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27
해외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1. 일반 개황 2. 환경 조직 및 정책 3. 환경 시장 동향 4. 진출 방안 말레이시아는 환경 문제에 있어서 상당히 발전한 편이나, 지난 10년 동안의 급속한 경제 성장 및 산업화로 인하여 대기오염, 유해 공동 폐기물의 처리, 산림 벌채, 내륙의 오염 및 해수 오염, 토양 및 해양 침식 등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였음. 말레이시아의 환경 시장 규모는 대기오염제어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설비, 폐기물관리 설비 등의 설비부문 16억 달러(말레이시아 달러 기준), 폐기물 관리, 하폐수처리, 상수도 관리 등 환경서비스 부문은 137억 달러 정도임 물과 폐기물 분야의 주요 문제는 노후화된 인프라 시설로 인한 물 공급 효율 저하, 해양오염, 고형 폐기물의 관리 및 매립장의 부족과 연결됨. 최근 말레이시아 정부는 물공급 및 폐기물 분야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는 등 환경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 음에 따라 시장진출 기회가 존재함. 또한, 폐기물 분야에서는 2007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고형폐기물 관리를 위한 국가전략계획’을 수립하는 등 폐기물 관리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폐기물 매립장의 건립 계획 등으로 인한 시장진출 기회가 존재함 수자원 분야에서는 수처리 용량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수처리플랜트(Water Treatment Plant, WTP)건설이 증가될 전망임. 수처리플랜트의 개발을 위하여 2050년까지 자본을 투자할 예정이며, 관련 프로젝트가 다수 진행될 예정 물 공급 서비스의 확장, 식수 수질 관리, 물산업 서비스의 질을 위한 표준 제정, 재활용 기술 및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매립지 정비사업 등에 대한 수요가 존재함 [Key Word] 말레이시아 환경문제, 말레이시아 환경정책, 말레이시아 물·폐기물산업, 말레이시아 시장진출 기회

Transcript of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Page 1: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해외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1. 일반 개황

2. 환경 조직 및 정책

3. 환경 시장 동향

4. 진출 방안

말레이시아는 환경 문제에 있어서 상당히 발전한 편이나, 지난 10년 동안의 급속한 경제성장 및 산업화로 인하여 대기오염, 유해 공동 폐기물의 처리, 산림 벌채, 내륙의 오염 및 해수 오염, 토양 및 해양 침식 등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였음. 말레이시아의 환경시장 규모는 대기오염제어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설비, 폐기물관리 설비 등의 설비부문 16억 달러(말레이시아 달러 기준), 폐기물 관리, 하폐수처리, 상수도 관리 등 환경서비스 부문은 137억 달러 정도임

물과 폐기물 분야의 주요 문제는 노후화된 인프라 시설로 인한 물 공급 효율 저하, 해양오염, 고형 폐기물의 관리 및 매립장의 부족과 연결됨. 최근 말레이시아 정부는 물공급 및 폐기물 분야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는 등 환경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에 따라 시장진출 기회가 존재함. 또한, 폐기물 분야에서는 2007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고형폐기물 관리를 위한 국가전략계획’을 수립하는 등 폐기물 관리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폐기물 매립장의 건립 계획 등으로 인한 시장진출 기회가 존재함

수자원 분야에서는 수처리 용량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수처리플랜트(Water Treatment Plant, WTP)건설이 증가될 전망임. 수처리플랜트의 개발을 위하여 2050년까지 자본을 투자할 예정이며, 관련 프로젝트가 다수 진행될 예정

물 공급 서비스의 확장, 식수 수질 관리, 물산업 서비스의 질을 위한 표준 제정, 재활용 기술 및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매립지 정비사업 등에 대한 수요가 존재함

[Key Word] 말레이시아 환경문제, 말레이시아 환경정책, 말레이시아 물·폐기물산업, 말레이시아 시장진출 기회

Page 2: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 -

1 일반 개황

1.1. 국가 개요1)

지리적 위치 말레이시아는 남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크게 말레이 반도의 서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섬 북부의 동말레이시아 두 부분으로 나뉨. 서말레이시아는 북쪽으로는 타이완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싱가포르와 국경을 접하고 있음. 동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 섬(Pulau Borneo)의 북쪽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브루나이와 국경을 접하고 있음수도 쿠알라룸프(Kuala Lumpur)면적 330천 km2(한반도의 1.5배)인구 29.6백만명민족 말레이계 50.4%, 중국계 23.7%, 원주민 11.0%, 인도계 7.1%, 기타 7.8%언어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sia)가 모국어이나 영어 및 중국어 등 병용종교2) 이슬람교 60.4%, 불교 19.2%, 기독교 9.1%, 힌두교 6.3% 등부존 자원 석유, 천연가스, 구리, 목재 등도시 13개의 주3)와 연방주 3개의 연방직할구4)로 구성되어 있음역사 및 현황 16세기 포르투갈의 침공 이후 네덜란드의 말라카 점령을 거쳐, 18세기 영국이 페낭(Penang)을 점령하면서 말레이시아 지역은 20세기 초까지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연방(Malayan Union)이 대영제국에서 독립하였음. 말레이시아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천연 자원에 거의 의존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과학, 관광, 무역, 의료관광 등의 산업이 성장하고 있음

1) 2014 세계 국가편람,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2)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국가정보3) 조호르 주(Johor), 크다 주(Kedah), 클란탄 주(Kelantan), 믈라카 주(Melaka), 느그리슴빌란 주(Negeri

Sembilan), 파항 주(Pahang), 페락 주(Perak), 프를리스 주(Perlis), 풀라우피낭 주(Pulau Pinang), 슬랑오르 주(Selangor), 트렝가누 주(Terengganu), 사바 주(Sabah), 사라왁 주(Sarawak)

4)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 라부안

[그림 1] 말레이시아 지도

Page 3: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2 -

기후 일 년 내내 고온 다습한 열대 우림 기후. 하루에 한번 씩 오후에 열대성 소나기 스콜이 자주 발생함. 몬순 영향으로 강우량에 따라 건기와 우기로 나눌 수 있는데 반도 동해안은 11~1월 사이가 강우량이 많고, 6~7월이 가장 건조한 편인 반면 반도 나머지 지역은 10~11월과 4~5월에 가장 많은 비가 내리고, 1~2월과 6~7월은 비가 적게 오는 것이 특징임. 최근에는 환경변화에 따른 기상 이변으로 건기 및 우기의 구별이 예전만큼 뚜렷하지 않음통화5) 링깃(MYR)이라는 화폐단위를 사용. 2013년 평균 0.3달러(347.78원)이며 최근 환율은 1링깃에 0.31달러(318.96원)임비즈니스 매너 이슬람 문화권 국가임에 따라 ‘라마단’ 기간 동안에는 해가 지기 전까지 식사와 물을 피하는 것이 좋음. 라마단 기간이 끝난 직후 ‘하리라야’ 라는 말레이시아 최대의 명절을 지니는데 이 기간에는 우리나라와 같이 고향으로의 집단 인구 이동 현상이 발생하여 동 기간 전후의 일주일은 말레이시아 방문 출장을 피하는 것이 좋음. 이슬람교도와 식사할 때에는 돼지고기 금식할 것. 사원에 들어갈 때에는 신발을 벗을 것말레이시아의 전압은 우리나라와 다른 230V, 주파수는 50Hz임. 제품에 따라 혼용이 되는 지 확인이 필요함. 왼손을 부정하게 사용함에 따라 악수를 하거나 물건을 받을 때는 오른손 이용. 머리를 신성하게 여기므로 어린이의 머리를 쓰다듬거나 만지지 말 것. 일부다처제가 많으니 가족관계에 대한 화제는 가능한 피할 것말레이시아인들이 보는 명함상의 지위는 의사결정력, 비즈니스 경험 등을 나타내는 척도로 인식하여 비즈니스 거래를 위한 신뢰도와 연결 지어 생각함. 말레이시아에서 사장에 대한 영문 명칭에 있어 President라는 명칭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보통 Managing Direct로 명기함. Director 또는 General Manager 정도의 지위를 갖고 있으면 어느 정도 의사결정이 가능한 수준임

5) 외환은행, 환율정보(http://www.keb.co.kr/)

Page 4: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3 -

1.2. 경제 및 사회적 특성

『산업구조, 사회적 문제점, 경제지표, 경제현황, 경제전망』

말레이시아는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또한 1인당 GDP도 2011년 16,400달러, 2012년 17,000달러, 2013년 17,500달러로 꾸준히 증가 추세임

산업 구조6) 서비스업 46.8%, 제조업 41.2%, 농업 12.0%사회 현황 총 인구수에 비해 교역 규모가 크고 비즈니스 환경이 양호하여 각 분야에 세계적 우수 업체가 진출하여 경쟁 중임. 특히 1980년대 중반 이후 외국인 투자 유치 정책으로 5,000여개 다국적 기업이 진출하여 전기전자 등 공산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품질 및 가격경쟁이 치열함사회적 문제점 현지 진출 외국기업 및 현지기업이 대부분 완제품 조립 산업 위주의 제조활동을 하기 때문에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자본재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임

6) 2014 세계 국가편람,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GDP(purchasing power parity) $525 billion

GDP(official exchange rate) $312.4 billion

GDP(real growth rate) 4.7%

GDP - per capita(PPP) $17,500

Inflation rate(consumer prices) 2.2%

Current account balance $16.67 billion

Exports $230.7 billion

Imports $192.9 billion

(출처 : The world factbook)

『 ’12년 1인당 GDP 17,000

달러

’13년 1인당 GDP 17,500

달러

점차 증가 추세』

[표 1] 말레이시아 주요 경제지표(2013년 추정치)

Page 5: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4 -

경제적 특징7) 석유가스, 고무, 목재, 주석 등 자원 산업의 기반이 튼튼하여 국외 상황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기초를 보유함. 또한 1980년대부터 제조업 기반 확충에 주력하여 전기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화학제품 및 철강분야의 제조업에 기반을 마련함. 말레이시아 정부는 ‘비전 2020’이라는 장기발전전략과 5년 단위의 중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경제발전을 추구함주요 교역 현황8)

수출품 : 전기전자제품 34%, 석유 및 제품 9.9%, 팜오일 9.3%, 화학제품 6.9%, 기계 3.4%, 금속 3.0% 등수출국 : 싱가폴 13.3%, 중국 12.5%, 일본 10.5%, 미국 9.5%, 태국 5.3%, 홍콩 5.1%, 독일 2.7% 등수입품 : 전기전자제품 31.2%, 석유 및 제품 10.1%, 화학제품 9.2%, 기계 8.0%, 금속 5.9%, 수송제조장비 5.1%, 철강제품 4.3% 등수입국 : 일본 12.6%, 중국 12.6%, 싱가폴 11.6%, 미국 10.6%, 태국 6.2%, 독일 4.0% 등경제 현황9)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 안정된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말레이시아 링깃은 2013년 6월까지 중순까지 전반적인 강세를 유지해 왔음. 그러나 2013년 6월부터 링깃이 달러 대비 약세를 시현하기 시작함경제 전망10) 홍콩상하이은행(Hongkong and Shanghai Banking Corporation,HSCB), 골드만삭스, 말레이시아은행(MayBank) 등 주요 금융기관들은 링깃의 약세를 예상하고 있음. 말레이시아 경제는 수출부진에도 불구하고 국내 수요가 건실한 모습을 지속함에 따라 2013년 2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률(2013년 1분기 성장률 : 4.1%)을 기록함

7) 말레이시아 개황, 2009, 외교통상부8) Market Watch 2012, AHK Malaysia9),10) 글로벌 윈도우(http://www/globalwindow.org), 코트라

『건실한 자원산업 기반

2013년 수출 부진에도 불구,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함

그러나 2013년 6월 이후

지속적 링깃 약세 예상』

Page 6: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5 -

2 환경 조직 및 정책

2.1. 환경 행정조직 및 체계

『환경조직, 환경 총괄, 환경 권한위임 기관』

【 주요 환경 조직 】§ 환경 총괄 : 연방정부§ 환경 권한위임 기관 : 환경 행정조직은 에너지·녹색기술·수자

원부, 천연자원 및 환경부, 건강부, 재정부 총 4개의 부처로 나뉘며 각각의 역할이 다름

Ÿ 말레이시아의 환경행정조직은 연방정부 하위의 에너지·녹색기술·수자원부(Ministry of Energy Green Technology and Water, KeTTHA), 천연자원·환경부(Ministry of National Resources and Environment, MoNRE), 보건부(Ministry of Health, MOH), 재정부(Ministry of Finance, MOF)로 총 4개의 부처로 나뉨

『환경행정조직의 총괄 기관은

연방정부

그 아래 에너지·녹색기술·

수자원부, 천연자원 및

환경부, 건강부, 재정부로 총 4개의 부처가 각각의 역할을

담당함』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림 2] 말레이시아 환경행정 조직도

Page 7: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6 -

에너지·녹색기술·수자원부Ÿ 연방정부 수준에서 수처리 및 폐수처리 서비스를 담당함.

특히, 규제정책, 요금체계, 물 산업 서비스의 질에 관한 표준 등을 수립함

Ÿ 에너지·녹식기술·수자원부 산하에 국가 수자원 서비스 위원회(SPAN), 수자원 공급부(JBA), 하폐수서비스부(JPP)가 있음

천연자원·환경부Ÿ 수자원 보존, 관개 및 배수 처리를 담당함. 산하에 국가수자원

위원회(NWRC), 관개 및 배수관리부(DID), 환경부(DOE), 국가 수압 연구부(NAHRIM)가 있음

Ÿ 환경부에서는 개발부와 운영부로 나뉘어 업무가 운영되고 있음Ÿ 개발부에서는 수자원 평가 및 전략구축 업무를 담당하며,

운영부에서는 해양대기, 유해물질, 행정 및 금융 등에 대한 관리를 담당함

보건부Ÿ 주로 수질 관리를 총괄 관리함재정부 Ÿ 환경 관련 공공기관을 총괄 관리함

Page 8: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7 -

2.2. 환경법 및 규제 현황

『말레이시아의 환경법, 환경질법, 토지보전법, 지역정부법, 국가산림법, 수자원법』

【 주요 환경법 현황 】§ 환경질법(Environmental Quality Act, 1974)§ 수자원법(Water Enactment Act, 1979)§ 토지보전법(Land Conservation Act, 1960)§ 국가산림법(National Forestry Act, 1984)

환경질법(Environmental Quality Act, 1974 제정)Ÿ 환경의 질 개선을 위해 관련 계획 및 정책 수립을 제정한

국가법Ÿ 1974년 제정되었으며, 하위 법령으로 지방정부법

(The Local Government Act, 1976)이 있음Ÿ 지방정부법은 지방자치단체의 법률 및 규칙, 관할 지역의

무역 허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음Ÿ 국가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 틀을 규정하는 기본법으로

행정조직의 구성 및 관리, 등록 및 허가, 오염의 관리 및 규제, 지정폐기물의 관리, 환경세 및 환경기금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수자원법(Water Enactment Act, 1979)Ÿ 하천에 소유권 및 하천 제방의 복원, 오염규제, 벌금

등 수자원의 운영 및 오염 방지 규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

『1974년 ‘환경질법’

제정을 통해 국가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 틀 마련』

Page 9: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8 -

기타 환경 관련법Ÿ 토지보전법(Land Conservation Act, 1960) - 구릉지, 토사 및 부식 토양의 정의 및 관리, 규제, 벌금에

대한 토지의 운영 및 오염 방지 규제 내용을 담고 있음Ÿ 국가산림법(National Forestry Act, 1984) - 영구보존산림의 구성 및 분류, 산림의 관리 및 개발, 산림 보전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

2.3. 주요 환경정책 및 프로그램

『경제적인센티브 제도, 그린 비즈니스 프로그램, 그린 라벨링 프로그램,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 국가수자원정책(NWRP)』

【 주요 환경정책 프로그램 】§ 물 산업 관련 정책 - 제10차 말레이사아 계획(2011년~2015년) : 지속 가능한 물

공급을 위하여 물 자원관리 방안을 재평가함 - 국가수자원정책(NWRP) : 물의 가용성 및 품질 유지, 대체수

자원 보호, 협력프레임워크 개발 등의 계획

§ 경제적 인센티브제도 - 환경관리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환경개선 관련 활동에

인센티브를 제공함

§ 그린 비즈니스 프로그램 - 산업계 인식강화, 금융지원활성화, 세계시장 진출 환경 조성을

위한 계획 수립

§ 그린라벨링 프로그램 - 녹색기술 라벨의 평가 및 표준 개발을 위한 계획 수립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

지속가능한 물 공급 개발을

위하여 수자원 관리 재평가 및 장기적인 수자원

계획 수립』

Page 10: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9 -

물 산업 관련 정책Ÿ 말레이시아 정부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수자원을 달성

하는 것을 목표로 통합된 전략적 접근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으며, 그 전략의 가장 큰 윤곽은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임

Ÿ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에서 정부에 의해 해결되어야 하는 주요 문제는 지속가능한 물 공급을 개발하기 위하여 물 순환을 통하여 물 자원 관리를 재평가 하는 것임.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가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 동안 해결해야 하는 목표는 아래 세 가지 영역임① 물 안보를 달성하기 위한 물 자원 관리를 위한 장기 전략② 물 산업의 구조조정 완료 ③ 오염 하천의 보호

Ÿ 세부 계획으로는 2012년에 제정된 ‘국가 수자원 정책’이 있음. 이는 물 분야의 포괄적인 정책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수자원의 안보와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음① 수자원 안보 : 이는 물 자원의 가용성과 품질을 유지하

기 위한 모든 조치사항을 포함함. 이는 수자원 정보 시스템에서 수자원의 보존과 다른 수자원 사용의 개발 계획에 이르기까지 다양함

② 수자원 지속가능성 : 이는 현재와 미래 수자원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한 모든 수단을 포함함. 이러한 조치에는 대체수자원 및 수자원의 보호방안이 포함되어 있음

『‘국가 수자원정책(NWRP)’

수자원 안보, 지속가능성 유지

및 공동정책 개발』

Page 11: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0 -

③ 공동 정책 : 국가 수자원 정책의 방향과 목표에 효과적인 통합 관리를 달성하기 위해 이해 관계자들 사이의 협력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는 것을 포함함

Ÿ 국가 수자원 정책은 선진국의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추구하는 말레이시아 정부의 프로그램인 “비전 2020”을 지원하고 있으며, 물 부문에 대한 비전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음① 국민을 위한 수자원② 식량자원과 지방지역의 개발을 위한 수자원③ 경제발전을 위한 수자원④ 환경을 위한 수자원

경제적 인센티브 제도Ÿ 말레이시아는 환경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활동에 경제적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① 에너지 절약 활동② 재생에너지 자원을 활용하는 활동③ 자가소비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 ④ 조림사업 활동⑤ 폐기물 재활용 활동⑥ 저장, 처리, 독성 및 유해폐기물의 처리 활동⑦ 환경경영 가속화를 위한 자본할당⑧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수입 관세 및 소비세 면제⑨ 천연가스 자동차 사용

『말레이시아 기업 및 개인의 환경관리능력 향상을 위하여

환경개선 활동에 대한 투자 및

금융지원 활성화』

Page 12: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1 -

⑩ 녹색기술 금융제도 ⑪

그린 비즈니스 프로그램Ÿ 녹색기술 및 기후변화산업에 대하여 말레이시아 국제교류

및 산업부 실무위원회에 의해 합의된 목표는 아래와 같음① 모든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저탄소 성장 및 자원효율성에 대한

산업계 인식 강화② 특정 인센티브를 통하여 서비스 분야를 포함한 저탄소 및 자원 효

율적인 산업에 대한 투자 및 금융지원 활성화③ 수출 프로모션을 통하여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된 환경 친화적

인 제품 및 서비스의 세계시장 진출 조성④ 녹색 기술 향상을 위한 계획 및 전략을 채택하기를 장려함⑤ 녹색 기술의 개발과 타 국가로의 기술이전(transfer)을 통하여 국제

협력을 강화시킴⑥ 기후변화, 녹색기술의 계획과 전략의 모니터링 및 평가를 진행함

그린 라벨링 프로그램Ÿ 에너지녹색기술 및 수자원부에서 예산이 지원되며 녹색기술

라벨의 평가 및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임Ÿ 시범 프로그램은 인프라 확립, 국가 그린 조달정책

(National Green Procurement Policy, GPP) 및 에코라벨링 프로그램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형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음

『녹색기술의 평가 및

표준개발을 위한 그린라벨링

프로그램 지원』

『녹색기술 및 기후변화 산업 강화를 위한 그린비즈니스

프로그램 지원』

Page 13: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2 -

【 환경시장 현황 】§ 2020년 경 선진국의 대열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급속한 산업화와 증가하는 인구로 인하여 폐기물 처리, 해수

오염 등의 다양한 환경 문제를 겪고 있음【 주요 환경 문제 】

§ 오래된 인프라시설로 인하여 물 공급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낮음 § 하수처리장의 폐기물, 제조업 활동, 가축사육 등으로 인한 해양

수질 오염§ 낮은 재활용 비율, 고형폐기물의 관리 및 매립장의 부족

3 환경 시장 및 환경산업 동향

3.1. 환경 시장 개요11)

『비전 2020,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현황, 말레이시아 주요 환경 문제,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

Ÿ 말레이시아의 경우, 타 국가에 비해 환경 문제에 있어서 상당한 진전을 이룬 편임. 2010년 말레이시아의 환경지수는 163개국 중 54위에 달하였음. 이는 폴란드, 미국, 벨기에와 같은 나라보다 더 우수한 실적이었음

Ÿ 그러나 지난 10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인하여 대기오염, 유해 공동 폐기물의 처리, 산림 벌채, 내륙의 오염 및 해수 오염, 토양 및 해양 침식 등의 많은 문제를 직면하였음

Ÿ 말레이시아의 주요 환경 문제점으로는 오래된 시설로 인하여 무수익수량(Non-Revenue Water, NRW)의 평균 비율이 36.7%(2012년 기준)으로 높은 편임에 따라 수자원 공급 효율이 낮다는 것과 지표수의 오염 정도가 심각하다는 것임- 2012년 기준, 태국의 무수익수량은 34%, 한국 25%, 일본

8.0%, 싱가폴 4.0% 정도임

11) Market Watch 2012, AHK Malaysia

『인프라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NWR의 높은

비율, 해양지표수의

오염, 폐기물의 처리 등이

주요한 환경문제』

Page 14: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3 -

- 무수익수량의 비율은 수공급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연관이 있음. 무수익수량의 비율은 각 지역별로 상이하나, 프를리스 주, 파항주, 클란탄주와 사바주가 50% 이상으로 높은 편이며, 풀라우피낭, 라부안, 믈라카주는 낮은 편임

- 말레이시아 수자원의 공급 효율성이 낮은 이유로는 물리적인 손실 21.9%와 상업적 손실 14.7%로 나누어 볼 수 있음. 물리적 손실은 파이프의 손상, 또는 누출 등이 있으며 사업적 손실의 예로는 수도계량기의 불확실성 등이 있음

- 말레이시아 물 공급의 90%가 하천 지표수를 활용함에 따라 지표수의 오염은 심각한 문제이며, 그 원인으로는 하수처리장의 폐기물, 제조업활동, 가축사육, 농식품산업 활동 등이 있음

[표 2] 수자원 공급 시스템 용량 및 NRW 전망(2012년 기준)

지역

물공급

용량

(백만

m3/yr)

실제 물

소비량

(백만 m3/yr)

NRW

(백만

m3/yr)

NRW

(%)

슬랑오르 주 1,503.63 1,017.75 485.88 32.3

조호르 주 546.68 387.18 159.50 29.2

크다 주 447.44 233.76 213.68 47.8

페락 주 404.76 281.73 123.03 30.4

사라왁 주 395.32 274.60 120.72 30.5

파항 주 393.94 172.59 221.35 56.0

사바 주 361.00 177.17 183.83 50.9

풀라우피낭 주 347.12 283.16 63.96 18.4

느그리슴빌란 주 270.73 150.11 120.62 44.6

트렝가누 주 215.17 135.51 79.66 37.0

믈라카 주 166.04 124.43 41.61 25.1

크다 주 147.05 65.21 81.84 55.6

프를리스 주 66.04 26.54 39.50 59.8

라부안 주 19.31 15.07 4.24 21.9

Total 5,284.24 3,344.81 1,939.43 36.7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프를리스주, 파항주,

클란탄주와 사바주가 50%

이상으로 NRW의 비율이

높은 편』

Page 15: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4 -

구분시장규모

(RM $ million)기업 수

설비

수자원 설비 및 화학물질 950 200

대기오염 제어 설비 180 80

모니터링시스템 설비 170 60

폐기물 관리 설비 300 140

서비스

고형폐기물 관리 1,800 100

유해폐기물 관리 150 100

컨설팅 및 엔지니어링 340 290

폐수처리 1,130 400

상수도 관리 2,560 200

환경설비 및 서비스 7,800 2,710

Ÿ 또한 급속한 성장과 빠른 인구증가로 인하여 늘어나는 폐기물의 처리와 대기질의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환경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정부차원에서 이에 대한 투자를 늘려가고 있음

Ÿ 제9차 말레이시아 계획(2006년~2010년)에서 정부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고, 환경 보존력을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기 위한 예방조치에 중점을 두고 있음

Ÿ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2011년~2015년)에서 정부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환경의 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을 수립하였음.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에는 국가의 환경문제 개선을 위하여 소비자와 산업을 상대로 새로운 법률 및 인센티브를 소개하고 있음

Ÿ 또한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특히 태양광 기술 분야에 투자하고 있음

Ÿ 구체적인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 규모는 [표 3]과 같음

(출처 : The Global Environmental Market, 2013)

[표 3] 환경산업 규모(2010년 기준)

Page 16: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5 -

【 물 산업 시장 】§ 현황 : 인구증가로 인하여 새로운 물 공급 인프라 구축이 필요

함에 따라 물공급 프로젝트에 집중적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전망 : 말레이시아 수자원 목표는 2020년까지 선진국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임에 따라 정수 및 폐수 두 개의 분야 모두 발전 가능성이 큼

3.2. 물 산업 분야12)

『말레이시아 민영화, 공영화, 말레이시아의 수처리, 공급 인프라 구축, 해수담수화 플랜트 산업, 시장진출기회』

현황물 산업 시장구조Ÿ 말레이시아에서 물산업이 잘 발달된 것은 민영화, 공영

화, 재민영화의 반복으로부터 기인하였음Ÿ 1980년대와 90년대 일부 정수 및 폐수 시스템은 외국

기업에 민영화 되었으나 점진적으로 거의 모든 시스템이 다시 지역정부 관리시스템으로 복원되었음

물 공급 현황Ÿ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의 주요 목표가 물 공급 시스템

을 개발하는 것임에 따라 물 공급 프로젝트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물 공급 관련 프로젝트 현황은 아래 [표 4]과 같음. 또한 2013년 기준, 대형 프로젝트가 진행 예정(입찰단계)에 있으며, 대부분 슬랑오르주 지역 프로젝트에 해당함

12) Global Water Market:Middle East and Asia Pacific, 2014, Media Analytics Ltd.,

『민영화와 공영화로 인하여

물산업 발전

2020년까지 선진국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 목표』

Page 17: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6 -

물 처리 현황Ÿ 2011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약 461개의 WTP가 존재하며

설계용량은 약1,742만m3/일이고, 실제 수처리 용량은 약 1,460만m3/일 임

[표 4] 제10차 말레이시아 계획의 물 공급 프로젝트 현황(2011년 기준)

사업 종류 프로젝트 수총 금액

(백만 MRY)

건설 및 물 공급시스템의

개보수34 905.97

NRW 개선 17 333.32

개발 및 수자원 보존 10 339.95

물 서비스 산업에 대한

인식제고2 15.50

총 합계 63 1,594.74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표 5] 말레이시아의 지역별 수처리 용량(2011년 기준)

지역 WTP수 설계용량(m3/d)실제

수처리용량(m3/d)

클란탄주 32 405,000 403,000

크다주 33 1,251,000 1,237,000

느그리슴빌란주 22 790,000 742,000

슬랑오르주 33 4,477,000 4,143,000

믈라카주 8 506,000 455,000

파항주 76 1,203,000 1,079,000

사바주 51 1,107,000 989,000

조호르주 44 1,787,000 1,528,000

사라왁주 84 1,459,000 1,083,000

풀라우피낭주 10 1,387,000 951,000

플루리스주 5 289,000 191,000

트렝가누주 13 923,000 599,000

페락주 46 1,740,000 1,109,000

라부안주 4 98,000 54,000

합계 461 17,422,000 14,563,000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Page 18: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7 -

해수담수화 현황Ÿ 말레이시아의 해수담수화 플랜트는 5,000m3/일의 비교적

적은 용량임. 국가의 해수담수화 플랜트는 산업 목적으로 사용하며, 말레이시아에서 총 담수 용량은 38,350m3/일정도임

시장진출 기회물 공급 분야 진출 기회Ÿ 수처리 용량은 1981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2011

년 2.5백만m3/일에서 17.4백만m3/일으로 성장함) 증가하는 인구에게 안정적인 수자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새로운 인프라가 요구되고 있음

Ÿ 가장 높은 인구밀도와 많은 물 소비로 유명한 슬랑오르 주(Selangor)지역은, 증가하는 물수요 및 물관리에 대한 복잡한 상황으로 인하여 이미 수자원 위기에 직면해 있음. 이 지역에서는 주정부와 연방정부, 개인소유 수도 회사인 Syarikat Bekalan Air Selangor Sdn Bhd (SYABAS) 사이에 오랜 기간 분쟁이 있어왔음. SYABAS는 이 지역의 물 공급 서비스에 대한 30년간의 사업권을 가지고 있으며, 주정부의 자산취득에 대한 다양한 제안을 거절해 오고 있음. 이러한 장기간의 의견충돌로 인하여 필요한 투자가 지연되고 있으며, 슬랑오르 주, 쿠알라룸프르, 푸트라자야 지역에 대한 물 공급 서비스가 중단되기도 하였음

물 처리 분야 진출 기회Ÿ 말레이시아의 수자원분야 목표는 2020년까지 선진국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정수 및 폐수 두 개의 분야 모두 향후 계속하여 발전할 것임. 특히, 물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수처리 플랜트의 건설은 국가의 증가하는 수처리 용량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요구됨

『증가하는 수처리 용량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WTP건설에

대하여 42백만 링깃 투자

전망』

Page 19: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8 -

Ÿ 이러한 수처리 플랜트의 개발을 위하여 2050년까지 필요한 예상 자본은 42,075백만링깃 정도임

Ÿ 따라서 새로운 수처리 플랜트 건설을 위하여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될 것이며, 이로 인하여 수자원 공급 네트워크가 대체되고 확장될 것으로 전망됨. 모든 프로젝트가 구현된다면 약 1,450만m3/일의 용량이 추가적으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됨. 총 프로젝트의 약 40%는 제10차 말레이시아 기간에 실현될 것임

전망Ÿ 물 분야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계속하여 지출이 예상되

며 2020년까지 선진국의 상태 달성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꾸준한 성장이 기대됨

년도 WTP용량(m3/d) 프로젝트수비용

(백만 MYR)

2010년~2015년 5,907,000 128 16,709

2016년~2020년 2,166,000 59 6,518

2021년~2025년 1,262,000 33 4,136

2026년~2030년 1,950,000 31 3,921

2031년~2035년 923,000 25 3,117

2036년~2040년 1,885,000 38 6,591

2041년~2045년 380,000 12 1,083

합계 14,473,000 326 42,075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표 6] 물 공급 프로젝트와 비용 예측(2011년 기준)

『말레이시아 공공 식수 및

폐수처리의 투자 금액 증가 추세

공공 식수 2018년 약 9억

달러, 공공폐수처리 약 10억 달러 이상 달할 것 전망』

Page 20: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19 -

Ÿ [그림 3]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공공 식수의 투자 금액은 점차 증가할 것이며, 2018년 약 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며, 대부분의 투자가 수처리 플랜트 건설 및 물 공급 네트워크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됨

Ÿ [그림 4]에 따르면 공공 폐수처리 투자 금액은 증가할 것이며, 2018년 약 10억 달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폐수처리 분야도 공공 식수 분야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투자가 수처리 플랜트 건설 및 물 공급 네트워크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됨. 슬러지 관리의 경우 해당 투자 금액 비율은 낮으나, 지속적으로 투자 금액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음

수처리 시설

배수관망분야

수자원분야(담수화)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래프 재구성)

[그림 3] 공공 식수 자본 지출 전망(2011년 기준)

폐수처리시설

폐수관망분야

슬러지 관리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래프 재구성)

[그림 4] 공공폐수처리 자본 지출 전망(2011년 기준)

Page 21: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20 -

Ÿ [그림 5]에 따르면 수자원분야의 투자시장 규모는 약 28억 달러이고 운영비용의 63.5%는 물 설비 구축이 차지하고 있으며, 폐수 처리 관련 사업이 약 33.3%를 차지함

[그림 5] 물산업 분야 운영 및 지출 비용 현황(2013년 기준)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래프 재구성)

Page 22: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21 -

【 폐기물산업 시장 】§ 현황 : 고형폐기물의 양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 소각되며

재활용의 비율이 현저히 낮음§ 전망 : 매립지 건설, 고형폐기물 관리를 위한 국가전략계획

수립 등 폐기물 관리를 위한 방안을 계획·추진 중임에 따라 폐기물 관련 산업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전망

3.3. 폐기물 분야13)

『말레이시아 폐기물 산업현황, 폐기물 처리 공급 인프라 구축, 시장진출현황』

현황 Ÿ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형 폐기물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음. 대표적으로 말레이시아 반도에서는 고형 폐기물의 양이 2002년 17,000톤/일에서 2005년 19,100톤/일로 평균 1인당 0.8kg/일 증가하였음

Ÿ 고형 폐기물의 발생은 2020년 30,000톤/일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폐기물은 플라스틱과 같은 난분해성 물질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폐기물 구성은 아래와 같음① 음식물 : 45% ② 플라스틱 : 24%③ 종이 : 7%④ 철 광물 : 6%⑤ 기타 : 18%

Ÿ 수집된 폐기물의 96%는 폐기처분 매립지로 이동하고 나머지 폐기물은 소형 소각설비로 이동됨. 또한 수집된 폐기물의 단 5%만 재활용 되고 있으나, 정부는 2020년까지 22% 재활용 비율을 늘릴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13) The Global Environmental Market, 2013, Environmental Business International, Inc.

『2007년, 국가 차원에서

국가전략계획 수립

폐기물 매립장 부재로 시장진출

기회 존재』

Page 23: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22 -

시장진출 기회 Ÿ 말레이시아는 대부분의 개발도상국과 마찬가지로 폐기

물의 발생과 처리에 관련된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 재활용 비율은 아직 낮으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가 재활용 활동을 수행하거나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을 장려하고 있음에 따라 현지 시장 진출의 기회가 있음

Ÿ 2007년 6월, 정부에서는 ‘고형폐기물 관리를 위한 국가전략계획’을 채택하였음. 이 계획은 통합된 물질 회수 시설과 새로운 위생 매립지의 건설을 강조하고 있음

Ÿ 말레이시아는 2007년 4월 기준, 291개의 매립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112개는 운영이 중단되었으며, 179개만 운영 중 임. 이에 정부는 ‘비위생적인 매립지’의 정비사업 및 새로운 매립지 건설 사업을 계획하였음

전망 Ÿ 폐기물 관리 시장에서는 매립지의 복원사업, 매립시설

및 재활용 기술 등에 대하여 꾸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Ÿ 매립지 건설, 고형폐기물 관리를 위한 폐기물 관련 국가전략계획 수립 등 폐기물 관리를 위한 방안을 계획·추진 중임에 따라 매립지 건설, 고형폐기물 관리를 위한 사업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효율적인 폐기물 처리를

위하여

기존의 매립지 정비 및 새로운

매립지 건설사업 계획』

Page 24: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23 -

4 환경 시장 진출 방안

4.1. 진출 여건 분석

【 우리나라와의 교역 규모 】§ 2013년 수출 : 69억2,400만 달러 (전년 대비 13.5% 증가)§ 2013년 수입 : 88억3,300만 달러 (전년대비 8.2% 증가)

【 환경 시장 진출 수요 】§ 물 공급 서비스의 확장, 식수 수질 관리, 물 산업 서비스

질을 위한 표준 제정, 재활용 기술 및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매립지 정비사업 등에 대한 수요 존재

우리나라와의 교역 규모14)

Ÿ 우리나라는 2013년 10월 기준, 말레이시아 수출 69억 2,400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2012년 대비 13.5%증가한 수치임. 또한 수입은 88억3,300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8.2% 늘어남

Ÿ 2012년 수출은 77억2,300만 달러를 기록하여 2011년 대비 23.1% 증가하였으며 2012년의 말레이시아 수입은 97억9,600만 달러를 기록하여 2011년 대비 6.4% 감소하였음. 최근 5년간 교역량은 경제위기의 여파가 컸던 2009년을 제외하면 꾸준히 성장해오고 있음

환경 시장진출 기회 종합분석Ÿ 말레이시아는 이미 다양한 외국 기업의 투자유치 정책으로

다국적 기업이 진출하였음Ÿ 물 및 폐기물 처리, 대기오염, 산림 벌채, 내륙의 오염 및

해수 오염, 토양침식 등 많은 환경 문제에 직면하였고 이에 대한 투자가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됨

Ÿ 환경 정책수립 및 인센티브 제공 등에 따라 현지 업체와 새로운 시장 진입자의 협력진출을 통한 접근이 용이함

14) 글로벌 윈도우(http://www/globalwindow.org), 코트라

『우리나라와의 교역 규모 증가

추세

로컬 사업자와 새로운 시장

진입자의 협력진출을 통한

접근 용이』

Page 25: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24 -

진출 여건 – 수요 분석 Ÿ 물 산업 : 슬랑오르 주 지역에서 수자원 공급 네트워크

부족으로 인하여 새로운 인프라 구축 수요가 존재함. 또한 물 공급 서비스의 확장, 식수 수질 관리, 물산업 서비스의 질을 위한 표준 제정 등의 수요 발생함

Ÿ 폐기물 산업 : 국가적 차원에서 매립지 정비사업을 계획 중 임에 따라 이에 대한 수요가 발생함. 또한 재활용 비율이 현저히 낮음에 따라 재활용 기술 및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 담당자의 역량 제고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

4.2. 시장 진입 전략

전략 1) 자금 활용국내 활용 가능한 인센티브 제도가 다수 존재함에 따라 이를 활용한 초기 시장 진입 방안 모색사업 환경이 열악함에 따라 국내 중소기업이 투자하기에 위험요소가 많은 편임. 사업 발굴 시 정부기관의 관련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지원 사업을 활용하여 예비타당성조사사업을 진행하는 등 해당 사업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여 진출함국내 관련 프로그램으로는 환경부의 개도국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지원사업, 해외 환경프로젝트 타당성조사 지원사업, 해외 실증화 및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환경기술 수출사업, 환경기업 수출 컨설팅 기능 강화사업, 녹색 ODA 확산을 통한 환경시장 창출사업, 국제개발은행을 활용한 환경산업 진출 영역 확대 사업, 환경산업 해외시장 개척단 파견사업, 해외 환경산업협력센터를 통한 지역거점 확보사업 등이 있음국제원조자금 사업 입찰 또는 국내 ODA자금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주 등을 통하여 진출하는 것도 적절한 방안인 것으로 평가됨

『물 공급 서비스의 확장, 식수 수질 관리,

물 산업 서비스의 질을

위한 표준 제정, 재활용 기술 및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매립지 정비사업 등에 대한 수요가

존재』

Page 26: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말레이시아

- 25 -

전략 2) 우선 진출 지역말레이시아 정부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물 공급 분야에 대하여 수요가 가장 높은 슬랑오르 주 지역 및 발전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도시를 대상으로 진출 지역 선정함전략 3) 우선 진출 시장매립지의 정비, 재활용 관리 서비스, 물 공급 인프라 구축, 수처리플랜트건설 등에 대한 시장 진출 계획 수립함

Page 27: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tradenavi.or.kr/CmsWeb/resource/attach/report/[784]2014... · 2014. 9. 4. · 외세의 지배를 받았음.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참 고 용어/약어 정의

1. GDP(국내총생산) : 국내에 거주하는 비거주자(외국인)에게 지불되는 소득과 국내 거주자가 외국에 용역을 제공함으로써 수취한 소득을 포함하여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

2. GDP(purchasing power parity, 구매력평가지수) : 각 국가의 물가 수준을 고려하여 산출한 GDP

3. GDP(official exchange rate): 공식 환율 GDP4. GDP(real growth rate) : 실질 GDP 성장률

참 고 참고 문헌

1. 말레이시아 개황, 2009, 외교통상부2. 세계 국가편람, 2014,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3. Market Watch 2012, AHK Malaysia4. Global Water Market:Middle East and Asia Pacific, 2014, Media

Analytics Ltd.,5.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Market in Indonesia, Malaysia,

the Philippines, 2013, Frost Sullivan6. The Global Environmental Market, 2013, Environmental Business

Internationa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