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56
색색색색 색색 색색색 ISCC-NBS ( 색색 색색색 ) 색색색

Transcript of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Page 1: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색명법ISCC-NBS ( 계통 색이름 )

강서현

Page 2: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

( 색이름의 이해 )

- 전달 체계로서의 색이름

- 기억색 , 고유색 , 현상색

- 색이름의 진화론

Page 3: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전달 체계로서의 색이름

사람의 눈은 10 만 가지 이상의 색채 식별 능력을 갖고 있다 . 이것은 3 속성을

정확히 서술하는 차이를 말함

즉 하나의 색과 다른 비교색의 차이를 3 속성 ( 명도 , 채도 , 색상 ) 으로

서술해야 한다 .

색이름은 색채의 이름과 색을 전달하지만 이보다 중요한 것은 색이름을 통하여

감성이 함께 전달된다는 사실 . 색이름은 감성을 전달하고 그 지역과 민족 또는

집단의 문화를 보여주기도 하다 .

생활에서 색이름으로 색을 전달할 때 대개 20~30 색정도이고 또 전문적으로

색이름을 수집 . 분류해 정리하여 300~500 색 정도의 분류가 가능할 뿐이다 .

Page 4: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전달 체계로서의 색이름

색이름의 분류에서는 편의상 기본 색이름 , 일반 색이름 (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으로

크게 나눈다 .

색이름과 관련된 한국산업표준으로는 물체 색이름 KS-A-0011, 빛의 색이름 KS-A-0012,

색에 관한 용어 KS-A-0064 등의 관련 규정이 있다 .

기본 색이름은 색채를 서술하거나 색채의 분류 영역을 표기하거나 산업 기준의 체계를 분류할

때 사용되는 색채 전문 용어라고 할 수 있다 . 한국산업규격에서는 기본 색이름을 유채색계

12 색과 무채색계 3 색을 정의하여 총 15 색의 기본 색이름을 표기하였다 .

계통 색이름 또는 일반 색이름은 기본 색이름에 서술어를 붙여서 보다 정확한 색채의 톤을

서술할 때 쓰인다 .

Page 5: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전달 체계로서의 색이름

고유 색이름은 옛날부터 전해져 오는 고대 색이름이나 현대에서 사용되는

현대 색이름 ,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색이름 등을 말하며 동물 , 광물 ,

식물 , 인명 지명등이 사용된다 .

관용 색이름은 고유 색이름에 포함되는 색채로 , 2005 년 최종 개정된

한국산업표준 KS-A-0011 에 135 색이 정의되어 있으며 , 사용 빈도가

높고 우리의 정서에 맞는 색을 선택한 것이다 .

라벤더

Page 6: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기억색 , 고유색 , 현상색

실제 색이 아닌 상상 속의 상징적인 색채를 기억색이라고 한다 . 색이름에

소개되는 색채의 서술을 모두 기억색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 특히 고유

색이름과 관용 색이름의 경우에는 상징적 의미의 기억색이다 .

기억색은 상상의 색이므로 물론 실제 사과색과 같을 수 없다 . 이처럼

기억색은 고유색 local color 과는 달리 물체나 현상의 특성을 쉽게 보여준

다 .

예를 들어 나일블루 nile blue 는 나일 강의 푸른 물색을 가리킨다 .

실제로 측정을 하면 나일강의 물색뿐 아니라 거의 모든 강물의 색이

회록색이나 회청록색을 띤다 . 그리고 물색은 물체색이 아닌 공간색이며

자연 현상색 phenomenal color 이다 . 따라서 색의 측정결과에도 많은

변화가 생긴다 .

이런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기억색이다 .

Page 7: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기억색 , 고유색 , 현상색

그림을 그리거나 사물을 정확하게 묘사할 때는 실측된 고유색을 사용하여야 하며 , 마크를

디자인하거나 캐릭터를 개발할 때는 기억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연물인 녹색에 가까울수록 기억색과 실측색의 차이가 많다 . 현상색은 대기의 색 , 물색 ,

하늘색같이 실제 물체가 아닌 색으로 사람이 자연 현상이나 일기의 변화 등에서 느끼는 색이다 .

상당히 주관적이며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

Page 8: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이름의 진화론

베를린 Brent Berlin 과 카이 Paul Kay 의 연구 < 기본 색채 조건

(Basic Color Terms: Their Universlity and Evolution, 1969)> 에

따르면 인간이 색채를 서술하고 인식하는 7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

즉 원시 인간의 색채 인식의 단계는 어두움 - 차가움과 밝음 - 따뜻함의

1 단계에서 출발하여 보라 , 분홍 , 주황 , 회색에 이르기까지 진화를

통한다는 사실이다 . 이 사실은 색이름의 진화와 언어의 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

Page 9: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이름의 진화론

1 단계 : 어두움 - 차가움과 밝음 - 따뜻함 ( 검정과 하양 )

2 단계 : 빨강

3 단계 : 한쪽이 초록 또는 노랑

4 단계 : 모두 초록과 노랑

5 단계 : 파랑

6 단계 : 갈색

7 단계 : 보라 , 분홍 , 주황 또는 회색

Page 10: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

( 색명법 )

- 기본 색이름- 유채색의 기본 색이름- 무채색의 기본 색이름- 계통 색이름 (KS 일반 색이름 )- 기본 색이름과 조합색의 수식어- 색의 3 속성과 KS 계통 색이름의

관계- 관용색이름- 한국산업표준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빛의 색이름- 광원의 기본 색이름- 광원의 계통 색이름- 광원의 관용 색이름

Page 11: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기본 색이름

한국산업표준에서 사용되는 기본 색이름은 먼셀의 10 색상환을

바탕으로 개정 (2005.12) 되어 유채색과 무채색을 서술하는 총 15 색의

기본 색이름을 표기한 것이다 . 기본 색이름은 색상을 중심으로 구분되어

있다 . 현재 국내에서는 12 개의 색이름을 기본 색이름으로 정하였다 .

기본 색이름은 표 8-1 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기본 색이름을 읽거나

전달할 때는 색이름 뒤에 ‘색’자를 넣어서 읽을 수 있다 .

기본색의 상호 관계를 색상환으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 교육부에서도

기본 색이름을 사용하여 색상환을 제안하였는데 , 교육부의 색상화은

개정 이전 기본 색이름에 10 색을 더하여 20 색의 기본 유채색이름을

지정하고 있다 .

Page 12: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기본 색이름

10 색상 및 20 색상환의 기본 색이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기본 색이름의 수가 적을경우 전달은 정확하고 색을 상상하고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 그러나 색의 범위가 넓어 오류를 범하거나 동일 범위 내에서

다양한 색이 나올 수 있어 혼동을 줄 수 있다 .

반면 기본색의 수가 많을 경우 암기하거나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 또한 사용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다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본 색이름의 수는 그 국가나 단체의 색채의식과 수준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 KS 2005 개정에서는 유채색의 기본 색이름은 12

개 그리고 기본색상 ( 수식에 해당하는 ) 은 10 개 색상으로 정하였다 .

지식경제부기술표준원은 2005 년 12 월에 새로운 ‘색이름 표준 규격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 기존의 10 개 기본 색이름에 분홍과 갈색을

추가하여 쓰며 , 녹색을 초록으로 변경하고 순수 우리말 어휘인 하양과

검정으로 대체하였다 . 또 기본 색이름 앞에 붙여 색이름을 꾸미는 색

수식어는 기존의 ‘ ~ 띤’을 ‘ ~ ㄴ’형이나 단음절형 ‘ ~ 빛’으로 바꿔쓰도록

하였다 .

Page 13: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유채색의 기본 색이름

표 8-1 유채색의 기본 색이름

Page 14: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유채색의 기본 색이름

Page 15: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무채색의 기본 색이름

표 8-2 무채색의 기본 색이름

Page 16: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계통 색이름 (KS 일반 색이름 )

기본 색이름과 조합 색이름 기본 색이름에 대한 수식으로 기준 색이름 앞에

색이름 수식형을 붙여 조합 색이름을 구성한다 . 즉 조합 색이름의 앞에

붙는 색이름을 색이름 수식형 , 뒤에 붙는 색이름을 기준 색이름이라고

부른다 . 색이름 수식형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

표 8-3 수식 형용사와 대응 영어

Page 17: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유채색의 기본 색이름

표 8-4 색이름 수식형별 기준 색이름

첫째 , 기본 색이름이 수식형이 되는 것

둘째 , 색이름을 포함한 단음절 색이름 형

셋째 , 수식형이 없는 두음절의 색이름에 ‘빛’을 붙인 수식형

즉 빨간 주황 , 노란 초록 , 파란 보라 , 초록빛 갈색 , 보랏빛 하양 , 분홍빛 회색 ,

갈검정 , 검은 남색 , 검은 갈색 등 60 개의 조합 색이름 표현이 가능하다 .

Page 18: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기본 색이름과 조합색의 수식어

표 8-6 의 무채색에 관한 수식어는 기본색인 하양 ( 백 ), 회색 ( 회 ),

검정 ( 흑 ) 에 하양과 회색의 중간 단계에 밝은 회색을 그리고 회색과

검정의 중간 단계에 어두운 회색을 포함한다 . 색채의 유채색과 무채색의

수식어를 개념도로 표기하면 그림 8-3 의 기본 10 색상환으로 설명될 수

있다 .

Page 19: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기본 색이름과 조합색의 수식어

색상을 나타내는 기본색 이름 , 톤의 수식어 , 그리고 무채색 수식어를 모두

조합하여 나타내는 것이 계통 색이름이다 .

따라서 계통색을 사용하는 장점은 적은 수의 단어로 많은 색을 표현하는

것이며 , 개략의 색채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

반면 계통 색이름은 언어를 통하여 전달하기는 쉬우나 톤 내부에서도 범위가

넓어 정확성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 또한 더욱 개략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밝은 , 어두운 ( 무채색 ), 연한 , 회 , 어두운 , 기본 색이름 ( 유채색 )

등으로 더욱 축약할 수 있다 .

그림 8-4 는 계통색 수식어로 구성된 명도 , 채도 , 색상의 톤을 보여준다 .

Page 20: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기본 색이름과 조합색의 수식어

표 8-5 유채색의 수식 형용사

표 8-6 무채색의 수식 형용사

Page 21: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의 3 속성과 KS 계통 색이름의 관계

Page 22: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의 3 속성과 KS 계통 색이름의 관계

Page 23: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의 3 속성과 KS 계통 색이름의 관계

Page 24: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의 3 속성과 KS 계통 색이름의 관계

Page 25: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의 3 속성과 KS 계통 색이름의 관계

Page 26: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관용색이름

동식물의 명칭 , 물질의 명칭 , 고유 명사 등 관용 색이름이 다른 명칭과

혼동되기 쉬울 때에는 ‘색’을 붙여 읽는 것이 바람직하며 , 다른 명칭과

혼동될 우려가 없을 때는 ‘색’을 생략해도 된다 . 필요한 경우에는 색상에

관한 수식어를 사용하여도 된다 .

개정 전의 관용 색이름은 153 개였으나 현재는 135 개로 정리되었다 .

그 기준은 우리말 색이름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색이름 , 계통 색이름

형식을 취한 색이름 , 색이름이 길어서 사용하기 불편한 색이름은

배제하고 외국어 색이름의 경우 더 친근감 있는 우리말 색이름으로

대체하였다 .

현재 한국산업규격에 있는 관용 색이름과 그외의 필요한 색이름을

소개한다 . 관용색이름은 대략 다섯가지로 구별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

Page 27: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관용색이름

1. 기본색과 관계된 색이름

앞에서 설명한 한국산업표준상의 기본 색이름 10 색이 여기에 해당한다 .

즉 빨강 , 주황 , 노랑 , 연두 , 초록 , 청록 , 파랑 , 남색 , 보라 ,

자주이다 . 이들의 한자어는 적 ( 赤 ), 등 ( 燈 ), 황 ( 黃 ), 연두 ( 軟

豆 ), 녹 ( 綠 ), 초록 ( 靑綠 ), 청 ( 靑 ), 남 ( 藍 ), 자 ( 紫 ), 자주

( 紫朱 ) 로 표현된다 .

Page 28: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관용색이름

2. 식물의 이름이나 열매에서 오는 이름

관용 색이름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 , 특히 열매와 관계된 색이름이 많다 .

그러나 식물을 원료로 한 도료의 색은 원료의 색이름 분류에 속한다 .

기억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식물의 이름을 이용한 색이름은 오렌지색 ,

살구색 , 팥색 , 올드로즈색 , 라벤더색 등이 있다 .

Page 29: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관용색이름

3. 동물의 이름이나 가죽 ( 살 ) 에서 유래한 이름

베이지색 (beige), 갈색 ( 원래는 가죽을 의미했으나 후에 무명재질로

바뀜 - 갈근야복 ), 살몬핑크색 , 쥐색 , 피콕그린 등이 있다 .

Page 30: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관용색이름

4. 광물이나 원료에서 유래한 이름

세피아 , 철사색 , 에메랄드그린 , 코발트블루 , 황토색 등이 있다 .

Page 31: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관용색이름

5. 지명이나 인명에서 유래한 이름

지역 특유의 경관이나 자연 조건 , 지역색이나 풍토색이 발전된 경우 ,

지역 특유의 산물이 발전된 경우에 해당하는 색이름이다 . 프러시안블루 ,

페르시안블루 , 프렌치그레이 , 하바나 , 보르도 등이 있다 .

Page 32: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한국산업표준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한국산업표준에서 색이름은 2005 년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 ( 사 )

한국색채학회 ,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와의 공동 개발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개정되었다 .

여기에 표기된 인쇄색과 sRGB, L*a*b* 색좌표는 2009 년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주 ) 문은배색채디자인 ,

홍익대학교가 공동으로 개발한 공공 디자인 색채 가이드라인을 따른

것이다 .

Page 33: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한국산업표준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Page 34: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한국산업표준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Page 35: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한국산업표준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Page 36: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한국산업표준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Page 37: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한국산업표준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Page 38: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빛의 색이름

빛의 색은 광원의 색을 측정하기 위한 것보다는 환경의 설정이나 인테리어

또는 외부의 인공조명을 설계하고 관리하기 위한 전달 수단이다 .

즉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색온도와 상관색온도를 참고하여 사용해야 하며 ,

이 단원에서는 광원의 색이름을 전달 체계로서 서술한다 . 광원의 색일므은

물체색의 이름과 유사해도 ‘빛의 색’인 만큼 인간의 눈에 다르게 보일 수 있

다 . 따라서 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경우 반드시 물체색과 광원색을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

여기에서는 한국산업표준의 KS A 0012 의 광원의 색이름에 관한 용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 광원의 색이름은 물체색과 마찬가지로 표 8-7 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Page 39: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빛의 색이름

표 8-7 광원의 기본 색이름

Page 40: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광원의 기본 색이름

기본 색이름은 물체색과 다르게 12 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무채색의

색이름 중 회색과 검정이 없다 . 그러나 기준이 되는 하양이 있으며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분홍이 기본 색이름으로 추가된다 .

Page 41: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광원의 기본 색이름

표 8-8 광원의 기본 색이름에 사용하는 수식어

Page 42: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광원의 계통 색이름

계통 색이름은 빛의 색을 세분화할 때 사용하며 , 하양은 색상의 수식어가

있으나 그 외의 색은 색상의 수식어가 없다 . 또한 유채색광 ( 색상이

인식되는 빛 ) 에 대해서는 연한 , 선명한 두 개의 톤으로 서술한다 .

빛은 원래 밝고 , 백색 지향이므로 선명한 색과 연한 색 이외의 ‘회 ,

어두운’등의 수식어는 사용할 수 없다 . 광원이 물체색과 다른 점은 완전히

밝은 상태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상태가 불안정한 색은 정식 명칭으로

서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또한 빛의 색이름에는 ‘색채’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Page 43: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광원의 관용 색이름

기본 색이름과 계통 색이름을 사용하여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 , 또는 전달을 위해 필요할 경우

사용하거나 언어에서 오는 이미지를 연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관용색이다 . 물체색과 색이름의 구조가

다르므로 정확하게 사용해야 하며 , 전구나 형광등

등의 상용 광원 포장에도 표기되어 있다 .

표 8-7 광원의 관용 색이름

Page 44: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

(ISCC-NBS)

- 색상의 구성- 톤구성- 색상의 수식-ISCC-NBS 계통색

Page 45: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

전미국색채협의회 (ISCC, Inter Society Color Council) 와

전미국가표준국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이 공동으로

검토한 색이름으로서 1932 년부터 검토되어 1939 년에 ❲ ISCC-NBS

Designating Color❳ 로 발표되었다 .

나중에 각 분야의 의견을 수렴하여 1955 년에 공표된 것이 ❲ The

ISCC-NBS Method of Designating Color and a Dictionary of Color

Names❳ 이다 . 이 색이름법에서는 기본 색이름에 각 형용사를 붙여

267 개의 색이름 범위로 표현한다 .

Page 46: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상의 구성

색상의 수는 기본적으로 10 개를 기준으로 한다 . 한국산업표준과 다른

점은 기본 10 색상에 올리브가 색상으로 포함된 것이다 .

그리고 인간의 느낌을 중심으로 설계하여 육안검사에서 색채 식별력이

강한 빨강 ~ 연두까지의 색상이 세분화되어 있다 . 무채색은 세가지로

구별되어 있다 . 따라서 기본색의 수는 13 개가 된다 .표 8-10 ISCC 기본 색상의 기호

표 8-11 ISCC 기본 무채색의 기호

Page 47: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톤구성

ISCC-NBS 의 톤은 모두 20 개가 있다 . 이 20

개에서 light 와 dark 만 무채색을 수식할 수

있다 .

물론 light 와 dark 는 유채색에도 해당한다 .

회색을 5 단계로 나눌 때는 이 외에 medium 을

추가하여 5 단계의 무채색을 만들 수 있다 .

( 표 8-12 참조 )

표 8-12 ISCC-NBS 톤의 수식어 기호

Page 48: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색상의 수식

색상은 기본적으로 모두 10 개이다 . 그러나

색상을 수식하여 세부적인 색상으로 나눌 수 있다 .

모두 일곱 개의 -ish 형용사와 단독 색이름인

violet 이 추가된다 . 그러나 -ish 혀용사 중

pinkish 와 brownish 는 톤을 서술하며 색상

용어로 취급하지는 않는다 .

ISCC-NBS 계통색의 전체 색상은 기본 색상 외에

수식어를 사용하여 16 개의 색상이 추가된다 .

그러나 이 색이름은 모든 톤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 톤에 국한되어 사용된다 . 따라서 기본

색이름과 위계가 다르다 . ( 표 8-13 참조 )

표 8-13 ISCC-NBS 2 차 색상 기호

Page 49: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ISCC-NBS 계통색

ISCC 는 매년 색채 표준에 관한 세미나와 색채 관련 기술 발표회를 갖는

색채전문가의 모임이다 . NBS 는 국립표준국이며 미국 메릴랜드의 게이더스

버그에 있는 정부 산하 기관으로 주로 색채 표준과 측정에 관한 연구를 한다 . 두

개의 협회와 기관은 1932 년부터 1939 년까지 최초로 색이름에 관하여 1

차선정을 하였으며 , 1 차 연구 결과가 1955 년 ISCC-NBS 색채표준표기법과

색이름을 발표하였다 .

Page 50: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ISCC-NBS 계통색

ISCC 와 NBS 는 색채의 전달과 사용상 편의를 목적으로 색이름에 관한

표준을 계통색 분류법으로 모든 물체색의 색채를 267 개로 분류하고

관용색을 정하였다 . 267 개의 각 계통색에는 영역의 중심이 되는 좌표가

ISCC-NBS centroids 로 표기되어 대표색 역할을 한다 .

이 때 발표된 계통색 분류 체계는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의 언어적 색채

표준 정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이후 1955 년부터 1976 년까지의

연구 결과로 디지털 부분과 색채 처방이 추가되었다 . 또한 M( 일반적

분류 ), P( 인테리어 컬러 ), SC( 토양색 ) 등 14 개 기능적인 분류가

추가되었다 . 현재 ISCC-NBS 에서 ISCC-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Page 51: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ISCC-NBS 계통색

Page 52: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ISCC-NBS 계통색

Page 53: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ISCC-NBS 계통색

Page 54: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ISCC-NBS 계통색

Page 55: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색이름의 이해 색명법 ISCC-NBSISCC-NBS 계통색

Page 56: 색채학/색이름의이해.색명법.ISCC-NBS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