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16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Swiss Style History of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Helvetica (1957) Univers (1957) Max Bill (1908-1994) Theo Ballmer (1902-1965) Armin Hofmann (1920-2005) Josef Mueller Brockmann (1914-1996) Emil Ruder (1914-1970) Carlo L. Vivarelli (1919-1986)

description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Swiss style, 1950년대 스위스스타일, Copyrightⓒ2013 by Kwanwoo, Kim All rights reserved. This book was produced and published in 2013 by Kwanwoo, Kim 제작물에 대한 모든 저작권은 김관우에게 있습니다.

Transcript of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Page 1: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INTERNATIONALTYPOGRAPHICSTYLESwiss Style

History of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Helvetica(1957)

Univers(1957)

Max Bill(1908-1994)

Theo Ballmer(1902-1965)

Armin Hofmann(1920-2005)

Josef Mueller Brockmann(1914-1996)

Emil Ruder(1914-1970)

Carlo L. Vivarelli(1919-1986)

Page 2: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Swiss Style

History of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INTERNATIONALTYPOGRAPHICSTYLE

첫인쇄 2013년 12월 9일

발행처 명지대학교 Visual Design

발행인 김관우

디자인 김관우

전화 010.3356.9731

이메일 [email protected]

페이스북 www.facebook.com/apprlll

Copyrightⓒ2013 by Kwanwoo, Kim

All rights reserved.

This book was produced and published in

2013 by Kwanwoo, Kim

Page 3: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Swiss Style

INTERNATIONALTYPOGRAPHICSTYLE

Page 4: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사진의 탄생과 함께 근대미술의 시대가 열렸다. 사진으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긴 했지만 사진이 할 수 없는 방법론과 미술적 가치를 찾고자 했

던 근대 예술가들은 ‘추상성’을 찾게된다. 추상성을 추구하는 방법에는 두가지 길이 있었다. 하나는 딱딱한 추상으로서의 이것을

History of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01HISTORY

이라고 불렀다. 또 하나는 말랑말랑한 추상으로서 이것을 ‘초현실적 추상’이라고 불렀다. 구성주의적 추상은 구체주의

미술의 산물로서 대단히 수학적이다. 수학적 도형은 누구나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였고 따라서 이것은 많은 작가들의 커뮤니케이

션 도구가 되었다. 반대로 초현실적 추상은 매우 직관적이고 감성적이어서 작가의 개성이 뚜렸했다. 산업화의 효율성에 매료되었고 또한

순응해야 했던 디자인은 당연히 구성주의적 추상의 길을 택했고 기계문명에 대한 반발심과 현실 도피적인 성향이 강하고 자유로운 사고

를 추구했던 문학가와 화가들은 초현실의 길을 갔다. 독일과 러시아가 세계대전과 정치적 혼돈 상태에 있을 때 구성주의 추상가들과 초

현실 추상가들이 안심하고 새로움을 선언할 수 있었던 곳이 스위스 였다. 특히 스위스 중에서도 유럽에서 가장 진보 성향이 강했던 독일

에 근접한 도시인 취리히와 바젤은 모더니스트들의 아지트가 되었고 따라서 이 도시들은 근대 및 현대 그래픽 디자인의 발원지가 된다.

‘구성주의적 추상 ’

Page 5: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으로도 불리며, 데스틸과 구성주의, 바우하우스, 그리고 뉴 타이포그래

피로부터 발전했으며 실제적으로 ‘취리히’와 ‘바젤’이라는 두 학교

로 부터 전파되었다. 교역과 상호 교류의 증가에 따라 2차대전 이후 고조

된 국제주의 정신은 언어장벽을 넘기 위한 다언어적 체제와 명료한 커뮤

니케이션, 세계인이 이해 가능한 픽토그램 등을 요구했으며, 스위스 양식은

1950년대 스위스에서 나

타난 국제적인 디자인 양

식(International Typo-

graphic Style)으로 스위

스양식(Swiss Design)

시스템으로 확보된 논리

정연한 질서감으로 정

보에 신뢰성, 객관성을

더해주어 이러한 요구를

매우 충족 시켜주었다.

Page 6: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UniversAdrian Frutiger, 1957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1234567890타이포그래피에서 ‘컬러’라 할 때 에는

빨강, 노랑 등의 색깔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활자의 크기와 굵기, 자간과 행

간 등을 통해 얻어지는 다양한 회색 명

도의 단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컬러 구사

는 서체의 형태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획

의 굵기와 글자의 폭, 기울기를 변화

서체를 유니버스 55로 하면서 십의 자

릿수는 획의 굵기에 따라, 일의 자릿수

는 활자의 폭과 높이의 비례에 따라 숫

자를 주었다. 또 홀수를 기본 활자로

할 때 짝수를 그 활자의 이탤릭으로 했

다. 말하자면 레귤러가 55, 레귤러 이

탤릭은 56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시켜 얻을 수 있는 형제 서체들, 즉 커다

란 활자 패밀리를 이용한다면 풍부할 것

이다. 서구 서체 디자인의 역사에서 최초

의 ‘체계적 거대 활자 패밀리’ 하면 떠

오르는 서체가 바로 유니버스다. 유니버

스의 혁신적인 점은 우선 활자 패밀리에

부여된 체계적 숫자 코딩 시스템이다.

21개의 폰트로 구성된 유니버스 팔레

트가 등장했다. 이는 사진식자용 폰트

로 출시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당

시까지만 해도 활자는 기계조판용 금속

활자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에는 많은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따

라서 하나의 서체가 출시될 때엔 업계의

유니버스의 디자이너인 아드리안 프루

티거(Adrian Frutiger)는 서로 다른 활

자의 굵기, 폭, 이탤릭에 각기 숫자를 부

여했는데 그 기준을 일반적 그리드의 중

심인 5로 삼았다. 활자의 굵기와 폭을 동

시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두 자리 숫자

가 요했고 따라서 기준이 되는 텍스트용

반응을 우선 보기 위해 레귤러, 이탤릭,

세미 볼드의 세 개 폰트 정도를 제작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이 숫자 코딩 시스템

은 그 후에 등장하는 프루티거(Fruti-

ger), 헬베티카(Helvetica) 등 다른

산세리프 서체가 큰 패밀리를 구성할

때 채택하는 표준 시스템이 되었다.

02 FONTS

Page 7: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HelveticaMax Miedinger, 1957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1234567890

헬베티카는 그 이름에서부터 스위스 냄새를 강하게 풍긴다. 스위스 민족의 조상은 켈

트족의 한 갈래인 ‘헬베티아(Helvetia)’족이며 스위스의 옛 이름은‘헬베티아’였다. 헬

베티카는 스위스 모더니즘과 동일시되는 서체다. 스위스 모던 타이포그래피 양식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꽃 피웠으나 그 형태와 정신의 씨앗은 1920, 30년대의 신 타

이포그래피에서 찾을 수 있다. 헬베티카는 그 이름에서부터 스위스 냄새를 강하게 풍

긴다. 스위스 민족의 조상은 켈트족의 한 갈래인‘헬베티아(Helvetia)’족이며 스위스의

옛 이름은‘헬베티아’였다. 헬베티카는 스위스 모더니즘과 동일시되는 서체다.

스위스 모던 타이포그래피 양식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꽃 피웠으나 그 형태와 정

신의 씨앗은 1920, 30년대의 신 타이포그래피에서 찾을 수 있다. 1950, 60년대 스

위스 모던 타이포그래피 양식은 디자이너의 주관적 해석이나 시각적 스타일보다 내

용의 객관적이고 명쾌한 전달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한 형태적 방법론을 제시

하여 설득력을 더했다. 사진, 그림, 텍스트, 캡션 등 서로 관계를 가지는 다양한 시각

전달 요소들에 유기적 통일성과 질서를 부여하는 그리드 시스템과 그 자체가 객관

적이 고 중립적인 산세리프 형태이면서 그리드의 수평, 수직선과 잘 맞물리는 서체

헬베티카는 스위스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전도사가 되어 전 세계에 확산되었다. 헬

베티카는 특히 1960, 70년대에 붐을 이루었던 다국적 대기업들의 시각적 아이덴

티티 구축에 대거 사용되었다. 헬베티카의 형태는 산세리프의 현대적 이미지, 안정

감, 정확함, 신뢰로 연결되는 이미지로 인해 뉴욕, 도쿄 등 대도시의 지하철 사인부터

루프트한자, 아메리칸 에어라인 등 항공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디자

인의 대상과 영역의 구분 없이 폭 넓게 사용되었다. 기업과 공공영역 또 개인들의 영

역에서 수십 년간 공기와 같이 존재했던 헬베티카는 출시 50주년이 되던 2007년,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최초의 영화 [헬베티카]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Page 8: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max bil

l19

08-1

994

아티

스트

, 건축

가, 작

가, 교

1924~27년

취리

히 미

술 공

예학

교에

서 은

공예

공부

. 1927~2

9년 바

하우

스에

서 수

학했

다. 1

929년부

터 취

리히

의 아

트와

디자

인의

많은

야에

서 프

리랜

서로

일했

다. 1

930년 스

위스

공작

연맹

에 가

입. 1

936년

밀라

노 트

리엔

날레

의 스

위스

관 디

자인

(금메

달).

바우

하우

스 아

티스

들뿐

아니

라 한

스아

르프

, 막스

에른

스트

, 마르

셀 뒤

상, 피

에트

몬드

안 그

리고

앙리

반드

벨드

를 포

함하

는 2

0세기

예술

의 중

요한

인물

과 친

분이

있었

다. 1

937년

현대

스위

스 미

술인

협회

인 알

리안

츠에

가입

.

1946년 ‘구

체미

술’ 전

시회

조직

. 1948년

‘굿디

자인

’ 전시

회.

1951년

밀라

노 트

리엔

날레

의 스

위스

관 디

자인

. 사오

파울

로 비

엔날

레에

서 조

각으

로 대

상. 1

951~56년

건축

가로

일했

으며

, 올름

조형

대학

초대

장을

역임

했다

. 1956년

알려

지지

않은

정치

범을

위한

기념

비 경

연대

회에

서 3

등. 1

956년 독

일 공

작연

맹에

가입

했다

. 1959년

스위

스 건

가 협

회에

가입

했다

. 노이

하우

젠에

있는

시네

복스

극장

을 설

계했

다.

03 DESIGNER

Page 9: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테오발머는 1902년 9월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이후, 1920년 그는 바젤 재판 인쇄소에서 조

수로 일했다. 1926년 - 1929년에 그는 제약 회사 호프

만 라로슈에서 책임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했다. 1928 년

에 Bahaus에 등록. Bahaus는 1930 년에 폐쇄 후, 그는

스위스 로 돌아왔다. 그는 많은 정치 포스터를 디자인하였

다. 강력한 레터링을 실루엣이 보여주는 단순한 이미지만

을 사용한 전시회와 정치 포스터로 명성을 날렸다. 또한

새로운 사진의 개척자 이기도 하다. 1931년부터 1965

년까지 바젤 응용 미술학교에서 사진과 디자인을 가르

쳤다. 그는 62 세의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돌아가셨다.

1902 -- 1965

basel.Theo ballmer

테오 발머그래픽 디자이너, 작가, 교수

Page 10: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그래픽 디자이너, 타이포그래퍼, 교육자, 저자

“Typography has one plain duty before it and that is to convey information in writing. No argument or consideration can absolve typography from this duty.”

에밀 루더

1914-1970

1929년부터 1933년까지 바젤에서 식

자공 교육을 받았다. 파리에서 1938년

에서 1939년까지 공부 했다. 1941년

부터 1942년가지는 취리히 미술공예학

교에서 인쇄학 공부를, 1942년부터 바

젤 응용미술학교에서 여러 과정의 타이

포그래피 수업을 가르쳤다. 1965년부터

미술학교와 미술박물관에서 학과장과

디렉터를 지냈다. 그의 중요한 교과서

[Typographie]는 1967년에 발행했다.

에밀루더는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기

초를 마련한 가장 중요한 타이포그래퍼

중 한 명이다. 구조적이며 논리정연한 기

초위에 다양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의 이론을 정리하였고 오

늘날까지도 타이포그라피와 디자인의

원리와 교육의 방법을 가장 효과적으

로 제시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타이

포그라피Typography]를 통해 활자만

을 이용해 2차원적인 종이 위에 3차원

적인 원근감을 구현하는 등 유니버스를

이용한 여러가지 타이포그래피 실험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에밀루더의 작업은

명칭성과 창의성과 정확성 이란 단어가

적합하다. 또한 칼라도 배제되어 있고

그 어떠한 그래픽적 이미지도 들어가도

충분한 전달력과 힘, 그리고 미적인 공

간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age 11: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Critical thinking comes as a result of critical seeing”

“There should be no separation between spon-taneous work with an emotional tone and work directed by the intellect. Both are supplementary to each other and must be regarded as intimately connected. Discipline and freedom are thus to be seen as elements of equal weight, each partaking of the other.”

아르민 호프만 바젤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

친 아르민 호프만(Armin Hofmann,

1920~2005)은 스위스 디자인 철학을

충실하게 실천한 디자이너다. 그는 취리

히에서 공부를 마치고 1947년에 바젤

에서 아내인 도로시(Dorothe)와 함께

디자인 스튜디오를 열었다. 동시에 바젤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

작했다. 그가 전후 스위스 디자인에 공

헌한 점은 기하학적이고 합리적인 기

본에 바탕을 둔 그래픽 언어를 개발한

것이다. 호프만은 미적 가치에 대한

풍부한 감성과 형태에 대한 섬세한 이

해를 바탕으로 교육과 디자인 실무에

스위스 디자인을 철저하게 적용시켜 나

갔다. 그는 포스터와 광고, 로고 디자인

과 환경 디자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영역

에서 활동하였다. 그의 디자인의 특징

은 디자인 요소간의 대비에 있다. 밝음

과 어두움, 곡선과 직선, 움직임과 정

지 등 주어진 디자인 요소들은 대비와

조화를 통해 높은 가치를 지닌다고 여

겼다. 잘 알려진 그의 작품인 <지젤(Gi-

selle)>의 포스터에서 유기적이고 동적

인 사진 이미지가 기하학적인 악치텐

츠체 글자와 강한 대비를 이루고 있음

을 볼 수 있다. 교육자로서 호프만은 스

위스 디자인을 미국에 전파하는 역할을

성실하게 해냈다. 1950년대에 필라델

피아와 예일 대학에서 강의하였고 미국

학생들이 바젤로 그의 강의를 들으러

유학을 오기도 했다. 또한 레터링 전문

가인 그의 강의와 시범 덕분에 수백 개

의 훌륭한 트레이드마크와 로고타입이

스위스에 등장하게 되었다. 1965년에

호프만은 디자인의 기초 원리를 적용시

키는 방법들을 소개한 그래픽 디자인 입

문서(Graphic Design Manual)를 출

간하였다. 이 책은 중요한 교재로서 이

후 수십 년 동안 디자인 교육에 크게 기

여 했다.

그래픽 디자이너, 교수

Armin

1920-2005

Hofmann

Page 12: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조셉 뮐러 브로크만

2차 세계대전 후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보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은 스위

스의 모더니즘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위

스 디자인, 즉 국제 타이포그래피 스타일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이라

부르는 이 운동은 그리드 시스템을 앞세

워 세계 어디서나 통용될 수 있는 규칙과

프체만을 사용하였다. 1957년에 나온 헬

베티카(Hevetica)는 스위스 스타일을 대표

하는 공식 서체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관심

의 핵심은 단지 스타일에 관한 것이 아

니었다. 디자이너의 정신과 태도에 대한

것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그리드 시스템

이 조직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디자이너

부르크, 카를로 비바렐리, 리하르트. P.

로제와 함께 <노이에 그라피크(Neue

Grafik)>지를 발행하고 스위스 모더니즘

작가들의 작품을 국제 사회에 소개하였

다. 이로써 스위스 디자인의 영향력을 보

다 국제적으로 펼치는 계기가 되었다. 뮐

러-브로크만과 그의 동료들은 산세리

포스터 시리즈는 그리드를 골격으로 음

악을 연상시키는 추상적 모티브를 표현

해 냈다. 도로 안전 포스터 시리즈 등 공

공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사진 포스터는

구성과 힘을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이

미지를 하나의 객관적인 상징으로 형상

화 하였다. 그는 1958년부터 한스 노이

질서를 부여하였다. 이 양식의 주도적인

이론가이자 실천가인 요셉 뮐러-브로크

만은 그리드를 이용해 객관적이고 기능

적인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그의 신념은

작품을 통해 시각적 강렬함과 수학적 정

교함으로 구체화 된다. 1950년대 초 취

리히 연주회장을 위한 <무지카 비바>

의 정신 자세를 나타내기에 적절한 도구

라고 확신했던 것이다. 뮐러-브로크만은

디자인과 저술 그리고 교육을 통해 스위

스 디자인을 전 세계로 전파하였다. 그는

이 국가적인 운동이 국경을 넘어 디자

인 규범이 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

로 평가된다.

“Reduction of content can make all the difference in the outcome of a design.”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전시 디자이너, 교육자

1914-1996

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

Page 13: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카를로 비바렐리

카를로 비바렐리는 1919년 스위스 취

리히에서 태어났다. 취리히의 그래픽

스튜디오에서 견습 생활을 마친 후 폴

콜린과 함게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간

다. 이후 1946년부터 1947년까지 이

탈리아 밀라노에서 Boggeri스튜디오

의 예술감독이 되었다. 1947년 취리

히로 돌아온 비바렐리는 자신의 스튜

디오를 열고 취리히 주 무역.농업 전

시회 일을 했다. 1940년대 말에는 비

바렐리를 중심으로 한 취리히의 디자

이너들이 새로운 운동을 전개하기 시

작했다. 1958년 요셉 뮐러 브로크만

을 포함한 스위스 디자이너 3명과 함

께 잡지[뉴 그래픽 디자인]을 공동 발

행하게 된다. 1962년 Electrolux의

새 로고 디자인 선발 공모전에서 당선

된다. 새로운 로고는 현재까지도 전 세

계 150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

한 스위스 테레비전 로고를 비롯하여

여러 디자인 공모전에서 입상 하였다.

1960년대 말년에 그는 구체주의 화가

이자 조각가로써 건축 예술과 조각에 집

중하게 됐다. 1986년 취리히에서 사망

했다. 그래픽 디자이너로써 그의 작품은

바우하우스 & 구성주의의 유물에서 영

감을 받은 스위스 스타일의 순수한 예시

이다. 기하학적 규칙 및 색상 이론을 바

탕으로 자신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고 있

으며 조각가로써는 그래픽 디자인과 같

은 규칙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3차원으

로 양도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카를

로 비바렐리는 다작을 하는 디자이너는

아니었으나, 그의 품위 있는 작품과 명

확한 디자인은 그를 가장 선도적인 스위

스 모더니스트 중 하나로 끌어올렸다.

비바렐리는 엄겸한 형식주의자였다. 그

는 뮐러 브로크만에게 타이포그래피의

기본을 가르쳐주었고 기하학적 요소들

을 주관적으로 쓰지않도록 도왔다. 이는

그가 단어와 선들의 역동적인 조직을

사용해 유동적이고 투명한 타이포그

래피를 만드는데 기여했다. 자선 행사를

위한 연례 공모전에 당선된 그의 포스터

는 스위스 스타일을 형성하는데 큰 공헌

을 했다. 타이트한 간격의 악치덴츠 그

로테스크 볼드체와 평평하고 끊임없는

배경이 조명을 받은 사진과 잘 병치되

어 있고, 사진은 크로핑되어 있어 3차

원의 깊이감은 잘 느껴지지 않았다. 1919-1986

그래픽 디자이너, 작가

Page 14: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Max bill Theo ballmer Emil ruder

Carlo viviarelliJosef-mueller brockmann

Armin hofmann

1945‘USA baut’ poster for USA bauhouse Builds exhibition Diamond-shaped photographs are placed within a strict grid system

1928‘Buro’ poster for buro exhibition

Applied DeStijl principles to graphic design

Used an organized grid to construct visual forms

1928‘Norm’ poster

1958‘Die gute form’ poster for the exhibition die gute form

Die gute Form translates to‘good form’

1959‘das Kinderbilderbuch’ poster

1954‘FORME NUOVE IN ITALIA’ poster

1955‘Beethoven’ poster for the Tonhalle.

1959‘Giselle’ poster for the Basel theater production of Giselle

Organic, kinetic, and soft photographic image contrasts intensely with geometric, static, and hardedged typographic shapes

1953‘das neue schul haus’ poster for The new school house advertisement

1959‘Olma cow’ poster

“It is possible to develop art largely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thinking.”

Page 15: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QR코드를 스캔 하신후,

모바일로 본 책자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Page 16: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