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수도 관망 최적관리기술 -...

267
상하수도 관망 최적관리기술 Optimum Management Technique for W ater-Supply Network BLOCK SYSTEM관리를 위한 누수방지 및 원단위 유량모니터링 기술개발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s to prevent leaks and to monitor individual water use for block systems of water-supply networks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Transcript of 상하수도 관망 최적관리기술 -...

  • 상하수도 관망 최적관리기술Optimum Management Technique for Water-Supply

    Network

    BLOCK SYSTEM관리를 위한 누수방지

    및 원단위 유량모니터링 기술개발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s to prevent leaks and to

    monitor individual water use for block systems of water-supply

    networks

    (주)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환 경 부

  • - 1 -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BLOCK SYSTEM 관리를 위한 누수방지 및 원단위 유

    량모니터링 기술개발” (총 연구기간 : 2001년 8월 1일~ 2003년 11월

    30일)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4 년 1 월 31 일

    주관연구기관명 : (주)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연구책임자 : 김 학 용

    연 구 원 : 심 재 영 외 6

    참여기업명 : 엠텍코리아(주)

    연구책임자 : 박 대 영

    연 구 원 : 이 내 형 외 2

    위탁기관명 1 : 단국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현 인 환

    연 구 원 : 이 제 인 외 2

    위탁기관명 2 : 동아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위탁연구책임자 : 박 남 식

    연 구 원 : 황 경 석 외 4

  • - 2 -

    요 약 문

    Ⅰ. 제 목

    BLOCK SYSTEM 관리를 위한 누수방지 및 원단위 유량모니터

    기술개발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상수도 급수구역의 최소관리단위인 BLOCK SYSTEM 유지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을 개선코자 한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BLOCK의 유입량과 함께 급수전 사용량과 수압을 동일시간대에

    계측 및 원격 전송, 자료를 분석 시행하여 배 • 급수의 유량 및

    수압의 적정여부와 유수율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

    며 조도계수산정, 누수징후검색 등을 통하여 수도관망을 효과적

    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Ⅳ. 연구개발결과

    현장 설치시설 : 유량 계측기, 양압 계측기

    운영 프로그램 : BMS(Block Management System) 프로그램

    조도계수산정프로그램, 누수징후검색프로그램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각 지자체에 홍보하여 BLOCK SYSTEM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활용토록 한다.

  • - 3 -

    S U M M A R Y

    1. Title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s to prevent leaks and to

    monitor individual water use for block systems of water-supply

    networks

    2. Objectives and Needs

    To enhance the management techniques for block systems, the

    smallest unit for water supply network.

    3. Scope and Contents of Research

    This product can be used to enhance/improve the rate of

    accounted-for-water via effective managements of water

    distribution pipe networks. The product helps water utilities to

    manage their network better by allowing systematic assessments

    of friction characteristics of pipes and detection of leaking pipes

    by analyzing flow and pressure data. These data can be

    measured simultaneously at the block inlet and at every

    consumer meter.

    4. Outcome

    field device: remote meter reading device, remote meter and

    pressure reading device

    operating s/w: BMS(Block management system), Roughness

    assessment computer program, Leak detection program

    5. Expected effects

    Outcome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better manage water

    supply network

  • - 4 -

    C O N T E N T S

    Chapter 1. Introduction

    Part 1. Objectives

    1. Motivation

    2. Need for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injection rate and water use

    3. Technical limitations of enhancing rate of revenue water

    Chapter 2. Literature survey

    Part 1 Overseas

    1. Europe

    2. Japan

    3. Previous works on leak detection

    Part 2. Domestic techniques

    1. Practical techniques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network

    2. Previous works on leak detection

    Part 3. Distinction with other techniques

    Part 4. Possibilities of business establishment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s of Reaserch

    Part 1. Principles

  • - 5 -

    1. Problems with management of large-area water supply network

    2. Need for isolation of units of water supply networks

    3. State of leakage and need for monitoring block water use

    4. Existing techniques for analysis of water use data

    5. Concepts of proposed techniques

    Part 2. Research team

    Part 3. Contents of research

    1. Plan

    2 Selection of field sites

    3. Establishment of block systems

    4. Survey of water use households

    5. Survey of land surface elevation

    6. Development and Installation of remote meters

    7. Review of remote data transmission

    8. Development of BMS program

    9. Development of roughness assessment program

    10. Development of leak detection program

    Part 4. Problems and Remedies

    Chapter 4.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Chapter 5. Plan for applications

    Chapter 6. Reference

  • - 6 -

    목 차

    제 1장 서 론 ............................................................................................................. 8

    1절 연구개발의 목적 ................................................................................................... 8

    1. 개발동기 ........................................................................................................................ 8

    2. 유입량과 사용량의 동시에 계측 및 비교하여야 할 필요성 ......................... 8

    3. 유수율 제고방법의 기술적 현실 .................................................................... 9

    제 2장 국내 • 외 기술개발 현황 ............................................................................ 12

    1절 국외의 관련기술 현황 ...................................................................................... 12

    1. 유 럽 ...................................................................................................................... 12

    2. 일 본 ...................................................................................................................... 12

    3. 누수탐지 연구동향 ................................................................................................. 13

    2절 국내의 관련기술 현황 ...................................................................................... 15

    1. 상수도 관리의 실용기술 ...................................................................................... 15

    2. 누수탐지 연구동향 ................................................................................................. 15

    3절 국내 • 외 유사과제와의기술내용의 차별성 ..................................................... 15

    4절 연구개발사업성과의 사업화 가능성 ................................................................ 16

    제 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17

    1절 기술의 원리 .......................................................................................................... 17

  • - 7 -

    1. 광역급수구역 관리의 문제점 ............................................................................ 17

    2. 블록(대, 중, 소) 고립화의 필요성 .................................................................. 17

    3. 누수량의 실태 및 블록유량감시의 필요성 ....................................................... 18

    4. 유량 분석의 종래 기술 .................................................................................... 19

    5. 본 기술의 개념 ................................................................................................. 21

    2절 연구개발 팀 구성 및 역할 분담 .................................................................. 28

    3절 연구개발 수행의 경위 ...................................................................................... 29

    1. 계획 수립 ........................................................................................................... 29

    2 현장모델 선정 ........................................................................................................... 29

    3. BLOCK SYSTEM 구축 ...................................................................................... 32

    4. 수용가 조사 ........................................................................................................... 39

    5. 현장 모델 지형 측량 ...................................................................................... 45

    6. 원격계측기 개발 및 설치 ...................................................................................... 51

    7. 원격 전송 방안 검토 ...................................................................................... 62

    8. BMS 프로그램 개발 ...................................................................................... 68

    9. 조도계수 산정 프로그램 개발 ............................................................................ 76

    10. 누수징후 검색 프로그램 개발 .......................................................................... 169

    3절 연구개발에 따른 문제점 해결 .......................................................................... 234

    제 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 249

    제 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59

    제 6장 참고 문헌 ......................................................................................................... 264

  • - 8 -

    제 1장 서 론

    1절. 연구개발의 목적

    1. 개발 동기

    가. 상수도 급수구역 내에서 유량과 수압의 관리는 안정급수의 기본이며 유

    량과 수압의 감시는 누수방지와 예방적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기본적

    요소임과 동시에 상수도경영의 지표가 되는 유수율을 증대하는 근본적

    인 요소인 것이다.

    나. 그러나 현재까지는 임의의 독립된 블록 내에서 다지점의 수압은 자동기

    록계로 동시 계측은 인력으로 가능할 수 있었으나 유량계측은 유입량과

    블록 내 전 수전의 사용량을 동시에 계측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

    다.

    2. 유입량과 사용량의 동시에 계측 및 비교하여야 할 필요성

    가. 안정급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량이 공급되어야 하고 적정한

    수압이 관말까지 유지되어야 함은 자명한 것이다.

    그러나 누수 발생시는 수압부족 현상이 유발되고 막대한 수량이 낭비되

    고 있어, 대부분의 유수율 저하의 원인은 누수에서 기인된다고 보고 있

    다.

  • - 9 -

    나. 현재 우리나라의 2001년 말 통계에 의하면 상수도 경영관리의 지표가

    되는 유수율은 전국적으로 75.4%이며 손실율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는 누수율은 총 수돗물 생산량의 13.9%로서, 낭비되는 금액은 년간

    약 4,577억원으로 막대한 금액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2001 상수도통계, 2002 환경부)

    다. 이렇게 낭비되는 누수율은 2000년말 14.8%에서 2001년말 13.9%로

    0.9%가 감소되긴 하였으나, 광대한 급수구역을 누수 방지 및 예방의 관

    리를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고도의 기술과 전문적인 누수방지사

    업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유수율 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에 도달할

    것이다.

    라. 현재까지는 소블록 내 야간최소 사용시간대에 유입량을 조사하여 누수

    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였으나 이 방법도 블록 내 다량 물탱

    크이용 수용가와 특히 심야 영업 상가가 급증하는 추세로서 야간에도

    최소유량이 발생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제는 블록 내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유량을 공급량과 함께 동시에 정확히 조사할 수 있는 시스템

    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3. 유수율 제고 방법의 기술적 현실

    가. 현재 유수율제고 요인 중 가장 비중에 큰 누수량을 계측하는 방법은 우

    리나라 상수도시설 체계와 기술적인 접근방법이 낙후되어 있는 실정으

    로서 우리나라 누수방지사업의 역사를 살펴보면 체계적인 기술도입은

    1985년도 내무부주관으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IBRD차관사업으로

  • - 10 -

    외국 기업인 테일러, 왓슨사(英)에서 용역을 수행한바 있었으며 이때부

    터 기술연수 및 장비도입을 추진하였다.

    나. 이때 도입된 누수방지 기법을 중의 한 방법으로 급수구역을 소단위로

    구분하여 상수도의 유입을 제한한 후 유입량을 측정하여 누수량을 분석

    하는 야간최소유량측정법을 도입하였다.

    다. 그러나 17년이 지난 현재까지 누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개선되지 않았

    으며, 더 이상 과학적이고 획기적인 누수방지의 방법이 없이 간접자료에

    의한 개략적인 누수량 산정으로 손실량을 추정하고 있는 실정으로 누수

    로 인한 출수불량 발생시 즉시 대처하지 못함으로서 지역주민의 상수도

    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라. 위에서 언급된 야간최소유량측정법이란 물의 사용량이 가장 적은 시간

    대에 유입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야간사용량을 검침하여 이 유량의 차로

    써 누수량을 산정하는 방법과 일부 다량 물사용 수용가의 유입을 차단

    한 상태에서 구역 내 유입량을 측정하여 누수량을 산정하는 방법 밖에

    없어 그동안 많은 단점이 지적되었다.

    - 그 단점으로는 야간에 유입량 및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많은 인원

    이 동시에 필요하게 되고 그 소요인원은 가장 사용량이 적은 야간시

    간대의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보통 24:00 ~ 04:00까지 5분정도의

    시간간격을 두고 구역 내 유입량과 수용가측 사용량을 동시에 측정하

    여야 하나 모든 급수전의 사용량을 측정치 못하고 Sample로 몇 가구

    의 사용량만을 계측하여 전 구역을 적용하고 있어 누수량의 산정이

  • - 11 -

    부정확하였다. 이러한 불합리한 유량산정방법을 개선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 근래 정부에서도 상수도 시설물 유지관리 사업에 역점을 두고 물부족

    및 맑은 물 공급에 관심을 갖게 됨으로써 환경부에서 2001. 2. 27 ‘상수

    도 유수율제고업무처리규정(환경부훈령 제 486호)’를 제정 시달하였다.

    - 이 유수율 제고 규정에 의한 내용이 급수구역의 최소관리단위인

    BLOCK SYSTEM으로 구분하여 유량감시체제로 유도하고 있으므로,

    BLOCK SYSTEM단위로 얻어지는 각종자료를 분석하고 누수량 및

    부과량, 유입량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필

    요한 시기이다.

    - 여기서 BLOCK SYSTEM은 상수도 유지관리를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과거의 수지식 관망의 단점을 보완하고 대

    규모 관망형태를 세분화하여 유기적으로 결합하며 합리적으로 분석하

    는 System이다.

    - 이 BLOCK SYSTEM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BLOCK을 구성하고 있

    는 형태를 파악하고 그 원단위 구성요소인 각 급수전의 물사용 패턴

    을 분석하여야, 효과적으로 BLOCK SYSTEM을 관리하고 누수방지

    를 하여 유수율을 증대할 수 있을 것이다.

  • - 12 -

    제 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절. 국외의 관련기술 현황

    1. 유 럽

    영국 Wessex Water Service사는 Telemetry와 GIS를 이용하여 상수관망을

    작성 이용하여 최적운영 관리함으로써 관망해석 모형의 입력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응급사고 시 원인 규명과 위치 등을 신속히 파악함으로써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일 본

    도쿄의 경우 1979년 수도 전설비의 감시 및 수운용을 목적으로 하여 [수운

    용센터]가 설립되어 컴퓨터에 의한 종합적 수운용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다.

    그 기능의 일부에 배관감시 소프트웨어인 [관로 이상 검지 시스템]이 있고,

    이것은 도쿄내의 배수본관(本管 400~2,700mm) 약 2,100km의 감시를 하는

    것으로서 압력, 유량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하한 변화율, 상관관계의 이상을

    매분 확인하여 이상 현상이 3분 이상 지속될 경우 해당사업소에 경보를 전

    달하는 시스템이다. 1999년 수도국에서 실시한 누수방지 작업은 총 조사 연

    장 4,187km, 수리건수 6,527건이고, 대표적인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최소유량 측정법 : 그물망과 같이 수도관망을 일정한 구획으로 나누어

    사용량이 가장 적은 심야시간대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여 누수량을

    파악

  • - 13 -

    나. 음청법 : 누수탐지기를 노면에 접촉시켜서 지중음을 청취하고, 그 중 누

    수와 관련된 소리를 분간하며, 수용가 계량기에서의 누수조사도 하고 있

    다.

    다. 상관법 : 2점간에 설치된 센서로 누수음을 파악하고, 컴퓨터로 2점간의

    누수음이 도달하는 시간차에 의해 누수지점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라. 계량 공법 : 측정지역의 게이트 밸브를 차단하고 바이패스 관로를 만들

    어 이를 통화한 물의 양을 측정하여 누수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1999년에는 누수율이 7.6%로 감소하였고, 5%대를 목표

    로 하고 있다.

    3. 누수탐지 연구동향

    새로운 연구 분야인 압력파를 이용한 누수탐지에 대한 연구는 해외의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다.

    2001년 5월 19일 ~ 24일에 Orlando에서 개최된 ASCE EWRI Conference에

    참석한 동 분야의 연구자들과 의견교환을 통하여 해외 연구 진행상황을 파

    악한 바 있다.

    대상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다.

    호주 Adelade 대학교 Simpson 교수팀

    캐나다 Toronto 대학교의 Karney 교수팀

    영국 Exeter 대학교의 Imperical College의 Savic 교수팀

    이외에도 동 분야의 활발한 연구자들은 아래와 같다.

    이태리 Perugia 대학교의 Brunone 교수팀

  • - 14 -

    미국 Cornell 대학교의 Liggett 교수

    Orlando 회의에서 파악된 해외 연구자들의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호주의 Simpson 교수는 압력파를 이용한 누수탐지 연구를 90년대 중반에

    개시하여 실험연구를 가장 일찍 시작한 연구자 중의 하나이다.

    Simpson 교수는 최근에 단일관로에 대한 실험연구를 마치고 관망연구를 개

    시하였다.

    본 위탁기관의 박남식 교수와는 3년여 전부터 e-mail등을 통하여 교류를 지

    속해왔다.

    영국의 Savic 교수는 Exeter 대학교에서는 이론연구를, Imperial College에

    서는 실험연구의 역할 분담으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

    Imperial 대학교에서 실험실 관망을 구축 중으로 아직 본격적 실험에 돌입

    하지 못하고 있다.

    이태리의 Brunone 교수는 실험실에 단일 관로를 설치하고 그에 대한 연구

    를 진행 중이다.

    캐나다의 Kerney 교수는 실험실 모형실험 절차를 거치지 않고 직접 현장

    실험을 시행 중이나 아직은 마찰계수나 실제 수요파악에 중점을 두고 있어

    본격적 누수탐지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의 Liggett 교수는 이론 연구에 치중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박남식교수

    와는 호주의 Simpson 교수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 15 -

    2절. 국내의 관련기술 현황

    1. 상수도 관리의 실용 기술

    국내에서는 아직 이상 자료 분석감지 시스템이 없으며 유량만을 계측하여

    전송하거나 수압만을 계측하여 저장하는 장치가 각각 생산되어 적용되고 있

    으나 아직 초기 단계이다.

    2. 누수탐지 연구동향

    국내에서는 동아대학교 박남식 교수와 관망 연구그룹이 97년부터 누수탐지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98년 12월부터 개시된 G7 3단계 연구의 참여로 획기

    적인 연구성과를 이루었다.

    G7 연구에서는 압력파를 이용한 누수탐지 기술의 검증과 실제 흐름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실에 총 연장 336m의 모형관망을 설치하였

    다.

    현재까지 단일 관에 대한 누수탐지 실험을 완성하였으며 매우 신뢰도가 높

    은 누수위치와 누수량 탐지 결과, 현재 관망에 대한 실험을 진행 중이며 이

    연구 Project를 통하여 현장검증을 하였다.

    3절. 국내·외 유사과제와의 기술내용의 차별성

    아직 국내·외적으로 이 Project와 같이 현장에서 직접 유입유량 및 사용량과

    수압을 동시에 계측하여 Block System 관리를 시도하는 기술을 가진 업체

    는 없었으며, 차세대 기술로서 본 Project가 최초의 시도라 할 수 있다.

  • - 16 -

    4절. 연구개발사업성과의 사업화 가능성

    최근 정부에서도 상수도 시설물 유지관리 사업에 역점을 두고 물 부족 및

    맑은 물 공급에 관심을 갖게 됨으로서 환경부에서 2001. 2. 27 “상수도 유수

    율 제고업무 처리규정 (환경부 훈령 제 486호)”를 제정 각 지자체에 시달하

    였고 이 유수율 제고 규정에 의한 내용이 급수구역의 최소관리 단위인

    Block System으로 구분하여 유량감시체제로 유도하고 있으므로 Block

    System단위로 얻어 지는 각종 자료를 분석하고 누수량 및 부과량, 유입량을

    실시간 동시에 자료 취득 가능으로 정확한 유지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라고 예상됨으로 본 Project인 원단위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면 실용성에서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으며

    본 Project의 성격상 지자체에서 관심 고조로 시장 수요는 많을 것으로 생

    각된다.

    주 대상으로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상수도를 관리하는 부서 및 사업소로서

    민자유치 혹은 민간위탁의 시행 시 각 Block System을 효과적으로 관리하

    기 위한 기술로 활용이 될 것이다.

  • - 17 -

    제 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1절. 기술의 원리

    1. 광역화 급수구역 관리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상수도 급수구역은 정수장에서 송수된 수돗물이 수개의 배수지

    또는 수개의 관로를 통하여 점차 넓은 지역으로 분포되어 각 수용가까지 급

    수하게 되면서 거미줄같이 엉켜 있는 관망에 의한 유량과 수압을 통제하기

    란 대단히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실태로서는 지반의 고저에 따른 적정 수압 유지의 대책, 물수요 특

    성에 따른 관말 급수지역까지의 유량 공급의 적정 관경 파악, 누수로 인한

    손실수량 감소대책, 경제적 관망 형성 및 개선계획 수립 등의 관리 계획이

    추진 될 수 없는 실정이다.

    2. 블록(대, 중, 소) 고립화의 필요성

    이와 같이 상수도 급수구역이 광역화되어 있어 수계배분 및 관망계획수립,

    배수량과 수압을 합리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려면 현재의 광역적 배수관망

    을 소단위의 독립된 급수지역 개념으로 고립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 방법으로는 광대한 급수구역을 정수장 수계별, 배수지 수계별, 행정경계

    및 지형 등을 감안한 구역으로 구분된 대, 중블록으로 분리하고 이 지역 관

    망을 세분하여 또 다시 소블록으로 독립되도록 구분하고 이 소블록 단위로

    유입되는 유입부에 유량계를 설치하고 유입량을 조사하고 또한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사용량과 수압의 자료를 독립적으로 관리함으로서 지역특성에 따

  • - 18 -

    른 블록 내 급수상태를 확인하여 안정되고 원활한 주민급수가 되도록 유지

    하여야 한다. 특히 누수 등으로 인한 낭비수가 없는 공급량을 관리함으로

    경영합리화의 지표가 되는 유수율을 증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추

    구할 필요가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3. 누수량의 실태 및 블록 유량감시의 필요성

    블록내의 급수상태를 파악하는 제일 중요한 요인은 유량과 수압이다.

    다시 말해서 원활한 급수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량이 공급되어

    야 하고 적정수압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누수로 인하여 출수불량의 현상과 수압부족으로 민원이 발생

    되고 엄청난 낭비수량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경제적 측면에서의 손실수량을 줄이기 위해서 공급계통에서의 유

    량의 행방을 감시하여야 하는 것은 필연적이고 상수도를 관리하는 기관이

    고심하는 부분이 이와 같이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기술이며 세계 여느 나라

    도 이 같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누수량은 엄청나게 많은 량이라는 것이 통계상으로도 나

    타난다.

    우리나라의 2001년 통계상으로 전국의 유수율(有收率)은 75.4%이고 누수율

    은 13.9%이다.

    상수도 년간 생산량은 58억㎥으로서 누수량은 년간 약 8억㎥이며 금액으로

    따져도 ㎥당 생산원가가 569원/㎥이니 약 4천 6백억원이 년간 손실 되고 있

    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수도 경영상으로 보아 생산량과 공급량, 부과량은 이론적으로

    동일하여야 하나 공급량에 대한 부과량의 비율인 유수율은 극히 저조하고

  • - 19 -

    그 원인으로 누수로 인한 것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있다.

    4. 유량분석의 종래 기술

    가. 추정 누수량 분석의 원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누수지점을 탐사하여 복구하면 되는 것

    이나 기술적으로 탐사를 계획성 없이 할 수도 없는 것이다. 적어도 소블

    록 내의 누수량이 얼마나 있는지를 알고 누수탐사를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림 3. 1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소블록 내의 각 수용가 개체 사용량

    (sq)의 합계 q는 유입량 (Q)와 동일 수량이어야 하나 동일값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는 누수가 제일 큰 요인이므로 차인량을 대부분 누수량으로 추

    정하여 누수방지량의 지표로 삼는다. (현실적으로 허용누수량 이내까지를

    방지량으로 함)

    배수지

    F

    sq수용가사용량(sq)

    구역유량계

    (Q)

    그림 3. 1 구역유량과 수용가 사용량

  • - 20 -

    누수방지의 추정량은 다음 3-1식이 성립된다.

    추정누수량

    수용가 개체

    사용량의 합계

    (q= Σsq)

    Q

    Lq = Q - q ------- 3-1식

    여기서

    Lq : 추정누수량 (㎥/hr)

    Q : 소블록 내로 유입되는 유량

    q : 소블록 내 수용가 사용량의

    합계 (Σsq)

    나. 누수량 분석의 실태

    유량의 행방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위 3-1식에서와 같이 소블록 내로 유입

    된 유량(Q)와 수용가 개체 사용량 ( q= Σsq)과의 비교량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유입되는 유량은 유입부에 자기록 유량계를 시설하고 계측

    하면 쉽게 계측이 가능하나 각 수용가 개체 유량(q)을 유입부 유량(Q)의

    계측시간과 동시에 계측하기에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한 블록이 수십전 정도라고 하면 인력으로도 가능하다고 하나,

    소블록의 규모가 실제적으로 적은 블록은 100전 내지 500전부터 큰 블록

    은 500전 내지는 1,500전이 되는 것을 한 블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

    력을 동원하여 같은 시간에 계측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므로 현재까지는

    동시에 계측한 자료가 없었다.

    이 방법으로 접근하여 충족하는 방법으로는

    (1) 통상 2~3개월 전의 수도요금 고지를 위한 검침량을 사용하여 적용하

    는 방법과

  • - 21 -

    (2) 적극적인 방법으로서 블록 내의 다량 급수사용처 및 저수조 사용 수

    용가를 대상으로 임의 시간에 수용가 측의 계량기를 잠그고 유입량

    (Q)를 조사하거나 혹은 다량 급수수용가 및 저수조 사용 수용가에 대

    해 검침을 시행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동시자료가 되지 않으므로 급수변화에 따른 변화분

    석에 부정확한 요인이 너무 많고 후자는 수용가 측에서 민원이 발생하여

    불합리한 방법으로서 근래에는 야간 최소유량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블록 내에서 야간에 순간적으로 사용량이 “0”이 된다는 이론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유입량(Q)는 “0”이 되어야 하나 만일 누수가 있을 경우는 “0”이

    되지 않고 유입량이 발생하여 이 유입량을 허용누수량범위를 제외하고는

    누수량으로 추정하여 정밀 탐사를 하고 누수를 복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도 실제로 “0”에 접근하는 시간이 02:00 ~ 04:00 사이에 최소유량

    이 발생하나 근래에는 심야 영업 증가추세와 주거지역내의 저수조 사용

    및 수용가의 지속적인 소량의 수돗물 이용을 정확도가 저조한 실정이다.

    5. 본 기술의 개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내의 유량감시는 유입량과 사용량을 같은 시

    간에 계측함을 필요조건으로 하고 있으나 이 수단을 충족시키는 것이 여기

    서 연구할 과제의 기술이다.

    이 과제를 충족하는 방법으로는 유량과 수압의 계측자료를 동시에 원격 전

    송 할 수 있는 수단과 이를 모니터링 하여 분석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급수

    지역의 상수도 급수패턴을 분석하고 일별, 월별, 수용가 개별, 업종별, 계절

  • - 22 -

    별, 등 수요통계를 관리하고 또한 낭비수(누수량, 계량기 불감량, 도수 등)의

    유무를 확인하여 원인을 제거하고 향후 상수도 시설의 적정 여부를 검토하

    여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이제까지 비과학적인 급수관리 및 시설의 유지

    관리 방법을 개선하는 종합적인 상수도 블록관리 최적화 시스템 구축을 목

    적으로 하는 기술임

    가. 상수도 블록관리 최적화시스템(BMS) 구축의 구성

    연구 모델은 서울시 송파구 마천동 일대의 112개소의 수전이 있는 거여

    26블록을 중심으로 연구가 전개되었으며 이 블록은 서울시 거마가압장이

    속해 있는 평지의 블록으로서 일부 미비한 관망을 관망정비를 시행하여

    (1) 독립된 블록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고립화하고 모델 블록의 인입부

    에 구역 유량계 (유입량 계측용)를 설치하고,

    (2) 동시에 다수의 전체 수용가에 기존의 설치된 수도계량기를 활용하여

    원격검침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량계와 수도계량기의 숫자 표시부를

    특정한 시간에 촬영하여 촬상하며,

    (3) 영상자료를 송신하여 모니터링 하는 유량계측 수단을 채택하여 실제

    원격검침 실험으로 연구하였다.

  • - 23 -

    F

    sq sq sq

    sq

    sqsq

    sqsq

    sq

    원격 유량계 및 수압계측기 설치

    전 수용가 수도미터이용

    원격계측기 설치

    유입부공급량 계측

    수용가 개별사용량 계측

    q= Σsq

    관로임의지점 수압계측

    통신사업자

    Hostcomputer

    BMS시스템 운영(급수실태자료분석)

    기지국

    모뎀동시유량(수압) 계측자료 전송

    배수본관

    그림 3. 2 원격계측(유량, 수압)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

    원격계측수단

    타이머 제어기 RF모뎀

    비교판독부

    메모리

    베터리적외선램프

    수압값변환기

    · 유량계· 계량기

    수압센서

    그림 3. 3 본 기술에 따른 상수도 원격계측기의 구조도

  • - 24 -

    블록시스템 구축

    - 급수구역 내 구역고립 작업- 블록 내 유입량 파악 위치선정- 수용가 측 급수 및 시설현황조사

    구역유량계 및 원격 계측기설치

    - 구역 내 유입(공급량) 유량 계측

    기존 수도계량기에 원격 계측기 설치

    - 수용가 측 사용량(부과량) 계측

    유량계 및 계량기 지침 숫자촬상 송신

    Digital Image 화

    RF - Modem

    무선 데이터 통신망(기지국)이용 송신

    통신부 입출력 포트

    Host Computer

    BMS 운영분석

    - 일 최소 유량 분석- 유수율 및 누수량 산정- 급수관 적정 구경분석- 일일 최대급수량 산정- 배수관 구경 분석- 적정수압유지

    실시간 동시계측

    그림 3. 4 본 기술에 따른 상수도 최적 블록관리 시스템 운영 체계도

  • - 25 -

    나. 목적 달성을 위한 기술적 과제

    유량 행방 감시를 위한 실시간 및 동시시간에 (Q), (q), (p)를 취득하는 기

    술개발로는 무선원격 계측기를 개발하여 현장에 설치하는 방법이므로 다

    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1) 문제점 도출

    (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계량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계량기 자체를 원

    격계측이 가능한 계량기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검토한 결과

    실험을 위한 모델로 사용하기 위하여 계량기를 교체하는 것은 현

    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기존의 계량기를 그대로 사용

    하여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야 하는 문제 발생

    (나) 현재 기존의 수도계량기를 그대로 활용할 경우 유량 계측 단위가

    1㎥ 단위로서 수용가의 일반적인 1일 평균 사용량은 4인 기준 1전

    을 기준으로 할 경우 일 사용량이 1㎥미만인 수용가가 대부분으로

    서 1일 동안 물사용을 하여도 ㎥단위의 계측값이 변하지 않아 이

    오차들을 합한 블록의 사용량은 유입량과 비교할 경우 많은 오차

    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다) 유량계측기와는 별도로 수압계측기를 설치하여 수압을 측정할 경

    우 유량계측시간과 수압계측시간과의 시간차이로 물사용에 따른

    수압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유량과 수압을 동시간

    에 동일한 지점에서 취득하여야 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 - 26 -

    (2) 개선 대책

    (가) 기존 계량기 사용의 문제점

    현재 우리나라 전국에 설치된 기존 계량기는 대부분이 익차형 직독식

    계량기이다.

    이러한 계량기를 원격계측 용도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는 우리나라에

    서 개발되고 있는 전자식 계량기나 혹은 펄스식 계량기를 사용하여야

    하나 현장모델에서 계량기를 교체하여 설치할 경우는 과다 비용 투자

    가 예상되고 또한 전자식 계량기로 변경 시 기존의 익차형 직독식 계

    량기 업계에서 많은 민원을 제기할 것임이 명백한 바 시험단계인 현

    재 시점에서는 기존계량기를 그대로 이용하고 촬상식 원격계측기를

    이용하여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다만 다음 (나)번의 문제가 해

    결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게재되었다.

    (나) 1,000ℓ단위(1㎥)로 인한 오차 발생 문제 기존의 1㎥단위로 숫자표시부의 숫자 이동거리를 100등분하여 10ℓ단

    위로 분석하는데 성공함으로써 (가)번 문제와 같이 기존계량기를 이

    용하였다.

  • - 27 -

    현재 국내의 원격계측기의 종류와 장단점을 보면 표 3. 1과 같다.

    표 3. 1 원격계측기의 장 • 단점

    구 분 촬 상 식 전자식 계량기 펄스방식

    data

    취득방식

    계량기 지침의 촬상에 의

    한 image 전송전자식 계량기 사용 펄스방식 계량기 사용

    장 점

    1. 기존의 계량기를 활용

    2. 지침값의 image 전송

    으로 신뢰성이 높음

    3. 구경에 관계없이 금액

    이 일정하다

    1. 전자식 계량기의 사용

    으로 익차형에 비해

    고정밀

    - ℓ 혹은 0.1ℓ (13mm의 경우)단위

    계측 가능

    1. 펄스방식의 계량기를

    사용하여 계량기의 크

    기가 작고 통합검침이

    가능하다 (전력, 수도,

    음용수, 온수, 가스, 열

    량 등)

    2. 전용통신선의 사용으

    로 안정된 자료전송

    3. APT단지 등에서 사용

    하기에 적합

    단 점

    1. 기존의 계량기 외 촬

    상 및 전송의 위한 기

    계가 설치된다.

    2. 발광과 촬상을 위해

    배터리 소모가 크다

    1. 국내에 전자식 계량기

    의 설치 시 • 군이 없

    어 전자식 계량기의

    검증을 위한 시험가동

    이 필요

    2. 전자식 계량기가 고가

    3. 대구경일수록 단가가

    높아진다.

    1. 계량기의 교체가 필요

    2. 전용 통신선을 사용하

    여 통신선로 부설이

    필요

    3. 펄스식 계량기에 대한

    검증이 필요

    (다) 유량+수압 동시성 결여 문제

    위 (가)번의 촬상식 전송방식의 원격 유량계측기를 이용하여 수압 전송

    기능을 부가하여 실험한 결과 유량과 동시에 수압도 전송 되는 것을 확

    인하고 여기서 유량과 수압을 동시에 계측할 수 있는 계측기 및 수압계

    측 센서 설치수단전체를 통틀어 양압계(量壓計)로 명명하고 연구하였다.

  • - 28 -

    2절. 연구개발 팀 구성 및 역할 분담

    주 관 연 구 기 관 참 여 연 구 원 담당 연구개발 내용

    (주)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주관연구책임자(김학용)외 7명책임급 2명 / 선임급 0명

    원급 4명 / 기술기능직 1명

    과제명통합 Program

    개발

    BLOCK SYSTEM 관리를 위

    한 방안 강구

    통합 Program개발

    기관별 참여연구원구 분 기관수산업계 2학 계 2연구계 -기 타 -

    참 여 기 업 위 탁 연 구 기 관 위 탁 연 구 기 관

    엠텍코리아(주) 단국대학교 동아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참 여 연 구 원 참 여 연 구 원 참 여 연 구 원참여책임자(박대영)외 3명

    책임급 1명 / 선임급 0명원급 3명 / 기술기능직 0명

    위탁책임자(현인환)외 3명

    책임급 1명 / 선임급 0명원급 1명 / 기술기능직 2명

    위탁책임자(박남식)외 5명

    책임급 1명 / 선임급 0명원급 0명 / 기술기능직 5명

    담당 연구개발 내용 담당 연구개발 내용 담당 연구개발 내용

    과제명 유량• 수압 원격계

    측기 보완 과제명관의 조도계수 분석 Program개발 과제명

    누수 지점 분석 Program개발

    유량 • 수압 원격계측기보완

    Monitoring Program보완

    원격계측기의 현장 설치

    실제 배수관망의 측정 자료를

    활용하여 관망내의 조도계수

    산정 Program 개발

    유량 • 수압 자료를 연게 분서

    하여 누수지점의 탐지

    개발 Program의 현장적용 및

    보완

  • - 29 -

    3절. 연구개발 수행의 경위

    1. 계획 수립

    가. 기술개발 순서

    BLOCK SYSTEM 구성 원격계측기 개발

    BMS 프로그램 개 발

    현장 MODEL 선정

    유량계측 모듈개발

    수압계측 모듈개발

    BMS Program 개발

    구역고립 현장 Model에 계측기 설치

    BMSProgram 보완

    유량계실 설치 전송 data 분석

    현장 MODEL 내 수용가 조사

    원격계측기 조정 조도계수산정 프로그램 개발

    수용가 조사에 의한 data 분석

    누수위치검색 프로그램 개발

    2. 현장 모델 선정

    가. 현장 모델의 선정 계획

    - 가정용 급수구역, 상업용 급수구역, 빌라 등 다량 수용가 구역 등을 포

    함할 수 있는 100전 정도의 현장 Model을 1개 구역 정도 선정한다.

    - 선정된 현장 Model을 Block System화 한다.

  • - 30 -

    나. 현장 모델의 선정

    구 분 위 치 급수전수 블록화유 • 무

    유량계실 유량계 채 택 비 고

    청담 14구역 강남구 대치3동 391전

    개포 1-3 강남구 세곡동 105전

    성남 1구역 성남시 480전 ○ ○ ○성남 11구역 성남시 153전 ○ ○ ○별양동 과천시 246전 ○ ○ ○부림동 과천시 235전

    능곡지구 행주산성 130전 ○ ○ 관말지역미도파지역 노원구 미도파 백화점 105전 ○ ○거여동 26B/L 거여동 33번지 110전 ○거여동 11B/L 거여동 80번지 70여전

    가정용

    영업용

    영업용

  • - 31 -

    i) 현장 모델 현황

    • 도로 인접부는 식당 등을 포함하여 상가 형성

    • 블록내부는 다세대 빌라로 주택가 형성

    • 급수전수 110전 정도 예상(빌라의 경우 main 계량기만 포함)

    • 블록은 완전 분리되어 있음, 자연급수구역

    • 블록 내 거마가압장이 존재하나 BLOCK내로의 유입은 없음

    • 통신회사에서 전파TEST 결과 연구에 지장이 없을 것으로 결론

    ii) 유량계실 확인

    • 유량계실의 경우 기존 유량계실이 있으나 야간최소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Ø800m/m정도의 흄관 변실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내부

    공간이 부족하여 BOX변실을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 BOX변실을 설치하기위한 공간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됨

    - 도로폭 및 차량소통에 지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됨

  • - 32 -

    3. BLOCK SYSTEM 구축

    가. 유량계실 설치

    i) 유량계 구경산정

    구 분 단위 서울시 자료분석 99년 4월 28일누수탐사보고서 비 고

    급 수 전 수 전 206 206공동주택 개별수전

    포함

    급 수 인 구 인 1,200 -

    최대 공급량

    ㎥/日 1,500 800

    ㎥/sec 0.01736 0.00926

    구 경 산 정 mm 150 150

    ∴ 150mm로 유량계 구경 선정

    - 서울시 자료 분석에 의한 구경결정

    구 분 단 위 수 량 비 고

    급 수 인 구 인 10,319,551

    급 수 전 수 전 1,872,451

    인 구 / 전 인 / 전 5.51

    1인1일급수량 ℓ / 日 422.6

    1인1일최대급수량 ℓ / 日 845.2 1인1일급수량 × 2.0

  • - 33 -

    구 분 단위 수 량 비 고

    급 수 전 수 전 206

    급 수 인 구 인 1,200 206×5.51인/전=1,135.06

    최대 공급량

    ㎥/日 1,500 1,200×845.2ℓ/日=1,014.24㎥/日㎥/sec 0.01736 1,500㎥/日=0.01736㎥/sec

    구 경 산 정 mm 150 D = 4× 0.01736�¬× 1.0� �= 0.149m� ∴ 150mm로 유량계 구경 선정

    - 99년 4월28일 누수탐사보고서분석에 의한 구경결정

    구 분 단위 수 량 비 고

    급 수 전 수 전 206 공동주택 개별수전 포함

    급 수 인 구 인 -

    평균 공급량

    ㎥/月 11,415

    ㎥/日 380.5 11,415㎥/月÷30 = 380.5㎥/日

    최대 공급량

    ㎥/日 800 380.5㎥/日×2.0 = 761㎥/日

    ㎥/sec 0.00926 800㎥/日=0.00926㎥/sec

    구 경 산 정 mm 150 D = 4× 0.00926�¬× 1.0� �= 0.109m�

    ∴ 150mm로 유량계 구경 선정

  • - 34 -

    ii) 기존관로구경(ø200) 활용 시 유속.

    Q = A × V = πD 2

    4 ×V

    ∴ V = 4QπD 2

    - 서울시 분석자료활용 :

    최대유속

    V = 4 ×0. 01736π ×0. 2

    2 = 0. 55m/ sec

    최소유속

    V = 4 ×0. 00434π ×0. 22

    = 0. 14m/ sec

    ⇒ 유속범위가 0.14~0.55m/sec로 적정유속범위를 벗어남

    - 누수탐사 보고서 분석자료 활용 :

    최대유속

    V = 4 ×0. 00926π ×0. 2

    2 = 0. 29m/ sec

    최소유속

    V = 4 ×0. 00232π ×0. 2

    2 = 0. 07m/ sec

    ⇒ 유속범위가 0.07~0.29m/sec로 적정유속범위를 벗어남 (적정 유속범위 0.3~3.0m/sec)

  • - 35 -

    iii) 유량계 TYPE 선정

    구 분 월트망유량계 전자식유량계 초음파식유량계 비 고

    장 • 단점

    • 전기공급이 필요없음

    • 스트레이너 필요

    • 원격계측을 위하여 원

    격검침장치 설치 필요

    • 가격이 저렴

    • 고장이 적으며 정

    밀도가 높음

    • 스트레이너 필요

    • 전원공급이 필요함

    • 원격전송을 위하여

    별도의 전송장치

    필요

    • 스트레이너가 필요 없

    으며 정밀도가 높음

    • 전원공급이 필요하고

    원격전송을 위하여 별

    도의 전송장치 필요

    •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음

    선 정 ○

    - 유량계 TYPE 선정

    ① 기존 상수도 급수구역의 유량계로 일반적으로 많이 설치된 유량계

    type을 선정토록 하였음

    ② 유지관리 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선정하였음

    ③ 유량계의 정밀도가 현장모델의 물사용을 계측할 수 있어야 한다.

  • - 36 -

    iv) 유량계 설치

    F

    다용도밸브실

    Φ205 철개

    Φ648 철개(지하식 소화전)

    하수관

    `

    마천동 40-9호

    Close

    관 연결

  • - 37 -

    터파기 #1 터파기 #2

    변실 바닥 콘크리트 블록깔기 관 절 단

    +

    관 연 결 #1 관 연 결 # 2

  • - 38 -

    관 연 결 #3

    관 연 결 후

    1.5m

    3.6m

  • - 39 -

    4. 수용가 조사

    수 용 가 번 호 성 명 주 소 업 종 제작회사 구경 제작년도

    1 01-11-21-105-1-10-0010-10 정태일 마천동 40-4 은혜빌딩 영업용 세화정밀 25mm 2000

    2 01-11-21-105-1-10-0020-10 박정환 마천동 40-6 영업용 영업용 대한정밀 20mm 1998

    3 01-11-21-105-1-10-0020-11 박정환 마천동 40-6 가정용 가정용 신한정밀 40mm 1995

    4 01-11-21-105-1-10-0030-10 이근대 마천동 40-7 영업용 세화정밀 25mm 2000

    5 01-11-21-105-1-10-0040-10 황종옥 마천동 40-9 대우빌딩 영업용 대영공업 25mm 1998

    6 01-11-21-105-1-10-0050-10 남상철 마천동 40 업무용 금호미터 20mm 2001

    7 01-11-21-105-1-10-0060-10 남상철 마천동 39-3 업무용 금호미터 20mm 2000

    8 01-11-21-105-1-10-0070-10 전용호 마천동 39-2 가정용 대한정밀 40mm 1998

    9 01-11-21-105-1-10-0080-10 무궁화공용 마천동 40-2 가정용 신한정밀 40mm -

    10 01-11-21-105-1-10-0220-10 주양수기 마천동 39-1 한승맨션 가정용 금호전기 40mm 1996

    11 01-11-21-105-1-10-0380-10 주양수기 마천동 39 동우빌라 가정용 신한정밀 40mm 2001

    12 01-11-21-105-1-10-0540-10 공용 마천동 38-4 동우빌라 주양수기 가정용 - 40mm -

    13 01-11-21-105-1-10-0690-10 김영훈 마천동 38-3 영업용 신한정밀 20mm 2000

    14 01-11-21-105-1-10-0690-11 김영훈 마천동 38-3 가정용 신한정밀 25mm 2000

    15 01-11-21-105-1-10-0700-10 구자범 마천동 38-2 가정용 한서정밀 20mm 1998

    16 01-11-21-105-1-10-0700-11 구자범 마천동 38-2 영업용 영업용 한서정밀 20mm 1998

    17 01-11-21-105-1-10-0710-10 박종열 마천동 38-1 가정용 대한정밀 40mm 1994

    18 01-11-21-105-1-10-0720-10 전학출 마천동 38 가정용 - 40mm -

    19 01-11-21-105-1-10-0730-10 손양모 마천동 38-8 영업용 - 20mm -

    20 01-11-21-105-1-10-0730-11 손양모 마천동 38-8 가정용 - 20mm -

    21 01-11-21-105-1-10-0740-10 홍성배 마천동 38-7 럭키 가-102 가정용 서창전기통신 13mm 2000

    22 01-11-21-105-1-10-0750-10 202호 마천동 38-7 럭키 가-202 가정용 서창전기통신 13mm 2000

    23 01-11-21-105-1-10-0760-10 302호 마천동 38-7 럭키 가-3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24 01-11-21-105-1-10-0770-10 301호 마천동 38-7 럭키 가-3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25 01-11-21-105-1-10-0780-10 201호 마천동 38-7 럭키 가-201 가정용 신한정밀 13mm 1997

    26 01-11-21-105-1-10-0790-10 101호 마천동 38-7 럭키 가-1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27 01-11-21-105-1-10-0800-10 나-101 마천동 38-7 럭키 나-101 가정용 금호미터 13mm 1997

    28 01-11-21-105-1-10-0810-10 나-201 마천동 38-7 럭키 나-2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29 01-11-21-105-1-10-0820-10 나-301 마천동 38-7 럭키 나-3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30 01-11-21-105-1-10-0830-10 나-302 마천동 38-7 럭키 나-3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31 01-11-21-105-1-10-0840-10 나-202 마천동 38-7 럭키 나-2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32 01-11-21-105-1-10-0850-10 정병옥 마천동 38-7 럭키 나-1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33 01-11-21-105-1-10-0860-10 이영길 마천동 38-5 가정용 대영공업 25mm 1998

    34 01-11-21-105-1-10-870-10 남상철 마천동 40-8 가정용 대영공업 20mm 2001

    35 02-11-21-105-1-11-0010-10 가압장 마천동 36 가정용 풍원기업 13mm 1996

    36 02-11-21-105-1-11-0020-10 구일모 마천동 35-5 가정용 한서정밀 20mm 1998

  • - 40 -

    수 용 가 번 호 성 명 주 소 업 종 제작회사 구경 제작년도

    37 02-11-21-105-1-11-0020-11 구일모 마천동 35-5 영업용 대영공업 25mm 1998

    38 02-11-21-105-1-11-0030-10 한상필 마천동 35-6 영업용 신한전자 40mm 1999

    39 02-11-21-105-1-11-0040-10 한상필 마천동 35-1 강동병원 영업용 한서정밀 20mm 1998

    40 02-11-21-105-1-11-0050-10 구자홍 마천동 35 구일빌딩 영업용 대영공업 25mm 1998

    41 02-11-21-105-1-11-0060-10 주택은행 마천동 34-8 영업용 - 25mm -

    42 02-11-21-105-1-11-0070-10 김재덕 마천동 34-7 가정용 서울아이치 25mm 2001

    43 02-11-21-105-1-11-0070-11 고선팔 마천동 34-7 영양탕 영업용 신한정밀 20mm 1995

    44 02-11-21-105-1-11-0080-10 주양수기 마천동 35-7 중앙하이츠빌라 가정용 대영공업 25mm 1999

    45 02-11-21-105-1-11-0190-10 박종연 마천동35-4 주계량기 가정용 대영공업 25mm 1999

    46 02-11-21-105-1-11-0280-10 주양수기 마천동 34-5 가정용 서창전기통신 40mm 1997

    47 02-11-21-105-1-11-0410-10 정문조 마천동 36-6 진주빌라 B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48 02-11-21-105-1-11-0420-10 101호 마천동 36-6 진주빌라 1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49 02-11-21-105-1-11-0430-10 201호 마천동 36-6 진주빌라 2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50 02-11-21-105-1-11-0440-10 B02호 마천동 36-6 진주빌라 B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51 02-11-21-105-1-11-0450-10 정경택 마천동 36-6 진주빌라 1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52 02-11-21-105-1-11-0460-10 202호 마천동 36-6 진주빌라 202 가정용 금호미터 13mm 1994(수)

    53 02-11-21-105-1-11-0470-10 박형준 마천동 36-5 가정용 대한정밀 20mm 1996

    54 02-11-21-105-1-11-0480-10 이상수 마천동 33-4 영업용 대한정밀 13mm 1998

    55 02-11-21-105-1-11-0480-11 윤옥돌 마천동 33-4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56 02-11-21-105-1-11-0490-10 윤태근 마천동 33-5 가정용 신한정밀 25mm 1996

    57 02-11-21-105-1-11-0500-10 서성구 마천동 34-4 가정용 신한정밀 25mm 1996

    58 02-11-21-105-1-11-0510-10 박원규 마천동 34-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59 02-11-21-105-1-11-0520-10 유재극 마천동 33-6 가정용 대영공업 25mm 1997

    60 02-11-21-105-1-11-0530-10 김종필 마천동 33-7 가정용 세화정밀 25mm 1996

    61 02-11-21-105-1-11-0540-10 이동철 마천동 34-2 가정용 신한전자 32mm 2000

    62 02-11-21-105-1-11-0550-10 김상기 마천동 34-1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63 02-11-21-105-1-11-0560-10 이규원 마천동 33-8 가정용 서창전기통신 25mm 1997

    64 02-11-21-105-1-11-0570-10 전대일 마천동 34 영업용 대한정밀 20mm 1998

    65 02-11-21-105-1-11-0580-10 여장호 마천동 33 대산빌딩 가정용 - 20mm -

    66 02-11-21-105-1-11-0580-11 여장호 마천동 33 대산빌딩 영업용 - 20mm -

    67 02-11-21-105-1-11-0590-10 김재필 마천동 34-9 가정용 한서정밀 20mm 1998

    68 02-11-21-105-1-11-0590-11 김재필 마천동 34-9 영업용 금성정밀 25mm 1994

    69 02-11-21-105-1-11-0600-10 김성호 마천동 33-1 엠마오빌딩 영업용 대영공업 20mm 2001

    70 02-11-21-105-1-11-0610-10 홍종수 마천동 33-2 영업용 신한전자 20mm 2000

    71 02-11-21-105-1-11-0610-11 홍종수 마천동 33-2 가정용 금호미터 20mm 2000

    72 02-11-21-105-1-11-0620-10 박창학 마천동 33-3 지하 영업용 신한전자 20mm 1998

    73 02-11-21-105-1-11-0620-11 박창학 마천동 33-3 지하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74 02-11-21-105-1-11-0630-10 나기웅 마천동 36-4 가정용 세화정밀 25mm 1996

  • - 41 -

    수 용 가 번 호 성 명 주 소 업 종 제작회사 구경 제작년도

    75 02-11-21-105-1-11-0630-11 나기웅 마천동 36-4 가정용 신한전자 20mm 1998

    76 02-11-21-105-1-11-0640-10 102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77 02-11-21-105-1-11-0650-10 202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78 02-11-21-105-1-11-0660-10 302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79 02-11-21-105-1-11-0670-10 402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80 02-11-21-105-1-11-0680-10 502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81 02-11-21-105-1-11-0690-10 101호 마천동 36-3 동우빌라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82 02-11-21-105-1-11-0700-10 김형숙 마천동 36-3 201호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83 02-11-21-105-1-11-0710-10 301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84 02-11-21-105-1-11-0720-10 401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85 02-11-21-105-1-11-0730-10 501호 마천동 36-3 가정용 대한정밀 13mm 1998

    86 02-11-21-105-1-11-074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나-3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87 02-11-21-105-1-11-075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나-1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88 02-11-21-105-1-11-0760-10 이육수 마천동 36-1 산성빌라 나-2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89 02-11-21-105-1-11-077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나-3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0 02-11-21-105-1-11-0780-10 202호 마천동 36-1 산성빌라 나 가정용 금호미터 13mm 계기교체

    91 02-11-21-105-1-11-0790-10 안강노 마천동 36-1 산성빌라 나-1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2 02-11-21-105-1-11-080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가-3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3 02-11-21-105-1-11-081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가-2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4 02-11-21-105-1-11-082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가-102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5 02-11-21-105-1-11-0830-10 엄상섭 마천동 36-7 가동 101호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6 02-11-21-105-1-11-084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가-3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7 02-11-21-105-1-11-0850-10 전용희 마천동 36-1 산성빌라 가-201 가정용 대영공업 13mm 1997

    98 02-11-21-105-1-11-0860-10 양윤석 마천동 41-5 2층 영업용 금호미터 20mm 2000

    99 02-11-21-105-1-11-0860-11 양윤석 마천동 41-5 가정용 신한정밀 13mm 1991(수)

    100 02-11-21-105-1-11-0870-10 박기택 마천동 41-6 가정용 한저정밀 20mm 1998

    101 02-11-21-105-1-11-0880-10 김기근 마천동 41-7 3층 영업용 한서정밀 20mm 1998

    102 02-11-21-105-1-11-0890-10 주양수기 마천동 41-8 가정용 금호미터 40mm 1997

    103 02-11-21-105-1-11-1000-10 정충선 마천동 41-9 2층 가정용 - 20mm -

    104 02-11-21-105-1-11-1000-11 정충선 마천동 41-9 3층 4층 영업용 - 20mm -

    105 02-11-21-105-1-11-1010-10 유근박 마천동 41 아성빌딩 영업용 한서정밀 20mm 1998

    106 02-11-21-105-1-11-1020-10 서미현 마천동 41-1 고기생각 영업용 - 20mm -

    107 02-11-21-105-1-11-1030-10 송애숙 마천동 41-2 영업용 대한정밀 13mm 1997

    108 02-11-21-105-1-11-1040-10 정재구 마천동 41-3 영업용 금호미터 20mm 2000

    109 02-11-21-105-1-11-1040-11 정재구 마천동 41-3 가정용 금호미터 20mm 1992(수)

    110 02-11-21-105-1-11-1050-10 정만구 마천동 41-4 원천빌딩 영업용 신한정밀 40mm 2000

  • - 42 -

    가. 업종별 현황

    영업용25%

    업무용2%가정용

    73%

    구 분 수 량 비 고

    계 110 전

    가 정 용 80 전

    영 업 용 28 전

    업 무 용 2 전

  • - 43 -

    나. 구경별 현황

    32mm1%

    40mm11%

    25mm16%

    20mm28%

    13mm44%

    구 분 수 량 비 고

    계 110 전

    13 48 전

    20 31 전

    25 18 전

    32 1 전

    40 12 전

  • - 44 -

    다. 계량기 제작년도별 현황

    1992

    1%

    1994

    3%

    1993

    0%1991

    1%

    기타

    11%

    2001

    5%

    2000

    12%

    1999

    3%

    1998

    28%

    1995

    2%1996

    6%

    1997

    28%

    구 분 수 량 비 고

    계 110 전

    1991 1 전

    1992 1 전

    1994 3 전

    1995 2 전

    1996 7 전

    1997 31 전

    1998 32 전

    1999 3 전

    2000 13 전

    2001 5 전

    기 타 12 전

  • - 45 -

    5. 현장 모델 지형 측량

    가) 수준 측량

    현장 모델에서 수압 분석을 위해 수준 측량을 실시하였다.

    그림 3. 5 거여 26블록 상세 절점부여상황

  • - 46 -

    그림 3. 6 측량결과를 바탕으로 한 종단도

    표 3. 2 절점의 표고결정(기준표고를 10.00m로 함)

    라인A Junc 1-1 10.00Junc 2 9.92 Junc 200 9.79 Junc 40-0 9.30 Junc 3 9.25 Junc 39-1 8.64 Junc 111 8.48 Junc 38-3 8.28 Junc 38-2 8.30 Junc 38-1 8.30 Junc 4 8.08 Junc 36-4 8.20 Junc 7 8.01 Junc 13 8.10Junc 33-3 8.10Junc 33-2 8.10Junc 33-1 8.10Junc 9 7.95

  • - 47 -

    라인 B Junc 2 9.92 Junc 101 9.85 Junc 40-9 10.20 Junc 40-8 10.18 Junc 40-7 10.20 Junc 40-6 10.23 Junc 40-5 10.30 Junc 102 10.26 Junc 41-0 10.31 Junc 41-1 10.30 Junc 41-2 10.30 Junc 103 10.26Junc 41-3 10.30Junc 41-4 10.30Junc 6 10.09Junc 36-0 10.30Junc 104 10.27Junc 35-5 10.33Junc 35-6 10.30Junc 35-1 10.33

    라인 D Junc 4 8.08Junc 36-3 8.70Junc 38-0 8.70Junc 36-1 8.81Junc 36-7 8.90Junc 5 8.96Junc 6 10.09

    라인F Junc 9 7.95Junc 10 8.60Junc 107 8.91Junc 34-9 9.20Junc 34-8 9.30Junc 11 9.59Junc 35-0 9.97Junc 106 10.16Junc 12 10.50

  • - 48 -

    라인 G Junc 8 8.80Junc 33-4 8.66Junc 33-5 8.55Junc 34-4 8.57Junc 33-6 8.63Junc 34-3 8.66Junc 34-2 8.75Junc 33-7 8.80Junc 34-0 8.80Junc 33-8 8.91Junc 33-0 8.95Junc 10 8.60

    라인 I Junc 3 9.25Junc 108 9.16Junc 39-3 9.17Junc 40-2 9.19Junc 39-2 9.18Junc 39-0 9.08Junc 109 8.98Junc 38-4 8.97Junc 41-9 8.97Junc 38-5 8.97Junc 41-8 8.96Junc 38-6 8.96Junc 41-7 8.96Junc 38-7 8.94Junc 38-8 8.94Junc 41-6 8.92Junc 41-5 8.92

    Junc 110 8.91

    Junc 5 8.96

  • - 49 -

    표 3. 3 관로의 길이결정

    골격화 관망 상황 상세상황 결정관로길이(m) Link ID Link ID 관로길이(m) 전체길이(m)Pipe 1 Pipe 1 0.00 Pipe 1-1 Pipe 1-1 2.27 2.27

    Pipe 86-200-1Pipe 86-200-1-1 13.90

    58.02 Pipe 86-200-1-2 37.01 Pipe 86-200-1-3 7.11

    Pipe 86-200-2Pipe 86-200-2-1 44.63

    81.32 Pipe 86-200-2-2 36.69

    Pipe 86-200-3

    Pipe 86-200-3-1 12.82

    70.68Pipe 86-200-3-2 16.34 Pipe 86-200-3-3 15.68 Pipe 86-200-3-4 25.83

    Pipe 86-200-4Pipe 86-200-4-1 24.83

    48.00 Pipe 86-200-4-2 23.17

    Pipe 86-200-5 Pipe 86-200-5 12.39 12.39

    Pipe 86-100-9

    Pipe 86-100-9-1 1.42

    52.61 Pipe 86-100-9-2 1.64 Pipe 86-100-9-3 10.91 Pipe 86-100-9-4 38.64

    Pipe 86-100-10 Pipe 86-100-10 37.00 37.00 Pipe 86-100-11 Pipe 86-100-11 8.37 8.37

    Pipe 86-100-12Pipe 86-100-12-1 21.07

    74.23Pipe 86-100-12-2 17.10 Pipe 86-100-12-3 36.06

    Pipe 86-100-13 Pipe 86-100-13 11.09 11.09

    Pipe 86-100-8Pipe 86-100-8-1 14.60

    55.03Pipe 86-100-8-2 12.83 Pipe 86-100-8-3 27.59

    Pipe 86-100-7Pipe 86-100-7-1 22.19

    36.38 Pipe 86-100-7-2 14.19

    Pipe 86-100-4Pipe 86-100-4-1 4.66

    30.06 Pipe 86-100-4-2 2.72 Pipe 86-100-4-3 22.68

    Pipe 86-100-3

    Pipe 86-100-3-1 33.69

    84.07 Pipe 86-100-3-2 15.17 Pipe 86-100-3-3 6.32 Pipe 86-100-3-4 28.88

    Pipe 86-100-2

    Pipe 86-100-2-1 8.22

    95.59

    Pipe 86-100-2-2 36.66Pipe 86-100-2-3 14.98 Pipe 86-100-2-4 5.45Pipe 86-100-2-5 15.95Pipe 86-100-2-6 14.34

  • - 50 -

    Pipe 86-100-1 Pipe 86-100-1 3.10 3.10Pipe 92-100-1 Pipe 92-100-1 5.74 5.74

    Pipe 92-100-2

    Pipe 92-100-2-1 3.41

    81.40 Pipe 92-100-2-2 16.37 Pipe 92-100-2-3 2.59Pipe 92-100-2-4 28.27Pipe 92-100-2-5 30.77

    Pipe 92-100-3

    Pipe 92-100-3-1 1.26

    67.27

    Pipe 92-100-3-2 5.18Pipe 92-100-3-3 11.12Pipe 92-100-3-4 5.88Pipe 92-100-3-5 9.35Pipe 92-100-3-6 6.65 Pipe 92-100-3-7 8.58 Pipe 92-100-3-8 1.51Pipe 92-100-3-9 8.99Pipe 92-100-3-10 2.70Pipe 92-100-3-11 6.07

    Pipe 92-100-4 Pipe 92-100-4 4.88 4.88

    Pipe 86-100-5

    Pipe 86-100-5-1 20.90

    46.03 Pipe 86-100-5-2 1.96 Pipe 86-100-5-3 12.38 Pipe 86-100-5-4 0.77Pipe 86-100-5-5 10.02

    Pipe 86-100-6 Pipe 86-100-6 46.59 46.59

    Pipe 86-80-1Pipe 86-80-1-1 24.96

    34.16 Pipe 86-80-1-2 8.28 Pipe 86-80-1-3 0.92

    Pipe 86-80-2Pipe 86-80-2-1 10.84

    13.24Pipe 86-80-2-2 2.40

    Pipe 86-80-3

    Pipe 86-80-3-1 21.06

    85.80Pipe 86-80-3-2 6.16Pipe 86-80-3-3 5.66 Pipe 86-80-3-4 52.92

    Pipe 86-80-4

    Pipe 86-80-4-1 16.69

    78.00

    Pipe 86-80-4-2 12.77Pipe 86-80-4-3 2.88 Pipe 86-80-4-4 5.95Pipe 86-80-4-5 4.30Pipe 86-80-4-6 10.52Pipe 86-80-4-7 5.24Pipe 86-80-4-8 0.43Pipe 86-80-4-9 12.11Pipe 86-80-4-10 4.82 Pipe 86-80-4-11 2.30

    Pipe 86-100-15Pipe 86-100-15-1 6.67

    43.67 Pipe 86-100-15-2 36.10

  • - 51 -

    6. 원격계측기 개발 및 설치

    가. 원격계측기 개발

    1) 유량 원격계측기 개발

    ① 영상편집 방식에 의한 원격계측기 개발

    ② 기존 설치되어 있는 수용가의 계량기를 활용하여 별도의 조작없이

    계량기 상단에 원격계측기를 부착하고 지침을 촬상하여 촬상된

    image를 digital로 변환시켜 전송

    ③ 원격계측 system은 다음 그림 3. 7과 같다.

    그림 3. 7 원격계측 System 개요

    - CMOS 센서 : 계량기 영상을 정확히 촬상한다.

    - CONTROL BOARD : 단말기의 총체적인 동작 및 Data를 저장하

    고 중앙감시반의 명령을 수용한다.

    - RF통신 모듈 : 이동수신국과 수용가 간에 Data를 송신 및 수신하

    는 것으로 무선통신을 한다.

  • - 52 -

    2) 양압 원격계측기 개발

    ① 영상편집 방식에 의한 원격계측기와 관로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

    는 수압 측정용 수압계측기를 이용하여 관로의 사용량과 관로의

    수압을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

    ② 원격계측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용가의 계량기를 활용하여 별도

    의 조작없이 계량기 상단에 원격계측기를 부착하고 계량기와 연결

    된 관로에 별도 제작된 유니언을 이용 수압값을 측정하게 된다.

    ③ 양압원격계측 system은 다음과 같다.

    i. 압력 단위는 PSI 이다.

    ii. 압력계 전원은 보드에서 4V를 공급한다.

    iii. 압력계 출력은 0~3V까지 전압을 보드로 보낸다.

    iv. 압력계 전선은 총 3가닥이다.( +, -, 데이터)

    (전원2가닥 ,데이터 1가닥)

    v. 압력 값이 없으면 0V( 0 PSI )를 보드에 보내고, 압력 값이 최고

    이면 3V(100PSI)를 보드에 보낸다.

    vi. 보드는 전압 값을 받아서 A/D 컨버터를 거쳐서 디지털(HEX)값으

    로 변환 한다.

    vii. Host Computer에서 압력 값을 알 수 있고 DM_Manager에서

    PSI로 된 값을 kgf/cm2으로 바꿔서 표출한다.

    ③ 수압계측기 정밀성 test

    (인천에서 test 한 내용, 건물 밖 수압 test 내용)

    수압 test 일시 : 2003. 3. 13~3.14

  • - 53 -

    수압계 실내 Test 수압계 실내 Test

    수압계 실외 Test 수압계 실외 Test

    수두 측량 아날로그 수압계에 의한 측정

  • - 54 -

    시간계측기

    번호

    Analog 압력계

    (Kgf/cm2)

    양압계 압력값

    (Kgf/cm2)차이값

    13시21분 D12 2.2 2.028951748 0.171048

    13시30분 C1D 2.3 2.028951748 0.271048

    13시46분 D17 2.5 3.174389317 -0.67439

    14시03분 115 2.48 2.532944279 -0.05294

    15시40분 C6C 2.48 2.456581774 0.023418

    16시00분 AEF 2.55 2.72385054 -0.17385

    16시05분 C6F 2.6 2.525308028 0.074692

    16시32분 B83 2.75 2.594034282 0.155966

    16시45분 D19 2.49 2.364946768 0.125053

    16시55분 1A2 2.51 2.700941789 -0.19094

    17시55분 C0F 2.6 2.56348928 0.036511

    17시59분 B40 2.6 3.678381848 -1.07838

    18시15분 BEC 2.6 2.082405501 0.517594

  • - 55 -

    나. 원격계측기 설치

    1) 유량 원격계측기 설치

    가) 유량 원격계측기 시험 모델 설치

    - 설치 일시 : 2000. 8. 14 (시험모델 : 10EA) ~ 2001.

    1. 계량기를 노출시킨다 2. 계량기를 깨끗이 청소한다.

    3.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없앤다 4. 부착면에 고무바킹을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5. 원격계측기를 설치한다.

  • - 56 -

    2) 양압 원격계측기 설치

    가) 수압 측정용 유니언 제작

    ① 양압계측을 하기위해서는 유량 측정 인입부에 수압 측정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② 이 장치의 설치위치를 외부의 충격이나 미관상 해롭지 않도록 설

    치위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③ 측정된 수압의 데이터가 유량데이터와 함께 전송토록 하여야 한

    다.

    ④ 수압을 원격으로 전송키 위하여 유량계측기의 인근에 수압측정용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⑤ 이로 인하여 계량기의 유출부측 유니언을 가공하여 수압측정을 가

    능케 하여 계량기 보호통 내에서 수압측정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3. 8 수압 측정용 유니언 제작

  • - 57 -

    나) 양압 원격계측기 설치

    양압계측기 설치위치

  • - 58 -

    다. 원격계측기 설치 현황

    수전번호 성 명 주 소원격계측기

    LLID 계측기종류

    1 011121105110001010 정태일 마천동 40-5번지 08C0921C16 유량계측기

    2 011121105110002010 박정환 마천동 40-6번지 08C0921C23 유량계측기

    3 011121105110002011 박정환 마천동 40-6번지 08C0921C2D 유량계측기

    4 011121105110003010 이근대 마천동 40-7번지 08C0921C14 유량계측기

    5 011121105110005010 남상철 마천동 40번지 08C0921C2B 유량계측기

    6 011121105110007010 전용호 마천동 39-2번지 08C0921DC3 유량계측기

    7 011121105110008010 무궁화공용 마천동 40-2번지 08C0921D33 유량계측기

    8 011121105110038010 동우빌라 주양수기 마천동 39번지 08C0921D0D 유량계측기

    9 011121105110069010 김영훈 마천동 38-3번지 08C0921A61 유량계측기

    10 011121105110069011 김영훈 마천동 38-3번지 08C0921A93 유량계측기

    11 011121105110070010 구자범 마천동 38-2번지 08C0921C4E 유량계측기

    12 011121105110070011 구자범 마천동 38-2번지 08C0921C49 유량계측기

    13 011121105110073010 손양모 마천동 38-3번지 08C0921E20 유량계측기

    14 011121105110073011 손양모 마천동 38-8번지 08C0921C21 유량계측기

    15 011121105110074010 홍성배 마천동 38-7번지 08C0921B60 유량계측기

    16 011121105110075010 202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B65 유량계측기

    17 011121105110076010 302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4F 유량계측기

    18 011121105110077010 301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3C 유량계측기

    19 011121105110078010 201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43 유량계측기

    20 011121105110079010 101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6D 유량계측기

    21 011121105110085010 정병옥 마천동 38-6번지 08C0921B54 유량계측기

    22 011121105110086010 이영길 마천동 38-5번지 08C0921C48 유량계측기

    23 011121105110087010 남상철 마천동 40-8번지 신규 08C0921C0E 유량계측기

    24 021121105111001010 가압장 마천동 거마가압장 08C0921DA8 유량계측기

    25 021121105111002010 구일모 마천동 35-5번지 08C0921C26 유량계측기

    26 021121105111002011 구일모 마천동 35-5번지 08C0921C65 유량계측기

    27 021121105111003010 한상필 마천동 35-6번지 08C0920788 유량계측기

    28 021121105111007010 김재덕 마천동 34-7번지 08C0921BA4 유량계측기

    29 021121105111007011 고선팔 마천동 34-7번지 08C0921E24 유량계측기

  • - 59 -

    수전번호 성 명 주 소원격계측기

    LLID 계측기종류

    30 021121105111008010 중앙하이츠 마천동 35-3번지 08C0921A28 유량계측기

    31 021121105111019010 박종연 마천동 35-4번지 08C0921B41 유량계측기

    32 021121105111041010 정문조 마천동 36-6번지 08C0921B4E 유량계측기

    33 021121105111042010 진주빌라 101호 마천동 36-6번지 08C09200C6 유량계측기

    34 021121105111043010 진주빌라 201호 마천동 36-6번지 08C0921B56 유량계측기

    35 021121105111048010 이상수 마천동 33-4번지 08C0921C5D 유량계측기

    36 021121105111048011 윤옥돌 마천동 33-4번지 08C0921C42 유량계측기

    37 021121105111050010 서성구 마천동 34-4번지 08C0921B27 유량계측기

    38 021121105111051010 박원규 마천동 34-3번지 08C0921C59 유량계측기

    39 021121105111052010 유재극 마천동 33-6번지 08C0921C32 유량계측기

    40 021121105111053010 김종필 마천동 33-7번지 08C0921C5B 유량계측기

    41 021121105111054010 이동철 마천동 34-2번지 08C0921C1A 유량계측기

    42 021121105111055010 김상기 마천동 34-1번지 08C0921E1E 유량계측기

    43 021121105111056010 이규원 마천동 33-8번지 08C0921B8F 유량계측기

    44 021121105111058010 여장호 마천동 33번지 08C0921CA3 유량계측기

    45 021121105111058011 여장호 마천동 33번지 08C09210FD 유량계측기

    46 021121105111059010 김재필 마천동 34-7번지 08C0921C18 유량계측기

    47 021121105111059011 김재필 마천동 34-7번지 08C0921B7D 유량계측기

    48 021121105111060010 김성호 마천동 33-1번지 08C0921B48 유량계측기

    49 021121105111061010 홍종수 마천동 33-2번지 08C0921CF7 유량계측기

    50 021121105111062010 박창학 마천동 33-3번지 08C0921E26 유량계측기

    51 021121105111062010-1 박창학 마천동 33-3번지 08C0921E2A 유량계측기

    52 021121105111063010-1 나기웅 마천동 36-4번지 08C0921B75 유량계측기

    53 021121105111064010 102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58 유량계측기

    54 021121105111065010 202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53 유량계측기

    55 021121105111066010 302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4A 유량계측기

    56 021121105111067010 402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4C 유량계측기

    57 021121105111068010 502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4D 유량계측기

    58 021121105111069010 동우빌라 101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6B 유량계측기

    59 021121105111070010 김형숙 마천동 36-3번지 08C0921B5E 유량계측기

  • - 60 -

    수전번호 성 명 주 소원격계측기

    LLID 계측기종류

    60 021121105111071010 301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50 유량계측기

    61 021121105111072010 401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55 유량계측기

    62 021121105111073010 501호 마천동 36-3번지 08C0921B70 유량계측기

    63 021121105111074010 전용희 마천동 36-1번지 08C0921B8C 유량계측기

    64 021121105111075010 전용희 마천동 36-1번지 08C0921C6E 유량계측기

    65 021121105111076010 이육수 마천동 36-1번지 08C0921B6A 유량계측기

    66 021121105111077010 전용희 마천동 36-1번지 08C0921B6F 유량계측기

    67 021121105111078010 산성빌라 202호 마천동 36-1번지 08C09200C0 유량계측기

    68 021121105111079010 안강노 마천동 36-1번지 08C0921B6D 유량계측기

    69 021121105111080010 전용희 마천동 36-7번지 08C09200C1 유량계측기

    70 021121105111081010 전용희 마천동 36-7번지 08C09200CA 유량계측기

    71 021121105111082010 전용희 마천동 36-7번지 08C09200D2 유량계측기

    72 021121105111083010 엄상섭 마천동 36-7번지 08C0921B73 유량계측기

    73 021121105111084010 전용희 마천동 36-7번지 08C092110D 유량계측기

    74 021121105111085010 전용희 마천동 36-7번지 08C0921B64 유량계측기

    75 021121105111086010 양윤석 마천동 41-5번지 08C0921C1E 유량계측기

    76 021121105111086011 양윤석 마천동 41-5번지 08C09200EA 유량계측기

    77 021121105111088010 김기근 마천동 41-7번지 08C0921C2A 유량계측기

    78 021121105111089010 주양수기 마천동 41-8번지 08C0921B59 유량계측기

    79 021121105111100010 정충선 마천동 41-9번지 08C0921C1F 유량계측기

    80 021121105111100011 정충선 마천동 41-9번지 08C0921C12 유량계측기

    81 021121105111102010 서미현 마천동 41-1번지 08C0921C1C 유량계측기

    82 021121105111103010 송애숙 마천동 41-2번지 08C0921B5D 유량계측기

    83 021121105111104010 정재구 마천동 41-3번지 08C0921C25 유량계측기

    84 021121105111104011 정재구 마천동 41-3번지 08C0921E1C 유량계측기

  • - 61 -

    수전번호 성 명 주 소원격계측기

    LLID 계측기종류

    1 021121105111105010 정만구 마천동 41-4번지 08C0921D19 양압계측기

    2 011121105110004010 황종옥 마천동 40-9번지 08C0921D12 양압계측기

    3 011121105110006010 남상철 마천동 39-3번지 08C0921115 양압계측기

    4 011121105110022010 한승맨션 주양수기 마천동 39-1번지 08C0921BEC 양압계측기

    5 011121105110054010 동우빌라 공용 마천동 38-4번지 08C0921C13 양압계측기

    6 011121105110071010 박종열 마천동 38-1번지 08C0921B83 양압계측기

    7 011121105110072010 전학출 마천동 38번지 08C0921D17 양압계측기

    8 021121105111004010 한상필 마천동 35-1번지 08C0921C5A 양압계측기

    9 021121105111005010 구자홍 마천동 35번지 08C0921C6C 양압계측기

    10 021121105111006010 주택은행 마천동 34-8번지 08C0921AEF 양압계측기

    11 021121105111028010 주양수기 마천동 34-5번지 08C09200E4 양압계측기

    12 021121105111047010 박형준 마천동 36-5번지 08C0921C66 양압계측기

    13 021121105111049010 윤태근 마천동 33-5번지 08C0921C0F 양압계측기

    14 021121105111057010 전대일 마천동 34번지 08C0921B40 양압계측기

    15 021121105111061011 홍종수 마천동 33-2번지 08C0921CA2 양압계측기

    16 021121105111063010 나기웅 마천동 36-4번지 08C0921D0F 양압계측기

    17 021121105111087010 박기택 마천동 41-6번지 08C0921C11 양압계측기

    18 021121105111101010 유근박 마천동 41번지 08C0921C1D 양압계측기

    19 1 메인 계량기 마천동 메인계량기 08C09200D0 양압계측기

  • - 62 -

    7. 원격 전송 방안 검토

    가. 전송시스템 방식별 비교

    구분유선방식 무선방식

    비고일반전화망(PSTN)

    인터넷망 전력선방식 013방식 핸드폰방식

    장점

    별도의 통신선로가 필요 없고 전화가 설치된 곳이면 어디에서나 검침이 용이하다.

    기존에 인터넷이 포설된 지역은 아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관련 데이터통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전기선을 같이 사용한다.회선사용료가 없다.설치가 용이하다.

    무선으로 설치가 편리하다.송 수 신 기 의 금액이 저렴하다.동시에 많은 망이 접속이 가능하다.통 신 요 금 이 저렴하다.

    전국적인 망을 사용한다.무선으로 설치 시 편리하다.

    단점

    유선으로 연결 하 기 위 한 장비가 필요하다상 시 전 원 이 인가되어 있어야 한다.유 선 라 인 이 포 설 되 어 야 한다.회선사용료가 비싸다.

    인터넷 망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은 초기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인 터 넷 으 로 연결하는 장비가 필요하다상시 전원이 인가되어 있어야 한다.

    전력선에 국한이 되어 제약요건이 따른다.국 소 지 역 에 한정이 되고 중간에 변환장치가 필요하다.타 장비(의료장비, 계측기)등에 간섭을 줄 수 있다.통신 성공률이 저조하다.

    대도시를 제외한 중소도시에는 기존 전송망 확보가 미흡하다.

    송 수 신 기 의 금액이 비싸다동시에 많은 망이 접속이 곤란하다.PCS의 경우 지 하 에 서 는 데이터 전송 율이 낮아진다.

    채택 ○

    - 본 과제에서는 서울시에 현장 모델이 있다는 특수성과 저렴한 사용료가

    지불되는 013XX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하여 과제를 수행하

    였다.

    - 실제 BLOCK SYSTEM에 적용 시는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전화선 방

    식, 인터넷 방식 등 유동적으로 원격 전송토록 한다.

  • - 63 -

    나. 원격계측 전송시스템 구성도

    PRINTER COMPUTER WORK-STATION MODEME1 or T1 급

    전용회선

    가정1

    원격계측기 기 지 국 013XX 통신회사

    관리 server 수신측전화국 송신측전화국

    무선 RF통신 013데이타통신

    전용선방식

    전용선방식

    전용선방식

    무 선 방 식

  • - 64 -

    수전번호 성 명 주 소 LLID 3일4일5일6일7일8일9일10일11일12일13일14일15일

    011121105110001010 정태일 마천동 40-5번지 08C0921C16 17 3 8 8 7 4 10 11 11 6 6 6 6011121105110002010 박정환 마천동 40-6번지 08C0921C23 23 18 1 0 0 0 0 0 0 0 0 0 0011121105110002011 박정환 마천동 40-6번지 08C0921C2D 24 24 24 24 24 24 24 24 24 24 24 17 0011121105110003010 이근대 마천동 40-7번지 08C0921C14 24 23 20 23 24 24 23 24 24 23 23 24 23011121105110004010 황종옥 마천동 40-9번지 08C0921D12 24 16 0 0 0 6 23 23 24 22 24 23 22011121105110005010 남상철 마천동 40번지 08C0921C2B 24 24 24 24 24 24 24 24 22 24 24 24 24011121105110006010 남상철 마천동 39-3번지 08C0921115 24 22 14 20 20 20 21 24 22 9 2 0 0011121105110007010 전용호 마천동 39-2번지 08C0921DC3 0 9 22 24 22 24 24 24 24 24 24 24 24011121105110008010 무궁화공용 마천동 40-2번지 08C0921D33 23 22 22 21 17 18 16 22 14 21 20 16 22011121105110022010 한승맨션 마천동 39-1번지 08C0921BEC 21 11 19 22 23 20 19 21 22 23 22 19 23011121105110038010 동우빌라 마천동 39번지 08C0921D0D 20 15 12 19 22 18 16 24 20 20 23 23 23011121105110054010 동우빌라 마천동 38-4번지 08C0921C13 23 24 23 24 24 24 23 24 24 23 21 24 23011121105110069010 김영훈 마천동 38-3번지 08C0921A61 24 24 24 23 23 17 7 15 16 8 16 14 16011121105110069011 김영훈 마천동 38-3번지 08C0921A93 0 8 18 16 18 17 17 19 19 13 15 20 22011121105110070010 구자범 마천동 38-2번지 08C0921C4E 0 7 22 23 24 24 24 24 23 24 24 24 24011121105110070011 구자범 마천동 38-2번지 08C0921C49 23 19 19 22 20 20 20 24 20 23 22 21 22011121105110071010 박종열 마천동 38-1번지 08C0921B83 23 19 18 19 23 21 22 19 1 0 0 0 0011121105110072010 전학출 마천동 38번지 08C0921D17 0 0 0 0 0 0 0 0 0 0 0 0 0011121105110073010 손양모 마천동 38-3번지 08C0921E20 24 23 22 23 23 24 24 24 24 24 24 24 24011121105110073011 손양모 마천동 38-8번지 08C0921C21 23 15 5 0 0 7 17 23 23 23 22 22 20011121105110074010 홍성배 마천동 38-7번지 08C0921B60 24 24 24 24 24 24 21 23 24 24 23 24 24011121105110075010 202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B65 17 19 21 21 22 20 21 23 21 20 20 13 0011121105110076010 302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4F 15 17 18 19 14 13 7 24 23 22 23 21 22011121105110077010 301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3C 24 22 24 24 23 24 24 24 24 23 24 23 22011121105110078010 201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43 0 2 2 9 11 20 6 7 12 12 7 7 9011121105110079010 101호 마천동 38-7번지 08C0921C6D 20 20 19 23 17 22 21 21 24 22 23 9 2011121105110085010 정병옥 마천동 38-6번지 08C0921B54 23 9 6 12 15 12 0 0 0 0 0 0 0011121105110086010 이영길 마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