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유지 -...

36
1 체온유지 체온유지

Transcript of 체온유지 -...

Page 1: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

체 온 유 지체 온 유 지

Page 2: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

학습목표학습목표

q 체온조절기전을 설명한다.

q 체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나열한다.

q 체온의 변화를 기술한다.

q 체온에 문제를 지닌 환자를 간호할 수 있다.

q 열, 냉요법 효과를 설명한다.

q 열, 냉요법 종류와 방법을 열거한다.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Page 3: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 1차적 체온조절중추

① 신체가 온도 기준점 (set point)을 넘어서 가열될 때

열소실 중추 - 혈관확장, 한선활동 증가, 대사활동 감소, 근육활동 감소

② 시상하부가 체온이 너무 내려간 것을 감지했을 때

열생산 중추 – thyroxine 방출, 혈관수축, 한선활동 감소, 대사활동 증가, 근육활동 증가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 1차적 체온조절중추

① 신체가 온도 기준점 (set point)을 넘어서 가열될 때

열소실 중추 - 혈관확장, 한선활동 증가, 대사활동 감소, 근육활동 감소

② 시상하부가 체온이 너무 내려간 것을 감지했을 때

열생산 중추 – thyroxine 방출, 혈관수축, 한선활동 감소, 대사활동 증가, 근육활동 증가

중추조절기전중추조절기전

1. 체온조절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Page 4: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4

2)피부조절:신체의 절연,혈관 수축,온도 감각의 역할

3)땀샘조절 (교감신경 섬유에 의해 신경지배를 받음)

:땀 분비와 억제로 체온 조절

4)행위적 조절 :인간은 안위감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

2)피부조절:신체의 절연,혈관 수축,온도 감각의 역할

3)땀샘조절 (교감신경 섬유에 의해 신경지배를 받음)

:땀 분비와 억제로 체온 조절

4)행위적 조절 :인간은 안위감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

중추조절기전중추조절기전

1. 체온조절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Page 5: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5

뇌의 구조뇌의 구조

Page 6: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6

rate of heat production

(thermogenesis) =

rate of heat loss (thermolysis)

rate of heat production

(thermogenesis) =

rate of heat loss (thermolysis)

체온조절 균형기전체온조절 균형기전

2. 체온균형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열생산과 열소실

체온조절

1. 기초대사율2. 근육활동3. 골격근의 전율4. 세포에 대한 thyroxine 효과5. 세포에 대한 epinephrine 효과

열생산 열소실

저체온 고체온

정상범위

1. 방사2. 증발3. 전도4. 대류

35℃ 39℃

Page 7: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7

음식섭취, 운동, 호르몬, 교감신경계의 활동으로 증가되면 체내 열 생산량 증가음식섭취, 운동, 호르몬, 교감신경계의 활동으로 증가되면 체내 열 생산량 증가

1) 열생산 Heat production

basal metabolic rate (BMR)basal metabolic rate (BMR)

노동, 운동은 BMR (3-50배 까지) 자극노동, 운동은 BMR (3-50배 까지) 자극

근육활동근육활동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체온이 떨어지면 전율기전을 통해 체열 생산 증가

1초에 20번 정도 전율은 정상의 2-4배 열 생산

체온이 떨어지면 전율기전을 통해 체열 생산 증가

1초에 20번 정도 전율은 정상의 2-4배 열 생산

전율 Shivering 전율 Shivering

Page 8: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8

체온 1℃ 상승 시 마다 열생산 13% 증가체온 1℃ 상승 시 마다 열생산 13% 증가

- 갑상샘: T3 & T4 호르몬 방출

- 갑상샘 호르몬은 포도당과 지방의 분해를 증진하여 BMR을 증가시킴

à 열 발생

- 갑상샘: T3 & T4 호르몬 방출

- 갑상샘 호르몬은 포도당과 지방의 분해를 증진하여 BMR을 증가시킴

à 열 발생

갑상샘 호르몬 분비갑상샘 호르몬 분비

1) 열생산 Heat production

체온상승체온상승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Page 9: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9

-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 분비 촉진 : BMR 증가

→ 글리코겐을 분해 하기 위해 근육과 간조직을 자극

→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세포에서 이용 됨

-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 분비 촉진 : BMR 증가

→ 글리코겐을 분해 하기 위해 근육과 간조직을 자극

→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세포에서 이용 됨

교감신경의 자극교감신경의 자극

1) 열생산 Heat production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Page 10: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0

(1) radiation 방사 : 두 물체의 표면 사이에 물리적인 접촉 없이 열 전달

열소실의 60%를 차지

인체는 지속적인 열 발산이 있으며 또한 주위온도에 따라 흡수도 가능

(2) conduction 전도 :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열 이동

(3) convection 대류 : 공기의 흐름에 따른 열전달

대류가 없는 전도에 의한 열소실은 무시할 정도

피부와 공기의 온도, 공기의 속도에 의해 좌우

(1) radiation 방사 : 두 물체의 표면 사이에 물리적인 접촉 없이 열 전달

열소실의 60%를 차지

인체는 지속적인 열 발산이 있으며 또한 주위온도에 따라 흡수도 가능

(2) conduction 전도 :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열 이동

(3) convection 대류 : 공기의 흐름에 따른 열전달

대류가 없는 전도에 의한 열소실은 무시할 정도

피부와 공기의 온도, 공기의 속도에 의해 좌우

PassivePassive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2) 열소실 Heat loss

Page 11: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1

(1) evaporation (증발)

· 체액의 수분이나 땀이 증발하면서 열소실

(기초 열 소실양의 약 10% 정도)

· 호흡과 피부를 통해 감지 못하는 수분 증발

(600 ml/day)

· 습도가 60% 이상인 환경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음

(1) evaporation (증발)

· 체액의 수분이나 땀이 증발하면서 열소실

(기초 열 소실양의 약 10% 정도)

· 호흡과 피부를 통해 감지 못하는 수분 증발

(600 ml/day)

· 습도가 60% 이상인 환경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음

ActiveActive

2) 열소실 Heat loss

체온 조절기능체온 조절기능

열의 방출

Heat loss

손잡이로전도

공기중으로증발 복사

공기중으로증발 공기중으로

대류

자리로전도

Page 12: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2

: 심부체온이 41도 이상인 경우

① 열피로 (heat exhaustion) : 체온은 정상, 순환장애, 빈맥, 호흡곤란, 저혈압

② 열성경련 (heat cramp): 골격근의 심한 통증, 간헐적인 경련

③ 열사병 (heat stroke): 현기증, 복부통증, 망상, 심한 수분과 전해질 상실로 인한

순환적 shock

: 심부체온이 41도 이상인 경우

① 열피로 (heat exhaustion) : 체온은 정상, 순환장애, 빈맥, 호흡곤란, 저혈압

② 열성경련 (heat cramp): 골격근의 심한 통증, 간헐적인 경련

③ 열사병 (heat stroke): 현기증, 복부통증, 망상, 심한 수분과 전해질 상실로 인한

순환적 shock

1) 고체온 (hyperthermia)1) 고체온 (hyperthermia)

체온유지체온유지

3). 체온 변화 양상

Page 13: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3

: 심부체온이 36도 이하인 경우 (최하 한계점 20도)

생리기전: 말초조직의 혈관수축 à 말초부위의 혈류 감소 à 조직의 산소공급 감소

à국소적인 감각기능 저하, 근육 쇠약, 피부가 차고 창백해짐-à 혈액 농축으로 인한

혈괴 à 혈괴로 인한 혈관 차단à no blood supply

• 과다한 체열소실, 체열생산 감소, 체온조절 중추의 이상 등으로 인함

• 피부(손, 얼굴:뺨,코,귀,발)가 가장 먼저 손상, 혈관, 신경, 근육도 손상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무의식 환자(특히 체온 조절중추에 장애 있을 때), 숔,

순환부전, 대사율 저하,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

: 심부체온이 36도 이하인 경우 (최하 한계점 20도)

생리기전: 말초조직의 혈관수축 à 말초부위의 혈류 감소 à 조직의 산소공급 감소

à국소적인 감각기능 저하, 근육 쇠약, 피부가 차고 창백해짐-à 혈액 농축으로 인한

혈괴 à 혈괴로 인한 혈관 차단à no blood supply

• 과다한 체열소실, 체열생산 감소, 체온조절 중추의 이상 등으로 인함

• 피부(손, 얼굴:뺨,코,귀,발)가 가장 먼저 손상, 혈관, 신경, 근육도 손상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무의식 환자(특히 체온 조절중추에 장애 있을 때), 숔,

순환부전, 대사율 저하,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

2) 저체온 (hypothermia)2) 저체온 (hypothermia)

체온유지체온유지

3). 체온 변화 양상

Page 14: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4

① 인위적 저체온 (induced hypothermia)

: 30-32도까지 중심체온을 서서히 낮추는 것

② 비의도적 저체온 (accidental hypothermia)

: 사고로 인해 추위에 노출되어 정상체온 이하로 떨어지는 것

③ 동상 (frostbite)

* 한냉성 피비(cold exhaustion) : 극도로 추운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

– 추위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반응이 느려지고 손, 발을 움직이는 능력이 감퇴되어

균형을 잡기 어려워 비틀거림

– 발음이 불분명, 시력감퇴, 불안정하여 이성을 잃게 됨

– 근육의 경련과 전율이 나타나며, 전율기전이 계속 작동하는 한 맥박과 호흡은 증가됨

① 인위적 저체온 (induced hypothermia)

: 30-32도까지 중심체온을 서서히 낮추는 것

② 비의도적 저체온 (accidental hypothermia)

: 사고로 인해 추위에 노출되어 정상체온 이하로 떨어지는 것

③ 동상 (frostbite)

* 한냉성 피비(cold exhaustion) : 극도로 추운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

– 추위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반응이 느려지고 손, 발을 움직이는 능력이 감퇴되어

균형을 잡기 어려워 비틀거림

– 발음이 불분명, 시력감퇴, 불안정하여 이성을 잃게 됨

– 근육의 경련과 전율이 나타나며, 전율기전이 계속 작동하는 한 맥박과 호흡은 증가됨

저체온 (hypothermia)저체온 (hypothermia)

체온유지체온유지

3). 체온 변화 양상

Page 15: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5

열 (fever, pyrexia): 안정 상태에서 온도 기준점 (set point)이 상승하여 정상체온

이상의 중심체온으로 조절되는 상태

• 고열 (hyperpyrexia): 40.5 ℃ 이상

• 열: 38.2 ℃ 이상

• 미열 (mild fever) : 37.1℃ - 38.2℃

열 (fever, pyrexia): 안정 상태에서 온도 기준점 (set point)이 상승하여 정상체온

이상의 중심체온으로 조절되는 상태

• 고열 (hyperpyrexia): 40.5 ℃ 이상

• 열: 38.2 ℃ 이상

• 미열 (mild fever) : 37.1℃ - 38.2℃

3) 발 열3) 발 열

3). 체온 변화 양상

체온 유지체온 유지

Page 16: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6

① intermittent fever 간헐열 : 1일 1 ℃ 이상 차이를 나타내면서 열이 오르고 정상

혹은 그 이하까지 떨어지는 형태.

② remittent fever 이장열 : 최저체온이 정상보다 높으며 24시간 동안

체온변화가 심함

③ relapsing fever 재귀열 : 1-2일간 정상체온을 유지하다가 일정기간 체온상승 상태

④ hectic(septic) fever 소모열 : 24시간 동안 불규칙한 체온상승, 2℃의 변화폭

⑤ constant fever 지속열 : 체온상승이 몇 일 혹은 몇 주일 동안 지속되는 상태

( 24시간 이상 정상 체온으로 떨어지지 않고 1-2℃ 높은상태)

① intermittent fever 간헐열 : 1일 1 ℃ 이상 차이를 나타내면서 열이 오르고 정상

혹은 그 이하까지 떨어지는 형태.

② remittent fever 이장열 : 최저체온이 정상보다 높으며 24시간 동안

체온변화가 심함

③ relapsing fever 재귀열 : 1-2일간 정상체온을 유지하다가 일정기간 체온상승 상태

④ hectic(septic) fever 소모열 : 24시간 동안 불규칙한 체온상승, 2℃의 변화폭

⑤ constant fever 지속열 : 체온상승이 몇 일 혹은 몇 주일 동안 지속되는 상태

( 24시간 이상 정상 체온으로 떨어지지 않고 1-2℃ 높은상태)

열의 종류 표. 26-1열의 종류 표. 26-1

체온 유지체온 유지

3). 체온 변화 양상

Page 17: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7

• 오한현상이 있고 체온이 상승(10-40분)

• 발열원인이 set point (온도기준점)를 올림

• 신체는 열을 생산하고 보존하기 위해 작용

* 외부발열물질 -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내부발열물질 - 조직손상이나 괴사, 조직 거부반응, 암, 항원, 항체반응

• 체온이 새로운 set point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 시간이 걸림

• 이 기간 동안은 온도가 이미 높아져 있다 해도 춥게 느끼고 오한을 경험

• heat conserving mechanism(열 보존 기능) : 오한이 있는 동안 혈관수축,

전율, 기모근 수축,

교감신경 자극 (EP, NE분비 증가)

• 오한현상이 있고 체온이 상승(10-40분)

• 발열원인이 set point (온도기준점)를 올림

• 신체는 열을 생산하고 보존하기 위해 작용

* 외부발열물질 -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내부발열물질 - 조직손상이나 괴사, 조직 거부반응, 암, 항원, 항체반응

• 체온이 새로운 set point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 시간이 걸림

• 이 기간 동안은 온도가 이미 높아져 있다 해도 춥게 느끼고 오한을 경험

• heat conserving mechanism(열 보존 기능) : 오한이 있는 동안 혈관수축,

전율, 기모근 수축,

교감신경 자극 (EP, NE분비 증가)

1. 오한기 (onset or chill phase)1. 오한기 (onset or chill phase)

발열의 단계

체온 유지체온 유지

Page 18: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8

• 상승된 체온의 유지기간

• 체온이 새로운 시상하부 환경에 도달하면 오한이 가라앉고 춥거나 덥다고

느끼지 않음

• 열생산과 열손실이 균형을 이룸

• 피부에 혈류 증가, 맥박과 호흡증가로 갈증을 느끼고 수분소실 증가,

탈수증상 · 권태감, 무기력, 근육통, 망상, 경련 등도 나타날 수 있음

• 신경세포 자극으로 두통, 광선공포증, 불안정, 졸림

• 발열극기에는 섬망, 경련도 나타남

• 상승된 체온의 유지기간

• 체온이 새로운 시상하부 환경에 도달하면 오한이 가라앉고 춥거나 덥다고

느끼지 않음

• 열생산과 열손실이 균형을 이룸

• 피부에 혈류 증가, 맥박과 호흡증가로 갈증을 느끼고 수분소실 증가,

탈수증상 · 권태감, 무기력, 근육통, 망상, 경련 등도 나타날 수 있음

• 신경세포 자극으로 두통, 광선공포증, 불안정, 졸림

• 발열극기에는 섬망, 경련도 나타남

2. 발열기 (fever phase)2. 발열기 (fever phase)

발열의 단계

체온유지체온유지

Page 19: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19

• 체온이 정상으로 떨어지는 기간

• 발열 원인 제거로 set point가 떨어짐

• 신체는 열손실 기전 작동

- 교감신경계 활동이 억제, 말초혈관의 이완, 피부 혈류 흐름 증가로

복사와 전도를 통해 열소실 증가, 발한 증가

• 종식기 형태

: crisis 분리 - 상승되었던 열이 갑자기(12-24시간 동안) 정상으로 호전

lysis 소산 - 상승되었던 열이 점차적으로 하강(수일 혹은 수주)

• 체온이 정상으로 떨어지는 기간

• 발열 원인 제거로 set point가 떨어짐

• 신체는 열손실 기전 작동

- 교감신경계 활동이 억제, 말초혈관의 이완, 피부 혈류 흐름 증가로

복사와 전도를 통해 열소실 증가, 발한 증가

• 종식기 형태

: crisis 분리 - 상승되었던 열이 갑자기(12-24시간 동안) 정상으로 호전

lysis 소산 - 상승되었던 열이 점차적으로 하강(수일 혹은 수주)

3. 해열기, 종식기 (decline or flush phase) 3. 해열기, 종식기 (decline or flush phase)

발열의 단계

체온유지체온유지

Page 20: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0

① 연령 - 신생아나 영아: 생리적 기능이 미성숙

노인: 피부의 노쇄로 말초순환 감소, 기초대사율이 감소,

체온조절 기전이 퇴화, 피하지방층 소실, 부적절한 식이

② 운동 – 근육운동은 열생산 증가

③ hormonal effect : 배란시기에 progesteron분비증가로 0.3-0.5℃ 상승

estrogen과 progesteron은 기초대사율을 증가시킴

④ Diurnal variation : 오전 2시-6시 사이에 가장 낮고, 오후 4시-6시에 최고

- circadian rhythm : 24 시간 동안 1℃정도 변화

⑤ 스트레스 - 신체적 정서적 스트레스는 호르몬과 신경자극을 통해 체온 증가

(교감신경자극)

⑥ 환경 – 더운 곳이나 찬곳

① 연령 - 신생아나 영아: 생리적 기능이 미성숙

노인: 피부의 노쇄로 말초순환 감소, 기초대사율이 감소,

체온조절 기전이 퇴화, 피하지방층 소실, 부적절한 식이

② 운동 – 근육운동은 열생산 증가

③ hormonal effect : 배란시기에 progesteron분비증가로 0.3-0.5℃ 상승

estrogen과 progesteron은 기초대사율을 증가시킴

④ Diurnal variation : 오전 2시-6시 사이에 가장 낮고, 오후 4시-6시에 최고

- circadian rhythm : 24 시간 동안 1℃정도 변화

⑤ 스트레스 - 신체적 정서적 스트레스는 호르몬과 신경자극을 통해 체온 증가

(교감신경자극)

⑥ 환경 – 더운 곳이나 찬곳

4.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4.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온 유지체온 유지

Page 21: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1

• 하루 한번 체온 측정 시 초저녁이 가장 적절한 시간

• 아침에 체온 측정 시 : 깬지 1시간 후에 (체온안정)

• 평상시 체온, 측정시간, 실내온도,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과정과 관련하여 평가

• 열이 계속되는 경우 : 기간, 정도, 질병의 다른 증상이나 징후 확인

냉에 의한 손상 : 사고 발생환경, 머무른 시간, 상황, 부위 등

• 활력증상의 변화

• 피부색 관찰 : 열-flushing, redness of eyeball, dry & hot skin

저하-pallor, cool, goose flesh(goose skin), numbness

• 하루 한번 체온 측정 시 초저녁이 가장 적절한 시간

• 아침에 체온 측정 시 : 깬지 1시간 후에 (체온안정)

• 평상시 체온, 측정시간, 실내온도,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과정과 관련하여 평가

• 열이 계속되는 경우 : 기간, 정도, 질병의 다른 증상이나 징후 확인

냉에 의한 손상 : 사고 발생환경, 머무른 시간, 상황, 부위 등

• 활력증상의 변화

• 피부색 관찰 : 열-flushing, redness of eyeball, dry & hot skin

저하-pallor, cool, goose flesh(goose skin), numbness

체온측정체온측정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1. Assessment

Page 22: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2

1) 체온유지 능력 저하의 위험성

2) 저체온

3) 고체온

4) 비정상적인 체온조절

1) 체온유지 능력 저하의 위험성

2) 저체온

3) 고체온

4) 비정상적인 체온조절

2. Nsg Dx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23: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3

① 신체 내 열생산 감소

② 신체로부터 열방출을 촉진 - 노출, 냉요법

③ 신체의 열작용을 최소로 - 균형식이, 수분섭취, 휴식

① 신체 내 열생산 감소

② 신체로부터 열방출을 촉진 - 노출, 냉요법

③ 신체의 열작용을 최소로 - 균형식이, 수분섭취, 휴식

고열 환자고열 환자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3. Nsg Care Plan

① 조직을 녹여 준다.

② 조직손상을 막는다.

③ 필요하면 가능한 한 빨리 내과적 조치를 취한다.

① 조직을 녹여 준다.

② 조직손상을 막는다.

③ 필요하면 가능한 한 빨리 내과적 조치를 취한다.

저체온 환자저체온 환자

Page 24: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4

1. 일반적인 간호법

(1) 열생산 감소

• 휴식이나 활동제한으로 신진대사율 감소

• 신체적 활동제한 뿐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이 필요

(2) 열배출 용이

•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선풍기로 방안의 공기 순환)

• 가벼운 의복과 가벼운 침구류

• 냉요법 실시

1. 일반적인 간호법

(1) 열생산 감소

• 휴식이나 활동제한으로 신진대사율 감소

• 신체적 활동제한 뿐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이 필요

(2) 열배출 용이

•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선풍기로 방안의 공기 순환)

• 가벼운 의복과 가벼운 침구류

• 냉요법 실시

고체온 환자 간호고체온 환자 간호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4. Nsg. Intervention

Page 25: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5

2. 열의 신체적 영향을 최소로 하는 방법

① 해열제 사용: aspirin, acetaminophen

② 안위요법

• 좋은 위생상태 유지 - 환의 및 침구를 건조하게 유지 (면, 융 침요)

③ 수분유지

• 수분공급 - 발한이나 호흡증가로 수분소실 증가- 대사증가 -> 노폐물 증가 -> 신속히 배설

• 1일 수분섭취량을 3,000cc 정도 (경구 및 비경구)

• I/O check I : 경구와 비경구로 공급된 모든 수분량O : 소변량, 발한 정도, 구토물, 설사 흡인 등의 배설량

• 탈수 - 피부건조로 입, 혀, 구강점막이 갈라짐 -> 구강간호

④ 영양상태 유지

• 신진대사 증가되고 조직의 파괴 증가 -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요구 증가

2. 열의 신체적 영향을 최소로 하는 방법

① 해열제 사용: aspirin, acetaminophen

② 안위요법

• 좋은 위생상태 유지 - 환의 및 침구를 건조하게 유지 (면, 융 침요)

③ 수분유지

• 수분공급 - 발한이나 호흡증가로 수분소실 증가- 대사증가 -> 노폐물 증가 -> 신속히 배설

• 1일 수분섭취량을 3,000cc 정도 (경구 및 비경구)

• I/O check I : 경구와 비경구로 공급된 모든 수분량O : 소변량, 발한 정도, 구토물, 설사 흡인 등의 배설량

• 탈수 - 피부건조로 입, 혀, 구강점막이 갈라짐 -> 구강간호

④ 영양상태 유지

• 신진대사 증가되고 조직의 파괴 증가 -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요구 증가

고체온 환자 간호고체온 환자 간호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4. Nsg. Intervention

Page 26: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6

1. 중심체온이 34 ℃ 이하이면 생명에 위협 초래 (우선적인 처치 시행)

2. 한냉성 탈진 환자 (cold exhaustion)

: 마른 의복, 담요 적용

: 신체를 서서히 따뜻하게 (더운물 주머니, 전기 담요 피하기)

: 의식 있으면 단음료 제공 (신체의 혈당 공급)

: 내과적인 처치나 입원 필요

* 동상이 있을 경우: 43.3도 이상의 물에 담그면 영구적인 조직 손상 초래

1. 중심체온이 34 ℃ 이하이면 생명에 위협 초래 (우선적인 처치 시행)

2. 한냉성 탈진 환자 (cold exhaustion)

: 마른 의복, 담요 적용

: 신체를 서서히 따뜻하게 (더운물 주머니, 전기 담요 피하기)

: 의식 있으면 단음료 제공 (신체의 혈당 공급)

: 내과적인 처치나 입원 필요

* 동상이 있을 경우: 43.3도 이상의 물에 담그면 영구적인 조직 손상 초래

저체온 환자 간호저체온 환자 간호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4. Nsg. Intervention

Page 27: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7

(1) 효과

① 혈관확장 (혈류증가와 함께 산소와 영양공급 증가)

② 세포의 국소적 신진대사 증가 --à 조직의 산소요구량 증가

③ 모세혈관의 투과력 증가

④ 식균세포의 활동 증진으로 화농촉진

⑤ 근육이완-이완 증진으로 관절 강직 감소

⑥ 복부의 열적용: 연동운동 감소, 위장계 혈류 감소, 위산분비 감소

⑦ 통증완화

(1) 효과

① 혈관확장 (혈류증가와 함께 산소와 영양공급 증가)

② 세포의 국소적 신진대사 증가 --à 조직의 산소요구량 증가

③ 모세혈관의 투과력 증가

④ 식균세포의 활동 증진으로 화농촉진

⑤ 근육이완-이완 증진으로 관절 강직 감소

⑥ 복부의 열적용: 연동운동 감소, 위장계 혈류 감소, 위산분비 감소

⑦ 통증완화

열요법열요법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28: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8

(2) 금기

① 국소적 악성종양-세포대사를 가속화시키고 순환을 증진시켜 전이 가속화

② 심혈관계나 말초혈관 장애가 있는 대상자-혈액순환에 문제

③ 지각장애나 정신상태 이상이 있는 자

④ 외상 직후 개방된 상처, 출혈, 비염증성 부종, 심한 염증 부위

⑤ 고환, 임부의 복부

⑥ 발적이나 수포를 일으키는 피부질환

⑦ 금속성 물질 (인공심장박동기) 이식

(2) 금기

① 국소적 악성종양-세포대사를 가속화시키고 순환을 증진시켜 전이 가속화

② 심혈관계나 말초혈관 장애가 있는 대상자-혈액순환에 문제

③ 지각장애나 정신상태 이상이 있는 자

④ 외상 직후 개방된 상처, 출혈, 비염증성 부종, 심한 염증 부위

⑤ 고환, 임부의 복부

⑥ 발적이나 수포를 일으키는 피부질환

⑦ 금속성 물질 (인공심장박동기) 이식

열요법열요법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29: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29

(3) 종류

① moist heat 습열

- hot compress (온습포): 열전도의 원리를 이용

- warm soaks: 40-43℃의 온수 사용

- sitz bath: 직장수술, 회음절개 시 소독된 대야 사용. 20분 정도.

- paraffin 목욕: 손, 발 등의 관절에 이용

(3) 종류

① moist heat 습열

- hot compress (온습포): 열전도의 원리를 이용

- warm soaks: 40-43℃의 온수 사용

- sitz bath: 직장수술, 회음절개 시 소독된 대야 사용. 20분 정도.

- paraffin 목욕: 손, 발 등의 관절에 이용

열요법열요법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30: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0

(3) 종류

② dry heat 건열

- 온수패드: 전기 조절기구가 달려 있어 온도 조절을 함

- heat lamp: 적외선이나 백열등의 방사열을 이용, 욕창이나 회음부 봉합 치료에 효과적(60watt의 전구 사용시 50cm의 거리 유지)

- heat cradle: 반원형틀에 여러 개의 전구 부착

- hot bag: 40-46℃의 물을 담아 사용.

- electric heating pad

(3) 종류

② dry heat 건열

- 온수패드: 전기 조절기구가 달려 있어 온도 조절을 함

- heat lamp: 적외선이나 백열등의 방사열을 이용, 욕창이나 회음부 봉합 치료에 효과적(60watt의 전구 사용시 50cm의 거리 유지)

- heat cradle: 반원형틀에 여러 개의 전구 부착

- hot bag: 40-46℃의 물을 담아 사용.

- electric heating pad

열요법열요법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31: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1

(1) 효과

① 피부와 조직의 온도를 낮추고 혈관수축

② 출혈조절

③ 국소적 신진대사 감소--à 조직의 산소 요구량 감소

④ 종창예방, 화농, 염증 지연-혈액순환 저하, 신진대사 저하, 미생물 활동 억제

⑤ 근육경련 감소

⑥ 근 경련과 관련된 통증완화

(1) 효과

① 피부와 조직의 온도를 낮추고 혈관수축

② 출혈조절

③ 국소적 신진대사 감소--à 조직의 산소 요구량 감소

④ 종창예방, 화농, 염증 지연-혈액순환 저하, 신진대사 저하, 미생물 활동 억제

⑤ 근육경련 감소

⑥ 근 경련과 관련된 통증완화

냉요법냉요법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32: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2

(2) 금기

① 심혈관계나 말초혈관 장애가 있는 대상자

② 지각장애나 정신상태의 이상이 있는 대상자

③ 밀초순환 장애

④ 이미 부종이 생긴 경우

⑤ 전율이 있을 때

⑥ 개방성 상처-혈류량 감소로 조직손상을 악화

⑦ 냉에 대한 과민반응-관절통, 근육경축, 두드러기, 갑작스런 혈압상승

(2) 금기

① 심혈관계나 말초혈관 장애가 있는 대상자

② 지각장애나 정신상태의 이상이 있는 대상자

③ 밀초순환 장애

④ 이미 부종이 생긴 경우

⑤ 전율이 있을 때

⑥ 개방성 상처-혈류량 감소로 조직손상을 악화

⑦ 냉에 대한 과민반응-관절통, 근육경축, 두드러기, 갑작스런 혈압상승

냉요법냉요법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33: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3

(3) 종류

① moist cold (습냉)

- cold compress: 15℃ 정도

- soak: 15℃ 정도

- tepid sponge bath (미온수 목욕)

- alcohol sponge bath

② dry cold (건냉)

- ice bag, ice collar, ice glove, ice pack

(3) 종류

① moist cold (습냉)

- cold compress: 15℃ 정도

- soak: 15℃ 정도

- tepid sponge bath (미온수 목욕)

- alcohol sponge bath

② dry cold (건냉)

- ice bag, ice collar, ice glove, ice pack

냉요법냉요법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34: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4

• 열냉요법의 효과가 최대로 이뤄진 후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는것으로

이 현상이 나타나기 전에 중지해야 한다.

• 30분 적용 후 한 시간 휴식한다.

• 열은 20-30분 내에 최고로 혈관 확장되어 계속적용은 통증이나 근육경련을

유발하고 조직의 충혈, 혈관의 수축을 일으킴

• 냉은 피부온도 15℃에 최고의 혈관 수축이 되고 15℃이하에서는 혈관 확장이

일어남 - 추운 날씨에서 산책 시 피부가 빨갛게 변하는 이유임

• 신체를 보호해 주는 방어기전

• 열냉요법의 효과가 최대로 이뤄진 후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는것으로

이 현상이 나타나기 전에 중지해야 한다.

• 30분 적용 후 한 시간 휴식한다.

• 열은 20-30분 내에 최고로 혈관 확장되어 계속적용은 통증이나 근육경련을

유발하고 조직의 충혈, 혈관의 수축을 일으킴

• 냉은 피부온도 15℃에 최고의 혈관 수축이 되고 15℃이하에서는 혈관 확장이

일어남 - 추운 날씨에서 산책 시 피부가 빨갛게 변하는 이유임

• 신체를 보호해 주는 방어기전

Rebound Phenomenon 반동현상Rebound Phenomenon 반동현상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35: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5

① 적용부위 관찰-피부변화가 있는지

② 금기사항 확인

③ 사지의 순환상태-피부색, 온도, 맥박, 부종유무

④ 의식수준-감각의 변화, 불편감을 인지 할 수 있는지

⑤ 사용할 기구의 상태 점검-전선, 새는 곳, 골고루 열이 분산되는지 등

- 열냉요법 적용 시 안전수칙

: 온도점검, 환자교육 철저.

① 적용부위 관찰-피부변화가 있는지

② 금기사항 확인

③ 사지의 순환상태-피부색, 온도, 맥박, 부종유무

④ 의식수준-감각의 변화, 불편감을 인지 할 수 있는지

⑤ 사용할 기구의 상태 점검-전선, 새는 곳, 골고루 열이 분산되는지 등

- 열냉요법 적용 시 안전수칙

: 온도점검, 환자교육 철저.

열냉요법 사용 시 사정할 사항열냉요법 사용 시 사정할 사항

4. Nsg. Intervention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Page 36: 체온유지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Chosun/Parkjeonghwan/12.pdf · 3 1)신경조절:시상하부(hypothalamus)가1차적체온조절중추

36

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체온유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간호

5. Evaluation

• 정상범위의 체온유지 평가

• 체온변화의 예상 요인 규명 평가

• 정상 체온 변화의 예방 및 치료 전략 설명에 대한 평가

• 정상범위의 체온유지 평가

• 체온변화의 예상 요인 규명 평가

• 정상 체온 변화의 예방 및 치료 전략 설명에 대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