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2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1, pp. 287~312, 2012.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 김 동 일 ** 손 지 영 *** 김 경 선 **** 김 주 연 ***** 김 효 정 ****** < 요 약 >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수업 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8명이며, 면담 내용은 합의에 의한 질적 분석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장애대학생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 컴퓨 터에 대한 비전, 학원과는 차별화된 수업에 대한 기대 등을 가지고 본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 여하였다고 밝혔다.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장애대학생들은 수업 내용의 높은 난이도로 인하여 곤란을 겪었고, 장애로 인한 시청각 정보습득의 곤란으로 프로그래밍 수업 고유의 특성인 특수 용어, 표, 알고리즘, 수식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수업을 통해 참여자들은 그동안 어렵게만 생각했던 프로그래밍에 대해 긍정적인 *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기술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 [10036459, QoLT 산업기술기반 지원센터 구축사업]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제1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t.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청주대학교 교직과 교수 Professor, Dept. of Teacher Education, Cheongju University ****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전공 박사과정(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Ph. D. Candida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세종초등학교 교사 Teacher, Sejong Elementary School ****** 금빛초등학교 교사 Teacher, Gumbit Elementary School

Transcript of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Page 1: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1, pp. 287~312, 2012.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김 동 일** ㆍ 손 지 영*** ㆍ 김 경 선**** ㆍ 김 주 연***** ㆍ 김 효 정******

< 요 약 >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수업

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8명이며, 면담 내용은 ‘합의에 의한 질적 분석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장애대학생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 컴퓨

터에 대한 비전, 학원과는 차별화된 수업에 대한 기대 등을 가지고 본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

여하였다고 밝혔다.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장애대학생들은 수업 내용의 높은 난이도로 인하여

곤란을 겪었고, 장애로 인한 시ㆍ청각 정보습득의 곤란으로 프로그래밍 수업 고유의 특성인

특수 용어, 표, 알고리즘, 수식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수업을 통해 참여자들은 그동안 어렵게만 생각했던 프로그래밍에 대해 긍정적인

*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기술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

[10036459, QoLT 산업기술기반 지원센터 구축사업]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제1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t.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청주대학교 교직과 교수

Professor, Dept. of Teacher Education, Cheongju University

****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전공 박사과정(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Ph. D. Candida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세종초등학교 교사

Teacher, Sejong Elementary School

****** 금빛초등학교 교사

Teacher, Gumbit Elementary School

Page 2: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288

태도를 갖게 되었고 컴퓨터 관련 진로 설정에 도움을 받았다. 향후 프로그램에 대해 장애대

학생들은 수업방법의 개선, 프로그래밍 학습의 특성을 고려한 보조공학 지원, 비장애 학생과

의 효율적인 통합환경 구성, 멘토링 시스템 필요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핵심어 : 장애대학생, 합의에 의한 질적 분석 방법, IT 교육, 보조공학, 컴퓨터 프로그래밍

Ⅰ. 서 론

정보과학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은 우리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중요한 위치에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IT의 발달은 장애인들이 보다 효율적으

로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었으며, IT 분야는 장애인들의 신체적 불

편함을 최소화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장벽을 무너뜨릴 수 있는 분야로 인식되게 되

었다(Fichten et al., 2003). 끊임없이 발전하는 IT로 인하여 장애인들은 이전에 수행할

수 없었던 고등 과학기술 관련 업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Burgstahler,

2003), 장애인에게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여 이들의 경제적 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IT 분야는 신체 장애인에게 특히 접근이 용이한 직업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여러 연

구에서 장애인이 선호하는 직업훈련 분야로 보고되고 있다(육주혜, 2003, 2005; 장창엽

외, 2001). 최근에는 장애인들의 IT 분야 직업 진입과 직무에 대한 사례들이 소개되어 장

애인들이 IT 노동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에 동참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육주혜, 2005;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황현철과 김영일(2010)의 연구에서도 IT 계열은 청각장애인

들이 선호하는 직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공공훈련기관 훈련에 참여한 장애

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IT 분야의 장애인 훈련수료자 비중이 기계 분야 다음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황아윤, 심지영, 2007). 이와 같이, IT 분야는 일반적

으로 타 분야에 비해 장애인의 접근과 고용이 용이한 것으로 인식 되고 있어, 장애인들이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애인의 선호와 기대에도 불구하고 IT 직업 분야의 장애인 고용환경과

조건은 다른 직업 분야에 비해 월등하다고 보기 어려우며, 여전히 장애인이 IT 관련 직종

에 취업하고 고용을 유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육주혜, 2005). 비록 많은 네

트워크 기술과 접근성이 발달하여 장애인들의 사회적 고립이 줄어들고 독립적으로 정보기

술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장애인은 IT 관련 설비 및 시설, 정보에 대한 접근

Page 3: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289

에 제약이 있다. 이로 인해 IT 분야로의 장애인의 진출 비율은 여전히 낮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Burgstahler, 1992; Horn & Shell, 1990).

이에 앞으로 IT 관련 직종의 전반적인 확산에 맞추어 장애인의 진입 가능성을 제시하는

긍정적 사례들을 발굴하고 IT 직업에 대한 기대가 현실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

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을 위한 IT 교육이나 훈련의 방향에 대한 보다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육주혜, 2005). 즉, 앞으로 보다 많은 장애인이 IT 분야로의 진출을 확

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의 IT 관련 분야 취업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이 분야와 관

련해 장애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IT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행정안전부에서는 한

국정보화진흥원을 통해 전국의 10여개 IT 전문교육기관을 선정해 2004년부터 현재까지

장애인 약 1,329명을 대상으로 IT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1). 이 교육은 주로 장애인단

체나 컴퓨터 전문 교육기관에서 맡고 있는데, 장애인 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IT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그 내용이 한정되어 있어 고도의 전문성을 확보하기가 어렵

고, 컴퓨터교육 전문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은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진행의 어려

움 때문에 한계가 있어 장애인의 IT 관련 분야 취업 및 창업이라는 본래의 목표에 도달하

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과 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인의 수가 아

직까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에서는 장애학생의 IT 영역 및 이공계 분야 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미국 연방의 STEM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기관은 대표적으로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국립과학재단(NSF), 교육부(Department of Education)의 세 기

관이 대표적인데, 그 중에서 국립과학재단에서 가장 다양한 STEM 프로그램이 진행 중에

있다. 다른 기관들과는 달리 국립과학재단에서는 실험실을 직접 운영하거나 연구원을 고

용하는 것 외에 과학자, 엔지니어, 교육자 혹은 연구기관에 자금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프

로그램을 진행하고 있고,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

다. 이러한 장애학생을 위한 STEM 프로그램은 미국 전역에서 6개의 지역연합으로 구성

되어 진행 중에 있으며, 멘토링, 캠프, 네트워크 구축, 전문가 개발, 인턴쉽, 현장체험, 기

관들의 협력 체계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김동일 외, 2011).

이와 같이 미국에서는 장애학생들의 이공계 및 IT 분야 진출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장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IT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고등교육과 연계된 전문 인력 양성 교육으로 전문성

1) http://www.mopas.go.kr/gpms/srch/search.jsp.

Page 4: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290

에 초점을 두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

수교육법’이 새롭게 시행되면서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진학 비율이 높아졌으며, 이로 인해

장애학생의 직업 사회로의 진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IT 분야의 직업

으로 진입하는 장애학생들은 적으며 이들이 전문직으로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다.

최근 Kim, Son, 그리고 Vance(2012)의 연구에서는 324명의 국내 장애대학생들을 대

상으로 IT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많은 장애대학생들은 IT 기술이

자신의 미래 직업과 관련성이 높으며 직업 준비에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앞으로

장애대학생들은 위한 IT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는 장애학생 대상의 전문적인 I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장

애대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이 설계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많은 장애학

생들이 대학을 졸업하면서 이들의 진로와 취업 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으며, 장애학

생들이 IT 직업 분야에 성공적으로 진입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교육에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을 위한 IT 교육 분야 중에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IT 산업의 바탕이 되는 컴퓨터 과학

및 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며(최현종, 2011), 현대사회는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정

보가 컴퓨터로 처리됨으로써 세계적으로 프로그래머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복성현, 이충기, 2005). 하지만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고 싫

어하는 컴퓨터 관련 과목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Dehnadi와 Bornat, (2006)의 연구

에서는 컴퓨터 과학 학부 대학생 중 30-60%가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탈락하고 있다고 보

고하고 있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경우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애로 인해 프로그래밍

기술 습득에 더욱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또한 장애학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은 적절한 지원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수업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학습 경험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

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을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성취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앞으로 어떻게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도 함께 찾아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장애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은 어떠한가?’이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1)장애대학생들이 프

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2) 장애대학생들은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 3) 교육프로그램이 어떻게 향상되길 바라는가? 이다.

Page 5: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291

Ⅱ. 연구 방법

1. IT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IT 수업 프로그램은 교수체제설계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체제적 접근은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창조적이고도 미리 계획된 교육을 가능하게 하여 시행착오를 줄이고 학습효과

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다(오인경, 최정임, 2005). 본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해 적용된 모형은 ADDIE모형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그림 2-1>과 같다.

분석

(Analysis) ▷ 설계

(Design) ▷ 개발

(Development) ▷ 실행

(Implementation) ▷ 평가

(Evaluation)

• 요구분석

• 학습자분석

• 환경분석

• 수행목표

명세화

• 교수전략 :

(강의법, 실습)

• 교수자료 개발

(교재, PPT)

• 평가자료 개발

(총괄평가)

• 교수-학습

활동 실시• 성과 평가

수업 지원 검사 조정

• 시각장애-음성변환프로그램,

점자정보 단말기

• 지체장애-휠체어 가능 책상,

특수키보드

• 청각장애-속기 지원

• 학습도우미-필기 및 기타 도움

제공

• 시각장애-음성변환프로그램,

점자정보 단말기

• 지체장애-답안 대필 지원

• 시각, 지체장애-시간 연장

<그림 2-1> IT 수업 모형 개발

분석단계에서는 장애학생 5명과 컴퓨터 공학 교수 2명이 참여한 4회의 간담회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의 요구가 높음을 확인하고 수업 내용을 ‘C언어’와 ‘자바’로 선정

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 본 수업에 참가한 장애인들의 특

성을 파악하여 필요한 수업지원의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수업환경은 효율적인 프로

그래밍 학습과 자연스런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통합 환경으로

구성하였다.

Page 6: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292

설계와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학생들의 현재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학습목표를 수립하

였다. 또한 프로그래밍의 학습요소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지식’과 ‘전략’ 학습을 위해

서는 강의와 실습형태의 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최현종, 2011)를 바탕으로 ‘강의’와 ‘실습’을 병행한 형태의 수업 설계를 하였다.

수업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과정 36시간, C 심화과정 60시간, JAVA 심화과정 60

시간으로 2010년 12월 20일부터 2011년 1월 31일까지 S대학교 강의실에서 실시되었

다. 지체장애학생 7명, 시각장애학생 3명, 청각장애학생 7명 등 총 17명의 장애학생과 비

장애학생 9명이 본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는 각 과정을 마친 후 실시하는 총괄평가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장애

유형별 특성에 맞게 검사조정이 이루어졌다.

2. 장애학생을 위한 수업지원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장애학생들의 개별적인 요구 파악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장애보

상을 위한 보조공학기기와 인력(학습도우미)을 지원하였다. 시각장애 학생을 위해서는 텍

스트 음성변환 소프트웨어(screen reader) 및 점자정보단말기 등의 보조공학을 제공하였

으며, 지체장애 학생을 위해서는 휠체어 접근 가능한 책상이 지원되었다. 청각장애 학생을

위해서는 속기사를 지원하고 대형 프로젝션 TV를 설치하여 속기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

였다. 또한 필기가 어려운 지체장애 학생들에게는 대필지원을, 시각장애 학생들에게는 판

서 내용을 타이핑 해주는 학습 도우미를 지원하였다. 수업장소는 접근성이 확보될 수 있

도록 버스 정류장에서 가까운 건물에 있는 1층 강의실로 선정하였으며, 장애학생들의 원

활한 등ㆍ하교를 위해 휠체어 탑승 가능한 장애인 차량을 운행하였다.

3. 장애학생의 경험 분석 과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17명의 학생 중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본

과정을 이수하고 C 심화과정이나 JAVA 수업 중 한 강좌에 참가하여 총 96시간을 이수

한 학생 중 본 연구에 참여 의사를 밝힌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 선정된 학생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Page 7: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293

<표 2-1> 연구 참여자 특성

순번 가명 성별장애영역

(급수)장애 특성

참여

수업

대학

전공

1 김규진 남 지체(3)

뇌병변장애. 발성어려움.

상지의 마비로 필기와 타이핑 속도가

느림

기초

C언어

A대

사학

2 소민수 남 시각(1) 전맹기초

JAVA

B대

영어영문

3 서경아 여 청각(2)보청기 착용. 집단 토론은 불가능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일대일 대화 가능

기초

C언어

C대

수화통역

4 이창수 남 청각(2)보청기 착용. 집단 토론은 불가능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일대일 대화 가능

기초

JAVA

D대

경영

5 하민규 남 시각(1) 전맹기초

JAVA

B대

문헌정보

6 최명수 남 청각(2)보청기 착용. 가까운 거리의 소리는

들을 수 있으나 대화 이해는 어려움

기초

C언어

E대

문헌정보

7 전인규 남 청각(2)보청기 착용. 가까운 거리에서 일대일

대화 가능

기초

JAVA

D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8 전민지 여 지체(3)휠체어 이용. 오른쪽 엄지와 검지 손가

락의 마비로 필기와 타이핑 속도가 느림

기초

C언어

F대

경영

보조

참여자

9 박인규 남 A학원 프로그래밍 전문 강사 C언어

10 김송립 남 A학원 프로그래밍 전문 강사 JAVA

2) 자료 수집

(1) 면담 질문지 구성

본 연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경험한 것들에 대한 심층적인 정

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면담을 위한 질문지는 온

라인 탐구환경에서의 학습경험 분석(임병노, 2003), 프로젝트 기반 수업과 관련한 학습경

험에 대한 연구(박민정, 2007)등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

자가 재구성하였다. 질문의 내용은 본 컴퓨터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게 된 동기, 프로그

Page 8: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294

램에 참여하는 동안 만족스러웠던 점, 프로그램 수업 중 어려웠던 점, 수업 후에 변화된

점, 수업에서 개선해야 할 점 등 5개의 기본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문 후 참가자의 반응

에 따라 추가 질문을 하며 세부 내용으로 질문을 확장하였다.

(2) 면담 실시

면담은 참여자가 가장 편리해 하는 시간과 장소를 정하여 실시하였는데 주로 수업이 없

는 강의실이나 조용한 학교 카페에서 60분에서 90분 동안 이루어졌다. 면담은 본 연구자

가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고 면담 종료 후 가능한 신속히

면담 내용을 축어록으로 작성하였다. 청각장애 참여자의 경우 구두 의사소통이 어려워 2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질문과 대답을 하는 방법으로 면담 자료를 확보하였다. 면담 종

료 후 분석과정에서 부가적인 정보가 필요하여 참여자 당 2~3차례 메일로 추가 질문을

하여 관련 정보를 확보하였다. 뇌 병변 장애로 인하여 발화가 어렵고 타이핑 속도가 매우

늦은 지체장애 참여자 한 명의 경우 메일로 질문지를 보내고 회수하는 방법으로 5차례 면

담을 실시하였다.

(3) 참여관찰

면담내용을 보충하기 위해 본 연구자와 한 명의 보조연구자가 C 심화과정과 JAVA 수

업을 각각 10시간씩 20시간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참여관찰내용은 현장메모(face

sheet)와 현장노트(field note) 형태로 기록하였다.

3) 자료 분석

(1)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내적 경험을 분명하고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질적

분석 방법을 도입하되, 질적 분석의 단점으로 자주 지적되는 연구자의 선입견, 결과의 반

복성 문제를 보완하고자(Hill, Thompson & Williams, 1997) 합의에 의한 질적분석 방

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이하 CQR)을 사용하였다. CQR은 면접이나 개방

형 질문지를 사용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자들의 경험내용을 범주화하고 그 경

험의 진행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QR은 개방형 질문으로 얻어 낸 자료를

해당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갖춘 3-5명의 평정자들이 자료의 의미를 분석한 후, 합의의

과정을 거쳐 일정한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을 골자로 한다. 또한 평정팀에서 합의한 내용

을 감수자가 다시 평정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를 평정팀이 재검토하여 결과에 반영시

키는 과정도 포함한다.

Page 9: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295

(2) 평정팀 및 감수자 구성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과정에 참여한 평정팀은 본 연구진을 포함한 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감수자는 1명이다. 평정팀은 특수교사 경력 15년인 박사과정생 1명, CQR 방법으로 석사

학위 논문을 작성한 교육경력 3년의 특수교사 1명, 학위 논문의 CQR 평정팀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으며 5년의 교육경력을 가지고 있는 특수교사 1명이다. 감수자는 교육공학 석사

학위와 특수교육 박사 학위 소지자로서, 특수교육 공학과 관련한 질적 연구를 여러 차례

수행하였으며, CQR 감수자 경험이 있는 연구원 1명이다. 평정팀은 자료 분석 전에 Hill 등

(1997)의 논문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CQR 분석 방법을 훈련하였다.

(3) 자료 분석 과정

평정팀은 독립적으로 축어록을 읽고 각 사례에서 영역을 분류한 다음, 함께 모여서 분

류한 영역에 대해 평정팀 간의 일치와 불일치를 확인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두 번

째 단계는 중심개념 구성단계로 모든 사례를 영역별로 정리한 후, 각 영역의 내용을 요약

하여 요약 반응을 구성하였다. 요약은 요약자의 추론을 최대한 배제하고 연구 대상자의

말에 충실하였으며 사례의 전체 맥락을 염두에 두었다. 다음은 영역과 요약 반응 감수 단

계로 모든 사례의 영역과 요약반응을 구성한 후 감수자의 감수를 받았다. 감수자는 원자

료가 정확한 영역에 속해 있는지, 그 영역의 모든 중요한 자료가 발췌 되었는지, 추출된

중심개념이 간결하고 원자료를 잘 반영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차분석 및 교

차분석의 감수 단계에서는 모든 사례의 영역 및 요약 반응이 확정된 후, 평정팀이 모여서

사례들 간의 유사성이나 패턴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유사한 내용을 동일한 범주들로 묶

는 작업을 하였다. 연구자들 간의 일치율은 92%로 비교적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묶인 범

주에 대해 최종적인 이름을 붙이고 결정된 범주가 사례에서 나타나는 빈도를 표시하였다.

이후 교차분석 자료에 대해 감수자의 감수를 받았다. 교차분석이 끝난 후 평정팀은 빈도

의 변화와 새로 생긴 영역이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빈도와 영역에 변화가 없어

결과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과정을 거쳤

다. 첫째 질문지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특수교육 박사 1인, 특수교사 1인에게

질문의 내용이 연구 목적에 적합한지를 검증받았다. 둘째, 자료 수집에 있어서 삼각 검증법

을 활용하였다. 즉 수업 참여관찰, 강사 면접, 속기 내용 등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통하

여 현상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셋째, 질적 분석이 끝난 후에 연구

Page 10: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296

결과를 5쪽 분량으로 요약하여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메일로 전달하고 연구 참여자들

이 말하고자 한 내용이 정확하게 요약되고 해석되었는지, 혹시 추가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장애학생의 IT수업 참여경험 분석과정을 도식화하면 <그림 2-2>와

같다.

선행연구분석

▽면담질문지의 내용타당도 확인

▽IT수업 참여관찰

▽면담실시

▽합의에 의한 질적분석(CQR)

중심개념 구성: 평정자

영역과 요약 반응 감수: 감수자

교차분석: 평정자

교차분석 감수: 감수자

빈도와 새 영역 확인: 평정자

▽연구 참가자에게 질적분석 결과 확인

<그림 2-2> IT수업 참여경험 분석과정

Ⅲ. 연구 결과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8명의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분석한 결과 9개의 영역에 24개의

범주가 정리되었다<표 3-1 참조>. 범주화는 Hill, Thompson과 Nutt-Williams (1997)

가 제안한 방법으로서, 각 영역에서 나타난 현상들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모든 사례에서

나타나는 일반적(General) 범주와 빈도가 50%이상 나타나는 전형적(Typical) 범주들뿐

만 아니라, 장애 대학생의 컴퓨터 수업 경험의 특성을 좀 더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가 50% 미만으로 나타나는 변동적(Variant) 범주들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표

Page 11: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297

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General) 범주는 ‘모든’, 전형적인(Typical) 범주는

‘대부분’으로, 변동적인(Variant) 범주는 ‘드문’으로 표기하였다. <표 3-1>는 면접내용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이다.

<표 3-1>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경험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영역 범주 응답빈도

참여 동기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기대

컴퓨터에 대한 비전 드문(2)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 대부분(5)

일반학원과는 차별화된 수업에 대한 기대 대부분(5)

수업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

수업

내용 이해 어려움

난이도 높은 수업 내용 모든(8)

부적절한 수업 진행 방식 대부분(6)

강사의 장애이해 부족 대부분(4)

프로그래밍 특성을

고려한 수업지원 미흡

학습 지원 인력 미흡 대부분(4)

보조공학 지원 미흡 대부분(4)

프로그래밍

습득에

도움이 된

요인

개인적요인수업이해를 위한 자기 주도적 학습 대부분(5)

수업참여에 도움이 된 심리적 요인 대부분(4)

수업 및 환경 지원

요인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및 인력 지원 대부분(4)

비장애 학생과의 통합 환경 드문(3)

다양한 장애를 가진 학생이 함께 공부하는

환경드문(3)

프로그래밍

수업의 성과

프로그래밍에 대한

태도의 변화

프로그래밍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 대부분(6)

컴퓨터 관련 진로에 대한 비전 설정 대부분(5)

지식의 변화수학적 사고력 향상 드문(1)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 습득 대부분(5)

프로그래밍

수업 개선

방안

수업 방법의 개선

수업의 난이도 조절 대부분(5)

교재의 사전 제공 드문(2)

수업 속도의 조절 모든(8)

충분한 실습시간 제공 모든(8)

프로그래밍 특성을

고려한 수업 지원

프로그래밍 학습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조

공학 지원드문(3)

비장애 학생과의 효율적인 통합 환경 구성 드문(2)

멘토링 시스템의 필요 드문(3)

Page 12: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298

1. 참여 동기

1)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기대

장애대학생은 ‘컴퓨터에 대한 비전(드문)’과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대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일반적인 학원과는 차별화된 수업(대부분)’을 제공할 것이라는 기

대를 가지고 본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컴퓨터에 대한 비전

장애로 인해 컴퓨터 관련 꿈을 펼치기 어려워 다른 전공을 선택하였으나 꾸준히 컴퓨터

에 대한 비전을 잃지 않았던 것이 참여 동기로 작용하였다. 장애대학생은 본 컴퓨터 프로

그래밍 수업이 장애로 인해 포기했던 꿈을 이룰 수 있는 ‘다시 찾은 기회’로 여기는 것으

로 나타났다.

전 컴퓨터를 좋아하여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싶었지만, 손가락의 마비로 주먹을 쥐고 연필로 수

학문제를 푸는 것이 어려워 이과 가는 것을 포기하고 문과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장애학생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강좌를 실시하는 이러한 기회가 생겨 8년 동안 잃었던 제 꿈

을 이루기 위해 참여했습니다. (참여자1)

(2)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

프로그래밍에 대한 높은 관심이 대부분의 장애대학생의 수업 참여 동기로 나타났다. 이

러한 관심은 창조성이라는 프로그래밍 고유의 특성에 대한 관심, 미래에 활용도가 높은

분야인 프로그래밍을 습득해 두면 좋을 것이라는 막연한 관심,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 등

과 연결되어 있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원래 프로그래밍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었어요. 뭔가를 만드는 것이 프로그래밍이고, 프로그래밍이

창조하는 건데, 그 만든다는 것이 제게 매력적으로 다가 왔거든요. (참여자2)

수업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몇 달 전에 스마트폰을 샀는데 스마트폰 운영체제가 자바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고 자바에 대해 알아보고 싶어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참여자4)

(3) 일반학원과는 차별화된 수업에 대한 기대

보조공학이나 인력지원 등과 같은 장애 학생을 위한 수업지원, 수강료 지원, 소집단 수

업 운영,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운영하는 수업 등의 조건들 때문에 장애 학생들은 본 수업

Page 13: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299

이 일반학원과 차별되는 프로그래밍 수업이라고 인식하였고 이러한 인식은 본 수업에 참여

하게 된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사설학원에는 찾아갔더니 못 받아주겠다고 해서 들어가 보지도 못하고 나온 케이스였구요. 제가

원해도 못 배웠었는데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수업지원을 해 주니 배울 수 있는 기회니까 참 뜻 깊

다고 생각하고 당연히 와서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어요. (참여자5)

2. 수업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

1) 수업 내용 이해의 어려움

수업내용 이해의 어려움에 대한 원인으로 참여자들은 ‘난이도 높은 수업 내용(모든)’, ‘부적절한 수업 진행 방식(대부분)’, ‘강사의 장애이해 부족(대부분)’ 등을 제시했다.

(1) 난이도 높은 수업내용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본 수업에 참여하면서 난이도 높은 수업으로 인한 내용 이해의 어

려움이 본 수업에 참여하면서 가장 어려움을 겪은 부분 중의 하나라고 지적하였다.

프로그래밍에 대해 문외한이다보니 아무래도 한 번에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고, 공대 친구들이 얘기

하던 그대로 수업내용이 외계어로 들어오는 느낌이 많이 들었어요. (참여자6)

(2) 부적절한 수업 진행 방식

참여자들은 빠른 수업 진행과 이론에 치우친 강의식 수업방법이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 차별화되지 않았다고 느꼈고, 지루했으며, 이로 인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을 습

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강사님이 진도를 빠르게 나가시고 (중략) 진도 빼기에 바쁘셔서 내용이 너무 어려웠어요. 결석이

라도 하루 하면 그 다음날부터는 도통 따라갈 수가 없죠. 중간에 포기하고 싶은 날이 얼마나 많았

는지 몰라요. (참여자8)

이론 설명하는 강의식 수업이 많고 실습을 하긴 했지만 턱없이 부족한 것 같아요. 배운 것을 실습

해보고 또 팀을 짜서 프로그램을 짜는 과제도 한 번 해 봤더라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을 것 같

아요. (참여자5)

Page 14: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300

(3) 강사의 장애이해 부족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강사가 장애 학생들의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해 참여자들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진술하였다. 시각장애 학생들은 지나치게 많은 분량의 판서, 판서에서

의 표나 화살표 등의 기호 사용, 강사의 지시대명사의 사용 등으로 인해 수업 내용 이해

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들은 교사가 거의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아 수업

을 따라가기 힘들었다고 진술하였다.

일단 지시대명사를 사용하는 게 시각장애한테는 치명적인 것으로 다가오거든요. 이거 저거라고 했

을 때 그게 뭘 가리키는 지 우리는 알 수가 없어서 어떤 것을 지시할 때는 그 정확한 명칭을 말하

면서 알려주었으면 좋겠는데 그렇게 하지 못해서 어려웠어요. (참여자2)

청각장애 학생들은 오늘도 질문도 없고.....강사님도 여전히 주로 비장애 학생들에게 그리고 가끔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이해했는지 질문을 할 뿐 지금까지 늘 그랬던 것처럼 청각장애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 청각장애 학생들과 의사소통 하는 것을 너무 어려워하는 듯하다.

(1월 28일: 관찰일지)

2) 프로그래밍 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지원 미흡

프로그래밍 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 지원 인력 미흡(대부분)’, ‘보조공학 지원 미흡

(대부분)’으로 인하여 참여자들은 수업 참여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진술하였다.

(1) 학습 지원 인력 미흡

시각 장애학생의 경우 판서내용을 타이핑해주거나, 그래픽이나 기호를 판서하는 경우

이를 설명을 해 줄 인력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청각장애학생의 경우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춘 속기사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사가 판서를 하는데 그것을 이해 못해서 1주일 동안 수업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어요. 1주일

후 도우미를 지원해 주어서 좀 나았습니다. 그런데 두 명의 시각장애 학생을 도우미 한 분이 앉아서

도와주니 충분치 않았습니다. (참여자2)

청각장애인 속기통역이 제대로 안됐어요. 너무 전문용어가 많다보니 그런 것 같아요..(중략).. 전문

용어를 잘 아는 속기사가 왔어야 해요. (참여자3)

Page 15: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301

(2) 보조공학 지원 미흡

시각장애 학생의 경우 특수기호나 알고리즘, 도표 등을 읽을 수 있는 보조공학이 제공

되지 않아 수업 내용 이해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에는 속기 모니

터와 강사의 판서, 자신의 실습 모니터 세 가지를 동시에 봐야하므로 중요한 정보를 놓칠

때가 많았다고 진술하였다. 지체학생들은 컴퓨터 조작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보조

기기들이 필요하다고 진술하였다.

뇌성마비 장애우의 경우엔 수업을 듣는데 있어서는 큰 지장이 없으므로 적극적으로 참여 하는 게

보였지만, 시각 장애우의 경우엔 개념을 확실히 잡기 위해서 그림을 보면서 수업을 진행할 경우엔

이해하기가 힘들어서 수업의 참여가 떨어 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강사1)

실제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할 때 속기사 타이핑, 교수님 모니터, 내 모니터 세 개의 화면을 번갈아

보면서 진행하는 게 제일 힘들었어요. 컴퓨터 옆에 속기 모니터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참여자3)

3. 프로그래밍 습득에 도움이 된 요인

1) 개인적 요인

‘수업 이해를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대부분)’과,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대부분)’이 프

로그래밍 습득에 도움이 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1) 수업 이해를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

참여자들은 수업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를

이용해서 예ㆍ복습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인터넷 검색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거나, 전문

프로그래머들이 운영하는 인터넷 카페에 가입하여 전문가로부터 보충 설명을 듣는 등 적

극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이해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은 많은 정보를 수록하고 있고 수업에서 얻은 핵심어, 강조점을 캐치하여 탐색이 가능함으로

인터넷을 활용하여 보충 자료로 사용하였습니다. 구글링과 지식인(Q&A) 활용률이 높았고 위키피

디아와 위키트리를 사용하였습니다. 이에 더하여 구글의 알림서비스를 이용하여 SDI(선택적 배급)

서비스 구현효과를 누렸는데 즉, 인터넷 검색과 RSS 등을 활용하였어요. (참여자7)

(2) 수업참여에 도움이 된 심리적 요인

여러 명의 장애학생이 중도에 수업을 포기하거나 결석을 자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Page 16: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302

연구의 참여자들은 높은 출석률을 보였다. 참여자들은 수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된 이

유로 프로그래밍을 배우려는 ‘학습의지’ 외에도 다른 사람에게 ‘지기 싫은 경쟁심’, ‘중도에

포기 하는 패배자가 되고 싶지 않아서’, 이 수업의 성공 여부가 이후 장애인을 위한 프로

그래밍 수업의 개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책임의식’ 등을 들었다.

저 같은 사람 한 사람 한 사람 빠지고 오고가 크다고 생각해요. 이게 국가적인 지원을 받는 것이라

하는데 결국에 이번이 잘 되어야 다음에 또 개선이 되어서 잘 될 수 있잖아요. 그래서 저는 책임

의식을 느꼈고요. (참여자2)

2) 수업 및 환경 지원 요인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및 인력 지원(대부분)’, ‘비장애 학생과의 통합 환경 제공(드

문)’, ‘다양한 장애를 가진 학생이 함께 공부하는 환경(드문)’ 등이 프로그래밍 습득에 도

움이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및 인력 지원

본 수업에 참여한 시각장애 참여자들은 텍스트 음성변환프로그램, 점자정보단말기 등의

보조공학기기 제공과 학습도우미 지원이, 청각장애 참여자들은 속기지원이 프로그래밍 학

습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였다. 지체장애 참여자 또한 속기지원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하여 속기 지원이 청각장애 학생뿐만 아니라 다른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도 유익한 지원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할 때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속기도 있었고...장애인을 위한 수업환경

이 매우 좋았어요. 이것이 없었다면 아마도 이러한 수업을 듣는 건 불가능했을 거예요. (참여자6)

(2) 비장애 학생과의 통합 환경 제공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통합 환경에서 비장애 학생으로부터 직접적인 도움을 받았으며,

비장애 학생들이 수업 중에 활발히 질문하고 강사가 대답해 주는 과정이 프로그래밍 이해

에 도움이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비장애인과 함께 수업 듣는 환경이 좋았어요. 모르면 옆에 물어보기도 하고, 우리가 하고 싶은 질

문이 생각나지 않는데 비장애인들이 교사에게 질문을 많이 해줘서 모르는 것에 대한 질문을 간접

적으로 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참여자4)

Page 17: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303

(3) 다양한 장애를 가진 학생이 함께 공부하는 환경

참여자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함께 학습하는 환경이 본 수업의

장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는 어려운 수업에 자신보

다 더 심한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열심히 참여하는 모습이 자극이 되어 자신의 학습의지

를 다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저는 손이 불편하긴 하지만 이동문제만 해결되면 프로그래밍 수업을 배우는데 장애 때문에

큰 문제가 되는 것 없잖아요. 그런데 와(...) 청각, 시각 장애학생들은 듣지도 보지도 못하는데..(중

략). 그 사람들이 결석 안하고 열심히 수업 듣는 거 보고 내가 부끄럽기도 했어요. 이렇게 다른 장

애를 가진 학생들과 모여서 공부를 해 볼 기회가 별로 없었는데 참 좋았던 것 같아요. (참여자8)

4. 프로그래밍 수업의 성과

1) 프로그래밍에 대한 태도 변화

프로그래밍 수업이 ‘프로그래밍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대부분)’, ‘컴퓨터 관련 진로

에 대한 비전 설정(대부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1) 프로그래밍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자신이 입력한 공식이 실제로 실행될 때 ‘성취감’과 ‘뿌듯함’, ‘희열’등을 경험하였는데 이러한 경험들은 참여자들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해 ‘흥미’를 가

지는데 기초가 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본 수업을 통해 막연하게 어렵게만 느꼈던 프로

그래밍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못하는 게 아니라 결국엔 우리가 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못 들어오는 것 같아요. (중략)이번에 그

런 소화력 분명히 찾았구요...(중략).. 지금 제가 컴퓨터 공학을 3전공할 수도 있는 상황인데 자신

감을 찾은 것 같아요. 더. 재미있고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참여자2)

(2) 컴퓨터 관련 진로에 대한 비전 설정

몇 몇 참여자들은 이 수업을 들은 후에 그동안 막연히 가지고 있었던 컴퓨터 관련 분야

로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구체화하여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비전 설정

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내용이다.

Page 18: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304

전 IT연구소나 APPLE사, IBM사와 같은 컴퓨터 회사에 다니고 싶습니다. (중략) 장애로 인해 문과계

전공을 하면서 거의 포기했었는데 이번에 가능성을 본 것 같습니다. 앞으로 계속 공부해서 도전해

볼 생각입니다. (참여자1)

디지털사서가 되어서 웹 컨텐츠나 이런 것들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일을 하고 싶고요. (중략). 평소에

이런 일을 하고 싶었는데 이번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자신감을 가졌고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머

관련 진로 계획을 세워 볼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참여자5)

2) 지식의 변화

참여자들은 본 프로그래밍 수업이 자신들의 ‘수학적 사고력 향상(드문)’, ‘프로그래밍 지식

습득’에 도움이 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1) 수학적 사고력 향상

수학적 사고력 향상은 8명의 참여자 중 단 1명이 응답한 결과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에게 수학이 어려운 교과이며, 프로그래밍 학습이 수학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기존의 많은 선행연구를 고려해 볼 때 참여자가 본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수학적 사고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것은 의미 있는 결과로 판단되어 범주에

포함시켰다.

프로그래밍이 수학적인 사고가 많이 필요하다고 사람들이 말을 해서 시각장애인들이 하려고 할 때

많이들 의아해 해요. (중략) 저는 이번에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서 수학의 빛을 본 것 같아요. 그

래서 프로그램 짜보면서 감춰진 수학적 사고도 키워나갈 수 있었어요, 수학도, 프로그램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본 것 같아요. (참여자2)

(2)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 습득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본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고 진술하였

다. 학생별로 개인차는 있었지만 프로그래밍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하기 보다는

프로그래밍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자바와 C언어로 어떤 프로그램을 짤 수

있는지, 프로그래밍은 어떤 원리로 구동 되는지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다고 진술하였다.

프로그래밍을 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직접 체감하였고 이번 기회에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원리를

어렴풋하게나마 알게 되어서 컴퓨터를 다루는데 좀 더 이해도가 높아졌어요. (참여자6)

Page 19: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305

5. 프로그래밍 수업 개선 방안

1) 수업 방법의 개선

참여자들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수업 내용의 난이도 조절(대부분)’, ‘교재를 미리 제

공(드문)’, ‘수업 속도의 조절(대부분)’, ‘충분한 실습시간 제공’ 등을 본 수업의 개선방안

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시각 장애학생들은 수업 이전에 교재를 미리 제공하여 예습을 하

지 않으면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우므로 교재의 사전 제공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학생들의 수준을 미리 잘 파악하여 수업 내용을 좀 더 쉽게 조직해서 차츰 그 난이도를 높여 갔으면

좋겠어요. (참여자5)

교재나 이런 것에 대해서 미리 알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남들처럼 교재를 읽으면

서 수업을 따라갈 수 없는 경우가 많으니까. 교재에 대해서 알고 미리 준비할 수 있거나 준비되어

있다면 그것을 볼 수 있는 그런 게 필요하다고 전 생각해요. (참여자7)

수업 진도 빼기만 급급하지 말고 학생들이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피드백을 제공해 가면서 수업을

천천히 진행해야 할 것 같아요. 장애학생들은 정보를 이해하는 속도가 느리니까 더더욱 중요하죠.

(참여자6)

수업을 너무 강의식으로 하지 말고 이론으로 배운 것을 실제로 프로그램으로 구동 시켜서 되는지

확인할 시간을 주어야 수업도 재미있고 프로그램의 이해도 훨씬 빠를 것이라고 생각해요. (참여자4)

2) 프로그래밍 특성을 고려한 수업지원

참여자들은 또 다른 개선사항으로 ‘프로그래밍 학습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조공학 지원

(대부분)’, ‘비장애 학생과의 효율적인 통합 환경 구성(드문)’, ‘멘토링 시스템의 필요(드

문)‘등을 제안하였다.

(1) 프로그래밍 학습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조공학 지원

참여자들은 프로그래밍 수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업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청각장애 참여자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보유한 속기사, 속

기 화면과 강사, 그리고 자신의 컴퓨터 화면을 동시에 바라보아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수업지원 방법을 강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시각장애 참여자의 경우 그래픽과

기호 등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Page 20: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306

(2) 비장애학생과의 효율적인 통합 환경의 구성

참여자들은 비장애학생과의 통합 환경 구성이 ‘수동적인 통합’에 머물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협동 프로젝트를 실시하는 등, 좀 더 활발한 상호작용의 기

회를 부여해 줄 수 있는 통합 환경 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팀을 구성해서 장애인 비장애인 말이죠..같이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며 간단한 프로그램도 개발하

고....서로 모르는 부분 가르쳐주면서. 이런 기회가 없으니 우리는 사실 비장애인이 있는지 없는지

보이지 않으니까 잘 모르죠. (참여자5)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옆자리에 있기는 하지만 수업 중이나 쉬는 시간에 별다른 교류가 보이

지 않는다. 아무래도 서로 어색해서 말을 걸지 못하는 것 같다. 학생들이 함께 활동하는 시간이 필

요할 것 같다. (1월 24일. 참여 일지)

(3) 멘토링 시스템의 필요

수업내용 자체가 비전공자에게는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수업이므로 수업 중이나 수업

후 에 멘토가 모르는 부분을 가르쳐주거나, 실습을 할 때 일대일로 지원을 한다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참여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이 원체 어려운 내용이라...강사님께 모르는 부분을 모두 질문할 수는 없잖아요. 모르는게 너무

많아서... 그리고 실습도 따라가기 힘든데 프로그래밍 전공자나 여기에 대해서 잘 아는 분이 옆에

앉아서 도와주면 훨씬 수업을 따라가기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수업 마친 후에도 물어볼 수 있구

요... 장애학생들의 불편한 부분만 지원하는데 그치지말고 수업내용 이해도 도울 수 있는 멘토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참여자8)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을 위한 I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난 후, 프로

그램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학습에 대한 경험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앞으로 장애대학생 대상의 IT 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하고 실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들의 IT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다

른 수업과의 차별성에 대한 기대가 장애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동기라는 것을 알 수 있

Page 21: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307

었다. 그리고 수업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으로는 내용 이해의 어려움, 실습시간 부족, 강사

의 인식 부족, 장애관련 지원 부족 등이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방

법과 수업 참여를 지속시킨 심리적 요인이 학습내용 습득에 도움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성과의 측면에서 IT 교육 내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 자신의 진로에 대한 비

전 설정, IT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 습득이 주된 성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개선사항

으로는 수업방법 개선, 효율적 통합 환경 구성, 내용이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등이 제안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을 위한 IT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개발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을 제안해 볼 수 있다.

첫째,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IT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에 장애학생들만 분리해서

교육시키는 것이 아니라 비장애 학생들과 통합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

에서 수업에 참여한 장애대학생들은 분리해서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니라, 비장애 또래 학

생들과 함께 교육받는 것을 더 선호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통합 환경에서는 비장애 학생

들과 활발한 상호작용의 기회가 부족하다는 것을 단점을 지적하면서, 앞으로 또래 학생들

과 협력학습이나 프로젝트 학습 등과 같은 수업 방법으로 더 활발한 학문적 상호작용과

교류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육주혜(2005)의 연구에서도 일관적으

로 제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IT 관련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11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장애인을 위한 IT 교육이 비장애인과 통합 환경이 가

능하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물

리적 통합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분리된 교육 현장에서 축

적된 장애인 교육 방법이 공유되고 통합적 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육주혜

(2005)는 IT 직업교육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부족한

현실을 문제점으로 강조하면서, 장애인을 위한 전문 교육 기관에서의 축적된 교육 방법이

통합 환경에서 공유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장애인만을 위한 집중적

교육이든 통합 환경에서의 교육이든 장애학생 본인이 선택할 수 있고 어느 쪽에서도 IT

교육을 받는데 장애로 인한 불편함이나 불이익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

다. 이와 같이, 장애학생에게 IT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에 비장애 학생과의 통합 환경

구성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구성할 지에 대한 고려와 통합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IT 교육을

실시하는 교수 방법의 적용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학생들의 컴퓨터 실습과 내용이해를 보조해줄 수 있는 일대일 멘토가 필요하

다. IT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컴퓨터 실습이 중요한데, 이러한 실습 시간을 늘려 배운 내용

을 실제로 적용해 보는 기회를 많이 갖는 것이 필요하다. 시각장애와 지체장애 학생들이

컴퓨터 실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대일 멘토가 제공되어 지속적으로 실습을

Page 22: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308

지원해주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IT 영역의 수업내용 자체가 난이도가 높은 수업이므로

수업 중이나 수업 후 모르는 부분을 가르쳐 주거나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개별 멘토가

있으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황아윤과 심지영(2007)의 연구에서

도 통합훈련 환경에서 장애인의 직업 훈련을 돕기 위한 도우미 제도의 운영을 제안하였으

며, 김동일 외(2011)의 연구에서도 장애대학생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장애학

생의 경력개발을 위해 대학생 멘토링 제도가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선행연구들이 IT 교

육에 초점을 두고 언급을 한 것은 아니지만 직업훈련이나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일대일 멘토링 제도가 중요시 되어야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강사가 IT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수업 방법과 속도에서 학생들의 장애특성을 고

려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IT 직업 훈련을 할 때에는 장애인에 대한 재설계된

교수방법의 개발이 더욱 필요하다(육주혜, 2005). IT 내용과 관련된 복잡한 기호나 표를

사용하거나 지시대명사를 사용하여 내용을 설명하는 것은 지양하고, 그 대신에 언어적으

로 풀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게 되면 이것

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거나 별도의 용어 설명 자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시각, 청각,

지체장애 학생들은 신체적 장애로 인해 학습내용을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데 비장애 학생

들보다 시간이 더 소요되며(손지영, 2009), 컴퓨터 실습이 많은 IT 수업에서는 장애로 인

해 처리 속도가 더욱 느려지게 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장애학생들의 학습경험 분석에 의

하면, 많은 장애학생들이 빠른 수업 진행으로 인해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었다고 진술하였

다. 또한 강사가 장애학생들의 특성을 적절히 이해하지 못해 학생들이 학습의 어려움을

겪었다고 보고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강사가 수업내용을 전달할 때 많은 분량의 판서를

하거나 표나 화살표 등의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시각장애 학생들의 학습을 어렵게 했으며,

학습 내용 설명에서 지시대명사의 빈번한 사용도 시각장애 학생들의 내용이해를 방해하는

요소였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들은 언어이해력의 제한으로 인해 새로운 용어가 등장했을

때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게 되어, 전체적인 내용 이해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IT 학

습 내용을 장애학생들에게 가르칠 때 복잡한 기호, 표, 화살표 등을 사용하기보다는 구체

적으로 풀어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새로운 용어들에 대한 설명이나 별도의 자료를

함께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IT 교육 프로그램은 상황에 따

라 수업 속도를 융통성 있게 조절해야함을 알 수 있다.

넷째, IT 학습내용을 장애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보조공학을 활

용해야 할 것이다. IT 내용의 특성상 특수기호를 명령어로 사용하거나 알고리즘, 도표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러한 특수기호들을 시각장애 학생이

음성으로 변환하여 듣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공학 소프트웨어가 제공되는 것이 중

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문자통역 모니터와 강사의 판서, 실습

Page 23: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309

모니터 등 세 가지 화면을 동시적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시선이 분산되어 중요한

학습 정보를 놓칠 때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IT 교육내용

에 적합한 텍스트 음성변환 소프트웨어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해

듀얼 모니터(dual monitor)를 활용하여 시선의 분산을 막고 학습 효과성을 높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다섯째,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해 수화나 문자 통역을 제공할 때, 통역사가 IT 관련 전

문 용어들에 대해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근민, 김동옥, 이신영(2011)의 연구

에서는 온라인 IT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

였다. 그 결과, 현재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수화동영상이나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면서 IT 교육을 위해 전문 속기사 및

수화통역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수화통역사나 속기사가 IT 영역으로

특화되어 전문화되어 있지는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속기사가

프로그래밍 관련 전문용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틀린 용어를 타이핑하는 경우가 많아

수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진술하였다. 따라서 청각장애 학생의 IT 교육을 위

해서는 수화 및 문자통역사들에게 수업내용에 대한 자료와 전문용어에 대한 설명을 미리

제공해서 IT 관련 수업 때 장애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학습에 대한 경험과 프로그램에 대

한 요구를 조사하여 IT 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하고 실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

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실시 후에 교육

의 효과성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김미옥, 김연수, 김희성, 2009; 육주혜 외,

2006; 이익동, 이영선, 2011),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 학생들의 경험과 요구가

어떠했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주는 것에는 제한적이었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고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주로 양적인 현황이나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고(육주혜 외, 2006), 대상 학생들의 생각에

대한 질적 조사 자료를 제시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

들의 목소리를 통해 이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탐색하여

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의 질을 높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미국에서는 장애학생들의 IT 영역 및 이공계 분야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대학들에

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프로그램을 주도적으

로 실행하고 있으며, 멘토링, 인턴십, 현장체험 등의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제공하

고 있다(김동일 외, 2011). 우리나라에서도 본 연구와 같은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 경험

분석 연구를 실시하여 장애 특성을 고려한 대학 주도의 IT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Page 24: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310

제공을 촉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기대

된다. 첫째, 본 연구는 소수의 장애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도출된 결과이므

로 이를 다양한 상황에 일반화하는 것은 제한이 있다. 또한 장애유형이나 대학의 장애지

원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가 현저하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서는 대상자 수의 제한으로 인해 다양한 분석이 어려웠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수의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개선하고, 효과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별로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구체화시

키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의 IT 교육 현실에 적절한지에 대한 검증과 대학교육 현실

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후속연구에서는 IT 교육에 좀 더

초점화하여 고등교육 실정에 맞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

을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동일, 손지영, 심성용, 김수정, 이주명 (2011). 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프로그램의 발전 방향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2), 387-413.

김미옥, 김연수, 김희성 (2009). 산재장애인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1(4), 307-332.

박민정 (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복성현, 이충기 (2005). 자바 프로그래밍 과목의 학습 효과 분석 연구.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24, 279-

284.

손지영 (2009). 장애학생 고등교육을 위한 e-러닝과 보편적 설계. 서울: 한국학술정보.

오인경, 최정임 (2005).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서울: 학지사.

육주혜 (2003).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과 노동시장 연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

개발원.

육주혜 (2005). 정보기술분야에 장애인의 취업과 고용유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4(4), 79-100.

육주혜, 이효성, 진홍섭, 석말숙, 이준석 (2006). 장애대학생의 EDI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효과분석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이근민, 김동옥, 이신영 (2011). u-learning 기반 IT 직업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재활복지, 15(4), 351-375.

Page 25: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311

이익동, 이영선 (2011). 장애학생의 고용성과향상을 위한 특수학교-기업체연계 직업전환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자폐성 장애연구, 11(1), 97-120.

임병노 (2003). 온라인 탐구환경에서의 학습경험. 교육공학연구, 19(3), 69-99.

장창엽, 현호석, 강동욱, 최종철, 이금진, 이정호 (2001). 2000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

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최현종 (2011). 대학 프로그래밍 강좌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1),

69-7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제1회 장애인 정보화교육 우수사례집. 한국장애인정보문화진흥원.

황아윤, 심지영 (2007).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활성화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황현철, 김영일 (2011). 청각장애인 직업능력개발과 취업지원방안. 장애와 고용, 20(4), 119-148.

Burgstahler, S. (1992). Computing services for disabled students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Burgstahler, S. (2003). The role of technology in preparing youth with disabilities for postsecondary

education and employment.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18(4), 7-19.

Dehnadi., & Bornat. (2006). The camel has two humps. PPIG 2006. http://www,eis,md x.ac.uk/

research/PhDArea/saeed/paper1.pdf

Fichten, C. S., Asuncion, J. V., Robillard, C., Fossey, M. E., & Barile, M. (2003). Accessible

computer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anadian higher education. Canadian

Journal of Learning and Technology, 29(2), 5-34.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Horn, C. A., & Shell, D. F. (1990). Availability of computer services in post-secondary institutions:

Results of a survey of AHSSPPE members. Journal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6, 16-23.

Kim, D., Son, J., & Vance, M. L. (2012). Preparing for the future IT era: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IT training in South Korea. Journal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25(2), in press.

Page 26: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315-%B1%E8%B5%BF%C0%CF,%B… ·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1호)312

<Abstract>

Analysis of Learning Experience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mputer Programming Class

Kim, Dong Il ㆍ Son, Ji Young ㆍ Kim, Kyoung Sun ㆍ Kim, Ju Yeon ㆍ Kim, Hyo J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n computer

programming clas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relation to why

participants enrolled in computer programming class, what they experience

during the class and what they achieve after completion of the class. Interview

with eigh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enrolled in computer programming class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result of stud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acknowledge this class provid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special chance to study computer programming which grant ful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spite the fact that some of them had

experienced being refused taking such class in the private institution. The

participants obtai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when they performed well during

class and improved mathematical ideas. Furthermore, students could set a goal

for their future in relation to computer technology after completing this course.

Recommendations on improvement of class concerning with disability accommodation

and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by participants were also illustrated in this study.

Key Words :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ssistive technology,

computer programing

논문접수 : 2012. 02. 02 / 심사일 : 2012. 02. 20 / 게재승인 : 2012. 0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