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0).pdf · 72 건설기술/쌍용...

4
72 건설기술/쌍용 ▶▶ 현장탐방 1. 머리말 박성욱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 현장 부장 전화 051-723-3591 E-mail [email protected]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 한 지하 3층, 지상 10층 218객실 규모의 프리미엄 콘도로 2014년 11월에 착공하여 2017년 1월 준공 예정이다. 본 사업은 세계적인 복합관광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부산시가 개발 중인 총 336만m 2 규모의 동부산관광단지내 핵심 숙박시설로 일반 적인 리조트와 달리 계단식의 건물배치와 화이트 색상의 외부 석 재마감으로 해변과 건물이 이질적이지 않고 최대한 자연스러운 조 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객실이 계단형 테라스 타입으 로 설계되어 각 객실별 넓은 야외 테라스와 프라이빗 풀을 가지며 바다조망을 누릴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동부산 관광단지의 랜드마크이자 한국에서 보지 못한 이국적인 분위기의 새로운 휴양 시설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사명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 공사위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28번지 발주처 에머슨 부산㈜ 설계사 SKM ARCHITECTS 공사기간 2014년 12월 ~ 2017년 1월 공사규모 지하 3층, 지상 10층(4개동) 주요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대지면적 43.649m 2 (13,203평) 건축면적 9,125m 2 (2,760평) 연면적 78,438m 2 (23,727평) 객실수 218실 주차대수 444대 04 [그림 1] 현장 전경 [그림 2] 현장 모형 2. 공사개요

Transcript of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0).pdf · 72 건설기술/쌍용...

Page 1: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0).pdf · 72 건설기술/쌍용 현장탐방 1. 머리말 글 박성욱 \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

72 건설기술/쌍용

▶▶ 현장탐방

1. 머리말

글 박성욱 \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 현장 부장 \ 전화 051-723-3591 \ E-mail [email protected]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

동부산아난티펜트하우스신축공사는부산광역시기장군에위치

한지하3층,지상10층218객실규모의프리미엄콘도로2014년

11월에착공하여2017년1월준공예정이다.

본사업은세계적인복합관광단지를조성하기위해부산시가개발

중인총336만m2규모의동부산관광단지내핵심숙박시설로일반

적인리조트와달리계단식의건물배치와화이트색상의외부석

재마감으로해변과건물이이질적이지않고최대한자연스러운조

화를이룰수있도록설계되었으며,객실이계단형테라스타입으

로설계되어각객실별넓은야외테라스와프라이빗풀을가지며

바다조망을누릴수있는특징을가지고있어,동부산관광단지의

랜드마크이자한국에서보지못한이국적인분위기의새로운휴양

시설이탄생할것으로기대한다.

공사명 동부산아난티펜트하우스신축공사

공사위치 부산광역시기장군기장읍시랑리28번지

발주처 에머슨부산㈜

설계사 SKMARCHITECTS

공사기간 2014년12월~2017년1월

공사규모 지하3층,지상10층(4개동)

주요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대지면적 43.649m2(13,203평)

건축면적 9,125m2(2,760평)

연면적 78,438m2(23,727평)

객실수 218실

주차대수 444대

04

[그림 1] 현장 전경 [그림 2] 현장 모형

2. 공사개요

Page 2: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0).pdf · 72 건설기술/쌍용 현장탐방 1. 머리말 글 박성욱 \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

732016 상반기호

③지상5층에서10층까지는전면경사구조물배면에버트러스기

둥이형성되어하중을부담하는방식으로설계

④지상1층에서4층까지2.4m씩셋백되는경사구조물의시공하

중을시스템동바리로는지지가불가능하여가설철골기둥및

보를시공한후지상층골조완료시해체하는공법을채택함

3-3. 시공순서

가설철골부재시공순서는아래와같다.

3-1. 공법 개요

동부산아난티펜트하우스현장은일반적으로경사지에일조와전

망을위해시공되는계단형테라스하우스타입을인위적으로배면

구조체를형성하여경사하중을지지하는타입으로설계되었다.

전면객실이매층마다2.4m씩수평으로셋백(SetBack)되므로셋백

되는하부층은시스템동바리만으로는상부에서전달되는시공하

중을부담할수없어,상부시공하중을안정적으로지지할수있도

록별도의가설철골기둥과보부재를추가로설치하여처짐에대한

시공시안정성을확보한후상부층골조공사를진행하게되었다.

3-2. 특징

①콘도지상층각층별2.4m씩셋백되는형상으로설계

②지상1층에서4층까지는전면경사구조물과배면수직구조물이

복도로만나는형상

[그림 3] 지상층 셋백부위 시스템 동바리 설치

[그림 4] 가설철골부재 설치

[그림 6] 배면부 골조

[그림 7] 지하층 가설 철골기둥 선설치

[그림 8] 지상층 가설 철골기둥 설치

[그림 5] 상부층 골조시공

3.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

공법

Page 3: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0).pdf · 72 건설기술/쌍용 현장탐방 1. 머리말 글 박성욱 \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

74 건설기술/쌍용

①지하층기초부위부터지상층가설철골기둥연직부위에하중

지지용철골기둥설치

②지상2~3층전면객실시공시보시공부위엠베드매입설치

③지상4층골조시공용시스템동바리설치

④시스템동바리사이로가설철골기둥부재,보부재설치

⑤5층바닥타설하여가설철골부재와일체화

⑥7층골조타설완료후시스템동바리해체

⑦지상층가설철골부재해체

⑧지하층가설철골부재해체

⑨8층이상골조공사진행

3-4. 시공단계해석 및 가설구조 안전성 검토사항

1) 검토목적

건물의형상이61도경사각을갖는구조물로시공단계별고정하

중및시공하중을반영하여지상층경사구간시공시예상되는건

물의전도및처짐등변형형상을분석하고,부재내력을검토하여

구조안전성을확보하는데검토의목적이있으며,전도및변위를

보완할수있도록적정한가설계획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2) 검토내용

시공계획에따른단계별구조해석을실시하여전도및처짐,부재

내력을검토하여필요시보강방안을제시한다.

3) 검토범위

콘도각동에대한시공단계별해석에의한안전성및변형검토,

시공단계별안전성확보를위한가설부재설계까지검토범위이며,

이후단계에서는완공시에대한원구조설계에따른다.

시공단계별구조검토범위는지상2층구조물시공시부터지상7

층구조물이부축벽에지지되는시점을완료기준으로한다.

4) 시공단계별 구조검토

구조해석모델링과벽체,보부재내력검토,기둥반력검토,수직•수

평변위검토를통하여취약부위파악후가설철골부재의위치를

결정한다.

[그림 9] 지상 5층 바닥 타설

[그림 10] 가설 철골기둥 주위 시스템 동바리 해체

[그림 11] 지상 7층 완료후 가설 철골부재 해체

[그림 12] 시공단계별 구조해석모델링

[그림 13] 벽체부재 내력비(Ratio)

Page 4: 철근콘크리트 경사각구조물 가설철골 지지공법0).pdf · 72 건설기술/쌍용 현장탐방 1. 머리말 글 박성욱 \ 동부산 아난티 펜트하우스 신축공사

752016 상반기호

5) 시공단계별 가설부재 구조검토

가설부재설치후벽체,보부재의내력검토를통하여철골부재

Size를결정한다.

6) 시공 Cycle에 따른 처짐 보완 검토

2.4m씩셋백되는부분의슬라브는치켜올림적용(10~20mm적용)

3-5. 적용 시 유의사항

①후면객실부와버팀기둥부는전면객실부보다1개층씩선행시

공한다.

②지하층부터순서대로가설철골부재를설치하며,해체는역순

으로진행한다.

③시스템동바리와가설철골부재가간섭되지않도록사전에시

공상세도를검토하여조정한다.

④지상7층구조물이부축벽체지지되는시점에가설철골부재를

해체한다.

콘도객실의바다전망과일조확보를위하여객실각층을2.4m씩

셋백한설계로인하여,공사초기부터본사기술팀과합동으로경

사구조물에대한시공시구조안전성에대하여지속적으로검토하

였다.검토결과골조가완성된상태에서는구조내력에문제가없

으나각층이2.4m씩셋백되어후면부건물과만나서지지되는5층

전까지는시공하중을시스템동바리로는안정성확보가불가하다

고판단하여,시공단계별수직,수평하중과변위에대응하기위해

가설철골부재를설치하여골조시공시안전성을확보하였다.

참고문헌

❶시공단계해석및가설구조안전성검토보고서(㈜계명구조엔지니어링)

[그림 14] 벽체부재 내력비(Ratio)

[그림 15] 수직(Z방향) 및 수평(Y방향)변위

[그림 16] 가설부재 위치도

[그림 17] 가설부재 단면위치도

[그림 18] 시공 시 치켜올림산정 적용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