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294
보고서 사업명 환경보건학적 유해미생물관리 및 위해성 평가체계 구축 주관연구기관: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공동연구기관: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공동연구기관: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공동연구기관: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공동연구기관: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공동연구기관:아이티스텐다드 책임연구원:고광표 공동연구원:김상종 공동연구원:고관수 공동연구원:용태순 공동연구원:고상백 공동연구원:신호준 공동연구원:유병천

Transcript of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Page 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보 고 서

사업명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 리

해성 평가체계 구축

주 연구기 :서울 학교 보건 학원

공동연구기 :서울 학교 생명과학부

공동연구기 :성균 학교 의과 학

공동연구기 :연세 학교 의과 학

공동연구기 :아주 학교 의과 학

공동연구기 :아이티스텐다드

책임연구원:고 표

공동연구원:김상종

공동연구원:고 수

공동연구원:용태순

공동연구원:고상백

공동연구원:신호

공동연구원:유병천

Page 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 리 해성 평가체계 구축”

에 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1

주 연구기 :서울 학교 보건 학원

공동연구기 :서울 학교 생명과학부

공동연구기 :성균 학교 의과 학

공동연구기 :연세 학교 의과 학

공동연구기 :아주 학교 의과 학

공동연구기 :아이티스텐다드

책임연구원:고 표

공동연구원:김상종

공동연구원:고 수

공동연구원:용태순

공동연구원:고상백

공동연구원:신호

공동연구원:유병천

Page 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Page 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I -

요 약 문

1.연구의 목

환경보건학 으로 유해한 미생물에 한 리시스템과 국내실정에 맞는 해

성평가체계 기반을 마련하여 산업,경제,문화 다양성 기후변화에 응하고

자 함.

2.연구의 필요성

최근 들어 산업 문화가 다양하게 발 하여 새로운 생활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 기후변화로 인해 이 에는 문제가 되지 않던 각종 질병이 유행하여

사회 문제가 되고 있으며,앞으로도 이러한 상은 더욱 심각한 문제를 불러

올 수 있다.

인간은 필연 으로 기,수질,식품 등의 다양한 환경 매체에 하여 살아가

야 하며,생명 상의 유지를 해서는 에 지(energy)와 양분(nutrient)을 호흡

이나 음식물의 섭취 등으로 주 환경으로부터 제공받아야 한다.이러한 환경

매체에는 에 보이지 않는 작은 미생물이 존재하며,그 일부는 인체에서 각

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미생물이다.따라서 행복한 삶과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해서는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유해미생물에 한 정보의 수집하고 국

내실정에 합한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등 유해미생물에

한 한 리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3.연구내용

가.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1)외국에서 리 상으로 지정하고 있는 세균들의 특성에 해서 조사

2)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 수집 정리

3) 리 상 미생물 분석방법 제시

4)표 양식에 따른 수집정보 규격화

나. 리 상 미생물의 국내 출 실태조사

1)실내 실외의 기 세균,곰팡이 등 부유미생물 조사

2)지표 세균 수인성 장 계 바이러스 조사연구

3)KONSAR KONSID의조사자료를통하여국내에서의각종병원균의출 실태조사

4)침 사용여부에 따라 침 이불,방바닥,부엌 등의 진드기 조사

5)냉각탑,하천, 즈보 용기 등의 원생동물(가시아메바)조사

Page 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II -

다.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노출평가 용량반응 평가에 한 방법론을 제시하고,국내외 사례를 검토한

다.선행연구를 토 로 Monte-Carlosimulation을 수행해 보고,향후 우리나라에

합한 미생물 해성 평가 방법론을 정리한다.

라.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존의 국내,국외 자료 본 연구에서의 국내출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데

이터베이스를 구축하 다.

4.연구방법

가.환경보건학 유해 미생물의 리 시스템 구축

미환경청,세계보건기구(WHO)등의 국외 가이드라인 질병 리본부 등 국

내 발병 황 등을 참고하고,국내외 발표논문 등을 수집 정리하여 수행

나.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1)화장실 내의 실내공기질 분석과 e.wab등을 이용한 화장실 표면의 오염도 분

석,highvolumesampler와 배양방법을 이용한 기 부유세균,곰팡이 분

석, PM2.5사이클론 샘 러를 이용한 황사 시료 채취 미생물 군집분석의

수행

2)각 세균별로 막여과법,세포배양법,RT-PCR로 출 빈도 악

3) 수지 하천에서의 Legionella의 출 생활 환경에서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출 을 조사

4)가시아메바는 무 양한천배지를 이용, 양분으로 사멸된 장균을 이용하

으며,군집이 형성되면 미경으로 아메바의 양형 포낭의 특성을 찰

5)진드기는 침 사용여부에 따라 침 를 사용하는 가구에서는 침 이불,방

바닥,부엌에서 채집하 고,침 를 사용하지 않는 가구에서는 이불,방바닥,

부엌의 3곳을 채집

다.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미생물 노출 모델 해성 방법론의 기존의 노출(exposureassessment)

용량반응(dose-response)의 모델 등을 정립하 다.

Page 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III -

라.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존의 국내,국외 자료 본 연구에서의 국내출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데

이터베이스를 구축하 다.

5.연구결과

가.환경보건학 유해 미생물의 리 시스템 구축

본 연구과제에서는 미국,일본 등의 주요 선진국과 세계보건기구(WHO)등의

자료를 이용하여,공기 의 부유미생물,수질의 병원성미생물,실내 알 르겐,

원생동물 등의 리방법을 체계 으로 정리하 다.

나.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국외의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리 우선 상 미생물을 정하고 그에 따른 국내

에서의 미생물 출 실태조사를 실시하 다.

1) 기 분야

서울 학교 보건 학원과 의과 학 내 화장실 12개에서 실시한 결과,실내공기

질은 평균 500CFU/㎥로 측정되어 실내 공기질 기 을 과하지 않았으나 한 곳

에서는 1093CFU/㎥로 높게 나타났다. 한 화장실 내 수도밸 ,변기 좌 ,문

손잡이의 표면오염도는 일반세균이 평균 119.1CFU/㎠로 수도밸 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Aranicolasp.,Serratiasp.,Pseudomonassp.

등의 장내세균이 검출되었다. 한 서 구에서 highvolumesampler를 이용한 시료

분석 결과,DGGE를 통하여 토양박테리아인 Firmicutes,alphaproteobacteria토

양,식물과 련이 있는 Proteobacteria,Pinuscontortachloroplast등이 검출되었

다.배양방법을 이용하여 총 박테리아와 총 곰팡이를 분석한 결과,총 곰팡이는

가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높게 측정되었다.황사와 비황사시 기 군집

을 비교한 결과,황사샘 에서는 Aquabacterium sp,Flavobacterialesbacterium,

Prevotellaceaebacterium sp.등이 특이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 다.

2)수질 분야(세균 바이러스)

시료채취는 한강 수계인 팔당 잠실 상수원 인근 하남 지하수,구리 하수

처리장에서 8월과 10월달에 이루어졌다.총 장균군과 분원성 장균군은 하남

지하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하수처리장 유입수와 혼합수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다.총 장균군은 팔당 상수원에서 분원성 장균군도 팔당,하남 상수원에

Page 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IV -

서 8월에만 검출되었다. 장균은 하수처리장에서만 검출되었으며 장구균은 하수

처리장 시료와 8월달에 팔당 수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온 온 일반세균은

모든 수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지하수에서 가장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하수

처리장 유입수 혼합수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총배양성 바이러스

는 하수처리장 시료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으나 ICC-PCR로 모든 시료에서 검출

되었고 노로바이러스와 A형 간염 바이러스는 모든 시료에서 음성이었다.

3)임상 분야

경기도 내 수지와 하천에서 Legionella는 검출되지 않았고,황색포도상구균은

계단 손잡이,엘리베이터 손잡이 등의 생활환경에서 27개 지 가운데 25개 지

에서 분리되었다.이 가운데 MRSA내성균은 1개,penicillin에 한 내성은 9개 균주,

erythromycin에 한 내성은 1개, tetracycline에 한 내성은 3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한 내성은 1개 균주 다.Clindamycin에 해서 15

개의균주가내성을보 고,Vancomycin과Ciprofloxacin에 한내성인균주는없었다.

4)실내환경분야

집먼지진드기는 침 를 사용하는 가구는 15가구,침 를 사용하지 않는 가구는

5가구에서 채칩하 다.큰다리 먼지지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Df)가

74.5%,세로무늬먼지진드기(D.pteronyssinus,Dp)가 2.1%, 장진드기인 긴털

가루 먼지진드기(Tyrophagusputrescentiae,Tp)가 23.4%로 동정되었다.장소별

로 살펴보면 조군에서 큰다리 먼지진드기(D.f)는 어른 침 3곳,어른 이불 1

곳,긴털가루 먼지진드기(Tp)는 부엌 1곳에서 채집되었다.반면에 상 알 르기

환자군에서는 큰다리 먼지진드기가 어른침 5곳,어른이불 2곳,아동침 2곳,

방바닥 8곳에서 채칩되었으며 세로무늬먼지진드기와 긴털가루 먼지진드기는 1곳

에서 채집되었다.긴털가루 먼지진드기는 방바닥 1곳과 부엌 6군데에서 채집되

었다.

5)수질 분야(원생동물)

시료는 가을에 수지,하천,냉온방 냉각탑,콘택트 즈 보 용기에서 채취하

으며 냉각탑 조사에서 6곳 2곳에서 분리된 약 33%가 검출되었으며 하천 7곳

3곳에서 가시아메바가 분리되어 약 43%의 검출률을 보여주었다.콘택트 즈 보 용

기 92개 단지 4개에서만 가시아메바가 분리되어 약 4%의 검출률을 보여주었다.

Page 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V -

다.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해성 평가는 hazard identification,exposureassessment,dose-response,

riskcharacterization등의 4가지 요소의 독립 이고 유기 인 단계의 모델을 체

계 으로 정립하 고,MonteCarlo-simulation의 방법을 수행하 다.유해확인은

체계 인 계획 단계로 노출평가와 유해결정 단계로 자료나 정보를 달하고,최

종 인 해도 결정에서는 노출평가와 유해결정을 결합하여 해추정치(risk

estimate)를 산출하 다.

특히 노출평가 단계에서 정량 평가를 해서는 우선 병원성 미생물의 분포가 매

체에 미생물의 개체가 균일하고 확률 으로 분포할 경우가 많으므로 포아슨 분

포를 가정한다.우도비(likelihoodratio)등을 이용한 분포의 합도 검정에서 합

하지 않을 경우,Negative Binomial,Lognormal,Poisson-Inverse Gaussian

(GIG)등 Non-Poisson분포을 이용하여야 한다.

용량-반응 평가에서는 기 모델과 경험 모델을 용할 수 있다.우선 유해

미생물에 한 분포가 포아슨 분포를 따르고,미생물에 한 감수성이 동일하며,

한 개의 미생물 만이라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면 ExponentialModel을 정량

평가로 용한다.그러나 해도 추정에 부 하다면 Beta-Poisson Model,

Log-probitModel등을 사용할 수 있다.이러한 모델링은 미생물에 따라 달리

용한다.

해 추정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변이성(variability)과 불확실성(uncertainty)을

고려하여야 한다.이를 해 단일추정치 보다는 확률론 분석을 용하여야 하

며,MonteCarlo-simulation등의 방법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라.데이터베이스 구축

문헌조사와 시료의 분석을 이용한 미생물의 종류,노출환경,질병과의 연 성,질

병유발여부,국가,지역,연구자,연구기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 다.

1) 기 분야

국외에서는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 등에 한 연구 자료는 국내와 비교하여

많았으나 바이러스에 한 연구는 었다

2)수질 분야(세균 바이러스)

수집된 지표세균,장 계 바이러스 출 정보 그 분석법 등 총 341건을 수

집 정리, 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 다.

3)임상 분야 :Legionella,Shigella등의 리 상 미생물을 데이터베이스화하 다.

Page 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VI -

4)실내환경 분야 :집먼지진드기의 서식 도에 한 연구는 국내 7편,국외 13

편이보고되고 있고.피복 1편,기차 1편,농장 1편,제분소( 가루)1편,공공

장소 1편,곡물 공장 1편,에어컨 1편 등이 있다.

5)수질분야(원생동물):국내 27개의 문헌과 국외 48개의 문헌을 검색하 으며

부분의 가시아메바성 결막염 환자와 콘택트 즈 보 용기에서 분리되었다.그 외

에 수돗물이나 연못 하천 등의 자연환경에서도 검출되는 것을 알수 있었다.

6.결 론

본 연구 과제를 통하여 국내,국외의 유해미생물을 수집,정리하여 리 상

우선순 미생물을 선정하 다.그에 따른 국내의 미생물 출 실태조사를 하

으며 기,수질,실내 환경 등에서 다양한 오염원에 의한 다양한 미생물이 환경

특이 으로 존재하 다.

가.환경보건학 유해 미생물의 리 시스템 구축

각 분야별로 국내와 국외의 논문,연구기 의 자료 등을 검색하여 유해 미생

물의 리실태를 조사하 으며 그에 따른 국내에서 필요한 리 상 우선순

미생물을 선정하여 국내에서의 실태조사를 실시하 다.

나.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1) 기 분야 :실내의 화장실이나 황사 시 기에서 특이 인 기회병원성 미생

물이 존재하 으며 기 부유세균과 곰팡이의 오염도를 조사하 으며 향

후에는 엔도톡신을 추가로 연구하는 것을 제안한다.

2)수질 분야(세균 바이러스):한강 수계에서 지표세균 장 계 바이러스

가 출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 으며 아데노바이러스,로타바이러스,총

장균군 등을 계속 으로 연구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분야 :유해세균 항생제 항성이 S.aureus등의 내항생제가 있는

세균 등이 토양에 존재할 수 있으며,MRSA 등의 지속 인 모니터링이 필요

하다. 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장균와 폐

렴간균,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등을 리 상 우선 미생물로 제

안한다.

4)실내환경분야 :생물학 요인은 실내 실외,그리고 다양한 환경매체에 존

재하며 련 인체 해성을 조사하기 한 체계 이고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추가 인 연구가 필요하다.우 종으로 검출되어진 큰다리집먼지진드기와 세로

무늬먼지진드기,긴털가루먼지진드기를 리 상 미생물로 제안한다.

Page 1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VII -

5)수질 분야(원생동물):가시아메바는 민감층에 질환을 일으키는 원생동물로

자연환경이나 콘텍트 즈 용기 내에서 검출되었으며 좀 더 범 한 자연환

경 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며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작은와포자충

(Cryptosporidiumparvum)을 리해야한다.

다.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미생물 등의 생물학 유해요인(biohazard)의 국내외의 리체계를 체계 으

로 구축하고,매체 인자에 따른 인체 해성 평가를 한 노출평가 방법론의

정립,국내외의 미생물 출 의 자료수집,미생물 해성평가를 한 방법론의 확

립 등의 성과를 토 로 차후 특정 유해 미생물에 따라 해성 평가방법을 정량

으로 용하여야 한다.유해확인에서 해성 평가의 범 와 목 그리고 다루

고자하는 핵심을 정의하여야 한다.노출평가에서는 Poisson분포를 가정하여

용할 것을 제안한다.그러나 합도 검정 과정에서 Non-Poisson분포로 수정할

수 있다.용량-반응 평가에서는 ExponentialModel,Beta-Poisson Model,

Log-probitModel등을 사용할 수 있다.이때 해도를 추정하는데 가장 합한

모델을 선정하여야 한다.이용되는 자료에 한 표본추출 방법,검사방법의 민감

도와 특이도를 고려해야 하며, 해 추정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변이성

(variability)과 불확실성(uncertainty)을 고려하여야 한다.이를 해 확률론 분

석을 용하여야 하며,MonteCarlo-simulation등의 방법을 수행하여야 한다.

라.데이터베이스 구축

국내와 국외의 문헌조사를 통하여 미생물의 종류,노출환경,질병과의 연 성,질

병유발여부,국가,지역,연구자,연구기 등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 으며

향후에는 온라인상으로 시스템을 가동하고자 한다.

7.향후 계획

향후에는 문헌 으로 조사되었던 리체계 등의 선진화를 하여 국내외 문

가를 빙하여 련 워크샾 등을 통하여 자료의 체계화와 리체계의 구축이 필

요하다. 한 인체의 노출의 정확성과 민감성을 높이기 하여,미생물 등의 노

출을 측정하기 한 보다 나은 보건지표의 설정 평가,정해진 장소에서의

sampling뿐만이 아니라 실제 인체노출의 평가를 한 personalsampling등의

방법 등이 미생물 해성평가 등에도 향후 연구 도입되어야 한다.

Page 1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VIII -

목 차

요약문..............................................................................................................I

I.서론:연구 배경.......................................................................................1

II.사업 목표 범 ...................................................................................2

III.추진 체계 조사내용..........................................................................2

IV.연구 방법................................................................................................5

V.연구 결과...............................................................................................38

Ⅵ.결론.....................................................................................................190

Ⅶ.첨부.....................................................................................................195

1.표 시험법(바이러스)...........................................................................195

2.표 시험법(가시아메바).........................................................................244

3.표 시험법(집먼지진드기)....................................................................251

4.임상분야의 database............................................................................255

Ⅷ.참고문헌..............................................................................................264

Page 1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IX -

그림 목차

그림 1.본 연구과제의 추진 략.........................................................................................3

그림 2.본 연구과제의 추진체계 조사내용................................................................4

그림 3.연구방법의 흐름도...................................................................................................7

그림 4.수질 시료 채취 지 (팔당 잠실 상수원).......................................................14

그림 5.집먼지 채집에 사용된 ModifiedSesay& Debson방법................................31

그림 6.수집된 먼지와 집먼지진드기...............................................................................31

그림 7.가시아메바의 분리(검출)방법..............................................................................31

그림 8.병원성 미생물 노출에 의한 endpoint...............................................................................35

그림 9.공기감염:산소마스크 착용시 배출되는 에어로졸 패턴..............................36

그림 10. 기 미생물의 DGGE분석결과 생성된 밴드...................................................51

그림 11.미생물 군집 사이의 DiceCoefficient유사율을 용한 기 미생물

의 UPGMA클러스터링.......................................................................................................54

그림 12.DGGE밴드 패턴을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한 미생물 군집 사이

의 계.....................................................................................................................................56

그림 13.수시료에서 장 계 바이러스 분석 과정........................................................74

그림 14.정보 자료 정리 ...............................................................................................80

그림 15.본 연구에서 실시한 총 장균군의 결과........................................................82

그림 16.본 연구에서 실시한 분원성 장균군의 결과..............................................82

그림 17.본 연구에서 실시한 장균의 결과................................................................82

그림 18.본 연구에서 실시한 온일반세균의 결과....................................................83

그림 19.Legionella의 PCR결과.....................................................................................99

그림 20.Legionellapneumophila의 PCR결과..........................................................100

그림 21.유해세균의 항생제 내성 결과........................................................................100

그림 22.채집된 집먼지진드기의 종 분포....................................................................107

그림 23.큰다리먼지진드기의 배면.................................................................................108

그림 24.세로무늬먼지진드기(Dp)의 배면.......................................................................108

그림 25.본 연구에서 실시한 가시아메바의 분리(검출)방법................................114

그림 26.자연환경에서 분리된 가시아메바의 다양한 형태......................................116

그림 27.본 연구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체계..............................................................119

그림 28.본 연구에 사용되는 web의 흐름도...............................................................121

그림 29.본 연구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흐름도 ........................................................122

그림 30.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회원 리 화면..............................................124

그림 31.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로그인 화면....................................................125

그림 32.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회원가입 화면................................................125

Page 1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X -

그림 33.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리스트 ......................................127

그림 34.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등록화면(1)...............................127

그림 35.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등록화면(2)...............................128

그림 36.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등록화면(3)...............................129

그림 37.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수정화면...........................................................129

그림 38.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통계화면............................................130

그림 39.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회원 이력 리................................................131

그림 40.발생수 추정을 한 Simulationmodel........................................................149

그림 41.육류내 L.monocytogenes의 발생율 분포.....................................................153

그림 42.L.monocytogenes의 β분포 로그램............................................................154

그림 43.육류내 L.monocytogenes의 농도 분포......................................................154

그림 44.육류내 L.monocytogenes의 오염 수 .............................................................155

그림 45.Cryptosporidium의 Frequency......................................................................156

그림46.Cryptosporidium의@risk 로그램을 이용한Fitting결과..................................156

그림 47.Cryptosporidium의 해성평가..............................................................................157

그림 48.Cryptosporidium의회복률......................................................................................157

그림 49.log-normal분포의 ..........................................................................................157

그림 50.@risk 로그램을 이용한 결과(liter/day)...........................................................158

그림 51.Cryptosporidium의 분포 ................................................................................158

그림 52.@risk 로그램을 이용한 Viability..................................................................159

그림 53.exponentialmodels과 beta-poissonmodels의 비교(1)...........................164

그림 54.exponentialmodels과 beta-poissonmodels의 비교(2)...........................165

그림 55.Log-probit,log-logit,Weibullmodels의 ..............................................167

그림 56.살모넬라 발생수 추정(1)..................................................................................169

그림 57.살모넬라 발생수 추정(2)..................................................................................169

그림 58.살모넬라 발생수 추정(3)..................................................................................170

그림 59.용량 반응 모델 순서도.....................................................................................171

그림 60.Exponential모델과 beta-poisson모델 Log-probit모델.................172

그림 61.미생물 해성평가 수행의 모식도................................................................178

그림 62.미생물 감염의 자연사..........................................................................................................181

그림 63.Pointversusinternalestimatesofrisk......................................................186

그림 64.불확실성의 분류.................................................................................................187

Page 1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XI -

표 목차

표 1.국내 실태 조사 연구 별 상 미생물..................................................................6

표 2.국내 실태 조사 연구 별 환경매체........................................................................6

표 3.박테리아의 16SrRNA증폭을 한 FirstPCR분석의 primer........................10

표 4.박테리아의 16SrRNA증폭을 한 nestedPCR분석의 primer.....................10

표 5.노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17

표 6.A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17

표 7.노로바이러스와 A형 간염 바이러스 증폭에 사용된 primer..........................18

표 8.노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18

표 9.노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19

표10.A형간염바이러스검출을 한FirstroundPCR반응액조성(시료당반응조성).....19

표 11.A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19

표 12.노로바이러스와 A형 간염바이러스 검출을 한 증폭 조건........................20

표 13.엔테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22

표 14. 오바이러스 검출을 한 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22

표 15.엔테로바이러스, 오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증폭에 사용된 primer.........23

표 16.엔테로바이러스 검출을 한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24

표 17.엔테로바이러스 검출을 한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24

표 18. 오바이러스 검출을 한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24

표 19. 오바이러스 검출을 한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25

표 20.아데노바이러스 검출을 한 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25

표 21.아데노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25

표 22.엔테로바이러스, 오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검출에 사용된 증폭 조건...26

표 23.Klebsiellapneumonia의 다제내성균 수 다제내성률(%)........................26

표 24.LegionellaPCR에 사용된 라이머...................................................................27

표 25.집먼지 진드기 채집을 한 조사 상 가구....................................................29

표 26.집먼지 채집방법의 비교.........................................................................................30

표 27.사용 가능한 용량-반응 모델()..........................................................................................34

표 28.실내공기질 오염의 련요인과 오염원..............................................................41

표 29.싱가포르의 실내 공기질 리 기 ....................................................................42

표 30.싱가포르 실내 공기질 권고 기 ........................................................................42

표 31.홍콩의 실내공기질 리 기 ...............................................................................43

표 32.핀란드의 부유세균의 농도에 따른 실내공기질 분류의 (혼합종,CFU/m3)........43

표 33.핀란드의 부유곰팡이 농도에 따른 공기질 분류의 (혼합종,CFU/m3)..........44

표 34.핀란드의 실내알 르겐 농도에 따른 분류의 (혼합종,㎍/g먼지).........44

Page 1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XII -

표 35.국외 주요국가 기 의 실내 공기질 곰팡이 리기 의 정리표...........44

표 36.국내 다 이용시설 리법에 따른 실내공기질 리기 .............................45

표 37.국내 실내 공기질 리 련부처 용 상의 ......................................46

표 38.본 연구과제에서 실시한 화장실 실내공기 일반세균 농도(단 :CFU/㎥)

의 결과......................................................................................................................................47

표 39.본 연구과제에서 부유세균의 입경별 분포(단 :CFU/㎥)의 결과.............................48

표 40. 학 내 화장실 표면내의 일반세균 농도(단 :CFU/㎠)의 결과...............49

표41.화장실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동정 결과(NCBIBLASTsearch결과)....50

표 42.실외 부유 세균 곰팡이 연구 결과와 기상 조건의 ...............................50

표 43.서 구에서 실시한 계 에 따른 총 박테리아 농도(CFU/m3)결과.....................52

표 44.서 구에서 실시한 계 에 따른 총 곰팡이 농도(CFU/m3)결과........................53

표 45. 기 박테리아 군집을 나타내는 DGGE밴드에서 잘라 낸 밴드(NCBIBLAST

search).........................................................................................................................................55

표 46.세균종류에 따른 국내 식 독 발생 황..............................................................59

표 47.바이러스와 원인물질 종류에 따른 국내 식 독 발생 황.............................59

표 48.미환경청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CCL1)..............................65

표 49.미환경청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CCL2)..............................66

표 50.미환경청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draftCCL3)..................67

표 51.국내의 생활환경 미생물학 기 ...........................................................................68

표 52.국내의 먹는물(먹는샘물)수질기 [일부개정 2008.2.4]..............................69

표 53.세계 보건기구(WHO)에서 지정한 주요 미생물의 분야별 특징..................70

표 54. 국의 먹는물 미생물학 수질기 ....................................................................70

표 55.일본의 하천수 수질환경기 미생물학 기 ..........................................71

표 56.일본의 먹는물 미생물학 기 ...........................................................................71

표 57.미국 먹는물의 미생물학 수질기 ....................................................................72

표 58.장 계 바이러스 농축법에 따른 분류..................................................................75

표 59.장 계 바이러스 배양에 사용되는 cellline......................................................76

표 60.본 연구에서 8월에 실시한 물리화학 요인 지표 세균 결과.................81

표 61.본 연구에서 10월에 실시한 물리화학 요인 지표 세균 결과...............81

표 62.본 연구에서 실시한 지역과 월별 세포배양 결과............................................84

표 63.본 연구에서 실시한 지역과 월별 ICC-PCR결과...........................................84

표 64.국내 병원에서 분리되는 병원균에 한 KONSARdata(1988-2004)......92

표65.실제감염을일으킨요로감염원인균분포에 한KONSIDdata(2006-2007)...........92

표 66.유해세균에 한 삼성서울병원 분리균주..........................................................93

표 67. 염병 발생 웹 통계(질병 리본부 자료).........................................................93

표 68.축산 환경에서 주요 병원균의 검출율................................................................94

Page 1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XIII -

표 69.축산환경에서 분리한 E.coli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94

표 70.축산환경에서 분리한 C.jejuni/coli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94

표 71.축산환경에서 분리한 S.aureus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94

표 72.축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94

표 73.수산 환경에서 주요 병원균의 검출율................................................................95

표 74.수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1).......................95

표 75.수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2).......................95

표 76.수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3).......................96

표 77.의료 환경에서 주요 병원균의 검출율................................................................97

표 78.의료 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97

표 79.의료 환경에서 분리한 S.aureus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97

표 80. 리 상 미생물의 국내 출 실태....................................................................98

표 81.Database화한 임상 환경에서의 분리 사례.................................................99

표 82.발표된 집먼지진드기에 한 연구 논문..........................................................105

표 83.진드기 퇴치방법 련 문헌................................................................................106

표 84. 상 가구의 침구류 이용 황..........................................................................106

표 85.장소에 따른 집먼지진드기의 채집 결과..........................................................108

표 86.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한 가시아메바(Acanthamoeba)의 감염원.....................115

표 87.국내에서 분리한 가시아메바의 검출률................................................................116

표 88.개발 서버 환경.......................................................................................................120

표 89.회원분류에 따른 권한...........................................................................................121

표 90.AuthData테이블(1)..............................................................................................132

표 91.AuthData테이블(2)..............................................................................................133

표 92.CatgSet테이블.......................................................................................................133

표 93.CommentSet테이블..............................................................................................134

표 94.DataSet테이블.....................................................................................................135

표 95.GermData테이블...................................................................................................136

표 96.GroupSet테이블....................................................................................................137

표 97.HistoryData테이블...............................................................................................137

표 98.Level..........................................................................................................................137

표 99.UserSet.....................................................................................................................138

표 100.Schematiclayout.................................................................................................142

표 101.표분 구조에 따른 합도 검사........................................................................143

표 102.각 분포에 한 평균과 표 편차...................................................................148

표 103.살모넬라 유별 상황 조사...................................................................................150

표 104.베타 분포로 살모넬라 분포를 추정 하는 매개 변수..................................150

Page 1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XIV -

표 105.삼각분포와 매개 변수...........................................................................................151

표 106.살모넬라(Salmonellasp.)의 오염수 ..................................................................151

표 107.살모넬라(Salmonellasp.)의 섭취수 ..................................................................151

표 108.육류에서 리스테리아 발생율 측정을 한 자료..........................................152

표 109.육류 내 L.monocytogenes의 발생율과 fitting된 β분포의 변수..............153

표 110.C.parvum의 매개 변수.....................................................................................156

표 111.Cryptosporidium와 Giardia의 회복률............................................................157

표 112.생존율 분포 추정의 매개변수..........................................................................158

표 113.식품의 노출 평가(1)..........................................................................................159

표 114.식품의 노출 평가(2)..........................................................................................160

표 115.수질내 세균의 노출 평가 사례연구..............................................................161

표 116.공기내 세균의 노출 평가 사례연구................................................................161

표 117.기 모델의 분류.............................................................................................166

표 118.경험 용량 반응 모델.......................................................................................167

표 119.살모넬라 발생수 Simulation결과...................................................................168

표 120.인체의 용량-반응 연구사례(Ward등)...........................................................172

표 121.모델 종류에 따른 최 합 매개변수................................................................173

표 122.세균의 용량 반응 모델.......................................................................................174

표 123. 리온,바이러스의 용량 반응 모델...............................................................175

표 124.노출력과 섭취도의 순간시 추정..................................................................175

표 125.병원균의 양상 요소.............................................................................................179

표 126.병원균 발생의 요소.............................................................................................179

표 127.노출 평가 요소.....................................................................................................180

표 128.숙주 결정 요소.....................................................................................................182

표 129.건강상태에 한 요소.........................................................................................182

표 130.용랑 반응 분석 요소...........................................................................................184

표 131. 해결정의 해성 요소.....................................................................................184

표 132. 리 상 미생물의 종류.....................................................................................194

Page 1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 -

I.서론:연구 배경

국내외 으로 격한 도시화,산업화 환경 괴,인구의 고령화 선천 /후

천 면역결핍증 환자의 증가,식량 가축사육 방식의 변화와 기후변화 등의

다양한 경제,사회,환경 요인들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생물학 유해요인에

의한 질병발생이 지속 으로 보고되고 있다.최근에 국내외에서 보고된 SARS

질병의 발생,조류독감의 세계 유행,노로바이러스 집단식 독 발생,

MRSA 등 내항생제 세균의 증가,천식환자의 증가 등이 그 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질병의 부분은 신종 특이 병원성 미생물의 발생 그리고 인간의

직 환경 에 따른 노출 등으로 인하여 문제가 생성되고 되어 왔

다.

인체는 수질,음식, 기 등의 환경에서부터 에 지와 양분을 지속 으로 공

을 받아야 생존이 가능하며,이에 따른 환경매체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지속 으

로 노출되어 있다.환경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하고,이 의 일부는

병원성 미생물이나 이에 한 체계 이고 지속 인 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

고,개별 미생물 별로 산발 으로 조사되고 연구되고 있는 것이 국내의 실

이다.국내인구의 고령화,기후변화 등의 인체 환경요인의 변화는 환경에 의

한 심각한 질병발생의 가능성을 지속 으로 증가되고 있다.

미국,EU,일본 등의 외국선진국의 경우에는,환경보건학 유해 미생물에 해

서 련 규정 연구 분야가 체계 으로 정비되어 있다. 를 들면,수질오염과

련된 WHO의 drinking-waterqualityguideline을 비롯하여,미국 Environmental

ProtectionAgency(U.S.EPA)의 CCL(ContaminantCandidateList)등이

표 이다.그러나 국내는 아직도 미생물의 환경보건학 의 요성은 인식되

고 있으나, 요한 연구 분야 련 연구의 도출,guideline설정 미생물

해성평가의 수행 등이 상 으로 취약한 것이 실이다.

환경에 존재하는 세균,바이러스,곰팡이,독소,내항생제 유 자,알 르겐 등의

다양한 종류의 생물학 유해요인의 특징,분류 분석법,환경요인 분포특

성,감염 경로,유발 질병 증상,그리고 이에 한 방과 조 방법 등의 체

계 인 조사와 련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시 한 실이다.이러한 기반정보

자료가 구축이 되어야만 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한 리 해성

평가체계의 구축이 형성되어,미생물 등의 생물학 요인에 한 환경보건학

기반기술을 구축하고 련 규정을 정비할 이론 실험 자료가 반드시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와 같은 실을 감안할 때 국내에서 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을

구축하고,국내외의 실태조사 분석방법론을 확립하며,미생물 해성평가 시

Page 1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 -

스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본 연구

은 미생물에 의한 질병을 인자별(세균,바이러스,원생동물,곰팡이 실내 알

르겐)그리고 환경별(수질, 기,토양,실내환경 임상시료)등으로 나 어

서 리 상 미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국내의 해성평가의 기반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용역 과제를 수행하 다.

II.사업 목표 범

◆ 최종 목표 :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 리 해성 평가체계의 구축

세부 사업 목표 연구 범

가.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구축

○ 외국에서는 리하거나 는 리되어야하지만 국내에서 리되지

않는 미생물 등 유해 생물 리 동향 조사

○ 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수집·정리

- 리 상 미생물의 우선순 목록 작성 오염원 특성 조사

-미생물 분류별,매체별 용도별에 따른 구분

○ 리 상 미생물의 분석방법 제시

○ 표 양식에 따른 수집정보 규격화(DB화)

-분류,특징,형태,서식,감염,질병, 방 제거방법등 련정보의수집서식작성

-정보의 추가,수정 검색이 가능하도록 DB 로그램화

나. 리 상

미생물의 국내

출 실태조사

○ 외국에서 우선 리 상으로 정하 거나 국내에서 문제가 있는 미생물 조사

-조사 상:지표세균,장염바이러스,부유세균,원생동물,곰팡이,기생충등

-조사지 :미생물의종류에따라상수원,하수처리장,공공장소,가정집, 기등선정

-조사 시기 횟수 :미생물 생리특성별로 시기를 정하고 2회 조사

다.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 국내외 미생물 노출평가 방법론 연구 우리나라에 합한 최 안 제시

-국내외 정성 정량 미생물 해성 평가를 한 사례 조사

-미생물 노출평가를 한 단기 장기 노출 모니터링 방안 제시

○ 미생물 해성 평가를 한 인체 노출지수 연구

-병원성 미생물의 dose-response연구 사례평가와 모델안 제시

-MonteCarlosimulation을 이용한 정량 노출평가

○ 국내 미생물 해성 평가체계 도입을 한 감염성 질병의 인체

해성 지표 연구

-국내외 유해미생물의 보건지표와 인체 해성 연구사례를 통한

새로운 보건지표의 개발 평가

III.추진 체계 조사내용

1.추진 략

본 사업 목표인 ‘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 리 해성 평가 체계 구축’을

해 환경보건학 으로 리되어야 할 유해 미생물을 문분야 별로 연구진을

Page 2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 -

그림 1.본 연구과제의 추진 략.

구성하 다.서울 학교,성균 학교,연세 학교,아주 학교 별로 리 상

미생물의 국내외출 실태조사와 해성 평가기반을 마련하기 한 정보를 수집

하고 서로 정보를 상호 보완하여,체계 이고 통합 인 리 해성 평가 체

계 구축을 한 기반을 마련한다.

Page 2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 -

그림 2.본 연구과제의 추진체계 조사내용.

2.추진 체계 조사내용

사업 세부 목표 연구범 는 아래와 같은 추진체계로 단계 이고 조직 으로

추진하 으며 본 연구과제의 추진체계 조사내용은 아래의 그림에 요약되어

있다.

Page 2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 -

IV.연구 방법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외국에서는 리하거나 는 리를 필요로 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리되지

않는 미(소)생물 등 유해생물 리 동향을 조사하 으며,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 수집을 해 미국 환경청(EPA),세계보건기구(WHO)등의 국외 가

이드라인 질병 리본부 등 국내 발병 황 등을 참고하여 정리하 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항목 공정시험방법이나 표 시험방법이 정해지진 않은

미생물 항목에 해서는 국내외에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분석방법을 조사하여

법도 조사하 고,국내 사정에 가장 합당한 분석 방법을 선택하거나 변형하여

용하 다.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DB)화를 해서는 각 항목에 한 특징 분류,

서식 특성,감염 경로,오염원의 특성(매체별 특성 용도별 특성),유발 질병

증상, 방 제거( 는 치료)방법에 한 기본 인 정보를 수입하여, 련

정보가 추가,수정 검색이 가능하도록 DB화하 다. 한,환경보건학 유해

미생물의 효율 리 방안 구축을 해 웹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여,정보수집

이 용이하고 효율 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 다.

Page 2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 -

2. 리 상 미생물의 국내 출 실태조사

본 연구의 실태조사 연구 에 따른 상 미생물과 연구 별 환경 매체는 다음

과 같다.

연구 리 상 미생물

고 표부유세균(Nocardiosis등),부유곰팡이(Aspergillus,Cryptococcus,

Coccidioidomycosis등)

김상종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노로바이러스,로타바이러스,아데노

바이러스,아스트로바이러스 등)

신호 원생동물(Giardia,Cryptosporidium,Acanthamoeba등)

고 수세균(Aeromonashydrophila,Helicobacterpylori,Legionella,

Escherichiacoli,Vibriocholerae,Pseudomonasaeruginosa등)

용태순 집먼지 진드기,바퀴벌

표 1.국내 실태 조사 연구 별 상 미생물

연구 실태조사 환경매체

김상종,신호 수질

고 표 기

김상종 토양

고 수 임상

용태순 가옥

표 2.국내 실태 조사 연구 별 환경매체

Page 2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 -

그림 3.연구방법의 흐름도.

가. 기 분야

연구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기(실외)에서는 highvolume

sampler와 culture방법을 이용한 시료 채취와 황사시료 분석을 실시하 다.

한 실내에서는 화장실 내의 실내 공기질 측정과 표면 오염도를 조사하여 국내

출 하는 미생물의 실태를 조사하 다.

1)화장실내의 실내 공기질 표면오염도 분석

본 연구는 2007년 11월 20일부터 12월 4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에 치

한 서울 학교 연건 캠퍼스 내의 보건 학원 건물 2,3,4층 남녀 화장실과 의학

학 제1연구동 건물 1~6층 여자 화장실 총 12곳에서 실시하 다.실외 미생

물에 의한 향을 최소화하기 해 사람들의 출입을 이고 창문과 출입문을 닫

고 채취하 다.

가)실험 방법

(1) 기시료

기 미생물은 Six-stagemicrobiologicalsampler(Thermo,Model10-800)

를 사용하 다.샘 러를 진공펌 에 연결시킨 후 28.3ℓ/min으로 실내 공기를

15분간 채취하 으며 샘 러 2개를 이용하여 동시에 채취하 다.

Page 2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 -

(2)표면시료

표면 시료는 「3M」사의 e.swabTM을 이용하여 각 화장실의 변기좌 (5X5

㎝)와 수도밸 ,출입구 손잡이를 닦아낸 후 10㎖의 인산완충펩톤수(BPW,

Bufferedpeptonewater)용액에 넣고 1분간 교반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

하 다.

(3)건조필름을 이용한 총박테리아의 농도

채취된 표면 시료는 3M사의 건조필름을 사용하여 흡수시키고,37℃에서 24~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성된 붉은 색 집락 수를 계수하 다.계수한 집락 수

에 희석배수를 곱한 후 일반세균의 농도를 계산하 으며 사용한 식은 다음과 같

다.

CFU/㎠=총인산 충펩톤수의양(ml)×배지에 의집락수

접종한양(ml)×채취면적(cm2)

(4)DNA추출 PCR분석

UltracleanSoilDNAIsolationkit(MOBIO,Inc)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 으며

합효소연쇄반응기(DNAthermalcycler,AppliedBiosystems2720)로 유 자 증폭을 수행

하 다.G-TaqDNApolymerase(Korea,Cat.No.CMT1001)를 사용하 으며 mixture는

총 20㎕로 5㎕의 sample, 라이머는 V3f(5′-CCAgACTCCTACGGGAGGCAG-3′)

와 V3r(5′-CGTATTACCGCGGCTGCTG-3′)을 각각 1.25㎕씩 첨가하 다.증폭주기

반응은 DNA 변성은 92℃에서 30 , 라이머의 수소결합은 55℃에서 30 ,신

장반응은 72℃에서 30 간,신장반응 단계는 72℃에서 5분간 수행하여 총 35주

기로 분석하 다.증폭된 산물은 1% ethidium bromidestainedagarosegel에서

50V로 기 동하여 DNA image analyzer로 193bp의 단편을 확인하고

QIAquick GelExtraction Kit(USA,catno.28706)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DNA는 -20℃에 보 하 다.

(5)TAVectorcloning 계통학 분석

DNA의 ligation은 pGEM-T Easy Vectorsystem (Promega,USA,cat.

A1360)을 이용하 으며 재조합된 벡터는 열에 의한 충격방법으로 반응은 장

균인 DH5α로 형질 환하 다.이를 암피실린이 포함된 LB 배지에 도말하여

10-12시간정도 배양하고 재조합 벡터를 2X cracking(5N NaOH 20㎕,10%

SDS50㎕,sucrose200mg,증류수 930㎕)방법으로 처리하여 1% ethidium

bromidestainedagarosegel에서 100V로 기 동 한 후 imageanalyzer로 확

인하 다.확인된 샘 은 plasmidminiprepkit(LabopassminiplasmidDNA

purificationkit,Korea,cat.CMP0112)를 이용하여 라스미드를 추출하 다.

Page 2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 -

추출된 라스미드는 Cosmoco,LtdKorea에서 Sanger’sdideoxymethod에 의

해 염기서열을 분석하 다.Sequence분석 결과는 미국 국가생물공학센터에서

제공한 Blastprogram을 통해 유 자 염기서열정보를 얻었다.

2)SPINCON과 Andersensampler를 이용한 기 시료분석

본 연구는 2008년 (4~5월)과 가을(10~11월)두 차례에 걸쳐서 서 구 내곡

동에서 이루어졌다. 기 시료 채취는 Spincon® advanced air

sampler(Tradeways,Maryland,USA)와 Six-stage microbiologicalsampler

(Thermo,Model10-800)를 이용하 다.Spinconsampler는 450ℓ/min의 높은

유량으로 기 시료채취가 가능한 포집기로 cyclon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0

㎖ PBS로 농축되어진다.Six-stagemicrobiologicalsampler는 호기성 박테리아

와 곰팡이를 채취하는데 사용되어지며 입경크기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

다.Impaction에 의한 원리로 채취되며 각 stage는 400개의 hole로 이루어져있으

며 stage1의 hole직경은 1.81mm이며,stage6의 hole직경은 0.25mm이며 각

단계의 hole을 통해서 미생물이 채취된다.Spincon과 Six-stagemicrobiological

sampler포집은 동일한 시간 에 실시하 으며 Spincon은 한 시간 동안 채취하

으며 Six-stagemicrobiologicalsampler는 총박테리아와 총곰팡이를 15분 동

안 duplicate로 채취하 다.

가)실험 방법

(1)DNAextraction

Spincon으로 채취한 시료는 UltracleanSoilDNAIsolationkit(MOBIO,CatNo.

12800-100,Carlsbad,CA,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DNA를 추출하 다.2

㎖ beadsolutiontube에 300㎕의 시료를 넣고 섞어 후에 S1용액 60㎕와 IRS용액

200㎕를 넣고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10분간 교반하 다.교반이 끝나면 10,000g로 1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 450㎕를 microcentrifugetube로 옮겨 S2용액 250㎕를 넣고 5

간 교반하고 5분간 4℃에서 배양하 다.다시 1분간 10,000g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새

로운 튜 에 옮기고 S3용액을 1.3㎖ 넣고 5 간 교반하 다.이 에서 700㎕를 spin

filter로 옮기고 1분간 10,000g로 원심분리한 후 이 과정을 세 번 반복하 다.S4용액을

300㎕ 넣고 1분간 10,000g로 원심분리 한 후 튜 에 남겨진 액은 버리고 다시 1분간

10,000g로 원심 분리하 다.새로운 튜 에 spinfilter를 넣고 S5용액 30㎕를 필터 앙

에 넣고 1분간 10,000g로 원심 분리하 다.추출액은 분석을 해 -20℃에 보 하 다.

Page 2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 -

(2)군집 분석을 한 nestedPCR분석

박테리아의 16SrRNA 증폭을 해서 nested-PCR을 용하 다.실험에 사용

된 primer의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다.

primer 염 열

27F 5’ - AGA GTT TGA TCM TGG CTC AG - 3’

1492R 5’ - TAC GGY TAC CTT GTT ACG ACT T - 3’

표 3.박테리아의 16SrRNA증폭을 한 FirstroundPCR분석의 primer

primer 염 열

341F

5’-CCTACGGGAGGCAGCAG-3’

GC-clamp:5’-CGC CCG CCG CGC GCG GCG GGC GGG

GCGGGGGCACGGGGGG-3’

518R 5’-ATTACCGCGGCTGCTGG-3’

표 4.박테리아의 16SrRNA증폭을 한 nestedPCR분석의 primer

PCR은 QiagenPCRkit를 이용하 으며 한 반응당 10XG-Taqbuffer2.5㎕,

dNTPmix1㎕,각 라이머(50pmol)0.25㎕,G-Taqpolymerase0.25㎕와

templateDNA 2.5㎕와 distilledwater를 넣어 최총 25㎕로 맞추었다.PCR은

95℃ 2분,94℃ 30 ,46℃ 30 ,72℃ 90 를 40회 반복하 고 72℃에서 5분간

실시하 다.PCR생산물은 1%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아가로즈 젤로 100V

로 15분간 기 동하여 DNA imageanalyzer로 확인하 다.두 번째 PCR은

선행 라이머에 40bp 정도의 GC를 부착하여 DGGE-PCR을 실시하 으며

p341F,p518R 라이머를 이용하 다.첫 번째 PCR과 동일하게 한 반응당 10X

G-Taqbuffer2.5㎕,dNTPmix1㎕,각각의 primer(50pmol)0.25㎕,G-Taq

polymerase0.25㎕와 첫 번째 PCR 생성물을 template로 하여 templateDNA

2.5㎕와 distilledwater를 넣어 최총 25㎕로 맞추었다.PCR은 94℃ 45 ,94℃

45 ,55℃ 45 ,72℃ 50 를 30회 반복하 고 72℃에서 6분간 실시하 다.

PCR생산물은 1%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아가로즈 젤로 50V로 40분간

기 동하여 DNA image analyzer로 확인하 다.두 번째 PCR 생산물은

Qiagengelextractionkit(Qiagen,CatNo.28706,USA)를 이용하여 정제시킨

후 -20℃에 보 하 다.

(3)DGGE를 이용한 기 미생물 군집분석

DcodeUniversalMutationDetectionSystem (BioRad사)의 지시에 따라 수

Page 2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 -

행하 다.우 아와 포름아마이드로 45%에서 65%까지 변성을 8% 폴리아크

릴아마이드겔에 PCR생성물을 20㎕씩 로딩하 다.조건은 60V,900분을 실

시하 고,온도는 60℃로 일정하게 하 다.DGGE분석이 끝나면 원하는 밴드를

gelextraction하여 TEbuffer에 넣고 24시간 배양하 다.그리고 다시 두 번째

DGGEPCR과정을 거친 후 PCRpurification과정을 거쳐서 정제시켰다.

(4)TAvectorcloning

pGEM-T Easy vectorsystem (Promega,USA,cat.A1360)을 이용하여

ligation을 실시하 다. Ligation mix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2X rapid

Ligationbuffer5㎕,pGEM T-easyvector(50ng)0.5㎕,T4DNA Ligase(3

weissunits/ul)1㎕을 넣고,PCRpurification을 거친 생산물을 3.5㎕를 넣어서

최종 10㎕를 만들었다.이를 피펫으로 잘 섞어 뒤,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

하 다.Ligation을 한 후,재조합 벡터는 열에 의한 충격방법으로 반응능 장

균인 DH5α로 형질 환하여 암피실린이 포함된 LB배지에 도말하여 10-12시간

정도 배양하 다.하얀 colony가 배양되면 이쑤시개로 단일콜로니를 어서 LB

broth에서 다시 배양한 후 plasmidminiprepkit(LabopassminiplasmidDNA

purificationkit,Korea,cat.CMP0112)로 정제과정을 거쳤다.그리고 ecoR1을

이용하여 enzyme cut과정을 거쳐서 확인한 후 Cosmo co,Ltd Korea에서

Sanger’s dideoxy(enzymatic) method에 의해 염기서열을 분석하 다.

Sequencing에는 forward,reverse방향 각각 T7 라이머를 이용하 으며 이러

한 과정을 통해 얻은 sequence분석 결과를 미국 국가생물공학센터(NCBI)에서

제공한 Blastprogram을 통해 유 자 염기서열정보를 통해 얻었다.

(5)Six-stagemicrobiologicalsampler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

총박테리아는 R2A 배지를,총곰팡이는 MEA(Maltextractagar)배지를 사용

하며 Petridish에 50℃의 각 배지를 27㎖씩 부은 후 건조시켰다.Six-stage

microbiologicalsampler를 vacuum pump와 연결하며 유량 28.3L/min으로

sampler 두 개를 이용하여 동시에 15분간 채취하 다.채취 후에는

DefenderTM calibrator(Drycal,Bios,USA)를 이용하여 유량을 보정하 다.총

박테리아와 총곰팡이를 채취한 배지를 25℃ 배양기에서 1~5일간 배양하 으며

하루 경과 시마다 colony를 확인하여 계수하 으며 positiveholeconversion

table을 이용하여 colony수를 보정하 다.보정한 colony를 모두 합쳐서 total

colony를 계산하 으며 시간당 채취한 공기 유량(L/min)로 나 어서 (CFU/m3)

으로 환산하 다.

Page 2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 -

3) 기 황사시료 분석

서울 학교 연건캠퍼스 내 보건 학원 옥상(127°001’E,37°514’N,and17m)에

서 수집되었다.샘 링 치는 특별한 오염원을 발생시키지 않는 일반 인 빌딩

들 주 에 치해 있었다.2007년 4월부터 2008년 3월 까지 PM2.5사이클론 샘

러를 이용하여 24시간동안 포집하 다. 기 PM2.5에서 미생물 포집은

EPA Compendium 방법 IO-4.2에 해당하는 annulardenuders(ADS)와 URG,

그리고 사이클론 필터 팩을 이용하 다.

가)실험방법

(1)DNA추출

샘 이 모아진 와트만 페이퍼를 멸균된 이쑤시개로 모아서 MoBioSoilDNA

ExtractionKit으로 추출하 다.

(2)Nested-PCR을 이용한 16SrRNA의 증폭

DenaturingGradientGelElectrophoresis(DGGE)를 한 16SrRNA의 증폭

을 해서 nested-PCR을 용 하 다.첫 번째 PCR은 보편 인 미생물을 탐지

하기 한 27f/1492r 라이머를 사용하여 최종 볼륨은 25㎕를 생성하 다.

첫 번째 PCR을 템 릿으로 하여 두 번째 PCR은 선행 라이머에 40bp정도의

GC를 부착하여 DGGE-PCR을 실시하여 최종볼륨 25㎕를 얻었다.생성된 PCR

생산물은 1% (w/v)아가로즈 겔에 로딩 하여 확인하 다.

(3)DGGE분석

모든 과정은 DcodeUniversalMutationDetectionSystem (BioRad사)의 매

뉴얼에 따라 수행하 다.우 아와 포름아마이드로 40%에서 65%까지 변성을

8%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에 2차 PCR생성물 각 20㎕씩을 로딩 하 다.조

건은 60V,900분을 실시하 고,온도는 60℃로 일정하게 하 다.

(4)DGGE밴트패턴의 통계 분석

DGGE 밴드와 같은 결과는 BioNumerics 소 트웨어 (Applied Maths,

Belgium)를 이용하여 두께,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 다.분석 도구는 주

성분 분석(Principalcomponentanalysis;PCA)을 각 성분의 특징을 수치화하여

실행하 다.

Page 3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 -

나.수질 분야 (세균 바이러스)

1)조사 상

가)지표세균

국내외 지표세균 조사에 많이 사용 고 있는 상인 총 장균군,분원성 장

균군, 장균,장구균 분원성연쇄상구균을 선정하 다.

나)장 계 바이러스

감염성 여부를 알 수 있는 총배양성바이러스 아직 한 세포배양법이 없

는 노로바이러스,난배양성 바이러스인 A형 간염바이러스를 조사 상으로 선정

하 다.

2)조사 지역 시료 채취

조사지 은 한강 수계인 팔당 잠실 상수원 인근 하남 지하수,구리 하

수처리장에서 8월 10월에 시료를 채취하 다.총배양성바이러스 실험용으로

잠실,팔당 상수원 시료와 하남 지하수의 경우 "바이러스 표 시험방법(국립환경

과학원고시 제2006-27)"에 의거하여 1MDS 필터를 이용하여 8월에 팔당에서

210L,잠실에서 220L,하남에서 1500L분량을 채취하 으며,10월에 팔당에

서 250L,잠실에서 250L,하남에서 1500L분량을 채취하 다.구리 하수처리

장에서는 8월,10월에 혼합수,유입수,방류수를 각각 1L씩 멸균 채수병을 사용

하여 채취하 다.노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실험용으로 잠실,팔당 상수원

시료와 하남 지하수의 경우 "바이러스 표 시험방법(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06-27)"에

의거하여 1MDS필터를 이용하여 8월에 팔당에서 220L,잠실에서 230L,하남에서

500L분량을 채취하 으며,10월에 팔당에서 260L,잠실에서 240L,하남에서 500L

분량을 채취하 다.구리 하수처리장에서는 8월,10월에 혼합수,유입수,방류수를 각각

1L씩 멸균 채수병을 사용하여 채취하 다.지표 세균 분석용으로 8,10월 모든 시료

채취 지 에서 수시료를 채수할 때 수온,pH,탁도 등도 함께 측정하 다.시료 채취

지 은 그림 4에 나타내었다.채취된 시료는 아이스박스에 보 하여 실험실로 운반하

다.

Page 3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 -

그림 4.수질 시료 채취 지 (팔당 잠실 상수원).

가)일반세균( 온 온),총 장균군,분원성 장균군, 장균,장구균

분원성 연쇄상구균 측정

지표 세균 일반세균( 온 온),총 장균군,분원성 장균군, 장균,

분원성 연쇄상구균은 "수질오염공정시헙법(환경부고시 제2004-188)" "먹는

물 수질공정시험 방법(환경부고시 제2007-146)"을 참고하여 분석하 고 장구균

의 경우 미환경청의 장구균 분석 방법인 "Method 1600(United States

EnvironmentalProtectionAgency,1997)"을 사용하 다. 온 온 일반세균

은 각 시료마다 3개씩 원시료나 인산완충희석액으로 10단계 희석된 시료를 온

일반종속 양세균 검출용 표 한천배지( 이트카운트 한천배지; Difco

Laboratories,MI,USA)와 온일반종속 양세균 검출용 R2A 배지(Difco

Laboratories,MI,USA)에 섞어 혼합하고 배지를 굳힌 후 온일반세균은 35.0

±0.5℃에서 48±2시간 동안 배양하 고 온일반세균은 11.0±0.5℃에서 72

±3시간 배양하 다.30-300집락이 형성된 정 희석 농도가 종된 평 에서

집락수를 계수하 고 희석배율을 곱하여 그 농도를 cfu/100ml의 단 로 나타내

었다.총 장균군과 분원성 장균군,장구균은 막여과법을 이용하여 각 시료마

다 3개씩의 평 배지를 만들어 계수하 다.원시료나 인산완충희석액으로 10단

계 희석된 시료를 각각 여과막(0.45㎛,47mm,Advantec®,Japan)으로 여과하

으며 총 장균군의 경우는 mEndo한천배지(DifcoLaboratories,MI,USA)에

서 35.0±0.5℃의 온도로 24±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속 택이 나는 붉은색

집락을 계수하 고,분원성 장균의 경우 mFC 한천배지(DifcoLaboratories,

MI,USA)에 44.5±0.5℃의 온도로 24±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푸른색 집락만

분원성 장균군으로 계수하 으며 장구균의 경우 mEI 한천배지(Difco

Laboratories,MI,USA)에 41.0±0.5℃에서 24±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푸른색

Page 3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 -

후 (bluehalo)집락을 계수하 다.모두 100개 미만이 되는 집락(장구균 20-60

집락)이 형성된 배지의 집락수를 취하 으며 희석배율을 곱해서 cfu/100ml의

단 로 나타내었다. 장균의 경우 총 장균군 막여과법 추정 시험에서 집락이

있는 여과막을 양한천-MUG 배지의 표면으로 옮겨 35.0±0.5℃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고 암실에서 자외선 램 (366nm)를 사용해 형 유무를 찰하여

형 을 띤 집락을 양성으로 정하여 cfu/100ml의 단 로 나타내었다.분원성

연쇄상구균의 경우 시료 50ml씩을 5개의 3배 농후 아자이드 포도당 배지가

25ml씩 들어있는 시험 에 종한 후에 35.0±0.5℃에서 24±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혼탁이 일어난 시험 을 고른 후에 이 시험 으로부터 1백 이 씩

취하여 이자 장구균 선택 한천배지(MBcell,Seoul,Korea)에 획선이식하여

35.0±0.5℃에서 24±2시간 동안 배양해 흑갈색의 집락이 형성된 것을 양성으

로 확정하 다.

나)시료의 농축

상수원 시료와 하남 지하수의 경우 "바이러스 표 시험방법(국립환경과학원고

시 제2006-27)"과 "지하수 노로바이러스 리 책(안)(환경부,2007)"에 근거하

여 농축하 다.바이러스를 흡착한 1MDS필터를 1.5% beefextract(pH 9.5)

용액 1L를 넣고 양압을 주어 바이러스를 탈리하고 1M 염산 용액으로 pH

7.0-7.5사이로 조 하 다.탈리액을 교반기로 잘 섞으면서 1M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pH 3.5±0.1로 맞추고 30분 이상 천천히 섞은 후에 2,500×g로 4℃,

15분 동안 원심분리해 상층액을 버리고 침 물을 0.15M 인산1수소나트륨용액

20ml(노로바이러스,A형 간염 바이러스 분석용은 30ml)로 재부유시키고 다

시 4,000-10,000x g로 4℃,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만 취하고 pH를

7.0-7.5로 맞추었다.총배양성바이러스의 경우는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해

멸균용 필터(0.22㎛)로 여과하 다.최종 농축 시료량(FCSV=finalconcentrated

samplevolume)을 기록하고 분석 까지 -70℃에 보 하 다.하수 시료의 농

축은 StandardMethods(AmericanPublicHealthAssociation,1995)를 응용하

여 사용하 다.시료 1L에 0.15N수산화알루미늄 탁액 10ml을 첨가하고 바

이러스 흡착이 되도록 혼합물을 4-10℃에서 2시간 동안 천천히 섞었다.혼합

물을 1,700xg로 15-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50ml의 3% 쇠고

기엑스 완충액(pH 7.4)을 첨가하여 재 탁하 다. 탁액을 10분간 섞어 후,

1,9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버렸다.침 물을 0.15M 인산1

수소나트륨용액 20ml(노로바이러스,A형 간염 바이러스 분석용은 30ml)로

재부유시키고 분석 까지 -70℃에 보 하 다.

Page 3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 -

다)핵산 추출

노로바이러스,A형 간염 바이러스 분석용 시료의 RNA 추출에는 QIAamp®

ViralRNA MiniKit를 사용했다.농축시료 560㎕에 4배 분량의 bufferAVL을

넣어 주고 15 vortexing하 다.10분 동안 상온(15℃-25℃)에서 배양 후 농축

시료 4배 분량의 100% 에탄올을 넣고 15 vortexing하 다.630㎕씩을 spin

column에 넣고 8,000rpm으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시료를 모두 사용할 때

까지 반복하 다.bufferAW1500㎕를 column에 넣고 1분 동안 8,000rpm으

로 원심분리하여 세척한 후 bufferAW2500㎕를 column에 넣고 3분 동안

14,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2차 세척하고 잔여물이 안남아 있도록 하 다.

bufferAVE60㎕를 spincolumn에 넣고 1분 동안 배양 후 1분,8,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용리하 다.

라)역 사 nestedPCR

역 사 nestedPCR은 노로바이러스의 경우 "지하수 노로바이러스 리

책(안)(환경부,2007)"방법을 조 변형하여 사용하 고 A형 간염 바이러스의

경우 Moraseetal.(2002)의 방법을 조 변형하여 사용하 다.핵산 추출에서

얻어진 RNA 시료를 노로바이러스 nestedPCR과 A형 간염 바이러스 nested

PCR을 해서 표 5와 표 6의 방법으로 역 사하여 노로바이러스 GI,GII A

형 간염 바이러스의 cDNA를 얻었다.얻어진 cDNA에서 바이러스를 확인하기

한 firstPCR nestedPCR에 사용할 primer의 종류는 표 7에 제시하 다.

firstPCR nestedPCR반응조성은 노로바이러스는 표 8~9에 제시하 고 A

형 간염 바이러스는 표 10~11에 제시하 다. 한 시료의 PCR반응 조건은 표

12에 제시하 다.각 단계마다 negativecontrol(멸균 증류수)을 삽입하고 노로

바이러스,A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시료를 삽입하여 PCR 증폭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 다.PCR증폭은 PTC-100(BioRad)PCR증폭기를 통해 실시하 고 결

과는 1.5% agarosegel을 통해 확인하 다.

Page 3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 -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

RNA추출시료 5.0㎕

1.RNA추출 시료에 99℃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buffer,MMLVreverse

transcriptase,RNasin®

Ribonucleaseinhibitor를 넣고

42℃에서 1시간 배양 후 95℃ 5분

배양하여 효소 불활성화 후 4℃

5xbuffer 2.0㎕

10xdNTP(10mM) 0.5㎕RNasin®Ribonuclease

inhibitor

(10u/㎕,Promega)

0.25㎕

MMLVReverse

Transcriptase

(200u/㎕,Invitrogen)

0.25㎕

HAV2(표 14참조) 12.5pmole멸균 증류수 upto10.0㎕

Total 10.0㎕

표 6.A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RNA추출시료 10.0㎕

1.RNA 추출 시료에 멸균 증류수,dNTP,

Random primer를 넣고 65℃에서 5분 배

양 후 onice

2.5xfirst-strandbuffer,DTT,RNasin®

Ribonucleaseinhibitor를 넣고 25℃에서

2분간 배양

3.SuperScriptTMIIReverseTranscriptase

를 넣고 25℃,10분,42℃,50분 배양 후

70℃에서 15분 가열하여 효소 불활성화

5xfirst-strandbuffer 4.0㎕

DTT 2.0㎕

10xdNTP(10mM) 0.5㎕

RNasin® Ribonuclease

inhibitor

(40u/㎕,Promega)

1.0㎕

SuperScriptTM

II Reverse

Transcriptase

(200u/㎕,Invitrogen)

1.0㎕

Random Primer(500pmole/

㎕,Takara)0.5㎕

멸균 증류수 upto20.0㎕

Total 20.0㎕

표 5.노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

Page 3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 -

반응액 조성 용량

template(cDNA) 10.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firstPCR용 primers 각 25.0pmole

Taqpolymerase(5U/㎕) 0.25㎕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8.노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바이러스 Primer Regionsequence

(5′→3′)b Polarity 참고문헌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

GI-F1Ma

Capsid

CTGCCCGAATTYGTAAATGAT

GATSense

Kim etal.

(2005)

GI-F2b

ATGATGATGGCGTCTAAGGAC

GCSense

GI-R1Mab

CCAACCCARCCATTRTACATY

TGAntisense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I

GII-F1Ma

Capsid

GGGAGGGCGATCGCAATCT

Sense

GII-F3Mb

TTGTGAATGAAGATGGCGTCG

ASense

GII-R1Mab CCRCCIGCATRI

CCRTTRTACATAntisense

A형 간염

바이러스

HAV1a

3Agene

AATCCTCACAA

TGATATGSense

Moraseetal.(2002)

HAV2a CAACTCCAAAC

TGAACCAAntisense

HAV3b ACATAATGTT

TCATTGATGGSense

HAV4bAACCCACTTGT

GATTAGTAntisense

표 7.노로바이러스와 A형 간염 바이러스 증폭에 사용된 primer

afirst PCR용 primer,

bnested PCR용 primer,

cDegenerate positions I;

deoxyinosine,R:A/G,Y:C/T

Page 3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 -

반응액 조성 용량

firstPCRproduct 2.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nestedPCR용 primers 각 20.0pmole

Taqpolymerase(5U/㎕) 0.2㎕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9.노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반응액 조성 용량

template(cDNA) 10.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firstPCR용 A형 간염 바이러스 primers 각 25.0pmole

Taqpolymerase(5U/㎕) 0.25㎕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10.A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을 한 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firstPCRproduct 2.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nestedPCR용 A형 간염 바이러스 primers 각 12.5pmole

Taqpolymerase(5U/㎕) 0.2㎕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11.A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Page 3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 -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c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

GI-F1M/

GI-R1Ma

94℃,5분

94℃,30 ;

55℃,30 ;

72℃,1분 30

72℃,7분

35 330bp

GI-F2/

GI-R1Mb 25 314bp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I

GII-F1M/

GII-R1Ma 35 341bp

GII-F3M/

GII-R1Mb 25 311bp

A형 간염

바이러스

HAV1/HAV2a

HAV3/HAV4b 94℃,4분

95℃,25 ;

37℃,30 ;

70℃,1분

70℃,3분 30

435bp/

363bp

301bp/

143bp

표 12.노로바이러스와 A형 간염바이러스 검출을 한 증폭 조건

afirstPCR용 primer,

bnestedPCR용 primer,

cDenaturation temperatureand

time;annealingtemperatureandtime;extensiontemperatureandtime

마)세포배양

분석해야 할 시료의 양(D)을 팔당,잠실 상수 원수의 경우 100L,하남 지하

수의 경우 1000L,하수의 경우 800ml로 계산하여 다음식을 이용하여 Assayed

SampleVolume(S)을 계산하 다.

S=D/ATSV×FCSV

(ATSV:AdjustedTotalSampleVolume,FCSV:FinalConcentratedSampleVolume)

각 시료의 S의 0.55배인 Subsample1을 비하고 0.67배인 Subsample2를

비하고 총배양성바이러스 분석 까지 -70℃에 보 하 다.계 배양 이후 3-6

일 사이 가장 민감한 수 의 BuffalloGreenMonkeyKidney(BGM)세포주가

들어있는 10개의 배양 용기에서 배양 용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최소

0.06ml/cm2의 용량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에 녹인 Subsample1을 10등분하여

종하 다( 종량은 0.04ml/cm2를 과하지 않았음).80-120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매 15분마다 종 배양 용기를 흔들어(rocking) ),배양용 배지(2%

우태아 청이 첨가된 MinimalEssentialMedium)를 첨가하고 37℃에서 1주일간

배양하고 세포병변 상(CPE)을 찰하 다.처음 3일 동안은 매일,그 후는 2일

에 한 번씩 찰하 으며,세포독성을 보이지 않고 최소 3개 이상이 음성을 보

인 시료들은 Subsample2를 녹여서 앞과 같은 방법으로 10개의 BGM 세포주

배양 용기에 재 종 하 다.총 2주 동안 배양하 으며 양성을 보이거나 음성을

Page 3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 -

보인 시료 모두 -70℃와 상온에서 얼리고 녹이는 것을 3번 실시하여 세포주에

서 바이러스를 꺼내고 이 시료 0.4ml을 각 10개의 BGM 세포주 배양 용기에

종하는 2차 passage를 실시하 다.2주 배양 동안 CPE를 찰하여 1차,2차

모두 양성을 보 거나 음성을 보인 시료는 양성 는 음성으로 확정하 고 둘의

결과가 상반된 시료는 2차 passage와 같은 방법으로 3차 passage를 시행하여

양성,음성을 정하 다.각 수시료 당 총배양성 바이러스 농도는 미환경청에서

제공하는 "MPNsoftware"를 이용하 고 100L당 바이러스 농도로 환산하여 검

출 농도를 구하 다.

바)정도 리

음성 조시료는 멸균된 1MDS필터를 표 필터하우징에 넣고 수시료와 같

은 방법으로 바이러스 농축 세포배양(S에 0.4를 곱하여 Subsample을 나눔)

을 수행하여 정도 리 여부를 확인하 다. 양성 조시료는 멸균된

polypropylene용기에 40L2차 증류수를 넣고 200plaqueformingunit(PFU)

의 attenuatedpoliovirus를 더한 후에 필터링한 후 수시료와 같은 방법으로 바

이러스 농축 세포배양(S에 0.4를 곱하여 Subsample을 나눔)을 수행하여 정

도 리 여부를 확인하 다.

사)IntegratedCellculture-PCR(ICC-PCR) 염기서열 분석

2차 passage에서 양성,음성 시료 모두 3번 얼렸다 녹 다를 반복하여 세포주

에서 바이러스를 꺼내고 그 용액 140㎕를 (5)의 방법으로 핵산을 추출하여 60

㎕의 RNA DNA를 얻었다.엔테로바이러스 오바이러스 검출을 해 각

각 표 13,14의 방법으로 역 사하 다.역 사된 cDNA와 시료 DNA에서 바이

러스를 확인하기 한 firstroundPCR nestedPCR에 사용할 primer의 종류

는 표 15에 제시하 다.FirstroundPCR nestedPCR반성은 엔테로바이러

스는 표 16~17에 제시하 고 오바이러스는 표 18~19에 제시하 고 아데노바이

러스는 표 20~21에 제시하 다. 한 시료의 PCR반응 조건은 표 22에 제시하

다.각 단계마다 negativecontrol(멸균 증류수)을 삽입하고 엔테로바이러스,

오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양성 시료를 삽입하여 PCR증폭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 다.PCR증폭은 PTC-100(BioRad)PCR증폭기를 통해 실시하 고 결

과는 1.5% agarosegel을 통해 확인하 다.검출된 PCR산물에서 핵산을 정제

하여 염기서열분석을 하 고 GenBank의 BLAST 로그램을 통하여 가짜 양성

인지를 확인하 으며 바이러스 종류 type등을 결정하 다.각 시료의 바이

러스 양성 결과를 토 로 "MPN program"을 통해 시료별 바이러스 농도를

MPN/100ml로 나타내었다.

Page 3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 -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

RNA추출 시료 5.0㎕

1.RNA추출 시료에 99℃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buffer,MMLVreverse

transcriptase,RNasin®

Ribonucleaseinhibitor를 넣고

20℃에서 10분,42℃에서 30분

배양 후 95℃ 5분 배양하여

효소 불활성화 후 4℃

5xbuffer 2.0㎕

10xdNTP(10mM) 0.5㎕

RNasin®Ribonuclease

inhibitor(10u/㎕,Promega)0.25㎕

MMLVReverse

Transcriptase

(200u/㎕,Invitrogen)

0.25㎕

Random Primer

(500pmole/㎕,Takara)0.5㎕

멸균 증류수 upto10.0㎕

Total 10.0㎕

표 14. 오바이러스 검출을 한 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

RNA추출 시료 5.0㎕1.RNA추출 시료에 99℃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buffer,MMLVreverse

transcriptase,RNasin®

Ribonucleaseinhibitor를 넣고

42℃에서 1시간 배양 후 95℃

5분 배양하여 효소 불활성화

후 4℃

5xbuffer 2.0㎕

10xdNTP(10mM) 0.5㎕

RNasin®Ribonuclease

inhibitor

(10u/㎕,Promega)

0.25㎕

MMLVReverse

Transcriptase

(200u/㎕,Invitrogen)

0.25㎕

EP4(표 20참조) 50pmole

멸균 증류수 upto10.0㎕

Total 10.0㎕

표 13.엔테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PCR용 역 사 반응 조성과 조건

Page 4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 -

바이러스 PrimerRegion sequence(5′→3′)bPolarity 참고문헌

엔테로바이러스

EP1a

5'

NTRc

CGGTACCTTTGTGC

GCCTGTSense

Gow etal.(1991)Kuanetal.(1997)

EP4a TTAGGATTAGCCGC

ATTCAGAntisense

E1b AAGCACTTCTGTTT

CCSense

E2bCATTCAGGGGCCGG

AGGGAAntisense

오바이러스

L1.rv5a

L1

gene

GCATCCATTGTAAA

TGACGAGTCTGSense

Learyetal.(2002)

L1.rv6a CTTGAGATTAGCTC

TAGCATCTTCTGAntisense

L1.rv7b GCTAGGCCGATATC

GGGAATGCAGSense

L1.rv8b GTCTCACTATTCAC

CTTACCAGCAGAntisense

아데노바이러스

AV1a

Hexon

gene

GCCCGAGTGGTCTT

ACATGCACATCSense

Allardetal.(1992)

AV2aCAGCACGCCGCGGA

TGTCAAAGTAntisense

AV3b GCCACCGAGACGTA

CTTCAGCCTGSense

AV4b

TTGTACGAGTACGC

GGTATCCTCGCGGT

C

Antisense

표 15.엔테로바이러스, 오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증폭에 사용된 primer

Page 4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 -

반응액 조성 용량

template(cDNA) 10.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firstPCR용 primers 각 50.0pmole

Taqpolymerase(5U/㎕) 0.25㎕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16.엔테로바이러스 검출을 한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반응액 조성 용량

firstPCRproduct 1.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nestedPCR용 primers 각 50.0pmole

Taqpolymerase(5U/㎕) 0.2㎕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17.엔테로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표 18. 오바이러스 검출을 한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반응액 조성 용량

template(cDNA) 10.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firstPCR용 오바이러스 primers 각 25.0pmole

Taqpolymerase(5U/㎕) 0.25㎕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Page 4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 -

반응액 조성 용량

firstPCRproduct 1.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nestedPCR용 오바이러스 primers 각 25.0pmole

Taqpolymerase(5U/㎕) 0.2㎕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19. 오바이러스 검출을 한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반응액 조성 용량

핵산추출시료 5.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firstPCR용 아데노바이러스 primers 각 10.0pmole

Taqpolymerase(5U/㎕) 0.25㎕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20.아데노바이러스 검출을 한 Firstroun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반응액 조성 용량

firstPCRproduct 1.0㎕

10xbuffer 5.0㎕

10xdNTP(10mM) 5.0㎕

nestedPCR용 아데노바이러스 primers 각 10.0pmole

Taqpolymerase(5U/㎕) 0.2㎕

멸균 증류수 upto50.0㎕

Total 50.0㎕

표 21.아데노바이러스 검출을 한 nestedPCR반응액 조성(시료 당 반응조성)

afirstPCR용 primer,

bnestedPCR용 primer,

cDenaturation temperatureand

time;annealingtemperatureandtime;extensiontemperatureandtime

Page 4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 -

(n=14)

보호자 환자 일반인 환경

비강 손 비강 손 비강 손 문고리 조 실

내성종류

1이상14 3 3 3 0 2 2 0 0 1

% 100.0100.

0

100.

0100.0 0.0 100.0 0.0 0.0 0.0 100.0

다제내성 3 0 2 1 0 0 0 0 0 0

% 21.4 0.0 66.7 33.3 0.0 0.0 0.0 0.0 0.0 0.0

표 23.Klebsiellapneumonia의 다제내성균 수 다제내성률(%)

Virus Primerpair

Initial

denaturatio

n

PCR조건c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엔테로바이러

EP1/EP4a

E1/E2b 94℃,3분

94℃,1분;

56℃,1분;

72℃,1분 72℃,

10분30

408bp

94℃,1분;

45℃,1분;

72℃,1분

297bp

오바이러스

L1.rv5/L1.rv6a

L1.rv7/L1.rv8b

94℃,1분

95℃,20 ;

55℃,30 ;

72℃,30

72℃,

10분35

416bp

344bp

아데노바이러

AV1/AV2a

AV3/AV4b 94℃,4분

95℃,30 ;

55℃,30 ;

72℃,1분

72℃,7분 35

301bp

143bp

표 22.엔테로바이러스, 오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검출에 사용된 증폭 조건

다.임상 분야

1) 수지 하천에서의 Legionella출 조사

가)조사 장소

(1)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일월 수지

(2)경기도 의왕시 부곡동 왕송 수지

(3)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호수 공원 시화호

Page 4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 -

나)실험 방법

(1) 수지 하천에서의 Legionella출 조사

(가)배양법

① 수지 하천수 1ℓ를 멸균된 채수병에 담는다.

② 0.2㎛ 여과지로 농축한다.

③ 멸균된 증류수 20㎖에 ②의 여과지를 가 로 잘라 부유시킨다.

④ 50℃에서 30분간 열처리한다

⑤ 부유액을 10배 희석한다.

⑥ 원액과 10배 희석액을 각각 0.1㎖씩 GVPC BCYE배지에 도말한다.

⑦ 2.5~ 5% CO2배양기 는 candlejar에서 3~ 10일간 배양하면서 찰한

다.

(나)PCR법

① 여과지로 농축한 수지 하천수를 직 PCR의 template로 이용한다.

② 다음의 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실시한다.

primer sequence

Legionella

genus-specificprimer

RL1 5’-GATGATATCGATCAYCTDGG-3’

RL1 5’-ACDCGDYCRTAGTGTHGT-3’

L.pneumophila

species-specificprimer

RL5 5’-GATGATATCGATCAYCTDGG-3’

RL6 5’-ACDCGDYCRTAGTGTHGT-3’

표 24.LegionellaPCR에 사용된 라이머

(2)환경에서의 MRSA출 조사

각종 시설의 기구 등에서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aureus)를 분리하고

이들의 항생제 감수성을 측정하여 MRSA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 다.

(가)조사 지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A음식 계단 손잡이

․B노래방 엘리베이터)

․은행 자동인출기기 A

․오락기기 버튼

․지하철 표 넣는 곳

Page 4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8 -

․은행 자동인출기 B

․버스정류장

․스포츠몰 입구 손잡이

․약국 건물 엘리베이터)

․C음식 야외 테이블

․쇼핑센터 쇼핑카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2동

․놀이터

․D음식 손잡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E쇼핑센터 엘리베이터

․F쇼핑센터 에스컬 이터 손잡이

․G쇼핑센터 자 기

․놀이터

․버스정류장

․터미 물품보 함

․은행 인출기

․은행 외부 인출기

․공원 화장실 손잡이

․공원 벤치

․상가 A 손잡이

․상가 B 손잡이

○ 충청남도 서산시 산읍 삼길포

․삼길포 항 부근 손잡이

○ 경기도 화성시 화성 휴게소

․휴게소 화장실 손잡이

(나)분리 방법

(1)Cotton-tippedswab을 이용하여 표면을 채취한다.

(2)Mannitol-saltagar(BD Diagnostics,Sparks)에 cotton-tippedswab을

도말한다.

(3)37C에서 48시간 배양한다.

(4)다른 종들과 구분하기 하여 배지를 노랗게 변화시키는 집락 (colony)

만을 분리하여 StaphaureusPluskit를 이용한 agglutination을 조사하여

S.aureus를 분리한다.

Page 4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9 -

(다)항생제 감수성 검사

CLSI(Clinical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에서 추천하는 broth

microdilution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세균의 최소 해농도(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을 측정하 다. Control로 Enterococcus faecalis

ATCC29212와 StaphylococcusaureusATCC29213을 이용하 다.

(라)황색포도상구균 분리(항생제 감수성 검사)

oxacillin (methicillin),penicillin,vancomycin,erythromycin,clindamycin,

ciprofloxacin,tetracycline,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라.실내환경 분야

1)연구 방법

가)환경조사 가구

2008년 10월 23일부터 11월 2일까지 세 란스병원에 내원한 알 르기 환자를

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한 서울시 9가구,인천시 2가구,경기일 4가구

(고양시 2가구, 주시 1가구,부천시 1가구)를 선정하여 총 16가구의 환경 조사

를 실시하 다. 조군은 건강한 세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한 서울시 3가

구와 고양시 1가구를 상으로 환경조사를 실시하 다(표 25).방문 가구에 방문

하여 상자의 기 조사와 생활습 ,실내환경(온도,습도)에 한 조사를 하

다.조사된 설문지의 결과는 분석 후 각각의 가정에 우편으로 송부하 다.

Locality Noofhouse Total

서울 강서구 3(1) 3(1)

양천구 2 2은평구 2(1) 2(1)

서 문구 0(1) 0(1)마포구 1 1

성동구 1 1

인천 2 2경기 고양시 2(1) 2(1)

주시 1 1부천시 2 2

Total 16(4)

표 25.집먼지 진드기 채집을 한 조사 상 가구

( ): 조군 가구

Page 4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0 -

나)집먼지 채집장소

집먼지 채집은 침 를 사용하는 가구와 침 를 사용하지 않는 가구로 나 어

실시하 다.채집 장소는 침 를 사용하는 가구에서는 침 이불,방바닥,부엌

의 3곳을 채집하 고,침 를 사용하지 않는 가구에서는 어른이불,방바닥,부엌

의 3곳을 채집하 다.

다)집먼지 채집방법

집먼지는 modifiedSesay& Debson(1972)방법으로 채집하 다.진공청소기

(520W;LG)의 흡입구를 개량하여 흡입구 부근에 공기여과지(통기도 17.5±2㎤/

㎠․sec;상 산업)를 10㎝×10㎝로 잘라 끼워서 채집 상물 면 1×1㎡ 크기에

서 2분간 채집하 다(그림 5).

ModifiedSesay& DobsonMethod DustreamTMCollector

장 -가격 렴

-쉽게 채집

-진드기 알 르겐 분리용이

-표 규격 상용화

-사용 편리

-알 르겐 분리 용이

단 -표 화 필요 -가격 비

표 26.집먼지 채집방법의 비교

라)집먼지 진드기 동정

채집된 집먼지에서 입체 미경(×10)으로 진드기를 확인하고 이를 골라내어

받침유리 에 올려놓고 PVA용액에 한 방울 떨어드려 진드기 몸체를 바로 잡

고 덮개유리를 덮어서 자표본을 제작하 다.제작된 자표본은 상차 미경

(×100,×400)하에서 조(1980)검색표에 따라서 동정․분류하 다.

마)온․습도의 측정

온․습도 측정은 상 가구의 실내 집먼지 채집 장소에서 측정하 다.

마.수질 분야(원생동물)

가시아메바의 검출은 일반 으로 무 양한천배지(non-nutrientagarmedium)

를 사용하는데, 양분으로 사멸된 장균(Escherichiacoli)을 이용하 으며,군

집(colony)이 형성되면 미경으로 아메바의 양형(trophozoite) 포낭(cyst)

의 특성을 찰하 다.

Page 4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1 -

그림 6.수집된 먼지와 집먼지진드기.

그림 5.집먼지 채집에 사용된 ModifiedSesay&Debson방법.

Samples(하천, 냉각수)

Axenization

(Contact lenses case)

Agar plate: 25℃, 2~4 days

Cyst

PYG media Identification of Acanthamoeba spp.

Centrifuge

Samples(하천, 냉각수)

Axenization

(Contact lenses case)

Agar plate: 25℃, 2~4 days

Cyst Cyst

PYG media Identification of Acanthamoeba spp.

Centrifuge

그림 7.가시아메바의 분리(검출)방법

Page 4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2 -

가시아메바의 분리 배양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 다.

① 무 양한천배지 15gm 과 Yeastextract0.1gm을 증류수 1,000ml에 녹여 멸

균시킨 후 10개의 배양 시에 부어 고형화 하 다

② 따로 배양 인 장균을 60C에서 30분간 사멸시킨 후 원심침 하 다

③ 비된 한천배지 에 사멸된 장균을 배지 표면에 고르게 발랐다

④ 배양 시 덮개를 덮어 실온에서 30분 이상 놓아두었다

(주의:건조하여 갈라지지 않게 함)

⑤ 비된 검체를 배지 에 떨어뜨렸다

*수질의 경우 pipette로 침 물을 따서 배지에 종

*콘택트 보 용기에서는 면 으로 용액을 묻 면 체를 배지에 종

⑥ 배양 시의 덮개를 덮은 후 배양기로 옮겨 27℃에서 2일 내지 4일 동안 배양하

⑦ 군집(colony)형성이 찰되면 loop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⑧ Slideglass 에 떨어뜨리고 학 미경으로 아메바의 특징 형태를 찰하

* 양형(trophozoite) 포낭(cyst)의 특성은 그림 참조

⑨ 량 배양을 해 아메바가 확인된 군집에서 loop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⑩ 새로운 한천배지(④번)에 떨어뜨려 ⑥,⑦ ⑧ 과정을 반복하 다.

3.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가.국내외 미생물 노출평가 방법론 연구 우리나라에 합한 최 안 제시

1)국내외의 정성 정량 미생물 해성 평가를 한 사례조사

해성 평가 기반 마련을 한 국내외 미생물 해성 평가 사례를 조사하고자 한다.

가)미생물 련 질환 추세 악 미생물 련 질병에 한 역학조사 자료를 검토한다.

나)잠재 발생 가능 질환에 한 미생물의 주요 agent확인한다.

다)주요 매체별 미생물 agent의 실태 정성 건강 향 조사한다.

나.미생물의 노출평가를 한 단기노출 장기노출 모니터링 방안 제시

노출 평가는,미생물 용량-반응평가에 필요한 주요 항목으로 미생물 용량-반응 평

가 방법론인 비역치(Nonthreshold)와 역치(Threshold)평가 방법론과 연계되도록 모

니터링 지 방안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 노출 모니터링;비역치 평가방법론은 단일 병원균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Page 5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3 -

것과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확률이 독립 이라는 가정을 제로 하고,역치평가 방

법론은 미생물이 감염을 일으키기 해서 각기 개별 역치가 존재하는데 어느 정도

의 미생물수가 모여 서로 작용해야 독성유발물질을 만들어 낸다는 가정을 제로

한다.즉 모니터링 되는 미생물의 감염력(infectivity) 독성(virulence)을 고 려하

여야 한다.

다.미생물 해성평가를 한 인체 노출지수 연구

1)주요 병원성 미생물의 dose-response연구사례 평가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발생의 염 모델안 제시.

가)노출 자료 분석

수질 공기 의 물리 ,화학 조건에 따른 미생물 변화를 고려하여 미생물

노출의 정량화에 한 방법을 고찰하며,국내외 용량-반응 평가 자료 분석 합

한 용량-반응 모델 확인한다.

Page 5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4 -

ModelPara-

meterDescription

Log-normalModel

P*=

12π⌠⌡

Z

- ∞exp(- z

2/2)dz

Z= (1N-μ)/σ

N

thedoseoforganism

becomeinfectedor

contractdisease

μ

theaveragelogarithm

ofthenormal

distribution

charactering

hostminimalinfective

doses

σ

thelogstandard

deviationofthenormal

distribution

characteringhost

minimalinfectivedoses

ExponentialModel

Ρ= 1- exp(- rN)

N theaveragedose

r

Thefractionofthe

ingestedmicroorganism

thatsurvivetoinitiate

infections

(host-microorganism

interactionprobability)

Beta-PoissonMedel

Ρ = 1- [1+ NN50

(21/α- 1)]

- α

N theaveragedose

Pthepredictedproportion

ofaffectedsubjects

N50Infectiousdoseof

50%(half)population

αheterogeneity

coefficient

표 27.사용 가능한 용량-반응 모델 ( )

나)미생물 해성 평가의 특성을 고려한 해미생물의 용량-반응모델

미생물 해성 평가의 특성을 고려하기 해미생물의 용량-반응모델에서는 생

물학 으로 타당한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요하며,따라서 감염인자를

상으로 생물학 으로 몇 가지 타당한 모델을 설정한 후 노출농도에 따른 인

체반응자료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을 검토하여 가장 합한 모델을 결정하여 타

당성을 평가하게 된다.방사능이나 화학물질에 한 인체 해와 감염성 미생물

에 의한 해의 차이 을 고려하지 못해 생물학 인 타당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다.이 두 가지 해도의 차이는 감염성 미생물은 화학물질과 같이 매질과

매체 등에 균질하게 분포하지 않으며, 인구집단에 Poisson,

Negative-Binomial,Poisson-Lognormal등과 같이 매우 낮은 수 의 확률분포

Page 5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5 -

로서 노출된다는 이다(Eisenhart, 1943; Quenouille,1949; Reid, 1981;

Johnson,1994). 한 화학물질은 인체 내에 흡수됨으로서 해를 나타내는데

반해 감염성 미생물은 숙주인 인체 내의 기생이 가능한 한 부 에서 병원

성을 보인다는 것이다.병원성 미생물에 노출됨으로서 일련의 endpoint가 나타

나는 과정은 다음 그림과 같다.

infectedindividual

healthypersons

contaminatedsupply

PI

illindividual

PD:IPM:D

fatality

Dose Response

그림 8.병원성 미생물 노출에 의한 endpoint.

P I:일반인들 오염원(병원성 미생물 등)에 노출시 감염될 확률,감염의 정의는 숙주내에서

유기체가 증식하여 배설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성(apparent) 불 성

(non-apparent)감염을 모두 포함.감염은 청내의 항원의 증가나 체온의 증가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확인 가능함

P D:I:감염된 사람들 질병이 나타나는 사람(morbidityratio)

P M:D:환자들(illindividuals) 사망하는 사람들은(mortalityratio)로 나타낸다.

다)미생물의 용량에 따른 질병발생에 근거하여 용량-반응 계 자료 분석

해도 추계에 사용할 용량-반응모델은 미생물마다 감염력 독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생물학 으로 타당한 모델을 선택하여 분석하고자 하 다.미생물

에 의한 감염성 질병발생의 염 모델안 제시는 매체( 기,수질)별 노출에 따른

질병 발생 감염 가능 경로를 악하 다.공기 의 미생물 뿐만 아니라,보균

자의 미생물 배출을 통한 공기 감염의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으며,이를 통해 환자

발생이 가능함.특히,의료기 의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더라도 공기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수질의 미생물 노출에 따

른 질병 발생뿐만 아니라,이를 통해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2차 감염 가능성을 악

하고, 한 감염 가능 경로를 고찰 하고자 하 다.

Page 5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6 -

그림 9.공기감염:산소마스크 착용시 배출되는 에어로졸 패턴

Source:SomogyiR,VeselyAE,AzamiT,etal.Dispersalofrespiratory

dropletswithopenvsclosedoxygendeliverymasks:implicationsforthe

transmissionofsevereacuterespiratorysyndrome.Chest2004;125:1155-1157.

라.인체 노출평가 지표 감염 모델을 이용한 정량 미생물노출평가 Monte

Carlosimulation 의 수행

연구된 우리나라에 합한 노출평가 지표 용량-반응 모델,감염 모델을 바탕으

로 정량 미생물 노출 평가(사례연구)를 진행하고자 하 다.이를 해,미생물 노

출에 의한 질병 발생 황 자료 (미생물 험성 확인,노출,용량-반응 평가, 해

도 결정)를 분석한 후 미생물의 인체 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QMRA

(QuantitativeMicrobialRiskAssessment)모델을 정립하고, 한,노출의 특성화,

인체 건강 향의 특성화, 해도 결정 등 본 연구에서 정립된 미생물 해도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고자 함.Target미생물을 결정한 후 QMRA 모델을 사용하여 일

부 미생물의 인체 해성을 평가한다.[상시설 결정 → 노출 평가 → 용량-반응

평가 → 험성 확인]

마.QuantitativeMicrobialRiskAssessment(QMRA)모델 구축 시

1)QMRA를 한 Targetmicroorganism결정

가)주요 미생물 profile작성

-문헌자료 조사 일부 실측을 통한 상 시설의 부유 미생물 확인

-QMRA에 한 상 로 일 작성

나)Targetmicroorganism 상 결정

-조사된 부유 미생물 로 일을 상으로 인체 향에 한 용량-반응 계가

규명된 미생물을 심으로 주요 평가 상 결정

2)개발된 QMRA모델을 통한 해성 평가

Page 5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7 -

가) 상 결정

-특성별/규모별/노출원 별 평가 상 결정

나) 노출 평가

-주요 targetorganism에 한 정량 노출 수 평가

다)용량-반응 평가

-미생물 노출에 한 인체 내 용량과 질병 발생에 해 개발된 통계 모델 이용

-단 용량 노출에 한 인체 향의 용량-반응 모델 이용

라) 험성 확인

-노출평가를 통한 상 시설별 미생물 노출 분포와 용량-반응 함수를 종합하여

개인 노출 해도와 상 인구집단 해도 산출

3)국내 미생물 해성 평가체계 도입을 한 감염성질병의 인체 해성 지표연구

가)국내외 유해 미생물의 보건지표와 인체 해성의 연 성연구 용사례 조사

나)유해미생물의 인체 해성평가를 한 새로운 보건지표의 개발 평가

Page 5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8 -

V.연구 결과

제 1장

기분야

Page 5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39 -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가.국내외 유해미생물 리 연구 동향조사

1)국내 연구동향

국내 연구 동향을 조사한 결과 58건의 조사연구 에서 박테리아에 한 연구는

10편,곰팡이에 한 연구는 5편,박테리아와 곰팡이에 한 연구는 32편이었으며

진드기에 한 연구는 3편에 불과하 다.동정되어진 박테리아는 Staphylococcus

aureus가 주로 많았으며,그 외에는 bacillus,Streptococcus종 등이 있었다.곰팡이

의 경우는 Cladosporium,Alternaria등이 주로 동정되었다.하지만 진드기에 한

연구는 2건 정도에 불과하 으며,바이러스에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사례 1)송주희 등이 2003년에 서울시내에 치한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2곳의 진료실,환자 기실,입원실,외부 기에서 공기 박테리아,그람음성 박

테리아 농도를 평가하 다.박테리아는 미생물의 일반 인 오염지표로,총 박테

리아의 농도는 215.2~573.8CFU/m3로 분포하 다.그람 음성 박테리아는 배변

에 의한 오염과 부 정한 환기에 따른 오염 등을 단하는 지표로 이용된다.그

람 음성 박테리아의 농도는 9.4~16.7CFU/m3이고,호흡성 그람 음성 박테리아

는 5.4~12.2CFU/m3농도를 보 다.총 박테리아 농도와 그람 음성 박테리아는

입원실과 기실이 진료실보다 높은 농도를 보 고,사람 수가 많을수록 통계

으로 유의하게 박테리아의 농도가 높아졌다.이 연구에서 공기 미생물이 환

경부의 실내 공기 질 리법 기 농도를 과하지는 않았지만,일부 시간에 서

는 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례 2)2005년 Wan-KuenJo등의 연구에서는 등학교 교실과 술집,PC방

에서의 공기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농도를 측정하 다.11개 등학교 44개의

교실에서 모두 박테리아가 검출되었고,학교실내에서 총 박테리아의 농도는 26

9~1,621CFU/m3이었다.이는 같은 연구에서 측정한 PC방이나 술집보다 높은

농도로, 부분의 교실에서 한국의 실내 bioaerosolguideline인 800CFU/m3을

상회하 다.

2)국외 연구동향

국외의 문헌은 데이터베이스화하기 하여 업데이트 과정 에 있으며 약 40편의

논문을 검색하 다.국외에서는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 등에 한 연구 자료는 국

내와 비교하여 많았으나 바이러스에 한 연구는 었다.

사례 1)Al-ShahwaniMF.의 연구에 의하면 Yemen의 한 병원 공기 총 박테

리아 농도는 478.6CFU/m3이고,lactosefermenting bacteria (24.9CFU/m

3)와

Page 5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0 -

haemolyticbacteria(6.5CFU/m3),non-lactosefermentingbacteria(4.8CFU/m

3)가

검출되었다.

사례 2)Nepal의 병원에서 시행된 연구에서는 실내공기를 채집한 43개의 샘 을

포함한 환경에서 수집한 샘 을 배양한 결과는 그람 양성구균이 우세하 다.그람

양성구균은 S.aureus,S.epidermidis등과 같은 균으로 호흡기 질환과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뒤를 이어 그람 양성 간균과 그람 음성 간균이 검출 되었다.이

S.aureus는 Methicillin항생제에 하여 내성균 1.6% 이었다.

사례 3)ZilmaGNunes등이 라질의 사무실과 병원,공장,쇼핑센터 등의 장소

에서 공기 박테리아 농도를 측정하 는데 공장에서는 총 박테리아의 농도가 0에

서 100CFU/m3에서 분포하 고,사무실에서 측정된 총 박테리아의 농도는 부분

300CFU/m3정도에서 분포하 다.병원에서의 총 박테리아 농도의 평균도 200

CFU/m3다.하지만,사람들의 출입이 많은 쇼핑센터에서는 평균 총 박테리아 농

도가 1,000CFU/m3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 다.

사례 4)Wieslaw et.al.(2007)는 indoorallergen의 주된 노출은 집진드기

(housedustmite)에 의해 이루어진다.어린 시 에 진드기 노출은 알 르기에

민해지고 호흡기염증과 천식을 유발한다.

사례 5)Wever-Hesset.al(2000)은 천식으로 진단된 0-4세 유아들을 상

으로 2년동안 추 조사하여 천식을 악화시키는 험인자는 습기가 있는 집구조

(damphousing)라고 하 다.습기는 박테리아,곰팡이 등 미생물이 번식하는데

제한요인(limitingfactor)이다.따라서 어린이 천식 등 호흡기계 질환을 방하

기 한 가장 요한 조치는 어린이가 생활하는 환경에서 습기의 발생을 정수

이하로 리하는 것이다.

나.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수집․정리

1) 국외 실내 공 질 리

(1)ACGIH(AmericanConferenceofIndustrialHygienists)

ACGIH에 의하면 실내 바이오에어로졸 농도는 기나 청정한 지역의 농도와

반드시 비교되어야 하며 기 곰팡이 농도는 1,000CFU/m3를 과하며 여름

에는 10,000CFU/m3까지 측정되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바이오에어로졸의 작

업장 노출에 한 기 은 OSHA에서도 정해지지 않았으며 ACGIH에서는 면역

이 약한 사람에게는 100CFU/m3의 농도도 유해하다고 하며,휘발성 유기화합

물을 방출하는 미생물도 조 되어져야 한다.

Page 5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1 -

박테리아가 증식하지 않은 실내 공간에서도 Micrococcus,Staphylococcus와

같은 그람음성박테리아는 많이 존재하며 이것은 환기가 하게 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복잡한 상태임을 뜻한다.그람음성박테리아의 상한선에 해당하는 농도

는 4,500~10,000CFU/m3이며 온이나 고온에 존재하는 Actinomycetes는 농업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며 70CFU/m3이상 존재 시 제거해야 한다.

(2)캐나다

캐나다의 <IndoorAirQualityinOfficeBuildings:A TechnicalGuide>에서

는 실내 공기질에 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과 오염원에 해서 나열하고 있으며

표 28과 같다.미립자는 공기역학 직경이 0.005~100㎛에 해당하는 고체나 액

체입자로 바이러스,박테리아,화분,곰팡이 포자 등의 고체와 미스트와 안개 같

은 액체입자가 속한다.

한 실내에 곰팡이가 500CFU/m3를 과하면 하지 못한 환기상태를 뜻하

며 외기에 존재하지 않는 곰팡이가 실내에서 검출된 경우에는 실내에 오염원이

있음을 나타낸다.

요인 오염원

온도,습도 부 한 온,습도 조 장치

이산화탄소 연소

일산화탄소 자동차,담배

포름알데히드 합 , 티클보드

미립자 담배,환기장치 내 필터

휘발성유기화합물 복사기, 린터,컴퓨터

부 한 환기 설계

미생물 요인 환기조 장치 내 정체된 물,가습기

표 28.실내공기질 오염의 련요인과 오염원

(3) 싱가포르

모든 건 상 로 실내 공 질 하 며 특 염 질에 한

하여 농도를 하 며 다 과 같다. 박 리아 곰 이 경우에는 권

고 만 어있다.

Page 5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2 -

오염물질 시간 허용기

일산화탄소 8시간 1,800mg/m31,000ppm

이산화탄소 8시간 10mg/m3

9ppm

포름알데히드 8시간 120mg/m3

0.1ppm

오존 8시간 100mg/m3

0.05ppm

표 29.싱가포르의 실내 공기질 리 기

오염물질 허용기

부유 미세물질 150㎍/m3

휘발성유기화합물 3ppm

총 박테리아 500CFU/m3

총 곰팡이 500CFU/m3

표 30.싱가포르의 실내 공기질 권고 기

(4)홍콩

실내 공기질 리 항목으로 온도,습도,공기흐름 등의 물리 요인과 이산화

탄소,일산화탄소,호흡성분진(PM10),이산화질소,오존,포름알데히드,총휘발성

유기화합물,라돈과 박테리아를 설정하 으며 곰팡이를 추가하고 있다.

박테리아는 Andersen multi-hole impactor,Reuter CentrifugalSampler

(RCS),SurfaceAirSystem (SAS)bioaerosolsampler,cyclonescribbler등을

이용하여 채취하도록 정하 다.사무실내에는 각 채취지 마다 8시간 내에 4번

채취하고 공공장소에서는 사람이 많은 장소를 골라서 네 번 실시하도록 한다.

박테리아 분석은 trypticsoyagarplates를 이용하여 30°C에서 48시간동안 배양

하여 콜로니를 계수한다.

Page 6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3 -

8시간 가

최우수등 우수등 단

온도 20~25.5 <25.5 ℃

습도 40~70 <70 %

풍속 <0.2 <0.3 m/s

이산화탄소 <800 <1,000 ppmv

일산화탄소 <2,000 <10,000 ㎍/m3

미세먼지(PM10) <20 <180 ㎍/m3

이산화질소 <40 <150 ㎍/m3

오존 <50 <120 ㎍/m3

포름알데히드 <30 <100 ㎍/m3

휘발성유기화합물 <200 <600 μg/m3

라돈 <150 <200 Bq/m3

총박테리아 <500 <1,000 CFU/m3

표 31.홍콩의 실내공기질 리 기

(5)핀란드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라돈, 자 의 물리 요인,일산화탄소,미세먼지(PM,

PM10,PM2.5),오존,포름알데히드,휘발성 유기화합물,담배(Environmental

TobaccoSmoke,ETS)의 화학 요인과 박테리아,곰팡이,알 르겐의 생물학

요인을 다루고 있다.건물 내의 습기와 미생물 성장에 의한 호흡기질병,알

르기,천식 등의 향,곰팡이와 박테리아가 가지고 있는 독성물질의 작용기 에

을 맞추고 있다.생물학 요인은 1993년에 가정과 사무실 내에서 연구한

TheEuropeanCollaborativeAction<IndoorAirQualityanditsImpacton

Man>의 내용을 바탕으로 오염도를 분류하 다.

분류 집 사무실

매우 낮음 <100 <50

낮음 <500 <100

간 <2,500 <500

높음 <10,000 <2,000

매우 높음 >10,000 <2,000

표 32.핀란드의 부유세균의 농도에 따른 실내공기질 분류의 (혼합종,CFU/m3)

Page 6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4 -

분류 집 사무실

매우 낮음 <50 <25

낮음 <200 <100

간 <1,000 <500

높음 <10,000 <2,000

매우 높음 >10,000 <2,000

표 33.핀란드의 부유곰팡이 농도에 따른 공기질 분류의 (혼합종,CFU/m3)

분류 Derp1 Derf1 Canf1 Feld1

매우 낮음 <0.5 <0.5 <300 <100낮음 <5 <5 <10,000 <1,000

간 <15 <15 <100,000 <10,000높음 <20 <20 <100,000 <100,000

매우 높음 <20 <20 >100,000 >100,000

표 34.핀란드의 실내알 르겐 농도에 따른 분류의 (혼합종,㎍/g먼지)

(6)국내외 곰팡이 리 기

국외 주요 국가에서 리하고 있는 곰팡이의 리기 은 표 35와 같다.

기 /국가 리기

ACGIH

100CFU/m3:noconcern

200CFU/m3:recommendguideline

TLV값은 정해지지 않음

사무실 내/Canada

동일종이 50CFU/m3이상 존재시 :concern

여러 가지 종이 존재시 150CFU/m3:acceptable

여름에 500CFU/m3:acceptable(Cladosporium

존재시)

면역 련 알 르겐/미국 민감한 집단 내 :1,000count/m3

비거주 건물/미국 200CFU/m3

미네소타 학

low :10,000CFU/m3

medium :100,000CFU/m3

high:1,000,000CFU/m3

USPublicHealth

Service200CFU/m

3:recommendedguideline

표 35.국외 주요국가 기 의 실내 공기질 곰팡이 리기 의 정리표

Page 6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5 -

2)우리나라의 실내 공기질 리 기

우리나라는 환경부,보건복지부,노동부,교육인 자원부에서 용 상에 따라

실내공기질을 리하고 있으며 2005년에 환경부에서는 다 이용시설 리법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오염물질 항목

다 이용시설

PM10

(㎍/㎥)

CO2

(ppm)

HCHO

(㎍/㎥)

총부유세균

(CFU/㎥)

CO

(ppm)

지하역사,지하도상가,여객 자동차

터미 의 합실,철도 역사의 합

실,공항시설 여객터미 ,항만시

설 합실,도서 ,박물 ,미술

,장례식장,찜질방, 규모 포

150이하

1,000이하 120이하

- 10이하

의료기 ,보육시설,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100이하 800이하

실내주차장 200이하 - 25이하

표 36.국내 다 이용시설 리법에 따른 실내공기질 리기

Page 6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6 -

담당부처

기 물질환경부 보건복지부 노동부 교육인 자원부

용 상

다 이용시설

(지하역사,의료기 ,

찜질방 등 17개 시설군)

공 이용시설

(학원,공연장,

업무시설,등)

사무실 공기 리 학교

근거법다 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리법공 생 리법

산업안 보건법

산업보건기 에

한규칙

학교보건법

미세먼지 100~200㎍/m3

150㎍/m3

150㎍/m3

100㎍/m3

CO 10~25ppm 25ppm 10ppm 10ppm

CO2 1,000ppm 1,000ppm 1,000ppm 1,000ppm

NO2 0.05~0.3ppm - 0.05ppm 0.05ppm

HCHO 120㎍/m3 - 0.1ppm 100㎍/m3

총부유세균 800CFU/m3 - 800CFU/m3 800CFU/m3

낙하세균 - - - 10CFU/실당

라돈 4pCi/L - - 4pCi/L

휘발성

유기화합물400~1000㎍/m

3- 500㎍/m

3400㎍/m

3

석면 0.01개/cc - 0.01개/cc 0.01개/cc

진드기 - - - 100마리/m3

오존 0.06~0.08ppm - 0.06ppm 0.06ppm

리방법

-다 이용시설에 유지

기 수의무

-다 이용시설에 실내

공기질 측정

-다 이용시설 리

책임자 교육

-다 이용시설에 환기

설비 설치

-오염물질방출 건축

자재 사용제한

-신축 공동주택 공기질

측정・공고

-공기정화시설 교체

-청소

-8시간 시간가

평균 농도 기

-필요시 사무실

공기평가,

-실외오염물질의

유입방지

-건물 개보수시

공기오염 리

-연1회 검의무

정조치강구

표 37.국내 실내 공기질 리 련부처 용 상의

다.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DB)화

국외의 문헌은 데이터베이스화하기 하여 업데이트 과정 에 있으며 약 40

편의 논문을 검색하 다.국외에서는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 등에 한 연구

자료는 국내와 비교하여 많았으나 바이러스에 한 연구는 었다.

2.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가)화장실내의 실내 공기질 표면오염도 분석

1)실내의 일반세균 농도

실내 공기질을 측정한 결과는 표 38과 같으며 한 지 을 제외하고 평균 500

Page 6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7 -

CFU/㎥로 측정되어 다 이용시설의 유지기 인 800CFU/㎥보다 낮게 나타났다.

지 농도

1 272

2 557

3 303

4 1093

5 327

6 629

7 423

8 303

9 272

10 430

11 717

12 673

Mean±STD 500±247

표 38.본 연구과제에서 실시한 화장실 실내공기 일반세균 농도(단 :CFU/㎥)의 결과

타이완의 학교 내에서 에 측정한 실내 공기질 결과를 살펴보면,사람이 없

을 때 화장실에서 2,122.2CFU/㎥로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낮게 측정되었다.

반면에 아 트의 화장실에서 겨울에 측정한 일반세균의 농도인 465CFU/㎥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하지만 본 연구에서 미생물 채취시 화장실의 창문과 출입

문을 닫았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일반세균의 입경별 분포

일반세균의 입경별 분포는 표 39와 같으며,1.1~3.3㎛에 해당하는 입자의 분

포가 높게 나타났다.일반 으로 1-5㎛의 입자는 하부호흡기도인 비강,2차 기

지,폐기 지에 침투가 가능하다.Gerba에 의하면 화장실 변기의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입자들도 하부호흡기도에 될 수 있다.일반 으로 0.1㎛이하

바이러스가 호흡에 의해 되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1㎛이상의 일반세균도

가 가능하다.

Page 6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8 -

입경크기 농도

>7 65.9±39.7

4.7-7 56.14±23.8

3.3-4.7 102.2±63.6

2.1-3.3 147.2±98.1

1.1-2.1 104.7±33.7

0.65-1.1 23.7±13.3

표 39.본 연구과제에서 부유세균의 입경별 분포(단 :CFU/㎥)의 결과

3)화장실내 표면의 일반세균 농도

화장실의 변기좌 ,수도밸 ,출입구 손잡이에 존재하는 일반세균의 농도는 표

40과 같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수도밸 에서 검출된

일반세균의 농도가 평균 119.1CFU/㎠로 가장 높았으며,변기좌 와 출입구 손잡이

의 농도는 비교 낮은 수 으로 측정되었다.Gerba는 화장실의 변기좌 와 수도

밸 ,사무실의 책상에 존재하는 세균에 한 조사를 하 으며 그의 연구에 의

하면 사무실의 책상,수도밸 에서 높게 측정되었고 변기좌 에서는 낮게 나타

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 다.이러한 결과는 수도밸 주 의 수

분량이 미생물의 발육 증식에 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반면 최근 공 화장실 좌 에 상존하는 병원균에 한 연구조사 보고서에 따

르면 지하철 역사의 화장실 변기좌 에서 71만 마리가 검출되었으며 출입구 손

잡이에서는 10cm²당 340마리의 세균이 측정되었다.

Page 6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49 -

지 변기 좌 수도밸 출입구 손잡이

1 2.4 3.14 3.08

2 12 35.43 2.35

3 0.4 37.43 3.24

4 1.6 2.29 0.49

5 0.4 28.57 23.04

6 2 4 0.2

7 1.6 44.29 0.1

8 20.4 16.98 2.16

9 1.2 600 7.84

10 8.4 46.98 3.04

11 1.2 600 0.78

12 2 9.52 14.12

평균±표 편차 4.5±6.1 119.1±225.2 5.0±6.9

p-value 0.001

표 40. 학 내 화장실 표면내의 일반세균 농도(단 :CFU/㎠)의 결과

4)표면 미생물의 동정결과

표면 미생물의 동정 결과는 표 41과 같으며 Aranicolasp.,Serratiasp.,Pseudomonas

sp.등이 주로 검출되었다.Aranicola와 serratia는 장내 세균이며 특히 serratia는 기회 감

염균으로 shigella,pseudomonas와 함께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종으로 생존 기간이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화장실내의 표면에서 채취하 기 때문에 이러한 장내 세균들이 주로

동정된 것으로 단되어진다.Hutchinson의 연구에 따르면 화장실 바닥과 변기좌

에서 Shigellasonnei가 검출되었으며 최소 17일 동안 표면에 남아있었다. 한

Newsom는 화장실의 수돗물에서 Salmonella가 11일 동안 생존하 다고 보고하

다.이와 같이 미생물이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화장실 내 유기물질

등 양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미생물이 표면에서 오랜 시간 생존 가능하므로

사람의 인체에 미치는 향을 악하는 것이 요하다.

Page 6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0 -

NoAccession

No.BLAST결과

1 FM207532.1 Escherichiacolipartial16SrRNAgene,strainCWS32

2 EU908689.1 Pseudomonassp.MA2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3 AM161159.1 Moraxellaosloensispartial16SrRNAgene,cloneK8

DQ658956.1 Bacillussp.JZHS15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5 AM992017.1 Serratiasp.RA1-14partial16SrRNAgene,strainRA1-14

6 EF546777.1Massiliabrevitaleastrainbyr23-8016SribosomalRNA gene,

partialsequence

7 EU753149.1 MarinebacteriumMSC31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8 EU884313.1ShigelladysenteriaestrainKesE416S ribosomalRNA gene,

partialsequence

9 EU910240.1 Brevundimonassp.EK-20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10 EU857422.1 Caulobactersp.WTH_0116SribosomalRNAgene,completesequence

11 CP000269.1 Janthinobacterium sp.Marseille,completegenome

12 EF552158.1 Spirillum sp.NOX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13 AY167838.1Janthinobacterium agaricidamnosum strain SAFR-022 16S

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14 DQ401853.1Mercury-resistantbacterium mCFU 69216S ribosomalRNA

gene,partialsequence

15 DQ234526.1 ArcticsoilbacteriumS5R10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16 DQ658916.1 Microbacteriumsp.YACS10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17 EU789569.1Uncultured Aranicola sp.clone LJEr1 16S ribosomalRNA

gene,partialsequence

18 EU490593.1 Erwiniarhaponticistrain16SribosomalRNAgene,partialsequence

표41.화장실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동정 결과(NCBIBLASTsearch결과)

나)SPINCON과 Andersensampler를 이용한 기 시료분석

본 연구에서 측정한 결과와 기상 조건을 요약하여 나타내었으며 표 42와 같다.

N 최소값 최 값 평균 표 편차

총 박테리아 (CFU/m3) 18 344 1548 750 419

총 곰팡이 (CFU/m3) 18 60 1565 587 483

환경요인

온도(℃) 23 1 26 18.7 5.9

습도(%) 23 5 71 37.4 17.1

풍속(m/s) 20 0.3 1.3 0.7 0.3

표 42.실외 부유 세균 곰팡이 연구 결과와 기상 조건의

Page 6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1 -

1)DGGE을 이용한 기 미생물 군집 분석

DGGE분석을 통해서 얻은 밴드는 그림 10과 같으며 표시되어진 밴드를 통해서 얻은

군집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시 지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는 박테리아 군집은

acidobacteria,actinobacteria,cyanobacteria,bacilli,proteobacteria등으로 보

고되고 있다.군집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크게 토양,수질,식물,탈질화에 련된 미생물

로 분류할 수 있다.식물에 련된 군집은 Pinuscontortachloroplast로 Fierer에 의한 연

구결과에서도 5월에 채취한 공기 시료 에서 식물에 련된 군집이 검출되었다. 한

proteobacteria가 검출된 결과 역시 일치하 다.

그림 10. 기 미생물의 DGGE분석결과 생성된 밴드

(M:marker,1:4월4일,2:4월8일,3:4월11일,4:4

월11일,5:4월18일,6:4월22일,7:4월25일,8:5월2

일,9:5월6일,10:5월13일,11:5월16일,12:5월30

일로 시료채취날짜별 구분을 의미함).

Polymenakou는 사하라사막 주변에서의 미생물 군집을 살펴본 결과 토양박테

리아인 firmicutesbacteria와 betaproteobacteria등이 검출되었으며 본 연구결

과와 일치하 다.Firmicutes는 그람음성 박테리아로 공기 를 해서 포

자를 형성하며 endo-spore를 형성하는 bacilli와 같은 토양 박테리아를 포함하고

있다.Proteobacteria는 박테리아의 큰 도메인으로 토양 내의 질소산화 박테리아와

식물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등 많은 병원성 박테리아를 포함하고 있다.

Alphaproteobacteria와 betaproteobacteria는 여름에 firmicute에 의해 증가하게 된

다.

3)Six-stagemicrobiologicalsampler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

과 가을에 이루어진 총박테리아의 농도는 표 43에 나타냈으며,계 간의 농

Page 6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2 -

도차이를 알아보기 해 비모수검정법인 Mann-Whitney검정을 실시한 결과 총

박테리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과 가을에 이루어진 총곰

팡이의 농도는 표 44에 나타냈으며,계 변화에 따른 농도 차이는 유의하게 나

타났다(p>0.05).이러한 결과는 살아있는 곰팡이는 여름과 가을에 높게 측정되었

다는 Pasi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한 Shelton의 연구에서도 여름과 가을에

곰팡이가 높게 나타나고 과 겨울에는 낮게 측정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이러

한 결과는 여름과 가을의 높은 온도와 습도가 생물학 인 활성도를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No. 가을

1 424 511

2 345 496

3 543 1402

4 782 - 

5 399 817

6 344 459

7 1042 -

8 349 1061

9 1227 397

10 - 1548

Mean 606 836

p-value 0.167

표 43.서 구에서 실시한 계 에 따른 총 박테리아 농도(CFU/m3)결과

Page 7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3 -

No. 가을

1 166 1367

2 198 624

3 287 1565

4 152 - 

5 60 715

6 180 481

7 607 - 

8 157  694

9 429 345

10 -  1511

11 - 1028

Mean 248 926

p-value <0.001

표 44.서 구에서 실시한 계 에 따른 총 곰팡이 농도(CFU/m3)결과

다) 기 황사시료 분석

1)DGGE밴드패턴 분석

모든 기 샘 은 23.97%의 유사성으로 보 으며,황사 샘 의 경우 40.4%로

클러스터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림 11과 같다. 한 주성분 분석

(PCA)을 통해서 황사와 비황사 간의 미생물 군집 계를 확인한 결과 황사 샘

간에 클러스터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그림 12).(주성분1=11.0%,주

성분2=9.9%)

반면,비황사 샘 들 간에는 체 으로 퍼져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도시 기 물리,화학 인 수많은 변수들에 의해서 나타낸 결과라고

생각된다.그럼에도 불구하고,황사샘 들 간에 클러스터가 된 것을 보면 황사

기간 동안에 국으로부터 한국으로 더 다양한 미생물들이 이동되어진다.만약

이 연구가 도심 지역이 아닌 청정 지역에서 수행 되어졌다면 황사와 비황사 간

에 더 뚜렷한 클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Page 7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4 -

그림 11.미생물 군집 사이의 DiceCoefficient유사율을 용한

기 미생물의 UPGMA 클러스터링(붉은색 표기는 황사시료를 나

타냄).

% 사도

2)DGGE와 시 스 분석

153bp에서 193bp크기로 잘라진 밴드 48개는 RibosomalDatabaseProject

(RDP)와 NCBI에서 확인 하 고 상동성은 93%~100%의 범 에 있었다.

잘려진 밴드의 계통학 분석은 Propionibacterium sp.(23.40%),Bacillussp.

(23.40%),Acinetobacter sp.(10.64%),Denitratisoma oestradiolicum.(8.51%),

Firmicutesbacterium sp.(6.38%),Escherichiaalbertii.(4.26%),Sphingomonas

sp.(4.26%),Flavobacterialesbacterium sp.(4.26%)등을 나타내었다.특히,황사샘

에서는 Aquabacteriumsp.,Prevotellaceaebacteriumsp.등이 나타났다(표 45).

기와 련된 이 연구에서는 Bacillus sp., Actinobacterium sp.,

Pseudomonassp.,Stenotrophomonassp.,Sphingomonassp.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었고,본 연구와 비교했을 때는 42개의 DGGE밴드 6개인 14.29%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Propionibacterium sp.의 경우 일반 으

로 병원성을 지니고 있지는 않으나 특정 종의 경우에는 피부질환 등을 일으키는

Page 7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5 -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리고 Bacillussp.의 경우 역시 병원성이 없는 종들이

다수 존재하나 드물게는 종에 따라 귀의 염증부터 뇌수막염,그리고 요로감염부

터 패 증까지 일으키는 병원성 균으로 알려져 있다.

Band Putative species Related GenBank sequence Identity

AB_1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3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4 Endolithic bacterium sp. AB374390.1 158/173 (91.3%)

AB_5 Stenotrophomonas sp. EF692531.2 193/195 (98.9%)

AB_6 Escherichia coli AP009240 184/184 (100.0%)

AB_7 Acinetobacter sp. FJ193698.1 193/194 (99.5%)

AB_8 Escherichia coli AP009240 194/195 (99.4%)

AB_11 Denitratisoma oestradiolicum AY879297.1 192/195 (98.4%)

AB_12 Denitratisoma oestradiolicum AY879297.1 164/168 (97.6%)

AB_13 Acinetobacter sp. FJ192957.1 195/196 (99.4%)

AB_14 Dietzia maris AM990540.1 174/175 (99.4%)

AB_15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16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17 Hymenobacter chitinivorans Y18837.1 185/189 (97.8%)

AB_18 Actinobacterium sp. EF016827.1 175/175 (100%)

AB_19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20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21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22 Herbaspirillum sp. EU704896.1 184/188 (97.8%)

AB_23 Bacillus sp. FJ215790.1 194/195 (99.4%)

AB_24 Janthinobacterium sp. EF651604.1 191/195 (97.9%)

AB_25 Bacillus sp. FJ373035.1 188/189 (99.4%)

AB_26 Janthinobacterium sp. EF651604.1 195/195 (100%)

AB_27 Pseudendoclonium akinetum chloroplast AY835431.1 164/170 (96.4%)

AB_28 Pseudomonas sp. FJ262367.1 192/192 (100%)

AB_29 Acinetobacter sp. AF285180.1 191/195 (97.9%)

AB_30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31 Propionibacterium sp. EF127670.1 175/175 (100.0%)

AB_32 Firmicutes bacterium sp. EU861199.1 193/195 (98.9%)

AB_35 Sphingomonas sp. FJ193662.1 169/170 (99.4%)

AB_36 Caulobacter henricii AJ007805.1 169/170 (99.4%)

AB_38 Denitratisoma oestradiolicum sp. AY879297.1 191/195 (97.9%)

AB_39 Aquabacterium sp. AF089859.1 195/195 (100%)

AB_40 Bacillus sp. FJ373035.1 191/195 (97.9%)

AB_41 Denitratisoma oestradiolicum AY879297.1 191/195 (97.9%)

AB_42 Firmicutes bacterium sp. EU861199.1 193/195 (98.9%)

AB_43 Bacilli bacterium sp. EF697676.1 196/196 (100%)

AB_44 Acinetobacter sp. EU260356.1 196/196 (100%)

AB_45 Bacilli bacterium sp. EF072408.1 185/198 (93.4%)

AB_46 Sphingomonas echinoides EU730918.1 161/1 60 (99.3%)

AB_47 Prevotellaceae bacterium sp. EU111975.1 190/190 (100%)

AB_48 Flavobacteriales bacterium sp. EF702330.1 188/190 (98.9%)

표45. 기 박테리아군집을나타내는DGGE밴드에서잘라낸밴드(NCBIBLASTsearch)

Page 7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6 -

황사샘 과 비 황사샘 간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비 황사샘 과는 다른 미

생물 군집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황사샘 의 주요 미생물에는

Aquabacterium sp,Flavobacterialesbacterium,Prevotellaceaebacterium sp.

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 다.

DGGE를 이용한 정성 분석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정량 분석을 함으로써 기

유해 미생물의 해성 평가 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Real-timePCR분

석을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림 12.DGGE밴드 패턴을 주성분 분석을 이용

하여 확인한 미생물 군집 사이의 계(붉은 은

황사시료, 란 은 비황사시료를 나타냄).

결론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하여 실태조사를 악하 으며 58건의 조

사연구 국내에서는 바이러스,진드기 등에 한 연구가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곰팡이를 동정한 조사는 있으나 DNA 추출방법 등,확실하게 정해진 실

험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곰팡이에 한 연구도 많이 필요한 상태이

다.

한편 본 연구에서 배양방법을 통해서는 총곰팡이와 총박테리아의 정량분석을

Page 7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7 -

실시하 으며 계 변화에 따른 곰팡이와 박테리아의 정량분석 결과 곰팡이는 계

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정성분석은 박테리아에 국한되어 실행되

었으며 배양방법이 아닌 DGGE라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기 에 존재하

는 미생물을 분석하 다.정성분석 결과 식물군집에 의한 Pinus contorta

chloroplast등 토양,수질,식물,탈질화에 련된 미생물이 검출되어 다양한 오

염원의 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내 환경 에서 보건학 인 요성을 갖고 있는 화장실에서 실내공기질 측정

표면 오염도를 조사하 다.화장실의 실내 공기질은 평균 500CFU/m3로 측

정되어 다 이용시설의 유지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표면 오염도는 일반세균이

수도밸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higella,Serratia등의 장내세균이 검출되

었다. 재 우리나라에서는 표면 오염도에 한 연구가 기 때문에 노출 평가

자료로 활용가능하다고 단되어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곰팡이의 표 실험 방법 등을 확립하여 곰팡이에 한 연구

가 더욱 필요하다. 한 realtimePCR이나 박테리아의 ATP측정 등을 통하여

기 미생물의 새로운 보건학 인 지표가 확립되어야 한다.

Page 7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8 -

제 2장

수질분야

Page 7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59 -

바이러스화학물질 자연독 불명

소계 노로바이러스 기타

건수 8 6 2 1 1 26

환자수 744 719 25 8 3 550

표 47.바이러스와 원인물질 종류에 따른 국내 식 독 발생 황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가.국내외 유해미생물 리 연구 동향조사

1)국내 식 독 황 원인 미생물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2)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매년 1천 2백만 명에 이르는

식 독 환자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사회,경제 손실은 1조3천억 원이 넘는 것

으로 추정되고 있다.식품의약품안 청(2006)의 보고에 따르면 국내 식 독은 표

46에서 보는 것처럼 다양한 종류의 세균 장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집단 식 독을 방하기 해서는 잠재 요소(식품이나 물 등)에서 이

러한 미생물들의 존재 농도를 악하고 이를 제어하여야 한다.하지만 모든

종류의 세균이나 장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은 그 한계가 있으며 검출 상으로

는 다음에 소개되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총 계

세균

소 계 살모넬라황색

포도상구균

장염

비 리오균

바실러스

세 우스

클로

스트리디

움퍼 린

젠스

클로

스트리디움

보툴리눔

캠필로박터

제주니

병원성

장균기타

건수 109 73 22 16 17 1 - - 1 15 1

환자

수5,711 4,406 753 863 663 24 - - 175 1,883 45

표 46.세균종류에 따른 국내 식 독 발생 황

출처:2005년 원인물질별 집단식 독 발생 황

가)분원성 오염 지표미생물 그 의의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원인 분변성 오염의 지표로서 많은 미생물이 개발 제시

되어 왔고 장균군과 같이 그 일부가 법제화 되어 거의 모든 나라에서 지표

미생물을 성공 으로 사용하고 있다.병원성 미생물 검출 신 분원성 오염지표

미생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장내병원균의 직 분리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검사가

Page 7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0 -

어렵고 병원균의 종류가 무 많아 모든 병원균의 분리가 어려우며 병원균의 수

가 평상시에 낮아 감지하기 어렵다. 한 검사가능한 병원균도 상시검사를 한

비용이 무 많이 들어 비경제 이기도 하다.분원성 오염 지표미생물의 조건은

오염원이 동일하고 시료에서 개체수가 많아야 하며 자연계 처리과정에서 동

일하거나 높은 항성을 지녀야 한다.환경에서 재성장하지 않아야 하고 분석

방법이 간단하고 경제 이며 빠른 결과를 도출하여야 하고 다양한 형태의 시료

에 용 가능하여 상호비교가 가능하여야 한다.따라서 이러한 지표미생물을 조

사함으로써 일차 으로 분변성 오염을 악하고 병원성 미생물 오염에 한 지

표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지표미생물의 종류

(1)총 장균군(totalcoliforms)

장균군(총 장균군)은 먹는물에서의 검출과 계수가 용이하므로 오랜 기간 동안

한 먹는물 수질의 지표로서 인식되어 왔다.세균분류상 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세균으로서 담즙염(bilesalt)이나 이와 비슷한 성장억제 표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36~37℃에서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하는 그람 음성,비아포성

간균으로 oxidase음성인 세균을 총칭한다.최근에는 효소 방법의 개발로 인해 이

정의가 β-galactosidase의 활동성을 가진 것으로 확장되었다.

통 으로 장균군은 Escherichia,Citrobacter,Klebsiella,Enterobacter속

이 속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분류법에 의한 정의에 따르면 더욱 다른 이

종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들 에는 분변과 일반

환경에서 모두 발견되는 Citrobacterfrandii,Enterobactercloacae등이나,분변

에서는 거의 없고,양질의 먹는물에서 증식할 수 있는 Serratia fronticola,

Rahnellaagnatilis,Buttiauxellaagrestise등과 오염되지 않은 물이나 토양에서

도 발견되는 Serratia와 Yersinia 몇몇 유당 발효종들이 있다. 한 장균군

범주에 속하나 유당발효를 하지 않는 종류도 있어 이러한 세균에 β

-galactosidase를 용하면 장균군으로 나타난다.따라서 장균군의 정의에

부합되는 비분변성 세균과,유당발효를 하지 않는 장균군들의 존재는 분변오

염의 지표로서 장균군을 용하는데 제한 요소가 된다.

하지만 여러 환경의 시료 내에서 일반 으로 가장 많은 수가 검출되므로 가장

큰 폭의 안 도를 제공하여 먹는물 처리수에서 요한 지표세균으로 사용되

고 있다.수처리 공정을 거친 공 수에서는 검출되어서는 안 되며,만약 발견되

었다면 처리후의 오염,부 한 수처리, 과 양소 등을 말해 다.비록 장

균군이 항상 분변오염이나 먹는물의 병원체와 직 련이 있는 것은 아니나,

장균군 검사법은 공공 수자원의 미생물 품질을 리하는데 여 히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국내에서는 먹는물 수질기 ,수질환경기 분뇨․

Page 7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1 -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의 방류수 기 에 장균군을 사용하고 있다.

(2)분원성 장균군(fecalcoliforms)

장균군과 같은 정의에서 배양온도가 44℃로 높기 때문에 열 항성 장균군

이라고도 한다.이들은 Escherichia속과 그보다 낮은 범 로 존재하는 Klebsiella,

Enterobacter,Citrobacter의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이 미생물 오로지 장균

만이 분원성이며,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조류의 분변에는 많은 수가 항상 존

재하고,분변으로 오염되지 않은 물이나 토양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장

균 이외의 내열성 장균군은 산업폐수 혹은 부패한 식물 꺼기나 유기물이 풍

부한 토양의 물에서 기원한다.

열 나 아열 지방에서는 분원성 장균군이 분원의 오염과 계없이 발생할

수 있으나,온 지방에서는 분원성오염의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으며,병원성 미

생물의 존재와 수처리가 제 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기본 가정은 유효하다.따

라서 분변오염의 지표로서는 장균보다 신뢰도가 떨어지나, 장균군에서 온

동물의 장내온도를 감안하여 자연환경에 있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면서 장내세

균이 자랄 수 있는 온도에 배양함으로서 좀 더 특이성을 높이므로 장균군보다

는 분원성 오염에 더욱 가까운 지표미생물로 간주된다.분원성 장균군이 검출,

동정되거나 추정시험에서 장균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최근에 분변 오염이 되었

다는 증거이므로 즉각 인 조사가 필요하다.분원성 장균군은 단일 단계의 시

험법으로 쉽게 검출되므로 유럽의 상수원수수질기 이나,미국의 이수목 에 따

른 수질기 등 각각의 수처리 공정에서 분원성 세균의 제거효율성을 알려주는

지표로서 요한 이차 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며,다른 원수수질에 필요한 수

처리 기 의 평가나 세균제거의 실행목표 제공에 사용되기도 한다.국내에서는

국수질측정망의 일부 지 에서 분석을 하고 있으며,분석방법이 수질오염공정

시험법에 포함되어 있다.

(3) 장균(Escherichiacoli)

장균은 단일종의 세균으로 인간이나 온 동물의 장내에서 우 을 이루는 통

성 기성세균이다.사람의 분변에 109개체/g가량 분포하며, 장균군,분원성

장균군보다 분원성 오염에 한 특이성이 가장 높아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분원

성 오염지표이다.사람,사육동물,혹은 야생동물이나 조류 등 어디에서 배출되

었건 간에 하수,처리유출수,자연수,최근 분변에 오염된 토양 등에서 다양하게

발견되며,물속에 장균이 존재한다는 것은 항상 잠재 으로 험한 오염을 나

타내므로 즉각 인 주의가 요구된다.일상 인 방법으로 장균을 완 히 동정

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여,높은 정확도와 함께 신속히 동정하는 방법들이 개발

되어 표 방법에 수록되어 있고,상품화되어 있다,국내에서는 아직 장균을 수

Page 7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2 -

질이나 먹는물의 분원성요염지표로 분석하고 있지 않다.

장균은 보통 장내에서 서식하고 부분이 비병원성이다.그러나 몇몇

subtype은 다양한 기작에 의하여 장질환을 일으키며,감염의 유형은 살모넬라,

이질, 콜 라, 장염 등과 비슷하다. 장내병원성 subtype은 장내병원성

(enteropathogenic),장침투성(enteroinvasive),장독성(enterotoxigenic),장출 성

(verocutotoxin)등의 4가지로 구분되며,O:157이 네 번째에 분류된다.물의 장

균검사에는 생화학 방법을 사용하는데,병원성 장균 균주를 구별하지 못한

다. 청학 타입은 체세포 O 항원에 근거하며 그밖에 캡슐 K항원과 편모 H

항원이 있다, 수원에서 장균의 병원성 subtype을 검출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고, 염병 연구에서는 필요할지 모르나 물 시료의 일상 인 검사에는 활

용할 합한 방법이 없다.

(4)일반세균(종속 양평 계수법=heterotrophicplatecounts)

일반세균은 물속의 일반 인 세균농도의 측정에 사용된다.일반세균은 물속에

있는 모든 세균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사용한 배지에서 일정 조건의 온도와

배양시간 동안 가시화된 집락을 형성하며 증식할 수 있는 종속 양세균을 나타

내는 것이다.집락계수는 37℃ ( 온세균)와 22℃ ( 온세균)에서 배양 후에 각

각 인간이나 온 동물에서 생된 세균들의 상 인 비율과,분변 오염과 계

없이 자연 으로 물속에 존재하는 세균의 상 비율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온세균 계수는 생 가치는 별로 없으나 응집,필터처리,소독 등을 통해 가

능한 한 낮은 계수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곳에서 수처리 효율 평가에 유

용하게 쓰인다.

(5)분원성 연쇄상구균(fecalstreptococci),장내연쇄상구균(enterococci)

분원성 연쇄상구균은 Lactobacilliceae과 (family)에 속하는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속 (Genus)에 장내에서 발견되는 세균으로 그람 양성 구균이며 catalase음성으로 45℃

에서 40%담즙과 0.04%sodiumazide에서 잘 성장하는 특성을 지닌다.세균분류상 주로

Lancefield'sserologicalgroupD에 속하여 groupDstreptococci라고도 한다.이에 속하

는 연쇄상구균은 Streptococcusfaecalis,S.faecium,S.avium,S.bovis,S.equinus,S.

gallinarum의 종들이 있다.이들은 Lancefield'sgroupD항체에 양성반응을 나타내

며 모두 온 동물의 분비물에서 분리되었다.이에 더하여 S.avium이 때로

Lancefield'sgroupQ항체와 반응한다.S.faecallissubspecieszymogenes와

Streptococcusfaecalissubspeciesliquefaciens는 젤라틴분해, 구분해 특성에

따라 구분되나 분류 으로 명확하지 않다.

분원성연쇄상구균의 지표로서의 특징은 사람과 온 동물의 분비물에 높은 농

도로 존재하고 하수나 분비물에 오염된 환경에서 존재하며 재 증식하지 않는다.

Page 8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3 -

한 오염되지 않은 환경에서 유해물질에 한 항성이 장균보다 강하며

부분의 온 동물의 분변에 분원성 장균군보다 더 많은 수로 존재한다.

분원성연쇄상구균은 장균보다 분변에서의 배출농도가 높지 않으나 수환경이

나 처리과정에서 생존율이 높고 재성장을 하지 않는 이 장 이어서 분원성

장균과 보완 으로 사용한다.특히 유럽에서 분원성연쇄상구균은 먹는물,자연수

등의 수질의 지표로서 리 사용되고 있으며 WHO도 자연수의 분원성오염의

지표로서 분원성 장균군과 함께 권장하고 있다.

장내연쇄상구균은 분원성 연쇄상구균의 일부그룹으로 구성되어 S.faecalis,S.

facium,S.gallinarium,S.avium을 포함한다.장내연쇄상구균은 6.5% 염분도와

pH 9.6,그리고 10℃와 45℃ 성장능으로 구분된다.장내연쇄상구균은 락용수

혹은 해수욕수(recreationalwater)의 분원성 오염정도의 결정에 요한 지표세

균이다.해양과 담수의 해수욕수에서 연구결과 수욕에 의한 장염이 직 으로

수욕수 수질과 상 계가 있고 장내연쇄상구균이 가장 우수한 지표세균으로 나

타났다(Cabellietal.1982).이를 바탕으로 장내연쇄상구균을 이용한 수질기 이

락용수를 상으로 제시되어 수질 guideline이 담수는 33/100 ml,해수는

35/100ml이다(U.S.EPA,1986).이 수치는 수 계 에 30일 동안 5개 이상의

시료에서 검사한 수치의 기하평균치로 산정한다.

(6)장 계 바이러스에 한 장균군의 부 합성

앞에서 언 한 것처럼 수자원이나 식품 등에서 장균군 등의 미생물이 분변

오염에 한 지표 미생물로 사용되고 있다.국내에서도 수자원 등에 분변 오염

감염성 미생물에 한 지표 미생물로 장균군이나 분원성 장균군이 사용

되고 있다(환경부 2002,2004).하지만 장균군 등은 분변 오염이 사람에 의한

것인지 포유동물에 의한 것인지를 단순한 배양 검출법으로는 악할 수 없으

며 이를 해서는 여러 복잡한 분자생물학 분석법이 요구되는 단 이 있다

(Dombeketal.2000;Nobleetal.2003). 한 장균군 등의 지표 미생물로

사용되는 미생물은 병원성 세균 다양한 병원성 장 계 바이러스의 존재를

측하기에는 부 합한 것으로 여러 연구진을 통해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Griffinetal.2001;Tayloretal.1995).특히 병원성 장 계 바이러스는 장균

군보다 자외선,염소소독 등의 처리에 훨씬 항성이 강해(Thurston-Enriquez

etal.2003;Treeetal.2003) 통 지표 미생물로 존재 유무 그 양을 악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7)장 계 바이러스 종류 국내 추세

주요 장 계 바이러스로는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A형 간염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rotavirus),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노로바이러스(norovirus),

Page 8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4 -

아스트로바이러스(astrovirus)등이 있다.이들은 다양한 유 물질 (로타바이러

스 [이 가닥 RNA],아데노바이러스 [이 가닥 DNA]),노로바이러스,엔테로바

이러스,아스트로바이러스 [단일가닥 RNA])로 되어 있으며 설사나 복통 등을

일으킨다.2007년 바이러스성 장염 실험실 감시 결과보고(질병 리본부 2008)에

따르면 국내 식 독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로 노로바이러스,로타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아스트로바이러스 순으로 검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성

설사 발생 황이 체 집단 식 독에서 2005년 17.2%,2006년 21.1%,2007년

23.8%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특히 2004년 제주도 수학여

행 학생 집단 식 독의 경우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에 의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Kim etal.2005),최근에 철원에서 일어난 집단 설사도 노로바이러

스에 오염된 것으로 추정된다(질병 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이

와 더불어 최근에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집단 식 독도 속히 증가하는

등(질병 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다양한 장 계 바이러스를 통

해 질병이 발생하고 있다.이를 제어하고 방하기 해서 이들 주요 장 계 바

이러스 오염도를 잠재 오염원인 수계에서 확인하고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수집․정리

1)국외 음용수 규정

가)미환경청

미환경청은 90 종류 이상의 오염물질에 한 음용수 규정이 있다.Safe

DrinkingWaterAct(SDWA)는 추후에 국가 음용수 규정에 필요할지도 모르는

규정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확인하고 목록으로 만들어야 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미환경청은 이러한 오염물질후보(ContaminantCandidateList;이하 CCL)

목록을 정기 으로 간행하고 목록에 있는 물질 최소 5가지 이상에 해서 규

정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RegulatoryDeterminations).미환경청은 우리가 특

정 오염물질을 규정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수 있는 연구와

자료 수집에 우선순 를 매기기 해서 CCL을 이용하 다.차후에 규제물질로

확정된 오염물질은 공공 수 시설 등에서 규제되도록 명시되어 있다.CCL에

등재된 오염물질은 검출방법,음용수에서의 검출 빈도,제거 방법 등이 연구되며

잠재 인 건강 해성 등에 한 분석 역시 행해진다.이러한 연구를 통해 음용

수 guidance나 규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1)CCL

1998년 3월 2일,미환경청은 첫 번째 DrinkWaterContaminantCandidateList(CCL

1)를 발표했다.2003년 7월 18일,미환경청은 CCL1의 오염물질에 한 규정을 개발할

지 여부에 한 공식 결정을 발표했다.

Page 8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5 -

CCL1에는 총 60종류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에서 ChemicalContaminant

Candidates가 50종류,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가 10종류 포함되어 있다.총

10종류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 4종류의 바이러스(Adenoviruses,

Caliciviruses,Coxsakieviruses,Echoviruses)가 포함되어 있다.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CCL1)

Acanthamoeba

Adenoviruses

Aeromonashydrophila

Caliciviruses

Coxsackieviruses

Cyanobacteria(blue-greenalgae),otherfreshwateralgae,andtheirtoxins

Echoviruses

Helicobacterpylori

Microsporidia(Enterocytozoon&Septata)

Mycobacterium avium intracellulare(MAC)

표 48.미환경청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CCL1)

미환경청은 이 에서 규정 결정에 있어서 기 가 되는 충분한 자료와 정보를

가지고 있는 9종류의 오염물질을 선정했고, 이것에 해 Regulatory

Determinations를 했다.이 9종류에는 8종류의 chemical과 1종류의 microbe

(Acanthamoeba)가 포함되어 있고, 4종류의 바이러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2003년 7월 8일,미환경청은 CCL1 열거된 오염물질에 해서는 규정

을 만들지 않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2)CCL2

2005년 2월 23일, 미환경청은 두 번째 Drinking Water Contaminant

CandidateList(CCL2)와 추후의 CCL을 해서 사용되는 기 CCL목록을

만드는 과정을 확장하고 강화하기 한 우리의 노력을 발표했다.

CCL 2에는 총 51종류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에서 Chemical

ContaminantCandidates가 42종류,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가 9종류

포함되어 있다.총 9종류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 4종류의 바이

러스(Adenoviruses,Caliciviruses,Coxsakieviruses,Echoviruses)가 포함되어 있

다.

Page 8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6 -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CCL2)

Adenoviruses

Aeromonashydrophila

Caliciviruses

Coxsackieviruses

Cyanobacteria(blue-greenalgae),otherfreshwateralgae,andtheirtoxins

Echoviruses

Helicobacterpylori

Microsporidia(Enterocytozoon&Septata)

Mycobacterium avium intracellulare(MAC)

표 49.미환경청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CCL2)

미환경청은 이 에서 규정 결정에 있어서 기 가 되는 충분한 자료와 정보를

가지고 있는 11종류의 오염물질을 선정했고, 이것에 해 Regulatory

Determinations를 했다.이 11종류는 모두 chemical만 포함되어 있다.2007년 5

월 1일,미환경청은 CCL2 열거된 오염물질에 해서는 규정을 만들지 않기

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3)CCL3(draft)

미환경청은 draftCCL3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CCL1과 CCL2에 사용되었던

과정과 다른 과정을 용시키기로 했다.이 새로운 과정은 의 CCL에 사용

되었던 평가를 기 로 하여 일을 추진하고 NationalAcademy ofScience's

NationalResearch Council(NRC)와 NationalDrinking Water Advisory

Council(NDWAC)로부터 실질 인 문가 투입과 추천을 바탕으로 했다.

미환경청은 draftCCL 3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확인하기 해서 다단계

CCL과정을 사용했다. 요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음용수의 잠재 인 오염물질의 범 한 집단(CCL3Universe)을 확인하

다. 기에 약 7500종류의 잠재 인 화학 ,생물학 오염물질을 고려했다.

*CCL3Universe에 선별 기 을 용시켜서 오염물질이 공 수 체계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과 공 보건 문제에 한 잠재력을 기 로 하여

더 평가되어야 하는 560종류의 오염물질(preliminaryCCL[PCCL])을 확인했다.

*오염물질의 발생,보건에 미치는 향에 한 추가 인 평가와 투명하게 제시

할 수 있는 방법을 용시킨 문 인 단을 기 로 한 CCL을 포함시키기

해서 PCCL로부터 104종류의 오염물질을 선별했다.

Page 8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7 -

*CCL과정에 한 공공의 정보, 문가 투입의 정보, 문가 논평의 정보를 통

합했다.

draftCCL 3에는 총 104종류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에서

ChemicalContaminantCandidates가 93종류,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

가 11종류 포함되어 있다.총 11종류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 2

종류의 바이러스(Caliciviruses,HepatitisAvirus)가 포함되어 있다.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draftCCL3)

Caliciviruses

Campylobacterjejuni

Entamoebahistolytica

Escherichiacoli(0157)

Helicobacterpylori

HepatitisA virus

Legionellapneumophila

Naegleriafowleri

Salmonellaenterica

Shigellasonnei

Vibriocholerae

표 50.미환경청의 MicrobialContaminantCandidates(draftCCL3)

(4)SurfaceWaterTreatmentRule(SWT)

1989년 6월 29일 공표되고,1990년 12월 31일 발효된 Surface Water

TreatmentRule는 바이러스, 지오넬라,Giardialambia에 의한 수인성 질병을

막기 한 법안이다. 지오넬라,Giardia,바이러스에 조 이라도 노출되면 보

건에 있어서 험하기 때문에 이 법안 이러한 오염물질에 한 법 강제성이

없는 보건 목표 는 Maximum ContaminantLevelGoals(MCLG)를 0으로 설

정했다.법 강제성이 있는 Maximum ContaminantLevel(MCL)에 따르면 모

든 정수 체계는 최소 99.9%의 Giardia와 99.99%의 바이러스를 제거,불활성화

시키기 해서 물을 여과하고 소독해야 한다.

2)국내 수질기

수환경 정책은 환경정책기본법에 규정된 수질환경기 을 수역의 이용 상황

(상수원,공업용,농업용 등)을 고려하여 용 고시하고,이를 달성하기 한 시

Page 8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8 -

책들이 추진되며,수질측정망을 운 하여 시책들의 환경기 달성여부를 검하

는 체제로 이루어진다.

가)하천수질환경 기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2006.12.4.일부개정 )에 따른 하천수질환경기 은 총

26개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6개 항목이 생활환경 기 항목,17개 항

목이 사람의 건강보호 기 항목이다.

장균군(군수/100ml)

총 장균군분원성

장균군

매우좋음 Ia 50이하 10이하

좋음 Ib 500이하 100이하

약간좋음 II 1,000이하 200이하

보통 III 5,000이하 1,000이하

약간나쁨 IV - -

나쁨 V - -

매우나쁨 VI - -

표 51.국내의 생활환경 미생물학 기

나)호소수질환경기

우리나라 호수수질환경기 은 하천수질환경기 과 거의 같으나 TN (총질소)

과 TP(총인)항목을 규제 상에 포함시키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미생물학

기 은 같다.

다)먹는물 수질기

우리나라는 1963년 처음으로 “수도법에 의한 수질기 ․수질검사방법․건강진

단 생상에 한 규정”에 의해서 먹는물의 수질기 이 설정되었으며,‘80년

말까지는 큰 변동이 없었다.그러나 우리나라도 각종 산업이 발달하면서 하

천이 격히 오염되기 시작하여 상수원인 낙동강, 산강 등의 강 하류지역 수

질이 3 수 이하로 악화되었고,89년 이후 매년 속,트리할로메탄,페놀,디

클로로메탄 등의 수돗물 오염사고가 발생하 다.먹는물의 수질기 도 처음 제

정 당시에는 28종이었으나 연차 으로 강화되어 재는 55종이 되었다.먹는물

수질기 외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유해물질에 해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제

Page 8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69 -

도를 도입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먹는물 먹는 샘물에 한 수질기

은 ‘먹는물 수질기 검사 등에 한 규칙’환경부령 제210호에서 정하고

있다.

구분 항목수질기

먹는물 샘물 먹는샘물

미생물

일반세균Heterotrophic

platecounts100CFU/ml

온세균:

20CFU/ml

온세균:

5CFU/ml

온세균:

100CFU/ml

온세균:

20CFU/ml

장균 E.coli 불검출 /100ml -

총 장군균Total

coliforms불검출 /100ml 불검출 /250ml

분원성 장군균Fecal

coliforms불검출 /100ml -

분원성연쇄상구균 - 불검출 /250ml

녹농균 불검출 /250ml

살모넬라 - 불검출 /250ml

쉬겔라 - 불검출 /250ml

아황산환원 기성

포자형성군- 불검출 /50ml

표 52.국내의 먹는물(먹는샘물)수질기 [일부개정 2008.2.4]

라)세계보건기구(WHO)수질기

WHO의 먹는물 수질에 한 guideline은 1958년 ‘InternationalStandardsfor

DrinkingWater'라는 제목으로 처음 발간된 후 1963년,1971년 같은 제목으로

개정작업을 거쳤다.1984년에 제목을 ’GuidelinesforDrinkingWaterQuality'로

수정하여 회원국에 권고하 으며 1988년부터 여러 번의 개정작업을 거쳐 2004년

에 3 이 출 되었다.'GuidelinesforDrinkingWaterQuality'에 정하는 권고값

은 강제 인 기 은 아니며,각국에서 공 하는 먹는물에 한 기 을 설정할

때 그 국가의 지역 인 특성을 고려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내용은

미생물 분야,유해화학물질 분야,방사성물질 분야,심미 인 향물질 분야로

구분하여 서술하고 있다.

Page 8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0 -

구분 병원체인체

유의성

공 과정에

서의 지속성

염소

항력

감염력

주요

보유동물

세균

Burkholderiapseudomallei 증식가능 무

Camphylobacterjejuni,

C.coli고 유

Echerichiacoli-Pathogenic 고 유

E.coli-Enterohaemorrhagic 고 고 유

Legionellaspp. 고 증식 무

Non-tuberculousmycobacteria 증식 고 무

Psudomonasaeruginosa 증식가능 무

Salmonellatyphi 고 무

Othersalmonellae 고 증식가능 유

Shigellaspp. 고 단 무

Vibriocholerae 고 단 무

Yersiniaenterocolitica 고 장 유

바이

러스

Adenoviruses 고 장 고 무

Enteroviruses 고 장 고 무

HepatitisA 고 장 고 무

HepatitisE 고 장 고 존재가능

NorovirusesandSapoviruses 고 장 고 존재가능

Rotavirus 고 장 고 무

표 53.세계 보건기구(WHO)에서 지정한 주요 미생물의 분야별 특징

마)세계 각국의 수질 기

(1) 국

국의 먹는물 수질기 미생물학 수질기 은 표 54와 같다.

항목 규정

일반세균 100CFU/ml

총 장균군 100ml당 불검출

분원성 장균군 100ml당 불검출

표 54. 국의 먹는물 미생물학 수질기

(2)일본

(가)하천수 수질환경기

일본의 하천수질환경기 은 우리나라의 1 수와 2 수 사이에 한 등 을 더

둔 것 외에는 체로 그 체제가 우리나라와 유사하나 최근에 와서 기 의 내용

면에서,특히 사람의 건강기 항목에 있어서는 상당히 다르다.미생물학 수질기 은

표 55와 같다.

Page 8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1 -

구분 등 이용목 의 용 상장균수

(MPN/100ml)

생활환경

AA 수도 1 ,자연환경보 A이하의 난에 게재한 것 50이하

A 수도 2 ,수산 1 ,수용 B이하의 난에 게재한 것 1,000이하

B 수도 3 ,수산 2 C이하의 난에 게재한 것 5,000이하

C 수산 3 ,공업용수 1 D이하의 난에 게재한 것 -

D 공업용수 2 ,농업용수 E의 난에 게재한 것 -

E 공업용수 2 ,환경보 -

표 55.일본의 하천수 수질환경기 미생물학 기

(나)호소 수질환경기

일본의 호소수 수질환경기 은 천연호소와 수량 100만톤 이상인 인공호에

용되는 기 으로서 생활환경의 보존에 한 기 , 양염류에 한 기 ,인체

건강에 한 기 으로 나 어져 있는데,사람에 한 건강 기 은 하천,호소,

해수 모두에 용되고 있다.미생물학 기 은 하천수와 비슷하다.

(다)먹는물 수질기

일본에서 먹는물의 미생물학 기 은 표 56과 같으며 국내나 국과 비슷하다.

항목 규정

일반세균 100CFU/ml

장균 100ml당 불검출

표 56.일본의 먹는물 미생물학 기

(3)미국 워싱턴주

(가)수질환경기

워싱턴주는 연방환경보호청의 승인을 받아 수질환경기 을 지하수,지표수,하

상침 수로 나 어 워싱턴주행정규정집(WashingtonAdministrativeCode)에 공

표하 다.워싱턴주의 기 은 하천 뿐 아니라 호소,해수,지하수,침 물에 한

수질환경기 등 미국에 있어서 있을 수도 있는 모든 수체에 한 수질환경기

을 망라하고 있다.미생물학 수질기 은 분원성 장균군을 사용하고 있다.

(나)먹는물 수질기

미국 미환경청의 먹는물 수질기 은 1차 먹는물 수질기 (NPDWR:National

PrimaryDrinkingWater;표 57)과 2차 먹는물 수질기 (NationalSecondary

Page 8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2 -

Drinking Water Regulation, NSDWR)으로 구성되어 있다. 먹는물 법령

(SDWA;SafeDrinkingWaterAct)에서 새로운 오염물질을 NPDWR로 규정할

EPA산하 OFFICEofWater에서 해성이 있을 것으로 단되는 오염물질을 선

정하고,오염물질에 한 최 목표농도(MCLG:Maximum ContaminationLevel

Goal),최 오염허용기 (Maximum ContaminationLevel,MCL) 는 처리기술

(TT;TreatmentTechnique)을 결정하게 된다.

항목 MCL(mg/L) MCLG(mg/L)

크립토스포리디움 TT 0

지아디아 TT(99.9% 불활성화) 0

일반종속세균 TT(500CFU/ml이하) 0

지오넬라 TT 0

총 장균군 5.0% 0

장 계 바이러스 TT(99.99% 불활성화) 0

표 57.미국 먹는물의 미생물학 수질기

(4)국내외 미생물학 수질기 의 특징 의의

국내외 미생물학 수질기 은 국가 수계 환경에 따라 다양하다.수계 환

경에 따라 사용되는 지표 미생물 그 기 이 다르며,이는 국가마다 자국에

맞는 지표 미생물 그 기 을 설정하여 사용함으로써 검사 효율 정확성을

극 화하고 있다.따라서 국내 유해 미생물을 리하기 해서는 국내에 출

양상에 맞는 지표세균 바이러스를 악하고 그 기 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

다.

다. 리 상 미생물 분석방법 제시

지표 세균의 경우 다양한 국가 기구에서 분석법이 확정되어 제시되어 있으

며 그 분석 방법에 한 차이가 극히 미미하다.따라서 국내외 분석 방법을 통

합해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종류의 지표 세균에 한 분석법을 제시할 수 있었

다.바이러스의 경우 총배양성바이러스에 한 표 분석방법은 미환경청(U.S.

EPA,1996)이나 국내에 존재할 뿐 다른 바이러스에 한 표 분석법은 정립되

어 있지 않으며 세포배양으로 감염성 여부를 단하기에는 민감도 등이 낮아 한

계성이 있다.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 계 바이러스에 한 분석법은 세포배양

법 이외에 (RT-)PCR등의 분자생물학 분석법도 제시하 으며 상 수계에

따른 농축법 역시 고려하여 제시하 다.

Page 9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3 -

1)지표세균 장 계 바이러스 검출법

환경시료에서의 지표미생물의 검출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된다.지표 세

균은 상에 따라 여러 방법들이 표 화되어 정부나 사설 연구소들에 의해 일상

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바이러스는 지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일부 바이러

스만의 검출 방법이 일부 국가 기구에서 표 화해 사용되고 있다.여기서는

총 장균균,분변성 장균군과 장 계 바이러스의 검출법의 를 들고자 한다.

가)총 장균균과 분변성 장균군의 검출

총 장균군은 35℃에서 48시간 내에 유당을 발효시켜 기체를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통성 기성,그람 음성,비포자 생성,막 모양 세균을 포함한다.총

장균군은 최 합수 방법이나 막여과법에 의해 검출된다.

분변성 장균군은 44.5℃에서 EC액체배지에서 자랄 때 기체를 생성하거나

44.5℃에서 m-FC한천배지에서 자라서 청색 집락을 형성하는 세균들로 정의된

다.

나) 장균군 검출의 신속한 방법

(1)효소측정법

효소 측정법은 상수와 하수에서 총 장균군과 E.coli같은 지표세균 검출을

한 안이 될 수 있다.이 방법들은 특이하고 민감하며 신속하다. 부분의 방

법에서 총 장균군의 검출은 β-galatosidase 활성을 찰하는데 이는 기질인

o-notrophenyl-β-d-galactopyranoside(ONPG)를 420㎚의 빛을 흡수하는 노란

nitrophenol로 가수분해하는 반응에 근거한다.형과화합물인 4-mthylumbelliferon-

β-D-galactosidase도 β-galatosidase의 기질로 이용할 수 있다.β-galatosidase측

정에 의한 총 장균군 검출은 생장배지에 β-galatosidase 생성의 유도체인

isopropyl-β-thiogalactopyranoside(IPTG)를 첨가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다) 장균군 검출의 기타 방법들

(1)단일 클론 항체

E.coli는 외막 단백질이나 주변세포질 공간에 치하는 효소인 alkaline

phosphatase에 한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비록 일부 단일

클론 항체들이 E.coli와 shigella에 해 특이하지만 어떤 연구자들은 그것들

의 특이성과 친화도에 해 의문을 제기하며 따라서 환경시료에서 E.coli의 일

상 검출에 이 방법을 용시키기 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Page 9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4 -

그림 13.수시료에서 장 계 바이러스 분석 과정.

(2)PCR/유 자 탐침 검출법

이 방법에서는 E.coli의 특정 유 자들이 PCR로 증폭되고 유 자탐침으로

검출된다.이 방법으로 물 100㎎/L당 1~5개의 E.coli세포까지 검출 할 수 있

다. 다른 유 자 탐침에 E.coli와 shigella종에서 β-galatosidase의 유 정

보를 가지는 uid유 자가 있는데 이것은 PCR과 결합시키면 1내지 2개의 세포를

검출할 수도 이으나 E.coli와 shigella를 구분하지는 못한다.

(3)장 계 바이러스 검출법

장 계 바이러스를 수시료에서 검출하기 해서는 시료의 채취 농축 과정

이후 세포배양 분자생물학 방법을 통한 바이러스 검출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그림 13에 정리하 다.

(가)바이러스 농축법

바이러스 농축법은 수시료의 양 그 수질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

되어 쓰이고 있으며 표 58과 같다.

Page 9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5 -

Technique Method Waterquality

Initial

volume

(liter)

Relative

virus

content

Recovery

Secondary

concentration

required?

Adsorption/

elution

GauzepadsSewageor

effluentLarge High Low tomedium No

Electronegative

membranesAllwaters 1-1000

Low to

medium

50-60% with

practiceYes

Electropositive

membranesAllwaters 1-1000

Low to

medium

50-60% with

practiceYes

Electronegative

cartridges

Anylow

turbidity1-50

Low to

medium

Variable:higher

withclean

waters

Yes

Electropositive

cartridgesAllwaters 1-1000

Low to

mediumVariable Yes

Glasswool Allwaters 1-1000Low to

mediumVariable Yes

Glasspowder Allwaters <100 Any 20-60%ifvolume>100

L

Entrapment:

ultrafiltration

Alginate

membranesCleanonly Low High Good No

Single

membranesClean Low Any Variable No

Tangential

(=cross)flow and

hollow fibers

Treatedeffluents

orbetterHigh Low Variable Sometime

VortexflowTreatedeffluents

orbetterHigh Low Unknown Unknown

HydroextractionPEGorsucrose Any Low HighVariable

(toxicity)No

Ultra-

centrifugationClean Low High Medium No

Other

techniques

Ferricoxidefloc All Low Any Variable No

BiphasicpartitionAll <7 Any Variable No

Immunoaffinity

andmagnetic

beads

Unknown Low Low High No

표 58.장 계 바이러스 농축법에 따른 분류

(나)바이러스 분석법

① 세포배양법

통 으로 환경시료에서 바이러스를 분석할 때 쓰이는 방법이다.세포변성

상을 통해 감염성 바이러스를 정량화하고 분석한다.환경시료에서 감염성 바이

러스를 검사할 때 유용하게 쓰이나 감염성이 있더라도 세포변성 상을 보이지

Page 9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6 -

않는 경우가 있고(Chapronetal.2000),노로바이러스 등에는 아직 쉽게 용할

만한 세포배양법이 없는 것이 단 이다(Duizeretal.2004).장 계 바이러스 분

석에 합한 세포주는 표 59에 제시하 다.

cellline 상 virus reference(s)

BGM ICR의 TCVA에 이용

A549 enterovirus,adenovirus Leeetal.(2004)

HEp-2 adenovirus Sedmaketal.(2005)

Caco-2 astrovirus,adenovirus Pintoetal.(1996),Sedmaketal.(2005)

PLC/PRC/5 enterovirus,adenovirusGrabowetal.(1993),Rodríguezetal.(2008)

Ma-104 enterovirus Agbalikaetal.(1983)

RD enterovirus Morris(1985)

HT-29 enterovirus Pateletal.(1985)

SKCO-1 enterovirus Pateletal.(1985)

FRhK-4 hepatitisAvirus Cromeansetal.(1987)

표 59.장 계 바이러스 배양에 사용되는 cellline

② 분자생물학 인 방법

환경 시료와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내 바이러스의 핵산은 추출,정제하여

PCR을 이용하여 증폭시킬 수 있다(Choetal.,2000;Leeand Kim,2002).

guanidium thiocyanate추출과 실리카 컬럼을 기 로 한 Boom의 방법(Boom et

al.,1990)과 commercialkit를 이용한 방법이 바이러스 추출과 정제에 사용되고

있다.

㉠ PCR과 nestedPCR

PCR과 같은 핵산에 기 한 분석 방법은 환경 시료에서 장 계 바이러스를 검

출하는데 범 하게 사용된다.PCR은 바이러스의 특정 그룹 내의 넓은 상동성

을 가지는 고도로 보존된 핵산을 상으로 하여 검출하는 방법을 기 로 했다

(Allardetal.,1992;Katayamaetal.2002).PCR분석 방법은 세포 배양에 비

하여 빠르고,민감하며,노동력과 시간이 게 든다(Jiangetal.2001;Pinaet

al.,1998).게다가 PCR방법은 노로바이러스와 같이 세포 배양이 되지 않는 바

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다(Katayamaetal.,2002).PCR분석 방법의 높은 민감

성은 다양한 환경의 바이러스 오염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는 을 암시한다

(Borchardtetal.,2003;Pinaetal.,1998).그러나 검출된 바이러스의 감염성을

Page 9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7 -

결정할 수 없고 PCR분석 방법의 높은 민감성은 오염으로 인한 가짜 양성 결과

의 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환경 시료에 humicacid,fulvicacid, 속,페

놀 화합물과 같은 inhibitor가 존재할 때 가짜 음성 결과 한 문제가 될 수 있

다(Straubetal.1995;Wilson,1997).

nestedPCR과 seminestedPCR분석 방법은 internalprimer를 사용함으로써

PCR의 민감성과 특이성을 높인다.일반 인 PCR 방법에 비해 (semi)nested

PCR분석 방법이 민감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Allardetal.,1992).그

러나 nestedPCR분석 방법은 carryover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iangetal.2001;Katayamaetal.2002).

㉡ multiplexPCR

이 방법은 PCR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장 계 바이러스를 증폭시킬 때 여러

개의 primerset을 이용한 것이다(Choetal.2000).이것은 1회의 PCR증폭을

통해서 여러 종류의 장 계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돈을

약할 수 있다(Choetal.2000).그러나 이 방법은 다양한 바이러스 종류를 증폭

시키기 한 반응 혼합물과 PCR 조건을 신 하게 최 화해야 해서 쉽지 않다

(Choetal.2000;Foutetal.,2003).

㉢ real-timePCR

real-timePCR은 형 염료가 붙은 primer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PCR증폭

하는 것으로 기 로 한다.이것은 바이러스의 존재에 해서 정량 인 자료를

제공하고 agarosegel 기 동과 같은 확인 단계가 필요 없기 때문에 일반 인

PCR보다 시간이 약된다(Koetal.2005).그러나 real-timePCR은 비싸고,때

때로 일반 인 PCR과 nestedPCR보다 덜 민감하다(Nobleetal.2003).

㉣ integratedcellculturePCR(ICC-PCR)

세포 배양 분석 방법과 PCR증폭의 혼합을 기 로 한 이 방법은 높은 민감성

과 특이성으로 바이러스의 감염성에 한 정보를 제공한다 (Beuret,2004).이

방법은 세포주에 바이러스를 종한 후,감염성이 있는 바이러스만이 번식할 것

이라는 가정을 해서,PCR 증폭을 통해서 그 세포에 한 바이러스 검사를 할

수 있는 것이다.이것은 CPE를 보이지 않는 장 계 바이러스에 특히 합하다

(Chapronetal.2000;LeeandKim,2002).그러나 세포에 종된 불활성화 된

바이러스의 핵산의 carryover가 바이러스 감염을 일으키지 않은 세포에서 검출

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Koetal.2003).

Page 9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8 -

③ 면역학 인 방법

로타바이러스를 확인하는데 immunofluorescence와 flow cytometry가 사용되

었다고 보고되어 있으나(Abadetal.1998),이 방법들은 기술 으로 세포 배양

분석 방법을 요구한다.Dahlingetal.(1993)은 수계 환경에서 로타바이러스를

확인하기 해서 ELISA를 사용했다.그러나 이것은 높은 농도의 바이러스 항원

을 필요로 한다.

라.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DB)화

수집된 지표세균,장 계 바이러스 출 정보 그 분석법을 정리하여

ITSTANDARD에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로 송하 다.출 정보는 엑셀 일

로 정리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 으며 정리 자료의 는 그림 7과 같다.총 341

건을 수집 정리, 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 다.

1)지표 세균,바이러스 정보

총 341건의 자료를 수집,정리하 으며 매체,연도,국가,지역,연구자/조사자,

연구(조사)기 ,발표지,발표 권(호)/쪽,분리 미생물,질병과의 연 성,질병

유발 여부 그 특성 등을 기술하고 분류하 다.매체는 지표 세균과 바이러스

주 오염 원인인 수계에서 검출한 자료를 288건 수집하여 정리하 으며,이를 보

조하는 임상 자료도 105건,식품 등의 기타 매체에서도 19건 수집,정리하 다.

국내에서는 총 58건의 자료를 수집하 으며,북미 99건,유럽 107건,아시아 51

건, 남미 16건,아 리카 12건,오세아니아 4건 등 6 주에 걸쳐서 자료를 수

집 정리하 다.

2)지표 세균 정보

총 정보 수집 자료건수는 총 194건이며 총 장균군(totalcoliform)109건,분

원성 장균군(fecalcoliform)104건으로 수집 자료가 많았으며 장균(E.coli)

62건,장구균(enterococcus)33건,분원성 연쇄상구균(fecalstreptococcus)27건,

일반세균(heterotrophicbacteria)22건 등의 자료를 수집하 으며 녹농균 4건,아

황산환원 기성포자형성균 15건 등의 자료 역시 수집하 다.이외에도 somatic이

나 F-specific 지 같은 지 종류도 20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 다.이들

은 다수 일차 분변 오염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었으며 병원성 바이러스 검출

에 보조 활용된 것은 45건,감염성 세균 검출에 보조 활용된 것은 42건,원생동

물을 검출하는데 보조 활용된 것은 21건으로 확인되었다.조사 자료 반 정

도만이 감염성 미생물 검출에 활용한 것으로 볼 때 지표 세균은 일차 분변 오

염을 확인하는데 유용할 수 있지만 감염성 미생물 검출의 지표로는 한계가 있다

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Griffinetal.2001;Tayloretal.1995). 장균군 등은

Page 9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79 -

분변 오염이 사람에 의한 것인지 포유동물에 의한 것인지를 단순한 배양 검

출법으로는 악할 수 없으며(Dombeketal.2000;Nobleetal.2003),특히 병

원성 장 계 바이러스는 장균군보다 자외선,염소소독 등의 처리에 훨씬 항

성이 강해(Thurston-Enriquezetal.2003;Treeetal.2003) 통 지표 세균

으로는 병원성 바이러스의 존재 유무 그 양을 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3)바이러스 정보

총 정보 수집 자료건수는 총 189건이며 노로바이러스(norovirus)가 104건,엔

테로바이러스(enterovirus)가 83건으로 수집 자료가 많았으며 로타바이러스

(rotavirus)47건,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A virus)40건,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37건,아스트로바이러스(astrovirus)31건 등의 자료를 확보하 다.

이외에도 오바이러스(reovirus)6건, E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Evirus)4

건, 사포바이러스 1건,Torquetenovirus1건 등의 자료를 수집하 다.수집

자료의 차이는 국내외 질병 유발의 요도 검출의 용이성 등과 련성이 크

다.국내외 으로 장염 등에 여하는 로타바이러스,노로바이러스,A형 간염 바이러스 등

이 주목받고 있으나(질병 리본부,2007;EPA [http://www.epa.gov/OGWDW/ccl/index.

html]), 재 세포배양으로 표 방법이 정리된 바이러스는 엔테로바이러스 정도며 다른 바

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처럼 배양이 되지 않거나(Duizeretal.,2004)난배양성이라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4)국내 수계 지표 세균 바이러스 정보 수집 결과 요약 특성

국내 수계만을 상으로 정보 수집 결과를 요약하면 총 자료건수는 34건이며

지표 세균 32건,바이러스 8건이었다.지표 세균은 총 장균군 24건,분원성

장균군 17건으로 조사건수가 높았고 장균 11건,일반세균 10건,분원성 연쇄상

구균 8건,아황산환원 기성 포자 형성균 5건,장구균 2건, 지 1건의 정보를

수집,정리하 다.바이러스의 경우 노로바이러스 6건,아데노바이러스 6건,엔테

로바이러스 5건,로타바이러스,3건,A형 간염 바이러스 2건, 오바이러스 2건

등의 정보를 수집하 다.국내 수계에 지표 세균 바이러스에 한 정보는 외

국에 비해 빈약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특히 바이러스는 일부 바이러스

에만 집 되어 있었는데,국내 요 장염 원인(질병 리본부,2007)인 로타바이

러스에 한 정보가 3건 밖에 없었으며 아스트로바이러스에 한 조사 결과는

수집할 수 없었다. 한 2008년에 속도로 유행하고 있는 A형 간염 바이러스

(질병 리본부,2008)에 한 정보도 2건 밖에 찾을 수 없었으며,일부 국가에서

발생하고 있는 E형 간염 바이러스에 한 정보 역시 수집할 수 없었다.

Page 9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0 -

그림 14.정보 자료 정리 .

2.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가.물리화학 요인 지표 세균 결과 고찰

8월과 10월의 수온,pH,탁도 등의 물리화학 요인과 총 장균군,분원성

장균군, 장균,장구균 일반세균,( 온 온) 분원성 연쇄상구균 측정 결

과를 각각 표 60과 61에 나타내었다.수온은 반 으로 8월이 10월보다 높았으

며 지하수 시료의 수온이 다른 수시료에 비해 크게 낮았다.pH는 월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하수처리장 시료가 다른 시료에 비해 조 높았다.탁도는 8월보

다 10월 시료가 반 으로 높았고 지하수가 가장 낮은 값을 가졌고 하수처리장

유입수,혼합수가 가장 높았다.지표 세균의 경우 반 으로 8월 시료가 10월

시료보다 검출 비율 그 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각 지표 세균의

월별 시료 채취 지 간 비교 그래 는 그림 15,16,17,18에 나타내었다.총

장균군은 하남 지하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팔당 상수원에서는 8월에만 검

출되었으며 잠실에서도 하수처리장에 비해 낮은 농도를 보여주었다.하수처리장

유입수 혼합수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방류수에서는 하수처리

과정에 의해 혼합수보다 100-10,000배 가량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15).분원성 장균군 역시 하남 지하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팔당,

하남 상수원에서도 8월에만 검출되었다.총 장균군과 마찬가지로 하수처리장

유입수 혼합수에서 농도가 높았으며 방류수에서 100-10,00배 가량 감소되어

검출되었다 (그림 16). 장균은 하수처리장에서만 검출되었으며(그림 17),장구

균 역시 하수처리장 시료와 8월 팔당 수시료에서 검출되었다(그림 18). 온

온 일반세균은 모든 수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지하수에서 가장 낮은 농도로

Page 9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1 -

검출되었으며 하수처리장 유입수 혼합수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지하수와 상수원수에서는 8월 시료가 10월 시료보다 농도가 높았지만 하수처리

장 시료는 월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이러한 차이 은 지하수나 상수원수

는 8월과 10월의 온도 차이로 인해 세균의 증식이 차이가 났지만 하수는 세균

오염 원인의 다수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생활용수가 심이 되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양한 수계 환경

에서 지표 세균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범 한 분변 오염이 조사 수

계 환경에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다양한 지표 세균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시기나 수계 환경에 따라 지표 세균의 농도 변화 출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역 종류수온

(℃)pH

탁도

(NTU)

총 장균군

(CFU/ml)

분원성

장균군

(CFU/ml)

장구균

(CFU/ml)

장균

(CFU/ml)

일반세균

(CFU/ml)

일반세균

(CFU/ml)

분원성

연쇄상구균

(250ml)

하남 지하수 14.06.8 0.04 - - - - 5.9×1018.2×10

1불검출

팔당 원수 23.06.9 17.58 1.0×100

- - - 4.8×1023.2×10

3불검출

잠실 원수 20.86.9 6.04 2.3×100 - - - 2.1×102 1.5×103 불검출

구리 유입수 21.37.2 62.30 1.7×1051.6×10

43.8×10

31.7×10

35.6×10

62.1×10

7검출

구리 혼합수 21.57.2153.60 1.4×105 3.6×104 4.9×103 2.2×103 6.5×106 3.6×107검출

구리 방류수 22.07.2 2.10 4.3×1031.2×10

33.3×10

12.2×10

21.3×10

52.2×10

5검출

지역 종류수온

(℃)pH

탁도

(NTU)

총 장균군

(CFU/ml)

분원성

장균군

(CFU/ml)

장구균

(CFU/ml)

장균

(CFU/ml)

일반세균

(CFU/ml)

일반세균

(CFU/ml)

분원성

연쇄상구균

(250ml)

하남 지하수 9.6 6.8 0.20 - - - - 6.3×102 6.9×102 불검출

팔당 원수 28.5 6.7 4.37 7.2×1018.1×10

02.9×10

09.0×10

36.5×10

4검출

잠실 원수 25.5 6.8 11.41 7.4×1003.9×10

0- - 8.7×10

44.6×10

5검출

구리 유입수 26.0 7.0 23.09 5.7×1059.1×10

46.6×10

36.7×10

36.2×10

61.8×10

7검출

구리 혼합수 26.5 7.0 23.58 9.8×105 8.2×104 6.6×103 9.7×103 8.8×106 2.0×107 검출

구리 방류수 27.3 6.7 1.13 1.5×1029.1×10

0- 1.3×10

12.5×10

42.6×10

5검출

표 60.본 연구에서 8월에 실시한 물리화학 요인 지표 세균 결과

표 61.본 연구에서 10월에 실시한 물리화학 요인 지표 세균 결과

Page 9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2 -

그림 17.본 연구에서 실시한 장균의 결과.

그림 16.본 연구에서 실시한 분원성 장균군의 결과.

그림 15.본 연구에서 실시한 총 장균군의 결과.

Page 10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3 -

그림 18.본 연구에서 실시한 온일반세균의 결과.

나.총배양성 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A형 간염 바이러스 조사 결과 고찰

8월 10월에 채취한 수시료에서 검출된 총배양성 바이러스의 농도를 표 62

에 정리하 다.지하수 상수원수에서는 총배양성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

으며 하수처리장 수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8월,10월 시료 모두 수처리 과정에

의해 유입수나 혼합수의 바이러스 농도에 비해 방류수의 바이러스 농도가 약 10

배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앞에서 조사된 지표 세균보다 약

10-100배 정도 감소율이 낮은 결과인데 이는 바이러스가 장균군보다 자외선,

염소소독 등의 처리에 훨씬 항성이 강해(Thurston-Enriquezetal.2003;Tree

etal.2003)하수처리 과정에서 제거 효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ICC-PCR 결과(표 63)에서는 분석된 모든 수시료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지하수에서 100 L 당 1개 미만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상수원수에서는

1-10개 정도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하수 시료에서는 세포배양으로 검출된

농도보다 약 2배에서 10배 정도 향상된 바이러스 검출 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단순 세포배양만으로는 민감도의 한계 등으로 인해 수계 환경에 존재하는

감염성 바이러스를 과소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세포배양 이외

에도 다른 분석법을 통해 수계 환경에서 장 계 바이러스의 출 빈도 농도

에 한 분석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ICC-PCR

로 검출된 바이러스를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모든 바이러스가 폴리오바이러스나

콕사키바이러스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는 모두 엔테로바이

러스에 속하는 것이다.총배양성 바이러스 ICC-PCR에 사용된 세포주인

BGMK 세포주는 엔테로바이러스 등 일부 장 계 바이러스만 검출할 수 있으며

단순히 일부 세포주만을 사용한 분석만으로는 수계 환경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체를 악하기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 다.

Page 10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4 -

지역 종류8월 분석결과

(MPN/100L)

10월 분석결과

(MPN/100L)

하남 지하수 1.6×10-1

7.6×10-1

팔당 원수 3.3×100

5.3×100

잠실 원수 3.3×100

1.6×100

구리 유입수 - -

구리 혼합수 4.3×103

2.3×103

구리 방류수 2.3×103

1.7×103

표 63.본 연구에서 실시한 지역과 월별 ICC-PCR결과

노로바이러스와 A형 간염 바이러스를 RT-PCR을 통해 분석한 결과 모든 시

료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국내 수계 환경에서 이들 바이러스의 출

특성을 악하기 해서는 다양한 수계 환경에서 폭 넓은 실태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지역 종류8월 분석결과

(MPN/100L)

10월 분석결과

(MPN/100L)

하남 지하수 불검출 불검출

팔당 원수 불검출 불검출

잠실 원수 불검출 불검출

구리 유입수 - 1.3×103

구리 혼합수 1.3×103

1.3×103

구리 방류수 2.0×102

4.2×102

표 62.본 연구에서 실시한 지역과 월별 세포배양 결과

결론

국내 문헌을 조사하여 출 정보를 종합 분석한 결과 다양한 종류의 지표 세

균 장 계 바이러스가 국내 수계에 오염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

다. 한 본 과제 수행을 해 직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실태조사를 통해

다양한 종류(하수,상수원수 지하수)의 수계 환경에서 지표 세균 감염성

바이러스(총배양성 바이러스 분석)가 오염된 사실을 확인하 다.그러나 문헌 정

보 분석 결과 부분의 정보는 주로 지표 세균 총 장균군이나 분원성 장

Page 10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5 -

균군에 국한되어 있으며,장 계 바이러스에 한 정보는 매우 빈약하다.특히

장바이러스는 일부 특정 바이러스의 출 빈도 농도 등에 국한된 자료만 존

재하 다.따라서 수계별 오염 실태 출 특성 등에 한 국내 자료의 불충

분으로 인해 지표 세균 장 계 바이러스 특정 종류를 리 상으로

선정하기에는 과학 단 근거가 무 미약하다.따라서 재 상태에서는

리 상으로 일부 특정 종류를 선택 으로 리하는 것 보다 국내 수계에서 출

하는 것으로 이미 확인된 지표 세균 장 계 바이러스 종류들에 한 포

국가 리가 요구된다.장기 으로는 효율 인 리를 하여 리 상

선정과 같은 작업이 필요하며,이를 하여 충분한 과학 단 근거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다.이를 해서는 계 변화 특성을 악할 수 있는 시간 다

양성,국내외 출 한 다양한 지표 세균 장 계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조사

상 미생물, 다양한 수계 환경(지표수,지하수,먹는 물 농업용수,공업용수,

수산용수, 락용수 등),다양한 지역 특성(4 강 등),다양한 최신 분석방법

(표 시험법,분자생물학 방법:RT-PCR,real-timePCR등)을 통한 출 빈

도,농도 특성의 분석 악,국내에서 발생하는 유행성 질환에 한 정보

분석 등의 정보를 악할 수 있는 포 인 실태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Page 10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6 -

제 3장

임상분야

Page 10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7 -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가.국내외 유해미생물 리 연구 동향조사

1)미생물의 종류

미국 EPA 호주에서 리 상으로 지정하고 있는 세균들 가운데 국내 출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이 세균들에 한 국내에서의 리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하고 이에

한 평가 시스템을 수립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균들에 해서 국내 출 실태를

조사하 다.

가)Aeromonashydrophila

병원성:상처감염, 성설사,패 증,폐렴,요도감염

역학 특성: 세계 분포, 증감염사례 증가추세

숙주범 :사람,어류,양서류, 충류

방식:오염된,물,생선 등의 섭취

잠복기:불명확

사람간 는 드둘다.

유포 방식:병원소 해수,민물,토양,해수 (매개체 없음)

약제 감수성:거의 모든 항생제에 감수성

소독제 내성: 부분의 소독제에 민감

물리 불활화 조건:열에 민감 습열 121℃,15분 건열 160-170℃,1시간

숙주 밖 생존 여부:수계 토양에서 장기간 생존

나)Burkholderiapseudomallei(멜리오이도시스균)

성,국소 감염의 경우 피부를 통해 세균이 침습하여 고름이 생기고 통증을

동반하는 결 이 나타남.

폐,간,비장 등에 향을 수 있음

성 폐 감염의 경우 가벼운 기 지염이 심각한 폐렴이 될 수 있으며 발병

기 고열 등 근육 통증이 수반됨

형 류 감염의 경우 가장 증으로 감염 부 에 따라 다양하나 심각한

두통,고열,설사,피부에 농이 찬 병변 근육 통증,지각 상실 등이 나타남

만성 화농 감염의 경우 몸 체 기 을 포함하는 감염 형태로서 형 인

,내장,림 ,피부,뇌,간폐, ,비장에서 나타남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이 가장 효과

Ceftazidime,imipenem,ciprofloxacin,doxycycline,chloraphenicol,tetracycline등에민감

일반 으로 섭취,흡입하거나 상처 등의 노출된 피부 막에 오염될 물이나

흙에 되었을 때,감염된 동물의 구강 비강,상처 부 의 분비물에 막이

직 는 간 에 의해 노출되어 감염

Page 10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8 -

드물기는 하지만 사람과 사람으로 이가 일어나고 액이나 체액을 통한

사람간 염 가능

숙주:사람,양,염소,돼지,개,고양이 등

병원소:환경 인 요소(토양과 물 등)와 동물 요소(양,염소,말,돼지,원 숭이,

설치류 등)등

환경 내 생존력:토양과 물에서 수년간 생존 가능

다)Campylobacterspp.

병원성:다양한 증상의 성 장염,설사,복통,열,구토,메스꺼움

역학 특성:세계 으로 연령군 에서 설사의 주원인(5%-14%),

음식물,우유,물로 흔히 집단발생

숙주범 :사람,동물,조류

감염량:섭취시 500개 이하

방식:오염된 음식,우유,물,감염된 애완 동물 등

잠복기:1-10일(3-5일)

병원소:동물(돼지,소,양,고양이,개,애완동물,설치류),가 류 조류

항생제 감수성:Erythromycin,tetracycline,aminoglycoside에 감수성

소독제 내성:1% sodium hypochlorite,7% ethanol,iodines,phenol

formaldehydes

물리 불활화 조건:121℃,15분 160-170℃,1시간

숙주 밖 생존 여부:분변(9일),우유(3일),물(2-5일)

라)Legionellaspp.

병원성: 성 폐렴은 식욕 부진,권태감,두통,발열 오한,비소 모성 기

침,설사

치사율 15%;폰티악열은 페렴과 무 하며 5일내 회복

역학 특성:산발성,여름,가을에 보통 발생

숙주범 :사람,실험실 으로는 기니픽,유정란

감염량:미상

방식:에어로졸 염

잠복기: 지오넬라증 2-10일(5-6일),폰티악열 5-66시간(24-48시간)

사람간 미확인

병원소:온수,냉각탑,증기콘덴서,냉온수,샤워,분수,토양

항생제 감수성:erythromycin,rifampin

소독제 내성:1%차아염소산염,70%ethanol,formaldehyde

물리 불활화 조건:습식가열(121℃ 15분),건열(160-170℃ 1시간 이상)

Page 10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89 -

숙주 밖 생존 여부:수돗물 등에서 수개월 생존

마)Yersiniaenterocolitica& Y.psueotuberculosis

병원성: 성 장염 -설사,고열,두통,구토 등 수반.패 증,골수염,충

수염, 염

역학 특성: 세계 으로 분포

숙주범 :인수공통 감염증

감염량:불명

방식:오염된 물이나 음식의 섭취

잠복기:10일 미만

병원소:가축

항생제 감수성:거의 모든 항생제에 감수성이나 페니실린계에는 내성 가능성

소독제 내성: 부분의 소독제에 민감

물리 불활화 조건:열에 민감 습열 121℃,15분 건열 160-170℃,1시간

숙주 밖 생존 여부:물,∼ 20일 토양,∼ 540일 해수,∼ 105일(겨울)

바)SalmonellaParatyphi

병원성:지속 인 열,불쾌감,두통,비장 비 ,몸에 장미 반 ,임상 으

로 장티푸스 와 유사하나 치명률이 장티푸스보다 낮음

역학 특성:산발 는 제한 으로 집단발생.

주로 청형 A,B가 흔하고,C는 아주 드물다

숙주범 :사람

감염량:섭취의 경우 1000개

방식:식품(우유,유제품,어패류 등).환자나 보균자의 분변,뇨에 직,간

으로 시, 리,물에 의해서도 가능

잠복기:1-3주(장열형),1-10일( 장염)

항생제 감수성:Chloramphenicol,ampicillin TMP-SMX에 감수성

소독제 내성: 1% sodium hypochlorite,7% ethanol,iodines,phenol

formaldehydes

물리 불활화 조건:121℃,15분(습열),160-170℃,1시간(건열)

숙주 밖 생존 여부:버터(11일),생우유(11일), 리(10일),바퀴벌 (21)

일,메론쥬스(48시간)

사)SalmonellaTyphi

병원성:고열,두통,불쾌감,식욕감퇴,몸에 장미 반 ,복통,회장내

Page 10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0 -

peyer'spatches에 궤양성출 ,천공,비장 비 ,항생제 요법으

로 치명률 1% 로 감소

역학 특성:세계 으로 분포,북미에서 산발 인 발생, 부분 유행 지역

에서 유입,다제내성균이 세계 여러 지역 에서 발견됨

숙주범 :사람감염량흡입시 1.0×105

방식:환자,보균자의 오염된 손을 통해 식품감염, 리에 의해 오염

된 식품을 섭식

잠복기:감염량에 따라 다름(1-3주)

병원소:사람(환자와 보균자)

항생제 감수성:Chloramphenicol,ampicillin,amoxicillin에 감수성

소독제 내성:1%sodiumhypochlorite,7%ethanol,iodines,phenoformaldehydes

물리 불활화 조건:121℃ ,15분,160-170℃,1시간

숙주 밖 생존 여부:재(130일),먼지(30일),분변(62일),얼음(240일),

피부 (10-20분)

아)Shigellaspp.

병원성:장 감염 설사,발열,혼수,드물게 구토,경련 액성 변.불

성 감염 가능.증상의 성은 숙주,감염량, 청형에 따라 차이

(GroupA는 험,GroupD는 보통 가벼운 증상)

역학 특성:범세계 분포 증례 사망자의 2/3가 10세 미만 아동 주

로 이유기에 발생.가정에서 10-40%가 이차감염 집 생

활 불결한 생 환경에서 유행.열 온 지방에서

풍토병화

숙주범 :사람 장류(집단 거주지에서 유행)

감염량:GroupB의 경우 180개체 섭취

방식:환자 보균자로부터 직,간 경구감염. 는 바퀴, 리등

매개체에 의한 기계

잠복기1-7일,통상 1-3일

항생제 감수성:TMP-SMX,ampicilin,chloramphenicol

숙주 밖 생존 여부:분변 -11일 리-12일 수 환경 2-3일

환자피복 -8일

자)Vibriocholerae

병원성: 성세균성 장염 유발 -수양성 설사,탈수증,허 성 순환장애 유발가능

역학 특성:O1:1961년부터 세계 유행

O139:1992sus벵갈만 지역에서 발생

Page 10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1 -

숙주범 :사람

방식:환자의 분변 등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의 섭취

잠복기:평균 2-3일

병원소:사람,물(환경)

항생제 감수성:거의 모든 항생제에 감수성

소독제 내성: 부분의 소독제에 민감

물리 불활화 조건: 온에 민감

숙주 밖 생존 여부:분진,3-16일 동 ,-7일 분변,-50일 손가락,

1-2시간 물,장기간

차)Aspergillusspp.

병원성:종에따라 염의 형태가 다양

역학 특성: 세계 숙주범 사람

방식:공기매개로 분생자의 흡입

잠복기:다양 수일 -수주

사람간 증거 없음

병원소:곡물 는 다른 식료품

항생제 감수성:암포테리신 B

소독제 내성:1% 차아 염소산 나트륨 페놀성제 루타 알데하이드 70% 에

탄올

물리 불활화 조건:X선과 열에 불활성화

숙주 밖 생존 여부:매우강한 내성포자,토양과 부패물에서 오래 생존

2)국내 연구동향

가)임상에서의 병원균의 출 실태 조사

국내에서의 각종 병원균의 출 실태를 조사하기 하여 KONSAR (Korean

NationwideSurveillanceofAntimicrobialResistance,책임:연세 학교 의과

학 진단검사의학과 이경원 교수)와 KONSID (KoreanNetworkforStudiesof

InfectiousDiseases,책임:성균 학교 의과 학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송재

훈 교수)의 연구 자료를 조사하 다.

KONSAR의 연구 자료는 국내 병원의 미생물 검사실의 병원균 분리 황

항생제 내성 황을 조사한 passivesurveillance자료로서 1998년,2002년,2003

년,2004년의 결과이다.

KONSID의 연구 자료는 국내 병원의 감염내과의를 심으로 하여 2006년에

서 2007년에 걸쳐 균 증(bacteremia)와 요로감염증(urinarytractinfection)환

자로부터 분리한 세균에 한 자료로서 activesurveillance결과이다.

Page 10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2 -

 1998 2002 2003 2004

(25hospitals) (39hospitals) (39hospitals) (38hospitals) 

No. % No. % No. % No. %

S.aureus 20,642 20.9 42,798 20.7 43,003 20 47,823 20.2

E.coli 20,604 16.5 36,197 17.5 40,651 18.9 41,925 17.7

P.aeruginosa 20,370 16.3 30,342 14.7 28,163 13.1 31,544 13.3

CNS 13,854 11.1 21,884 10.6 24,567 11.3 28,809 12.1

K.pneumoniae 9,079 7.2 17,956 8.7 18,635 8.6 25,320 10.7

Acinetobactersp. 11,866 9.5 17,330 8.4 15,957 7.4 15,338 6.5

E.faecalis 7,075 5.7 11,806 5.7 13,685 6.3 14,795 6.2

E.faecium 2,968 2.4 9,051 4.4 11,202 5.2 13,211 5.6

E.cloacae 3,324 2.7 7,509 3.6 7,505 3.5 7,854 3.3

S.marcescens 5,781 4.6 5,643 2.7 5,474 2.5 5,743 2.4

S.pneumoniae 2,187 1.8 3,944 1.9 4,652 2.2 3,297 1.4

H.influenzae 962 0.7 1,170 0.6 1,248 0.6 954 0.4

Nontyphoidal

Salmonella746 0.6 938 0.5 759 0.4 545 0.2

Total 124,858 100 206,568 100 215,501 100 237,158 100

표 64.국내 병원에서 분리되는 병원균에 한 KONSARdata(1988-2004)

균종 균주 수 (%)

Escherichiacoli 1070(44.8)

Enterococci 312(13.1)

Klebsiellasp. 226(9.5)

Candidasp. 141(5.9)

Pseudomonassp. 130(5.4)

Staphylococcusaureus 107(4.5)

Enterobactersp. 70(2.9)

Coagulase-negativestaphylococi 53(2.2)

Acinetobactersp 47(2.0)

Proteussp. 46(1.9)

Citrobactersp. 37(1.5)

Streptococcussp. 36(1.5)

Serratiasp. 24(1.0)

Others 91(3.8)

Total 2,390(100)

표 65.실제 감염을 일으킨 요로감염 원인균 분포에 한 KONSIDdata(2006-2007)

Page 11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3 -

2004 2005 2006 2007 2008

콜 라(Vibriocholerae)

10 16 5 7 5

장티푸스(SalmonellaTyphi)

174 190 200 223 175

라티푸스(SalmonellaParatyphi)

45 31 50 45 40

세균성 이질(Shigellaspp.)

487 317 389 131 176

장출 성 장균 감염(E.coli)

118 43 39 41 50

지오넬라증(Legionellaspp.)

10 6 20 19 21

표 67. 염병 발생 웹 통계(질병 리본부 자료)

2006 2007

Aeromonashydrophila 74(0.28) 72(0.27)

Burkholderiaspp. 4(0.01) 89(0.33)

Helicobacterpylori - -

NTM - -

Campylobacterjejuni& C.coli - -

E.coli 2980(11.11) 2822(10.53)

Legionellaspp. - -

Salmonellaspp. 65(0.24) 64(0.24)

Shigellaspp. - -

Vibriospp. 9(0.03) 13(0.05)

Yersiniaspp. - -

Pseudomonasaeruginosa 1949(7.27) 2442(9.10)

Aspergillusspp. 30(0.11) 71(0.26)

Total 26800 26812

표 66.유해세균에 한 삼성서울병원 분리균주

나)환경 내 항생제 내성균 실태에 한 문헌 조사

(1)축산 환경 의 항생제 내성균

사례 1)권 일 등.2007.국내 축산 환경 의 항생제 내성균 모니터링에

Page 11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4 -

한 연구.KoreanJournalofMicrobiologyandBiotechnology.35(1):17-25

-2003년 5월부터 9월까지

- E.coli,Salmonellsspp.,Campylobactercoli,C.jejuni,Staphylococcus

aureus,Enterococcusfaecium,E.faecalis

분변 퇴비 농부 손 지하수 토양 하천

E.coli 100% 56.6% 10.3% 6.7% 46.1% 57.8%

S.aureus 10% - 34.5% - 2.9% 21.1%

C.jejuni/coli 23.3% 5.6% - - 2.9% 2.2%

E.faecalis/coli 53.3% 72.2% 37.9% 16.7% 58.8% 78.9

표 68.축산 환경에서 주요 병원균의 검출율

Antibiotics AMPAMKCFZAMCFEPFOX CIPNORIPM SXTCHLTET

E.coli 25.9 - 2.0 1.0 0.5 0.5 11.712.7 - 17.8 9.1 56.3

표 69.축산환경에서 분리한 E.coli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

Antibiotics AMK CIP NOR ERY CHL TET

C.jejuni/coli 7.7 53.8 53.8 30.8 15.4 84.6

표 70. 축산환경에서 분리한 C.jejuni/coli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

Antibiotics OXA SXT AMK PEN ERY VAN TET

S.aureus - - - 76.2 26.2 - 42.9

표 71.축산환경에서 분리한 S.aureus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

Antibiotics AMP GEN AMC CIP RIF ERY VAN CHL TET

Enterococci 0.9 1.3 1.3 15.2 44.4 25.1 0.9 9.4 55.2

표 72.축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에 한 내성률

Page 11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5 -

Antibiotics AMC AMP CHL CIP ERY GEN PEN RIF SXT TEITET VAN

E.faecalis - - 20.9 10.0 31.8 0.5 0.5 49.812.9 - 64.9 -

E.feacum - 1.1 1.1 20.7 49.4 - 17.252.9 3.4 - 55.2 -

(2)수산 환경 의 항생제 내성균

사례 2)정윤희 등.2006.수산 환경 의 항생제 내성균 모니터링.식품의약

품안 청 보고서

-2004년 5월부터 9월까지

- 국 양식장 횟집

-E.faecalis/faecium,S.aureus,E.coli,Salmonellaspp.,Vibriospp.

표 73.수산 환경에서 주요 병원균의 검출율

양식어 배양수배양수의 물

토양0km

토양2km

지하수 손

E.faecalis 55.2% 50.0% 28.6% 38.1% 52.4% 14.3% 48.3%

E.feacum 32.8% 15.0% 21.4% 19.0% 19.0% 4.8% 24.1%

S.aureus 13.8% 5.0% 2.4% 4.8% - - 41.4%

E.coli 15.5% 5.0% 11.9% 4.8% 14.3% 4.8% 13.8%

V.paraheamolyticus

10% 27.5% 41.7% - - - -

표 74.수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1)

표 75.수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2)

Antibiotics OXA AMK GEN TET SXT VAN AMP ERY PEN TEI CIP

S.aureus 5.1 17.9 5.1 25.6 - - 89.7 2.6 89.7 - -

Page 11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6 -

표 76.수산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3)

Antibiotics TET CFZ CIP NOR AMP SXT CHL AMC AZT IMP AML

S.aureus 47.3 32.7 25.5 25.5 18.2 9.1 3.6 - - - -

(3)강과 하천 의 항생제 내성균

사례 3)정윤희 등.2006.환경 의 항생제 내성균 모니터링 (강과 하천을

심으로).식품의약품안 청연구보고서 제10권.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국내 4개 권역 하천의 44건,5개도 21곳 하수종말처리장의 84건

-E.coli,S.aureus,E.faecium,Salmonellaspp.,Campylobactercoli/jujuni

-E.coli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 내성 :72.5% (111균주)

네 가지 이상의 항생제 내성 (다제내성):35.3% (54균주)

-S.aureus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 내성 :88.6% (62균주)

네 가지 이상의 항생제 내성 (다제내성):14.3% (10균주)

-Entrococci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 내성 :97.2% (277균주)

네 가지 이상의 항생제 내성(다제내성):33.3% (95균주)

(4)의료 환경 의 항생제 내성균

사례 4)정윤희 등.2006.의료 환경 의 항생제 내성균 모니터링.식품의약

품안 청연구보고서

-2005년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수도권, 주, 구,울산,인천, ,부산 소재 13개 병원

-외과 병동 심,의사,간호사,입원환자,보호자의 손과 비강

-환경 샘 (침 높이 조 ,화장실 안 바 는 벽,입원실 문고리,PC키보드

- Escherichia coli,K.pneumoniae,Staphylococcus aureus,Enterococcus

faecalis/E.faecium,Pseudomonasaeruginosa

Page 11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7 -

표 77.의료 환경에서 주요 병원균의 검출율

의사 간호사 보호자 환자 환경키보

드비강 손 비강 손 비강 손 비강 손문고

조 화장

E.faecalis 1.5 5.4 1.5 1.5 4.6 14.6 3.8 24.6 6.2 4.6 13.8 5.0

E.faecium - 6.2 - 6.9 - 12.3 - 17.7 7.7 12.315.4 16.7

S.aureus 40.0 54.6 23.8 18.5 32.3 46.2 21.5 37.716.923.120.0 28.3

E.coli - 0.8 - 0.8 0.8 0.8 1.5 0.8 - - 1.5 -

K.pneumoniae - - - - 2.3 1.5 0.8 - - - 7.1 -

P.aeruginosa 0.8 - - 0.8 - 1.5 - - - - - -

표 78.의료 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

Antibiotics AMC AMP CHL CIP ERY GEN PEN RIF SXT TEI TET VAN QD

E.faecalis 6.7 - 6.7 6.7 23.3 23.3 - 53.3 6.7 43.3 - - 93.3

E.feacum 44.2 46.5 -51.265.1 39.5 46.5 83.7 44.2 7.0 - 23.3

표 79.의료 환경에서 분리한 S.aureus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

AntibioticsAMk AMP CLI CIP ERY OXA PEN TEITET SXT VA

S.aureus 11.0 88.0 11.0 11.0 41.0 29.0 88.0 - 18.0 2.0 -

나.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수집․정리

국내 임상에서의 유해 세균 빈도와 환경에서의 출 빈도의 상 계에 한 구체

인 자료의 부족하지만 인체 감염의 요성과 연 하여 환경보건학 유해 세균,

항생제 내성 세균에 해서 환경에서의 리가 필요할 것으로 단되어진다.

1)환경보건학 유해 세균의 리 우선 순

환경에서의 분리 빈도와 임상 요성과 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균에 해 특히

우선 으로 리가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Page 11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8 -

·Legionellaspp.

·Shigellaspp.& Salmonellaspp.

·Vibrioparahaemolyticus

·Aeromonasspp.

2)항생제 내성 세균

항생제 내성 세균이 보건학 으로,의학 으로 미치는 요성으로 환경에서의항생

제 내성 세균에 한 리는 반드시 필요한 문제임.따라서 다음과 같은 주요 항생

제 내성 세균의 환경에서의 출 에 해 리가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Staphylcococusaureus,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resistantEnterococcus,VRE)

·ESBL생성 그람 음성균 (ESBL-producingGram-negativebacteria)

- 장균(E.coli)& 폐렴간균 (Klebsiellapneumoniae)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Carbapenem-resistantPseudomonasandAcinetobacter)

다.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DB)화

리 상 미생물의 국내 출 실태를 Pubmed Koreamed,그리고 보고서

등을 통해 조사하 고 이를 database화하 다.

균종 임상 환경

Legionellaspp. 11 6

Yersiniapseudotuberculosis 3 2

Shigellaspp. 21 -

Salmonella 4

Vibrioparahaemolyticus 2 -

Campylobacterspp. 3 -

Aeromonasspp. 7 4

Burkholderiapseudomallei 2 -

Aspergillusspp. 25 -

표 80. 리 상 미생물의 국내 출 실태

Page 11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99 -

분류a매체

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연구(조사)기 발표지

발표

권(호)/

1 4 2003 Jcity이신재

강서구 보건소

등방의학회지

38(4):42

0-424

15

(에어컨)2003

홍성갑,

정용태,

천경호,

백순

가톨릭 학교

의과 학,

단국 학교

TheKorean

Journalof

Microbiology

39(4):28

3-287

1 42003-

2004서울

Chang

JYet

al.

서울 학교

의과 학 등

Kor.J.

Pediatr.

Gastroentero

l.Nutr.

9(1):1-

13

표 81.Database화한 임상 환경에서의 분리 사례

2.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가.Legionella

Legionella의 경우 347bp의 band가,Legionellapneumophila의 경우 217bp의

band를 확인할 수 있다.단 한 차례도 Legionella는 검출되지 않았다.따라서 여

름철 국내 형건물의 냉각탑수에서 Legionella가 다량 검출되는 것과는 달리

하천이나 수지와 같은 자연 환경에서는 Legionella가 많이 존재하지 않을 것

으로 추정된다.따라서 Legionella에 한 리는 주로 형건물의 냉각탑수와

같은 인공 환경을 심으로 이 지면 될 것이다.

그림 19.Legionella의 PCR결과.

Page 11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0 -

그림 20.Legionellapneumophila의 PCR결과.

나.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

MRSA는 1개 균주(4.0%) 으며 penicillin에 한 내성은 9개 균주(36.0%),

erythromycin에 한 내성은 1개 균주(4.0%),tetracycline에 한 내성은 3균주

(12.0%),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한 내성은 1개 균주(4.0%) 다.

Clindamycin에 해서 15개의 균주(60.0%)가 내성을 보 고,Vancomycin과

Ciprofloxacin에 한 내성인 균주는 없었다.국내 병원의 MRSA의 비율이 60%

이상이고,지역사회 감염 MRSA (CA-MRSA)도 계속 보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율은 높지만 MRSA의 비율은 굉장히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아직까지는 MRSA가 환경에 범 하게 분포되고 있지

는 않은 것으로 돤되고 환경에서의 을 통해 MRSA가 되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측된다.하지만 clindamycin에 한 내성률이 60%이 이르는 등

일부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S.aureus가 발견되고 있고 MRSA가 국민 보건에

미치는 향을 볼 때 지속 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림 21.유해세균의 항생제 내성 결과.

Page 11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1 -

결론

국내의 유해 세균의 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임상에서의 보고는 최근 들어

지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임상에서의 유해 세균의 환경 연

계에 해서는 규명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최근 다양한 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균의 출 실태에 한 연구가 있었으나

사람들이 직 으로 하고 있는 생활 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균의 출 에

한 연구는 없었고,환경에서 분리되는 항생제 내성균과 환자들에게서 나타나

는 항생제 내성균의 상 계( 가능성)에 한 연구는 없었기 때문에 환경

분리 항생제 내성균의 사람에 한 직 유해성 여부는 알 수 없었다.

여름철 국내 형건물의 냉각탑수에서 Legionella가 다량 검출되는 것과는 달

리 하천이나 수지와 같은 자연 환경에서는 Legionella가 많이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따라서 Legionella에 한 리는 주로 형건물의 냉각탑수

와 같은 인공 환경을 심으로 이 지면 될 것이다.

국내 병원의 MRSA의 비율이 60% 이상이고, 지역사회 감염 MRSA

(CA-MRSA)도 계속 보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

율은 높지만 MRSA의 비율은 굉장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아직까지는

MRSA가 환경에 범 하게 분포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단되고 환경에서

의 을 통해 MRSA가 되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측된다.하지만

clindamycin에 한 내성률이 60%이 이르는 등 일부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S.

aureus가 발견되고 있고 MRSA가 국민 보건에 미치는 향을 볼 때 지속 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Page 11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2 -

제 4장

실내환경 분야

Page 12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3 -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가.국내외 유해미생물 리 연구 동향조사

1)국내 연구동향

알 르기 질환은 환경오염과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새로운 알 르겐의 유

입 등의 원인으로 증가하고 있다.1990년 에 들어서면서 주거환경에 큰 변화가

있으며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의 증가와 함께 집먼지진드기,바퀴 등 실내항원

의 노출기회가 늘어나 실내알 르겐이 더욱 요시 되고 있다.알 르겐은 실내

환경에서 인체의 건강에 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요한 항목 의 하나이다.

다른 질병들도 직 혹은 간 으로 주거 환경의 향을 받을 수 있다고 알려

지고 있으나 특히 알 르기 질환은 내재성인 각 개인의 유 인 성향 외에 주

환경의 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더욱이 실내 알 르겐은 화된 환

경에서 거의 모든 시간을 보내는 주거 공간에 존재하므로 그 요성은 더욱 커

졌다고 볼 수 있다.이러한 실내 알 르겐에 한 연구는 알 르기 질환에 한

연구 에서도 우선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특히 단순 비교나 분포 조사만

이 아니라 그러한 알 르겐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에 한 역학 조사 분석

이 시 히 필요한 시 가 되었다.이제 이러한 연구가 알 르기 환자가 해마다

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필요한 시 이 되었으며,비교 제한된 시간과

범 지만 보다 체계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알려진 바 로 실내 알 르겐의 표 인 것은 집먼지진드기,바퀴,깔따구,

고양이나 개털,곰팡이 등이다(Platt-Mills등,1995;Jeong등,2007).특히 집먼

지진드기는 세계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옥내 알 르겐의 가장 요한 원인체로

인정되고 있다.세계 으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었으나,이제까지 우리나

라에서는 가장 요시되는 집먼지진드기를 주로 몇 가지의 한정된 조사 보고

이외에는 별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다.특히 술한 바와 같이 실내 알 르겐

이 실제 알 르기 환자의 발생과 매우 한 계가 있다는 을 고려하면 연

구가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사례 1)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집먼지진드기에 한 보고는 1977년 조와 허에

의하여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farinae,Df)와 세로무늬먼지진드

기(D.pteronyssinus,Dp)의 존재가 알려지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후 1980년 에는 주로 조 등(1991)에 의하여 부분 으로 집먼지 내 진드기가

채집되었으며,Dermatophagoides속의 진드기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한국

집먼지진드기의 우 종으로 확인되었다. 재까지 약 30종정도의 진드기가 기

재된 상황이다.

사례 2)집먼지진드기 groupI알 르기항원을 측정한 연구에 따르면 서울 지

Page 12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4 -

역 집먼지 내에는 두 종의 집먼지진드기에 한 알 르겐 성분이 58.5%에서 검

출된다고 하 다(홍,1991;홍 이,1992).이와 같이 실내 환경 내 유해 생물

인 집먼지진드기에 한 연구 조사나 유해성 평가를 한 조사 등도 이루어진

바가 별로 없었다.

사례 3) 재 집먼지진드기는 세계 으로는 14속 34종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큰다리먼지진드기(Df),세로무늬먼지진드기(Dp),긴털가루먼지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Tp)이외에 Rhizoglyphusrobini,Sancassaniaphyllophagianus,

Cheyletustraussarti,Scheloribateslatipes등이 새로이 한국에 분포하는 먼지진

드기의 종류로 보고되었다.그러나 채집된 많은 진드기가 정확히 분류 동정되지

못한 바 있다.

2)국외 연구동향

사례 1)Eggleston등(1998)은 도시지역 어린이들의 가구를 상으로 실내 알

르겐의 조사를 행하여 집먼지진드기,바퀴,고양이털 등에 하여 종합 으로

조사하 으며, 상 어린이들에게 피내 반응검사를 실행한 결과,실내 환경 내

알 르겐의 농도와 어린이들의 감작된 정도가 서로 비례하 다고 보고하 다.

사례 2)실내 알 르겐에 하여 어린 나이에서부터 노출되면 후에 알 르기

증상을 나타내는 확률이 높아진다는 보고도 있다(Wahn등,1997).이와 같이 알

르기 질환에 한 활발한 연구가 국외에서 진행되고 있다.

사례 3)Ree 등(1997)의 조사 보고에 의하여 큰다리먼지진드기(Df)가 총

66.8%,세로무늬먼지진드기(Dp)가 20.6%,긴털가루먼지진드기(Tp)가 6.5%이며,

이 밖에 Rhizoglyphus robini, Sancassania phyllophagianus, Cheyletus

traussarti,Scheloribateslatipes등이 보고되었다.

나.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수집․정리

우리나라는 속한 경제발 과 인구집 화로 최근 환경오염문제가 날로 심각

해지고 있고 이로 인한 건강 향에 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특히

알 르기 질환은 인구의 20-30% 정도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요 알

르기 질환으로 아토피성 습진,알 르기성 기 지천식과 알 르기성 비결막염

등이 있다.이 천식은 지난 수십년 사이에 실내 환경의 변화,실내에서 거주

하는 시간의 증가 등으로 발병률이 차 증가하고 있다(Ferguson,2008).

알 르기 질환은 환경오염과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새로운 알 르겐의 유

입 등의 원인으로 증가하고 있다.1990년 에 들어서면서 주거환경에 큰 변화가

Page 12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5 -

있으며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의 증가와 함께 집먼지진드기,바퀴 등 실내항원

의 노출기회가 늘어나 실내알 르겐이 더욱 요시 되고 있다.알 르겐은 실내

환경에서 인체의 건강에 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요한 항목 의 하나이

다.다른 질병들도 직 혹은 간 으로 주거 환경의 향을 받을 수 있다고

알려지고 있으나 특히 알 르기 질환은 내재성인 각 개인의 유 인 성향 외에

주 환경의 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더욱이 실내 알 르겐은 화된

환경에서 거의 모든 시간을 보내는 주거 공간에 존재하므로 그 요성은 더욱

커졌다고 볼 수 있다.이러한 실내 알 르겐에 한 연구는 알 르기 질환에

한 연구 에서도 우선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특히 단순 비교나 분포 조

사만이 아니라 그러한 알 르겐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에 한 역학 조사

분석이 시 히 필요한 시 가 되었다.이제 이러한 연구가 알 르기 환자가 해

마다 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필요한 시 이 되었으며,비교 제한된 시

간과 범 지만 보다 체계 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DB)화

가옥 내 알 르겐의 원인체에 한 집먼지진드기의 리 연구 황 자료조

사를 표 82와 같다.집먼지진드기의 서식 도에 한 연구는 국내(7편),국외(13

편)이 보고되고 있고.피복(1편),기차(1편),농장(1편),제분소(1편),공공장소(1

편),곡물공장(1편),에어컨(1편)등이 있다.

실내 서식 도

13편

(한국7편, 국2편,네덜란드1편,페루1편,싱가폴1편,

터키3편,필란드1편,덴마크1편,미국1편,스칸디나비아

지역1편)

피복 호주 1편

기차 국 1편

농장 독일 1편

가루 일본 1편

공공장소 호주 1편

곡물가공품 국 1편

에어컨 국 1편

표 82.발표된 집먼지진드기에 한 연구 논문

Page 12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6 -

집 지진드 퇴 방법에 한 헌 83과 같다. 일반 탁(3편), 스 청

소 (1편), 액체질소(1편), 살충 (1편), (2편), 종합 방법(3편), 타(1

편)이 있다.

세탁 3편

스 청소기 1편

액체질소 1편

Permethrin/Natamycin 2편

보건교육/가정방문 상담 2편

Avoidance(종합 방법) 3편

Review 문헌 1편

표 83.진드기 퇴치방법 련 문헌

집먼지진드기로 인한 알 르겐 검정은 Acarex test,Dustscreen,Aclotest,

Mitest,Two-siteELISA 방법,Cellotape이용 방법,Mitegroup2allergen측

정에 의한 방법이 있다.집먼지진드기 알 르겐 검정에 한 문헌으로는 알 르

겐과 알 르기 질환의 상 계:1편(WHO),산모와 태아의 알 르겐 질환 발병

과의 상 계:2편(미국,벨기에),피복:3편(호주,스웨덴,미국),피부:1편 (일

본), 교통시설:1편( 라질),자가용:2편(미국, 라질),택시:1편( 라질),

국립병원:1편(싱가포르), 등학교:1편(스웨덴),에어컨:1편( 국),실내 알 르

겐 농도:12편(한국 2편,호주,독일 2편,홍콩,네덜란드 2편,덴마크, 국,캐나

다,칠 )문헌 등이 있다.

2.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가)침구류 황

상 가구의 침구류의 이용 황은 침 를 사용하는 가구는 15가구(어른 10가

구,아동 5가구) 고,침 를 사용하지 않는 가구는 5가구 다(표 84).

어른침 이불 어른이불 아동침 이불

가구수 10 5 5

% 50 25 25

표 84. 상 가구의 침구류 이용 황

Page 12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7 -

(1)채집된 집먼지 진드기

동정 분류된 집먼지진드기는 큰다리먼지지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Df)가 74.5% 고,세로무늬먼지진드기(D.pteronyssinus,Dp)가 2.1% 다. 장

진드기인 긴털가루먼지진드기(Tyrophagusputrescentiae,Tp)가 23.4% 다(그림

22).

0

10

20

30

40

50

60

70

80

D f D p T p

%

그림 22.채집된 집먼지진드기의 종 분포.

(2)장소 별로 채집된 집먼지진드기

장소 별로 채집된 집먼지 진드기의 결과는 표 85와 같다. 조군에서 큰다리

먼지진드기(D.f)는 어른 침 3곳과 어른이불 1곳에서 채집되었다.긴털가루먼지

진드기(Tp)는 부엌 1곳에서 채집되었다. 상 알 르기 환자군에서는 큰다리먼

지진드기가 어른침 5곳,어른이불 2곳,아동침 에서는 2곳 고 방바닥에서는

큰다리먼지진드기가 8곳,세로무늬먼지진드기는 1곳,긴털가루먼지진드기는 1곳

이었다.세로무늬먼지진드기는 단 한 곳 가구의 방바닥에서만 채집되었다.긴털

가루먼지진드기는 방바닥 1곳과 부엌 6군데에서 채집되었다.

Page 12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8 -

표 85.장소에 따른 집먼지진드기의 채집 결과

Control Survey

Adult Kitchen Adult Child Kitchen

Species Bedcloth Blanket floor floor Bedcloth Blanket floor Bedcloth floorTotal(%)

Df 3 1 0 0 5 2 8 2 223

(71.8)

Dp 0 0 0 0 0 0 1 0 0 1(3.1)

Tp 0 0 0 1 0 0 1 0 6 8(25.0)

Total

%

3

9.3

1

3.1

0

0.0

1

3.1

5

16.0

2

6.2

10

31.2

2

6.2

8

25

32

-

Df:큰다리먼지진드기,Dp:세로무늬먼지진드기,Tp:긴털가루먼지진드기

그림 23.큰다리먼지진드기(Df)의 배면.A,암컷(×100);B,암컷 생식기(×400).

그림 24.세로무늬먼지진드기(Dp)의 배면.A,암컷(×100);B,암컷 생식기(×400).

BA

BA

Page 12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09 -

결론

집먼지진드기의 리시스템을 명확히 제시하는 문헌이나 는 지침은 드물었

다.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먼지 1g당 집먼지진드기의 개체 수가 100개체 이상

일 때 알 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이 된다고 하 으므로 우리나라(환경부)

의 경우 이 기 과 아래에 제시하는 구체 인 집먼지진드기 채집법 등을 참고하

여 신 한 검토를 거친 후 보다 분명한 기 치나 리시스템을 제정할 수 있다

고 본다.

국내 실내 환경 조사에서 집먼지진드기의 분포와 서식의 모니터링에 한 집먼

지채집 방법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 권고하는 집먼지 1g당 진드기의

개체수를 표 치로 정하여야 한다고 본다.그 이유는 국외에서 보고된 집먼지진

드기의 조사결과 자료가 WHO기 안에 따르고 있어 이 방법에 따르는 것이

당하고 본다.이에 따라 국내 실내 환경조사에서도 실내 집먼지채집은 집먼지

1g을 기 치로 하는 것이 가장 당한 리방안이라고 사료된다.

국내의 실내 환경 조사 시 집먼지 채집방법은 아직까지 표 화된 방법이 없

다.그러나 본 조사 결과 사용된 방법으로 변형 여과지방법(Filtermethod,

10×10㎝)은 취 과 리가 간편하고 경제 이며 손쉽게 비 문인이라도 손쉽게

채집할 수 있는 장 이 있다.집먼지 흡인력은 500W이어야하고 여과지 통기도

는 17.5±2㎤/㎠․sec이어야한다.그 이유는 실내 오염원으로부터 동시에 집먼지

진드기 흡입과 알 르겐원 포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채집 상물은 단 면

1×1㎡ 에서 2분간 미세먼지를 수집하는 것을 표 방법으로 제안한다.이 집먼

지 채집 방법은 국내․외의 조사에서 리 사용되고 있어서 표 안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단된다.단 여과지방법(Filtermethod,10×10㎝)은 아직

까지 제품의 규격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품질 표 화 상업화가 더 요구된다,

국내 집먼지진드기에 한 문헌조사와 실내환경 실태조사 결과,실내 서식 진드기

류는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farinae)가 우 종으로 나타났으며 세로무

늬먼지진드기(D.pteronyssinus)와 긴털가루먼지진드기(Tyrophagusputrescentiae)3

종이었다.실내환경 지표종으로 큰다리먼지진드기,세로무늬먼지진드기,긴털가루먼지

진드기 3종을 선정 제안한다.문헌조사 결과에 의하면 실내환경 오염인자로 큰다리

먼지진드기,세로무늬먼지진드기,긴털가루먼지진드기가 알 르기를 일으키는 주 원

인물질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 3종에 한 알 르기 감작 환자가 보고되고 있다.실내

환경에서 집먼지진드기로부터 감작되지 않도록 이에 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집

먼지진드기의 퇴치방법으로는 ⅰ)실내환기,ⅱ)이부자리의 햇빛쪼이기,ⅲ)55℃로

빨래 삶기 등 손쉬운 실내 환경 조 방법이 있다.

실내 환경조사에서 집먼지진드기의 개체군 서식 도조사는 채집된 집먼지

의 집먼지진드기의 수(마리수)를 기 치로 정하며,알 르겐의 농도의 경우는 미

Page 12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0 -

세먼지 200mg의 기 치로 정하여 면역검사법(ELISA)을 이용하여 알 르겐의

농도를 kit로 검사한다.실내 환경 오염인자인 집먼지진드기의 개체수와 알 르

겐의 농도는 실내오염원에 한 평가 기 을 마련하는 기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 실내환경 오염인자인 집먼지진드기의 환경 리방안 방책에 있

다.

결론 으로 집먼지진드기와 알 르겐의 기 자료 확보는 국민건강에 한 장기

인 환경보건정책 수립과 실내 환경오염에 한 환경 방 리,감기체계 개발

을 하는데 제공되리라 사료된다.

Page 12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1 -

제 5장

수질분야(원생동물)

Page 12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2 -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가.국내외 유해미생물 리 연구 동향조사

환경보건학 으로 요시되는 유해 미생물 민감층에 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생활환경 생물오염물질에 한 련이 있는 원생동물로는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작은와포자충(Cryptosporidium parvum)과 자유생활아메바 가시아메바

(Acanthamoebaspp.)를 들 수 있겠다.람불편모충과 작은와포자충에 한 실태조사

리방안은 마련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는 정보 수집과 실태조사가 미흡한 가시

아메바(Acanthamoebaspp.)에 한 연구를 진행하 다.

가시아메바(Acanthamoebaspp.)는 주로 물이나 토양에서 서식하는 원생동물

인체에 해를 입히는 자유생활아메바 의 하나이다.가시아메바의 분포는

세계 도처에서 확인 되고 있으며,특히,담수나 폐수 냉각탑의 수 등에

서 가시아메바들이 분리되고 있다. 세계 으로 약 150발병례가 보고되고 있

으며,우리나라에서는 약 30사례가 보고되었다.최근에는 가시아메바가 냉각탑

의 냉각수 속에 살면서 병원성 강한 Legionella종의 숙주(host)로 역할을 한다

는 것이 알려지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다(Visvesvara등,2007).

쿨버트손가시아메바(Acanthamoebaculbertsoni)가 수 등에 의해 코를 통해

인체에 감염되면 만성 인 유아종성 아메바성 뇌염(clonic granulomatous

amoebicencephalitis)을 유발하며, 다른 종인 Acanthamoebapolyphaga

A.castellanii 등이 에 감염되면 각막염(acanthamoebickeratitis)을 일으켜

실명에 이르게도 한다. 한 면역억제된 환자나 알콜 독자들에서는 폐렴 등의

질환을 야기하기도 한다.

병원성 가시아메바들은 명확한 근거는 없으나 감염 기에 표 세포에 해

세포병변 효과(cytopathiceffect) 세포독성(cytotoxicity)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는데,invitro실험에서 가시아메바의 양형(trophozoites)들은 다양한 암세포

들 즉,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흑색종(melanoma),섬유육종(fibrosarcoma)

세포들과 각막 상피세포(cornealepithelium)등에 강한 세포병변 효과를 보여주

고 있다(Pidherney등,1993;Alizadeh등,1994;Tayer등,1995;DovePettit

등,1996).가시아메바 한국 분리주들(AcanthamoebaKoreanisolates)에 한 세

포독성 실험으로는 신 등(1993)이 CHO(chinesehamsterovary)세포를 표 세

포를 이용하여 한국 분리주인 Acanthamoebasp.YM-4의 양형 세포추출

액(lysate)모두가 세포독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각막염 환자로부터 분리하여 병원성이 확인된 Acanthamoebacastellani와 돼

지의 각막 상피세포를 혼합 배양하여 아메바의 세포독성 실험을 해본 결과,각

막염 분리주(strain)는 증강된 세포독성을 보여 주었는데,그것은 각막 상피세포

에 한 아메바의 흡착 능력이 커졌기 때문이며 그로 인해 plasminogen

Page 13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3 -

activator의 활성을 유도하여 결국에는 각막 내피세포(cornealendothelium)에

한 화학주성(chemotax)의 능력이 증진되었기 때문이었다고 보고하 다 (van

Klink등,1992).신 등(2000)의 연구에서도 배양 기에 가시아메바의 양형들

이 microglial세포들에 하여 micriglial세포에 어떤 향을 주는 것으로

찰되었다.Alizadeh 등(1994)은 Acanthamoeba spp.에 의한 암세포들의 괴사

(lysis)에 있어서 apoptosis(programmed celldeath)의 역할을 강조하 는데,

apoptosis의 형태학 특징으로 세포의 움츠림(shrinkage),세포막의 수포화

(blebbing),apoptotic구조체들의 형성 핵질의 조 화(nuclearcondensation)

등을 찰하 다.한편,Tayer등(1995)은 사람의 ocularmelanoma세포를 이용

하여 Acanthamoebacastellani의 세포병변 효과를 찰하 는데,형태학 으로

는 아메바의 양형들이 족(pseudopodia)을 내어 표 세포들에 한 후

calcium channels과 cytoskeletalelements들을 이용하여 세포병변 효과를 나타

낸다고 하 으며 cytotoxiclymphocytes가 보여주는 세포병변 효과와 유사하다

고 하 다.신 등(2000)의 실험에서 보면,병원성이 강한 A.culbertsoni의 세포

추출액과 배양된 microglial세포에서 가장 큰 세포병변효과가 찰되었으며,병

원성에 따라 그 정도가 감소함이 찰되었다.

가시아메바의 치료는 재 amphotericinB(항균제의 일종)를 투여하는데,그

리 효과가 만하지 못할 수 으로 항체치료 등의 다양한 치료방법의 개발이 이루

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가시아메바의 두꺼운 세포벽(cellwall)때문에 소독이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

어 일반 인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수돗물뿐만 아니라 즈 보존용기나

보존액 등에서도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즈를 착용자하는 사람은 특히 조심해

야 한다.뿐만 아니라 하천이나 연못 심지어 수 장에서도 가시아메바의 감염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따라서 국내외 으로 가시아메바의 발병례의 보고 병인에 한 기 연구

들의 결과만 문헌으로 보고되고 있으며,환경보건학 으로 요시되는 수인성 원

생동물성 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가시아메바의 생활환경 오염 정도에 한 선진국

의 리실태 조사,생물 정보 수집 그리고 이들에 한 종합 인 정보 수집과 리

체계 마련에 한 자료는 무한 실정이다.따라서 해성 평가기반 마련을 한 연

구가 실히 필요하다.

나.환경보건학 건강 향 미생물정보수집․정리

가시아메바에 감염되는 가장 일반 인 경로는 가정 내 물탱크에 장되어 있

는 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반인에 비해 즈를 착용하는 사람에게 감

염될 확률이 450배에 이른다.일단 감염되면 각막염이 발생하는데,더 진행하면

각막궤양 각막천공으로 이어져 실명할 수도 있다.가시아메바의 두꺼운 세포

Page 13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4 -

Samples(하천, 냉각수)

Axenization

(Contact lenses case)

Agar plate: 25℃, 2~4 days

Cyst

PYG media Identification of Acanthamoeba spp.

Centrifuge

Samples(하천, 냉각수)

Axenization

(Contact lenses case)

Agar plate: 25℃, 2~4 days

Cyst Cyst

PYG media Identification of Acanthamoeba spp.

Centrifuge

그림 25.본 연구에서 실시한 가시아메바의 분리(검출)방법.

벽(cellwall)때문에 소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수돗물뿐만 아니라

즈 보존용기나 보존액 등에서도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즈를 착용자하는 사

람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

따라서 환경보건학 으로 요시되는 수인성 원생동물성 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가시아메바의 생활환경 오염 정도에 한 국내출 실태조사 등 생물 정보 수집은

이들에 한 해성 평가기반 마련을 한 연구가 실히 필요하다.람불편모충과

작은와포자충에 한 실태조사 리방안은 마련되어 있으므로 재까지 정보 수

집과 실태조사가 미흡한 가시아메바(Acanthamoebaspp.)에 한 연구가 이번 기회

에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우선순 를 둔다면 콘택트 즈 착용자

뿐만 아니라 수인성질병을 일으키는 가시아메바의 환경보건학 문제 이 크게

두될 것으로 생각되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다. 리 상 미생물 분석방법 제시

가시아메바의 오염정도를 알아보고자하는 분석 방법으로는 가시아메바의 표

시험법(검출법)을 제안하 다.무 양한천배지(non-nutrientagarmedium)와

양분으로 사멸된 장균(Escherichiacoli)을 이용하여 자연환경 내에서 분리 배

양하는 방법을 제시하 으며,배양된 군집(colony)으로부터 가시아메바의 양형

(trophozoite) 뚜렷한 이 막이 특징인 포낭(cyst)의 특성을 미경으로 찰

하는 방법이었다. 한,종(species)동정을 해 량 배양법을 제시하 다.

Page 13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5 -

라.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DB)화

PubMed를통한문헌조사에서국내 27개의문헌과국외48개의 문헌을검색할수있었

다(표 86). 부분의 가시아메바성 결막염(Acanthamoebickeratitis)환자로부터 분리된

경우가 많았으며,그다음으로 콘택트 즈 보 용기에서분리되었다.그외에수돗물이나

연못 하천 등의 자연환경에서도분리되어 가시아메바의 감염원(sourcesofinfection)

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ourceKeratitis

Patients

Contact

LensCase

Lens

solution

Tap

waterSoil Sediments

GAE

Patients

국내 12 8 0 2 1 2 2

SourceKeratitis

Patients

Contact

LensCase

Lens

solution

Tap

water

River,

LakeSediments

GAE

Patients

국외 23 9 3 4 5 2 2

표 86.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한 가시아메바(Acanthamoeba)의 감염원

국내에서 보고된 문헌을 자세히 분석한 결과(표 86),하천 연못 6곳에서 18개체의

가시아메바가 분리되었다.국내문헌을 통해서 냉각탑에서 분리된 는 보고되어 있지

않았으며,수돗물207곳 97곳에서 가시아메바가 분리되어약 47%의검출률을 보여주

었다.한편,콘택트 즈 보 용기 1044개 187개에서 가시아메바가 분리되어 18%의

검출률을 보여주었다.임상 으로 요한 아메바성 결막염 환자로는 1992년 보고 이래

꾸 히 발병례가 보고되고 있는 실정으로 2008년 재까지 38례가 문헌으로 기록되어

있다.

2. 리 상 미생물의 국내출 실태조사

국내의자연환경 냉각탑,하천 콘택트 즈 보 용기에서 가시아메바가검출되는

지 분리배양실험결과 그림 19와 같은다양한형태의 가시아메바포낭(cyst)들이 검출되

었으며, 재는종(species)동정(identification)을 해 무균배양을 실시 에 있다.(재

로써는 분리된 가시아메바들이 모두 병원성(pathogenicity)을 갖고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음).

국내의 자연환경 ,문헌에는 기록이 없었던 냉각탑 조사에서 6곳 2곳에서 분리된

약 33%의 검출률을 보여주었다.하천 7곳 3곳에서 가시아메바가분리되어 약 43%의

검출률을 보여주었으며,콘택트 즈 보 용기 92개 단지 4개에서만 가시아메바가 분

리되어 약 4%의 검출률을 보여주었다(표 87).

Page 13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6 -

C

A B

10 umCC

A B

10 um

A B

10 um

그림 26.자연환경에서 분리된 가시아메바의 다

양한 형태.A:배지에서 자라고 있는 가시아메

바 양형.B:한천배지에서 만들어진 포낭형.

C:분리되는 다양한 가시아메바 들의 포낭형

(한천배지에서 포낭들을 어서 슬라이드 라

스에 식염수와 같이 풀어서 은 사진).

Source No.ofSample No.ofAcanthamoebacontamination

Coolingtowerwater 6 2(33.3%)

Riverwater 7 3(42.9%)

Contactlenscases 92 4(4.3%)

표 87.국내에서 분리한 가시아메바의 검출률

결론

환경보건학 으로 요시되는 유해 미생물 민감층에 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생활환경 생물오염물질에 해 련이 있는 원생동물들 ,본 연구는 가시

아메바(Acanthamoebaspp.)를 상으로 진행하 는데,이번 연구를 통하여 국

내의 27문헌상 보고된 가시아메바들의 제반 정보를 종합 으로 수집하 으며,

D/B를 구축할 수 있었다. 한,국내의 하천 7곳 3곳에서 그리고 냉각탑 6곳

Page 13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7 -

에서 2곳에서 가시아메바가 분리되었으며,콘택트 즈보 용기 92개 4개에

서 가시아메바가 분리되어 우리나라 자연환경 속에서 가시아메바가 검출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한편,이번 출 실태조사 과정에서 자연환경과 콘택트보 용기 등에서 가시아

메바를 분리 배양하는 표 시험(검출)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보건학 유해 원생동물 리 해성 평가체계의 구축

에 요한 시발 이 되었다고 생각된다.추후 연구로써 인체 발병례에 한 문

헌을 추가하는 종합 인 DB를 한 자료수집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며, 한 좀

더 다양한 자연환경 내에서의 가시아메바의 검출 실험을 통한 가시아메바의 오

염정도에 한 많은 정보의 추가가 있어야할 것이다.결과 으로는 축 된 D/B

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의 환경보건학 해성 평가가 합리 으로 이루어져할 필

요가 있다.

Page 13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8 -

제 6장

유해미생물 D/B구축

Page 13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19 -

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을 효율 으로 리하기 한 웹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를 구축하여,연구자는 쉽게 정보를 입력하고,입력된 정보의 이력을 리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여 정보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

다.

1.개발체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 리 해성 평가체계의 구축에

한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 개발체계

그림 27.본 연구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체계.

착수 보고DB개발에 한 계획을 발표하고,

착수에 한 보고를 진행함

자료 수 참여 연구원의 조사 련 자료를 수집함

DB설계 DB스키마 작성 구조를 설계함

DB개발표 양식을 토 로 웹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페이지 디자인과 로그램 코딩을 진행함

간 보고DB개발에 한 진행 상황을 발표하고,

수정 추가 사항 등을 수함

데이터 수 연구원의 조사 자료를 수하여,DB에 반 시킴

보완 검토Excel입력 방식 등의 편의를 한

로그램 추가가 이루어 짐

개발 완료 보고연구원들의 조사 자료를 입력하여,

실제 구동되는 모습을 시연 함

Page 13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0 -

OS Linux(CentOS)

DBMS MySQL

Weblanguage PHP,Javascript,HTML

Webserver Apache

표 88.개발 서버 환경

2.서버 환경

Web 기반 로그램의 랫폼으로 성능이 우수하고 안정 인 운 체제인

Linux를 채택하고,데이터베이스 리 시스템으로는 MySQL를 사용하여 개발하

다.개발에 사용된 로그래 언어는 PHP와 Javascript,HTML등을 이용

하 다.

Linux에는 TCP/IP네트워킹 로토콜이 완벽하게 구 되어 있다.Linux를 사용

하면 인터넷과 그에 포함된 한 정보에 속할 수 있다.리 스는 표 이

고도 강력한 GNU 로그래 환경을 채택하고 있다.이미 리 스 뿐 아니라 공

개 운 체계들 그리고 엄청난 컴 일러 가격과 라이선스 문제 때문에 엄두를 내

지 못하는 상용 UNIX에서도 사용되어 왔고 그 뛰어난 성능을 입증 받아온

GNU C컴 일러는 UNIX계에서 표 이면서도 고유의 강력한 기능을 자랑하

고 있다. 한 멀티 랫폼용 애 리 이션을 만드는데도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는데 GNU C컴 일러는 거의 모든 UNIX체제는 물론,낮게는 DOS그리고

Windows와 같은 마이크로소 트사의 WIN32환경에서까지 작동한다.

Web기반의 로그램 환경은 ApplicationProgram과 같은 Install에 의한 작동

이 아닌 Webbrowser(IE등)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설치를 할

필요가 없다. 한 서버에 있는 소스를 수정하면,모든 사용자가 Webbrowser

를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즉 로그램의 업데이트나 수정 작업이 비교 용

이하다.

Page 13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1 -

3.흐름도

그림 28.본 연구에 사용되는 web의 흐름도.

4.회원 권한

기 회원 회원 연구원 운 자

정보조회 X O O O

정보입력 X X O O

정보수정 X X

O

본인입력건만

가능

O

이력조회 X X X O

표 89.회원분류에 따른 권한

회원 가입

정보 입력

정보 조회

최 사용자 회원 가입 신청

리자 확인 후 회원 승인 권한 부여

사용자 회원 로그인

연구원의 미생물 정보 입력

입력 된 미생물 정보 조회

회원 입력처리에 한 이력 리

회원 승인

회원 로그인

이력 리

Page 13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2 -

그림 29.본 연구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흐름도.

5.주요 기능

-유해미생물 조사 데이터 입출력

유해미생물에 한 조사 자료를 정해진 표 양식에 입력하고,수정 조회

를 할 수 있도록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유해미생물 리스트 Excelfile 환

연구원 는 조사자에 의해 입력 된 유해미생물 조사 자료는 웹 라우져에서

직 확인이 가능하며,Excelfile 환 버튼 클릭 시 입력 된 모든 자료는

Excelfile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Excelform download

인터넷 환경에서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연구원이나 조사자를 해 표 서식에

한 Excelform file을 제공한다.연구원이나 조사자는 다운로드 한 일을 이

용해서 로컬(Local)환경,즉 자신의 PC에서 데이터를 작업한 후 한 번의 업로

드 작업을 이용해서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Excelform datafileupload

연구원 는 조사자가 입력한 Exceldata를 로그램 내에 있는 업로드 화면

을 이용해서 간편하게 입력 할 수 있다.

-Excelfielddatacopyandpasteupload

로그램에서는 Excelfile의 업로드 뿐 아니라,필드에 존재하는 일부의 데이

터도 복사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을 이용하여 약 200개의 데이터

Page 14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3 -

를 입력한 후 추가로 10개의 데이터 입력이 발생하 을 때, 체가 아닌 추가된

10개의 데이터만 입력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된다.이와 같은 입력 방식은

연구원 는 조사자가 표 입력 양식에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

움을 해소하여 수 있다.

-회원 Data 련 이력 리

정보의 신뢰성을 하여 로그램을 사용하는 회원에 한 이력을 리할 수

있다.회원의 로그인 시 과 작업 내용(어떠한 작업을 수행했는지)를 기록해 두

어 어 난 정보의 입력이 어느 시 에 이루어졌는지 알아 볼 수 있다.

-분류별 Sort

표 양식에서 제공하는 카테고리 구분을 이용한 데이터의 정렬이 가능하다.

체크박스를 한 번만 클릭 함으로써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간편한 조회

활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입력 된 Datasearch

연구원 는 조사자에 의해 입력 된 데이터는 필드에 존재하는 값이라면,검

색 조건을 선택하여 검색이 가능하다.데이터가 범 하게 입력되었을 때 용이

하게 사용할 수 있다.

-회원 가입 권한 승인

유해미생물 리 로그램은 회원가입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다.회원가입은 추

후 확장이 용이하도록,기본 정보 입력 필드를 여유 있게 구성하 다.사용되지

않는 필드는 보이지 않도록 하 으며,사용자가 확장될 경우 로그램의 수정

작업을 통하여 회원정보 필드를 확장할 수 있다.회원은 일반사용자,연구원(조

사자),연구책임자,환경과학원, 리자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Page 14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4 -

그림 30.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회원 리 화면.

리자 모드의 첫 화면에서는 회원 리를 한 화면이 제공된다.등록 된 회원

의 권한 상태와 간단한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권한별 회원보기와 체보

기를 지원한다.운 자,연구원, 회원, 기회원 등 회원권한 설정 회원 삭

제 기능이 제공 되고,리스트 앞부분에 있는 체크박스와 아래 부분의 도구 버튼

을 이용하여,선택된 회원을 일 으로 조정할 수 있다.

등록 된 회원은 성명,소속,이메일,아이디로 검색이 가능하다.

6.주요 화면

1)로그인(시작)단계

회원을 기반으로 한 로그램으로 회원가입과 승인이 이루어진 이후 사용이

가능하다.회원가입 양식을 이용하여,가입을 신청하면 리자 화면에 회원가입

신청 상태로 리스트업 된다.사이트의 사용은 리자의 권한 승인 후 사용이 가

능하다.회원가입 양식은 약식으로 제공되며,추후 확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Page 14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5 -

그림 32.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회원가입 화면.

그림 31.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로그인 화면.

회원 로그인은 리자의 승인이 이루어진 후 가입 당시 입력했던,아이디와 패

스워드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 할 수 있다.

회원가입 양식은 아이디,비 번호,비 번호 확인,성명,소속,직 , 공,연락

처,이메일을 입력하도록 되어있다.DB스키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확장을 고

려하여,개인정보에 한 여유필드를 두어,추후 회원정보의 추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가입 버튼을 클릭하면,Database에 입력되고,회원가입 승인 후 이용

할 수 있다는 알림 창이 열린다.

Page 14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6 -

2)정보입력 단계

상단의 체크박스를 통하여 분류별 Sort가 가능하다.클릭 시 동작하며,해당 카

테고리의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다.카테고리는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된 항목의 값을 보여 다.신규항목 버튼을 클릭하면,표 입력 양식이 제

공되며,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리스트 화면 우측에 제공되는 수정 버튼은 입

력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열 때 사용한다.수정화면이 열린 후 입

력 값을 변경하고,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Database에 용된다.

우측 상단에 제공되는 Excelfiledownload버튼을 클릭하면, 재 입력 된 모든

유해미생물 데이터를 Excelfile로 변환하여 일로 장할 수 있다. 한 연구

원이나 조사자의 PC에 미리 다운로드한 Excel양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

한 경우 Excelform file을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일 입력 방식

을 이용하여,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Excelfield를 복사하여

입력하는 방식도 제공된다.이 방식은 개인의 PC에서 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업로드 한 후 추가 조사자료만 별도로 입력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Page 14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7 -

그림 33.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리스트.

그림 34.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등록화면(1).

Page 14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8 -

그림 35.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등록화면(2).

Excel에 있는 데이트 필드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다.자신

의 PC에 입력 되어 있는 자료 일부를 선택하여 복사한 후 입력창에

붙여넣은 후 입력한다.

Page 14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29 -

그림 36.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리 등록화면(3).

그림 37.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수정화면

연구원이나 조사자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이 제공된다. 리자 권

한을 가지고 있으면,타인의 정보도 수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원칙 으로는

정보를 입력한 사람이 자신의 데이터만 수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먼 다운

받은 Excel양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자신의 PC에 입력한 경우 일을 한 번

에 업로드 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3)정보 조회 단계

연구원 는 조사자에 의해 입력 된 데이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회할 수

Page 14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0 -

그림 38.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미생물 통계화면.

있다.입력 된 데이터의 분류별,매체별 통계와 질병과의 연 성 여부 등에 한

통계를 제공한다.

4) 리 단계

리자 모드는 회원 리와 데이터 리,이력 리를 제공한다. 리자 권한을

부여 받은 이용자만 사용이 가능하고,이력 리를 통하여 Moralrisk는 막을 수

없지만,회원의 로그인,정보수정,IP,일시 등을 기록하여,정보의 신뢰성 확보

에 기여할 수 있다.

환경과학원 DB스키마 목록

스키마(schema)란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데 사용하며,데이터베이스의 데이

터 구조와 제약 조건에 한 명세를 논리 으로 정의하여 개체와 속성 계

를 정의 내리는 데 사용된다.

유해미생물 리 Database에 사용된 테이블과 필드에 한 내용 설명이 표시

되어 있고,사용하지 않음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추후 확장을 고려하여 작성된

필드이다.

Page 14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1 -

그림 39.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의 회원 이력 리.

[유해미생물 DatabaseTable]

1.AuthData 권한정보

2.BoardSet 게시 의 셋 값

3.CatgSet

4.CommentSet 코멘트 데이터

5.DataSet 게시 데이터

6.GermData 미생물정보

7.GroupSet 그룹설명/구성

8.HistoryData History

9.Levels 권한 수 데이터

10.UserSet 사용자의 정보

Page 14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2 -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ad_no mediumint(8)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ad_item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ad_level smallint(5)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listview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view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write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commentwrite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reply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delete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manager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notice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d_secret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표 90.AuthData테이블(1)

7.테이블 상세 정보

Page 15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3 -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No mediumint(8)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Item varchar(2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itle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BaseLevel smallint(3) 아니오 30 사용하지 않음

UpperR tinyint(3)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UpperW tinyint(3)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UpperX tinyint(3)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EqualR tinyint(3)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EqualW tinyint(3)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EqualX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BelowR tinyint(3)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BelowW tinyint(3)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BelowX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GroupSet varchar(30) 아니오 default 사용하지 않음

SkinSet varchar(30) 아니오 basic 사용하지 않음

CommentUse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CategoryUse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Notice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ViewDate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Thumbnail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Attachment smallint(2) 아니오 1 사용하지 않음

Lists smallint(4) 아니오 15 사용하지 않음

ListField varchar(160) 아니오 lc,Titles,Name,Hit,ViewDate

표 91.AuthData테이블(2)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No mediumint(8)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s_catg varchar(20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Item varchar(2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표 92.CatgSet테이블

Page 15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4 -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Nomediumint(8)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Itemvarchar(2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LinkIdxmediumint(8)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Idvarchar(25)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Name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Commenttext NULL 사용하지 않음

Pwvarchar(2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Ipvarchar(2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RegDatedatetime 아니오 0000-00-00 0:00:00 사용하지 않음

표 93.CommentSet테이블

Page 15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5 -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No mediumint(8)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Num mediumint(8)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Thread varchar(3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Item varchar(2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Id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Name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Email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Date date 아니오 0000-00-00 사용하지 않음

ViewDate date 아니오 0000-00-00 사용하지 않음

Hit mediumint(8)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File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1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2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3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4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5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6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7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8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9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le10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itle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Content text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Url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mp1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mp2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mp3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Nobr tinyint(3)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Pass varchar(8)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CommentCnt smallint(5)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s_catg varchar(20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check_view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IsNotice tinyint(1)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Ip varchar(2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표 94.DataSet테이블

Page 15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6 -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gd_no mediumint(8) 아니오

gd_q1 varchar(200) 아니오 분류

gd_q2 varchar(200) 아니오 매체

gd_q2_etc varchar(200) 아니오 매체 추가정보

gd_q3 varchar(200) 아니오 년도

gd_q4 varchar(200) 아니오 지역

gd_q5 varchar(200) 아니오 조사자

gd_q6 varchar(200) 아니오 지역기

gd_q7 varchar(200) 아니오 발표지

gd_q8 varchar(200) 아니오 발표권/쪽

gd_q9 text 아니오 분리유해미생물

gd_q10 varchar(200) 아니오 질병과의연 성

gd_q11 varchar(200) 아니오 질병 유발여부

gd_q12 text 아니오 기타

gd_updated datetime 아니오0000-00-00

00:00:00수정된시간

gd_created datetime 아니오0000-00-00

00:00:00생성된시간

gd_deleted tinyint(4) 아니오 0 삭제된시간

gd_deleted_id varchar(60) 아니오 삭제된 아이디

gd_deleted_date datetime 아니오0000-00-00

00:00:00

gd_id varchar(60) 아니오 입력자 아이디

gd_name varchar(60) 아니오 입력자 이름

gd_ip varchar(60) 아니오 입력자 IP

표 95.GermData테이블

Page 15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7 -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No mediumint(8)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Id varchar(25)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itle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표 96.GroupSet테이블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hd_no mediumint(8) 아니오 기본키

hd_id varchar(60) 아니오 아이디

hd_kind varchar(60) 아니오 메뉴

hd_prc varchar(20) 아니오 행동

hd_code varchar(20) 아니오 작업테이블 키

hd_code_name varchar(10) 아니오 기본키 이름

hd_table_name varchar(30) 아니오 작업테이블

hd_content text 아니오 작업내용

hd_ip varchar(60) 아니오 유 IP

hd_update datetime 아니오0000-00-00

00:00:00기록된 시간

표 97.HistoryData테이블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No mediumint(3)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Level smallint(5)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Title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표 98.Level

Page 15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8 -

필드 종류 Null 기본값

No mediumint(8) 아니오 기본키Id varchar(60) 아니오 아이디

Pw varchar(60) 아니오 패스워드

Name varchar(60) 아니오 성명Email varchar(60) 아니오 이메일 주소

Level smallint(5) 아니오 50 권한 벨

Url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Pn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Zipcode varchar(1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Addr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el varchar(60) 아니오 연락처

Hp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Hobby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Speciality varchar(60) 아니오 공

Introduce text NULL 사용하지 않음

OccuName varchar(60) 아니오 소속

OccuTitle varchar(60) 아니오 직

OccuZipcode varchar(1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OccuAddr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OccuTel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UpDated datetime 아니오0000-00-00

00:00:00수정된시간

Dated datetime 아니오0000-00-00

00:00:00가입된시간

GroupId varchar(30) 아니오 default 사용하지않음

Ip varchar(60) 아니오 아이피

Tmp1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mp2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Tmp3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ax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FinalSchool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Degree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Major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Location varchar(1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BoardAdmin varchar(6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Auth varchar(250) 아니오 사용하지 않음

Deleted tinyint(4) 아니오 0 사용하지 않음

표 99.UserSet

Page 15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39 -

제 7장

유해미생물 해성평가 분야

Page 15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0 -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가.국내외 미생물 노출평가 방법론 연구 우리나라에 합한 최 (안)제시

노출을 평가하기 해서는 미생물의 수 는 용량을 결정하여야 한다.그러기 해

서는 노출평가에서 크게 두가지 요소를 평가하여야 한다.첫째는 매체(식품,물,공기

등)의 오염수 이고,둘째는 매체의 섭취량 는 노출량이다.만약 μ를 매체의 오염수

이라고 하고,m은 매체의 노출량이라고 하면,용량(d)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추정한다.

노출 용량 =매체의 오염수 ☓ 매체의 노출량

매체에 한 미생물의 오염수 은 정량 인 방법의 경우에는 비교 이용이

가능하지만 때로는 정량 자료가 아닌 미생물의 존재 유무만을 알 수 있는 정

성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따라서 발생수 을 바탕으로 여기에 병원성 미

생물이 존재한다면 그 오염농도는 어느 정도인가를 추정하면 매체의 오염수

(μ)을 알 수 있다.

매체의 오염수 =특정 매체에서 균의 발생수 ☓ 미생물의 오염농도

노출평가 시 변이성과 불확실성을 보정해 주기 해 각 변수를 추정이 아

닌 확률분포로 제시하여야 한다.

1)오염농도(Concentration)

가)Poisson분포

물이나 음식과 같은 매체에 미생물의 평균 오염농도를 알아야 노출평가에 이

용할 수 있다.그러기 해서는 매체의 각 표본에 미생물의 농도 는 각 표본

에 미생물의 존재 여부의 정보를 얻어 그로부터 미생물의 평균 오염농도를 결정

하여야 하며,이 평균 오염 농도의 분포를 악하여야 한다.일반 으로 모든

미생물의 발생 분포는 미생물의 개체가 균일하고 확률 으로 분포한다고 하면

포아슨 분포를 가정한다.여기서는 몇 가지 분포의 형태를 검토하고자 한다.

(1)시료의 양이 같다고 가정할 때

병원성 미생물의 분포를 각 미생물의 개체가 균일하고 확률 으로 분포한다

고 포아슨 분포를 가정하면,미생물 농도가 μ인 표본(x)가 시료의 양 V에서 미

Page 15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1 -

생물 N개를 포함할 확률은 다음과 같이 표 할 수 있다.

이는 시료의 양이 모두 같다고 가장할 때 사용할 수 있다.만약 표본(x)수가

최 (NL)와 최 (NU)사이에 있다면 포아슨 분포는 아래와 같다.

≤ ≤

만약 NU가 무한 의 값을 가진다면 식은 아래와 같이 바뀔 수 있다.

≤ ≤∞ ≤ ≤

이 포아슨 분포는 수학 으로 감마확률로 표 할 수 있다.

≤ ≤∞ ≤ ≤

(2)시료의 양이 다르다고 가정할 때

만일 시료의 양이 다르고 서로 독립 인 표본들의 경우 확률은 다음과 같다.

ln ′

ln

ln

ln

(3)정성 자료,이항분포 일 때

이용가능한 자료가 정성 자료로서 확률분포가 이항 분포를 따를 때(표 100),

특정 시료가 한 개이상의 미생물을 포함(양성)하고 있을 확률이 πi라면,ni개의

Page 15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2 -

SetVolumeper

AssayReplicate

NumberofReplicates

intheSet

Positive

Replicates

1 V1 n1 p1

2 V2 n2 p2

3 V3 n3 p3

4 V4 n4 p4

에서 pi개의 양성을 발결할 확률 P(pi)는 다음과 같다.

표 100.Schematiclayout

그리고 앞서 지 한 로 미생물의 분포가 포아슨 분포를 따른다고 하면 πi는

다음과 같다.

exp

따라서 확률은 다음과 같이 개된다.

exp

exp

ln ′

ln exp

ln ′

exp

exp

ln

제]25g의 냉동 닭에 Salmonella가 분석된다고 가정한다면,표본 수가 31개

이고 이 10개의 표본에서 양성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Salmonella가 포아슨

분포를 한다고 한다면 만약 냉동 닭에 하나 이상의 Salmonella가 있다면 평균

Salmonella수 은 얼마나 될까?

Page 16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3 -

표본 평균 복제 양상검사법표본 내 검사 표본 간 검사

단일 표본 j>1 단순분산(SimpleD2)

비 용

다 표본

(이형평균)j=1 비 용 우도비(Likelihoodratio)

다 표본

(이형평균)j>1 수정분산(ModifiedD

2)우도비(Likelihoodratio)

ln

ln

(4)이항분포에서 1개의 표본에서 여러 개를 분석할 때

앞서 제시한 이항분포에서 1개의 표본을 한번 분석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개로

나 어 분석한다고 할 때 앞서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분석할 수가 있다.

제]MPN coliform을 10ml,1ml,0.1ml로 희석하여 5개의 tube를 이용하여

제공된 매체인 물을 분석한다고 가정해보자.이때 5,3,0이 각각 양성이 나왔

다면 제공된 물의 평균 농도는 얼마나 될까?

앞서 제시된 확률을 다시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ln ′

ln exp

exp)

ln ′ ln exp

ln exp

ln exp

이때 최 우도추정(MLE)에 의하면 μ 는 최소한 0.792/ml가 된다.

합도

앞서 제시한 오염농도의 분포가 합한 지 여부를 보는 방법을 정리하면 세가

지로 요약할 수 있다(표 101).

표 101.표분 구조에 따른 합도 검사

Page 16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4 -

(가)한 표본에서 미생물 검사 시

한 표본에서 여러 번 미생물 검사를 실시할 때,N은 평균이고,S2N 이 분산일

때 j가 미생물 검사 수이면 D2는 다음과 같다.

(나) 여러 표본에서 미생물 검사 시 평균 미생물 농도가 다를 때

LR(likelihoodratio)를 이용하여 분포의 합도를 볼 수 있다.LR이란 귀무가

설의 확률(Lo)과 립가설의 확률(L

A)의 비(L

o/LA)를 말하는 것이다.여기서 귀

무가설은 그 자료가 하나의 동일한 평균값을 갖는다는 것이고, 립가설은 각각

다른 평균값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때 최 우도비를 이용한 μML은

결정방법은 -2lnΔ가 자유도 r-1인 X2값보다 작을때의 범 가 신뢰구간이 되

며 이를 수식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Page 16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5 -

exp

exp

exp

ln

ln

정성 자료,이항분포 일 때

LR(likelihoodratio)를 이용하여 분포의 합도를 볼 수 있다.LR이란 귀무가

설의 확률(Lo)과 립가설의 확률(L

A)의 비(L

o/LA)를 말하는 것이다.여기서 귀

무가설은 그 자료가 하나의 동일한 평균값을 갖는다는 것이고, 립가설은 각각

다른 평균값을 갖는다는 것이다.결정방법은 -2lnΔ가 자유도 1인 X2값보다 작

을 때의 가설을 채택한다(이때

ln

)

exp exp

exp

exp

ln

ln

exp

(다)신뢰구간

평균 는 단일추정치로 평가할 경우 불확실성 등이 게재될 수 있으므로,신뢰

구간을 다음과 같이 추정한다.

① 근사 방법

정수일 때 XL과 XU는 다음과 같다.

Page 16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6 -

exp

exp

exp

이때 분포가 칭일 경우 α1과 α2는 같은 값을 보인다.따라서 α1+α2=α이고,

α1=α/2이다.Zα/2는 1.96이므로 아래 수식에 따라 XL과 XU를 구할 수 있다.

±

② 우도비 방법

오염농도의 신뢰구간은 우도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결정방법은 -2lnΔ가

자유도 1인 X2값과 비교하여 작을때의 범 가 신뢰구간이 된다.

exp

exp

exp

ln ln

③ 이항 분포일 때,신뢰구간 추정

이항분포일 때,신뢰구간은 아래와 같다.앞서 제시된 우도비 방법과 같이 LR

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Page 16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7 -

∏ exp

exp

∏ exp

exp

exp

exp

exp ∋

ln

ln

exp

exp

나)Non-Poisson분포

Non-Poisson분포의 사례는 여러 가지 가 있으나 여기는 몇 가지만 제시하고

자 한다.각 분포의 함수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 고,각 분포의 평균 농도와 표

편차는 표 102와 같다.

(1)NegativeBinomial

exp

(2)Lognormal

exp

ln

(3)Poisson-InverseGaussian(GIG)

exp

(4)Poisson-GIG

exp

Page 16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8 -

도분포양상 도 평균 도 표 편차

감마(Gamma)

로그노말(Lognormal) exp(exp exp exp

역 가우시안

(InverseGaussian)

일반화된 역 가우시안

(Generalized

inverseGaussian)

표 102.각 분포에 한 평균과 표 편차

Page 16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49 -

E ( 생건 : /year )

∏ ∞ ×

R ( 험도 : /p/day)

Cf ( 취 : org/p/day )

= Cp X F

F ( 식 취 : g/p/day )

:포아 포 합

365 , 47,000,000

P ( 생 )

: 타 포 합

C ( 염 도)

: 삼각 포 합

Cp ( 염 : org/g)

= 병 X 도

1)국내외의 정성 정량 미생물 해성 평가를 한 사례조사

가)국내사례

(1)살모넬라 발생수 추정(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04:15(2))

① 사례

-유해확인:국내 살모넬라 발생자료로 확인

-노출평가:정성 자료를 활용하여 노출을 평가함

-용량-반응 평가:Exponential모델 사용

그림 40.발생수 추정을 한 Simulationmodel.

-발생수 :발생수 을 추정하는데 사용한 데이터와 련문헌을 토 로 표본

수와 양성으로 명된 표본수를 아래 표와 같이 확보한 후,이로부터 발생수 과

비율의 상하한값을 구함

Page 16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0 -

음식군 번호 표본 양성 하한값 비율 상한값 참고문헌

곡류 1 7 0 0.00000 0.00000 0.40962 서정희 등,

1997

2 1221 1 0.00002 0.00082 0.00455 서울

3 670 0 0.00000 0.00000 0.00549 부산

4 5 0 0.00000 0.00000 0.52182

5 13 1 0.00195 0.07692 0.36030 충북

6 59 0 0.00000 0.00000 0.06061 충남

7 16 0 0.00000 0.00000 0.20591 경북

8 9 0 0.00000 0.00000 0.33627 경남

9 90 0 0.00000 0.00000 0.04016 제주

10 249 11 0.02226 0.04418 0.07767 북

11 676 0 0.00000 0.00000 0.00544 강원

육류 1 16 1 0.00158 0.06250 0.30232 강호조 등

20002 18767 151 0.00682 0.00805 0.00943 농림부

3 77 0 0.00000 0.00000 0.04678 소비자보호원

4 637 2 0.00380 0.00314 0.01130 서울

5 7 0 0.00000 0.00000 0.40962 부산

6 12 0 0.00000 0.00000 0.26465

7 7 0 0.00000 0.00000 0.40962 충북

8 6 2 0.04327 0.33333 0.77722 충남

9 89 0 0.00000 0.00000 0.04060 경북

10 14 2 0.01779 0.14286 0.42813 경남

11 47 0 0.00000 0.00000 0.07549 제주

12 305 3 0.00203 0.00984 0.02847 북

13 19 0 0.00000 0.00000 0.17647 강원

식품군 α β Pl Pu 유병률

곡물군 0.09710 0.28104 0.00546 0.21130 0.05832육류군 0.11697 0.34054 0.01108 0.30196 0.08545

표 103.살모넬라 유별 상황 조사.

보건환경 연구원 1999~2000-발생수 을 beta분포에 fitting하여 α,β 등을 구함

표 104.베타 분포로 살모넬라 분포를 추정 하는 매개 변수

-오염농도는 아래 수식에 의해 산출함

Page 16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1 -

식품군 오염수 (org/g)

곡류군 1.07E-05육류군 2.80E-05

총 3.87E-05

식품군 섭취수 (org/g)

곡류군 0.00334

육류군 0.00258총 0.00592

식품군 표본 양성 하한값(org/g) 평균(org/g) 상한값(org/g) 도(org/g)

곡물군 3015 13 0.00010 0.00017 0.00028 0.00018

육류군 20031 161 0.00028 0.00032 0.00038 0.00033

ln

-오염수 은 발생수 분포와 오염농도 분포에 의해 Monte-Carlosimulation

을 통해 오염수 산출함

-노출량은 오염수 과 섭취량으로 산출하 고,섭취량은 국민건강 양자료의 정

보를 활용함

표 105.삼각분포와 매개 변수

표 106.살모넬라(Salmonellasp.)의 오염수

표 107.살모넬라(Salmonellasp.)의 섭취수

② 사례분석에 한 결과

이 연구의 경우 살모넬라 발생수 추정한 것으로 식품군에서 미생물 해성 평

가를 수행한 것으로 의의가 있다.그러나 미생물 노출평가를 정성 자료로 활용

하여 분석하 다.이는 실제 미생물의 오염수 을 측정한 자료가 없어 이차자료

를 활용한데 따른 실 제약 때문으로 단된다.향후 환경 해성 평가 시 실

측정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요하다.향후 정량 해성 평가를 해 요한 사

안으로 단된다.

Page 16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2 -

번호 표본 양성 하한값 비율 상한값 참고문헌

1 270 12 0.02317 0.04444 0.07635 14

2 18 3 0.03578 0.16667 0.41418 15

3 30 5 0.05642 0.16667 0.34721 164 235 24 0.06654 0.10213 0.14814 17

5 254 6 0.00872 0.02362 0.05070 18

6 30 0 0.00000 0.00000 0.11570 197 48 7 0.06070 0.14583 0.27764 20

8 77 4 0.01433 0.05195 0.12770 21

9 637 1 0.00004 0.00157 0.00872 2210 38 0 0.00000 0.00000 0.09251 23

11 104 0 0.00000 0.00000 0.03485 24

12 26 2 0.00946 0.07692 0.25130 25

(2)Listeria발생수 (한국식품 생안 성학회지.2003:18(3);107)

① 사례

(가)prevalence

-발생수 (prevalence)은 체 표본수 양성으로 명된 표본수(여러 발표된

문헌과 기 자료들을 이용)를 이용(자료는 아래 표 98참조)

- 이항분포(cumulativebinomialdistribution)을 이용하여 신뢰구간 산출(상

한,하한값)하고,확률분포모델은 통계 인 fitting 차를 거쳐 선정하는데 β-분포

가 선정됨(@RISK 로그램 이용)

*β-분포;기존의 조사된 자료로부터 표본수와 양성표본수를 구하고, 는 여러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경우에 각 연구들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나타내는 데 합한 확률분포로 알려져 있다.

표 108.육류에서 리스테리아 발생율 측정을 한 자료

결과(그림 41);fitting된 β분포의 변수(parameter)는 표 109와 같다.이를

simulation하여 그림 41과 같은 결과를 얻음.평균 발생수 은 3%(0.03)이고,최

소확률5%~최 확률95%범 로 볼 때 발생수 값은 최소 2%(0.02)에서

5%(0.05)사이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됨

Page 17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3 -

Lowerlimit MLE Upperlimit

Mean 0.020 0.085 0.161

Variance 0.001 0.006 0.016

α 0.477 1.071 1.198

β 23.117 11.519 6.243

표 109.육류 내 L.monocytogenes의 발생율과 fitting된 β분포의 변수

그림 41.육류 내 L.monocytogenes의 발생율 분포.

(나)concentration

-오염농도는 포아슨 분포(poissondistribution)를 이용함

-시료 25g을 기 으로 최소 1cell의 L.monocytogenes이 존재한다면 양성으로

정하는 것으로 가정

결과(그림 42);평균 -2.57logcfu/g이며,5%에서 95%까지 범 의 값은 -3.35log

cfu/g~-2.11logcfu/g으로 추정됨

Page 17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4 -

그림 42.L.monocytogenes의 β분포 로그램.

그림 43.육류내 L.monocytogenes의 농도 분포.

(다)contaminationlevel

-prevalence×concentration(simulation)

- 결과(그림 44);오염수 은 평균 -4.08log cfu/g이며,최소 -4.88부터 최

-3.56logcfu/g이 값은 유통 인 국내 식육에서 L.monocytogenes의 오염수

이 최소 1cell/10kg,평균 8cell/10kg,최 28cell/kg인 것으로 해석됨

Page 17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5 -

그림 44.육류내 L.monocytogenes의 오염 수 .

② 사례분석에 한 결과

이 연구의 경우 미생물 해성 평가를 리스테리아 분야에서 처음 시도해 보았

다는데 큰 의의가 잇으며, 해성 평가의 방법론을 용하는데 의의가 있다.이

연구는 해성 평가 분야에서 노출평가에 국한하여 수행되었으며,인체노출지수

를 활용한 용량-반응 평가를 수행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향후 해성 평가시 4

가지 단계 모두를 고려하여 수행하여야 해도 리를 한 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나)외국사례(@risk 로그램으로 논문의 자료를 재구성하여 재 함)

(1)Cryptosporidium을 이용한 사례(Teuins등.WaterRes1997:31(6);1333)

-개인의 노출량을 구하기 해서 필요한 주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C:theconcentrationofcystsoroocystsinraw water

R:therecoveryrate

I :thedailyconsumption(Intake)ofunboiledtapwater.

V:theviability

-강물을 식수로 사용하기 해 장하는 비스보쉬 장소의 물을 이용 1년간

1000L씩 검사하여 균수를 측정 Figure처럼 fitting하여,아래 Table을 구한다.

Page 17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6 -

Cryptosporidium parvum

음이항(Negativebinomial)과잉-포아송

(Poisson-with-zeros)

기간

년 0.301 0.314 105.4 1.86 0.644 116.5

여름 1.348 0.789 39.3 0.526 0.315 39.6

겨울 0.204 0.176 57.8 3.144 0.695 61.8

그림 45.Cryptosporidium의 Frequency.

그림 46.Cryptosporidium의@risk 로그램을이용한 Fitting결과.

표 110.C.parvum의 매개 변수

-R:일정 균을 넣어 후 처리 후 균수를 측정함.넣어 균과 처리된 후의 균

을 비교하여 구함

Page 17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7 -

Recovery

Binom

ial

β-binomial Fit Range

종 ∆ sign P5 P50 P95

Cryptosporidium 0.0127 2.749 181.4 28.0 + 0.004 0.013 0.032

Giardia 0.00619 9.206 1455.6 2.39 - 0.003 0.006 0.010

그림 47.Cryptosporidium의 해성평가.

그림 48.Cryptosporidium의회복률.

표 111.Cryptosporidium와 Giardia의 회복률

그림 49.log-normal분포의 .

Page 17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8 -

Recovery

Binomial

β-binomial Fit Range

종 ∆ sign P5 P50 P95

Cryptosporidium 0.384 1.65 2.46 16.3 + 0.08 0.39 0.78

Giardia 0.129 2.93 17.4 9.3 + 0.04 0.13 0.29

그림 50.@risk 로그램을 이용한 결과(liter/day).

I:끓이지 않은 물의 섭취 량 (Liter/day*person)

그림 51.Cryptosporidium의 분포.

V :식수 처리후 (radiation,mechanicalagitation,microbialdigestion)후

Normal 는 Vialetype의 균수.

표 112.생존율 분포 추정의 매개변수

Page 17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59 -

Bacteria study

BacilliscereusDelignett-Muller,ML(2000)

Nauta,MJ(2003)

Notemans,S(1997)

vanGerwen,SJC(1998)

CampylobactersppPanriselloPJ(1998)

ColemanME(2003)

DavidsonVJ(2003)

EcoliO157

ColemanME(2003)

DuffyS(2001)

HajmeerMN(2003)

MarksHM (1998)

NautaMJ(2001)

PanriselloPJ(1998)

ReindersRD(2003)

StrchanNJ(2002)

그림 52.@risk 로그램을 이용한 Viability.

- 자료를 토 로 노출량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Dose=C*1/R*I*V 이며,이를 로그변화하면 LOG(dose)

다)국의 매체별 미생물 별 노출 평가 사례

각 매체별로 각 미생물 별로 노출평가를 연구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표 113.식품의 노출 평가(1)

Page 17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0 -

Bacteria study

Lmonocytogenes

BemrahN(1998)

FAO/WHO(2004)

FaberJM (1996)

FDA/USDA(2003)

LindqvistR(2000)

NotermansS(1998)

PariselloPJ(1998)

PouillotR(2003)

RossT(2000)

SanaaM (2004)

ColemanME(2003)

Salmonellosisspp

ColemanME(2003)

BrownMH(1998)

FAO/WHO(2002)

HaldT(2004)

HopeBK(2002)

MarksH(1998)

MattickKL(2000)

PaniselloPJ(1998)

WhitingRC(1997)

ZwieteringMG(2000)

Yenterocolitica PaniselloPJ(1998)

Ahydrophila PaniselloPJ(1998)

Laxtobacillusplantarum vanImoeJF(1995)

Saureus PaniselloPJ(1998)

표 114.식품의 노출 평가(2)

Page 17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1 -

Bacteria study

Cryptosporidium parvum

Crawford-BrownDJ(1999)

GaleP(2001)

MedemaGJ(2003)

TeunisPFM (1997)

GiardiaLambscystsTeunisPFM (1997)

Crawford-BrownDJ(1999)

Bacteria study

B anthracisWebb GF (2002)

Wein LM (2003)

TB NIOSH (2001)

표 115.수질내 세균의 노출 평가 사례연구

표 116.공기내 세균의 노출 평가 사례연구

나.미생물 해성평가를 한 인체 노출지수 연구

1) 주요 병원성 미생물의 dose-response연구사례 평가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의 염 모델안 제시.

가)기 모델(MechanisticModel)

감염은 두 가지 경로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먼 감염을 일으키기

에 충분한 수의 미생물이 흡수 는 섭취되어야 하고,우리 몸에 들어온 미생물

일부가 감염이 될 수 있는 치에 도달해야 한다.따라서 평균 d개의 미생

물이 있는 매개물에 노출될 경우 이 j개를 흡수할 확률은 P1(j/d),흡수한 j

개의 미생물 정 치에 k개가 도달할 확률을 P2(k/j)라고 하면,이 두 개의

과정이 서로 독립 이라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k개의 미생물이 정 치에

도달할 확률은 P(k)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의 미생물을 Kmin이라 하면,감염확률

Page 17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2 -

P1(d)는 다음과 같다.

min

(1)ExponentialModel

미생물에 한 분포가 포아슨 분포를 따르고,미생물에 한 감수성이 동일하

며,한 개의 미생물 만이라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정하의 모델이다.미생

물의 분포는 여러 분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재까지는 포아슨 분포를 가장 많

이 사용한다,포아슨 분포를 따를 경우 P1(j|d)는 다음과 같다.

exp

미생물이 평균 생존은 binomial분포를 따르다고 하면 P2(k|j)는 다음과 같다.

이를 감염 확률 P1(d)에 용하면

min

exp

min

exp

exp

min

exp

min

exp

이때 Kmin이 1이므로

exp

Page 18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3 -

이때 50%가 감염될 평균 용량은

ln

(2)Beta-PoissonModel

ExponentialModel은 미생물에 한 분포가 포아슨 분포를 따르고,미생물에

한 감수성이 동일하며,한 개의 미생물 만이라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

정하의 모델이다.이 이질성은 β 분포를 따른다.여기서 Beta-PoissonModel은

미생물에 한 감수성이 동일하지 않다는 가정을 한다.따라서 P2(k/j)는 다음과

같다.

식을 ExponentialModel에서 유도 되었던 아래식에 용하면

exp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exp

exp

exp

미생물에 한 감수성이 이질 분포로 β 분포를 따르므로

exp

식은 Furumoto와 Mickey에의해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Page 18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4 -

이때 50%가 감염될 평균 용량은

(3)ExponentialModel과 Beta-PoissonModel의 계

Beta-Poissonmodel은 exponentialmodel에서 유도된 것으로,Beta-Poisson의

α이 크면 클수록 exponentialmodel과 유사해진다.

그림 53.exponentialmodels과 beta-poissonmodels의 비교(1).

Page 18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5 -

(4)역치와 비역치 모델의 계

Beta-Poissonmodel과 exponentialmodel은 미생물 하나로도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 다.그러나 미생물이 2개 이상 존재하여야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역치 모델은 다른 모델을 용하여야 한다,여기서는 역치와 비

역치 모델에 계를 비교하고자 하 고,Kmin 이 작아지면 비역치 모델에 근

하게 된다.

그림 54.exponentialmodels과 beta-poissonmodels의 비교(2).

(5)감염 확률에 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에 의한 모델

감염확률에 향을 미치는 미생물의 분포 형태,미생물의 숙주의 감수성,감염

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 수 등 3가지 요소에 의해 가능할 수 있는 용량 반응

Page 18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6 -

Kmin

감수성 용량 분포 (P1)

(P2) 포아송(Poisson)

비포아송(Non-poisso

n)

(Poisson+ϒ)

1

(비 역치)

동질 (binomial) Exponentialϒ mixtureof

Exponential

이질(binomial+ℬ)

β mixtureof

Exponential

(β Poisson)

ϒ mixtureofβ

Poisson

>1(고정)

(단순 역치)

동질 (binomial) Multihitϒ mixtureof

Multihit

이질(binomial+ℬ)β mixtureof

Multihit

β,ϒ mixtureof

Multihit

>1(변동)

(변동 역치)

동질 (binomial)

Zero-truncated

Poissonadded

Exponential

ϒ mixtureof

Zero-truncated

Poissonadded

Exponential

이질(binomial+ℬ)

β mixtureof

Zero-truncated

Poissonadded

Exponential

β,ϒ mixtureof

Zero-truncated

Poissonadded

Exponential

모델은 다음과 같다.

표 117.기 모델의 분류

나)경험 모델(EmpiricalModel)

경험 모델은 주로 독성물질의 용량-반응 평가에서 이용되어 왔다.숙주는

병원체에 고유의 역치를 갖고 있다는 것을 제로 하고 있다.경험 모델에서

가능한 용량 반응 평가 모델은 다음 표와 같다.

Page 18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7 -

계도

Log-logistic exp ln

Log-probit

ln

,

where

exp

Weibull exp

표 118.경험 용량 반응 모델

그림 55.Log-probit,log-logit,Weibullmodels의 .

Page 18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8 -

Foodcategory Risk(/person/day)

Cereals& products 2.51E-0.5

Meal&products 1.94E-0.5

Total 4.45E-0.5

표 119.살모넬라 발생수 Simulation결과

2)인체 노출평가지표 감염 모델을 이용한 정량 미생물노출평가와 MonteCarlo

simulation 의 수행

가)국내사례를 이용하여 미생물 평가를 용한 후 MonteCarlosimulation수행

(1)살모넬라 발생수 추정

① 사례

-앞서 노출평가 사례에서 제시된 사례에서 노출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용량-

반응 평가에 용함

-용량-반응 평가(유해결정):Exponential모델 사용하 고,오염수 분포와

음식섭취량으로 산출하 고 Monte-Carlosimulation을 통해 오염수 산출함.

simulation결과는 아래 그림과 같다.

-상기 논문의 자료를 바탕으로 CrystallBall을 활용하여 재구성해 .엑셀

sheet안에 있는 그림은 risk를 simulation한 결과임

Page 18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69 -

그림 56.살모넬라 발생수 추정(1).

그림 57.살모넬라 발생수 추정(2).

Page 18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0 -

그림 58.살모넬라 발생수 추정(3).

② 사례 결과에 따른 향후방안

이 연구는 인체노출지수를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식품섭취량을

구하여 용량-반응 모델에 용하 다.국내에서 어떤 형태로든 해도 기술을

하 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그러나 분석과정에서 인체노출지수를 확률분포

로 용하지 않아 향후 해도 리에서 불확실한 측면에 한계를 노정하 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자료를 근거로 Monte-Carlosimulation을 통해 분

석하여 보았다.향후 연구에서는 인체노출지수의 타당성을 평가한 후 반드시 확

률분포로 해도를 추정하여야 한다.

나)용량-반응 평가의 국외 사례

(1)인체감염확률의 용량-반응 계

-Humanrotavirus연구(Word등.JInfecDis1986:154(5);871)

미생물의 용량-반응 평가과정은 미생물 단일노출 용량에 한 인체감염확률의

용량-반응 계를 규명하는 과정이다.이는 인체 용량-반응 자료를 토 로 최

의 용량-반응 곡선을 찾기 하여 합한 수학 모델을 선별해야 하는데,선별

Page 18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1 -

인간 지원자의 용량 반응 자료

용량 반응 자료 분포

최 합 곡선 추정

(SelectionofBestModel)

합도 조사

우도비 계산

그림 59.용량 반응 모델 순서도.

된 모델은 합도 검정을 통해 사용한 용량-반응 자료와 모델의 계가 최 인

지를 단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지원자 는 상자로부터 조사된 용량-반응 계를 plotting한 후

bestfittingcurve를 악하여,앞서 제시된 용량 반응 모델들을 상으로 합

도를 검정하여,최 모델을 선정한 다음,우도비 함수를 최 화하는 값을 구하여

모델을 완성하는 것이다.아래 와 같이 beta-poisson모델이 선택될 경우,기

울기와 형태를 결정하는 α와 β값의 MLE값을 추정하여 모델을 완성한다.이

과정을 도식 으로 살펴보면 아래 그림과 같다.

를 들면 지원자를 상으로 rotavirus에 한 용량 반응 실험을 보여주는 자

료는 다음 표와 같다.각각의 rotavirus에 해 알고 있는 용량을 투여한 후 인

체 내에서 증식하여 배출되는 바이러스로서 감염여부를 결정하 으며,rotavirus

의 경우 0.0009-90,000개의 용량을 사용하 다.

Page 18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2 -

용량 총 상자 양성 상자

90,000 3 3

9,000 7 5

900 8 7

90 9 8

9 11 8

0.9 7 1

0.09 7 0

0.009 7 0

표 120.인체의 용량-반응 연구사례(Ward등)

상자로부터 조사된 용량-반응 계를 plotting한 후 bestfittingcurve를

악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원래 찰된 실험자료는 으로 표 하 고,

Exponential모델과 beta-poisson모델 Log-probit모델의 각 모델은 주어진

곡선으로 표 하 다.

그림 60.Exponential모델과 beta-poisson모델 Log-probit모델.

상자에 한 감염자 분율을 Exponential모델과 beta-poisson 모델

Page 19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3 -

최 합 매개변수 편차 수치 ,Y

Exponential ϒ =0.0126 129.48

Beta-Poisson α =0.265

N50=5.597

6.82

Log-probit q1=10.504

q2=4.137

11.87

Log-probit모델에 용하여 최 의 변수들을 구하 다.그런 후 합도를 악

하기 하여 deviance 값을 구하 고,이 deviance 값이 가장 작은

beta-poisson모델이 합함을 알 수 있었다.

표 121.모델 종류에 따른 최 합 매개변수

Page 19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4 -

표 122.세균의 용량 반응 모델

Bacteria Study(Studyyear) Model

Campylobacterspp.

Coleman,M.E.etal.(2004) Logistic,Gompertz

Medema,G.J.etal.(1996) Beta-Poisson

Teunis,P.F.M.etal.(2002) Exponential,Beta-poisson

Teunis,P.F.M.etal.(2000) Exponential,Beta-poisson

Cryptosporidiumspp.

Crawford-Brown.etal.(2000) Poisson

EnglehardtJ.D.etal.(2004) Beta-Poisson

Teunis,P.F.etal.(2000) Poisson

Gale,P.etal.(2001) Beta-Poisson,Log-probit

SlifkoT.R.etal.(2002) logit

Teunis,P.F.M.etal.(1996) Exponential,Beta-poisson

L.monocytogenes

Buchanan,R.L.etal.(1997) Exponential

Chen,Y.etal.(2003) Exponential

FAO/WHO.etal.(2004) Exponential

Farver,J.M.etal.(1996) Weibull,Weibull-Gamma

FDA/USDA.etal.(2003) Logistic,Exponential,Gompertz-log

LindqvistR.etal.(2000) Exponential,Weibull-Gamma

Salmonellaspp.

Coleman,M.etal.(1998) Logistic,Gompertz,Beta-Poisson

Coleman,M.E.etal.(2004) Logistic,Gompertz

Latimer,H.K.etal.(2001) Exponential

Whiting,R.C.etal.(1997) Beta-Poisson,Exponential

Teunis,P.F.M.etal.(2002) Exponential,Beta-poisson

E.coli0157

Nauta,M.J.etal.(2001) Exponential

Strachan,N.J.etal.(2002) Betabinomial

Teunis,P.etal.(2004) Beta-Poisson

Shigellaspp.

Coleman,M.etal.(1998) Logistic,Gompertz

Marks,H.M.etal.(1998) Poisson

Teunis,P.F.M.etal.(2002) Exponential,Beta-poisson

VibriocholeraeTeunis,P.F.M.etal.(2002) Exponential,Beta-poisson

Teunis,P.F.etal.(2000) Exponential,Beta-poisson

Giardia Crawford-Brown.etal.(1999) Poisson

(2)미생물별 용량-반응 평가 연구 사례

각 미생물 별로 용량-반응 평가를 연구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Page 19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5 -

Study(Studyyear) Model

PrionBSE

(bovinespongiform-encephalopathy)

Gale,P.etal.(2003) Beta-Poisson,Log-probit

Virus

Echovirus Teunis,P.F.M.etal.(1996) Exponential,Beta-poisson

Norwalkvirus Teunis,P.F.M.etal.(1996) Exponential,Beta-poissonPoliovirus Teunis,P.F.M.etal.(1996) Exponential,Beta-poisson

RotavirusTeunis,P.F.M.etal.(1996) Exponential,Beta-poisson

Gale,P.etal.(2002) Beta-Poisson,Log-probit

표 123. 리온,바이러스의 용량 반응 모델

경로 노출 섭취 빈도

식수 섭취 1.4L/day 365days/year표면 노출 50mL/h 365days/year

표면 노출(수 ) 2.6h/swim 7swims/year

유아의 토양 노출 200mg/day(under6years) Dependsoncontext100mg/day(over6years)

흡입 20m3/day(adult) 365days/year

15m3/day(adult)

샤워 흡입 0.07m3/shower 365showers/year

어류 섭취 0.113kg/meal 48meal/year

표 124.노출력과 섭취도의 순간시 추정

3)미생물 해성 평가체계 도입을 한 감염성질병의 인체 해성 지표연구

미생물의 노출평가를 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로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매체의 섭취

량 는 노출량의 분포를 알아야 한다.이를 알기 해서는 그 국가의 각 매체별로

인체노출지수를 악하여야 한다.이때 빈도 는 노출빈도도 함께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이용 가능한 값이 평균이외에 용할 수 있는 값이

없으므로,확률 분포로서 표 하여야 한다.

외국의 경우 각 매체별로 노출지수를 보면 다음 표 115와 같다.우리나라의

경우도 특정 매체를 설정하게 되면,각 매체의 노출량을 악한 선행연구를

용하여 향후 국내의 노출지수를 악할 필요가 있다.

Page 19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6 -

2.유해미생물의인체 해성평가를 한 각단계별 보건지표의 특성 평가

미생물 해성 평가는 어떤 특정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매체(medium)

를 섭취, 흡입할 경우 그 매체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감염이 일어날 확률 즉 해도를 과학 으로 정량 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해

성 평가에서 해도란 미생물의 특정 농도나 용량에 노출된 개인이나 집단이 유

해한 결과가 발생할 확률(probability) 는 가능성(likelihood)으로 정의된다

(NAS,1983).

그러나 아직까지 미생물 해성평가는 완 히 정리된 것이 아니지만,크게 4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미생물 해성 평가방법을 개발한 기 마다 용어가 다르

고 근방법이 다르지만 문제의 핵심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첫 번째 단계는

유해확인(hazardidentification) 는 문제의 형성(problem formulation)단계이

다. 두 번째 단계는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는 노출 결정

(characterization of exposure)이고, 세 번째 단계는 용량-반응 평가

(dose-responeassessment),유해결정(hazardcharacterization) 는 인체건강

향의 확인(characterizationofhumanhealtheffect)이다.두 번째와 세 번째 단

계는 ILSIRSI와 EPA에서는 통합하여 분석 단계(Analysisphase)로 정리하고

있다.네 번째 단계는 유해결정(riskcharacterization)이다.

이러한 4가지 요소는 독립 인 과정으로 진행되며 수평 수직 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한 과정을 수행한다.유해확인은 체계 인 계획 단계로 노출평가와

유해결정 단계로 자료나 정보를 달하고,최종 인 해도 결정에서는 노출평

가와 유해결정을 결합하여 해추정치(riskestimate)라는 지표를 산출하는 것이

다. 해추정을 해서는 고려해야 할 지표는 변이성과 불확실성이다. 해성

평가의 각 단계별 필요한 보건지표와 고려해야할 특성은 다음과 같다.

1)유해확인(hazardidentification),문제의 형성(problem formulation)

미생물 해성 평가의 첫 단계이다.문제의 형성은 체계 계획단계로서 가장

요한 단계이다. 해성 평가의 범 와 목 그리고 다루고자하는 핵심을 정의

하여야 한다. 한 정책 배경 해성 평가에 필요한 주요 인자들을 기술하

여야 한다. 해성 평가는 정성 방법과 정량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사용

된 자료와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자료의 특성과 구체 인 방법 평가

를 수행하기 해 제시된 여러 가정(assumption)들을 구체 으로 기술할 필요가

있다. 해성 평가는 여러 다양한 이유로 인해 평가가 시작되므로 그 이유를 기

술하여야 한다.

먼 , 해성 평가의 목 을 정의하고, 해성 평가를 수행하게 된 동기부여

Page 19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7 -

요인을 밝 야 한다.특정 병원성 미생물( 는 매체)과 노출시나리오에 있는

상 인구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해 기술한다.분석 기에 실시 할 노출의 확인

과 건강효과(healtheffect)를 정리한다.유해미생물의 특성(생태,생존 성장

특성 등),숙주의 특성( 양 면역상태 등) 숙주-미생물 간 상호작용(독력,

숙주 특이성,감염기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한 매체,노출경로,endpoint,

평가과정에서 주요 변수 등을 정의한다.

해성 평가 모델링을 해서는 평가의 역과 규모가 결정되어야 한다. 를

들면 평가의 역은 어떤 인구집단을 할 것인지,어떤 지역을 할 것인지를 제시

하여야 한다.규모는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병원성 미생물로 인해 발생하는 질

병의 경과를 제시하는 것이다.질병의 경과는 불 성 감염으로부터 사망까지 다

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이 단계에서는 병원성 미생물의 병원성(pathogenicity)

과 독력(virulence)뿐만 아니라 면역상태 등에 의한 환례연구도 조사되어야 한

다.필요한 경우 해당 병원체의 경로도 언 되어야 한다.미생물 해성평가

가 의미있고 효과 인 결과를 가지기 해서는 과학 근거뿐만 아니라 공 보

건과 연 이 있어야 한다.

2)분석 단계(Analysisphase)

미생물 해성평가 분석단계는 두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다.병원성 미생물

확인,노출분석,병원성 미생물의 발생을 포함하는 노출결정(characterizationof

exposure)과 숙주결정,건강 향,그리고 용량 반응 분석으로 이루어진 인체건강

향 결정(characterizationofhumanhealtheffect)로 구분한다.이 두 단계는

사용된 분석방법에 따라 큰 향을 받으며,이는 어떤 정보를 분석할 때 반복

인 과정을 거친다.만약 특정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방법이 개선되어 새로운 노

출정보가 주어지면,분석방법의 수정이 불가피하다.용량수 이 수정될 경우에도

분석과정이 새롭게 반복 인 과정을 통하여 결과가 수정될 필요가 있다.따라서

두 구성요소는 합한 결과를 가질 때까지 반복 인 과정을 거치며,서로 매우

한 상호 련성을 가진다(그림 61).

가)노출평가(exposureassessment),노출 결정(characterizationofexposure)

노출평가(노출결정)은 병원성 미생물,환경 인구집단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

는 것이다.즉,개인이나 집단이 특정 병원성 미생물 유해에 얼마나 노출되는가

와 얼마만큼의 미생물이 섭취되는가를 측하는 것이다.노출평가에서는 특정

매개물(물,공기,식품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양과 특정 매개물의 섭취량 두 가

Page 19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8 -

그림 61.미생물 해성평가 수행의 모식도.

지 정보가 기본이 된다.따라서 특정 매개물에서 미생물의 오염수 과 그 매개

물의 섭취량을 안다면,노출에 의해 기 되는 섭취량은 다음과 같다.

미생물 섭취량 =미생물 오염수 ☓ 매개물(medium)섭취량

그러나 아직 미생물 해성평가에 한 방법론이 완 히 정립된 것이 아니어서

노출평가 단계에서는 의 두가지 정보를 기본으로 하되,병원성 미생물확인,병

원성 미생물의 발생,노출분석을 포함하는 세가지 요소에 한 충분한 고려를 하

여야 한다.세가지 요소는 노출시나리오에서 제시된 인체노출의 크기,빈도,패

턴 등을 정량 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노출 로 일에서 정리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1)병원성 미생물 결정(pathogencharacterization)

병원성 미생물 결정은 숙주에게 질병을 일으키고, 염시킬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병원성 미생물을 확인하는 것이다. 병원성 미생물이 숙주에게 감염을 일

으킬 수 있는 능력은 여러 요인에 의해 향을 받는다 (표 125).

이러한 요소들은 병원성(pathogenicity)과 독력(virulent)에 향을 주는 병원성

미생물의 내 요인과 숙주 특이성과 련되어 있다.미생물의 성장,생존,사멸

은 미생물 해성 평가의 주요 고려 요소이다.이는 온도나 양과 같은 서로

다른 환경 요소에 따라 향을 받으므로 반드시 평가해야 할 요소이다. 한

Page 19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79 -

요인 종류

병원성

병리학 성격생존 증식

치료 항성

숙주 특이성감염기 /감염경로/출입 경로

2차감염 가능성

분류/종족 변이생태학

요인 종류

-시기 분포/빈도-환경에서의 분포

-공간 분포

• clumping,aggregation,particles,clustering-생태 치

• ecology 는 non-humanreservoirs

-생존,존속,증식-계 추의

-기후,풍토 발생

-조 ,치료 가능

• includingtheirreliabilityandvariability

-평가를 한 표시자, 리인자

표 126.병원균 발생의 요소

숙주 특이성,감염기 ,이차감염 등에 한 요소들도 고려되어야 한다.

표 125.병원균의 양상 요소

(2)병원성 미생물의 발생 (pathogenoccurrence)

병원성 미생물의 발생은 매체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최고 (peak),평균수

(averagelevels),빈도(frequency),계 변동(variation)등을 을 확인하는 것

이다 (표 126).이는 우리가 심가지는 환경성 매체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농도

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다.

(3)노출분석 (exposureanalysis)

노출분석에 여러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표 127).병원성 미생물이 포함된 매체

를 확인하고,노출경로와 단 를 확인하여야 한다.노출단 의 경우 를 들면

Page 19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0 -

요인 종류매개물 정의

노출 단

노출 경로노출 집단 추

노출 집단의 지역 특색

공간,시간 노출 양상

• 단일,다 노출 포함

노출 집단의 행

치료,재활성,재감염

물의 경우 몇 컵 는 몇 리터,음식의 경우 몇 g등 단 가 필요하다.인구집

단의 경우 노출 가능성이 있는 집단(riskpopulation)의 크기,사회인구학 특성

노출집단의 행동 등을 알아야 한다.노출 분석시 노출기간,노출경로, 염의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표 127.노출 평가 요소

(3)노출 로 일(exposureprofile)

병원성 미생물결정,병원성 미생물의 발생,노출분석으로부터 정보를 얻어 최

종 으로 노출을 평가하는 것이다.여기서 가장 결정 인 것은 노출 평가를 하

기 해 제한 여러 가정(assumption)과 불확실성을 분석하는 동안 고려하는 것

이다.노출평가에서 련 자료는 분석의 측면에서 이용 가능한 자료가 아니다.

결국 자료 분석을 해 다양한 가정을 할 수 밖에 없고,각 단계마다 불확실성

이 존재한다.노출평가에서 게재될 수 있는 불확실성은 첫째 노출평가를 한

연구 설계에서 게재할 수 있는 오차,둘째 병원성 미생물의 농도를 추정하는데

연 된 오차,셋째 매체의 섭취량 는 노출량을 추정하는데 련한 오차 등이

있다.이를 해 추정이 아나라 구간 추정을 할 필요성이 있다.

노출 로 일에서 제기된 불확실성은 향후 해결정 단계에서 그 강 과 단

에서 평가하여야 한다.

나)용량-반응 평가(doseresponserelation),인체건강 향 결정(characterizationofhuman

healtheffect)

병원성 미생물 노출결과 일어날 수 있는 감염의 요도를 정량 으로 제시하

는 과정이다. 미생물의 용량 반응 모델에서는 생물학 으로 타당한 모델을 선

택하는 것이 가장 요하며,감염인자를 상으로 생물학 으로 몇 가지 타당한

모델을 설정 한 후 노출농도에 따른 인체반응자료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검토하

여 가정 합한 모델을 결정하여 타당성을 평가한다.미생물은 화학물질과 달리

Page 19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1 -

매질과 매체 등에 균질하게 분포하지 않으며, 인구집단에 Poisson,

Negative-binominal등과 같이 매우 낮은 수 의 확률분포로 노출된다는 이

다.병원성 미생물에 노출됨으로써 일련의 endpoint가 나타나는 과정은 그림 48

과 같다.

infectedindividual

healthypersons

contaminatedsupply

PI

illindividual

PD:IP

M:Dfatality

Dose Response

그림 62.미생물 감염의 자연사.

P I:일반인들 오염원(병원성 미생물 등)에 노출시 감염될 확률,감염의

정의는 숙주내에서 유기체가 증식하여 배설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성(apparent) 불 성(non-apparent)감염을 모두 포함.감염은

청내의 항원의 증가나 체온의 증가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확인 가능함

P D:I:감염된 사람들 질병이 나타나는 사람(morbidityratio)

P M:D:환자들(illindividuals) 사망하는 사람들은(mortalityratio)로 나타낸다.

병원성 미생물의 노출로 인한 인구집단의 반응은 노출되는 미생물의 수,숙주

의 건강 감염의 기 에 따라 병원체와 숙주에 의해 달리 나타난다.용량-반

응 평가에서 미생물의 양과 그로 인한 반응을 평가하기 해서는 많은 자료가

요구된다.생물학 인 측면에서 감염은 세 가지 요소에 의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첫째는 감염을 일으키기에는 충분한 수의 미생물에 노출되어야 한다.둘

째,감염이 일어나려면 노출된 미생물 감염이 시작될 수 있는 치에 도달하

여야 하며,셋째 미생물의 분포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따라서 이들 3가지

에 한 여러 가정을 바탕으로 한 모델이 용량-반응 계를 평가하는데 이용

된다.

에서 기술한 로 용량반응 평가는 숙주결정,건강 향,그리고 용량 반응

분석으로 3가지 요소에 의해 구성되고,이 세 가지 요소는 숙주-병원성 미생물

Page 19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2 -

요인 종류

연령

면역상태

최근의 의학 상태

유 요소

임신

양상태

지역 특징

사회 /행 특징

요인 종류

병의 기간

병의 심함

감염력

이환률,사망률,장애율

이차감염 정도

삶의 질

표 129.건강상태에 한 요소

로 일에서 종합 으로 정리되고,정량 으로 평가된다.

(1)숙주결정(hostcharacterization)

숙주결정은 특정 병원체에 인구집단이 노출되었을 때 감염 감수성에 향을

주는 요소를 평가하는 것이다.감수성은 숙주의 내 인 요소와 외부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외부 요인은 감염의 해도를 수정할 수 있는 요소이다.

감염의 결과 는 증도는 감염의 가능성을 가능성을 결정하는 요소보다 더

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요소이다.고 험군은 더 심한 증상을 가진 질병을 유

발할 수 있고, 험군은 감염 가능성이 고,감염이 되었다 하더라도 무증상

이거나 경한 질병에 그친다.따라서 감염의 감수성과 증도에 향을 수 있

는 요소를 평가하여야 하며,그 요인은 표 128과 같다.

표 128.숙주 결정 요소

(2)건강 향 (healtheffect)

병원체 는 매체가 연 된 endpoint는 표 129와 같다.무증상 감염 는 증상

감염을 포함하여 질병의 증도,이환률,사망률 등이 endpoint스펙트럼이다.

Page 20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3 -

(3)용량 반응 분석(dose-responserelationship)

용량 반응 분석은 용량,감염력,건강효과 간의 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용

량 반응 분석의 요소는 표 130과 같다.용량 반응 평가를 한 자료로는 지원자

에 의한 직 노출 연구,동물 모델의 이용,역학조사 자료 등을 이용할 수 있

다.지원자에 의한 연구는 상이 사람이기 때문에 그 결과를 그 로 용할 수

있는 장 이 있다.반면에 상을 건강한 사람에 한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

험집단(노약자 는 면역 하 등)과 성별 등의 향을 악할 수 없어 체집단

을 측하기에는 부족하다. 병원력이 강한 균에 해서는 연구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단 도 있다.동물모델은 인간과 동물이 동일

한 메커니즘에 의해 발병한다는 가정 하에 실시되어 동물 종 간 다양성이 무시

된다는 단 이 있다. 한 외삽(extrapolation)문제가 완 히 해결된 것이 아니

기 때문에 역학조사 결과와 비교하는 검증과정이 필요하다.반면에 병원력이 강

한 균에 한 연구가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역학조사는 발병한 사람이외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병하지 않은 사람,그리고 두 집단간의 매체의 노출

량과 오염의 빈도 등 다양한 요인에 한 정보가 필요하지만,선행된 노출에

해 실 으로 근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용량 반응 계는 감염단계에 따른 여러 가정을 바탕으로

여러 모델이 가능하다.용량 반응 계의 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각 모델에 용

하여 변수 값을 구하게 되며,각 모델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용량반응 계를

설명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4)숙주-병원성 미생물 로 일(host-pathogenprofile)

숙주결정,건강 향,그리고 용량 반응 분석으로부터 정보를 얻어 최종 으로

인구집단에 부정 건강 향의 크기를 평가하는 것이다.여기서 가장 결정 인

것은 분석과정에서 제한 여러 가정(assumption)과 불확실성을 분석하는 동안

고려하는 것이다.

Page 20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4 -

요인 종류

용량 반응의 통계학 모델

인간 용량 반응 자료

동물 용량 반을 자료

증발생 자료 개입자료의 이용

노출 경로,투여 경로

종 는 침투 가능 물질의 원천 책

유기형태 종

• 독성 측정가능 병원성

노출 집단 특성 결정

• 연령,면역,건강상태,사회 지 등등

노출의 빈도,기간

요인 종류

-건강의 요성과 노출 시나리오 검사

• 노출 기술 (사건)

• 노출 평가 (크기.가능성)

-불확실성 /변이성 /신뢰성 측정

-감수성 분석

• 가장 요한 변수 정보 분석

-문제 항목의 공식화

-여러 측정의 해성 평가에 한 향

-수행 결정 분석

• 해성 경 방법들의 비교 조사

표 130.용랑 반응 분석 요소

다) 해결정 (Riskcharacterization)

노출평가와 용량 반응평가의 결과를 통합하여 해도를 평가하는 마지막 단계

이다. 해결정은 해추정(riskestimation)과 해기술(riskdescription)두 가

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표 131).

표 131. 해결정의 해성 요소

해추정은 미생물 는 매체 노출로부터 상되는 것의 규모와 확률을 기술

하는 것이다. 해 추정에서는 주어진 노출시나리오에서 감염 확률을 구하여 수

학 으로 측하는 것으로 개인 해추정의 경우 감염에 걸릴 확률이 몇백만 분

의 1로 표 하거나,인구집단에서 해추정의 경우 특정 지역에서 연간 몇 명의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을 지를 기술하는 것이다. 해기술은 감염의 특성,심각도

Page 20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5 -

결과 측면에서 기술하는 것이다.

한 해 추정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변이성(variability)과 불확실성

(uncertainty)을 고려하여야 한다.변이성이란 특정 집단에서 어떤 매개변수가

하나의 평균값을 가지는 것이 아닌 어떤 편차를 가진 분포로서 제시되는 것을

말한다. 컨 병원성 미생물이 주 환경변화에 의해 쉽게 증식 는 사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은 해성 평가에 이용되는 자료의 출처가 다양하

기 때문에 발생한다.따라서 이용되는 자료에 한 표본추출 방법,검사방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고려해야 하며,이러한 제반사항이 해성 평가결과에 어떻

게 행을 미치는지를 밝 야 한다.

(1)불확실성 분석

해도 결정에서 해도에 한 평가에서 단일추정치 분석과 확률론 분석이

있다.이 단일추정치 분석은 3가지 큰 약 을 가진다.첫째,입력되는 변수에

따라 평균값,보수 인 값 최악의 가정들을 결합하여 해도를 평가함으로써

해성 평가자에게 평가결과에 내재하여 있는 보수성의 정도(thedegreeof

conservation)를 표 할 수 없으며,일반 으로 불확실성 분석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 인 해도 결과를 악하기 어렵다.둘째,최 개인 해도의

경우 많은 변수들이 가지는 불확실성이 포함되어 큰 바이어스가 내포됨으로써

해도 평가결과는 실제로는 거의 발생하기 어려운 시나리오를 설정하게 된다.

셋째,단일 추정치 분석은 여러 입력 변수에 해 최 값을 사용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최종 단일 추정의 불확실성을 결정하기 하여 수행되는 민감도 분석의

의미가 없어진다.

따라서 해도 결정에서 불확실성과 변이성에 한 평가는 “불확실성을 고

려하지 않은 결정은 결정이라고 말할 가치가 없다(Wilson등,1985)”와 같이 언

함으로써 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아래 그림 63은 해도의 체 확률분포를

악하는 것이 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평가자들이 A,B,C의 3가지 안에 해 평가한다고 가정하면,A,B,C의 가

운데 굵은 선으로 표시한 것은 단일추정치로 나온 해도 값을 나타내고 있다.

주 의 곡선으로 보이는 것은 해도의 체 확률 도함수를 보여주고 있다.A

의 경우 다른 경우보다 해도의 심값이 과 평가 는 과소평가될 경우는 낮

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심값을 사이에 두고 확률분포가 칭을 이룸을 알 수

있다.하지만 B,C의 경우 심값이 실제보다 과 는 과소평가할 여지가 크

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러므로 평가자 는 리자가 해도 확률이 큰 쪽(분

포의 꼬리가 오른쪽으로 치우친)에 해 민감하게 생각할 경우,A,B,C와 같은

Page 20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6 -

그림 63.Pointversusinternalestimatesofrisk.

동일한 앙값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C를 가장 기피할 것이다.따라서 해도에

한 분포함수는 단일추정치 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요한 것은 해도 결정에 사용되며,신뢰한계의 범 에 향을 주는 입

력자료들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C의 경우 분포의 꼬리가 A,B와는 달리

꼬리가 오른쪽으로 치우친 정도에 실질 으로 가장 큰 향을 주는 입력 자료는

어떤 것인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으며,필요하면 가능한 한도 내에서 입력 자료

에 한 불확실성이나 변이성에 한 원인을 찾아서 감소시킴으로써 결정자들에

게 안을 선택하는데 좀 더 나은 신뢰를 갖게 해주는 것이다.

확률론 해도 평가방법은 이러한 단일추정치 분석의 제한 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며 단일추정치에 내재된 불확실성을 명확한 방법으로 제공하기 때문

에 해도 리자가 평가된 해도의 본질에 더 가까이 근할 수 있다.확률론

해도 평가(probabilisticriskassessment)는 미생물의 해도 평가 시 사용

된 각 변수들의 불확실성을 포 하여 고려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analysis)이라고 불린다.

해도 평가 모델에서 불확실성은 아래 그림 64와 같이 두 가지 종류가 있는

데,첫째는 모델내에서 사용되는 변수 는 측정된 데이터의 무작 변이성

(random variability)과 둘째 모델 모델내의 변수들,그리고 측치들에 한

분석자의 지식의 부정확성이 있다.

Page 20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7 -

그림 64.불확실성의 분류.

3.유해미생물의 인체 해성평가의 결과 결론

가. 해성 평가 방법

미생물 해성평가는 크게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미생물 해성 평가방법을

개발한 기 마다 용어가 다르고 근방법이 다르지만 문제의 핵심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첫 번째 단계는 유해확인(hazardidentification) 는 문제의 형성

(problem formulation)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는 노출 결정(characterizationofexposure)이고,세 번째 단계는

용량-반응 평가(dose-respone assessment),유해결정(hazard characterization)

는 인체건강 향의 확인(characterizationofhumanhealtheffect)이다.두 번

째와 세 번째 단계는 ILSIRSI와 EPA에서는 통합하여 분석 단계(Analysis

phase)로 정리하고 있다.네 번째 단계는 유해결정(riskcharacterization)이다.

이러한 4가지 요소는 독립 인 과정으로 진행되며 수평 수직 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한 과정을 수행한다.유해확인은 체계 인 계획 단계로 노출평가와

유해결정 단계로 자료나 정보를 달하고,최종 인 해도 결정에서는 노출평

가와 유해결정을 결합하여 해추정치(riskestimate)라는 지표를 산출하는 것이

다.

나.노출 평가 방법

노출을 평가하기 해서는 미생물의 수 는 용량을 결정하여야 한다.그러기

해서는 노출평가에서 크게 두가지 요소를 평가하여야 한다.첫째는 매체(식품,

물,공기 등)의 오염수 이고,둘째는 매체의 섭취량 는 노출량이다.

Page 20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8 -

먼 미생물의 오염수 은 정량 자료가 아닌 미생물의 존재 유무만을 알 수

있는 이차 자료인 정성 자료만으로도 활용할 수도 있다.실제 구내의 연구

정성 자료를 토 로 노출평가한 자료가 많았다.반면 해외의 자료의 경우 정

량 평가를 수행한 연구가 다수이었다.따라서 향후 미생물 해성 평가과정

에서는 정량 평가가 권고된다.

정량 평가는 포아슨 분포와 Non-Poisson분포를 활용할 수 있다.그러나 일반

으로 화학물질 해성 평가와는 달리 미생물 해성 평가에서는 우선 병원성 미

생물의 분포가 매체에 미생물의 개체가 균일하고 확률 으로 분포할 경우가 많

으므로 포아슨 분포를 가정한다.그러나 우도비(likelihood ratio)등 한

포 합도 검 에 합하지 않을 경우,Non-Poisson분포를 용하여 노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Non-Poisson분포로는 NegativeBinomial,Lognormal,

Poisson-InverseGaussian(GIG)등 Non-Poisson분포을 이용하여야 한다.

인체노출지수의 경우 국내연구의 경우 식품을 심으로 미생물 해성평가를

실시하 고,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용한 바 있으며,확률 분포를 가정하

지 않은 채 용한 바 있다.이럴 경우 불확실성 요인이 커지는 한계가 있다.따

라서 향후 노출평가에서는 우리나라를 표할 수 있는 인체노출지수를 용하여

야 하며,노출 평가 과정에서 확률 분포에 근거하여 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다.용량 반응평가

용량 반응 분석은 용량,감염력,건강효과 간의 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용

량 반응 평가를 한 자료로는 지원자에 의한 직 노출 연구,동물 모델의 이

용,역학조사 자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지원자에 의한 연구는 상이 사람이기

때문에 그 결과를 그 로 용할 수 있는 장 이 있다.반면에 상을 건강한

사람에 한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 험집단(노약자 는 면역 하 등)과 성별

등의 향을 악할 수 없어 체집단을 측하기에는 부족하다. 병원력이

강한 균에 해서는 연구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단 도

있다.동물모델은 인간과 동물이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해 발병한다는 가정 하에

실시되어 동물 종 간 다양성이 무시된다는 단 이 있다. 한 외삽

(extrapolation)문제가 완 히 해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역학조사 결과와 비

교하는 검증과정이 필요하다.반면에 병원력이 강한 균에 한 연구가 가능하다

는 장 이 있다.역학조사는 발병한 사람이외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병

하지 않은 사람,그리고 두 집단간의 매체의 노출량과 오염의 빈도 등 다양한

요인에 한 정보가 필요하지만,선행된 노출에 해 실 으로 근이 어렵다

는 문제가 있다.따라서 향후 2차년도에서는 용량-반응 분석시 사람에 한 노

출 연구를 토 로 한 모델링을 용하는 것이 필요하다.이를 해서는 단기

으로 실 으로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외국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용해 보도

Page 20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89 -

록 한다.

미생물의 용량 반응 계는 감염단계에 따른 여러 가정을 바탕으로 여러 모델

이 가능하다.용량 반응 계의 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각 모델에 용하여 변수

값을 구하게 되며,각 모델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용량반응 계를 설명하는데

이용하고 있다.모델은 크게 기 모델과 경험 모델이 있다.

기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은 ExponentialModel과 Beta-Poisson

Model이 사용할 수 있다.경험 모델에서 용할 수 있는 모델은 Log-logistic

모델 등이 있다.

라. 해도 불확실성 연구

해도를 결정하는 것은 미생물 는 매체 노출로부터 상되는 규모와 확률

을 기술하는 것이다. 해 추정에서는 주어진 노출시나리오에서 감염 확률을 구

하여 수학 으로 측하는 것으로 개인 해추정의 경우 감염에 걸릴 확률이 몇

백만분의 1로 표 하거나,인구집단에서 해추정의 경우 특정 지역에서 연간

몇 명의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을 지를 기술하는 것이다. 해기술은 감염의 특성,

심각도 결과 측면에서 기술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미생물에 해 미생물 해성 평가 방법(유해확인 ➝ 노출평가

➝ 용량-반응 평가 ➝ 해도 결정)에 따라 해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해도 결정에서 해도에 한 평가에서 단일추정치 분석과 확률론 분석이

있다.필요하면 가능한 한도 내에서 입력 자료에 한 불확실성이나 변이성에

한 원인을 찾아서 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결정자들에게 안을 선택하는데 더

나은 신뢰를 갖게 해주는 것이다.

불확실성 분석에서 확률론 해도 평가방법은 이러한 단일추정치 분석의 제

한 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며 단일추정치에 내재된 불확실성을 명확한 방법

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해도 리자가 평가된 해도의 본질에 더 가까이 근

할 수 있다.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해도 분석 시 불확실성 분석(uncertainty

analysis)을 실시하여야 한다. 한 정량 노출평가로서 MonteCarlosimulation

수행하여야 한다.

Page 20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0 -

Ⅵ.결론

1.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리시스템 구축

가. 기 분야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하여 실태조사를 악하 으며 국내에서는 바이러스,진드기

등에 한 연구가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 재 곰팡이에 한 연구는 DNA

추출방법 등,확실하게 정해진 실험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곰팡이에 한

연구도 많이 필요한 상태이다.

나.수질 분야 -세균 바이러스

수계 환경에서 지표 세균 장 계 바이러스의 리 시스템 구축 국내출

실태조사를 수행하 다.국내외 문헌 자료를 통해 수계 환경에서 다양한 지표

세균 장 계 바이러스가 출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 다.

다.임상 분야

임상에서의 보고는 지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경 연 계에 해서는

규명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반면 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균의 출 실태에

한 연구가 있었으나 사람들이 직 으로 하고 있는 생활 환경에서의 항

생제 내성균의 출 에 한 연구와 환경에서 분리되는 항생제 내성균과 환자들

에게서 나타나는 항생제 내성균의 상 계에 한 연구는 없었다.

라.실내환경 -생물오염물질

집먼지진드기의 리시스템을 명확히 제시하는 문헌이나 는 지침은 드물었으며

우리나라는 기 과 아래에 제시하는 구체 인 집먼지진드기 채집법 등을 참고하

여 신 한 검토를 거친 후 보다 분명한 기 치나 리시스템을 제정할 수 있다고

본다.

마.수질 -원생동물

국내의 자연환경 콘택트 즈보 용기 등 여러 곳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자연환경과 콘택트보 용기 등에서 가시아메바를 분리 배양하는 표

시험(검출)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Page 20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1 -

2. 리 상 미생물의 국내 출 실태조사

가. 기 분야

배양방법을 통해 곰팡이에 한 연구를 실시하 으나 정성분석은 역시 박테리아

에 국한되어 실행되었으며 배양방법이 아닌 DGGE라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기 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분석하 다. 한 실내 환경 에서 보건학 인

요성을 갖고 있는 화장실에서 실내공기질 측정 표면 오염도를 조사하 다.

재 우리나라에서는 표면 오염도에 한 연구가 기 때문에 노출 평가 자료로

활용가능하다고 단되어진다.향후 연구에서는 곰팡이의 표 실험 방법 등을

확립하여 곰팡이에 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한 realtimePCR이나 박테리

아의 ATP측정 등을 통하여 기 미생물의 새로운 보건학 인 지표가 확립

되어야 한다.

나.수질 분야(세균 바이러스)

실태조사에서 다양한 종류의 지표 세균 바이러스가 다양한 수계 환경에 존재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지표 세균 장 계 바이러스 출 정보에 한 국

내 자료가 빈약하기 때문에 특정 상을 리 상으로 선정할 근거가 미약

하다. 신 국내 수계에서 확인된 상에 한 최소한의 리가 필요하며 장기

으로 효율 단 도출은 포 실태조사 등을 통한 충분한 단 근거 확보

로 가능할 것이다.

다.임상 분야

여름철 국내 형건물의 냉각탑수에서 Legionella가 다량 검출되는 것과는 달리

하천이나 수지와 같은 자연 환경에서는 Legionella가 많이 존재하지 않을 것

으로 추정되었다.따라서 Legionella에 한 리는 주로 형건물의 냉각탑수와

같은 인공 환경을 심으로 이 지면 될 것이다.MRSA의 경우 국내 병원의

MRSA의 비율이 60% 이상이고,지역사회 감염 MRSA (CA-MRSA)도 계속 보

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율은 높지만 MRSA의

비율은 굉장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아직까지는 MRSA가 환경에 범

하게 분포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단되고 환경에서의 을 통해 MRSA

가 되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측된다.하지만 clindamycin에 한 내성률

이 60%이 이르는 등 일부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S.aureus가 발견되고 있고

MRSA가 국민 보건에 미치는 향을 볼 때 지속 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Page 20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2 -

라.실내분야(생물오염물질)

가옥의 실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큰다리집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farinae)가

가장 많이 채집되어 우 종으로 나타났으며 세로무늬먼지진드기(D.pteronyssinus)와

긴털가루먼지진드기(Tyrophagusputrescentiae)도 채집되었다.따라서 이들 3종을 집먼

지진드기 조사의 지표종으로 선정하기를 제안한다.이와 같이 집먼지진드기가 국내 실

내 환경에서 알 르기를 일으키는 주 원인물질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수질(원생동물)

한,자연환경과 콘택트보 용기 등에서 가시아메바를 분리 배양하는 표 시

험(검출)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따라서 환경보건학 유해 원생동물 리

해성 평가체계의 구축이라는 본 연구의 궁극 인 목표에 1년차 연구 결과가

요한 기반을 구축하 다고 생각된다.

3.환경보건학 유해미생물의 해성 평가기반 마련

해성 평가는 hazardidentification,exposureassessment,dose-response,risk

characterization등의 4가지 요소의 독립 이고 유기 인 단계의 모델을 체계

으로 정립하 고,MonteCarlo-simulation의 방법을 수행하 다.유해확인은 체

계 인 계획 단계로 노출평가와 유해결정 단계로 자료나 정보를 달하고,최종

인 해도 결정에서는 노출평가와 유해결정을 결합하여 해추정치(risk

estimate)를 산출하 다.

특히 노출평가 단계에서 정량 평가를 해서는 우선 병원성 미생물의 분포가 매

체에 미생물의 개체가 균일하고 확률 으로 분포할 경우가 많으므로 포아슨 분

포를 가정한다.우도비(likelihoodratio)등을 이용한 분포의 합도 검정에서 합

하지 않을 경우,Negative Binomial,Lognormal,Poisson-Inverse Gaussian

(GIG)등 Non-Poisson분포을 이용하여야 한다.

용량-반응 평가에서는 기 모델과 경험 모델을 용할 수 있다.우선 유해

미생물에 한 분포가 포아슨 분포를 따르고,미생물에 한 감수성이 동일하며,

한 개의 미생물 만이라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면 ExponentialModel을 정량

평가로 용한다.그러나 해도 추정에 부 하다면 Beta-Poisson Model,

Log-probitModel등을 사용할 수 있다.이러한 모델링은 미생물에 따라 달리

용한다.

해 추정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변이성(variability)과 불확실성(uncertainty)을

고려하여야 한다.이를 해 단일추정치 보다는 확률론 분석을 용하여야 하

며,MonteCarlo-simulation등의 방법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Page 21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3 -

본 연구 과제를 통하여 기,수질,실내 환경 등에서 다양한 오염원에 의한

다양한 미생물이 환경 특이 으로 다양한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났다. 를

들면,실내의 화장실이나 황사시 기에서 특이 인 기회병원성 미생물이 존재

하고,한강 수계에서 지표세균 장 계 바이러스가 출 하고 있다는 것을 확

인하 다. 한 유해세균 항생제 항성이 S.aureus등의 내항생제가 있는

세균 등이 토양에 존재할 수 있으며,MRSA 등의 지속 인 모니터링이 필요하

다.집먼지 진드기나 가시아메바 등은 인체에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천식

감염성 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체로 알려져 있다.이와 같이 미생물 등

의 생물학 유해요인은 실내 실외,그리고 다양한 환경매체에 존재하며

련 인체 해성을 조사하기 한 체계 이고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추가 인 연구

가 필요하다.본 연구과제에서 수립한 분석법으로 환경에서의 미생물의 농도와

종류를 분석하고,차후로 인체의 노출 미생물의 유해요인 노출 해성

평가 등이 심도 있게 연구되어야 한다.

Page 21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4 -

분야 미생물 종류

기 분야총박테리아총곰팡이

엔도톡신

수질 분야

(세균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바이러스

E형 간염바이러스노로바이러스

사포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오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총 장균군분원성 장균군

장균

장구균분원성 연쇄상구균

온 온 일반세균

녹농균아황산환원 기성포자형성균

임상 분야

Legionellaspp.

ShigellasppSalmonellaspp.

Vibrioparahaemolyticus

Aeromonasspp.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Staphylcococusaureus,MRSA)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Vancomycin-resistantEnterococcus,VRE)

장균(E.coli)& 폐렴간균(Klebsiellapneumoniae)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Carbapenem-resistantPseudomonas&Acinetobacter)

수질 분야 (원생동물)람블편모충(Giardialamblia)작은와포자충(Cryptosporidiumparvum)

가시아메바(Acanthamoebaspp.)

표 132. 리 상 미생물의 종류

4. 리 상 미생물

본 연구 과제를 통하여 국내에서 리해야할 미생물의 목록을 정하 으며 다음

표와 같다.

Page 21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5 -

Ⅶ.첨부

1.표 시험법.(바이러스)

1.0개요

1.1목

1.2 용범

1.3간섭물질

2.0용어정의

3.0분석기기 기구

3.1시료채취과정

3.1.1표 필터장치 조립용 부품 (그림 1참조)

표 필터장치 (standardfilterapparatus)는 필터 (prefilter),탈염소화 는

pH의 조정이 필요할 때 이외에는 모든 시료채취에 사용된다.

3.1.1.1BR1개 :Backflow Regulator

3.1.1.2SF1개 :SwivelFemaleinsertwithgardenhosethread

3.1.1.3BT 3조각 :BraidedTubing,1/2"clear

3.1.1.4HC16개 :HoseClamp

3.1.1.5HF11개 :HoseFitting,nylon,3/8"maleNPTx1/2"tubingID

3.1.1.6PR1개 :PressureRegulator

3.1.1.7PN 1개 :PVCNipple,3/8"maleNPT(263A regulator를 사용할 때는

이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Page 21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6 -

3.1.1.8TE1개 :PVCTEEwith3/8"femaleNPTports(63A regulator를 사

용할 때는 이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3.1.1.9RB11개 :ReducingBushing,3/8"NPT(M)x1/4"NPT(F)(63A

regulator를 사용할 때는 이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3.1.1.10 PG 1개 :Pressure Gauge,0-30 pound persquare inch (263A

regulator를 사용할 때는 이 부품을 1/4"gaugeport에 연결한다.)

3.1.1.11RA 1개 :ReducingAdaptor,1/2"femaleNPTx3/8"maleNPT

3.1.1.12MQ11개 :MaleQuickConnect,1/2"NPT (hosefittings와 braided

tubing의 연결이 하면 quickconnects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3.1.1.13FQ12개 :FemaleQuickConnects,1/2"femaleNPT

3.1.1.14RN12개 :ReducingNipples,3/4"maleNPTx1/2"maleNPT

3.1.1.15CH 1개 :CartridgeHousingwithwench

3.1.1.16 FC 1개 :Filter Cartridge,positively charged 1MDS,ZetaPor

Virosorb(CunoProductNo.45144-01-1MDS이나 동 의 제품).

3.1.1.17MQ21개 :MaleQuickConnect,1/2"femaleNPT

3.1.1.18HF21개 :HoseFitting,1/2"maleNPTx1/2"tubingID

3.1.1.19WM 1개 :WaterMeter.유량계는 수평의 치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추 에 의해 동 되지 않도록 잘 보호해야 한다.실험자는 유량계의 이 나

타내는 계량 단 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1gal=0.1337ft3or3.7854L;1ft

3=7.481gal 는 28.316L).

3.1.1.20HF31개 :HoseFitting,nylon,3/4"maleNPTx1/2"tubingID

3.1.1.21FV 1개 :Flow ControlValve

Page 21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7 -

3.1.2 필터 (prefilter)모듈 조립용 부품 (그림 2참조)

탁도가 75NTU(nephlometricturbidityunit)를 과하거나 여하한 이유로 인해

시료의 최소량을 채취할 수 없을 경우에 표 필터장치의 앞부분에 설치하여 사

용한다.

3.1.2.1PC1개 :10㎛ 폴리 로필 필터 카트리지 (PrefilterCartridge:PC)

3.1.2.2femalequickconnect(FQ1)1개

3.1.2.3reducingnipple(RN1)2개

3.1.2.4malequickconnect(MQ2)1개

3.1.2.5cartridgehousing(CH)1개

3.1.3단일주입기 모듈 조립용 부품 (그림 2참조)

pH 감이 요구되는 원수 는 처리수와 탈염소화가 필요한 처리수를 한 장

치이다.표 장치를 조립할 때와 마찬가지로 reducing adaptors (RA)4개,

PVCT자 (TE)4개,reducingbushings(RB1)2개,압력계 (pressuregauge:

PG)2개,femalequickconnects(FQ1)2개,malequickconnects(MQ1)2개,

malequickconnects2개가 추가 으로 필요하다.

3.1.3.1FQ22개 :FemaleQuickConnects,1/2"maleNPT

3.1.3.2ME4개 :MaleElbows,3/8"maleNPT

3.1.3.3RN22개 :ReducingNipples,3/8"maleNPTx1/2"maleNPT

3.1.3.4RB22개 :ReducingBushings,3/8"femaleNPTx1/2"maleNPT

3.1.3.5 IN 3개 :In-line INjectors (계량펌 (metering pump)와 한

connector로 injector를 체할 수 있다).

3.1.3.6HC3개 :hoseclamp

Page 21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8 -

3.1.4기타

3.1.4.1휴 용 pH 측정계

3.1.4.2휴 용 온도 측정계

3.1.4.3상업용 얼음팩

3.1.4.4입구가 넓은 1리터 용량의 폴리 로필 병

3.1.4.5휴 용 아이스 (단열)박스

3.1.4.6알루미늄 호일,기록용지,hosecockclamp,수술용 장갑,클램 조

용 드라이버 혹은 라이어,유성펜

3.1.4.730PSI에서 11.4L/min을 공 할 수 있는 화학약품내성 펌 와 당

한 connector(원수나 처리수를 채취하는데 필요한 정한 수압이 발생되는 수

도꼭지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는 정도 리 시료를 조작할 경우에 사용한다).

펌 의 기화는 펌 제조사의 권고에 따라 수행한다.

3.1.4.8무균 채수병

3.1.5장치의 조합

표 여과장치는 조 기 (regulator)모듈,필터하우징 (filterhousing)모듈,배출

기 (discharge)모듈로 구성되며 ‘모듈'이란 여러 부품이 모여 구성하는 하나의

기능단 를 말하는 것으로 필요한 경우 채수장치 체로부터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해낼 수 있어야 한다.채수장치의 조립은 수 바이러스 검출 분석연구에

해 국가로부터 지정받은 분석실험실에서 수행한다.모든 비압착식 나사형 연

결부 (threaded& non-compressionfitting)에는 테 론 테이 를 사용하여야

한다.

3.1.5.1조 기 모듈 :그림 1에서와 같이,역류조 기 (backflow regulator:BR)

와 swivelfemaleinsert(SF)를 차례로 연결한다. 당한 길이의 압력호스

(braidedtubing:BT)한 조각을 호스 클램 (hoseclamp)를 이용하여 swivel

femaleinsert의 tubingconnector(HC1)에 연결한다.Tubing의 다른 한쪽 끝은

Page 21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199 -

3/8x1/2"hosefitting(HF1)에 클램 로 연결한다.Hosefitting을 돌려 압력

조 기 (pressureregulator:PR)의 유입구에 연결한다.압력조 기의 배출구는

PVC nipple(PN)을 이용하여 PVC T자 (TEE:TE)과 연결한다.압력계

(pressuregauge:PG)는 reducingbushing(RB)을 이용하여 PVCT자 의 꼭

기에 연결한다.Reducingadaptor(RA)를 PVCT자 의 마지막 남은 연결부

에 부착한다.Reducingadaptor에는 malequickconnect(MQ1)를 부착한다.

3.1.5.2 필터하우징 모듈 :Reducing nipple(RN1)에 femalequick connect

(FQ1)를 부착한다.Reducingnipple은 카트리지 하우징 (cartridgehousing:CH)

의 유입구에 연결한다.다른 하나의 reducingnipple을 하우징의 배출구에 연결

한다.Reducingadaptor에 malequickconnect(MQ2)를 부착한다.

3.1.5.3배출기 모듈 :Hosefitting(HF2)에 femalequickconnect(FQ1)를 부

착한다. 당한 길이의 압력호스를 호스 클램 (HC1)를 사용하여 hosefitting

에 연결한다. 의 다른 한쪽 끝은 새 호스 클램 (HC1)를 사용하여 swivel

femaleinsert에 부착한다.Swivelfemaleinsert를 유량계 (watermeter:WM)

의 유입구에 부착한다. 하나의 swivelfemaleinsert를 유량계 (WM)의 배출

구에 부착하고 호스 클램 (HC1)를 사용하여 압력호스 (BT)한 조각과 연결한

다. 의 다른 한쪽 끝은 호스 클램 (HC1)를 사용하여 hosefitting(HF3)에

부착한다.Hosefitting을 돌려 유속조 밸 (flow controlvalve)의 유입구에

끼워 넣는다.배수구까지 충분한 길이의 튜 를 연결하기 해 여분의 hose

fitting을 유속조 밸 에 부착할 수 있다.배출기 모듈을 멸균할 필요는 없다.

3.1.5.4Quickconnect를 사용하여 필터하우징 모듈을 조 기 모듈과 연결한다.

연결된 조 기 필터하우징 모듈은 염소로 멸균하여야 한다.1MDS필터 카

트리지 (filtercartridge:FC)는 멸균하고 무균 조작하여 카트리지 하우징에

넣는다.카트리지하우징의 덮개를 다시 덮고 카트리지하우징 치 (wrench)를

사용하여 완 히 조인다.하우징을 흔들어 필터가 빈틈없이 장착되었는지 확인

한다.제 로 장착된 필터는 흔들리지 않는다.수송과정의 편의를 해 조 기

모듈과 필터하우징 모듈을 분리해도 무방하다.단,모듈과 연결되는 모든 개구부

(openings)는 멸균된 알루미늄 호일로 빈틈없이 싸주어야 한다.

3.1.5.5 필터 모듈의 조립 :그림 2와 같이,femalequickconnect(FQ1)를

reducingnipple(RN1)에 차례로 연결한다.Reducingnipple을 카트리지하우징

(CH)의 유입구와 연결한다.다른 하나의 reducingnipple은 하우징의 배출구에

연결한다.Malequickconnect(MQ2)는 reducingadaptor에 부착한다1).

Page 21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0 -

3.1.5.6단일 주입기 (singleinjector)모듈 :그림 2와 같이 순서 로 각 부품

을 조립한다.Reducing adaptor(RA)에 female quick connect를 부착한다.

Adaptor를 주입기(injector:IN)의 유입구에 연결한다.주입기의 배출구를 PVC

nipple (PN)를 경유하여 PVC T자 (TE)에 연결한다.Reducing bushing

(RB1)을 사용하여 압력계 (pressuregauge:PG)를 PVCT자 의 꼭 기 부분과

연결한다.Reducingadaptor(RA)다른 하나는 PVCT자 의 남은 연결부 에

부착한다.Reducingadaptor에는 malequickconnect(MQ1)를 부착한다2).

3.1.5.7이 주입기 (doubleinjector)모듈 :그림 2와 같이 순서 로 각 부

품을 조립한다.Reducingadaptor(RA)에 femalequickconnect(FQ2)를 부착

함으로써 심부분을 조립한다.Adaptor는 PVC T자 (TE)의 상부 연결부에

연결한다.PVCT자 연결부 하나에 maleelbow (ME)를 부착한다.다른 연

결부에는 reducingnipple(RN2)하나를 부착한다.만약 quickconnects 신에

unionballjoint를 사용할 경우에는 PVCnipple을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에 부착

한다.주입기 (IN)의 유입구 방향을 maleelbow에 연결한다.주입기의 배출구에

도 maleelbow 하나를 부착한다.Maleelbow에는 새 PVCT자 을 연결한다.

Reducingnipple(RN2 는 PVCnipple)을 이 두 번째 PVCT자 의 다른 한

쪽 끝에 연결한다.마찬가지로 male quick connect (MQ2) 하나를 의

reducingnipple에 부착한다 ( 는 두 번째 unionballjoint의 한 부분을 PVC

nipple에 부착한다).두 번째 PVCT자 의 topconnector를 PVCnipple을 이용

하여 세 번째 PVCT자 에 연결한다.Reducingbushing(RB1)을 사용하여 압

력계를 세 번째 PVC T자 의 머리 부분에 연결한다.Reducingadaptor는 세

번째 PVC T자 의 남은 connector에 부착한다.Reducing adaptor에 male

quickconnect를 부착한다.두 개의 maleelbow (ME)를 두 번째 주입기의 유입

구와 배출구에 각각 부착한다.두 개의 reducingbushings(RB2)( 는 union

balljoint를 사용할 경우,바닥부분)를 maleelbow에 연결한다.각 reducing

bushing에 femalequickconnect(FQ1)를 연결한다.흐름의 방향이 첫 번째 주

입기와 동일하도록 두 번째 주입기의 치를 조정한다 (주입기상의 화살표가 모

두 조립품의 압력계 방향을 향해야 한다).조립품의 완성을 해 2개의 female

1) 합 는 염 균 독하고 미리 균 독 폴리프 필 필 트리지 무균 하

여 하우징에 착한다. 양 말단 균 알루미늄 는다. 필 듈 사 지

한 에 보 한다.

2) 단 주 듈 염 균한다. 주 개 포함, 각 말단 균 알루미늄

씌운다. 주 연결 (Injector Tubing: IT) 안쪽 쪽 균한다. 에

염시키지 않고도 양 말단 떼어낼 도 연결 균 플라 틱 주 니 랩 싼다. 주

듈 사 지 한 에 보 한다.

Page 21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1 -

quickconnects를 주요 부분의 malequickconnects와 연결하거나 는 union

balljoint를 사용할 경우,unionballjoints의 두 부분을 연결한다.

3.2시료 처리과정 (원수,정수 지하수)

3.2.1바이러스 탈리과정

3.2.1.1압력계가 장치된 양압 (positivepressure)의 공기 혹은 질소

(압력원 (pressuresource)이 실험실의 공기 호스나 펌 라면,반드시 오일필터

나 공기필터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3.2.1.25-20L용량 압력용기 (dispensingpressurevessels)

3.2.1.3복합 극을 사용하는 pH 측정기 :최소 0.1pH단 의 정 도

3.2.1.4나사형 클램 가 달린 멸균 가능한 압력호스 (inner-braidedtubing)

3.2.1.5교반기 (magneticstirrer)와 교반막 (magneticstirbar)

3.2.2유기응집 농축과정

3.2.2.1냉장이 가능한 원심분리기 (2,500-10,000xg)

3.2.2.2나사형 뚜껑이 부착된 원심분리용 용기 (100-1000mL용량)

3.2.2.3 필터가 장착된 1회용 Acrodisc멸균용 필터 (0.22μm)3)

(필터를 사용하기 직 에는 항상 pH 7.0-7.5의 쇠고기엑스 완충액 10-20

mL를 여과시킨다.이 과정은 시료를 여과하는 사이에 필터에 바이러스가 흡착

되는 것을 방지한다.)

3) 매 필 가 막 도 시료는 균 필 많 겹쳐 여과에 사 할 다. 0.22 μm 필

(Millipore Corp. Product No. GSWP 4700) 리 필 (fiber glass prefilter:

Millipore Corp. AP15 4700 과 AP20 4700) 여러 겹쳐 균 필 묶 만든다. 쪽

에 AP20 단계필 , 아래쪽엔 0.22 μm 필 가 도 크필 (Millipore Corp.

Product No. SX00 4700)에 는다. 필 묶 각각 사 에는 해체하여 0.22 μm 필 에

상 없는지 검사한다. 필 에 거 필 여과한 지는 새 운 필 재여과

한다.

Page 21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2 -

3.3시료 처리과정 (하수)

3.3.1원심분리기 (1,900xg로 작동 가능한 기기)

3.3.2원심분리기용 용기와 튜

3.3.3비커 (100mL 는 그 이상)

3.3.4pH 측정기

3.3.5교반기 (magneticstirrer)와 교반막 (magneticstirbar) 는 체

혼합 기기

3.3.6피펫 (1,5,10mL)

3.3.7실험실용 울

3.4총 배양성 바이러스 분석과정

3.4.1무균작업 (LaminarFlow MicrobiologicalSafetyCabinet)

3.4.2CO2배양기 (36.5±1℃)

3.4.3피펫

3.4.4 자기구, 이 스 ( 장용기들은 폐가 가능한 뚜껑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3.4.5원반형 필터(discfilter)홀더 :142mm 혹은 293mm 반경의 원반형 필터

홀더 (양압형 필터 홀더)

3.4.6멸균용 필터묶음 :0.22μm 미세공 필터 (MilliporeProductNo.GSWP

14250과 GSWP29325나 동등제품).유리섬유 필터 (prefilter)(Millipore

AP1514250혹은 AP1529325,그리고 AP2014250혹은 AP2029325)4).

4) AP20 AP15 필 0.22 μm 균 필 크 필 에 는다. 가 쪽에는

Page 22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3 -

3.4.7양 하 카트리지 필터 :10인치 (ZetaPlusTSM,CunoProductNo.

45134-01-600P나 동등 제품).10인치 카트리지의 어 터가 있는 카트리지 틀.

3.4.8배양용 캡슐 (culturecapsule)필터

3.4.9세포배양 용기 : 이 스,소다 혹은 린트 (납)유리, 라스틱 용기와

라스크,롤러 병 (용기들은 투명한 유리나 라스틱으로 만들어져 배양액을

바깥쪽에서 찰할 수 있어야 하며 폐가 가능한 뚜껑이 있어야 한다. 라스

틱 용기는 세포들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제조당시 한 처리가 된 것이어야 한

다.)

3.4.10검은 고무 라이 (liner)가 있는 나사형 뚜껑

3.4.11롤러 기구 ( 장용 배양세포의 유지를 해 롤러 병이 사용될 때만 필요

하다.)

3.4.12항온수조 (56±1℃로 고정)

3.4.13 학 미경,40X,100X,400X배율 즈

3.4.14도립 학 미경,40X,100X,400X배율 즈

3.4.15세포계수기 (hemocytometer)

3.4.16원뿔형 (conical)원심분리용 튜 :50mL,250mL용량

3.4.17조직배양용 튜 걸이 (rack)

3.4.18튜 를 연결할 수 있는 배출구가 있는 흡입기 타입의 병 :2,000mL용량

( 이펫 기계를 사용하기 한 것)

3.4.19 장용 바이얼 (vials):2mL용량 (-70℃에서 견딜 수 있는 것)

AP20 필 , 가 아래쪽에는 0.22 μm 균 필 는다. 사 후에는 항상 필 묶

해체하여 0.22 μm 균 필 가 한지 한다. 필 여과 양액 다 필

다시 여과한다.

Page 22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4 -

3.5유 자 분석과정

3.5.1핵산 추출 과정

3.5.1.1RNA 추출 키트 :QIAamp®ViralRNA MiniKit(QIAGEN Catalog

No.52906이나 동등 제품

3.5.1.2DNA 추출 키트 :QIAamp®DNA MiniKit(QIAGEN CatalogNo.

51306이나 동등 제품

3.5.1.3미량원심분리기

3.5.1.4항온수조 (56±1℃로 고정)

3.5.2역 사 합효소 연쇄반응 (RT-PCR,Reversetranscription-PCR)

3.5.2.1PCR최 화 기기

3.5.2.2 기 동 기기

3.5.3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 (Real-timePCR)

3.5.3.1실시간 PCR최 화 기기

4.0시약 표 용액

4.1시약

4.1.1시료채취과정

4.1.1.12% 치오황산나트륨 (sodium thiosulfate:Na2S2O3)용액 :치오황산

나트륨 100 g을 증류수에 녹여 최종 으로 5000 mL의 장용액 (stock

solution)을 제조하고 121℃에서 30분간 고압증기멸균한다.

4.1.1.2염산 (HCl)용액 :0.1,1,그리고 5M의 염산용액을 각각 5L,1L,그

Page 22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5 -

리고 100mL만든다.용액은 물 시료의 pH를 조정하는데 사용하며 어도 사

용하기 24시간 이 에 비한다.

4.1.2시료 처리과정 (원수,정수 지하수)

4.1.2.1수산화나트륨 (NaOH)용액 :각각 4g과 20g의 수산화나트륨을 최종

부피 100mL의 증류수에 녹여 1M 5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비한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은 상온에서 수개월 동안 보 할 수 있다.

4.1.2.2쇠고기엑스 완충액 :쇠고기엑스 V 분말 (DifcoLaboratoriesProduct

No.0115-17이나 동 제품)30g과 리신 (glycin)7.5g( 리신의 최종농도

=0.05M)을 1.9L의 증류수에 녹여 1.5% 의 쇠고기엑스 완충액을 비한다.1

M 혹은 5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9.5로 맞춘 다음,증류수로

최종 부피 2L가 되도록 조 한다.121℃에서 15분간 고압증기 멸균하여 실온

에서 사용한다.쇠고기엑스 용액은 4℃에서 일주일간 혹은 -20℃에서 장기간

동안 보 할 수 있다.5)

4.1.2.3인산1수소나트륨,7수화물 (Sodium phosphate,dibasic(Na2HPO4․

7H2O)-0.15M :40.2g의 인산1수소나트륨을 최종 부피 1,000mL의 증류수에

녹인 다음,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9.0-9.5사이로 조 하고,121

℃에서 15 분간 고압증기 멸균한다.

4.1.3시료 처리과정 (하수)

4.1.3.1염산 (HCl)용액 :0.1과 1.0N

4.1.3.2수산화나트륨 (NaOH)용액 :0.1과 1.0N

4.1.3.3탄산나트륨 (Na2CO3)용액 :4N

4.1.3.4염화알루미늄 (AlCl3)용액 :0.075N

5) 새 들여 는 쇠고 엑 V 말 과 에 사 하 에 러 에

한지 다 검사한다. ① 1 L 쇠고 엑 에 200 PFU/mL 도 리

시료 1 mL 어 에 집 과 양 러 해본다. ②

지 않 시료 1:5, 1:25 시료 각각 양 과 함께 한다. ③ 3

행했 폴리 러 평균 50% 에 도달해야 한다.

Page 22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6 -

4.1.3.5염화나트륨 (NaCl)용액 :0.14N

4.1.3.6쇠고기엑스 완충액 :쇠고기엑스 V 분말 (DifcoLaboratoriesProduct

No.0115-17이나 동 제품)2.4g을 90mL의 증류수에 녹여 3% 의 쇠고기엑

스 완충액을 비한다.0.1N 혹은 1.0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7.4로 맞춘 다음,증류수로 최종 부피 100mL가 되도록 조 한다.121℃에서

15분간 고압증기 멸균하여 실온에서 사용한다.쇠고기엑스 용액은 4℃에서 일

주일간 혹은 -20℃에서 장기간동안 보 할 수 있다.

4.1.3.7항생제 :다음 둘 하나를 사용

① 10x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mL당 5,000IU의

페니실린과 5,000μg의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다.상업 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사용하거나 페니실린-지 나트륨 (sodium penicillin-G) 는 페니실린-지

칼륨 (potassium penicillin-G)과 황산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sulfate)을

증류수에 섞어서 0.22μm 필터로 여과 멸균하여 만든다.만든 항생제는 냉동 보

한다.

② 100x겐타마이신-카나마이신 (gentamycin-kanamycin):mL당 각각 5,000

μg의 겐타마이신 (염기)과 카나마이신 (염기)을 포함한다.상업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균 겐타마이신과 카나마이신 용액 (각각 10,000μg/mL)을 무균 으로 혼

합하여 만들거나 황산 겐타마이신 (gentamycin sulfate)과 황산 카나마이신

(kanamycinsulfate)을 증류수에 섞어서 0.22μm 필터로 여과 멸균하여 만든다.

만든 항생제는 냉장 는 냉동 보 한다.

4.1.3.8 폴리옥시에틸 솔비탄 모노올 이트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증류수에 넣어서 0.1% (v/v)로 만든다.

4.1.4총 배양성 바이러스 분석과정

제조업체에 의해 명시된 시약의 보 조건과 배양액의 만료기일을 엄격하게 지

켜야 한다.

4.1.4.1EDTA-트립신 (trypsin)용액 (10L)

30g의 트립신 (1:250)혹은 25g의 트립신 (1:300)을 6L용량의 라스크에 담

긴 2L의 증류수에 넣고 교반막 (magneticstirbar)를 넣는다. 라스크를 교

반기 (magneticstirrer) 에 놓고 트립신 용액을 빠르게 최소한 1시간 동안

Page 22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7 -

섞는다.이때 트립신 용액은 계속 불투명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20L용량의

투명한 내산성 (acid-resistant) 라스틱 용기에 교반막 를 넣고 4L의 증류수

를 넣는다. 라스틱 용기를 교반기 에 놓고 회오리를 일으킬 속도로 으면

서 다음의 시약을 첨가한다:80g염화나트륨 (NaCl),12.5gEDTA,50g포도

당 (dexstrose),11.5g인산1수소나트륨․7수화물 (Na2HPO4․7H2O),2.0g염화

칼륨 (KCl),2.0g인산2수소칼륨 (KH2PO4).각각의 시약들은 다음 시약을 넣기

에 완 히 녹여야 할 필요는 없다. 라스틱 용기에 4L의 증류수를 더 첨가

하고 모든 시약들이 완 히 녹을 때까지 섞는다. 의 트립신 용액 2L를 라

스틱 용기의 용액에 첨가하고 최소한 1시간 동안 어 다.EDTA-트립신 용

액의 pH를 7.5~7.7로 맞춘다.필터묶음을 사용하여 용액을 여과하고 단단히

폐하여 4℃에 보 한다.

4.1.4.2MEM/L-15배지 (10L)

Hanks'salts와 L- 루타민이 포함된 Eagle's minimum essentialmedium

(MEM).단,탄산수소나트륨 (sodium bicarbonate,NaHCO3)는 포함되지 않은

것 (LifeTechnologiesProductNo.410-1200이나 동등 제품)을 사용한다.

L- 루타민이 포함된 Leibovitz'sL-15medium (LifeTechnologiesProduct

No.430-1300이나 동등 제품).20L용량의 라스틱 용기에 교반막 와 4L의

증류수를 넣는다. 라스틱 용기를 교반기 에 놓고 회오리를 일으킬 속도로

으면서 5L단 의 L-15배양액 내용물을 첨가한다.배양액이 들어있던 용기

를 200mL의 증류수로 3번 세척하고 세척한 증류수도 라스틱 용기에 부어 넣

는다.배양액이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젓는다 (L-15배양액은 불균일하게 보

일 수도 있으나 완 히 녹여야 할 필요는 없다). 의 라스틱 용기에 3L의

증류수를 넣고 5L단 의 MEM 배양액 내용물을 첨가한다.배양액이 들어있던

용기를 200mL의 증류수로 3번 세척하고 세척한 증류수도 용기에 부어 넣는다.

800mL의 증류수와 7.5g의 탄산수소나트륨 (NaHCO3)을 넣고 60분간 더 섞어

다.MEM/L-15배양액을 압력용기에 옮겨 담고 양압 (positivepressure)을 사

용하여 0.22μm 필터로 여과한다.여과된 배양액을 BGM 세포 배양에 한

부피로 나 어 담고 (즉,1L용량의 배양액 용기에 900mL씩 담는다),뚜껑으

로 단단히 폐시켜 4℃에서 최 2개월 동안 보 한다.

4.1.4.3트리 블루 (Trypanblue)용액 (100mL)6)

6) 시약 살아 는 BGM 포 직 계 하는 사 다. 트리 블루 하고

사 하는 어 피 에 닿거 하지 않도 주 한다 ( 물질 미 경보 청 암

물질 후보 리 트에 등재 어 다). 사 시에 고무 갑 는 것 다.

Page 22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8 -

0.5g의 트리 블루를 250mL 라스크에 담긴 100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완 히 용해될 때까지 흔들어 다. 용액을 121℃에서 15분간 고압증기멸균

한다.나사형 뚜껑이 있는 용기에 담아 실온에 보 한다.

4.1.4.4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장용액 [100mL:100,000units/mL페니실

린 (penicillin)과 100,000μg/mL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10,000,000U(units)의 페니실린 G와 10g의 streptomycinsulfate를 250mL

라스크에 담긴 100mL의 증류수에 섞는다.항생제가 완 히 용해될 때까지 교

반기로 어 다.항생제를 0.22μm 필터로 여과하여 멸균한 다음,나사형 뚜껑

이 딸린 용기에 10mL씩 담는다.

4.1.4.5테트라싸이클린 (tetracycline) 장용액 (50mL)

1.25g의 tetracyclinehydrochloride와 3.75g의 아스코빅산 (ascorbicacid)을 50

mL의 증류수가 담긴 125mL용량의 라스크에 넣는다.항생제가 완 히 용해

될 때까지 교반기로 섞는다.항생제를 0.22μm 필터로 여과하여 멸균한 다음,

나사형 뚜껑이 딸린 용기에 5mL씩 담는다.

4.1.4.6암포테리신 B (AmphotericinB,푸지존 (fungizone)) 장용액 (25

mL)

0.125g의 암포테리신 B (푸지존),페니실린 G를 25mL의 증류수가 담긴 50

mL용량의 라스크에 넣는다.항생제가 완 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기로 섞는

다.항생제를 0.22μm 필터로 여과하여 멸균한 다음,나사형 뚜껑이 딸린 용기

에 2.5mL씩 나 어 담는다.

4.1.4.7성장용 배양액 (growthmedium)

MEM/L-15배양액에 10% 소태아 청 (fetalcalfserum)7)과 항생제를 첨가하

7) 포 양액에 첨가하는 청 는 균 태아 (fetal calf), 역 린 거 신생아

(gammaglobulin-free newborn calf), 철 보강 아지 청 사 하 러

리 지 (bacteriophage), 마 코플라 마 (mycoplasma) 등에 한 염 없는 등

것 어야 한다. 청 각 트 (lot)는 하 에 포 과 포독 에 해 검사한다.

청 -20 ℃에 간 보 할 단 청 후에는, 병째 56±1 ℃ 항

에 30 간 (heat- inactivation)시켜 단 간만 4 ℃에 보 한다.

Page 22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09 -

여 제조한다 (100mL의 청,1mL의 장용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0.5

mL의 장용 테트라싸이클린, 0.2 mL의 장용 푸지존을 900 mL의

MEM/L-15배양액에 첨가한다).

4.1.4.8유지용 배양액 (maintenancemedium)

MEM/L-15배양액에 항생제와 함께 2% 혹은 5% 소태아 청을 첨가하여 제조

한다(20혹은 50mL의 청,성장용 배양액와 동일한 양의 항생제들,80혹은

50mL의 증류수를 첨가한다).세포변성의 찰 실험에서는 2%의 청을 첨가한

유지용 배지를 사용한다.성장용 (growth) 유지용 (maintenance)배양액은

사용하는 날에 제조되어야 한다.

4.1.5세포독성물질의 최소화과정

4.1.5.1세척액 (washingsolution)

8.5gNaCl을 980mL의 증류수에 녹인다.이 용액을 고압증기 멸균하고 상온으

로 식힌 후 20mL의 소태아 청을 첨가하여 혼합한다.세척액은 4℃에 3개월

동안 보 이 가능하며 -20℃에서는 장기간의 보 이 가능하다.

4.1.6유 자 분석과정

4.1.6.1에탄올 (96-100%)

4.1.6.2Polydeoxyadenylicacid:SigmaCatalogNo.P0887이나 동등제품

4.1.6.3역 사 반응 시약

4.1.6.4 합효소 연쇄반응 시약

4.1.6.5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 시약

5.0시료채취 리

5.1시료 채취방법 (원수,정수 지하수)

Page 22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0 -

채수자는 반드시 멸균된 수술용 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시료가 바이러스에 오염

될 수 있는 조건을 피해야한다.장갑을 착용한 손이 사람의 피부나 오염되었을

수 있는 부품에 닿았을 경우 새 장갑으로 바꿔 착용해야 한다.

5.1.1채취할 수도꼭지 는 양수펌 의 배출구를 열고 2-3분 혹은 꼭지를 통

해 나오는 물에서 꺼기가 없어지거나 탁도가 균일해질 때까지 흘려보낸 후 꼭

지를 잠근다.

5.1.2불꽃버 를 이용하여 수도꼭지나 배출구 부 를 가열하여 멸균한다.

5.1.3새 수술장갑을 끼고 조 기 모듈의 backflow 쪽 알루미늄 호일을 제거한

다음 수도꼭지 는 배출구에 다음의 순서 로 연결한다.

수도꼭지 -조 기 모듈 -배출기 모듈 -1L용량 라스틱 병

5.1.4수도꼭지를 천천히 열어 수압이 30PSI정도가 되도록 한다.만일 최고

수압이 30PSI를 넘지 못하면 압력조 기 (pressureregulator)를 최 압력까지

조 한다.

5.1.5이후 약 20gal(76L)정도의 물을 흘려보낸 후 시료채취기록부 (Sample

DataSheet)에 시료번호,채취 치,채취자의 이름 등을 기록하고 라스틱 병에

담긴 물시료의 pH,온도,탁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5.1.6수도꼭지를 잠그고 시료가 다음의 조건에 해당되어 부가장치의 연결이 필

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연결한다.

5.1.6.1원수시료의 채취에서 부가장치가 필요한 조건과 설치

◦ pH가 8이상일 때

-단일주입기 모듈을 조 기 모듈과 배출기 모듈 사이에 연결한다.

-멸균된 매스실린더에 0.1M 염산 용액을 채우고 단일주입기 모듈에 연결된

튜 의 말단을 염산 용액에 담근다.

-수도꼭지를 열고 단일주입기의 우회수로 (waterbypass)나사 (상단의 큰 나

사)를 이용하여 주입기의 압력을 조 기 압력보다 35% 낮게 조정한다 ( , 만

일 조 기의 압력이 30PSI일 때 주입기의 압력은 <19PSI).

-1L용량 라스틱 병에 담긴 물시료의 pH를 지속 으로 측정하면서 주입기

의 미세조 나사 (finemeteringadjustmentscrew)를 조정해 시료가 pH6.5-7.5

Page 22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1 -

로 유지되도록 염산 용액의 유입을 조정하고 변화가 없으면 우회수로나사를 고

정한다.

-주기 으로 시료의 pH가 6.5-7.5의 범 이내인지 확인하고 바이러스시료채취

기록부에 pH를 기록한 다음 수도꼭지를 잠근다.

◦ 탁도가 75NTU이상일 때

- 필터 모듈을 다음의 순서 로 장착한다.

조 기 모듈 - 필터 모듈 -필터 모듈 -배출기 모듈

5.1.6.2정수 지하수시료의 채취에서 부가장치가 필요한 조건과 설치

◦ pH가 8이상일 때

-pH 조 과 잔류염소의 제거를 해 이 주입기 모듈을 다음의 순서 로 연결

한다.

조 기 모듈 -이 주입기 모듈 -배출기 모듈

-연결 후 수도꼭지를 열어놓은 상태로 각 주입기의 우회수로나사를 시계방향

으로 끝까지 돌려 완 히 닫는다.

-나사를 시계반 방향으로 반 바퀴씩 돌리면서 이 주입기의 압력이 조 기

압력보다 35% 낮도록 조 한다.

-멸균된 튜 로 주입기와 0.1M 염산 용액이 담긴 매스실린더를 연결하고,1

리터 라스틱 병에 담긴 물시료의 pH가 6.5-7.5가 되도록 조 한 후 pH를 시

료채취기록부에 기록한다.

-이 주입기의 나머지 한쪽 튜 는 2% 치오황산나트륨용액이 담긴 다른 매스

실린더에 넣고 2% 치오황산나트륨 용액을 물 1갤런 당 10mL가 주입되도록 다

음 식을 이용하여 주입율을 조정하고 으로 계속 감시한다.

water thiosulfate

flow∙ℓmin

×10mℓ thiosulfate

ℓ water= injection∙

mℓmin

rate rate

◦ pH가 8이하일 때

잔류염소 제거를 해 단일주입기를 연결하여 와 같이 물 1gal당 2% 치오

황산나트륨 용액 10mL가 주입되도록 한다

5.1.7바이러스시료채취기록부에 시료채취일,시작 시간,유량계의 처음수치를

기록한다.

Page 22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2 -

5.1.8필터하우징 모듈의 알루미늄 호일을 벗겨내고 배출기 모듈 앞에 연결한다.

조 기 모듈 - 필터 혹은 주입기 모듈 -필터하우징 모듈 -배출기

모듈

5.1.9천천히 물을 흐르게 하면서 필터하우징 상단의 감압단추 (ventbutton)을

러 필터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완 히 빠지도록 한 후 감압단추를 놓고 수도꼭

지를 완 히 연다.

5.1.10조 기의 압력은 30PSI이하,주입기의 압력은 조 기 압력보다 35%

낮게 조정하고 원수는 200-300L,처리수는 1500-1800L를 통과시킨 후 수도꼭

지를 잠근다.

5.1.11바이러스시료채취기록부에 시료채취 종료일,종료 시간,유량계의 최종

수치를 기록한다.주입된 염산용액 치오황산나트륨 용액의 양이 체 채취량

에는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시료채취과정 동안 시료에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지 지속 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필터가 막히거나 염산 치오황

산나트륨 용액 등의 첨가로 인해 흐름이 변화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5.1.12새 수술장갑을 끼고 수도꼭지로부터 시료채취기구를 떼어낸다.

5.1.13시료채취기구로부터 필터 모듈을 분리한다.필터하우징을 거꾸로 뒤집어

남은 물을 버린 후 바로 세워서 필터하우징과 연결된 양끝의 개구부를 멸균된

알루미늄 호일로 싼다. 필터 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취 한다.

5.1.14필터하우징을 라스틱 백에 넣어 아이스박스에 담고 아이스팩으로 덮어

냉장상태 (냉동되어서는 안된다)로 만들어 후 즉시 바이러스 분석실험실로

보낸다.

5.2시료 채취방법 (하수)

채수자는 반드시 멸균된 수술용 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시료가 바이러스에 오염

될 수 있는 조건을 피해야한다.장갑을 착용한 손이 사람의 피부나 오염되었을

수 있는 부품에 닿았을 경우 새 장갑으로 바꿔 착용해야 한다.

5.2.1하수 시료는 무균 채수병에 필요한 양을 넣어서 아이스박스에 담고 아이

스팩으로 덮어 냉장상태로 만들어 후 즉시 바이러스 분석실험실로 보낸다.

Page 23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3 -

5.2.2채취된 시료는 가능한 빨리 처리해야 한다.시료는 25℃에서 2시간 이상

는 2-10℃에서 48시간 이상 방치하면 안된다.48시간 이내에 처리할 수 있

으면 시료를 냉동시키지 않도록 한다.그 지 않으면 -70℃ 는 그 이하의 온

도에서 냉동하여 보 하도록 한다.

6.0QA/QC

6.1시료채취 과정의 QA/QC

6.2시료분석 과정의 QA/QC

7.0분석 차

7.1시료의 처리 과정 (원수,정수 지하수)

7.1.1내부정도 리 수행평가 시료

내부정도 리시료는 음성정도 리시료 1개와 양성정도 리시료 1개로 구성되어 연

2회 이상의 자체 인 정도 리에 사용되며, 그 자료를 보 한다. 수행평가

(performanceevaluation:PE)시료는 바이러스 분석기 지정신청과 지정 후 사후

리 시에 분석된다.

7.1.1.1내부 정도 리시료

① 음성정도 리시료:표 필터장치에 멸균된 1MDS필터 카트리지를 장착한다.

② 양성정도 리시료:멸균된 폴리 로필 용기에 증류수 40리터를 넣고 약 200

PFU/mL 농도의 약독화 폴리오바이러스 정도 리용 장용액 1mL를 첨가한다.

잘 섞은 물을 펌 를 이용하여 1MDS필터가 들어 있는 표 필터장치를 통과시킨

다.

다음에 설명된 ‘탈리’,‘유기응집’ ‘총 배양성 바이러스분석법’에 따라 1MDS필터

를 처리 분석한다.

7.1.1.2수행평가시료

역가를 밝히지 않은 약독화 폴리오바이러스를 1MDS필터카트리지에 심어 제공되

는 수행평가시료는 본 실험서에 기술된 탈리,유기응집,총 배양성 바이러스분석법

Page 23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4 -

시료와 함께 공지된 사항에 따라서 처리 분석한다.

7.1.2바이러스 탈리과정

필터카트리지는 냉장된 상태로 분석실험실에 도착하여야 하며 냉동되어서는 안된

다.도착조건은 시료채취기록부에 기록되어야 한다.냉장된 상태로 도착한 필터는

시료채취 시작시간으로부터 72시간 이내에 탈리과정을 시작해야 한다.

7.1.2.11MDS필터가 들어 있는 필터하우징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튜 로 연결하고

유입구는 공기나 질소압력원에,배출구는 멸균된 폴리 로필 는 유리 비이커에

다음의 순서 로 각각 연결한다.

2L용량 비이커 -튜 -(배출구)필터하우징 (유입구)-튜 -(배출

구)멸균된 압력용기 (유입구)-오일필터가 장착된 튜 -압력원 (양압)

7.1.2.2 당한 압력을 주어 필터하우징 내부의 남은 물을 완 히 제거한 다음 필터

하우징의 감압밸 (vent/reliefvalve)를 열어 압력을 풀어 다.

7.1.2.3압력용기의 뚜껑을 열고 미리 데운 1.5% 쇠고기엑스 완충액 (pH 9.5)1L

를 넣고 뚜껑을 닫은 후 감압밸 를 닫는다8).

7.1.2.4필터하우징의 감압단추 (ventbutton)를 른 상태로 천천히 압력을 가하여

필터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빼내면서 쇠고기엑스 완충액이 필터하우징 내에 완 히

차도록 한 다음 감압단추를 통해 용액이 넘쳐 흘러나오기 시작하면 감압단추에서

손을 뗀다.필터하우징의 감압단추를 조작할 때와 흘러넘친 쇠고기엑스 완충액을

닦을 때는 수술 장갑을 착용하고 소독용 요오드가제를 사용한다.

7.1.2.5압력을 끄고 1분간 기다려 1MDS필터에 완충액을 충분히 시킨다.

7.1.2.6다시 한 압력을 주어 완충액이 서서히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고 통과한

완충액은 멸균된 비이커에 수집한다.압력용기의 배출구 튜 를 통해 공기가 필터

하우징에 유입되기 시작하면 필터하우징을 들어 올려 뒤집어서 쇠고기엑스 완충액

이 완 히 빠지도록 한다.

7.1.2.7 비이커에 수집된 쇠고기엑스 완충액을 압력용기에 다시 옮겨 담고

8) 압 사 하는 신, ① 균 브가 착 연동 프 (peristaltic pump) 사 하여 쇠고 엑

액 트리지 하우징 어 거 는, ② 필 하우징 (하우징 내벽과 필 트리지 사

공간)에 직 어 후 양압 하여 액 필 통과하도 해도 무 하다.

Page 23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5 -

7.1.2.3-7.1.2.6단계의 과정을 반복한다.

7.1.2.81M 염산 용액으로 최종 탈리용액의 pH를 7.0-7.5사이로 조 하고 부피를

기록한다.

① 기록보 용 시료를 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피를 측정하여 바이러스시료채취

기록부의 EVR(EluatedVolumeRecovered)에 기록한다.

ATSV=EVR

(*보정된 시료량 (ATSV=AdjustedTotalSampleVolume))

② 기록보 용으로 EVRx0.1의 부피를 제하여 별도의 용기에 넣고 VEA (volume

ofeluatearchived)으로 기록한 후 -70℃에 냉동시켜 책임분석자가 리하는 실험

실에 보 한다 (보 기한은 시료의 바이러스 분석이 끝난 후 1년으로 한다).

ATSV=EVRx0.9

탈리된 시료는 유기응집 (organicflocculation)단계까지 4℃에서 24시간까지 보

할 수 있으며 는 유기응집을 즉시 시행하기 어려울 때에는 -70℃에서 장기간

의 보 이 가능하다.냉동된 시료는 37℃에서 빠르게 해동시킨다.

7.1.3유기응집 농축과정

다음의 제반 과정에서 용액을 젓거나 섞을 때 필요이상으로 어 거품이 생기지 않

도록 한다 (바이러스를 불활성화 (inactivation)시킬 가능성이 있다).

7.1.3.1쇠고기엑스 탈리액이 담긴 비이커에 교반막 를 넣고 교반기로 잘 섞는다.

7.1.3.2쇠고기엑스 탈리액에 pH 극을 담그고 1M 염산 용액으로 서서히 pH를

3.5±0.1로 맞춘 다음 30분 이상 천천히 섞는다.침 물이 생성될 것이다.만약 pH

가 3.4이하로 떨어지면,1M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3.5±0.1을 유지시킨다.어떤

종류의 바이러스는 pH3.4이하에서 불활성화될 수도 있다.pH 측정기는 pH 4와 7

에서 표 화되어 있어야 한다. 극은 각 측정 후에 미리 멸균되어야 한다.

7.1.3.3침 물이 생기면 쇠고기엑스 탈리액을 원심분리용 용기에 옮겨 담아 원심분

리한다.(2,500xg,15분,4℃)

7.1.3.4원심분리 후,상층액을 따라버린 다음 원심분리용 용기에 교반막 를 넣어

바닥의 침 물을 0.15M 인산1수소나트륨용액 30mL(pH 9.0-9.5)로 녹여 완 히

재부유시킨다.쇠고기엑스 탈리액을 나 어 원심분리한 경우,재부유하여 합친 총부

Page 23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6 -

피가 30mL가 넘지 않도록 한다.침 물이 잘 녹지 않으면 pH7.0-7.5의 인산1수소

나트륨으로 먼 완 히 녹인 후 다시 pH를 9.0-9.5로 조정하고 다음 단계로 들어

가기 10분 정도 방치한다.

7.1.3.5교반막 를 꺼내고 재부유된 용액을 다시 원심분리한다.

(4,000-10,000xg,10분,4℃)

7.1.3.6침 물은 버리고 상층액을 모아 pH를 7.0-7.5로 맞춘다.

7.1.3.7미생물오염을 방지하기 해 50mL주사기를 이용하여 상층액을 멸균용 필

터로 여과한다.사 에 10-20mL의 1.5% 쇠고기엑스 완충액 (pH7.0-7.5)을 멸균용

필터에 통과시켜 시료 의 바이러스가 필터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7.1.3.8최종농축시료량 (FCSV =finalconcentratedsamplevolume)을 바이러스분

석시료 처리기록부에 기록하고 원분석량 (D =volumeoforiginalwatersample

assayed;원수 =100L,정수 지하수 =1000L)을 바이러스 분석시료 처리 기

록부에 기록하여 분석시료량 (S=assaysamplevolume)을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분석시료량 (S)은 원수 100L,정수 지하수 1000L를 표하는 최종농축 시료량

이다.

S=D

ATSV×FCSV

7.1.3.9최종농축시료의 분할시료 (subsample)는 다음과 같이 비한다.

① 제1분할시료 (subsample1)를 분석시료량의 0.55배로 비한다.

② 제2분할시료 (subsample2)를 분석시료량의 0.67배로 비한다.

③ 내부정도 리시료와 수행평가시료는 각각 동일한 양을 2개로 나 어 비한다

(S=FCSVx0.4).

시료가 24시간 이내에 분석에 사용될 경우는 4℃에 보 하고 나머지는 분석 까

지 -70℃에 보 한다.

7.2시료의 처리 과정 (하수)

7.2.1흡착에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 (Al(OH)3)침 물 비과정

7.2.1.10.075N 염화알루미늄 용액 100mL에 4N 탄산나트륨 용액 3mL를 침

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천천히 첨가한 후,pH를 7.2로 조정한다.

Page 23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7 -

7.2.1.2혼합물을 15분 동안 계속해서 섞어주면서 pH를 7.2로 유지하는데 필요할

경우 탄산나트륨을 더 첨가한다.

7.2.1.3침 물을 1,100x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린다.

7.2.1.4침 물을 0.14N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재 탁한 후,다시 원심분리하여 상

층액을 버린다.

7.2.1.5침 물을 0.14N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재 탁한 후,121℃에서 15분간 고

압증기멸균한다.

7.2.1.6멸균된 혼합물을 식힌 다음,다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린다.

7.2.1.7수산화알루미늄 침 물을 멸균된 0.14N 염화나트륨 용액 50mL로 재 탁

하여 4℃에 보 한다.

7.2.2수산화알루미늄 (Al(OH)3)흡착-침 을 이용한 바이러스 농축과정

바이러스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료를 필터 (prefilter)처리하지 않는

다.

7.2.2.1처리를 원하는 시료와 그 시료 부피의 1/100에 해당하는 부피의 수산화

알루미늄 탁액을 첨가한다 ( :시료 1L에 수산화알루미늄 탁액 10mL첨

가).

7.2.2.2바이러스 흡착이 되도록 혼합물을 4-10℃에서 2시간 동안 천천히 섞

는다.

7.2.2.3혼합물을 1,700xg로 15-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린다.

7.2.2.4원래 시료 부피의 1/1000에서 1/20에 해당하는 부피의 3% 쇠고기엑스

완충액 (pH 7.4)을 첨가하여 재 탁한다 ( :시료 1L에 3% 쇠고기엑스 완충

액 1-50mL첨가).

7.2.2.5수산화알루미늄 쇠고기엑스 탁액을 강하게 섞어주고,필요시 0.1N염

산이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4로 조정한다.

Page 23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8 -

7.2.2.6 탁액을 10분간 섞어 후,1,9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

액은 버린다.

7.2.2.7원래 시료 부피의 1/10에 해당하는 부피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

액이나 원래 시료 부피의 1/100에 해당하는 부피의 겐타마이신-카나마이신 용액

을 첨가한 후,4℃ 는 -70℃에 보 한다.

7.3총 배양성 바이러스 분석과정

7.3.1시료 종 세포변성 (cytopathiceffect:CPE)의 발생

BGM 세포를 분양 받아 계 수 117-250사이에서 사용하도록 한다.최고의 민

감도를 유지하기 해 세포를 배양용기에 심은 후 3-6일이 지난 세포를 사용

한다 (싱싱한 세포의 80-90%가 단층을 이루며 자란다).7일 이상 된 세포는 폐

기한다.

7.3.1.1배양용기의 배양액을 버리고 완충액 (balancedsaltsolution)이나 청이

없는 유지용 배양액 (maintenancemedium,0.06mL/cm2이상)으로 세포표면을

씻고 버린다.

7.3.1.2 종량은 분석시료량 (AssaySampleVolume)을 20으로 나 어 0.04

mL/cm2보다 작도록 조 하여 결정한다 ( 종량이 0.04mL/cm

2를 넘을 경우에

는 보다 큰 배양용기를 사용한다).

7.3.1.3 종량을 BGM세포에 종하고 바이러스시료 처리기록부에 날짜와 함

께 기록한다.

7.3.2총 배양성 바이러스 분석 조군

세포에 종되는 모든 분할시료마다 양성 조군 음성 조군도 종하여 함께

배양한다.

7.3.2.1음성 조군 : 종량과 동일한 양의 인산나트륨용액 (sodium phosphate,

pH7.0-7.5)을 종한다.

Page 23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19 -

7.3.2.2양성 조군 :약독화 폴리오바이러스 (attenuatedpoliovirustype3)를

종량과 동일한 양의 인산나트륨용액 (pH 7.0-7.5)에 희석하여 최종농도가 ‘20

pfu/ 종량’이 되도록 하여 종한다.

음성 조군에서 세포변성이 나타나면 그 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실험을 단한

다.

양성 조군에서 세포변성이 나타나지 않으면 그 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실험을

단한다.

7.3.3시료의 종

종할 시료는 실험 바로 에 녹인다.일단 녹인 시료는 4℃에 4시간 이상

두지 않는다.소량의 시료를 세포독성의 조군으로 종실험 수 일 에 종할

수 있다.

7.3.3.1제1분할시료를 녹여 (냉동보 된 상태라면) 종량을 10개의 배양세포

에 종한다.배양기에서 80-120분간 배양세포에 시료를 흡착시키되 15-20분

간격으로 배양용기를 좌우로 가볍게 기울여 시료가 골고루 세포에 흡착되도록

한다.흡착과정동안 종시료의 양이 세포표면을 충분히 덮지 못해 건조해짐으

로 인해 세포가 손상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7.3.3.2유지용 배양액을 넣고 36.5℃ 배양기에서 배양한다.25cm2라스크를

사용할 경우 10mL씩 첨가한다.배양액은 미리 36.5℃로 데워서 사용하고 배양

4-7일 마다 갈아 다.배양액을 첨가할 때 용기 내 세포층이 방해되지 않도

록 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맞은편으로 배양액을 조심스럽게 흘려 넣는다.

7.3.3.3 미경하에서 세포변성을 찰한다.(1,2,3일째,그 이후부터는 2일

간격으로 총 2주 동안 찰)

7.3.3.4 종된 배양세포의 75%이상이 세포변성을 보이는 배양세포용기를 양성

으로 정하고 배양세포를 용기와 함께 -70℃에 얼린다.나머지 배양세포용기

도 14일 후에는 모두 용기와 함께 -70℃에 얼린다.

7.3.3.5얼린 시료를 모두 다시 녹이고 세포변성을 나타내거나 세균오염가능성

을 보이는 배양세포용기의 배양상층액 10% 정도를 0.22μm 멸균용 필터에

여과한 후 새로운 배양세포에 다시 종한다 ( 7.3.3.1-7.3.3.5의 과정 반복).

이때 음성으로 나타난 세포배양용기도 포함한다.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고 7

Page 23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0 -

일 동안 배양기간에 제1분할시료가 종된 배양세포 10개 3개 이상이 음성

이면 제2분할시료를 다시 종량에 따라 10개의 배양세포에 종하고,8개 이

상 양성이면 제2분할시료를 희석하지 않은 농축시료 원액 1:5,1:25의 비율로

희석된 희석시료를 각 10개씩 종한다.1:25의 희석시료 남은 시료를 냉동

시켜 두었다가 모두 양성으로 나타나면 다시 5배수씩 더 희석하여 반복 종한

다.시료 100L당 500MPN 이상 나타날 경우 25배 이상의 희석시료를 검사하

여야 한다.희석수에서 최소한 1개의 음성 시가 나타날 때까지 희석한다.

7.3.3.61,2차 검사 모두에서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를 최종양성으로 정하고 1

차 검사에서 음성이었으나 2차에서 양성으로 나타난 경우에는 3차 검사를 수행

한다9).

7.3.3.7제1분할시료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날 경우 아래의 세포독성감소방법을

거쳐 수행한다.세포독성이 감소하 으면 제2분할시료를 독성을 제거하여 농축

시료 원액 5배수,25배수의 희석시료를 10개씩의 배양세포에 종하여 배양

한다.

7.3.4정도 리 수행평가시료의 종

각 정도 리시료 수행평가시료는 제1분할시료의 원액과 1:5,1:25비율로 희

석한 시료를 10개씩 배양세포에 종한다.제2분할시료는 비용으로 보 한다.

7.4세포독성물질의 최소화과정

이 과정은 시료의 계수수치를 감소시키므로 확실한 세포독성이 있을 경우만 시

행한다.세포독성은 종 기에 매일 찰한다.일반 으로 양성 조군 반응이

나타나기 에 세포독성이 나타난다.

7.4.1흡착과정 후에 종한 시료를 수거하여 -70℃에 보 하고 신 0.25

mL/cm2의 미리 데운 세척액 (약 6mL)을 첨가한다. 후에 세포독성물질이 성

공 으로 감소된 것이 확인되면 버린다.세척액을 주입할 때 세포가 자라고 있

는 세포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맞은편으로 천천히 흘려 넣는다.

7.4.2최소 2차례 이상 세포배양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세포를 잘 씻어 후 세

9) 포병변 과가 양 포 연 동 연 등 해 -70℃에 보

할 다.

Page 23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1 -

척액을 조심스럽게 따라낸다.

7.4.3배양세포에 다시 유지용 배양액을 넣고 36.5℃에서 배양하면서 양성

음성 조군과 비교하면서 세포독성을 찰한다.

7.4.4만일 세포독성이 제거되지 않으면 7.4.1항에서 보 한 시료를 2배,4배 희

석하고 배양세포의 수를 2배,4배 늘여서 실험과정을 수행한다10).

7.5바이러스 정량

7.5.1세포변성 양성 음성으로 나타난 배양용기의 수를 바이러스세포배양기

록부 (Totalculturablevirusdatasheet)에 기록한다.

7.5.2바이러스세포배양기록부에 기록된 배양용기의 수를 바이러스정량산정기록

부 (Quantitation oftotalculturable virus data sheet)에 옮겨서 MPN/mL

(Mm)과 상하 95% 신뢰한계 (lowerandupper95% confidencelimit=CLlm,

CLum)를 산출한다. 정량용 계산 로그램은 ‘MPNV computer program

(USEPA)’을 사용한다.

7.5.3정량용 계산 로그램으로 산출된 값을 원수,정수 지하수량으로 환산한

바이러스의 최 확수값 (mL)과 95% 신뢰한계값 (CLu,CLl)을 다음과 같이 산

정한다.

7.5.3.1 100L (원수)혹은 1000L (정수 지하수)의 바이러스 최 확수

(MostProbableNumber:MPN)=mL

mℓ=100MmSD

7.5.3.2100L(원수)혹은 1000L(정수 지하수)의 바이러스 상한 95% 신뢰

한계 =CLu

100L(원수)혹은 1000L(정수 지하수)의 바이러스 하한 95% 신뢰

한계 =CLl

10) 어 시료들 척과 없 시료 만 도 포독 감 다. 다 한편

는, 포독 타 는 첫 단계에 양액 꿔주어 상 포독 진 지 않도 할 도

다.

Page 23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2 -

CLl=100CLlmS

D

CLu=100CLumS

D

7.5.4정도 리시료 수행평가시료에 한 MPN값도 계산한다.

7.6유 자 분석과정

7.6.1핵산 추출 과정 (RNA 추출,QIAamp®ViralRNA MiniKit기 )

7.6.1.1BufferAVL(carrierRNA포함)560μL를 1.5mL튜 에 넣는다.

7.6.1.2농축된 시료 140μL를 넣고 15 동안 혼합 (pulse-vortex)한다.

7.6.1.3실온 (15-25℃)에서 10분 동안 정치한 후 가볍게 spin-down한다.

7.6.1.4에탄올 (96-100%)560μL을 넣고 15 동안 혼합 (pulse-vortex)한 후

spin-down한다.

7.6.1.5혼합된 시료 630μL을 QIAampMinispincolumn(2mL튜 포함)에

넣는다.

7.6.1.6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 6,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리

한다.-RNA흡착단계

7.6.1.7필터된 용액과 튜 는 버리고,spincolumn을 새로운 2mL튜 에 옮긴

다.

7.6.1.8BufferAW1500μL를 spincolumn에 넣는다.

7.6.1.9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 6,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리

한다.-1번째 세정단계

7.6.1.10필터된 용액과 튜 는 버리고,spincolumn을 새로운 2mL튜 에 옮

긴다.

Page 24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3 -

7.6.1.11BufferAW2500μL를 spincolumn에 넣는다.

7.6.1.12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최 속도 (20,000xg)로 3분

동안 원심분리한다.-2번째 세정단계

7.6.1.13필터된 용액을 버리고,spincolumn을 최 속도 (20,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7.6.1.14튜 는 버리고,spincolumn을 새로운 1.5mL튜 에 장착한다.

7.6.1.15BufferAVE약 60μL를 spincolumn에 주입하고 실온 (15-25℃)에서

1분 동안 정치한다.

7.6.1.16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6,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리

한다.

7.6.1.17용리액을 즉시 사용하지 않을 시 -70℃에 보 하여 사용한다.

7.6.2핵산 추출 과정 (DNA 추출,QIAamp®DNA MiniKit기 )

7.6.2.1proteinaseK20μL를 1.5mL튜 에 넣는다.

7.6.2.2농축된 시료 200μL를 튜 에 넣는다.

7.6.2.3BufferAL(carrierDNA로써 polydeoxyadenylicacid(5-10μg)포함)

200μL를 1.5mL튜 에 넣고 15 동안 혼합 (pulse-vortex)한다.

7.6.2.4항온수조 (56℃)에서 10분 동안 정치한 후 가볍게 spin-down한다.

7.6.2.5에탄올 (96-100%)230μL을 넣고 15 동안 혼합 (pulse-vortex)한 후

spin-down한다.

7.6.2.6혼합된 시료를 QIAampMinispincolumn(2mL튜 포함)에 넣는다.

7.6.2.7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 6,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리

Page 24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4 -

한다.-DNA흡착단계

7.6.2.8필터된 용액과 튜 는 버리고,spincolumn을 새로운 2mL튜 에 옮긴

다.

7.6.2.9BufferAW1500μL를 spincolumn에 넣는다.

7.6.2.10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 6,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

리한다.-1번째 세정단계

7.6.2.11필터된 용액과 튜 는 버리고,spincolumn을 새로운 2mL튜 에 옮

긴다.

7.6.2.12BufferAW2500μL를 spincolumn에 넣는다.

7.6.2.13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최 속도 (20,000xg)로 3분

동안 원심분리한다.-2번째 세정단계

7.6.2.14필터된 용액을 버리고,spincolumn을 최 속도 (20,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7.6.2.15튜 는 버리고,spincolumn을 새로운 1.5mL튜 에 장착한다.

7.6.2.16BufferAE약 60μL를 spincolumn에 주입하고 실온 (15-25℃)에서

1분 동안 정치한다.

7.6.2.17spincolumn을 미량원심분리기에 넣고,6,000xg로 1분 동안 원심분리

한다.

7.6.2.18용리액을 즉시 사용하지 않을 시 -20℃에 보 하여 사용한다.

7.6.3노로바이러스 GI,GII검출

7.6.3.1역 사 (reversetranscription)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역 사하여 노로바이러스 GI,GII의 cDNA를 얻는

Page 24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5 -

다.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RNA추출시료 10.0μL 1.RNA 추출 시료에 멸균 증류

수,dNTP,Random primer를 넣

고 65℃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first-strandbuffer,DTT,

RNasin®Ribonucleaseinhibitor

를 넣고 25℃에서 2분간 배양

3. SuperScriptTM

II Reverse

Transcriptase를 넣고 25℃,10

분,42℃,50분 배양 후 70℃에서

15분 가열하여 효소 불활성화

5xfirst-strandbuffer 4.0μL

DTT 2.0μL10xdNTP(10mM) 0.5μL

RNasin®

Ribonuclease

inhibitor

(40U/μL,Promega)

1.0μL

SuperScriptTMIIReverse

Transcriptase

(200U/μL,Invitrogen)

1.0μL

Random Primer (500

pmole/μL,Takara)0.5μL

멸균 증류수 upto20.0μL

Total 20.0μL

양성 조군으로 노로바이러스 R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

를 사용한다.

7.6.3.21차 합효소 연쇄반응 (first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노로바이러스 GI,GII에 한 1차 PCR을 수행한

다.

반응액 조성 용량

template(cDNA) 10.0μL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25pmole

Taqpolymerase(5U/μL) 0.25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Page 24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6 -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

GI-F1M/

GI-R1Ma

94℃,5분

94℃,30 ;

55℃,30 ;

72℃,1분

30

72℃,7분 35

330bp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I

GII-F1M/

GII-R1Mb341bp

aGI-F1M (forwardprimer):5'-CTGCCCGAATTYGTAAATGATGAT-3'

GI-R1M (reverseprimer):5'-CCA ACCCARCCA TTRTACATYTG-3'bGII-F1M (forwardprimer):5'-GGGAGGGCGATCGCA ATCT-3'

GII-R1M (reverseprimer):5'-CCRCCIGCATRICCRTTRTACAT-3'

*Degeneratepositions-I:deoxyinosine,R:A/G,Y:C/T

양성 조군으로 노로바이러스 cD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

를 사용한다.

7.6.3.32차 합효소 연쇄반응 (seminested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노로바이러스 GI,GII에 한 2차 PCR을 수행한

다.

반응액 조성 용량1차 PCR산물 2.0μL

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20pmole

Taqpolymerase(5U/μL) 0.2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Page 24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7 -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

GI-F2/

GI-R1Ma

94℃,5분

94℃,30 ;

55℃,30 ;

72℃,1분

30

72℃,7분 25

314bp

노로바이러스

GenogroupII

GII-F3M/

GII-R1Mb311bp

aGI-F2(forwardprimer):5'-ATGATGATGGCGTCTAAGGACGC-3'

GI-R1M (reverseprimer):5'-CCA ACCCARCCA TTRTACATYTG-3'bGII-F3M (forwardprimer):5'-TTGTGAATGAAGATGGCGTCGA-3'

GII-R1M (reverseprimer):5'-CCRCCIGCATRICCRTTRTACAT-3'

*Degeneratepositions-I:deoxyinosine,R:A/G,Y:C/T

양성 조군으로 노로바이러스 1차 PCR 산물을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

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7.6.3.4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 (real-timePCR)

노로바이러스 GI,GII의 standardcurve를 측정하는 양성 라스미드를 제작하

기 해 노로바이러스 GI/6,GII/3시료에서 7.6.1과 같은 방법으로 RNA를 추출

하고 아래의 조성과 조건으로 역 사를 한다.

Page 24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8 -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RNA추출시료 5.0μL 1.RNA 추출 시료에 멸균 증류수,

dNTP,reverse primer를 넣고

65℃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 first-strandbuffer,DTT,

RNasin®Ribonuclease inhibitor

를 넣고 42℃에서 2분간 배양

3. SuperScriptTM

II Reverse

Transcriptase를 넣고 42℃,50

분 배양 후 70℃에서 15분 가열

하여 효소 불활성화

5xfirst-strandbuffer 4.0μLDTT 2.0μL

10xdNTP(10mM) 2.0μL

RNasin®

Ribonuclease

inhibitor

(40U/μL,Promega)

1.0μL

SuperScriptTMIIReverse

Transcriptase

(200U/μL,Invitrogen)

1.0μL

JJV1R 는 COG2R 2.0pmole

멸균 증류수 upto20.0μL

Total 20.0μL

a노로바이러스 GI의 real-timePCR용 reverseprimer(JJV1R):5'-TCCTTA

GACGCCATCATCAT-3'

노로바이러스 GII의 real-time PCR용 reverse primer(COG2R):5'-TCG

ACGCCATCTTCATTCACA-3'

노로바이러스 GI,GII의 cDNA는 각각 JJV1F& JJV1R(GI),JJV2F& COG2R

(GII)primerset을 이용하여 아래의 조건으로 증폭한다.증폭된 PCR산물을 정

제한 후 클로닝한다.클로닝된 라스미드는 분 도계를 사용해 260nm 장

을 측정해 농도를 확정하고 라스미드의 copynumber를 계산한 후,일련의

1/10희석을 통해 standardcurve측정에 사용한다.

Page 24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29 -

Virus Name Sequence(5'→3')aPolarity Position

b반응조건 용도 참고문헌

노로

바이러스

GI

JJV1FCGCATGTTCCGI

TGGATG+ 5282-5299

50℃ 2분;

95℃ 10분;

95℃ 15 ,

60℃ 1분,

50cycles

라스미드

제작용

Jothikumar

등 (2005)

JJV1RTCCTTA GACGCC

ATCATCAT- 5377-5358

JJV1P

FAM-TGTGGA CAG

GAGATCGCA ATC

TC-TAMRA

+ 5319-5341

노로

바이러스

GII

JJV2F

CAAGAGTCA ATG

TTTAGGTGGATG

AG

+ 5003-502850℃ 2분;

95℃ 10분;

95℃ 15 ,

60℃ 1분,

50cycles

라스미드

제작용COG2R

TCGACGCCA TCT

TCATTCACA- 5100-5080

RING2

-TP

FAM-TGGGAGGGC

GATCGCAAT

CT-TAMRA

+ 5048-5067

standardcurve측정과 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 농도를 결정하기 해서 아래에

제시된 primer와 조성,조건으로 반응시킨다.먼 standardcurve를 만든 후,

시료를 반응시켜 얻어낸 thresholdcycle(Ct)을 standardcurve에 용시켜서

농도를 계산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template(cDNA)

orplasmids

10.0μL

1.0μL2XTaqMan

®Universal

PCRMasterMix

(AppliedBiosystems)

25.0μL

PCR용 Primers 각 12.5pmole

TaqManprobe 5.0pmole

멸균 증류수 upto50.0μLTotal 50.0μL

Page 24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0 -

Virus Name Sequence(5'→3')aPolarity Position

b반응조건 용도 참고문헌

노로

바이러스

GI

JJV1FCGCATGTTCCGI

TGGATG+ 5282-5299

50℃ 2분;

95℃ 10분;

95℃ 15 ,

60℃ 1분,

50cycles

바이러스

분석용

Jothikumar

등 (2005)

JJV1RTCCTTA GACGCC

ATCATCAT- 5377-5358

JJV1P

FAM-TGTGGA CAG

GAGATCGCA ATC

TC-TAMRA

+ 5319-5341

노로

바이러스

GII

JJV2F

CAAGAGTCA ATG

TTTAGGTGGATG

AG

+ 5003-502850℃ 2분;

95℃ 10분;

95℃ 15 ,

60℃ 1분,

50cycles

바이러스

분석용COG2R

TCGACGCCA TCT

TCATTCACA- 5100-5080

RING2

-TP

FAM-TGGGAGGGC

GATCGCAAT

CT-TAMRA

+ 5048-5067

standardcurve측정과 시료 분석 시,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를 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의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7.6.4A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

7.6.4.1역 사 (reversetranscription)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역 사하여 A형 간염 바이러스의 cDNA를 얻는

다.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RNA추출시료 5.0μL

1.RNA 추출 시료에 99℃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buffer,MMLVreverse

transcriptase,RNasin®

Ribonucleaseinhibitor를 넣고

42℃에서 1시간 배양 후 95℃

5분 배양하여 효소 불활성화

5xbuffer 2.0μL10xdNTP(10mM) 0.5μL

RNasin®Ribonuclease

inhibitor

(10U/μL,Promega)

0.25μL

MMLVReverse

Transcriptase

(200U/μL,Invitrogen)

0.25μL

HAV2a 12.5pmole

멸균 증류수 upto10.0μL

Total 10.0μL

a1차 PCR용 reverseprimer:5'-CAACTCCAAACTGAACCA-3'

Page 24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1 -

양성 조군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 R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

수를 사용한다.

7.6.4.21차 합효소 연쇄반응 (first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한 1차 PCR을 수행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template(cDNA) 10.0μL

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25pmole

Taqpolymerase(5U/μL) 0.25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A형 간염

바이러스HAV1/HAV2

a94℃,4분

95℃,25 ;

37℃,30 ;

70℃,1분

70℃,3분 30435bp/

363bp

aHAV1(forwardprimer):5'-AATCCTCACAATGATATG-3'

HAV2(reverseprimer):5'-CAACTCCAAACTGAACCA-3'

양성 조군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 cD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7.6.4.32차 합효소 연쇄반응 (nested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한 2차 PCR을 수행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1차 PCR산물 2.0μL

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12.5pmole

Taqpolymerase(5U/μL) 0.2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Page 24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2 -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A형 간염

바이러스HAV3/HAV4

a94℃,4분

95℃,25 ;

37℃,30 ;

70℃,1분

70℃,3분 30301bp/

143bp

aHAV3(forwardprimer):5'-ACATAATGTTTCATTGATGG-3'

HAV4(reverseprimer):5'-AACCCACTTGTGATTAGT-3'

양성 조군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 1차 PCR산물을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7.6.5엔테로바이러스 검출

7.6.5.1역 사 (reversetranscription)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역 사하여 엔테로바이러스의 cDNA를 얻는다.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

RNA추출 시료 5.0μL1.RNA 추출 시료에 99℃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buffer,MMLVreverse

transcriptase,RNasin®

Ribonucleaseinhibitor를 넣고

42℃에서 1시간 배양 후 95℃

5분 배양하여 효소 불활성화

5xbuffer 2.0μL

10xdNTP(10mM) 0.5μLRNasin® Ribonuclease

inhibitor

(10U/μL,Promega)

0.25μL

MMLVReverseTranscriptase

(200U/μL,Invitrogen)0.25μL

EP4a

50pmole멸균 증류수 upto10.0μL

Total 10.0μL

a1차 PCR용 reverseprimer:5'-TTAGGA TTAGCCGCATTCAG-3'

양성 조군으로 엔테로바이러스 R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

수를 사용한다.

7.6.5.21차 합효소 연쇄반응 (firstPCR)

Page 25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3 -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엔테로바이러스에 한 1차 PCR을 수행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template(cDNA) 10.0μL

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50pmole

Taqpolymerase(5U/μL) 0.25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엔테로바이러스 EP1/EP4a

94℃,3분

94℃,1분;

56℃,1분;

72℃,1분

72℃,10분 30 408bp

aEP1(forwardprimer):5'-CGGTACCTTTGTGCGCCTGT-3'

EP4(reverseprimer):5'-TTAGGATTA GCCGCA TTCAG-3'

양성 조군으로 엔테로바이러스 cD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

수를 사용한다.

7.6.5.32차 합효소 연쇄반응 (nested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엔테로바이러스에 한 2차 PCR을 수행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

1차 PCR산물 1.0μL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50pmole

Taqpolymerase(5U/μL) 0.2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Page 25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4 -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엔테로바이러스 E1/E2a

94℃,3분

94℃,1분;

45℃,1분;

72℃,1분

72℃,10분 30 297bp

aE1(forwardprimer):5'-AAGCACTTCTGTTTCC-3'

E2(reverseprimer):5'-CATTCAGGGGCCGGAGGGA-3'

양성 조군으로 엔테로바이러스 1차 PCR 산물을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

균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7.6.5.4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 (real-timePCR)

엔테로바이러스의 standardcurve를 측정하는 양성 라스미드를 제작하기 해

폴리오바이러스 type1시료에서 7.6.1과 같은 방법으로 RNA를 추출하고 역

사를 한 후,E1& E2primerset을 이용하여 아래의 조건으로 증폭한다.증폭된

PCR산물을 정제한 후 클로닝한다.클로닝된 라스미드는 분 도계를 사용

해 260nm 장을 측정해 농도를 확정하고 라스미드의 copynumber를 계산

한 후,일련의 1/10희석을 통해 standardcurve측정에 사용한다.

Virus Name Sequence(5'→3')aPolarity Position

b반응조건 용도 참고문헌

폴리오

바이러스

type1

E1CAAGCACTTCTG

TTTCCCCGG+ 162-182

94℃ 4분;95℃ 30 ,55℃ 30 ,72℃ 1분,35cycles;72℃ 7분

라스미드

제작용

Leparc등

(1994)E2

ATTGTCACCATA

AGCAGCCA- 596-577

standardcurve측정과 시료에서 엔테로바이러스 농도를 결정하기 해서 아래

에 제시된 primer와 조성,조건으로 반응시킨다.먼 standardcurve를 만든

후,시료를 반응시켜 얻어낸 thresholdcycle(Ct)을 standardcurve에 용시켜

서 농도를 계산한다.

Page 25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5 -

반응액 조성 용량template(RNA)

orplasmids

5.0μL

1.0μL2XTaqMan

®Universal

PCRMasterMixwithout

AmpErase®UNG

(AppliedBiosystems)

12.5μL

40XMultiScribeTMReverse

Transcriptase/RNase

Inhibitor

(AppliedBiosystems)

0.625μL

ForwardPrimer(Ev2) 10.0pmole

ReversePrimers(Ev1) 12.5pmole

TaqManprobe(Ev-probe) 3.0pmole멸균 증류수 upto25.0μL

Total 25.0μL

Virus Name Sequence(5'→3')aPolarity Position

b반응조건 용도 참고문헌

엔테로

바이러스

Ev1GATTGTCACCAT

AAGCAGC- 597-579

50℃ 45분;

94℃ 15 ,

60℃ 1분,

50cycles

바이러스

분석용

Monpoeho

등 (2000)

Ev2CCCCTGAATGCG

GCTAATC+ 451-469

Ev-probe

FAM-CGGAACCGA

CTACTTTGGGTG

TCCGT-TAMRA

+ 532-557

standardcurve측정과 시료 분석 시,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를 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의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7.6.6 오바이러스

7.6.6.1역 사 (reversetranscription)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역 사하여 오바이러스의 cDNA를 얻는다.

Page 25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6 -

반응액 조성 용량 반응 조건RNA추출 시료 5.0μL

1.RNA 추출 시료에 99℃에서

5분 배양 후 onice

2.5xbuffer,MMLVreverse

transcriptase,RNasin®

Ribonucleaseinhibitor를 넣고

20℃에서 10분,42℃에서 30분

배양 후 95℃ 5분 배양하여 효소

불활성화

5xbuffer 2.0μL10xdNTP(10mM) 0.5μL

RNasin®Ribonuclease

inhibitor

(10U/μL,Promega)

0.25μL

MMLVReverseTranscriptase

(200U/μL,Invitrogen)0.25μL

Random Primer(500pmole/μL,

Takara)0.5μL

멸균 증류수 upto10.0μL

Total 10.0μL

양성 조군으로 오바이러스 R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

를 사용한다.

7.6.6.21차 합효소 연쇄반응 (first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오바이러스에 한 1차 PCR을 수행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

template(cDNA) 10.0μL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25pmole

Taqpolymerase(5U/μL) 0.25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오바이러스 L1.rv5/L1.rv6a94℃,1분

95℃,20 ;

55℃,30 ;

72℃,30

72℃,10분 35 416bp

aL1.rv5(forwardprimer):5'-GCATCCATTGTA AATGACGAGTCTG-3'

L1.rv6(reverseprimer):5'-CTTGAGATTAGCTCTAGCATCTTCTG-3'

양성 조군으로 오바이러스 cDNA를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

Page 25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7 -

를 사용한다.

7.6.6.32차 합효소 연쇄반응 (nested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오바이러스에 한 2차 PCR을 수행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

1차 PCR산물 1.0μL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

firstPCR용 primers 각 25pmoleTaqpolymerase(5U/μL) 0.2μL

멸균 증류수 upto50.0μLTotal 50.0μL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오바이러스 L1.rv7/L1.rv8a94℃,1분

95℃,20 ;

55℃,30 ;

72℃,30

72℃,10분 35 344bp

aL1.rv7(forwardprimer):5'-GCTAGGCCGATA TCGGGAATGCAG-3'

L1.rv8(reverseprimer):5'-GTCTCACTATTCACCTTACCAGCAG-3'

양성 조군으로 오바이러스 1차 PCR 산물을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

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7.6.7아데노바이러스

7.6.7.11차 합효소 연쇄반응 (first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아데노바이러스에 한 1차 PCR을 수행한다.

Page 25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8 -

반응액 조성 용량핵산추출시료 (DNA) 5.0μL

10xbuffer 5.0μL10xdNTP(10mM) 5.0μL

firstPCR용 primers 각 10pmole

Taqpolymerase(5U/μL) 0.25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아데노바이러스 AV1/AV2a

94℃,4분

95℃,30 ;

55℃,30 ;

72℃,1분

72℃,7분 35 301bp

aAV1(forwardprimer):5'-GCCCGA GTGGTCTTACATGCACATC-3'

AV2(reverseprimer):5'-CAGCACGCCGCGGATGTCAAAGT-3'

양성 조군으로 아데노바이러스 DNA을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

수를 사용한다.

7.6.7.22차 합효소 연쇄반응 (nestedPCR)

다음과 같은 조성과 조건으로 아데노바이러스에 한 2차 PCR을 수행한다.

반응액 조성 용량1차 PCR산물 1.0μL

10xbuffer 5.0μL

10xdNTP(10mM) 5.0μLfirstPCR용 primers 각 10pmole

Taqpolymerase(5U/μL) 0.2μL멸균 증류수 upto50.0μL

Total 50.0μL

Page 25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39 -

Virus PrimerpairInitial

denaturationPCR조건

End

extensionCycles

Product

size

아데노바이러스 AV3/AV4a

94℃,4분

95℃,30 ;

55℃,30 ;

72℃,1분

72℃,7분 35 143bp

aAV3(forwardprimer):5'-GCCACCGAGACGTACTTCAGCCTG-3'

AV4(reverseprimer):5'-TTG TAC GAG TAC GCG GTA TCC TCG CGG

TC-3'

양성 조군으로 아데노바이러스 1차 PCR 산물을 사용하고,음성 조군으로 멸

균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7.6.7.3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 (real-timePCR)

아데노바이러스의 standardcurve를 측정하는 양성 라스미드를 제작하기 해

아데노바이러스 type6시료에서 7.6.2와 같은 방법으로 DNA를 추출한 후,

AdV.C/F.fwd& AdV.C/F.revprimerset을 이용하여 아래의 조건으로 증폭한

다.증폭된 PCR산물을 정제한 후 클로닝한다.클로닝된 라스미드는 분 도

계를 사용해 260 nm 장을 측정해 농도를 확정하고 라스미드의 copy

number를 계산한 후,일련의 1/10희석을 통해 standardcurve측정에 사용한

다.

Virus Name Sequence(5'→3')aPolarity Position

b반응조건 용도 참고문헌

아데노

바이러스

type6

AdV.

C/F.fwd

ATGGCYACCCCY

TCGATG+ 18838-18855

94℃ 3분;94℃ 30 ,50℃ 30 ,72℃ 1분,35cycles;72℃ 7분

라스미드

제작용

연구진

자체제작AdV.

C/F.rev

CACGCCGCGRAT

GTCAAA G- 19155-19137

standardcurve측정과 시료에서 아데노바이러스 농도를 결정하기 해서 아래

에 제시된 primer와 조성,조건으로 반응시킨다.먼 standardcurve를 만든

후,시료를 반응시켜 얻어낸 thresholdcycle(Ct)을 standardcurve에 용시켜

서 농도를 계산한다.

Page 25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0 -

반응액 조성 용량template(DNA)

orplasmids

10.0μL

1.0μL2XTaqMan

®Universal

PCRMasterMix

(AppliedBiosystems)

25.0μL

PCR용 Primers(AQ1/AQ2)각 20.0pmole

TaqManprobe(AQ) 5.0pmole

멸균 증류수 upto50.0μLTotal 50.0μL

Virus Name Sequence(5'→3')aPolarity Position

b반응조건 용도 참고문헌

아데노

바이러스

AQ1GCCACGGTGGGG

TTTCTAAACTT- 18993-18971

50℃ 2분;

95℃ 10분;

95℃ 15 ,

55℃ 1분,

50cycles

바이러스

분석용

Heim 등

(2003),

Haramoto

등 (2007)

AQ2

GCCCCAGTGGTC

TTA CATGCACAT

C

+ 18862-18886

AP

FAM-TGCACCAGA

CCCGGGCTCAGG

TACTCC

GA-TAMRA

+ 18902-18930

standardcurve측정과 시료 분석 시,음성 조군으로 멸균된 증류수를 실시간

합효소 연쇄반응의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7.6.8 기 동 (electrophoresis)

7.6.8.1 기 동은 0.5xTBEbuffer에 1.5% agarosegel을 사용한다.

7.6.8.2PCR산물 5μL와 6xloadingbuffer1μL을 혼합하여 기 동을 실시

한다.

7.6.8.3 기 동 결과 PCR 산물의 크기가 해당 primerpair에 의해 증폭되는

크기와 같으면 해당 바이러스 양성으로 단한다.

7.6.8.4PCR밴드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해당 바이러스 음성으로 단한다.

7.6.9유 자 염기서열분석 (sequencing)

Page 25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1 -

7.6.9.1 기 동 후 PCR산물은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해당 바이러스의 양성을

확인하여 최종 확정한다.

7.6.9.2DNA sequencing실시 후 GenBank등에 수재된 각각의 바이러스 유

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해당 바이러스로 확인되었을 경우,바이러스가 검

출된 것 (양성)으로 최종 정한다.

7.7기타

이 시험공정에 소개된 모든 부품,조립완제품,장비,기구,배양액 시약들은

동일한 기능과 조성의 국내외 타제조사 부품이나 조립완제품으로 체할 수 있

다. 모든 기구,시약 항생제,증류수는 세포배양에 합한 등 을 사용하여

야 한다.

8.0결과보고

8.1분석결과 보고

8.2결과보고 양식

9.0부록

그림 1.표 필터장치

Page 25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2 -

그림 2.표 여과장치에 부착되는 추가 모듈

Page 26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3 -

그림 3.총배양성 바이러스 시험 흐름도

Page 26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4 -

2.표 시험법.(가시아메바)

1.0개요

1.1목

이 방법의 목 은 다양한 자연화경 내에서 가시아메바 (Acanthamoebaspp.)를

검출함에 있어서 시료채취,배양 동정 등 제반 차의 정확과 통일을 기하는

데 있다.

1.2 용범

1.2.1자연환경 토양,수질 콘택트 즈 보 용기 등에서 가시아메바를 검

출하는 방법에 용한다.

1.2.2분석방법검출한계는 수질 1L 는 콘택트 즈 보 용기 용액 체에서

아메바의 배양 (검출)여부를 만족하여야 한다.

1.3간섭물질

시료의 채취 지역에 따라 검출률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한 장소라도 여러 곳에서

시료를 채취하여야한다.

2.0용어정의

2.1배양 배지

가시아메바의 배양을 해 배양 시 (petri-dish)에 효모추출물 (yeastextract)

을 포함한 무 양 한천배지 (non-nutrientagarmedium)를 부어 굳힌 후에 사

균된 장균 (Escherichiacoli)을 도포한 배지를 배양배지로 총칭한다.

Page 26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5 -

3.0분석기기 기구

3.1배양기

27℃ 배양용 항온기(incubator)를 비한다

3.2무균 세포배양 장치

무균 으로 세포를 조작 할 수 있는 일반 인 생물학 무균 작업 (biological

safetycabinet 는 hood)를 비한다.

3.3배지 멸균 장치

무 양 한천배지를 무균화 할 수 있는 일반 인 생물학 멸균기 (autoclave)를

비한다.

3.5원심침 기

채취한 시료 즉,1L의 수량을 배양배지에 떨어뜨릴 수 있을 만큼의 양으로

이는데 사용하는 일반 인 생물학 원심침 기 (centrifuge)를 비한다.

3.4 학 미경

미경 찰용 슬라이드 그라스에 검체를 떨어뜨린 후 검경할 수 있는 생물학

학 미경 (lightmicroscope)을 비한다.

4.0시약 표 용액

4.1시약

4.1.1무 양한천배지

Page 26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6 -

무 양한천 (non-nutrientagar) 15g과 1L의 증류수 (distilledwater)를 비

한다.

4.1.2효모추출용액

효모추출물 (yeastextract)0.1mg을 비한다.

4.2사균된 장균

56℃ 수조항온기 (waterbath)에서 30분간 처리된 장균 (Escherichiacoli)을

비한다.

5.0시료채취 리

5.1시료채취 방법

5.1.1수질

상 지역 (연못,하천, 수지,냉각탑 냉각용수 둥)의 여러 부분에서 총 1L의

물을 채취한다.

5.1.2콘택트 보 용기

콘택트 보 용기내의 용액을 면 으로 묻 채취한다.

5.2시료 보

채취한 시료는 즉시 배양을 하거나 4℃에서 보 하 다가 배양한다.

6.0QA/QC

6.1시료채취 과정의 QA/QC

Page 26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7 -

검출률을 높이기 해 한 장소라도 여러 곳에서 시료를 채취한다.

7.0분석 차

7.1 처리

7.1.1무 양한천 배지 비

무 양한천 (non-nutrientagar) 15g을 1L의 증류수 (distilledwater)에 용해

시킨다.

7.1.2효모추출용액 비

효모추출물 (yeastextract)0.1mg을 4.4.1에서 비한 1L의 무 양한천배지에

섞어 다.

7.1.3사균 장균 비

배양된 장균 (Escherichiacoli)을 56℃ 수조항온기 (waterbath)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비한다.

7.2시료의 비

7.2.1수질 시료

상 지역 (연못,하천, 수지,냉각탑 냉각용수 둥)의 여러 부분에서 총 1L의

물을 채취한 후,원심침 기를 이용하여 1ml의 양으로 인다.

7.2.2콘택트 보 용기내의 시료

Page 26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8 -

콘택트 보 용기내의 용액을 면 으로 묻 채취한다.

7.3배양

7.3.1배양배지 100ml을 배양 시에 부어 고형화 한 후,사멸된 장균을 배지

표면에 고르게 도포한다.

7.3.2 배양 시 덮개를 덮어 실온에서 30분 이상 놓아둔다.(주의:건조하여 갈

라지지 않게 함)

7.3.3 비된 검체를 배지 에 떨어뜨린다.(수질의 경우 pipette로 침 물을

따서 배지에 종,콘택트 보 용기에서는 면 체를 배지에 종)

7.3.4 배양 시의 덮개를 덮은 후 배양기로 옮겨 27℃에서 2일 내지 4일 동안

배양한다.

7.4시료분석방법

7.4.1 군집(colony)형성이 찰되면 loop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7.4.2 Slideglass 에 떨어뜨리고 학 미경으로 아메바의 특징 형태를

찰한다.

7.5시료분석

7.5.1검출 유무 정

7.4.2항의 방법에 따라 아메바의 양형 (trophozoite) 포낭 (cyst)의 특성을

비교 찰한다.(부록 그림 참조)

7.5.1종 (species)동정

7.5.1.1추후 연구를 한 종 동정을 한 량 배양을 해 아메바가 확인된

Page 26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49 -

   매  체   도    상 검 ( 리)  비  고

1. 수질(하천, 연 )0000 00곳 0곳

2. 수질(냉각탑) 0000 00곳  0곳   

     

3. 수질(수돗물) 0000 00곳 0곳

4. 콘택트렌즈 보 기0000 00개 0개

군집에서 loop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7.5.1.1새로운 한천배지(7.3.2)에 떨어뜨려 7.3.3,7.3.4 7.4과정을 반복한다.

7.5시료분석결과

7.5.1정성분석

아메바의 배양 여부 즉,검출 유무로 정한다.

7.5.2정량분석

본 시험법으로 정량 분석을 할 수 없다.

8.0결과보고

8.1검출결과 보고

검출 유무로 보고한다.

8.2결과보고 양식

9.0참고문헌

Page 26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0 -

A B

10 um

A B

10 um

10 um

C

10 um10 um

C

A: 배지에서 자라고 있는 가시아 바 양형

B: 한천배지에서 만들어진 포낭형

C: 리 는 다양한 가시아 바 들의 포낭형(한천배지에서 포낭들을 긁어서 슬라이드글라스에 식염수 같이 어서 찍은 사진)

1. Hahn,T.W.,D.I.Chung,H.H.Kong,Y.H.Han.Nation-widesurveyfor

Acanthamoebafrom contactlenscaresystem inkorea.J.KoreanOphthalmol.

Soc.39:667-672,1998.

2.Jeong,H.J.,H.S.Yu. TheroleofdomestictapwaterinAcanthamoeba

contaminationincontactlensstoragecasesinKorea.Korean J.Parasitol.

43:47-50,2005.

3.Lee,S.M.,Y.J.Choi,D.I.Chung.Nation-widesurveyforAcanthamoeba

from contact lens care system in korea.J.Korean Ophthalmol.Soc.

38:756-761,1997.

4.Shin,H.J.,M.S.Cho,H.J.Kim,K.I.Im.Isoenzyme patterns and

phylogeneticrelationshipsin Acanthamoebaspp.Isolatedfrom contactlens

containersinKorea.KoreanJ.Parasitol.37:229-236,1999.

10.0부록

“가시아메바의 포낭 (cyat)의 다양한 형태”

Page 26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1 -

3.표 시험법.(집먼지진드기)

1.0개요

1.1.목

이 방법의 목 은 집먼지 집먼지진드기(housedustmite)를 동시 조사함에

시료의 채집,분류 동정,알 르겐 추출 등 제반 차의 정확성과 동일성을

기여하는데 있다.

1.2. 용범

1.2.1집먼지진드기 가운데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farinae),세로

무늬먼지진드기(D.pteronyssinus),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putrescentiae)

3종과 기타 실내 서식 진드기류 등을 채집하는 데 용한다.

1.2.2실내 우 종인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farinae),세로무늬먼

지진드기(D.pteronyssinus),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putrescentiae)3종의

채집율 90-100%을 만족하고 이들의 알 르겐 양을 추출한다.

2.0채취기기 기구

2.1채취기기

2.1.1청소기

실내 집먼지진드기를 채취할 때 가정용 청소기는 500-1,000W를 사용한다.

2.1.2필터

집먼지 필터는 통기도가 17.5±2㎤/㎠․sec이고 10㎝×10㎝의 규격을 사용한다.

2.1.3흡입구

집먼지 수거는 가정용 청소기 틈새 흡입구를 사용한다.

Page 26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2 -

3.0시료 채집장소 상

3.1.1채집장소

집먼지진드기 알 르기 환자나 건강한 일반인이 거주하는 일반 가정과 공공시설

물을 상으로 실시한다.

3.1.2가구형태

가구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구분하여 채집한다.

3.1.3공공건물

사무실,어린이집,학교,집단시설,병원 등으로 구분한다.

3.1.4수집 장소

집먼지진드기 (큰다리먼지진드기,세로무늬먼지진드기)가 서식하는 이부자리,침

보 등에서 실시한다.그리고 장진드기류 (긴털가루진드기)는 부엌에서 먼지

를 수집한다.

공공장소는 바닥에서 채집한다.

3.1.5수집 상

침 ,이불,요,방바닥,부엌에서 행한다.

3.1.6수집면

집먼지 채집 상 면 은 1×1㎡에서 실시한다.

3.1.7수집시간

수집시간은 상면 에서 2분간 실시한다.

3.1.8채집물 보

Page 27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3 -

수집된 채집물은 사용할 때까지 -20℃에 넣어 냉동보 한다.

4.0시료검정

4.1.1시료 검정

채집된 집먼지는 입체 미경하에서 육안으로 직 검경하여 동정한다.

4.1.2검정배율

집먼지 검경은 입체 미경 ×10,×20,×40하 배율에서 검경한다.

5.0표본제작

5.1.1진드기확인

집먼지진드기는 입체 미경하에서 집먼지에서 사체나 살아있는 개체를 찾아서

표본을 제작한다.

5.1.2표본제작

진드기 표본은 받침유리에 PVA용액을 한 방울 떨군 후 덮개유리(18×18㎜)를

덮어 제작한다.

6.0표본동정 분류

6.1.1동정

진드기 표본은 학 미경 ×100,×400의 배율에서 동정한다.

6.1.2분류

분류는 분류표(key)에 따라 분류한다.

6.1.3기록

Page 27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4 -

동정 분류된 진드기는 기록장에 기록 보 한다.

Page 27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5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1 4 2003 Jcity이신재

강서구

보건소 등방의학회지

38(4):4

20-424Shigellasonnei 2

1

5

(에어

컨)

2003

홍성갑,

정용태,

천경호,

백순

가톨릭 학교

의과 학,

단국 학교

TheKorean

Journalof

Microbiology

39(4):2

83-287

Bacilluspumilus

Bacilluscirculans

Corynebacterium

afermentans/coyleae

Flavimonasoryzihabitans

Micrococcussp.

Ochrobacterium anthropi

Pantoeasp.

gram-negativeglucose

non-fermentingbacillus

1,

1 42003-

2004서울

Chang

JYetal.

서울 학교

의과 학 등

Kor.J.

Pediatr.

Gastroenterol

.Nutr.

9(1):1-

13

Nontyphoidalsalmonella

pathogenicE.coli(EPEC,

ETEC)

2

4.임상분야의 database

Page 27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6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4 4 1997 서울박효숙

울산 학교

의과 학

한내과학회

53(5):7

20-726Aspergillusspp. 2

4 4 1997 부천윤재형

등부천세종병원

한내과학회

53(2):2

50-255Aspergillusfumigatus 2

1 41984-

1985서울

김경희

한양 학교

의과 학

Journalof

Clinical

Microbiology

27(6):1

192-11

96

ETEC,Clostridium difficile,

Klebsiellapneumoniae,

Shigella,Salmonella,

Campylobacterjejunii,EIEC

2

4 4 1997 부천박국양

등부천세종병원

KoreanJ.

Thorac.

Cardiovasc.

Surg.

30(3):3

30-335Aspergillusfumigatus 2

4 4 1995 KwonHJetal.KoreanJ.

Dermatol.

33(1):1

72-178Aspergillusfumigatus 2

1 41991-

2000구

설성용

경북 학교

의과 학

Journalof

Medical

Microbiology

55:871

-877Shigellasonnei 2

Page 27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7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조사자 연구(조사)기 발표지 발표 권(호)/쪽 분

유해

4 4 1987 Nam IW etal.KoreanJ.

Dermatol.

25(6):7

97-801Aspergillusfumigatus 2

1 4 2003

서울,

부산,

울산,

주,

,

인천

조승학

질병 리본부

Journalof

Microbiology

44(3):3

27-335

Vibrioparahaemolyticus

Salmonella

Shigella

2

4 4 1987 Kim DSetal.KoreanJ.

Dermatol.

25(5):6

43-648Aspergillusfumigatus 2

1,4 2 2000 서울한국소비자보

호원

실내공간

실내공기오염

특성

리방법

연구

(최종보고서)

Penicillium

Aspergillus

Streptococcuspneumoniae

Klebsiellapneumoniae

1,

Page 27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8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1 42004-

2006

서울,

부산,

인천,

주,

구,

,

울산

조승학

질병 리본부

Journalof

Microbiology

46(3):3

25-330

Salmonella

Vibrioparahaemolyticus

Campylobacterjejuni

Clostridium perfringens

Shigella

2

1 4 2008 강릉

강원도

역학조사반,

질병 리본부

감염병센터

결핵호흡기세

주간 <건강과

질병>

제1권

(14)Legionellabozemanii 2

1 4 2002 서울Kim US

etal.

서울 학교

의과 학

Korean

Journalof

Infectious

Diseases

34(1):7

3-77Campylobacterfetus 2

1 4 2004 서울재범

울산 학교

의과 학

감염과

화학요법

36(6):3

73-376Campylobacterfetus 2

1 4 2006 부산김정수,

고옥배부산 역시 Legionellapneumophila 2

Page 27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59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1 4 2004 서울UhYet

al.

연세 학교

의과 학

원주캠퍼스

Korean

Journalof

Clinical

Microbiology

7(2):18

6-189

EscherichiacoliO157

Campylobacterspp.2

1 1 2003 국국립보건원

방역과보도자료 Legionallspp. 2

1 41987-

1995국

Cheong

HIetal.

서울 학교

의과 학Nephron

70(3):3

19-323Yersiniapseudotuberculosis 2

1 1 2004 국질병 리본부

방역과보도자료 Legionallspp. 2

1 1,41993-

1994-

KooJW

etal.

인제 학교

의과 학 등

Pediatric

Nephrology

10(5):5

82-586Yersiniapseudotuberculosis 2

Page 27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0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1 4 1998 서울JoKS

etal.

고려 학교

의과 학

Korean

Journalof

Nephrology

17(1):1

57-161Legionellapneumophila 2

1 62001-

2002춘천

LeeTS

etal.

강원

보건환경원

Journalof

Food

Protection

67(6):1

123-11

27

Yersiniaenterocolitica

Yersiniafrederiksenii

Yersiniaintermedia

Yersiniakristensenii

2

1 4 2001 국Kim MJ

etal.

고려 학교

의과 학 등

Korean

Journalof

Infectious

Diseases

33(1):2

4-31

Legionella,Leptospira,

Orientiatsutsugamushi1,

Page 27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1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1 4 1998 서울Kim KB

etal.

고려 학교

의과 학

Korean

Journalof

Infectious

Diseases

30(1):1

06-110Legionellapneumophila 2

1 41997-

2006서울

최재필

등서울아산병원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47:66-

72

Aeromonashydrophila

Aeromonassoria2

1 4 1999 서울SeogW

etal.

서울 학교

의과 학 등

Korean

Journalof

Infectious

Diseases

31(4):3

53-357Legionellapneumophila 2

1 4 2006 인천손희정

가천의

길병원

Korean

Journalof

Ophthalmolo

gy

21(1):4

5-47Aeromonashydrophila 2

1 1 2003 서울PhalCA

etal.KIST

FEMS

Microbiology

Letters

223(1):

129-13

4

Aeromonashydrophila 2

1 4 2005 부산이 동

부산 학교

의과 학 등

한진단검사

의학회지

25(6):4

16-420Legionellaspp. 2

Page 27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2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1 4 2006 국손장욱

고려 학교

의과 학 등

Journalof

Korean

Medicinal

Sciences

21:602

-607

Legionellapneumophila,

Mycoplasmapneumoniae,

Chlamydiapneumoniae등

2

1 1 2000 정선김상종

서울 학교

생명과학부

Journalof

Applied

Microbiology

93:976

-985Aeromonasspp. 2

1 4 2001 서울Kim BN

etal.서울아산병원

European

Journalof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

20(4):2

14-223Aeromonashydrophila 2

1 1 1998 서울

Sohn

JW et

al.

고려 학교

의과 학

Korean

Journalof

Infectious

Diseases

30(3):2

18-226Legionellaspp. 2

Page 28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3 -

분류a

매체b연도 지역 연구자/

조사자

연구(조사)

발표지 발표

권(호)

/쪽

분리 유해미생물 질병

1 6 1986 양양FryerJL

etal.

Oregon

State

University

Journalof

Wildlife

Diseases

24(2):3

64-365Aeromonassalmonicida 3

1 1 1998 서울Kim KB

etal.

고려 학교

의과 학 등

Korean

Journalof

Infectious

Diseases

30(3):2

07-217Legionellaspp. 2

a1,세균;2,바이러스;3,집먼지 진드기;4,곰팡이;5,원생동물

b1,수질;2, 기;3,토양;4,임상;5,가옥;6,기타

c1,Absolute;2,Opportunistic;3,Unknown

d1,Direct;2,Indirect;3,Unknown

Page 28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4 -

Ⅶ.참고문헌

1.송주희,2007,한국환경보건학회지.33(2),104~114.

2.조백기 (1980)한국의 집먼지진드기에 한 연구 -제1편 분류-카톨릭

학 의학부 논문집 33(2):407-421.

3. 조백기 (1991)한국의 집먼지 진드기.Ⅰ.집먼지진드기의 생태 분류.

알 르기 11:1-8.조백기,허원 (1977)한국의 집먼지진드기류의 생태학

연구. 한피부과학회지.15:133-138.

4.질병 리본부.2007.바이러스성 장염 실험실 감시 황.

5.질병 리본부.2008.A형 간염 발생 증가에 따른 주의보 발령.

6.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2.식품원인 질병의 사회 ,경제 손실비용의

측정모델 개발과 식 독사고에 의한 손실평가.

7.홍천수 (1991a)집먼지진드기와 임상 알 르기.알 르기 11(3):297-308.

8. 홍천수 (1991b)집먼지 진드기에 한 환자의 감작상태와 환자집먼지내

집먼지 진드기의 생태에 한 조사.알 르기 11:457-465.

9. 홍천수,이미경 (1992)서울 집먼지내 집먼지 진드기 GroupI알 르겐

의 측정과 Derfl의 월별 변동에 한 조사.알 르기 12:482-492.

10.환경부.2004.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1.환경부.2006.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12.환경부.2007.먹는물수질공정시험방법.

13.환경부.2007.지하수 노로바이러스 리 책(안).

14. A GuideonIndoorAirQualityCertificationSchemeforOfficesand

PublicPlaces,IndoorAirQualityManagementGroup,TheGovernment

oftheHongKongSpecialAdministrativeRegion,2003

15. Abad,F.X.,R.M.Pintó,andA.Bosch.1998.Flow cytometry

detectionofinfectiousrotavirusesinenvironmentandclinicalsamples.

ApplEnviron.Microbiol.64:2392-2396.

16. Agbalikaetal.1984.Trypsin-treatedMa-104:asensitivecellline

forisolatingentericvirusesfrom environmentalsamples.Appl.Environ.

Microbiol.47:378-380.

17. Alafag,J.I.,E.K.Moon,Y.C.Hong,D.I.Chung,H.H.

Kong.2006.Molecularandbiochemicalcharacterizationofanovelactin

bundlingproteininAcanthamoeba.KoreanJ.Parasitol.44:331-341.

18. Allard,A.,B.Albinsson,and G.Wadell.1992.Detection of

adenoviruses instoolsfrom healthypersonsandpatientswithdiarrhea

bytwo-steppolymerasechainreaction.J.Med.Virol.37:149-157.

19. Al-ShahwaniMF,2005,Bacterialdistribution analysis ofthe

Page 28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5 -

atmosphereoftwohospitalsinIbb,Yemen.EastMediterrHealthJ.

11(5-6):1115-1119.

20.AmericanPublicHealthAssociation,1995,『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1. Anger,C.,J.M.Lally.2008.Acanthamoeba:a review ofits

potentialto cause keratitis,currentlens care solution disinfection

standardsandmethodologies,andstrategiestoreducepatientrisk.Eye

ContactLens.34:247-253.

22.Anisah,N.,H.Amal,A.G.Kamel,S.Yusof,A.R.Noraina,M.

Norhayati.2005.IsolationofAcanthamoebasp.From conjunctivalsac

ofhealthyindividualsusingswab.TropicalBiomedicine.22:11-14.

23. Bacon,AS.,D.G.Frazer,J.K.Dart,M.Matheson,L.A.

Ficker,P.Wright.1993.A review of 72 consecutive cases of

Acanthamoebakeratitis,1984-1992.Eye.7:719-725.

24. Beuret,C.2004.Simultaneous detection ofenteric viruses by

multiplexreal-timeRT-PCR.J.Virol.Methods115:1-8.

25.Boom,R.,C.J.A.Sol,M.M.M.Salimans,C.L.Jansen,P.M.

E.Wertheim-Dillen,and J.Van DerNoordaa.1990.Rapid and

simple method for purification ofnucleic acids.J.Clin.Microbiol.

28:495-503.

26. Boost,M.,P.Cho,S.Lai,W.M.Sun.2008.Detection of

Acanthamoebaintapwaterandcontactlenscasesusingpolymerase

chainreaction.Ophthalmol.Vis.Sci.85:526-530.

27. Borchardt,M.A.,P.D.Bertz,S.K.Spencer,and D.A.

Battigelli.2003.Incidence ofenteric viruses in groundwaterfrom

householdwellsinWisconsin.Appl.Environ.Microbiol.69:1172-1180.

28. Cabelli,V.J.,A.P.Dufour,L.J.McCabe,andM.A.Levin.

1982.Swimming-associated gastroenteritisand waterquality.Am.J.

Epidemiol.115:606-16.

29. Chapron,C.D.,N.A.Ballester,J.H.Fontaine,C.N.Frades,

andA.B.Margolin.2000.Detectionofastroviruses,enteroviruses,and

adenovirustype40and41insurfacewaterscollectedandevaluatedby

theInformation Collection Ruleandanintegratedcellculture-nested

PCRprocedure.Appl.Environ.Microbiol.66:2520-2525.

30. Cho,H.K.,Y.S.Moon,H.K.Lee,A.J.Park,S.I.Cho.1992.

Page 28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6 -

Acanthamoeba keratitis (case report).J.Korean Ophthalmol.Soc.

33:538-543.

31.Cho,H.-B.,S.-H.Lee,J.-C.Cho,andS.-J.Kim.2000.Detection

ofadenovirusesand enterovirusesin tapwaterand riverwaterby

reversetranscriptionmultiplexPCR.Can.J.Microbiol.46:417-424.

32. Cho.B.J.,E.J.Holland.1998.Invitrotandem scanningconfocal

microscopy in Acanthamoeba Keratitis. Korean J. Ophthalmol.

12:112-117.

33. Cohen,E.J.,C.J.Parlato,J.J.Arentsen,G.I.Genvert,R.C.

Jr.Eagle,M.R.Wieland,P.R.Laibson.1987.Medicalandsurgical

treatmentofAcnanthamoebakeratitis.Am.J.Ophthalmol.103:615-625.

34. Cromeans, T., M. D. Sobsey, and H. A. Fields. 1987.

Developmentofaplaqueassay foracytopathic,rapidly replicating

isolateofhepatitisAvirus.J.Med.Virol.22:45-56.

35.Dahling,D.R.,B.A.Wright,andF.P.Williams.1993.Detection

ofvirusesinenvironmentalsamples:suitabilityofcommercialrotavirus

andadenovirustestkits.J.Virol.Methods45:137-147.

36. Dart,J.K.1988.Predisposing factorsinmicrobialkeratitis:the

significanceofcontactlenswear.Br.J.Ophthalmol.72:926-930.

37.Dockery,D.W.,C.A.Pope,X.Xu,J.D.Spengler,J.H.Ware,

M.E.Fay,B.G.Ferris,andF.E.Speizer.1993.AnAssociation

betweenAirPollutionandMortalityinSix US Cities,p.1753-1759.

vol.329.

38. Dombek,P.E.,L.K.Johnson,S.T.Zimmerley,and M.J.

Sadowsky.2000.UseofrepetitiveDNA sequencesandthePCR to

differentiateEscherichiacoliisolatesfrom humanandanimalsources.

Appl.Environ.Microbiol.66:2572–2577.

39. Douwes,J. Thorne,P. Pearce,N., andHeederiki,D. 2003,

BioaerosolHealth Effects and Exposure Assessment:Progress and

Prospects,Ann.occup.Hyg.,Vol.47,No.3,pp.187–200.

40. Duizer,E.,K.J.Schwab,F.H.Neill,R.L.Atmar,M.P.G.

Koopmans,and M.K.Estes.2004.Laboratory effortstocultivate

noroviruses.J.Gen.Virol.85:79–87.

41. EgglestonPA, RosenstreichD, LynnH, GergenP,BakerD,

Kattan M,MortimerKM, MitchellH, Ownby D, Slavin R,

MalveauxF.1998.Relationshipofindoorallergenexposuretoskintest

Page 28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7 -

sensitivityininner-city childrenwithasthma.JAllergyClinImmunol

102:563-70.

42. FergusonBJ.2008.Environmentalcontrolsofallergies.Otolaryngol

ClinNorthAm 41:411-417.

43. Fout,G.S.,B.C.Martinson,M.W.N.Moyer,and D.R.

Dahling.2003.A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PCR method for

detection ofhuman enteric viruses in groundwater.Appl.Environ.

Microbiol.69:3158-3164.

44.Gerba,FirstIn-OfficeStudyDishestheDirtonDesks

45. Gonzalez-Robles,A.,G.Castanon,VI.Hernandez-Ramirez,L.

Salazar-Villatoro, M.Gonzalez-Lazaro,M.Omana-Molina,P.

Talamas-Rohana, A. Martinez-Palomo. 2008. Acanthamoeba

castellanii: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actin cytoskeleton.Exp.

Parasitol.119:411-417.

46. Gow.J.W.,W.M.H.Behan,G.B.Clements,C.Woodall,M.

Riding,andP.O.Behan.1991.EnteroviralRNA sequences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muscle ofpatients with postviral

fatiguesyndrome.Brit.Med.J.302:692–696.

47. Grabow etal.1993.Plaqueassayforadenovirustype41usingthe

PLC/PRF/5livercellline.WaterSci.Tech.27:321-327.

48. Griffin,D.W.,E.K.Lipp,M.R.McLaughlin,andJ.B.Rose.

2001.Marinerecreationandpublichealthmicrobiology:questforthe

idealindicator.BioScience51:817-825.

49. Guidelines forgood indoorairquality in office premises,First

edition,October1996

50. Hahn,T.W.,D.I.Chung,H.H.Kong,Y.H.Han.1998.

Nation-widesurveyforAcanthamoebafrom contactlenscaresystem in

korea.J.KoreanOphthalmol.Soc.39:667-672.

51. Hahn,T.W.,Y.H.Hahn.1998.Comparison ofusefulnessof

laboratorydiagnosisinAcanthamoebakeratitis.J.KoreanOphthalmol.

Soc.39:2218-2225.

52.Haramoto,E.,H.Katayama,K.Oguma,and S.Ohgaki,2007,

"Quantitative analysis of human enteric adenoviruses in aquatic

environments",J.Appl.Microbiol.,103:2153-2159.

53. Hay,J.,C.M Kirness,D.V.Seal,P.Wright.1994.Drug

resistance and Acanthamoeba keratitis: the quest for alternative

Page 285: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8 -

antiprotozoalchemotherapy.Eye.8:555-563.

54.Heim,A.,C.Ebnet,G.Harste,and P.Pring-Åkerblom,2003,

"Rapid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human adenovirus DNA by

real-timePCR",J.Med.Virol.,70:228-239.

55. Herz,N.L.,A.Y.Matoba,K.R.Wilhemus.2008.Rapidly

progressivecataractandirisatrophyduringtreatmentofAcnathamoeba

keratitis.Ophthalmology.115:866-869.

56.IndoorAirQualityinOfficeBuildings:ATechnicalGuide,1995.

57. Jeong KY,Hong CS,Yong TS.2007.Domesticarthropodsand

theirallergens.Protein& PeptideLetters14:934-942.

58. Jeong,H.J.,H.S.Yu.2005.Theroleofdomestictapwaterin

Acanthamoebacontaminationin contactlensstoragecasesin Korea.

KoreanJ.Parasitol.43:47-50.

59.Jeong,H.J.,S.J.Lee,J.H.Kim,Y.H.Xuan,K.H.Lee,S.K.

Park,S.H.Choi,D.I.Chung,H.H.Kong,M.S.Ock,H.S.Yu.

2007.Acanthamoeba:keratopathogenicityofisolatesfrom domestictap

waterinKorea.Exp.Parasitol.117:357-367.

60. Jiang,S.,R.Noble,andW.P.Chui.2001.Humanadenoviruses

and coliphagesin urban runoff-impacted coastalwatersofSouthern

California.Appl.Environ.Microbiol.67:179-184.

61.Jothikumar,N.,J.A.Lowther,K.Henshilwood,D.N.Lees,V.

R.Hill,and J.Vinjé,2005,"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Noroviruses by Using TaqMan-Based One-Step Reverse

Transcription-PCR AssaysandApplicationtoNaturallyContaminated

ShellfishSamples",Appl.Environ.Microbiol.,71:1870-1875.

62. Kaarakainen, P., Meklin1, T., Rintala, H. Hyvrinen, A.,

Krkkinen,P.,Vepslinen,A.,Hirvonen,M.R.andAinoNevalainen,

2008,SeasonalVariation in Airborne MicrobialConcentrations and

DiversityatLandfill,UrbanandRuralSites,Clean 36(7),556–563

63.Kanno,M.,K.Yagita,T.Endo,K.Miyata,M.Araie,T.Tsuru.

1998. Restriction enzyme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of

Acanthamoebastrainsisolatedfrom corneallesions.Jpn.J.Ophthalmol.

42:22-26

64. Katayama,H.,A.Shimasaki,andS.Ohgaki.2002.Development

ofa virusconcentration method and itsapplication to detection of

enterovirusandNorwalkvirusfrom coastalseawater.Appl.Environ.

Page 286: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69 -

Microbiol.68:1033-1039.

65. Kilvington,S.,T.Gray,J.Dart,N.Morlet,J.R.Beeching,D.

G.Frazer,M.Matheson.2004.AcanthamoebaKeratitis:Theroleof

domestic tap water contamination in the United Kingdom.Invest.

Ophthalmol.Vis.Sci.45:165-169.

66. Kilvington,S.,W.Heaselgrave,J.M.Lally,K.Ambrus,H.

Powell. 2008.Encystment of Acanthamoeba during incubation in

multipurpose contact lens disinfectant solution and experimental

formulations.EyeContactLens.34:133-139.

67. Kim,B.G.,J.S.Han,andS.U.Park.2001.TransportofSO2

andaerosolovertheYellow sea.AtmosphericEnvironment35:727-737.

68.Kim,H.K.,Y.R.Ha,H.S.Yu,H.H.Kong,D.I.Chung.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a 33 kDa serine protease from

Acanthamoeba lugdunensis KA/E2 isolated from a Korean keratitis

patient.KoreanJ.Parasitol.41:189-196.

69. Kim,J.J.,M.K.Kim,I.W.Park,H.B.Lee.1995.

Acanthamoebakeratitisincontactlenswearer.J.KoreanOphthalmol.

Soc.36:2042-2047.

70. Kim,S.H.,D.S.Cheon,J.H.Kim,D.H.Lee,W.H.Jheong,

Y.J.Heo,H.M.Chung,Y.Jee,andJ.S.Lee.2005.Outbreaksof

gastroenteritisthatoccurredduring schoolexcursionsinKoreawere

associated with severalwaterborne strains of norovirus.J.Clin.

Microbiol.43:4836-4839.

71. Kim,S.Y.,H.H.kong,D.I.Chung,T.W.Hahn.1998.In

vitroamoebicidalefficienciesofvariousdisinfectantsagainstfourocular

isolates of Acanthamoeba keratitis. J. Korean Ophthalmol. Soc.

39:2924-2931.

72.Kim,S.Y.,T.W.Hahn,H.H.Kong,D.I.Chung,Y.H.Hahn.

1999.In vitro amoebicidalefficacy ofhexamidine,polyexamethylene

biguanideandchlorhexidineonAcanthamoebaocularisolates.J.Korean

Ophthalmol.Soc.40:933-940.

73. Kim,W.T.,H.H.Kong,Y.R.Ha,Y.C.Hong,H.J.Jeong,H.

S.Yu,D.I.Chung.2006.Comparison of specific activity and

cytopathic effects of purified 33 kDa serine proteinase from

Acanthamoeba strains with differentdegree ofvirulence.Korean J.

Parasitol.44:321-330.

Page 287: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0 -

74. Knaapen,A.M.,P.J.A.Borm,C.Albrecht,and R.P.F.

Schins.2004.MINIREVIEW INHALED PARTICLES AND LUNG

CANCER.PARTA:MECHANISMS.Int.J.Cancer109:799-809.

75. Ko,G.,N.Jothikumar,V.R.Hill,and M.D.Sobsey.2005.

Rapid detection of infectious adenoviruses by mRNA real-time

RT-PCR.J.Virol.Methods127:148-153.

76. Ko,G.,T.L.Cromeans,andM.D.Sobsey.2003.Detectionof

infectious adenovirus in cell culture by mRNA reverse

transcription-PCR.Appl.Environ.Microbiol.69:7377-7384.

77. Kobayashi,A.,Y.Ishibashi,Y.Oikawa,H.Yokogawa,K.

Sugiyama.2007.In vivo and ex vivo laser confocalmicroscopy

findingsinpatientswithearly-stageAcanthamoebaKeratitis.Cornea.

27:439-445.

78. Kong,H.H.,D.I.Chung.1998.Ultrastructuralchanges of

Acanthamoebacystofclinicalisolatesaftertreatmentwith minimal

cysticidalconcentration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Korean J.

parasitol.36:7-13.

79. Kuan.,M.M.1997.Detectionandrapiddifferentiationofhuman

enterovirusesfollowinggenomicamplification.J.Clin.Microbiol.35:2598

–2601.

80. Lane,D. J.1991.16S/23S rRNA sequencing.Nucleic Acid

TechniquesinBacterialSystematics(StackebrandtE& Goodfellow M,

eds).J.Wiley& Sons,Chichester:115-175.

81. Larkin D.F.,S.Kilvington,J.K.Dart.1992.Treatmentof

Acnanthamoeba keratitis with polyhexamethylene biguanide.

Ophthalmology.99:185-191.

82. Leary,T.P.,J.C.Erker,M.L.Chalmers,A.T.Cruz,J.D.

Wetzel,S. M.Desai,I.K.Mushahwar,andT.S.Dermody.2002,

Detection of mammalian reovirus RNA by using reverse

transcription-PCR:Sequencediversitywithintheλ3-encodingL1gene.

J.Clin.Microbiol.40:1368-1375.

83. Lee,C.S.-H.Lee,E.Han,andS.-J.Kim.2004.UseofCell

Culture-PCR AssayBasedonCombinationofA549andBGMK Cell

Linesand MolecularIdentification asaToolToMonitorInfectious

Adenoviruses and Enteroviruses in River Water. Appl. Environ.

Microbiol.70:6695-6705.

Page 288: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1 -

84. Lee,J.E.,J.S.Lee,H.Y.Choi,H.S.Yoo.2007.Effectof

amoebicidalagentsonthehumancornealkeratocytesinvitro.J.Korean

Ophthalmol.Soc.48:125-134.

85.Lee,J.E.,T.W.Hahn,H.S.Yu,J.S.Lee.2007.Acanthamoeba

keratitisrelatedtoorthokeratologycontactlens.J.KoreanOphthalmol.

Soc.48:328-331.

86. Lee,J.H.,andWan-KuenJo,2006,Characteristicsofindoorand

outdoor bioaerosols at Korea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EnvironmentalResearch,101:11–17

87. Lee,S.J.,H.J.Jeong,J.E.Lee,J.S.Lee,Y.H.Xuan,H.H.

Kong, D. I. Chung, M. S. Ock, H. S. Yu.2006. Molecular

characterizationofAcanthamoebaisolatedfrom amebickeratitisrelated

to orthokeratology lens overnightwear.Korean J.Parasitol.2006.

44:313-320.

88. Lee,S.M.,Y.J.Choi,D.I.Chung.1997.Nation-widesurveyfor

Acanthamoeba from contactlens care system in korea.J.Korean

Ophthalmol.Soc.38:756-761.

89.Leparc,I.,AymardM.,andFuchsF,1994,"Acute,chronicand

persistent enterovirus and poliovirus infections:Detection of viral

genomebyseminestedPCR amplificationinculture-negativesamples",

Mol.Cell.Probe,8:487-495.

90. Liu,H.,Y.R.Ha,S.T.Lee,Y.C.Hong,H.H.Kong,D.I.

Chung.2006.GeneticdiversityofAcanthamoebaisolatedfrom ocean

sediments.KoreanJ.Parasitol.44:117-125.

91. Mehta,S.K.,D.M.Bell-Robinson,T.O.Groves,L.D.

Stetzenbach,and D.L.Pierson.2000.Evaluation ofPortableAir

SamplersforMonitoringAirborneCulturableBacteria.AIHAJ-American

IndustrialHygieneAssociation61:850-854.

92.Monpoeho,S.,A.Dehée,B.Mignotte,L.Schwartzbrod,V.

Marechal, J.-C. Nicolas, S. Billaudel, and V. Fé́rré, 2000,

"QuantificationofenterovirusRNA insludgesamplesusingsingletube

real-timeRT-PCR",BioTechniques,29:88-93.

93. Moore,M.B.,J.P.McCulley,M.Luckenbach,H.Gelender,C.

Newton,M.B,McDonald,G.S.Visvesvara.1985.Acanthamoeba

keratitis associated with soft contact lenses.Am.J.Ophthalmol.

100:396-403.

Page 289: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2 -

94. Morace,G.,F.A.Aulicino,C.Angelozzi,L.Costanzo,F.

Donadio,and M.Rapicetta.2002.Microbialquality ofwastewater:

DetectionofhepatitisAvirusbyreversetranscriptase-polymerasechain

reaction.J.Appl.Microbiol.92:828-836.

95. Morris,R.1985.Detectionofenteroviruses:anassessmentoften

celllines.WaterSci.Tech.17:71-80.

96. Mubareka,S.,M.Alfa,GK.Harding,G.Booton,M.Ekins,P.

Vancaeseele.2006.Acanthamoebaspecieskeratitisin asoftcontact

lenswearermolecularlylinkedtowellwater.Can.J.Infect.Dis.Med.

Microbiol.17:120-122

97. Muyzer,G.,and K.Smalla.1998.Application ofdenaturing

gradient gelelectrophoresis (DGGE) and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TGGE)inmicrobialecology.AntonievanLeeuwenhoek

73:127-141.

98. Muyzer,G.,E.C.de Waal,and A.G.Uitterlinden.1993.

Profilingofcomplexmicrobialpopulationsbydenaturinggradientgel

electrophoresisanalysisofpolymerasechain reaction-amplified genes

codingfor16SrRNA.AppliedandEnvironmentalMicrobiology59:695.

99. Narasimhan,S.,H.N.Madhavan,L.T.K.2002.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an in vitro susceptibility testforAcanthamoeba

species isolated from keratitis to polyhexamethylene biguanide and

chlorhexidine.Cornea.21:203-205.

100. Noble,R.T.,S.M.Allen,A.D.Blackwood,W.Chu,S.C.

Jiang,G.L.Lovelace,M.D.Sobsey,J.R.Stewart,andD.A.

Wait.2003.Use ofviralpathogens and indicators to differentiate

between human and non-human fecalcontamination in a microbial

coursetrackingcomparisonstudy.J.WaterHealth1:195-207.

101. Nunes,ZilmaG etal.2005,Indoorairmicrobiologicalevaluation

of offices,hospitals,industries,and shopping centers.Mem.Inst.

OswaldoCruz100(4):351-357.

102. PaikYH,TakaokaMT,MatsuokaH,IshiiA.1992.Mitefauna

andmiteantigeninhousedustfrom honsesinSeoul,Korea.JpnJ

SanitZool.43(1):29-35.

103. PantJ,RaiSK,Singh A,Lekhak B,Shakya B and G.

Ghimire.2006,Microbialstudy ofhospitalenvironmentand carrier

patternstudyamongstaffinNepalMedicalCollegeTeachingHospital,

Page 290: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3 -

8(3):194-199

104. Park,Y.M.,T.W.Hahn,S.H.Choi,J.S.Lee,J.E.Lee.

2007.Acanthamoeba keratitis related to cosmetic contactlenses.J.

KoreanOphthalmol.Soc.48:991-994.

105. Patel,A.,K.Hammersmith.2008.Contactlens-relatedmicrobial

keratitis:recentoutbreaks.Curr.Opin.Ophthalmol.19:302-306

106.Patel,J.R.,J.Daniel,andV.I.Mathan.1985.A comparisonof

the susceptibility of three human gut tumor-derived differentiated

epithelial cell line, primary monkey kidney cells and human

rhabdomyosarcoma cell line to 66-prototype strains of human

enteroviruses.J.Virol.Methods12:209-216.

107.Pens,CJ.,M.daCosta,C.Fadanelli,K.Caumo,M.Rott.2008.

Acanthamoebaspp.Andbacterialcontaminationincontactlensstorage

casesandtherelationshiptouserprofiles.Parasitol.Res.10:1120-1123.

108.Perfomancecriteriaofbuildingsforhealthandcomfort

109.Pina,S.,M.Puig,F.Lucena,J.Jofre,andR.Girones.1998.

Viralpollutionintheenvironmentandinshellfish:humanadenovirus

detection by PCR as an index ofhuman viruses.Appl.Environ.

Microbiol.40:805-809.

110.Pinto,R.M.,F.X.Abad,R.Gajardo,and A.Bosch.1996.

Detectionofinfectiousastrovirusesinwater.Appl.Environ.Microbiol.

62:1811-1813.

111.Platt-MillsTA,SporikRB,ChapmanMD,HeymannPW.1995.

Theroleofindoorallergensinasthma.Allergy.50(S):5-12.

112.PopeIii,C.A.,R.T.Burnett,M.J.Thun,E.E.Calle,D.

Krewski, K. Ito, and G. D. Thurston. 2002. Lung Cancer,

CardiopulmonaryMortality,andLong-term ExposuretoFineParticulate

AirPollution,p.1132-1141.vol.287.Am MedAssoc.

113. Ranjan, R., A. Handa, A. Choudhary, S. Kumar. 2008.

Acanthamoebainfectioninaninterhemisphericependymalcystacase

report.Surg.Neurol.

114.Rasmussen,L.D.,andS.J.Sørensen.2001.Effectsofmercury

contamination on theculturableheterotrophic,functionaland genetic

diversity of the bacterialcommunity in soil.FEMS Microbiology

Ecology36:1-9.

115.ReeHI,LeeIY,Kim TE,JeonSH,HongCS.1997.Faunaand

Page 291: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4 -

geographicaldistribution ofhouse dustmites in Korea.Korean J

Parasitol.35(1):9-17.

116.Reichhardt, T. 1995.Weighing the health risks of airborne

particulates.EnvironmentalScience& Technology29:360-364.

117.Rodríguez,R.A.,P.M.Gundy,and C.P.Gerba.2008.

ComparisonofBGM andPLC/PRC/5CellLinesforTotalCulturable

ViralAssayofTreatedSewage.Appl.Environ.Microbiol.74:2583-2587.

118.SaloPM,ArbesSJJr.CrockettPW,ThornePS,Cohn RD,

ZeldinDC.2008.ExposuretomultipleindoorallergensinUShomes

anditsrelationshiptoasthma.JAllergy

119.Schmitz-Esser,S.,E.R.Toenshoff,S.Haider,E.Heinz,V.M.

Hoenninger,M.Wagner,M.Horn.2008.Diversity of bacterial

endosymbiontsofenvironmentalacanthamoebaisolates.Appl.Environ.

Microbiol.74:5822-5831.

120.Seal,D.,J.Hay,C.Kirkness,A.Morrell,A.Booth,A.Tullo,

A.Ridgway,M.Armstrong.1996.Successfulmedicaltherapy of

Acanthamoebakeratitiswithtopicalchlorhexidineandpropamidine.Eye.

10:413-421.

121.Sedmak,G.,D.Bina,J.Macdonald,and L.Couillard.2005.

Nine-YearStudy oftheOccurrenceofCulturableVirusesinSource

WaterforTwoDrinkingWaterTreatmentPlantsandtheInfluentand

EffluentofaWastewaterTreatmentPlantin Milwaukee,Wisconsin

(August 1994 through July 2003). Appl. Environ. Microbiol.

71:1042-1050.

122.SesayHR,DobsonRM.1972.Studiesonthemitefaunaofhouse

dust in Scotland with special that of bedding. Acarologia

14(3):384-392.ClinImmunol121:678-684.

123.Shelton,B.G.,Kirkland,K.H.Flanders,W.D. andGeorgeK.

M.,2002,APPLIEDAND ENVIRONMENTALMICROBIOLOGY,68(4):

1743–1753.

124.Shin,H.J.,M.S.Cho,H.J.Kim,K.I.Im.1999.Isoenzyme

patternsandphylogeneticrelationshipsinAcanthamoebaspp.Isolated

from contactlenscontainersinKorea.KoreanJ.Parasitol.37:229-236.

125.Shoff,M.E.,C.E.Joslin,E.Y.Tu,L.Kubatko,P.A.Fuerst.

2008.Efficacyofcontactlenssystemsagainstrecentclinicalandtap

waterAcanthamoebaisolates.Cornea.27:713-719.

Page 292: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5 -

126.Slade,D.S.,J.T.Johnson,G.Tabin.2008Acnanthamoebaand

fungalkeratitisinawomanwithahistoryofintacscornealimplants.

EyeContactLens.34:185-187

127.Sousa,S.J.,V.G.Dias,L.A.Marcomini.2008.Bilateral

Acanthamoebaulcerinauserofdisposablesoftcontactlenses:atragic

incidentoraconsequenceoftheaggressivepolicyofsoftcontactlens

trading?Arq.Bras.Oftalmol.71:430-433

128.Stehr-Green,J.K.,T.M.Bailey,G.S.Visvesvara.1989.The

epidemiologyofAcanthamoebakeratitisintheUnitedStates.Am.J.

Ophthalmol.107:331-336.

129.Steinemann,T.L.,M.Fletcher,A.E.Bonny,R.A.Harvey,D.

Hamlin,P. Zloty, M. Besson, K. Walter, M. Gagnon. 2005.

Over-the-counter decorative contact lenses: Cosmetic or medical

devices?Acaseseries.EyeContactLens.31:194-200.

130.Straub,T.M.,I.L.Pepper,andC.P.Gerba.1995.Removalof

PCR inhibitingsubstancesinsewagesludgeamendedsoil.WaterSci.

Technol.31:311-315.

131.Sun,J.,T.Liu,andZ.Lei.2000.Sourcesofheavydustfallin

Beijing, China on April 16, 1998.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7:2105-2108.

132.Taylor,M.B.,P.J.Becker,E.J.Van-Rensburg,B.N.Harris,

I.W.Bailey,andW.O.Grabow.1995.A serosurveyofwater-borne

pathogensamongstcanoeistsinSouthAfrica.Epidemiol.Infect.115:299

–307.

133.Thomas,V.,J.F.Loret,M.Jousset,G.Greub.2008.Biodiversity

of amoebae and amoebae-resisting bacteria in a drinking water

treatmentplant.Environ.Microbiol.10:2728-45

134.Thomas,V.,N.Casson,G.Greub.2007.New AfipiaandBosea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watersources by amoebalco-culture.

Syst.Appl.Microbiol.30:527-579.

135.Thurston-Enriquez,J.A.,C.N.Haas,J.Jacangelo,K.Riley,

andC.P.Gerba.2003.Inactivationoffelinecalicivirusandadenovirus

type40byUVradiation.Appl.Environ.Microbiol.69:577–582.

136.Tree,J.A.,M.R.Adams,andD.N.Lees.2003.Chlorinationof

indicator bacteria and viruses in primary sewage effluent.Appl.

Environ.Microbiol.69:2038-2043.

Page 293: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6 -

137.Tu,E.Y.,C.E.Joslin,J.Sugar,G.C.Booton,M.E.Shoff,P.

A.Fuerst.2008.The relative value ofconfocalmicroscopy and

superficialcornealscrapingsinthediagnosisofAcanthamoebakeratitis.

Cornea.27:764-772.

138.UnitedStatesEnvironmentalProtectionAgency.ICR Microbial

LaboratoryManual.1996.EPA-600-R-95-178.OfficeofResearchand

Development,WashingtonD.C.

139.UnitedStatesEnvironmentalProtectionAgency.Method1600:

Membrane FilterTestMethod forEnterococciin Water.1997.

EPA-821-R-97-004.OfficeofWater,WashingtonD.C.

140.Wahn U, Lau S, Bergmann R, Kulig M, Forster J,

Bergmann K, BauerCP,Guggenmoos-Holzmann I.1997.Indoor

allergenexposureisariskfactorforsensitizationduringthefirstthree

yearsoflife.JAllergyClinImmunol:99(6):763-9.

141.Wallis,C.,S.Grinstein,J.L.Melnick,andJ.E.Fields,1969,

"Concentration ofViruses from Sewage and Excreta on Insoluble

Polyelectrolytes",Appl.Microbiol.18:1007-1014.

142.Wan-Kuen Jo,and Young-Jun Seo,2005,Indoorand outdoor

bioaerosollevelsatrecreationfacilities,elementaryschools,andhomes,

Chemosphere,61(11),1570-1579.

143.Wieslaw,J.,Umberto,M.,Marek,Z.,Mattew S,P.,Barbara,

H.,Elzbieta,F.,Elzbieta,M.,Ryszard,J.,Agata,S.,andPerera,

F. P,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health,20(2):117-126

144. Wilson, I. 1997. Inhibition and facilitation of nucleic acid

amplification.Appl.Environ.Microbiol.63:3741-3751.

145.Xuan,Y.H.,B.S.Chung,Y.C.Hong,H.H.Kong,T.W.

Hahn,D.I.Chung.2008.Keratitis by Acanthamoeba triangularis:

reportofcasesand characterization ofisolates.Korean J.Parasitol.

46:157-164.

146.Xuan,Y.H.,H.S.Yu,H.J.Jeong,S.Y.Seol,D.I.Chung,H.

H.Kong.2007.Molecularcharacterizationofbacterialendosymbiontsof

Acanthamoebaisolatesfrom infectedcorneasofKoreanpatients.Korean

J.Parasitol.45:1-9.

147.Xuguang,S.,C.Lin,Z.Yan,W.Zhiqun,L.Ran,L.Shiyun,J.

Xiuying. 2003. Acanthamoeba keratitis as a complication of

Page 294: 보고서 환경보건학적유해미생물관리 사업명 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515704.pdf2)지표세균및수인성및장관계바이러스조사연구

- 277 -

orthokeratology.Am.J.Ophthalmol136:1159-1161.

148.Year,H.,O.Zamfir,T.Bourcier,E.Viscogliosi,C.Noel,J.

Dupouy-Camet,C.Chaumeil.2008.Thegenotypiccharacterizationof

Acnanthamoebaisolatesfrom humanocularsamples.Br.J.Ophthalmol.

92:1139-1141.

149.Yu,H.S.,H.J.Jeong,Y.C.Hong,S.Y.Seol,D.I.Chung,H.

H. Kong. 2007. Natural occurrence of Mycobacterium as an

endosymbiontofAcanthamoebaisolated from acontactlensstorage

case.KoreanJ,Parasitol.45:11-18.

150.Yu,H.S.,K.H.Choi,H.K.Kim,H.H.Kong,D.I.Chung.

2001.Genetic analyses ofAcanthamoeba isolates from contactlens

storage cases of students in Seoul,Korea.Korean J.Parasitol.

39:16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