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 Egloospds17.egloos.com/pds/201002/01/46/K4211I01.pdf · 2010....

25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 08

Transcript of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 Egloospds17.egloos.com/pds/201002/01/46/K4211I01.pdf · 2010....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 08

  • Contents

    1. 기술(제품)의 개요 ··············································································1

    가. 기술(제품)의 개념 ······························································································1

    나. 기술(제품)의 사용용도 ······················································································1

    다. 조사 범위 ·············································································································1

    2. 국내외 기술동향 ·················································································2

    3. 국내외 시장동향 ·················································································5

    가. 산업 특성 ·············································································································5

    나. 국내 산업 동향 ···································································································5

    4. 국내 기업동향 ·····················································································9

    5. 수출입 현황 ·······················································································12

    가. 한국의 수출입 현황 ·························································································12

    나. 미국의 수출입 현황 ·························································································14

    다. 일본의 수출입 현황 ·························································································16

    라. 중국의 수출입 현황 ·························································································18

    마. EU의 수출입 현황 ···························································································21

    6. 색인어 ·································································································23

    7. 참고문헌 ·····························································································23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 -

    1. 기술(제품)의 개요

    가. 기술(제품)의 개념

    도료란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유동상태로 물체의 표면에 도장하면 일정시간이 경

    과한 후 건조 혹은 경화되어 튼튼하고 탄력성이 있는 도막을 형성하며 물체를 보호

    함과 동시에 내구력을 증가시키고 물체를 미화하는 성능을 가지는 물질을 도료라

    한다.

    나. 기술(제품)의 사용용도

    분체도료의 용도는 크게 외관향상, 재질보호, 기능부여로서 사용하며, 각 용도별

    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외관 향상 용도는 미려한 색상, 광택, 평활성 등을 부여하거나 모양무늬,

    다채무늬 등으로 외관을 좋게 하는데 사용한다.

    둘째, 재질 보호적 용도는 내약품성, 내후성, 내수성, 공기불투과성 등이 우수하

    여 피도체를 보호하는데 사용한다.

    셋째, 기능 부여 용도는 내열도료, 절연도료, 방미도료, 단열도료, 방화도료, 방청

    도료, 전자파 차폐도료, 축광도료 등 특수 기능을 한다.

    다. 조사 범위

    국내외 도료 관련 시장동향 파악을 위해 국내에서는 통계청의 “광업․제조업통

    계조사보고서”와 “광공업동태조사”를 이용하였고, 수출입 코드로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코드를 활용하였다.

    산업분류 코드 산 업

    C24 1차 금속 제조업

    C24191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강재 제조업

    C24191107 도료

    도료의 산업분류 범위

    자료출처 : 통계청, “산업분류코드” 이용. ㈜밸류애드 가공.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2 -

    2. 국내외 기술동향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도료 가운데 에멀젼도료는 보통 열가소성 폴리머를 주로

    한 상온 건조형이며 수용성 수지는 열강화성 프리폴리머를 주로 한 소부건조형 도

    료이며, 시판되고 있는 에멀젼 도료(라텍스 도료로도 표기함)는 비닐, 아크릴, 스티

    렌 부타디엔, 불포화 염기산 에스테르와 같은 중합성 모노머를 유화 중합한 라텍스

    를 전색제로 하는 도료이다.

    알키드 수지나 에폭시 에스테르를 유화제로 사용한 O/W형 에멀젼 도료도 있으

    나 특수도료도 그 사용량은 극히 적다.

    에멀젼 도료는 라텍스에 증점제(폴리비닐알코올,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스, 카르

    복시 메틸셀룰로스나 분산제, 습윤제, 방부제, 곰팡이 방지제, 소포제) 등을 첨가하

    여 제조한다.

    에멀젼도료 중에서 초산비닐계 에멀젼도료는 초산비닐 단독 중합물

    (Homopolymer)과 가소성을 부여한 모노머(아크릴산 메틸 또는 부틸, 말레인산, 디

    부틸 등)와의 공중합물(Copolymer)의 2종류가 있다.

    Homopolymer는 가격이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Comopolymer이 내후성, 저장 안

    전성이 높아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계 에멀젼도료는 각종 아크릴계모노머 또는 소량의 비닐모노머 중합 라텍

    스를 전색제로 한 도료, 초산 비닐계보다 고가이나 도막상태,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다. 옥외도장이 가능하고 일반 건축용 도료외에 종이, 피역 등에

    도 사용되며, 스키렌, 부타디엔계는 내알카리성, 내수성이 뛰어나나 황변이나 균열

    이 생기기 쉬워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1) 분체도료

    분체도료는 내절연성, 고내열성, 항균도료, 전자파 차단도료 등 고기능성으로 발

    전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고기능성 기술에 대한 직접 투자보다는 해외업체

    의 기술이전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가) 고기능성 분체도료

    내절연성, 고내열성, 항균도료, 전자파 차단도료 등 고기능성 분체도료 는 자동차

    용 분체도료, 파이프coating용 도료, 철근 coating용 도료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대시

    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중방식 개념을 가미한 파이프coating용 도

    료, 철근 coating용 도료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파이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3 -

    프coating용 도료는 도막두께를 높여 내수성 및 저항성 등의 강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철근coating용 도료는 우수한 굴곡성, 방식성, 내약품성, 콘크리트와의 부착성 등

    의 품질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 특수무늬도료

    건축외장재 분야의 소비경향이 단순무늬에서 인테리어 개념의 특수무늬도료 선

    호로 전환되고 있어 특수무늬도료에 대한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불소도

    료의 분체도료 대체가 기대되고 있어 다양한 질감 및 색감을 요구하는 패션화 개념

    의 도료생산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 저온소부(열가공)형 분체도료

    분체도료는 평균 소부온도가 180℃로 주로 강판에 제한된 수요를 보이고 있는데,

    소부온도를 120~130℃로 낮추거나 UV경화 개념을 도입해 목재 및 플라스틱 등의

    피도물에까지 적용범위 확대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 수계도료

    수계도료는 환경오염 및 선진국의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규제에 대한 필요성

    으로 인하여 선진업체에 의하여 꾸준히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하여

    연구되어야 할 기술로서, 비용제성 도료인 분체도료와 더불어 향후 페인트 산업을

    대표할 기술이다.

    이러한 비용제성 도료의 하나인 수계도료의 계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 용

    제형 도료에 적용되던 여러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할 것이며, 따라서 이에 적합한

    수계수지의 합성 및 공정개발, 분산기술, 도료배합기술, 도장기술과 기능성 향상 등

    에서 계속적인 연구개발이 있어야 될 것으로 예견된다.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선진

    기업보다 뒤떨어진 수지의 합성기술 및 이의 도장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가) 저 VOC 함유 도료

    대부분의 수성도료는 금속용으로 90℃에서 건조되어 수희석성 알키드, 변성알키

    드, 아크릴라텍스, 아크릴에폭시 복합이 포함된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4 -

    VOC 함유량은 적고 2.0파운드/갤런 이하와 1.0파운드/갤런 이하도 있다.

    용도는 일반적으로 금속용 침투타입의 프라이머와 탑 코트, 범용 프라이머, 스프

    레이 에나멜 등이다. 고온 또는 저온에서 장치할 때는 약 50~65℃의 낮은 상태에

    서 건조하고 오븐이 없을 때는 브로잉 에어오븐에서 이루어진다.

    나) 저온도 건조, 고 연소 온도 기능

    90℃ 이하에서 건조되는 알키드, 변성알키드, 아크릴라텍스, 아크릴. 에폭시 복합

    수성도료는 뛰어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된다.

    또한 화학적 환경에 노출되는 좋은 수성도료가 있는데 120℃ 이상에서 경화되는

    알키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의 수희석성 도료이고 온도는 160~250℃이다. 이

    그룹의 화학구조는 용제계의 경합품과 비슷하고 그 레진이 고온에서 가교할 수 있

    게 아미노 프라스트 레진에서 변성된다. 경도와 내마찰성이 우수하고 특히 일광, 약

    품, 세제, 용제에 노출되었을 때 색과 광택보호성이 우수하다. 용도는 금속제 사무

    가구, 대형 가전품, 사무기기, 자동차 등 비교적 높은 연소온도에 견딜 수 있는 곳

    에 사용된다.

    다) 금속도장

    알키드가 암모니아와 휘발성 아민에서 중화되면 물을 희석액으로 사용한다. 건조

    는 상당시간이 걸리는데 여기에서 얻어진 도막은 용제계와 같이 광택, 유동성 등을

    가지고 있다.

    비닐아크릴계, 스티렌아크릴계 폴리머가 포함된다. 2성분 또는 3성분으로 구성되

    어 있고, 수성아크릴의 가교에는 유화에폭시가 사용된다. 또한 내식성에서 광택, 경

    도, 내아크릴성, 내마찰성이 양호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보통 용제계의 에폭시와

    는 다르고 어떤 것은 36시간까지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90℃이하에서 건조되며, 아크릴라텍스에 뛰어난 금속 도장에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군대규격의 MIL-53030(납, 크롬산이 없는 것)과 MIL - P85582(크롬산

    을 함유)에 합격하는 프라이머로 판매되고 있다. 이는 대부분 도료의 탑 코트로 사

    용할 수 있는데 알키드 프라이머보다 양호한 내식성이 요구될 때에 사용이 가능하

    다.

    또한 프라이머로서 군용기기, 스틸과 알루미늄의 프레임, 전자부품에 사용되고

    있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5 -

    3. 국내외 시장동향

    가. 산업 특성

    도료산업은 건설, 자동차, 전자 등의 다양한 산업의 원재료로 쓰이는 것은 물론

    개인들의 가정용 수요 등 다양한 방면에 사용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생산 초기에는 대량생산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수요에 적절히 대응

    하기 위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점차 기술력을 요하는 선박용

    특수 도료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시장의 주력이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시장은 과거 많은 군소업체가 난립하여 경쟁하던 단계에서 기술력과 브

    랜드파워를 겸비한 일부 대형사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도료산업은 그 원료의 특성상 원재료의 수입 비중이 높고 매출은 내수 비중이

    높아 환율 및 유가 등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방산업인 건설, 자동차, 조선 및 전자 등의 업황에 많은 영향을 받는 구

    조를 가지고 있고, 2008년 고유가로 인한 원재료 가격 상승이,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촉발된 세계 금융위기와 투기자금의 이탈이 유가 및 원재료 가격의 하락

    으로 이어져 다소 원가 상승 압박이 완화되었으나 실물경기 위축으로 인한 국내외

    수요 감소로 수익성 및 성장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료의 원재료는 석유화학에서 유도 합성되는 용제ㆍ합성수지ㆍ유기안료 등의

    비율이 높고, 나머지는 천연수지 및 무기안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범용적인 수

    지와 안료 등은 국내에서 거의 대부분을 조달하나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고부가가

    치 도료의 경우 원료 대부분을 해외, 특히 일본과 독일 등에서 조달하고 있는 특징

    을 가지고 있다.

    도료는 자동차, 조선 등의 높은 기술 수준을 요구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시장지

    배력 및 친환경 도료의 매출비중 확대로 수익성을 극대화 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술개발 및 투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자동차 도료기술로 세계적 기업과 기술제휴를 통해 최상의 도료를 공급함

    으로써 자동차산업 경쟁력 강화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한편 환경친화적이면서 고

    기능성을 발휘하는 다양한 건축용 및 공업용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여 기술적

    위상과 수출 경쟁력을 더욱 강화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으로 매출처 다각화가 필요하다.

    나. 국내 산업 동향

    국내 도료의 시장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의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보고서[품

    목편]”을 활용하여 2007년까지 연도별 시장 통계를 분석하였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6 -

    품목 구분 2004 2005 2006 2007전년대비

    증감율

    도료

    사업체수(개소) 18 21 21 17 -19.0%

    생산액(백만원) 1,895,300 2,258,464 2,006,561 1,981,656 -1.2%

    출하액(백만원) 1,867,495 2,238,884 2,012,788 1,940,410 -3.6%

    국내 도료 시장현황

    자료출처 :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보고서[품목편]”, 2009.

    구 분

    사업체수 생산액(백만원) 출하액(백만원)

    연평균연평균

    성장율연평균

    연평균

    성장율연평균

    연평균

    성장율

    2004-2007 19 -1.89% 2,035,495 1.50% 2,014,894 1.28%

    2005-2007 20 -10.03% 2,082,227 -6.33% 2,064,027 -6.90%

    국내 도료 시장현황 분석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국내 도료 시장현황 그래프

    자료출처 :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보고서[품목편]”, 2009.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7 -

    국내 도료의 2007년도 사업체수는 17개소로, 2004년의 18개소와 비교하여 -5.56%

    감소하였고, 2006년도의 21개소와 비교하여 -19.05% 감소하였다.

    2007년도 생산액은 19,817억원으로, 2006년의 20,066억원에 비해 -1.24% 감소하였

    고,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추세는 지속적인 감소추세로 분석되며, 생산액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분석해 보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CAGR(-6.33%)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의 CAGR(1.50%)보다 둔화되었다.

    2007년도 출하액은 19,404억원으로, 2006년의 20,128억원에 비해 -3.60% 감소하였

    고,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추세는 지속적인 감소추세로 분석되며, 출하액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분석해 보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CAGR(-6.90%)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의 CAGR(1.28%)보다 둔화되었다.

    국내 도료의 시장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의 “광공업 동태조사[품목별]”를 활용

    하여 2008년까지 도료의 연도별 시장 통계를 분석하였다.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6월)

    생산량 735,446 808,320 860,021 879,470 425,762

    출하량 839,070 825,302 846,377 865,135 413,795

    내수 684,239 765,445 810,125 832,820 400,201

    수출 154,831 59,857 36,252 32,315 13,594

    재고량 60,076 46,072 52,603 53,785 60,223

    국내 도료 연도별 시장통계

    (단위 : ㎘)

    자료출처 : 통계청, “광공업 동태조사[품목별]”, 2005~2009.

    구 분

    생산량 출하량 재고량

    연평균 연평균

    성장율연평균

    연평균

    성장율연평균

    연평균

    성장율

    2005-2008 820,814 6.14% 843,971 1.02% 53,134 -3.62%

    2006-2008 849,270 4.31% 845,605 2.38% 50,820 8.05%

    국내 도료 연도별 시장통계 분석

    (단위 : ㎘)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8 -

    국내 도료의 연도별 시장통계 그래프

    자료출처 : 통계청, “광공업 동태조사[품목별]”이용, ㈜밸류애드 재구성.

    도료의 2008년도 생산량은 879,470㎘로 2005년의 735,446㎘에 비해 19.58% 증가하

    였고, 2007년도의 860,021㎘에 비해 2.26% 증가하였으며, 2005년도부터 최근까지 가

    장 높은 생산량을 기록한 연도는 2008년도 879,470㎘였고, 가장 낮은 생산량을 기록

    한 연도는 2005년도 735,446㎘였다.

    또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량의 추세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로 분석되며, 연

    평균 성장률(CAGR)을 분석해 보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CAGR(4.31%)은 2005년

    부터 2008년까지의 CAGR(6.14%)보다 둔화되었다.

    2008년도 출하량은 865,135㎘로 2005년의 839,070㎘에 비해 3.11% 증가하였고,

    2007년도의 846,377㎘에 비해 2.22% 증가하였으며, 2005년도부터 최근까지 가장 높

    은 출하량을 기록한 연도는 2008년도 865,135㎘였고, 가장 낮은 출하량을 기록한 연

    도는 2006년도 825,302㎘였다.

    또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출하량의 추세는 둔화추세로 분석되며, 연평균 성장

    률(CAGR)을 분석해 보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CAGR(2.38%)은 2005년부터 2008

    년까지의 CAGR(1.02%)보다 증가하였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9 -

    회사명매출액(백만원)

    종업

    원수 주요 취급품목 

    2007 2008 2008

    (주)카보라인코리아 15,230 15,396 73

    중방식도료,선박도료,원자력도료,

    바닥재도료,카보마스틱도료,아연

    말도료,내화재

    (주)코리아테크 12,376 14,704 22 도장설비,도료공급설비,공장자동

    화설비

    동화다무라화연(주) 13,254 13,459 28

    잉크,납땜용플럭스,솔더페이스트,

    인쇄회로기판용절연도료,도전도

    에스케이에스페인트

    (주)12,680 10,559 43

    중방식용도료,공업용도료,건축용

    도료,선박용도료,컨테이너용도료

    일광잉크페인트(주) 9,847 10,545 27

    그라비어인쇄용잉크,인쇄라미네

    이트,잉크,페인트,PET잉크,UV도

    료,표쇄잉크

    한국공업(주) 5,106 9,441 43 모바일폰용도료,가전플라스틱도

    료,마그네슘도료

    (주)에이피씨 1,337 9,333 21 분체도료용 수지

    한국무사시도료(주) 8,813 9,316 55 플라스틱도료,금속용도료,특수외

    관,촉감도료

    우암피앤씨(주) 16,526 9,149 43 공업용도료

    (주)우진페인트 6,567 8,203 46

    건축용 도료,공업용 도료,목공용

    도료,피혁용 도료,건축용 특수도

    료,천연페인트,코팅제,비닐수지도

    국내 도료 관련 업체 리스트

    4. 국내 기업동향

    도료산업은 제조공정이 비교적 단순한 비장치 산업으로서 소규모 자본으로도 시

    장 진입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국내만 하더라도 150여 개의 군소업체가

    난립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상위 6개사가 전체 시장의 약 70%를 장악하고 있어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를 겸비한 당사를 포함한 일부 대형사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다.

    가. 기업 리스트

    기타 도료 관련 업체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0 -

    회사명매출액(백만원)

    종업

    원수 주요 취급품목 

    2007 2008 2008

    부광화학공업(주) 5,691 7,974 21

    수성도료,유성도료,방청도료,래커

    도료,바니시.도료용희석제,수용성

    도로표지용도료

    (주)씨앤피케미칼 8,034 7,807 55 표면보호제,우레탄도료,플라스틱

    특수도료,희석제

    세계화학공업(주) 7,298 7,736 34 PVC보호테이프,PE보호테이프,환

    경설비,도료

    그린스타(주) 7,704 7,589 28 에폭시분체도료,절연용에폭시도

    료,콘덴서필름,절연필름

    (주)카슈유메이드 2,222 7,584 휴대폰도료

    (주)월드인더스트리 6,545 7,214 22 페인트,방수용도료,에폭시바닥용

    도료

    (주)교우산업 6,695 6,973 35

    에나멜페인트,시너,래커,방청프라

    이머,에폭시페인트,우레탄페인트,

    컨테이너도료,폐기물정제,재생처

    (주)폴리켐엔지니어

    링12,474 6,269 12

    휴대폰전자파차폐도료,우레탄도

    (주)미래화학 5,231 6,12 10 시너,도료

    대보페인트(주)

    페인트,사벽상도료,마감재,바닥재,

    방수재,에폭시그라우트,콤비스톤,

    크리어스톤

    경성화학공업(주) 30

    우레탄수지,우레탄착색제,특수세

    라믹도료,고무계방수재,수성폴리

    우레탄수지,토너

    (주)피와이씨 6,356 24 계면활성제,산업용대전방지제,도

    료분산제

    동해케미칼공업(주) 24 에폭시도료,에폭시바닥재,우레탄

    방수재

    (주)케닉스 7,339 19 목공용도료,LPM용도료,UV용도

    덕우화성 6,050 16

    BMC,에폭시수지,EPO-SIL,PVC

    졸,방수제,접착제,적층재,바닥재,

    도료

    한국레드스팟(주) 12 코팅도료

    루코트분체도료(유) 11 분체도료

    (주)대화정밀화학

    PP시트,방수재,방청재,도막재,액

    체방수재,아스팔트몰탈바닥재,특

    수도료

    서일정밀화학 내산수지몰탈,전도성도료,오일중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1 -

    회사명매출액(백만원)

    종업

    원수 주요 취급품목 

    2007 2008 2008

    화도료,무용제도료,친환경수성도

    료,수중보강수지,중성화방지도료,

    항균도료,세라믹도료,불연도료,구

    조물보수보강제,미장방수공사

    경도화학공업(주)

    착색도료,폴리우레탄도료,불포화

    폴리우레탄 도료,폴리에스테르수

    지계 도료,섬유소수지계 도료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2 -

    5. 수출입 현황

    가. 한국의 수출입 현황

    도료와 관련된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여 관련이 높

    거나 유사한 품목으로 “HS Code 3203003000로 한정하여 관세청의 수출입 통관 통

    계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 분 2006 2007 2008 2009(7)

    수출금액 1,140 896 926 318

    증가율 104.67% -21.40% 3.35% ─

    수입금액 2,087 2,598 3,223 1,695

    증가율 2.10% 24.48% 24.06% ─

    도료 관련 수출입 동향(한국)

    (단위 : 천불)

    자료출처 : 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밸류애드 재구성, 2009.

    도료 관련 수출입 그래프(한국)

    자료출처 : 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2009.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3 -

    한국 도료의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7년의 896천불이

    가장 낮은 수출을, 2006년의 1,140천불이 가장 높은 수출을 기록하였고, 수입의 경

    우 2006년의 2,087천불이 가장 낮은 수입을, 2008년의 3,223천불이 가장 높은 수입

    을 기록하였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입이 수출보다 433.02% 높았

    다.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금 액 비 중 국가명 금 액 비 중

    1 중국 397 42.9% 중국 1,104 34.3%

    2 태국 360 38.9% 일본 643 20.0%

    3 싱가포르 87 9.4% 프랑스 302 9.4%

    4 인디아(인도) 47 5.1% 미국 268 8.3%

    5 대만 32 3.5% 호주 262 8.1%

    6 러시아 연방 3 0.3% 덴마크 224 7.0%

    ― 페루 173 5.4%

    ― 인디아(인도) 124 3.8%

    ― 스페인 64 2.0%

    ― 이탈리아 21 0.7%

    합계 6개국 합 926 100.0% 10개국 합 3,185 98.8%

    전체 926 100.0% 전체 3,223 100.0%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현황 (한국-2008년)

    (단위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한국 도료의 2008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출액은 926천불을 기록

    하였고, 중국이 397천불로 2008년도 전체 수출액의 42.87%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

    타내었으며, 태국 360천불(38.88%), 싱가포르 87천불(9.40%)의 순으로 분석되었고,

    2008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입액은 3,223천불 중 중국이 1,104천불

    로 2008년도 전체 수입액의 34.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으며, 일본 643천

    불(19.95%), 프랑스 302천불(9.37%)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4 -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분석(한국-2008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나. 미국의 수출입 현황

    미국의 도료와 관련한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여 유

    사한 품목으로 HS Code 320300의 “Coloring matter of vegetable or animal origin

    and preparations based thereon”로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 분 2006 2007 2008 2009(6)

    수출금액 51,616 59,354 57,601 24,917

    증가율 -18.43% 14.99% -2.95% ─

    수입금액 61,687 73,031 92,629 57,574

    증가율 0.72% 18.39% 26.84% ─

    도료 관련 수출입 동향(미국)

    (단위 : 천불)

    자료출처 : 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2009. ㈜밸류애드 재구성.

    미국 도료의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6년의 51,616천불

    이 가장 낮은 수출을, 2007년의 59,354천불이 가장 높은 수출을 기록하였고, 수입의

    경우 2006년의 61,687천불이 가장 낮은 수입을, 2008년의 92,629천불이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였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입이 수출보다 131.06% 높

    았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5 -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금 액 비 중 국가명 금 액 비 중

    1 스위스 25,106 43.6% 네델란드 22,164 23.9%

    2 독일 9,269 16.1% 인도 11,862 12.8%

    3 카나다 7,528 13.1% 뉴질랜드 10,104 10.9%

    4 브라질 2,698 4.7% 중화인민공화국 8,869 9.6%

    5 덴마아크 1,650 2.9% 멕시코 5,965 6.4%

    6 싱가폴 1,068 1.9% 일본 5,336 5.8%

    7 멕시코 880 1.5% 페루 4,544 4.9%

    8 일본 834 1.4% 이탈리아 3,079 3.3%

    9 이탈리아 742 1.3% 영국 2,405 2.6%

    10 호주 683 1.2% 이스라엘 2,013 2.2%

    합계 10개국 합 50,458 87.6% 10개국 합 76,341 82.4%

    전체 57,601 100.0% 전체 92,629 100.0%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현황(미국-2008년)

    (단위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분석(미국-2008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미국 도료의 2008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출액은 57,601천불을

    기록하였고, 스위스가 25,106천불로 2008년도 전체 수출액의 43.59%로 가장 높은 비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6 -

    중을 나타내었으며, 독일 9,269천불(16.09%), 카나다 7,528천불(13.07%)의 순으로 분

    석되었고, 2008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입액은 92,629천불 중 네델

    란드가 22,164천불로 2008년도 전체 수입액의 23.93%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

    으며, 인도 11,862천불(12.81%), 뉴질랜드 10,104천불(10.91%)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다. 일본의 수출입 현황

    일본의 도료와 관련한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여 관

    련이 높거나 유사한 품목으로 HS Code 320300의 “Coloring matter of vegetable or

    animal origin and preparations based thereon”로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 분 2006 2007 2008 2009(7)

    수출금액 2,046 2,249 1,767 811

    증가율 1.99% 9.92% -21.43% ─

    수입금액 10,015 9,953 12,228 6,628

    증가율 29.69% -0.62% 22.86% ─

    도료 관련 수출입 동향(일본)

    (단위 : 백만엔)

    자료출처 : 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밸류애드 재구성, 2009.

    일본 도료의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8년의 1,767백만엔

    이 가장 낮은 수출을, 2007년의 2,249백만엔이 가장 높은 수출을 기록하였고, 수입

    의 경우 2007년의 9,953백만엔이 가장 낮은 수입을, 2008년의 12,228백만엔이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였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입이 수출보다

    717.26% 높았다.

    일본 도료의 2008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출액은 1,767백만엔을

    기록하였고, 미국이 527백만엔으로 2008년도 전체 수출액의 29.82%로 가장 높은 비

    중을 나타내었으며, 덴마아크 259백만엔(14.66%), 대한민국 214백만엔(12.11%)의 순

    으로 분석되었고, 2008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입액은 12,228백만엔

    중 중국이 2,615백만엔으로 2008년도 전체 수입액의 21.3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

    타내었으며, 독일 1,636백만엔(13.38%), 이탈리아 1,587백만엔(12.98%)의 순으로 분석

    되었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7 -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금 액 비 중 국가명 금 액 비 중

    1 미국 527 29.8% 중국 2,615 21.4%

    2 덴마아크 259 14.7% 독일 1,636 13.4%

    3 대한민국 214 12.1% 이탈리아 1,587 13.0%

    4 중국 204 11.5% 스페인 1,260 10.3%

    5 대만 122 6.9% 미국 682 5.6%

    6 인도네시아 100 5.7% 프랑스 653 5.3%

    7 오스트레일리아 70 4.0% 이스라엘 575 4.7%

    8 태국 57 3.2% 멕시코 557 4.6%

    9 아이랜드 49 2.8% 오스트레일리아 554 4.5%

    10 말레이시아 29 1.6% 인도 550 4.5%

    합계 10개국 합 1,631 92.3% 10개국 합 10,669 87.3%

    전체 1,767 100.0% 전체 12,228 100.0%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현황(일본)

    (단위 : 백만엔)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분석(일본-2008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8 -

    라. 중국의 수출입 현황

    중국의 도료와 관련한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여 유

    사한 품목으로 HS Code 320300의 “Coloring matter of vegetable or animal origin,

    preparationsthereof(as specified in note3 to this chapter)”로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

    하였다.

    구 분 2006 2007 2008 2009(7)

    수출금액 72,740 54,082 10,579 5,413

    증가율 13.63% -25.65% -80.44% ─

    수입금액 10,609 13,526 12,999 7,643

    증가율 -18.18% 27.50% -3.90% ─

    도료 관련 수출입 동향(중국)

    (단위 : 천불)

    자료출처 : 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밸류애드 재구성, 2009.

    중국 도료의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8년의 10,579천불

    이 가장 낮은 수출을, 2006년의 72,740천불이 가장 높은 수출을 기록하였고, 수입의

    경우 2006년의 10,609천불이 가장 낮은 수입을, 2007년의 13,526천불이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였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입이 수출보다 41.20% 높

    았다.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금 액 비 중 국가명 금 액 비 중

    1 Japan 3,959 37.4% Japan 2,664 20.5%

    2 KoreaRep 2,090 19.8% India 2,094 16.1%

    3 UnitedStates 1,511 14.3% UnitedStates 1,924 14.8%

    4 Malaysia 711 6.7% Peru 986 7.6%

    5 Mexico 373 3.5% Denmark 920 7.1%

    6 UnitedKingdom 282 2.7% Germany 814 6.3%

    7 Germany 226 2.1% Italy 744 5.7%

    8 Spain 143 1.4% France 614 4.7%

    9 Australia 130 1.2% Australia 531 4.1%

    10 Canada 121 1.1% KoreaRep 508 3.9%

    합계 10개국 합 9,546 90.2% 10개국 합 11,799 90.8%

    전체 10,579 100.0% 전체 12,999 100.0%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분석(중국-2008년)

    (단위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19 -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분석(중국-2008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중국 도료의 2008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출액은 10,579천불을

    기록하였고, Japan이 3,959천불로 2008년도 전체 수출액의 37.42%로 가장 높은 비중

    을 나타내었으며, KoreaRep 2,090천불(19.76%), UnitedStates 1,511천불(14.28%)의 순

    으로 분석되었고, 2008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입액은 12,999천불

    중 Japan이 2,664천불로 2008년도 전체 수입액의 20.4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

    내었으며, India 2,094천불(16.11%), UnitedStates 1,924천불(14.80%)의 순으로 분석되

    었다.

    중국의 도료의 2008년도 각 성(省)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출액은 10,581천

    불을 기록하였고, 운남성이 2,844천불로 2008년도 전체 수출액의 26.88%로 가장 높

    은 비중을 나타내었으며, 절강성 1,812천불(17.13%), 북경 1,576천불(14.89%)의 순으

    로 분석되었고, 2008년도 각 성(省)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입액은 13,000천불

    중 북경이 2,466천불로 2008년도 전체 수입액의 18.97%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

    었으며, 천진 2,114천불(16.26%), 상해 1,962천불(15.09%)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20 -

    구분수 출 수 입

    성(省)명 금 액 비 중 성(省)명 금 액 비 중

    1 운남성 2,844 26.88% 북경 2,466 18.97%

    2 절강성 1,812 17.13% 천진 2,114 16.26%

    3 북경 1,576 14.89% 상해 1,962 15.09%

    4 산동성 1,076 10.17% 광동성 1,706 13.12%

    5 해남성 914 8.64% 산동성 1,608 12.37%

    6 호북성 884 8.35% 강소성 897 6.90%

    7 상해 564 5.33% 안휘성 498 3.83%

    8 강소성 142 1.34% 하북성 460 3.54%

    9 안휘성 123 1.16% 요녕성 381 2.93%

    10 광동성 120 1.13% 절강성 340 2.62%

    합계 10개성 합 10,055 95.03% 10개성 합 12,432 95.63%

    전체 10,581 100.0% 전체 13,000 100.0%

    도료 관련 성(省)별 수출입 분석(중국-2008년)

    (단위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성별 수출 분석 성별 수입 분석

    도료 관련 성(省)별 수출입 분석(중국-2008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21 -

    마. EU의 수출입 현황

    EU의 도료와 관련한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여 유

    사한 품목으로 HS Code 320300의 “Colouring matter of vegetable or animal

    origin, incl. dye extracts (excl. animal black), whether or not chemically defined;

    preparations based on colouring matter of vegetable or animal origin of a kind

    used to dye fabrics or produce colorant preparations (excl. preparations of

    heading 3207, 3208, 3209, 3210, 3213 and 3215)”로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 분 2006 2007 2008 2009(5)

    수출금액 226,002 247,111 284,868 126,692

    증가율 -2.88% 9.34% 15.28% ─

    수입금액 209,217 226,554 242,175 102,668

    증가율 1.68% 8.29% 6.90% ─

    도료 관련 수출입 동향(EU)

    (단위 : 천€)

    자료출처 : 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밸류애드 재구성, 2009.

    EU 도료의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6년의 226,002천

    €가 가장 낮은 수출을, 2008년의 284,868천€가 가장 높은 수출을 기록하였고, 수

    입의 경우 2006년의 209,217천€가 가장 낮은 수입을, 2008년의 242,175천€가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였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출이 수입보다

    23.40% 높았다.

    EU 통신선의 2008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출액은 284,868천€를

    기록하였고, Fr Germany이 30,644천€로 2008년도 전체 수출액의 10.76%로 가장 높

    은 비중을 나타내었으며, USA 28,936천€(10.16%), Netherlands 23,319천€(8.19%)의

    순으로 분석되었고, 2008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전체 수입액은 242,175천

    € 중 Netherlands이 28,443천€로 2008년도 전체 수입액의 11.74%로 가장 높은 비

    중을 나타내었으며, Fr Germany 28,178천€(11.64%), China 26,246천€(10.84%)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22 -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금 액 비 중 국가명 금 액 비 중

    1 Fr Germany 30,644 10.8% Netherlands 28,443 11.7%

    2 USA 28,936 10.2% Fr Germany 28,178 11.6%

    3 Netherlands 23,319 8.2% China 26,246 10.8%

    4 Spain 20,845 7.3% France 21,570 8.9%

    5 France 18,432 6.5% USA 18,153 7.5%

    6 Utd. Kingdom 17,106 6.0% Spain 17,364 7.2%

    7 Japan 15,132 5.3% Denmark 15,504 6.4%

    8 Italy 12,785 4.5% India 15,413 6.4%

    9 Poland 6,615 2.3% Peru 15,013 6.2%

    10 Ireland 6,424 2.3% Utd. Kingdom 10,978 4.5%

    합계 10개국 합 180,238 63.3% 10개국 합 196,862 81.3%

    전체 284,868 100.0% 전체 242,175 100.0%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분석(EU-2008년)

    (단위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도료 관련 국가별 수출입 분석(EU-2008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9.

  • 도료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08)

    - 23 -

    6. 색인어

    도료, 페인트, paint,

    7. 참고문헌

    [1] ㈜밸류애드, www.valueadd.co.kr.

    [2] 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2008.

    [3] 무역협회, “품목별해외시장동향”, 2008.

    [4]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1991~2007.

    [5] 통계청, “표준산업분류항목표”, 2003.

    [6] ㈜이지, “사업보고서”, 2009. 7.

    [7] ㈜필룩스, “사업보고서”, 2009. 7.

    [8] 삼화전자공업㈜, “사업보고서”, 2009. 7.

    [9] ㈜이수 “사업보고서”, 2009. 7.

    [10] www.etnews.co.kr

    [11] www.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