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 · 2014. 9....

14
171 * 본 연구는 2011년도 나사렛대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게재 신청일: 2011년 4월 10일 ■최종 수정일: 2011년 5월 5일 ■게재 확정일: 2011년 5월 15일 ⓒ 2011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최 현 주 § 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교신저자 최현주 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충청남도 천안시 쌍용동 456번지 e-mail: [email protected] tel.: 041-570-1677 배경 및 목적: 치매의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정상고령자와 치매의 경계선상에 있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이하 MCI)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언어장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그 결과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해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발전 가능 성이 높은 건망형 MCI 환자들이 가지는 언어장애를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망형 MCI 환자 23,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30, 정상고령자 20명이 참여하였다. 과제는 구어유 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사용하였다. 구어유창성과제는 1분간의 동물이름대기의 의미적 구어유 창성과제와 /fu/, /a/, /ni/ 가 첫음절인 단어를 산출하는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를 사용하였다. 그림 설명과제는 Boston Cookie-Theft picture를 사용하였다. 과제분석은 산출된 총음절수(total number of syllables), 총시간(total time), 초당음절수(syllables per second) 등의 출적인 측면과 총내용어수(total number of contents words) 및 다른내용어수(number of different contents words)의 의미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결과: 1)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에서는 정상 고령자, MCI, DAT 환자의 순으로 수행이 높았다. 2)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에서는 정상고령 자가 MCI, DAT 환자 집단의 수행보다는 높았지만 환자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3) 그림설명과제의 산출적인 측면(총음절수, 총시간, 초당음절수)에서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그림설명과제의 의미적인 측면의 경우 총내용어수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다른내용어수에서는 정상고령 자에 비해, MCI DAT환자 집단의 수행이 유의하게 낮았다. 5)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어유창성 과제와 그림설명과제의 다른내용어수의 경우 정상고령자와 MCI, DAT환자를 변별해주는 유용 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의 의미적인 측면의 분석(다른내용어수)을 통해 MCI 단계에서의 미세한 언어장애의 검출가능성을 제시하 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171-184. 핵심어: 경도인지장애, 알츠하이머형 치매, 그림설명, 구어유창성 Ⅰ. 서 론 인구의 고령화 및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성 치매(dementia)의 유병률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 . 치매 유병률의 증가로 인해 치매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로 현재까지 정상고령자와 치매의 경계선상에 있는 인지단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인지단 계를 표현하는 용어 및 개념 중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이하 MCI)는 현재 가 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본인이나 보호자에 의한 주관적인 기억장애의 호 , 2) 정상고령자와의 비교를 통한 객관적인 기억장 애의 확인, 3) 전반적인 인지 기능은 정상범위에 속 , 4) 일상생활 영위에 문제를 보이지 않음, 5) 치매 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함(Petersen et al., 1999).

Transcript of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 · 2014. 9....

  • 171

    * 본 연구는 2011년도 나사렛대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게재 신청일: 2011년 4월 10일 ■최종 수정일: 2011년 5월 5일 ■게재 확정일: 2011년 5월 15일

    ⓒ 2011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최 현 주§

    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신저자

    최현주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충청남도 천안시 쌍용동 456번지e-mail: [email protected].: 041-570-1677

    배경 및 목적: 치매의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정상고령자와 치매의

    경계선상에 있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이하 MCI)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언어장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그 결과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해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발전 가능

    성이 높은 건망형 MCI 환자들이 가지는 언어장애를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망형 MCI 환자 23명,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30명, 정상고령자 20명이 참여하였다. 과제는 구어유

    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사용하였다. 구어유창성과제는 1분간의 동물이름대기의 의미적 구어유

    창성과제와 /fu/, /a/, /ni/가 첫음절인 단어를 산출하는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를 사용하였다. 그림

    설명과제는 Boston Cookie-Theft picture를 사용하였다. 과제분석은 산출된 총음절수(total

    number of syllables), 총시간(total time), 초당음절수(syllables per second) 등의 산출적인

    측면과 총내용어수(total number of contents words) 및 다른내용어수(number of different

    contents words)의 의미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결과: 1)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에서는 정상

    고령자, MCI, DAT 환자의 순으로 수행이 높았다. 2)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에서는 정상고령

    자가 MCI, DAT 환자 집단의 수행보다는 높았지만 환자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3) 그림설명과제의 산출적인 측면(총음절수, 총시간, 초당음절수)에서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그림설명과제의 의미적인 측면의 경우

    총내용어수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다른내용어수에서는 정상고령

    자에 비해, MCI와 DAT환자 집단의 수행이 유의하게 낮았다. 5)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어유창성

    과제와 그림설명과제의 다른내용어수의 경우 정상고령자와 MCI, DAT환자를 변별해주는 유용

    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의 의미적인

    측면의 분석(다른내용어수)을 통해 MCI 단계에서의 미세한 언어장애의 검출가능성을 제시하

    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171-184.핵심어: 경도인지장애, 알츠하이머형 치매, 그림설명, 구어유창성

    Ⅰ. 서 론

    인구의 고령화 및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성

    치매(dementia)의 유병률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

    다. 치매 유병률의 증가로 인해 치매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로 현재까지 정상고령자와 치매의 경계선상에 있는

    인지단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인지단

    계를 표현하는 용어 및 개념 중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이하 MCI)는 현재 가

    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본인이나 보호자에 의한 주관적인 기억장애의 호

    소, 2) 정상고령자와의 비교를 통한 객관적인 기억장

    애의 확인, 3) 전반적인 인지 기능은 정상범위에 속

    함, 4) 일상생활 영위에 문제를 보이지 않음, 5) 치매

    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함(Petersen et al., 1999).

  •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171-184

    172

    이러한 진단기준에 의한 MCI 상태에서 치매로 진행

    되는 발병률은 연구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Peterson et al. (2001)에 의하면 연간 12% 정도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의 고령자 중

    24% 정도가 MCI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보건복

    지부, 2009).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이하 DAT)는 전체 치매의 원인질환 중 70%

    이상을 차지하며 기억과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인지

    기능에서의 진행성 저하를 특징으로 한다. DAT 환자

    의 언어장애에 관한 연구는 주로 단어(single-word)

    수준의 과제에 집중되어왔으며, 이들은 어휘-의미

    (lexico-semantic)체계의 장애가 질환의 초기부터 나

    타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사용된 과제는

    주로 범주유창성(category fluency)(최현주, 2008;

    Adlam et al., 2006), 이름대기(naming)(오혜경․

    최현주․김수진, 2010; 이규정, 2002; Bowles, Olber

    & Albert, 1987; Chereney, Murdoch & Ingram,

    1996; Hodges, Salmon & Butters, 1992), 단어-그

    림 짝짓기(word-picture matching)(Chertkow &

    Bub, 1990; Martin & Fedio, 1983) 등이다. 그러나

    보다 통합적인 언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DAT 환자들의 담화(discourse) 능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Chapman et al., 2002). 담

    화 과제 중 그림설명과제(picture description task)

    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과제로 경도 DAT 환자들의

    언어장애를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Croisile et al., 1996). 이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초기 DAT 환자의 경우 구문적인(syntactic) 측면에

    서의 오류는 나타나지 않는 반면 의미적인(semantic)

    측면에서의 오류가 두드러진다고 보고하였다(김정완

    외, 2006; Carlomagno et al., 2005; Giles, Patterson

    & Hodges, 1996; Glosser & Deser, 1991; Groves-

    Wright et al., 2004; Hier, Hagenlocker & Shindler,

    1985; Tomoeda et al., 1996; Vuorinen, Laine &

    Rinne, 2000). 일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담화연구

    의 결과 또한 DAT 환자들이 정상고령자에 비해 정보

    의 양이 적고, 설명(description)에 있어서 효율성이

    제한된다고 보고하였다(Sakuma et al., 1989; Shimada

    et al., 1998).

    그러나 DAT로 발병하기 이전의 MCI 환자들을 대

    상으로 담화수준에서의 언어능력을 평가한 연구는 매

    우 제한적이며, 그 결과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일부의

    연구자들은 MCI 환자의 경우 담화과제에서 정상고령

    자에 비해 정보가 불충분하고, 비효율적이며, 공허한

    (empty) 발화가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Choi, 2009;

    Forbes-McKay & Venneri, 2005). 반면에 일부의

    연구자들은 MCI 환자의 담화 능력은 인지손상이 없

    는 정상고령자와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였다(Bschor,

    Kühl & Reischies, 2001). 이렇듯 MCI 환자들의 담

    화과제에서의 언어손상에 대해서는 합치된 결론이 없

    지만 일부의 역향적 연구들은 문어(written language)

    담화과제에서의 손상 가능성을 보고하였다. 그 예로,

    독일의 유명한 여류 소설가였던 아이리스 머독(Iris

    Murdoch)의 경우 DAT로 진단받기 전에 출판된 그

    녀의 마지막 소설에서 의미적 표현력, 어휘의 정교함

    (sophistication)에 있어서 이전 소설에 비해 부족함

    이 나타났으며(Garrard et al., 2005), 그와 유사하게

    미국의 대통령인 로날드 레이건(Ronald Reagan)의

    경우 DAT 발병 이전의 연설문을 분석한 결과 이미

    의미적인 오류가 나타났다고 보고되었다(Venneri,

    Forbes-McKay & Shanks, 2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MCI 환자의 담화능력은 손상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구어유창성과제(verbal fluency task)는 초기의

    DAT 환자나 MCI 환자들을 정상고령자와 구별해

    주는 가장 민감한 과제로 알려져 있다(최현주, 2008;

    Cooper et al., 2004; Forbes-McKay et al., 2005).

    구어유창성능력의 저하는 일반적으로 의미기억 장애

    의 손상으로 설명된다(Albert et al., 2001; Chen et

    al., 2001; Perry, Watson & Hodges, 2000). 그러나

    주어진 범주의 단어를 주어진 시간 동안 산출하게 하

    는 구어유창성과제는 언어성 의미기억뿐 아니라 주의

    력, 전반적 모니터링능력, 작업기억, 시각적 이미지 재

    생능력 등 다양한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과제이다

    (Chertkow & Bub, 1990). 그러므로 대면이름대기를

    통해 이름대기능력이 보존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

    MCI 환자들의 구어유창성과제에서의 수행저하는 언

    어성 의미기억 자체의 손상이라기보다는 의미기억으

    로의 접근(access)을 위한 인지기능의 문제로 여겨진

    다(최현주, 2008; Salmon, Heindel & Lange, 1999).

    그러므로 MCI 환자의 구어유창성과제에서의 수행저

    하는 언어능력의 손상으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으

    며, MCI 환자의 언어장애 유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언어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과제를 통한 평

    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최현주 /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173

    이 같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적, 음운적 구어유창성과 산출

    적, 의미적 측면에서의 그림설명과제에서 정상고령자

    와 MCI, DAT 환자 간에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다. 둘째, 보다 통합적인 언어자체의 능력을 요구하

    는 그림설명과제를 구어유창성과제의 결과와 비교함

    으로써 MCI 환자의 언어장애의 유무를 보다 명확히

    밝힌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토호쿠지방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대상

    으로 하였으며, MCI 환자 23명, 경도 DAT 환자 30명,

    같은 지역의 정상고령자 20명, 총 73명이 참여하였다.

    DAT와 MCI 환자들은 일본 토호쿠지역의 T대학

    병원의 신경과, 정신과 및 재활의학과에 내원하는 환

    자로 제한하였다. 환자 집단의 경우 신경과 전문의의

    진찰 및 신경심리학적인 검사, MRI 등의 영상자료

    (imaging data)를 통해 진단된 경우로 국한하였다.

    정상고령자의 경우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언어수행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라 이러한 변

    수들은 통제하였다(Ardila & Rosselli, 1996). 각 대

    상군의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MCI 환자는 Dubois & Albert (2004)의 진단기준

    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1)

    환자 본인이나 보호자에 의해 주관적인 기억장애가

    보고되고(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이하 CDR)(Morris, 1983)의 기억항목 점수가 0.5인 경우), 2) 기억장애 증상의 완만한 악화가 나

    타나며, 3) 객관적인 기억장애가 확인되었으나(일본어판 웩슬러기억검사(Japanese version of Wechsler

    Memory Scale-Revised)(Sugishita, 2001))의 기억력 항목에서 동일연령의 집단의 규준치에서 1.5SD

    이상의 저하가 나타나는 경우), 4) 전반적인 인지 수준

    이 정상범위에 있을 것(일본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Japanese versio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이하 MMSE)(Mori, Mitani & Yamadori, 1985) 점수가 24점 이상인 경우), 5) 인지기능의 저

    하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것(CDR의

    모든 항목이 0.5이하인 경우), 6) 치매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않을 것, 7) MRI 소견 상 인지기능장애

    를 초래할 수 있는 다른 질환이 없는 환자로 제한하

    였다.

    DAT 환자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NINCDS-

    ADRDA (National Institute for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의

    probable Alzheimer’s disease (McKhann et al., 1984)

    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고, 2) MMSE 점수가 18점

    이상인 경도의 환자로, 3) CDR의 총 점수가 0.5이거

    나 1인 경우로 제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상고령자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

    다: 1) MMSE 점수가 24점 이상으로, 대상자 본인이

    나 보호자의 보고에 의해 2)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

    는 정신적, 신경학적인 질환의 병력이 없으며, 3) 과

    제수행 및 지시 따르기에 요구되는 시각 및 청각능력

    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대상자 선별을 위한 모든 검

    사는 일본어를 사용하는 신경심리사에 의해 수행되

    었다.

    집단별 대상자의 성별, 연령, 교육년수 및 MMSE

    점수의 기술통계치는 에 제시하였다. 세 집

    단 대상자의 성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카

    이제곱검정을, 세 집단의 연령, 교육년수 및 MMSE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

    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비, 연령, 교육년수에서

    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MMSE 점수의

    경우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의 순으로 유의하

    게 높았다.

    세 집단의 성별, 연령, 교육년수 및 MMSE 점수

    평균(표준편차)

    NCa) MCIb) DATc) 통계치

    대상자수(남/녀) 20(10/10) 23(10/13) 30(10/20) x2= 2.202

    연령 75.5(4.6) 76.5(5.2) 78.0(4.3) F=1.840

    교육년수 10.4(1.8) 9.7(1.9) 9.4(1.6) F=2.010

    MMSEd) 27.8(1.9) 25.2(2.1) 20.7(2.2) F=74.114*

    a)NC: Normal Cognition, 정상고령자

    b)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경도인지장애c)DAT: Dementia of Alzheimer’s Type, 알츠하이머형 치매

    d)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간이정신상태검사

    *p< .05

  •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171-184

    174

    2. 연구과제 및 절차

    가. 구어유창성과제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semantic), 음운적(phonetic)

    구어유창성과제를 사용하였다. 의미적 구어유창성과

    제는 1분 동안의 동물이름대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를 고려하여 물고기나 조

    류, 곤충을 포함한 동물 전반을 정답으로 처리하였다

    (Abe et al., 2004).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는 해당 음

    절로 시작되는 단어를 1분 동안 가능한 한 많이 열거

    하도록 하는 과제로 일본어의 기본어휘빈도를 참고로

    하여 고빈도 음절인 /fu/, /a/와 저빈도 음절인 /ni/를

    각각 1분씩 평가하였다. 검사는 조용한 방에서 개별적

    으로 진행되었으며 간단한 검사의 소개 후 이루어졌

    다. 대상자에게 1분간 동물의 이름을 가능한 많이 열

    거하도록 지시하였으며 인명이나 지명 같은 고유명사

    는 열거하지 않도록 지시하였다.

    나. 그림설명과제

    본 연구에서는 그림설명과제로 Boston Cookie-Theft

    picture (Goodglass & Kaplan, 1983)를 사용하였으

    며 에 제시하였다. 본 그림은 가장 효율적

    인 방법으로 대상자의 담화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과

    제로 알려져 있다(Giles, Patterson & Hodges, 1996).

    또한 그림의 정확성, 설명에 필요한 어휘의 친숙성 등

    의 측면에서 단어찾기(word-finding)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뇌손상 환자에게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rsch & Ellis, 1994).

    본 검사는 대상자 개별적으로 과제에 대한 간단한

    소개 후에 이루어졌다. 대상자에게는 한 장으로 구성

    된 Boston Cookie-Theft picture를 보여주고 “그림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설명해주세요” 라고 지

    시한 후 대상자의 모든 반응을 녹음 후 전사하였다.

    3. 자료분석

    가. 구어유창성과제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는 대상자가 1분간

    나열한 동물의 수를 점수로 사용하였으며, 음운적 구

    어유창성과제는 /fu/, /a/, /ni/에서 산출된 모든 단어

    의 합계를 점수로 사용하였다. 해당범주에 속하는 단

    어를 정확히 산출하였을 경우만 정답으로 하였으며,

    반복되거나 불명료한 단어, 해당 범주와 무관한 단어

    는 0점으로 처리하였다.

    나. 그림설명과제

    그림설명과제의 분석은 산출적인 측면에서의 지표

    로 산출된 총시간(total time), 총음절수(total number

    of syllables), 초당음절수(syllables per second)를

    분석하였다(Giles, Patterson & Hodges, 1996). 또한

    의미적인 측면에서의 지표로 총내용어수(total number

    of contents words) 및 다른내용어수(number of dif-

    ferent contents words)를 분석하였다(Shimada et

    al., 1998).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분석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산출적인 측면

    ㄱ. 총시간(total time): 과제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총 시간으로 중간에 나타나는 쉼(pause) 시간을

    모두 포함한다.

    ㄴ. 총음절수(total number of syllables): 과제수

    행 시 대상자의 반응 전체에서 나타난 음절 의

    수를 센다. 간투사(filler)는 포함하지만, 자곤

    (jargon)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ㄷ. 초당음절수(syllables per second): 총음절수

    를 총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2) 의미적인 측면

    ㄱ. 총내용어수(total number of contents words):

    과제수행 전체에 나타난 내용어(명사, 동사, 형

    용사, 부사)의 수를 의미한다.

    ㄴ. 다른내용어수(number of different contents

    words): 과제수행에 나타난 내용어 중 중복된

    단어는 제외하고 산출한다.

    4. 신뢰도 분석

    그림설명과제의 경우 모든 자료는 언어치료사인

    연구자와 1명의 신경심리사 모두 2명에 의해 전사 및

    분석되었다. 전사에 있어서의 평가자간 신뢰도(inter-

    judge reliability)는 98.2%였고. 산출적인, 의미적인

    분석에 대한 평가자간 신뢰도(inter-judge reliability)

    는 94.8%였다.

  • 최현주 /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175

    평균(표준편차)F 사후분석

    NCa) MCIb) DATc)

    구어유창성과제의미 15.1(5.1) 10.3(2.6) 8.0(2.9) 23.883* NC>MCI=DAT

    음운 24.7(6.8) 17.0(5.0) 12.8(5.6) 25.281* NC>MCI>DAT

    그림설명과제

    산출적 측면

    총시간(초) 66.2(28.6) 61.5(32.9) 58.5(33.5) .349

    총음절수 177.3(74.6) 158(67.1) 134.3(66.9) 2.390

    초당음절수 2.9(1.1) 2.8(0.8) 2.6(1.1) .397

    의미적 측면총내용어수 41.3(17.4) 36.2(15.3) 32.4(15.6) 1.876

    다른내용어수 33.1(11.2) 26.2(8.4) 24.1(8.5) 5.819* NC>MCI=DATa)NC: Normal Cognition, 정상고령자

    b)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경도인지장애c)DAT: Dementia of Alzheimer’s Type, 알츠하이머형 치매

    *p< .05

    세 집단의 과제별 기술통계,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결과

    5. 통계분석

    모든 통계처리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

    였다.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의 의미적․음운

    적 구어유창성과제 및 그림설명과제에서 산출된 총시

    간, 총음절수, 초당음절수, 총내용어수 및 다른내용어

    수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요인분산분석 및 사후분석(Tukey)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과제가 세 집단을 얼마나 변별시켜주는지 알

    아보기 위해 판별분석 실시 후 각 과제별 ROC 곡선

    을 통해 절사치(cut-off score), 민감도(sensitivity),

    특이도(specificity) 및 진단정확도를 산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세 집단의 구어유창성과제 및 그림설명과제의

    수행결과

    MCI, DAT환자 및 정상고령자의 의미적․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와 산출적․의미적인 측면에서의 그

    림설명과제의 수행결과에 대한 기술통계치, 각 과제

    에 따른 세 집단의 일요인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결과

    를 에 제시하였다.

    과제에 따른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 집단의

    일요인분산분석의 결과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 의미

    적․음운적 과제 모두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

    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 집단의 순으로 수행이

    높았다.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 정상고령자의

    수행이 MCI, DAT 환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지만, 환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음으로

    그림설명과제에서는 다른내용어수를 제외한 모든 항

    목에서 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른내용어수의 사후분석 결과 MCI와 DAT 집단 간

    의 차이는 없었으나 이들 환자 집단이 정상고령자에

    비해 수행이 유의하게 낮았다.

    2. 과제별 집단의 변별 정도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 집단 간 차이를 보였

    던 과제에 대해 집단의 변별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상고령자와 MCI 집단, MCI 집단과 DAT 집단, 정

    상고령자와 DAT 집단에 따른 과제별 ROC 면적률,

    절단점,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정확도를 산출하였으

    며, 그 결과를∼에, ROC 곡선을

    ∼에 제시하였다.

    ROC곡선을 통한 정상고령자와 MCI 환자 집단의 과제별 절사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정확도

    MMSEa)구어유창성(의미)

    구어유창성(음운)

    다른내용어수

    ROC 면적률 .818* .813* .828* .690*

    절사치 26.5 12.5 20.5 25.5

    민감도(%) 70 70 80 75

    특이도(%) 83 83 74 57

    진단정확도(%) 77 77 77 65*p< .05

  •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171-184

    176

    정상고령자와 MCI 환자 집단의 과제별 ROC 곡선

    ROC곡선을 통한 MCI와 DAT 환자 집단의 과제별 절사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정확도

    MMSE 구어유창성(음운)

    ROC 면적률 .933* .717*

    절사치 23.5 16.5

    민감도(%) 87 61

    특이도(%) 83 76

    진단정확도(%) 85 68*p< .05

    MCI와 DAT 환자 집단의 과제별 ROC 곡선

    ROC곡선을 통한 정상고령자와 DAT 환자 집단의 과제별 절사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정확도

    MMSE구어유창성(의미)

    구어유창성(음운)

    다른내용어수

    ROC 면적률 .993* .901* .916* .744*

    절사치 24.5 11.5 17.5 25.5

    민감도(%) 95 87 90 75

    특이도(%) 97 85 83 63

    진단정확도(%) 96 86 86 66*p< .05

    정상고령자와 DAT 환자 집단의 과제별 ROC 곡선

    정상고령자와 MCI 환자를 가장 잘 변별해주는 과

    제는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였으며, 그 밖의 MMSE,

    의미적 구어유창성, 다른내용어수의 모든 과제가 변

    별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다음으로

    MCI와 DAT 환자 집단을 가장 잘 변별해주는 과제

    는 MMSE와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의 순으로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과제가 정상고령자와 DAT 환

    자 집단을 변별해주는 유용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

    다(p< .05). 그 중에서도 가장 변별력이 높은 과제는

    MMSE였으며,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 의미적 구어

    유창성과제, 다른내용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구어유창성과제와 그림설명과제를 통해

    MCI 환자들이 가지는 언어장애를 검출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MCI 환자들의 수행

    은 정상고령자뿐 아니라 이미 DAT로 발병한 경도의

    환자들과 비교함으로써 질환의 진행과정에 대한 결과

    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MCI 환자들을 정상고령자

    로부터 민감하게 변별해주는 과제로 이미 알려져 있

    는 구어유창성과제와 그림설명과제의 비교를 통해 잘

    알려지지 않은 그림설명과제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구어유창성과제의 결과를 살펴보면,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 수행에서 정상고령자, MCI, DAT 환

    자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

    운적 구어유창성과제는 MCI 환자를 정상고령자로부

    터 구별시켜주는 가장 민감한 검사인 것으로 나타났

    다. 즉,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는 정상고령자와 경계

    선급 MCI, 발병 이후의 DAT 환자의 수행 차이 모두

  • 최현주 /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177

    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과제임을 알 수 있다.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 MCI와 DAT 환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정상고령자가 환자 집단에

    비해 수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

    미적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 정상고령자와 MCI 환

    자, 정상고령자와 DAT 환자 간의 변별에 유용한 과

    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CI 환자의 구

    어유창성과제에서의 손상을 보고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최현주, 2008; Cooper et al., 2004; Forbes-

    McKay et al., 2005). MCI 환자들의 구어유창성과제

    에서의 수행저하의 원인은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 다

    양한 인지영역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로 이러한

    과제의 인지적 부담이 MCI 환자들의 미세한 인지기

    능의 손상을 보다 빨리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Adlam et al., 2006; Diesfeldt, 1985).

    DAT 환자들의 구어유창성과제의 수행저하와 관

    련된 연구 중에는 음운적 구어유창성과 의미적 구어

    유창성과제 사이의 차이를 보고하는 연구들도 존재

    한다(Crossley, D’Arcy & Rawson, 1997; Martin &

    Fedio, 1983; Monsch et al., 1992). 또한 본 연구에서

    는 MCI 와 DAT 환자들의 의미적, 음운적 구어유창

    성과제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지는 않았지만, 손상 과

    정에 있어서 과제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의 경우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

    의 순으로 인지기능의 저하(예: 집단 간 MMSE의 차

    이)와 같은 패턴으로 수행저하가 나타난 반면,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 수행의 경우 환자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이미 MCI 환자들에게서 경

    도 DAT 환자의 수준까지 저하되어있음을 시사한다.

    이렇듯 구어유창성과제는 MCI 환자들의 미세한

    차이를 민감하게 검출해낼 수 있는 과제임에도 불구

    하고 짧은 시간 안에 환자들에게 간단히 검사할 수 있

    는 과제로 환자에게 부가되는 부담이 적어 선별검사

    로써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구

    어유창성과제의 경우 과제자체의 언어이외의 다른 인

    지기능의 요구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구어유창성과제

    에서의 손상만으로 MCI 환자의 언어능력 저하를 판

    단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

    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통합적인 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그림설명과제로 MCI와 DAT환자들

    의 언어능력을 평가하였다.

    그림설명과제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과제수행

    전체에서 나타난 총음절수 및 총시간, 초당음절수로

    평가한 산출적인 측면에서는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의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초기 DAT 환자의 경우 발화량 등의 산출적인

    측면의 언어기능은 보존되어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

    와 일치한다(Carlomagno et al., 2005; Choi, 2009;

    Gile, Patterson & Hodges, 1996; Glosser & Deser,

    1991; Groves-Wright et al., 2004; Hier, Hagenlocker

    & Shindler, 1985; Tomoeda et al., 1996; Vuorinen,

    Laine & Rinne, 2000). 둘째, 의미적인 측면에서는

    총내용어수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지만 다른내용어수에 있어서는 MCI와 DAT

    환자 집단이 정상고령자에 비해 유의하게 수행이 낮

    았다. 이러한 결과는 MCI와 DAT 환자들의 경우 전

    체 과제에서 나타난 내용어(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의 수는 정상고령자와 차이가 없지만, 정상고령자에

    비해 같은 내용어를 많이 반복하여 사용했음을 의미

    한다. 이는 DAT 환자의 경우 담화과제에서 단어나

    구, 이야기의 반복이 나타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Cruz, 2010).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

    DAT로 발병하기 이전의 단계인 MCI 단계에서 이미

    이러한 반복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보다 흥미로운 결과는 MCI와 DAT 환자의 경우 다

    른내용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담화의 의미적인 측면에서의 손상은 MCI 단계에서

    이미 경도 DAT 환자의 수준 정도로 저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DAT 환자들의 담화손상에 관한 연구에서 Glosser

    & Deser (1991)은 DAT 환자의 경우 담화 안에서의

    정보를 통합하는 초문장적(suprasentential) 수준에

    서 손상을 가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다시 말해, 담화의

    경우 이름대기(naming)와 같은 인지-언어능력과 선

    택, 조직화, 계획 등의 인지-비언어적인 능력의 통합

    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이유로 아주 초기의 DAT

    환자를 민감하게 검출해 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Duong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그림설명과제와

    같은 담화과제의 경우 의미적 측면에서 DAT로 발병

    하기 이전의 MCI 환자들에게도 손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ROC 곡선을 통한 집단 간의 변별력을 알아

    본 결과 역시 그림설명과제의 의미적 수행은 정상고

    령자와 MCI, 정상고령자와 DAT 환자를 변별하는데

    유용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다른내용어수의 경우 구어유창

    성이나 MMSE 점수에 비해 MCI 환자를 진단할 수

  •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171-184

    178

    있는 임상적 척도로서의 기능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MMSE나 구어유창성과제에 비해 그

    림설명과제는 보다 언어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된 과

    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MCI 환자의 보다

    언어적인 측면의 손상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는 과

    제 및 변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화과제로 그림설명과제를 사용하

    였다. DAT 환자들에게 그림설명과제가 유용한 이유

    를 Duong, Tradif & Ska (2003)는 다음과 같이 설명

    한다. 첫째, 시각적으로 과제가 환자 앞에 지속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기억장애의 영향이 적다. 둘째, 분석

    해야 할 항목들이 그림에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대화

    과제와 같은 담화과제에 비해 분석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그림설명과제의 경우 1분 내외의 짧고 간단

    한 검사로 환자에게 주어지는 인지적, 심리적 부담도

    적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설명과제를 통해 MCI 환자

    들의 미세한 언어장애의 검출가능성을 제시하고 정상

    고령자와 MCI, DAT 환자 집단 간의 차이를 통해 의

    미적 측면에서의 언어장애의 손상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

    다. 앞으로는 MCI 환자 및 초기의 치매환자를 대상으

    로 언어장애의 특징을 파악하고 치료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해본다.

    참 고 문 헌

    김정완․김향희․남궁기․김세주․김덕용(2006).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발화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1(3), 82-98.

    보건복지부(2009).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서울: 동 부.오혜경․최현주․김수진(2010).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환자의 의미기억과 관련된 언어과제의 수행차이. 언어치료연구, 19(1), 73-84.

    이규정(2002).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이름대기 장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현주(2008). 노인성 알츠하이머병 위험군과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이름대기와 구어유창성 능력의 비교. 음성과학, 15(2), 111-118.

    Abe, M., Suzuki, K., Okada, K., Miura, R., Fujii, T., Mori, E., & Yamadori, A. (2004). Normative data on tests for frontal lobe function: Trail making test. verbal fluency, Wisconsin card sorting test. Cranial Nerves, 56, 567-574.

    Adlam, A., Bozeat S., Arnold, R., Watson, P., & Hodges, J. R.(2006). Semantic knowledg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Cortex, 42, 675-684.

    Albert, M. S., Moss, M. B., Tanzi, R., & Jones, K. (2001). Pre-clinical prediction of AD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7, 631-639.

    Ardila, A., & Rosselli, M. (1996). Spontaneous language production and aging: Sex and educational effec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87, 71-78.

    Bowles, N. L., Olber, K., & Albert, M. L. (1987). Naming errors in healthy aging and dementia of Alzheimer type. Cortex, 23, 519-534.

    Bschor, T., Kühl, K. P., & Reischies, F. M. (2001). Spontaneous speech of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3, 289-298.

    Carlomagno, S., Santoro, A., Menditti, A., Pandolfi, M., & Marini, A. (2005). Referential communication in Alzheimer’s type dementia. Cortex, 41, 520-534.

    Chapman, S. B., Zientz, J., Weiner, M., Rosenberg, R., Frawley, W., & Burns, M. H. (2002). Discourse changes in early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normal aging. Alzheimer’s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6, 177-186.

    Chen, P., Ratcliff, G., Belle, S. H., Cauley, J. A., & DeKosky, S. T. (2001). Patterns of cognitive decline in presymtomatic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853-858.

    Chereney, H., Murdoch, B., & Ingram, J. (1996). An investiga-tion of confrontation naming performance in Alzheimer’s dementia as a function of disease severity. Aphasiology, 5, 423-441.

    Chertkow, H., & Bub, D. (1990). Semantic memory loss in dementia of Alzheimer’s type. Brain, 113, 397-417.

    Choi, H. (2009). Performances in a picture description task in Japanese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an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3), 326-337.

    Cooper, D. B., Lacriz, L. H., Weiner, M. F., Rosenberg, R. N., & Cullum, C. (2004). Category fluenc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Reduced effect practice in test-retest conditions. Alzheimer’s Disease and Associative Disorders, 18, 120-122.

    Croisile, B., Ska, B., Brabant, M. J., Duchene, A., Lepage, Y., Aimard, G., & Trillet, M. (1996). Comparative study of oral and written picture descrip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Brain and Language, 53, 1-19.

    Crossley, M., D’Arcy, C., & Rawson, N. S. (1997). Letter and category fluency in community-dwelling Canadian seniors: A comparison of normal participants to those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or vascular typ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9, 52-62.

    Cruz, F. M. (2010). Verbal repetitions and echolalia in Alzheimer’s discourse.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24, 848-858.

  • 최현주 /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179

    Diesfeldt, H. F. A. (1985). Verbal fluency in senile dementia: An analysis of search and knowledg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 231-239.

    Dubois, B., & Albert, M. L. (2004). Amnestic MCI or prodromal Alzheimer’s disease? The Lancet Neurology, 3, 246-248.

    Duong, A., Giroux, F., Tardif, A., & Ska, B. (2005). The heterogeneity of picture-supported narratives in Alzheimer’s disease. Brain and Language, 93, 173-84.

    Duong, A., Tardif, A., & Ska, B. (2003). Discourse about discourse: What is it and how does it progress in Alzheimer’s disease? Brain and Cognition, 53, 177-180.

    Forbes-McKay, K. E., & Venneri, A. (2005). Detecting subtle spontaneous language decline in early Alzheimer’s disease with picture description task. Neurological Sciences, 26, 243-254.

    Forbes-McKay, K. E., Ellis, A. W., Shanks, M. F., & Venneri, A. (2005). The age of acquisition of word produced in semantic fluency task can reliably differentiate normal form pathological age related cognitive decline. Neuropsychologia, 43, 1625-1632.

    Garrard, P., Maloney, L. M., Hodges, J. R., & Patterson, K.(2005). The effects of very early Alzheimer’s disease 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by renowned author. Brain, 128, 250-260.

    Giles, E., Patterson, K., & Hodges, J. R. (1996). Performance on the Boston Cookie Theft picture description task in patients with early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Missing information. Aphasiology, 10, 395-408.

    Glosser, G., & Deser, T. (1991). Patterns of discourse pro-duction among neurological patients with fluent language disorders. Brain and Language, 40, 67-88.

    Goodglass, H., & Kaplan, E. (1983). The assessment aphasia and related disorders (2nd ed.). Philadelphia, PA: Lea and Febiger.

    Groves-Wright, K., Neils-Strunjas, J., Burnett, R., & O’Neill, M. J. (2004). A comparison of verbal and written language in Alzheimer’s type: A meta-analysis. Neuropsychologia, 42, 1212-1222.

    Hier, D. B., Hagenlocker, K., & Shindler, A. G. (1985). Lan-guage disintegration in dementia: Effects of etiology and severity. Brain and Language, 25, 117-133.

    Hirsch, K. W., & Ellis, A. W. (1994). Age of acquisition and lexical processing in aphasia: A case study. Cognitive Neuropsychology, 11, 435-458.

    Hodges, J. R., Salmon, D. P., & Butters, N. (1992). Semantic memory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Failure of access or degraded knowledge. Neuropsychologia, 30, 301-314.

    Martin, A., & Fedio, P. (1983). Word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in Alzheimer’s disease: The breakdown of semantic knowledge. Brain and Language, 19, 124-141.

    McKhann, G., Drachman, D., Folstein, M., Katzman, R., Price, D., & Stadaln, E. M. (1984).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34, 934-944.

    Monsch, A. U., Bondi, M. W., Butters, N., Salmon, D. P., Katzman, R., & Thal, L. J. (1992). Comparisons of verbal fluency tasks in the detection of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rchives of Neurology, 49, 1253-1258.

    Mori, E., Mitani, Y., & Yamadori, A. (1985). Value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test for nervous disease patients. Neuropsychology, 1, 82-90.

    Morris, J. C. (1983). The Clinical Dementia Rating(CDR):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43, 2412-2414.

    Perry, R. J., Watson, P., & Hodges, J. R. (2000). The nature and staging of dysfunction in early (minimal and mild) Alzheimer’s disease: Relationship to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impairment. Neuropsychologia, 38, 252-271.

    Petersen, R. C., Doody, R., Kurz, A., Mohs, R. C., Morris, J. C., Rabins, P. V., Ritchie, K., Rosser, M., Thal, L., & Winblad, B. (2001). Current concept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chieves of Neurology, 58, 1985-1992.

    Petersen, R. C., Smith, G. E., Waring, S. C., Ivnik, R. J., Tangalos, E. G., & Kokmen, E. (1999).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chieves of Neurology, 56, 303-308.

    Sakuma, N., Sasanuma, S., Watamori, T., Hukusato, Y., & Itoh, M. (1989). Impairment of narratives abilities in patients with dementia: A study based on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Japanese Journal of Neuropsychology, 5, 134-145.

    Salmon, D. P., Heindel, W. C., & Lange, K. L. (1999). Differential decline in word generation from phonemic and semantic categories during the course of Alzheimer’s disease: Implications for the integrity of semantic memory. Journal of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5, 692-703.

    Shimada, M., Meguro, K., Yamazaki, H., Horikawa, A., Hayasaka, C., Yamaguchi, S., Yamaguchi, K., Katsuyama, N., Nakano, M., & Yamadori, A. (1998). Impaired verbal description ability assessed by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in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7, 57-65.

    Sugishita, M. (2001). Manual for the Japanese version of WMS-R. Tokyo: Nihon Bunka Kagakusha.

    Tomoeda, C. K., Bayles, K. A., Trosset, M. W., Azuma, T., & McGeagh, A. (1996). Cross-sectional analysis of Alzheimer disease effects on oral discourse in a picture description task.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0, 204-215.

  •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171-184

    180

    Venneri, A., Forbes-McKay, K. E., & Shanks, M. F. (2005). Impoverishment of spontaneous language and the prediction of Alzheimer’s disease. Brain, 128, E27.

    Vuorinen, E., Laine, M., & Rinne, J. (2000). Common pattern

    of language impairment in vascular dementia and in Alzheimer’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4, 81-86.

  • 최현주 /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181

    Boston Cookie-Theft picture (Goodglass & Kaplan, 1983)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1;16;171-184

    182

    * This paper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Korea Nazarene University (2011).

    ■ Received, April 10, 2011 ■ Final revision received, May 5, 2011 ■ Accepted, May 15, 2011.

    ⓒ 2011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Detecting Language Deficit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Verbal Fluency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Hyunjoo Choi§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 Nazarene University, Cheonan, Korea

    § Correspondence to

    Prof. Hyunjoo Choi, PhD,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 Nazarene University, 456, Ssangyong-dong, Cheonan, Koreae-mail: [email protected].: + 82 41 570 1677

    Background & Objective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normal mental function and dementia, which has become increasingly well defined and is being more extensively studied. However, relatively few studies have looked at the language impairment aspects of patients with MCI, and their results have been inconsist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semantic language deficits in patients with MCI using a picture description task.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amnestic MCI, 30 patients with mil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and 20 elderly individuals with normal cognition (NC)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Japanese. The tasks included a one-minute verbal fluency task (semantic category: animals, phonetic category: /fu/, /a/ and /ni/) and a picture description task (the Boston Cookie-Theft picture).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was analyzed for both productivity (total number of syllables, total time and syllables per second) and semantics (total number of content words and number of different content words). Results: 1) Semantic performance on the verbal fluency task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NC group scoring best, followed by the MCI group, and then the DAT group. 2) Regarding phonetic performance in verbal fluency, the NC group outperformed the MCI and DAT grou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CI and DAT groups.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for the productivity of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4) In the semantic analysis of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the NC group outperformed the MCI and DAT groups with regard to number of different content word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MCI and DAT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content words among the groups. 5) The number of different contents words was a useful task for diagnosing MCI. Discussion &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eficits in semantic language are identifiable in individuals with MCI and can be revealed through complex tasks such as picture description. Therefore, these picture description tasks are suitable for detecting subtle language deficits in patients with MCI.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1;16;171-184)

    Key Words: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of Alzheimer’s type, picture description, verbal fluency

    REFERENCES

    Abe, M., Suzuki, K., Okada, K., Miura, R., Fujii, T., Mori, E., & Yamadori, A. (2004). Normative data on tests for frontal lobe function: Trail making test. verbal fluency, Wisconsin card sorting test. Cranial Nerves, 56, 567-574.

    Adlam, A., Bozeat S., Arnold, R., Watson, P., & Hodges, J. R.

    (2006). Semantic knowledg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Cortex, 42, 675-684.

    Albert, M. S., Moss, M. B., Tanzi, R., & Jones, K. (2001). Pre-clinical prediction of AD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7, 631-639.

    Ardila, A., & Rosselli, M. (1996). Spontaneous language

  • Choi / Detecting Language Deficit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Verbal Fluency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183

    production and aging: Sex and educational effec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87, 71-78.

    Bowles, N. L., Olber, K., & Albert, M. L. (1987). Naming errors in healthy aging and dementia of Alzheimer type. Cortex, 23, 519-534.

    Bschor, T., Kühl, K. P., & Reischies, F. M. (2001). Spontaneous speech of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3, 289-298.

    Carlomagno, S., Santoro, A., Menditti, A., Pandolfi, M., & Marini, A. (2005). Referential communication in Alzheimer’s type dementia. Cortex, 41, 520-534.

    Chapman, S. B., Zientz, J., Weiner, M., Rosenberg, R., Frawley, W., & Burns, M. H. (2002). Discourse changes in early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normal aging. Alzheimer’s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6, 177-186.

    Chen, P., Ratcliff, G., Belle, S. H., Cauley, J. A., & DeKosky, S. T. (2001). Patterns of cognitive decline in presymtomatic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853-858.

    Chereney, H., Murdoch, B., & Ingram, J. (1996). An investiga-tion of confrontation naming performance in Alzheimer’s dementia as a function of disease severity. Aphasiology, 5, 423-441.

    Chertkow, H., & Bub, D. (1990). Semantic memory loss in dementia of Alzheimer’s type. Brain, 113, 397-417.

    Choi, H. (2008). A comparison of performances of confron-tation naming test and verbal fluency task in patients with prodromal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peech Sciences, 15(2), 111-118.

    Choi, H. (2009). Performances in a picture description task in Japanese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an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3), 326-337.

    Cooper, D. B., Lacriz, L. H., Weiner, M. F., Rosenberg, R. N., & Cullum, C. (2004). Category fluenc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Reduced effect practice in test-retest conditions. Alzheimer’s Disease and Associative Disorders, 18, 120-122.

    Croisile, B., Ska, B., Brabant, M. J., Duchene, A., Lepage, Y., Aimard, G., & Trillet, M. (1996). Comparative study of oral and written picture descrip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Brain and Language, 53, 1-19.

    Crossley, M., D’Arcy, C., & Rawson, N. S. (1997). Letter and category fluency in community-dwelling Canadian seniors: A comparison of normal participants to those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or vascular typ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9, 52-62.

    Cruz, F. M. (2010). Verbal repetitions and echolalia in Alzheimer’s discourse.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24, 848-858.

    Diesfeldt, H. F. A. (1985). Verbal fluency in senile dementia: An analysis of search and knowledg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 231-239.

    Dubois, B., & Albert, M. L. (2004). Amnestic MCI or prodromal Alzheimer’s disease? The Lancet Neurology, 3, 246-248.

    Duong, A., Giroux, F., Tardif, A., & Ska, B. (2005). The heterogeneity of picture-supported narratives in Alzheimer’s disease. Brain and Language, 93, 173-84.

    Duong, A., Tardif, A., & Ska, B. (2003). Discourse about discourse: What is it and how does it progress in Alzheimer’s disease? Brain and Cognition, 53, 177-180.

    Forbes-McKay, K. E., & Venneri, A. (2005). Detecting subtle spontaneous language decline in early Alzheimer’s disease with picture description task. Neurological Sciences, 26, 243-254.

    Forbes-McKay, K. E., Ellis, A. W., Shanks, M. F., & Venneri, A. (2005). The age of acquisition of word produced in semantic fluency task can reliably differentiate normal form pathological age related cognitive decline. Neuropsychologia, 43, 1625-1632.

    Garrard, P., Maloney, L. M., Hodges, J. R., & Patterson, K.(2005). The effects of very early Alzheimer’s disease 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by renowned author. Brain, 128, 250-260.

    Giles, E., Patterson, K., & Hodges, J. R. (1996). Performance on the Boston Cookie Theft picture description task in patients with early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Missing information. Aphasiology, 10, 395-408.

    Glosser, G., & Deser, T. (1991). Patterns of discourse pro-duction among neurological patients with fluent language disorders. Brain and Language, 40, 67-88.

    Goodglass, H., & Kaplan, E. (1983). The assessment aphasia and related disorders (2nd ed.). Philadelphia, PA: Lea and Febiger.

    Groves-Wright, K., Neils-Strunjas, J., Burnett, R., & O’Neill, M. J. (2004). A comparison of verbal and written language in Alzheimer’s type: A meta-analysis. Neuropsychologia, 42, 1212-1222.

    Hier, D. B., Hagenlocker, K., & Shindler, A. G. (1985). Lan-guage disintegration in dementia: Effects of etiology and severity. Brain and Language, 25, 117-133.

    Hirsch, K. W., & Ellis, A. W. (1994). Age of acquisition and lexical processing in aphasia: A case study. Cognitive Neuropsychology, 11, 435-458.

    Hodges, J. R., Salmon, D. P., & Butters, N. (1992). Semantic memory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Failure of access or degraded knowledge. Neuropsychologia, 30, 301-314.

    Kim, J., Kim, H., Namkoong, K., Kim, S., & Kim, D. (2006). Spontaneous speech trait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1;16;171-184

    184

    11(3), 82-98.

    Lee, G. J. (2002). Naming deficits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Martin, A., & Fedio, P. (1983). Word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in Alzheimer’s disease: The breakdown of semantic knowledge. Brain and Language, 19, 124-141.

    McKhann, G., Drachman, D., Folstein, M., Katzman, R., Price, D., & Stadaln, E. M. (1984).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34, 934-94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Seoul: Author.

    Monsch, A. U., Bondi, M. W., Butters, N., Salmon, D. P., Katzman, R., & Thal, L. J. (1992). Comparisons of verbal fluency tasks in the detection of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rchives of Neurology, 49, 1253-1258.

    Mori, E., Mitani, Y., & Yamadori, A. (1985). Value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test for nervous disease patients. Neuropsychology, 1, 82-90.

    Morris, J. C. (1983). The Clinical Dementia Rating(CDR):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43, 2412-2414.

    Oh, H. G., Choi, H., & Kim, S. (2010). Differences of language impairment related to semantic memor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1), 73-84.

    Perry, R. J., Watson, P., & Hodges, J. R. (2000). The nature and staging of dysfunction in early (minimal and mild) Alzheimer’s disease: Relationship to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impairment. Neuropsychologia, 38, 252-271.

    Petersen, R. C., Doody, R., Kurz, A., Mohs, R. C., Morris, J. C., Rabins, P. V., Ritchie, K., Rosser, M., Thal, L., &

    Winblad, B. (2001). Current concept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chieves of Neurology, 58, 1985-1992.

    Petersen, R. C., Smith, G. E., Waring, S. C., Ivnik, R. J., Tangalos, E. G., & Kokmen, E. (1999).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chieves of Neurology, 56, 303-308.

    Sakuma, N., Sasanuma, S., Watamori, T., Hukusato, Y., & Itoh, M. (1989). Impairment of narratives abilities in patients with dementia: A study based on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Japanese Journal of Neuropsychology, 5, 134-145.

    Salmon, D. P., Heindel, W. C., & Lange, K. L. (1999). Differential decline in word generation from phonemic and semantic categories during the course of Alzheimer’s disease: Implications for the integrity of semantic memory. Journal of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5, 692-703.

    Shimada, M., Meguro, K., Yamazaki, H., Horikawa, A., Hayasaka, C., Yamaguchi, S., Yamaguchi, K., Katsuyama, N., Nakano, M., & Yamadori, A. (1998). Impaired verbal description ability assessed by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in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7, 57-65.

    Sugishita, M. (2001). Manual for the Japanese version of WMS-R. Tokyo: Nihon Bunka Kagakusha.

    Tomoeda, C. K., Bayles, K. A., Trosset, M. W., Azuma, T., & McGeagh, A. (1996). Cross-sectional analysis of Alzheimer disease effects on oral discourse in a picture description task.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0, 204-215.

    Venneri, A., Forbes-McKay, K. E., & Shanks, M. F. (2005). Impoverishment of spontaneous language and the prediction of Alzheimer’s disease. Brain, 128, E27.

    Vuorinen, E., Laine, M., & Rinne, J. (2000). Common pattern of language impairment in vascular dementia and in Alzheimer’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4, 81-86.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Ⅰ. 서론Ⅱ. 연구 방법Ⅲ. 연구 결과Ⅳ. 논의 및 결론참고문헌〈부록〉ABSTRACT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