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 2019-07-02 · _zn i)vþu gE_zsjh `µ...

230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Risk Assessment for Pesticide Residu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Gyeonggi-do 2012년 2월 연구총괄 : 윤미혜 보건연구부장 연구주관 : 박용배 보건연구기획팀장 연구책임 : 도영숙 보건연구사

Transcript of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 2019-07-02 · _zn i)vþu gE_zsjh `µ...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Risk Assessment for Pesticide Residu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Gyeonggi-do

2 0 1 2 년 2 월

연구총 : 윤미혜 보건연구부장

연구주 : 박용배 보건연구기획 장

연구책임 : 도 숙 보건연구사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Risk Assessment for Pesticide Residu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Gyeonggi-do

2 0 1 2 년 2 월

연구총 : 윤미혜 보건연구부장

연구주 : 박용배 보건연구기획 장

연구책임 : 도 숙 보건연구사

- i -

목 차

요 약 ·····················································································1

제 1장 서 론 ······································································7

제 2장 이론 배경 ··························································11

2.1. 농약 ····································································································13

2.1.1. 농약의 정의 ·················································································13

2.1.2. 농약의 작용기작 ·········································································14

2.1.3. 농약의 독성 ·················································································15

2.1.4. 농약의 품목등록 ·········································································17

2.1.5. 농약시장 ·······················································································18

2.1.6. 농약의 잔류허용기 설정 차 ···········································20

2.2. 해평가(Risk Assessment) ·······························································23

2.2.1. 배경 ·······························································································23

2.2.2. 해평가의 의의 ·········································································24

2.2.3. 해평가 방법 ·············································································26

제 3장 연구방법 ·································································31

3.1. 농산물 잔류농약 모니터링 ······················································33

3.2. 해평가 방법 ··················································································37

3.2.1. 잔류농약 평균농도 ·····································································37

3.2.2. 농산물 품목별 섭취량 ·····························································37

3.2.3. 인체안 기 ···············································································38

3.2.4. 만성식이 해평가 ·······································································38

- ii -

제 4장 연구결과 ·································································41

4.1. 잔류농약 모니터링 ··········································································43

4.1.1. 연도별 추이 ·················································································44

4.1.2. 농산물검사소별 결과 ·································································45

4.1.3. 월별 추이 ·····················································································48

4.1.4. 농산물 분류별 결과 ···································································49

4.1.5. 농산물 품목별 결과 ···································································55

4.1.6. 농약의 화학 분류별 결과 ·····················································80

4.1.7. 농약의 용도별 결과 ···································································83

4.1.8. 농약의 성분별 결과 ·································································85

4.2. 해평가 ···························································································103

4.2.1. 만성식이 해평가 결과 ····························································103

4.2.2. 불확실성과 한계 ··································································105

제 5장 결 론 ····································································119

참 고 문 헌 ······································································ 127

부 록 ················································································ 13 3

1. 농산물 품목별 농약 검출내역 ······················································135

2. 농약별 농산물 품목 검출내역 ······················································163

3. 월별 농산물 품목의 부 합 발생 황 ········································ 201

- iii -

표 차 례

표 2-1. 성독성 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 ······················································ 15

표 2-2. 어류에 한 독성 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 ······································ 16

표 2-3. 독성 구분별 품목등록수(2011. 1월 재) ············································ 16

표 3-1. 농산물검사소의 시료 수거지역 검사기간 ······································ 34

표 3-2. 농산물 형태 농약의 잔류 특성에 따른 분류표 ···························· 35

표 3-3. 검사 상 농약성분(2006~2010) ····························································· 36

표 3-4. 만성 해평가에 용된 농약성분별 ADI ············································· 39

표 4-1. 농산물검사소의 연도별 잔류농약검사결과 ·········································· 46

표 4-2. 농산물검사소별 농산물 분류별 검사결과 ········································ 48

표 4-3. 농산물 분류별 검사결과 (2006~2010) ················································· 50

표 4-4. 연도별 농산물 분류별 잔류농약검사결과 ········································ 54

표 4-5. 농산물 품목별 검출률 ············································································ 56

표 4-6. 농산물 품목별 부 합률 ········································································ 59

표 4-7. 연도별 농산물 품목의 부 합 발생빈도 순 ···································· 64

표 4-8. 월별 농산물 품목의 부 합 발생빈도 순 ······································ 65

표 4-9. 부 합발생 품목의 부 합 농약성분별 빈도 ······························ 68

표 4-10. 연도별 농약의 복검출 추이 ···························································· 77

표 4-11. 연도별 농약 2성분 이상 검출 농산물 품목 ···································· 78

표 4-12. 농약 2성분 이상 검출 농산물 품목 ···················································· 80

표 4-13. 농약의 화학 분류에 따른 검출빈도 ················································ 82

표 4-14. 농약의 화학 분류에 따른 부 합빈도 ············································ 82

표 4-15.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 순 ································································ 87

표 4-16. 농약의 성분별 부 합빈도 순 ·························································· 90

- iv -

표 4-17. 연도별 농약의 부 합빈도 순 ·························································· 92

표 4-18. 부 합 발생 농약의 농산물 품목별 부 합 발생빈도 ···················· 95

표 4-19. 그룹별 잔류농약 만성식이노출량(EDI) ·········································· 106

표 4-20. 그룹별 잔류농약의 만성식이 해평가 결과(%ADI) ···················· 110

표 4-21. 농약성분별 해도에 한 최 기여 농산물 품목 ······················ 115

- v -

그 림 차 례

그림 2-1. 농약의 용도별 품목 등록 비율 ·························································· 18

그림 2-2. 농약의 품목 등록수 추이 ···································································· 18

그림 2-3. 농약의 수출입추이 ················································································ 19

그림 2-4. 농약의 용도별 공 량 ·········································································· 19

그림 2-5. 농약의 총사용량 ha당 사용량 ······················································ 20

그림 2-6. 우리나라 농약 잔류허용기 설정 차 ·········································· 22

그림 2-7. 해분석의 구성요소 ············································································ 24

그림 2-8. 해평가 요소 ························································································ 25

그림 2-9. 해요소별 해평가 차 ································································ 26

그림 3-1. 농산물검사소별 할 시료 수거지역 ················································ 33

그림 4-1. 잔류농약 모니터링결과(2006~2010) ················································· 43

그림 4-2. 연도별 잔류농약검사결과 ·································································· 44

그림 4-3. 농산물검사소별 검사건수 비율 ·························································· 45

그림 4-4. 농산물검사소별 잔류농약검사결과 ···················································· 47

그림 4-5. 농산물검사소별 검출률과 부 합률 추이 ········································ 47

그림 4-6. 연간 월별 검출률 부 합률 ························································ 49

그림 4-7. 농산물 분류별 검사건수 비율 ······················································ 51

그림 4-8. 농산물 분류별 검사결과 ·································································· 52

그림 4-9. 채소류 소분류별 검출률 부 합률 ·············································· 53

그림 4-10. 과실류 소분류별 검출률 부 합률 ············································ 53

그림 4-11. 농산물 품목의 검출, 불검출, 부 합 발생비율 ···························· 55

그림 4-12. 농산물 품목의 검출빈도 비율 ························································ 58

그림 4-13. 농산물품목의 부 합빈도 비율 ························································ 61

- vi -

그림 4-14. 농산물 품목의 부 합순 (22 이내) ··········································· 61

그림 4-15. 농산물 검출 부 합 발생 농약성분수(10성분 이상) ··· 67

그림 4-16. 상추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1

그림 4-17. 시 치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1

그림 4-18. 쑥갓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2

그림 4-19. 들깻잎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2

그림 4-20. 참나물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3

그림 4-21. 배추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3

그림 4-22. 근 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4

그림 4-23. 고춧잎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4

그림 4-24. 취나물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5

그림 4-25. 무(잎, 열무)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5

그림 4-26. 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 76

그림 4-27. 농약의 복검출 비율 ······································································ 76

그림 4-28. 연도별 농약성분의 복검출 추이 ·················································· 77

그림 4-29. 농약의 화학 분류에 따른 검출빈도비율 ···································· 81

그림 4-30. 농약의 화학 분류에 따른 부 합빈도비율 ································ 81

그림 4-31. 농약의 용도별 검출비율 부 합비율 ········································ 83

그림 4-32. 농약의 용도별 검출빈도비율과 부 합빈도 비율 추이 ················· 84

그림 4-33. 농약의 용도에 따른 월별 검출빈도 ················································ 84

그림 4-34. 농산물검사소의 잔류농약검사 성분수 추이 ································ 85

그림 4-35.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비율 ······························································ 89

그림 4-36. 농약 성분별 부 합빈도비율 ···························································· 91

그림 4-37. 농약성분별 검출 부 합 발생 품목수(검출 10품목이상) ····· 94

그림 4-38. 엔도설 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98

그림 4-39. 로시미돈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순 ························ 98

- vii -

그림 4-40. 클로르피리포스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99

그림 4-41. 다이아지논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99

그림 4-42. 아족시스트로빈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100

그림 4-43. 디메토모르 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100

그림 4-44. 에토 로포스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100

그림 4-45. 클로로타로닐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101

그림 4-46. 카벤다짐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101

그림 4-47. 메티다치온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101

그림 4-48. 이피엔의 품목별 검출 부 합빈도 ·········································· 102

그림 4-49. 그룹별 만성식이 해평가 결과 ···················································· 114

요 약 문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요약 / 3

요 약

1. 연 구 의 목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 잔류농약 모니터링결

과에 하여 연도별, 월별, 농산물 품목별, 농약 성분별 경향과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 다.

○ 농약 성분별 평균농도, 농산물 품목별 식이섭취량, 평균체 등으로 농약

성분별 만성식이노출량(EDI)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국민, 경기도민,

고섭취자군(97.5th

백분 수), 섭취자군의 유통 농산물 섭취에 따른 잔류농

약의 만성식이 해도(%ADI)를 평가하고자 하 다.

2. 연 구 방법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경기도내 공 농수산물도매시장(수원, 구

리, 안양, 안산)의 반입 농산물과 도내 31개 시군 소재 백화 , 형유통

매장 통시장 등지에서 거래되는 유통 농산물 35,757건에 한 농약

엔도설 등 236성분의 잔류농약검사결과를 분석하 다.

○ 농산물 식이섭취에 따른 잔류농약의 만성식이노출량(EDI)을 산출하기

하여 부 합발생 농약 74성분에 하여 농산물 품목별 평균농도를 산

출하 다. 농산물 품목별 국민, 경기도민과 고섭취자군(97.5th백분 수),

섭취자군의 식이섭취량을 산출하기 해 2009년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

를 활용하 고, 평균체 은 Codex의 잔류농약 해평가 시 아시아인에

용되는 55 kg을 용하 다. 결정론 (Deterministic) 만성식이 해평

가를 해 부 합이 발생한 농약 74성분의 ADI 비 노출량(EDI) %비

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로 만성식이 해도(%ADI)를 결정하 다.

3 . 연 구 결 과

○ 연도별 잔류농약 검사건수는 2006년 3,519건, 2007년 3,869건, 2008년

6,799건, 2009년 10,827건, 2010년 10,743건으로 5년간 총 35,757건이었고,

이 4,786건(13.4%)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부 합은 714건(2.0%)이

었 다 . 연 도 별 검 출 률 은 7.9% ~ 15.3% , 부 합 률 은 1.8% ~ 2.3% 로 나 타

났다.

○ 월별 검출률은 12.1%~15.1%로 8월이 가장 높았고, 12월~2월인 겨울

철과 7월~9월인 여름철이 높았다. 부 합률은 1.2%~2.7%로 1월이 가

장 높게 나타나는 등 검출률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 농산물 분류별 검사건수는 채소류가 29,962건(83.8%), 과실류 2,558건

(7.2%), 버섯류 1,250건(3.5%), 곡류 747건(2.1%), 서류 635건(1.8%), 콩류

247건(0.7%), 견과종실류 160건(0.4%), 차 80건(0.2%), 기타 118건(0.3%)

이었다. 부 합률은 채소류 2.3%, 과실류 0.5%, 버섯류와 서류가 각각

0.2%, 곡류 0.1%로 나타났다. 채소류 에서는 엽경채류의 부 합률이

3.4%로 가장 높았고, 과실류의 소분류에서는 감귤류의 부 합률이 1.7%

로 가장 높았다.

○ 5년간 농산물 총 143품목에 하여 검사한 결과 92품목(64.3%)에서 잔

류농약이 검출되었고, 47품목(32.9%)이 부 합으로 정되었다. 검출률

15%이상 상 품목은 고춧잎 43.6%, 고춧가루 40.7%, 추 35.1%, 감

33.4%, 돌나물 33.2%, 참나물 30.0%, 취나물 29.1%, 부추 28.7%, 겨자채

26.7%, 오 지 26.0%, 들깻잎 24.0%, 냉이 23.2%, 인삼 23.1%, 셀러리

요약 / 5

21.9%, 고추 21.4%, 복숭아 20.7%, 딸기 19.9%, 오이 19.8%, 참외 18.5%,

사과 18.4%, 근 18.0%, 포도 17.4%, 비름나물 16.1%, 슬리 15.8%,

시 치 15.6% 순으로 25품목이었다. 부 합률 2.0%이상 상 품목은

고춧잎 16.4%, 머 13.0%, 겨자채 12.8%, 달래 10.0%, 취나물 9.2%, 셀

러리 8.2%, 참나물 7.0%, 돌나물 6.0%, 부추 5.4%, 근 5.4%, 비름나물

5.2%, 갓 4.8%, 쑥갓 4.3%, 들깻잎 4.1%, 시 치 3.8%, 고춧가루 3.7%,

2.8%, 냉이 2.4%, 감 2.4% 치커리잎 2.2%, 메론 2.1%, 상추 2.0%

순으로 22품목이었다. 부 합 빈도에서는 상추, 시 치, 쑥갓, 들깻잎, 참

나물, 배추, 근 , 고춧잎, 취나물, 무(잎), , 부추, 고추 등 13품목이

체 부 합빈도의 83%를 차지했다.

○ 잔류농약검사 236성분 153성분이 검출되었고, 74성분이 부 합으로

정되었다. 검출빈도 순 는 엔도설 18.1%, 로시미돈 16.6%, 디메토

모르 5.9%, 클로로타로닐 5.8%, 클로르피리포스 3.9%, 싸이퍼메쓰린

3.8%, 아족시스트로빈 3.4%, 다이아지논 3.4%, 비펜스린 2.0%, 이미다클

로 리드 1.7%, 메소 1.7%, 톨크로포스-메틸 1.6%, 보스칼리드 1.6%,

테부코나졸 1.3% 순으로 이들 14성분이 체 검출빈도의 70%이상을 차

지했다. 부 합 발생빈도는 엔도설 20.3%, 로시미돈 9.2%, 클로르피

리포스8.2%, 다이아지논 7.2%, 아족시스트로빈 5.5%, 디메토로르

4.6%, 에토 로포스 4.4%, 클로로타로닐 3.9%, 카벤다짐 2.9%, 메티다치

온 2.3%, 이피엔 2.0%, 루페녹수론 1.6%, 크 속심메칠 1.6%, 루페

론 1.6% 순으로 상 14성분이 75%를 차지했다.

○ 부 합 정 농약 74성분의 만성식이 해평가결과 %ADI는 국민의

상한값을 기 으로 테부피림포스 8.8%, 이피엔 5.9%, 메티다치온 4.3%,

에토 로포스 2.5%, 디코폴 2.0%, 카보후란 1.6%, 로치오포스 1.5%,

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엔도설 1.4%, 디니코나졸 1.4%, 펜토에이트 1.3%, 페니트로치온 1.2%

순이었고 나머지 63성분은 1.0%미만으로 나타났다. 해도가 높은 상

성분들은 부분 유기인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민과 국민의

해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섭취자군(97.5th

백분 수),

국민 섭취자군과 경기도민 섭취자군의 최고 해도는 각각 테부

피림포스가 45.1%, 34.1%, 38.2%로 나타나 농약으로 인한 만성식이 해

평가 결과 안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농산물의 가공계수를 감안하지

않은 것이므로 이를 감안하면 실제 해도는 더욱 낮아 질 것으로 단

된다.

따라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지역에서 유통된 농산물의 잔류

농약 해평가 결과 경기도민이나 국민, 고섭취자군(97.5th

백분 수), 섭

취자군 모두 해도가 낮게 나타나 안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 기 효 과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에 한 잔류농약의 검출과 부 합 발생 경향을

분석하고, 실제 소비자의 농산물 섭취에 따른 잔류농약의 만성식이 해평가

자료집 발간으로 소비자에게 올바른 해정보를 제공하고, 생산자들에겐

안 한 농약사용의식을 고취하며, 농산물의 잔류농약검사 등 계자들에

게는 효율 인 정책활동에 필요한 해평가자료집으로 활용되길 기 한다.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1111111111111111111111111111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제 1장 서 론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1장 서론 / 9

제 1 장 서 론

농약은 기원 부터 유황을 농작물의 병충해 방제용으로 사용한 것을 시작

으로 지속 으로 발 하여 무기물질, 천연산물, 유기합성농약 시 를 거쳐

재 생물농약 시 를 맞고 있다. 1970년 이후 유기합성농약의 강한 독성,

병해충의 내성 유발과 농작물 환경 의 잔류성이 사회 문제화 되면서

유 공학을 이용한 안 한 생물농약 등이 개발되고 있다. 농약의 세계시장

규모는 유기합성농약이 등장하면서 1950년 부터 1970년 까지 격한 증가

를 보이다가 그 후로도 지속 으로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

라도 1930년에 최 의 농약회사가 설립되었고, 1970년부터 1980년까지 농약

산업은 3배 이상 격히 성장하 으며, 재까지 지속 으로 성장하고 있다.

등록된 품목도 2006년 1,152건에서 2011년 재 1,431품목으로 다양해졌고,

증가 추세에 있다. 단 면 당(ha) 추정사용량은 2010년 10.6 kg으로 OECD

국가 상 를 차지하고 있다.

농약은 농작물을 보호하고 품질을 향상시켜 생산량의 증 와 식량자원의

안정 확보에 기여함으로서 농업에서는 필수 인 자재로 여겨지고 있

다. 그러나 살포된 농약은 작물에 잔류하여 인체에 흡수․축 되어 만성

해발생 요인으로 작용하며, 환경 생태계 교란의 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농약개발 기에 사용된 유기합성농약의 독성과 잔류성 등의 해성이 차

확인 되면서 고독성 농약의 등록이 취소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독성 농약

과 생물유래 농약의 개발과 상품화가 활발히 진행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산물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은 언론을 통해 잔류농약

부 합 발생 결과를 하면서 농산물 자체의 양학 이미지보다는 농약에

하여 막연한 부정 견해를 가지게 된다. 2009년 국립농산물품질 리원의

농식품 품질 리 련 소비자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농산물을 구

1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입 할 때의 요선택기 은 원산지가 39.2%, 안 성 34.9%, 가격 10.1%, 맛

8.4%, 외 이 2.5% 순으로 나타났다. 안 성과 련해서는 농약 48.3%,

속 41.9%, 식 독균 4.0%, 곰팡이독소 2.2%로 농약이 가장 험하다고 응

답하 다. 소비자들에게 있어서 농약은 여 히 건강에 악 향을 미치는 요

인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잔류농약으로부터 안 한 양질의 농산물을 제공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해 2006년부터 도내 공 농수산물도매시장 4곳(수원, 구리, 안

양, 안산)에 연차 으로 지 농산물검사소를 설치하여 도매시장에서 거래

되기 경매 농산물과 도내 31개 시군 소재 형마트, 백화 통시장

등지에서 거래되는 유통 농산물에 하여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

링결과에 한 연도별, 월별, 농약별, 품목별 검출경향과 추이를 분석하고,

농산물의 실제 섭취에 따른 농약 성분별 만성식이 해평가를 실시하여 경기

도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에 한 올바른 해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자

료로 활용하고자 하 다.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2222222222222222222222222222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제 2장 이론적 배경

2.1. 농약

2.1.1. 농약의 정의

2.1.2. 농약의 작용기작

2.1.3. 농약의 독성

2.1.4. 농약의 품목등록

2.1.5. 농약시장

2.1.6. 농약의 잔류허용기 설정 차

2.2. 해평가

2.2.1. 배경

2.2.2. 해평가의 의의

2.2.3. 해평가 방법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2장 이론적 배경 / 13

제 2 장 이 론 배 경

2. 1. 농 약

2. 1. 1 농 약 의 정 의

우리나라 농약 리법 제2조 정의에 따르면 농약이란 “농작물(수목, 농산

물과 임산물 포함)을 해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 그 밖에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동식물(이하 “병해충”이라 함)을 방제하는 데

에 사용하는 살균제․살충제․제 제,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시키거나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 그밖에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약제를 말

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농약은 어로 좁은 의미로는 pesticide(pest+cide)라고 하며 넓은 의미로

는 agrochemical, agricultural chemical이라고 표기하며 비료도 포함한다.

농약의 명칭은 일반명, 화학명, 품목명, 상품명, 시험명(코드번호), 학명이

있다. 일반명(common name)은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서 국제 으로 승인된 명칭이 있고, 국제 으로 정해지지 않은

경우는 농림수산식품부의 규정에 따라 단순화된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명(chemical name)은 IUPAC(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CA(Chemical Abstracts) service에서 제정한 것으로

유효성분의 화학명을 일정한 명명규칙에 의해 붙인 것이다. 품목명(item

name)은 농약의 유효성분 일반명 뒤에 제형명을 붙여서 명명한다. 상품명

(trade name)은 농약 제조업자의 등록상표로서 매 시 사용되는 명칭이다.

시험명(code name)은 농약 등록 개발시험단계에서 약자나 암호 등을 부

여하여 사용되는 명칭이다. 학명(Scientific name)은 생물농약의 경우 생물

체의 Latin 이름을 사용한다.

1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2. 1. 2. 농 약 의 작 용 기 작

농약은 사용목 에 따라 살균제, 살충제, 제 제 등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각각 상 생물체에 작용 과 작용기작에 의해 독성을 유발시킨다.

살균제(Fungicide)는 식물병원체인 세균 진균의 감염 방과, 발병방지,

발병되었을 때 치료목 으로 사용되어지는 약제를 말한다. 살균제의 작용

기작으로는 직 으로 병원균에 살균과 정균작용을 하는 경우와 병원균의

감염 발병에 여하는 기구를 특이 으로 해하는 약제, 병원균에 항성

을 식물에 부여하는 약제, 미생물 살균제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병원균에 살

균과 정균작용을 하는 약제들은 병원체의 에 지 사인 호흡과 균체성분의

생합성을 해하고, 막기능의 교란과 세포분열을 해한다. 병원균의 감염과

발생에 여하는 기구를 특이 으로 해하는 약제는 병원균의 특수한 침입

기 형성의 해, 병원의 운반과정의 해, 병원균의 양 고갈, 병원성

련효소, 독소의 생합성, 분비 해, 감염의 지연 등의 기능을 한다. 병원균

에 한 항성을 식물에 부여하는 약제는 식물이 외래의 이물질을 인식해

서 항성 반응을 일으켜 스스로를 지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생물 방제제

로서 미생물 살균제는 길항작용, 경합작용, 식균작용, 항성유도, 백신작용

으로 미생물의 잠재능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살충제(Insecticide)는 화학 구조, 곤충체내에 침입경로 는 사용법에

따라 분류된다. 주로 생물에 한 표 기능은 신경기능의 해, 곤충표피와

Chitin 생합성을 해하여 살충작용을 한다. 유기염소계나 피 스로이드계

살충제의 경우는 신경축색에 작용해서 자극의 달을 막아 살충활성을 나타

낸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시냅스 소포체를 자극하여 신경 달화

학물질인 ACh의 방출을 진시켜 신경조직에 축 시킴으로서 살충활성을

발휘한다. 유기인계나 카바마이트계 살충제는 신경 달화학물질인 ACh를

분해하는 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작용을 해하여 ACh를 시냅

스에 축 시켜 살충효과를 유도한다.

제2장 이론적 배경 / 15

곤충에게는 곤충표피의 주요성분인 키틴, 유약호르몬, 탈피호르몬 등의 생합

성을 해하여 살충작용을 하기도 한다.

제 제(Herbicide)는 잡 만 죽이고 유용식물에 하여 해를 주지 않아야

되기 때문에 매우 요하다. 제 제의 작용기작은 합성의 해, 호흡작용

의 해, 호르몬작용의 교란, 단백질․핵산 등의 합성 해, 지질합성 해, 세

포분열 조직발달의 해, 효소작용의 해 등이 있다.

2. 1. 3 . 농 약 의 독 성

농약의 독성은 독성의 발 속도에 따라 성독성, 아 성독성, 만성독성

으로 구분한다. 성독성은 경구독성, 경피독성, 흡입독성으로 구분하고 독

성의 정도에 따라 독성, 보통독성, 고독성, 맹독성으로 구분한다. 농약의

독성시험은 OECD 등의 국제기구에서 설정한 GLP(Good Laboratory Practice)

기 의 시설과 리체계 하에서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농약

리법 시행령 제20조 3항의 농약취 제한기 과 련된 독성 잔류성 정도

에 따른 구분은 다음 표 2-1과 같다.

구 분

시험동물의 반수를 죽일 수 있는 양(mg/kg 체중)

급성경구 급성경피

고체 액체 고체 액체

Ⅰ급(맹독성) 5 미만 20 미만 10 미만 40 미만

Ⅱ급(고독성) 5 ~ 50미만 20 ~ 200미만 10 ~ 100미만 40 ~ 400미만

Ⅲ급(보통독성) 50 ~ 500미만 200 ~ 2,000미만 100 ~ 1,000미만 400 ` 4,000미만

Ⅳ급(저독성) 500 이상 2,000 이상 1,000 이상 4,000 이상

표 2-1. 급성독성 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

농약의 어류에 한 독성은 제품농약이 잉어의 반수를 죽일 수 있는 농도

(유효성분)을 기 으로 하여 구분하되, 벼 재배용 농약의 경우에는 잉어에

1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한 어독성이 Ⅱ 는 Ⅲ 에 속하는 농약으로서 미꾸라지에 한 어독성

이 Ⅰ 에 속하는 농약은 Ⅰ 다음의 Ⅱs 으로 구분한다(표 2-2).

구 분 반수를 죽일 수 있는 농도(mg/l, 48시간)

Ⅰ급 0.5미만

Ⅱ급 0.5이상 2미만

Ⅲ급 2이상

표 2-2. 어류에 대한 독성 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

농 진흥청자료(표 2-3)에 따르면 2011년 1월 재 등록된 1,431품목 맹

독성 농약은 없으며, 고독성 농약은 12품목으로 체의 0.8%를 차지했다.

급성독성 어독성

구분 품목수 비율(%) 구분 품목수 비율(%)

합 계 1,431 100.0 합계 1,431 100

Ⅰ급(맹독성) - - Ⅰ급 229 16.0

Ⅱ급(고독성) 12 0.84 Ⅱ급 210 14.7

Ⅲ급(보통독성) 182 12.72 Ⅲ급 992 69.3

Ⅳ급(저독성) 1,237 86.44 - - -

표 2-3. 독성 구분별 품목 등록수(2011. 1월 현재)

고독성 농약의 종류는 디클로르보스 유제, 메토 수화제, 메토 액제, 메

티다치온 유제, 모노크로토포스 액제, 벤퓨라카 유제, 오메토에이트 액제,

이피엔 유제, 엔도설 유제, 포스 미돈 액제, 메틸 로마이드 훈증제, 알루

미늄포스 미돈 정제 등 12품목이다. 농 진흥청에 따르면 앞으로 고독성

농약 9품목의 등록이 취소될 정으로 고독성 농약은 부분 사라질 것으로

단된다.

제2장 이론적 배경 / 17

우리나라 농약의 성독성의 분류 표시는 WHO의 분류기 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UNCED(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agenda 21의 19장을 채택한

이후로 WHO기 과 독성기 이 약간 다른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를 본격 으로 채택하

는 나라들이 생기고 있다. GHS는 의약품, 화학물질, 농약 등에 하여 각국

마다 채택하고 있는 물질분류기 과 표시방법이 다름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를 해소하기 해 UN에서 권고된 화학물질의 분류기 과 표시방법이다. 각

국이 이에 따르도록 권고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이에 한 검토가 진행

이다.

2. 1. 4 . 농 약 의 품 목 등 록

농약 제조회사는 국내의 재배작물, 기후 토성 등을 감안하여 자체 으

로 약효, 약해, 독성 잔류성 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으면 각 시험연구

기 에서 품목등록을 한 각각의 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품목이란 개별유

효성분의 비율과 제제형태가 같은 농약의 종류를 말한다. 품목 등록시험이

끝나면 약효와 약해, 그리고 잔류성과 독성시험 등 각종 안 성 자료와 시

료를 농 진흥청장에게 제출한다.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서류검토와 시료검사

를 하고 농약안 성소 원회의 심의를 거쳐 등록여부가 결정되며 그 결과에

따라 농 진흥청장은 등록증을 신청자에게 교부한다. 등록 차 소요기간은

신규 농약은 6개월이 며 변경 인 경우 는 3개월이고 품 목 등록의 유효 기간은

10년이다.

2011년 재 우리나라의 품목 등록건수는 1,431건으로 용도별 품목 등록

비율은 그림 2-1과 같이 살균제가 35%로 가장 많고 살충제 32%, 제 제

25%, 생장조정제가 6%이다.

품목등록수 추이를 보면 2006년 1,152건에서 2011년 1,431건으로 매년 증

가 추세임을 알 수 있다(그림 2-2).

1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2-1. 농약의 용도별 품목 등록 비율

그림 2-2. 농약의 품목 등록수 추이

2. 1. 5 . 농 약 시 장

농약의 세계 시장규모는 한국작물보호 회 집계에 따르면 2010년 408억

9,300만달러에 달한다. 2003년 이후 큰 성장을 이루었고, 2006년의 기후변화

로 인한 침체기를 거친 후 2007년 농산물의 가격 등과 바이오연료 등 작물

수요 증가와 GMO작물의 경지면 확 등의 요인으로 이후 지속 으로 성

제2장 이론적 배경 / 19

장하 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약의 생산은 주로 원제를 수입하여 제제를 생

산하는 방식으로 그림 2-3에서와 같이 수입의존도가 높으며, 무역 자폭은

증가추세에 있다.

우리나라 농약의 공 량 추이는 1970년 3,719톤에서 1990년 25,082톤으로

6.7배 가량 격히 증가하다가 2008년까지 25,368톤으로 큰 변화가 없었고,

2008년 이후부터 감소 추세에 있다(그림 2-4).

그림 2-3. 농약의 수출입 추이

그림 2-4. 농약의 용도별 공급량

2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2000년 이후 농약의 총 사용량 추정치는 그림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1

년 28.2천톤으로 최고치 다가 그 후 2010년 19.3천톤으로 소량씩 감소 추세

에 있고, ha당 농약사용량 추정치도 2000년 12.4kg에서 2008년 13.8kg으로

약간씩 증가한 이후 2010년 10.6kg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이는 소득수 향

상에 따른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에 한 선호도 증가, 정부의 지속 인

친환경 농업육성 지원과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생산자의 농약

사용에 한 교육의 결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농약

사용량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한 경제 력개발기구(OECD) 국가

의 연평균(1990-2003)사용량과 비교해 보면 세계 최 수 이다.

그림 2-5. 농약의 총사용량 및 ha당 사용량

2. 1. 6 . 농 약 의 잔 류 허 용 기 설 정 차

국제 인 잔류농약허용기 설정은 국제식품규격 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tion)의 잔류농약분과 원회(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s, CCPR)

에서 JMPR(Joint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의 권고에 따라 최 잔류

기 (Maximum Residue Level, MRL)을 설정하고 있다. 즉 JMPR에서는

제2장 이론적 배경 / 21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를 설정하고, 각국의

합의를 통해 MRL 안이 작성되면 CCPR에서 심의를 거쳐 CAC에서 확정

한다.

Codex의 일반 인 최 잔류기 (MRL) 설정 차는 다음과 같다.

1단계 : 규격설정 필요성과 우선순 를 결정

2단계 : JMPR에서 GAP잔류자료 독성자료의 평가후 MRL 안 작성

3단계 : 안에 한 각국의 의견수렴

4단계 : CCPR에서 1차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권장기 설정

5단계 : CAC에 제출하여 규격안으로 확정

6단계 : 규격안에 한 회원국의 2차 의견수렴

7단계 : 회원국의 의견수렴으로 규격안 개정

8단계 : CCPR에서 최종안을 확정하여 CAC에서 채택 여부 인 하여 결정

경우에 따라서는 5단계부터 8단계가 생략된 신속 차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농 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약안 성심의 원회 안

성소 원회에서 ADI를 설정하고, 식품의약품안 청에서 여러 자료를 토

로 MRL을 설정하고 있다. 이때 식품별 잔류허용기 의 합이 ADI의 80%

이내가 되도록 기 을 설정하게 된다. 식품의약품안 청은 농약등록자료와

해평가를 통해 기 안을 작성하고, 국외(60일)와 국내(30일)에 입법 고하

여 의견을 수렴 한 후 잔류농약 문 원회의 재검토와 식품 생심의 원회

의 심의를 받아 기 을 고시한다. 우리나라의 잔류농약허용기 설정 차는

그림 2-6과 같다. 우리나라는 1988년 최 로 17종에 하여 잔류농약기 이

설정되었고, 지속 인 신설과 개정과정을 거쳐 2011년에는 419종으로 확

되었다.

2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2-6. 우리나라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절차

제2장 이론적 배경 / 23

2. 2. 해 평 가 ( Risk Assessment)

2. 2. 1. 배 경

식생활의 변화, 환경오염, 국제화, 식품가공산업의 다양화 등으로 식품의

생물학 , 화학 , 물리 해발생 가능성은 차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의

건강 보호와 신뢰를 증진시키기 해서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과 소비

과정에서 식품안 시스템의 구축과 운 은 필수 이다.

1995년 WTO(World Trade Organization)체제의 SPS 정(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과 TBT 정(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이 발효됨에 따라 식품의 국제무역에서 과

학 근거 제시와 국제 인 식품규격의 설정시 해분석의 필요성이 두되

었다. FAO/WHO는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따라 해분석개발에 주도 인

역할을 수행하며 식품안 시스템구축을 해 힘써 왔다. FAO/WHO는 문

가 회의를 개최하여 Codex 원회와 회원국에 해평가, 해 리, 해정보

등에 한 조언을 제시했다. CCGP(Codex Committee on General Principles)는

식품규격신청을 한 해분석원칙을 개발했고, 2003년 CAC에서 이를 채택

했다. 그 후 해분석수행을 한 각 분야별(식품첨가물 오염물질, 식품

미생물, 농약잔류물, 동물용의약품 잔류물 등) 구체 인 원칙과 가이드라인

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CCFAC(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가 용한 해분석원칙은 2005년 CAC가 채택하 다.

이러한 국제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도 2005년 식품의약품안 청고시

제2005-51호로 해평가방법 차 등에 한 지침을 마련하 다. 식품

생법 제 15조 시행령 제4조의 식품, 첨가물, 기구 는 용기포장의 해

평가를 과학 이고 객 으며 투명하게 수행하도록 정하고, 해평가의 방

법, 차 공표에 한 세부사항을 정함을 목 으로 하 다.

2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2. 2. 2. 해 평 가 의 의 의

해분석은 해평가, 해 리와 해정보교환의 3요소로 이루어지며 상

호보완 으로 작용하여 연결된 체계 인 의사결정 차를 말한다. 그림

2-7과 같이 이들 3요소가 성공 으로 통합할 때 해분석이 가장 효과 이다.

위해정보교환

Risk Communication

위해평가

Risk Assessment

위해관리

Risk management

그림 2-7. 위해분석의 구성요소

- 해평가 : 험확인 - 험결정 - 노출평가 - 해도결정 단계

과학 기반 차

- 해 리 : 소비자의 건강보호와 공정거래 진과 련 해평가를 고려하고,

한 방과 리방안을 선택하여 정책 안을 제시

- 해정보 : 해평가자, 해 리자, 소비자, 업계, 학계, 기타 이해 계자들이

해분석 반에 걸쳐 의견교환

해평가란 인체가 식품에 존재하는 생물학 , 화학 , 물리 험원 등

의 해요소에 노출되었을 때 유해 향발생 확률을 과학 으로 측하는 일

련의 과정으로 그림 2-8과 같이 험확인, 험결정, 노출평가와 해도 결

제2장 이론적 배경 / 25

험 결 정

( H az ard C h aracteriz ation)

험인자에 한 정량 /정성

평가, 용량-반응평가 수행

노 출 평 가

( E x p osure Assessment)

해인자의 노출가능성에 한

정량 /정성 평가

정의 4단계를 말한다. 우리나라 식품 생법에 제시된 해평가 상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는 용기 포장으로 해평가에서 평가하여야 할 해요

소는 잔류농약, 속, 식품첨가물, 잔류동물용 의약품, 환경오염물질 제

조․가공․조리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등 화학 요인과 이물 등의 물리

요인, 식 독 유발 세균 등 미생물 요인이다.

험 확 인 ( H az ard identip ication)

특정 식품 는 식품군에 존재하는 생물학 , 화학 ,

물리 해인자의 확인

해 도 결 정 ( Risk C h aracteriz ation)

험확인, 험결정, 노출평가에 근거하여 특정집단에서

잠재 인 해발생 확률과 심각성에 한 불확실성을

포함한 정성 /정량 확률 모델을 통한 추정

그림 2-8. 위해평가 요소

2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2-9. 위해요소별 위해평가 절차

2. 2. 3 . 해 평 가 방법

해평가지침의 해 요소별 해평가 차는 그림 2-9와 같다. 화학

해요소의 해평가는 의도 으로 사용된 물질과 비의도 으로 오염물질의

경우로 나 어 진행한다. 농약, 동물용의약품 식품첨가물 등과 같은 경우

는 의도 사용물질로서 발암여부에 따라 방법이 구분된다.

해평가를 해서는 가장 민감한 부정 건강 향에 하여 용량-반응

계를 악하고 평가하는 험성 결정을 해야 한다. 용량-반응 계 확립

에 활용하는 데이터는 임상 사람 노출실험, 인체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실

험동물 상 독성 데이터와 체외실험 데이터, 질병조사(감염률, 이환율, 입

원율, 사망률)에 따른 역학데이터가 있다. 독성을 발휘하는 화합물의 경우

제2장 이론적 배경 / 27

평균체중평균잔류량×식품일일섭취량

최 무작용량(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으로부터 안

한 섭취수 ADI(Acceptable Daily Intake, mg/kgbw/day) 는 TDI(Tolerable

Daily Intake)를 정한다. 이때 동물독성 실험 데이터에 안 계수(Safty factor)

100을 용한다. 동물과 사람과의 차이, 개인 는 일정 그룹의 감수성 차이

를 용한다.

ADI(mg/kgbw/day) =

다음으로 식품 등을 통하여 섭취된 해요소의 정량 ․정성 분석자료

를 근거로 인체 노출수 을 산출한다.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경로는 흡입,

섭취와 피부 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특정 화학물질은 단일 식품과

련이 있을 수 있으나 여러 식품, 음용수, 생활용품 등에 련이 있을 수 있

다. 노출평가 시 한 모니터링 략, 노출시나리오 설정, 노출량 산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모니터링을 해서는 모니터링 목 , 시료채취( 상식

품, 시기, 일정, 빈도, 지역, 시료수, 주요 노출기여식품 고려), 시료수송(시

간, 온도, 용기), 시료분석( 처리방법, 분석법, 정확성, 정 도, 민감도, 검출

한계, 응성)방법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노출기간에 따라 평생노출을 제로 한 만성노출평가와 1회 혹은 24시간

내의 노출을 고려한 성노출평가가 있다. 노출량 산출 수식은 다음과 같다.

만성식이노출량(mg/kgbw/day)

=

2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평균체중 최고잔류량 ×섭취자의 백분위섭취량

인체안전기준노출량×

성식이노출량(mg/kgbw/day)

험성 확인, 험성 결정 노출평가를 근거로 인체건강에 미치는 유해

향의 발생과 해정도를 정량 는 정성 으로 측하는 해도 결정을

해야 한다. 해도는 노출평가 시나리오에 의해 산출된 실제노출량과 인체

안 기 인 ADI, TDI, ARfD 등을 비교하여 산출한다.

해도(%) =

해도가 100보다 크면 해 가능성이 기 되지만 100보다 작거나 같으면

해 가능성은 기 되지 않는다.

해평가 수행에서 오염물질의 평균잔류량, 식이섭취량과 평균체 요인

들의 산출방법에 따라 과 혹은 과소평가의 결과를 래하게 된다. 평균잔

류량 산출과 련해서 불검출률이 높을 경우 불검출건에 하여 0, 는

LOD/LOQ 용 여부에 따라 평균잔류량의 차이가 발생한다.

식품섭취량 산출방법에는 1인당 평균소비량 방법(per capita disappearance

approach), 시장바구니 방법(market basket approach), 모델식이 방법(model diet

approach), 시나리오 방법(senario approach), 식품소비조사 방법(surveillance

approach), 노출분석 모델링(modeling exposure analysis)등의 다양한 방법

이 있다. 우리나라는 재까지 식품수 표나 질병 리본부에서 시행하고 있

는 국민건강 양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국민건강 조사의 경우 많은 시간

과 산, 인력이 필요한 국가사업으로 수행방법이 지속 으로 보완되고 있

제2장 이론적 배경 / 29

다. 그러나 정확한 잔류농약 해평가를 해 필요한 가공계수, 다양한 원료

섭취량에 한 자료가 필요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용역과제로 2009

년부터 2012년까지 국가잔류농약안 리연구사업단을 운 하여 잔류허용기

의 과학 근거를 한 제반사항을 확립해 나가고 있다. 향후 잔류농약의

해평가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해 여러 요인들에 한 구체

인 용방법이 신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3333333333333333333333333333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제 3장 연구방법

3.1. 농산물 잔류농약 모니터링

3.2. 해평가 방법

3.2.1. 잔류농약 평균농도

3.2.2. 농산물 품목별 섭취량

3.2.3. 인체안 기

3.2.4. 만성식이 해평가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3장 연구방법 / 33

제 3 장 연 구 방법

3 . 1. 농 산 물 잔 류 농 약 모 니 터 링

잔류농약 모니터링 데이터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내 (구리,수원,

안양, 안산)농산물검사소에서 농산물을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를 수집하 다

(그림 3-1). 농산물검사소별 모니터링 기간과 농산물 시료 수거지역은 표

3-1과 같다.

그림 3-1. 농산물검사소별 관할 시료 수거지역

3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 사 소 검사기간(년) 수 거 지 역

구리 2008~2010구리시, 의정부시, 고양시, 남양주시, 파주시,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수원 2006~2010수원시, 용인시, 여주시, 이천시, 오산시, 평택시, 안성시

※ 2006~2008 경기북부지역 제외한 모든지역 관할

안양 2009~2010 안양시, 과천시, 의왕시, 성남시, 하남시, 양평군, 광주시

안산 2009~2010 김포시, 안산시, 시흥시, 화성시, 군포시, 광명시, 부천시

표 3-1. 농산물검사소의 시료 수거지역 및 검사기간

시료는 도내 각 공 농수산물도매시장의 반입 농산물과, 검사소별 할

지역내 백화 , 형유통매장, 물류센터, 통시장 등지에서 유통 인 농산

물을 수거하 다. 수거된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사건수는 2006년 3,519건,

2007년 3,869건, 2008년 6,799건, 2009년 10,827건, 2010년 10,743건으로 총

35,757건이었다.

농산물의 유형은 식약청고시 2008-15호(08.3.24)의 농산물의 분류표(표

3-2)에 따라 분류하 다. 견과종실류 160건, 과실류 2,558건(감귤류 408건,

열 과일류 370건, 이과류 907건, 장과류 570건, 핵과류 303건), 버섯류

1,250건, 곡류 747건, 서류 635건, 차 80건, 채소류 29,962건(과채류 6,208건,

근채류 1,393건, 엽경채류 2,045건, 엽채류 20,316건), 콩류 247건, 기타 118

건 이었다.

시료는 식품공 잔류농약 동시다성분분석법에 의해 처리․정제 후

기기분석하 다. 검사 상 농약성분은 2006년과 2007년은 183성분, 2008년과

2009년 206성분, 2010년은 218성분으로 5년간 총 236성분을 상으로 하

다(표3-3). 기기분석은 GC/µECD(Agilent 6890, 7890, USA), GC/NPD(Agilent 6890,

7890, USA), HPLC/PDA(Waters UPLC, USA), HPLC/FLD(Waters FLD2475, USA)로

정량 하 고, GC/MSD, GC/TOFMSD((Leco Pegasus, USA), HPLC/MSMS로 확인하 다.

제3장 연구방법 / 35

대분류 소분류 품 목

곡류 -쌀, 보리, 밀, 메밀, 조, 수수, 옥수수, 귀리, 호밀, 고량미, 율무, 기장, 피, 퀴

노아, 트이티케일 등

서류 - 감자, 고구마, 토란, 마, 카사바(타피오카), 구약 등

콩류 -대두, 녹두, 완두, 강낭콩, 동부, 팥, 잠두, 피전피, 리마콩, 이집트콩, 그린콩,

검정콩, 렌즈콩 등

견과

종실류

견과류밤, 호두, 은행, 잣, 땅콩, 아몬드, 피칸, 케슈너트, 개암, 마카다미아, 피스타

치오, 도토리 등

종실류참깨, 면실, 해바라기씨, 호박씨, 들깨, 올리브, 달맞이꽃씨, 목화씨, 유채(카

놀라)씨, 팜, 홍화씨 등

과실류

이과류 사과, 배, 감, 모과, 석류 등

감귤류 밀감, 오렌지, 자몽, 레몬, 유자, 라임, 금귤, 탱자, 시트론 등

핵과류 복숭아, 대추, 살구, 자두, 매실, 체리, 넥타린, 앵두 등

장과류포도, 딸기, 무화과, 오디, 월귤, 커런트, 베리, 구기자, 오미자, 머루, 복분자

(산딸기, 나무딸기 포함) 등

열대과

일류

바나나, 파인애플, 키위(참다래), 아보카도, 파파야, 대추야자, 망고, 구아바,

코코넛 등

채소류

엽채류

배추, 양배추, 상추, 양상추, 시금치, 들깻잎, 쑥갓, 아욱, 근대, 머위, 무(열

무 포함, 잎), 취나물, 고춧잎, 참나물, 케일, 브로콜리, 청경채, 갓, 냉이, 치

커리(잎), 앤디브, 파슬리, 호박잎, 신선포, 고추냉이(잎), 비름나물, 씀바귀,

우엉잎, 겨자채, 뉴그린, 다청채, 당귀잎 등

엽경채

파, 부추, 미나리, 고구마줄기, 토란줄기, 고사리, 아스파라거스, 셀러리, 죽

순, 콜라비, 원추리, 두릅, 달래, 고비, 풋마늘(마늘쫑포함), 돌나물 등

근채류무(뿌리), 양파, 마늘, 당근, 생강, 연근, 우엉, 도라지, 더덕, 비트(사탕무), 순

무, 파스닢, 야콘, 고추냉이(뿌리), 치커리(뿌리), 인삼(장뇌삼 포함)등

과채류오이, 호박, 토마토, 고추, 피망(파프리카 포함), 가지, 참외, 수박, 멜론, 오

크라, 풋콩 등

버섯류 -느타리버섯, 송이버섯, 표고버섯, 양송이, 싸리버섯, 팽이버섯, 목이버섯, 영

지버섯, 새송이버섯 등

차 - 차

호프 - 호프

기타

식물류- 겨자, 후추, 카레, 백미후추, 커피원두, 카카오원두 등

표 3-2. 농산물 형태 및 농약의 잔류 특성에 따른 분류표

3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표 3-3. 검사대상 농약성분(2006~2010)

제3장 연구방법 / 37

3 . 2. 해 평 가 방법

3 . 2. 1. 잔 류 농 약 평 균 농 도

잔류농약 검사 상 236성분 모니터링 결과 부 합이 발생한 농약 74성

분에 하여 만성식이 해평가를 실시하 다. 해평가 지침에 따르면 노출

량 산출에 필요한 농산물별 잔류농약의 평균농도는 불검출률이 60% 이상인

경우 불검출건을 0과 검출한계인 LOD(Limit of detection)로 용하여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 산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사용된 잔류농약 모니

터링자료는 2006년 이후 수년간 각 연구실에서에서 여러 장비로 얻어진 검

출결과이다. 따라서 성분별 LOD 용이 어려워 불검출건에 하여 하한평

균은 0으로 하 고, 간은 LOD/2(0.005 mg/kg), 상한은 LOD(0.01 mg/kg)로

용하여 3가지로 산출하 다.

3 . 2. 2. 농 산 물 품 목 별 섭 취 량

농산물 품목별 섭취량은 국민건강 양조사 제 3기 2009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 다. SPSS 로그램에서 농산물 97품목에 하여 국민

섭취량, 국민 97.5th

백분 섭취량, 경기도민 섭취량, 국민 섭취자

섭취량, 경기도민 섭취자 섭취량을 각각 산출하 다. 주로 원료별 섭취량

을 범 하게 보기 해 수분함량을 고려한 원재료별 3차 코드의 섭취량을

산출하 다. 섭취량자료가 없는 구기자, 오미자, 방풍나물, 채, 비타민, 다

청채, 콩나물콩 등은 0.01 g을 국민과, 경기도민 섭취량에 용하 다. 섭

취자군과 고섭취자군 97.5th백분 수의 경우 섭취량이 없어 0으로 산출된 농

산물 품목은 섭취자가 극히 은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 향이 매우

다고 단되어 노출평가에서 제외하 다. 섭취량 산출 시 원료 농산물의

조리․가공계수는 용되지 않았다.

노출평가 시 평균체 에 따라서 결과가 과 /과소평가 될 수 있기 때문에

3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우리나라 만 1

세이상 국민의 평균체 이 58 kg으로 산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Codex 가이드라인에 따라 잔류농약기 설정 시 용하는 아시아인의 평균

체 인 55 kg을 용하 다.

3 . 2. 3 . 인 체 안 기

해평가 시 산출된 노출량으로 해도를 결정하기 해서는 인체안 기

이 필요하다. 만성식이 해도를 결정하기 하여 필요한 농약별 ADI(1일 섭

취허용량, Acceptable Daily Intake)는 식품의약품안 청의 잔류농약데이터

베이스와 EPA(미국환경보호청,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홈페이지

등의 자료를 활용하 다(표 3-4).

3 . 2. 4 . 만 성 식 이 해 평 가

만성식이 해평가는 해평가지침에 따라 추정치(Point estimates)를 이

용한 결정론 근법(Deterministic approach)에 의해 실시하 다. 잔류농

약 평균농도, 각 소비그룹별 식품의 섭취량, 평균체 을 이용하여 만성식이

노출량을 산출하 다. 노출량 산출 수식은 다음과 같다.

EDI(Estimated daily intake, mg/kgday) =

×

i=조사 상식품, Ci=잔류농약 평균농도(mg/kg), IR=1인1일평균섭취량(kg), bw=평균체 (kg)

각 농약의 인체안 기 인 1일섭취허용량(ADI)에 한 식이노출량(EDI)의 %비를

계산하여 해도(%ADI)를 결정하 다.

%ADI = ×

제3장 연구방법 / 39

Pesticides ADI(mg/kg/day)* Pesticides ADI(mg/kg/day)

Acetamiprid 0.074) Indoxacarb 0.01

Acrinathrin 0.0243) Iprobenfos 0.0353)

Azoxystrobin 0.2 Iprodione 0.06

Bendiocarb 0.0041) Isoprothiolane 0.13)

Bifenthrin 0.01 Kresoxim-methyl 0.4

Boscalid 0.04 Lufenuron 0.014

Cabaryl 0.008 Mepanipyrim 0.0732)

Carbendazim 0.03 Metalaxyl 0.08

Carbofuran 0.002 Methabenzthiazuron 0.0045)

Chlorfenapyr 0.026 Methidathion 0.001

Chlorothalonil 0.02 Methomyl 0.02

Chlorpyrifos 0.01 Methoxyfenozide 0.1

Chlorpyrifos-methyl 0.01 Novaluron 0.01

Cyazofamid 0.17 Oxadiazon 0.00363)

Cyhalothrin 0.02 Paclobutrazole 0.11)

Cypermethrin 0.05 Pendimerhalin 0.12

Diazinon 0.005 Permethrin 0.05

Dicofol 0.002 Phenthoate 0.003

Diethofencarb 0.43 Procymidone 0.1

Dimethomorph 0.21) Profenofos 0.01

Diniconazole 0.002 Prothiofos 0.00153)

Endosulfan 0.006 Pyraclostrobin 0.03

EPN 0.00143) Pyrazophos 0.004

Ethaboxam 0.055 Pyridaben 0.01

Ethoprophos 0.0004 Pyrimethanil 0.2

Etofenprox 0.03 Tebupirimfos 0.0002

Etoxazole 0.04 Teflubenzuron 0.01

Fenarimol 0.01 Terbufos 0.0006

Fenazaquin 0.052) Thiacloprid 0.01

Fenitrothion 0.005 Thiamethoxam 0.018

Fenobucarb 0.01 Thifluzamide 0.0142)

Fenpropathrin 0.03 Tolclofos-methyl 0.071)

Fludioxonil 0.4 Torylfluanid 0.08

Flufenoxuron 0.01 Tricyclazole 0.033)

Flutolanil 0.09 Trifloxystrobin 0.04

Fosthiazate 0.001 Trifluralin 0.015

Imidaclofrid 0.06 Vinclozolin 0.01

* Acceptable daily intake

1) Codex, 2) U.S.A, 3) Japan, 4) EU, 5) Australia

표 3-4. 만성위해평가에 적용된 농약성분별 ADI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4444444444444444444444444444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제 4장 연구결과

4.1. 잔류농약 모니터링

4.1.1. 연도별 추이

4.1.2. 농산물검사소별 결과

4.1.3. 월별 추이

4.1.4. 농산물 분류별 결과

4.1.5. 농산물 품목별 결과

4.1.6. 농약의 화학 분류별 결과

4.1.7. 농약의 용도별 결과

4.1.8. 농약의 성분별 결과

4.2. 해평가

4.2.1. 만성식이 해평가 결과

4.2.2. 불확실성과 한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 4장 연구결과 / 43

제 4 장 연 구 결 과

4 . 1. 잔 류 농 약 모 니 터 링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내 공 농수산물도매시장(수원, 구리, 안양,

안산)에서 수거된 경매 (유통 ) 농산물과 도내 시군 소재 형유통매장

물류센터, 백화 , 통시장 등지에서 수거․의뢰된 유통 인 농산물에

하여 식품공 동시다성분분석법으로 잔류농약검사 결과는 그림 4-1과 같

다.

총 35,757건의 잔류농약 검사결과 30,971건(86.6%)은 불검출 되었고, 4,786

건이 검출되어 검출률은 13.4%이었다. 검출건 MRL(잔류허용기 ) 이내

는 4,072건으로 합률은 11.4%이었고, MRL을 과한 부 합 발생 건수는

714건으로 부 합률은 2.0%로 나타났다.

그림 4-1. 잔류농약 모니터링결과(2006~2010)

4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4 . 1. 1. 연 도 별 추 이

경기도내 4개 농산물검사소는 2006년 수원농산물검사소를 시작으로 2008

년 구리, 2009년에 각각 안양과 안산농산물검사소가 개소되었다. 따라서 연

도별 검사실 은 2006년과 2007년은 수원농산물검사소, 2008년은 수원과 구

리농산물검사소의 합계이며, 2009년 이후는 수원, 구리, 안양과 안산농산물

검사소의 합계이다(그림 4-2).

그림 4-2. 연도별 잔류농약검사결과

검사건수는 2006년 3,519건에 비해 2008년 6,799건으로 193% 증가 하 고,

2009년 10,827건, 2010년 10,743건으로 증가하 다. 총 35,757건에 한 연도

제 4장 연구결과 / 45

별 검사건수 비율을 보면 2006년 9.8%, 2007년 10.8%, 2008년 19.0%, 2009년

30.3%, 2010년 30.0%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검사건수가 체 의

약 80%를 차지하 다. 잔류농약 검출률은 2006년 14.2%이었고, 2007년

7.9%로 히 감소되었으나 2008년 10.5%, 2009년 15.0%, 2010년 15.3%로

2008년 이후 꾸 히 증가하 다. 이에 비해 부 합률은 1.8%~2.3%로 2.0%

내외로 나타나 연도별로 큰 변화가 없었다.

4 . 1. 2. 농 산 물 검 사 소 별 결 과

농산물검사소별 검사결과는 표 4-1과 같다. 총 검사건수 35,757건 수원

농산물검사소 17,824건(49.8%), 구리농산물검사소 10,227건(28.6%), 안양농산

물검사소 3,845건(10.8%), 안산농산물검사소 3,861건(10.8%)이었다(그림

4-3). 농산물검사소별 잔류농약 검출률은 안산 19.8%, 안양 18.4%, 구리

13.8%, 수원 10.7%로 개소 시 의 역순으로 2006년 개소된 수원농산물검사

소의 검출률이 2009년 개소한 안양과 안산보다 낮게 나타났다. 부 합률도

구리와 안양이 2.4%, 안산이 2.1%이지만 수원이 1.6%로 히 낮게 나타

났다(그림 4-4).

그림 4-3. 농산물검사소별 검사건수 비율

4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사소 검사결과 2006 2007 2008 2009 2010 계

구리 검사건수 - - 3,222 3,731 3,274 10,227

부적합건수 - - 114 68 64 246

부적합률(%) - - 3.5 1.8 2.0 2.4

검출건수 - - 443 434 535 1,412

검출률(%) - - 13.7 11.6 16.3 13.8

수원 검사건수 3,519 3,869 3,577 3,764 3,095 17,824

부적합건수 70 77 41 45 59 292

부적합률(%) 2.0 2.0 1.1 1.2 1.9 1.6

검출건수 500 305 269 422 408 1,904

검출률(%) 14.2 7.9 7.5 11.2 13.2 10.7

안산 검사건수 - - - 1,693 2,168 3,861

부적합건수 - - - 41 41 82

부적합률(%) - - - 2.4 1.9 2.1

검출건수 - - - 408 355 763

검출률(%) - - - 24.1 16.4 19.8

안양 검사건수 - - - 1,639 2,206 3,845

부적합건수 - - - 43 51 94

부적합률(%) - - - 2.6 2.3 2.4

검출건수 - - - 357 350 707

검출률(%) - - - 21.8 15.9 18.4

표 4-1. 농산물검사소의 연도별 잔류농약검사결과

제 4장 연구결과 / 47

그림 4-5. 농산물검사소별 검출률과 부적합률 추이

농산물검사소의 연도별 검출률은 수원 8.6%~16.9%, 구리 13.7~19.3%,

안산 21.4~34.3%, 안양 21.3%~28.2%로 개소 시 이 최근일수록 높게 나타

났다. 검출률 추이는 구리를 제외하고는 공통 으로 개소 시 이 가장 높았

다가 차 어드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2010년에는 4개 농산물검사소의 검

출률이 비슷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표 4-1, 그림 4-5).

그림 4-4. 농산물검사소별 잔류농약검사 결과

4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농산물검사소의 연도별 부 합률도 수원 1.1%~2.0%, 구리 1.8%~3.5%,

안산 1.9%~2.4%, 안양 2.3%~2.6%로 최근에 개소된 검사소가 가장 높았

고, 차 4개 농산물검사소의 부 합률이 2% 로 차 비슷해지고 있다.

농산물검사소별 농산물 분류별 검사건수비율은 채소류와 과실류가 90%

이상 차지하 고, 기타 유형도 비슷하 다. 과실류의 경우 수원과 구리는 안

양에 비해 낮았고, 버섯류는 수원이 다른 검사소에 비해 두배 정도 많았다

(표 4-2). 수원농산물검사소의 검출률과 부 합률이 체로 낮은 이유는

검사건수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단된다.

대분류

구리농산물검사소 수원농산물검사소 안산농산물검사소 안양농산물검사소

검사

건수비율(%)

검사

건수비율(%) 검사건수 비율(%)

검사

건수비율(%)

견과종실류 27 0.3 88 0.5 22 0.6 23 0.6

곡류 200 2.0 409 2.3 67 1.7 71 1.8

과실류 748 7.3 1,002 5.6 352 9.1 456 11.9

버섯류 256 2.5 813 4.6 74 1.9 107 2.8

서류 214 2.1 257 1.4 88 2.3 76 2.0

차 5 0.05 56 0.3 12 0.3 7 0.2

채소류 8,662 84.7 14,969 84.0 3,229 83.6 3,102 80.7

콩류 66 0.6 163 0.9 16 0.4 2 0.1

기타 49 0.5 67 0.4 1 0.03 1 0.03

합계 10,227 100 17,824 100 3,861 100 3,845 100

표 4-2. 농산물검사소별 농산물 대분류별 검사결과

4 . 1. 3 . 월별 추 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총합계에 한 월별 검사결과는 그림 4-6

과 같다. 연 월별 검출률은 12.1%~15.1%이었으며, 8월이 1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 월별 그래 는 겨울철과 여름철에 증가하 다가 철

제 4장 연구결과 / 49

과 가을철에 감소하는 경향으로 물결모양 곡선모양을 나타내었다. 부 합률

은 1.2%~2.7%로 1월이 최고치를 나타냈고, 2월부터 6월까지 낮게 나타났

으며, 겨울철과 여름철에 주로 높게 나타났다. 여름철에는 병충해가 많은 계

로 농약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겨울철에는 시설재배로 인해

하우스 안에서 농약의 분해가 잘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단된다.

그림 4-6. 연간 월별 검출률 및 부적합률

4 . 1. 4 . 농 산 물 분 류 별 결 과

식품의약품안 청고시 제 2008-80호(2008.12.23)호의 식품공 제2. 식품일반

에 한 공통기 규격, 5. 기 규격의 용, 10)농약의 잔류허용기 ,

(1)농산물의 잔류농약 용기 , ④농산물의 분류표에 따라 농산물을 분류한

결과는 표 4-3과 같다. 가공식품은 차, 인삼 농축액, 고춧가루 등이 포함되었

으며, 고춧가루는 기타로 분류하 다.

5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대분류 소분류 검사건수 부적합건수 부적합률(%) 검출건수 검출률(%)

견과종실류 견과류 114 - - - -

종실류 46 - - 1 2.2

소계 160 - - 1 0.6

곡류 747 1 0.1 12 1.6

과실류 감귤류 408 7 1.7 122 29.9

열대과일류 370 2 0.5 32 8.6

이과류 907 1 0.1 112 12.3

장과류 570 - - 104 18.2

핵과류 303 2 0.7 61 20.1

소계 2,558 12 0.5 431 16.8

버섯류 1,250 2 0.2 15 1.2

서류 635 1 0.2 13 2.0

차 80 - - 8 10.0

채소류 과채류 6,208 37 0.6 990 15.9

근채류 1,393 4 0.3 128 9.2

엽경채류 2,045 69 3.4 317 15.5

엽채류 20,316 584 2.9 2,816 13.9

소계 29,962 694 2.3 4,251 14.2

콩류 247 - - 11 4.5

기타 118 4 3.4 44 37.3

계 35,757 714 2.0 4,786 13.4

표 4-3. 농산물 분류별 검사결과 (2006~2010)

제 4장 연구결과 / 51

농산물 분류에 따른 검사건수 비율은 그림 4-7에서와 같이 체 35,757

건 채소류가 29,962건(83.8%)으로 부분을 차지하 고, 과실류 2,558건

(7.2%), 버섯류 1,250(3.5%), 곡류 747건(2.1%), 서류 635건(1.8%), 콩류 247

건(0.7%), 견과종실류 160건(0.4%), 차 80건(0.2%), 기타 118건(0.3%)이었다.

그림 4-7. 농산물 대분류별 검사건수 비율

채소류의 비 이 큰 이유는 잔류농약검사건수 반입 농산물 검사 비

이 크기 때문이다. 채소류 소분류별 검사건수 비율은 엽채류가 67.8%,

과채류 20.7%, 엽경채류 6.8%, 근채류 4.6% 이었다. 과실류의 소분류별 검

사건수 비율은 이과류 35.5%, 장과류 22.3%, 감귤류 15.9%, 열 과일류

14.5%, 핵과류 11.8% 다.

분류별 잔류농약 불검출률은 견과종실류 99.4%, 버섯류 98.8%, 곡류

98.4%, 서류 98.0%, 콩류 95.5% 순이었다. 검출률은 기타 37.3%, 과실류

16.8%, 채소류 14.2%, 차 10.0%, 콩류 4.5%, 서류 2.0%, 곡류 1.6%, 견과종

실류 0.6% 순으로 나타났다. 부 합률은 기타 3.4%, 채소류 2.3%, 과실류

0.5%, 버섯류와 서류 각각 0.2%, 곡류 0.1% 순이었다(그림 4-8). 검출률과

5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부 합률이 가장 높은 기타에서는 고춧가루의 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잔류농약 검출건수 4,786건 채소류는 4,251건(88.8%), 과실류는 431건

(9.0%)으로 이들이 체의 97.8%를 차지했다. 부 합건수 714건 채소류

694건(97.2%), 과실류 12건(1.7%) 으며, 그 외는 1% 미만이었다.

그림 4-8. 농산물 대분류별 검사결과

채소류의 소분류별 부 합률은 엽경채류가 3.4%로 가장 높았고, 엽채류

2.9%, 과채류 0.6%, 근채류 0.3% 순이었다(그림 4-9).

과실류의 소분류별 부 합률은 감귤류가 1.7%로 가장 높았고, 핵과류

0.7%, 열 과일류 0.5%, 이과류 0.1%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4-10).

제 4장 연구결과 / 53

그림 4-9. 채소류 소분류별 검출률 및 부적합률

그림 4-10. 과실류 소분류별 검출률 및 부적합률

2006년부터 2010까지 각 연도별 분류에 따른 검사결과는 표 4-4와 같다.

분류 검출률 추이는 채소류와 과실류가 체의 90%이상을 차지하며,

총 검사실 에 한 검출률과 유사한 패턴을 가지나, 부 합률의 추이는 채

소류의 패턴이 체 부 합률을 주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5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년도 검사결과견과

종실류곡류

과실

버섯

류서류 차

채소

류콩류 기타 계

2006 검사건수 13 28 115 191 25 - 3,118 29 - 3,519

부적합건수 - - 1 - - - 69 - - 70

부적률(%) - - 0.9 - - - 2.2 - - 2.0

검출건수 - - 15 2 - - 479 4 - 500

검출률(%) - - 13.0 1.0 - - 15.4 13.8 - 14.2

2007 검사건수 6 41 160 124 33 43 3,420 31 11 3,869

부적합건수 - - 1 - - - 74 - 2 7.7

부적률(%) - - 0.6 - - - 2.2 - 18.2 2.0

검출건수 - - 11 1 1 3 287 - 2 305

검출률(%) - - 6.9 0.8 3.0 7.0 8.4 - 18.2 7.9

2008 검사건수 47 253 450 248 134 9 5,531 66 6 6,799

부적합건수 - - 4 2 1 - 147 - 1 155

부적률(%) - - 0.9 0.8 0.7 - 2.7 - 1.6 2.3

검출건수 - 4 55 5 2 - 622 3 21 712

검출률(%) - 1.6 12.2 2.0 1.5 - 11.2 4.5 34.4 10.5

2009 검사건수 34 243 1,065 422 260 14 8,682 93 14 10,827

부적합건수 - 1 4 - - - 191 - 1 197

부적률(%) - 0.4 0.4 - - - 2.2 - 7.1 1.8

검출건수 1 4 207 7 4 5 1,383 2 8 1,621

검출률(%) 2.9 1.6 19.4 1.7 1.5 35.7 15.9 2.2 57.1 15.0

2010 검사건수 60 182 768 265 183 14 9,211 28 32 10,743

부적합건수 - - 2 - - - 213 - - 215

부적률(%) - - 0.3 - - - 2.3 - - 2.0

검출건수 - 4 143 - 6 - 1,480 2 13 1,648

검출률(%) - 2.2 18.6 - 3.3 - 16.1 7.1 40.6 15.3

표 4-4. 연도별 농산물 대분류별 잔류농약검사결과

제 4장 연구결과 / 55

4 . 1. 5 . 농 산 물 품 목 별 결 과

식품의약품안 청고시 제 2008-80호(2008.12.23)호의 식품공 제2. 식품

일반에 한 공통기 규격, 5. 기 규격의 용, 10)농약의 잔류허

용기 , (1)농산물의 잔류농약 용기 , ④농산물의 분류표에 없는 농산물

은 기타로 분류하 다. 농산물 총 143품목 92품목(64.3%)이 검출되었고,

51품목(35.7%)이 불검출이었다(그림 4-11). 검사건수가 30건 이상이고, 검출

률이 15%이상인 품목은 고춧잎(43.6%), 고춧가루(40.7%), 추(35.1%), 감

(33.4%), 돌나물(33.2%), 참나물(30.0%), 취나물(29.1%), 부추(28.7%). 겨자채

(26.7%), 오 지(26.0%), 들깻잎(24.0%), 냉이(23.2%), 인삼(23.1%), 셀러리

(21.9%), 고추(21.4%), 복숭아(20.7%), 딸기(19.9%), 오이(19.8%), 참외

(18.5%), 사과(18.4%), 근 (18.0%), 포도(17.4%), 비름나물(16.1%), 슬리

(15.8%), 시 치(15.6%)순이었다(표 4-5). 검출률은 부분 채소류가 상

고, 고춧잎이 가장 높았다. 과실류 에서는 감과 오 지 등의 감귤류가

상 다. 불검출 품목은 부분 견과종실류, 버섯류, 곡류, 서류, 콩류로 나

타났다.

그림 4-11. 농산물 품목의 검출, 불검출, 부적합 발생비율

5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번호

품목 검사건수

검출건수

검출률(%)

번호

품목 검사건수

검출건수

검출률(%)

1 순무 1 1 100.0 36 비름나물 155 25 16.1

2 금귤 6 3 50.0 37 파슬리 19 3 15.8

3 고춧잎 165 72 43.6 38 시금치 2,224 347 15.6

4 고춧가루 108 44 40.7 39 매실 7 1 14.3

5 구기자 5 2 40.0 40 갓 125 17 13.6

6 대추 37 13 35.1 41 호박 1,476 200 13.6

7 밀감 290 97 33.4 42 달래 30 4 13.3

8 모과 6 2 33.3 43 피망 291 37 12.7

9 원추리 3 1 33.3 44 쑥갓 1,394 176 12.6

10 돌나물 184 61 33.2 45 살구 8 1 12.5

11 참나물 676 203 30.0 46 호박잎 32 4 12.5

12 머위 54 16 29.6 47 상추 5,324 664 12.5

13 취나물 368 107 29.1 48 멜론 97 12 12.4

14 부추 425 122 28.7 49 배추 3,114 370 11.9

15 겨자채 86 23 26.7 50 자몽 26 3 11.5

16 오렌지 73 19 26.0 51 파 824 95 11.5

17 복분자 4 25.0 52 자두 64 7 10.9

18 오미자 4 1 25.0 53 아욱 482 52 10.8

19 당귀잎 12 3 25.0 54 녹차 80 8 10.0

20 들깻잎 1,305 313 24.0 55 토란줄기 10 1 10.0

21 냉이 82 19 23.2 56 바나나 147 14 9.5

22 인삼 412 95 23.1 57 배 305 28 9.2

23 체리 22 5 22.7 58 치커리(잎) 548 50 9.1

24 셀러리 73 16 21.9 59 씀바귀 11 1 9.1

25 고추 1,504 322 21.4 60 케일 90 8 8.9

26 복숭아 164 34 20.7 61 기타엽채류 143 12 8.4

27 다청채 5 1 20.0 62 수박 72 6 8.3

28 녹두 15 3 20.0 63 더덕 12 1 8.3

29 딸기 161 32 19.9 64 청경채 255 21 8.2

30 오이 1,579 312 19.8 65 양상추 245 20 8.2

31 참외 184 34 18.5 66 파인애플 51 4 7.8

32 사과 418 77 18.4 67 무(잎) 1,826 139 7.6

33 근대 745 134 18.0 68 키위(참다래) 148 11 7.4

34 포도 390 68 17.4 69 토마토 458 33 7.2

35 망고 18 3 16.7 70 양송이버섯 56 4 7.1

표 4-5. 농산물 품목별 검출률

제 4장 연구결과 / 57

번호

품목 검사건수

검출건수

검출률(%)

번호

품목 검사건수

검출건수

검출률(%)

71 기타콩류 58 4 6.9 108 수수 11 - -

72 가지 547 34 6.2 109 옥수수 21 - -

73 풋마늘 17 1 5.9 110 율무 12 - -

74 무(뿌리) 294 17 5.8 111 조 17 - -

75 표고버섯 218 10 4.6 112 레몬 12 - -

76 우엉 22 1 4.5 113 유자 1 - -

77 미나리 357 15 4.2 114 기타열대과일류 1 - -

78 검정콩 50 2 4.0 115 대추야자 1 - -

79 대두 54 2 3.7 116 아보카도 4 - -

80 참깨 30 1 3.3 117 석류 12 - -

81 도라지 30 1 3.3 118 무화과 4 - -

82 당근 182 6 3.3 119 베리 1 - -

83 감자 304 10 3.3 120 오디 1 - -

84 감 166 5 3.0 121 기타핵과류 1 - -

85 브로콜리 393 10 2.5 122 기타버섯류 9 - -

86 두릅 49 1 2.0 123 느타리버섯 452 - -

87 쌀 597 12 2.0 124 목이버섯 15 - -

88 양파 299 5 1.7 125 새송이버섯 291 - -

89 양배추 396 6 1.5 126 석이버섯 4 - -

90 마늘 85 1 1.2 127 송이버섯 32 - -

91 고구마 295 3 1.0 128 영지버섯 3 - -

92 팽이버섯 170 1 0.6 129 마 36 - -

93 땅콩 20 - - 130 생강 29 - -

94 밤 38 - - 131 야콘 10 - -

95 아몬드 2 - - 132 연근 17 - -

96 은행 4 - - 133 고구마줄기 26 - -

97 잣 34 - - 134 고비 1 - -

98 피칸 1 - - 135 고사리 29 - -

99 호두 15 - - 136 아스파라거스 3 - -

100 들깨 7 - - 137 콜라비 14 - -

101 해바라기씨 5 - - 138 뉴그린 3 - -

102 호박씨 3 - - 139 신선초 39 - -

103 홍화씨 1 - - 140 강낭콩 29 - -

104 기장 20 - - 141 완두콩 19 - -

105 기타곡류 12 - - 142 팥 22 - -

106 메밀 1 - - 143 기타식물류 10 - -

107 보리 56 - - - - - - -

5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총 143품목 부 합으로 정된 품목은 47개 품목으로 체 32.9%를

차지했고, 검출된 92품목 에서는 부 합 발생 품목이 47개 품목이 51.1%

를 차지했다(표4-6). 검사건수 30건 이상이며, 부 합률 2.0% 이상인 품목은

고춧잎(16.4%), 머 (13.0%), 겨자채(12.8%), 달래(10.0%), 취나물(9.2%), 셀

러리(8.2%), 참나물(7.0%), 돌나물(6.0%), 부추(5.4%), 근 (5.4%), 비름나물

(5.2%), 갓(4.8%), 쑥갓(4.3%), 들깻잎(4.1%), 시 치(3.8%), 고춧가루(3.7%),

(2.8%), 냉이(2.4%), 감(2.4%), 치커리잎(2.2%), 메론(2.1%), 상추(2.0%)

순이었다(표4-6). 검출빈도로만 보면 검출된 92품목 14품목(15.2%)이

체 검출빈도의 73.0%를 차지했다(그림 4-12).

그림 4-12. 농산물 품목의 검출빈도 비율

농산물의 품목별 검출률은 그림 4-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추가 체 검출

빈도의 13.3%로 가장 많은 검출빈도를 나타내었고, 배추, 시 치, 들깻잎, 고

추, 오이, 참나물 품목이 체 검출빈도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부 합빈도

를 보면 부 합 47품목 13품목(27.7%)이 체 부 합빈도의 83.2%를 차

지했다(그림 4-13, 14). 상추의 부 합빈도비율이 15.0%로 최상 고, 시

치, 쑥갓, 들깻잎, 참나물, 배추가 체 부 합빈도의 55% 이상을 차지했다.

제 4장 연구결과 / 59

호품목

검사

건수

부적합

건수

부적합

률(%)

호품목

검사

건수

부적합

건수

부적합

률(%)

1 고춧잎 165 27 16.4 36 아욱 482 4 0.8

2 머위 54 7 13.0 37 인삼 412 3 0.7

3 겨자채 86 11 12.8 38 기타엽채류 143 1 0.7

4 달래 30 3 10.0 39 표고버섯 218 1 0.5

5 취나물 368 34 9.2 40 가지 547 2 0.4

6 당귀잎 12 1 8.3 41 피망(파프리카) 291 1 0.3

7 셀러리 73 6 8.2 42 무(뿌리) 294 1 0.3

8 참나물 676 47 7.0 43 감자 304 1 0.3

9 돌나물 184 11 6.0 44 양배추 396 1 0.3

10 부추 425 23 5.4 45 사과 418 1 0.2

11 근대 745 40 5.4 46 쌀 597 1 0.2

12 파슬리 19 1 5.3 47 호박 1,476 1 0.1

13 비름나물 155 8 5.2 48 땅콩 20 - -

14 갓 125 6 4.8 49 밤 38 - -

15 쑥갓 1,394 60 4.3 50 아몬드 2 - -

16 들깻잎 1,305 53 4.1 51 은행 4 - -

17 시금치 2,224 84 3.8 52 잣 34 - -

18 고춧가루 108 4 3.7 53 피칸 1 - -

19 파 824 23 2.8 54 호두 15 - -

20 냉이 82 2 2.4 55 들깨 7 - -

21 밀감 290 7 2.4 56 참깨 30 - -

22 치커리(잎) 548 12 2.2 57 해바라기씨 5 - -

23 멜론 97 2 2.1 58 호박씨 3 - -

24 상추 5,324 105 2.0 59 홍화씨 1 - -

25 양송이버섯 56 1 1.8 60 기장 20 - -

26 배추 3,114 49 1.6 61 기타곡류 12 - -

27 키위(참다래) 148 2 1.4 62 메밀 1 - -

28 무(잎) 1,826 24 1.3 63 보리 56 - -

29 양상추 245 3 1.2 64 수수 11 - -

30 복숭아 164 2 1.2 65 옥수수 21 - -

31 청경채 255 3 1.2 66 율무 12 - -

32 고추 1,504 17 1.1 67 조 17 - -

33 케일 90 1 1.1 68 금귤 6 - -

34 오이 1,579 14 0.9 69 레몬 12 - -

35 미나리 357 3 0.8 70 오렌지 73 - -

표 4-6. 농산물 품목별 부적합률

6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호품목

검사

건수

부적합

건수

부적합

률(%)

호품목

검사

건수

부적합

건수

부적합

률(%)

71 유자 1 - - 108 수박 72 - -

72 자몽 26 - - 109 참외 184 - -

73 기타열대과일류 1 - - 110 토마토 458 - -

74 대추야자 1 - - 111 당근 182 - -

75 망고 18 - - 112 더덕 12 - -

76 바나나 147 - - 113 도라지 30 - -

77 아보카도 4 - - 114 마늘 85 - -

78 파인애플 51 - - 115 생강 29 - -

79 감 166 - - 116 순무 1 - -

80 모과 6 - - 117 야콘 10 - -

81 배 305 - - 118 양파 299 - -

82 석류 12 - - 119 연근 17 - -

83 구기자 5 - - 120 우엉 22 - -

84 딸기 161 - - 121 고구마줄기 26 - -

85 무화과 4 - - 122 고비 1 - -

86 베리 1 - - 123 고사리 29 - -

87 복분자 4 - - 124 두릅 49 - -

88 오디 1 - - 125 아스파라거스 3 - -

89 오미자 4 - - 126 원추리 3 - -

90 포도 390 - - 127 콜라비 14 - -

91 기타핵과류 1 - - 128 토란줄기 10 - -

92 대추 37 - - 129 풋마늘 17 - -

93 매실 7 - - 130 뉴그린 3 - -

94 살구 8 - - 131 다청채 5 - -

95 자두 64 - - 132 브로콜리 393 - -

96 체리 22 - - 133 신선초 39 - -

97 기타버섯류 9 - - 134 씀바귀 11 - -

98 느타리버섯 452 - - 135 호박잎 32 - -

99 목이버섯 15 - - 136 강낭콩 29 - -

100 새송이버섯 291 - - 137 검정콩 50 - -

101 석이버섯 4 - - 138 기타콩류 58 - -

102 송이버섯 32 - - 139 녹두 15 - -

103 영지버섯 3 - - 140 대두 54 - -

104 팽이버섯 170 - - 141 완두콩 19 - -

105 고구마 295 - - 142 팥 22 - -

106 마 36 - - 143 기타식물류 10 - -

107 녹차 80 - - - - - - -

제 4장 연구결과 / 61

그림 4-13. 농산물 품목의 부적합빈도 비율

그림 4-14. 농산물 품목의 부적합빈도(상위 22위 이내)

6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연도별 부 합빈도 순 는 표 4-7과 같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부

합빈도 상 10품목이 각 연도별 체 부 합빈도의 약 75%이상을 차지했

다. 상추, 시 치, 배추, 쑥갓, 근 , 참나물, 취나물 등이 항상 부 합 순

의 우 를 차지했다. 부 합률 2.0% 이상 상 24품목(고춧잎, 머 , 겨자채,

달래, 취나물, 당귀잎, 셀러리, 참나물, 돌나물, 부추, 근 , 슬리, 비름나물,

갓, 쑥갓, 들깻잎, 시 치, 고춧가루, , 냉이, 감, 치커리잎, 멜론, 상추)과

각 연도별 부 합빈도 상 10 내 품목(상추, 시 치, 취나물, 배추, , 오

이, 근 , 쑥갓, 고춧잎, 참나물, 들깻잎, 셀러리, 무잎, 돌나물, 겨자채, 부추,

고추)을 정리해 보면 상추, 시 치, 취나물, 배추, , 오이, 근 , 쑥갓, 고춧

잎, 참나물, 들깻잎, 셀러리, 무잎(열무포함), 돌나물, 겨자채, 부추, 고추, 머

, 달래, 당귀잎, 슬리, 비름나물, 갓, 고춧가루, 냉이, 감, 치커리잎, 멜

론 등 28품목으로 압축된다. 이들 28품목에 한 생산자 리가 철 히 이

루어 진다면 부 합률을 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단된다.

별 농산물의 부 합 발생빈도는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표 4-8).

5월과 10월~2월에는 상추와 시 치가 부 합의 부분을 차지했다. 3월에

는 돌나물, 상추, 시 치, 4월에는 취나물, 겨자채, 6월에는 쑥갓, 들깻잎, 배

추, 7월은 취나물, 고춧잎, 들깻잎, 8월은 고춧잎, 들깻잎, 9월은 상추, 들깻

잎, 쑥갓으로 6월부터 9월까지 들깻잎, 7월과 8월엔 고춧잎의 부 합빈도가

높았다. 품목별 검출농약성분 내역은 부록에 수록하 다.

품목별로 검출된 농약 성분수는 그림 4-15와 같다. 총 10종 이상의 농약

성분이 검출된 품목은 36품목으로 이들 품목에서 다양한 성분의 농약이 사

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다양한 농약 성분이 검출된 품목은 고추로

62종 성분의 농약이 검출되었고, 상추, 배추, 시 치, 들깻잎, 쑥갓, 참나물,

취나물, 고춧잎, , 근 , 오이, 무(잎,열무) 등도 30종 이상의 농약성분이 검

출되었다(표 4-9, 그림 4-16~4-26). 여러 농약성분이 복하여 검출된 결과

는 그림 4-27과 같았다. 2종 이상 농약성분이 검출결과는 표 4-10에서 보는

제 4장 연구결과 / 63

바와 같이 검출된 4,786건 828건(17.3%)으로 나타났다. 농약 2종 검출이

653건으로 부분이었으나 3종이 135건, 4종이 29건, 5종이 4건, 6종 이상이

7건이었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2성분과 3성분 복 검출건수가 증가 추세

이고, 2009년부터는 6성분 이상 검출된 품목들도 등장하고 있다(그림 4-28).

품목별로는 상추, 시 치, 들깻잎, 배추, 고추, 오이, 쑥갓, 고춧잎, 참나물, 근

가 상 다. 4성분 이상 검출 품목은 고춧잎, 시 치, 깻잎, 고추, , 고춧가루,

추 등 이었다(표 4-10, 4-11).

6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순위2006 2007 2008 2009 2010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1 상추 12 상추 16 참나물 20 상추 36 상추 33

2 시금치 12 배추 8 상추 18 시금치 30 들깻잎 25

3 취나물 7 시금치 8 시금치 18 쑥갓 23 쑥갓 25

4 배추 6 근대 7 근대 14 들깻잎 16 고춧잎 25

5 파 5 취나물 5 돌나물 11 근대 14 시금치 22

6 오이 4 참나물 5 배추 10 파 12 배추 14

7 참나물 4 들깻잎 4 들깻잎 10 배추 11 참나물 13

8 근대 4 셀러리 4 쑥갓 8 무(잎) 11 취나물 13

9 쑥갓 4 무(잎) 3 겨자채 8 취나물 10 무(잎) 8

10 고춧잎 3 쑥갓 3 부추 6 고추 8 부추 8

11 청경채 3 치커리(잎) 3 비름나물 5 참나물 8 머위 8

12 고추 2 고춧잎 2 고춧잎 4 부추 8 근대 7

13 들깻잎 2 양상추 2 갓 4 고춧잎 5 파 6

14 무(잎) 1 겨자채 2 고추 3 오이 4 오이 4

15 돌나물 1 고춧가루 2 밀감 3 밀감 2 치커리(잎) 4

16 양상추 1 고추 1 취나물 3 치커리(잎) 2 고추 3

17 겨자채 1 부추 1 오이 2 갓 2 밀감 2

18 비름나물 1 파 1 무(잎) 2 비름나물 2 인삼 2

19 치커리(잎) 1 청경채 1 아욱 2 셀러리 2 미나리 2

20 머위 1 아욱 1 치커리(잎) 2 사과 1 달래 2

21 복숭아 1 키위(참다래) 1 인삼 1 고춧가루 1 아욱 1

22 무(뿌리) 1 고춧가루 1 가지 1 케일 1

23 호박 1 냉이 1 냉이 1

24 피망 1 미나리 1 멜론 1

25 가지 1 멜론 1 당귀잎 1

26 복숭아 1 쌀 1 세발나물 1

27 표고버섯 1 키위(참다래) 1

28 파슬리 1 겨자채 1

29 감자 1 양배추 1

30 달래 1

31 양송이버섯 1

계 76 81 164 216 232

표 4-7. 연도별 농산물 품목의 부적합 발생빈도 순위

제 4장 연구결과 / 65

순위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1 상추 15 상추 10 돌나물 7 취나물 7 시금치 7 쑥갓 9

2 시금치 9 시금치 4 상추 7 겨자채 5 상추 6 들깻잎 6

3 치커리(잎) 4 근대 3 시금치 7 머위 4 참나물 4 배추 6

4 쑥갓 3 참나물 3 참나물 7 배추 4 취나물 4 고춧잎 5

5 겨자채 2 달래 2 배추 6 참나물 4 파 3 근대 5

6 들깻잎 2 머위 2 쑥갓 4 근대 3 무(잎) 2 상추 5

7 배추 2 취나물 2 부추 3 들깻잎 3 밀감 2 시금치 5

8 부추 2 고춧가루 1 양상추 3 부추 3 돌나물 1 비름나물 4

9 고추 1 고춧잎 1 들깻잎 2 시금치 3 들깻잎 1 고추 3

10 고춧잎 1 냉이 1 취나물 2 고추 2 머위 1 무(잎) 3

11 근대 1 당귀잎 1 근대 1 오이 2 배추 1 참나물 2

12 무(잎) 1 배추 1 머위 1 인삼 2 부추 1 취나물 2

13 미나리 1 쑥갓 1 쌀 1 가지 1 비름나물 1 파 2

14 밀감 1 오이 1 아욱 1 고춧잎 1 셀러리 1 돌나물 1

15 오이 1 치커리(잎) 1 치커리(잎) 1 달래 1 쑥갓 1 밀감 1

16 참나물 1 키위(참다래) 1 파 1 돌나물 1 양송이버섯 1 파슬리 1

17 파 1 무(잎) 1 오이 1

18 미나리 1 호박 1

19 비름나물 1

20 쑥갓 1

21 키위(참다래) 1

22 표고버섯 1

표 4-8. 월별 농산물 품목의 부적합 발생빈도 순위

6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순위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품목 빈도

1 취나물 13 고춧잎 14 상추 13 시금치 15 상추 23 상추 13

2 고춧잎 11 들깻잎 14 들깻잎 11 근대 9 시금치 12 시금치 12

3 들깻잎 11 쑥갓 9 쑥갓 9 상추 6 참나물 9 쑥갓 5

4 상추 9 상추 8 배추 8 쑥갓 6 쑥갓 8 근대 4

5 쑥갓 7 시금치 6 근대 7 무(잎) 5 근대 6 배추 3

6 참나물 7 무(잎) 5 파 6 배추 5 배추 6 참나물 3

7 시금치 6 배추 5 고춧잎 4 오이 4 부추 6 고추 2

8 근대 5 참나물 4 시금치 4 고추 3 갓 5 고춧가루 2

9 무(잎) 4 셀러리 3 무(잎) 3 부추 3 파 4 들깻잎 2

10 고추 3 청경채 3 참나물 3 참나물 3 겨자채 3 부추 2

11 치커리(잎) 3 취나물 3 취나물 3 파 3 들깻잎 3 감자 1

12 겨자채 2 근대 2 고추 2 들깻잎 2 밀감 2 고춧잎 1

13 배추 2 오이 2 부추 2 갓 1 오이 2 무(잎) 1

14 파 2 치커리(잎) 2 가지 1 고춧잎 1 취나물 2 밀감 1

15 멜론 1 고추 1 복숭아 1 냉이 1 고춧가루 1 아욱 1

16 미나리 1 돌나물 1 양배추 1 멜론 1 돌나물 1 파 1

17 부추 1 머위 1 치커리(잎) 1 무(뿌리) 1 셀러리 1

18 사과 1 복숭아 1 케일 1 비름나물 1

19 셀러리 1 비름나물 1 세발나물 1

20 아욱 1 아욱 1

21 오이 1 파 1

22 인삼 1 피망 1

23 청경채 1

제 4장 연구결과 / 67

그림 4-15. 농산물 중 검출 및 부적합 발생 농약성분수(10성분 이상)

6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순위 품목검사

건수

부적합

빈도

부적합

농약수농약(빈도)

1 상추 5,324 115 25

엔도설판(41), 클로르피리포스(16), 프로시미돈(10), 아족시스트로빈(9), 에

토프로포스(5), 클로로타로닐(4), 크레속심메칠(4), 디메토모르프(3), 보스

칼리드(3), 카벤다짐(3), 플루페녹수론(2), 클로르훼나피르(2), 다이아지논

(1), 메타락실(1), 싸이퍼메쓰린(1), 페나리몰(1), 이피엔(1), 카보후란(1), 플

루토라닐(1), 루페누론(1), 이소프로치오란(1), 터브포스(1), 에톡사졸(1),

티프루자마이드(1), 후루디옥소닐(1)

2 시금치 2,224 90 27

엔도설판(23), 프로시미돈(8), 클로르피리포스(9), 클로로타로닐(5), 아족시

스트로빈(5), 디메토모르프(4), 카벤다짐(4), 플루페녹수론(3), 디에토펜카

브(3), 인독사카브(3), 싸이퍼메쓰린(2), 터브포스(2), 메타락실(2), 티아메

톡삼(2), 노발루론(2), 테부피림포스(2), 보스칼리드(1), 플루토라닐(1), 루

페누론(1), 메소밀(1), 페니트로치온(1), 메타벤즈티아주(1), 시아조파미드

(1), 에타복삼(1), 크레속심메칠(1), 피리메타닐(1), 옥사디아졸(1)

3 쑥갓 1,394 63 20

다이아지논(17), 에토프로포스(11), 엔도설판(8), 클로르피리포스(5), 디메

토모르프(4), 프로시미돈(2), 카벤다짐(2), 크레속심메칠(2), 메티다치온(1),

클로로타로닐(1), 페니트로치온(1), 디에토펜카브(1), 이프로벤포스(1), 펜

토에이트(1), 트리플루라린(1), 루페누론(1), 메타락실(1), 카보후란(1), 톨

크로포스-메칠(1), 플루토라닐(1)

4 들깻잎 1,305 57 24

클로르피리포스(10), 엔도설판(5), 에토프로포스(5), 아족시스트로빈(3), 플

루페녹수론(3), 이피엔(3), 다이아지논(3), 카벤다짐(2), 카보후란(2), 페니

트로치온(2), 펜프로파스린(2), 피리다벤(2), 메티다치온(2), 토릴플루아니

드(2), 피라크로스트로빈(2), 싸이퍼메쓰린(1), 클로로타로닐(1), 메타락실

(1), 훼노부카브(1), 티아메톡삼(1), 이소프로치오란(1), 싸이할로쓰린(1),

크레속심메칠(1), 티아크로프리드(1)

5 참나물 675 50 16

프로시미돈(19), 다이아지논(8), 엔도설판(6), 빈클로졸린(2), 터브포스(2),

메티다치온(2), 펜토에이트(2), 디에토펜카브(1), 에토프로포스(1), 페니트

로치온(1), 클로르피리포스(1), 플루토라닐(1), 메파니피림(1), 테부피림포

스(1), 트리싸이클라졸(1), 클로르피리포스-메틸(1)

6 배추 3,114 49 13

엔도설판(9), 디메토모르프(8), 다이아지논(8), 아족시스트로빈(6), 프로시

미돈(4), 클로로타로닐(3), 싸이퍼메쓰린(2), 루페누론(2), 노발루론(2), 프

로치오포스(2), 비펜스린(1), 테부피림포스(1), 카바릴(1)

7 근대 745 46 16

엔도설판(14), 프로시미돈(6), 디메토모르프(3), 다이아지논(3), 싸이퍼메쓰

린(2), 아세타미프리드(2), 클로로타로닐(2), 디에토펜카브(2), 아족시스트

로빈(2), 클로르피리포스(2), 테부피림포스(2), 에토프로포스(2), 플루페녹

수론(1), 카벤다짐(1), 메톡시페노자이(1), 에토펜프록스(1)

9 고춧잎 165 39 22

카벤다짐(6), 엔도설판(4), 루페누론(3), 디메토모르프(2), 티아메톡삼(2), 에

토프로포스(2), 피라크로스트로빈(2), 아크리나쓰린(2), 클로르피리포스(2),

트리프록시스트로빈(2), 싸이퍼메쓰린(1), 클로로타로닐(1), 이미다크로프리

드(1), 메소밀(1), 아족시스트로빈(1), 프로시미돈(1), 아세타미프리드(1), 이

피엔(1), 보스칼리드(1), 크레속심메칠(1), 티아크로프리드(1), 퍼메쓰린(1)

표 4-9. 부적합발생 품목의 부적합 농약성분별 빈도

제 4장 연구결과 / 69

순위 품목검사

건수

부적합

빈도

부적합

농약수농약(빈도)

8 취나물 368 38 17

클로르피리포스(7), 아족시스트로빈(4), 엔도설판(4), 펜디메타린(3), 페니

트로치온(3), 이피엔(3), 에토프로포스(2), 피라크로스트로빈(2), 후루디옥

소닐(2), 클로로타로닐(1), 프로시미돈(1), 다이아지논(1), 루페누론(1), 메

티다치온(1), 메파니피림(1), 톨크로포스-메칠(1), 포스치아제이트(1)

10 무잎 1,826 25 12

엔도설판(7), 다이아지논(6), 프로시미돈(2), 클로르피리포스(2), 클로로타

로닐(1), 디메토모르프(1), 디니코나졸(1), 인독사카브(1), 루페누론(1), 아

족시스트로빈(1), 카바릴(1), 테플루벤주론(1)

11 부추 425 23 15

프로시미돈(4), 카벤다짐(4), 터브포스(2), 다이아지논(2), 엔도설판(1), 싸

이퍼메쓰린(1), 클로로타로닐(1), 이피엔(1), 루페누론(1), 아족시스트로빈

(1), 이프로디온(1), 클로르피리포스(1), 페니트로치온(1), 피리메타닐(1),

후루디옥소닐(1)

12 파 824 24 11

엔도설판(7), 이프로디온(7), 메타락실(2), 프로시미돈(1), 아족시스트로빈

(1), 디메토모르프(1), 크레속심메칠(1), 메타벤즈티아주론(1), 페니트로치

온(1), 플루페녹수론(1), 후루디옥소닐(1)

13 고추 1,504 17 9메티다치온(5), 엔도설판(3), 에토프로포스(2), 메소밀(1), 디메토모르프(2),

이피엔(1), 프로페노포스(1), 벤디오카브(1), 페나자퀸(1)

14 오이 1,579 14 5 클로로타로닐(8), 메티다치온(3), 메소밀(1), 디메토모르프(1), 이피엔(1)

15 돌나물 184 12 4 프로시미돈(9), 보스칼리드(1), 아족시스트로빈(1), 크레속심메칠(1)

16 치커리잎 548 12 9엔도설판(4), 디메토모르프(1), 다이아지논(1), 에토프로포스(1), 클로로타

로닐(1), 후루디옥소닐(1), 메파니피림(1), 아족시스트로빈(1), 카보후란(1)

17 겨자채 86 12 4 파클로부트라졸(7), 프로시미돈(2), 디메토모르프(2), 다이아지논(1)

18 머위 54 9 8엔도설판(2), 비펜스린(1), 에토프로포스(1), 메타락실(1), 메티다치온(1),

아족시스트로빈(1), 클로르피리포스(1), 펜디메타린(1)

19 비름나물 155 8 3 아족시스트로빈(6), 클로르피리포스(1), 피리다벤(1)

20 밀감 290 7 4 이피엔(3), 디고폴(2), 프로시미돈(1), 카바릴(1)

21 셀러리 73 6 5메티다치온(2), 다이아지논(1), 클로로타로닐(1), 에토프로포스(1), 클로르

피리포스(1)

22 갓 125 6 4 엔도설판(2), 플루페녹수론(2), 다이아지논(1), 루페누론(1)

7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순위 품목검사

건수

부적합

빈도

부적합

농약수농약(빈도)

23 아욱 482 4 3 엔도설판(2), 싸이할로쓰린(1), 클로르피리포스(1)

24 청경채 255 4 4 디메토모르프(1), 다이아지논(1), 클로르피리포스(1), 피라조포스(1)

25 고춧가루 108 4 2 엔도설판(3), 카바릴(1)

26 인삼 412 3 2 톨크로포스-메칠(2), 후루디옥소닐(1)

27 양상추 245 3 2 디메토모르프(2), 보스칼리드(1)

28 미나리 357 3 2 이프로벤포스(2), 엔도설판(1)

29 달래 30 3 3 에토프로포스(1), 클로르피리포스(1), 피라크로스트로빈(1)

30 복숭아 164 2 2 메티다치온(1), 이피엔(1)

31 가지 547 2 2 보스칼리드(1), 이프로디온(1)

32 냉이 82 2 1 엔도설판(2)

33 키위(참다)래 148 2 2 페니트로치온(1), 펜토에이트(1)

34 멜론 97 2 2 엔도설판(1), 크레속심메칠(1)

35 호박 1,476 1 1 프로시미돈(1)

36 사과 418 1 1 프로치오포스(1)

37 피망(파프리카) 291 1 1 엔도설판(1)

38 세발나물 6 1 1 클로르피리포스(1)

39 쌀 597 1 1 트리싸이클라졸(1)

40 케일 90 1 1 다이아지논(1)

41 감자 304 1 1 엔도설판(1)

42 표고버섯 218 1 1 엔도설판(1)

43 양배추 396 1 1 엔도설판(1)

44 양송이 56 1 1 엔도설판(1)

45 당귀잎 12 1 1 클로르피리포스(1)

46 파슬리 19 1 1 엔도설판(1)

47 무(뿌리) 294 1 1 엔도설판(1)

제 4장 연구결과 / 71

그림 4-16. 상추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그림 4-17. 시금치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7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18. 쑥갓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그림 4-19. 들깻잎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제 4장 연구결과 / 73

그림 4-20. 참나물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그림 4-21. 배추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7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22. 근대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그림 4-23. 고춧잎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제 4장 연구결과 / 75

그림 4-24. 취나물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그림 4-25. 무(잎,열무)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7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26. 파의 농약별 검출빈도와 부적합빈도

그림 4-27. 농약의 중복 검출비율

제 4장 연구결과 / 77

성분수 2006 2007 2008 2009 2010 계

2성분 67 33 84 227 242 653

3성분 10 2 11 59 53 135

4성분 1 - 1 19 8 29

5성분 1 - - 1 2 4

6성분이상 - - - 2 5 7

계 79 35 96 308 310 828

표 4-10. 연도별 농약성분의 중복검출 추이

그림 4-28. 연도별 농약성분의 중복검출 추이

7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2006 2007 2008 2009 2010 계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1 상추 16 배추 6 시금치 12 고추 32 상추 45 상추 100

2 배추 13 근대 5 고추 8 상추 28 들깻잎 39 시금치 72

3 시금치 8 상추 5 들깻잎 7 시금치 28 시금치 24 들깻잎 68

4 오이 6 고추 5 쑥갓 7 오이 23 고춧잎 19 배추 64

5 참나물 6 돌나물 2 오이 7 배추 22 배추 19 고추 58

6 근대 5 들깻잎 2 밀감 6 들깻잎 18 오이 18 오이 55

7 고추 4 아욱 2 상추 6 쑥갓 14 취나물 15 쑥갓 33

8 파 3 취나물 2 고춧잎 5 파 14 참나물 11 고춧잎 32

9 취나물 3 고춧잎 1 배추 5 참나물 10 고추 8 참나물 32

10 들깻잎 2 셀러리 1 참나물 5 근대 9 쑥갓 10 근대 30

11 무잎 2 차 1 겨자채 4 사과 9 호박 10 취나물 29

12 쑥갓 2 치커리(잎) 1 근대 4 호박 9 무(잎) 9 파 23

13 양상추 2 키위(참다래) 1 부추 3 취나물 8 밀감 8 밀감 22

14 밀감 1 파 1 고춧가루 2 포도 8 부추 8 호박 21

15 돌나물 1 양상추 2 밀감 7 근대 7 무잎 17

16 겨자채 1 호박 2 고춧잎 6 사과 5 부추 16

17 고춧잎 1 냉이 1 무(잎) 6 파 5 사과 15

18 쌈채 1 돌나물 1 고춧가루 5 대추 4 포도 12

19 아욱 1 딸기 1 복숭아 5 케일 4 고춧가루 10

20 청경채 1 복숭아 1 부추 5 포도 4 양상추 9

21 사과 1 참외 4 고춧가루 4 겨자채 7

22 셀러리 1 갓 3 쌀 3 돌나물 7

23 쌀 1 미나리 3 키위 3 복숭아 7

24 인삼 1 체리 3 구기자 2 참외 7

25 참외 1 피망 3 머위 2 대추 5

26 취나물 1 돌나물 2 아욱 2 쌀 5

27 파슬리 1 아욱 2 양상추 2 아욱 5

28 양상추 2 참외 2 키위 5

29 토마토 2 청경채 2 갓 4

30 가지 1 토마토 2 케일 4

표 4-11. 연도별 농약 2성분 이상 검출된 농산물 품목

제 4장 연구결과 / 79

2006 2007 2008 2009 2010 계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품목 건수

31 겨자채 1 가지 1 토마토 4

32 고들빼기 1 갓 1 피망 4

33 대추 1 겨자채 1 미나리 3

34 멜론 1 달래 1 셀러리 3

35 모과 1 당근 1 청경채 3

36 무(뿌리) 1 돌나물 1 체리 3

37 바나나 1 딸기 1 치커리 3

38 배 1 비름나물 1 가지 2

39 비름나물 1 오렌지 1 구기자 2

40 셀러리 1 오미자 1 딸기 2

41 수박 1 우엉 1 머위 2

42 쌀 1 치커리(잎) 1 비름 2

43 오렌지 1 풋마늘 1 오렌지 2

44 자몽 1 피망 1 차 2

45 차 1 고들빼기 1

46 치커리(잎) 1 냉이 1

47 키위 1 달래 1

48 당근 1

49 멜론 1

50 무(뿌리) 1

51 모과 1

52 바나나 1

53 배 1

54 수박 1

55 오미자 1

56 우엉 1

57 인삼 1

58 자몽 1

59 파슬리 1

60 쌈채 1

61 풋마늘 1

계 79 35 96 308 310 828

8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농약성분수

검출건수

품 목(건수)

2성분 653

상추(85), 시금치(58), 들깻잎(57), 배추(51), 오이(49), 고추(45), 쑥갓(28), 근대(26),

참나물(25), 호박(20), 고춧잎(19), 취나물(19), 파(17), 밀감(16), 부추(13), 무잎(12),

사과(10), 복숭아(7), 양상추(7), 참외(7), 포도(7), 고춧가루(5), 겨자채(5), 갓(4),

돌나물(4), 쌀(4), 아욱(4), 키위(4), 토마토(4), 피망(4), 미나리(3), 케일(3), 가지(2),

구기자(2), 딸기(2), 셀러리(2), 청경채(2), 체리(2), 치커리잎(2), 냉이, 달래, 대추,머위,

멜론,무(뿌리), 바나나,배, 비름나물,수박,오렌지, 우엉, 인삼,자몽, 차, 파슬리, 풋마늘

3성분 135

상추(13), 고추(11), 배추(11), 시금치(10), 취나물(9), 들깻잎(8),고춧잎(7),참나물(7),

밀감(6), 무잎(5), 사과(5), 오이(5), 근대(3), 돌나물(3), 쑥갓(3), 파(3), 포도(3),

고춧가루(2), 겨자채(2), 부추(2), 당근, 대추, 머위, 모과, 비름나물, 쌀, 아욱, 양상추,

오렌지, 오미자, 차, 청경채, 체리, 치커리잎, 케일, 키위, 호박

4성분 29시금치(4), 고추(3), 파(3), 고춧가루(2), 대추(2), 들깻잎(2), 배추(2), 상추(2), 쑥갓(2),

포도(2), 고춧잎, 고들빼기, 부추, 셀러리, 양상추

5성분 4 근대, 들깻잎, 오이, 쌈채

6성분이상 7 고춧잎(5), 취나물, 대추

표 4-12. 농약 2성분 이상 중복 검출된 농산물 품목

4 . 1. 6 . 농 약 의 화 학 분 류 별 결 과

검출된 농약의 화학 분류에 따른 검출빈도 비율은 유기염소계가 24.7%

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했다(표4-13). 디카복시마이드계 18.4%, 유기인계

15.0%, 피 스로이드계 8.1%, 시나믹산계 5.9%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체 검출빈도의 70%이상을 차지했다. 연도별 검출빈도 비율을 보면 시나

믹산계, 카바메이트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등은 연도별 검출빈도에 큰 변화

가 없었다(그림 4-29). 그러나 유기염소계와 스트로빌루린계는 2006년에 비

해 히 감소하 고, 유기인계, 피 스로이드계, 트리아졸계 농약은

히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제 4장 연구결과 / 81

화학 분류에 따른 부 합빈도는 표 4-14와 같다. 검출빈도 비율과는 달

리 유기인계가 29.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염소계, 디카복사마이드

계, 스트로빌루린계, 시나믹산계, 벤조일우 아계, 벤즈이미다졸계, 카바메이

트계, 피 스로이드계가드계 순이었고, 이들이 체 부 합의 90%이상을 차

지하 다. 연도별 부 합빈도 추이는 변화가 큰 편이다(그림 4-30). 유기인

계는 2007, 2008년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 고, 유기염소계는 검출빈도 추

이는 감소 하 으나 부 합빈도는 증가하여서 상반되는 결과를 보 다. 스

트로빌루린계는 검출 추이와 같이 부 합 추이도 함께 감소 추세 다.

그림 4-29. 농약의 화학적 분류에 따른 검출빈도 비율

그림 4-30. 농약의 화학적 분류에 따른 부적합빈도 비율

8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화학적 분류

2006 2007 2008 2009 2010 합계

검출

빈도

비율

(%)

검출

빈도

비율

(%)

검출

빈도

비율

(%)

검출

빈도

비율

(%)

검출

빈도

비율

(%)

검출

빈도

비율

(%)

Organochlorine 235 39.6 117 34.2 192 23.4 434 21.3 466 22.7 1,444 24.7

Dicarboximide 105 17.7 67 19.6 174 21.2 369 18.1 361 17.6 1,076 18.4

Organophosphate 68 11.4 31 9.1 124 15.1 328 16.1 327 15.9 878 15.0

Pyrethroid 27 4.5 10 2.9 35 4.3 208 10.2 197 9.6 477 8.1

Cinamic acid 27 4.5 20 5.8 89 10.8 116 5.7 92 4.5 344 5.9

Strobilurin 67 11.3 36 10.5 40 4.9 66 3.2 54 2.6 263 4.5

Carbamate 20 3.4 21 6.1 38 4.6 79 3.9 61 3.0 219 3.7

Neonicotinoid 12 2.0 9 2.6 15 1.8 81 4.0 66 3.2 183 3.1

Triazole 3 0.5 0 0.0 33 4.0 76 3.7 67 3.3 179 3.1

Carboxamide 4 0.7 5 1.5 17 2.1 35 1.7 56 2.7 117 2.0

Benzoylurea 4 0.7 5 1.5 16 1.9 44 2.2 13 0.6 82 1.4

Others 22 3.7 21 6.1 48 5.8 206 10.1 296 14.4 593 10.1

표 4-13. 농약의 화학적 분류에 따른 검출빈도

화학적 분류

2006 2007 2008 2009 2010 합계

빈도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

Organophosphate 30 39.5 16 19.8 27 16.5 68 31.5 86 37.1 227 29.5

Organochlorine 15 19.7 18 22.2 43 26.2 61 28.2 51 22.0 188 24.4

Dicarboximide 5 6.6 11 13.6 38 23.2 14 6.5 14 6.0 82 10.7

Strobilurin 6 7.9 18 22.2 20 12.2 6 2.8 13 5.6 63 8.2

Cinamic acid 7 9.2 6 7.4 5 3.0 13 6.0 4 1.7 35 4.6

Benzoylurea 1 1.3 1 1.2 6 3.7 11 5.1 10 4.3 29 3.8

Benzimidazole 0 0.0 3 3.7 0 0.0 9 4.2 10 4.3 22 2.9

Carbamate 2 2.6 3 3.7 1 0.6 9 4.2 7 3.0 22 2.9

Pyrethroid 3 3.9 1 1.2 5 3.0 6 2.8 5 2.2 20 2.6

Others 7 9.2 4 4.9 19 11.6 19 8.8 32 13.8 81 10.5

표 4-14. 농약의 화학적 분류에 따른 부적합빈도

제 4장 연구결과 / 83

4 . 1. 7. 농 약 의 용 도 별 결 과

우리나라 농약은 2011년 재 1,431품목이 등록되었고, 용도별 등록비율을

보면 살균제가 34.4%, 살충제 29.7%, 제 제 28.8%, 혼합제 3.3%, 식물생장

조정제가 3.2% 그리고 기타 0.6%순이다. 품목 등록 황은 2006년 1,152품목

에서 2011년 1,431품목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농약의 용도별 검출빈도 비율은 총 검출빈도 5,855회 살충제가 2,929회

(50.0%), 살균제 2,870회(49.0%), 제 제 49회(0.8%), 식물생장조정제 8회

(0.1%) 다(그림 4-31). 부 합빈도는 총 769회 살충제 463회(60.2%), 살

균제 291회(37.8%), 제 제 8회(1.0%), 식물생장조정제 7회(0.9%)로 살충제

가 검출빈도 비율과 부 합빈도 비율 모두 가장 높았다.

그림 4-31. 농약의 용도별 검출 비율 및 부적합 비율

연도별 검출빈도 비율을 보면 2007년과 2008년에는 살충제 보다 살균제가 10%가량

더 높게 나타났다(그림 4-32). 제 제나 식물생장조정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연도별

부 합빈도비율 추이 역시 2007년에 살균제가 살충제 보다 10%이상 높았고, 그 외에는

살충제 부 합빈도 비율이 높았다. 월별 검출빈도는 살균제의 경우 1월부터 4월까지는

증가하 고 살충제보다 더 많이 검출되었으나 5월에 감소하 다가 8월에 다시 높아지

고 9월에 감소하여 1월까지 비슷한 수 을 유지하 다. 살충제는 1월부터 7월까지 꾸

히 증가하여 6월부터 11월까지 살균제보다 많이 검출되었다.

8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32. 농약의 용도별 검출빈도 비율과 부적합빈도 비율 추이

그림 4-33. 농약의 용도에 따른 월별 검출빈도

제 4장 연구결과 / 85

4 . 1. 8 . 농 약 의 성 분 별 결 과

경기도내 각 농산물검사소에서 실시한 잔류농약검사 성분수는 2006년 183

종에서 2010년 218종으로 19.1%가 증가하 다(그림 4-34). 2006년 잔류농약

이 검출된 성분수는 53성분으로 29%를 차지하 다. 부 합 성분수는 23성

분으로 체 검사 성분수의 12.6% 다. 구리농산물검사소가 업무를 시작한

2008년부터 잔류농약 검출 성분수가 약간 증가하면서 안양, 안산농산물검사

소가 업무를 시작한 2009년에는 검출 성분수가 109성분으로 검출비율이

50% 이상 히 증가하 고, 부 합 정 성분수 비율도 21%에 달했다.

그림 4-34. 농산물검사소의 잔류농약검사 성분수 추이

5년간 총 검사 상 236성분 153성분(64.8%)이 5,855회 검출되었고, 74

성분(31.4%)이 769회 부 합으로 정되었다(표 4-15, 16). 잔류농약 검출빈

도는 엔도설 이 1,062회로 가장 많았고, 체 검출빈도 18.1%를 차지하

다. 다음으로 로시미돈, 디메토모르 , 클로타로닐, 클로르피리포스, 싸

이퍼메스린, 다이아지논, 아족시스트로빈, 비펜스린, 이미다클로 리드, 메소

8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 톨클로포스-메틸, 보스칼리드, 테부코나졸 순이었으며, 이 상 5성분

이 체 검출빈도의 50% 이상, 상 14성분이 체 검출빈도의 70% 이상

이었다(그림4-35). 잔류농약 부 합 발생성분은 74성분으로 검출된 153성분

의 48.4%로 나타나 검출성분의 반 가량을 차지했다.

부 합 발생 성분의 총 빈도 769회 엔도설 이 154회로 가장 높은 비

율인 20.3%를 차지하 다(표4-15). 다음으로 로시미돈, 클로르피리포스,

다이아지논, 아족시스트로빈, 디메토모르 , 에토 로포스, 클로로타로닐, 카

벤다짐, 메티다치온, 이피엔, 루페녹수론, 크 속심메칠, 루페 론 순으로

이들 상 14성분이 체 부 합빈도의 75%를 차지했다(그림4-36). 연도별

부 합빈도 순 를 살펴보면 엔도설 이 주로 최상 으나, 2007년에는 아

족시스트로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4-16). 이는 2007년 아족시스트로빈

의 엽채류 MRL이 2007년 강화되었다가 2008년 다시 그 MRL로 환원되

었기 때문으로 단된다.

농약 성분별 검출 품목수를 보면 10품목 이상 검출된 성분은 37성분 이었다(그

림 4-37). 엔도설 이 63품목에서 검출되었고, 부 합이 발생된 품목도 28품목이나

되어 가장 많은 품목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클로르피리포스,

로시미돈, 클로로타로닐 등이 각각 40품목에서 검출되었고, 싸이퍼메스린, 다이

아지논,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칼리드, 이 로디온, 페니트로치온, 비펜스린, 디메토

모르 , 클로르훼나피르, 펜발러 이트 등이 20품목 이상에서 검출되었다. 총 부

합빈도 70% 이상을 차지하는 상 11개 농약의 품목별 검출빈도와 부 합빈도

는 표 4-18, 그림 4-38~4-48과 같다. 엔도설 은 상추, 로시미돈은 참나물, 클

로르피리포스는 상추, 다이아지논은 쑥갓, 아족시스트로빈은 상추, 디메토모르 는

배추, 에토 로포스는 쑥갓, 클로로타로닐은 오이, 카벤다짐은 고춧잎, 메티다치온

은 고추, 이피엔은 취나물, 들깻잎과 감에서 부 합 빈도가 가장 높았다. 농약사

용지침의 용작물이 아닌 품목의 농약 검출이 많아 이에 한 철 한 생산자 교육

이 요구된다.

제 4장 연구결과 / 87

순위 농약명검출

빈도

비율

(%)

누적비

(%) 순위 농약명

검출

빈도 비율(%)

누적비

(%)

1 Endosulfan 1062 18.1 18.1 33 Phenthoate 38 0.6 87.2

2 Procymidone 970 16.6 34.7 34 Fenvalerate 36 0.6 87.8

3 Dimethomorph 344 5.9 40.6 35 Carbofuran 30 0.5 88.3

4 Chlorothalonil 341 5.8 46.4 36 Pyrimethanil 29 0.5 88.8

5 Chlorpyrifos 230 3.9 50.3 37 Dicofol 28 0.5 89.3

6 Cypermethrin 223 3.8 54.1 38 Lufenuron 22 0.4 89.6

7 Diazinon 199 3.4 57.5 39 Thiamethoxam 22 0.4 90.0

8 Azoxystrobin 197 3.4 60.9 40 Fenpropathrin 21 0.4 90.4

9 Bifenthrin 120 2.0 63.0 41 Flutolanil 21 0.4 90.7

10 Imidacloprid 99 1.7 64.6 42 Indoxacarb 21 0.4 91.1

11 Methomyl 97 1.7 66.3 43 Pyridaben 21 0.4 91.5

12 Tolclofos-methyl 94 1.6 67.9 44 Terbufos 21 0.4 91.8

13 Boscalid 92 1.6 69.5 45 Pendimethalin 18 0.3 92.1

14 Tebuconazole 79 1.3 70.8 46 Diniconazole 17 0.3 92.4

15 Iprodione 67 1.1 72.0 47 Iprobenfos 15 0.3 92.7

16 Carbendazim 65 1.1 73.1 48 Pyraclostrobin 15 0.3 92.9

17 Chlorfenapyr 65 1.1 74.2 49 Fenarimol 14 0.2 93.2

18 Fenitrothion 65 1.1 75.3 50 Fenobucarb 14 0.2 93.4

19 Acetamiprid 58 1.0 76.3 51 Cyprodinil 13 0.2 93.6

20 Ethoprophos 58 1.0 77.3 52 Imazalil 13 0.2 93.9

21 Hexaconazole 52 0.9 78.2 53 Isoprothiolane 13 0.2 94.1

22 EPN 50 0.9 79.0 54 Methoxyfenozide 13 0.2 94.3

23 Fludioxonil 48 0.8 79.8 55 Carbaryl 11 0.2 94.5

24 Cyhalothrin 47 0.8 80.6 56 Myclobutanil 10 0.2 94.7

25 Kresoxim-methyl 46 0.8 81.4 57 Chlorpyrifos-methyl 9 0.2 94.8

26 Diethofencarb 45 0.8 82.2 58 Dichlofluanid 9 0.2 95.0

27 Methidathion 45 0.8 83.0 59 Tebufenozide 9 0.2 95.1

28 Metalaxyl 43 0.7 83.7 60 Teflubenzuron 9 0.2 95.3

29 Flufenoxuron 42 0.7 84.4 61 Tetradifon 9 0.2 95.4

30 Tebufenpyrad 42 0.7 85.1 62 Acrinathrin 8 0.1 95.6

31 Triflumizole 42 0.7 85.9 63 Deltamethrin 8 0.1 95.7

32 Vinclozolin 39 0.7 86.5 64 Novaluron 8 0.1 95.8

표 4-15.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 순위

8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순위 농약명검출

빈도

비율

(%)

누적비

(%) 순위 농약명

검출

빈도 비율(%)

누적비

(%)

65 Etrimfos 7 0.1 96.0 99 Fosthiazate 3 0.1 98.7

66 Fthalide 7 0.1 96.1 100 Mepanipyrim 3 0.1 98.7

67 Paclobutrazol 7 0.1 96.2 101 Metrafenone 3 0.1 98.8

68 Pyridalyl 7 0.1 96.3 102 Nitrapyrin 3 0.1 98.8

69 Tebupirimfos 7 0.1 96.4 103 Prothiofos 3 0.1 98.9

70 Tefluthrin 7 0.1 96.5 104 Thiazopyr 3 0.1 98.9

71 Fenazaquin 6 0.1 96.7 105 Thifluzamide 3 0.1 99.0

72 Fenothiocarb 6 0.1 96.8 106 Thiobencarb 3 0.1 99.0

73 Prochloraz 6 0.1 96.9 107 Alachlor 2 0.03 99.0

74 Chlorantraniliprole 5 0.1 96.9 108 Azinphos-methyl 2 0.03 99.1

75 Cyflufenamid 5 0.1 97.0 109 Dicloran 2 0.03 99.1

76 Phorate 5 0.1 97.1 110 Ethaboxam 2 0.03 99.1

77 Profenofos 5 0.1 97.2 111 Fenbuconazole 2 0.03 99.2

78 Tolylfluanid 5 0.1 97.3 112 Methabenzthiazuron 2 0.03 99.2

79 Trifloxystrobin 5 0.1 97.4 113 Oxadiazon 2 0.03 99.2

80 Bromacil 4 0.1 97.4 114 Permethrin 2 0.03 99.3

81 Butachlor 4 0.1 97.5 115 Probenazole 2 0.03 99.3

82 Diphenylamine 4 0.1 97.6 116 Simazine 2 0.03 99.4

83 Etofenprox 4 0.1 97.6 117 Tricyclazole 2 0.03 99.4

84 Fenpyroximate 4 0.1 97.7 118 Bendiocarb 1 0.02 99.4

85 Folpet 4 0.1 97.8 119 Benzoximate 1 0.02 99.4

86 Heptachlor 4 0.1 97.8 120 Captan 1 0.02 99.4

87 Metconazole 4 0.1 97.9 121 Carboxin 1 0.02 99.5

88 Methiocarb 4 0.1 98.0 122 chinomethionate 1 0.02 99.5

89 Parathion 4 0.1 98.1 123 Chlorfenvinphos 1 0.02 99.5

90 Thiacloprid 4 0.1 98.1 124 Cyazofamid 1 0.02 99.5

91 Thiodicarb 4 0.1 98.2 125 Cyfluthrin 1 0.02 99.5

92 Triadimefon 4 0.1 98.3 126 Dichlorvos 1 0.02 99.5

93 Trifluralin 4 0.1 98.3 127 Dimepiperate 1 0.02 99.6

94 Vamidothion 4 0.1 98.4 128 Diphenamid 1 0.02 99.6

95 Captafol 3 0.1 98.4 129 Ethiofencarb 1 0.02 99.6

96 Edifenphos 3 0.1 98.5 130 Ethion 1 0.02 99.6

97 Fenamidone 3 0.1 98.5 131 Etoxazole 1 0.02 99.6

98 Fenoxanil 3 0.1 98.6 132 Fenamiphos 1 0.02 99.6

제 4장 연구결과 / 89

순위 농약명검출

빈도

비율

(%)

누적비

(%) 순위 농약명

검출

빈도 비율(%)

누적비

(%)

133 Fenthion 1 0.02 99.7 144 Oxyfluorfen 1 0.02 99.8

134 Fluazinam 1 0.02 99.7 145 Phosmet 1 0.02 99.9

135 Flusilazole 1 0.02 99.7 146 Pirimiphos-methyl 1 0.02 99.9

136 Forchlorfenuron 1 0.02 99.7 147 Propoxur 1 0.02 99.9

137 Furathiocarb 1 0.02 99.7 148 Pyraclofos 1 0.02 99.9

138 Hexaflumuron 1 0.02 99.7 149 Pyrazophos 1 0.02 99.9

139 Isofenphos 1 0.02 99.8 150 Pyriminobac-methyl 1 0.02 99.9

140 Malathion 1 0.02 99.8 151 Quintozene 1 0.02 100.0

141 Metribuzin 1 0.02 99.8 152 Triadimenol 1 0.02 100.0

142 Ofurace 1 0.02 99.8 153 Zoxamide 1 0.02 100.0

143 Oxamyl 1 0.02 99.8 - - - - -

그림 4-35.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 비율

9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순위 농약명부적합

빈도

비율

(%)

누적

비(%) 순위 농약명

부적합

빈도

비율

(%)

누적

비(%)

1 Endosulfan 156 20.3 20.3 33 Pendimethalin 4 0.5 90.8

2 Procymidone 71 9.2 29.5 34 Phenthoate 4 0.5 91.3

3 Chlorpyrifos 63 8.2 37.7 35 Tolclofos-methyl 4 0.5 91.8

4 Diazinon 55 7.2 44.9 36 Acetamiprid 3 0.4 92.2

5 Azoxystrobin 42 5.5 50.3 37 Iprobenfos 3 0.4 92.6

6 Dimethomorph 35 4.6 54.9 38 Mepanipyrim 3 0.4 93.0

7 Ethoprophos 34 4.4 59.3 39 Prothiofos 3 0.4 93.4

8 Chlorothalonil 30 3.9 63.2 40 Pyridaben 3 0.4 93.8

9 Carbendazim 22 2.9 66.1 41 Acrinathrin 2 0.3 94.0

10 Methidathion 18 2.3 68.4 42 Bifenthrin 2 0.3 94.3

11 EPN 15 2.0 70.4 43 Chlorfenapyr 2 0.3 94.5

12 Flufenoxuron 12 1.6 71.9 44 Cyhalothrin 2 0.3 94.8

13 Kresoxim-methyl 12 1.6 73.5 45 Dicofol 2 0.3 95.1

14 Lufenuron 12 1.6 75.0 46 Fenpropathrin 2 0.3 95.3

15 Fenitrothion 11 1.4 76.5 47 Isoprothiolane 2 0.3 95.6

16 Cypermethrin 10 1.3 77.8 48 Methabenzthiazuron 2 0.3 95.8

17 Iprodione 9 1.2 78.9 49 Pyrimethanil 2 0.3 96.1

18 Boscalid 8 1.0 80.0 50 Thiacloprid 2 0.3 96.4

19 Metalaxyl 8 1.0 81.0 51 Tolylfluanid 2 0.3 96.6

20 Diethofencarb 7 0.9 81.9 52 Tricyclazole 2 0.3 96.9

21 Fludioxonil 7 0.9 82.8 53 Trifloxystrobin 2 0.3 97.1

22 Paclobutrazol 7 0.9 83.7 54 Vinclozolin 2 0.3 97.4

23 Pyraclostrobin 7 0.9 84.7 55 Bendiocarb 1 0.1 97.5

24 Terbufos 7 0.9 85.6 56 Chlorpyrifos-methyl 1 0.1 97.7

25 Tebupirimfos 6 0.8 86.3 57 Cyazofamid 1 0.1 97.8

26 Carbofuran 5 0.7 87.0 58 Diniconazole 1 0.1 97.9

27 Thiamethoxam 5 0.7 87.6 59 Ethaboxam 1 0.1 98.0

28 Carbaryl 4 0.5 88.2 60 Etofenprox 1 0.1 98.2

29 Flutolanil 4 0.5 88.7 61 Etoxazole 1 0.1 98.3

30 Indoxacarb 4 0.5 89.2 62 Fenarimol 1 0.1 98.4

31 Methomyl 4 0.5 89.7 63 Fenazaquin 1 0.1 98.6

32 Novaluron 4 0.5 90.2 64 Fenobucarb 1 0.1 98.7

표 4-16. 농약의 성분별 부적합빈도 순위

제 4장 연구결과 / 91

순위 농약명부적합

빈도

비율

(%)

누적

비(%) 순위 농약명

부적합

빈도

비율

(%)

누적비

(%)

65 Fosthiazate 1 0.1 98.8 70 Profenofos 1 0.1 99.5

66 Imidacloprid 1 0.1 99.0 71 Pyrazophos 1 0.1 99.6

67 Methoxyfenozide 1 0.1 99.1 72 Teflubenzuron 1 0.1 99.7

68 Oxadiazon 1 0.1 99.2 73 Thifluzamide 1 0.1 99.9

69 Permethrin 1 0.1 99.3 74 Trifluralin 1 0.1 100.0

그림 4-36. 농약 성분별 부적합빈도 비율

9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위2006 2007 2008 2009 2010

1 Chlorpyrifos Azoxystrobin Endosulfan Endosulfan Endosulfan

2 Endosulfan Endosulfan Procymidone Diazinon Chlorpyrifos

3 Diazinon Procymidone Azoxystrobin Chlorpyrifos Diazinon

4 Dimethomorph Dimethomorph Chlorpyrifos Dimethomorph Ethoprophos

5 Chlorothalonil Chlorothalonil Paclobutrazol Carbendazim Chlorothalonil

6 Procymidone Carbendazim Diazinon Procymidone Procymidone

7 Azoxystrobin Diazinon Dimethomorph Ethoprophos Carbendazim

8 Ethoprophos Ethoprophos Kresoxim-methyl Azoxystrobin EPN

9 Kresoxim-methyl Methidathion Ethoprophos Flufenoxuron Fenitrothion

10 Methidathion Chlorpyrifos Fludioxonil Lufenuron Azoxystrobin

11 Cypermethrin EPN Flufenoxuron Methidathion Diethofencarb

12 Fenitrothion Acetamiprid Chlorothalonil Carbofuran Dimethomorph

13 Methomyl Bendiocarb Cypermethrin Chlorothalonil Indoxacarb

14 Thiamethoxam Boscalid Methidathion Iprodione Kresoxim-methyl

15 Acetamiprid Carbaryl Pyraclostrobin Metalaxyl Lufenuron

16 EPN Cypermethrin Boscalid Boscalid Methidathion

17 Flufenoxuron Diethofencarb EPN Cypermethrin Novaluron

18 Metalaxyl Fenitrothion Iprodione EPN Pyraclostrobin

19 Paclobutrazol Lufenuron Lufenuron Fenitrothion Terbufos

20 Pendimethalin Mepanipyrim Phenthoate Carbaryl Fludioxonil

21 Permethrin Methabenzthiazuron Tebupirimfos Dicofol Iprodione

22 Prothiofos Pyrazophos Bifenthrin Diethofencarb Metalaxyl

23 Pyridaben Terbufos Carbaryl Fenpropathrin Pendimethalin

24 Chlorfenapyr Flutolanil Tebupirimfos

25 Cyhalothrin Phenthoate Acrinathrin

26 Flutolanil Prothiofos Boscalid

27 Mepanipyrim Terbufos Flufenoxuron

28 Oxadiazon Thiamethoxam Iprobenfos

29 Pyrimethanil Vinclozolin Isoprothiolane

30 Thiamethoxam Chlorfenapyr Tolclofos-methyl

31 Tolclofos-methyl Etofenprox Acetamiprid

32 Tricyclazole Fenazaquin Bifenthrin

33 Iprobenfos Carbofuran

34 Methomyl Chlorpyrifos-methyl

35 Methoxyfenozide Cyazofamid

36 Pyridaben Cyhalothrin

37 Pyrimethanil Cypermethrin

38 Tebupirimfos Diniconazole

표 4-17. 연도별 농약의 부적합빈도 순위

제 4장 연구결과 / 93

위2006 2007 2008 2009 2010

39 Teflubenzuron Ethaboxam

Thiacloprid Etoxazole40

Tolclofos-methyl Fenarimol41

Tolylfluanid Fenobucarb42

Tricyclazole Flutolanil43

Trifloxystrobin Fosthiazate44

Imidacloprid45

Mepanipyrim46

Methabenzthiazuron47

Methomyl48

Profenofos49

Pyridaben50

Thiacloprid51

Thifluzamide52

Tolylfluanid53

Trifloxystrobin54

Trifluralin55

9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37. 농약성분별 검출 및 부적합 발생 품목수(검출 10품목 이상)

제 4장 연구결과 / 95

순위 농약명부적합

품목수

부적합

빈도품목(빈도)

1 엔도설판 28 156

상추(41), 시금치(23), 근대(14), 배추(9), 무(잎,열무포함)(7), 쑥갓

(8), 파(7), 참나물(6), 들깻잎(5), 취나물(4), 치커리(잎)(4), 고추(3),

고춧잎(4), 고춧가루(3), 갓(2), 냉이(2), 머위(2), 아욱(2), 감자(1),

멜론(1), 무(뿌리)(1), 미나리(1), 부추(1), 양배추(1), 양송이(1), 파

슬리(1), 표고버섯(1), 피망(파프리카(1)

2 프로시미돈 15 71

참나물(19), 상추(10), 돌나물(9), 시금치(8), 근대(6), 배추(4), 부추

(4), 겨자채(2), 무(잎,열무포함)(2), 쑥갓(2), 고춧잎(1), 밀감(1), 취

나물(1), 파(1), 호박(1)

3 클로르피리포스 18 63

상추(16), 들깻잎(10), 시금치(9), 취나물(7), 쑥갓(5), 고춧잎(2), 근

대(2), 무(잎,열무포함)(2), 달래(1), 당귀잎(1), 머위(1), 부추(1), 비

름나물(1), 샐러리(1), 아욱(1), 참나물(1), 청경채(1), 세발나물(1)

4 다이아지논 15 55

쑥갓(17), 참나물(8), 배추(8), 무(잎,열무포함)(6), 근대(3), 들깻잎

(3), 부추(2), 갓(1), 상추(1), 셀러리(1), 청경채(1), 취나물(1), 치커

리(잎)(1), 케일(1), 겨자채(1)

5 아족시스트로빈 14 42

상추(9), 배추(6), 비름나물(6), 시금치(5), 취나물(4), 들깻잎(3), 근

대(2), 고춧잎(1), 돌나물(1), 머위(1), 무(잎,열무포함)(1), 부추(1),

치커리(잎)(1), 파(1)

6 디메토모르프 14 35

배추(8), 시금치(4), 쑥갓(4), 근대(3), 상추(3), 양상추(2), 겨자채(2),

고춧잎(2), 고추(2), 무(잎,열무포함)(1), 오이(1), 청경채(1), 치커리

(잎)(1), 파(1)

7 에토프로포스 12 34쑥갓(11), 들깻잎(5), 상추(5), 고추(2), 고춧잎(2), 취나물(2), 근대

(2), 달래(1), 머위(1), 셀러리(1), 참나물(1), 치커리(잎)(1)

8 클로로타로닐 13 30

오이(8), 시금치(5), 상추(4), 배추(3), 근대(2), 고춧잎(1), 들깻잎(1),

무(잎,열무포함)(1), 부추(1), 셀러리(1), 쑥갓(1), 취나물(1), 치커리

(잎)(1)

9 카벤다짐 7 22 고춧잎(6), 부추(4), 시금치(4), 상추(3), 들깻잎(2), 쑥갓(2), 근대(1)

10 메티다치온 9 18고추(5), 오이(3), 들깻잎(2), 셀러리(2), 참나물(2), 머위(1), 복숭아

(1), 쑥갓(1), 취나물(1)

11 이피엔 9 15들깻잎(3), 밀감(3), 취나물(3), 고추(1), 고춧잎(1), 복숭아(1), 부추

(1), 상추(1), 오이(1)

12 크레속심메칠 8 12상추(4), 쑥갓(2), 고춧잎(1), 돌나물(1), 들깻잎(1), 멜론(1), 시금치

(1), 파(1),

13 플루페녹수론 6 12 들깻잎(3), 시금치(3), 갓(2), 상추(2), 근대(1), 파(1)

14 루페누론 9 12고춧잎(3), 배추(2), 갓(1), 무(잎,열무포함)(1), 부추(1), 상추(1), 시

금치(1), 쑥갓(1), 취나물(1)

표 4-18. 부적합 발생 농약의 농산물 품목별 부적합 발생빈도

9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순위 농약명부적합

품목수

부적합

빈도품목(빈도)

15 페니트로치온 8 11취나물(3), 들깻잎(2), 부추(1), 시금치(1), 쑥갓(1), 참나물(1), 키위

(참다래)(1), 파(1)

16 싸이퍼메쓰린 7 10 근대(2), 배추(2), 시금치(2), 고춧잎(1), 들깻잎(1), 부추(1), 상추(1)

17 보스칼리드 6 8 상추(3), 가지(1), 고춧잎(1), 돌나물(1), 시금치(1), 양상추(1)

18 이프로디온 3 9 파(7), 가지(1), 부추(1)

19 메타락실 6 8 시금치(2), 파(2), 들깻잎(1), 머위(1), 상추(1), 쑥갓(1)

20 후루디옥소닐 6 7 취나물(2), 부추(1), 상추(1), 인삼(1), 치커리(잎)(1), 파(1)

21 디에토펜카브 4 7 시금치(3), 근대(2), 쑥갓(1), 참나물(1)

22 터브포스 4 7 부추(2), 시금치(2), 참나물(2), 상추(1)

23 피라크로스트로빈 4 7 고춧잎(2), 들깻잎(2), 취나물(2), 달래(1)

24 파클로부트라졸 1 7 겨자채(7)

25 테부피림포스 4 6 근대(2), 시금치(2), 배추(1), 참나물(1)

26 카보후란 4 5 들깻잎(2), 상추(1), 쑥갓(1), 치커리(잎)(1)

27 티아메톡삼 3 5 고춧잎(2), 시금치(2), 들깻잎(1)

28 메소밀 4 4 고추(1), 고춧잎(1), 시금치(1), 오이(1)

29 톨크로포스-메칠 3 4 인삼(2), 쑥갓(1), 취나물(1)

30 펜토에이트 3 4 참나물(2), 쑥갓(1), 키위(참다래)(1)

31 인독사카브 2 4 시금치(3), 무(잎,열무포함)(1)

32 플루토라닐 4 4 상추(1), 시금치(1), 쑥갓(1), 참나물(1)

33 펜디메타린 2 4 취나물(3), 머위(1)

34 노발루론 2 4 배추(2), 시금치(2)

35 카바릴 4 4 무(잎,열무포함)(1), 밀감(1), 배추(1), 고춧가루(1)

36 아세타미프리드 2 3 근대(2), 고춧잎(1)

37 피리다벤 2 3 들깻잎(2), 비름나물(1)

38 이프로벤포스 2 3 미나리(2), 쑥갓(1)

39 메파니피림 3 3 참나물(1), 취나물(1), 치커리(잎)(1)

40 프로치오포스 2 3 배추(2), 사과(1)

41 비펜스린 2 2 머위(1), 배추(1)

42 클로르훼나피르 1 2 상추(2)

43 싸이할로쓰린 2 2 들깻잎(1), 아욱(1)

제 4장 연구결과 / 97

순위 농약명부적합

품목수

부적합

빈도품목(빈도)

44 빈클로졸린 1 2 참나물(2)

45 피리메타닐 2 2 부추(1), 시금치(1)

46 디코폴 1 2 밀감(2)

47 펜프로파스린 1 2 들깻잎(2)

48 이소프로치오란 2 2 들깻잎(1), 상추(1)

49 아크리나쓰린 1 2 고춧잎(2)

50 트리프록시스트로빈 1 2 고춧잎(2)

51 토릴플루아니드 1 2 들깻잎(2)

52 타아크로프리드 2 2 고춧잎(1), 들깻잎(1)

53 매타벤즈티아주론 2 2 시금치(1), 파(1)

54 트리싸이클라졸 2 2 쌀(1), 참나물(1)

55 이미다크로프리드 1 1 고춧잎(1)

56 디니코나졸 1 1 무(잎,열무포함)(1)

57 페나리몰 1 1 상추(1)

58 훼노부카브 1 1 들깻잎(1)

59 메톡시페노자이드 1 1 근대(1)

60 클로르피리포스-메틸 1 1 참나물(1)

61 테플루벤주론 1 1 무(잎,열무포함)(1)

62 페나자퀸 1 1 고추(1)

63 에토펜프록스 1 1 근대(1)

64 트리플루라린 1 1 쑥갓(1)

65 프로페노포스 1 1 고추(1)

66 티플루자마이드 1 1 상추(1)

67 포스치아제이트 1 1 취나물(1)

68 에타복삼 1 1 시금치(1)

69 퍼메쓰린 1 1 고춧잎(1)

70 벤디오카브 1 1 고추(1)

71 시아조파미드 1 1 시금치(1)

72 에톡사졸 1 1 상추(1)

73 옥사디아존 1 1 시금치(1)

74 피라조포스 1 1 청경채(1)

9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38. 엔도설판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그림 4-39. 프로시미돈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순위

제 4장 연구결과 / 99

그림 4-41. 다이아지논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그림 4-40. 클로르피리포스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10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42. 아족시스트로빈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그림 4-43. 디메토모르프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그림 4-44. 에토프로포스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제 4장 연구결과 / 101

그림 4-45. 클로로타로닐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그림 4-46. 카벤다짐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그림 4-47. 메티다치온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10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48. 이피엔의 품목별 검출 및 부적합빈도

제 4장 연구결과 / 103

4 . 2. 해 평 가

4 . 2. 1. 만 성 식 이 해 평 가 결 과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경기도내 유통농산물 잔류농약검사결과

에서 부 합 정된 농약 74성분에 하여 결정론 (Deterministic) 만성식

이 해평가를 실시하 다. 노출량 산출을 한 잔류농약 평균농도는 불검출건

에 하여 0, LOD/2(0.005 mg/kg), LOD(0.01 mg/kg)를 용하여 각각 하한,

간, 상한평균을 구하 다. 식이섭취량은 2009년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 고, 평균체 은 55 kg을 용하 다. 해평가 상 그룹

은 국민, 고섭취자군 97.5th백분 , 경기도민, 국민 섭취자군과 경기도

민 섭취자로 하 다.

각 그룹별 농약 성분별 만성식이노출량(Edible Daily Intake, mg/kgbw/day)

은 표 4-19와 같았다. 각 농약 성분별 EDI 순 는 그룹별 잔류농약평균농

도 하한, 간, 상한값 용 결과에 따라 달랐다. 국민 하한에서는 클로로타

로닐이 7.64E-05, 간에서는 클로로타로닐과 로시미돈이 1.07E-04, 상한에서

는 로시미돈이 1.41E-04 mg/kgbw/day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

민 상한을 기 으로 EDI는 클로로타로닐, 디메토모르 , 이피엔, 엔도설 ,

클로로피리포스, 싸이퍼메스린 순으로 나타났다. 고섭취자군에서도 로시미

돈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의 노출량은 6.15E-04, 9.09E-04, 1.20E-03 mg/kgbw/day

이었다. 그 외 경기도민, 국민 섭취자군, 경기도민 섭취자군 모두에

서 로시미돈의 EDI가 가장 높았으며 최고치는 국민 섭취자군과 경

기도민 섭취자군 상한값 모두에서 1.93E-03 mg/kgbw/day으로 나타났다.

해도를 알아보기 해 농약 성분별 ADI 비 노출량(EDI) %비로 산출한

%ADI는 표 4-20과 같았다. %ADI도 그룹별 잔류농약평균농도 하한, 간,

상한값 용에 따라 순 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노출량 순 와도 체로

10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노출량(EDI)은 로시미돈이 가장 높았으나 해도

(%ADI)는 테부피림포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민의 상한값을 기 으

로 %ADI는 테부피림포스 8.8%, 이피엔 5.9%, 메티다치온 4.3%, 에토 로포

스 2.5%, 디코폴 2.0%, 카보후란 1.6%, 로치오포스 1.5%, 엔도설 1.4%,

디니코나졸 1.4%, 펜토에이트 1.3%, 페니트로치온 1.2% 순이었고 나머지 63

성분은 1.0%미만으로 나타났다. 테부피림포스의 각 그룹별 최고 해도는

국민 하한 0.8%, 간 4.4%, 상한 8.8%, 고섭취자군(97.5th

백분 수) 하한

8.7%, 간 22.7%, 상한 45.1%, 경기도민은 하한, 0.8%, 간 4.7%, 상한

9.3%, 국민 섭취자군 하한 10.9%, 간 21.8%, 상한 34.1%, 경기도민

섭취자군 하한 10.5%, 간 20.9%, 상한 38.2%로 나타났다. 섭취자 상한

치 25% 미만인 경우가 체의 74성분 70성분으로 95%를 차지했다. 따

라서 가공계수를 감안한다면 해도는 이보다 더 낮아질 것으로 단된다.

상 15개 농약의 화학 계통을 보면 10개 성분이 유기인계로 나타나 유

기인계 농약의 해도가 체로 높았고, 이들 농약의 독성이 강하여 ADI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단된다.

국민과 경기도민의 해도를 비교하기 해 노출평가를 실시한 부 합

발생 농약 74성분의 %ADI에 한 평균을 산출하 다. 그림 4-49에서와 같

이 국민 %ADI의 평균은 0.56%, 경기도민 %ADI의 평균은 0.57%, 국민

섭취자군은 4.02%, 경기도민 섭취자군은 3.87%로 경기도민의 해도

는 국민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국민과 섭취자군의 농약성분별 해도에 가장 큰 기여 농산물 품목의

해도와 기여율은 표 4-21과 같았다. 국민 상한값에서는 테부피림포스

배추가 8.1%로 가장 높았고, 다른 농약에서도 배추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했다. 섭취자군에서는 무(잎, 열무포함)가 가장 빈도가 높았고, 최고

해도는 감이 8.7% 으나 10% 미만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

제 4장 연구결과 / 105

의 국민, 경기도민, 고섭취자군(97.5th

백분 수), 국민 섭취자군, 경기

도민 섭취자군의 만성식이 섭취에 따른 해도는 모두 100% 미만으로

안 한 것으로 단된다.

4 . 2. 1. 불 확 실 성 과 한 계

해평가에는 여러 불확실성과 한계 이 존재한다. 본 연구도 여러 가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잔류농약은 의도 으로 잔류하는 화학물질로서

식약청 해평가지침에 따르면 불검출률이 60%이상이면 불검출 데이터에

해 0과, 검출한계(LOD)를 용하여 평균농도를 하한과 상한으로 산출하

여 노출평가를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니터링

데이터는 감시목 으로 4군데 검사소에서 다년간 여러 의 장비로 얻어진

결과로서 LOD 근거 자료가 불충분하여 0과, LOD/2(0.005 mg/kg), LOD(0.01 mg/kg)으

로 각각 하한, 간, 상한으로 용하여 평균농도에 부정확성이 존재한다.

섭취량 산출에서 농산물 97품목 섭취량이 없는 7품목에 해서는 유사

한 품목을 용하여야 하나 유사 품목 용이 난해하여 국민 평균과 경기

도민 평균에는 각각 0.01g을 용하 다. 고섭취자군(97.5th

백분 수), 국민

섭취자군과 경기도민 섭취자의 섭취량이 0인 경우 이들 품목은 섭취자가

극히 어 해도에 기여율이 다고 단되어 노출량 산출에서 제외하 다.

농산물은 박피, 세척 등 조리나 가공 과정을 통해 농약이 상당량 제거될 가

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제 농약섭취량 산출에 있어서 가공계수를 사용하여

보정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섭취량 산출에 가공계수를 용하지

않아 과 평가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보다 정확한 식품별 섭취량이 용

된다면 실제 해도는 더욱더 낮아질 수 있을 것이라 단된다.

11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그림 4-49. 그룹별 만성식이위해평가 결과

제 4장 연구결과 / 115

농약명

전국민 대상 위해도 최대기여품목

( LOD상한 )

섭취군 대상 위해도 최대기여품목

( LOD상한 )

품목 %ADI 비율(%) 품목 %ADI 비율(%)

Acetamiprid 배추 0.023 60.8 배추 0.043 22.6

Acrinathrin 고추 0.018 96.6 고춧잎 0.031 56.3

Azoxystrobin 배추 0.012 41.4 취나물 0.094 24.2

Bendiocarb 고추 0.106 100.0 고추 0.141 100.0

Bifenthrin 배추 0.188 37.8 무(잎) 0.907 18.0

Boscalid 배추 0.041 30.2 무(잎) 0.230 17.9

Carbaryl 배추 0.228 41.7 무(잎) 1.261 33.3

Carbendazim 배추 0.056 41.2 고춧잎 0.147 16.2

Carbofuran 배추 0.817 51.7 복숭아 1.914 25.3

Chlorfenapyr 배추 0.063 30.9 녹차 0.425 21.7

Chlorothalonil 배추 0.243 35.5 무(잎) 1.433 22.0

Chlorpyrifos 배추 0.162 21.3 오렌지 1.179 12.1

Chlorpyrifos-methyl 시금치 0.012 56.4 참나물 0.160 49.8

Cyazofamid 시금치 0.001 100.0 시금치 0.007 100.0

Cyhalothrin 배추 0.082 39.8 녹차 0.642 29.2

Cypermethrin 배추 0.058 40.7 무(잎) 0.208 17.1

Diazinon 배추 0.373 41.7 무(잎) 2.328 26.9

Dicofol 밀감 1.017 49.8 밀감 8.127 53.8

Diethofencarb 고추 0.001 25.0 근대 0.009 21.8

Dimethomorph 배추 0.028 62.1 무(잎) 0.059 21.5

Diniconazole 배추 0.849 62.2 무(잎) 5.094 60.1

Endosulfan 배추 0.394 28.8 무(잎) 1.981 9.0

EPN 쌀 2.508 42.3 밀감 4.337 15.7

Ethaboxam 배추 0.032 89.3 배추 0.059 71.9

Ethoprophos 고추 1.075 43.3 취나물 3.769 12.0

Etofenprox 배추 0.057 83.4 배추 0.106 43.1

Etoxazole 상추 0.003 100.0 상추 0.021 100.0

Fenarimol 고추 0.042 26.6 무(잎) 0.905 54.2

Fenazaquin 고추 0.0085 68.2 상추 0.0163 37.0

Fenitrothion 배추 0.323 26.7 밀감 1.988 19.2

표 4-21. 농약성분별 위해도에 대한 최대기여 농산물 품목

11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농약명

전국민 대상 위해도 최대기여품목

( LOD상한 )

섭취군 대상 위해도 최대기여품목

( LOD상한 )

품목 %ADI 비율(%) 품목 %ADI 비율(%)

Fenobucarb 쌀 0.358 85.3 배 0.463 33.9

Fenpropathrin 배추 0.054 46.2 밀감 0.151 22.1

Fludioxonil 고추 0.001 15.4 무(잎) 0.023 29.7

Flufenoxuron 배추 0.171 58.1 무(잎) 0.943 32.3

Flutolanil 배추 0.018 73.9 배추 0.034 25.2

Fosthiazate 오이 0.265 62.2 취나물 2.085 54.5

Imidacloprid 배추 0.027 45.7 무(잎) 0.151 28.8

Indoxacarb 배추 0.177 54.8 무(잎) 1.104 50.1

Iprobenfos 고추 0.012 61.9 두릅 0.066 28.6

Iprodione 배추 0.030 28.2 다래 0.880 44.3

Isoprothiolane 쌀 0.036 66.3 쌀 0.045 38.1

Kresoxim-methyl 사과 0.001 21.1 멜론 0.011 15.0

Lufenuron 배추 0.120 65.8 무(잎) 0.687 41.2

Mepanipyrim 취나물 0.001 83.8 취나물 0.032 57.0

Metalaxyl 고추 0.005 23.4 머위 0.057 23.1

Methabenzthiazuron 파 0.083 73.2 파 0.376 67.1

Methidathion 배추 1.634 37.6 밀감 8.698 26.7

Methomyl 배추 0.082 48.2 참외 0.202 21.6

Methoxyfenozide 배추 0.018 81.2 비트 0.043 28.3

Novaluron 배추 0.172 67.7 복숭아 0.469 37.9

Oxadiazon 시금치 0.034 92.3 시금치 0.206 85.5

Paclobutrazol 겨자채 0.00001 100.0 겨자채 0.021 100.0

Pendimethalin 파 0.002 60.1 보리순 0.025 32.8

Permethrin 고춧잎 0.000 94.2 체리 0.064 80.6

Phenthoate 배추 0.538 40.1 금귤 7.933 38.1

Procymidone 배추 0.026 18.3 참나물 0.270 14.0

Profenofos 배추 0.162 71.6 배추 0.300 66.4

Prothiofos 배추 1.113 73.1 사과 2.245 52.1

Pyraclostrobin 고추 0.015 44.6 달래 0.207 42.2

Pyrazophos 청경채 0.0001 100.0 청경채 0.274 100.0

Pyridaben 고추 0.047 30.4 포도 0.328 24.5

제 4장 연구결과 / 117

농약명

전국민 대상 위해도 최대기여품목

( LOD상한 )

섭취군 대상 위해도 최대기여품목

( LOD상한 )

품목 %ADI 비율(%) 품목 %ADI 비율(%)

Pyrimethanil 고추 0.002 22.7 포도 0.023 30.5

Tebupirimfos 배추 8.118 92.2 배추 15.066 44.2

Teflubenzuron 사과 0.061 41.0 무(잎) 0.938 43.1

Terbufos 시금치 0.202 38.8 참나물 2.331 36.1

Thiacloprid 배추 0.163 93.6 배추 0.303 68.7

Thiamethoxam 배추 0.090 63.8 배추 0.167 28.7

Thifluzamide 고추 0.030 46.9 무(잎) 0.644 86.7

Tolclofos-methyl 감자 0.005 78.9 취나물 0.028 41.9

Tolylfluanid 고추 0.005 74.5 들깻잎 0.013 64.4

Tricyclazole 쌀 0.138 99.8 쌀 0.170 76.0

Trifloxystrobin 고추 0.011 55.0 매실 0.186 67.5

Trifluralin 무(잎) 0.024 95.0 무(잎) 0.601 89.3

Vinclozolin 고추 0.044 32.4 다래 0.836 32.8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5555555555555555555555555555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제 5장 결 론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제5장 결론 / 121

제 5 장 결 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내 수원, 구리, 안양, 안산공 농수산물도매

시장에서 수거한 농산물과 경기도내 31시군 소재 형유통매장, 백화 ,

통시장 등지에서 수거한 유통 인 농산물에 하여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한

결과에 하여 연도별, 월별, 농산물 품목별, 농약 성분별 경향을 분석하 다.

아울러 소비자들의 농산물 잔류농약에 한 막연한 불안을 해소하고

해 리를 한 자료로 활용하기 하여 엔도설 등 부 합 발생 농약 74성

분에 하여 국민, 경기도민, 섭취자군 등 소비자들의 식이섭취에 따른 노

출량을 산출하고, 인체안 기 인 ADI와 비교를 통한 만성식이 해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5년간 경기도내 유통농산물 35,757건에 하여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불검출은 30,971건(86.6%), 검출은 4,786건(13.4%)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4,786건 MRL을 과한 부 합 발생 농산물은 714건(2.0%)이었다.

연도별 잔류농약 검출률은 2006년 14.2%, 2007년 7.9%, 2008년 10.5%,

2009년 15.0%, 2010년 15.3%로 2007년 이후 꾸 히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

났다. 부 합률은 2009년 1.8%로 가장 낮았고, 2008년이 2.3%로 가장 높았

으며 체로 2.0% 내외로 나타났다.

월별 검출률은 12.1%~15.1% 고, 8월이 가장 높았고, 12월부터 2월까지

인 겨율철과 7월부터 9월까지인 여름철에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 다.

부 합률은 1월(2.7%)이 가장 높았고, 5월(1.2%)이 가장 낮았으며 체로

검출률과 유산한 패턴을 보 다.

수원, 구리, 안양, 안산농산물검사소별 모니터링결과를 보면 검출률은 안

산이 19.8%, 안양이 18.4%, 구리 13.8%, 수원이 10.7% 고, 부 합률은 구

12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리와 안양이 2.4%, 안산이 2.1%, 수원이 1.6%로 나타나 최근에 개소한 농산

물 검사소가 검출률과 부 합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농산물 분류별 검사건수는 채소류 29,962건(83.8%), 과실류 2,558건(7.2%),

버섯류 1,250건(3.5%), 곡류 747건(2.1%), 서류 635건(1.8%), 콩류 247건

(0.7%), 견과종실류 160건(0.4%), 차 80건(0.2%), 기타 118건(0.3%)이었다.

검출률은 과실류(16.8%)가 가장 높았고, 채소류 14.2%, 차 10.0%, 콩류

4.5%, 서류 2.0%, 곡류 1.6%, 버섯류 1.2%, 견과종실류 0.6% 순이었다. 부

합률은 채소류가 2.3%로 가장 높았고, 과실류 0.5%, 버섯류, 서류가 각각

0.2%, 곡류가 0.1%로 나타났다. 채소류 소분류별로는 엽경채류의 부

합률이 3.4%, 엽채류 2.9%, 과채류 0.6%, 근채류 0.3%순이었다. 과실류의

소분류별로는 감귤류가 1.7%, 핵과류 0.7%, 열 과일류 0.5%, 이과류 0.1%

순이었다.

5년간 농산물 143품목에 하여 검사한 결과 92품목(64.3%)에서 잔류농약

이 검출되었고, 47품목(32.9%)에서 부 합이 발생되었다. 검사건수 30건 이

상인 품목 검출률 15%이상 상 폼목은 고춧잎 43.6%, 고춧가루 40.7%,

추 35.1%, 감 33.4%, 돌나물33.2%, 참나물 30.0%, 취나물 29.1%, 부추

28.7%, 겨자채 26.7%, 오 지26.0%, 들깻잎 24.0%, 냉이 23.2%, 인삼 23.1%,

셀러리 21.9%, 고추 21.4%, 복숭아 20.7%, 딸기 19.9%, 오이 19.8%, 참외

18.5%, 사과 18.4%, 근 18.0%, 포도 17.4%, 비름나물 16.1%, 슬리 15.8%,

시 치 15.6% 순이었다. 검사건수가 30건 이상인 품목 부 합률 2.0%이

상 상 품목은 고춧잎16.4%, 머 13.0%, 겨자채 12.8%, 달래 10.0%, 취나

물 9.2%, 셀러리 8.2%, 참나물 7.0%, 돌나물 6.0%, 부추 5.4%, 근 5.4%,

비름나물 5.2%, 갓 4.8%, 쑥갓 4.3%, 들깻잎 4.1%, 시 치 3.8%, 고춧가루

3.7%, 2.8%, 냉이 2.4%, 감 2.4% 치커리잎 2.2%, 메론 2.1%, 상추

2.0%순이었다. 검출빈도로만 보면 상추, 배추, 시 치, 들깻잎, 고추, 오이,

참나물, 호박, 쑥갓, 근 , 무(잎), 취나물, 부추, 고춧잎 등 14품목이 체 검

제5장 결론 / 123

출빈도의 74%를 차지했다. 부 합 빈도에서도 상추, 시 치, 쑥갓, 들깻잎,

참나물, 배추, 근 , 고춧잎, 취나물, 무(잎), , 부추, 고추등 13품목이 체

부 합빈도의 83%를 차지했다. 상추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부 합 발생

도 가장 많았다.

한 품목에서 2가지 이상 농약성분이 복 검출된 사례가 체 검출빈도의

17.3% 고,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4성분 이상 복 검출된 품목은 고춧잎,

시 치, 고추, , 고춧가루, 추 등으로 이들 품목은 다양한 농약이 사용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 합률과 부 합빈도를 고려해 볼 때, 상추, 시 치, 취나물, 배추, ,

오이, 근 , 쑥갓, 고춧잎, 참나물, 들깻잎, 셀러리, 무잎(열무포함), 돌나물,

겨자채, 부추, 고추, 머 , 달래, 당귀잎, 슬리, 비름나물, 갓, 고춧가루, 냉

이, 감, 치커리잎, 멜론 등 28품목을 심으로 생산자 리가 철 히 이루

어져야 할 것으로 단된다.

농약성분의 화학 분류에 따른 검사결과 유기염소계가 24.7%, 디카복사

마이드계 18.4%, 유기인계 15.0%, 피 스로이드계 8.1%, 시나믹산계 5.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체 검출빈도의 70% 이상을 차지 했다. 부 합

빈도는 유기인계 29.5%, 유기염소계 24.4%, 디카복시마이드계 10.7%, 스트

로빌리루빈계 8.2%, 시나믹산계 4.6%, 벤조일우 아계 3.8%, 벤즈이미다졸

계2.9%, 카바마이트계 2.9%, 피 스로이드계 2.6%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이 90% 이상을 차지했다. 용도별로는 살충제가 검출빈도의 50.0%, 살균제

49.0%, 제 제 0.8%, 식물장조정제 0.1% 고, 부 합빈도비율은 살충제가

60.2%, 살균제가 37.8%, 제 제 1.0%와 식물생장조정제가 0.9% 다.

잔류농약모니터링 농약 236성분 153성분이 검출되었고, 74성분이 부

합으로 정되었다. 검출빈도 순 는 엔도설 18.1%, 로시미돈 16.6%, 디

메토모르 5.9%, 클로로타로닐 5.8%, 클로르피리포스 3.9%, 싸이퍼메쓰린

3.8%, 아족시스트로빈 3.4%, 다이아지논 3.4%, 비펜스린 2.0%, 이미다클로

12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리드 1.7%, 메소 1.7%, 톨크로포스-메틸 1.6%, 보스칼리드 1.6%, 테부

코나졸 1.3% 순으로 이들 14성분이 체 검출빈도의 70%이상을 차지했다.

부 합 발생빈도는 엔도설 20.3%, 로시미돈 9.2%, 클로르피리포스8.2%,

다이아지논 7.2%, 아족시스트로빈 5.5%, 디메토로르 4.6%, 에토 로포스

4.4%, 클로로타로닐 3.9%, 카벤다짐 2.9%, 메티다치온 2.3%, 이피엔2.0%,

루페녹수론 1.6%, 크 속심메칠 1.6%, 루페 론 1.6% 순으로 상 14성분이

75%를 차지했다. 따라서 부 합 상 14성분에 한 집 리가 필요하다.

가장 많은 빈도로 검출된 엔도설 은 뽕나무와 담배에만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들이 농작물에 오용되고 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검출된 농약의

농산물을 보면 체로 용작물이 아닌 경우가 많아 농민들은 증상에 따라

농약을 오용하고 있다고 단된다.

2. 부 합 발생 농약 74성분에 하여 결정론 (Deterministic) 근법으로

국민, 경기도민, 고섭취자군(97.5th백분 수), 경기도민 섭취자군 , 국

민 섭취자군을 상으로 식품별 섭취량을 산출하고, 잔류농약오염도 평

균농도를 하한(0), 간(LOD/2), 상한(LOD)값으로 용하여 EDI(1일평균식

이노출섭취량, mg/kgbw/day)를 산출하고 이에 %ADI( 해도)를 구하여 만

성식이 해평가를 하 다. 각 그룹별 하한, 간, 상한값에 한 농약별 만

성식이 해평가 결과 %ADI 순 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국민의 상한값을

기 으로 테부피림포가 8.8%로 가장 높았고, 이피엔 5.9%, 메티다치온

4.3%, 에토 로포스 2.5%, 디코폴 2.0%, 카보후란 1.6%, 로치오포스 1.5%,

엔도설 1.4%, 디니코나졸 1.4%, 펜토에이트 1.3%, 페니트로치온 1.2% 순

이었다. 나머지 63성분은 1.0%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분 해도가 높은

상 성분들은 유기인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한농도 기 으로 경기도민에

서도 테부피림포스가 9.3%로 가장 높았고, 고섭취자군에서는 45.1%, 국민

섭취자군 34.1%, 경기도민 섭취자군에서는 38.2%로 나타났다. 이는

제5장 결론 / 125

농산물의 가공계수를 감안하지 않은 값으로 이를 감안하면 실제 해도는

더욱 낮아 질 것으로 단된다. 한 각 농약성분별 최고 기여 농산물 품목

은 국민 평균에서 배추가 가장 빈도가 높았고, 섭취자군에서는 무(잎, 열

무포함) 이었다. 국민과 경기도민의 해도를 비교하기 해 74성분의

%ADI 평균을 산출한 결과 국민은 0.56%이고 경기도민은 0.57%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섭취자군의 비교에서도 경기도민 섭취자군과 국민 섭

취자군의 해도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본 연구결과에는 다양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잔류농약평균농도 산출시

농약별 LOD자료가 불충분하여 임의로 0.01 mg/kg을 용하 고, 농산물

섭취량이 없는 경우에 해서는 0.01 g을 용하 다. 고섭취자군(97.5th백분

수)와 섭취자군의 경우 섭취량이 0일때 섭취자가 어 해도가 낮다고

보고 평가에서 제외하 다. 한 농산물 섭취량에 가공계수를 용하지 않

아 이를 용하면 실제 해도는 더 낮을 것으로 단된다.

4.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에 한 만성식이 해평가

결과 소비자에 한 해도는 낮게 나타나 안 한 것으로 단된다. 그러나

앞으로 결정론 근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다양한 소비그룹에 하여 확률

론 해평가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단된다. 최근 우리나라 국 각지

에서 잔류농약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를 이용한 해평가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마다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체 ,

섭취량 용방법 등이 상이하여 결과를 비교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따

라서 국가 차원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DB와 보다 다양한 식

품에 한 가공계수가 용된 식품섭취량 산출 DB가 개발되어져야 하고,

잔류농약 해평가에 한 구체 이고 정확한 해평가지침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참고문헌

Administrator
새 스탬프

참고문헌 / 129

참고문헌

농약 리법. http://www.law.go.kr/

양환승, 이두형, 이승찬. 신농약. 향문사. 1998

정 호, 김장억, 김정한, 이 득, 임치환, 허장 . 최신농약학. 시그마 스주. 2004

식품안 해분석. 식품의약품안 청 해 리 . 2007

WTO의 식품안 을 한 세계 략.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농약등록․시험 담당자 교육교재. 농 진흥청. 2010

권기성, 윤혜정, 김미혜, 박희라, 황명실, 박성국, 이순호, 박성 , 최명신,

박주 , 권찬 . 해평가지침서. 식품의약품안 평가원. 2011

식품공 . 식품의약품안 청

梅津憲治, 大川秀郞. 농약에 한 이해와 오해. 남 학교출 부. 1999

농약연보. 한국작물보호 회. 2006~2010

농림업주요통계. 농림부. 2006, 2007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농림부. 2008~2011

농림업 주요통계. 농림부. 2007

조만조. 국내 농약산업의 경쟁요인 분석. 경상 학교 석사학 논문. 2010

13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농식품 품질 리 련 소비자인지도 조사결과. 보도자료. 국립농산물품질 리원. (2009)

식품의약품안 청 잔류농약데이터베이스. http://fse.foodnara.go.kr/residue/

농약사용지침서. http://www.koreacpa.org/new/main.html

농약 리시스템. http://epmso.rda.go.kr/

농약안 실태조사. 한국소비자원. (2009)

이미경. 식품 농약의 잔류 측 모델링 해성평가. 한국과학재단. (2002)

김래옥. 강원도 생산 유통 채소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식이섭취량

산출. 강원 학교 석사학 논문. (2009)

The Fourth Korea National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Ⅳ-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Lee HS, Kim BH, Jang YA, Park SO, Oh CH, Kim JY, Kim HY, Chung

SY, Sho YS, Suh JH, Lee EJ, Kim C. Develoing food List for risk

assessment of contaminanats in Kor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660-670 (2005)

Kim CH, Jung JH, Lee SJ, Park YI, Ko SH. Calculation of Food

Commodity intake for safety control of pesticide residues. Food Science

and Industry. 43(2):67-78 (2010)

Lee MG, Shim JH, Ko SH, Chung HR. Research trends o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evidence on the domestic maximum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Food Science and Industry 43(2):41-66 (2010)

참고문헌 / 131

Kwon YM, Lee KH, Park SO, Park JM, Kim JM, Kang KM, No KM,

Kim DS, Lee JO. Risk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korean food and

livestock foodstuffs. Koean J. Food Sci. Ani. Res. 28(3):373-389 (2008)

EHC 240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IPCS(FAO/WHO). (2009)

Kim JH. Toxicity and Acceptable Daily Intake of Pesticide. Safe Food

2(2):51-57 (2007)

Lee HM, Jung KH. Risk Assessment for Identifying Maximum Level of

Hazardous Chemicals in Foods. J. Food Hygiene and Safety 23(1):80-84 (2008)

Jeong SH, Park CB, Han BS, Kang CS, Jeong MH, Sung HJ. Introduction of Globally Harmonized System for Agrochemical Products. The Korean J. Pesticide Sci. 15(2):201-207 (2011)

Lee MG, Hong MG, Park KS, Dong MC, Lim MH, Lee SR. Procedures in Establishing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on Food Crops in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and Foreign Countri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4(1):45-55 (2005)

Choi CW, Park HS, Lee HM. Acceptable Daily Intake Assessment Based on Toxicological Data of Food Additive. Food Science and Industry 42(3):2-7 (2009)

Na HJ. Research for developing of monitoring system about hazardous materials and driving new projects, Korean Food information Institute (2007)

Lee JK, Woo HD. Current status for management of pesticide maximum

residue limits in foods. Food science & industry 43(2):2-23 (2010)

Claeys, W.L., De Voghel, S. Schmit, J.F., Vromman, V. Pussemier, L. Exposure assessment of the Belgian population to pesticide residues throug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25(7): 851-863 (2008)

Administrator
새 스탬프

부 록

1. 농산물 품목별 농약 검출내역

2. 농약별 농산물 품목 검출내역

3. 월별 농산물 품목의 부 합 발생 황

Administrator
새 스탬프

1. 농산물 품목별 농약 검출내역

Administrator
새 스탬프

부록 / 137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가지

Boscalid 547 2 1 0.200 0.524 0.362 1.324E-03

Iprodione 547 1 1 0.547 0.547 0.547 9.993E-04

Procymidone 547 12 - 0.016 0.348 0.101 2.208E-03

Chlorothalonil 547 5 - 0.030 0.164 0.069 6.263E-04

Methomyl 547 4 - 0.029 0.083 0.061 4.463E-04

Acetamiprid 547 3 - 0.027 0.149 0.078 4.267E-04

Endosulfan 547 2 - 0.008 0.025 0.016 5.996E-05

Pyrimethanil 547 2 - 0.068 0.174 0.121 4.419E-04

Butachlor 404 1 - 0.026 0.026 0.026 6.510E-05

Fenvalerate 547 1 - 0.455 0.455 0.455 8.320E-04

Flufenoxuron 547 1 - 0.020 0.020 0.020 3.620E-05

Hexaconazole 547 1 - 0.036 0.036 0.036 6.600E-05

Triflumizole 547 1 - 0.049 0.049 0.049 8.995E-05

EPN 166 2 - 0.056 0.081 0.069 8.283E-04

Fenitrothion 166 1 - 0.032 0.032 0.032 1.928E-04

Iprodione 166 1 - 0.179 0.179 0.179 1.078E-03

Tetradifon 166 1 - 0.080 0.080 0.080 4.819E-04

감자

Endosulfan 304 6 1 0.010 0.164 0.046 9.082E-04

Chlorpyrifos 304 1 - 0.017 0.017 0.017 5.658E-05

Nitrapyrin 304 1 - 0.020 0.020 0.020 6.645E-05

Procymidone 304 1 - 0.018 0.018 0.018 6.053E-05

Tolclofos-methyl 304 1 - 0.011 0.011 0.011 3.717E-05

Endosulfan 125 5 2 0.008 0.684 0.211 8.430E-03

Flufenoxuron 125 3 2 0.283 1.777 1.260 3.024E-02

Diazinon 125 3 1 0.014 0.357 0.151 3.626E-03

Lufenuron 125 1 1 0.522 0.522 0.522 4.172E-03

Bifenthrin 125 2 - 0.027 0.045 0.036 5.792E-04

Hexaconazole 125 2 - 0.035 0.141 0.088 1.408E-03

Cypermethrin 125 1 - 0.075 0.075 0.075 6.016E-04

Fenobucarb 125 1 - 0.037 0.037 0.037 2.936E-04

Metalaxyl 125 1 - 0.055 0.055 0.055 4.368E-04

Methomyl 125 1 - 0.101 0.101 0.101 8.064E-04

Procymidone 125 1 - 0.027 0.027 0.027 2.176E-04

검정콩 Endosulfan 50 2 - 0.015 0.028 0.022 8.620E-04

겨자채

Paclobutrazol 86 7 7 0.072 7.116 2.115 1.722E-01

Procymidone 86 5 2 0.021 8.700 1.801 1.047E-01

Dimethomorph 86 2 2 1.280 8.438 4.859 1.130E-01

Diazinon 86 2 1 0.030 0.254 0.142 3.295E-03

Endosulfan 86 6 - 0.011 0.747 0.189 1.318E-02

Imidacloprid 58 3 - 0.714 1.219 0.984 5.092E-02

Methomyl 86 2 - 0.009 0.122 0.065 1.521E-03

Methoxyfenozide 86 2 - 1.910 3.100 2.505 5.825E-02

1. 농산물 품목별 농약 검출내역

13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겨자채

Chlorothalonil 86 1 - 0.170 0.170 0.170 1.976E-03

Cypermethrin 86 1 - 0.679 0.679 0.679 7.897E-03

Thiamethoxam 86 1 - 0.531 0.531 0.531 6.171E-03

고구마Endosulfan 295 2 - 0.012 0.014 0.013 8.542E-05

Chlorfenapyr 295 1 - 0.012 0.012 0.012 4.068E-05

고들빼기

Chlorfenapyr 5 1 - 0.055 0.055 0.055 1.104E-02

Endosulfan 5 1 - 0.037 0.037 0.037 7.380E-03

Ethoprophos 5 1 - 0.007 0.007 0.007 1.320E-03

Fthalide 5 1 - 0.254 0.254 0.254 5.076E-02

Tebuconazole 3 1 - 0.291 0.291 0.291 9.693E-02

고추

Methidathion 1504 6 5 0.040 0.431 0.230 9.175E-04

Endosulfan 1504 15 3 0.014 0.921 0.145 1.451E-03

Ethoprophos 1504 6 2 0.003 0.241 0.053 2.130E-04

Dimethomorph 1504 3 2 0.400 1.173 0.802 1.600E-03

Methomyl 1504 37 1 0.016 1.670 0.232 5.706E-03

EPN 1504 2 1 0.010 2.298 1.154 1.534E-03

Profenofos 1504 2 1 0.360 2.113 1.237 1.645E-03

Bendiocarb 1504 1 1 0.060 0.060 0.060 3.989E-05

Fenazaquin 1099 1 1 0.098 0.098 0.098 8.926E-05

Procymidone 1504 69 - 0.015 2.008 0.357 1.639E-02

Chlorothalonil 1504 34 - 0.013 2.403 0.422 9.544E-03

Chlorpyrifos 1504 29 - 0.019 0.351 0.112 2.152E-03

Acetamiprid 1504 27 - 0.041 0.800 0.279 5.007E-03

Chlorfenapyr 1504 24 - 0.023 0.602 0.186 2.962E-03

Azoxystrobin 1504 8 - 0.144 0.892 0.395 2.099E-03

Boscalid 1504 8 - 0.200 1.000 0.417 2.216E-03

Pyridaben 1504 8 - 0.019 0.598 0.204 1.086E-03

Tebuconazole 1099 8 - 0.071 0.200 0.120 8.710E-04

Cypermethrin 1504 7 - 0.044 0.400 0.222 1.032E-03

Diazinon 1504 7 - 0.008 0.092 0.053 2.445E-04

Kresoxim-methyl 1504 7 - 0.015 0.873 0.175 8.164E-04

Acrinathrin 1504 6 - 0.026 0.090 0.069 2.742E-04

Hexaconazole 1504 6 - 0.006 0.129 0.050 1.992E-04

Imidacloprid 1099 6 - 0.032 0.531 0.227 1.238E-03

Bifenthrin 1504 5 - 0.038 0.076 0.056 1.862E-04

Cyhalothrin 1504 5 - 0.005 0.309 0.075 2.480E-04

Triflumizole 1504 5 - 0.013 0.200 0.071 2.362E-04

Carbofuran 1099 3 - 0.061 0.105 0.089 2.416E-04

Diethofencarb 1504 3 - 0.034 0.219 0.136 2.705E-04

Metalaxyl 1504 3 - 0.012 0.033 0.021 4.235E-05

Phenthoate 1504 3 - 0.004 0.050 0.032 6.310E-05

Pyrimethanil 1504 3 - 0.109 0.896 0.444 8.860E-04

Tolylfluanid 1504 3 - 0.049 0.500 0.202 4.031E-04

부록 / 139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고추

Vinclozolin 1504 3 - 0.096 0.426 0.215 4.282E-04

Fludioxonil 1504 2 - 0.016 0.038 0.027 3.564E-05

Iprodione 1504 2 - 0.071 0.188 0.129 1.719E-04

Pyraclostrobin 1504 2 - 0.300 0.510 0.405 5.382E-04

Butachlor 1138 1 - 0.023 0.023 0.023 1.995E-05

Carbaryl 1504 1 - 0.021 0.021 0.021 1.390E-05

Carbendazim 1504 1 - 0.423 0.423 0.423 2.813E-04

Cyflufenamid 356 1 - 0.029 0.029 0.029 8.174E-05

Cyprodinil 1504 1 - 0.083 0.083 0.083 5.492E-05

Diniconazole 356 1 - 0.030 0.030 0.030 8.427E-05

Ethiofencarb 1504 1 - 0.107 0.107 0.107 7.088E-05

Ethion 1504 1 - 0.183 0.183 0.183 1.218E-04

Fenamiphos 1138 1 - 0.037 0.037 0.037 3.234E-05

Fenarimol 1504 1 - 0.058 0.058 0.058 3.883E-05

Fenitrothion 1504 1 - 0.046 0.046 0.046 3.065E-05

Fenvalerate 1504 1 - 0.105 0.105 0.105 6.975E-05

Fluazinam 1504 1 - 0.237 0.237 0.237 1.576E-04

Folpet 1504 1 - 0.100 0.100 0.100 6.649E-05

Furathiocarb 1504 1 - 0.133 0.133 0.133 8.863E-05

Iprobenfos 1099 1 - 0.067 0.067 0.067 6.096E-05

Novaluron 1099 1 - 0.518 0.518 0.518 4.713E-04

Pirimiphos-methyl 1504 1 - 0.079 0.079 0.079 5.266E-05

Pyridalyl 356 1 - 0.179 0.179 0.179 5.025E-04

Tebufenpyrad 1504 1 - 0.083 0.083 0.083 5.512E-05

Tetradifon 1504 1 - 0.088 0.088 0.088 5.844E-05

Thifluzamide 1504 1 - 0.022 0.022 0.022 1.489E-05

Thiodicarb 1099 1 - 1.045 1.045 1.045 9.506E-04

Triadimenol 1138 1 - 0.383 0.383 0.383 3.361E-04

Trifloxystrobin 1504 1 - 0.200 0.200 0.200 1.330E-04

고춧가루

Endosulfan 108 14 3 0.072 1.375 0.286 3.711E-02

Carbaryl 108 1 1 4.049 4.049 4.049 3.749E-02

Tebuconazole 108 19 - 0.129 0.812 0.296 5.210E-02

Chlorpyrifos 108 18 - 0.038 0.623 0.223 3.719E-02

Cypermethrin 108 3 - 0.341 0.938 0.641 1.780E-02

Fenitrothion 108 2 - 0.163 0.167 0.165 3.054E-03

Hexaconazole 108 2 - 0.030 0.111 0.071 1.309E-03

Chlorothalonil 108 1 - 0.053 0.053 0.053 4.935E-04

Fenvalerate 108 1 - 0.176 0.176 0.176 1.628E-03

Iprobenfos 108 1 - 0.019 0.019 0.019 1.741E-04

Profenofos 108 1 - 0.075 0.075 0.075 6.954E-04

Pyraclostrobin 108 1 - 0.665 0.665 0.665 6.154E-03

고춧잎

Carbendazim 165 8 6 0.520 7.254 3.194 1.549E-01

Endosulfan 165 9 4 0.024 19.436 2.652 1.447E-01

Lufenuron 165 4 3 0.092 4.900 1.898 4.601E-02

14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고춧잎

Dimethomorph 165 4 2 0.600 14.582 4.457 1.080E-01

Thiamethoxam 165 4 2 0.161 2.129 1.071 2.598E-02

Ethoprophos 165 3 2 0.013 0.048 0.035 6.406E-04

Pyraclostrobin 165 3 2 0.179 1.400 0.824 1.498E-02

Acrinathrin 165 2 2 0.592 2.337 1.465 1.775E-02

Chlorpyrifos 165 2 2 0.452 0.468 0.460 5.573E-03

Trifloxystrobin 165 2 2 0.951 8.207 4.579 5.550E-02

Cypermethrin 165 14 1 0.056 3.203 0.702 5.956E-02

Chlorothalonil 165 13 1 0.050 4.720 1.324 1.043E-01

Imidacloprid 146 9 1 0.024 1.700 0.560 3.450E-02

Methomyl 165 7 1 0.018 1.326 0.324 1.377E-02

Azoxystrobin 165 5 1 0.167 20.700 4.644 1.407E-01

Procymidone 165 5 1 0.102 3.620 1.312 3.975E-02

Acetamiprid 165 4 1 0.216 1.737 0.801 1.942E-02

EPN 165 3 1 0.008 1.899 0.669 1.217E-02

Boscalid 165 1 1 10.530 10.530 10.530 6.382E-02

Kresoxim-methyl 165 1 1 0.534 0.534 0.534 3.233E-03

Permethrin 165 1 1 3.141 3.141 3.141 1.904E-02

Thiacloprid 165 1 1 1.089 1.089 1.089 6.597E-03

Chlorfenapyr 165 6 - 0.027 1.968 0.728 2.646E-02

Tebuconazole 146 5 - 0.248 2.526 0.982 3.362E-02

Bifenthrin 165 4 - 0.007 0.800 0.236 5.728E-03

Cyhalothrin 165 4 - 0.037 0.232 0.102 2.478E-03

Pyridaben 165 3 - 0.275 0.379 0.332 6.034E-03

Bromacil 165 1 - 0.023 0.023 0.023 1.370E-04

Deltamethrin 165 1 - 0.482 0.482 0.482 2.918E-03

Diazinon 165 1 - 0.057 0.057 0.057 3.479E-04

Diethofencarb 165 1 - 1.000 1.000 1.000 6.061E-03

Etofenprox 146 1 - 1.518 1.518 1.518 1.040E-02

Fenamidone 165 1 - 0.026 0.026 0.026 1.552E-04

Fenvalerate 165 1 - 0.470 0.470 0.470 2.848E-03

Metalaxyl 165 1 - 0.442 0.442 0.442 2.678E-03

Oxamyl 165 1 - 0.080 0.080 0.080 4.818E-04

Prochloraz 165 1 - 0.045 0.045 0.045 2.709E-04

Thiodicarb 146 1 - 0.350 0.350 0.350 2.396E-03

Vinclozolin 165 1 - 0.011 0.011 0.011 6.727E-05

구기자

Chlorothalonil 5 2 - 0.112 2.579 1.346 5.383E-01

Chlorpyrifos 5 1 - 0.129 0.129 0.129 2.570E-02

Fenvalerate 5 1 - 0.367 0.367 0.367 7.332E-02

근대

Endosulfan 745 53 14 0.008 7.694 0.435 3.098E-02

Procymidone 745 30 6 0.016 16.702 1.670 6.724E-02

Dimethomorph 745 9 3 0.218 4.475 1.470 1.776E-02

Diazinon 745 6 3 0.023 2.701 0.560 4.513E-03

Chlorothalonil 745 8 2 0.047 25.600 4.105 4.408E-02

부록 / 141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근대

Acetamiprid 745 7 2 0.518 1.732 1.000 9.397E-03

Cypermethrin 745 7 2 0.068 2.261 0.848 7.967E-03

Ethoprophos 745 5 2 0.006 0.042 0.021 1.401E-04

Diethofencarb 745 4 2 0.800 4.965 2.898 1.556E-02

Azoxystrobin 745 3 2 0.759 2.838 1.856 7.473E-03

Chlorpyrifos 745 2 2 0.174 0.376 0.275 7.387E-04

Tebupirimfos 745 2 2 0.078 0.189 0.134 3.584E-04

Flufenoxuron 745 3 1 0.275 1.568 0.788 3.172E-03

Carbendazim 745 2 1 0.500 4.214 2.357 6.328E-03

Etofenprox 583 1 1 3.094 3.094 3.094 5.307E-03

Methoxyfenozide 745 1 1 4.595 4.595 4.595 6.167E-03

Bifenthrin 745 4 - 0.045 0.203 0.110 5.926E-04

Cyhalothrin 745 2 - 0.055 0.277 0.166 4.462E-04

Imidacloprid 583 2 - 0.542 0.999 0.770 2.643E-03

Iprodione 745 2 - 2.586 5.490 4.038 1.084E-02

Lufenuron 745 2 - 0.125 0.184 0.154 4.142E-04

Tefluthrin 234 2 - 0.002 0.007 0.005 4.017E-05

Boscalid 745 1 - 1.044 1.044 1.044 1.401E-03

Diniconazole 234 1 - 0.025 0.025 0.025 1.060E-04

Fenvalerate 745 1 - 0.076 0.076 0.076 1.019E-04

Fludioxonil 745 1 - 0.482 0.482 0.482 6.468E-04

Indoxacarb 234 1 - 0.200 0.200 0.200 8.547E-04

Kresoxim-methyl 745 1 - 1.556 1.556 1.556 2.089E-03

Metalaxyl 745 1 - 0.444 0.444 0.444 5.962E-04

Methidathion 745 1 - 0.005 0.005 0.005 6.980E-06

Methomyl 745 1 - 0.100 0.100 0.100 1.342E-04

Pyraclostrobin 745 1 - 0.149 0.149 0.149 2.004E-04

Tebuconazole 583 1 - 2.412 2.412 2.412 4.137E-03

Tebufenozide 745 1 - 0.156 0.156 0.156 2.097E-04

Vinclozolin 745 1 - 0.006 0.006 0.006 8.322E-06

금귤Phenthoate 6 2 - 0.409 1.016 0.713 2.376E-01

Endosulfan 6 1 - 0.640 0.640 0.640 1.067E-01

냉이

Endosulfan 82 18 2 0.005 0.312 0.086 1.896E-02

Chlorpyrifos 82 1 - 0.010 0.010 0.010 1.159E-04

Pyrimethanil 82 1 - 0.300 0.300 0.300 3.659E-03

녹두 Endosulfan 15 3 - 0.010 0.047 0.023 4.627E-03

녹차

Chlorfenapyr 80 5 - 0.039 0.140 0.078 4.901E-03

Cyhalothrin 80 3 - 0.048 0.300 0.186 6.981E-03

Bifenthrin 80 1 - 0.100 0.100 0.100 1.246E-03

Chlorpyrifos 80 1 - 0.080 0.080 0.080 1.000E-03

Tebufenpyrad 80 1 - 0.100 0.100 0.100 1.246E-03

다래

Phenthoate 39 2 1 0.061 0.512 0.286 1.467E-02

Fenitrothion 39 1 1 0.058 0.058 0.058 1.485E-03

Iprodione 39 4 - 0.633 3.678 1.742 1.787E-01

14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다래Vinclozolin 39 2 - 0.277 0.512 0.394 2.022E-02

Fthalide 39 1 - 0.222 0.222 0.222 5.692E-03

다청채 Endosulfan 5 1 - 0.100 0.100 0.100 2.000E-02

달래

Chlorpyrifos 30 1 1 0.170 0.170 0.170 5.657E-03

Ethoprophos 30 1 1 0.217 0.217 0.217 7.230E-03

Pyraclostrobin 30 1 1 7.406 7.406 7.406 2.469E-01

Endosulfan 30 1 - 0.020 0.020 0.020 6.567E-04

Procymidone 30 1 - 0.023 0.023 0.023 7.567E-04

당귀잎

Chlorpyrifos 12 1 1 3.059 3.059 3.059 2.549E-01

Azoxystrobin 12 1 - 1.704 1.704 1.704 1.420E-01

Endosulfan 12 1 - 0.410 0.410 0.410 3.417E-02

당근

Endosulfan 182 3 - 0.070 0.130 0.100 1.650E-03

Chlorpyrifos 182 2 - 0.083 0.087 0.085 9.335E-04

Chlorothalonil 182 1 - 0.019 0.019 0.019 1.049E-04

EPN 182 1 - 0.050 0.050 0.050 2.753E-04

Procymidone 182 1 - 0.074 0.074 0.074 4.071E-04

대두 Endosulfan 54 2 - 0.021 0.027 0.024 8.963E-04

대추

Chlorpyrifos 37 5 - 0.087 0.577 0.229 3.098E-02

Cypermethrin 37 4 - 0.074 0.653 0.329 3.552E-02

Fenvalerate 37 3 - 0.615 3.814 1.875 1.521E-01

Bifenthrin 37 2 - 0.044 0.076 0.060 3.249E-03

Chlorothalonil 37 2 - 0.051 0.510 0.280 1.516E-02

Hexaconazole 37 2 - 0.028 0.075 0.052 2.800E-03

Iprodione 37 2 - 0.479 0.749 0.614 3.319E-02

Tebuconazole 34 2 - 0.083 0.100 0.092 5.385E-03

Boscalid 37 1 - 0.661 0.661 0.661 1.786E-02

Endosulfan 37 1 - 0.109 0.109 0.109 2.951E-03

Fenazaquin 34 1 - 0.083 0.083 0.083 2.444E-03

Methidathion 37 1 - 0.059 0.059 0.059 1.592E-03

Tebufenpyrad 37 1 - 0.035 0.035 0.035 9.486E-04

Tetradifon 37 1 - 0.060 0.060 0.060 1.622E-03

더덕 Endosulfan 12 1 - 0.053 0.053 0.053 4.375E-03

도라지 Procymidone 30 1 - 0.031 0.031 0.031 1.043E-03

돌나물

Procymidone 184 42 9 0.069 4.350 0.556 1.270E-01

Boscalid 184 4 1 0.496 2.523 1.169 2.541E-02

Azoxystrobin 184 3 1 0.148 0.389 0.245 4.000E-03

Kresoxim-methyl 184 2 1 0.573 0.619 0.596 6.480E-03

Vinclozolin 184 8 - 0.014 0.609 0.140 6.067E-03

Endosulfan 184 3 - 0.006 0.020 0.013 2.158E-04

Acetamiprid 184 2 - 0.100 0.121 0.110 1.201E-03

Imidacloprid 152 2 - 0.036 0.156 0.096 1.262E-03

Pyraclostrobin 184 2 - 0.182 0.347 0.265 2.876E-03

Cypermethrin 184 1 - 0.044 0.044 0.044 2.408E-04

Diazinon 184 1 - 0.021 0.021 0.021 1.120E-04

부록 / 143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돌나물 Triflumizole 184 1 - 0.219 0.219 0.219 1.189E-03

두릅 Iprobenfos 36 1 - 0.198 0.198 0.198 5.494E-03

들깻잎

Chlorpyrifos 1305 11 10 0.036 0.326 0.139 1.171E-03

Endosulfan 1305 34 5 0.010 2.276 0.269 7.005E-03

Ethoprophos 1305 6 5 0.014 1.092 0.347 1.597E-03

Azoxystrobin 1305 20 3 0.214 11.304 1.865 2.859E-02

Flufenoxuron 1305 7 3 0.367 5.988 2.225 1.193E-02

EPN 1305 5 3 0.030 3.800 1.332 5.104E-03

Diazinon 1305 4 3 0.032 1.901 0.649 1.989E-03

Carbendazim 1305 11 2 0.471 14.056 3.853 3.248E-02

Carbofuran 1080 5 2 0.031 0.353 0.159 7.346E-04

Fenitrothion 1305 3 2 0.009 1.100 0.503 1.156E-03

Fenpropathrin 1305 3 2 0.034 0.801 0.511 1.175E-03

Pyridaben 1305 3 2 0.219 6.403 3.441 7.910E-03

Methidathion 1305 2 2 0.831 1.048 0.939 1.439E-03

Pyraclostrobin 1305 2 2 0.558 0.721 0.639 9.798E-04

Tolylfluanid 1305 2 2 4.714 9.526 7.120 1.091E-02

Cypermethrin 1305 76 1 0.028 5.100 1.284 7.477E-02

Chlorothalonil 1305 8 1 0.034 17.900 2.997 1.837E-02

Fenobucarb 1305 4 1 0.068 0.761 0.394 1.207E-03

Metalaxyl 1305 4 1 0.022 0.652 0.238 7.303E-04

Thiamethoxam 1305 3 1 0.155 2.002 0.878 2.019E-03

Isoprothiolane 1080 2 1 0.014 0.500 0.257 4.758E-04

Cyhalothrin 1305 1 1 0.652 0.652 0.652 4.998E-04

Kresoxim-methyl 1305 1 1 1.007 1.007 1.007 7.714E-04

Thiacloprid 1305 1 1 1.403 1.403 1.403 1.075E-03

Tebufenpyrad 1305 34 - 0.026 1.562 0.320 8.325E-03

Procymidone 1305 28 - 0.027 3.968 0.782 1.677E-02

Diethofencarb 1305 17 - 0.020 4.293 0.977 1.273E-02

Imidacloprid 1080 17 - 0.047 0.893 0.289 4.553E-03

Hexaconazole 1305 14 - 0.014 0.371 0.096 1.033E-03

Dimethomorph 1305 12 - 0.356 4.588 1.498 1.377E-02

Pyrimethanil 1305 6 - 0.155 1.519 0.866 3.981E-03

Bifenthrin 1305 5 - 0.146 1.910 0.581 2.225E-03

Fludioxonil 1305 5 - 0.074 1.388 0.656 2.512E-03

Methomyl 1305 5 - 0.009 0.416 0.115 4.405E-04

Boscalid 1305 4 - 0.232 4.707 1.691 5.182E-03

Diniconazole 621 4 - 0.018 0.057 0.034 2.221E-04

Fenpyroximate 1305 4 - 0.721 1.900 1.275 3.909E-03

Myclobutanil 1305 4 - 0.132 0.979 0.366 1.123E-03

Acetamiprid 1305 3 - 0.110 0.591 0.274 6.301E-04

Fenazaquin 1080 3 - 0.065 0.308 0.191 5.297E-04

Indoxacarb 621 2 - 0.100 6.356 3.228 1.040E-02

Lufenuron 1305 2 - 0.500 1.995 1.247 1.911E-03

14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들깻잎

Tebuconazole 1080 2 - 0.916 1.152 1.034 1.915E-03

Chlorpyrifos-methyl 1305 1 - 0.245 0.245 0.245 1.876E-04

Dichlorvos 621 1 - 0.100 0.100 0.100 1.610E-04

Edifenphos 1305 1 - 0.092 0.092 0.092 7.027E-05

Fenarimol 1305 1 - 0.520 0.520 0.520 3.988E-04

Fthalide 1305 1 - 0.033 0.033 0.033 2.536E-05

Methoxyfenozide 1305 1 - 2.200 2.200 2.200 1.686E-03

Phenthoate 1305 1 - 0.057 0.057 0.057 4.337E-05

딸기

Procymidone 161 14 - 0.020 0.714 0.235 2.043E-02

Endosulfan 161 10 - 0.010 0.072 0.039 2.445E-03

Kresoxim-methyl 161 4 - 0.008 0.016 0.014 3.373E-04

Boscalid 161 1 - 0.084 0.084 0.084 5.217E-04

Fludioxonil 161 1 - 0.030 0.030 0.030 1.851E-04

Hexaconazole 161 1 - 0.039 0.039 0.039 2.398E-04

Pyridaben 161 1 - 0.015 0.015 0.015 9.503E-05

Pyrimethanil 161 1 - 0.093 0.093 0.093 5.764E-04

Triflumizole 161 1 - 0.183 0.183 0.183 1.135E-03

마늘 Diazinon 85 1 - 0.065 0.065 0.065 7.600E-04

망고

Fenthion 18 1 - 0.005 0.005 0.005 2.889E-04

Fthalide 18 1 - 0.001 0.001 0.001 3.333E-05

Iprodione 18 1 - 0.415 0.415 0.415 2.307E-02

매실 Trifloxystrobin 7 1 - 0.606 0.606 0.606 8.663E-02

머위

Endosulfan 54 4 2 0.100 2.919 0.873 6.468E-02

Bifenthrin 54 3 1 0.290 1.946 0.845 4.695E-02

Chlorpyrifos 54 2 1 0.005 0.095 0.050 1.852E-03

Ethoprophos 54 2 1 0.013 0.414 0.213 7.906E-03

Azoxystrobin 54 1 1 4.900 4.900 4.900 9.074E-02

Metalaxyl 54 1 1 2.816 2.816 2.816 5.215E-02

Methidathion 54 1 1 0.592 0.592 0.592 1.097E-02

Pendimethalin 54 1 1 0.201 0.201 0.201 3.715E-03

Chlorothalonil 54 1 - 0.569 0.569 0.569 1.054E-02

Cypermethrin 54 1 - 0.911 0.911 0.911 1.686E-02

Phenthoate 54 1 - 0.003 0.003 0.003 4.630E-05

Triflumizole 54 1 - 0.173 0.173 0.173 3.211E-03

멜론

Endosulfan 97 2 1 0.115 0.162 0.139 2.858E-03

Kresoxim-methyl 97 1 1 0.344 0.344 0.344 3.549E-03

Procymidone 97 5 - 0.013 0.341 0.119 6.152E-03

Chlorothalonil 97 2 - 0.026 0.110 0.068 1.405E-03

Chlorpyrifos 97 1 - 0.052 0.052 0.052 5.330E-04

Flusilazole 97 1 - 0.039 0.039 0.039 3.990E-04

Teflubenzuron 97 1 - 0.026 0.026 0.026 2.722E-04

모과

Cyhalothrin 6 1 - 0.004 0.004 0.004 7.333E-04

Cypermethrin 6 1 - 0.012 0.012 0.012 2.050E-03

EPN 6 1 - 0.053 0.053 0.053 8.817E-03

부록 / 145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모과 Fenvalerate 6 1 - 0.015 0.015 0.015 2.533E-03

무(뿌리)

Endosulfan 294 12 1 0.004 0.482 0.078 3.186E-03

Chlorpyrifos 294 1 - 0.079 0.079 0.079 2.677E-04

Diazinon 294 1 - 0.021 0.021 0.021 7.007E-05

Fenpropathrin 294 1 - 0.014 0.014 0.014 4.830E-05

Hexaconazole 294 1 - 0.006 0.006 0.006 1.973E-05

Iprodione 294 1 - 0.094 0.094 0.094 3.180E-04

Procymidone 294 1 - 0.008 0.008 0.008 2.653E-05

무(잎)

Endosulfan 1826 62 7 0.010 0.838 0.104 3.534E-03

Diazinon 1826 13 6 0.010 2.237 0.420 2.988E-03

Procymidone 1826 17 2 0.033 10.259 1.313 1.223E-02

Chlorpyrifos 1826 3 2 0.060 1.670 0.610 1.002E-03

Chlorothalonil 1826 8 1 0.056 33.337 4.986 2.184E-02

Dimethomorph 1826 5 1 0.479 3.119 1.165 3.191E-03

Diniconazole 560 4 1 0.010 0.386 0.193 1.378E-03

Indoxacarb 560 2 1 0.092 1.191 0.642 2.292E-03

Azoxystrobin 1826 1 1 4.171 4.171 4.171 2.284E-03

Carbaryl 1826 1 1 2.200 2.200 2.200 1.205E-03

Lufenuron 1826 1 1 1.253 1.253 1.253 6.861E-04

Teflubenzuron 1826 1 1 0.751 0.751 0.751 4.113E-04

Cyhalothrin 1826 9 - 0.028 0.441 0.104 5.107E-04

Bifenthrin 1826 6 - 0.010 0.082 0.031 1.034E-04

Cypermethrin 1826 4 - 0.390 1.430 0.704 1.543E-03

Chlorfenapyr 1826 3 - 0.012 0.181 0.068 1.119E-04

Dicofol 1826 3 - 0.093 0.698 0.488 8.016E-04

Chlorantraniliprole 560 2 - 0.467 1.764 1.115 3.983E-03

Flufenoxuron 1826 2 - 0.400 0.480 0.440 4.821E-04

Boscalid 1826 1 - 0.373 0.373 0.373 2.041E-04

Fenarimol 1826 1 - 0.100 0.100 0.100 5.476E-05

Fenbuconazole 1826 1 - 1.263 1.263 1.263 6.915E-04

Fenitrothion 1826 1 - 0.068 0.068 0.068 3.702E-05

Fludioxonil 1826 1 - 0.032 0.032 0.032 1.774E-05

Hexaconazole 1826 1 - 0.050 0.050 0.050 2.738E-05

Imidacloprid 1415 1 - 0.052 0.052 0.052 3.661E-05

Isofenphos 1826 1 - 0.043 0.043 0.043 2.360E-05

Oxyfluorfen 1266 1 - 0.008 0.008 0.008 6.082E-06

Phenthoate 1826 1 - 0.050 0.050 0.050 2.738E-05

Pyriminobac-methyl 1826 1 - 0.019 0.019 0.019 1.057E-05

Thifluzamide 1826 1 - 0.024 0.024 0.024 1.303E-05

Trifluralin 1826 1 - 0.020 0.020 0.020 1.079E-05

Vamidothion 1826 1 - 0.028 0.028 0.028 1.506E-05

미나리

Iprobenfos 272 5 2 0.049 0.450 0.204 3.758E-03

Endosulfan 357 3 1 0.015 1.900 0.647 5.439E-03

Fenobucarb 357 2 - 0.041 0.150 0.096 5.370E-04

14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미나리

Chlorothalonil 357 1 - 0.605 0.605 0.605 1.696E-03

Diphenylamine 357 1 - 0.040 0.040 0.040 1.126E-04

Ethoprophos 357 1 - 0.004 0.004 0.004 1.036E-05

Fenitrothion 357 1 - 0.003 0.003 0.003 8.403E-06

Probenazole 357 1 - 0.038 0.038 0.038 1.059E-04

Procymidone 357 1 - 0.184 0.184 0.184 5.146E-04

Tebuconazole 272 1 - 0.071 0.071 0.071 2.607E-04

Thiacloprid 357 1 - 0.061 0.061 0.061 1.714E-04

밀감

EPN 290 8 3 0.011 0.411 0.145 3.993E-03

Dicofol 290 13 2 0.020 2.883 0.606 2.717E-02

Procymidone 290 9 1 0.032 0.807 0.338 1.048E-02

Carbaryl 290 3 1 0.166 0.688 0.379 3.919E-03

Fenitrothion 290 26 - 0.020 0.450 0.149 1.335E-02

Phenthoate 290 20 - 0.016 0.272 0.126 8.704E-03

Chlorpyrifos 290 19 - 0.009 0.177 0.059 3.880E-03

Methidathion 290 8 - 0.012 1.146 0.360 9.927E-03

Fenothiocarb 290 6 - 0.032 0.975 0.390 8.066E-03

Fenpropathrin 290 3 - 0.004 0.077 0.031 3.248E-04

Diazinon 290 2 - 0.048 0.084 0.066 4.559E-04

Tetradifon 290 2 - 0.080 0.199 0.139 9.617E-04

Bifenthrin 290 1 - 0.020 0.020 0.020 6.793E-05

Bromacil 290 1 - 0.005 0.005 0.005 1.759E-05

Chlorothalonil 290 1 - 0.088 0.088 0.088 3.048E-04

Cypermethrin 290 1 - 0.025 0.025 0.025 8.552E-05

Imazalil 290 1 - 0.088 0.088 0.088 3.038E-04

Tebufenpyrad 290 1 - 0.286 0.286 0.286 9.848E-04

바나나

Chlorpyrifos 147 6 - 0.003 0.024 0.014 5.789E-04

Iprodione 147 4 - 0.198 0.853 0.539 1.467E-02

Prochloraz 147 2 - 0.100 0.222 0.161 2.193E-03

Azoxystrobin 147 1 - 0.074 0.074 0.074 5.061E-04

Cyhalothrin 147 1 - 0.120 0.120 0.120 8.143E-04

Fenoxanil 147 1 - 0.190 0.190 0.190 1.293E-03

방풍나물 Endosulfan 3 1 - 0.088 0.088 0.088 2.927E-02

Chlorpyrifos 305 13 - 0.004 0.048 0.020 8.695E-04

Fenitrothion 305 4 - 0.010 0.031 0.025 3.302E-04

Carbaryl 305 2 - 0.036 0.381 0.208 1.366E-03

Deltamethrin 305 2 - 0.034 0.039 0.036 2.370E-04

EPN 305 2 - 0.011 0.012 0.011 7.246E-05

Chlorfenapyr 305 1 - 0.012 0.012 0.012 3.803E-05

Endosulfan 305 1 - 0.057 0.057 0.057 1.859E-04

Fenobucarb 305 1 - 0.012 0.012 0.012 3.770E-05

Parathion 305 1 - 0.018 0.018 0.018 6.000E-05

Phenthoate 305 1 - 0.061 0.061 0.061 1.990E-04

Procymidone 305 1 - 0.260 0.260 0.260 8.508E-04

부록 / 147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배추

Endosulfan 3114 84 9 0.001 2.204 0.182 4.899E-03

Dimethomorph 3114 118 8 0.060 3.248 0.660 2.501E-02

Diazinon 3114 31 8 0.012 1.374 0.166 1.657E-03

Azoxystrobin 3114 25 6 0.067 2.232 0.590 4.737E-03

Procymidone 3114 27 4 0.004 9.015 0.701 6.080E-03

Chlorothalonil 3114 15 3 0.097 19.891 4.173 2.010E-02

Cypermethrin 3114 17 2 0.045 11.550 1.440 7.862E-03

Lufenuron 3114 3 2 0.162 0.700 0.423 4.079E-04

Novaluron 2302 2 2 0.521 1.016 0.768 6.674E-04

Prothiofos 3114 2 2 0.077 1.002 0.539 3.462E-04

Bifenthrin 3114 19 1 0.019 1.584 0.281 1.715E-03

Tebupirimfos 3114 2 1 0.009 0.171 0.090 5.787E-05

Carbaryl 3114 1 1 3.977 3.977 3.977 1.277E-03

Fenvalerate 3114 8 - 0.010 0.600 0.260 6.679E-04

Flufenoxuron 3114 8 - 0.108 0.523 0.236 6.068E-04

Chlorpyrifos 3114 6 - 0.010 0.076 0.028 5.417E-05

Cyhalothrin 3114 6 - 0.032 0.200 0.119 2.293E-04

Etrimfos 3114 6 - 0.030 0.107 0.058 1.108E-04

Diniconazole 900 5 - 0.006 0.187 0.103 5.724E-04

Methomyl 3114 5 - 0.020 0.143 0.070 1.122E-04

Carbofuran 2302 4 - 0.015 0.197 0.074 1.284E-04

Chlorfenapyr 3114 4 - 0.011 0.429 0.128 1.639E-04

Indoxacarb 900 4 - 0.050 0.295 0.219 9.718E-04

Iprodione 3114 4 - 0.205 3.000 0.949 1.219E-03

Tebuconazole 2302 4 - 0.024 0.937 0.274 4.760E-04

Carbendazim 3114 3 - 0.209 0.600 0.370 3.562E-04

Dicofol 3114 3 - 0.111 0.244 0.181 1.748E-04

Imidacloprid 2302 3 - 0.053 0.132 0.103 1.342E-04

Methidathion 3114 3 - 0.053 0.230 0.131 1.258E-04

Flutolanil 3114 2 - 0.012 0.477 0.244 1.570E-04

Acetamiprid 3114 1 - 0.220 0.220 0.220 7.065E-05

Boscalid 3114 1 - 0.800 0.800 0.800 2.569E-04

Butachlor 812 1 - 0.075 0.075 0.075 9.261E-05

Captafol 3114 1 - 0.604 0.604 0.604 1.939E-04

Dichlofluanid 3114 1 - 1.252 1.252 1.252 4.019E-04

Diphenylamine 3114 1 - 0.004 0.004 0.004 1.285E-06

EPN 3114 1 - 0.093 0.093 0.093 2.970E-05

Ethaboxam 900 1 - 0.784 0.784 0.784 8.710E-04

Etofenprox 2302 1 - 1.401 1.401 1.401 6.084E-04

Fenamidone 3114 1 - 0.378 0.378 0.378 1.214E-04

Fenitrothion 3114 1 - 0.015 0.015 0.015 4.785E-06

Fenpropathrin 3114 1 - 0.040 0.040 0.040 1.285E-05

Hexaconazole 3114 1 - 0.012 0.012 0.012 3.854E-06

Imazalil 3114 1 - 0.031 0.031 0.031 9.859E-06

14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배추

Isoprothiolane 2302 1 - 0.025 0.025 0.025 1.064E-05

Methoxyfenozide 3114 1 - 2.621 2.621 2.621 8.417E-04

Ofurace 900 1 - 0.010 0.010 0.010 1.111E-05

Phenthoate 3114 1 - 0.008 0.008 0.008 2.473E-06

Profenofos 3114 1 - 0.080 0.080 0.080 2.553E-05

Simazine 3114 1 - 0.100 0.100 0.100 3.211E-05

Tebufenozide 3114 1 - 0.400 0.400 0.400 1.285E-04

Tebufenpyrad 3114 1 - 0.020 0.020 0.020 6.294E-06

Thiacloprid 3114 1 - 0.300 0.300 0.300 9.634E-05

Thiamethoxam 3114 1 - 0.139 0.139 0.139 4.467E-05

Zoxamide 900 1 - 0.053 0.053 0.053 5.889E-05

보리순 Pendimethalin 1 1 - 0.016 0.016 0.016 1.640E-02

복분자 Fenvalerate 4 1 - 0.174 0.174 0.174 4.358E-02

복숭아

Methidathion 164 2 1 0.045 1.000 0.522 6.370E-03

EPN 164 1 1 0.173 0.173 0.173 1.057E-03

Chlorpyrifos 164 14 - 0.003 0.300 0.055 4.699E-03

Hexaconazole 164 4 - 0.022 0.230 0.093 2.261E-03

Teflubenzuron 164 3 - 0.032 0.142 0.071 1.298E-03

Endosulfan 164 2 - 0.009 0.043 0.026 3.122E-04

Tebuconazole 151 2 - 0.037 0.148 0.092 1.220E-03

Azinphos-methyl 164 1 - 0.016 0.016 0.016 9.451E-05

Carbaryl 164 1 - 0.039 0.039 0.039 2.396E-04

Carbofuran 151 1 - 0.051 0.051 0.051 3.364E-04

Chlorfenvinphos 164 1 - 0.151 0.151 0.151 9.207E-04

Chlorothalonil 164 1 - 0.206 0.206 0.206 1.258E-03

Cyhalothrin 164 1 - 0.005 0.005 0.005 3.049E-05

Cypermethrin 164 1 - 0.170 0.170 0.170 1.038E-03

Fenvalerate 164 1 - 0.031 0.031 0.031 1.860E-04

Kresoxim-methyl 164 1 - 0.019 0.019 0.019 1.128E-04

Novaluron 151 1 - 0.402 0.402 0.402 2.662E-03

Parathion 164 1 - 0.100 0.100 0.100 6.098E-04

Phenthoate 164 1 - 0.051 0.051 0.051 3.134E-04

Tetradifon 164 1 - 0.022 0.022 0.022 1.311E-04

부추

Procymidone 425 81 4 0.024 14.437 1.454 2.770E-01

Carbendazim 425 7 4 0.246 5.128 1.850 3.047E-02

Terbufos 425 4 2 0.023 0.920 0.465 4.377E-03

Diazinon 425 3 2 0.005 1.144 0.548 3.867E-03

Endosulfan 425 10 1 0.004 3.327 0.370 8.714E-03

Cypermethrin 425 6 1 0.061 1.042 0.421 5.941E-03

Chlorothalonil 425 3 1 0.073 5.898 2.019 1.425E-02

EPN 425 2 1 0.042 0.370 0.206 9.692E-04

Azoxystrobin 425 1 1 0.351 0.351 0.351 8.261E-04

Chlorpyrifos 425 1 1 0.100 0.100 0.100 2.353E-04

Fenitrothion 425 1 1 0.060 0.060 0.060 1.412E-04

부록 / 149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부추

Fludioxonil 425 1 1 0.496 0.496 0.496 1.166E-03

Iprodione 425 1 1 12.573 12.573 12.573 2.958E-02

Lufenuron 425 1 1 0.353 0.353 0.353 8.315E-04

Pyrimethanil 425 1 1 0.565 0.565 0.565 1.329E-03

Fenvalerate 425 3 - 0.035 0.363 0.159 1.120E-03

Chlorfenapyr 425 2 - 0.177 0.488 0.333 1.566E-03

Dimethomorph 425 2 - 0.726 0.900 0.813 3.825E-03

Methomyl 425 2 - 0.024 0.045 0.034 1.621E-04

Vinclozolin 425 2 - 0.019 0.079 0.049 2.308E-04

Boscalid 425 1 - 0.195 0.195 0.195 4.576E-04

Carbofuran 363 1 - 0.052 0.052 0.052 1.424E-04

Cyhalothrin 425 1 - 0.179 0.179 0.179 4.219E-04

Deltamethrin 425 1 - 0.043 0.043 0.043 1.007E-04

Diethofencarb 425 1 - 0.408 0.408 0.408 9.588E-04

Methoxyfenozide 425 1 - 0.722 0.722 0.722 1.700E-03

Parathion 425 1 - 0.109 0.109 0.109 2.560E-04

Tefluthrin 147 1 - 0.008 0.008 0.008 5.102E-05

브로콜리Dicofol 393 9 - 0.052 0.726 0.304 6.951E-03

Metalaxyl 393 1 - 0.037 0.037 0.037 9.440E-05

비름나물

Azoxystrobin 155 16 6 0.100 3.030 0.813 8.396E-02

Chlorpyrifos 155 1 1 0.316 0.316 0.316 2.035E-03

Pyridaben 155 1 1 2.265 2.265 2.265 1.462E-02

Chlorothalonil 155 2 - 0.099 3.110 1.604 2.070E-02

Endosulfan 155 2 - 0.066 0.073 0.069 8.955E-04

Carbofuran 132 1 - 0.010 0.010 0.010 7.576E-05

Chlorantraniliprole 49 1 - 0.334 0.334 0.334 6.824E-03

Ethoprophos 155 1 - 0.005 0.005 0.005 3.484E-05

Flufenoxuron 155 1 - 0.117 0.117 0.117 7.555E-04

Imidacloprid 132 1 - 0.031 0.031 0.031 2.341E-04

Triflumizole 155 1 - 0.237 0.237 0.237 1.528E-03

비타민 Endosulfan 28 1 - 0.005 0.005 0.005 1.750E-04

비트Chlorothalonil 8 1 - 0.005 0.005 0.005 6.250E-04

Methoxyfenozide 8 1 - 1.220 1.220 1.220 1.525E-01

사과

Prothiofos 418 1 1 0.185 0.185 0.185 4.433E-04

Tebuconazole 382 21 - 0.007 0.115 0.058 3.176E-03

Chlorpyrifos 418 20 - 0.004 0.107 0.032 1.540E-03

Chlorothalonil 418 15 - 0.023 1.018 0.274 9.830E-03

Fenpropathrin 418 7 - 0.008 0.031 0.017 2.825E-04

Bifenthrin 418 5 - 0.008 0.028 0.015 1.813E-04

Fenitrothion 418 3 - 0.016 0.406 0.155 1.115E-03

Fenvalerate 418 3 - 0.010 0.115 0.053 3.813E-04

Hexaconazole 418 3 - 0.018 0.040 0.028 2.007E-04

Folpet 418 2 - 0.090 0.116 0.103 4.928E-04

Kresoxim-methyl 418 2 - 0.008 0.023 0.015 7.273E-05

15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사과

Metconazole 418 2 - 0.044 0.130 0.087 4.165E-04

Teflubenzuron 418 2 - 0.017 0.129 0.073 3.474E-04

Boscalid 418 1 - 0.100 0.100 0.100 2.392E-04

Captan 418 1 - 0.170 0.170 0.170 4.057E-04

Carbendazim 418 1 - 0.220 0.220 0.220 5.251E-04

Carboxin 418 1 - 0.163 0.163 0.163 3.895E-04

Chlorfenapyr 418 1 - 0.011 0.011 0.011 2.703E-05

Cyhalothrin 418 1 - 0.012 0.012 0.012 2.967E-05

Cypermethrin 418 1 - 0.063 0.063 0.063 1.512E-04

Etrimfos 418 1 - 0.018 0.018 0.018 4.211E-05

Iprodione 418 1 - 0.193 0.193 0.193 4.608E-04

Tetradifon 418 1 - 0.020 0.020 0.020 4.785E-05

Thiodicarb 382 1 - 0.092 0.092 0.092 2.395E-04

살구 Procymidone 8 1 - 0.023 0.023 0.023 2.875E-03

상추

Endosulfan 5324 189 41 0.001 6.428 0.295 1.049E-02

Chlorpyrifos 5324 20 16 0.004 0.402 0.074 2.779E-04

Procymidone 5324 185 10 0.010 22.692 1.012 3.515E-02

Azoxystrobin 5324 48 9 0.045 6.310 1.125 1.014E-02

Ethoprophos 5324 5 5 0.050 0.229 0.171 1.606E-04

Chlorothalonil 5324 24 4 0.010 46.545 5.986 2.698E-02

Kresoxim-methyl 5324 7 4 0.008 11.329 2.536 3.334E-03

Dimethomorph 5324 82 3 0.133 8.217 2.027 3.122E-02

Boscalid 5324 30 3 0.104 14.702 2.481 1.398E-02

Carbendazim 5324 13 3 0.110 12.554 3.130 7.642E-03

Flufenoxuron 5324 3 2 0.374 2.268 1.216 6.851E-04

Chlorfenapyr 5324 2 2 0.586 0.770 0.678 2.548E-04

Cypermethrin 5324 14 1 0.031 2.239 0.555 1.459E-03

Diazinon 5324 14 1 0.004 0.540 0.068 1.777E-04

Metalaxyl 5324 14 1 0.021 8.348 0.936 2.462E-03

Fenarimol 5324 6 1 0.052 3.552 0.769 8.670E-04

Carbofuran 4054 3 1 0.053 6.600 2.243 1.660E-03

EPN 5324 3 1 0.017 0.160 0.065 3.680E-05

Flutolanil 5324 3 1 0.011 3.040 1.041 5.867E-04

Isoprothiolane 4054 2 1 0.027 0.490 0.259 1.276E-04

Lufenuron 5324 2 1 0.127 1.823 0.975 3.664E-04

Etoxazole 1601 1 1 0.439 0.439 0.439 2.741E-04

Fludioxonil 5324 1 1 10.773 10.773 10.773 2.024E-03

Terbufos 5324 1 1 0.115 0.115 0.115 2.153E-05

Thifluzamide 5324 1 1 0.090 0.090 0.090 1.690E-05

Imidacloprid 4054 23 - 0.024 1.590 0.366 2.076E-03

Bifenthrin 5324 13 - 0.009 0.478 0.144 3.522E-04

Methomyl 5324 9 - 0.014 0.449 0.179 3.020E-04

Iprodione 5324 5 - 0.057 9.489 3.255 3.056E-03

Pendimethalin 5324 5 - 0.050 0.157 0.093 8.758E-05

부록 / 151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상추

Tebufenozide 5324 5 - 0.172 0.943 0.497 4.663E-04

Acetamiprid 5324 4 - 0.135 0.900 0.489 3.674E-04

Fenitrothion 5324 4 - 0.003 0.027 0.015 1.119E-05

Thiamethoxam 5324 4 - 0.122 0.425 0.251 1.885E-04

Triflumizole 5324 4 - 0.025 0.993 0.376 2.824E-04

Cyhalothrin 5324 3 - 0.049 0.334 0.154 8.693E-05

Deltamethrin 5324 2 - 0.027 0.295 0.161 6.031E-05

Dichlofluanid 5324 2 - 1.476 2.359 1.917 7.202E-04

Methidathion 5324 2 - 0.012 0.043 0.027 1.031E-05

Methoxyfenozide 5324 2 - 0.496 2.583 1.540 5.785E-04

Tebuconazole 4054 2 - 0.153 0.273 0.213 1.051E-04

Bromacil 5324 1 - 0.015 0.015 0.015 2.761E-06

Cyflufenamid 1601 1 - 0.027 0.027 0.027 1.686E-05

Dimepiperate 5324 1 - 0.408 0.408 0.408 7.660E-05

Diniconazole 1601 1 - 0.100 0.100 0.100 6.246E-05

Fenazaquin 4054 1 - 0.024 0.024 0.024 5.895E-06

Fenbuconazole 5324 1 - 0.642 0.642 0.642 1.206E-04

Fenobucarb 5324 1 - 0.042 0.042 0.042 7.814E-06

Forchlorfenuron 5324 1 - 0.038 0.038 0.038 7.062E-06

Fosthiazate 1601 1 - 0.010 0.010 0.010 6.246E-06

Hexaconazole 5324 1 - 0.006 0.006 0.006 1.052E-06

Indoxacarb 1601 1 - 0.601 0.601 0.601 3.755E-04

Iprobenfos 4054 1 - 0.096 0.096 0.096 2.378E-05

Profenofos 5324 1 - 0.099 0.099 0.099 1.865E-05

Pyridalyl 1601 1 - 0.200 0.200 0.200 1.249E-04

Pyrimethanil 5324 1 - 0.045 0.045 0.045 8.396E-06

Tefluthrin 1601 1 - 0.048 0.048 0.048 2.998E-05

Thiazopyr 5324 1 - 0.008 0.008 0.008 1.503E-06

Vamidothion 5324 1 - 0.028 0.028 0.028 5.203E-06

Vinclozolin 5324 1 - 0.028 0.028 0.028 5.278E-06

세발나물Chlorpyrifos 6 1 1 0.210 0.210 0.210 3.500E-02

Vinclozolin 6 1 - 0.020 0.020 0.020 3.300E-03

셀러리

Methidathion 73 2 2 0.900 1.262 1.081 2.962E-02

Diazinon 73 7 1 0.033 0.664 0.142 1.359E-02

Chlorothalonil 73 3 1 0.015 17.927 6.214 2.554E-01

Chlorpyrifos 73 1 1 0.193 0.193 0.193 2.641E-03

Ethoprophos 73 1 1 0.181 0.181 0.181 2.477E-03

Procymidone 73 3 - 0.128 0.639 0.413 1.697E-02

Carbofuran 55 1 - 0.103 0.103 0.103 1.878E-03

Chlorfenapyr 73 1 - 0.274 0.274 0.274 3.756E-03

Flufenoxuron 73 1 - 0.362 0.362 0.362 4.952E-03

Trifloxystrobin 73 1 - 2.049 2.049 2.049 2.807E-02

수박Procymidone 72 5 - 0.003 0.247 0.085 5.871E-03

Chlorothalonil 72 1 - 0.051 0.051 0.051 7.097E-04

15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수박 Tetradifon 72 1 - 0.074 0.074 0.074 1.032E-03

순무 Endosulfan 1 1 - 0.040 0.040 0.040 4.010E-02

시금치

Endosulfan 2224 118 23 0.005 4.530 0.285 1.514E-02

Chlorpyrifos 2224 9 9 0.017 0.400 0.096 3.879E-04

Procymidone 2224 41 8 0.014 8.100 1.668 3.074E-02

Chlorothalonil 2224 23 5 0.011 57.900 7.146 7.390E-02

Azoxystrobin 2224 14 5 0.100 3.536 1.250 7.866E-03

Dimethomorph 2224 57 4 0.060 8.022 1.296 3.322E-02

Carbendazim 2224 8 4 0.372 2.800 1.280 4.605E-03

Flufenoxuron 2224 8 3 0.105 3.652 1.178 4.236E-03

Diethofencarb 2224 5 3 0.300 5.000 2.440 5.485E-03

Indoxacarb 678 5 3 0.039 1.298 0.549 4.051E-03

Cypermethrin 2224 26 2 0.054 10.481 0.940 1.099E-02

Terbufos 2224 5 2 0.005 0.132 0.038 8.503E-05

Metalaxyl 2224 3 2 0.020 3.517 2.272 3.065E-03

Thiamethoxam 2224 3 2 0.110 0.956 0.633 8.536E-04

Novaluron 1705 2 2 0.700 1.015 0.858 1.006E-03

Tebupirimfos 2224 2 2 0.030 0.066 0.048 4.286E-05

Boscalid 2224 8 1 0.148 15.879 2.740 9.854E-03

Flutolanil 2224 5 1 0.032 0.972 0.305 6.846E-04

Lufenuron 2224 3 1 0.193 1.055 0.495 6.681E-04

Fenitrothion 2224 2 1 0.057 0.787 0.422 3.795E-04

Methomyl 2224 2 1 0.120 1.403 0.762 6.850E-04

Cyazofamid 678 1 1 5.000 5.000 5.000 7.375E-03

Ethaboxam 678 1 1 5.072 5.072 5.072 7.481E-03

Kresoxim-methyl 2224 1 1 0.362 0.362 0.362 1.626E-04

Methabenzthiazuron 2224 1 1 0.268 0.268 0.268 1.203E-04

Oxadiazon 2224 1 1 0.429 0.429 0.429 1.928E-04

Pyrimethanil 2224 1 1 7.243 7.243 7.243 3.257E-03

Bifenthrin 2224 29 - 0.015 0.890 0.254 3.310E-03

Imidacloprid 1705 10 - 0.027 0.413 0.176 1.032E-03

Diazinon 2224 6 - 0.024 0.126 0.074 1.985E-04

Cyhalothrin 2224 5 - 0.025 0.300 0.172 3.876E-04

EPN 2224 4 - 0.019 0.097 0.057 1.017E-04

Fenpropathrin 2224 4 - 0.019 0.200 0.113 2.032E-04

Acetamiprid 2224 2 - 0.132 0.510 0.321 2.888E-04

Carbofuran 1705 2 - 0.052 0.086 0.069 8.076E-05

Dichlofluanid 2224 2 - 0.741 1.836 1.289 1.159E-03

Thiobencarb 1705 2 - 0.019 0.028 0.024 2.774E-05

Triflumizole 2224 2 - 0.019 0.036 0.028 2.482E-05

Butachlor 1546 1 - 0.012 0.012 0.012 7.439E-06

Chlorantraniliprole 678 1 - 0.287 0.287 0.287 4.227E-04

Chlorpyrifos-methyl 2224 1 - 0.100 0.100 0.100 4.496E-05

Diphenamid 1705 1 - 0.004 0.004 0.004 2.346E-06

부록 / 153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시금치

Fenvalerate 2224 1 - 0.193 0.193 0.193 8.678E-05

captafol 2224 2 - 0.036 0.660 0.348 3.129E-04

Fludioxonil 2224 1 - 0.384 0.384 0.384 1.728E-04

Hexaconazole 2224 1 - 0.016 0.016 0.016 7.149E-06

Iprodione 2224 1 - 7.942 7.942 7.942 3.571E-03

Methidathion 2224 1 - 0.028 0.028 0.028 1.277E-05

Methoxyfenozide 2224 1 - 0.640 0.640 0.640 2.876E-04

Tebufenozide 2224 1 - 0.397 0.397 0.397 1.786E-04

Thiodicarb 1705 1 - 0.134 0.134 0.134 7.859E-05

Tricyclazole 597 1 1 1.121 1.121 1.121 1.877E-03

Isoprothiolane 541 5 - 0.011 0.179 0.058 5.340E-04

Fenobucarb 597 4 - 0.016 0.119 0.047 3.134E-04

Hexaconazole 597 4 - 0.019 0.030 0.026 1.710E-04

EPN 597 2 - 0.018 0.032 0.025 8.258E-05

Diphenylamine 597 1 - 0.008 0.008 0.008 1.323E-05

Fthalide 597 1 - 0.008 0.008 0.008 1.390E-05

쌈채

Azoxystrobin 10 1 - 0.654 0.654 0.654 6.537E-02

Diazinon 10 1 - 0.030 0.030 0.030 3.000E-03

Endosulfan 10 1 - 0.100 0.100 0.100 1.000E-02

Methoxyfenozide 10 1 - 1.186 1.186 1.186 1.186E-01

Thiamethoxam 10 1 - 0.492 0.492 0.492 4.919E-02

쑥갓

Diazinon 1394 58 17 0.014 1.923 0.292 1.216E-02

Ethoprophos 1394 17 11 0.002 1.210 0.163 1.983E-03

Endosulfan 1394 16 8 0.008 6.300 0.719 8.251E-03

Chlorpyrifos 1394 5 5 0.037 1.143 0.311 1.115E-03

Dimethomorph 1394 21 4 0.382 7.392 1.717 2.587E-02

Procymidone 1394 14 2 0.041 15.000 2.566 2.577E-02

Carbendazim 1394 5 2 0.263 6.546 2.081 7.464E-03

Kresoxim-methyl 1394 2 2 0.354 8.917 4.636 6.651E-03

Chlorothalonil 1394 5 1 0.078 6.208 1.374 4.927E-03

Methidathion 1394 5 1 0.050 3.138 0.713 2.559E-03

Fenitrothion 1394 4 1 0.061 2.427 0.677 1.942E-03

Diethofencarb 1394 3 1 0.226 4.918 1.809 3.893E-03

Iprobenfos 1139 3 1 0.008 0.396 0.145 3.830E-04

Phenthoate 1394 3 1 0.039 2.130 0.768 1.652E-03

Trifluralin 1394 2 1 0.012 0.069 0.041 5.839E-05

Carbofuran 1139 1 1 0.247 0.247 0.247 2.164E-04

Flutolanil 1394 1 1 1.145 1.145 1.145 8.215E-04

Lufenuron 1394 1 1 0.662 0.662 0.662 4.748E-04

Metalaxyl 1394 1 1 0.677 0.677 0.677 4.854E-04

Tolclofos-methyl 1394 1 1 1.861 1.861 1.861 1.335E-03

Bifenthrin 1394 4 - 0.053 0.200 0.112 3.201E-04

Cypermethrin 1394 4 - 0.141 1.090 0.657 1.884E-03

Chlorfenapyr 1394 3 - 0.129 0.215 0.177 3.816E-04

15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쑥갓

Imidacloprid 1139 3 - 0.061 0.732 0.398 1.048E-03

Methiocarb 1394 3 - 0.013 0.021 0.016 3.415E-05

Methomyl 1394 3 - 0.020 0.403 0.224 4.829E-04

Azoxystrobin 1394 2 - 0.581 0.726 0.654 9.380E-04

Chlorpyrifos-methyl 1394 2 - 0.045 0.238 0.141 2.024E-04

Dicloran 1394 2 - 0.019 0.131 0.075 1.075E-04

Iprodione 1394 2 - 2.297 2.597 2.447 3.510E-03

Phorate 1139 2 - 0.004 0.045 0.024 4.223E-05

Terbufos 1394 2 - 0.008 0.036 0.022 3.149E-05

Acetamiprid 1394 1 - 0.300 0.300 0.300 2.152E-04

Bromacil 1394 1 - 0.068 0.068 0.068 4.878E-05

Cyflufenamid 487 1 - 0.074 0.074 0.074 1.528E-04

Diphenylamine 1394 1 - 1.242 1.242 1.242 8.910E-04

Fenamidone 1394 1 - 0.440 0.440 0.440 3.156E-04

Fenvalerate 1394 1 - 0.300 0.300 0.300 2.152E-04

Flufenoxuron 1394 1 - 0.425 0.425 0.425 3.049E-04

Hexaconazole 1394 1 - 0.749 0.749 0.749 5.371E-04

Oxadiazon 1394 1 - 0.033 0.033 0.033 2.346E-05

Simazine 1394 1 - 0.008 0.008 0.008 5.524E-06

Tebuconazole 1139 1 - 0.277 0.277 0.277 2.435E-04

Tebufenpyrad 1394 1 - 0.157 0.157 0.157 1.129E-04

Tefluthrin 487 1 - 0.021 0.021 0.021 4.271E-05

Thiamethoxam 1394 1 - 0.108 0.108 0.108 7.776E-05

Thiobencarb 1139 1 - 0.044 0.044 0.044 3.828E-05

Vamidothion 1394 1 - 0.084 0.084 0.084 6.011E-05

씀바귀 Endosulfan 11 1 - 0.100 0.100 0.100 9.091E-03

아욱

Endosulfan 482 27 2 0.005 5.347 0.324 1.814E-02

Cyhalothrin 482 2 1 0.027 0.461 0.244 1.012E-03

Chlorpyrifos 482 1 1 0.056 0.056 0.056 1.166E-04

Cypermethrin 482 4 - 0.086 0.691 0.299 2.483E-03

Diazinon 482 4 - 0.010 0.097 0.050 4.133E-04

Procymidone 482 4 - 0.033 1.558 0.509 4.226E-03

Azoxystrobin 482 3 - 0.143 0.914 0.413 2.573E-03

Chlorothalonil 482 2 - 0.044 3.500 1.772 7.353E-03

Imidacloprid 327 2 - 0.032 0.055 0.044 2.676E-04

Indoxacarb 130 2 - 0.020 0.134 0.077 1.185E-03

Bifenthrin 482 1 - 0.502 0.502 0.502 1.042E-03

Dimethomorph 482 1 - 0.300 0.300 0.300 6.224E-04

Fenvalerate 482 1 - 0.170 0.170 0.170 3.535E-04

Metalaxyl 482 1 - 0.028 0.028 0.028 5.871E-05

Methoxyfenozide 482 1 - 1.800 1.800 1.800 3.734E-03

Thiamethoxam 482 1 - 0.495 0.495 0.495 1.027E-03

Trifluralin 482 1 - 0.020 0.020 0.020 4.087E-05

양배추 Endosulfan 396 3 1 0.034 0.281 0.118 8.944E-04

부록 / 155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양배추

Diazinon 396 1 - 0.018 0.018 0.018 4.470E-05

Fenitrothion 396 1 - 0.024 0.024 0.024 5.985E-05

Teflubenzuron 396 1 - 0.028 0.028 0.028 7.096E-05

양상추

Dimethomorph 245 7 2 0.700 1.724 1.214 3.469E-02

Boscalid 245 1 1 2.900 2.900 2.900 1.184E-02

Procymidone 245 6 - 0.100 4.923 1.579 3.867E-02

Endosulfan 245 3 - 0.046 0.090 0.072 8.771E-04

Carbendazim 245 2 - 1.291 2.316 1.803 1.472E-02

Diethofencarb 245 2 - 0.169 1.910 1.040 8.486E-03

Azoxystrobin 245 1 - 0.442 0.442 0.442 1.806E-03

Chlorothalonil 245 1 - 0.203 0.203 0.203 8.282E-04

Cypermethrin 245 1 - 0.229 0.229 0.229 9.363E-04

Fenpropathrin 245 1 - 0.013 0.013 0.013 5.469E-05

Fenvalerate 245 1 - 0.112 0.112 0.112 4.580E-04

Folpet 245 1 - 0.427 0.427 0.427 1.742E-03

Hexaconazole 245 1 - 0.055 0.055 0.055 2.237E-04

Iprodione 245 1 - 1.395 1.395 1.395 5.693E-03

Metconazole 245 1 - 0.029 0.029 0.029 1.196E-04

Tebuconazole 189 1 - 0.162 0.162 0.162 8.550E-04

Thiamethoxam 245 1 - 0.196 0.196 0.196 8.000E-04

양송이버섯Endosulfan 56 2 1 0.019 0.059 0.039 1.393E-03

Prochloraz 56 2 - 0.087 0.129 0.108 3.850E-03

양파

Procymidone 299 3 - 0.052 0.111 0.082 8.194E-04

Chlorothalonil 299 1 - 0.010 0.010 0.010 3.344E-05

Chlorpyrifos 299 1 - 0.039 0.039 0.039 1.304E-04

오렌지

Chlorpyrifos 73 11 - 0.010 0.296 0.147 2.221E-02

Imazalil 73 9 - 0.020 0.618 0.210 2.592E-02

Azinphos-methyl 73 1 - 0.051 0.051 0.051 6.945E-04

Cyprodinil 73 1 - 0.072 0.072 0.072 9.795E-04

오미자

Chlorothalonil 4 1 - 0.253 0.253 0.253 6.330E-02

Cypermethrin 4 1 - 0.818 0.818 0.818 2.046E-01

Fenvalerate 4 1 - 1.233 1.233 1.233 3.082E-01

오이

Chlorothalonil 1579 131 8 0.006 4.376 0.349 2.892E-02

Methidathion 1579 5 3 0.012 0.210 0.106 3.353E-04

Methomyl 1579 8 1 0.013 0.336 0.085 4.307E-04

Dimethomorph 1579 6 1 0.042 0.521 0.211 8.014E-04

EPN 1579 1 1 0.160 0.160 0.160 1.014E-04

Procymidone 1579 94 - 0.008 1.100 0.176 1.049E-02

Endosulfan 1579 45 - 0.004 0.191 0.041 1.172E-03

Fludioxonil 1579 15 - 0.020 0.156 0.069 6.538E-04

Triflumizole 1579 10 - 0.031 0.336 0.106 6.712E-04

Boscalid 1579 8 - 0.011 0.300 0.190 9.635E-04

Iprodione 1579 7 - 0.071 1.021 0.637 2.824E-03

Metalaxyl 1579 6 - 0.016 0.260 0.104 3.968E-04

15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오이

Kresoxim-methyl 1579 5 - 0.008 0.100 0.042 1.329E-04

Azoxystrobin 1579 3 - 0.080 0.158 0.109 2.075E-04

Chlorfenapyr 1579 3 - 0.015 0.100 0.051 9.740E-05

Dichlofluanid 1579 3 - 0.016 0.144 0.086 1.643E-04

Diethofencarb 1579 3 - 0.016 0.177 0.112 2.128E-04

Chlorpyrifos 1579 2 - 0.018 0.035 0.026 3.325E-05

Fenarimol 1579 2 - 0.020 0.030 0.025 3.141E-05

Indoxacarb 442 2 - 0.033 0.400 0.217 9.801E-04

Thiazopyr 1579 2 - 0.010 0.012 0.011 1.381E-05

Vinclozolin 1579 2 - 0.018 0.062 0.040 5.047E-05

Carbaryl 1579 1 - 0.080 0.080 0.080 5.054E-05

Carbendazim 1579 1 - 0.387 0.387 0.387 2.453E-04

Carbofuran 1218 1 - 0.026 0.026 0.026 2.143E-05

Chinomethionat 1579 1 - 0.021 0.021 0.021 1.305E-05

Fosthiazate 442 1 - 0.005 0.005 0.005 1.109E-05

Imidacloprid 1218 1 - 0.068 0.068 0.068 5.616E-05

Metrafenone 442 1 - 0.148 0.148 0.148 3.342E-04

Nitrapyrin 1579 1 - 0.010 0.010 0.010 6.333E-06

Pyridaben 1579 1 - 0.008 0.008 0.008 4.940E-06

Pyridalyl 442 1 - 0.060 0.060 0.060 1.346E-04

Pyrimethanil 1579 1 - 0.351 0.351 0.351 2.225E-04

Thiamethoxam 1579 1 - 0.015 0.015 0.015 9.626E-06

우엉Endosulfan 22 1 - 0.004 0.004 0.004 1.864E-04

Heptachlor 22 1 - 0.003 0.003 0.003 1.273E-04

원추리 Alachlor 3 1 - 0.063 0.063 0.063 2.087E-02

유채Diazinon 20 1 - 0.100 0.100 0.100 5.000E-03

Endosulfan 20 1 - 0.145 0.145 0.145 7.260E-03

인삼

Tolclofos-methyl 412 91 2 0.005 5.394 0.151 3.327E-02

Fludioxonil 412 2 1 0.473 1.800 1.137 5.518E-03

Boscalid 412 2 - 0.237 0.258 0.248 1.202E-03

Quintozene 412 1 - 0.018 0.018 0.018 4.320E-05

자두

Bifenthrin 64 1 - 0.050 0.050 0.050 7.781E-04

Boscalid 64 1 - 0.065 0.065 0.065 1.013E-03

Chlorothalonil 64 1 - 0.191 0.191 0.191 2.991E-03

Chlorpyrifos 64 1 - 0.021 0.021 0.021 3.219E-04

Cypermethrin 64 1 - 0.130 0.130 0.130 2.036E-03

Endosulfan 64 1 - 0.034 0.034 0.034 5.375E-04

Fenpropathrin 64 1 - 0.010 0.010 0.010 1.531E-04

자몽

Imazalil 26 2 - 0.042 0.061 0.051 3.954E-03

Chlorpyrifos 26 1 - 0.040 0.040 0.040 1.531E-03

Phosmet 26 1 - 0.366 0.366 0.366 1.408E-02

참깨 Malathion 30 1 - 0.032 0.032 0.032 1.077E-03

참나물Procymidone 676 108 19 0.020 10.725 1.210 1.933E-01

Diazinon 676 19 8 0.013 1.216 0.246 6.904E-03

부록 / 157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참나물

Endosulfan 676 25 6 0.019 1.223 0.321 1.187E-02

Vinclozolin 676 14 2 0.020 3.431 0.582 1.205E-02

Terbufos 676 9 2 0.010 0.146 0.044 5.896E-04

Methidathion 676 3 2 0.026 6.800 2.464 1.093E-02

Phenthoate 676 2 2 0.286 0.293 0.290 8.565E-04

Chlorpyrifos-methyl 676 4 1 0.012 1.100 0.338 2.001E-03

Diethofencarb 676 4 1 0.428 5.595 2.027 1.199E-02

Ethoprophos 676 3 1 0.004 0.048 0.024 1.056E-04

Fenitrothion 676 3 1 0.020 6.972 2.350 1.043E-02

Flutolanil 676 3 1 0.032 7.308 2.498 1.109E-02

Chlorpyrifos 676 2 1 0.009 0.080 0.045 1.324E-04

Mepanipyrim 676 1 1 0.607 0.607 0.607 8.972E-04

Tebupirimfos 676 1 1 1.200 1.200 1.200 1.775E-03

Tricyclazole 676 1 1 1.414 1.414 1.414 2.091E-03

Iprodione 676 9 - 0.048 6.608 3.173 4.225E-02

Bifenthrin 676 3 - 0.060 0.180 0.127 5.636E-04

Imidacloprid 568 3 - 0.083 0.347 0.180 9.516E-04

Cypermethrin 676 2 - 0.173 0.473 0.323 9.553E-04

Dimethomorph 676 2 - 0.250 0.415 0.332 9.834E-04

Pendimethalin 676 2 - 0.017 0.058 0.037 1.108E-04

Azoxystrobin 676 1 - 0.095 0.095 0.095 1.411E-04

Carbendazim 676 1 - 0.086 0.086 0.086 1.277E-04

Chlorantraniliprole 212 1 - 0.924 0.924 0.924 4.359E-03

Chlorfenapyr 676 1 - 0.101 0.101 0.101 1.493E-04

Chlorothalonil 676 1 - 0.269 0.269 0.269 3.972E-04

Cyfluthrin 676 1 - 0.012 0.012 0.012 1.775E-05

Deltamethrin 676 1 - 0.041 0.041 0.041 6.036E-05

Dichlofluanid 676 1 - 0.070 0.070 0.070 1.036E-04

Fludioxonil 676 1 - 0.691 0.691 0.691 1.022E-03

Flufenoxuron 676 1 - 0.348 0.348 0.348 5.142E-04

Iprobenfos 568 1 - 0.100 0.100 0.100 1.761E-04

Isoprothiolane 568 1 - 0.226 0.226 0.226 3.977E-04

Kresoxim-methyl 676 1 - 0.004 0.004 0.004 5.917E-06

Parathion 676 1 - 0.047 0.047 0.047 6.953E-05

Phorate 568 1 - 0.014 0.014 0.014 2.500E-05

Probenazole 676 1 - 0.044 0.044 0.044 6.435E-05

Propoxur 676 1 - 0.006 0.006 0.006 9.024E-06

Tebufenozide 676 1 - 0.226 0.226 0.226 3.346E-04

Tebufenpyrad 676 1 - 0.166 0.166 0.166 2.457E-04

참외

Procymidone 184 21 - 0.002 0.083 0.039 4.499E-03

Endosulfan 184 16 - 0.005 0.114 0.033 2.911E-03

Chlorfenapyr 184 1 - 0.016 0.016 0.016 8.587E-05

Metalaxyl 184 1 - 0.012 0.012 0.012 6.413E-05

Methomyl 184 1 - 0.021 0.021 0.021 1.120E-04

15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참외 Vinclozolin 184 1 - 0.020 0.020 0.020 1.076E-04

청경채 Dimethomorph 255 4 1 0.200 1.517 0.715 1.121E-02

청경채

Diazinon 255 3 1 0.011 0.170 0.065 7.592E-04

Chlorpyrifos 255 1 1 0.055 0.055 0.055 2.157E-04

Pyrazophos 255 1 1 0.391 0.391 0.391 1.535E-03

Endosulfan 255 5 - 0.018 0.923 0.260 5.096E-03

Flufenoxuron 255 2 - 0.091 0.207 0.149 1.166E-03

Carbofuran 195 1 - 0.061 0.061 0.061 3.113E-04

Cyhalothrin 255 1 - 0.100 0.100 0.100 3.929E-04

Cypermethrin 255 1 - 0.236 0.236 0.236 9.251E-04

Flutolanil 255 1 - 0.075 0.075 0.075 2.945E-04

Lufenuron 255 1 - 0.192 0.192 0.192 7.529E-04

Methomyl 255 1 - 0.185 0.185 0.185 7.239E-04

Pyridalyl 74 1 - 0.789 0.789 0.789 1.066E-02

Triflumizole 255 1 - 0.020 0.020 0.020 7.725E-05

Vamidothion 255 1 - 0.023 0.023 0.023 9.020E-05

체리

Tebuconazole 22 5 - 0.022 0.121 0.074 1.692E-02

Cyhalothrin 22 1 - 0.002 0.002 0.002 1.045E-04

Myclobutanil 22 1 - 0.021 0.021 0.021 9.409E-04

Permethrin 22 1 - 0.062 0.062 0.062 2.818E-03

Triflumizole 22 1 - 0.016 0.016 0.016 7.136E-04

취나물

Chlorpyrifos 368 7 7 0.023 0.330 0.150 2.844E-03

Azoxystrobin 368 31 4 0.119 9.500 1.403 1.182E-01

Endosulfan 368 20 4 0.008 1.200 0.177 9.625E-03

EPN 368 8 3 0.024 1.830 0.522 1.135E-02

Pendimethalin 368 7 3 0.016 0.698 0.161 3.069E-03

Fenitrothion 368 3 3 0.298 4.700 2.114 1.724E-02

Ethoprophos 368 2 2 0.045 0.060 0.052 2.851E-04

Fludioxonil 368 2 2 0.129 0.306 0.218 1.182E-03

Pyraclostrobin 368 2 2 1.024 1.539 1.282 6.967E-03

Chlorothalonil 368 4 1 0.361 16.133 4.363 4.743E-02

Procymidone 368 3 1 0.132 0.613 0.311 2.531E-03

Diazinon 368 2 1 0.021 0.254 0.138 7.473E-04

Fosthiazate 159 1 1 0.670 0.670 0.670 4.213E-03

Lufenuron 368 1 1 0.727 0.727 0.727 1.974E-03

Mepanipyrim 368 1 1 2.214 2.214 2.214 6.015E-03

Methidathion 368 1 1 1.750 1.750 1.750 4.754E-03

Tolclofos-methyl 368 1 1 1.210 1.210 1.210 3.289E-03

Bifenthrin 368 8 - 0.067 1.794 0.652 1.417E-02

Cypermethrin 368 7 - 0.044 1.298 0.505 9.610E-03

Hexaconazole 368 5 - 0.014 1.256 0.325 4.416E-03

Myclobutanil 368 5 - 0.044 0.576 0.248 3.368E-03

Fenvalerate 368 3 - 0.185 0.754 0.378 3.082E-03

Flutolanil 368 3 - 0.281 0.673 0.489 3.983E-03

부록 / 159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취나물Chlorfenapyr 368 2 - 0.024 0.091 0.058 3.136E-04

Edifenphos 368 2 - 0.065 0.109 0.087 4.712E-04

취나물

Fenarimol 368 2 - 0.578 0.633 0.606 3.291E-03

Isoprothiolane 275 2 - 0.027 0.144 0.086 6.240E-04

Novaluron 275 2 - 0.771 2.327 1.549 1.126E-02

Pyridalyl 159 2 - 0.183 1.187 0.685 8.620E-03

Tebuconazole 275 2 - 0.353 1.745 1.049 7.632E-03

Carbendazim 368 1 - 0.139 0.139 0.139 3.769E-04

Deltamethrin 368 1 - 0.573 0.573 0.573 1.558E-03

Fenobucarb 368 1 - 0.012 0.012 0.012 3.234E-05

Imidacloprid 275 1 - 0.263 0.263 0.263 9.578E-04

Iprobenfos 275 1 - 0.105 0.105 0.105 3.822E-04

Iprodione 368 1 - 4.057 4.057 4.057 1.102E-02

Methiocarb 368 1 - 0.020 0.020 0.020 5.435E-05

Phorate 275 1 - 0.062 0.062 0.062 2.262E-04

치커리(잎)

Endosulfan 548 11 4 0.019 2.864 0.618 1.240E-02

Dimethomorph 548 5 1 0.190 1.000 0.551 5.030E-03

Diazinon 548 4 1 0.017 0.366 0.133 9.724E-04

Chlorothalonil 548 3 1 0.110 5.600 2.484 1.360E-02

Ethoprophos 548 3 1 0.009 0.131 0.055 2.995E-04

Fludioxonil 548 2 1 0.531 0.820 0.675 2.464E-03

Azoxystrobin 548 1 1 2.704 2.704 2.704 4.935E-03

Carbofuran 446 1 1 0.400 0.400 0.400 8.969E-04

Mepanipyrim 548 1 1 1.675 1.675 1.675 3.057E-03

Procymidone 548 10 - 0.036 2.232 0.485 8.854E-03

Boscalid 548 4 - 0.484 2.519 1.838 1.341E-02

Methomyl 548 2 - 0.057 0.100 0.078 2.859E-04

Tefluthrin 202 2 - 0.004 0.010 0.007 6.683E-05

Bifenthrin 548 1 - 0.132 0.132 0.132 2.405E-04

EPN 548 1 - 0.031 0.031 0.031 5.566E-05

Flutolanil 548 1 - 0.074 0.074 0.074 1.352E-04

Fthalide 548 1 - 0.655 0.655 0.655 1.195E-03

Imidacloprid 446 1 - 0.284 0.284 0.284 6.365E-04

케일

Diazinon 90 2 1 0.050 0.585 0.317 7.050E-03

Boscalid 90 2 - 0.317 1.800 1.059 2.352E-02

Chlorothalonil 90 2 - 0.268 1.048 0.658 1.462E-02

Fenvalerate 90 2 - 1.665 1.734 1.699 3.776E-02

Azoxystrobin 90 1 - 0.366 0.366 0.366 4.062E-03

Chlorpyrifos-methyl 90 1 - 0.010 0.010 0.010 1.111E-04

Diniconazole 21 1 - 0.013 0.013 0.013 6.095E-04

Endosulfan 90 1 - 0.010 0.010 0.010 1.111E-04

Methoxyfenozide 90 1 - 0.617 0.617 0.617 6.856E-03

콩나물콩 Endosulfan 58 4 - 0.015 0.042 0.030 2.086E-03

키위 Iprodione 106 3 - 0.176 0.913 0.489 1.384E-02

16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키위Procymidone 106 3 - 0.053 0.238 0.162 4.575E-03

Chlorpyrifos 109 1 - 0.019 0.019 0.019 1.743E-04

토란줄기 Iprobenfos 10 1 - 0.074 0.074 0.074 7.430E-03

토마토

Procymidone 458 21 - 0.023 0.767 0.139 6.396E-03

Fludioxonil 458 5 - 0.024 0.081 0.050 5.450E-04

Pyridaben 458 3 - 0.024 0.032 0.028 1.836E-04

Chlorothalonil 458 2 - 0.031 0.068 0.050 2.164E-04

Boscalid 458 1 - 0.277 0.277 0.277 6.057E-04

Diethofencarb 458 1 - 0.044 0.044 0.044 9.585E-05

Fenarimol 458 1 - 0.048 0.048 0.048 1.052E-04

Iprodione 458 1 - 0.063 0.063 0.063 1.380E-04

Triflumizole 458 1 - 0.046 0.046 0.046 1.009E-04

Vinclozolin 458 1 - 0.059 0.059 0.059 1.277E-04

Endosulfan 824 24 7 0.015 2.685 0.386 1.126E-02

Iprodione 824 7 7 0.513 4.742 2.182 1.854E-02

Metalaxyl 824 3 2 0.043 0.890 0.407 1.481E-03

Procymidone 824 22 1 0.078 13.100 1.341 3.580E-02

Azoxystrobin 824 3 1 0.073 3.300 1.462 5.323E-03

Dimethomorph 824 2 1 0.625 5.540 3.083 7.482E-03

Kresoxim-methyl 824 2 1 0.114 1.000 0.557 1.351E-03

Fenitrothion 824 1 1 0.124 0.124 0.124 1.501E-04

Fludioxonil 824 1 1 0.078 0.078 0.078 9.490E-05

Flufenoxuron 824 1 1 0.834 0.834 0.834 1.012E-03

Methabenzthiazuron 824 1 1 2.700 2.700 2.700 3.277E-03

Cypermethrin 824 16 - 0.055 2.962 0.757 1.471E-02

Pyrimethanil 824 6 - 0.129 1.700 0.540 3.932E-03

Chlorothalonil 824 5 - 0.049 0.302 0.157 9.528E-04

Carbofuran 678 4 - 0.100 0.445 0.223 1.314E-03

Bifenthrin 824 3 - 0.016 0.056 0.036 1.317E-04

EPN 824 2 - 0.022 0.089 0.056 1.353E-04

Flutolanil 824 2 - 0.030 0.044 0.037 8.871E-05

Indoxacarb 310 2 - 0.100 0.118 0.109 7.016E-04

Pendimethalin 824 2 - 0.056 0.180 0.118 2.856E-04

Alachlor 824 1 - 0.055 0.055 0.055 6.650E-05

Boscalid 824 1 - 0.341 0.341 0.341 4.136E-04

Chlorfenapyr 824 1 - 0.125 0.125 0.125 1.513E-04

Diethofencarb 824 1 - 0.059 0.059 0.059 7.184E-05

Ethoprophos 824 1 - 0.011 0.011 0.011 1.383E-05

Etofenprox 678 1 - 1.800 1.800 1.800 2.655E-03

Fenoxanil 824 1 - 0.210 0.210 0.210 2.549E-04

Fthalide 824 1 - 0.200 0.200 0.200 2.427E-04

Metconazole 824 1 - 0.318 0.318 0.318 3.864E-04

Metribuzin 824 1 - 0.008 0.008 0.008 9.709E-06

Phorate 678 1 - 0.011 0.011 0.011 1.563E-05

부록 / 161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Pyraclofos 310 1 - 0.017 0.017 0.017 5.452E-05

Pyraclostrobin 824 1 - 0.701 0.701 0.701 8.505E-04

Pyridalyl 310 1 - 0.300 0.300 0.300 9.677E-04

Tebuconazole 678 1 - 2.452 2.452 2.452 3.617E-03

Teflubenzuron 824 1 - 0.431 0.431 0.431 5.233E-04

Thiamethoxam 824 1 - 0.295 0.295 0.295 3.580E-04

Triflumizole 824 1 - 0.052 0.052 0.052 6.262E-05

파슬리Endosulfan 19 2 1 0.060 0.168 0.114 1.199E-02

Diazinon 19 2 - 0.056 0.068 0.062 6.495E-03

파인애플Triadimefon 51 3 - 0.099 0.360 0.208 1.225E-02

Prochloraz 51 1 - 0.051 0.051 0.051 1.002E-03

파프리카

Azoxystrobin 120 1 - 0.229 0.229 0.229 1.906E-03

Fenitrothion 120 1 - 0.320 0.320 0.320 2.667E-03

Procymidone 120 6 - 0.011 0.223 0.117 5.861E-03

Acetamiprid 120 2 - 0.321 0.392 0.357 5.946E-03

Chlorpyrifos 120 2 - 0.054 0.100 0.077 1.287E-03

Imidacloprid 101 2 - 0.050 0.374 0.212 4.197E-03

Chlorfenapyr 120 1 - 0.090 0.090 0.090 7.533E-04

Hexaconazole 120 1 - 0.161 0.161 0.161 1.345E-03

Hexaflumuron 120 1 - 0.161 0.161 0.161 1.341E-03

Methidathion 120 1 - 0.021 0.021 0.021 1.725E-04

Tebuconazole 101 1 - 0.178 0.178 0.178 1.757E-03

Tebufenpyrad 120 1 - 0.017 0.017 0.017 1.375E-04

팽이버섯 Carbendazim 170 1 - 0.364 0.364 0.364 2.144E-03

포도

Procymidone 390 28 - 0.008 0.845 0.109 7.814E-03

Cyprodinil 390 11 - 0.021 0.534 0.188 5.305E-03

Imidacloprid 348 9 - 0.029 0.302 0.128 3.305E-03

Boscalid 390 8 - 0.152 1.484 0.503 1.031E-02

Kresoxim-methyl 390 7 - 0.008 0.400 0.112 2.014E-03

Fludioxonil 390 6 - 0.020 0.682 0.228 3.505E-03

Iprodione 390 6 - 0.108 1.515 0.398 6.123E-03

Pyrimethanil 390 6 - 0.157 0.550 0.324 4.983E-03

Azoxystrobin 390 2 - 0.034 0.069 0.052 2.646E-04

Dimethomorph 390 1 - 0.181 0.181 0.181 4.649E-04

Fenoxanil 390 1 - 0.194 0.194 0.194 4.962E-04

Pyridaben 390 1 - 0.156 0.156 0.156 3.995E-04

Tetradifon 390 1 - 0.057 0.057 0.057 1.462E-04

표고버섯 Endosulfan 218 10 1 0.008 0.139 0.031 1.401E-03

풋마늘(마늘쫑)Chlorothalonil 17 1 - 0.248 0.248 0.248 1.458E-02

EPN 17 1 - 0.004 0.004 0.004 2.353E-04

피망

Endosulfan 171 1 1 0.224 0.224 0.224 1.310E-03

Carbofuran 132 1 - 0.053 0.053 0.053 4.030E-04

Procymidone 171 7 - 0.030 0.366 0.187 7.670E-03

Acetamiprid 171 2 - 0.067 0.200 0.134 1.563E-03

16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품목 검출성분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피망

Chlorpyrifos 171 2 - 0.054 0.083 0.068 7.982E-04

Methomyl 171 2 - 0.098 0.228 0.163 1.905E-03

Vinclozolin 171 2 - 0.021 0.106 0.064 7.439E-04

Chlorfenapyr 171 1 - 0.179 0.179 0.179 1.048E-03

Chlorothalonil 171 1 - 0.163 0.163 0.163 9.526E-04

Dimethomorph 171 1 - 0.228 0.228 0.228 1.335E-03

Triflumizole 171 1 - 0.030 0.030 0.030 1.754E-04

호박

Procymidone 1476 33 1 0.003 1.021 0.118 2.628E-03

Endosulfan 1476 152 - 0.007 0.150 0.037 3.843E-03

Triflumizole 1476 11 - 0.010 0.175 0.071 5.313E-04

Methomyl 1476 5 - 0.035 0.200 0.082 2.770E-04

Chlorothalonil 1476 4 - 0.002 0.300 0.104 2.812E-04

Heptachlor 1476 3 - 0.001 0.006 0.004 7.249E-06

Cyflufenamid 407 2 - 0.020 0.030 0.025 1.229E-04

Metalaxyl 1476 2 - 0.020 0.046 0.033 4.485E-05

Metrafenone 407 2 - 0.008 0.031 0.019 9.484E-05

Benzoxamate 1476 1 - 0.371 0.371 0.371 2.514E-04

Chlorfenapyr 1476 1 - 0.026 0.026 0.026 1.768E-05

Fenitrothion 1476 1 - 0.057 0.057 0.057 3.862E-05

Fludioxonil 1476 1 - 0.028 0.028 0.028 1.890E-05

Kresoxim-methyl 1476 1 - 0.004 0.004 0.004 2.710E-06

Methidathion 1476 1 - 0.064 0.064 0.064 4.316E-05

Nitrapyrin 1476 1 - 0.024 0.024 0.024 1.653E-05

Triadimefon 1476 1 - 0.068 0.068 0.068 4.573E-05

호박잎 Endosulfan 32 4 - 0.052 0.089 0.066 8.294E-03

2. 농약별 농산물 품목 검출내역

Administrator
새 스탬프

부록 / 165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Acetamiprid

가지 547 3 - 0.027 0.149 0.078 4.267E-04

고추 1504 27 - 0.041 0.800 0.279 5.007E-03

고춧잎 165 4 1 0.216 1.737 0.801 1.942E-02

근대 745 7 2 0.518 1.732 1.000 9.397E-03

돌나물 184 2 - 0.100 0.121 0.110 1.201E-03

들깻잎 1305 3 - 0.110 0.591 0.274 6.301E-04

배추 3114 1 - 0.220 0.220 0.220 7.065E-05

상추 5324 4 - 0.135 0.900 0.489 3.674E-04

시금치 2224 2 - 0.132 0.510 0.321 2.888E-04

쑥갓 1394 1 - 0.300 0.300 0.300 2.152E-04

파프리카 120 2 - 0.321 0.392 0.357 5.946E-03

피망 171 2 - 0.067 0.200 0.134 1.563E-03

Acrinathrin고추 1504 6 - 0.026 0.090 0.069 2.742E-04

고춧잎 165 2 2 0.592 2.337 1.465 1.775E-02

Alachlor원추리 3 1 - 0.063 0.063 0.063 2.087E-02

파 824 1 - 0.055 0.055 0.055 6.650E-05

Azinphos-methyl복숭아 164 1 - 0.016 0.016 0.016 9.451E-05

오렌지 73 1 - 0.051 0.051 0.051 6.945E-04

Azoxystrobin

고추 1504 8 - 0.144 0.892 0.395 2.099E-03

고춧잎 165 5 1 0.167 20.700 4.644 1.407E-01

근대 745 3 2 0.759 2.838 1.856 7.473E-03

당귀잎 12 1 - 1.704 1.704 1.704 1.420E-01

돌나물 184 3 1 0.148 0.389 0.245 4.000E-03

들깻잎 1305 20 3 0.214 11.304 1.865 2.859E-02

머위 54 1 1 4.900 4.900 4.900 9.074E-02

무(잎) 1826 1 1 4.171 4.171 4.171 2.284E-03

바나나 147 1 - 0.074 0.074 0.074 5.061E-04

배추 3114 25 6 0.067 2.232 0.590 4.737E-03

부추 425 1 1 0.351 0.351 0.351 8.261E-04

비름나물 155 16 6 0.100 3.030 0.813 8.396E-02

상추 5324 48 9 0.045 6.310 1.125 1.014E-02

2. 농약별 농산물 품목 검출내역

16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Azoxystrobin

시금치 2224 14 5 0.100 3.536 1.250 7.866E-03

쌈채 10 1 - 0.654 0.654 0.654 6.537E-02

쑥갓 1394 2 - 0.581 0.726 0.654 9.380E-04

아욱 482 3 - 0.143 0.914 0.413 2.573E-03

양상추 245 1 - 0.442 0.442 0.442 1.806E-03

오이 1579 3 - 0.080 0.158 0.109 2.075E-04

참나물 676 1 - 0.095 0.095 0.095 1.411E-04

취나물 368 31 4 0.119 9.500 1.403 1.182E-01

치커리(잎) 548 1 1 2.704 2.704 2.704 4.935E-03

케일 90 1 - 0.366 0.366 0.366 4.062E-03

파 824 3 1 0.073 3.300 1.462 5.323E-03

파프리카 120 1 - 0.229 0.229 0.229 1.906E-03

포도 390 2 - 0.034 0.069 0.052 2.646E-04

Bendiocarb 고추 1504 1 1 0.060 0.060 0.060 3.989E-05

Benzoxymate 호박 1476 1 - 0.371 0.371 0.371 2.514E-04

Bifenthrin

갓 125 2 - 0.027 0.045 0.036 5.792E-04

고추 1504 5 - 0.038 0.076 0.056 1.862E-04

고춧잎 165 4 - 0.007 0.800 0.236 5.728E-03

근대 745 4 - 0.045 0.203 0.110 5.926E-04

녹차 80 1 - 0.100 0.100 0.100 1.246E-03

대추 37 2 - 0.044 0.076 0.060 3.249E-03

들깻잎 1305 5 - 0.146 1.910 0.581 2.225E-03

머위 54 3 1 0.290 1.946 0.845 4.695E-02

무(잎) 1826 6 - 0.010 0.082 0.031 1.034E-04

밀감 290 1 - 0.020 0.020 0.020 6.793E-05

배추 3114 19 1 0.019 1.584 0.281 1.715E-03

사과 418 5 - 0.008 0.028 0.015 1.813E-04

상추 5324 13 - 0.009 0.478 0.144 3.522E-04

시금치 2224 29 - 0.015 0.890 0.254 3.310E-03

쑥갓 1394 4 - 0.053 0.200 0.112 3.201E-04

아욱 482 1 - 0.502 0.502 0.502 1.042E-03

자두 64 1 - 0.050 0.050 0.050 7.781E-04

부록 / 167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Bifenthrin

참나물 676 3 - 0.060 0.180 0.127 5.636E-04

취나물 368 8 - 0.067 1.794 0.652 1.417E-02

치커리(잎) 548 1 - 0.132 0.132 0.132 2.405E-04

파 824 3 - 0.016 0.056 0.036 1.317E-04

Boscalid

가지 547 2 1 0.200 0.524 0.362 1.324E-03

고추 1504 8 - 0.200 1.000 0.417 2.216E-03

고춧잎 165 1 1 10.530 10.530 10.530 6.382E-02

근대 745 1 - 1.044 1.044 1.044 1.401E-03

대추 37 1 - 0.661 0.661 0.661 1.786E-02

돌나물 184 4 1 0.496 2.523 1.169 2.541E-02

들깻잎 1305 4 - 0.232 4.707 1.691 5.182E-03

딸기 161 1 - 0.084 0.084 0.084 5.217E-04

무(잎) 1826 1 - 0.373 0.373 0.373 2.041E-04

배추 3114 1 - 0.800 0.800 0.800 2.569E-04

부추 425 1 - 0.195 0.195 0.195 4.576E-04

사과 418 1 - 0.100 0.100 0.100 2.392E-04

상추 5324 30 3 0.104 14.702 2.481 1.398E-02

시금치 2224 8 1 0.148 15.879 2.740 9.854E-03

양상추 245 1 1 2.900 2.900 2.900 1.184E-02

오이 1579 8 - 0.011 0.300 0.190 9.635E-04

인삼 412 2 - 0.237 0.258 0.248 1.202E-03

자두 64 1 - 0.065 0.065 0.065 1.013E-03

치커리(잎) 548 4 - 0.484 2.519 1.838 1.341E-02

케일 90 2 - 0.317 1.800 1.059 2.352E-02

토마토 458 1 - 0.277 0.277 0.277 6.057E-04

파 824 1 - 0.341 0.341 0.341 4.136E-04

포도 390 8 - 0.152 1.484 0.503 1.031E-02

Bromacil

고춧잎 165 1 - 0.023 0.023 0.023 1.370E-04

밀감 290 1 - 0.005 0.005 0.005 1.759E-05

상추 5324 1 - 0.015 0.015 0.015 2.761E-06

쑥갓 1394 1 - 0.068 0.068 0.068 4.878E-05

Butachlor 가지 404 1 - 0.026 0.026 0.026 6.510E-05

16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Butachlor

고추 1138 1 - 0.023 0.023 0.023 1.995E-05

배추 812 1 - 0.075 0.075 0.075 9.261E-05

시금치 1546 1 - 0.012 0.012 0.012 7.439E-06

Captafol시금치 2224 2 - 0.036 0.660 0.348 3.129E-04

배추 3114 1 - 0.604 0.604 0.604 1.939-E04

Captan 사과 418 1 - 0.170 0.170 0.170 4.057E-04

Carbaryl

고추 1504 1 - 0.021 0.021 0.021 1.390E-05

고춧가루 108 1 1 4.049 4.049 4.049 3.749E-02

무(잎) 1826 1 1 2.200 2.200 2.200 1.205E-03

밀감 290 3 1 0.166 0.688 0.379 3.919E-03

배 305 2 - 0.036 0.381 0.208 1.366E-03

배추 3114 1 1 3.977 3.977 3.977 1.277E-03

복숭아 164 1 - 0.039 0.039 0.039 2.396E-04

오이 1579 1 - 0.080 0.080 0.080 5.054E-05

Carbendazim

고추 1504 1 - 0.423 0.423 0.423 2.813E-04

고춧잎 165 8 6 0.520 7.254 3.194 1.549E-01

근대 745 2 1 0.500 4.214 2.357 6.328E-03

들깻잎 1305 11 2 0.471 14.056 3.853 3.248E-02

배추 3114 3 - 0.209 0.600 0.370 3.562E-04

부추 425 7 4 0.246 5.128 1.850 3.047E-02

사과 418 1 - 0.220 0.220 0.220 5.251E-04

상추 5324 13 3 0.110 12.554 3.130 7.642E-03

시금치 2224 8 4 0.372 2.800 1.280 4.605E-03

쑥갓 1394 5 2 0.263 6.546 2.081 7.464E-03

양상추 245 2 - 1.291 2.316 1.803 1.472E-02

오이 1579 1 - 0.387 0.387 0.387 2.453E-04

참나물 676 1 - 0.086 0.086 0.086 1.277E-04

취나물 368 1 - 0.139 0.139 0.139 3.769E-04

팽이버섯 170 1 - 0.364 0.364 0.364 2.144E-03

Carbofuran

고추 1099 3 - 0.061 0.105 0.089 2.416E-04

들깻잎 1080 5 2 0.031 0.353 0.159 7.346E-04

배추 2302 4 - 0.015 0.197 0.074 1.284E-04

부록 / 169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Carbofuran

복숭아 151 1 - 0.051 0.051 0.051 3.364E-04

부추 363 1 - 0.052 0.052 0.052 1.424E-04

비름나물 132 1 - 0.010 0.010 0.010 7.576E-05

상추 4054 3 1 0.053 6.600 2.243 1.660E-03

셀러리 55 1 - 0.103 0.103 0.103 1.878E-03

시금치 1705 2 - 0.052 0.086 0.069 8.076E-05

쑥갓 1139 1 1 0.247 0.247 0.247 2.164E-04

오이 1218 1 - 0.026 0.026 0.026 2.143E-05

청경채 195 1 - 0.061 0.061 0.061 3.113E-04

치커리(잎) 446 1 1 0.400 0.400 0.400 8.969E-04

파 678 4 - 0.100 0.445 0.223 1.314E-03

피망 132 1 - 0.053 0.053 0.053 4.030E-04

Carboxin 사과 418 1 - 0.163 0.163 0.163 3.895E-04

Chinomethionat 오이 1579 1 - 0.021 0.021 0.021 1.305E-05

Chlorantraniliprole

무(잎) 560 2 - 0.467 1.764 1.115 3.983E-03

비름나물 49 1 - 0.334 0.334 0.334 6.824E-03

시금치 678 1 - 0.287 0.287 0.287 4.227E-04

참나물 212 1 - 0.924 0.924 0.924 4.359E-03

Chlorfenapyr

고구마 295 1 - 0.012 0.012 0.012 4.068E-05

고들빼기 5 1 - 0.055 0.055 0.055 1.104E-02

고추 1504 24 - 0.023 0.602 0.186 2.962E-03

고춧잎 165 6 - 0.027 1.968 0.728 2.646E-02

녹차 80 5 - 0.039 0.140 0.078 4.901E-03

무(잎) 1826 3 - 0.012 0.181 0.068 1.119E-04

배 305 1 - 0.012 0.012 0.012 3.803E-05

배추 3114 4 - 0.011 0.429 0.128 1.639E-04

부추 425 2 - 0.177 0.488 0.333 1.566E-03

사과 418 1 - 0.011 0.011 0.011 2.703E-05

상추 5324 2 2 0.586 0.770 0.678 2.548E-04

셀러리 73 1 - 0.274 0.274 0.274 3.756E-03

쑥갓 1394 3 - 0.129 0.215 0.177 3.816E-04

오이 1579 3 - 0.015 0.100 0.051 9.740E-05

17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Chlorfenapyr

참나물 676 1 - 0.101 0.101 0.101 1.493E-04

참외 184 1 - 0.016 0.016 0.016 8.587E-05

취나물 368 2 - 0.024 0.091 0.058 3.136E-04

파 824 1 - 0.125 0.125 0.125 1.513E-04

파프리카 120 1 - 0.090 0.090 0.090 7.533E-04

피망 171 1 - 0.179 0.179 0.179 1.048E-03

호박 1476 1 - 0.026 0.026 0.026 1.768E-05

Chlorfenvinphos 복숭아 164 1 - 0.151 0.151 0.151 9.207E-04

Chlorothalonil

가지 547 5 - 0.030 0.164 0.069 6.263E-04

겨자채 86 1 - 0.170 0.170 0.170 1.976E-03

고추 1504 34 - 0.013 2.403 0.422 9.544E-03

고춧가루 108 1 - 0.053 0.053 0.053 4.935E-04

고춧잎 165 13 1 0.050 4.720 1.324 1.043E-01

구기자 5 2 - 0.112 2.579 1.346 5.383E-01

근대 745 8 2 0.047 25.600 4.105 4.408E-02

당근 182 1 - 0.019 0.019 0.019 1.049E-04

대추 37 2 - 0.051 0.510 0.280 1.516E-02

들깻잎 1305 8 1 0.034 17.900 2.997 1.837E-02

머위 54 1 - 0.569 0.569 0.569 1.054E-02

멜론 97 2 - 0.026 0.110 0.068 1.405E-03

무(잎) 1826 8 1 0.056 33.337 4.986 2.184E-02

미나리 357 1 - 0.605 0.605 0.605 1.696E-03

밀감 290 1 - 0.088 0.088 0.088 3.048E-04

배추 3114 15 3 0.097 19.891 4.173 2.010E-02

복숭아 164 1 - 0.206 0.206 0.206 1.258E-03

부추 425 3 1 0.073 5.898 2.019 1.425E-02

비름나물 155 2 - 0.099 3.110 1.604 2.070E-02

비트 8 1 - 0.005 0.005 0.005 6.250E-04

사과 418 15 - 0.023 1.018 0.274 9.830E-03

상추 5324 24 4 0.010 46.545 5.986 2.698E-02

셀러리 73 3 1 0.015 17.927 6.214 2.554E-01

수박 72 1 - 0.051 0.051 0.051 7.097E-04

부록 / 171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Chlorothalonil

시금치 2224 23 5 0.011 57.900 7.146 7.390E-02

쑥갓 1394 5 1 0.078 6.208 1.374 4.927E-03

아욱 482 2 - 0.044 3.500 1.772 7.353E-03

양상추 245 1 - 0.203 0.203 0.203 8.282E-04

양파 299 1 - 0.010 0.010 0.010 3.344E-05

오미자 4 1 - 0.253 0.253 0.253 6.330E-02

오이 1579 131 8 0.006 4.376 0.349 2.892E-02

자두 64 1 - 0.191 0.191 0.191 2.991E-03

참나물 676 1 - 0.269 0.269 0.269 3.972E-04

취나물 368 4 1 0.361 16.133 4.363 4.743E-02

치커리(잎) 548 3 1 0.110 5.600 2.484 1.360E-02

케일 90 2 - 0.268 1.048 0.658 1.462E-02

토마토 458 2 - 0.031 0.068 0.050 2.164E-04

파 824 5 - 0.049 0.302 0.157 9.528E-04

풋마늘(마늘쫑) 17 1 - 0.248 0.248 0.248 1.458E-02

피망 171 1 - 0.163 0.163 0.163 9.526E-04

호박 1476 4 - 0.002 0.300 0.104 2.812E-04

Chlorpyrifos

감자 304 1 - 0.017 0.017 0.017 5.658E-05

고추 1504 29 - 0.019 0.351 0.112 2.152E-03

고춧가루 108 18 - 0.038 0.623 0.223 3.719E-02

고춧잎 165 2 2 0.452 0.468 0.460 5.573E-03

구기자 5 1 - 0.129 0.129 0.129 2.570E-02

근대 745 2 2 0.174 0.376 0.275 7.387E-04

냉이 82 1 - 0.010 0.010 0.010 1.159E-04

녹차 80 1 - 0.080 0.080 0.080 1.000E-03

달래 30 1 1 0.170 0.170 0.170 5.657E-03

당귀잎 12 1 1 3.059 3.059 3.059 2.549E-01

당근 182 2 - 0.083 0.087 0.085 9.335E-04

대추 37 5 - 0.087 0.577 0.229 3.098E-02

들깻잎 1305 11 10 0.036 0.326 0.139 1.171E-03

머위 54 2 1 0.005 0.095 0.050 1.852E-03

멜론 97 1 - 0.052 0.052 0.052 5.330E-04

17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Chlorpyrifos

무(뿌리) 294 1 - 0.079 0.079 0.079 2.677E-04

무(잎) 1826 3 2 0.060 1.670 0.610 1.002E-03

밀감 290 19 - 0.009 0.177 0.059 3.880E-03

바나나 147 6 - 0.003 0.024 0.014 5.789E-04

배 305 13 - 0.004 0.048 0.020 8.695E-04

배추 3114 6 - 0.010 0.076 0.028 5.417E-05

복숭아 164 14 - 0.003 0.300 0.055 4.699E-03

부추 425 1 1 0.100 0.100 0.100 2.353E-04

비름나물 155 1 1 0.316 0.316 0.316 2.035E-03

사과 418 20 - 0.004 0.107 0.032 1.540E-03

상추 5324 20 16 0.004 0.402 0.074 2.779E-04

세발나물 6 1 1 0.210 0.210 0.210 3.500E-02

셀러리 73 1 1 0.193 0.193 0.193 2.641E-03

시금치 2224 9 9 0.017 0.400 0.096 3.879E-04

쑥갓 1394 5 5 0.037 1.143 0.311 1.115E-03

아욱 482 1 1 0.056 0.056 0.056 1.166E-04

양파 299 1 - 0.039 0.039 0.039 1.304E-04

오렌지 73 11 - 0.010 0.296 0.147 2.221E-02

오이 1579 2 - 0.018 0.035 0.026 3.325E-05

자두 64 1 - 0.021 0.021 0.021 3.219E-04

자몽 26 1 - 0.040 0.040 0.040 1.531E-03

참나물 676 2 1 0.009 0.080 0.045 1.324E-04

청경채 255 1 1 0.055 0.055 0.055 2.157E-04

취나물 368 7 7 0.023 0.330 0.150 2.844E-03

키위 109 1 - 0.019 0.019 0.019 1.743E-04

파프리카 120 2 - 0.054 0.100 0.077 1.287E-03

피망 171 2 - 0.054 0.083 0.068 7.982E-04

Chlorpyrifos-methyl

들깻잎 1305 1 - 0.245 0.245 0.245 1.876E-04

시금치 2224 1 - 0.100 0.100 0.100 4.496E-05

쑥갓 1394 2 - 0.045 0.238 0.141 2.024E-04

참나물 676 4 1 0.012 1.100 0.338 2.001E-03

케일 90 1 - 0.010 0.010 0.010 1.111E-04

부록 / 173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Cyazofamid 시금치 678 1 1 5.000 5.000 5.000 7.375E-03

Cyflufenamid고추 356 1 - 0.029 0.029 0.029 8.174E-05

상추 1601 1 - 0.027 0.027 0.027 1.686E-05

Cyflufenamid쑥갓 487 1 - 0.074 0.074 0.074 1.528E-04

호박 407 2 - 0.020 0.030 0.025 1.229E-04

Cyfluthrin 참나물 676 1 - 0.012 0.012 0.012 1.775E-05

Cyhalothrin

고추 1504 5 - 0.005 0.309 0.075 2.480E-04

고춧잎 165 4 - 0.037 0.232 0.102 2.478E-03

근대 745 2 - 0.055 0.277 0.166 4.462E-04

녹차 80 3 - 0.048 0.300 0.186 6.981E-03

들깻잎 1305 1 1 0.652 0.652 0.652 4.998E-04

모과 6 1 - 0.004 0.004 0.004 7.333E-04

무(잎) 1826 9 - 0.028 0.441 0.104 5.107E-04

바나나 147 1 - 0.120 0.120 0.120 8.143E-04

배추 3114 6 - 0.032 0.200 0.119 2.293E-04

복숭아 164 1 - 0.005 0.005 0.005 3.049E-05

부추 425 1 - 0.179 0.179 0.179 4.219E-04

사과 418 1 - 0.012 0.012 0.012 2.967E-05

상추 5324 3 - 0.049 0.334 0.154 8.693E-05

시금치 2224 5 - 0.025 0.300 0.172 3.876E-04

아욱 482 2 1 0.027 0.461 0.244 1.012E-03

청경채 255 1 - 0.100 0.100 0.100 3.929E-04

체리 22 1 - 0.002 0.002 0.002 1.045E-04

Cypermethrin

갓 125 1 - 0.075 0.075 0.075 6.016E-04

겨자채 86 1 - 0.679 0.679 0.679 7.897E-03

고추 1504 7 - 0.044 0.400 0.222 1.032E-03

고춧가루 108 3 - 0.341 0.938 0.641 1.780E-02

고춧잎 165 14 1 0.056 3.203 0.702 5.956E-02

근대 745 7 2 0.068 2.261 0.848 7.967E-03

대추 37 4 - 0.074 0.653 0.329 3.552E-02

돌나물 184 1 - 0.044 0.044 0.044 2.408E-04

들깻잎 1305 76 1 0.028 5.100 1.284 7.477E-02

17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Cypermethrin

머위 54 1 - 0.911 0.911 0.911 1.686E-02

모과 6 1 - 0.012 0.012 0.012 2.050E-03

무(잎) 1826 4 - 0.390 1.430 0.704 1.543E-03

밀감 290 1 - 0.025 0.025 0.025 8.552E-05

배추 3114 17 2 0.045 11.550 1.440 7.862E-03

복숭아 164 1 - 0.170 0.170 0.170 1.038E-03

부추 425 6 1 0.061 1.042 0.421 5.941E-03

사과 418 1 - 0.063 0.063 0.063 1.512E-04

상추 5324 14 1 0.031 2.239 0.555 1.459E-03

시금치 2224 26 2 0.054 10.481 0.940 1.099E-02

쑥갓 1394 4 - 0.141 1.090 0.657 1.884E-03

아욱 482 4 - 0.086 0.691 0.299 2.483E-03

양상추 245 1 - 0.229 0.229 0.229 9.363E-04

오미자 4 1 - 0.818 0.818 0.818 2.046E-01

자두 64 1 - 0.130 0.130 0.130 2.036E-03

참나물 676 2 - 0.173 0.473 0.323 9.553E-04

청경채 255 1 - 0.236 0.236 0.236 9.251E-04

취나물 368 7 - 0.044 1.298 0.505 9.610E-03

파 824 16 - 0.055 2.962 0.757 1.471E-02

Cyprodinil

고추 1504 1 - 0.083 0.083 0.083 5.492E-05

오렌지 73 1 - 0.072 0.072 0.072 9.795E-04

포도 390 11 - 0.021 0.534 0.188 5.305E-03

Deltamethrin

고춧잎 165 1 - 0.482 0.482 0.482 2.918E-03

배 305 2 - 0.034 0.039 0.036 2.370E-04

부추 425 1 - 0.043 0.043 0.043 1.007E-04

상추 5324 2 - 0.027 0.295 0.161 6.031E-05

참나물 676 1 - 0.041 0.041 0.041 6.036E-05

취나물 368 1 - 0.573 0.573 0.573 1.558E-03

Diazinon

갓 125 3 1 0.014 0.357 0.151 3.626E-03

겨자채 86 2 1 0.030 0.254 0.142 3.295E-03

고추 1504 7 - 0.008 0.092 0.053 2.445E-04

고춧잎 165 1 - 0.057 0.057 0.057 3.479E-04

부록 / 175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Diazinon

근대 745 6 3 0.023 2.701 0.560 4.513E-03

돌나물 184 1 - 0.021 0.021 0.021 1.120E-04

들깻잎 1305 4 3 0.032 1.901 0.649 1.989E-03

마늘 85 1 - 0.065 0.065 0.065 7.600E-04

무(뿌리) 294 1 - 0.021 0.021 0.021 7.007E-05

무(잎) 1826 13 6 0.010 2.237 0.420 2.988E-03

밀감 290 2 - 0.048 0.084 0.066 4.559E-04

배추 3114 31 8 0.012 1.374 0.166 1.657E-03

부추 425 3 2 0.005 1.144 0.548 3.867E-03

상추 5324 14 1 0.004 0.540 0.068 1.777E-04

셀러리 73 7 1 0.033 0.664 0.142 1.359E-02

시금치 2224 6 - 0.024 0.126 0.074 1.985E-04

쌈채 10 1 - 0.030 0.030 0.030 3.000E-03

쑥갓 1394 58 17 0.014 1.923 0.292 1.216E-02

아욱 482 4 - 0.010 0.097 0.050 4.133E-04

양배추 396 1 - 0.018 0.018 0.018 4.470E-05

유채 20 1 - 0.100 0.100 0.100 5.000E-03

참나물 676 19 8 0.013 1.216 0.246 6.904E-03

청경채 255 3 1 0.011 0.170 0.065 7.592E-04

취나물 368 2 1 0.021 0.254 0.138 7.473E-04

치커리(잎) 548 4 1 0.017 0.366 0.133 9.724E-04

케일 90 2 1 0.050 0.585 0.317 7.050E-03

파슬리 19 2 - 0.056 0.068 0.062 6.495E-03

Dichlofluanid

배추 3114 1 - 1.252 1.252 1.252 4.019E-04

상추 5324 2 - 1.476 2.359 1.917 7.202E-04

시금치 2224 2 - 0.741 1.836 1.289 1.159E-03

오이 1579 3 - 0.016 0.144 0.086 1.643E-04

참나물 676 1 - 0.070 0.070 0.070 1.036E-04

Dichlorvos 들깻잎 621 1 - 0.100 0.100 0.100 1.610E-04

Dicloran 쑥갓 1394 2 - 0.019 0.131 0.075 1.075E-04

Dicofol무(잎) 1826 3 - 0.093 0.698 0.488 8.016E-04

밀감 290 13 2 0.020 2.883 0.606 2.717E-02

17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Dicofol배추 3114 3 - 0.111 0.244 0.181 1.748E-04

브로콜리 393 9 - 0.052 0.726 0.304 6.951E-03

Diethofencarb 고추 1504 3 - 0.034 0.219 0.136 2.705E-04

Diethofencarb

고춧잎 165 1 - 1.000 1.000 1.000 6.061E-03

근대 745 4 2 0.800 4.965 2.898 1.556E-02

들깻잎 1305 17 - 0.020 4.293 0.977 1.273E-02

부추 425 1 - 0.408 0.408 0.408 9.588E-04

시금치 2224 5 3 0.300 5.000 2.440 5.485E-03

쑥갓 1394 3 1 0.226 4.918 1.809 3.893E-03

양상추 245 2 - 0.169 1.910 1.040 8.486E-03

오이 1579 3 - 0.016 0.177 0.112 2.128E-04

참나물 676 4 1 0.428 5.595 2.027 1.199E-02

토마토 458 1 - 0.044 0.044 0.044 9.585E-05

파 824 1 - 0.059 0.059 0.059 7.184E-05

Dimepiperate 상추 5324 1 - 0.408 0.408 0.408 7.660E-05

Dimethomorph

겨자채 86 2 2 1.280 8.438 4.859 1.130E-01

고추 1504 3 2 0.400 1.173 0.802 1.600E-03

고춧잎 165 4 2 0.600 14.582 4.457 1.080E-01

근대 745 9 3 0.218 4.475 1.470 1.776E-02

들깻잎 1305 12 - 0.356 4.588 1.498 1.377E-02

무(잎) 1826 5 1 0.479 3.119 1.165 3.191E-03

배추 3114 118 8 0.060 3.248 0.660 2.501E-02

부추 425 2 - 0.726 0.900 0.813 3.825E-03

상추 5324 82 3 0.133 8.217 2.027 3.122E-02

시금치 2224 57 4 0.060 8.022 1.296 3.322E-02

쑥갓 1394 21 4 0.382 7.392 1.717 2.587E-02

아욱 482 1 - 0.300 0.300 0.300 6.224E-04

양상추 245 7 2 0.700 1.724 1.214 3.469E-02

오이 1579 6 1 0.042 0.521 0.211 8.014E-04

참나물 676 2 - 0.250 0.415 0.332 9.834E-04

청경채 255 4 1 0.200 1.517 0.715 1.121E-02

치커리(잎) 548 5 1 0.190 1.000 0.551 5.030E-03

부록 / 177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Dimethomorph

파 824 2 1 0.625 5.540 3.083 7.482E-03

포도 390 1 - 0.181 0.181 0.181 4.649E-04

피망 171 1 - 0.228 0.228 0.228 1.335E-03

Diniconazole

고추 356 1 - 0.030 0.030 0.030 8.427E-05

근대 234 1 - 0.025 0.025 0.025 1.060E-04

들깻잎 621 4 - 0.018 0.057 0.034 2.221E-04

무(잎) 560 4 1 0.010 0.386 0.193 1.378E-03

배추 900 5 - 0.006 0.187 0.103 5.724E-04

상추 1601 1 - 0.100 0.100 0.100 6.246E-05

케일 21 1 - 0.013 0.013 0.013 6.095E-04

Diphenamid 시금치 1705 1 - 0.004 0.004 0.004 2.346E-06

Diphenylamine

미나리 357 1 - 0.040 0.040 0.040 1.126E-04

배추 3114 1 - 0.004 0.004 0.004 1.285E-06

쌀 597 1 - 0.008 0.008 0.008 1.323E-05

쑥갓 1394 1 - 1.242 1.242 1.242 8.910E-04

Edifenphos들깻잎 1305 1 - 0.092 0.092 0.092 7.027E-05

취나물 368 2 - 0.065 0.109 0.087 4.712E-04

Endosulfan

가지 547 2 - 0.008 0.025 0.016 5.996E-05

감자 304 6 1 0.010 0.164 0.046 9.082E-04

갓 125 5 2 0.008 0.684 0.211 8.430E-03

검정콩 50 2 - 0.015 0.028 0.022 8.620E-04

겨자채 86 6 - 0.011 0.747 0.189 1.318E-02

고구마 295 2 - 0.012 0.014 0.013 8.542E-05

고들빼기 5 1 - 0.037 0.037 0.037 7.380E-03

고추 1504 15 3 0.014 0.921 0.145 1.451E-03

고춧가루 108 14 3 0.072 1.375 0.286 3.711E-02

고춧잎 165 9 4 0.024 19.436 2.652 1.447E-01

근대 745 53 14 0.008 7.694 0.435 3.098E-02

금귤 6 1 - 0.640 0.640 0.640 1.067E-01

기타콩류 58 4 - 0.015 0.042 0.030 2.086E-03

냉이 82 18 2 0.005 0.312 0.086 1.896E-02

녹두 15 3 - 0.010 0.047 0.023 4.627E-03

17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Endosulfan

다청채 5 1 - 0.100 0.100 0.100 2.000E-02

달래 30 1 - 0.020 0.020 0.020 6.567E-04

당귀잎 12 1 - 0.410 0.410 0.410 3.417E-02

당근 182 3 - 0.070 0.130 0.100 1.650E-03

대두 54 2 - 0.021 0.027 0.024 8.963E-04

대추 37 1 - 0.109 0.109 0.109 2.951E-03

더덕 12 1 - 0.053 0.053 0.053 4.375E-03

돌나물 184 3 - 0.006 0.020 0.013 2.158E-04

들깻잎 1305 34 5 0.010 2.276 0.269 7.005E-03

딸기 161 10 - 0.010 0.072 0.039 2.445E-03

머위 54 4 2 0.100 2.919 0.873 6.468E-02

멜론 97 2 1 0.115 0.162 0.139 2.858E-03

무(뿌리) 294 12 1 0.004 0.482 0.078 3.186E-03

무(잎) 1826 62 7 0.010 0.838 0.104 3.534E-03

미나리 357 3 1 0.015 1.900 0.647 5.439E-03

방풍나물 3 1 - 0.088 0.088 0.088 2.927E-02

배 305 1 - 0.057 0.057 0.057 1.859E-04

배추 3114 84 9 0.001 2.204 0.182 4.899E-03

복숭아 164 2 - 0.009 0.043 0.026 3.122E-04

부추 425 10 1 0.004 3.327 0.370 8.714E-03

비름나물 155 2 - 0.066 0.073 0.069 8.955E-04

비타민 28 1 - 0.005 0.005 0.005 1.750E-04

상추 5324 189 41 0.001 6.428 0.295 1.049E-02

순무 1 1 - 0.040 0.040 0.040 4.010E-02

시금치 2224 118 23 0.005 4.530 0.285 1.514E-02

쌈채 10 1 - 0.100 0.100 0.100 1.000E-02

쑥갓 1394 16 8 0.008 6.300 0.719 8.251E-03

씀바귀 11 1 - 0.100 0.100 0.100 9.091E-03

아욱 482 27 2 0.005 5.347 0.324 1.814E-02

양배추 396 3 1 0.034 0.281 0.118 8.944E-04

양상추 245 3 - 0.046 0.090 0.072 8.771E-04

양송이버섯 56 2 1 0.019 0.059 0.039 1.393E-03

부록 / 179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Endosulfan

오이 1579 45 - 0.004 0.191 0.041 1.172E-03

우엉 22 1 - 0.004 0.004 0.004 1.864E-04

유채 20 1 - 0.145 0.145 0.145 7.260E-03

자두 64 1 - 0.034 0.034 0.034 5.375E-04

참나물 676 25 6 0.019 1.223 0.321 1.187E-02

참외 184 16 - 0.005 0.114 0.033 2.911E-03

청경채 255 5 - 0.018 0.923 0.260 5.096E-03

취나물 368 20 4 0.008 1.200 0.177 9.625E-03

치커리(잎) 548 11 4 0.019 2.864 0.618 1.240E-02

케일 90 1 - 0.010 0.010 0.010 1.111E-04

파 824 24 7 0.015 2.685 0.386 1.126E-02

파슬리 19 2 1 0.060 0.168 0.114 1.199E-02

표고버섯 218 10 1 0.008 0.139 0.031 1.401E-03

피망 171 1 1 0.224 0.224 0.224 1.310E-03

호박 1476 152 - 0.007 0.150 0.037 3.843E-03

호박잎 32 4 - 0.052 0.089 0.066 8.294E-03

EPN

감 166 2 - 0.056 0.081 0.069 8.283E-04

고추 1504 2 1 0.010 2.298 1.154 1.534E-03

고춧잎 165 3 1 0.008 1.899 0.669 1.217E-02

당근 182 1 - 0.050 0.050 0.050 2.753E-04

들깻잎 1305 5 3 0.030 3.800 1.332 5.104E-03

모과 6 1 - 0.053 0.053 0.053 8.817E-03

밀감 290 8 3 0.011 0.411 0.145 3.993E-03

배 305 2 - 0.011 0.012 0.011 7.246E-05

배추 3114 1 - 0.093 0.093 0.093 2.970E-05

복숭아 164 1 1 0.173 0.173 0.173 1.057E-03

부추 425 2 1 0.042 0.370 0.206 9.692E-04

상추 5324 3 1 0.017 0.160 0.065 3.680E-05

시금치 2224 4 - 0.019 0.097 0.057 1.017E-04

쌀 597 2 - 0.018 0.032 0.025 8.258E-05

오이 1579 1 1 0.160 0.160 0.160 1.014E-04

취나물 368 8 3 0.024 1.830 0.522 1.135E-02

18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EPN

치커리(잎) 548 1 - 0.031 0.031 0.031 5.566E-05

파 824 2 - 0.022 0.089 0.056 1.353E-04

풋마늘(마늘쫑) 17 1 - 0.004 0.004 0.004 2.353E-04

Ethaboxam배추 900 1 - 0.784 0.784 0.784 8.710E-04

시금치 678 1 1 5.072 5.072 5.072 7.481E-03

Ethiofencarb 고추 1504 1 - 0.107 0.107 0.107 7.088E-05

Ethion 고추 1504 1 - 0.183 0.183 0.183 1.218E-04

Ethoprophos

고들빼기 5 1 - 0.007 0.007 0.007 1.320E-03

고추 1504 6 2 0.003 0.241 0.053 2.130E-04

고춧잎 165 3 2 0.013 0.048 0.035 6.406E-04

근대 745 5 2 0.006 0.042 0.021 1.401E-04

달래 30 1 1 0.217 0.217 0.217 7.230E-03

들깻잎 1305 6 5 0.014 1.092 0.347 1.597E-03

머위 54 2 1 0.013 0.414 0.213 7.906E-03

미나리 357 1 - 0.004 0.004 0.004 1.036E-05

비름나물 155 1 - 0.005 0.005 0.005 3.484E-05

상추 5324 5 5 0.050 0.229 0.171 1.606E-04

셀러리 73 1 1 0.181 0.181 0.181 2.477E-03

쑥갓 1394 17 11 0.002 1.210 0.163 1.983E-03

참나물 676 3 1 0.004 0.048 0.024 1.056E-04

취나물 368 2 2 0.045 0.060 0.052 2.851E-04

치커리(잎) 548 3 1 0.009 0.131 0.055 2.995E-04

파 824 1 - 0.011 0.011 0.011 1.383E-05

Etofenprox

고춧잎 146 1 - 1.518 1.518 1.518 1.040E-02

근대 583 1 1 3.094 3.094 3.094 5.307E-03

배추 2302 1 - 1.401 1.401 1.401 6.084E-04

파 678 1 - 1.800 1.800 1.800 2.655E-03

Etoxazole 상추 1601 1 1 0.439 0.439 0.439 2.741E-04

Etrimfos배추 3114 6 - 0.030 0.107 0.058 1.108E-04

사과 418 1 - 0.018 0.018 0.018 4.211E-05

Fenamidone고춧잎 165 1 - 0.026 0.026 0.026 1.552E-04

배추 3114 1 - 0.378 0.378 0.378 1.214E-04

부록 / 181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Fenamidone 쑥갓 1394 1 - 0.440 0.440 0.440 3.156E-04

Fenamiphos 고추 1138 1 - 0.037 0.037 0.037 3.234E-05

Fenarimol 고추 1504 1 - 0.058 0.058 0.058 3.883E-05

Fenarimol

들깻잎 1305 1 - 0.520 0.520 0.520 3.988E-04

무(잎) 1826 1 - 0.100 0.100 0.100 5.476E-05

상추 5324 6 1 0.052 3.552 0.769 8.670E-04

오이 1579 2 - 0.020 0.030 0.025 3.141E-05

취나물 368 2 - 0.578 0.633 0.606 3.291E-03

토마토 458 1 - 0.048 0.048 0.048 1.052E-04

Fenazaquin

고추 1099 1 1 0.098 0.098 0.098 8.926E-05

대추 34 1 - 0.083 0.083 0.083 2.444E-03

들깻잎 1080 3 - 0.065 0.308 0.191 5.297E-04

상추 4054 1 - 0.024 0.024 0.024 5.895E-06

Fenbuconazole무(잎) 1826 1 - 1.263 1.263 1.263 6.915E-04

상추 5324 1 - 0.642 0.642 0.642 1.206E-04

Fenitrothion

감 166 1 - 0.032 0.032 0.032 1.928E-04

고추 1504 1 - 0.046 0.046 0.046 3.065E-05

고춧가루 108 2 - 0.163 0.167 0.165 3.054E-03

다래 39 1 1 0.058 0.058 0.058 1.485E-03

들깻잎 1305 3 2 0.009 1.100 0.503 1.156E-03

무(잎) 1826 1 - 0.068 0.068 0.068 3.702E-05

미나리 357 1 - 0.003 0.003 0.003 8.403E-06

밀감 290 26 - 0.020 0.450 0.149 1.335E-02

배 305 4 - 0.010 0.031 0.025 3.302E-04

배추 3114 1 - 0.015 0.015 0.015 4.785E-06

부추 425 1 1 0.060 0.060 0.060 1.412E-04

사과 418 3 - 0.016 0.406 0.155 1.115E-03

상추 5324 4 - 0.003 0.027 0.015 1.119E-05

시금치 2224 2 1 0.057 0.787 0.422 3.795E-04

쑥갓 1394 4 1 0.061 2.427 0.677 1.942E-03

양배추 396 1 - 0.024 0.024 0.024 5.985E-05

참나물 676 3 1 0.020 6.972 2.350 1.043E-02

18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Fenitrothion

취나물 368 3 3 0.298 4.700 2.114 1.724E-02

파 824 1 1 0.124 0.124 0.124 1.501E-04

파프리카 120 1 - 0.320 0.320 0.320 2.667E-03

호박 1476 1 - 0.057 0.057 0.057 3.862E-05

Fenobucarb

갓 125 1 - 0.037 0.037 0.037 2.936E-04

들깻잎 1305 4 1 0.068 0.761 0.394 1.207E-03

미나리 357 2 - 0.041 0.150 0.096 5.370E-04

배 305 1 - 0.012 0.012 0.012 3.770E-05

상추 5324 1 - 0.042 0.042 0.042 7.814E-06

쌀 597 4 - 0.016 0.119 0.047 3.134E-04

취나물 368 1 - 0.012 0.012 0.012 3.234E-05

Fenothiocarb 밀감 290 6 - 0.032 0.975 0.390 8.066E-03

Fenoxanil

바나나 147 1 - 0.190 0.190 0.190 1.293E-03

파 824 1 - 0.210 0.210 0.210 2.549E-04

포도 390 1 - 0.194 0.194 0.194 4.962E-04

Fenpropathrin

들깻잎 1305 3 2 0.034 0.801 0.511 1.175E-03

무(뿌리) 294 1 - 0.014 0.014 0.014 4.830E-05

밀감 290 3 - 0.004 0.077 0.031 3.248E-04

배추 3114 1 - 0.040 0.040 0.040 1.285E-05

사과 418 7 - 0.008 0.031 0.017 2.825E-04

시금치 2224 4 - 0.019 0.200 0.113 2.032E-04

양상추 245 1 - 0.013 0.013 0.013 5.469E-05

자두 64 1 - 0.010 0.010 0.010 1.531E-04

Fenpyroximate 들깻잎 1305 4 - 0.721 1.900 1.275 3.909E-03

Fenthion 망고 18 1 - 0.005 0.005 0.005 2.889E-04

Fenvalerate

가지 547 1 - 0.455 0.455 0.455 8.320E-04

고추 1504 1 - 0.105 0.105 0.105 6.975E-05

고춧가루 108 1 - 0.176 0.176 0.176 1.628E-03

고춧잎 165 1 - 0.470 0.470 0.470 2.848E-03

구기자 5 1 - 0.367 0.367 0.367 7.332E-02

근대 745 1 - 0.076 0.076 0.076 1.019E-04

대추 37 3 - 0.615 3.814 1.875 1.521E-01

부록 / 183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Fenvalerate

모과 6 1 - 0.015 0.015 0.015 2.533E-03

배추 3114 8 - 0.010 0.600 0.260 6.679E-04

복분자 4 1 - 0.174 0.174 0.174 4.358E-02

복숭아 164 1 - 0.031 0.031 0.031 1.860E-04

부추 425 3 - 0.035 0.363 0.159 1.120E-03

사과 418 3 - 0.010 0.115 0.053 3.813E-04

시금치 2224 1 - 0.193 0.193 0.193 8.678E-05

쑥갓 1394 1 - 0.300 0.300 0.300 2.152E-04

아욱 482 1 - 0.170 0.170 0.170 3.535E-04

양상추 245 1 - 0.112 0.112 0.112 4.580E-04

오미자 4 1 - 1.233 1.233 1.233 3.082E-01

취나물 368 3 - 0.185 0.754 0.378 3.082E-03

케일 90 2 - 1.665 1.734 1.699 3.776E-02

Fluazinam 고추 1504 1 - 0.237 0.237 0.237 1.576E-04

Fludioxonil

고추 1504 2 - 0.016 0.038 0.027 3.564E-05

근대 745 1 - 0.482 0.482 0.482 6.468E-04

들깻잎 1305 5 - 0.074 1.388 0.656 2.512E-03

딸기 161 1 - 0.030 0.030 0.030 1.851E-04

무(잎) 1826 1 - 0.032 0.032 0.032 1.774E-05

부추 425 1 1 0.496 0.496 0.496 1.166E-03

상추 5324 1 1 10.773 10.773 10.773 2.024E-03

시금치 2224 1 - 0.384 0.384 0.384 1.728E-04

오이 1579 15 - 0.020 0.156 0.069 6.538E-04

인삼 412 2 1 0.473 1.800 1.137 5.518E-03

참나물 676 1 - 0.691 0.691 0.691 1.022E-03

취나물 368 2 2 0.129 0.306 0.218 1.182E-03

치커리(잎) 548 2 1 0.531 0.820 0.675 2.464E-03

토마토 458 5 - 0.024 0.081 0.050 5.450E-04

파 824 1 1 0.078 0.078 0.078 9.490E-05

포도 390 6 - 0.020 0.682 0.228 3.505E-03

호박 1476 1 - 0.028 0.028 0.028 1.890E-05

Flufenoxuron 가지 547 1 - 0.020 0.020 0.020 3.620E-05

18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Flufenoxuron

갓 125 3 2 0.283 1.777 1.260 3.024E-02

근대 745 3 1 0.275 1.568 0.788 3.172E-03

들깻잎 1305 7 3 0.367 5.988 2.225 1.193E-02

무(잎) 1826 2 - 0.400 0.480 0.440 4.821E-04

배추 3114 8 - 0.108 0.523 0.236 6.068E-04

비름나물 155 1 - 0.117 0.117 0.117 7.555E-04

상추 5324 3 2 0.374 2.268 1.216 6.851E-04

셀러리 73 1 - 0.362 0.362 0.362 4.952E-03

시금치 2224 8 3 0.105 3.652 1.178 4.236E-03

쑥갓 1394 1 - 0.425 0.425 0.425 3.049E-04

참나물 676 1 - 0.348 0.348 0.348 5.142E-04

청경채 255 2 - 0.091 0.207 0.149 1.166E-03

파 824 1 1 0.834 0.834 0.834 1.012E-03

Flusilazole 멜론 97 1 - 0.039 0.039 0.039 3.990E-04

Flutolanil

배추 3114 2 - 0.012 0.477 0.244 1.570E-04

상추 5324 3 1 0.011 3.040 1.041 5.867E-04

시금치 2224 5 1 0.032 0.972 0.305 6.846E-04

쑥갓 1394 1 1 1.145 1.145 1.145 8.215E-04

참나물 676 3 1 0.032 7.308 2.498 1.109E-02

청경채 255 1 - 0.075 0.075 0.075 2.945E-04

취나물 368 3 - 0.281 0.673 0.489 3.983E-03

치커리(잎) 548 1 - 0.074 0.074 0.074 1.352E-04

파 824 2 - 0.030 0.044 0.037 8.871E-05

Folpet

고추 1504 1 - 0.100 0.100 0.100 6.649E-05

사과 418 2 - 0.090 0.116 0.103 4.928E-04

양상추 245 1 - 0.427 0.427 0.427 1.742E-03

Forchlorfenuron 상추 5324 1 - 0.038 0.038 0.038 7.062E-06

Fosthiazate

상추 1601 1 - 0.010 0.010 0.010 6.246E-06

오이 442 1 - 0.005 0.005 0.005 1.109E-05

취나물 159 1 1 0.670 0.670 0.670 4.213E-03

Fthalide고들빼기 5 1 - 0.254 0.254 0.254 5.076E-02

다래 39 1 - 0.222 0.222 0.222 5.692E-03

부록 / 185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Fthalide

들깻잎 1305 1 - 0.033 0.033 0.033 2.536E-05

망고 18 1 - 0.001 0.001 0.001 3.333E-05

쌀 597 1 - 0.008 0.008 0.008 1.390E-05

치커리(잎) 548 1 - 0.655 0.655 0.655 1.195E-03

파 824 1 - 0.200 0.200 0.200 2.427E-04

Furathiocarb 고추 1504 1 - 0.133 0.133 0.133 8.863E-05

Heptachlor우엉 22 1 - 0.003 0.003 0.003 1.273E-04

호박 1476 3 - 0.001 0.006 0.004 7.249E-06

Hexaconazole

가지 547 1 - 0.036 0.036 0.036 6.600E-05

갓 125 2 - 0.035 0.141 0.088 1.408E-03

고추 1504 6 - 0.006 0.129 0.050 1.992E-04

고춧가루 108 2 - 0.030 0.111 0.071 1.309E-03

대추 37 2 - 0.028 0.075 0.052 2.800E-03

들깻잎 1305 14 - 0.014 0.371 0.096 1.033E-03

딸기 161 1 - 0.039 0.039 0.039 2.398E-04

무(뿌리) 294 1 - 0.006 0.006 0.006 1.973E-05

무(잎) 1826 1 - 0.050 0.050 0.050 2.738E-05

배추 3114 1 - 0.012 0.012 0.012 3.854E-06

복숭아 164 4 - 0.022 0.230 0.093 2.261E-03

사과 418 3 - 0.018 0.040 0.028 2.007E-04

상추 5324 1 - 0.006 0.006 0.006 1.052E-06

시금치 2224 1 - 0.016 0.016 0.016 7.149E-06

쌀 597 4 - 0.019 0.030 0.026 1.710E-04

쑥갓 1394 1 - 0.749 0.749 0.749 5.371E-04

양상추 245 1 - 0.055 0.055 0.055 2.237E-04

취나물 368 5 - 0.014 1.256 0.325 4.416E-03

파프리카 120 1 - 0.161 0.161 0.161 1.345E-03

Hexaflumuron 파프리카 120 1 - 0.161 0.161 0.161 1.341E-03

Imazalil

밀감 290 1 - 0.088 0.088 0.088 3.038E-04

배추 3114 1 - 0.031 0.031 0.031 9.859E-06

오렌지 73 9 - 0.020 0.618 0.210 2.592E-02

자몽 26 2 - 0.042 0.061 0.051 3.954E-03

18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Imidacloprid

겨자채 58 3 - 0.714 1.219 0.984 5.092E-02

고추 1099 6 - 0.032 0.531 0.227 1.238E-03

고춧잎 146 9 1 0.024 1.700 0.560 3.450E-02

Imidacloprid

근대 583 2 - 0.542 0.999 0.770 2.643E-03

돌나물 152 2 - 0.036 0.156 0.096 1.262E-03

들깻잎 1080 17 - 0.047 0.893 0.289 4.553E-03

무(잎) 1415 1 - 0.052 0.052 0.052 3.661E-05

배추 2302 3 - 0.053 0.132 0.103 1.342E-04

비름나물 132 1 - 0.031 0.031 0.031 2.341E-04

상추 4054 23 - 0.024 1.590 0.366 2.076E-03

시금치 1705 10 - 0.027 0.413 0.176 1.032E-03

쑥갓 1139 3 - 0.061 0.732 0.398 1.048E-03

아욱 327 2 - 0.032 0.055 0.044 2.676E-04

오이 1218 1 - 0.068 0.068 0.068 5.616E-05

참나물 568 3 - 0.083 0.347 0.180 9.516E-04

취나물 275 1 - 0.263 0.263 0.263 9.578E-04

치커리(잎) 446 1 - 0.284 0.284 0.284 6.365E-04

파프리카 101 2 - 0.050 0.374 0.212 4.197E-03

포도 348 9 - 0.029 0.302 0.128 3.305E-03

Indoxacarb

근대 234 1 - 0.200 0.200 0.200 8.547E-04

들깻잎 621 2 - 0.100 6.356 3.228 1.040E-02

무(잎) 560 2 1 0.092 1.191 0.642 2.292E-03

배추 900 4 - 0.050 0.295 0.219 9.718E-04

상추 1601 1 - 0.601 0.601 0.601 3.755E-04

시금치 678 5 3 0.039 1.298 0.549 4.051E-03

아욱 130 2 - 0.020 0.134 0.077 1.185E-03

오이 442 2 - 0.033 0.400 0.217 9.801E-04

파 310 2 - 0.100 0.118 0.109 7.016E-04

Iprobenfos

고추 1099 1 - 0.067 0.067 0.067 6.096E-05

고춧가루 108 1 - 0.019 0.019 0.019 1.741E-04

두릅 36 1 - 0.198 0.198 0.198 5.494E-03

미나리 272 5 2 0.049 0.450 0.204 3.758E-03

부록 / 187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Iprobenfos

상추 4054 1 - 0.096 0.096 0.096 2.378E-05

쑥갓 1139 3 1 0.008 0.396 0.145 3.830E-04

참나물 568 1 - 0.100 0.100 0.100 1.761E-04

취나물 275 1 - 0.105 0.105 0.105 3.822E-04

토란줄기 10 1 - 0.074 0.074 0.074 7.430E-03

Iprodione

가지 547 1 1 0.547 0.547 0.547 9.993E-04

감 166 1 - 0.179 0.179 0.179 1.078E-03

고추 1504 2 - 0.071 0.188 0.129 1.719E-04

근대 745 2 - 2.586 5.490 4.038 1.084E-02

다래 39 4 - 0.633 3.678 1.742 1.787E-01

대추 37 2 - 0.479 0.749 0.614 3.319E-02

망고 18 1 - 0.415 0.415 0.415 2.307E-02

무(뿌리) 294 1 - 0.094 0.094 0.094 3.180E-04

바나나 147 4 - 0.198 0.853 0.539 1.467E-02

배추 3114 4 - 0.205 3.000 0.949 1.219E-03

부추 425 1 1 12.573 12.573 12.573 2.958E-02

사과 418 1 - 0.193 0.193 0.193 4.608E-04

상추 5324 5 - 0.057 9.489 3.255 3.056E-03

시금치 2224 1 - 7.942 7.942 7.942 3.571E-03

쑥갓 1394 2 - 2.297 2.597 2.447 3.510E-03

양상추 245 1 - 1.395 1.395 1.395 5.693E-03

오이 1579 7 - 0.071 1.021 0.637 2.824E-03

참나물 676 9 - 0.048 6.608 3.173 4.225E-02

취나물 368 1 - 4.057 4.057 4.057 1.102E-02

키위 106 3 - 0.176 0.913 0.489 1.384E-02

토마토 458 1 - 0.063 0.063 0.063 1.380E-04

파 824 7 7 0.513 4.742 2.182 1.854E-02

포도 390 6 - 0.108 1.515 0.398 6.123E-03

Isofenphos 무(잎) 1826 1 - 0.043 0.043 0.043 2.360E-05

Isoprothiolane

들깻잎 1080 2 1 0.014 0.500 0.257 4.758E-04

배추 2302 1 - 0.025 0.025 0.025 1.064E-05

상추 4054 2 1 0.027 0.490 0.259 1.276E-04

18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Isoprothiolane

쌀 541 5 - 0.011 0.179 0.058 5.340E-04

참나물 568 1 - 0.226 0.226 0.226 3.977E-04

취나물 275 2 - 0.027 0.144 0.086 6.240E-04

Kresoxim-methyl

고추 1504 7 - 0.015 0.873 0.175 8.164E-04

고춧잎 165 1 1 0.534 0.534 0.534 3.233E-03

근대 745 1 - 1.556 1.556 1.556 2.089E-03

돌나물 184 2 1 0.573 0.619 0.596 6.480E-03

들깻잎 1305 1 1 1.007 1.007 1.007 7.714E-04

딸기 161 4 - 0.008 0.016 0.014 3.373E-04

멜론 97 1 1 0.344 0.344 0.344 3.549E-03

복숭아 164 1 - 0.019 0.019 0.019 1.128E-04

사과 418 2 - 0.008 0.023 0.015 7.273E-05

상추 5324 7 4 0.008 11.329 2.536 3.334E-03

시금치 2224 1 1 0.362 0.362 0.362 1.626E-04

쑥갓 1394 2 2 0.354 8.917 4.636 6.651E-03

오이 1579 5 - 0.008 0.100 0.042 1.329E-04

참나물 676 1 - 0.004 0.004 0.004 5.917E-06

파 824 2 1 0.114 1.000 0.557 1.351E-03

포도 390 7 - 0.008 0.400 0.112 2.014E-03

호박 1476 1 - 0.004 0.004 0.004 2.710E-06

Lufenuron

갓 125 1 1 0.522 0.522 0.522 4.172E-03

고춧잎 165 4 3 0.092 4.900 1.898 4.601E-02

근대 745 2 - 0.125 0.184 0.154 4.142E-04

들깻잎 1305 2 - 0.500 1.995 1.247 1.911E-03

무(잎) 1826 1 1 1.253 1.253 1.253 6.861E-04

배추 3114 3 2 0.162 0.700 0.423 4.079E-04

부추 425 1 1 0.353 0.353 0.353 8.315E-04

상추 5324 2 1 0.127 1.823 0.975 3.664E-04

시금치 2224 3 1 0.193 1.055 0.495 6.681E-04

쑥갓 1394 1 1 0.662 0.662 0.662 4.748E-04

청경채 255 1 - 0.192 0.192 0.192 7.529E-04

취나물 368 1 1 0.727 0.727 0.727 1.974E-03

부록 / 189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Lufenuron 참깨 30 1 - 0.032 0.032 0.032 1.077E-03

Mepanipyrim참나물 676 1 1 0.607 0.607 0.607 8.972E-04

취나물 368 1 1 2.214 2.214 2.214 6.015E-03

Mepanipyrim 치커리(잎) 548 1 1 1.675 1.675 1.675 3.057E-03

Metalaxyl

갓 125 1 - 0.055 0.055 0.055 4.368E-04

고추 1504 3 - 0.012 0.033 0.021 4.235E-05

고춧잎 165 1 - 0.442 0.442 0.442 2.678E-03

근대 745 1 - 0.444 0.444 0.444 5.962E-04

들깻잎 1305 4 1 0.022 0.652 0.238 7.303E-04

머위 54 1 1 2.816 2.816 2.816 5.215E-02

브로콜리 393 1 - 0.037 0.037 0.037 9.440E-05

상추 5324 14 1 0.021 8.348 0.936 2.462E-03

시금치 2224 3 2 0.020 3.517 2.272 3.065E-03

쑥갓 1394 1 1 0.677 0.677 0.677 4.854E-04

아욱 482 1 - 0.028 0.028 0.028 5.871E-05

오이 1579 6 - 0.016 0.260 0.104 3.968E-04

참외 184 1 - 0.012 0.012 0.012 6.413E-05

파 824 3 2 0.043 0.890 0.407 1.481E-03

호박 1476 2 - 0.020 0.046 0.033 4.485E-05

Metconazole

사과 418 2 - 0.044 0.130 0.087 4.165E-04

양상추 245 1 - 0.029 0.029 0.029 1.196E-04

파 824 1 - 0.318 0.318 0.318 3.864E-04

Methabenzthiazuron시금치 2224 1 1 0.268 0.268 0.268 1.203E-04

파 824 1 1 2.700 2.700 2.700 3.277E-03

Methidathion

고추 1504 6 5 0.040 0.431 0.230 9.175E-04

근대 745 1 - 0.005 0.005 0.005 6.980E-06

대추 37 1 - 0.059 0.059 0.059 1.592E-03

들깻잎 1305 2 2 0.831 1.048 0.939 1.439E-03

머위 54 1 1 0.592 0.592 0.592 1.097E-02

밀감 290 8 - 0.012 1.146 0.360 9.927E-03

배추 3114 3 - 0.053 0.230 0.131 1.258E-04

복숭아 164 2 1 0.045 1.000 0.522 6.370E-03

19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Methidathion

상추 5324 2 - 0.012 0.043 0.027 1.031E-05

셀러리 73 2 2 0.900 1.262 1.081 2.962E-02

시금치 2224 1 - 0.028 0.028 0.028 1.277E-05

쑥갓 1394 5 1 0.050 3.138 0.713 2.559E-03

오이 1579 5 3 0.012 0.210 0.106 3.353E-04

참나물 676 3 2 0.026 6.800 2.464 1.093E-02

취나물 368 1 1 1.750 1.750 1.750 4.754E-03

파프리카 120 1 - 0.021 0.021 0.021 1.725E-04

호박 1476 1 - 0.064 0.064 0.064 4.316E-05

Methiocarb쑥갓 1394 3 - 0.013 0.021 0.016 3.415E-05

취나물 368 1 - 0.020 0.020 0.020 5.435E-05

Methomyl

가지 547 4 - 0.029 0.083 0.061 4.463E-04

갓 125 1 - 0.101 0.101 0.101 8.064E-04

겨자채 86 2 - 0.009 0.122 0.065 1.521E-03

고추 1504 37 1 0.016 1.670 0.232 5.706E-03

고춧잎 165 7 1 0.018 1.326 0.324 1.377E-02

근대 745 1 - 0.100 0.100 0.100 1.342E-04

들깻잎 1305 5 - 0.009 0.416 0.115 4.405E-04

배추 3114 5 - 0.020 0.143 0.070 1.122E-04

부추 425 2 - 0.024 0.045 0.034 1.621E-04

상추 5324 9 - 0.014 0.449 0.179 3.020E-04

시금치 2224 2 1 0.120 1.403 0.762 6.850E-04

쑥갓 1394 3 - 0.020 0.403 0.224 4.829E-04

오이 1579 8 1 0.013 0.336 0.085 4.307E-04

참외 184 1 - 0.021 0.021 0.021 1.120E-04

청경채 255 1 - 0.185 0.185 0.185 7.239E-04

치커리(잎) 548 2 - 0.057 0.100 0.078 2.859E-04

피망 171 2 - 0.098 0.228 0.163 1.905E-03

호박 1476 5 - 0.035 0.200 0.082 2.770E-04

Methoxyfenozide

겨자채 86 2 - 1.910 3.100 2.505 5.825E-02

근대 745 1 1 4.595 4.595 4.595 6.167E-03

들깻잎 1305 1 - 2.200 2.200 2.200 1.686E-03

부록 / 191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Methoxyfenozide

배추 3114 1 - 2.621 2.621 2.621 8.417E-04

부추 425 1 - 0.722 0.722 0.722 1.700E-03

비트 8 1 - 1.220 1.220 1.220 1.525E-01

상추 5324 2 - 0.496 2.583 1.540 5.785E-04

시금치 2224 1 - 0.640 0.640 0.640 2.876E-04

쌈채 10 1 - 1.186 1.186 1.186 1.186E-01

아욱 482 1 - 1.800 1.800 1.800 3.734E-03

케일 90 1 - 0.617 0.617 0.617 6.856E-03

Metrafenone오이 442 1 - 0.148 0.148 0.148 3.342E-04

호박 407 2 - 0.008 0.031 0.019 9.484E-05

Metribuzin 파 824 1 - 0.008 0.008 0.008 9.709E-06

Myclobutanil

들깻잎 1305 4 - 0.132 0.979 0.366 1.123E-03

체리 22 1 - 0.021 0.021 0.021 9.409E-04

취나물 368 5 - 0.044 0.576 0.248 3.368E-03

Nitrapyrin

감자 304 1 - 0.020 0.020 0.020 6.645E-05

오이 1579 1 - 0.010 0.010 0.010 6.333E-06

호박 1476 1 - 0.024 0.024 0.024 1.653E-05

Novaluron

고추 1099 1 - 0.518 0.518 0.518 4.713E-04

배추 2302 2 2 0.521 1.016 0.768 6.674E-04

복숭아 151 1 - 0.402 0.402 0.402 2.662E-03

시금치 1705 2 2 0.700 1.015 0.858 1.006E-03

취나물 275 2 - 0.771 2.327 1.549 1.126E-02

Ofurace 배추 900 1 - 0.010 0.010 0.010 1.111E-05

Oxadiazon시금치 2224 1 1 0.429 0.429 0.429 1.928E-04

쑥갓 1394 1 - 0.033 0.033 0.033 2.346E-05

Oxamyl 고춧잎 165 1 - 0.080 0.080 0.080 4.818E-04

Oxyfluorfen 무(잎) 1266 1 - 0.008 0.008 0.008 6.082E-06

Paclobutrazol 겨자채 86 7 7 0.072 7.116 2.115 1.722E-01

Parathion

배 305 1 - 0.018 0.018 0.018 6.000E-05

복숭아 164 1 - 0.100 0.100 0.100 6.098E-04

부추 425 1 - 0.109 0.109 0.109 2.560E-04

참나물 676 1 - 0.047 0.047 0.047 6.953E-05

19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Pendimethalin

머위 54 1 1 0.201 0.201 0.201 3.715E-03

보리순 1 1 - 0.016 0.016 0.016 1.640E-02

상추 5324 5 - 0.050 0.157 0.093 8.758E-05

Pendimethalin

참나물 676 2 - 0.017 0.058 0.037 1.108E-04

취나물 368 7 3 0.016 0.698 0.161 3.069E-03

파 824 2 - 0.056 0.180 0.118 2.856E-04

Permethrin고춧잎 165 1 1 3.141 3.141 3.141 1.904E-02

체리 22 1 - 0.062 0.062 0.062 2.818E-03

Phenthoate

고추 1504 3 - 0.004 0.050 0.032 6.310E-05

금귤 6 2 - 0.409 1.016 0.713 2.376E-01

다래 39 2 1 0.061 0.512 0.286 1.467E-02

들깻잎 1305 1 - 0.057 0.057 0.057 4.337E-05

머위 54 1 - 0.003 0.003 0.003 4.630E-05

무(잎) 1826 1 - 0.050 0.050 0.050 2.738E-05

밀감 290 20 - 0.016 0.272 0.126 8.704E-03

배 305 1 - 0.061 0.061 0.061 1.990E-04

배추 3114 1 - 0.008 0.008 0.008 2.473E-06

복숭아 164 1 - 0.051 0.051 0.051 3.134E-04

쑥갓 1394 3 1 0.039 2.130 0.768 1.652E-03

참나물 676 2 2 0.286 0.293 0.290 8.565E-04

Phorate

쑥갓 1139 2 - 0.004 0.045 0.024 4.223E-05

참나물 568 1 - 0.014 0.014 0.014 2.500E-05

취나물 275 1 - 0.062 0.062 0.062 2.262E-04

파 678 1 - 0.011 0.011 0.011 1.563E-05

Phosmet 자몽 26 1 - 0.366 0.366 0.366 1.408E-02

Pirimiphos-methyl 고추 1504 1 - 0.079 0.079 0.079 5.266E-05

Probenazole미나리 357 1 - 0.038 0.038 0.038 1.059E-04

참나물 676 1 - 0.044 0.044 0.044 6.435E-05

Prochloraz

고춧잎 165 1 - 0.045 0.045 0.045 2.709E-04

바나나 147 2 - 0.100 0.222 0.161 2.193E-03

양송이버섯 56 2 - 0.087 0.129 0.108 3.850E-03

파인애플 51 1 - 0.051 0.051 0.051 1.002E-03

부록 / 193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Procymidone

가지 547 12 - 0.016 0.348 0.101 2.208E-03

감자 304 1 - 0.018 0.018 0.018 6.053E-05

갓 125 1 - 0.027 0.027 0.027 2.176E-04

Procymidone

겨자채 86 5 2 0.021 8.700 1.801 1.047E-01

고추 1504 69 - 0.015 2.008 0.357 1.639E-02

고춧잎 165 5 1 0.102 3.620 1.312 3.975E-02

근대 745 30 6 0.016 16.702 1.670 6.724E-02

달래 30 1 - 0.023 0.023 0.023 7.567E-04

당근 182 1 - 0.074 0.074 0.074 4.071E-04

도라지 30 1 - 0.031 0.031 0.031 1.043E-03

돌나물 184 42 9 0.069 4.350 0.556 1.270E-01

들깻잎 1305 28 - 0.027 3.968 0.782 1.677E-02

딸기 161 14 - 0.020 0.714 0.235 2.043E-02

멜론 97 5 - 0.013 0.341 0.119 6.152E-03

무(뿌리) 294 1 - 0.008 0.008 0.008 2.653E-05

무(잎) 1826 17 2 0.033 10.259 1.313 1.223E-02

미나리 357 1 - 0.184 0.184 0.184 5.146E-04

밀감 290 9 1 0.032 0.807 0.338 1.048E-02

배 305 1 - 0.260 0.260 0.260 8.508E-04

배추 3114 27 4 0.004 9.015 0.701 6.080E-03

부추 425 81 4 0.024 14.437 1.454 2.770E-01

살구 8 1 - 0.023 0.023 0.023 2.875E-03

상추 5324 185 10 0.010 22.692 1.012 3.515E-02

셀러리 73 3 - 0.128 0.639 0.413 1.697E-02

수박 72 5 - 0.003 0.247 0.085 5.871E-03

시금치 2224 41 8 0.014 8.100 1.668 3.074E-02

쑥갓 1394 14 2 0.041 15.000 2.566 2.577E-02

아욱 482 4 - 0.033 1.558 0.509 4.226E-03

양상추 245 6 - 0.100 4.923 1.579 3.867E-02

양파 299 3 - 0.052 0.111 0.082 8.194E-04

오이 1579 94 - 0.008 1.100 0.176 1.049E-02

참나물 676 108 19 0.020 10.725 1.210 1.933E-01

19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Procymidone

참외 184 21 - 0.002 0.083 0.039 4.499E-03

취나물 368 3 1 0.132 0.613 0.311 2.531E-03

치커리(잎) 548 10 - 0.036 2.232 0.485 8.854E-03

키위 106 3 - 0.053 0.238 0.162 4.575E-03

토마토 458 21 - 0.023 0.767 0.139 6.396E-03

파 824 22 1 0.078 13.100 1.341 3.580E-02

파프리카 120 6 - 0.011 0.223 0.117 5.861E-03

포도 390 28 - 0.008 0.845 0.109 7.814E-03

피망 171 7 - 0.030 0.366 0.187 7.670E-03

호박 1476 33 1 0.003 1.021 0.118 2.628E-03

Profenofos

고추 1504 2 1 0.360 2.113 1.237 1.645E-03

고춧가루 108 1 - 0.075 0.075 0.075 6.954E-04

배추 3114 1 - 0.080 0.080 0.080 2.553E-05

상추 5324 1 - 0.099 0.099 0.099 1.865E-05

Propoxur 참나물 676 1 - 0.006 0.006 0.006 9.024E-06

Prothiofos

배추 3114 2 2 0.077 1.002 0.539 3.462E-04

사과 418 1 1 0.185 0.185 0.185 4.433E-04

파 310 1 - 0.017 0.017 0.017 5.452E-05

Pyraclostrobin

고추 1504 2 - 0.300 0.510 0.405 5.382E-04

고춧가루 108 1 - 0.665 0.665 0.665 6.154E-03

고춧잎 165 3 2 0.179 1.400 0.824 1.498E-02

근대 745 1 - 0.149 0.149 0.149 2.004E-04

달래 30 1 1 7.406 7.406 7.406 2.469E-01

돌나물 184 2 - 0.182 0.347 0.265 2.876E-03

들깻잎 1305 2 2 0.558 0.721 0.639 9.798E-04

취나물 368 2 2 1.024 1.539 1.282 6.967E-03

파 824 1 - 0.701 0.701 0.701 8.505E-04

Pyrazophos 청경채 255 1 1 0.391 0.391 0.391 1.535E-03

Pyridaben

고추 1504 8 - 0.019 0.598 0.204 1.086E-03

고춧잎 165 3 - 0.275 0.379 0.332 6.034E-03

들깻잎 1305 3 2 0.219 6.403 3.441 7.910E-03

딸기 161 1 - 0.015 0.015 0.015 9.503E-05

부록 / 195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Pyridaben

비름나물 155 1 1 2.265 2.265 2.265 1.462E-02

오이 1579 1 - 0.008 0.008 0.008 4.940E-06

토마토 458 3 - 0.024 0.032 0.028 1.836E-04

포도 390 1 - 0.156 0.156 0.156 3.995E-04

Pyridalyl

고추 356 1 - 0.179 0.179 0.179 5.025E-04

상추 1601 1 - 0.200 0.200 0.200 1.249E-04

오이 442 1 - 0.060 0.060 0.060 1.346E-04

청경채 74 1 - 0.789 0.789 0.789 1.066E-02

취나물 159 2 - 0.183 1.187 0.685 8.620E-03

파 310 1 - 0.300 0.300 0.300 9.677E-04

Pyrimethanil

가지 547 2 - 0.068 0.174 0.121 4.419E-04

고추 1504 3 - 0.109 0.896 0.444 8.860E-04

냉이 82 1 - 0.300 0.300 0.300 3.659E-03

들깻잎 1305 6 - 0.155 1.519 0.866 3.981E-03

딸기 161 1 - 0.093 0.093 0.093 5.764E-04

부추 425 1 1 0.565 0.565 0.565 1.329E-03

상추 5324 1 - 0.045 0.045 0.045 8.396E-06

시금치 2224 1 1 7.243 7.243 7.243 3.257E-03

오이 1579 1 - 0.351 0.351 0.351 2.225E-04

파 824 6 - 0.129 1.700 0.540 3.932E-03

포도 390 6 - 0.157 0.550 0.324 4.983E-03

Pyriminobac-methyl 무(잎) 1826 1 - 0.019 0.019 0.019 1.057E-05

Quintozene 인삼 412 1 - 0.018 0.018 0.018 4.320E-05

Simazine배추 3114 1 - 0.100 0.100 0.100 3.211E-05

쑥갓 1394 1 - 0.008 0.008 0.008 5.524E-06

Tebuconazole

고들빼기 3 1 - 0.291 0.291 0.291 9.693E-02

고추 1099 8 - 0.071 0.200 0.120 8.710E-04

고춧가루 108 19 - 0.129 0.812 0.296 5.210E-02

고춧잎 146 5 - 0.248 2.526 0.982 3.362E-02

근대 583 1 - 2.412 2.412 2.412 4.137E-03

대추 34 2 - 0.083 0.100 0.092 5.385E-03

들깻잎 1080 2 - 0.916 1.152 1.034 1.915E-03

19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Tebuconazole

미나리 272 1 - 0.071 0.071 0.071 2.607E-04

배추 2302 4 - 0.024 0.937 0.274 4.760E-04

복숭아 151 2 - 0.037 0.148 0.092 1.220E-03

사과 382 21 - 0.007 0.115 0.058 3.176E-03

상추 4054 2 - 0.153 0.273 0.213 1.051E-04

쑥갓 1139 1 - 0.277 0.277 0.277 2.435E-04

양상추 189 1 - 0.162 0.162 0.162 8.550E-04

체리 22 5 - 0.022 0.121 0.074 1.692E-02

취나물 275 2 - 0.353 1.745 1.049 7.632E-03

파 678 1 - 2.452 2.452 2.452 3.617E-03

파프리카 101 1 - 0.178 0.178 0.178 1.757E-03

Tebufenozide

근대 745 1 - 0.156 0.156 0.156 2.097E-04

배추 3114 1 - 0.400 0.400 0.400 1.285E-04

상추 5324 5 - 0.172 0.943 0.497 4.663E-04

시금치 2224 1 - 0.397 0.397 0.397 1.786E-04

참나물 676 1 - 0.226 0.226 0.226 3.346E-04

Tebufenpyrad

고추 1504 1 - 0.083 0.083 0.083 5.512E-05

녹차 80 1 - 0.100 0.100 0.100 1.246E-03

대추 37 1 - 0.035 0.035 0.035 9.486E-04

들깻잎 1305 34 - 0.026 1.562 0.320 8.325E-03

밀감 290 1 - 0.286 0.286 0.286 9.848E-04

배추 3114 1 - 0.020 0.020 0.020 6.294E-06

쑥갓 1394 1 - 0.157 0.157 0.157 1.129E-04

참나물 676 1 - 0.166 0.166 0.166 2.457E-04

파프리카 120 1 - 0.017 0.017 0.017 1.375E-04

Tebupirimfos

근대 745 2 2 0.078 0.189 0.134 3.584E-04

배추 3114 2 1 0.009 0.171 0.090 5.787E-05

시금치 2224 2 2 0.030 0.066 0.048 4.286E-05

참나물 676 1 1 1.200 1.200 1.200 1.775E-03

Teflubenzuron

멜론 97 1 - 0.026 0.026 0.026 2.722E-04

무(잎) 1826 1 1 0.751 0.751 0.751 4.113E-04

복숭아 164 3 - 0.032 0.142 0.071 1.298E-03

부록 / 197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Teflubenzuron

사과 418 2 - 0.017 0.129 0.073 3.474E-04

양배추 396 1 - 0.028 0.028 0.028 7.096E-05

파 824 1 - 0.431 0.431 0.431 5.233E-04

Tefluthrin

근대 234 2 - 0.002 0.007 0.005 4.017E-05

부추 147 1 - 0.008 0.008 0.008 5.102E-05

상추 1601 1 - 0.048 0.048 0.048 2.998E-05

쑥갓 487 1 - 0.021 0.021 0.021 4.271E-05

치커리(잎) 202 2 - 0.004 0.010 0.007 6.683E-05

Terbufos

부추 425 4 2 0.023 0.920 0.465 4.377E-03

상추 5324 1 1 0.115 0.115 0.115 2.153E-05

시금치 2224 5 2 0.005 0.132 0.038 8.503E-05

쑥갓 1394 2 - 0.008 0.036 0.022 3.149E-05

참나물 676 9 2 0.010 0.146 0.044 5.896E-04

Tetradifon

감 166 1 - 0.080 0.080 0.080 4.819E-04

고추 1504 1 - 0.088 0.088 0.088 5.844E-05

대추 37 1 - 0.060 0.060 0.060 1.622E-03

밀감 290 2 - 0.080 0.199 0.139 9.617E-04

복숭아 164 1 - 0.022 0.022 0.022 1.311E-04

사과 418 1 - 0.020 0.020 0.020 4.785E-05

수박 72 1 - 0.074 0.074 0.074 1.032E-03

포도 390 1 - 0.057 0.057 0.057 1.462E-04

Thiacloprid

고춧잎 165 1 1 1.089 1.089 1.089 6.597E-03

들깻잎 1305 1 1 1.403 1.403 1.403 1.075E-03

미나리 357 1 - 0.061 0.061 0.061 1.714E-04

배추 3114 1 - 0.300 0.300 0.300 9.634E-05

Thiamethoxam

겨자채 86 1 - 0.531 0.531 0.531 6.171E-03

고춧잎 165 4 2 0.161 2.129 1.071 2.598E-02

들깻잎 1305 3 1 0.155 2.002 0.878 2.019E-03

배추 3114 1 - 0.139 0.139 0.139 4.467E-05

상추 5324 4 - 0.122 0.425 0.251 1.885E-04

시금치 2224 3 2 0.110 0.956 0.633 8.536E-04

쌈채 10 1 - 0.492 0.492 0.492 4.919E-02

19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Thiamethoxam

쑥갓 1394 1 - 0.108 0.108 0.108 7.776E-05

아욱 482 1 - 0.495 0.495 0.495 1.027E-03

양상추 245 1 - 0.196 0.196 0.196 8.000E-04

오이 1579 1 - 0.015 0.015 0.015 9.626E-06

파 824 1 - 0.295 0.295 0.295 3.580E-04

Thiazopyr상추 5324 1 - 0.008 0.008 0.008 1.503E-06

오이 1579 2 - 0.010 0.012 0.011 1.381E-05

Thifluzamide

고추 1504 1 - 0.022 0.022 0.022 1.489E-05

무(잎) 1826 1 - 0.024 0.024 0.024 1.303E-05

상추 5324 1 1 0.090 0.090 0.090 1.690E-05

Thiobencarb시금치 1705 2 - 0.019 0.028 0.024 2.774E-05

쑥갓 1139 1 - 0.044 0.044 0.044 3.828E-05

Thiodicarb

고추 1099 1 - 1.045 1.045 1.045 9.506E-04

고춧잎 146 1 - 0.350 0.350 0.350 2.396E-03

사과 382 1 - 0.092 0.092 0.092 2.395E-04

시금치 1705 1 - 0.134 0.134 0.134 7.859E-05

Tolclofos-methyl

감자 304 1 - 0.011 0.011 0.011 3.717E-05

쑥갓 1394 1 1 1.861 1.861 1.861 1.335E-03

인삼 412 91 2 0.005 5.394 0.151 3.327E-02

취나물 368 1 1 1.210 1.210 1.210 3.289E-03

Tolylfluanid고추 1504 3 - 0.049 0.500 0.202 4.031E-04

들깻잎 1305 2 2 4.714 9.526 7.120 1.091E-02

Triadimefon파인애플 51 3 - 0.099 0.360 0.208 1.225E-02

호박 1476 1 - 0.068 0.068 0.068 4.573E-05

Triadimenol 고추 1138 1 - 0.383 0.383 0.383 3.361E-04

Tricyclazole쌀 597 1 1 1.121 1.121 1.121 1.877E-03

참나물 676 1 1 1.414 1.414 1.414 2.091E-03

Trifloxystrobin

고추 1504 1 - 0.200 0.200 0.200 1.330E-04

고춧잎 165 2 2 0.951 8.207 4.579 5.550E-02

매실 7 1 - 0.606 0.606 0.606 8.663E-02

셀러리 73 1 - 2.049 2.049 2.049 2.807E-02

Triflumizole 가지 547 1 - 0.049 0.049 0.049 8.995E-05

부록 / 199

검출성분명 품목검사

건수

검출

빈도

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검출평균

(mg/kg)

하한평균

(mg/kg)

Triflumizole

고추 1504 5 - 0.013 0.200 0.071 2.362E-04

돌나물 184 1 - 0.219 0.219 0.219 1.189E-03

딸기 161 1 - 0.183 0.183 0.183 1.135E-03

머위 54 1 - 0.173 0.173 0.173 3.211E-03

비름나물 155 1 - 0.237 0.237 0.237 1.528E-03

상추 5324 4 - 0.025 0.993 0.376 2.824E-04

시금치 2224 2 - 0.019 0.036 0.028 2.482E-05

오이 1579 10 - 0.031 0.336 0.106 6.712E-04

청경채 255 1 - 0.020 0.020 0.020 7.725E-05

체리 22 1 - 0.016 0.016 0.016 7.136E-04

토마토 458 1 - 0.046 0.046 0.046 1.009E-04

파 824 1 - 0.052 0.052 0.052 6.262E-05

피망 171 1 - 0.030 0.030 0.030 1.754E-04

호박 1476 11 - 0.010 0.175 0.071 5.313E-04

Trifluralin

무(잎) 1826 1 - 0.020 0.020 0.020 1.079E-05

쑥갓 1394 2 1 0.012 0.069 0.041 5.839E-05

아욱 482 1 - 0.020 0.020 0.020 4.087E-05

Vamidothion

무(잎) 1826 1 - 0.028 0.028 0.028 1.506E-05

상추 5324 1 - 0.028 0.028 0.028 5.203E-06

쑥갓 1394 1 - 0.084 0.084 0.084 6.011E-05

청경채 255 1 - 0.023 0.023 0.023 9.020E-05

Vinclozolin

고추 1504 3 - 0.096 0.426 0.215 4.282E-04

고춧잎 165 1 - 0.011 0.011 0.011 6.727E-05

근대 745 1 - 0.006 0.006 0.006 8.322E-06

다래 39 2 - 0.277 0.512 0.394 2.022E-02

돌나물 184 8 - 0.014 0.609 0.140 6.067E-03

부추 425 2 - 0.019 0.079 0.049 2.308E-04

상추 5324 1 - 0.028 0.028 0.028 5.278E-06

세발나물 6 1 - 0.020 0.020 0.020 3.300E-03

오이 1579 2 - 0.018 0.062 0.040 5.047E-05

참나물 676 14 2 0.020 3.431 0.582 1.205E-02

참외 184 1 - 0.020 0.020 0.020 1.076E-04

토마토 458 1 - 0.059 0.059 0.059 1.277E-04

피망 171 2 - 0.021 0.106 0.064 7.439E-04

Zoxamide 배추 900 1 - 0.053 0.053 0.053 5.889E-05

Administrator
새 스탬프

3. 월별 농산물 품목의 부적합 발생현황

Administrator
새 스탬프

부록 / 203

접수월 총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1 47

과실류 감귤류 밀감 EPN 1 0.411 0.411

채소류

과채류고추 Methidathion 1 0.227 0.227

오이 Chlorothalonil 1 1.339 1.339

엽경채류

미나리 Iprobenfos 1 0.450 0.450

부추Carbendazim 1 1.746 1.746

Terbufos 1 0.920 0.920

엽채류

겨자채Dimethomorph 1 1.280 1.280

Procymidone 1 8.700 8.700

고춧잎 Boscalid 1 10.530 10.530

근대 Dimethomorph 1 0.580 0.580

들깻잎Flufenoxuron 1 3.411 3.411

Tolylfluanid 1 9.526 9.526

무(잎) Procymidone 1 10.259 10.259

배추Azoxystrobin 1 2.232 2.232

Diazinon 1 1.374 1.374

상추

Azoxystrobin 4 2.214 5.600

Chlorothalonil 1 38.634 38.634

Chlorpyrifos 2 0.021 0.402

Dimethomorph 2 7.292 8.217

Endosulfan 2 0.884 4.365

Ethoprophos 1 0.170 0.170

Fludioxonil 1 10.773 10.773

Procymidone 2 7.855 9.915

시금치

Carbendazim 1 1.647 1.647

Chlorothalonil 1 39.303 39.303

Diethofencarb 2 2.396 5.000

Dimethomorph 1 3.649 3.649

Endosulfan 2 0.224 0.225

Procymidone 2 6.623 7.743

쑥갓Chlorothalonil 1 6.208 6.208

Chlorpyrifos 2 0.054 0.280

3. 월별 농산물 품목의 부적합 발생현황

20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1 47 채소류 엽채류

참나물 Diethofencarb 1 5.595 5.595

치커리(잎)

Azoxystrobin 1 2.704 2.704

Dimethomorph 1 1.000 1.000

Endosulfan 1 1.570 1.570

Mepanipyrim 1 1.675 1.675

2 36

과실류 열대과일류 키위(참다래) Phenthoate 1 0.512 0.512

기타 기타 고춧가루 Carbaryl 1 4.049 4.049

채소류

과채류 오이 Methomyl 1 0.336 0.336

엽경채류달래

Chlorpyrifos 1 0.170 0.170

Ethoprophos 1 0.217 0.217

파 Fludioxonil 1 0.078 0.078

엽채류

고춧잎 Acrinathrin 1 0.592 0.592

근대

Cypermethrin 1 2.261 2.261

Endosulfan 1 0.479 0.479

Procymidone 1 14.661 14.661

냉이 Endosulfan 1 0.179 0.179

당귀잎 Chlorpyrifos 1 3.059 3.059

머위Bifenthrin 1 1.946 1.946

Ethoprophos 1 0.414 0.414

배추 Dimethomorph 1 2.511 2.511

상추

Boscalid 1 12.838 12.838

Chlorothalonil 1 8.000 8.000

Dimethomorph 1 7.130 7.130

Endosulfan 5 0.200 1.140

Procymidone 2 13.852 22.692

시금치

Endosulfan 2 0.181 3.779

Methabenzthiazuron 1 0.268 0.268

Oxadiazon 1 0.429 0.429

쑥갓 Ethoprophos 1 0.266 0.266

참나물

Flutolanil 1 7.308 7.308

Tebupirimfos 1 1.200 1.200

Vinclozolin 1 3.431 3.431

부록 / 205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2 36 채소류 엽채류취나물

Fenitrothion 1 0.298 0.298

Pendimethalin 1 0.698 0.698

치커리(잎) Ethoprophos 1 0.131 0.131

3 54

곡류 곡류 쌀 Tricyclazole 1 1.121 1.121

채소류

엽경채류

돌나물Azoxystrobin 1 0.389 0.389

Procymidone 6 0.292 0.874

부추

Diazinon 1 0.494 0.494

Procymidone 1 5.600 5.600

Pyrimethanil 1 0.565 0.565

파 Methabenzthiazuron 1 2.700 2.700

엽채류

근대 Procymidone 1 0.057 0.057

들깻잎Azoxystrobin 1 0.214 0.214

Flufenoxuron 1 3.148 3.148

머위 Metalaxyl 1 2.816 2.816

배추

Azoxystrobin 1 0.210 0.210

Diazinon 1 0.543 0.543

Dimethomorph 1 3.248 3.248

Procymidone 3 0.077 0.122

상추

Azoxystrobin 2 0.918 1.147

Fenarimol 1 3.552 3.552

Kresoxim-methyl 2 0.600 11.329

Metalaxyl 1 8.348 8.348

Procymidone 1 6.385 6.385

시금치

Carbendazim 2 1.764 2.800

Methomyl 1 1.403 1.403

Procymidone 4 0.834 5.578

쑥갓

Diazinon 1 1.923 1.923

Ethoprophos 1 0.099 0.099

Kresoxim-methyl 1 0.354 0.354

Trifluralin 1 0.069 0.069

아욱 Endosulfan 1 1.559 1.559

양상추 Boscalid 1 2.900 2.900

20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3 54 채소류 엽채류

양상추 Dimethomorph 2 0.700 1.724

참나물Endosulfan 1 0.515 0.515

Procymidone 6 0.077 1.784

취나물 Pendimethalin 2 0.107 0.221

치커리(잎) Fludioxonil 1 0.531 0.531

4 52

과실류 열대과일류 키위(참다래) Fenitrothion 1 0.058 0.058

버섯류 버섯류 표고버섯 Endosulfan 1 0.139 0.139

채소류

과채류

가지 Boscalid 1 0.524 0.524

고추Endosulfan 1 0.921 0.921

Ethoprophos 1 0.241 0.241

오이 Chlorothalonil 2 1.419 4.376

근채류 인삼Fludioxonil 1 1.800 1.800

Tolclofos-methyl 1 5.394 5.394

엽경채류

달래 Pyraclostrobin 1 7.406 7.406

돌나물 Procymidone 1 0.181 0.181

미나리 Endosulfan 1 1.900 1.900

부추

Azoxystrobin 1 0.351 0.351

Diazinon 1 1.144 1.144

Terbufos 1 0.887 0.887

엽채류

겨자채Paclobutrazol 4 0.791 7.116

Procymidone 1 0.083 0.083

고춧잎 Procymidone 1 0.149 0.149

근대

Acetamiprid 1 1.732 1.732

Diazinon 1 0.303 0.303

Dimethomorph 1 4.475 4.475

들깻잎

Chlorothalonil 1 17.900 17.900

Kresoxim-methyl 1 1.007 1.007

Tolylfluanid 1 4.714 4.714

머위

Chlorpyrifos 1 0.095 0.095

Endosulfan 2 0.174 2.919

Pendimethalin 1 0.201 0.201

무(잎) Diazinon 1 0.200 0.200

부록 / 207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4 52 채소류 엽채류

배추

Azoxystrobin 2 0.281 0.320

Chlorothalonil 1 13.191 13.191

Dimethomorph 1 1.197 1.197

비름나물 Azoxystrobin 1 0.914 0.914

시금치

Azoxystrobin 1 0.620 0.620

Chlorothalonil 1 13.743 13.743

Dimethomorph 1 3.184 3.184

쑥갓 Endosulfan 1 0.326 0.326

참나물 Procymidone 4 0.118 0.417

취나물

Azoxystrobin 1 5.331 5.331

Fludioxonil 2 0.129 0.306

Mepanipyrim 1 2.214 2.214

Procymidone 1 0.613 0.613

Pyraclostrobin 2 1.024 1.539

5 39

과실류 감귤류 밀감Dicofol 1 2.883 2.883

Procymidone 1 0.143 0.143

버섯류 버섯류 양송이버섯 Endosulfan 1 0.059 0.059

채소류

과채류오이 Chlorothalonil 1 1.531 1.531

호박 Procymidone 1 0.142 0.142

엽경채류

돌나물 Procymidone 1 0.166 0.166

부추 Fenitrothion 1 0.060 0.060

셀러리 Ethoprophos 1 0.181 0.181

Endosulfan 1 1.842 1.842

Iprodione 1 4.742 4.742

Procymidone 1 13.100 13.100

엽채류

들깻잎 Diazinon 1 0.492 0.492

머위 Azoxystrobin 1 4.900 4.900

무(잎)Diazinon 1 0.558 0.558

Endosulfan 1 0.178 0.178

배추 Endosulfan 1 0.513 0.513

비름나물 Azoxystrobin 1 1.291 1.291

상추 Chlorfenapyr 1 0.586 0.586

20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5 39 채소류 엽채류

상추

Endosulfan 2 0.214 0.246

Ethoprophos 1 0.188 0.188

Flutolanil 1 3.040 3.040

Terbufos 1 0.115 0.115

시금치

Azoxystrobin 3 1.255 2.897

Chlorothalonil 1 7.400 7.400

Endosulfan 1 1.500 1.500

Procymidone 1 8.100 8.100

Thiamethoxam 1 0.832 0.832

쑥갓 Ethoprophos 1 0.200 0.200

참나물Diazinon 1 0.370 0.370

Procymidone 3 0.171 7.308

취나물

Azoxystrobin 1 3.934 3.934

Chlorpyrifos 1 0.330 0.330

Endosulfan 1 0.226 0.226

Ethoprophos 1 0.045 0.045

6 60

과실류 감귤류 밀감 Dicofol 1 2.650 2.650

채소류

과채류 고추

Ethoprophos 1 0.036 0.036

Fenazaquin 1 0.098 0.098

Methidathion 1 0.332 0.332

엽경채류

돌나물 Procymidone 1 0.118 0.118

파Azoxystrobin 1 3.300 3.300

Iprodione 1 1.917 1.917

엽채류

고춧잎

Chlorothalonil 1 1.218 1.218

Endosulfan 1 0.284 0.284

Permethrin 1 3.141 3.141

Thiamethoxam 2 1.712 2.129

근대

Diazinon 1 0.237 0.237

Endosulfan 2 0.195 1.700

Ethoprophos 1 0.034 0.034

Procymidone 1 0.710 0.710

들깻잎 Azoxystrobin 1 0.433 0.433

부록 / 209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6 60 채소류 엽채류

들깻잎

Carbofuran 1 0.199 0.199

Chlorpyrifos 1 0.311 0.311

Cyhalothrin 1 0.652 0.652

Endosulfan 1 0.873 0.873

Flufenoxuron 1 5.988 5.988

무(잎)Diazinon 2 0.158 0.810

Indoxacarb 1 1.191 1.191

배추

Azoxystrobin 1 0.300 0.300

Cypermethrin 1 8.130 8.130

Diazinon 1 0.414 0.414

Endosulfan 1 2.204 2.204

Lufenuron 1 0.408 0.408

Novaluron 1 1.016 1.016

비름나물Azoxystrobin 3 0.636 1.463

Chlorpyrifos 1 0.316 0.316

상추

Chlorothalonil 1 46.545 46.545

Chlorpyrifos 1 0.181 0.181

Endosulfan 1 1.400 1.400

Etoxazole 1 0.439 0.439

Flufenoxuron 1 1.005 1.005

시금치

Chlorpyrifos 1 0.124 0.124

Endosulfan 3 0.177 4.530

Kresoxim-methyl 1 0.362 0.362

쑥갓

Diazinon 4 0.157 1.183

Dimethomorph 1 7.392 7.392

Ethoprophos 4 0.069 0.259

참나물Diazinon 1 0.767 0.767

Endosulfan 1 0.185 0.185

취나물Azoxystrobin 1 9.500 9.500

Ethoprophos 1 0.060 0.060

파슬리 Endosulfan 1 0.168 0.168

7 94 과실류 이과류 사과 Prothiofos 1 0.185 0.185

21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7 94 채소류

과채류

고추

Bendiocarb 1 0.060 0.060

Dimethomorph 1 1.173 1.173

Methomyl 1 1.670 1.670

멜론 Endosulfan 1 0.162 0.162

오이 Chlorothalonil 1 1.209 1.209

근채류 인삼 Tolclofos-methyl 1 1.780 1.780

엽경채류

미나리 Iprobenfos 1 0.300 0.300

부추 Lufenuron 1 0.353 0.353

셀러리 Methidathion 1 1.262 1.262

파 Iprodione 2 1.891 2.900

엽채류

겨자채Diazinon 1 0.254 0.254

Paclobutrazol 1 2.498 2.498

고춧잎

Acetamiprid 1 1.737 1.737

Acrinathrin 1 2.337 2.337

Chlorpyrifos 1 0.452 0.452

Dimethomorph 2 0.600 14.582

Endosulfan 1 1.074 1.074

EPN 1 1.899 1.899

Ethoprophos 1 0.044 0.044

Lufenuron 1 1.000 1.000

Pyraclostrobin 1 0.893 0.893

Thiacloprid 1 1.089 1.089

근대Endosulfan 4 0.164 3.056

Ethoprophos 1 0.042 0.042

들깻잎

Azoxystrobin 1 11.304 11.304

Carbofuran 1 0.353 0.353

Chlorpyrifos 2 0.052 0.090

Endosulfan 1 1.808 1.808

EPN 1 3.800 3.800

Ethoprophos 2 0.342 0.373

Metalaxyl 1 0.652 0.652

Methidathion 1 0.831 0.831

부록 / 211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7 94 채소류 엽채류

들깻잎 Thiacloprid 1 1.403 1.403

무(잎)

Azoxystrobin 1 4.171 4.171

Chlorothalonil 1 33.337 33.337

Chlorpyrifos 1 0.060 0.060

Lufenuron 1 1.253 1.253

배추Endosulfan 1 0.377 0.377

Prothiofos 1 1.002 1.002

상추

Chlorpyrifos 1 0.075 0.075

Endosulfan 5 0.230 2.232

Ethoprophos 1 0.229 0.229

Isoprothiolane 1 0.490 0.490

Procymidone 1 5.584 5.584

시금치

Azoxystrobin 1 3.536 3.536

Chlorpyrifos 1 0.017 0.017

Cyazofamid 1 5.000 5.000

Dimethomorph 1 8.022 8.022

Novaluron 2 0.700 1.015

쑥갓

Diazinon 1 1.345 1.345

Dimethomorph 1 5.976 5.976

Endosulfan 1 0.167 0.167

Ethoprophos 1 0.164 0.164

Lufenuron 1 0.662 0.662

Phenthoate 1 2.130 2.130

Procymidone 1 8.979 8.979

아욱 Endosulfan 1 5.347 5.347

참나물

Chlorpyrifos 1 0.080 0.080

Chlorpyrifos-methyl 1 1.100 1.100

Endosulfan 3 0.870 1.223

Methidathion 1 6.800 6.800

Terbufos 1 0.146 0.146

청경채 Pyrazophos 1 0.391 0.391

취나물 Chlorothalonil 1 16.133 16.133

212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7 94 채소류 엽채류

취나물

Chlorpyrifos 5 0.023 0.261

Endosulfan 2 0.277 1.200

EPN 1 1.830 1.830

Fenitrothion 1 4.700 4.700

Fosthiazate 1 0.670 0.670

Lufenuron 1 0.727 0.727

Methidathion 1 1.750 1.750

치커리(잎)Carbofuran 1 0.400 0.400

Endosulfan 2 0.611 1.321

8 88

과실류 핵과류 복숭아 EPN 1 0.173 0.173

채소류

과채류

고추 Profenofos 1 2.113 2.113

오이Dimethomorph 1 0.521 0.521

EPN 1 0.160 0.160

피망 Endosulfan 1 0.224 0.224

엽경채류

돌나물 Kresoxim-methyl 1 0.573 0.573

셀러리

Chlorpyrifos 1 0.193 0.193

Diazinon 1 0.664 0.664

Methidathion 1 0.900 0.900

파 Endosulfan 1 1.424 1.424

엽채류

고춧잎

Azoxystrobin 1 20.700 20.700

Carbendazim 6 2.200 7.254

Chlorpyrifos 1 0.468 0.468

Imidacloprid 1 1.700 1.700

Lufenuron 2 1.600 4.900

Methomyl 1 1.326 1.326

Pyraclostrobin 1 1.400 1.400

Trifloxystrobin 1 0.951 0.951

근대Endosulfan 1 0.307 0.307

Etofenprox 1 3.094 3.094

들깻잎

Chlorpyrifos 2 0.068 0.307

Diazinon 2 0.172 1.901

Endosulfan 2 0.444 2.276

부록 / 213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8 88 채소류 엽채류

들깻잎

EPN 1 2.579 2.579

Ethoprophos 1 0.127 0.127

Fenitrothion 1 1.100 1.100

Fenpropathrin 2 0.699 0.801

Pyraclostrobin 1 0.721 0.721

Pyridaben 1 3.700 3.700

Thiamethoxam 1 2.002 2.002

머위 Methidathion 1 0.592 0.592

무(잎)

Carbaryl 1 2.200 2.200

Dimethomorph 1 3.119 3.119

Endosulfan 2 0.186 0.486

Procymidone 1 5.288 5.288

배추

Azoxystrobin 1 1.586 1.586

Diazinon 1 0.420 0.420

Endosulfan 2 0.486 1.808

Novaluron 1 0.521 0.521

비름나물 Pyridaben 1 2.265 2.265

상추

Chlorfenapyr 1 0.770 0.770

Chlorpyrifos 2 0.050 0.068

Endosulfan 5 0.238 2.078

시금치

Chlorpyrifos 1 0.082 0.082

Endosulfan 3 0.891 1.800

Fenitrothion 1 0.787 0.787

Flutolanil 1 0.972 0.972

쑥갓

Diazinon 2 0.586 0.725

Diethofencarb 1 4.918 4.918

Dimethomorph 1 4.052 4.052

Endosulfan 1 0.628 0.628

Ethoprophos 3 0.052 1.210

Iprobenfos 1 0.396 0.396

아욱 Cyhalothrin 1 0.461 0.461

참나물 Diazinon 1 1.216 1.216

214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8 88 채소류 엽채류

참나물

Endosulfan 1 0.377 0.377

Methidathion 1 0.565 0.565

Vinclozolin 1 1.411 1.411

청경채

Chlorpyrifos 1 0.055 0.055

Diazinon 1 0.170 0.170

Dimethomorph 1 0.811 0.811

취나물

Azoxystrobin 1 3.731 3.731

EPN 1 0.855 0.855

Tolclofos-methyl 1 1.210 1.210

치커리(잎)Diazinon 1 0.366 0.366

Endosulfan 1 2.864 2.864

9 80

과실류 핵과류 복숭아 Methidathion 1 1.000 1.000

채소류

과채류

가지 Iprodione 1 0.547 0.547

고추Endosulfan 1 0.188 0.188

EPN 1 2.298 2.298

엽경채류

부추Chlorpyrifos 1 0.100 0.100

Cypermethrin 1 1.042 1.042

Dimethomorph 1 5.540 5.540

Endosulfan 3 0.162 2.685

Kresoxim-methyl 1 1.000 1.000

Metalaxyl 1 0.890 0.890

엽채류

고춧잎

Cypermethrin 1 3.203 3.203

Ethoprophos 1 0.048 0.048

Kresoxim-methyl 1 0.534 0.534

Trifloxystrobin 1 8.207 8.207

근대

Chlorothalonil 1 6.400 6.400

Cypermethrin 1 1.823 1.823

Diethofencarb 1 4.965 4.965

Dimethomorph 1 3.484 3.484

Endosulfan 2 0.222 1.997

Procymidone 1 2.500 2.500

들깻잎 Carbendazim 1 9.916 9.916

부록 / 215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9 80 채소류 엽채류

들깻잎

Chlorpyrifos 4 0.036 0.326

Cypermethrin 1 5.100 5.100

EPN 1 0.172 0.172

Ethoprophos 1 1.092 1.092

Fenitrothion 1 0.400 0.400

Fenobucarb 1 0.761 0.761

Isoprothiolane 1 0.500 0.500

무(잎)

Chlorpyrifos 1 1.670 1.670

Diazinon 1 2.237 2.237

Teflubenzuron 1 0.751 0.751

배추

Bifenthrin 1 1.584 1.584

Carbaryl 1 3.977 3.977

Chlorothalonil 1 19.891 19.891

Diazinon 2 0.251 0.406

Endosulfan 3 0.265 1.353

상추

Chlorothalonil 1 23.055 23.055

Chlorpyrifos 3 0.023 0.090

Endosulfan 8 0.264 6.428

Procymidone 1 15.644 15.644

시금치

Carbendazim 1 2.167 2.167

Chlorpyrifos 1 0.400 0.400

Endosulfan 2 0.535 2.401

쑥갓

Carbendazim 1 1.600 1.600

Diazinon 2 0.301 0.386

Endosulfan 4 0.273 6.300

Flutolanil 1 1.145 1.145

Methidathion 1 3.138 3.138

양배추 Endosulfan 1 0.281 0.281

참나물Diazinon 2 0.250 0.695

Ethoprophos 1 0.048 0.048

취나물Chlorpyrifos 1 0.051 0.051

Endosulfan 1 0.632 0.632

216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9 80 채소류 엽채류

취나물 EPN 1 0.940 0.940

치커리(잎) Chlorothalonil 1 5.600 5.600

케일 Diazinon 1 0.585 0.585

10 71 채소류

과채류

고추

Dimethomorph 1 0.834 0.834

Endosulfan 1 0.151 0.151

Methidathion 1 0.431 0.431

멜론 Kresoxim-methyl 1 0.344 0.344

오이Chlorothalonil 3 1.151 2.806

Methidathion 1 0.136 0.136

근채류 무(뿌리) Endosulfan 1 0.482 0.482

엽경채류

부추

Carbendazim 1 2.667 2.667

Chlorothalonil 1 5.898 5.898

Fludioxonil 1 0.496 0.496

Fenitrothion 1 0.124 0.124

Iprodione 1 0.513 0.513

Metalaxyl 1 0.287 0.287

엽채류

갓 Diazinon 1 0.357 0.357

고춧잎 Endosulfan 1 2.000 2.000

근대

Azoxystrobin 1 2.838 2.838

Carbendazim 1 4.214 4.214

Chlorothalonil 1 25.600 25.600

Chlorpyrifos 1 0.174 0.174

Diethofencarb 1 4.098 4.098

Endosulfan 1 1.156 1.156

Flufenoxuron 1 1.568 1.568

Procymidone 1 0.250 0.250

Tebupirimfos 1 0.078 0.078

냉이 Endosulfan 1 0.312 0.312

들깻잎Methidathion 1 1.048 1.048

Pyraclostrobin 1 0.558 0.558

무(잎)Diazinon 1 1.135 1.135

Diniconazole 1 0.386 0.386

부록 / 217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10 71 채소류 엽채류

무(잎) Endosulfan 3 0.193 0.700

배추

Chlorothalonil 1 11.961 11.961

Cypermethrin 1 11.550 11.550

Dimethomorph 1 0.784 0.784

Lufenuron 1 0.700 0.700

Prothiofos 1 0.077 0.077

비름나물 Azoxystrobin 1 3.030 3.030

상추

Azoxystrobin 3 0.610 6.310

Endosulfan 2 0.200 0.215

EPN 1 0.160 0.160

세발나물 Chlorpyrifos 1 0.210 0.210

시금치

Chlorothalonil 1 30.493 30.493

Chlorpyrifos 3 0.023 0.100

Cypermethrin 1 10.481 10.481

Endosulfan 3 0.337 1.325

Ethaboxam 1 5.072 5.072

Flufenoxuron 2 1.951 3.652

Indoxacarb 1 0.404 0.404

Lufenuron 1 1.055 1.055

Tebupirimfos 1 0.066 0.066

Terbufos 1 0.132 0.132

쑥갓

Diazinon 3 0.157 1.489

Dimethomorph 1 3.796 3.796

Endosulfan 1 1.470 1.470

Fenitrothion 1 2.427 2.427

참나물

Diazinon 1 0.449 0.449

Fenitrothion 1 6.972 6.972

Procymidone 1 0.157 0.157

11 94

과실류 감귤류 밀감 EPN 2 0.232 0.251

기타 기타 고춧가루 Endosulfan 1 1.375 1.375

채소류과채류 오이 Methidathion 2 0.160 0.210

엽경채류 돌나물 Boscalid 1 0.718 0.718

218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11 94 채소류

엽경채류

부추

Carbendazim 2 2.604 5.128

Endosulfan 1 3.327 3.327

EPN 1 0.370 0.370

Iprodione 1 12.573 12.573

Procymidone 1 9.390 9.390

셀러리 Chlorothalonil 1 17.927 17.927

Endosulfan 1 0.220 0.220

Flufenoxuron 1 0.834 0.834

Iprodione 2 0.948 2.366

엽채류

Endosulfan 2 0.336 0.684

Flufenoxuron 2 1.719 1.777

Lufenuron 1 0.522 0.522

겨자채Dimethomorph 1 8.438 8.438

Paclobutrazol 2 0.072 1.533

근대

Azoxystrobin 1 1.970 1.970

Chlorpyrifos 1 0.376 0.376

Endosulfan 2 0.342 7.694

Methoxyfenozide 1 4.595 4.595

Tebupirimfos 1 0.189 0.189

들깻잎

Chlorpyrifos 1 0.040 0.040

Endosulfan 1 1.800 1.800

Pyridaben 1 6.403 6.403

배추

Diazinon 2 0.359 0.365

Dimethomorph 3 0.600 1.045

Tebupirimfos 1 0.171 0.171

상추

Boscalid 1 7.462 7.462

Carbendazim 3 5.414 12.554

Chlorpyrifos 4 0.019 0.096

Cypermethrin 1 2.239 2.239

Diazinon 1 0.540 0.540

Endosulfan 8 0.231 1.596

Ethoprophos 1 0.050 0.050

부록 / 219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11 94 채소류 엽채류

상추

Flufenoxuron 1 2.268 2.268

Kresoxim-methyl 1 0.419 0.419

Lufenuron 1 1.823 1.823

Thifluzamide 1 0.090 0.090

시금치

Chlorothalonil 1 57.900 57.900

Chlorpyrifos 2 0.020 0.036

Cypermethrin 1 2.467 2.467

Dimethomorph 1 4.513 4.513

Endosulfan 3 0.438 1.230

Flufenoxuron 1 2.106 2.106

Indoxacarb 1 0.866 0.866

Metalaxyl 1 3.278 3.278

Tebupirimfos 1 0.030 0.030

쑥갓

Carbofuran 1 0.247 0.247

Chlorpyrifos 1 0.040 0.040

Diazinon 3 0.716 1.039

Kresoxim-methyl 1 8.917 8.917

Metalaxyl 1 0.677 0.677

Procymidone 1 15.000 15.000

참나물

Diazinon 2 0.240 0.244

Mepanipyrim 1 0.607 0.607

Phenthoate 2 0.286 0.293

Procymidone 3 5.956 10.725

Tricyclazole 1 1.414 1.414

취나물Diazinon 1 0.254 0.254

Fenitrothion 1 1.344 1.344

12 54

과실류 감귤류 밀감 Carbaryl 1 0.688 0.688

기타 기타 고춧가루 Endosulfan 2 0.437 0.473

서류 서류 감자 Endosulfan 1 0.164 0.164

채소류

과채류 고추 Methidathion 2 0.175 0.175

엽경채류부추 Procymidone 2 10.649 14.437

파 Endosulfan 1 0.306 0.306

220 / 경기도내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접수월 월빈도 대분류 소분류 품목 농약성분명부적합

빈도

최소농도

(mg/kg)

최대농도

(mg/kg)

12 54 채소류 엽채류

고춧잎 Endosulfan 1 19.436 19.436

근대

Acetamiprid 1 1.400 1.400

Diazinon 1 2.701 2.701

Endosulfan 1 0.191 0.191

Procymidone 1 16.702 16.702

들깻잎Carbendazim 1 14.056 14.056

Ethoprophos 1 0.136 0.136

무(잎) Endosulfan 1 0.838 0.838

배추

Dimethomorph 1 1.593 1.593

Endosulfan 1 0.300 0.300

Procymidone 1 9.015 9.015

상추

Boscalid 1 14.702 14.702

Carbofuran 1 6.600 6.600

Chlorpyrifos 3 0.038 0.130

Endosulfan 3 0.185 0.924

Ethoprophos 1 0.219 0.219

Kresoxim-methyl 1 4.800 4.800

Procymidone 3 6.895 9.433

시금치

Boscalid 1 15.879 15.879

Diethofencarb 1 2.580 2.580

Endosulfan 4 0.204 0.911

Indoxacarb 1 1.298 1.298

Metalaxyl 1 3.517 3.517

Procymidone 1 6.300 6.300

Pyrimethanil 1 7.243 7.243

Terbufos 1 0.018 0.018

Thiamethoxam 1 0.956 0.956

쑥갓

Carbendazim 1 6.546 6.546

Chlorpyrifos 2 0.037 1.143

Diazinon 1 1.422 1.422

Tolclofos-methyl 1 1.861 1.861

아욱 Chlorpyrifos 1 0.056 0.056

참나물Procymidone 2 7.739 10.050

Terbufos 1 0.027 0.027

경기도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평가

행정간행물 등록번호 71-6410578-000042-01

인 쇄 2012년 2월

발 행 2012년 2월

발행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천로 95http://gihe.gg.go.kr전화 : 031-250-2581팩스 : 031-250-2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