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80
( ) ISSN 1016-9288 42 11호 2015년 11월호 www.theieie.org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2. no.11 의료영상과 응용방안 레디오믹 (Radiomic)분석과 암 의료 영상 • 의료 초음파 영역 :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분석

Transcript of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Page 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1

42

월11

2015

()

의료영상과

응용방안

ISSN 1016-9288 제42권 11호

2015년 11월호

www.theieie.org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2. no.11의료영상과 응용방안• 레디오믹 (Radiomic)분석과 암 의료 영상

• 의료 초음파 영역 :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분석

전자공학회지 2015.11월호 _레이아웃 1 15. 11. 20 오후 5:05 페이지 1

전자공학회42-11표지.indd 1 2015-11-23 오후 1:30:37

Page 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日本 工学 全分野의 技術書籍, 産業界 定期刊行物,日本 企業 技術報告書, 日本 政府 白書, 日本 産業.工業 新聞 등을 소장하고 있는 일본 공학.산업기술 전문 도서관

본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5동에 위치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바랍니다.문의처. 02-880-8279(담당:진수민) E-mail. [email protected] http://hjtic.snu.ac.kr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610호(대한전자공학회 해동자료실)에서도 소장도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문의처. 02-553-0255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theieie.org

国內唯一의 日本 工学.産業 技術情報図書館

전자공학회42-11표지.indd 2 2015-11-23 오후 1:30:39

Page 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

Page 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42-11광고.indd 2 2015-11-23 오후 1:31:18

Page 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42-11광고.indd 3 2015-11-23 오후 1:31:18

Page 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Authorized Dealer in Koreahttp://www.kitis.co.kr TEL. 02-3474-5290(代)

전세계 규격, 특허, 논문, eBook 등 1억 건 이상의 공학 전문 자료들을 대상으로,

20년 이상 검증된 시멘틱 검색기술을 통해 검색결과 이상의 해답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IHS Knowledge Collections

1. “How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optic flow?”자연어 검색

4. Stereo image capture 및 moving image capture 기능을 통한 향상 : 미국 특허

3. 질문에 대한 Answer 카테고리 자동 활성화

2. 검색 결과: 규격 2천건, eBook 6천종, 특허 3만 건, 논문 2만 건

5. Compensated HS 계산 알고리즘을 통한 정확도 향상 : IEEE Article

무인 비행 드론이나 재난구조용 로봇 등이 실시간으로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인

Optic Flow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질문한 실제 검색 결과 화면입니다.

검색엔진이 결과 원문 전체를 읽어 들여서 요약해주는 Dynamic Summary를 비롯하여, 영어, 불어, 독어,

중국어, 일어 검색결과들을 각 5개국어로 자유롭게 번역해주는 번역기능 등 강력한 기능들을 Trial 신청을

통해 직접 경험해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31:18

Page 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Contents 제42권 11호 (2015년 11월)

■ 위원장 이흥노(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위 원 권호열(강원대학교교수) 김상효(성균관대학교교수) 김시호(연세대학교교수) 김영식(조선대학교교수) 김재현(아주대학교교수) 김정호(이화여자대학교교수) 김창익(KAIST교수) 노용만(KAIST교수) 박현진(성균관대학교교수) 서춘원(김포대학교교수) 성홍석(부천대학교교수) 양현종(UNIST교수) 유남열(광주과학기술원교수) 이수열(경희대학교교수) 이창건(서울대학교교수) 이희덕(충남대학교교수) 인치호(세명대학교교수) 전병태(한경대학교교수) 정방철(경상대학교교수) 한완옥(여주대학교교수) 허비또(LG유플러스상무)

■ 사무국 편집담당 변은정과장(내선3) TEL:(02)553-0255(대) FAX:(02)552-6093

■ 학회 홈페이지 http://www.theieie.org

회지편집위원회

학회소식

12 학회소식/편집부

16 학회일지

17 특집편집기/박현진

특집 : 의료영상과 응용방안

18 레디오믹(Radiomic)분석과암의료영상/이승학,박현진

25 의료초음파영역:해부학적영상그이상/서종범

35 의료용내시경의이해와응용/지영준

42 CT의원리와임상적용/이상우

48 영상유전학(Imaginggenetics)을통한질병분석/김만수,박현진

54 논문지논문목차

56 박사학위논문초록

57 신간안내

정보교차로

58 국내외학술행사안내/편집부

65 특별회원사,단체회원

※학회지11월호표지(vol42.No11)

전자공.indb 945 2015-11-23 오후 1:27:56

Page 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The Magazine of the IEIE

회 장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수석부회장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 총괄

고 문 구 원 모 (전자신문사 대표이사) 김 경 원 (전자부품연구원 원장)

김 흥 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백 만 기 (김&장법률사무소 변리사)

신 종 균 (삼성전자 사장) 양 웅 철 (현대자동차 부회장)

이 기 섭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원장) 이 재 욱 (노키아티엠씨 명예회장)

이 희 국 (LG그룹기술협의회 사장) 천 경 준 (씨젠 회장)

감 사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황 승 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부 회 장 박 현 욱 (KAIST 교수) - 회원, 지부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표준화, 회지편집, 교육/홍보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 영문논문지, 국제협력, 기획, 하계 안 승 권 (LG전자 사장) - 산학연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 ITC, 국문논문지, 추계, 사업

산업체부회장 김 창 용 (삼성전자 부사장) 박 성 욱 (SK하이닉스 사장)

소사이어티 회장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 컴퓨터소사이어티 오 상 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원장) -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 산업전자소사이어티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 통신소사이어티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 반도체소사이어티

협동부회장 곽 우 영 (현대자동차 부사장) 김 경 수 (만도 사장)

김 기 호 (삼성전자 부사장)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부 균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단장)

김 수 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김 철 동 (세원텔레텍 대표이사)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박 찬 구 (LS파워세미텍 대표이사) 박 형 무 (동국대학교 교수)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송 문 섭 (엠세븐시스템 사장)

여 상 덕 (LG디스플레이 사장) 유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유 회 준 (KAIST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이 상 홍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이 재 훈 (유정시스템 사장)

임 차 식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장 태 규 (중앙대학교 교수)

전 성 호 (삼성전기 부사장)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이사) 최 길 천 (한능전자 회장)

최 승 원 (한양대학교 교수) 한 대 근 (실리콘웍스 대표이사)

허 염 (실리콘마이터스 대표이사)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호 요 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상 임 이 사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 산학연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 SPC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 재무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 사업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 표준화

유 창 동 (KAIST 교수) - 국제협력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 사업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회지편집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총무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 기획

한 동 석 (경북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산업체이사 고 요 환 (매그나칩반도체 전무)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진 선 (SK이노베이션 전무) 김 태 진 (더즈텍 사장)

김 현 수 (삼성전자 상무) 민 경 오 (LG전자 부사장)

박 동 일 (현대자동차 상무) 송 창 현 (네이버 이사)

오 의 열 (LG디스플레이 연구위원) 유 상 동 (SK하이닉스 상무)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정 한 욱 (KT 상무)

조 영 민 (스카이크로스코리아 사장) 조 재 문 (삼성전자 전무)

차 종 범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원장)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정 아 (삼성전자 전무) 최 진 성 (SKT 전무)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홍 국 태 (LG전자 연구위원)

이 사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사업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 사업 김 문 철 (KAIST 교수) - 국제협력

2015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전자공.indb 946 2015-11-23 오후 1:27:57

Page 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김 용 석 (성균관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표준화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 ICEIC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 총무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김 창 익 (KAIST 교수) - 회지편집 김 회 린 (KAIST 교수) - 국제협력

노 용 만 (KAIST 교수) - 회지편집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 추계/재무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 학술(추계)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 기획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 기획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 하계/총무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 표준화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 산학연 유 남 열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회지편집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 사업/하계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 추계/총무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 기획 이 수 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교육/홍보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 사업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 산학연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정 영 모 (한성대학교 교수) - 총무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 기획 정 의 영 (연세대학교 교수) - ITC

정 종 문 (연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 학술(하계)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 국제협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 SPC

최 병 재 (대구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 기획

최 성 현 (서울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사업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현 경 숙 (세종대학교 교수) - 총무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 ITC

홍 성 철 (KAIST 교수) - 학술(추계)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 추계/기획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 SPC/기획

협 동 이 사 고 균 병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 사업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 사업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 기획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 SPC

김 동 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 총무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 기획

김 영 식 (조선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 사업 김 종 훈 (KAIST 교수) - 표준화

김 준 모 (KAIST 교수) - 국제협력 김 태 욱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 산학연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 총무

류 수 정 (삼성전자 상무) - 총무 박 재 영 (광운대학교 교수) - 표준화

박 정 욱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 산학연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신 원 용 (단국대학교 교수) - 국제협력 신 현 출 (숭실대학교 교수) - 사업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 사업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 표준화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 산학연 우 중 재 (한서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유 철 우 (명지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 SPC 윤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이 강 윤 (성균관대학교 교수) - 추계/재무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 추계/총무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이 재 훈 (고려대학교 교수) - 기획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정 방 철 (경상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 SPC 조 면 균 (세명대학교 교수) - 사업

조 성 환 (KAIST 교수) - 국제협력 차 철 웅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 표준화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최 세 호 (포스코 팀장) - 교육/홍보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최 진 호 (LG전자 수석연구원) - 사업

최 현 용 (연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 SPC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 회지편집

지부장 명단

강 원 지 부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광주·전남지부 최 조 천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대구·경북지부 박 길 흠 (경북대학교 교수) 대전·충남지부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부산·경남·울산지부 김 성 진 (경남대학교 교수) 전 북 지 부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제 주 지 부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충 북 지 부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호 서 지 부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일 본 지 부 백 인 천 (AIZU대학교 교수)

미 국 지 부 최 명 준 (텔레다인 박사)

전자공.indb 947 2015-11-23 오후 1:27:57

Page 1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The Magazine of the IEIE

위원회 명단

자문위원회위 원 장 이 태 원 (명예회장)

부 위 원 장 박 진 옥 (명예회장)

위 원 김 덕 진 (명예회장) 김 도 현 (명예회장) 김 성 대 (KAIST 교수)

김 수 중 (명예회장) 김 영 권 (명예회장) 김 재 희 (연세대학교 교수)

김 정 식 (대덕전자 회장) 나 정 웅 (명예회장) 문 영 식 (한양대학교 교수)

박 규 태 (명예회장) 박 성 한 (명예회장) 박 항 구 (소암시스텔 회장)

변 증 남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석좌교수) 서 정 욱 (명예회장) 성 굉 모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윤 종 용 (삼성전자 비상임고문) 이 문 기 (명예회장) 이 상 설 (명예회장)

이 재 홍 (서울대학교 교수)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이 충 웅 (명예회장)

임 제 탁 (명예회장)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전 홍 태 (중앙대학교 교수)

정 정 화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홍 승 홍 (명예회장)

기획위원회위 원 장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위 원 김 현 진 (단국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학술연구위원회위 원 장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위 원 강 동 진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교 교수)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김 문 철 (KAIST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윤 선 (삼성전자 박사)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창 익 (고려대학교 교수) 김 철 우 (고려대학교 교수) 김 태 욱 (연세대학교 교수)

김 호 철 (을지대학교 교수)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박 정 욱 (연세대학교 교수)

박 종 선 (고려대학교 교수) 변 영 재 (UNIST 교수) 신 현 출 (숭실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임 성 준 (중앙대학교 교수) 정 재 훈 (LG전자 박사)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현 용 (연세대학교 교수)

논문편집위원회위 원 장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안 성 수 (명지전문대학 교수) 유 철 우 (명지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재 훈 (고려대학교 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정 종 문 (연세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최 현 용 (연세대학교 교수)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국제협력위원회위 원 장 유 창 동 (KAIST 교수)

위 원 김 문 철 (KAIST 교수) 김 성 웅 (퀄컴코리아 연구원) 김 준 모 (KAIST 교수)

김 회 린 (KAIST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서 진 수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신 원 용 (단국대학교 교수)

이 준 석 (연세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장 길 진 (경북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조 성 환 (KAIST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산학연협동위원회위 원 장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위 원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박 성 정 (건국대학교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이 정 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정 석 재 (영진전문대학교 교수)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전자공.indb 948 2015-11-23 오후 1:27:57

Page 1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회원관리위원회위 원 장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윤 석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김 진 태 (건국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신 창 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조 성 재 (가천대학교 교수)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회지편집위원회위 원 장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위 원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식 (조선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창 익 (KAIST 교수) 노 용 만 (KAIST 교수) 박 현 진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성 홍 석 (부천대학교 교수) 양 현 종 (UNIST 교수)

유 남 열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수 열 (경희대학교 교수) 이 창 건 (서울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정 방 철 (경상대학교 교수)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사업위원회위 원 장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위 원 고 균 병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고 중 혁 (중앙대학교 교수)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욱 (고려대학교 교수)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문 현 욱 (동원대학교 교수) 박 강 령 (동국대학교 교수) 박 정 욱 (연세대학교 교수)

서 인 식 (라이트웍스 대표이사) 신 현 출 (숭실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윤 재 철 (삼성전자 박사)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조 면 균 (세명대학교 교수) 조 제 광 (LG전자 박사)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윤 경 (삼성전자 마스터)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최 진 호 (LG전자 상무)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교육홍보위원회위 원 장 한 동 석 (경북대학교 교수)

부 위 원 장 이 수 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위 원 고 정 환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덕 영 (부천대학교 교수) 김 동 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 정 구 (부산대학교 교수) 김 준 태 (건국대학교 교수) 류 시 복 (자동차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동 훈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이 석 필 (상명대학교 교수) 이 종 호 (서울대학교 교수)

임 기 택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장 길 진 (경북대학교 교수) 장 준 혁 (한양대학교 교수)

최 병 재 (대구대학교 교수) 최 세 호 (포스코 부장)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표준화위원회위 원 장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위 원 강 희 훈 (여주대학교 교수)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구 정 래 (한국심사자격인증원 팀장)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병 철 (한양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옥 수 (인피니언코리아 이사)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종 훈 (KAIST 교수) 두 영 호 (현대오트론 책임연구원) 박 세 광 (경북대학교 교수)

박 장 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박 재 영 (광운대학교 교수) 박 주 현 (픽셀플러스 실장)

신 성 호 (한국기술표준원 연구관)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윤 대 원 (법무법인 다래 이사) 이 경 범 (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민 영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본부장)

이 상 근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 상 미 (IITP 팀장) 이 상 준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이 서 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과장)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이 시 현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용 희 (한라대학교 교수) 이 종 묵 (SOL 대표) 장 미 혜 (연세대학교 교수)

장 현 수 (㈜아이에이 부장)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좌 성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차 철 웅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한 태 수 (국가기술표준원/표준협회 표준코디)

정보화위원회 위 원 장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진 태 (건국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신 창 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정 연 모 (경희대학교 교수) 조 성 재 (가천대학교 교수)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전자공.indb 949 2015-11-23 오후 1:27:58

Page 1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The Magazine of the IEIE

지부담당위원회위 원 장 박 현 욱 (KAIST 교수)

위 원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김 성 진 (경남대학교 교수) 박 길 흠 (경북대학교 교수)

백 인 천 (AIZU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최 명 준 (텔레다인 박사)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최 조 천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선거관리위원회위 원 장 박 성 한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부 위 원 장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위 원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정 영 모 (한성대학교 교수)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포상위원회위 원 장 김 성 대 (KAIST 교수)

위 원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재정위원회위 원 장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고 성 제 (고려대학교 교수)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인사위원회위 원 장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SPC위원회위 원 장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위 원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신 원 용 (단국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이 재 훈 (고려대학교 교수)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JSTS위원회위 원 장 Hoi-Jun Yoo (KAIST)

부 위 원 장 Dim-Lee Kwong (Institute of Microelectronics)

위 원 Akira Matsuzawa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Cary Y. Yang (Santa Clara Univ.)

Changsik Yoo (Hanyang Univ.) Chennupati Jagadish (Australian National Univ.)

Deog-Kyoon Jeong (Seoul National Univ.) Dong S. Ha (Virginia Tech)

Eun Sok Kim (USC) Gianaurelio Cuniberti (Dresden Univ. of Technology)

Hi-Deok Lee (Chungnam Univ.) Hong June Park (POSTECH)

Hyoungsub Kim (Sungkyunkwan Univ.) Hyungcheol Shin (Seoul National Univ.)

Hyun-Kyu Yu (ETRI) Jamal Deen (McMaster Univ.)

Jin-Koo Rhee (Dongguk Univ.) Jinwook Burm (Sogang Univ.)

Jong-Uk Bu (Sen Plus) Meyya Meyyappan (NASA Ames Research Center)

Min-kyu Song (Dongguk Univ.) Moon-Ho Jo (POSTECH)

Nobby Kobayashi (UC Santa Cruz) Paul D. Franzon (North Carolina State Univ.)

Rino Choi (Inha Univ.) Sang-Hun Song (Chung-Ang Univ.)

Seung-Hoon Lee (Sogang Univ.) Shen-Iuan Liu (National Taiwan Univ.)

Songcheol Hong (KAIST) Stephen A. Campbell (Univ. of Minnesota)

Sung Woo Hwang (Korea Univ.) Tadahiro Kuroda (Keio Univ.)

Tae-Song Kim (KIST) Tsu-Jae King Liu (UC Berkeley)

Vojin G. Oklobdzija (Univ. of Texas at Dallas) Weileun Fang (National Tsing Hua Univ.)

Woodward Yang (Harvard Univ.) Woogeun Rhee (Tsinghua Univ.)

Yogesh B. Gianchandani (Univ. of Michigan, Ann Arbor) Yong-Bin Kim (Northeastern Univ.)

Younghee Kim (Changwon National Univ.) Yuhua Cheng (Peking Univ.)

전자공.indb 950 2015-11-23 오후 1:27:58

Page 1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Society 명단

통신소사이어티회 장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부 회 장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 사업 이 흥 노 (광주과기원 교수) - 학술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 재무/편집감 사 방 성 일 (단국대학교 교수) 이 호 경 (홍익대학교 교수)협동부회장 김 병 남 (에이스테크놀로지 연구소장) 김 연 은 (㈜브르던 대표이사) 김 영 한 (숭실대학교 교수) 김 용 석 (㈜답스 대표이사) 김 인 경 (LG전자 상무) 남 상 욱 (서울대학교 교수) 류 승 문 (㈜카서 대표이사) 박 용 석 (㈜LICT 대표이사) 방 승 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연 임 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연 철 흠 (LGT 상무) 오 정 근 (㈜ATNS 대표이사) 이 승 호 (㈜하이게인 부사장) 이 재 훈 (유정시스템㈜ 대표이사) 이 종 창 (홍익대학교 교수) 정 윤 채 (삼성전자 전무) 정 진 섭 (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정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이 사 김 광 순 (연세대학교 교수) 김 선 용 (건국대학교 교수) 김 성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진 영 (광운대학교 교수)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서 철 헌 (숭실대학교 교수) 성 원 진 (서강대학교 교수) 신 요 안 (숭실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종 호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윤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 인 규 (고려대학교 교수) 이 재 훈 (동국대학교 교수) 임 종 태 (홍익대학교 교수) 최 진 식 (한양대학교 교수) 허 서 원 (홍익대학교 교수)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연구회위원장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 통신연구회 유 제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 스위칭 및 라우팅연구회 조 춘 식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 마이크로파 및 전파전파연구회 이 철 기 (아주대학교 교수) - ITS연구회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 정보보안시스템연구회 김 강 욱 (경북대학교 교수) - 군사전자연구회 류 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 방송ㆍ통신융합기술연구회 박 광 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 무선 PAN/BAN연구회 김 봉 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 미래네트워크연구회간 사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김 광 순 (연세대학교 교수)

반도체소사이어티회 장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자 문 위 원 권 오 경 (한양대학교 교수) 선우명훈 (아주대학교 교수) 신 윤 승 (삼성전자 고문) 신 현 철 (한양대학교 교수) 우 남 성 (삼성전자 사장) 임 형 규 (SK하이닉스 부회장)감 사 정 진 균 (전북대학교 교수) 최 준 림 (경북대학교 교수)수석부회장 조 중 휘 (인천대학교 교수)연구담당부회장 조 경 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사업담당부회장 김 진 상 (경희대학교 교수)학술담당부회장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총 무 이 사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박 종 선 (고려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편 집 이 사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학 술 이 사 강 진 구 (인하대학교 교수) 김 영 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 재 석 (연세대학교 교수)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박 성 정 (건국대학교 교수)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정 연 모 (경희대학교 교수)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사 업 이 사 강 성 호 (연세대학교 교수) 강 태 원 (넥셀 사장)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경 기 (대구대학교 교수)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동 현 (ICTK 사장)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준 석 (ADT 사장) 김 철 우 (고려대학교 교수) 김 한 기 (코아로직 사장) 손 보 익 (LG전자 전무) 송 태 훈 (휴인스 사장) 신 용 석 (케이던스코리아 사장) 안 흥 식 (Xilinx Korea 지사장) 양 영 인 (멘토 사장)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윤 광 섭 (인하대학교 교수) 이 도 영 (옵트론텍 사장) 이 윤 종 (동부하이텍 상무) 이 종 열 (FCI 부사장) 정 해 수 (Synopsys 사장) 정 희 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 조 대 형 (스위스로잔연방공대 총장수석보좌관)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조 태 제 (삼성전자 마스터)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윤 경 (삼성전자 마스터) 최 종 찬 (전자부품연구원 본부장) 황 규 철 (삼성전자 상무)재 무 이 사 김 희 석 (청주대학교 교수) 임 신 일 (서경대학교 교수)회 원 이 사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최 기 영 (서울대학교 교수)연구회위원장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 반도체 재료 및 부품연구회 오 민 철 (부산대학교 교수) - 광파 및 양자전자공학연구회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SoC설계연구회 신 현 철 (광운대학교 교수) - RF 집적회로연구회 정 원 영 (㈜다우인큐브 전무) - PCB & Package연구회간 사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문 용 (숭실대학교 교수) 전 경 구 (인천대학교 교수) 어 영 선 (한양대학교 교수)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전자공.indb 951 2015-11-23 오후 1:27:58

Page 1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The Magazine of the IEIE

컴퓨터소사이어티회 장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명 예 회 장 김 형 중 (고려대학교 교수) 박 인 정 (단국대학교 교수) 박 춘 명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신 인 철 (단국대학교 교수)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임 기 욱 (선문대학교 교수) 홍 유 식 (상지대학교 교수) 안 병 구 (홍익대학교 교수) 이 규 대 (공주대학교 교수)자 문 위 원 이 강 현 (조선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감 사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부 회 장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협동부회장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영 학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본부장) 김 천 식 (세종대학교 교수) 임 병 민 (㈜Agerigna 회장)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조 병 순 (㈜시엔시 인스트루먼트 사장)총 무 이 사 박 수 현 (국민대학교 교수)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재 무 이 사 김 진 홍 (한성대학교 교수) 이 기 영 (을지대학교 교수)홍 보 이 사 황 인 정 (명지병원 책임연구원)편 집 이 사 강 병 권 (순천향대학교 교수) 기 장 근 (공주대학교 교수) 변 영 재 (UNIST 교수)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이 석 환 (동명대학교 교수) 진 훈 (연세대학교 교수) 진 성 아 (성결대학교 교수)학 술 이 사 강 상 욱 (상명대학교 교수) 김 대 휘 (㈜경봉 대표이사)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김 성 길 ((주)K4M 이사) 김 종 윤 (경동대학교 교수) 김 홍 균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노 소 영 (월송출판 대표이사) 박 세 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박 승 창 (㈜유오씨 사장)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송 치 봉 (웨이버스 이사) 오 승 훈 (LG C&S 과장) 우 운 택 ( 교수) 유 성 철 (LG히다찌 산학협력팀장)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성 로 (목포대학교 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허 준 (경민대학교 교수)논문편집위원장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연구회위원장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 융합컴퓨팅 연구회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 인공지능/신경망/퍼지 연구회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멀티미디어 연구회 진 훈 (연세대학교 교수) - 유비쿼터스시스템 연구회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 M2M/IoT 연구회

신호처리소사이어티회 장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자 문 위 원 김 홍 국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영 렬 (세종대학교 교수)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감 사 강 상 원 (한양대학교 교수) 김 응 규 (한밭대학교 교수)부 회 장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김 문 철 (KAIST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협동부회장 강 동 욱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CP) 김 진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장)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변 혜 란 (연세대학교 교수) 신 원 호 (LG전자 상무) 양 인 환 (TI Korea 이사)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이 병 욱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지 인 호 (홍익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이 사 강 현 수 (충북대학교 교수) 권 기 룡 (부경대학교 교수) 김 남 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원 하 (경희대학교 교수)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해 광 (세종대학교 교수) 박 구 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 인 규 (인하대학교 교수) 서 정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신 지 태 (성균관대학교 교수) 엄 일 규 (부산대학교 교수) 유 양 모 (서강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임 재 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장 길 진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장 준 혁 (한양대학교 교수)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협 동 이 사 이 창 우 (카톨릭대학교 교수) 권 구 락 (조선대학교 교수) 김 기 백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용 환 (전자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박 현 진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재 곤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박 호 종 (광운대학교 교수) 서 영 호 (광운대학교 교수)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신 재 섭 (㈜픽스트리 대표이사) 신 종 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예 종 철 (KAIST 교수) 이 기 승 (건국대학교 교수) 이 종 설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양 현 종 (UNIST 교수) 임 재 윤 (제주대학교 교수) 장 세 진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최 승 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홍 성 훈 (전남대학교 교수)연구회위원장 김 무 영 (세종대학교 교수) - 음향및신호처리연구회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 영상신호처리연구회 김 창 익 (KAIST 교수) - 영상이해 연구회 예 종 철 (KAIST 교수) - 바이오영상신호처리연구회총 무 간 사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회 장 오 상 록 (KIST 분원장)자 문 위 원 김 덕 원 (연세대학교 교수) 김 희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박 종 국 (경희대학교 교수) 서 일 홍 (한양대학교 교수)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허 경 무 (단국대학교 교수)부 회 장 김 영 철 (군산대학교 교수) 오 승 록 (단국대학교 교수) 정 길 도 (전북대학교 교수)감 사 김 영 진 (생산기술연구원 박사)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전자공.indb 952 2015-11-23 오후 1:27:59

Page 1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총 무 이 사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김 용 태 (한경대학교 교수)재 무 이 사 김 준 식 (KIST 박사) 최 영 진 (한양대학교 교수)학 술 이 사 김 용 권 (건양대학교 교수) 박 재 흥 (서울대학교 교수) 서 성 규 (고려대학교 교수)편 집 이 사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이 수 열 (경희대학교 교수)기 획 이 사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이 덕 진 (군산대학교 교수) 최 현 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사 업 이 사 고 낙 용 (조선대학교 교수) 이 경 중 (연세대학교 교수) 이 석 재 (대구보건대학교 교수) 주 영 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산학연이사 강 대 희 (유도㈜ 박사)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홍 보 이 사 김 호 철 (을지대학교 교수) 박 재 병 (전북대학교 교수) 유 정 봉 (공주대학교 교수) 여 희 주 (대진대학교 교수)회 원 이 사 변 영 재 (UNIST 교수) 이 학 성 (세종대학교 교수)연구회위원장 한 수 희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제어계측 연구회 이 성 준 (한양대학교 교수) - 회로및시스템 연구회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 의용전자 및 생체공학 연구회 김 규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전력전자 연구회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능로봇 연구회 전 순 용 (동양대학교 교수) - 국방정보및제어 연구회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 자동차전자 연구회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 의료영상시스템 연구회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 스마트팩토리 연구회

산업전자소사이어티회 장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명 예 회 장 김 장 권 (대림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강 창 수 (유한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자 문 위 원 이 상 준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김 병 화 (동원대학교 교수)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감 사 김 영 선 (대림대학교 교수)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부 회 장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지 부 장 김 윤 석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 강원지부 송 도 선 (우송정보대학교 교수) - 충청지부 김 태 용 (구미대학교 교수) - 영남지부 송 정 태 (동서울대학교 교수) - 경기지부 이 종 하 (전주비전대학교 교수) - 호남지부협동부회장 강 현 웅 (핸즈온테크놀러지 대표) 곽 은 식 (㈜경봉 부사장) 김 연 길 (DB정보통신 부장) 김 영 주 (훼스텍㈜ 이사) 김 응 연 (㈜인터그래텍 대표) 김 정 석 (㈜ODA테크놀러지 대표이사) 김 종 부 (인덕대학교 교수) 김 종 인 (LG엔시스 본부장) 김 진 선 (청파이엠티 대표) 김 창 일 (아이지 대표) 김 태 형 (하이버스 대표) 남 승 우 (상학당 대표) 박 용 후 (이디 대표) 박 현 찬 (나인플러스(EDA) 대표) 서 영 석 (판도라시스템 대표) 성 재 용 (오픈링크시스템 대표) 송 광 헌 (㈜복두전자 대표) 윤 광 선 (㈜LG전자 서비스 부장) 이 영 준 (㈜비츠로시스 본부장) 임 일 권 (㈜에이시스 상무) 장 철 (엘지히다찌 전무) 장 대 현 ((주)지에스비텍 상무)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 최 영 일 (조선이공대학교 교수)이 사 강 동 진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교 교수) 강 민 구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강 희 훈 (여주대학교 교수) 고 정 환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곽 칠 성 (재능대학교 교수)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권 오 복 (국제대학교 교수) 권 오 상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 경 복 (경복대학교 교수) 김 덕 수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김 덕 영 (부천대학교 교수) 김 상 범 (인천폴리텍대학 교수) 김 선 태 (직업능력개발원 박사) 김 영 로 (명지전문대학 교수) 김 영 준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문 현 욱 (동원대학교 교수) 박 종 우 (재능대학교 교수) 박 진 홍 (혜전대학교 교수) 방 경 호 (명지전문대학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배 효 관 (동원대학교 교수) 백 승 철 (우송정보대학교 교수) 변 상 준 (대덕대학교 교수)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성 홍 석 (부천대학교 교수) 신 진 섭 (경민대학교 교수) 신 용 조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신 철 기 (부천대학교 교수) 심 완 보 (충청대학교 교수) 안 성 수 (명지전문대학 교수)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엄 우 용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오 태 명 (명지전문대학 교수) 용 승 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우 찬 일 (서일대학교 교수) 이 동 영 (명지전문대학 교수)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상 철 (재능대학교 교수) 이 승 우 (동원대학교 교수) 이 시 현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정 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이 종 성 (부천대학교 교수) 이 태 동 (국제대학교 교수) 이 종 근 (부천대학교 교수) 장 기 동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장 성 석 (영진전문대학 교수) 정 석 재 (영진전문대학 교수) 정 환 익 (경복대학교 교수) 조 정 환 (김포대학교 교수) 주 진 화 (오산대학교 교수) 최 선 정 (국제대학교 교수) 최 의 선 (폴리텍아산캠퍼스 교수) 최 현 식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교수) 황 수 철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허 윤 석 (충청대학교 교수)협 동 이 사 강 현 석 (로보웰 코리아 대표) 김 민 준 (씨만텍 부장) 김 세 종 (SJ정보통신 이사) 김 순 식 (㈜청파이엠티 부장) 김 현 성 (DB정보통신 부장) 박 근 수 (지에스비텍 부장) 서 봉 상 (올포랜드 이사) 송 치 봉 (웨이버스 이사) 오 승 훈 (LGCNS 과장) 오 재 곤 (콤택시스템 이사) 유 성 철 (LG히타치 차장) 이 재 준 (한백전자 부장) 이 현 성 (㈜프로랩 팀장) 조 한 일 (투데이게이트 이사) 한 상 우 (㈜인터그래텍 과장)

전자공.indb 953 2015-11-23 오후 1:27:59

Page 1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The Magazine of the IEIE

제20대 평의원 명단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강 성 호 (연세대학교 교수)

강 의 성 (순천대학교 교수) 강 진 구 (인하대학교 교수) 강 창 수 (유한대학교 교수)

강 훈 (중앙대학교 교수) 고 균 병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고 성 제 (고려대학교 교수)

고 요 환 (SK하이닉스 고문)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곽 우 영 (현대자동차그룹 부사장) 구 경 헌 (인천대학교 교수)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구 원 모 (전자신문사 대표이사)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권 기 룡 (부경대학교 교수)

권 순 철 (KT ENS 대표이사) 권 오 경 (한양대학교 교수) 권 오 현 (삼성전자 부회장)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경 수 (만도 사장)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김 경 원 (전자부품연구원 원장) 김 기 호 (삼성전자 부사장)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김 덕 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김 도 현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문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봉 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부 균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단장)

김 선 용 (건국대학교 교수)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김 성 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성 진 (경남대학교 교수)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수 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 수 중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김 시 원 (삼성전자 부장)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권 ((전)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 총장) 김 영 선 (대림대학교 교수) 김 영 철 (군산대학교 교수)

김 영 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 김 용 석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재 석 (연세대학교 교수) 김 재 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재 희 (연세대학교 교수) 김 정 식 (대덕전자 회장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종 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김 주 신 (만도 사장) 김 준 모 (KAIST 교수) 김 진 선 (SK컨티넨탈이모션 대표이사)

김 진 영 (광운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김 창 용 (삼성전자 부사장)

김 창 익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창 현 (삼성전기 부사장) 김 철 동 (세원텔레텍 대표이사)

김 태 욱 (연세대학교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김 태 진 (더즈텍 사장)

김 태 찬 (고려대학교 박사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김 홍 국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김 화 종 (강원대학교 교수) 김 회 린 (KAIST 교수)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김 희 석 (청주대학교 교수) 김 희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나 정 웅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남 기 창 (연세대학교 교수)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남 상 욱 (서울대학교 교수)

노 용 만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류 수 정 (삼성종합기술원 마스터)

류 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문 영 식 (한양대학교 교수) 민 경 식 (국민대학교 교수)

민 경 오 (LG전자 전무) 박 광 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박 규 태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박 길 흠 (경북대학교 교수) 박 래 홍 (서강대학교 교수) 박 민 식 (전주비전대학교 교수)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박 병 하 (삼성전자 전무) 박 성 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박 성 한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박 인 규 (인하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박 진 옥 (육군사관학교 명예교수) 박 찬 구 (LS파워세미텍 대표이사) 박 찬 용 (LG전자 수석연구원)

박 춘 명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박 항 구 (소암시스텔 회장) 박 현 욱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박 형 무 (동국대학교 교수)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방 성 일 (단국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백 만 기 (김&장법률사무소 변리사)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백 흥 기 (전북대학교 교수)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변 증 남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서 경 학 (한국연구재단 단장)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서 정 욱 ((전) 과학기술부 장관)

서 철 헌 (숭실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선우명훈 (아주대학교 교수)

성 굉 모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송 문 섭 (엠세븐시스템 사장)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송 창 현 (네이버 이사)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신 요 안 (숭실대학교 교수)

신 종 균 (삼성전자 사장) 신 현 철 (광운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안 기 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안 병 구 (홍익대학교 교수) 안 승 권 (LG전자 사장)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양 우 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양 웅 철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엄 일 규 (부산대학교 교수) 여 상 덕 (LG디스플레이 부사장)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오 상 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오 승 록 (단국대학교 교수)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원 치 선 (동국대학교 교수)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유 제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유 창 동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전자공.indb 954 2015-11-23 오후 1:27:59

Page 1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유 철 우 (명지대학교 교수) 유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유 회 준 (KAIST 교수)

유 흥 균 (충북대학교 교수) 윤 광 섭 (인하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윤 종 용 (삼성전자 비상임고문)

이 강 윤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 강 현 (조선대학교 교수)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이 규 대 (공주대학교 교수) 이 기 영 (을지대학교 교수)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문 기 ((전) 연세대학교 교수)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설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이 상 홍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석 희 (SK하이닉스 전무)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이 성 준 (한양대학교 교수) 이 승 훈 (서강대학교 교수)

이 영 렬 (세종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이 용 환 (서울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이 윤 식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 윤 우 (삼성전자 상임고문)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이 재 홍 (서울대학교 교수) 이 재 훈 (유정시스템 사장) 이 재 훈 (동국대학교 교수)

이 정 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이 찬 호 (숭실대학교 교수) 이 천 희 ((전) 청주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충 웅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 태 원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이 형 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문위원)

이 호 경 (홍익대학교 교수)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희 국 (LG기술협의회 사장)

이 희 덕 (충남대학교)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임 병 민 (Newmmatrix(HongKong)co.,Ltd Board)

임 신 일 (서경대학교 교수) 임 익 헌 (전력연구원 처장) 임 재 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임 제 탁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임 차 식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임 형 규 (SK텔레콤 부회장)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장 만 호 (이노피아테크 대표이사)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장 태 규 (중앙대학교 교수) 전 경 훈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전 성 호 (삼성전기 부사장) 전 순 용 (동양대학교 교수)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전 홍 태 (중앙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정 길 도 (전북대학교 교수)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정 영 모 (한성대학교 교수)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정 원 영 (다우인큐브 전무) 정 의 영 (연세대학교 교수) 정 정 화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정 종 문 (연세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정 진 섭 (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한 욱 (ITS 대표이사)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조 경 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조 의 식 (가천대학교 교수)

조 재 문 (삼성전자 전무) 조 중 휘 (인천대학교 교수) 주 영 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진 성 아 (성결대학교 교수)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이사) 진 훈 (성균관대학교 교수)

천 경 준 (씨젠 회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최 기 영 (서울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성 현 (서울대학교 교수)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승 원 (한양대학교 교수)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최 정 아 (삼성전자 전무)

최 조 천 (목포해양대 교수) 최 종 찬 (전자부품연구원 본부장) 최 준 림 (경북대학교 교수)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최 진 성 (SK텔레콤 전무) 최 진 식 (한양대학교 교수)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한 대 근 (실리콘웍스 대표이사)

한 동 석 (경북대학교 교수)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허 경 무 (단국대학교 교수)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허 염 (실리콘마이터스 사장)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호 요 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홍 국 태 (LG전자 상무)

홍 기 상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홍 성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홍 승 홍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홍 유 식 (상지대학교 교수) 황 승 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사무국 직원 명단

송기원 국장 - 업무총괄, 기획, 자문, 산학연, 선거

이안순 부장 - 국내학술대회, 총무, 포상, 임원관련, 컴퓨터(소)

배지영 차장 - 국문논문, JSTS, 시스템및제어(소)

배기동 차장 - 사업, 표준화, 용역, 반도체(소)

변은정 과장 - 재무(본회/소사이어티/연구회), 학회지, 산업전자(소)

김천일 과장 - 정보화, 교육/홍보, 회원, 홈페이지, 통신(소)

김윤주 서기 - 국제학술대회, SPC, 국제협력, 신호처리(소)

전자공.indb 955 2015-11-23 오후 1:27:59

Page 1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956 _ The Magazine of the IEIE 12

제 5차 상임이사회 개최

제 5차 상임이사회가 10월 16일(금) 17시에 학회 회의실에서 개최

되었다. 이번 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원 보고

2. 위원회 보고

- 총무 : 4차 포상위원회에서 학회상 및 해동상 응모자 심사,

수상 후보자 선정 보고함. 2016년도 선거일정 보고함

- 회원 : 다수 신규 학생회원 가입 연구실 선정 보고함

- SPC : 10월호 발간논문 확보 추진 사항 및 SCOPUS 협조 사항

보고함

- 논문 편집 : 10월 논문 발간 보고함

- 학술/추계학술대회 : 11월 27일 ~ 28일/오크밸리(원주) 개최

프로그램, 숙박, 교통편 보고함

- 사업 : IT 융합기술워크숍 개최 연기 보고함

- 국제협력 : ICEIC 2016 논문모집 독려

3. 심의사항

- 신규 회원 가입 승인함

- 학회상 및 해동상 수상자 승인함

- 평의원 및 임원 선거 규칙 심의에 대한 사항

- 2016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4. 기타

- 학회 정관, 규칙, 내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기로 함

제 2차 평의원회 개최

11월 13일(금) 오후 6시 30분 엘타워(양재동)에서 제2차 평의원회가

개최되어 2016년도 임원을 선출하는 한편, 금년도 주요 추진실적을

보고하고 2016년 사업계획 및 예산을 의결하였으며, 임원 선출결과

는 다음과 같다.

- 회장 : 구용서 교수(단국대학교) *자동승계

- 수석부회장 : 홍대식 교수(연세대학교)

- 부회장(선출직) : 백준기 교수(중앙대학교), 임혜숙 교수(이화여대),

최천원 교수(단국대학교)

- 감사 : 이필중 교수(포항공과대학교) *연임, 정교일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타 임원 : 2016년도 회장단에 위임

3D-IC Workshop 2015

반도체소사이어티(워크샵 운영위원장 : 조태제 마스터(삼성전자))에

서는 10월 15일(목) “3D-IC Workshop 2015”를 경희대학교 국제캠

퍼스에서 개최하였다.

제 2차 평의원회 – 박병국 회장의 업무 보고

전자공.indb 956 2015-11-23 오후 1:28:01

Page 1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News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57

본 워크샵은 3D-TSV 기술에 대하여 앞으로의 산업의 동향, 3D,

2.5D 기술 등 현재 기술을 논의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토론하는 기술

의 장으로 역할을 다하여 왔으며, 180명의 전문가 및 학생이 참여하

여 산학연 기술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2015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오상록 회장, KIST)에서는 대한전기학회

와 공동 주최로 10월 22(목) ~ 24(토), 대명델피노리조트(속초)에서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약 200

명이 참석하였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 Workshop 2015

반도체소사이어티(워크샵 운영위원장 : 이희덕 교수(충남대))에서는

10월 23일(금) 한국반도체산업협회 9층 강당에서 “차세대 반도체 소

자 Workshop 2015”을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차세대 SOI 소자 기술, 차세대 Power 소자 기술,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 소자 기술 등의 다양한 실리콘 기반 차세대

소자 기술과 더불어 2차원 채널 소자 기술, Negative Capacitance 소

자 기술, 차세대 Ⅲ-Ⅴ CMOS 소자 기술, Reconfigurable 소자 기술

등 실리콘 기반 소자의 이후를 위한 다양한 소자 기술들이 발표되었

으며, 약 70여명이 참석하였다.

2015 Wearable/ IoT Enabler 기술 워크샵

반도체소사이어티(회장 : 전영현(삼성전자 사장))에서는 “2015

Wearable/IoT Enabler 기술 워크샵”을 10월 27일(화) ~ 28일(수) 성

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제1동 종합연구동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샵의 1일차에서는 IoT 제품 및 서비스, 플랫폼, 표준화 기

술이 발표되었으며, 2일차에서는 제품에 필요한 부품 및 칩의 구현

기술, 사례 등을 다루게 되어서 제품에서 부품까지의 체계적인 내용

발표되었다.

이번 워크샵은 IoT 핵심기술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자리가 되었으며, 발표자, 대학, 정부 연구

소,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셔서 산학연의 긴밀한 협력의

장으로 진행되었다.

최신 영상기술 워크샵

사업위원회(이상윤 교수(연세대), 백광현 교수(중앙대))에서는 “최신

영상기술 워크샵”을 10월 28일(수) 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에서 개최

하였다.

이번 워크샵은 영상기술에 대한 최신 기법을 체계적으로 소개하였으

며,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쉽게 풀어 설명하고 영상분야

에 실제로 응용되는 예를 함께 제공하여 영상이해 관련 연구자의 학

습 및 연구개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이번 워크샵

에는 약 50명이 참석하였다.

13

3D-IC Workshop 2015

2015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차세대 반도체 소자 Workshop 2015

최신 영상기술 워크샵

전자공.indb 957 2015-11-23 오후 1:28:03

Page 2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958 _ The Magazine of the IEIE 14

2015년 2차 기능안전.보안 핵심 Core 과정 (ISO 26262, IEC 61508, IEC 62443)

반도체소사이어티(워크샵 운영위원장 : 김동규 교수, 김병철 교수

(한양대))에서는 “2015년 2차 기능안전.보안 핵심Core 과정”을 10월

28일(수) ~ 29일(목) 2일간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에서 개최하

였다.

본 핵심 Core과정 교육에서는 스마트자동차의 자율주행 및 충돌안

전, 차량용 통신 및 IoT, 웨어러블에 융합하여 필수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는 기능안전·보안 기술과 효율적인 접근방법 등이 교육되었으며,

자동차 분야와 전자 IT분야를 연구하는 전문가분들에게는 융합기술

의 기본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는 자리가 되며, 궁극적으로 국내 자동

차·전자 융합기술 인력 육성에 기여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되었다.

ISOCC 2015 국제학술대회

SoC설계연구회(학술대회 대회장 : 범진욱 교수(서강대))에서는 11월

2일(월) ~ 5일(목) 4일간 현대호텔(경주소재)에서 “ISOCC 2015 국

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본 학술대회에서는 Keynote 5편, 튜토리얼 4편, Special Session 7

개(41편), 일반세션 12개(72편), 포스터발표 60편, CDC 논문 114편,

CDC 데모 7개 등이 발표되었다. 총 14개국에서 논문이 발표되었으

며, 총 451명이 참석하였다.

<Keynote>

구분 발표자 소속 발표

Keynote

#1

JOHN

YONG-IN

PARK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rt Healthcare-

semiconductor help

people and save lives

Keynote

#2

Chi-Foon

Chan

Synopsys Inc.,

USA

IoT: New Requirements

from Silicon to Software

Keynote

#3

Tadahiro

Kuroda

Keio

University,

Japan

Near-Field Coupling

Integration Technology for

Internet of Things

Keynote

#4

Mohamad

Sawan

Polystim

Neurotech

Lab

Toward Brain-Machine-

Brain Interface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Keynote

#5Zhihua Wang

Tsinghua

University,

China

Wearable devices

-Wireless Transceiver

for Implantable Medical

application

<Tutorial>

구분 발표자 소속 발표

Tutorial

1-1Youngmin Shin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

Design Technologies for

Application Processors

Tutorial

1-2Jaejin Park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ndamentals of Low

Noise Lock-in Amplifiers

Tutorial

2-1Manlyun Ha DongbuHitek

CMOS Image Sensor and

Its Noise

Tutorial

2-2Yong Ho Song

Hanyang

University

Cosmos OpenSSD

Controller Design:

Hardware and Software

2015년 2차 기능안전.보안 핵심Core 과정 수강자 기념사진

ISOCC 2015 – 박병국 학회장 축사

ISOCC 2015 – 범진욱 대회장 개회사

전자공.indb 958 2015-11-23 오후 1:28:03

Page 2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News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5915

제9회 군수용 초고주파부품 워크샵

RF집적회로연구회(위원장 : 신현철 교수(광운대))에서 11월 5일(목)

“제9회 군수용 초고주파부품 워크샵” 을 더케이호텔(양재동 소재)에

서 개최하였다.

본 워크샵은 금년이 9년차로 대한전자공학회, 한국전자파학회(레이

다연구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공동주관으로 진행되었다.

금년도 주요 세션주제는 첫째, 고출력 SSPA 기술, 둘째, 군수용 초고

주파 GaN 소자 및 MMIC 기술, 셋째, 군수용 차세대 초고주파 시스템

및 부품 기반 기술 그리고 초청강연(국방핵심기술 기획 현황-박경진

팀장, 국방기술품질원)으로 진행되었다.

군수용 초고주파 시스템, 초고주파 소자 및 부품기술, RF 설계 및 부

품 기반기술 등의 군수용 초고주파 핵심 원천기술의 확보 및 국산화

를 도모하기 위하여 국내의 여러 연구단체의 공동 주관으로 진행되

었으며, 150명이 참석하여 상호간의 기술협력 및 정보교류를 나누

었다.

신규회원 가입현황

((2015년 10월 14일 - 2015년 11월 11일)

정회원

김상윤(LG전자), 김호섭(LIG넥스원), 이계진(LIG넥스원), 임진규(LIG

넥스원), 서보민(경북대학교), 정혜명(김포대학교), 김소현(명지병원),

김지수(삼성전자), 김효선(서남대학교), 이한슬(서울대학교), 김아정

(세종대학교), 김종찬(전자부품연구원), 안재훈(전자부품연구원), 조용아

(전자부품연구원), 최원진(전자부품연구원), 김동연(한경대학교), 현성훈

(한경대학교), 이석복(한양대학교)

이상 18명

평생회원

황인철(강원대학교)

이상 1명

학생회원

김상민(KAIST), 박준호(가천대학교), 신동하(가천대학교), 황주희

(가천대학교), 강현우(가톨릭대학교), 김두홍(경동대학교), 사재원(고려대

학교), 이재한(고려대학교), 정석진(고려대학교), 성지목(동아대학교),

안준영(부산대학교), 이광민(부산대학교), 고형우(서울대학교), 김영찬

(서울대학교), 김정기(서울대학교), 김형규(서울대학교), 박기광(서울

대학교), 박희천(서울대학교), 서민국(서울대학교), 성낙현(서울대학교),

안세용(서울대학교), 이동우(서울대학교), 이승환(서울대학교), 이연준

(서울대학교), 허정우(서울대학교), 강혜영(성균관대학교), 한주희

(성균관대학교), 조상원(세종대학교), 문지현(숭실대학교), 박정열

(숭실대학교), 채승엽(숭실대학교), 김광수(연세대학교), 김태형(연세

대학교), 백정렬(연세대학교), 이탁건(연세대학교), 허제현(연세대학교),

조용훈(인천대학교), 김수중(인하대학교), 유승민(인하대학교), 최지훈

(인하대학교), 김해나(전자부품연구원), 김주호(제주대학교), 문병호

(중앙대학교), 박상우(중앙대학교), 조지은(중앙대학교), 김보경(충북

대학교), 종효뢰(충북대학교), 유영우(포항공과대학교), 최주영(한국

교통대학교), 신지호(한국전자통신연구원), 최용석(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선(한성대학교), 김동률(한양대학교), 김명균(한양대학교), 문혜원

(한양대학교), 이동기(한양대학교)

이상 56명

ISOCC 2015 – 조직위원 기념사진

제9회 군수용 초고주파부품 워크샵 참가자 기념사진

전자공.indb 959 2015-11-23 오후 1:28:04

Page 2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학회일지www.theieie.org

2015년 10월 14일 ~ 2015년 11월 16일

960 _ The Magazine of the IEIE 16

1. 회의 개최

2. 행사 개최

회의 명칭 일시 장소 주요 안건

소사이어티 회장단 간담회10.29(18:30)

학회 회의실 - 소사이어티와의 협력 방안 논의 등

제 3차 추계학술대회 조직위원회의11.2(7:30)

JW 메리어트호텔 - 프로그램 협의 및 최종 점검 등

ICCE-Korea 2016 관련 미팅11.4

(11:30)르네상스 서울호텔

- IEEE CE Society Sharon Peng 회장과의 만남 및 행사관련 전반적인 사항 논의

추계 프로그램 회의11.4

(17:00)학회 회의실 - 추계 프로그램 구성 및 기타

ICEIC 2016 TPC 논문리뷰 회의11. 5(18:00)

학회 회의실 - ICEIC 2016 포스터 논문 심사

ICEIC 2016 OC 5차 회의11. 6(7:30)

더팔래스호텔 - ICEIC 2016 주요 준비 및 진행사항 논의

행사 명칭 일시 장소 주관

3D-IC Workshop 2015 10.15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반도체소사이어티

2015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10.22-23 대명 델피노 리조트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

차세대 반도체 소자 Workshop 2015 10.23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강당 반도체소사이어티

2015 Wearable/ IoT Enabler 기술 워크샵

10.27-28 성균관대학교 반도체소사이어티

2차 기능안전.보안 핵심 Core (ISO 26262, IEC 61508, IEC 62443)과정

10.28-29 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 반도체소사이어티

최신 영상기술 워크샵 10.28 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 사업위원회

International SoC Design Conference (ISOCC 2015)

11.2-5 경주 현대호텔 SoC설계연구회

제9회 군수용 초고주파부품 워크샵 11.5 더케이 서울호텔 RF집적회로연구회

의료-IT 융합 기술 워크샵 11.6 경기대학교 컴퓨터소사이어티

전자공.indb 960 2015-11-23 오후 1:28:04

Page 2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6117

의료영상은 생각보다 우리 생

활이 깊게 들어와 있다. 우리

는 사람들이 일상대화에서 병원

에 가서 CT (컴퓨터단층영상)

나 MRI(자기공명영상)을 찍었

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의

료영상은 비침습적(몸 안에 바

늘과 같은 장치를 삽입하지 않

음을 의미)이라서 환자 친화적인

검사방법이다. 현대의료의 경향

은 고령화되는 환자 층 그리고 고급의료에 대한 수요의 증

가로 다양한 종류의 의료영상을 갈수록 많이 사용하는 추세

이다. 본 특집호는 여러 종류의 의료영상에 대한 기초 원리

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번 특

집호에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 투고한 5편의 글을 싣게 되

었다.

첫째, “레디오믹 (Radiomic) 분석과 암 의료영상(이승학,

박현진)”에서는 암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의료영상에 대하

여 기술하고 이러한 의료영상의 진단 효용성을 빅 데이터

처리기법과 유사한 영상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향상시키는

예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둘째, “의료 초음파 영역: 해부학

적 영상 그 이상(서종범)”에서는 내과와 산부인과에서 널리

사용되는 초음파 영상의 기본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고 초음

파의 기능을 확장시켜 약물 전달과 탄성도 측정에 적용한 예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셋째,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지영준)”에서는 인체기관의 내벽을 시각화 하는 내시경의

특성을 기존의 삼차원 의료영상들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내

시경을 이용한 외과 수술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넷째,

“CT의 원리와 임상적용(이상우)”에서는 영상의학과에 널리

쓰이는 CT의 원리에 대하여 X선 영상과의 차별성을 가지

고 설명하고, CT의 자료가 어떻게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재

구성되는지에 대한 예를 들었다. 또한 CT의 여러 가지 임상

적용에 대한 설명 역시 포함되었다. 다섯째,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 분석(김만수, 박현진)”에

서는 의료영상과 유전체 정보를 동시에 고려하여 진단의 효

용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유전체 정보는 인

체에 관한 대표적인 빅 데이터에 해당하며 이를 의료영상 정

보와 결부시켜 분석하게 되면 기존에 찾기 어려운 인체에 대

한 새로운 정보를 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바쁜 일정 중에 본 특집호를 위하여 옥고를 보내주신 집필

진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본 특집호가 독자들의 의료영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의료영상 전문가들의 교류와 협력을 위

한 새로운 계기가 되어 우리나라 의료기기 관련 산업의 발전

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특 · 집 · 편 · 집 · 기

의료영상과 응용방안

박현진 편집위원

(성균관대학교)

전자공.indb 961 2015-11-23 오후 1:28:05

Page 2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962 _ The Magazine of the IEIE

레디오믹 (Radiomic)

분석과 암 의료 영상

특집 레디오믹 (Radiomic)분석과 암 의료 영상

박현진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이승학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18

Ⅰ. 서 론

인류의 삶은 과거부터 현재 까지 끊임없이 발전하며 성장을 거듭해왔

다. 이러한 성장은 인류의 삶에 편리함과 쾌적함을 주었으며, 더 좋은

삶을 누리기 위한 인류의 연구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 많은 인문, 과학 분야에서는 기존의 여러 연구 분야를 통합하여

새로운 분야를 창출해내는 융합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이러

한 연구는 한계점에 도달한 기존의 기술들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긍정

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대표적인 융합 연구로는 본 글에서 다루게

될 공학과 의학의 융합이 있다. 공학과 의학의 융합은 실제로 오랜 기

간 동안 지속돼 왔으며, 의

학 분야에서 공학의 기술

이 많이 적용된 분야는 영

상 의학 분야이다. 영상 의

학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영상 장비로는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X-Ray와 그 원리를 이용한 컴퓨터 단층 촬영 영

상(CT, Computed tomography), 방사선 동위 원소를 이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그리고

자기 공명 현상을 이용한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등이 있다(<그림 1>)[1]. 해당 영상들을 이용해 다양한 질병을

효과적으로 분석 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기존 방법으

로는 분석하기 힘들었던 암과 같은 고 위험 질병들을 보다 정확하게 분

석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글에서 다루게 될 주제는 영상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는 여러 질

병들 중 매 년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망률이 매년 증가하고

영상분석기법이 적용된 의료영상은

질병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특히나

암과 같은 고위험 질병의 진단에도

중요하게 사용된다.

전자공.indb 962 2015-11-23 오후 1:28:06

Page 2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63

▶ ▶ ▶ 레디오믹 (Radiomic)분석과 암 의료 영상

19

있는 암에 대한 분석 방법이다(<그

림 2>)[2-3]. 암은 발병하는 원인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층에

서 발병 할 수 있는 무서운 질환 중

하나이다. 또한 신체의 어느 기관

에도 나타날 수 있고, 발병하는 부

위에 따라 고통이 동반되지 않아 조기 발견이 힘들며 다

른 부위로의 전이가 쉬워 완치율이 낮다. 이러한 암을 진

단하는 방법들은 암 세포를 추출해 직접 분석하는 침습적

인 생체 검사(Biopsy)방법과 영상을 이용하는 비 침습적

인 방법으로 분류된다. 그 중 비 침습 방법은 인체에 직접

적인 시술을 행하지 않는다. 즉, 몸(병변이 의심되는 부

위)에 칼이나 주사를 이용하지 않고 암을 진단을 할 수 있

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글을 통해 소개하고자 하는

Radiomic 분석은 CT 영상을 이용해 암을 진단(혹은 판

단) 할 수 있는 최신 방법 중 하나이다[4]. 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는 Ⅲ장 Radiomic 부분에 되어 있다.

Ⅱ. 관련 연구

1. 질감 분석(Texture analysis)

Radiomic 분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구성하

는 기본적인 정보에 대한 정의와 질감 분석(Texture

analysis)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선, 영상을 구성하

는 최소 단위는 화소(Pixel)라고 한다. 화소에는 밝기 값

이라는 정보가 존재하며 영상을 본다고 하는 것은 이러한

정보들을 읽는 것을 말한다. 질감 분석이란 앞서 말한 영

상 화소의 밝기 값들을 수학적인 방법들을 이용하여 분석

하는 것을 말한다. 질감 분석은 관

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

안에서 특징(Texture feature)을

여러 방법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해

석을 유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

한 질감 분석은 다양한 영상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글을 통해 알아볼

의료 영상에서 영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는 영상 장비

마다 다르다. 대표적으로, CT 영상에서는 Hounsefield

unit(HU), MRI에서는 신호 강도(Signal intensity) 그리

<그림 1> 폐암에 대한 CT 영상과 PET 영상. 왼쪽 빨간색 테두리 안쪽 부분이 CT영상에서 암을 표시한 부분이며 가운데와 오른쪽 영상은 CT

영상(흑백)에 PET영상(컬러)을 정합한 그림이다(왼쪽: CT 영상; 중앙: FDG-PET영상; 오른쪽: HX4-PET영상).

<그림 2> 위쪽 그림에서는 암의 사망률이 다른 요인 보다 높은 것을

보여 주며, 아래 그림에서는 1999년 이후 암 발생 자와 암

사망자의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준다.

Radiomic 분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정보에 대한

정의와 질감 분석(Texture analysis)에 대

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자공.indb 963 2015-11-23 오후 1:28:06

Page 2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이 승 학, 박 현 진

964 _ The Magazine of the IEIE 20

고 PET 영상에서는 Standardized uptake value(SUV)

로 정의 된다. 질감 분석은 크게 3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관심 영역 안에서 밝기 값의 분포

(히스토그램)를 기반으로 하여 특징 값들을 계산하는 1

차 통계 자료(1st order statistics), 두 번째는 주위 밝

기 값의 빈도수를 측정하여 그 관계를 행렬로 구성하

는 회색도 동시 발생 행렬(Gray level co occurrence

matrix, GLCM)과 동일한 밝기 값을 가진 크기에 따라

행렬이 구성 되는 밝기 값 크기 영역 행렬(Intensity size

zone matrix) 등을 이용해 특징 값들을 계산하는 2차 통

계 자료(2nd order statistics) 마지막으로, 세 개 이상

의 픽셀에 대해 공간적인 관계를 조사할 수 있는 이웃 회

색조 차이 행렬(Neighborhood gray tone difference

statistics)을 이용해 특징 값을 계산하는 고차 통계 자료

(Higher order statistics)가 있다(<표 1> 참고)[5].

2. 질감 분석을 통한 연구

앞서 간단하게 설명한 특징 값들이 실제 분석에 적용된

두 가지 논문들을 살펴 보고자한다. 첫 번째 살펴 볼 논문

은 폐암 치료 전과 후를 질감 분석을 이용해 분석한 논문

이다[6]. 사용된 질감 분석의 특징으로는 1차 통계자료 중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값을 이용하였다. 왜

도는 밝기 값 분포의 평균 값 이용하여 분포 모양의 비대

칭의 정도를 알아보는 특징 값이다. 왜도 값이 0보다 크

면 좌측으로 치우치게 되며, 0보다 작게 되면 우측으로

치우친다. 첨도는 밝기 값 분포의 표준 편차를 알 수 있는

특징 값이다. 첨도가 0보다 크면 표준 편차 값이 작고, 반

대로 0보다 작으면 표준 편차 값이 크다. 2차 통계자료에

서는 밝기 값 크기 영역 행렬을 이용하여 밝기 값 변동성

(Intensity variability)과 크기 영역 변동성(Size-zone

variability) 값을 이용하여 치료 전후의 특징 값의 차이

를 보았다(<그림 3>).

그림을 통해 밝기 값 분포와 밝기 값 크기 영역 행렬

<그림 3> 위 A, B 그림은 각기 다른 2명의 CT 영상이며 폐암 환자의

치료 전(PRE)과 치료 후(POST) 영상이다. 아래 A 그림은

왜도와 첨도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파란색 분포도가

치료 전, 빨간 색 분포도가 치료 후를 의미한다. 아래 B 그

림은 밝기 값 크기 영역 행렬을 통해 얻은 특징 점인 밝기

값 변동성과 크기 영역 변동성에 대한 그림과 수치이다.

통계자료 차수

특징(Texture feature) 정의

1차 통계자료

평균 (Mean gray-level intensity)

관심 영역에 대한 화소의 평균 값

표준 편차 (Standard deviation)

평균 밝기 값에 대한 변화

엔트로피(Entropy) 밝기 값 분포의 불규칙성

2차 통계자료

부분 균질성 (Local homogeneity)

회색도 동시발생 행렬(GLCM) 분포의 밀접함

부동성(Dissimilarity) 행렬의 요소가 얼마나 다른지 측정

상관관계(Correlation) 회색조 선형 종속 측정

3차 통계자료

거침도(Coarseness) 경계 농도(Edge density) 측정

복잡도(Busyness) 회색도 변화의 공간 비율

대비도(Contrast) 행렬의 모멘트 차이

<표 1> 각 차수 통계자료의 주요 특징 값들과 정의

전자공.indb 964 2015-11-23 오후 1:28:07

Page 2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65

▶ ▶ ▶ 레디오믹 (Radiomic)분석과 암 의료 영상

21

을 비교해 보았을 때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의 암의 부

피, 질량, 밀도 등의 감소와 질감 분

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로 치료 후

호전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논문은 식도암 PET 영상을

질감 분석을 이용해 방사선 화학요

법에 수반되는 결과를 예측, 평가하

는 논문이다[7]. PET 영상에 1차 통계자료(평균, 분산, 표

준 편차 등)와 2차 통계자료인 회색도 동시 발생 행렬, 밝

기 값 크기 영역 행렬 등 총 38개로 이루어진 특징 점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방사선 화학 요법이 잘 적용되는 환

자, 부분 적용되는 환자, 적용 되지 않는 환자로 구분 되

어 연구를 진행 하였다. 질감 분석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는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곡선을 이

용했다. ROC 곡선은 특징 값의 수행 능력을 곡선을 이용

하여 평가하게 되는데 선 아래의 면적이 넓을수록 높은

수행 능력을 나타낸다. 특징 값들에 대한 수행 능력 평가

에서는 밝기 가변성 값, 크기 영역 가변성 값, 균질성 값,

엔트로피 값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그림

4>).

Ⅲ. Radiomic

Radiomic 분석은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암을 분석하

는 방법 중 하나이다. 최신 기법이고 다소 어려운 주제

이기 때문에 Radiomic 분석이 적용된 논문을 참고하여

최대한 쉽고 정확하게 설명하고자 한다[2]. 본 논문에서

는 기존 암 연구의 한계점을 벗어나 많은 수의 특징 값들

을 이용해 정확한 분석 모형을 만들어 암 분석에 이용하

도록 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분석에 참여한 환자들은 총

1,019명으로 3개의 폐암 환자 집단(Lung1,2,3 cohort)

과 2개의 두경부암(Head and neck1,2 cohort)환자 집

단의 CT 영상과 폐암 환자 집단 중 89명(Lung3 cohort)

의 유전자 정보를 가진 집단으로 구성 되었다.

총 6개의 환자 집단 중 하나의 폐암 환자 집단(Lung1

cohort, 422명)을 통해 학습 집합(Training set)을 구성

한다. 학습 집합을 구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차 통

계자료에서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엔트로피 등을

포함한 14개의 특징 값을 계산하

고, 2차 통계자료에서 회색도 동

시 발생 행렬과 밝기 값 크기 영

역 행렬과 회색도 런 길이 행렬

(Gray level run length matrix,

GLRLM)을 이용하여 34개의 특징

값을 계산한다. 관심 영역에 대한 구조적 정보를 이용해

8개의 특징 값(부피, 밀도, 질량 등)을 계산 하고 마지막

으로 Coiflet 웨이블렛 변형(<그림 5>)을 적용시켜서 각

영상에 대해 1,2차 통계자료와 구조적 정보를 이용한 모

<그림 4> ROC 곡선 그림. A 그림은 방사선 화학요법이 잘 반응하는

환자 그룹에 대한 각 특징 값들이 제대로 수행하는지에 대

한 그래프이다. B 그림은 방사선 화학요법이 잘 반응하는

환자와 부분적으로 반응하는 환자가 섞여있는 그룹에서의

ROC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각 특징 값들을 표현하는 선

아래의 영역이 넓을수록 높은 수행 능력을 가진다.

Radiomic 분석 기법은 수많은

특징정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분석 모형을 도출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암 영상을 해석한다.

전자공.indb 965 2015-11-23 오후 1:28:07

Page 2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이 승 학, 박 현 진

966 _ The Magazine of the IEIE 22

든 특징 값에 대한 계산을 진행한다.

1,2차 통계자료, 구조적 정보, 웨이블렛 변형을 이용해

계산된 특징 값은 총 440개로 구성된다. 계산된 특징 값

들 중 높은 수행 능력을 가지는 특징 값을 찾기 위한 과정

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선정된 높은 수행 능력을 가진 특

징 값들은 다시 안정성(Stability)을 평가 하게 된다. 안정

성은 ‘선정 된 특징 값들이 꾸준하게 높은 수행 능력을 가

지는 가?’에 대한 검증 과정이다. 학습 집합을 통해 최종

적으로 4가지 특징 값들로 구성된 최종 분석 모형이 되며,

Radiomic 논문에서는 ‘Radiomic signature’ 라고 부른

다. 학습 집합을 평가하기 위해 폐암, 두경부암 환자들은

(Lung 2,3 & Head and neck1,2) 평가 집합(Validation

set)으로 구성되어 학습 집합이 다른 집단에서도 높은 수

행 능력을 보여주는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Radiomic 분석의 결과로는 440개의 모든 특징 값들과

환자의 상태(암의 기수, 암의 종류)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

여주는 Heat map(<그림 6> 오른쪽)이 있다. Heat map

은 집단에 대한 환자의 상태와 모든 특징 값들에 대한 정

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도

움이 된다. ‘Radiomic signature’의 수행 능력을 평가하

기 위한 값으로는 Ⅱ장에서 나왔던 ROC 곡선을 일반화

한 값인 Concordance index(CI)를 이용했다. 그 결과 평

균적으로 0.65가 넘는 수행 능력을 보여주었다(CI 값은

0~1의 범주 사이의 값이며, 0.6 이상이면 보통 이상의

수행 능력을 나타냄). 또한 생존율을 분석 할 수 있는 카

플란 메이어 생존 곡선(Kaplan meier survival curve)

을 그려 각 집단을 비교하였다. 카플란 메이어 생존 곡선

은 비교하고자 하는 요인이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주는지

에 대해 알아보는 방법이며, 최초 왼쪽 위에서부터 시작

해 사망이 발생함에 따라 누적되어 오른쪽 아래로 내려가

는 계단 형태의 생존 곡선으로 표현된다(<그림 7 A>). 본

논문에서는 카플란 메이어 생존 곡선에 대해 각 집단의

‘Radiomic signature’중간 값을 기준으로 구분해‘생존에

대한 변수를 ‘Radiomic signature’가 얼마나 잘 설명하

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림 6 A> 왼쪽 그

<그림 6> 그림으로 표현한 Radiomic 분석의 전체적인 흐름. 1) CT 영상에서 관심 영역(빨간색 테두리 안 쪽)에 대한 밝기 값 정보를 얻음. 2)

관심 영역 내에서의 특징 값들을 추출. 3) 학습 집합으로 구성 된 환자와 환자들의 상태 정보(암의 기수, 암의 종류; x축)와 440개의

특징 값들(y축)에 대한 상관관계도

<그림 5> Coiflet 웨이블렛 변형의 모식도. 3차원 영상의 각 x, y, z에

대해 저역 필터와 고역 필터를 적용시켜 한 가지 영상을

각 필터가 적용된 8가지의 영상으로 분할하여 나타냄.

전자공.indb 966 2015-11-23 오후 1:28:07

Page 2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67

▶ ▶ ▶ 레디오믹 (Radiomic)분석과 암 의료 영상

23

림은 폐암 집단(폐암 1 집단: 빨간색, 폐암 2 집단: 검정

색)에 대해 생존율 곡선을 비교한 것으로 중간 값을 기준

으로 집단을 나눴을 때 두 집단의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

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오른 쪽 그림은 같은 방법으로 두경

부암 집단에 대해 적용한 것이다(<그림 7 A> 오른쪽 그

림; 두경부암 1 집단: 주황색, 두

경부암 2 집단: 파란색). 마지막으

로, ‘Radiomic signature’를 이용

해 유전자 정보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볼 수 있는 GSEA(Gene-set

enrichment analysis)의 결과가 있

다(<그림 7 B>).

Ⅳ. 향후 연구 및 결론

지금까지 Radiomic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정의부터 적

용까지 연구 사례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Radiomic 방법

은 고려된 모든 특징 값에 대해 환자를 비교하던 기존 연

구 방법과는 달리 모든 특징 값 중 높은 수행 능력을 가진

특징 값들을 선별하여 환자를 비교한다. 이 방법은 발병

부위 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암에 대한 중요한 영상

생체 지표(Imaging biomarker)로 작용할 것이며, 암 환

자 개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나 치료 혹은 수술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Van Elmpt, W., Zegers, C. M. L., Reymen, B., Even, A. J. G.,

Dingemans, A.-M. C., Oellers, M., Lambin, P. Multiparametric

imaging of patient and tumour heterogeneit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quantification of tumour hypoxia, metabolism

and perfusion. Europ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doi:10.1007/s00259-015-3169-4 (2015).

[2] 통계청 「2014년 사망원인통계」

[3] 통계청 사망원인통계(국가승인통계 제10154호)

[4] Aerts, H. J. W. L. et al. Decoding tumour phenotype by

noninvasive imaging using a quantitative radiomics approach.

Nat. Commun. 5:4006 doi: 10.1038/ncomms5006 (2014).

[5] Davnall, F., Yip, C. S. P., Ljungqvist, G., Selmi, M., Ng, F.,

Sanghera, B., … Goh, V. Assessment of tumor heterogeneity:

An emerging imaging tool for clinical practice? Insights into

Imaging, 3, 573-589. (2012).

[6] Chong, Y., Kim, J.-H., Lee, H. Y., Ahn, Y. C., Lee, K. S.,

Ahn, M.-J., … Choi, Y.-L. Quantitative

CT Variables Enabling Response

Prediction in Neoadjuvant Therapy

with EGFR-TKIs: Are They Different

from Those in Neoadjuva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PLoS ONE, 9(2),

e88598. doi:10.1371/journal.pone.0088598 (2014).

[7] Tixier, F., Le Rest, C. C., Hatt, M., Albarghach, N., Pradier,

O., Metges, J.-P., … Visvikis, D. Intratumor Heterogeneity

Characterized by Textural Features on Baseline 18F-FDG PET

Images Predicts Response to Concomitant Radiochemotherapy

in Esophageal Cancer. Journal of Nuclear Medicine, 52,

369&#8211;378. doi:10.2967/jnumed.110.082404 (2011).

<그림 7> A) 카플란 메이어 생존 곡선 그림으로 사망이 누적됨에 따

라, 오른쪽 아래로 내려가는 계단 형태의 곡선을 보여준다.

B) GSEA 결과 그림이다. 암의 이질성을 표현하는 유전적

지표(오른쪽에서부터 6번째 지표)와 이질성을 나타내는 특

징 값(Non uniformity)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Radiomic 분석기법은 암에대한

중요한 생체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 개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수술계획

수립에 큰 영향을 줄것으로 보인다.

전자공.indb 967 2015-11-23 오후 1:28:07

Page 3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이 승 학, 박 현 진

968 _ The Magazine of the IEIE 24

박 현 진

•1997년 2월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

•2000년 4월 Univ. of Michigan 의공학 석사

•2000년 12월 Univ. of Michigan 전자공학 석사

•2003년 8월 Univ. of Michigan 의공학 박사

•2004년 5월 Univ. of Michigan 영상의학 박사 후 연수

•2004년~2007년 Univ. of Michigan 의과대학 연구강사

•2007년~2007년 Univ. of Michigan 공과대학 강사

•2007년~2009년 Univ. of Michigan 의과대학

연구조교수

•2009년~2012년 가천대학교 의공학과 조교수

•2013년~현재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부교수

<관심 분야>

영상처리 기법(Registration, Segmentation), 의료 영상

분석,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

이 승 학

•2013년 2월 가천대학교 의공학과 학사

•2015년 8월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석사

•2015년 9월~현재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

<관심 분야>

DTI 분석, MEG 신호 처리, fMRI 분석, 영상 질감 분석

(Radiomic)

전자공.indb 968 2015-11-23 오후 1:28:07

Page 3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69

의료 초음파 영역: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특집 의료 초음파 영역: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서종범연세대학교 의공학부

25

Ⅰ. 서 론

질병 진단에 있어 MRI, CT, PET 및 초음파 등의 영상시스템이 차

지하는 비중은 논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명백하다. 이는 각각의 의료

영상시스템이 제공하는 인체내부의 해부학적 그리고 생리학적 정보가

진단 정확도를 향상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며[1], 그 활용도는 각 시

스템의 의료기관 보급률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이미 국내 의원 및 병

원급 의료기관 50% 이상 (2010년 기준)이 최고가의 의료 영상장비인

MRI를 보유하고 있으며, CT도 70% 이상의 기관에서 보유하여 진단에

적극 활용중이다[2]. 상대적으로 저가인 초음파 영상 시스템은 거의 대

부분 국내 의료기관에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 중 초음파 영상 시스템은 MRI나 CT에 비하여 낮은 해상도를 제공하

지만, 가장 안전하여 일반

인뿐 아니라 태아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초음

파 영상시스템에서 발신되

는 음파에너지가 매우 낮으

며(≤720 mW/cm2)[4], 음

파가 인체 한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대부분 투과/산란되기 때문이다[5].

또한 빠르게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심장과 같이 움직

임이 있는 인체 기관을 관측하는데 장점이 있다[5]. 더불어 도플러 효과

를 이용하면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6]. 따

라서 초음파 영상기기는 심혈관 진단 및 태아와 산모의 건강 상태 진단

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의료에 있어 초음파의 적용분야는 진단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

다. 오히려 치료에 대한 적용이 더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가

초음파 영상 시스템은 MRI나 CT에

비하여 낮은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가장

안전하여 일반인뿐 아니라 태아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공.indb 969 2015-11-23 오후 1:28:08

Page 3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서 종 범

970 _ The Magazine of the IEIE 26

장 널리 알려진 초음파 치료 시스템은 신장결석 쇄석기

(Lithotripter)로 이미 1980년대부터 사용되어 왔다[7].

신체 외부에 위치한 음파생성기로부터 강한 shock wave

를 생성하여 신장 및 요로에 생성된 결석을 서서히 파쇄

시키는 특화된 시술법으로 이미 세계적으로 널시 사용

되고 있다. 그 외에도 골절시 조골세포의 분화를 활성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System (LIPUS)와 암세포에 높은 초음파 에너지를 집

중시켜 열적 괴사를 유도하는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등의 치료기기

들도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8,9]. 한

편 성형 외과적 분야에서 널리 사용

되는 지방흡입 시스템의 tip도 초음

파 진동을 적용하여 지방세포의 파

쇄를 유도하며, 피부 근건막층에 초

음파 에너지를 직접 집중하여 외부 조직에 손상 없이 주

름을 개선하는 시스템도 이미 보급되어 있다[10,11].

이렇듯 의료 영역에서 초음파의 적용 분야는 상당히 다

양하며, 이를 모두 소개하는 것은 제한된 지면에서 불가

능하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최근 가장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 초음

파 탄성영상과 초음파 기반 약물 전달에 대하여 소개하고

자 한다. 2장 1절에서는 초음파 탄성영상의 원리와 핵심

요소기술을 알아보고, 2절에서는 이를 위한 시스템 구현

을 그리고 3절에서는 다양한 적용범위를 소개한다. 3장

1절에서는 초음파 약물전달에 핵심원리인 cavitation 및

생물학적 관련사항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리고 2절에서

cavitation을 유도할 수 있는 seed인 microbubble에 대

하여 소개하며, 3절에서 그 적용 범위에 대한 논의를 하

게 될 것이다.

Ⅱ. 초음파 탄성 영상

1. 초음파 탄성 영상의 원리

조직의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 초음파 영상도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나, 조직의 다양한

특성을 정성적/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노

력은 초음파 영상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고 있다. 특

히 초음파는 광학신호 성분이 대부분 intensity인 것과

달리 측정 신호가 pressure로 진폭과 위상값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성분을 분석하여 인체 조직의 특성과 연결하려는 노

력이 있어왔다[12]. 그러나 거의 모든 경우에 있어 서로 다

른 조직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초음파 신호 성분의 차이

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지 못하여 실제 진단에 적

극 활용되지 못하였다[13]. 다만, 여러 방식으로 전달된 힘

에 의하여 유발된 조직의 변형정도

를 초음파 영상기반 위치추적 기술

과 연계하여 정량적 조직 탄성도를

측정하는 기법이 유방암 진단 등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14].

정량적인 탄성도 측정에는 두 가

지 핵심 요소가 필요하다. 측정하고자 하는 조직에 정확

한 힘을 인가하는 것과 그 힘에 의하여 유도된 조직의 변

위(displacement)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다. 물론 주어

<그림 1> Analytic signal을 이용한 cross correlation 한 결과.

Correlation coefficent 값과 phase 값을 각각 보여주고 있으

며, phase 0이 되는 점과 correlation coefficient의 peak의

위치와 일치함을 보여 준다. 특히 sampling 된 신호를 사용

하는 경우 정확한 peak의 위치를 찾는 방법은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할 경우 차수가 높은 curve fitting을 적용

해야 하나, phase 값을 기준으로 할 경우 단순한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rom ref. 18).

인체에 전달된 힘에 의하여 조직이

변형되고 그 변형의 정도를 초음파

영상기반 위치추적 기술과 연계하면

탄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공.indb 970 2015-11-23 오후 1:28:08

Page 3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71

▶ ▶ ▶ 의료 초음파 영역: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27

진 측정값으로부터 탄성도 값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조직

탄성 모델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지속

되고 있다. 다만,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 실제 조직의

서로 다른 탄성 특성을 보여주는데 있어 핵심은 위의 두

요소기술이라 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에서 조직의 국지적 displacement를 추적/

측정하는 기술의 핵심은 speckle tracking이다. Speckle

은 coherence imaging의 특성으로 일반적으로 레이져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15] 영상에 반점무늬가 생

성되는 것이다. 비록 통계학적으로 레이져 이미지와는

다르지만[16], 초음파 영상도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1980년대 중반까지 영상 해상도를 저해하는 노이즈로 여

겨졌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compounding 영상 기법 등

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17]. 그러나 speckle pattern

을 결정하는 요인인 초음파 발신 신호 특성, 초음파 음파

변환기의 위치, 음파변환기의 크기, 중심주파수 등이 초

음파 영상 신호를 취득하는데 일정하기 때문에 결과적

인 speckle pattern도 일관되게 나오는 것에 주목한 연

구자들은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시작하였다[14].

그 결과 각각의 speckle을 하나의 object로 보고 그 위

치변화를 추적하면 조직의 국부적 displacement를 추적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2차원 초음파 영상의

speckle tracking 알고리즘의 완성도를 높인 연구 중 하

나가 phase sensitive cross correlation 방법이다[18]. 이

논문에서 speckle 위치 추적을 위하여 계산된 analytic

signal간의 cross correlation 값의 phase를 보면, <그림

1>과 같이 반복적으로 0을 지나는 직선을 유추할 수 있

다. correlation coefficient가 최대가 되는 지점, 즉 위

치 추적이 정확히 된 값에서 phase가 0이어야 한다는 이

론적 사실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샘플링을 한

신호를 활용하는 한계에서 correlation coefficient를 직

접 사용할 경우 차수가 높은 복잡한 curve fitting을 하

여야 하며 이는 정확성 확보를 위하여 많은 계산양이 수

반됨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반면 단순한 직선의 방정식

에서 0이 되는 지점을 찾는 phase 중심의 위치 추적 방

식은 정확도 확보와 함께 계산양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

다는 것이 특정이다. 특히 이때 중심주파수 성분에 의하

여 phase값을 표현하는 직선의 기울기가 결정되는데, 일

반적으로 기울기가 <그림 1>에서처럼 상당히 높기 때문

에 random noise에 의한 영향이 줄어들며, 계산양의 감

소와 함께 위치 추적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위치 추적의 단위가 되는 kernel size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하였으며, 서로 상보적인 해상도와 측

정 편차를 동시에 고려한 최적화된 kernel size를 제시함

으로써 알고리즘을 구현하는데 완성도를 한층 높여주었

다. 개발된 알고리즘을 탄성도가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phantom에 대한 테스트도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그림 2> 참조).

한편 조직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방식으

로, 외부에서 조직을 고정시켜 놓고 매우 느리게 일정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주는 semi-static compression방

식과 일정한 주기로 조직을 수축 팽창시키는 dynamic 방

식들이 초기에 적용되었다[19].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고

정되어 있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평행 이동이 가능한 장

기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방식이다. 또한 추가적인 대

형 기구물이 요구됨에 따라 병원에서 활용하기에 현실적

으로 어려운 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

여 2000년대 초반부터 초음파 영상용 음파변환기로부터

<그림 2> 내부와 탄성 특성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 phantom을 이

용한 경우 (좌)초음파 B 모드 영상 (우)phase sensitive

cros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compression후 국지적

displacement 값을 2차원으로 표현한 영상(from ref 18).

전자공.indb 971 2015-11-23 오후 1:28:09

Page 3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서 종 범

972 _ The Magazine of the IEIE 28

순간적으로 강한 짧은 펄스를 조사하여 조직내부 일정한

위치에 radiation force를 유발하고, 이를 통하여 조직에

displacement를 유발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왔다[20]. 이 방

식은 초음파 영상용 음파변환기가 제공하는 정확한 초점

위치에 정량적 힘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그림 2>는 radiation force에 의하여 유도된 range방

향의 displacement 정도를 3차원 Viscoelastic Green's

function 모델기반[21] simulation을 통하여 시간대별로

예상한 것이다[22].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순간적이기는

하나, 조직이 radiation force에 의하여 밀려날 수 있으

며, 이로 인한 파동이 번져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

라서 정량적인 힘을 추가적인 장치 없이 인체내부 조직의

특정 위치에 전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다만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매우 짧은 시간 동안의 일어나는 조직 변위

를 추적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게 영상정보를 취득하거나

전체 영상이 아닌 국부적인 하나의 지점 영상을 관측하는

방식을 취하여야 한다.

2. 초음파 탄성 영상 시스템 구현

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초음파 영상용 음파변환기

를 이용하여 radiation force를 유발하는 것은 기존의 초

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출력 펄스의 진폭과 길이를 조절하

여 구현이 가능하다. 이를 관측할 때 순간적인 변화를 측

정하기 위해서 기존의 넓은 2차원 영역을 스캔하는 방식

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조직의 변형을 유발한

위치에 지속적으로 초음파 영상 펄스를 발신하여 그 반사

파를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일반적으로 Acoustic

Radiation Force Impulse (ARFI) Imaging이라 부른다[20]. 따라서, Doppler 영상과 유사하게 한 위치에 반복적

이 ARFI 펄스와 영상을 위한 관측 펄스를 보내고 이를

구간별로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2차원 영역 전체 혹은 그

일부에 대한 탄성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파를

발생하는 부분이나 반사된 음파를 취득하는 부분 모두에

서 기존 시스템에 큰 변형 없이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한편, radiation force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을 넓은 2차원 영역에서 관측을 위해서는 빠르게 영

상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즉 초당 수천 프레이

임의 속도로 초음파 영상을 취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는 방식이 평면파를 발생시킨 후 dynamic beam

forming을 통하여 2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기

존 초음파 영상에서 2차원 영상을 구성할 때, 특정 위치

에 대한 초점을 갖는 초음파 빔을 조사하고 반사되어 오

는 파를 이용하며, 이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스캐닝 방

식을 적용하였다. 이때에도 깊이에 따른 영상 품질을 향

상하기 위하여 깊이 방향으로 dynamic beam forming

<그림 3> Radiation force에 의하여 유도되는 시간대별 range방향

displacement 시뮬레이션 결과 (from ref. 22)

전자공.indb 972 2015-11-23 오후 1:28:09

Page 3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73

▶ ▶ ▶ 의료 초음파 영역: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29

을 적용하기는 한다[23]. 영상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2차원 영상은 일반적으로 40~60정도의

펄스가 사용되고 여기에 전달되고 반사되는 시간을 고

려하면 초당 약 200 프레임 정도가 한계치에 가까운 값

이다. 초당 수천 프레임을 구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시

스템에서는 특정한 방향 또는 위치에 초점이 형성된 초

음파 빔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평면파를 출력하

여 사용한다. 따라서 모든 인체 영역에 일정한 진폭의 음

파가 전달되도록 하며 반사된 신호에 dynamic beam

forming을 적용하여 하나의 초음파 출력 펄스에 하나의

2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다. 이 경우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Signal to Noise Ratio(SNR)이 악

화될 수밖에 없으나 그 대신 스캔과정이 필요 없게 되어

수십 배 빠른 영상 획득이 가능해 진다. 새로운 방식의 경

우 아무리 빠른 CPU도 초당 수천 프레임에 달하는 2차

원 영상 dynamic beam forming을 감당할 수는 없어 급

속히 전달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메모리 영역으로 전달하

도록 하고, 이후 저장된 신호에 후처리를 통하여 각 프레

임별 2차원 영상을 구현한다. 또한 탄성도 측정도 이러한

후처리 방식을 택하게 되어 수십 초에서 1분 내외의 시

간 지체가 있게 된다. 이 경우 고속으로 데이터를 샘플링

하고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기존의 시스템이

upgrade 되어야 하나, 이러한 방식을 택하는 경우 좀 더

다양한 기능추가가 가능하며 영상의 품질도 향상된다.

<그림 4>에서는 radiation force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순간적인 조직의 국지적 변위를 초당 3,000 프레임 이상

의 고속 영상으로 관측한 후 그를 이용하여 탄성도를 2

차원 영상에서 구현한 대표적인 일례이다. 이때 특이한

점은 radiation force를 한 부분에 한차례 적용하는 대

신, 순차적으로 깊이가 다른 3 위치에 적용하여 횡파 성

분이 명확히 나타나도록 한 점이다 (<그림 5> 참조). 이

는 초음파 영상의 관측에 사용되는 종파가 인체에서 약

1,500 m/s인 반면, 횡파가 20 m/s 내외인 점에서 횡파

의 진행을 고속으로 저장된 영상에서 직접 관측할 수고,

그를 탄성도 값으로 환산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서 큰 가치가 있다. 특별히 이 알고리즘을 supersonic

imaging이라 명명하는데, 이는 음파(횡파)의 속도보다

도 빠르게 관측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22]. 이 경우

짧은 시간동안 상대적으로 큰 초음파 강도가 요구되어

초음파 영상의 안전 규정인 720 mW/cm2에 근접하게

된다. 또한 깊이 방향으로의 조직 내 음파 감쇄를 고려하

면, 실제 최대치의 출력을 사용하더라도 4 MHz 수준에

서는 깊이가 약 5 cm정도까지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4> 횡파를 발생시킨 후 고속으로 관측하여 횡파의 속도를 기

반으로 탄성도를 정량적으로 2차원 영상에 구현한 경우.

(상)서로 다른 탄성도를 갖는 이종 팬텀 모형 실험 조건과

(하)탄성도를 측정한 결과 (from ref. 22)

<그림 5> 순차적인 radiation force를 적용하여 인위적으로 횡파를 생

성하는 방법 (from ref. 22)

전자공.indb 973 2015-11-23 오후 1:28:09

Page 3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서 종 범

974 _ The Magazine of the IEIE 30

3. 초음파 탄성 영상의 적용 분야

유방암은 경화 선종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질병을 진

단하기 위하여 초음파 탄성영상과 같이 탄성도를 정량적

으로 2차원 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

서 2절에서 소개된 supersonic imaging의 가장 큰 적

용 분야는 유방암 진단이다. 그러나 탄성 영상은 그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 대표적 예는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에 적용이다.

IVUS는 stent 가이던스 와이어에 소형 음파변환기를

장착하여 초음파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stent를 시

술할 때 영상가이던스로 적극 활용된다. 이때 혈관내 불

안정 경화반(vulnerable plaque)은 일반적으로 지질 성

분이 많아 혈관벽에 비하여 경화도가 낮다. 한편 stent 시

술의 대상인 동맥은 심장 박동에 의하여 강한 압력이 혈

류를 따라 전달됨으로 일정한 형태의 주기적 진동이 주어

짐으로 외부에서 추가적으로 변형을 유발하기 위한 힘을

가할 필요도 없다. 즉 고속으로 IVUS영상을 관측하며 그

혈관 벽과 혈관내부의 조직의 변위를 추적함으로써 탄성

도를 추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를 이용한 IVUS 탄성

영상의 일례가 <그림 6>에 소개 되어 있다. 특히 IVUS가

심장혈관내 존재하나 심근경색 등과는 크게 관계가 없는

calcified 경화반과 stent의 주 대상인 불안정 경화반을

구분하는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확한 의미에서 탄성 영상은 아니지만, 탄성영상의 핵

심기술인 speckle tracking기법을 이용하여 조직의 특성

을 측정하는 thermal strain영상도 있다. Thermal strain

영상은 음파의 속도가 온도에 따라 변화함에 주목한 영

상이다. 일반 연조직의 경우 온도가 상승하면 42°C 부근

까지는 음파의 속도가 1도당 약 0.1 - 0.15% 증가한다.

그에 반하여 지질에서는 음파의 속도가 1도당 약 0.2 -

0.3% 감소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온도를 1-2도 정도 국

지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조직을 관측하면 일반조직인 경우

크기가 작아져 보이고, 초음파 영상에서 지방조직의 경우

조직이 상대적으로 커져 보이게 된다.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이 혈관에 불안정 경환반이 있는 경우 이 방법을 적용하

면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이 방법은 IVUS 영상에만 국한

되지 않고 일반 초음파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림 7>은 canine aorta를 이용한 plaque모델에

thermal strain 영상을 적용한 일례이다[25]. 온도 상승에

따라 조직의 크기 변화를 speckle tracking 기법으로 확

인한 후 2차원 영상에 함께 보여줌으로써 plaque의 위치

와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때 초음파 영상은 일반 초

음파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한 것이다.

Ⅲ. 초음파 약물 전달

1. 초음파 약물 전달의 원리: cavitation

cavitation이란 크게는 유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종

류의 기체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즉 물을 끓일 때 발생

<그림 6> IVUS를 이용한 불안정 경화반 구분. A. 일반 IVUS영상, B.

탄성영상, C. macrophasge 염색, D. collagen 염색 (from ref. 24)

<그림 7> Thermal strain 영상의 일례 (from ref. 25)

전자공.indb 974 2015-11-23 오후 1:28:09

Page 3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75

▶ ▶ ▶ 의료 초음파 영역: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31

하는 수증기 방울들, 맥주나 탄산음료를 컵에 따랐을

때 볼 수 있는 이산화탄소 기포들의 생성 및 움직임도

cavitation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의료분

야에서 cavitation을 논할 때 주된 것은 기포가 음파의

진동에 반응하여 나타나는 현상들로 제한된다. 유체 내

에 존재하는 기포에 약한 진폭의 음파를 인가하면, 기포

주변의 압력이 진동하게 되어 기포도 같이 진동하게 된

다. 이때 주목할 점은 유체는 압력 변화에 거의 부피변화

가 없지만, 기체의 경우 부피가 크

게 변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포

의 크기에 따라 특정 주파수에 공진

하는 특성도 갖고 있어 같은 진폭

의 음파라도 공진을 유발할 경우 기

포의 부피 진동은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26]. 이러한 기포의 진동현상

을 일반적으로 stable cavitation이라 한다[26]. 반면 높은

진폭의 음파가 전달될 경우 기포가 짧은 시간동안 커졌다

순간 붕괴하게 되는데 이를 transient cavitation 혹은

inertia cavitation이라 부른다[26].

약물전달에 대한 cavitation의 적용은 이러한 기포 운

동이 피부, 혈관, 세포막 등의 여러 종류의 장벽 부근에서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 있다. stable cavitation

이 생물학적 장벽 부근에서 일어날 경우 <그림 8>에서와

같이 유체와 닿아있는 경계면에서는 진동이 자유로우나,

고정된 장벽 부근에서는 진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인하여

비대칭적인 기포 진동으로 변화한다. 그 결과 기포 주변

에 국소적이기는 하나 빠른 microstreaming이 나타나

며, 그로 인하여 장벽에 shear stress를 주게 되어 있다[27].

이는 장벽 고유의 permeability를 높이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약물이 장벽을 뚫고 전달될 수 있게

된다[27].

반면 transient cavitation이 장벽 부근에서 일어날 경

우 기포 경계면 붕괴가 장벽과 맞닿아 있는 부분에서 일

어나지 못하여, 장벽을 뚫는 방향으로 붕괴하게 된다.

이를 asymmetric bubble collapse라 하는데, 그 현상

은 L. Crum에 의하여 실증적으로 촬영되었다(<그림 9>

참조). 이 경우 경계에 강한 jet-

streaming이 형성되어 약물을 물

리적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cavitation을 세포 주변

에 유도한 후 세포를 전자현미경으

로 촬영한 사진이 <그림 10>이다[28].

아래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짧

은 시간동안 세포막에 채널이 형성되어 필요한 약물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채널들은 다시 phopholipid

<그림 8> 경계 부근에서 기포의 stable cavitation에 의해 형성되는

microstreaming 모델 (from ref. 27)

<그림 10> cavitation이 세포 부근에서 일어난 후 시간별 세포의 변

화. 최초에 세포막에 많은 채널이 생성된 후 점진적으로

그 채널들이 매워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초음파 조

직 후와 확대 사진, 조사 1분후와 확대사진, 1시간 후 사

진 순. (from ref. 28)

<그림 9> Asymmetric bubble collapse 순간의 사진 by L. Crum.

(from ref. 26)

의료영상 분야에서 cavitation은

기포가 음파의 진동에 반응하여 나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약물전달을 향상시키는 것에 사용이

가능하다.

전자공.indb 975 2015-11-23 오후 1:28:09

Page 3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서 종 범

976 _ The Magazine of the IEIE 32

layer에 의하여 다시 채워지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caviation을 적절히 활용하면 약물전달이 가능하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초음파는 초점을 이용하여 인체 내 공간

적으로 선택적인 조사가 가능하여, 공간 선택적 약물 전

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cavitation을

인체 내에서 유발하기 위해서는 그 seed 역할을 하는 미

세기포가 필요하게 된다.

2. microbubbles: cavitation seed

인체 내에는 일정양의 기체성분이 있으나, 이를

cavitation seed로 사용하기에는 불확실성이 너무 높

다. 따라서 공학적으로 개발된 microbubble이 사용

되다. 원래 초음파 영상용으로 개발된 ultrasound

contrast agent(초음파 조영제)

도 이러한 미세기포이다. 초음파

조영제는 일반적으로 불활성 기체

(perfluorocarbon 등)를 핵으로 하

며, 기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phospholipid나 albumin 등의 다

양한 생물학적 적합성이 높은 재질

로 껍질을 구성한다. 또한 혈관내에서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3 μm 이내 크기의 기포들로 일정한 크기 범

위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그림 11> 참조).

이러한 초음파 조영제를 약물전달용 cavitation seed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약물전달을 위한 전용 cavitation

seed로 개발되는 미세기포들은 <그림 12>에서처럼 내부

약물층과 표면에 특정 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높일 수 있

는 ligand 등이 추가될 수 있다[29]. 이런 cavitation seed

의 개발은 현재 상당 수준 연구되었으며, 향후 암치료 등

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 초음파 약물 전달 적용 분야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초음파 약물 전달의 가장 큰 적

용 영역은 암치료 분야이다. 암치료

제를 cavitation seed에 포함시켜

혈관주사를 통하여 주입한 뒤 치료

부위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방식으

로 약물을 방출함과 동시에 혈관벽

혹은 세포의 permeability를 증진

시켜 약물을 암세포에 전달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초음파의 경우 초점의 크기가 mm 단

위로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어, 공간적 관점에서 선택적

약물전달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약물적 암치료에서

<그림 11> 공학적으로 설계된 초음파 조영제의 전자현미경 사진

(from http://www.erasmusmc.nl)

<그림 12> 약물 전달용 cavitation seed의 구성도 (from ref. 29)

<그림 13> 초음파와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하여 쥐의 BBB를 통해 지

표약물인 Dextran을 전달에 성공한 실험. (a)는 3 kD, (b)

는 70kD, 그리고 (c)는 2MD인 경우의 BBB 투과를 보여

준다 (from ref 30)

의료 초음파는 단순히 해부학적

구조를 비침습적으로 영상화 하는 진단

분야에서 점진적으로 조직의 특성을

정량화 하는 기법이 더해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자공.indb 976 2015-11-23 오후 1:28:10

Page 3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77

▶ ▶ ▶ 의료 초음파 영역: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33

나타나는 부작용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적용 분야는 blood brain barrier

(BBB)이다. 신경세포와 혈관간에는 tight junction으

로 이루어진 장벽이 있어 뇌질환을 위해 개발된 많은 약

물들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

는 방법으로 기존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하여 BBB의

permeability를 일시적으로(약 24시간 내외) 낮추어 주

는 연구가 동물 임상에서 성공하였다[30]. <그림 13>에서

알 수 있듯 100 kD이하의 약물은 성공적으로 전달된다.

위의 언급한 이외에도 초음파 약물전달은 핵의학 영상

을 위한 핵종 전달, 표피 약물 투과율을 높이는 표피 약물

전달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렇듯 약물 전달의 측면

에서 초음파와 cavitation seed를 이용하는 것은 널리 연

구되고 있으며 멀지 않은 미래에 다양한 치료 분야에 적

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Ⅳ. 결 론

의료 분야에서 초음파 활용에 대한 최근 동향을 살펴

보았다. 단순한 해부학적 구조를 비침습적으로 영상화하

는 진단 분야에서 점진적으로 조직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좀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들

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초음파 탄성 영상은 가장 성공적

인 일례로 유방암 등의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는 별

개로 초음파는 다양한 치료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

중 초음파 조영제를 포함한 cavitation seed를 이용한 초

음파 기반 약물전달 분야에서 발전이 비약적이며, 전임상

실험에서도 큰 성과를 보여주었다. 미래에는 초음파 약물

전달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약물 치료가 가능할 것이며,

특히 암과 뇌신경 질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

된다.

참 고 문 헌

[1] J. L. Prince, J. M. Links, “Medical Imaging Signals and

Systems”, Pearson Prentice Hall, 2006.

[2] 이상규, “우리나라 고가 의료장비 현황과 정책대안: 정책의

수직적, 수평적 동기화”, J Korean Med Assoc, 2012 October,

55(10), 950-958.

[3] 정설희, 이혜진, 김한상, 오주연, “주요국의 초음파검사

시행현황과 질 확보방안”, 보건행정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4.6,

109-119.

[4] IEC 60601-2-37 “ Medical electrical equipment - Part 2-37: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safety of ultrasonic medical

diagnostic and monitoring equipment,” 2007.

[5] T. L. Szabo, “Diagnostic Ultrasound Imaging: Inside Out”,

Elsevier Academic Press, 2004.

[6] D. H. Evans, W. Norman McDicken, “Doppler Ultrasound:

Physics, Imstrumentation and Signal Processing”, 2nd ed.,

Wiley, 2000.

[7] A. J. Coleman, J. E. Saunders, “A review of the phys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effects of the high amplitude

acoustic fields used in extracorporeal lithotripsy”, Ultrasonics,

1993;31:75-89.

[8] N. M. Pounder, A. J. Harrison,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for fracture healing: A review of the clinical evidence and

the associated biological mechanism of action”, Ultrasonics,

2008;48:330-338.

[9] M. R. Bailey, V. A. Khokhlova, O. A. Sapozhnikov, S. G. Kargl,

L. A. Crum, “Physical mechanisms of the therapeutic effect of

ultrasound”, Acoustical Physics, 2003;49:369-388.

[10] T. C. Flynn, W. P. Coleman III, L. Field, J. A. Klein, C. W. W.

Hanke, “History of Liposuction”, Dermatological Surgery,

2000;26:515-520.

[11] W. M. White, Inder Raj S. Makin, P. G. Barthe, M. H. Slayton, R.

E. Gliklich. “Selective Creation of Thermal Injury Zones in the

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 Using Intense Ultrasound

Therapy”, ARCH FACIAL PLAST SURG, 2007;9:22-29.

[12] M. F. Insana, T. J. Hall, J. L. Fishback, “Identifying acoustic

scattering sources in normal renal parenchyma from the

anisotropy in acoustic properties”, Ultrasound in Med. & Biol.

1991;17:613-626.

[13] F. L. Lizz, M. Astor, E. J. Feleppa, M. Shao, A. Kalisz,

“Statistical Framework for Ultrasonic Spectral Parameter

Imaging”, Ultrasound in Med. & Biol. 1997;23:1371-1382.

전자공.indb 977 2015-11-23 오후 1:28:10

Page 4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서 종 범

978 _ The Magazine of the IEIE 34

[14] J. Ophir, I. Cespedes, Y. Yaz, X. Li, “Elastography: A

quantitative method for imaging the elastitcity of biological

tissue”, Ultrasonic Imaging, 1991;13:111-134

[15] J. W. Goodman, “Statstical Optics”, Wiley Classics Library

Edition, 2000.

[16] R. F. Wagner, S. W. Smith, J. M. Sandrik, H. Lopez, “Statistics

of Speckle in Ultrasound B-Scans”, IEEE TRANSACTIONS ON

SONICS AND ULTRASONICS, 1983;30:156-163

[17] T. R. Nelson, D. H. Pretorius, “Three-dimensional ultrasound

imaging”, Ultrasound in Med. & Biol., 1998;24:1243-1270.

[18] M. A. Lubinski, S. Y. Emelianov, M. O'Donnell, “Speckle

Tracking Methods for Ultrasonic Elasticity Imaging Using

Short-Time Correlation”, 1999;46:82-96.

[19] J. Ophir, S. K. Alam, B. S. Garra, F. Kallel, E. E. Konofagou,

T. Krouskop, C. R. B. Merritt, R. Righetti, R. Souchon, S.

Srinivasan, T. Varghese, “Elastography: Imaging the elastic

properties of soft tissues with ultrasound”, Journal of Medical

Ultrasonics, 2002;29:155-171.

[20] K. Nightingale, M. S. Soo, R. Nightingale, and G. Trahey,

“Acoustic radiation force impulse imaging: in vivo

demonstration of clinical feasibility,” Ultrasonics Symposium,

1996, Ultrasound Med. Biol., 2002;28:227-235.

[21] J. Bercoff, M. Muller, M. Tanter, M. Fink, “Study of viscous

and elastic properties of soft tissues using supersonic shear

imaging,” in Proc. IEEE Ultrason. Symp., 2003;925-928.

[22] J. Bercoff, M. Tanter, M. Fink, “Supersonic Shear Imaging:

A New Technique for Soft Tissue Elasticity Mapping”, ieee

transactions on ultrasonics, ferroelectrics, and frequency

control, 2004;51:396-409.

[23] K. E. Thomenius, “Evolution of ultrasound beamformers”,

1996,2;1615-1622.

[24] J. A. Schaar, C. L. de Korte, F. Mastik, C. Strijder, G.

Pasterkamp, E. Boersma, “Characterizing vulnerable

plaque features with intravascular elastography” Circulation.

2003;108:2636-41.

[25] C. H. Seo, Y. Shi, S. W. Huang, K. Kimg, M. O'Donnell,

“Thermal strain imaging: a review”, Interfoace Focus,

2011;1:649-664.

[26] T. G. Leighton, “The Acoustic Bubble”, Academic Press, 1997.

[27] P. Marmottant, S. Hilgenfeldt, “Controlled vesicle

deformation and lysis by single oscillating bubbles”, Nature,

2003;423:153-156.

[28] W. Zong, W. H. Sit, J. M. F. Wan, A. C. H. Yu, “Sonoporation

Induces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Ultrasound in Medicine &

Biology, 2011;37:2149-2159

[29] S. Majumdar, S. Chowdhury, “Novel Therapeutic application

of microbubbles for targeted drug delivery,”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 and Bio Sciences, 2010;1:1-9.

[30] J. J. Choi, S. Wang, Y. S. Tung, B. Morrison, E. E.

Konofaguou, “Molecules of various pharmacologically-

relevant sizes can cross the ultrasound-induced blood-brain

barrier opening in vivo”, Ultrasound Med Biol. 2010;36:58-67

서 종 범

•1999년 8월 서울대 전기공학부 학사

•2001년 12월 Univ. of Michigan, Ann Arbor, 의공학

석사

•2004년 12월 Univ. of Michigan, Ann Arbor, 의공학

박사

•2005년 5월~2007년 2월 (주)퍼시픽시스템 CTO

•2007년 3월~2009년 2월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조교수

•2010년 3월~현재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부교수

<관심 분야>

Therapeutic Ultrasound (치료 초음파), Ultrasound

Mediated Drug Delviery (초음파 약물전달):

Sonoporation & Sonophoresis

전자공.indb 978 2015-11-23 오후 1:28:10

Page 4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79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특집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지영준울산대학교 전기공학부

의공학전공

35

Ⅰ. 의료영상과 내시경

인체의 내부를 가시화 시켜주는 의학영상장치가 빠진 현대의학을 상

상하기 힘들다. 엑스레이, 단층영상 촬영장치,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

초음파, 그리고 내시경이 대표적 의료용 영상촬영 장치이다. <그림 1>

에서 대표적인 네 종류의 의료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a)의 엑스선 촬

영 장치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X선을 인체에 쪼인 후에, 인체를 통

과하고 난 X선을 밝기로 표현한 영상으로 그림에서와 같이 3차원적 해

부학적 구조물이 2차원 평면에 겹쳐서 보인다. 금속성의 목걸이와 밀

도가 높은 뼈가 흰 색으로 나타나며, 공기층인 폐는 검은 색으로 표현

된다. 가장 오래된 의료영상으로 지금도 의료 영상의 근간을 이룬다.

<그림 1(b)>의 단면 영

상은 CT (Compu t e d

Tomography)영상이다.

(a)와 마찬가지로 엑스선

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만, 3차원적 구조물을 겹

쳐서 평면에 표현하는 일

반 엑스선 영상과는 달리 복잡한 계산 절차를 거쳐서 단면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층층이 촬영하여 3차원 볼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자

기장 속에서 RF(Radio Frequency) 전자기파를 쏘고 이에 반향(echo)

신호를 활용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단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X선을

사용하는 영상 장치들은 인체의 원자가 이온화되는 방사선 피폭이 동반

되지만 MRI는 방사선 피폭이 없는 영상 장치의 장점을 갖는다.

<그림 1(c)>는 초음파 영상의 예이다. 일반적인 초음파 영상장치도

인체의 내부를 가시화 시켜주는 여러

의학영상장치는 현대의료의 필수

요소이다. 그중에서도 내시경은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영상촬영 장치라 볼 수

있다.

전자공.indb 979 2015-11-23 오후 1:28:10

Page 4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지 영 준

980 _ The Magazine of the IEIE 36

CT와 마찬가지로 단면 영상을 얻으며 (c)의 영상은 심장

의 단면영상으로 네 개의 방이 어렴풋하게 보인다. 그림

에서 보듯 초음파 영상은 해상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엑스선을 사용하지 않아 방사선 피폭이 없다는 장점이 있

다. 또 다른 장점으로 실시간 영상획득이 가능하여 의사

(혹은 사용자)가 탐촉자를 움직여가며 촬영 현장에서 바

로 분석하고 판단 한다. <그림 1(d)>의 영상이 내시경 영

상으로 대장의 내벽에 빛(가시광선)을 조사하고 반사된

피사체를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 신호로 바꾸어 모니

터에 표시한 것이다. 몸의 내부를 촬영한다는 것을 빼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원리이다. 컬러 영상 촬

영이 가능하며, 방사선 피폭이 없으며 실시간 촬영이 가

능하다.

내시경 촬영의 대상은 (a)~(c)의 다른 의료영상과 본질

적으로 다르다. X선은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커서 인체

조직을 투과하며 부분적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조직 내부

의 구성 성분의 흡수율이 가시화된다고도 할 수 있다. 초

음파 역시 피부를 통해 인체 내부로 침투하며, 매질이 변

할 때마다 경계면에서 반사를 하고 이를 영상화하므로 조

직 내부의 물성을 단면영상으로 가시화 한다. 그러나 내

시경은 그 끝을 인체 내부로 삽입하고, 빛을 조사하고 내

벽(內壁)의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가시화한다. 따라서 조

직 내부를 영상화한다기 보다는 장기의 내벽을 영상화한

다. 도관(pipe)의 내벽을 촬영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일상적으로 식도를 포함한 소화관은 음식물이 없는 경우

연성을 가진 관이 눌려있어 공간이 없다. 따라서 내벽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장치(조명, 렌즈, 촬상소자 등)의

끝과 피사체 사이에 공간이 필요하다. 공간이 없이 촬영

장치를 유연한 소화관이 싸고 있으면 빛이 나갈 수도 없

고, 렌즈 바로 앞이 막혀 아무런 촬영이 되지 않을 것이

다. 따라서 <그림 2>와 같이 공기를 주입하여 공간을 형

성해 주어야 한다. 복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

산화탄소를, 위나 대장의 경우는 공기를 채워 공간을 형

성하고, 관절이나 방광의 경우는 투명한 수액을 채워 빛

이 조사되고, 반사된 빛이 대물렌즈로 돌아올 공간을 확

보한다.

Ⅱ. 내시경의 종류

대형 병원의 임상 각 과에서 사용하는 내시경의 종류는

수 십 종류에 이른다. 그 원리는 대체로 유사하지만 사용

하는 부위에 따라 명칭이 다르고, 요구되는 외형(굵기와

<그림 1> 대표적 의료 영상의 사례

(a) 엑스레이 영상, 흉부 전면

(c) 초음파 영상, 심장 단면

(b) 단면 영상(CT), 흉부 횡단면

(d) 내시경, 대장 내벽

<그림 2> 공간의 형성

(a) 복강경에서의 기복법(氣腹法) (b) 위내시경과 부풀린 위의 모습

<그림 3> 사용 부위별 의료용 내시경의 명칭

전자공.indb 980 2015-11-23 오후 1:28:11

Page 4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81

▶ ▶ ▶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37

길이)가 다르고, 유연성 여부가 다르다. 과거에는 광학기

기로 사용자인 의사가 육안으로 보며 내시경을 사용해 왔

으나 현대에 와서는 광학부에 전자 촬영 장치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가시화된다.

여러 가지 기준으로 내시경을 분류할 수 있겠으나, 대

체로 길이 방향의 내시경 관이 금속으로 되어 있고 내부

가 로드 렌즈로 채워진 경성경(Rigid Endoscope)과 소화

기 내시경으로 대표되는 연성경(flexible endoscope)으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 기술적 측면에서 이해하기 쉽다.

<그림 3>에서 많이 사용되는 여러 중류의 내시경을 좌측

에는 경성경을, 우측에는 연성경을 나열해 두었다. 이경,

비경은 말 그대로 이비인후과나 1차 진료기관에서 귀나

코를 진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외경이 2.7~4 mm인 것

이 주로 사용되며, 비경의 경우 수술용으로도 활용된다.

후두경은 다른 내시경과 목적이 다

소 다르다. 수술 환자 및 호흡이 없

는 응급환자에게 인공적인 호흡기

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기도 안 쪽으

로 관을 넣어야 한다. 이를 삽관이

라 부르며, 입을 통해 관을 삽입할

때 혀를 들어주고 조명을 가해주어 관을 넣을 성문 주변

이 육안으로 보이게 하거나 촬상 소자를 통해 영상을 띄

우는데 사용되는 내시경이다.

부인과와 일반외과에서 사용하는 복강경은 경성경의

대표주자로 현대의 주요 수술을 바꾸어 놓았다. 다른 내

시경이 귀, 코, 요도, 입 등 이미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

는 반면 복강경은 관절경과 함께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

고 환부에 접근한다. 복강경의 경우 복부에 3~4개의

5~10mm 크기의 구멍을 뚫고 들어가 담낭절제술, 충수

절제술, 자궁절제술 등의 수술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화질이 좋은 10mm 외경의 30 cm 내외의 길이를 갖는

다. 관절경은 무릎과 어깨 수술에 사용되며, 절개하여 하

는 수술보다 관절 사이의 안쪽 깊숙한 곳까지 가시화가

가능하다. 2.7~4mm 외경에 170 mm 정도의 길이를 갖

는 관절경이 많이 사용된다. 변형된 형태로 신경외과 수

술에도 사용된다. 관절경을 사용할 때는 방광경과 함께

내부를 채워 공간을 확보한다. 소화관이나 목막 내부와는

달리 공기로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성경은 대부분 수술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수술용 내시경이라 할 수 있다. 수술에 있어 현대적인 추

세는 최소절개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이다. 최

소절개술이란 과거의 개복 수술 내지는 절개 후 진행하

는 수술과 달리 내시경을 사용하여 작은 구멍을 한 개 이

상 뚫고 한 쪽 구멍에는 내시경을 삽입하고 다른 구멍에

는 수술용 기구를 삽입하여 진단 및 수술을 하여 환자에

게 부담이 최소화되는 수술이라 할 수 있다. 내시경 수술

을 통하여 환자의 통증과 흉터가 현저히 줄어들고, 감염

등의 합병증 위험, 입원 일수도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으

나 수술 자체는 일반적으로 고급 테크닉을 요구하는 경우

가 많다. 최소절개술이 내시경 수술과 정확히 같은 의미

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은

최소절개술을 지향하는 현대의학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연성경은 위장이나 대장과 같이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환부까지 접

근해야 하므로 관절을 조작할 수 있

는 형태의 유연한 몸체를 가져야 한

다. 앞서 설명한 경성경으로는 구현할 수 없으므로 1980

년대까지는 광섬유 영상 가이드(image guide using

coherent fiber bundle)를 사용한 내시경이 주로 사용

되었다. 경성경이나 연성경 모두 외부의 광원장치(light

source)에서 발생시킨 빛을 인체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

해 조명용 광섬유다발(illumination fiber bundle)이 사

용된다[1,2]. 그러나 연성경에서는 조명용 광섬유다발과는

별도로 영상 가이드 광섬유다발을 사용하는데(coherent

fiber bundle), 이는 광섬유 다발 양쪽 끝에 화소가 같

은 좌표에 위치함으로써 구부러진 경로를 통해 영상을 광

학적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과거 연성경을 화이버스콥

(fiberscope)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

나 3-5mm 외경의 화이버 번들로 5만-10만개의 광섬

유 가닥을 영상 가이드에 사용하므로 해상도에 한계가 있

다. 1980년대 이후부터는 반도체 기술이 사용된 촬상소

자(charge coupled device, CCD)가 영상전달용 광섬유

다발을 대체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러서는 거의 모

내시경은 대체로 길이 방향의 관이

금속으로 되어 있고 내부가 로드 렌즈로

채워진 경성경과 소화기 내시경과 같이

잘 구부러지는 연성경으로 나뉜다.

전자공.indb 981 2015-11-23 오후 1:28:11

Page 4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지 영 준

982 _ The Magazine of the IEIE 38

든 연성경에 있어 CCD(혹은 CMOS)를 사용하는 전자내

시경이 사용되고 있다. 연성경 중에 화소수가 낮아도 외

경이 절대적으로 얇아야 하는 경우에만 광섬유 다발이 영

상유도 장치로 사용될 뿐, 대부분의 소화기 내시경은 촬

상소자를 사용한 전자내시경으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전자내시경이라는 용어가 연성경이라는 용어와 혼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성내시경, 전자내시경, 소화기

내시경, 위(대장) 내시경이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연성내시경은 모든 내시경 종류 중에 가장 시장이 클 뿐

아니라, 경성경과는 달리, 소화기용 내시경에서는 내시경

바디의 비중이 절대적이다.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일본의 3개사가 공급을 하는 과점 형

태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오고 있다.

Ⅲ. 내시경의 영상화 기술

앞서 설명한 경성경은 사용 부위와 목적에 따라 굵기

와 길이가 다양하지만 내부 구성과 영상화 원리는 비슷하

다.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금

속 관 안 쪽에 로드 렌즈(Rod Lens)

를 배열시켜 100도 이상의 시야각

을 확보해야 의료용 내시경으로서

의 활용이 가능하다. 피사체 쪽부터

대물렌즈를 통과해 온 영상이 로드 렌즈를 거쳐 접안 렌

즈로 전달되어 육안을 접안구(Eye Piece)에 들이내면 넒

은 시야의 영상이 보인다. 대물렌즈가 위치한 선단부에

프리즘을 추가하여 관찰각이 정면이 아닌 측면(30도, 70

도, 90도)을 관찰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내시경을 회전

시키면 반구(半球) 보다 넓은 영역의 관찰이 가능하다.

1990년대 이후의 현대적 내시경은 육안으로 관찰하지

는 않고 몸 밖에서 전자식 카메라를 연결하여 모니터로

영상을 띄운다. 센서가 포함된 카메라 헤드가 전선 다발

로 영상처리장치로 연결된다. 전자내시경이 되면서, 영상

처리 및 표현 장치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CCD

혹은 CMOS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컬러

동영상을 재구성하여 화면에 표현해 주어야 할 뿐 아니

라, 저장, 전송을 위한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광원 장치의 경우도 많은 광량을 제공하

기 위하여, 초점 면적이 좁은 제논(Xenon) 램프를 많이

사용해 왔으나 LED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점점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21세기에 들어 HDTV 기술이 접목되어

고화질 영상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화기는 구강-식도-위로 이어지는 곡선을 타고 들어

가기 때문에 경성경을 사용할 수 없고 연성경을 사용해야

한다. 연성경에서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내시경 축의

일정 부위에 관절을 위치시켜야 하며, 이를 조절할 수 있

는 휠이 필요하다. <그림 5>는 소

화기용 전자 내시경의 일반적인 구

조를 표현하고 있다[3]. 소화기용 전

자 내시경은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

는 부분에 (1) 선단부(distal tip)와

(2) 굴절부(bending part)가 포함되어 있고, 선단부를 상

하좌우의 네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와, 공기 및

<그림 4> 경성경 및 영상화 장치 <그림 5> 소화기 내시경의 외관과 부위별 명칭

현대 내시경은 관내에서 관찰된 내용을

몸 밖의 전자식 카메라와 연동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그 내용을 표시한다.

전자공.indb 982 2015-11-23 오후 1:28:11

Page 4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83

▶ ▶ ▶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39

액체를 주입하거나 흡입해 내는 밸브를 포함하는 (3)조절

부(control part), 광원장치와 영상처리 장치에 연결되는

(4)연결부(connection part)로 나눌 수 있다[3].

<그림 6>에서 보듯이 선단부의 전면에는 (기종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겠으나) 어두운 공간에 조명하기 위한

조명용 광섬유 다발 창문, 영상화를 위한 대물 렌즈(렌즈

뒤에 촬상소자가 위치함), 생검(biopsy)과 처치를 위한

기구들이 드나드는 기구통로(instrument channel), 공

기/물이 분사되는 노즐 등이 놓여 있다[2,3]. 9-12mm의

지름 한계 속에 기종마다 강화되어야 하는 기능에 더 많

은 공간을 할애해 가며, 구조물이 가득 채워져 있다. 선단

부를 측면에서 보면,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별

적인 기능이 있는 튜브로 가득 차 있다. 가장 주목할 부품

은 촬상소자이다. 위내시경의 외경이 9-10mm라고 한다

면, 기구통로, 조명용 광섬유다발 등 다른 필요한 구조물

에 공간을 할애하고 나면, 외경 3-4mm 이내에 대물렌

즈가 결합된 촬상부를 제작해야 한다.

선단부의 대물렌즈는 일반적인 정밀가공 기술로는 초

점 조절을 위한 움직임이 불가능하므로, 조리개를 조인

상태에서의 고정 초점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소화기

내시경의 일반적인 사용 범위를 3-100mm로 정의하고,

이 구간에 대해 초점이 맞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조

리개(iris)를 많이 닫을 수 밖에 없어, 촬상소자에 이르는

빛의 양이 줄어 들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강한 빛을 조사

함에도 불구하고 촬상소자의 감도(sensitivity), 입력 범

위(dynamic range), 잡음제거, 반응속도 등을 함께 고려

해야 한다.

<그림 5>의 굴절부는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굴절이 가

능하도록 되어 있고, 굴절은 조절부의 두 개의 방향조

절용 휠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두 개의 독립적인 방향

조절용 휠과 브레이크 장치를 통해서 4개의 강선(wire)

을 밀고 당겨서 다관절 모양으로 되어 있는 굴절부를 Up

210°, Down 90°, Left/Right 180°까지 굴절하면서 원

하는 부위를 영상화 시킨다. 내시경을 사용하는 의사

(endoscopist)는 쉴 새 없이 방향조절용 휠을 통해 환부

로 의심되는 지역에 접근한다. 모니터 화면, 본인의 해부

학적인 지식, 그리고 환자의 누워있는 상황을 통해 내시

경의 선단부가 어느 곳을 보여주는지 정확히 알아야 할

뿐 아니라 (hand-eye coordination), 향후 진행 방향과

방향조절용 휠과의 관계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내시경은 전체적으로 방수처리가 되어 있어야 소독액에

담글 수도 있고, 세척기에도 넣을 수 있다. 장시간 사용하

다 보면 굴절부 뿐 아니라 선단부 및 삽입부와의 접합부

에 누수(leakage)가 생겨 수리요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이기도 하다.

Ⅳ. 내시경 영상화 신기술

일반적인 내시경 영상이 내부 장기 표면(내벽)의 영

상화라고 한다면, 내부 장기의 벽면 안쪽에 대한 단면

(tomography) 영상에 대한 진단적 가치는 대단히 높

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소화기 내시경의 삽입부의 표면

에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원형 혹은 선형 어레이로 장치시

켜 소화관의 벽면을 안쪽에서의 초음파 영상화를 오래 전

부터 사용해 왔다. 현대에 와서는 소화기 내시경에 포함

되어 있는 기구통로(instrument channel)를 통해서 단

<그림 6> 소화기 내시경의 선단부 전면과 내부 구성도 <그림 7> 내시경용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획득 영상의 예

전자공.indb 983 2015-11-23 오후 1:28:11

Page 4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지 영 준

984 _ The Magazine of the IEIE 40

일소자 초음파 트랜스듀서(single element ultrasound

transducer)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회전시켜 원형의 단면

영상(radial image)을 얻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4],

이를 내시경용 초음파(endoscopic ultrasound, EUS)라

부른다. <그림 7>에서 내시경용 초음파 푸르브와 이를 이

용하여 획득한 영상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에 있어서 최종 확진은 생검

(biopsy)을 통한 조직검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기

구통로를 이용하여 의심이 가는 조직을 생검하여 현미경

하에서 염색과 함께 관찰하는 조직검사를 하는 것이다.

이를 실시간으로 내시경하에서 바

로 수행한다면 수많은 장점을 생

각할 수 있다. 공초점 현미경 기술

을 내시경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

가 진행되고 있다. 공초점 현미경

(confocal microscope)은 다이크로

마틱 거울(dichromatic mirror)을

사용하여 레이저의 특정 경로 상의 평면을 스캔하여 영상

화 함으로서 고정된 초점거리의 광을 영상화 시킨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표면 내부의 단면(빛의 진행방향

에 수직인 평면)을 고배율로 영상화 시킨다. PENTAX사

에서 개발중인 공초점 내시현미경은 0-250 um 사이에

서 특정 깊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500 um

x 500 um의 영역을 영상화 시킨다. 특히 표면에서 일정

한 깊이 방향의 정보가 영상화 되므로 이 기술을 내시경

에 사용하면 조직검사 없이 내시경 프루브를 내장 벽면에

대에 바로 확대시킨 영상을 얻을 수 있다[5]. <그림 8>은

이러한 기법으로 얻은 영상과 일반적인 현미경을 이용하

여 얻은 영상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내시경 중심이 된 최소절개술의 개념에 대해 앞서 서

술하였다. 최소절개술의 한 단계 진보된 개념이 NOTES

이다. NOTES는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의 약자로 내시경의 선단부가 위,

대장, 자궁과 같은 내장기관의 벽

을 뚫고 복강으로 진입하여 필요한

수술을 하고 빠져 나오는 새로운

개념의 수술방법이다.[6] 아직 뚫은

벽의 봉합기술, 수술에 필요한 기

구의 통합 등 기술적 문제가 극복

되지 않아 완성되지 않은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일부 도전적 의사들과 기술자들이 동물실험

을 중심으로 수술 기법과 이에 필요한 내시경 및 기구를

개발하고 있는 분야이다. NOTES가 완성되면 복강경과

같이 3-4개의 구멍을 뚫고 환부에 접근하는 것에 더 나

아가 (적어도 피부에는) 무흉터 수술이 가능해 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림 9>는 담낭제거술을 위해 담낭에 접근하

<그림 9> NOTES 의 개념도와 NOTES용 내시경 구현 사례<그림 8> 공초점 현미-내시경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에 있어서 최종

확진은 생검을 이용하게 되노다.

이 생검의 절차가 내시경 구동중에 바로

가능하게 되면 치료의 속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전자공.indb 984 2015-11-23 오후 1:28:12

Page 4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85

▶ ▶ ▶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41

는 세 가지 경에의 NOTES 개념을 보여주고 있으며, 하

단의 시제품 두 가지 형태의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Ⅴ. 맺으며

광학 기반의 의료기기로 인식되던 내시경이 1990년대

이후에는 전자 의료기기로 인식되고 있다. 진단용 내시경

과 수술용 내시경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 최소절개술을

향한 내시경 개발자들과 임상의사들 간의 지식 교류가 활

발해지고 있다. 분명한 목적을 지향하는 내시경 임상기술

과 기기 개발 기술은 융합 기술, 의료공학 기술의 전형이

라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Chee YJ, Woo JH, Current and Future Technologies for

a Gastrointestinal Endoscopy, J.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ol.31, No.5, pp.335-343; 2010

[2] P.B. Cotton, and C.B. Williams, Practical Gastrointestinal

Endoscopy, 5th ed., Massachusetts, USA: Blackwell Publishing

Ltd., 2003, pp.6-16

[3] J. Baillie, MB, and W. Salem, “The endoscope”, Gastrointestinal

Endoscopy, Vol.65, No.6, pp.886-893, 2007

[4] ASGE Technology Committee, “Endoscopic ultrasound

probes”, Gastrointestinal Endoscopy, Vol.63, No. 6, pp.751-

754, 2006

[5] O. Watanabe, T. Ando, O. Maeda, et al., “Confocal

endomicroscopy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J.

Gastroenterol. Hepatol. Vol.23, p.S286-90, 2008

[6] Flora ED1, Wilson TG, Martin IJ, O'Rourke NA, Maddern GJ.,

A review of natural orifice translumenal endoscopic surgery

(NOTES) for intra-abdominal surgery: experimental models,

techniques, and applicability to the clinical setting, Ann Surg.,

Vol.247, No.4, pp.583-602, 2008.

지 영 준

•1991년 2월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공학사

•1993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 공학석사

•2005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 공학박사

•1996년 4월~1998년 10월 ㈜메디슨 연구소, 선임연구원

•1998년 10월~2004년 8월 ㈜엠지비 엔도스코피, CEO

•2006년 1월~2008년 12월

한양대학교 전기의용생체공학부, 연구교수

•2009년 1월~현재 울산대학교 전기공학부 의공학전공,

부교수

<관심분야>

내시경, 혈압 측정, 자세와 통증, IoT, Wearable Sensor,

심폐소생술

전자공.indb 985 2015-11-23 오후 1:28:12

Page 4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986 _ The Magazine of the IEIE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특집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이상우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

42

Ⅰ. 서 론

현대 의학에서 의료 영상 기술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각

종 영상 기법, digital X ray, CT (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

층 촬영)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 공명 영상), 초음

파 기기등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으로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

고, 해당 병변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는지 수술등의 침습적 방법

없이도 알아내며, 치료가 필요할 경우 어떠한 방식을 사용할지를 결정

하고, 또한 치료후 경과를 조기에 알아 낼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서 의

료 행위가 환자에게 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고, 의료행위의 경

제적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현대의학에서 영상의학은 모든

의료행위를 하기에 앞서 일종의 정탐꾼, 혹은 작전 참모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현대의 여러 영상 기법 중에서도 CT는 비교적 쉽게 단층 촬영 영상

을 획득할 수 있으며, 높

은 해상도와 안정적인 영

상 퀄리티를 얻을 수 있

다는 점에서 영상의학

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

고 있다. 1895년 뢴트겐

이 처음으로 사람의 뼈

를 촬영한 이래 X ray를 이용한 인체 촬영은 급속도로 의료영상

의 핵심 기법으로 자리잡았고, 현대 의학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

는 영상 기법이다. 그러나 X ray 영상은 2 차원 투사 영상으로서 입

체감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단층촬영의 중요성은, 일반적인 X ray

를 이용한 2차원 투사 영상과 CT 영상을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여러 의료영상 기법 중에 CT는 비교적

쉽게 단층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높은 해상도와 안정적인

영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영상의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전자공.indb 986 2015-11-23 오후 1:28:12

Page 4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87

▶ ▶ ▶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43

<그림 [1-a]>는 흉부에 전이된 갑상선 암으로 인하여 수

술을 받은 환자의 X ray 영상이다. 입체감이 없으므로,

수술 부위와 티타늄 망의 상대적 위치 등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그림 [1-b]>를 보면, 어느 정도

X ray로 인한 해부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수

술 부위에 대한 상황 파악을 신속히 할 수 있을 것이다.

[Suganuma, 2009]

CT의 핵심 원리는 1917년 보헤미아의 수학자인 J.H

Radon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 이 논문에서 한 단층을 가

로 짓는 여러 방향의 선적분 값을 알면 그 단층내부의 물

질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는 중요한 원리를 증명하였

다. 이것은 마치, 투명한 물잔에 여러 조각의 얼음이 담겨

있는데, 각각의 얼음이 위에서 보았을 때 어떤 모양으로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물잔의 옆면에서 여러 각도로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컴퓨

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시간을 들여 관찰하면

대략적으로나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X ray를 사용하여 인체에 처음 적용한

것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물리학자인 A.M. Cormack

이었다. 그 후 1972년에 영국의 엔지니어인 G.N.

Hounsfield에 의하여 최초의 실용적인 시스템이 개발 되

었고, 곧이어 EMI라는 영국 음반회사에 의하여 최초로

CT 스캐너가 상용화 되기에 이르렀다. 비록 EMI는 전세

계에 60여대의 CT 스캐너를 판매하는 데에 그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1980년도에는 전세계적으로 10000

대의 스캐너가 설치 되었고, 2015년도에는 60000대 이

상의 CT 스캐너가 매일 수많은 환자들의 생명을 구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Ⅱ. CT 영상구성의 원리

CT영상구성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알아

야 하는 것은 CT영상의 밝고 어두운 픽셀 정보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가이다. X ray가 어떠한 물체를 향해 투

사될 때, X ray 발생장치로부터 그 물체의 반대편에 위치

하는 X ray 디텍터는 물체로 인하여 감쇄된 X ray의 밝

기를 측정하게 된다. 이 밝기는 X ray가 물체를 지나는

경로에 있는 각 구조체의 물리적 성질 (X ray 감쇄율)과

그들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며, CT는 물체 내부의 감쇄

율을 각각의 픽셀 값으로 나타낸다. 물체 내부가 단일 물

질로 이루어졌다면, 이러한 감쇄 효과는 아래와 같은 등

식으로 표현된다.

I = I0 · exp(-μ · d)

여기서 I 는 X ray 디텍터에서 측정된 밝기, I0는 물체

에 투사된 X ray의 밝기 (만약 X ray 디텍터를 X ray 발

생기와 물체 사이에 놓았다면 측정되었을 밝기), 그리고

U는 물질의 X ray 감쇄율, d는 X ray가 물체를 통과한

거리를 의미한다.

<그림 1> (A)흉부에 전이된 갑상선 암을 수술한 환자의 X ray. 환자

좌측의 수술 부위를 볼 수는 있으나 입체감이 없으므로 정

확한 판단이 어렵다, (b)같은 환자의 CT 단층촬영영상. 환

자 좌측의 수술부위를 정확히 관찰할 수 있다.

(A) (B)

<그림 2> 단일한 물질의 경우 (case 1)과 세 가지의 물질로 이루어

진 경우 (case 2)의 X ray 감쇄 효과

전자공.indb 987 2015-11-23 오후 1:28:13

Page 5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이 상 우

988 _ The Magazine of the IEIE 44

<그림 2>는 X ray가 단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물체를

통과할 경우와 여러 개의 물질로 이루어진 물체를 통과할

경우 우리가 풀어야 하는 문제가 어떻게 복잡해 지는지를

보여준다. 우리는 각각의 구성물질의 감쇄율(μ) 뿐만 아

니라, 그들의 공간적 분포(d와 그들의 절대 좌표까지)를

알아내야 한다. 단순히 물잔을 돌리며 관찰하는 것 만으

로는 이제 한계에 도달하였다!

Radon이 한 세기 전에 제시한 수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CT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그림 2>와 같은 X ray투사 데

이터를 매우 많이 얻어야 한다. 물잔을 돌리는 것과 같이

최소한 180도에 걸쳐서 투사를 해야 하며, 각각의 투사

각도에 대하여 촘촘하게 여러 번 서로 다른 위치에서 투

사를 해야 한다. 이러한 측정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그림 3>을 보도록

하자.

이 그림에서는 실제로 최초의 CT

시스템에서 행하여졌던 투사 방식

인 pencil beam projection을 보여

준다. 이 방식에서는, X ray 발생

장치로부터 매우 작은 구멍 하나를 통하여 나오는 pencil

beam X ray의 밝기를, 물체의 반대편에 위치한 X ray

디텍터에서 측정한다. X ray 발생장치와 디텍터는 서로

평행하게 움직이면서 촘촘하게 물체를 통과한 X ray의

밝기를 기록한다. 최소한 물체의 폭만큼의 거리를 이동한

후, X ray 발생장치와 디텍터는 다른 각도에서 이러한 측

정을 반복하게 된다. 만약 180도의 각도를 1도씩 측정하

고, 매 각도마다 160번 평행하게 움직이며 측정한다면,

총 180*160 = 28800번의 측정데이터를 가지게 된다.

물론 현대의 CT 스캐너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

지 않는다. 매 각도마다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평행하게 X

ray 발생장치와 디텍터를 움직이는 것은 기계적으로 복

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그 대신, 여러 개

의 디텍터를 부채꼴 모양으로 위치 시키고, X ray 발생

장치로부터 방사형으로 X ray를 동시에 투사시키며 (fan

beam) 빠르게 회전시켜서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림 4>

는 현대적 fan beam CT 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준다.

앞에서 설명한 pencil beam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떻게

CT 영상을 구성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각각의 투사된

X ray의 밝기는 해당 X ray가 지나온 물체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물질의 X ray 감쇄율 μ와 그들의 공간적 분포

(d)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만약 우리가 구성하려는

CT영상의 공간해상도가 충분히 높

다면, 감쇄율 μ의 공간적 분포가 각

각의 투사된 데이터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8800개의 데이터를 가지고 계

산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에는 어려움이 있으니, 매우 간단

한 예로 4개의 데이터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우리가 알

고자 하는 감쇄율은 공간적으로 2x2의 포인트들에 분포

되어 있다고 하자. 각각의 pencil beam이 <그림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투사되어 측정되었다고 하면 (I1, I2,

I3, I4), 다음 4개의 연립방정식을 얻게 된다.

I1 = I0 e-μ1d-μ2d

I2 = I0 e-μ3d-μ4d

I3 = I0 e-μ2d-μ4d

I4 = I0 e-μ1d-μ3d

<그림 3> Pencil beam 투사 방식의 개념도 <그림 4> Fan beam CT 시스템의 개념도

현대적 CT기기는 여러 개 의 디텍터를

부채꼴 모양으로 위치 시키고, X ray

발생 장치로부터 방사형으로 X ray를

동시에 투사시키며 (fan beam) 빠르게

회전시켜서 데이터를 획득한다.

전자공.indb 988 2015-11-23 오후 1:28:13

Page 5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89

▶ ▶ ▶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45

각각의 픽셀 크기 d는 X ray 발생장치와 디텍터가 평

행하게 움직인 거리이므로, 4x4 역 행렬 계산을 통하여 μ1,

μ2, μ3, μ4 를 알아내면, 우리가 원하는 감쇄율의 공간 분

포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영상 구성

법을 ART(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이라

고 한다. 우리가 잘 아는 바와 같이, 2x2의 공간적 분포

를 위하여서는 최소한 4번의 X ray 투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불행하게도, ART를 28800개의 데이터에 적용하기에

는 계산 량이 너무 많다. 현대적인

CT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512x512

의 감쇄율 분포를 영상으로 재구

성하며,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262144x262144크기의 역 행렬 계

산이 필요하다.

ART의 이러한 현실적 한계를 극

복하기 위하여 FBP (Filtered Back

Projection) 방법이 고안 되었다.

이 방식에서는, 각 회전 각도에서 투사된 1 차원 데이터

(X ray 발생기와 디텍터가 평행하게 움직이며 획득한)의

낮은 공간 주파수 성분을 억제하는 filter를 적용한 후, 원

래의 투사된 방향으로 데이터를 확장 시킨다. 이를 back

projection이라고 하며, 각 회전 각도의 back projection

영상을 모두 합하면 원하는 영상을 얻게 된다.

현대의 상용화된 CT 스캐너에서는 위의 FBP방식을 주

로 사용하며, 최근에는 ART의 역 행렬 계산을 회귀적으

로 하여 그 계산 속도를 향상 시키고, FBP에서는 구현하

기 어려운 시스템의 비 선형적 특성 및 노이즈 특성을 고

려하여 저선량에서 개선된 영상을 얻는 방식이 소개되

고 있다. 각 CT 제조사에서 개발한 SAFIRE (Siemens),

ASIR (GE), MBIR(GE), IMR(Philips)등이 그 예이다.

<그림 6>은 대표적인 FBP영상과 MBIR영상을 보여준다.

[Khawaja, 2015]

앞서서 CT영상 픽셀의 밝고 어두

움은 X ray감쇄율의 공간적 분포

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감쇄율은 X

ray의 에너지 레벨에 따라서 변화

하며, 상용화된 CT 영상의 경우서

로 다른 에너지 레벨을 사용하는 경

우가 대부분이다. CT영상간의 비교

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모든 CT

영상은 HU (Hounsfield Unit)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HU는 X ray의 해당 에너지

<그림 5> 간단한 2x2 영상 구조. 각각의 화살표는 매 측정 시 투사

되는 X ray를 나타낸다.

<그림 6> 화살표는 간세포 암을 나타내며, 우측의 MBIR 영상에서 더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조직 HU 값

폐 -950 ~ -550 HU

뼈 200 ~ 1100 HU

신장 20 ~ 40 HU

췌장 30 ~ 50 HU

혈액 50 ~ 60 HU

간 50 ~ 70 HU

지방 -100 ~ -80 HU

현대의 상용화된 CT 스캐너에서는

위의 FBP방식을 주로 사용하며,

최근에는 ART의 역 행렬 계산을 회귀적

으로 하여 그 계산 속도를 향상 시키고,

FBP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시스템의

비 선형적 특성 및 노이즈 특성을

고려하여 저선량에서 개선된 영상을

얻는 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전자공.indb 989 2015-11-23 오후 1:28:14

Page 5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이 상 우

990 _ The Magazine of the IEIE 46

레벨에서 순수한 물이 가지는 감쇄율에 대한 상대적인 값

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결정된다.

CT value (HU) = μTissue-μwater * 1000

μwater

결국 어떠한 CT 스캐너로 영상을 획득하여도, 물은

0HU를, 공기는 -1000HU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

라 각각의 인체 조직은 거의 정해진 값을 가지게 되며,

예를 들어 공기가 많이 포함된 조직인 폐는 -550HU에

서 -950HU, 빈 공간이 없고 밀도가 높은 골격의 경우

1000HU까지 의 값을 가진다. 아래의 표는 인체 조직의

통상적인 CT HU값을 보여준다.

또한, 감쇄율은 원자 번호, X ray의 에너지 레벨, 그리

고 물질의 밀도의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에너지 레

벨이 높을수록 원자번호의 차이에 의한 감쇄율의 차이가

줄어든다.

Ⅲ. CT 시스템 구조

CT 시스템에서 직접 영상을 획득하는 갠트리 (gantry)

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디텍터와 X ray 발생장치인 X ray

tube, X ray의 선량을 균일하게 해주거나 원하는 에너지

레벨만을 허용하는 필터, 산란효과 등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방향에서 디텍터로 들어오는 X ray를 걸러주며 슬

라이스의 두께를 결정해주는 콜리메이터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적인 CT 시스템에서 갠트리가 한 바퀴 회전하

<그림 7> 갠트리의 일반적인 구조 (전면 및 측면)

<그림 8-1> 뇌수막종 (meningioma)

<그림 8-2> 폐기종 (emphysema)

<그림 8-3> 폐 색전증 (pulmonary embolism)

<그림 8-4> 신세포암 (renal cell carcinoma)

<그림 8-5> 좌전하 관상동맥에서 발견된 비석회화 동맥경화반

(plaque)

전자공.indb 990 2015-11-23 오후 1:28:14

Page 5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91

▶ ▶ ▶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47

는데 0.25초 정도까지 걸리며, 균일하고 빠른 회전을 위

하여 베어링 시스템이나 자기 부상 방식을 사용한다. 회

전하는 갠트리 내부의 X ray tube및 디텍터에 전원을 공

급하기 위하여 slip ring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갠트리

는 X ray tube및 디텍터의 400kg에서 1톤까지 하는 중

량으로 인하여, 고속회전 시 매우 큰 원심력을 버텨야 한

다. 예를 들어, 60cm의 회전 반경을 생각할 때 초당 2회

의 속도로 회전할 경우 중력의 9.7배의 힘을 받는다. 고

속 회전 및 큰 원심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정확한 데이터 획득을 위

해서는 높은 수준의 전자, 기계적인

제어를 필요로 한다. <그림 7>은 갠

트리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CT 스캐너에 장착되는 X ray

tube는 보통 20~120kW의 전력

을 사용하며, 80~140kV의 전압을 인가한다. Anode의

경우 전압을 인가할 때 발생하는 열 용량이 높은 전압에

서 장시간 촬영할 수 있는 성능을 좌우한다. 전통적으로,

anode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열 용량을 증가시켰으

나 여기에는 갠트리가 버틸 수 있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

다. 따라서 한 번에 여러 슬라이스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

는 multi detector row 나, anode 의 냉각 기능을 향상

시킨 Straton tube등이 등장하게 되었다.

디텍터는 콜리메이터를 통하여 들어온 X ray의 밝기

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시키는 역할을 한다. CT 디텍

터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형태로는 ionization chamber

와 scintillation detector가 있다. Ionization chamber

는 각각의 디텍터 채널의 민감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또한 chamber에 사용되는 xenon 은 X

ray를 감지한 후 빠르게 신호가 감소함으로써 오랜 기간

동안 CT 디텍터에 사용되어 왔다.

Ⅳ. CT의 임상 적용

CT는 많은 인체 부위에서 매우 다양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인체 부위에 따라 크게 대뇌, 경부, 흉부, 복부,

척추, 하지로 나뉘며, 각 부위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스

캔 방식이 다르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심장의 움직임으

로 인한 영상의 질 저하를 막기 위하여 심전도계를 이용

하여 반복되는 심장운동의 특정 시점에서만 영상을 획득

재구성한다 (ECG gating). 흉부 스크리닝과 같이 저선량

이 요구되고 비교적 넓은 면적을 빠르게 스캔 할 경우 높

은 pitch의 나선형 스캔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관심 조직을 밝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요오

드 조영제를 환자에게 주입하여 CT 영상을 획득하는 경

우가 많다. 이때 영상획득의 시

점, 반복 등을 통하여 관류 영상

(perfusion), CT 혈관 조영 (CT

angiogram) 영상 등을 다양한 부

위에 걸쳐서 얻을 수 있다. <그림

8>은 몇 개의 CT 임상영상을 보여

준다.

참 고 문 헌

[1] Suganuma et. al., J Med Case Reports. 2009; 3: 7259

[2] Khawaja et. al. Pediatr Radiol. 2015;45(7): 1046-55

[3] Kalender, Computed Tomography, 3rd Edition, Publicis

[4] Laghi, MDCT Protocols - Whole body and emergencies,

Springer

[5] 서창해, 김미영 공역, 알기 쉬운 CT 영상 매뉴얼, 서울의학사

이 상 우

•1996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졸업

•2006년 University of Michigan 전기공학 박사

•2006년~2014년 GE Healthcare

•2014년~현재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

<관심분야>

MRI 신호처리, Pulse Sequence 및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한 임상 application 개발. CT를 포함한 의료

영상기기를 활용한 임상연구

CT는 많은 인체 부위에서 매우 다양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인체 부위에

따라 크게 대뇌, 경부, 흉부, 복부, 척추,

하지로 나뉘며, 각 부위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스캔 방식이 다르게 적용된다

전자공.indb 991 2015-11-23 오후 1:28:14

Page 5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992 _ The Magazine of the IEIE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

분석

특집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 분석

박현진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김만수성균관대학교

휴먼ICT융합학과

48

Ⅰ. 서 론

최근 20여 년간 뇌 영상학과 분자 유전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로 인하여 뇌 영상 분석과 유전학 연구를 서로 연관 지어 진행하는

흐름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연구에서는 알츠하

이머병과 해마(hippocampus)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뇌 영상학적으로 해마의 크기의

감소하는 것은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대표적인 현상이다. 알츠하이머병

환자 뇌의 해마 크기가 감소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유전자와의 연관성

을 찾음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유전적 요인을 발견하였다[1]. 이

렇게 영상 의학적 현상과 유전적 분석을 동시에 사용하는 연구를 영상

유전학이라 한다(<그림 1>).

대부분의 유전학에서는 질병의 유무, 표현형질에 의한 질병의 형질

발현 원인 규명 등을 연구

해왔다. 유전자의 분석에

서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표본

이 필요하다. 하지만 많은

수의 유전자를 처리하기

위한 검정과정이 늘어나게 되고 결국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중 비교 문

제는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큰 어려움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중간 표현 형질

(intermediate phenotype)을 사용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영

상학적으로 질병에 연관되어 있는 형질을 중간 표현 형질로 사용함으로

써 더 긴밀한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다[3]. 또한 긴밀한 중간 표현 형질

을 사용하면 적은 표본만 사용하여서도 통계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얻을

뇌 영상학과 분자 유전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로 인하여 뇌 영상 분석과

유전학 연구를 서로 연관 지어 진행하는

흐름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전자공.indb 992 2015-11-23 오후 1:28:15

Page 5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93

▶ ▶ ▶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 분석

49

수 있으며, 중간 단계를 사용하여 다중 비교문제도 줄일

수 있다[4].

본 글을 통해 소개하고자 하는 영

상 유전학은 뇌 자기공명영상 분석

과 유전자분석을 이용해 어떤 형질

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 생체 지표

(imaging biomarker)와 유전적 위

험 요소(genetic risk factor)을 동시에 분석 방법을 소개

한다. 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는 자기공명영상 기

반의 뇌 영상 분석법,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Single

neclueus polymorphesim (SNP) 분석법, 영상 유전학

분석법 순서로 살펴본다.

Ⅱ. 관련 연구

1. 뇌 영상 분석

뇌 영상 분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상의학에 이용되

는 대표적인 영상 장비와 영상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선, 영상의학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영상 진단 기

기로는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X-Ray, 3차

원 X-ray라고 불릴 수 있는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

(computed tomography, CT), 방사선 동위 원소를

포함한 조영제를 이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수소 원자

의 자기 공명 현상을 이용한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 등이 있다(<그림 2>).

뇌 영상의 기본적인 정보는 조직 영상(histology

image)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복셀(voxel)기반으로 저장되어있다. 복셀에는 영상의 밝

기 값 정보가 존재하고 뇌 영상 분

석은 이 밝기 값들을 분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가장 보편적인 분

석법으로는 형태 계측 분석법으로

복셀 기반 혹은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기반의 밝기 값, 부

피, 두께를 계측하여 비교 방법이 있다.

2. 형태 계측 분석(morphometry)

형태 계측 분석법은 계측 대상에 따라 복셀의 밝

기 값을 분석하는 복셀 기반 형태 계측 분석법(Voxel-

based morphometry, VBM)가 있고 뇌 영상의 생물학

적인 구조기반으로 분석하는 변형기반 형태 계측 분석법

(Deformation-based morphometry, DBM), 표면기반

형태 계측 분석법(Surface-based morphometry, SBM)

<그림 1> 영상 유전자학의 전체적인 흐름[2]. 1) 질병(yn)에 영향을 미

치는 영상학적 지표(xnm)를 찾는다. 2) 영상학적 지표(xnm)

을 중간 표현 형질로 사용한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찾는다.

<그림 2> CT, T2-MRI, PET, SPECT 에 대한 뇌 영상. CT는 뼈에 대

한 구조적 영상이 정확한 반면 뇌 조직에 대한 영상은 모

호하다. T2-MRI는 뼈보다는 뇌 조직에 대한 영상을 선명

하게 볼 수 있다. PET과 SPECT은 암과 같은 특정 조직 활

성도를 영상으로 볼 수 있다.<그림 3> 간질 환자의 복셀 기반 형태 계측 분석법을 통한 뇌 부피

의 변화 관찰 결과

뇌 영상 분석의 대표적인 기법은 복셀

기반 형태 계측법이다. 이 기법에서 관심

영역의 뇌 변형의 정도를 복셀단위로는

측정하여 분석한다.

전자공.indb 993 2015-11-23 오후 1:28:15

Page 5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김 만 수, 박 현 진

994 _ The Magazine of the IEIE 50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이 분석법은 복셀 기반 형태 계측인

데, 이는 관심영역의 뇌 변형에 대하여 복셀 단위의 형태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뇌 영상 분석 기술이다(<그

림 3>). 복셀 기반 형태 계측에서는 개개인의 뇌 영상을

표준 정규화 공간에 영상 정합함 인접한 영역에 있는 밝

기 값을 이용하여 공간 정규화 보정을 한다. 그 후 3차원

뇌 영상간의 각각의 복셀에 대한 부피의 변화량 및 밝기

값 등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복셀 기반의 형태 계측 분석법을 이용한 가장 대표적인

일화로는 영국 런던 택시 운전사들의 해마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5]. 런던은 전 세계에서 가장

길이 복잡한 도시 중 하나이다. 하

지만 런던의 택시 기사들은 내비게

이션이 없음에도 목적지에 무리 없

이 도착한다. 이런 런던의 택시 운

전사들의 뇌를 복셀 기반 형태 계측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해마 뒷부분

은 정상인에 비해서 크고, 앞부분은

정상인에 비해서 작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해마가 런던의 택

시 운전사들의 우수한 공간 항해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3. 뇌 연결망 분석

최근 인간의 뇌를 분석하기 위해서 뇌 영상학에서는 연

결망 분석 이론을 도입하였다[6]. 뇌 연결망 분석 이론에

서 뇌는 각 영역은 유기적으로 연결된 대규모 복합 연결

망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이 연결망에서 인지, 운동, 감

정, 연산 처리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된 뇌 영역 간의 정

보 교환과 통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뇌 연결망 분석은 전통적인 영상의학 분야에서 이용되

는 뇌 영상을 이용한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양전자 단

층촬영 영상, 확산텐서영상과 같은 뇌 전체 영상을 영역

수준의 연결망 분석을 통해서 연결망 분석 값을 계산하여

뇌의 상태를 알아보는 방법이다(<표 1>).

질병이 있는 사람의 뇌와 건강한 사람의 뇌는 서로 다

른 뇌 연결망 특성을 보인다. 최근 양전자 단층 촬영 영상

을 이용한 연구에 의하면, 널리 연

구되어 사용되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과 확산텐서영상과 같은 영상

이외에도 양전자 단층 촬영 영상과

같은 다른 영상방법에도 적용하여

뇌 연결망 분석을 할 수 있다고 발

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질병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며 각 뇌 영역의

특성과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 결과 추적

이 가능해질 것이라 전망하였다[7].

4. 유전학(Genetics)

임상의학의 주제인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는 방법들

중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분석방법은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다. 이 방법은 어떤 표현형질

을 이용해서 표현형질과 연관된 유전자를 찾는 개념을 이

용하고 있다.

GWAS는 common disease, common variants

(CDCV) 가설에 과학적 기반을 두고 있다. 이 가설에 의

하면 알츠하이머, 당뇨병, 파킨슨병 등과 같은 흔한 복합

질병은 흔한 변이 몇 개로만으로도 연관이 가능하다는 것

이다.

GWAS는 다양하고 보편적인 질병을 대상으로 연구들

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질병이 아닌 인간의

노화와 같은 기본적인 현상에 대해서도 연구 중이다. 국

연결망 분석 값 정의

Degree 한 영역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든 연결들의 합

Shortest path length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까지의 가장 짧은 연결

Clustering coefficient한 영역에서 이웃 영역 사이에 관측된 연결과 모든 가능한 연결의 비율

Characteristic path legth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연결할 때 거치는 평균적인 최소 연결의 개수

Betweenness centrality 한 영역을 지나가는 모든 shortest path의 합

Clossness centrality한 영역에서 연결되어있는 모든 연결의 합의 역수 값

<표 1> 뇌 연결망 분석의 주요 특징 값들과 정의

최근 인간의 뇌를 분석하기 위해서 뇌

영상학에서는 연결망 분석 이론을 도입

하였다[6]. 뇌 연결망 분석 이론에서 뇌는

각 영역은 유기적으로 연결된 대규모

복합 연결망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이 연결망에서 인지, 운동, 감정, 연산

처리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된 뇌 영역

간의 정보 교환과 통합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전자공.indb 994 2015-11-23 오후 1:28:16

Page 5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95

▶ ▶ ▶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 분석

51

제적인 협력단체인 Enhancing Neuro Imaging Genetic

through Meta Analysis (ENIGMA)에서는 노화와 관련

된 뇌 기능(움직임, 학습, 기억 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발표하였다[8].

인간 게놈 프로젝트(Genome project)가 끝나면서

SNP와 유전자들과의 연관성을 알게 되었고 200만개 이

상의 SNP를 한 번에 얻을 수 있는 마이크로어레이 기술

이 발달하면서 SNP전체를 활용한

유전자 분석이 GWAS를 통해 가능

하게 되었다. 비록 GWAS는 개개인

의 희소한 변이를 모두 찾아내기는

어렵지만 어떤 형질과 관련된 총체

적인 유전자 분석이 가능함으로써, 질병의 공통적이고 보

편적인 원인 유전자를 찾아내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Ⅲ. 영상 유전학(Imaging genetics)

영상 유전학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황에 맞

는 중간 표현 형질을 찾아야 한다. 알맞은 중간 표현 형질

에 대한 조건은 1) 질병과의 연관성, 2) 표현 형질의 높은

유전율이 있다[9].

2013년 진행된 연구에서는 회백질의 부피를 이용하여

정신분열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백질의 부피를 중간 표현 형질

로 선정하였다. 기존의 많은 뇌 영상학 연구에서 회백질

의 부피가 정신분열증의 발병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조

사되었고 유전학적으로 선대로부터 유전될 확률이 높은

생물학적 요소라고 밝혔기 때문이다[10]. 따라서 회백질의

부피는 정신분열증의 발병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높은

유전율을 보이는 요소이기 때문에 중간 표현 형질에 알맞

다고 볼 수 있다.

정확한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피험자

들의 유전자 자료는 인종, 가족구조, 집단구조를 고려하

여 선정되어야 한다[3]. 다른 인종간의 분석은 멘델의 유전

법칙이 적용 되지 않고, 혈족간의

분석은 돌연변이 발생 확률이 높아

지기 때문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상 유전학 연구는

표현 형질, 유전자 분석 범위에 따라 크게 단변수 유전자

연관 분석(Uni-variate association test)과 다변수 유전

자 연관 분석(Multi-variate association test)으로 나뉠

수 있고 유전자 분석 방법과 중간 표현 형질 선택에 따라

4가지 방법론으로 나눠진다(<그림 4>).

단변수 유전자 상관 분석은 이전 유전자 연구를 통해

알려진 유전자와 뇌 영상 연구를 통해 알려진 표현 형질

을 사용하여 연구하는데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APOE ε

4 상동염색체는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유전인자로 알려져 있고, 회백질의 부피는 알츠하이

머병의 가장 큰 병변으로 알려져 있다. 2009년 연구에서

는 APOE ε4 상동염색체와 회백질의 부피의 연관성을 분

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APOE ε4는 회백질

의 부피에 우성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1].

다변수 유전자 상관 분석은 기존의 유전자뿐만 아니

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유전자를 찾는데 이용되

었다. 유전학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석법인 GWAS

를 중간 표현 형질과 함께 이용하면, 질병에 영향을 미치

는 새로운 유전자를 찾을 수 있다. 2010년 연구에는 해

마, 편도체(amygdala), 백질, 내후각피질(entorhinal

cortex), 부해마회(parahippocampal), 측두극(temporal

pole)의 부피를 중간 표현 형질로 사용한 GWAS 분석을

통해서 알츠하이머병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조

사하였다[12]. 그 결과 기존에 밝혀졌던 유전자 2개를 포함

하여 새로운 유전자 2개가 추가적으로 발견되었다.<그림 4> 유전자 분석 방법과 표현 형질에 따른 영상 유적학 방법론[3]

GWAS 분석기법은 대규모 유전자

정보로 부터 주어진 표현형질에 관련된

유전자를 찾는다.

전자공.indb 995 2015-11-23 오후 1:28:16

Page 5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 ▶ ▶ 김 만 수, 박 현 진

996 _ The Magazine of the IEIE 52

Ⅳ. 향후 연구 및 결론

최근 20년 동안 영상 유전학은 급격하게 발전해왔다.

영상 유전학은 유전학의 단점을 보안하고 새로운 유전자

요인을 연구하는데 강력한 이점이 있었다. 비록 중간 표

현 형질로써 뇌 영상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만족해야하지

만, 적은 표본으로도 새로운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영상 유전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간단

한 분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영상 유전학은 질병

과 연관된 영상 지표를 중간 표현 형질로 사용하여 질병

과 관련된 새로운 유전 요인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

다. 따라서 질병에 알맞은 중간 표현 형질을 설정하는 것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 영상 장비의 발달로 인한 영상 분석 기법의 비약

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중간 표현 형질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중간 표현 형질의 수가 많아질수록, 유효한 중간

표현 형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앞으로 확률 모

델링, 차원 축소(dimensionality reduction)와 같은 기법

을 이용하여 더 유효하고 정확한 중간 표현 형질을 선택

한다면, 질병의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

참 고 문 헌

[1] Stein, Jason L., et al. “Identification of common variants

associated with human hippocampal and intracranial volumes.”

Nature genetics 44.5 (2012): 552-561.

[2] Batmanghelich, Nematollah K., et al. “Joint modeling of imaging

and genetics.” Information Processing in Medical Imagi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

[3] Liu, Jingyu, and Vince D. Calhoun. “A review of multivariate

analyses in imaging genetics.” Frontiers in neuroinformatics 8

(2014).

[4] Stein, Jason L., et al. “Voxelwis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vGWAS).” Neuroimage 53.3 (2010): 1160-1174.

[5] Maguire, Eleanor A., et al. “Navigation-related structural

change in the hippocampi of taxi driv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7.8 (2000): 4398-4403.

[6] Watts, Duncan J., and Steven H. Strogatz. “Collective

dynamics of ‘small-world’networks.” nature 393.6684 (1998):

440-442.

[7] S.J. Son, H. Park, “Brain Connectivity Analysis using

18F-FDG-PET and 11C-PIB-PET Images of Normal Aging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Participants”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35 no.3, (2014): pp.68-74

[8] Hibar, Derrek P., et al. “Common genetic variants influence

human subcortical brain structures.” Nature (2015).

[9] Gottesman, Irving I., and Todd D. Gould. “The endophenotype

concept in psychiatry: etymology and strategic intention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4 (2003): 636-645.

[10] Wang, Qiang, et al. “Genome-wide association analysis

with gray matter volume as a quantitative phenotype in first-

episode treatment-naiv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2013):

e75083.

[11] Filippini, Nicola, et al. “Anatomically-distinct genetic

associations of APOE e4 allele load with regional cortical

atrophy in Alzheimer's disease.” Neuroimage 44.3 (2009):

724-728.

[12] Biffi, Alessandro, et al. “Genetic variation and neuroimaging

measures in Alzheimer disease.” Archives of neurology 67.6

(2010): 677-685.

전자공.indb 996 2015-11-23 오후 1:28:16

Page 5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97

▶ ▶ ▶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 분석

53

박 현 진

•1997년 2월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

•2000년 4월 Univ. of Michigan 의공학 석사

•2000년 12월 Univ. of Michigan 전자공학 석사

•2003년 8월 Univ. of Michigan 의공학 박사

•2004년 5월 Univ. of Michigan 영상의학 박사 후 연수

•2004년~2007년 Univ. of Michigan 의과대학 연구강사

•2007년~2007년 Univ. of Michigan 공과대학 강사

•2007년~2009년 Univ. of Michigan 의과대학

연구조교수

•2009년~2012년 가천대학교 의공학과 조교수

•2013년~현재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부교수

<관심 분야>

영상처리 기법(Registration, Segmentation), 의료 영상

분석,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

김 만 수

•2014년 2월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2014년 3월~현재 성균관대학교 휴먼 ICT 융합학과

석사과정

<관심분야>

DTI, fMRI 분석, 뇌 연결망 분석, 영상 유전학 분석

전자공.indb 997 2015-11-23 오후 1:28:16

Page 6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998 _ The Magazine of the IEIE

논문지 논문목차

전자공학회논문지제52권11호발행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통신 분야

[통신] •백홀시스템에서시스템레벨시뮬레이션기반하이브리드수신기설계및성능분석

문상미, 추명훈, 김한종, 김대진, 황인태

•전술무선망에서2진지수백오프를사용하는CSMA/CA기반우선순위적용MAC프로토콜설계

변애란, 손 웅, 장윤선

•차단우회및익명성보장웹브라우징시스템

이은수, 이석복

반도체 분야

[반도체 재료 및 부품]•중수소결합형성방법에따른다결정실리콘광검출기의광반응특성

이재성

[SoC 설계]•이차원마이크로볼로미터FPA를위한이단계바이어스전류억제방식을갖는픽셀단위의전류미러신호취득회로

황치호, 우두형

컴퓨터 분야

[인공지능, 신경망 및 퍼지시스템 ]•SNS에서콘텐츠오염자탐지를위한개선된특징추출방법

한진섭, 박병준

[멀티미디어]•급격한조명변화에강건한동영상대조비개선방법

박진욱, 문영식

54

전자공.indb 998 2015-11-23 오후 1:28:17

Page 6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999

논문지논문목차

논문지 논문목차

전자공학회논문지제52권11호발행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최소자승예측오차확장기반가역성DNA워터마킹

이석환, 권성근, 권기룡

•Emulab테스트베드환경에서의분산스테가노그래피연구

정기현, 석우진

신호처리 분야

[화상처리 및 텔레비젼]•C-ITS환경에서V2I실현을위한버스전용차선및주행차량번호판인식

임창재, 김대원

•흉부엑스레이영상에서배경제거및관심영역분할기법

박진우, 송병철

•근적외선영상의특성을활용한안개제거알고리즘

유제택, 나성웅, 이성민, 정승원

시스템 및 제어 분야

[의용전자 및 생체공학]•지방조직유화를위한집속형초음파변환기설계및제작에관한연구

김주영, 김재영, 정현두, 노시철, 문창수, 문치웅, 최흥호

산업전자 분야

[신호처리 및 시스템]•명암과움직임정보를이용한포트홀검출

김영로, 조영태, 류승기

•2포인트극좌표계변환을이용한중심으로부터의목표물영상위치측정

서춘원

[통신 및 초고주파]•HopperWDM을이용한FBG(FiberBraggGrating)하이드로폰(Hydrophone)의다중점신호검출및지향성연구

김경복

[컴퓨터 응용]•컨텐츠보안침입탐지시스템설계및구현

김영선, 서춘원

55

전자공.indb 999 2015-11-23 오후 1:28:17

Page 6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00 _ The Magazine of the IEIE

박사학위 논문초록

김지수Kim Jisu

<국문 요약>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존 메모리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이러한 기존

메모리들의 장점을 모두 가진 유니버셜 메모리를 구현하기 위해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TT-MRAM은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의 주요한 후보이고 상대적으로 작은 비트셀 크기를 가지면서 SRAM 만큼 빠른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또한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CMOS 공정과 호환성이 높아 경제적이다. 그러나 직접도가 높은 미세공정에서 구현하기

위해 극복해야할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 중 하나는 STT-MRAM의 저장소자인 MTJ를 write 하기 위해 요구되는 쓰기 전류가

커서 미세공정에서 그 전류를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최근 perpendicular STT-MRAM의 개발로 쓰기 전류가

충분히 감소되어 해결되었다.

반면, 센싱 과정에서는 극복해야 할 문제들이 여전히 있다. 첫째, 공정이 미세화 됨에 따라 공정 변이가 증가하고 그것으로 인해

센싱 마진이 감소된다. 이것은 센싱을 어렵게 만들고 센싱 수율을 감소시킨다. 둘째, 공정이 미세화 됨에 따라 reliablilty와 동적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급전압이 감소되는데 그것으로 인해 센싱 마진이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공정 미세화 과정에서

소자의 performance를 유기하기 위해서는 문턱 전압도 공급 전압과 같이 감소되어야 하는데 누설 전류가 증가하는 문제 때문에

문턱 전압은 공급 전압보다 덜 감소한다. 따라서, 공급전압과 문턱전압의 차이가 감소하고 그것으로 인해 센싱 마진이 감소하게

된다. 모바일 기기에서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진다. 모바일 기기는 한정된 베터리로 구동되고 대부분의 동작을 대기모드로

동작하므로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문턱전압이 큰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STT-MRAM에서는 높은 문턱전압으로 인해 센싱 마진 확보가 더 어렵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정이 미세화 하는 과정에서 기존 센싱 회로의 센싱 수율이 감소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였고 그것을

기반으로 낮은 센싱 전류와 높은 센싱 수율을 갖는 source degeneration sensing circuit (SDSC)를 제안하였다. 65nm 공정의

모델 파라메터를 사용한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기존 센싱 회로는 공급전압 1.1V (1.6V) 에서 48.0 μA (64.2 μA) 의

센싱 전류, 0 % (81.5%) 의 센싱 수율을 갖지만 SDSC는 공급전압 1.1V에서 43.1 μA의 센싱 전류, 96.3 %의 센싱 수율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45 nm 공정의 모델파라메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서는 공정 미세화로 인한 공급 전압의

감소와 공정 변이의 증가로 인해 SDSC의 센싱 수율이 0 %로 감소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sensing circuit with self-body

biasing (Self-BB) 와 split-path sensing circuit (SPSC) 가 제안되었다. Self-BB와 SPSC는 self-body 바이어스 기술과 가변

reference voltage 기술이 사용되어 SDSC 보다 큰 센싱 마진을 얻는다. 그 결과 Self-BB와 SPSC는 33 μA의 센싱 전류에서 각각

100.0 %와 96.3 %의 센싱 수율을 얻는다. 두 회로는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공정 미세화로 인해 야기되는 센싱 문제를

해결하였다.

학위논문 제목

국문 : STT-MRAM을 위한 저전류 센싱회로

영문 : Low Current Sensing Circuit for Spin Transfer Torque MRAM (STT-MRAM)

KEY WORDSTT-MRAM, 센싱 회로, 센싱 마진, 수율, 센싱 타임, 바디 바이어싱, IO 디바이스

학위취득 연세대학교 취득년월 2015년 8월

지도교수 정 성 욱

56

전자공.indb 1000 2015-11-23 오후 1:28:17

Page 6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01

제 목 : 토요타의 제품 개발저 자 : 아디치 에이지펴낸곳 : 하쿠토우 쇼보우(白桃書房) 출판일 : 2014년 9월 16일 초판 발간

편저자 : 아디치 에이지, 토요타 공업대학 명예교수 공학 박사. 1960년 동경대학 공학부 항공학과 졸업. 1971년 동경대학 공학박사. 1960 ~ 1984년 토요타 자동차 근무, 바디 설계과 진동실험과를 거쳐 제품기획실 주사(主査) 담당원(마크II, 체이서, 크레스터), 제품기획실 주사(코로나). 1984 ~ 2004년 토요타공업대학 교수(설계공학). 현재 토요타공업대학 명예교수 및 일본설계공학회 명예회원. 저서: 제품개발의 마음과 기술 (코로나사, 2012)

T h e I n s T I T u T e o f e l e c T r o n I c s a n d I n f o r m a T I o n e n g I n e e r s

서 평

서평 작성자 : 김용권,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해동일본정보기술센터 센터장

57

이 책의 부제는 다큐멘트 토요타 주사제도의 전략, 개발, 제패의

기록이다. 서장에서는토요타의 주사(主査)제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토요타의 다른 생산방식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주사제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는 제도이다. 주사제도란 토요타자동차공업의

제품개발을 담당하는 중핵 제도로서, 한 명의 제품기획실 주사에

게 담당하는 차종에 관한 모든 권한을 위임해서 모든 결정과 책임

을 지우는 제도이다. 다시 설명하면 주사는 담당하는 차종의 기획

(예를 들면, 상품계획, 제품기획, 판매기획, 이익계획 등), 개발(공

업디자인, 설계, 시험제작, 평가 등), 생산 및 판매(설비투자, 생산

관리, 판매촉진 등)의 전반을 주도하고 그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

을 진다. “담당 차종에 관한 한 주사가 사장이고 사장은 주사를 도

와주는 사람이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

주사 아래에는 주 담당원, 부담당원, 계원의 조직(주사 그룹)으

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것은 주사는 아래 부하에 대한 인사권이

없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주사는 부하 직원에게 작업 동기를 부여

하기 위해서는 부하에게 명령이 아닌 설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아래의 직원일수록 다른 주사 그룹과 의견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상사는 전반적인 제품 개발 동향을 알고

있고 아래 직원은 자신의 제품 기술만을 다루는 일반적인 경우와는

많이 다르다.

이 책은 6부 14장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1부(1, 2장)에서는 전

략과 기획으로 오일쇼크와 판매 쉐어 20%을 넘기라는 기획에 대

해서, 제2부(3~6장)에서는 개발과 목표달성으로 개발 목표에 대

해서 기술하고 있다. 제3부(7, 8장)에서는 발매와 추가대책을, 제4

부(9장)에서는 재도전으로의 기획을 기술하고 있다. 제5부(10~13

장)에서는 통큰 개발, 즉 저연비 및 소형경량화 추구, 작은 외형과

큰 실내 등을 추구하는 개발에 대해서, 마지막 제6부(14장)에서는

시장 제패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서 평

전자공.indb 1001 2015-11-23 오후 1:28:17

Page 6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02 _ The Magazine of the IEIE

The Magazine of the IEIE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각종 학술대회/전시회를 소개합니다.게재를 희망하시는 분은 간략한 학술대회 정보를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게재하겠습니다.연락처: [email protected]

정 보 교 차 로

58

일 자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홈페이지/연락처

12. 02.-12. 04. 2015 IEEE 17th Electronics Packaging and Technology Conference (EPTC) Marina Mandarin Singapore www.eptc-ieee.net/index.html

12. 04.-12. 05.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Communication and Security (ICCCS)

Le Méridien, Pamplemousses, Mauritius icccs.in/

12. 06.-12. 10. 2015 IEEE Globecom Workshops (GC Wkshps) Venue Name: Hilton San Diego Bayfront, San Diego, CA, USA [email protected]

12. 06.-12. 09.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Circuitss, and Systems Grand Nile Hotel, Cairo, Egypt www.ieee-icecs2015.org

12. 06.-12. 09. 2015 Asia-Pacific Microwave Conference (APMC) Jinling Hotel, Nanjing, China www.emfield.org/apmc2015

12. 06.-12. 10. GLOBECOM 2015 - 2015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Hilton San Diego Bayfront, San Diego, CA, USA [email protected]

12. 06.-12. 09.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Biomimetics (ROBIO) TBD, Zhuhai, China www.ieee-robio.org/2015/

12. 06.-12. 09.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ing and Engineering Management (IEEM)

Suntec Singapore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 Singapore http://www.ieem.org/

12. 07.-12. 10. 2015 IEEE Symposium Serie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SSCI)

Cape Town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Cape Town, South Africa ieee-ssci.org.za:8080/

12. 07.-12. 13.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ICCV) Chile [email protected]

12.07.-12. 09. 2015 IEEE International Electron Devices Meeting (IEDM) Hilton Washington, DC, USA www.ieee-iedm.org

12. 07.-12. 08. 2015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friendly Compu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ICECCS) Kurukshetra, India [email protected]

12. 08.-12. 10. 2015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nsing Technology (ICST) Skycity Auckland Limited, New Zealand seat.massey.ac.nz/conferences/icst2015/

12. 09.-12. 11.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Instrumentation, Control and Computing (PICC) Auditorium, Thrissur, India [email protected]/picc.html

12. 09.-12. 11. 2015 TRON Symposium (TRONSHOW) Tokyo, Japan www.tronshow.org/index-e.html

12. 10.-12. 12. 2015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ICT) Khulna, Bangladesh www.kuet.ac.bd/eict2015/

12. 10.-12. 12.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Computing Research (ICCIC) Madurai, India itfrindia.org/2015iccic

12. 10.-12. 13. 2015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ICIIP) Solan, India www.juit.ac.in/iciip_2015

12. 10.-12. 12.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Assessment, and Learning for Engineering (TALE)

BNU - HKBU United International College, Zhuhai, China www.tale-conference.org/

12. 10.-12. 12.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dition Assessment Techniques in Electrical Systems (CATCON)

Central Power Research Institute, Bengaluru, India www.catcon2015.org

12. 10.-12. 12. 2015 IEEE Recent Advances in Intelligent Computational Systems (RAICS) The Mascot Hotel, India www.raics.in

〉〉 2015년 12월

정 보 교 차 로

국•내외에서개최되는각종학술대회/전시회를소개합니다.게재를희망하시는분은간략한학술대회정보를이메일로보내주시면게재하겠습니다.연락처:[email protected]

전자공.indb 1002 2015-11-23 오후 1:28:18

Page 6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0359

일 자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홈페이지/연락처

12. 11.-12. 12. 2015 Conference on Power, Control, Communication and Computational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Growth (PCCCTSG)

G. Pulla Reddy Engineering College, Kurnool, India www.pccctsg-conf.org/

12. 11.-12. 13.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Grid (ICSG) MANIT, Bhopal, India www.icsg.manit.ac.in

12. 11.-12. 13. 2015 IEEE/SI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System Integration (SII) Meijo University, Nagoya, Japan [email protected]

12. 12.-12. 14.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Networks (CICN) MIR Labs Chapter, Jabalpur, India www.cicn.in

12. 12.-12. 13. 2015 Internat ional Conference on Informat 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ICT)

Institute of Business Administration, Karachi, Pakistan icict.iba.edu.pk/

12. 12.-12. 14. 2015 IEE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Computing and Information Systems (ICICIS)

Ain Shams University Guest House, Egypt net2.shams.edu.eg/icicis/2015/

12. 13.-12. 16. 2015 1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Wireless Personal Multimedia Communications (WPMC)

Novotel Hyderabad Convention Centre, India wpmc-symposium.org/2015/

12. 13.-12. 16. 2015 Visual Communications and Image Processing (VCIP) Nanyang Executive Centre, Singapore www.vcip2015.org

12. 14.-12. 17. 2015 IEEE Global Conference on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GlobalSIP)

Hilton Orlando Lake Buena Vista, Orlando, FL, USA www.ieeeglobalsip.org/

12. 14.-12. 17. 2015 IEEE Workshop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Theories, Ap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CI) IIT Kanpur, India [email protected]

12. 14.-12. 16. 2015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Internet Technology and Secured Transactions (ICITST)

Heathrow Windsor Marriott Hotel, London, United Kingdom www.icitst.org/

12. 14.-12. 16. 2015 39th National Systems Conference (NSC) Shiv Nadar University, Greater Noida, India www.snu.edu.in/nsc2015

12. 14.-12. 16. 2015 World Congress on Sustainable Technologies (WCST) Heathrow Windsor Marriott Hotel, London, United Kingdom www.wcst.org/

12. 14.-12. 16. 2015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and RF Conference (IMaRC) TBD, India www.imarc-ieee.org

12. 14.-12. 17. 2015 IEE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rallel and Distributed Systems (ICPADS) RMIT University, Melbourne , Australia www.icpads.org/

12. 14.-12. 16. 2015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rontiers of Information Technology (FIT) Serena Hotel, Islamabad, Pakistan www.fit.edu.pk

12. 14.-12. 16. 2015 IEEE 2nd World Forum on Internet of Things (WF-IoT) University of Milan, Italy sites.ieee.org/wf-iot/

12. 14.-12. 16. 2015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Intelligent Human Computer Interaction (IHCI) IIIT Allahabad, India ihci.iiita.ac.in/

12. 15.-12. 17. 2015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and Applications (SKIMA)

Kantipur Engineering Col lege, Kathmandu, Nepal kec.edu.np/skima2015/

12. 15.-12. 18. 2015 54th IEEE Conference on Decision and Control (CDC) Osaka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Japan http://www.cdc2015.ctrl.titech.ac.jp

12. 16.-12. 19. 2015 Asia-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APSIPA)

The Hong Kong Po ly techn ic University, Hong Kong www.apsipa2015.org

12. 16.-12. 19.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Processing (ICIP) Vishwakarma Institute of Technology, Pune, India [email protected]

12. 16.-12. 19. 2015 Fifth 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Pattern Recognition, Image Processing and Graphics (NCVPRIPG)

NCVPRIPG Conference Secretariat, Patna, India www.iitp.ac.in/ncvpripg/

12. 16.-12. 17. 2015 Workshop on Recent Advances in Photonics (WRAP) Indian Institute of Science, Bangalore, India wrap2015.org

12. 16.-12. 19. 2015 IEE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gh Performance Computing (HiPC) Hotel Park Plaza, Bengaluru, India www.hipc.org

12. 17.-12. 17. 2015 National Software Engineering Conference (NSEC) Mi l i t a r y Co l l ege o f S igna ls , Rawalpindi, Pakistan http://nsec.mcs.edu.pk/

12. 17.-12. 19.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Research in Electronics,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ICERECT)

PES College of Engineering, Mandya, India [email protected]

12. 17.-12. 19.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Electrical Engineering (ICAEE) Independent University, Bangladesh www.icaee.net

12. 17.-12. 20. 2015 IEE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and Information Systems (ICIIS)

Depar tment of E lectr 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Peradeniya, Sri Lanka

www.iciis.org

전자공.indb 1003 2015-11-23 오후 1:28:19

Page 6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04 _ The Magazine of the IEIE 60

일 자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홈페이지/연락처

12. 17.-12. 19.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en Source Systems & Technologies (ICOSST)

Al-Khawarizmi Institute of Computer Science, Lahore, Pakistan icosst.kics.edu.pk

12. 18.-12. 20.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wave, Optical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ICMOCE) IIT Bhubaneswar, Bhubaneswar, India www.iitbbs.ac.in/conference/icmoce-2

12. 19.-12. 20. 2015 IEE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Electronic and Automation Control Conference (IAEAC)

Chongqing Wanyou Conifer hotel, Chongqing, China www.iaeac.org

12. 21.-12. 23.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Sensors and Systems (IC-SSS)

MS Ramiah Institute of Technology, Bangalore, India www.ic-sss-2015.esy.es/

12. 21.-12. 23. 2015 12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nd Automation (ICCA) TBD, Kathmandu, Nepal uav.ece.nus.edu.sg/~icca15

12. 21.-12. 23. 2015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gh-capacity Optical Networks and Enabling/Emerging Technologies (HONET)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lamabad, Pakistan www.honet-ict.org

12. 22.-12. 23. 2015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ICCIT)

Military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haka, Bangladesh http://www.iccit.org.bd/2015/

12. 23.12. 24. 2015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Engineering & Systems (ICCES) Radisson Blue Hotel, Cairo, Egypt www.icces.org.eg

12. 29.-12. 30. 2015 11th International Computer Engineering Conference (ICENCO)

Four Seasons Hotel First Residence, Cairo, Egypt icenco2015.eng.cu.edu.eg

〉〉 2016년 1월

01. 04.-01. 06. 2016 Indian Control Conference (ICC)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di, India icc.org.in/

01. 04.-01. 07.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in Medicine and Biology (ICSMB)

Indian Inst i tute of Technology Kharagpur, India www.ee.iitkgp.ernet.in/icsmb/

01. 07.-01. 09. 2016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Development in the i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ICDRET)

United International University (UIU), Dhaka, Bangladesh icdret.uiu.ac.bd/index.php/user

01. 08.-01. 11. 2016 13th IEEE Annual Consumer Communications & Networking Conference (CCNC)

Planet Hollywood, Las Vegas, NV, USA ccnc2016.ieee-ccnc.org/

01. 08.-01. 10. 2016 IEE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Measurement and Instrumentation (CMI) Jadavpur University, Kolkata, India www.cmi2016india.org

01. 09.-01. 11.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 (ICCE)

Las Vegas Convention Center, Las Vegas , NV, USA icce.org

01. 10.-01. 12.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LSI Systems, Architecture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VLSI-SATA)

Amrita School of Engineering, Bangalore, India blr.amrita.edu/vlsi_sata/cfp.htm

01. 11.-01. 15. 2016 Joint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 INTERMAG Conference

Hilton San Diego Bayfront, San Diego, CA, USA [email protected]

01. 12.-01. 16. 2016 13th International Bhurban Conference on Applied Sciences and Technology (IBCAST)

tional Centre for Physics, Islamabad, Pakistan www.ibcast.org.pk/

01. 14.-01. 15. 2016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 Cloud System and Big Data Engineering (Confluenc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Noida, India www.amity.edu/asetau/confluence2016/

01. 15.-01. 17. 2016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puting and Management (ICACM) Dr.D.Y.Patil Pratisthan's, Pune, India www.icacm.info

01. 21.-01. 23. 2016 Second Asian Conference on Defence Technology (ACDT) Le Méridien Chiang Mai, Thailand www.acdt2016.com

01. 22.-01. 23.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pu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ICACCS )

Sri Eshwar College of Engineering, Coimbatore, India www.icaccs.sece.ac.in

01. 23.-01. 25.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electronics,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MicroCom)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Durgapur, India http://microcom16.nitdgp.ac.in

01. 24.-01. 27. 2016 IEEE Radio and Wireless Symposium (RWS) JW Marriott Austin, TX, USA [email protected]

01. 25.-01. 26. 2016 IEEE Life Sciences Grand Challenges Conference (LSGCC) TBD, Abu Dhabi, United Arab Emirates [email protected]

01. 25.-01. 28. 2016 Annual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Symposium (RAMS) Lowes Ventanna Canyon Resort, Tucson, AZ, USA www.RAMS.org

01. 27.-01. 30.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CEIC) Hyatt Regency, Danang, Vietnam www.iceic2016.org

01. 28.-01. 30. 2016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Instrumentation, Energy & Communication (CIEC)

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Kolkata, India www.ciec16.caluniv.in

전자공.indb 1004 2015-11-23 오후 1:28:19

Page 6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0561

일 자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홈페이지/연락처

01. 31.-02. 04. 2016 IEEE International Solid- State Circuits Conference - (ISSCC) San Francisco Marriott, CA, USA www.isscc.org/isscc/futureisscc.htm

〉〉 2016년 2월

02. 03.-02. 05.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 and Challenges in Cyber Security (ICICCS) Amity University Greater Noida, India amity.edu/inbushera/Page1.html

02. 10.-02. 12. 2016 Wearable Robotics Association Conference (wearRAcon) Arizona Grand Resort, Phoenix, AZ, USA wearablerobotics.com/wearraconfron

02. 11.-02. 12.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gnal Processing and Integrated Networks (SPIN) Amity University, NOIDA, India amity.edu/spin2016/index.html

02. 12.-02. 13. 2016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 Communication Technology (CICT)

A B E S E n g i n e e r i n g C o l l e g e , Ghaziabad, India www.cict.abes.ac.in

02. 14.-02. 16. 2016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putational Intelligence (ICACI) Chiang Mai, Thailand icaci.mae.cuhk.edu.hk/

02. 15.-02. 18.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ICNC)

Sheraton Kauai Resort, Kuaui, HI, USA www.conf-icnc.org/2016/

02. 16.-02. 18. 2016 7th Power Electronics and Drive Systems Technologies Conference (PEDSTC)

Ir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ehran, Iran pedstc2016.iust.ac.ir/index_e.aspx

02. 21.-02. 23. 9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Systems and Technologies (BIOSTEC) Rome, Italy www.biostec.org/

02. 23.-02. 26.2016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dern Problems of Radio Engineering. Telecommunications and Computer Science (TCSET)

National University Lviv Polytechnic, Lviv, Ukraine science.lp.edu.ua/TCSET

02. 24.-02. 26.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Computers (CONIELECOMP)

Universidad de las Américas Puebla, Cholula, Mexico ict.udlap.mx/conielecomp/2016/

02. 24.-02. 27. 2016 IEEE-EMB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and Health Informatics (BHI) Westin Las Vegas, NV, USA bhi.embs.org/2016/

02. 24.-02. 26.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Trends in Engineering, Technology and Science (ICETETS)

Kings College of Engineering, Pudukkottai, India www.icetets.com

02. 25.-02. 26.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Systems (ICECS)

Karpagam College of Engineering, Coimbatore, India www.icecs.in

02. 25.-02. 26.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Embedded Systems (ICICES)

S A ENGINEERING COLLEGE, CHENNAI, India www.saec.ac.in/icices2016

02. 26.-02. 27. 2016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en High Performance Computing (ICGHPC)

St.Xavier's Catholic College of Engineering, Nagercoil, India www.sxcce.edu.in/hpccloud/icghpc16.

02. 27.-02. 28. 2016 IEE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puting (IACC)

S R K R E n g i n e e r i n g C o l l e g e , Bhimavaram, India www.iacc2016.com

02. 28.-03. 02. 2016 IEEE 7th Latin American Symposium on Circuits & Systems (LASCAS)

Oceania Park Hotel, Florianopolis, SC, Brazil ieee-lascas.org/lascas2016/

02. 29.-03. 01. 2016 World Conference on Futuristic Trends in Research and Innovation for Social Welfare (Startup Conclave) Dr B Nagaraj, Coimbatore, India www.startupconclave.org.in

〉〉 2016년 3월

03. 03.-03. 05.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vices, Circuits and Systems (ICDCS) Karunya University, Coimbatore, India www.karunya.edu/ece/icdcs16/

03. 03.-03. 05.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cent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RAIT)

Indian School of Mines, Dhanbad, India www.ismdhanbad.ac.in/depart/cse/rait2016

03. 05.-03. 07. 2016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Systems and Network Technologies (CSNT) Chandigarh, India www.csnt.in

03. 05.-03. 05. 2016 IEEE Integrated STEM Education Conference (ISEC) Friend Center, Princeton, NJ, USA ewh.ieee.org/conf/stem/

03. 05.-03. 06. 2016 IEEE Students' Conference on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puter Science (SCEECS)

M A U L A N A A Z A D N AT I O N A L INSTITUTE OF TECHNOLOGY, Bhopal, India

http://www.ieeenitb.org/sceecs16/index.php

03.05.- 03. 12. 2016 IEEE Aerospace Conference Yellowstone Conference Center, Big Sky, MT, USA www.aeroconf.org

03. 06.-03. 11. 2016 IEEE IAS Electrical Safety Workshop (ESW) Hya t t Regency Jacksonv i l l e Riverfront, Jacksonville, FL, USA www.ewh.ieee.org/cmte/ias-esw/

전자공.indb 1005 2015-11-23 오후 1:28:19

Page 6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06 _ The Magazine of the IEIE 62

일 자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홈페이지/연락처

03. 07.-03. 10. 2016 IEEE Winter Conference on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WACV)

Crowne Plaza Resort, Lake Placid, NY, USA [email protected]

03. 07.-03. 10. 2016 11th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HRI)

Chateau on the Park, Christchurch, New Zealand humanrobotinteraction.org/2016/

03. 07.-03. 10. 2016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velopments in Power System Protection (DPSP)

The Sheraton Hotel, Edinburgh, United Kingdom www.theiet.org/dpsp

03. 07.-03. 10. 2016 SI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trol Systems (ISCS) Nanzan University, Nagoya, Japan [email protected]

03. 08.-03. 10.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ing and Operations Management (IEOM)

JW Marriott Hotel, Kuala Lumpur, Malaysia iieom.org/ieom2016/

03. 10.-03. 11. 2016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Computer Interactions (ICHCI)

Saveetha School of Engineering, Chennai, India www.ichci16.com

03. 12.-03. 16. 2016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Performance Computer Architecture (HPCA)

Hotel Princesa Sofia, Barcelona, Spain hpca22.ac.upc.edu

03. 13.-03. 18.2016 IEEE/AC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ICWITS) and Applied Computational Electromagnetics (ACES)

Hilton Hawaiian Village Waikiki Beach Resort &Spa, Honolulu, HI, USA aces-society.org/conference/2016/

03. 14.-03. 16. 2016 IEEE Conference on Advances in Magnetics (AIM) Hotel Palace Wellness & Beauty, BORMIO, Italy 2016.tr.unipg.it/

03. 14.-03. 16. 2016 IEEE MTT-S International Wireless Symposium (IWS) Shanghai, China www.iws-ieee.org

03. 14.-03. 16. 2016 IEEE Electrical Safety, Technical & Mega Projects Workship (ESTMP)

Marriott River Cree Resort, Enoch, AB, Canada [email protected]

03. 14.-03. 18. 2016 Design, Automation & Test in Europe Conference & Exhibition (DATE)

MARITIM Hotel & Internationales Congress Center Dresden, Dresden, Germany

www.date-conference.com/

03. 14.-03. 18.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PerCom)

Doltone House Darl ing Island, Sydney, Australia www.percom.org

03. 15.-03. 16. 2016 3rd ME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and Smart City (ICBDSM) Middle East College, Muscat, Oman www.mec.edu.om/conf2016

03. 16.-03. 18.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and Advanced Computing (SAPIENCE)

Sree Narayana Gurukulam College of Engineering, Ernakulam, India sapience16.org

03. 16.-03. 18.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for Sustainable Global Development (INDIACom)

Bharat i Vidyapeeth's Inst i tute of Computer Applications and Management (BVICAM), New Delhi, India

www.bvicam.ac.in/indiacom/

03. 16.-03. 18. 2016 Annu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cience and Systems (CISS) Friend Center, Princeton, NJ, USA ee-ciss.princeton.edu

03. 17.-03. 19.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ergy Systems (ICEES)

Sri Sivasubramaniya Nadar College of Engineering, Chennai, India icees2016.org/

03. 17.-03. 18. 2016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s in Information Embedded and Communication Systems (ICIIECS)

Karpagam College of Engineering, Coimbatore, India www.iciiecs.in

03. 18.-03. 19.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rcuit ,Power and Computing Technologies (ICCPCT)

Noorul Islam Centre For Higher Education, KK Dist, India www.niueee.in

03. 19.-03. 20. 2016 IEEE Symposium on 3D User Interfaces (3DUI) Hyatt Regency, Greenville, SC, USA [email protected]

03. 19.-03. 23. 2016 IEEE Virtual Reality (VR) Greenville Hyatt Regency, Greenville, SC, USA ieeevr.org/2016

03. 20.-03. 24. 2016 IEEE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APEC)

Long Beach Convent ion and Entertainment Center, Long Beach, CA, USA

www.apec-conf.org/

03. 20.-03. 25. ICASSP 2016 -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ICASSP)

Shanghai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Pudong, Shanghai, China [email protected]

03. 21.-03. 24. 2016 IEEE European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EuroS&P)

C o n g r e s s - C e n t r u m S a a r , Saarbrücken, Germany [email protected]

03. 21.-03. 23. 2016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Technologies for Signal and Image Processing (ATSIP) TBD, Tunisia [email protected]

03. 23.-03. 25.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s, Signal Processing and Networking (WiSPNET)

Sri Sivasubramaniya Nadar College of Engineering, Chennai, India [email protected]

전자공.indb 1006 2015-11-23 오후 1:28:19

Page 6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0763

일 자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홈페이지/연락처

03. 25.-03. 26.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Online Analysis and Computing Science (ICOACS) Ease Inn, Chongqing, China icoacs.org

03. 30.-04. 01. 2016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emocracy & eGovernment (ICEDEG)

UNIVERSIDAD DE LAS FUERZAS ARMADAS (ESPE), Quito, Ecuador edem-egov.org

03. 30.-04. 01.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for Organizations Development (IT4OD)

ENSA of FEZ : National School of Applied Sciences, Fez, Morocco www.it4od2016.science-conferences.net/

03. 30.-04. 03. SoutheastCon 2016 Waterside Marriott, Norfolk, VA, USA IEEESoutheastCon.org

〉〉 2016년 4월

04. 03.-04. 06. 2016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Workshops (WCNCW) Sheraton Doha, Qatar www.ieee-wcnc.org/2016

04. 03.-04. 06. 2016 IEEE PES Insulated Conductors Committee Meeting (PES-ICC Spring)

The Westin Beach Resort & Spa Ft. Lauderdale, FL, USA

www.pesicc.org/iccwebsite/meetings/future_meetings.htm

04. 04.-04. 08. 2016 IEEE International Energy Conference (ENERGYCON) University of Leuven, Belgium www.ieee-energycon2016.org/

04. 06.-04. 08.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ICCSP) APEC, MADRAS, India www.iccsp-apec.com/

04. 07.-04. 08.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for Sustainability (ICEETS)

St. Xavier's Catholic College of Engineering, Nagercoil, India www.iceets16.com

04. 08.-04. 10. 2016 IEEE Region 2 Student Activities Conference (SAC) Cleveland State University, OH, USA www.ieeecsu.org

04. 08.-04. 10. 2016 IEEE Region 5 Conference Intercontinental on the Plaza, Kansas City, MO, USA [email protected]

04. 08.-04. 11. 2016 IEEE Haptics Symposium (HAPTICS) Doub leTree by H i l t on Ho te l Philadelphia Center City, PA, USA 2016.hapticssymposium.org/

04. 10.-04. 15. IEEE INFOCOM 2016 - 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Hyatt Regency San Francisco, CA, USA www.ieee-infocom.org/2016

04. 10.-04. 13. 2016 IEEE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Conference (EDUCON) Khalifa University Abu Dhabi, United Arab Emirates educon-conference.org/educon2016/

04. 10.-04. 13. OCEANS 2016 - Shanghai Shanghai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SHICC), Shanghai, China www.oceans16mtsieeeshanghai.org/

04. 11.-04. 14. 2016 IEEE/ION Position, Location and Navigation Symposium - PLANS 2016 Hyatt Regency Savannah, GA, USA www.plansconference.org

04. 11.-04. 15.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Testing, Verification and Validation (ICST)

Holiday Inn Chicago Mart Plaza River North, IL, USA www.cs.uic.edu/~icst2016/index.htm

04. 11.-04. 13. 2016 IEEE 17th Annual Wireless and Microwave Technology Conference (WAMICON)

Clearwater Beach Marriott Suites on Sand Key, FL, USA www.wamicon.org

04. 13.-04. 16. 2016 IEEE 13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medical Imaging (ISBI 2016) TBD, Prague, Czech Republic [email protected]

04. 15.-04. 15. 2016 IEEE Workshop on Microelectronics and Electron Devices (WMED)

Student Union Building Boise State Universit, ID, USA

www.ewh.ieee.org/r6/boise/wmed2015/WMED2015.html

04. 17.-04. 20. 2016 IEEE 11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no/Micro Engineered and Molecular Systems (NEMS)

Hotel Matsushima Taikanso, Miyagi, Japan ieee-nems.org/2016/

04. 17.-04. 21. 2016 IEEE International Reliability Physics Symposium (IRPS) Pasadena Convention Center, CA, USA www.irps.org

04. 18.-04. 21. 2016 Annual IEEE Systems Conference (SysCon) Hyatt Grand Cypress, Orlando, FL, USA ieeesyscon.org

04. 18.-04. 20. 2016 18th Mediterranean Electrotechnical Conference (MELECON) Saint Raphael Hotel, Limassol, Cyprus www.melecon2016.org

04. 18.-04. 20. 2016 First International Forum on Disaster Strategic Planning and Management (IDSPM Forum) Hilton Hotel, Saudi Arabia goo.gl/qJITHR

04. 19.-04. 21. 2016 IEEE International Vacuum Electronics Conference (IVEC) Monterey Marriott, CA, USA ivec2016.org/

04. 19.-04. 21. 2016 IET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Machines and Drives (PEMD)

The Hilton Hotel, Glasgow, United Kingdom www.theiet.org/pemd

04. 20.-04. 21.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 of Power, Energy Information and Commuincation (ICCPEIC)

Adhiparasakthi Engineering College, Chennai, India www.iccpeic.weebly.com

전자공.indb 1007 2015-11-23 오후 1:28:19

Page 7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08 _ The Magazine of the IEIE 64

일 자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홈페이지/연락처

04. 20.-04. 21. 2016 4th International Istanbul Smart Grid Congress and Fair (ICSG)

HALIC CONGRESS CENTER, ISTANBUL, Turkey www.icsgistanbul.com

04. 20.-04. 22.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wave and Millimeter Wave Technology (ICMMT) TBD, Beijing, China www.emfield.org/icmmt2016

04. 25.-04. 27. 2016 International Symposium on VLSI Design, Automation and Test (VLSI-DAT) Ambassador Hotel Hsinchu, Taiwan expo.itri.org.tw/2016vlsidat

04. 25.-04. 27. 2016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gital Forensic and Security (ISDFS)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AR, USA www.isdfs.org/

04. 25.-04. 27. 2016 IEEE 34th VLSI Test Symposium (VTS) Caesars Palace, Las Vegas, NV, USA tttc-vts.org/public_html/new/2016/

04. 25.-04. 29. NOMS 2016 - 2016 IEEE/IFIP Network Operations and Management Symposium Istanbul Technical University, Turkey noms2016.ieee-noms.org/

04. 29.-04. 30.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Communication and Automation (ICCCA) GALGOTIAS UNIVERSITY, India www.iccca2016.com

전자공.indb 1008 2015-11-23 오후 1:28:19

Page 71: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09

The Magazine of the IEIE

특별회원사 및 후원사 명단

회원명 대표자 주소 전화 홈페이지

65

국제종합측기 박재욱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31 02-553-0901 http://www.msinter.co.kr

나노종합기술원 이재영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53-3 042-366-1500 http://www.nnfc.re.kr

네이버(주) 김상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6 (정자동 그린팩토리) 031-784-2560 http://www.nhncorp.com

넥서스칩스 김덕명 서울시 송파구 가락본동 IT벤처타워 서관 12층 02-2142-1310 http://www.nexuschips.com

넥스트칩 김경수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949-3 02-3460-4700 http://www.nextchip.com

(주)넥스파시스템 이상준 서울시 성동구 자동차시장 1길 18 105호 02-2243-4011 http://www.nexpa.co.kr

누리미디어 최순일 서울시 마포구 대흥동 446 02-702-1771 http://www.nurimedia.co.kr

다우인큐브 이예구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23-7 다우디지털스퀘어 070-8707-2500 http://www.daouincube.com

대구테크노파크 송인섭 대구시 달서구 대천동 891-5 053-602-1803 http://www.mtcc.or.kr

대덕G.D.S 유영훈 경기도 안산시 목래동 475 031-481-8006 http://www.daeduckgds.co.kr

대덕전자 김영재 경기도 안산시 목래동 390-1 031-481-8005 http://www.dacduck.com

대성전기 이철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43-5 031-494-1141 http://www.dsec.co.kr

대전테크노파크 염홍철 대전시 유성구 탑립동 694 042-930-4300 http://www.djtp.or.kr

(주)더즈텍 김태진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 292 금강펜테리움IT타워 A동 1061호 031-450-6300 http://www.doestek.co.kr

덴소풍성전자 김경섭 경남 창원시 성산구 외동 853-11 055-600-9227 http://www.dnpe.co.kr

동부하이텍 박용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1-10 02-3484-2888 http://www.dongbuhitek.co.kr

동아일렉콤 손성호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5가 526 02-757-2050 http://www.dongahelecomm.co.kr

동운아나텍 김동철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467-80 아리랑타워 9층 02-3465-8765 http://www.dwanatech.com

라온텍 김보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9 070-7545-1779 http://www.raon-tech.com

만도 정몽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 413-5 031-300-5126 http://www.mando.com

문화방송 안광한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1 02-784-2000 http://www.imbc.com

삼성전자 권오현 서울시 서초구 서초2동 1320-10 삼성전자빌딩 1588-3366 http://samsungelectronics.com/kr

삼성탈레스 변승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188 031-601-5100 http://www.samsungthales.com

삼화콘덴서공업 황호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북리 124 031-332-6441 http://www.samwha.co.kr

세미솔루션 이정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1029 흥덕U타워 지식산업센터 031-627-5300 http://www.semisolution.com

세원텔레텍 김철동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023 031-422-0031 http://www.sewon-teletech.co.kr

(주)스카이크로스코리아 조영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980-3 디지털엠파이어빌딩 C동 801호 031-267-1662 http://www.skycross.cco.kr

㈜대동 조명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43-2 031-493-3000 http://www.dae-dong.biz

실리콘마이터스 허 염 서울시 성동구 행당1동 한양대학교 HIT 418호 02-2297-7077 http://www.siliconmitus.com

실리콘웍스 한대근 대전시 유성구 탑립동 707 042-712-7700 http://www.siliconworks.co.kr/

(주)쏠리드 정 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쏠리드스페이스 031-627-6000 http://www.st.co.kr

아나패스 이경호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197-12 신세계아이앤씨 디지털센타 6층 02-6922-7400 http://www.anapass.com

아바고테크놀로지스 전성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15 02-2155-4710 http://www.avagotech.kr

아이닉스 황정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980-3 031-204-7333 http://www.eyenix.com/

㈜아이에이 김동진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22길 5-23 02-3015-1300 http://www.ia-inc.kr

안리쓰코퍼레이션 오사무나가타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832-41 현죽빌딩 8층 02-553-6603 http://www.anritsu.com

에디텍 정영교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811 02-2025-0088 http://www.aditec.co.kr

에스넷시스템㈜ 윤상화 서울 강남구 삼성동 141(성원빌딩 10층) 02-3469-2994 http:// www.snetsystems.co.kr

에스엘 이충곤 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1208-6 053-850-8775 http://www.sl.co.kr

전자공.indb 1009 2015-11-23 오후 1:28:20

Page 72: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10 _ The Magazine of the IEIE

회원명 대표자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66

회원명 대표자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유라코퍼레이션 엄병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686-1 070-7878-1000 http://www.yuracorp.co.kr

유텔 김호동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381-4 031-427-1020 http://www.u-tel.co.kr

이노피아테크 장만호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333-7 금강펜테리움 IT타워 031-730-0575 http://www.innopiatech.com

이디 박용후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보통길 10 031-730-7320 http://www.ed.co.kr

이지테크 강현웅 서울시 양천구 신정4동 1008-12 02-2608-2633 http://www.ezlab.com

전자부품연구원 김경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68 031-789-7000 http://www.keti.re.kr

지에스인스트루먼트 고재목 인천시 남구 주안동 1385-14 032-870-5641 http://www.gsinstrument.com

지엠테스트 고상현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군서리 134 041-410-2600 http://www.gmtest.com

충북테크노파크 남창현 충북 청원군 오창읍 연구단지로 40 043-270-2000 http://www.cbtp.or.kr

현대오트론 박상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44 엠텍IT타워 031-627-0990 http://www.hyundai-autron.com

케이던스코리아 신용석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196 031-728-3114 http://www.cadence.com

현대케피코 박상규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410 031-450-9015 http://www.hyundae-kefico.com

코아리버 배종홍 서울시 송파구 가락본동 78번지 IT벤처타워 서관 11층 02-2142-3400 http://www.coreriver.com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선우 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20 솔리드스페이스빌딩 031-697-3800 http://www.conti-automotive.co.kr

텔레칩스 이장규 서울시 송파구 신천동 7-20 루터회관 02-3443-6792 http://www.telechips.com

티에이치엔 채 석 대구시 달서구 갈산동 973-3 053-583-3001 http://www.th-net.co.kr

티엘아이 김달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45-1 파인벤처빌딩 031-784-6800 http://www.tli.co.kr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김귀남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도당동 82-3 032-671-3842 http://www.fairchildsemi.com

SK 하이닉스 박성욱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아미리 산 136-1 031-630-4114 http://www.skhynix.com

한국멘토그래픽스(유) 양영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타빌딩 21층 02-551-3434 http://www.mentorkr.com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김승렬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5-12 080-769-0800 http://www.agilent.co.kr

한국인터넷진흥원 이기주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09 02-405-4118 http://www.kisa.or.kr/

한국전기연구원 김호용 경남 창원시 성주동 28-1 055-280-1114 http://www.keri.re.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흥남 대전시 유성구 가정동 161 042-860-6114 http://www.etri.re.kr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임차식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7-2 031-724-0114 http://www.tta.or.kr

한라비스테온공조 박용환 대전시 대덕구 신일동 1689-1 042-930-6114 http://www.hvccglobal.com

한백전자 진수춘 대전시 유성구 궁동 487-1 042-610-6111 http://www.hanback.co.kr

현대로템 한규환 경기도 의왕시 삼동 462-18 031-596-9045 http://www.hyundai-rotem.co.kr

현대모비스 정명철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679-4 서울인터내셔널타워 02-2018-5114 http://www.mobis.co.kr

현대엠엔소프트 유영수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4가 114-38 02-3483-8500 http://www.hyundai-mnsoft.com

현대자동차그룹 양웅철 경기도 화성시 장덕동 772-1 02-3464-1114 http://www.hyundai-motor.com

휴먼칩스 손민희 서울시 송파구 가락본동 10 신도빌딩 070-8671-4700 http://www.humanchips.co.kr

휴인스 송태훈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16-3 코포모빌딩 031-719-8200 http://www.huins.com

히로세 코리아㈜ 이상엽 경기 시흥시 정왕동 희망공원로 250 031-496-7000 http://www.hirose.co.kr

FCI 한상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55번길 35(삼평동) 실리콘파크 B동 7층 031-782-3700 http://www.fci.co.kr

I&C테크놀로지 박창일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78 IT벤처타워 동관 18층 02-2142-3300 http://www.inctech.co.kr

KT 황창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206 031-727-0114 http://www.kt.co.kr

LDT 김철호 충남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 538 M프라자 3층 041-520-7300 http://www.ldt.co.kr

LG전자 구본준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0 02-3777-1114 http://www.lge.co.kr

LIG 넥스원 이효구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38 푸르덴셜타워 10층 1644-2005 http://www.lignex1.com

RadioPulse 왕성호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111-6 02-478-2963 http://www.radiopulse.co.kr

SK Telecom 하성민 서울시 중구 을지로2가 11 SK-T-Tower 02-2121-2114 http://www.sktelecom.com

회원명 대표자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전자공.indb 1010 2015-11-23 오후 1:28:20

Page 73: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11

The Magazine of the IEIE

단체회원 명단

회원명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67

가톨릭대중앙도서관 경기부천시원미구역곡2동산43-1 032-340-3607

가톨릭상지대학도서관 경북안동시율세동393 032-340-3607 http://www.csangji.ac.kr/~library/

강릉대도서관 강원강릉시지변동산1 http://211.114.218.253/

강원관광대도서관 강원태백시황지동439 033-552-9005 http://www.kt.ac.kr

강원대도서관 강원춘천시효자2동192-1 033-250-9000 http://library.kangwon.ac.kr

경동대도서관 강원고성군토성면봉포리산91-1 033-639-0371 http://www.kyungdong.ac.kr

경주대도서관 경북경주시효현동산42-1 054-770-5051 http://www.kyongju.ac.kr

건국대도서관 서울성동구모진동93-1 02-450-3852 http://www.konkuk.ac.kr

건양대중앙도서관 충남논산시내동산30 041-730-5154 http://lib.konyang.ac.kr

경기대중앙도서관 경기수원시팔달구이의동산94-6 031-240-7135 http://203.249.26.247/

경기공업대도서관 경기시흥시정왕동시화공단3가102 031-496-4571 http://210.181.136.6/

경남대중앙도서관 경남마산시월영동449 055-249-2906 http://library.kyungnam.ac.kr

경도대도서관 경북예천군예천읍청복리947-1 054-650-0143 http://libweb.kyongdo.ac.kr

경북대도서관 대구북구산격동1370 053-955-500 1 http://kudos.knu.ac.kr

경북대전자공학과 대구북구산격동1370 053-950-5506 http://palgong.knu.ac.kr

경운대벽강중앙도서관 경북구미시산동면인덕리55 054-479-1083 http://www.kyungwoon.ac.kr

경일대도서관 경북경산군하양읍부호리33 053-950-7790 http://cham.kyungil.ac.kr

경산대도서관 경북경산시점촌동산75 http://library.ksucc.ac.kr

경상대도서관 경남진주시가좌동900 055-751-5098 http://library.gsnu.ac.kr

경성대도서관 부산남구대연동110-1 051-620-4394 http://kulis1.kyungsung.ac.kr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경기용인시기흥구서천동1번지 031-201-3219 http://library.khu.ac.kr

고려대과학도서관 서울성북구안암동5가1번지 02-920-1709 http://kulib.korea.ac.kr

고려대서창캠퍼스도서관 충남연기군조치원읍서창동208 http://kuslib.korea.ac.kr

고속도로정보통신공단 경기용인기흥읍공세리260-1 031-280-4230

공군사관학교도서관 충북청원군남일면쌍수리사서함335-1 043-229-6085 http://www.afa.ac.kr

공군전투발전단무기체계실 충남논산군두마면부남리사서함501-317호 041-506-5260, 5281

공주대도서관 충남공주시신관동182 041-850-8691 http://knulib.kongju.ac.kr

광명하안도서관 경기광명시하안2동683 031-680-6376 http://www.kmlib.or.kr

광운대도서관 서울노원구월계동447-1 02-918-1021~2 http://kupis.kwangwoon.ac.kr

국민대성곡도서관 서울성북구정릉동861-1 02-910-4200 http://kmulmf.kookmin.ac.kr

김포대학도서관 경기김포시월곶면포내리산14-1 031-999-4126 http://lbr.kimpo.ac.kr

국방대학교도서관 서울은평구수색동205 02-300-2415

국방제9125부대 서울중앙우체국사서함932호

국방품질관리연구소정보관리실 서울청량리우체국사서함 276호 http://dqaa.go.kr

국방과학연구소서울자료실 서울송파구송파우체국사서함132호 02-3400-2541 http://www.add.re.kr

방위사업청 서울용산구용산2가동7번지 02-2079-5213

극동대학교도서관 충북음성군감곡면왕장리산5-14 043-879-3568 http://lib.kdu.ac.kr

금강대학교도서관 충남논산시 상월면 대명리 14-9 041-731-3322 http://lib.ggu.ac.kr

LG정밀(주)제2공장자료실 경기오산시가수동379 031-772-1171(318) http://www.lginnotek.com

전자공.indb 1011 2015-11-23 오후 1:28:20

Page 74: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12 _ The Magazine of the IEIE

회원명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68

LG정보통신(주)자료실 경북구미시공단동299 054-460-5311 http://www.lge.co.kr

금오공대도서관 경북구미시신평동188-1 054-461-0131~4 http://ran.kumoh.ac.kr

남서울대도서관 충남천안시성환읍매주리21 041-580-2076 http://ness.nsu.ac.kr

단국대도서관 울용산구한남동산8 02-709-2135 http://www.dankook.ac.kr

단국대율곡기념도서관 충남천안시안서동산29-1 041-741-6040(1613) http://dulis.anseo.dankook.ac.kr

대구대도서관 대구남구대명동2288 053-850-2081~6 http://love.taegu.ac.kr

대원공과대학도서관 충북제천시신월동산22-8 043-649-3202 http://lib.daewon.ac.kr

동서울대학도서관 경기성남시수정구복정동423 031-720-2191 http://dlibrary.dsc.ac.kr

대전대도서관 대전동구용운동96-3 042-280-2673 http://libweb.taejon.ac.kr

대전한밭대도서관 대전동구삼성2동305-3 042-630-0616 http://tjdigital.tnut.ac.kr

대전한밭도서관 대전중구문화동145-3 042-580-4255 http://hanbat.metro.taejon.kr

대진대중앙도서관 경기포천군포천읍선단리산11-1 031-535-8201~5 http://library.daejin.ac.kr

대천대도서관 충남보령시주포면관산리산6-7 041-939-3026 http://www.dcc.ac.kr

동강대도서관 광주시 북구 두암동771 062-520-2114 http://dongkang.ac.kr

동국대도서관 서울중구필동3가26 02-260-3452 http://lib.dgu.ac.kr

동서대도서관 부산사상구주례동산69-1 051-320-1640 http://libcenter.dongseo.ac.kr

동아대도서관 부산서구동대신동3가1 051-204-0171 http://av3600.donga.ac.kr

동양대도서관 경북영주시풍기읍교촌동1번지 054-630-1053 http://dyucl.dyu.ac.kr

동양공업전문대학도서관 서울구로구고척동62-160 02-610-1731 http://www.dongyang.ac.kr

동원대학술정보센터 경기광주군실촌면신촌리산1-1 031-763-8541(140) http://www.tongwon.ac.kr

두원공과대학도서관 경기안성군죽산면장원리678 http://www.doowon.ac.kr

만도기계중앙연구소 경기남양주군와부읍덕소리95 031-768-6211 http://www.mando.com

목원대도서관 대전중구목동24 042-252-9941~50 http://lib.mokwon.ac.kr

목포대도서관 전남무안군청계면도림리61 http://203.234.22.46/

목포해양대도서관 전남목포시죽교동572 061-240-7114 http://lib.miryang.ac.kr

배재대도서관 대전서구도마2동439-6 042-520-5252 http://lib.mmu.ac.kr

부경대도서관 부산남구대연3동599-1 051-622-3960 http://libweb.pknu.ac.kr

부산대도서관 부산금정구장전동산30 051-510-1814 http://pulip.pusan.ac.kr

부산외국어대도서관 부산남구우암동산55-1 http://www.pufs.ac.kr

부천대도서관 경기부천시원미구심곡동454-3 032-610-3272 http://www.bucheon.ac.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정보자료실 서울동대문구청량리동206-9 http://www.kiniti.re.kr

삼지전자(주) 서울금천구가산동459-21 02-850-8167

삼척산업대도서관 강원삼척시교동산253 033-570-6278 http://lib.samchok.ac.kr

상명대학교컴퓨터시스템공학전공 충남천안시안서동산98-20 041-550-5356

상주대도서관 경북상주시가장동386 054-530-5641 http://san.sangju.ac.kr

상지대중앙도서관 강원원주시우산동산41 033-730-0366 http://lib.sangji.ac.kr

생산기술연구원정보자료실 서울금천구가산동371-36 02-850-9142~3 http://www.kitech.re.kr

산업기술시험평가연구소자료실 서울구로구구로동222-13 02-860-1292 http://www.ktl.re.kr

삼성SDI 경기용인시기흥구공세동 031-288-4121 http://www.samsungSDI.co.kr

서강대도서관 서울마포구신수동1-1 02-751-0141 http://loyola1.sogang.ac.kr

서경대도서관 서울성북구정릉동16 02-940-7036 http://lib.seokyeong.ac.kr

서울대도서관 서울관악구신림동산56-1 02-880-5114 http://solarsnet.snu.ac.kr

서울대전기공학부해동학술정보실 서울관악구신림동산56-1 02-880-7278

전자공.indb 1012 2015-11-23 오후 1:28:20

Page 75: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13

회원명 주소 전화 홈페이지

69

서울산업대도서관 서울도봉구공릉동172 02-972-1432 http://cdserver.snut.ac.kr

서울시립대도서관 서울동대문구전농동8-3 02-2245-8111 http://plus.uos.ac.kr

서울여자대도서관 서울노원구공릉2동126 02-970-5305 http://lib.swu.ac.kr

서울통신기술(주)통신연구소 서울강동구성내3동448-11 02-2225-6613 http://www.scommtech.co.kr

선문대도서관 충남아산시탕정면갈산리100 041-530-2525 http://delta.sunmoon.ac.kr

성결대도서관 경기안양시안양8동147-2 http://211.221.247.5

성균관대과학도서관 경기수원시장안구천천동287-1 031-290-5114 http://skksl.skku.ac.kr

성남산업진흥재단(재) 경기성남시수정구수진1동587 031-758-9901 http://www.ked.or.kr

성신여대도서관 서울성북구동선동3가249-1 02-920-7275 http://lib.sungshin.ac.kr

세종대도서관 서울광진구군자동98 02-3408-3098 http://sjulib.sejong.ac.kr

수원대중앙도서관 경기화성군봉담면와우리산2-2 031-232-2101(378) http://lib.suwon.ac.kr

수원과학대도서관 경기화성군정남면보통리산9-10 031-252-8980 http://www.suwon-sc.ac.kr

순천대도서관 전남순천시매곡동315 061-752-8131 http://203.246.106.33/

숭실대도서관 서울동작구상도1동1-1 02-820-0114 http://oasis.soongsil.ac.kr

안동대도서관 경북안동시송천동388 054-850-5238 http://library.ajou.ac.kr

안산1대학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 752 031-400-6900 http://www.ansan.ac.kr

안양대도서관 경기안양시만안구안양5동708-113 031-670-7557 http://www.anyang.ac.kr

안양과학대학도서관 경기안양시만안구안양3동산39-1 031-441-1058~9 http://www.anyang-c.ac.kr

에스씨지코리아(주) 서울강남구대치3동942해성B/D17층 02-528-2700 http://www.onsemi.com

에이치텔레콤(주) 경기도성남시중원구상대원동513-15 031-777-1331 http://www.htel.co.kr

여수대도서관 전남여수시둔덕동산96-1 061-659-2602 http://www.yosu.ac.kr

연세대도서관 서울서대문구신촌동134 02-361-2114 http://library.yonsei.ac.kr

영남대중앙도서관 경북경산시대동214-1 053-882-4134 http://libs.yeungnam.ac.kr

영동공과대학도서관 충북영동군영동읍설계리산12-1 043-740-1071~2 http://210.125.191.101/

오산전문대학도서관 경기오산시청학동17 031-372-1181 http://osanlib.osan-c.ac.kr

(주)오피콤 서울강남구수서동724(로스데일B/D5층) 02-3413-2500 http://www.opicom.co.kr

충북과학대학도서관 충북옥천군옥천읍금구리40 043-730-6251 http://www.ctech.ac.kr

용인대도서관 경기용인시삼가동470 031-30-5444 http://www.yongin.ac.kr

우리기술투자(주) 서울강남구대치동946-14(동원B/D14층) 02-508-7744 http://www.wooricapital.co.kr

우송대중앙도서관 대전동구자양동산7-6 042-630-9668~9 http://pinetree.woosongtech.ac.kr

울산대중앙도서관 울산광역시남구무거동산29 052-278-2472 http://library.ulsan.ac.kr

원광대중앙도서관 전북이리시신룡동344-2 063-850-5444 http://library.wonkwang.ac.kr

(주)원이앤씨 성남구 중원구 상대원동 190-1 031-776-0377

위덕대학교도서관 경북경주시강동면유금리산50 054-760-1051 http://lib.uiduk.ac.kr

유한대학도서관 경기부천시소사구괴안동185-34 http://ic.yuhan.ac.kr

육군제1266부대연구개발처자료실 부산남구대연동우체국사서함1-19

육군사관학교도서관 서울노원구공릉동사서함77호 02-975-0064 http://www.kma.ac.kr

육군종합군수학교도서관 대전유성구추목동사서함78-401 042-870-5230

익산대학도서관 전북익산시마동194-5 063-840-6518 http://library.iksan.ac.kr

이화여대중앙도서관 서울서대문구대현동11-1 02-3277-3137 http://ewhabk.ewha.ac.kr

인제대도서관 경남김해시어방동607번지 055-320-3413 http://ilis1.inje.ac.kr

인천대도서관 인천남구도화동177 032-774-5021~5 http://wlib.incheon.ac.kr

인천전문대도서관 인천남구도화동235 http://www.icc.ac.kr

전자공.indb 1013 2015-11-23 오후 1:28:20

Page 76: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014 _ The Magazine of the IEIE

회원명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70

(주)인텍웨이브 서울구로구구로3동197-17(에이스테크노타워501) 02-3282-1185 http://www.intechwave.com

인하대도서관 인천남구용현동253 032-862-0077 http://library.inha.ac.kr

인하공전도서관 인천남구용현동253 032-870-2091-3 http://library.inhatc.ac.kr

전남과학대학도서관 전남곡성군옥과면옥과리산85 061-360-5050 http://www.chunnam-c.ac.kr

전남대도서관 광주북구용봉동300 062-550-8315 http://168.131.53.95/

호원대도서관 전북군산시임피면월하리727 063-450-7106 http://indang.howon.ac.kr

전주대중앙도서관 전북전주시완산구효자동3가1200 063-220-2160 http://lib.jeonju.ac.kr

우석대학도서관 전북완주군삼례읍후정리490 063-273-8001(206) http://library.woosuk.ac.kr

제주대도서관 제주제주시아라1동1 064-755-6141 http://chulic.cheju.ac.kr

중부대도서관 충남금산군추부면마전리산2-25 041-750-6571 http://www.joongbu.ac.kr

중앙대도서관 서울동작구흑석동221 02-815-9231 http://www.lib.cau.ac.kr

중앙대안성도서관 경기안성군대석면내리 http://www.alib.cau.ac.kr

창원대학도서관 경남창원시퇴촌동234 055-283-2151 http://lib.changwon.ac.kr

창원시립도서관 창원시반송동산51-5 055-281-6921~2 http://city.changwon.kyongnam.kr

청양대도서관 충남청양군청양읍벽천리90 http://www.cheongyang.ac.kr

청주대도서관 충북청주시상당구내덕동36 043-229-8648 http://wuam.chongju.ac.kr

천안대도서관 충남천안시안서동산85-1 http://moon.chonan.ac.kr

천안공업대자료실 충남천안시부래동275 http://www.cntc.ac.kr

한국철도대학도서관 경기의왕시월암동산1-4 031-454-4019 http://library.krc.ac.kr

초당대도서관 전남무안군무안읍성남리419 061-450-1901~3 http://library.chodang.ac.kr

충북대도서관 충북청주시개신동산48 043-261-3114~9 http://cbnul.chungbuk.ac.kr

충주대도서관 충북중원군이류면검단리123 043-842-7331~5 http://chains.chungju.ac.kr

탐라대도서관 제주서귀포시하원동산70 064-735-2000 http://www.tamna.ac.kr

특허청심사4국전자심사담당관실 대전서구둔산동920 042-481-5673

포항공과대학도서관 경북포항시포항우체국사서함125호 054-275-0900 http://www.postech.ac.kr

한경대도서관 경기안성시석정동67 031-670-5041 http://www.hankyong.ac.kr

하남시립도서관 경기하남시신장동520-2 031-790-6597 http://hanamlib.go.kr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원 경기광주시 역동 181-3 031-764-3301 http://www.icpc.ac.kr

한국과학기술원과학도서관 대전유성구구성동373-1 042-861-1234 http://darwin.kaist.ac.kr

한국과학기술연구원도서관 서울성북구하월곡동39-1 02-962-8801(2418) http://161.122.13.12/

한국기술교육대학도서관 충남천안군병천면가전리산37 041-560-1253~4 http://dasan.kut.ac.kr

한국방송통신대학도서관 서울종로구동숭동169 02-7404-381 http://knoulib.knou.ac.kr

한국산업기술대도서관 경기시흥시정왕동사화공단3가101 031-496-8002 http://www.kpu.ac.kr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서울강남역삼동701-7(한국기술센타11층) 02-6009-8034 http://www.itep.re.kr

한국외국어대용인캠퍼스도서관 경기용인군왕산리산89 031-309-4130 http://weblib.hufs.ac.kr

한국전력기술(주) 경기도용인시구성읍마북리 360-9 031-289-4015 http://www.kopec.co.kr

한전전력연구원기술정보센터 대전유성구문지동103-16 042-865-5875 http://www.kepri.re.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도서실 대전유성구가정동161 042-860-5807 http://www.etri.re.kr

한국조폐공사기술연구소기술정보실 대전유성구가정동90 042-823-5201(592) http://www.komsep.com

한국철도기술연구원자료실 경기의왕시월암동374-1 031-461-8531 http://www.krri.re.kr

한국항공대도서관 경기고양시화전동200-1 031-309-1862 http://210.119.25.2/

한국항공우주연구소기술정보실 대전유성구어은동52 042-868-7811 http://www.kari.re.kr

한국해양대도서관 부산영도구동삼동1 051-414-0031 http://kmulib.kmaritime.ac.kr

전자공.indb 1014 2015-11-23 오후 1:28:20

Page 77: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전자공학회지 2015. 11 _ 1015

회원명 주소 전화 홈페이지

71

한동대도서관 경북포항시북구홍해읍남송리3 http://salt.handong.edu

한세대도서관 경기군포시당정동604-5 031-450-5165 http://lib.hansei.ac.kr

한양대도서관 서울성동구행당동17 02-209-2114 http://library.hanyang.ac.kr

한양대안산도서관 경기안산시대학동396 031-869-2111 http://information.hanyang.ac.kr

해군제9135부대군수발전부표준규격과 경남진해시현동사서함2호

해군사관학교도서관 경남진해시앵곡동사서함1-1 http://www.navy.ac.kr

해군정비창기술연구소 경남진해시현동사서함602-3호 055-549-3602

현대자동차기술관리부 정보자료실 경남울산시중구양정동700 http://www.hyundai-motor.com

SK 하이닉스 메모리연구소정보자료실 경기이천군부발읍아미리산136-1 031-630-4514

협성대학술정보관 경기화성군봉담읍상리8-1 031-299-0658 http://hulins.hyupsung.ac.kr

혜전대도서관 충남홍성군홍성읍남장리산16 041-630-5167 http://www.hyejeon.ac.kr

한라대학 강원원주시흥업면흥업리산66 031-760-1184 http://lib.halla.ac.kr

한서대도서관 충남서산군해미면대곡리360 041-660-1114 http://library.hanseo.ac.kr

호남대도서관 광주광산구서봉동59-1 062-940-5183 http://library.honam.ac.kr

호서대도서관 충남아산군배방면세출리산29-1 041-540-5080~7 http://library.hoseo.ac.kr

홍익대도서관 서울마포구상수동72-1 02-334-0151(409) http://honors.hongik.ac.kr

홍익대문정도서관 충남연기군조치원읍신안동 041-860-2241 http://shinan.hongik.ac.kr

대구효성가톨릭대도서관 경북경산시하양읍금락1리330 053-850-3264 http://lib.cataegu.ac.kr

전자공.indb 1015 2015-11-23 오후 1:28:20

Page 78: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박사학위 논문초록 게재 안내

본 학회에서는 전자공학회지에 국내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회원의 학위 논문초록을 게재하고 있으니

해당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단, 박사학위 취득후 1년 이내에 제출해 주시는 것에 한함.)

전자공학회지 <월간> 제42권 제11호(통권 제378호) The Magazine of the IEIE

2015년 11월 20일 인쇄 발행및 (사)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박 병 국

2015년 11월 25일 발행 편집인

인쇄인 한림원(주) 대표 김 흥 중

발행인 사 단 법 인 대 한 전 자 공 학 회

(우)135-703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역삼동, 과학기술회관 신관 907호)

TEL.(02)553-0255~7 FAX.(02)552-6093

E-mail : [email protected]

Homepage : http://www.theieie.org

씨티은행 102-53125-258

지로번호 7510904

이 학술지는 정부재원으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국문초록(요약):1000자이내

보내실 곳 _ 135-70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역삼동, 과학기술회관 신관 907호)

사무국 회지담당자앞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2)553-0255(내선 3) FAX : (02)552-6093

성명 (국문)(한문)(영문)

학위취득학교명대학교학과 생년월일 년월일

취득년월년월 지도교수

현근무처

(또는연락처)

주소(우편번호:-)

전화번호 FAX번호

학위논문제목국문

영문

KEYWORD

전자공.indb 1016 2015-11-23 오후 1:28:21

Page 79: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日本 工学 全分野의 技術書籍, 産業界 定期刊行物,日本 企業 技術報告書, 日本 政府 白書, 日本 産業.工業 新聞 등을 소장하고 있는 일본 공학.산업기술 전문 도서관

본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5동에 위치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바랍니다.문의처. 02-880-8279(담당:진수민) E-mail. [email protected] http://hjtic.snu.ac.kr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610호(대한전자공학회 해동자료실)에서도 소장도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문의처. 02-553-0255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theieie.org

国內唯一의 日本 工学.産業 技術情報図書館

전자공학회42-11표지.indd 2 2015-11-23 오후 1:30:39

Page 80: 전자공학42-11광고.indd 1 2015-11-23 오후 1:31:17ieieimages.ieieweb.org/Journal/Ebook/IEEK_Magazine/... · 2015. 11. 30. · 전자공학42-11광고.indd 4 2015-11-23 오후

11

42

월11

2015

()

의료영상과

응용방안

ISSN 1016-9288 제42권 11호

2015년 11월호

www.theieie.org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2. no.11의료영상과 응용방안• 레디오믹 (Radiomic)분석과 암 의료 영상

• 의료 초음파 영역 : 해부학적 영상 그 이상

• 의료용 내시경의 이해와 응용

• CT의 원리와 임상적용

• 영상 유전학 (Imaging genetics)을 통한 질병분석

전자공학회지 2015.11월호 _레이아웃 1 15. 11. 20 오후 5:05 페이지 1

전자공학회42-11표지.indd 1 2015-11-23 오후 1:3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