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8
Newsletter 3 No.45 ISSN 1975-4310 March 2009 2009 하이든의 해 기념 세계적인 천재 음악가 요제프 하이든전 Joseph Haydn Exhibition A Musical Universal Genius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에서는 3월 16일부터 30 일까지 《세계적인 천재 음악가 - 요제프 하이든》전이 개최됩니다. 하이든 서거 200주기를 맞이하여 주한 오스트리아대사관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하이든의 작품과 일생을 담은 42개 전시물을 통해 그의 천재적 인 음악세계와 삶을 조명합니다. 전시 개막식은 3월 16일 오후 5시이며, 한국하이든협 회의 4중주 연주가 마련됩니다. 전시 관람시간은 월요일~토요일 오전 10시에서 오후 6시까지이며(수요일은 저녁 9시까지, 일요일 및 공휴 일은 휴관)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오스트리아대사관((02) 732-9071~2) 또는 KF문화센터 (www.kfcenter.or.kr, (02) 3789-560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The Joseph Haydn exhibition titled A Musical Universal Genius will be held from March 16 through March 30 at the KF Cultural Center. To mark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Joseph Haydn, the Austrian Embassy in Seoul will be showcasing 42 display objects to outline the Austrian composer’s life and work. The opening ceremony on March 16 at 5:00 p.m. will include a short 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easternmost province and the home region of Haydn. The exhibition will be open from 10 a.m. to 6 p.m., Monday through Saturday, except on Wednesdays, when it will remain open until 9 p.m. Admission is free. For further information, please contact the Austrian Embassy (02-732-9071~2) or the KF Cultural Center (www.kfcenter.or.kr/ english or 02-3789-5600) [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Page 1: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Newsletter 3 No.45 ISSN 1975-4310

March 2009

2009 하이든의 해 기념세계적인 천재 음악가

요제프 하이든전

Joseph Haydn Exhibition A Musical Universal Genius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에서는 3월 16일부터 30

일까지 《세계적인 천재 음악가 - 요제프 하이든》전이

개최됩니다. 하이든 서거 200주기를 맞이하여 주한

오스트리아대사관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하이든의

작품과 일생을 담은 42개 전시물을 통해 그의 천재적

인 음악세계와 삶을 조명합니다.

전시 개막식은 3월 16일 오후 5시이며, 한국하이든협

회의 4중주 연주가 마련됩니다.

전시 관람시간은 월요일~토요일 오전 10시에서 오후

6시까지이며(수요일은 저녁 9시까지, 일요일 및 공휴

일은 휴관)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오스트리아대사관((02) 732-9071~2) 또는 KF문화센터

(www.kfcenter.or.kr, (02) 3789-560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The Joseph Haydn exhibition titled A Musical Universal Genius will be held from March 16 through March 30 at the KF Cultural Center. To mark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Joseph Haydn, the Austrian Embassy in Seoul will be showcasing 42 display objects to outline the Austrian composer’s life and work.The opening ceremony on March 16 at 5:00 p.m. will include a short 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easternmost province and the home region of Haydn. The exhibition will be open from 10 a.m. to 6 p.m., Monday through Saturday, except on Wednesdays, when it will remain open until 9 p.m. Admission is free. For further information, please contact the Austrian Embassy (02-732-9071~2) or the KF Cultural Center (www.kfcenter.or.kr/english or 02-3789-5600)

[email protected]

Page 2: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요제프 하이든 (1732-1809)은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모차르트, 베토벤과 함께 ‘빈고전악파’를 형성

한 인물. 교향곡의 아버지로 불리는 하이든은 107곡의 교

향곡, 69곡의 현악사중주, 128곡의 바리톤트리오, 14곡

의 미사곡 등으로 고전시대 기악곡의 전형을 만들었으며,

특히 제1악장에서 소나타 형식을 완성했다. 그의 긍정적

인 성향과 삶의 열정은 그의 대표작 《천지창조(天地創造)

Schopfung》(1798), 《사계(四季) Die Jahreszeiten》(1801)

등에서 엿볼 수 있다.

이 전시는 3월 12일까지 계속됩니다.

출처: 2009 하이든의 해 홈페이지(www.haydn2009.at)

. .

Joseph Haydn

전시 | Exhibition

(1732-1809) is an Austrian composer who formed the Viennese School along with Mozart and Beethoven. Called the “Father of the Symphony,” Haydn composed many musical works, including 107 symphonies, 69 string quartets, 128 baritone trios and 14 masses, creating a norm of instrumental music in the classical times. He especially perfected the sonata form in the first movement. His positive temperament and passion for life are revealed in his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Die Schöpfung (The Creation)》(1798) and 《Die Jahreszeiten (The Seasons)》(1801).

Exhibition will continue until March 12.

Source: Haydn Year 2009 website (www.haydn2009.at)

카렐 차페크, 로봇을 이름짓다 & 세상의 모든 美를 노래한 사이페르트

All Beauties of the World and the Man Who Named Robot

지난 행사 리뷰 | Exhibition Review

Page 3: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전문가가 들려주는 다른 세상이야기 | Stories of the Other Parts of the World Told by Experts

KF 문화센터에서 만나는 동남아시아

Encountering Southeast Asia at the KF Cultural Center

3월, 4월 KF 문화센터에서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강연, 영화,

도서자료 등을 한자리에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세미나

실에서는 2009년 첫번째 정기강좌 시리즈 “동남아시아 이

야기”에서 ▲동남아 정치와 역사(3.3(화) 신윤환), ▲불교 문

화와 태국(3.10(화) 김홍구), ▲이슬람문화와 인도네시아

(3.17(화) 김형준), ▲인도문명과 미얀마(3.24(화) 박장식),

▲말레이시아의 다문화주의(3.31(화) 오명석) 등 다채로운

내용을 다룹니다. 영상실에서는 동남아 전문가가 엄선한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영화가 매주

월, 수요일 저녁 7시, 토요일 오후 3시에 상영됩니다. (자세

한 일정은 영화면 참조) 또한, 정보자료실에서는 약 70여

종의 동남아시아 관련 서적을 열람할 수 있으며 무료로 이

용 가능합니다. KF 문화센터에서 동남아시아 향기에 흠뻑

빠져보세요!

Visitors can enjoy lectures, exhibitions, films and reference materials on Southeast Asia all in one place at the KF Cultural Center during March and April. Lectures on Southeast Asia, the first of the Center’s regular lecture series in 2009 which began on February 17 at the Seminar Room, address various topics on every Tuesday, including ▲Politics and History of Southeast Asia (March 3, Shin, Yoon-Hwan), ▲Buddhist Culture and Thailand (March 10, Kim, Hong-Koo), ▲Islamic Culture and Indonesia (March 17, Kim, Hyung-Jun), ▲Indian Civilization and Myanmar (March 24, Park, Jang -Sik), and ▲Multiculturalism of Malaysia (March 31, Oh, Myung-Seok). Also featured at the Screening Room at 7 p.m. on Mondays and Wednesdays and 3 p.m. on Saturdays are movies selected by experts on Southeast Asia on the themes of Thailand, Vietnam, Indonesia, Myanmar and Cambodia. (Please see Cinema page for further details.) In addition, about 70 books on Southeast Asia are available for free at the Library. Come and visit the KF Cultural Center to enjoy the charms of Southeast Asia!

세계 클래식 음악계를 빛내고 있는 거장과 젊은 연주자

의 만남, 고전에서 현대까지 음악 애호가들을 설레게 할

프로그램으로 가득한 서울국제음악제가 5월 22일 화려한

막을 올립니다.

8일간 LG 아트센터, 금호아트홀,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

당 등 서울 시내 주요 공연장에서 매일 펼쳐질 서울국제음

악제는 ‘음악을 통한 화합(All Together in Music)’ 이라는

주제로 스승과 제자의 교우, 아시아와 유럽의 교감 등 음

악을 통한 평화와 화합을 느낄 수 있는 감동적인 음악 축

제가 될 것입니다.

이 시대 최고의 마에스트로 크리지스토프 펜데레츠키(K.

Penderecki)가 서울국제음악제의 명예 예술감독으로 위

촉되었으며, 펜데레츠키를 사사하고 세계적으로 그 실력

과 재능을 인정받고 있는 류재준 작곡가가 예술감독을 맡

았습니다.

이 외에도 음악제 기간 동안,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갤러리에서는 《서울국제음악제 특별 전시》가 개최됩니다.

주최: 한국국제교류재단

주관: 오푸스

기간: 2009.5.22(금)~2009.5.30(토), 8일간

장소: LG 아트센터(5.22),

세종문화회관 대극장(5.24),

금호아트홀(5.25~5.27),

예술의전당 콘서트 홀(5.29~5.30)

Showcasing the music of world-renowned maestros and talented young artists accomplished in classical music, and programs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that will thrill music lovers, the first Seoul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SIMF) opens on May 22.The festival will be held over a period of eight days at major concert halls in Seoul, including the LG Arts Center, Kumho Art Hall, Sejong Center and Seoul Arts Center. Under the theme of “All Together in Music,” SIMF will be a stirring music festival highlighting the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music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nd the sharing of feelings between Asian musicians, spreading peace and harmony through music.Krzysztof Penderecki, one of the greatest maestros of modern times, is Honorary Art Director of SIMF, and Ryu Jea Joon, a Korean composer who studied under Penderecki and who has been recognized for his outstanding musical skills, is Art Director.In conjunction with the music festival, the “SIMF Special Exhibition” will be held at the Korea Foundation Cultural Center during the festival period from May 22 through May 30.

Host: The Korea Foundation Organizer: Opus CorporationPeriod: May 22 (Fri.)~30 (Sat.), 2009Venues: LG Arts Center (May 22), Grand Hall,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May 24), Kumho Art Hall (May 25~27), Concert Hall of the Seoul Arts Center (May 29~30)

2009 서울국제음악제 (Seoul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SIMF)가 개최됩니다

Seoul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2009 to Be Held in May

Page 4: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미얀마] 비욘드 랭군

[Myanmar] Beyond Rangoon

Laura Bowman, a young doctor, goes traveling to escape the mental shock she received when her husband and young son were brutally murdered by a burglar. As part of a group touring Asia, she and her sister Andy check in at a hotel in Rangoon. Unable to sleep, Laura goes out of the hotel when she hears a strange noise outside. She witnesses that Aung San Suu Kyi, admired as a goddess of freedom by the people of Burma (Myanmar), wears a graceful smile and goes through armed soldiers who restrain her from contacting demonstrators.

Year of Production 1995 Country of Origin U.S.A. Running Time 100 minutes Director John Boorman Language English Subtitles Korean Rating 18+

젊은 여의사 로라 보맨은 남편과 어린 아들이 강도

의 손에 무참히 살해된 후 정신적 충격에서 벗어나

지 못해 여행을 하게 된다. 관광단의 일원으로 언니

앤디와 함께 아시아를 여행하던 중 랭군의 한 호텔

에 여장을 푼다. 잠을 이루지 못해 뒤척이던 로라는

밖에서 들여오는 이상한 소리에 끌려 외출한다. 버

마(미얀마) 국민들의 자유의 여신으로 떠받들어지는

아웅산 수지 여사가 총을 들이대고 시위 군중들과의

접근을 제지하는 군인들에게 다가가 단아한 미소로

총부리를 거두고 헤쳐나가는 장면을 목격하게 된다.

제작 1995년 제작국가 미국 상영시간 100분

감독 존 부어만 언어 영어

자막 한국어 관람등급 18세 관람가

3월

특별영화

Film Screenings in March

[태국] 애나앤드킹

태국과 버마의 접경에 위치한 사이암 왕국의 뭉쿳

국왕은 세계 열강들의 제국주의 야욕 속에서 국가

의 독립권을 지키려면 제도와 교육을 근대화하는

것임을 최선으로 생각한다. 이에 자신의 자녀들을

근대화된 서구 교육을 시킬 목적으로 영국의 미망

인 애나 레노웬스를 가정교사로 초청한다. 태국 사

이암 왕국의 뭉쿳 국왕과 영국인 가정교사 애나

레노웬스에 관한 실화.

제작 1999년 제작국가 미국 상영시간 147분

감독 앤디 테넌트 언어 영어

자막 한국어 관람등급 12세 관람가

[Thailand] Anna and the King

King Mongkut of Siam on the border of Burma thinks modernizing systems and education is the best thing to protect the independence of his kingdom against the imperialistic ambitions of the world powers. So he invites Anna Leonowens, an English widow, to offer his children modern and Western education. The film is based on a real story of King Mongkut of the Kingdom of Siam (Thailand) and English tutor Anna Leonowens.

Year of Production 1999 Country of Origin U.S.A. Running Time 147 minutes Director Andy Tennant Language English Subtitles Korean Rating 12+

[베트남] 쓰리 시즌

[Vietnam] Three Seasons

Saigon (Ho Chi Minh City) is a city of drastic changes where daily culture changes and new buildings are being erected every day. Kien, a young woman, gets a job of collecting lotuses at the house of Teacher Dao in seclusion. Meanwhile, Hay, a cyclo driver, helps a beautiful prostitute, Lan, when she runs away from a chasing customer, and falls in love with her. Hovering around her, Hay voluntarily becomes her driver. Lan reluctantly lets him do as he wants, but he is just a poor cyclo driver to her. The film features three kinds of encounter, love and hope. A tapestry of love and hope.

Year of Production 1999 Country of Origin VietnamRunning Time 110 minutes Director Tony Bui Language Chinese Subtitles Korean Rating 12+

매일의 문화가 달라지고 하루마다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서는 격변의 도시 사이공. 젊은 아가씨 키엔은

은둔생활을 하는 다오 선생 집에 고용되어 하얀 연

꽃 따는 일을 하게 된다. 한편 시클로 운전사 하이

는 쫓아오는 손님을 피해 달아나는 아름다운 창녀

렌을 도와줬다가 사랑에 빠진다. 하이는 그녀의 주

변을 맴돌며 운전기사를 자처한다. 렌은 마지못해

그가 하는 대로 내버려 두지만 그녀에게 그는 초라

한 시클로 운전사일 뿐이다. 세 가지 만남, 세 가지

사랑, 세 가지 희망. 사랑과 희망의 타피스트리.

제작 1999년 제작국가 베트남 상영시간 110분

감독 토니 뷔 언어 중국어

자막 한국어 관람등급 12세 관람가

Page 5: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인도네시아] 달려라, 조니

[Indonesia] Janji Joni

Joni is a 22-year-old film delivery guy in Jakarta. On his way to deliver a film one hectic day, he helps a pregnant woman giving birth to a child, happens to be in filming location where he is held back to play an extra part, is robbed of his film bag while helping a woman who confronts a robber, is chased by a group of gangsters, and comes across a crazy artist who is trying to burn his film. While featuring Joni’s desperate struggle to deliver the film in time, the movie also shows all kinds of the audience in theater, grouping them into ten types.

Year of Production 2005 Country of Origin Indonesia Running Time 84 minutes Director Anwar Joko Language Korean (dubbing) Subtitles None Rating 18+

[인도네시아] 공유하는 사랑

여의사인 살마의 남편이 다른 아내를 데려오겠다

고 선포한다. 웨이트리스인 밍은 요리사의 두번째

아내가 되기로 결심한다. 시티는 미용학교에 가게

되는 조건으로 일부다처제 생활을 하게 된다. 계급

과 인종 배경이 서로 다른 이 셋은 가정사 그리고

한 남자의 사랑을 다른 여자와 나누어야 하는 곤

경에 직면한다. 세계 최대 무슬림 국가인 인도네시

아의 일부다처제를 현대적 감각으로 그린 영화로

다수의 국제영화제 수상작.

제작 2006년 제작국가 인도네시아

상영시간 120분 감독 니아 디 나타

언어 인도네시아어 자막 영어

관람등급 18세 관람가

[Indonesia] Berbagi Suami (Love for Share)

Salma is a doctor whose husband announces he’s going to bring another wife into the family. Ming is a young woman who works as a waitress. Ming falls for the chef who already has a wife, and decides to accept his invitation to marry him. And Siti realizes too late that a chance to attend beauty school was in exchange to become the latest of her uncle’s wives. The three women from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ethical values face a struggle to share their family and love. The world’s largest Muslim country’s film about polygamy with a modern touch has won many international film awards.

Year of Production 2006 Country of Origin Indonesia Running Time 120 minutes Director Nia Di Nata Language Indonesian Subtitles English Rating 18+

22살의 조니는 자카르타의 필름 배달부다. 배달에

나선 그는 임산부의 출산을 돕고 우연히 끼어든 촬

영장에서 단역 연기자로 붙잡히고 강도를 만난 여

자를 도와주다가 필름 가방을 도둑맞고 한 무리의

악당들에게 쫓기고 미친 예술가를 만나 필름이 불

태워질 뻔 하는 등 파란만장한 일과를 보낸다. 조

니가 필름을 제시간에 배달하기 위해 이토록 악전

고투하는 동안 다른 한편에서는 관객을 10가지 형

태로 분류하면서 극장 안의 천태만상을 보여준다.

제작 2005년 제작국가 인도네시아

상영시간 84분 감독 안와르 조코

언어 한국어(더빙) 자막 없음

관람등급 18세 관람가

동남아시아 영화제 Southeast Asian Film Festival

[태국] 아이언 레이디

[Thailand] The Iron Ladies

Best friends Jung and Mon are very talented but have always failed to be selected as volleyball players because they are gay. They are finally selected for a local volleyball team led by newly appointed lesbian coach Bee. Their joy is short-lived as other players refuse to play with them. So is formed a powerful volleyball team called the “Iron Ladies” composed of Coach Bee, transgender Pia, soldier Nong, Wit who has to marry a girl chosen by his parents because he cannot tell them he is gay, and very good-looking Chat.

Year of Production 2000 Country of Origin ThailandRunning Time 104 minutes Director Yongyoot Thongkongtoon Language Thai Subtitles Korean Rating 15+

실력은 뛰어나지만 게이라는 이유로 배구 선수 선

발에 번번이 밀려나야 했던 단짝친구 '쭝'과 '몽'. 레

즈비언 코치 '비'가 새로 취임한 지역 배구팀에 그

들이 선발된다. 그 기쁨도 잠시, 함께 선발된 다른

선수들이 게이와는 같이 뛸 수 없다고 보이콧을 한

것. 이에 비 감독, 트렌스젠더 피아, 군인 농, 그리

고 게이라는 사실을 밝히지 못해 부모가 정해준 처

녀와 결혼을 해야만 하는 윗, 꽃미남 차이가 가세

해 막강 파워 배구팀 '아이언 레이디'가 결성된다.

제작 2000년 제작국가 태국 상영시간 104분

감독 용유스 언어 태국어

자막 한국어 관람등급 15세 관람가

Page 6: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The Korean Language Class has published Our Korean (Uri Hangugeo)written by Korean Language Class teachers for classroom use. Our Korean is composed of 10 volumes by level to create a more systematic environment for learning Korean. The teachers in charge of each class participated in writing and editing the textbooks to maintain overall consistency in teaching by level. The Korean Language Classes are attended by a monthly average of about 200 foreigners. The publishing of Our Korean adds expertise to the Korean Language Class, providing a stable curriculum to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국어교실 교사들이 직접 제작한 수업 교재 『우리 한국어』가 발

간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한국어교실 교재 『우리 한국어』는

좀 더 체계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자 수준별로 1권에서 10권

까지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반별로 수업을 맡고 있는 교사들이

교재 작성부터 편집까지 맡아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에

전체적인 일관성을 갖고 지도할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한달

평균 약 200여 명의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어교

실은 수업 교재 발간을 통해 안정된 커리큘럼 속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 프로그램에 전문성을 더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어교실 교재 『우리 한국어』 발간 Korean Language Class Textbook “Our Korean” Published

국제교류자원봉사망뉴스 | Korea Foundation Volunteer Network News

활동 후기 한국어교실 팀원 윤은아 KFVN Activities Yun Eun-a, Korean Language Class Team Member

I am Yun, Eun-a, a member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Team for Wednesday classes. It is almost three years since I started to participate in the Korea Foundation Volunteer Network (KFVN) activities. I attended the orientation session for volunteers in January 2007. It seems just like yesterday, but a lot of time has actually passed by since then. Fortunately I was able to start to work as a team member as soon as I completed the orientation at that time. I was the youngest member at the Korean Language Class Team and formed wonderful relationships with other

team members and teachers. Probably that is why I work so actively to introduce the KFVN to my acquaintances and recommend that they participate in KFVN activities. One of the best things about my volunteer activities, above all, is that I can meet so many diverse people, transcending nationalities. Mingling and speaking with them, I became more thoughtful and found it easier to understand and accept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I realized that the KFVN was a committed and well-organized group of volunteers, and I came to take pride in the KFVN, not only while working as a team member for the Korea Language Class but also by preparing for Hangeul Day , volunteers’ meetings and year-end gathering events. As time went by, my activities as a Korean Language Class Team member became a part of my life even before I realized it. For all these reasons, I really hope to continue to work as a volunteer for a long time in the future.

안녕하세요? 한국어교실 수요일 팀원 윤은아입니다. 어느덧 봉

사활동을 시작한지도 3년째가 되어 갑니다. 2007년 1월에 소양

교육을 받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많은 시간이 흘렀네요.

저는 당시에 운 좋게도 소양교육 이후 바로 팀원 활동을 시작

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저는 제일 막내로 한국어교실에 들어가

다른 팀원과 선생님들의 사랑을 듬뿍 받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지인들에게 국제교류자원봉사망을 알리고 활동을 권유 할 정도

로 많은 애정을 갖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활동을 하면서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점은 무엇보다 국적을 뛰

어넘어 다양한 사람들과 만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서로 어울리면서

이야기하다 보니 생각도 깊어지고,

다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도

쉬워졌습니다. 그리고 한국어교실

수업뿐만 아니라 한글날, 자원봉사

자대회, 송년의 밤 등의 행사 준비

를 하면서 봉사망이 자원봉사자들

로 탄탄하게 잘 구성된 단체라는

생각이 들었고 자부심을 갖게 되었

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저도 모

르게 한국어교실 팀원 활동이 제

삶의 일부가 되어버렸습니다. 앞으

로도 오랫동안 활동을 하고 싶습

니다.

우리한국어

Page 7: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3월 일정 안내 | KFVN events to be held in March

한국어 교실 프로그램 | Korean Language Classes

• 3월 14일: 제34기 자원봉사자 소양교육

• 3월 21일: 한국문화교실 “한국의 탈과 탈춤”

• 3월 30일: 한국어교실 레벨테스트 및 정례회의

• 월요일(오후 7시~9시) 초급반2, 초급반3, 초급반4

• 수요일(오후 4시~6시) 한글반, 초급반1

(오후 7시~9시) 중급반3, 중급반4, 고급반

• 금요일(오후 7시~9시) 초급반5, 중급반1, 중급반2

- 한국어교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사전에 레벨테스트를

받아야만 수강할 수 있습니다.

- 한국어교실의 수업료는 무료이며, 다만 매달 수강시

교재를 반드시 준비해야 합니다.

- 각 반별로 수강생을 20명으로 제한합니다.(고급반은 제외)

- 자세한 사항은 문화센터 홈페이지 www.kfcenter.or.kr 및

국제교류자원봉사망 홈페이지 http://volunteer.kf.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March 14: 33rd KFVN Orientation• March 21: Korean Culture Class “Korean Mask and Masked Dance”• March 30: Korean Language Class level-test and regular meeting

• Monday (7:00 p.m. – 9:00 p.m.) Beginners’ class 2, Beginners’ class 3, Beginners’ class 4• Wednesday (4:00 p.m. – 6:00 p.m.) Hangeul class, Beginners’ class 1

(7:00 p.m. – 9:00 p.m.) Intermediate class 3, Intermediate class 4, Advanced class• Friday (7:00 p.m. – 9:00 p.m.) Beginners’ class 5, Intermediate class 1, Intermediate class 2

- Anyone interested in enrolling for the Korean Language Class should submit the application

form and take a written test.

- The Korean Language Class is offered free of charge. However, students are required

to buy textbooks.

- The class size is limited to a group of 20 students (excluding the Advanced Class).

- For more details, please visit our website: www.kfcenter.or.kr/english or http://volunteer.kf.or.kr

국제교류자원봉사망뉴스 | Korea Foundation Volunteer Network News

“I went to Taiwan recently and somehow it felt kind of strange. Maybe it’s because I feel more comfortable in Korea.” Mr. Tseng, Chung-Da who has been living in Korea for six years says he now finds Korea very comfortable and familiar. He at first came to know the Korea Foundation Volunteer Network when his friend attending the advanced KFVN Korean Language Class introduced the network to him. Mr. Tseng says his Korean has greatly improved thanks to the Korean Language Class he has attended for three years since 2006, and he has come to love Korea through his experience of Korean culture. Of various events offered by the Korean Culture Class, what he found most memorable was the class on Samulnori in March last year. “I saw a musical instrument called janggu [hour-glass shaped traditional Korean drum] for the first time

on that day. I played the janggu to the tune of Arirang. Different parts of the janggu produced different sounds, which I found fascinating.” He also drank the traditional Korean drink, Dongdongju , along with other people after the Samulnori class, and it tasted good and similar to Taiwan’s traditional alcohol, Niumi(牛米).Mr. Tseng, who came to Korea in 2004, says he is happy to have been given the opportunity to get to know Korean people and culture better through the KFVN. He says, “The KFVN is really good for foreigners. Through the KFVN, you can meet Korean friends,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Korean culture in a very natural way. When I go back to Taiwan, I also want to introduce Taiwanese culture to other people.” He adds he is grateful to be with the KFVN, and he knows that his love for Korea and the KFVN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얼마 전에 대만에 갔었는데 낯설더라고요. 한국이 더 편한

가 봐요.” 6년째 한국에 살고 있는 증중달씨는 이제 한국이

참 편하고 익숙하다고 합니다. 증중달씨는 한국어교실 고

급반 친구의 소개로 국제교류자원봉사망을 알게 되었습니

다. 그래서 2006년부터 3년째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그는 한국어교실 수업으로 한국말도 많이 늘었고, 한국문

화행사 체험으로 한국을 사랑하게 됐다고 말합니다. 특히

한국문화교실 행사 중 지난해 3월에 진행됐던 사물놀이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합니다. “그 날 장구라는 악기를 처

음 봤어요. 아리랑 노래에 맞춰 ‘덩덩덕 쿵덕’ 장구 리듬을

연주했는데, 북 위치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나서 매력적이

라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사물놀이 후

에 사람들과 함께 동동주를 마셨는데,

대만의 전통주 ‘牛米’와 맛이 비슷해서

맛있었다고 합니다.

2004년에 한국에 온 증중달씨는 국제

교류자원봉사망을 통해 한국인과 한국

문화에 대해 알게 되어서 기쁘다고 말

합니다. 그는 “KFVN은 외국인에게 정

말 좋은 곳이에요. 한국 친구도 만나고,

한국어도 배우고, 한국문화도 자연스레

경험할 수 있는 곳이잖아요. 나중에 대

만에 가면 저 또한 대만 문화를 외국인

에게 전파하고 싶어요.”라고 말합니다.

“봉사망과 함께할 수 있어 감사하다”는

말을 꼭 전하고 싶다는 증중달씨의 한

국사랑, 봉사망 사랑이 계속되길 기대

해봅니다.

인터뷰 “대만보다 한국이 더 편해요” 대만에서 온 증중달씨 Interview “I feel even more comfortable in Korea than in Taiwan.” — Mr. Tseng, Chung-Da from Taiwan

Page 8: No.45 ISSN 1975-4310 Newsletter 3kf.or.kr/file/bbs/20110914172001116_.pdfperformance by musicians of the Korean Haydn Society and the wine that will be served is from Burgenland, Austria’s

4월 프로그램 예고 | Cultural Center Events Scheduled for April

아래 일정은 잠정적이므로 추후 자세한 사항은 문화센터 홈페이지

www.kfcenter.or.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베트남에 손 내밀다” 사진전

- 주 최: Visual Worship Institute (VWI)

- 기 간: 4월 2일~15일

- 내 용: 베트남의 풍광과 일상, 그들의 행복한 삶을 한국작가 12인이

촬영한 사진 전시. 부대행사로 세미나, 영화상영 예정

Schedules and programs will be posted on our website: www.kfcenter.or.kr/english

• “Extend a Hand to Vietnam” Photography Exhibition- Organizer: Visual Worship Institute (VWI)- Period: April 2~15- Contents: Images depicting the beauty and happiness witnessed in the ordinary lives of Vietnamese people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는 우리국민과 주한 외국인들이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는 세계문화사랑방입니다.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중앙일보 1층)

The Korea Foundation Cultural Center(JoongAng Ilbo Building)

뉴스레터 등록번호: 서울라11191 | 발행월일: 2009. 2. 28. | 등록일자: 2006. 6. 19 | 발행인/편집인: 임성준 | 디자인 (주)서울셀렉션 | 인쇄: (주)이팩피앤피

상영일 / Date 3. 2 (Mon) 7 p.m. 3. 4 (Wed) 7 p.m. 3. 7 (Sat) 3 p.m. 3. 9 (Mon) 7 p.m.

상영작

(Film)

비욘드 랭군

(Beyond Rangoon)

100min.

애나앤드킹

(Anna And the King)

147min.

쓰리 시즌

(Three Seasons)

110min.

애나앤드킹

(Anna And the King)

147min.

상영일 / Date 3. 11 (Wed) 7 p.m. 3. 14 (Sat) 3 p.m. 3. 16 (Mon) 7 p.m. 3. 18 (Wed) 7 p.m.

상영작

(Film)

아이언 레이디

(The Iron Ladies)

104min.

달려라, 조니

(Janji Joni)

84min.

공유하는 사랑

(Love for Share)

120min.

달려라, 조니

(Janji Joni)

84min.

상영일 / Date 3. 21 (Sat) 3 p.m. 3. 23 (Mon) 7 p.m. 3. 25 (Wed) 7 p.m. 3. 28 (Sat) 3 p.m.

상영작

(Film)

아이언 레이디

(The Iron Ladies)

104min.

비욘드 랭군

(Beyond Rangoon)

100min.

쓰리 시즌

(Three Seasons)

110min.

공유하는 사랑

(Love for Share)

120min.

상영일 / Date 3. 30 (Mon) 7 p.m.

상영작

(Film)

달려라, 조니

(Janji Joni)

84min.

영화상영시간 | Film Screening Schedule

지난 행사 | Last Month’s Highlights

• 2. 2 ~ 13 이탈리아 최신영화, 70년대를 돌아보다 • New Italian Cinema: Contemporary Cinema Retrospective on the 1970s.

(우: 100-759) 서울시 중구 순화동 7

중앙일보 빌딩 1층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Korea Foundation Cultural Center,JoongAng Ilbo Building, 1st fl oor,7 Sunhwa-dong, Jung-gu, Seoul 100-759

• Tel: 3789-5600, 5602~4• Fax: 3789-5606• E-mail: [email protected]• Homepage: www.kfcenter.or.kr

Exit 6, Seodaemun Staion,Subway Line 5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 6번 출구

Exit 10, City Hall Station,Subway Line 2지하철 2호선

Woori Bank우리은행

Korean Air대한한공

정동극장Chongdong Theater

광화문Gwanghwamun

서울시청 City Hall

프라자호텔 Seoul Plaza Hotel

남대문 Namdaemun

경찰청 NationalPoliceAgency

신촌 Sinchon

서소문 사거리 Sesomun

Cossroads서울역

Seoul Station

지하철 2호선 시청역 9번 출구 Exit 9, City Hall Staion,Subway Line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