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52
-1-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최종 보고서 를 이용한 프로젝트관리시스템 개발 PDA 2003 1 30 주관기업 Construction Management Consulting 인터빌드 노아 ( ) 서울 서초구 서초 동 서호빌딩 1 1628-25 6 Tel : 02-517-0500 02-582-0843 Fax : 02-569-5531 www.ibnoah.com

Transcript of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Page 1: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최종 보고서

를 이용한 프로젝트관리시스템 개발PDA

년 월 일2003 1 30

주관기업

Construction Management Consulting

주 인터빌드 노아( )

서울 서초구 서초 동 서호빌딩 층1 1628-25 6

Tel : 02-517-0500 02-582-0843

Fax : 02-569-5531 www.ibnoah.com

Page 2: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 -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를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개발 에 관한 중소기업 기술혁“[PDA ]

신 개발 사업 개발기간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 ( : 2002.4.1 ~ 2002. 11. 30 )

출 합니다.

년 월 일2003 1 30

주관기업 : 주 인터빌드 노아( )

대표이사 : 신 현 국

과제책임자 : 한 원 희

Page 3: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 -

요 약 서 초 록( )

과 제 명 를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개발PDA

주 관 기 업 주 인터빌드 노아( ) 총괄책임자 한 원 희

개 발 기 간 년 월 년 월 개월2002 4 ~ 2002 11 (8 )

총개발사업비

천원( )

정 부 출 연 금 천원40,000

총개발

사업시천원75,195현 금 천원11,374

기업부담금 현 물 천원23,821

위탁연구기관

개발참여기관없음

주요기술용어

개(6 ~ 10 )

건설사업관리시스템 건설솔루션 사PDA, PMIS, , CITIS, ,PMS, CM, PM

업관리시스템

기술개발목표1.

타 산업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정보기술 환경 속에 있는 건설프로젝트 관(IT)

리 에 있어서 최근에 선진 건설사업관리 방식 즉 의, , CM ( Construction Management)

도입이 거론되기 시작하면서 이 관리를 위한 관리시스템 개발이 요구되어 PMIS

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되는 는 유선 과 단말기만을 이용한 시스템으로만 구축 되어졌다 역동적PMIS Network .

이고 변화가 많으며 실시간 관리의 중요성이 요구 되는 건설 현장에서는 새로운Data

관리 방식이 필요했다 이에 기능성이나 효율성 및 건설업의 특성에 적합한 를 이. PDA

용하여 기존의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을 실시간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Web Base

발 건설사업관리의 과학화 및 선진 건설으로의 도약을 위한 기본 솔루션을 개발함에,

있었다.

기술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2.

건설사업관리는 복잡한 건설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익의 극대화를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실정에 적합하고 세계유수의 건설사와 경쟁

할 수 있는 기술이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국가 경제의 회복에 따른 건설 시장의 활성.

화 시점에 개방된 시장의 경쟁 체제에서 외국 건설사에게 우위를 선점 할 수 있는 자,

생력을 확보 하는데는 건설사업관리가 필수적인 도구라 하겠다 이러한 사업관리 기술.

은 사업초기 에 실시하여야 함을 건설사에 홍보하여 도입함으(Pre-Construction Phase)

로써 국내 건설사의 원가 절감을 상승시켜 국가 경쟁력을 향상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경쟁력 있는 기술을 값비싼 해외 기술에 의존하여 대외 경쟁력을 상실하고 외화

손실을 증대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관련기술의 국산화로 경쟁력 향상과 외화 절.

감을 실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Page 4: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 -

요 약 서 초 록( )

기술개발내용 및 범위3.

가 개발내용 및 범위.

이동통신 및 무선랜을 이용 를 통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실시간 입력 공PDA

유를 통해 당사에서 기 개발 완료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인 와의 동기WEB base PMIS

화를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호환 및 독립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였다PDA .

용 사용자 보안 모듈 작성- PDA WEB browser

용 경영정보 프로그램- PDA

용 노무관리 프로그램- PDA

용 자재관리 프로그램- PDA

용 장비관리 프로그램- PDA

용 공사관리 프로그램- PDA

용 품질관리 프로그램- PDA

나 개발기간.

업무분석- (2002. 5.7 - 2002.8.10)

설계 및- Design (2002. 5. 10- 2002. 6.10)

프로그래밍- (2002. 6. 24 - 2002. 10. 11)

테스트 및 보완- (2002. 10. 12 - 2002. 11. 14)

시제품 생산- (2002. 11.15 - 2002. 11. 30)

기술개발의 결과4.

동종업계의 개발 제품 버전 과의 차별화- (WEB )

버전 를 통한 영업력 향상WEB + PDA

건설 현장 주요 관리 항목인 자재 인원 장비 품질에 대한 관리와 건설 공정관리의- , , ,

주요 항목인 공정 기성을 포함한 경영정보 작업진척 상황을 포함한 공사관리를 과, , WEB

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PDA .

기대효과5.

건설 사업 참여자간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소통-

실시간 건설현장 정보 공유 및 활용-

공사 현황 정보의 공동 활용이 원활-

동시 공학 체계 현장 본사 작업 관리자 에 의한 사업 수행 가능- ( , , )

행정의 투명성 확보 전자정보 실현- ,

관련 기술의 단계적 국산화 추진-

건설사업관리 분야에 신기술 개발의지 향상을 위한 동기 부여-

Page 5: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5 -

목 차

제 장 기술개발 목표1

제 절 개발 대상의 개요1

제 절 개발 목표2

제 장 기술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2

제 절 개발 목적1

제 절 개발 중요성2

제 장 기술개발의 내용 및 범위3

제 절 개발내용1

제 절 개발범위2

제 장 기술개발 결과4

제 절 기술개발성과1

제 절 기술개발평가2

제 장 기대 효과5

제 절 기대 효과1

제 절 홍보 및 판매 전략2

별 첨

1. Data Flow Diagram

사용자 설명서2.

Page 6: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6 -

제 장 기술 개발 목표1

제 절 개발대상의 개요1

국내 건설 산업의 현황1.

국내의 여러 산업 분야 중 유독 후진성을 탈피하지 못하고 고 비용 저 효율 구조의

낙후된 분야가 건설 산업이다 여전히 반복되는 부실 공사의 시비와 대형 프로젝트.

의 관리 부재 등으로 선진건설국가와 상대적으로 뒤떨어진 기술 및 관리 능력 기,

본과 원칙을 무시하고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관행이 팽배 해 짐으로 인하여 국

가의 기간산업으로 불리 우던 건설산업이 이제는 부실과 부조리의 온상으로 지목대

며 건설업 자체가 어려움에 처하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선진건설국과의 격차는 체제하의 경제위기 등의 여파로 더욱 커져서 건IMF

설업 전반에 걸친 불황의 골은 깊어만 가는 상태이다.

국내 건설사업관리 업무의 실태2.

현재 국내의 건설사업관리의 실태는 초보적 단계라 하겠다 건설산업시장의 침체와.

건설 시장개방에 대비한 경쟁력 강화로 건설사업관리의 필요성으로 점차 관심의 대

상이 되기는 하였으나 그 시행과정의 복잡화와 전문기술인의 부족 현상으로 수작업

또는 단순 작업이나 관련 수입 등의 이용으로 겨우 명목이OA Package Soft Ware

나 형식만 유지하는 실정이다.

기술개발의 필요성3.

건설사업관리는 복잡한 건설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익의 극대화를 실현 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실정에 적합하고 세계 유수의 건설회

사와 경쟁 할 수 있는 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국가 경쟁의 회복에 따른 건.

설시장의 활성화 시점에서 또한 개방된 시장의 경쟁 체제에서 선진 건설사와 경쟁,

력을 확보하는 데는 건설사업관리의 업무를 화하여 업무를 체계화 과학화가 필IT ,

수적인 도구라 하겠다.

이에 최근 몇 년 동안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을 를 개발하여 활용하려는 노력을PMIS( )

많이 기울이고 있었다 그러나 건설 현장에서의 정보는 실시간 정보 관리가 생명.

임에도 불구하고 타 정보 시스템과 같이 단말기에 의해 처리하고자 하는 타성에 의

해 개발되어진 결과로 실제 활용도에 있어서는 기대이하의 결과를 가져 왔다고 볼

수 있다.

Page 7: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7 -

제 절 개발목표 및 사업추진방향2

기술개발목표1.

건설 사업에서 수작업 내지는 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는 건설 사업 관리를 정OA

보 기술 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진행하여 사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IT)

한 건설 관련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인력 기자재 공급업체 발생시켜 실질적인( , ..)

건설현장 전산화를 이루는 기술 개발을 실현을 목표로 하였다.

사업 추진 방향2.

이동통신 및 무선랜을 이용한 를 통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실시간PDA

입력 및 공유를 유지하며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인 와의 동기화를WEB base PMIS

통해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호환 및 독립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여 고부가가PDA

치의 창출을 이루어서 건설산업 정보화를 이룰 수 있는 사업 추진을 하도록 하였

다.

Page 8: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8 -

제 장 기술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2

제 절 개발 목적1

기술개발 목적1.

가 본 과제는 국내실정에 적합한 건설 현장 업무 프로세스 주요 관리 대상인 인원. ,

자제 장비 및 경영관리 품질관리의 표준 모델을 구축하고 과 를 응용 한, , WEB PDA

전산정보체계를 통합화 하여 이들 주요관리대상에 대한 관리체계를 개발하고 건설

업무 프로세스 모델과 연동시켜 하나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데 있다.

나 를 이용한 건설 현장 업무 프로세스 표준 모델을 통하여 관련 건설업체들. PDA

이 체계화된 주요 관리 항목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제

적 산업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다 를 이용한 건설 현장 업무 프로세스 표준 모델은 통합 전산시스템 구축의. PDA

중요한 부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를 이용한 건설 현장 업무 프로세스. PDA

표준모델에 따라 체계적인 주요 관리 항목의 정보축적 관리는 건설정보의 표준화형

식으로의 발전과 건설업체별 정보교환을 위한 시스템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궁극적으로 를 이용한 건설 현장 업무 프로세스 표준 및 주요관리 대상. PDA

의 전산 정보 체계의 통합은 건설관리시스템 구축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됨

으로써 경제적 산업적 측면에서 건설산업의 대외경쟁력 증진을 통한 산업발전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에 따라 정보제공의 원활화와 공사정보의 체.

계화 및 일원화에 따른 국내건설 산업에 막대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제 절 개발의 중요성2

기술개발의 중요성1.

Page 9: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9 -

건설사업관리는 복잡한 건설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익의 극대화를 실현 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실정에 적합하고 세계유수의 건설사와

경쟁할 수 있는 기술이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국가 경제의 회복에 따른 건설시장.

의 활성화 시점에 개방된 시장의 경쟁 체제에서 외국 건설사에게 우위를 선점 할,

수 있는 자생력을 확보 하는 데는 건설사업관리가 필수적인 도구라 하겠다 따라서.

관련 기술의 국산화로 건설사업관련 업체의 경쟁력 향상과 외화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며 국가 경제 발전의 초석으로 이바지하는데 중요함이 있다, .

Page 10: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0 -

제 장 기술개발의 내용 및 범위3

제 절 개발 내용1

개발 방향1.

가 건설공사는 그 종류 및 프로세스가 다양하므로 그 중 가장 중요항목이 될 수. ,

있는 사업개요 자원관리 인원 자재 장비 공사진척관리를 개발 대상으로 선정함, ( , , ), .

나 현행 건설공사 현장 업무의 자원관리 및 공사진척관리에 대한 횡적 흐름 속성. , ,

구조에 대한 분석

다 현행 건설공사 현장 업무프로세스의 단계별 문제점 도출 및 표준화 개발 영역.

추출

개발내용2.

가 경영정보.

건설현장에서 주요 관리 대상이 되는 인원 자재 장비를 최초 등록에서부터 투입, ,

과정의 기록을 통해 효율적인 투입자원 관리를 위한 통계 분석기능 제공.

나 노무관리 자재관리 장비관리. , ,

프로젝트의 개요 및 공정현황과 기성현황을 개별모듈 및 에서 입력된 자WEB PMIS

료를 바탕으로 현황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읽기 전용으로 에서 실 시간으로, PDA

조회할 수 있는 분석기능 제공.

다 품질관리.

건설현장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품질결함을 사전관리하기 위하여 반

입자재 및 생성품에 대한 품질관리를 시행하며 법규로 규정된 시험항목의 설정 및,

시험결과의 기록 품질점검 체크리스트 항목의 등록 및 품질점검 결과 기록, .

라 사용자 보안.

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모듈을 개발 부여된 사용자의 및PDA_PMIS USER NAME

에 따라 의 에 대한 시용권한 및 보안을 유지PASSWORD PMIS MODULE .

Page 11: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1 -

제 절 개발 범위2

개발 범위1.

개발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부가적인 모듈을 구현하여 와의WEB BASE PMIS

자료 동기화를 통해 건설 현장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호환 및 도립적인 솔PDA

루션을 개발

구 분 주 요 내 용

경영정보

사업개요

프로젝트의 개요 및 개별모듈에서 입력된 자료

를 현황위주로 구성하여 읽기 전용으로 에PDA

서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모듈

공정현황

기성현황

사진현황

노무관리

직종등록

건설현장에서 주요 관리 대상이 되는 인원 자,

재 장비를 최초 등록에서부터 투입과정의 기,

록을 통해 효율적인 투입자원 관리를 위한 통

계치의 분석기능을 제공한다.

인원등록

투입현황

자재관리

자재등록

자재사용계획

자재투입현황

장비관리

장비등록

장비사용계획

장비투입현황

공사관리작업계획 공종별로 수립된 작업계획을 조회하여 현장에

서 실시간으로 작업 진척사항을 입력 관리진척관리

품질관리

법규로 규정된 시험항목의 설정 및 시험결과의

기록 품질점검 체크리스트 항목의 등록 및 품,

질점검 결과 기록

시험등록

결과입력

품질체크리스트

그림 1.PDA_PMIS STRUCTURE

Page 12: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2 -

와 업무 상관도2. PDA_PMIS PMIS

Page 13: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3 -

기반기술 구성도3.

Page 14: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4 -

개발 일정4.

가 추진내용.

업무분석- (200.2 5.7- 2002. 8.10)

기 작업 내용 보완 및 확정

설계 및- Design (2002. 5. 10 - 2002. 6.10)

기 작업 내용 보완 및 확정

프로그래밍- (2002. 6. 24 - 2002. 10. 11)

프로그램 작성Client(PDA)

소규모 단위 현장 프로그램 작성Server

테스트 및 보완- (2002. 10. 12 - 2002. 11. 14)

현업 적용 테스트

이동통신 및 무선 기반 네트워크 테스트 현장LAN ( )

시제품 생산- (2002. 11. 15 - 2002. 11. 30)

테스트 및 보완 작업 완료 후

Page 15: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5 -

제 장 기술개발 결과4

제 절 기술개발 성과1

개발 성과1.

가 기존에 개발된 솔루션은 현장 사무실 및 본사용으로 위치 제약적인 부문. PMIS

이 있었으나 는 이동통신 모듈 및 무선랜을 이용하여 현장 관리자가 바, PDA_PMIS

로 자료를 처리함으로 본사 현장 사무실 작업현장에서의 데이터 동기화가 이루어, ,

짐으로 위치 제약적인 부분을 해소한 건설사업관리 제품.

나 당사가 개발한 는. PDA_PMIS(PDA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안정성과 기능으로 건설 사업자의 작업 현장과 본사와의 원활한 정보 제공을 통해

기업경영 혁신에 증대효과를 이룸.

다 건설현장에서의 수행 정보의 적기 기록으로 이원화를 방지할 수. Project Data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을 보장함.

라 기 입력된 의 활용으로 실질적인 작업시간 단축 공사 보고 사항에 대한. DATA ,

의 보존으로 신속 정확한 보고를 이룸DATA .

마 동종업계의 개발 제품 버전 과의 차별화. (WEB )

버전 를 통한 영업력 향상WEB + PDA .

개발 제품2.

가 건설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와 동기화 시킨 데이터를 입력 및. PDA_PMIS - PMIS

조회를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으로서 건설사업 생애주기 전기간Solution (Life-Cycle)

동안의 기간 비용 품질 등이 설정된 목표치를 달성하도록 하는 업무를 지원하는, ,

시스템인 에서 현장에서 실 시간 입력 조회가 필요한 업무 등을 를 이PMIS / PDA

용하여 체계적이고 원활한 업무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oft Ware Solution

나 건설 현장 주요 관리 항목인 자재 인원 장비 품질에 대한 관리와 건설 공정. , , ,

관리 주요 항목인 공정 기성을 포함한 경영정보 작업진척 상항을 포함한 공사관리, ,

를 과 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WEB PDA .

Page 16: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6 -

다 와 업무 관계도. PDA_PMIS PMIS

Page 17: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7 -

Page 18: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8 -

개발 전 후 사업 내용 분석3. ,

구 분 개 발 전 개 발 후

제품개발

버전과 버전 개발- PMIS WEB C/S

와 결합된 는 개발 미정- PDA PMIS

이었음 현장 사무실과 본사용의.

로 국한됨PMIS .

본사 현장 사무실 작업현장의- , ,

동시 데이터 교환 및 공유확보를

통한 건설사업관리 솔루션의 개발

영업력향상

버전의 특성상 위치 제- PMIS WEB (

한적 감리사와 발주처를 대상으로)

만 영업

위치 제한적 요인을 벗어난 솔-

루션으로서 건설사업자 전체 발주(

처 감리사 시공사 설계사 사업, , , ,CM

자 를 대상으로한 영업가능)

타 기업의 솔루션과 차별화- PMIS

가 없음으로 영업경쟁력의 저하 초

적용의 빠른 도입으로 타- PDA

기업보다 시장 경쟁력 우위 및 영

업 경쟁력 강화

주변여건

타 정보 통신 기기- (PCS Phone,

보다 높은 판매 가Cellular Phone)

격으로 전체적인 사용저조

년 월부터 시행되는- 2003 3 PDA

업체들에 대한 정보통신부의 보조

금 허용 방침으로 사용이 크PDA

게 늘어날 전망

매출액

개발제품의 사용 용도4.

가 는 건설 사업 공사 기간동안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현장관리를 원하. PDA_PMIS

는 전체 건설 사업 참여자 발주처 감리사 시공사 설계사 사업자 가 사용( , , , .CM )

나 건설 사업 참여자 발주처 감리사 시공사 설계사 사업자 들 간의 의사소통. ( , , , .CM )

및 관련 정보 공유화 필요 시.

다 건설 사업의 주요 관리 대상인 인원 자재 장비를 현장 관리자에 의해 직접 관. , ,

리를 원하는 사업 참여자.

라 프로젝트 수행 시 업무절치의 표준화를 토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일정 품질 비. , ,

용의 최적관리를 통한 화로 사업의 효율성 증대 필CM(Construction Management)

요 시.

마 정보의 체계적 축척 및 관리를 토한 재생산 투입 비용 축소 필요 시. .

Page 19: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19 -

제 절 기술 개발 평가2

목표달성도1.

구 분

진 척

(%) 내 용

실 적

자료수집 및

기초조사100

건설사 현행 업무 흐름 위주의 자료수집

및 관련 기초조사를 하였으며 과제PDA

수행기간 중 지속적으로 수행

건설사 각종 업무 양식-

업무표준 절차서-

특성 자료- PDA

요건정의 및

개발절차수립100 요건정의를 통한 개발절차서 작성

업무 분석 100

실제 업무모델을 토대로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요소를 추출하여 진행 하였으며,

설계 및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분석 결과

를 적용함.

설계 및 DESIGN 100

업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설계 및 화DB

면을 구성하였으나 프로그래밍 적용 시

특성에 따라 일부화면을 재구성하여PDA

완성

프로그래밍 100

웹기반의 적용ASP(Active Server Page)

하여 프로그래밍을 진행했으며 상의PDA

웹브라우저 특성 지원기능미비 을 파악하( )

여 프로그래밍

적용 100주 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부산 용호( )

동 아파트 현장에 적용LG

Page 20: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0 -

문제점2.

가 특성에 따른 제약. PDA

웹브라우저에서는 일반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는 콘트롤 및 스크립트의 상PDA

당 부분이 지원되지 않아 초기 설계하였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였음 현재 진행중.

인 인터페이스는 지원 가능한 콘트롤 및 스크립트로 구성하였으며 웹 기반의 ASP

와 임베디드 비주얼툴을 혼용하여 개발과제를 수행할 예정임.

나 건설사업 종사자들의 인식 결여 및 인프라의 미비.

국내 건설 종사자들은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하여 자신들의 업무 중

복 및 과부하를 초래한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건설업은 타 산업 분야,

보다 정보화 추진이 어렵다는 고정 관념을 가지고 있어 통합 시스템 구축의 기반

이 열악하며 표준화 및 체계화가 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현장 인프라 구축의.

미비로 인해 건설 종사자들이 유사 환경과의 접촉이 부족한 상태이다.

개선방안3.

가 특성에 따른 제약. PDA

웹브라우저에서의 스크립트 및 콘트롤 지원 가능 부분은 원천기술의 문제이다PDA .

따라서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회사가 얼마큼 빠른 시간에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

느냐에 따라 에서의 적용범위도 넓어질 수 있디 본 회사에서는 원천기술의 발PDA ,

전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제품업그레이드를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나 건설사업 종사자들의 인식 결여 및 인프라의 미비.

우선 건설사업 종사자들이 국내외의 프로젝트관리 분야의 환경변화 인식하여야하며

정부는 건설 사업관리 지원과 협력방안을 민간 부분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초기 투자비에 대하여 실질적인 이익이 생긴다는 것을 널리

홍보하여 건설사업 종사자들에게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각인시켜 나가도록

할 것이다.

Page 21: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1 -

제 장 기대 효과5

제 절 기술 개발의 기대효과1

건설 사업 참여자간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소통1.

실시간 건설현장 정보 공유 및 활용2.

공사 현황 정보의 공동 활용이 원활3.

동시 공학 체계 현장 본사 작업 관리자 에 의한 사업 수행 가능4. ( , , )

행정의 투명성 확보 전자정보 실현5. ,

관련 기술의 단계적 국산화 추진6.

건설사업관리 분야에 신기술 개발의지 향상을 위한 동기 부여7.

제 절 사업화 전략 및 홍보전략2

사업화 전략1.

가 통신회사 및 제조회사와의 전략적 제휴로 사업 확산 정책. Mobile PDA

년 상반기 시행 될 단말기 보조금 정책시행 예정으로 보급 확산 예상2003 PDA

나 표준 시스템 보급 확산 건설사업관리 관련 규정 적용기준에 대처. ( )

건설사업관리 관련된 규정으로 의무 적용되는 프로젝트를 위한 표준시스템개발 보

급 저가의 형태 시스템을 개발 확산( Package )

다 건설사업관리기본법 시행으로 인한 보급 확산 예상. PMIS

년 시범 사업 시행으로 개발 요구 급증2003 CM PMIS

홍보 전략2.

가 미디어를 통한 대외 홍보.

나 를 통한 홍보방안. CD

건설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제작 배포CD

프로그램 빠르고 편리한 프로그램 내장PDA_PMIS Demo : , Run Time

다 인터넷을 통한 운영 및 홍보. Demo Site

기본 모듈 혹은 기본데이터만 운영 가능한 시스템을 인터넷으로 무료공급

라 대외 세미나 및 교육을 통한 홍보.

대외 세미나 및 교육에 적극 참여 홍보와 교육을 통한 사용자의 지속성 연계 및 홍

보의 극대화

Page 22: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2 -

별 첨

1. Data Flow Diagram

시스템PDA_PMIS

Page 23: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3 -

시스템PDA_PMIS

Page 24: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4 -

Page 25: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5 -

Page 26: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6 -

Page 27: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7 -

Page 28: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8 -

Page 29: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29 -

Page 30: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0 -

Page 31: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1 -

Page 32: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2 -

별 첨

사용자 설명서2.

Operation Manual

Page 33: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3 -

사용자 설명서Build-PDA_PMIS

Page 34: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4 -

Page 35: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5 -

Page 36: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6 -

Page 37: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7 -

Page 38: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8 -

Page 39: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39 -

Page 40: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0 -

Page 41: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1 -

Page 42: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2 -

Page 43: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3 -

Page 44: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4 -

Page 45: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5 -

Page 46: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6 -

Page 47: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7 -

Page 48: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8 -

Page 49: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49 -

Page 50: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50 -

Page 51: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51 -

Page 52: 를이용한프로젝트관리시스템개발 2003 1 30 · 건설현장에서주요관리대상이되는인원 자재 장비를최초등록에서부터투입,, 과정의기록을통해효율적인투입자원관리를위한통계분석기능제공.

-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