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22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Vol. 12. No.1 2013. 4. pp113~134 113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하정철 * 김태윤 ** 박철용 *** 최재성 **** 송규문 ***** A Study on Establishing Reg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Ha, Jeongcheol·Kim, Tae Yoon·Park, Cheolyong·Choi, Jaesung·Song, Kyu-moon 국문 요약 필수적인 사회자료로서 통계의 중요성이 점차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현실을 잘 반영해주는 통계에 대한 수요가 각 부문에서 증대되고 있다. 그에 따라 통계의 품질 검증 및 투명성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대구광역시 통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대구 지역통계정보시스 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내 통계정보시스템 중 선도적이고 표준화된 통계청의 통계정보시 스템(KOSIS) 등을 바탕으로 대구 지역통계정보시스템(DGSIS) 구축안을 수립한다. 연구는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먼저 대구광역시의 통계 작성과 보관 및 이용실태 파악, 자료 수집 입력 및 정제 과정 신뢰도분석을 위해 지역기업체, 관공서 등을 대상으로 통계자료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다음 단계로 기초통계자료 정의 및 입력시스템 개발, 자체 통계편제 시스템 구축, 기초통계 DB 공유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연구하였다. 통계생산 관련 기관의 현장조사 결과 통계 수요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통계를 보관, 공 유하고 적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여건이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지방분권화시대에 신속하게 대구광역시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을 기획할 수 있는 정보추출 능력은 대구광역시에 반드시 요구되는 경쟁력이며, 대구 지역통계정보시스템의 구축 을 통해서 이 경쟁력을 배가시킬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원스톱 정보서비스, 지역통계, 통계정보시스템 이 논문은 대구경북연구원의 외부공모사업의 결과를 발췌요약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교신저자,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53-580-5188 **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Transcript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Page 1: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Vol. 12. No.1 2013. 4. pp113~134

113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하정철*・ 김태윤

**・ 박철용***・ 최재성

****・ 송규문*****

A Study on Establishing Reg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Ha, Jeongcheol·Kim, Tae Yoon·Park, Cheolyong·Choi, Jaesung·Song, Kyu-moon

국문 요약

필수 인 사회자료로서 통계의 요성이 차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실을 잘 반 해주는 통계에

한 수요가 각 부문에서 증 되고 있다. 그에 따라 통계의 품질 검증 투명성에 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조사를 통해 구 역시 통계의 황을 악하고 이를 토 로 구 지역통계정보시스

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 다. 국내 통계정보시스템 선도 이고 표 화된 통계청의 통계정보시

스템(KOSIS) 등을 바탕으로 구 지역통계정보시스템(DGSIS) 구축안을 수립한다.

연구는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먼 구 역시의 통계 작성과 보 이용실태 악, 자료 수집 입력

정제 과정 신뢰도분석을 해 지역기업체, 공서 등을 상으로 통계자료에 한 수요를 악하고

분석하 다. 다음 단계로 기 통계자료 정의 입력시스템 개발, 자체 통계편제 시스템 구축, 기 통계

DB 공유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연구하 다.

통계생산 련 기 의 장조사 결과 통계 수요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통계를 보 , 공

유하고 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여건이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지방분권화시 에 신속하게 구 역시의 황을 악하고 정책을 기획할

수 있는 정보추출 능력은 구 역시에 반드시 요구되는 경쟁력이며, 구 지역통계정보시스템의 구축

을 통해서 이 경쟁력을 배가시킬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원스톱 정보서비스, 지역통계, 통계정보시스템

†이 논문은 구경북연구원의 외부공모사업의 결과를 발췌・요약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계명 학교 통계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교신 자,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53-580-5188

** 계명 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 계명 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 계명 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 계명 학교 통계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tatistics, Keimyung University)

Page 2: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statistics as essential society data is getting bigger and the demand for

statistics which reflects the reality is increasing in each department. Therefore, on the pace of

increasing is the requirements for the quality verification and transparency of statistics.

In this article, we study the status of the Daegu metropolitan city statistics through a field

survey and seek ways to build Daegu reg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on the basis of it.

We propose to construct the Daegu Reg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DGSIS) based on

the leading standard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of Statistics Korea among all the domestic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s.

The study is carried out in two steps. First, we survey many institutes such as regional

company, government offices and so on, to have a viewpoint of the as-is status of the

acquisition and usage of Deagu statistics. Next, we study the definition and the input system

development of basic statistics, the construction of self statistical organization system and basic

statistics database-sharing system and so on.

From the result of field study of statistics producing agency, we found that the statistics

providing systems are rarely built in spite of the increased demand on statistics. Since the battle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ies is getting more competitive, the information acquirement

ability is more demanding. DGSIS is one of the best weapons for it.

Keywords : One-stop Information Service, Regional Statistics,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구 역시 사회지표조사 발표 (2012.6)

등을 통해 볼 수 있었던 바처럼 필수 인 사회자

료로서 통계의 요성이 차 크게 부각되고 있으

며 실을 잘 반 해주는 통계에 한 수요가 각

부문에서 증 되고 있다. 물론 그에 따라 통계의

품질 검증 투명성에 한 요구도 증 하고

있다.

구 역시 통계정보에 한 수요가 늘어나고

이용자 계층 한 다양화됨에 따라 통계 정보에

한 수요는 인구, 사업체수 등 단순한 황자료

뿐만 아니라 인구구조 산업구조의 연 성, 지

역정책 수립 추진실 에 한 평가자료 등 다

양해지고 있다. 지 까지 통계정보는 주로 공공기

유 단체 등이 주이용자 으나, 최근에는

아 트 분포 황을 요구하는 일반시민, 산업

경제 황을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

상권분석을 한 기업체의 소득분포에 한 통계

정보 요청 등 이용자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구 역시 통계정보를 구하여 활용

하고자 하는 이용자들로부터 많은 민원이 발생하

고 있는데 이는 부분의 경우 이용자가 직

련 실․과의 담당자를 악하여 연락해야 하기 때

문이다. 인터넷 게시 을 통해 통계자료가 제공되

고 있긴 하나 서비스 제공의 시성이 떨어지고

통계검색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용자들

의 불편함을 해소해주지 못하고 있다. 단순 통계

Page 3: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1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자료 요청의 경우에도 즉각 인 응이 가능한 서

비스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하나 직 인 응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재 구 역시의 통계자료 리 체계는 웹

PC기반의 자료 리 체계이며 이러한 체계로는 과

거 30~40년간 혹은 향후 생산되는 통계자료를 지

속 으로 축 리할 수가 없다. 특히 통계 업무

담당자의 이동이 심하고 문 통계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 통계자료 리를 업무 담당자에 으

로 의존하는 경우 장기 으로 체계 인 원시자료

보 리가 이루어질 수 없다. 특히 통계청의

통계정보시스템(KOSIS) 편제환경 변화에 히

응할 수 있도록 구 역시의 통계편제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기존의 구 역시

통계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선하여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에서

기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한 구 역시를

심으로 지역통계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에

하여 연구한다. 이를 해 지역통계 개발 활

용, 통계자료의 시계열성 장기 보존 리

를 한 기반 구축, 행정 효율성 서비스 개선

차원에서 정보 공유를 통한 신속성 개선 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향후 통계자료에 근거한

구 역시의 객 정책평가 기획, 리, 감독 등

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지역통계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원스톱’ 정

보서비스 구 , 통계자료의 장기 보존 리,

수요기반 지역통계 개발, 지역통계 이용 활성화

등이다.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는 구 지

역통계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 이다. 이러한 통계DB구

축은 교육,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 1999 ; 서정윤외, 1999 ; 심

웅기, 2002).

본 연구에서는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을

한 추진 략과 차 등 기본방안을 수립한다. 추

진 략은 통계청의 KOSIS 등을 바탕으로 구

지역통계정보시스템 (Daegu Reg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DGSIS) 구축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는 KOSIS가 국내에서 운 되는 통계정

보시스템 선도 이고 표 화된 역할을 하고 있

으므로 이와 잘 매치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효율 일 것으로 단되기 때문이다. 추진 차는

두 단계로 구성되는데 먼 구 역시의 통계 작

성과 보 이용실태 악, 자료 수집 입력

정제 과정 신뢰도 분석, 지역기업체, 공서 등을

상으로 통계자료에 한 수요 악과 분석 등을

수행한다. 다음 단계로 기 통계자료 정의 입

력시스템 개발, 자체 통계편제 시스템 구축, 기 통

계DB 공유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연구한다.

3. 연구 범위

구 역시의 통계 작성과 보 이용실태를

조직 측면, 업무 측면, 인력 측면에서 분석

하며 경제성, 효율성, 보안성 에서 연구한다.

한 자료 수집 입력 정제 과정을 표 화와 데

이터 품질 리 에서 연구한다. 지역기업체, 공

서 등을 상으로 통계자료에 한 수요 악과 분석

은 정책 연 성 에서 연구한다.

DGSIS 구축을 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KOSIS에 한 분석은 본 연구의 핵심

사항이 된다. (http://kosis.kr; http://www.bok.or.kr)

이러한 분석 결과는 DGSIS 설립 기본모형

제가 된다. 이러한 분석과 앞 의 연구결과들을

토 로 DGSIS 구축안을 연구한다.

Page 4: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16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4. 연구 방법

구 역시의 통계 작성과 보 이용실태를

분석하는 과정, 자료수집입력 정제과정을 분석

하는 과정, 지역기업체, 공서 등을 상으로 통

계자료에 한 수요 악 분석과정은 구 역

시청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 다. 특히 황 악

수요 조사과정은 실제 조사원들을 통한 장조

사로 이루어졌다. 한 본 연구는 DGSIS 설립 기

본 모형 제가 되는 ECOS KOSIS에 한

모형분석을 해 한국은행 통계청의 해당 부서

와 긴 한 조 자문을 토 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과제와 련된 연구보고서 논문 등을

통해 타 지역통계정보시스템의 황 지역통계

정보시스템 설립의 필요성 당 성에 해 반

으로 검토되며 시스템 구축에 앞서 지역의 의견

수렴을 해 지역 련기 방문 담당공무원,

외부 문가의 면담을 장조사를 통해 실시하 다.

Ⅱ. 대구광역시 통계 실태조사

1. 조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서 구 역시 통계 련조사는 구

역시청에 의해 선정된 110개의 구 역시 통

계 련기 (통계 작성 활용기 )들을 상으

로 2012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시행되었고

모든 담당자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구 역시 통

계 련기 들의 분야별 담당자에게 조사요원이

직 방문조사를 실시하 으며, 응답자들 부분

이 공무원이라 공무원의 특성상 부서이동이 빈번

하여 해당 분야에 해 문성을 띄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기 리스트는 부록1과 같으며 설

문지 내용은 부록2와 같다.

이 설문지는 구 역시 통계작성의 황 문

제 을 악하고 새로운 통계에 한 수요를 조사

하여 본 연구의 주된 목 인 DGSIS 구축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함이다. 조사가

구 역시 통계 련 기 들을 심으로 이루어

진 이유는 이들 기 들이 구 역시 지역통계에

해 좀 더 실질 이고 신뢰성 있는 응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되었기 때문이다.

2. 대구광역시 작성 통계

구 역시가 작성하여 제공하는 18개 분야 통

계를 기본통계라 하며, 기본통계 통계청 승인

을 받은 통계, 즉, 주민등록통계, 사업체통계, 업

제조업조사, 지역내총생산(GRDP), 경기종합지수

를 승인통계라 한다. 구 역시 기본통계에 한

내용은 구 역시(2010a ; 2010b ; 2011 ; 2012a)

등에서 자세히 알 수 있다.

1) 활용 황

조사결과 구 역시에서 작성하는 구 역시

작성 통계 체에 한 활용도는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70.0%이며 각 분야별로 이를 분석

해 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 통계 인구(71.3%),

사업체(66.7%), 재정 분야(66.6%) 순서로 활용도

가 높았으며 농림수산업(35.2%), 공업(39.8%),

기가스수도(47.2%) 순서로 활용도가 낮았다.

구 역시가 제공하는 승인통계 평균에 비해 높지

않았다. 승인통계의 경우 주민등록인구(70.6%),

사업체(62.9%), 구 역시 경기종합지수(62%),

GRDP(61.4%), 업제조업(52.8%) 순서 다.

체 통계 활용도는 70% 으나 각 분야별로 분석해

보면 활용도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Page 5: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17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계 자료의 활용도를 개

선하기 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작성통

계와 련 추가 수요가 있는 통계에 한 목록인

표 2에서 찾을 수 있듯이 지역내 시 은행별 포

수 시장 유율, 구 역시에 방문하는 외국인

수 등이 요구되고 있다.

체통계

  빈도 유효 퍼센트

활용하지 않는다.23 30.0

별로 활용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56 50.9

많이 활용한다. 18 16.4

아주 많이 활용한다. 3 2.7

합계 110 100.0

<표 1> 대구광역시 통계자료 활용도

경제 련세부지표(시도별 제조업 증가률 등등)

공공행정 사법

기후자료

구 역도시권 통계

구 역시 주택통계구 역시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자녀수

(취학아동 미취학아동)구 역시 내의 융기 들의 재무제표

구 역시민들의 기부성향 분석

구 역시민들의 사회 사 참여율

구지역 기업 해외 투자 황

구지역 외국인 투자 황

독거세 비율

법정동단 의 인구, 할면 등(소방기 의 할구역을 법정동으로 구분)

산업단지별 기업체분포, 업종, 규모, 공장시세 등 악자료

소득, 소비, 지출 등 구 역시와 경상북도를 총 하는 통계표

수출통계자료

시내버스교통사고내역(경찰청)

시내버스 물사고내역(경찰청)

연간 수송분담률

연도별, 월별, 구역별, 용도지역별 지가통계

주민등록인구통계

최근자료, 기업활동 등

취업동향

평생교육 욕구에 한 통계

환경자료

<표 2> 신규 수요 통계목록

2) 작성 황

각 기 들을 상으로 통계 작성 황을 조사한

결과 작성기 의 타당성(80%) 통계자료의 필

요성(85.2%)에서는 부분의 기 들이 동의하고

있었으나 기 일자 설정(59.31%), 정형화된 조사

표 구비(59.3%) 등 체계 인 통계 조사를 한 기

인 사항들이 제 로 시행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계 인 통계작성을

해 개선될 사항이 많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통계

작성 과정의 표 화 매뉴얼화가 필요함을 의미

한다. 한 기 혹은 부서 간에 작성은 하고 있으

나 공유되지 않는 통계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환경분야, 연간 연구실 등이 이에 해당된다.

기 일 설정

조사표 구비

타당성 필요성

있음 172(59.31%) 172(59.3%) 232(80%) 247(85.2%)

없음 118(40.69%) 84(29.0%) 39(13.4%) 24(8.3%)

무응답 (0%) 34(11.7%) 19(6.6%) 19(6.6%)

계 290(100.0%) 290(100.0%) 290(100.0%) 290(100..0%)

<표 3> 대구광역시 통계작성현황 설문조사 결과

구 역시의 낮은 통계활용도는 표 4에서 보

는 바처럼 구 역시에서 필요한 통계가 제공되

지 않아서가 아니라 구 역시가 작성하여 리

하는 통계에 한 근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한 구 역시 차원의 정보 공유 시스템이 필요

하다.

최근 들어 지역의 사회지표조사 등 정책 활용

도 높은 통계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으며 이

는 사회경제구조의 격한 변화상을 제 로 반

하고 정책 활용도가 높은 통계에 한 정책당국

일반인의 수요가 증 하고 있음을 뜻한다. 따

라서 통계의 실반 도 정책 활용도 제고를

해서 통계 작성 차를 체계화하고 정확한 기

자료 입수를 한 통계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

Page 6: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18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하다.

 구 분 빈도유효 퍼센트

구 역시에서 작성하고 있는 통계자료가 무엇인지 알기 힘들다

23 18.4

부서(기 )에서 필요한 통계자료를 어디서,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 알기 힘들다

44 35.2

부서(기 )에서 필요한 통계자료를 언제 발표하는지 알기 힘들다

33 26.4

부서(기 )에서 필요한 구 역시 통계자료가 작성되지 않아 구하기 힘들다

10 8.0

기타 15 12.0

합계 125 100.0

결측값 4

합계 129

<표 4> 대구광역시 작성통계 활용이 어려운 이유

3. 사회지표조사

1) 조사 황

구 역시는 2010년, 시민들이 느끼는 재 삶

의 모습과 변하는 세계경제 정치에 따른 가

치 의 변화, 주요 사회 심사 등을 지속 으

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사회지표체계」를

개발하 으며, 인구, 소득과 소비, 교육, 환경, 복

지 등 13개 부문별로 다양한 사회지표를 작성하여

시정 평가 정책연구의 기 자료로 제공할 계획

을 세웠다. 2012년 6월 구 역시는 구사회지

표 작성 첫 단계로 구사회조사지표를 발표하

는데 가구와 가족, 소득과 소비, 노동, 교육, 주거

와 교통, 환경, 안 등 7개 부문의 조사가 이루어

졌다. 조사 상은 표본가구로 선정된 8,400가구내

만 15세 이상 모든 가구원이며 조사 상 기간(시

)은 2011년 10월 4일을 기 으로 한다. 이 결과

는 「2011 구의 사회지표」로 발표되었다. (

구 역시, 2012b)

2) 활용 황

구 역시의 사회지표조사 활용 황을 조사

한 결과는 표 5에 주어져 있다. 표 5를 보면 인지

도는 높지 않으나(47.3%) 활용도는 반 으로 상

당히 높음(평균 72.8%)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지

표조사가 최근(2012.06)에 발표되어 사회지표조사

에 해 구체 으로 알지 못하나 각 부서 별로 활

용하고자 계획을 세우고 있음을 뜻한다. 실제로

사회지표 활용계획(90.5%) 필요성(96.2%) 등

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사회지표 내

용 의미에 한 구 역시의 좀 더 극 인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사회지표 인지도

  빈도 유효 퍼센트

알고 있다 52 47.3

잘 모른다 58 52.7

합계 110 100.0

<표 5> 『2011 대구의 사회지표』인지도 및 활용도

사회지표 체 활용도

  빈도 유효 퍼센트

활용하지 않는다14 26.9

별로 활용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29 55.8

많이 활용한다 8 15.4

아주 많이 활용한다 1 1.9

합계 52 100.0

Ⅲ. DGSIS 개발 필요성

1. 편제업무의 체계화 및 전산화

컴퓨터, 인터넷 등 정보통신수단의 발달로 편제

작업여건은 지속 으로 개선되고 있는바, 기 통

계DB 편제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기 자료

Page 7: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의 입수에서부터 최종 통계작성까지 일 작업이

기술 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재 통계청 통계는

산화 DB를 통하여 기 자료 입수부터 최종 통

계작성까지 일 작업으로 수행하고 있으므로 이

를 기반으로 한 DGSIS 구축이 필요하다. 즉 재

구 역시 작성통계 통계청 통계를 기 로

구 역시 기 통계DB를 정의하여 분산 리하면,

각 통계 기 자료의 공유가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e-mail에 의한 서베이, 화조사표 방식에

의한 조사표 발송 회수 등 자료 입수도 용이해

진다.

참고로 110개 구통계 작성 유 기 들의 통

계작성의 개선을 한 의견은 아래와 같이 나타나

고 있는데 이러한 의견은 통계정보시스템이 구축

되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의견들이다.

<표 6> 대구광역시 통계작성 개선을 위한 조치

 조치 내용 빈도

장에서 직 사용가능한 통계자료 입력시스템 개발

27

효율 인 통계자료 리를 한 통계리시스템 구축

37

업무별로 분산 리 인 통계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54

통계자료 수집・ 리・서비스의 로세스를 다루는 매뉴얼 구축

8

문성을 갖춘 통계 담 인력의 확보 16

통계자료 제공 서비스를 한 문 웹사이트 구축

27

기타 2

결측값 1

합계 172

2. 타시도 통계정보시스템 현황

지 재 통계정보시스템이 잘 운 되고 있는

서울특별시와 부산 역시의 사례를 통해 구 통

계정보시스템의 필요성을 간략하게 살펴본

다.(http://stat.seoul.go.kr; http://www.becos.kr)

해당 부처와의 업무 조 미비로 담당자를 통해 확

인하지 못하 으나 홈페이지를 통해 악한 두 도

시의 시스템 특성은 아래와 같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통계청이나 한국은행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도시의 통계정보시스템에 버

가는 통계정보시스템(stat.seoul.go.kr)을 갖추

고 있다. 구 역시에 장기계획으로 추구하여야

하는 통계정보시스템이 아닐까 생각한다. 서울특

별시청 통계 담 부서는 행정국 정보공개정책과

의 통계정보 과 통계조사 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5명이 총 10명의 담 직원이 배치되어 있다.

제공되는 메뉴는 ‘한 에 보는 서울’에서 편의

성 주의 통계로 ‘서울의 하루’, ‘지도로 보는 서

울통계’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통계분석’에서 통

계웹진, 통계소식, ‘많이 본 통계’가 제공되고 있다.

한 '통계 DB' 메뉴에서는 주제별, 작성기 별,

자치구별 통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기간행물 메

뉴에서는 서울서베이, 통계연보, 사업체조사를 제

공하고 있다. ‘주요통계’ 메뉴에서는 서민생활, 복

지건강, 산업경제 등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능형도시정보 메뉴에서는 유동인구 조사정보를

지도와 연계시켜 제공하는 지능형 도시정보를 제

공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편제로는 분류로 주

제별, 작성기 별, 자치구별인구, 통계로 보는 서

울여성으로 구분되며 주제별 편제로는 경제, 산업,

문화 , 복지, 여성/가족, 환경, 주택건설, 교통,

교육, 보건, 안 , 정보통신, 행정일반, 서울통계연

보, 서울서베이가 있다. 가장 큰 장 은 쉬운 근

성과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기간별로 검색가능하

고 다양한 로그램으로 자료를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다.

부산 역시에는 부산시청 홈페이지(www.busan.

go.kr)의 하나의 메뉴로서 통계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구체 으로 ‘해양수도부산’ 메뉴의 부메뉴인

Page 8: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20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부산통계’에서 통계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부산

역시청의 통계 담 부서는 정책기획실 평가담당

의 통계분석(실)에서 총 7명의 통계 담 직원이

배치되어 있다.

부산통계의 부부메뉴인 ‘부산의 하루’에서는 오

늘 하루의 출생/혼인/인구이동/교통사고발생 등

에 한 정보를 제공하여 있으며, ‘통계 DB자료실’

에서는 통계청과 연계된 통계연보, 주민등록인구

통계, 사업체조사 등을 제공하고 있다. ‘통계일반

자료실’ 부부메뉴에서는 한 이나 엑셀 형태로 보

고서나 원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 국통계자료

실’ 부부메뉴에서는 통계청, KOSIS, 동남지방통

계청, e-나라지표와 링크시켜 주고 있다.

부산 역시청 홈페이지에서는 구 역시청과

비슷한 정도의 통계정보를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부산 역시청과 부산경제진흥원이 공동으로 부산

경제포털(www.becos.kr)에서 부산경제와 련된

통계정보시스템을 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부

산 역시의 통계정보시스템이 단계 으로 구축되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서울특별시와 부산

역시에서 통계정보시스템을 운 하고 있으며,

통계 담 부서와 통계 담 직원이 배치되어 있어

효율 인 업무분담이 이루어져 있으며, 한 련

통계의 장기 인 보 과 통계제공 서비스가 이루

어지고 있다. 그 외, 인천 역시에서도 지역통계

발 략을 세우고 있다(정지원, 2011).

Ⅳ. DGSIS 구축방안

DGSIS는 ‘통계자료입수, 기 자료 리, 통계편

제, 통계DB 구축’으로 이루어진다. 즉 통계의 조

사표 발송 회수, 통계의 편제 편제통계의

DB 리 등 모든 통계편제 련 작업을 DGSIS에

의해 일 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업무 로세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DGSIS 구축방안은 기

통계입력, 통계편제, 기 통계DB공유, 모니터링

시스템, 매뉴얼 구축 등 5개 시스템의 개발을 주

내용으로 한다.

① 기 통계자료 입력시스템 개발: 기 통계자

료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능, 조사원의 자료입력

내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 자료의 정확성

체크기능을 포함하는 기 통계자료 입력시스템을

구축한다. 기 통계 입수수단으로 e-mail 리

(push) 등 인터넷을 이용한 자조사 등의 방식을

추가할 수 있다.

② 통계편제 시스템 확 구축: 재 부서의 개

별 PC에서 작성하고 있는 통계도 DGSIS 체계내

에서 작성하도록 편제시스템을 구축한다. 편제

장 등 편제 과정에 한 정보를 최 한 DGSIS 시

스템내에서 리하도록 한다.

③ 기 통계DB 공유시스템 구축: 재 각 부서

에서 업무별로 분산 리 인 각종 기 통계자료

를 공유할 수 있는 DB시스템을 구축한다. 기 통

계DB에서 기존 통계자료 조회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통계분류의 통일성 확보와 기 통계

코드 리방법의 체계화를 추진한다.

④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주기 수요조사 결

과, 통계작성환경, 작성 차의 합성, 장조사의

정확성, 공표자료의 충실성, 통계이용자 만족도,

통계품질 개선 노력 등을 계량화하는 시스템을 구

축한다.

⑤ 매뉴얼 구축: 련 업무가 체계 이고 일

성 있게 수행될 수 있도록 업무 반에 한 매뉴

얼을 작성 공유한다.

Page 9: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2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1. 통계청의 편제에 따른 기초통계 DB 및 편제구축

구의 ‘기본통계’를 통계청 편제에 따라 ‘기

통계’ DB로 구축하여 하나의 서버에 통합 리하

고, 통합된 기 통계DB 자료를 통계청과 연결된

포털 사이트를 통해 서비스함으로써 통계이용자

는 통계포털서비스 사이트만 속하면 소 부처

에 상 없이 모든 통계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

<그림 1> DGSIS 개요도

통계청과 연계 DB 시스템 구축 운용은 세 가

지 방식이 가능하다.

① 보 DB 시스템 사용기 : 통계청에서 개발·

보 한 표 통계DB시스템(자료입력, 검색, 서비

스)을 기 자체서버에 설치하여 해당기 에서 통계

자료를 DB로 구축하고, 이를 통계청 통합DB로 송

② 산서버 미보유기 : 통계청 호스 서버

에 해당기 의 통계DB시스템을 설치하고, 해당기

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통계자료를 DB로 입력·

리하고 통합DB로 송

③ 자체개발DB 시스템 사용기 : 해당기 에

서 자체개발한 통계DB시스템에 입력된 DB자료

를 통합DB 형태로 변환(변환 로그램 용)하여

통계청 통합DB로 자동 수집

통계청과 연계된 시스템 구축을 해서는 구

지역통계편제도 통계청 통계편제와 일치시킬 필

요가 있다. 표 7은 이와 련된 기존의 구 기본

통계의 편제와 통계청 통계편제의 비교 결과이며

구 역시는 18개 항목, 통계청은 16개 항목임을

알 수 있다.

<표 7> 대구광역시 통계편제와 통계청 통계편제 비교

구 역시 통계편제 통계청 통계편제

토지 기후토지->건설·주택·토지

기후->환경

인구 인구

노동 고용·노동·임

사업체 경기·기업경 (사업체)

농림수산업 농림어업

업제조업에 지 공업·에 지

기가스수도기가스-> 공업에 지

수도->환경

유통 융보험 기타서비스 행정

주택건설 건설·주택·토지

교통 정보통신 교통정보통신

보건 사회보장 보건·사회·복지

환경 환경

교육 문화 교육·문화·과학

재정 재정· 융·보험

소득 행정

공공행정 사법 행정

국통계 행정

국제통계 행정

Page 10: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22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통계청에는 인구·가구, 건설·주택·토지, 고용·노

동·임 , 교통정보통신, 교육·문화·과학 등 편제가

있으나 구 역시 기본통계에는 가구, 토지, 임

, , 과학이라는 부분이 없다. 이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편제로 하면 통계청의 편제와 유사한

구 역시 기 통계편제(안)을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구사회지표부분은 행정에 포함된다.

<표 8> 대구광역시 기초통계 편제(안)

인구노동보건·사회·복지환경농림어업공업·에 지

건설·주택교통· ·정보사업체재정· 융·보험교육·문화유통소득행정

<표 9> 대구광역시 기본통계편제와 기초통계편제(안) 비교

구 역시 기본통계편제 기 통계편제(안)

토지 기후토지->건설·주택·토지

기후->환경

인구 인구

노동 노동

사업체 사업체

농림수산업 농림어업

업제조업에 지 공업·에 지

기가스수도기가스-> 공업·에 지

수도->환경

유통 융보험 기타서비스융보험->재정· 융·보험

유통 기타서비스->유통

주택건설 건설·주택·토지

교통 정보통신 교통· ·정보

보건 사회보장 보건·사회·복지

환경 환경

교육 문화 교육·문화

재정 재정· 융·보험

소득 소득

공공행정 사법 행정

국통계 행정

국제통계 행정

사회지표 행정

2. 기초통계자료 입력시스템 구축

1) 조사표 분류 분석

기 통계자료 조사표를 통계별, 유형별, 지역별

로 분석・분류하여 입력시스템 설계를 한 기

작업을 추진한다. 한 산 시스템상에 체 으

로 통합된 조사표를 구 한다. 시스템 구축 상

련 통계조사표의 종류 조사 상처의 수를

악한다.

2) 조사표 발수신방법 다양화

통계조사표를 발송하고 입수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화한다. 행 서면, 산 일 조사표를 발수

신함에 있어 FAX서버 도입을 통해 다량 일 발

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송방법을 개선한다.

한 e-mail 등 인터넷을 이용한 자조사표 방식

을 도입한다. 즉 조사 상처가 인터넷에 속하여

구 역시가 제공한 조사표를 작성하면 자동

으로 구 역시 컴퓨터에 자료가 송되는 방식

을 도입한다.

3) 입력시스템 구축

① 자료코드의 표 화 : 통계편제 기 통계

DB공유 시스템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모든

통계항목에 해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코드 리의 일 성을 유지한다. 코드 구성 ( ) :

업종코드 + 업체코드 + 매출액코드

② 효율 인 체크 시스템 구축 : 기 통계의 수

집과 입력, 입수자료의 정확성 확인 등 자료처리

작업이 효율 이고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산

센터와 조하여 모든 업무별 체크 시스템 기능을

구 한다. 자조사표의 경우 조사 상처가 통계

를 직 입력하는 단계에서 차 세부내역 불

Page 11: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2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일치 등의 오류내용이 검되도록 설계한다. 한

이미 축 되어 있는 기 자료DB의 활용을 통해

입수자료의 자릿수 정확도, 기와의 증감 비일

성 여부를 검증토록 하는 등 검기능을 체계화하

며 업무의 특성이나 기 자료의 형태에 따라 화면

조회방식, 엑셀이나 SAS 등으로의 환방식 활용

등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③ 업무특성에 맞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통

계 편제에 기반한 자료입력과정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각 업무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한다. 즉 다수의 조사원이

동원되어 자료를 조사하고 입력하는 통계업무에

하여는 조사원의 실시간 자료입력 상황 정확

도까지 모니터링이 가능토록 산시스템을 개발

하도록 한다. 장기 으로는 조사원의 출근 조

사업무 수행상황 등 일반 리업무까지 처리가능

토록 확 하며 조사원 자료처리 상황을 체

으로 개 함과 동시에 개별 으로 세 하게 악

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한다. 이외의 통계업무

에 하여는 DGSIS상에서 련 책임자가 기 자

료 입력 통계편제작업 황을 확인해 볼 수 있

는 모니터링 화면을 구 하도록 한다.

<그림 2> 기초통계입력시스템 개요

3. 통계편제 시스템 확대 구축

1) 통계별 편제 차 분석 설계안 작성

각 부서의 참여하에 별, 업무별 통계편제의

세부내용을 검토하여 산화를 추진한다. 기 통

계자료 입력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는 분야별로 편

제 시스템을 설계하되 편제의 이용편리성을 극

화할 수 있도록 각 의 요구사항을 최 한 반

한다.

2) 편제시스템 확 구축

통계편제 차 설계안을 근거로 기존의 기본

통계 이외에 해서도 기 통계 편제 시스템을 확

하여 용토록 구축한다. 기본 으로 조사표 발

송 회수부터, 통계 편제 편제결과의 제공 등

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산체계에 의해 일 작

업화 하는 방향으로 구축한다.

Page 12: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2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4. 기초통계DB 공유시스템 구축

인구, 사업체, 행정 재정 등 활용도가 높고

통계간의 정보연계 이용이 용이한 부문의 기 통

계DB에 하여는 우선 으로 공유시스템을 구축

하며 여타 통계는 입력 편제시스템 가동후 구

축한다. 효율 이용을 하여 구 역시청내 기

통계DB 공유(이용)지침을 마련하며 원칙 으

로 통계청이 편제하는 모든 통계를 공유함을 목표

로 한다. 이러한 공유 시스템 구축후 구축한조사

상로부터한다.한 각종 기 통계자료의 리체

계 개선후 구축한분산 리되고 있는 통계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구 역시의 경기동향, 정책평

가 등 심도 있는 산업분석이 가능해 진다. 체

인 DB 공유시스템 구축은 계획표에 의해 단계별

로 추진한다.

<그림 3> 기초통계DB 구축 효과

5. DGSIS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상 통계를 편제표상의 분야로 구분

하여 외부기 에 모니터링 요청하되 각 분야별

문가(주로 학계 련 기 )가 포함되도록 구성

한다. 선정된 외부기 은 통계 조사표 내용진단,

설문서 작성, 외부 문가 자문 등의 방법으로 모

니터링을 추진한다. 모니터링의 구체 내용은 표

와 같다.

주요 모니터링 내용 모니터링 방법 작성부서 비사항

통계작성 환경해당통계의 작성여건 통계담당자의 인식

통계작성 황표 면담 황표 작성 면담

통계작성 차의 합성

자체 외부모니터링을 통한 통계작성방법의 합성 여부

자체 모니터링 평가 심사 원 평가

자체 모니터링 평가 심의 원 추천

자료수집의 정확성 장조사의 정확성자료제공처를 상으로 화조사

응답자 리스트 제공

공표자료의 충실성발간물 공표자료의 오류, 이용자 편의성

검원에 의한 검 보도자료 등 자료제공

통계이용자의 만족도 통계이용자의 만족도 이용자를 상으로 설문조사 통계이용자 명부 제공

통계품질 개선노력 통계개선을 한 노력 여부 통계품질개선노력 실 표통계품질개선노력 실표 작성 자료제공

분야별 통계분석해당통계의 유용성 검증, 타지역과의 비교, Upgrade 략 제시

통계분석기법 등 이용 련자료 제공

<표 10> 모니터링 상세 내용

Page 13: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2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6. 통계자료 처리의 표준화 매뉴얼 구축

통계 자료 처리의 표 화 매뉴얼은 통계편제 업

무의 일 작업 로세스의 일환으로 <그림4>를

토 로 작성한다. 표 화를 일 성 있고 효율 으

로 추진하기 해 각 부서별 통계조사 담당책임자

1명씩을 ‘통계편제업무의 로세스 개선 담당자'

로 선정하여 자료수집, 업무분석 시스템 구축

등 표 화에 한 사항을 논의한다.

<그림 4> 통계편제업무의 일관작업 프로세스

Ⅴ. 대구 통계정보시스템 관리운영

1. 관리운영 계획

1) 시스템 구축 일정

기 자료입력 시스템 통계편제 시스템을 우

선 으로 구축하며 약간의 시차를 두어 기 통계

DB공유 시스템을 구축한다. 모니터링 시스템

통계자료 처리의 표 화 매뉴얼은 세 개의 기본

시스템이 완성된 후 구축한다.

2) 주요 통계의 실반 도 통계 간 정합성 제고

변하는 사회구조의 변화를 반 하고 구

역시 정책의 효율 수행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사회조사 지표 등 련 통계를 개선하며 통계간

정합성이 유지되도록 모니터링한다. 이를 해

① 수 조사가 불가능한 주요 통계의 경우 가

표본조사 등에 의해 직 추계하는 방식을 사

용하며 ② 편제갱신 주기의 단축 기 통계확충

을 주기 으로 수행하며 ③ 활용도가 상 으로

낮은 통계를 편제 지하며 ④ 산화에 의한 일

작업 추구 통계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⑤ 통

계 편제시 기 자료의 공동 이용 정보 공유 확

한다.

2. 관리운영 방안

1) 통계 편제인력의 보강 문인력 양성

통계담당 특채직원 제도를 도입하여 인력을 보

강하며 장기근무 유도(특히 4~5 직원)를 통한

문인력을 양성한다. 특히 이들은 통계 편제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업무 등을 상으로 통계

기 자료 입수 리업무를 담하도록 하며,

이들이 다양한 통계편제 경험을 통해 분야별 통계

문가로 양성될 수 있도록 합리 , 체계 인 개

Page 14: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26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인별 경력 리시스템을 도입한다. 한 단 통계

별로 활용하고 있는 보조 조사원 일정 인원에

하여는 pool제로 운용한다. 이들 조사원에 하

여는 안정 인 인력 확보차원에서 고용계약기간

을 1년 정도로 한다. 통계에 한 연구능력 강화를

한 박사 직원의 추가 채용도 검토할 만하다.

2) 조직 운 의 효율화

통계개발 , 통계조사 으로 구성되는 통계

리실을 설치하고 통계편제 조정기능 일원화를

한 자문 원회를 구성한다.

3) 웹 사이트 운 리

(1) 통계포털운 리시스템

아이디는 각 업무에 맞게 부여해주고, ‘system’

은 체를 리하도록 한다. 제작된 리자 페이

지를 통해 웹상에서 리할 수 있도록 한다.

(2) 공지사항 리

DGSIS 알림사항을 게시하며 통합포탈을 통해

공지사항을 리한다.

(3) 통계활용사례

구 역시 련 보도 통계활용에 한 내용

을 게시 으로 구성한다.

(4) Q&A, 사이트개선의견

등록된 질문이나 개선의견에 답변을 제공한다.

(5) 통계제공사이트

DGSIS에서 제공하는 통계 이외의 KOSIS, ECOS

등 통계작성기 의 통계정보를 각 작성기 홈페

이지 통계제공사이트를 통해 연결한다.

(6) 구의 주요지표 선정 리

주요지표를 선정하여 원지표값 분석자료 등

을 그래 시계열자료로 제공하며 주요지표

핵심지표값만을 메인화면에서 롤링되도록 구성한

다. 문홈페이지도 제공한다.

(7) 통계표 팝업 리

통계표에 련 링크나 알림사항이 있을때 사용

하며 담당실에서 요청시 처리한다.

(8) 통계보도자료, 통계컬럼

통계작성기 의 통계 련 보도자료 언론사

의 통계 련 내용을 수집하여 게시한다.

(9) 웹로그 리

KOSIS 이용 황(방문수, 페이지수 집계)을 로

그 분석을 통해 악한다.

4) 통합DB 리시스템

(1) DGSIS 통계 보유량 집계

통계보유량 집계는 통계표의 의미 있는 셀수를

주기별로 합산한다.

(2) 통계표 리

(3) 지역통계목록 리

주제별통계의 통계표 행정구역별(구, 읍면

동)로 자료를 추출하여 지역별로 서비스한다.

(4) 로그 황 리

통계표별, 통계조사별, 아이디별로 속 황을

패턴별로 분석한다.

Page 15: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27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 론

본 연구과제에서는 장조사를 통해 구 역

시 통계의 황을 악하고 이를 토 로 DGSIS

를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 다. 따라서 연구는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먼 구 역시의 통계

작성과 보 이용실태 악, 자료 수집 입력

정제 과정 신뢰도 분석을 해 지역기업체, 공

서 등을 상으로 통계자료에 한 수요 악과

분석 등을 수행하 다. 다음 단계로 기 통계자료

정의 입력시스템 개발, 자체 통계편제 시스템

구축, 기 통계DB 공유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연

구하 다.

구 역시 통계자료에 한 수요 악과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 역시 작성 통계 활용도를 살펴 본

결과 체 활용도는 70.0%로 나타났다. 각 분야별

로 이를 분석해 보면 기본 통계 인구(71.3%),

사업체(66.7%), 재정 분야(66.6%) 순서로 활용도

가 높았으며 농림수산업(35.2%), 공업(39.8%),

기가스수도(47.2%) 순서로 활용도가 낮았다.

구 역시가 제공하는 승인통계 평균에 비해 높지

않았다. 승인통계의 경우 주민등록인구(70.6%),

사업체(62.9%), 구 역시 경기종합지수(62%),

GRDP(61.4%), 업제조업(52.8%) 순서 다.

체 통계 활용도는 70.0% 으나 각 분야별로 분석

해 보면 활용도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는 사

실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계 자료의 활용도

를 개선하기 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구 역시의 낮은 통계활용도는 필요한 통계가

제공되지 않아서가 아니라 구 역시가 작성하

여 리하는 통계에 한 근이 어렵기 때문이라

고 나타났다. 따라서 구 역시 차원의 정보 공

유 시스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작성통계와 련된 추가 수요를 조사한

결과 지역내 시 은행별 포수, 시장 유율,

구 역시에 방문하는 외국인 수 등에 한 요구가

있었다. 그런데 통계생산자를 상으로 한 조사임

에도 불구하고 통계청이나 구 역시에서 이미

제공하고 있는 통계를 요구하기도 해 재 제공되

고 있는 통계에 한 정리와, 홍보 서비스가 필

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각 기 들의 통계 작성 환경을 조사한 결

과 작성기 의 타당성(80.0%) 통계자료의 필요

성(85.2%)에서는 부분의 기 들이 동의하고 있

었으나 기 일자 설정(59.31%), 정형화된 조사표

구비(59.3%) 등 체계 인 통계 조사를 한 기

인 사항들이 제 로 시행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계 인 통계작성을

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많으며 통계작성 과정

의 표 화 매뉴얼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구 역시 통계자료에 한 수요 악과 동시

에 진행된 사회지표조사에 한 조사결과를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지표조사에 한 인지도는

높지 않으나(47.3%) 활용도는 반 으로 상당히

높음(평균 72.8%)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지표

조사가 최근(2012.06)에 발표되어 사회지표조사에

해 구체 으로 알지 못하나 각 부서 별로 활용

하고자 계획을 세우고 있음을 뜻한다. 실제로 사

회지표 활용계획(90.5%) 필요성(96.2%) 등에

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사회지표 내용

의미에 한 구 역시의 좀 더 극 인 홍

보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구 역시 통계정보시스템 구축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 통계자료 입력시스템 개발 : 기 통

계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능, 조사원의 자료

Page 16: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28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입력 내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 자료의 정

확성 체크기능을 포함하는 기 통계자료 입력시

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통계편제 시스템 확 구축 : 재 부서의

개별 PC에서 작성하고 있는 통계도 DGSIS 체계

내에서 작성하도록 편제시스템을 구축한다.

셋째, 기 통계DB 공유시스템 구축 : 재 각

부서에서 업무별로 분산 리 인 각종 기 통계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DB시스템을 구축한다.

넷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주기 수요조사

결과, 통계작성환경, 작성 차의 합성, 장조사

의 정확성, 공표자료의 충실성, 통계이용자 만족

도, 통계품질 개선 노력 등을 계량화하는 시스템

을 구축한다.

다섯째, 매뉴얼 구축: 련 업무가 체계 이고

일 성 있게 수행될 수 있도록 업무 반에 한

매뉴얼을 작성 공유한다.

이 기 통계자료 입력시스템 개발, 통계편제

시스템 확 구축 기 통계DB 공유시스템 구

축이 먼 추진되고,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매

뉴얼 구축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단된다.

본 연구에서 통계생산 련 기 의 장조사를

통해 구 역시 통계의 황을 악할 수 있었

다. 그 결과 통계 수요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필요한 통계를 보 , 공유하고 시에 서비스

할 수 있는 여건이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서울특별시, 부산 역

시에서는 통계정보시스템이 구축되고 통계 담

부서에 통계 담 인력이 배치되어 있어, 통계의

생산, 보 서비스가 원스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시스템에 한 세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서울특별시 통계정보시스템 구축 과

정에서 입력시스템의 기능, 편제, 모니터링 기능

필요성 등이 지 되었다.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지방분권화시 에 신속하게

구 역시의 황을 악하고 정책을 기획할 수 있

는 정보추출 능력은 구 역시에 반드시 요구되

는 경쟁력이며, DGSIS의 구축을 통해서 이 경쟁

력을 배가시킬 필요가 있다.

2. 정책제언

먼 단기 으로 시행되어야 할 정책들을 제안

하면 다음과 같다.

가장 먼 시 하게 해결되어야 할 것은 통계

입력시스템 개발 기 통계DB 공유시스템 구

축이다. 개별 부서의 PC에 보 되어 있어 구

인 보 과 부서 간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

을 극복하기 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본 인 정책

이다. 이 정책이 완성되면 통계가 작성되는 즉시

탑재될 수 있어 최신 통계를 공유할 수 있고 나아

가 구 역시에서 작성하는 통계의 활용도를 높

일 수 있을 것이다. 산의 제한이 있다면 구

역시청 내부에서 먼 이 정책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구 역시 통계편제 확 구축을

한 원회 구성을 제안한다. DGSIS를 구축하기

해서는 통계편제 시스템의 정비 없이는 사상

각이기 때문이다. 통계청이나 한국은행의 통계편

제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구 역시에서만 생산

되고 있는 통계에 한 편제 확 가 필요하기 때

문에 문가의 의견을 구할 수 있는 원회가 필

요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계 담 부서와 통계 담 인력의

확보가 시 하게 필요하다. 지 구 역시에는

통계 담 부서가 없으며 재의 인력으로는 타부

서와 유 단체에서 보내오는 자료를 수합하여 통

계청에 보고하고 구 역시 통계연감을 만드는

업무에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통계 담 부서

가 확보되어야만 통계 련 업무의 집 과 효율

Page 17: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2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인 배분이 가능하다. 한 통계 담 인력이 확보

되어야만 부서 이동 없이 통계입출력, 통계 보

리 나아가 통계서비스를 일 성 있게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 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들을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먼 ,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매뉴얼 구축을

제안한다. 이는 단기 정책들을 통해 설립될 통계

입출력 시스템과 기 통계DB의 효율 인 리를

해서 필요한 정책이다. 아무리 좋은 하드웨어가

만들어져 있더라도 시스템 효율 리가 이루

어지지 않는다면 일 성과 신뢰성이 담보되는 통

계가 생산되지 못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일반인을 상으로 하는 구 역시

통계 이용실태조사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 통계

생산 기 들에 한 실태조사를 하 으나, 통계

소비자들인 일반인을 상으로 한 이용실태조사

도 통계서비스 에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조사를 통해 일반인들의 구 역시 통계 이용

황과 일반인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서비스에

한 의견을 모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구 역시 통계서비스를 한

용 웹 서버 구축을 제안한다. 단기 으로는 보

인 통계들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 역시 홈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겠지만, 다양한 수요

자들을 만족하기 해서는 구 역시 통계만을

다루는 용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시

스템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e-나라지표

(www.index.go.kr)와 같이 일반인들도 쉽게 근

할 수 있는 통계를 제공하되 특화하여 구 역시

통계를 문으로 다루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구 역시의 마이크로데이터를 제

공하는 서비스와 함께 다양한 통계소비자들을

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서정윤·정 선·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보건복지

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심웅기, 2002, 「졸업자 취업통계정보DB 시스템 구축

사업」, 한국교육개발원

정지원, 2011, 「인천 역시 지역통계 발 략」, 인

천발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1999, 「교육통계정보DB시스템 유지

서비스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구 역시, 2010,「계간 구통계」

구 역시, 2010,「 업·제조업통계조사보고서」

구 역시, 2011,「제 51회 구통계연보」

구 역시, 2012,「주민등록인구통계」

구 역시, 2012,「2011 구의 사회지표」

http : //kosis.kr

http : //stat.seoul.go.kr

http : //www.becos.kr

http : //www.bok.or.kr

http : //www.busan.go.kr

논문 수일 : 2013. 3. 29, 심사완료일 : 2013. 4. 16

최종원고 : 2013. 4. 20

Page 18: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30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부록1. 대구광역시 통계관련조사 리스트

구 분 구 분

변인실

문화체육

문화 술과

문화산업과 도시디자인총 본부 체육진흥과

감사 실 국체 총 과

기획 리실

정책기획 실 문화재과

산담당 실

환경녹지국

환경정책과 세정담당 실

자원순환과 교육 력담당 실

물 리과

경제통상국

경제정책과 공원녹지과

고용노동과

보건복지

여성국

복지정책 실 산업입지과

출산고령사회과 국제통상과 여성청소년가족과 투자유치단 식품안 과 농산유통과

도시주택국

도시계획과

신기술

산업국

신성장정책 실 건축주택과 기계자동차과 도시재생과 섬유패션과 토지정보과 녹색에 지과 신도시지원단 IT산업과

교통국

교통정책과 첨단의료

산업국

보건정책과

교통과 첨단의료복합단지지원과

교통 리과 의료산업과

건설산업과

자치행정국

총무인력과

건설방재국 도로과 자치행정과

시민 사과 재난 리과

회계과 하천과

공무원교육원

교육청

구 역시교육청

구 역시남부교육청 보건환경연구원 구 역시달성교육청 상수도사업본부 구 역시동부교육청

건설본부 구 역시서부교육청 도시철도건설본부

문화 술회 공공기 유 기

한국은행 구경북본부

체육시설 리사무소

정부투자

출연기

구도시공사

구도시철도공사 종합복지회 구디지털산업진흥원 농수산물도매시장 리사무소 구기계부품연구원

오페라하우스 구테크노 크

여성회

민간

구사회연구소 차량등록사업소 구상공회의소

한 문건설 회 구경북지회 구미술 소기업 동조합 구경북지회

구·군

 

구 소기업진흥공단 구지부

동구 한국산업경제개발원 서구 구경북비철 속공업 동조합

구경북기계공업 동조합 남구 구경북직물공업 동조합 북구

수성구 구경북견직물공업 동조합 달서구 구경북염색공업 동조합 달성군 구경북지방 소기업청

Page 19: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3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부록2. 대구광역시 통계관련조사 설문지

대구시 통계자료 및 사회지표 활용 실태에 대한 조사 설문지 ID

□□□□

안녕하십니까?

대구광역시와 계명대학교 통계연구소는 『대구시 통계자료 및 사회지표 활용 실태』와 관련하

여 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대구시에서는 주기적으로 각종 통계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구시민들이 느끼는 현재 삶

의 모습과 주요 사회적 관심사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구사회조사지표를 개발,

조사․실시하여 『2011 대구의 사회지표』를 발간하였습니다.

본 조사는 대구시에서 작성하는 통계자료의 현황 및 활용 실태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2011 대구의 사회지표』활용 실태에 대한 조사를 병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귀하의 답변은 대구광역시 통계조사 및 활용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 질문에 성실히 응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계법에 의하여 귀하의 신분과 설문내용은 철저히 보장되며, 응답 자료는 통계분석 목적 이

외에는 절대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귀하의 안녕과 번창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2. 8.

대구광역시 ∙ 계명대학교 통계연구소

〔조사주관〕- 계명대학교 통계연구소

○ 주 소 : 744-710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 (053) 580-5955 / FAX (053) 580-5164

〔조사협조기관〕- 대구광역시

○ 주 소 : (700-714)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동인동1가)

응답자

소속기관 부서

이름

연락처

조사원이름

조사일시 2012년 월 일

Page 20: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32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대구시 통계자료 활용 실태

Q1. 구시에서 작성하는 통계자료를 어느 정도 활용하고 계십니까?

① 활용하지 않는다 ② 별로 활용하지 않는다 ③ 보통이다

④ 많이 활용한다 ⑤ 아주 많이 활용한다

Q2. 구 역시에서 제공하는 승인통계 자료를 어느 정도 활용하십니까?

구분 내용 전혀 활용 않음

별로 활용 않음 보통 많이 활용 아주 많이

활용

대구기본통계

토지 및 기후

인구

노동

사업체

농림수산업

광공업

전기·가스·수도

유통·금융·물가·무역

주택·건설

교통·관광 및 정보통신

보건 및 사회보장

환경

교육 및 문화

재정

소득

공공행정 및 사법

주민등록인구통계사업체통계광업․제조업통계지역내총생산(GRDP)대구광역시경기종합지수

※ 승인통계 : 통계법에 따라 통계청이 승인한 공식 통계

Q3. 구시에서 작성하는 통계자료를 활용하는데 어려운 은 무엇입니까? ( 복 가능)

① 구에서 작성하고 있는 통계자료가 무엇인지 알기 힘들다

② 부서(기 )에서 필요한 통계자료를 어디서,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 알기 힘들다

③ 부서(기 )에서 필요한 통계자료를 언제 발표하는지 알기 힘들다

④ 부서(기 )에서 필요한 구시 통계자료가 작성되지 않아 구하기 힘들다

⑤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Q4. 구시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지만 귀 부서(기 )에서 필요로 하는 통계자료가 있으면 어주시기 바랍니다.

Page 21: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 구 역시를 심으로- 13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2011 대구의 사회지표 활용 실태

Q5. 구시에서 발간한 『2011 구의 사회지표』에 해 알고 계십니까?

① 알고 있다 ② 잘 모른다

Q6. 『2011 구의 사회지표』의 재 활용 실태는 어느 정도입니까?

① 활용하지 않는다 ② 별로 활용하지 않는다 ③ 보통이다

④ 많이 활용한다 ⑤ 아주 많이 활용한다

Q7. 『2011 구의 사회지표』의 항목별 재 활용 실태는 어느 정도이십니까?

구분 내용 전혀 활용 않음

별로 활용 않음 보통 많이 활용 아주 많이

활용

1 가구와 가족

2 소득과 소비

3 노동

4 교육

5 주거와 교통

6 환경

7 안전

8 웰빙만족도

Q8. 『2011 구의 사회지표』의 앞으로의 활용 계획은 어느 정도이십니까?

① 활용하지 않을 것이다 ② 별로 활용하지 않을 것이다 ③ 보통이다

④ 많이 활용할 것이다 ⑤ 아주 많이 활용할 것이다

Q9. 『2011 구의 사회지표』와 같은 조사가 장래에도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필요하다 ② 필요하지 않다

Page 22: 지역통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11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The importance of

134 하정철․김태윤․박철용․최재성․송규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대구시 통계자료 현황

Q10. 구시 통계자료를 효율 으로 수집⋅ 리하고 서비스하기 해서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 복 가능)

① 장에서 직 사용가능한 통계자료 입력시스템 개발

② 효율 인 통계자료 리를 한 통계 리시스템 구축

③ 업무별로 분산 리 인 통계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④ 통계자료 수집⋅ 리⋅서비스의 로세스를 다루는 매뉴얼 구축

⑤ 문성을 갖춘 통계 담 인력의 확보

⑥ 통계자료 제공 서비스를 한 문 웹사이트 구축

⑦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엑셀표로 제공되는 통계작성 황 실태조사에 응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까지 응답해 주셔서 단히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통계작성 현황 실태조사 (건축주택과 예)A. 다음 통계자료 중, 귀 부서(기관)에서 작성하고 있는 것은 작성 기준일자를 적어주십시오. 기준일자를 모르면 '모름', 작성하지 않으면 '미작성'으로 적어주십시오.B. 해당 통계자료 조사를 위한 정형화된 조사표가 있으십니까? 있으면 O, 없으면 X로 표시해주십시오.C. 해당 통계자료를 귀 부서(기관)에서 작성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적합하면 O, 적합하지 않으면 X로 표시해주십시오.D. 해당 통계자료를 작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필요성이 있으면 O, 필요성이 없으면 X라고 표시해주십시요.E. 귀 부서(기관)에서 작성하고 있으나 타 부서와 공유하고 있지 않은 통계자료가 있습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F. 귀 부서(기관)에서 추가로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통계자료는 무엇입니까?

번호 대분류 목록 A기준일자

B조사표

C적합성

D필요성

118 주택건설 1. 주택현황 및 보급률        

121 주택건설 4. 건축허가        

122 주택건설 5. 구군별 건축허가        

123 주택건설 6. 아파트 건립        

124 주택건설 7. 무허가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