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28
한국의학교육 : 11 권 제 2 1999 - 233 -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1 , 해부학교실 2 , 예방의학교실 3 , 안과학교실 4 , 외과학교실 5 , 생화학교실 6 , 생리학교실 7 유문간 1 2 이원철 3 주천기 4 박조현 5 권오주 6 김명석 7 *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School Graduate Courses Mun-Gan Rhyu 1 , Jin Kim 2 , Won Chul Lee 3 , Choun-Ki Joo 4 , Cho-Hyun Park 5 , Oh-Joo Kwon 6 and Myung-Suk Kim 7 * Departments of Microbiology 1 , Anatomy 2 , Preventive Medicine 3 , Ophthalmology 4 , Surgery 5 , Biochemistry 6 and Physiology 7 ,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Over the past years, university administrators have known how hard it is to transform into the modern university. Rigid in-bred research system, narrow interest, unworkable graduate programs are complicatedly woven into a network of academic fraction. Cronyism and protectionism flood various laboratories and research institutes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Until recently, the department structure of medical school has steadfastly guarded its territory and refused to allow non-medical undergraduate students to apply for the graduate schools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s in medical science are considered just extra appendages because most of graduate students should be engaged in hard work position such as junior faculty or residentship training course of university hospital. In the present environment of graduate program, medical schools are consequently not able to bring in full-time young researchers, but only recently has its door been open for others. It should be time to reorganize the medical school graduate course into large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 by expanding graduate programs. Key Words: Medical school graduate courses,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 1) *: 교신저자: 김명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한국학술진흥재단 ‘97 특별과제 (F-015744)

Transcript of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Page 1: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원

- 233 -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가톨릭 학교 의과 학 미생물학교실1 해부학교실2 방의학교실3 안과학교실4

외과학교실5 생화학교실6 생리학교실7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 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School Graduate Courses

Mun-Gan Rhyu1 Jin Kim2 Won Chul Lee3 Choun-Ki Joo4

Cho-Hyun Park5 Oh-Joo Kwon6 and Myung-Suk Kim7

Departments of Microbiology1 Anatomy2 Preventive Medicine3 Ophthalmology4 Surgery5 Biochemistry6 and

Physiology7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Over the past years university administrators have known how hard it is to transform into the

modern university Rigid in-bred research system narrow interest unworkable graduate programs

are complicatedly woven into a network of academic fraction Cronyism and protectionism flood

various laboratories and research institutes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Until recently the

department structure of medical school has steadfastly guarded its territory and refused to allow

non-medical undergraduate students to apply for the graduate schools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s in medical science are considered just extra appendages because most of

graduate students should be engaged in hard work position such as junior faculty or residentship

training course of university hospital In the present environment of graduate program medical

schools are consequently not able to bring in full-time young researchers but only recently has

its door been open for others

It should be time to reorganize the medical school graduate course into large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 by expanding graduate programs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Key Words Medical school graduate courses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

1)

교신 자 김명석 가톨릭 학교 의과 학 생리학교실

한국학술진흥재단 lsquo97 특별과제 (F-015744)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4 -

학원 석사 2년

학원 박사 3년

18~19 년

의과 학 과 2년

의과 학 본과 4년

인턴 수련 1년

공의 수련 3~4년

군의 는 공 보건의 3년

그림 1 의사로서 이수하는 의학교육 수련 연한

의료업에 종사하기 까지 거쳐야 하는 교육 수련과정을 모두 이수하면 일반 으로 의사는 40에 이르게 된다

서 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숙제)

우리 나라 교육은 등이나 고등분야를 불문하고

언제나 개 의 상이었고 학원 의학과 역시 개

해야 할 많은 해묵은 과제를 안고 있다 오히려

학원 의학과는 진부한 소재로 인식된 탓인지 최

근에 활발하게 논의되는 교육개 의 상에서 조차

제외된 느낌도 있듯이 본 연구가 다루고 있는 내용

도 과거 수십년 동안 여러 차례 토의된 이 있기

때문에 실 으로 시행할 수 있는 새롭고 획기

인 방안을 기 하기는 물론 어렵다 단지 재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사회 경제 상황이 과거와 이

하게 달라졌으며 특히 선진화된 국가가 요구받는

개 과 변화속에서 학원 의학과도 구조조정의

외가 아니라는 방향이 보다 분명해졌을 뿐이다 따

라서 우선 과거 수십년 동안 논의된 내용을 악하

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안고 있는 구조 문

제를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1 문의 과정을 병행하는 학원 제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일본이 우리 나라를

지배하면서 1920년 에 설립한 경성제국 학으로

부터 기원하여 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해방

후 미국의 면 인 향하에 놓이면서 미국식 의

료제도를 도입하고 1950년 에는 임상의학에 치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5 -

하는 문의 제도를 시행하 다 그 당시 일본은

학원 과정을 활용하여 임상의학에 한 수련을 각

의국 는 교실에서 담당하 고 문의 제도가 정

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의학 수련과정이 낙후된

측면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미국은 의과

학 과정을 수료하면 의학박사로 인정했고 임상분야

에 한 문의 과정을 별도로 시행하면서 임상

심의 의학이 활발하게 발 하고 있었다 결국 우리

나라는 매우 상이한 배경으로 서로 연 성도 없는

일본식 학원 의학과와 미국식 문의 과정을 병

행하는 특이한 의학교육 연구 체제를 갖게 되었

다 학원 과정은 기 의학 연구 측면에서 주된

기능을 갖고 있으며 문의 제도는 임상의학 진

료 측면이 주된 목 이기 때문에 두 과정을 동시에

이수할 경우에는 각 제도의 장 이 효과 으로 발

휘되기 보다는 어느 한쪽이 필연 으로 부실해지는

결과를 래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우리 나라

의학연구 진료를 한 교육과정은 기본 인 구

조에 모순을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5

2 약 20년이 소요되는 소모 인 의료인 교육과

수련과정

만약 우리 나라 의학 교육과 연구 는 수련 과정

을 원칙 으로 모두 이수하려면 그림 1에서 보듯이

최소한 15~16년이 소요된다 게다가 남자의 경우 3

년의 병역의무를 마쳐야 하므로 거의 20년을 보내

야 한다 이같은 과정은 문 인 지식과 경험을 습

득하는데 시간과 경비를 과도하게 지출하는 반면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생산 으로 활용하는 기회는

상 으로 40세 이후에나 가능하기 때문에 단히

소모 인 제도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시행 기

에 제도 운용상 한 사람이 두 과정을 동시에 이수할

수 있도록 잠정 으로 허용한 변칙이 40년이 지난

재까지 그 로 유지되면서 여러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의 제도가 정착되기 까지

는 의학박사를 의학 지식과 임상경험을 두루 갖

춘 훌륭한 의사로 일반 으로 인식하 다 그러다가

환자 진료에 보다 직 인 임상 지식과 경험은

문의 과정을 통해서 습득한다는 인식이 리 확산

되면서 재는 의학박사를 이수하려는 의사가 차

으로 감소하는 추세라 볼 수 있다 해방 후 수십

년 동안 민생고 해결이 우선 과제 던 후진 인 사

회 경제 인 구조에서도 학문의 명맥을 유지하고

나아가서 학원의 권 를 학문연구로서 지키려 했

던 치열한 학자 정신이 재 학원의 근간을 이루

고 있지만 반면에 학원에 한 사회 인식을 보

면 석 박사 학 제도라는 형식논리도 아직 상당히

잠재하고 있고 정부와 학 경 자들의 소극

근 등이 어우러져 학원 의학과의 개 은 수십년

동안 답보상태를 면할 수 없는 실도 부인하기 어

렵다3

3 빈약한 연구여건으로 실 할 수 없었던 개 방안들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안은 이미 1980년 부터

거의 유사한 내용이 수차례 반복하여 제기되었다

그 핵심은 문의 수련과정과 학원 연구과정은

별개의 교육훈련과정이고 병행할 경우에는 어느 하

나는 필연 으로 부실해지므로 분리하여 과정을 충

실히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실 으로

두 과정을 따로 이수하려면 제도하에서는 무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문의 자격을 획득하면

석사과정을 인정하여 학원 과정을 2년 정도 단축

하자는 제안이었다 이를 해서는 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하는 행정 인 차가 필요하 고 2년을 단축

했을때 학원 과정이 충실해지기보다는 오히려 더

욱 부실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기 때문

에 채택되지 않았다 재도 몇몇 학원에서 시행

하고 있듯이 석 박사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60

학 을 4년내에 마칠 수 있도록 하여 학 자체 으

로 1년 정도를 단축하 지만 학원 의학과 학 제

도를 건 하게 변화시키는데는 미흡하다는 것이 당

사자인 학원생과 교수들의 론이다1

두 번째는 임상 진료에 치 하는 부분의 의사

는 문의 자격으로도 충분하고 의학박사 학 는

실질 인 도움이 별로 없으므로 불필요한 이 부

담을 덜어주고 꼭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학원 교

육을 충실히 하도록 하자는 제안이었다 문의와

의학박사에 한 일반인의 인식도 분명해졌기 때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6 -

에 개업 계획이 확실한 경우에는 학원 입학을 염

두에 두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상당

수의 수련의가 학원에 입학하는 이유는 장차

학병원의 교수요원으로 진출하는데 필요하기 때문

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학원에서 교육받

은 연구경험이 교수활동에 실질 인 도움이 된다기

보다는 학교원 임용이나 진 시에 박사학 가 있

어야 한다는 규정때문에 미리 비하는 형식 의

미가 크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을 고치면 이

부담으로 부실해지는 학원 과정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겠지만 의과 학의 입장에서는 박사

학 는 교육 연구요원 질 수 을 유지하는 최소

한 기 이므로 쉽게 포기할 수 없는 명분이기도 하

다6

이밖에도 여러 가지 발 인 제안이 있었지만

충분한 재원이 선행되어야 하는 실 인 한계로

참고 사항으로 머물 고 한 가지 지 할 은 이러

한 문제는 당사자인 의료인 는 학인이 학원

과정을 개선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기보다 학

제도 운 특히 실험비와 련한 부정 인 사회

인식으로 정부에서 개 을 요구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부분의 의료인은 개 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부족한 연구비와 충분치 못한 인원

시설 등의 연구여건 등을 이유로 제도가 나름

로 실 으로 기여하는 부분을 상당히 인정하고

있다 학원은 최고 수 의 고등교육 연구기 이기

때문에 연구여건의 뒷받침 없는 개 방안은 구호

에 그친다는 사실은 이미 지난 수십년간 확인되었

다 하겠다

4 변화하는 사회에서 학원 의학과가 선택할 방향

연구 여건이 열악했던 과거 수십년 동안 우리 나

라의 학원 교수요원은 지식 생산자보다는 지식

달자 즉 학부학생 교육에 치 해 왔다 최근에

학원 심의 학 즉 연구기능을 강조하는 추세이

긴 하지만 아직 학의 일부로서 통 인 학문탐

구라는 학풍을 조성하지도 못한 채 격한 사회구

조 변화를 맞이하면서 선진국 형태의 경쟁이 극심

한 연구여건에 직면하게 되는 보다 복잡하고 어려

운 상황이라 볼 수도 있다 의학이 생명을 연구하는

통 인 학문이면서 자의든 타의든 근래에는 부

시게 발달하는 자연과학의 심분야로서 국가 으

로는 의료산업 는 보건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

음도 엄연한 실이다 학원 의학과의 역할도 이

와같은 추세를 간과할 수 없으며 내부 으로는

학병원을 유지하는 의료원 체제가 재정 인 균형을

고려해야 하는 입장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도 의과 학 부분은 체 학의 입장에서

수익사업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병원에 경쟁

인 경 기법을 도입하면서 임상의사의 연구력에 주

로 의존하던 학원 연구활동도 상당한 변화를 모

색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

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21세기를 비하는 우리 나

라 과학 정책도 한 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신

호로 볼 수 있다 즉 이제는 국력을 좌우하는 근간

이 지식산업으로 이동하는 국가 인 구조 조정기라

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를 들어

최근 폭 증액된 연구비와 함께 학 내외에서

증하고 있는 연구업 요구라 할 수 있다2 이제

학교수는 학부교육의 의무외에 학원 연구기능이

시되고 있으며 의과 학 교수는 교육 진료와 함

께 연구까지 수행해야 하는 팔방미인이어야 한다

다소 복잡한 변화로 보이지만 결국 발 하는 사회

가 연구하는 학원 의학과를 요구한다고 집약할

수 있고 보다 구체 으로는 연구활동이 연구비 수

주로 연결되어 학사회에 보다 직 인 형태로

기여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아무튼 탁월한 연구역량

을 가진 교수와 우수한 학원생이 열정 으로 연

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시 의 변화에도 부

응하면서 학문 정통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이

기도 하다 특히 정치 격변기와 경제 도약단계

를 성공 으로 거치면서 학이나 교수 개인 모두

연구에 한 의욕이 증하는 추세에 비추어 학

원 특히 학원 의학과의 새로운 변화 모색은 시의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7 -

표 2 국 28개 의학과 학원생 (1998년 3월 재)

석사 총 3946명 박사 총 2507명

수련의 2868명 567명

개업의 194명 502명

임상의학 staff 337명 980명

기 의학 staff 9명 41명

기타 295명 267명

임 학원생 243명 150명

의사 65명 비의사 178명 의사 50명 비의사 100명

DATA 자료는 26~27개 학을 상으로 함 총 6453명

조사 참여 학원 (가나다 순) 가톨릭의 건국의 경북의 경상의 경희의 계명의 고려의 단국의 구효성 가톨릭의 동국의 동아의 부산의 서울의

순천향의 아주의 연세의 원 의 이화의 인제의 인하의 남의

북의 조선의 앙의 충남의 충북의 한림의 한양의

표 1 국 학원 의학과 황 (1997)

석사 과정 박사 과정 계

의학과수 31 29 60

재학생수 4095 2834 6929

입학상황지원자 3671

입학자 2020

지원자 1684

입학자 1096

학 취득자 1409 769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은 약 30 정도로 추정된다

연구 상 방법

1 학원 의학과 황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1997년도에 체 재 학

원생수는 석사과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으로 1990년도 보다 략 50가 증가한 숫

자이다8 입학 상황을 보면 석사과정은 3671명이

지원해서 2020명이 입학했고 박사과정은 1684명이

지원해서 1090명이 입학하여 각각 182 1 155

1의 경쟁률을 보 다 1997년도 의학과 학부 총

학생수가 12900명이고 입학정원이 3225명이므로

의과 학 졸업생 약 65 정도는 석사과정을 입학

하고 약 34 정도는 박사과정까지 입학하는 것으

로 각각 나타났다 97년도 학 를 취득한 사람을 보

면 석사가 1409명 박사가 769명이었다 (표 1) 아무

튼 학원 입학과 학 취득은 의 졸업후 군 입

나 수련의 과정 등 다양한 경로를 거친 후나 병행해

서 이루어지므로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을

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약 30 이하 정도로

보면 하다고 본다 따라서 의 졸업생의 부

분이 문의 과정을 거치는 것과 비교하면 의학박

사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가 이제는 학 는 종합

병원으로 연구경험을 필요로 하는 진로를 비하는

단계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2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숫자나 경쟁률을 고려

하면 학원 의학과는 안정 인 치에서 필요한

역할을 하게 수용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내용

인 측면에서 학원은 본질 으로 연구 는 지

식 생산이 일차 목 이기 때문에 연구 역할을 충실

히 수행할 수 있는 연구원으로서 어느 정도 석 박

사 학 과정에 참여하는지를 구체 으로 악할 필

요가 있다 즉 부분의 학원생은 취업자로서 피

교육자이자 지식 생산자라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에 학원 황과 추세를 알아보고자 학원생의

직업별 구성을 분석하 다 학원 의학과 과정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8 -

석사 과정 (3946 명)

개업의4

비의사5

수련의73

의사2

임상의학staff9

기타8

박사 과정 (2507 명)

수련의24

개업의17

기초의학staff2

기타11

의사2

비의사4

임상의학staff41

그림 2 국 의과 학 학원생 구성비율 (1995~1998)

개설한 국 30개 학원 계자에게 조를 의뢰

하여 극 인 도움으로 28개 학원에 한 자료

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 1~2개 학원으로부

터 수집한 자료에서 연도별 는 직업분류에 다소

미비한 이 있었지만 체 으로는 우리 나라

체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을 악하는데 충분

히 방 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한 이와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국 학원 의학과 계자들을

청하여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교과과정

개성방안을 한 토론회를 1998년 7월 14일 개최하

여 새로운 상황을 맞이한 학원 의학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하 다

3 의학과 학원생 신상 분류

학원 연구과정에 주로 기여할 수 있는 신분이

나 연구경험이 필요한 분야에서 종사하는지를 구분

하고자 학원생을 수련의 개업의 임상의학 교원

기 의학 교원과 일제 근무 연구원 (이하 임

학원생)으로 구분하 다 각 학마다 특히 임상의

학 교원 분야에 다소 상이한 직 종류가 있었지만

실질 으로 진료외에도 연구 역할에 상당한 비 을

부여하는지를 기 으로 하여 임상의학 교원으로 총

칭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은 기타 항목으로 분류하 다

한 임 학원생을 의사와 비의사로 나 어 최근

격히 증가하는 비의사의 의학분야 공자를 알아

보고자 하 다

조사 상은 98년 3월 재 학원 의학과에 재학

인 학원생을 모두 포함하 다 총 6453명

석사과정이 3946명 박사과정이 2507명이었다

1997년도 교육부 자료를 참고로 비교할 때 석사과

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

931를 조사하 다 (표 2) 따라서 본 조사내용은

우리 나라 국 학원 의학과 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자료의 수집결과로 볼 수 있다

결 과

1 학원 의학과 황

1) 석 박사 과정 학원생 직업 분포

수련의가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이 임상의학 스탭이 9

(336명) 이었고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차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9 -

개업의 비율

- 박사과정 -

0

24

68

1012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90- 100비율 ()

학교

( 개)

개업의 비율- 석사과정 -

0246810121416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표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4 0~10 10

5~10 5 10~20 6

10~15 4 20~30 4

15~20 4 30~40 2

20~40 0 40~50 1

40~60 0 50~60 0

60~80 0 60~70 1

80~100 0 70~80 1

80~90 1

90~100 0

하 다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은 7 (233명)이었는데 이 의 출

신이 61명이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

원생의 다수를 차지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 기타가 8 (295명)

이었다 체 으로는 임상의학 공자가 3564명으

로 거의 부분을 (93) 이루었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서는 임상의학 스

탭이 (976명) 41를 차지하 고 그 다음으로는 수

련의로서 체의 24를 (563명) 구성하 으며 개업

의가 17 (408명) 기 의학 스탭이 2 (36명) 기

타 11 (267명)이었다 임 학원생은 모두 145명

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명이었다 박사과정 학

원의 부분도 임상의학 공자로서 94를 (2250

명) 이루었다 (그림 2)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의 학원생 구성비를 비교

하면 석사과정 학원생의 부분은 (73) 수련의

과정에 있는 경우 지만 박사과정의 주된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이었고 (41) 수련의는 24 정도로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았다 석사과정의 학

원생은 부분이 공의 수련과정을 동시에 이수한

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석사과

정을 거치는 동안 의학과 련된 기 과학 지식

을 습득하거나 연구와 련된 실험 인 기법을 경

험하기에는 어려운 이 많고 박사학 취득을

한 형식 인 과정으로 운 될 소지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고 임상의학 스탭이

주된 구성원인 박사과정은 인 구성만으로 볼 때

는 석사과정보다는 교과과정을 충실하게 운 해야

할 여건이라고 본다 특히 임상의학 스탭의 경우는

임상경험과 더불어 연구력도 갖추어야 하므로 기

과학 지식과 실험실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4 -

학원 석사 2년

학원 박사 3년

18~19 년

의과 학 과 2년

의과 학 본과 4년

인턴 수련 1년

공의 수련 3~4년

군의 는 공 보건의 3년

그림 1 의사로서 이수하는 의학교육 수련 연한

의료업에 종사하기 까지 거쳐야 하는 교육 수련과정을 모두 이수하면 일반 으로 의사는 40에 이르게 된다

서 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숙제)

우리 나라 교육은 등이나 고등분야를 불문하고

언제나 개 의 상이었고 학원 의학과 역시 개

해야 할 많은 해묵은 과제를 안고 있다 오히려

학원 의학과는 진부한 소재로 인식된 탓인지 최

근에 활발하게 논의되는 교육개 의 상에서 조차

제외된 느낌도 있듯이 본 연구가 다루고 있는 내용

도 과거 수십년 동안 여러 차례 토의된 이 있기

때문에 실 으로 시행할 수 있는 새롭고 획기

인 방안을 기 하기는 물론 어렵다 단지 재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사회 경제 상황이 과거와 이

하게 달라졌으며 특히 선진화된 국가가 요구받는

개 과 변화속에서 학원 의학과도 구조조정의

외가 아니라는 방향이 보다 분명해졌을 뿐이다 따

라서 우선 과거 수십년 동안 논의된 내용을 악하

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안고 있는 구조 문

제를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1 문의 과정을 병행하는 학원 제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일본이 우리 나라를

지배하면서 1920년 에 설립한 경성제국 학으로

부터 기원하여 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해방

후 미국의 면 인 향하에 놓이면서 미국식 의

료제도를 도입하고 1950년 에는 임상의학에 치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5 -

하는 문의 제도를 시행하 다 그 당시 일본은

학원 과정을 활용하여 임상의학에 한 수련을 각

의국 는 교실에서 담당하 고 문의 제도가 정

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의학 수련과정이 낙후된

측면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미국은 의과

학 과정을 수료하면 의학박사로 인정했고 임상분야

에 한 문의 과정을 별도로 시행하면서 임상

심의 의학이 활발하게 발 하고 있었다 결국 우리

나라는 매우 상이한 배경으로 서로 연 성도 없는

일본식 학원 의학과와 미국식 문의 과정을 병

행하는 특이한 의학교육 연구 체제를 갖게 되었

다 학원 과정은 기 의학 연구 측면에서 주된

기능을 갖고 있으며 문의 제도는 임상의학 진

료 측면이 주된 목 이기 때문에 두 과정을 동시에

이수할 경우에는 각 제도의 장 이 효과 으로 발

휘되기 보다는 어느 한쪽이 필연 으로 부실해지는

결과를 래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우리 나라

의학연구 진료를 한 교육과정은 기본 인 구

조에 모순을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5

2 약 20년이 소요되는 소모 인 의료인 교육과

수련과정

만약 우리 나라 의학 교육과 연구 는 수련 과정

을 원칙 으로 모두 이수하려면 그림 1에서 보듯이

최소한 15~16년이 소요된다 게다가 남자의 경우 3

년의 병역의무를 마쳐야 하므로 거의 20년을 보내

야 한다 이같은 과정은 문 인 지식과 경험을 습

득하는데 시간과 경비를 과도하게 지출하는 반면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생산 으로 활용하는 기회는

상 으로 40세 이후에나 가능하기 때문에 단히

소모 인 제도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시행 기

에 제도 운용상 한 사람이 두 과정을 동시에 이수할

수 있도록 잠정 으로 허용한 변칙이 40년이 지난

재까지 그 로 유지되면서 여러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의 제도가 정착되기 까지

는 의학박사를 의학 지식과 임상경험을 두루 갖

춘 훌륭한 의사로 일반 으로 인식하 다 그러다가

환자 진료에 보다 직 인 임상 지식과 경험은

문의 과정을 통해서 습득한다는 인식이 리 확산

되면서 재는 의학박사를 이수하려는 의사가 차

으로 감소하는 추세라 볼 수 있다 해방 후 수십

년 동안 민생고 해결이 우선 과제 던 후진 인 사

회 경제 인 구조에서도 학문의 명맥을 유지하고

나아가서 학원의 권 를 학문연구로서 지키려 했

던 치열한 학자 정신이 재 학원의 근간을 이루

고 있지만 반면에 학원에 한 사회 인식을 보

면 석 박사 학 제도라는 형식논리도 아직 상당히

잠재하고 있고 정부와 학 경 자들의 소극

근 등이 어우러져 학원 의학과의 개 은 수십년

동안 답보상태를 면할 수 없는 실도 부인하기 어

렵다3

3 빈약한 연구여건으로 실 할 수 없었던 개 방안들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안은 이미 1980년 부터

거의 유사한 내용이 수차례 반복하여 제기되었다

그 핵심은 문의 수련과정과 학원 연구과정은

별개의 교육훈련과정이고 병행할 경우에는 어느 하

나는 필연 으로 부실해지므로 분리하여 과정을 충

실히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실 으로

두 과정을 따로 이수하려면 제도하에서는 무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문의 자격을 획득하면

석사과정을 인정하여 학원 과정을 2년 정도 단축

하자는 제안이었다 이를 해서는 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하는 행정 인 차가 필요하 고 2년을 단축

했을때 학원 과정이 충실해지기보다는 오히려 더

욱 부실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기 때문

에 채택되지 않았다 재도 몇몇 학원에서 시행

하고 있듯이 석 박사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60

학 을 4년내에 마칠 수 있도록 하여 학 자체 으

로 1년 정도를 단축하 지만 학원 의학과 학 제

도를 건 하게 변화시키는데는 미흡하다는 것이 당

사자인 학원생과 교수들의 론이다1

두 번째는 임상 진료에 치 하는 부분의 의사

는 문의 자격으로도 충분하고 의학박사 학 는

실질 인 도움이 별로 없으므로 불필요한 이 부

담을 덜어주고 꼭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학원 교

육을 충실히 하도록 하자는 제안이었다 문의와

의학박사에 한 일반인의 인식도 분명해졌기 때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6 -

에 개업 계획이 확실한 경우에는 학원 입학을 염

두에 두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상당

수의 수련의가 학원에 입학하는 이유는 장차

학병원의 교수요원으로 진출하는데 필요하기 때문

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학원에서 교육받

은 연구경험이 교수활동에 실질 인 도움이 된다기

보다는 학교원 임용이나 진 시에 박사학 가 있

어야 한다는 규정때문에 미리 비하는 형식 의

미가 크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을 고치면 이

부담으로 부실해지는 학원 과정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겠지만 의과 학의 입장에서는 박사

학 는 교육 연구요원 질 수 을 유지하는 최소

한 기 이므로 쉽게 포기할 수 없는 명분이기도 하

다6

이밖에도 여러 가지 발 인 제안이 있었지만

충분한 재원이 선행되어야 하는 실 인 한계로

참고 사항으로 머물 고 한 가지 지 할 은 이러

한 문제는 당사자인 의료인 는 학인이 학원

과정을 개선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기보다 학

제도 운 특히 실험비와 련한 부정 인 사회

인식으로 정부에서 개 을 요구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부분의 의료인은 개 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부족한 연구비와 충분치 못한 인원

시설 등의 연구여건 등을 이유로 제도가 나름

로 실 으로 기여하는 부분을 상당히 인정하고

있다 학원은 최고 수 의 고등교육 연구기 이기

때문에 연구여건의 뒷받침 없는 개 방안은 구호

에 그친다는 사실은 이미 지난 수십년간 확인되었

다 하겠다

4 변화하는 사회에서 학원 의학과가 선택할 방향

연구 여건이 열악했던 과거 수십년 동안 우리 나

라의 학원 교수요원은 지식 생산자보다는 지식

달자 즉 학부학생 교육에 치 해 왔다 최근에

학원 심의 학 즉 연구기능을 강조하는 추세이

긴 하지만 아직 학의 일부로서 통 인 학문탐

구라는 학풍을 조성하지도 못한 채 격한 사회구

조 변화를 맞이하면서 선진국 형태의 경쟁이 극심

한 연구여건에 직면하게 되는 보다 복잡하고 어려

운 상황이라 볼 수도 있다 의학이 생명을 연구하는

통 인 학문이면서 자의든 타의든 근래에는 부

시게 발달하는 자연과학의 심분야로서 국가 으

로는 의료산업 는 보건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

음도 엄연한 실이다 학원 의학과의 역할도 이

와같은 추세를 간과할 수 없으며 내부 으로는

학병원을 유지하는 의료원 체제가 재정 인 균형을

고려해야 하는 입장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도 의과 학 부분은 체 학의 입장에서

수익사업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병원에 경쟁

인 경 기법을 도입하면서 임상의사의 연구력에 주

로 의존하던 학원 연구활동도 상당한 변화를 모

색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

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21세기를 비하는 우리 나

라 과학 정책도 한 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신

호로 볼 수 있다 즉 이제는 국력을 좌우하는 근간

이 지식산업으로 이동하는 국가 인 구조 조정기라

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를 들어

최근 폭 증액된 연구비와 함께 학 내외에서

증하고 있는 연구업 요구라 할 수 있다2 이제

학교수는 학부교육의 의무외에 학원 연구기능이

시되고 있으며 의과 학 교수는 교육 진료와 함

께 연구까지 수행해야 하는 팔방미인이어야 한다

다소 복잡한 변화로 보이지만 결국 발 하는 사회

가 연구하는 학원 의학과를 요구한다고 집약할

수 있고 보다 구체 으로는 연구활동이 연구비 수

주로 연결되어 학사회에 보다 직 인 형태로

기여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아무튼 탁월한 연구역량

을 가진 교수와 우수한 학원생이 열정 으로 연

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시 의 변화에도 부

응하면서 학문 정통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이

기도 하다 특히 정치 격변기와 경제 도약단계

를 성공 으로 거치면서 학이나 교수 개인 모두

연구에 한 의욕이 증하는 추세에 비추어 학

원 특히 학원 의학과의 새로운 변화 모색은 시의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7 -

표 2 국 28개 의학과 학원생 (1998년 3월 재)

석사 총 3946명 박사 총 2507명

수련의 2868명 567명

개업의 194명 502명

임상의학 staff 337명 980명

기 의학 staff 9명 41명

기타 295명 267명

임 학원생 243명 150명

의사 65명 비의사 178명 의사 50명 비의사 100명

DATA 자료는 26~27개 학을 상으로 함 총 6453명

조사 참여 학원 (가나다 순) 가톨릭의 건국의 경북의 경상의 경희의 계명의 고려의 단국의 구효성 가톨릭의 동국의 동아의 부산의 서울의

순천향의 아주의 연세의 원 의 이화의 인제의 인하의 남의

북의 조선의 앙의 충남의 충북의 한림의 한양의

표 1 국 학원 의학과 황 (1997)

석사 과정 박사 과정 계

의학과수 31 29 60

재학생수 4095 2834 6929

입학상황지원자 3671

입학자 2020

지원자 1684

입학자 1096

학 취득자 1409 769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은 약 30 정도로 추정된다

연구 상 방법

1 학원 의학과 황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1997년도에 체 재 학

원생수는 석사과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으로 1990년도 보다 략 50가 증가한 숫

자이다8 입학 상황을 보면 석사과정은 3671명이

지원해서 2020명이 입학했고 박사과정은 1684명이

지원해서 1090명이 입학하여 각각 182 1 155

1의 경쟁률을 보 다 1997년도 의학과 학부 총

학생수가 12900명이고 입학정원이 3225명이므로

의과 학 졸업생 약 65 정도는 석사과정을 입학

하고 약 34 정도는 박사과정까지 입학하는 것으

로 각각 나타났다 97년도 학 를 취득한 사람을 보

면 석사가 1409명 박사가 769명이었다 (표 1) 아무

튼 학원 입학과 학 취득은 의 졸업후 군 입

나 수련의 과정 등 다양한 경로를 거친 후나 병행해

서 이루어지므로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을

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약 30 이하 정도로

보면 하다고 본다 따라서 의 졸업생의 부

분이 문의 과정을 거치는 것과 비교하면 의학박

사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가 이제는 학 는 종합

병원으로 연구경험을 필요로 하는 진로를 비하는

단계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2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숫자나 경쟁률을 고려

하면 학원 의학과는 안정 인 치에서 필요한

역할을 하게 수용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내용

인 측면에서 학원은 본질 으로 연구 는 지

식 생산이 일차 목 이기 때문에 연구 역할을 충실

히 수행할 수 있는 연구원으로서 어느 정도 석 박

사 학 과정에 참여하는지를 구체 으로 악할 필

요가 있다 즉 부분의 학원생은 취업자로서 피

교육자이자 지식 생산자라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에 학원 황과 추세를 알아보고자 학원생의

직업별 구성을 분석하 다 학원 의학과 과정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8 -

석사 과정 (3946 명)

개업의4

비의사5

수련의73

의사2

임상의학staff9

기타8

박사 과정 (2507 명)

수련의24

개업의17

기초의학staff2

기타11

의사2

비의사4

임상의학staff41

그림 2 국 의과 학 학원생 구성비율 (1995~1998)

개설한 국 30개 학원 계자에게 조를 의뢰

하여 극 인 도움으로 28개 학원에 한 자료

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 1~2개 학원으로부

터 수집한 자료에서 연도별 는 직업분류에 다소

미비한 이 있었지만 체 으로는 우리 나라

체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을 악하는데 충분

히 방 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한 이와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국 학원 의학과 계자들을

청하여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교과과정

개성방안을 한 토론회를 1998년 7월 14일 개최하

여 새로운 상황을 맞이한 학원 의학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하 다

3 의학과 학원생 신상 분류

학원 연구과정에 주로 기여할 수 있는 신분이

나 연구경험이 필요한 분야에서 종사하는지를 구분

하고자 학원생을 수련의 개업의 임상의학 교원

기 의학 교원과 일제 근무 연구원 (이하 임

학원생)으로 구분하 다 각 학마다 특히 임상의

학 교원 분야에 다소 상이한 직 종류가 있었지만

실질 으로 진료외에도 연구 역할에 상당한 비 을

부여하는지를 기 으로 하여 임상의학 교원으로 총

칭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은 기타 항목으로 분류하 다

한 임 학원생을 의사와 비의사로 나 어 최근

격히 증가하는 비의사의 의학분야 공자를 알아

보고자 하 다

조사 상은 98년 3월 재 학원 의학과에 재학

인 학원생을 모두 포함하 다 총 6453명

석사과정이 3946명 박사과정이 2507명이었다

1997년도 교육부 자료를 참고로 비교할 때 석사과

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

931를 조사하 다 (표 2) 따라서 본 조사내용은

우리 나라 국 학원 의학과 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자료의 수집결과로 볼 수 있다

결 과

1 학원 의학과 황

1) 석 박사 과정 학원생 직업 분포

수련의가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이 임상의학 스탭이 9

(336명) 이었고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차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9 -

개업의 비율

- 박사과정 -

0

24

68

1012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90- 100비율 ()

학교

( 개)

개업의 비율- 석사과정 -

0246810121416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표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4 0~10 10

5~10 5 10~20 6

10~15 4 20~30 4

15~20 4 30~40 2

20~40 0 40~50 1

40~60 0 50~60 0

60~80 0 60~70 1

80~100 0 70~80 1

80~90 1

90~100 0

하 다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은 7 (233명)이었는데 이 의 출

신이 61명이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

원생의 다수를 차지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 기타가 8 (295명)

이었다 체 으로는 임상의학 공자가 3564명으

로 거의 부분을 (93) 이루었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서는 임상의학 스

탭이 (976명) 41를 차지하 고 그 다음으로는 수

련의로서 체의 24를 (563명) 구성하 으며 개업

의가 17 (408명) 기 의학 스탭이 2 (36명) 기

타 11 (267명)이었다 임 학원생은 모두 145명

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명이었다 박사과정 학

원의 부분도 임상의학 공자로서 94를 (2250

명) 이루었다 (그림 2)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의 학원생 구성비를 비교

하면 석사과정 학원생의 부분은 (73) 수련의

과정에 있는 경우 지만 박사과정의 주된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이었고 (41) 수련의는 24 정도로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았다 석사과정의 학

원생은 부분이 공의 수련과정을 동시에 이수한

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석사과

정을 거치는 동안 의학과 련된 기 과학 지식

을 습득하거나 연구와 련된 실험 인 기법을 경

험하기에는 어려운 이 많고 박사학 취득을

한 형식 인 과정으로 운 될 소지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고 임상의학 스탭이

주된 구성원인 박사과정은 인 구성만으로 볼 때

는 석사과정보다는 교과과정을 충실하게 운 해야

할 여건이라고 본다 특히 임상의학 스탭의 경우는

임상경험과 더불어 연구력도 갖추어야 하므로 기

과학 지식과 실험실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3: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5 -

하는 문의 제도를 시행하 다 그 당시 일본은

학원 과정을 활용하여 임상의학에 한 수련을 각

의국 는 교실에서 담당하 고 문의 제도가 정

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의학 수련과정이 낙후된

측면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미국은 의과

학 과정을 수료하면 의학박사로 인정했고 임상분야

에 한 문의 과정을 별도로 시행하면서 임상

심의 의학이 활발하게 발 하고 있었다 결국 우리

나라는 매우 상이한 배경으로 서로 연 성도 없는

일본식 학원 의학과와 미국식 문의 과정을 병

행하는 특이한 의학교육 연구 체제를 갖게 되었

다 학원 과정은 기 의학 연구 측면에서 주된

기능을 갖고 있으며 문의 제도는 임상의학 진

료 측면이 주된 목 이기 때문에 두 과정을 동시에

이수할 경우에는 각 제도의 장 이 효과 으로 발

휘되기 보다는 어느 한쪽이 필연 으로 부실해지는

결과를 래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우리 나라

의학연구 진료를 한 교육과정은 기본 인 구

조에 모순을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5

2 약 20년이 소요되는 소모 인 의료인 교육과

수련과정

만약 우리 나라 의학 교육과 연구 는 수련 과정

을 원칙 으로 모두 이수하려면 그림 1에서 보듯이

최소한 15~16년이 소요된다 게다가 남자의 경우 3

년의 병역의무를 마쳐야 하므로 거의 20년을 보내

야 한다 이같은 과정은 문 인 지식과 경험을 습

득하는데 시간과 경비를 과도하게 지출하는 반면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생산 으로 활용하는 기회는

상 으로 40세 이후에나 가능하기 때문에 단히

소모 인 제도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시행 기

에 제도 운용상 한 사람이 두 과정을 동시에 이수할

수 있도록 잠정 으로 허용한 변칙이 40년이 지난

재까지 그 로 유지되면서 여러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의 제도가 정착되기 까지

는 의학박사를 의학 지식과 임상경험을 두루 갖

춘 훌륭한 의사로 일반 으로 인식하 다 그러다가

환자 진료에 보다 직 인 임상 지식과 경험은

문의 과정을 통해서 습득한다는 인식이 리 확산

되면서 재는 의학박사를 이수하려는 의사가 차

으로 감소하는 추세라 볼 수 있다 해방 후 수십

년 동안 민생고 해결이 우선 과제 던 후진 인 사

회 경제 인 구조에서도 학문의 명맥을 유지하고

나아가서 학원의 권 를 학문연구로서 지키려 했

던 치열한 학자 정신이 재 학원의 근간을 이루

고 있지만 반면에 학원에 한 사회 인식을 보

면 석 박사 학 제도라는 형식논리도 아직 상당히

잠재하고 있고 정부와 학 경 자들의 소극

근 등이 어우러져 학원 의학과의 개 은 수십년

동안 답보상태를 면할 수 없는 실도 부인하기 어

렵다3

3 빈약한 연구여건으로 실 할 수 없었던 개 방안들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안은 이미 1980년 부터

거의 유사한 내용이 수차례 반복하여 제기되었다

그 핵심은 문의 수련과정과 학원 연구과정은

별개의 교육훈련과정이고 병행할 경우에는 어느 하

나는 필연 으로 부실해지므로 분리하여 과정을 충

실히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실 으로

두 과정을 따로 이수하려면 제도하에서는 무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문의 자격을 획득하면

석사과정을 인정하여 학원 과정을 2년 정도 단축

하자는 제안이었다 이를 해서는 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하는 행정 인 차가 필요하 고 2년을 단축

했을때 학원 과정이 충실해지기보다는 오히려 더

욱 부실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기 때문

에 채택되지 않았다 재도 몇몇 학원에서 시행

하고 있듯이 석 박사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60

학 을 4년내에 마칠 수 있도록 하여 학 자체 으

로 1년 정도를 단축하 지만 학원 의학과 학 제

도를 건 하게 변화시키는데는 미흡하다는 것이 당

사자인 학원생과 교수들의 론이다1

두 번째는 임상 진료에 치 하는 부분의 의사

는 문의 자격으로도 충분하고 의학박사 학 는

실질 인 도움이 별로 없으므로 불필요한 이 부

담을 덜어주고 꼭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학원 교

육을 충실히 하도록 하자는 제안이었다 문의와

의학박사에 한 일반인의 인식도 분명해졌기 때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6 -

에 개업 계획이 확실한 경우에는 학원 입학을 염

두에 두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상당

수의 수련의가 학원에 입학하는 이유는 장차

학병원의 교수요원으로 진출하는데 필요하기 때문

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학원에서 교육받

은 연구경험이 교수활동에 실질 인 도움이 된다기

보다는 학교원 임용이나 진 시에 박사학 가 있

어야 한다는 규정때문에 미리 비하는 형식 의

미가 크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을 고치면 이

부담으로 부실해지는 학원 과정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겠지만 의과 학의 입장에서는 박사

학 는 교육 연구요원 질 수 을 유지하는 최소

한 기 이므로 쉽게 포기할 수 없는 명분이기도 하

다6

이밖에도 여러 가지 발 인 제안이 있었지만

충분한 재원이 선행되어야 하는 실 인 한계로

참고 사항으로 머물 고 한 가지 지 할 은 이러

한 문제는 당사자인 의료인 는 학인이 학원

과정을 개선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기보다 학

제도 운 특히 실험비와 련한 부정 인 사회

인식으로 정부에서 개 을 요구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부분의 의료인은 개 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부족한 연구비와 충분치 못한 인원

시설 등의 연구여건 등을 이유로 제도가 나름

로 실 으로 기여하는 부분을 상당히 인정하고

있다 학원은 최고 수 의 고등교육 연구기 이기

때문에 연구여건의 뒷받침 없는 개 방안은 구호

에 그친다는 사실은 이미 지난 수십년간 확인되었

다 하겠다

4 변화하는 사회에서 학원 의학과가 선택할 방향

연구 여건이 열악했던 과거 수십년 동안 우리 나

라의 학원 교수요원은 지식 생산자보다는 지식

달자 즉 학부학생 교육에 치 해 왔다 최근에

학원 심의 학 즉 연구기능을 강조하는 추세이

긴 하지만 아직 학의 일부로서 통 인 학문탐

구라는 학풍을 조성하지도 못한 채 격한 사회구

조 변화를 맞이하면서 선진국 형태의 경쟁이 극심

한 연구여건에 직면하게 되는 보다 복잡하고 어려

운 상황이라 볼 수도 있다 의학이 생명을 연구하는

통 인 학문이면서 자의든 타의든 근래에는 부

시게 발달하는 자연과학의 심분야로서 국가 으

로는 의료산업 는 보건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

음도 엄연한 실이다 학원 의학과의 역할도 이

와같은 추세를 간과할 수 없으며 내부 으로는

학병원을 유지하는 의료원 체제가 재정 인 균형을

고려해야 하는 입장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도 의과 학 부분은 체 학의 입장에서

수익사업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병원에 경쟁

인 경 기법을 도입하면서 임상의사의 연구력에 주

로 의존하던 학원 연구활동도 상당한 변화를 모

색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

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21세기를 비하는 우리 나

라 과학 정책도 한 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신

호로 볼 수 있다 즉 이제는 국력을 좌우하는 근간

이 지식산업으로 이동하는 국가 인 구조 조정기라

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를 들어

최근 폭 증액된 연구비와 함께 학 내외에서

증하고 있는 연구업 요구라 할 수 있다2 이제

학교수는 학부교육의 의무외에 학원 연구기능이

시되고 있으며 의과 학 교수는 교육 진료와 함

께 연구까지 수행해야 하는 팔방미인이어야 한다

다소 복잡한 변화로 보이지만 결국 발 하는 사회

가 연구하는 학원 의학과를 요구한다고 집약할

수 있고 보다 구체 으로는 연구활동이 연구비 수

주로 연결되어 학사회에 보다 직 인 형태로

기여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아무튼 탁월한 연구역량

을 가진 교수와 우수한 학원생이 열정 으로 연

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시 의 변화에도 부

응하면서 학문 정통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이

기도 하다 특히 정치 격변기와 경제 도약단계

를 성공 으로 거치면서 학이나 교수 개인 모두

연구에 한 의욕이 증하는 추세에 비추어 학

원 특히 학원 의학과의 새로운 변화 모색은 시의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7 -

표 2 국 28개 의학과 학원생 (1998년 3월 재)

석사 총 3946명 박사 총 2507명

수련의 2868명 567명

개업의 194명 502명

임상의학 staff 337명 980명

기 의학 staff 9명 41명

기타 295명 267명

임 학원생 243명 150명

의사 65명 비의사 178명 의사 50명 비의사 100명

DATA 자료는 26~27개 학을 상으로 함 총 6453명

조사 참여 학원 (가나다 순) 가톨릭의 건국의 경북의 경상의 경희의 계명의 고려의 단국의 구효성 가톨릭의 동국의 동아의 부산의 서울의

순천향의 아주의 연세의 원 의 이화의 인제의 인하의 남의

북의 조선의 앙의 충남의 충북의 한림의 한양의

표 1 국 학원 의학과 황 (1997)

석사 과정 박사 과정 계

의학과수 31 29 60

재학생수 4095 2834 6929

입학상황지원자 3671

입학자 2020

지원자 1684

입학자 1096

학 취득자 1409 769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은 약 30 정도로 추정된다

연구 상 방법

1 학원 의학과 황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1997년도에 체 재 학

원생수는 석사과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으로 1990년도 보다 략 50가 증가한 숫

자이다8 입학 상황을 보면 석사과정은 3671명이

지원해서 2020명이 입학했고 박사과정은 1684명이

지원해서 1090명이 입학하여 각각 182 1 155

1의 경쟁률을 보 다 1997년도 의학과 학부 총

학생수가 12900명이고 입학정원이 3225명이므로

의과 학 졸업생 약 65 정도는 석사과정을 입학

하고 약 34 정도는 박사과정까지 입학하는 것으

로 각각 나타났다 97년도 학 를 취득한 사람을 보

면 석사가 1409명 박사가 769명이었다 (표 1) 아무

튼 학원 입학과 학 취득은 의 졸업후 군 입

나 수련의 과정 등 다양한 경로를 거친 후나 병행해

서 이루어지므로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을

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약 30 이하 정도로

보면 하다고 본다 따라서 의 졸업생의 부

분이 문의 과정을 거치는 것과 비교하면 의학박

사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가 이제는 학 는 종합

병원으로 연구경험을 필요로 하는 진로를 비하는

단계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2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숫자나 경쟁률을 고려

하면 학원 의학과는 안정 인 치에서 필요한

역할을 하게 수용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내용

인 측면에서 학원은 본질 으로 연구 는 지

식 생산이 일차 목 이기 때문에 연구 역할을 충실

히 수행할 수 있는 연구원으로서 어느 정도 석 박

사 학 과정에 참여하는지를 구체 으로 악할 필

요가 있다 즉 부분의 학원생은 취업자로서 피

교육자이자 지식 생산자라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에 학원 황과 추세를 알아보고자 학원생의

직업별 구성을 분석하 다 학원 의학과 과정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8 -

석사 과정 (3946 명)

개업의4

비의사5

수련의73

의사2

임상의학staff9

기타8

박사 과정 (2507 명)

수련의24

개업의17

기초의학staff2

기타11

의사2

비의사4

임상의학staff41

그림 2 국 의과 학 학원생 구성비율 (1995~1998)

개설한 국 30개 학원 계자에게 조를 의뢰

하여 극 인 도움으로 28개 학원에 한 자료

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 1~2개 학원으로부

터 수집한 자료에서 연도별 는 직업분류에 다소

미비한 이 있었지만 체 으로는 우리 나라

체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을 악하는데 충분

히 방 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한 이와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국 학원 의학과 계자들을

청하여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교과과정

개성방안을 한 토론회를 1998년 7월 14일 개최하

여 새로운 상황을 맞이한 학원 의학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하 다

3 의학과 학원생 신상 분류

학원 연구과정에 주로 기여할 수 있는 신분이

나 연구경험이 필요한 분야에서 종사하는지를 구분

하고자 학원생을 수련의 개업의 임상의학 교원

기 의학 교원과 일제 근무 연구원 (이하 임

학원생)으로 구분하 다 각 학마다 특히 임상의

학 교원 분야에 다소 상이한 직 종류가 있었지만

실질 으로 진료외에도 연구 역할에 상당한 비 을

부여하는지를 기 으로 하여 임상의학 교원으로 총

칭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은 기타 항목으로 분류하 다

한 임 학원생을 의사와 비의사로 나 어 최근

격히 증가하는 비의사의 의학분야 공자를 알아

보고자 하 다

조사 상은 98년 3월 재 학원 의학과에 재학

인 학원생을 모두 포함하 다 총 6453명

석사과정이 3946명 박사과정이 2507명이었다

1997년도 교육부 자료를 참고로 비교할 때 석사과

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

931를 조사하 다 (표 2) 따라서 본 조사내용은

우리 나라 국 학원 의학과 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자료의 수집결과로 볼 수 있다

결 과

1 학원 의학과 황

1) 석 박사 과정 학원생 직업 분포

수련의가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이 임상의학 스탭이 9

(336명) 이었고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차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9 -

개업의 비율

- 박사과정 -

0

24

68

1012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90- 100비율 ()

학교

( 개)

개업의 비율- 석사과정 -

0246810121416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표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4 0~10 10

5~10 5 10~20 6

10~15 4 20~30 4

15~20 4 30~40 2

20~40 0 40~50 1

40~60 0 50~60 0

60~80 0 60~70 1

80~100 0 70~80 1

80~90 1

90~100 0

하 다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은 7 (233명)이었는데 이 의 출

신이 61명이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

원생의 다수를 차지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 기타가 8 (295명)

이었다 체 으로는 임상의학 공자가 3564명으

로 거의 부분을 (93) 이루었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서는 임상의학 스

탭이 (976명) 41를 차지하 고 그 다음으로는 수

련의로서 체의 24를 (563명) 구성하 으며 개업

의가 17 (408명) 기 의학 스탭이 2 (36명) 기

타 11 (267명)이었다 임 학원생은 모두 145명

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명이었다 박사과정 학

원의 부분도 임상의학 공자로서 94를 (2250

명) 이루었다 (그림 2)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의 학원생 구성비를 비교

하면 석사과정 학원생의 부분은 (73) 수련의

과정에 있는 경우 지만 박사과정의 주된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이었고 (41) 수련의는 24 정도로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았다 석사과정의 학

원생은 부분이 공의 수련과정을 동시에 이수한

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석사과

정을 거치는 동안 의학과 련된 기 과학 지식

을 습득하거나 연구와 련된 실험 인 기법을 경

험하기에는 어려운 이 많고 박사학 취득을

한 형식 인 과정으로 운 될 소지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고 임상의학 스탭이

주된 구성원인 박사과정은 인 구성만으로 볼 때

는 석사과정보다는 교과과정을 충실하게 운 해야

할 여건이라고 본다 특히 임상의학 스탭의 경우는

임상경험과 더불어 연구력도 갖추어야 하므로 기

과학 지식과 실험실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4: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6 -

에 개업 계획이 확실한 경우에는 학원 입학을 염

두에 두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상당

수의 수련의가 학원에 입학하는 이유는 장차

학병원의 교수요원으로 진출하는데 필요하기 때문

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학원에서 교육받

은 연구경험이 교수활동에 실질 인 도움이 된다기

보다는 학교원 임용이나 진 시에 박사학 가 있

어야 한다는 규정때문에 미리 비하는 형식 의

미가 크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을 고치면 이

부담으로 부실해지는 학원 과정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겠지만 의과 학의 입장에서는 박사

학 는 교육 연구요원 질 수 을 유지하는 최소

한 기 이므로 쉽게 포기할 수 없는 명분이기도 하

다6

이밖에도 여러 가지 발 인 제안이 있었지만

충분한 재원이 선행되어야 하는 실 인 한계로

참고 사항으로 머물 고 한 가지 지 할 은 이러

한 문제는 당사자인 의료인 는 학인이 학원

과정을 개선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기보다 학

제도 운 특히 실험비와 련한 부정 인 사회

인식으로 정부에서 개 을 요구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부분의 의료인은 개 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부족한 연구비와 충분치 못한 인원

시설 등의 연구여건 등을 이유로 제도가 나름

로 실 으로 기여하는 부분을 상당히 인정하고

있다 학원은 최고 수 의 고등교육 연구기 이기

때문에 연구여건의 뒷받침 없는 개 방안은 구호

에 그친다는 사실은 이미 지난 수십년간 확인되었

다 하겠다

4 변화하는 사회에서 학원 의학과가 선택할 방향

연구 여건이 열악했던 과거 수십년 동안 우리 나

라의 학원 교수요원은 지식 생산자보다는 지식

달자 즉 학부학생 교육에 치 해 왔다 최근에

학원 심의 학 즉 연구기능을 강조하는 추세이

긴 하지만 아직 학의 일부로서 통 인 학문탐

구라는 학풍을 조성하지도 못한 채 격한 사회구

조 변화를 맞이하면서 선진국 형태의 경쟁이 극심

한 연구여건에 직면하게 되는 보다 복잡하고 어려

운 상황이라 볼 수도 있다 의학이 생명을 연구하는

통 인 학문이면서 자의든 타의든 근래에는 부

시게 발달하는 자연과학의 심분야로서 국가 으

로는 의료산업 는 보건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

음도 엄연한 실이다 학원 의학과의 역할도 이

와같은 추세를 간과할 수 없으며 내부 으로는

학병원을 유지하는 의료원 체제가 재정 인 균형을

고려해야 하는 입장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도 의과 학 부분은 체 학의 입장에서

수익사업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병원에 경쟁

인 경 기법을 도입하면서 임상의사의 연구력에 주

로 의존하던 학원 연구활동도 상당한 변화를 모

색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

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21세기를 비하는 우리 나

라 과학 정책도 한 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신

호로 볼 수 있다 즉 이제는 국력을 좌우하는 근간

이 지식산업으로 이동하는 국가 인 구조 조정기라

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를 들어

최근 폭 증액된 연구비와 함께 학 내외에서

증하고 있는 연구업 요구라 할 수 있다2 이제

학교수는 학부교육의 의무외에 학원 연구기능이

시되고 있으며 의과 학 교수는 교육 진료와 함

께 연구까지 수행해야 하는 팔방미인이어야 한다

다소 복잡한 변화로 보이지만 결국 발 하는 사회

가 연구하는 학원 의학과를 요구한다고 집약할

수 있고 보다 구체 으로는 연구활동이 연구비 수

주로 연결되어 학사회에 보다 직 인 형태로

기여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아무튼 탁월한 연구역량

을 가진 교수와 우수한 학원생이 열정 으로 연

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시 의 변화에도 부

응하면서 학문 정통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이

기도 하다 특히 정치 격변기와 경제 도약단계

를 성공 으로 거치면서 학이나 교수 개인 모두

연구에 한 의욕이 증하는 추세에 비추어 학

원 특히 학원 의학과의 새로운 변화 모색은 시의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7 -

표 2 국 28개 의학과 학원생 (1998년 3월 재)

석사 총 3946명 박사 총 2507명

수련의 2868명 567명

개업의 194명 502명

임상의학 staff 337명 980명

기 의학 staff 9명 41명

기타 295명 267명

임 학원생 243명 150명

의사 65명 비의사 178명 의사 50명 비의사 100명

DATA 자료는 26~27개 학을 상으로 함 총 6453명

조사 참여 학원 (가나다 순) 가톨릭의 건국의 경북의 경상의 경희의 계명의 고려의 단국의 구효성 가톨릭의 동국의 동아의 부산의 서울의

순천향의 아주의 연세의 원 의 이화의 인제의 인하의 남의

북의 조선의 앙의 충남의 충북의 한림의 한양의

표 1 국 학원 의학과 황 (1997)

석사 과정 박사 과정 계

의학과수 31 29 60

재학생수 4095 2834 6929

입학상황지원자 3671

입학자 2020

지원자 1684

입학자 1096

학 취득자 1409 769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은 약 30 정도로 추정된다

연구 상 방법

1 학원 의학과 황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1997년도에 체 재 학

원생수는 석사과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으로 1990년도 보다 략 50가 증가한 숫

자이다8 입학 상황을 보면 석사과정은 3671명이

지원해서 2020명이 입학했고 박사과정은 1684명이

지원해서 1090명이 입학하여 각각 182 1 155

1의 경쟁률을 보 다 1997년도 의학과 학부 총

학생수가 12900명이고 입학정원이 3225명이므로

의과 학 졸업생 약 65 정도는 석사과정을 입학

하고 약 34 정도는 박사과정까지 입학하는 것으

로 각각 나타났다 97년도 학 를 취득한 사람을 보

면 석사가 1409명 박사가 769명이었다 (표 1) 아무

튼 학원 입학과 학 취득은 의 졸업후 군 입

나 수련의 과정 등 다양한 경로를 거친 후나 병행해

서 이루어지므로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을

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약 30 이하 정도로

보면 하다고 본다 따라서 의 졸업생의 부

분이 문의 과정을 거치는 것과 비교하면 의학박

사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가 이제는 학 는 종합

병원으로 연구경험을 필요로 하는 진로를 비하는

단계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2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숫자나 경쟁률을 고려

하면 학원 의학과는 안정 인 치에서 필요한

역할을 하게 수용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내용

인 측면에서 학원은 본질 으로 연구 는 지

식 생산이 일차 목 이기 때문에 연구 역할을 충실

히 수행할 수 있는 연구원으로서 어느 정도 석 박

사 학 과정에 참여하는지를 구체 으로 악할 필

요가 있다 즉 부분의 학원생은 취업자로서 피

교육자이자 지식 생산자라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에 학원 황과 추세를 알아보고자 학원생의

직업별 구성을 분석하 다 학원 의학과 과정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8 -

석사 과정 (3946 명)

개업의4

비의사5

수련의73

의사2

임상의학staff9

기타8

박사 과정 (2507 명)

수련의24

개업의17

기초의학staff2

기타11

의사2

비의사4

임상의학staff41

그림 2 국 의과 학 학원생 구성비율 (1995~1998)

개설한 국 30개 학원 계자에게 조를 의뢰

하여 극 인 도움으로 28개 학원에 한 자료

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 1~2개 학원으로부

터 수집한 자료에서 연도별 는 직업분류에 다소

미비한 이 있었지만 체 으로는 우리 나라

체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을 악하는데 충분

히 방 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한 이와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국 학원 의학과 계자들을

청하여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교과과정

개성방안을 한 토론회를 1998년 7월 14일 개최하

여 새로운 상황을 맞이한 학원 의학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하 다

3 의학과 학원생 신상 분류

학원 연구과정에 주로 기여할 수 있는 신분이

나 연구경험이 필요한 분야에서 종사하는지를 구분

하고자 학원생을 수련의 개업의 임상의학 교원

기 의학 교원과 일제 근무 연구원 (이하 임

학원생)으로 구분하 다 각 학마다 특히 임상의

학 교원 분야에 다소 상이한 직 종류가 있었지만

실질 으로 진료외에도 연구 역할에 상당한 비 을

부여하는지를 기 으로 하여 임상의학 교원으로 총

칭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은 기타 항목으로 분류하 다

한 임 학원생을 의사와 비의사로 나 어 최근

격히 증가하는 비의사의 의학분야 공자를 알아

보고자 하 다

조사 상은 98년 3월 재 학원 의학과에 재학

인 학원생을 모두 포함하 다 총 6453명

석사과정이 3946명 박사과정이 2507명이었다

1997년도 교육부 자료를 참고로 비교할 때 석사과

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

931를 조사하 다 (표 2) 따라서 본 조사내용은

우리 나라 국 학원 의학과 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자료의 수집결과로 볼 수 있다

결 과

1 학원 의학과 황

1) 석 박사 과정 학원생 직업 분포

수련의가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이 임상의학 스탭이 9

(336명) 이었고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차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9 -

개업의 비율

- 박사과정 -

0

24

68

1012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90- 100비율 ()

학교

( 개)

개업의 비율- 석사과정 -

0246810121416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표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4 0~10 10

5~10 5 10~20 6

10~15 4 20~30 4

15~20 4 30~40 2

20~40 0 40~50 1

40~60 0 50~60 0

60~80 0 60~70 1

80~100 0 70~80 1

80~90 1

90~100 0

하 다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은 7 (233명)이었는데 이 의 출

신이 61명이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

원생의 다수를 차지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 기타가 8 (295명)

이었다 체 으로는 임상의학 공자가 3564명으

로 거의 부분을 (93) 이루었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서는 임상의학 스

탭이 (976명) 41를 차지하 고 그 다음으로는 수

련의로서 체의 24를 (563명) 구성하 으며 개업

의가 17 (408명) 기 의학 스탭이 2 (36명) 기

타 11 (267명)이었다 임 학원생은 모두 145명

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명이었다 박사과정 학

원의 부분도 임상의학 공자로서 94를 (2250

명) 이루었다 (그림 2)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의 학원생 구성비를 비교

하면 석사과정 학원생의 부분은 (73) 수련의

과정에 있는 경우 지만 박사과정의 주된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이었고 (41) 수련의는 24 정도로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았다 석사과정의 학

원생은 부분이 공의 수련과정을 동시에 이수한

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석사과

정을 거치는 동안 의학과 련된 기 과학 지식

을 습득하거나 연구와 련된 실험 인 기법을 경

험하기에는 어려운 이 많고 박사학 취득을

한 형식 인 과정으로 운 될 소지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고 임상의학 스탭이

주된 구성원인 박사과정은 인 구성만으로 볼 때

는 석사과정보다는 교과과정을 충실하게 운 해야

할 여건이라고 본다 특히 임상의학 스탭의 경우는

임상경험과 더불어 연구력도 갖추어야 하므로 기

과학 지식과 실험실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5: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7 -

표 2 국 28개 의학과 학원생 (1998년 3월 재)

석사 총 3946명 박사 총 2507명

수련의 2868명 567명

개업의 194명 502명

임상의학 staff 337명 980명

기 의학 staff 9명 41명

기타 295명 267명

임 학원생 243명 150명

의사 65명 비의사 178명 의사 50명 비의사 100명

DATA 자료는 26~27개 학을 상으로 함 총 6453명

조사 참여 학원 (가나다 순) 가톨릭의 건국의 경북의 경상의 경희의 계명의 고려의 단국의 구효성 가톨릭의 동국의 동아의 부산의 서울의

순천향의 아주의 연세의 원 의 이화의 인제의 인하의 남의

북의 조선의 앙의 충남의 충북의 한림의 한양의

표 1 국 학원 의학과 황 (1997)

석사 과정 박사 과정 계

의학과수 31 29 60

재학생수 4095 2834 6929

입학상황지원자 3671

입학자 2020

지원자 1684

입학자 1096

학 취득자 1409 769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은 약 30 정도로 추정된다

연구 상 방법

1 학원 의학과 황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1997년도에 체 재 학

원생수는 석사과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으로 1990년도 보다 략 50가 증가한 숫

자이다8 입학 상황을 보면 석사과정은 3671명이

지원해서 2020명이 입학했고 박사과정은 1684명이

지원해서 1090명이 입학하여 각각 182 1 155

1의 경쟁률을 보 다 1997년도 의학과 학부 총

학생수가 12900명이고 입학정원이 3225명이므로

의과 학 졸업생 약 65 정도는 석사과정을 입학

하고 약 34 정도는 박사과정까지 입학하는 것으

로 각각 나타났다 97년도 학 를 취득한 사람을 보

면 석사가 1409명 박사가 769명이었다 (표 1) 아무

튼 학원 입학과 학 취득은 의 졸업후 군 입

나 수련의 과정 등 다양한 경로를 거친 후나 병행해

서 이루어지므로 의 졸업생 박사학 취득률을

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약 30 이하 정도로

보면 하다고 본다 따라서 의 졸업생의 부

분이 문의 과정을 거치는 것과 비교하면 의학박

사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가 이제는 학 는 종합

병원으로 연구경험을 필요로 하는 진로를 비하는

단계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2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숫자나 경쟁률을 고려

하면 학원 의학과는 안정 인 치에서 필요한

역할을 하게 수용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내용

인 측면에서 학원은 본질 으로 연구 는 지

식 생산이 일차 목 이기 때문에 연구 역할을 충실

히 수행할 수 있는 연구원으로서 어느 정도 석 박

사 학 과정에 참여하는지를 구체 으로 악할 필

요가 있다 즉 부분의 학원생은 취업자로서 피

교육자이자 지식 생산자라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에 학원 황과 추세를 알아보고자 학원생의

직업별 구성을 분석하 다 학원 의학과 과정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8 -

석사 과정 (3946 명)

개업의4

비의사5

수련의73

의사2

임상의학staff9

기타8

박사 과정 (2507 명)

수련의24

개업의17

기초의학staff2

기타11

의사2

비의사4

임상의학staff41

그림 2 국 의과 학 학원생 구성비율 (1995~1998)

개설한 국 30개 학원 계자에게 조를 의뢰

하여 극 인 도움으로 28개 학원에 한 자료

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 1~2개 학원으로부

터 수집한 자료에서 연도별 는 직업분류에 다소

미비한 이 있었지만 체 으로는 우리 나라

체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을 악하는데 충분

히 방 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한 이와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국 학원 의학과 계자들을

청하여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교과과정

개성방안을 한 토론회를 1998년 7월 14일 개최하

여 새로운 상황을 맞이한 학원 의학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하 다

3 의학과 학원생 신상 분류

학원 연구과정에 주로 기여할 수 있는 신분이

나 연구경험이 필요한 분야에서 종사하는지를 구분

하고자 학원생을 수련의 개업의 임상의학 교원

기 의학 교원과 일제 근무 연구원 (이하 임

학원생)으로 구분하 다 각 학마다 특히 임상의

학 교원 분야에 다소 상이한 직 종류가 있었지만

실질 으로 진료외에도 연구 역할에 상당한 비 을

부여하는지를 기 으로 하여 임상의학 교원으로 총

칭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은 기타 항목으로 분류하 다

한 임 학원생을 의사와 비의사로 나 어 최근

격히 증가하는 비의사의 의학분야 공자를 알아

보고자 하 다

조사 상은 98년 3월 재 학원 의학과에 재학

인 학원생을 모두 포함하 다 총 6453명

석사과정이 3946명 박사과정이 2507명이었다

1997년도 교육부 자료를 참고로 비교할 때 석사과

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

931를 조사하 다 (표 2) 따라서 본 조사내용은

우리 나라 국 학원 의학과 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자료의 수집결과로 볼 수 있다

결 과

1 학원 의학과 황

1) 석 박사 과정 학원생 직업 분포

수련의가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이 임상의학 스탭이 9

(336명) 이었고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차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9 -

개업의 비율

- 박사과정 -

0

24

68

1012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90- 100비율 ()

학교

( 개)

개업의 비율- 석사과정 -

0246810121416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표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4 0~10 10

5~10 5 10~20 6

10~15 4 20~30 4

15~20 4 30~40 2

20~40 0 40~50 1

40~60 0 50~60 0

60~80 0 60~70 1

80~100 0 70~80 1

80~90 1

90~100 0

하 다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은 7 (233명)이었는데 이 의 출

신이 61명이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

원생의 다수를 차지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 기타가 8 (295명)

이었다 체 으로는 임상의학 공자가 3564명으

로 거의 부분을 (93) 이루었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서는 임상의학 스

탭이 (976명) 41를 차지하 고 그 다음으로는 수

련의로서 체의 24를 (563명) 구성하 으며 개업

의가 17 (408명) 기 의학 스탭이 2 (36명) 기

타 11 (267명)이었다 임 학원생은 모두 145명

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명이었다 박사과정 학

원의 부분도 임상의학 공자로서 94를 (2250

명) 이루었다 (그림 2)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의 학원생 구성비를 비교

하면 석사과정 학원생의 부분은 (73) 수련의

과정에 있는 경우 지만 박사과정의 주된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이었고 (41) 수련의는 24 정도로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았다 석사과정의 학

원생은 부분이 공의 수련과정을 동시에 이수한

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석사과

정을 거치는 동안 의학과 련된 기 과학 지식

을 습득하거나 연구와 련된 실험 인 기법을 경

험하기에는 어려운 이 많고 박사학 취득을

한 형식 인 과정으로 운 될 소지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고 임상의학 스탭이

주된 구성원인 박사과정은 인 구성만으로 볼 때

는 석사과정보다는 교과과정을 충실하게 운 해야

할 여건이라고 본다 특히 임상의학 스탭의 경우는

임상경험과 더불어 연구력도 갖추어야 하므로 기

과학 지식과 실험실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6: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38 -

석사 과정 (3946 명)

개업의4

비의사5

수련의73

의사2

임상의학staff9

기타8

박사 과정 (2507 명)

수련의24

개업의17

기초의학staff2

기타11

의사2

비의사4

임상의학staff41

그림 2 국 의과 학 학원생 구성비율 (1995~1998)

개설한 국 30개 학원 계자에게 조를 의뢰

하여 극 인 도움으로 28개 학원에 한 자료

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 1~2개 학원으로부

터 수집한 자료에서 연도별 는 직업분류에 다소

미비한 이 있었지만 체 으로는 우리 나라

체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을 악하는데 충분

히 방 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한 이와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국 학원 의학과 계자들을

청하여 의학과 학원생 구성 황 교과과정

개성방안을 한 토론회를 1998년 7월 14일 개최하

여 새로운 상황을 맞이한 학원 의학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하 다

3 의학과 학원생 신상 분류

학원 연구과정에 주로 기여할 수 있는 신분이

나 연구경험이 필요한 분야에서 종사하는지를 구분

하고자 학원생을 수련의 개업의 임상의학 교원

기 의학 교원과 일제 근무 연구원 (이하 임

학원생)으로 구분하 다 각 학마다 특히 임상의

학 교원 분야에 다소 상이한 직 종류가 있었지만

실질 으로 진료외에도 연구 역할에 상당한 비 을

부여하는지를 기 으로 하여 임상의학 교원으로 총

칭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은 기타 항목으로 분류하 다

한 임 학원생을 의사와 비의사로 나 어 최근

격히 증가하는 비의사의 의학분야 공자를 알아

보고자 하 다

조사 상은 98년 3월 재 학원 의학과에 재학

인 학원생을 모두 포함하 다 총 6453명

석사과정이 3946명 박사과정이 2507명이었다

1997년도 교육부 자료를 참고로 비교할 때 석사과

정 4095명 박사과정 2834명 도합 6929명

931를 조사하 다 (표 2) 따라서 본 조사내용은

우리 나라 국 학원 의학과 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자료의 수집결과로 볼 수 있다

결 과

1 학원 의학과 황

1) 석 박사 과정 학원생 직업 분포

수련의가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이 임상의학 스탭이 9

(336명) 이었고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차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9 -

개업의 비율

- 박사과정 -

0

24

68

1012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90- 100비율 ()

학교

( 개)

개업의 비율- 석사과정 -

0246810121416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표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4 0~10 10

5~10 5 10~20 6

10~15 4 20~30 4

15~20 4 30~40 2

20~40 0 40~50 1

40~60 0 50~60 0

60~80 0 60~70 1

80~100 0 70~80 1

80~90 1

90~100 0

하 다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은 7 (233명)이었는데 이 의 출

신이 61명이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

원생의 다수를 차지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 기타가 8 (295명)

이었다 체 으로는 임상의학 공자가 3564명으

로 거의 부분을 (93) 이루었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서는 임상의학 스

탭이 (976명) 41를 차지하 고 그 다음으로는 수

련의로서 체의 24를 (563명) 구성하 으며 개업

의가 17 (408명) 기 의학 스탭이 2 (36명) 기

타 11 (267명)이었다 임 학원생은 모두 145명

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명이었다 박사과정 학

원의 부분도 임상의학 공자로서 94를 (2250

명) 이루었다 (그림 2)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의 학원생 구성비를 비교

하면 석사과정 학원생의 부분은 (73) 수련의

과정에 있는 경우 지만 박사과정의 주된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이었고 (41) 수련의는 24 정도로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았다 석사과정의 학

원생은 부분이 공의 수련과정을 동시에 이수한

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석사과

정을 거치는 동안 의학과 련된 기 과학 지식

을 습득하거나 연구와 련된 실험 인 기법을 경

험하기에는 어려운 이 많고 박사학 취득을

한 형식 인 과정으로 운 될 소지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고 임상의학 스탭이

주된 구성원인 박사과정은 인 구성만으로 볼 때

는 석사과정보다는 교과과정을 충실하게 운 해야

할 여건이라고 본다 특히 임상의학 스탭의 경우는

임상경험과 더불어 연구력도 갖추어야 하므로 기

과학 지식과 실험실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7: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39 -

개업의 비율

- 박사과정 -

0

24

68

1012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90- 100비율 ()

학교

( 개)

개업의 비율- 석사과정 -

0246810121416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표 3 학원생 개업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4 0~10 10

5~10 5 10~20 6

10~15 4 20~30 4

15~20 4 30~40 2

20~40 0 40~50 1

40~60 0 50~60 0

60~80 0 60~70 1

80~100 0 70~80 1

80~90 1

90~100 0

하 다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은 7 (233명)이었는데 이 의 출

신이 61명이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

원생의 다수를 차지하 다 이밖에 종합병원이나

공공의료기 보건직 근무자 등 기타가 8 (295명)

이었다 체 으로는 임상의학 공자가 3564명으

로 거의 부분을 (93) 이루었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서는 임상의학 스

탭이 (976명) 41를 차지하 고 그 다음으로는 수

련의로서 체의 24를 (563명) 구성하 으며 개업

의가 17 (408명) 기 의학 스탭이 2 (36명) 기

타 11 (267명)이었다 임 학원생은 모두 145명

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명이었다 박사과정 학

원의 부분도 임상의학 공자로서 94를 (2250

명) 이루었다 (그림 2)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의 학원생 구성비를 비교

하면 석사과정 학원생의 부분은 (73) 수련의

과정에 있는 경우 지만 박사과정의 주된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이었고 (41) 수련의는 24 정도로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았다 석사과정의 학

원생은 부분이 공의 수련과정을 동시에 이수한

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석사과

정을 거치는 동안 의학과 련된 기 과학 지식

을 습득하거나 연구와 련된 실험 인 기법을 경

험하기에는 어려운 이 많고 박사학 취득을

한 형식 인 과정으로 운 될 소지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수련의 비율이 상 으로 낮고 임상의학 스탭이

주된 구성원인 박사과정은 인 구성만으로 볼 때

는 석사과정보다는 교과과정을 충실하게 운 해야

할 여건이라고 본다 특히 임상의학 스탭의 경우는

임상경험과 더불어 연구력도 갖추어야 하므로 기

과학 지식과 실험실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8: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0 -

수련의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수련의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그림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표 4 학원생 수련의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0 1 0~20 16

20~40 2 20~40 4

40~60 3 40~60 3

60~80 9 60~80 2

80~100 12 80~100 1

한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임상의학 스탭의

부분은 환자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

는 실 인 이유가 실하기 때문에 박사과정 동

안에도 학문연구와 련된 교육이나 실험을 경험하

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임상의사나 수련의가

부분인 학원생의 인 구성으로는 학원 본

연의 역할을 기 하기에는 엄연한 실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학원

연구과정에 으로 기여하는 소 일제 학원

생은 석사과정이 7 (233명) 박사과정이 6 (145

명) 이었다 이 에서도 의 출신보다 비의 출

신이 2배 정도 많았다 이들 임 학원생들이 소

수이긴 하지만 실험에 념하고 연구를 공하는

명실상부한 학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학원생

이고 장차 의학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비 연구자

들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학원

생의 부분인 임상의사 주로 운 될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학원 과정이 임 학원생들의 학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게다

가 비의학계 학원보다 재정 인 부담이 커서

임 학원생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

2) 학원생 개업의 비율

통 으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 나라 의학

박사학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런 선입 은 개업의가 학원 학 을 취득하는 과

정에서 실험비를 부담하는 행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피폐한 연구 여건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일 것

이다 재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

원생 개업의는 4 (165명)로 소수를 이루고 있고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 부분의 경우에 공의 수

련 과정 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때문에 개업

한 경우에도 박사과정까지 마치려는 경향 때문이라

고 본다 이제는 일반인의 인식도 의학박사와 문

의를 충분히 분별할 만큼 의식이 달라졌으며 박사

학 필요성에 한 개업의들의 일반 인 인식도

상당히 실 으로 변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체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9: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1 -

학원 에서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체 학

원 의학과의 수 을 평가하거나 당면과제로 다룰

만큼 크다고 볼 수는 없다 하겠다

우리 나라 의과 학은 실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매우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설립연도 는 재정

상태에 차이가 많을 뿐 아니라 개업의가 차지하는

비율도 각 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었다 즉 개업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가 6개 학원이었고 개업

의 비율이 10 이하인 경우가 10개 학원이었다

특히 개업의 비율이 50 이상 는 5 이하인 경

우가 각각 3개 6개로 학원간에 큰 격차를 보 다

(표 3 그림 3)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학원들

은 최근에 의과 학를 설립하여 졸업생 배출이

기 때문인 경우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 으로는

학의 재정형편과 련이 있다고 하겠다 의과 학은

학생들의 등록 과 더불어 병원의 재정 수입에 크

게 의존하므로 각 학병원의 형편에 따라 재정

인 지원이 격하게 달라지고 따라서 개업의가 연

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는 실상은 부족한 연구비

를 충당하기 한 경우가 부분으로 의과 학 병

원의 형편과 직결된 상으로 보여진다 경제규모가

세하 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정부나 민간부문

에서의 연구비가 주된 연구재정 공 원이 되어 실

제로 의과 학 연구비 조달에도 큰 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교로부터 안정 으로 연구지원

을 받을 수 있는 학원은 상당한 연구업 이 축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부 연구비도 극 으

로 유치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학원

의학과도 가능하면 구태여 옹색하게 개업의에게 실

험비를 부담시킬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상된다

3) 학원생 수련의 비율

우리 나라 공의들은 부분 수련과정 동안 학

과정을 이수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소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체 학원생의 73를 (조사 상 3797명

2762명) 차지하여 부분을 구성하 으며 박사

과정 학원생 에는 (2395명) 임상의학 스탭 (976

명 41) 다음으로 많은 24를 (563명) 구성하고

있었다 (그림 2) 석사과정 학원의 부분이 수련

의라는 이러한 결과는 과 한 수련과정의 부담이

결국 학원 석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어려운

장애가 될 수 밖에 없고 석사과정이 박사과정을 이

수하는데 필요한 형식 인 차로 될 가능성이 다

분하다고 본다 더욱이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수련의

들도 상당수 있어서 박사과정마 그 수 과 권

가 지않게 우려할 만한 실이 아닌가 한다 다만

다수가 수련의 때에 박사과정을 입학하여 문의

자격증을 획득한 다음에 박사학 를 비하여 마무

리하기 때문에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을 충실히

이수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본다

한편 3개 학원 의학과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수

련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내외로 평균보다

히 낮았는데 1개 신설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그 이

유가 실험실에서 실질 인 연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시하는 정책 인 배경은 아니었다고 생

각된다 (표 4 그림 4) 본 연구자들이 확인한 바로는

각 학교마다 학원의 편제나 기구가 달랐으며

따라서 학원생 정원이 학부생 숫자와 비례하지는

않았다 부분은 학본부에서 체 학원생의 인

원을 조정하고 있었으며 학원 의학과에 할당된

정원이 은 경우엔 상 으로 수련의에게 학원

에 입학할 기회가 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 든 최

근 교육개 방안의 요한 내용인 4+4의 의학

문 학원이 확정되어 실시되면 의 졸업생에게 석

사학 를 인정하게 되면서 학원 의학과는 큰 변

을 맞이할 것이다 특히 석사과정은 소수의 비의

졸업생이 지원할 것이고 그 교과과정도 새로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신설 학원을 제외하고 박사

과정을 입학하는 수련의가 40 내외를 웃도는 경우

가 7개 학원이 있었다 (표 4 그림 4) 이들 학원

은 정책 으로 수련의들에게 박사과정 입학을 장려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의 졸업 후 학원 과정에

념할 수 있는 기회가 쉽지 않은 실을 감안한다

면 학원 과정을 조기에 수료하도록 하는 배려도

은 연구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0: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2 -

표 5 학원생 임상의학 스탭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5 11 0~20 6

5~10 6 20~40 10

10~15 4 40~60 8

15~20 3 60~80 2

20~40 1 80~100 0

40~60 1

60~80 0

80~100 1

임상의학 스탭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5 5-10 10-15 15-20 20-40 40-60 60-80 80-100

비율 ()

학교

( 개)

임상의학 스탭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0-20 20-40 40-60 60-80 80-100비율 ()

학교

( 개)

그림 5 임상의학 스탭 비율

4) 학원생의 임상의학 스탭 비율

학교수는 박사학 소지자여야 한다는 명문화

된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모든 학은 교수 채용시

는 진 시 박사학 를 요구하고 있다 의과 학의

경우 부분의 의사가 임상진료에 치 하는 실이

지만 아직도 문의와 박사학 모두를 필요로 하

고 있다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9

만이 임상의학 스탭이었으며 박사과정 학원생

가장 많은 구성원은 임상의학 스탭으로 (976명)

41이었다 (표 5 그림 5) 즉 임상의학 스탭이 되고

나서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부

분은 학 교수로서 필요한 연구경험과 지식을 확

립하기 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의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에 비

해서 학원생이 교과과정에 념할 수 있는 지

에 있으므로 심도있는 연구를 한 실질 인 내용

을 담은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실한

학원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 성은 보다 분

명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 나라 의과 학 임

상의사는 환자 진료에 한 부담이 우선하기 때문

에 학원 박사과정을 엄격하게 용하여 활성화하

는 데는 실 으로 엄연한 한계가 있다

몇몇 학에서는 외 으로 임상 스탭의 구성비

가 하게 낮았는데 이는 각 학마다 학원생

에 한 정원이나 입학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이었다 아무튼 의 의 경우에는 외국 박사가 드

물고 부분의 학원 의학과는 교수요원이 되려는

임상의사들이 주로 학원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따

라서 자체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각 학마다 학원의 활성화가

요하다는 인식은 충분히 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의 재정 인 형편을 고려할 때 충분한 인식만큼

이나 우수한 연구력을 갖춘 교수를 양성하기 한

투자를 하기엔 벅찬 것이 엄연한 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원 연구에 한 투자가 학 발

을 한 재정에도 요해지는 것도 최근의 추

세임에는 틀림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 연구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1: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3 -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2468

101214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2468

1012141618

0-2 2-4 4-6 6-8 8-10 10-12비율 ()

학교

( 개)

그림 6 임 학원생 의사 비율

표 6 임 학원생 의사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3 0~2 16

2~4 9 2~4 6

4~6 3 4~6 2

6~8 2 6~8 1

8~10 0 8~10 0

10~12 0 10~12 1

련된 정부 부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학에 연구

비를 투자하는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러한 연구비

가 학 운 을 한 재원으로 요시되는데 이때

에 반드시 학의 연구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아

직까지 의과 학은 다수의 임상의학 스탭이 환자

진료에 치 했지만 연구수 에 한 평가도 요시

하는 경향이 보다 분명해지면서 학원의 기능도

상당히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미 교육부는 학원

심 학을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의과 학은 문 학원제로의 개편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5) 학원생의 기 의학 공자 비율

의 졸업자 에서 기 의학을 공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지난 수십년동안 의과 학은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해서 여러 차례 모임을

갖고 계당국에 건의도 했지만 아직 가시 성과

를 기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46 의 수는 늘어가

고 기 의학 공자에 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

만 오히려 기 의학을 공하려는 사람은 정체상태

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학원생 기 의학

스탭은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 의학 공자의

경우 개 조교기간 동안에 석사과정을 마치기 때

문에 기 의학 스탭 석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5개 학원에서 6명에 불과하 고 부분은 박사과

정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모두 36명으로 2 정도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물론 조교동안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약 40여명) 실제로는 다

소 많은 숫자를 보이겠지만 체 학원생 에는

미미한 숫자이다 조사 상 28개 학원 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는 기 의학 스탭이 한명도 없는

경우가 15개 학원이 있었는데 기 의학 스탭은

입학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거나 스탭이 되기 에

이미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학원을 제외하더라도

10개 학원 정도는 기 의학 공자가 없었

다 (표 6 그림 6) 반면에 일부 학에서는 6~7명

정도의 기 의학 공자가 있었으며 13명에 이르는

학원 의학과도 있었다 학원 의학과에서 박사과

정을 이수 인 기 의학 스탭도 결국은 부분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2: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4 -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석사과정 -

0

2

4

6

8

10

12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비율 ()

학교

( 개)

전임대학원생 중 비의사 비율

- 박사과정 -

0

2

4

6

8

10

12

14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비율 ()

학교

( 개)

그림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표 7 임 학원생 비의사 비율

과 정

석 사 박 사

백분율 () 학교 (개) 백분율 () 학교 (개)

0~2 11 0~2 13

2~4 5 2~4 1

4~6 3 4~6 4

6~8 5 6~8 3

8~10 1 8~10 1

10~12 1 10~12 1

12~14 1 12~14 1

14~16 0 14~16 1

16~18 0 16~18 0

18~20 0 18~20 1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에 할애하므로 일제 학

원생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지 학원 과

정에 있고 아직 박사학 를 취득하지 못했지만 교

수요원으로 근무한다는 에서 일종의 혜택을 주었

다고 할 수 있고 기 의학 공자를 우 한다는 측

면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부분은 공

의와 같은 수 의 우를 받는 조교과정을 거쳐야

하고 특히 기 의학을 공하는 의 출신이 드물다

는 이유로 교실이나 학교의 잡무에 많은 역할을 담

당해야 하고 학원 연구시간을 빼앗겨야 하는 어

려움도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학원 과정을 마치

면서 가장 많이 배우고 익숙해진 경험은 주인의 시

을 드는 머슴 역할이라는 자조섞인 감회를 느끼

는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6)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과 석사과정 학원생 에서 의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원생

은 7 (233명) 이었는데 이 의 출신이 61명이

고 비의 출신이 172명으로 임 학원생의 다수

를 차지하 다 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학원생

(2395명)에는 모두 145명으로 체의 6인 소수

고 이 의 졸업자가 48명 비의 졸업자가 97

명이었다 따라서 부분의 시간을 학원 연구과정

에 할애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임 학원생은

체 학원생 에서 6~7 정도 으며 이러한

학원생의 구성비율로는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

안도 실 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원생 다수를 구성하는 임상의학 공

자 주로 교과과정이 운 되기 때문에 이들 임

학원생의 학문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임 학원생 에서 비

의 졸업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이들은 기 의학 공자이기도 하지만 임상의학 실

험실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는 비의 졸업자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3: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5 -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석사과정 ( 총 27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C E G I K M O Q S U W Y AB대학원

전임

대학원

생수

비의사

의사

그림 8 석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각 대학원의 전임대학원생 분포도

- 박사과정 (총 26개 대학원 ) -

0

10

20

30

40

50

60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대학원

전임대학원생

비의사

의사

그림 9 박사과정 학원생 임 학원생의 분포도

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종 에는 의 졸

업생 에서 기 의학 공자가 부족하여 이를 보

완하는 차원에서 비의 졸업자를 충원했었지만 이

제는 기 의학뿐만 아니라 임상의학에서도 연구원

에 한 필요성이 증하면서 의 졸업자에게 제

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입학기회가 폭 개방된

결과로 보인다 아무튼 체 27개 학원 의학과

에서 임 학원생이 없거나 한두명 정도인

경우가 략 3분의 2 으며 따라서 석 박사과정별

로 10명 이상 이수 인 학원은 5~6개에 불과하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4: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6 -

표 8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7개 학원의 석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91310

(79)

30

(8)

16

(4)

1

(0)

22

(6)

2

(1)

10

(3)

379 12

`96 625496

(79)

21

(3)

53

(8)

2

(0)

30

(5)

2

(0)

21

(3)

602 23

`97 15441092

(71)

65

(4)

136

(9)

2

(0)

141

(9)

38

(2)

70

(5)

1436 108

`98 1237864

(70)

49

(4)

131

(11)

1

(0)

102

(8)

19

(2)

71

(6)

1147 90

총계 37972762

(73)

165

(4)

336

(9)

6

(0)

295

(8)

61

(2)

172

(5)

3564 2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0 석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다 (표 7 그림 7) 아직 비의 졸업자에게 입학

문호를 열지 않은 경우를 포함해서 부분의 학

원 의학과는 임상의학 공자가 일부 시간을 할애

하는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학원은 학원생이 임상진료에 부분의 시간

을 보내야하므로 충분한 연구경험을 쌓는 것이 어

려운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을 피해서 학원

체의 교과과정을 운 해야 하는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면에 임 학원생 수가 50명에

서 100여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 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5: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7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수련의 임상의학 staff 기타 비의사

95년도

96년도

97년도

98년도

그림 11 박사과정 학원생 황 분포도

표 9 총 30개 의과 학 학원 26개 학원의 박사과정 황 집계

입학

년도학생수

비 임 학원생 임 학원생 계

수련의 개업의임상의학

Staff

기 의학

Staff기 타 의 사 비의사 비 임 임

`95 33793

(28)

59

(18)

135

(40)

6

(2)

36

(11)

6

(2)

2

(1)

329 8

`96 609156

(26)

124

(20)

251

(41)

9

(1)

50

(8)

7

(1)

12

(2)

590 19

`97 761169

(22)

122

(16)

314

(41)

14

(2)

91

(12)

18

(2)

33

(4)

710 51

`98 688145

(21)

103

(15)

276

(40)

7

(1)

90

(13)

17

(2)

50

(7)

621 67

총계 2395563

(24)

408

(17)

976

(41)

36

(2)

267

(11)

48

(2)

97

(4)

2250 145

원마다 차이가 많았다 (그림 89) 임 학원생 수

가 많을수록 학원 교과과정이 보다 충실해 질 것

이고 연구인력이 많아서 자연 연구분 기가 고양되

고 연구업 도 풍성해 지면서 학원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학원 의학과 지원자의 변화 추세

재 우리 나라의 사회 반에 걸쳐 일어나는 커

다란 변화에 따라 의료사회도 일 기 겪어보지 못

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반면에 학원 의학과는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6: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48 -

아직까지 가시 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시작을 고하는 변화는 곳곳에서 감지할 수 있

을 정도라고 본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구체 으로

알아보기 해 본 조사에서는 지난 4년간 석사과정

과 박사과정 입학생의 신분 변화 추이를 분석하

다 학원 이수연한이 박사과정은 3년이고 석사과

정은 2년이기 때문에 박사과정의 경우는 1996~8년

까지 최근 3년동안의 입학생 직업조사가 석사과정

의 경우는 1997~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조사가

각각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5

년도 박사과정이나 1995~6년도 석사과정의 입학생

은 다수가 학 과정을 이미 수료한 계로 조사

가 다소 미흡하 다 따라서 박사과정 입학생은

1996~8년도에 609명 761명 688명을 각각 조사하

지만 1995년도에는 337명을 조사할 수 있었다 한

편 석사과정은 입학생에 해서는 19978년도에

1544명 1237명을 각각 조사 상으로 했지만 1995

6년도에는 391명 625명을 각각 조사할 수 있었다

체 으로는 1997년도 교육부가 발표한 재학 학

원생 6929명 931를 조사하 으므로 최근 4년

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추이를 나

타내는 자료로 신뢰할 만한 조사내용이라 볼 수 있

었다 (표 89)

1)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수련의 변화추세

수련의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학원생의 73을 차지하고 있으

며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24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즉 주된 학원 지원자는 임상의학을 공

하려는 수련의인 셈이다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 96년도 석사과정를 입학한 수련의는 체 입학

생 각각 79 79 고 97 98년도에는 체 입

학생의 71 70가 수련의 다 (그림 10 표 8) 그

리고 95~98년도 사이에 박사과정에 입학한 수련의

의 연도별 비율은 각각 28 26 22 21 다

(그림 11 표 9) 따라서 지난 4년간 학원에서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임상의학 공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 나라 공의

들이 학원 의학과의 연구과정이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과 한 임상의학 수련과정의 부담에도 불

구하고 학 과정을 이수하려는 이유는 장차 학의

스탭이 되고자 할 때 학이 교수 채용이나 진 시

에 학 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학원을 지원하는

이와같은 이유가 아직 다수의 학에서 변화가

없지만 지원자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까닭은 아무래

도 비용부담 측면이 크다고 본다

종 에는 수련의들이 개업이나 학병원의 교수

요원 등 수련 후의 계획을 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수

련의 과정과 학 과정을 복하는게 일반 인 추세

다 그러나 최근에 소 학병원을 불문하고 심

각한 재정 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래 계

획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 필요할 때만 학원을 지

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때 본 결과는 이러한 추세

를 반 한다고 하겠다

2)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 감소추세

과거 우리 나라 개업의들이 학 과정을 이수하면

서 학원 의학과 발 에 지않은 기여를 해왔었

지만 이제는 의학 박사학 의 학문 권 나 수

에 하여 부정 인 시각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수

련의 동안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개업을 한 사람

은 임상의 개업 후에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개업의는

체 입학생 의 4 이내로 매우 드문 반면 (그림

10 표 8) 박사과정 학원생 에는 개업의가 17

(408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표 9) 박사과정

의 연도별 입학추세를 보면 95년도에 입학생 에서

개업의는 18를 이루었으나 96년도에는 다소 늘어

나 20에 이르 다가 97년 98년도에는 각각 16

와 15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다 (그림 11 표 9)

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95년도 박사과정의

자료는 다소 충분치 못한 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수년간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개업의는 차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박사학 를 지원하는 개업의들이 감소하는 배경

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환자 진료

에 치 하는 임상의를 선택할 때에는 의학박사를

소지하고 있느냐의 여부보다는 문의 자격증을 우

선할 만큼 달라진 사회인식이 요하다고 본다 더

욱이 학원 입학 조건이나 이수과정이 진 으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7: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49 -

개업의에게는 불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학 교수들

의 연구환경도 개업의들에게 실험비를 부담시켜야

하는 과거의 피폐한 수 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직 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비 배분이나

리상에서 체계 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자

료를 알아내기 어렵지만 의과학 분야에는 97년

재 약 7백억원 가량의 외부 연구비가 지원된다고 추

정되며 최근의 극심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정

부는 지속 으로 과학기술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다짐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수년간

의과학 연구의 기본 인 틀을 바꿀 만큼 비약 으

로 증가한 연구비 액수로 알 수 있으며 이는 21세기

를 비하는 우리 나라 연구 환경의 한 변화를

기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미 체 학원생

개업의 비율이 거의 없거나 5 이하인 경우가 6

개 학원이나 있는 것처럼 학원에 따라서는 학

연구 과정이 개업의가 지불하는 실험비와는 무

하게 운 되거나 극히 미미한 계가 있는 곳도 있

었다 따라서 개업의가 연구과제의 실험비를 부담하

는 몇몇 학원 의학과의 경우도 궁극 으로 극

인 외부 연구비를 수주하는 방향으로 환되리라

상된다

3) 학원생의 주된 구성원인 은 의 교수요원

환자 진료를 주로 하는 의 교수요원들에게

구태여 박사학 소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오래 부터 있어 왔지만 아직 거의 모든

학에서 교수채용이나 승진시에 박사학 소지자를

우선하고 있다 의과 학이 타 학문분야와 다른 한

가지는 거의 모든 의학박사가 국내에서 취득되는데

비해 다른 분야의 이학박사는 해외유학을 거쳐 취

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의 교수요원들은 개

의 경우 모교에서 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기 의학 공자는 부분 교수 임용 에 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므로 기 의학 스탭이 학원 석

사나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경우는 체 학원생

에서 1 이내로 아주 드물었다 임상의학 공자

는 문의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교수로

임용한 후에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여하튼 학원을 입학하는 수련의나 개업의의

비 은 감소하는 반면 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의 비 은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 8 9 11로 꾸 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표 8 그림 10) 즉 수련의 과정 에 학원을 시

작하기 보다는 자신의 진로가 학 교원으로 확정

된 다음에 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

진다고 하겠다 한 박사과정을 입학하는 임상의학

스탭은 체 으로 95년도부터 98년도까지 40~

41 수 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표 9 그림 11)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가 우수한 연구력을 갖

춘 은 의학자나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학문 인

교육 기능을 제 로 하느냐의 여부를 떠나 부분

의 의 교수요원은 모교 학원에서 연구과정을

교육받고 있는 것이 엄연한 실이다 따라서 해외

유학으로 연구과정을 교육받는 타 학문분야와는 달

리 의 의 경우엔 충실한 학원 교육이 그 학 교

수들의 연구력 수 향상에 요하다고 하겠다 물

론 의 교수의 경우엔 통상 으로 교수임용 후에

약 1~2년간의 해외유학을 거친다 그러나 이와같은

1~2년의 해외유학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연구추세

를 따라가기에 역부족일 뿐더러 연구경험을 착실히

거치지 않고 시작하는 해외유학은 수박 겉핥기식일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나라의

연구여건도 과거와 달리 선진국과 그 격차가 상당

히 좁 져 있으므로 수 높은 국내 학원의 연구

를 활성화하여 임상과 기 를 포함하는 국내 의학

자를 양성하는 기능을 발휘해야만 세계를 향하는

학 체의 목표도 가능해진다고 하겠다

4) 증하는 임 학원생의 비율

학원 의학 연구과정도 임상의학의 문의 수련

과정처럼 일제로 학원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수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환자진료에 치 하는

임상의학 공자가 학원생의 주류를 이루는데 비

해 조교나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소 일제 학

생이 학원 의학과 학원생 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최근까지도 미미한 숫자에 불과했다 즉 95 96

년도에 임 학원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석사과정

의 경우 각각 4 3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8: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0 -

의 경우는 모두 3 다 (표 9 그림 11) 그러나 97

년도 98년도에는 임 학원생이 증하여 체

학원생 에서 석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7 8를

차지하 고 (표 8 그림 10) 박사과정의 경우는 각각

6 9를 차지하 다 (표 9 그림 11) 특기할 만한

사실은 임 학원생 에서도 의 졸업자의 비

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비의 졸업자의 비율은 석

사과정의 경우는 95년도 3에서 98년도 6로 2배

가 증가하 으며 박사과정 입학생 에는 95년도

1에 불과했으나 98년도에는 7로 증하는 추세

를 보여주고 있었다

최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에서 임 학원

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구성원을 의 졸

업자보다는 비의 졸업자가 주도하는 경향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는 그 동안 비의 졸업자에게는 거의 제한되었던

학원 의학과의 문호의 개방 추세가 반 된 결과

라 할 것이다 이는 환자 진료 주로 운 하던

학 병원과 학부생 교육 심의 의과 학 체계에서

연구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본다 의 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내외 으로 가 되고 있다 즉 사

회 반 인 변화와 격한 경제 등락은 학병

원에게 더욱 엄정한 재정 인 압박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의료기술이나 지식을 뒷받침하

는 기 연구가 실 으로 필요해졌다고 본다 일

반 인 학과 마찬가지로 의과 학 평가도 이미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평가 부문에서 연구업 을

요시하면서 의 교수에게도 진료와 교육에 이어

연구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근래들어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생명과학 분야

의 비 은 반도체나 정보산업과 더불어 국가 인

략 분야의 하나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특히 의료

산업은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바 의

과학 연구에 한 투자는 목할 만한 발 이 있었

다 따라서 자연 학을 심으로 생명과학 공자들

을 많이 배출하 고 의과학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

는 이들 자연 학 졸업자를 의과 학 연구요원으로

흡수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내

외 인 상황에서의 획기 인 변화는 마침내 연구

심 학 는 학원 심 학이라는 하나의

차별화된 학을 가능 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재

정 인 책없이 시도했던 개 과는 본질 으로 다

른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단지 학원의 각 구성원이 이와같은

변화를 얼마만큼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여

진다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는 내 으로는 자체

으로 우수한 교수를 양성하기 해서 충실한 교

과과정을 운 해야하는 한편 경쟁력있는 연구를 활

성하므로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

론 국가 으로는 생명과학 산업분야 연구에서 일익

을 담당해야 하는 시 에 있다고 본다

3 학원 의학과의 연구 평가기

학원의 활성화 방안은 국가 당면과제나 경제

상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

지만 한가지 공통 은 소 과학 선진국들은 새로

운 세계질서에 응하기 해서 각고의 노력을 더

먼 하고 있으며 학원도 그 가운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우리 나라의 발 된 연구 수 을 노

벨상 수상자가 우리 나라에서도 나올 수 있는 시기

로 말하기도 한다 마치 운동경기에서 국가 자존

심을 나타내기 해서는 올림픽 회에 나가 메

달을 획득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노벨상

이나 올림픽 메달을 개는 과학 선진국이 독

하는 것처럼 과학 연구부문에서의 선진국과 후진국

의 격차는 더욱 격하다 이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

제의 원동력이면서도 국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쟁

하는 속성을 그 로 보여주는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학은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지식

(진리)의 창조와 수 역할에 충실했고 사회는 이들

에게 존경과 선망을 보내면서 비용을 지불했지만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이끌어내

는 연구결과를 요구한다 이처럼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

제 쟁으로 말미암아 보다 효율 인 연구비 투자를

우선 목표로 하는 각국 정부는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연구수 에 따라 차별화하는 제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19: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1 -

표 10 우리나라 학원의 정량 평가척도

평가부문 평가항목

1 교육과정

1 학원 교육목 의 성

2 교육과정 편제의 성

3 공당 연간 개설 학 수의 성

4 학부 학원과정 연계운 상태

2 수업 논문지도

1 학생선발의 합리성

2 수업의 충실성

3 학생의 연구과제 참여도

4 논문지도의 충실도

5 학 논문 심사제도의 합리성 공정성

6 학원 졸업생의 취업률

3 교수

1 교수 논문지도 학생수의 성

2 공과정별 논문지도 교수의 확보

3 담당교수 강사의 박사학 취득정도

4 학원 담당교수의 연구실

4 시설 설비

1 실험실습실의 성

2 학원용 실험실습설비의 확보

3 학원생용 연구공간의 확보

5 재정 경

1 학생장학 수혜액의 성

2 학사 리의 성

3 설치학과의 성

도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다 심오한 학문탐구에

일생을 몰입하거나 완성된 결과보다는 지속 인 연

구가치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 즉 통 인

학원의 연구기능이 오히려 경직된 연구환경을 맞

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원의 활성화를

한 방안도 새로운 에 바탕을 둔 연구수 의

다양한 분석기 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 학원 연구력 평가기

학원생 구성은 앞선 분석 결과에서 보았듯이

학원마다 격한 차이가 있었다 를 들어 임

학원생이 한명도 없는 학원이 있는가 하면 100

여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치 우리 나라를 비롯

한 부분의 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지만 일부 선진국이 노벨상을 독 하는 상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듯 다양한 학원들

에 해서 일률 인 평가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을

용하는 것은 치 못할 것이다

최근 학교육 의회에서 마련한 학원 평가내

용을 보면 교육과정 수업 논문지도 교수 시설

설비 재정 경 부문으로 크게 나 고 각 부문별로

구체 인 평가항목을 여러 가지로 나열하 다 이는

표 10에서 보듯이 자세하고 필요한 부문에 객

인 가 치를 부여한 한 평가기 이라 할 수 있

다 한편 앞서 열거한 미국이나 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에서 학의 연구수 을 나타내기 해서 사

용하는 지수는 우리 나라 교 의 기 과는 사뭇

다르다 (표 11)9 이와같은 차이는 우리 나라에는 아

직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

야 하는 설립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이 있

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원 의학과마다 큰 차

이를 보이는 본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최근의

학간 연구비 규모에 한 통계에 의하면 체 115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0: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2 -

표 11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상 학서열 평가기 (미국 1998)

연구기 발표된 연구논문 수 상 인용지수

신경과학 분야

Caltech 395 135

Stanford University 911 106

Johns Hopkins University 1558 105

면역학 분야

Washington University 551 140

Harvard University 1668 107

Stanford University 631 87

분자 생물학 유 학 분야

MIT 823 239

Rockefeller University 547 213

Harvard University 3064 149

생물학 생화학 분야

Duke University 1446 130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1377 124

Harvard University 4525 123

발표된 논문의 인용횟수 각 분야별 세계 평균치 이상의 수치를 퍼센트로 나타냄

개 학 상 3개교가 체 연구비의 287를

유한다고 한다 즉 다양한 모습의 학원에 하

여 일률 인 기 을 용하는 것보다는 그 수 에

따라 한 기 을 마련해야 타당하다고 본다 이

제는 우리 나라도 사회 경제 발 에 따라 과학

선진국이 사용하는 다양한 기 을 도입할 단계가

왔다고 본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

문에 한 분석은 획기 인 변화가 있었다 과학 연

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로 비교하기보다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다 다음은 국가간의 연구 경쟁력을 분석한 로

서 새로운 학원의 모습을 정립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지표가 되리라 본다

2) 과학논문 인용지수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요한 기 으로는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정립한

Science Citation Index (SCI)를 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간단히 설명하면 논문편수를 인용횟

수로 나 수치라 할 수 있다 를 들어서 A라는

연구자가 최근 3년간 5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들 논문들이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으로부터 모두

15회 인용되었다면 A 연구자의 수 은 SCI상 3이

라고 계산된다 이 자료는 80여개 나라에서 발간하

는 4000여종의 과학 인쇄물을 종합하여 과학 연구

논문에 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수록하

고 있다 부분 으로 오류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체 으로 과학 동향을 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라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4년간 발표된 논문 8백4십

만 편과 7천2백만 인용횟수를 ISI 자료로부터 연구

하여 국가간 과학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를 우선 알

아보자10

1981년부터 1994까지 세계에서 발표한 과학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1: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3 -

표 12 상 15개국이 세계의 과학 의학 공학분야에서 차지하는 비

국가 (약자)

발표논문

편수의

유율

()

인용횟수의

유율

()

편당

인용횟수

(순 )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

투자한 연구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

총 인용횟수개인 당

인용회수

미국 (미) 346 490 142 (1) 25 600 1487

국 ( ) 80 91 114 (5) 22 932 1682

일본 (일) 73 57 078 (18) 29 435 461

독일 (독) 70 60 086 (15) 23 347 390

랑스 ( ) 52 45 087 (14) 24 252 394

캐나다 (캐) 45 45 100 (7) 16 1137 1214

이탈리아(이) 27 21 075 (19) 12 225 244

인도 (인) 24 07 027 (66) 07

호주 (호) 21 21 097 (8) 16

네덜랜드 (네) 20 22 110 (6) 19

스웨덴 (스웨) 17 21 124 (3) 33

스 스 (스 ) 14 19 137 (2) 27

국 ( ) 09 03 027 (65) 05

덴마크 (덴) 08 19 116 (4) 18

필란드 (필) 07 06 09 (12) 24

발표논문 편수 인용횟수 편당 인용횟수(RCI) 국민 총생산액 연구개발비 투자비율 투자한 연구

개발비 1백만 운드당 인용횟수등의 다양한 평가지수에 의한 순 를 보여

기술 의학분야의 총 논문 에서 각 국가의 과학자

가 기여한 비 을 논문 편수로 계산했을 때 상

15개 국가가 발표한 연구논문이 세계 연구논문의

813를 차지한다고 한다 (표 12) 이 에서 상 7

개국은 소 G7이라 불리우는 경제 선진 7개국과

일치하고 있다 미국이 세계 논문 발표양의 35를

차지하면서 단연 앞서고 이어서 국이 독일 랑

스 일본과 치열한 각축을 하면서 2 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를 유럽 연합으로 통합하여 계산하면

세계논문의 약 32를 차지하면서 미국과 경쟁 인

수 이라 볼 수 있다1617

3) 상 인용지수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만을 보면 상 15개국에 인도나 국

도 포함되지만 인용지수에 기여하는 수 을 비교하

면 세계를 100으로 했을때 미국이 49를 차지하

고 인도나 국은 상 국가에서 제외되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별이 더욱 커지게 된다 Relative

Citation Index (RCI 논문 편수를 인용횟수로 나

수치)는 평균논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국가간의 연구력을 비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미국

은 RCI를 기 으로 했을 때도 선두를 지키고 있지

만 그 이하에서는 상당한 순 변동이 생겨서 스

스 스웨덴 덴마아크 국이 2 부터 5 까지 순

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15

G7 국가 미국 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일본

(18 ) 독일 (15 ) 랑스 (14 ) 이탈리아 (19 )

는 14 이하로 쳐지며 특히 국이나 인도는 65

66로 훨씬 려난다 국민 총생산액 에서 연구 개

발에 투자하는 비율도 선진 7개국이 앞서고 있으며

스 스나 스웨덴 같이 높은 RCI를 보이는 작은 국

가도 연구개발비 비 은 경제 국을 앞서고 있음을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2: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4 -

표 13 Institution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분류한 20개 과학 분야에서 상 인용지수 (RCI)

상 비교우 (RCA)에 따른 연구 수 분석

과학분야상

인용지수

비교우

상 5개 국가

총 인용횟수 기 상 비교우 기

농업학 105 156 미 일 캐 독 스웨 덴 캐 네

천체물리학 106 113 미 독 캐 미 스 네

생물학 생화학 096 105 미 일 독 캐 미 스 스웨 독

화학 087 122 미 일 독 미 스 이스 네 스웨

임상의학 122 110 미 캐 독 미 캐 스웨 덴

컴퓨터 과학 065 069 미 캐 독 이스 미 스 캐 덴

생태학 환경학 079 104 미 캐 호 독 스웨 노 미 스 호

공학 092 098 미 일 독 캐 덴 스웨 미 스 호

지구과학 105 113 미 캐 호 미 호 스

면역학 096 096 미 일 독 스 미 벨 스웨

재료과학 080 113 미 일 독 미 덴 네 이스 스

수학 087 126 미 독 캐 덴 노 미 네

미생물학 109 102 미 독 일 미 스 네 이스

분자생물학 유 학 103 105 미 독 일 스 미 독 이스

다 분야학 107 144 미 러 독 미 스 덴 스웨 캐

신경과학 112 113 미 캐 독 스웨 미 스 덴

약리학 127 137 미 일 독 스 뉴 미 스웨

물리학 067 109 미 독 일 스 덴 미 네 이스

식물 동물학 118 139 미 캐 독 호 스웨 덴 미 호

심리학 099 111 미 캐 호 독 미 스웨 덴 캐

국가별 약자는 표 12 참고 (벨 벨기에 이스 이스라엘 노 노르웨이 뉴 뉴질랜드)

알 수 있다 (표 12)

이러한 분석은 각 학문분야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20개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정신과학 분야에서는 70로

가장 높았고 화학이 37로 가장 낮은 비 을 보

다 국은 20개 분야 15개 분야에서 2 를 했으

며 물리학 분야에서는 가장 부진한 5 를 보 다

(표 13)

4) 연구비 투자효과 분석

세계의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각 국가가 차

지하는 비 을 고려할 때는 주로 경제규모가 큰 나

라가 우 를 한다 따라서 인구규모를 염두에 두

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인구당 발표하는 논문편수

가 많은 상 12개국은 단연 북유럽의 작은 나라들

이다 선진 7개국 캐나다가 5 국이 8 미

국이 9 를 차지했다 인구 십만명당 인용횟수도 비

슷한 형태를 보여서 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는

각 15 16 19 21 다 이러한 통계수치들

은 과학은 일정한 규모의 경제와 투자를 토 로 가

능하다는 사실을 보여 다 투자한 연구개발비 액수

를 기 으로 계산한 과학 연구내용을 분석하면 연

구비가 얼마나 효율 으로 쓰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다 (표 14) 민간부문에서 투자한 연구비당 생산한

연구결과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며 를 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3: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5 -

표 14 인구 십만명당 발표한 논문 편수 인용횟

수에 의한 연구비 투자효과 비교분석

국가인구당

논문편수국가

인구당

인용횟수

스 스 167 스 스 179

이스라엘 152 스웨덴 125

스웨덴 147 이스라엘 105

덴마크 127 덴마크 103

캐나다 127 미 100

네덜랜드 109 네덜랜드 96

필란드 107 캐나다 95

국 104 국 88

미국 100 필라드 85

뉴질랜드 99 아이슬랜드 76

노르웨이 96 노르웨이 63

호주 93 호주 61

랑스 72 랑스 51

독일 67 독일 49

일본 49 일본 31

이탈리아 41 이탈리아 28

어서 높은 효율을 보인 미국과 국은 낮은 효율을

보인 이탈리아 독일 랑스보다 5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국의 과학자들은 일정액수의 연구

비를 받아서 가장 효율 인 연구수행을 했고 국

의 연구비 배분이 가장 했다고 볼 수 있다13

5) 과학 논문 인용 분석시 고려해야 할 사항

논문 인용정도의 추세 분석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논문인용은 시간에 따라 축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 의 논문은 1990년

의 것보다 인용이 많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오

류를 보정하기 해 인용논문의 평균 half life도

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도 오차의 소지는

있다 를 들어 환경학의 평균 half life는 7년인데

분자생물학은 2년 정도이기 떄문이다) 다른 우려

은 이러한 일을 하는 연구자들이 10년 20년 혹은

그 에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이다 즉 오래

의 교육효과를 반 할 수는 있지만 오늘날의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새세 과학자들이 어떠한 방식으

로 교육을 받아야 연구자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

질 수 있는지에 하여는 거의 언 하지 않고 있다

는 이다

6) 연구 평가시 제기되는 문제들

근래 세계 인 사회 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서방 과학 선진국가는 국가 인 필요성에 따라 과

학기술을 발 시키고자 연구력 평가와 연구정책의

방향 설정을 한 다양한 기 과 기법 자료를 개

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우리 나라

학은 물론 자연과학계 연구소 등도 이미 시작하

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차 보편화할 것

이고 학원 의학과도 외는 아니라 하겠다 특히

학원의 본질 기능인 연구부문에 한 분석은

최근들어 획기 인 변화가 있었으며 앞서 소개했던

기 들을 과학 연구의 결과를 단순히 논문의 편수

로 비교하는 동시에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

로 히 응용할 수 있지만 이와는 별개로 각각의

상황을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11

우리 나라처럼 아직 과학기술력에 있어서 기반이

취약한 경우에는 행정 재정 시설 인원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하는 기 단계에 있는 다수의

학원 실을 우선 반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미 SCI

에 등재된 학술지에 연구 발표를 활발히 하는 학

도 있지만 상당수의 경우엔 국내 학술지 발표에 주

력하는 것이 일반 인 실정이다 따라서 SCI 등재만

을 강조하다 보면 국내 과학 연구조직 즉 학술 회

학회지가 축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한 과학 연구는 타분야보다 우선하여 세계가

단일 활동 역화 했다고 볼 수 있고 국제 인 문

가들의 객 평가 력을 해 국가간의 공동

연구가 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 용

어에서는 어권 논문이 비 어권보다 상 으로

많이 등재되고 한 인용도 많이 된다 따라서 비

어권이면서 과학 기술기반이 취약한 우리 나라는

우선은 불리한 입장에서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즉 창의 인 우수한 과학 인력이나 지식이 손쉽

게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은 우리보다 앞

선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단계에서

피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4: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6 -

한다고 본다

개의 과학 선진국 즉 연구비 비 연구성과가

높은 (사람당 는 연구비 지출액당 발표되는 논문

편수가 많은) 나라들에서는 기 과학 연구가 연구

소 보다는 학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 스웨덴 호주 등에서는 다수의 연구소들이

university로 명칭이 바 고 있다 이 게 되면 일부

연구소에 국한하여 지원하던 정부는 보조를 여러

학으로 분산할 것이고 infrastructure에 한 집

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 해

답은 국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

는 논문의 반 이상은 2개 이상의 연구소들에서 최

소 3명 이상의 자가 함께 참여하는 단 공동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측한다고 한다 즉 재정

지원은 여러 학으로 나 어지겠지만 여러 연

구집단이 하나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므로 자연스

럽게 연구력를 집 하는 정책 효과를 거두리라고

기 하고 있다14

고찰 결론

근래들어 2차 세계 후 세계를 지배하던 냉

질서가 국가간의 경계가 하나의 경제 활동권으로

재편성되면서 각 학이 사회로부터 요구받는 책임

은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계 으로 유사한 내

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각 분

야에서 낙 이거나 비 인 망이 엇갈려 복합

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핵심

은 경제를 이끌어가는 지식 생산자 (knowledge

producers)로서의 책임이 가장 요한 학 기능으

로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는 이다 그러나 각 국가

는 학이 잘 교육된 문가와 경제 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인을 양산하길 요구하는 반면 심화하는

국가간의 경제 쟁으로 학의 연구활동에 필요한

재정지원은 실 으로는 오히려 경직되고 있는 실

정이다 즉 과거 학문의 당 는 상아탑으로 존경

과 선망의 상에 하여 비용을 지불했던 사회는

이제는 보다 단시간내에 경제 인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기 하고 있다 통 인 학풍과 어려운

경제 실의 갈등은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

으며 학은 격렬한 구조 조정과정에서 각국의 독

특한 사회 경제 배경에 따라 기를 기회로 만들

기 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은

비용부담자 (국가와 국민)의 요구는 통 으로 심

오한 학문탐구에 몰입해 있던 학교수나 장기 인

연구에 익숙해 있는 학문 연구자들에게는 기상황

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12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

의 주소와 발 선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원 지원자의 유지 확보

아직 학원 의학과를 지원하는 학생이 모집인원

을 상회하는 안정 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

만 의과 학의 개 이 실화되고 연구 심 학이

구체화되면 재 부분의 임상 공 수련의 학원

생은 격하게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

수련의 학원생은 실 으로 학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기 어려운 을 감안하여 새롭게 마

련한 엄격한 제도를 무리하게 용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각 학은 다양한 부류의 학원생을

확보하기 해서 다양한 연구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우선은 의과 학 교원의 부분을 외국유학 출신자

가 아닌 자체 으로 충원하는 실정이므로 교수요원

의 국내 육성이란 일차 기능이 보다 충실해져야 한

다 이밖에도 의료보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기술인력 즉 학원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 진출

하여 활용가치가 풍부한 분야를 극 개발함은 물

론이고 충실한 교육 훈련여건을 마련하여 생명과학

과 련된 비의사 공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리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학원 연구인력의 확보

학원 임교원 제도를 운용하는 학원 의학과

는 아직 없고 임 학원생 제도도 일부에서 활성

화되는 기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은 각 학원간의 매우 격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본격 인 학원 과정에 한 평가가 없었지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5: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7 -

만 실질 인 연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

학원생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5개 학원이내이고

비 임 학원생으로 충원하고 있는 열악한 환경의

부분 학원에는 기본 인 여건조성을 한 별도

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비 임 학원

생이라도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은 교원은 장차

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신진 연구력으로서 학원

연구과정에 필요하고 실질 인 기여를 한다고 보여

지므로 이에 한 활성화 책이 우선 가능한 조치

로 필요하다 각 학간의 격차는 정부차원에서의

연구력 향상을 한 지원이 각 학을 평가하여 선

별하는 원칙을 마련하여 시행함에 따라 더 심화하

리라고 상하지만 장기 으로는 학 자체의 재

정 행정등의 정책 인 노력이 우선해야 연구지원

혜택의 기회도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3 기 의학 공자와 개업의 역할

기존의 기 의학 공자는 교육과 연구만을 수행

하는 교수 연구인력으로 육성해야하는 명분의 상

이었던 반면 개업의가 학원 연구에 기여하는 역

할에 해서는 찬반이 분분했었다 이와같은 상반된

인식도 변화하는 의료사회의 요구에 따라 개업의

학원생이 차 감소하고 기 의학 공을 기피하

는 추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란의 상에서 멀어

지고 있다 특히 임상의학 분야에서의 연구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의 출신자의 연구기회가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기 의학 연구는 의

출신 연구자의 몫이라기 보다는 일반 생명과학

공자에게 더욱 유리해지는 경향이 반 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학원 의학과는 연구에 흥미와 자

질이 있는 의 출신과 생명과학 연구자 주로 운

되면서 기 연구 결과를 임상에서 응용하는 역동

인 연구 응용 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자들이

효율 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의

교과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유동 이긴 하

지만 학부과정의 교육을 해서 일제시 부터 유지

되고 있는 교실단 는 건 한 학풍을 계승 발 시

키는 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연구체제에

응하는데 한 역할을 기 하기 어렵다고 본다

4 학원 입학과 학 심사제도

이 문제는 오로지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연

구수 에 의해 좌우되는 사안이다 몇몇 우수한

학원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기도 하지만 재와 같

이 다수의 학원에서 연구과정과 그 수 이 형식

인 경우 엄격한 학 심사나 교과과정의 용은

실 으로 한계가 있다 단지 보다 능동 인 근

방법으로 장학 이나 연구보조비를 지 하면서 일

정수 의 논문 발표를 학원생에게 의무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욕 인 교수나 학원생은

상응하는 연구 업 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부 연

구비 수주기회 가능성도 높아지고 투자한 만큼의

재정 이득이 따를 것이다 아직 우리 나라 연구비

분배 기 을 과학 선진국 만큼 객 이고 다양하

게 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과거 수년간 이 분야에

서도 목할 만한 개선이 있었음을 비추어 볼 때 늦

은 감이 없지 않다 재 몇몇 일반 학원에서는

이미 실시 이고 극히 일부 의학과도 유사한 움직

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도 역시 행정 재정 시설

인원 등의 기반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는 조건뿐만

아니라 학원 당사자들의 한 상황인식에 따라

가능하다 기본 으로 학원생의 등록 는 실험

비등으로 학원이 운 되던 종래의 례에서 교수

와 학원생의 연구 업 는 생산성으로 움직이

는 학원 조직을 모색하는 단계라 본다

1) 학 심사 공정하고 엄격한 학 심사는 학

논문의 질을 높이는 데 요하다 학에 따라 다소

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 으로 논문계획서와 논문심

사를 석사의 경우 3명 박사의 경우 5명의 심사 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문계획서는 서류심

사를 통하여 심사 원의 심사를 통과하여야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논문은 공개 구두 발표를

통하여 심사를 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학 심사

제도 자체는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심사

에 참여하는 심사교수들이 형식 으로 심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의학의 흐름이 문화 세분화됨으

로써 각자의 연구 분야이외에는 서로 이해하기 어

려운 실도 있고 각 학에서 논문심사를 일부 외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6: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58 -

부 교수에 심사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체로

학자체내 교수들이 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심사논

문과 련된 문지식을 갖춘 교수를 찾는데 어려

움이 있고 교수들간의 복잡한 인간 계도 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에서 심사에 임하

는 교수들 사이에 학 논문의 질이 어느 정도여야

학 를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단이 제 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는 도 문제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에서의 심사가 논문자체의 수 에 한 질

평가를 제 로 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처럼 세

분화된 의학에서 문학자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과 우리 나라의 정서상 교수들간의 인간

계가 요시되는 사회 풍토에서 학 논문의

질을 높이기 해 심사제도는 심사교수들의 역량에

만 의존하기 보다는 심사기 자체를 인 으로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교과과정의 개선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석사와 박사 과정에 수련의가 각각 73와 24 임

상스텝이 각각 9와 41로서 학원생의 부분이

수련의와 임상스텝이 차지하고 있는 실에서 임상

수련과 진료에 부분을 할애하여야 하는 이들에게

다른 학과의 학원과 같은 교과과정을 용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교과과정이 형식 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학생들의 출석에만 신경을

쓰는 실정이다 한 근래에 속히 증가하는 비의

졸업자에 한 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시 에 와

있다 이들을 해 교과과정 임상 기 의학 실

험실에 일정기간 (6개월에서 1년) 의무 으로 근무

하게 함으로써 연구에 념할 수 있는 시간을 주거

나 미국의 일부 의 에서 시행하고 있는 ldquoInter-

disciplinary Programrdquo처럼 박사과정에서 첫 일년간

은 의학의 흐름에 맞는 분야의 기 지식을 배

우고 실험기법을 익히기 하여 몇 개 과의 실험실

을 순환하도록 하고 2년차 때부터 공과목을 수학

하는 방법이 실질 인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비

의 졸업자가 박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 최소한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기 의학 과목을 이수하

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갖도

록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임교원 확보와 학원생 처우

이제까지 학원 의학과는 주로 의 출신 교원

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 으로 연구기능이나

교과과정이 병원이나 학부교육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궁극 으로 고유의 연구교육기능을

발휘하기 해서는 임 교원의 확보와 학원생의

처우가 별도로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의

교수는 부분 진료에만 치 하므로 학원 연구에

념하는 연구 교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원

활성화를 한 핵심방안이었다 이는 국책 생명과학

학원등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면서 연구재정의

확충을 가져와 결국 임 학원생이 에 띄게 늘

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학원과 련 당사자들은 수 높은 연구를 활발

히 개해야만 하고 그 결과로 학병원을 비롯한

체 의료계에도 정 으로 상호보완 인 기여를

한다고 본다

우수한 비의사 학원생 선발을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 인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

다 첫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일반 으로 의과 학의 경우 자연 에

비해 학원 등록 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우수

한 인력들이 의과 학원을 우선 으로 선택할 가능

성은 없다 최근 몇몇 우수 학원이 (아직 제한 이

기는 하지만) 비의사출신 일제 학원생들에게

우선 으로 장학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러한

추세를 반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의과 학 교직

특히 학원 과정을 능력있는 비의사출신 과학

자들에게 개방하여야 한다 이들의 참여는 의과 학

원 연구수 의 반 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아

울러 의 는 의사출신만으로 구성된다는 기존의 선

입 을 배제함으로서 뛰어난 비의사 학원생의 지

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각 학의 비의사 연구교수 선발 의 평가시 비의

사 출신교수 비율 참조 그리고 교육부의 타교출신

교수 의무선발 권고 등은 이러한 에서 볼 때 바람

직한 상이다 셋째 비의사 학원생에 한 교육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 의과 학원의 경우 학생들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7: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한국의학교육 제 11 권 제 2 호 1999

- 259 -

의 부분이 겸임 학원생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

질 인 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가 체계

이지 못하거나 형식 이었다 우선은 비의사 학원

생들에게 의학에 한 기본 인 지식을 제공할 교

육과정이 마련되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 자연

과학 학과 같은 체계 이고 실질 인 교육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참고로 최근 의학 학원과

자연과학 학원의 장 만을 살린 ldquo 동과정rdquo이 일

부 학원에 개설되어 운 되고 있는데 다수의 비

의사 학원생이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원 과정

을 마친 후 수여하는 학 명칭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 으로 의과 학원에서 수여하는 학 는

의학박사 뿐이어서 비의사 출신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제도에서는 의과 학원의 자

율에 따라 의학박사 는 이학박사 모두를 수여할

수 있으므로 학원생이 비의사출신인 경우에는 이

학박사를 수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에서

언 한 ldquo 동과정rdquo을 통한 이학박사학 수여도 비

의사 출신들의 유도에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의과 학의 교수를 환자의 진료에 념하

는 ldquo임상교수rdquo와 최소한의 진료활동을 제외하고는

연구활동에 몰두하는 ldquo연구교수rdquo로 구별하려는 ldquo기

능별 교수제도rdquo가 각 학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

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보수 경향이 농후한 의료

계에서 이러한 제도가 단시간 내에 정착되기는 힘

들 것으로 보이나 향후 연구교수만을 학원 임

교수로 인정하도록 학원 교수를 선별하고 이들에

한 극 인 연구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장치의 마련은 재와 같이 침체된 학원을 활성

화시키는 가장 요한 요체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실 으로는 외국 의과 학에서처럼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 임 비의사 교수를 채용하여 학원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시 하다

제 언

우리 나라의 경우엔 구미 선진국 보다 훨씬 격

한 변화를 겪으면서 과거에 필요했던 재정과 기반

시설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인 자원과 지식의 축 은 시간을 단축하지

못한 채 오히려 더욱 경직된 연구환경이 도래했다

고 하겠다 과거 학문 는 사회 으로 선도 지

나 역할을 했던 학원 의학과도 지 은 커다란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치로 바 었고 개인과 조

직 그리고 학원 내 외 인 문제의 해결을 해

학원을 다시 그려야하는 시 이다 이러한 상황에

서 진 변화나 체제의 고수라는 이유도 나름

로 타당성은 있겠지만 장 단기 으로 학원 자

체나 사회 체를 한 책임있는 선택은 이미 정해

져 있다고 하겠다 지식 산업의 심 치에 있는

학원은 결국 새로운 시 역할에 걸맞는 평가

기 으로 재단한 새로운 옷을 입어야 할 것이다 지

우리사회가 겪는 사회 경제 어려움의 원인이

외형 발 에 미치지 못하는 내 성숙에 있듯이

우리 나라 과학계도 양 팽창은 있었지만 오히려

질 퇴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새로운 과학 기술

평가 기 에 따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를

깎는 개 을 스스로 해야한다

참 고 문 헌

1 기 의학 의회 기 의학 육성방안 - 교육부

건의문 1997

2 기 의학 의회 우리 나라 의과학 연구지원의

황과 정책에 한 심포지엄 1996

3 의학 문 학원제도 연구 원회 의학교육 학제

개선에 한 토론회 - 의학 문 학원제도와 의

학교육 학제에 한 연구 1997

4 한의학 회 분과학회 의회 기 의학 진흥백

서 -기 의학교육 황분석 진흥방안을 심

으로 1984

5 한의학회 의학박사 학 제도 개선을 한 공

청회 1991

6 기 의학 의회 한의학회 기 의학 공자

확보를 한 세미나 1998

7 숙명여자 학교 문과 학 문헌정보학과 Scie-

nce Citation Index (SCI)가 색인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의학 논문들 pp 1990-1995 1996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

Page 28: 우리 나라 대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KJME · 유문간1․김 진2․이원철3․주천기4․박조현5․권오주6․김명석7* = Abstract = Renewal of Medical

우리 나라 학원 의학과의 활성화 방안

- 260 -

8 교육부 연감 1997

9 Clery D London Cambridge lead Europe in

output Science 2811127 1998

10 May RM The scientific wealth of nations

Science 275793 1997

11 Adams A Harvard tops in scientific impact

Science 2811936 1998

12 Abbott A Post-war ideals trip over modern

reality Nature 3915 1998

13 Butler D Glover E Battle to boost the status of

French universities Nature 3915 1998

14 Dickson D Britain faces research funding dile-

mma Nature 3917 1998

15 Macilwain C US universities are in flux not

crisis Nature 3918 1998

16 Abbott A Reforms get a rough ride in Italy

Nature 3918 1998

17 Saegusa A Japan faces problem of science

recruits Nature 3919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