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40
KOTRA 청청청청청 청청 청청청청 QINGDAO NEWSLETTER 2008-31 2008.8.13 1

Transcript of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Page 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KOTRA 청도무역관 周刊 뉴스레터QINGDAO NEWSLETTER 2008-31 2008.8.13

목 차

1. 초점

- 중국 新 외환관리조례 발표

2. 경제/무역/투자

- 中, 반독점법 첫 번째 관련 규정 발표- 중국, 올림픽 지식재산권에 대한 보호조치 강화- 中 상하이도 올림픽 테러 비상, 한 달간 지하철 점포 ‘싹’ 철수- 올해 위안화 10% 절상 시, 광둥성 수출 손실 524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 중국 하이난(해남)성 투자진출 현장을 가다- 홍콩, 2008년 하반기 경제 전망- 대만, 증시 상장 절차

3. 상품/산업

- 중국, 중고차 시장동향- 중국 석탄 지속적인 높은 가격 유지 전망- 혼하이 그룹, 대만 투자에 아낌없는 큰 손- 미얀마 광물자원 중국이 선점

4. 우리 회사, 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청도한중기업관리자순(컨설팅)유한공사(K&C)

1

Page 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1. 초점

중국 新 외환관리조례 발표- 핫머니 억제 위해 감독 관리 강화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email protected]   □ 新 외환관리조례 11 년만에 수정 발표  ○ 지난 8 월 6 일 국무원은 ‘중화인민공화국 외환관리조례(이하 ‘신조례’라 칭함)’를 수정

발표했으며, 이 조례는 발표된 날로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힘.  ○ 신 조례는 전면적인 수정을 거쳐 총 54 조로 구성돼 있으며, 무역 편리와 위앤화 환율 매커니즘·

금융기구의 외환관리제도 완비·국제수지 긴급 보장제도를 완비하기 위한 것으로, 외환유입 감독 강화·외환 감독수단조치를 강화하고 있음.

  ○ 기존 외환규제 시스템을 지나치게 자본 반출에 중점을 둔 결과, 외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로

인해 과잉 유동성 증가가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핫머니에 대한 감독관리를 강화하고 대응체제 마련을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2008 년 6 월 기준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1 조 8000 억을 넘어섰으며, 전 세계 외환보유국 1위임. 과다한 외환보유고는 과잉 유동성을 유발해 인플레 압박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음.

 중국의 외환보유고 증가 추이

     (단위 : 억 달러)

  - 현재 단기 핫머니는 주로 경상항목, 자본항목 등을 통해 유입되고 있어, 신 조례에서는 단기 핫머니 유출입에 대한 감독 강화를 명시하고 있음.

 □ 주요 내용 

2

Page 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외화 수입 국내 반입의무규정 삭제  - 구 조례에서는 “중국 기구의 경상항목의 외환수입은 반드시 국내 반입해야 하며, 국내기업은

반드시 지정된 외화거래 은행에 판매하거나, 외환거래 은행에 외화계좌를 개설”해야 하는 의무조항이 있었음.

  - 그러나 이번 신 조례에서는 이러한 강제 의무조항을 삭제하고, “국내 기구·개인의 외화수입은 경내에 반입하거나 해외에 예치할 수 있으며, 경상항목의 외화수입은 관련 규정에 따라 국내에 보유하거나 관련 외화 결제 금융기구에 판매할 수 있다.”라고 규정함.

  - 과다한 외환보유고 증가를 막기 위해 기업의 필요에 따라 외화수입을 국내 반입 혹은 해외에 예치할 수 있도록 함.

  ○ 핫머니의 관리·감독 강화  - 신 조례에서는 “외환업무를 하는 금융기구는 거래증명서의 진실성과 외화 수입의 일치성을

심사해야 하며, 또한 외환관리기구는 이에 대한 감독관리를 통해 경상항목 외화수입의 진실하고 합법적인 교역조건을 보장한다.”고 명시함.

  - 유입된 자본의 용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자본항목의 외화 및 결재 후 위앤화 자금은 관련 부처 및 외환관리기구의 비준된 용도에 따라 사용하도록 규정함.

  - 금융기구는 외화계좌를 통해 외환업무를 해야 하며, 외환 관리기구에 고객의 외환수지 및 계좌 변동현황을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핫머니에 대한 전방위 감독 관리 강화를 규정함.

  ○ 중국기업 ‘저우추취(해외투자)’ 행정 수속 간소화, 자본 유출채널 확대  - 구 조례에 따르면, 중국기업이 해외 투자 시 심의비준 신청하기에 앞서 외환관리기구에

외환자금 출처에 대해 심사를 받아야 하는 등 심의 절차가 복잡했으나, 신 조례에서는 외환관리국에 외화자금 출처 심사를 삭제해 행정 수속 간소화했다고 평가됨.

  - 이 밖에 국내 기구의 해외 증권투자·파생상품 교역·국내기업의 대외 상업대출 제공 등 교역항목의 관리 내용을 추가해 자본유출 채널을 확대함.

  ○ 불법유입, 불법결제 등의 외환관리 위반에 대한 처벌 규정 강화  - 불법 외환거래가 적발될 경우 거래액의 최고 30%까지 벌금을 물어야 하며, ‘악의적인 사안’일

경우 전액 압류할 수 있음. □ 시사점  ○ 기존의 ‘외환 반출 엄격한 관리’에서 ‘균형관리’로 전환  - 구 조례에서는 주로 외환유출에 대한 감독을 강화했으나, 신 조례에서는 자본 유출입에 대한 균형 관리를 실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 현지 언론에서는 외화수입의 자유 결재 가능으로 수출입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도하고

있으나, KOTRA 상하이 무역관이 실제 진출 우리기업과 업계 관계자와 확인한 결과, 외환수입 국내 반입 강제 조항은 거의 사문화된 조항이고 업체들이 각기 필요에 따라 위앤화 환전을 했으며, 수출입 기업의 경우 수입대금을 결제를 위해 수출대금을 위앤화로 바로 환전 예치하지 않고 달러로 예치해 오고 있다고 밝힘.

  - 또한 신 조례에 따라 외화수입의 해외 예치 가능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진출 기업의 경우 현지 경영비용으로 거의 대부분 외화수입의 중국 내 반입이 필요한 사항이어서, 이 내용은 기업의 편리성 측면을 고려한 것이라기보다는 외환 과다 보유로 인한 과잉 유동성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로 파악됨.

  - 이에 신 조례는 핫머니의 유입과 대거 유출을 방지하고 불법 외환거래 단속을 강화하기 위한 법률적 근거를 통해 시스템을 완비하려는 것으로 보임.

  자료원 : 국무원, 금융계, 중국증권보 등

3

Page 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2. 경제 / 무역 / 투자

中, 반독점법 첫 번째 관련 규정 발표- 경영자 집중에 대한 신고비준 규정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email protected]   □ 국무원, ‘경영자 집중에 대한 신고 비준에 관한 규정’ 발표  ○ 반독점위원회가 구성된 이후, 반독점법 관련 규정인 ‘경영자 집중에 대한 신청비준에 관한 규정

(이하 ‘동 규정’이라 칭함.)’ 발표함.  - 이 규정은 지난 3 일 국무원 원자바오 총리의 서명으로 확정돼 8 월 4 일부터 실시함.  ○ 또한, 국무원 산하의 반독점위원회가 설립됐으며, 주임은 국무원 왕치산 부총리를 임명함.  - 부주임으로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장핑 주임, 상무부 천더밍 부장, 국가공상총국 저우보화

국장이 부주임으로 임명됨.  - 반독점위원회는 향후 경쟁관련 정책 연구, 시장 경쟁상황 조사, 독점 지칭 제정, 반독점 행정 및

법률 집행을 담당할 예정임. 

반독점법 법 집행기구(확정안)반독점위원회

ㅇ 주임 : 국무원 왕치산 부총리ㅇ 부주임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장핑 주임  - 상무부 천더밍 부장  - 공상국 저우보화 국장

  ↙ ↓ ↘  

반독점판공실 설립 예정   ‘가격독점’ 심사 부서 설립 예정

  ‘반독점 및 불공정경쟁 집행국’ 설립 예정

 (상무부 산하) ㅇ ‘경영자 집중’에 대한

심사권 행사 ㅇ 외국기업의 중국기업의

인수, 합병 심사권도 상무부에서 담당

 

 (국가발전개혁위원회산하) ㅇ ‘가격독점’에 대해 심사권

행사   

 

 (공상총국 산하) ㅇ 시장지위남용에 대한 심사 ㅇ 주로 독점 협의,

시장지배지위 남용, 불공정경쟁, 밀수, 상업뇌물수수 등과 관련된업무 담당

자료원 : 관련 언론 보도를 종합해 KOTRA 상하이 무역관 작성 □ 주요 내용  ○ 이 규정에서는 경영자 집중에 대해 아래와 같이 규정함.  - 경영자가 합병을 하거나 주식 혹은 자산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통제권을 취득하는 경우

4

Page 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경영자가 계약 등의 방식으로 기타 경영자의 통제권 혹은 기타 경영자에 결정적인 영향권을 줄 수 있는 경우

  ○ 경영자 집중을 신고해야 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음.  - 집중에 참여하는 소유 경영자의 전년 회계연도의 전 세계 영업액 합계가 100 억 위앤을

초과했으며, 또한 이 가운데 최소 2 명 이상의 경영자의 전년도 회계연도 기준 중국 영업액이 4억 위앤을 초과할 경우

  - 최소 2 명 이상의 경영자의 전년도 회계연도 기준 중국 내 영업액 합계가 20 억 위앤을 초과했으며, 또한 이 가운데 최소 2 명 이상의 경영자의 전년도 회계연도 기준 중국 영업액이 4억 위앤을 초과할 경우

  - 영업액 계산에 대해서는 은행, 보험, 증권, 선물거래 등 특수 업종의 실제상황을 고려한다고 명시함.

  ○ 경영자 집중의 위 기준 가운데 하나라도 해당 될 경우에는 반드시 국무원 반독점 집행기구에

신고해야 함.  - 만약 반드시 신고해야 함에도 신청하지 않을 경우 경영자 집중을 할 수 없음.  - 국무원 내 업무분장에 따라, 상무부가 책임을 지게 됨. □ 시사점  ○ 관련 업계에서는 심사비준의 기준이 예상보다는 느슨해졌다는 의견임.  - 동 규정 발표 전에는 전 세계 영업액 합계 기준이 100 억 위앤, 중국 내 영업액 17 억 위앤으로 논의됐으나, 최종 규정에서는 이보다 완화됨.

  ○ '영업액'을 기업 지배권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확정  - 2006 년 수정된 '외국투자자의 중국 내 기업의 M &A 에 관한 규정'에서는 '시장점유율'을

기준으로 해, 동 규정에서는 영업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  - 이는 집행기구에 있어서 한 기업의 영업액이 시장점유율을 파악하는 것보다 용이하고,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영업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이를 준용한 것으로 보임.  ○ 외국기업의 중국 내 M &A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 분분  - 상무부 관계자는 기존 외국기업의 M &A 에 관한 규정이 모호한 면이 많았으나, 이 규정에서는

관련 규정을 세부화 했으며, 신고 기준을 명확히 해 외국기업의 M &A 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힘.

  - 민셩증권 M &A팀 총경리는 동 규정은 기업의 실제 M &A 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며, 2006 년 8월에 발표된 '외국투자자의 중국 내 기업의 M &A 에 관한 규정'이 아직 폐기되지 않았으므로, 외국기업의 M &A 는 여전히 기존 규정에 따라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자료원 : 금융계, 신화망 등

중국, 올림픽 지식재산권에 대한 보호조치 강화 

김병호 칭다오무역관[email protected]

  □ 중국, 2008 베이징 올림픽 지식재산권 보호조치 강화  ○ 심양해관의 대외 발표에 따르면, 심양 공항과 항구 등에서 2008 베이징올림픽의 지적재산권을 침해제품의 적발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발표함.

5

Page 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이러한 사건은 대부분 외국인 여행객들이 저가에 구매한 올림픽 지적재산권 침해제품을 반입·반출하려다 적발된 사건임.

  - 2008 년 상반기 베이징 공상국에서 적발한 올림픽 표지 전용권에 대한 지재권 침해사례는 95건으로, 벌금부과금액이 103 만 위앤이라고 밝힘.

  - 올림픽 개막이 다가오자 중국은 올림픽 지재권보호에 대한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음.  ○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중국은 관련 법률을 제정을 통해 올림픽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화함.  - 특별법 개정안에는 저작권법, 상표법, 특허법, 특수표지관리조례 등이 포함돼 있으며 중국

정부의 모조품 퇴치를 위해 지식산권국과 판권국, 공상국, 해관 등 관련 기관의 적극적인 집법의지를 나타내고 있음.

  ○ 하지만 여전히 일부 기업과 개인이 상업적 목적을 위해 올림픽 지식재산권을 침해하고 불법적인

이득을 챙기고 있다고 함. 

베이징올림픽 지정 후원업체 문구를 활용한 광고

자료원 : 경제참고보   - 베이징 체육대학교수 황야링은 대표적인 올림픽 지식재산권 침해행위로는 불법적으로 올림픽

권리를 침해한다고 하며, 일반적인 침해행위로는 모 기업의 ‘올림픽 지정 브랜드’라는 직접적인 권리 침해성 광고와 ‘모모기업은 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함’ 등의 간접적인 광고 활용 등이며, 베이징 올림픽 공식 구호와 표어를 활용한 지재권 침해 등이 가장 일반적인 침해현황이라고 함.

  - 이와 같이 최근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올림픽 지재권 침해사례로는, 올림픽 구호를 상업적이거나 기업브랜드의 광고 등에 접목시켜 활용하는 행위와 이를 통한 판매촉진 행위 등이 있으며, 올림픽 오륜기나 마스코트 등을 활용한 비 공익성 광고·부동산 선전용 광고·기념카드 제작 및 배포·여행용 기념품 제작·건축물 상의 광고·어린이 의류와 손목시계·포장재료 등에 활용하는 것들이며, 오륜기를 이용한 상표제작 등 상업적 목적이 잠재돼 있는 것들임.

 공상국 및 해관의 단속에서 적발된 침해상품

6

Page 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자료원 : 중국국가지식산권국 홈페이지 □ 악의적 선 등록한 인터넷 도메인 거래도 극성  ○ 유관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2008 중국 올림픽의 악의적인 국제도메인을 선점해 등록한 사례가

성행하고 있다고 밝힘.  - 이 중 ‘chinaolympic’ 등의 도메인을 포함해 65 개의 중국 도메인을 선 등록한 사례가

나타났으며, ‘Beijing 2008’을 활용한 국제도메인의 선 등록사례도 155 건에 이르렀음.  - 이러한 도메인 선 등록은 10여 국가에서 진행됐으며, 그 중 미국과 한국·중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인터넷을 통해 지금도 올림픽관련 도메인의 매매가 이뤄지고 있으며, 도메인 가격의 최고액은

무려 1000 만 위앤에 달하는 금액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다고 밝혔음.  자료원 : 중국 국가지식산권국 홈페이지, 경제참고보

中 상하이도 올림픽 테러 비상, 한 달간 지하철 점포 ‘싹’ 철수- 올림픽 기간 중 지하철 점포 1 달간 휴업 -

- 변경 보안 검사, 해경 군사훈련 통해 돌발사태 대비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email protected]

  □ 올림픽 안전 위해, 8 월 5 일~9 월 4 일까지 지하철 점포 한 달간 휴업 들어가  ○ 상하이시 정부는 지난 2 일, 올림픽 기간 테러사태 대비와 지하철 교통 안정 운행을 위해

상하이는 8 월 5 일~9 월 4 일까지 지하철 점포를 잠시 휴업하도록 함.  - 상하이 선퉁 지하철 자산 상업 관리 사업부에 따르면, 이번 휴업에 따라 1080여 개 점포, 386

개 업체가 잠시 문을 닫게 되며, 총 영업면적은 1 만 2000㎡에 달하고, 주로 지하철역·플랫폼 및 통로의 점포에 해당됨.

  ○ 실행 2 일 전에 통지를 받아, 대부분의 업체는 급히 ‘올림픽 맞이 점포 정리’라는 광고를 걸어

물건을 정리하기도 함.  - 8 월 5 일부터 이미 실행에 들어가면서 대부분의 점포상은 상품을 모두 정리해 철수했으며, 비어

있는 판매대만 남아 있고 일부는 이전된 점포 주소를 붙여놓기도 함. 

7

Page 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점포 철거 외에도, 지하철 통로에 ATM 기를 제외한 사진촬영기·음료 판매대 등 모든 기기를 철거할 예정임.

  - 지하철 내 신문판매대도 모두 철거할 것이며, 무료 배포 신문은 반드시 1 시간에 한 번씩 순찰하도록 하고 있음.

 □ 변경 보안검사, 해상경찰 군사 협동 훈련 등 돌발사태 대비  ○ 상하이 변검 부처는 8 월 6 일부터 상하이 각 항구에서 올림픽 보안 특별 근무를 실시한다고

밝힘.  - 상하이 각 항구는 올림픽 보안을 위한 실전태세에 들어감.  ○ 해상 항구의 관리와 통제를 강화하고 불법 침입자를 조사하기 위해, 상하이 변검부처는 각

항구를 24 시간 보안근무 예정임. □ 8000여 명 자원봉사자 대중 교통 보안 지원 예정  ○ 상하이 경찰청은 8000여 명의 자원봉사가 경찰을 도와 지하철 교통·공안부서와 안전 검사를

실시해, 돌발 사태에 대비할 것이라고 밝힘.  ○ 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상하이도 지하철 교통 등 대중 교통 안전을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 상하이

경찰측은 공개 춘찰과 사복 순찰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 참고자료 : 올림픽 기간 중 상하이 내 주요 제한조치  ○ 상하이 항구국 ‘올림픽기간 위험화물 항구작업 안전감독 강화에 관련 통지(2008 년 5 월 20 일

발표)’  - 일부 위험화물의 항구 작업에 대해 통제. 7 월 18 일~8 월 25 일 동안 각급의

항구행정관리부문에서는 폭발품(불꽃 포함), 유기과산화물, 극약품, 방사성물품 및 과산화수소, 아세톤, 유산, 질산, 염산, 질산암모늄(화학비료 포함) 등 위험화물의 항구작업 신고·비준 등 업무에 대한 접수를 일시 정지할 예정임.

  - 7 월 20 일~8 월 31 일, 각종 위험화물 항구작업업체는 위 위험화물의 항구작업을 정지해야 하며, 국가중점공사·대형 기업생산 및 국가경제와 국민생활에 관련한 특수 작업은 상하이 항구관리국의 비준을 획득해야 함.

  ○ 상하이 해사국 ‘2008 년 고온계절 선적 위험화물의 운송 안전 및 선박 오염방지 관련 통지

(2008 년 5 월 20 일 발표)’

8

Page 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2008 년의 고온기간을 2008 년 6 월 15 일~2008 년 10 월 10 일으로 조정. 6 월 15 일부터 위험화물 운송·인화성 화물·폭발위험 화물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사할 것이며, 위 기간에 위험 화물을 선적한 선박은 상하이 해사국 ‘2005 년 제 275 호 산적 액체 위험화물 운반 선박의 안전감독관리에 관련 통지’를 지켜야 함(선박 연령 및 유형에 관련 규제도 포함). 이와 동시에 선박의 호송조치를 실행해야 함.

  - 7 월 20 일~8 월 31 일은 임시 한정기간으로 아래와 제한조치를 실행할 예정임.   · 정지할 심사비준사항 : ▷ 방사품, 폭발품, 극약품을 선적한 선박의 항구진입 및 작업 ▷ 항구

내의 원유세정 작업 ▷ 항구 내의 선박배기 작업   · 산적 액체 위험화물을 선적한 선박에 대해 사전통제를 실행할 것임. 위의 위험화물을 제외한

산적 액체 위험화물을 선적한 선박이 임시 한정기간에 항구에 출입해야 하는 경우, 해사국은 엄격한 통제조치를 실시할 예정임. 화물주 또는 관련 부두의 작업 업체들은 7 월 15 일 이전에 산적 액체 위험화물 항구출입계획서, 응급연락표 및 응급예방조치 등 서류를 해사국에 제출해 비준을 획득한 후에야 항구출입 가능

   ○ 상하이 인민정부 ‘상하이 일부 화학품의 통제 관련 공고(2008 년 5 월 18 일 발표)’  - 2008 년 5 월 19 일~10 월 20 일, 125종 화학품에 대해 통제를 실시함.  - 상하이 행정구역 내 안전감독 관리부문에서 허가한 화학품 생산, 경영업체를 제외한 기타

업체가 통제된 화학품 생산·판매를 금지함. 통제된 화학품 운송업체는 반드시 위험화학품의 운송자격증을 획득해야 하며, 개인이 자체로 통제된 화학품의 생산·판매·구매·운송하는 것을 금지함.

  - 판매업체는 신분증을 통해 화학품을 구매 제도에 부합해야 하며, 판매 시 화학품을 구매 업체명·주소·연락처 및 구매인의 신분증·주소·연락처를 검사해야 함. 신분증 없는 자에게 판매 불가

  ○ 상하이 ‘올림픽기간 극독 화학품 특별 통제 통지(2008 년 4 월 28 일 발표)’  - 5 월 20 일~5 월 24 일, 7 월 1 일~8 월 22 일 기간에 베이징 및 기타 올림픽 경기 도시 또는

경과하는 도시로 운송하는 각종 위험물품에 대한 심사비준을 정지하며(5 월 20~24 일 제외), 상하이 내 운송 경우 상하이 공용국의 비준을 거쳐야 함 .

  - 극독화학품의 ‘구매증명’ 및 ‘구매허가증’ 심사발급 정지(국가경제와 국민생활에 관련되고 교통경찰부문의 ‘극독 화학물품 공로운송통행증’을 획득한 업체는 제외. 단, 7 월 1 일~8 월 22일간 베이징 및 기타 올림픽 경기도시 또는 경과하는 도시에서 극독 화학품을 구매하는 경우, 통행증을 발급하지 않음). 극독화학품의 판매업체는 구매업체가 제공한 극독화학품 ‘구매증명(또는 구매허가증, 극독화학품 공로운송통행증)’이 있어야 판매할 수 있음.

  자료원 : 동방망, 신보, 대공보망 및 각 정부 홈페이지 통지 내용

올해 위안화 10% 절상 시, 광둥성 수출 손실 524 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 수출위주 가공무역 직접적 피해, 2천여개의 중소기업 수출포기 -

 박은균 홍콩무역관

[email protected]   ○ 위안화 급절상으로 수출기업 자금압박과 이윤감소에 직면  - 광둥성 외경 무역청의 최신 연구 조사에 따르면 위안화의 지속적인 평가절상으로 올해 5 월까지

일반무역의 수출 성장속도는 작년 동기대비 25.9% 감소함.  - 세관 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광둥성의 수출입은 총 3245 억 달러로 13.3%의 성장을 기록했으나

작년 동기 22.7%와 비교했을 때는 9.4% 감소한 수치임.   - 세관은 올해 위안화가 10% 절상할 경우, 일반 무역은 15% 성장하는데 그쳐 일반무역수출의

손실액이 524 억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함.

9

Page 1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광둥성 수출현황(2008 년 1~5 월)

(단위 : US$ 억, % )구분 금액 성장률 증감률

일반무역수출 432.6 13.8 ▲ 25.9가공무역수출 1,011.87 13.9 ▲ 5.7자료원 : 광둥성 해관

  ○ 광둥성 수출의 주축, 가공무역 흔들  - 광둥성의 7 만 여개의 가공무역기업 중 약 4 만 3000 개의 가공무역기업들이 작년 하반기부터

중국 가공무역기업들은 가공무역금지 강화, 위안화 급절상, 원자재 가격 상승, 신노동법 시행 등으로 곤경에 처해 있음. 현재 광둥성 가공무역 수출입은 광둥성 수출입의 63.3%를 차지하며, 전 중국 가공무역 수출입의 40.9%를 차지하고 있음.

  - 인민폐 절상은 주로 수출 의존적이고, 노동집약적인 가공무역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신발, 섬유, 완구, 액세서리, 전자부품 등과 같은 기업들의 이윤 감소를 초래했음.

  - 광둥성 해관에 따르면 올해 주강 삼각주 신발기업 중 수출을 추진한 기업은 1512 개사로, 작년에 비해 50% 이상 기업 수가 감소해 2000여 개의 신발업체가 수출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음.

 인민폐 절상이 업종에 미치는 영향

업종 영향

방직업인민폐절상 1%, 이윤 2~6% 감소

인민폐절상 3%, 은행업 평균 이윤하락

건축용 세라믹 인민폐절상 3%, 3~5%의 원가 상승

      자료원 : 홍콩경제일보 □ 업계 반응 및 대책  ㅇ 광둥성 소재 한국 기업들 반응

 기업명 제품 반응 대책

션전N 사

전화기

- 급격한 위안화 절상으로 2007 년에는 4% 정도, 올해는 7~8% 정도 손해를 보고 있음

- 원자재 납품처인 중국기업들의 50%는 위안화 결제로 돌려 원자재 구매시마다 손해가 큼

- 위안화 절상으로 인해 피해는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일부 만회하고 있으나 특별한 대책은 없는 상태임

지앙먼S 사

가정용품

- 위안화 절상 따른 피해는 3% 이내이며, 절상 따른 피해는 제품 가격 인상으로 보존하고 있음

- 계약 시 인민폐 절상에 따른 환차손을 보존할 수 있도록 계약함

10

Page 1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둥관S 사

완구

- 인민폐 절상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격을 20% 상승시켜, 바이어들이 주문량을 줄이고 있으며, 주문 시기를 늦추고 있음

- 작년 인민폐 절상으로 추가로 발생한 비용이 250 만 홍콩달러라고 함.

- 계약 시 인민폐 절상을 감안하여 제품 가격을 인상함

- 인건비 절감을 위해 한국인 채용을 하지 않고 있으며, 자연 감소분을 보충하지 않고 있음

- 제품 생산을 아웃소싱으로 전환하고 있음

자료원 : 한국기업 인터뷰  ㅇ 홍콩기업들의 반응  - 홍콩중화창상연합회 ‘주강삼각주 경영환경 설문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52%의 홍콩

가공무역기업들의 채산성이 악화됐으며, 위안화 평가절상의 타격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답변했음.

  - 주강삼각주 소재 홍콩기업들은 금융 결제를 홍콩에서 주로 하기 때문에 중국 기업으로부터 원자재 구매를 위해서는 홍콩달러를 위안화로 환전해야함. 따라서 최근 미화달러에 페그돼 있는 홍콩달러는 평가 절하로 제품 구매할 때마다 많은 환차손이 발생하고 있다고 함.

  - 주강삼각주에서 신발공장을 하고 있는 일부기업은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의 마지노선을 6.2~6.5 위안으로, 이 이하로 내려갈 경우 업종을 전환하거나 주강삼각주 외부로 이전할 계획알고 밝혔음.

 위안화의 미달러 대비 환율

         (단위 : 위안)

        자료원 : 홍콩금융관리국  □ 중국 정부의 대책  ○ 세급 환급 및 보조금 지급 등의 실질적인 대책 본격적으로 시행  - 중국 정부는 2008 년 8 월 1 일부로 섬유제품의 수출 증치세 환급률을 종전 11%에서 13%로

상향 조정했음. 2006 년 9 월 15 일부터 섬유제품 수출 환급률이 13%에서 11%로 하향 조정돼 섬유업계 중소기업들의 수익 감소에 주요 원인됐음.

  -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신발, 완구 등의 노동집약적 상품의 수출환급조정에 대한 건의가 빠르면 8 월 중에 있을 것이라고 밝힘.

11

Page 1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정부는 세금 환급비율을 높임으로써 중소기업 수출기업들의 현실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려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 유가 급등과 위안화 절상, 원자재 가격 상승, 노동임금 상승, 환경 개선부담금 등 여러 악재가 겹쳐 그 효과는 미비할 것임.

  ○ 400 억 위안 보조금 지정 확정(2008.7.23)   - 최근 광둥성 정부는 언론을 통해 홍콩기업의 광둥성 외곽지역 정착보조비로 400 억 위안(약

457 억 홍콩달러)의 예산 배정 확정을 발표했음. 광둥성 정부는 홍공가공기업이 기존 공장밀집 지역을 벗어나 광둥성 외곽지역으로 이전하도록 장려함.

  - 주요 지원 대상은 광동성 외곽지역으로 이전하는 기업이며, 주강삼각주 외 지역인 광동, 광서, 광북으로 이전하는 기업이 해당됨. 이 기업들에게는 수도 및 전기요금을 보조할 것이라 밝힘.

  - 광둥성 및 홍콩언론은 공공요금 비용 보조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해 외곽지역으로 이전 시 가중되는 운송비 부담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시중은행 신용대출 한도 확대  - 신용대출 긴축에 따라 중소기업이 자금 대출에 어려움을 겪고 도산하는 기업이 출현하자 중앙

정부는 중소기업 신용대출을 증액하는 조치를 발표함.  - 전국적 시중은행은 5% 증액, 지방성 시중은행은 10% 증액하기로 결정했으며, 향후

신용대출이 중소기업에 지원되고 있는지 감독도 하기로 함.  □ 시사점 및 전망  ○ 위안화 절상 속도가 진정되어 자금압박에 다소 숨통이 트일것으로 예상  - 위안화 절상률이 최근 주춤하고 있는 것도 홍콩의 하반기 경제 성장에 호조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2007 년 위안화 변동률은 6.63%, 2008 년 상반기 변동률은 4.69%였으나 2008년 2 사분기 변동률은 1.78%로 절상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음.

  - 중앙은행 화폐정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3 분기부터 인민폐 환율 탄성을 강화하는 정책은 포기했으며, 인민폐 환율이 합리적이고, 균형적인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조정하고 있다고 함.

  - 광둥성 일대에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수출 위주의 홍콩기업들은 인민폐 절상으로 약 10% 정도의 영업이익을 손해보고 있으며, 인민폐 절상률 감속은 제조업 기업들의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됨.

미화 달러 대비 위안화 변동률 추이

연도 2007 년 2008 상반기 2008 년 2 사분기

환율 6.63% 4.96% 1.78%       자료원 : 홍콩금융관리국  ○ 계약 시 인민폐 절상 수준 고려 계약  - 광둥성 소재 한국 제조업들은 인민폐 절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 가지 방법을 사용해

계약하고 있음.   - 먼저, 인민폐 절상 수준을 예상하고 계약함. 하지만, 이 부분은 절상 수준을 잘못 계산했을 시

손해가 발생함. 최근에는 절상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손해 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함.   - 다음으로, 인민폐 환차손을 보존하는 것으로 계약함. 달러로 계약하고 대금수령 시 인민폐로

발생한 환차손을 추가로 받음.   ○ 시중은행 대출 적절히 활용  - 최근 중앙은행은 중소기업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서 중소기업의 신용대출을 증액하기로

하였음. 전국적 시중은행은 5%, 지방성 시중은행은 10% 증액하기로 결정함. 

12

Page 1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5 대 중소기업 구제 금융정책

구분 내용

중소기업 대출 증액 시중은행들의 중소기업 대출 증액 지시

국가중소기업은행 건립 기업 융자를 지원하는 국가중소기업은행 건립 검토

중소기업신용담보 시스템 구축 정부 주도 재담보 기구 건립, 중소기업 신용담보시스템을 구축

면세액 확대 및 세금부담 감소 중소기업들의 소득세 부과 최초금액 30 위안에서 50 만 위안으로

상승

중소기업 업종 전환 지원 중소기업들이 업종 전환 시 맞춤형 지원

자료원 : 국가발개위관원(國家發改委官員)  ○ 장기적으로 수량형 성장에서 품질수익형 성장으로의 전환   - 제품가격 인상으로 위안화 절상의 손해를 보존할 수 없는 일부 중소기업들은 도산위기에 놓여

있음. 또한 주강삼각주 대부분의 가공무역 수출지향형 중소기업들은 자체 브랜드가 없어 외국의 대형 바이어와의 가격협상에 불리한 위치임.

  - 자체 브랜드가 있거나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경우 외국 바이어와 협상 시에도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음. 장기적인 플랜으로 자체브랜드를 개발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품질 수익형으로 생산구조를 전환하는 것이 시급함.

 자료원 : 주강삼각주 소재 한국기업 인터뷰, 홍콩언론종합, 홍콩금융관리국

중국 하이난(해남)성 투자진출 현장을 가다- 물류시설과 전문인력 부족으로 제조업 진출 어려워 -

- 삼성전자, 효율적인 노무관리와 신기술 개발로 진출 한계 극복 - 

박은균 홍콩무역관[email protected]

  

 이 조사는 해남도 유일의 한국 제조업 투자기업인 ‘삼성광통신기술’ 부장과 해남도 독자 투자 여행사인 ‘해남도 이야기’ 사장과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했음.

 □ 통계로 보는 대해남도 투자진출 현황  ○ 해남도에 대한 투자진출은 2007 년도 총 15 건, 1227 만 달러가 투자됐으며, 신규법인도 5

개사가 설립됐음. 투자건수는 작년대비 1 건 증가에 불과했으나 투자금액은 228%나 급증했음. 작년에 투자가 급등한 이유는 Hainan Aloe 사가 900 만 달러를 투자해 투자가 급증한 것임.

 해남도 투자진출 현황

                                                                  (단위 : 천 달러, 건, 개사)구분 2006 년 2007 년 2008 년 1 사분기

신고건수 7 12 4신고금액 5,221 43,416 3,788투자건수 14 15 4

13

Page 1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투자금액 5,383 12,276 3,737신규법인수 3 5 1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 2007 년 한국기업의 해남도 투자진출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총 15 건 중 제조업 투자가 10

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숙박업 및 음식업이 3 건, 부동산과 임대업이 2 건이었음. 제조업 중 Hainan Aloe 와 Wanning Namyang Development 의 투자가 대다수를 차지했음.

 2007 년 해남도 업종별 투자현황

                                                                                                               (단위 : 천 달러)업종 투자회사 수 투자건수 투자금액

제조업 5 개사 10 건 11,883숙박업 및 음식업 1 개사 3 건 125부동산 및 임대업 1 개사 2 건 268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 해남도 한국 투자진출 현황  ○ 한국기업 10여 개사, 교민 100 명  - 삼성광통신기술과 남양알로에 정도가 투자진출기업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외 요식업·수산물

무역업·여행업 등이 소규모로 진출해 있음.  - 제조업 투자 진출은 삼성광통신기술(광케이블·광섬유)가 유일하며, 남양알로에는 해남도 산야 쪽에 농장을 갖고 있고, 경복궁 한국식당은 해남도 3 개 지역에 영업 중임.

  ○ 삼성광통신기술 독자법인 진출  - 해남도 삼성전자는 2004 년도 독자 법인형태로 진출했으며, 2005 년부터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들어갔음. 현재 본사 파견 직원 6 명을 포함해 약 300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음.  - 해남도 진출을 결정한 계기는 중국 정부가 삼성전자의 애니콜 휴대폰 생산량 제한을 완화하는

조건으로, 중국 특구지역 투자를 권유했기 때문임. 삼성전자는 여러 지역을 물색하다 결국 해남도 투자를 결정하고 삼성광통신기술 해남 법인을 설립하게 됨.

  - 해남도 법인은 제조를 위주로 하고 있으며, 실제 영업활동은 북경 지사에서 추진하고 있음.  ○ 3 년차 본격적인 수익 창출  - 회사와 공장이 보세구역에 위치하고 있어 수출 시 무관세 혜택을 누리고 있음. 생산된 제품은

수출이 95%를 차지하며, 5%는 내수로 판매되고 있음. 주요 수출시장은 동남아시아로 수출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유럽·미국·남미 등으로도 수출되고 있음.

  - 주요 생산품은 광케이블과 광섬유로 현재 2 개의 공장에서 생산 중이며, 올해 추가로 1 개 공장을 건설하고 있음.

  - 삼성전자 내부적으로도 해남도 삼성광통신기술 해남 법인의 성공을 예상하지 못했으나 작년부터 흑자로 돌아섰으며, 올해는 작년 3배의 흑자를 예상하고 있음. 이는 자체적으로 신기술을 개발해 원가를 절감시켰기 때문임.

  ○ 인건비는 저렴한 편  - 해남도의 평균 인건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저렴한 편임(2007 년 기준 해남도 주요 도시 최저

임금은 580 위앤). 공장 근로자의 경우 1200~1300 위앤(잔업비 제외), 사무직의 경우는 1900 위앤, 과장급은는 4000~5000 위앤을 지급하고 있음.

14

Page 1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조직활성화 극대화를 위한 효율적인 노무 관리와 다른 기업에 비해 높은 월급으로 생산직 근로자들은 설립 이래 대규모 이탈이나 분규 없이 근면하게 작업을 하고 있으나, 사무직 관리자들은 광둥성으로의 이직이 잦은 편임.

  ○ 신기술 개발과 노무 관리가 성공의 비결  - 삼성광통신기술 해남 법인이 이야기하는 해남도 투자진출 성공의 비결은 역시 신기술 개발임.

일본에서 수입하던 기술을 자체 개발해 원가가 절감되고 가격경쟁력이 생겨 투자 당시 수익 창출에 가졌던 많은 의구심들을 뒤집고, 투자 3 만에 수익 창출을 하기 시작함. 2008 년에는 작년 대비 3배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임.

  - 또 하나의 성공 비결은 노무 관리임. 현재 광둥성 일대는 신노동법 시행으로 노무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함. 하지만 삼성광통신기술은 법인 설립 때부터 철저하게 중국 노동법을 준수했으며, 훌륭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기숙사 제공·사회보험 납부·체육시설 설치·주기적인 야유회 개최 등으로 근무 의욕을 부추김.

  ○ 최근 중국의 비즈니스 환경 변화, 특히 인민폐 절상에 이익 감소  - 신노동법 및 가공무역금지와 같은 제도적인 변화에 따른 피해는 거의 없으나 인민폐 절상에 따른 영업 손실이 발생하고 있음.

  - 영업이익은 내수가 거의 없고, 대부분 수출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인민폐 절상은 7~8%의 영업이익 감소를 초래했음.

 

해남도 삼성광통신기술 회사 전경 □ 해남도 투자진출의 애로사항  ○ 사업 추진에 가장 큰 애로사항은 물류  - 해남도에는 변변한 물류처리 시설이 없으며, 배도 큰 배들이 없음. 따라서 제품 운송은 반드시

홍콩을 거쳐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 홍콩을 거칠 경우 수출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인 납기일 맞추기가 매우 어려움.

  ○ 우수한 인재 부재  - 해남도는 인재의 질이 떨어지며, 그나마 있는 우수한 인재들은 대륙에서 직장을 구함. 또한 IT

제조업에 필요한 공대 인력을 육성하는 대학이 전무해 IT 인재 채용에 큰 애로사항이 있음. 그나마 있는 우수한 인재들은 모두 대륙 특히 광둥성으로 이직하는 상황임.

 

15

Page 1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해남도 정부의 무지  - 2004 년 진출 초기에 해남도 정부에서 그동안 대규모 제조업 투자 유치를 받은 경험이 전무했기 때문에 외국인투자법 적용에 무지했음.

  - 또한 점심이 11 시 30 분부터 14 시 30 분까지 오침을 포함해 약 3 시에 달해, 한참 일할 시간에 업무를 보지 못해 사업 추진이 지체되는 경우가 다반사임.

  - 세금 환급도 삼성광통신기술이 삼성전자 중국 법인을 벤치마킹하고 자체적으로 공부해 해남도 정부를 설득, 최근에야 2 년치를 모두 받았음.

  ○ 거주 인프라 부족  - 국제학교가 전무해 투자 진출기업 가족의 아이들은 중국인 학교에 진학해야 함.  - 전력 상황도 좋지 않아, 전력사용량이 많은 여름에는 한달에 약 20 번 정전됨.  - 최근에 진출한 대만 유통기업 ‘大潤發’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제대로 된 유통시설이 없어, 소비재

제품 구매에 애로사항이 많았음. 하지만, 생활 물가는 비교적 저렴한 편임.  - 주택도 외국인 주재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외국인을 위한 아파트 단지가 없어, 대부분 신규로

건설된 고급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고 있음. 삼성광통신기술 주재원의 주택실링은 약 월 7000위앤 수준이며, 5000 위앤/월 정도면 방 3 개에 30평 이상의 괜찮은 주택을 구할 수 있다고 함.

 □ 해남도와 한국과의 교역현황  ○ 2007 년도 대 해남도 교역규모는 8500 만 달러로 작년대비 11.5% 감소했음. 수출은 2500 만

달러로 작년대비 30.3% 감소했으며, 수입은 6000 만 달러로 작년대비 2.4%로 소폭 증가했음. 무역수지는 수년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작년대비 54.7% 감소했음.

  - 2008 년 상반기에는 보일러 기기 제품 수출의 폭등으로 1200 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작년 대비 14.3%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수입은 5600 만 달러로 22.2%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해남도의 총 교역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2006 2007 2008(1~6 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수입 58,786 13.6 60,218 2.4 43,607 -13.4수출 36,158 93.9 25,199 -30.3 12,418 14.3

총 교역 94,944 25.8 85,147 -11.5 56,025 22.2무역수지 -22,628   -35,019   -31,189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 대 해남도 수출의 주요 품목은 철과 유기화학물·미네랄 연료 등이고, 2007 년에 철의 수출량이

작년 대비 654% 폭등했으며, 화학품도 991% 폭등함. 하지만 미네랄 연료, 플라스틱 제품 등 대부분의 주요 수출품 수출이 감소했음.

  - 2008 년도에는 미네랄 연료·보일러 기기 제품만이 수출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보일러 기기 제품은 1975%의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음. 하지만 전반적으로 주요 수출품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한국의 대 해남도 주요 수출품목

                                                                                                 (단위 : 천 달러, %)품목 품목명 2007 2008(1~6 월)

16

Page 1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코드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 수출액 25,199 -30.3 12,418 14.372 철 7,809 654.4 917 -76.2

27 미네랄 연료, 미네랄 오일, 역청 물질, 미네랄 왁스

4,142 -64.5 235 85.4

29 유기화학물 4,101 -10.5 407 -81.487 철도, 트램을 제외한 차량 2,767 -27.8 646 -53.639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 제품 2,245 -33.4 618 -46.970 유리 및 유리제품 727 25.5 400 2.230 의약품 685 -75.1 109 -79.638 화학품 680 991.1 211 -42.784 핵 발전기, 보일러, 기기 및 부품 672 -88.7 3,764 1,974.5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주 : HS 2 단위  ○ 대 해남도 수입의 주요 품목은 어패류·가공어패류와 유기화학물 등이며, 2007 년에 어패류

수입량은 31% 감소했으나 가공 어패류는 716%, 유기화학물은 169% 증가했음. 하지만 목재류, 의류 등 대부분의 수입 품목은 감소했음.

  - 2008 년도에도 가공어패류와 유기화학물·전기제품들은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 제품은 369% 급등세를 보이고 있음. 반면 어패류는 -12%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목재품·의류 등 대부분의 수입품들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한국의 대 해남도 주요 수입품목

                                                                                                      (단위 : 천 달러, %)

품목코드

품목명2007 2008(1~6 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 수입액 60,218 2.4 43,607 33.403 어패류 21,915 -31.0 14,011 -12.216 가공 어패류 12,882 716.5 14,703 266.129 유기화학물 9,325 1,698.1 8,612 119.5

90 광학, 사진, 영사, 측정, 의료수술 도구 및 기기·부품

9,213 -2.9 3,135 -26.0

 44 목재, 및 목재품 2,492 -75.6 652 -73.485 전기 기기 및 장비·부품 760 8.3 590 369.662 의류, 액세서리 원재료 424 -66.7 118 -62.356 웨딩, 펠트 부직포, 특수 실, 삼실 381 -24.5 152 -27.272 철 320 - 57 -53.3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주 : HS 2 단위

17

Page 1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해남도 투자 진출의 유의사항  ○ 제조업 투자는 비추천  - 삼성광통신기술 해남 법인 이부장은 해남도에 제조업 투자를 해 성공하고 있음에도, 제조업

투자는 비추천함. 삼성전자 투자 진출 후 일부 대기업이 투자 진출을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했음.  - 제조업 투자를 비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물류시설과 전력 등 인프라 부재 때문임. 특히 제품 납기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류 부분이 원할하지 않아, 업무추진 시 애로사항이 많음.

   ○ 수산업, 농축산업 투자를 유망산업으로 추천  - 대해남도 수출입 품목 1 위는 수산물로 수산물 거래업 투자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삼면이 바다인 해남도에서는 각종 해산물들이 연중 포획되고 있으며, 3모작도 가능할 정도로 농축산업 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음. 농축산업에 종사할 값싼 노동력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점도 이 산업 투자진출의 이점임.

  ○ 서비스업 투자도 신중해야  - 해남도 하면 골프와 관광을 떠올리나, 해남도에 진출해 있는 한국 여행사들은 대부분 여행사

라이선스를 갖고 있는 중국여행사 밑에서 한국부를 담당하면서 여행업(법인 형태 진출의 한국여행사는 ‘해남도 이야기’가 있음)을 하고 있으며, 여름 성수기와 한국의 골프 비수기인 11월 말~3 월 말까지 특수를 이용, 집중적으로 사업을 한 후 1 년을 생활한다고 함. 요식업도 최근 예전 같지 않은 영업 이익을 거두고 있다고 함.

  - 중국에서 소득 수준 최상위에 위치한 해남도 거주민들을 겨냥해 한국 옷가게를 섣불리 차려, 몇 억을 투자하고 결국 2 달만에 문을 닫고 한국으로 돌아간 사례도 있음.

  - 해남도는 시장규모가 크지 않고 인구도 850 만 명에 불과해 시장규모와 주민들의 소비패턴·투자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한류’·‘중국 관광 붐’과 같은 트렌드를 쫓는 투자는 금물임.

  자료원 : 삼성광통신기술 해남 법인 부장 인터뷰, 해남도 이야기 이사 인터뷰, 한국무역협회,

한국수출입은행

홍콩, 2008 년 하반기 경제 전망- 홍콩 경제 4 대 축인 물류·금융산업 침체 등 악재 많지만 견고한 성장세 유지 -

- 상반기 한국 교역액 11.6% 증가, 전체 교역액은 약 3~5% 성장 전망 - 

박은균 홍콩무역관[email protected]

  □ 2008 년 홍콩 경제 성장률 3.5%로 하향 조정  ○ 홍콩총상회 Andrew 회장은 작년 말 발표했던 2008 년 홍콩 경제 성장률 5% 전망을 철회하고

3.5%로 하향 조정했음.  - 총상회 회장은 또한 물가상승률이 5.0%를 유지해 10 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할 것이라 덧붙임. 2007 년 물가상승률이 2.0%에 불과한 것에 비하면 무려 2.5배나 급상승한 수치임.

  ○ 총상회 회장은 미국 경제 침체가 장기화되고, 1998 년 세계금융위기만큼은 아니지만 전세계

경제가 하락세에 접어들고 있어, 하반기 홍콩 경제의 하락도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밝힘.  - 크레딧스위스와 아시아개발은행 등 세계 경제기관들도 홍콩경제 전망을 각각 4.9%에서 3.9%까지 하향 조정했으며, 3 사분기 경제성장률은 3.2%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음.

 세계 경제기관의 2008 년 홍콩경제 성장률 전망

18

Page 1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기관명 기 전망 수정 전망

홍콩정부 4~5% 5%HSBC 5% 5%

아시아개발은행 5.4% 4.9%크레딧스위스 4,4% 3.9%홍콩총상회 5% 3.5%

자료원 : 홍콩경제일보 □ 홍콩 경제 부정적 요인  ○ 2 사분기 수출 감소  - 5 월 수출 증가폭이 둔화되더니 6 월 결국 2 년 이래 가장 낮은 수출증가율인 -0.6%를 기록함.

수출이 이렇게 둔화된 이유는 홍콩의 수출품이 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소비품과 경공업품 위주이기 때문이며, 세계 경제 침체로 가시화된 것으로 분석됨. 특히 수출 둔화가 두드러진 제품은 의복, 전자제품, 시계, 완구 등임.

  - 6 월 수출총액은 2232 억 홍콩달러로, 중국이 가장 많은 1036 억 홍콩달러를 기록했으며, 미국이 299 억 홍콩달러로 그 뒤를 이었음.

  - 하락폭이 가장 큰 국가는 한국으로 -10.0%를 기록했으며, 뒤를 이어 대륙이 -6.2%, 일본이 -5.5%를 각각 기록함. 반면 영국(-0.6%)과 미국(-0.1)의 하락폭은 그다지 크지 않았음.

  - 반면, 증가폭이 가장 큰 국가는 인도로 61.6%를 기록했으며, 싱가포르와 타이완이 각각 16%, 7.5% 증가세를 보였음. 인도가 수치상 매우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5 월의 75.3%에 비하면 다소 하락한 모습이었음.

 홍콩 10 대 수출국 6 월 수출현황

(단위 : 억 홍콩달러, %)국가 금액 변동률

중국 1,036 -6.2미국 299.5 -0.1일본 95.3 -5.5독일 71.9 +4.6영국 58.5 -0.6싱가포르 48.3 +16.0

인도 47.7 +61.6대만 46.1 +7.5한국 39.9 -10.0네덜란드 37.8 +0.9

총 계 2,232 -0.6자료원 : 홍콩통계국주 : 집계 기준의 차이로 홍콩통계국과 한국무역협회의 통계는 일부 다름.

  ○ 높은 인플레이션

19

Page 2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홍콩의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4 분기부터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해 2008 년 6 월 11 년만의 최고치인 6.1%를 기록했음(1997 년 8 월 6.3%기록한 이래 최고).

  - 이러한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은 주택임차료와 식품가임. 주택임차료는 전년대비 8.4% 상승했으며, 식품가격은 20% 이상 상승했음. 특히 식품가격 중 쌀값은 72.2%, 육류는 51%, 생선 37% 상승했음.

  - 홍콩 학계에서는 하반기에 홍콩의 인플레이션률은 7.0%까지 치솟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홍콩 정부의 현실적인 서민 지원책 마련을 촉구함.

 2008 년 홍콩인플레이션 현황

구분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수치(%) 4.3 5.1 5.3 5.4 5.7 6.1자료원 : 홍콩통계청

  ○ 세계 금융시장 악화  - 미국 서프라임의 영향으로 미국·런던·도쿄 등 전세계 금융시장이 약세를 지속함에 따라

아시아의 금융허브인 홍콩의 금융시장 역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 특히 최근 투자 은행의 부진한 성과는 홍콩 지사의 대규모 감원을 야기함.

  - 미국의 대표적 IB M 사의 홍콩 지사는 구조조정 및 사업축소로 최근 수천 명의 직원을 감원함. 이외에도 많은 홍콩의 벤처캐피탈, 투자은행들이 M &A 되거나 조직 축소를 추진 중에 있음.

  ○ 양안관계 진전  - 대만 신총통 마잉지우 부임 이후, 양안 간의 관계가 급진전됨에 따라 그동안 대만과 중간의

중개자 역할을 해왔던 홍콩의 기능이 상실될 것으로 보고 있음.  - 항생은행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양안간 직통로 개설로 홍콩은 0.3~0.5% 경제 성장률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항만 화물 수송은 TEU 38 만 8000, 항공 화물 수송은 36 만8000톤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음.

  - 관광 분야도 7 월 4 일자로 대만행 직항로가 개설됨에 따라 약 100 만 명의 관광객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약 3000 만 홍콩 달러의 관광수입이 줄어들 것이라 전망함.

 □ 홍콩 경제 긍정적 요인  ○ 상반기 호조의 경제 성장률  - 홍콩은 1 사분기 7.1%, 2 사분기 6.1%(예상치)를 기록해 예상보다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음.  - 상반기 경제 호조의 이유는 ▲ 신흥시장 및 중국 상품 수출 호조 ▲ 서비스수출 증가 ▲ 내수증가

등에 기안함.  - 상반기 높은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하반기에도 이런 성장세만 유지한다면, 무난히 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홍콩의 분기별 GDP 증가율                       (단위

: %)

 2007 년 2008 년

1 분기 2 분기 3 분기 4 분기 1 분기 2 분기

GDP 증가율(%) 5.5 6.2 6.8 6.9 7.1 6.1*자료원 : 홍콩경제일보주 : * 예상치

20

Page 2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위안화 절상 주춤  - 위안화 절상률이 최근 주춤하고 있는 것도 홍콩의 하반기 경제 성장에 호조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2007 년 위안화 변동률은 6.63%, 2008 년 상반기 변동률은 4.69%였으나 2008년 2 사분기 변동률은 1.78%로 절상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음.

  - 홍콩 대부분의 소비재와 식료품들은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어, 인민폐 절상은 홍콩의 서민 물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또한 광둥성 일대에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수출 위주의 홍콩기업들은 인민폐 절상으로 약 10~15% 정도의 영업이익을 손해보고 있으며, 인민폐 절상율 감속은 홍콩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됨.

 미화 달러 대비 위안화 변동률 추이

연도 2007 년 2008 상반기 2008 년 2 사분기

환율 6.63% 4.96% 1.78%자료원 : 홍콩금융관리국

  ○ 베이징 올림픽 개최  - 2008 년 중국의 최대 이벤트인 베이징 올림픽 개최도 홍콩 경제에는 호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홍콩 경제계나 학계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베이징 올림픽 이후에도 10%의 경제성장률을 견조할 것이라고 전망했음.

  - 베이징 올림픽으로 중국은 0.25%의 경제 성장을 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중국과 경제분야에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홍콩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함.

  - 홍콩에서는 승마경기가 개최돼 쇼핑 시즌과 맞물려 더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올림픽 기념품·스포츠 의류용품·디지털 제품 등의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하반기 홍콩 경제 전망 - 전체 경제성장율은 여전히 성장세 유지 전망  ○ 홍콩 경제의 주축 산업 흔들, 상반기는 그래도 선방  - 미국 서프라임 사태로 홍콩의 금융 시장이 흔들리고 있으며, 고유가로 인해 물류산업과

관광산업이 주춤하고 있음. 수출도 2 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겪고 있으나, 홍콩경제는 수년간 건전함과 견고함을 유지하고 있어 외부 충격에 잘 버티고 있음.

  - 홍콩총상회 회장은 미국 유럽과 같은 감원 폭풍은 불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기업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급여 인상 압력은 받을 것이라 밝혔음.

  ○ 홍콩 정부의 신속한 대응  - 7 월 16 일 홍콩 정부는 110 억 홍콩달러의 예산을 사회복지에 사용할 것이라며, 10 개 분야로

세분화된 지출 계획을 발표했음. 홍콩 정부는 지난 2 월 세금 인하 및 환급, 보조금 지급을 위해 441 억 홍콩달러의 예산을 편성해 국민 개인당 1 만 8000 홍콩달러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 이러한 정부의 신속한 경제 정책은 저소득의 생활고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경제 환경을 긍정적으로 유지해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바탕이 될 것으로 전망됨.

  ○ 견고한 내수로 위기 극복  - 2008 년 1 월 작년대비 23.2% 상승했던 총 소비는 점차 감소해 5 월에는 12.9%까지 하락해,

그동안 견고하게 유지했던 내수가 감소하는 징조를 보였음.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1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21

Page 2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하지만, 일각에서는 유가 상승·원자재 가격 상승·금융 시장 위축·미국 서브프라임 등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으로 분석되며, 홍콩 자체의 부정적인 요인으로 발생한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홍콩 정부 관계자는 견고한 노동시장과 인바운드 관광객 증가로 총 소비는 증가할 것이라 밝힘. □ 2008 년 상반기 홍콩의 수입 동향 및 한국-홍콩 교역동향  1) 2008 년 상반기 홍콩의 수입 동향  ○ 2008 년 상반기 홍콩은 1885 억 달러를 수입했으며, 전년동기대비 10.3% 증가했음. 하지만 6

월 말 전년동기 1.3%로 급격히 감소함. 이는 최근 유가 급등으로 물류비를 줄이기 위해 주문을 늦추거나 취소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중국의 지진으로 중국으로 수입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됨. 6 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수년간 처음으로 마이너스(-2.7%)를 기록함.

 2008 년 상반기 홍콩 수입현황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금액 전년동기대비 증감률1 월 31,738 16.92 월 25,668 11.93 월 32,135 6.64 월 33,285 11.35 월 34,153 15.46 월 31,692 1.3총 계 188,550 10.3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 2008 년 상반기 홍콩의 주요 수입품목은 반도체와 이동통신 제품으로 각각 295 억 달러와 221

억 달러가 수입됐음. 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대비 40.8%로 급증했으며, 2008 년 베이징 올림픽의 영향으로 완구·게임·스포츠 상품의 수입도 13.8% 증가했음. 반면 컴퓨터 사무기기 부품 및 액세서리의 수입량은 4.2% 감소했음.

 2008 년 상반기 10 대 주요 수입품목

  (단위 : 백만 달러, %)순위 품목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반도체, 전자관 & 진공관 등 29,556 15.7 7.82 이동통신 제품 및 부품 22,183 11.8 15.43 컴퓨터/사무기기 부품 및 액세서리 8,547 4.5 -4.24 전기회로용 전기장치 7,300 3.9 12.25 진주, 가공/반가공 보석 7,066 3.7 356 완구, 게임 및 스포츠상품 6,211 3.3 13.87 석유(천연석유 외) 6,037 3.2 40.88 컴퓨터 5,078 2.7 24.19 전기기기 및 장치 4,404 2.3 5.3010 전기발전기 및 부품 3,298 1.7 0.9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주 : SITC코드 3 단위

 

22

Page 2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2008 년 상반기에도 중국으로 수입이 845 억 달러로 총 수입량의 45%를 차지했음. 하지만, 전년동기대비 7.5%의 증가는 2006 년 13.7%, 2007 년 11.5%에 비해서는 다소 둔화된 양상을 띄고 있음. 주요 수입국인 일본·싱가포르·대만의 수입량도 소폭 감소했음.

  - 반면 인도(40% 증가)를 비롯해 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으로부터의 수입은 10%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음. 독일(19.4%)을 비롯해 영국·스위스·이탈리아 등 유럽으로부터의 수입도 10% 이상 증가하고 있어 수입시장이 점차 다변화되고 있음.

 2008 년 상반기 10 대 주요 수입국

 (단위 : 백만 달러,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중국 84,569 44.9 7.52 일본 19,100 10.1 9.13 싱가포르 12,541 6.7 7.44 대만 12,498 6.6 4.65 미국 9,601 5.1 13.26 한국 7,686 4.1 9.57 말레이시아 4,175 2.2 12.68 태국 4,117 2.2 20.99 인도 3,962 2.1 40

10 독일 3,465 1.8 19.4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2) 2008 년 상반기 한국-홍콩 교역 동향  ○ 2008 년 상반기 대홍콩 수출은 97 억 달러로 작년대비 11.2% 증가했으며, 수입도 11 억

달러로 전년대비 14.7% 증가했음. 따라서 무역수지도 85 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음. 

2008 년 상반기 대 홍콩 교역현황     (단위 : 백만 달러)

월 수출 수입 무역수지

1 1,363 211 1,1522 2,687 377 2,3093 4,363 582 3,7814 6,191 799 5,3925 7,931 989 6,9416 9,710 1,185 8,525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 눈에 띄는 점은 제트유 및 등유, 금과 같이 세계 경제 흐름과 직결되는 제품의 수출이 급증했음. 특히 제트유 및 등유는 작년대비 924% 폭발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무선전화기 및 무선통신기기와 같은 전통적 수출품도 여전히 호조를 보였음.

  - 반면, 전체 수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이 6.9% 소폭 감소했으며, 작년에 수출이 급등했던 선박도 57.6%의 큰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2008 년 상반기 대 홍콩 주요 수출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23

Page 2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구분2007 년 2008 년 상반기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 계 18,654 -1.7 9,710 11.2집적회로반도체 5,807 -0.6 2,366 -6.9

무선통신기기부품 1,419 8.4 1,036 56.9제트유 및 등유 235 27.3 832 924.6

합성수지 1,165 5.4 602 4.7경유 840 12.2 552 27.1선박 1,008 29.8 282 -57.6금 175 242.2 246 316.7

개별소자반도체 410 27.4 209 4.6평판디스플레이 419 -33.1 183 8.4

무선전화기 297 -35.5 180 27.7자료원 : 한국무역협회주 : MITI 4 단위

 □ 2008 년 하반기 대홍콩 수출 전망 및 확대 제언  ○ 하반기 한국과의 교역 3~5% 증가 전망  - 2007 년 207 억 달러에 달했던 한국과의 교역액은 약 5%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상반기 현재 수출 97 억 1000 만 달러, 수입 11 억 8000 만 달러로 총 교역액 108 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대비 11.6% 상승했음.

  - 대홍콩 수출품의 97%는 중국으로 재수출되고 있으나, 최근 중국의 체질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환경 악화는 우리기업들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또한 하반기 홍콩 경기 악화 전망은 한국 수출기업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하지만, 상반기 예상외의 우수한 교역량, 반도체 및 핸드폰 등 주력 제품의 견고한 수출 유지, 금 및 등유 수출 급등, 베이징 올림픽 특수 등으로 전체 교역량은 약 3~5% 증가할 것으로 분석됨.

  ○ 홍콩 재수출시장에 주목하라  - 홍콩에서 재수출되는 한국 원산지 제품의 최대 재수출국은 중국으로, 2007 년에는 104 억

달러가 재수출됐으며 총 재수출의 84.3%를 차지했음. 2008 년 상반기에도 55 억 달러가 중국으로 재수출됐으며, 점유율도 83.1%를 차지함.

  - 2008 년 상반기 한국 원산지 제품의 재수출 현황에서 눈에 띄는 점은 그동안 강세를 보여 왔던 중국·대만·미국으로의 수출량은 감소한 반면, 말레이시아(183% 증가)·브라질(288.2% 증가)·마카오(60.2% 증가)는 급등하였음. 이는 재수출 시장도 점차 다변화되고 있는 현상을 보여줌.

  - 한국 원산지 제품 중 가장 많이 재수출되는 제품은 전자기기 및 장비·전자부품이며, 총 34 억 달러(63.4%)가 홍콩을 경유해 재수출되고 있음. 다음으로 플라스틱 제품, 보일러기기 제품, 철, 구리 등의 순으로 재출되고 있음.

 한국 원산지 제품의 주요 재수출제품 내역

  (단위 : 백만 달러, %)HS

Code 제품 2006 년 2007 년 2008 년(상반기)

금액 점유율 증감률 금액 점유율증감률 금액 점유율증감률총 계 10,897 100 14.8 12,43 100 14 5,506 100 -4  

24

Page 2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5

85 전자기기 및장비·부품

6,342 58.2 21 7,74

2 62.3 22.1 3,491 63.4 1.6

39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 제품

1,009 9.3 3.9 1,10

7 8.9 9.7 529 9.6 -0.5

84 인쇄, 계산기, 데이터 프로세서기 및 기타 사무기기 부품 및 액세서리

1,491 13.7 19.3 1,43

8 11.6 -3.5 487 8.8 -32.9

72 철 344 3.2 -14.4 336 2.7 -2.3 148 2.7 -18.874 구리, 구리제품 260 2.4 33.3 257 2.1 -1.2 125 2.3 3.254 인조필라멘트 188 1.7 -16.3 201 1.6 6.8 83 1.5 -13.741 가죽 및 피혁 159 1.5 -0.2 151 1.2 -5 71 1.3 -5.529 유기화학물 115 1.1 14.4 160 1.3 39 62 1.1 -7.1

90 광학·사진·영사·계량·검사·정밀·의학적·수술도구·기구 62 0.6 24.5 94 0.8 50.6 54 1 9.1

79 아연 및 아연제품 63 0.6 94 102 0.8 61.5 46 0.8 -3.7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한국 원산지 제품의 홍콩 주요 재수출국

 (단위 : 백만 달러, %)HS

Code 제품2006 년 2007 년 2008 년(상반기)

금액 점유율 증감률 금액 점유율증감률 금액 점유율증감률

총 계 10,897 100 14.8 12,435 100 14 5,506 100 -4  

85 전자기기 및 장비·부품

6,342 58.2 21 7,74

2 62.3 22.1 3,491 63.4 1.6

39 플라스틱 및플라스틱제품

1,009 9.3 3.9 1,10

7 8.9 9.7 529 9.6 -0.5

84 인쇄, 계산기, 데이터 프로세서기 및 기타 사무기기의 부품 및 액세서리

1,491 13.7 19.3 1,43

8 11.6 -3.5 487 8.8 -32.9

72 철 344 3.2 -14.4 336 2.7 -2.3 148 2.7 -18.874 구리, 구리제품 260 2.4 33.3 257 2.1 -1.2 125 2.3 3.254 인조필라멘트 188 1.7 -16.3 201 1.6 6.8 83 1.5 -13.741 가죽 및 피혁 159 1.5 -0.2 151 1.2 -5 71 1.3 -5.529 유기화학물 115 1.1 14.4 160 1.3 39 62 1.1 -7.1

90 광학,사진,영사,계량,검사,정밀,의학적 /수술도구 및 기구

62 0.6 24.5 94 0.8 50.6 54 1 9.1

79 아연 및 아연제품 63 0.6 94 102 0.8 61.5 46 0.8 -3.7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25

Page 2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홍콩은 더 이상 홍콩인들만의 시장이 아님, 중국 소비자 겨냥  - 중국인들의 개인 여행 자유화와 위앤화 절상 등으로 세계적인 쇼핑 천국인 홍콩에서 소비를 즐기는 중국인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2007 년 홍콩관광청 통계에 따르면 1548 만 명의 중국인 방문했으며, 작년대비 13.9% 증가했음. 또한 총 홍콩 관광객 수의 55%를 차지함.

  - 명품 소비가 주류를 이루던 중국인들의 소비패턴도 중국에서 구하기 힘들고, 믿을 만한 수입 소비재 소비로 변화하고 있음. 그 예로 중국에 가짜 분유가 나돌자 지난 5 월 노동절 때 중국 가정주부들이 홍콩에 와 홍콩슈퍼마켓의 분유를 사재기하는 현상도 발생했음.

  - 최근 홍콩 소비시장의 흐름을 살펴보면 더 이상 홍콩인들만의 시장이라고 보기 어려움. 작게는 광둥성 거주 중국인, 크게는 중국 전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을 고려한 마케팅을 전개할 필요가 있음.

  ○ 홍콩의 대형 유통매장을 뚫어라  - 올해 7 월 한국의 G 화장품사는 홍콩의 최대 화장품 유통매체인 SASA 와 계약을 맺고 홍콩 전역

80여 개의 SASA 매장에 시판될 예정임. 지난해 D 사는 홍콩무역관 지사화사업을 통해 홍콩 최대 IT 유통매장인 Broadway 사에 납품을 시작했음.

  - 홍콩 소비재시장은 대형 유통매장을 통한 진출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홍콩의 대표적인 대형 유통 매장으로 IT 완제품은 Broadway 와 Portress, 화장품은 SASA 와 Bonjure, 식료품과 생활소비재는 ParkNShop 과 Wellcome, Vangurad 등이 있음.

  ○ 홍콩 경유 중국 서비스 시장 진출 용이  - 지난 7 월 말 CEPA V 보충안 타결로 2009 년 1 월 1 일부터 홍콩 기업의 중국 서비스시장

진출이 더욱 용이해짐. 따라서 서비스업의 천국인 홍콩에 법인을 설립하고, 홍콩에서 서비스업을 운영하면서 홍콩기업들의 노하우를 취득해 이를 기반으로 중국 진출을 노려볼만함.

  - 홍콩 서비스기업이 CEPA 를 이용해 중국에서 서비스업을 론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선행돼야 함. ▲ 홍콩에서 법인 설립 ▲ 홍콩에서 3~5 년 운영경력 ▲ 홍콩에 소득세 납부 ▲ 직원의 1/2 이상 홍콩인 고용 등임.

  - 특히 교육사업의 경우 그동안 직접 학원 허가 획득이 불가해 중국인과 함께 합작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홍콩 법인을 이용하면 중국에 단독 교육기관 설립이 가능하게 됐음.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홍콩통계국, 한국무역협회

대만, 증시 상장 절차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email protected]

  □ 증시 상장 사전 준비  ○ 증권사 선정  - 선정 가능한 증권사는 대만증권협회(Taiwan Securities Association, 홈페이지 :

www.csa.org.tw)의 회원사로 대만 경내에 영업소가 설립돼 있어야 함.  - 현지 규정상 증권사는 외국기업의 증시 상장 신청 당해연도부터 향후 2 년까지 해당 외국기업이

현지 관련 법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조를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음. 

증권사 리스트

영문명 홈페이지Fubon Securities Co., Ltd. www.fbs.com.tw

26

Page 2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Capital Securities Corp. www.capital.com.twYuanta Securities www.yuanta.com.tw

Grand Cathay Securities Corp. www.gcsc.com.twTaiwan Securities Co., Ltd. www.tsc.com.twSinoPac Securities Corp. www.sinopacsecurities.comKGI Securities Co., Ltd. www.KGI.com.tw

Taiwan International Securities Corp. www.tisc.com.twMega Securities Co., Ltd. www.emega.com.tw

Horizon Securities Co., Ltd. www.honsee.com.twShin Kong Securities Co., Ltd. www.sksc.com.tw

First Taisee Securities Inc. www.ftsi.com.twMasterLink Securities Corp. www.masterlink.com.tw

Oriental Securities Corp. www.osc.com.tw  ○ 증권사의 보조지원이나 장외시장 등록 만 6 개월이 경과해야 함.  ○ 재무제표 준비  - 외국기업의 재무제표는 대만 정부로부터 기업 재무제표 공개발행 자격을 취득한 회계사

사무소에서 대만 회계사 2 인의 감사보고를 받거나, 또는 상술 현지 회계사 사무소와 협력 관계를 체결한 글로벌 회계사 사무소를 비롯하여 대만 회계사의 감사보고를 받아야 함.

 회계사 사무소 리스트

영문명 홈페이지PricewaterhouseCoopers Taiwan www.pwc.com.tw

Deloitte & Touche www.deloitte.com.twKPMG www.kpmg.com.tw

Ernst & Young www.ey.com.tw □ 증시 상장 규정 

국내외 증시 상장 내역이 전무하며대만에서 증시에 첫 상장할 경우

상장방식 예탁증서로 대만 증시에 상장할 경우

 ㅇ 대중투자금액이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가 규정한 한도액을 초과한 자는 대만 증시에 상장 불가

  ㅇ 자금조달액의 대중투자를 금함

자금조달상의 제한

 ㅇ 자금조달액의 대중투자를 금함  ㅇ 직간접 대중 누적투자액이 순자산가치의

40%를 초과할 수 없음.  ㅇ 대만기업이나 개인의 직간접

지분보유비중이 20% 이상인 외국기업의 경우 대만 내에서 조달한 자금을 절대로 대만 경외로 반출하거나 간접적인 방식으로 대중 투자에 이용하지 않을 것을 약정해야 함.

  - 기타 외국기업은 대만 내에서 조달한 자금을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대중 투자에 이용하지 않을 것을 약정해야 함.

27

Page 2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증시 상장 신청사나 그 종속회사로서 3 년 이상의 비즈니스 기록을 갖춘 자※ 종속회사란? ∙ 외국발행인의 직접지분 비중이 50%

이상으로 이미 의결권주를 발행했거나 출자액 비중이 50% 이상에 달하는 자

 ∙ 외국발행인의 자회사를 통한 간접지분 비중이 50% 이상으로 이미 의결권주를 발행했거나 출자액 비중이 50% 이상에 달하는 자

 ∙ 외국발행인의 직간접 지분 비중이 50% 이상으로 이미 의결권주를 발행했거나 출자액 비중이 50% 이상에 달하는 자

설립연한

해당 국가의 법률규정에 의거하여 발행한 기명주식이나 그 주식의 유가증권으로 대만 행정원 금융감독관리위원회가 지정한 증권거래소나 증권시장에 상장한 후 만 6개월 이상이 넘는 자.

불입자본(Paid-in Capital)이나 주주자본(Stockholder’s Equity)이 6 억 대만달러 이상이며, 증시 상장 시가가 16 억 대만달러 이상

운영규모

증시 상장 시가가 3 억 대만달러 이상이며, 최근 재무보고 상의 주주자본이 10 억 대만달러 이상

최근 3 년 간의 세전이익이 2.5 억 대만달러 이상으로 최근 1 년 간의 세전이익은 1.2 억 대만달러에 달하는 자

이익획득능력

 ㅇ 최근 2 년 간 세전이익이 매년 흑자로 누적결손금이 아래 조건 중 1 개를 만족하는 자

  - 최근 1 년 간 세전이익이 해당연도 결산의 주주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 이상

  - 최근 2 년 간 세전이익이 해당연도 결산의 주주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혹은 평균 3% 이상으로 최근 1 년 간 이익획득능력이 전년도에 비해 개선된 자

  - 최근 2 년 간 세전이익이 각각 4 억 대만달러 이상인 자

기명주주가 1천명 이상(그 중 1000~5 만 주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가 500 명 이상이며, 보유주식의 합계가 발행주식 총액의 2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거나 1천 만 주를 보유해야 함.) 지분

분산

대만 경내의 대만 예탁증서를 보유한 자가 1천 명 이상(그 중 1000 증서~5 만 증서의 대만 위탁증서를 보유한 자는 증서 합계가 발행증서수의 20% 이상 비중을 차지하거나 1000 만 증서를 보유해야 함.) 또한 대만 예탁증서 상의 기명주주가 2000 명 이상으로 회사 내부인 외의 지분율은 발행주식총액의 25% 비중을 차지해야 함.

 ㅇ 기업 운영진 구성  - 이사회 구성원이 5 인 이상으로 독립이사는

2 명 이상(독립이사 중 최소한 1 명은 대만 국적이어야 함)

  - 회계감사위원회나 감찰자를 조직해야 함(회계감사위원회는 3 명 상의 독립이사로 구성하며, 그 중 1 명을 모집인으로 지정, 감찰자는 최소한 3 명 이상이어야 함)

기타 규정

 

자료원 : 외국기업 대만 증시 상장 매뉴얼 ;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정리

28

Page 2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증시 상장 절차 상장 방법 절차 비고

국내외 증시상장 내역이

전무하며,대만에서 증시에

첫 상장할 경우

① 신청서 및 관련    구비서류 제출

접수기관 : 대만증권거래소신청서(중문) 다운로드 : http://www.tse.com.tw/ch/listed/download/list000101.doc

② 서류심사 심사기관 : 대만증권거래소 경리부

③ 심의심의기관 : 대만증권거래소 증시상장심의위원회소요기간 : 신청서 제출일부터 심의까지 약 6 주

④ 결의결의기관 : 대만증권거래소 이사회이사회 개최기간 : 매월 3 번째 주 화요일에 개최

⑤ 주관기관에 최종보고

주관기관 : 행정원 금융감독관리위원회 증권선물국소요기간 : 반 개월~1 개월 정도 소요

⑥ 증시 상장대만증권거래소에서 동의서가 발행된 후, 행정원 금융감독관리위원회에 공개발행신청

예탁증서로대만 증시에상장할 경우

① 신청서 및 관련    구비서류 제출

신청서 접수기관 : 대만증권거래소신청서(중문) 다운로드 : http://www.tse.com.tw/ch/listed/download/list000032.doc

② 서류심사심사기관 : 대만증권거래소 경리부소요기간 : 신청 접수일부터 10 일 이내

③ 동의서 발행

발행기관 : 대만증권거래소동의서가 발행된 후, 외국발행인은 30 일 이내에 대만 행정원 금융감독관리위원회에 공개발행신청

자료원 : 외국기업 대만 증시 상장 매뉴얼 ;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정리  자료원 : 대만증권거래소(외국기업의 대만 증시 상장 매뉴얼)

3. 상품 / 산업

중국, 중고차 시장동향- 시장 초기단계로 발전 가능성 높아 -- 외국기업 진입은 사실상 불가능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email protected]   □ 시장 현황 

29

Page 3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1998 년 이후 연평균 25% 이상 성장세 유지  - 상무부에 따르면 중고차무역관리방법이 1998 년 발표된 이후 중고차 시장이 연 평균 25%

이상의 성장률을 보여 왔으며, 전국에는 427곳 판매시장이 형성돼 있음. 

자료원 : www.273.cn    - 중국내 중고차 판매 총량 기준 10 대 도시로는 광둥, 베이징, 저쟝, 상하이, 지린, 산둥, 허난, 윈난, 쓰촨, 쟝쑤임.

  - 2007 년 판매량을 살펴보면, 광둥은 47 만 5200 대, 동기대비 54.67% 증가 베이징은 34 만2000 대, 6.17% 증가 저쟝은 27 만 1400 대, 50.54% 증가 상하이는 21 만 1300 대로 4.94% 증가

  - 중고차 경영은 ▷ 중개회사 ▷ 브랜드별 중고차 판매점 또는 4S 서비스 판매점 ▷ 경매 ▷ 인터넷 판매, ▷ 체인점 형태를 보이고 있음.

  - 중고차 인터넷 판매는 최근 2 년간 신속히 발전하고 있음. 잠정 통계에 의하면, 중국 내 크고 작은 중고차 판매 사이트가 3 만 개를 넘어섬.

 

30

Page 3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자료원 : www.022net.com   ○ 중국인 개인 소유 차량 증가 및 차량 교체기에 따라 중고차시장 확대 전망  - 중국 자동차 유통협회에서 발표한 2008 년 중고차 산업 예측에 따르면 국내중고차 교체 주기를 약 5~6 년으로 계산할 경우, 2002~03 년 자동차 구매 붐 시기에 판매됐던 799 만 대 차량이 교체기에 진입함.

  - 통계에 의하면 2007 년 자동차 보유량은 3500 만 대이고 2008 년에는 4800 만 대로 예측되고 있어, 중고차시장에 충분한 상품 공급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또한 대량의 신차가 시장에 출시되면서 3~4 년간 사용한 차량이 중고차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보임. 최신 통계에 따르면 사용기한이 3 년 이하 중고차 판매량은 총 판매량의 34.51%, 3~10년 사이 중고차 판매량은 총 판매량의 57.55%를 차지하며, 대부분 중고차들은 이 범위에 속하며 10 년을 초과하는 중고차는 판매량의 7.94%에 불과함.

  ○ 베이징, 광둥 등 지역의 중고차 교역시장  - 2005 년 신 중고차 관리방법 반포 이전에는 중고차 시장 경영주체는 중고차교역중심(시장)임.  - 2002 년 규모를 키워 교외로 이전한 베이징 중고차 교역시장은 중국에서 가장 큰 교역시장으로,

300여 개의 업체가 영업을 하고 있음. 1996 년부터 연 평균 거래량은 6 만 대이고 거래량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 광둥성 둥관시 중고차교역중심은 신속히 성장해 이미 난청, 호우제, 후먼, 랴오부 등 인근 소도시까지 업무 범위를 확장함.

 □ 중고차 관련 정책 및 법규

 발표시기 법규 관할부처 주요 내용

1998.3 중고차무역관리방법 무역부 - 방법 규정에 의하면, 중고차 유일한

경영주체는 중고차교역중심(시장)으로 규정함.

2005.8 자동차무역정책 상무부 - 중고차 명의 변경수속 간소화 - 조건에 부합되는 외국 투자자들이 중국

자동차무역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허용

2005.7 중고차판매영수증양식을 통일화할 것에 관한 통지

세무총국 - 2005 년 10 월 1 일부터 정식으로

중고차판매통일영수증을 사용

31

Page 3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2005.10 중고차유통관리방법

상무부, 공안부,

공상총국, 세무총국

 - 지난 7 년간 실행해 온 중고차무역관리방법을 대체함.

 - 중고차 판매회사의 설립조건과 감독관리규정을 구체적으로 규정

 - 외자기업의 중고차 유통시장 진입 허용

2006.4 중고차무역규범 상무부 - 이 규범은 중고차유통관리방법에 근거하고 있음.

자료원 : KOTRA 상하이 무역관(정부 발표내용 정리) □ 주요 외자기업 현황  ○ 상하이 쎄퉁 중고차 경영 유한회사  - 2004 년 7 월 말 중국정부로부터 인가를 얻고, 20055 년 6 월, 상하이 쎄퉁 그룹과 일본 퀸랜드사가 공동으로 투자해 설립한 국내 최초의 합자 중고차회사임.

  - 쎄퉁은 중국 내 중고차시장에 새로운 경영방식을 도입해 전시, 판매, 수리, 인터넷거래, 애프터서비스 등을 모두 포함한 4S 점 신차에 사용되던 판매패턴을 중고차시장에 적용하기 시작함.

  ○ 일본의 중고차 전문 업체인 애플사 중국 진출  - 2005 년 4 월 일본 애플사는 베이징 야페이그룹, 일본 소지츠사와 합자해 애플 중고차

경영회사를 설립  - 중국 정부 허가를 받은 중고차시장 경영 시범 회사로, 중국 내 처음으로 애플 중고차 서비스 브랜드를 가동함.

  ○ 미국 Manheim 사도 합자 투자  - 세계적으로 규모가 제일 크며, 판매량 1 위 중고차경매회사인 미국 Manheim 회사도

합자방식으로 중국시장에서 업무 개시  - 2006 년과 2007 년에 상하이와 션전에 두 곳의 합자회사 설립  ○ 중고차 데이터 서비스업에 투자  - 2004 년, 호주의 자동차 데이터 서비스회사 Red Book 은 베이징에 뤼얼버 자동차 데이터

서비스 유한회사 설립. 이는 Red Book 본사가 중국에 단독 투자해 설립한 지사임.  - 2006 년 9 월 독일 DEKRA AG 도 중국 상하이 루쟈주이에 더카이다 관리자문 유한회사를

설립함. □ 시사점  ○ 시장은 점점 크고 있지만, 외국기업 진입은 사실상 불가능  - 판매용 수입중고차는 금지되고 있으며, 중국 내 중고차 유통 분야에는 외국기업의 투자가 규정

(중고차유통관리방법)상은 가능하나, 중고차의 경영의 경우 공상부·상무부 등 관련부처의 승인을 받기가 매우 어려워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로 나타남. 이에 따라, 현재 중국의 중고차 시장은 로컬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일부 합자로 중국 내 투자한 외국기업의 경우는 양국 정부 간의 상호 협력 기초에 따라, 기업이 특별 허가를 받게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업계 관계자와 전화 인터뷰 결과 중고차 거래는 많이 일어나고 있으나, 교역시장에서 이뤄지는 거래량은 적은 편이라고 함. 즉 개인적인 관계로 이뤄지고 있어, 개인적인 거래를 시장으로 끌어 오는 것이 필요함.

32

Page 3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실제로 중고차의 수요는 많으나 공급이 부족해 앞으로 성장 가능성은 더 높게 전망되고 있으나, 외국기업의 투자가 표면적으로 가능하나 실제로는 비준받기가 어려워 진출 장애물이 되고 있음.

   · 중국 내 중고차 거래량은 신차 거래량의 1/3 에 불과해, 선진국에서의 중고차 거래규모가 신차 판매의 두 세 배에 달한 것과 비교하면, 아직 시작단계에 있어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편임.

  자료원 : 搜狐, 中国汽车网, 易车会, 51汽车, 273.cn, 022.net,

중국 석탄 지속적인 높은 가격 유지 전망- 석탄가격 안정 위해 해외수출 억제할 가능성 높음 -

 성병훈 우한무역관

[email protected]   □ 하반기 석탄수급은 부족한 가운데 균형 전망  ○ 6 월 12 일부터 시작해 중국석탄공업협회(중국매탄공업협회)는 7 개 조사반을 석탄생산이 많은

주요 성에 파견해 수급현황을 조사함.  - 조사범위는 20 개 석탄산업 관리부문, 13 개 석탄협회, 46 개 석탄기업 및 협회소속 56 개

기초단위 등 130 개 기관이 포함됨.  ○ 7 월 중순 중국석탄공업협회는 베이징에서 좌담회를 개최하고 각 조사반의 보고를 청취했는데,

조사반의 내용을 종합하면 하반기 석탄시장 수급은 전체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 평형을 이룰 것이며, 석탄가격은 계속해서 높은 가격을 유지할 것이고 일부지역은 석탄부족현상이 심화될 전망임.

  - 상반기에는 중국 석탄분야 수요가 왕성하고 공급이 부족한 편이었으며, 가격이 상승하고 비용이 증가했음.

 □ 중국은 에너지 수요 성장속도가 매우 빠름  ○ 중국석탄공업협회 조사부 장홍 처장은 중국의 상반기 석탄 부족은 에너지 수요의 급증,

자연재해, 철도수송능력 부족, 소규모 광산의 생산량 감소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으나 가장 큰 원인은 에너지 수요가 급증한 데 있다고 함.

  ○ 중국이 고속성장을 지속함에 따라 과거 5 년간 전국의 석탄생산량은 연 평균 11% 속도로

증가했으나, 전력·야금·건축자재 등 3 대 에너지 소비분야의 성장속도가 더욱 빨랐음.  - 올 상반기 화력발전설비 12.7%, 철강생산 12.5%, 시멘트 8.7%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석탄화공산업 역시 전례 없는 발전을 기록해 석탄을 기초로 하는 일련의 산업들이 크게 성장하고 있음.

  - 특히 전력분야는 2005 년 이래 신증설발전장비가 2 억 9400 만㎾에 달하고 이 중 화력발전 설비가 2 억 4200 만㎾에 달해 이에 상응한 석탄소비는 7 억여 톤에 달함. 작년 한 해 동안 화력발전을 위한 석탄소비량은 14 억 3000 만 톤에 달했음.

  - 2005 년 이래 야금용 석탄 소비도 2 억 3000 만 톤에서 4 억 2000 만 톤으로 증가했으며, 시멘트 등 건축자재 생산을 위한 석탄 수요도 2 억 9000 만 톤에서 3 억 5000 만 톤으로 증가했음.

  ○ 그러나 석탄 공급면에서 볼 때 자연재해, 소규모광산 폐쇄정리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생산량이 12 억 5600 만 톤으로 14.8% 증가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수요량을 만족시키기는 어려움.

33

Page 3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올 초 중국 남부지역 폭설과 쓰촨성 지진의 영향으로 재해지역의 석탄생산이 감소하고 일부 광산은 아직도 생산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운송 면에서도 철도가 일부 손상되고 재해복구물자 운송에 우선순위를 빼앗김에 따라 석탄운송에도 영향을 받고 있음.

 □ 중국 석탄산업 구조조정으로 가격괴리 발생  ○ 중국은 2007 년도부터 소규모 광산 정돈 폐쇄 등 석탄산업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광산 폐쇄 정돈 조치가 진행됨에 따라 과거의 비합법적인 채굴활동이 금지됐으며, 일부 소규모 광산은 생산수준 향성과 안전도 제고를 위해 투자하고 있고, 채굴에 필요한 화약·뇌관 등 광산화공품 관리도 강화돼 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과다한 불법채굴이 줄어들어 석탄생산량이 감소함.

  - 중국석탄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산시성은 2008 년을 석탄자원 정리조정의 해로 삼고 있는데 2010 년까지 현재의 광산 수를 30% 감소시킬 계획임.

  - 내멍구는 과거 853 개의 광산을 폐쇄했는데, 현재의 525 개의 광산을 2009 년 말까지 420 개만 남기고 폐쇄할 예정임.

  - 랴오닝성은 원래 3000여 개의 광산을 정리해 598 개소로 축소했음.  ○ 30 만 톤 이하 소규모 광산의 석탄생산은 전체 생산의 3 분의 1 을 차지하고 있는데, 과거

소규모 광산의 석탄가격은 국유 대규모 광산보다 낮았으나 현재는 일반 석탄시장에서 판매되는 석탄가격이 발전소에 공급되는 대형 장기공급계약 가격보다 현저하게 높으며, 가격 차이는 계속 확대되고 있음.

  - 전력기업은 독점적인 기업이기 때문에 시장변화에 일정한 적응기간이 필요한데, 과거 전력업체들은 수요량을 축소해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일부는 소규모 광산에서 필요한 양을 보충 구입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현재는 상황이 바뀌어 대응책이 없어짐.

  - 5 월의 경우 차액이 톤당 138.46 위앤에 달해 2003 년도 33.3 위앤보다 3.15배나 확대됐음.  - 최근 들어 중국 전역에 전력부족이 심화되고 있는데, 전력생산기업들은 높은 석탄 가격을

감당할 수 없어 코스트 절감을 위해 발전량을 줄이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음.  ○ 그리고 석탄생산기업은 원재료가 인상·각종 정책정인 비용 상승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국유

대형광산의 총 비용이 44.87% 증가했으나, 일부 발전소에 공급되는 대형 장기공급계약은 생산원가에도 못 미치고 있음.

  ○ 현재 시장상황으로 볼 때, 정부가 석탄가격에 임시 간여조치를 취하더라도 효과는 제한적임.  - 현재 시장 석탄가격은 제한가격보다 200 위앤 높은데, 정부의 제한가격은 대형 국유광산에만

해당되며 민영 및 지방광산은 적용이 안됨.  - 그러므로 중국석탄공업협회 예측에 의하면, 국제 에너지가격은 급격한 인상 등 외부요인을

감안할 때 하반기 석탄생산능력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중국 내 석탄시장 수급은 균형을 이루더라도 높은 가격을 유지할 전망임.

 □ 중국은 하반기에 석탄 수출을 억제할 가능성이 높음  ○ 중국 해관 통계에 따르면 6 월 중 중국의 석탄수출은 699 만 600톤으로 전년대비 83%나

증가했음.  - 1~5 월 중에는 수출보다는 수입량이 많았는데, 6 월 중 수출이 급증해 상반기 전체 누계는

수출량이 388 만 톤이나 많음.  ○ 수출증가는 중국 내 석탄 공급 부족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출을 억제하는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됨.

34

Page 3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중국은 현재 석탄에 대해 수출쿼타를 통해 관리하고 있는데, 수출억제를 위해 하반기에는 수출쿼터 배정을 연기하거나 취소할 우려도 있음.

  자료원 : 신랑망(www.sina.com) 등 현지언론 보도 종합

혼하이 그룹, 대만 투자에 아낌없는 큰 손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email protected]

   ○ 혼하이 그룹은?  - 혼하이 그룹은 대만 최대 전자제품 OEM 기업으로 세계 각국에서 약 70 만 명의 근로자를

거느리고 있으며, 연간 영업액은 대만 정부의 한 해 예산총액 수준에 상당하는 2 조 대만달러에 근접할 정도임.

 □ 혼하이 그룹, 대내 투자의 큰 손  ○ 최근 혼하이 그룹은 신정부의 대만 사랑 내수 확대 투자사업에 호응해 가오슝 소프트웨어 단지

입주 및 가오슝 항구 내 아태 물류허브 설립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8 월 6 일에는 혼하이 그룹 산하 계열사의 대만 증시 상장 적극 유도와 디지털 친환경 기술 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함.

 혼하이 그룹의 대만 투자 3 대 방침

  항목 진행현황

1. 자본시장의 확대해외 증시 상장 예정 회사 및 해외 증시 상장회사의 대만 증시 상장 유도

 

2. 대만 내 사업영역 확장 및 운영본부

내실 강화

디지털 친환경 기술 단지 조성(글로벌 운영본부 역할 강화 및 근로자 주거단지 마련)광학 메카트로닉, 의료장비, 디지털 콘텐츠, 정밀장비, 자동화 등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로 연구개발직 2 만 명, 기술직 5000 명, 영업관리직 5000 명 고용 예정

조성지 미정

3. 남 북부의∙ 균형적인 산업 발전

가오슝 소프트웨어 단지 및 가오슝 항구 등 가오슝에 대한 투자 확대

이미 가오슝 소프트웨어 단지 투자 의향서를 체결한 상태

  ○ 특히 디지털 친환경 기술 단지의 경우, 친환경 에너지와 각종 신기술을 도입해 혼하이 그룹의 운영본부 설치 및 24 만 명 가량을 수용가능한 근로자 거주공간을 마련하는 이른바 혼하이 그룹 신도시 조성 계획으로, 투자규모가 무려 1000 억 대만달러 이상의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함.

  - 한편 대만 유력 부동산 개발업체 Farglory 사의 경우, 혼하이 그룹의 미래 신도시가 편리성 및 각종 디지털 기술력을 충분히 발휘할만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평당 건축비용이 최소 12만 대만달러, 토지가를 제외한 총 건축비용만 최소 3000 만 대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 사람이 가장 편안하다고 생각하는 일인당 거주공간 35㎥을 기준으로 한 가구당 가족구성원이 3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24 만 명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약 8 만 가구가 조성돼야 하며 건축용지는 약 253.9 만 평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됨.

  - 신도시 조성 관련 상세계획안은 추후 6 개월 이내에 완성해 대정부 보고할 예정임. 

35

Page 3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또한 대만 북부와 남부지역 산업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특히 가오슝 지역에 대한 투자도 확대

  - 특히, 가오슝 항구 내 혼하이 그룹의 아태 물류허브 설립 투자 계획은 베트남과 중국 샤먼 공장 설립을 보조하는 일환으로, 기존에는 베트남에서 유럽 등지로 수출할 경우 주로 홍콩이나 싱가포르를 경유해왔으나, 향후에는 가오슝 항구를 물류거점으로 삼을 예정

 혼하이 그룹의 대만 신규 투자항목

투자항목 지역 창출효과

Innolux 사 6 세대 FPD 공장 설립 주난 투자금액 600 억~700 억 대만달러

가오슝 소프트웨어 단지 내 입주 가오슝 5 년 내에 3000 개 취업기회 창출

혼하이 그룹 아태 물류허브 설립 가오슝 가오슝항구 화물처리량 상승

디지털 친환경 기술 단지 조성 미정투자금액 1000 억 대만달러 이상

3 만 개 취업기회 창출

자료원 : 혼하이 □ 진행 현황 및 향후 전망  ○ 디지털 친환경 단지 조성의 경우, 무엇보다 입지 매입 및 조세 방면에 대한 정부부문의 투자

인센티브가 투자유치 달성여부의 관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됨.  ○ 혼하이 그룹 계열사의 대만증시 상장 추진의 경우, 세계 최대 휴대전화 OEM 업체로 홍콩

증시에서의 시가가 무려 480 억 홍콩달러에 달하는 폭스콘사를 비롯해 일전에 홍콩 증시 상장 의향을 표한 바 있는 연성 PCB 업체 鴻勝 등이 대만 증시에 상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특히 폭스콘사가 대만 증시에 상장할 경우, 다른 대만 기업의 대만 증시 상장붐으로까지 확산돼 대만 증시 약진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됨.

  ○ 또한 가오슝 항구 내 아태 물류허브 설립 투자의 경우, 향후에 혼하이 그룹의 아시아 물류허브

역할을 수행할 계획으로, 가오슝 항구의 화물처리량을 제고할 뿐 아니라 다른 기업 및 산업의 투자까지 자극할 것으로 기대됨.

  ○ 그 밖에도, 대만 대형 유통업체 Uni-President 그룹은 2007 년 3 년 개장한 대만 최대 쇼핑몰

Dream Mall 에 대한 투자를 확충하고, 추후에는 오피스 빌딩 및 고급 호텔 설립 투자사업도 실시할 예정을 발표한 바 있는데, 혼하이 그룹의 대 가오슝 대규모 투자가 가오슝 지역의 소비인구 증가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Uni-President 그룹의 가오슝 지역 사업에도 일정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임.

  자료원 : 聯合報, 經濟日報, 工商時報 등 언론보도 종합 정리

미얀마 광물자원 중국이 선점- 중국 대 미얀마 특수관계 활용 광물자원 선점 -

- 한국의 전략적 자원개발 참여 시급 - 

노인호 양곤무역관[email protected]

  □ 중국, 미얀마 최대의 니켈광권 확보 

36

Page 3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동남아의 미개발 자원보고로 알려진 미얀마에서도 경제성과 매장량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진 니켈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중국이 가장 유력한 니켈광의 개발권을 확보했음.

  - 중국의 CNMC(China Non-Ferrous Metal Group Company Ltd)는 미얀마 광업부 산하의 제 3광업공사와 미얀마 북부 만달레이주에 소재한 Tabeikkyin 니켈광 개발을 위한 PSC(Product Sharing Contract, 생산물 분배계약)를 2008 년 7 월 30 일 미얀마에서 체결했음.

  ○ 미얀마의 원유 및 천연가스, 광물자원 개발은 미얀마 광업법에 따라 이뤄지며 원유와 천연가스는 에너지부 산하의 MOGE(Myanma Oil & Gas Enterprise)와 광물자원은 광업부 산하의 3 개 광업공사와 일종의 합작계약을 통해야 함.

  - 이번 니켈의 경우 제 3 광업공사가 소유권을 가지며, 미얀마에서는 통상 개발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외국인 투자자가 제공하는 대신 개발후 생산물은 통상 미얀마측 30%, 외국인투자자 70% 수준에서 배분하게 됨.

 □ 중국, 대 미얀마 특수관계 활용 광물자원 선점  ○ 니켈은 미얀마에서 가장 풍부한 광물 중의 하나로, 매장량이 전국적으로 분포돼 있음. 그러나

현재 가동 중인 광산은 Bawdwin 의 Lead-zinc-silver 뿐으로 개발이 미미한 실정임. 이번에 중국이 확보한 지역은 이미 1950 년대 1400톤의 니켈이 채굴됐던 곳임.

  - 1983 년 자료에 따르면 니켈 매장량은 130 만 톤(순도 1.5% 이상) 이상으로 추정됐으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시아 최대의 대규모의 니켈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이 지역은 1957 년 유고슬라비아 전문가들이 탐사한 바 있으며, 1974~77 년간 UNDP 조사단의 추가 조사활동 지역이기도 함. 1980 년 이후 독일정부의 지원하에 미얀마 서북부지역에 대한 광물탐사가 이뤄진 바 있으나, 최근까지도 본격적인 투자가 이뤄지지 못했음.

  ○ 한국은 지난 2003 년 KOICA 의 지원으로 전문가가 현지에 파견돼 미얀마 광업부와 공동탐사를

한 바 있으며, 미얀마에서 가장 유망한 광물로 평가됐으나 당시에는 전 세계적인 니켈 공급초과 현상으로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했음.

  ○ 이번 중국의 니켈광권 확보는 중국의 중장기적 자원확보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며,

중국과 미얀마와의 특수관계를 고려할 경우, 향후 이와 같은 형태의 협력관계가 급속하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미얀마는 미국 등 서방과의 관계악화로 안보 및 경제분야에서 대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데다, 국경을 공유하고 있어 중국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 금속광물 위주, 한국의 전략적 자원개발참여 시급  ○ 미얀마는 1988 년 외국인투자법을 도입, 본격적인 외국인투자 유치에 나서고 있으며, 일부

광종에 대해서는 100% 외국인지분을 인정하고 있음. 그러나 정부 정책의 일관성 및 투명성의 결여·인프라 부족 등의 요인으로 해상의 천연가스 등 에너지자원에 대한 외국인투자가 매우 활발한 반면, 광물자원에 대한 외국인투자는 활발하지 않음.

  ○ 광물자원에 대한 외국인 투자액은 2007 년 5 월 현재 5 억 3000 만 달러(누적기준)로, 전체

외국인 투자의 3.6%를 차지하고 있음.  - 외국인 투자사례로는 캐다다의 IVANHO 사가 개발하고 있는 Monywa Copper Project 가

유명하며, 그 외 주로 호주·태국·싱가포르 등 기업이 소규모로 개발에 참여 중임 그러나, 세계적인 원자재난으로 인한 국제가격 급등으로 미얀마 광물자원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음.

 

37

Page 3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 2004 년 광업진흥공사에서 미얀마 자원정보를 조사한 바,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투자대상 광종으로 금·동·아연·주석·텅스텐을 지목했음. 현재 석탄이나 철광석의 경우, 비교적 품질이 낮고 열악한 운송인프라 때문에 우선순위에서 제외되고 있음.

  - 미얀마의 제 3 광업공사에서 제시한 니켈광 프로젝트의 경우 광상개발을 위해서는 선광 및 제련에 필요한 수력발전소 건설과 연계해 개발이 제안됐음.

  ○ 현재 미얀마는 42 개의 광권을 외국인투자에 개방하고 있으며, 신규광구 참여 외에도 기존

광산의 시설교체 및 신기술 투자를 통해 미얀마 광물자원 개발에 참여가 유망시되고 있음.  - 미얀마 정부는 한국의 광물자원 개발참여를 적극 환영하고 있으며, 향후 미얀마 광물자원을 둘러싼 국제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임에 비춰 볼 때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가 시급히 요망됨.

  자료원 : Myanmar Times 2008 년 8 월 10 일, KOICA 전문가 보고서 2004 년 1 월, 무역관 종합

4. 우리 기업,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청도한중기업관리자순(컨설팅)유한공사(K&C)

1. 회사 개요 A. 회사명 : 청도한중기업관리자순(컨설팅)유한공사(K&C)B. 대표자 : 김남근(133-5685-2030) 인원 : 총 7명(한국인 3명, 중국인 4

명)C. 창립년도 : 2008.8( 2006년 : 연락사무소 개설 2003년 : 중국진출)D. 사업규모 : 2007년도 2억 상당 매출, 2008년 3억 정도 매출 예상 E. 주소 : 青岛市 崂山区 海尔路 63号 青岛数码科技中心 北楼 2508室F. 전화번호 : 0532-5557-9005, FAX : 0532-5557-9115G. 홈페이지 : www.k-cem.com(현재 공사중) , E-mail :

[email protected]

2. 회사 연혁 A. 2003년~2006년

i. 2003. 7 : L타이어 Six Sigma 1차 컨설팅 실시, ii. 2004. 8 : L타이어 TP(목표관리) 컨설팅 실시iii. 2005. 5 : 경영혁신 Seminar 개최(천진), iv. 2006. 4 : L타이어, L화학 중국법인 현장혁신 컨설팅 실시v. 2006. 8 : 연락사무소 개설(청도 노산구)

B. 2007년 i. 2007. 3 : 중국 컨설팅 업종 현지 조사 및 법인 설립 준비, ii. 2007. 8 : S전자 중국법인 현장혁신 컨설팅 실시iii. 2007.11 : 1차 공개교육 실시(중국전자질량협회 주관),

38

Page 3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iv. 2007.12 : 상해 Welltech 현장 혁신 컨설팅 실시C. 2008년

i. 2008. 2 : 교남시/황도시 경영혁신 특강 실시 , ii. 2008. 3 : 평도시/교주시 경영혁신 특강 실시iii. 2008. 3 : S전자 현장 진단 실시 iv. 2008. 4 : 즉묵시/이촌시 경영혁신 특강 실시v. 2008. 4 : 2차 공개 교육 실시 vi. 2008. 5 : 성양구 경영혁신 특강실시vii. 2007. 5 : D가구, G복장 현장진단 실시 viii. 2008. 5 : 3차 공개교육 실시ix. 2008. 6 : S모터, S전기, D정밀 현장진단 실시 x. 2008. 6 : 4차 공개 교육 실시xi. 2008. 7 : 하이얼 냉장고 사업부 현장진단 실시 xii. 2008. 7 : 5차 공개교육 실시xiii. 2008. 7 : D타이어 1차 사내교육 실시 xiv. 2008. 7 : D골프, K00 현장진단 실시xv. 2008. 7 : 경영혁신 세미나 개최(청양, 청도한인상회 공동개최) xvi. 2008. 8 : K&C한중기업관리자순유한공사 창립

3. 사업 영역 A. 교육

i. 혁신인재양성 교육-의식혁신, 현장낭비제거, 현장관리, 원가절감 인재양성 등

ii. 직능별/계층별 Skill UP 교육-현지인 현장 직/반장, 관리직 사원/주임/대리/과장 등

iii. 신입사원 교육 B. 컨설팅

i. TP, BSC 경영목표관리 컨설팅 ii. TPS, Lean,IE, TPM, 현장/생산/공장혁신 컨설팅iii. 6시그마(DMAIC/DFSS/Lean Six-Sigma)컨설팅iv. VE, TCR 원가절감 컨설팅

C. 연수 i. 중국 내 우수 기업 벤치마킹 연수ii. 해외(한국/일본) 우수기업 벤치마킹 연수

D. 회원제 운영i. 맞춤식 회원사 운영 도입-회원사 프리미엄/골드/스타급 운영회원사 ii. 회원사 교육 및 컨설팅/연수 활성화를 위한 회원제 사업 시행

4. 주요고객사 A. 한국

i. 전기/전자/기계 : 삼성전자,LG전자, 삼성전기, LG정보통신, 선린전자, 한화기계 등 다수

ii. 화학/화공 : LG화학, LG석유화학, LGMMA, GS칼텍스, 대산유화, 금호/한국타이어 등 다수

39

Page 4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iii. 자동차/부품 : 현대/기아자동차, 센트랄, 센트랄모텍, 인지콘스톨스, SL 등 다수

B. 중국 고객 : 하이얼전자, 링롱타이어, 오크마 등 다수 C. 중국한인업체 : 성신모터, 성일전기, 롯데식품, 동아정밀, 동아타이어, 케이엔텍등 다수

5. 회원제 운영 세부 내용(관련 상세한 내용은 문의 시 이메일 발송) A. 목적 : 회원제 운영을 통해 회원사의 지속적인 교육참여로 실질적인

성과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을 통한 혁신인재양성으로 안정적인 조직발전을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

B. 회원사 자격조건 및 혜택 항목 프리미엄 골드 스타

연회비 10 만원 5 만원 3 만원

무료

기초과정(1 박 2 일) 50 명 쿠폰 20 명 쿠폰 15 명 쿠폰

기본과정(1 박 2 일) 50 명 쿠폰 20 명 쿠폰 15 명 쿠폰

한국 연수 2 명 쿠폰 1 명 쿠폰 -중국내 우수기업 B/M 5 명 쿠폰 2 명 쿠폰 1 명 쿠폰

포럼(연1 회) 50 명 쿠폰 20 명 쿠폰 10 명 쿠폰

경영진단 연 2 회 연 1 회 연 1 회 2 중 1 개 선택즉실천컨설팅 연 1 회 연 1 회

CEO모임 연 2 회

담당자 Seminar 연 2 회할인 해외연수비, 교육비 30%할인

홍보 소식지(분기별)회원사 소개, 홈페이지에 회원사 소개란 설치

C. 회원사 지원 내용 i. 당사 홈페이지에 회원사 소개(로고 게재/분기별 발행하는 소식지에

우수회원사(혁신활동)소개 및 홍보.ii. 이업종 교류회를 통한 성공사례 벤치마킹(현장견학).iii. 매년 우수한 회원사 선정 해외연수 1인 무료/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교육 계획 지원 및 관리.iv. 장기간(5년이상) 회원으로 가입하는 기업에 한해서는 해외연수 특전이

있음. (골드이상 회워사에 한하여 1인 무료)

v. 특전 관련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회원사 가입 안내장 첨부 자료 참조바랍니다.

6. K&C한중기업관리컨설팅 차별화 정책A. 그간 많은 교육 및 컨설팅사들이 중국에 진출을 했지만, 대개 연락사무소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했고, 투입되는 컨설턴트의 질이 확보되지 못하였음(업체 불만사항).

B. 많은 한입업체들이 산동성 지역에 진출한 교육 및 컨설팅 업체를 찾고

40

Page 4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대한상공회의소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8-8(13).doc · Web view최근 유가 급등으로 가공 석유의 수입액이 작년

있었으나 거의 전무한 상태였음..C. 또한 현지 사정에 밝지 못하여, 수박 겉핡기식의 지원에 머무르고 있어서

실제 중국에 진출한 한인업체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바,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D. 특히, 회원사 제도를 운영하여 연간 각 기업체의 교육 및 컨설팅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 지도록 할 계획임.

E. 추후 홈페이지(www.k-cem.com)을 통하여 각종 경영에 필요한 차별화된 자료를 제공할 계획임.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