 김진아, 2007; 노성향, 2005; 박희숙 외, 2010;

이부미, 1999; 이성희, 2010; 이재삼, 김영주, 2006; 이혜배, 2005; 조규성, 2010; 조은제, 2011

등)들이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자연체험, 자연친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프로그

2) 자연의 사전적 의미는 산, 강, 바다, 동물, 비, 바람 등처럼 저절로 생성, 전개, 소멸이 이루어지는 일체의 것을 뜻하고(이성희, 2010, 재인용). 또한 천지만물, 자연법칙, 균형, 자연력 등의 생태계 질서를 내포한 의미(곽노의,2011, 재인용)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숲이나 산이라는 단어에 비해 자연이라는 단어가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자연이라는 용어로 칭하고자 한다.

Page 5: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67

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유아의 정서발달 상태를 측정한 연구(김신영, 2006; 김진아, 2007; 노

성향, 2005; 이성희, 2010; 이재삼, 김영주, 2007; 조은제, 2011)들이었다. 이 연구들은 교육적

노력에 의해 정서발달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적절한 시기 혹은 결정적 시기에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이 연구들은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정서발달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서지능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유아들의 정서를

측정하였다. 일반지능과 대비되는 정서지능으로서의 정서로 보는 관점은 정서를 단순한 정서

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가 인지 능력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

으로 정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외 박희숙, 이숙자, 정명자, 심정

희(2010)의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서지능 검사뿐만이 아니라 부가적으로 일상에서

의 정서적 표현과 교사 및 유아 간 상호작용을 보기 위해 수업관찰, 학습 창조물에 대한 포

트폴리오 수집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되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효과에만 초

점을 맞추고 있어 프로그램 수행 과정 안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정서를 알기에는 한계가 있

다. 또한 이혜배(2005)의 연구에서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정서가 긍정적으로 발달한다고 보

고 자연친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과정을 보고자하였다. 참여관찰을 통해 내부적인 상황,

상호작용, 관계, 행위, 사건 등의 측면을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자료를 창출해내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특정한 사례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 또한 자연

에서의 자유로운 활동이 아닌 특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중심이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숲과 자연에서 유아들의 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으나 여전히 유아들이 자연에서 어떤 정서를 경험하고, 그리고 이러한 정서가 자연의 어떠

한 맥락에서 발현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들이 자연에

서 어떤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며, 이러한 긍정적 정서가 유발되는 자연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

의 긍정적 정서는 무엇이며, 이를 유발하는 자연의 특징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현장 및 참여자

본 연구의 현장인 ‘깨끔발 어린이집’은 공동육아 어린이집으로서 연구 당시 만 2세, 만 3

Page 6: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세, 만 4~5세의 3개의 반과 4명의 교사가 있었다. 어린이집은 청명산에 위치하고 있어서

인근 산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길이 여러 개 있고, 공원도 여러 개 있어 나들이 가기에 매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깨끔발 어린이집의 잠자리방과 나비방으로 만 3~5세의 유아 18명이다.

잠자리방은 만 3세반으로 교사 1명, 여아 4명, 남아 4명으로 총 8명의 유아로 구성되어 있

다. 나비방은 만 4~5세반으로 교사 1명, 여아 5명, 남아 5명으로 총 10명의 유아로 구성되

어 있다. 깨끔발 어린이집의 유아들은 대부분 만 2세부터 다니기 시작하여 약 1년 4개월~

3년 4개월 정도 재원하면서 자연으로 나들이를 다니며 생활해왔다. 잠자리방의 민규는 만

3세부터 깨끔발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했고, 도영이와 아린이는 만 2세 하반기부터 다니

기 시작했으며, 그 외의 유아들은 만 2세부터 약 1년 4개월 정도 재원하면서 자연으로 나

들이를 다녔다. 나비방 만 4세의 유아들은 타 공동육아 어린이집을 다니다가 옮긴 유경이

와 만 4세부터 다니기 시작한 지원이를 제외하고 그 외의 유아들 모두 만 2세부터 약 2년

4개월 정도 재원하였다. 나비방 만 5세의 유아들은 모두 만 2세부터 약 3년 4개월 정도 재

원하며 자연으로 나들이를 다녔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의 인적사항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표 1> 잠자리방, 나비방 유아들 인적사항

잠자리방 나비방

이름 성별 연령 재원기간 이름 성별 연령 재원기간가온 남아 만 3세 1년 4개월 동하 남아 만 4세 2년 4개월

민규 남아 만 3세 4개월 유경 여아 만 4세 6개월도영 남아 만 3세 1년 서윤 남아 만 4세 2년 4개월

서연 여아 만 3세 1년 4개월 성률 남아 만 4세 2년 4개월서영 여아 만 3세 1년 4개월 정률 남아 만 4세 2년 4개월

아린 여아 만 3세 1년 지원 여아 만 4세 4개월연우 여아 만 3세 1년 4개월 건호 남아 만 5세 3년 4개월

다온 남아 만 3세 1년 4개월 한석 여아 만 5세 3년 4개월은설 여아 만 5세 3년 4개월

지영 여아 만 5세 3년 4개월

* 유아들의 이름은 실명과 가명이 섞여있고, 2011년 6월 연구 수행 당시 연령과 재원기간임.

2.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6월 22일부터 11월 3일까지 8월의 여름방학과 장마 기간

Page 7: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69

을 제외한 후 총 16주에 걸쳐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관찰 시간은 유아들이 자

연으로 나들이를 나가는 오전 10시부터 어린이집으로 돌아오는 12시까지 2시간이며, 총 50

회로 100시간 정도 관찰하였다. 참여관찰은 연구자가 현장에 들어가 유아들의 대화, 표정,

움직임 등을 다각도로 관찰하면서 기록을 하였고, 또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연구자의 관찰일지, 사진 및 동영상 전사 자료, 그리고 사진 및 동영

상자료에 대한 연구자의 메모 등이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관찰과 분석이 순환적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1, 2, 3차로 이루어졌다. 1차 분석에서는 유아들이 자연에서

보이는 긍정적 정서와 이러한 정서가 나타나는 자연의 맥락적 특성을 분류하였다. 1차 분

석 내용은 자연에서의 직접 경험으로 느끼는 흥미, 새로운 발견으로 느끼는 호기심, 자연

물, 자연에서의 공간, 자연에서의 경험을 함께하며 느끼는 기쁨, 기대 및 예상과 일치하는

경험에서 오는 즐거움, 자연에서 도전의 성공과 타인의 인정으로 오는 자긍심이었다. 2차

분석에서는 이렇게 발견된 긍정적 리스트의 의미와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긍정적 정서에

대한 문헌연구를 다시 하였고, 문헌들에서 25개의 긍정적 정서 리스트를 추출하였다. 이 리

스트를 중심으로 수집한 자료를 다시 주의 깊게 보고, 듣고, 읽으면서 긍정적 정서와 관련

된 어휘, 문장, 주제, 장면 등의 중요한 부분을 표시하고 긍정적 정서를 재분석하였다. 2차

분석에서 끈기, 기대, 심미안, 이타성의 정서가 추가되었다. 최종적으로 1차 분석에서 나온

5가지와 2차 분석을 통한 4가지의 정서로 총 9가지의 긍정적 정서로 범주화하였다. 3차 분

석에서는 이렇게 범주화한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가 자연의 어떠한 특성과 상황에서 특징적

으로 나타나는지를 재분석하여 긍정적 정서가 나타나는 자연의 상황을 연결하여 유아의 긍

정적 정서 경험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9가지의 긍정적 정서는 자연의 맥락에서 나타나

는 긍정적 정서로 선정되었다.

Ⅲ. 자연의 특징과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

1. 직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

‘흥미’는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정보를 결합함에 의해 자신

을 확장하거나 확대하거나 결합하도록 조사하기를 원하는 느낌이다(Izard, 1977). 이러한

Page 8: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흥미’는 유아들이 자연에서의 다양한 현상과 수많은 자연물, 동식물 등을 직접 접해 보고,

유아가 주체가 되어 관찰을 하고 탐색해 봄으로써 경험하게 된다. 자연에서의 직접 경험은

유아들에게 특정한 대상에 주의하게 하고 더욱 강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자연은 새로운 궁

금증과 의문을 충족시키고, 다양한 인지적, 감각적 정보들을 획득하도록 적극적인 행동을

하게 하는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가 발현되게 한다.

서윤이가 정률이를 데리고 호랑거미가 있는 곳으로 간다. 서윤이가 메뚜기 뒷다리를 잡고 거미

줄에 놓아준다. 거미줄에 걸린 메뚜기를 본 거미가 기어와서 거미줄을 치고 메뚜기를 갉아 먹는

다. 그 모습을 서윤이와 정률이가 보고 있는다. (움직임 없이 한 자세로 집중한다.)

서윤: (시선을 거미에게 두고 뚫어져라 보며) 먹는다! 갉아 먹는다. 거미줄이 계속 흔들려. 내가

이거 보고 싶었어. 호랑거미가 메뚜기 먹는 거.

정률: (움직임 없이 시선을 고정하고) 진짜 먹는다.

서윤: 날개가 있네. 메뚜기 꽁지 위에. (눈썹이 올라가며) 거미줄이 왜 숨 쉬는 것 같지? 계속

움직여. 그런데 너무 큰 놈이 작은 놈한테 주면 거미줄 끊고 도망가. 그런데 얘네는 크기

가 똑같아. (말없이 지켜보다가) 거미는 방아깨비도 먹더라. 사마귀도 먹어.

서윤이와 정률이가 다시 한동안 말없이 호랑거미와 메뚜기를 본다.

서윤: 거미 다리 진짜 멋있다. 거미는 육식 같아.

정률: 메뚜기 살아있나?

서윤: 아니. 이제 다 먹은 것 같아. 거미는 몸통은 안 먹고 체액만 먹는대. 이제 다 먹은 것 같

아. 개미가 여기에 걸리면 다른 쪽으로 옮겨.

정률: (눈을 크게 뜨며) 우와! 진짜 신기하다.

서윤: 다 먹을 때까지 기다릴래. 메뚜기가 날개를 못 움직이니까 꼬리를 움직여.

거미가 메뚜기를 다 먹고 이동할 때까지 본다.

(2011. 8. 31 참여관찰)

서윤이는 며칠 전에 나무에서 호랑거미를 발견하였다. 책에서만 보았던 호랑거미를 직접

본 후 서윤이는 호랑거미가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보고자 하는 욕구를 가진다. 이러한 욕구

를 해결하고자 서윤이와 정률이는 메뚜기를 잡아 며칠 전에 호랑거미를 발견했던 나무로

간다. 계획한 대로 호랑거미에게 메뚜기를 먹이로 주고 그 과정을 지켜본다. 서윤이가 “거

미는 몸통은 안 먹고 체액만 먹는대.”라고 말하며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을 직접 확인하고,

“내가 이거 보고 싶었어.”라고 이야기하며 직접 경험에 대한 소망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

다. 소망했던 바가 이루어지고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짐으로써 서윤이는 강한

‘흥미’를 느끼게 된 것이다. 호랑거미를 발견하고 직접 관찰 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호랑

거미가 먹이를 먹는 모습을 탐구하도록 동기가 부여되고, 탐구하고자 하는 욕구와 갈망을

해소하기 위해 메뚜기를 잡아서 직접 호랑거미에게 주고, 그 과정을 살피는 적극적 행동을

Page 9: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71

보인 것이다.

또한 유아들은 청개구리를 직접 잡아 관찰하게 되었다. 다온이가 개구리를 손에 쥐고

“개구리 어떻게 생겼나 자세히 보는 거야.”라고 말하며 손을 살짝 펴고 개구리를 직접 관찰

하고, 개구리의 피부가 매끈거림을 느낀다. 정률이와 서윤이는 개구리가 숨 쉬는 모습을 직

접 보고 “개구리 숨 쉴 때 배가 움직인다.”, “배가 볼록해졌다가 홀쭉해져.”, “숨 쉴 때 그

러는 것 같아.”라고 이야기한다. 건호가 개구리를 보러 오자 성률이는 “개구리 세게 잡으면

숨 못 쉬어서 죽어. 개구리 배로 숨 쉬거든. 조심히 만져.”라고 알려준다(2011. 9. 27 참여관

찰). 유아들은 개구리를 직접 관찰하며 숨을 쉴 때마다 배가 움직이는 것을 알게 되고, 개

구리는 손으로 만지면 뜨거워서 죽게 된다고 추론해보기도 한다. 이렇듯 자연은 유아들에

게 직접적으로 보고, 느끼고, 만질 수 있는 기회를 자연스럽게 제공하므로 자신들의 상상과

추론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유아들이 경험하고 있는 자

연에 대한 ‘흥미’를 더욱 진작시키게 된다. 이렇듯 직접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열린 공

간의 자연은 유아들에게 경험을 확장하고, 이 경험의 확장으로 또 다른 직접적인 시도를

통해 자신들의 경험과 정보를 새롭게 결합하고, 탐구하고자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하는 ‘흥

미’라는 긍정적 정서를 발동시키고, 발현하게 한다.

2. 우연한 만남의 장을 주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탐색의 ‘호기심’

‘호기심’은 새로운 정보, 지식, 경험을 얻고자 하는 욕구로서 탐색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성향의 정서이다. 호기심은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 경험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Peterson & Seligman, 2004). 이러한 ‘호기심’은 유아들이 자연에서 현상이나 생물체에 대

해 생동감 있게 반응하면서 나타난다. 자연의 생명과 모습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인간은 자연의 지속적인 모습을 볼 수 없으므로 이러한 자연의 변화는 인간에게 예기치 않

은 혹은 우연한 만남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아 역시 자신의 지식세계에 추상적

으로 남아있던 것들을 자연에서 우연하게 발견하게 될 가능성은 매우 높고, 이러한 자연은

특성은 유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게 되고, 이 ‘호기심’은 자연에서 더욱 발전되어 간다. 다

음의 예는 동물원에서 봤던 뱀을 자연에서 발견하게 되면서 보이는 유아들의 ‘호기심’, 즉

뱀에 대한 탐색 행동이다.

노루귀: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큰 소리로) 와! 애들아, 여기 뱀이다!

아이들: (뱀이 있는 쪽을 쳐다보며 하나둘씩 모여 앉는다.) 와~~~~

(...중략...)

Page 10: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한석: 여기에 뱀이 다 있네. 신기하다.

은설: 난 할머니집 갔을 때도 뱀 봤는데. 거기에도 있었어. 저 뱀이랑은 달랐어. 더 큰 뱀 봤어.

건호: 나들이 오길 잘했다. 뱀 되게 멋있다. 우와. 뱀을 만났어! 나, 엄마한테 뱀 봤다고 해야지.

서윤: 뱀 진짜 길다.

정률: 몸 전체 보고 싶다.

서윤: 뱀 몸이 빠르게 움직여. 어떻게 저렇게 빠르게 움직이지?

동하: 엄청 빠르구만.

서윤: 동물원에만 있을 줄 알았는데. 동물원에서 봤던 뱀보다 작다. 엄청 작아. 그런데 길어.

성률: 우와.

서윤: 뱀이 다 다른가보네.

은설: 다 다르게 생겼어.

서윤: 다른 뱀도 궁금하네.

(2011. 9. 16 참여관찰)

유아들은 우연히 물가에서 실뱀을 만난다. 서윤이는 동물원에만 있는 줄 알았던 뱀을 직

접 봄으로써 “동물원에만 있을 줄 알았는데. 동물원에서 봤던 뱀보다 작다. 엄청 작아.”라고

이야기하며 동물원에 있던 뱀과는 다름을 안다. 그리고 뱀을 관찰하면서 다른 뱀들은 어떻

게 생겼는지 궁금해 하며 탐색을 유발한다. 처음에 뱀을 보고 “올라오면 어쩌지?”라고 말

하며 약간의 두려움이 있던 정률이도 관찰을 하면서 “몸 전체 보고 싶다.”라고 이야기하며

뱀의 생김새에 더욱 관심을 갖는다.

자연에서 살아온 청솔모는 자연의 일부이지만 유아들에게는 우연한 만남이고 이러한 우

연성은 유아들에게 ‘호기심’을 자극한다. 아린이와 건호, 다온이는 청솔모를 발견하고 청솔

모가 가는 쪽으로 같이 뛰어간다. 다온이가 “청솔모 꼬리 크지?”라고 이야기하자 아린이는

“다람쥐 꼬리는 작아?”, “청솔모는 발이 네 개야? 두 개는 손이야?”라고 묻는다. 아린이는

청솔모를 보고 동물원에서 본 다람쥐와 혼동하며 다람쥐와 다른 점에 대해 궁금해 한다.

건호와 다온이도 “엄청 빨리 가는 거 보니까 발인 것 같아.”, “청솔모 꼬리는 몸만큼 커. 꼬

리가 큰데 어떻게 잘 뛰지?”, “꼬리도 빨리 움직이면서 갔어.”라고 이야기하고 청솔모의 생

김새에 관심을 보이며 탐색적인 행동을 보인다(2011. 9. 27 참여관찰).

이와 같이 자연에서 항상 존재해왔던 생명체들은 유아들의 눈에 지속적으로 보이지 않

으므로 이러한 자연의 특성은 유아들에게 우연한 만남으로 다가오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

에게 자연은 기대하지 않았던 생물체를 만나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므로, 유아들은

새로운 자극에 의해 탐색적인 행동을 하는 ‘호기심’을 보인다. 따라서 유아들은 변화 그 자

체인 자연에서 책에서 본 생물체를 관찰하면서 점차 심도 깊은 질문과 의심을 갖게 되고,

더 알고 싶은 욕구를 갖게 함으로써 자연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로 탐색하게 하는 긍정적

Page 11: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73

정서인 ‘호기심’이 증폭되는 것을 볼 수 있다.

3. 머무르지 않는 순간들이 존재하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자발적 ‘끈기’

‘끈기’는 여러 가지 장애, 어려움, 좌절에도 불구하고 목적 지향적인 행동을 자발적으로

지속함으로써 오는 긍정적 정서이다(Peterson & Seligman, 2004). 이러한 ‘끈기’라는 긍정적

정서는 머무르지 않는 순간들이 존재하는 자연에서 나타난다. 자연의 순간들은 시시각각

변하는 순간들이며 한 순간에 머무르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연에서 대부분의

현상은 인위적인 통제가 없는 여러 변수들을 지니고 있고 이 변수들은 비선형적으로 나타

난다. 예를 들어 물, 공기, 바람 등의 작용은 비선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자연에서의 순간

들을 계속적으로 변화시킨다.

자연에서 유아들은 이러한 머무르지 않는 순간들을 맞닥뜨리게 된다. 유아들은 이러한

자연의 특성을 이해하고 찰나의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기다리기도 하고, 원하던 순간이 왔

을 때 어떤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자연의 순간을 기다리

고, 그 순간을 잡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끈기’라는 정서를 발현시키게 된다.

다온이가 잠자리를 발견하고 달려가서 잡으려고 하나 실패한다. 잠자리를 못 잡자 풀을 뒤적거

린다. (...중략...) 다온이가 놀이를 하다가 멈추고 다시 잠자리를 찾는다. 잡으려다가 놓친다. 3~

4번을 반복한다.

다온: 아, 또 놓쳤다. 다시 찾아야지.

다온이가 잠자리를 기다린다.

다온: 나비는 있는데 잠자리는 없네.

가온: 잠자리 못 찾았어?

다온: 기다리고 있어. 내가 잡을게. (잠자리가 앉은 곳을 가리키며) 저기 있다! (잠자리를 향해

몸을 낮추고 살금살금 다가간다. 잡으려다 놓친다.) 잠자리 잡으려고 했는데 잠자리가 자

꾸 도망가. (이번에는 멀리 있다가 살금살금 다가간다. 또 놓친다.) 아휴. 잠자리 없다. 잠

자리 다 어디 갔나. 바람이 불어서 안 오나. (속삭이듯 낮은 목소리로) 조용히 있어야 오

려나.

다온이가 한참동안 말없이 잠자리가 오는지 고개와 눈을 돌려가며 좌우를 살피며 찾는다. 잠자

리가 앉으면 살금살금 가서 잡으려고 하나 모두 실패한다. 20분 정도의 시간을 잠자리를 잡기

위해 한 장소에 머무른다.

(2011. 9. 22 참여관찰)

다온이는 잠자리를 잡기 위해 한 장소에 머물며 오랜 시간을 보낸다. 잠자리가 쉽게 잡

히지 않지만 바로 포기하지 않고 잠자리를 잡으려고 계속 시도한다. 다온이는 잠자리가 없

Page 12: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어 잡지 못하는 난관에 부딪히지만 잠자리를 잡기 위한 행동을 지속한다. 잠자리가 나타났

다 사라짐을 반복하는 상황에서 다온이는 자연의 순간이 머물러있지 않고 변화하기 때문에

잠자리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계속적으로 시도를 한다. 또한 “바람이 불어서 안 오

나.”라고 이야기하며 바람이라는 자연에서의 변수가 비선형적으로 작용함을 알고 바람이

멈추고 잠자리가 오는 순간을 기다리며 ‘끈기’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유아들이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을 잡으려고 하는 모습에서도 ‘끈기’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바람이 불자 낙엽이 떨어지고, 아이들은 “와~” 소리를 지르며 손을 뻗어 낙엽을

잡으려고 한다. 그러나 낙엽을 다 놓치고 잡지 못한다. 바람이 멈추자 낙엽이 떨어지지 않

는다. 정률이는 “바람 불 때까지 기다리자.”라고 말하고 건호와 은설이도 바람이 불 때까지

기다린다. 옆에 있던 태훈이는 나무를 흔들어서 낙엽을 떨어뜨리려고 하자 정률이가 “바람

이 불어야 돼. 너도 기다려.”라고 말하며 함께 바람을 기다린다. 다시 바람이 불어 낙엽이

떨어지면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낙엽을 받으려고 한다. 주위 나무들을 옮겨 다니며 바람이

불 때까지 기다렸다가 낙엽을 받으려고 한다(2011. 11. 2 참여관찰). 유아들은 낙엽을 잡기

위해 바람이 부는 순간을 기다리고, 바람이 불어 낙엽이 떨어지면 낙엽을 잡기 위한 행동

을 계속함으로써 바람이 부는 순간을 기다리며, 낙엽을 잡으려는 행동을 지속해나가면서

‘끈기’의 정서를 경험하는 것이다.

위의 사례들은 순간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 유아들이 기대하는

순간을 기다리고, 어떤 행동을 지속적으로 시도함으로써 ‘끈기’의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록 자연에서 기다리는 순간은 오지 않을 수도 있고, 그러한 순간이 왔

다고 할지라도 그 순간에 하려고 했던 행동의 결과는 실패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발적으

로 원하는 순간을 포착하기 위한 기다림과 지속적인 시도를 통해 유아들은 ‘끈기’라는 긍정

적 정서를 발현시켜간다.

4. 함께하는 경험이 가능한 자연에서 나타나는 함께하는 ‘기쁨’

‘기쁨’은 놀라운 수입이나 성공과 같은 특정한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강렬하고 유쾌한

긍정적 정서(Kalat & Shiota, 2007)이며, ‘기쁨’을 느낄 때 광대뼈와 입과 눈 주위의 근육과

입술이 올라가고, 코와 입술에 주름이 형성된다. 특히 웃음, 손뼉 치기, 점프하기, 춤추기,

쾅쾅 밟기, 낄낄, 킬킬 거리기 등의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기쁨’의 정서는 함께 하는 경험

이 가능한 자연에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자연에서는 공간이 제한적이지 않고, 자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경쟁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여러 명이 함께 탐색을 할 수 있기 때

Page 13: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75

문에 함께하는 경험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연에서 함께하는 경험을 통해 유아들은 함께하

면서 얻을 수 있는 ‘기쁨’의 긍정적 정서를 느낀다.

가온: (손으로 가리키며) 와! 이거 괭이밥이야. (괭이밥을 뜯어서 맛을 본다.) 젤리밥이야. (아이

들에게 손짓하며 부르면서) 얘들아, 이거 먹어봐. 괭이밥이야.

도영: (두 눈을 감으며) 너무 셔.

서연: 나 괭이밥 먹었어.

아린: (소리 내어 웃으면서) 크크크. 너무 시다.

서연: (미소를 지으며) 그래도 맛있어.

아린: 응. 나도.

가온: 맛있다.

다온: 그래도 짜고 맛있어. 괭이밥이 하트 모양이다.

도영: 맛있지?

다온: 응. 짜고 맛있어. 누가 소금을 넣어서 키웠나봐. (괭이밥 하나를 뜯어서 보여주며) 이거야

이거. 하트. (괭이밥을 입에 넣고 양쪽 뺨이 위로 올라가고 양쪽 입 꼬리가 올라가도록 미

소를 짓는다.)

도영: (소리 내며 웃는다.) 크크크크. 하트네. 맛있어.

다온: 맛있어서 다 먹고 싶어. 어? 열매네? (괭이밥 옆에 떨어져있는 갈색 열매를 든다.) 이것도

먹어봐.

도영: 이거는 못 먹는 열매야.

다온: 응. 많이 먹으면 배 터져.

도영: (미소를 지으며) 그런데 맛있지?

다온: 응.

도영: 엄청 맛있어. (노루귀와 서연이에게 괭이밥을 뜯어주며) 더 먹어봐.

서연: (도영이가 준 것을 받아먹으며) 맛있어.

도영: (눈을 감으며) 맛있다. 흠~ (괭이밥을 계속 뜯어 먹는다.) 괭이밥 진짜 맛있다. 맛있으면

잘 먹지. 맛없으면 못 먹지.

(2011. 9. 7 참여관찰)

가온이가 괭이밥을 발견하고 맛을 본 후 다른 친구들을 부른다. 도영, 연우, 서연, 아린,

다온이가 와서 다 같이 괭이밥을 뜯어 맛을 본다. 아이들은 맛을 본 후 “맛있다!”라고 표현

하며 서로를 쳐다보고 미소를 짓거나 소리 내어 웃는다. 가온이는 괭이밥을 발견하고 괭이

밥의 맛을 보는 경험을 함께 하기 위해 친구들을 부른 것이다. 괭이밥은 여러 유아들이 함

께 맛을 보고, 함께 탐색이 가능할 만큼 풍부한 양이었기에 함께 경험 할 수 있었다. 가온

이와 아이들은 괭이밥의 신 맛을 함께 보는 그 자체 행동에서 웃음과 미소를 자아내는 유

쾌한 정서를 경험한다. 또한 괭이밥을 먹은 후 “시다. 맛있다.” 등의 맛에 대한 느낌을 함께

나누는 경험으로 강렬하고 쾌의 정서인 ‘기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함께하는 ‘기쁨’은 자

Page 14: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7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연물이 풍부하고 다른 유아들과 함께 탐색이 가능한 자연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연에서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역할을 분담하여 공동의 목적을 이루어나가

는 상황을 함께하며 ‘기쁨’을 느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린이는 나무에 열린 열매를 따

고 싶었지만 키가 닿지 않아 나무를 올려다보고 있었다. 그 때 다온이가 와서 나무를 흔들

어 열매가 떨어지게 하고, 민규와 도영이도 다온이를 도와 열매를 따기 위해 나무를 함께

흔든다. 나무에서 더 많은 열매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고 아이들은 환호성을 지르며 좋아한

다. 그리고 나무를 흔드는 모습을 보며 아린이와 서영이, 서연이는 함께 응원을 하고, 나무

에서 떨어진 열매를 함께 줍기도 한다(2011. 10. 25 참여관찰). 이렇듯 자연은 유아들이 경

험을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유발하고, 유아들이 협력하여 자연과 상호작용하도록 하여

‘기쁨’의 긍정적 정서를 느끼게 하고 이 정서를 발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무궁무진한 상상이 가능한 미지의 자연에서 나타나는 상상의 ‘즐거움’

‘즐거움’은 긍정적 경험에 신체적 쾌감과 정서적 흥분을 자세하게 다각적으로 체험하며

만끽하는 긍정적 정서이다(Peterson & Seligman, 2004). ‘즐거움’은 웃음을 통해 표현되는데

특히 소리 나는 웃음은 ‘하’나 ‘호’ 또는 ‘헤’ 등의 퍼프를 포함하고 있는 웃음의 형태이다.

어떤 소리로 시작하든지 거의 항상 그 소리로 계속 나는 웃음이다(Kalat & Shiota, 2007).

이러한 ‘즐거움’은 유아들이 미지의 자연에서 무궁무진한 상상을 함으로써 나타난다. 자연

의 형태와 현상은 유아 앎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러한 형태와 현상을 이해하

기 위하여 유아들은 상상이라는 기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도록 한다. 따라서 미지의 자연의

형태와 현상들은 유아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유아들은 상상을 통해 이러한 미지의 세계

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상상의 ‘즐거움’을 경험한다.

연우가 죽어서 마른 지렁이 두 마리를 여러 마리의 개미들이 짊어지고 가는 것을 발견한다.

연우: (지렁이를 손으로 가리키며) 이것 봐. 개미들이 지렁이를 가져가려고 하고 있어. (긴 지렁

이를 가리키며) 얘는 길고, (작은 지렁이를 가리키며) 얘는 꿈틀꿈틀 거린다. (서연이가

다가오자) 아까 움직였어. (몸을 웅크리고 개미와 지렁이 쪽으로 숙이며) 난 계속 보고 싶

어. ‘와! 맛있는 거다! 와! 시금치다! 먹자!’ 개미들이 이렇게 말하는 거야. 지렁이가 시금

치인 줄 아는 거야. 웃기다. 시금치라고 막 뺏어간다.

서연: 그런데 왜 지렁이가 시금치야?

연우: 그냥. 내 생각에.

서연: 지렁이 빨개졌다. 죽은 줄 알고 개미가 가져가는 거야.

연우: 이것 봐봐. 서연아, 꿈틀꿈틀 거리지?

서연: 어디? 아직 살아있나?

Page 15: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77

연우: 잘 살아라. 우리 열 칸 동안 볼 거야. (돌로 지렁이 한 마리를 다른 한 마리 쪽으로 옮기

며) 도와주고 있는 거야. (지렁이 두 마리를 겹쳐준다.) 지렁이가 어디 갔는지 개미들이

찾고 있어. 아하하하하. (소리 내어 크게 웃는다.) 시금치 담고 있다. 개미들이 지렁이 가

져가는 거 보니까 난 거인이네. 거인이라서 내가 도와준 거야. 아하하하하. 개미들이 놀랐

을 거야. 내가 도와줘서. 이 조그마한 개미들이 어떻게 지렁이를 옮기지? 신기하다.

서연: 맞아. (소리 내어 웃으면서) 하하하하. 우리는 거인이야. 개미들이 지렁이 엄청 찾는다. 신

기해. 지렁이가 엄청 큰데 개미들 대단해.

연우: 웃기지? 웃기다. 개미들이 시금치 찾고 있어. 지렁이가 아직도 시금치인 줄 알아.

(2011. 9. 1 참여관찰)

연우가 개미들이 말라 죽은 지렁이를 옮기는 모습을 보고, 개미들이 지렁이가 시금치인

줄 알고 있다고 말한다. 연우는 지렁이를 시금치로 연상하고 자신이 거인이라고 상상한다.

연우는 자신의 연상과 상상으로 인해 ‘즐거움’을 느끼고 서연이도 연우의 상상을 공유하며

크게 웃으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유아들은 어떤 대상을 다른 것으로의 상상 뿐만이 아니

라 상황에 대한 상상까지 더해 확장시켜가며 자연에 대한 이해를 확대해가며 즐거워한다.

아린: 나무가 악어같이 생겼어.

도영: (나무기둥 주위를 돌아보며) 정말 악어같이 생겼네. (고개와 몸을 숙여가며 나무기둥을

샅샅이 관찰한다.) 여기가 악어 입인 것 같고, 이쪽이 꼬리 같아. 여기 나무가 없는 데가

악어 입을 벌리고 있는 것 같아.

아린: (나무 기둥 속에 있는 이끼를 보고) 여기에 이끼도 있다.

도영: 악어가 먹이 먹은 거야.

아린: 이빨에 꼈어.

도영: (소리 내어 웃으며) 크크크크. (일어서서 나무기둥 주위를 뱅뱅 돌며 뛰어다닌다.)

아린: 악어가 나뭇잎 많이 먹었어.

도영: 배불러서 입 벌리고 자는 중이야.

아린: 악어 움직이면 우리도 잡아먹어. (소리 내어 웃는다.) 크크크크.

도영: 얼른 도망가면 돼. 악어는 느려.

아린: 기어오니까. 우리는 달려가면 돼. 우리가 더 빨라.

도영: 맞아.

아린: 그런데 진짜 악어랑 똑같이 생겼다. 그치?

도영: 응. (나무기둥에 튀어 나온 부분을 가리키며) 여기는 악어 눈 같지?

아린: 응.

도영: 우리 쳐다보고 있는 것 같아.

아린: 먹이 찾는 거야. 지금 배고파.

도영: 우리가 나뭇잎 먹여줄까?

아린: 그래. (나뭇잎들을 손으로 긁어모은 후 나무기둥 안으로 넣는다.) 많이 먹어. 우리가 주는

거야.

(2011. 9. 16 참여관찰)

Page 16: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아린이와 도영이는 쓰러져있는 나무 기둥을 보고 악어라고 상상을 한다. 나무 기둥에 낀

이끼는 악어가 먹은 먹이가 이빨에 낀 거라고 상상을 하며, 나무 기둥이 부러져있는 부분

을 보고 악어가 입을 벌리고 자는 것이라고 상상을 한다. 아린이와 도영이는 쓰러진 나무

기둥을 악어로 상상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유아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자연의 상황에서 유

아들은 자신들의 특성인 상상이라는 기제를 통해 미지의 상황과 자연물에 의미를 부여하기

도 하고, 새로운 놀이를 만들어 간다. 이 과정은 유아들에게 ‘즐거움’의 정서를 안긴다. 이

렇듯 자연에서는 무궁무진한 상상을 가능하게 하는 미지의 요소들이 많으며, 자연의 요소

들이 상상의 원천이 된다. 결국 유아들은 미지의 자연에서 상상을 통해 ‘즐거움’이라는 긍

정적 정서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6. 상생이 존재하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공존과 배려의 ‘이타성’

‘이타성’은 다른 이의 행복을 위해서 호의적인 행동을 하고자 하는 개인의 성향(Peterson

& Seligman, 2004)인 긍정적 정서이다. ‘이타성’은 행동의 동기가 자신의 친사회적 행동으

로 인하여 자신에게 돌아올 어떤 보상도 기대하지 않고 오로지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정옥분, 2006). 이러한 ‘이타성’은 상생이 존재하는 자연에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유아들은 자연에서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는 것을 직접 경험해

보고 ‘이타성’을 느끼기도 하고, 상생의 과정을 봄으로써 ‘이타성’을 느끼기도 한다.

아린: (지렁이 위에 나뭇잎과 흙을 올려주며) 나뭇잎이랑 흙 줬어. 지렁이한테 주는 밥이야.

서영: 우리가 봤어,

아린: 지렁이 우리 딸이지.

서영: 지렁이 애기야. (미소를 지으며) 귀엽잖아.

아린: (지렁이를 돌로 막으며) 밥 많이 먹으라고 내가 지켜주는거야.

서영: 우리는 두 마리인줄 알았는데 한 마리였어.

아린: (지렁이가 도망가려고 하자 서영이에게 지렁이를 잡고 있으라고 하며) 꼭 잡고 있어. 돌

로 막아주자. (달팽이를 찾아와서) 이것도 찾았어. (달팽이집을 지렁이 옆에 두며) 지렁이

들어가라고 달팽이집 놔줬어. (지렁이 주위에 흙과 돌, 나뭇잎을 계속 넣어주며) 내가 빨

리 돌 더 찾아올게. 달팽이 다 묻지 말고. (지렁이를 나뭇가지로 흙을 털어주며) 내가 더

러워질까봐 나뭇가지로 흙 다 빼줬어. 개구리도 잡고 싶다. 지금은 지렁이만 잡았는데.

(2011. 9. 15 참여관찰)

아린이와 서영이가 지렁이를 발견한 후 지렁이를 위해 지렁이의 밥으로 나뭇잎과 흙을

주고 지렁이가 들어갈 수 있게 달팽이집을 찾아 넣어준다. 또 지렁이 얼굴을 깨끗하게 해

Page 17: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79

주기 위해 흙을 털어주고 지렁이가 잠을 잘 자도록 나뭇가지로 지렁이를 쓰다듬어 준다.

아린이와 서영이의 행동이 실제로는 지렁이를 해하는 행동일 수도 있으나 아린이와 서영이

는 지렁이에게 관심을 갖고 배려하는 정서를 보이는 행동이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유아들

은 지렁이도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고 지렁이를 보호하고 배려하려는 정서를 느낀

것이다.

가온: (걸음을 멈추고 쭈그려 앉는다.) 여기 개미들이 많이 모여 있네.

아린: (가온이 옆으로 가서 더 가까이 들여다본다.) 나방이 죽었나봐.

가온: 집에 데려가려고 하나봐.

아린: 나방이 더 커서 개미들이 많이 모였나봐.

(...중략...)

가온: 개미들이 많이 오면 다 같이 나방 데려갈 수 있겠다.

아린: 응.

가온: 그런데 개미 엄청 느리다.

아린: 다리가 짧아서 그래.

가온: (소리 내어 웃으면서) 크크크. 맞아.

아린: 개미들이 나방 데리고 가려면 시간 오래 걸리겠다.

가온: 우리는 못 보겠다.

아린: 내일 보면 없을 거야.

가온: 밤까지 데리고 가겠다.

아린: 엄청 느려.

가온: 우리가 옮겨줄까?

아린: 안돼. 개미들 놀라. 그냥 두자.

가온: 우리가 도와주면 밤까지 안 되도 되잖아.

아린: 안돼. 개미들이 놀라서 그냥 가 버릴지도 몰라.

가온: 그래.

(2011. 9. 28 참여관찰)

가온이와 아린이는 죽은 나방을 함께 옮기려는 개미들의 상생하는 모습을 본다. 가온이

와 아린이는 개미들이 서로 도와 나방을 옮기는 상생의 모습을 보게 되고 “우리가 옮겨줄

까?”, “우리가 도와주면 밤까지 안 되도 되잖아.”라고 말하며 개미를 배려하고자하는 정서

인 ‘이타성’을 나타낸다. 아린이는 가온이의 행동이 오히려 개미를 놀라게 하는 행동이라

여기고 개미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봄으로써 개미와의 공존, 배려와 같은 정서를 느끼는 것

을 볼 수 있다. 유아들은 자연에서 상생하는 장면들을 봄으로써도 이타적 정서를 지니게

된다.

Page 18: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7. 다양성이 있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심미안’

‘심미안’은 아름다움에 대해 민감해지는 긍정적 정서이다. Peterson과 Seligman(2004)은

‘심미안’이 아름다움과 탁월함을 인식하는 것으로, 아름답고 탁월한 것을 민감하게 포착하

고 그러한 것들로부터 즐거움과 의미를 감지하며 느끼는 정서라고 하였다(권석만, 2011, 재

인용). 이러한 ‘심미안’은 다양성을 지닌 자연에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자연의 다양한 요

소들은 인위적인 조화가 아닌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조화를 이룬다. 이는 자연의 다양함

이 주는 아름다움인 것이다.

연우: (단풍잎을 주우며) 이쁘다.

아린: 나도! (단풍잎을 같이 주우며) 색깔 이쁘다.

연우: (단풍나무를 올려다보며) 색깔 정말 이쁘다.

아린: (같이 올려다보며) 여기 이쁜 색깔 잎들 정말 많다.

연우: (아린이를 쳐다보며) 색깔 많지?

아린: 응.

연우: 물에 나뭇잎 동동 띄어볼래. (단풍이 든 잎을 주워서 물에 띄우며) 이쁘다. (미소를 짓는다.)

도영: (아린이와 연우를 보고 있다가 다가와서) 나도 해볼래. (단풍잎을 띄어본다.) 나도 했어.

(미소를 지으며) 이쁘네.

약수터 물에 여러 가지 색의 잎을 띄어본다.

서연: (물에 떠 있는 단풍잎을 보며) 색깔 이쁘다.

연우: 물에 하니까 더 이쁘다.

도영: 맞아. 이쁘다.

아린: 물에 넣어서 더 이뻐.

(2011. 9. 1 참여관찰)

유아들은 단풍잎을 보고 “이쁘다.”라고 표현한다. 유아들은 인공적인 색이 아닌 자연의

색을 보며 ‘심미안’을 느낀다. 또한 단풍잎을 물에 띄어봄으로써 더 선명해지는 단풍잎의

색깔을 보며 “물에 하니까 더 이쁘다.”라고 하며 단풍잎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 낸

아름다움을 인식한다. 유아는 단풍잎이 놓여지는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색의 아름다움을

인식한다. 동일한 사물이 다르게 보여지는 것에서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는 ‘심미안’을

발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은설: (갈대를 꺾어 흔들면서) 소리 예쁘다.

동하: 무슨 소리가 들려?

은설: 잘 들어봐. 잎들이 흔들려서 소리 나잖아.

동하: (은설이가 흔드는 갈대에 귀를 갖다 대며) 아! 소리 들리네. 근데 난 잘 안 들려.

Page 19: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81

은설: 이게(잎) 많이 있으면 더 잘 들려. (바람이 불자 갈대 흔드는 것을 멈춘다.) 바람이 불면

잎이 같이 흔들리거든.

(2011. 10. 20 참여관찰)

‘심미안’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아름다움뿐만이 아니라 오감을 통해 자극될 수 있으며 자

연에서 다양하게 느낄 수 있다. 은설이는 갈대를 흔들면서 잎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소리

예쁘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바람이 불자 갈대 흔드는 것을 멈추고 가만히 듣는다. 바람에

갈대가 흔들리며 내는 소리를 듣는다. 이는 갈대 잎을 흔들어서 나는 소리와 갈대와 바람

이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 낸 소리의 아름다움을 포착해 낸 것이다.

위의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유아들은 하나의 자연물에서 ‘심미안’을 느낄 뿐만이 아

니라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조화와 균형을 만들고 이러한 전체가 자연스럽게 만들어내

는 아름다움도 느끼는 ‘심미안’을 보이고 있다.

8. 도전과 성취를 자극하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성취를 통한 ‘자긍심’

‘자긍심’은 자기 개념의 긍정적 측면을 지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은 것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을 때 느끼는 긍정적 정서이다(Kalat & Shiota, 2007). 이러한 ‘자긍심’은 도전을 불

러일으키는 정서로서 도전과 성취를 자극하는 대상과 상황이 많은 자연에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유아들은 자연에 대해 도전해보고 성취를 이룸으로써 ‘자긍심’을 느끼는 것이다.

은설: (큰 나무로 달려가서 성률이에게) 나 올라가볼래. (이를 드러내어 미소를 짓는다. 양 손으

로 나무를 잡고 다리를 올린다.)

성률: (은설이와 함께 올라가는 시늉을 하며) 꽤 힘드네. (은설이와 성률이가 자꾸 미끄러진다.)

은설: 양말 벗고 올라가보자. (양말을 벗고 나무에 올라가며 웃는다.) 크크크. 올라왔다! 성공!

성률: 난 못 올라가겠어.

유경: 나도 할래.

성률: 나도.

은설: (나뭇가지에 앉아 내려다보며) 너 큰나비(만5세 반 이름) 되면 잘 할 수 있을 거야. (미소

를 지으며) 누나도 지금은 조금 힘들거든. (나뭇가지에 편한 자세로 앉는다.) 복숭아, 내가

혼자 올라갔어.

복숭아: 응. 은설이 정말 잘 올라간다.

은설이가 나무기둥을 잡고 주르르 내려온다.

은설: (웃으면서) 내려오는 것도 혼자 했어.

복숭아: 대단하다.

(2011. 10. 5 참여관찰)

Page 20: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자연은 유아들에게 도전을 불러일으킨다. 그 중 나무 오르기는 몇 아이들만 가능한 도전

적인 과제이다. 다른 아이들은 나무 오르기에 실패하지만 은설이는 나무 오르기에 도전하

고 성공하여 그에 대한 인정을 받는다. 또한 아린이와 연우 역시 나무의 높은 곳에 있는

열매를 따고 싶어 아린이가 나무 오르기를 시도한다. 처음에는 발이 미끄러져 실패하지만

곧 성공해서 나무 위에 걸터앉아 나뭇가지를 이용해 열매를 떨어뜨린다. 아린이가 나무 오

르기에 성공하고, 나뭇가지를 이용해 열매를 떨어뜨리는 것까지 성공하여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2011. 10. 26 참여관찰). 이렇듯 도시와 달리 자연의 다양한 모습은 유아들에게 도전을

요구하고, 이 도전에 자연스럽게 응하도록 하여 성취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자긍심’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발현시키게 한다.

9.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한 ‘기대’

‘기대’는 자신의 환경이나 목표 성취에 성공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여러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긍정적 정서이며(Schwarz, 1990), 도전

적인 상황에서 계획의 활발한 산출과 결합하여 원하는 결과를 촉진할 수 있는 강력한 동인

이다(Kalat & Shiota, 2007). 이러한 ‘기대’는 순환적 변화가 계속적으로 일어나거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일어나는 자연에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자연에서는 각각의 생물들이 생성되

고 성장하고, 소멸의 과정이 순환적으로 일어나기도 하며, 계절이 순환적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유아들은 자연의 순환적 변화를 알고 변화 과정에 주목하면서 ‘기대’를 경험하게 된

다.

가온: 찾았다! (밤송이를 찾아서 발로 까며) 밤이 없네. 벌레가 다 먹어버렸네.

다온: 다시 찾자.

가온: 여기에도 있다. (발로 까며) 이것도 없다.

다온: 사람들이 다 가져가버린 것 같은데.

민규: 없어.

가온: 밤송이 안 열려 있는 건 안에 밤 있을 거야.

다온: 그런 건 벌레가 먹어버렸잖아.

민규: 없어.

가온: 우리 나비(6~7세 반 이름)되면 밤 또 있을 거야. 그때 빨리 와서 찾자.

다온: 응. 다른 사람들이랑 벌레보다 빨리 와서 밤 찾으면 안에 있을 거야. 그리고 안에 밤 노랗

게 되어 있을 거야. 그건 먹을 수 있어.

가온: 노란 밤이 맛있어.

(2011. 10. 26 참여관찰)

Page 21: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83

가온이와 다온, 민규가 밤송이를 발견하고 까보지만 안에 밤이 들어있지 않은 것들이 많

다. 가온이는 “나비(6~7세 반 이름)되면 밤 또 있을 거야.”라고 말하며 1년 뒤에 다시 밤이

생성되고 성장함을 알고 1년 뒤에 오자고 하며 ‘기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온이는

“밤 노랗게 되어 있을 거야.”라고 말하며 1년 뒤에 밤이 다시 노랗게 익는 것, 밤의 성장을

‘기대’하게 된다. 또한 벌레가 밤을 먹어 소멸해버림을 알고 벌레가 밤을 먹기 이전에 와서

온전한 밤을 찾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유아들은 계절이 변화하고 다시 가을의 계절이 오

면 밤이 열리고 익는다는 일련의 생성, 성장의 자연 법칙을 이해하고, 타자에 의한 소멸이

지만 벌레에 의해 소멸되어 버리는 소멸의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밤이 열리고 익는 계절이

온다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다.

아린: (낙엽이 떨어진 언덕을 바라보며) 낙엽이 많이 떨어져있네. 저기에서 미끄럼타면 되겠다.

여름에는 풀이 많아서 엉덩이 안 아팠어. 근데 난 겨울이 더 좋아. 나중에 눈 오면 썰매

타면 되겠다. 얼른 눈 왔으면 좋겠다.

(2011. 11. 1 참여관찰)

아린이 역시 낙엽이 쌓인 언덕을 보면서 여름에는 풀이 있던 언덕을 떠올리고, 겨울이

되면 눈이 쌓일 언덕을 떠올린다.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놀이공간의 변화로 여름에는 풀

위에서 타는 미끄럼, 가을에는 낙엽 위에서 타는 미끄럼, 겨울에는 눈 위에서 타는 미끄럼

을 경험한 것이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린이는 계절의 순환적인 변화를 알고 다음의 계

절에도 자신들이 미끄럼 놀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하면서 현재의 아쉬움을 ‘기대’의

정서로 조절한다.

유아들은 자연에서 다양한 자연물을 보고 자연 환경을 경험함으로써 자연물과 환경이

변화해가는 것을 인식한다. 날마다 자연의 새로운 면을 발견하고, 과거와 현재의 경험을 연

결하여 미래에 발견할 새로운 면에 대해 ‘기대’를 하게 된다. 즉 시간에 따른 변화가 있는

자연에서 유아들은 ‘기대’라는 긍정적 정서를 경험한다.

연우와 서연이가 버찌 열매를 발견하고 다가간다.

연우: 버찌 열매는 크기도 다 다르고 색깔도 다 달라.

서연: 맞아. 그런데 왜 그럴까?

연우: 시간이 지나면 다 변하게 되어있어. 버찌 열매만 그런 게 아니야. (오른손으로 큰 원을 그

리며) 여기에 있는 것들 다 그래. 내일 보면 또 달라져 있을걸? 버찌도 내일 보면 달라져

있을걸?

서연: 내일 봐볼래. 어떻게 달라졌는지.

연우: 아마 색깔이 달라질 것 같아.

서연: 우리 같이 봐보자.

Page 22: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연우: 그래.

서연: 내일 와도 있겠지?

연우: 있을 거야. 내일 봐보자. 버찌 어떻게 변하는지.

서연: 응.

(2011. 5. 18 참여관찰)

연우와 서연이가 버찌 열매를 발견하고 버찌 열매를 딴다. 연우는 버찌 열매의 크기와

색깔이 모두 다른 것을 안다. 서연이가 “왜 그럴까?”라고 질문하자 연우는 “시간이 지나면

다 변하게 되어있어.”라고 대답한다. 연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버찌 열매의 색깔이 달라

지고, 버찌 열매뿐만이 아니라 자연의 모든 것들이 시간이 흐르면 모두 달라진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시간에 따른 자연의 변화를 통해 시간이 지난 후 버찌뿐만이 아닌 자연환경

의 변화에 대한 ‘기대’를 하는 것이다. 유아들이 자연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를 경험함으로

써 생각을 발전시키고, 그 경험을 또 다른 변화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자연물과 자연 환경

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유아들이 자연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이 변화는 사라지는 것

이 아니라 자신들이 기다리면 나타난다는 자연의 순환 법칙을 이해해간다는 것이기도 하지

만, 동시에 불확실한 미래를 유아들이 예측하고 ‘기대’하도록 하는 긍정적 정서를 발현시키

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Ⅳ. 결 론

유아들이 자연에서 경험하는 긍정적 정서와 이를 유발하는 자연의 특징에 대하여 탐구한

결과 9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 자연의 특징에 의해 유아들이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직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연에서 유아들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를 보

였고, 둘째, 우연한 만남의 장을 주는 자연에서는 탐색의 ‘호기심’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

은 순간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이는 자연에서는 자신들이 기대하

는 순간을 자발적으로 기다리는 ‘끈기’라는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였고, 넷째, 함께하는 경험

이 가능한 자연은 유아들에게 함께하는 ‘기쁨’을 주었다. 다섯째, 무궁무진한 상상이 가능한

미지의 자연에서는 상상의 ‘즐거움’이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들은 자연에서 상생을 직접 경

험해보며 공존과 배려의 ‘이타성’을 보였다. 일곱째, 다양성이 있는 자연에서 아름다움에 대

한 인식의 ‘심미안’을 가지게 되었고, 여덟째, 도전과 성취를 자극하는 자연에서는 성취를

Page 23: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85

통한 ‘자긍심’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생성, 성장, 소멸의 과정 또는 계절의 변화

가 순환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는 변화에 대한 ‘기대’의 정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우리는 자연에서 유아들이 기뻐하고 행복해하는 정서의 다양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 다양성은 자연의 다양한 특징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

연이 지니는 다양한 특징, 자연의 다양성 자체가 유아들에게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

고 있었고, 유아들의 자연에 대한 긍정적 정서는 다시 자연의 다양성을 찾도록 하는 경험

으로 순환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자연의 다양한 특징에서 유아들은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발현하여 가고 있었고, 이 긍정적 정서는 자연의 다양한 특징에 대한 발견

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Isen과 동료들(2000)이 주장한 대로 긍정적 정서는 사고의 폭을 넓

히고 차후 발생할 사건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발견할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현재의 순간

적인 기분을 좋게 하는 것 이상의 기능을 하며, 개인의 인지적 능력은 확장되고 이는 다시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순환과정이 발생한다는 주장과 일치함을 볼 수 있다(민지혜

외, 2010, 재인용). 이 점에서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연 체험, 자연 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

을 확인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유아들은 자연이라는 공간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서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함

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은 자연에서 자연과의 관계뿐만이 아니라 다른 유아와 조화롭고,

함께 사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긍정적 정서는 자연에서 유아들이 관계를 맺는 중요한 요

인인 것이다. 이는 단순히 긍정적 정서의 표현을 넘어서서 긍정적 정서의 역할, 기능 등의

이해를 심화시키고, 긍정적 정서의 다양한 측면으로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하는

단서가 된다.

또한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어린 시기부터 자연스럽게 인식하며 성장시키는

데 목적이 있는 숲유치원, 산업사회의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

찾아 줌으로써 아이들이 건강한 몸과 마음과 영혼으로 행복하게 세상을 만드는 생태유아교

육, 그리고 자연친화교육의 실천으로 나들이를 통해 몸과 마음의 조화로운 균형을 지향하

는 공동육아(김은주, 권미량, 2005; 이명환, 2003; 이부미, 1999; 임재택, 2005)에서 중요시되

는 유아들의 자연체험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될 수 있었다. 유아들의 자연에서의 경험이

지속되고 자연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더욱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느

낄 뿐만이 아니라 긍정적 정서를 통해 형성된 개인적 자원으로 개인을 보다 더 나은 방향

으로 발전시켜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통해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연에서 유아들은 여러 가지 정서들을 중층적으로 경험하는

Page 24: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간이 짧음으로 인해 정서의 중층성을 심

도있게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4개월에 걸친 연구기간으로는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9가지

정서 외의 긍정적 정서를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일정을 좀 더 장기간으로 진행하고 집중

적으로 탐구한다면 9가지 외의 긍정적 정서들도 드러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유아들

이 자연의 다양성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4계절에 걸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음으로 인하여 부정적 정서에

대한 자료의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긍정적 정서만큼 부정적 정서 역시 유아들의 건강

한 정서발달에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고 본다.

Page 25: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87

참고문헌

곽노의(2011). 숲 유치원에서의 놀이와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15(30), 1-23.

곽승주(2008).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석만(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긍정 심리학의 관점. 서울: 학지사.

김신영(2006).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친화 교육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 권미량(2005). 공동육아와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체계 및 운영원리. 유아교육연구,

14(1), 35-64.

김진아(2007). 산책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성향(2005).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6(1),

347-357.

민지혜, 신우열, 김주환(2010). 긍정적 정서는 우리의 판단을 자유롭게 한다. : 유발된 정서

가 맥락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4(1), 293-448.

박희숙, 이숙자, 정명자, 심정희(2010). 생태보육활동이 영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효

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2, 231-259.

신원섭(2005). 치유의 숲. 서울: 지성사.

이명환(2003). 독일 숲 유치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23-48.

이부미(1999). 공동육아 ‘나들이’활동의 교육적 과정과 의미 : 참여관찰 연구. 열린유아교육

연구, 4(2), 25-46.

이성희(2010).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친화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훈(2008). 긍정적 심리학이 숲에 거는 기대. 숲과 문화, 17(4), 86-88.

이영림(2007). 명상과 긍정적 정서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종교교육학연구, 25, 231-255.

이재삼, 김영주(2006).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자연친화적 보육 프로그램의 효과. 유

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3), 39-58.

이혜배(2005). 보육시설에서의 자연친화 프로그램 실천 사례연구(만 2세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26: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임재택(2005).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양서원.

정옥분(2006). 사회정서발달. 서울: 학지사.

정옥분, 정순화, 임정하(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 학지사.

조규성(2010). 아이들은 숲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은제(2011).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

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민영(2009). 자유선택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정서표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Bretherton, I. & Beeghly, M. (1982). Talking about internal states: The acquisition of an

explicit theory of mind. Developmental Psychology. 18, 906-912.

Damon (1988). The Moral Child: Nurturing Children's Natural Moral Growth. New

York: The free press.

Danner, D. D. & Snowdon, D. A. & Friesen, W. V. (2001). Positive emotions in early

life and longevity: Findings from the nun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5), 804-813.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Ekman, P. (1992). An argument for basic emotions. Cognition and Emotion. 6, 169-200.

Emmons, R. (2007). Thanks!: How the New Science of Gratitude Can Make You

Happier. New York: Houghton Mifflin.

Fehr, B. & Russell, J. A. (1984), Concept of emotion viewed from a prototype

perspectiv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13(3), 464-486.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300-319.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y. 56(3),

218-226.

(2002). Positive emotions.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120-13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The

Royal Society. 359(1449), 1367-1377.

Page 27: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89

(2009). Positivity. New York: Crown Publishers.

Hammitt, W. E. (1980). Outdoor recreation: is it multi-phase experien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2), 107-115.

Hyson, M. C. (1998). 유아를 위한 정서 교육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uilding an Emotion-Centered Curriculum]. (정미라, 박경자, 배소연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저 1994 출판)

Isen, A. M. (2000). Positive Affect and Decision Making. Handbook of Emotions. 2nd

Edition, M. Lewis and J. M. Haviland-Jones. New York: Guilford.

Izard, C. E. (1977).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1991). The psychology of emotions. New York: Plenum.

Kalat, J. W & Shiota, M. N. (2007). 정서심리학 (민경환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

저 2005 출판)

Kagan, J. (2009). What is Emotion? (노승영 역). 서울: 아카넷. (원저 2007 출판)

Kellert, S. R. (2002). Experiencing nature: Affective, cognitive, and evaluative (values-

related) development in children. In P. H. Kahn(Ed.). Children and nature. (pp.

117-151). Cambridge Massachusetts.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azarus, R. S. & Lazarus, B. N. (1994).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anksepp, J. (1982). Toward a general psychobiological theory of emotion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5, 407-468.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lutchik, R. (1980). A general psychoevolutionary theory of emotion. In R. Plutchik & H.

Kellerman (Eds.),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Vol. 1. Theories of

emotion (pp. 3-33). New York: Academic.

Plutchik, R. (2002). Emotions and Life.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osenberg, E. L. (1998). Levels of analysis and the organization of affect.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47-270.

Scheier, M. F. & Carver, C. S. (1985).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4(3),

Page 28: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1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219-247.

Schwarz, N. (1990). Feeling as information: Informational and motivational function of

affective states. In E. T. Higgins & R. M. Sorrentino (Ed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Foundations of social behavior. 2, 527-561.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New York: Knopf.

Shaffer, E. L. & Mietz, J. (1969).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s rate high with

northeast wilderness hiker. Environment and Behavior. 1(2), 187-197.

Tomkins, S. S. (1984). Affect theory. In K. R. Scherer & P. Ekman (Eds.), Approaches

to emotion (pp. 163-195). Hillsdale, NJ: Erlbaum.

Tsang (2006). Gratitude and prosocial behaviour: An experimental test of gratitude.

Cognition and Emotion. 20(1), 138-148.

Weiner, B. & Graham, S. (1989). Understanding the Motivational Role of Affect:

Life-span Research from an Attributional Perspective. Cognition and Emotion.

3(4), 401-419.

Page 29: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 2014-08-25 ·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램의 효과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191

Abstract

Study on Children's Positive Emotions in the Nature

Ma, Yu-Mi ․ Chung, Shun-A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ypes of positive emotion among children in

nature, specifically situations that cause positive emotions and their meanings. In pursuing this

aim, the researcher was able to observe positive emotions caused by experiences in nature,

determine situations that caused positive emotions, and seek the meaning of positive emotions

in the process.

Positive emotions and situations that caused them in nature are as follows. First, an

“interest” to a new experience in nature appeare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rect experience.

Second, searching “curiosity” about nature appeared, so that the children had accidental

encounters. Third, the children showed “persistence,” waiting expectantly for natural

objects-changing moments in nature, which always varies. Fourth, “joy” in nature appeared,

where it was possible to pool experiences that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other children,

solved the problem. Fifth, “amusement” appeared in nature that was still unknown, where

children could imagine infinitely. Sixth, children felt “altruism" of coexistence and

consideration through experiencing coexistence personally and watching a process of coexistence

within nature. Seventh,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in nature appeared, where there

was diversity. Children felt it through one specific natural object or harmony and balance

between natural objects. Eighth, “pride” through achievement appeared in nature, which aroused

challenges and achievement. Ninth, “anticipation” about changing of fluxional nature appeared.

In conclusion, that nature has many characteristics, diversity of nature, prompted children’s

positive emotions and their positive emotions toward nature rotationally made them find

diversity of nature again. Children also could establish and maintain relations through positive

emotions in natur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s are important factors

that children build a relationship in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