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출력 필터 설계

5
LC출력 필터 설계 전자공학 2005/06/23 18:27 http://blog.naver.com/ecima/80014299002 LC출력 필터 설계 1. 차단주파수와 스위칭 주파수의 관계 LC출력 필터의 차단주파수는 스위칭 주파수(20kHz)보다 낮고 신호주파수(400Hz)보다 높아야 한다. 그림 10(a)나타난 LC 필터의 감쇠 특성은 12dB/oct. 이다. 주파수가 2배로 되면 12dB 감쇠하고 주파수가 10배로 되면 40dB 감쇠한다. 그림 10(b)같이 차단주파수 fC스위칭 주파수의 1/10 하면 스위칭 주파수에서 변동하는 리플 전압은 전원전압 1/100(40dB)되어 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레벨 된다. 파워 컨트롤러의 스위칭 주파수 20kHz이므로 단주파수를 2kHz설정한다. 차단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한다. 차단주파수에서의 감쇠량은 3dB, 위상차는 90°이다. 호주파수를 차단주파수에 근접시키면 입력전압과 출력전압 위상차가 커지고 LC출력 필터를 통과한 전압에서 부귀환 경우, 이상발진이 일어나기 쉽다. 2. 코일의 인덕턴스 설계와 선택 (1) 인덕턴스값과 손실의 트레이드 오프 (8)에서 있는 바와 같이, 같은 차단주파수라도 L 값과 C값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있다. (5)같이, 인덕턴 보디 다이오드의 응답을 빠르게 파워 MOSFET 파워 MOSFET 보디 다이오드의 역회복시간 trr일반적으 응답이 느리고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도 많다. A역회 시간이 비교적 짧은 보디 다이오드가 내장된 파워 MOSFET예이다.

description

LC출력 필터 설계

Transcript of LC출력 필터 설계

Page 1: LC출력 필터 설계

LC출력 필터 설계 전자공학 2005/06/23 18:27

http://blog.naver.com/ecima/80014299002

LC출력 필터 설계

1. 차단주파수와 스위칭 주파수의 관계LC출력 필터의 차단주파수는 스위칭 주파수(20kHz)보다 낮고 신호주파수(약 400Hz)보다 높아야 한다. 그림10(a)에 나타난 LC 필터의 감쇠 특성은 -12dB/oct.이다.

주파수가 2배로 되면 -12dB 감쇠하고 주파수가 10배로 되면 -40dB 감쇠한다.그림 10(b)와 같이 차단주파수 fC를 스위칭 주파수의 1/10 로 하면 스위칭 주파수에서 변동하는 리플 전압은전원전압 의 1/100(-40dB)로 되어 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레벨 로 된다. 파워 컨트롤러의 스위칭 주파수는 20kHz이므로 차 단주파수를 2kHz로 설정한다.차단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한다.

차단주파수에서의 감쇠량은 -3dB, 위상차는 90°이다. 신 호주파수를 차단주파수에 근접시키면 입력전압과출력전압 의 위상차가 커지고 LC출력 필터를 통과한 전압에서 부귀환 을 걸 경우, 이상발진이 일어나기 쉽다.

2. 코일의 인덕턴스 설계와 선택(1) 인덕턴스값과 손실의 트레이드 오프식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같은 차단주파수라도 L 값과 C값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있다. 식 (5)와 같이,인덕턴

보디 다이오드의 응답을 빠르게 한 파워 MOSFET파워 MOSFET 보디 다이오드의 역회복시간 trr은 일반적으 로 응답이 느리고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도 많다.표 A는 역회 복 시간이 비교적 짧은 보디 다이오드가 내장된 파워 MOSFET의 예이다.

Page 2: LC출력 필터 설계

스값이 클수록 리플 전류는 작아진다. 그러나 인덕턴스값을 크게 하면 코일의 형상이 커진다.리플 전류를 허용하면서 가급적 작은 인덕턴스값을 선택하 는 것이 현명하다. 리플 전류의 허용값은 출력전류의 10~ 20% 정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플 전류가 너무 크면 이 번에는 파워 MOSFET의 드레인 전류가증가하여 스위칭 손 실이 증가한다. 코일과 콘덴서를 흐르는 전류도 증가하여 손실 이 커진다.(2) 댐핑 저항으로 차단주파수 부근의 피크를 억제한다그림 11과 같이 그림 10(a)에 나타난 LC 출력 필터는 차단주파수에서 피크를 가진다.

이 피크를 억제하려면 그림 12와 같이 콘덴서와 병렬로 댐핑 저항을 접속한다.

저항값을 크게 할수록 피크는 작아지고 너무 크게 하면 차단주파수가 낮 아져 파워 회로의 대역에 영향을 미친다(그림 13).

Page 3: LC출력 필터 설계

댐핑 저항과 부하를 맞춘 저항값이 차단주파수에서의 코일 임피던스값과 같아지도록 인덕턴스값을 선택하면양호한 주 파수 특성으로 된다. 무부하 시 피크가 나와 문제되는 경우는 그림 14와 같은 회로로 하여 출력주파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1) 파워 컨트롤러의 인덕턴스값파워 컨트롤러의 출력전압은 30VRMS에서 출력전류 3ARMS 이므로 부하저항은 10Ω이다. 차단주파수 2kHz에서 임피던 스가 약 10Ω으로 되는 인덕턴스값을 구하면 되는 것이다. 인 덕턴스값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한다.

(3) 파워 컨트롤러에 사용한 코일인덕턴스값은 식 (9)에서 약 800μH, 코일의 정격전류는 파 워 MOSFET의 드레인 전류와 같은 5.4A 이상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갭이 없는 어모퍼스 초크 코일 GLA-05-0515(다 무라정공사)를 선택했다. GLA-05-0515의 주요 사양을 표 3 에 나타낸다.

직류 중첩전류-인덕턴스 특성은 본지 9월호 기 획특집Ⅱ 제2장의 그림 12를 참조하기 바란다.직류 중첩전류-인덕턴스 특성에서 출력전류 피크값의 4.2A 부근 인덕턴스값은 약 600μH이다. 출력전류가 0A일 때 1,030μH이고 출력전류 피크값의 4.2A 부근에서 600μH 이므로 중간값은 약 800μH이다.전술한 파워 MOSFET의 드레인 전류 정격을 결정할 때에 는 카탈로그에 제시되어 있는 5A일 때의 인덕턴스값 515μH 를 사용했다.(4) 코일의 접속방법파워 컨트롤러의 LC 필터에서는 부품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림 2에 나타난 접속법을 사용했다. 이 접속은 출력단자 한 쪽에 스위칭 전압이 그대로 출력되어 그라운 드에 대한 코먼모드 노이즈가 증가될 가능성 이 있다.실제로는 그림 15와 같은 접속을 많이 볼 수 있다.

Page 4: LC출력 필터 설계

이 접속은 출력단자 양측 모두가 출 력 파형에 가까운 파형으로 되어 코먼 모드 노이즈가 비교적 작아진다.

3. 콘덴서의 용량설계와 선택차단주파수를 2kHz로 하려면 식 (8)에서,

로 된다. 콘덴서의 정격전압은 전원전압인 직류 48V 이상이고 허용 리플 전류는 식 (5) 에서 2.33AP-P 이상 필요하다.카탈로그의 허용 리플 전류는 실효값으로 표시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2.33AP-P를 실효값으로 변환한다.3각파의 실효값은 피크값의 (1/√3)이므로,

로 구해진다.파워 컨트롤러용으로 비교적 리플 허용전류가 큰 메탈라 이즈드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를 선택했다. 정격전압은 63V인 것이면 되며 소지하고 있는 정격전압 DC250V, 허용 리플 전류 8.52ARMS@100kHz의TACB2E106K(표 4)를 사용했다.

Page 5: LC출력 필터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