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간호사(NP, PA) - Cloud Object...

59
전문간호사(NP, PA): 역할과 기능 김소선(연세대학교 간호대학)

Transcript of 전문간호사(NP, PA) - Cloud Object...

전문간호사(NP, PA): 역할과 기능

김소선(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보건의료환경의 변화(1)

•  노인인구의 증가 •  생활습관의 변화 •  대사성 질환 증가 •  만성질환화 •  복합질환화 •  다학제간 접근 •  대학병원의 전 병동 중환자실화

보건의료환경의 변화(2)

•  근거기반 실무 •  환자의 권리 주장 강화 •  의료서비스의 질적수준 향상 •  의료비용의 상승 •  지방병원 및 중소병원 운영악화 •  의료인력의 수급제한/전공의 감축 •  의료기술의 발전

전공의 수 감축 및 근로조건 개선

•  배경: 미충원 및 과잉공급 문제 해결 지역병상의 내실화 전공의 근로환경 개선 •  감축: 2013-2015년 800명(정원, 3100명) 2013년 350명 2014년 250명 2015년 200명 •  근무조건 - 4년차:주 80시간(최대 88시간), 주 3회 당직초과 금지, 휴가 연14일 - 전 년차: 연속근무 36시간 초과 금지, 수련시간 최소 10시간 휴식, 4주 평균 주당 1일(24시간) 휴일, 응급실 수련 12시간 교대 - 인턴, 1년차: 당직수당 지급

License vs Certificate

•  Licensure: Authority to practice를 주는 것. 국민의 안전을 위해 국가나 특정기관에서 인정해주는 어떤 지식이나 기술에 대한 최소한의 자격, 영업허가

•  Certification: 지식, 기술, 경험에 대해 전문직이 정한 표준에 도달했음을 공식적 인정

일반 간호사 (Generalist, RN, BC 또는 RN,C)

•  정의 : 일 전공영역에서 1000시간-2년의 경력을 가진 학사학위소지자로서 해당영역에서의 지식과 기술이 유능한(competent) 수준에 있는 자 – ANA

•  유능함 : 일 전공영역 또는 유사한 임상상황에 대한 2-3년 정도의 지속적인 경험을 통해 축적된 능력으로 간호활동 시 간호의 목표나 우선순위를 항상 고려함 (Benner, 1984)

•  명칭 : Pediatric RN-C, Pediatric RN-BC,

CCRN(certified cardiac RN)

CORN(certified operating RN),

CNN(certified nephrology nurse), CFRN, OCN 등

Generalist Certifications •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e (RN,C) •  Medical-Surgical Nurse (RN,C) •  Pediatric Nurse (RN,C) •  Gerontological Nurse (RN,C) •  Community Health Nurse •  General Nursing Practice •  School Nurse •  Perinatal Nurse •  College Health Nurse •  Home Health Nurse •  Cardiac Rehabilitation Nurse •  Ambulatory Care Nurse (RN,C) •  Informatics Nurse •  Nurse Case Management (RN,C) •  Nursing Administration (RN, CNA) •  Continuing Education & Staff Development

미국의 Physician Assistant(PA)

•  업무: 전문간호사와 동일하나 반드시 의사감독 필요 •  부서: 과 또는 의사 소속

•  교육: 의학적 모델 하에 평균 26주 과정, 2008년 까지 석사과정으로 상향 조정

•  자격인증: National Commission of

Physician Assistants (PA-C)

미국의 전문간호사

정의:자율적인 치료처방(self-initiated treatment regimen)을 수행하는 석사이상 학위소지자의 탁월한(expert) 임상전문가 – 미국간호협회

종류 : •  Nurse Practitioner(NP) •  Clinical Nurse Specialist(CNS) •  Nurse Anesthetist (CRNA: Certified Registered Nurse Anesthetist) •  Nurse midwife(CNM: Certified Nurse Midwife) 공식명칭 : APRN,BC(Advanced Practice RN, Board Certified)

Core concepts for Advanced Practice Nurse(APN)

•  Autonomy in clinical practice

•  Professional and clinical leadership

•  Expert practitioner and researcher

Furlong & Smith(2005)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

•  Direct clinical practice •  Expert coaching and guidance •  Consultation •  Research •  Clinical & professional leadership •  Ethical decision making * Preventive & behavioral aspects 강조 Hamric & Hanson(2003)

Process of Care(1)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AANP)

* Framework: National standard of care와 scientific process를 활용 1. 건강상태의 사정 •  관련 health and medical history를 수집 •  연령과 건강력에 근거한 신체검진 수행 •  환자의 연령과 건강력에 근거한 예방적, 진단적 검사의 수행 또는 처방

•  건강과 의학적 위험요인의 파악

Process of Care(2) 2. 진단 •  진단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활용 •  수집된 자료의 합성, 분석 •  건강사정과 진단적 검사결과에 근거한 감별진단 •  환자, 가족, 또는 지역사회의 건강욕구 충족을 위한 우선순위설정 3. 치료계획 수립 •  환자, 가족과 함께 근거중심, 상호수용 가능하며 비용효과적인 다음의 계획을 수립

- 부가적인 진단검사의 처방과 해석 - 적절한 약물, 비약물적 중재의 처방 - 환자교육계획 수립 - 적절한 자문과 의뢰

Process of Care(3) 4. 계획의 수행 •  기준:개인 맞춤형 •  계획에 준한 수행 •  과학적 원리, 이론적 지식, 임상적 탁월성에 근거 •  교육과 학습기회와의 일관성 •  활동: 진단적 검사의 정확한 수행, 감독, 해석 약물, 비약물적 처치의 처방 타 건강전문인과 지역사회 기관에 의뢰 5. 환자상태에 대한 평가 및 추후관리 •  환자에 대한 치료성과의 기록과 효과확인 •  필요 시 치료계획의 재 사정, 수정

Other Standards of Practice(AANP) 1. 학제간/협동적 책임 •  환자에게 포괄적 건강관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직 동료들과 상호작용하며 팀의

리더 또는 팀원으로 참여 2. 환자상태와 건강관리에 대한 기록 3. 환자의 옹호자로서의 책임 4. 질보장과 수행능력의 유지 •  질보장 활동에 참여 •  계속교육 •  표준화된 guidelines의 실무적용 5. NP의 부가적 역할 •  Mentor, educator, researcher, manager, consultant의 역할을 수행 6. 실무의 근거를 위한 연구수행 •  임상적 연구질문의 개발과 연구의 수행 및 참여, 결과의 확산과 실무에 적용

Graduate Core Advanced Practice Core NP/CNS Role

전문간호사의 교육과정

연구, 보건정책, 건강관련이론, 조직이론, 윤리/법, 문화적 다양성, 보건의료전달체계/ 보건경제 등

상급건강사정, 상급생리학, 약리학, 병태생리학, 임상적 의사결정, 건강증진/질병예방

Specialty Theory(자율) Clinical Practicum (500시간 이상) Specialty Role

Doctorate of Nursing Practice(DNP)

•  석사학위소지자: Advanced Generalist •  박사학위소지자: Advanced Specialist

•  목적: 직접환자관리능력뿐만 아니라 임상실무를 지지하는 연구(translational research), 보건/ 지역사회 건강, 행정, 정책, 정보관리, 조직관리, 지도력과 관련된 제 지식 과 기술의 습득, 1000시간의 실습

법적인 보호장치

•  Nurse Practice Act(간호사법) 또는 Nursing Practice Act(간호법)

•  Joint publication of the standard and scope of pr

actice(간호협회, 관련 의학/간호단체)

Role and Scope of Advanced Practice Nurses(Texas Board of Nursing+ 기타)

•  Nurse Midwives: 건강한 여성의 건강관리, 임신, 분만, 산전/산후관리, 건강증진, 정상신생아 관리, STD환자의 파트너 관리

•  Clinical Nurse Specialist: 다양한 임상전공 영역에서 복잡한 건강관리문제를 가진 환자에 대하여 직접간호, 자문, 연구, 교육, 행정적 역할을 통한 관리, 질관리, 환자성과관리, 변화촉진자, EBP 적용

•  Nurse Anesthetist: 수술 전 사정, 마취제의 투여, 마취 후 회복관리, 통증관리

•  NP: 신체검진, 진단, 치료, 환자/가족 교육 및 상담을 통한 광범위한 건강문제의 관리, 일차/급성기 건강관리와 건강증진

Endocrinology Competency Framework for Adult Endocrine Nursing(영국)

목적 •  High standard of care 제공 •  실무영역 및 수준 확인과 자신의 career plan •  교육 및 자기개발 영역 확인 •  업무수행 평가 도구 개발 •  잠재력 확인 •  간호전문직 발전방향 기회확보 •  조직이나 기관의 지원, 전략기획 방향 제시

Competency Areas •  Acromegaly •  Benign adrenal tumors •  Cushing’s syndrome •  Endocrine dynamic function testing •  Hypo-hyperparathyroidism •  Hypogonadism •  Hypopituitarism •  Osteoporosis •  Polycystic ovary syndrome •  Steroid replacement therapy for disorders of the pituitary and

adrenal glands •  Thyroid disease •  Transition(청소년기)

Competency Framework의 예(Thyroid disease)

Competent (시작 6개월 내)

Proficient (+Competent)

Expert (+Competent/Proficient)

•  갑상선 기능검사 결과와 갑상선의 정상/

비정상 기능 연결

•  갑상선의 해부/생리를 환자의 수준으로

설명

•  갑상선 약물 복용 이유와 불이행시의 결

과 설명

•  약물부작용과 부작용 발생시의 대처요령

설명

•  경력간호사나 의사와 상의해야 할 증상

확인

•  환자/가족의 우려 경청, 지지

•  정확한 기록과 타의료진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  갑상선 기능검사 결과에 근거한 저하증

과 항진증 구분

•  환자의 건강력으로 갑상선 기능 문제를

인지

•  갑상선 기능검사 결과를 통한 판단으로 s

enior staff와 논의

•  치료방법과 각각에 따른 이익, 부작용, 합

병증을 환자에게 설명

•  지침서에 따라 갑상선 약물 처방 및 용량

변경

•  질병관련 심리적 이슈를 인지하고 환자/

가족 지지

•  최신 치료경향과 의뢰 경로 파악

•  Junior staff에 대한 역할 모델

•  갑상선 질환의 원인 파악과 진단을 위한

상급건강사정 실시

•  갑상선 비대, 결절, cyst 확인

•  검사 처방과 결과 해석

•  환자의 상태에 따른 치료요구 여부 결정

•  약물의 처방과 효과 감시

•  갑상선암 환자의 CP에 근거한 치료계획

설명

•  Junior staff 지지, 교육, 평가

•  임상지침서/표준 개발, 수행, 평가

•  서비스관련 문제파악 및 개선전략 개발

•  리더십, 자문

당뇨 APN의 scope of practice

•  직접실무 : 당뇨환자의 사정, 진단, 검사처방과 해석, 인슐린이나 경구 hypoglycemic therapy 처방과 감시 •  의뢰 : 영양사, 안과, 신장내과, 혈관, 발관리 •  교육 : 환자/가족, 간호사, 타 의료인, 학생 •  상담과 support calls •  자문-환자/가족, 주치의, 타 의료진 •  협동(coordination)-일정관리, 타과의뢰, 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  근거기반 실무 •  연구 및 통계 •  질관리 •  기록

Chronic Care Model(CCM)

•  Delivery system design - Inpatients-Planned visits(am), Acute visits(pm) - Outpatients-Annual, Quarterly visits •  Self-management support-지지그룹, 교육, •  Decision support- EBP(환자중심) •  Clinical information system-환자관리, 등록, 정보, 질관리, 연구 •  Community resources and policies •  Health care organization-질관리를 위한 행정적 지원

한국전문간호사 자격 인정

•  2006월 7월 7일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 공포 •  자격인정 : 전문간호사의 자격인정을 받을 수 있는 자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전문간호사교육기관에서 2년 이상의 전문간호사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실시하는 자격시험에 합격한자

•  국가자격의 정의: 법령에 의하여 국가가 신설하여 관리, 운영하는 자격

전문간호사 교육기관과 자격시험관리

•  간호평가원: 2004년 2월 발족, 보건복지부와 교육인적자원부의 협조와 함께 간호전문직 자율규제기구로서 역할

•  목적: 간호교육 및 간호서비스의 질적 보장과 향상을 위한 업무 •  사업: 간호교육표준의 설정, 대학/대학원/전문간호사교육기관을 비롯한 교육프로그램 인정평가, 간호사국가시험시행준비 및 전문간호사 시험 준비 및 시행, 간호사면허 및 자격관리, 간호계 저작권 관리, 간호서비스평가

전문간호사 입학자격 및 교육과정

•  자격 해당분야 실무경력 3년 + 33학점 이수 + 자격시험 합격

§  교육과정 공통필수 - 간호이론(2), 간호연구(2), 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정책(2), 상급건강사정(2+1), 약리학(2), 병태생리학(2) 등 총13학점 전공이론-10학점 전공실습-10학점(최소 300시간)

•  직접 실무제공자 - 자료수집 - 진단 : 간호진단, 감별진단 - 계획 : 간호진단에 근거한 간호계획 - 수행 : 응급간호, 안위/정서적 안정, 환경조성, 비용효과적, 비판적 사 고, 근거중심, 사생활 존중, 윤리적 의사결정, 개인의 권리인정, 치료적 의사소통 - 평가 •  교육 및 상담(대상자 교육, 상담) •  연구 •  리더쉽(변화촉진, 관리) •  자문 및 협동

한국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

간호법 내 전문간호사의 업무

•  대통령령이 정하는 분야에 대한 전문간호행위 •  간호사에 대한 자문과 교육 •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및 결과의 활용 •  다른 보건의료인에 대한 자문

한국 전담간호사 또는 PA의 역할 •  검사결과확인 •  대상자 교육 및 상담 •  건강사정 •  회진 •  합병증이 없는 상처드레싱/삽관 관리/발사 •  환자상태에 따른 치료일정의 변경/조정 •  환자의 중증도 분류 •  검사의 처방 •  환자의 경과기록 작성 •  약물처방(자율, 프로토콜) •  수술보조 •  입원 또는 수술 후 standing order 작성 •  퇴원계획 •  교육프로그램 개발/직원교육 •  자문 •  연구

전문(전담) 간호사 현황 ( 타병원 자료 12년 10월 기준)

구분 본 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명칭

(인원)

•  NP(52명)

•  PA(26명)

• CNS (67명) (Clinical Nurse Specialist) • SA (35명) (Surgical Assistant)

•  PA(20명, 병동,외래근무) (Physician Assistant) •  SA(36명) (Surgical Assistant)

•  PA(86명) - 수술실 38명, - 병동/외래 48명

78명 102명 56명 86명

소속 임상과 간호팀 임상과 임상과/간호팀 본부 진료행정실(진료부원장산하)

역할 전공의 대체 전공의 대체 전공의 대체 전공의 대체

직무순환 없음

(불가능은 아님) 불가능 없음 없음

승진

(보직)

가능 (사실상 어려움)

•  CNS : 불가능 •  SA : 가능

보직 승진 없음 (직급 승진만 가능)

보직 승진 없음 (직급 승진만 가능)

구분 본 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급여

(수당)

일반 간호사와 동일(수당無)

•  CNS : 별도 연봉제 •  SA : 일반간호사와 동일 (수당無)

일반 간호사와 동일 일반 간호사와 동일하며 비정규직도 운영함(수당無)

인사평가 임상과

•  CNS : 간호팀, 임상과 동시 평가 → 가중치 곱하여 합산 •  SA : 간호팀

임상과 임상과 또는 간호팀

비고

(선발기준)

임상경력 1년 이상 • 임상과별 상이 (교육, 연구 능력)

•  CNS 입사 후 5년 이상, 해당과 3년 이상, 석사학위 이상, 전문간호사 자격 등 •  SA :별도 기준 없음

*별도 기준없음 수술실 근무 SA의 경우 흉부외과 3명을 제외한 전원 계약직으로 운영

*별도 기준없음 진료행정실 소속으로 소속부서 일원화 추진중

일 대학병원의 병동 NP 업무(1) n=94

•  회진, On call •  외래, 입원, 퇴원, 경과 기록지 작성 •  EMR 간호사의 Memo란 확인 •  입원, 수술, 검사, 퇴원 설명, 일정 조정/Push •  검사결과 확인/보고, 약물 및 검사 처방, 드레싱, stich out 등 처치, 협진의뢰(타과, 영양팀, 사회사업팀 등),

•  협력병원 의뢰 •  외과의 경우 수술가능성 확인/보고, 수술비 입력 •  고가의 약-보험가능 확인 및 설명 •  진단서, 의무기록 사본 등 처방

일 대학병원의 병동 NP 업무(2)

•  해피콜(follow-up call) •  연구(자료수집-설무지, 검사, DB/Registry 구축, 통계, 증례기록지 작성 등)

•  컨퍼런스 준비, 교수 연구발표 준비 •  상담, 교육, 교육자료 개발, 개인교수 또는 과 블로그 관리/운영 •  적정성 평가 준비 및 확인 •  CP개발 •  학생지도 및 평가

일 대학병원의 PA업무 (주로 수술방, 수술없는 경우 외래)

•  수술전: 체위, Foley insertion, skin prep 등 •  수술중: 1st 또는 2nd assistant •  수술후: specimen 관리, 기록, 병리처방, 회복실 또는 ICU 이동 동행

•  기타: - 장비 및 물품 준비 및 관리 - Specimen, 사진 관리

RNFA (RN First Assistant) 의 정의

•  최적 수준의 환자성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외과의와 기타 팀원과 협동(collaboration)하며 확대된 역할에 걸맞는 지식, 기술, 판단력을 보유한 면허간호사.

•  RNFA은 외과의의 지시에 준하여야 하며 소독간호사의 기능과 중복되지 않음

RNFA의 전개

•  1983 American College of Surgeons에 의해 필요성 언급 •  1983 미국 수술실간호사회(AORN)에 의해 역할개발의 필요성 공지

•  1984 AORN에 의해 RNFA의 정의, 업무 범위, 교육, 자격기준 공포

•  1993 AORN에 의한 자격 인증제 실시

RNFA의 통제

•  실무범위의 관장 : 주 간호법 (State Nurse Practice Act) •  역할에 대한 공식적인 인지 미 50 개주의 간호면허국 •  보험상환 사보험, 산업재해보험, Medicaid 등에서 집도의의 13.6-16%수준

RNFA의 인증자격 기준

•  Certified RN in OR •  학사학위소지자 •  2000시간 이상의 실습(1400시간은 수술 중), 이 중 500시간은 최근 2년 이내

•  시험내용 : 70% 수술 중, 30는 수술 전/후

RNFA의 기능 •  수술 전 - 타 건강팀과의 협동아래 수술 전 간호사정을 수행하고 이의 결과를 의사소통 - 환자교육, 간호계획 - 프로토콜의 범위 내에서 수술 전 처방 •  수술 중 - 환자의 체위고정, 피부소독, 소독포 적용 - 수술부위 노출, 조직유리/ 박리, 지혈, 봉합,드레싱 적용 •  수술 후 - 수술과정기록 - 프로토콜의 범위 내에서 수술 후 처방 - 수술 후 회진 참여, 퇴원계획 * RNFA의 수술 전, 중, 후 기능은 환자군, 소속기관, 인적/물적자원에 따라 차이

AORN에서 분석한 외과 APN의 기능 •  수술 중 외과의에 대한 보조보다는 환자의 수술대상으로서의 적합성 판정

•  마취과와 외과 의사와의 의사소통 •  환자교육 •  퇴원계획 •  추후관리

수술실내에서 근무하는 APNs

•  Clinical Educator 교육대상 : 간호대 / 의대학생, 신규간호사, 전공의, Sales Professional, 관련 방문객(theater) •  Staff Developer 경력간호사의 인력훈련, 질 관리, 위험요인 관리, 간호성과지표개발 및 분석, 비용분석

한국 전문간호사 제도의 현 문제점

•  업무에 대한 법률적 범위(의료/간호법) 부재 •  전문간호사에 대한 이해의 다양성 •  의료기관별 자체 훈련을 통한 변종 전문간호사 탄생 •  명칭, 자격, 역할에 대한 혼란 전담간호사, 코디네이터, NP, CNS, PA 등 •  동료 의료인/소비자의 혼돈 •  전문간호사에 대한 수요, 공급의 불확실성 •  상급종합병원에 대한 전공의 수 감축, 인턴제 폐지 -수요 급증 예상

한국 전문간호사 제도화 전략(1)

1) 전문간호사의 일부 영역 통합/재정비 •  종양과 호스피스의 통합(종류, 교육과정, 자격제도) •  중환자와 응급의 통합 •  보건과 산업의 통합 •  임상전문간호사 영역의 출현으로 13개 영역의 재구성 필연적 2) 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관련 의사단체와의 협동/ 토론/합의/홍보) 3) 현재 PA(Physician Assistant)가 수행하고 있는 역할이 접목될 수 있는 간호대학원의 교육과정 개편

4) 표준교과과정 내 전공영역에 대한 융통성/자율성 제고, 관련 의학단체와의 협동

5) 대학간의 컨소시움 구성, 교육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선택과 집중, 교과목의 공동운영

한국 전문간호사 제도화 전략(2)

6) 자격시험제도의 개선(교육과정 통합에 따른 이중 자격제도)

•  시험 출제 시 관련 의학단체와의 협동

•  자격시험 출제자의 자격 및 준비

•  자격시험 내용의 개선(비판적 사고와 임상적 판단 강화)

7) 전문간호사의 활동 현황 조사, 평가

8) 성과연구(합병증 발생률, 사망률, 감염률, 재원기간, 재입원률, 응급실/외래 이용률, 비용분석, 간호사/의사/환자 만족도 등)

9) 보상체계의 확립

개별 기관의 전 략

•  직무기술서(업무의 양성화, 성과연구) •  동일과 내에서의 균등한 업무량 •  EMR 기록 권한 •  근로조건 준수 및 중앙관리시스템-근태관리, 평가, 보상,

계속교육, 근무복, 공상 및 병가처리, 휴가, 공가, 시간외 근로/ 주말 당직 수당 등

•  Clinical Track내 career ladder system 구축 •  NP, PA에 대한 의료진의 이해 •  명칭

간호조직 기구표 DON

NE

APN NM

CN IV

CN III

CN II

CN I

성 과

� 정의: 임상적 판단, 과학적 지식, 기술, 경험의 사용에 근거한 중재의 결과(Byers & Brunell, 1998)

� 목적: 간호의 효과 평가, 환자의 생에 간호가 미친 영향, 간호의 중요한 면(과학/예술)을 파악, 임상적 의사결정의 근거 확립(Davis et al, 1994)

Classification of the outcomes (Kleinpell.RM.2009 )

•  Care-related outcomes: 전문간호사가 개입된 모든 서비스의 결과

•  Patient-related outcomes: 환자의 지각, 이행,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

•  Performance-related outcomes: 전문간호사가 제공한 서비스의 질 평가

Care-related outcomes

•  일반지표: Lab values, Clinical symptoms (예:dyspnea, pain), Physical function & mobility, 재원일, 입원율, 재입원율, 의료비, 자문시 소요시간,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 약물부작용 발생률 , 대기시간, 환자 방문횟수, 면역접종율, 선별검사 수검율, 수혈율, TPN사용율, 삶의 질, 재입원 시간, 퇴원과 재입원 간 기간 •  ICU: 인공호흡기 사용기간/reintubations 건수,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BG사용건수, 산소사용건수, ICU 재원일, 유치도 뇨관 유지기간, 조기이상 시점, tube feeding시 목표량 도달시점, 영양상태 •  ER: Stroke/ MI 환자 내원 시 response time, tPA 주입시간, 혈전용해제 주입시간, 관리의 지속성

Patient-related outcomes

•  환자만족도, 환자불만건수, 의료접근성 •  환자의 이행도/자기관리(예: foot care), 증상완화/ 해결, 건강유지, 지식, 우울, 불안, 기능수준, 진통제 사용빈도, 통증, 불확실성

•  자존감 •  직장복귀, 스트레스수준 •  caregiver-related outcomes

Performance-related outcomes

•  건강서비스의 질 •  대인관계/의사소통 기술 •  기술적 수준 •  기록의 충실성 •  심폐소생술 성공률 •  임상검사의 완벽성 •  Finding of new health problems •  Best practice guideline 이행정도 •  Night calls •  처치 options에 대한 설명정도/환자의 참여정도/기타 자원의 활용 정도

•  Thoracotomy tube insertion 성공율/합병증 발생율

Performance-related outcomes

•  업무수행 소요시간 •  활동시간 분석 •  APN의 업무만족도 •  협동 •  처치 완료율 •  수입 •  수련의/전공의 OT •  이직율 •  업무량과 시간 절약

성과지표의 개발

Service의 종류 •  by 환자군/volume(productivity) •  by core competencies(role functions) •  by role performance(duties)

개발방법 •  Retro/Prospective

접근 •  Independent or team approach

내용(indicators) •  간호활동과 의학적 활동 포함

Team approach

•  자문에 의한 shared decision making

•  Shared ideas and knowledge

•  Consistent interaction

•  Better collaboration

•  Improved quality of care

•  Patient satisfaction

성과지표의 개발과정

•  위원회 구성 •  질관리 지표에 대한 교육 •  기관의 우선순위 확인/고용목적 •  환자군 결정 •  환자의 질관리에 기여하는 부서별 지표 개발 •  선별한 지표에 대한 이론적 조작적 정의 •  일정한 형식으로 구성 •  사전조사 •  개발한 지표의 기관, 대상자, 부서에 대한 적합성 검토 •  개선 전략개발

Outcome indicators sources

�  문헌 �  병원평가 기관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

tion(ICAHO)-Medicare certification & state licensure National Committee for Quality Assurance(NCQA) �  Specialty organizations �  Soft ware programs �  Internet성과측정 메뉴얼 �  Clinical guidelines, protocols, critical pathways �  Flow chart, check list, guideline-bases performance measur

es

전문간호사 제도화의 목적(1): 간호전문직 발전

Specialization

Professionalism

Advancement

Financial reimbursement

ANA(2003)

전문간호사제도의 목적(2): 대상자에 대한 질적인 건강관리

Comprehensive

Coordinated

Consistent

Collaborative

Cost-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