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12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CSR 평가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email protected] Ⅰ. 서론 미국의 사 회계 부정 사건 등을 계기로 사회적 책임이 국제적으로 주목을 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계 금융계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하 CSR) 사회책임투자(Social Responsibility Investment이하 SRI)에 대한 인아지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란 기업이 사회가 기대하는 바직한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해야 한다는 의미로서,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시되어 기업의 경제적 기능을 어 기업의 사회적 기능까지도 포하는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다. 즉 기업은 경제적 가치를 추구할 뿐만 라 보편적인 사회적 가치의 실현에 공하여야 한다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정의하는 출발점이 되고 있다(신유근, 2001).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는 것은 기업 활동이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수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최소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으로 하여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치러야 하는 사회적 비용을 의미하기도 한다(성국, 2001). ʻ사회책임투자(SRI)ʼʻ기업의 사회적 책임(CSR)ʼ이라는 두 용어는 ʻ사회적 책임ʼ이라는 단어를 공유하고 있어 개념적 란이 있을 수 있다. 이 두 용어는 유사한 개념인 보이 SRI는 ʻ투자적ʼ 측면이, CSR은 ʻ기업적ʼ 측면이 조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재한다. CSR은 기업의 장에서 기업 스스로 그들의 사회적, 리적 가치를 그들의 주요 토픽 분석 Ⅱ 58

Transcript of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Page 1: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와

CSR 평가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email protected]

Ⅰ. 서론

미국의 엔론사 회계 부정 사건 등을 계기로 사회적 책임이 국제적으로 더욱 주목을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계 및 금융계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하 CSR) 및 사회책임투자(Social Responsibility Investment:이하

SRI)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란 기업이 사회가 기대하는 바람직한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해야 한다는 의미로서,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시되어 온 기업의 경제적 기능을 넘어 기업의

사회적 기능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다. 즉 기업은 경제적 가치를 추구할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사회적 가치의 실현에 공헌하여야 한다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정의하는 출발점이 되고 있다(신유근, 2001).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진다는 것은

기업 활동이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최소화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으로 하여금 이윤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치러야 하는

사회적 비용을 의미하기도 한다(김성국, 2001).

ʻ사회책임투자(SRI)ʼ와 ʻ기업의 사회적 책임(CSR)ʼ이라는 두 용어는 ʻ사회적 책임ʼ이라는

단어를 공유하고 있어 개념적 혼란이 있을 수 있다. 이 두 용어는 유사한 개념인 듯 보이

지만 SRI는 ʻ투자적ʼ 측면이, CSR은 ʻ기업적ʼ 측면이 더욱 강조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CSR은 기업의 입장에서 기업 스스로 그들의 사회적, 윤리적 가치를 그들의

주요 토픽 분석 Ⅱ

58

Page 2: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59

핵심 사업 모델, 생산 활동 및 공급망 관리 등의 경영 활동에 반영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인 반면, SRI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가치를 투자에 반영함으로써

최적의 투자 수익을 얻기 위한 투자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투자자들은 기업의 경제적 성과를 투자 의사 결정의 중심에 놓았다. 즉

경제적 성과만 양호하다면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으나, 사회가 복잡

해지고, 또한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기업들은 더욱 다양한 이해관계자

들의 압력에 대응해야 하는 경영 환경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라도 소홀히 할

경우 기업의 경쟁력 저하와 위기로 이어지고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사회책임투자(SRI)는 미국 종교단체의 종교적 ․윤리적인 동기에서 출발하였으나 현대에

들어 ESG 개념으로 발전되고 일반화되었다. 즉 재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는

고려하지 않았던 비재무적인 측면인 ESG 이슈, 즉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문제 등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동시에 고려

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진보된 투자 방식이다.

사회책임투자에는 기업에 대한 투자와 더불어 지역사회에 대한 투자, 주주행동주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개념도 ʻ사회에 대한 책임(SRI)ʼ에서 ʻ투자자의 책임(Responsibility

Investment:RI)ʼ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또한 ESG 이슈가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와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지속가능책임투자(Sustainable Responsible

Investment)로 불리기도 한다.

Ⅱ. SRI와 CSR 평가

1. SRI의 ESG 프레임워크

기관 투자자들이 투자 대상 기업을 분석함에 있어 재무 정보 외에 ESG 측면만을 고려

하는 것은 특정한 가치의 개입으로 인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기업 소유 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 이해관계자들로부터의 위험 및 기회 요인의 증대, 각종 규제의 변화, 기업

평판의 중요성 등의 정성적인 요인들과 기업의 장기적 주주가치는 상호 배타적이 아니라

Page 3: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0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ESG 분석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SRI의 전통적인 투자 방법은 윤리투자, 사회적 투자, 환경투자 등 세 가지 투자에서

출발하였다. 윤리투자(Ethical Investing)는 종교적 신념과 가치관, 사회적 투자(Society

Investing)는 인권, 평등, 반전 운동, 억압 정권에 대한 저항 등의 사회적 이슈 및 문제

의식, 환경투자(Eco-Investing)는 환경 훼손, 기후 변화, 온실가스 배출 등의 환경

문제를 바탕으로 투자 원칙을 정하고 이를 투자에 반영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이

세 가지 접근법들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까지 SEE(사회, 환경, 윤리)라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2002년 엔론, 월드콤 등의 회계 추문이 터지면서 지배구조(Governance) 문제와

SRI의 주류화 현상으로 특정한 가치 판단이나 규범에 근거를 두는 윤리적 접근을 주류

투자자들이 수용하기란 쉽지 않았고, 기업의 윤리적 행위를 평가하고 판단하는데 있어서의

주관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과 윤리적 실적과 재무적 성과 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입증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SRI의 프레임워크가 ʻSEEʼ에서 ʻESGʼ로 대체되었다.

현대적 의미의 사회책임투자(SRI)는 전통적으로 투자자들의 통찰력에 의존하였던 기업의

비재무적 측면의 위험과 기회 요인들을 ESG란 프레임워크 내의 다양한 자료들을 이용

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2.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통해 세계적으로 일반화되었다.

윤리투자의 원조인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사회책임투자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미국은 1960년대 이후 미국 내의 환경 운동, 소비자 보호 운동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는 시기와 맞물려 종교단체나 시민운동단체 등을 중심으로 특화된

중소형 전문 펀드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미국은 고객 맞춤형 소매 SRI 펀드가 주류를

이루는 Bottom-up 방식으로 발전하였으나, 유럽은 정부, 대형 금융기관, 연기금 등을

중심으로 하는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사회책임투자의 역할 면에 있어 미국은

SRI를 ʻ사회적 이슈ʼ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 반면, 유럽은 ʻ환경문제ʼ를 강조

하고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성과 간의 균형 있는 투자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사회책임투자의 방식에 있어 미국은 저소득층 및 낙후지역 개발을 위한 투자 및 주주

결의안 제출 등 적극적인 경영 개입을 위주로 하는 반면, 유럽은 경영진과의 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영에 관여하는 것을 적대적인 주주행동보다 선호하며, 평가 기준에 있어

Page 4: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1

미국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의 순으로 기준을 두는 반면에 유럽은 사회, 환경, 윤리

순으로 그 기준을 두고 있다(김형철, 2007).

미국의 SRI 실행 전략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사회적 스크리닝

(Social Screening/Portfolio Screening) 전략으로 환경 및 윤리 등 사회적 평가를

고려하여 투자자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투자 대상을 선정하는 것으로, 투자자가 기업에

투자를 할 때 기업의 재무적인 지표 등의 경제적 요소 외에도 그 사업 내용이 윤리적인지

혹은 경영 활동 과정에서 사회나 환경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비재무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투자 대상 기업을 선별하는 방법으로 배제 기준 심사(Negative Screening)와

선별 기준 심사(Positive Screening)가 있다. 배제 기준 심사는 마약, 낙태, 무기, 도박,

담배 등 사회적으로 비난을 받는 상품을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기업이나 산업을 단순히

투자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투자 방식으로, 초기 사회책임 투자자들은 대부분 이런 배제

기준 심사를 주로 사용했으며, 사회나 종교 윤리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여 이를 윤리투자

(Ethical Investment)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배제 기준 심사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투자 대상 기업을 너무 축소시키고 기준 또한 모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선별 기준 심사(Positive Screening)는 질적 방법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기업의 사회적,

환경적 성과 평가를 위한 기업 분석 기법이 필요한,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스크리닝

방법으로 특정 기업군을 배제하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높여

나가는 기업을 적극적으로 선별해 투자 대상에 포함시키는 투자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환경적, 사회적, 지배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른 기업들보다 더 나은 사업 운영 기록을 가지고

있는 기업, 또는 모범적인 기업 시민이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 입증된 기업들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투자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들에 대한

방대한 정보가 필요하고 수량화되어야 한다.

두 번째 실행 전략은 주주행동주의(Shareholders activism:Shareholder advocacy

/engagement)로 주주행동주의는 기업의 주인으로 권리와 책임을 다하여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게 이익을 가져오도록 기업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와 환경에 긍정

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다. 이 전략은 주주의 권한을

행사하여 회사로 하여금 더 발전하도록 촉구하는 행위로 대화나 위임 투표 그리고 주주

결의안과 같은 방법을 취한다. 스크리닝은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성격을 갖는데 비해 주주

Page 5: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2

투자 전략 정 의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Ethical

Exclusion

다양한 윤리적 기준을 적용하여 특정 기업이나

업종들을 투자에서 배제하는 전략

Social

Screening

Core Core Core

Positive

Screening

일정 기준 이상을 충족하는 기업들을 투자하는

전략Core Core Core

Best-in

-Class

특정 섹터/산업 내에서 사회, 윤리, 환경적

성과가 우수한 기업들에 투자하는 전략Core Core Core

결의안을 통한 기업과의 직접 대화는 실질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는 즉각적이고 역동적

이며 성공 가능성이 높은 방법이다. 1985년 이후 연기금들은 대부분 주주행동주의가 투자에

수반되는 필연적 행위임을 인식하게 되었고, 1990년 이후에는 미국 내 대부분의 연기금

들이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 지침과 주주행동주의를 채택하게 되었다.

세 번째 실행 전략은 지역사회 투자(Community Investing)이다. 이 실행 전략은

사회적 약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투자로 주택 개발, 복지시설 건립, 소기업 융자,

소액 융자, 사회적 혁신자 자금 등과 같은 투자 방법으로 지역사회 개발 금융기관에는

지역사회 개발 대출 펀드, 지역사회 개발 은행, 지역사회 개발 신용조합 등이 있으며,

지역사회 개발 대출 펀드는 차입자가 시도하는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금과

건물을 지원하며 각종 기술적인 문제도 돕는다. 또한, 지역사회 개발 은행과 그 프로그램은

인근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일을 하고 있다. 사회책임 투자자들은 지역사회 개발 은행과

그 프로그램에 계좌를 개설하거나 그들로부터 양도성 예금증서를 매입하는 방식의 지원을

한다.

반면 유럽에서는 스크리닝 전략을 세분화하고 핵심(Core) 전략과 광의(Broad) 전략으로

구분한다. 유럽의 핵심(Core) SRI는 Ethical Exclusion, Positive Screening, Best-in-Class,

Thematic Investment Portfolio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특별한 지속가능 테마는 강력한 잠재력을 지닌 시장으로 SRI 펀드 시장에 새롭게 출현

하였다. 광의(Broad) SRI 전략으로는 Simple Exclusion, Integration, Engagement가

있다. Broad SRI의 규모가 가장 큰 국가는 미국이며, 이탈리아의 경우 기관 투자자들이

Simple Exclusion 전략에 대한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문수정, 2008).

Page 6: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3

투자 전략 정 의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Thematic

Investment

Portfolio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특정 이슈들을

분석하여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하는 전략

(배제적 선별 방식도 사용)

Core Core Core

Norms-

Based

Screen

OECD, ILO, UN, UNICEF 등의 국제적 기준에

미달하는 기업들을 배제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

Broad Core Core

Simple

Exclusion

하나의 펀드에서 무기 제조, 포르노 발행, 담배,

동물실험 등의 한 섹터를 제외하거나, 인권

이나 규범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

Broad

Integration

지배구조, 사회, 윤리, 환경적인 위험을 전통

적인 재무 분석에 더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

Broad Broad Broad

Engagement

대화나 메일 교환 등을 통해 기업들에게 더욱

책임 있는 비즈니스를 하도록 유도하거나 투자

수익을 늘리도록 권유하는 전략, 이는 투자자의

영향력이나 오너십 권리에 의존함Shareholder

Advocacy

Broad Broad Broad

Shareholder

Advocacy

주주권 행사, 주주 제안, 주주총회 등의 개최를

요구하여 적극적으로 경영에 참여하는 전략 Broad

Community

Investing

전통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지역

사회에 직접 투자하는 전략

Community

Investing

Core

Social

Venture

Capital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창업자들에게 투자하는 전략 Broad

Social

Responsible

Lending

전통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사람들

에게 재기할 수 있도록 대출해 주는 전략 Core

※ 출처 : Eurosif, SRI-Study, 2006

Page 7: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4

Ⅲ. CSR 평가 동향 및 접근법

1. CSR 평가 동향

전 세계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CSR 평가 기관은 약 58개 정도이며, 이들의 CSR

평가에 있어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제품 범위에 있어 전 과정 개념에 지향점을 두고 있으며, 기업 활동에서 발생되는

이해관계자 영향에 대한 명확한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 기업의 경영 환경 전체에 대한 거시적·미시적 생태학적 추세와 사회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중심적 역할을 하며, 기업 활동에서의 환경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영향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 기업의 경영 프로세스(전략, 이행과 실제 달성된 결과, 보고 그리고 의사소통 과정)에서의

CSR에 대한 평가가 증가하고 있다.

■ 대부분의 평가 모델들이 UN 인권선언, ILO 핵심 노동 기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OECD 지배구조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환경 기준도 고려하고

있다.

CSR 평가는 사회적·환경적 차원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업 활동에서의 환경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투명성과 시스템적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모든 평가시스템은

공공기관 또는 국가보다는 기업의 CSR 성과에 초점을 두고 평가 기관이 고유한 평가

프로세스를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국제적 수준의 보고 대상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

지고 있다.

주요 평가시스템은 이해관계자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일부 평가 기준에서는 이해관계자

영역을 좀 더 자세히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다. 이해관계자모델은 주로 미국(Innovest,

100 best corporate citizens 등)과 영국(Bitc)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북유럽의 평가

시스템은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다.

CSR 평가는 일반적으로 기업과 산업에 대한 Best of class approach로 이 접근법

에서의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산업 전체의 지속가능성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인 지속

가능성을 알려 준다. 일부 평가 기관에서는 Negative, Exclusionary 및 Positive 기준을

포함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모델은 선두 기업 또는 개선 기업을 구분하고 있다.

Page 8: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5

2. CSR 평가 접근법

기업의 CSR에 대한 평가 접근법은 평가 기업에 직·간접적 영향이 높은 윤리, 환경

그리고 사회적 기준에 중점을 두는 경제 지향적 개념과 윤리적 동기를 강조하는 규범

지향적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글로벌 CSR 평가는 투자자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기 때문에 평가에 있어서 대부분 경제 지향적 개념의 평가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의 가치, 리스크 관리, Innovator 그리고 Business Types에 대한 내용을 평가에

담고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해관계자 가치 : 미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업의 대응과 관리 전략에 중점을 두며,

경제, 환경 그리고 사회의 거시적 ‧ 미시적 추세의 확인과 개선은 이해관계자 가치의

증가 및 경쟁적 우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에 근거한다. 따라서 이해관계자는 기업의

가치, 책임 있는 제품 기술과 좋은 제품 생산을 통하여 효익을 얻을 수 있다.

■ 리스크 관리 : 당면한 환경적 ‧ 사회적 위험에 대하여 기업이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며, 이 접근법은 환경적 ‧ 사회적 위험에 대한 대응 능력은

기업의 증가된 재무적 성과를 가져온다는 것에 근거한다.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은

Non-sustainability 예방에 있다고 보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전 과정의 단계뿐만

아니라 가치사슬에서 모든 이해관계자의 관련성을 구체화하여 특정 산업의 잠재적인

위험을 추정한다.

■ ʻInnovatorʼ와 ʻPioneerʼ에 중점을 둔 접근법 : 혁신적인 제품 또는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적·경제적 기회로부터 발생되는 초과 재무 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 접근법에서는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를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몇몇의 평가기관은 Innovator 분석에 있어 환경적 관점에 한정하거나 환경적 이슈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그 예로 북유럽의 CSR 평가에서는 ʻEco-Innovator Modelʼ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 Business Types : CSR 이슈에서 Best Practices 관점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모색

또는 규정하기 위한 모델로, 이러한 부분이 이전의 모델과 다른 점이다. 이 모델

(Bitc도 그 중 하나)은 품질관리모델(예:EFQM)과 영국에서 개발된 AA1000과 유사

성을 지닌다. 이 접근법에서는 전략과 계획, 운영적 실행, 평가 및 보고뿐만 아니라

이해관계자와의 대화의 성립과 같은 프로세스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Page 9: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6

Ⅳ. SRI 평가 기관 사례

우리나라와는 달리, 영국과 미국 등 SRI가 발달한 국가에서는 SRI Index 구성종목을

위한 평가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의 SRI Index를 구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와 영국의 FTSE4Good Index가 대표적인

Index로 간주된다. 대표적인 Index 및 구성종목 선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기업의 지속가능성은 경제, 환경 그리고 사회 발전으로부터 비롯된 총체적인 기회와

경영에서의 리스크에 의해 장기적인 이해관계자 가치가 상승하는 비즈니스 접근법이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선두 주자는 지속가능한 제품과 서비스의 잠재 시장에 대한 이용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지속가능한 비용과 위험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키고 피하고자 한다.

투자자는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산업 내에 Best Practice 기업에 대한 투자를 위한

Portfolio를 분석할 수 있다.

경제, 환경 그리고 사회의 동인인 기업의 지속가능성 기준은 모든 산업에서 각 산업

차원에서 확인되어진다. 일반 기준은 주요 글로벌 지속가능성 기회의 차원을 근거로 한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기준은 모든 사업에서 적용 가능하고 모든 차원에서 정의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Standard management practice와 모든 산업에서 측정 가능한 성과 측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기업의 지배구조, 환경 관리 및 성과, 인권, 공급사슬

관리, 위험 관리 및 노동 관행 등이 포함된다.

2. BITC-CR-INDEX(Corporate Responsibility Index)

BITC는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또한 이해관계자 관점의 접근에서

환경 경영을 수용하고 있다. 즉, 기업의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관리

측정과 보고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을 하며, 산업 내의 다른 기업에 대한 경영 프로세스와

성과를 비교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회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촉진 ‧강화하고 이에 대한 유지를 요구하며, 이해관계자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 방법을 취한다.

사회적 ‧ 환경적 기업 전략을 관리시스템에 통합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확대하여 활동

Page 10: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7

하는 기업을 Index에 포함시킨다. CR-Index는 품질관리모델과 유사한 프로세스 지향

적인 모델로, 지역사회, 환경, marketplace와 workplace의 네 가지 영역의 관리 활동을

비교할 뿐만 아니라 기업에 중요한 환경적 ‧ 사회적 영향에 따른 영역에서의 성과를 제공

한다.

3. DS 400(Domini 400 Social Index)

Domini 400 Social Index(DS400)는 KLD가 S&P 500 Index를 모델로 발행 주식 수를

가중치로 사용한 시가총액(Free-float market capitalization weighted) 방식으로

400개의 종목을 선정하여 1990년에 구성된 주가지수이다. KLD는 DS 400 지수 내의

주식 수를 항상 400개 기업으로 유지한다. 기업들은 기업 활동, 배제 스크린의 위반, 낙후된

사회 또는 환경 성과로 인해 지수에서 제외될 수 있다. 지수위원회는 ESG 스크린과 관련된

지수의 모든 변화에 대해 최종 결정을 내린다. KLD 선임 애널리스트는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모든 기업들에 대해 보고서의 질에 대해 검토한다. 또한 선임 애널리스트와 리서치

장으로 구성된 KLD 평가검토위원회(KLD Rating Review Committee)는 논쟁적인

이슈를 검토하고, 현 평가의 합리성을 유지한다.

4. FTSE4Good Index

글로벌 스탠더드를 충족하는 기업의 지속경영성과를 측정하고 이들 기업에 대한 투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이낸셜 타임즈와 런던증권거래소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지수로 기존 FTSE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 가운데 환경, 인권, 사회, 이해관계자 등의

평가 항목이 우수한 기업을 FTSE4Good에 포함시킨다. 평가는 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투자 노력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환경적 지속가능성 추구, 이해관계자와의

긍정적 관계 추구, 보편적 인권 보장 및 지원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용하고자 노력

하는 기업의 행동을 높이 평가한다.

FTSE4Good은 기업의 환경 영향 정도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특정 산업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에 따라 산업을 분류하고, 다시 이것을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따라 대·중·소로 분류하여 기업의 환경정책과 관련되어 있는

핵심 요건과 추가 요건에서 기업 전반에 걸친 환경 중심 정책의 융화 정도, 고위 경영진의

의지, 환경정책의 정량적 목표 및 달성 여부, 모니터링, 공시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Page 11: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8

V. 결론

CSR에 대한 국제적 움직임은 본격화되고 있으나 국제적 수준에 부합하는 인식 및

대응의 미비로 인하여 아직 국내 기업의 CSR 수준은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준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자본시장에서 기업의 ESG 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여야 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활동에 관한 SRI에 관한 공식적인 지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경우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기업이 CSR 전략을 채택하기 시작하여 종래의

환경보고서에서 벗어나 ʻCSR보고서ʼ나 ʻ지속가능성보고서ʼ를 발간하는 등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정보 발신을 강화하였다. 또한 CSR 전략을 종래의 단순한 사회공헌 활동 차원의

인식에서 벗어나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경영 전략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CSR 전담 조직 체제 구축 등 추진 체제를 정비하고, 글로벌 차원에서의 대응 전략을

적극적으로 구사하고 있다(사공목, 2006). 따라서 국내 기업이 스스로 경쟁력을 확보

하고 유지함으로써,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고 국제적 흐름에의 적극적 대응을 통한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 및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는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른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회 상승과 위험 감소에 따른 기업가치의

상승에 대한 가치를 투자에 반영함으로써 최적의 투자 수익을 얻기 위한 투자를 하여야

할 것이다. 즉,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지속가능경영을 가능케 하는데, 지속

가능경영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만족도 제고를 통하여 기업의 존속과 가치 향상에 기여

하게 된다. 이러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투자자들의 활발한 움직임은 곧 CSR의

발전을 촉진한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국내 SRI 펀드 시장의

활성화 및 자본시장의 SRI 지수를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다.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상태에 대해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비교·평가를 하기 위한

공통의 원칙과 기준을 적용하는 평가 모형이 필요하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지속가능

경영을 확산해 나가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존재하는 환경 및 사회의 차이점을 감안하여

국내 현실에 적합한 지속가능경영 평가 체제를 구축하여야 하며, 이러한 평가 결과는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적 정합성 및 지표간·기업간 비교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국제적

차원의 관점을 고려하여 이를 평가 체제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Page 12: 자본시장의 사회책임투자(SRI) CSR 평가 · 김 명 서 | 센터 연구위원 ... SRI 실행 전략 종교적 신념에서 시작된 사회책임투자는 펀드 투자를

69

<참 고 문 헌>

김덕순, 사회책임투자 지수 개발을 위한 해외 사례 연구, ㈜서스틴베스트, 2007.

김성국, 경영과 사회, 명경사, 2001.

김형철, SRI 접근 방법과 전략에 관한 고찰, 투신, 63, 2007.

노희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사회책임투자, 상장협연구, 57, 2008.

러셀 스팍스, 사회책임투자, 홍성사, 2007.

류영재, SRI 지표 현황과 그 과제, CSR 노동 포럼, 2007.

문수정, 글로벌 SRI 현황-해외 주요 SRI 지수와 시장 동향, 에코프론티어, 2008.

박대순, 지속가능금융과 경영 성과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사공목, 일본기업의 CSR(사회적 책임) 전략과 시사점, 2006.

신유근, 사회 중시 경영: 기업과 사회, 경문사, 2001.

오성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사회책임투자(SRI)에 관한 고찰, 비교사법, 13(4),

2006.

에이미 도미니, 사회책임투자, 필맥, 2004.

이상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미국과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비교, 한국사회학,

2002.

주정, 기업의 사회적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최정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책임투자, 한국 CSR 평가, 2008.

Henry Schafer, Jana Beer, Jan Zenker and Pedro Femandes, Who is Who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Survey of Internationally Established

Rating Systems that Measure Corporate Responsibility, Bertelsmann

Foundation, 2006.

http://www.kld.com/indexes/ds400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