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장 교육공학의이해 -...

20
남상인 교수 7 장 교육공학의 이해 교육학개론 제 9강

Transcript of 제 7 장 교육공학의이해 -...

남상인 교수

제 7 장

교육공학의 이해

교육학개론 – 제 9강

본 강의 내용은 아래의 교재를 요약 정리한것임

한용진, 권두승, 남현우,오영재, 류지헌 (2006).교육학개론. 학지사.

인 간 사 랑 을 실 천 하 는 순 천 향 대 학 교 – C o p y r I g h t s a r e r e s e r v e d I n S C H

ListList

1.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2. 교수설계

3. 교수매체

4.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3. 교수매체

3. 교수매체

초기 교육공학은 시각 자료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면서 발전함

기술이 발달하면서 시각자료 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요소가

함께 사용된 시청각 자료가 사용되기 시작함

오늘날 시청각 자료는 교수 -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학습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보조매체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음

1) 교수매체의 개념

교수매체는 일반적으로 교수-학습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교수-학습 자료를 의미함

학습자에게 보다 생생하고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전달함으로써교수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됨

교수매체의 역할

첫째, 교수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을 학습자들에게 조직적으로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둘째,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로부터 학습자에게 학습내용을전달하는 수단이다.

셋째,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수자 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매개수단이다.

2) 교수매체의 유형과 특징

교수매체의분류및 종류

분 류 종 류

시각매체

비투사매체 그림, 모형, 디오라마, 실물, 사진, 그래프, 포스터, 만화, 칠판

투사매체 필름, 슬라이드, OHP, 실물화상기

청각매체 카세트테이프, 음반, 오디오, 라디오, 녹음기, 전축, CD

시청각매체 VTR, 영화, 텔레비전

상호작용매체멀티미디어, 쌍방향 TV, 컴퓨터보조수업, 상호작용 비디오,

인터넷

① 시각매체

사진이나 그림과 같이 시각적인 정보만을 전달할 수 있는 매체를 의미한다.

장비의 투사성 여부에 따라 ‘비투사 매체(그림, 모형, 사진)

/ 투사매체 (OHP, 실물 화상기, 슬라이드, 필름)로 구분

② 청각매체

소리만을 전달할 수 있는 매체를 의미하며, 카세트테이프, 음반, 오디오등이 속한다.

③ 시청각매체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매체를 의미하며, 최근에는

휴대용 촬영기가 발달함에 따라서 시청각매체의 제작도 점차 쉬워지고 있다.

④ 상호작용매체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혹은 시스템-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매체를 의미하고, 컴퓨터 등을 활용한 멀티미디어나 인터넷기반학습에서 상호작용성이 부각되고 있다.

2) 교수매체의 유형과 특징

3) 교수매체의 분류

①호반(Hoban)의 시각자료 구분

1930년대에 호반이라는 사람이 최초로 다양한 형태의 사각자료를

구체성 및 추상성의 정도에 따라서 구분

언 어추 상 성

구 체 성

도 표

지 도

회화·사진

슬라이드

입체도

필 름

모 형

실 물

전체장면

언어는 추상성이 매우 높지만구체성은 매우 낮은 매체라는의미; 전체장면은 매우 높은 구체성을 갖지만 추상성은 극히낮다.

전체 장면은 실물이 사용되는현장의 장면을 보여 주기 때문에 실물만을 보여 주는 것보다훨씬 구체성이 높아진다.

3) 교수매체의 분류

②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

경험의 원추는 학습자가 교수활동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는학습활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

경험의 원추 꼭지점으로올라갈수록 추상성이 높아지고,

경험의 원추 아래쪽으로내려올 수 록 구체성이높아진다고 본다.

4) 교수매체 선택모형 : ASSURE모형ASSURE모형의 구성요소와고려할 요인

특 징 고려 요인

학습자분석

매체를 활용하게 될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 특성․ 구체적인 출발점 능력․ 선호하는 학습유형

목표의진술

학습자가 성취해야 하는 학습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어떠한학습결과가 기대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학습대상자․ 행동․ 학습의 조건․ 평가수준

매체 와자료의선정

학습자 특성에 대한 분석과 학습목표를 명확하게 진술했으면 교수-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방법과 매체를 선정해야 한다.

․ 수업방법의 선정․ 매체선정․ 자료의 선택

자료의활용

교수과정에서 교수매체를 적절하게 활용하려면 수업장면에서 활용할 수있는가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 자료의 사전 검토․ 환경․ 학습을 위한 사전준비․ 자료제시

학습자참여유도

학습자가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학습한 내용을 직접 연습해 볼 수 있는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연습과 과제

평가와수정

학습자의 성취 정도와 전체적인 교수과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교수활동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 학습목표의 평가․ 매체와 방법의 평가․ 교수-학습과정의 평가․ 수정

인 간 사 랑 을 실 천 하 는 순 천 향 대 학 교 – C o p y r I g h t s a r e r e s e r v e d I n S C H

4.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4.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1) 컴퓨터보조수업의 유형

컴퓨터 활용은 1980년대부터 시작; 사양이 고급화되고, 인터넷이나멀티미디어적인 기능이 강력해지면서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성에 대한관심이 높아짐; 컴퓨터 보조수업(CAl), 학사관리 프로그램 등

학습내용의 제시방법과 교수전략에 따라 반봅연습형, 개인지도형, 게임형, 모의실험형, 하이퍼미디어로 구분

①반복연습형

학습자가 숙달해야 할 학습내용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위한 것으로, 학습자들이 이미 배운 개념, 지식, 기술을 유지하고 신속한수행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기 위한 것

1) 컴퓨터보조수업의 유형② 개인지도형

학습자에게새로운개념이나지식을전달해야할 때많이사용됨;

학습자자신의학습속도에따라서프로그램의진행속도를조절할수있음

③ 게임형

학습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게임의 흥미 요소나 경쟁 요소를 포함한 것

④ 모의실험형

컴퓨터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실제와 유사한 상황을 재현해 볼 수 있도록만들어주기 위한 것; 생명이 위험한 일이나 비용이 많이 드는 수행을컴퓨터를 통하여 재현해 볼 수 있는 점에서 매우 관심을 받고 있음

⑤ 하이퍼미디어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학습자가 스스로 검색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도와주는 프로그램; 자료 제시형이라고도 불림; 자료검색을 돕기 위한다양한 네비게이션 기능 및 링크를 통해 참조할 수 있음

2) 인터넷과 원격교육

웹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방법웹 기반 교수(WBI: Web Based Instruction)웹 기반 학습(WBL:Web Based Learning)으로 불린다.

원격교육은 ‘e-러닝’으로 불리기도 함; 디지털로 전환된

교수-학습 정보를 활용한 교육방법을 의미함

컴퓨터기반 학습을 포함하여 인터넷 등을 활용한 전반적인

교육형태를 지칭함

① 원격교육의 특징

‘원격교육’

: 교수자와 학습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교육

학습자가직접교실을방문하지않고교육을받을수 있다는장점때문에교육적활용의폭이넓다.

첫째,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둘째, 시간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셋째, 먼 거리에 있는 교수자를 초빙해야 할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음

거리 및 시간적인 제약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실수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짐

첫째, 매체에 의한 의사소통 방법;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의사소통을 할 수 없으며, 전화, 편지, 인터넷 등의 매체를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해야 함

둘째, 항상 매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인 지원이 필요

셋째, 설계 및 개발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함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어려움따라서 학습내용을 잘 조직화해야 함

① 원격교육의 특징

② 원격교육의 장.단점

[ 장 점 ]

․시간과공간적제약성을극복

․많은학습자들이동시에수강할수있음

․비용면에서경제적

․최신학습자료를사용할수 있음

․원거리에서의협력학습이가능

․높은상호작용을할 수있다.

[ 단 점 ]

․초기투자비용이많음

․학습내용에대한평가가쉽지않음

․많은지원부서가필요

3) 교육정보화와 ICT 활용교육

1997년에 교육정보화 종합계획을 발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통신공학

(I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에 관한 소양교육을 받도록 함

ICT 활용교육의 기본 방향

첫째, 효과적 교수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정보통신공학의 도구적활용

둘째,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시키기 위한 것

셋째, 교과의 특성 및 학습자의 정보통신 기술 수준을 고려해야 함

넷째, 정보통신 윤리의 자연스러운 습득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함

인 간 사 랑 을 실 천 하 는 순 천 향 대 학 교 – C o p y r I g h t s a r e r e s e r v e d I n S C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