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에의 - koshic.org · 응급실내감염관리관련수가신설/개선 (2016.5.10...

74
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최정우

Transcript of 응급실에의 - koshic.org · 응급실내감염관리관련수가신설/개선 (2016.5.10...

응급실에서의감염관리원광대학교의과대학응급의학교실

최정우

응급실내감염관리관련수가신설/개선(2016.5.10 제5차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감염관리전담인력배치, 감염관리실설치기관에 ‘감염예방관리료‘ 신설하여지원

병원내감염관리실을설치운영하고, 감염관리의사및전담간호사를두어모든입원환자에대한감염관리활동을강화할경우 ‘감염예방관리료‘ 수가(입원환자 1일당1,950원~2,870원)를적용

응급실감염 확산방지위한선별격리진료수가신설및응급실내원필요성낮은경증소아환자의일반의료기관이용활성화위한소아야간휴일진료수가강화

응급실내감염의심환자를선별하고, 다른환자들과접촉없이격리진료가이루어지도록선별진료수가(응급실내원환자당 1회, 3,600원)를신설

감염전문의의협진활성화위한협의진찰료급여기준개선

음압및일반격리실시설운연기준개선및수가인상

격리실입원료를현실화(입원 1일당음압 1인실 35만원, 일반1인격리실 24만원)

중환자실안에설치된음압/일반격리실에서환자를진료할경우, 격리관리료(음압11.3만원, 일반 3만원)를산정

일회용치료재료등수가개선방향기본원칙마련

2주기급성기병원인증조사기준

응급실영역

기준 10.2.2

응급실에대한적절한감염관리를수행한다.

조사목적

의료관련감염발생의위험을예방하기위해응급실에대한적절한감염관리활동을수행한다.

조사항목

기준의이해

1. 응급실감염관리규정에는다음의내용을포함

환자관리

응급실내원시진료절차

호흡기/소화기유증상환자에대한감염관리절차

응급실장기체류시관리절차

감염의심환자내원시격리및감염관리절차

환경관리: 공기질, 위험물질및폐기물, 청소및소독, 세탁물관리등

직원감염예방: 보호장비착용

유행성감염병에대한최신정보를확인하고직원과공유하는절차

기준의이해

2. 응급실내원환자및내원객의감염관리를한다.

환자분류소(Triage Room) 관리

업무

감염의심(호흡기또는소화기) 증상이있는환자를확인하고감염여부에대해평가

전원/의뢰환자의소견서흉부X-ray 등을확인하여감염의심요인을확인

환자분류소를거쳤음을알수있는표지방법

환자분류담당의료진감염예방및관리절차: 표준주의에입각한진료, 보호장비착용

내원객방명록관리

환자증상외여행력확인

기준의이해

2. 응급실내원환자및내원객의감염관리를한다.

감염병전파경로에따른격리절차

격리병실배치

격리병실제공이불가능한경우대응

직원간정보공유방법: 격리표지(예: 침상표시, 의무기록표시, 전산표지, 검체표시등)

직원과환자보호자의보호장비종류및착용방법: 마스크, 장갑, 가운등

환자이송방법: 환자와이송직원의보호장비종류및착용방법, 호흡기에티켓, 이송도착부서에격리정보제공

환자에게사용한의료기기또는물품관리

환경관리: 병실청소및소독, 폐기물처리, 식기관리, 세탁물관리

환자및보호자를대상으로격리관련준수사항교육

응급실에근무하는의료진교육

내용: 전파경로에따른격리원칙(격리병실 제공이불가능한경우대응포함), 보호장비착용순서와벗는순서, 환자/보호자에게시행해야할격리관련교육내용, 의료기기및물품관리방법, 환경관리원칙(병실 청소및소독, 폐기물처리, 식기관리, 세탁물관리)

기준의이해

2. 응급실내원환자및내원객의감염관리를한다.

호흡기유증상환자에대한감염관리

환자에게외과용마스크착용

환자에게손위생및기침예절에대한교육

환자를접촉하는직원이감염(의심)환자임을 인지할수있도록표식

환자를접촉하는직원은외과용마스크를착용하고손위생을철저히수행

격리가필요한환자일경우최단거리로환자를격리실로이동

기준의이해

2. 응급실내원환자및내원객의감염관리를한다.

소화기유증상환자에대한감염관리

손위생에대해환자에게교육

환자를접촉하는직원이감염(의심) 환자임을인지할수있도록표식

환자를접촉하는직원은장갑과가운을착용

환자를접촉하는직원은손위생을철저히수행

격리가필요한환자일경우최단거리로환자를격리실로이동

기준의이해

2. 응급실내원환자및내원객의감염관리를한다.

응급실장기체류환자에대한관리절차

환자분류결과에따른진료후, 응급실에장기체류하는환자를절차에따라관리

응급실장기체류에대한관리원칙은환자와보호자가잘알수있도록입구에게시

유행성감염병에대한정보공유

최신유행성감염병에대한정보원/내외로부터공유

최신유행성감염병에대한정보게시

감염(의심) 환자중타병원으로전원/의뢰되어이송하는경우에는의사는의무기록에관련정보를기록하여공유

기준의이해

3. 규정에따라응급실의시설과환경에대한감염관리를한다.

환자분류소설치

위치: 응급실입실전출입구근처위치, 격리실까지이동별도동선확보

중증도분류에필요한장비와비품을갖출것

충분한환기가이루어지도록할것

손위생가능(세면대설치및손소독제비치)

기준의이해

3. 규정에따라응급실의시설과환경에대한감염관리를한다.

응급실내 1인음압격리병실설치 ( * 병원미해당)

시설및환경요건

응급실내격리실위치: 환자분류소로부터최대한감염노출을최소화한동선내에위치

기준의이해

3. 규정에따라응급실의시설과환경에대한감염관리를한다.

응급실내 1인음압격리병실의음압유지관리를위한모니터링

환자사용유무에따른점검방법및주기

점검결과문제발생시해결방법

문제발생시문과창문의밀폐상태를확인하고재점검

관련부서에연락및해결

응급실내병상간격및 1인병상운영

병상당간격: 1.5m 이상유지

1인병상 1개이상운영

기준의이해

3. 규정에따라응급실의시설과환경에대한감염관리를한다.

격리병실제공이어려운경우에대한대응체계

1인음압격리병실제공이불가능한경우: 단기간동안시간당적어도 6회이상가능한 12회이상의공기순환이되는헤파필터시스템을갖춘병실제공

1인비음압격리병실제공이불가능한경우: 같은병원체에감염되었고, 다른감염이없는환자끼리같은병실제공(코호트 격리), 비말전파주의감염병환자인경우코호트격리불가능시감염환자와다른환자또는방문객과의거리를최소한1m 의간격을확보하고환자사이에커튼을이용하여차단하는방법제공

기준의이해

3. 규정에따라응급실의시설과환경에대한감염관리를한다.

응급실방문객관리: 감염병이유행하고있는시기와일상적인경우구분

규정에따른방문객명부작성및관리

방문객통제를위한보안인력지정및배치

응급실환경소독

응급실에서퇴실하는환자의병상표면소독(소독제선택, 소독제희석배율, 소독제관리, 소독용청소용구의적절성, 사용한청소용구의세척, 소독, 건조, 보관)

응급실내장비에대한표면소독

응급실바닥주기적청소

기준의이해

4. 직원감염을예방하기위해감염관리규정을준수한다.

감염노출에대비하여검진후필요시예방접종

응급실내환자및내원객과접촉하는모든직원은보호장비착용- 비의료인과용역업체직원도포함

응급환자에대한진료수행하는의료인은표준주의및전파매개주의에근거하여적절한보호장비착용

주사침자상, 혈액/체액노출시관리지침을준수하고, 절차에따라보고(숙지)

기준의이해

5. 응급실성과를지속적으로관리한다.

성과지표

응급실환자체류시간관리

환자군별, 과별, 주간/야간, 주중/주말등에따라체류시간분석

분석결과에따라관련부서와함께개선활동을수행하고결과공유

응급실병상포화지수

• 병상포화지수= [(내원환자 수 * 평균재실시간)/(기준병상수 * 월별일자 수 * 24시간)] * 100

• 응급실 평균 재실시간(단위:시간)=대상기간 동안 내원한 환자 전체의 응급실 재실시간의 평균값(NEDIS 산출)

• 내원환자 수: 대상기간 동안 응급실에 내원한 총 환자 수(DOA 환자와 진료외 방문자 수는 제외)

기준의이해

5. 응급실성과를지속적으로관리한다.

응급실성과관리

성과모니터링주기: 최소분기별

모니터링자료는유사의료기간과비교하여수준평가

모니터링결과에따라목표를설정하고개선활동수행

모니터링결과와개선활동결과는의료질향상(또는감염예방및관리를위한) 위원회와경영진에게보고하고관련부서직원과공유

1. 일반적주의사항

1. 무균술(Aseptic technique)

병원직원은감염원으로부터자신과직원, 환자, 방문객을보호하고안전을위하여무균술을포함한기본감염관리원칙을준수하여야한다.

청결술- 내과적무균술

멸균술- 외과적무균술

2. 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s)

1. 손위생(손씻기)

2. 장갑

3. 환자격리

4. 마스크/눈보호구

5. 가운

6. 환자에게사용한의료물품

7. 린넨

8. 환경관리

9. 업무상감염노출예방

3. 호흡기위생/기침예절

기침이나재채기시에휴지를이용하여코와입을덮는다.

호흡기분비물을닦을때반드시휴지를사용

가래침등을뱉어내야할경우에는반드시휴지를이용

사용후휴지는가장인근에위치한휴지통에버린다.

호흡기분비물이나이에의해오염된물체접촉후에는반드시손위생을수행

외과수술용마스크를착용

(기침이나 재채기가나는경우, 특히이송중이거나일반용대기실에다른사람들과함께있어야하는경우)

4. 의료종사자자상사고예방

응급실에서긴박한상황에서의처치가많아주사바늘, 메스, 기타날카로운기구사용에따를손상이빈번

안전한취급및폐기에대한정책및교육을매년실시

안전의료기구를사용하여혈액매개감염질환의노출을감소

2. 격리

1. 감염예방을위한환자분류(Triage)

A:공기주의, C:접촉주의, D:비말주의, S:표준주의

2. 면역저하자격리방법: 보호환경(Protective environment)

사람들이많은지역에대기하지않도록

마스크(일반외과수술용) 착용

이종골수이식을받고면역이심하게저하된환자는이식후와동일한보호환경- HEPA 필터로정화한공기, 별실안양압유지공기흐름일방향유지,

시간당 12회의공기교환등제공

병실먼지나지않도록청소, 화분반입금지

3. 감염확진환자격리방법

전파경로에따라표준주의외에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지침을추가로적용해야한다.

복합적용가능

4. 항생제내성균(Multidrug-resistant

organisms) 환자격리

1. 항생제내성균의종류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ESBLs(extended spectrum beta-

lactamases)

Carabapenem-resistant G(-) bacilli

VISA(Vancomycin-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RSA(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2. 항균제내성균보유환자관리

환자접촉시손위생반드시시행

분비물이튀거나묻을우려가있을시장갑, 가운, 마스크착용

환자가사용한물품이나주변은개별물품을사용하고, 환경소독제를이용하여자주닦는다.

환자보호자에게도병원직원과동일한주의사항을지키도록설명

5. 결핵환자격리와관리

모든환자에게결핵노출및질병에대한과거력, 증상, 징후질문

결핵의심환자, 진단환자를다루는응급실은적어도 1개의공기매개격리실보유

면역저하환자등이결핵균에노출되는것을방지하지위해공기매개격리실에격리필요

공기매개격리실, 결핵환자의방에들어가는의료인은반드시 N95마스크착용

공기매개격리실을사용하지않는결핵의심환자는반드시외과수술용마스크착용

환자상태로인해마스크를착용불가한경우엄격한호흡기위생및기침예절에대한주의요구됨

응급구조요원에게도결핵균감염여부에대한사정과노출후추후검사프로그램제공되어야하며, 구급차에도환기시스템이있어야함(감염전용구급차)

6. 마스크사용지침

비말주의또는공기주의를적용해야하는환자가산소치료시 nasal

prongs 위에수술용마스크착용

기침을하면서응급실을방문한호흡기질환자는외과수술용마스크착용

비말전파가능성이있는환자의방문객은외과수술용마스크를착용, 공기격리시에는 N95 마스크착용

비말전파가능성을지닌질병을앓고있거나기침호흡기질환을가진환자와접촉하는의료인은환자와최소 1m

이상거리를유지할수없는경우외과수술용마스크착용

3. 침습적시술

혈관내카테터삽입및관리,

유치도뇨관삽입및관리, 인공삽관이나호흡기부착과같은호흡기관리, 수술등의상황에서무균술이충분히지켜지도록하고, 병원내감염관리지침을따르도록해야한다.

4. 소독및멸균

1. 재사용기구의분류분 류 과 정 적 용 예

고위험 기구

(Critical item)멸균

아포를 포함한 어떠한 미생물로 오염이 될 경

우 감염 위험이 매우 높은 기구들로 무균 조직

이나 혈관에 직접 접촉하는 시술에 쓰이는 기

외과수술기구, 심장혈관 카테

터, 요로 카테터, 인공삽입물

(implants) 등

준위험 기구

(Semi-critical item)

소독

인체의 점막이나 손상이 없는 피부와 접촉하

는 기구들로 세균의 아포를 제외하고 다른 미

생물이 없는 상태여야 하는 기구

호흡 치료기구와 마취기구 ,

laryngoscope blade, 내시경

비위험 기구

(Non-critical item)

세척손상되지 않은 피부와 접촉하는 기구들로 점

막에는 사용하지 않는 기구들

대변기, 혈압계 커프, 목발, 침

대 난간, 식기, 환자 가구, 바닥

2. 세척과소독

세척은대상물로무터모든이물질을제거하는과정, 소독과멸균의기초단계

일반적으로물과기계적인마찰, 세제를같이사용

환자에게사용한물품은사용후바로세척- 오염물이굳거나말라세척효과가떨어지는것을방지

세척시장갑, 방수앞치마, 마스크등을착용하고눈에튈우려가있을때에는보안경을착용하여직원감염을예방

소독은무생물체표면에있는세균의아포를제외한대부분또는모든병원성미생물을죽이는과정

제조사의권장사항에따라희석농도, 방법, 침적시간등을준수

3. 멸균

방법으로는건열멸균, 고압증기멸균, EO 가스멸균, 과초산멸균, 과산화수소가스플라즈마멸균등이있으며, 이는물품의성질이나제조회사의권고사항에따라선택

멸균확인과정을거쳐8 완전함이확인것만을사용하며, 멸균상태가유지되고, 유효기간이남아있는것을확인후사용

멸균이의심될시재처리하여사용

5. 환경관리

1. 청소및환경소독

규칙적으로먼지와오염제거, 청소를시행할구역을깨끗한곳, 더러운곳으로나누어순서대로시행, 먼지가나지않도록청소

환경소독제를이용, 청소에사용한물품도깨끗하게세척및보관

청소를하는용역직원의감염을예방하기위해장갑, 가운, 필요시마스크등을제공

혈액을쏟은경우락스를 10배희석하여혈액을쏟은곳에붓고, 일회용걸레를이용하여우선흡수시켜폐기하고 10분후에소독제로닦아낸다.

2. 공조관리

온도(21-24도)와습도(30-60%)를모니터링

면역저하환자, 결핵환자를위한특별한공기정화시설(HEPA 필터, 양압이나음압, 시간당공기교환횟수, 일방향공기흐름등)이잘유지되고있는지정기적으로점검

3. 감염성(의료) 폐기물관리

안전하고위생적으로취급하고규정에맞게처리하여병원환경의오염을방지하고, 감염을예방할수있도록한다.

4. 방문객관리

무분별한방문객의방문은환자, 방문객모두에게감염발생의가능성을증가시키므로방문시에는의료진의지시를준수, 각병원응급실의규정준수

환자방문전후반드시손을씻도록

감기나독감등호흡기계증상이있는사람, 급성장관계감염증상이있는사람, 피부병변이있는사람, 전염성질환을앓고있는사람, 최근에전염성질환자와접촉한경력이있는사람의방문은금한다.

5. 꽃, 화분, 해충관리

응급실내에는면역력이떨어져있는환자(면역저하환자, 혈액암환자, 장기이식환자등) 등이많고, 침습적인응급시술이이루어지는경우가많으므로꽃이나화분을두지않는다.

응급실입구는외부와직접적으로연결되어있으므로해충관리시스템을설치

6. 병원건축공사시감염관리

병원건축계획시응급실안전유지를위해기획안을조정하고이로인해발생가능한병원감염의문제를예방하기위해감염관리방안을제시

감염관리실무자는건축관계자와면역저하환자를담당하는의료진을대상으로건축으로인해발생가능한공기매개감염, 진균포자의전파및예방에대한교육을실시.

응급실책임자와감염관리실무자는공사기간동안또는공사후일정기간동안입실한환자중면역저하환자에서건축과관련된공기매개감염(예-

Aspergillosis)이발생하는지를주의깊게모니터링.

응급실내부에서공사를할때에는공사장소에서발생한먼지가환자진료공간에유입되지않도록방어벽설치와기능에대해감시하고, 환자및보호자에게공사구역을출입하지않도록교육.

6. 직원감염관리

채용전이나근무전의학적평가, 정기적으로건강상태를점검.

업무중주사바늘찔림사고와같은혈액매개노출을포함하여감염성질환에노출될수있으므로노출되지않도록날카로운물품을다룰때주의, 만약노출되었다면직원건강관리부서(또는감염관리실)에 보고하여적절한조치시행.

병원직원의건강을지키고환자나보호자에게감염을전파시키기않기위하여B형간염, 인플루엔자, 홍역, 풍진, 유행성이하선염, 수두와같은예방접종을반드시시행.

업무중감염성질환에노출되었다면직원건강관리부서(또는 감염관리실)와 상담하여적절한조치-예방접종, 근무제한등을받도록한다. 감염성질환별감염관리방법은각병원의규정에따르도록한다.

일부감염질환은임신중에발생하면더심각, 태아에게전달시신체손상을유발하거나태아에게전달되어태아감염이발생할수있기때문에감염관리방법의인지및준수가필요. 필요하다면예방접종.

7. 응급실건축, 구조와설비

1. 접수, 환자분류, 통제장소(Reception, triage, and station)

환자분류구역은의료진, 환자, 가족들이공기매개감염질환에노출되지않도록공조설비구축

2. 공동대기구역

공기매개감염격리실에요구되는것과유사한수준의환기와공기정화가필요

3. 진단, 치료, 진료구역

진찰실과치료실에는손씻는개수대설비가있어야한다.

응급수술과시술을위한손상및흉부외상방에는표준주의에사용되는물품을즉각적으로사용할수있도록저장고가있어야한다.

4. 오염제거구역

오염제거구역이설비되어있어야하며, 입구는응급실의다른출입구에서가능한한가장먼곳에위치하도록한다.

샤워기가설치되어있어야하며, 산소와흡인제공이가능해야한다.

방은모두매끄럽고, 방수되고, 문지를수있고, 흡수안되고, 구멍이없는표면이어야한다.

붙박이설치물은산(acid)에저항력이있어야하고, 바닥이높으면서중심부가곡면이어야한다.

5. 소아과진료실

소아전용의치료실이있어야하며, 그지역의인구구조에따라설비가마련되어야한다.

1개에서 2개의격리실이필요하다. 각각의방에는손씻기싱크가설치되어야한다.

6. 특별환자진료구역

최소한한개의공기감염격리실이규정에맞게설치되어야하고, 손씻기싱크나설비가사용하기편리한위치에적절한수배치되어있어야한다.

8. 구급차와응급구조시감염관리

1. 구급차

1. 구역의구분

2. 물품관리

3. 공기순환

2. 환자이송시의사소통

기본적으로모든환자와체액을다룰때잠재적으로감염가능성이있는것으로간주해야한다.

응급구조요원은응급실에환자과거력, 신체사정, 활력증후, 투약목록및운송중시행한처치에대한정보를전달해야한다.

3. 응급구조현장에서의진료와간호

1. 응급장비관리

2. 응급처치시감염관리

3. 개인보호장비사용

장갑

마스크

안경류

보호복장

포켓마스크

4. 다수의환자나사상자발생시

5. 응급구조후세척

6. 응급구조시환자에게사용된장비의세척

9. 생물테러감염관리

생물테러란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등을사용하여개인이나혹은군대등의단체를살상하거나질병을일으키려는목적으로하는행위를말한다.

일반적으로생물무기의경우아주적은양(1-5mircron particles)의생물병원체로도많은사람에게해를미칠수있다. 또한정확한감염원정확한전파경로의추측이불가능하여사전방지가어려우며지속적인전파가가능하여최근테러리스트들이생물무기를사용할수있는위험성이증가하므로이에대한각병원의대응책이필요하다. 자세한생물테러대응대책은질병관리본부에서제공한생물테러관리지침을참고

10. 법정전염병관리

감염병

제1군, 제2군, 제3군, 제4군, 제5군감염병, 지정감염병, 세계보건기구감시대상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및의료관련감염병을말한다.(법제2조제1항)

감염병환자

감염병의병원체가인체내에침입하여증상을나타내는자로서감염병예방법제11조제5항의진단기준에의한의사의진단또는한의사의진단이나보건복지부령이정하는기관의실험실검사를통하여확인된자를말한다.(법 제2조제 13항)

법정전염병의목적

중요전염병을관리대상으로정하여국가가관리함으로써전염병의발생과유행을방지하고전염병으로부터국민들을보호하여국민보건을향상/증진시키기위함이다.

법정감염병종류

감염병의종류는그전파의강도로인한만연속도와전염결과로이환될위해대상의규모등에따라신고및긴급성을기준으로결정

분류기준

1군: 전파속도가빠르고국민건강에미치는위해정도가너무커서발생또는유행즉시방역대책을수립이필요한감염병

2군: 예방접종을통하여예방또는관리가가능하여국가예방접종사업의대상이되는감염병

3군: 간헐적으로유행할가능성이있어지속적으로그발생을감시하고예방대책수립이필요한감염병

4군: 국내에서새로발생한신종전염병증후군및재출현전염병또는국내유입이우려되는해외유행전염병으로서방역대책의긴급한수립이필요하다고인정되어보건복지부령으로정하는감염병

5군: 기생충에감염되어발생하는감염병으로정기적인조사를통한감기가필요하며보건복지부령으로정한감염병

지정전염병: 제1군내지제5군전염병외에유행여부의조사를위해감시활동이필요하다고인정되어보건복지부장관이지정하는전염병

최근발생한전염병질환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스는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 coronavirus, SARS-CoV)가인간의호흡기를침범하여발생하는질병

기존의급성호흡기질환과달리성인과노인에서높은감염률을나타내며중증인경우폐렴으로진행하여사망

2003년 2월아시아에서최초로공식확인되었으며, 세계보건기구에따르면 2003년한해동안세계적으로 8,096명이감염되어이중 774명이사망하는등국민보건을위협하는중대한신종감염병

신종인플루엔자

신종인플루엔자감염증은 A형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변이를일으켜생긴새로운바이러스

’03년부터조류인플루엔자 A(H5N1)로현재까지 15개국 630명감염 375명사망

신종인플루엔자대비항바이러스제 1,300만명분비축(인구대비 26%)

’13년까지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16개병원 519병상(음압99, 일반420) 구축추진

감염병관리를위한외부진료소설치운영, 지침마련

2009년새로이발생한신종인플루엔자는멕시코, 미국, 캐나다및유럽, 아시아지역에서산발적으로감염자가확인되었으며 13만명이상의감염자및 800명이상의사망자가 100개이상의국가에서확인.

에볼라

1976년아프리카의콩고민주공화국에서처음확인된인간을비롯한영장류의심한, 치명적인바이러스성감염증

잠복기는 2-21일간이며, 혈액이나분비물에바이러스가존재하는한전염력이있음. 수단에서환자보호자의 30%가감염되었지만, 가정생활중접촉한사람은대부분감염되지않았음.누구나감염됨

1976년수단과자이레에서최초로확인된이래수단, 가봉, 콩고, 우간다등에서유행이발생함.

세계보건기구는에볼라바이러스가발견된이래, 대략 1850명정도의환자가발생하여 1200명이사망했다고밝힘.

국내의경우, 발생보고없음.

SFTS (Sever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virus 감염에의한급성발열성질환으로주로 4-11월야외활동시진드기에물려감염

야외활동시긴옷을입고옷소매와바짓단은여미며, 기피제사용

야외활동후귀가시옷은반드시세탁하고, 샤워또는목욕을통해개인위생에철저히해야한다. 사람간감염은되지않아격리및소독이필요없으나, SFTS 환자의혈액및체액에직접적으로접촉하는처치시에는표준적인혈액접촉감염예방원칙(Standard Precaution) 준수요함.

국내현황

연도별환자발생

‘13년 36건(17명 사망), ’14년 55건(16명 사망), ‘15년 79건(21명 사망)이보고됨

뎅기열

뎅기바이러스감염에의한급성발열성질환

전세계적으로 100여개이상국가에서발생하며, 전세계인구중약 40%(25억명)의인구가뎅기감염증위험에노출되어있는것으로추정

해외유입매개체전파감염병 00년대이후증가추세

15(‘04) → 97(‘07) → 125(‘10) → 147(‘12)

해외유입질환으로이들감염병에대한의료진의인지도가높지않음

메르스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MERS-CoV)에의한호흡기감염증

중동지역아라비아반도를중심으로 2012년 4월부터 2016년 4월 14일까지26개국에서 1,741명이발생하여 675명이사망

* WHO는 2012년 9월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에대한첫번째국제적경고를발령

결핵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이라는세균에의해발생하는감염병.

대부분폐에서발생하지만신장, 신경, 뼈등우리몸속대부분의조직이나장기에서병을일으킬수

우리나라는결핵환자수가많이줄어들기는했지만, 여전히전체국민의1/3이결핵균에감염되어있는것으로추정. 2011년한해동안새로발견되어보고된결핵환자수는 39,557명, 2010년결핵으로인한사망자수는2,365명.

우리나라의결핵발생률과사망률은 OECD 가입국중가장높은수준

중요한문제점은 20~30대젊은층에결핵환자가많다는것. 젊은층결핵환자들은다른사람과의접촉이적은노인층결핵환자에비해결핵을전염시킬가능성이훨씬높을뿐아니라, 비록결핵이완치되었다하더라도나이가들어면역력이약해지면결핵이다시재발할수있다는문제점이있음.

쯔쯔가무시증

Orientia tsutsugamushi에의해감염된털진드기의유충에물렸을때, 혈액과림프액을통해전신적혈관염이발생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급성발열성질환

매개진드기에물린자리에가피(eschar)를나타내는것이특징

발병추이(매개체서식변화;확대로인해증가추세)

277(‘97) → 2,637(‘01) → 6,780(‘05) → 8,647(‘12)

지카바이러스

현 행 개 정

- 가임여성: 귀국 후 2개월 동안 임신 연기- 남성∙ 배우자 등이 임신상태인 경우 임신기간 동안

은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사용∙ 배우자 등이 임신상태가 아닌 경우 최소 2개

월 동안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단, 확진된 경우, 회복 후 6개월 동안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 지카 발생국가 방문자는 남녀 모두, 증상에상관없이 귀국 후 6개월 동안 임신연기,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사용- 방문자의 배우자가 임신상태인 경우, 임신기간 동안은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확진환자는 회복 후 6개월 동안 임신연기,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사용

그간확진환자 14명*의여행국가를살펴보면, 동남아 10명(필리핀 5명, 베트남 3명, 태국 2명), 중남미 4명(브라질, 도미니카(공), 과테말라, 푸에르토리코) 이었고, 남자 11명, 여자 3명, 임신부는없으며, * 지카감염자 14명은현재모두양호한상태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