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50
TIS-02-39 2002. 10. 9. 106 106 106 1067 등록일: 1985 11 월 4 / 등록번호: 대전 01003 편집인 발행인: 오길록 / ISSN 1225-6447 정보통신 기술, 정책 산업 주간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LBS( 위치기반서비스) 관련 기술 시장 동향 ITU-T 표준화 절차 개선작업 국내외 DTV 시장동향 전망 통신서비스에 대한 SLA 도입 표준화 현황 터키의 통신 시장 전망 2002 8 정보통신산업 수출입 동향 I T정보센터 발간 자료 안내 ETRI Journal 논문모집 IT 전략 품목 국별 IT 산업 IT 산업전략 이슈

Transcript of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TIS-02-39

2002. 10. 9.

1061061061067777

등록일: 1985년 11월 4일 / 등록번호: 대전 다 01003

편집인 겸 발행인: 오길록 / ISSN 1225-6447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 간 기 술 동 향주 간 기 술 동 향주 간 기 술 동 향주 간 기 술 동 향

포 커 스 ◆ LBS(위치기반서비스) 관련 기술 및 시장 동향

◆ ITU-T의 표준화 절차 개선작업

◆ 국내외 DTV 시장동향 및 전망

◆ 통신서비스에 대한 SLA 도입 및 표준화 현황

◆ 터키의 통신 시장 전망

◆ 2002년 8월 정보통신산업 수출입 동향

◆ I T정보센터 발간 자료 안내

◆ ETRI Journal 논문모집

IT 전략 품목

안 내

국별 IT산업 정보

IT 산업전략 이슈

통 계 정 보

● 포커스

- 1 -

LBS(위치기반서비스) 관련 기술 및 시장 동향

최재경* 정지영** 윤원정**

무선인터넷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 무선통신의 장점인 이동성을 살린 위치기반서비스의 중요성이 점

점 더 부각되고 있으며, 이동통신사업자나 관련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위치기반서비스의 도입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태동기에 불과한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해 기술 및 시

장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향후 추이를 조망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는 분석이 심도있게 이루어지

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하여 기반기술 및 표준화 관련 동향, 그리고 현재 제

공되고 있거나 향후 계획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시장동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업자 및 정책 입안

을 맡고 있는 담당자들에게 위치기반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I. 서 론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 및 PDA,

노트북의 보급 확산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가 이동통신 분야의 주요한 애

플리케이션으로 부상하고 있다. LBS는 이동중인 사

용자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쉽고 빠르게 사용자의 위

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외

부에서 이동중인 사람이나 차량 등을 효율적으로 관

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 어린이나 노약자 등

보호가 필요한 대상의 현재 위치나 이동경로를 보호

자에게 알려주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에서는 이미 휴대폰과 GPS 를 통합한 ‘gpsOne’ 솔

루션을 사용해 긴급구난 시스템인 911 시스템(E-

911)[1]에 LBS 개념을 도입해 긴급 상황 발생시

해당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LBS

목 차

* 인터넷경제연구팀/연구원

** 인터넷경제연구팀/계약직연구원

I. 서 론

II. LBS 기술 및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표준화 동향

III. LBS 애플리케이션 현황

IV. LBS 도입 관련 현안과제와

문제점

V. 결 론

포포포///커커커///스스스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2 -

에 대해 논함에 있어서 그간 자주 거론돼오던 GIS(지리정보시스템)나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텔레매틱스 등에 비해 ‘LBS’라는 용어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LBS 는 GIS,

GPS, 텔레메틱스를 포함해서, 특정 플랫폼을 통해 위치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는 모든 서비스를

망라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무선 단말기를 통

해 사용자의 위치를 찾는 것이 GPS이고, 사용자 주변의 정보를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GIS라면,

사용자의 주변정보를 기준으로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이 LBS 이다. 긴급 상황이 발

생했을 때나, 특정 장소를 예약할 때,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상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자 할인쿠폰을 제공받는 등의 행위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할 때만 가능하며, 이는 모바일커

머스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인프라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통신시장의 발전방향이 유무선 통합

을 지향하고 있는 추세이며, 갈수록 무선통신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동통신 분야

의 주요 서비스로 부상하고 있는 LBS에 대해 본 고에서는 LBS 관련 시장 현황, 관련 주요 기

술 및 표준화 동향, LBS 도입에 있어서 이슈가 되고 있는 몇 가지 현안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꾸준한 성장이 기대되는 LBS 시장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I. LBS 기술 및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표준화 동향

1. LBS 관련 위치추적기술

이동전화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을 ‘Wireless Location Technology’

[2]라고 한다. 이러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Network-

based 방법과 Handset-based 방법이 있다. Network-based 방법의 측위 방식 기본 원리에는

Time Difference of Arrival(TDOA), Angle of Arrival(AOA)와 RF Fingerprint 가 있으며,

Handset-based방법의 측위 방식 기본 원리에는 Global Positioning System(GPS)를 이용하는

Time of Arrival(TOA)가 있다. 또한 이러한 측위 방식의 기본 원리들을 결합한 Hybrid 측위 방

식이 있다. 각각의 기술을 간략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가. TDOA 방식

두 개의 신호원으로부터 전파도달 시각의 상대적인 차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측위 방

식으로, 다수의 신호원과 한 개의 수신기로 구성된 forward link 방식과 한 개의 신호원과 다수

의 수신기로 구성된 reverse link 방식이 있다. TDOA의 기본 원리는 두 신호원에서 수신기까

지 거리의 차에 비례하는 전파 도달 시간차가 측정되고, 두 신호원에서 거리가 일정한 곳 즉, 두

● 포커스

- 3 -

신호원을 초점으로 하는 쌍곡선 위에 수신기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각 기지국은 동기화되어

있어야 하며 기지국간의 시간의 동기화는 위성시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3 개의

신호원으로부터 2개의 쌍곡선이 얻어지고 두 곡선의 교점이 수신기의 위치가 된다.

나. AOA 방식

수신기로부터 보내온 신호의 도래각을 측정하여 신호원을 기준으로 수신기로부터 오는 신호

의 방향을 찾아내어 위치를 결정하는 측위 방식이다. 즉, 하나의 기지국에서 4~12개 정도의 안

테나가 각 방향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를 보내는 안테나의 번호를 수신하여 각 기지국 안테나

의 방향, 즉 cell site(커버 영역)과 신호원과 겹치는 곳을 그 위치로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

은 LOS(Line of Sight)를 가정하고 위치를 구하는데 도심지역에서는 건물들에 의해 실제 LOS

신호 성분이 수신되지 않거나 반사되어 들어온 신호에 의해 상당히 큰 오차가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또, 신호원과 수신기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지

(그림 1) TDOA 위치결정방식 개요

Serving Base Station

Neighbour Base Station

Neighbour Base Station

d0

d2

d1

(그림 2) AOA 방식 개요

Base Station

RTT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4 -

니고 있으며, 이동망에서는 신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지 않고 그 위치가 변화하므로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TDOA 방식과 AOA 방식의 개요와 특성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표 1>과 같이 나타

낼 수 있다.

다. RF Fingerprint

수신되는 수신기 신호의 특성 값을 얻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수신된 신호를 스냅샷하고 스냅

샷된 수신기의 송신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된 신호의 고유한 특성을 추출, radio camera가 기존

의 데이터베이스와 이 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위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높은 비용이 필요하며 정확도가 지리적 환경과 날씨의 변

화 등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또한, 지리적 환경이 바뀔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업그레이드

를 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라. TOA

신호원과 수신기사이의 전파도달 시간(TOA)을

측정하여 수신기와 신호원 간의 거리를 알게 되는

측위 방식으로, 기본적으로 신호원과 수신기 모두

정확히 동기화 되어야 하며 신호원에서 수신기로부

터 신호가 언제 출발했는지를 알기 위한 시각 표시

가 필요하다. IS-95B/C 에서는 신호원과 수신기간

(그림 3) TOA 방식의 알고리듬 원리

BS 1 BS 3

BS 2 r 2

r 3

r1

<표 1> TDOA 방식과 AOA 방식 비교

TDOA AOA

설명 동기망에서만 사용 가능함 네트워크에는 LMU가 필요

군사용,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에서 사용된 방식

정확도 100~500m 확실하지 않음

MS modify Yes(SW) No

Network modify Yes(SW) Yes

Generation 2.5세대 1 세대

Commercialization No No

건물 안 75% 75%

도시 75% 75% 위치별 수신률

외곽 50% 75%

● 포커스

- 5 -

의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GPS가 이용된다.

2. 관련 기술의 표준화 및 플랫폼 개발 현황

LBS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이미 국가적으로 LBS 시장이 활성화돼, 현재 수많은 LBS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위치정보와 관련된 시스템 구축이나 LBS 관련 업체 수도 급증하고 있다. 또한, LBS 기

술 및 서비스 시장의 선점을 위한 표준화 노력이 세계 유수의 기업들은 물론 ISO를 비롯한 표

준화 단체 및 포럼 등을 통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무선 통신에서의 위치추적 기술은 미국

FCC에서 무선 가입자의 위치 정보의 정확도에 대해서 의무 사항을 부여하면서 급속도로 발전

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는 1999년 9월15일 공표된 E-911 Phase II 의 요구 조건[3]에서

비롯되었는데, E-911 Phase Ⅱ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북미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가장 강력한 솔루션으로 Qualcomm의 ‘gpsOne’ 솔루션이 선택되었다. 이것은 CDMA 단

(그림 4) Qualcomm 의 gpsOne phone system 솔루션

UART UART USB

MSM3300

RF Tx

RF Rx

Switch SRAM

FLASH

GPS PCS

Cellular

(그림 5) gpsOne hybrid 솔루션의 개념도

SAT2 (x2, y2, z2)

SAT1 (x1, y1, z1)

BS3 (x3, y3, z3)

BS4 (x4, y4, z4)

(x, y, z)

R1

R2

R4 R3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6 -

말기에 사용되는 Qualcomm MSM 3300 부터 칩셋 내에 GPS 모듈을 넣고, GPS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복합하여, GPS와 BS(Base Station)의 신호를 동

시에 이용하는 Hybrid 3D 기법이다. 특히, ‘gpsOne’ 솔루션은 실내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GPS

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퀄컴의 ‘gpsOne’ 솔루션은 그 오차가 10~30m 정도에 그칠 정도로 높

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으며 단말기의 초기 start-up 시간이 짧으며, 단말기의 부하가 이전 GPS

기반 솔루션에 비해 적어지면서 단말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3.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표준화 동향

LBS 기술은 위치추적기술(LDT), 위치기반 애플리케이션 플랫폼(LAP), 애플리케이션 등이

주요 구성 요소다. 즉, LBS는 이동통신 기술과 모바일 인터넷 기술, 4S 관련기술(지리정보시스

템(GIS), 위성측위시스템(GNSS), 지능형교통체계(ITS)ㆍ공간영상정보시스템(SIIS))과 정보가 통

합되어야 가능한 총체적 서비스로 볼 수 있다. 현재 국내 상황은 이동통신에 대한 기반 인프라

가 구축되어 있으며, LBS 관련 사업을 범국가적으로 추진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

러나, 아직 국내에는 LBS 분야에 대한 특화 기술이 부족한 데다 도입하고 있는 플랫폼도 표준

안이 없어 각 업체마다 개별적으로 개발해 사용하고 있으며, 공공 및 민간 LBS 관련 사업들도

각기 개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난 2 월 국내에 IT 관련업계와 정부 및

학계가 공동 참여하는 ‘LBS 포럼’이 발족되었고, 또한 통신환경 변화에 따라 2,3세대 통신망에

서 모두 호환 가능한 LBS 종합 솔루션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LBS 에 대한 국내인식이 늘어나면서 정보통신부도 최근 무선인터넷플랫폼표준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위에서 운용될 유망 애플리케이션의 하나로

LBS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무선인터넷표준화포럼 LBS 분과위원회는 각 통신사업자의 요구

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2,3 세대 서비스에서 모두 이용 가능한 단일 LBS 플랫폼 표준규격 개발

에 나섰다. LBS 분과위원회에서는 오는 10월까지 LBS 통합 플랫폼 표준규격을 완성하여, 정보

통신기술협회(TTA)에 표준안을 공식적으로 제출할 예정이며, 올해 연말까지는 LBS 통합 플랫

폼의 완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동통신연구소(소장 한기철)는 금년 5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비동기 IMT-2000의 국제표준 제정포럼)

표준화 회의에서 이동통신망 무선인터넷플랫폼의 국내표준인 위피(WIPI)를 새로운 무선인터넷

국제표준으로 제안하였다. 국내에서는 금년 11 월부터 국내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WIPI

를 채택하게 된다. 현재까지 이동통신을 통한 무선인터넷 서비스는 SKT의 SK-VM(Virtual

● 포커스

- 7 -

Machine), GVM(General Virtual Machine), LG 텔레콤의 Ez-Java, 그리고 KTF의 MAP

(Mobile Application Plug-In)과 BREW(Binary Run Time Environment for Mobile) 등 이동통

신 사업자마다 각기 다른 규격의 기술로 제공되고 있어, 컨텐츠 산업이 이동통신 사업자별로 분

리된 시장을 갖는 기형적 형태를 갖고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TRI 는 정보통신부,

TTA 무선인터넷포럼과 공동으로 이동서비스 플랫폼의 순수 국내 표준인 WIPI를 개발, 국내표

준으로 확정지은 바 있다.

4. LBS 관련 솔루션 및 컨텐츠 업계 동향

CDMA2000-1x 서비스 개시와 컬러폰 출시 이전의 무선인터넷서비스는 휴대전화의 성능

제한과 텍스트 위주의 무선 인터넷 환경 등 인프라의 미비로 검색 중심의 단순 서비스에 머물러

왔었다. 그러나, 최근 cdma2000― 1x 서비스 개시로 통신속도가 개선되고 버추얼머신(VM)을

탑재한 휴대전화가 보편화되면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기반이 마

련되었으며, 본격적인 LBS 서비스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LBS 의 부상에 따라 대규모 LBS 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LBS플랫폼의 개발과 공급도 활발하게 진행 중인데, 이미 SK텔레콤과

KTF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 LBS의 본격화에 나섰다. 지어소프트는 LBS플

랫폼 ‘지어소프트 로케이션 플랫폼(GLP)’을 개발, KTF 매직엔의 수호천사서비스와 KT아이컴

LBS 파일럿시스템에 적용했으며, 현재 퀄컴의 ‘gpsOne’용 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어헤드모바일

은 미국 시그널소프트의 LBS플랫폼 ‘로케이션 매니저’와 컨텐츠관리 솔루션인 로컬인포를 이동

통신업체들에게 공급하고 있고, GIS업체인 포인트아이닷컴도 미국 그라비테이트사의 기술을 기

반으로 LBS플랫폼 ‘오픈포인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SK텔레콤은 GPS를 이용한 차세대 LBS

를 위한 위치 확인 솔루션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친 상황이다. 여기에 차세대 LBS 의 하나인

모바일 시큐리티 서비스(mobile security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보안업체인 에스원과 전략

적 제휴를 맺은 상태다. SK텔레콤은 향후 출시되는 모든 단말기에 GPS 칩을 내장해 모바일 시

큐리티 서비스 외에도 위치추적, 교통정보 등 다양한 차세대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친구

찾기, 주변지역 정보, 이벤트 정보 등 현재 제공 중인 NATE의 위치정보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PDA와 차량용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

라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LBS 활성화에 있어서 최대 걸림돌이었던 휴대전화 성능 제한

과 부정확한 위치기술 등의 인프라 미비가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으며,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구축 등으로 이동통신망이 고도화되고 무선 인터넷망이 본격적으로 개방되면 LBS 시장은 급성

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8 -

Ⅲ. LBS 애플리케이션 현황

무선 인터넷과 이동통신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짐에 따라 LBS와 이를 기반으로 한 모

바일커머스는 그 발전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LBS 관련 시장

의 규모는 지난해 6억 달러에 불과했지만, 2005년에는 10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같은 시

기에 유럽시장은 800 억 달러, 국내시장은 6 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시장조사 및 컨설팅 업체인 소프트뱅크 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LBS 의 현재와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06년까지 국내 LBS이용자는 매년 380만 명씩 증가해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46%인 1,900 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세계적인 통신업체인 노키아의 예측 자료에서는

2010년 경에 통신요금에서 LBS관련 요금이 2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통신 전문가들은 현재 LBS 관련 시장이 초기 수준이지만 교통정보, 쇼핑 가이드 등 위치밀

착형 서비스와 예약, 푸시(push) 광고 등 위치기반 무선상거래 등으로 영역이 확대돼 앞으로 무

선통신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4].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자료>: Ovum, 2000. 12.

(그림 7) 세계 이용률 예측

<자료>: Ovum, 2000. 12.

(그림 6) 세계 수익규모 예측

(단위: 백만 달러)

2002 2003 2004 2005 2006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60%

50%

40%

30%

20%

10%

0%

Location service revenues

Ads and M-Commerce fees

% of revenues from indirect fees

Connections

% of mobile connections

600

500

400

300

200

100

0

35%

30%

25%

20%

15%

10%

5%

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단위: 백만 달러)

● 포커스

- 9 -

이동통신사들이 LBS를 독립적인 메뉴로 전진 배치하는 중이고 물류 업체들도 시스템을 확장하

는 등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다. 2002년 현재 국내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LBS 종류는 평균 12 가지로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무선 인터넷 솔루션 기업 중 하나인 어헤드모바일은 LBS의 종류를 <표 2>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이처럼 주목받고 있는 LBS 중 무선 데이터의 이용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이용 빈도가 꾸준

히 높은 서비스로는 유머, 뉴스, 운세, 영화와 같은 편집 가공된 정보 서비스(VAI)와 위치정보

서비스로 범위가 정해지며 이는 현단계의 모바일 이용자의 이용 성향이 엔터테인먼트나 정보검

색을 주로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표 3> 참조).

<표 2> 어헤드모바일의 LBS 분류 및 세부 서비스 항목

서비스 구분 핵심 개념 주요 서비스 Item

위치확인(친구찾기, 나의위치)

위치추적(AS/영업, 미아방지)

긴급구조, 사고대응(119, 112 등)

위치확인/추적 서비스

(Location Identification &

Tracking Service)

위치 데이터 획득 자체가 목표임

무선 GIS (건물, 장소찾기)

위치기반 Information service(POI등)

위치기반 Traffic/Navigation service

LB-community service(미팅, 동호회)

위치밀착형응용서비스

(Location Sensitive-Adapting

Service)

위치와 데이터의 결합이 서비스의

가치결정

LB-Entertainment service(LB-게임)

LB-Ticketing/Shopping

LB-Coupon/Ad Push service

위치기반모바일커머스

(Location Based Mobile

Commerce)

위치와 데이터가 결합된 상거래

지역특산품/기념품 쇼핑몰

물류관제(화물, 차량추적)서비스 고도화된 LBS

(Value-added LBS) 관련서비스, 부가기능 결합된 LBS

콜서비스(퀵, 택시, 배달)

<표 3> 무선데이터 서비스의 이용빈도 순위

순위 1999년 2000년 2004년(예상)

1 VAI VAI VAI

2 이메일 위치서비스 위치서비스

3 위치서비스 뱅킹 전자상거래

4 팩스 이메일 뱅킹

5 뱅킹 전자상거래 이메일

<자료>: ARC Group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10 -

1. 개인용 애플리케이션 동향

SKT 는 네이트의 위치기반 포털 서비스를 위치기반 정보, 커뮤니티 및 엔터테인먼트, 커머

스 등 3개 부문으로 나눠 실시할 예정이며, 이 가운데 상거래와 관련된 서비스는 단말기가 위치

한 곳에서 가장 가까운 택시를 알려주는 ‘택시콜 서비스’,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면 가장 가까운

점포를 연결해주는 ‘주문 배달 서비스’,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 내에서 쓸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하

는 ‘움직이는 쿠폰 서비스’ 등이 있다. 또한, 차세대 LBS의 하나인 ‘모바일 시큐리티서비스’ 제

공을 위해 국내 최대 보안업체인 에스원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GPS 단말기를 소지한 고객이

어린이나 노약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거나 위급한 상황시 긴급버튼을 누르면 고객의 위치가

관제센터에 전달되어, 신변 안전용 긴급출동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향후 출시되

는 모든 단말기에 GPS 칩을 내장할 방침이다.

KTF는 주변시설 정보서비스, 추적 서비스, 교통항법 서비스(car navigation), 안전 및 구난

서비스, 기업용 위치추적서비스 등 모두 15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는 위

치기반 모바일 상거래나 모바일 광고, 티켓예매 등 광고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신규로 선보일

계획이다. KTF는 다른 회사와 달리 개인 사생활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이용자가 수호천사 서

비스에 등록하려면 반드시 대리점을 방문하도록 했는데, 이는 등록자가 허용한 위치추적자만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LG 텔레콤도 11 가지 정도의 LB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존의 친구찾기나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을 더욱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오차범위를 축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GPS

칩을 이용해 내장된 휴대폰을 사용해서 위치 추적 범위를 30m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LG 텔레콤이 중점을 두는 서비스는 볼거리ㆍ먹거리ㆍ놀거리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POI

(Point of Interest) 서비스로, 향후에는 POI 서비스와 연계된 모바일 쿠폰 서비스와 M-커머스 등

을 기획해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텔레매틱스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현대자동차와의 합작법인인

로티스의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를 토대로 교통정보에서 여행자 정보, 응급 대응, 차량 진단, 원격

지원 서비스 등 각종 정보 서비스를 차량 운전자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할

방침이다.

2.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동향

기업 및 산업에 활용되고 있는 LBS 관련 서비스로는 SI업체들이 기업고객을 위해 물류, 유

통분야에 적용 중인 물류관제시스템을 꼽을 수 있다. 물류정보화 바람으로 가장 먼저 열린 기업

● 포커스

- 11 -

용 시장에는 대신정보통신(OK넷), SK(Net-truck), 한국통신(CVO)이 포진하고 있는 가운데 SI

업체로는 삼성 SDS 가 새롭게 시장에 참여했다. 이들 업체는 물류관제서비스에 가입된 트럭의

규모가 1만 대 수준으로 미미한 상황이지만, 향후 개척될 부문이 많다고 보고 이동통신 단말기

와 차량용 단말기의 개발추이 등을 주시하며 시장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SDS는 삼성

그룹 내 보안 업체인 에스원에 긴급차량출동 및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영업사원이 많

은 보험이나 물류 분야 계열사로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3. 공공부문 애플리케이션 동향

공공부문에서는 비상구조 서비스, 긴급정보 서비스, 공공목적의 추적 서비스 등에 LBS 관련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비상구조서비스는 119 나 112 시스템과 연계하여 응급 재난 상황에서

구조기관에 자동적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긴급경보서비스는 태풍, 지진, 홍수, 산사

태, 산불 등과 같이 긴급히 대피하여야 할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지역의 사람들에게 자동적으

로 긴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공목적의 추적 서비스는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범인이나 도

난차량 등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4. 해외 동향

해외부문에서는, 응급구난 서비스(E-911)를 준비하고 있는 미국을 비롯해서, 이동통신 네트

워크 기반의 단순 LBS를 제공하는 유럽과 일본은 우리나라에 비해 서비스 다양성 면에서 뒤지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정부가 발표한 ‘E-911’ 규정에 따라 모든 통신사업자가 의무

적으로 응급구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돼 있으나 단말기, 장비개발과 서비스 안정화 속도가 더

딘 상태다. 유럽은 프랑스, 노르웨이, 이탈리아 등 각국 주요 사업자들이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

반의 LBS 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달리 모바일커머스보다는 일반정보나 위치기반게임

등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LBS를 제공하고 있으

나 다양성 측면에서는 한국이 다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DDI, 도코모, J폰 등 주요사업

자가 모두 LBS를 제공중이다. 이 가운데 KDDI는 주변정보, 교통항법, 위치정보메일통지, 안전

경호서비스 등 4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도코모는 친구찾기, 기업용 위치추적, 안전서비스,

주변정보, 지도찾기, 교통항법 분야의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J폰은 주변정보서비스와 휴대폰

으로 지도보내기를 제공하고 있다.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12 -

IV. LBS 도입 관련 현안과제와 문제점

1. 사생활 보호, 프라이버시 문제

LBS 는 앞으로 개인의 위치를 추적, 상권 인근에 접근했을 때 메시지를 보내는 고객마케팅

으로까지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인식

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무선 인터넷상에서 교통정보, 친구찾기, 모바일존 등에 사용되고 있는

LBS 가 개인의 위치를 쉽게 노출시킬 수 있어 개인의 위치정보를 프라이버시 차원에서 보호해

야 한다는 지적[5]이 제기되면서 위치정보와 관련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법률이 빠르

면 오는 8월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즉, 휴대폰이나 GPS 장비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주파수

를 통해 공개될 수 있는 우려를 정보통신부가 빠르면 오는 8월중 ‘위치정보지정보호 및 서비스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입법화하기로 하고, 현재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 법

률에는 개인 위치정보를 당사자의 동의 없이, 사업자가 함부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기

본 골격으로 하지만 재난과 같은 긴급 상황 시에는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예외 조항을

둘 방침이다. 또, 유선에는 없는 무선만의 독특한 서비스인 LBS 를 정당한 산업활동에 이용할

수 있도록 법적근거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건설교통부도 관련법규를 보완, 개정하여

공공 또는 산업 용도의 지리정보에 LBS를 연계,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건교

부는 특히 기존 ‘지리정보체계 구축 및 활용 등에 관한 법률(NGIS 법)’에 응급 구조 시에 LBS

와 결합이 필요한 지리정보의 활용범위를 확대하는 조항을 추가하기로 했다. 한편, 미국은 9.11

테러 이후 ‘무선통신과공중안전법(Wireless Communications and Public Safety Act)’에 응급구

난시 이동전화발신자의 위치파악 기능을 의무화한 관련 규칙(Enhanced 911)을 제정한데 이어

최근 LBS가 민간부문에서도 활성화될 것에 대비, ‘위치정보의 수집, 활용에 관한 법률(Location

Privacy Protection Act of 2001)’을 의회에 상정중이다. 유럽과 일본도 각각 ‘이동통신환경하의

개인정보 보호와 처리에 관한 규정’과 ‘이동통신 가입자 위치파악기능 내장 의무화 규정’의 제정

을 추진중이다.

2. 인프라 및 사업 여건

LBS 관련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동통신 업체들이 관련 위치서버 등 인프라를 확충하

고 신규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적극적인 수요 발굴에 나서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LBS 플랫폼을 도입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거나 표준의 부재로 인해 인프라

● 포커스

- 13 -

구축이 더딘 상태다. 휴대전화의 성능개선과 정확한 위치정보기술도 주요 과제로 꼽히고 있으나

IMT2000 서비스가 실시되면 이 같은 문제는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과 관련해 어디까지 서비스를 허용할 것이냐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도 필요하다. LBS

는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생산업체, 플랫폼 개발업체, 컨텐츠 제공업체가 복합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이들 업체가 망라하는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표준이 시급

하다는 지적이다. LBS 분야는 무선위치추적을 위한 방식,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 컨텐츠 프

로토콜, 개인정보보호와 인증 등 표준화가 우선적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해 이동통신 업체들

과 퀄컴, 삼성전자 등이 주축으로 공식 출범한 한국무선인터넷표준화포럼이 LBS 를 표준화 과

제로 선정했다. 또, 국제표준화기구(ISO)산하 지리정보전문위원회인 TC.211 의 국내 단체에서

LBS분야의 표준 프로젝트를 수행할 방침이어서 보다 다각적인 표준화가 기대되고 있다.

표준화와 관련해 최근 정부는 국가기본도, 공공측량, 국방, 학술 등 국토관리를 위한 인프라

인 동시에 국내 모든 위치정보의 기준이 되는 우리나라 국가기준좌표계를 내년부터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좌표계인 세계측지계로 통일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GPS와 GIS산업이 크게 활성

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LBS 분야의 확산에도 기폭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측지계는 지

구를 편평한 회전타원체로 상정해 실시하는 위치측정 기준으로 UN 등 국제기구의 적극적인 권

장 아래 세계 각국이 이를 적용하고 있으며, 일본 역시 우리나라가 기준으로 삼고 있는 동경측

지계 대신 올해 4월부터 세계측지계를 전면 도입한 상태이다. 이렇게 정부가 기존 국가기준 좌

표계를 세계 표준으로 전환함으로써 국가기준점의 위치정밀도와 신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기

지점에서의 확인관측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측량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V. 결 론

IMT-2000 등의 무선 이동통신의 발전과 더불어 데이터통신에서 활용될 수 있는 주요 서비

스로서 LBS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LBS의 중요성에 대한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인식이 확산되는 상황이며 LBS 플랫폼이나 GPS 의 도입 등을 통해 비록

위치추적, 교통정보 서비스와 같은 부분적인 POI 의 제공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LBS 는 위치

관련 솔루션 및 기술의 발전 및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을 위한 플랫폼의 개발 등을 통해 아직까

지 사용자에게 크게 확산되지 않은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시킴으로써 향후에는

무선데이터통신 서비스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간과해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14 -

서는 안될 중요한 이슈는 개인 프라이버시의 문제로 이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해결이 없이는

LBS의 확산에 있어서 중요한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 고 문 헌>

[1] Jeffery H. Reed, Kevin J. Krizman, Brian D. Woerner, and Theodore S. Rappaport, “An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progress in meeting the E-911 requirement for location service,” IEEE

Communication Magazine, 1988.

[2] 양영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 현황 및 전망,” 정보처리학회지 Vol.8

No.6, 2001.

[3] FCC 99-245, To ensure compatibility with Enhanced 911 emergency calling systems,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1999.

[4] 이정원, “무선인터넷 컨텐츠 구현 전략과 킬러 컨텐츠 전망 – LBS를 중심으로,” K-Mobile 2001 세미

나 발표자료, 2001. 10.

[5] 오태원, “개인위치정보의 법적 문제와 위치기반서비스의 전망,” KISDI, 정보통신정책 298호, 2002. 4. 1.

[6] 전자신문(www.etimesi.com)

[7] 디지털타임즈(www.dt.co.kr)

● 포커스

- 15 -

ITU-T의 표준화 절차 개선작업

박웅* 민재홍** 박기식***

본 내용은 정보통신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고, 표준화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국제전

기통신연합(ITU)에서 새롭게 도입한 표준화 절차 AAP(Alternative Approval Process, A.8)의 개요를 살펴

보고, 시행결과 및 추가 개선 노력을 분석ㆍ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향후 국내 표준화 활동의

대응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I. 서 론

최근 정보통신 분야는 급속한 기술의 발전과 제

품생명주기의 단축 및 다양한 기술들간의 융합 등

급격한 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다. 정보통신 분야의

대표적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는 이러한 환경 변화

에 대응하여 기존의 관료적이고 비효율적인 부분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표준화 추진을 위한 개혁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의 초점은 실질적인 민간

의 참여를 확대시키고, 시장이 요구하는 표준의 신속

한 제정을 위한 작업방법, 작업구조, 그리고 타 표준

화 기구와의 협력활동 강화 등으로 맞춰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ITU-T가 추진하고 있는 개혁 중 표

준화 작업방법과 관련하여, ITU-T의 표준화 절차의

개요와 특히 현재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표준화

절차에 관하여 살펴보고, AAP 시행 결과 및 ITU-T

목 차

* 표준기획연구팀/연구원

** 표준기획연구팀/팀장

*** 표준연구센터/센터장

I. 서 론

II. ITU-T의 표준화 절차

III. ITU-T AAP 시행의 결과

IV. ITU-T의 개선작업

V. 결 론

포포포///커커커///스스스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16 -

의 추가적인 표준화 절차 개선작업에 관하여 분석 및 고찰해 보고자 한다.

II. ITU-T의 표준화 절차

ITU-T의 표준화 절차는 크게 기존의 작업방법인 TAP(Traditional Approval Process, 이

하 TAP라 함)와 새롭게 도입된 AAP(Alternative Approval Process, 이하 AAP라 함)으로 구

분된다.

TAP는 정책적 또는 규제적 함의를 갖는 권고 즉, ITU-T의 표준화 영역 04(번호부여/주소

체계)와 11(과금/부과/정산)에 속하는 권고에 대하여 적용된다. TAP 하에서는 SG 에서 채택된

ITU-T의 신규 혹은 개정 권고초안에 대한 승인권한을 SG에 부여할 것인지에 대한 회원국의

공식적인 협의기간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그림 1)은 TAP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AAP는 ITU-T가 정보통신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정부간 조직으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한 권고의 승인을 위해 기존의 작업절차 TAP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한 표준화

절차(대체승인절차)이다.

AAP는 ITU-T의 자문 그룹인 TSAG(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이 제안하여 WTSA-2000에서 채택되었고, 2001년 1월 말부터 모든 기술적 권고안에 대하여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승인절차 AAP는 정책적 또는 규제적 함의를 갖는 권고1)를 제외

1) WTSA-2000 결의 제1호 제9절에 규정되어 있음

(그림 1) TAP의 절차도

Director’s notification

SG or WP determination

Edited test available

Text distributed SG decision

SG meeting Consultation period

7 working days

1 month

minimum

3 weeks

maximum

3 month minimum

Chairman’s request

Director’s announcement and

Director’s request

Deadline for Member States’ replies

주) WTSA-2000 결의 제1호 제9절에 규정되어 있음

● 포커스

- 17 -

한 현재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술적 내용의 권고초안에 대하여 적용된다.

기존의 표준화 절차 TAP 하에서는 개발된 권고 초안에 대하여 회원국들(member states)간

최소 3개월 이상의 협의기간을 거치게 되어 있어서, 권고 초안의 개발 후 권고가 승인되기까지

약 7~9 개월 정도가 소요되었다. 이는 정보통신 표준화 분야에서의 ITU-T 의 지배적 위치를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급속한 기술의 개발과 시장 수요에의 적시적 대응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에 ITU-T가 정보통신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신속한 표준의 제정

을 위하여 새로이 개발한 표준화 절차가 바로 AAP(대체승인절차)이다.

PP-98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AAP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참여하여 권고를 승인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한 표준화 절차이며, AAP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권고 초안에 대한 승인 권한을 해

당 SG에 위임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회원국가와의 협의를 생략토록 함으로써, 민간의 실질적

인 참여를 도모하고 승인기간을 단축시켰다는 점이다. (그림 2)는 AAP의 절차를 나타낸다.

AAP 는 전체적으로 연구과제의 채택, 연구과제 결과물로서의 권고에 대한 승인절차 선택,

권고 초안의 개발, 권고 초안에 대한 의견 수렴, 권고 승인이라는 단계를 거친다. 연구과제의 채

택은 SG 회의에서 하도록 하고 컨센서스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회원국과의 협의를 거치도록

하고 있는 현재의 절차를 그대로 적용키로 하였으며, 권고의 승인절차에 대한 선택은 해당 연구

과제의 표준화 영역(Standardization Domain)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였다. 즉 표준화 영역 04

(numbering/addressing)와 11(tariff/charging/accounting)에 속하는 연구과제에 대한 권고의

(그림 2) Alternative Approval Process의 절차도

SG or WP

meeting (1)

Edited text

for LG (2)

Director’s announcement

and posting for LC

(3)

4

9 11

SG meeting

(6)

Director’s announcement

and posting (5)

Edited text

for AR (8)

Director’s announcement

and posting for AR (10)

Comment resolution

(7)

Director’s notification

(12)

Approved

3 weeks

Approved

AR 3 weeks

(a)

(b)

(c)

(a)

(b)

(a)

(b)

Approved

주) ITU-T Recommendation A.8, Figure 1/A.8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18 -

승인절차만 TAP를 따르고 나머지는 AAP를 따르도록 하였다. 이 같은 승인절차는 명백한 컨

센서스가 모아질 경우 변경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III. ITU-T AAP 시행의 결과

2001 년 1 월부터 시행된 AAP 는 현재까지 매우 성공적인 표준화 절차로 평가되고 있다.

AAP 도입 이후, 2002년 6월 현재까지 제출된 권고초안은 총 279건에 이르며, 이 중 229건

은 최종검토(Last Call: LC, 이하 LC라 함)를, 15건은 추가검토(Additional Review: AR, 이하

AR이라 함)를 통하여 ITU-T 권고로 승인되었다. 그리고 6건은 승인을 위한 추가적인 검토를 위

하여 차기 SG로 일임되었으며, 나머지 29건은 AAP 시행 공지(26건은 LC, 3건은 AR)중에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AP 도입 이전에는 권고초안이 개발된 후 승인될 때까지 평균 7~9

개월 정도가 소요되었으나, AAP 도입 이후 승인된 전체 권고의 평균 소요시간은 9 주 정도로

AAP 도입 이전에 비하여 급격히 단축되었다. <표 1>은 평균 소요 시간대별 비중을 지난해와

비교하여 AAP의 도입 이후 권고 승인 소요시간 단축에 대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표 2>

는 평균 소요 시간을 회기 년도 별로 나타내고 있다.

(그림 3)은 2001년 1월 말 처음 공지된 AAP-001부터 현재 AAP-033까지의 권고안들의

평균 소요시간이 어떻게 감소하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4)는 권고안이 승인되어 공지될 때까지 소요되는 기간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림에서 살펴보듯이 대부분의 권고가 매우 신속히 승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권고초안의 개발 이후 권고의 승인까지의 소요 시간이 대폭 단축되

었다. 이 외에도 전자적 작업방법의 이용, 회의개최의 감소 및 회원 참여 기회의 증가로 인한 시

<표 1> 평균 소요 시간 분포의 기간별 대비

평균 소요 시간 기간 총 권고안

8주 이하 12주 이하

2001. 1.~2001. 11. 119 59 % 78 %

2001. 1.~2002. 6. 279 69 % 87%

<자료>: ITU-T/TSAG Temporary Document 68-E, Geneva, 17-21 June 2002.

<표 2> 권고 승인의 평균 소요시간

기 간 1989~1993 1993~1996 1996~2000 2001~

평균 소요시간 2년 18개월 10개월 9주

<자료>: ITU-T/TSAG Temporary Document 41-E, Geneva, 26-30 November 2002.

● 포커스

- 19 -

장에의 적절한 대응 등 많은 긍적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2001년 11월에

개최되었던 제2차 TSAG 회의 이후 매월 1일과 16일에 국장의 AAP공지가 paper copy가

아닌 전자적인 수단(e-mail)으로만 이루어짐으로써 그 동안 방대하게 발행되어온 문서발행의 감

소로 비용을 크게 감소시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IV. ITU-T의 개선작업[3]

위에서 분석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ITU-T의 AAP 도입은 표준화 작업 절차 속도의 현

(그림 3) 권고안 승인의 평균 소요기간의 분포

0

2

4

6

8

10

12

14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AAP Notification number that introduced draft Recs

Weeks f

rom

CO

NSE

NT

to

Notice o

f appro

val

<자료>: ITU-T/TSAG Temporary Document 68-E, Geneva, 17-21 June 2002.

(그림 4) 권고(안) 승인기간의 분포

<자료>: ITU-T/TSAG Temporary Document 68-E, Geneva, 17-21 June 2002.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4 5-8 9-12 13-16 17-20 21-24 25-28 29-32 33-36 37-40

Number of weeks from CONSENT until Notification of Approval

No. of

Recs a

ppro

ved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20 -

격한 증가, 부문회원의 참여 증대 및 시장수요의 적절한 대응 등 대내외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TSAG회의에서 회원들로부터 지적된 바와 같이 AAP의 투명성 개

선 및 효율성에 대한 주기적이 평가 등 개선 여지가 내재되어 있었다.

이에 지난 제 3차 TSAG 회의에서는 LC 및 AR 기간 중의 투명성 개선 등을 포함한 AAP

관련 이슈에 관한 논의를 위하여 독일의 Wolfgang Heidrich 를 의장으로 한 Correspondence

Group 이 설립되었다. 금번 회의에서는 본 그룹에서 그 동안 논의된 논의 결과를 검토하고, 가

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AAP의 투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논의의 초점은 현재까지 AAP의 시행공지 이후 각 권고초안에 대하여 접수된 회원들로부터

의 코멘트는 물론 이의 처리결과가 모든 회원들에게 공개되지 않음으로써 AAP의 투명성이 보

장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의 해결방안으로 Rec. A.8에 대한 수정은 하지 않고, AAP 적용 기간 중 회원들로부터 접

수된 코멘트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의견해결절차(comment resolution

procedure)를 마련하여, 이를 통하여 접수된 의견을 공개적으로 제공하며, 이의 처리결과를 공

지함으로써 AAP 처리의 투명성을 제고시키도록 하였다.

<표 3> Implementation of the comment resolution procedure in AAP

Event Action

LC 및 AR 기간 중 접수된 의견

a) SG 웹 사이트에 즉각적 공지 b) 의견 제출자에게 접수 사실 확인

LC 의견 해결

a) SG 의장의 책임하에 접수된 의견 고려 b) TSB와의 논의를 통한 SG 의장의 결정 • 선택 b1: 인쇄상의 오류를 지적한 의견일 경우, 권고를 승인[상태: A] • 선택 b2: 의견이 본질적인 내용상의 것일 경우, 의견 해결 시작[상태: LJ]

c) SG 웹 사이트 상의 정보와 모든 결정사항을 의견 제공자에게 알림 d) 위의 선택 b2의 경우, SG 의장의 책임하에 의견해결이 시작되며, 아래 선택들 중 하나에 이름 • 선택 d1: 수정된 텍스트에 합의 • 선택 d2: 의견 해결 실패 • 선택 d3: 텍스트 변경 없이 합의

e) 위의 선택에 대한 의장의 결정 • d1의 경우, AR을 진행[상태: AR] • d2의 경우, 의견 해결을 위하여 LC 텍스트와 모든 의견을 차기 SG 회의로 일임 • d3의 경우, LC 텍스트를 승인[상태: A]

f) SG 웹사이트상의 정보와 모든 결정사항을 의견 제공자에게 알림

AR 의견 해결

a) SG 의장의 책임하에 접수된 의견 고려 b) TSB와의 논의를 통한 SG 의장의 결정 • 선택 B1: 인쇄상의 오류를 지적한 의견일 경우, 권고를 승인[상태:A] • 선택 B2: 의견이 내용상 본질적인 경우, 의견 해결을 위하여 LC및 AR 텍스트와 모든 의견을 차기 SG 회의로 일임

c) SG 웹 사이트에 공지된 정보와 결정사항을 의견제공자에게 알림

<자료>: ITU-T/TSAG Temporary Document 101-E, Geneva, 17-21 June 2002.

● 포커스

- 21 -

이의 효율적 적용을 위하여, TSAG은 위의 의견해결절차에 관한 연락문서를 각 SG에 송부

하기로 하였으며, 본 절차를 적용한 후 각 SG들로부터 절차의 구현에 대한 피드백을 접수 받아

추가적 문제점들이 있을 경우에 이를 개선해 나가도록 하였다.

한편, AAP 도입 이후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는 있지만 AAP적용 결과에 대한 적절하고

효율적인 사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대하여, TSB 는 AAP적용 결과에 대한

통계적 정보를 웹 상에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 효과에 대하여 회원들로 하여금 검증토록

하였으며, 여타 표준화 기구에의 홍보 및 효율적 표준화 절차로서의 AAP 를 인지시킬 수 있도

록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AP는 환경의 변화와 시장의 수요에 적극대응하기 위한 표준화

절차라고 할 수 있으며, 매우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AAP 적용 기간 중 접수된

회원들로부터의 코멘트의 처리에 대한 결과가 공지되지 않음으로써 작업의 투명성에 대한 보장

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의 논의 결과를 통하여 ITU-T의 작업절차는 기존의 작업 신속성에

더하여 작업 투명성까지 보장되게 되어, 그 어느 표준화 기구의 작업절차보다 더욱 효율적이고

시간 절약적인 표준화 절차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후의 지속적인 사후 개선 작업을 통

하여 표준화 작업에 대한 회원들의 관심 증진과 타 표준화 기구에의 홍보 및 내부적으로 더욱

효율적인 표준화 작업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 결 론

지금까지 ITU-T 의 표준화 절차에 대한 개요와 새로운 표준화 작업절차 AAP(A.8)의 시행

결과 및 개선작업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기술적 권고에 적용되는 AAP 는 기존의 표준화 절

차 TAP를 대체하는 새로운 작업방법으로서, 1년 6개월간의 시행을 통하여 매우 성공적으로 평

가 받고 있다.

이러한 표준화 절차의 변화는 최근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제품생명주기의 단축 및 급변하는

시장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시장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더욱 새

롭고 복잡한 표준들을 단기간 내에 개발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AAP 의 도입은 대표적인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 가 기존의 정부간 조직으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표준화 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연구성과의 적시성을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표준화를 둘러싼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ITU 는 물론 여타 국제/지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22 -

역 표준화 기구는 효율적 표준화를 위하여 전자적 작업방법 및 효율적 작업절차의 도입 등 노력

을 경주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표준화를 둘러싼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하여 표준

화 추진 체계의 정립 및 효율적이고 신속한 표준화 작업방법을 마련하고, 나아가 시장수요 및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분야에 대한 중점적 표준화 추진이 필요할 것

으로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1] ITU-T/TSAG Temporary Document 68-E, Geneva, 17-21 June 2002.

[2] ITU-T/TSAG Temporary Document 90-E, Geneva, 17-21 June 2002.

[3] ITU-T/TSAG Temporary Document 98-E, Geneva, 17-21 June 2002.

[4] ITU-T/TSAG Temporary Document 101-E, Geneva, 17-21 June 2002.

[5] ITU-T/TSAG D.43, Provision of statistical information relating to the results of AAP application,

Geneva, 17-21 June 2002.

[6] ITU-T, Recommendation A.8, Alternative approval process for new and revised Recommendations,

October 2000.

[7] ITU-T, Resolution 1,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ies, October 2000.

[8] http://www.itu.int/itu-t/tsag

[9] 박웅 외, “ITU-T 표준화 절차(AAP) 현황과 시행결과 분석,” 주간기술동향 1043호

● IT 전략 품목

- 23 -

국내외 DTV 시장동향 및 전망

1. 서언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 일본, 서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디지털 방송이 탄력을 받고 있다.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은 1998 년에 영국에서 처음 시작된 이래 미국, 스웨덴, 스페인, 호주,

핀란드에 이어 우리나라까지 가세한 상황이며 주요 선진국들이 조만간 이 대열에 참여할 예정이

다. 일본의 경우도 2003년까지 도쿄, 오사카, 나고야권, 2006년까지 기타 지역의 수순으로 전

개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 말에 본 방송에 돌입한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은 세계 축구 제전

인 월드컵 경기의 상당 부분을 디지털 제작/방송한 데 이어 조만간 개최될 아시아 스포츠 축제

인 부산 아시아 경기대회의 개/폐회식을 포함하여 축구, 배구, 유도, 체조, 레슬링 등 주요 경기

를 디지털 HD로 제작/방송할 계획이어서 디지털 방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디지털 방

송 시청 권역도 크게 확산되고 있는데, 2002년 초 수도권과 대전에 한정되던 것이 5월 광주, 6

월 울산, 그리고 8월 말에는 부산이 가시청 권역에 들었다. 수도권의 경우 현재 관악산(전채널)

및 용문산 송신소(KBS1/SBS)에서 디지털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나 2002년 10월 말경에는 남

산과 용문산 송신소에서도 송출할 예정이며, 그렇게 되면 전지역이 가시청 권역에 들어가게 된

다. 현재 정보통신부는 2005년까지 도청 소재지, 시/군 등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디지털 위성 방송의 경우도 국내 유일의 디지털 위성방송 사업자인 KDB(한국디지털

위성방송)가 2002 년 3 월부터 디지털 위성방송 본 방송에 돌입하였으며, 케이블 TV(CATV)

IT IT IT IT 전략전략전략전략 품목품목품목품목

1. 서언

2. 최근의 주요 DTV 시장 동인

3.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4.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5. 결론 및 시사점

조성선

정보조사분석팀 선임연구원

[email protected]

* 본 고는 IT정보센터 정보조사분석팀에서 수행하고 있는 정보통신부 “IT 전략품목 조사분석” 과제 결과물의 일부로서,

35대 유망품목 세계시장 동향에 관한 조사분석 내용입니다.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24 -

방송도 2002년 내에 디지털 본 방송을 개시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 되면서 디지털 TV(DTV)를 생산하는 가전업체와 셋톱박스

업체, 광고업체, 컨텐츠 제작업체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통신부는 오는 2005년까지 268억 달러의 수출과 133억 달러의 무역흑자, 21만

명의 고용 유발효과 등 모두 1,000억 달러의 경제효과를 얻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DTV는 시장 성장성이나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으로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 전자산업

을 대표하는 상품의 하나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그러기 위해서

는 시장동향 분석, 경쟁 기업들의 전략 분석을 포함한 시장 분석이 철저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응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세계 디지털 TV 방송 전개 동향을 간략히 살펴보고,

최근의 DTV 시장 동인과 국내외 DTV 시장 현황 등을 개괄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국내 DTV 산

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2. 최근의 주요 DTV 시장 동인

DTV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는 요소로는 먼저 근본적 요인으로 디지털 방송의 본격화와 이에

따른 디지털 방송 가입자 수의 증가를 들 수 있다((그림 1) 참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선진 주

요국에서 본격화 되고 있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도 디지털 STB의 수요를 크게 진작시킬 것

으로 기대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2010~2015 년 사이에 아날로그 방송을 종영할 계획인데,

이는 어찌되었든 소비자들이 디지털 TV로 전환해야 함을 의미한다.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북미 서유럽

아태 남미

기타

<자료>: Strategy Analytics, June 2002.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1) 세계 디지털 TV 방송 가입 가구 수 증가 추이 및 전망

54.9 76.7

103.3135.8

175.2

221.5

272.2

324.4 374

(단위: 백만 가구)

● IT 전략 품목

- 25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2007년까지 디지털 튜너 내장을 의무화하기로 한 결정은 DTV

시장 성장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FCC 는 2002 년 8월 8일, 예상보다 부진한

DTV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디지털 복제 방지 기술을 채택할 것을 만장일치로 권고

하는 한편, <표 1>과 같이 2007년까지 새로 생산되는 모든 TV에 대해 점진적으로 디지털 튜

너를 의무적으로 내장하도록 결정했다. 이 결정에 대해 찬반 양론이 격돌하고 있는데, 분명한 것

은 어찌되었건 이번 결정으로 인해 미국 내 TV 시청 방식이 급속히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어 갈

것이고, 그에 따라 미국의 DTV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점이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으로 2년 이내에 미국에서 판매되는 대형 TV의 절반 이상이 일체형 DTV가 되

는 것이다. 또한, FCC 의 이번 결정은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세계 DTV 시장

활성화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에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도 시장 확대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벽걸

이형 TV를 모토로 내세우고 있는 PDP TV나 LCD TV는 기존 CRT와 전혀 다른 느낌의 영

상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것을 찾는 고소득층의 구미를 당기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DTV

기반 홈 네트워킹의 확산과 맞물려 기존 CRT에 비해 각각 1/10, 1/6 정도에 불과한 두께나 무

게를 바탕으로 한 높은 공간 활용도를 배경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표 2> 참조).

<표 1> 미국 FCC가 정한 TV크기별 디지털 튜너 내장 기한

구 분 디지털 튜너 내장 기한

36인치 이상 2004년 7월 1일까지 50% 이상, 2005년 7월 1일까지 100%

25~35인치 2005년 7월 1일까지 50% 이상, 2006년 7월 1일까지 100%

13~24인치 2006년 7월 1일까지 50% 이상, 2007년 7월 1일까지 100%

TV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2007년 7월 1일까지 100%

* : VCR, DVD 플레이어/레코더 등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기

<자료>: http://www.fcc.gov ETRI 정보조사분석팀

<표 2> PDP TV 및 LCD TV 세계 수요 전망 (단위: 만 대)

2001년 2002 년 2003 년 PDP TV*

32 70 110

2000 년 2001 년 2001 년 LCD TV(10인치 이상)**

22 56 132

* : Hitachi 예측, ** : Sharp 예측

<자료>: 電波新聞, 2002.8.27. 8면. ETRI 정보조사분석팀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26 -

한편, 가트너 그룹에서는 저가의 디지털 STB 보급으로 인한 아날로그 TV 의 수명 연장과

아날로그 방식 평판 디스플레이의 급속한 보급 등을 DTV 시장 억제 요인으로 보고 있다.

3.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세계 DTV 보급 현황 및 전망

앞의 (그림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디지털 방송 가입 가구 수는 2000 년 약

5,490만 세대에서 2002년에 1억 세대를, 2005년에는 2억 세대를 각각 넘어서고, 2008년에

는 3억 7,400만 세대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1~2008년 동안의 연평균 성장률이

25%에 이르는 높은 성장률이다.

(그림 2)에는 주요국의 디지털 TV 보급률 증가 추이 및 전망을 나타내었다. 이는 세대 보급

률을 기준으로 한 것인데, 2001 년에 이미 30%를 넘어선 미국의 경우 2003년에 영국을 추월

하고 2006 년이 되면 보급률이 77%에 이를 전망이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의 보급률이 급

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 위성방송의 보급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기 때문인 것

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2006 년에 DTV 보급률이 30%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 세계 시장 전망

시장조사 회사인 In-Stat/MDR에 따르면, 세계 DTV 출하 규모는 2001년에 약 208만 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미국 캐나다 영국 중국 일본 한국

<자료>: Strategy Analytics, June 2002.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2) 주요국 디지털 TV 보급률 증가 추이 및 전망

(%)

● IT 전략 품목

- 27 -

에서 2003 년에는 약 690 만 대, 그리고 2006 년에는 3,300 만 대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표 3> 참조). 금액을 기준으로 한 세계 시장 규모는 2003년에 100억 달러를 넘어서고,

2006년에는 340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다. 주요 국/지역별 시장 현황 및 전망

<미국>

NAB(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에 따르면, 2001년 230개 정도이던 미국의 디

지털 TV 방송국 수는 2002년 9월 10일 현재 469개로 늘어났다. 이로써 미국의 디지털 TV 방

송 시청 가능 세대 비율, 즉 미국 전체 가구중에서 디지털 TV를 구입하면 디지털 방송 서비스

를 시청할 수 있는 비율은 89.21%로 증가하였다.

한편, 미국 소비자 가전 협회(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s: CEA)에 따르면, 2001년

에 미국에서 판매된 디지털 TV의 수는 일체형과 분리형을 합하여 모두 145만 9,731대로 나

타났다(<표 4> 참조). 금액 기준으로 보면 26억 달러 규모이다.

2002년 들어서면서 디지털 TV의 판매는 점차 가속화 되고 있다. 2001년 4월에 판매 누

계100만 대를 돌파한 데 이어, 2002년 7월 현재까지 모두 332만 9,985대의 디지털 TV가

판매되었다.

향후 미국에서의 디지털 TV 판매 전망과 관련하여 CEA는 2002년에 210만 대에 이르고

2004 년 540 만 대를 거쳐 2006 년에는 1,000 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표 6>

참조). 물론 일체형과 분리형을 모두 포함한 수치이다.

<표 3> 세계 DTV 출하 전망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출하 규모(만 대) 208 373 689.5 1265 2,208 3,330

시장 규모(억 달러) 42.44 66.96 109.25 170.89 254.86 341.14

<자료> : In-Stat/MDR, May 2002. 재구성 ETRI 정보조사분석팀

<표 4> 미국의 디지털 TV 판매 추이 (단위: 대, 백만 달러)

구 분 1998 1999 2000 2001

판매대수 13,176 121,000 648,000 1,459,731

매 출 액 1,577 1,642 1,884 2,600

<자료>: CEA(http://www.ce.org) ETRI 정보조사분석팀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28 -

<유럽>

유럽에서는 1998년 9월과 10월에 디지털 지상파와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를 각각 개시

한 영국이 디지털 TV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그림 2)에도 나타나 있지만 영

국의 디지털 TV 보급률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고 있다. 나머지 유럽 국가

들의 디지털 TV 시장은 미미하거나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유럽 시장에서 영국이 미

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이러한 유럽 시장에서 2002년 3월에 최초의 유료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개시했던 영국의

ITV Digital이 파산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물론 ITV Digital은 2002년 7월에 공영방송인 BBC

와 상업 방송인 BskyB를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 ‘Free to View’에 인계되었다. 서비스도 기존

의 유료 서비스에서 무료 서비스 전략으로 전환되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오히려 디지

<표 5> 2002년도 미국의 월별 디지털 TV 판매 추이(2002년 7월 현재) (단위: 대, 백만 달러)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계

판매대수 149,291 133,764 148,369 122,215 152,008 169,272 213,159 1,088,078

매 출 액 266.8 242 257 216.90 242.96 294.40 369.31 1,889.37

<자료>: CEA(http://www.ce.org) ETRI 정보조사분석팀

<표 6> 미국의 디지털 TV 판매 전망

구 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판매량(만 대) 210 400 540 800 1,050

<자료>: CEA(http://www.ce.org) ETRI 정보조사분석팀

<자료>: In-Stat/MDR, May 2002. 재구성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3) 유럽의 디지털 TV 출하 증가 추이 및 전망

0

200

400

600

800

1,000

1,2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출하규모(만대)

(단위: 만 대)

● IT 전략 품목

- 29 -

털 지상파 방송의 보급에 활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배

경에는 유료 TV 플랫폼이 문닫음으로써 여분의 주파수가 생기고, 이를 지상파 TV 수신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분석 등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ITV Digital 의 파산 영향은 DTV 시장에 부정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당분간 소비자들은

일체형 디지털 TV 보다는 디지털 셋톱박스를 선호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결국 기존 아날로그

TV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유럽의 디지털 TV 출하 규모는 2003년에 100만 대를, 2006년에는 1,000만 대를

각각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그림 3) 참조).

<일본>

일본에서는 1996년 6월부터 CS 디지털 방송을 시작해 현재 서비스 중에 있으며, 2000년

12월 1일부터는 BS 디지털 위성 방송도 본 방송에 돌입하였다. BS 디지털 위성 방송은 2002

년 6월의 한일 월드컵을 기폭제로 하여 수요가 급격히 늘어 났다.

이 BS 디지털 위성 방송에 이어, 지상파도 2003 년 경에 디지털 방송을 개시할 예정이다.

특히, 일본 정부(총무성)는 고화질 지상파 디지털 방송 추진비용으로 2011 년까지 매년 200억

엔씩 총 2,000억 엔을 투입할 예정으로 있다.

<표 7> 일본의 BS 디지털 TV 출하 추이(2002년 7월 현재) (단위: 천 대)

2002년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계 2001년

출하 대수 23 30 40 50 69 60 40 312 28.1

<자료>: 電波新聞 2002.4.23./8.27(원 소스 NHK, JEITA). ETRI 정보조사분석팀

<표 8> 일본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기기 수요 전망 (단위: 만 대)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일체형 DTV 15 32 95 256 353 480 620

디지털 튜너 21 31 50 100 110 120 120

<자료>: 電波新聞 2002.2.15(원 소스 JEITA). ETRI 정보조사분석팀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30 -

4.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내수 및 수출 동향

한국전자산업진흥회에 따르면, 2001년에 국내에서 판매된 디지털 TV의 수는 일체형과 분

리형을 합하여 모두 약 28만 대로 나타났다(<표 9> 참조). 금액 기준으로 보면 약 3.5억 달러

규모이다.

2002년 들어서면서 디지털 TV의 판매 증가는 점차 가속화 되고 있다. 2002년 상반기까지

의 판매 대수는 모두 31만 8,390대로 이미 2001년 총 판매 대수를 넘어섰다. 관련 업계에서

는 상반기에 판매된 전체 컬러 TV중에서 디지털 TV가 차지하는 비중이 22% 수준(2001년의

경우 10% 미만)에 이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과는 정보통신부의 적극적인 보급

정책과 특히 월드컵 특수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내수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수출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02년 상반기를 기준으로 할 때

수량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4.5%, 금액 기준으로 318.4%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수출

<표 9> 국내 디지털 TV 판매 현황

구 분 1999 2000 2001 누계

수량(천 대) 0.1 3.2 11.0 14.3 일체형

금액(백만 달러) 1.2 10.4 28.8 40.4

수량(천 대) 52.1 132.6 270.9 455.6 분리형

금액(백만 달러) 87.8 198.0 321.6 607.4

수량(천 대) 52.2 135.8 281.9 469.9 합계

금액(백만 달러) 89.0 208.4 350.4 647.8

<자료>: http://www.eiak.org. 재구성 ETRI 정보조사분석팀

<표 10> 2002년도 국내 디지털 TV 판매 추이(2002년 상반기 현재) (단위: 대, 백만 원)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누계

수량 2,091 2,688 3,698 3,858 6,430 5,427 24,192 일체형

금액 4,652 5,613 8,415 8,951 14,453 13,007 55,091

수량 37,794 40,603 53,569 42,942 54,201 65,089 294,198 분리형

금액 69,318 77,834 96,372 78,797 108,413 127,787 558,521

수량 39,885 43,291 57,267 46,800 60,631 70,516 318,390 합계

금액 73,970 83,447 104,787 87,748 122,866 140,794 613,612

<자료>: http://www.eiak.org ETRI 정보조사분석팀

● IT 전략 품목

- 31 -

증가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핵심 부품인 디스플레이 모듈 및 칩셋의 자체개발/생산으로 가격경쟁력 유지

- 화면 크기나 디스플레이 유형 측면에서 다양한 모델의 양산으로 수요자 욕구 충족

- 마케팅 비용 확대와 대리점 확보 등 해외 마케팅 강화

- 디지털방송 실시 국가의 확대

- 성공적 월드컵으로 인한 국가 이미지 향상

나. 국내 DTV 생산액 전망

<표 12>에는 Gartner 그룹이 예측한 국내 디지털 TV 생산액 전망을 정리하였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내 DTV 생산액은 2006년까지 CAGR 38.3%의 성장률을 보이며 증가할 것

으로 기대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세계 DTV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다. 2003년 이후

국내 DTV 생산액이 세계 DTV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상회할 것이라는 것이 가

트너의 예측이다.

다. 국내 주요 제조업체 전략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디지털TV의 3세대 표시 장치인 LCD와 PDP로 세계 TV시장을 석권한다는

<표 11> 2002년도 디지털 TV 수출 추이(2002년 상반기 현재) (단위: 대, 천 달러)

2002년 상반기 구 분

1Q 2Q 증감률 2001년 2002년 증감률

수량 97,706 161,982 65.8 65,827 259,688 294.5

<자료>: http://www.eiak.org ETRI 정보조사분석팀

<표 12> 국내 DTV 생산액 전망

구 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CAGR(01-06)

세계 생산액($M) 2,204 3,278 5,300 8,490 9,321 9,076 -

국내 생산액($M) 972 1,402 2,673 4,862 5,122 4,923 -

국내 생산액 성장률(%) - 44.2 90.6 81.9 -3.9 38.3

세계시장점유율(%) 44.1 42.8 50.4 57.3 55 54.2 -

관련 반도체 생산액($M) 147 204 364 681 848 891 -

성장률(%) - 39.2 78.1 87.0 5.1 43.4

<자료>: Gartner, 2002.5/2002.7. ETRI 정보조사분석팀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32 -

방침아래 2003년 25만 대, 2005년에 총 100만 대를 판매해 세계시장 점유율 20%를 달성한

다는 전략을 수립해 놓고 있다. 수원을 비롯한 세계 17개 지역별 시설확충에 2005년까지 1조

5,000억 원, 신제품/신기술 개발을 위한 R&D분야에 8,000억 원을 투자, 입체적 경쟁력을 갖

출 계획이다. 또한, 수원의 기존 TV라인과 모니터 라인을 세대 교체해 PDP TV 생산기지로 전

환하고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중심의 수요증가에 대비해 멕시코 SAMEX공장, 헝가리 SEH공장,

중국 TTSEC공장에서도 PDP TV를 직접 생산하는 글로벌 생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LG전자>

전자부문 R&D에 2001년 1조 2,000억, 2002년에 1조 5,000억 원을 투자하고 있는 LG

그룹은 ‘글로벌 톱’ 전략을 위해 2003년에는 1조 8,000억 원을 투자해 디지털 신제품 개발 및

차기시장을 리드해 갈 수 있는 선행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특히 이 가운데 75%인 1조 3,500

억 원을 승부사업과 주력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디지털 TV의 경우 LG전자의 3대 승부사업에 포함되어 있는데, 미국 FCC의 디지털 TV

수신기 내장 의무화 조치 등으로 본격적인 시장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핵심 기술력 제고를 통해

제품 리더십을 확보하고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프리미엄 브랜드용 고급형 제품에 역량을

집중하는 동시에 저변 확대를 위한 보급형 제품도 개발해 2006 년에 글로벌 톱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특히, 중점 공략 시장으로 세계 최대 가전 시장인 북미지역의 디지털TV 시장선

점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멕시코 레이노사 생산법인에 2005년까지 약 9,000만 달러를

투입해 기존 5개의 생산라인을 올해 7개로 늘리고, 그 중 3개 라인은 디지털TV 생산라인으

로 전환, 연간 50 만대 규모의 디지털 TV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TI, Philips,

DirecTV 등과 차세대 디스플레이, 디지털TV 데이터 방송, 위성방송, 홈 네트워크, 인터넷 정보

<표 13> LG그룹의 전자부문 R&D 투자 계획

구 분 세부 투자 내용 투자액

승부사업 - 디지털 TV (디스플레이 제품 및 핵심기술 확보) - 디스플레이 (PDP, LCD, 유기EL 개발) - 이동통신단말기 (3세대 단말기 및 라인업 확대)

1조원

주력사업 -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광 스토리지, 디지털 AV 3,500억 원

수익화 사업/ 기반사업 - CRT모니터 사업 - 디지털 융/복합 신상품, 선행기술 개발 및 표준화 - 글로벌 R&D 및 부품사업 강화

4,500억 원

<자료>: http://www.etimesi.co.kr ETRI 정보조사분석팀

● IT 전략 품목

- 33 -

가전 등의 분야에서 공동개발 및 상호구매 등 전략적 제휴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5. 결론 및 시사점

바야흐로 세계 디지털 TV 시장은 본격적인 성장 초기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

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여러 동인들을 배경으로 디지털 TV 시장은 조만간 폭발적 성장기

에 접어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계 주요 시장조사 회사들이 디지털 TV 산업의 폭발적 성장을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동 산업의 시장 성장성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국내 산업계에 제공해 주는 시장 기회이다. 그런 점에서 2003 년 이후 국내 DTV 생산액이 세

계 DTV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상회할 것이라는 Gartner의 예측은 시사하는 바

가 크다. LG경제연구원은 주요 시장조사 회사들의 전망을 토대로 DTV 시장 잠재력이 2008년

에 1,132억 달러, 1억 5,0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이의 50% 이상을 국내 기

업들이 점유한다고 생각하면 가슴 설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전망일 따름이다. 문제는 이를 어떻게 실현하느냐가 중요하다.

Gartner라는 세계적인 시장조사 회사가 그러한 예측을 내놓기까지는 우리 기업들이 가지는 생

산 역량과 제품의 품질 등 여러 요인들을 감안하였을 것이므로, 그러한 우리의 역량을 극대화하

여 일본 등 경쟁국들을 뒤로하고 다가오는 시장 기회를 우리의 것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북미 등 선진 시장 선점이 최대 과제로 분석되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선진국 시장의 비율은 약 70% 정도로 분석되고 있는데, 북미 시장은 그 중 최대의 시장을 형성

하고 있을 뿐 아니라 PDP TV 등 첨단 디지털 TV 의 경연장이다. 더욱이 본문에 기술한 바와

같이 FCC 가 디지털 튜너 내장을 의무화 하면서 시장 성장성도 폭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을 높임은 물론 현지화 전략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수

반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 디지털 TV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칩세트, 디스플레이 등 핵심 부품개발

을 통한 가격과 성능에서의 비교우위 확보, 특허확보를 통한 로열티 부담 경감 등도 중요한 요

소이다. 국내 기업들의 양산 기술력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

다. 그러나 LG전자가 북미 지역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식에 대한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는

하지만, 미들웨어, 데이터 방송 S/W,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등 디지털 TV 를 구성하고 있는 기

타 기술들에 대해서는 상당한 정도의 로열티 부담이 불가피한 실정임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34 -

국내 가전업계의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 확보라는 차원에서 국내 시장의 조기 활성화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격 하락, 컨텐츠 확대, 부가 서비스의 보편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 국내 DTV 가격은 정보통신부의 디지털 TV 100만대 보급 계획과 연관된

주요 제조업체들의 보급형 개발 등 꾸준한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비싼 것으로 인식되

고 있다. 소비자들이 디지털 TV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확대할 필요가 있는데,

스포츠 등은 좋은 재료가 될 것이다. 다만, 지난 월드컵 경기의 경우 HD 중계 화면이 밋밋하였

다는 평가가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 외에, 국내 전체 가구의 65% 이상이 케이블

방송에 가입해 TV를 시청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케이블 방송의 조기 디지털화도 디지털 TV 시

장 활성화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50대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디지털TV,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1.12.

[2] Worldwide Electronic Equipment Production and Semiconductor Consumption Forecast, 2000-

2006, Gartner Group, May, 2002.

[3] Asia/Pacific Electronic Equipment Production Forecast, Spring 2002, Gartner Group, July 23,

2002.

[4] Digital TV Sets : A Clearer Market Picture Emerges, In-Stat/MDR, May 2002.

[5] Digital Television Set-Top Boxes-Worldwide Market Forecast, Strategy Analytics, June 2002.

[6] 디지털TV 수신기기류 상반기 판매 실적, 한국전자산업진흥회, 2002. 7.

[7] 배수한, 디지털TV, 2006년 이후 전자산업 중추로 비상, LG주간경제, 2002. 6. 19.

[8] 電波新聞

[9] http://www.fcc.gov

[10] http://www.nab.org

[11] http://www.ce.org

[12] http://www.kbi.re.kr

[13] http://www.mic.go.kr

[14] http://www.etimesi.co.kr

● IT산업전략 이슈

- 35 -

통신서비스에 대한 SLA 도입 및 표준화 현황

최근 몇 년 동안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그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인터

넷 트래픽이 폭증하게 되었다. 특히,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 수요 측면의 성장 속도를 서비스 제

공자(ISP)들이 대응해 주지 못하면서, 특히 서비스 이용 폭주 시간대의 경우, 접속 성공률이나

접속 중 가용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대해 이전까지는 수동적인

자세를 가졌던 이용자들은 서비스 품질 문제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일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

제공을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정보통신부를 주도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품질보장

제도(Service Level Agreement: SLA)를 도입키로 확정하고, 각 사업자별로 SLA 시행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등 SLA의 도입을 위한 정책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서비스 품질 보장 요구 경향을 반영하면서, 서비스 품질

규약인 SLA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품질에 대한 고객만족도

제고와 경쟁 업체와의 차별화 등을 위해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SLA 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국내외 통신 사업자들의 SLA 제공 현황에 대해서 살펴본다. 아울러, 현재 SLA를 제공하고 있

는 통신사업자나 앞으로 SLA를 제공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참고할 만한 권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1. SLA 의 개요

SLA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성능과 가용성 등의 주

요 서비스 성능 지표에 대해서, 일정한 서비스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맺은 서비스 공급업체와

고객간의 계약이다. 이와 같은 SLA는 고객에게는 보다 수준 높은 서비스 품질의 제공으로 고객

이사가 수행하고 있는 비즈니스의 가치를 높여주고, 서비스 공급업체에게는 경쟁 사업자에 대비

한 서비스 차별화 등을 통해 경쟁 우위 확보 및 궁극적으로는 매출의 증가를 기대하게 하는, 즉

통신 서비스 제공 사업자나 고객에게 모두 이익이 되는 win-win 모델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러나, 실제 SLA 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이를 수동적으로 도입할 뿐, 고객만족을 위

해 SLA를 도입하려는 것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 SLA의 도입으로 인한 기대

ITITITIT 산업전략산업전략산업전략산업전략 이슈이슈이슈이슈

* 본 컬럼은 정보화기술연구소 각 연구부서에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인터넷경제연구팀 최재경

(☎ 042-860-1784, email: [email protected])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36 -

효과는 미미할 것이며, SLA의 도입이 본래 의도에서 벗어나 고객에게 현재의 제공 서비스 품질

수준을 단순히 눈가림하는 수단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으며, SLA에서 제공할 수 있는 내용도 기

존의 제공되던 서비스 약관을 적절하게 포장한 정도로 그치게 될 것이다.

SLA는 일반적으로 SLO(service level objectives), 측정(measurement), 위약금(compensation)으

로 구성된다. 여기서, SLO는 서비스 수준을 보장하려는 대상 항목과 그에 대한 기준이나 목표

치를 정의한 것이며, 측정은 정의된 SLO를 측정 도구나 운영 체계를 통해 실측값으로 나타내는

방법 및 적용 범위 등에 대한 기준을 규정한 것이다. 위약금은 서비스 수준에 대한 측정 결과가

SLO에 약속된 수준에 미달하는 경우, 고객이 서비스 공급업체에게 요구할 수 있는 보상 수준에

대해 정의한 것이다. SLA가 대상으로 하는 품질지표, 즉 SLO는 주로 가용성과 성능에 관련된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장애복구나 개통 지연 등에 대해서도 보증을 해 주고 있다. 가용성은

주로 접속시 가용성과 접속 중 끊김 정도 등에 대한 것이며, 성능 측면은 패킷전달지연이나 패

킷손실 등에 대한 지표이다. 이 밖에도 서비스 장애 발생시 신고 접수 후 복구 시간 및 절차, 통

신 서비스 이용 신청시 개통일 준수 등에 대한 항목이 SLA가 대상으로 하는 품질지표에 포함

된다.

2. 국내 SLA 도입 현황

현재, 국내에서는SLA가 대체적으로 도입 단계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미국 등의 선진국 사

례와 비교해 봤을 때, 제도적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상황을 종합해 보면, 대부분의 사업자가 전략적 측면에서 SLA 의 도입을 검토하기보다는 경쟁

사업자가 SLA를 도입하니까 따라 하는 식의 접근이 많은 실정이다. 국내 서비스 사업자 중에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분야와 ASP 분야가 다른 통신 서비스 분야보다 약간 앞서 있는 상황인

데, 특히 ASP 분야의 경우 ASP산업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아웃소싱 서비스에 대한 SLA의 표준

템플리트 구성을 완료하고 ASP 조합사에게 이를 제공해주고 있다. 또, SI 사업자를 중심으로 용

역 서비스 계약시, 서비스 제공 요금의 일부를 서비스품질 수준평가에 따라 용역비용을 차등 지

급 하는 ‘성능 풀(Performance pool)’ 제도를 도입해 적용 중이다. 주요 SI 업체들이 이와 같은

선진 개념의 SLA 를 지난해부터 시작된 시스템 관리(SM)와 IT 아웃소싱 분야에 적용한 결과,

효율적인 전산자원의 활용 및 서비스 수준 향상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비해 기간 통신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의 SLA 도입은 예상보다 다소

더딘 편이며, 특히 일반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초고속인터넷서비스의 품질 개선과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초고속인터넷 품질보장제도(SLA)를 정부 주도로 확정한 바 있으나, 사업

● IT산업전략 이슈

- 37 -

자들의 준비 부족, 사용자들의 의식 수준 결여 등의 문제로 인해 SLA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풀

어야 할 많은 숙제를 안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진행 상황은 정보통신부의 주도로 KT, 하나

로통신, 두루넷 등의 주요 초고속인터넷 사업자에게 서비스 상품별로 최고, 최저, 평균 속도를

이용 약관에 명시토록 했으며, 최저 속도가 보장되는 구간은 초고속인터넷 사업자의 자사 구간

으로 정의함으로써 컨텐츠 사업자(CP) 구간, 건물의 구내선로, 가입자 PC 환경 등은 보장 구간

에서 제외된다. 또한, 초고속인터넷 사업자는 가입자에게 신속,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장애발생시 처리절차를 이용약관에 상세히 규정토록 했다. 이에 따라 장애신고를 접수한 후 3

시간 이상 경과될 시 초과된 사용시간의 해당 요금의 3배를 보상금으로 지불토록 규정했다.

3. 해외 SLA 도입 현황

해외에서는 특히, 미국의 경우 SLA 는 IT 서비스 제공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 서비

스의 제공에 있어서 보편적이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으로, 정보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의 경

우, SLA는 서비스 제공 계약 시에 필수적으로 협의를 통해 문서화하는 작업을 거치며, 아울러

개별 고객의 요구 조건에 맞춰 커스터마이즈된 SLA 를 제공하는 사례도 많이 발견된다. 또한,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제공되는 SLA의 경우 대부분 유료로 제공되며,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주

면서도 고객별로 차별화된 SLA 를 제공하는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SLA 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업자의 경우도, 주요 고객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SLA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금융 등의 사

업을 영위하는 고객사들의 경우,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에 의해서도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으

며, 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SLA 제공을 위한 보험을 가입하는 사례도 발견된다. 해외 사업자들의

경우, 궁극적으로 SLA 를 IT 서비스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수반되는 추가적인 부가서비

스의 개념에서 발전시켜서, 별도의 상품으로 출시하는 사례도 많이 있다.

4. SLA 의 표준화 및 쟁점

서비스품질수준에 대한 고객 요구의 증대 등에 따라 서비스 제공시 SLA를 기본적으로 제공

하는 추세가 늘어나면서, SLA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작성절차, 후속 업무에 대

한 관리 명세 등의 표준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민간사업자를 포함, ITU나 IETF 등의 표준화

단체를 중심으로 SLA 관련 이슈들의 표준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SLA 분야 중 서

비스제공 사업자 간의 품질에 대한 보증 규약인 SQA(Service Quality Agreement)의 경우,

ITU-T E.801 문서에 관련 내용을 담고 있으며, SLA의 경우 ITU-T에서 올해 1월 E.SLA 권

고안을 작성한 바 있으며 현재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인 상황이다. 또한, 민간 주도의 표준화 작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38 -

업 추진도 활발한데 미국 ASP 사업자 컨소시엄이나(ASPIC USA), ITAA 등의 조직에서 SLA

와 관련된 회원사간 자료의 공유 및 문제점 보완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국내에서는 TTA 산

하 통신망운용품질 연구반에서 SLA 관련 표준화 과제가 시행 중이며, ITU-T 에서 진행 중인

SLA 관련 표준화 작업의 추이를 지켜보며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5. 맺음말

현재 국내 시장의 경우, 아직까지는 SLA 도입이 대체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인데, 이렇게 SLA의 도입이 더딘 이유로는 사업자들의 서비스 제공 수준이나 제공 범위

에 대한 명확한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업자 및 이해당사자 간의 표준화를 위한

협의체계가 부재하다는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의 서비스 활용

과정 및 SLA에 대한 의식수준도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어, SLA의 발전적 활용을 위한 이해 당

사자들 간의 의견 조율 및 사회 전반적인 공감대 형성 등의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또한, 통신사업자들의 입장에서는 어차피 정부 주도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SLA 제공을 필두로 한 통신서비스 전반에 대한 SLA의 도입이 시대적인 조류로 다가올 경우에

대비해서, 통신서비스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그 동안 미온적이던 소비자보호 활동을

대폭 강화하고 경쟁사업자와의 품질 차별화를 기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

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 국별 IT산업 정보

- 39 -

터키의 통신 시장 전망

1. 유선 네트워크 서비스

터키 정부는 1855년부터 국내전신 업무를 시작하였고, 1909년 이스탄불에 최초의 수동식

전화 교환기를 설치, 우정성을 설립하였다. 터키의 유선 통신 산업은 교통부에서도 관할하고 있

는데, 통신산업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곳과 유선통신을 관리하는 곳, 주파수를 관리하는 곳으

로 나누어져 있다. 1998 년에는 공중통신 서비스를 위한 회선수가 약 1,700 만 회선, 보급률

26.3%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별국별국별국별 IT IT IT IT 산업산업산업산업 정보정보정보정보

* 본 컬럼은 정보체계연구팀에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정보체계연구팀 홍승표(☎ 042-860-

5447, email: [email protected])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표 1> 터키의 유선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 수 전망 (단위: 천 명)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5년 CAGR(%) ’00~’05

Telephony Access Lines 18,599 19,301 20,174 22,808 4%

Business PSTN Lines 4,428 4,579 4,811 5,905 6%

Business BRI ISDN Channels 0.31 0.31 0.92 2.73 55%

Business PRI ISDN Channels 204 385 571 1,029 38%

Private PSTN Lines 13,967 14,336 14,792 15,865 3%

Private BRI ISDN Channels 0.08 0.13 0.92 8.2 155%

MDNS Access Connections 11.3 11.6 16 46.2 33%

X.25 7.6 7.2 6.8 4 -12%

Frame/Cell 2.8 3.2 5.1 13.6 38%

IP-VPN 0.1 0.4 3.2 27.4 207%

Other 0.8 0.8 0.9 1.2 8%

Leased Circuits 6.3 6.2 6.6 9.1 8%

Analog 4.4 4.4 4.3 3.5 -4%

Digital 1.9 1.9 2.4 5.5 25%

Up to and including 64kbps 1.7 1.7 2.2 4.9 24%

> 64kbps, < 2Mbps 0.1 0.1 0.1 0.3 28%

2Mbps 0 0 0 0.1 29%

Greater than 2 Mbps 0 0 0 0.2 51%

<자료> : IDC 자료 재구성, 2001.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40 -

터크텔레콤(Turk Telekom)은 1997년까지 모든 통신서비스를 독점하였으며, 디지털 교환망

의 현대화를 추진하여 508대 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켰고, 1997년 약 1,730 만 회선의 교환용

량을 확보, 23.8%의 회선 보급률을 기록했다. 1996년에는 마마리스, 이즈미르, 이스탄블을 잇는

해저광섬유 망을 2 개의 국제 해저 광섬유 망에 링크시켰다. 터키의 네트워크별 서비스 가입자

수 및 서비스별 시장 전망은 <표 1>, <표 2>와 같다.

2. 모바일 서비스

터키의 주요 셀룰러 사업자로는 터크텔레콤(Turk Telekom), 터크셀(Turkcell), 텔심(Telsim)

<표 2> 터키의 유선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 전망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5년 CAGR (%) ’00 ~ ’05

Telephony Services 5,790 5,921 6,231 7,056 4%

Call Revenues 5,742 5,885 6,200 7,045 4%

Local 3,567 3,924 4,237 4,579 5%

National Long Distance 24 27 28 31 5%

Fixed to Mobile * 1,204 1,064 1,081 1,649 6%

International 350.2 333 343 371 1%

Other 597 537 510 415 -7%

Connection and Subscription 48.6 36 31 11 -25%

Data Communications Services 70.7 66 89 176 20%

MDNS 55.7 52 73 155 23%

X.25 7 6 6 3 -14%

Frame/Cell 33 30 46 93 23%

IP-VPN 0.4 1 8 48 166%

Other 15.4 13 14 11 -6%

Leased Circuits Revenue 15 14 16 21 7%

Total Telephony and Data Communications Revenues

5,861 5,987 6,320 7,232 4%

<자료>: IDC자료 재구성, 2001.

<표 3> 터키의 모바일 시장 전망

구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6년 CAGR(%) ’02 ~ ’06

가입자 수(천 명) 22,223.0 24,534.0 26,533.0 29,655.0 7.5

성장률(%) 13.3 10.4 8.1 5.0 -

시장규모(백만 달러) 3,026.9 3,263.6 3,146.4 3,473.3 3.5

성장률(%) 7.6 7.8 4.7 -0.1 -

<자료>: Gartner 자료 재구성, 2002. 5.

● 국별 IT산업 정보

- 41 -

등이 있다. Gartner에 따르면 터키의 모바일 가입자 수는 2002년 약 2,200만 명에서 2006년

에는 거의 3,000만 명에 육박하여 2002년부터 2006년까지 7.5%의 CAGR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시장규모도 2002년 약 30억 달러에서 2006년 약 35억 달러로

꾸준히 성장해 3.5%의 CAGR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 인터넷 서비스

터키의 인터넷 서비스는 1996년 터크넷(TurkNet)의 개통으로 시작되었다. 민간 인터넷 서

비스 제공업자는 터크텔레콤의 임대 회선을 통해 터크넷에 접속할 수 있다. 1993년 국영방송의

독점을 끝내는 방송법 개정으로 인하여 민간 채널이 합법화되었으며, 1997년 이후 전국 방송을

실시하는 방송사는 국영방송사인 TRT 를 비롯하여 총 5 개가 있으며 지역방송업자는 국영인

BRTK사와 ATV사가 있다. CATV서비스는 1986년 앙카라에서 처음 시작된 이후 1997년 6

월에는 10대 도시에서 50만 가구에 서비스 되었다.

IDC에 따르면 터키의 인터넷 가입자 수가 2005년 약 178만 명으로 2000년부터 2005년

까지 13%의 CAGR이 예상되고 있다. 각각 액세스별 가입자 수 및 시장규모는 <표 4>와 같다.

4. 전자상거래

IDC에 따르면 터키의 eCommerce 시장규모가 2000년 약 3,000만 달러에서 2002년에는

1억 2,000만 달러, 2005년에는 15억 달러에 달하며 2000년부터 2005년까지 122%의 CAGR

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B2C 부문의 성장률이 동기간 160%의 CAGR 로 2005

<표 4> 터키의 인터넷 액세스별 가입자 수와 시장규모 전망 (단위: 천 명, 백만 달러)

2000년 2002년 2005년 CAGR(%) ’00 ~ ’05

가입자 수 943 1,233 1,734 13 Dial up

시장규모 584 698 1,003 11

가입자 수 2.5 3.9 9.9 31 Leased Line

시장규모 26.9 69 186 47

가입자 수 5 9 37 52 Broadband

시장규모 1.5 8 72 118

가입자 수 950 1,245 1,781 13 Total

시장규모 613 776 1,261 16

주) : Dial 가입자 수에는 아날로그, ISDN 가입자 수도 포함됨.

Broadband에는 DSL, Cable Modem, Fixed Wireless가 포함됨.

<자료 > : IDC 자료 재구성, 2002.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42 -

년 약 6억 6,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B2B 부문은 107%의 CAGR로 2005년 약 8

억, 6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는 B2B의 시장점유율이 월

등히 높을 것이지만, 차츰 B2C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져 2005년에는 B2C의 점유율도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5> 터키의 eCommerce 시장 전망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5년 CAGR (%) ’00 ~ ’05

B2C

지출규모(Spending) 5.5 16 35 658 160%

성장률 - 182% 127% 122% -

B2B

지출규모 22.7 59 85 856 107%

성장률 - 161% 44% 122% -

Total (US$M) 28.2 75 120 1,514 122%

Growth (%) - 165% 61% 122% -

Share of Total (%)

B2C 20% 21% 29% 43% -

B2B 80% 79% 71% 57% -

<자료>: IDC, 2002.

● 통계정보

- 43 -

2002년 8월 정보통신산업 수출입 동향

1. 2002 년 8 월중 수출입 실적(누계)

가. 전체산업

- 수 출 : 1,034.99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

- 수 입 : 967.09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

- 무역수지 : 67.89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94억 달러 증가)

나. 정보통신산업

[반도체 제외]

- 수 출 : 181.00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0.4% 증가)

- 수 입 : 81.46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

- 무역수지 : 99.54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9.4억 달러 증가)

[반도체 포함]

- 수 출 : 288.00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

- 수 입 : 191.24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

- 무역수지 : 96.76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8.83억 달러 증가)

통계정보통계정보통계정보통계정보

<표 1> 2002 년 8월중(누계) 정보통신산업 수출입 실적 (단위: 백만 달러, %)

2001년 2002년 증감률(%)(무역수지는 증감액)

구 분 8월 (a)

8월 누계(b)

7월 (c)

8월 (d)

8월 누계(e)

전년동월(d-a)/a

전월 (d-c)/c

전년누계(e-b)/b

전체산업 11,766 101,642 13,597 13,991 103,449 18.9 2.9 1.8

반도체 포함 2,859 25,390 3,714 3,931 28,800 37.5 5.8 13.4 수

출 정보 통신 산업 반도체 제외 1,960 15,034 2,297 2,451 18,100 25.0 6.7 20.4

전체산업 11,338 95,047 12,945 12,869 96,709 13.5 -0.6 1.7

반도체 포함 2,138 18,597 2,574 2,645 19,124 23.7 2.8 2.8 수

입 정보 통신 산업 반도체 제외 899 8,020 1,037 1,050 8,146 16.7 1.2 1.6

전체산업 428 6,595 652 1,122 6,789 694 470 194

반도체 포함 720 6,793 1,140 1,286 9,676 566 146 2,883

무 역 수 지

정보 통신 산업 반도체 제외 1,061 7,014 1,259 1,401 9,954 340 142 2,940

주)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패키지 소프트웨어 포함

<자료>: 관세청, ETRI

주간기술동향 통권 1067호 2002. 10. 9. ●

- 44 -

2. 정보통신산업 수출 상위 품목 및 국가

<표 2> 2002 년 8 월(누계) 정보통신기기 수출입 실적 (단위: 백만 달러)

연 도 수 출 수 입 수 지 무역특화지수

1997. 1~8 20,117 (2.8%) 14,350 (15.7%) 5,767 (-19.5%) 0.17

1998. 1~8 18,936 (-5.9%) 11,306 (-21.2%) 7,630 (32.3%) 0.25

1999. 1~8 25,121 (32.7%) 16,322 (44.4%) 8,799 (15.3%) 0.21

2000. 1~8 32,426 (29.1%) 22,856 (40.0%) 9,570 (8.8%) 0.17

2001. 1~8 25,340 (-21.9%) 18,251 (-20.1%) 7,089 (-25.9%) 0.16

2002. 1~8 28,767 (13.5%) 18,782 (2.9%) 9,986 (40.9%) 0.21

주) 패키지소프트웨어 제외, ( )는 증가율, 무역특화지수: 수지/(수출+수입)으로서 1에 근접하면 수출특화, -1에 근접하면 수입특화

<자료>: 관세청, ETRI

<표 3> 2002 년 8 월(누계) 정보통신산업 수출 상위 10 대 품목 (단위: 백만 달러)

순 위 2001년 1~8월 2002년 1~8월

02 01 품 목

수 출 수 입 수 지 수 출 수 입 수 지

1 1 이동전화(셀룰러)단말기 3,578 11 3,567 4,573 (27.8%) 55 (398.0%) 4,518

2 2 반도체 임가공 3,494 3,531 -37 2,972 (-14.9%) 3,613 (2.3%) -642

3 5 액정모니터(최종사용자용) 1,408 142 1,266 2,717 (93.0%) 453 (219.3%) 2,263

4 4 DRAM 모듈 1,663 81 1,582 2,061 (23.9%) 91 (12.9%) 1,970

5 3 DRAM 1,841 99 1,742 1,736 (-5.7%) 76 (-22.8%) 1,660

6 7 천연색의 CRT 1,209 278 931 1,389 (14.9%) 236 (-15.0%) 1,153

7 6 기타 RAM 1,214 507 707 1,211 (-0.2%) 495 (-2.4%) 716

8 15 PCS 409 2 407 905 (121.2%) 20 (901.8%) 885

9 14 기타 무선통신기기 부분품 484 375 109 784 (62.0%) 560 (49.3%) 224

10 11 노트북 PC 612 142 470 675 (10.3%) 153 (7.5%) 522

주)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자료>: 관세청, ETRI.

<표 4> 2002 년 8 월(누계) 정보통신산업 수출 10 대 국가 (단위: 백만 달러)

순 위 2001년 1~8월 2002년 1~8월

02 01 품 목

수 출 수 입 수 지 수 출 수 입 수 지

1 1 미국 6,925 4,728 2,198 6,835 (-1.3%) 4,176 (-11.7%) 2,659

2 6 중국 1,665 1,599 65 3,150 (89.2%) 2,186 (36.7%) 963

3 3 홍콩 2,094 335 1,759 2,935 (40.2%) 416 (24.2%) 2,519

4 2 일본 2,724 4,216 -1,492 2,525 (-7.3%) 4,340 (2.9%) -1,815

5 5 대만 1,714 1,813 -99 2,143 (25.1%) 1,954 (7.8%) 189

● 통계정보

- 45 -

(정보화기술연구소 경제분석연구팀/ ☎ 042-860-4858)

순 위 2001년 1~8월 2002년 1~8월

02 01 품 목

수 출 수 입 수 지 수 출 수 입 수 지

6 4 싱가포르 1,717 1,183 534 1,531 (-10.9%) 1,327 (12.2%) 203

7 8 영국 997 115 882 1,198 (20.1%) 111 (-3.5%) 1,087

8 7 독일 1,059 263 796 1,165 (10.0%) 323 (22.8%) 842

9 9 말레이지아 783 1,220 -437 972 (24.1%) 1,183 (-3.0%) -211

10 10 필리핀 727 797 -69 782 (7.5%) 840 (5.5%) -59

주)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자료>: 관세청, ETRI.

3. 품목별 정보통신산업 수출입 현황

<표 5> 2002 년 7월(누계) 정보통신산업 수출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수출 수입 무역수지 구분

2001. 8. 2002. 8. 증감률 2001. 8. 2002. 8. 증감률 2001. 8. 2002. 8.

통신기기 6,234 7,738 24.1% 2,191 2,036 -7.1% 4,043 5,702

유선통신기기 1,057 683 -35.4% 1,307 998 -23.7% -250 -315

무선통신기기 5,177 7,054 36.3% 884 1,038 17.5% 4,294 6,016

이동전화단말기 3,987 5,478 37.4% 12 75 500.3% 3,974 5,403

이동전화시스템 176 83 -52.6% 36 27 -25.1% 140 57

정보기기 4,922 6,186 25.7% 2,671 2,739 2.5% 2,251 3,447

컴퓨터 본체 1,289 1,058 -17.9% 607 570 -6.1% 682 488

PC 1,244 1,017 -18.2% 223 242 8.8% 1,021 775

Desk Top PC 632 342 -45.8% 81 90 11.1% 551 253 노트북 PC 612 675 10.3% 142 153 7.5% 470 522

컴퓨터 주변기기 3,633 4,712 29.7% 2,064 2,104 1.9% 1,569 2,608

모니터 2,116 3,158 49.2% 264 522 97.3% 1,852 2,636

방송기기 467 550 17.7% 55 68 24.0% 412 482

위성방송 수신기 327 402 23.2% 13 12 -7.9% 314 391

부품 13,717 14,294 4.2% 13,334 13,939 4.5% 382 355

반도체 및 부분품 10,356 10,700 3.3% 10,577 10,978 3.8% -221 -278 기타 3,361 3,594 6.9% 2,758 2,961 7.4% 603 633

패키지 S/W 50 33 -33.9% 346 342 -1.0% -296 -309

합계(반도체 제외) 15,034 18,100 20.4% 8,020 8,146 1.6% 7,014 9,954

합계(반도체 포함) 25,390 28,800 13.4% 18,597 19,124 2.8% 6,793 9,676

주)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증감률이나 합계는 반올림으로 인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관세청, ETRI.

- 46 -

IIIIIIIIIIII TTTTTTTTTTTT 정정정정정정정정정정정정보보보보보보보보보보보보센센센센센센센센센센센센터터터터터터터터터터터터 발발발발발발발발발발발발간간간간간간간간간간간간 자자자자자자자자자자자자료료료료료료료료료료료료 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내내내내내내내내내내내내

최고, 초일류의 정보원을 지향하고 있는 I T정보센터에서는 독자 여러분들이 최상의 정보로

믿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창출, 분석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창출된

정보의 원활한 유통과 확산 보급을 위해 유가지를 병행 발간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변함

없는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1. 발간물 안내

2. 구독료

가. 정기간행물

간행물 명 권당가격 연 구독료 종합 구독료

주간기술동향(50회) 1,200 48,000

전자통신동향분석(6회) 3,000 14,400 60,000

나. 정보통신총서 및 기술/시장 보고서

간행물명 가 격 비 고

정 보 통 신 총 서 발간물 성격에 따라 별도 책정

5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각 권당 50,000 50권 1세트로 구성

3. 신청 및 문의

□ 자료내용 문의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 T정보센터

전 화: 042-860-6586 팩스: 042-860-6737

□ 구독 문의처 : 산업자료센타(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2동 173번지 삼창플라자 B/D 1209호)

전 화: 02-3275-2142~3 팩스: 02-3275-2144 http://www.kidc21.com

주주주주 간간간간 기기기기 술술술술 동동동동 향향향향 1981년 국내 최초로 정보통신분야의 전문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한 전문동향지. 정

보통신/방송분야의 기술/정책/시장 등의 최근 세계 동향을 조사ㆍ분석하여 수록

정보통신, 컴퓨터, 반도체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연구원들이 최

신의 기술/정책/산업 동향을 심층 분석하여 수록한 전문 분석지

정보통신부가 전략적으로 중점 육성하여 연구개발을 추진코자 하는 50대 분야의

최신 기술 및 시장 동향을 심층 조사ㆍ분석한 보고서

특정 테마에 대한 조사분석서, 정책자료, 용어 및 기술해설서 등 I T정보센터에서

발간하는 각종 단행본류

전전전전 자자자자 통통통통 신신신신 동동동동 향향향향 분분분분 석석석석

50505050대품목대품목대품목대품목 기술시장기술시장기술시장기술시장 보고서보고서보고서보고서

정정정정 보보보보 통통통통 신신신신 총총총총 서서서서

주간기술동향 99-07 ●

- 47 -

4. 기술/시장 보고서

5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2001년 말 발행) 가 격

광통신 (5개 품목)

고속가입자장치, 고속LAN, 광전송장치, 라우터, ATM

디지털방송 (4개 품목)

디지털음향재생기, 셋탑박스, 인터넷방송, 디지털TV

무선통신 (7개 품목)

텔레매틱스, GPS, 블루투스, 이동통신단말, BWLL, IMT-2000, ITS

소프트웨어 (9개 품목)

통합 메시징 시스템, GIS, ASP, CRM, 음성처리시스템, 3D애니메이션, 가상현실, ERP/SCM, 게임 소프트웨어

차세대인터넷 (8개 품목)

무선인터넷, 인터넷정보단말, VoPN, 홈네트워킹, VPN, 인터넷보안, 전자상거래, 전자지불시스템

컴퓨터기술 (6개 품목)

이동컴퓨팅단말, OS, DVD, 멀티미디어 서버, PC, SAN

기초기술 (3개 품목)

Bioelectronics, Bioinformatics, 생체측정시스템

부품기술 (8개 품목)

마이크로컴포넌트, 광통신부품, ASIC, 2차전지, 메모리, 무선통신반도체, 스마트카드, LCD

각 권 50,000원

5. 정보통신총서

서 명 쪽수 발행일자 가 격

세계 IT통계현황 및 산업전망 298 2001. 12. 30,000원

아시아지역 IT산업현황 및 진출전략 234 2001. 12. 30,000원

중국 IT 산업보고서 190 2001. 12. 30,000원

대만 IT 산업보고서 203 2001. 12.

인도 IT 산업보고서 80 2001. 12. 비매품

정보통신 유망시장 탐색 및 진출 전략 177 2000. 1. 20,000원

중국의 정보통신산업 보고서 200 2001. 1. 10,000원

알기쉬운 정보통신강좌 2, 3 212/179 1999/2001 각 권 10,000원

6. 기발간 간행물

서 명 쪽수 발행일자 가 격

기술시장 보고서

4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 2001. 1. 각 권 50,000원

3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 2000. 1. 각 권 50,000원

조사분석서

주요 통신기기업체의 해외시장 진출 실태 및 특성 164 1999. 2. 6,000원

정보화사회시리즈

인터넷 상거래의 물결 144 1998. 6. 5,000원

정보통신 빅뱅 176 1998. 10. 6,000원

* 1998년 이전 발간도서는 http://www.kidc21.com (산업자료센타 홈페이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EEEEEEEEEEETTTTTTTTTTTTRRRRRRRRRRRRIIIIIIIIIIII JJJJJJJJJJJJoooooooooooouuuuuuuuuuuurrrrrrrrrrrrnnnnnnnnnnnnaaaaaaaaaaaallllllllllll 논논논논논논논논논논논논문문문문문문문문문문문문모모모모모모모모모모모모집집집집집집집집집집집집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정보통신 분야 국내 유일의 SCI 등재 논문지인 ETRI

Journal에 게재할 학술논문을 모집합니다. ETRI Journal은 지난 1998년 SCI에 등재

됨으로써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의 학술활동이 세계적인 수준임을 알려 준 국제 논

문지입니다. ETRI Journal 은 명실상부한 국제 논문지로서의 위상을 견고히 하고자

1999 년 국내외 관련분야 종사자들에게 논문투고를 개방한 바 있으며, 또한 2002 년

부터는 신속한 게재를 위해 격월간으로 발행되오니 많은 투고 바랍니다.

1. 발행주기: 격월간 (연6회,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2. 제출 분야

- 반도체ㆍ원천기술 분야 - 네트워크기술 분야 - 무선방송기술 분야

- 이동통신기술 분야 - 컴퓨터ㆍS/W 기술 분야 - 정보화ㆍ정보보호기술 분야

3. 제출 자격: 자격 제한 없이 누구나 투고할 수 있음

4. 대상 논문

- 독창성 있는 전문의 논문(full paper)으로서 다른 곳에 제출하였거나 발표/게재되지

않은 영문 논문

5. 투고 요령

- 논문 작성은 Microsoft Word를 사용

- 작성매수: ETRI Journal 형식으로 편집 시 15페이지 이내

- 논문투고신청서, 저작권 양도서, 논문 1부 및 파일 제출(양식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홈페이지: http://etrij.etri.re.kr/

6. 기타:

심사료/게재료 등은 ETRI가 부담하며, 투고/게재 논문에 대해 필요 시 영문감수 제공

7. 제출 및 문의처

- (우) 305-350 대전시 유성구 가정동 161번지 정보조사분석팀 ETRI Journal 편집담당

- Tel: 042-860-6127 Fax: 042-860-6737 E-mail: [email protected]

통권 1067호 (TIS-02-39)

발 행 년 월 일 : 2002년 10월 9일 (주간)

발 행 소 :

편집인겸 발행인 : 오길록

등 록 번 호 : 대전 다 -1003

등 록 년 월 일 : 1985년 11월 4일

인 쇄 인 : 필마스타인쇄공사

(I T정보센터)

305-350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161

전화 : (042) 860-6586~8 팩스 : (042) 860-6737

□ 사 업 책 임 자 : 하원규 (I T정보센터장)

□ 과 제 책 임 자 : 이재환 (정보조사분석팀장)

□ 참 여 연 구 원 : 이윤철, 임영이, 조성선, 김정환, 문형돈, 박천교, 민승기

김용균 (정보조사분석팀원)

전영미, 김현주, 이은희, 전용미 (위촉)

□ EG위원

반도체ㆍ원천기술연구소 : 조원주, 정명애, 신동호, 정희범, 심규환, 정명영

네 트 워 크 연 구 소 : 정유현, 김광준, 김정윤

무 선 방 송 연 구 소 : 안충현, 최상성

이 동 통 신 연 구 소 : 박정현, 김윤희

컴퓨터소프트웨어연구소 : 김홍연, 이인호, 임충규, 김흥남

정 보 화 기 술 연 구 소 : 신성식, 유영상, 이상규, 한상영, 정하재, 이강찬, 김동호

정 보 보 호 연 구 본 부 : 류희수, 류걸우