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7
인도네시아 역사문화 특강

Transcript of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Page 1: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인도네시아 역사문화 특강

Page 2: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목차

1. 국가 개황

2. 국가 이념 및 철학

3. 역사

4. 인도네시아 독립

5. 인도네시아의 갈등문제

6. 인도네시아인의 종교문화

7. 인도네시아의 의례문화

8. 인도네시아의 생활문화

9. 인도네시아의 주요 상관습

10. 주요 종족별 특징 및 경제활동 분야

11. 한국-인도네시아의 관계

12. 한국기업의 성공사례 및 실패사례

13. 필자 소개

인도네시아 역사문화특강

Page 3: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삽화를 통해본 인도네시아

삽화를통해본 인도네시아

Page 4: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1. 국가 개황

자연 및 지리 소개

인도네시아 전도 국 가 개 황

Page 5: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기본 내용

국명: 인도네시아 공화국(Republic of Indonesia)

정부형태: 대통령 중심제(1957년-현재)

인구: 2억 2천만 명(세계 제4위 인구대국)

면적: 191만 9443 평방 킬로미터(한반도의 9배)

언어: 인도네시아어 (Bahasa Indonesia), 250 여 개의 지방어

종교: 이슬람교(85%), 기독교 및 가톨릭교(10%), 힌두교(3%), 불교(2%)

화폐단위 및 종류: 루피아 (Rupiah: Rp)

기후: 열대(우기: 12월-3월, 건기 6월-9월)

주요도시: 1개 특별시, 2개의 특별구, 27개 주

국 가 개 황

Page 6: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2. 국가 이념 및 철학

국장

국장(Garuda)의 의미

독수리 모양의 가루다는 힌두 신앙에서 시공을 초월하는 전설적인 새로서 번영

내지 보호의 신인 위스누(Wisnu) 신이 타고 다녔다 하여 경외의 대상이며, 국가

이념인 방패와 국가의 염원, 그리고 독립기념일을 담고 있다.

국 가 이 념 및 철 학

Page 7: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별 (신앙주의)- 전지전능한 신에 대한 신앙심의 원칙

물소 (민주주의)- 대중합의와 대의제도를 통한 민주주의 원칙

보리수 (민족주의)- 인도네시아의 통일에 관한 원칙

쇠사슬 (인본주의)- 정의롭고 예절 바른 인간성에 대한 원칙

벼 이삭과 목화 (사회정의주의)- 모든 인도네시아 국민을 위한 사회정의

의 원칙

다양성 속에 통일성 (Bhineka Tunggal Ika) - 국가의 염원

빤짜실라 (Panca Sila) - 국가이념

국 가 이 념 및 철 학

Page 8: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3. 역사

인류 최초의 직립원인 자바원인(Java Man) 발견

→ 두보아 (Eugence Dubois)는 기원 100만년 전에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 (Pithecanthropus Erectus)로 명명된 Java Man 인골화석 발견.

인도네시아의 기원전 고대역사는 아쉽게도 아려진 것이 별로 없다.

자연적인 환경으로 인해 소수 부족 형태로 석기시대를 지나 청동기

시대에 접어들면서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원후 1세기를 전후에 인도에서 산스크리트와 나그리(범어)문자가

인도네시아에 전파되면서 인도네시아 민족의 역사가 시작된다.

서기 2-3세기 이후에는 인도의 상인, 사제, 학자들이 불교와 힌두교

를 인도네시아에 전파 시키면서 비로소 인도네시아에 초보적인 왕국

의 형태가 건설된다.

역 사

Page 9: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7세기 경에 건설된 스리위자야(Sriwijaya) 불교왕국은 말레이 반도와 수마트라

의 말라카해협을 중심으로 발흥하였다. 이 왕국은 해상무역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 형태를 띠었기 때문에 왕국의 힘은 체계적인 통치 술보다는 무역에 필요한 배

와 그 배를 보호하는 전함을 건조하는데 치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말라카 해협의

전략적 위치를 점한 스리위자야 왕국은 해양무역의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8세기 경에 건설된 사일렌드라(Sailendra)

불교왕국은 중부 자와를 중심으로 발흥하였다.

이 왕국은 농업에 알맞은 비옥한 땅에 기반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왕은 불교 사제들이 제공한

국가 통치 술과 종교에 대한 지혜와 충고를

받아들여 거대한 사원을 지어 종교적, 세속적

권력을 유지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보로부두르 불교사원

역 사

Page 10: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8세기-10세기 경에 건설된 마따람(Mataram)

힌두 왕국은 중부 자와를 중심으로 한 농업 국가

였다. 이 왕국은 인도의 카스트제도를 통치모델로

삼아 왕권을 강화하였다.

족자의 쁘람바난 사원발리의 버사낏 사원

Page 11: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13세기 경에 건설된 마자빠힛(Majapahit) 이슬람 왕국은 동부 자와를 중심으로 발흥

하였다. 이 왕국은 13세기 아라비아 상인과 인도상인에 의해 전래된 이슬람을 수용하였

고,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를 견지했기 때문에 기존의 불교, 힌두교, 애니미즘 등의

종교를 포용하여 14세기에는 수마트라, 깔리만딴, 술라웨시, 말루꾸, 숨바와 섬에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이슬람교와 문화를 전 인도네시아 군도로 확산시킬 수 있었다.

15세기 경에 건설된 말라카(Malaka) 이슬람 왕국은 말레이 반도의 말라카를 중심으로

거대한 무역국을 형성하였다. 말라카 왕국은 세계 최대 무역 망을 가진 이슬람 왕국이며,

인도네시아 전역 뿐만 아니라 인도, 페르시아, 아라비아, 아프리카 동부, 지중해까지 연

결 망을 가지고 있었다.

15세기말 경에 포르투갈은 향료무역을 독점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였다. 포르

투갈은 인도네시아의 최대 향료 생산지인 말루꾸 지역의 암본과 띠무르를 장악하여 정향

과 후추, 육두구 등의 값진 향신료와 사탕수수, 차, 담배, 커피 등의 양질 의 열대 작물

들을 독점하였다. 역 사

Page 12: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16세기 경에 네덜란드는 바따비아(현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동인도회사(VOC)

설립 하여 향료무역을 독점하게 되었고, 공급과 가격조절을 위해 강제경작제도를

실시 하였다. 그러나 식민지배에 대한 국내외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1930년 윤

리정책을 실시하여 인도네시아인들의 민족주주의 발아를 싹 틔웠다.

- 발레이뿌스따까 설립(1908년)

- 사회계층구조 형성: 서구인은 풍부한 천연자원에 대한 독점권과 국제무역독점을

쥐고 있었으며, 화교는 소규모 국내상업과 금융유통업을 장악하고 있었고, 토착

인도네시아 인은 노동력을 제공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

- 서구교육기관설립: 식민지배를 원활하게 하기위해 식민정부에서 필요한 인재

를 양성하고, 토착 지배 계층의 자녀들에게 관료로 등용될 수 있는 길을 열어주

고자 설립하였다. 그러나 1930년 윤리정책을 실시하면서 토착 인도네시아인들

에게 보다 많은 입학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 AMS, MULO, STOVIA 등등

역 사

Page 13: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17세기 경에 뒤늦게 진출한 영국은 1824년 영화조약을 맺어 수마트라의 븡꿀루

(Bengkulu)지역을 네덜란드에게 양도하고, 네덜란드가 소유했던 말레이 반도를

넘겨 받음으로서 현재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국경의 기반이 되었다.

1942-1945 일본의 점령기

대동아 공영권 주장: ‘아시아인을 아시아’1942년 1월 25일 깔리만딴의 발릭바빤을 점령하고 1942년 3월 8일 자와의 까리

자띠에서 네덜란드로부터 항복을 받아 3년 반 동안 식민지배를 하였다.

침략목적은 전쟁에 필요한 자원 확보에 있었다.

1945-1949년 독립 투쟁기

1945년 6월 연합국의 일원으로 인도네시아에 상륙

1946년 11월 자와 수마트라, 마두라 지역만 독립을 인정

1949년 8월 23일-11월 2일 네덜란드의 수도 덴 하이그 원탁회의에서 인도네시아

의 독립을 인정 하되 네덜란드여왕을 상징적 통치자로 인정하자는데 합의.

1949년 12월 27일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이리안자야를 제외한 전 인도네시아

를 새로 탄생한 인도네시아 연방공화국에게 넘겨 줌으로서 완전독립을 성취함.

Page 14: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4. 인도네시아 독립

○ 수카르노체제(Orde Lama)

- 1949년-1957년 의회민주주의시기

- 1957년-1966년 교도민주주의 시기

(나사콤(Nasakom): 민족주의, 이슬람, 공산주의 융합)

- 1955년 반둥(Bandung) 비동맹 정상회담개최

비동맹 운동주도(인도의 네루, 중국의 주은래)

- 1963년 이리안자야 강제합병

- 1965년 9월 30일 사건

○ 경제정책

- 사회주의 노선에 따른 주요산업의 국유화 조치

- 민족자본 부재 및 경제의 빈사상태

- 정치적 불안정에 따른 만성적인 인플레이션과 장기경기침체

인 도 네 시 아 독 립

Page 15: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 수하르또 체제 (Orde Baru)

- 1967년-1998년 실용주의 정책

- 군부의 이중기능

- 자와 중심주의

- 화교의 탈정치화 및 문화적 탄압

- 정당정치의 변화

- 1998년 5월 피플 파워에 의해 하야

○ 경제정책

- 세계자본주의로의 편입에 따른 시장경제도입, 경제개발정책 추진

- 서방세계의 차관원조, 외국인투자유치, 투자규제완화

- 1970-80년대 고유가에 따른 높은 경제성장률로 산업구조변화

- 지역, 민족간의 경제불균형심화, 정경유착 및 부정부패심화, 족벌체제등장

- 1997년 경제위기

인 도 네 시 아 독 립

Page 16: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 문민정부(하비비, 와히드, 메가와띠, 유도요노)

- 개혁을 통한 민주화 추진

- 군부의 특혜 폐지

- 선거, 정당제도 개선

- 화교에 대한 유화정책: 정치참여 허용, 교육기회 확대, 직업선택의

자유

인 도 네 시 아 독 립

Page 17: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5. 인도네시아의 갈등문제

○ 지역갈등

- 자와 지역과 수마트라지역간의 갈등

○ 종족갈등

- 인도네시아 토착인과 화교간의 갈등

○ 종교갈등

- 이슬람과 기독교간의 갈등

○ 계층갈등

- 상류층과 하류층간의 갈등

인도네시아의 갈등문제

Page 18: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6. 인도네시아인의 종교문화

○ 이슬람교: 이슬람력(Hijurah)은 하루를 일몰에서 일몰까지, 1주일 7일, 1개월

은 29-30, 1년은 12개월, 1년은 354일로 태양력보다 11일 적다.

- 기도(Shoiat): 무슬림은 1일 5회 메카를 향해 기도

수부(Subuh), 쥬흐르(Zhuhur), 아샤르(Ashar), 마그립(Magrib), 이샤(Isya)

- 보시(Zakat): 수입의 2.5%이며, 사회통합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

- 성지순례(Haji): 남성 하지(Haji), 여성(Haja)

- 르바란(Lebaran): 한 달간 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 자,

여행 중 인자 들은 금식을 하지 않아도 되고, 이 기간 동안에는 음식물, 담배,

부부관계 등등을 할 수 없음.

- 이둘 피뜨리(Idul Fitri): 이슬람교의 최대 명절, 인사(Maafkan lahir batin -관용)

- 일부다처제: 4명까지 부인을 둘 수 있지만 현재는 사라지고 있는 추세임.

- 오른손 문화: 오른손은 깨끗하고 선을, 왼손은 더럽고 악을 의미함.

- 머리: 영혼이 깃든 신성한 존재로 여겨, 머리를 때리거나 만지는 것을 극도

로 꺼려하며, 왼손으로 만질 경우 어떤 불상사가 발생할지 모름.

인도네시아인의 종교문화

Page 19: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 힌두교

- 수천개의 신을 믿기 때문에 집, 마을 등

곳곳에 신전을 세움

- 네피 축제(Nyepi): 힌두교도의 최대 축제

인도네시아인의 종교문화

Page 20: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7. 인도네시아의 의례문화

○ 출산: 미또미(Mitomi)의례 (와양 꿀릿(Wayang Kulit)공연)

- 출산부의 금기사항: 씨가 가로질러 있는 과일이나 씨가 갈라져 있는

일, 비늘이 있는 생선 류

- 출산 40일째 되는 날에 남자일 경우 빨간색의 죽, 여자일 경우 흰색의

죽 제공

○ 할례: 이슬람교리에 출생한지 7일째 되는 날 시행할 것을 명시

- 산뜨리 계층: 출생한지 40일째, 4세, 7세 되는 날 시행

- 아방안 계층: 이슬람에 입교하는 시기에 맞추어 10세 또는 16세에

시행

- 쁘리야이 계층: 법률적으로 성년이 되는 18세에 시행

인도네시아인의 의례문화

Page 21: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 결혼: lain dapur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 전통관습과 종교문화

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종족에 따라 신부의 몸값을 지불하

고, 신부의 집에서 일정기간 처가살이를 경우가 있음

(미낭까바우의 모계사회).

- 신부는 결혼 1주일전부터 외부출입을 삼가고 앙그렛 꽃잎을 띄운 물로

목욕을 하면서 영육을 깨끗이 하는 의식을 행함.

- 결혼식 날에는 계란을 밟는 의식을 행함

- 조혼 및 연혼

○ 장례: 죽은 당일 장례식을 행하기 때문에 보통 1일장임.

- 이슬람: 죽은 사람과 가족의 유대관계가 1000일이 지나야 종료된다고

믿고 있음.

인도네시아인의 의례문화

Page 22: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8. 인도네시아의 생활 문화

○ 음식: 할랄(Halal)음식, 빠당(Padang)음식, 자와음식

사떼(Sate), 볶은 밥(Nasi Goreng), 죽(Bubur)

○ 의복: 바띡(Batik), 사룽(Sarung)

○ 교통: 베짝(Becak), 바쟈이(Bajai), 택시(Taksi), 비스(Bis), 기차(Kreta Api)

○ 목욕: 1일 2회

○ 시간: 시간관념 희박

○ 초대 및 선물

- 말레이 가정을 방문시 간단한 선물 또는 꽃다발 준비

- 남녀가 초대되었을 때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구분하여 앉음

- 선물을 주었을 때 면전에서 선물을 열어보지 않는 것이 말레이인의 예법

○ 과일 : 두리안(Durian-과일의 왕), 람부딴(Rambutan-과일의 여왕, 망가(Mangga)

○ 언어사용: 딱 부러지는 언어사용 기피

- 아마도(mungkin), 대략(kira-kira), 예(ya)-할 수 있을 것 같다.

- 당신이 좋다면, 나도 좋다(Kalau anda suka, saya juga suka)

인도네시아인의 생활문화

Page 23: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9. 인도네시아인의 주요 상관습

○ 유명 브랜드 선호(일본/미국/영국제품)

- 인도네시아인: 의류와 소비재는 유행에 민감하고 유행하는 제품을 선호

- 화교: 내구성이 강하고 실용적이며 경제적인 제품을 선호

○ 비즈니스 상담 시

- 인도네시아인: 사전약속중시, 상대방의 체면을 높여줌, 구두약속에 의한

신용 거래, 과장된 표현을 즐겨 사용

- 화교: 사전 약속 중시, 시간적인 여유 필요(단시간 내에 계약을 체결하려다가는

실패 자초), 문서약속에 의한 신용거래

○ 비즈니스 초대 장소

- 인도네시아인: 집으로 초대(선물은 꽃이나 고급 초콜렛 준비, 여성용 선물은

종교적으로 금지)

- 화교: 호텔이나 식당으로 초대

○ 인간관계 중시(고위관리와 유대관계)

○ 종교에 역행하는 제품광고 제고(역효과)

주 요 상 관 습

Page 24: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10. 주요 종족별 특징 및 경제활동 분야

○ 말레이인: 성품이 온순하고 착함, 군중심리 강함, 눈썰미와 손재주가

뛰어남

- 경제활동분야: 제조업 및 공무원/관료

○ 화교: 신중하고 침착함, 안전을 최우선시 함, 가족간 동족간 유대가

강함

- 경제활동분야: 유통 및 금융, 무역

○ 인도인: 우월감이 강함

- 경제활동분야: 섬유 및 잡화, 귀금속

종족별 특징 및 경제활동

Page 25: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11. 한국-인도네시아의 관계

○ 외교관계

- 1966년 상호 영사 협정

- 1973년 대사급 외교관계로 격상

○ 교류사

-1940년대 초: 일본징용 및 종군위안부

-1960년대 초: 상사주재원 및 기업인

-1980년대 중반: 노동 집약적인 산업 진출에 따른 산업근로자

-1990년대: 자본 및 기술 집약적인 산업 진출에 따른 금융기관

한국-인도네시아의 관계

Page 26: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12. 한국기업의 성공사례 및 실패사례

○ 성공사례: 코린도그룹

○ 실패사례: 코데꼬 그룹

성 공 및 실 패 사 례

Page 27: 인도네시아역사문화특강 - Egloospds6.egloos.com/pds/200712/11/26/history.pdf · 2007-12-11 · -르바란(Lebaran): 한달간금식기간(Puasa)-노약자, 임산부, 생리중인자,

필자 소개

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인도네시아 국립 가쟈마다대학교에서 인도네시아 현대문학연구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대 외국학 종합연구센터 책임 연구원 겸 대

우교수로 있으며. “인도네시아 전통문학연구”, “인도네시아 식민사회구조와 문단상황(1920-1942)”, “인도네시아 사회와 문학의 이데올로기 환경”, “발레이 뿌스따까 문학에 관한 소고” 등의 논문과 공동 저서, 공동 역서 등이 있다.

필 자 소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