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8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Print)ISSN 2092-9374 (Online) http://dx.doi.org/10.3341/jkos.2015.56.10.1489 Original Article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Clinical Outcomes of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A 1-Year Retrospective Study 한겨레임동희정의상정태영 Gyu Le Han, MD, Joo Hyun, MD, Dong Hui Lim, MD, Eui Sang Chung, MD, PhD, Tae Young Chung, MD, PhD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1-year results of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in Kore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9 patients (10 eyes) with endothelial disease who underwent DMEK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In 8 eyes with successful results after surgery, best corrective visual acuity (BCVA)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1.64 ± 0.21 (log MAR, mean) to 0.35 ± 0.22 at 1 month and was maintained at 12 months (p = 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BCVA at postoperative 3, 6 and 12 months were gradually increased (0.25 ± 0.23, 0.20 ± 0.17 and 0.16 ± 0.17 log MAR). Endothelial cell counts were 1,996 ± 528/mm 2 , 1,564 ± 174/mm 2 and 1,463 ± 541/mm 2 , 1,205 ± 358/mm 2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tended to decrease bu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stigma- tism before and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3.32 ± 2.36 diopter and 2.57± 1.44 diopter). Primary graft failure occurred in 2 eyes and 1 received reoperation. Total detachment was found in 1 eye. Conclusions: The 1-year results of DMEK showed fast visual recovery which was maintained for 12 months. DMEK may be a very efficient option for the surgical management of corneal endothelial disea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Key Words: Cornea, DMEK, Endothelial keratoplasty Received: 2015. 4. 17. Revised: 2015. 6. 4. Accepted: 2015. 8. 14. Address reprint requests to Tae Young Chung,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amsung Medical Center, #81 Irwon-ro, Gangnam-gu, Seoul 06351, Korea Tel: 82-2-3410-3564, Fax: 82-2-3410-0029 E-mail: [email protected] 2015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각막 내피세포의 이상이 원인이 되는 각막질환에 대해 손상된 각막내피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이식하는 수술법은 1998Melles et al 1 이 각공막 절개창을 통해 각막의 후부 층판과 데스메막, 내피세포를 박리한 뒤 후부층판, 데스메 막 및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공여 각막절편을 삽입하고 공기 방울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후부층판 각막이식술(posterior lamellar keratoplasty, PLK) 을 소개한 후 , 이를 Terry and Ousley 2 가 심층판 각막내피세포 이식술(Deep lamellar endotherlial keratopathy, DLEK)로 적용하면서 발전하였다. Ousley and Terry 3 DLEK를 시행한 뒤 2년 경과 후 각막굴절력 및 난 시의 변화가 심하지 않으며 내피세포가 안정적으로 유지됨 을 보고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주장하였으나 수여 각막 및 공여 각막의 박리에서 기술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이 후 Gorovoy and Price 4 는 수여 각막에서 데스메막만을 박리한 뒤 후층판과 데스메막,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각막절편을 작 은 절개창을 통하여 삽입하는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 식술(Descemet-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소개하였고, Gorovoy 5 에 의해 공여-수여 각막 사이면을 호 전시키며 보다 안전하고 일정한 두께의 각막편을 만들 수

Transcript of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Page 1: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ISSN 0378-6471 (Print)⋅ISSN 2092-9374 (Online)http://dx.doi.org/10.3341/jkos.2015.56.10.1489 Original Article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Clinical Outcomes of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A 1-Year Retrospective Study

한겨레⋅현 주⋅임동희⋅정의상⋅정태영

Gyu Le Han, MD, Joo Hyun, MD, Dong Hui Lim, MD, Eui Sang Chung, MD, PhD, Tae Young Chung, MD, PhD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1-year results of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in Korea.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9 patients (10 eyes) with endothelial disease who underwent DMEK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Results: In 8 eyes with successful results after surgery, best corrective visual acuity (BCVA)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1.64 ± 0.21 (log MAR, mean) to 0.35 ± 0.22 at 1 month and was maintained at 12 months (p = 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BCVA at postoperative 3, 6 and 12 months were gradually increased (0.25 ± 0.23, 0.20 ± 0.17 and 0.16 ± 0.17 log MAR). Endothelial cell counts were 1,996 ± 528/mm2, 1,564 ± 174/mm2 and 1,463 ± 541/mm2, 1,205 ± 358/mm2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tended to decrease bu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stigma-tism before and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3.32 ± 2.36 diopter and 2.57± 1.44 diopter). Primary graft failure occurred in 2 eyes and 1 received reoperation. Total detachment was found in 1 eye.Conclusions: The 1-year results of DMEK showed fast visual recovery which was maintained for 12 months. DMEK may be a very efficient option for the surgical management of corneal endothelial disease.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Key Words: Cornea, DMEK, Endothelial keratoplasty

■ Received: 2015. 4. 17. ■ Revised: 2015. 6. 4.■ Accepted: 2015. 8. 14.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Tae Young Chung, MD, PhDDepartment of Ophthalmology, Samsung Medical Center, #81 Irwon-ro, Gangnam-gu, Seoul 06351, KoreaTel: 82-2-3410-3564, Fax: 82-2-3410-0029E-mail: [email protected]

ⓒ2015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각막 내피세포의 이상이 원인이 되는 각막질환에 대해

손상된 각막내피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이식하는 수술법은

1998년 Melles et al1이 각공막 절개창을 통해 각막의 후부

층판과 데스메막, 내피세포를 박리한 뒤 후부층판, 데스메

막 및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공여 각막절편을 삽입하고 공기

방울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후부층판 각막이식술(posterior

lamellar keratoplasty, PLK)을 소개한 후, 이를 Terry and Ousley2

가 심층판 각막내피세포 이식술(Deep lamellar endotherlial

keratopathy, DLEK)로 적용하면서 발전하였다. Ousley and

Terry3는 DLEK를 시행한 뒤 2년 경과 후 각막굴절력 및 난

시의 변화가 심하지 않으며 내피세포가 안정적으로 유지됨

을 보고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주장하였으나 수여 각막 및

공여 각막의 박리에서 기술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이 후

Gorovoy and Price4는 수여 각막에서 데스메막만을 박리한

뒤 후층판과 데스메막,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각막절편을 작

은 절개창을 통하여 삽입하는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

식술(Descemet-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을

소개하였고, Gorovoy5에 의해 공여-수여 각막 사이면을 호

전시키며 보다 안전하고 일정한 두께의 각막편을 만들 수

Page 2: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90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Figure 1. Photograph (A) and schematic figure (B) of processed donor cornea. A graft was dissected from the stroma, hinge attached to donor cornea inhibiting graft loss.

있는 미세각막절개도를 이용하는 데스메막박리 자동각막내

피층판이식술(Descemet-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

atoplasty, DSAEK)이 개발되었다. DSAEK는 전층각막이식

에 비해 빠른 시력 회복 및 적은 술 후 난시, 낮은 거부반응

을 보이며,6 각막내피부전증 환자에서 널리 쓰이는 수술 방

법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Melles et al7은 데스메막만을 선택적으로 이식하는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Descemet’s membrane endothe-

lial keratoplasty, DMEK)을 소개하였다. DMEK는 공여 각

막에서 데스메막과 내피세포를 박리한 뒤 수여 각막에서

데스메막 및 내피세포만을 박리하여 채취한 절편을 전방에

삽입한다. 이후 삽입된 절편을 공기 방울 조작을 통해 편

뒤 수여 각막의 후부층판에 접합하는 방식으로 공여 각막

에서 실질 조직을 제거함으로써 DSEK에 비해 공여-수여

각막 경계면의 불균일함과 실질 두께의 불규칙함을 없애고,

각막 후면의 균일함을 호전시킴으로써,8 더 나은 시력호전

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DMEK

수술 후 임상결과에 대해 보고된 바가 아직 없어, 저자들은

국내 최초로 DMEK를 시행 받은 환자에 대해 수술 후 12개

월간의 임상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한 명의

술자에 의해 각막내피세포 부전으로 DMEK를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2개월 이상 추적관찰 후 후향

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신 마취하에 환자의 수술 안

에 지름 8.0 mm로 데스메막 제거 반경을 표면에 표시한 후

상측 또는 이측으로(가능한 한 각막 곡률이 큰 방향) 3.0 mm

길이의 윤부각막절개를 한 뒤 초음파 수정체 유화술 및 인공수

정체 삽입술이 필요한 경우 같은 절개창을 이용하여 먼저 시

행하였다. 이후 Reverse Sinskey hook (D.O.R.C. International,

Zuidland, The Netherlands)을 이용하여 표시된 제거 반경보

다 조금 더 크게 데스메막을 절개한 뒤 Scraper (D.O.R.C.,

International, Zuidland, The Netherlands)를 이용하여 중심

부 데스메막을 벗겨 내어 추후 공여 절편과 박리되지 않은

데스메막이 겹치지 않도록 하였다. 공여각막은 해외 안은행

에서 안과적 수술력이 없고, 내피세포 수가 2,500/mm2 이상

인 각막을 사용하여 데스메막 및 내피세포를 박리하여 제조

된 이식절편을 이용하였다(Fig. 1). 공여각막절편은 이송 중

완전 박리를 예방하기 위해 공여 각막 실질 일부가 연결

(hinge)되도록 제작되었다. 공여 각막의 내피세포 쪽을 0.06%

trypan blue solution (Vision blue; D.O.R.C. International,

Zuidland, The Netherlands)로 염색한 뒤 각막원형절제기로

잘라낸 후 데스메막과 내피세포가 포함된 각막 절편을 분리

해 냈다. 평형염액(Balanced Salt Solution, BSS, Alcon, Fort

Worth, TX, USA)을 인공수정체 삽입기(VISCOJECTTM-BIO

injector-set, Medicel, Wolfhalden, Switzerland) 내부에 채운

뒤 Forcep으로 각막 절편 끝을 잡아 삽입기 내부에 위치시

키면 내피세포 면이 바깥쪽으로, 데스메막 면이 안쪽으로

위치하며 둥글게 말린다(Fig. 2). 절개창을 통하여 절편을

전방에 삽입하면 삽입된 절편은 전방 내에서 아래로 말려

있게 되며 약간의 BSS를 순간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와류

(turbulent flow)를 일으켜 이를 위로 말린 형태로 뒤집었다.

그 후 절편 아래로 약간의 공기를 넣고 각막의 표면을 두드

리거나(tapping) 문지름으로써 말려 있는 절편을 펴지게 하

면서 중심부위에 위치하게 하였다(Fig. 3). 이후 윤부를 통

하여 절편 아래로 전방 전체를 채우는 큰 공기 방울을 주입

하여 수여 각막과의 유착을 유도하였다(Fig. 4). 40분간 대

A B Donor cornea

Endothelium + Descemet

membrane graft

Hinge

Page 3: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91

-한겨레 외 :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 임상결과-

A B

Injector

Endothelial side

Descemet

membrane side

Figure 2. (A) The rolled graft positioned in the cartilage of injector. BSS was filled in rest of the space. (B) Schematic figure of the rolled graft. Graft was rolled with the inner Descemet’s membrane side and outer endothelial side. BSS = balanced salt solution.

Descemetmembrane sideDescemet

membrane side

Scrapping or tapping

Endothelial side

Short burstof BSS

Endothelial side

Small bubble

Turbulent flow

Figure 3. (A) Graft in the anterior chamber. Short burst of BSS rolled the graft upside. (B) Small bubble was injected under the graft. (C) Tapping or scraping the cornea generated turbulent flow. The graft unwrapped between the flow and the bubble. BSS = bal-anced salt solution.

A B

Air bubble pushed

the graft toward

recipient cornea

Figure 4. (A) Air injection under the donor graft. (B) Air bubble pushed the donor graft toward the recipient cornea, inducing graft attachment

기한 뒤 동공 차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공기를 제거하

고 수술을 종료하였다. 수술 후 환자들은 충분히 절편이 유

착될 때까지 1-2일간 가능한 한 앙와위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안약(levofloxacin 0.5%, Cravit®,

Santen, Osaka, Japan)을 점안하였고 거부 반응 방지를 위해

스테로이드 안약(prednisolone acetate 1%, Predforte®, Allergan,

Irvine, CA, USA)을 점안하였다. 전방 내 동공 차단 방지를

위하여 술 전 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전방 내

다량의 공기로 동공 차단 발생이 우려될 경우 산동제를 점

안하였다.

A B C

Page 4: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92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A B

Figure 5. Case 7. A 16 years-old female with early-onset Fuch’s dystrophy. (A) Diffuse corneal edema is observed before DMEK operation. (B) At 1 month after operation, edema is much decreased and the corneal clarity is almost fully restored. DMEK = Descemet's membraneendothelial keratoplasty.

A B

C D

Figure 6. (A) Anterior segment photo at postoperative day 7 showed partial detachment of Descemet’s membrane graft. (B) Graft de-tachment is also seen on anterior segment OCT at postoperative day 7. (C) Graft detachment decreased but corneal edema remained at postoperative 1 month. (D) Anterior segment OCT taken at posteroperative day 1 month shows decreased graft detachment and a small membrane fold. OCT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age 5: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93

-한겨레 외 :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 임상결과-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DMEK operation

CaseAge

(years)Sex Diagnosis

Preoperative BCVA (log MAR)

Preoperative CCT (μm)

Combined procedure

Remark

1 65 M PBK 1.70 8122 79 F PBK 1.52 7043 79 F PBK 1.52 724 Re-operation after

primary graft failure4 46 F Endothelial

de-compensation associated with AC-IOL

1.70 636 PE and PC-IOL

5 73 M PBK 1.70 843 Macular degeneration6 58 M PBK 1.40 7157 16 F Fuchs’ dystrophy 2.00 7728 52 F Fuchs’ dystrophy 2.00 738 PE and PC-IOL9 83 M PBK 1.70 724 Primary graft failure10 67 M PBK 1.52 619 Total graft detachmentMean 58.5 ± 21.04 1.69 ± 0.22 740.89 ± 65.1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unless otherwise indicated.DMEK =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BCVA =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CCT = central corneal thickness; M =male; F = female; PBK = 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AC-IOL = an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PE = phacoe-mulsification; PC-IOL =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환자들은 술 전과 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에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였고. 술 전과 술 후 3개월

에 각막지형도검사(Orbscan IIz, Bausch & Lomb, Rochester,

NY, USA)를 이용하여 각막의 난시값을 측정하였다. 술 전

과 술 후 6개월, 12개월에 초음파각막두께 검사를 시행하였

고, 술 전과 술 후 1, 3, 6, 12개월에 경면현미경(specular mi-

croscope, Noncon Robo, Konan Medical Inc., Hyogo, Japan)

을 이용하여 각막내피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술 후 12개월

째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하여 굴절 이상을 측정하였다.

수술 전후 임상결과 비교를 위하여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21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

을 이용하였으며,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각 시기별

수치를 비교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유의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DMEK를 시행 받은 환자는 총 9명, 10안이었다. 남성은

5명, 5안이고 여성은 4명, 5안이었으며 1명에서 양안 수술

을 시행하였다(Case 2, 3). 수술을 받은 평균 나이는 58.5 ±

21.0 (16-83)세였다. 수술 중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술 후 평균 관찰 기간은 17.7 ± 5.7 (12-24)개월이었다.

원인 질환은 인공수정체수포각막병증 7안, 근시 교정을

위한 전방 인공수정체로 인해 발생한 각막내피부전 1안,

푹스각막이영양증 2안이었고, 이 중 1안은 조기발생 푹스

각막이영양증(early-onset Fuchs’ dystrophy)으로 진단되었

다(Case 7, Fig. 5). 2안에서는 초음파수정체유화술 및 인공

수정체삽입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Table 1). 1안은 황반

부종에 대하여 망막 진료를 수진하면서 안내 덱사메타손

주사 치료를 수술 2년 전 3회, 수술 2주 전 1회 시행 받은

병력이 있었으며 술 후 지속적으로 망막 진료를 수진하였

다(Case 5). 술 전 녹내장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고 있는 안

은 없었다.

10안 중 2안에서 수술 후 각막 부종이 호전되지 않는 일

차 각막절편 생착실패를 보였으며(Case 3, 9), 1안에서는 2

개월 뒤 DMEK를 재시행하였다(Case 3). 1안에서 술 후 1

주일째 각막절편의 부분 분리가 관찰되었으며 분리 범위는

점차 감소하여 술 후 1개월째 소실되었고, 각막 부종은 감

소하였다(Case 8, Fig. 6). 1안에서 술 후 2주일째 각막절편

의 완전 분리가 발생하여 전방 공기주입술을 통해 절편 재

유착을 유도하였으며, 전방 공기주입술 1회 시행 후 절편은

재유착되었으나 1년 경과 관찰 시까지 각막 부종은 지속되

었다(Case 9). 일차 각막절편 생착실패를 보인 1안과 각막

절편의 완전 분리를 보인 1안은 환자 뜻에 따라 재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경과 관찰 중이며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Case 9, 10). 술 후 1안에서 지속적인 안압 상승을 보여 녹

내장 진료 의뢰되어 안압하강제를 점안하였다(Case 5).

술 전 최대 교정 시력은 평균 1.64 ± 0.21 logMAR였으며

술 후 1개월에 0.35 ± 0.22 logMAR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다(p=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술 후 3개월에 0.25 ± 0.23 logMAR였으며, 6개월, 12개월

에 측정한 최대 교정 시력은 0.20 ± 0.17, 0.16 ± 0.17

logMAR로 술 후 1개월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p=0.018, Wilcoxon signed ranks test, Table 2).

Page 6: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94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Table 2. Pre- and postoperative BCVA (log MAR) and CCT

Case* Age (years)

Preop BCVA

Postop BCVA Preop CCT (μm)

Postop CCT (μm)1 month 3 months 6 months 12 months 6 months 12 months

1 65 1.70 0.22 0.15 0.16 0.10 812 540 5432 79 1.52 0.15 0.05 0.05 0.05 704 N/D 4973 79 1.52 0.15 0.05 0.05 0.00 724 512 5464 46 1.70 0.40 0.40 0.15 0.10 636 N/D 4625 73 1.70 0.70 0.30 0.30 0.15 843 N/D N/D6 58 1.40 0.52 0.22 0.30 0.30 715 555 5787 16 2.00 0.10 0.05 0.05 0.05 772 458 4668 52 2.00 0.52 0.70 0.52 0.52 738 490 504Mean 1.69 ± 0.22 0.35 ± 0.22† 0.25 ± 0.23 0.20 ± 0.17‡ 0.16 ± 0.17‡ 740.89 ± 65.15 511.00 ± 38.82† 513.71 ± 43.5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unless otherwise indicated. Case 9 and 10 were excluded.BCVA = best corrective visual acuity; CCT = central corneal thickness; Preop = preoperative; Postop = postoperative; N/D = not done.*Case 9 and 10 were excluded; †Shows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 (p < 0.05, Wilcoxon signed ranks test); ‡Shows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ostoperative 1 month value (p < 0.05, Wilcoxon signed ranks test).

Table 3. Donor and postoperative endothelial cell count (/mm 2), refractive error (diopter, D) at 12 months after operation

Case* Age (years)

Donor endothelial cell counts

Postop endothelial cell count Refractive error (D)1 month 3 months 6 months 12 months Spherical Cylinder

1 65 2,844 2,129 1,675 1,024 1,113 +1.25 -1.02 79 2,849 N/D 1,461 N/D 1,098 -0.25 -1.53 79 2,756 N/D 1,326 1,326 692 0.0 -0.754 46 2,985 N/D 1,492 N/D 1,354 -2.75 -2.255 73 2,545 1,818 1,818 N/D 1,828 -2.25 -1.06 58 2,545 1,392 1,614 957 929 +1.75 -2.57 16 3,300 2,645 N/D 2,250 1,082 -1.0 -0.58 52 2,915 N/D N/D 1,759 1,543 -3.5 -0.5Mean 2,842 ± 245 1,996 ± 528 1,564 ± 174 1,463 ± 541 1,205 ± 35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unless otherwise indicated. Case 9 and 10 were excluded.Postop = postoperative; N/D = not done.*Case 9 and 10 were excluded.

각막초음파두께검사로 측정한 술 전 각막 두께는 평균

740.89 ± 65.18 μm였으며 술 후 6개월, 12개월에 511.00 ±

38.82 μm, 513.71 ± 43.51 μ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43, p=0.018, Wilcoxon signed ranks test, Table 3).

공여 각막의 내피세포 수는 평균 2,842 ± 245/mm2였고 술

후 경면현미경으로 측정한 각막내피세포 수는 술 후 1개월

에 1,996 ± 528/mm2였으며 술 후 3개월, 6개월, 12개월에

1,564 ± 174/mm2, 1,463 ± 541/mm2, 1,205 ± 358/mm2로

1개월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p=0.144, p=0.655, p=0.109, Wilcoxon signed ranks test,

Table 3). 단, 수술 후 1개월째 내피세포를 측정한 값이 총

8안 중 4안에서만 사용 가능하여 통계값의 검정력이 크지

않다. 공여 각막의 내피세포 수와 비교하였을 때는 술 후 1

개월째에는 유지되는 양상이었으나 3개월, 6개월, 12개월

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68, p=0.028,

p=0.043, p=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술 전과 술 후 3개월째 각막지형도검사로 측정한 각막 전

면 난시값은 각각 평균 3.32 ± 2.36 Diopter, 2.57 ± 1.44

Diopter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45,

Wilcoxon signed ranks test). 술 후 12개월에 현성굴절검사

를 통하여 측정한 난시값은 0.5-2.25 Diopter였다.

고 찰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DMEK)은 실질 조직을 제거한

데스메막만을 이식함으로써 다른 각막이식법에 비해 더 빠

르고 더 나은 시력의 호전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9 Ham et al10은 DMEK 후 1-3개월째에 호전 가능한 시

력의 최대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Price et al11은 56안의 DMEK 수술 후 1개월째 평균 최대교

정시력이 20/30으로 회복되었으며, 20%에서 20/20의 시력

을 회복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DSAEK 후 장기 임상결과를

분석한 Lee et al12에 의하면 술 전 최대교정시력이 logMAR

1.62에서 술 후 1개월째 1.15로 호전되었으며 12개월째

0.70으로 유지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술

전 최대교정시력 logMAR 1.64에서 수술 후 1개월째 0.35로

Page 7: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95

-한겨레 외 :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 임상결과-

회복되었으며, 12개월째 0.16으로 유지되었고, 수술 후 3개

월째 3안에서 20/25 이상의 술 후 시력을 보여 지금까지 보

고된 DSAEK의 임상결과보다 DMEK에서 더 빠르고 나은

시력의 호전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술 후 시

력 결과를 DSAEK 후의 결과와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

겠으나 본 결과는 DMEK의 술 후 시력 결과가 DSAEK에서

의 결과보다 더 나음을 보여주는 여러 기존 보고9,13와 일치한

다. DMEK에서의 시력 결과가 더 나은 원인으로는 더 얇은

수여 각막 절편의 사용으로 각막의 구조가 해부학적으로 거

의 완전히 복구되는 것이 DSAEK와의 차이를 나타낼 것이

라는 임상적 추론이 가능하나 아직 DSEAK에서의 수여각

막의 후층부가 시력 호전의 제한을 야기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14 일부 연구에서는 DSAEK 시행 후보다

DMEK 시행 후의 각막 후면의 고위수차의 변화가 적은 것8

을 근거로 시력 결과의 우월성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DSAEK 시행 후의 공여각막 후층부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15 본 연구에서의 술 후 시력 결과는

Guerra et al16의 연구에서 보고된 것보다 낮은 시력이나 이

는 황반 부종 등 동반 안과질환을 갖고 있는 안을 포함시켰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rice et al11의 연구에서 공여 각막에 비해 술 후 3개월

후 평균 내피세포 수의 감소는 31 ± 18%로 1년째에는 평균

36 ± 20%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술 후 1개월째에

비해서는 1년간 내피세포 수가 유지되었으나, 공여 각막 내

피세포 수와 비교할 때 술 후 3개월째 45%의 감소를 보였

으며 술 후 12개월째 58%의 감소를 보여 이전 보고에 비해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28, p=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이는 대상 안의 질환 분포군이 다르며 술

중 시행한 수정체 관련 시술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고, 이

전 연구에서는 같은 센터에서 수술 직전 공여 각막에서 절

편 제작을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제작된

각막을 배송 받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발생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Guerra et al16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의 내피세포 수의 감소가 술 후 3개월 내에 발생한 것에 비

해 본 연구에서는 3개월 이후 내피세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이전 결과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최초로 DMEK를 시행한 술자의

Learning curve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DMEK 수술의 초

심자에 의해 시행된 25안의 증례에서 술 후 6개월에 내피

세포 수가 45.5% 감소한 것으로 보고된 결과도 있어17 이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won et al18은 Fuchs’ dystrophy 환자에서의 DMEK 수

술 전후 Pentacam을 이용한 각막 변화의 분석을 보고하면

서 술 전과 술 후의 각막 전면 난시 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각막 난시 변화의 최소화는 내

피세포 각막이식술이 앞층판 각막이식술이나 전층 각막이

식술에 비해 보여지는 장점이나, DMEK의 경우 이식절편

이 데스메막만으로 이루어져 더 작은 절개창으로도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 큰 이점을 보인다고 주장하

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각막지형도검사로 측정한 각막 전면

난시 값 역시 수술 전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추후 DMEK를 시행하면서 수정체 관련 시술을 같이

시행할 때 세밀한 난시 조정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단 본

연구에서의 수술 전 각막지형도검사로 측정한 각막의 난시

값은 술 전 각막 상피의 불균일성 및 기질의 부종 때문에

정확히 측정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수술 전후의 각막

난시 측정치 비교가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1안에서는 완전 분리를 보여 전방 내 공기

주입술을 시행하여 재유착에 성공하였으나 각막 부종은 호

전되지 않았다. 1안에서 부분 분리를 보인 증례가 있었고

전체 절편의 5% 미만이며 분리가 진행하지 않아 경과 관찰

하였고, 그 위치에 각막 부종은 지속되었으나 시력에는 영

향이 없었다(Fig. 6). Melles et al7에 따르면 200안의 DMEK

수술 후 9%에서 각막절편분리를 보였는데 이 중 4%에서는

완전 분리를 보였으며 5%에서는 부분 분리를 보였다고 보

고하고 있다. DMEK 수술 후 전방 내 공기 주입술을 다시

시행한 경우는 11-82%9,11,19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각막 부종이 호전되지 않아 재이식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

역시 4-22%11,19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절편 유착의 어려

움과 공기 재주입술의 필요, 각막 부종의 지속 등은 DMEK

수술의 한계점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적은 대상 환자 수로 인해 통계

값의 검정력이 약하다는 것과, 단일 수술만을 시행한 것이

아니라 수정체 유화술 등이 병행되어 동일 수술에 대한 비

교를 시행하지 못한 점 등이 있다. 향후 더 많은 수의 대상

환자를 통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기증각막의 수급 및 각막이식에

적합한 공여각막절편의 제작이 어려워 고가의 제조된 수입

각막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국내 각막으로는

최근의 부분층각막이식을 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향

후 국내에서도 적당한 수가체계 확립 및 제작 시설 확충이

이루어져 적절한 시설을 갖춘 센터에서 국내 각막을 사용

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겠다.

결론적으로 DMEK를 시행한 후 12개월 이상의 장기 경

과 관찰 결과 빠른 시력 호전을 보이고 12개월 이상 이를

유지하였으며, 이는 각막내피부전증 환자에서 DMEK가 효

과적인 수술 방법임을 뒷받침한다.

Page 8: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 1489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0):1489-1496 ISSN 0378-6471

1496

= 국문초록 =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

목적: 저자들은 국내 최초로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의 1년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을 시행 받은 9명, 1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2개월

이상 추적관찰 후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부종이 감소한 8안을 분석 시 술 전 최대 교정시력은 평균 1.64 ± 0.21 (logMAR)이었으며 술 후 1개월에 0.35 ± 0.2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다(p=0.012, Wilcoxon signed ranks test). 술 후 3개월, 6개월, 12개월에 측정한 최대 교정시력은

0.25 ± 0.23, 0.20 ± 0.17, 0.16 ± 0.17 logMAR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내피세포 수는 술 후 1개월에 1,996 ± 528/mm2로

측정되었고 3개월, 6개월, 12개월에 1,564 ± 174/mm2, 1,463 ± 541/mm2, 1,205 ± 358/mm2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 술 전과 술 후 3개월째 각막 전면 난시값은 평균 3.32 ± 2.36 diopter, 2.57 ± 1.44 diopter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안 중 2안에서 일차 각막절편 생착실패를 보였으며, 1안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1안에서 각막절편의 완전 분리가

발생하였다.

결론: 데스메막 각막내피이식술 후 장기 경과 관찰 결과 빠른 시력 호전을 보이고 12개월 이상 이를 유지하였다. 데스메막 각막내피이

식술은 각막내피세포 질환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술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10):1489-1496>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0 호-

참고문헌

1) Melles GR, Eggink FA, Lander F, et al. A surgical technique for posterior lamellar keratoplasty. Cornea 1998;17:618-26.

2) Terry MA, Ousley PJ. Deep lamellar endothelial keratoplasty in the first United States patients: early clinical results. Cornea 2001; 20:239-43.

3) Ousley PJ, Terry MA. Stability of vision, topography,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from 1 year to 2 years after deep lamellar endothe-lial keratoplasty surgery. Ophthalmology 2005;112:50-7.

4) Gorovoy MS, Price FW. New technique transforms corneal transplantation. Cataract Refract Surg Today 2005;11:55-8.

5) Gorovoy MS. Descemet-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Cornea 2006;25:886-9.

6) Koenig SB, Covert DJ, Dupps WJ Jr, Meisler DM.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six months after Descemet stripping and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Cornea 2007;26:670-4.

7) Melles GR, Ong TS, Ververs B, van der Wees J.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Cornea 2006;25:987-90.

8) Rudolph M, Laaser K, Bachmann BO, et al. Corneal higher-order aberrations after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Ophthalmology 2012;119:528-35.

9) Tourtas T, Laaser K, Bachmann BO, et al.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versus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Am J Ophthalmol 2012;153:1082-90.e2.

10) Ham L, Balachandran C, Verschoor CA, et al. Visual rehabilitation rate after isolated descemet membrane transplantation: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Arch Ophthalmol 2009;127: 252-5.

11) Price MO, Giebel AW, Fairchild KM, Price FW Jr.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f visual and refractive outcomes and endothelial survival. Ophthalmology 2009;116:2361-8.

12) Lee JS, Park YG, Yoon KC. Long-term results of Descemet's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431-7.

13) Guerra FP, Anshu A, Price MO, Price FW. Endothelial kerato-plasty: fellow eyes comparison of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and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Cornea 2011;30:1382-6.

14) Dapena I, Ham L, Melles GR.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DSAEK or DMEK-the thinner the better? Curr Opin Ophthalmol 2009;20:299-307.

15) Muftuoglu O, Prasher P, Bowman RW, et al. Corneal higher-order aberrations after Descemet's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Ophthalmology 2010;117:878-84.e6.

16) Guerra FP, Anshu A, Price MO, et al.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prospective study of 1-year visual outcomes, graft survival, and endothelial cell loss. Ophthalmology 2011;118: 2368-73.

17) Droutsas K, Giallouros E, Melles GR, et al.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learning curve of a single surgeon. Cornea 2013;32:1075-9.

18) Kwon RO, Price MO, Price FW Jr, et al. Pentacam characterization of corneas with Fuchs dystrophy treated with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J Refract Surg 2010;26:972-9.

19) Dapena I, Ham L, Droutsas K, et al. Learning curve in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first series of 135 consecutive cases. Ophthalmology 2011;118:214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