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6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QI코디네이터 역할의 이해 적정진료관리부 곽미정

Transcript of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Page 1: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QI코디네이터 역할의 이해

적정진료관리부 곽미정

Page 2: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목 차

의료 질이란?

질향상활동의 필요성

질향상활동 조직 체계

질향상활동과 리더십

질향상활동을 위한 구성원

QI코디네이터란?

QI코디네이터 업무

QI코디네이터 활동

질향상활동 자원 지원

환자안전관리체계 및 사고발생 시 보고체계

질향상활동의 통합적 관리

질향상활동 사례

Page 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의료 질이란 무엇인가?

뭐니뭐니해도 병을 낫게 해주는 병원

병원에서 기다리지 않고 바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편안하고 아늑한 공간이

갖춰진 병원

환자에게 무조건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병원

질병을 잘 고치는 병원 … 의료진이 친절하게 진료하는 병원 … 좋은 시설과 큰 규모를 가진 병원 …

효율성(Efficient)

효과성(Effective)

안전성(Safe)

Quality From. IOM

(Institute of Medicine)

형평성(Equitable)

적시성(Timely)

환자중심성 (Patient-centered)

Page 4: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의 필요성

병원 간 경쟁 심화

의료기관평가 및 인증제도

병원 간 비교평가지표

의료질평가지원금 확보

소비자의 관심과 권리 증가

의료분쟁의 증가

해외환자 유치 …

Page 5: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조직 체계

질향상위원회

다학 제 위 원 회

진 료 부 서

진 료 지 원 부 서

행 정 지 원 부 서

구성 : 병원장, 진료부원장, 연구부원장, 기획실장, 교육수련부장, 적정진료관리부장, 경영관리실장, 간호부장

구성 : 진료부 대표(내과계, 외과계 등), 간호부, 약제팀, 의료정보팀, 진단검사의학과, 영상의학과, 병리과, 핵의학과, 시설팀, 총무팀, 영양팀, 관리팀, 안전관리자, 감염관리실, QI팀 등

• 정책 승인, 조정 • 질향상 및 안전활동 감독 • 사건/사고 발생시 실무팀 구성 • 질향상 및 안전활동 지원

• 질향상 및 환자안전 정책 검토 • 부서간 정책 조정 • 활동 및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피드백 • 사건/사고 발생시 실무팀 지원 • 질향상 및 환자안전 교육

적정진료관리부(QI팀)

• 부서 및 위원회별 질향상 및 환자안전 활동 정책 수립, 승인 • 부서별 원인분석 및 개선활동 • 질향상 및 안전활동 모니터링 및 결과 보고 • 사건/사고 발생시 상부에 보고 • 부서별 질향상 및 환자안전 회의 진행

진료지원 및 행정지원부서장 : 질향상활동 책임자, 안전관리책임자 다학제위원회 : 구급소생위원회, 방사선안전관리위원회, 의료기기임상시험위원회, 시설물위험관리위원회, 마취진정위원회, 감염대책위원회, 항암제관리위원회, 약물이상반응모니터링위원회, peer review committee 등

환자안전위원회

질향상 및 환자안전위원회 (QPS위원회)

질향상관리 위원회

환자안전관리 위원회

질향상 및 환자안전관리위원회 (QPS관리위원회)

Page 6: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QPS위원회 조직체계

의무부총장

질향상 및 환자안전위원회 (QPS위원장 : 병원장)

질향상 및 환자안전관리위원회 (위원장 : 적정진료관리부장)

제위원회 Department & Services

QPS위원회 구성원 : 총 9명 병원장, 진료부원장, 연구부원장, 기획실장, 교육수련부장, 적정진료관리부장, 경영관리실장, 간호부장, 외부인사 1인

QI CP/CPG CI PS RM

적정진료관리부

Example

Page 7: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과 리더십

질향상활동 프로그램 승인

병원차원의 QI주제 및 우선순위지표 선정

프로그램의 질(Quality) 감독

예산 및 자원 지원

주기적인 보고

개선조치

효과적인 정보교환

‘의료의 질’주제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의료의 질’에 대한체계적인 보고를 받을수록

질적 수준이 높다.

강력한 리더십

권한위임

책임

Page 8: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1. 질향상 및 환자안전 프로그램의 계획 수립 및 이행

2. 질에 대한 기관의 의지에 대하여 지속적인 지원 수립 및 제공

3. 비전과 지원을 통해 병원의 질향상 문화 형성

4. 분기별로 질 보고서를 최고의사결정기구(의료원장)에 제출

5. 매 6개월마다 적신호사건 관련 내용 보고

6. 병원 전체 측정활동과 개선의 우선순위 선정

7. 위탁계약 서비스에 대한 책임(위탁기관에 대한 질관리)

8. 자원결정에 관한 리더십

(질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 파악 및 인적/기술적 자원 구매/사용과 관련된 결정)

9. 병원 전체적인 환자안전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질향상 및 환자안전 프로그램 중]

질향상활동 경영진의 역할 Example

Page 9: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관리위원회

QI팀

진료부

진료지원부

행정부

질향상활동을 위한 구성원

경영진 임상과장 의료진 부서장 QI활동담당자 전직원

책임과 의무 1. 질향상활동 프로그램 및 계획 수립 2. Q.I활동 주제 및 지표 선정 3. 지원(자원 제공) 4. 직원 교육 5. 질향상활동 수행 6. 질향상활동 평가 7. 효율적인 의사소통 8. 효과적인 보고체계 9. 정보공유

Page 10: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QI코디네이터란?

질향상전담자

Quality Improvement Coordinator

Quality Improvement Specialist

Healthcare Quality Professionals

Quality Management Professionals

Page 11: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QI코디네이터의 자격 권장요소

Page 12: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QI코디네이터의 업무

Planner & Operator

부서별 질향상활동 업무 및 행정지원 Administrator

질향상 직원교육 Instructor & Educator

임상질지표 선정 및 측정 Decision maker & Measurer

의료기관인증조사 및 분석 Review & Analyst

환자안전관리 및 개선활동 Safety Manager

지침서 및 CP 개발 및 적용 Writer & Developer

상담 및 고충처리 Counselor & Cooperator

정보생성 및 지원 Knowledge Creator & Informer

질향상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Page 1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QI코디네이터의 세부업무

1. 기본 업무

• 폭넓은 지식을 활용하여 의료의 질향상 프로그램 개발

• 질향상에 중점을 두고 환자중심의 서비스를 제고하며 팀웍을 촉진시키고 배움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 조성

• 질향상과 관련된 국가기관, 전담자 모임,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전문적인 지식과 역량 향상

2. 리더십 영역에서의 질향상 전담자

• 전문역량 강화 및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공식적 활동에 참여

• 조직 리더에게 성과관리, 질향상 훈련과 교육을 제공

• 조직의 프로세스와 결과 측정관리를 위한 명백한 질관련 목표 수립

• 환자진료나 보건의료 전달시스템의 향상에 초점을 맞춘 행정관리기술 확보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49-51p.

Page 14: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QI코디네이터의 세부업무

4. 전략적인 질관리 사업 영역에서의 질향상 전담자 • 질향상과 환자안전관리 사업을 지원하는 계획된 접근법을 개발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찾는다.

• 의료기관이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할 때 기준원칙으로서 질을 설정한다.

5. 인적자원 개발 및 관리 영역에서의 질향상 전담자 • 보건의료의 질관리와 관련된 성과를 올릴 수 있는 프로그램 지원 • 질향상 팀 활동이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도 관련된 직원을 보호한다. • 의료 질에 대한 원칙을 준수하는 사람을 지지한다.

3. 정보 및 분석 영역에서의 질향상 전담자 • 기본적인 통계과정, 자료분석, 보고서 작성과 컴퓨터 사용을 포함한 의료정보에 관한 기본적인 기술 확보

• 개인과 조직 차원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술 확보 • 환자의 정보를 보호하면서 보건의료 제공자, 연구자, 공공보건기관의 의료정보 수집에 대한 지원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49-51p.

Page 15: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QI코디네이터의 세부업무

7. 질향상활동 결과 영역에서의 질향상 전담자 • 긍정적 성과를 보인 질향상활동을 장려한다. • 직원들이 문제를 분석하고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적절하고 필요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문제를 해결할 때는 개인이나 사건보다는 문제의 근본원인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6. 질향상 프로세스 관리 영역에서의 질향상 전담자 • 환자의 요구가 기관의 프로세스, 진료, 서비스의 지속적인 향상과 개발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 질향상 기회를 명백히 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변화의 효과를 평가하는 변화 과정들이 효과적일 수 있도록 변화의 에이전트 역할

• 지속적인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 수 있는 훈련, 포상, 팀 접근방식, 환자만족을 통합한다.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49-51p.

Page 16: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1] 의료기관의 연간 질향상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평가

1. 매년 병원 전체 차원의 활동사업을 검토, 확정하고 의료기관평가(병원신임평가, 임상질지표, 표준진료지침, 부서별 질향상 활동 지원 및 사후관리, 환자안전체계 구축, 교육 등 연간 의료의 질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그 수행도를 모니터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사업을 기획하고 수행 평가한다.

2. 연간 질향상 사업은 질향상 위원회의 의결을 통해 확정되며 이를 기관장에게 보고한다.(기관에 따라서는 병원장이 당연직으로 질향상 위원장을 맡는다.) 여러 사업들 가운데 우선과제를 선택할 경우 문제의 크기, 해결가능성, 시급성 등을 유의하여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가. 당해년도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활동 평가 나. 내년 활동에 대한 활동 방향을 수립 다. 주요 활동에 대한 목표, 예산 등을 수립 라. 사업계획에 따른 세부일정 수립

QI코디네이터 활동(1)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58p.

Page 17: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프로그램 수립 Example

Page 18: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업무운영계획 Example

Page 19: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진료의 질 향상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평가 관련성

병원 미션 및 사업계획

내부집계 자료

재정 관련성

다빈도 발생

개선효과 및 성공가능성

QPS

Priority

병원차원의 QI 및 우선순위지표 선정기준 Example

Page 20: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주제 선정 Example

Page 21: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부서관리지표

1. 병원차원의 QI활동주제/우선순위지표 연계

2. 부서 특성에 따른 부서단위지표 3. 직원업무평가 지표 개발

지표관리 목록 Example

Page 22: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2] 의료기관 수준의 임상질지표 선정 및 측정

1. 의료 질향상 활동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개선활동을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조사분석이 이루어

져야 한다. 2. 효율적인 지표관리를 위하여 병원 전산과 연동하여 정기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부서와 함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결과를 공유한다. 3. 이러한 지표를 통한 원인분석은 시스템 문제규명의 열쇠가 될 수 있으며 질향상 및 업무흐름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질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4. 일련의 과정은 질향상 위원회에 보고해야 하며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선정한 질지표는 조사양식지나 매뉴얼을 작성하여 지표정의, 자료수집 방법 및 모니터링 간격 등 명확히 한다. 5. 활동을 증빙할 수 있도록 관련 회의록, 공문, 자료수지 자료, 자료분석 결과, 보고서 등을 정리한다.

QI코디네이터 활동(2)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58p.

Page 2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주제 및 지표 선정 Example

Page 24: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3] 질향상 교육에 관한 사항

1. 질향상 전담자는 성공적인 사업을 위해 의료의 질향상과 환자안전에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여 전 직원이 질향상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질

우선의 조직문화를 이끌어 나가도록 해야 한다. 2. 교육내용 질향상 활동의 개념, 도구 및 활동단계 등 질향상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하며 환자안전교육은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환자안전지침, 오류사례, 환자안전 보고체계, 환자안전문화 조성 등을 내용으로 교육한다. 3. 교육방법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강의 이외에 초청강연, 워크숍, 활동사례 발표회, 부서별 컨퍼런스, 실무자 실습교육, 사이버 교육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개발한다.

QI코디네이터 활동(3)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59p.

Page 25: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한국의료질향상학회 학술대회

한국 QI간호사회 학술대회

연수교육

소식지 발간

그룹웨어를 통한 공지

직원게시판 활용을 통한 직원과의 정보 공유

학회 및 학술지 발표

질향상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최신 경향을 파악하고

정책수립을 위한 기관 내 교육

전문가로서 학회 및 전담자 모임 활동 참여

업무수행 및 병원 평가 관련 외부 웍샵 참여

QI코디네이터 역량 개발 Example

Page 26: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교육 Example

Page 27: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실행 방법

[미국병원협회(1989) QI과정 9단계]

Find a process to improve (질 개선이 시급한 업무과정 선정하기)

Organize team that knows the process (업무과정을 잘 아는 사람들로 팀 구성하기)

Clarify current knowledge of the process and identify sources of variation (현재의 업무 과정에 대한 지식과 변이의 근원을 확인하기)

Understand causes of process variation (업무과정의 문제점/변이의 원인 파악)

Select the process improvement (파악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도출)

P P Plan : 활동계획

D D Do : 활동수행

C C Check : 결과검토 및 해석

A A Act : 계속적인 향상활동

F O C U S F O C U S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2010). 한국QI간호사회]

Example

Page 28: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4] 질향상 활동 개선활동 내용 심의, 결과분석, 평가, 환류

QI코디네이터 활동(4)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0p.

질향상활동 단계별 접근방법

: 효율적이며 적절하게 부서별 개선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내 의료 질 향상을 유도. 부서별/팀별 질향상활동은 매년 실무부서에서 스스로 개선과제를 설정하고 공모에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 각종 지원을 통해 개선활동이 성공하도록 도와야 함

Page 29: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운영 계획 수립 • 질향상팀은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팀 활동기간, 팀 주제공모, 교육시기, 경진대회 시기 등은 연간계획을 세울 때 부서별 활동에 필요한 예산과 함께 질향상위원회의 승인을 받는다.

• 팀구성은 다양한 분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합 팀 권장

Page 30: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부서별 질향상활동

(2) 부서별 질향상활동 주제 선정

• 병원차원의 질향상주제 및 우선순위지표 공유

• 부서별 질향상 주제신청 공모 : 게시판, 공문 발송, 부서장 회의 등

• 각종 인증기준 등 필수지표가 포함될 수 있도록 관리

• 중복되는 주제는 관련 부서와의 협의를 거쳐 조정

• 부서별 주제는 경영전략이나 우선순위지표, 평가지표, 환자안전관리, CP, 업무프로세스 등과 연계하여 선정

• 진료결과에 영향이 큰 것, 지속적이고 심각한 문제, 비용효과가 큰 것 등 고려하여 선정

• 주제가 너무 광범위하거나 포괄적이면 접근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내용 및 과제가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문제로 선정하도록 유도

• 신청부서나 팀이 많을 경우 타 부서의 QI주제를 설명할 수 있는 워크숍을개최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62p.

Page 31: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계획서 Example

Page 32: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지표정의서, 타당성검증 Example

Page 3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부서별 질향상활동

(3) 중간보고 및 모니터링 • 정해진 일정에 따라 활동보고서(회의록)을 제출받거나 활동팀과의 회의를 통해 활동진행 여부 점검

• 개선활동에 장애가 되는 사안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 • 질향상활동 기법이나 통계관련 어려움이 있는 경우 교육을 제공하고 필요한 자원을 지원한다.

• 부서간 이견으로 인한 경우 관련부서와의 회의를 개최하여 의견조율을 통한 업무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2p.

Page 34: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중간점검 : QI활동보고서/회의록 Example

Page 35: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부서별 질향상활동

(4) 최종 결과보고 • QI활동이 마무리되면 연말에 최종보고서를 제출받는다. • 최종보고서 내용은 QI전담자가 검토하여 보완한 후 질향상위원회의 예선심사를 거쳐 경진대회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

(5) 경진대회 개최 • 부서별 질향상활동 결과를 발표하는 QI경진대회는 매년 전직원이 공유하고 이에 따른 성과를 측정, 우수부서를 표창하여 장려하는 제도이다.

• 프로그램 구성 : QI활동 구연, 포스터, 초청강연, 타 병원 우수사례 발표 등 • 심사위원단 구성 : 병원 주요 보직자로 10명 내외가 적당함 • 발표 전에 심사기준표와 최종보고서를 배부하여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함 • 행사준비 : 구연발표, 포스터, 현수막, 공지, 기념품 등 • 리허설 • 경진대회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23p.

(6) 사후관리 •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관리 • 지속적 관리 주제는 CQI활동 또는 지표관리로 유지

Page 36: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보고 Example

Page 37: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경진대회 심사기준 Example

Page 38: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성과 보고(경진대회) Example

Page 39: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질향상활동 진행단계

1. 질향상활동 프로그램 및 계획 수립

2. 의료기관 차원의 질향상활동 주제 선정

3. 부서별 질향상활동 주제 선정

4. 교육 : 부서장, QI활동담당자

5. 질향상활동 계획서 작성

6. 질향상활동계획서 발표회 : 계획서 검토 및 피드백

7. 질향상활동 지원금 지급

8. 질향상활동 중간보고 및 모니터링

9. 최종보고서 취합

10.QI경진대회 : 우수부서 포상

11.사후관리 : 지속유지관리(CQI, 지표관리 등)

Page 40: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5] 질향상 활동 행정 지원 1. 주제에 따라 여러 부서의 팀원이 필요할 때는 적절한 부서의 실무자가 참

여할 수 있도록 팀을 구성하고 부서간 협의가 이루기 어려울 때는 관련 부서와 회의 개최하여 의견을 조율할 수 있도록 한다.

2. 개선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체계를 갖추도록 한다. 3. 복잡한 자료분석을 어려워 할 경우 교육을 제공한다. 4. 활동지원금, 회의비 지원, 우수부서 포상, 부서별 성과에 반영 등

[6] 환자안전관리

1. 질향상 전담자는 환자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 및 사고에 대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환자안전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고 개선 및 예방 전략을 수립, 실행하는 등 환자안전을 증진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2. 환자안전관리에서 우선해야 할 일은 환자안전체계(Patient Safety System)를 구축하는 일로 병원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받아 이를 토대로 병원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재발방지를 위한 개선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3. 환자안전교육, 워크숍 개최, 환자안전의 날 행사, 환자안전지침 개발 등

QI코디네이터 활동(6-7)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4p.

Page 41: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가. 예산지원 질향상 및 환자안전 활동을 위해 필요한 예산은 전년도 실적을 참고하여 매년 초에 예산(안)을 수립하며 예산 승인 후 사용

나. 인력지원 질향상 및 환자안전 활동을 위해 적정진료관리팀 전담인력을 배치하며 세부 인력현황은 부서 업무범위에 따른다.

다. 행정적, 재정적 지원 QI활동지원금, QI경진대회, CP * CPG 발표회, 환자안전의 날 행사, 교육비 지원 등 질향상과 환자안전활동을 위해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라. 기술적 지원 질향상과 환자안전 활동을 위해 필요시 전산개발 등 기술적 지원을 제공한다.

마. 기타 필요한 경우 적정진료관리팀 요청에 따라 추가로 예산 및 인력을 지원한다.

질향상활동 자원 지원 Example

Page 42: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환자안전관리체계 및 사고발생 시 보고체계 Example

Page 4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1. 의료기관 차원의 질향상활동

• 기관이 집중하는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선정

• 목표가 확실하고 달성 가능성이 높은 사업

• 기존 사업과 연계성이 높은 사업

• 병원의 경영에나 관리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업

• 경영진의 적극적인 지원 및 개선 의지

• 직원들의 자발적 참여 및 관심 유도

질향상활동의 통합적 관리

2. 부서별 질향상활동

• 병원차원의 질향상활동과 연계, 부서 간 업무 개선, 부서 내 업무 개선 등 중요도 및 개선 필요성을 고려하여 선정

• 성과지표(직무역량평가)와 연계된 활동

• 일상적인 활동이 되도록 할 것

=> 다학제적 접근, 자원지원, 직원교육, 진행과정 평가, 효과적인 의사소통,

경영진 보고, 직원간 정보공유

Page 44: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Hospitalwide QI

환자흐름관리

(Patient Flow Management)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Page 45: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45

의료서비스

제공의

효율성 증대

대기시간

최소화

인력, 시간,

기술 분배와

활용

환자 및 보호자

움직임 파악

Analysis of Patient Flow

대기환자 진료 예측 가능

환자 중심의 진료체계 구축

1. Find 주제선정(필요성)

Page 46: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응급센터 경유

입원환자의 응급센터

평균 재실시간

지표 1.

응급센터 경유 입원환자의 내원부터

퇴실까지의 소요시간의 합계

응급센터를 경유하여 입원한 환자 수

• 포함대상 : 응급센터를 경유하여 입원한 환자

• 제외대상 : 응급센터 퇴실 결과가 귀가, 전원, 사망, 기타인 환자

질병구분 진료 외 방문으로 내원하여 퇴실결과가 입원인 환자

목표값 : 평균대기시간 600분 이내

1. Find 지표정의

Page 47: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47

응급센터 내원

협진환자의 담당의

연락부터 도착까지

평균 소요시간

응급센터 내원 후 협진을 시행한 환자의

담당의 연락부터 도착까지 소요시간의 합계

응급센터 내원하여 타진료과

협진을 시행한 환자 수

지표 2.

• 포함대상 : 응급센터를 내원하여 타과 협진을 시행한 환자

• 제외대상 : 단순처치 F/U을 위해 응급센터에서 협진을 시행한 경우

타 진료과 담당의가 연락되었으나 응급센터에서 진료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

목표값 : 평균소요시간 60분 이내

1. Find 지표정의

Page 48: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2. Organization 팀구성

Name Department/Position Name Department/Position

손*욱 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s / Professor Director of QI Department

추*수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 Out-Patient and Special Unit Management Team / Vice Director of Nursing Services

이*우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Professor

임*옥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 Vice Director of Nursing Services

김*진 Division of Colorectal Surgery / Professor 김*주 Emergency Medical Center / Head Nurse

김*진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Professor

박*우 Patient Affairs Team : Admission & Dischage Section / Vice Head

최*욱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Professor

최*일 Patient Affairs Team : Admission & Dischage Section

김*식 Intensive Care Unit / Professor 김*수 The Office of Information & Computer Center / Medical Services

곽*정 QI Team / Team Manager 김*규 The Office of Information & Computer Center / Emergency Medical Services

김*정 QI Team 박*민 The Office of Information & Computer Center/Nursing Services

Team Leader 정*윤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Professor / Vice President

Page 49: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3. Clarify / Understand / Select (원인분석)

환자내원

00:00 02:18 03:04

입원필요 (의증)

치료방침 결정 지연

응급의학과 진료 및 검사

내과 총당직 협진

내과 분과 진료 (R1)

내과 분과 진료 (R3 이상)

입원필요 진단

입원결정

원무행정지연

입원필요 진단

입원필요 진단

입원 행정

13:30

병상 확보

06:06 04:20

내과계 입원 필요환자 진료 프로세스

Page 50: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환자내원 해당과

협진 마취과

수술결정

입원 행정

병상 확보

수술필요

진단

응급의학과

진료 및 검사

13:45 17:19 18:24

수술필요

(의증)

21:00

20:30

응급수술 예측 어려움

수술시행

예상시각

외과계 응급수술 필요환자 진료 프로세스

3. Clarify / Understand / Select (원인분석)

Page 51: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ICU

간호사

원무팀

입·퇴실 정보 진료과

주치의

중환자실 입·퇴실 프로세스

중환자실 병상 확보의 어려윰

3. Clarify / Understand / Select (원인분석)

Page 52: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 내과계 응급실 내원환자

; 입원결정을 위한 진료절차 복잡

원무행정

[병상확보시점]

중환자실/수술실

[확보 절차]

진료

[입원 절차]

• 중환자실 확보 절차 복잡

• 응급수술 진행절차 복잡

• 입원 행정이 수술 및 입원

결정 후 시작

; 병상확보 지연

3. Understand / Select (원인분석)

Page 5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환자내원

00:00 02:18 03:04

입원필요

(의증)

응급의학과

진료 및 검사

내과 총당직

협진

내과 분과

진료 (R1)

내과 분과

진료 (R3 이상)

입원결정 입원필요

진단

입원필요

진단

06:06 04:20

내과계 입원 필요환자 진료 프로세스

입원필요

진단

과정제거

기존

환자내원

00:00 02:18 03:04

입원필요

(의증)

응급의학과

진료 및 검사

내과 총당직

협진

입원결정 입원필요

진단

변경

4. Do (개선활동) : 내과 입원결정과정 단축

Page 54: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4. Do (개선활동) : 예비입원 제도 도입

응급센터 내원 입원환자의 신속한 입원행정 : 예비입원 프로세스 및 병상정보공유- 의사

클릭!

예비입원을 위한 정보선택 후 병상확보 요청

Page 55: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클릭!

수술방 수술현황 확인가능

응급수술 예상환자의 신속한 입원행정 : 수술실 현황 정보제공

4. Do (개선활동) : 응급수술 개선활동 진행

Page 56: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클릭!

일반병실, 상급병실 입실까지 소요시간

정보 제공

정보입력

응급센터 내원 입원환자의 신속한 입원행정 - 원무팀에서 입원절차 시작 및 병상정보 제공 - 예측된 병상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

4. Do (개선활동) : 병상이용 예측정보 제공 및 공유

Page 57: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수술 후 중환자실 입실 예측 정보 수집

1. 수술 직후 중환자실 입실 예정 환자를 주치의가 수술 의뢰창에서 수술의뢰 할 때 입력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2. 중환자실 입실 대상자를 미리 원무팀에서 OCS상 파악 가능

4. Do (개선활동) : 중환자병상 이용정보 객관화

Page 58: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4. Do (개선활동) : 중환자병상 활용도 증대

중환자실 퇴실 권한 부여 확대

진료과 주치의

퇴실사유입력

기존 권한

주치의, 교수

중환자실 전담의

퇴실 논의

권한 추가

환자 퇴실

중환자실 전담 전문의가 담당교수와 퇴실 구두 협의 후 퇴실절차 신속하게 진행

Page 59: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452분

527분

600분 591분

735분 719분

518분

응급센터경유 입원환자의 응급센터 평균 재실시간

지표1 : 응급센터 경유 입원환자의 응급센터 평균 재실시간

2013. 3분기 2013. 4분기 2014. 1분기 2014. 2분기 2014. 3분기 2014. 4분기 2015. 1분기

목표값 (600분)

5. Check (실행결과)

Page 60: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51분

43분

54분

45분 46분

담당의 연락부터 도착까지 소요시간 목표값 (60분)

2013. 3분기 2013. 4분기 2014. 1분기 2014. 2분기 2014. 3분기 2014. 4분기

지표2 : 응급센터 내원 협진환자의 담당의 연락부터 도착까지 평균 소요시간

5. Check (실행결과)

Page 61: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6. CQI Plan : Find 지표정의

응급센터 경유

입원환자의 응급센터

평균 재실시간

지표 1.

응급센터 경유 입원환자의 내원부터

퇴실까지의 소요시간의 합계

응급센터를 경유하여 입원한 환자 수

• 포함대상 : 응급센터를 경유하여 입원한 환자

• 제외대상 : 응급센터 퇴실 결과가 귀가, 전원, 사망, 기타인 환자

질병구분 진료 외 방문으로 내원하여 퇴실결과가 입원인 환자

목표값 : 평균대기시간

600분 이내(2014년도)

180분 이내(2015년도)

Page 62: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수술 예정시간 대비

실제 수술시간

60분 이상 초과율

수술 예정시간 대비 실제 수술시간

60분 이상 초과 건수

수술실에서 시행한 전체 수술건수

지표 2.

목표값 : 31% 이하

• 포함대상 : 수술실에서 시행한 전체 수술

• 제외대상 : 과내 수술인 경우

6. CQI Plan : Find 지표정의

Page 63: 질향상활동 사례를 통한 - kosqua.net · 부서별 질향상활동 [출처] QI실무자에게 배우는 질향상활동지침서. 질향상전담자의 역할, 61p. (1)부서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