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9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1 -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o 북한 김정일 위원장이 단천마그네샤공장, 단천제련소, 단천광산기계공 장을 현지지도 하였다고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이 6월 5일 보도 - 단천마그네샤공장에서 마그네샤크링카 공업의 발전을 높이 평가하며, 내화물과 경소마그네샤의 생산증대와 관련된 과학연구사업 강화를 지시 - 단천제련소에서는 검덕광산을 비롯한 단천지구의 광산들이 충분한 정광 공급을 보장할 것을 지적 - 단천광산기계공장에서는 단천지구 광산들의 생산을 정상화하는 임무 와 역할이 중요하다고 언급 ※ 김정일 위원장이 지난 5월 20일 단천시 검덕지구 광산들에 대해 현지지도한 데 이어, 이 번에 다시 관련된 공장·기업소들을 방문한 것은 이들 공장·기업소들에서 진행된 개건· 현대화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북한의 주요 외화 수입원이 되고 있는 이들 지역의 광물제 품 생산을 더욱 독려하기 위한 것으로 보임. ( 09.6.8, 통일부 주간북한동향 946호) 2009 4월 북중무역 동향 o 중국의 해관통계에 따르면, 09년 4월 북중무역 총액은 197.1백만달러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0% 감소했으며, 무역수지는 63.9백만달러 적자 o 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수출이 전년 동월대비 증가 - 무연탄(166%)·아연(1,973%)·귀금속광(169%) 등 수출량이 크게 증가 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대중수출 실적 ’09년 4월 ’09년 1~4월(누적) 증감율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간 대비 무 연 탄 502,404톤 1,239,922톤 166% 78% 2,695톤 3,184톤 1,973% 536% 귀금속광 18,225톤 29,559톤 169% 67% o 북한의 광물자원 수출증가는 중국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철광·연료탄·아연 등의 산업원 자재 수요가 증가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임.( 09.6.22, 통일부 주간북한동향 948호)

Transcript of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Page 1: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1 -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o 북한 김정일 위원장이 단천마그네샤공장, 단천제련소, 단천광산기계공

장을 현지지도 하였다고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이 6월 5일 보도

- 단천마그네샤공장에서 마그네샤크링카 공업의 발전을 높이 평가하며,

내화물과 경소마그네샤의 생산증대와 관련된 과학연구사업 강화를 지시

- 단천제련소에서는 검덕광산을 비롯한 단천지구의 광산들이 충분한 정광

공급을 보장할 것을 지적

- 단천광산기계공장에서는 단천지구 광산들의 생산을 정상화하는 임무

와 역할이 중요하다고 언급

※ 김정일 위원장이 지난 5월 20일 단천시 검덕지구 광산들에 대해 현지지도한 데 이어, 이

번에 다시 관련된 공장·기업소들을 방문한 것은 이들 공장·기업소들에서 진행된 개건·

현대화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북한의 주요 외화 수입원이 되고 있는 이들 지역의 광물제

품 생산을 더욱 독려하기 위한 것으로 보임.(09.6.8, 통일부 주간북한동향 946호)

2009 4월 북중무역 동향

o 중국의 「해관통계」에 따르면, 09년 4월 북중무역 총액은 197.1백만달러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0% 감소했으며, 무역수지는 63.9백만달러 적자

o 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수출이 전년 동월대비 증가

- 무연탄(166%)·아연(1,973%)·귀금속광(169%) 등 수출량이 크게 증가

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대중수출 실적

구 분 ’09년 4월 ’09년 1~4월(누적) 증감율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간 대비

무 연 탄 502,404톤 1,239,922톤 166% 78%아 연 2,695톤 3,184톤 1,973% 536%귀금속광 18,225톤 29,559톤 169% 67%

o 북한의 광물자원 수출증가는 중국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철광·연료탄·아연 등의 산업원

자재 수요가 증가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임.(‘09.6.22, 통일부 주간북한동향 948호)

Page 2: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2 -

‘150일 전투’성과 선전

o 북한은 150일 전투하에 인민경제 각 부문별 마다 5월 경제계획을 초

과달성하고 있다고 노동신문이 6월 3일~4일 선전

<금속공업부문>

-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 황해제철연합기업소, 김책제철연합기업소,

청진제강소 등 각지 금속공장에서 150일 전투가 본격 벌어진 5월

한 달 동안 전월대비 강철생산 1.2배, 압연강재생산 1.3배, 주체철

생산 1.2배 달성

- 무산광산연합기업소, 재령광산, 은율광산은 5월에 전월대비 철광석

2.5배이상 생산

※‘주체철 생산방식’은 철정광에서 선철을 생산하는 제선과정에 수입의존도가

높은 코크스탄 대신 무연탄을 활용하는 방식을 일컬음.

<석탄부문>

- 150일 전투에 따라 5월에는 전월대비 30만톤 이상의 석탄을 증산하

는 성과를 거둠. 순천, 덕천, 북창, 득장, 구장, 개천, 강동지구

탄광 등 서부지구와 북부지구 탄광에서 높은 생산실적을 기록

- 탄광의 굴진작업을 진행하여 5월에 전년 동월대비 기본굴진 173%,

준비굴진 141% 달성함. 이를 통해 수많은 예비 채탄장을 확보

(‘09.6.15, 통일부 주간북한동향 947호)

‘150일 전투’성공을 위해 대중 무역에 주력

o 북한 당국은 2012 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150일 전투의 성공을 위

해 대중 무역에 주력하고 있다고 북한 내부 소식통이 25일 전함.

- 최근 혜산청년광산에서 생산되는 동정광과 아연도 전량 중국에 수출

되고 있다고 소식통은 말함. 그는 혜산광산은 아직까지 완전히 복구

된 것도 아니고, 국가차원의 생산계획도 확정되지 않았지만, 당장

150일 전투에 충당할 자재들과 식량, 비료들을 들여오기 위해 수출

에 나서고 있다 고 말함.( 09.6.25, The Daily NK, 이성진 특파원)

Page 3: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3 -

[기획] 북한의 철광석 금속공업의 주원료인 철광석은 최근 그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전세계 철광석 수급동향 및 북한의 철광석 자원 현황과 중국의 북한 철광석 광산에 대한 투자 실태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 전세계 철광석 수급 동향 】 【 전세계 철광석 수급 동향 】

전세계 철광석 매장량은 약 1,500억톤으로 추정된다. 주요 부존국가는 러시아, 호주, 우크라이나, 브라질, 중국, 등이며 세계매장량의 약 2/3가 이들 국가에 편중되어 있다.(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Jan 2009)

전세계 철광석의 생산과 소비를 살펴보면, 2008년도 철광석 생산량은 22억톤으로 추정된다. 세계 철광석 생산량은 2008년까지 7년간 계속 증가하여 왔으며 중국의 철광석 수요 증가가 주요인이다. 철광석은 많은 국가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총 생산량 가운데 3/4가량이 남미, 아시아, 대양주에서 생산된다. 세계 철강 산업의 호황으로 철광석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7년에는 20.1억톤을 기록하였고 2008년에는 세계 경기침체로 소비가 침체되기는 하였으나 2007년에 비해 약간 증가한 21.4억톤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 볼 때 아시아 지역의 소비는 전세계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광물자원공사 자원정보서비스 KOMIS)

【 북한의 철광석 】 【 북한의 철광석 】

o 북한의 철광석 부존량과 생산 - 북한지역에는 철광석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철의 매장량은 Fe 50%를 기

준으로 50억톤이다. 주요 부존지역은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및 평안남도이며 자철광, 적철광, 갈철광, 능철광의 형태로 부존된다. 무산광산, 오룡광산, 상농광산, 만덕광산, 문락평광산(동부지역), 덕현광산, 은률광산 등이 매장량 1억톤 이상의 광산들이다.

- 북한의 철광석 생산량은 최대 1,000만톤에 도달한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98년도에는 불과 그 30% 수준에 불과한 289만톤의 철광석을 생산하였다.(한국광물자원공사, 북한자원개발동향 2008)

북한의 철광석 생산량(단위 : 천톤)

연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생산량 2,900 3,800 3,800 4,200 4,100 4,430 4,580 5,000 5,000

(USGS, 2002~2006 Minerals Yearbook) - ‘98년부터 철광석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06년 기준 500만톤 수준인 것으

로 파악된다. 계속되는 전력난 및 설비 노후화로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Page 4: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4 -

o 북한의 주요 철광석 광산 - 무산광산 북한 최대의 철광상 부존지역으로 함경북도 무산군에 위치한 1급 연합기업소이다. 주

로 자철광이 생산되는 노천광산으로, 가채매장량은 품위 Fe 24%를 기준으로 13억톤으로 생산량은 ‘01년 기준 철정광 350만톤(Fe 65%)이다. 종업원은 3만7천여명 정도이다.

- 은률광산 북한 2위의 철광상 부존지역이며, 황해남도 은률군에 위치한 1급 광산이다. 주로

갈철광이 생산되고 매장량은 Fe 51% 기준 약 1억6천만톤이고 생산량은 2005년 기준 광석 30만톤(Fe 51%)이다. 종업원은 3,400명 정도이다.

- 덕현광산 한반도 서북부 압록강변에 위치하고, 국경도시 신의주경제특별지구와 중국 단둥시를 가

까이 하고 있다. 평안북도 의주군에 위치한 2급 광산으로 매장량은 품위 Fe 36%를 기준으로 1억톤이고 생산량은 연간 정광 20만톤(Fe 67%)이다. 종업원은 3,000명 정도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 북한자원개발동향 2008)

【 중국의 북한 철광석 개발 동향 】【 중국의 북한 철광석 개발 동향 】

o 북한 철광석 대중국 수출 동향 대중국 수출 추이 대중국 수출 주요 품목

- 2008년 북한이 중국에 수출한 철광석(HS-CODE 2601)은 1.7억달러정도로 중국의 철광석 수요 증가 및 철광석 가격 상승에 따라 전년대비 115% 큰 폭으로 증가했다.

- 북한의 대중국 전체 수출(7.5억달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탄(27%)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철광석은 전체 수출의 23%를 차지하는 북한의 주요 수출품이다.

Page 5: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5 -

o 중국의 북한 철광석 광산 투자 현황 - 중국 지린(吉林)성이 ‘05년 무산광산에 대해 매년 1,000만톤씩 50년 채굴권을 확

보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알려졌고(‘08.12.31, 코트라), 중국 퉁화(通化)강철그룹, 옌벤텐츠(延邊天池)공사, 우쾅(五鑛)집단 컨소시엄이 50년 채굴권을 확보하고 70억위안(약8천750억원)을 투자할 계획(‘07.09.11, 연합뉴스)이라고 알려졌다.

- 이외에도 중국은 북한의 갑산광산, 문락평광산, 덕현광산에 대한 개발에도 관심을 보여왔다.

【 한국의 철광석 수급 동향 】【 한국의 철광석 수급 동향 】

한국의 주요 철광석 수입국

o 한국의 철광석 수입과 생산 - 2008년 한국의 철광석(HS-CODE 2601) 수입은 49.5백만톤으로 48.4억달러상

당으로 2001년부터 40백만톤 이상을 꾸준히 수입해왔다. 주요 수입국은 호주(65%), 브라질(28%), 남아프리카공화국(4%)이다.

- 2008년 국내 생산은 36.5만톤으로 수입량의 0.7%정도이며, 철광석 자급률은 1%도 되지 않는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8년도 광산물 수급현황)

o 한국 기업의 북한 철광석 수입 - 포스코는 북한 무산광산의 철광석을 수입하려고 한 것('08.6.25, mbn)으로 알려

져 있으나 현재까지 남북교역을 통해 철광석이 반입된 적은 없다.

Page 6: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6 -

[한국은행] 2008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 경제성장

o 2008년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년대비 3.7% 성장

- 2006년(-1.1%)과 2007년(-2.3%)의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나 플러스 성장

- 이는 양호한 기상여건에 따른 곡물생산 증가, 6자회담 결과 이루어진 중유 및

원자재 지원 등 일시적인 요인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북한 내부의 성장동력이

개선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움.

o 북한의 국민총소득과 1인당 국민소득의 남·북한간 격차가 소폭 축소

- 국민총소독(명목 GNI)은 27조 3천억원으로 남한의 약 1/38로 , 1인당 국민소득(GNI)

는 약 1/18 수준인 117만원으로 전년(약 1/39 및 1/19)에 비해 그 격차가 소폭 축소

o 북한의 산업 중 광업 부문의 석탄, 금속광물, 비금속광물 생산 증가

- 석탄, 금속광물(철광석 등), 비금속광물(마그네사이트 등) 생산이 전년대비 각

각 석탄 생산은 1.6%, 금속광물과 비금속광물도 철광석, 마그네사이트를 중심

으로 3.2%와 2.9%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광업부문 생산이 2.3% 증가

산업구조

o 2008년 북한의 산업구조는 전년에 비해 농림어업과 광공업의 생산 비중이 확

대된 반면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서비스업의 비중은 축소

- 광공업은 광물 및 제조업 생산이 늘어 전년대비 3.3%p 확대된 34.6%를 시현

북한의 산업구조(단위 : 명목기준, %)

북 한’06 ’07 ’08

농 림 어 업 23.3 21.2 21.6광 공 업 29.6 31.3 34.6

광 업 10.2 11.4 12.1제 조 업 19.5 20.0 22.5( 경 공 업 ) ( 6.7) ( 6.5) ( 6.7)( 중 화 학 공 업 ) (12.8) (13.5) (15.8)

전 기 가 스 수 도 업 4.5 4.6 3.4건 설 업 9.0 8.8 8.3서 비 스 업 33.6 34.1 32.2

( 정 부 ) (23.7) (24.0) (22.8)( 기 타 ) ( 9.8) (10.1) (9.4)

국 내 총 생 산 100.0 100.0 100.0

Page 7: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7 -

단 위 북한 (A) 남한 (B) B/A(배)1. 인 구 천명 23,298 48,607 2.12. 경 제 성 장 률 % 3.7 2.2 -3. 명 목 G N I 10억원 27,347.2 1,030,636.3 37.74. 1인당 G N I 만원 117.4 2,120.4 18.15. 대 외 경 제

무 역 총 액(수 출)(수 입)

억달러〃〃

38.211.326.9

8,572.8 4,220.1 4,352.7

224.4 373.5 161.8

대 미 환 율 원(북․남한)/달러 130* 1102.6 -6. 에 너 지 산 업

석 탄 생 산 량 발 전 용 량 발 전 량 원 유 도 입 량

만 ton만 kW 억 kWh만 bbl

2,506.0 749.7254.6387.8

247.67,249.14,224.0

86,487.2

0.19.7

16.6223.0

8. 광산물 생산량철 광 석비 철 금 속

만 ton〃

531.69.4

33.323.1

0.12.5

10. 사회 간접 자본철 도 총 연 장도 로 총 연 장항 만 하 역 능 력

kmkm

만 ton5,242

25,802 3,700

3,381 104,23675,862

0.64.0

20.5

2008년 남․북한의 주요 경제지표 비교

※ 북한당국이 고시한 공식 환율이며, 북한의 경제성장 추정시에는 남한의 환율(1102.6원)을 적용

(자료 : 09.6.29 한국은행, 2008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

Page 8: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8 -

【 용어 및 전제 】

o 반 입 : 북한과의 교역에서 반출의 상대되는 개념으로 일반무역의 수입 개념

o 교역의 유형

- 전체교역 : 상업적거래, 비상업적거래

- 상업적거래 :일반교역, 위탁가공,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기타경제협력 등

- 비상업적거래 : 민간지원, 정부지원, 사회문화협력 등

o 광업생산품 : 광업과 직접 연관된 생산품, 광산물과 철강·금속제품의 합으로 전제[남북협회 주]

o 광 산 물 : 금속광물, 비금속광물 및 광물성연료(무연탄 등)

o 철강·금속제품 : 철강제품, 금속괴 및 금속제품

□ 전체 반입 현황

o 품목별 반입 실적( 09.6월 전체교역 대상)

순위 품목군 금액(천불) 구성비증감

전월대비 전년동기대비

1 섬유류 21,206 34.7% -1% 41%

2 농림수산물 16,624 27.2% -12% 9%

3 전자전기제품 9,707 15.9% -2% 9%

4 생활용품 4,261 7.0% 0% 27%

5 광업생산품 4,178 6.8% -32% -72%

6 기계류 3,915 6.4% 44% -22%

7 플라스틱고무및가죽제품 1,006 1.6% 14% -19%

8 화학공업제품 236 0.4% 54% -59%

9 잡제품 19 0.1% -60% -42%

계 61,152 100% -5% -5%

o 반입액 추이 (단위 : 천불)

- 6월의 반입실적을 살펴보면 광업생산품 반입액의 감소(-32.1%)로 전체 반입 규

모도 소폭 감소(-5.3%)한 것으로 보임.

- 전체 반입액 중 광업생산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7%임.

Page 9: 김정일, 함남 단천마그네샤공장 등 현지지도 · - 대중 수출은 66.6백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했고 대중 수입은 130.5 백만달러로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9 -

□ 광업생산품 반입 현황

o 주요 품목별 반입 실적( 09.6월)

순위 품목명 분류 금액(천불) 중량(톤) 구성비증감

전월대비 전년동기대비

1 무연탄 광산물 2,495 42,955 59.7% -20% 14%

2 기타철구조물 철강·금속 597 608 14.3% 290% 160%

3 기타철강금속제품 철강·금속 370 7 8.9% 54% 37,000%

4 아연괴 철강·금속 345 235 8.3% -86% -94%

5 기타식탁용구 철강·금속 107 21 2.6% 10,700% 37%

6 기타 비금속광물 광산물 75 17,984 1.8% 6% -99%

7 철강재용기 철강·금속 62 37 1.5% 38% -48%

기타 기타 127 91 3.0%

계 4,178 61,938 100% -32% -72%

※ 북한의 무연탄 수출(반입 포함) 동향

- 광업생산품 반입실적 1위를 차지한 무연탄은 남한 뿐만 아니라 대중국 무역 거래에 있

어서도 수출 1위( 09.1월~5월간 전체수출액의 45%)를 차지한 중요한 수출 품목임.

-‘09년 1~5월 기간 동안 남한의 반입액(53백만달러)은 북한의 대중국 수출액(121백만달

러)의 32%에 불과한 실정

o 반입액 추이 (단위 : 천불)

- 광업생산품 반입액은 전월 대비 32% 감소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72% 감소

- 무연탄과 아연괴의 반입이 각각 20%, 86% 감소하여 전체 광업생산품 반입량 감소를 주도

* 자료 : 통일부 남북교류협력동향

본 뉴스레터에 언급된 모든 내용은 국내외 주요 언론 및 각 기관을 통해 보도된 자료를 근거로 작성된 것입니다. 각 기사의 저작권은 해당 언론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문의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