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 08-15 종합물류사업자 전환에 따른 성공요인 분석 · 서 언 1 서 언...

251
종합물류사업자 전환에 성공요인 분석 -우정사업 종합물류업 기반조성을 중심으로- 2008. 12 이용수/이영종/안명옥/곽준식 기본연구 08-15

Transcript of 기본연구 08-15 종합물류사업자 전환에 따른 성공요인 분석 · 서 언 1 서 언...

  • 종합물류사업자 전환에 따른성공요인 분석-우정사업 종합물류업 기반조성을 중심으로-

    2008. 12

    이용수/이영종/안명옥/곽준식

    기본연구 08-15

  • 서 언 1

    서 언

    최근 동북아지역의 경제규모 및 교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글로벌 물류기업의 국내

    시장 잠식을 방지하고, 글로벌 물류기업과 동등한 수준에서 경쟁할 수 있는 종합물

    류기업 육성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물류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물류 관련 기본법을 제정하고 종합물류기업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등 장기적인

    측면에서 종합물류업체로 성장 가능한 기업을 집중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한편 세계의 글로벌 물류기업은 전략적 제휴 및 M&A를 통해 서비스 범위를 확대

    하면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며, 글로벌 물류시장은 이들 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물류정책 및 물류시장의 변화에서 수익기반의 확보를 위해 물류시장

    의 단계적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 많은 물류기업들도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미래 전

    략적 자산확보를 위한 선택과 집중의 투자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통상과

    택배에 관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우정사업본부와 같이 관련 물류사업을 확

    장하여 종합물류업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물류기업들에게는 종합물류업은 분명 매

    력적인 사업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류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물류 관련 연구도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종합물류업으로 진

    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는 이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입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합물류업 진출 기업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종합물류

    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성공요인에 대해서 실증적 분석을 하고 종합물류업에 진출하

    고자 하는 물류기업 입장에서 역량을 평가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 우정사업본부를 대상으로 역량평가를 하여 역량강화 방안을 실시하였습니

    다. 특히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는 우리나라 물류기업이 국제적인 종합물류기업으

    로 성공하기 위한 핵심성공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성장요인, 핵심성공요인,

  • 2

    성과요인으로 구분하여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공요인의 인과관

    계에 관한 연구가 기존에 있었지만 기존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새로운 구성개념을

    개발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실증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또한 실증적

    분석에서 도출된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종합물류업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이 갖

    춰야 하는 기반 및 역량을 어떠한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우정사업본부를 대

    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앞선 실증적 분석을 통한 학문적 의의와 함

    께 물류기업에서의 의사결정에 실무적 활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 연구를 통해 우정사업본부도 우편사업을 물류적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국내 물류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우편사업을 물류 전체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물류기능으로서의 우편사업 역할을 정립하고 우편서비스를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편사업의 물류역량 강화는 고객들에게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국내 물류산업의 전반적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연구는 본 원 우정경영연구소의 이용수 책임연구원과 이영종, 안명옥 주임연

    구원, 이형돈 연구원이 참여하여 수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동서대학교 곽준식 교수

    가 종합물류업 진출을 위한 모형 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도움을 주셨습니다. 또한 연

    구 진행 과정의 토론에 참여하는 한편 자료 협조를 마다하지 않으신 우정사업본부

    관계 직원 특히 서울체신청 전 업무국장 권시혁님과 업무국 소포사업팀 고경배님

    및 물류 전문가 여러분께 이 자리를 빌려 연구진을 대신해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 보고서가 미력하나마 우리나라 물류산업과 우편사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

    를 바라며, 독자제위께서도 우정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업발전을 위한 의

    견을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2008년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 장 방 석 호

  • 3

    목 차

    서 언 ····················································································································· 1

    요약문 ··················································································································· 13

    제 1 장 서 론 ····································································································· 29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9

    제 2 절 연구의 방법 ························································································· 31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 33

    제 1 절 물류 개요 ···························································································· 33

    1. 물류 개념 및 정의 ······················································································ 33

    2. 물류업 종류 및 특성 ·················································································· 35

    3. 종합물류업 정의 및 특성 ··········································································· 37

    제 2 절 물류정책의 현황 ·················································································· 44

    1. 물류정책기본법의 분석 ·············································································· 44

    2. 국가물류기본계획의 분석 ··········································································· 51

    3. 종합물류기업 인증제도의 분석 ·································································· 58

    제 3 절 물류시장 현황 ····················································································· 65

    1. 국내 물류산업 규모 및 특성 ······································································ 65

    2. 종합물류기업 현황 및 주요 종합물류기업 분석 ········································ 74

    3. 선진물류기업의 분석 ·················································································· 90

    제 3 장 종합물류업 경쟁력에 관한 선행 연구 ·················································· 100

    제 1 절 경쟁우위의 특성 및 관련 이론 ·························································· 100

    1. 경쟁우위 특성 ··························································································· 100

  • 4

    2. 경쟁우위 개념 ··························································································· 101

    제 2 절 종합물류업 인증 기반 요인 ······························································· 104

    1. 규모성 ······································································································· 105

    2. 다양성 ······································································································· 107

    3. 발전가능성 ································································································ 109

    제 3 절 종합물류업 핵심성공 요인 ································································ 110

    1. 물류비용 절감능력 ···················································································· 112

    2. 물류컨설팅 능력 ······················································································· 113

    3. 물류네트워크 통합능력 ············································································· 113

    4. 해외물류서비스능력 ·················································································· 114

    제 4 장 연구모형 설계와 가설 설정 ·································································· 116

    제 1 절 연구 모형 및 연구 설계 ···································································· 116

    1. 연구모형 ··································································································· 116

    2. 연구의 설계 ······························································································ 117

    제 2 절 연구가설의 설정 ················································································ 118

    1. 종합물류업 성장 요인 ·············································································· 118

    2. 종합물류업 핵심성공 요인 ······································································· 120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 121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 121

    2. 설문항목의 구성 ······················································································· 123

    제 5 장 가설검증과 분석 결과 ··········································································· 125

    제 1 절 자료분석 및 평가 ·············································································· 125

    1. 표본의 특성 ······························································································ 125

    2. 자료의 기초 통계 ····················································································· 128

    3.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 130

  • 5

    제 2 절 가설검증 ···························································································· 134

    1.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기본 개념 ··························································· 134

    2. 경로분석에 의한 가설 검증 ······································································ 135

    제 3 절 물류기업과 우정사업본부의 인식 차이 ············································· 141

    1. 표본의 특성 ······························································································ 141

    2. 요인별 중요도 평가 ·················································································· 144

    3. 가설 검정 ·································································································· 146

    제 6 장 우정사업의 종합물류업 기반 조성을 위한 시사점 ······························· 152

    제 1 절 우정사업 현황 ···················································································· 152

    1. 우편사업 현황 및 동향 ············································································· 152

    2. 우정사업 경영수지 현황 ··········································································· 154

    3. 우정사업 인프라 시설 현황 ······································································ 155

    4. 우정사업 경영비전 및 우편물류의 한계 ··················································· 157

    제 2 절 우정사업 종합물류업 역량 평가 ························································ 161

    1. 규모성 ······································································································· 162

    2. 업무다양성 ································································································ 172

    3. 국제화 ······································································································· 183

    4. 물류컨설팅 능력 ······················································································· 193

    5. 해외물류서비스 능력 ················································································ 201

    6. 발전전략 ··································································································· 202

    7. 종 합 ······································································································· 214

    제 7 장 결 론 ··································································································· 216

    참고문헌 ············································································································· 220

    설문지: 종합물류 인증기업 ······························································· 225

    설문지: 우정사업본부 ········································································ 230

  • 6

    표 목 차

    물류정책기본법 제2조(정의) ····························································· 33

    물류사업의 범위(물류정책기본법 시행령 제3조) ······························ 34

    전통적인 운송서비스와 계약운송서비스의 차이 ······························ 38

    외주물류와 제3자 물류의 비교 ························································· 38

    화주와 제3자물류업체간 공급체인 구축을 통한 편익 ······················ 39

    종합물류업자 인증에 관한 규칙 ······················································· 42

    종합물류기업 인증 평가항목별 구비서류 ········································· 63

    위탁물류산업 시장구도 변화 예측 ··················································· 66

    매출액 대비 기업물류비 추이 ·························································· 71

    연도별 국내택배시장 성장 규모 ····················································· 72

    택배시장 및 사이버쇼핑몰 성장성 ·················································· 73

    택배시장 평균 단가 ········································································ 73

    물류산업 주요 통계 추이 ································································ 74

    종합물류기업 현황 개요(2008년 1월 1일 기준) ······························ 75

    대한통운의 주요 사업 영역 ···························································· 78

    대한통운 연도별 재무 정보 ···························································· 79

    (주)한진의 주요 사업 영역 ····························································· 83

    (주)한진의 재무 정보 ······································································ 83

    CJ GLS의 주요 사업 영역 ······························································ 87

    특송과 로지스틱이 포함되는 DHL 현황 ········································· 91

    FedEx의 6개 사업부문 ···································································· 96

    UPS Worldwide Express Service ······················································ 99

  • 7

    기업규모의 평가기준 ······································································ 106

    종합물류업 서비스 ·········································································· 107

    다양성의 평가기준 ·········································································· 108

    물류기업의 다양성 요인 중 물류네트워크 요인 ····························· 109

    종합물류업 인증 발전가능성 평가 항목 ········································· 109

    종합물류업의 경쟁우위 요인 ·························································· 115

    설문 항목의 구성 ············································································ 123

    종합물류업 인증 계획 ····································································· 126

    응답기업 매출 규모 ········································································ 127

    종업원 규모 ···················································································· 127

    사업영역(복수응답) ········································································· 128

    기술적 통계 요약(물류회사) ··························································· 129

    성장 기반 요인 관련 신뢰도 ·························································· 131

    핵심 성공 요인 관련 신뢰도 ·························································· 131

    성과 요인 관련 신뢰도 ··································································· 132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 133

    연구모형의 적합도 ········································································ 137

    규모성의 가설검증결과 ································································· 138

    다양성의 가설검증결과 ································································· 138

    국제화의 가설검증결과 ································································· 139

    핵심성공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설검증결과 ······················ 140

    우정사업본부 근무 연수 ······························································· 142

    종합물류업 진출에 대한 생각과 성공가능성 평가 ······················· 142

    종합물류업 성공에 필요한 현재 역량 평가 ·································· 143

    우정사업본부 향후 진출 가능 사업 분야(중복응답) ····················· 144

    성장요인 중요도에 대한 물류기업과 우정사업본부의 인식차이 · · 145

  • 8

    성공요인 중요도에 대한 물류기업과 우정사업본부의 인식차이 · · 145

    성과요인에 대한 물류기업과 우정사업본부의 인식차이 ··············· 146

    연구모형의 적합도 ········································································ 147

    규모성의 가설검증결과 차이 ························································ 147

    다양성의 가설검증결과 차이 ························································ 148

    국제화의 가설검증결과 차이 ························································ 148

    핵심성공요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설검증결과 차이 ············· 149

    택배사별 시장점유율 ······································································ 153

    국내특송시장 시장점유율 ······························································· 154

    우정사업의 경영수지 ······································································ 154

    사업별 수익 구조 ············································································ 155

    우체국 창구망 설치현황 ································································· 156

    우편집중국 현황 ············································································ 157

    우정사업 단․중기 핵심과제 ·························································· 158

    대한통운의 물류 인프라 현황 ························································· 163

    한진의 물류 인프라 현황 ································································ 164

    현대택배의 물류 인프라 현황 ······················································· 165

    CJ GLS의 물류 인프라 현황 ························································· 166

    우체국의 물류 인프라 현황 ·························································· 167

    대한통운의 매출구조 및 점유비 ··················································· 168

    한진의 매출구조 및 점유비 ·························································· 168

    현대택배의 매출구분과 점유비 ····················································· 169

    CJ GLS 매출구분과 점유비 ·························································· 169

    우편사업 매출구분과 점유비 ························································ 170

    규모성 관련 역량 평가 ································································· 171

  • 9

    규모성 역량 확보 방안 ································································· 172

    물류정책기본법의 물류사업 범위 분류(대한통운) ························ 173

    대한통운 제공 서비스 ··································································· 174

    물류정책기본법의 물류사업 범위 분류(한진) ······························· 175

    한진 제공 서비스 ·········································································· 176

    물류정책기본법의 물류사업 범위 분류(현대택배) ························ 177

    한진 제공 서비스 ·········································································· 178

    물류정책기본법의 물류사업 범위 분류(CJ GLS) ·························· 179

    CJ GLS 제공 서비스 ····································································· 180

    우정사업본부와 종합물류 인증기업과의 업무다양성 비교 ··········· 181

    업무다양성 확보 방안 ··································································· 183

    대한통운의 해외진출 현황 ···························································· 184

    한진의 해외진출 현황 ··································································· 185

    현대택배의 해외진출 현황 ···························································· 186

    CJ GLS의 해외진출 현황 ······························································ 187

    국제화 관련 역량 평가 ································································· 192

    국제화 역량 확보 방안 ································································· 193

    물류 전문인력 보유 현황 ······························································ 194

    우정사업본부 물류기획관실 주요 업무 ········································· 198

    우정사업본부와 종합물류 인증기업과의 물류컨설팅 비교 ··········· 199

    물류컨설팅 능력 제고 방안 ·························································· 200

    해외물류서비스 능력 제고 방안 ··················································· 202

    대한통운의 종합물류기업 인증 현황 ············································ 208

    한진의 종합물류기업 인증 현황 ··················································· 209

    현대택배의 종합물류기업 인증 현황 ············································ 210

  • 10

    CJ GLS의 종합물류기업 인증 현황 ·············································· 211

    발전전략 관련 역량 평가 ······························································ 213

    발전전략 역량 강화 방안 ······························································ 214

    종합물류사업 기반조성을 위한 요인별 역량 제고 방안 ··············· 215

  • 11

    그 림 목 차

    [그림 2-1] 물류기업의 진화 프로세스 ···························································· 41

    [그림 2-2] 국가물류기본계획의 비전과 목표 ·················································· 52

    [그림 2-3] 공․항만 및 배후단지의 허브화 ··················································· 54

    [그림 2-4] 내륙거점 물류시스템 ····································································· 55

    [그림 2-5] 국가물류통합정보시스템 ······························································· 56

    [그림 2-6] 종합물류기업의 단계적 육성 전략 ················································ 57

    [그림 2-7] 통합 물류정책 시스템 ··································································· 58

    [그림 2-8] 종합물류기업 인증절차 ································································· 62

    [그림 2-9] 국내기업의 물류서비스 전략 ························································· 68

    [그림 2-10] 글로벌 물류기업과 국내 물류기업의 매출액 비교 ······················ 70

    [그림 2-11] 주요국의 기업물류비 비교 ·························································· 71

    [그림 2-12] 대한통운의 글로벌 종합물류기업 성장 전략 ······························ 82

    [그림 2-13] (주)한진의 발전 전략 ·································································· 86

    [그림 4-1] 연구의 개념적 틀 ········································································ 117

    [그림 5-1] 각 요인별 중요도(물류회사) ························································ 129

    [그림 5-2]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t-value) ··················································· 134

    [그림 5-3] 제시된 연구 모형 ········································································ 136

    [그림 5-4] 물류기업 구조분석 결과(t-value) ················································· 141

    [그림 5-5] 각 요인별 중요도(우정사업본부) ················································· 146

    [그림 5-6] 우정사업본부 구조분석 결과(t-value) ·········································· 150

    [그림 5-7] 물류기업과 우정사업본부의 구조분석 결과 차이(t-value) ··········· 150

    [그림 6-1] 연도별 우편물량 추이 ································································· 152

  • 12

    [그림 6-2] 제4기 우정사업의 POST 2011 전략 ············································ 157

    [그림 6-3] 대한통운 미국내 물류 네트워크 ·················································· 188

    [그림 6-4] 한진의 해외 네트워크 ································································· 189

    [그림 6-5] 현대택배의 해외 네트워크 ·························································· 190

    [그림 6-6] 한진의 3PL 도입 프로세스 및 물류컨설팅 서비스 범위 ············ 195

    [그림 6-7] 현대택배 물류컨설팅서비스 프로세스 ········································· 196

    [그림 6-8] CJ GLS의 3PL 물류서비스 ·························································· 197

    [그림 6-9] 대한통운의 경영비전 및 물류비전 ·············································· 203

    [그림 6-10] 한진의 경영비전 및 경영전략 ··················································· 204

    [그림 6-11] 한진의 단계별 전략적 포지셔닝 ················································ 204

    [그림 6-12] 현대택배의 비전과 중점 추진전략 ············································ 205

    [그림 6-13] CJ GLS 경영비전 및 미션 ························································· 206

    [그림 6-14] 우정사업 종합물류사업 비전 ····················································· 207

  • 요약문 13

  • 14

  • 요약문 15

  • 16

  • 요약문 17

  • 18

  • 요약문 19

  • 20

  • 요약문 21

  • 22

  • 요약문 23

  • 24

  • 요약문 25

  • 26

  • 요약문 27

  • 제 1 장 서 론 29

    제1 장 서 론

    제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를 포함으로 하는 동북아지역의 경제규모 및 교역량이 증가함에 따

    라 동북아 주요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국제물류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

    하게 전개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인터넷의 급격한 보급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확

    산, 홈쇼핑 구매 확산, 경기 위축으로 인한 기업의 물류비용 절감 노력 등으로 인해

    서 국내 물류의 중요성이 높게 인식되고 있다. 대내외적으로 물류의 중요성이 높게

    인식하는 상황에서 정부에서도 물류 중요성에 관해 같은 공감대를 가지고 물류산업

    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 물류 관련 기본법을 제정하고 물류전문기업을 육성하

    기 위해서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물류의 중요성 인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국내 물류기업은 2005년 기준으

    로 세계 50대 물류기업에 한진해운(33위)과 현대상선(36위) 단 2개만 포함되어 있

    고, 국내 5대 물류기업의 총 매출액이 세계 5대 기업의 7.4%에 불과할 정도로 취약

    한 수준이다. 올해 6월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사태가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끼

    쳤다. 이는 우리나라의 물류서비스 영역은 급속히 확대된 반면 우리 물류산업은 여

    전히 낙후되고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장기적 관점에서 물류산업 육성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정부는 「동북아 물류중

    심 로드맵」을 설정하여 인천공항, 부산․광양항 등 물류 인프라를 확충하고, 종합

    물류기업 인증제 등을 통해 물류 전문기업의 육성에 노력한 결과로 2004년 국내 물

    류기업의 총 매출액은 70조원에 달하고, 전년대비 9.2%의 증가율을 기록하여 GDP

    증가율(2004년 4%)을 2배 이상 상회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국내 물류산업의 선

    진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물류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 30

    있도록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현재 국제 항공화물이나 해상화물의 수송에 있어서 우리 기업은 이미 세계 수준

    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종합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물

    류전문기업으로의 성장수준은 이에 못 미치고 있다. 물류서비스의 세계적 추세는

    운송, 보관, 하역 등 개별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던 방식에서 물류활동 전반에 대

    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물류서비스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물류는 운송․

    보관․가공․포장 등 전통적 영역뿐 아니라 원자재 조달에서 판매․회수 등 공급

    사슬 전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통합 물류체제 구축과 함께 현장에서 전

    물류과정을 통제․조정할 수 있는 전문물류기업의 존재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세계 유수의 기업들은 M&A를 통해 서비스범위를 확대하면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글로벌 물류시장은 이들 기업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어 가고 있는 상

    황이다.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자체 물동량을 토대로 공․항만 시설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동북아 물동량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적인 물류기업들이

    앞 다투어 동북아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국내 물류산업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외부 환경과 여건은 희망적이다. 무

    엇보다 세계 3대 경제권을 이루는 동북아는 연평균 16%의 높은 물동량의 성장세를

    보여 성장여건이 밝다. 국내․외 제조업체들 역시 달라진 환경을 충분히 인식해 글

    로벌 네트워크를 갖추고 자사의 공급망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초대형 전문물류기업

    을 선호하고 있다. 다소 뒤떨어진 우리 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단기간에 글로벌 수준

    으로 끌어올리고 동북아 경제성장을 물류산업 발전의 기회로 활용하려면 다각적인

    전략 수립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형 물류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류 전문가들은 물류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물류시장의 구조변화가 필요하

    다고 평가하고 있다. 물류시장에서 대형 물류기업 등장으로 물류시장을 구조조정하

    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함으로써 우리나라 물류산업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을 것으

    로 전망하고 있다. 대형 물류기업을 중심으로 시장구조가 재편되어 실질적인 종합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기업들은 물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들 대형 물류기업

  • 제 1 장 서 론 31

    에 의존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대형 물류기업들은 재고관리와 리드타

    임을 개선하여 화주기업에게 물류영역에서의 추가적 가치를 제공할 뿐 아니라 수많

    은 고객의 수요에 대응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취할 수 있다. 즉, 제조기업은 생산

    과 판매에 주력하고 물류는 물류전문기업이 담당하여 양자간 효율성을 제고함으로

    써 국내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종합물류기업으로 성공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이론적 기틀

    을 마련하고자 실증적으로 종합물류업 성공을 위한 요인을 도출하는 것에 첫 번째

    연구 목적을 두었다. 또한 실증결과를 통해 종합물류기업으로의 진출을 위한 기반

    조성방안 도출을 국가우편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우정사업본부을 통해 검토해 보는

    것을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으로 삼았다.

    종합물류업 성공을 위한 요인에 대해서 실증적 분석을 함으로써 종합물류업 성공

    요인에 관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 우정사업본부를 통해 종합물류업 기반조성을

    위한 방안을 검토함으로써 물류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제2 절 연구의 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인 종합물류업 전환에 따른 성공요인의 실증적 분석과

    우정사업본부의 종합물류업 기반조성 평가에 앞서 종합물류업에 대한 개념을 명확

    히 할 필요가 있어 물류업의 전반적 개념을 살펴보고 종합물류업의 특성 및 개념을

    정의하였다.

    국내 물류업에 대한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서 국내 물류정책과 국내 물류시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종합물류업 성공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종합물류업 성공요인 분석을 위한 항목 개발에 선행연구 결과와 함께 시장현황을

    반영하기 위해서 실증적 분석 전에 물류 환경을 선행적으로 살펴 보았다.

    실증적 분석을 통해 도출한 성공요인을 반영하여 종합물류업 기반조성 평가 및

  • 32

    방안 도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의 역량을 평가하고 기반조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물류 개념의

    검토를 통해 종합물류업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고, 환경적 요인인 정책과 시장현

    황을 파악하였다.

    제3장부터 제5장에서는 종합물류업 성공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고, 실

    증분석을 위해 측정항목을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

    으로 실증적으로 성공요인에 대해서 분석을 하였다.

    제6장에서는 우정사업본부의 기본적인 현황을 파악하였고 종합물류업 진출을 위

    한 역량 평가를 하여 우정사업본부의 종합물류업 진출을 위한 기반조성 방안을 제

    시하였다.

    제7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33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제1 절 물류 개요

    1. 물류 개념 및 정의

    본 장에서는 종합물류업 정의 및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물류업에 대한 기본 개

    념 및 정의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물류정책기본법에서는 과 같이 물류를 공급자로부터 수요

    자, 소비자로부터 공급자로의 모든 이동활동과 부가활동을 물류로 정의하고 있다.

    물류정책기본법 제2조(정의)

    1. “물류(物流)”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보관․하역(荷役)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조립․분류․수리․포장․상표부착․판매․정보통신 등을 말

    한다.2. “물류사업”이란 화주(貨主)의 수요에 따라 유상(有償)으로 물류활동을 영위하는 것을 업

    (業)으로 하는 것으로 다음 각 목의 사업을 말한다. 가. 자동차․철도차량․선박․항공기 또는 파이프라인 등의 운송수단을 통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운송업

    나. 물류터미널이나 창고 등의 물류시설을 운영하는 물류시설운영업 다. 화물운송의 주선(周旋), 물류장비의 임대, 물류정보의 처리 또는 물류컨설팅 등의 업

    무를 하는 물류서비스업

    물류정책기본법에서는 물류사업을 크게 화물운송업, 물류시설운영업, 물류서비스

    업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물류사업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물류정책기본법

    시행령에서는 와 같이 전술한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사

  • 34

    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법률에서는 물류 범위를 화물의 운송과 보관, 이

    와 관련된 부대업무를 물류사업의 범위로 정하고 있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의

    재화의 이동과 관련된 대부분의 활동을 물류로 정하고 있다.

    물류사업의 범위(물류정책기본법 시행령 제3조)

    대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화물

    운송업

    육상화물운송업화물자동차운송사업, 화물자동차운송가맹사업, 철도사업

    해상화물운송업외항정기화물운송사업, 외항부정기화물운송사업, 내항화물운송사업

    항공화물운송업정기항공운송사업, 부정기항공운송사업, 상업서류송달업

    파이프라인운송업 파이프라인운송업

    물류시설

    운영업

    창고업

    (공동집배송센터운영업 포함)일반창고업, 냉장 및 냉동 창고업, 농․수산물 창고업, 위험물품보관업, 그 밖의 창고업

    물류터미널운영업

    복합물류터미널, 일반물류터미널, 해상터미널, 공항화물터미널, 화물차전용터미널, 컨테이너화물조작장(CFS), 컨테이너장치장(CY), 물류단지, 집배송단지 등 물류시설의 운영업

    물류

    서비스업

    화물취급업(하역업 포함)화물의 하역, 포장, 가공, 조립, 상표부착, 프로그램 설치, 품질검사 등 부가적인 물류업

    화물주선업 국제물류주선업, 화물자동차운송주선사업

    물류장비임대업

    운송장비임대업, 산업용 기계․장비 임대업, 운반용기 임대업, 화물자동차임대업, 화물선박임대업, 화물항공기임대업, 운반․적치․하역장비 임대업, 컨테이너․파렛트 등 포장용기 임대업, 선박대여업

    물류정보처리업물류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물류지원 소프트웨어 개발․운영, 물류 관련 전자문서 처리업

    물류컨설팅업

    물류 관련 업무프로세스 개선 관련 컨설팅,자동창고, 물류자동화 설비 등 도입 관련 컨설팅, 물류 관련 정보시스템 도입 관련 컨설팅

    해운부대사업 해운대리점업, 해운중개업, 선박관리업

    항만운송관련업항만용역업, 물품공급업, 선박급유업, 컨테이너 수리업, 예선업

    항만운송사업 항만하역사업, 검수사업, 감정사업, 검량사업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35

    미국 국가물류관리협의회(National Council of Physical Distribution)에서는 물류를

    “물류라는 것은 완성품을 생산라인의 종점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유효하게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한 광범위한 활동으로서 원재료를 공급원에서부터 생산라인

    의 시점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시 말하

    면 고객서비스, 수요예측, 유통정보, 재고관리, 주문처리, 공장 및 창고입지의 선정,

    조달, 포장, 반품취급, 폐기품처리, 화물수송 등을 물류의 활동요소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마케팅협회 AMA(American Maketing Assosiation)에서는 물류를 “물류란 생

    산단계에서부터 소비 또는 이용에 이르기까지 상품의 이동 및 취급을 관리하는 것

    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AMA 정의를 보면 물류를 단순한 상품의 이동이 아닌 관

    리하는 활동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 로지스틱스관리협의회에서는 물류를 원자재의 조달에서부터 생산과정을 거

    쳐 완제품이 최종 소비지점에 이르기까지 원자재와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효율적인

    물류흐름을 계획하고, 이행하고 관리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의 통

    합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여기에 포함된 모든 활동은 고객서비스, 수요예측, 물류

    과정에서의 정보통신, 재고관리, 하역, 수주처리, 부품과 서비스의 지원, 공장과 창

    고의 입지선정, 원자재의 조달, 포장, 폐기물 처리, 수배송, 창고와 보관, 반품처리,

    회수처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일본통계심의회의는 물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물적유통이란 물리적인

    ‘물자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을 말한다. 여기서 물자란 유형, 무형을 불문하고 일

    체의 경제재를 가리키며 유형의 제반물자와 정보를 아울러 고려에 넣는다.”

    2. 물류업 종류 및 특성

    물류는 분류기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물류를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위한 활동으로 구분하면 조달물류, 생산물류, 판매물

  • 36

    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달물류는 원재료 공급업자나 외지 장소로부터 생산에

    필요한 부품이나 원자재가 공장으로 반입되는 것과 관련된 물류활동으로 사외물류

    에 해당된다. 원자재, 부품의 공급업자로부터 자재 창고까지의 포장활동, 수․배송

    활동, 하역활동, 보관활동 등을 비롯한 재고관리가 조달물류의 활동 범위가 된다.

    생산물류는 제조업자가 조달물류를 통해 획득된 원재료를 가지고 제품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의 물류로 자재창고에서의 출고작업에서부터 생산장소로의 운반, 하

    역활동, 그리고 창고에 입고하기까지의 물류과정을 말한다.

    판매물류는 물류의 최종단계로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일체의 수․배송

    활동과 이에 수반되는 제반 물류활동을 의미한다. 제품창고에서의 출고과정, 물류

    거점인 배송센터까지의 수송 그리고 보관 및 유통가공, 제품분류작업, 고객에게 배

    송하는 작업이 여기에 포함된다.

    회수물류는 판매처 등으로부터 포장재 및 빈 용기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물류이다.

    폐기물류는 제품 및 용기, 자재 등을 폐기하는 물류이다.

    물류 아웃소싱의 형태를 통제(Control) 기반으로 분류하면 자가물류, 자회사기반

    아웃소싱, 제3자 기반 아웃소싱으로 나눌 수 있다. 흔히 쓰이는 1자, 2자, 3자 물류

    가 아웃소싱의 형태를 통제 기반으로 분류될 때 이용되는 용어이다.

    제1자 물류라고 불리는 자가물류는 물류의 아웃소싱 없이 물류활동을 인소싱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물류기능을 기업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제2자 물류는 물류자회사 기반의 아웃소싱을 의미한다. 물류 관련 기능을 물류 자

    회사로 분사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자가물류에 비해 운영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류 아웃소싱을 하며 제3자 물류 기반의 아웃소싱에 비해 물류기능에 대한

    직접적 관리가 가능하다. 즉 물류기능을 아웃소싱하였지만 자회사 기반으로 물류가

    운영되므로 제3자 물류에 비해서 직접적인 물류관리 통제가 가능하다.

    제3자 물류는 용어의 의미와 같이 제3자에게 물류를 아웃소싱하는 것이다. 일반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37

    적인 물류 아웃소싱의 방식으로서 전문업체를 통해 물류를 위탁 운영토록 하는 것이다.

    제4자 물류란 앤더슨 컨설팅에 의하면 만들어진 용어로 “화주기업에게 포괄적인

    공급사슬(Supply Chain)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물류서비스 제공기업이 자사의 부

    족한 부문을 보완할 수 있는 타사의 경영자원, 능력 및 기술과 연계하여 보다 완전

    한 공급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급체인 통합활동”으로 제4자 물류를 정의하고 있다.

    3. 종합물류업 정의 및 특성

    종합물류업이라는 용어는 국내에서만 통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상 제3자 물류업과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제3자 물류업의 대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종합물류업에 대

    한 정의를 규정하고자 한다.

    가. 제3자 물류(Third Party Logistics; 3PL) 개념 및 특성

    제3자 물류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대 후반부터이

    다. 1988년 미국의 로지스틱스관리협의회가 화주를 대상으로 한 물류서비스 조사에

    서 제3자 제공자라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이후, 물류서비스의 3자 제공은 관심을

    끌게 되었다. 이 협의회의 정의에 따르면 제3자란 물류채널 내의 관심을 끌게 되었

    다. 일시적이거나 장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물류 대행자 또는 매개자를 의미하

    며, 화주와 단일 또는 복수의 제3자 간에 일정기간 동안 일정비용으로 일정서비스

    를 상호 협의하에 수행하는 물류과정을 제3자 물류 또는 계약물류라고 정의하고 있

    다. 1994년 Bradley는 “물류과정에 전문화되고 통합된 독특한 정보시스템을 이용함

    으로써 단일 책임하에 적어도 두 가지의 서비스를 조합한 형태로 제공한다”라고 하

    며 단순한 물류 아웃소싱이 규모상 협소하고 오직 하나의 서비스 형태에 국한되는

    것과 구분하였다. 또한, “원재료나 부품의 책임있는 공급자처럼 계약물류업자도 고

    객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하여 물류 아웃소싱으로서의 제3자 물류기능이 다른 구매절차와 상이하지 않음을

    밝히면서도 전통적인 물류서비스와 계약물류서비스의 차이를 운송서비스 측면에서

  • 38

    과 같이 구분하였다.1)

    전통적인 운송서비스와 계약운송서비스의 차이

    전통적 서비스 계약 서비스

    고객 지향성 비맞춤화 맞춤화

    제공 범위 단일범위-트럭킹 또는 창고다범위-운송, 보관, 재고관리,

    시스템관리 등

    아웃소싱 동기 비용절감서비스의 질 개선과 유연성 제공을

    포함한 비용절감

    계약기간 1~2년의 단기간 다년 협정전문성 제품운송에 대한 제한적 전문성 광범위한 물류 및 분석기술

    협상기간 단시간 장기간

    타 업체로의

    전환비용낮음 높음

    자료: 전준수(2007)

    에 제시된 바와 같이 흔히 물류 아웃소싱을 의미할 때 외주물류라는 용

    어와 혼용되어 사용되는데, 외주물류는 단순한 물류의 아웃소싱으로 제3자 물류로

    외주물류와 제3자 물류의 비교

    외주물류 제3자 물류운영기간 단기․일시적 중장기 위주

    관계내용 느슨․일시적 관계 밀접․협력관계

    신서비스 제공 수동적(수주형) 능동적․적극적(제안형)개입범위 주로 운영 운영․관리․전략

    계약방식 수의계약 경쟁계약

    의사결정층 중간관리층 최고경영층

    자산특성 자산소유 필수 무자산형 가능

    관리형태 분산관리형 통합관리형

    하주와의 관계 상하계약관계 협력관계

    서비스 범위 기능별 서비스(수송, 보관) 종합물류지향자료: 로지스틱스 21, 「물류관리론」, 2008

    1) 전준수(2007)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39

    의 이행단계로 이해되어야 하며, 외주물류는 운영측면에서의 원가절감에 초점이 맞

    춰져 있는 반면 제3자 물류는 전략적인 관점에서 경쟁우위의 획득과 같은 원가절감

    그 이상의 성과를 얻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화주기업 입장에서 제3자

    물륙서비스를 전략적으로 활용함에 따라 제3자 물류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이 증대

    되어 과거 전통적인 물류기능 뿐 아니라 재고보충, 자동재주문, 운송업체 선정, 포장

    및 상표 부착, 제품조립 및 통관업무 등 부가가치 기능까지로 확대되고 있다. 더 나

    아가서 파트너십 관계로 전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주기업과 물류서비스 제공업

    체간의 전략적 제휴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나. 제3자 물류의 편익

    제3자 물류를 통하여 얻게 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Ellram과 Cooper(1990)는 화주기업과 제3자 물류업체가 공급체인 파트너십

    을 구축함으로써 얻게 되는 편익에 대해서 와 같이 경제적, 관리적, 전략

    적 측면에서 분석을 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 화주는 비용절감, 전문성 이용의 장점

    화주와 제3자물류업체간 공급체인 구축을 통한 편익

    구분 화 주 제3자 물류업체

    경제적

    -장비 및 설비관련 재무위험의 전가

    -비용절감/품질향상-제3자의 전문성 이용-정보시스템 개발비용 분담

    -장비 및 설비의 이용효율 향상(규모의 경제)

    -소수화주와의 관계를 통한 운영절차

    감소로 운영효율 향상

    관리적

    -핵심역량에 집중

    -소수업체와의 체인구축을 통한 관리

    상 용이

    -소수의 화주에게 전문능력 집중

    -소수화주와의 체인구축을 통한 관리

    상 용이

    전략적

    -경쟁우위 획득

    -채널멤버간 상호 정보교환을 통한 전

    략적 재고 배치

    -소수업체 이용을 통한 적절한 배송스

    케쥴로 고객서비스 충족

    -장기계획을 통한 투자범주

    -핵심서비스에만 집중함으로써 전문영

    역 개발 및 연마

    자료: 전준수(2007)

  • 40

    이 있고 제3자 물류업체는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하였다. 관리적 측면에

    서는 화주는 관리의 용이성으로 인해 핵심역량에 집중할 수 있고, 제3자 물류업체

    는 소주화주와의 체인구축을 통해 관리가 용이하다고 하였다. 전략적으로는 화주는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고 제3자 물류업체는 전문영역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Lied와 Randall(1996)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제3자 물류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미

    국의 제조업체들이 경험하는 편익이 물류비용의 절감, 인력전문성과 시장지식의 향

    상, 운영효율성 개선, 고객서비스 개선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화주기업들은 제3자 물류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자사의 물류인력을 크게 절감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업체의 48%가 자사물류인력을 절감시킨 것으로 응답하였으

    며, 이중 33%는 20% 이상의 자사물류인력을 절감시킨 것으로 응답하였다.

    화주기업은 내부적으로 핵심사업에의 집중과 불필요한 인력감축 및 생산성 향상

    을 통한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적으로는 서비스 제공자의 물류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전문적인 물류서비스 제공을 통한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신속성 및 신뢰성

    향상이 제3자 물류서비스 활용의 가장 큰 이점으로 꼽을 수 있다.

    이처럼 제3자 물류업체의 이용은 물류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과 고객만족 측면에

    서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다. 제4자 물류업의 특성

    제4자 물류는 앤더슨 컨설팅에 의하면 만들어진 용어이고 아직 현실적으로 제4자

    물류가 실현되지 않고 있지만 물류 진화과정에서 그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일본 수송경제신문사에서 설명하는 물류기업 진화과정은 [그림 2-1]과 같이 설

    명하고 있다.

    ∙ 단계 1: 운송사업자, 운송수단 및 운전자를 갖추고 단순 수송기능을 수행하는

    사업자

    ∙ 단계 2: 일반적 포워더, 화주와 직접 운송계약을 맺고 실질적인 수송은 전문운

    송사업자를 이용하는 사업자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41

    ∙ 단계 3: 혼재사업자, 특별한 적재능력을 기반으로 여러 화주로부터 위탁받은

    화물을 동시에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사업자

    ∙ 단계 4: 복합운송주선업, 화주와 직접 계약을 맺은 사업자로서, 직접 수송실행

    기능을 갖지 않고 다양한 수송 모드를 갖춘 전문 수송사를 연결하여

    수송과정 전체를 관리․운영하는 사업자

    ∙ 단계 5: system service/integrator, 수송 뿐 아니라 화주의 물류체제 전체를 일괄

    청부받아, 통합 관리하는 사업자

    ∙ 단계 6: logistics service provider, 스스로 수송기관이나 창고시설 등의 자산을

    일정 정도 보유하면서, 원재료의 조달로부터 최종판매자에 이르는 화

    주의 공급체인관리 전부를 청부받은 사업자

    ∙ 단계 7: network manager, 창고나 수송 수단을 스스로 보유하지 않고, 컨설팅과

    정보시스템을 핵심역량으로 각종 물류사업자를 연결, 물류프로세스를

    합리화함으로써 화주의 공급체인관리 업무를 대행하는 사업자

    [그림 2-1] 물류기업의 진화 프로세스

    자료: 일본 수송경제신문사, “Logistics New 2000”, pp.25, 90

  • 42

    위에서 설명한 network manager를 의미하는 7단계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제4자물

    류를 의미하며, 네트워크를 통합하고 공급체인 모두를 위탁받아 운영하는 단계인

    제5단계와 제6단계가 제3자물류업에 해당한다. 제4자물류가 물류시설을 보유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여기서 강조하고자 하는 점은 물류기업

    의 물류통합능력을 기반으로 화주의 공급체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라. 종합물류업 개념 및 정의

    앞서 제4자 물류개념을 설명하면서 제시했던 물류기업 진화단계에서 종합물류업

    개념을 살펴볼 수 있다. 종합물류업의 개념은 제3자물류의 개념을 포괄하고, 그 범

    위를 제4자물류까지 확장한 개념이라는 점에서 제3자물류보다 더 폭넓은 개념이라

    고 할 수 있다. 종합물류서비스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

    는 역량을 갖추고, 화주의 요구에 대응하여 one-stop service를 제공하는 사업의 개념

    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물유통촉진법(현재 물류정책기본법)과 동법시행령에서는 종합물류업체를 물류

    사업을 종합적․복합적으로 영위하는 자로, 자신이 영위하는 물류사업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정한 기준․절차․방법에 따라 인증을 받은 자로 정의함으로

    써 종합물류업을 간접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종합물류업자 인증에 관한 규칙에서는 물류 및 종합물류의 개념을 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종합물류업자 인증에 관한 규칙

    제1조(목적) 이 규칙은 「화물유통촉진법」 제39조 및 제40조의 규정에 의하여 종합물류업자의 인증 및 인증종합물류업자에 대한 지원대상 사업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제2조(정의)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물류사업”이라 함은 「화물유통촉진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2의 규정에 의한 물류사업을 말한다.

    2. “물류기업”이라 함은 물류사업을 1개 이상 영위(실제 매출액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하는 물류사업자를 말한다.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43

    3. “제3자물류”라 함은 물류기업이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특수관계인을 제외한 화주기업(자기의 물류에 관한 업무를 물류기업에 위탁하고자 하는 제조업자 또는 도․소매업자를 말한다) 또는 다른 물류기업과 1년 이상의 기간동안 계약을 체결하여 수행하는 물류활동을 말한다.

    4. “전략적제휴”라 함은 물류기업이 물류사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물류기업과 상호협력하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5. “전략적제휴기업집단”이라 함은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 전략적제휴를 하는 물류기업의 집단을 말한다. 다만,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의3의 규정에 의한 자회사 간에 전략적제휴를 하는 경우에는 바목의 요건을 제외한다.

    가. 5개 이내의 물류기업으로 구성될 것 나. 전략적제휴의 기간이 인증신청일을 기준으로 3년 이상 유효할 것 다. 공동브랜드를 이용하여 물류사업을 영위할 것 라. 물류정보망 및 물류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할 것 마. 통합적인 물류회계보고서를 작성할 것 바. 주력기업(전략적제휴기업집단 중 지분교환 또는 지분투자를 주도적으로 하는 하나

    의 기업을 말한다)을 중심으로 5퍼센트 이상의 지분교환 또는 지분투자를 할 것 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위반되지 아니할 것

    제3조(인증기준) 종합물류업자의 인증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1. 영 별표 2의 규정에 의한 대분류별 세분류에 해당하는 물류사업을 각각 1개 이상씩 영

    위할 것

    2. 영 별표 2의 규정에 의한 대분류별 세분류에 해당하는 물류사업 중 각각 1개 물류사업의 매출액이 물류사업 총매출액의 3퍼센트 또는 30억원 이상일 것

    3. 물류사업의 총매출액 중 제3자물류의 매출액비율이 20퍼센트 이상일 것(전략적제휴기업집단의 경우에는 전략적제휴를 하는 물류기업별로 각각 계산한다)

    4. 별표의 규정에 의한 평가항목 및 평가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산정된 평가영역별 점수의 합계가 1개 이상의 평가영역에서 70점 이상일 것

    5. 별표의 규정에 의한 평가항목 및 평가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산정된 평가영역별 점수의 합계가 전략적제휴를 하는 물류기업별로 1개 이상의 평가영역에서 20점 이상일 것(전략적제휴기업집단의 경우에 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물류업을 제3자 물류 개념과 우리나라 법률에서 정한 내용을

    포함하는 내용을 종합물류업 범위로 정의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 44

    제2 절 물류정책의 현황

    과거 물류 서비스는 운송업체 중심의 거점간 운송으로 기업의 비용절감을 위해

    최소한의 비용만을 부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가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서면서 화주 중심의 서비스가 강화되어 화주의 입장에서 제품 생산 후 최종소비자

    에게 전달되기까지 모든 과정을 단일 물류서비스 제공자가 처리해주는 종합물류업

    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본 절에서는 국가가 기업물류비를 절감시켜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배양하고

    국내 물류기업이 국제시장에 진출하여 부가가치를 획득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필요성을 인지하여 제정된 물류정책기본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물

    류 정책의 근간이 되는 국가물류기본계획을 통해 우리나라의 물류정책에 대한 기본

    방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기본계획 중 고부가가치 물류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는

    종합물류기업인증에 대한 제도를 살펴본다.

    1. 물류정책기본법의 분석

    가. 물류정책기본법 입법 추진 배경

    지금까지는 물류정책 추진체계가 분산되어 정부차원의 조정체계가 미흡하였다.

    물류정책 추진이 여러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어 “동북아 물류 허브 실현”이라는 국

    정 목표하에 물류역량 집중이 어렵고 현행 화물유통촉진법에 따라 물류정책위원회

    가 구성되어 있으나 그 위상이 낮아 부처간 물류정책 조정에 한계가 있고 활용이 미

    흡하였다.

    아직까지는 물류체계의 효율성이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수준이었다. 매출액 대비

    기업물류 비중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미흡하였다. 그리

    고 선진국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제3자물류 비중이 증가추세이나 아직은 미흡한

    수준이었다.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45

    그리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물류전문기업의 성장이 미흡하였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나 글로벌 기업에 비해 서비스 범위 및 기업규모가 적어 경쟁력 확보

    가 어려웠다.

    국가간 물류경쟁에 대응한 국제물류 지원체계 또한 미비하였다. 동북아가 세계 3

    대 경제권으로 성장하면서 물동량도 증가하고 있으며 DHL, FedEX, UPS 등 글로벌

    물류기업의 동북아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물류허브화를 위한 동북아 각국

    의 공항, 항만 처리능력 확충 및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 등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존 물류정책은 국내물류 중심으로 계획되어 물류기업의 해외활동

    을 촉진하고 글로벌 물류기업을 유치하는 등 국제물류 활동에 대한 지원체계가 미

    흡하였다.

    현행 화물유통촉진법으로는 물류정책의 기본방향 정립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화물유통촉진법은 화물터미날 등 물류시설의 건설과 물류체계 개선을 위해 1991년

    제정되었으나 물류분야의 기본법으로서 기능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특히 그동안 14

    차례의 부분 개정으로 체계가 산만하며 변화된 여건에 따른 다양한 물류정책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역부족이었다.

    나. 물류정책기본법의 기본 방향

    물류정책기본법의 기본 방향은 첫째 물류정책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위상을 확

    립하는 것이다. 현 화물유통촉진법을 물류정책기본법으로 전면 개편하여 물류 정책

    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2)

    그리고 물류정책의 통합조정체계를 구축한다. 부처별로 분산된 물류정책 기능을

    범정부적 목표하에 종합조정하기 위한 조정체계를 구축하며 부처별 물류정책을 종

    합한 중장기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둘째는 물류체계의 효율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물류산업의 성장 및 제3

    2) ※ 화물유통촉진법중 화물터미널․창고 등 물류시설에 대한 내용은 함께 입법 추진중인 물류시설법으로 이관

  • 46

    자 물류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물류의 자동화, 공동화, 정보화 등 물류체계 효율화를

    위한 지원근거를 마련한다.

    셋째는 경쟁력 있는 물류전문기업 발굴 및 육성지원을 강화한다. 2006년부터 시

    행중인 종합물류기업 인증제의 내실있는 운영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고 물류전문기

    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넷째는 국제물류 활동의 촉진 및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우리 물류기업의 해외시

    장 진출을 촉진하고 글로벌 물류기업의 국내 물류단지 유치 등 국제물류 활동을 통

    한 부가가치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다. 물류정책기본법의 주요 내용

    물류정책기본법률안의 주요 내용은 통합적 물류정책 추진체계 구축, 물류체계의

    효율화, 물류산업 및 물류전문기업의 육성, 국제물류의 촉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적 물류정책 추진체계 구축을 위해 우선 법명칭 변경 및 물류개념을 재설정

    한다.

    현행 화물유통촉진법은 “화물유통”이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어 물류에 관한 기본

    법으로 부적절하고 이론이나 업무상 과거의 물류유통(Physical Distribution)에서 광

    의 개념인 물류(Logistics)로 발전하였으나 화물유통촉진법상 물류개념은 물적 유통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이를 위해 개정된 내용은 우선 법 명칭은 “물류정책기본법”

    으로 변경하고 물류에 관하여 다른 법률의 기본이 됨을 명시하였다. 그리고 물류 개

    념을 조달․생산․판매 및 회수․페기물류까지 포괄하고 부가가치물류를 명시적

    으로 포함하였다. 이를 통한 기대효과는 물류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통해

    물류정책 추진체계 정립이 이루어졌으며 물류의 개념을 현실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물류정책 추진에 기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물류현황 조사 및 국가물류기본계획의 내실화를 기하였다. 이러케 하게

    된 이유는 적시성 있는 물류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정확한 현황파악이 필요하나 현

    행 물류현황 조사방식은 포괄적이지 못하고 비현실적이었다. 또한 현 국가물류기본

  • 제 2 장 종합물류업의 현황 47

    계획은 20년 단위의 계획으로 급변하는 물류 환경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동량, 물류시설, 물류체계 등에 대한 포괄적인

    물류현황 조사의 실시 근거를 마련하고, 시․도의 물류현황 조사를 위한 조사 지침

    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현황조사 결과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해당기관에 대하여 개

    선 조치를 요청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였다. 국가물류기본계획 계획기간을 조

    정하고(20년에서 10년으로), 5년 단위로 연동계획화하여 현실성을 강조하였으며 다

    른 법률에 의한 물류 관련 계획은 기본계획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실천력 강화를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물류현황 조사를 통해 정책 수립을 위한 근

    거자료를 확보하고 급변하는 물류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물류기본계획을

    통해 물류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물류정책위원회의 조정기능을 강화하였다. 이렇게 개정하게 된 이유는 현

    물류정책위원회는 건교부장관을 위원장으로 하고 관계부처 1급 및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부처간 조정에 한계가 있었다. 심의 대상이 명확히 규정되지 않아

    활성화가 미흡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위원

    장을 총리로 하고 위원을 장관급으로 격상하여 정책기능의 조정 기능을 강화하였으

    며 물류정책, 물류시설, 국제물류에 관한 3개 분과위원회를 설치하여 사전조율 체제

    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부처별 분산되어 있는 물류관련 정책을

    효율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범정부적 물류정책 추진에 기여할 것이며 분과의 설치를

    통해 분야별로 부처간 협력기능을 강화하였다.

    물류체계의 효율화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물류시설․장비의 확충 및 물류시설간

    연계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개정 배경에는 물류효율화를 위해서는 물류시설이나 장

    비의 현대화와 물류시설간의 연계성 확보 및 적정한 시설부지의 제공이 필요하나

    이에 관한 지원체계가 미비하였고, 물류시설간 연계가 미흡하여 물류시설의 활용이

    저조하거나 적정한 규모의 시설이 확보되지 않아 물류기능 확보에 어려움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류기업에게 효율적인 물류활동을 위한

    물류시설 및 장비의 확충을 권고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으

  • 48

    며 물류시설의 건설 또는 기존시설 정비시 물류시설간 연계를 고려하고 주변시설과

    기능이 중복되지 않게 하였다. 또한 항만․공항․산업단지의 배후에는 주변 물류

    시설과 연계성을 고려해 적정 물류시설 부지를 확보하도록 규정하였다. 이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물류기업의 시설․장비 확충 및 물류시설간 연계 강화를 통해 물

    류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되었다.

    물류공동화 및 표준화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개정 이유는 물류기업 또는 화주기

    업이 개별적으로 물류시설․장비․인력 등을 사용하고 있어 공동화를 통해 효율성

    이 미흡하였고 물류시설․장비의 종류․형상․치수 및 구조와 물류 용어 등에 대

    한 표준화가 미흡하고 사용률도 저조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류

    기업이나 화주기업 또는 물류관련단체가 물류공동화 및 물류자동화를 위하여 물류

    시설과 장비를 확충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지원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물류장

    비의 사용자 및 제조업자에게 물류표준에 적절한 장비를 제조하고 사용하도록 요청

    할 수 있도록 하고 표준장비를 사용하는 자에 대해 우대조치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물류공동화를 통해 중복투자 방지 및 기업간 협력체계

    를 강화하고 물류표준 확대를 통해 물류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게 되었다.

    물류정보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